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119
연구개발 2008-16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가 실려 있습니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책임연구자 : 이국주 (고용개발원 연구원) 공동연구자 : 김현종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능력개발팀 교사)

Upload: others

Post on 14-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연구개발 2008-16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시각장애인을 한 음성변환용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가 실려 있습니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책임연구자 : 이국주 (고용개발원 연구원)

▪공동연구자 : 김 종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능력개발 교사)

Page 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Page 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머리말

인 자본이 취약한 증장애인에게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통해 노동시장 참

여를 확 하는 일은 매우 요하고 의미 있는 일입니다. 장애인은 장애정도뿐

만 아니라 장애유형에 따라 고용시장 진입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이외에도 취업의 기회, 임 , 고용유지, 만족도 등에서도 장애유형에 따라 어

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공단 직업능력개발센터에서는 증장애인 고용시장진입에 특히 어려움

을 겪고 있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 정신장애유형에 해 특화훈련

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들 장애유형의 특성과 개인의 능력 차이를 반 한

문화된 훈련을 실시하여 증장애인의 고용시장참여를 확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에 한 훈련효과를 분석하고 증장애인의

고용 활성화를 한 방안을 찾아보기 한 것입니다. 이 연구가 증장애인의

고용시장 참여 확 에 거름이 되기를 기 합니다. 특히 장애인 직업능력개

발훈련 일선에서 체험하고 계신 귀 한 자료를 연구과정에 담을 수 있도록 많

은 도움을 주신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담당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바

쁜 시간을 내어 연구체계를 잡아주신 학계 자문 원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2008년 11월

고용개발원

원장 김 종 진

Page 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Page 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i

목 차

Abstract ································································································· 1

연구요약 ································································································ 3

제1장 서론 ·························································································· 9

제1 문제제기 ························································································· 9

제2 연구목 의의 ·········································································· 12

제2장 이론 배경 ············································································· 13

제1 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황 ······························· 13

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배경 ······························································ 13

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황 ······························································ 16

제2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 ··································································· 34

1. 직업훈련이 고용에 미치는 향에 한 이론 ································· 34

2. 직업훈련의 효과에 한 이론 ························································· 36

제3 선행연구 분석 ··············································································· 37

1. 선진국의 직업훈련 평가에 한 연구 ············································· 37

2. 선행연구 고찰 ················································································· 39

3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치는 요인 ·············································· 44

제3장 연구방법 ·················································································· 51

Page 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ii

제1 조사 상 ······················································································· 51

제2 변수의 정의 측정 ···································································· 52

1. 종속변수 ·························································································· 52

2. 독립변수 ·························································································· 53

3 통제변수 ··························································································· 53

제3 자료 분석방법 ············································································· 57

1. 모형 1 : 취업가능성 분석모형 ························································ 57

2. 모형 2 : 임 수 에 한 향 분석 모형 ····································· 58

3 모형 3 : 근속유지기간에 한 향분석 모형 ································· 59

제4장 연구결과 논의 ···································································· 61

제1 분석 상자의 일반 특성 ·························································· 61

1. 취업가능성 ······················································································· 63

2. 평균임 ·························································································· 69

3 근속 유지기간 ·················································································· 78

제2 효과분석 결과 ··············································································· 91

1. 취업가능성 ······················································································· 91

2. 임 효과 ························································································ 93

3 근속유지기간 ·················································································· 94

제3 논의 ······························································································ 97

1. 특화훈련 효과분석 논의 ·································································· 97

2. 특화훈련 운 상 논의사항 ····························································· 100

제5장 결론 제언 ········································································· 105

참고문헌 ···························································································· 109

Page 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iii

표목차

〈표 2-1〉 장애유형별 고용 황 ········································································· 14

〈표 2-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황 ································································· 18

〈표 2-3〉 일산센터 시각장애 특화 맞춤훈련 황 ············································ 20

〈표 2-4〉 시각장애 특화용 훈련장비 ································································· 21

〈표 2-5〉 일산센터 시각장애 특화훈련내용 ······················································ 22

〈표 2-6〉 청각장애 특화용 훈련장비 ································································· 24

〈표 2-7〉 일산센터 청각장애 맞춤훈련 황 ··················································· 25

〈표 2-8〉 남센터 뇌병변특화 부 공제인 GIS 수업내용 ······························· 30

〈표 2-9〉 부산센터 정신장애특화훈련 운 황 ··············································· 32

〈표 2-10〉 부산센터 정신장애특화 사례 리 방법 ············································ 33

〈표 2-11〉 직업훈련이 고용안정에 미치는 효과에 한 이론 ··························· 35

〈표 2-12〉 직업훈련 효과 ·················································································· 36

〈표 2-13〉 주제별 연구 ····················································································· 40

〈표 2-14〉 분석 자료별 분류 ············································································· 40

〈표 2-15〉 직업훈련 변수별 분류 ······································································ 40

〈표 2-16〉 선행연구 비교 ·················································································· 45

〈표 3-1〉 변수에 한 설명 ·············································································· 56

〈표 4-1〉 분석 상자 일반 특성 ···································································· 62

〈표 4-2〉 센터별 취업확률 ················································································ 63

〈표 4-3〉 훈련분야별 취업확률 ········································································· 64

〈표 4-4〉 수료연도별 취업확률 ········································································· 65

〈표 4-5〉 성별 취업확률 ···················································································· 65

〈표 4-6〉 연령별 취업확률 ················································································ 66

〈표 4-7〉 장애유형별 취업확률 ········································································· 67

Page 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iv

〈표 4-8〉 장애등 별 취업확률 ········································································· 67

〈표 4-9〉 학력별 취업확률 ················································································ 68

〈표 4-10〉 특수학교 졸업여부 취업확률 ··························································· 68

〈표 4-11〉 센터별 취업당시 평균임 ······························································· 69

〈표 4-12〉 훈련분야별 취업당시 평균임 ························································ 70

〈표 4-13〉 수료연도별 취업당시 평균임 ························································ 72

〈표 4-14〉 성별 취업당시 평균임 ·································································· 73

〈표 4-15〉 연령별 취업당시 평균임 ······························································· 74

〈표 4-16〉 장애유형별 취업당시 평균임 ························································ 75

〈표 4-17〉 장애등 별 취업당시 평균임 ························································ 76

〈표 4-18〉 학력별 취업당시 평균임 ······························································· 77

〈표 4-19〉 특수학교졸업여부별 취업당시 평균임 ·········································· 78

〈표 4-20〉 센터별 근속유지기간 ······································································· 79

〈표 4-21〉 훈련분야별 근속유지기간 ································································· 81

〈표 4-22〉 성별 근속유지기간 ··········································································· 84

〈표 4-23〉 연령별 근속유지기간 ······································································· 85

〈표 4-24〉 장애유형별 근속유지기간 ································································· 87

〈표 4-25〉 학력별 근속유지기간 ······································································· 89

〈표 4-26〉 특수학교 졸업여부별 근속유지기간 ················································· 90

〈표 4-27〉 취업가능성에 향을 미치는 요인 ··················································· 92

〈표 4-28〉 임 에 미치는 요인 ········································································· 94

〈표 4-29〉 근속유지기간에 미치는 요인 ··························································· 96

Page 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v

그림목차

〔그림 2-1〕 공단 센터 수료생 증비율 변화 추이 ·········································· 15

〔그림 2-2〕 일산센터 공용어 수화개발 ·························································· 26

〔그림 2-3〕 일산센터 청각특화 에서 개발한 교육훈련 컨텐츠 ······················· 26

〔그림 2-4〕 일산센터 청각특화 에서 개발한 교사를 한 지침서 ·················· 27

〔그림 2-5〕 청각장애인 수업 시 집 을 한 조명시설 ··································· 28

Page 1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Page 1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Abstract 1

Abstract

Analysis on the Effect of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by Type of Disability

Lee, Kug-joo

(Researcher,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im, Hyeon-jong

(Training Teacher,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conducted by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 of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The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is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 visual, hearing, cerebral palsy, and mental illness.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is a training system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the

specific disability such as training instruments, methods, trainers and

facilities.

Success rate of attaining jobs after training, average wage, and retention

period were used as indicators on analyzing the training effect.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train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eople with disability who

participated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had a better chance of

gaining employment, receiving higher wages, and staying longer with their

jobs than people who participated in regular training. This illustrates that

Page 1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2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is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s,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need to be increased and profess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Keywords :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raining affect,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training by different type of

disability

Page 1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연구요약 3

연구요약

공단 직업능력개발센터에서는 직업능력개발훈련 체제를 개편하여 증장애

인 심의 종합 서비스 제공을 통해 차별화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센터에

서 증장애인을 상으로 하는 핵심 직업훈련방식 은 ‘맞춤훈련’과 ‘장애유형

별 특화훈련’이 있다. 맞춤훈련은 주문식 훈련과 유사한 형태로 장애인을 고용

하고자 하는 기업의 요구조건 직무에 맞도록 직업훈련커리큘럼을 조정해서

직업훈련을 실시하여 해당기업에 취업과 연계하는 훈련이다. 장애유형별 특화훈

련은 특정 장애유형별로 특화된 훈련을 실시하는 직업훈련방식이다. 장애유형에

따라 특화된 훈련장비, 보조학습기기, 학습방법, 사회성훈련, 직업능력개발훈련

교사의 훈련 기법에 이르기까지 장애유형에 합하도록 설계된 특화훈련시스템

에 따라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방식이다.

공단 센터에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실시하게 된 배경은 증장애인의 낮

은 취업률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있다. 고용시장에서 장애인은 장애정도뿐만 아

니라 장애유형에 따라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차이가 발생한다. 취업의 기회,

임 , 고용유지, 만족도 등에서도 장애유형별로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공단 직

업능력개발센터에서는 2005년부터 증장애인 고용에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

는 시각, 청각, 뇌병변, 정신장애 유형을 특화훈련 분야로 규정하고 이들 장애유

형의 특성을 고려한 문화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2008년에는 척수장애와

단장애 분야를 추가하 다.

본 연구는 증장애인 심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서 맞춤훈련과 함께 주요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에 한 훈련효과를 분석하고자 한

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나가야 할 정책방안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궁극 인 목 이 있다.

Page 1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4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은 취업가능성이 더 높은가?

둘째,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의 임 은 더 많은가?

셋째,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은 장애인의 고용유지기간에 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주된 목 은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의 훈련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통해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한 경우가 그 지 않은 경우보다 고용효과와 임 이 높다는 가설을 검증하

고자 한다.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평가지표는 직업훈련의 가장

큰 목 이 취업의 제고이기 때문에 주로 훈련수료생의 취업과 임 등 경제성과

가 가장 리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에 한 직

업능력개발훈련 효과를 취업과 임 수 그리고 근속유지기간으로 정하고 이를

측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 상은 5개 직업능력개발센터에서 2005년부터 2007년

사이에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고 수료한 상자가 모집단이고 분석 자료는 공

단 고용정보시스템 학사 리 DB이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받고 수료한 상

자가 연구 집단이며 비교집단은 장애유형별 특화훈련과 동일 유형의 시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 정신장애유형 특화훈련이 아닌 타 훈련을 받고 수료

한 상자이다. 상인원은 연구집단 227명, 비교집단 353명, 총 580명이다.

