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9
Biomaterials Research (2010) 14(3) : 131-139 131 Biomaterials Research C The Korean Society for Biomaterials 종류의 성장인자가 함께 도입된 반월상 연골 형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Immobilized Meniscus-Shaped Polymer Scaffold 김태호 1 ·오세행 1 ·이명철 2 ·이진호 1 * Tae Ho Kim 1 , Se Heang Oh 1 , Myung Chul Lee 2 , and Jin Ho Lee 1 * 1 한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1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Hannam University, Daejeon 305-811, Korea 2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0-744, Korea (Received June 29, 2010/Acccepted August 04, 2010) In this study, we prepared dual growth factor (TGF-β 1 and BMP-2)-immobilized meniscus-shaped polycaprolactone (PCL)/Pluronic F127 scaffolds for meniscus regeneration. The growth factor-immobilized meniscus-shaped scaffolds were fabricated using a melt-molding particulate-leaching method followed with the binding of heparin and growth factors onto the pore surfaces of the scaffolds. The meniscus-shaped scaffolds exhibited highly porous and open-cel- lular pore structures with almost same surface and interior porosities (pore size, 425 - 500 µm; porosity, ~90%). From the measurements of mechanical properties [bi-axial compression test using an indentation method], hydrophilicity and heparin immobilization amount of the scaffolds, we recognized that about 10 wt% addition of Pluronic F127 into the PCL was optimal to fabricate the dual growth factor-loaded meniscus-shaped PCL/Pluronic F127 scaffold. Both growth factors (TGF-β 1 and BMP-2) loaded in the meniscus-shaped scaffolds were released with a sustained manner up to 7 weeks, which can provide a good environment for the effective meniscus regeneration. Key words: Polycaprolactone, scaffold, growth factor, meniscus regeneration 월상 연골(meniscus) 무릎관절 경골과 대퇴골 사이 위치하고 있으며, 강도와 탄력성을 동시에 가지는 달모양의 섬유연골 조직으로서, 관절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관절 윤활 작용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1) 이러한 반월상 연골은 연골 자체의 퇴행성 변화, 교통사고 최근 급증하고 있는 포츠 활동 등에 의해 손상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 , 인구 10 만명당 매년 60~70 명의 환자가 반월상 연골의 파열로 진단되고, 미국에서만 반월상 연골 손상에 의해 850,000 건의 외과적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2) 반월상 연골이 손상되면 혈관이 존재하는 부분 [ 월상 연골의 외곽부(red zone)] 자발적인 재생이 가능하지만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 [ 반월상 연골의 내곽부 (white zone)]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3-6) 이러한 손상이 적절히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 손상 무릎관절의 기능 소실까지 유발할 있다고 알려져 있다. 7) 손상된 반월상 연골의 치료를 위해 봉합법 8,9) ( 혈관이 존재하는 red zone 경우), 절제법 9) (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white zone 경우) 동종이식법 10-12) 등이 수행되어 왔으나, 적용이 한정적이거 ( 봉합법, 전체 반월상 연골 파열환자의 10% 정도에 적용 가능), 오히려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 절제법) 시키는 , 이들이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동종이식법의 경우에는 면역 거부반응, 감염, 공여자 부족, 비용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13,1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최근에는 반월상 연골 형태의 다공성 고분자 지지 혹은 지지체에 환자의 연골에서 채취한 세포를 주입하 이식 하는, , 조직공학기법을 이용한 치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5-18) 이때 사용되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 연골세포가 성장하 기에 적합한 표면특성, 다공크기, 압축강도 유연성을 지녀야 한다. 19) 또한 최근 조직공학의 세포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줄기 세포의 연골세포로의 효과적인 분화 유도 연골세포의 활성 유지, 증식을 위해 다공성 지지체 내에 적절한 성장인자의 입이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2, 3 (TGF-βs) bone morphogenetic proteins 2, 6, 7 (BMPs) 등이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성장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20-27) * 책임연락저자: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7-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Biomaterials Research (2010) 14(3) : 131-139

131

Biomaterials

Research

C The Korean Society for Biomaterials

두 종류의 성장인자가 함께 도입된 반월상 연골 형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및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Factor-Immobilized Meniscus-Shaped Polymer Scaffold

김태호1·오세행

1·이명철

2·이진호

1*

Tae Ho Kim1, Se Heang Oh1, Myung Chul Lee2, and Jin Ho Lee1*

1한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1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Hannam University, Daejeon 305-811, Korea2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0-744, Korea(Received June 29, 2010/Acccepted August 04, 2010)

In this study, we prepared dual growth factor (TGF-β1 and BMP-2)-immobilized meniscus-shaped polycaprolactone(PCL)/Pluronic F127 scaffolds for meniscus regeneration. The growth factor-immobilized meniscus-shaped scaffoldswere fabricated using a melt-molding particulate-leaching method followed with the binding of heparin and growthfactors onto the pore surfaces of the scaffolds. The meniscus-shaped scaffolds exhibited highly porous and open-cel-lular pore structures with almost same surface and interior porosities (pore size, 425 - 500 µm; porosity, ~90%). Fromthe measurements of mechanical properties [bi-axial compression test using an indentation method], hydrophilicity andheparin immobilization amount of the scaffolds, we recognized that about 10 wt% addition of Pluronic F127 into thePCL was optimal to fabricate the dual growth factor-loaded meniscus-shaped PCL/Pluronic F127 scaffold. Both growthfactors (TGF-β1 and BMP-2) loaded in the meniscus-shaped scaffolds were released with a sustained manner up to 7weeks, which can provide a good environment for the effective meniscus regeneration.

