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25
interr●bang

Upload: others

Post on 30-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interr●bang

본지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RDA Interrobang (67호)

인터넷(www.rda.go.kr)에서

컬러판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집필: 김찬섭 박사(031-290-0588)

정미혜, 길근환, 문병철, 박재읍

농약 바로 알기

- 개발부터 사후관리까지 -

2012. 5. 23. (제67호)

요약

Ⅰ. 농약 이야기 ·············································1

Ⅱ. 농약의 관리체계 알아보기 ·················10

Ⅲ. 시사점 ·····················································18

목 차

Page 2: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김찬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email protected]정미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email protected]길근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email protected]문병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email protected]박재읍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email protected]

RDA 인테러뱅 제67호 농약 바로 알기 2012.5.23.발간

Page 3: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interr●bang

≪ 요 약 ≫

농약이란 농작물에 해로운 벌레, 병균, 잡초 따위를 없애거나 농작물이 잘 자라

도록 도움을 주는 약품을 말하며, 여기에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나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만드는 천연식물보호제도 포함된다. 그러나 살서제, 위생

병해충 방제약제 등은 농약에 포함하지 않는다.

농약은 농작업에 필요한 일손을 줄여주고, 수확량을 최대한 보장해 인류를

굶주림에서 해방시켰으며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킨 일등공신이다. 고대부터 인류

에게 병해충과 잡초는 끊임없는 골칫거리였으나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은 부족한 형편이었다. 그러나 15세기 이후부터, 각종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탄생하게 되었고, 20세기에 들어서서는

다양한 농약이 개발되어 사용되기에 이른다.

향후 농촌에서는 숙련된 노동력의 감소로 인해 보다 인간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기본으로 하는 농약살포의 무인화가 중요해질 전망이며, 이를 위한 제초용 무인로봇,

무인헬기 방제기술 등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2000년대 이후 환경

오염 우려가 심각해짐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미생물, 곤충, 선충 등을 이용하는

친환경 농약이 빠르게 개발되고 유망한 분야로 떠오르고 있기도 하다.

일부의 우려와는 달리, 농약은 개발부터 등록까지 의약품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철저한 안전성 평가를 통해 관리되고 있으며, 등록 이후에도 사후관리로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 개발단계에서는 농약 후보물질들이 선발되어 등록에 필요한 방대한

독성시험과 평가를 통해 새로운 농약이 탄생한다. 농약이 개발된 후에는 안전한

농약의 관리를 위해, 소비자가 평생 매일 먹어도 건강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농약의

최대량을 파악하여 농약의 잔류 기준으로 사용한다. 또한 농업인들이 매일 농약을

살포하더라도 해가 없는 노출허용량을 설정하고, 농약에 대한 노출량이 노출허용량

보다 적은 농약만 유통될 수 있게 하여 농업인의 건강을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농약의 이동경로와 농약이 도달하는 환경에서의 잔류정도를 평가

하고, 농약을 뿌리는 지역 주변의 환경과 환경생물에 미치는 독성시험을 실시하여

생태독성의 정도를 평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농약이 탄생한 이후에도 국내외

기준에 맞추어 기준에 미달되는 농약은 판매가 금지되는 등의 사후관리가 실시되고

있다.

이제는 1) 농약이 안전하게 생산되는 필수농자재임을 인식하고 2) 소비자, 농업인,

농약업체, 관리당국 등의 농약과 관련된 주체들이 농약 사용의 목표를 공통으로 인식

해야 한다. 한편, 보다 안전하게 농약을 사용하기 위해 3) 농약의 개발·등록·살포·

사후관리까지 다양한 기술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4) 안전한 농약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기로 사료된다.

Page 4: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Page 5: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1

interr●bang

Ⅰ. 농약 이야기

농약이란?

□ 농작물에 해로운 벌레, 병균, 잡초 따위를 없애거나 농작물이 잘

자라도록 도움을 주는 약품을 이르는 말

○ 우리가 기르는 동식물의 피해를 막거나, 작물을 재배하는 땅과

종자를 소독하거나, 농산물의 품질을 높이는 데 사용하는 약제

-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잡초, 그밖에 법령으로 정하는

동식물을 방제하는 데 사용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 데 사용하는 약제

○ 살아있는 미생물이나 자연에서 생성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만든 농약은 ‘천연식물보호제’로 구분

-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또는 원생동물 등 살아있는 미생물이나

자연계에서 생성된 화합물을 방제효과를 내는 물질로 이용

○ 기능이나 성분이 농약과 비슷하지만 농약으로 취급하지 않는

약제들도 존재

- 쥐, 두더지 등 설치류를 방제하는 살서제(殺鼠劑), 해충 방제에

사용되는 천적생물은 농약과 구분

- 파리, 모기 등 위생병해충 방제약제는 농약과 별도 관리

농약의 이름은 어떻게 붙일까?

