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4
2015년 1월 31일 - 제 11호 - Vers une interdiction des véhicules les plus polluants à Paris dès 2015 대기오염을 막기 위한 파리 의 법안 Les véhicules « les plus polluants » pourraient être bannis de la circulation parisienne. La Ville de Paris « espère » en interdire la circulation sur le territoire de la capitale intra-muros dès 2015. L'interdiction « s'appuiera sur la classification des véhicules, en fonction de leur niveau de pollution proposée par le ministère de l'Environnement », et se fera « de façon progressive ». Cette classification, définie par un arrêté du 3 mai 2012, distingue cinq catégories, du groupe une étoile, le plus polluant, jusqu'au groupe cinq étoiles. Si « les modalités et le calendrier précis ne sont pas encore finalisés », « la Ville espère pouvoir mettre en place de premières mesures dès le courant de l'année 2015 ». Ce pourrait être les camions et les autocars de tourisme, selon l'adjoint aux transports Christophe Najdovski (EELV). « Il ne s'agit pas d'empêcher les personnes qui se servent très peu de leur vieux véhicule de l'utiliser. Notre cible, ce sont les déplacements au quotidien qui génèrent beaucoup de pollution », a expliqué Christophe Najdovski. La maire de Paris présentera son plan antipollution lors du prochain Conseil de Paris, les 9 et 10 février. 파리 시가 극심한 오염의 주범인 차량의 파리 진입을 통 제할 계획이다. 파리 시는 2015년부터 시내 중심 지역의 교통을 통제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교통 통제는 환경부 장관이 제안한 “오염 단계에 따른 차량 분류”에 의해 시행될 것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적용될 것이다. 2012년 5월 3일 법령에 따라 정해진 이 분류는 총 다섯 등급으로 분류된다. 가장 심각한 오염을 야기하는 차량에 붙여지는 별 하나의 등급부터 가장 오염을 덜 야기하는 차 량에 매겨지는 별 다섯 개 등급까지 있다. 만약 이렇다 할 방법과 일정이 설정되지 않는다면 파리 시는 2015년부터 첫 번째 규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규정을 가장 먼저 적용받을 차량은 화물트럭과 관광버스가 될 것 이라고 파리시 교통부문 보좌관이자 환경학자인 유럽환경 녹색당(EELV) 소속 크리스토프 나즈도브스키는 지적했다. “우리는 낡은 자동차를 가끔 사용하는 운전자들을 막으 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타켓은 매일 엄청난 양의 대기 오염을 야기하는 교통수단”이라고 나즈도브스키는 말한다. 한편 파리 시는 오는 2월 9일과 10일, 시 의회 정기회의 에서 대기오염 방지에 대한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13 임혜림, <[email protected] > Le Monde "Vers une interdiction des véhicules les plus polluants à Paris dès 2015"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Charlie Hebdo» visé par une attaque terroriste, deuil national décrété 프랑스 주간지 ‘샤를리 엡도’ 테러공격 당해, 전국민 애도 La rédaction du journal satirique Charlie Hebdo a été la cible d'un attentat, mercredi 7 janvier en fin de matinée à Paris, qui a fait douze morts et vingt blessés. Un avis de recherche a été lancé en début de nuit contre trois suspects. Le plus jeune homme recherché, âgé de 18 ans, s'est rendu dans la nuit au commissariat de Charleville-Mézières, dans les Ardennes. Une source policière, contactée par Le Monde a affirmé qu'« aucune charge » n'avait été retenue pour l'heure contre lui, et que « dans son cas, il ne s'agit que de simples vérifications. » Le jeune homme, qui est de la même famille que les deux principaux suspects, a tout de même été placé en garde à vue. La police a arreté ses suspects Chérif Kouachi et Saïd Kouachi, deux frères âgés de 32 et 34 ans, identifiés grâce à une carte d'identité laissée dans l'une des voitures ayant servi à leur fuite. Après l'attaque, des appels à des rassemblements de solidarité avec la rédaction de Charlie Hebdo se sont multipliés partout en France. Au total, plus de 100 000 personnes ont participé dans tout le pays à ces rassemblements. 1월 7일 수요일(현지시각), 이슬람 극단주의자로 추정되 는 테러리스트들이 파리의 중심부에 위치한 프랑스 주간 지 '샤를리 엡도'사의 사무실에 침입, 총기난사로 직원과 경찰을 포함해 12명이 사망하고 20명이 부상을 입는 사건 이 벌어졌다. 이어 3명의 용의자에 대한 수배가 내려졌다. 수배 중이던 용의자들 중 가장 어린 18세 소년은 아르 덴 지역의 샤르빌 메지에 경찰서에 자진 출두한 것으로 알려졌다. 르몽드가 인터뷰한 경찰 측에 따르면 “지금으로 서는 어떠한 증거도 이 10대 소년을 피의자라고 지목할 수 없으며, 이 소년의 경우는 단순한 증언들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주요 용의자 2명과 가족관계를 맺고 있는 이 어린 소년은 현재 구류되 어있는 상태이다. 경찰 측은 그들이 도망치면서 차에 실수 로 두고 간 신분증 덕에 신원확인이 가능했으며, 사건 직 후 용의자 사이드 쿠아치(34), 셰리프 쿠아치(32) 형제와 하미드 무라드(18)를 체포해 조사 중에 있다. 무자비한 테러가 일어난 후, 프랑스 전역에서 ‘샤를리 엡도’를 향한 애도와 1만 명 이상의 사람들의 추모의 물결 이 이어지고 있다. 13 조난영 <[email protected] > 참고 : LeMonde "« Charlie Hebdo » visé par une attaque terroriste, deuil national décrété"

