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90
제254 강서구의회 임시회 2018 년도

Upload: others

Post on 20-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제254

강서구의회

임시회

2018

년도

주 요 업 무 계 획주 요 업 무 계 획

생 활 복 지 국생 활 복 지 국

Page 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 -

보 고 순 서

Ⅰ. 일반현황 2

Ⅱ. 부서별 주요업무계획

1.복 지 정 책 과 6

2.생 활 보 장 과 20

3.장 애 인 복 지 과 33

4.여 성 가 족 과 44

5.어 르 신 복 지 과 58

6.환 경 과 67

7.청 소 자 원 과 78

Page 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 -

생 활 복 지 국

복지정책과 생활보장과장애인복지과

여성가족과어르신복지과

환경과 청소자원과

복지정책팀 생활보장팀 장애인정책팀 보육1팀어르신

복지행정팀환경관리팀 청소기획팀

통합조사1팀 자활주거팀 장애인지원팀 보육2팀어르신

시설관리팀환경지도팀 청소관리팀

통합조사2팀 의료보장팀 장애인시설팀 저출산대책팀어르신

생활지원팀기후변화대응팀

사업장폐기물팀

자원봉사팀 통합관리1팀 여성정책팀 에너지관리팀 재활용팀

복지자원팀 통합관리2팀 생활공해팀

희망복지팀 드림스타트팀

Ⅰ. . . . . . . . . . .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일 반 현 황

1 조 직 --------- 7과 31팀

2 직원현황

□ 인 력 :231/223명 (정원/현원)

직렬별

과 별계

행 정 직 사회복지직 기 술 직 관리운영직 임기제비고

4급 5급 6급 7~9급 5급 6급 7급∼9급 6급 7~9급 7~9급 7~9급

계 231/223 1/1 5/5 20/21 64/61.5 2/2 12/14 72/66.5 6/10 46/37 2/3 1/2

복지정책과 54/50.5 1/1 1/1 1/1 12/10 7/8 31/27.5 0/1 1/1파견자2명

(복지재단)시간채용

1명(0.5)

생활보장과 40/38 2/4 5/3 1/1 3/4 29/26시간채용

2명(1)

장애인복지과 16/16.5 2/2 7/6.5 1/1 1/1 5/5 0/1시간채용

1명(0.5)

여성가족과 25/24 1/1 5/5 14/15 5/3

어르신복지과 15/16 1/1 3/2 7/7 1/1 2/5 1/0

환 경 과 26/27 1/1 2/2 10/7 3/6 9/10 1/1

청소자원과 55/51 1/1 5/5 9/13 3/4 37/27 0/1파견1명

제외

Page 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 -

3 예산현황

(단위 : 백만원)

부서명 2018년 2017년 비교증감 증감율 (%)

계 487,207 434,234 52,973 12.2

복지정책과 15,528 12,016 3,512 29.2

생활보장과 99,766 95,100 4,666 4.9

장애인복지과 44,477 38,601 5,876 15.2

여성가족과 155,221 138,237 16,984 12.3

어르신복지과 129,087 110,391 18,696 16.9

환 경 과 986 714 272 38.1

청소자원과 42,142 39,175 2,967 7.6

4 주요현황

□ 보호대상

(2017.12.31.현재, 가구, 명, 개소)

총 계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 장애인시설

보호소계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가 구

(시설)인원 가구 인원 가구 인원 가구 인원 가구 인원 가구 인원 가구 인원 인원 시설 인원

15,267(29)

53,209 13,863 20,708 11,670 16,713 12,365 17,854 12,417 18,527 1,992 3,885 1,404 3,450 28,717 29 334

※ 기초생활수급자 소계 : 중복 제외 / 영구임대주택 현황 : 15,871호(SH공사 8,037, LH공사 7,834)

Page 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 -

구분 총계 동북아(중국,조선족,일본 등)

동남아(베트남,필리핀,태국 등)

중앙아시아

북미(미국,캐나다)

유럽(러시아,영국 등)

기타

계 3,563 2,766 489 28 121 59 100

남 860 711 14 2 56 30 47

여 2,703 2055 475 26 65 29 53

□ 복지시설 : 총990개소

(단위 : 개소)

종합사회

복 지 관

어르신

복지관장애인 여 성 어린이집 아 동

어르신

사랑방

어르신

시 설

재가장기

요양기관

지역자활

센 터

자원봉사

센 터

10 5 60 6 441 29 215 55 166 2 1

※어린이집 441개소(국공립65, 법인2, 법인단체등2, 민간145, 가정212, 직장부모협동9, 방과후전담6)

□ 다문화가족 현황

(단위 : 명)

□ 환경업소

(단위 : 개소)

총 계

배 출 업 소특정토양오염

관리대상시설

지 정

폐기물소 계 폐 수 대 기 소음진동

휘발성유기

화합물질

1,417 398 203 138 15 42 51 968

Page 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 -

□ 연료 공급시설

(단위 : 개소)

가스 공급시설 석유 공급시설

LPG 고압가스CNG

충전소

지 역

정압기주유소 석유판매소

충전소 판매소 충전소 판매소

111 10 5 1 6 3 48 36 2

□ 청소 현황

인 력 시설․장비 폐기물 처리, 오수 분뇨 1일 생활 배출량(t)

환 경

미화원

청 소

도우미

청소

차량

청소

장비

청소

시설생 활 사업장 재활용 건 설

오수

분뇨계

일 반

쓰레기재활용

음식물

쓰레기

119 100 49 28 19 5 6 6 19 2 334 134 70 130

Page 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 -

복 지 정 책 과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2. 50‧60

세대

남성 1

가구

집중

발굴

지원

3.

맞춤형

통합조사

실시

4.

신속하고

촘촘한

위기가구

긴급서비스

운영

5.

민‧

협업을

통한

사례관리

활성화

6.

강서구

지역사회보장

중기계획

수립(

제4

기)

7.

종합사회복지관과

찾동사업

연계

역량

강화

8.

국가유공자

예우

보훈문화

확산

9.

저소득주민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10.

찾동사업의

체계적

관리

지원

11.

자원봉사

기부문화

활성화

12.

주민친화형

자원봉사

온라인

플랫폼

구축

13.

자원봉사

커뮤니티

활성화

Page 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 -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민관 협력을 통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주민을 적극적으로 발굴·

지원하여 위기상황을 해소하고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추진방향

○ 복지급여 신청주의 한계를 극복한 방문복지 강화로 예방적 복지 실현

○ 민관협력을 통한 위기가구 상시 발굴·지원으로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 민간 복지자원 발굴 및 주민중심의 나눔·돌봄 문화 확산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내용

- 희망드림단을 통한 위기가구 발굴·지원, 동·하절기, 주거취약가구 특별 전수

조사 실시, 민간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숍, 위기가구 발굴 지원을 위한 홍보 강화

○ 소요예산 : 47,460천원(구비)

추진계획

○ 찾동 시행에 따른 방문복지 강화로 위기가구 상시 발굴·지원 체계 구축

- 혹한, 폭염 등 동·하절기 에너지 취약가구, 주거취약가구, 단전·단수 위기가구 전수조사 실시

- 자살 및 고독사 위험이 높은 중·장년 남성 1인 가구 등 취약가구 방문조사 강화

- 복지플래너, 우리동네주무관, 방문간호사를 통한 방문상담 및 복지서비스 연계

○ 민관 협력을 통한 위기가구 상시 발굴·지원으로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 동 희망드림단, 복지통장, 도시가스검침원, 야쿠르트배달원 등을 통한 발굴 강화

- 주민과 접촉이 많은 지역 내 자영업자(슈퍼, 부동산중개소, 병원, 약국 등)를 통한 위기가구 발굴

- 위기가구 발굴 경로(채널) 다양화 : 밴드, 카톡 등 SNS 신고 활성화

- 인터넷, 정보접근이 어려운 경우 주민 집중장소에 마련된「희망우체통」이용하여 신고

○ 강서형 복지공동체 「희망드림단」을 통한 주민 중심의 나눔·돌봄 문화 확산

-「우리동네 한번 더 둘러보는 날」 정기운영을 통한 위기가구 상시 발굴·지원

- 민간 복지자원 개발 : CMS 후원계좌 개설, 공동모금회 성금 활용, 우수사업 공모, 바자회 운영

- 교육 및 워크숍을 통한 역량 강화, 밴드 운영, 단원증 및 활동수첩 제작지원으로 소속감 부여

기대효과

○ 민관협력 강화를 통한 동 단위 복지공동체 구축

○ 현장밀착형 예방적 복지 실현

○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지원강화로 주민의 복지체감도 향상

Page 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 -

2 50·60

세대

남성 1

가구

집중

발굴

지원

은퇴, 생활고 등으로 고독사 발생률이 높은 중장년 남성 1인 가구 대상으로

특별조사를 실시하고 위기가구 집중 발굴과 욕구 파악을 통한 지원

추진배경

○ 공적 지원제도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대상자 발굴의 필요성(만64세 이하)

○ 경제·사회적 문제로 인해 남성 1인 가구의 끊임없는 자살 문제 발생

※ 우리 구 만 50-64세 남성 1인 가구 9,659가구 / 수급자 및 차상위 1,999가구 / 남성 자살자 91명

추진방향

○ 고독사 발생률이 높은 중장년(만 50세∼64세) 남성 1인 가구 집중조사·관리

○ 특별조사를 실시하여 고위험 대상자 집중 발굴 및 맞춤형 공적·민간지원 연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대 상 : 고독사 발생률이 높은 중·장년(만 50세∼64세) 남성 1인 고위험 가구

○ 사업내용 : 주민등록 일제조사와 연계하여 고위험 가구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중·장년 대상자 전수조사 실시

추진계획

○ 중장년(만50∼64세)남성 1인 가구 전수조사를 통한 위기가구 발굴

- 복지통장, 우리동네주무관, 동희망드림단 : 거주불명 등록된 자 또는 거주지 변동 후 미신고자 확인

※ 방문이 어려운 1인 세대는 복지통장의 진술로 확인 및 3회 이상 방문

- 복지플래너 : 대상 가구 방문하여 초기상담 실시 및 위기가구 파악(필요시 방문간호사 동행)

- 주거취약가구(고시원, 숙박업소 등) 중 월세 또는 공과금 3개월 이상 연체 가구 집중 발굴

○ 발굴된 대상자는 사례관리를 통해 맞춤형 공적·민간지원 및 서비스 연계

- 복합적 욕구가 있는 위기 심화가구 : 구·동 사례관리 대상 선정·관리

- 희망드림단을 통한 민간자원 및 서비스 적극 연계 : 밑반찬 지원, 안부 전화 등

- 자살고위험 가구, 알코올중독 가구 : 정신건강복지센터 서비스 의뢰

- 맞춤형 급여, 서울형 기초보장, 긴급지원, 사회복지서비스 등 공적 지원제도 안내

-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 안내, 일자리 연계

기대효과

○ 은퇴, 생활고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고위험 대상자를 발굴·지원하여 자살 및

고독사 방지

○ 찾아가는 복지, 예방적 복지로 현장밀착형 위기가구 발굴 강화

Page 1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9 -

3

맞춤형

통합조사

실시

공공부조 혁신과 맞춤형 소득지원제도 확대에 따라 각종 사회보장급여

신청 서류의 표준화 및 신속ㆍ정확한 조사로 저소득층 복지 향상에 기여

추진방향

○ 찾동사업 연계・협조를 통한 신속한 조사・결정 및 맞춤형 정보 제공

○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을 활용한 자산조사와 현장 방문조사를

병행하여 통합조사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

○ 생애 맞춤형 복지 지원과 적절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하는 통합조사 실시

사업개요

○ 추진기간 : 2018. 1월 ∼ 12월

○ 조사대상 : 사회보장급여 신청자 및 부양의무자 가구

○ 조사절차 : 30일(최대 60일)이내 유기한 민원 처리

* 긴급 위기가구 신청자 최단기간 우선 조사(25일 이내)

신청등록(

동주민센터)

공적자료

요청

조사(

통합조사팀)

방문조사(

현장확인)(

통합조사팀)

보장결정(

사업부서)

추진계획

○ 사회보장급여 신청서식 및 작성안내서를 표준화하여 동 주민센터 배포

○ 신청자와 부양의무자의 공적자료조사와 생활실태조사 병행 실시

○ 법정 민원처리 기한 내 단축 기한을 설정하고 이행실태를 자체 점검

○ 신속・정확한 조사를 위해 공적자료 제공 기관과의 원활한 협조체계 구축

○ 조사의 일관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한 복잡 다양한 사례 검토회의 정례화

기대효과

○ 복지급여 신청자에 대한 신속・정확한 통합조사 실시로 행정 신뢰도 향상

○ 적정한 복지급여 및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으로 주민 복지만족도 제고

Page 1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0 -

4

신속하고

촘촘한

위기가구

긴급서비스

운영

생계곤란 위기가구에 긴급 서비스를 신속하게 지원함으로써 가정해체

및 빈곤을 예방하는 사회안전망 구축

추진방향

○ 위기상황별 맞춤형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조기에 위기 해소

○ 민·관 협업강화로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체계 강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규모 : 1,500가구

○ 소요예산 : 1,515,000천원

(국비 550,000천원, 시비 575,000천원, 구비 325,000천원, 민간자원 65,000천원)

- 긴급지원 : 1,100,000천원(국비50%, 시비25%, 구비25%)

- 서울형긴급복지 : 300,000천원(시비 100%)

- 긴급구호 : 50,000천원(구비 100%)

- 희망온돌 위기긴급지원기금 : 65,000천원(민간기관 100%)

추진계획

○ 선지원 후처리 원칙으로 48시간 이내 신속한 지원 실시

○ 위기가구 발굴 및 현장조사 민·관 협업 활성화

○ 맞춤형 서비스로 위기가구 보호체계 구축

- 가구특성, 위기상황에 맞는 단계별 긴급급여 지원

- 지원탈락 및 위기지속 가구는 타지원제도와 민간기관자원을 연계하여 위기해소

- 복합적 문제 가구는 통합사례관리로 연계하여 전문적 위기관리 지원

- 범죄피해자보호법에 제외되는 범죄피해 가구 등 대상자 지원 확대

기대효과

○ 위기상황별 맞춤지원으로 빈곤 및 가정해체 방지

○ 촘촘한 위기관리체계로 복지사각지대 해소

Page 1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1 -

5

민·

협업을

통한

사례관리

활성화

찾․동 핵심 사업인 사례관리의 활성화를 통해 복합적인 문제나 욕구를

가진 위기가구의 자립을 적극 지원

추진방향

○ 현장 방문 중심 위기가구 발굴과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으로 위기해소

○ 사례관리자 역량강화 및 정보공유 활성화로 동별 격차 해소

○ 민관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복지 안전망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목표 : 위기상황에 처한 저소득 취약가구 500세대 사례관리

○ 사업내용 : 현장 방문 중심 위기가구 발굴, 사례관리 실무자 역량강화,

민관 협업체계 구축으로 구·동 통합사례관리 활성화 지원

○ 소요예산 : 198,400천원(국 87,000천원, 시 48,000천원, 구 63,400천원)

추진계획

○ 방문중심 위기가구 발굴과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으로 위기해소

- 복지플래너 방문강화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위기가구 적극 발굴, 신속한 서비스 지원

- 동 특성을 반영한 사례회의 운영 및 주도적인 슈퍼비전 수행

- 민간 복지자원 개발을 통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총량 확대

○ 사례관리자 소진감 해소 및 역량강화 지원

- 장기간 개입, 해결이 어려운 민간기관 및 동 단위 사례는 구 사례관리 대상으로 이관

- 동 특성별(임대동/준임대동/일반동) 그룹 컨설팅으로 우수 동 사례 공유 및 벤치마킹

- 권역별(등촌/가양/방화/화곡) 정기적 슈퍼비전을 위한 1:1 슈퍼바이저 멘토링 실시

- 사례관리 실무자 전문성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슈퍼비전 실시

○ 민관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복지 안전망 구축

- 민관 통합사례회의 활성화로 복지서비스 다양화 및 총량 확대

- 민간기관의 전문성과 공공기관 공적급여 통합 지원으로 효율적인 사례관리 추진

- 소진 예방을 위한 민관 사례관리자 공동 워크숍, 사례관리 정보 및 복지자원 공유

기대효과

○ 복지대상자 방문 중심 발굴 및 통합사례관리로 맞춤형 복지서비스 질 향상

○ 사례관리자 역량강화 및 민관 협력체계 구축으로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제공

Page 1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2 -

6

강서구

지역사회보장

중기계획

수립(

제4

기)

