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174
속표지

Upload: others

Post on 12-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속표지

Page 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 부산 연제구를 중심으로 -

연 구 자 김영미( 동의대학고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안나(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연구협력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 사업팀

Page 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발 간 사

월드비전은 전 세계에서 개발, 구호사업과 더불어 옹호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옹호사업을 통해 지구촌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정의와 인간의

권리를 부인하는 사회 구조와 관습, 제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

다. 월드비전은 2003년부터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서 아동옹호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아동옹호사업은 2003년 전문연구, 지역사회 및 아동 대상 조사 등을 바탕으로

5개 지역 아동권리위원회가 시범적으로 실시되었고 2004년, 전국 12개 지역으

로 확대되면서 부산에서도 2004년부터 아동권리위원회가 시작되었습니다. 부산

지역의 아동권리활동은 아동들이 주인이 되어 캠페인과 아동권리교육, 지역환경

조사 등 다양한 아동옹호사업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월드비전은 최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불거진 ‘학교폭력’ 문제를 아동 권리의 주

요 이슈로 삼고 학교 폭력 예방과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 만들기 실천 캠페인 및 포

럼 등을 중점적으로 진행 중 입니다. 2012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교실에서 찾은

희망 캠페인’ 역시 아동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가 ‘학교 폭력’에 물들

지 않고 행복하고 안전한 곳으로 만들기 위한 캠페인입니다.

이러한 캠페인 진행에 이어2013년에는 폭력이 없는 ‘행복한 학교, 행복한 교

실’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국 규모 대단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부

산에서는 지역의 사회복지연구진들과 함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연구보고를 별도로 진행하였습니다.

Page 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이 조사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사업현장에서 실무자와 연구자들이 협

력하여 지속적인 연대를 가지고 지역 아동과 청소년들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를 함께 꿈꾸어 갈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난 2013년 10월 부산에서 제 1회 아동권리포럼을 통해 지

역사회에 그 결과를 널리 알렸으며, 포럼에는 김희정 국회의원, 이위준 연제구청

장, 동래교육지원청 관계자분들이 참여하여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

할에 대해 다 함께 고민하고 토론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번 연구보고서가 발간되기까지 애써주신 동의대학교 김영미교수님, 동아대학

교 현안나 교수님뿐만 아니라 진행에 있어 성심 성의껏 협력해 주신 월드비전 연

제종합사회복지관 실무자와 아동권리위원회 아동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더불어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해주신 지역의 아동들과 학교 관계자 분들께도 특별한 감

사를 전합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그려진 행복한 학교, 행복한 교실을 위한 밑그림이 현장에서

실현되어 아동들에게 행복한 학교를 선물하고 또 나아가 모든 아동들의 삶을 풍성

하게 하는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월드비전 회장

Page 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연구요약 15

제 1 장 서 론 31

제 1 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33

제 2 절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35

제 2 장 이론적 배경 37

제 1 절 학교폭력의 개념과 유형 39

제 2 절 학교폭력상황에서의 참여 역할 유형 41

제 3 절 학교폭력과 환경체계 44

1.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학교폭력 영향요인 44

2. 학교폭력과 지역사회 46

1)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원 46

2) 지역사회의 물리적 자원 47

제 3 장 조사 방법 49

제 1 절 설문조사 방법 51

1. 조사대상과 조사일정 51

2. 설문조사 도구 및 조사내용 51

3. 설문조사 자료분석방법 52

제 2 절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 53

1. 연구참여자 53

2. 자료수집 방법 53

3. 자료분석 방법 54

목 차

Page 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55

제 1 절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7

제 2 절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경험 59

1. 학교폭력의 범위 59

2. 학교폭력 발생원인 60

3. 학교폭력 목격경험과 대응행동 62

1) 목격경험 62

2) 학교폭력 목격 후 대응행동 64

3) 학교폭력상황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5

◇ 소 결 ◇ 67

제 3 절 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 70

1. 학교폭력 역할유형 분류 70

2. 학교폭력 역할유형의 상호관련성 72

◇ 소 결 ◇ 73

제 4 절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관련요인 74

1. 개인적 요인 74

1) 개인역량 요인 74

2) 활동 및 매체이용 요인 76

2. 가족환경 요인 77

3. 또래환경 요인 78

4. 학교환경 요인 81

5. 지역사회환경 요인 83

◇ 소 결 ◇ 85

목 차

Page 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 5 절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청소년 이용기관에 대한 욕구 87

1.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 87

2.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능력 89

3. 아동청소년 활동공간에 대한 인식 89

4. 지역사회 청소년이용시설에 대한 필요성 90

5. 지역사회 청소년이용시설 이용의향 92

◇ 소 결 ◇ 93

제 6 절 지역사회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95

◇ 소 결 ◇ 96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99

제 1 절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101

1. 다양한 학교 폭력 상황 101

2. 가해자와 피해자: 힘이 있다 vs. 힘이 없다 103

1) 잘나가는 아이들, 힘이 있는 아이들 103

2) 피해자로 지목되는 아이들:

힘이 없는 아이들, 나대는 아이들 104

3) 그러나 누구나 될 수 있는 105

3. 학교폭력상황 발생 시 역할: 방관자 106

4. 학교폭력 발생의 이유: 청소년이니까 107

1) 너와 내가 다름 107

2) 자기중심적: 크면 별로 안 그러잖아요 108

제 2 절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의 노력 109

목 차

Page 1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 학교폭력예방교육: 소귀에 경 읽기 109

1) 유치한 동영상 109

2) 그래도 얻는 부분: 5% 이하의 효과 110

3) 대안들 110

2. 학교와 교사의 역할 111

1) 잘 모르거나 방관함 111

2) 겁내는 쌤의 역할과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기대함 112

3) 학교폭력처리방법에 대한 의견:

선생님 선에서 해결했으면 113

제 3 절 지역사회 환경 114

1. 우리 동네에 대한 인식: 살만한 곳 vs. 덜 멋진 곳 114

2. 여가환경: 갈 데가 없어요. 연제구를 떠나요 115

3. 청소년에게 필요한 공간과 접근성 115

제 4 절 학교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들 117

1. 어른들의 노력과 관심: 필요함 vs. 도움 안 됨 117

2. 가해자 및 피해자 프로그램 118

◇ 소 결 ◇ 119

제 6 장 결론 및 제언 123

참고문헌 132

부 록 136

관련자료 149

목 차

Page 1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표2-1>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학교폭력과 영향요인들 45

<표3-1>설문조사 내용 및 신뢰도 51

<표4-1>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7

<표4-2>가정경제수준 58

<표4-3>학교폭력범위 59

<표4-4>인터넷 및 스마트폰 관련 폭력에 대한 성별,학년별 인식 분포 60

<표4-5>학교폭력 발생원인 62

<표4-6>일 년 동안 학교폭력 목격경험 64

<표4-7>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5

<표4-8>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7

<표4-9>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 72

<표4-10>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 상관관계 72

<표4-11>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개인역량의 차이 74

<표4-12>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활동 및 매체이용의 차이 76

<표4-13>유해매체이용 정도 76

<표4-14>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가족환경 요인의 차이 78

<표4-15>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또래환경 요인의 차이 79

<표4-16>또래집단의 갈등해결방식 80

표 목 차

Page 1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표4-17>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학교환경요인의 차이 82

<표4-18>교사의 방관적 태도 83

<표4-19>학교폭력유형에 따른 지역사회환경 요인의 차이 84

<표4-20>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 87

<표4-21>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능력 89

<표4-22>아동청소년 활동공간에 대한 인식 90

<표4-23>청소년 이용기관(시설)에 대한 필요성 91

<표4-24>청소년 이용시설(기관) 이용의향 92

<표4-25>성별,학년별 지역사회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인식 96

<표5-1>다양한 학교폭력 상황 102

표 목 차

Page 1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그림4-1>가정경제수준 58

<그림4-2>학교폭력 발생원인 61

<그림4-3>1년 동안 학교폭력 목격 경험 63

<그림4-4>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그림4-5>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그림4-6>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 71

<그림4-7>성별에 따른 또래집단 갈등해결방식 81

<그림4-8>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 평균 88

<그림4-9>청소년 이용시설(기관)의 필요성 91

<그림4-10>청소년 이용시설(기관) 이용의향 93

<그림4-11>지역사회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95

그 림 목 차

Page 1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연구요약

Page 1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7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학교폭력은 최근 피해 청소년들의 자살, 학업부적응, 피해 후유증 문제가 가시화되면

서 사회문제로 다시 이슈화되고 있으며,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

면서, 현 정부는 학교폭력을 ‘사회 4대악’의 하나로 규정했고,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경찰 등은 학교폭력 실태파악과 관련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음.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정부차원에서 다양한 학교폭력 대책들이 실시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이처럼 일반 지역주민들과 청소년들이 그 효과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대부분의 대책들이 전국단위의 실태조사 결과를 근거로 공급자 중심의 예방책

이나 사후조치에 과다하게 의존하기 때문임. 전국단위 실태조사 결과는 피해발생 빈

도와 장소, 유형, 신고사항 등의 학교별 자료를 파악해서 비교하는 정보공시의 이점

은 있지만, 그 결과를 예방이나 개입대책으로 연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학교폭력 예방대책은 단순히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폭력방지와 대처방법에만 초점

을 두기 보다는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수준에서의 보호요인을 확인하고, 그러한 요

인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체계의 역할과 노력 강구가 필요함.

월드비전 연제구종합사회복지관은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과

대처를 위해 전국단위의 실태조사 자료가 아니라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의견과 실제 상황을 직접 듣고 조사해서, 학교환경 뿐만 아니라 청소년 개인과 가정

및 지역사회수준에서 필요한 역할을 모색하고자 함.

2.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경험과 인식, 예방교육에 대한 경험과 의견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이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향후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예방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하여 청소년이 참여 할 수 있는 주체적 역할을

제시함.

연 구 요 약

Page 1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학교폭력 상황에서 연제구 청소년의 역할유형을 파악하고, 그 역할유형에 영향을 주

는 개인특성과 가족환경, 또래환경, 학교환경, 지역사회환경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학교폭력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보호요인을 확인한다. 또한 이러한 보호요인

과 자원을 개발하고 강화하기 위한 개입전략을 탐색함.

연제구 청소년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욕구를 확인하고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지

역사회차원에서의 학교폭력 대책을 파악함으로써, 학교폭력 예방과 청소년 성장을

위해 필요한 지역사회 차원의 역할과 자원을 모색하는 계기를 제공함.

이상과 같은 3가지 연구내용을 토대로, 연제구 지역을 청소년 친화적 환경으로 조성

하기 위해 필요한 월드비전 연제구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과 역량강화를 위한 향후

과제를 논의함.

제2장 조사방법

1. 설문조사 방법

설문조사의 대상은 연제구에 위치하고 있는 Y중학교와 T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청

소년임. 조사대상은 청소년들의 성별과 학년을 유사한 비율로 포함하기 위해 할당표

집을 통해 선정됨.

Y중학교 384명, T중학교 349명, 총 733명의 중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함. 설문조

사는 2013년 7월에 실시되었고, 연제구복지관의 조사담당자가 Y중학교와 T중학교의

협조를 얻어 각 학교를 방문해서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됨.

설문조사 도구는 일반적인 인구학적 질문과 학교폭력 인식 및 예방에 관한 문항, 학

교폭력 역할유형 척도, 학교폭력 관련 개인요인과 가족환경요인, 또래환경요인, 학

교환경요인, 지역사회환경에 관한 척도로 구성됨.

연 구 요 약

Page 1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9

2.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

학교폭력과 지역사회환경에 대해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경험에 대해 심층적

으로 조사하고, 이들로부터 새로운 시각을 제공받기 위해 질적 조사를 수행함.

포커스 그룹 인터뷰 대상자들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던 연제구의 Y중학교와 T중학

교 학생들 중 교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청소년 특별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

로, 해당 학교와 복지관의 협조를 통해 선발함.

남녀 중학생 각 9명과 8명의 참여자들로 구성된 총 2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실시함.

인터뷰 진행을 위해 연구자가 집단의 진행자가 되어 학교폭력에 대한 개념과 인식, 학

교폭력예방을 위한 학교의 역할, 지역사회 환경 및 자원 등에 대해 준비한 개방형 질

문과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부가질문들을 제공함.

제3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1.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이 49.2%, 여학생이 50.8%. 학년 별 분포는 1학년

39.9%, 2학년 30.5%, 3학년 29.6%로 나타났음.

가족유형으로는 현재 아버지, 어머니 두 분과 함께 살고 있는 청소년이 88%, 부자가

족 청소년이 2.5%, 모자가족 청소년이 6.3%였음.

조사대상 청소년의 74.9%가 아버지 학력이 대학교 졸업이상, 65.8%가 어머니 학력

이 대학교 졸업이상이라고 응답함.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85% 이상이 가정경제수준을 ‘보통수준 이상’으로 평가하고 있음.

연 구 요 약

Page 2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2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2.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경험

1) 학교폭력의 범위

조사대상 청소년의 98%이상은 ‘말로 하는 협박이나 욕설’, ‘집단따돌림’, ‘강제심부

름과 같은 괴롭힘’, ‘돈 또는 물건을 빼앗는 행동’, ‘손, 발 또는 도구로 맞거나 특정한

장소 안에 가두는 행위’, ‘성적추행과 폭행 및 희롱’을 모두 학교폭력으로 인식함.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에 대해서는 94.6%의 청소년들

이 학교폭력으로 인정했지만, 다른 학교폭력행위와 비교할 때 청소년들의 인식정도

가 상대적으로 낮았음. 특히, 성별분석에서, 남학생들은 87.5%정도가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을 학교폭력이라고 응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인식정도

가 낮음.

학교폭력 범위에 관한 개방형 질문에 대해서는 다수의 청소년들이 ‘와이파이셔틀’

‘카톡방에 욕설하기’ ‘무시하기’ ‘은근히 따돌리기’ 등도 학교폭력이라고 응답함.

2) 학교폭력 발생원인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을 제일 많이

응답했고(37.5%), 그 다음으로 ‘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 36.6%, ‘가정환경 및

부모의 무관심’ 10.2% 순으로 나타남. 반면, 일부 성인들이 학교폭력의 원인으로 간

주하는 ‘입시스트레스 및 경쟁위주의 학교문화’는 8.1%, ‘인터넷, 온라인 게임 등의

영향’은 5.1%로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음.

성별에 따른 분포를 보면, 남학생들은(44.1%) ‘학생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학

교폭력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응답한 반면, 여학생들은(48%)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을 가장 주된 이유로 선택함. 1학년(38.5%)은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을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2학년(38.2%)과 3학년(39.3%)은 ‘학생개인의 심리적, 정서

적 문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

연 구 요 약

Page 2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21

3) 학교폭력 목격경험과 대응행동

조사대상 청소년의 13.4%는 지난 1년 동안 직접 학교폭력 상황을 목격했다고 응답함.

16.6%는 직접 목격하지는 못했지만 학교폭력이 발생한 것을 간접적으로 알게 되었다

고 보고함.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저학년일수록 학교폭력 상황을 더 빈번하게 경험하고 있음.

목격 후 행동으로는 ‘모른척했다’가 38.4%로 제일 많았고, 다음으로 ‘학교선생님께

알렸다’ 23.2%, ‘직접 말렸다’ 13.5%, ‘부모님께 알렸다’ 6% 순으로 나타남. 피해학

생의 친구가 되어주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5.7%에 불과했으며, 경찰이나 상담센터와

같이 학교외부 기관을 접촉한 경우는 2.3%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남.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폭력상황을 모른척하고 무관심하게

반응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폭력 상황을 목격한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29.6%가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했으며, 28.8%의 청소년은 ‘같이 피해를 당할까봐’, 17.6%는 ‘어떻

게 할지 몰라서’, 14.4%의 청소년은 ‘도와줘도 소용이 없을 것 같아서’ 라고 응답함.

여학생들은 ‘같이 피해를 당할까봐 두려워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반면, 남학생들

은 ‘관심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음. 또한 학년이 높을수록 관심이 없어서 아

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반면, 학년이 낮을수록 같이 피해를 당

하는 게 두려워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 못했다고 응답함.

3. 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

1) 학교폭력 역할유형 분류

학교폭력 역할유형 5가지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은 피해자방어형(27.6%)이었으

며, 다음으로 방관자(26.6%), 피해자(23.1%), 가해자동조형(14%), 가해자(8.8%) 순

으로 확인됨.

남학생은 피해자방어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여학생은 방관자 비율이 가장 높게 나

연 구 요 약

Page 2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2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타남. 또한 학년이 낮을수록 피해자방어형의 역할이 많고, 학년이 높을수록 방관자와

피해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2) 학교폭력 역할유형의 상호관련성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상관계수가 0.735로 유의미하게 강한 상관성을 나타남. 또한

가해자와 가해자동조형의 관계도 상관계수가 0.688로 유미하게 강한 상관성을 보임.

이러한 결과는 학교폭력상황에서는 피해자와 가해자 유형이 연쇄적으로 중복될 가능성

이 매우 높고, 가해자동조형과 가해자 또한 거의 중복되고 유사한 역할임을 의미함.

4.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관련요인

1)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개인적 요인

개인역량 요인으로 선정한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은 역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즉, 피해자방어형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이 가장 높

게 나타난 반면, 피해자와 가해자동조형의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은 다른 역할유형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남.

개인활동 및 매체이용 요인 가운데 유해매체이용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체험활

동참여는 역할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유해매체이용의 경우, 가해자 유형

이 유의미하게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남.

2)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가족환경 요인

가족환경요인으로는 부모유대와 과잉보호, 가정폭력, 부모학대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이들 요인들은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라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

가해자와 피해자 유형은 다른 유형보다 부모유대 정도가 유의미하게 낮고, 부모의 과

잉보호와 가정폭력 및 부모학대 경험 정도가 유의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반면, 피해

자방어형 청소년들은 다른 유형과 비교할 때, 부모와의 유대정도가 유의미하게 높고,

연 구 요 약

Page 2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23

과잉보호와 가정폭력 및 부모학대 경험정도가 유의미하게 낮게 보고됨.

3)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또래환경 요인

또래환경 요인으로 분석한 또래집단압력과 폭력적 갈등해결 요인도 학교폭력 역할유형

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가해자 유형은 다른 유형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높은 또래집단 압력정도를 보였고, 친

구들 사이에서 갈등이나 문제가 있을 때 폭력적으로 대처하는 경향 또한 유의미하게 높

게 나타남.

또래집단에서 갈등해결 방식에 관한 부가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해결방식은 ‘다른 사람과 의논하거나 조언을 구한다’가 53.5%, ‘주로 욕이

나 폭언을 사용한다’ 45.9%, ‘주로 은근한 말로 상대방을 헐뜯거나 조롱한다’ 28.8%

순으로 나타남. 반면, ‘대화를 통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2.8%로 보고됨.

4)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학교환경 요인

학교환경 요인으로는 교사의 방관적 태도와 학교주변 무질서를 분석함. 역할유형에 따

라 교사의 방관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학교주변 무질서에는 차이가 보이

지 않음.

피해자 유형은 다른 유형과 비교할 때, 담임교사가 학교폭력 상황에서 방관적 태도를

보인다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남.

교사의 방관적 태도에 대한 부가적 분석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은 담임교사가 학교폭력

이 일단 발생한 상황에 대해서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신속하게 처리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학교폭력 상황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고 방관적 태도를

보인다고 평가하였음.

연 구 요 약

Page 2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2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5) 지역사회환경 요인

지역사회환경 요인으로는 지역사회유대, 지역사회 비공식적 통제, 유해환경의 차이를

분석함.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라 지역사회유대와 지역사회 비공식적 통제는 유의미

한 차이가 있었고, 유해환경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피해자방어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서 지역사회유대 정도와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정

도를 가장 높게 평가함. 반면, 가해자유형과 피해자유형은 유의미하게 가장 낮은 점수

를 보고함.

5.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청소년 이용기관에 대한 욕구

1)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를 측정하는 6문항의 평균은 2.86점에서 3.27점으

로,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 대해 느끼는 유대감이나 호감도가 보통 이상임.

‘우리 동네에서 계속 살고 싶다’ 3.27점, ‘동네사람들을 만나면 인사를 한다’ 3.24점,

‘우리 동네 사람들 대부분을 알고 있다’는 2.86점, ‘우리 동네사람들은 서로 믿고 지

내는 편이다’는 2.89점으로 각각 나타남.

2)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능력

조사대상 청소년의 50% 정도는 지역사회 어른들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이나 폭력상황에

대해 비공식적 통제능력을 갖고 있다고 인식함.

평균점수에서도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신다면 동네 어른들이 나

를 꾸짖을 것이다’는 3.57점,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다른 아이들에게 폭행을 당하고 있

다면 동네 사람들이 말리거나 경찰서에 신고할 것이다’는 3.46점으로 보통 이상의 평

균점수로 나타남.

연 구 요 약

Page 2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25

3) 아동청소년 활동공간에 대한 인식

청소년들의 24.9%는 동네에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안전한 장소가 많은 편이라고 응답했

지만, 32%는 아이들을 위한 안전한 장소가 많지 않다고 응답함. 한편, 25.3%의 청소

년은 동네에 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 공간이 많은 편이라고 했지만 35.4%는 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함.

두 문항의 평균점수 또한 각각 2.94점, 2.88점으로, 아동을 위한 놀이공간과 청소년

을 위한 여가활동공간이 많다는 문항에 ‘보통이하’로 평가함.

4) 지역사회 청소년이용시설에 대한 필요성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설은 공원(산책로, 등산로 포함)으로써 89.3%였

고, 다음으로 체육시설 88.8%, 공공도서관 82.1%, 문화센터 78% 순으로 나타남.

청소년상담센터와 지역사회복지관, 청소년수련관에 대한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음.

5) 지역사회 청소년이용시설 이용 의향

청소년들은 공원에 대한 이용의향이 8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체육시설 79.5%,

공공도서관 77.3%, 문화센터 69.8% 순으로 나타남.

청소년상담센터, 지역사회복지관, 청소년수련관에 대한 이용의향은 50%미만으로써

낮게 나타남.

6. 지역사회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지역사회 차원에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실시할 수 있는 대책으로 청소년들은 ‘청소

년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공간의 확대’를 가장 많이 응답함(36%). ‘청소년 유해환경과

연 구 요 약

Page 2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2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유해매체의 관리’ 23.1%, ‘청소년대상의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 17.7%, ‘교육

청과 경찰서 등 지역사회 기관들 간에 상호협력 강화’가 13.5%로 각각 나타남. ‘청소

년 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주민 모임구성’과 지역사회 주민대상의 인권교육과 민

주시민 교육실시’는 상대적으로 응답비율이 낮았음.

제4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1.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직접적인 형태의 괴롭힘 (대면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과

간접적인 형태의 또래 괴롭힘 (은근히 왕따 시키기, 사이버 따돌림 등)이 모두 이루어

지고 있음.

가해자 피해자간의 힘의 불균형이 존재함. 참가자들이 “힘”으로 인식하는 것은 외모,

인맥, 신체적 힘 등이며, 일반적으로 힘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이 가해자 집

단과 피해자 집단으로 구분됨. 그러나 학교폭력은 하나의 집단 과정이므로, 상황에

따라 누구든지 가해자와 피해자가 될 수 있음.

학교폭력발생시 방관자 역할을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자신의 도움으로 문제상

황이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무력감과 자신도 피해를 입게 될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인 경우가 많음.

학교폭력은 하나의 집단 과정으로 가해자 피해자간의 힘의 불균형 상황들(외모, 인맥,

신체적 힘 등이 힘이 있고 없고를 결정하는 기준이 됨)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음.

자기중심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청소년기의 특성상 또래와의 갈등상황이 발생

하는데, 학교폭력은 이를 잘 해결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함.

연 구 요 약

Page 2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27

2.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의 노력

학교에서 제공되는 학교예방교육은 그 제공형식에 상관없이 효과가 없으며, 교육시

간과 프로그램은 잘 활용되지 못함. 예방교육의 효과가 5% 이하라고 평가함. 동영상

교육의 내용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다시 제작될 필요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도움

이 되는(실천할 수 있는) 교육에 대한 욕구를 표출함.

기존의 동영상 활용 교육보다는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 가

령 또래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나 상담 프로그램,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

전달에 그치지 않고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함.

학생들은 교사들이 학교폭력상황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고 있다고 하

더라도 방관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함. 학생들은 교사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예:

SNS 활용)과 개입을 기대하였으며, 그러한 교사의 역할이 학교폭력문제 해결에 도움

이 될 것이라고 생각함. 교사가 허용적인 태도를 갖기 보다는 “힘”(권위)을 가지기를

기대함. 또한 학교폭력이 발생한 경우 징계보다는 교사가 재량권을 행사하여 개입하

기를 희망함.

3. 지역사회 환경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에 대한 자부심, 공동체 의식과 관련이 있음. 참가자

들은 연제구가 대체로 살만한 곳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인근 구인 해운대구에 비해

높은 건물, 쇼핑센터와 여가 시설 등의 부족으로 낙후되었다고 인식함.

여가공간에 대한 인식: 즐거운 생활을 위한 중심지가 연제구에는 부재하다고 생각하

고, 대표적인 중심지인 연산로타리의 경우 청소년들에게 부적합한 장소로 인식함. 새

로운 경험과 활동에 대한 욕구를 표출함

기존의 청소년 이용 가능 시설이 ‘가고 싶은 곳’이 될 수 있도록 환경 개선 및 접근성

증진 필요함.

연 구 요 약

Page 2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2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4.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제안들

청소년들은 부모님과의 대화의 시간, 청소년 문제에 대한 어른들의 인식 전환 등을 요

구함.

학교폭력가해자 및 피해자에 대한 개입방법으로, 피해자의 경우 치료가 필요함. 무조

건적인 가해자와 피해자 분리는 해법이 아니며 가해자 피해자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

램이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함.

제5장 결론 및 제언

1. 학교폭력범위와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스마트폰과 SNS 환경의 변화로 학교폭력 및 유해환경의 범위가 다양화되고 있는 현

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개선과 교육을 위한 방안마련이 시급함.

현재 학교에서 제공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현실적인 점검이

필요함.

학교폭력 가해ㆍ피해유형의 중복화와 일반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가해ㆍ피

해청소년에 대한 기존 개입방법의 재고와 개선이 필요함.

학교폭력상황은 가해자와 피해자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방관자와 동조자가 함께 관

여되어 있는 집단과정이므로, 방관자와 동조자의 감정과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개입전

략과 인성교육이 요구됨.

