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국제물류와 항만 -...

22
8국제물류와 항만

Upload: others

Post on 06-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제8장 국제물류와 항만

1. 항만의 개요

(1) 정의

- 항만(Port 또는 Harbor)은 천연적으로 또는 인공을 가하여 선박을 안전하게

출입·정박 및 계류시키고, 해운과 내륙교통의 연결에 관한 각종 물류활동이

행하여지는 공통접속영역 장소

* Port : 접안시설 중심의 좁은 부두지역

* Harbor : Port보다 넓은 개념. 선적·양륙설비와 산업활동이 수행되는 수역

- 물류·생산·생활·정보 및 국제교역기능과 배후지의 경제발전을 위한 기지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종합공간

* 인천의 Penta Port 전략(Air, Sea, Tele, Business, Leisure Port)

- 항만은 해상운송의 기종점이며, 항공·철도·수로 해상항로 등 교통수단을 이용

하여 각 항만, 도시, 공장 등과 화물의 흐름을 연결해 주는 연결점(Node)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

* 승객 및 무역량 수송을 위한 해상육상 연결지

* 자원의 세계적 배분을 위한 국제간 연결교차지점

* 교역증대, 교통, 배분, 고용창출, 무역창출

* 기타 : 국방, 도시개발, 공업생산 증대, 서비스산업 증진(창고, 금융, 보험,

대리점), 통관 등

(2) 항만이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

- 종합적인 교통시스템으로서 효율적인 선적/하역이 가능해야 함

- 교역루트 및 선종에 따라 선박을 안전하고 적절하게 접안할 수 있는 시설 구비

- 배후 수송망과 항만간의 원활한 연계

- 이용화물처리를 위한 적절한 장비, 보관소, 창고 확보

- 항만노동자와 관리자의 양과 질적인 유지

- 효과적인 작업 수행을 위한 건물과 항만시설의 효율적인 관리 및 유지

- 이용화물의 형태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적절한 투자

- 미래화물량 예측 및 시장상황분석을 통한 선견적 사고

- 항만이용자의 편의 도모를 위한 금융, 상업적 여건의 조성

- 현실적이고 신축성있는 항만사용료 부과

- 이용자 편의에 따른 관리제도 규정

(3) 항만의 중요성

1) 수출입 화물의 99.7%를 처리하는 국제물류의 핵심 인프라

- 무역의존도가 거의 100%에 육박하는 우리나라 경제의 대동맥

- 국제무역의 Gate 역할

2) 국가 및 지역경제 발전에 막대한 기여

- 우리나라 전체 GDP의 약 5.4%에 해당

- 환적 컨테이너 처리시 1TEU 당 약 20만원 이상의 부가가치 유발

* 2012년 부산항 1,704만 TEU, 광양항 214만 TEU, 인천항 197만 TEU 처리

3) 고부가가치형 종합물류/비즈니스 산업

- 항만관련산업 : 항만운송사업(항만하역사업, 검수, 감정, 검량사업)

항만운송관련사업(항만용역업, 물품공급업, 선박급유업, 컨테이너수리업)

- 항만의존산업 : 선박건조 및 수리업, 선박용 기관 및 부품제조업 등

- 배후단지에 조립, 가공, 유통, 무역업 등 포함

* 싱가포르항의 경우 전체 GDP의 11.5%, 로테르담항은 10% 담당

순위

(11년 순위) 구 분

누적물동량

‘11.1~12월 ‘12.1~12월 증감

1 상 해 31,739 32,529 2.5%

2 싱가폴 29,937 31,649 5.7%

3 홍 콩 24,384 23,097 △5.3%

4 선 전 22,570 22,941 1.6%

5 부 산 16,184 17,041 5.3%

6 닝보-저우산 14,719 16,830 14.3%

7 광 주 14,260 14,743 3.4%

8 청 도 13,020 14,500 11.4%

9 두바이 13,000 13,265 2.0%

10 텐 진 11,500 12,295 6.9%

* 참고 : 2012년 세계 10대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 (단위 : 천TEU)

(4) 항만의 종류

1) 생성요인상 구분

- 천연항(Natural Port) : 자연적인 곶(Cape), 섬, 암초에 둘러싸인 항(목포)

- 인공항(Artificial Port) : 인력에 의해 방파제로 둘러싸인 항(부산)