지역주민의 변화하는 욕구 및 자원에 대한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복지수급을

전망하고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복지사업 장기 비전 제시

추진방향

○ 주민의 변화하는 욕구 및 지역자원 현황 조사를 통한 수급전망

○ 제3기 강서구 지역사회보장계획에 대한 평가를 통한 사업의 조정

○ 복지수급에 대한 중기전망에 기반을 둔 체계적 계획 수립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내용

- 지역사회 욕구 및 자원조사

※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욕구 조사

- 지역사회보장 중기계획 수립

○ 총사업비 : 연구용역비 60,000천원(구비)

추진계획

○ 제4기(2019~2022)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 연구용역 의뢰 (3월) : 외부 복지 학술연구 전문기관에 의뢰

- 욕구조사 및 자원조사 실시 (5월)

- 계획(안)에 대한 의견수렴 (8월)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및 주민공청회 등

- 지역사회보장 계획(안) 의결 확정 (10월)

○ 2019년 시행계획 수립 (11월말)

-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실천을 위한 연차별 계획

기대효과

○ 우리 구 실정에 맞는 복지수요 전망으로 지역주민의 복지체감도 향상

○ 한정된 재원으로 지역주민이 필요로 하는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Page 1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3 -

7

종합사회복지관과

찾동사업

연계

역량

강화

종합사회복지관의 인력증원 및 찾동사업 연계 협력체계 강화를 통해 지역

사회 복지 거점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역량을 강화하고자 함

추진방향

○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와 종합사회복지관의 협력체계 구축

○ 지역사회복지 거점 기관 역할을 위한 역량 강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내용

- 찾동사업 연계 종합사회복지관 협력체계 구축 : 1복지관 2개동 전담

-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 인건비 및 운영비 등 지원

○ 소요예산 : 10,206,433천원(시 10,035,004천원, 구 171,429천원)

- 운영비 : 9,635,004천원(시100%), 기능보강비 : 571,429천원(시70%,구30%)

추진계획

’18년 달라지는 사항(’17년 대비)

종합사회복지관 기존인력 증원 (17명→19명 / 시비 100%)

동 주민센터와 종합사회복지관 찾동 연계 협력체계 강화

○ 동 주민센터와 복지관간 찾동연계 네트워크 구축 : 3 ~ 12월

○ 종합사회복지관 운영비 및 시설물 기능보강 지원 : 3 ~ 12월

○ 찾동 연계 우수 프로그램 공모 : 3 ~ 12월

기대효과

○ 동 주민센터와 찾동사업 업무 공유를 통한 복지 네트워크 강화

○ 종합사회복지관 인력 증원으로 역량 및 서비스 강화

○ 지속적인 복지관 기능보강으로 쾌적한 이용환경을 조성하여 고객 편의 제공

Page 1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4 -

8

국가유공자

예우

보훈문화

확산

국가를 위하여 헌신하신 국가유공자, 그 가족 및 유족을 예우하고 지원

함으로써 복지향상을 도모하고 체험교육 등을 통한 보훈문화 확산

추진방향

○ 국가를 위한 희생과 공헌에 합당한 복지향상과 생활안정 지원 강화

○ 보훈문화 확산을 위한 나라사랑 체험 교육 강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목표 : 국가유공자 복지 향상 및 자긍심 고취, 보훈문화 확산

○ 사업대상 : 보훈대상자(8,200명), 보훈단체(10개)

○ 사업내용 : 나라사랑 체험교육, 보훈단체 지원, 국가유공자 등 위문

○ 소요예산 : 570,328천원(구비)

추진계획

○ 보훈문화 확산을 위한 나라사랑 체험교육 실시

- 지역주민, 학생 대상 나라사랑 체험교육

(개화산 전투 전적지 순례, 태극기 게양하기, 사진전 등)

- 지역자원 활용 국가유공자의 문화체험 기회 제공

○ 보훈단체 운영 및 행사 지원

- 보훈단체 공공요금 및 사무보조원 지원

- 전적지 순례, 현충원 참배, 개화산전투전사자 충혼위령제 지원 등

○「보훈문화의 날」행사 실시

- 국가유공자·유가족과 함께하는 보훈문화 행사 및 보훈단체 워크숍 실시

○ 국가유공자 위문 및 격려

- 국가유공자의 생활안정을 위한 위문금 지원(설, 추석, 보훈의 달)

- 국가유공자 사망위로금 및 보훈예우수당 지급

기대효과

○ 국가유공자 공헌에 상응하는 복리증진 및 자긍심 고취

○ 나라사랑 체험을 통한 구민 애국심 및 보훈의식 함양

Page 1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5 -

9

저소득주민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다양한 구민의 욕구에 맞춘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으로 행복한 가정

만들기에 기여

추진방향

○ 지역특성과 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 미래 설계를 위한 결혼·주거·교육·창업자금 지원을 통해 자산형성 도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대상 : 저소득 주민 686명

○ 사업내용 : 심리지원서비스 제공, 기부식품 및 생활용품 전달, 자산형성 지원

○ 소요예산 : 799,274천원 (국232,200천원, 시193,260천원, 구373,814천원)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 464,400천원(국232,200천원, 시129,060천원, 구103,140천원)

- 푸드뱅크·마켓사업 : 334,874천원(시64,200천원, 구270,674천원)

추진계획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운영 및 제공기관 점검·관리

- 아동청소년심리지원(220명), 아동청소년정서발달(15명), 부모성장심리지원(20명)

○ 지역별 이동푸드마켓 운영(300명), 나눔꾸러미 배달서비스(31명)

○ 이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부물품 확보와 보관 공간마련

○ 희망두배 청년통장(60명), 꿈나래통장(40명) 참가자 모집 및 홍보

기대효과

○ 다양한 심리지원서비스 제공으로 행복한 가정만들기 도모

○ 생활용품 제공하는 푸드뱅크·마켓운영으로 복지체감도 향상

○ 자산형성으로 다양한 미래계획 수립 및 자활기반 마련에 기여

Page 1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6 -

10

찾동사업의

체계적

관리

지원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지원을 통해 안정적

운영을 견인하고 지속가능한 중장기 운영기반 마련

추진방향

○ 분야별 협업과 공유를 통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사업 운영

○ 사업 운영 현장의 실행력 향상을 위한 다각적 지원 강화

○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와 실천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방향성 제시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대 상 : 20개 동주민센터

○ 사업내용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통해 주민과 마을중심의 지역사회

안전망 강화 및 마을공동체 조성

○ 소요예산 : 16,000천원(구비)

추진계획

○ 찾동 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체계적 관리

- 분야별(행정·마을·복지·여성·건강) 협업과 공유를 위한 연석회의 개최 : 격주

- 추진상황에 대한 정기적 관리를 위해 자체 모니터링 실시 : 반기별

○ 주민과 마을중심의 찾동 사업 실행력 향상을 위한 현장 지원 강화

-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실시 : 찾동 기본·심화교육, 워크숍 등

- 찾동의 다양한 사례 및 정보 공유로 동별 편차 해소

- 찾동 사업 홍보 : 홍보물, 홍보영상 등 제작 활용

○ 시행 2주년에 따른 사업평가 및 중장기 운영계획 수립

- 지역의 변화를 확인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시·구 합동 토론회 개최

- 후속 논의를 거쳐 자체계획 수립 후 시 제출·시행

- 주민 욕구에 따른 분야별 사업 추진 : 시 추진지원단 연계 컨설팅 추진

기대효과

○ 현장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사업 실행으로 주민 공감 및 신뢰 확보

○ 지역 실정에 맞는 발전방안 모색으로 중장기 운영기반 마련

Page 1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7 -

11

자원봉사

기부문화

활성화

개인 및 기업·단체 등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자원봉사 실천으로 재능나눔의

확산과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유도하여 자원봉사와 나눔활동 활성화 정착

추진방향

○ 개인 및 기업의 재능기부문화 정착 확대

○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재능기부 및 직무전문성 연계 활동프로그램 기획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규모 : 비예산

○ 사업내용 : 기업의 사회공헌 유도, 지속가능한 나눔문화 조성,

YES! 강서재능뱅크 운영

추진계획

○ 기존 및 마곡산업단지 입주기업 사회공헌 유도

- 마곡산업단지 입주기업 대상 사회공헌사업 설명회 개최

- 기업의 욕구에 맞는 사회공헌 컨설팅 실시 및 협력네트워크 구축

- 우수 봉사활동 기업 표창 등 사회공헌활동의 동기 부여

○ 재능기부 창구인 재능뱅크 활성화로 자원봉사 촉진 매개시스템 구축

- 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 리뉴얼로 재능기부 모집 홍보

- 우수 재능기부자에 대한 보상 확대

- 재능뱅크 데이터 정리를 통한 정보공유 및 나눔문화의 확산

기대효과

○ 개인과 기업의 지역사회 책임의식 향상 및 나눔과 협력문화 확산에 기여

○ 지역주민 봉사참여 기회 확대 및 재능뱅크 활성화 발판 마련

Page 1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8 -

12

주민친화형

자원봉사

온라인

플랫폼

구축

주민 누구나 자원봉사를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 온라인

소통창구를 열어 능동적인 자원봉사 참여 유도 및 나눔문화 확산 기여

추진방향 ○ 자원봉사와 관련한 정보교류의 열린 공간 조성

○ 자원봉사 활동 내용 공유를 통해 재능기부자의 다양한 참여 유도

○ 지역사회 내 자원봉사 활동 홍보를 통한 나눔문화 공감 유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내용 : 자원봉사 온라인 소통창구 개설, 자원봉사활동 지도 제작

○ 소요예산 : 8,000천원(구비)

추진계획

○ 자원봉사 온라인 소통창구 개설·운영

- 자원봉사 공식홈페이지 리뉴얼(‘17.9월중)에 따른 이용자 홍보 강화

- 블로그, SNS 등 온라인 소통창구 개설

- 자원봉사 활동내용, 미담사례, 활동사진 등 게재

- 포스트 및 실시간 댓글관리를 통해 자원봉사 홍보 및 봉사자간 소통 강화

○ 청소년·대학생 자원봉사 기자단 운영

- 자원봉사에 관심 있는 청소년 등을 기자단으로 구성, 봉사활동현장 취재 후

참신한 글과 사진을 월 1~2회 블로그에 게재

- 관내 축제, 행사장 등에서 홍보부스 운영 및 캠페인 전개 등

- 봉사시간 인정 및 연말 우수활동 기자 표창

○ 자원봉사활동 맵(MAP) 제작·배포

- 자원봉사수요(활동)처 및 단체를 체계화한 지도(오프라인 핸드북) 제작

- 주민이 이용하기 쉽도록 구 홈페이지 연계 및 온라인 전자책 배포

- 자원봉사에 접근하기 쉽도록 할인 가맹점 및 자원봉사활동처 수록

기대효과

○ 지역사회 관심 유도를 통한 능동적인 자원봉사 참여 유도

○ 자원봉사 커뮤니티 공간 조성 및 정보교류를 통한 나눔 문화 저변 확대

Page 2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19 -

13

자원봉사

커뮤니티

활성화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및 교육의 내실화를 통해 자원봉사자 육성 및

역량을 강화하여 주민과 함께하는 자원봉사 문화 정착

추진방향

○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 유도

○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신규봉사단 발굴, 동 캠프 활성화

○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실천한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정과 보상 실시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월 ~ 12월

○ 사업목표 : 자원봉사 프로그램 및 교육 내실화

○ 사업내용 : 지역사회 성장을 돕는 자원봉사 프로그램 및 교육

○ 소요예산 : 212,009천원(국비 14,660천원, 구비 197,349천원)

추진계획

○ 지역맞춤형 자원봉사자 교육 운영

- 현장중심의 기본교육 및 다양한 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찾아가는 방문교육 실시

- 꿈나무 자원봉사학교 운영 : 자율학기제실시에 따른 직업체험프로그램 등 연계 운영

- 전문봉사양성교육 개발 운영 : 정기적인 보수교육, 학기제 자원봉사대학 등

○ 신규 자원봉사단 발굴 및 동 자원봉사 캠프 활성화

-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주제개발을 통해 신규 자원봉사단 발굴

- 강서구 내 거주하는 가족, 시니어 등의 단위로 구성 운영

- 지역 내 봉사단체 영입 및 동 자원봉사캠프와 연계를 통한 지역문제 해결

○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행사 확대 개최

- 마곡지구 입주기업의 지속적인 사회공헌 유도 및 나눔문화 활성화를 위해

서울식물원(‘18년 하반기 개장 예정)에서 기념행사 확대 개최

- 홍보용 체험 부스, 퍼포먼스, 사진전 등 우수봉사자에 대한 격려 및 보상

기대효과

○ 체계적인 교육과 운영으로 자원봉사자 역량강화 기대

○ 자원봉사 커뮤티니 활성화를 통한 자원봉사 참여기회 확대

Page 2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0 -

생 활 보 장 과

1.

기초생활보장

확대로 ″

국민

최저선″

보장

2.

빈곤사각지대없는

위기안전망

구축

3.

맞춤형복지

지원을

위한

빈틈없는

통합관리

4. ′

징검다리

주택′

제공으로

긴급주거위기

탈출

지원

5.

주거급여

현실화를

통한

주거복지

강화

6.

희망과

나눔을

찾는

자활사업

추진

7.

일을

통해

꿈을

키워가는

자활사업

8.

건강관리

교육으로

복지대상자

건강

증진

9.

변화된

의료급여제도로

구민행복

지원

10.

보호

필요

아동의

건강한

성장

지원

11.

지역아동센터

야간돌봄서비스

제공

12.

취약계층

아동

가족관계

회복

지원

Page 2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1 -

1

기초생활보장

확대로 “

국민

최저선”

보장

도움이 필요한 구민이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초생활보장의 확대로

국민 최저선까지 보장수준을 강화하여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앞장서고자 함

추진방향

○ 부양의무자 기준의 단계적 폐지 및 수급자 기준 완화를 통한 복지대상자 확대

○ 보장 수준 강화로 구민의 기본 생활 보장

○ 강서구 생활보장위원회를 통한 탄력적 보호 강화

○ 불합리한 복지제도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제도개선 적극 제안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목표 : 구민의 최저생활 보장 및 권리구제 강화

○ 사업내용 :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 지원, 생활보장위원회 운영

○ 소요예산 : 73,043백만원(국비 43,914백만원, 시비 19,783백만원, 구비 9,346백만원)

추진계획

○ 비수급 빈곤층 등 사각지대 해소

- 부양의무자 기준 대상자별·급여별 단계적 폐지

- 기초수급자 재산 기준 완화(자동차의 기준 완화, 장기저축 이자소득 공제액 상향 등)

- 기초수급자 장기저축 이자소득 공제액 상향 조정

○ 강서구 생활보장위원회를 통한 탄력적 보호 강화

- 기준 중위소득 30%이하이나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탈락한 생계급여

비수급 빈곤층에 대해 생활보장위원회 개별 심의 의무화 추진

○ 복지제도의 불합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제도개선연구단 운영

기대효과

○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으로 사각지대 해소 및 급여수준 현실화

○ 기초수급자 권리구제 및 불합리한 복지제도 개선을 통해 복지 체감도 향상

Page 2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2 -

2

빈곤사각지대

없는

위기안전망

구축

국민기초생활보장 기준을 초과하는 비수급 빈곤층에 서울형 기초보장,

차상위계층 확인, 정부양곡 지원 등 타 법령 복지서비스를 연계하여 빈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함.