2. 가족환경, 또래집단, 학교환경 수준에서의 역할과 보호요인

가정의 역할과 관련해서, 부모가 청소년자녀와의 친밀한 유대관계와 상호적 의사소

통을 통해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함.

연 구 요 약

Page 2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29

또래환경 차원에서의 개입방안으로 청소년들에게 또래집단에서 의사소통과 갈등해결

방식, 자기주장 등의 사회적 기술 학습 기회 제공이 필요함.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차원의 역할로써 청소년들은 교사로서의 권위 회복, 학교

폭력상황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 재량권 및 중재자 역할이 요구됨.

3.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역할과 보호요인

사회적 자원 측면에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지역

사회 주민들 간의 유대감 형성과 청소년 행동에 대한 비공식적 통제능력이 강화되어

야 함.

물리적 자원 측면에서 지역사회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청소년 여가공간 및 문화활

동 공간의 확대와 유해환경에 대한 관리 등을 통한 청소년 친회적 환경조성이 우선적

으로 실시되어야 함.

4. 연제구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과 향후 과제

지역 청소년의 적응과 가족생활의 중요한 보호기제로 확인된 지역사회 사회자본, 즉

지역사회유대와 비공식적 통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해야 함.

연제구 지역을 청소년성장에 유익한 청소년 친화적인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청

소년 여가공간 확대와 스포츠 및 문화 활동 지원, 유해환경관리가 필요함. 이를 위해

지자체 및 지역의 청소년 유관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러한 과제를 현실화 시

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본 조사결과는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청소년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집단활동과 또

래 집단을 활용한 예방교육, 가해청소년과 피해청소년을 중재할 수 있는 회복적 개입

방법, 공감능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또래집단에서의 긍정적 갈등해

결방식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음. 연제구종합사회복지관은 이러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점검하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가능한 역할과 자원을 점검

연 구 요 약

Page 3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3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할 필요가 있음.

연제종합사회복지관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청소년자녀 양육과 관련된 부모들의 문

제를 예측하고, 가정의 역할과 부모의 인식개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부모참여 및

교육 프로그램과 개입전략 개발이 필요함.

연 구 요 약

Page 3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1­장­­서­론제 1 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제 2 절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Page 3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3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33

제 1 장 서 론

제­1­절­연구배경­및­필요성

학교폭력은 최근 피해 청소년들의 자살, 학업부적응, 피해 후유증 문제가 가시화되면서

사회문제로 다시 이슈화되었다.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현 정부

는 학교폭력을 ‘사회 4대악’의 하나로 규정했고,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경찰 등은 학교폭

력 실태파악과 관련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관련 기관에서

실시해온 학교폭력 대책의 실효성과 실태조사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문

제제기가 계속되고 있다(윤철경·강명숙, 2012).

특히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최근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 발

생비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전수조

사 자체가 학교 별 자료파악과 신고성 조사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현실에서 체감하는 학교

폭력의 심각성과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표면적인 조사라고 지적했다(강영혜·

이미라·박성호, 2012; 이희연, 2013). 실제로, 최근 행정안전부(2013)의 국민안전 체

감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일반 국민들의 68.6%가 학교폭력에 대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

했고 성폭력이나 가정폭력보다 불안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고생의 21%만

이 현재 실시되는 학교폭력 대책에 효과가 있다고 했으며, 50%는 효과가 없다고 응답했

다. 행정안전부의 이러한 조사결과는 실질적으로 지역사회의 많은 주민들이 여전히 학교

폭력에 대해 불안감을 갖고 있으며 다수의 청소년들이 현재 학교현장에서 제공되는 학교

폭력대책의 효과를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부차원에서 다양한 학교폭력 대책들이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일반 지역

주민들과 청소년들이 그 효과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대부분의 대책들이

전국단위의 실태조사 결과를 근거로 공급자 중심의 예방책이나 사후조치에 과다하게 의

존하는 점 때문일 것이다. 전국단위 실태조사 결과는 피해발생 빈도와 장소, 유형, 신고

Page 3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3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1 장 서 론

사항 등의 학교별 자료를 파악해서 비교하는 정보공시의 이점은 있지만, 그 결과를 예방

이나 개입대책으로 연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특히 최근 학교폭력이 점차 ‘일반화’, ‘집

단화’, ‘저연령화’되어 가는 심각성을 고려한다면, 학교폭력 예방대책은 단순히 학교현

장에서 학생들의 폭력방지와 대처방법에만 초점을 두기 보다는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수

준에서의 보호요인을 확인하고, 그러한 요인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체계의 역할과

노력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은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과

대처를 위해 전국단위의 실태조사 자료가 아니라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의견

과 실제 상황을 직접 듣고 조사해서, 학교환경 뿐만 아니라 청소년 개인과 가정 및 지역사

회수준에서 필요한 역할을 모색하고자 본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학교폭력은 가해

자나 피해자 사이의 일대일 과정이 아니라 청소년이 속한 학급이나 또래집단에서 이루어

지는 집단과정의 결과이기 때문에, 보다 실효성 있는 예방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교

폭력 상황에서 청소년의 역할유형을 강화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조사연구는 단순히 학교폭력 피해정도와 빈도 등의 통계적 수치를 제시하기 보

다는, 학교폭력상황에서 연제구 청소년들이 취하는 가해와 피해, 방관, 방어, 동조와 같

은 역할유형을 파악하고, 그러한 역할유형에 따라 가족, 또래집단, 학교환경, 지역사회의

경험과 영향력이 어떻게 다른가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Page 3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35

제 1 장 서 론

제­2­절­연구목적­및­연구내용

이상과 같은 연구배경을 토대로 본 조사연구의 목적과 연구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경험과 인식, 예방교육에 대한 경험과 의견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이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향후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예방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하여 청소년이 참여 할 수 있는 주체적 역할을 제시

한다.

둘째, 학교폭력 상황에서 연제구 청소년의 역할유형을 파악하고, 그 역할유형에 영향을

주는 개인특성과 가족환경, 또래환경, 학교환경, 지역사회환경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학

교폭력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보호요인을 확인한다. 또한 이러한 보호요인과 자

원을 개발하고 강화하기 위한 개입전략을 탐색한다.

셋째, 연제구 청소년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욕구를 확인하고 청소년들이 생각하

는 지역사회차원에서의 학교폭력 대책을 파악함으로써, 학교폭력 예방과 청소년 성장을

위해 필요한 지역사회 차원의 역할과 자원을 모색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3가지 연구내용을 토대로, 연제구 지역을 청소년 친화적 환경

으로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과 역량강화를 위한 향

후 과제를 논의한다.

Page 3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3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2­장­­이론적­배경제 1 절 학교폭력의 개념과 유형 제 2 절 학교폭력상황에서의 참여 역할 유형제 3 절 학교폭력과 환경체계

Page 3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3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39

제­1­절­학교폭력의­개념과­유형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폭력예방법)은 학교폭력을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

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

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제 2조 1)”로 규정

하고 있다. 동법은 학교폭력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알려져 있는 따돌림을 “학교 내외에

서 2명 이상의 학생들이 특정인이나 특정집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이거나 반복적

으로 신체적 또는 심리적 공격을 가하여 상대방이 고통을 느끼도록 하는 일체의 행위”(제

2조 1의 2)로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학교폭력이라는 용어는 심리적·정신적 폭행을 포

함하는 넓은 의미로 통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학교폭력은 학교라는 공간과 학교 주변에서 발생하는 행위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

한 매체를 통해 가상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신나민, 2012).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는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 형성의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청소년들의 SNS 사용이 급증하면서 사이버 상에서의 따돌림이 만연하게 되었다

(가상준·김경민·임재형, 2013). 학교폭력 피해자의 경우 자신을 가해하는 청소년에 의

해 인터넷 상에서 – 특히 SNS를 통해 - 괴롭힘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Machackova et

al., 2012).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학교폭력예방법은 2012년 일부개정을 통해 학

교폭력의 정의에 “인터넷, 휴대전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특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적, 반복적으로 심리적 공격을 가하거나, 특정 학생과 관련된 개인정보 또

는 허위사실을 유포하여 상대방이 고통을 느끼도록 하는 행위인 사이버 따돌림(제 2조 1

의 3)”을 추가한 바 있다.

국내외의 학교폭력 관련 연구들은 또래 괴롭힘(bullying)이라는 용어를 빈번히 사용하

제 2 장 이론적 배경

Page 4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4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고 있다. 학교폭력연구의 선구자인 노르웨이의 학자 Dan Olweus(1993)는 또래 괴롭힘

을 당한다는 것은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로부터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행동에 노출되어 자기 자신을 방어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정의하여, 피해

의 결과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또래괴롭힘에는 언어적 괴롭힘, 배제시키거나 고립시키

기, 신체적 괴롭힘, 거짓말이나 거짓 소문으로 괴롭히기, 금전이나 물건 갈취 내지 파손

시키기, 협박이나 강요, 성적인 괴롭힘, 인터넷이나 휴대폰을 이용한 사이버 괴롭힘 등이

포함된다. 즉 또래괴롭힘은 고의로 특정 학생을 겨냥한 부정적 행동들이며, 일회성이 아

닌 반복적인 경향이 있고, 피해자와 가해자간의 힘의 불균형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공격적

행동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Olweus, 1994).

또래 괴롭힘은 크게 직접적인 형태와 간접적인 형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직접적 형태는

가시적인 공격(open attacks)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대면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언

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간접적인 형태의 또래 괴롭힘은 고의로

누군가를 활동이나 집단에서 배제시키는 행동이나, 거짓 소문 등을 퍼뜨리는 등의 행위로

직접적 형태의 또래 괴롭힘에 비해 미묘하고 잘 드러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이

버 괴롭힘의 경우도 간접적인 형태로 볼 수 있는데, 이는 대면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

이 아니고 때로는 폭력적인 메시지의 시초가 누구인지를 알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Olweus Bullying Prevention Program, n.d.).

제 2 장 이론적 배경

Page 4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41

제­2­절­학교폭력상황에서의­참여­역할­유형

학교폭력은 소수의 가해청소년과 피해청소년의 간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고, 학교폭력

이라는 현상을 방관하거나 돕는 또래 집단 전체, 즉 학급이나 학교전체 구성원이 가담한

문제로 볼 수 있다(손경원 2008). 이에 대해 Rigby와 Slee(1993)는 학생들 간에는 세 가

지 차원의 대인관계가 있는데, 첫째, 타인을 괴롭히는 유형, 둘째, 피해를 당하는 유형,

마지막으로, 친사회적이거나 협력적인 방식으로 다른 학생들과 관련되는 유형이 있다고

했다. 여기서 친사회적이거나 협력적인 방식이라 함은 피해자의 편을 들어준다거나, 가해

행동에 대해 전혀 관여하지 않을 수도 있고, 심지어 가해행동을 돕는 방식일 수도 있다.

Salmivalli와 동료들(1996)은 집단 괴롭힘을 하나의 집단 과정으로 보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괴롭힘 행동과 관련된 특정한 역할을 담당하게 됨을 설명하면서 기존의 세 가지

참여역할을 여섯 가지로 세분화 하였다. 즉, 집단괴롭힘 과정에서 학생들은 ① 다른 사람

을 주도적으로 괴롭히는 가해자(bully), ② 가해행동을 동조하고 돕는 조력자(assis-

tant), ③ 가해 행동을 강화하고 부추기는 강화자(reinforcer), ④ 피해자의 편에서 옹호

하고, 다른 사람들의 가해 행동을 막는 방어자(defendent), ⑤ 괴롭힘 상황에서 아무것

도 하지 않는 방관자(outsider), 그리고 ⑥ 가해행동의 대상이 되는 피해자(victim)의 역

할을 담당하게 된다는 것이다. 핀란드의 6학년 573명을 대상으로 한 이들의 연구에서는

참여 역할 유형은 방관자가 23.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강화자 (19.5%), 방어자

(17.3%) 순으로 나타났다. Salmivalli와 동료들의 연구에서 사용한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질문지를 우리나라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학교 1학년에 적용한 서미정(2008)의

연구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에 따라 그 구성비가 상이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방어

자가 24.2%, 방관자 21.2%, 가해 동조자 18.3%로 각각 나타났다. 한편, 중고등학생

1,817명을 대상으로 한 엄명용과 송민경(2011)의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상황에 대해 반

제 2 장 이론적 배경

Page 4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4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응하지 않고 피하는 방관자 역할을 취한다고 응답한 청소년이 전체의 60.8%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였다.

피해자에게 지지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방관자들(bystanders)은 자기 효능감이 낮고

(이지연 ·조아미, 2012; Gini, Albiero, Benelli, & Altoe, 2008), 친사회적 행동과

공감능력이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Salmivalli, 2010). 그리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 피해자를 지지하는 정도가 다른데, 남학생의 경우, 그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피해

자 방어 역할을 취할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한다(Trach, Hymel, Waterhouse, &

Neale, 2010), 이러한 개인적인 특성 이외에 학생들이 방관자적 입장을 취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피해학생을 지지하고 어울리다가 그들 자신도 또래괴롭힘의

표적이 되어 피해를 입게 될까봐 방관하게 된다는 것이다(윤성우·이영호, 2007). 둘째,

학교폭력 피해자가 되는 것이 피해자의 잘못이라고 생각하고, 개인의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방관자의 역할을 취하면서 집단괴롭힘을 묵인하는 경우도 있다(김현주, 2003). 마

지막으로 가해자 또는 피해자와 개인적으로 어떤 관계를 가졌느냐에 따라 방관자들이 취

하는 입장이 달라 질 수 있다. 만일 방관자가 피해자에게 평소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이

었다면 수동적으로 가해상황을 방관하며 피해자를 돕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가해자와 친

밀한 관계를 가진 경우라면 수동적이지만 반응을 보이기도 하고, 심지어 가해행동에 동참

하기도 한다(Oh & Hazler, 2009).

학교폭력 참여자 역할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것처럼, 소수의 가해자와 피해

자를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은 방관자의 역할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폭력 상황

에서 방관자의 반응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피해자를 방어하는 입장이 되

어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가해자에게 맞서는 등의 행위는 집단괴롭힘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피해자에게 지지와 동정을, 가해자에게는 반감을 표출하는 것

은 피해자가 집단 괴롭힘으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walski, Limber, & Agatston, 2008). 반면 방관자들이 가해를 동조하지 않더

라도 단지 목격하는 행위만으로도 가해 학생들은 이들이 자신들의 행동을 묵인하는 것으

로 인식한다는 것이다(Salmivalli, 2010).

결론적으로 학교폭력상황에 대한 방관적 태도를 취하는 학생이 증가할수록, 학교폭력

제 2 장 이론적 배경

Page 4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43

발생은 증가하고, 피해자에 대한 방어 및 도움행동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김미영,

2007). 따라서 학교폭력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방관자 입장의 청소년들이 방어자

로의 역할 전환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바람직한 행동과 “자신에게 주어진 과업을 성

공적으로 수행할 능력이 있다고 믿는 개인적인 신념”에 해당하는 자기효능감(Bandura,

1986)과 타인의 어려움에 대한 공감능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

Page 4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4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3­절­학교폭력과­환경체계

1절에서는 학교폭력의 대상인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학교폭력의 개념, 그리고 2절에서

는 학교폭력상황에서의 학생들의 다양한 참여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학교폭력

발생 원인에 대한 고찰을 위해서는 개별 학생들의 특성에 대한 논의를 뛰어 넘어 학교 환

경과, 학생과 관련된 사회적 환경들인 가정 및 지역사회, 나아가서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환경과 상황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김규태, 2013). 따

라서 이 절에서는 학교폭력 문제를 다체계적 수준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하는 생태체계적 관

점과 학교폭력을 비롯한 다양한 청소년 문제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지역사회의 기능

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1.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학교폭력 영향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은 인간과 사회환경간의 적응과 상호작용에 관심을 가지며, 환경이 인

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과 인간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들을 보는 준거틀이다

(Allen-Mears, Washington, & Welsh, 1996). 이러한 생태체계적 관점은 청소년과

청소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체계들 간의 상호교류 형태와 공유영역에 대한 분석을 가능

하게 하는데, 학교폭력과 같은 개인이 경험하는 문제를 바라볼 때 상호 관련되어 있으면

서, 여러 문제들이 겹쳐있는 현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이상균, 2005). 따라서, 생

태체계적 관점에서 학교폭력을 조망할 때는 청소년 개인 차원뿐만 아니라 청소년이 상호

작용하는 가족, 학교, 지역사회 등과 같은 외적 체계들도 문제의 원인이 되거나 문제해결

을 위한 잠재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오승환, 2007).

Bronfenbrenner(1979)는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에 해당하는 생태학

적 환경이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개인과 개인을 둘러싼 환경적 체계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제 2 장 이론적 배경

Page 4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45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먼저 미시체계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인간관

계 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족내의 경험, 교사와의 경험, 또래와의 경험 등을 의미한다.

중간체계는 학생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사이의 상호관계로, 부모, 친구,

교사들 간의 직·간접적 관계를 말한다. 외체계는 학생들이 직접 관여할 필요는 없지만,

이들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사회적 환경으로, 학교정책과 제도 등을 들 수 있

다. 마지막으로 거시체계는 신념, 이념, 가치관 체계, 사회적·문화적·기술적 특성들을

포함한다(김규태, 2013). 생태체계적 관점을 개념틀로 사용하여 학교폭력의 실태와 원인

에 대한 학생, 학부모 및 교원의 인식차이를 연구한 김규태(2013)는 선행연구분석에 기

초하여 각 체계에 해당하는 학교폭력 영향요인들을 추출하여 조사도구로 활용한 바 있다.

<표 2-1>은 생태학적 환경을 학교폭력 문제에 적용한 내용과 함께 기존 연구들에서 보고

된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양한 체계별로 정리한 것이다.

<표 2-1>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학교폭력과 영향요인들

제 2 장 이론적 배경

체계 내용 학교폭력 영향요인들

개인 학생 개인이 지니고 있는 심리적, 사회적 특성들

- 우울성향, 공격적 성향 - 낮은 공감능력- 낮은 자기통제력- 낮은 학업흥미 및 학업성취도- 낮은 자존감, 부정적 자아개념 등

미시체계

학생 개인이 갖는 친구, 교사,부모와의 직접적 경험 (예: 교실내의 교우관계.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의 상호작용, 가정의 심리·사회적 환경)

- 교사와 학생 간 상호관계, 정서적 유대, 사회적지지 및 의사소통 부족

- 또래와의 약한 유대- 구조적 결손 가구- 상대적 빈곤 또는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 가정폭력 및 학대 피해 경험- 부모의 비일관적인 자녀양육태도

중간체계

학생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의 두 집단 이상의 관계와 영향 (예: 부모와 교사와의 관계, 부모의 교우관계인지, 교내외 비행행동과의 관계)

- 음주, 흡연 및 비행관련 행동, 폭력서클 가입- 교사의 학교폭력예방에 대한 낮은 효능감,

학교폭력 개입에 대한 낮은 재량권- 자녀의 교우관계, 학교생활에 대해 잘 모름,

교사와의 의사소통 부족- 자녀의 학교폭력 사실을 잘 모름

Page 4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4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 출처: 김규태 (2013), pp. 36-39의 내용을 요약하여 표로 구성하였음.

2. 학교폭력과 지역사회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학교폭력은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와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

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 특히 지역사회 환경은 개인, 가정 및 학교환경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청소년 발달에 중요한 보호요인 혹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절에서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문제에 관련된 지역사회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역사회환경을 사회적ㆍ물리적 자원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1)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원

사회적 자원은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관계의 정도와 질을 반영한

개념으로써, 주민들 간의 유대감과 신뢰, 상호작용, 관계구조의 긴밀성, 소속감, 규범,

시민참여 등을 포괄한다. 지역사회의 이러한 사회자원에 대한 주민들의 평가는 개인과 가

족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Caughy, Hayslett-McCall, O’Campo, 2007). 특히,

청소년의 적응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지역사회 자원은 지역사회유대와 비공식

적 사회통제라고 할 수 있다(Leventhal & Brooks-Gunn, 2000; Jencks & Mayer,

1990).

제 2 장 이론적 배경

체계 내용 학교폭력 영향요인들

외체계

학생 개인과는 관계되지 않지만 학생 개인행동에 상당한 영향력을 갖는 교육환경 또는 제도 (예: 전문상담교사, 학교폭력 신고전화 등

- 학교폭력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교내환경- 학교주변 유해환경- 열악한 지역사회- 폭력예방교육과 인성교육의 부재,

입시위주 교육강조, 전문상담교사와 학교폭력감시활동 부족 등

거시체계

학생 개인 및 다른 체계에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보다 넓은의미의 사회적 문화와 환경(예: 전통적 윤리관의 붕괴,폭력적 대중문화 등)

- 전통적 윤리관의 붕괴- 학교폭력에 대한 사회전체의 무관심과 낮은 인식- 퇴폐적 향락 문화, 인터넷 폭력 게임,

폭력대중매체의 영향- 가정(맞벌이 부부, 소외계층 증가 등) 및

사회구조의 변화 등

Page 4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47

지역사회유대는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지역민들에게 느끼는 친밀감, 상호

신뢰, 응집성, 공동체의식, 만족감, 소속감 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김영미, 2010). 지

역주민들간의 유대와 결속력이 높을 경우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자녀양육에 관

한 정보와 관심을 서로 공유하며, 지역에서 발생하는 자녀들의 안전문제를 서로 모니터링

하고 공동으로 대처한다. 또한 지역주민이나 청소년에게 적용하는 사회적 규범이 명확하

고, 청소년들의 위험행동에 대한 비공식적 통제력이 강할 수 있다(Jencks & Mayer,

1990). 반면, 주민들 사이에 결속력과 신뢰감이 결여된 지역의 경우에는 사회규범의 기

준에 대한 의사소통이 명확하지 않고 청소년문제에 대한 집합적 감독과 비공식적 통제가

적절히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비행행동 발생정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한다

(Ross and Jang, 2000).

이와 같이, 특정 지역사회의 성인들이 청소년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지 여부는 주

민들 사이의 상호신뢰와 공유된 기대수준이 존재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가령, 지역주민

들 사이에 유대관계가 긴밀하고 사회규범에 대한 상호기대가 명확하다면, 지역사회문제

에 대한 집합적 통제능력 정도와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가능성이 높을 것이다(Sampson,

Morenoff, & Gannon-Rowley, 2002). 특히 Sampson과 동료들(1997)은 지역사회

의 집합적 통제능력을 집합적 효능감(collective efficacy)이라고 언급하면서, 집합적 효

능감은 지역의 비공식적 통제능력과 사회적 응집력(social cohesion)이 결합될 때 가능

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Duncan과 동료들(2003)은 집합적 효능감이란 동일 지역에 거주

하는 사람들이 지역사회문제에 대하여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일련의 방침들을 조직

화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다는 판단과 믿음이라고 강조했다(곽현근, 유현숙, 2005 재인

용). 이런 측면에서 볼 때, 학교폭력과 같은 청소년문제에 대해 지역사회 차원의 대처능력

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지역주민들 사이의 유대와 비공식적 통제능력의 강화

가 전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Sampson et al., 2002).

2) 지역사회의 물리적 자원

지역사회의 물리적 자원은 지역 내 주거시설의 질과 기본 편의시설의 유무, 교육기관 및

사회서비스기관의 존재, 대중교통의 편의성 등을 의미한다. 특히, 청소년 성장과 밀접한

제 2 장 이론적 배경

Page 4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4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관계가 있는 물리적 자원으로는 구조화된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 도서관, 의

료기관, 청소년복지기관, 문화예술기관, 가족지원센터, 취업연계기관 등을 들 수 있다. 이

러한 물리적, 환경적 자원은 지역사회 청소년들과 가족의 삶에 만족감과 편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범죄나 비행문제를 예방하고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Sampson et al.,

2002; 정진성, 2009). 특히 청소년들은 지역사회 내 기관자원(institutional resource)

을 활용함으로써, 정체감확립과 자아탐색을 위한 기회를 확장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

감과 소속감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학교가 아닌 지역사회에서 또래들과 함께 하는 참여활

동을 통해서 사회성과 공동체의식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역사회의 물리적 자원이 범죄나 비행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 것은 역으

로 물리적 자원의 결핍은 범죄나 비행발생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지역

내에 편의시설이나 여가공간 및 사회서비스 기관 등이 부재하거나, 주거지 주변이 낙후되

어 있고, 대신에 청소년에게 유해한 성인 유흥업소, 숙박시설 및 게임장 등이 무질서하게

산재해 있다면, 주민들의 불안감과 무력감이 커지기 때문에 자율적 사회통제가 약화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Sampson & Raudenbush, 2004). 또한 결과적으로 청소년 비행이나

문제행동에 대한 주민들의 모니터링과 비공식적 통제가 제 역할을 할 수 없고,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들의 대처능력 또한 무기력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지

역사회의 물리적 자원의 특성은 지역주민의 비공식적 통제능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

음을 알 수 있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

Page 4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3­장­­조사­방법제 1 절 설문조사 방법제 2 절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

Page 5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5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51

제­1­절­설문조사­방법

1. 조사대상과 조사일정

설문조사의 대상은 연제구에 위치하고 있는 Y중학교와 T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청소

년들이다. 조사대상은 청소년들의 성별과 학년을 유사한 비율로 포함하기 위해 할당표집

을 통해 선정되었으며, Y중학교 384명, T중학교 349명, 총 733명의 중학생들이 설문조

사에 참여했다. 설문조사는 2013년 7월에 실시되었고, 연제구복지관의 조사담당자가 Y

중학교와 T중학교의 협조를 얻어 각 학교를 방문해서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2. 설문조사 도구 및 조사내용

설문조사 도구는 일반적인 인구학적 질문과 학교폭력 인식 및 예방에 관한 문항, 학교폭

력 역할유형 척도, 학교폭력 관련 개인요인과 가족환경요인, 또래환경요인, 학교환경요

인, 지역사회환경에 관한 척도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 도구의 내용 및 신뢰도는 표 <3-

1>과 같다.

<표 3-1> 설문조사 내용 및 신뢰도

제 3 장 조사 방법

영역 지표 문항번호(문항수) 신뢰도 척도출처

일반사항 성별, 학년, 가족유형부모학력, 경제수준 Q1~Q5 연구자개발

학교폭력 인식 및 경험

학교폭력 범위 Q18 (7) 한국교육개발원(2012)발생원인 Q20 (1) 연구자개발목격경험 및 대응행동 Q21 (3) 연구자개발

Page 5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5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3. 설문조사 자료분석방법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포,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사후분석(scheffe) 방법을 실시하였다.