본 연구에서 용할 변수의 정의 측정은 다음과 같다.

종속변수로 취업가능성과 임 수 , 근속유지기간로 정하 다.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궁극 인 최종목표는 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소득향상의 요한 기

제가 되는 것이 취업활동이기 때문이다.

독립변수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유무이다. 특화훈련을 받지 않은 상자는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이다. 이와 나머지 변수는 통제하여 장애유형별 차이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이 피 실험 상에 향을 미치는 것을 제거하 다.

통제변수는 직업훈련요인, 인구학 요인, 장애요인, 인 자본요인으로 구분

Page 1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연구요약 5

하 다. 직업훈련요인은 훈련기 , 훈련직종, 수료년도이다. 인구학 요인은 성

별과 연령이다. 장애요인은 장애유형과 장애등 이다. 인 자본요인은 학력과

특수학교 졸업 여부이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이항변수이므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고자한다.

〈모형 2〉 임 수 과 〈모형 3〉 근속유지기간에 한 향 분석 모형은 회귀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 상 580명 에서 동일인, 맞춤훈련 상자를 제외하 다. 동일인은 일

반훈련과 특화훈련을 동시에 받은 사람 타 센터에서 훈련을 받은 사람이었다.

이들은 최종 훈련센터를 기 으로 그 이 의 훈련과정은 제외하 다. 맞춤훈련

은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일반훈련과 운 방식, 모집방법 등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연구의 객 성을 유지하기 해서 상에서 제외하 다. 본 연구 분석에

사용한 특화훈련 참여자는 190명이고 일반훈련 참여자는 262명으로 총 452명이다.

연구분석은 SPSS 12.0k를 사용하 다. 주요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 취업가능성은 특화훈련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 다. 장애

유형별 특화훈련 도입배경은 장애인 에서 특히 취업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장

애유형을 상으로 차별화‧ 문화된 훈련을 실시하여 취업가능성을 높이는데

있기 때문에 효과성 분석에 요한 측정요소이다.

연구 분석결과 취업가능성은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보다 .889 만큼 높은 것(p<.05)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는 정신장애가

취업가능성이 가장 높고 이어 청각, 뇌병변, 시각 순이었다.

다음으로 임 효과는 특화훈련을 받은 장애인이 일반훈련을 받은 장애인에

비해 임 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 분석하 다. 추정결과 장애유형별 특화훈

련을 받고 취업에 성공한 장애인이 특화훈련을 받지 않고 일반훈련을 받은 상

자에 비해 임 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한 단 증가할 때 받는 임

추정치는 .117(1.12만원)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특화훈련이 평균임 에

Page 1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6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이 여성보다 1.08만원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장애유형은 정신장애보다 시각장애가 1.42만원 더 많고 청각

장애는 1.21만원, 뇌병변은 1.14만원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근속유지기간은 특화훈련 유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장애유형별로는 정신

장애보다 뇌병변장애가 315.5일 더 오래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각장애는

290.4일, 시각장애는 266.7일 더 오래 근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를 취업가능성과 임 , 근속유지기간으로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 2005년 시범훈련을 시작으로 시행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짧은 기간이지만 정 인 효과가 나타났다는 이다. 특화훈련을

받은 장애인이 취업할 가능성이 일반훈련을 받은 수료생보다 더 높고 임 한

일반 훈련을 받은 상자보다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그동안 취업

이 상 으로 어려운 장애유형의 증장애인에게 장애유형별 특화된 훈련으로

설계된 시스템이 정 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모든 상자에게

하는 일반 인 직업훈련보다 특정한 집단을 상으로 특화한 훈련이 비교 성

공을 거두고 있다’는 OECD 보고서(1993) 내용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

겠다.

각 훈련센터별로 훈련성과에 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

유형에 따른 차이가 각 훈련센터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센터별로 유의미한 결

과가 나타난 임 은 구센터를 기 으로 양의 효과가 나타난 과 일산은 청

각과 시각장애유형이 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고 반면 음의 효과로 나타난 남

센터와 부산센터는 뇌병변 장애와 정신장애로 인한 요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각 센터별 훈련성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 인 사회과학 연구에서는 학력과 성별이 가장 큰 변인 하나이다. 그

러나 장애인 련 연구에서는 장애유형 장애등 이 강한 변수로 작용한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특화훈련 유무가 장애유형과 비교에서도 주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특화훈련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공단 직업능력개발사업 가운

Page 1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연구요약 7

데 핵심 으로 추진하고 있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실시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시 임에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장애유형별 특화훈

련이 향후 증장애인의 직업생활을 한 안정된 훈련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에서 얻은 성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화훈련이 효과가 있지만 좀더 활성화를 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각 센터별 특화훈련 운 에 있어서 장애유형별 특성을 반 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각장애의 경우 임 은 높은 반면 고용진입가능성 직장근속유지

기간이 타 유형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유형은 고용시장 진입가능

성과 임 그리고 근속유지기간에서 타 장애보다 비교우의에 있다. 뇌병변 장애

는 근속유지기간에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용시장 진입가능성과 임

에서 상 으로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의 경우 취업가

능성은 높지만 임 과 고용유지기간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

장애특화는 노동시장 진입에 역 을 두어야 하고 뇌병변장애 특화는 노동시장

진입방안과 임 개선을 한 정책이 필요하다. 정신장애 특화훈련은 사례 리

등을 통해 고용유지와 고용안정에 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본부 사업추진 부서에서는 특화훈련 목표를 배정할 때 일률 인 인원

배분보다는 장애유형별 특성을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결과에 나타났듯이 정신장

애유형과 뇌병변 장애유형은 타 유형의 장애 장애보다 고용시장 진입 는 임

과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형에 한 훈련목표는 배정

인원을 축소하고 신 사례 리 등 고용의 질 요소를 훈련목표에 반 하는 방

안을 제언한다.

셋째, 특화훈련은 문가들로 구성된 별로 종합 으로 근해야한다. 이에

따라 특화훈련 을 훈련교사 심에서 문가 심으로 재편하고 티칭에 의

한 훈련시스템 도입을 제언한다. 이때 필요한 각 분야 문가는 다음과 같다. 시

각장애특화는 공교사, 보조공학기기 문가, 재활교사(이동 훈련, 자, 시력

Page 1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8

훈련), 시각 담 취업 사후 리자가 필요하다. 청각장애특화는 공훈련교사,

청각재활교사, 청각취업담당 사후지도 리자가 필요하다. 뇌병변장애 특화는

공훈련교사, 작업 물리치료사 등 재활담당, 뇌병변 취업 사후지도 리

자가 필요하다. 정신장애 특화는 공교사, 정신장애 사회복지사(약물 리, 심

리, 사례 리 등), 정신장애 취업 취업 후 사례 리담당자가 필요하다.

넷째, 특화훈련 담당자 선발과정을 행 인사발령에서 희망자 지원체계로 변

경하여 운 하여야 한다. 일산센터 청각특화경우 지원을 받아 운 을 하고 지

까지 인사발령 없이 지속 으로 운 을 해오고 있다. 따라서 타 센터에서도 특

화훈련 희망자를 선발하여 일정기간 근무기간을 보장하여 문성과 내실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유형 특화훈련 확 시에는 사 에 비과정과 담당자에 한

문훈련이 선행된 이후 확 시행 할 필요가 있다. 사 비 없이 특화훈련을

확 하면 졸속으로 운 될 소지가 많기 때문에 향후 확 되는 장애유형별 특화

훈련은 비과정을 거친 이후에 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산센터의 청각특

화훈련의 경우 타 센터보다 출발은 늦었지만 타 센터 특화훈련보다 교수기법 개발,

교보재 개발, 청각학생들의 만족도 등에서 타 유형의 특화훈련보다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따라서 일산청각특화훈련의 비과정에서 시행한 시스템을 신규 장

애유형별 특화훈련에도 동일하게 용하는 시스템 구축 정책을 제언한다.

Page 1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1장 서론 9

제 1 장

서 론

제1 문제제기

직업능력개발훈련은 개인의 인 자본을 향상시켜 취업을 진시키거나 생산

성 향상을 통해 임 증 를 가져올 수 있다. 인 자본이 취약한 장애인을 비롯

한 고용취약계층에 한 사회 안 망 확충차원에서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역할은

요하다. 최근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와 지식기반기술 산업으로의 변화 등 사회‧

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고용 소득의 양극화 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취

약계층에 한 정책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정부도 능동 복지를 표방하고

고용취약계층을 한 일자리 창출 사회 기업 육성 등을 포함한 일자리 마

련에 한 책을 수립하고 있다1).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이하 공단)산하 직업능력개발센터(이하 센터)에서는

취업을 희망하는 장애인에게 직업에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습득‧향상하게 하

기 해 직업능력개발훈련(이하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공직

업훈련기 과 민간훈련기 을 통해서 장애인 직업훈련을 지원하고 있다. 연간

약 3,200여명(2007.12 기 )의 장애인에게 직‧간 으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

다. 공단은 2004년 직업훈련 체제개편을 통해 경증장애인은 공공직업훈련기

심으로 직업훈련을 지원하고 센터는 증장애인 심의 종합 서비스 제공

1) 정부는 2008.10.7일 국무회의에서 “이명박 정부 20 국정 략, 100 국정과제”를 발표

하 음.

Page 2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0

을 통해 차별화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즉 경증장애인은 공공직업훈련기 등

에서 비장애인들과 통합훈련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공단 센터는

장애인 심의 문화된 훈련서비스를 직 제공하는 것으로 차별화를 하

고 있다2).

공단 센터에서 추구하고 있는 핵심 직업훈련 방식에는 ‘맞춤훈련’과 ‘장애

유형별 특화훈련’이 있다. 맞춤훈련은 주문식 훈련과 유사한 형태로 장애인을

고용하고자 하는 기업의 요구에 맞춰 훈련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훈련을 통해 해

당기업에 취업을 시키는 훈련이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은 특정 장애유형별로

특화된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다. 장애유형에 따라 특화된 훈련장비, 보조학습기

기, 학습방법, 사회성훈련, 직업생활뿐만 아니라 직업훈련교사의 훈련 기법에 이

르기까지 장애유형에 합한 훈련을 실시하는 훈련방식이다.

고용시장에서 장애인은 장애정도뿐만 아니라 장애유형에 따라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취업의 기회, 임 , 고용유지, 만족도 등에서

도 장애유형별로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김기원‧김승아, 1995; 어수 , 1996; 이선

우, 2001). ‘2005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15세 이상 재가장애인의 장애유형

별 인구 비 취업자 비율은 언어장애 46.6%, 지체장애 44.1%에 비해 뇌병변

8.7%, 정신장애 15.9%, 청각장애인 36.4%, 시각장애인은 38.6%에 불과해 장애유

형별 취업에 차이가 나고 있다. 월평균 임 은 간장애 176만원, 신장 153만원,

지체장애 125만원인데 비해 시각 115만원, 청각 83만원, 뇌병변 99만원, 정신장

애 54만원 순으로 임 에서도 장애 유형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유

지기간은 지체장애인은 5년 이상이 비 이 가장 큰 반면 시각장애인은 1년 미만

비 이 가장 많아 장애유형별 고용유지기간에도 차이가 발생한다(김기원‧김승

아, 1995).