추진방향

○ 중앙정부의 보호밖에 있는 비수급 빈곤층에게 최소한의 생계보장

○ 차상위계층의 빈곤추락 방지를 위한 대응체계 구축

○ 틈새계층에 대한 타 법령 복지서비스 연계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서울형 기초보장, 차상위계층 지원연계, 차상위 정부양곡 지원 등

○ 소요예산 : 792백만원 (국비 96백만원, 시비 648백만원, 구비 48백만원)

추진계획

○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 지원대상 : 중위소득 40% 이하이나 법정보호를 받지 못하는 비수급 빈곤층

- 지원내용 : 생계(소득인정액에 따라 차등 지급)·해산·장제 급여 지원

○ 차상위 계층 등 타 법령 복지서비스 연계 및 홍보

- 지원대상 : 중위소득 50% 이하 차상위 계층

- 지원내용 : 일자리 지원, 교육·문화서비스, 각종 요금감면 등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정부양곡 지원사업

- 지원대상 : 법정 차상위 계층

- 지원내용 : 20kg 본인부담금 14,000원, 예산지원 14,110원(2017년 기준)

기대효과

○ 비수급 빈곤층에게 타법령 복지 서비스 연계로 다층적 보호 강화

○ 위기 안전망 구축으로 빈곤 사각지대 해소

Page 2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3 -

3

맞춤형복지

지원을

위한

빈틈없는

통합관리

복지대상자의 생활실태를 파악 검토하여 수혜자가 공감하고 행복도를 높이는

반면 복지예산 누수를 사전에 차단하는 빈틈없는 통합관리를 통해 행복지수를

향상시키고자 함

추진방향 ○ 복지대상자의 세심한 생활실태 파악으로 수혜자가 공감하고 행복지수를

높이는 빈틈없는 맞춤형복지서비스 연계

○ 신속한 소득·재산 변동 적용으로 부정수급을 사전에 차단하여 복지예산누수 예방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법적복지급여 생성 및 관리

- 기초생계주거의료급여, 장애인연금,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한부모아동양육비, 기초연금 등

○ 소요예산 : 150만원

○ 추진방법

- 타법령 연계 추진 : 보장중지 이전 타법령 연계 검토로 복지대상자 권리구제 강화

- 복지예산 사전 누수예방을 위하여 인적소득 변동 수시 반영, 복지대상자 중지선정 등 자격 관리

추진계획

○ 실질적 생계 곤란자에 대한 적극적인 타법지원 연계

- 복지급여 중지 예정자에 대한 각종 특례 적용, 타 복지서비스 연계

- 부양의무 불이행 등 생계 곤란자에 대한 생활보장위원회 상신

○ 2018. 10월 주거급여에 대한 부양의무 기준 우선 폐지에 따른 부양의무자

가구 정비 및 주거급여 자격 관리 범위 확대 시행

- 수급자 및 부양의무자 가구에 노인·중증장애인 1인 이상 포함된 경우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에 따른 복지대상자 확대 관리

○ 부정수급 사전방지로 복지예산 누수 방지

- 복지대상자 소득재산 변동 신고 적극 유도로 부정수급 방지

- 연 2회 정기 확인조사 및 수시 공적자료 적기 반영으로 복지예산 누수 사전 차단

기대효과

○ 수혜자가 공감하는 맞춤형복지서비스 연계로 복지체감도 향상

○ 공적자료 적기 반영 및 적극적인 통합관리로 복지예산 절감

Page 2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4 -

4 ‘

징검다리

주택’

제공으로

긴급주거위기

탈출

지원

화재, 수해 등 일시적으로 주거를 상실한 주거위기 가구에게 임시 주거지를

제공하여 가족해체 예방 및 생활안정 지원

추진방향

○ LH공사에서 보유한 관내 장기간 공급곤란 매입임대주택을 활용

○ 긴급 주거위기가구에 대한 임시 거처 제공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지원대상 : 화재, 수해, 강제퇴거 등 긴급위기로 인해 주거를 상실한 주민

○ 사업내용 : 공급곤란 임대주택을 개보수하여 단기 임대

○ 지원규모 : 2호

○ 소요예산 : 3,300만원(구 주민참여예산사업)

추진계획

○ 장기 미공급 주택 전수조사 및 수요조사

○ 임대주택 사용 협약서 체결 : 강서구청 ↔ LH공사

○ 주택 개보수 : 1,300만원 × 2개호 / 가재도구 : 300만원 × 2개호/

공공운영비 : 50만원 × 2개호

- LH공사에서 기존에 화재보험 가입한 상태

○ 입주자 선정 : 화재, 수해, 강제퇴거 등으로 주거를 상실한 가구

- 단기 임대차계약체결(입주기간 : 1개월(1개월씩 연장하여 최대 3개월))

- 입주 기준 및 우선순위 선정

기대효과

○ 재해 등으로 인한 주거위기 가구에 대해 가족해체 예방 및 생활안정 지원

○ 장기 공가 활용을 통해 임대주택 기거주자 환경개선

Page 2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5 -

5

주거급여

현실화를

통한

주거복지

강화

저소득층의 실질적인 주거비용 지원 수준을 현실화하고, 주거급여에 대한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등으로 주거안정 도모 및 주거복지 강화

추진방향

○ 임차료 수준, 거주여건 등을 반영하여 저소득층의 실질적인 주거비용 지원

○ 주거급여 수급자의 단계적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로 보장성 강화

○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 지원으로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임차급여 및 수선유지급여 지원

○ 소요예산 : 17,853백만원(국비 10,712백만원, 시비 4,999백만원, 구비 2,142백만원)

추진계획

○ 주거급여 지원수준 현실화

- 주거급여 지원액 인상

-자가가구에 대한 주택수선 보수한도 상한액 인상

○ 부양의무자 기준 페지에 따라 대상자 증가

○ 주거환경 개선 : 희망의 집수리, 장애인 주거편의 지원,

행복한 방만들기, 에너지효율개선

○ 찾아가는 주거복지 상담 서비스 제공

- 서울주택도시공사와 함께 동 주민센터를 순회하며 임대주택 및 주거지원 전반에

대한 맞춤형 상담 서비스 제공

기대효과

○ 주거급여 지원 확대로 취약계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

○ 다양한 욕구에 맞춤형 주거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주거복지 만족도 향상

Page 2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6 -

6

희망과

나눔을

찾는

자활사업

추진

민관 소통을 통한 협력 강화와 자활기금 지원 확대로 자활사업을

내실화하여 경쟁력 있는 자활사업 기반 조성

추진방향

○ 정기적 회의 개최 및 워크숍을 통한 민관소통 및 실무 역량 강화

○ 자활센터 및 자활기업 지원 확대로 경쟁력 있는 자활사업 기반 조성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민·관 소통 및 생산적 복지 활성화를 위한 기금 지원

○ 소요예산 : 228백만원(자활기금)

추진계획

○ 민·관 협력 및 연대사업 추진

- 지역자활협의체 및 실무자 정기회의 개최 : 분기 1회

- 자활사업 연구·개발·평가를 위한 민관 활성화 연수 : 10백만원

○ 경쟁력 있는 자활근로사업단 및 자활기업 육성·지원

- 사업자금 및 전세점포 임대자금 융자 지원 : 100백만원

- 자활기업 인건비 지원 : 96백만원

- 참여자의 사기진작 및 팀웍 강화를 위한 문화·소통의 날 운영 : 7백만원

- 쾌적하고 신명나는 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노후시설물 환경개선 : 15백만원

기대효과

○ 자활사업 전반의 정보나 현안을 공유하여 생산적 복지의 발전 기반 조성

○ 다양한 시대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동적인 자활기업 육성 도모

Page 2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7 -

7

일을

통해

꿈을

키워가는

자활사업

일을 통한 자립·자활을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맞춤형 고용·복지 통합

서비스를 연계하여 탈빈곤을 위한 자립의지 고취 및 자립기반 조성

추진방향

○ 고용복지플러스센터,자활센터등과의 협업을 통한 저소득층 맞춤형 취업지원 강화

○ 근로빈곤층의 탈빈곤 촉진을 위해 희망·내일키움통장 가입을 통한 자산형성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민·관 협업을 통한 저소득층 맞춤형 취업지원 및 자산형성 지원

○ 소요예산 : 6,539백만원(국비3,829백만원,시비1,829백만원, 구비881백만원)

추진계획

○ 단계별 고용서비스 연계를 통한 저소득층의 맞춤형 취업지원

- 자활근로사업·취업성공패키지 연계 및 지역자활센터 사례관리를 통한 취·창업 지원

○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의 자립의지 고취를 위한 이행 강화

- 조건부수급자의 가구여건을 고려한 맞춤형취업능력향상 프로그램 지원

- 자활참여자의 근로유인 강화 및 소득증진을 위한 자활급여 단계적 인상

○ 근로빈곤층의 자립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자산형성지원사업 확대

- 자산형성지원 프로그램의 다양화 : 희망키움통장Ⅰ·Ⅱ, 내일키움통장 등

- 가입요건 완화 및 소액 저축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신규 지원 확대

기대효과

○ 저소득층 취업강화로 취업률 제고 및 경제적 자립기반 조성

○ 자산형성지원사업을 통해 근로빈곤층의 탈수급, 탈빈곤 촉진

Page 2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8 -

8

건강관리

교육으로

복지대상자

건강

증진

복지급여 대상자를 찾아가 의료급여제도 확대 및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여

자가 건강관리 상태 향상 및 의료급여 재정 절감 도모

추진

방향

○ 의료급여 수급자의 자가 건강관리 능력 향상으로 합리적 의료이용 유도

○ 의료급여 수급자 사례관리를 통한 의료급여 재정 절감 유도

사업개요

○ 추진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의료급여 수급권자

○ 사업내용 : 변화된 의료급여 제도 설명 및 건강교육 실시

○ 소요예산 : 192,438천원(국비 86,299천원, 시비 86,299천원, 구비 19,840천원)

추진계획

○ 교육시기 : 상반기(화곡,등촌권) 하반기(가양, 방화권)

○ 사업대상 : 신규수급자, 집중관리군, 고위험군, 기타의료과다 이용자 등

○ 방 법 : 각 권역별 정기적 순회교육(복지관 내 프로그램 활용)실시

○ 참여기관 :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센터, 국민연금관리공단, 강서구 약사회

○ 내 용

- 확대된 의료급여제도 안내(외래 적정 이용 유도 및 장기입원 관리 강화 등)

- 동 방문간호사와 연계하여 현장중심의 밀착형 의료급여 사례관리 강화

- 강서구 약사회와 협조하여 약물 오·남용 방지 및 만성질환 예방교육

-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일상생활 중 건강관리 교육 등

기대효과

○ 건강관리 교육으로 질병관리에 대한 이해와 대처능력 향상

○ 교육을 통한 적정한 의료이용에 따른 의료급여 재정 절감

Page 3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29 -

9

변화된

의료급여제도로

구민

행복

지원

생활이 어려운 구민의 건강문제를 다양한 의료급여 제도를 통하여 지원

함으로써 구민의 건강 및 지역사회복지 증진 기여

추진

방향

○ 의료급여 수급자의 의료문제를 종합적으로 지원

○ 의료급여 본인부담 경감 및 보장성 강화를 통한 자가 건강 증진 도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1,2종), 북한이탈주민 등 타법적용자, 행려환자

○ 사업내용 : 본인부담 경감 및 완화, 장애인 보장구 확대 지원, 중증 및 희귀난치성질환 지원 등

○ 소요예산 : 1,607백만원(국비 803백만원, 시비 803백만원)

추진계획

○ 의료급여 보장성 강화

- 치매 국가책임제에 따른 치매수급자 본인부담 경감 확대

- 수급자의 본인부담 상한액 인하로 의료비 부담 경감

- 장애인보장구 지원 대상 확대 및 지원 금액 인상 : 보청기, 욕창예방방석,

이동식전동리프트 지원대상자 확대 예정

- 노인틀니․임플란트 본인부담 완화

- 중증 및 희귀난치성질환자 산정특례 등록

○ 의료재정 건전화를 위한 사후관리 강화

- 장기입원자에 대한 지역사회 자원 연계

- 장애인보장구 정기 사후 점검 강화

- 의료급여비용 사후관리 및 비의료인 개설 의료기관 진료비 환수

기대효과

○ 저소득주민 의료보장 확대 지원에 따른 삶의 질 향상

○ 의료급여 과다 이용자의 사례관리를 통한 자가 건강 관리능력 향상

Page 3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0 -

10

보호

필요

아동의

건강한

성장

지원

저소득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고 아동들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아동의 조화로운 성장 발달 도모

추진방향

○ 결식아동의 가정환경 및 욕구에 맞는 급식 제공

○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을 보호함으로써 아동의 권익과

복지 증진 강화

추진계획

○ 아동 급식 지원

- 대 상 : 18세 미만 저소득 결식아동

- 지원내용 : 학기중 조․석식, 방학중 조․중․석식

- 지원방법 : 지정음식점, 도시락 배달, 지역아동센터 급식이용

- 소요예산 : 1,988,626천원(국비 416,000천원, 시비 786,313천원, 구비 786,313천원)

○ 시설보호

- 대 상 :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18세 미만 아동

- 운영시설 : 아동양육시설 3개소, 아동공동생활가정 4개소

- 지원내용 : 인건비, 관리운영비, 영양급식비, 아동용돈, 명절위문비 등

- 소요예산 : 2,007,960천원(국비 93,192천원, 시비 1,914,768천원)

○ 소년소녀가정․가정위탁아동 지원

- 대 상 : 18세 미만의 보호가 필요한 아동

- 지원내용 : 양육보조금, 효정신 함양비, 자립정착금, 대학입학금, 직업훈련비 등

- 소요예산 : 113,220천원(시비 100%)

○ 입양아동 지원

- 대 상 : 18세 미만의 아동을 입양한 국내입양가정

※ 지원내용에 따라 대상자 기준에 차이가 있음

- 지원내용 : 입양아동 양육수당, 장애아동 의료비, 입양축하금, 입양장려금, 교육비 등

- 소요예산 : 221,073천원(국비 82,114천원, 시비 128,959천원, 구비 10,000천원)

Page 3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1 -

11

지역아동센터

야간돌봄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및 초등돌봄교실과 연계하여 야근이 많은 맞벌이 가정 및

취약계층 아동들의 야간돌봄서비스 실시를 통해 돌봄사각지대 방지

추진방향

○ 지역사회 및 초등돌봄교실과 연계한 야간돌봄서비스 실시

○ 늦은 시간 부모의 야근 등 돌봄사각지대 방지를 위한 야간돌봄 제공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3. ~ 12.

○ 사업대상 : 지역아동센터 및 초등돌봄교실 이용아동 중 희망아동 276명

○ 사업내용 : 19시~21시 야간돌봄서비스 실시

○ 소요예산 : 85,000천원(구비)

추진계획

○ 시행기관 선정

- 운영기간, 운영실적 등 평가지표 반영한 야간돌봄서비스 적정성 평가 실시

- 평가를 통과한 기관에 한해 예산지원

○ 시행기관에 대한 운영비 지원

- 야간돌봄서비스 사업시행에 따른 인건비·운영비 지급(월 500천원)

○ 초등돌봄교실 연계

- 지역아동센터 인근 초등돌봄교실 연계하여 야간돌봄서비스 실시

○ 시행실태 조사

- 주기적 실태조사를 통한 서비스 질 향상

○ 이용아동 및 학부모 만족도 조사 실시

- 야간돌봄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통해 문제점 확인 및 향후 개선방안 모색

기대효과

○ 초등돌봄교실과 지역아동센터를 연계한 효율적인 돌봄서비스 시행

○ 야간돌봄이 필요한 아동들이 방치되는 돌봄 사각지대 방지 효과

○ 취약계층 아동과 가족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제공

Page 3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2 -

12

취약계층

아동

가족관계

회복

지원

드림스타트 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양육자인 부모의 긍정적 변화를

토대로 아동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추진방향

○ 취약계층 아동을 포함한 가족지원 통합 사례관리 강화

○ 가족관계 개선이 시급한 위기가구의 가족 문제해결 및 기능회복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 ∼ 12.

○ 사업대상 : 만12세 이하 취약계층 아동 400명

○ 소요예산 : 349,100천원(국비 200,000천원, 시비 100,000천원, 구비 49,100천원)

추진계획

○ 가족관계 개선 신규 프로그램「우리 함께 가요」실시

- 사례관리 대상 가정 중 가족관계 개선이 시급한 위기가구 5가구

- 체계적 부모코칭 및 가족 모두가 참여하는 집단 가족프로그램

○ 드림스타트 가족지원 통합서비스 프로그램 강화

- 부자가정, 조손가정 등 가구 특성에 맞는 맞춤형, 생활형 양육지도 실시

- 부모 자조모임 교육 이후 봉사활동 연계 등을 통한 사회참여 확대 도모

- 만족도 높은 가족나들이 사업 확대를 위한 교육기관 매칭펀드 사업 실시

○ 드림스타트 가족을 위한 비예산 사업 확대

-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1:1 멘토링, 방학단기 영어학습지도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온라인수강권, 희망나눔재단 초등학생학습지지원

- 드림스타트 꾸러기봉사단으로 매월 가족단위 봉사활동 진행

○ 정서행동지원․인지언어학습․신체건강 사업 지속 추진

- 기초학습지원, 독서지도, 심리치료, 문화체험, 체육활동 지원 등 22개 사업

기대효과

○ 아동과 가족에 초점을 둔 통합사례관리를 통해 취약계층 아동에게

안정된 가정환경과 공평한 출발 기회 보장

Page 3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3 -

장 애 인 복 지 과

1.

장애인

권익증진

도모

2.

세상과

소통하는

공감

한마당

3.

장애인

사회 ․

문화

활동

지원

4.

장애인

가족과

함께

만드는

희망의

날개

5.

장애인

경제적

자립지원

강화

6.

한눈에

보는

장애인복지사업

7.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8.

장애인

수호천사의

운영

9.

수어통역센터

농아인

쉼터

운영

활성화

10.