▷ 농약은 화학물질이므로 화학명으로 부르는 것이 옳지만 복잡하므로, 영문 ISO명에

제제(製劑) 형태를 붙여 한글로 표기(품목명), 제조사는 다양한 상품명을 붙임

▷ 명칭의 종류: ① 화학명 ② 일반명 ③ 품목명 ④ 상품명

예) ① 2,2-Dimethyl-2,3-dihydro-1-benzofuranyl methylcarbamate

② cabofuran: 국제표준화기구 (ISO)가 권하여 통용되는 ISO명(일반명)

③ 카보퓨란 입제: 일반명에 농약의 형태를 첨가하여, 한글로 표기

④ 카보후란, 후라단, 카보, 카보텔, 큐라텔: 제조사가 판매를 위해 붙인 이름

Page 6: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2

RDA 67호interr●bang

농약이 가져온 효과들

□ 농작업에 필요한 일손을 줄여주고, 수확량을 최대한 보장해 인류를

굶주림에서 해방시켰으며,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킨 일등 공신

○ 부족한 농업 노동력을 덜어주는 데 기여하였으며, 일례로 제초제를

사용하여 잡초 제거 시간이 ‘65년 대비 1/35로 단축

* 우리나라 논 300평당 잡초제거 시간: (’65) 17.4 → (’85) 4.3 → (’07) 0.3

○ 농산물의 안정 생산에 가장 큰 장애요인인 병·해충·잡초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여 식량 안보의 달성에 이바지

- 인구 증가에 따라 ‘50년까지 식량을 현재의 70% 이상 증산해야

하는 상황에서, 식량의 안정적 공급을 가능케 하는 도구

* 농약을 사용한 완전방제로 얻는 생산량을 100%로 볼 때,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하면 곡류 59%, 채소 44%, 과수 11% 생산에 그칠 전망

○ 농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등 우리의

식탁을 풍요롭게 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

* 사과를 무농약재배할 경우, 탄저병, 붉은별무늬병, 반점낙엽병, 흰가루병,

꽃썩음병 등이 다량 발생하여 수확이 거의 불가능

만약 당시 농약이 있었다면 역사는 달라졌을 수도.... ?!

▷ 1847년에 발생한 아일랜드의 감자역병, 1942년 인도 벵골의 ‘벼 깨씨무늬병’,

1870년 스리랑카의 ‘커피녹병’은 역사를 바꿀 만큼 엄청난 대재앙

- 감자역병으로 아일랜드 인구의 1/4인 2백만 명이 굶어 죽고, 2백만 명이 신대륙으로 이주

하여 캐나다와 미국 발전의 주역으로 등장하며, 영국 본토로 이주한 사람들은

산업혁명기에 값싼 노동력을 제공한 원천

- 벼 깨씨무늬병으로 인해 벵골 주민 2백만 명이 굶어 죽었으며, 커피 주산지였던

스리랑카는 커피녹병으로 커피 재배가 불가능해지자 녹차 재배로 전환

감자역병 벼깨씨무늬병 커피녹병

Page 7: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3

interr●bang

세계의 농약사(農藥史)

□ 고대의 인류에게 병해충과 잡초는 끊임없는 골칫거리였으나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은 부족

○ 식물 병해충의 발생을 알고는 있었으나, 미신이나 신의 영역으로

오해하여 방제법의 발전은 미약

- 해충의 대량 발생은 신의 분노나 악령의 저주 때문으로 믿었기

때문에 신에게 비는 등 종교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

* 부분적으로, 식물의 침출액이나 와인에 종자를 담가 소독하거나, 작물이

자라는 중에 올리브유 찌꺼기 등을 뿌려 살충제로 이용

□ 15세기 이후, 각종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본격적으로 탄생

○ 15세기에는 납과 수은, 비소 등의 독성물질을, 17세기에는 황산

니코틴이 함유된 담뱃잎 추출액을 방제의 목적으로 사용

○ 1874년 합성된 DDT는 스위스의 폴 뮐러가 뛰어난 살충효과를

발견(1939)한 이후, 유기염소계 살충제의 효시(嚆矢)로 등장

○ 독일의 슈레더가 독가스를 연구하다 유기인계 살충제를 만들고

(1942), 포코르니는 최초의 제초제인 2,4-D를 개발(1941)

○ 최근 세계적인 농약 개발의 추세는 독성을 줄여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는 경향

* 환경에 미치는 독성을 줄이고자 살충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로, 살균제는

에르고스테롤 생합성저해제, 제초제는 설포닐우레아계로 변화

좀도둑 잡으려다 탄생한 농약, 보르도액

▷ 도난 방지를 위해 황산동과 석회를 살포한 길가의 포도에는

노균병이 발생하지 않은데 착안하여 개발

- 프랑스의 미얄디가 보르도액의 노균병 방제효과를 발견하고,

동료 가욤의 도움으로 약효와 제조법을 발표(1885)미얄디(Millardet)