제 3 장 조사 방법

영역 지표 문항번호(문항수) 신뢰도 척도출처

학교폭력역할유형

방관자형 Q17 (6) α=.938

서미정(2008)피해자방어형 Q17 (6) α=.900가해자동조형 Q17 (6) α=.861가해자형 Q17 (6) α=.925피해자형 Q17 (6) α=.926

개인역량자기효능감 Q10 (10) α=.863 Lee et al.(1994)공감능력 Q11 (22) α=.735 오민식(2012)

활동 및매체이용

체험활동 참여여부 Q14 (9) 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1)체험활동 참여빈도 Q14 (9)

유해매체이용 Q16 (6) 청소년안전실태조사(2010)

가족환경

부모유대 Q8 (10) α=.773Parker et al.(1979)

과잉보호 Q8 (10) α=.773부모폭력 Q9 (2) α=.738 청소년패널 4차

(2006)부모학대 Q9 (2) α=.760

또래환경또래집단 압력 Q6 (8) α=.683 이명신(2000)폭력적 갈등해결방식 Q7 (6) α=.625 이은정(2002)

학교환경교사의 방관적 태도 Q12 (7) α=.746 이상균(1999)학교주변 무질서 Q13 (4) α=.716 청소년패널 4차(2006)

지역사회환경

지역사회차원 학교폭력 예방대책 Q25 (1) 연구자 개발

유해환경 Q22 (1) 청소년안전실태조사(2010)지역사회유대 Q23 (8) α=.881 아동청소년패널(2011)지역사회 비공식적 통제 Q23 (4) α=.818 청소년패널 4차(2006)청소년이용시설 필요성 Q24 (8) 연구자개발청소년이용시설 이용의향 Q24 (8) 연구자개발

Page 5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53

제­2­절­포커스­그룹­인터뷰­방법

1. 연구참여자

학교폭력과 지역사회환경에 대해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

로 조사하고, 이들로부터 새로운 시각을 제공받기 위해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질적조

사 참여자들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던 연제구의 Y중학교와 T중학교 학생들 중 교내외에

서 이루어지고 있는 청소년 특별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로 해당 학교와 복지관의 협

조를 통해 선발되었다.

2. 자료수집 방법

포커스 그룹은 “그룹에 참여하는 구성원에게 어떤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을 유발함으로

써 참여자로 하여금 의미 있는 제안 및 의견을 도출”(황성동, 2006, p. 227)하기 위한 자

료수집 방법이다. 집단 면접은 1대 1로 수행되는 개별 면접보다는 집단 구성원들간의 시

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Padget, 1998). 포커스 그룹의 크기는 다양한 의

견들을 생성해 낼 수 있는 동시에 토론에 참가자 전체가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인 7~10명

정도가 적당하다(Krueger, 1994).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다른 구성원으로 이루어

진 두 개의 포커스 그룹을 만들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진행을 위해 연구자가 집단의 진행자가 되어 학교폭력에 대한 개념과 인식, 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학교의 역할, 지역사회 환경 및 자원 등에 대해 준비한 개방형 질문과 상

제 3 장 조사 방법

집단 학년 성별(인원) 비고포커스 그룹 1 2학년 남(4명), 여(5명) 교내동아리 활동 포커스 그룹 2 1~3학년 남(2명), 여(6명) 교외동아리 활동

Page 5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5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부가질문들을 제공하였다. 진행자 이외에 관찰 및 기록자 2인이

현장 메모와 인터뷰 내용 기록을 담당하였으며, 정확한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인터뷰 내용을 녹취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각 그룹이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학교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되었으며,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워밍업 시간을 포함하여 2시간 정

도가 소요되었다.

3. 자료분석 방법

인터뷰 자료 분석에 앞서 자료를 조직화하기 위해 인터뷰 녹취록과 현장메모를 반복해

서 읽었다. 인터뷰 자료로부터 핵심내용을 추출하기 위해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개별

자료를 찾아 코드를 부여하고, 범주화 작업을 거쳤다. 자료의 해석을 위해 개별적인 의미

를 표로 나열하여 자료들을 분류하고, 자료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매트릭

스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양적조사 결과와의 비교, 학교폭력

및 지역사회자원에 관한 기존자료 활용 등으로 다각화를 시도하였으며, 분석의 전 과정에

서 연구자들간의 지속적인 비교작업을 진행하였다.

제 3 장 조사 방법

Page 5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4­장­­설문조사­분석결과제 1 절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제 2 절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경험제 3 절 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제 4 절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관련요인제 5 절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청소년

이용기관에 대한 욕구제 6 절 지역사회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Page 5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5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57

제­1­절­조사대상의­인구사회학적­특성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응답한 청소년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성별, 학년, 가족유형,부모학력, 가정경제수준을 통해 살펴보면 <표4-1>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 청소년은 연제구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733명으로서, 남학생이 49.2%, 여학생이 50.8%였다. 학년 별 분포를 보면, 1학년 39.9%, 2학년 30.5%, 3학년 29.6%로 나타났으며, 현재 아버지, 어머니 두 분과 함께 살고 있는 청소년이 88%, 부자가족 청소년이 2.5%, 모자가족 청소년이 6.3%였다. 또한 조사대상 청소년의 74.9%가 아버지 학력이 대학교 졸업이상, 65.8%가 어머니 학력이 대학교 졸업이상이라고 응답했다.

<표 4-1>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례수 (%)

성별 남학생 359 (49.2)여학생 371 (50.8)

학년1학년 290 (39.9)2학년 222 (30.5)3학년 215 (29.6)

가족유형

양부모가족 639 (88.0)부자가족 18 (2.5)모자가족 46 (6.3)조손가족 7 (1.0)기타 16 (2.2)

아버지학력

중학교 졸업이하 5 (0.7)고등학교 졸업 166 (24.4)대학교 졸업 441 (64.9)대학원 졸업 68 (10.0)

어머니학력

중학교 졸업이하 3 (0.4)고등학교 졸업 230 (33.7)대학교 졸업 403 (59.1)대학원 졸업 46 (6.7)

Page 5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5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가정경제수준은 7점 척도를 사용하여 가정경제 상황에 대한 청소년의 주관적 평가를 측정했다. 분석결과, 경제수준의 평균은 4.25 (표준편차 0.874)로써 ‘보통이상’의 평균을나타냈다. 또한 빈도분포를 살펴보면, ‘보통(4점)’ 정도가 53.4%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5점 이상’은 33.4%였으며, ‘3점 이하’의 하위수준으로 응답한 청소년은 13.2%에 불과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85% 이상이 가정경제수준을 ‘보통수준이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경제수준 사례수 (비율)

1 (매우 못 산다)23

4 (보통이다)56

7 (매우 잘 산다)

4 (0.5)13 (1.8)79 (10.8)390 (53.4)200 (27.4)32 (4.4)12 (1.6)

합 계 730 (100)평균 = 4.25, 표준편차 = 0.874

<표 4-2> 가정경제수준

<그림 4-1> 가정경제수준

Page 5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59

제­2­절­학교폭력에­대한­인식과­경험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과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서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학교

폭력을 어떻게 분류하며,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또한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목격경험과 목격 이후 반응에 관한 질문을 통해서 학교폭력 발

생상황에서 청소년들이 어떻게 행동하며 대처하는지를 분석했다.

1. 학교폭력의 범위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학교폭력에 해당하는 행위를 선택하라는 질문에 대해 <4-3>과 같

이 응답했다. 이것은 청소년들이 규정하는 학교폭력의 정의와 범위를 보여주는 것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98%이상의 청소년들이 ‘말로 하는 협박이나 욕설’, ‘집단따돌림’,

‘강제심부름과 같은 괴롭힘’, ‘돈 또는 물건을 빼앗는 행동’, ‘손, 발 또는 도구로 맞거나

특정한 장소안에 가두는 행위’, ‘성적추행과 폭행 및 희롱’, 을 모두 학교폭력으로 인식

하고 있었다. 한편,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에 대해서는

94.6%의 많은 청소년이 학교폭력으로 분류했지만, 다른 학교폭력행위와 비교할 때 청소

년의 인식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표 4-3> 학교폭력범위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학교폭력분류 그렇다 사례수 (%)

말로 하는 협박이나 욕설 (명예훼손, 모욕, 공갈, 협박) 691 (98.0)집단 따돌림 698 (99.0)강제 심부름과 같은 괴롭힘 700 (99.3)돈 또는 물건을 빼앗는 행동 699 (99.1)손, 발 또는 도구로 맞거나 특정한 장소 안에 가두는 행위 697 (98.9)성적인 부끄러움을 갖게 하는 말과 행동 또는 강제로 몸을 만지는행위 (성폭력: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692 (98.2)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 667 (94.6)

Page 6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6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청소년들이 인터넷과 스마트폰 관련 욕설과 비방을 학교폭력으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부

가적 분석을 위해 성별, 학년별 차이를 검증했다. <표 4-4>에서 보듯이, 남자 청소년들

(87.5%)은 여자청소년(94.3%)들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관련 욕설과 비난을 학교폭력

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3학년들이 1학년이나 2학

년과 비교할 때 인터넷관련 욕설을 학교폭력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다소 높았다.

<표 4-4> 인터넷 및 스마트폰 관련 폭력에 대한 성별·학년별 인식 분포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분 류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

합계 학교폭력이다 아니다

성별 남자 314 (87.5) 45 (12.5) 359 (100)여자 350 (94.3) 21 (5.7) 371 (100)

학년 1학년 262 (90.3) 28 (9.7) 290 (100)2학년 199 (89.6) 23 (10.4) 222 (100)3학년 200 (93.0) 15 (7.0) 215 (100)

한편, <표 4-3>에 제시한 학교폭력유형 이외에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학교폭력 유형을

직접 적는 개방형 질문에 대해서, 다수의 청소년들이 ‘와이파이셔틀’, ‘카톡방에 욕설하

기’, ‘무시하기’, ‘친한 척 하면서 은근히 따돌리기’. ‘놀리기’ 등을 학교폭력의 범위에

포함시켰다. ‘와이파이셔틀’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신종 학교폭력 유형으로써, 피해학

생에게 스마트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강제로 가입하게 한 뒤 가해학생이 스마트폰의

핫스팟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피해학생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사용하는 행동

을 말한다. 또한 ‘무시하기’는 교실 안에서 직접적인 따돌림이나 ‘말 무시하기’ 행동뿐 아

니라 스마트폰의 SNS에서의 ‘카카오톡 왕따 및 무시하기’ 등의 행동을 포함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2. 학교폭력 발생원인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

의 영향’을 제일 많이 응답했고(37.5%), 그 다음으로 ‘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

Page 6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61

36.6%, ‘가정환경 및 부모의 무관심’ 10.2%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일부 성인들이 학

교폭력의 원인으로 예상하는 ‘입시스트레스 및 경쟁위주의 학교문화’는 8.1%, ‘인터넷,

온라인 게임 등의 영향’은 5.1%로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표 4-5>는 학교폭력 발생 원인을 성별과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이다. 성별에 따른 분포

를 보면, 남학생들은(44.1%) ‘학생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학교폭력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응답한 반면, 여학생들은(48%)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을 가장 주된 이

유로 응답했다. 또한 1학년(38.5%)은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을 가장 많이 응답

한 반면, 2학년(38.2%)과 3학년(39.3%)은 ‘학생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가장 많

이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청소년들은 또래집단 및 주변 사회적 관계의 영향과

개인의 심리적ㆍ정서적 문제 때문에 학교폭력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그림 4-2> 학교폭력 발생원인

Page 6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6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표 4-5> 학교폭력 발생원인

3. 학교폭력 목격경험과 대응행동

1) 목격경험

지난 1년 동안 학교폭력을 목격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 대해 13.4%는 본인이 직접 학교

폭력 상황을 목격했다고 응답했으며, 16.6%의 청소년은 직접 목격하지는 못했지만 학교

폭력이 발생한 것을 간접적으로 알게 되었다고 했다. 또한 40.3%의 청소년은 학교폭력을

직간접적으로 목격한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했다. 이 결과는 조사대상 청소년의 30%

정도가 지난 1년 동안 학교폭력상황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음을 보여준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구 분 전체학생 성별 학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

학생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 266(36.6) 156(44.1) 108(29.3) 96(33.6) 84(38.2) 84(39.3)

친구나 주변 선후배 들의 영향 272(37.5) 94(26.6) 177(48.0) 110(38.5) 81(36.8) 79(36.9)

가정환경 및 부모님의무관심 74(10.2) 33(9.3) 41(11.1) 33(11.5) 27(12.3) 14(6.5)

입시스트레스 및 경쟁위주의 학교문화 59(8.1) 37(10.5) 22(6.0) 26(9.1) 14(6.4) 18(8.4)

인터넷, 온라인게임 등유해매체 영향 37(5.1) 23(6.5) 14(3.8) 15(5.2) 9(4.1) 12(5.6)

기 타 18(2.5) 11(3.1) 7(1.9) 6(2.1) 5(2.3) 7(3.3)

합 계 726(100) 354(100) 369(100) 286(100) 220(100) 214(100)

Page 6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63

<표 4-6>은 1년 동안 학교폭력 목격경험을 성별·학년별로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를 살펴보면, 남학생은 17.4%가 직접 목격했다고 응답한 반면, 여학생은 9.8%가 직접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간접적인 목격경험 응답까지를 포함할 때도, 남학생(34.6%)

은 여학생(25.8)%보다 학교폭력 목격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학년별로 직접적

인 목격경험 분포를 보면, 3학년이 14.6%로 1학년(13.4%)과 2학년(12.7%)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간접경험까지를 모두 포함하면 1학년이 33.5%, 2학년 29.1%, 3학년

26.3%로써 학년이 낮을수록 학교폭력 상황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중학교 저학년일수록 학교폭

력 상황을 더 빈번하게 경험하고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그림 4-3> 1년 동안 학교폭력 목격 경험

Page 6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6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2) 학교폭력 목격 후 대응행동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의 대응행동에 관한 분석결과는 <그림 4-

4>와 같다.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행동은 ‘모른척했다’로 38.4%가 응답했고, 다음으로

‘학교선생님께 알렸다’ 23.2%, ‘직접 말렸다’ 13.5%, ‘부모님께 알렸다’ 6% 순으로 나

타났다. 또한 피해학생의 친구가 되어주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5.7%에 불과했으며, 경

찰이나 상담센터와 같이 학교외부 기관을 접촉한 경우는 2.3%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표 4-6> 일 년 동안 학교폭력 목격경험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구 분 전체학생 성별 학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 학교폭력 상황을 직접목격함 97(13.4) 61(17.4) 36(9.8) 38(13.4) 28(12.7) 31(14.6)

직접 목격하지는 못했지만 학교폭력이 발생한 것을 알게 됨

120(16.6) 60(17.2) 59(16.0) 57(20.1) 36(16.4) 25(11.7)

전혀 없음 291(40.3) 119(34.0) 171(46.3) 105(37.1) 91(41.4) 92(43.2)잘 모르겠음 214(29.6) 110(31.4) 103(27.9) 83(29.3) 65(29.5) 65(30.5)합 계 722(100) 350(100) 369(100) 283(100) 220(100) 213(100)

<그림 4-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Page 6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65

<표 4-7>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청소년들의 대응행동을 성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이다. 여학생들은(43%) 남학생들(34.7%)보다 학교폭력 상황을 목격하고 모른 척 했

다고 응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남학생들은(21.9%) 여학생들(2.6%)보다 ‘직

접 말렸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학년별 분포를 살펴보면, 모른척했다고 응답한

경우가 1학년31.5%, 2학년 40.6%, 3학년 45.7%로써 학년이 높을수록 학교폭력 상황

을 모른척하고 무관심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1학년들은 2, 3학년들과 비교할 때, 학교폭

력 상황을 부모님께 알리거나(10.3%), 피해학생에게 친구가 되어 주었다고 응답한 경우

(8.9%)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4-7>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3) 학교폭력상황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학교폭력 상황을 목격한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 조사대

상 청소년들의 29.6%는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했다. 또한 28.8%의 청소년은 ‘같이 피

해를 당할까봐’, 17.6%는 ‘어떻게 할지 몰라서’, 14.4%의 청소년은 ‘도와줘도 소용이 없

을 것 같아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청소년들은 학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구 분 전체학생 성별 학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 모른 척 했다 134(38.4) 68(34.7) 65(43.0) 46(31.5) 43(40.6) 43(45.7)부모님께 알렸다 21(6.0) 7(3.6) 14(9.3) 15(10.3) 2(1.9) 4(4.3)학교선생님께 알렸다 81(23.2) 44(22.4) 36(23.8) 32(21.9) 27(25.5) 21(22.3)경찰에 신고했다 8(2.3) 2(1.0) 6(4.0) 4(2.7) 2(1.9) 2(2.1)상담센터 등에 상담을하였다 3(0.9) 1(0.5) 2(1.3) 2(1.4) 0 1(1.1)

직접 말렸다 47(13.5) 43(21.9) 4(2.6) 19(13.0) 16(15.1) 12(12.8)피해학생에게 친구가되어 주었다 20(5.7) 12(6.1) 8(5.3) 13(8.9) 4(3.8) 3(3.2)

기 타 35(10.0) 19(9.7) 16(10.6) 15(10.3) 12(11.3) 8(8.5)합 계 349(100) 196(100) 151(100) 146(100) 106(100) 94(100)

Page 6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6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교폭력 상황을 목격하더라도, 다른 학생에 대한 무관심과 피해에 대한 두려움, 대처방법에

대한 이해부족 등으로 인해 학교폭력 상황을 외면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하지 못하는 것 같다.

<표 4-8>에서 학교폭력을 목격한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를 성별, 학년별로 비

교해 보면, 여학생들은 ‘같이 피해를 당할까봐 두려워서’로 응답한 경우가(29.3%) 가장 많

았고, 남학생들은 ‘관심이 없어서’라는 응답(33.3%)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학년별 분포를

살펴보면, ‘같이 피해를 당할까봐’ 두려워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응답은 1학년은

33.7%, 2학년은 32.9%, 3학년은 18.6%로 나타났다. ‘관심이 없어서’라는 응답은 3학년

34.3%, 2학년 27.4%, 1학년 26.9%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관

심이 없어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학년이 낮을수록

‘같이 피해를 당할까봐’ 두려워서 학교폭력 상황에서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설

명해 주는 것 같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그림 4-5> 학교폭력상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Page 6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67

소 결

1. 학교폭력의 범위

조사대상 청소년의 98%이상은 ‘말로 하는 협박이나 욕설’, ‘집단따돌림’, ‘강제심부름

과 같은 괴롭힘’, ‘돈 또는 물건을 빼앗는 행동’, ‘손, 발 또는 도구로 맞거나 특정한 장

소안에 가두는 행위’, ‘성적추행과 폭행 및 희롱’을 모두 학교폭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에 대해서는 94.6%의 청소년들이

학교폭력으로 인정했지만, 다른 학교폭력행위와 비교할 때 청소년들의 인식정도가 상대

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성별분석에서, 남학생들은 87.5%정도가 인터넷이나 휴

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을 학교폭력이라고 응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인식정도가 낮았

다. 학교폭력 범위에 관한 개방형 질문에 대해서는 다수의 청소년들이 ‘와이파이셔틀’

‘카톡방에 욕설하기’ ‘무시하기’ ‘은근히 따돌리기’ 등도 학교폭력이라고 응답했다.

2. 학교폭력 발생원인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을 제일 많이

응답했고(37.5%), 그 다음으로 ‘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 36.6%, ‘가정환경 및 부

모의 무관심’ 10.2%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부 성인들이 학교폭력의 원인으로 간주하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구 분 전체학생 성별 학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름 44(17.6) 18(13.6) 26(22.4) 18(17.3) 9(12.3) 16(22.9)같이 피해를 당할까봐 72(28.8) 38(28.8) 34(29.3) 35(33.7) 24(32.9) 13(18.6)도와줘도 소용이 없을것 같아서 36(14.4) 15(11.4) 21(18.1) 14(13.5) 10(13.7) 12(17.1)

관심이 없어서 74(29.6) 44(33.3) 28(24.1) 28(26.9) 20(27.4) 24(34.3)기 타 24(9.6) 17(12.9) 7(6.1) 9(8.7) 10(13.7) 5(7.1)

합 계 250(100) 131(100) 116(100) 104(100) 73(100) 247(100)

<표 4-8>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Page 6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6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는 ‘입시스트레스 및 경쟁위주의 학교문화’는 8.1%, ‘인터넷, 온라인 게임 등의 영향’은

5.1%로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성별에 따른 분포를 보면, 남학생들은(44.1%) ‘학

생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학교폭력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응답한 반면, 여학생들

은(48%)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을 가장 주된 이유로 선택했다. 또한 1학년

(38.5%)은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을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2학년(38.2%)과 3

학년(39.3%)은 ‘학생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학교폭력 목격경험과 대응행동

1) 목격경험

조사대상 청소년의 13.4%는 지난 1년 동안 직접 학교폭력 상황을 목격했다고 응답했으

며, 16.6%는 직접 목격하지는 못했지만 학교폭력이 발생한 것을 간접적으로 알게 되었

다고 했다. 즉, 조사대상 청소년의 30% 정도는 지난 1년 동안 학교폭력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저학년일수록 학교폭력 상황을 더 빈번

하게 경험하고 있었다.

2) 목격 후 대응행동

목격 후 행동으로는 ‘모른척했다’가 38.4%로 제일 많았고, 다음으로 ‘학교선생님께 알

렸다’ 23.2%, ‘직접 말렸다’ 13.5%, ‘부모님께 알렸다’ 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

해학생의 친구가 되어주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5.7%에 불과했으며, 경찰이나 상담센터

와 같이 학교외부 기관을 접촉한 경우는 2.3%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

들은 남학생보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폭력상황을 모른척하고 무관심하게 반응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학교폭력 상황을 목격한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29.6%가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했으며, 28.8%의 청소년은 ‘같이 피해를 당할까봐’, 17.6%는 ‘어떻게

Page 6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69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할지 몰라서’, 14.4%의 청소년은 ‘도와줘도 소용이 없을 것 같아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여학생들은 ‘같이 피해를 당할까봐 두려워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

은 반면, 남학생들은 ‘관심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학년이 높을수록 관

심이 없어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반면, 학년이 낮을수록 같

이 피해를 당하는 게 두려워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Page 7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7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3­절­학교폭력상황­역할유형

학교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일방적 행동 혹은 쌍방적 상호작용일 수 있다. 그러

나 학교폭력이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학교환경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

한다면, 학교폭력 상황에는 가해자, 피해자 청소년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을

방관하거나, 피해자를 방어해주고, 가해자를 동조해주는 다양한 역할의 청소년들이 관여

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주된 역할유형을

분류하고, 이러한 역할유형간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역할유형 분류를 위해서는 각 역할의

합산 점수를 표준화(평균=0, 표준편차=1) 한 후, 표준화한 점수가 평균보다 높고 다른 역

할의 점수보다 높을 때 특정 유형으로 분류하였다(서미정, 2008)

1. 학교폭력 역할유형 분류

학교폭력 발생상황에서 청소년들은 다양한 역할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응답을 토대로 역할유형을 분류하면 그림 <4-6>과 같다. 조상대상 청소년들

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난 역할은 피해자방어형(27.6%)이었으며, 다음으로 방관자

(26.6%), 피해자(23.1%), 가해자동조형(14%), 가해자(8.8%) 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척도를 활용해서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

으로 분석한 서미정(2008)의 연구결과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서미정(2008)의 연구에

서는 피해자방어형이 24.2%로 제일 많고, 다음으로 방관자(21.1%), 가해자동조형

(18.3%), 피해자(14.2%), 가해자(12.6%) 순으로 나타났다. 즉 피해자방어형과 방관자

의 비율이 높은 것은 본 연구의 결과와 동일하지만, 본 연구결과는 서미정(2008)의 결과

와 비교할 때 피해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가해자 비율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Page 7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71

학교폭력상황에서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역할유형을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표 4-9), 남

학생은 피해자방어형(26.9%)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피해자(25.7%), 방관자(21.9%),

가해자동조형(14.6%), 가해자(10.8%) 순으로 분류되었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방관자

(31.0%)역할이 가장 많았고, 피해자방어형(28.2%), 피해자(20.5%), 가해자동조형

(13.4%), 가해자(6.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별 분포를 보면, 1학년은 피해자방

어형 34.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방관자 22.1%, 피해자 19.3%, 가

해자동조형 15.4%, 피해자 19.3% 순으로 나타났다. 2학년의 경우는 방관자가 26.5%

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피해자 24.7%, 피해자방어형 24.2%, 가해자동조형 15.8%,

가해자 8.8% 순이었다. 3학년의 경우도 방관자가 32.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피해

자 26.3%, 피해자방어형 22.5%, 가해자동조형 10.0%, 가해자 8.6%순이었다. 이처럼

성별, 학년별 분포 결과를 보면, 남학생의 경우는 피해자방어형이, 여학생은 방관자 비율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낮을수록 피해자방어형이 많고, 학년이 높을수록 방

관자와 피해자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그림 4-6> 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

Page 7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7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2. 학교폭력 역할유형의 상호관련성

학교폭력상황에서의 청소년의 역할유형사이의 상황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표 4-10>

과 같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는 상관계수가

0.735로 유의미하게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p<.001). 또한 가해자와 가해자동조형의 관

계도 상관계수가 0.688로 유미하게 강한 상관성을 보였고(p<.001), 가해자동조형과 피

해자 사이에도 0.488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폭력상황에서

는 피해자와 가해자 유형이 연쇄적으로 중복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가해자동조형과 가해

자 또한 거의 중복되고 유사한 역할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4-10> 학교폭력 역할유형 상관관계

***P < .001

<그림 4-9> 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구 분 전체학생 성별 학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 방관자 188(26.6) 75(21.9) 113(31.0) 62(22.1) 57(26.5) 68(32.5)피해자방어형 195(27.6) 92(26.9) 103(28.2) 96(34.3) 52(24.2) 47(22.5)가해자동조형 99(14.0) 50(14.6) 49(13.4) 43(15.4) 34(15.8) 21(10.0)가해자 62(8.8) 37(10.8) 25(6.8) 25(8.9) 19(8.8) 18(8.6)피해자 163(23.1) 88(25.7) 75(20.5) 54(19.3) 53(24.7) 55(26.3)

합 계 707(100) 342(100) 365(100) 280(100) 215(100) 209(100)

방관자 피해자방어형

가해자동조형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 -피해자방어형 -.209*** -가해자동조형 .348*** .026 -가해자 .210*** .006 .688*** -피해자 .144*** .076 .488*** .735*** -

Page 7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73

소 결

1. 학교폭력 역할유형 분류

학교폭력 역할유형 5가지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은 피해자방어형(27.6%)이었으며,

다음으로 방관자(26.6%), 피해자(23.1%), 가해자동조형(14%), 가해자(8.8%) 순으로

확인되었다. 남학생은 피해자방어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여학생은 방관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낮을수록 피해자방어형의 역할이 많고, 학년이 높을수록 방

관자와 피해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학교폭력 역할유형의 상호관련성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상관계수가 0.735로 유의미하게 강한 상관성을 나타났다. 또

한 가해자와 가해자동조형의 관계도 상관계수가 0.688로 유미하게 강한 상관성을 보였

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폭력상황에서는 피해자와 가해자 유형이 연쇄적으로 중복될 가능

성이 매우 높고, 가해자동조형과 가해자 또한 거의 중복되고 유사한 역할임을 의미한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Page 7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7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4­절­학교폭력­역할유형과­관련요인

학교폭력상황에서 청소년의 역할유형에 따라 학교폭력 관련요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학교폭력 관련요인으로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토대로 개인적 수준과 가족환경, 또래환경, 학교환경, 지역사회환경 수준에서 학교폭력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검토했다.