장애인

복지시설

운영

지원

강화

Page 3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4 -

1

장애인

권익증진

도모 공약사업

장애인 당사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빈틈없는 장애인 복지

서비스를 지원하여 장애인 권익증진을 도모하고 지역 사회통합에 기여

현황

추진방향

○ 주요현황

- 등록장애인 : 28,717명(서울시 등록 장애인 수 최대)

- 장애인시설 60개소, 장애인 단체 13개, 기타지원센터 8개

○ 추진방향

-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 및 권익증진을 위한 지원 확대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강서구 관내 등록 장애인

○ 사업내용 : 장애인 편의시설 정비·확충, 이동보장구수리 지원 활성화,

장애인활동지원 사업 다양화, 인식개선사업 내실화

○ 소요예산 : 20,825,193천원

(국비 9,211,769천원, 시비 8,994,675천원, 구비 2,618,749천원)

추진계획

○ 장애인 당사자와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한 복지플랜 수립

○ 공중이용시설에 장애인 편의 시설 집중 확충

○ 이동보장구 수리 서비스 평가 및 제공기관 재지정 등 모니터링 강화로 편의증진 강화

○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및 체계적인 돌봄서비스 등 지원

○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장애 인식개선 사업 확대

기대효과

○민관 협력 체계 및 등 다양한 장애인 복지 의견 수렴 기회 마련

○ 장애 유형별 욕구 실태조사 등을 통해 서비스의 질 개선

Page 3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5 -

2

세상과

소통하는

공감

한마당 신규사업

장애로 겪는 불편함, 사회적 편견에 관한 해결방안 등을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사회 분위기 도모

추진방향

○ 장애인 당사자가 느끼는 실질적인 어려움과 문제점 체감

○ 비장애인이 가지고 있던 장애에 대한 편견 해소

○ 다양한 지역주민의 참여로 소통행정 강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장애’에 대한 전문가 강의 및 참석자 토론

○ 소요예산 : 10,000천원(구비 100%)

추진계획

○ 주제별 전문가 강의 및 토크 콘서트 진행

- 주요 주제 : 장애 없는 세상 속 밝은 나들이, 장애인과 그 가족을 위한

치유와 소통,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차별이야기 등

○ 유형별 장애특성에 따라 찾아가는 인식개선 교육

- 관내 복지기관 등 연계 실시

○ 기부천사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체험활동 등) 운영(비예산)

기대효과

○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통한 실질적인 장애인 복지 발전 기회

○ 장애·비장애인이 어울려 함께 살아가는 지역사회 분위기 조성

Page 3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6 -

3

장애인

사회

문화

활동

지원 일반사업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장애인들에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기회를 제공하여 더불어 함께하는 화합과 장애인 권익증진에 기여

추진방향

○ 장애인의 심리적ㆍ정서적 안정 지원을 위해 다양한 참여 기회 마련

○ 참여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소통의 기회와 장애인 권익증진 기여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목표 : 장애인의 사회․문화 활동을 지원하여 지역사회 통합분위기 조성

○ 소요예산 : 273,000천원(구비100%)

추진계획

○ 제39회 장애인의 날 행사 지원 : 기념식 및 유공자 표창 수여 등

○ 장애인어울림한마당 대축제 지원 : 장애인 체육활동 및 위문공연 등

○ 장애인단체 민간이전 지원

- 장애인 사회․문화 활동지원 : 강서구장애인단체총연합회 외 12개 단체

- 장애인 단체 운영지원 : 강서구 장애인단체 통합사무실 운영지원

기대효과

○ 사회 활동과 참여를 통한 지역사회와의 소통 및 화합 실현에 기여

○ 다양한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향상

Page 3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7 -

4

장애인

가족과

함께

만드는

희망의

날개 일반사업

장애인 가족의 다양한 문제 해결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여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중심의 통합 서비스 지원체계 마련

추진방향

○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한 사례 관리 및 위기가정 발굴

○ 장애인가족 중심의 서비스로 전환 및 지원 체계 구축 필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목표 : 장애인 가족의 역량강화 및 지원체계 마련

○ 소요예산 : 170,000천원(시 75,000천원, 구 95,000천원)

추진계획

○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운영 내실화

- 동료 상담가를 통한 상담 · 사례관리 실시

- 부모 · 비장애 형제자매 역량강화 프로그램 실시

- 장애자녀의 긴급돌봄 서비스 지원

- 장애인 가족 간 자조모임 형성 지원 등

○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나눔 프로그램 운영(비예산)

- 관련기관 및 기업체 등과 MOU체결로 민간자원 연계 지원

기대효과

○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과 안정적인 가정생활 지원

○ 장애인 가족의 사회참여 증진을 통한 지역사회 인식개선

Page 3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8 -

5

장애인

경제적

자립지원

강화 공약사업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에게 체계적인 직업훈련 및 일자리

지원으로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자립생활의 기반 마련

추진방향

○ 다양한 일자리 개발·보급하여 사회참여 확대

○ 장애유형과 능력에 맞는 직업재활훈련 안정화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운영합리화로 장애인의 취업기반 강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맞춤형 직업훈련의 다양화, 장애인일자리사업의 확대,

직업재활시설 운영의 활성화

○소요예산 : 1,675,349천원(국비 343,653천원, 시비 400,927천원, 구비 930,769천원)

추진계획

○ 장애유형과 능력에 맞는 맞춤형 직업훈련 안정화

○ 공공일자리사업의 배치기관 확대

- 일반형 일자리(전일제 35명, 시간제 11명, 복지형 일자리 45명)

○ 다양한 일자리 개발 및 제공

- 마곡지구 입주기업과 연계하여 장애인 일자리 개발

○ 직업재활시설 운영활성화

- 근로장애인(훈련생)의 업무집중도 및 재능발견을 위한 우수 시설 프로그램 벤치마킹

- 강서희망나눔복지재단 및 상공회의소 등과 협력하여 판매처 확보

- 직업재활시설별 특정 수요 반영한 맞춤형 경영컨설팅

- 직업재활시설 작업환경개선을 통한 생산성 제고

기대효과

○ 다양한 취업지원기관과 연계망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일자리 발굴 및 직업훈련 다양화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등 일자리사업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참여자 사후관리

○ 직업재활시설의 합리적 경영을 바탕으로 장애인 고용확대 및 소득 증대

Page 4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39 -

6

한눈에

보는

장애인복지사업 신규사업

종합적인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개개인의 욕구에

부합하는 장애인복지제도 및 서비스 안내

추진방향

○ 다양하고 복잡한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안내

○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종합적인 장애인복지 사업 안내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목표 : 장애인의 각종 장애인복지사업 지원

○ 사업내용 : 장애인복지사업안내(소책자) 제작

○ 소요예산 : 10,000천원 (구비 100%)

추진계획

○ 사업내용

- 중앙부처 및 시 · 구 자체사업, 강서구 관내 장애인복지 시설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장애인복지사업안내 소책자 발행

- 책자 내용 강서구청 장애인 홈페이지 게시

- 장애인관련 기관 및 동 주민센터에 배치하여 장애인에게 배부

기대효과

○ 종합적인 장애인복지사업을 안내하여 복지 정보 접근성 향상

○ 개인의 욕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장애인복지 제도 및 서비스 안내

Page 4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0 -

7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일반사업

생활이 어려운 장애인의 생활안정에 기여하고, 다양한 복지욕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현황

추진방향

○ 생활이 어려우나 복지서비스 미수급 중인 장애인을 “장애인 복지서비스

권리구제”를 통해 선제적 발굴

○ 장애인 복지서비스 적극적인 홍보

○ 장애유형 및 개인별 욕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목표 : 장애인의 생활안정 지원

○ 사업내용 : 장애인연금 및 장애수당, 장애아동가족지원사업

발달장애인지원사업,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 소요예산 : 15,707,000천원 (국비 7,853,500천원, 시비 5,840,925천원, 구비 2,012,575천원)

추진계획

○ 저소득장애인 생활안정지원 : 장애인연금 및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 장애아동가족지원사업 : 발달재활서비스, 언어발달지원,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 발달장애인지원사업 : 공공후견지원, 부모상담지원, 발달장애인가족휴식지원

○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 시각장애인안마서비스, 장애인보조기기렌탈서비스

기대효과

○ 장애인의 기능 향상 및 성장 지원을 통한 건강 증진 및 장애가족의 경제적 부담 경감

○ 장애아동 가족의 일상적인 양육부담 경감 및 보호자의 정상적인 사회활동 유지

Page 4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1 -

8

장애인

수호천사의

운영 신규사업

사회복지시설 중 근무환경이 열악한 장애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힐링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기진작과 업무효율성 증진

현황

추진방향

○ 장애인시설 종사자 현황 (단위:명)

계 복지관거주시설

주간·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직업재활시설

체육시설

재활치료시설

수화통역센터

466 113 104 88 64 77 7 7 6

○ 추진방향

- 지역자원을 연계하여 종사자 업무처리 능력 향상교육

- 지친 심신에 휴식과 치유로 스트레스 해소와 재충전의 기회 제공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년 연중

○ 사업목표 : 열악한 환경에서 장애인복지서비스 제공에 지친 심신치유와 사기진작

○ 소요예산 : 20,000천원(구비 100%)

추진계획

○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

- 시 기 : 상반기

- 방 법 : 강서소방서 등 지역자원을 연계하여 운영

- 내 용 : 재난안전 및 회계투명성 확보, 친절서비스, 청렴교육 등

○ 지친 심신을 치유하는 힐링 워크숍

- 시 기 : 하반기

- 방 법 : 선호도 조사를 통한 맞춤형 운영

- 내 용 : 자연 속에서 스트레스 해소와 사기진작

기대효과

○ 종사자의 사기진작과 역량강화를 통한 장애인 복지서비스 향상

Page 4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2 -

9

수어통역센터

농아인

쉼터

운영

활성화 일반사업

청각․언어장애인에게 다양한 복지서비스 및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지역주민들에게

수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장애인·비장애인의 소통과 화합에 기여

현황

추진방향

○ 우리 구 청각·언어장애인 : 3,437명(서울시 자치구 최대)

○ 장애인 · 비장애인들의 소통과 화합의 장 마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장소 : 강서구 발산로 40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內 강서지사 4층

○ 사용면적 : 199.56㎡(60평)

○ 사업내용 : 수어통역센터 및 농아인 쉼터 운영

○ 소요예산 : 300,228천원(257,648천원(시비)/ 42,580천원(구비))

추진계획

○ 강서구 수어통역센터 운영

- 청각·언어장애인 상담지도 : 개별상담 및 사후관리

- 출장 수어통역서비스 제공 : 각종민원(의료, 직업, 일반상담), 가족문제 상담 등

- 지역주민 대상 수어교실 운영(기초·중급 수준별 운영)

○ 강서구 농아인 쉼터 운영

- 60대 이상 청각․언어장애인들의 복지관·경로당 역할

- 맞춤형 휴게 공간 운영 : 휴게실, 다목적 교육실(취미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기대효과

○ 청각장애인 수어통역서비스를 제공하여 원활한 일상·사회생활 도모

○ 지역주민들의 수어에 대한 관심 제고 및 수어통역 전문 인력 양성

Page 4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3 -

10

장애인

복지시설

운영

지원

강화 일반사업

장애인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유형별 장애인 복지

시설에 대한 지원을 통해 체계적인 운영 및 맞춤형서비스 제공

추진방향

○ 장애인 복지시설의 안정적 시설운영과 관리를 위한 예산의 적기 지원

○ 장애인 복지 욕구 수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시설현황

계 복지관 거주시설

주간·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직업재활시설

체육시설

재활치료시설

수화통역센터

60 3 4 15 22 12 1 2 1

추진계획

○ 장애인복지관 및 장애인체육시설 : 5,615,241천원(시비 90%, 구비 10%)

- 장애인 상담, 사회심리·교육·직업·의료재활, 생활체육, 선수지원 등

○ 장애인시설(거주, 주․단기, 공동생활) 지원 : 7,056,577천원(시비 재배정100%)

- 주거, 재활․상담 치료, 사회적응훈련 제공 등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지원 : 3,376,163천원(시비 89%, 구비 11%)

- 보호고용, 직업훈련, 작업활동, 취업알선 등

○ 지체장애인편의시설 지원센터 지원 : 157,622천원(시비 50%, 구비 50%)

- 편의시설 설치 자문 및 기술지원, 장애인 편의시설 전수조사 등

○ 강서구 개인생활시설 운영비 지원 : 9,000천원(구비100%)

- 보조금 비교부 생활시설에 냉․난방비 등 공과금 지원

○ 장애인복지시설 안전점검 : 4,000천원(구비100%)

- 장애인 복지시설 60개소 국가안전대진단 사회복지시설 안전점검

- 1,000㎡규모이상 시설 : 건축구조기술사, 기계설비기술사 등 전문가 안전점검

기대효과

○ 장애인의 다양한 복지욕구 따른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장애인 복지시설의 안정적 운영과 관리 도모

Page 4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4 -

여 성 가 족 과

1.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으로

안심

보육

환경

조성

2.

관내

어린이집

공기청정기

설치(

렌탈)

지원사업

3.

어린이집

환경지킴이

지원

4.

영유아·

부모·

교사

모두가

행복한

열린

보육환경

조성

5.

수요자

중심

취약보육

확대

운영

6.

행복육아

실현하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7.

다양한

가족이

함께하는

가족지원서비스

통합

제공

8.

다문화가족의

자립역량

강화

안정적인

지원

9.

다문화가족의

다[多]

양한

문화‧

예술

활동

지원

10.

출산가정

지원

출산

친화적

사회분위기

조성

11.

양성평등

구정실현

문화확산

12.

여성의

능력개발

지원

구정참여

확대

13.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

강화

Page 4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5 -

1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으로

안심

보육

환경

조성

기존 시설 전환 및 매입을 통한 국공립어린이집의 지속적인 확충을 통해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환경 조성과 보육의 공공성 강화

추진방향

○ 국공립어린이집 동별 2개소 이상 추진

○ 기존 시설의 전환, 매입, 민관연대(관리동 전환) 등 확충 방안 다각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규모 : 관리동 전환 2개소, 가정 전환 3개소

○ 사업내용 : 기존 시설 전환 및 매입, 아파트 관리동 전환을 통한 확충

○ 소요예산 : 1,141,500천원(시비 876,000천원, 구비 265,500천원)

추진계획

○ 국공립어린이집 2개미만 동(화곡2, 화곡3, 화곡4) 전환 및 매입을 통한 확충

○ 기존 민간․가정어린이집 국공립 전환 지속 추진

○ 국가가 책임지는 보육의 국정기조와 수요자의 기대에 맞추어 아파트

관리동 어린이집 전환 적극 추진

○ 마곡지구 보육용지(V3)에 공공기여 방식을 통한 신규 설치 조기 착공

○ 마곡지구(H1) 신축 어르신종합사회복지관 내(1층) 신규 설치 적극 추진

기대효과

○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 환경 조성 및 보육의 공공성 강화

○ 민․관 상생 발전 도모

Page 4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6 -

2

관내

어린이집

공기청정기

설치(

렌탈)

지원사업

관내 全 어린이집에 공기청정기를 보급(렌탈)하여 어린이집 원생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쾌적하고 안전한 어린이집 조성

추진배경

○「대기질개선특별대책 10대 과제」 중 핵심과제로 어린이집 공기청정기

설치 지원 선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규모 : 관내 全 어린이집 441개소 1,975실

○ 사업내용 : 공기청정기 연간 렌탈비 지원

○ 소요예산 : 590,130천원 (시비 413,091천원, 구비 177,039천원)

- 산출내역 : 1,975실 × 298,800원 = 590,130천원

○ 어린이집 실별 연간 지원내역

구 분 설치비부담률 설치금액 비고

계 100% 298,800원

시 비 70% 209,160원

구 비 30% 89,640원

기대효과

○ 연중 발생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쾌적하고

깨끗한 어린이집을 조성하여 영아 건강보호 및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들의

만족도 향상

Page 4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7 -

3

어린이집

환경지킴이

지원

대기환경으로 부터 발달기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환경

지킴이를 채용하여 주기적으로 냉난방기 필터 교환 등 청소를 실시하고

미세먼지에 취약한 아동보호

추진배경

○ 어린이는 신체발달 미숙으로 미세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에 취약

○ 어린이집은 여성인력으로 구성되어 냉난방기 필터교환 등 청소에

어려움이 있음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규모 : 관내 어린이집 441개소

○ 채용인원 : 2명

○ 사업내용 : 냉난방기 필터교환 등 청소실시

○ 소요예산 : 38,400천원(구비 100%)

추진계획

○사업준비단 운영

- 강서구육아종합지원센터 위탁운영

- 근로자 채용 :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관내 주민들 대상으로 공개선발

○사업운영 방법

- 교육참여 : 냉난방기 전문업체 등 전문기관 교육지원

- 운영방법 : 2인 1조로 연중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냉난방기필터 교환 등