Page 8: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4

RDA 67호interr●bang

한국의 농약사(農藥史)

□ 초보적인 병해충 방제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야 발견

되며, 현재와 비교하면 열악한 기술 수준이었던 것으로 평가

○ 삼국시대의 병해충 피해 기록은 존재하나 구체적인 방제 기록은

없어 천재(天災)로만 여겼을 것으로 추정

* 삼국사기(1145)에 신라 20회, 고구려 8회, 백제 4회 등 총 32회 기록

○ 조선시대에는 마른 쑥이나 재 등 천연 산물을 이용하는 수준에서

종자의 보관과 작물의 해충 방제를 실시(농사직설, 1427)

□ 1906년 권업모범장에서 벼멸구 방제를 위해 제충국(除蟲菊) 가루와

석유를 혼합해 사용한 것을 기점으로 현대적 의미의 방제가 시작

○ ‘57년 농약관리법이 제정되는 등 농업의 근대화와 함께 농약 개

발도 진전되어 우수한 농약들이 대거 소개되기 시작

- 벼룩이나 이(虱)의 방역용으로 미군이 들여왔던 DDT를 1949년

과수해충 방제용으로 처음 사용

- ‘61년까지 살충제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다가 미성농약에서 유기

인계 살충제를 국내 처음으로 만들어 응애류 방제에 사용

○ 최근 친환경 농업의 증가에 따라, 천연식물보호제 등의 농약 품목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전체 농약의 생산량은 감소하는 추세

- ‘11년 현재, 등록된 농약은 1,470종으로 ’81년 대비 6.4배 증가

했으며, 출하량은 18,954톤으로 ‘90년 대비 24.4%가 감소

- 환경생물 중 경제적인 중요성과 환경 보호를 대표하는 어류(魚類)에

미치는 독성이 낮은 약제들이 개발

- 300평 논에 몇 g만 뿌려도 방제가 가능한 제초제 등 소량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고, 살포하기 간편한 농약을 개발

- 천적 곤충, 미생물이나 선충을 이용한 생물농약의 개발도 진행 중

Page 9: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5

interr●bang

다양한 농약의 종류

□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방제 대상인 병·해충·잡초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이를 방제하기 위한 농약의 종류도 다양

○ 약제 저항성 등 병·해충·잡초의 생태 변화, 해외 유입 등과 함께

사용하기 편리한 약제 개발 등에 의해 농약 종류는 계속 증가

우리나라 농약의 품목수 변화

연도살균제 살충제 살균·살충제 제초제·기타 합계

품목 비율 품목 비율 품목 비율 품목 비율 품목 비율

1990 156 33.4 185 39.6 15 3.2 111 23.8 467 100

2000 299 31.2 357 37.2 23 2.4 280 29.2 959 100

2011 501 34.0 418 28.4 46 3.2 505 34.4 1,470 100

* 자료: 농촌진흥청(’12)

□ 농약을 분류하는 기준은 제제 형태, 화학적 조성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사용 대상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

○ 살균제(殺菌劑)는 농작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를

방제하는 약제로, 발생을 예방하거나 발병 후 치료하는데 사용

○ 살충제(殺蟲劑)는 곤충을 포함한 동물 중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종류들을 방제하거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용

- 응애류를 방제하는 살비제나 선충을 방제하는 살선충제도 포함

* 최근에는 살균제 성분과 살충제 성분을 혼합한 살균·살충제 등 혼합제를

만들어 약제 살포에 드는 노력을 줄이려는 경향

○ 제초제(除草劑)는 농작물에 필요한 양분을 이용하거나 생육환경을

나쁘게 하여 생장을 방해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

용도로 알아 보는 기타 농약들

▷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는 식물 생장을 촉진·억제하거나 생육 조정에 사용

▷ 보조제(補助劑)는 대개 자체로는 약효가 없지만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

주제(主劑)의 효력 증진을 위해 사용하는 전착제, 증량제, 용제 등이 포함

Page 10: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6

RDA 67호interr●bang

형태가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 농약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작물의 특성과 주변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약 형태(제형, 劑型)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

○ 제형이란 주성분을 증량제, 보조제, 점착제 등의 부재료와 섞어

만들어내는 약의 최종 형태

* 붙이는 ‘파스’, 뿌리는 에어로졸, 마사지에 쓰는 크림이나 로션, 벌레 물린데도

바르는 물파스 등은 동일한 성분을 다른 제형(형태)으로 만든 약제

○ 동일한 성분의 약도 약의 형태나 주변환경에 따라 방제효과나

안전성 등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충분한 고려가 필요

□ 농약이 사용되는 환경, 필요한 양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

○ 쓰기 쉬우면서, 효과는 높고, 약해는 최소화하며, 사용자와 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작업을 편하게 하는 것이 목표