Key words: Polycaprolactone, scaffold, growth factor, meniscus regeneration

서 론

월상 연골(meniscus)은 무릎관절 내 경골과 대퇴골 사이

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도와 탄력성을 동시에 가지는 반

달모양의 섬유연골 조직으로서, 관절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무

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관절 윤활

작용 등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1) 이러한 반월상 연골은

연골 자체의 퇴행성 변화, 교통사고 및 최근 급증하고 있는 스

포츠 활동 등에 의해 그 손상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

며, 인구 10 만명당 매년 60~70명의 환자가 반월상 연골의

파열로 진단되고, 미국에서만 한 해 반월상 연골 손상에 의해

약 850,000건의 외과적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2) 반월상 연골이 손상되면 혈관이 존재하는 부분 [반

월상 연골의 외곽부(red zone)]은 자발적인 재생이 가능하지만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 [반월상 연골의 내곽부 (white

zone)]은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며,3-6) 이러한 손상이 적절히 치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의 손상 및 무릎관절의

기능 소실까지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7) 손상된 반월상

연골의 치료를 위해 봉합법8,9) (혈관이 존재하는 red zone의

경우), 절제법9)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white zone의 경우) 및

동종이식법10-12)

등이 수행되어 왔으나, 그 적용이 한정적이거

나(봉합법, 전체 반월상 연골 파열환자의 약 10% 정도에 적용

가능), 오히려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절제법) 시키는

등, 이들이 근본적인 치료법이 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

히 동종이식법의 경우에는 면역 거부반응, 감염, 공여자 부족, 높

은 비용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13,1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최근에는 반월상 연골 형태의 다공성 고분자 지지

체 혹은 이 지지체에 환자의 연골에서 채취한 세포를 주입하

여 이식 하는, 즉, 조직공학기법을 이용한 치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5-18) 이때 사용되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생

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 연골세포가 성장하

기에 적합한 표면특성, 다공크기, 압축강도 및 유연성을 지녀야

한다.19) 또한 최근 조직공학의 세포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줄기

세포의 연골세포로의 효과적인 분화 유도 및 연골세포의 활성

유지, 증식을 위해 다공성 지지체 내에 적절한 성장인자의 도

입이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2, 3 (TGF-βs) 및

bone morphogenetic proteins 2, 6, 7 (BMPs) 등이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성장인자로 인식되고 있다.20-27)*책임연락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132 김태호·오세행·이명철·이진호

Biomaterials Research 2010

이러한 성장인자를 다공성 지지체 내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헤파린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헤파린은 고

분자 표면과 성장인자 사이를 연결해 주는 매개 역할(interme-

diator)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헤파린은 고분자 표면에

존재하는 아민기와의 공유결합을 통해 고분자 표면에서 도입되

며, 이후 헤파린에 존재하는 O-sulfate/N-sulfate와 성장인자의

lysine/arginine 간의 이온결합을 통해 성장인자를 지지체 표면

에 위치시킬 수 있다.28-30) 하지만 지지체 표면에 존재하는 아

민기와 헤파린 간의 공유결합은 헤파린의 생물학적 기능

(biological function)을 떨어뜨리며, 이로 인해 성장인자와의 상

호작용 즉, 성장인자의 지지체 표면으로의 도입 효율을 낮춘다

고 알려져 있다.31)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월상 연골의 효과적인 재생 유도를 위

해, 세포의 분화/증식/활성 유지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균일한 입체 다공성을 가지며 세포가 도

입된 다공질 내로 산소와 자양분을 가지고 있는 배양액의 침투

가 용이한 친수성을 가짐은 물론, 성장인자들을 손쉽고 효율적

으로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할 수 있는 반월상 연골형태의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체적합성, 생

분해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polycaprolactone

(PCL)과 친수성 및 헤파린과의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Pluronic F127이 혼합된 필름을 제조하고, 이 제조된 필름으로

부터 본 연구팀이 고안한 미세분말 열압착법(melt-molding

particulate-leaching method)32)을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지지체의 제조과정에서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노출

된 Pluronic F127의 polyethylene glycol (PEG) 사슬은 헤파

린과의 수소결합을(물리적 결합이므로 헤파린의 생물학적 기능

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33) 그리고 헤파린은 다시 성장인자와의

이온결합을 통해, 반월상 연골형태의 다공성 지지체 다공표면

에 성장인자를 안정하게 도입하고자 하였다(Figure 1 참조). 제

조된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벌크 특성분석 및 성장인자의 도입

량/방출거동 분석을 통해 반월상 연골형태 지지체의 제조 최적

조건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효과적인 반월상 연골 재생을 위

한 지지체로의 응용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반월상 연골의 효과적인 재생을 위해, 성장인자가 도입된 반

월상 연골 형태의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PCL (Mw

80,000; Aldrich, USA)과 소수성 PCL 지지체의 친수성 부여

및 헤파린과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첨가제로 polyethylene

oxide (PEO)-polypropylene oxide (PPO)-PEO 공중합체인

Pluronic F127 (EO99PO65EO99; BASF, USA)이 사용되었다. 또

한 지지체 표면에 성장인자 도입을 위한 매개체로 헤파린

Figure 1. Possible mechanism for the successive binding of heparin and growth factor onto the pore surface of the porous PCL/Pluronic F127scaffolds.