청소실시

기대효과

○ 미세먼지에 취약한 아동보호 및 이용 부모들의 만족도 향상

○ 쾌적하고 깨끗한 보육환경 조성

○ 신중장년층 사회참여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

Page 4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8 -

4

영유아·

부모·

교사

모두가

행복한

열린

보육환경

조성

수요자의 욕구와 여건을 반영한 맞춤형 보육정책을 통하여 부모의 신뢰도

및 보육교사의 만족도를 높이는 고품격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추진방향

○ 다양한 수요에 맞춰 보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보육지원체계 강화

○ 우수한 열린어린이집 운영사례 발굴·확산으로 부모의 어린이집 운영참여 확대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등

○ 사업내용 : 보육료, 어린이집 운영비, 교사처우개선비 등 지원

○ 소요예산 : 115,710,072천원(국비 28,182,930원 시비 64,504,172천원, 구비 23,022,970천원)

추진계획

○ 부모들이 체감하는 실질적인 보육비용 부담 경감

- 어린이집 이용 아동에 대한 맞춤형 보육료 지원

- 특별활동비 및 기타필요경비 수납 한도액 결정으로 부모 부담 최소화

- 정부미지원 어린이집 누리과정 아동의 부모부담 차액보육료 구비 추가 지원

○ 보육교사가 즐겁게 일하는 어린이집 환경 조성

- 보육교사의 과도한 업무 경감을 위한 보조교사·보육도우미 지원 확대

- 동일시설에서 3년이상 근무한 교사 장기근속수당 구비 추가 지원

- 보육교사의 자긍심 고취를 위해 우수 보육교사 표창 및 연합회별 연수 실시

- 교사근무환경개선비, 처우개선비, 복리후생비, 보수교육비 등 지원

○ 부모와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고 소통하는 어린이집 운영

- 영유아에게 안전하고 부모님이 신뢰하는 개방과 참여의 열린어린이집 확산

- 반 운영비, 영아간식보조비, 누리과정 운영비, 교재교구비 등 지원

○ 어린이집 운영상 불합리한 제도에 대한 개선과제를 발굴·관계부처에 개선 건의

기대효과

○ 어린이집 이용의 추가적인 보육비용을 최소화하여 부모의 자녀양육 부담 경감

○ 가정, 어린이집, 지역사회가 동반자적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안정되고

개방된 보육환경 제공으로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

Page 5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49 -

5

수요자

중심의

취약보육

확대

운영

보육수요에 따른 시간 연장형,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등 취약보육사업을 확대

운영 및 상시 점검시스템을 구축하여 영유아 보호자의 만족도 제고

추진방향

○취약 보육사업 확대 운영, 상시 점검시스템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시간영장형 어린이집,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 사업내용 : 시간연장형, 장애아통합, 장애아지원프로그램 운영 등

추진계획

○맞춤보육 실시에 따른 시간 연장형 어린이집 운영 및 관리 철저

- 시간 연장형 어린이집 이용 아동수 수요를 감안하여 신규 지정 확대

국공립어린이집 개원 및 전환시설 의무 지정

기존 어린이집 수요조사를 통한 신규 지정

- 추진목표 : 신규지정 5개소(107개소 → 112개소)

- 관리방법 : 시간연장형 어린이집 근무시간(19:30∼)준수, 보육교사

배치 적정 여부 등 야간 기획점검 강화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확대 운영

- 대 상 : 3명 이상의 장애 영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 지원내용 : 전담교사 인건비, 보육도우미 등 지원

- 추진목표 : 신규 지정 1개소(11개소 → 12개소)

○장애아 지원 프로그램 운영

- 방 향 : 장애아 통합보육 지정 및 미지정 어린이집 모두 지원

- 지원내용 : 입소전부모상담,통합보육지원,가족지원,영유아발달모니터링등

○상시 점검시스템 구축

- 방 향 : 시기별,보육시설별 맞춤점검,현장과소통을통한컨설팅형 점검

- 내 용 : 어린이집 운영, 취약보육 실태, 재무회계 등 운영 전반

- 결 과 : 우수시설 인센티브 부여,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엄격한 행정처분 실시

기대효과

○ 다양한 보육수요에 따른 취약보육 실시로 보호자의 만족도 제고

○ 상시 점검을 통한 투명하고 신뢰받는 보육환경 조성

Page 5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0 -

6

행복육아

실현하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는 양질의 맞춤형 육아종합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행복한 가정․신뢰받는 어린이집을 실현하는 수준 높은 보육환경 조성

추진방향 ○ 사전 예방적 아동학대 예방사업 지속 추진

○ 가정양육 보호자에 대한 맞춤형 육아지원 활성화

○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향상 및 보육의 질 개선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영유아 및 영유아 보호자, 어린이집 교직원 등

○ 사업내용 : 아동학대 예방, 가정양육 지원, 어린이집 지원

○ 소요예산 : 580,500천원(국비 5,600천원, 시비 162,750천원, 구비 412,150천원)

추진계획

○ 아동학대 예방사업

- 부모훈육 상담 및 교육, 인권심화 교육, 아동인권 상담, 보육교직원 상담,

훈육주제 집단상담 등

○ 가정양육 지원사업

- 시간제보육서비스 제공, 부모교육, 상담사업, 장난감대여, 어린이 도서관 운영,

체험놀이실 운영, 창의력교실 운영, 우리동네 보육반장사업, 3살 마을사업 등

○ 어린이집 지원사업

- 보육교직원 교육 및 상담, 어린이집 설치 및 평가인증 컨설팅, 대체교사 지원사업,

특별활동 재능기부, 지역 연계형 어린이집 운영(생태연구소 숲체험 프로그램),

장애아 지원 프로그램 운영, 어린이집 안전관리관 운영, 어린이집 환경지킴이 지원 등

○ 공공근로자 활용 장난감 도서관 위생 관리, 체험놀이실 안전관리, 어린이집 경보수 지원 등

○ 구민을 위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 제안

기대효과

○ 지속적인 아동학대 예방사업 추진으로 안전하고 신뢰받는 보육환경 조성

○ 육아지원 프로그램․육아공간 제공으로 영유아 보호자 양육능력 향상 및 만족도 제고

○ 어린이집 및 보육교직원 지원을 통한 보육서비스 수준 향상

Page 5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1 -

7

다양한

가족이

함께하는

가족지원서비스

통합

제공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 운영을 통해 다양한 가족이

함께하는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및 각종 가족친화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가정의 건강성 도모 및 사회통합 기반 조성

추진방향

○ 다양한 가족 대상 통합적인 가족지원서비스 제공

○ 건강한 가족문화 확산을 위한 가족친화 프로그램 실시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 및 가족친화 프로그램 실시

○ 소요예산 : 293,578천원(국비 30,000천원, 시비 151,514천원, 구비 112,064천원)

※ 서울가족학교(전액 시비) 사업비 포함

추진계획

○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지원서비스 통합 제공: 부모역할 지원, 아버지

역할 지원, 다문화가족자녀성장지원, 가족역량강화지원, 맞벌이가정

일가정양립지원, 아버지모임,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 패키지 등

○ 각종 가족친화 프로그램 실시: 가정의 달 행사 개최, 모범부부 표창,

한부모가족특화프로그램 등

기대효과

○ 보편적․포괄적인 가족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도모

○ 가정문제의 예방․상담 등을 통하여 건강가정 조성 기여

Page 5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2 -

8

다문화

가족의

자립역량

강화

안정적인

지원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생활과 사회․경제적 진출을 지원하여 결혼이민자

스스로의 역량강화를 통해 지역사회 참여 및 통합에 기여

추진방향

○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한국 사회정착을 위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다문화가족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정착 및 성장을 위한 사회․경제적 진출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다문화가족의 자립역량 강화를 통한 일자리 발굴 및 취업기회 확대

○ 소요예산 : 527,625천원(국비 206,733천원, 시비 275,893천원, 구비 45,000천원)

추진계획

○ 안정적 생활을 위한 자립 역량 강화

- 취업소양교육, 전문양성과정, 기관연계 취업교육 서비스 지원

- 다문화사회 이해교육,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 등을 통한 자립 역량 강화

○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진출 지원

- 취업상담, 일자리정보제공,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연계 등을 통한 맞춤형 취업지원

- 다문화가족 취업지원 전문기관을 통한 취업 연계성 강화

- 다문화가족의 적성․특기․직무능력을 고려한 취업 기회 확대

기대효과

○ 자립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생활 및 정착기반 조성

○ 사회․경제적 진출 지원을 통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의 성장 및 사회통합 도모

Page 5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3 -

9

다문화

가족의

다(多)

양한

문화․

예술

활동

지원

문화소외 계층인 다문화 가족을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및 활동을 지원하여

다양한 재능을 발굴․육성하고, 사회 환원을 통한 지역사회 참여의식 증진

추진방향 ○ 다문화가족의 문화․예술 분야의 활동 영역을 확대하여 심리적․정서적 안정

지원 및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부심 부여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목표 :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소통과 화합의 사회적 분위기 조성 ○ 소요예산 : 38,000천원(구비 100%)

추진계획 ○ ‘하!하!하! 하나 더하기 하나는 더 큰 하나’ 강서구 다문화 축제 개최 - 개최시기 : 2018년 하반기 예정 - 대 상 : 관내 다문화가정 및 일반가정 - 내 용 : 참여마당, 나눔마당, 공연마당 등 분야별 다문화 행사 및 공연 - 소요예산 : 25,000천원(구비 100%)

○ ‘사위나라에서 온 초청장’ 다문화가족 친정부모 초청 행사 - 대 상 : 다문화가족 및 친정 부모 - 내 용 : 다문화가족 친정 부모의 국내 초청을 위한 제비용(항공료, 숙박비, 관관 등) 지원 - 소요예산 : 비예산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사업 중 저소득시민 지원 사업비 후원

2017

다문화가족

친정부모

초청

행사

○ 개최시기 : 2017. 11. 7.(화) ∼ 11. 12.(일) ○ 내 용 : 해외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부부(5쌍)의 친정부모를 초청하여 국내 문화 소개

및 관광 등 가족 화합의 장 마련(티브로드 방송 촬영)○ 소요예산 : 비예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사업 중 저소득시민

지원 사업비 후원 32,000천원)○ 기대효과 : 한국생활․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한 가족 간의 상호이해와 친밀감 증진 및

정착의지 고취

○ 다문화가족 문화․예술 활동 지원 - 다문화 청소년 대상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운영 목 적 : 다문화 청소년의 재능 발굴․육성을 통한 정서적 안정 및 성장 지원 대 상 : 다문화 초등학생 및 중학생 등 청소년 소요예산 : 12,000천원(구비 100%) - 다문화 가족 문화·예술 분야 사회 환원 활동 지원 대 상 : 다문화 가족(청소년 합창단․오케스트라, 결혼이주여성 자조모임 등) 내 용 : 지역 축제 및 행사 등 공연 활동 지원(허준 축제, 행사 오프닝 공연 등) 소요예산 : 1,000천원(구비 100%)

기대효과 ○ 문화․예술적 공감을 통한 지역사회와의 소통 및 화합 실현에 기여 ○ 재능기부 등 사회 환원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일원으로서의 자긍심 고취

Page 5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4 -

10

출산가정

지원

출산

친화적

사회분위기

조성

출산가정에 대한 지원을 통해 부모의 양육 부담을 경감하고 출산장려

분위기 확산 사업을 실시하여 출산양육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추진방향 ○ 출산·양육에 유리한 환경 제공을 통한 출산장려 분위기 조성 ○ 홍보 및 교육을 통한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출산장려 분위기 확산 사업 실시, 출산축하용품·출산양육지원금 지원, 가정양육수당 지원 및 아이돌봄 지원사업 운영, 아동수당 지원

추진계획 ○ 출산장려 분위기 확산 사업 실시 - 대 상 : 관내 주민 - 내 용 : 출산장려 캠페인, 출산지원사업 홍보책자 제작 ·배부 및 구민 대상 교육 실시 - 소요예산 : 8,000천원(구비 100%)

○ 출산축하용품 및 출산양육지원금 지원 - 대 상 :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출생신고한 가정 - 내 용 : 첫째아 가정에 5만원 상당 출산축하용품 지원 및 둘째아 이상 출산가정 중

출산일 기준 12개월 이상 거주한 가정에 양육지원금 차등지원(출생순위별) - 소요예산 : 총 929,000천원(구비 100%) 출산축하용품 160,000천원, 출산양육지원금 769,000천원 ※ 서울시에서 2018.하반기부터 출산축하용품(10만원 상당) 지원 예정(2017.9.21.조례 제정)

○ 가정양육수당 지원 - 대 상 : 어린이집·유치원·종일제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는 취학 전 84개월 미만 가정양육 아동 - 내 용 : 12개월 미만 20만원, 24개월 미만 15만원, 84개월 미만 10만원 지원 - 소요예산 : 22,194,000천원(국비 45%, 시비 38.5%, 구비 16.5%)

○ 아이돌봄 지원사업 운영 - 대 상 : 만 3개월~만12세 아동이 있는 서비스 이용 희망 가정 - 내 용 : 부모의 부재 중 임시 보육, 보육시설 등·하원, 놀이활동 등 - 소요예산 : 1,800,006천원(국비 30%, 시비 35%, 구비 35%) ※ 종일제 아이돌보미· 저소득 한부모 추가 지원(시비100%), 종사자 수당(’18년도 신

규, 시비50%, 구비50%) 등 포함

○ 아동수당 지원 - 대 상 : 6세 미만 아동(6세 생일 도래하는 달의 전달까지 지급) - 내 용 : 2018. 9월부터 월 10만원 지원 - 소요예산 : 11,444,820천원(국비 60%, 시비 28%, 구비 12%) ※ 보조인력배치 및 안내문 제작, 우편발송료(국비50%, 시비35%, 구비15%) 등 포함

기대효과 ○ 출산장려 사회분위기 조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Page 5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5 -

11

양성평등

구정실현

문화확산

주요정책의 입안 및 실행 등 모든 단계에 성인지적 관점을 적용하여

양성평등 구정을 실현하고 구민의 양성평등 의식 향상 및 문화 확산

추진방향

○ 구정 전반에 성인지적 관점을 적용하기 위한 추진체계 확립

○ 직원 및 구민 성인지, 양성평등 교육 기회 확대로 양성평등 의식 향상

추진계획

○ 성별영향분석평가

- 제정․개정을 추진하는 자치법규와 양성평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획

및 사업 등을 대상으로 성별영향분석평가 실시

- 강서구성별영향분석평가위원회(10명 이내) 구성․운영으로 내실화

- 젠더거버넌스 운영으로 양성평등 정책에 주민참여 촉진

○ 전문기관 위탁 ‘공무원 성인지 역량강화 교육’

- 대 상 : 직원 현원 대비 25% 이상

- 내 용 : 성인지 역량 향상, 정책의 성별 관련성 등 성인지 관점의 이해

- 소요예산 : 10,000천원 (25,000원×400명)

○ 주요정책 결정과정에 양성이 평등하게 참여

- 위원회 구성 시 위촉직 위원의 경우 특정 성별이 위촉직 위원 수의 10분의 6을

초과하지 않도록 추진

○ 구민이 공감하고 함께하는 양성평등

- 양성평등의식 및 실천 실태조사, 구민 양성평등 교육 및 캠페인 실시

- 양성평등 인식 확산을 위한 표어(포스터) 공모 및 양성평등 가이드북 제작

- 양성평등 주간 기념행사(유공자표창, 기념식, 특강 등)

- 소요예산 : 35,000천원

기대효과

○ 구정 전반에 성인지적 관점 확산 및 주요정책의 성평등 실현

○ 양성평등 문화 확산 및 구민의 관심과 참여 제고

Page 5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6 -

12

여성의

능력개발

지원

구정참여

확대

여성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여성리더들의

소통 기회를 확대하여 정보 교류 및 지역사회 활동 촉진

추진방향

○ 여성지도자로서의 능력과 자질 함양으로 주체적으로 구정에 참여하는 문화 조성

○ 여성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웃과 더불어 함께하는 지역사회 구현

추진계획

○ 여성최고지도자 과정 강서-이화 아카데미 운영

- 일 정 : 상반기(3~6월) 주 1회, 12주 과정

- 대 상 : 만 20세 이상 강서구 거주 여성(80명)

- 내 용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리더십 향상을 위한 다양한 주제

- 소요예산 : 21,000천원(구비 100%)

○ 리더십 향상 및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여성리더 워크숍

- 일 정 : 2018년 11월 중

- 대 상 : 여성활동가 80여명

- 내 용 : 전문가 특강, 여성리더 간 소통의 장 마련

- 소요예산 : 6,000천원(구비 100%)

