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gazette d'agora 5월호

4
2014년 5월 28일 - 제 3호 - Les films coréens sont bien accueillis à Cannes. 한국 영화, 칸영화제에서 호평 Les films coréens sont bien accueillis au Festival de Cannes. <Dohee-Ya> réalisé par July Jung dans la catégorie "Un Certain Regard", <Soom> réalisé par Kwon Hyun-ju dans la catégorie "Cinéfondation", <Pyo Jeok> réalisé par Chang dans la catégorie "Hors Compétition" et plusieurs autres films ont été sélectionnés au festival. De plus, "La Reine de Cannes", l’actrice coréenne, Jeon Do-yeon fait partie des neuf membres du jury du 67e Festival de Cannes. Jeon est la première actrice coréenne à recevoir cet honneur à Cannes. En 2009, le réalisateur Lee Chang-dong avait été membre du jury. Le 67e Festival de Cannes se tient du 14 au 25 mai. 제67회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가 호평 받고 있다. ‘칸의 여왕’ 배우 전도연이 한국 배우 최초로 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선정돼 활약하고 있는가 하면 “주목할 만한 시선”에서는 정주리 감독의 장편 데뷔작 <도희야> 가, “감독주 간”에는 김성훈 감독의 <끝까지 간다>, “미드나잇 스크리닝”에서는 창 감독, 배우 유준상, 김성령이 열연한 <표적>이 현지 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단편영화 분야에서도 한국 영화의 약진이 돋보인다. 영화학도들을 대상으로 한 “씨네파운데이션” 부문에 권현주 감독의 <숨>이 초청된 데 이어 성상모 감독의 <거울>, 김성환 감독의 <야누스> 등 여러 작품들이 비경쟁부문 초청작으로 선정 돼 세계 영화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칸 영화제는 이달 1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된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 참고 : 티브이데일리 “‘도희야’ ‘표적’ 외 칸에서 활약하는 한국 단편영화는?”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Elections européennes : « Les jeunes ne se sentent pas concernés » 유럽의회 선거 - 무관심한 유럽시민들 Une querelle politicienne pour lancer un meeting sur l’Europe, ou comment se tirer une balle dans le pied. Mardi 6 mai au soir, à Nancy, le député UMP Arnaud Danjean n’a pas hésité à retarder d’une demi-heure le débat attendu par 300 personnes parce qu’il estimait que le PS était surreprésenté à la tribune avec Catherine Trautmann et Edouard Martin ! Finalement, l’ancien syndicaliste CFDT de Florange, candidat sur la liste PS du Grand-Est, a dû s’éclipser. Au grand regret de nombreuses personnes venues précisément sur le campus franco-allemand de Sciences-po pour l’entendre. « Je suis allé à Florange, j’avais envie d’écouter ses explications », déplore Francis, un militant écologiste. « Cela illustre bien pourquoi les politiques ne sont pas pris au sérieux, s’emporte Claire, étudiante à Sciences-po. Il y a dans la politique un élitisme qui se reflète au Parlement européen. C’est pour ça que les jeunes ne se sentent pas concernés par ces élections. » 지난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3억7천만 유럽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유럽의회 선거가 열렸다. 하지만 5월 11 일 유럽 12개국에서 조사된 Ipsos Mori의 설문 결과를 인용한 독일 경제뉴스지의 보도에 따르면, 20여일 다가온 유럽의회 선거에 대한 전반적인 유럽연합 시민들의 관심 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 38%만이 곧 열리는 유럽의회 선거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사 대상자 중 62%는 유 럽 의회 선거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고 응답했다. 한편, 설문 응답자 중 35%는 반드시 선거에 참여하겠다고 밝혔고, 30%는 선거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 다고 답했지만, 무려 35%가 선거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프랑스의 대선 투표율은 80%에 임박하는 반면, 유럽연 합에 관해 유일하게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유럽의회 선거에선, 1994년에 52.7%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지 난 2009년 유럽의회 선거에서는 40.6%를 기록했다. 한편 5월 6일 저녁에 프랑스 낭시의 시앙스포 대학에 서 진행되기로 한 토론회에서 대중운동연합당(UMP)의 의원 Arnaud Danjean이 예정시각보다 30분 늦게 와 300 명의 청중들을 기다리게 한 일이 있었다. 이에 대해 프랑 스의 한 대학생은 “난 그(의원)의 말을 듣고 싶었다. 어떤 시앙스포 대학생은 이번 사건이 정책들이 시민들에게 진 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유를 잘 설명한다고 했다. 정치 속의 엘리트주의는 유럽의회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그래서 청년들이 이 선거(유럽의회 선거)에 무관심한 것” 이라고 말했다. 12 강선희 <[email protected] > 참고 : LeParisien “lections européennes : « Les jeunes ne se sentent pas concernés »” eknews21 “유럽연합 시민, 유럽 의회 선거 관심없어”