Page 3: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두 종류의 성장인자가 함께 도입된 반월상 연골 형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및 분석 133

Vol. 14, No. 3

(Celsus laboratories, USA)이 사용되었고, 지지체 내 도입된 세

포의 연골화 촉진을 위한 성장인자로 TGF-β1과 BMP-2 (R&D

System, USA)가 사용되었다.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반월상 연골 형태의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PCL

에 Pluronic F127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고분자 필름을 제

조하였다. PCL과 Pluronic F127이 일정비율 (PCL base,

Pluronic F127 조성 0 - 20 wt%)로 혼합된 용질을 methylene

chloride (MC; Oriental Chemical Industries, Korea)에 10 wt%

로 용해시킨 후, glass Petri-dish에 부어 데시케이터(Desiccator)

내에서 24시간 건조하여 두께 ~350 µm인 필름을 제조하였으

며, 제조된 필름의 잔여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48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각 조성별로 제조된 PCL/Pluronic F127 필

름과 본 연구팀이 고안한 미세분말 열압착법 (melt-molding

particulate-leach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면과 내부의 다공

성이 균일하며 반월상 연골 형태 [개 (mongrel dog)의 반월상

연골 크기 모델]의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33) 각 조

성별로 제조된 PCL/Pluronic F127 필름을 반월상 연골 형태의

음각으로 새겨진 스테인레스 스틸 몰드에 넣고 150oC로 예열

된 열압착기를 이용하여 30 MPa로 열압착하여 반월상 연골

형태의 PCL/Pluronic F127 필름을 제조하였다(Figure 2(A)). 다

공질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소금입자(NaCl, Ducksan

Pharmacy, Korea)를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분자체

(molecular sieve)를 이용하여 425~500 µm 크기의 입자들을

걸러내어 사용하였다. 황동 재질로 제작된 몰드(φ 30 mm, T

15 mm)에 5 g의 소금입자를 균일하게 분포시킨 후, 몰드에 맞

게 반월상 연골 형태 PCL/Pluronic F127 필름을 위치시키고

다시 5 g의 소금입자를 균일하게 덮어주었다. 이렇게 준비된 몰

Figure 2. Photographs showing (A) the dimension change of meniscus-shaped specimen during the scaffold fabrication and (B) the meniscus-shaped scaffold fabrication process by a melt-molding particulate-leaching method.

Page 4: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134 김태호·오세행·이명철·이진호

Biomaterials Research 2010

드를 150oC로 미리 예열시킨 압축성형기에 위치시키고, 황동

재질의 몰드 내부의 필름까지 열이 전달되도록 20~30 MPa의

압력으로 2분간 압착한 후, 연화된 필름의 표면 및 내부에 소

금결정이 잘 침투 되도록 다시 50~60 MPa의 압력으로 30

초 동안 압착하였다. 그런 다음 황동재질의 몰드를 압축성형기

에서 꺼내고 몰드의 상·하판을 분리하여, 소금입자가 함유된

반월상 연골 형태의 초벌 지지체(pre-scaffold)를 얻었다. 이 초

벌 지지체를 과량의 초순수로 4시간동안 세척하여 소금입자를

완전히 제거한 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진공 건조하여 균일

한 입체 다공성, 친수성 및 지지체의 표면에 성장인자의 도입

이 가능한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2(B)).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의 특성 분석

제조된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의 다공질 형태, 분포

및 다공크기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3000,

Hitachi, Japa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조된 반월

상 연골 형태 지지체를 5 × 5 mm의 크기로 잘라 platinum으로

진공 증착하여, 지지체의 표면 및 단면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반월상 연골 형태의 지지체의 다공도(porosity)는 Archimedes'

원리에 기초한 비중병(Hubbard specific gravity bottle, Hanil,

Kore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35)

Porosity(%) = [(W2−W3−Ws) / (W1−W3)] × 100

여기서, Ws는 측정하고자 하는 지지체의 무게, W1은 에탄올

을 가득 채운 비중병의 무게, W2는 지지체와 에탄올로 가득

채워진 비중병의 무게, 그리고 W3는 W2로부터 에탄올이 함유

된 (지지체의 다공에 에탄올이 채워진 상태) 지지체를 꺼낸 후

비중병의 무게를 나타낸다.

반월상 연골 형태 PCL 지지체에서 Pluronic F127 함유량에

따른 지지체의 기계적 물성변화는 compression test 방법(in-

dent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

구팀이 제조한 compression test 장비를 Instron 인장기기(AG-

5000G, Shimadzu, Japan)에 설치하였으며, 다공성 지지체 중

앙 부분(middle position)에서의 기계적 강도(압축강도)를 직경이

3 mm인 indenter tip을 이용하여 5 mm/min의 cross-head

speed로 압축 실험을 시행하였다. 제조된 반월상 연골 형태 다

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압축강도 측정의 경우, 시료의 단면이 삼

각형 형태의 경사진 모양을 하고 있어 물성 측정 시 indenter

tip과 시료 측정면의 닿는 부분이 미끌어져 물성측정의 오차를

유발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는 시료를 평평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plate의 아랫면을 자유롭

게 회전이 가능한 반구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시료가 고정된

plate의 방향을 조절하여 시료 측정면과 indenter tip을 수직 방

향으로 위치시켜 보다 정밀한 물성값을 얻고자 하였다(Figure 3).