2) 지형상 구분

- 연안항(Coastal Port) : 대양에 접해있는(해안에 있는) 대부분의 항이 해당

- 하구항(Estuary Port) : 강 하구에 위치한 항(군산, 신의주)

- 호항(Lake Port) ; 호수에 위치한 항(미국 오대호)

- 하천항(River Port) : 하천에 형성된 항(런던, 함부르크, 로테르담)

3) 사용목적상 구분

- 상업항(Commercial Port) : 외국과의 무역, 국내 상거래가 주인 항(부산)

- 공업항(Industrial Port) : 공업원자재, 제품의 수출입이 주인 항(울산)

- 어항(Fishery Port) : 어선의 출입, 정박, 어획물 양륙이 주인 항(속초)

- 군항(Military Port) :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항(진해)

- 피난항(Refuge Port) : 악천후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항

- 검역항(Quarantine Port) : 전염병 방지를 목적으로 지정하는 항

(4) 항만의 종류

4) 기능상 구분 : 중심성과 중계성 측면에서 화물처리량의 규모에 따라 구분

* 중심성 : 화물 물동량을 창출할 수 있는 거대 배후지가 있는지의 여부

* 중계성 : 다른 지역의 화물을 환적하거나 육상연계가 가능한지의 여부

- 지역항(Regional Port) : 중심성 및 중계성 모두 미약하고 배후지의 소규모

화물만 취급하는 초기 단계의 항만

- 지역중심항(Regional Hub Port) : 중심성은 부족하나 입지적 장점을 통해

항만의 규모에 비해 중계성을 활용한 환적화물 취급 비중이 큰 항만

- 지역거대항(Regional Mega Port) : 거대 생산지 또는 소비지를 배후지로

두고 있어 자국화물 처리 비중이 높음. 중심성은 좋으나 중계성 부족

- 거대중심항(Mega Hub Port) : 중심성과 중계성이 모두 뛰어난 항만

(4) 항만의 종류

5) 운영형태상 구분 : 항만관리주체와 민간운영주체간의 관계에 따른 구분

- 지주항(Landlord Port) : Port Authority나 항만관리주체가 기본 하부구조

및 최소한의 기본시설을 제공하고, 민간운영주체는 하역시설 및 각종

서비스(하역, 운송, 보관 등)를 제공

* 민간기업이 Terminal Operator가 되며, 민영화한 항만을 일컬음

* 민간 투자재원의 활용이 가능하나, 항만 공공성에 대한 문제 제기

ex.) 독일 함부르크항,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등

- 도구항(Tool Port) : 항만관리주체가 기본시설 및 화물 조작에 필요한 하역

시설까지 제공하므로 민간운영주체의 참여가 제한적

ex.) 부산항, 대만 카오슝항, 일본 고베항 등

- 운영항(Operating Port) : Service Port라고도 하며, 항만관리주체가

기본시설, 하역시설 및 화물처리 서비스도 제공

* 일원적인 항만관리가 가능하나, 장기적인 효율성 창출에는 한계

ex.) 싱가포르항, 태국 방콕항 등

(5) 항만의 주요시설

* 기본 시설

- 수역시설 : 항로, 정박지(선류장), 선회장

- 외곽시설 : 방파제, 제방, 수문, 갑문 등

- 계류시설 : 안벽, 잔교, 부잔교 등

* 협의적 시설

- 부두(Wharf) : 화물하역과 여객승선 및 하선을 위한 구조물의 총칭

. 평행안벽(Quay or Berth) : 하역화물과 여객 승,하선이 직접 이루어지는

구조물로 해안에 평행하며 해저에서 수직으로 구축된 일종의 벽

. 돌출안벽(Pier) : 연안에서 직각으로 수면에 돌출한 안벽(잔교)으로

화물하역과 여객 승,하선을 돕는 교량형 구조물

. 선거(Dock) : 건선거(Dry Dock)와 부선거(Floating Dock)

. 부잔교(Floating Landing Stage) : 해저지질과 수심이 부적당한 장소에

잔교를 대신하여 구축한 변형적 잔교

- 방파제(Break Water) : 선박을 풍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구조물