1. 개인적 요인

본 연구는 학교폭력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요인을 개인역량과 활동 및 매체이용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개인역량 요인으로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을, 활동 및 매체이용 요인으로는 체험활동참여와 유해매체이용 정도를 분석했다.

1) 개인역량 요인 학교폭력상황에서의 역할유형에 따라 개인역량의 차이에 관한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분

석 결과는 <표 4-11>과 같다. 자기효능감(F=10.067, p<.001)과 공감능력(F=5.038,p<.01)은 학교폭력의 역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있었다.

<표 4-11>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개인역량의 차이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변수 역할유형 평균 SD F 사후분석(Scheffé)

자기효능감

①방관자 27.42 4.26

10.067*** ② > ③ ⑤②피해자방어형 29.44 3.83③가해자동조형 27.21 4.04④가해자 28.10 3.84⑤피해자 27.21 3.69

공감능력

①방관자 61.52 8.85

5.038** ② > ① ③ ⑤②피해자방어형 64.75 7.58③가해자동조형 60.97 8.26④가해자 62.74 9.55⑤피해자 61.57 9.57

***P < .001; **P < .01; *P < .05

Page 7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75

먼저, 역할유형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피해자방어형 청소년들의 자기효능

감 평균이 가장 높은 반면, 가해자동조형과 피해자의 자기효능감 평균이 가장 낮았다. 특

히 피해자방어형의 평균점수는 가해자동조형과 피해자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

로 검증되었다. 공감능력 차이의 분석에서도 피해자방어형의 청소년들은 방관자, 가해자

동조형, 피해자 청소년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을 보고했다. 한편, 가해자와 피해자

는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에서 유의미한 평균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가해자가 피해자

보다는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개인역량에 관한 분석결과를 보면, 학교폭력 상황에서

피해자를 방어해주고 도와주는 청소년들이 다른 유형의 청소년들보다 자기효능감과 공감

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으로, 피해 청소년들과 가해자를 동조하거나 방관하는

청소년들은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2) 활동 및 매체이용 요인

청소년의 활동 및 매체이용에 관한 요인으로는 체험활동참여와 유해매체이용을 살펴보

았다. 체험활동참여는 청소년의 친사회적(prosocial) 활동의 한 영역을 반영한 요인이고,

유해매체이용은 청소년의 일탈적 행동의 한 면을 보여주는 요인이다. <표 4-12>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유해매체이용정도는 학교폭력의 역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평균차이

(F=9.782, p <.001)가 있는 반면, 체험활동참여의 경우는 역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

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유해매체이용의 사후분석결과를 보면, 학교폭력 가해자들이 다른 유형의 청소년들 보

다 유해매체이용 점수가 유의미하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해자방어형 청소

년들의 유매해체이용 점수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해 청소년들이 유해매체의 영

향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Page 7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7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표 4-12>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활동 및 매체이용의 차이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변수 역할유형 평균 SD F 사후분석(Scheffé)

체험활동참여

①방관자 2.07 2.50

1.163 유의미한차이 없음

②피해자방어형 2.15 2.51③가해자동조형 1.83 2.25④가해자 2.13 2.39⑤피해자 1.39 1.69

유해매체이용

①방관자 6.83 1.68

9.782*** ④ > ① ② ③ ⑤②피해자방어형 6.47 1.78③가해자동조형 7.10 2.02④가해자 8.13 3.10⑤피해자 7.12 2.14

***P < .001; **P < .01; *P < .05

<표 4-13>은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유해매체이용에 대한 부가적 정보를 보여주는데,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접촉하는 유해매체는 ‘19세 미만 이용불가의 폭력성, 선정성 게임’으로써 17.7%가, 다음으로는 음란인터넷 사이트로 12.4%의 청소년이 적어도한 달에 1-2회 이상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 정도의 청소년들이 일주일에1-2회 이상 폭력적ㆍ선정성게임을 즐긴다고 응답했다.

<표 4-13> 유해매체이용 정도

전혀 하지않았다

한 달에1~2회

일주일에1~2회

일주일에 3회 이상 합계

성인용 간행물 (만화, 소설, 잡지) 656(89.6) 48(6.6) 20(2.7) 8(1.1) 732(100)

성인용 비디오, 영화, DVD 664(90.6) 50(6.8) 9(1.2) 10(1.4) 733(100)

음란 인터넷사이트 642(87.6) 63(8.6) 19(2.6) 9(1.2) 733(100)

‘19세 미만’ 시청불가 방송프로그램 656(89.6) 56(7.7) 16(2.2) 4(0.5) 732(100)

온라인 사행성 도박 게임 705(96.2) 23(3.1) 4(0.5) 1(0.1) 733(100)

‘19세 미만 이용불가’ 폭력, 선정성 게임 603(82.3) 59(8.0) 39(5.3) 32(4.4) 733(100)

Page 7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77

2. 가족환경 요인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영향을 주는 가족환경요인으로는 부모유대와 과잉보호, 가정폭

력, 부모학대를 살펴보았다. <표 4-14>는 역할유형차이에 따른 이들 가족환경요인의 차

이를 검증한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학교폭력상황의 역할유형은 부모유대(F=9.883, p<.001), 과잉보호(F=8.158,

p<.001), 가정폭력(F=4.429, p<.01), 부모학대(F=5.427, p<.001)에서 유의미한 평

균차이를 보였다. 먼저, 부모유대의 분석결과를 보면, 피해자방어형의 부모유대 평균점

수가 유의미하게 가장 높았다. 이것은 이 유형의 청소년들이 방관자나 가해자동조형, 가

해자, 피해자 청소년들보다 부모와의 관계가 친밀하며 지지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

면, 가해자의 경우는 부모와의 유대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가족환경

의 부정적 측면을 반영하는 과잉보호와 가정폭력, 부모학대 정도의 차이에 관한 분석에서

는 가해 청소년들이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가해 청소년 다음으로는 피해 청소

년들이 과잉보호와 가정폭력, 부모학대 점수가 다른 유형의 청소년들보다 유의미하게 높

았다. 그러나 피해자방어형의 청소년들은 과잉보호와 가정폭력 및 부모학대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족환경요인에 관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청소년들은 다른 유

형의 청소년들과 비교할 때, 부모와의 유대정도가 낮고, 과잉보호와 가정폭력, 부모학대

의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폭력의 가해학생과 피해학생들

은 부모의 지지와 가족환경의 안정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

면, 피해자방어형의 청소년들은 부모와의 유대관계가 친밀하고, 과잉보호 및 가정폭력,

부모학대와 같은 가족환경의 부정적 영향력으로부터 보호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Page 7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7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표 4-14>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가족환경 요인의 차이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변수 역할유형 평균 SD F 사후분석(Scheffé)

부모유대

①방관자 36.00 5.76

9.883*** ② > ① ③ ④ ⑤②피해자방어형 37.87 5.28③가해자동조형 35.61 5.82④가해자 34.07 6.27⑤피해자 34.61 5.34

과잉보호

①방관자 20.47 5.64

8.158*** ④ > ② ①⑤ > ②

②피해자방어형 19.46 5.44③가해자동조형 21.52 5.02④가해자 22.85 6.00⑤피해자 22.08 4.76

가정폭력

①방관자 3.17 1.75

4.429** ④ > ②⑤ > ②

②피해자방어형 2.76 1.19③가해자동조형 3.15 1.47④가해자 3.51 1.85⑤피해자 3.33 1.68

부모학대

①방관자 2.79 1.39

5.427*** ④ > ① ②⑤ > ②

②피해자방어형 2.74 1.41③가해자동조형 3.05 1.61④가해자 3.57 1.89⑤피해자 3.23 1.62

***P < .001; **P < .01; *P < .05

3. 또래환경 요인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관련된 또래환경요인으로는 또래집단압력과 폭력적 갈등해결 정

도를 분석했다. <표 4-15>는 분산분석 결과를 보여주는데, 학교폭력의 역할유형은 또래

집단압력(F=2.844, p<.05)과 폭력적 갈등해결정도(F=12.541, p<.001)에 대해 유의

미한 평균차이를 나타냈다.

또래집단압력은 청소년들이 또래집단에서 느끼는 압력정도를 의미하는데, 가해청소년

Page 7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79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들이 유의미하게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폭력적 갈등해결정도는 청소년들이 또래집

단에서 갈등이나 문제가 있을 때 폭력적 방법을 사용하는 정도와 관련된다. 가해청소년들

은 폭력적 갈등해결 정도에서도 유의미하게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즉, 또래환

경요인에 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들이 친구들 사이에서 느끼는 압

력정도가 가장 심각하고, 친구들 사이에 갈등이나 문제가 있을 때 폭력적인 방법으로 대

처하는 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가해청소년

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친구관계에서의 갈등이나 문제를 폭력적

방식이 아닌 대화와 이해로 해결하는 방식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표 4-15>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또래환경 요인의 차이

변수 역할유형 평균 SD F 사후분석(Scheffé)

또래집단압력

①방관자 18.66 3.29

2.844* ④ > ① ②②피해자방어형 18.57 3.35③가해자동조형 18.88 3.66④가해자 20.06 3.64⑤피해자 19.18 3.17

폭력적갈등해결

①방관자 10.58 2.00

12.541*** ③ ④ ⑤ > ① ②②피해자방어형 10.47 2.23③가해자동조형 11.32 2.20④가해자 12.24 2.49⑤피해자 11.65 2.57

***P < .001; **P < .01; *P < .05

한편, <표 4-16>은 청소년들이 또래관계에서의 갈등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준다.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친구들 사이에서 갈등이나

문제가 있을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해결방식으로 53.5%가 ‘다른 사람과 의논하거나 조

언을 구한다’고 했으며, 다음으로 45.9%가 ‘주로 욕이나 폭언을 사용한다’고 했다. 또한

‘주로 은근한 말로 상대방을 헐뜯거나 조롱한다’고 한 경우가 28.8%로 나타났다. 반면,

Page 8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8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대화를 통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2.8%에 지나지 않아서,

조사대상 청소년의 77%가 또래집단에서 갈등상황에 직면할 때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7>은 또래집단의 갈등해결방식을 남녀 청소년별로 구별해서 분석한 결과이다.

남자청소년들은 친구들 사이에 갈등이 있을 때, 해결방식이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여자

청소년들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

는 긍정적 갈등해결방식은 ‘다른 사람과 의논해서 조언을 구한다’로써 남자청소년은

58.8%가 여자청소년은 48%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대화를 통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

려고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남자청소년의 31%, 여자청소년의 15%가 그렇다고 응답

했다. 반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부정적 해결방식은 ‘욕이나 폭언을 사용한다’로써 남자

청소년의 56.2%, 여자청소년의 25.3%가 활용했다. 또한 ‘상대를 헐뜯거나 조롱한다’고

한 경우는 남자청소년의 35%, 여자청소년의 22.7%였다.

<표 4-16> 또래집단의 갈등해결방식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그렇지 않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합계

내 친구들은 주로 대화를 통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한다 89(12.2) 476(65.0) 146(19.9) 21(2.9) 732(100)

내 친구들은 주로 욕이나 폭언을사용한다 61(8.3) 336(45.8) 268(36.6) 68(9.3) 733(100)

내 친구들은 주로 은근한 말로상대방을 헐뜯거나 조롱한다 155(21.2) 365(50.0) 183(25.1) 27(3.7) 730(100)

내 친구들은 주로 신체적으로공격한다 318(43.4) 326(44.5) 70(9.5) 19(2.6) 733(100)

내 친구들은 주로 다른 사람과의논하거나 조언을 구한다 32(4.4) 308(42.1) 293(40.1) 98(13.4) 731(100)

Page 8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81

4. 학교환경 요인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관련된 학교환경요인으로는 교사의 방관적 태도와 학교주변 무질

서를 분석했으며, 일원분산결과와 사후분석결과는 <표 4-17>과 같다. ‘교사의 방관적

태도’는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발생상황에서 담임교사가 보여주는 태도를 평가

한 것이다. 분석결과는 피해청소년들이 다른 유형의 청소년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교사

의 태도가 방관적이라고 평가했다(F=10.055, p<.001). 그러나 학교주변 무질서에 대한

인식은 역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그림 4-7> 성별에 따른 또래집단 갈등해결방식

Page 8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8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P < .001; **P < .01; *P < .05

<표 4-18>은 학교폭력에 대한 담임교사의 태도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좀 더 구체

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70%이상은 담임교사가 학교폭력이 발생

한 상황에서는 ‘반 전체에게 주의를 주고’, ‘피해학생을 보호하며’, ‘가해학생을 제재하

고’, ‘가해학생이나 피해학생에게 신속하게 조치를 취한다’는데 긍정적 의견을 표시했

다. 그러나 65%의 청소년들은 담임교사가 ‘학교폭력 발생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응답했으며, 78%의 청소년은 담임교사가 ‘학생들 간의 학교폭력에 별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또한 68%의 청소년은 담임교사가 ‘학교폭력을 그 나이에 흔히 일어

날 수 있는 일로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이 분석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은 담임교사가

학교폭력이 일단 발생한 상황에 대해서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신속하게 처리한다고 생

각하고 있지만,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학교폭력 상황과 가능성에 대해서는 방관적 태

도를 보인다고 인식했다.

<표 4-17>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른 학교환경요인의 차이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변수 역할유형 평균 SD F 사후분석(Scheffé)

교사의방관적 태도

①방관자 14.59 3.19

10.055*** ⑤ > ① ②

②피해자방어형 13.56 3.34

③가해자동조형 14.58 3.27

④가해자 14.48 3.21

⑤피해자 15.83 3.57

학교주변무질서

①방관자 9.75 2.74

2.103 유의미한 차이 없음

②피해자방어형 9.42 2.89

③가해자동조형 10.01 2.63

④가해자 10.35 2.87

⑤피해자 10.12 3.05

Page 8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83

5. 지역사회환경 요인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관련된 지역사회환경 요인으로는 지역사회유대와 지역사회 비공

식적 통제, 유해환경정도를 분석하였다. 지역사회유대는 청소년들이 집주변의 이웃들에

대해 느끼는 신뢰와 친밀감, 편안함, 안전감을 반영한 요인이다. 지역사회 비공식적 통제

는 이웃주변에서 자신과 같은 청소년들이 비행이나 일탈행동을 할 경우, 이웃주민들이 그

러한 행동을 통제하고 제재를 취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표 4-19>는 지역사회 환

경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여주는데, 학교폭력 역할유형은 지역사회유대(F=6.015,

<표 4-18> 교사의 방관적 태도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그렇지 않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합계

우리선생님은 학교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에 대해 잘 모르는것 같다

45(6.2) 196(26.8) 340(46.6) 149(20.4) 730(100)

우리선생님은 학교폭력이 있을때 반 전체를 대상으로 주의를준다

39(5.4) 113(15.5) 390(53.6) 186(25.5) 728(100)

우리선생님은 학교폭력을 당한피해학생을 보호해준다 27(3.7) 151(20.9) 413(57.1) 132(18.3) 723(100)

우리선생님은 학교폭력을 가한가해학생을 제재한다 28(3.9) 137(19.0) 431(59.7) 126(17.5) 722(100)

우리선생님은 학생들간의 학교폭력에 별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다

26(3.6) 135(18.5) 329(45.2) 238(32.7) 728(100)

우리선생님은 학교폭력은 그 나이에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30(4.1) 204(28.1) 322(44.3) 171(23.5) 727(100)

우리선생님은 학교폭력이 있을때 가해학생이나 피해학생에게신속하게 조치를 취한다

34(4.7) 143(19.8) 418(57.7) 129(17.8) 724(100)

Page 8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8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p<.001)와 지역사회 비공식적 통제(F=23.970, p<.001) 요인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평

균차이를 나타냈고, 유해환경 정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피해자방어형의 청소년들은 지역사회유대와 지역사

회의 비공식적 통제에 대한 인식정도가 유의미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피해청소

년들은 지역사회유대와 지역사회 비공식적 통제를 가장 낮게 평가했다. 이런 결과는 피해

청소년을 도와주고 지지해주는 청소년들은 이웃이나 지역사회에 대해서도 긍정적 인식을

하는 반면,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청소년들은 이웃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하고 있음을 보

여주는 것이다.

<표 4-19> 학교폭력유형에 따른 지역사회환경 요인의 차이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변수 역할유형 평균 SD F 사후분석(Scheffé)

지역사회유대

①방관자 23.50 5.86

6.015*** ② > ① ④ ⑤②피해자방어형 25.81 6.66③가해자동조형 24.39 5.19④가해자 23.13 6.99⑤피해자 23.00 5.87

지역사회비공식적 통제

①방관자 12.64 3.28

23.970*** ② > ① ③ ④ ⑤②피해자방어형 15.39 3.04③가해자동조형 13.31 2.92④가해자 13.37 3.38⑤피해자 12.62 3.15

유해환경(유해업소 및

시설)

①방관자 3.30 1.69

1.803 유의미한 ②피해자방어형 3.10 1.71③가해자동조형 3.07 1.48④가해자 3.70 1.80⑤피해자 3.29 1.71

***P < .001; **P < .01; *P < .05

Page 8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85

소 결

1.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개인적 요인

개인역량 요인으로 선정한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은 역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해자방어형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피해자와 가해자동조형의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은 다른 역할유형과 비교

할 때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개인활동 및 매체이용 요인으로는 체험활동참여와 유해매

체이용을 역할유형에 따라 분석했는데, 유해매체이용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체험

활동참여는 역할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해매체이용의 경우, 가해자 유형이

유의미하게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2.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가족환경 요인

가족환경요인으로는 부모유대와 과잉보호, 가정폭력, 부모학대 요인을 분석했는데, 이

들 요인들은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라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가해자와

피해자 유형은 다른 유형보다 부모유대 정도가 유의미하게 낮고, 부모의 과잉보호와 가정

폭력 및 부모학대 경험 정도가 유의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피해자방어형 청소

년들은 다른 유형과 비교할 때, 부모와의 유대정도가 유의미하게 높고, 과잉보호와 가정

폭력 및 부모학대 경험정도가 유의미하게 낮게 보고되었다.

3.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또래환경 요인

또래환경 요인으로 분석한 또래집단압력과 폭력적 갈등해결 요인도 학교폭력 역할유형

에 따라 유의미하는 차이를 나타냈다. 가해자 유형은 다른 유형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높은 또래집단 압력정도를 보였고, 친구들 사이에서 갈등이나 문제가 있을 때 폭력적으로

대처하는 경향 또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래집단에서 갈등해결 방식에 관한 부가

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해결방식은 ‘다른 사람과 의논하

거나 조언을 구한다’가 53.5%, ‘주로 욕이나 폭언을 사용한다’ 45.9%, ‘주로 은근한 말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Page 8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8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로 상대방을 헐뜯거나 조롱한다’ 28.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화를 통해 서로의 입

장을 이해하려고 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2.8%에 지나지 않아서, 청소년의 77%가 또래

집단에서 갈등상황에 직면할 때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4. 학교폭력 역할유형과 학교환경 요인

학교환경 요인으로는 교사의 방관적 태도와 학교주변 무질서를 분석했는데, 역할유형

에 따라 교사의 방관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학교주변 무질서에는 차이가 보

이지 않았다. 피해자 유형은 다른 유형과 비교할 때, 담임교사가 학교폭력 상황에서 방관

적 태도를 보인다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교사의 방관적 태도에 대한

부가적 분석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은 담임교사가 학교폭력이 일단 발생한 상황에 대해서

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신속하게 처리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학교폭력 상황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고 방관적 태도를 보인다고 평가했다.

5. 지역사회환경 요인

지역사회환경 요인으로는 지역사회유대, 지역사회 비공식적 통제, 유해환경의 차이를

분석했다.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따라 지역사회유대와 지역사회 비공식적 통제는 유의미

한 차이가 있었고, 유해환경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해자방어형은 다

른 유형에 비해서 지역사회유대 정도와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정도를 가장 높게 평가

했다. 반면, 가해자유형과 피해자유형은 유의미하게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즉 피해자

를 도와주고 방어해주는 유형의 청소년들은 이웃이나 지역사회에 대해서 긍정적 인식을

하는 반면, 가해 및 피해청소년들은 지역사회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하고 있었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Page 8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87

제­5­절­지역사회에­대한­인식과­청소년­이용기관에­대한­욕구

1.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

청소년들이 이웃에 대해 느끼는 유대감 및 호감도를 분석한 결과는 <표 4-20>과 같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44.2%의 청소년들은 동네사람들을 만나면 인사를 하는 편이라고 응

답했으며, 39%는 동네에서 계속 살고 싶고, 27.8%의 청소년은 동네사람들과 지내는 것

이 좋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조사대상 청소년의 36.3%는 동네사람들 대부분을 모르는 편

이라고 했으며, 30.9%의 청소년은 동네사람들이 서로 믿고 산다는데 대해 부정적인 의견

을 표시했다. 또한 28.7%의 청소년은 동네가 안전한편이 아니라고 응답했다.

한편, <그림 4-8>은 <표 4-20>의 응답을 토대로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의

평균을 제시한 결과이다. 각 항목에 대한 평균은 2.86에서 3.27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

것은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 대해 느끼는 유대감이나 호감도가 보통이상임을 보여주는 것

이다. 특히 청소년들은 ‘우리 동네에서 계속 살고 싶다’에 3.27, ‘동네사람들을 만나면

인사를 한다’에 3.24의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을 보였다. 반면, ‘우리 동네 사람들 대부분

을 알고 있다’ 에 대해서는 2.86, ‘우리 동네사람들은 서로 믿고 지내는 편이다’는 2.89

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점을 나타냈다.

<표 4-20>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않은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그렇다

나는 우리 동네사람들 대부분을알고 있다

91(12.4)

175(23.9)

260(35.5)

158(21.6)

48(6.6)

나는 거리에서 우리 동네 사람들을 만나면 인사를 한다

70(9.6)

108(14.8)

230(31.5)

222(30.4)

101(13.8)

Page 8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8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않은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그렇다

나는 우리 동네가 안전하다고느낀다

65(8.9)

143(19.6)

330(45.1)

128(17.5)

65(8.9)

우리 동네사람들은 서로 믿고산다

74(10.1)

152(20.8)

338(46.2)

118(16.1)

49(6.7)

나는 우리 동네사람들과 지내는것이 좋다

52(7.1)

95(13.0)

381(51.1)

144(19.7)

59(8.1)

우리 동네에서 계속 살고 싶다 56(7.7)

80(10.9)

310(42.4)

183(25.0)

102(14.0)

<그림 4-8>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 평균

Page 8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89

2.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능력

<표 4-21>은 지역사회 청소년들의 일탈행동에 대한 어른들의 모니터링 및 통제능력에

관한 분석결과이다. 조사대상 청소년의 51.4%는 자신이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신다면

동네어른들이 꾸짖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45.9%의 청소년은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폭행을 당하고 있다면 동네사람들이 말리거나 경찰서에 신고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러

한 결과는 조사대상 청소년의 50%정도는 지역사회 어른들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이나 폭

력상황에 대한 비공식적 통제능력이 있다고 인식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평균점수에서도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신다면 동네 어른들

이 나를 꾸짖을 것이다’는 3.57,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다른 아이들에게 폭행을 당하고 있

다면 동네 사람들이 말리거나 경찰서에 신고할 것이다’는 3.46의 보통이상의 점수를 보

였다.

<표 4-21>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능력

3. 아동청소년 활동공간에 대한 인식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내에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활동공간에 대해 느끼는 생

각은 <표 4-22>에 제시되어 있다. 24.9%의 청소년들이 동네에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안

전한 장소가 많은 편이라고 응답했지만, 32%의 청소년은 아이들을 위한 안전한 장소가

많지 않다고 평가했다. 또한 25.3%의 청소년은 동네에 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 공간이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않은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그렇다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만신다면 동네어른들이 나를 꾸짖을 것이다.

32(4.4)

72(9.8)

252(34.4)

201(27.5)

175(23.9)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다른 아이들에게 폭행을 당하고 있다면동네사람들이 말리거나 경찰서에 신고할 것이다.