Upload: hufsfrance

Post on 04-Aug-2015

113 views

Category:

Education


13 download

TRANSCRIPT

Page 1: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2015년 1월 31일 - 제 11호 -

Vers une interdiction des véhicules les plus polluants à Paris dès 2015대기오염을 막기 위한 파리 市의 법안

Les véhicules « les plus polluants » pourraient être

bannis de la circulation parisienne. La Ville de Paris «

espère » en interdire la circulation sur le territoire de la

capitale intra-muros dès 2015.

L'interdiction « s'appuiera sur la classification des

véhicules, en fonction de leur niveau de pollution

proposée par le ministère de l'Environnement », et se

fera « de façon progressive ».

Cette classification, définie par un arrêté du 3 mai

2012, distingue cinq catégories, du groupe une étoile, le

plus polluant, jusqu'au groupe cinq étoiles. Si « les

modalités et le calendrier précis ne sont pas encore

finalisés », « la Ville espère pouvoir mettre en place de

premières mesures dès le courant de l'année 2015 ». Ce

pourrait être les camions et les autocars de tourisme,

selon l'adjoint aux transports Christophe Najdovski (EELV).

« Il ne s'agit pas d'empêcher les personnes qui se

servent très peu de leur vieux véhicule de l'utiliser. Notre

cible, ce sont les déplacements au quotidien qui génèrent

beaucoup de pollution », a expliqué Christophe Najdovski.

La maire de Paris présentera son plan antipollution lors

du prochain Conseil de Paris, les 9 et 10 février.

파리 시가 극심한 오염의 주범인 차량의 파리 진입을 통

제할 계획이다. 파리 시는 2015년부터 시내 중심 지역의

교통을 통제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교통 통제는 환경부 장관이 제안한 “오염 단계에

따른 차량 분류”에 의해 시행될 것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적용될 것이다.

2012년 5월 3일 법령에 따라 정해진 이 분류는 총 다섯

등급으로 분류된다. 가장 심각한 오염을 야기하는 차량에

붙여지는 별 하나의 등급부터 가장 오염을 덜 야기하는 차

량에 매겨지는 별 다섯 개 등급까지 있다.

만약 이렇다 할 방법과 일정이 설정되지 않는다면 파리

시는 2015년부터 첫 번째 규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규정을

가장 먼저 적용받을 차량은 화물트럭과 관광버스가 될 것

이라고 파리시 교통부문 보좌관이자 환경학자인 유럽환경

녹색당(EELV) 소속 크리스토프 나즈도브스키는 지적했다.