공단 센터에서는 2005년부터 증장애인 고용에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

2) ‧경증 장애인의 진입에 제한을 두는 정책이 아니라 장애인 당사자의 선택에 따라 공

공훈련기 는 공단 센터를 선택할 수 있다.

Page 2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1장 서론 11

는 시각, 청각, 뇌병변, 정신장애 유형을 특화훈련 분야로 규정하고 이들 장애유

형의 특성을 고려한 문화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2008년에는 척수장애와

단장애 분야를 추가하 으며 민간 훈련기 지원사업을 통해 한국시각장애인연

합회와 경 기술개발원에 각각 시각과 청각장애에 해 특화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그동안 장애인에 한 직업훈련은 비장애인과 통합훈련 는 타 장애유형과

동일한 환경에서 직업훈련을 하여왔다. 정상화(normalization) 이론3)과 마찬가

지로 장애인의 사회 통합 주의 정책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장애유형별 특

화훈련은 이러한 사회통합훈련과는 다르게 동일 장애유형 별로 분리하여 문

화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문화와 통합화는 보기에 따라 상반되거나 상충될

수 있는 훈련방법이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통합훈련받기가 어려운 증장애

인을 상으로 유형별로 특화훈련을 통해 인 자본을 향상시켜 고용시장으로

유도한다는 본래의 취지 로 훈련성과를 내고 있는지 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어떤 훈련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 한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훈련의 효과를 단하고 이를 근거로 증장애인

에게 필요한 훈련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 자료를 제공한다는 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애유

형별 특화훈련이 기존의 장애인 직업훈련과의 어떠한 차별성이 있는지 특화훈

련의 효과는 있는지 등을 실증 인 분석을 통해 살펴 으로써 훈련의 성과를 측

정하고자 한다.

3) 정상화이론: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서 정상 인 발달경험, 인생주기에서의 선택의 자유,

정상 인 이웃과 함께 하는 정상 인 가정에서의 삶,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있는 삶을

강조하면서 시설 집 화를 반 하는 이념(오혜경, 1999).

Page 2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2

제2 연구목 의의

본 연구는 증장애인 심의 직업훈련에서 맞춤훈련과 함께 주요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에 한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

탕으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나가야 할 정책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 이 있

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은 취업가능성이 더 높은가?

둘째,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의 임 은 더 많은가?

셋째,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고용유지기간이 향을 미치는가?

장애인 가운데 상 으로 취업이 어려운 장애유형의 증장애인에게 특화

훈련이라는 차별화된 직업훈련을 실행한지 4년이 되었다. 이 시 에서 훈련효

과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에 한 간 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 인 분석을 통해서 이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

시사 을 도출하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수행의의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의 향후 정책결정의 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Page 2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13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1 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황

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배경

공단에서는 2004년 11월 ‘공단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을 한 체제개편을 단

행하 다. ’장애인 직업 문학교‘를 ’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로 기 명칭을 변

경하 다. 해당 서비스도 기능인력 양성 심의 훈련기 에서 복합서비스 제공

으로 기능을 환하 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은 체제개편에서 증장애인에

한 집 직업훈련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제기됨으로써 보강된 사

업으로 증장애인에 한 차별화된 직업훈련을 실시하여 취업 고용안정에

역 을 두고자 도입되었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은 체제개편 이 인 2003년부터 ’노동시장 참여확 와

고용의 질 향상‘을 한 5 과제 추진계획4)에 따라 추진되어왔다. 취업에

특히 어려움을 격고 있는 지 장애, 신장장애, 정신장애, 뇌병변 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의 6 장애유형에 해 직업훈련을 강화하여 고용을 높이고자 하 다.

그러나 이들 유형의 장애에 한 훈련은 장애유형별로 특화된 훈련이 아니라 공

4) 5 추진계획은 2003년부터 체제개편 시 까지 추진된 사업으로 1. 안정된 직업생활

정착 2. 증고용률 제고 3. 고용의무사업체 고용률 제고 4. 공공기 의무고용률 제고

5. 다수고용의무사업체 운 내실화 의 5 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역 으로 추진

하 던 사업임.

Page 2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4

과 심의 기능훈련에 타 유형 장애와 함께 통합해서 훈련을 실시하 다. 따라

서 취업이 어려운 장애유형의 증장애인 고용률 제고차원에서 집 리하는

수 에 그쳤던 것이 사실이다. 재의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은 공단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라 체제개편 이후부터이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란 해당 유형의 장

애인의 특성과 개인 능력별 차이를 반 한 문화된 훈련방법을 의미한다.

〈표 2-1〉 장애유형별 고용 황(단 : 명, %)

장애유형

2005년

장애인실태조사

2005년

장애근로자

실태조사

15세 이상

인구 비율

경제활동인구 인구 비

취업자

비율

장애인

근로자수비율

계 취업률

체 2,036,788 100.0 903,269 76.94 34.12 84,657 100.0

신체-

외부

장애

지체장애

뇌병변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

991,111

255,928

216,806

224,079

17,097

3,987

48.66

12.57

10.64

11.00

0.84

0.20

543,311

36,883

109,783

99,851

91,183

2,156

79.78

60.34

76.31

81.57

86.67

81.49

44.13

8.70

38.64

36.35

46.55

44.07

54,421

1,594

6,626

8,103

1,105

146

64.3

1.9

7.8

9.6

1.3

0.2

신체-

내부

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호흡기장애

간장애

장루‧

요루장애

간질장애

40,286

39,754

29,953

13,060

15,466

14,151

1.98

1.95

1.47

0.64

0.00

0.69

12,038

10,236

7,450

2,338

6,315

4,002

66.76

58.17

79.36

65.23

81.49

51.75

19.95

14.98

19.74

11.67

33.27

14.64

895

170

86

97

101

95

1.1

0.2

0.1

0.1

0.1

0.1

정신

장애

지 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장애

90,615

7,303

77,180

4.45

0.36

3.79

32,672

1,41

20,510

58.07

27.32

59.98

20.94

5.76

15.94

5,542

164

1,048

6.5

0.2

1.2 국가유공 - - - - 4,464 5.3

주 1) 두 조사 모두 장애인구 추정치임.

2) 국가유공 장애는 「국가유공자등 우 지원에 한 법률」 에 의한 국가유공자와 지

원 상자 상이등 1 에서 7 까지 해당.

Page 2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1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실시배경은 다음과 같다(“공단 직업훈련 차별성 제고

를 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추진계획“, 2004.11, 공단내부자료). 첫째, 직업

증장애인에게 차별화된 직업훈련을 통해 센터의 문성을 제고하고자 하

다. 둘째, 시각‧지 장애인 용훈련센터 건립이 취소됨에 따라 이들 유형의 장

애인에 한 훈련서비스를 강화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셋째, 직업훈련 서비스

상자의 증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형별 증고용 로그램 개발이 필요하

다.

〔그림 2-1〕 공단 센터 수료생 증비율 변화 추이

자료 : “학교의 기능과 역할 변화 세부 실천 계획”(2004), 공단내부자료

이에 따라 5개 센터별 특성화된 장애유형 담반을 구성하고 특화 을 운

하 다. 먼 5개 센터의 역량을 고려하여 5개 유형을 특화분야로 선정하 다.

내부 계자 회의를 거처 장애인구 분포비율이 높으면서 취업비율이 낮은 장

애유형으로 시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 정신장애를 상으로 선정하 다5).

5) 기존 취업이 어려운 6 분야 장애유형 에서 지 장애인는 센터 내 증고용 로그램

으로 운 하고 신장장애는 인구분포가 으며 장애유형 특성 상 특화된 훈련 보다는 의

Page 2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6

시각장애는 일산과 구센터, 청각장애는 센터, 정신장애는 부산센터, 뇌병

변장애는 남센터에 설치 운 하 다. 이후 2005년 미국 로체스터공과 학 청

각특화단과 학(NTID)6) 의 청각 특성화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청각장애인의

고등교육 수요에 부응하기 해 일산센터에 청각특화를 추가 지정하 다. 2008

년에는 척수장애와 상지 단장애7) 분야를 추가하 으며 민간 훈련기 지원사

업을 통해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와 경 기술개발원에 각각 시각장애와 청각장

애에 해 특화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황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운 지침에는(“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운 방법”,

2008.05, 공단 내부자료) 특화훈련은 해당유형의 장애인이 특화훈련과 일반훈련

을 본인의 희망에 의해 선택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화훈련이라고 해도 타

분야 훈련을 희망할 경우 타 분야에 의뢰해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화훈련이라고 해도 상자 모두를 특화훈련 용반8)으로 편성해서 훈련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선택권을 최 한 존 하고자 운 하고 있다. 운 지침에는

료 리가 필요한 유형이라 제외하 음.

6) NTID(National Technical Institute for the Deaf)는 세계 최 이며 가장 큰 규모의 청각

장애인 기술 학으로 RIT(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의 8개 단과 학 하나로

1968년 설립되었음. NTID 산하에 PEN-INTERNATIONAL(Postsecondary Education

Network-International) 이라는 국제 력네트워크가 있어 이 기구에서 NTID의 청각 특

성화교육에 한 운 노하우를 수해 주고 있으며 필리핀, 러시아, 국, 일본, 태국

등과 트 계를 맺고 있음.

7) 척수장애와 상지 단장애는 「장애인 복지법」상의 장애분류가 아니라 지체장애유형의

범주에 해당하는 장애임. 특화훈련 지침에 의해 구분된 장애유형이라 본 보고서에도 특

화훈련 지침에 사용된 명칭을 사용하 음.

8) 용반 : 해당 장애유형만을 상으로 특화훈련 에 배치된 훈련교사가 직 담당 분야

의 훈련을 담당하여 실시하며 기존 훈련 직종 외의 신규 로그램을 운 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장애유형별 특화훈련운 방법“, 2007.05. 공단 내부자료)

Page 2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17

다음과 같은 지침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센터별 특화훈련 장애유형에 해당하는 입학생에게는 특화훈련에 해

사 에 안내하고 훈련생이 희망하지 아니할 경우 특화훈련 으로 배치해서는

안 된다.

둘째, 특화훈련 에 배치된 훈련교사는 타 장애 유형에 한 기능훈련을 실

시할 수 있다.

세째, 특화훈련 은 타 훈련분야에 훈련 의뢰한 특화훈련 해당 훈련생에

해 공분야 기술훈련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조‧종례, 개별

상담, 취업지도 해당 장애유형에 합한 인성‧사회성 로그램 등 수행해야

한다. 해당 장애유형에 합한 학습 방법‧교육 보조자료 개발하여 타 훈련분야

에 훈련 의뢰한 장애인에 하여 지원해야 한다. 보조공학센터와 연계하여 장애

유형에 합한 보조공학기기 지원 실시해야 한다.