Upload: hufsfrance

Post on 07-Aug-2015

249 views

Category:

Education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La Gazette d'Agora 5월호

2014년 5월 28일 - 제 3호 -

Les films coréens sont bien accueillis à Cannes.한국 영화, 칸영화제에서 호평

Les films coréens sont bien accueillis au Festival de Cannes. <Dohee-Ya> réalisé par July Jung dans la catégorie

"Un Certain Regard", <Soom> réalisé par Kwon Hyun-ju dans la catégorie "Cinéfondation", <Pyo Jeok> réalisé par

Chang dans la catégorie "Hors Compétition" et plusieurs autres films ont été sélectionnés au festival.

De plus, "La Reine de Cannes", l’actrice coréenne, Jeon Do-yeon fait partie des neuf membres du jury du 67e

Festival de Cannes. Jeon est la première actrice coréenne à recevoir cet honneur à Cannes. En 2009, le réalisateur Lee

Chang-dong avait été membre du jury. Le 67e Festival de Cannes se tient du 14 au 25 mai.

제67회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가 호평 받고 있다. ‘칸의 여왕’ 배우 전도연이 한국 배우 최초로 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선정돼 활약하고 있는가 하면 “주목할 만한 시선”에서는 정주리 감독의 장편 데뷔작 <도희야> 가, “감독주

간”에는 김성훈 감독의 <끝까지 간다>, “미드나잇 스크리닝”에서는 창 감독, 배우 유준상, 김성령이 열연한 <표적>이 현지

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단편영화 분야에서도 한국 영화의 약진이 돋보인다. 영화학도들을 대상으로 한 “씨네파운데이션” 부문에 권현주 감독의

<숨>이 초청된 데 이어 성상모 감독의 <거울>, 김성환 감독의 <야누스> 등 여러 작품들이 비경쟁부문 초청작으로 선정

돼 세계 영화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칸 영화제는 이달 1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된다.

10 강현정 <[email protected]>

참고 : 티브이데일리 “‘도희야’ ‘표적’ 외 칸에서 활약하는 한국 단편영화는?”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Elections européennes : « Les jeunes ne se sentent pas concernés »유럽의회 선거 - 무관심한 유럽시민들

Une querelle politicienne pour lancer un meeting sur

l’Europe, ou comment se tirer une balle dans le pied.

Mardi 6 mai au soir, à Nancy, le député UMP Arnaud

Danjean n’a pas hésité à retarder d’une demi-heure le

débat attendu par 300 personnes parce qu’il estimait

que le PS était surreprésenté à la tribune avec

Catherine Trautmann et Edouard Martin ! Finalement,

l’ancien syndicaliste CFDT de Florange, candidat sur la

liste PS du Grand-Est, a dû s’éclipser. Au grand regret

de nombreuses personnes venues précisément sur le

campus franco-allemand de Sciences-po pour l’entendre.