○ 보이는 형태에 따라 액제(液劑), 분제(粉劑), 입제(粒劑)로 구분

할 수 있으며, 훈증제나 도포제 등의 특수한 제형도 존재

- 액체로 된 액제들은 농약을 녹인 성분에 따라 유제(乳劑), 수화제

(水和劑) 등으로 부르며 취급이 간편한 것이 장점

- 가루약인 수화제는 물에 타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종자를

소독할 때에는 종자 표면에 묻히는 방법으로도 사용이 가능

- 최근 개발된 입제는 바람에 쉽게 날리는 분제의 특성을 개선하고,

손으로 직접 뿌릴 수 있도록 개발된 제형

추억 속의 소독차

▷ 70년대 모기, 파리 등을 방제하기 위해 이용된 소독차는

연기와 함께 농약이 배출되는 ‘연무제’ 형태의 살충제

- 압력이나 열을 가하면 연기가 발생하는 제형으로 현재 에어컨

소독제, ‘훈증제’ 등으로 발전

Page 11: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7

interr●bang

3대 농약의 방제 원리

□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는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의 정상 생육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발하는 공통원리가 존재

○ 살충제는 곤충의 신경마비, 소화방해, 성장억제 등을 일으켜

활동을 정지시키고 죽음에 이르게 하는 원리

- 해충의 신경계를 교란하거나, 에너지 대사를 방해하고, 곤충의

표피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변태(變態)를 불가능하게 작용

○ 살균제는 곰팡이, 박테리아 등이 필요로 하는 물질의 합성을 억제

하여 에너지나 저항력 저하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원리가 적용

- 병원균이 크는데 필요한 단백질과 에너지의 합성을 방해하고,

균사가 작물에 침입하는 데 필요한 물질을 만들지 못하게 방해

○ 제초제는 강한 독성으로 목적 이외의 생물에게 해를 끼칠 확률이

높아 다른 분야에 비해 안전성 연구가 매우 발전된 분야

- 광합성을 방해하거나 호르몬 작용을 교란시키고, 잡초 체내에

활성산소를 생성시켜 말라죽게 하는 방식을 이용

* 모든 식물에 적용되는 비선택성 제초제와 특정종의 식물만을 방제하는

선택성 제초제로 나뉘어 발전

농약의 작용 원리

* 원내 색깔은

약제 포장의 색깔

- 살균제: 분홍

- 살충제: 녹색

- 비선택성제초제: 적색

Page 12: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8

RDA 67호interr●bang

안전한 농약 살포를 위한 무인화

□ 향후 농촌에서는 숙련된 노동력의 감소로 인해, 농약 살포 작업자의

안전을 기본으로 보장하는 무인 방제가 중요해질 전망

○ 방제의 무인화는 인력을 대체하고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방제가 가능한 것이 장점

○ 제초용 무인로봇은 농약을 이용한 제초 방식에 비해 노동력과

환경 오염의 부담이 적어 차세대 농업에 필수적인 기술

- 최근 연구되고 있는 무논 제초용 로봇은 내장된 센서가 모(苗)와

잡초를 구별하여 선별적으로 제거(‘10, 농촌진흥청)

* 논을 오가며 잡초만 제거하는 무인주행로봇의 방제효과는 87%이며, 작업

시간은 3시간/10a 소요되고, 노동력은 60% 줄이는 효과

○ 무인헬기 방제기술은 여름철 고온기에도 안전한 농약 살포가

가능하며 노동력 절감 효과가 높아 빠르게 보급되는 중

- 2003년 도입 이후, 2011년 말 기준 115대가 보급되었으며, 연간

6만 3천ha의 면적을 방제(’12, 한국농업무인헬기협회)

* 지역별 보급대수로는 전남 29, 충남 26, 전북 25, 충북 14, 경기 11대의 순

- 농약의 비산이 거의 없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며, 방제능력이

우수하고, 비료와 종자 살포 등의 농작업에도 활용이 가능

* 1ha 방제에 6분이 소요되며, 하루에 40~50ha의 방제가 가능

* 약해와 환경을 고려하여, 무인헬기용 전용약제로 26품목이 등록되어 사용

중이며 향후 더욱 늘어날 전망

제초로봇 로봇은 홀로 제초 중 방제용 무인헬기

Page 13: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9

interr●bang

친환경 농약의 이용과 전망

□ 2000년대 이후 환경오염 우려가 심각해지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미생물의 기능을 이용한 친환경 농약이 빠르게 보급