“우리는 낡은 자동차를 가끔 사용하는 운전자들을 막으

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타켓은 매일 엄청난 양의 대기

오염을 야기하는 교통수단”이라고 나즈도브스키는 말한다.

한편 파리 시는 오는 2월 9일과 10일, 시 의회 정기회의

에서 대기오염 방지에 대한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13 임혜림, <[email protected]>

Le Monde "Vers une interdiction des véhicules les plus polluants à Paris dès 2015"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Charlie Hebdo» visé par une attaque terroriste,

deuil national décrété프랑스 주간지 ‘샤를리 엡도’ 테러공격 당해, 전국민 애도

La rédaction du journal satirique Charlie Hebdo a été

la cible d'un attentat, mercredi 7 janvier en fin de

matinée à Paris, qui a fait douze morts et vingt blessés.

Un avis de recherche a été lancé en début de nuit

contre trois suspects.

Le plus jeune homme recherché, âgé de 18 ans, s'est

rendu dans la nuit au commissariat de

Charleville-Mézières, dans les Ardennes. Une source

policière, contactée par Le Monde a affirmé qu'«

aucune charge » n'avait été retenue pour l'heure contre

lui, et que « dans son cas, il ne s'agit que de simples

vérifications. » Le jeune homme, qui est de la même

famille que les deux principaux suspects, a tout de

même été placé en garde à vue. La police a arreté ses

suspects Chérif Kouachi et Saïd Kouachi, deux frères

âgés de 32 et 34 ans, identifiés grâce à une carte

d'identité laissée dans l'une des voitures ayant servi à

leur fuite.

Après l'attaque, des appels à des rassemblements de

solidarité avec la rédaction de Charlie Hebdo se sont

multipliés partout en France. Au total, plus de 100 000

personnes ont participé dans tout le pays à ces

rassemblements.

1월 7일 수요일(현지시각), 이슬람 극단주의자로 추정되

는 테러리스트들이 파리의 중심부에 위치한 프랑스 주간

지 '샤를리 엡도'사의 사무실에 침입, 총기난사로 직원과

경찰을 포함해 12명이 사망하고 20명이 부상을 입는 사건

이 벌어졌다. 이어 3명의 용의자에 대한 수배가 내려졌다.

수배 중이던 용의자들 중 가장 어린 18세 소년은 아르

덴 지역의 샤르빌 메지에 경찰서에 자진 출두한 것으로

알려졌다. 르몽드가 인터뷰한 경찰 측에 따르면 “지금으로

서는 어떠한 증거도 이 10대 소년을 피의자라고 지목할

수 없으며, 이 소년의 경우는 단순한 증언들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주요 용의자

2명과 가족관계를 맺고 있는 이 어린 소년은 현재 구류되

어있는 상태이다. 경찰 측은 그들이 도망치면서 차에 실수

로 두고 간 신분증 덕에 신원확인이 가능했으며, 사건 직

후 용의자 사이드 쿠아치(34), 셰리프 쿠아치(32) 형제와

하미드 무라드(18)를 체포해 조사 중에 있다.

무자비한 테러가 일어난 후, 프랑스 전역에서 ‘샤를리

엡도’를 향한 애도와 1만 명 이상의 사람들의 추모의 물결

이 이어지고 있다.

13 조난영 <[email protected]>

참고 : LeMonde "« Charlie Hebdo » visé par une attaque

terroriste, deuil national décrété"

Page 2: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2015년 1월 31일 - 제 11호 -

«Charlie Hebdo» et le monde musulman샤를리 엡도 사건에 대한 무슬림 세력 반응

Des milliers de personnes ont manifesté dans

plusieurs pays musulmans après la prière du vendredi

contre la publication par Charlie Hebdo d’un dessin

représentant le prophète Mahomet, des protestations

émaillées de violences au Niger et au Pakistan.