« Je suis allé à Florange, j’avais envie d’écouter ses

explications », déplore Francis, un militant écologiste. «

Cela illustre bien pourquoi les politiques ne sont pas

pris au sérieux, s’emporte Claire, étudiante à

Sciences-po. Il y a dans la politique un élitisme qui se

reflète au Parlement européen. C’est pour ça que les

jeunes ne se sentent pas concernés par ces élections. »

지난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3억7천만 유럽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유럽의회 선거가 열렸다. 하지만 5월 11

일 유럽 12개국에서 조사된 Ipsos Mori의 설문 결과를

인용한 독일 경제뉴스지의 보도에 따르면, 20여일 다가온

유럽의회 선거에 대한 전반적인 유럽연합 시민들의 관심

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 38%만이 곧 열리는 유럽의회 선거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사 대상자 중 62%는 유

럽 의회 선거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고

응답했다. 한편, 설문 응답자 중 35%는 반드시 선거에

참여하겠다고 밝혔고, 30%는 선거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

다고 답했지만, 무려 35%가 선거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프랑스의 대선 투표율은 80%에 임박하는 반면, 유럽연

합에 관해 유일하게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유럽의회

선거에선, 1994년에 52.7%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지

난 2009년 유럽의회 선거에서는 40.6%를 기록했다.

한편 5월 6일 저녁에 프랑스 낭시의 시앙스포 대학에

서 진행되기로 한 토론회에서 대중운동연합당(UMP)의

의원 Arnaud Danjean이 예정시각보다 30분 늦게 와 300

명의 청중들을 기다리게 한 일이 있었다. 이에 대해 프랑

스의 한 대학생은 “난 그(의원)의 말을 듣고 싶었다. 어떤

시앙스포 대학생은 이번 사건이 정책들이 시민들에게 진

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유를 잘 설명한다고 했다.

정치 속의 엘리트주의는 유럽의회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그래서 청년들이 이 선거(유럽의회 선거)에 무관심한 것”

이라고 말했다.

12 강선희 <[email protected]>

참고 : LeParisien “lections européennes : « Les jeunes ne se sentent pas concernés »”

eknews21 “유럽연합 시민, 유럽 의회 선거 관심없어”

Page 2: La Gazette d'Agora 5월호

2014년 5월 28일 - 제 3호 -

Israël : le nombre de migrants français a quadruplé en un an

反유대 정서로 프랑스를 떠나는 유대인 급증

L'Agence juive, chargée de l'immigration juive vers

Israël, a indiqué que le nombre de migrants français

avait été multiplié par quatre entre le premier

trimestre 2013 et le premier trimestre 2014.

Au cours de la période janvier-mars 2014, 1.407 Juifs de

France ont fait leur aliyah ("ascension" en hébreu), contre

353 au premier trimestre 2013, selon la représentation

française de l'agence para-gouvernementale chargée de

l'immigration juive vers Israël.

Ariel Kandel, le directeur de l'Agence juive en

France, note que "le phénomène s'accélère". Si on

continue sur les bases actuelles, on va dépasser les

5.000 Français faisant leur aliyah en 2014, ce qui sera

inédit depuis la création de l'État d'Israël en 1948",

a-t-il ajouté.

Plusieurs raisons à ces départs vers Israël

Ariel Kandel explique ce phénomène par des "facteurs

multiples et en même temps liés". Avant tout, selon lui,

"les Juifs de France sont très proches d'Israël, très

attachés au sionisme". Mais a pesé aussi "ce que

j'appelle un climat antisémite" dont "on ne peut pas

dire qu'il est lié à des actions de violence".

Citant "l'affaire Dieudonné", le directeur de l'Agence

juive en France estime que si "l'État fait tout ce qu'il

faut pour lutter contre l'antisémitisme". "Troisième

phénomène" cité par le responsable : "la situation

économique de la France", avec son fort taux de

chômage et sa croissance atone, qui rend par

comparaison Israël attractif, notamment auprès des

jeunes.

L'immigration juive en Israël à partir de la France

avait enregistré une légère baisse en 2012, malgré la

tuerie perpétrée par Mohamed Merah devant l'école

juive Ozar Hatorah de Toulouse.

La communauté juive de France compte près de

500,000 personnes, selon des estimations, ce qui en

fait la plus importante en Europe.

반유대인 정서가 확산하는 바람에 프랑스에 살던 유대

인들이 이스라엘로 이민을 가는 사례가 크게 늘었다고

현지 라디오방송인 RTL이 13일 보도했다.