28(3.8)

70(9.6)

297(40.7)

210(28.8)

125(17.1)

Page 9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9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많은 편이라고 생각한 반면, 35.4%는 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한편, 평균점수를 보면,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안전한 장소가 많은 편이다’는 2.94, ‘청

소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활동공간이 많은 편이다’는 2.88로 ‘보통이하’의 평가를

보였다. 이 결과는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아동 놀이공간과 청소년 여가활

동공간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4-22> 아동청소년 활동공간에 대한 인식

4. 지역사회 청소년이용시설에 대한 필요성

지역사회 내에 청소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나 기관에 대한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

는 <표 4-23>에 제시되어 있다.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설은 공

원(산책로, 등산로 포함)으로써 89.3%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다음으로 체육시설(운

동장, 체육관 등)은 88.8%, 공공도서관 82.1%, 문화센터 78%, 청소년상담센터 69.6%,

지역사회복지관 65.7% 순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수련관도 50% 정도가 필요하다고 응답

했지만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낮았다. 청소년 이용시설(기관)에 대한 분석결과를 볼 때,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전문가들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청소년상담

센터, 청소년수련관보다는 본인들이 직접 주체적으로, 개인이 중심되어 이용하거나 활동

할 수 있는 체육시설이나 공원, 공공도서관의 필요성을 더 높게 평가했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않은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그렇다

우리 동네에는 아이들이 놀 수있는 안전한 장소가 많은 편이다

63(8.6)

171(23.4)

314(43.0)

114(15.6)

68(9.3)

우리 동네에는 청소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활동 공간이 많은 편이다

84(11.5)

175(23.9)

288(39.3)

118(16.1)

67(9.2)

Page 9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91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표 4-23> 청소년이용기관(시설)에 대한 필요성

구 분 전체학생 성별 학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

체육시설(공공운동장, 체육관 등) 642(88.8) 313(88.4) 326(89.1) 252(88.4) 196(89.1) 188(88.7)

문화센터(공연장, 전시장 등) 565(78.0) 247(69.6) 316(86.3) 222(77.4) 170(78.0) 168(78.9)

청소년수련관 365(50.3) 178(50.1) 185(50.4) 148(51.6) 118(54.1) 95(44.4)

청소년상담센터 504(69.6) 223(62.8) 279(76.2) 211(73.8) 144(66.1) 145(67.8)

지역사회복지관 474(65.7) 216(61.0) 256(70.1) 197(69.1) 141(65.0) 132(61.7)

공공도서관 589(82.1) 276(78.4) 311(85.9) 242(85.2) 178(82.0) 165(78.6)

공원(산책로, 등산로 등) 637(89.3) 305(86.6) 329(91.9) 248(87.9) 194(90.2) 189(90.0)

<그림 4-9> 청소년이용 시설(기관)의 필요성

Page 9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9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5. 지역사회 청소년이용시설 이용의향

<표 4-24>는 지역사회 청소년 이용시설(기관)에 대한 이용의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청

소년시설 이용의향에 대한 결과는 앞서 제시한 ‘필요성’에 관한 분석결과와 거의 유사하

게 나타났다. 즉,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공원에 대한 이용의향이 89%로 가장 높았고, 다

음으로 체육시설 79.5%, 공공도서관 77.3%, 문화센터 69.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상담센터, 지역사회복지관, 청소년수련관에 대한 이용의향은 50% 미만으로써 상

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청소년상담센터나 지역사회복지관, 청소년수련관에 대한 이용

의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이유는 여러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는데, 청소년들이 이

들 기관의 서비스나 역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특수한 욕구가 있는 청소년들만이 이

들 기관을 이용해야 한다고 인식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은 청소년상담센터나 지역사회

복지관, 청소년수련관에서 교사와 유사한 느낌을 주는 전문가(직원)들을 접촉하고 특정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 보다는 공원이나 체육시설, 공원장 등에서 또래들끼리 직접 어울

리고 부딪히면서 여가시간을 보내고 싶은 욕구가 더 절실할 것으로 고려된다.

<표 4-24> 청소년 이용시설(기관) 이용의향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구 분 전체학생 성별 학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체육시설

(공공운동장, 체육관 등) 520(79.5) 260(82.8) 258(76.6) 296(76.6) 160(81.6) 160(81.6)

문화센터(공연장, 전시장 등) 448(69.8) 188(61.2) 259(78.0) 167(67.6) 135(68.9) 143(74.1)

청소년수련관 269(42.6) 120(39.6) 148(45.5) 104(43.3) 85(44.0) 79(41.1)청소년상담센터 312(48.8) 129(42.6) 182(54.5) 123(50.2) 93(47.4) 95(49.2)지역사회복지관 292(45.8) 131(43.1) 160(48.5) 113(46.3) 92(47.2) 85(44.3)

공공도서관 502(77.3) 226(73.1) 275(81.6) 198(79.2) 149(75.3) 152(77.9)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 580(89.0) 274(87.8) 304(90.2) 221(87.4) 178(89.9) 176(90.3)

Page 9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93

소 결

1.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 및 호감도를 측정하는 6문항의 평균은 2.86에서 3.27로써, 청

소년들이 지역사회에 대해 느끼는 유대감이나 호감도가 보통이상임을 보여준다. 특히 청

소년들은 ‘우리 동네에서 계속 살고 싶다’ 3.27, ‘동네사람들을 만나면 인사를 한다’

3.24로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점수를 보인 반면, ‘우리 동네 사람들 대부분을 알고 있다’

는 2.86, ‘우리 동네사람들은 서로 믿고 지내는 편이다’는 2.89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평

균점수를 나타냈다.

2.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능력

조사대상 청소년의 50% 정도는 지역사회 어른들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이나 폭력상황에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그림 4-10> 청소년 이용시설(기관) 이용의향

Page 9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9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대해 비공식적 통제능력을 갖고 있다고 인식했다. 평균점수에서도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신다면 동네 어른들이 나를 꾸짖을 것이다’는 3.57, ‘우리 동네

에서 내가 다른 아이들에게 폭행을 당하고 있다면 동네 사람들이 말리거나 경찰서에 신고

할 것이다’는 3.46으로써 보통이상의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3. 아동청소년 활동공간에 대한 인식

청소년들의 24.9%는 동네에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안전한 장소가 많은 편이라고 응답했

지만, 32%는 아이들을 위한 안전한 장소가 많지 않다고 응답했다. 또한 25.3%의 청소년

은 동네에 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 공간이 많은 편이라고 했지만 35.4%는 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두 문항의 평균점수 또한 각각 2.94, 2.88

로써, 아동을 위한 놀이공간과 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공간이 많다는 문항에 ‘보통이하’

의 평가를 보였다.

4. 지역사회 청소년이용시설에 대한 필요성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설은 공원(산책로, 등산로 포함)으로써 89.3%였

고, 다음으로 체육시설 88.8%, 공공도서관 82.1%, 문화센터 78%순이었다. 반면 청소년

상담센터와 지역사회복지관, 청소년수련관에 대한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다.

5. 지역사회 청소년이용시설 이용 의향

청소년들은 공원에 대한 이용의향이 8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체육시설 79.5%,

공공도서관 77.3%, 문화센터 69.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상담센터, 지역사회

복지관, 청소년수련관에 대한 이용의향은 50%미만으로써 낮게 나타났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Page 9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95

제­6­절­지역사회­차원의­학교폭력­예방대책­

지역사회 차원에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실시할 수 있는 대책을 묻는 질문에 대해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공간의 확대’가 36%로 가장 비율이 높았다. 다음으로는 ‘청소년 유해환경과 유해매체의 관리’ 23.1%, ‘청소년대상의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17.7%, ‘교육청과 경찰서 등 지역사회 기관들 간에 상호협력 강화’는 13.5% 순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청소년 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주민 모임구성’은 3.9%, 지역사회 주민대상의 인권교육과 민주시민 교육실시’는 2.3%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지역사회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에 대한 분석결과를 볼 때, 청소년들은 지역사회 어른들이 학교폭력예방과 해결을 위한 구체적 활동이나 교육을 실시하는 것보다는 청소년을위한 여가공간 확대와 유해환경과 유해매체관리,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과 같이 지역사회 내에 청소년에게 유익한 성장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학교폭력 예방에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그림 4-11> 지역사회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Page 9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9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표4-25>는 지역사회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에 대한 청소년들의 응답을 성별과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이다. 남녀 청소년들은 동일하게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 여가공간 확대’의 필요성에 대해 가장 높은 응답을 했고, 다음으로 ‘청소년유해환경과 유해매체 관리’, ‘청소년대상의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 순이었다. 또한남녀 청소년의 응답을 비교해 보면,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유해환경과 유해매체관리’에 대한 응답율이 높은 반면, ‘여가공간 확대’와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에 대한욕구는 여자청소년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분포를 보면, 1학년은 ‘여가공간 확대’가 31.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유해환경과 유해매체관리’ 30.4%,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 15.4% 순으로 나타났다.반면, 2학년과 3학년은 ‘여가공간 확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지만, 그 다음으로는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 ‘유해환경과 유해매체 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분포에서 확인되는 것은 2학년과 3학년은 1학년과 비교할 때 ‘여가공간 확대’와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에 대한 비율이 높았고, 1학년은 다른 학년과 비교할 때 학교폭력 예방대책으로 ‘유해환경과 유해매체 관리’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시하고 있었다.

<표 4-25> 성별, 학년별 지역사회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인식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구 분 성별 학년

남자 여자 1학년 2학년 3학년청소년 유해환경과 유해매체를 철저히관리한다

83(24.3)

76(21.7)

83(30.4)

34(16.7)

42(19.9)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공간(시설)을 확대한다

119(34.9)

130(37.1)

86(31.5)

81(39.7)

80(37.9)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과 민주시민 교육을 실시한다

13(3.8)

3(0.9)

5(1.8)

5(2.5)

6(2.8)

청소년대상의 문화, 예술, 체육활동을지원한다

61(17.9)

68(19.4)

42(15.4)

44(21.6)

43(20.4)

학교폭력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주민들의 모임을 구성한다

13(3.8)

14(4.0)

11(4.0)

10(4.9)

6(2.8)

교육청과 경찰서 등 지역사회 기관들간에 상호협력을 강화한다

44(12.9)

50(14.3)

38(13.9)

27(13.2)

28(13.3)

기 타 8(2.3) 9(2.6) 8(2.9) 3(1.5) 6(2.8)합 계 341(100) 350(100) 273(100) 204(100) 211(100)

Page 9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97

소 결

지역사회 차원에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실시할 수 있는 대책으로 청소년들은 ‘청소년

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공간의 확대’를 가장 많이 응답했고(36%), 다음으로 ‘청소년 유해

환경과 유해매체의 관리’ 23.1%, ‘청소년대상의 문화, 예술, 체육활동 지원’ 17.7%,

‘교육청과 경찰서 등 지역사회 기관들 간에 상호협력 강화’는 13.5% 순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청소년 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주민 모임구성’과 지역사회 주민대상의 인권

교육과 민주시민 교육실시’는 상대적으로 응답비율이 낮았다.

제 4 장 설문조사 분석결과

Page 9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9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5­장­­포커스­그룹­인터뷰­분석결과

제 1 절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제 2 절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의 노력제 3 절 지역사회 환경제 4 절 학교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들

Page 10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0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01

학교폭력에 관한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의견과 실질적인 상황을 직접 듣고 학교환경 뿐

만 아니라 청소년 개인과 가정 및 지역사회수준에서 필요한 역할을 모색하고자 두 번의 포

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발견된 개념과 범주들에서

도출된 4개의 주제 -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학교

의 노력, 지역사회 환경, 그리고 학교폭력문제해결을 위한 제안들 –를 중심으로 분석결

과를 서술하고자 한다.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제­1­절­학교폭력에­대한­청소년들의­생각

1. 다양한 학교 폭력 상황

학교폭력이 무엇이고, 어떤 상황을 학교폭력으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학생들은

그동안 예방교육을 통해 배운 학교폭력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물론, 자신들이 생각하는

학교폭력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하였다.

친구 따돌리는 거나 친구를 폭행하는 거, 그 신체적이나 심리적인 건데 심리적,

건 겉으론 괜찮아 보이는데도... 음... 그냥 한사람이 말 안하고 가만히 혼자 놔

두고 그게...

어, 학교 안이나 생활 속에서요. 어, 학생 간에서 발생하는 폭행, 협박, 따돌림으

로 신체적, 언어적, 정서적이고 금전적인 면에 피해를 보는 거

Page 10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0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학생들은 신체적 폭력 상황 이외의 언어적 폭력, 왕따, 갈취, 셔틀 등을 학교폭력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특히 학생들 간의 따돌림의 경우“은근히 왕따 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카카오톡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게임이 학생들 간에 인기를 끌면서 왕따의 대상이

되는 학생을 이러한 활동에서 배제시킨다고 한다. 갈취의 경우 “힘 약한 애들한테 돈 빌려

달라고 하고 돈을 갚지 않는”행위로 규정하였으며, 그 액수가 작을 경우라도 반복될 경우

학교폭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가해 학생들의 강요에 의해 빵이나 담배 등을 대신

사주거나, 각종 심부름을 하는 일을 지칭하는“셔틀(shuttle)”도 학교 안에서 빈번히 발생

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표 5-1).

<표 5-1> 다양한 학교폭력 상황

이러한 학교폭력들은 남학생과 여학생들 사이에서 모두 일어나고 있으나, 남학생들의

경우 셔틀과 신체적 폭력이, 여학생들 사이에서는 따돌림, 은근히 왕따 시키기가 더 빈번

히 발생한다.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듣기 거북한 말

부모님 비하할 때. 좀 심하게 부모님 비하할 때 … [중략] … 어 뭐라 해야지? 니 엄마... (웃음) 어... 창녀다. 장애다. 니 엄마가 그러니까 니도 그렇다. 뭐 그런 거?

그냥 아무생각 없이 뱉었어도 그걸 들은 사람이 기분이 나쁘면 언어폭력이라고 생각해요.

은근히 왕따 시킴

참가자: 여자애들 같은 경우에는 좀 은근히 왕따 시키고...연구자: 은근히 왕따 어떤 식으로 시키지?참가자: 말로.참가자: 학교에서도 ‘모두의 마블’ 같은 거 할 때 빼놓고 하고...

백 원만 백 원만 빌려달라고 그러는데 백 원은 갚는 것도 좀 그렇고, 그렇잖아요. 자기 나름대로 필요하니까 한건데. 계속되니까 그런 느낌...

빵셔틀

작년에 저희 반에 그... 제... 뭐, 일진이라고 하는 애 걔가 있었는데, 뭐 친구들한테돈 주고. 꼭 빵이 아니더라도 매점에 뭐 음료수나 뭐 체육 끝나면 아이스크림을 사오라고 하던가. 좀 나쁜 경우에는 돈을 안주고 사오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뭐 안 사오면때리고. 그래서 그 친구가 징계 받고 그런 일이 있었어요.

Page 10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03

(따돌리기, 왕따가) 있기는 있었어요. 그렇게 안 많아요. 남자애들은 그냥 치고박고 싸우고 끝내고.

여자애들이 더 심해요. … 말로 왕따 시키고 부풀리고. 더 심하게 왕따 시키는 건저희 쪽에서 더 그런 …

2. 가해자와 피해자: 힘이 있다 vs. 힘이 없다

Olweus(1994)는 집단괴롭힘이 피해자와 가해자간의 힘의 불균형 상태에서 이루어지

는 공격적 행동이라고 하였는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에게 “힘”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 학생들은 학교폭력을 행하는 아이들과 피해자가

되는 아이들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쉽게 구분하였다. 아이들에게 “힘”으로 인식되

는 것을 가지고 있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양분되었으며, 여기서 “힘”은 비단 신

체적인 힘과 외모에 대한 학생들 간의 평가뿐만 아니라 “빽”으로 통하는 인맥, 인적파워

를 포함하고 있었다.

1) 잘나가는 아이들, 힘이 있는 아이들

남학생들 사이에서 학교폭력 가해자는 “신체적인 힘”과“싸움을 잘함”은“쎄다”고 인식

되는 경우가 많았다.

남학생들은요. 일단 뭐 잘나간다고 담배 피는 아이들. 담배 피는 아이들 잘나가고. 싸움 잘하면 잘나가고 … [중략] 잘나간다는 게 애들 사이에서 그러니까 일진으로 통하거나 아니면은 좀 그런 분류에 속하는 아이들인데. 뭐, 싸움을 잘해서 그렇게 되고. 뭐 애들끼리 뭐. 그거 뭐 일진 애들끼리 같이 논다 이러면 얘도같이 그 그룹에 속하는 거고 그런 거예요. 남학생들은...

그러니까 … 어 … 쎈 놈한테 맞고 약한 놈한테 풀고, 그 약한 놈은 그 놈한테 날리니까 또 약한 놈한테 풀고 또 약한 놈은 풀고 풀고 하니까. 마지막에 제일 약한놈이 그걸 당하고만 있죠.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0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0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반면에 여학생들의 경우에 “힘”은 신체적인 힘이 아닌 외모와 인맥으로 결정되는 것으

로 얼굴이 예쁜 아이들이 인기가 많고, 힘을 가지고 있다고 분류되며, 이런 힘으로 다른

학생들을 왕따 시키기도 한다.

얼굴 예쁜 아이들은 빽(아는 오빠들)이 … 외모가 이쁘거나, 친구가 많으면 힘이

있어요.

아까 말했듯이 인맥? 인간관계가 넓은 애? 그러니까... 아까 말했듯이 아는 선배

들이 많거나

인간관계가 중심인거 같아요. 누구랑 친하면 그 아이를 그렇게 대하고. 예를 들

어 한 무리에서 논다 하는데 한 애가 인간관계가 조금 인간관계가 넓고 그러면 다

른 애를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싸우면 ...

2) 피해자로 지목되는 아이들: 힘이 없는 아이들, 나대는 아이들

선행연구들은 피해자들은 소시오메트리상에서 낮은 위치를 점하는“거부당하는 아이”의

경향이 높음을 보고하고 있다(Salmivalli et al., 1996). 평소 또래집단 내에서“다르

다”:라고 인식되는 아이들, 특히 외모가 좋지 않다거나 몸이 불편한 아이들은 상대방에게

힘이 없는 아이들로 분류되어 쉽게 피해자로 지목되는, 거부되는 아이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희 반에 키 작은 애가 있는데요. 걔가 그... 성장 판이 닫혀놓으니까. 그래서

키가 안자라는데. 걔랑. 걔 혼자 만화 그리거나 그러거든요. 친구가 없으니까.

똑같이 뭐... 자기가 많이 당하고만 있고 표출을 잘 안하거나... 힘이 없거나 신

체적 장애가 있거나...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0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05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어... 그 보통 학생들에 비에서 신체적인 면으로 봤을 때는 외모가 좀 너무... 딸

리거나 주완: 아니요. 별로인 애들. [중략] 외모로도 애들이 판단하는 경향이 있

거든요

한편 피해를 당하는 이유를 피해자의 탓으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참가자들은 “나대는”

즉, 쓸데없이 나서는 행동 때문이며, 그러한 성향들 때문에 피해자가 되는 이유임을 강조

하였다.

그냥 그... 그 옆에 애들이 어... 나댄다, 나대거나 아니면 좀 마음에 안 드는 행

동하면은

(나대는 아이들은) 좀... 어... 지 잘났다고 막하고 다니거나. 걍 그냥 그런 애들

인 거 같아요.

수업시간에 선생님이나 애들 이야기하는데 갑자기 끼어들어서 딴 이야기를 하거

나… 쓸데없이 나서서…

꼭 안 해도 되는데 쓸데없이 나서가지고 분위기 흩트리는 아이들

3) 그러나 누구나 될 수 있는

학교폭력상황에서 예외는 있다. 즉 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가해자와 피해자가 먼

저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누구든지 학교폭력의 가해자, 피해자가 될 수 있다.

그게 친구끼리 한 대 쳐도 얘가 기분 나쁘면 학교폭력이 되는 거잖아요. 그니까 학교폭

력 범위 보면은요. 뭐 다 학교폭력 가해가 될 수 있으니까. 지금 여기 앉아 있는 이 친구들

보면은 다 학교폭력 가해자가 될 수 있으니까. 왜냐하면은요. 자기도 친구를 한 번 씩은

기분 나쁘게 했을 수가 있잖아요. 그러니까 그 범위에서 봤을 때는 큰 사건이 아니라도 모

Page 10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0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두가 학교폭력 가해자라고 생각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학교폭력 가해자가 무조건 일진이

다 뭐 무조건 잘나가는 학생이다 이렇게 볼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3. 학교폭력상황 발생 시 역할: 방관자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 폭력상황에서 피해자가 되거나 피해자를 주도적으로 괴롭히는

가해자 역할을 담당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Salmivalli와 동료들(1996)이 제시한 것처럼

가해자를 도와주는 조력자, 피해자의 입장을 옹호하는 방어자, 무관심하고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는 방관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먼저, 가해자를 돕는 가해동조 행위는 분위기에 이끌려서이거나, 피해자에 대하여 나쁜

감정이 있었을 때 주로 발생한다고 한다.

그러니까요. 한 학생이 왕따가 되잖아요. 그러면 옆에 애들도요. 같이 얘를 왕따

를 시켜요. 그게 왜냐면 분위기상 얘를 막 말려줄 수가 없어요. 얘 … 얘를 뭔가

생각으로는 얘 이렇게 해주면 이러는데 이러면서. 분위기상 애들이 다 따돌리고

있으니까 나도 같이 따돌리게 되고요. 뭘 이거 하는 거, 지들도 하는데 이런 식으

로...

상황에 따라 다른 것 같아요 … 따가 있으면 저도 약간 악감정 같은 게 있으면 멀

리서 약간 그런 게...

한편, 대부분의 인터뷰 참가 학생들은 학교폭력상황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에게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는 방관자 역할을 한다고 진술하였는데, 방관자의 입장을 취하는 이유는

자신의 도움으로 가해상황이 해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도 함께 피해를 입게 될 것

이 두렵기 때문이다.

그냥 뭐 어차피 가해학생들한테 말해봤자 걔네는 계속 할 건데 말할 가치가 없으

니까 내라도 그렇게 안해야지 생각하고...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0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07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자기도 왕따 당할 거 같으니까 못 도와주는 경우도 대부분인데....[중략] 왕따가말을 걸면 그렇게 달갑지는 않아요.

아무래도 분위기가 시선 같은 거에 신경을 많이 쓰니까...

같이 왕따 당하잖아요.

4. 학교폭력 발생의 이유: 청소년이니까

참여자들은 학교폭력이 일어나는 이유를 다양한 체계와 상황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일어

나기 보다는 개인적인 수준, 즉 사춘기를 경험하고 있는 자신들의 상황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정서적으로는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예민해지며, 인지적으로는 자기중심적인 사

고를 하게 되며, 경험해보지 않은 다른 사람과 상황에 대해 이해하는 법을 배우는 청소년

기의 특성(홍봉선, 2009)을 학생들 스스로도 인지하고 있다.

1) 너와 내가 다름

또래와의 유대가 극대화 되는 시기를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은 자신과 타인이 “다르기

때문에” 이로 인해 갈등을 빚게 되는 상황이 발생함을 이해하고 있다.

사람마다 다르니까... 사람마다 다르니까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중략] 어...성격? 가치관 등등이 다르니까... 같은 그런 게 없으니까...

음... 그냥 좀 안 맞는 게 다른 사람하고 있어도 그런 걸 양보해가면서 좀 신뢰를쌓아 가는 게 인간관계라고 생각하는데... 그걸 잘 조절하지 못하면... 좀 틀어지고 그러면 거기서 시작되는 거 같아요. 아니면 거기 분위기에 동조되어서 별로그런 감정이 없다가도 동조되면...

어... 사람마다 가치가... 행동패턴이 다 다른데 그것을 일치시키기가 힘들기 때문에... 그렇죠...

Page 10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0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2) 자기중심적: 크면 별로 안 그러잖아요.

사춘기를 경험하는 자신들은 초등학교 시절에 비해 자기주장이 강해졌으나, 갈등을 유

발하지 않고 자기주장을 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참여자들은 자신들보다 성

숙한 집단으로 대학생을 들었으며, 자신들은 이들과는 달리 아직은 타인과 타협하는 법을

잘 모르며 갈등을 외면적으로 표출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너무 자기중심적이어서 … [중략] 다 같이 한 일을 처리해야 되면 너무 자기위주

로 끌고 가려고 하고 의견이 다른 의견이 나와도 내 의견만 딱 고집해가지고 그렇

게 하려고 하고...

그러니까. [초등학교 때에는] 나이가 어리면 뭣도 모르고... 그러니까 나중에...

성장하니까 삶이 딱 바뀌고 지 생각도 있어지고 하니까 자기주장 펼치고 싶어 하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0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09

제­2­절­학교폭력문제해결을­위한­학교의­노력

1. 학교폭력예방교육: 소귀에 경 읽기

학교에서 제공되는 학교예방교육은 그 제공형식 – 전체 방송을 통한 교육, 특강 강사들

에 의한 반별 진행 교육 – 에 상관없이 효과가 없다고 참가자들은 같은 목소리를 내었다.

학생들은 반복되는 교육에 식상함을 느꼈으며, 특히 전체 방송을 통한 교실교육이 제공되

는 시간은 어느새 학생들에게는 잠을 자거나 노는 시간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안돼요. 문제가 있는 걸 예방해주는 것도 아니고. 말로

소귀에 경 읽기라고 하잖아요... 그냥 아무...아무... 도움도 없는데...

그 내용도 우선 지키기가 이론상으로는 아는 내용일 거라고 생각하는데. 솔직히

그걸 알지만 실천을 못하는 거잖아요. 학교 폭력이 안 좋은 건데 이렇게 아무리

말해봤자 실천이 안되니까.

1) 유치한 동영상

참가자들은 학교폭력예방교육으로 제공되는 동영상들이 자신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음

을 강조하였다. 다른 영상물이라도 항상 비슷한 내용과 같은 결론에 식상하다는 불만을

토로하였다.

정말로 재미없거든요. [중략] 아니. 그냥 학생의 관점에서 봤을 때. 진짜 유치

하고 재미없고... 극단적으로 말해서 끄고 싶은데. 그... [중략] 그게 내용은 참

좋아요. 안에 그걸 보면 다 내용은 맞는데. 그게 학생들이 보는 눈높이랑 다르잖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1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1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아요. 너무 유아틱하게 만들어가지고.

아직 어린 애 인줄 알아요. [중략] 초딩인 줄 알어. 초딩!

2) 그래도 얻는 부분: 5% 이하의 효과

학교폭력예방교육의 효과에 대해서 학생들의 평가는 인색하였다. “효과가 전혀 없다”부

터 5% 정도 효과가 있다는 다양한 응답들이 있었으며, 참가자들이 부여한 숫자에는 자신

들이 미미한 정도임을 강조하지만 실은 교육을 통해 얻는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냥 학교에서 학교폭력, 학교폭력 하니까 그 단어 자체가 머릿속에 심어지는 그

런 효과가...

(학교폭력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알 수 있어요.

놀면서 계속 TV를... TV가 돌아가니까.. TV를 한번 씩 보니까 재미있는 게 있

으면 계속 쭉보고... 그러면서 (알게 되는 것이 있어요)

자다 계속 들으면 동영상은 켜져 있으니까 살짝은 보게 되니까.