○ 여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일자리포럼 개최 및 조부모 교실 확대 운영

- 일 정 : 2018. 7월 ~ 11월중

- 대 상 : 강서구 거주 경력단절 여성 200명내외/(예비)조부모 200명

- 내 용 : 여성 일자리 지원정책 등 일․가정 양립을 위해 주민과 함께 고민하는 장

마련 및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들의 양육 지원 교육

- 소요예산 : 12,000천원

○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 강서여성포럼 활성화 : 젠더거버넌스 활동을 통한 성별영향분석대상사업 모니터링,

밤길 안전지도 제작, 폭력예방 캠페인 전개 등

- 여성단체, 강서이화사랑나누미 봉사단 활동 지원

기대효과

○ 여성의 능력 개발, 구정참여 확대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Page 5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7 -

13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

강화

여성폭력 예방활동 강화 및 폭력피해자 보호 등 지역사회 안전망을

구축하여 편안하고 살기 좋은 환경 조성

추진방향

○ 아동․여성 안전지역연대의 기능강화와 실질적 운영으로 폭력예방 및 피해자 보호

○ 주민스스로 안전한 마을 만들기 인식 확대 및 참여로 범죄예방 기능 강화

추진계획

○ 지역사회 아동․여성 안전망 강화

- 아동·여성안전지역연대를 중심으로 폭력 예방 및 안전 활동 강화

- 안전취약지역 여성안심귀가 스카우트 운영

- 다중이용시설(여성화장실 등) 몰래카메라 설치여부 점검하는 여성안심보안관 운영

- 여성안심 무인택배함(10개소) 및 안심지킴이집(36개소) 운영

○ 폭력피해자 상담 및 치료 지원

- 가정폭력·성폭력 상담소 운영 지원

-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의료비 및 가해자에 대한 교정치료 지원

○ 구민과 함께하는 맞춤형 폭력예방 교육

- 관내 학교와 연계한 데이트폭력, 사이버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캠페인

- 뮤지컬 등 문화공연을 통해 배우는 청소년 성의식 함양 교육 실시

- 구민대상 가정폭력·성폭력 예방교육 실시(안전지킴이, 통반장 등)

- 폭력예방 캠페인(양성평등주간 및 폭력추방기간 중)

○ 아동· 여성안전 취약환경 개선

- 안전한 밤길 환경조성을 위한 밤길안전지도 제작(1개동)

- 초등학생 대상 아동안전지도 제작(5개교)

○ 소요예산 : 39,000천원

기대효과

○ 취약계층에 대한 범죄와 폭력 예방으로 여성과 지역주민이 안전한 마을조성

Page 5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8 -

어 르 신 복 지 과

1.

인생이모작

지원을

위한 50+

센터

건립

추진

2.

휴식과

문화가

있는

어르신

여가생활

지원

3.

마곡

어르신종합복지관의

조속한

건립

추진

4.

즐거운

청춘

마당,

어르신복지관

운영

5.

노후의

행복

장기요양서비스

제공

6.

어르신

맞춤형

사회활동

지원

7.

독거어르신

주거환경개선

서비스

제공

8.

어르신의

안정된

노후

생활

지원

Page 6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59 -

1

인생이모작

지원을

위한 50+

센터

건립

추진

50+세대(50~64세)의 노후불안을 해소하고 풍부한 경험과 축적된 능력을

사회에 제공 하도록 50+센터를 건립하여 인생 재설계 기회 부여

추진방향

○ 50+세대(50~64세)의 인생 재설계 교육 및 교류를 위한 활동 공간 조성

○ 공공기여를 통한 50+센터 건립 추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4. 8. ~ 2019. 12.

○ 사업규모 : 연면적 2,257㎡(지하 1층 724㎡, 지상 1층 466㎡, 지상 2층 1,067㎡)

(지하 5층, 지상 13층 건축물 일부사용)

○ 사업장소 : 강서구 강서로68길 23(등촌동)

○ 소요예산 : 비예산(공공기여, 경동산업개발)

추진계획

○ 50+센터 건립계획 서울시 제출 및 내부시설 조성 소요예산 확보

○ 서울시 인생이모작지원사업과 연계 프로그램 개발

추진상의

문제점

효율적

이행방안

○ 문 제 점 : 50+센터 운영에 따른 재정 부담(연간 운영비 7억 소요 예상)

○ 이행방안 : 관련부서와 협의하여 센터운영에 필요한 재정 확보

기대효과

○ 풍부한 경험과 삶의 지혜로 지역사회를 이끄는 창조적 역할 기대

Page 6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0 -

2

휴식과

문화가

있는

어르신

여가생활

지원

어르신사랑방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정비하고 다양한 어르신 여가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여가문화 조성

추진방향 ○ 어르신사랑방 기능보강 및 환경정비를 통해 쾌적한 여가생활 공간 조성

○ 다양한 문화행사와 여가프로그램 제공으로 어르신 여가 문화 활성화

추진개요

○ 사업내용 : 어르신사랑방 시설 개․보수 및 어르신 여가 문화 프로그램 지원

○ 소요예산 : 772,608천원(시비 61,826천원, 구비710,782천원)

추진계획

○ 안전하고 쾌적한 어르신사랑방 환경 조성

- 구립 어르신사랑방 시설 개․보수 및 물품지원

- 공공근로를 활용한 깔끔기동반 지속 운영

- 구립 어르신사랑방 방역사업 확대, 석면지도 작성

- 소요예산 : 249,000천원(구비)

○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어르신사랑방 조성

- 무더위․한파쉼터 확대 및 관리 강화

- 시주민참여 공모를 통한 개방형 어르신사랑방 추가설치 운영(2개소)

- 소요예산 : 53,000천원(시비 50,000천원, 구비 3,000천원)

○ 문화가 있는 어르신 행사 추진

- 동별 경로잔치, 어버이날 기념 효 콘서트, 노인의 날 기념행사

- 소요예산 : 154,536천원(구비)

○ 어르신사랑방, 어르신문화교실 내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운영

- 어르신사랑방, 어르신복지관, 노인회지회와 연계하여 동별 특색 있는

프로그램 운영

- 관내 교회, 성당 내 어르신 문화교실 프로그램 운영 지원

- 소요예산 : 316,072천원(시비 11,826천원, 구비 304,246천원)

기대효과

○ 건전한 어르신 여가문화 조성 및 활기찬 노후생활 지원

○ 어르신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공경의식 제고

Page 6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1 -

3

마곡

어르신종합복지관의

조속한

건립

추진

마곡지구개발로 인한 노인인구 증가, 복지시설 수요 증대에 대비하고

다양화되는 노인복지욕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곡지구 내

어르신복지관 건립 추진

추진방향

○ 구 재정여건을 감안하여 공공기여를 통한 건립 추진

○ 화곡동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어르신복지관의 분산 배치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4. 8. ∼ 2019. 6.

○ 사업규모 : 1층∼4층 규모로 공공기여 시공사와 협의

○ 사업내용 : 어르신복지관 및 데이케어센터 병설

○ 소요예산 : 비예산(공공기여, 이랜드 컨소시엄)

추진계획

○ 2018년

- 상반기 :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개발계획 변경 인가 및 고시

- 하반기 : 도시공원조성계획 수립, 건립계획 수립

○ 2019년 : 마곡 어르신종합복지관 착공

추진상

문제점

효율적

이행방안

○문 제 점 : 시공사의 경영난으로 공공기여 지연

○이행방안 : 조속한 공공기여 추진을 위한 지속적 업무협의 및 의견제출

기대효과

○ 마곡지구 및 인근 지역 어르신의 복지시설 이용 편의 증대

○ 복지시설 확충에 따른 적정 복지서비스 제공 및 복지욕구 충족

Page 6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2 -

4

즐거운

청춘

마당,

어르신복지관

운영

어르신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만족도 높은 종합적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사업개요

○ 사업기관 : 시립어르신복지관 1개소 및 구립어르신복지센터 4개소

○ 이용대상 : 60세 이상 강서구민

○ 운영방법 : 사회복지법인에 위탁

○ 소요예산 : 1,497,008천원(구비)

추진계획

○ 활기찬 노후와 자기계발을 위한 평생교육 및 취미여가 프로그램

- 한글·외국어 교실, 예능활동, 체육활동, 동아리활동 등

○ 건강생활 지원을 통한 노인성 질환 예방 및 급식제공

- 물리치료, 건강 상담, 경로식당 운영, 밑반찬 지원 등

○ 사회참여 및 일자리 사업지원을 통한 고용창출 및 자존감 고취

- 자원봉사 활성화, 실버봉사단, 급식 도우미, 아동 교통안전지도 등

○ 지역자원개발을 통한 노인복지서비스의 다양성 증대

- 촉탁의 진료, 금융·법률상담, 바자회 실시 등

○ 거점 수행기관으로서 전문성을 활용 어르신 사랑방 활성화 프로그램 지원

- 노래교실, 건강체조, 후원물품 연계 등

○ 각종 공모, 후원을 통한 특성화 사업 운영

- 뮤지컬 동아리 재능기부 활동(아름다운 도전, 할마미아)

- 어르신 이야기꾼 양성하여, 취약계층 아동에게 동화구연(빨간 모자 스토리)

- 수요자 맞춤형 복지 : 사별을 경험한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요리교육, 정서 지지 프로그램, 웰다잉 프로그램을 진행(쓰리고)

기대효과

○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위한 돌봄 기반 마련

○ 다양한 복지서비스 제공을 통한 어르신 복지욕구 충족

Page 6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3 -

5

노후의

행복

장기요양서비스

제공

장기요양기관에 대한 다각적 운영지원과 장기요양제도 이해교육 및 인권

지킴이 운영을 통해 장기요양 서비스 수준 향상으로 이용자 만족도 제고

추진방향

○ 치매어르신 단계적 지원 및 서울시 인증시설 지원

○ 장기요양제도 이해교육 및 인권지킴이 운영을 통한 서비스 수준 향상

추진계획

○ 요양원 및 데이케어센터 운영지원

- 지원대상 : 천사노인요양원 등 3개소, 가양5데이케어센터 등 11개소

- 사업내용 : 일상생활 및 치매전문서비스 지원, 운영보조금 지원

- 소요예산 : 968,000천원(시비재배정)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지원

- 지원대상 : 장기요양 1~5등급 기초생활수급자 및 기타 의료급여수급자

- 사업내용 : 방문요양·목욕·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복지용구 지원

- 소요예산 : 10,983,000천원(시비 8,017,000천원, 구비 2,966,000천원)

※ 시비분담금 8,017,000천원은 시비재배정 예산임

○ 복지사각지대 어르신 본인부담금 지원

- 지원대상 : 장기요양 1~5등급,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60%이하,

서울형 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충족자

- 사업내용 : 장기요양서비스 본인부담금 지원

- 소요예산 : 8,600천원(시비재배정)

○ 인권지킴이 운영 및 장기요양기관 관리를 통한 서비스 향상

- 대 상 : 구민, 직원, 장기요양기관 관계자

- 사업내용 : 시설 인권지킴이제도 운영, 지도․점검, 장기요양제도 이해교육

- 소요예산 : 4,500천원(구비)

기대효과

○ 장기요양서비스의 고품질화로 어르신들의 건강증진 및 삶의 수준 향상

○ 전문적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을 통해 어르신 및 보호자의 생활안정 지원

Page 6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4 -

6

어르신

맞춤형

사회활동

지원

어르신 친화적인 맞춤형 일자리를 지원하여 삶의 만족도 제고 및

사회구성원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추진방향

○ 맞춤형 일자리 제공을 통해 어르신의 안정적·자립적 노후생활 지원

○ 사회활동 참여로 성취감과 자긍심 고취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 ∼ 12.

○ 사업규모 :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 사업내용 : 43개 사업 1,930명

○ 지원내용 : 월 27만원 이내

○ 소요예산 : 5,196,344천원

(국비 1,558,902천원, 시비 1,818,721천원, 구비 1,818,721천원)

추진계획

○ 추진내용 : 실버봉사단, 급식 도우미, 아동 교통안전지도 등 43개 사업

○ 추진방법 : 구청 및 강서노인종합복지관 등 17개 수행기관 연합운영

○ 추진일정

- 2018. 1. : 계획수립 및 사업수행기관 선정

- 2018. 2. : 참여자 모집공고 및 선발

- 2018. 3. ∼ 11. : 사업시행 및 소양(안전)교육 실시

- 2018. 11. ∼ 12. : 사업평가 및 만족도 조사

기대효과

○ 어르신 사회활동지원을 통해 어르신들의 노후생활 안정 및 복지 향상 기여

○ 푸드마켓 관리, 뻥튀기 제조·판매 등 신규 노인일자리 발굴 추진

Page 6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5 -

7

독거어르신

주거환경개선

서비스

제공

주거환경이 열악한 독거어르신에게 민간자원을 연결한 주거환경 개선

서비스를 제공하여 삶의 질 향상 도모 및 더불어 사는 공동체 구현

추진방향

○ 독거어르신 주거환경 개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도모

○ 민간자원을 연결하여 더불어 사는 공동체 사회 구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8. 1. ∼ 12.

○ 사업대상 : 주거환경이 열악한 독거 어르신

○ 소요예산 : 비예산(민간자원 연계)

추진계획

○ 수행기관 : 구청, 강서노인종합복지관, 홈플러스, 열관리협회, 귀뚜라미 보일러 등

○ 사업내용 : 종합적인 주거환경 개선

- 에너지 : 단열재 시공, 에너지 고효율 LED 램프 시공

- 안 전 : 누전차단기, 노후 전기배선 교체, 출입문 시건 장치 보수

- 위 생 : 벽지, 페인트 도색, 장판 교체

○ 추진방법

- 수행기관, 동 주민센터 등과 협조하여 매월 1가구 서비스 대상자 선정

- 대상자 사전 방문상담을 통해 서비스 내용 결정

- 서비스 제공, 만족도 조사 등 사업평가

기대효과

○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환경 개선으로 어르신 건강 증진과 안전사고 예방

○ 취약계층 어르신에 대한 지역사회의 보살핌 체계 구축

Page 6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6 -

8

어르신의

안정된

노후

생활

지원

어려운 노후를 보내는 어르신에게 기초연금 지급 및 생활 서비스 지원을

확대하여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장하고 어르신 복지 증진에 기여

추진방향

○ 기초연금법에 의거 대상 수급자에게 매월 기초연금 지급

○ 거동불편 및 독거 어르신 지원을 위한 보건․복지서비스 연계체계 구축

○ 결식우려 어르신에게 식사를 제공하여 결식 방지 및 기본적인 생계 보장

사업개요

○ 기초연금 지급

- 대 상 : 만65세 이상 어르신(월소득인정액 기준충족)

- 지 급 액 : 단독가구 20,000원∼206,050원, 부부가구 40,000원∼329,680원

※ 2018.9월 단독가구 250,000, 부부가구 400,000원으로 단계적 인상 예정)

- 소요예산 : 112,674,290천원

(국비 78,872,003천원, 시비 16,901,143천원, 구비 16,901,144천원)

○ 어르신 맞춤복지서비스 확대 지원

- 대 상 : 만65세 이상 어르신

- 내 용 : 거동 불편한 어르신의 안전 확인 및 가사․활동 지원

· 기본돌봄서비스 : 유선 또는 방문을 통한 정기적 안전 확인

· 종합돌봄·단기가사 서비스 : 식사·청소·세탁 등 가사·활동 지원

· 2017년 대비 기본돌봄 75명, 종합돌봄서비스 대상 33명 확대

- 운영방법 : 돌봄서비스 기관 지정 운영

- 소요예산 : 1,353,532천원

(국비 670,106천원, 시비 348,373천원, 구비 335,053천원)

○ 저소득 어르신 무료급식 지원

- 대 상 : 가정형편이 어렵거나 식사를 거를 우려가 있는 어르신

- 내 용 : 경로식당 중식제공, 식사배달, 밑반찬배달

- 운영방법 : 어르신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등에서 수행

- 소요예산 : 3,062,533천원(시비 2,204,801천원, 구비 857,732천원)

기대효과

○ 어르신들의 소득보전을 통해 안정된 노후생활 지원

○ 취약계층 어르신에 대한 서비스 지원으로 사회안전망 구축

Page 6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7 -

1.

미세먼지·

소음

집중관리

2.

건강

취약자

위한

공기청정기

보급

3.

폭염·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긴급

살수차량

운행

4.

자동차

관련 (

초)

미세먼지

집중관리

5.

민·

협력으로

동네

환경문제

해결

6.

공공시설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확대

7.

구민과

함께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천운동

8.

생활

실천하는

환경

프로그램

운영

9.