유대인 기구는 올해 1분기 프랑스에서 이스라엘로 이

주한 유대인이 1천407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353명)보다

4배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아리엘 칸델 유대인 기구 프랑

스 지부장은 "이 속도대로라면 올해 5천여 명의 프랑스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돌아갈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지

난 1948년 이스라엘 건국 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

다. 칸델 지부장은 "프랑스 유대인들이 이스라엘에 이민

가는 이유는 우선, 프랑스의 유대인들이 종교적으로 이스

라엘과 가깝고, 반유대 정서가 확산되었고, 경기마저 침

체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2012년 3월 툴루즈에서 유대인을 겨냥한 연쇄 총

격 사건이 발생한 것을 비롯해 최근에는 코미디언 디외

도네가 나치식 경례를 연상하는 인사법을 유행시키는 등

프랑스에서 반유대주의가 확산되고 있다. 유럽에서 가장

큰 유대인 지역사회가 형성된 프랑스에는 50만명 가량의

유대인이 사는 것으로 집계된다.

11 김우정 <[email protected]>

참고 : RTL "Israël : le nombre de migrants français a quadruplé en un an"

Consommation de vin : les États-Unis passent en tête미국, 프랑스 제치고 세계 최대 와인 소비국 '우뚝’

Les États-Unis sont devenus le premier pays consommateur de vin. La consommation de vin s'est légèrement tassée

dans le monde, selon l'Organisation international du vin (OIV) qui signale que le marché américain est passé devant

la France. Au passage, dépassant pour la première fois le marché français. Car si la consommation américaine est

restée quasiment stable (+0,5% tout de même) celle de l'hexagone a fortement baissé (-7%).

Au total on a bu 238,7 millions d'hectolitres de vin, soit 2,5 millions hl de moins (1%) que l’année dernière,

consommés pour moitié entre les Etats-Unis (29 millions hl), la France (28 millions hl), l'Allemagne, l'Italie et l'Espagne.

Une ascension qui détrône l’Italie et la France, pendant que la Chine continue sa forte progression.

EN CHINE, LA CONSOMMATION DE VIN S’EST ACCÉLÉRÉE DE 140%

La Chine quant à elle voit sa consommation de vin considérablement stimulée. Entre 2006 et 2010, la croissance du

marché chinois s’est accélérée de 140%. Toutefois, le rythme devrait ralentir entre 2011 et 2015, avec un rythme de

croissance de 54%.

미국이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 최대 와인 소비국으로 등극했다. 국제포도주기구(OIV)는 2013년 미국의 전체 와인 소비량

이 전년 대비 0.5% 늘어난 2910만 헥토ℓ(1헥토ℓ=100ℓ)를 기록해 세계 1위 와인 시장으로 부상했다고 밝혔다. 반면 프랑스

는 2012년 대비 7% 하락한 2810만 헥토ℓ를 소비해 순위가 바뀌었다. 하지만 1인당 와인 소비량은 아직도 프랑스가 일주

일에 1.2병으로 1위이다. 이는 미국에 비해 약 6배 높은 수치다.

지난해 전 세계 와인 소비량은 1% 줄어든 2억3900만 헥토ℓ를 기록해 4년 간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장 마리 오랜드

OIV 회장은 "프랑스와 이탈리아, 스페인 등 전통적인 와인시장의 소비 트렌드가 급변하고 있다”며 "양보다는 질을 따지기

시작했고, 와인 대신 맥주 같은 다른 주류가 인기를 얻으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탓”이라고 말했다. 식사 때마다 와인을 곁

들이며 식사의 일부라고 생각했던 프랑스 중장년층과는 달리 젊은 세대들은 와인도 맥주나 다른 술처럼 선택해 마실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어 "미국의 경우 1인당 와인 소비가 아직 낮은 수준이고 더욱더 좋은 품질의 와인을 마

시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계 와인 시장의 ‘떠오르는 큰 손’ 중국은 지난해 소비량이 3.8% 줄어 1680만 헥토ℓ에 머물렀다. 이는 이미 중국으로