네째, 특화훈련 해당 훈련생에게는 재활의학을 바탕으로 하는 물리치료‧운동

치료‧작업치료와 운동(수 재활운동, 신체 성운동)등 다양한 근방법을 통해

신체능력을 향상시켜 직업생활과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한 신체 능력 향상

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특화훈련생에 한 공기술훈련과 인성․사회성 등 재활 로그램

수행 비율은 70:30을 기 으로 하며 장애유형 개인별 특성을 감안하여 ±10%

범 내에서 훈련시간을 조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여섯째, 특화훈련담당자 직업평가사, 보건 리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는 상호 연계하여 각 유형에 합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침은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상자에게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

해서 훈련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고 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장애유형별 특

화훈련을 수료한 상자는 총 227명이다9). 이 시각장애인이 102명인 44.9%로

9) 공단 훈련 집계에는 2005년 30명, 2006년 101명, 2007년 118명으로 총 249명이나, 고용

리DB에는 2005년 22명, 2006년 87명, 2007년 118명으로 등록되어있음. 본 보고서에서

는 분석이 가능한 고용 리DB자료를 활용하 음.

Page 2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8

가장 많고 청각장애인 40명(17.6%), 뇌병변장애 31명(13.7%), 정신장애는 54명

(23.8%)이다.

〈표 2-2〉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황(단 : 명/%)

구 분2005년 2006년 2007년 계

수료 취업 취업률 수료 취업 취업률 수료 취업 취업률 수료 취업 취업률

계 22 20 90.9 87 63 72.4 118 91 77.1 227 174 76.7

시각 12 11 91.7 42 26 61.9 48 27 56.3 102 64 62.7

청각 1 1 100 11 11 100 28 28 100 40 40 100

뇌병변 4 3 75 11 8 72.7 16 10 62.5 31 21 67.7

정신장애 5 5 100 23 18 78.3 26 26 100 54 49 90.7

주 : 공단 고용정보 DB자료를 재정리한 것으로 훈련 집계와는 차이가 있음.

자료 : 공단 고용정보 DB자료

가. 시각장애 특화훈련

1) 시각장애 특징

시각장애인은 시각 인 경험의 범 , 종류의 제한과 환경의 작용제한 탓으로

충분한 정보를 할 수 없어 일상생활 는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한 언어습득 이 에 장애를 입은 경우 시각 모방 불가로 언어발달이 지연될

수 있다. 장애원인은 외상 독, 질환, 유 요인 등으로 다양하며 도실명

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시각장애의 종류에는 맹(total blindness,시력이

없는 상태), 각(light perception, 암실에서 장애인의 에 선을 섬멸하여 이를

인식 할 수 있는 상태), 수동(hand movement, 앞에서 손을 좌우로 움직일 때

Page 2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19

이를 알아볼 수 있는 정도), 지수(finger cout- 시력 0.02이하 자기 1m 방의 손

가락을 헤아릴 수 있는 상태)가 있다. 장애 정 기 은 좋은 의 시력이 0.02이

하인 1 장애부터 나쁜 쪽 의 시력이 0.02이하인 6 까지이다. 장애유형별 특

화훈련 상이 되는 장애인 기 인 3 시각장애인은 좋은 의 시력이

0.08이하인 사람(1호)과 두 의 시야가 각각 주시 에서 5도 이하로 남은 사람

(2호)이다.

2) 시각장애 특화훈련 황

2004년 장애유형별 특성화훈련의 일환으로 시각장애인을 교육 상으로 한

특화훈련 이 구성되었고 일산센터와 구센터에서 2005년 3월부터 운 하고

있다. 시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각종 평가와 직업 비훈련을 통해 잠재력을

확인하고 상담 평가결과를 기 로 문기능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취

업 시 직무환경에 훈련과정에서 근무환경 응과 업에 필요한 인 계,

등을 훈련하여 회사에 취업을 하 을 때 장 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훈

련내용은 일산센터는 사무정보, 컴퓨터 로그래 , 역 교정사, 컴퓨터속기

웹콜마 등 IT분야 주이고 구센터는 차이즈 안마업 창업 분야 심

으로 운 하고 있다. 이들 센터에서는 양성훈련 뿐만 아니라 맞춤훈련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고용확 에 주력하고 있다.

Page 3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20

〈표 2-3〉일산센터 시각장애 특화 맞춤훈련 황

련 직종 맞춤기간 훈련 분야 업체 명

정보기술

‘05. 03 ~ ’05. 08 정보 리 장*****

‘06. 03 ~ ’06. 09 웹 테스트 코아*****

- P/C 리 데이터**

‘07. 07 ~ ’07. 11 웹 컨텐츠 가공 주)와*

컴퓨터

속기

‘05. 06 ~ ’05. 11 속기(소리 자바) 사)한국******

‘07. 05 ~ ’08. 11 컴퓨터 속기 주)한국***

공연 시 ‘07. 05 ~ ’07. 11 어둠속의 화 공연 시 주)다이얼*****

고객

서비스

- 고객 리(콜 상담) 한국******

‘05. 06 ~ ’05. 09 수발보험(의료 어) 한국********

‘06. 03 ~ ’06. 06 콜 의료상담 메디컬*****

‘06. 10 ~ ’07. 02 사무보조 한빛**

자료 : “2008년도 시각특화 운 계획”(2008), 일산센터

시각장애 특화훈련을 해 직업훈련교사들은 공 이외에 시각장애 문성

강화를 해 자, 보행, 일상생활훈련, 시각장애 련 보조공학 교육, 장비활용

능력 기술 등 련 문교육을 받고 있다. 한편 시각장애 특화훈련 노하우를

하기 해 시각특화훈련 매뉴얼을 제작하여 보 하고 있다.

Page 3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21

〈표 2-4〉 시각장애 특화용 훈련장비

장비 용도

자 린트기 일반 워드문서를 자로 출력하는 린터

자정보단말기 컴퓨터 화면에 출력된 내용이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자출력기로 읽을 수 있는 장비

화면확 로그램 컴퓨터 화면을 확 해주는 소 트웨어

형모니터시력장애인이 형 컴퓨터 화면을 통하여 편리하게 문서 읽기가

가능한 모니터

스크린리더컴퓨터의 정보 는 보이스 아이가 인식된 책을 리더기를 통해 음

성으로 변환하여 주는 장치

독서확 기시력장애인의 시력이나 의 조건에 맞도록 자의 크기, 자와

종이색의 계 등을 조 하여 읽기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기

입체복사기시각장애인이 자로 이미지를 읽을 수 있도록 입체식 자로 출

력하는 린터

음성출력장치2차원 바코드 심벌로 장된 디지털 문자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

여 들려주는 기기로 PC에 연결하여 사용

문자인식

소 트웨어

그림화일(이미지)내의 자를 텍스트로 변화해 주는 문자인식 소

트웨어

역 로그램 문자를 자로 변환하는 로그램

2007년까지 시각장애 특화훈련을 받고 수료한 상자는 총 102명이다. 이

구센터가 57명이고 일산센터 45명이다. 구센터는 주로 안마창업분야로 취업

을 하 고 일산센터는 정보 리, 사무행정, 공연 시분야로 취업을 하 다. 시각

장애인의 유보고용직종인 안마사 이외의 분야로 훈련 고용시장을 확 하고

있는 이 큰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일산센터에서는 시각장애인에게 일반고용(의료분야 제외)이 가능하도록 훈

련을 하는 것으로 방향의 틀을 잡고 출발하 다. 이에 따라 취업분야를 고객서

비스직종, 사무행정직종, 정보기술직종을 선정하여 운 하고 있다. 고객서비스

Page 3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22

직종에는 화 , 기업의 시장조사, 각종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텔 마

터, 마 업무를 수반한 유통 리사, 헬스키퍼 창업 등이 있다. 사무행정직종

은 복지 이나 유 단체에서 사무원 는 사무보조원으로 취업을 할 수 있도록

목표를 하고 있다. 사무행정직종에 필요한 컴퓨터 기능이나 업무에 필요한 문서

작성 같은 내용을 훈련하고 있다. 정보기술직종은 고학력 증시각장애인에서부

터 사무행정, 로그램개발, 정보화 강사 같은 취업욕구를 가진 시각장애인을

상으로 단계별로 사무행정실무, 웹 페이지 구축, 정보 근에 한 기술 내용

으로 훈련하고 있다.

〈표 2-5〉 일산센터 시각장애 특화훈련내용

과 정 명 훈련기간 훈련내용

공통

과정

직업 비 300H 기 보행, 생활, 보조기기, 정보기기활용 등

직종선정 300H 컴퓨터기 , 인터넷정보검색, 문서작성 등

직무환경 100H 직무환경 응, 출 퇴근, 보조공학시스템구축

기능

사무행정 600H 워드 로세스, 엑셀, 홈페이지 리

리젠테이션 등 사무행정 련 직무

정보 리 1,200H 컴퓨터 로그래 , 산시스템 리 등

정보기술 련 직무

고객서비스 600H 안내, 상담, 화교환, 웹 콜마 등

고객서비스 련 직무

연수부문 3주 이내 훈련내용시각 련 유 기 종사자 IT교육

직무체험 1주 이내 맹학교 고등부 학생 상 직무체험

자료 : “2008년도 시각특화 운 계획”(2008), 일산센터

일산센터 시각특화 에서는 시각 특화훈련 문교재(매뉴얼)를 제작하여 운

하고 있다. 「한 붙자!! 도나도 시각특화 문가 되기」로 증 시각장애인

에 한 기 상식부터 정기 , 보행, 학습방법, 보조공학, 직업생활의 범 에

서 공단직원 비장애인들이 궁 해 하는 내용을 심으로 Q&A방식으로 제작

Page 3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23

한 매뉴얼이다. 이밖에도 시각장애 교사연수를 한 교육정보화 인 라 구축을

한 연수용 콘텐츠를 공동개발 활용하고 있다.

나. 청각장애 특화훈련

1) 청각장애 특징

청각장애인은 청각능력의 결여 는 결손 때문에 언어 정보를 처리하는

데 장애가 있다. 청각손상의 일차 인 장애는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것이며 이

로 인해 발생되는 이차 장애는 언어장애이다. 사용하는 어휘 수가 고 언어

에 한 정확한 개념화가 되어 있지 않아 독해력이 낮을 수 있다. 장애원인으로

는 선천성 장애와 후천성 장애가 있다. 선천성 장애로는 유 , 바이러스성 질환,

약물 독 등이 있다. 후천성 장애로는 출산 시 외상, 미숙아, 이염 등 청각의

질환, 항생물질 독, 교통사고 등이 있는데, 청각장애는 후천 원인이 체의

90%에 해당된다. 청각장애 구분은 귀만으로 말을 들어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청각에 장애가 있는 상태인 농(聾啞, deafness)과 귀만으로 말을 들어 이해하기

가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곤란한 정도로 청각장애가 있는 상태인 난청(難聽,

hard of hearing)이 있다. 장애등 은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90데시벨 이상

인 2 부터 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 데시

벨 이상인 6 까지 있으며 특화훈련 상인 증장애 기 은 2 이다.

2) 청각장애 특화훈련 황

청각특화훈련 분야는 센터는 외식산업분야와 자분야 심으로 훈련하

고 일산센터는 메카트로닉스 분야 심으로 운 하고 있다. 메카트로닉스 분야

는 산응용기계설계(CAD) 가공(CAM), 수치제어기계(CNC)직종을 운 하

Page 3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24

고 있다. 문수화통역사가 배치되어 있고 훈련교사 역시 수화 구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직업훈련을 한 공수화 개발, 청각학생 수업효과 향상을 한

교사지침서 개발, e-러닝 등 사이버 학습을 한 WBT(Web Based Training) 훈

련교재 수화동 상 제작 등 청각장애에 특화된 훈련 교육보조매체를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다.