○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렸던 세계환경회의에서는

지구환경보존을 위한 어젠다 21을 채택하며 농약 감축을 선언

- 2004년까지 각국의 농약사용량을 50% 수준으로 감축하고 전체

화학농약의 20%를 생물농약으로 대체할 것을 결의

* 올해 리우에서 열리는 20주년 기념 환경회의에서는 그간의 이행상황 점검과

환경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들이 논의될 예정

□ 생물농약에는 미생물, 곤충, 선충, 미생물·곤충 유래물질 등이 해당

되며 매년 새로운 종이 보고되고 있는 유망한 분야

○ 미생물 등은 생활과정 중 식물체나 다른 미생물과 상호작용을

통해 병해 발생을 억제하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

- 미생물이 분비하는 항균물질들은 의약의 항생제와 같이 다른

곰팡이,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게 하는 기능을 보유

○ 2001년 세계 농약시장의 약 2%인 5.8억 달러에 불과하였으나,

2014년에는 15% 수준인 45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 ‘10년 세계 생물농약의 시장 규모는 약 11억 달러로 추산되며,

지난 10년간 9.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 기존 농약과 같은 방제효과 이외에도 안전성 등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어 국내외적으로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분야

- 토양 환경 개선, 식물체 저항력 증대, 생육촉진 등의 효과가

있으며 독성과 환경문제가 비교적 적다는 것이 장점

* 뿌리병해 방제 효과가 좋아 전용약제 개발이 증가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주)그린바이오텍 등 토종 미생물을 이용한 농약연구개발이 진행

Page 14: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10

RDA 67호interr●bang

Ⅱ. 농약의 관리체계 알아보기

농약의 개발부터 안전관리까지

□ 농약은 개발부터 등록까지 의약품처럼 철저한 안전성 평가를 통해

관리되는 물질이며, 등록 이후에도 사후관리로 안전성을 보장

○ 병·해충·잡초를 방제하는 효과가 있는 화합물을 선정

○ 이화학적 품질, 약효·약해, 독성, 잔류성 등 등록을 위한 분야별

성적을 평가

○ 소비자에 대한 위험성, 농작물에 허용 가능한 농약 잔류량 등

농약의 위해성을 평가

○ 농약을 직접 다루는 농작업자가 노출되는 농약의 허용량을 평가

○ 사용되는 농약이 환경생물에 미치는 위험 정도를 평가

○ 등록된 농약은 계속적인 사후 관리를 거치며,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내외 협조도 강화

안전사용기준의 설정 과정

* NOEL(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동물을 이용한 각종 독성시험을 통해 얻어진 무독성량

Page 15: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11

interr●bang

새로운 농약을 개발하려면

□ 천연물질의 효능, 문헌정보와 물질 구조를 이용한 활성 예측 등에

따라 효과가 있는 화합물을 선정하는 것이 농약 개발의 첫 단계

○ 경험이나 구전(口傳)에 따라 천연물질을 추출하거나 화학구조가

유사한 물질들을 체계적으로 다수 합성하여 농약 소재로 활용

○ 화학물질의 병·해충·잡초 방제 효과와 주요 작물에 미치는 피해

정도(약해, 藥害)를 조사하여 농약 후보물질로 선발

□ 선발된 농약 후보물질을 대상으로 방대한 독성시험을 거쳐 농약

등록에 필요한 평가단계를 수행하여 새로운 농약이 개발

○ 최근 새로운 농약의 발견, 개발과 등록에 드는 비용이 189백만

유로로 10년 전에 비해 68.4% 증가(’10, 유럽작물보호협회)

- 농약의 등록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이 증가하고 복잡해진 것은

안전을 고려하여 독성과 환경 평가 비용이 급상승했기 때문

새로운 농약의 개발 과정

Page 16: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12

RDA 67호interr●bang

소비자를 안전하게, 농약의 위해성(危害性) 평가

□ 안전한 농약 관리를 위해 등록농약의 독성 정도를 구분하고 이에

노출되었을 경우에 받을 수 있는 영향을 평가

○ 화합물의 특성, 농업 현장의 영농지식, 잔류 등 농약 사용의 행적,

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

○ 동물 실험 성적을 이용하여 사람과 가축에 대한 독성을 등급화

하고 위해성을 평가하여 각종 보호조치를 강구

- 생활주변의 물질 중 아스피린 수준의 독성 이하로 철저히 관리

* 급성독성, 만성독성, 발암성, 기형독성, 번식독성 시험을 수행

□ 독성시험 결과 중, 사람과 가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험항목의 결과 수치를 선정하여 1일섭취허용량(ADI)1)을 산출

○ ADI는 사람이 평생 매일 먹더라도 건강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농약의 최대량으로서 농약잔류기준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