- 임항철도(Dock Railway Siding) : 선박과 철도를 연결하기 위하여 철도

간선으로부터 항만 내로 갈라져서 이어진 철도

(5) 항만의 주요시설

* 협의적 시설(앞에서 계속)

- 창고( Warehouse) : 화물을 보관하는 장소의 총칭

- 사일로 창고(Silo Warehouse) : 곡물을 보관하는 특수 창고

- 해분(Basin) : 조수간만이 심한 항만에서 갑문을 설치하여 수심이 평균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선박정박과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수역

- 항만하역시설

. 부선(Lighter) : Barge, Craft 등과 같은 의미

. 기중기(Crane) : 중량물을 적재, 양하할 때 사용되는 기기

.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er) : 석탄, 광석, 곡물 등의 운반시 이용

(6) 우리나라의 주요 항만

* 무역항(28개항) : 신항만(부산신항, 광양항, 인천북항, 평택/당진항, 목포신항,

울산신항, 포항영일만신항 등), 대산, 군산, 여수, 마산, 동해, 속초, 제주 등

* 연안항(24개항) : 연평도, 대천, 대흑산도, 거문도, 성산포, 추자, 구룡포,

주문진,울릉 등

* 부산항만 개요

- 북항 : 일반부두, 연안 및 국제여객터미널, 컨테이너 전용터미널

- 남항 : 수산출 처리(전국 수산물 위판량의 30%)

- 감천항 : 원목, 잡화, 원양어획물 등 처리

- 다대포항 : 연안어획물 처리

- 부산신항 : 컨테이너 전용터미널(2020년까지 총 컨테이너 45선석 확보 예정)

* 2012년 12월 현재 컨테이너 21선석, 다목적 1선석

* 부산항만공사(BPA) 및 부산신항만주식회사 홈페이지 참조

2. 컨테이너 터미널

(1) 의의 및 기능

- 화물유통의 중추인 해상과 육상을 연결하는 접속점

- 컨테이너 화물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유통을 위한 업무 수행 장소

- 컨테이너선 화물의 선적 및 양륙, 트럭 또는 화차에 의한 컨테이너 반출입,

컨테이너 장치, 공컨테이너 인계인수 및 관련기기의 정비 및 수리 장소

(2) 분류

- 공공터미널 : 컨테이너를 선적 또는 양륙하는 작업기간에만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및 일정한 마샬링야드를 항만관리주체로부터 임대하여 사용

- 전용임대터미널 : 선박회사, 하역회사가 항만관리주체로부터 안벽과

인접하는 CY를 일정기간(10-30년) 임대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설비 설치

(3) 구조

- Berth :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장소

- Apron : 갠트리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

- Mashalling Yard(Stacking Area) : 컨테이너를 정열해 놓은 장소

-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 CY(Container Yard)

컨테이너선

안벽 (Berth, Pier)

Apron Gantry Crane

Straddle Carrier Mashalling Yard

Yard Tractor

Container Yard(CY)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본부

Gate Truck

* 컨테이너 터미널 구조(오원석, 양정호, “국제운송실무”, p.134에서 인용)

1) 내륙컨테이너기지(ICD : Inland Container Depot)

- 항만 주변의 혼잡을 피하기 위해 설립한 내륙에 설치한 통관 기지

- 내륙 화물의 집하, 분류, 배송 기지

- 공컨테이너 및 장기화물 보관 기지

- CFS를 활용한 혼재

- 따라서 세관, 은행, 보험회사, 선사 등이 입주하여 신속한 통관, B/L 및

보험증권 발행, 대금결제 등이 이루어지는 내륙의 부두

2) 복합물류터미널(IFT : Integrated Freight Terminal)

-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복합물류터미널을 “화물의

집하, 하역, 분류, 포장, 보관 또는 통관 등에 필요한 시설물이며, 철도,

도로 등 두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간의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물류터미널”이라고 정의

3) 현황

- 국내에 총 5개의 내륙물류기지 운영 : 수도권(경기 군포,의왕), 부산권

(경남 양산), 중부권(충남 연기), 영남권(경북 칠곡), 호남권(전남 장성)

- 2개 추가 운영 예정(수도권 북부(파주), 수도권 남부(평택))

- 이 외에 25개의 철도 CY가 운영 중

* 참고 : 내륙물류기지(ICD와 IFT가 함께 있는 대규모 거점물류시설)