〈표 2-6〉 청각장애 특화용 훈련장비

장비 용도

신호장치소리를 불빛, 진동 등의 신호로 환하여 청각장애인이 작업 장

에서 상황을 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호장치

소리증폭장치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청각장애인(난청)의 얼굴 측면부 진동으

로 소리를 달해 주는 장치

골도 화기에 울리는 진동을 사람의 청신경에 달하여 청각장애인이 소

리를 들을 수 있는 화기

화상 화기 화상을 통하여 수화 등의 방식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화기

C-print강의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문자로 제공하는 시스템(speech to

text)

Assistive

Listening Devices

보청기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의 보청기와 교사의 마이크에 무선

FM으로 음성을 송수신하는 시스템

2007년까지 청각장애분야 특화훈련을 받고 수료한 상자는 총 40명이다. 이

센터에는 33명이고 일산센터는 7명이다. 센터는 제과‧제빵 분야 훈련을

받은 상자가 27명(81.8%) 자분야 6명이다. 일산센터는 주로 메카트로닉스

분야를 훈련하 다. 일산센터에서는 청각특화훈련을 주로 맞춤훈련을 통해 훈련

하고 있다.

Page 3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25

〈표 2-7〉 일산센터 청각장애 맞춤훈련 황

련 직종 맞춤기간 훈련 분야 업체명

메카

트로

닉스

2007. 7. 2 ~ 7. 31 삭공구가공 (주)Y**

2007. 7. 25 ~ 8. 28 시조립 (주)이***

2008. 3.17 ~ 5. 16 MCT 헤 론****

2008. 4. 7 ~ 5. 6 CNC 선반 (주)테크노***

2008. 4. 7 ~ 5. 30 3D 모델링/제품소개 JNK***

2008. 4. 21 ~ 5. 19 고속가공/CAM (주)1P***

2008. 4. 29 ~ 5. 28 형설계 리드**

2008. 5. 27 ~ 6. 26 MCT KOREA***

2008 7. 2 ~ 8. 1 MCT (주)성원**

2008. 7. 14 ~ 8. 8 CAD (재)충남*****

2008. 6.30 ~ 10.31 CAM 제**

2008. 10. 6 ~ 11. 7 CNC선반 휴먼***

2008. 10.20 ~ 11. 20 MCT 우정**

청각장애의 경우 일반학생들과 다른 교육니즈(Needs)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

스타일도 다르다. 따라서 시각에 의존하는 학습스타일에 맞춘 교수기법의 교보

재개발이 요하다. 한 의사소통 한계로 인한 경험과 교류의 폭이 한정되어있

다. 그러므로 청각장애는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사회성기술 교육이 공기술교육

과 함께 병행되어야 성공 인 직업훈련을 할 수 있다. 일산센터 청각특화 은

청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직업훈련 교육자료를 자체 으로 개발하여

운 하고 있다. 2006년 개발 발간한 공용어 수화 사 은 일반수화로는 공분

야의 교육훈련 내용에 합한 수화표 방법이 없거나 통일되지 않아 직업훈련

하는데 애로 이 있어 공수화를 개발하 다.

Page 3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26

〔그림 2-2〕일산센터 공용어 수화 개발

공과 련한 동 상 컨텐츠(Contents)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있으나 일반인

을 상으로 제작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활용하기에는 제한 이었다. 기존 동

상 자료에 자막처리와 수화동 상을 추가한 학습 컨텐츠를 개발하여 훈련에 활

용하고 있다.

〔그림 2-3〕일산센터 청각특화 에서 개발한 교육훈련 컨텐츠

Page 3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27

청각장애훈련에서 교사가 겪게 되는 여러 유형의 어려움에 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교사용 지침인 「청각장애학생의 수업효과 향상을 한 Class Act」

를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림 2-4〕일산센터 청각특화 에서 개발한 교사를 한 지침서

이밖에도 청각장애인을 한 교육훈련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수업시간에 주

의집 을 한 조명장치와 수화통역사를 한 조명장치 등을 설치하여 운 하

고 있다. 한 MBTI 성격유형검사지에 수화동 상을 넣어 청각장애인을 한

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등 청각장애인을 한 여러 가지 특화된 방법을 개

발하여 용하고 있다.

Page 3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28

〔그림 2-5〕청각장애인 수업 시 집 을 한 조명시설

청각장애인들은 사용언어에 따라 구화, 수화, 필담이 있고 출신학교 배경도

특수학교인 농학교와 구화학교 그리고 일반학교 등 다양하다. 성장배경 등에 따

라 문화정체성 등의 문제로 정신건강 상 문제가 심각한 경우가 많다. 이런 문제

들과 농인사회를 심으로 형성된 농문화에 한 이해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갈

등과 오해 등을 해결하기 해 문상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다. 뇌병변장애 특화훈련

1) 뇌병변장애의 특징

뇌병변 장애는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 등 뇌의 기질 병변에 기인

한 신체 장애로 보행 는 일상생활의 동작 등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 장애이

Page 3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29

다. 뇌병변 장애 등 은 1 부터 6 까지이며 증장애는 1 에서 3 까지이다.

1 은 보행이 불가능한 사람 는 주 의 인 도움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하

는 것이 불가능한 사람이다. 가장 경증인 6 은 그릇을 씻거나 돈을 세는 일, 주

머니 는 지갑에서 동 을 꺼내는 일, 비교 굵은 끈을 매는 일, 양복 단추를

끼우는 일 등 주로 손을 사용하는 일을 수행하는 데는 주의와 반복으로 비교

오랜 시간이 필요한 사람이 해당된다. 특화훈련 상인 증장애인 기 이 되는

3 은 평지에서 100m이상 보행이 어려운 사람이거나 식사, 세면 양치질, 용

변처리를 하는데 다소 어려움은 있으며 목욕, 물이 들어 있는 컵을 손으로 흘리

지 않고 옮기는 일, 선반에 물건을 올리는 일 등이 매우 어려운 사람이 해당된

다.

2) 뇌병변장애 특화훈련 황

뇌병변 특화훈련은 남센터에서 특화훈련을 하고 있다. 훈련 직종은 주로

Product & Mechanical Design10), 인터넷 로그래 , 웹디자인, GIS11) 직종이

있다. 뇌병변장애 유형 특화훈련을 받고 수료한 상자는 31명이었다. 주로 제

조, 로그래 , 디자인분야로 주로 훈련과 취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남센터에

서는 입학 후 1개월간 공 탐색기간을 운 하여 뇌병변 장애인에 한 공 선

택의 기회를 넓히고 있다. 특히 비장애인이나 경증장애인과의 경쟁을 최소화하

기 하여 틈새직종인 GIS분야를 개설하여 부 공으로 운 하고 있다. 고난

의 기술 능력을 요구하지 않는 분야인 DB구축 심의 직무로 교육훈련을 하

고 있기 때문에 뇌병변장애인이 가능한 직무 심으로 운 하고 있다.

10)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이나 산업기계 등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

11) GIS는 지리정보체제(地理情報體制,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약어. 지리 공간

데이터를 분석·가공하여 교통·통신 등과 같은 지형 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

템으로 GPS, 네비게이션 분야의 시장 활성화로 고용시장이 확 되고 있는 분야임.

Page 4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30

〈표 2-8〉 남센터 뇌병변특화 부 공제인 GIS 수업내용

구분 교과목명 교수요목 표 시간

GIS

맞춤

지 캐드오토맵 사용 벡터라이징 30 1주

지 도스캔 이미지 편집 30 1주

문서작성 워드 로세서 사용 출력 15 0.5주

엑셀 사용 출력 15 0.5주

GIS TOOLArc GIS / GTM 15 0.5주

래스터 디자인 15 0.5주

장비실습 GPS활용 120 4주

장비실습 측량 120 4주

뇌병변장애 유형을 한 특화훈련 내용으로 주간 수 재활 로그램, 주간 독

서운동 토론, 뇌병변장애인 단체 빙 자문회의, 보조공학센터와 연계한 맞

춤형 보조도구 지원, 재활의학, 정신과 문의 탁 등을 운 하고 있다.

라. 정신장애 특화훈련

1) 정신장애 특징

정신장애는 지속 인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반

복성 우울장애에 의한 기능 능력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하기 한 기능수행에 한 제한을 받아 도움이 필요한 경우를 말한다.

사람마다 일상생활에서 갈등이 다르고 스트 스에 처하는 능력이 다르다. 생

활상 문제가 가정이나 직장에서 개인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개인 목표를 성취

하는데 요구되는 정서 경험이나 노력을 방해할 때 정신 으로 장애를 입을 수

있다. 정신장애 원인은 생물학 원인과 심리 원인, 사회문화 원인이 있다.

Page 4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31

생물학 원인으로는 유 요인이나 기질 등 생리 , 생물학 요인이 있다.

심리 원인은 사랑의 상실, 망, 미움, 열등감, 공포, 불안감, 수치감 등 부정

감정과 심리상태가 있다. 사회문화 원인으로는 가정환경, 사회‧문화 환경

등 후천 으로 발생한다. 정신장애에는 정신분열과 정동장애가 있다. 정신분열

은 극단 인 실 왜곡이 특징이며 환상, 망상, 자기통제력 상실 등이 해당된다.

정동장애는 정서혼란, 단극성 장애(조증, 우울증), 양극성 장애(조울증)가 해당된

다.

2) 정신장애 특화훈련 황

정신장애 특화훈련은 부산과 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다. 훈련분야는 CNC

선반, 범용 자, 제빵, 바리스타직종이 있다. 이런 직종 이외에도 직무분석 자

문회의를 거처 정신장애인에게 유리한 직종을 신규 개발하고 있다.

정신장애 특성상 약물 리, 증상 리, 증상의 변화정도와 주기, 스트 스원이

각 개인마다 다르다. 본인과 가족이 숨길 수 있는 사항이므로 정신보건 문가의

찰에 의해 직업재활이 가능하다고 단되어진 정신장애인만이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정신장애 역은 지속 인 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문

가 연계를 통한 체계 인 사례 리를 해 정신보건 유 기 과 연계를 통한 상

호 지원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 여기에는 정신보건센터, 낮병원, 사회복귀시설,

시‧군 사회복지과, 보건소, 정신과 문의, 장애인 회, 학부모회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주기 인 간담회를 통해 학생 사례 리 정신장애 특화훈련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정신장애는 사례 리 약물 증상 리, 상담업무가 요하다. 이에 특화훈

련분야 교사들은 이 분야에 해 정기 인 연수를 받고 있다. 아울러 생활지도

사는 생활 에서 정신장애 응 처요령 상담기법 연수를, 보건교사는 정신

보건 련 연수를 통해 문성을 향상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정신보건 문가를

하여 정신과 문의사를 탁하여 정기 으로 진료상담을 실시하고 있다.

Page 4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32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정신장애 특화분야 훈련을 받고 수료한 상자는 54

명이다. 정신장애 특화는 주로 바리스타, CNC선반, 자출 , 건축제도, 범용

자 분야로 훈련과 취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부산센터에서는 2005년 CNC선반, 범용 자, 한지공 에 국한되었던 직종을

2006년에 MCT, CAD직종, 인쇄출 , 웹디자인, 편집디자인, 건축설계, 제과‧제

빵, 바리스타직종으로 확 하여 운 하고 있다. 2008년에는 기업실무 직종 신설

하여 운 하고 있다. 신설직무로는 버티컬 조립, 공기청정기필터 조립, 검구

조립, 기부품함 조립 등이 있다.