- 독성반응에 대한 실험동물과 사람의 차이, 개인 간의 차이 및

다음 세대로의 영향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안전계수를 적용

* 안전계수는 보통 100을 사용하므로 실험동물이 매일 섭취하더라도 영향이

없는 약량의 1/100 수준이 1일섭취허용량이 되는 셈

- ADI는 국가별로 다르며, 세계보건기구와 국제식량농업기구의

합동잔류농약 전문가 회의가 수치를 정하여 각국에 권고

1) Acceptable Daily Intake: 일일 체중 kg 당 약량(mg/kg/day)으로 표시

Page 17: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13

interr●bang

□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시험 성적을 검토하여 수확물 중 농약의

잔류 수준과 분해 양상 등을 평가하여 잔류허용기준(MRL)2)을 설정

○ 농약을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을 통한 해당 농약의 이론적인

최대섭취량이 1일섭취허용량의 80% 이하가 되도록 설정

- 농약의 등록·평가과정에서 얻어진 잔류기준(안)을 농촌진흥청이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요청하여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이 설정

* 식이섭취량: 농산물별로 잔류된 해당 농약의 총 섭취량

□ MRL과 표준 농약사용법에 맞도록 안전사용기준(PHI)3)을 설정

○ 농촌진흥청에서 등록된 농약 총 1,470품목 중에서 911종에 대해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설정(2011.12.31.)

- 나머지 559종은 잔류가 면제되었거나 비식용작물 대상의 농약

으로서 기준 설정이 불필요

* 농약관리법 제23조, 시행령 19조: 적용대상농작물, 적용대상 병해충, 사용

시기 준수, 사용가능 횟수 내에서 사용하도록 규정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생산물에 대해,

보건환경연구소는 유통식품에 대해 PHI를 이용, 안전성을 확인

아주 적은 량을 나타내기 위한 농약의 잔류량 단위

▷ 농약 잔류량은 매우 적은 량이므로 주로 ppm, ppb, ppt를 단위로 사용

- ppm(parts per million, 1/100만, 10-6), ppb(1/10억, 10-9), ppt(1/1조, 10-12)

2) Maximum Residue Level: 작물의 재배를 위해 정상적으로 농약을 사용할 경우 남아 있는 잔류 농약

성분으로, 식품에 잔류된 농약을 매일 섭취하더라도 건강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수준의 기준치

3) Pre-Harvest Interval: 수확된 농산물의 농약 잔류량이 잔류허용기준을 넘지 않도록 작물별로 농약의

사용시기와 살포횟수를 제한하는 기준

Page 18: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14

RDA 67호interr●bang

농민을 안전하게, 농작업자 안전성 평가

□ 농민들은 농약을 살포하면서 농약에 직접적이고 반복적으로 노출

되기 때문에 농작업자에 대한 안전성 평가는 필수

○ 매일 살포하더라도 작업자에게 해가 없는 농작업자 노출허용량을

설정하고, 이론적인 노출량이 이를 넘으면 살포 시험을 진행

* 농작업자 노출허용량은, 실험동물로 실험 시 농약이 피부와 눈, 코를

통해 체내로 들어와도 전혀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양을 100으로 나눈 값

* 이론적 노출량은 살포기기와 살포량, 면적 등을 모델로 계산된 값

○ 살포시험은 농작업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재현하여 재배지에서

직접 농약을 살포하며 노출량을 측정

○ 농약 노출량이 농작업자 노출허용량보다 적은 농약만 유통될

수 있어, 농약을 직접 사용하는 농민의 건강을 보호

작업자의 농약 노출 농약노출량 측정 시험 광경

환경을 안전하게, 환경·생태계에 대한 위해성 평가

□ 농약이 살포되면 토양과 물 등 주변 환경에 잔류하여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위해성 검증도 실시

○ 농약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농약의 성질뿐 아니라 강우, 온도

등 기상 상태와 토양의 성질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

○ 농약은 강우 등으로 인해 농경지 외의 지역과 식수로 이용하는

수계에 흘러들어갈 수 있으므로 다차원적인 평가가 진행

Page 19: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15

interr●bang

- 토양과 물에서의 분해와 이동에 대한 시험성적을 근거로 농약의

이동경로와 농약이 도달하는 환경에서의 잔류 정도를 평가

* 토양에 잔류된 농약이 반으로 주는데 걸리는 시간 등으로 농약의 잔류성을

등급화하고, 토양에 흡착되는 정도에 근거하여 이동성 등을 검토

-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농약이 살포된 농경지를 벗어나 강물로

흘러들어갈지, 지하수나 대기를 오염시킬지 등을 예측

* 농약 살포 후 강우 등에 의해 수계나 토양에 도달한 농약이 그 환경에서

얼마나 분해되고 어디로 이동하는지 등을 분석

□ 한편, 농약을 뿌리는 지역 주변의 환경과 환경생물에 미치는 독성

시험을 실시하여 생태독성의 정도를 평가

○ 하천, 토양, 작물 등에 예상되는 농약 농도와 서식하는 환경 생물의

독성을 비교하여 생태계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

○ 해당 농약이 토양과 유용 곤충, 조류(鳥類) 등에 미치는 영향을

정도별로 파악하여 분석

- 토양에 잔류하는 농약은 지렁이를 통해 파악하고, 꿀벌, 누에

등에 대한 독성시험으로 유용곤충에 대한 영향을 파악

- 조류에 대한 영향은 먹이 식물과 지렁이 등의 잔류농도로 계산

○ 농약이 수계에 흘러들어갈 경우 수서생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녹조류, 물벼룩, 어류 등에 대한 독성도 평가