제조된 PCL/Pluronic F127 지지체에서, 지지체의 친수성 및

헤파린과의 수소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Pluronic F127의 다공

표면 노출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친수성 Pluronic F127의 함

유량에 따른 지지체의 젖음성이 측정되었다. 지지체의 젖음성

정도는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H~7.4)를 고분자

지지체에 떨어뜨렸을 때 용액이 지지체 내로 흡수되는 시간 측

정에 의해 판단되었으며,32) 젖음성이 우수할수록(지지체의 젖는

시간이 짧을수록)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Pluronic F127이 많

이 노출되어 헤파린과의 상호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반월상 연골 형태 지지체 다공표면에 성장인자의 도입

1) 지지체 다공표면에 헤파린의 도입

제조된 반월상 연골 형태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성장인자 도

입을 위한 전단계로서,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존재하는 Pluronic

F127과 헤파린 간의 수소결합(Pluornic F127의 PEG chain과

헤파린의 카르복실작용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헤파린(성장인

자 도입을 위한 intermediator 역할)을 지지체의 표면에 도입하

고자 하였다.27) 이를 위해, 제조된 PCL/Pluronic F127 (PCL

base, Pluronic F127 조성 0 - 20 wt%) 다공성 지지체를 헤파

린 수용액(3 mg/ml in 2 wt% NaCl solution)에 3시간 동안 담

궈 Pluronic F127과 헤파린 간의 수소결합을 유도하였으며, 지

지체의 표면에 결합되지 않고 존재하는 헤파린의 제거를 위해

과량의 2 wt% NaCl 수용액과 초순수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동결건조하여 헤파린이 도입된 반월상 연골 형태 다

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된 헤파

린의 양은 Toluidine blue 분석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36)

Figure 3. Photographs demonstrating (A) the compression test equip-ment for meniscus-shaped porous scaffold (indentation method) and(B) angle adjustment of specimen to align vertically between indentertip and surface of specimen.

Page 5: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두 종류의 성장인자가 함께 도입된 반월상 연골 형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및 분석 135

Vol. 14, No. 3

2) 지지체 다공표면에 성장인자의 도입

반월상 연골 형태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성장인자의 도입을

위해, 헤파린이 도입된 다공성 지지체를 두 종류의 성장인자

[TGF-β1 (500 ng/ml), BMP-2 (500 ng/ml); 총 성장인자의 농도

1 µg/ml (in PBS)]가 동시에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서 3 시간

동안 담궈 헤파린과 성장인자들 간의 이온결합을 유도하였으며,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되지 않은 성장인자들은 과량의 PBS

로 3회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도입된 성

장인자의 양은 direct ELISA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37)

이 때 사용되는 direct ELISA 기법은 ELISA kit (Duoset®, R

& D system)을 이용한 성장인자의 정량 과정에서 성장인자가

도입된 지지체 자체를 primary substance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된 성장인자의 양을 보다 직접적이며

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된 성장인자에 각 성장인자와 특이적

상호작용(specific interaction)을 할 수 있는 detection anti-

body를 붙이고, 이 antibody가 결합된 지지체에 streptavidin-

HRP, substrate 및 stop solution을 제조사의 protocol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입한 후, microplate reader (wavelength, 450

nm)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성장인자의 농도에

따른 standard curve를 이용하여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된

각 성장인자를 정량할 수 있었다. 또한,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성장인자의 도입에 있어 헤파린의 역할을 보다 면밀히 관찰하

기 위해, 헤파린이 도입되지 않은 PCL/Pluronic F127 지지체

에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성장인자를 도입하였으며, 헤

파린 유·무에 따른 성장인자의 도입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에 도입된 성장인자의

방출거동 분석

다공성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존재하는 헤파린의 유·무에 따

른 각 성장인자의 방출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두 성장인자가 함

께 도입된 지지체를 15 mL polypropylene (PP) tube에 위치시

키고 37oC로 예열된 1 mL PBS(방출된 성장인자의 응집을 막기

위해 0.1 wt% bovine serum albumin 포함)를 PP tube에 채

운 후, 37oC, 50 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항온조에 일정시간(1,

3, 5, 7, 14, 21, 35, 42 일) 보관하였다. 정해진 시간마다 전

체 PBS를 조심스럽게 채취하고 다시 새로운 PBS로 교환해 주는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고, PBS에 용출된 두 종류의 성장인자

를 각각의 ELISA ki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각 성

장인자와 특이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capture antibody가 코

팅되어있는 well plate에 채취된 시료용액, detection antibody,

streptavidin-HRP, substrate 및 stop solution을 제조사의 protocol

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입한 후, microplate reader (wave-

length, 450 nm)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성장

인자의 농도에 따른 standard curve를 이용하여 지지체로부터

용출되는 각 성장인자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는 mean ± S.D.로 표현되었으며, student's t-test를 통해