3) 대안들

학생들은 효과가 없는 예방교육들 대신에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형식과 내용에 대

한 제안도 서슴지 않았다.

좀... 임펙트있게. 음... 그냥 말 들어주고. 그러니까 제 생각으로는 활동 같은

거. 같이 어울리면서요. 저 혼자 말하면 재미없을 거 같고.

그냥 학생들 눈높이에 맞춰서요. 뭐. 그런 거 있잖아요. 뭐. 꼭 그 학교에서 광고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1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11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를 안 하더라도 요즘 다 스마트폰 있고, TV있고, 컴퓨터 있는데 그런데다가 광고

형식으로 올려도 괜찮을 거 같고요 … [중략] 뭐 또 학교에서 보여주는 영상 보는

거 보다 선생님들께서 자주자주 말씀해 주시는 게 더 기억에 남는단 말이에요.

[중략] 그래서 차라리 그. 영상은 그. 그. 선생님 말씀에 자료로 생각을 해야지 그

거를 중심으로 교육을 한다는 건 좀 잘못됐다고 생각해요.

학교폭력을 상담 프로그램 같은 걸로 하는 게 오히려 더 효과 있을 거 같아요.

한편, 또래를 활용한 예방과 문제해결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 다양한 또래활동 프로그램

의 개발 및 보급 필요성을 재차 확인 할 수 있었다.

또래가 제일 나은 거 같은데요. 선생님들이 말하면 더 이해 안 되고.

2. 학교와 교사의 역할

학생들은 학교라는 장에서 학생들 간에 일어나는 학교폭력 문제에 대해서 선생님의 역

할이 반드시 필요하며, 선생님으로서의 “힘”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1) 잘 모르거나 방관함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의 무관심과 방임은 학교차원에서의 학교폭력 발생의 위험요인으

로 알려져 있다(박효정, 2007). 학생들 사이에 일어나는 학교폭력 상황에 대해 학생들은

CCTV로 확인되는 신체적 폭력 상황을 제외하고는 선생님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

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여자 아이들은 은근히 왕따를 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표가 안나요.

그러니까 선생님이 쉬는 시간 되면 나가고 나니까. 좀... 선생님 관리가 허술할

때...

Page 11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1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반면 선생님들이 학교폭력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라도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

하기보다는 방관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꼭 쉬는 시간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가장 친한 친구나 그런 거 보면은 누가 인기가 있다

없다 정도는 알 수 있으니까. 그 완전 모르는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솔직히 선생님들이요. 방관하는 선생님들이 대부분이에요. [중략] 그러니까 방관. 그러

니까 친구들끼리 싸우면 처벌을 해야 하는데 처벌을 안 하고요. 그냥 너희들끼리 알아서 화

해하고 해라. 화해하는 그런 걸 만들어주고 끝낸단 말이에요. 선생님들 대부분이 그래요.

2) 겁내는 쌤의 역할과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기대함

참가자들은 교사의 권위가 필요하고,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엄격한 교사

를 학생들이 선호하지는 않지만 그들이 학교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음... 좀 애들이 겁내는 쌤들 좀... 많이 활동 해주었으면...

겁내는 쌤이 그러니까 구체적으로 학교폭력을 하면 니들이 뒤진다. 선전포고를

먼저 하면서 아예 그러면 방지를 하거나 아니면 완전 그런 식으로 만들면 아예 없

어질 수도 있을 거 같아요.

김은영(2008)의 연구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할수록 또래간의 폭력이 감

소함을 밝힌 것처럼, 학생들은 교사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을 기대하였으며, 그러한

교사의 역할이 학교폭력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선생님이 아이들 하나하나에 관심을 갖고 언제든지 어...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

는 자세가 되어있으면...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1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13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선생님 그... SNS 같은 거... 지금은 그런 걸로 많이 톡하고 그러니까 그런 걸로

조금 더 학생들이랑 조금 더 가까워져가지고 심각한 문제도 알고 그렇게 했으

면... 관심을 가졌으면...

어... 그 간단한 문제의 경우에서는 그 친구들끼리 해결하는 게 가장 좋다고 생각

하고. 하지만 뭐... 뭐. 친구가 아예 없는 왕따 학생이나 그런 거에 관해서는 친

구들한테 도움을 못 받을 수도 있으니까 그 때는 선생님들이 이렇게 해주는 게...

3) 학교폭력처리방법에 대한 의견: 선생님 선에서 해결했으면

현행 학교폭력처리과정에 대한 불만도 토로하였다. 학교폭력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기

존의 학교폭력처리과정에 따른 징계 중심의 해결보다는, 교사가 재량권을 발휘하여 중재

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문제 해결 및 또래관계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선생님 선에서 해결하면 충분히 그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란 말이에요. 너

무 심각한 폭력이 아니니까. 그러니까 그런 면에서는 계속 선생님이 그렇게 해놓

고 그 학생들을 관찰하고 그러다 보면 그 학생들은. 남자 아이들은 그렇게 솔직

히 뒤 끝이 큰 애들이 없어요. 그래서 결국엔 다시 뭐. 어떻게 되라고 그러면 다

시 친해진단 말이에요. 어떻게 방법이 되던 간에. 그래서 괜찮은데... 그 징계를

넘기고 걔들끼리 막 그렇게 하다보면 오히려 더 멀어져요.

Page 11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1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3­절­지역사회­환경

지역사회는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경이다. 사회자본

(social capital)으로서의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참가자들의 인식과, 지역사회내 청소년

을 위한 자원인 여가공간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의 구조적 특징 등에 대한 청소년들의 의

견을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1. 우리 동네에 대한 인식: 살만한 곳 vs. 덜 멋진 곳

참가자들은 자신이 현재 살고 있는 거주 지역을 토대로 연제구가 살만한 곳으로 인식하

였는데, 근린공원이 많아 운동할 공간이 비교적 많고, 부산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에

편리한 곳에 위치하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 위치적으로는 좋잖아요. 제일 가운데 있으니까 북쪽으로 가거나 남쪽으로 가

거나 거의 다 비슷한 거리에 있잖아요. 그게 가장 좋은 거...

(좋아요) 나무가 많으니까...

[사전질문지 응답] 편의시설도 잘 갖추어지고, 교통도 좋아 만족한다

반면, 인근의 해운대구(예: 센텀시티)와 비교하여 연제구는 덜 발달된 동네로 인식하고

있어 자신의 거주 지역에 대해 불만을 가지게 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음... 어... 다른 발달... 해운대구같이 발달된 동네보다 조금 거기 갔다가 우리

동네로 오면 시골 같은 느낌이 들고 그래서 이사를 가고 싶기도...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1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15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센텀시티에서는) 영화 볼 수도 있고 놀 수도 있고 왔다갔다 거리면서 시간 때우

고. 뭐. 뭐, 거기 엄청나게 상점도 많고 또 주위에 뭐 많고 하니까... 그런. 계속

그런데 가게 되죠. 갈 데마다 다르니까. 보는 게

2. 여가환경: 갈 데가 없어요. 연제구를 떠나요

참가자들은 친구들과 여가시간을 집근처 PC방, 인근운동장, 노래방, 커피전문점에서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쇼핑, 영화관람 등의 좀 더 즐겁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서는

“동네”가 아닌 “시내”- 해운대, 서면, 남포동, 광안리 – 로 불리는 중심지로 나갈 수밖

에 없으며, 연제구 내에 그러한 공간이 없음에 목소리를 높였다.

그냥 처음에 동네에서 만나서 시내로 나가서 놀아요.

애초부터 밖(연제구 밖으로)으로 나가요.

연산로터리도요... 저희는 못가잖아요.

맨날... 맨날 돌아다니다 보니까 심심해서 죽을 거 같고... 놀데도 없고...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싶은데 너무 놀데가 없어요.

3. 청소년에게 필요한 공간과 접근성

참가자들은 여가공간의 부족과 아울러 우리 동네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공간으로 축구를

할 수 있는 잔디구장, 큰 서점, 도서관 등을 꼽았다. 또한 기존에 있는 관내 도서관의 환

경 개선을 요구하는 의견도 있었다.

이게... 도서관이요. 제가 방학 때는 거의 매일 갔거든요. 근데 가면요. 도서관

이 일단 뭐. 일단. 전기 아껴야 하니까 그런지도 모르겠는데 일단 더워요. 덥고

Page 11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1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좁고 사람 많고 냄새나고 더. 좀. 화장실 같은데 좀. 더럽고. 일단 제가 간 연산

도서관은 그래요. 너무 시설이 오래되고 건물도 3층밖에 안돼서 자료도 많이 없

어요. 도서관은. 제가 뭐 이에 대해서 읽고 싶은 책이 있는데 가면 없어요. 그렇

고. 그래서. 사람들이 도서관을 잘 안가는 편이에요

청소년들이 여가생활과 체험활동을 즐기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시설들 가운데 접근성

이 좋지 않아 이용을 꺼리는 곳으로 배산에 위치한 과학관을 들었다. 시내버스나 지하철

만으로 접근이 어렵고 마을버스를 타야 하거나 교통시설과 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한 시

설의 경우 “있어도 찾지 않는”, “가기 싫은” 곳이 된다고 보고하여, 청소년 이용시설의 접

근성 증진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1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17

제­4­절­학교폭력문제­해결을­위한­제안들

1. 어른들의 노력과 관심: 필요함 vs. 도움 안 됨

학교폭력을 비롯한 다양한 청소년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관심이 도움이 된다는 의견들과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공존하였다. 성인들의 역

할에 기대를 하는 청소년들은 부모님과의 대화의 시간, 청소년 문제에 대한 어른들의 인

식 전환 등을 요구하였다.

아예 없어질 거는 잘 모르겠는데... 조금 도움 된다고 생각하는 건 어... 이제 그

때 대구에 막 그 중학생 문서 그런 게 뉴스에 나오고 그럴 때 엄마랑 저랑 생각차

이가 느낀 게 뭐냐면 엄마께서 그 걸보시고 하시는 이야기가 ‘한심하게 왜 자살

을 하냐고 걍 지가 열심히 공부해서 나중에 보고 하면 될 것을 왜 한심하게 지금

자기 목숨을 저렇게 버리냐’라고 이야기를 하셨는데 저는 거기에 대해서 좀 그랬

던 거는 ‘애가 얼마나 힘들면 했겠냐’ 저는 이런데 엄마는 한심하다 이렇게 하시

니까 좀 의견충돌이 있어서... 네... 걍 좀 얘기를 했으면 좋겠어요. 걍 부모님들

하고 이야기를 했으면 좋겠어요.

그냥 인식으로 어른들이 대수롭지 않으면은... 대수롭게 넘기잖아요. 그냥 사회

적으로 학교폭력 당한다고 부모님께 말해도 그냥 참아라 이런 식으로 말하는 부

모님도 있고 부모님들 그런 인식들이 좀 바뀌어야 될 텐데. 어른들 때랑 지금 다

르잖아요. 더 더 심해지고 그러니까 좀 그런걸 알아야 될 거 같아요.

한편 학교폭력에 대한 과도한 사회적 관심이 학교폭력근절에 절대적인 해법은 되지 않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1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1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참가자들도 있었다. 학교폭력은 학교라는 장에서 일

어나는 하나의 집단과정(group process)으로 어느 정도는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

다. 이는 앞서 언급한 학교폭력발생의 이유가 청소년기의 또래 문화, 청소년기라는 발달

시기가 가지는 특성과도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그거를... 그거를 TV든 인터넷이든 어른들끼리 떠들더라도 아이들이 안 바뀔 거

예요. [중략] 아무리 떠들어봤자 애들은 애들이고 어차피 친구들끼리 싸우는 거

는 당연한 거잖아요. 근데 어른들끼리 그거를 막는다고 해서 그게 막아질게 아니

잖아요 … [중략] 그러니까요. 친구들끼리 어느 정도는 다툴 수는 있잖아요. 너무

심하면은 안되지만...

2. 가해자 및 피해자 프로그램

학교폭력상황이 발생되어 가해자와 피해자가 밝혀졌을 때 이들에 대한 개입프로그램에

대해 참가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피해자의 경우 치료를 통해 자신을 학교폭력의 피해자로

전락하게 한 문제점에 대한 수정과 아울러 학교폭력으로 인해 받은 상처 치유가 필요하다

는 하였다. 이는 앞서 참가자들이 보고한 ‘피해자로 지목되는 학생들의 특성’과 연결된다.

음. 아이들이 이제 그... 자신... 그. 자신이 따돌림을 받는 이유를 알고 수정을

해야지 그거를 알아야지 더 이상 악화되지 않으니까...

근데 피해자 같은 경우에는 자기가. 자신한테 약간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고 그

다음에 또. 아니면 별 문제는 없지만 분위기가 그렇게 몰아 갈 때가 있으니까...

피해자마다 조금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해요.

한편, 참가자들은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이 화해하고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

을 강조하였다. 이는 처벌위주의 학교폭력 대책이 아닌 가해자와 피해자간의 자발적인 참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1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19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여와 화해를 통해 피해자에게 입힌 손상을 회복하게 하고, 범죄행위(여기서는 학교폭력)

로 깨어진 관계의 회복을 중시하는 회복적 사법(restorative justice)과 맥락을 같이한다

(박상식, 2013).

가해자는 다른 학교 보내고 피해자는 보호시키고 이렇게 하는데 제 생각에는 그

건 좀 틀린 거 같아요. 가해자랑 피해자랑 문제가 생기면 둘이 같이 어울리게 해

줘야 돼요.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줘야 하는데. 무조건 떼어 놓으려

고만 하니까. 거기서, 거기서 좀 더 안 좋은 효과를 내는 거 같아요.

소 결

1.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1) 직접적인 형태의 괴롭힘(대면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과

간접적인 형태의 또래 괴롭힘(은근히 왕따 시키기, 사이버 따돌림 등)이 모두 이루어

지고 있다.

2) 가해자 피해자간의 힘의 불균형이 존재함. 참가자들이 “힘”으로 인식하는 것은 외

모, 인맥, 신체적 힘 등이며, 일반적으로 힘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이 가해

자 집단과 피해자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학교폭력은 하나의 집단 과정이므

로, 상황에 따라 누구든지 가해자와 피해자가 될 수 있다

3) 학교폭력발생시 방관자 역할을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자신의 도움으로 문제상

황이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무력감과 자신도 피해를 입게 될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인 경우가 많다.

4) 자기중심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청소년기의 특성상 또래와의 갈등상황이 발생

하는데, 학교폭력은 이를 잘 해결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Page 12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2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2.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학교의 노력

1) 학교에서 제공되는 학교예방교육은 그 제공형식에 상관없이 효과가 없으며, 교육시

간과 프로그램은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예방교육의 효과가 5% 이하라고 평가하

고 있다. 동영상 교육의 내용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다시 제작될 필요가 있으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실천할 수 있는) 교육에 대한 욕구를 표출하였다. 또한 기존

의 동영상 활용 교육보다는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강조

하였다. 가령 또래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나 상담 프로그램, 학교폭력에 대한 이

론적인 내용 전달에 그치지 않고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2) 학생들은 교사들이 학교폭력상황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고 있다고 하

더라도 방관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하였다. 학생들은 교사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

(예: SNS 활용)과 개입을 기대하였으며, 그러한 교사의 역할이 학교폭력문제 해결

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교사가 허용적인 태도를 갖기 보다는 “힘”(권위)

을 가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학교폭력이 발생한 경우 징계보다는 교사가 재량

권을 행사하여 개입하기를 원하고 있다.

3. 지역사회 환경

1)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에 대한 자부심, 공동체 의식과 관련이 있다. 참가

자들은 연제구가 대체로 살만한 곳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인근 구인 해운대구에

비해 높은 건물, 쇼핑센터와 여가 시설 등의 부족으로 낙후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2) 여가공간에 대한 인식: 즐거운 생활을 위한 중심지가 연제구에는 부재하다고 생각하

고, 대표적인 중심지인 연산로타리의 경우 청소년들에게 부적합한 장소로 인식하고

있다. 새로운 경험과 활동에 대한 욕구를 표출하였다.

3) 기존의 청소년 이용 가능 시설이 가고 싶은 곳이 될 수 있도록 환경 개선 및 접근성

증진 필요하다.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Page 12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21

제 5 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4.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제안들

1) 청소년들은 부모님과의 대화의 시간, 청소년 문제에 대한 어른들의 인식 전환 등을

요구하였다.

2) 학교폭력가해자 및 피해자에 대한 개입방법으로, 피해자의 경우 치료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무조건적인 가해자와 피해자 분리는 해법이 아니며 가해자 피해자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

해서는 기존의 처벌 위주의 학교폭력 근절 대책보다는 피해자-가해자 중재 프로그

램과 같은 회복적 사법(restorative justice)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age 12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2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6­장­­결론­및­제언참고문헌부록

Page 12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2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25

본 조사연구는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예방과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가정 및 또

래관계, 학교환경, 지역사회수준에서 필요한 개입 방안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

해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이 장에서는 학교

폭력범위와 학교폭력 역할유형을 논의하고, 가족환경, 또래집단, 학교환경 및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역할과 보호요인에 대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대

책과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조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월드비전 연

제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과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학교폭력범위와 학교폭력 역할유형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과 경험, 기존 예방교육에 대한 의견, 학교폭력 상황에

서의 역할유형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예방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점

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과 SNS 환경의 변화로 학교폭력 및 유해환경의 범위가 다양화되고 있는

현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개선과 교육을 위한 방안마련이 시급하다. 현

재 학교폭력은 교실 안이나 학교주변에서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체적·언어적 폭

력상황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 폭력과 괴롭힘이 빠르게 확산되

고 있다. 이는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 바 있다. 즉,

스마트폰이나 SNS를 통한 와이파이셔틀, 카톡방에 욕설하기, 카톡방 왕따와 무시하기

등의 행동이 증가됨으로써 스마트폰이나 SNS가 언어적, 정신적 폭력을 ‘손쉽게, 지속적

으로’ 가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과 환경이 되고 있다. 와이파이셔틀은 신종 ‘갈취행위’이

며 카톡방 욕설과 왕따는 신종 ‘집단따돌림’ 임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은 이런 유형의

괴롭힘을 폭력으로 규정하고 그 심각성을 인식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SNS

외에도, 가해청소년들은 다른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을 통한 폭력성·선정성 게임과 음

란사이트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들을 통해

우리사회의 디지털환경의 급변이 청소년 문화와 학교폭력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

제 6 장 결론 및 제언

Page 12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2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와 지역사회차원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마

트폰이나 SNS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교육을 확대하고 신종 학교폭력의 폐해와 유해 인터

넷매체의 심각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 및 예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제공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현실적인 점검

이필요하다.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은 기존에 학교에서 실시되었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

램이 중학생의 연령에 맞지 않게 내용구성이 유치하고, 학교방송이나 동영상을 통해 일괄

적으로 늘 동일한 ‘옳은 얘기’만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동기부여가 전혀 되지 않

는다고 지적했다. 특히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청소년들 대부분은 이러한 기존 예

방교육의 효과를 5% 이하로 평가했다. 또한 청소년들은 향후 예방교육을 위해서는 동영

상이나 방송을 통한 강의식 교육보다는 청소년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집단 활동

프로그램이나 또래집단을 활용한 예방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실시가 보다 효과적일 것

이라고 제안했다.

셋째, 학교폭력 가해·피해유형의 중복화와 일반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가해·

피해청소년에 대한 기존 개입방법의 재고와 개선이 필요하다. 전국적인 학교폭력 조사결

과와 마찬가지로, 연제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에서도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

유형의 상관성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가해 및 피해청소년의 특성이 유사하고, 특

정한 폭력집단이 가해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누구든 상황에 따라 가해자 혹은 피해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의 계속적인 악순

환 현상을 방지하지하기 위해서는 지금과 같이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해서 실시하는 엄

중처벌과 보호위주의 대책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가해자와 피해자를 함께 중재하고 통합

할 수 있는 중재적ㆍ회복적(restorative) 개입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즉 가해

및 피해청소년들이 치료집단에 함께 참석해서 서로의 경험과 상처를 공감하고 능동적으

로 관계회복을 위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가해청소년의 경우

단순히 처벌조치만 하는 것이 아니라 피해청소년과 마찬가지로 마음속에 숨겨져 있는 가

해이유와 과거 피해경험 등을 다룰 수 있는 심리상담이 기본적으로 병행되어야 하겠다.

제 6 장 결론 및 제언

Page 12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27

제 6 장 결론 및 제언

넷째, 학교폭력상황은 가해자와 피해자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방관자와 동조자가 함

께 관여되어 있는 집단과정이므로, 방관자와 동조자의 감정과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개입

전략과 인성교육이 요구된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다수의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상황에서 방관자와 가해동조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관자와 동조자 유형의 청

소년들은 폭력상황에 대해 무관심과 무력감 및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학교폭력 상황을

목격하고도 방관하거나 동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더 중요한 문제는 청소년들의

그러한 무관심과 방관적 태도가 폭력상황을 암묵적으로 지속화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점이

다. 따라서 방관자와 가해자동조 유형 청소년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피해자 방어

형’ 역할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 인성교육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본 조사

연구는 피해자 방어형 청소년의 경우, 공감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다른 유형보다 유의미하

게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능력 및 자기효능감 증진 훈련이 학교폭력

예방과 관련된 인성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뒷받침해주는 것이다.

2. 가족환경, 또래집단, 학교환경 수준에서의 역할과 보호요인

청소년의 가족환경, 또래집단, 학교환경 수준에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역할과 보호요

인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역할과 관련해서, 부모가 청소년자녀와의 친밀한 유대관계와 상호적 의사

소통을 통해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해·피해청소년

들은 모두 부모와의 유대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부모의 과잉보호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각하며, 가정폭력이나 학대 경험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학교폭력이나

청소년문제에 대한 부모님들의 관점이 자신들과 매우 다르다고 응답했고, 부모님들이 자

신들의 마음과 상황을 이해해주고 수용해주기를 기대했다. 가정환경과 부모의 태도가 자

녀의 성장에 가장 핵심적인 토대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서도 부

모와 가정의 역할은 가장 기본적인 보호요인이 될 수 있다. 부모와의 관계문제와 가정 내

에서의 폭력경험, 부모의 과잉보호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과 또래관계 특성에 그대로 반

영된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긍정적으로 적응하고 건강한 또래관계를 유지하

Page 12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2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자녀와의 친밀한 관계유지를 통해 청소년자녀의 문화와 고민을

인식하고, 자녀에 대한 통제와 자율성 제공을 균형 있게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또래환경 차원에서의 개입 방안을 정리하면, 청소년들에게

또래집단에서 의사소통과 갈등해결방식, 자기주장 등의 사회적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해야 한다. 청소년들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이유를 사

춘기라는 특성 때문에 또래들 사이에 자기중심적인 경향이 강하며, 서로 갈등이 있을 때

자신의 감정을 잘 통제하지 못하고 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능력이 미숙하다는 점을 지적했

다. 또한 설문조사결과에서도, 학교폭력 가해청소년들은 또래집단에 동조해야한다는 압

박감을 상대적으로 많이 느끼고 있었고, 친구들과 갈등이 있을 때 대화보다는 욕이나 폭

언, 신체공격과 같은 폭력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고려한다면, 청소년들이 또래관계에서 경험하는 갈등과 또래집단 압력을 적

절히 해결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의사소통방식과 자기주장 기술 등을 배우고

훈련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차원의 역할로써 청소년들은 교사들의 적극적 역할과

관심, 권위 회복, 재량권과 중재자 역할에 대한 욕구를 나타냈다. 청소년들은 교사들이

학교폭력 발생 직후에는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하지만, 가시화되지 않은 따돌림문제나

왕따 문제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고 방관적 태도를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한 담임교사가 조

금만 관심을 가지면 학급에서 일어나는 지속적인 괴롭힘이나 따돌림 문제를 알 수 있음에

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무관심하고 방치하는 경향이 많다고 지적했다. 특히 피해학생들은

교사들의 방관적 태도를 상대적으로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반면, 청소년들은 허용적

이고 기준이 없는 교사보다는 ‘엄격한 권위’가 있는 교사가 학교폭력 상황을 적절히 대처

하고 예방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또한 학교폭력 처리방식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이

기존의 징계중심의 해결방식을 그대로 따르기 보다는 재량권을 가지고 피해학생과 가해

학생의 관계에서 중재자 역할을 발휘해 주기를 기대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교사들은 청

소년들의 학급생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모니터링을 통해 학교폭력의 조기예방에 기

제 6 장 결론 및 제언

Page 12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29

제 6 장 결론 및 제언

여할 수 있고, 학교폭력 처리과정에서는 처벌과 보호의 역할보다는 청소년들의 관계회복

에 보다 초점을 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3.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역할과 보호요인

연제구 지역 청소년의 학교폭력예방과 대처를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역할과 보호요인을

사회적 자원과 물리적 자원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을 사회적 자원 측면에서 살펴보면, 기본적

으로 지역사회 주민들 간의 유대감 형성과 청소년 행동에 대한 비공식적 통제능력이 강화

되어야 한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지역사회에 대해 느끼는 유대감 수준이 높고 청소년들

의 일탈행동이나 폭력상황에 대한 주변 이웃들의 관심과 통제능력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

가하는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상황에서 피해학생들을 적극적으로 방어해주고 도와주는 역

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청소년들이 거주 지역에 대해 느끼는 친밀과 안전에

대한 인식이 또래관계에서의 긍정적 역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지역사회유대와 비공식적 통제능력에 대한 평가는 개인과 가족이 지역사회

에서 형성하고 있는 사회자본의 정도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사회자본

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청소년이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에서 정서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주요한 보호기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성

장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마련을 위해서는 연제구 지역 주민들 간의 유대관계를 긴

밀히 하고 비공식적 통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차원에서의 역할을 물리적 자원 측면에서 정리하면, 청소년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청소년 여가공간 및 문화활동 공간의 확대와 유해환경에 대한 관리가 우선적

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청소년들은 지역사회 차원에서 학교폭력 예방대책으로 청소년을

위한 여가공간 확대와 유해환경과 유해매체의 관리, 청소년 문화, 예술, 체육활동의 지원

에 대한 욕구를 제시했다. 청소년들은 대체로 연제구가 살만한 곳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

나,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시설이나 쇼핑센터가 부족하고 인근 지역구에 비해서 건물

Page 13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3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이나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많이 낙후되어 있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연제구의 상권

이 집중되어 있는 연산로타리 주변에는 청소년에게 유해한 환경이 많다는 점을 지적하면

서, 또래들과 어울려서 흥미 있는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해서는 연제구를 떠날 수밖에 없

다고 응답했다. 또한 청소년 이용시설로써 연제구 내에 공원, 체육시설, 공공도서관, 문

화센터의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는데, 이들 시설들은 청소년들이 자율적으로 편

하게 접근할 수 있고 신체활동이나 문화활동을 쉽게 즐길 수 있는 공간들이다.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선구적 역할을 하는 노르웨이의 경우,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활동에 단순히

교육보다는 스포츠, 문화, 예술 활동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활용한다(박효정,

2012). 이런 점에서 볼 때, 지역사회 수준에서 여가공간 확대와 스포츠 및 문화 활동에 대

한 연제구 청소년의 욕구를 보다 신중하게 검토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

어야 한다.