안전한

어린이활동공간과

쾌적한

실내공기질

관리

Page 6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8 -

1

미세먼지·

소음

집중관리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소음을 집중 관리하고 모니터링 등 다각

적인 민원 예방대책을 추진하여 맑고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추진방향

○ 비산먼지 발생사업장 지도․점검 강화하여 미세먼지 및 소음 발생 최소화

○ 모니터링 실시, 소음상시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도로 클린관리제, 공사장관리요령,

소음 및 비산먼지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사업자가 적정하게 관리토록 유도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 중

○ 사업내용 : 미세먼지 및 소음 발생 사업장 관리강화 및 모니터링 등 실시

○ 소요예산 : 3,200천원(구비)

추진계획

○ 비산먼지발생사업장 및 소음민원 지도·점검

- 연면적 1,000㎡ 이상 공사장 : 월 및 분기별 현장 점검 실시

- 연면적 1,000㎡ 미만 공사장 : 민원발생시 현장 점검 실시

○ 비산먼지, 소음 관리 모니터링 및 1사1도로 클린관리제 운영

- 민간단체로 구성된 모니터 요원의 공사장 소음, 먼지 관리(주1회, 5개조)

- 대형공사장 “소음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 6개소

- 연면적 10,000㎡ 이상 대형공사장(토목공사) 도로클린관리 : 20개소

○ 사업장에 공사장 관리요령 및 민원 예방대책 홍보물 배부

○ ‘강서구 생활소음 및 비산먼지 등 피해저감과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기대효과

○ 생활민원 10% 저감(2014년→2018년)

- 비산먼지 173건 → 155건, 소음 1,390건 → 1,251건

Page 7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69 -

2

건강

취약자

위한

공기청정기

보급

미세먼지에 취약한 65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 수급자에게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조립식 공기청정기를 보급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건강을 보호

추진방향

○ 대기질 나쁨 날 증가로 일상생활에서 미세먼지 저감방안 강구 필요

○ 미세먼지에 취약한 노약자에 간편한 보호대책 마련

사업개요

○ 추진기간 : 2018. 3. ∼ 4.

○ 지원대상 : 65세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자

○ 사업내용 : 공기청정기 부품을 구매하고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조립 후 미세먼지에

취약한 노약자에게 보급(제품규격 : 180×180×300mm)

○ 소요예산 : 22,000천원(44,000원×500개)

추진계획

○ 미세먼지 제거 공기청정기 부품 구매

- 미세먼지 제거율 95%이상인 제품으로 구매

○ 공기청정기 조립 및 보급

- 자원봉사부서(복지정책과)와 협조하여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조립

- 동 주민센터에서 기초생활수급자 중 지급대상자를 선정하여 보급

기대효과

○ 미세먼지에 취약한 노약자에게 공기청정기를 보급하여 구민건강보호

○ 간편한 공기청정기 사용으로 미세먼지 불안 해소

Page 7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0 -

≪ 살수차량운행조건 (주의보 ·경보 발령시 )≫

○ 폭염특보(주의보·경보) - 주의보(일 최고기온이 33℃ 이상 2일이상), 경보(35℃ 이상 2일이상) ○ (초)미세먼지 주의보·경보 - 주의보 : 시간평균농도 (90)150㎍/㎥이상, 경보 : (180)300㎍/㎥이상 2시간 이상 지속시

3

염·

세먼지

주의보

발령

긴급

살수차량

운행

하절기 폭염과 미세먼지 발생으로 심각한 건강피해가 예상 되는바, 민·관 협력을

통해 주택가 이면도로 등 살수차량 운행으로 구민건강을 보호하고자 함

추진방향

○ 폭염과 미세먼지 주의보·경보 발령시, 관내 도로 긴급 살수조치로 도심 열

식히기와 미세먼지 발생 저감

※ 최근 서울시의 시민건강 위협하는 고농도 미세먼지를 국가재난으로 규정

○ 1사 1도로 클린관리제 확대운영(자발적 참여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운동)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18. 4. ∼ 9월말까지(6개월간)

○ 참여기관(부서) 및 장비내역

- 환경과(자체) 살수차량 운영 : 1대(1톤 화물), 2018년 구입예정

- 새마을지도자강서구협의회 : 5대(1톤 화물차) ※

구에서

살수장비

구매·

장착

- 비산먼지 공사장 : 14대(대형 물탱크 탑재 차량 - 기운영)

○ 운영방법 : 폭염 및 미세먼지 주의보·경보 발령 시 ⇒ 문자발송(20대 살수 요청)

⇒ 주택가 이면도로와 공사장 주변도로 집중살수

○ 소요예산 : 62,800천원(차량구매, 살수장비, 유류대 등)

추진계획

○ 『폭염 ·미세먼지 주의보·경보』발령시, 긴급 살수차량 운행

- 참여 기관별 역할 및 임무

[환경과]

· 주의보·경보 발령(해제)시 (새마을지도자협의회와 공사업체 담당자에 문자발송)

· 자체 살수차량(1대)은 주택가 이면도로 중 위험구간 직접 살수

Page 7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1 -

연번 시 설 명 소재지 시설구분 양수량(톤/일)

급수전 활용 관리부서

1서남환경공원내

공원관리사무소마곡동 202번지

서남물

처리수30

공항동, 방화1,2,3동,

등촌3동, 가양 1,2동공원녹지과

2코오롱 오투빌

3차 아파트

공항대로55길 19

(등촌1동)

지자체

시 설100 염창동, 등촌1동, 가양3동

재난관리과

물관리과3 신정여상

등촌로13아길 20

(화곡4동)정부지원 120 등촌2동, 화곡 2,4,8동

4 강서구청(후정)강서구 화곡로

302 (화곡6동)정부지원 160

우장산동, 화곡본동,

화곡1,3,6동,발산1동

물탱크(1톤), 고압분무펌프(13마력) 도로살수 전경(살수바)

한진중공업<물탱크(8톤) 차량전면> 김포공항내 도로살수<차량후면>

〔새마을살수방재단〕- 주택가 이면도로 물청소 차량 운행 - 차량 1대당 4개동씩 살수

대형 공사업체〕- 14개소, 공사장 주변 약 1~2KM이상 살수구간 연장운행

○ 살수차량 급수전 현황

○ 도로 미세먼지 측정 초과시, 긴급조치

- 대 상 : 4차선이상 도로 먼지 이동 측정결과, 미세먼지 초과지역(200μg/㎥·일)

- 측정기관 : 한국 환경관리공단(주 1~2회) ※

자치단체는

월 1

회씩

측정

- 초과지역에 청소장비(먼지흡입차량 3대, 노면청소차 6대, 물청소차량 8대)를 긴급투입 집중제거

기대효과

○ 민․관 공동 협력으로 환경오염문제 해결

○ 주택가 이면도로 “미세먼지 저감”과 “도심 열 식히기” 로 생활밀착형 행정구현

Page 7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2 -

4

자동차

관련 (

초)

미세먼지

집중관리

미세먼지 발생으로 구민 건강에 심각한 위협과 쾌적한 생활을 저해하고 있어

민간단체와 부서 간 협업을 통해 쾌적하고 살기좋은 강서구를 만들고자함

추진방향

○ 기업체·민간단체·강서구가 공동 참여하는 민․관 거버넌스 구축

○ “미세먼지 발생”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오염원 선정 집중관리

□ 추진개요

○ 추진기간 : 2018. 1. ∼ 12.

○ 추진방법 : 구와 자동차관련 기관 간 협력과 협업을 통한 추진

○ 사업대상 : 생활속에 잔재하는 미세먼지 제거

○ 소요예산 : 5,000천원

추진계획

○ 자동차 배출가스 줄이기 민·관 공동협력(기 협약체결)

- 자동차 배출가스 무료점검 및 안전점검(대단지 아파트, 도로변 등 15회)

- 참여기관 : 기아자동차서비스센터, 자동차정비업 강서구협의회, 강서구 자동차전문정비조합

- 역할분담 : 배출가스 무료점검(구청), 안전점검,소모품 교체(자동차관련 단체·기업체)

○ 자동차 공회전 단속 및 배출가스 수시점검

○ 기업환경실천단과 함께하는 녹지공간 조성(기 협약체결)

나무

한그루

미세먼지

흡수량 年 35.7g,

경유차 1

대발생 1,680g

나무 47

그루

필요 - 추진기간 : 2018. 3~6월까지 (공원녹지과에서 3월경 장소 선정)

- 참여기관 : 강서행동21 기업환경실천단(대한항공외 16개사)

- 추진계획 : 약 2,000주 내외 나무식재 및 돌보미사업 활동

○ 구민홍보·교육(미세먼지 저감 실천사항 등 홍보물 제작·배포)

기대효과

○ 구민들의 건강보호와 쾌적한 생활환경 유지

Page 7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3 -

5

민·

협력으로

동네

환경문제

해결

자동차 정비업체 밀집지역에 인근주민․환경단체와 공동협력으로 지역환경문제 해결

추진방향

○ 인근주민·환경단체·강서구가 공동 참여하는 민․관 거버넌스 구축

○ 인근주민의 직접참여로 문제점 도출, 해결방안 모색

사업개요

○ 사업목표 : 주민․환경단체․강서구 공동협력으로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 사업기간 : 2018. 1. ∼ 12.

○ 사업내용 : 정비업체 밀집지역(염창동, 등촌1동, 가양1동, 발산1동), 버스·

택시 차고지 합동 지도·점검으로 지역환경 개선

○ 소요예산 : 7,000천원

추진계획

○ 자동차 정비업소 밀집지역 모니터링

- 대 상 : 66개소(염창동, 등촌1동, 가양1동,발산1동)

- 구 성 : 18명(정비공장 인근 주민, 환경단체, 공무원)

- 운영방법 : 모니터요원 교육 후 상시 모니터링, 위반사항 발견시 환경과에

유선통보 ⇒ 환경과 현장 출동 조치

○ 민·관 합동 지도·점검반 구성․운영(분기 1회)

- 대 상 : 105개소(자동차정비업소 66개소, 버스·택시차고지 39개소)

- 점검반 운영 : 3개반 18명(인근주민 5, 환경단체 10, 공무원 3)

- 활 동 사 항 : 악취, 생활소음, 지정폐기물 등 환경오염물질 적정관리 여부

- 활동 후 평가회의 개최(지적사항 개선요구 - 다음 활동시 이행여부 확인)

기대효과

○ 인근주민 상시 모니터링으로 주민 생활불편 해소

○ 민․관 공동 협력으로 환경오염 저감 및 친환경도시 구현

Page 7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4 -

6

공공시설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확대

태양광 발전설비를 확대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어르신 사랑방에 태양광을

설치하여 무더위에 전기요금 걱정없이 건강하고 쾌적한 여가 공간 조성

추진방향

○ 공공부문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 미니 태양광 설치세대에 구 보조금 지원으로 태양광에 대한 구민의식 제고

○ 어르신 사랑방에 태양광을 설치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여가 공간 조성

사업개요

○ 사업목표 : 태양광 발전설비 보급으로 원전하나 줄이기 동참

○ 사업기간 : 2018. 2. ∼ 11.

○ 사업내용 : 공공건물 태양광 발전시설 및 민간시설 미니태양광 설치

○ 소요예산 : 224,000천원 (국비 86,000, 시비 65,000, 구비 73,000)

추진계획

○ 공공부문 태양광 발전시설

⦁ 추진기간 : 2018. 5. ∼ 2018. 9.

⦁ 설치장소(용량) : 마곡레포츠 센터 및 경로당 2개소 (68kW)

⦁ 사업방법 : 2018년 지역지원사업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시 자체사업

⦁ 소요예산 : 194,000천원 (국비 86,000, 시비 65,000, 구비 43,000)

○ 미니 태양광 발전시설

⦁ 추진기간 : 2018. 2. ∼ 2018. 11.

⦁ 지원대상 : 베란다형(100∼1000W미만) 태양광 설치가구

⦁ 지원금액 : 가구당 100천원 ※ 설치비용 : 약 600천원 (시보조 400, 구보조 100, 자부담 100)

⦁ 소요예산 : 30,000천원 (100천원×300가구)

기대효과

○ 미니 태양광 및 공공부문 태양광 설치로 원전하나 줄이기 동참

○ 설치 세대 누진제 하향 조정으로 전기요금 절감 효과

○ 어르신 사랑방 태양광 설치로 건강하고 쾌적한 여가 공간 조성

○ 기후변화대응 실천운동에 구민 직접 참여를 통한 자긍심 고취

Page 7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5 -

7

구민과

함께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천운동

최근 폭우와 폭염 등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구민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고자 함.

추진방향

○ 공공부문 에너지 절감추진으로 온실가스 감축

○ 구민과 함께하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으로 기후변화 대응

추진개요

○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추진

- 추진목표 : 기준배출량 대비 감축률 26%(감축량 1,379톤CO2)

※ 기준배출량 : 2007~2009(3년간)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 (5,303톤CO2)

- 추진대상 : 공공부문 39개소 건물 및 업무용 차량

- 추진방법 : 공공부문 에너지 효율화사업 추진 및 에너지 절약 실천

○ 에코마일리지 제도 활성화

- 가입목표 : 개인 및 단체회원 2,000건(누계 55,513건, 가입율 22%)

※ 가입대상수 : 2016년말 기준 세대수 238,952세대, 단체 14,567개소

- 추진내용 : 신규가입 지속 홍보, 가입회원 에너지 절약실천 홍보문자 발송 등

- 소요예산 : 5,000천원(구비)+α(시비)

○ 구민과 함께하는 저탄소 녹색생활실천 캠페인

- 참여대상 : 강서구 시민실천단, 시민, 학생 등

- 참여내용 : CO2 1인1톤 줄이기, 여름철 시원차림 등 에너지 절약 캠페인

○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진단 컨설팅

- 추진대상 : 학교, 일반건물 및 가정 200개소

- 추진방법 : 환경단체를 활용한 맞춤형 진단 및 대안제시

○ 탄소중립프로그램 추진

- 참여대상 : 개인, 공공기관, 기업, 단체 등

- 추진방법 : 가입→목표설정→에너지절감실천→목표달성시 인증서 발급

기대효과

○ 에너지 절약 및 홍보활동을 통한 저탄소 녹색생활 실천

○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참여를 유도하며 기후변화에 대응

Page 7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6 -

8

생활

실천하는

환경

프로그램

운영

일반주민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녹색성장과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생활 속 환경보전 의식 함양

추진방향

○ 기후변화 대응 및 생활에 도움을 주는 체험위주의 실용적 교육실시

○ 환경보전 활동분야 지역 인재육성 및 네트워크 구성(구, 학교, 환경단체)

사업개요

○ 기 간 : 2018. 3. ∼ 11.

○ 대 상 : 초․중학생 및 일반주민 등

○ 방 법 : 외부강사 초빙, 현장 강의 및 실습

○ 소요예산 : 15,000천원(구비)

추진계획

연번 프로그램명 추진기간 횟수 내 용

1 환경보전시범학교 운영 2018. 3.∼11. 100회- 생태체험, 환경기초시설탐방 등 현장(학교)교육

- 학교, 지역 환경의제에대한 인식 확산

2 기후변화대응 작품공모전 개최 2018. 4.∼ 6. 1회- 주제 : 지구온난화 방지- 대상 : 관내 초․중학생- 부문 : 포스터

3 환경일기장쓰기 2018. 4.~11. 1회

- 환경문제 고민, 대응방법, 체험학습 등의

기록을 통해 환경보전 의식 제고 및 실천

- 대상 : 초등학교 6개교(환경보전시범학교)

4 찾아가는 환경교실 2018. 8.∼10. 19회-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

- 환경호르몬의 위해성 및 기후변화 대응교육

기대효과

○ 미래의 희망 청소년을 대상으로 확고한 환경보전의식 고취

○ 에너지 절약 생활습관을 통한 환경보전 실천의식 함양

Page 7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7 -

구 분 시설수 점검대상 비 고

어린이활동공간 961 217‘09.3.22.이전 설립된 430㎡미만

사립어린이집 등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229 229

PC방, 영화관, 의료기관,

지하역사, 대규모점포 등

9

안전한

어린이활동공간과

쾌적한

실내공기질

관리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뛰어놀 수 있도록 어린이집, 놀이터 등의 환경유해인자를

관리하고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을 관리하여 구민의 건강을 보호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대상

○ 점검방법

- 어린이활동공간 점검 및 지도·관리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매년 점검 및 지도·관리

○ 소요예산 : 4,000천원

추진계획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 진단

- 도료나 마감재에 함유된 중금속, 목재의 특정성분 방부제 사용, 합성고무

재질 바닥재의 중금속, 모래의 기생충란 검출여부 현장점검

- 간이측정결과 초과하면 정밀검사하여 관리기준 초과 시 시정명령 조치

- 어린이활동공간 신축 및 증축(연면적 33㎡이상), 수선(연면적 70㎡이상)하는 경우

환경안전관리기준 적합한지에 대한 확인검사 안내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

-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준수, 자가 측정 및 보고 이행, 법정교육 이수여부 등 점검

- 100세대 이상 신축공동주택 자가측정․보고 및 측정결과 공고 여부

기대효과

○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어린이활동공간 조성으로 어린이 건강 보호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통한 구민 건강 보호

Page 7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8 -

청 소 자 원 과

1.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까치나눔장터

운영

2.