얻어진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가

진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및 고찰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의 특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반월상 연골의 효과적인 재생을 유도

하기 위해, 균일한 입체 다공성을 가지며, 세포가 도입된 다공

질 내로 산소와 자양분을 가지고 있는 배양액의 침투가 용이한

친수성을 가짐은 물론, 성장인자들을 화학적 반응없이 손쉽게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할 수 있는 반월상 연골 형태의 다공

성 지지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체적합성과 생분

해성을 가지는 PCL과 Pluronic F127을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

형태의 필름을 만들고, 이 필름을 이용한 미세분말 열압착법을

통해 반월상 연골 형태의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지지체의 표면 및 단면 morphology를 SEM을 통해 관찰한

Figure 4. SEM photographs of meniscus-shaped PCL/Pluronic F127 scaffold (Pluronic F127 content, 10 wt%).

Page 6: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136 김태호·오세행·이명철·이진호

Biomaterials Research 2010

결과를 Figure 4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보듯이 PCL 지지체

의 표면과 단면의 다공 구조가 거의 동일하고, 다공도 분포가

매우 균일하며, 다공질이 서로 열린계(open cell)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조직공학용 지지체로서 응용이 용이한 형태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

법으로 제조가 용이하지 못했던, 반월상 연골 형태의 다공성

지지체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공질

의 크기는 지지체 제조시 사용한 소금 입자의 크기(425~500

µm)와 거의 동일하였으며, Archimedes 원리를 이용한 다공도

(porosity) 측정 결과, 지지체의 다공도가 90 % 이상으로 조직

공학용 지지체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즉 세포가 자라고 영양분

공급이 원활할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다공도

를 가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38)

제조된 PCL/Pluronic F127 지지체에서 첨가제로 사용된

Pluronic F127의 지지체 다공표면 노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지지체의 젖음성이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 control PCL 지지체

의 경우에는 PCL 자체가 소수성이므로 PBS 용액이 지지체 내

로 전혀 흡수되지 못하고 지지체의 표면에서 방울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 Pluronic F127을 10 wt% 이상 함유한 PCL 지지

체는 친수성이 향상되어 PBS 용액을 지지체 표면에 떨어뜨리

자 마자 곧바로 지지체 내로 흡수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able 1). 이러한 소수성 PCL 지지체의 친수화는 지지체 다공

표면으로 노출된 Pluronic F127 내의 친수성 PEO 분자들에

기인한 결과이며(Figure 1 참조), PCL 지지체 내에 Pluronic

F127이 10 wt% 이상 함유된 경우, 헤파린과 수소결합을 유도

할 수 있는 Pluronic F127이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포화상태

(saturation condition)로 존재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즉, 지지체

의 다공표면에 헤파린(성장인자 도입을 위한 intermediator로 작

용)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PCL 지지체 내에 Pluronic

F127이 10 wt% 이상 함유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팀에서 직접 고안·제작한 compression test 장치를

이용하여, 지지체의 친수성은 물론 헤파린과의 상호작용 유도

를 위해 사용된 Pluronic F127의 함유량에 따른 PCL/Pluronic

F127 지지체의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를 Figure 5에 나타내었

다. 그림으로 부터, Pluronic F127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압

축강도가 감소하였으나, 각 곡선의 기울기(load의 변화값/

displacement의 변화값)로부터 지지체의 유연성이 증가함도 관

찰할 수 있었다(기울기가 작을수록 유연성이 좋아짐을 의미). 이

러한 현상은 Pluronic F127이 PCL 지지체 내에서 일종의 가소

제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또한, 압축강도 측정에 사

용된 반월상 연골 형태 지지체의 표면이 기울어져 있음에도 불

구하고 본 연구팀의 물성 측정 장치(시편이 고정된 plate의 아

랫면이 반구 형태로 시료와 indenter tip과의 각도를 수직으로

조절 가능; Figure 3 참조) 사용으로 indenter tip과 시료 간의

미끄러짐 없이 보다 정밀한 물성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다.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제조된 PCL/Pluronic F127 지지체에

헤파린의 도입은 지지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Pluronic F127 내

PEO 사슬의 ether oxygen (-O-)과 헤파린에 존재하는 카르복

실산 간의 수소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32) Figure 6은

Pluronic F127이 다양한 조성비로 혼합되어 있는 PCL/Pluronic

F127 다공성 지지체에 도입된 헤파린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

다. 그림에서 보듯이, 지지체 내에 첨가된 Pluronic F127의 양

이 증가할수록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된 헤파린의 양이 점

진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luronic F127이 PCL

지지체 내에 10 wt%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입된 헤

파린의 양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지 않음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지지체 표면에 Pluronic F127이 잘 노출

되어 있음과 Pluronic F127과 헤파린과의 상호작용이 잘 형성

되고 있으며, PCL/Pluronic F127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효율적

으로 헤파린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Pluronic F127이 10 wt%

이상 함유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ntrol PCL 지지체

의 경우에도 지지체 당 약 5 µg의 헤파린이 도입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헤파린의 지지체의 표면에로의 물리적 흡착

(physical adsorption)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성장인자 도입을

위한 Pluronic F127 및 헤파린이 지지체의 표면에 포화상태로

존재하며, 지지체의 기계적 물성 변화가 비교적 작은, 즉

Pluronic F127이 PCL에 대해 10 wt% 함유되어 있는 지지체

Table 1. Wetting time of meniscus-shaped PCL/Pluronic F127 scaffoldwith different Pluronic F127 compositions

Pluronic F127 compositions

(PCL base, wt%)Wetting time

0 70 sec

1 60 sec

5 20 sec

10 Immediately

15 Immediately

20 Immediately

Figure 5. Compressive strength of meniscus-shaped PCL/PluronicF127 scaffolds with different Pluronic F127 compositions (n = 3).