〈표 2-9〉 부산센터 정신장애특화 운 황

구분 훈련분야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10월

입학 수료 입학 수료 입학 수료 입학 수료

양성

과정

CNC 5 5 4 3 4 4 1

범용 자 5 1 6 2 2

자출 2 1 1 1 1

외식 제과제빵 5 4 4 2 3

바리스타 7 4 3 6

디자인 1 1 1

건 축 2 2

자체

한지공 4 4

선박제어 2 5 7 3 3

공기청정기필터조립 5 5

물리치료보조 6 6

기업실무 8

합 계 = 71명 14 5 21 23 30 26 15 17

정신장애의 경우 직장의 물리 환경에 한 만족, 복지혜택(임 , 수당), 고

용주 동료의 지지가 높을수록 취업 유지가 지속 이며 사례 리자 특별한

Page 4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33

사람의 지속 인 지지가 취업 성공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부산센터에서는 특

화교사와 사례 리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응지도 실시하고 있다. 특화교사는

정신장애인이 만족스러운 작업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사업주 동료들에

한 개입을 하고 사례 리자는 지속 인 정서 지지 제공, 증상‧약물 리, 스

트 스 리 등에 을 맞추어 실시하고 있다. 한편 취업 후 3년간 응지도

실시하고 있다. 응지도는 주기 으로 사업장 방문 화 상담으로 취업생과

사업주와의 계 악, 근로조건에 한 악, 인 계 역 악, 직장 응능

력 악, 정신과 인 증상에 하여 상담을 실시하고 있다. 만일 문제가 발생하

면 사례 리자와 공동으로 해결방안 모색하게 된다.

〈표 2-10〉 부산센터 정신장애특화 사례 리 방법

시 기 사례 리 방법

취업 후 1~3개월주 1회 는 2주 1회 이상 격주로 특화교사와 사례 리자가

응지도를 실시

취업 후 4~6개월2주 1회 는 3주 1회 이상 격주로 특화교사와 사례 리자가

응지도를 실시

취업 후 6개월

이상

사례 리자가 주로 응지도를 담당하며 이직한 학생이 요청할 시

재취업을 알선

Page 4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34

제2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에 한 개념은 학자들마다 다양하다. 일반 으로 ‘장

애인 직업훈련 효과’에 한 개념화는 찾기가 쉽지 않다. 장애인직업훈련에

한 연구자의 심이 상 으로 은 탓도 있겠지만 장애인 직업훈련이 일반

인 직업훈련에서부터 출발하고 있기 때문에 련 이론 역시 일반 인 직업훈련

에서 논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훈련 훈련효과 평가방법, 훈련효과와 련되어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이론을 모두 언 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직업훈련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훈련효과를 고용 에서 보는 이론, 평가하는 방법에

한 , 직업훈련 효과에 한 이론이 있다. 이들 련 이론을 다양한 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1. 직업훈련이 고용에 미치는 향에 한 이론

일반 으로 직업훈련이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효과성에 한 이론은 인 자

본론, 선별이론, 직무경쟁이론, 노동시장분 론, 취향가설, 통계 차별론 등이

있다(유동철, 2000). 이들 이론은 효과성에 한 정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입장

으로 나 어진다. 먼 교육‧훈련이 고용에 미치는 정 인 효과를 인정하는

이론으로는 인 자본론, 선별이론 직무경쟁이론이 있고 직업훈련 효과성을

요시하지 않는 으로 구조 특성을 강조하는 이론으로는 노동시장분 론,

취향가설, 통계 차별론이 있다.

Page 4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35

〈표 2-11〉 직업훈련이 고용안정에 미치는 효과에 한 이론

구분 이론 주요내용 연구자

훈련

효과성에

정 인

이론

자본

이론

개인의 고용기회나 고용수 임 수 차이는 근

로자 개인의 생산성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개별 근로

자의 생산성은 학교교육, 직업훈련, 노동시장 경력 등

인 자본에 한 투자량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주장.

학교교육이 생산성 변화에 가장 크게 기여하지만 직

업훈련과 장훈련도 생산성을 변화시키는 주요요소

로 작용함

Scultz(1963)

Mincer(1974),

Asenfelter(1977)

선별

이론

교육과 훈련이 생산성에 향을 미치기 보다는 단지

고용주에 의해 정보 내지 선별도구로 사용된다는

을 강조. 선별이론에 따르면 교육‧훈련정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고용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음

Berg(1971),

Taubman and

Wales(1973)

Blaug(1976)

Riley(1979),

Collins(1979)

직무

경쟁

이론

기업이 제공하는 직무를 놓고 노동자들이 서로 다투

는 경쟁이 일어난다고 가정할 때 교육수 이 높고,

훈련 유경험자가 직무경쟁에서 유리하다는 이론

Thurow(1975)

훈련

효과성을

시하지

않는

이론

노동

시장

이론

노동시장에는 상당히 다른 속성을 가진 두 개 시장으

로 구분되어 있어 교육훈련은 구조 장벽에 의해 분

단된 시장 성격에 따라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남. 1차

노동시장은 고임 , 양호한 노동조건, 고용안정성. 2

차 노동시장은 승진기회가 제한된 열악한 직무 임

Doeringer and

Piore(1971)

취향

가설

특정집단에 한 선호(preference) 선입견

(prejudice)에 의해 발생되는데 선택과 차별을 말한다.

즉 선입견을 많이 받고 있는 집단은 고용기회도 낮고

임 수 도 낮게 나타난다는 가설임

Becker(1957)

통계

차별

이론

개인 특성이 아닌 소속집단 평균 특성에 근거해

서 처우를 받을 때 차별이 발생한다는 이론.

고용주가 임 수 을 결정할 때 개인 생산성에 한

정확한정보가 없기 때문에 특정집단(장애인, 인종 등)

에 추정되는 평균 인 생산성을 사용하게 되며 이때

차별이 발생하게 됨

Phelps(1972)

자료 : 유동철(2000), 유완식‧이정주(2006)

Page 4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36

2. 직업훈련 효과에 한 이론

직업훈련은 극 노동시장정책으로 직업훈련을 통해 취업능력을 향상시켜

안정 인 일자리로 취업을 진하는데 목 이 있다. 직업훈련 효과는 정 인

효과와 직업훈련 효과성을 부정하는 이론이 있다(강순희‧이병희‧김미란, 2000).

직업훈련에 정 인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은 직업훈련을 통해서 구

인과 구직합치과정에서 효율성이 증 된다는 이론과 직업훈련을 통해서 개인

생산성을 증 하는 효과가 있다는 이론, 노동력의 유효공 을 증 하는 효과가

있다는 이론이 있다.

이와 반 로 직업훈련 효과를 부정 으로 보는 이론으로 직업능력이 낮은

재직근로자를 직업훈련 수료자가 체하는 체효과로 체 고용시장에서 증

효과는 없다고 보는 이론과 치효과, 사 손실효과이론이 있다.

〈표 2-12〉 직업훈련 효과

구분 효과 주요내용

인 효과

구인‧구직

합치과정에

서효율성

증 효과

직업훈련은 일자리에 필요한 직업능력을 제고함으로써 구인‧구직

합치과정에서 효율성 증 하여 베버리지곡선이 하향 이동하는 효

과가 있음. 이에 따라 노동시장에서 일정한 고용수 에 한 공석

을 임으로써 임 압력을 억제하게 되어 임 결정곡선은 하향이

동하게 됨. 동일한 실질임 수 으로 종 보다 더 많이 채용할 수

있어 노동수요곡선이 하향이동 하게 되므로 체고용규모는 증

하는 효과가 있음

생산성

제고 효과

직업훈련은 직 으로 개인 생산성을 증 하는 효과(productivity

effect)를 가지게 된다는 이론

유효 노동공

증 효과

실업 장기화나 노동시장에서 소외를 받게 될 험을 임으로써

유효 노동력 공 을 증 하는 효과(supply effect)를 가짐

훈련

효과성을

부정하는

이론

체효과

직업능력이 낮은 재직근로자를 직업훈련 수료자가 체하는 효과

(substitution effect)가 있기 때문에 체고용시장에 미치는 효과는

없고 다만 치하는 효과만 있음

Page 4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37

(계속)

구분 효과 주요내용

훈련

효과성을

부정하는

이론

치효과

직업훈련은 한 실업 여와 마찬가지로 실업에 따른 소득손실

이나 장기실업 험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조는 임 억제압력을 덜

받게 되고 사용자는 임 을 지 하는 치효과(displacement

effect)를 낳을 수 있음.

사 손실

효과

정부의 지원이 없더라도 훈련을 받고자 하는 실업자에게 정부가

비용을 들여 훈련을 실시함으로 재정투자가 낭비되는 사 손실

(deadweight loss)문제가 존재함

자료 : 강순희 외(2000) 재구성

제3 선행연구 분석

1. 선진국의 직업훈련 평가에 한 연구

선진국의 직업훈련 평가연구12) 결과에서는 독일과 랑스를 심으로 하는

서유럽 국가들 직업훈련과 미국을 심으로 하는 국가들 간의 직업훈련에 각기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서유럽 국가에서 실시하는 직업훈련은 안정 이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높

은 수 의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고 직업훈련 내용이나 성과와 련한 노

사간 의견이 피드백되는 체계를 이루고 있다. 반면 미국 직업훈련은 변동이 심

하고 상 으로 단기 이면서 비용의 직업훈련을 실시하기 때문에 실증 인

평가에 한 의존도가 높다(Wilensky, 1985; 강순희 외, 2000 재인용). 선진국에

서 이루어진 직업훈련 평가 연구에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로 직업훈련에 한 평가결과는 유의하지 않거나 성과가 낮은 것

12) 선진국의 직업훈련 평가는 강순희 외(2000)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하 으며, 장애인 직

업훈련이 아닌 일반 직업훈련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 장애인 직업훈련 한 일반 직업

훈련과 그 기 를 같이하고 있기 때문에 해석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단 됨.

Page 4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38

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불만족스러운 평가결과의 원인으로는 훈련 로그램의 운 상의 문제

에도 기인하지만 평가방법과 로그램 자체의 문제 그리고 개인 인 문제에도

기인하고 있다(Leigh. 1990, 1995; 강순희 외, 2000 재인용). 평가방법에 기인하는

가장 큰 문제로는 부분의 평가기간이 성과를 측정하기에 지나치게 짧다는데

문제가 있다. 일반 으로 직업훈련에 한 평가는 훈련이 종료된 직후의 단기

인 효과를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직업훈련의 효과는 다른 노동시장정책에 비해

오랜 시간이 지나야 그 효과가 나타난다(강순희 외 2000 재인용). 장훈련은 즉

각 인 훈련효과를 가지지만 교실수업에 기 한 집체훈련은 효과가 나타나기까

지 오랜 시간이 소용된다. 따라서 부분 집체교육 주로 진행되는 직업훈련의

효과는 오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수료 이후

측정시 에 따라 그 효과는 달리 나타날 수 있다. 로그램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직업훈련 내용이 부실할 경우로 고용주들에게서 훈련을 이수한 사람이

오히려 생산성이 낮을 것으로 인식하는 낙인효과(stigma effect)가 작동할 수 있

기 때문에 불만족스러운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개인 인 문제로는 훈련수당을

받기 해서 는 실업 여 연장을 한 수단(requalify for benefit)으로 악용할

경우 직업훈련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향은 미미할 수밖에 없다. 한 부 한

훈련이 제공될 경우 훈련참여자의 취업 망은 악화되고 실업기간은 오히려 연

장될 수 있다.