L’ambassade de France à Niamey a appelé ses

ressortissants à «éviter toute sortie», alors que les

manifestations violentes s’étendent dans la capitale

nigérienne. Près de la grande mosquée de Niamey, où la

police a tiré des gaz lacrymogènes, au moins un millier

de jeunes s’étaient réunis devant l’édifice malgré

l’interdiction des autorités. Des cris tels que «A bas la

France», «A bas Charlie Hebdo» ou encore «Allah Akbar».

Dans la deuxième ville du Niger, à Zinder, quatre

personnes sont mortes et 45 ont été blessées dans les

manifestations de vendredi. Le Centre culturel

franco-nigérien a été incendié et trois églises saccagées

dans cette agglomération proche du nord du Nigeria.

"Je suis musulman, et je suis Charlie“

"Charlie Hebdo, en tant que musulman, je ne

pouvais pas être d'accord avec tout ce qu'ils écrivent",

Chiheb Bouameme avoue au milieu des manifestants à

Paris. "Mais la liberté de la presse passe avant tout,

pour moi", dit-il. Ce Français d'origine tunisienne dit

avoir découvert l'hebdo satirique lorsqu'il travaillait

dans un point de vente de presse. "Je suis un tout

petit lecteur, mais c'est important pour moi“, insiste-il.

금요일 이슬람 예배 후, 몇몇 이슬람 국가에서 많은

사람들이 마호메트를 상징하는 그림을 그린 샤를리 엡도

의 발행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 시위들은 특히

니제르와 파키스탄 전역에서 이루어졌다.

니아미에 위치한 주 니제르 프랑스 대사관은 난폭한

시위가 번지자 재외 자국민에게 “모든 외출을 금할 것”

을 당부했다. 경찰이 최루탄을 던졌던 니아미의 회교 사

원 부근에는 당국의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천 명 이상의

청년들이 모였다. 그들은 “프랑스 꺼져라”, “샤를리 앱도

꺼져라” 혹은 “알라 아크바르(신은 위대하다)” 같은 구호

를 외쳤다.

니제르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진데르에서는 금요일

시위에서 4명이 죽었고 45명이 부상을 입었다. 니제르

북부의 집회에서, 프랑스-니제르의 문화원이 불에 탔고

교회 세 곳이 훼손되었다.

“나는 이슬람교도이자 샤를리다”

한편 샤를리 엡도 사건을 진심으로 애도하고 표현의

자유에 공감하는 무슬림도 있었다. 파리에서 열린 샤를

리 엡도 추모식에 참여한 시엠 부아멤이라는 이름의 젊

은 튀니지계 프랑스 남성은 “이슬람 교도로서, 난 샤를리

엡도가 쓴 전부에는 동의할 수 없었다”고 신중히 말했다.

이어 그는 “그러나 나에게 있어 언론의 자유는 그 어떤

것보다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거리 매대에서 신문

판매를 하며 이 풍자 잡지를 발견했다고 했다. “나는 사소

한 독자에 지나지 않지만, 나에게 있어 이 사건은 중요하

다”고 그는 강조했다.

12, 강선희, <[email protected]>

참고 : Liberation “Contre la caricature de Mahomet, la colère dans le monde musulman”

La France enterre sa taxe sur les super riches프랑스, 논란의 75% 부유세 도입 2년만에 폐지

La France s'apprête à enterrer sans bruit une mesure

emblématique des débuts de la présidence de François

Hollande, la "taxe à 75%" sur les très hauts revenus,

qui aura suscité plus de polémiques que rapporté

d'argent aux caisses en déficit de l'Etat.

La disparition de ce prélèvement controversé était

programmée de longue date. Il était prévu dès le

départ pour viser les rémunérations des seules années

2013 et 2014, et ne figurait plus dans le budget 2015

avalisé en décembre par le Parlement.

Le Premier ministre, Manuel Valls, avait lui-même

annoncé dès octobre lors d'un déplacement à Londres

que cet impôt, dont l'instauration avait fait grand bruit

en France et à l'étranger, ne serait pas prolongé.

Cette confirmation, dans la capitale britannique où M.

Valls était venu vanter sa politique "pro-business",

revêtait un caractère symbolique: avant même de se

concrétiser, la taxe avait suscité des tensions

diplomatiques entre la France et la Grande-Bretagne.

