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13

Upload: others

Post on 29-Sep-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Page 2: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외이] • 이개 – 소리를 모아서 외이도 내로 전달

• 외이도 – 공명관, 이물질침입을 막음

[중이]

• 고막 – 중이를 보호, 음의 물리적인 증폭에 중요한 역할

• 중이강 (이소+이내근) – 이관

[내이]

• 와우 – 회전의 관으로 전정계, 중간계, 고실계로 나뉨

[청신경]

▶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출처: http://soriup.com

Page 3: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 청각기관의 손상으로 소리를 듣지 못하여 발생하는 장애

- 특히 태어나면서부터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 아동은 청력손실로 인해 듣기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언어습득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의사소통에서 장애를 보임

- 청각장애의 진단과 치료는 그 특성상 진단과 중재 과정에서 다학문적인 접근과 팀 접근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 불과 수년 전만 해도 청각장애의 진단은 부모가 자녀의 청력 손실 여부를 의심하고 이비인 후과를 찾는 것으로 시작되었음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실시되는 신생아청력선별검사의 확산에 따라 부모가 아동의 청력에 대한 의심을 갖기 전에 이미 신생아가 출생한 병원에서 진단이 시작되고 있음

▶ II. 청각장애

Page 4: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 데시벨(dB)로 나타내는 청력손실의 정도에 따른 분류 [청력 장애의 정도에 따른 분류]

▶ III. 분류

ISO(1964) 기준 표현법

10 ~15 dB 정상력(normal ilmits)

26 ~ 40 dB 경도난청(mild hearing loss)

41 ~ 55 dB 중등도난청(moderate hearing loss)

56 ~70 dB 중등고도난청(moderately severe hearing loss)

71 ~90 dB 고도난청(severe hearing loss)

91 dB 이상 농(profound hearing loss)

- 청력손실시기에 따른 분류

의사소통 양식 결정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교육 및 청각재활의 방법, 기간 및 예후를 결정하는데도 중요한 역할

(선천성/후천성, 언어습득 이전/언어습득 이후)

- 청각기관의 손상 부위에 따른 분류

① 전음성 난청

② 감각신경성 난청

③ 혼합성 난청

④ 중추청각 정보처리 장애

Page 5: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 청력형에 의한 분류

① 수평형 ② 고음점경형 ③ 저음장애형 ④ 곡형 ⑤ 산형 ⑥ 고주파수형 ⑦ 4,000~6,000Hz notch ⑧ 고음급추형 ⑨ 전농

출처: http://myaudiologist.kr/155

Page 6: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 청능훈련 청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청취 가능한 모든 음향적 단서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훈련

- 보청기 청력 검사상 난청으로 진단된 환자의 귀에 장착하여

소리를 증폭하여 주는 기구로 소리를 받는 마이크로폰,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증폭된 소리를 내보내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맞추어 동작하게 됨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 귀에

고도의 감각신경성 난청이 발생한 환자가 보청기를 착용

하여도 청력에 도움이 안 될 때, 인공와우를 달팽이관에

이식하는 수술

인공와우는 달팽이관 내에 남아 있는 나선신경절세포나

말초 청신경을 직접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대뇌 청각중추

에서 소리를 인지하도록 함

▶ IV. 청각재활

출처:www.ikgdigital.co.kr

출처:www.starkey114.com

Page 7: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1) 신생아청력선별검사 - 출생 직후 산부인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2) 언어 진단평가 시의 청각선별검사 ① Ling’s 6 Sounds Test

- 청력에 대한 사전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아동이라면 언어 진단평가 시 언어치료사는

피검사자가 자신의 말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한 최소한의 검증을 하고 평가를

진행하여야 함

- Ling 검사에서는 6개의 음소(/a, u, i, ʃ, s, m/)를 입 모양을 안 보여 주고 아동에게 들려준 후 아동의 말소리 감지 여부를 평가함 * Ling 검사의 6개 음소는 회화음의 주파수 대역을 대표하는 소리들로,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마찰음 /s/까지 들을 수 있다면 일단 아동이 모든 말소리의 감지가 가능하다고 판단함

- 주의할 점은 자음을 들려줄 때 [si] 또는 [ʃ i]와 같이 모음을 첨가하면 안 되고 마찰음의 특성을 살려 음소만을 들려주어야 함 * 만일 [si]로 소리를 들려주었을 때 아동이 감지반응을 보였다면, 아동이 목표 음소였던 마찰음의 4,000Hz 대역을 들었는지 그보다 낮은 모음의 저 주파수 대역을 듣고 반응을 하는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임

▶ V. 의뢰 및 선별

Page 8: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② 청각장애인을 위한 선별검사 - 청각장애의 진단을 받은 사람의 청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선별검사로 윤미선의 선별검사를 사용할 수 있음

- 윤미선의 선별검사는 와우이식을 받은 학령기 이상 청각장애인의 청지각 능력을 선별하여 수준에 맞는 청각재활을 하기 위해 고안되었음

- 선별검사는 소리 감지, 보기가 있는 조건의 낱말, 보기가 있는 조건의 문장, 보기가 없는 조건의 문장 검사로 구성되어 있음

Page 9: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1)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청력평가 - 현재 청각장애의 진단은 병원에서 이비인후과 전문의에 의해 이루어짐