교육비

절감을

위한

학교

나눔장터

지원

3.

어린이를

위한

자원순환

체험프로그램

운영

4.

수거방법

개선으로

체계적인

폐기물

관리

5.

단독주택

지역

클린하우스

시범

운영

6.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홍보

강화

7.

청소시설

이전

자원회수시설

광역화

사업추진

8.

주민이

처리하고

관이

지원하여

청소

고질민원

해결

9.

무단투기

근절로

청결한

골목길

조성

10.

청소차량·

장비

최적화로

업무

효율성

증대

11.

건설폐기물

사업장

관리

강화로

쾌적한

환경

조성

Page 8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79 -

1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까치나눔장터

운영

서남권 대표 상설 나눔장터인 까치나눔장터 운영으로 재활용 ·재사용을

통한 생활쓰레기 감량 및 나눔문화 확산

추진방향

○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상설 나눔장터 운영

○ 서울식물원으로 장소 이전 및 토속상품 등 품목 다양화로 관광 상품화

추진실적

목표 (단위 :천원)

연 도 2015 2016 2017 2018

평균 판매팀수(팀) 160 230 280 300

참여자수(명) 41,560 49,000 41,300 55,000

기부금 모금액 7,560 10,270 3,972 12,000

사업개요

○ 운영기간 : 2018년 3월 ∼ 11월

○ 사업내용 : 중고물품 및 재활용품 교환 또는 판매

○ 소요예산 : 11,465천원

추진계획

○ 나눔장터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홍보수단 활용 주민참여 독려

○ 자율기부 캠페인 및 집중참여의 날 운영

○ 참여자 편의(파라솔 등) 제공 및 봉사활동 인정

기대효과

○ 폐자원 되돌림(재사용·재활용)·나눔문화 확산을 통한 자원순환사회 구축

○ 서남권 대표 상설재활용 장터구축으로 폐기물 감량화 기여

Page 81: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0 -

2

교육비

절감을

위한

학교

나눔장터

지원

학교마다 실시하는 교복, 참고서 등 나눔장터 운영을 지원하여 학생들의

재활용 · 재사용 문화 형성 및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 경감

추진방향

○ 중· 고등학교에서 자체계획 수립 후 나눔장터 운영

○ 나눔장터 운영에 따른 세탁비를 지원하고 장터 교환 품목 다양화

○ 교육비에 대한 학부모 부담 경감 및 주민 실천의식 함양

사업개요

○ 기 간 : 2018. 1. ∼ 12.

○ 주 관 : 나눔장터 운영 학교

○ 사업품목 : 교복, 운동화, 가방, 학용품, 운동기구, 참고서, 자전거 등

○ 지원사항 : 교복, 운동화, 가방 등 세탁비 지원

○ 소요예산 : 10,190천원

추진실적

목표

연 도 2015 2016 2017 2018

참여학교수(개교) 37 37 40 43

참여학생수 (명) 1,700 1,986 2,438 3,300

판 매 품 목 (점) 1,919 2,086 2,500 3,500

※ 학교현황(2017.4.기준) : 45개교(중학교 22개교, 고등학교 23개교)/ 학생수 : 30,629명

추진계획

○ 참여 학교별 교복, 참고서, 등 나눔장터 운영

○ 신입생 소집, 개학식 등 학교 행사와 함께 운영하여 참여율 제고

○ 교복 등 의류 외에도 운동화, 가방 등 세탁 품목 다양화

○ 세탁비 지원 및 행사시 스팀다리미 대여로 학교 나눔장터 활성화

기대효과

○『물려주고, 물려받는』되돌림(재사용·재활용) 학교문화 조성

○ 교복구입 학부모 부담 경감 및 재사용에 대한 주민의 실천의식 함양

Page 82: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1 -

3

어린이를

위한

자원순환

체험프로그램

운영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도권 매립지 등 폐기물의 처리 현장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환경의 중요성 및 쓰레기 감량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함.

추진방향

○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폐기물 처리시설 견학

○ 민간단체 등과 협약을 체결하여 환경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는 교육 실시

○ 쓰레기 감량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 마련

사업개요

○ 사 업 명 : 초등학교 자원순환 체험프로그램 운영

○ 기 간 : 2018. 4. ∼ 10.(주 1회 2시간 / 20회 / 7, 8월 제외)

○ 대 상 : 관내 초등학교 교사 및 학생

○ 인 원 : 연 500명(25명 × 20회)

○ 체험시설 : 수도권매립지, 월드컵공원, 양천자원회수시설

○ 체험내용 : 폐기물 처리시설 견학 및 재활용 분리배출 교육

○ 소요예산 : 9,000천원

기대효과

○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 마련

○ 폐기물 처리와 에너지 재생과정을 체험함으로써 분리배출 인식개선

○ 쓰레기 감량화에 기여

Page 83: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2 -

4

수거방법

개선으로

체계적인

폐기물

관리

매립이나 소각이 불가한 폐기물의 처리업체인 민간소각시설의 처리비용

상승과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해 폐기물 수거 및 처리방법을 개선하고자 함

추진방향

○ 최근 3년간 민간위탁으로 처리되는 반입불가 폐기물의 처리단가가

2배 이상 상승하였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상승이 예상됨

○ 구에서 수거하고 있는 폐기물 중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분류하여

자원화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있음

폐기물

수거

적환

현황

○ 수거 폐기물의 종류

- 동주민센터․기동반 무단투기 폐기물 및 가로청소 수거물

- 대형폐기물 중 폐목재를 제외한 잔여 폐기물

○ 적환 및 처리방법 : 수거된 폐기물은 중간 분류과정 없이 적환장에

적치 후 민간소각업체에 처리

⇒ 문제점 : 민간소각시설 폐기물처리량 증가에 따른 처리비 상승

개선방안

○ 폐기물 수거 시 분류작업 강화 (동주민센터, 환경미화원 등)

○ 기존 적환장을 1차․2차 작업장으로 분리 운영하여 성상별 폐기물처리

- 폐기물 처리체계

폐기물 수거

(수거시 분류 강화)⇒

1차 작업장

(재활용품 재분류)⇒

2차 작업장

(반입불가만 적치)⇒

성상별 처리

(반입불가, 재활용,

폐목재 등)

기대효과

○ 반입불가 폐기물 처리비 절감 및 재활용품의 자원화

Page 84: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3 -

5

단독주택

지역

클린하우스

시범

운영

단독주택 지역에 클린하우스를 시범 운영하여 주민불편 해소 및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재활용품 수거 확대를 통한 자원순환 사회 실현

추진방향

○ 단독주택 등 분리배출 취약지역에 상시 거점 수거시설인 클린하우스를

시범 운영하여 주민 스스로 분리배출 할 수 있는 환경 마련

○ 클린하우스 전담 관리인력(분리배출 도우미) 배치로 일자리 창출

배경

현황

○ 생활쓰레기 문전배출 및 재활용품 혼합 배출로 골목길 환경저해 및

재활용품 잔재 쓰레기 증가

○ 지정시간에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 무단투기로 이어져 민원 발생

사업개요

○ 기 간 : 2018. 1. ∼ 12.

○ 대 상 : 단독주택 지역 등 분리배출 취약지역

○ 배출종류 : 재활용품, 생활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 등

○ 시설내역 : 수거함, 악취저감 및 비가림시설, 무단투기 방지 CCTV 등

○ 관리인력 : 분리배출 도우미 (노인일자리 등)

○ 소요예산 : 86,200천원 (국비: 34,000천원, 구비: 52,200천원)

기대효과

○ 주민 불편 해소 및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 재활용품 수거 확대를 통한 쓰레기 감량 및 자원순환 사회 실현

Page 85: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4 -

6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홍보

강화

생활쓰레기 감량을 위해 폐기물 분리배출 홍보를 강화하고 각종 행사에 분

리수거 시범실시 등을 통하여 구민의식개선 지속적 유도

추진방향

○ 자원순환공동체 조성을 위해 전방위적인 생활쓰레기 감량 활동 추진

○ 주민주도의 수평적 홍보와 의식개선을 위한 교육으로 분리배출 유도

사업개요

○ 사업주체 :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구민운동본부(20개동 676명)

○ 주민참여 분야

- 구민운동본부 위원 중심으로 마을단위 교육 및 사업장 분리배출 홍보

○ 공공 분야

- 공공기관 쓰레기 제로화 사업 지속 추진

- 주민홍보 영상물을 제작하여 직능단체 회의시 교육자료로 활용

- 구민축제 등 각종 행사시 재활용 및 분리수거 활동 추진

○ 사업장 분야

- 종량제봉투 배출실명제 시행 및 구민운동본부의 분리배출 홍보강화

○ 소요예산 : 60,197천원

- 쓰레기문제 해결을 위한 구민협의회 및 구민운동본부 운영지원 32,197천원

- 쓰레기 감량을 위한 분리배출 교육 및 홍보 28,000천원

기대효과

○ 쓰레기 배출방법에 대한 주민지도로 주민혼란방지 및 환경인식 개선

○ 구 · 동의 적극적인 단속과 홍보를 통하여 걷기 좋은 골목길 환경 조성

Page 86: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5 -

7

청소시설

이전

자원회수시설

광역화

사업

추진

마곡지구 개발로 청소시설이전이 불가피하므로 강서자원순환센터 건립에

철저를 기하고, 부천시 자원회수시설 광역화사업을 적극 추진코자 함.

청소시설

이전에

따른

강서자원순환센터

건립

○ 이전위치 : 마곡동 88번지 주변 (서남물재생센터 내)

○ 면 적 : 11,650㎡ ( 3,530평 )

○ 주요시설 : 중간집하장, 재활용 선별장, 5개 대행업체 작업시설 등

○ 총사업비 : 372억원

부천시

자원회수시설

광역화

사업

○ 사업개요 : 기본협약 체결(‘16. 11. 28)

○ 증설규모 및 사업비 : 260톤/일, 630억원

○ 참여지자체 및 반입량 : 강서구(130톤/일), 부천시(130톤/일)

○ 추진계획

- 기본협약을 토대로 제반사항 협의

- 사업비 분담금 중 마곡지구 발생예상 폐기물량 (50톤 /일 )에

대한 사업비 120억원 외 초과분은 서울시에서 부담

기대효과

○ 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에 기여

Page 87: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6 -

8

주민이

처리하고

관이

지원하여

청소

고질민원

해결

사유지내 장기 방치된 생활폐기물의 처리방안을 강구하여 쾌적하고

살기 좋은 강서를 만들고자 함

추진방향

○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능동적인 행정서비스 실현

○ 민(民)이 만들고 관(官)이 지원하는 살기 좋은 마을 공동체 구현

추진배경

○ 사유지내 폐기물은 토지주나 건물관리인이 처리해야하나, 여러 가지

사유로 처리가 불가하여 이웃주민에게 악취 등의 고통을 주고 있으므로,

○ 적극적인 행정을 통해 이를 해소하는 방안이 요구됨

세부일정

○ 계획수립 및 실태조사 : 2018. 3월까지

○ 우선순위 설정 및 처리 : 2018. 4. ∼ 12.

주요대상

○ 정신이상(저장강박증) 등으로 수년간 폐기물이 방치된 주택

○ 주택가 나대지(사유지) 등 무단투기 폐기물이 대량으로 방치된 곳

실행체계

대상조사 건물주(토지주) 설득 폐기물 처리

고질민원 실태조사 ▶ 폐기물 처리를 설득 ▶인근 주민처리

(청소자원과 지원)

동 장 동장, 주민자치위원회 동장처리, 청소자원과 지원

기대효과

○ 주거환경개선을 통한 주민불편을 해소 및 행정신뢰 향상

Page 88: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7 -

9

무단투기

근절로

청결한

골목길

조성

골목길 자율 청소단을 조직·운영하고 공공일자리 창출을 통해 선발된

청소도우미를 활용하여 청결한 골목길 조성

추진방향

○ 무단투기 단속반과 감시장비 활용

○ 골목길 자율청소단을 구성·운영하여 주민 스스로 거리청소를 유도

○ 공공일자리 창출차원의 청소도우미 인원을 늘려 청결한 골목길 조성

추진계획

○ 무단투기 단속반 운영

- 무단투기 단속반 전 동 순회 운영(20개동, 동별 2주간)

- 마곡지구 상시 단속반 운영(2인 1조, 2개조)

【2018년 과태료 부과 단속 목표 및 청소도우미 선발 계획】

구 분 과태료 부과건수 청소도우미 선발 비 고

2017년도 651건 100명

2018년도 1,000건 100명

○ 무단투기 감시카메라 등 운용으로 단속 강화

- CCTV 및 스마트 감시카메라 설치 운영

구 분 총 운영대수 CCTV 스마트 감시카메라 비 고

2017년도 64대 28대 36대

2018년도 84대 28대 56대 20대 추가

○ 클린데이 및 골목길 자율청소단 등 주민자율청소활동 강화

○ 공공일자리 청소도우미를 활용하여 상습무단투기지역 단속 및 청소

기대효과

○ 주민들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깨끗한 골목길 조성

○ 공공일자리 창출과 병행하여 강서구 전 지역 청결기대

Page 89: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8 -

폐기물

폐기물

가로청소차

업무지원(

순찰,

정비)

타(

집게,

로우더,

굴삭기)

살수

노면

분진48 6

(

매각 1)16

(

매각 1) 17 8 6 3 6 3

10

청소차량·

장비

최적화로

업무

효율성

증대

내구연한이 경과된 노후 청소차량의 대폐차로 수리비 절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청소 효율 향상으로 주민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청소 서비스 제공

사업개요

○ 청소차량현황 (2018.1.1.현재)

○ 교체대상 : 1대 (대형폐기물 수송 ⇒ 노면청소차)

○ 교체사유

- ̀17년도 굴삭기 도입으로 운반횟수 감소된 수송차량을 감축하고,

마곡지구 등 가로청소 작업량 증가된 노면청소차로 대체 구매

추진계획

○ 사업기간 : 2018년 1월 ~8월

○ 신규구매 : 1대 (6㎥급 노면청소차)

○ 사 업 비 : 225,000천원 (전액구비)

○ 추진일정

- 2018. 1월 : 일사감사 및 정수승인

- 2018. 2월 : 조달발주(제3자 단가계약)

- 2018. 8월 : 납품검수 및 차량배차

※ 대체 구매(̀ 18년 : 수송 1대, ̀17년 : 수거 1대)한 노후청소차량은 상반기 매각 추진

기대효과

○ 연차별 노후 청소장비 개선을 통한 청소 효율 증진 및 안전 확보

○ 청소장비 유지관리 비용 최소화로 예산 절감

Page 90: 제254회 강서구의회 임시회gsc.gangseo.seoul.kr/cserver/data/burok/07/1C/01/071C... · 2018-03-12 · - 6 - 복지정책과 주 요 업 무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지역사회

- 89 -

11

건설폐기물

사업장

관리

강화로

쾌적한

환경

조성

건설폐기물 사업장에 대한 지도·점검 강화와 방화동 육갑문 주변 먼지

저감대책의 지속적 추진으로 주민피해 예방 및 쾌적한 환경 조성

추진방향

○ 건설폐기물 사업장의 지도·점검 강화로 시설물관리 철저 유도

○ 육갑문 주변 먼지발생 저감대책 추진으로 주민불편사항 해소

○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담당자에 대한 교육으로 관련법 준수 제고

추진개요

○ 추진기간 : 2018. 1. ∼ 12.

○ 건설폐기물 사업장 현황

합계

방화동 지역 외발산동 지역

계 중간처리임 시

보관장소

재 활 용

(아스팔트)계 중간처리

임 시

보관장소

13 9 1 7 1 4 1 3

추진계획

○ 건설폐기물 처리 및 시설운영기준 준수를 위해 엄격한 점검 실시

○ 정기점검 외 환경오염 및 민원 발생 시 불시점검 추가 시행

○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담당자 분기별 교육 및 홍보 실시

○ 소요예산 : 2,120천원

기대효과

○ 사업장 지도·점검 강화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 주민 생활불편 예방

○ 교육 및 홍보를 통한 사전 관리로 안전사고 예방 및 관리수준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