수입된 와인 재고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13 김여경 <[email protected]>

참고 : LeFigaro "Vin: les USA consomment plus que la France"

LARVF "Consommation de vin : les Etats-Unis passent en tête"

Page 3: La Gazette d'Agora 5월호

2014년 5월 28일 - 제 3호 -

Les actes homophobes bondissent de 78% en 2013프랑스 내 동성애 혐오 폭력 사건 증가

Les actes homophobes ont fait un bond de 78% en 2013 en France par rapport à l'année précédente, selon le

rapport annuel de l'association SOS Homophobie qui y voit une conséquence des débats sur l'ouverture du mariage

aux homosexuels.

L'année 2013 fut paradoxale pour les homosexuels. Celle d'une avancée historique, avec le vote de la loi leur

ouvrant mariage et adoption. Avec plus de 7,000 mariages célébrés sans incidents en 2013. En même temps, une

recrudescence inattendue de l'homophobie, en paroles et en actes, a eu lieu.

Les témoignages reçus atteignent un niveau record : 3,517, soit une hausse de 78% par rapport à 2012. Le nombre

d'agressions physiques rapportées a doublé pour atteindre 188 cas, à peu près une tous les deux jours. Ces "actes"

homophobes regroupent aussi bien les insultes reçues sur Internet, au bureau ou dans la rue que les menaces ou

agressions physiques.

동성애 단체 ‘SOS Homophobie’의 연차 보고에 따르면, 프랑스에서 동성애 혐오자들의 폭력 사태 비율이 지난해 대비

78% 증가하였다. 이 단체는 이를 동성애 결혼합법화의 결과로 본다.

2013년은 동성애자들에게 있어서 역설적인 해였다. 지난해는 동성애자들의 결혼과 입양이 합법화됨으로써, 역사적으로

진보의 해였다. 7000건 이상의 결혼이 문제없이 거행되었다. 동시에, 예기치 못하게 동성애 혐오자들의 언어적, 신체적 폭

력이 다시 심해졌다.

접수된 사건 수는 기록적인 수준에 달하였다. 지난해 대비 78% 상승한 3517건이 접수되었다. 신체폭력 신고 건수는 두

배로 늘어 대략 이 틀의 한번 꼴인 188 건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동성애 혐오자들의 폭력 사태들은 인터넷 상, 사무실에서

받은 모욕, 길에서의 위협 또는 신체적 공격을 모두 포함한다.

11 문정원 <[email protected]>

참고 : Lepoint “Les actes homophobes bondissent de 78% en 2013“

Journée de la jupe: le lycée Clemenceau de Nantes tagué,

des dizaines de garçons déguisés치마를 입고 성차별운동에 참여한 낭트의 고등학생들

Au lendemain d'un face à face tendu entre lycéens et militants de la Manif pour tous, des dizaines d'élèves de

l'établissement nantais ont participé à la journée contre le sexisme baptisée "Ce que soulève la jupe".

Les forces de l'ordre interviennent

Si la matinée avait été calme, la tension est montée d'un cran au moment de la pause déjeuner. Une confrontation

musclée nécessitant l'interposition des forces de l'ordre pendant quelques dizaines de minutes a eu lieu à quelques

mètres du lycée.

Tandis qu'une vingtaine de "Sentinelles" et une poignée de "Nantais pour la famille", s'apprêtaient à manifester, plusieurs

centaines de lycéens accompagnés de quelques militants anarchistes se sont élancés vers eux en scandant "Pas de fachos

dans nos quartiers !".

Les forces de l'ordre se sont alors interposé et le calme est revenu quelques dizaines de minutes plus tard tandis

que les lycéens et lycéennes, dont nombre étaient en jupe aussi, retournaient vers le lycée Clemenceau.

Jupes, kilts et autocollants

Le matin, presque au même endroit, à l'heure du début des cours, une centaine de lycéens, et autant de lycéennes,

sont venus en jupes. Plusieurs garçons qui n'avaient pas mis de jupe avaient mis sur leurs bermudas des autocollants.