Page 7: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두 종류의 성장인자가 함께 도입된 반월상 연골 형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및 분석 137

Vol. 14, No. 3

에 헤파린이 도입된 경우가 성장인자 도입을 위한 다공성 지지

체 제조의 최적조건인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두 종류의 성장

인자가 도입된 반월상 연골 형태 지지체의 제조에 이용하였다.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에 도입된 성장인자의

방출거동

손상된 반월상 연골의 효과적인 재생을 위해, 헤파린이 도입

된 반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하여 두 종류의 성

장인자(TGF-β1, BMP-2)가 동시에 도입된 다공성 지지체를 제

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TGF-β1과 BMP-2는 반월상 연골을 구

성하는 연골세포의 분화 유도 및 연골세포의 활성유지, 증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으며,24-26) 본 연구에

서는 이 두 종류의 성장인자를 하나의 다공성 지지체에 함께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인 반월상 연골 재생을 유도하고자 하였

다. 일반적으로 성장인자의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인자가 관여하

는 특정 조직의 분화/재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의 연구에서는 두 종류 이상의 성장인자를 사용할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특정 조직을 분화/재생시킬 수 있음이 보

고되고 있다.27) 반월상 연골 형태 지지체에 도입된 각 성장인

자는 direct ELISA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지체 표면

에 헤파린의 존재 유·무에 따른 성장인자의 도입량이 비교·

분석되었다. Figure 7에 각 지지체의 다공표면에 도입된 성장인

자의 양을 나타내었으며, 성장인자의 종류에 상관없이 헤파린이

도입된 지지체에 보다 많은 성장인자가 도입됨을 관찰할 수 있

었다(헤파린이 도입된 경우, TGF-β1는 65.0 ± 2.2 ng, BMP-2는

121.1 ± 3.0 ng; 헤파린이 도입되지 않은 경우, TGF-β1는

48.7 ± 1.8 ng, BMP-2는 91.5 ± 2.0 ng). 이러한 현상은 앞에서

논의되었듯이, 헤파린에 존재하는 O-sulfate/N-sulfate와 성장인

자의 lysine/arginine 간의 이온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28-30)

헤파린이 도입되지 않은 지지체에 도입된 성장인자는 지지체

표면과 성장인자의 비특이적 흡착(non-specific adsorption)에

기인된다고 사료된다. 또한 TGF-β1이 BMP-2에 비해 다소 약

한 결합을 하고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이 는 각 성장인자의 등

Figure 6. Amount of heparin immobilized onto the PCL/PluronicF127 (10 wt%) scaffold with different Pluronic F127 compositions(Toluidine blue assay; n = 3, *p < 0.05).

Figure 7. Loading amount of TGF-β1 and BMP-2 onto the PCL/PluronicF127 and PCL/Pluronic F127/heparin scaffolds (n = 3, *p < 0.05).

Figure 8. Cumulative released amount of TGF-β1 and BMP-2 fromthe (A) PCL/Pluronic F127 and (B) PCL/Pluronic F127/heparin scaf-folds (n = 3).

Page 8: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138 김태호·오세행·이명철·이진호

Biomaterials Research 2010

전점(isoelectric point, pI; TGF-β1, pI 8.22; BMP-2, pI 9.94)

차이에서 기인된다고 생각된다(pI가 높을수록 생리학적 pH인

pH 7.4에서 더 큰 양전하를 나타내어 음전하를 가지는 헤파린

과 강한 이온결합 형성). 헤파린 도입 여부에 따른 반월상 연

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로부터의 성장인자 방출거동을 Figure 8

에 나타내었다. 헤파린을 포함하지 않는 지지체의 경우, 지지체

의 다공표면에 도입된 대부분의 성장인자들이 21일 내에 모두

방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헤파린을 포함하는 지지체

의 경우 성장인자의 종류에 상관없이 약간의 초기 burst가 관

찰되었으나, 이후 각 성장인자가 42일 동안 서방형으로 방출되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TGF-β1, 60.0 ± 2.1 ng; BMP-2, 118.0 ±

3.4 ng). 지지체에 도입된 성장인자의 짧은 방출기간(헤파린이

없는 경우) 혹은 초기 burst(헤파린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는 지지체의 표면에 헤파린과의 상호작용 없이 단순 흡착되어

있던 성장인자의 지지체 표면으로부터의 빠른 탈착(desorption)

에 기인되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헤파린이 도입된 반

월상 연골 형태 다공성 지지체에서 관찰되는 성장인자의 서방

형 방출은 다공성 지지체 내에 도입된 세포들의 연골세포로의

분화/기능 유지 및 반월상 연골 재생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제

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반월상 연골의 보다 효과적인 재생을

유도하기 위해, 균일한 입체 다공성을 가지며, 세포가 도입된

다공질 내로 산소와 자양분을 가지고 있는 배양액의 침투가 용

이한 친수성을 가짐은 물론, 화학적 반응없이 성장인자들을 다

공표면에 도입한 반월상 연골형태의 다공성 지지체를 미세분말

열압착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공성 지지체가 90% 이

상의 높은 다공도와 지지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한 다공크기를

가짐을 SEM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Pluronic F127이 10 wt%