Dans une France à la fiscalité parmi les plus élevées

d'Europe, aucun impôt n'a fait couler autant d'encre

depuis les années 80 et l'instauration par un autre

président socialiste, François Mitterrand, de l'impôt sur

la fortune, jamais remis en cause depuis.

Promise par M. Hollande dans un meeting de

campagne en 2012, édulcorée après son élection, cette

"contribution exceptionnelle de solidarité" vit ses ultimes

semaines: les entreprises qui la paient ont jusqu'au 1er

février pour verser leur dernier écot.

연간 100만 유로(약 13억 2천만 원)를 넘는 임금 초과분

에 대해 최고 75%의 세금을 걷는 ‘부유세’가 도입 2년 만

에 폐지되었다. 좌파인 사회당 소속의 올랑드 대통령의 취

임 초기 핵심 공약이었던 이 정책은 도입 후 경제 회생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사회적 갈등만 낳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논란이 많았던 이 과세는 사실 오래 전부터 폐지가 논

의되고 있었다. 도입 초 2013년, 2014년 두 해 동안 올랑

드 정부는 부유세를 비롯한 여러 방안을 통해 재정 적자

를 메우기를 기대했지만 턱없이 부족했고, 이에 의회가 12

월에 승인한 예산에서 이 부유세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마뉴엘 발스 총리 또한 런던으로 인사이동을 할 당시에,

프랑스 및 외국에서 논란이 많았던 이 과세의 시행이 계

속 될 수 없을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고 이 발표는 런던

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발스 총리의 발언은 이 부유세 과세가 제대로 실행되기

도 전에 프랑스와 영국 간의 외교적 갈등을 빚었다는 점

에서 상징적인 의의를 갖는다.

즉, 80년대 이래로 프랑스에서 시행되었던 유럽 고소득

층에 대한 과세 중 어떠한 세금도 논란을 일으킨 적이 없

었으며 또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이 시행했던 부유세 정

책 역시 문제가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2012년 대선 유세에서 올랑드 대통령이 약속했던 이

“연대에 대한 과도한 분담금”의 유효일은 약 일주일 남겨

두고 있다. 기업들은 이 부유세에 대해 2월 1일까지만 과

세의 의무를 지게 된다.

11 김하정 <[email protected]>

참고 : 20min.ch "La France enterre sa taxe sur les super

riches“

Page 3: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2015년 1월 31일 - 제 11호 -

Immigration : baisse des régularisations en 2014, hausse des naturalisations2014년 프랑스 이민 추이 : 체류 합법화 이민 감소, 귀화 이민 증가

Le nombre de régularisations a baissé en 2014,

après un bond en 2013 dû à l'assouplissement des

conditions permettant les « admissions exceptionnelles

au séjour ». Le nombre de ces régularisations est

passé de 35,274 en 2013 à 31,265 en 2014, soit un

recul de 11,4 %, a rapporté, jeudi 15 janvier, le

ministère de l'intérieur dans un document donnant

une première estimation de l'immigration et des

naturalisations l'an dernier.

Précisément, ce sont les régularisations faites pour «

motif familial » qui sont en baisse (-14.5.%), et surtout

celles concernant les parents d'enfants scolarisés (-40%)

et les personnes résidant en France depuis plus de dix

ans (– 28.3%), même si le motif familial continue de

justifier 83 % des régulations. A l'inverse, celles pour

motif économique (obtention d'un travail) sont en

hausse (+9.4%), tout comme celles qui concernent les

migrants devenus étudiants (+5.7%).

77,335 NOUVEAUX FRANÇAIS

Les acquisitions de nationalité ont de leur côté

augmenté de 10.9% l'an dernier, avec 77,335 nouveaux

Français.

Les expulsions ont pour leur part augmenté de 7.7%

l'an dernier, 15,161 étrangers en situation irrégulière

ayant été éloignés du territoire. La hausse a atteint 40%

pour les ressortissants de pays hors Union européenne

(soit 6,515 personnes), notamment l'Albanie, le Kosovo

et les pays du Maghreb.