둘째, 구직활동 지원은 단기 으로 취업을 진하는 효과는 뛰어나지만 장기

인 효과는 정 이지 못하다. 반면 폭 은 직업훈련은 단기 으로는 부정

이지만 장기 으로는 정 인 효과가 있다. 직업훈련은 고용이나 소득에 유의

한 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반면 취업알선 등의 구직활동 지원은 가장 낮은 비용

으로 가장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Leigh.1995; 강순희 외, 2000 재인용).

셋째, 모든 상자에게 하는 일반 인 직업훈련보다 특정한 집단을 상으로

특화한 훈련은 비교 성공을 거두고 있다(OECD, 1993). 모든 사람이 집약 인

Page 4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39

훈련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필요로 하는 상자를 설정

하여 특화된 훈련을 제공하는 것은 그 효과성 때문만이 아니라 형평성의 제고를

해 필요하다.

넷째, 선진국에서 직업훈련을 포함한 극 노동시장정책은 여성에게서 취

업이나 소득의 증 면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강순희 외, 2000). 훈련

상자 집단별 훈련효과를 보면 체로 여성에게서 효과가 가장 높고, 남성, 청소

년은 효과가 낮거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선진국에서 청소년에

한 직업훈련은 효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청소년 상자들이

주로 학교 퇴자 등 노동시장으로 이행과정에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취약

집단을 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들 훈련 동기가 매우 낮은데서 기인하고 있다.

2. 선행연구 고찰

본 보고서에서 검토한 선행연구는 공단발간 연구보고서, DBPIA 학술

DATA, 국회 자도서 에서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 직업훈련 효과를 검색어

로 검색한 결과논문 에서 훈련효과를 실증 으로 분석한 연구이며 상 논문

은 총 14편이었다. 해당 주제별로 분류하면 취업 소득에 미치는 향 10편,

직업유지 3편, 만족도 1편이었다13). 주제가 임 취업이 많은 이유는 극

노동시장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직업훈련의 가장 큰 목 이 취업을 통한 고

용안정에 있기 때문에 부분의 연구가 취업 임 등의 경제 성과를 평가

지표로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단된다.

13) 이 이외도 구직기간, 산의 효율성 생산성 등이 있었으나, 이들 연구에서는 복수의 주

제를 선정하여 해당주제로 분류하 다.

Page 5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40

〈표 2-13〉 주제별 연구

주제별취업 소득

직업유지 만족도임 취업 임 ‧취업 (소계)

편수(14) 5 2 3 (10) 3 1

비율(%) 35.7 14.3 21.4 (71.4) 21.4 7.1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장애인 실태조사(활동제약자 실태조사) 4편, 장애인

근로자실태조사 5편, 연구자 직 설문에 의한 실태조사 4편, 기타 1편(공단 구

직등록 장애인 조사자료)이었다. 그동안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에 해 실증분석

을 하기 한 별도의 연구 설계보다 기존에 조사된 장애인 실태조사 는 장애

인 근로자 실태조사 통계데이터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4〉 분석 자료별 분류

분석자료장애인

실태조사

장애인

근로자실태조사

연구자 직 설문에

의한 실태조사기타

편수(14) 4 5 4 1

비율(%) 28.6 35.7 28.6 7.1

직업훈련 변수들은 직업훈련 참여 여부 8편, 훈련기 5편, 훈련기간 3편, 자

격증 취득 유무 3편, 훈련과정, 훈련시설 2편, 기타 1편 이었으며, 기타로는 훈련

횟수가 있다(복수 변수).

〈표 2-15〉 직업훈련 변수별 분류

직업훈련

련변수

직업훈련

참여여부훈련기 훈련기간

자격증

취득 유무

훈련과정

(훈련직종)훈련시설 기타

편수(24) 8 5 3 3 2 2 1

비율(%) 33.3 20.8 12.5 12.5 8.3 8.3 4.2

Page 5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41

선행연구결과를 통해서 본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직업훈련이 취업과 소득에 미치는 향은 부정 이거나 기여하고

있지 못하다는 연구결과이다.

장애인 직업훈련이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들은 어수 (1996), 이

선우(2001)가 있고, 이선우(1997), 유동철(2000), 변용찬‧이은정‧이계철(2004)은

오히려 직업훈련을 받을수록 취업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한 원인으로 이선우(1997)는 직업훈련직종이 크게 제한되어 목공

는 수공 와 같은 시장성이 어들고 있으면서 취업 망이 어두운 직종에

치우쳐 있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유동철(2000)은 장애인은 취업이 안 되기

때문에 직업훈련을 길게 받고 있고, 증장애인이 많고, 훈련내용이 공 , 농업,

제빵, 조립, 안마 등 통 인 직종 주로 훈련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장애인 직업훈련이 소득수 에 미치는 효과는 유동철(2000)과 이윤석‧홍

보람(2007)의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직업훈련이 소득에는 부정 인 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이에 해 유동철(2000)은 정상화이론을 근거로 장애인

들이 집 으로 모이는 기 에 한 부정 인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즉 장애인

에 한 차별이 매우 강하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윤석‧홍보람(2007)은 능

력있고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장애인은 직업훈련을 받지 않고 취업을 하는데

반면 능력이 없거나 상 으로 불리한 여건에 있는 장애인은 직업훈련을 거쳤

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둘째, 훈련기간, 훈련주체, 훈련 직종 등에 따라 훈련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는 연구들이다.

직업훈련을 받은 장애인이 자격증을 취득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어수 ,

1996; 이선우, 1997; 이성규, 2004), 자격증이 있는 사람은 자격증이 없는 사람보

다 취업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훈련기간은 연구자 별로 그 결과가 다양하

게 나타나고 있다. 유동철(2000)과 변용찬 외(2004)는 장애인이 직업훈련을 받은

기간이 길수록 취업 임 는 근속유지에 불리하다고 주장하 으나 이성규

Page 5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42

(2004), 황아윤(2006), 이형렬(2007)은 장애인에 한 직업훈련이 취업가능성, 직

업유지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하 다. 유동철(2000)은 훈련

기간이 긴 장애인의 취업가능성이 낮은 이유로 취업을 하지 못하는 장애인 일수

록 더 오랫동안 훈련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 다. 변용찬 외

(2004)는 훈련 상이 취업이 어려운 증장애인을 상으로 실시하고 있기 때

문에 훈련받은 기간이 길수록 부정 인 결과가 나타났다고 해석하고 있다. 반면

에 황아윤(2006)은 훈련기간이 어들면 취업에 부정 인 향을 미치기 때문에

훈련기간이 길수록 양질의 훈련을 통해 취업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분석하고

있고 이형렬(2007)은 직업훈련기간이 길수록 직업유지기간도 길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이성규(2004)는 훈련기간이 6개월 이상과 이하에서 취업률과 자격취

득률에서 차이가 난다고 분석하고 있다. 6개월 이상의 훈련은 취업가능성과 자

격취득률이 높은 반면 그 이하의 훈련에서는 모두 낮게 나타나 훈련은 6개월 이

상에서 효과가 나타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훈련 직종별로는 유동철(2000)의 연

구에서는 공업‧첨단직종(IT, 디자인, 기‧ 자, 기계, 형, 자동차정비)은 취

업확률 소득에 미치는 향 모두에서 정 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경공업‧서비스직종(도배, 이‧미용, 도장, 은세공, 제화, 제과‧제빵 등)은 취

업확률 소득 모두에서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규

(2004) 역시 훈련 직종을 IT, IT 이외 직종, 단순직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 는

데, 자격증 취득률, 교육성취도는 IT 이외 직종 > IT > 단순직종 순으로 훈련 효

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취업가능성은 오히려 IT 직종은 IT 이외 직종과 단순직종

보다 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철(2000)은 공업‧첨단직종은 노동

수요가 많거나 증가하고 있으나 경공업‧서비스업종은 통 인 직종으로 한정

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성규(2004)는 IT 분야의 취업가능성이 단

순훈련 직종보다 낮은 이유로 단순훈련 직종은 지 장애 심의 기술 훈련으

로 단순 직무에 한 기업수요 탓에 오히려 취업이 쉽게 되는 구조 때문으로 설

명하고 있다.

Page 5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43

셋째, 훈련 제공주체인 기 별 훈련 효과에 해서는 부분의 연구가 공단

센터, 공공훈련기 , 민간훈련기 , 장애인 련기 순으로 직업훈련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규(2004)는 직업훈련 효과성을 자격증 취득, 교육성취감, 자아효능감 등

의 생산성 효과와 취업효과로 나 어 분석하 다. 그 결과 자격증 취득률, 교육

성취감은 공단센터 > 민간훈련기 > 보건복지부기 순이었고 자아효능감은

공단센터 > 보건복지부기 > 민간훈련기 순이었다. 취업효과성은 공단센터

> 보건복지부 기 > 민간훈련기 순으로 공단 센터의 훈련효과가 월등히 높

게 나타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완식‧신인수(2004), 유완식‧이정주(2006)는 장

애인 체를 상으로 하는 기본모형에서는 훈련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지만 ‧

경증 장애인을 구분한 확장모형에서는 공단센터는 증장애인에 한 훈련효과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훈련기 은 경증장애인에 한 훈련효과가

정 이고 타 기 은 훈련효과가 부정 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하 다. 유동철

(2000)은 공공직업훈련기 의 훈련은 취업에는 정 인 향을 미쳤으나 소득

에는 유의미한 향이 없고 장애인 련 기 은 취업에는 유의미한 향은 없으

나 임 에는 부정 인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설학원은 취업에

는 부정 인 향을 미치고 임 에는 유의미한 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이나 회사의 사내 직업훈련은 취업에는 정 인 향을 미치나 임 에는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동철(2000)의 연구에서는 공단센터를

별도의 그룹으로 나 지 않고 장애인복지 , 일산직업 문학교( 일산센터), 일

반사회복지 과 함께 묶어 장애 련 주체로 구분하여 분석하 다. 따라서 그동

안 장애인 직업훈련의 효과분석에서 있어서 본격 인 효과분석으로 알려진 유

동철의 연구에서는 공단 센터의 훈련효과를 입증하기엔 한계 을 지니고 있다.