첨가된 PCL/Pluronic F127 지지체가 기계적 물성 및 친수성,

헤파린 도입량 분석을 통해, 성장인자 도입을 위한 보다 바람

직한 제조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헤파린이 도입된 다공성

지지체에서 반월상 연골의 재생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

려진 두 종류의 성장인자(TGF-β1, BMP-2)가 동시에 효율적으

로 도입됨과 이들이 반월상 연골 형태의 지지체로부터 42일

동안 서방형으로 방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

조된 다공성 지지체는 실제 반월상 연골과 매우 유사한 형태

를 지님은 물론, 연골 재생을 촉진하는 성장인자들의 동시 서

방형 방출이 가능하므로, 체계적인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통해 반월상 연골 재생용 다공성 지지체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2010년도 한남대학교 학술연구 조성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P. Ghosh, T. K. F. Taylor, “The knee joint meniscus: A fibrocartilageof some distinction,” Clin. Orthop. Rel. Res., 224, 52-63 (1987).

2. Http://www.emedicine.com3. C. E. Henning, M. A. Lynch, J. R. Clark, “Vascularity for healing

of meniscus repairs,” Arthroscopy, 3, 13-18 (1987).4. S. Arnoczky, R. F. Warren, “The microvasculature of the

meniscus and its response to injury: An experimental study inthe dog,” Am. J. Sports Med., 11, 131-141 (1983).

5. T. G. Tienen, R. G. J. C. Heijkants, P. Buma, J. H. De Groot, A. J.Pennings, R. P. H. Veth, “A porous polymer scaffold for meniscallesion repair-A study in dogs,” Biomaterials, 24, 2541-2548 (2003).

6. D. King, “The healing of semilunar cartilages,” J. Bone JointSurg., 18, 333-342 (1936).

7. J. L. Cook, J. L. Tomlinson, J. M. Kreeger, and C. R. Cook,“Induction of meniscal regeneration in dogs using a novelbiomaterial,” Am. J. Sport. Med., 27, 658-665 (1999).

8. N. Sgaglione, “Meniscus repair: Update on new techniques,”Tech. Knee Surg., 1, 113-127 (2002).

9. C. B. Weiss, M. Lundberg, P. Hamberg, “Non-operativetreatment of meniscal tears,” J. Bone Joint Surg., 71, 811-822(1989).

10. K. Yamazaki, Y. Tachibana, “Vascularized synovial flap promotingregeneration of the cryopreserved meniscal allograft: Experimentalstudy in rabbit,” J. Orthop. Sci., 8, 62-68 (2003).

11. K. Messner, “Meniscal regeneration or meniscal transplantation?,”Scand.. J. Med. Sci. Sports, 9, 162-167 (1999).

12. D. W. Jackson, J. Whelan, T. M. Simon, “Cell survival aftertransplantation of fresh meniscal allograft. DNA probe analysis ina goat model,” Am. J. Sports Med., 21, 540-550 (1993).

13. S. P. Arnoczky, R. F. Warren, “The microvasculature of themeniscus and its response to injury: An experimental study inthe dog,” Am. J. Sports Med., 11, 131-141 (1983).

14. C. Ibarra, C. Jannetta, C. A. Vacanti, Y. Cao, T. H. Kim, J. Upton,J. P. Vacanti, “Tissue engineered meniscus: A potential newalternative to allogeneic meniscus transplantation,” Transpl. P.,29, 986-988 (1997).

15. A. P. Testa Pezzin, T. P. Cardoso, M. do Carmo Alberto Rincon, C.A. de Carvalho Zavaglia, E. A. de Rezende Duek, “Bioreabsorbablepolymer scaffold as temporary meniscal prosthesis,” Artif. Organs,27, 428-431 (2003).

16. M. Kobayashi, J. Toguchida, M. Oka, “Development of an artificialmeniscus using polyvinyl alcohol-hydrogel for early return to, andcontinuance of, athletic life in sports persons with severe meniscusinjury: I. Mechanical evaluation,” Knee, 10, 47-51 (2003).

17. J. A. Gastel, W. R. Muirhead, J. T. Lifrak, P. D. Fadale, M. J.Hulstyn, D. P. Labrador, “Meniscal tissue regeneration using acollagenous biomaterial derived from porcine small intestinesubmucosa,” Arthroscopy, 17, 151-159 (2001).

18. P. Buma, N. N. Ramrattan, T. G. van Tienen, R. P. Veth, “Tissueengineering of the meniscus,” Biomaterials, 25, 1523-1532 (2004).

19. T. G. Tienen, R. G. J. C. Heijkants, P. Buma, J. H. de Groot, A. J.Pennings, and R. P. H. Veth, “Tissue ingrowth and degradation oftwo biodegradable porous polymers with different porosities andpore sizes,” Biomaterials, 23, 1731-1738 (2002).