2013년 « 체류 특별 허가 » 조건이 완화되면서 2014년 체

류 합법화 이민이 감소 추세를 보였다. 프랑스 내무부 장관

은 1월 15일 목요일 2014년 귀화 이민 동향 보고서를 통해

체류 합법화 이민자 수가 2013년에는 35,274명이었던 것에

비해 2014년에는 31,265명으로 11.4% 감소했다고 밝혔다.

체류 합법화는 기존의 불법 체류자 또는 프랑스 내에 가

족이 있는 외국인들에게 프랑스에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

는 신분증을 발급하고 이들이 프랑스 시민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과 방법을 부여하는 것으로, 우리가 일반

적으로 알고 있는 귀화 이민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즉, 체류

합법화가 되었다고 해서 정식 프랑스 국적을 완전히 취득했

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체류 합법화는 주로 가족 재결합, 즉 프랑스에 가

족이 있는 외국인들을 위한 것, 취학 자녀가 있는 부모, 그리

고 프랑스에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데

2014년 이들에 대한 체류증 발급이 전년 대비 각각 14.5%,

40%, 28.3% 감소했다. 이 중 가족 재결합이 전체 체류 합법

화 이민의 83%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취업

등 경제적 이유나 학업의 이유로 체류를 허가받은 사람은

각각 9.4%, 5.7% 증가했다.

새로운 국적 취득자 77,335명

2014년 프랑스 국적 취득자는 77,335명으로 이는 전년 대

비 10.9% 증가한 것이다.

한편 불법 체류로 2014년 프랑스에서 추방된 외국인은

15,161명으로 전년 대비 7.7% 증가했다. 이 중 40%(6,515

명)는 非유럽연합 국가 국민으로, 알바니아, 코소보, 마그레브

(북아프리카 지역 :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등) 국가 출신이

대부분인 것으로 밝혀졌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참고 : Le Monde "Immigration : baisse des régularisations en 2014, hausse des naturalisations"

Air France-KLM pourrait supprimer 5.000 postes, la direction dément에어프랑스-KLM, 구조조정...5,000명 감원 예정

Le numéro 2 européen de l'aérien Air France-KLM

envisage de lancer «dans les prochains mois» un

nouveau plan de suppression de postes qui pourrait

porter sur 5,000 emplois.

« Les dirigeants de la compagnie, en panne de

compétitivité, prévoient de lancer un nouveau plan de

réduction d'effectifs cette année », avance Le Figaro sur

son site, sans citer de sources.

« Rien n'est encore décidé s'agissant d'un éventuel

nouveau plan de départs volontaires; il est donc

parfaitement prématuré de l'évoquer, tant sur le principe

que sur son éventuelle ampleur », a déclaré à l'AFP un

porte-parole d'Air France-KLM.

« La direction de la compagnie n'a pas le choix. Si un

tel plan n'est pas lancé rapidement, Air France sera

morte dans deux ans », a affirmé un administrateur non

identifié, cité par Le Figaro.

« Le groupe a annoncé le 18 décembre dernier que la

situation du groupe et le contexte concurrentiel dégradé

nécessitaient des actions complémentaires de réduction

de coûts unitaires et une réduction significative du plan

d'investissement», a rappelé le porte-parole. « Le

renforcement de ces actions sur les coûts sera

évidemment soumis aux organisations représentatives du

personnel », a-t-il souligné.

Le trafic passagers d'Air France-KLM est resté quasiment

stable en 2014 et si le taux d'occupation de ses avions

s'est encore amélioré, le groupe est désormais talonné

par son concurrent IAG, maison mère de British Airways

et Iberia. Air France-KLM doit publier ses résultats annuels

le 19 février. Il a toutefois prévenu dès la mi-décembre

que ceux-ci seraient moins bons que prévu.

유럽의 2위 항공사인 에어프랑스-KLM이 다음 달 내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시행할 것이라고 프랑스 일간지인

르 피가로(Le Figaro)가 보도했다. 르 피가로는 이번 구조

조정으로 전체 직원의 10%인 5,000 명이 직장을 잃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에어프랑스의 경영진은 뒤쳐진 기업 경

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올해 이 새로운 인원 감축을 감행

할 것”이라고 르 피가로는 예측했다.