- 어류에 대한 독성 시험은 잉어를 기본으로 실시하되, 논에 살포

하는 농약은 미꾸리에 대한 시험도 추가

지렁이 꿀벌 누에 물벼룩

Page 20: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16

RDA 67호interr●bang

등록된 농약도 다시 보자, 농약 사후관리

□ 다양한 안전성 평가를 거쳐 새로운 농약이 탄생한 이후에도 국내외

기준에 맞는 사후 관리가 이루어짐

○ 국제적 위해성 관리 동향과 안전성 조사결과 등에 근거하여 등록

확대 제한, 공급물량 축소 등 등록 농약의 사후 관리가 진행

○ 국내에서도 DDT 사용이 금지(’71)되는 등, 독성이 높은 농약은

국제 관리기준에 맞게 규제

- 잔류성 농약에 대해서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에 대한

국제적 관리체제가 확립

* 유기수은제나 유기염소계 농약 등과 같이 잔류성이나 독성으로 위해성이

밝혀진 37종의 농약은 생산과 사용이 금지

잔류성 발암성 불임성 기형독성 급성독성

BHC 등 16종 캡타폴 등 10종 니트로펜 등 2종 2,4,5-TP 테믹 등 8종

○ 한편, ‘11년에는 국내 안전성 평가기준에 따라 국내 유통 농약을

재평가하여 위해성에 대한 검증을 진행

* 위해성 우려 등으로 등록 취소: 20종, 평가결과 위해성 경감 조치: 13종

□ 등록 농약의 사후관리뿐 아니라, 불법으로 유통되는 기준 미달의

농약 등에 대한 관리도 철저히 시행 중

○ 규격에 미달되는 농약이나 미등록 농약, 농약 성분이 첨가된 농약

이외의 농자재 등은 지속적으로 단속

* 농약판매상의 임원으로 구성된 명예지도원, 경찰, 관세청 등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협조를 통해 연 2회 상시 단속하며, 30회 이상 불시 단속도 실시

○ 지속적인 단속 결과, 최근 5년간 유통되는 농약의 불합격률은

1.3% 정도로 줄어드는 추세

* 유통농약 불합격률: (’07) 1.1% → (’08) 1.1 → (’09) 1.8 → (’10) 0.6 → (’11) 1.8

Page 21: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17

interr●bang

안전 관리를 위한 국내외 공조

□ 국민 건강과 환경 생태계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농약은 여러 기관의 유기적 협조로 철저히 관리되고 있음

○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약의 등록과 유통 관리를 책임지는 한편,

농약의 안전성 등을 시험하여 평가하는 역할을 수행

○ 농약 생산단계에서의 잔류 농약 모니터링과 위해성 관리는 국립

농산물품질관리원이 수행

○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식품과 식품 첨가물 등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의 위해성 등을 모니터링하며 관리

□ 농산물 시장 개방의 시대 속에서 국제적 환경 및 기준에 발맞춰

농산물과 식품의 안전성을 관리

○ 현재 국제적으로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 확대와 규제기준의

강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

○ OECD 중심의 국가 간 농약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입 국가

간의 상호 조정을 이루고 국제적 조화를 추구

* OECD 내에 농약작업반(WGP)과 우수실험실(GLP)작업반을 두어 회원국

간의 농약 등록 및 시험연구기관 등을 관리

○ 농산물뿐 아니라 농약 자체의 수출입 시장도 형성된 상태여서,

농약의 국제 기준 적합성이 중요

Page 22: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18

RDA 67호interr●bang

Ⅲ. 시사점

이제 농약이 필수 농자재인 시대

□ 농약은 엄격한 시험과 품질관리를 거쳐 생산되는 물질로서 농업

생산에 꼭 필요한 농자재임을 인식

○ 인구 증가, 농업 노동력의 감소와 고령화, 고품질 농산물 수요

등의 문제로 인해 농약의 필요성은 갈수록 증대 중

- 농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농산물 수확은 절반으로 감소

○ 철저한 시험을 통해 얻어진 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사용함으로써

약효의 증진, 안전 농산물 생산, 농약의 수명 연장 등에 기여

- 막대한 개발비를 투입하여 개발된 농약의 수명 증대를 위해서는

계통이 다른 농약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필요

농약 사용의 목표는 안전한 식량의 안정 생산

□ 농약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개선하기 위해 농약 관련 주체들이

농약의 안전성에 대해 공통으로 인식하는 출발점을 제시

○ 식품 소비자, 농업인, 환경과 생태에 안전하면서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유지하는 것이 농약 사용의 목표