20. G. R. Erickson, J. M. Gimble, D. M. Franklin, H. E. Rice, H. Awad,F. Guilak, “Chondrogenic potential of adipose tissue-derivedstromal cells in vitro and in vivo,” Biochem. Biophys. Res.Commun. 290, 763-769 (2002).

21. B. T. Estes, A. W. Wu, and F. Guilak, “Potent induction ofchondrocytic differenti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adult stem

Page 9: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ual Growth Factor ... · 료되지 못할 경우, 손상 연골 조각 또는 충격흡수재로서의 역할 부재로 인해 관절연골(articular

두 종류의 성장인자가 함께 도입된 반월상 연골 형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및 분석 139

Vol. 14, No. 3

cells by bone morphogenetic protein 6,” Arthritis. Rheum., 54,1222-1232 (2006).

22. T. Hennig, H. Lorenz, A. Thiel, K. Goetzke, A. Dickhut, F.Geiger, and W. Richter, “Reduced chondrogenic potential ofadipose tissue derived stromal cells correlates with an alteredTGF beta receptor and BMP profile and is overcome by BMP-6,”J. Cell Physiol., 211, 682-691 (2007).

23. D. Sheyn, G. Pelled, Y. Zilberman, F. Talasazan, J. M. Frank, D.Gazit, and Z. Gazit, “Nonvirally engineered porcine adiposetissue-derived stem cells: use in posterior spinal fusion,” StemCells, 26, 1056-1064 (2008).

24. T. Grunder. C. Gaissmaier, J. Fritz, R. Stoop, P. Hortschansky, J.Mollenhauer, and W. K. Aicher, “Bone morphogenetic protein(BMP)-2 enhances the expression of type II colagen and aggrecanin chondrocytes embedded in alginate beads,” OsteoarthritisCartilage, 12, 559-567 (2004).

25. S. E. Kim, J. H. Park, Y. W. Cho, H. Chung, S. Y. Jeong, E. B. Lee,and I. C. Kwon, “Porous chitosan scaffold containing microspheresloaded with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implications forcartilage tissue engineering,” J. Control. Release, 91, 365-374(2003).

26. W. N. Qi and S. P. Scully, “Extracellular collagen modulates theregulation of chondrocytes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J.Orthod. Res., 15, 483-490 (1997).

27. S. M. Lim, S. H. Jang, S. H. Oh, S. H. Yuk, G. I. Im, and J. H. Lee,“Dual-growth-factor-releasing PCL scaffolds for chondrogenesis ofadipose-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dv. Eng. Mater.,12, B62-B69 (2010).

28. R. Sasisekharan, S. Ernst, and G. Venkataraman, “On theregulat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activit by heparin-likeglycosaminoglycans,” Angiogenesis, 1, 45-54 (1997).

29. J. J. Yoon, H. J. Chung, H. J. Lee, and T. G. Park, “Heparin-immobilized biodegradable scaffolds for local and sustainedrelease of angiogenic growth factor,” J. Biomed. Mater. Res., 79A,934-942 (2006).

30. M. Lyon, G. Rushton, and J. T. Gallagher, “The interaction of thetransforming growth factor-βs with heparin/heparan sulphate isisoform specific,” J. Biol. Chem., 272, 18000-18006 (1997).

31. D. H. Go, Y. K. Joung, S. Y. Lee, M. C. Lee, and K. D. Park,“Tetronic-oligolactide-heparin hydrogel as a multi-functionalscaffold for tissue regeneration,” Macromol. Biosci., 8, 1152-1160(2008).

32. S. H. Oh, S. G. Kang, S. H. Cho, E. S. Kim, and J. H. Lee,“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philic poly(lactic-co-glycolic acid)/poly(vinyl alcohol) blend cell scaffolds by melt-molding particulate-leaching method,” Biomaterials, 24, 4011-4021 (2003).

33. Y. I. Chung, G. Tae, and S. H. Yuk, “A facile method to prepareheparin-functionalized nanoparticles for controlled release ofgrowth factors,” Biomaterials, 27, 2621-2626 (2006).

34. K. J. Cho, D. K. Song, S. H. Oh, Y. J. Koh, S. H. Lee, M. C. Lee,and J. H. Le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philizedpolydioxanone scaffold for meniscus regeneration,” Tissue Eng.Regene. Med., 2, 115-122 (2005).

35. J. Yang, G. Shi, J. Bei, S. Wang, Y. Cao, Q. Shang, G. Yang, andW. Wang, “Fabrication and surface modification of macroporouspoly(L-lactic acid) and poly(L-lactic-co-glycolic acid) (70/30) cellscaffolds for human skin fibroblast cell culture,” J. Biomed.Mater. Res., 62, 438-446 (2002).

36. P. K. Smith, A. K. Mallia, and G. T. Harmanson, “Colorimetricmethod for the assay of heparin content in immobilized heparinpreparations,” Anal. Biochem. 109, 466-473 (1980).

37. Y. H. Shen, M.S. Shoichet and M. Radisic, “Vascular endothelialgrowth factor immobilized in collagen scaffold promotes pene-tration and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Acta Biomater., 4,477-489 (2008).

38. L. E. Freed, J. C. Marquis, A. Nohria, J. Emmanual, A. G. Mikosand R. Langer, “Neocartilag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usingcells cultured on synthetic biodegradable polymers,” J. Biomed.Mater. Res., 27, 11-23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