반면 에어프랑스 대변인은 AFP 통신을 통해 “퇴직에 대

한 새 정책에 관해선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바가 없다. 따

라서 이 불확실하고 모호한 방침에 대해 보도하는 것은 완

전한 시기상조로 보인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에어프랑스 경영진은 선택의 여지가 없다. 만약 이

같은 계획이 빨리 시행되지 않는다면, 에어프랑스는 2년 안

에 무너질 것”이라고 르 피가로는 신원을 밝히지 않은 한

고위 간부의 단언을 인용하며 반박했다.

에어프랑스 대변인은 “지난 12월 18일, 우리는 기업 상

황과 경쟁력 약화를 보완하기 위해 단가 감소와 투자 축

소를 필요로 한다고 발표했다”고 에어프랑스 대변인은 상

기시켰다. 더불어 “비용에 대한 이 같은 행동의 강화는 분

명 대표적인 인사조직에 순응할 것이다.“고 그는 강조했다.

2014년의 에어프랑스-KLM의 승객 수는 거의 안정적이

었다. 에어프랑스의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한다면, 그때부

터 에어프랑스는 경쟁 항공사인 IAG(브리티시 에어웨이와

이베리아 항공의 모회사)에게 바싹 추격을 당할 것으로 보

인다. 에어프랑스-KLM은 연간 성적표를 2월 19일에 발표

할 예정이다. 그러나 에어프랑스의 연매출은 지난 12월 중

순부터 예상에 훨씬 못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알려졌다.

13 김세경 <[email protected]>

참고 : 20minutes.fr "Air France-KLM pourrait supprimer 5.000

postes, la direction dément"

Page 4: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2015년 1월 31일 - 제 11호 -

Un SCIC par Coluche, les Restos du Coeur프랑스의 사회적 기업, 사랑의 식당

Fondés par Coluche, un humoriste et acteur français, en 1985, les Restos du Coeur sont une SCIC(Sociétés

coopératives d'intérêt collectif), reconnu d'utilité publiqués, sous le nom officiel de « les Restaurants du coeur ».

1985년, 프랑스의 희극인이자 배우인 꼴루슈에 의해 세워진 « 사랑의 식당 »은 « les Restaurants du coeur »이라는 공

식적인 이름으로 공익성을 인정받은 프랑스의 사회적 기업이다.

L'histoire de ces restaurants est comme suit : Les restos du coeur sont nés en septembre 1985. Plus de 5000

bénévoles distribuent 8.5 millions de repas. Au printemps 1988, les centres Restos décident de rester ouverts après

l'hiver pour apporter une aide et une écoute aux populations les plus fragiles.

이 레스토랑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 1958년 9월, 프랑스에 여전히 굶어죽는 사람이 많다는 한 라디오 청취자의 말에 충

격을 받은 꼴루슈가 사랑의 식당을 제안했다. 5,000 명 이상의 자원봉사자들이 8백 5십만 개의 식사를 나누어 주었다.

1988년 봄, 꼴루슈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많은 식당들이 가장 약하고 보살펴지지 않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그들

에게 도움을 주고자 사랑의 식당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Et puis le 20 octobre 1988, le parlement français vote à l'unanimité la "Loi Coluche", premier concret des Enfoirés,

après un premier disque au profit de l'association.

1988년 10월 20일, 프랑스 의회는 “꼴루슈 법”을 만장일치로 표결했다. 내용에는 단체에 첫 소득을 가져다 줄 “얼간이

들”(사랑의 식당을 위해 매년 연말 프랑스의 유명 인사들이 모여 “얼간이들”이라는 이름으로 음반을 제작)의 첫 앨범 판매

도 포함되어 있었다.

Les restos du coeur ont pour but « d'aider et d'apporter une assistance bénévole aux personnes démunies,

notamment dans le domaine alimentaire par l'accès à des repas gratuits et par la participation à leur action social et

économique, ainsi qu'à toute action contre la pauvreté sous toute ses formes ».