(1) 정의 및 기능

- 무역항의 항만구역 안에서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 운영함으로써

항만의 부가가치 및 항만 관련산업 활동을 증진하고, 항만을 이용하는 자의

편익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하여 지정, 개발하는 일단의 토지

- 다수의 지향지들과 배후지를 연결하는 node로서 항만기능을 보완하고

부가가치를 증진하는 항만과 배후지간의 완충 공간

- 항만의 기본 물류기능(운송, 환적, 집배송, 보관 등)을 보완하고 부가가치

물류서비스 기능(가공, 조립, 포장 등)과 물류서비스 지원기능(상업, 업무,

연구 등)을 수행하는 종합물류기지

(2) 개발 배경 및 목적

- 1990년대 후반 이후 동북아 물류중심국가로의 도약을 위해 전략적인 항만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

- 컨테이너 화물 수요가 있는 국내 항만의 배후 개발가능부지를 지정하고,

해외기업유치, 고부가가치 물류활동 창출, 고용창출, 연관 파생산업 성장을

통해 우리나라 항만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기획된 전략적 정책

3. 항만배후단지

(3) 지정대상 항만 선정

- 전국 28개 무역항 중 총 8개 항만배후단지 지정대상 항만 선정

- 부산신항,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포항항, 울산항, 마산항, 목포항

항만배후단지 유형 항만배후단지 기본 개발 방향

글로벌(동북아) 물류거점항만

부산신항 글로벌 물류업체 유치를 위한 경쟁력 있는 배후단지 조성

광양항 동북아 물류중심 기능을 위한 복합물류단지 조성

수도권 물류거점항만

인천항 수도권 및 환황해 중심항만 발전 지원

평택/당진항 수도권 거점항만 기능과 환황해 교역 활성화 지원

지역 물류중심항만

울산항 지역중심항만 기능과 환동해/북방교역 활성화 지원

목포항 지역중심항만 기능과 대중국/동남아 물류거점화 지원

포항항 중계/환적 기능 특화와 국제상업중심항 도약 지원

마산항 지역중심항만 기능과 국제 해상 교역도시 발전 지원

* 부산신항은 북컨, 남컨, 웅동 3개 지역으로 나누어 개발 중

(1) 항만의 세대별 구분

1) 1세대 항만(1960년대 이전까지)

- 단순하역과 보관을 통한 해상운송과 육상운송을 연결시켜주는 장소

- 항만에 대한 투자는 대부분 접안시설의 건설에 집중

2) 2세대 항만(1980년대 이전까지)

- 운송 뿐 아니라 항만 내에서 재포장, 혼재, 분류가 이루어짐

- 배후지역의 생산시설과 연계하여 제조, 가공 등 관련 분야로 확대

3) 3세대 항만(1990년대 말까지)

- 컨테이너 복합운송의 발달로 항만을 생산 및 물류 네트워크 중심으로 인식

- 기존 서비스에 고객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종합물류 제공과 기업의 물류

및 제품 가공 등 부가가치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로 발전

4) 4세대 항만(1990년대 말 이후)

- 상업주의적 물류중심항만(Hub Port)을 위치를 차지하기 위하여 환적화물

유치 및 배후단지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적극적인 항만

- 하주와 선사의 효율적인 SCM을 지원하기 위해, 자동화, 대형화, 지능화를

통하여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국제물류거점항만으로 마케팅전략을 수립

4. 항만의 국제물류기지화

(2) 항만 환경의 변화

1) 해상물동량의 지속적 증가

- 글로벌화에 따른 교역량 증대로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 가속화

- 동북아의 경우 향후 10년간 컨테이너 물동량 연 8.1% 증가 예상

-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을 토대로 동북아 지역 화물 증가 예상

2) 해운 및 항만운영의 국제 네트워크화와 복합화 진전

- 정기선사의 글로벌 제휴확대 : 선사간 공동운항 확대

- 항만운영의 국제화로 유수의 선사가 세계 주요항만에 전용터미널을 확보

하고 전문항만운영업자의 운영 참여 확대

3) 항만 인프라 및 항만물류산업의 대형화/거점화

- 물류의 허브시스템화 :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항만의 Hub&Spoke System