시교육 당국의 승인 아래 진행된 성차별 반대에 관한 토론회에서 일부 참석자가 동성 결혼 등의 주제를 바꾸려 하면서

동성 결혼 찬성파와의 마찰을 빚었다. 다음날 프랑스 낭트 지역학생들이 “치마를 걷어 올리자” (Ce que soulève la jupe) 라

는 성차별 반대운동에 참여했다. 점심시간에 이르러 긴장감이 고조되었고, 결국 기동대는 고등학교에서 불과 몇 미터 떨어

지지 않은 곳에서 발생한 무력대립에 개입하였다.

스무 명 정도의 단체들은 시위를 준비했고, 100여명의 고등학생들과 무정부주의자들은 «우리 지역에서 파시즘은 싫어요»라

는 구호를 외치며 돌진했다. 결국 기동대가 개입하여 몇 십 여분 만에 이 시위는 잠잠해졌고, 치마를 입은 고등학생들은 다시

학교로 돌아갔다.

이날 아침, 수백여명의 고등학생들이 치마를 입고 등교하였고, 치마를 입지 않은 남학생들은 치마대신 바지에 성차별 반

대 스티커를 붙이기도 했다.

11 김우정 <[email protected]>

참고 : Huffingtonpost "Journée de la jupe: le lycée Clemenceau de Nantes tagué, des dizaines de garçons déguisés"

Page 4: La Gazette d'Agora 5월호

2014년 5월 28일 - 제 3호 -

Langues : le grand bond en avant des cours de chinois프랑스에 부는 중국어 열풍

« C’EST DU CHINOIS... » Cette expression synonyme

d’ «  incompréhensible » pourrait bientôt perdre — un

peu — de son sens : partout, la langue de Mao fait

des émules dans les écoles françaises. Un pari sur le

futur que les recruteurs voient plutôt d’un bon œil.

Les chiffres parlent d’eux-mêmes. Enseigné dans à

peine vingt établissements dans les années 1970, le

mandarin est aujourd’hui au programme de... 618

collèges et lycées ! « Et le phénomène va s’amplifier », prédit Jean-Pierre Lorenzati, le président de

l’association France Chine Asie éducation. A la rentrée

2013, 37 100 élèves ont choisi le chinois comme

langue vivante, contre 9 000 en 2004, soit une hausse

de plus de 400% en neuf ans. Des chiffres impressionnants,

à nuancer cependant lorsqu’on les compare à l’ensemble de

la population scolaire : seuls 0,8 % des collégiens et

lycéens suivent des cours de mandarin.

« Mais le chinois sera bientôt la première langue du

monde à dépasser les 1 % », surenchérit Joël

Bellassen, inspecteur général à l’Education nationale.

Aux motivations traditionnelles — dépaysement

linguistique, défi individuel —, s’en ajoute une autre :

le chinois est en passe de s’imposer comme une

langue bankable au même titre que l’anglais,

l’espagnol ou l’allemand. De fait, du côté des cabinets

de recrutement, on commence à regarder d’un œil

plus attentif les profils des jeunes diplômés ayant des

notions dans la langue de Mao. « Cela témoigne

d’une vraie volonté d’internationalisation et d’une

certaine ambition », décrypte Hubert Levesque, le

directeur général du cabinet Morgan McKinsley. Pour

lui, « c’est surtout dans dix ans que ce plus fera une

vraie différence ».

중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프랑스 학교들이 증가하고 있

다. 1970년까지만 해도 20개의 학교에서밖에 가르치지

않았던 중국어가, 오늘날엔 무려 618개의 중고등학교에

서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중불(中佛)교육협회장인 장 피

에르 로렁자티는 이 현상이 더 심화될 것이라고 예측했

다. 중국어가 뜨는 언어라고 답한 학생이 9000명이었던

데에 반해, 2013년에는 3만7천100명으로 증가했다. 즉 9

년 만에 4배 이상이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

어 수업을 수강하는 중고등학생은 전체 학생 수 중 0.8%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프랑스 교육 감사 조엘 벨라센은 ‘중국어는 곧