▶ VI.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사전 평가: 사례적, 신체검사

중이기능평가: 고막검사, 청각반사측정

순음청력검사: 기도청력검사, 놀이청력검사, 시각강화청력검사, 골도청력검사

어음청력검사: 어음청취역치(SRT), 단어인지

청능유발전위검사: 뇌간유발반응청력검사(ABR)

이음향방사검사

평형기능검사

(2) 말지각 능력의 평가 - 말지각검사(Speech Perception Test)를 실시하는 목적은 청력검사도에 나타나는 결과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정보, 즉 청각장애인의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얼마나 상대방의 말소리를 알아 듣고 이해할 수 있는가를 보는 것 - 인공와우이식이 상용화되기 전까지는 잔존청력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 일부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함 - 인공와우이식이 상용화되자 심도 청각장애인의 수술 전후 말 지각 능력 비교와 최소한의 말지각 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에 대한 평가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음

Page 10: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① 영어 말지각 검사

- 측정하고자 하는 청지각 능력의 단계에 따라 ‘감지-변별-확인-이해’ 검사로, 제시하는 자극의 종류에 따라 ‘단음절 낱말-다음절 낱말-문장’ 검사로, 또한 반응양식에 따라 ‘보기가 없는 조건(open set)’ - ‘보기가 있는 조건(closed test)’ 검사로 분류

② 한국어 말지각 검사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말지각검사는 연령대별로 충분한 검사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못함 • 설문지 검사 : 어린 아동에게 사용하는 설문지 검사의 대표적인 예는 IT-MAIS IT-MAIS는 보청기나 인공와우이식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초기의 어린 아동을 대상으로 함 부모에게 질문을 하고 평가하는 방식이며, 10문항을 구성되어 있음

• 척도검사 : 5점 또는 7점 등의 척도로 말지각 능력을 표시하는 검사방법 대표적인 예는 CAP

• 자음/모음검사 :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무의미음절의 상태로 검사하는 것 일반적으로 자극은 자음검사 시는 ‘VCV’로, 모음검사 시는 ‘CVC’의 형태로 제시 음소수준의 검사에서 보기를 제시하지 않고 자극소리를 들려준 후 말하거나 받아 적게 하는 방법과 보기를 준 후 듣고 고르게 하는 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

Page 11: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 낱말검사 : 음소균형을 맞춘 1음절이나 2음절의 낱말을 자극으로 사용함 검사 시 보기가 없는 검사형식을 사용할 때는 오류의 원인이 분명히 나타나도록 해야 함 평가방법은 낱말 전체의 정확도를 보는 낱말 점수와 낱말을 구성하는 음소의 정확도를 보는 음소 점수로 구분하여 평가

• 문장검사 : 문장은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형태이기에 말지각 능력 검사 중 사회적 타당도가 가장 높음 검사를 할 때는 아동의 언어수준에 적합한 문장으로 구성된 검사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 평가는 문장 전체가 맞았을 때 맞은 문장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 그리고 문장 전체를 듣지는 못했어도 문장을 이루고 있는 어휘 중 들을 수 있는 어휘 수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의 두 가지 방법으로 함

• 검사배터리 ‘청각언어재활을 위한 평가 가이드: EARS-K’ – 영어판EARS를 한국판으로 번안한 것

‘어음청각검사’ – 학령전기와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낱말과 문장 검사를 한국어로 개발한 표준화된 말지각검사 도구 모음으로, 검사자극이 CD로 제공됨

Page 12: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3) 말산출 능력의 평가 - 일반적으로 말산출 능력에 대한 평가는 음성, 운율, 조음능력, 말명료도 등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지며 청각장애인 역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음

- 청각장애 아동이 말소리 평가 시에는 말산출과 관련된 모든 영역의 검사가 필요

- 조음능력의 평가는 조음정확도 평가, 음운변동 분석, 말명료도 평가 등의 방법을 사용

(4) 언어능력의 평가 - 청각장애인의 언어평가는 건청인에게 사용하는 언어검사를 그대로 사용함

- 검사방법상 주의할 점은 언어검사가 말지각능력검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

- 언어검사는 청각장애인이 언어수준과 생활연령을 고려하여 적절한 것을 선택함

- 언어능력은 일반적으로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에서 어휘능력, 음운능력, 구문능력, 화용능력 등을 평가함

(5) 청각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평가 - 청각장애 아동의 재화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조기진단과 조기중재임

- 조기중재 대상인 영유아는 발달적인 특성상 검사영역이나 검사도구의 선정에서 다른 연령군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

Page 13: I.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Honam/YooJaeYeon/10.pdf · 인공와우. 인공와우이식술은 와우 (달팽이관의) 질환으로 양측귀에

(1) 청각장애 등급 판정 - 청각장애의 수준을 결정짓는 일차적인 절차는 장애등급에 대한 판정

- 현재 청각장애의 등급 판정은 청력 손실의 정도에 따르고 있음

(2)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평가 결과 해석 - 청각장애는 청력 손실로 인해 듣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언어와 의사소통 능력, 나아가 사회생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

- 청각장애인의 재활과 교육을 시도하는 언어치료와 특수교육에서는 단순한 청력손실의 정도보다 포괄적인 의사소통 능력 전반의 평가 결과가 필요

-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는 화자와 청자의 양쪽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함 • 청자 : 말지각 능력 평가

• 화자 : 말산출, 언어능력 등

▶ VII. 진단평가 결과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