- 중심항만 배후지에 지역거점 물류비즈니스 센터가 집중

4) 중심항만간 시설확충 및 운영효율화 경쟁 심화

- 동북아 각국은 급증하는 해상물동량, 특히 중국물동량 선점을 위해 항만

시설 확충에 총력

- 상해(52선석), 카오슝(41선석), 싱가포르 및 말레이시아도 가세

(3) 항만의 국제물류기지화 이유

1) 생산, 유통의 거점을 내륙에서 항만으로 전환시 효과

- 생산 단위당 내륙운송비 절감되고, 수출업체는 낮은 FOB 가격 협상 가능

- 원자재 수입시에도 효과 : Bulk로 수입, 항만에서 포장하여 소비자 배송

2) 무역과 운송의 연계성 강화

- 무역의 효율화는 운송의 합리화 없이는 불가능하며, 무역업체는 총물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적합한 물류업체와의 연계를 희망

- 물류업체는 저렴하고, 신속하며, 생산성이 높은 항만을 선택하고자 노력

- 결국 내륙과 해상을 연계하는 공동목표에 적합한 항만이 부각

3) 항만물류 기능의 변화

- 컨테이너 화물운송이 본격화되면서 내륙과 해상의 단순 연계기능에서

집배송센터의 재배치, 물류정보의 공유, 정보네트워크 구축, 복합일관

수송체제 구축, 공동수배송 확대 등 국제물류수요가 증대

- 배후지 및 환적물량의 확대에 따른 터미널 기능의 확충 및 국제물류센터화

4) 항만의 선진적 발전에 대한 요구 심화에 따른 새로운 모델 필요

- 항만관리가 정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전환

- 사회간접시설로서의 보조적 성격과 이익개념이 도입된 상업적 기능 강화

(4) 항만의 국제물류기지화 전략

1) 선도적 항만개발전략

- 물동량 증가 추세를 예상한 선제적 개발

- 주변국들의 항만개발을 고려한 대안적 개발

2) 항만관리구조의 변화

- 정부주도의 관료화된 관리에서 민간주도의 신축적인 관리로 변화 필요

- 특히 항만이용자 우선주의로의 조직화, 체계화 요구

3) 연계운송시스템 효율화 강화

- 육상, 해상, 내수로, 항공과의 효율적 연계 필요

-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륙간 횡단철도운송에 대한 지속적 노력

4) 주변항만 통합 및 항만이용자와 전략적 제휴

- Hub & Spoke System에 의거한 항만간 다양한 직항선 개설

- 주요 선사 및 터미널운영업자와의 전략적 제휴

5) 정보체계 구축

- 차별화된 항만운영정보시스템 개발

6) 항만마케팅 강화

- 다양한 Port Sales 전략(항만이용료, 효율성 제고 등) 발굴 및 실행

- 항만홍보, 세미나 개최, 잠재적 항만 고객 초청 등 관련행사 개최

7) 항만 내 환경관리 강화

- 환경보존 및 친환경정책 실현

- 항만 안보 강화

8)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 금융지원

- 항만을 중심으로 한 물류정책 발굴

- 지속적인 지원과 대국민 홍보

9) 항만 관련인력 육성

< 항만 물류기지 여건 비교 >

구 분 우리나라 유럽지역 동아시아

연계운송망 해상운송만 가능

통일 후 도로,철도

도로, 철도,내수로,

해상 모두 가능

중국은 모두 가능

일본,대만은 해상만 가능

금융환경 상대적 고금리

금융기관 지원 적음

저금리, 금융기관

지원 활발

저금리, 금융기관

지원 활발

토지확보 고지가로 물류부지

확보 애로

상대적으로 저지가

물류부지 확보 용이

중국은 저지가

일본,대만은 고지가

정보시스템 정보처리기능

상대적 강세 정보처리수준 높음

일본을 제외하고

처리수준 낮음

발생화물량

동북아 물동량 및

FTA 체결로 인한

발생가능화물 증대

EU 경제 침체로

화물량 위축 예상

동북아 물동량 증가

발생가능화물 증대

정부규제 통관,검역,입출항

절차 간소화 박차

통관,검역,입출항

절차 단순

통관,검역,입출항

절차 복잡

유치가능기업 물류,유통,제조업체

모두 가능

물류,유통,제조업체

모두 가능

물류,유통,제조업체

모두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