1%를 넘으면서 세계의 첫 번째 언어가 될 것이다’라고 평

가했다. 낯선 언어, 개인적인 도전과 같은 관례적인 동기

이외에도 중국어를 배우는 또 하나의 이유는, 중국어가 영

어, 스페인어, 독일어와 맞먹는 ‘돈 버는데 유리한’ 언어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각 기업의 인사과에서는 중

국어 능력이 있는 젊은이들을 더 주의 깊게 보고 있는 추

세다. 이에 대해 모르간 멕킨슬리의 인사담당 대표인 위베

르 르베스크는 ‘세계화와 어떤 포부에 대한 진정한 자발성

을 증명하는 것이다’라고 해석했다. 그는, ‘이것은 특히 10

년 뒤 진짜 차별성을 보여줄 것이다’라고 말했다.

12 강선희 <[email protected]>

참고 : LeParisien, “Langues : le grand bond en avant des cours de chinois”

Nouvelle-Calédonie : Des élections provinciales cruciales뉴칼레도니아 지방 선거 - 분리 독립에 영향?

Les élections provinciales qui se sont tenues dimanche 11 mai marquent une date importante pour l'avenir de la

Nouvelle-Calédonie, ce territoire français situé au milieu du Pacifique, entre l'Australie et la Nouvelle-Zélande. Depuis

près de seize ans, ces élections sont attendues par les Calédoniens comme une étape décisive dans le processus

d'autonomisation du « Caillou ».

La Nouvelle-Calédonie est divisé en trois provinces : sud(où se trouve la capitale Nouméa, qui représente à elle

seule près de 40 % de la population de l'île) nord et îles Loyauté. Ces provinces ont été crées en 1988 par les

accords de Matignon qui ont mis fin aux violences qui ont ensanglanté la Nouvelle-Calédonie pendant les années 80.

Chaque province dispose ainsi d'une assemblée dont les membres sont élus pour cinq ans.

La droite non indépendantiste reste majoritaire au Congrès de Nouvelle-Calédonie à l'issue des élections

provinciales, selon les projections du Haut-commissariat de la République. Les trois partis de la droite non

indépendantistes obtiennent 29 sièges sur 54 et les indépendantistes 25 sièges. Le parti de centre droit Calédonie

Ensemble remporte 14 sièges à lui seul, soit une nette avance. De leur côté, les indépendantistes totalisent 25 élus

contre 23 lors de la précédente mandature.

지난 5월 11일 일요일 뉴칼레도니아에서 열린 지방선거는 본국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날로 기록된다. 뉴칼레도니아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사이에 태평양 중앙에 위치한 프랑스 영토이다. 약 16년 전부터, 이 선거는 뉴칼레도니아의 독

립 과정 속에서 결정적인 단계로 여겨진다.

뉴칼레도니아는 서쪽(섬의 인구의 약 40%가 거주하는 수도 누메아가 위치 한 곳), 북쪽, 로열티 제도, 3개의 지방으로

나누어진다. 이 지방들은 1988년 80년대에 뉴칼레도니아를 피바다로 만든 폭력사태를 종결시킨 마티뇽 협정에 의해 만들

어졌다. 각각의 지방들은 의회를 가지고 있는데, 매 5년마다 의원들이 선출된다.

뉴칼레도니아의 고등판무관직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지방선거에서 우파인 분리 독립 반대주의자들이 뉴칼레도니아 의회

의 여당의원 자리를 지켰다. 우파인 분리 독립 반대주의자들의 3개의 정당은 54석 중 29석을 획득하였고, 분리 독립주의자

들은 25석을 얻었다. 중도우파인 칼레도니 앙상블 당은 명백한 우위로 14석을 획득하였다. 이 정당에서, 분리 독립주의자

들은 전 임기 때 23명이 당선된 것에 반해, 올해에는 25명이 당선되었다.

11 문정원 <[email protected]>

참고 : FranceTVinfo “Elections provinciales en Nouvelle-Calédonie : la droite non indépendantiste reste majoritaire au Congrès”

Le monde “Nouvelle-Calédonie : après les élections, le référendum en ligne de m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