4. 연제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과 향후 과제

이상의 논의와 제언을 바탕으로,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고 학교

폭력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과 향후과제를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청소년의 적응과 가족생활의 중요한 보호기제로 확인된 지역사회 사회자본,

즉 지역사회유대와 비공식적 통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해야한다. 지역사

회유대와 지역의 비공식적 통제능력은 상호 밀접히 연결된 것으로써, 연제구 지역 주민들

이 주체적으로 청소년문제를 해결하고 감독할 수 있는 능력인 집단효능감(collective ef-

ficacy)을 갖기 위해서는 지역주민간의 유대와 결속관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연제구 지역을 청소년성장에 유익한 청소년 친화적인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해서

는 청소년 여가공간 확대와 스포츠 및 문화활동 지원, 유해환경관리가 필요하므로, 지자

체 및 지역의 청소년 유관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러한 과제를 현실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제 6 장 결론 및 제언

Page 13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31

제 6 장 결론 및 제언

셋째, 본 조사결과는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청소년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집단활동

과 또래집단을 활용한 예방교육, 가해청소년과 피해청소년을 중재할 수 있는 회복적

(restorative) 개입방법, 공감능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또래집단에서의

긍정적 갈등해결방식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연제종합사회복지관은 이러한 개입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점검하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가능한 역할과 자원을 점검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디지털 환경의 급변으로 학교폭력을 비롯한 청소년 일탈행동 뿐만 아니라 청소년

문화 자체가 다변화 되고 있다. 연제구지역사회복지관은 이러한 환경에서 청소년자녀 양

육과 관련된 부모들의 문제를 예측하고, 가정의 역할과 부모의 인식개선을 지원할 수 있

는 다양한 부모참여 및 교육 프로그램과 개입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2013년 본 조사연구의 대상은 연제구 지역 청소년들로 국한되어 있다. 연

제종합사회복지관이 지역 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예방과 건전한 성장을 지원하는데 핵심

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향후 부모, 교사,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

각적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다차원적인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Page 13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3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참고문헌

가상준·김강민·임재형 (2013). SNS 사용문화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및 사이버폭력에미치는 영향. 분쟁해결연구, 11(1), 159-208.

강영혜·이미라·박성호 (2012). 학교폭력 조사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곽현근 유현숙 (2005).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의 영향요인과 집합적 효능감: 충북 청원

군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1), 347-376.교육과학기술부 (2012). 2012년 제2차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http://www.mest.go.kr.김규태 (2013).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학교폭력 실태와 원인에 대한 학생, 학부모 및 교원

의 인식차이. 중등교육연구, 61(1), 29-57.김미영 (2007). 학교체계가 중학생의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8(2),

287-314.김영미 (2010). 이웃환경과 청소년의 가족환경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의 관계. 정신보

건과 사회사업, 36, 232-262.김은영 (2008).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학,

26, 87-111.김현주 (2003). 집단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 유형화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5, 103-

118.박상식 (2013). 소년범죄와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회복적 사법의 도입에 관한 연구. 법학

연구, 21(2), 211-241.박효정 (2012). 노르웨이의 학교폭력 실태와 대책, 그리고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한국교

육개발원. 법제처 (2013).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서미정 (2008). 방관자의 집단특성에 따른 또래괴롭힘 참여 역할 행동. 아동학회지,

29(5), 79-96.손경원 (2008).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사회규범적 접근. 도덕윤리과교육, 26, 101-124.신나민 (2012). 청소년 또래괴롭힘의 참여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공감 구인을 중

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25-45.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Page 13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33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엄명용·송민경 (2011). 학교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유형과 학교폭력 참여 역할유형.한국사회복지학, 63(1), 241-266.

오민식 (2012). 중학생 또래관계에서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승환 (2007). 청소년의 집단괴롭힘 관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5, 74-98.

윤성우, 이영호 (2007). 집단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지지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 271-292.

윤철경, 강명숙 (2012). 학교폭력 및 학교문화에 대한 학부모, 교사 인식조사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명신 (2000).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의도 결정과정 모델. 한국아동복지학, 9, 177-203.이상균 (1999).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이상균 (2005). 청소년의 또래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생태 체계적 영향 요인. 한국아동복

지학, 19, 141-170.이은정 (2002). 학교체계요인이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이지연·조아미 (2012).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의 방관적 태도가 자기효능감과 대인관

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4(4), 337-357.이희연 (2013). 학교폭력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학교사회복지, 25, 275-309.정진성 (2009).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

정학회지, 35, 365-394.한국교육개발원(2012). 학교폭력실태 전수조사.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6).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등 4차.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0). 2010 청소년 안전(보호) 실태조사: 중고등학생용.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1).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2 학생용.홍봉선 (2009). 청소년복지론. 공동체황성동 (2006). 알기 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행정안전부. 2013. 4대악 국민안전 체감도 측정조사.

Allen-Mears, P., Washington, R. O., & Welsh, B. L. (1996). Social Work Servicesin School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Page 13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3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Bandura, A. (1986). Self-efficacy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122-147.

Bronfenbrenner, U. (1997).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tns by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Caughy, M, Hayslett-McCall, K. L., & O’Campo, P. J.(2007). No neighborhoodis an island: Incorporating distal neighborhood effect into multilevel stud-ies of child developmental competence. Health & Place, 13, 788-798.

Gini, G., Albiero, P., Benelli, B., & Altoe, G. (2008). Determinants of adoles-cents’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Jour-nal of adolescence, 31, 93-105.

Jenck, C., & Mayer, S.E. (1993). The social consequences of growing up in a poorneighborhood. In L. lynn, Jr. and M. Geary(Eds). Inner-city poverty inthe United States(pp. 111-186).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Press.

Kowalski, R.M, Limber, S.P. & Agatston, P.W. (2008) Cyber Bullying - Bullyingin the Digital Age. Oxford: Blackwell.

Krueger, R.A. (1994). Focus group: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2nded.). Thousand Oks, CA: SAGE.

Lee, Y., Schwarzer, R., & Jerusalem, M/ (1994). Korean adaptation of the generalself-efficacy scale. http://userpage.fu-berlin.de/~health/korean.htm

Leventhal, T., & Brooks-Gunn, J. (2000). The neighborhoods they live in: Theeffects of neighborhood residence on child and adolescent outcomes, Psy-chological Bulletin, 126(2), 309-337.

Machackova, H., Dedkova, L., Sevcikova, A., & Cerna, A. (2013). Bystanders’support of cyberbullied schoolmates.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Socal Psychology, 23, 25-36.

Oh, I., & Hazler, R. J. (2009). Contributions of personal and situational factorsto bystanders’ reactions to school bullying.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0, 291-310.

Olweus Bullying Prevention Program (n,d,). Frequently asked questions.http://www.violencepreventionworks.org/ public/faqs.page#Answer_ num-berCbQ1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Page 13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35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what we can do. Oxford,UK: Blackwell.

Olweus, D. (1994).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iatry, 35, 1171-1190.

Parker, G., Tupling, H., & Brown, L.B. (1979).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52, 1-10.

Padgett, D. K.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and rewards. CA: SAGE.

Rigby, K., & Slee, P. T. (1993). Dimens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 among Aus-tralian children and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Social Psychology, 133, 33-42.

Ross, C. E., & Jang, S .J. (2000). Neighborhood disorder, fear, and mistrust:The buffering role of social ties with neighbor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8, 401-420.

Salmivalli, C. (2010). Bullying and the peer group: A review. Journal of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15, 112-120.

Salmivalli, C., Lagerspetz, K., Bjorkqvist,K., Osterman, K., & Kaukiainen, A.(1996).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22, 1-15.

Sampson, R. J., & Raudenbush, S. W. (2004). Seeing disorder: neighborhoodstigma and the social constructions of “broken window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7(4), 319-342.

Sampson, R.J., Morenoff, J. D., & Gannon-Rowley, T. (2002). Assessing“neighborhood effects”: Social processes and new directions in research.Annual Review of Sociology, 28, 443-478.

Sampson, R.J., Raudenbush, S.W., Earls, F., (1997). Neighborhoods and violent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Science, 277, 544-548.

Trach, J., Hymel, S., Waterhouse, T., & Neale, K. (2010). Bystander respeosesto school bullying: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of grade and sex dif-ferences. Canadi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5, 114-130.

Page 13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3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부 ­ ­ ­ 록

1. 설문지

2. 포커스 그룹 인터뷰 사전 질문지

ID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의견조사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안녕하십니까?

이 설문조사는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에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와 학교환경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습니다.

여러분께서 응답해주신 조사내용은 선생님이나 부모님께서 절대로 볼 수 없습니다. 이 설문응답에는 옳고 그른 답이 없으며, 여러분의 솔직한 응답 하나하나가 우리 지역의 학교폭력 예방대책 마련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설문문항을주의 깊게 읽으시고 각 문항에 빠짐없이 답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응답한 모든 내용은 무기명(익명)으로 처리되어 통계법(제33조)에 따라비밀이 철저히 보장되고, 연구이외의 목적으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습니다.

귀한 시간을 내어 설문에 응답해 주심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3년 7월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

◉ 연락처 :

◉ 책임자 :

Page 13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37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중학교 졸업이하 고등학교 졸업(중퇴포함)

대학교졸업(중퇴포함)

대학원 졸업(석사 및 박사)

① 아버지 1 2 3 4② 어머니 1 2 3 4

매우 못 산다 ← →보통 수준 매우 잘 산다

Ⅰ. 일반적 사항

※ 다음은 학생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O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본인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자 ② 여자

2. 현재 몇 학년인가요?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3. 현재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을 모두 표시해 주세요.

※ 현재 같이 살고 있지는 않지만, 직장·학교에 다니는 등의 이유로 다른 곳에 살고 있는 경우는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응답해 주세요. 단, 결혼해서 같이 살고 있지 않은 형제자매는 표시하지 않습니다.

① (외)할아버지 ② (외)할머니 ③ 아버지 ④ 어머니⑤ 형제 또는 자매 ⑥ 기타친척 ⑦ 기타 (____________) ⑧ 없음

4. 부모님은 학교를 어디까지 다녀셨나요? 부모님 각각에 대하여 해당 칸에 O표 해주세요.

5. 학생 가정의 경제수준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 ② ③ ④ ⑤ ⑥ ⑦

Page 13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3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7. 다음은 여러분이 친구들 사이에서 갈등이나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평소 여러분이 반에서 가장 친하게 지내는 친구들이 사용하는 방식과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칸에 O표 해주세요.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그렇지않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1) 내 친구들은 비슷한 옷을 입거나 비슷한 물건을 지니고 있다. 1 2 3 42) 내 친구들은 비슷한 행동을 한다. 1 2 3 43) 내 친구들끼리만 통하는 말(은어 등)이 있다. 1 2 3 44) 친구들 사이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대로 행동하지 않으면

따돌림을 받는다. 1 2 3 4

5) 학교에서 이 친구들이 나에게 무언가 부탁하면 거절하기 어렵다. 1 2 3 46) 때때로 나는 내 친구들 때문에 규칙을 어긴 적이 있다. 1 2 3 47) 내 친구들과 다른 행동이나 태도를 하는 아이들을 보면 싫다. 1 2 3 48) 나는 이 친구들 속에 속해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1 2 3 4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그렇지않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1) 내 친구들은 주로 대화를 통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한다. 1 2 3 42) 내 친구들은 주로 욕이나 폭언을 사용한다. 1 2 3 43) 내 친구들은 주로 은근한 말로 상대방을 헐뜯거나 조롱한다. 1 2 3 44) 내 친구들은 주로 신체적으로 공격한다.

(예- 맞장뜨기, 치고받고 싸우기) 1 2 3 4

5) 내 친구들은 주로 다른 사람과 의논하거나 조언을 구한다 (예- 친구, 선배, 부모, 선생님 등) 1 2 3 4

Ⅱ. 친구관계 및 가족관계

6. 여러분이 가장 친하게 지내는 친구들에 관한 질문입니다. 각 질문에 대해 평소 자신의 생각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칸에 O표 해주세요.

Page 13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39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8. 다음은 여러분이 부모님(보호자)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 각 항목의해당 칸에 O표 해주세요.

9. 다음 문항은 여러분의 가정과 부모님에 관한 질문입니다. 왼쪽의 문항을 읽어보고, 오른쪽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칸에 O표 해주세요(부모님이 안 계신 학생은 같이 살고 있는 보호자를 기준으로 응답하면 됩니다).

문 항 전혀그렇지않다

그렇지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그렇다

1) 부모님은 나에게 따뜻하고 다정한 목소리로 말씀하신다. 1 2 3 4 52) 부모님은 내가 필요한 만큼 도와주시지 않는다. 1 2 3 4 53) 부모님은 내가 좋아하는 일들을 하도록 하신다. 1 2 3 4 54) 부모님은 나를 차갑게 대하시는 것 같다. 1 2 3 4 55) 부모님은 나의 고민과 문제를 이해하시고 있다. 1 2 3 4 56) 부모님은 나에게 자상하시다. 1 2 3 4 57) 부모님은 내 스스로 결정하는 것을 좋아하신다. 1 2 3 4 58) 부모님은 내가 하려는 모든 것을 간섭하시려 한다. 1 2 3 4 59) 부모님은 내 사생활에 대해 모든 것을 아시려 한다. 1 2 3 4 510) 부모님은 자주 나에게 미소를 보내주신다. 1 2 3 4 511) 부모님은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시는 것 같다. 1 2 3 4 512) 부모님은 내 스스로 결정하도록 내버려두신다. 1 2 3 4 513) 부모님은 나를 낳고 싶지 않았던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1 2 3 4 514) 부모님은 내가 놀라거나 화났을 때 내 기분을 좋게 하실 수 있다. 1 2 3 4 515) 부모님은 나와 같이 많은 시간 동안 이야기하지 않으신다. 1 2 3 4 516) 부모님은 내가 원하는 만큼의 자유를 주신다. 1 2 3 4 517) 부모님은 내가 외출하고 싶을 때 쉽게 허락하신다. 1 2 3 4 518) 부모님은 내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옷을 입도록 허락하신다. 1 2 3 4 5

문 항 전혀그렇지않다

그렇지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그렇다

1. 나는 부모님이 서로에게 욕설을 한 것을 본 적이 많이 있다. 1 2 3 4 52. 나는 부모님이 상대방을 때리는 것을 본 적이 많이 있다. 1 2 3 4 53. 나는 부모님으로부터 심한 욕설을 자주 듣는 편이다. 1 2 3 4 54. 나는 부모님으로부터 심하게 맞은 적이 많이 있다. 1 2 3 4 5

Page 14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40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문 항 전혀아님

거의 아님

대체로그러함

매우그러함

1) 다른 사람이 내 의견에 반대해도 나는 끝까지 내 뜻대로 한다. 1 2 3 42) 어려운 일도 내가 노력하면 해결할 수 있다. 1 2 3 43) 마음먹은 일을 해 내는데 어려움이 없다고 생각한다. 1 2 3 44) 생각지도 않은 일이 있어도 나는 적당한 태도를 취할 수 있다. 1 2 3 45) 뜻밖의 결과를 접해도 나는 잘 대처해 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 1 2 3 46) 언제나 나의 능력을 믿기 때문에 어려운 상황에도 당황하지 않을 수 있다. 1 2 3 47) 언제, 어떤 일이 일어나더라도 나는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1 2 3 48) 어떠한 문제에 부딪쳐도 나는 해결할 방법을 찾아낸다. 1 2 3 49) 새로운 문제에 부딪혀도 잘 처리해 나갈 수 있다 1 2 3 410) 어떤 문제에 처해도 나는 여러 가지 해결 방법을 가지고 있다. 1 2 3 4

11. 다음 문항을 읽고 평소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 느낌과 일치하는 칸에 O표 해주세요.

문 항 전혀그렇지않다

거의그렇지않다

보통이다

대체로그렇다

항상그렇다

1) 함께 놀 친구가 없어서 늘 혼자 있는 아이를 보면 마음이 슬퍼진다. 1 2 3 4 52) 기쁘다고 우는 아이는 이상한 아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53) 나는 선물을 받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선물 받는 것을 보면 정말로

기분이 좋다. 1 2 3 4 5

4) 울고 있는 아이를 보면 나도 울고 싶다. 1 2 3 4 55) 다친 아이를 보면 정말 마음이 아프다. 1 2 3 4 56) 다른 사람이 웃는 것을 보면 나도 같이 웃고 싶다. 1 2 3 4 57) 텔레비전 드라마를 보다가 우는 때가 있다. 1 2 3 4 58) 다른 사람들이 왜 속상해 하는지 이해가 안 될 때가 있다. 1 2 3 4 59) 상처를 입은 동물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1 2 3 4 510) 어떤 노래는 너무 슬퍼서 듣다가 울고 싶어진다. 1 2 3 4 511) 친구가 없는 아이들은 친구가 필요 없어서 그럴 것이다. 1 2 3 4 5

Ⅲ. 사회정서

10. 다음의 문항을 읽고 자신의 생각과 경험에 가장 일치하는 칸에 O표 해주세요.

Page 14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41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문 항 전혀그렇지않다

거의그렇지않다

보통이다

대체로그렇다

항상그렇다

12) 규칙을 어겨 선생님께 벌을 받는 친구를 보면 마음이 아프다. 1 2 3 4 513) 다른 친구를 욕하기 전에 내가 만일 그 친구라면 어떻게 느낄 것인지생각해본다. 1 2 3 4 5

14) 남에게 이용당하는 사람을 보면 그 사람을 보호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 1 2 3 4 515) 내가 옳다고 믿는 것이 있으면 다른 사람의 말을 별로 듣지 않는다. 1 2 3 4 516) 고통을 당하고 있는 사람을 보아도 별로 동정심이 생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1 2 3 4 5

17) 어떤 일이 생겼을 때 가능한 여러 가지로 생각해 보려고 노력한다. 1 2 3 4 518) 나보다 불행한 사람을 보면 그 사람에 대해 정말로 염려 되는 때가

자주 있다. 1 2 3 4 5

19)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본다. 1 2 3 4 520) 다른 사람이 불행하다고 해서 나까지 마음이 아플 필요는 없다. 1 2 3 4 521) 나를 화나게 하는 사람이 있을 때, 잠시나마 그의 입장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1 2 3 4 5

22) 내 주변에서는 감동적인 일이 자주 일어난다. 1 2 3 4 5

Page 14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4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13. 여러분이 다니는 학교 주변 환경에 관한 질문입니다. 각 문항에 해당되는 칸에 O표 해주세요.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그렇지않다

대체로그렇다

매우그렇다

1) 우리 선생님은 학교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에 대해 잘 모르시는 것 같다. 1 2 3 4

2) 우리 선생님은 학교에서 학교폭력이 있을 때 반 전체를 대상으로 주의를 주신다. 1 2 3 4

3) 우리 선생님은 학교폭력을 당한 피해학생을 보호해주신다. 1 2 3 44) 우리 선생님은 학교폭력을 행한 가해학생을 제재하신다. 1 2 3 45) 우리 선생님은 학생들간의 학교폭력에 별 관심을 나타내지 않으신다. 1 2 3 46) 우리 선생님은 학생들간의 학교폭력 문제는 그 나이에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다. 1 2 3 4

7) 우리 선생님은 학교폭력 있을 때 가해 학생이나 피해학생에게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신다. 1 2 3 4

문 항 전혀그렇지않다

그렇지않은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 그렇다

1) 우리 학교주변에는 쓰레기가 아무렇게나 버려져 있고 지저분하다. 1 2 3 4 52) 우리 학교주변에는 삥뜯기, 폭력 등이 자주 발생하는 장소가 있다. 1 2 3 4 53) 우리 학교주변에는 불량배로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1 2 3 4 54) 우리 학교주변에서 누군가 나를 위협하거나 해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낄 때가 있다. 1 2 3 4 5

Ⅳ. 교사태도 및 학교주변 환경

12. 다음은 학급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에 대해 담임선생님이 보여주시는 태도에 관한 것입니다. 각 질문에 대해 담임선생님의 태도와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칸에 O표 해주세요.

Page 14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43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15. 여러분이 앞으로 가장 하고 싶은 체험활동은 무엇입니까? 위 1번 문항의 9가지 활동 중 2가지를 골라 우선순위로 번호를 써 주세요.

1순위 ( ) 2순위 ( )

16. 여러분은 최근 한 달 동안 다음의 매체를 얼마나 자주 이용했습니까? 해당되는 것에 O표 해주세요.

활동유형참여여부 활동 총 참여횟수

없다 있다 지난 1년간 1) 건강, 보건활동(신체단련활동, 안전응급처치 활동) 0 1 _______ 회2) 과학, 정보활동(모형 및 로봇, 우주천체, 정보캠프 활동) 0 1 _______ 회3) 문화교류활동(국제교류, 다문화이해활동, 세계문화비교활동) 0 1 _______ 회4) 모험개척활동(탐사등반, 야영활동, 해상활동, 극기훈련) 0 1 _______ 회 5) 문화, 예술활동(지역문화, 세계문화, 어울마당, 전통예술활동) 0 1 _______ 회 6) 봉사활동(일손돕기, 캠페인, 자선, 지역사회봉사 활동) 0 1 _______ 회7) 직업체험활동(진로탐색활동, 직업현장체험) 0 1 _______ 회8) 환경보존활동(생태활동, 숲체험, 환경살리기 활동) 0 1 _______ 회9) 자기(인성) 개발(자기표현활동, 심신수련활동) 0 1 _______ 회

문 항 전혀

이용하지않았다

한 달에 1~2회

일주일에 1~2회

일주일에 3회 이상

1) “19세 미만 구독불가” 표시된 성인용 간행물(만화, 소설, 잡지) 1 2 3 42) 성인용 비디오, 영화, DVD 1 2 3 43) 음란 인터넷사이트 (“19세 미만 이용불가”) 1 2 3 44) TV에서 보는 “19세 미만 시청불가” 표시된 방송프로그램 (공중파, 케이블) 1 2 3 45) 온라인 사행성 도박 게임 (고스톱, 포커, 경마, 복권: 19세 미만 이용불가) 1 2 3 46) “19세 미만 이용불가” (폭력, 선정성) 게임 1 2 3 4

Ⅴ. 활동 및 참여

14. 지난 일 년 동안 다음과 같은 체험활동에 참여하신적이 있습니까? 아래 9가지 체험활동 각각에 대해 참여여부를 O표 하고, 참여한 활동에 대해서는 1년 동안 총 참여횟수를 적어주세요 (학교내외 활동 모두 포함).

Page 14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4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문 항 전혀 그렇지않다

거의 그렇지않다

보통이다

대체로그렇다

항상 그렇다

1) 학교폭력 상황을 보고 모른 체한다. 1 2 3 4 52) 학교폭력 상황을 보고 그냥 지나친다. 1 2 3 4 53) 학교폭력 상황에서 가만히 있는다. 1 2 3 4 54) 학교폭력 상황을 보아도 평소대로 내 할 일을 한다. 1 2 3 4 55) 학교폭력 상황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보기만 한다. 1 2 3 4 56) 학교폭력 상황에 별 관심이 없다. 1 2 3 4 57) 학교폭력을 당하는 친구(학생)에게 힘과 용기를 준다. 1 2 3 4 58) 학교폭력을 당하는 친구(학생)와 잘 놀아준다. 1 2 3 4 59) 학교폭력을 당하는 친구(학생)을 위로해준다. 1 2 3 4 510) 학교폭력을 당하는 친구(학생)를 도와주기 위해 학교폭력

상황을 선생님께 말씀드린다. 1 2 3 4 5

11) 다른 친구들에게 학교폭력 당하는 친구(학생)을 도와주라고 말한다. 1 2 3 4 512) 가해 학생에게 괴롭히는 것을 그만하라고 말한다. 1 2 3 4 513) 학교 친구들이 한 아이를 괴롭힐 때 옆에서 부추긴다. 1 2 3 4 514) 다른 학생이 누군가를 괴롭히기 시작하면 나도 괴롭히는데

동참한다. 1 2 3 4 5

15) 누군가 괴롭힘을 당하고 있으면, 구경하려고 그 주변으로 간다. 1 2 3 4 516) 괴롭힘 상황을 구경하라고 다른 친구(학생)들을 부른다. 1 2 3 4 517) 괴롭힘 당하는 학생을 보고 비웃는다. 1 2 3 4 518) 괴롭힘 당하는 학생을 붙잡는 등 괴롭히는 친구를 돕는다. 1 2 3 4 519) 나는 다른 학생에게 강제로 심부름을 시킨 적이 있다 1 2 3 4 520) 나는 다른 학생을 집단따돌림(왕따) 시킨 적이 있다. 1 2 3 4 521) 나는 다른 학생을 심하게 때린 적이 있다 1 2 3 4 522) 나는 다른 학생에게 말로 협박하거나 심한 욕설한 적이 있다 1 2 3 4 523) 나는 다른 학생의 돈이나 물건을 뺏은 적(삥뜯기)이 있다 1 2 3 4 524) 나는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 등으로 다른 학생에게

욕설과 비방을 한 적이 있다. 1 2 3 4 5

25) 다른 학생이 나에게 강제로 심부름을 시킨 적이 있다 1 2 3 4 526) 다른 학생이 나를 집단따돌림(왕따) 시킨 적이 있다. 1 2 3 4 527) 다른 학생이 나를 심하게 때린 적이 있다 1 2 3 4 528) 다른 학생이 나에게 말로 협박하거나 심한 욕설한 적이 있다 1 2 3 4 529) 다른 학생에게 돈이나 물건을 빼앗긴 적(삥뜯기기)이 있다. 1 2 3 4 530) 다른 학생이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 등으로 나에게

욕설과 비방을 한 적이 있다. 1 2 3 4 5

Ⅵ. 학교폭력

17. 다음 문항을 읽고 평소 자신의 경험에 가장 잘 일치되는 칸에 솔직하게 O표 해주세요.