- 소비자는 농약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안정적 공급 체계와 국가의

농약 관리 활동에 대해 이해

- 농업인은 영농규범을 준수하여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고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

- 농약업체는 소비자와 농민, 환경에 안전한 농약 개발에 주력

- 정부는 소비자와 환경에 안전한 농약으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와

유통농약의 관리를 적극 수행

Page 23: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67호

19

interr●bang

농약의 안전성 증진에 필요한 연구개발의 강화

□ 농약의 개발·등록·살포·사후관리까지 다양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

○ 농약의 위해성 입증 연구를 통해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증진

○ 농약 개발·등록단계에서 중독지표의 발굴, 동물보호를 위한 대체

시험법 개발 등 독성시험과 작업자의 안전성 연구를 확충

- 우리 실정에 맞는 농작업자 노출허용량 설정방법을 제도화

○ 농약의 농산물 잔류와 환경·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의 최소화를

위한 최적 방제체계와 정밀 살포기술을 개발

- 무인헬기 전용약제의 선발 등 무인방제 확대를 위한 연구도 수행

○ 천적, 미생물농약의 선발과 실용화기술 개발 등 성장 잠재력이

큰 차세대 무공해 농약에 관한 연구를 강화

안전한 농약 관리를 위한 정책적 지원

□ 농약 안전성에 대한 공감대의 형성·확대를 위해 농약안전관리와

관련된 정보 공개로 투명성을 확대

○ 소비자단체 전문가를 농약등록과정에서 안전성 결정의 당사자

(농약안전성심의위원회)로 참여시키며 결정사항은 항상 공개

○ 농약을 포함한 화학물질 관련 국제협약이나 국가별 농약 사용과

규제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국제 공조에 능동적으로 대응

- 전문가의 분석과정을 거쳐 내용·영향 등의 관련 정보를 제공

□ 누구나 신뢰하는 농약안전관리 시스템의 마련과 운용이 필요

○ 농약관리법, 식품위생법, 농산물품질관리법, 친환경육성법 등 관련

법 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유기적으로 관리

○ 관련 연구·평가 결과와 관리정보를 공유하는 통합 관리체계를 수립

Page 24: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20

RDA 67호interr●bang

[부록] 올바른 농약 사용법

□ 방제대상(작물, 적용 병·해충·잡초)에 대해 등록된 농약을 선택

○ 적용 병·해충·잡초에 대한 약효가 이미 검증되어 방제효과가 큼

□ 방제대상의 발생 생태와 예찰 정보를 활용하여 적절한 시기에 살포

* 특히 수확 직전에는 최종살포일을 지켜야 잔류를 방지할 수 있음

□ 농약 포장지 표면(라벨)에 표기된 사용방법과 주의사항을 반드시

읽어보고 준수하여 사용

○ 품목별 사용가능 횟수와 시기(안전사용기준)를 지켜 사용

○ 표준 희석배수와 살포량을 지키면 방제효과가 높고 확실하며,

오·남용을 방지하여 약해와 환경오염을 예방

- 고농도, 소량살포는 농작물과 방제대상에 약액을 고르게 뿌리기

어려워 약효가 떨어지고 약해 발생의 원인으로도 작용

□ 방제 방식이 다른 농약을 돌려가며 사용하여 저항성 유발을 예방

○ 한 가지 농약만 계속 사용하면 방제대상이 해당 약제에 견디는

성질(저항성)이 생겨 약효가 떨어져 농약의 수명이 단축

- 화학적 계열이 같은 농약에 대한 저항성 발생도 사전에 예방

권장량을 사용하고안전복을 착용

몸을 최대한 많이가리는 옷을 착용

바람 부는 방향으로농약 살포는 안됨

비가 올 것 같으면농약 살포는 안됨

안전한 농약살포 기술

Page 25: m.rda.go.krm.rda.go.kr/mobile/img/interrobang/pdf/2012.5.23.pdfinterr bang ! "'?@A BCD !E FGHIJKLMN'?@(O PQRSRTUVW&XU(ÃWY »-±*ÃW¨k@+ñAJòMN ?@U#óZWô; PJ«ÏZMN ' @+XdUõ(Wö

RDA 인테러뱅

INTERROBANG 2011.1.12. 창간

발행인 : 박현출

편집인 : 이병서, 최준열, 민차영, 조우석, 이동현

발행처 : 농촌진흥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26(서둔동)

전화 031-299-1066 팩스 031-299-2899

인쇄처 : 신생용사촌인쇄정보(주) 02-426-4415

ISSN : 2233-5056

발간등록번호 : 11-1390000-002866-03

* 본지에 게재된 내용은 필자 개인의 견해이며 청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본지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