사랑의 식당은 « 자발적인 원조로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지원하는 »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 식량 문제에

있어 무료 식사를 배급하는 등 구체적인 방법과 그 외 모든 형태의 사회·경제적 활동을 통해 가난에 맞서는 » 것을 목표

로 하고 있다.

Aussi, les restos du coeur ont beaucoup de organisations interne des restos. D'abord, Les Resto du Coeur ont 11

antennes réparties sur toute la France. Afin de maintenir des liens étroits entre le siège et les régions, 11 antennes

nationales se répartissent géographiquement les interventions auprès des associations départementales. Elles participent

à la mise en œuvre des messages et de la politique de l'association nationale.

사랑의 식당은 내부에 여러 조직들을 가지고 있다. 먼저, 프랑스 전역에 나누어 배치된 11개의 지부들이 있다. 본부와

지부들 사이의 긴밀한 관계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11개의 지부들은 지방협회들이 갖고 있는 문제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맡

아 중재하고 있다. 지부들은 중앙협회의 방침과 계획을 시행한다.

Les Resto du Coeur ont 118 associations départementales dans toute la France. Ces 118 associations gèrent,

animent et coordonnent sur le terrain l'aide alimentaire et les multiples activités qui contribuent à réinsertion. C'est un

travail au quotidien que chacune d'entre elles assure avec conviction et exécute grâce aux dizaines de milliers de

bénévoles.

사랑의 식당은 프랑스 전역에 118 개의 지방협회들을 가지고 있다. 이 118 개의 지방협회들은 사회재활에 기여하는 여

러 활동들과 식량 지원을 주관한다. 이것은 수만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협회에 확신을 갖고 매일 자발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가능한 일이다.

Finalement, il y a 2,090 centres, aussi. Chaque association départementale, en fonction du nombre de bénévoles

disponibles, de ses besoins et de ses projets départementaux, gère plusieurs centres d'activités : centres de

distribution alimentaire, Restos Bébés du Coeur, chantiers d'réinsertion, Jardins du Coeur, etc.

마지막으로, 또한 2,090개의 센터들이 있다. 일을 할 수 있는 자원봉사자들, 사람들의 필요와 각 지방협회의 계획과 관련

하여 각각의 지방협회들은 여러 활동 센터들을 관리한다. : 식료품 배급 센터, 아기들을 위한 사랑의 식당, 사회재활 작업,

사랑의 정원 등.

Aujourd'hui, Les Resto du Coeur fournissent 130 millions de repas équilibrés qui sont distribués par l'association

(2013-2014). Et les restos du coeur aident les étudiants aussi. L'objectif de cette assistance est de soutenir des jeunes

qui ont des difficultés pour se nourrir. Actuellement, 90% des bénéficiaires des Restos ont entre 18 et 24 ans, selon

les Restos du coeur. Pour ces jeunes, la première préoccupation, avant leur études, est de se nourrir. Face à cette

situation, deux étudiantes bénévoles dans les restos du coeur ont eu l'idée au printemps dernier de monter ce centre

mieux adapté aux jeunes. Ce centre, il va aider les étudiants diversement.

오늘날, 사랑의 식당은 협회들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균형 잡힌 1억 3천 개(2013-2014년 기준)의 식사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사랑의 식당은 학생들을 돕고 있다. 학생들에 대한 원조의 목표는 식사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젊은이들을 돕는 것

이다. 현재 사랑의 식당 통계에 따르면, 식사 지원을 받는 사람들의 90%가 18세에서 24세 청년들이다. 이 젋은이들에게

있어, 공부 이전에 첫 번째 걱정은 끼니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사랑의 식당에 소속된 2명의 학생 자원봉사자들은

청년들만을 위한 센터를 신설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이 센터는 식량 원조와 더불어 다양한 방법으로 생활이 어려운 학생

들을 지원할 것이다.

사랑의 식당 창시자 꼴루슈 사랑의 식당 운영비용을 모으는 “얼간이들”의 연말 공연 식사를 배급하는 자원봉사자

13 김태림 <[email protected]>

참고 : www.restosducoeur.org/content/historique

www.restosducoeur.org/content/organi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