Page 14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45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18. 다음의 행위들은 학교폭력에 해당하나요? 학교폭력이라고 생각되는 칸에 O표 해주세요.

19. 위 2번 문항에 제시된 행동들 외에 여러분이 학교폭력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자유롭게 써 주세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 여러분은 학교폭력이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 하나만 골라서 O표 해주세요.

① 학생 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 ② 친구나 주변 선후배들의 영향 ③ 가정환경 및 부모님의 무관심 ④ 입시 스트레스 및 경쟁위주의 학교문화 ⑤ 인터넷, 온라인 게임 등 유해매체 영향 ⑥ 기타 ( )

21. 여러분은 지난 일 년 동안 학교폭력을 목격한 경험이 있습니까?① 학교 폭력상황을 직접 목격한 적이 있다 (☞ 21-1 번으로)② 직접 목격하지는 않았지만 학교폭력이 발생한 것을 알게 된 적은 있다 (☞ 21-1 번으로)③ 전혀 없다 ④ 잘 모르겠다

21-1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하였거나 알게 되었을 때 어떻게 하였나요?① 모른 척했다 (☞ 21-2 번으로) ② 부모님께 알렸다③ 학교 선생님께 알렸다 ④ 경찰에 신고했다⑤ 상담센터 등에 상담을 하였다 ⑥ 직접 말렸다⑦ 피해 학생에게 친구가 되어 주었다 ⑧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1-2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하였거나 알게 되었을 때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①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② 같이 피해를 당할까봐③ 도와줘도 소용이 없을 것 같아서 ④ 관심이 없어서⑤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

문 항 그렇다 아니다1) 말로 하는 협박이나 욕설 (명예훼손, 모욕, 공갈, 협박) 1 22) 집단 따돌림 1 23) 강제 심부름과 같은 괴롭힘 1 24) 돈 또는 물건을 빼앗는 행동 1 25) 손, 발 또는 도구로 맞거나 특정한 장소 안에 가두는 행위 1 26) 성적인 부끄러움을 갖게 하는 말과 행동 또는 강제로 몸을 만지는 행위

(성폭력: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1 2

7)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로 하는 욕설과 비방 1 2

Page 14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4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Ⅶ. 지역사회환경

22. 여러분이 사는 집주변에 다음과 같은 청소년 유해업소 및 시설이 있습니까? 있다면 해당되는 곳에 모두 O표 해주세요.

① 숙박시설(호텔, 모텔, 여관 등) ② 성인용 게임장, 실내경마장 ③ 무도장(나이트클럽 등) ④ PC 방 ⑤ 술집(호프집, 소주방, 주점 등) ⑥ 성인용 비디오방(DVD 방)⑦ 만화방 ⑧ 전화방 ⑨ 노래 ⑩ 당구장 ⑪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⑫ 유해업소가 전혀 없다.

23. 다음은 여러분이 동네와 동네사람들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 각 항목의 해당 칸에 O표 해주세요. 동네는 여러분이 살고 있는 집 주변의 이웃을 의미합니다.

문 항 전혀 그렇지않다

그렇지않은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 그렇다

1) 나는 우리 동네 사람들 대부분을 알고 있다. 1 2 3 4 52) 나는 거리에서 우리 동네 사람들을 만나면 인사를 한다. 1 2 3 4 53) 우리 동네사람들은 서로 믿고 산다. 1 2 3 4 54) 나는 우리 동네가 안전하다고 느낀다. 1 2 3 4 55) 나는 우리 동네사람들과 지내는 것이 좋다. 1 2 3 4 56) 나는 우리 동네에서 계속 살고 싶다. 1 2 3 4 57) 우리 동네에는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안전한 장소가 많은 편이다 1 2 3 4 58) 우리 동네에는 청소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활동 공간이

많은 편이다. 1 2 3 4 5

9)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신다면 동네 어른들이 나를 꾸짖을 것이다. 1 2 3 4 5

10) 우리 동네에서 내가 다른 아이들에게 폭행을 당하고 있다면 동네사람들이 말리거나 경찰서에 신고할 것이다. 1 2 3 4 5

11) 우리 동네에서 친구들이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신다면 나는 동네 어른들(선생님)께 말씀을 드릴 것이다. 1 2 3 4 5

12) 우리 동네에서 친구들이 폭행을 당하고 있다면 나는 말리거나 경찰서(선생님)에 신고할 것이다. 1 2 3 4 5

Page 14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47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24. 다음은 청소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기관)의 예입니다. 여러분 집주변에 이러한 시설의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만약 이러한 시설이 있다면 앞으로 이용할 의향은 있습니까?

25. 다음은 지역사회에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실시할 수 있는 대책입니다. 이들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우선순위대로 적어주세요. 1순위 ( ) 2순위 ( )

① 청소년 유해환경과 유해매체를 철저히 관리한다. ②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 공간(시설)을 확대한다.③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과 민주시민 교육을 실시한다. ④ 청소년 대상의 문화, 예술, 체육활동을 지원한다. ⑤ 청소년폭력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주민들의 모임을 구성한다. ⑥ 교육청과 경찰서 등 지역사회 기관들 간에 상호협력을 강화한다. ⑦ 기타 ( )

- 수고하셨습니다 -

기관명 필요성 이용의향

전혀필요없다

필요없다

필요하다

매우필요하다 있다 없다

1) 체육시설 (공공운동장, 체육관 등) 1 2 3 4 1 22) 문화센터 (공연장, 전시장 등) 1 2 3 4 1 23) 청소년수련관 1 2 3 4 1 24) 청소년상담센터 1 2 3 4 1 25) 지역사회복지관 1 2 3 4 1 26) 공공도서관 1 2 3 4 1 27) 공원 (산책로, 등산로 포함) 1 2 3 4 1 28) 그 외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시설이 있다면 직접 적어주세요. ( )

Page 14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48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포커스­그룹­사전질문지­

♧ 포커스 그룹을 좀 더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다음의 몇 가지 질문에 대해 미리 자신의 생각을정리해 오면 좋겠습니다.

1. 여러분이 생각하는 학교폭력이란?

2.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3. 여러분은 주로 어떤 학생들이 학교 폭력 가해학생이나 피해학생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4. 학교에서 실시되는 학교폭력예방교육이 실질적으로 학교폭력발생 예방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까요? (예: 예방교육에서 다루어져야할 내용, 예방교육 방법)

5.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 학교나 선생님이 어떤 역할을 하면 좋을까요?

6. 여러분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연제구)에 어느 정도 만족하나요? 어떠한 점이 만족스럽고 어떠한 점이 불만족스러운지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해주세요.

7. 최근 청소년들의 학교폭력과 자살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을 위한 유익한 지역사회 환경이 만들어질 필요가있습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어른들이 어떤 노력을 하면 좋을까요?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부록

Page 14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5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5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제­1­회부산아동권리포럼

개요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51

Page 15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52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개 요

●●● 사업명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 대 상

지역사회 아동권리(학교폭력예방)에 관심 있는 자 150명

●●● 목 적

아동권리이슈인 학교폭력에 대한 전 사회적인 참여와관심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 지역사회에서의 다양한실천방안을 위한 정책제안과 토론의 자리를 마련하고자 함.

●●● 일 시

2013년 10월 30일(수) 15시

●●● 장 소

부산 연제구청 구민 홀(지하1층)

개­­­요

Page 15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53

개 요

아동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는 실태와 현황을 조사 연구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실태를 파악하여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주민에게 알리고 참여를 도모하며 정책포럼을 통해 지역 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간다.

Child

Process

Partner

L&G

Community

변화를 일으키는 주체자로서 성장

홍보 활동

협약식

지역 내 3개아동권리위원회

온라인 조사연구조사 및 보고서

: 주제 선정Project 자문

아동권리활동가 양성

아희메 협력

추진위원단 조직

아동정책포럼

국가인권위원회부산인권사무소

아동이 살기 좋은마을을 만들기 위한

변화 시도

지역 캠페인 연대 캠페인

아동권리교육 지역모니터링활동

여름캠프

1)보도자료2)관련 홈페이지3)영상촬영

1)발제 : 연구조사 결과에 대한 연제구 내 학교폭력 실태 및 현황에 대한 문제제기

2)토론자 구성3)국회의원, 지역 내 관련 기관,

학교 내 관계자, 초.중학생, 학부모 등 초청4)본부진행 전국 아동정책포럼 참여

1)복지관, 연제중, 토현중2)월2회 토요일 활동3)아동권리교육, 모니터링,

캠페인, 캠프, 아동정책포럼

1)지역조사 전문가 자문2)아동권리위원회 활동 연계3)복지관 지역조사와 연계

1)동의대 김영미 교수동아대 현안나 교수

2)연제경찰서 여성청소년계2)운영 방향에 대한 자문

1)대학생 3명 양성2)1인 1위원회

담당활동가로 파견3)활동비 지급,

자원봉사인증 1)학계 부문- 교수님

2)교육 현장 부문- 교장선생님

3)지역행정가 및공공 부문-연제경찰서

1)아희메 활동 아동 협력-4명

2)활동 지원-캠페인, 캠프, 포럼

1)아동권리 증진을 위한희망 만들기 협력

1)향후추진계획:현판제작‘학교폭력예방 추진 학교’

Page 15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54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개 요

진행과정

월드비전공통주제

학교폭력예방 ‘교실에서 찾은 희망’ - 월드비전 12개 지역 아동권리위원회 공통

지역 연구주제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설문 조사학교폭력 현황/인식 조사 등 연구주제 관련 아동 의견 수렴

연구 보고서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정책방향 조사 연구 보고서 작성 및 책자 발간

아동권리포럼(10월)

주제토론 : 연구자(연구보고서 내용)

패널 1-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2-연제경찰서 아동.청소년계3-일선 학교 관계자4-아동권리위원회 활동 아동/학부모대표

아동권리위원회설문 조사 활동및 모니터링

Page 15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55

개 요

학교폭력예방­추진학교­협약

Child

변화를 일으키는 주체자로서 성장

협약식

지역 내 3개아동권리위원회

지역 캠페인 연대 캠페인

여름캠프

아동권리교육 지역모니터링 활동

1)향후추진계획:현판제작

‘학교폭력예방 추진 학교’

1)복지관, 연제중, 토현중2)월2회 토요일 활동3)아동권리교육, 모니터링,

캠페인, 캠프, 아동정책포럼

학교 내 아동권리위원회 운영* 10명 1그룹, 월 2회(토) 2시간 활동* 훈련된 활동가 지원* 간식 및 기타 활동비 지원

활동 내용* 아동권리교육, 학교폭력예방교육,* 지역모니터링 활동* 지역캠페인* 연합여름캠프(서울)* 아동정책포럼(부산),

아동정책포럼(전국)

회원 혜택* 모니터링, 캠페인, 포럼 활동 시

자원봉사 시간 부여

Page 15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56 2013년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개 요

연구조사­및­보고­프로젝트­자문

●●● 연구협력

-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영미 교수

-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현안나 교수

●●● 설문조사

- 양적조사(설문지) : 연제구 내 2개 중학교 700명

- 질적조사(FGI) : 연제구 내 2개 중학교 그룹/18명

Page 15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157

개 요

아동권리포럼­추진위원단

●●● 추진위원단 / 포럼토론자

- 연제경찰서 아동청소년과 청소년계장

-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조사관

- 토현중학교 생활지도부장

- 부산여성회 연제지부장(학부모대표/자발적 주민조직)

Page 15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5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Page 16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0 2013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 1회 부산아동권리포럼에서 제안합니다!

� 스마트폰과 SNS환경의 변화로 학교폭력 및 유해환경의 범위가

다양화되고 있는 현실 파악

� 청소년의 인식개선과 교육을 위한 방안마련

우리동네,우리지역사회가함께 해야해요!

� 지역사회 주민들 간의 유대감 형성 및 청소년 행동에 대한

비공식적 통제능력 강화

� 청소년 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해 청소년 여가공간 및 문화활동

공간 확대

� 청소년 유해환경에 대한 관리 실시

교육이바뀌어야

해요!

� 현재 학교에서 제공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현실적인 점검 필요

� 학교폭력상황은 가해자, 피해자와 더불어 방관자와 동조자가 함께

관여된 집단 과정임을 인식

� 방관자와 동조자의 감정과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개입전략 및

인성교육 필요

아이들이회복되도록

도와야 해요!

� 학교폭력 가해·피해유형의 중복화와 일반화 현상 감소

� 가해·피해 청소년에 대한 기존 개입방법의 재고와 개선 필요

-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해서 실시하는 엄중처벌과 보호위주의 대책 탈피

- 가해자와 피해자를 함께 중재하고 통합할 수 있는 중재적, 회복적 개입

방법 필요

아이들의소통방법이

바뀌고 있어요!

Page 16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1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한2014 지역사회의 실천제안

- 교실에서 찾은 희망 캠페인

: 학생 스스로 학교폭력예방 캠페인송, 플래시몹 등 친구들과 함께 하는

활동을 통해 행복한 학교, 행복한 교실문화정착을 위한 캠페인

- 연제구 내 전체 중학교의 학생이 참여하는 아동권리위원회 조직

- 아동권리위원회를 중심으로 청소년 아동권리교육, 아동총회, 대규모

연대캠페인 진행

- 학교폭력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아동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스스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활동을 하도록 함으로

건강한 학급, 학교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

- 학교폭력 예방 및 행복한 학교,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지역주민 인식증진 및 개선활동

아동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참여의식 고취

아동의

참여를 통한

아동권리관점의

정책구현

아동이

존중받는

사회환경 조성

하나! 아동의 목소리가 전해질 수 있는 공식 통로 마련

- 2014 월드비전 아동총회 지역대회(가칭) 개최

둘!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활동의 장 마련

셋! 아동과 청소년이 안전하고 행복한 지역사회 만들기

Page 16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2 2013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연구협력자와의 회의

아동권리포럼 추진위원단 회의

기조강연 - 김영미교수

설문조사 : 포커스그룹인터뷰

아동권리포럼 아동 및 참가자 단체사진

주제토론

사진으로 보는 2013 부산아동권리포럼

Page 16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3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토론진행

토론진행

포토월 - 연대방명록

토론진행

질의응답

방명록 작성을 통한연대 및 학교폭력예방의 의미 되새기기

Page 16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4 2013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주최 _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 부산광역시 연제구 마곡천로 29-8 전화.051)863-8360 팩스. 051)861-2203

2013.10.30.(수) 오후3시

연제구청 지하1층 구민홀

후원 _

협력 _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주최 _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 부산광역시 연제구 마곡천로 29-8 전화.051)863-8360 팩스.051)861-2203

2013.10.30.(수) 오후3시

연제구청 지하1층 구민홀

후원 _

협력 _

홍보자료

포스터

Page 165: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5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2013년 10월 30일 수요일 오후3시연제구청 지하1층 구민홀

연제구청 오시는 길

•1호선 시청역 하차 2번 출구 노동청 방향 도보로 5분•3호선 물만골역 하차 1번 출구 양정 방향 도보로 10분

•연산 1, 8, 9동에서 57번•대연동(부경대/경성대)에서 20번, 131번•사직야구장에서 131번•송공삼거리(양정)에서 5번, 5-1번, 20번, 57번, 62번, 63번,

141번•해운대에서 5번, 141번

•연산로터리 → 서면 : 시청 앞에서 좌회전•서면 → 광안리 방향 : E마트 지나 200m지점 U턴•광안리 → 시청 : 구청 앞 교차로에서 우회전

버 스

지하철

승용차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부산광역시 연제구 마곡천로 29-8 T.051)863-8360 F.051)861-2203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학교폭력,우리 함께이야기 해요

초청의 말씀

학교폭력이라는 단어가 이제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우리 사회의 이야기가 되어 버렸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더 이상 행복하지 않은 지금을 이야기 하고자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제 1회 부산 아동권리포럼을 열고자 합니다.

부디 오셔서 함께 해 주시기 바랍니다.

2013년 10월

월 드 비 전 회 장 양 호 승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장 유 일 남

일시 : 2013. 10. 30. (수) 15:00장소 : 연제구청 지하1층 구민홀

세미나기조강연

김영미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안나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제토론좌 장

유일남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장)

토론자김명찬 (연제경찰서 여성청소년과 청소년계장)강석권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조사관)서강철 (토현중학교 생활지도부장교사)주형영 (부산여성회 연제지부 지부장)

우리 아이들의 행복한

지역사회,학교,월드비전이

함께 만들어 갑니다.

배움과 성장

초청장(겉)

초청장(안)

Page 166: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6 2013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협력 _후원 _주최 _ 연제종합사회복지관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협력 _후원 _주최 _ 연제종합사회복지관

현수막 홍보

국제신문 보도기사

포토월

현대HCN부산방송 - 뉴스와이드

http://blog.naver.com/hcncatv?Redirect=Log&log

No=120200920014

Page 167: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7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안내리플렛(겉)

✽1989년 유엔아동권리협약 제정 및 1991년 한국이 협약비준국이 됨에따라 아동복지정책에 대한 변화 요청의 근거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사회적 약자인 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해아동역량을 강화하고 아동의 권리를 대변하는 아동권리 옹호사업을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연제종합사회복지관은 2003년부터 아동권리위원회를 운영하여 아동들을중심으로 초·중·고등학교와 함께 연제구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합니다.

사업실시 배경

월드비전 아동권리위원회란?아동이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 아동의 권리를 옹호하고 대변하며 아동의 권리가 보호받고 존중 받는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한 활동입니다.

주요활동내용

정책/제도변화

문화/인식변화

역량강화

•지역아동총회•아동권리교육

•아동권리모니터링•지역사회환경 개선활동

(캠페인, 정책제안 등)

•아동권리추진위원회 (지역기관, 주민,

시·군·구의원)•아동권리포럼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교실에서 찾은 희망)

제1회부산아동권리포럼

2013.10.30.(수) 오후3시

연제구청 구민홀

후원

협력

주최 연제종합사회복지관

Page 168: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8 2013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우리 아이들의 행복한

지역사회,학교,월드비전이

함께 만들어 갑니다.

배움과 성장

프로그램 안내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주제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시 간 내 용

14:30-15:00 접수 및 안내

Ⅰ.개회식

15:00-15:15

영 상 교실에서 찾은 희망

개회사 유일남 (연제종합사회복지관 관장)

인사말 전영순 (월드비전 국내사업본부장)

축 사 이위준 (연제구청장)

격려사 오순임 (동래교육지원청 교육장)

Ⅱ.세미나

15:15-15:35 기조강연 김영미 (동의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15:35-15:40 휴 식

Ⅲ.토 론

15:40-16:20 토론자

김명찬 (연제경찰서 여성청소년과 청소년 계장)

강석권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조사관)

서강철 (토현중학교 생활지도부장 교사)

주형영 (부산여성회 연제지부 지부장/학부모 대표)

16:20-16:30 질의응답

16:30-00:00 폐 회

연구협력 김영미(동의대 사회복지학과 교수)현안나(동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좌 장 유일남 (연제종합사회복지관 관장)

안내리플렛(안)

Page 169: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69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특별프로그램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연제구 지역환경 및 청소년 의견 연구를 통한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와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자는 목소리는 높아져가고 있지만, 실상 아이들의 목소리는 외면당하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참여는 미비하기만 하다.

월드비전 아동권리위원회 아동들은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아동 스스로의 목소리를 담고자 '교실에서 찾은 희망 캠페인' 활동을 펼쳤고,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제안을 통한 변화를 모색하고자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을 실시하였다.

행복한 학교,행복한 교실을 위한 실천제안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지역복지관의 주최로 열리게 된 최초의 포럼!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이 10월 30일, 연제구청 구민홀에서 진행되었다. 그동안의 아동권리위원회의 활동 및 학교폭력에 대한 아동들의 생각을 담은 영상으로 시작된 포럼은 김희정 국회의원, 전영순 월드비전 국내사업본부장, 이위준 연제구청장, 김병종 동래교육지원청 교육지원국장의 축하 및 격려로 개회식이 진행되었다. 연구의 주진행자였던 김영미 교수(동의대 사회복지학과)는 기조강연을 통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제구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생각과 경험, 학교폭력상황 역할유형, 관련요인 등에 대해 공유하고 이를 지역사회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대책을 제언하였다. 이어 지역사회 각 기관을 대표하여 4명의 패널이 열띤 토론이 진행되었다. 토론자로 참석한 김명찬 계장(연제경찰서 여성청소년과 청소년계)은 학교 안 폭력과 학교 밖 폭력의 경계에 대한 연구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중요성, 학교폭력이 구조화 되는 것에 대한 경찰의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고, 강석권 조사관(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은 아이들을 학교폭력 방관자에서 피해방어자로 바꾸어야 하며 인권감수성에 대한 교육을 확산시켜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강철 교사(토현중학교 생활지도부장)는 실효화 되지 않는 예방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지역사회에서 내실화 있는 교육을 위한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는 의견, 주형영 지부장(부산여성회 연제지부/학부모 대표)은 가장 중요한 것은 ‘관계’이며 학교와 학부모, 교사와 아이들의 관계맺기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연구대상과 방법2013년 상반기에 진행된 이번 연구에는 연제구의 733명의 학생을 비롯해 부모, 교사 및 경찰서, 학교, 국가인권위원회 등의 지역사회 주요기관이 참여했으며, 설문조사와 심층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함께 실시했다. 동의대 사회복지학과 김영미 교수와 동아대 사회복지학과 현안나 교수가 협력하여 진행한 이번 연구를 통해 연제구 지역 학교폭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 지역사회의 이해와 해결방안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를 담을 수 있었다.

글 I 복지사업팀 김은진 대리

연제복지관 소식지 게재

YEONJAE STORY - YEONJAE NEWS - YEONJAE FAMILY - YEONJAE REPORT 04 + 05

아동권리포럼 추진위원단

토 론

발제-현안나교수

질의응답

언론보도-현대HCN부산방송

포커스그룹인터뷰

기초강연-김영미교수

지역의사회적/물리적 지원

• 학교폭력 가해, 피해유형의 중복화와 일반화 현상 감소

• 가해, 피해 청소년에 대한 기존 개입방법의 재고와 개선 필요-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해서 실시하는 엄중처벌과 보호위주의 대책 탈피

- 가해자와 피해자 함께 중재하고 통합할 수 있는 중재적, 회복적 개입방법 필요

• 현재 학교에서 제공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현실적인 점검 필요

• 학교폭력상황은 가해자, 피해자와 더불어 방관자와 동조자가 함께 관여된 집단과정

• 방관자와 동조자의 감정과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개입전략 및 인성교육 필요

• 가정 : 상호적 의사소통 • 학교 : 교사들의 적극적 역할과 관심,

권위회복, 재량권과 중재자 역할

• 지역사회 주민들 간의 유대감 형성 및 청소년 행동에 대한 비공식적 통제능력 강화

• 청소년 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해 청소년 여가공간 및 문화활동 공간 확대

• 청소년 유해환경에 대한 관리 실시

• 스마트폰과 SNS 환경의 변화로 학교폭력 및 유해환경의 범위가 다양화되고 있는 현실 파악

• 청소년의 인식개선과 교육을 위한 방안마련

스마트폰& SNS

제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제안사항

연구와 포럼을 통하여 모아진 의견을 가지고 2014년 아동권리위원회는 정책제안을 할 예정이다. 아동이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하여 아동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도록 연제복지관과 아동권리위원회는 함께 노력할 것이다.

중재적 회복적 개입

기존 예방교육 점검/개선 방관 동조에 대한인성교육

가정·학교환경의역할 변화

Page 170: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70 2013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포토월

Page 171: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71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포토월

Page 172: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72 2013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

포토월

Page 173: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173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제 1회 부산아동권리포럼 동역자■ 후원 부산광역시 연제구, 부산광역시 동래교육지원청, 부산연제경찰서,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 협력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연천중학교, 토현중학교, 부산여성회 연제지부

■ 포럼참여 및 아동권리위원회 활동

■ 협력학교

■ 연구협력

이 름 소 속 역 할 17 이지원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1학년)

아동권리위원회

회원

1김영미

교수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아동권리

추진

위원단

연구자 18 김슬민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1학년)

2현안나

교수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연구자 19 이은혜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1학년)

3김명찬

계장

연제경찰서 여성청소년과

청소년계토론자 20 이예인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1학년)

4강석권

조사관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토론자 21 김현진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1학년)

5서강철

교사

토현중학교

생활지도부장교사토론자 22 고유정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2학년)

6주형영

지부장

부산여성회 연제지부

지부장토론자 23 양미현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2학년)

7 박소정연제아동권리위원회

(양동여중 2학년)

아동권리위원회

회원

24 안수연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2학년)

8 이소빈연제아동권리위원회

(연제중 2학년)25 김예지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2학년)

9 최수연연제아동권리위원회

(양동여중 2학년)26 최유림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2학년)

10 박숙경연제아동권리위원회

(양동여중 3학년)27 배경수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2학년)

11 박혜경연제아동권리위원회

(양동여중 3학년)28 박주형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3학년)

12 서예림연제아동권리위원회

(양동여중 2학년)29 김주안

토현중아동권리위원회

(3학년)

13 박성문연제아동권리위원회

(연산중 1학년)30 권 준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4학년

아동권리활동가

14 정유진연제아동권리위원회

(연제초 6학년)31 김성태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3학년

15 방상헌연제아동권리위원회

(과정초 5학년)32 박현진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3학년

16 방성희연제아동권리위원회

(과정초 4학년)33 안진경

부산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3학년

함께한 사람들

1 토현중학교아동권리포럼 참여

교장 구정선 교감 문인우 생활지도부장 서강철 교육복지사 임봉연

2 연천중학교아동권리포럼 참여

교장 최방희 교감 이채주 생활지도부장 김남연

월드비전 연제종합사회복지관 사업팀장 조기순 대리 이혜민 김은진

Page 174: 속표지 학교폭력상황을 목격한 후 대응행동 64 학교폭력상황을 목격 후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66 학교폭력상황

2013 월드비전 아동권리정책연구보고서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조사연구보고서 -부산 연제구를 중심으로-

발 행 일발 행 인발 행 처

주 소전 화팩 스홈 페 이 지

: 2013. 12. 31: 양 호 승: 한국월드비전

: 서울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77-1(150-877): 02-2078-7000: 02-2078-7083: www.worldvisi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