넷째, 연구 원자료(raw data) 자료에 따라 훈련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장애인 실태조사나 장애인근로자실태조사를 분석한 자료에서는 유완식‧신인

수(2004), 유완식‧이정주(2006)를 제외하고14) 다른 연구자의 훈련효과는 취업가

Page 5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44

능성 임 효과가 없거나 부정 이었다. 그러나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 측정을

한 별도의 연구조사를 활용한 경우 부분의 연구에서 훈련 효과가 정 으

로 나타났다. 총 14편 장애인 실태조사나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를 분석한

10편을 제외한 4편의 연구 가운데 이성규(2004), 황아윤(2006), 박석돈‧조주 ‧

한상희(2007)의 연구에서는 훈련효과가 정 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단 1994

년 구직등록 장애인 조사 자료를 분석한 어수 (1996)의 연구에서는 훈련효과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다만, 장애인 직업훈련으로 인한 자격증을

취득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취업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 다. 장애인

실태조사나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는 장애인 직업훈련과 련된 문항이 극히

제한 이다. 한 고용시장에 진입한 상자에게 직업훈련 유무를 측정하고 있

기 때문에 인 자본능력을 갖추고 있어 직업훈련이 필요하지 않거나 직업훈련

없이 노동시장에 진입한 상자와 직업훈련을 받은 상자를 비교하는 연구 설

계일 경우 그 결과는 연구자의 의도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3.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치는 요인

선행연구들은 부분 장애인 직업훈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평가지표로 취

업할 확률과 임 으로 보고 있다. 직업훈련의 가장 큰 목 이 취업을 통한 고용

안정과 유지이기 때문에 주로 훈련수료생의 취업과 임 등 경제성과가 가장

리 사용되고 있다. 훈련효과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리해보면 크게 인구사회

학 요인, 장애요인, 직업훈련요인, 직장생활 등 기타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선행 연구들의 요인별 분류를 보면 <표 2-10>과 같다.

14) 유완식‧신인수(2004)의 연구에서도 장애인 체를 기본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 으나 ‧경증으로 구분한 확장모형에서 훈련성과를

입증하 음.

Page 5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45

〈표 2-16〉 선행연구 비교

연구자어수

(1996)

이선우

(1997)

유동철

(2000)

이선우

(2001)

이선우

(2001)

변용찬 외

(2004)

유완식 외

(2004)

연구주제

장애인

노동시장

분석

장애인 취

업 취업

형태에 미

치는 요인

장애인직업

훈련이 취업

소득에

미치는 향

장애유형별

고용 황

장애인 취

업형태와 소

득에 향을

미치는 요인

취업한 장애

인의 직업유

지에 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인 직업

훈련 효과분

분석자료

공단 1994년

구직등록장

애인조사자

료 등

1995 활동

제약자 실

태조사

1995 활동

제약자 실

태조사

2000년 장

애인 실태

조사

2000 장애

인 실태조

경기도장

애인취업

실태조사

(2003)

2000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

분석방법OLS, 로

빗,해자드

로빗

로짓(Logit)

로지스틱,

선형회귀

다항로지

스틱

다 회귀

로짓

다 회귀

분석선형회귀

종속변수의 임

임 총액

취업여부

취업형태

취업확률,

소득수평균임

취업형태

근로소득근속기간

임 효과

산효율성

직업훈

련변수

훈련유무,

자격증*

훈련여부 ,

자격증

기간*,직종*

제공주체*훈련유무 훈련유무

훈련유무*

훈련기간*

훈련유무

훈련기 *

인 구

사 회

성별*,연령,

교육연수*,

결혼유무,

생활보호

성별, 연령,

가구주*,

결혼유무*

가구원수*

교육수 *

교육수

성별*

연령

가구주

결혼유무

성별

연령*,

교육수

결혼유무*

가구주*,

연령,성별

결혼유무*

가구원수

가구주*

교육연한

성별*연령*

교육정도

결혼여부*

가구원수*

가구소득*

성별*

연령

학력*

장애

특성

변수

장애유형,

등 *,

건간상태

생활불편

생활자립도

외부활동

사회활동

장애유형*,

장애정도,

장애유형*,

기능제한,

산재,

장애인식

도움정도*,

외부활동

장애기간

도움필요

장애유형

산재유무

장애유형*

장애등

A D L ( 제

한여부)*

장애유형

장애정도*

직장

기타

사업체규

정규직

사회 차

별정도

장애로 인

한부담, 장

애 자 각 여

근속연수,

회사규모,

종 사 상

지 ,

차별경험,

근속연수,

직종*

기 수 *

차별경험

생활보호

상유무*

직업, 종

사상 지

임 *,성*

고용안정

직무만족*,

근로시간,

기 수 *

근로시간

고용기간

산업

사업체규모*

장려 지

업체유무

주 : *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변수

Page 5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46

(계속)

연구자이성규

(2004)

황아윤

(2006)

유완식 등

(2006)

이윤석 등

(2007)

박석돈 등

(2007)

이형렬

(2007)

이형렬

(2008)

연구주제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

직업능력

개발센터

사업평가

장애인

직업능력

훈련

효과분석

장애인고

용법제의

직업훈련

효과분석

직업훈련생

직업

욕구와

만족도

장애인

근로자

직업유지에

미치는 향

장애유형별

직업유지에

미치는 향

분석자료

장애인

직업훈련

시설

수료생설

문조사

센터수료생

실태조사

(2004),

2005년

직업훈련

참여자 설문

2000년

장애인근로

자실태조사,

훈련기

지원사업실

(2003)

2000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사

공단센터

재학생

설문조사

2005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사

2005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사

분석방법 로지스틱 로지스틱 선형회귀 OLS ANOVAVIF,다

공선성

V I F , 다

공선성

종속변수생산성

취업

취업여부

고용형태

직무만족도

소득

(임 )임

훈련

만족도

직업

유지기간

직업

유지기간

직업

훈련

변수

훈련직종,

훈련기 *

훈련횟수*,

자격증*

훈련과정

훈련기간

재활 로

그램*

훈련유무

훈련기 *직업훈련

참여 여부*

훈련과정*

훈련운 *

훈련공과*

훈련기간* 훈련기간*

인구

사회

성*연령*

교육수 *

기 수 *

결혼*

성별

연령*

학력,

결혼*

성별*

연령*

학력*

결혼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성별*

연령

종교

학력*

성별*연령*

학력*

결혼여부*

가구소득*

성별*연령*

학력*

결혼여부*

가구소득*

장애

특성

변수

장애유형,

원인,등 ,

생활제약*

장애유형,

장애정도

장애유형,

장애정도*

장애유형*

장애원인*

장애기간

장애유형*

장애정도*

장애원인

장애유형*

장애등 *

장애원인*

장애유형

장애등 *

장애원인

직장

기타

직업

업체규모,

산업별,

임 *직무*

이직희망

업체규모

취업경험

업체규모*

장려

근무기간*

근로시간

시간제

근무여부

평균소득*

참여 동기

선택기

보수

직업 욕구

고용형태*

업무배치*

업무일치

임 승진

고용 리*

고용형태*

업무 일치*

인 계*

고용 리*

주 1) *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변수

2) 생산성: 자격증 취득률, 교육성취감, 자아 효능감

Page 5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47

가. 인구사회학 요인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학 요인으로 성별,

연령, 결혼유무, 가구주 여부, 교육수 같은 인구학 요인을 들 수 있다.

성별에서 우리나라 통 인 성 역할에 한 가치 탓에 남성은 사회생활,

여성은 가정생활을 한다는 기 를 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 으로 인하여 일반

으로 남성의 취업가능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난다(이선우, 1997). 한 소득에

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이선우, 2001).

연령은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일반 으

로 연령이 많을수록 직업기술 경험이 더 많다. 때문에 연령이 높다는 것은 훈

련과정에서 이해 기술습득의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취업가능성도 더 높을

것으로 상할 수 있다.

결혼유무도 훈련효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다. 결혼을 하여 배우자

가 있는 경우 생계유지를 해 취업의 필요성이 증가하며 따라서 취업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상할 수 있다.

가구에서의 지 도 훈련효과에 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데 가구주인 경우

자신 외에 다른 가구원의 도움을 쉽게 요청할 수 있는 치에 있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가구주는 자 업에 종사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상된다. 한 소

득에서도 임 노동은 부양가족에 한 수당 때문에 소득상승을 기 할 수 있고

자 업은 가구원에 의한 무 가족 노동 덕분에 비가구주에 비해 더 많은 소득을

올릴 것으로 상된다. 한편으로 가구원 수가 많으면 장애인은 생계를 해 자

신이 취업을 해야 할 필요성이 어들 가능성이 많을 것으로 상할 수 있다.

일반 으로 교육수 이 높을수록 직업훈련의 효과도 높아진다(어수 , 1996;

유동철, 2000). 반면에 교육수 이 높을수록 오히려 취업가능성이 낮아질 수도

있다. 장애인들의 교육 수 이 향상되면 그에 따른 직업에 한 기 수 도 향

상하는 것으로 상되지만 재 장애인 고용시장에서 향상된 기 수 을 제

로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선우, 1997).

Page 5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48

나. 장애특성 변수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장애 련 요인으로 장애유형

과 장애정도를 들 수 있다.

장애유형이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데 일반 으로 지체

장애가 다른 유형의 장애보다 취업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선우‧김성희‧임정기‧권선진‧유동철‧이계존, 2001). 반면에 자폐성장애, 뇌병

변장애, 정신장애유형은 인구 비 취업자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2005년

장애인 실태조사). 임 은 2005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간장애, 신장장애,

지체장애 순으로 월평균 임 이 높으며, 지 장애, 정신장애 순으로 월 평균 임

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임 에 한 격차는 최 3.7배에 달하고 있다.

장애정도도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칠 것이라 본다. 장애가 심하면 심할

수록 생산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소득이 낮아질 것으로 상된

다. 한 장애가 심할수록 사회 차별이 심해 고용될 확률이 낮아질 것으로

상된다.

다. 직업훈련 변수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직업훈련 변수로는 훈련 직종,

훈련기 등을 들 수가 있다.

훈련 직종은 어떤 직종이냐에 따라 임 이 달라질 수 있다. 훈련 직종에 따

라 필요로 하는 직업훈련 수 과 기술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유동철, 2000;

이성규, 2004) 그에 따라 평균임 도 차이가 날 것으로 상하기 때문이다.

직업훈련 주 기 에 따라 공단 센터, 공공직업훈련시설, 민간기 마다 훈련

시설, 훈련 내용 등 련 시스템에서 차이가 많이 있기 때문에(이성규, 2004; 유

완식 등 2004) 훈련효과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센터 수료생을 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

Page 5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2장 이론 배경 49

에 훈련기 변수는 언 하지 않는다.

라. 직장 기타 변수

직장 련 변수는 직업훈련의 실질 인 효과인 소득과 련된 지표이다. 장애

인 직업훈련 효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는 취업형태, 취업지역, 기업규

모가 있다. 기타로 사회제제도 요인을 들 수 있는데 표 으로 공공부조의

혜택을 받는 기 생활보장수 권자 유무가 있다.

취업형태로는 자 업과 임 근로자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임 근로자

에서도 정규직과 임시직에 따라 임 에서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

으로 자 업자가 임 노동 자에 비해 소득이 높은 것으로 상된다. 그러나

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고용시장 진입이 어려워 생계수단으로 자 업을 선택하

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세자 업이 부분으로 임 근로자에 비해 오히려

소득이 낮을 수도 있다(이선우, 2001). 한 상용근로자와 임시계약직 종사자간

에는 임 차이가 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취업 형태 따른 소득에서 차이가 날

것으로 상된다.

일반 으로 기업 규모가 클수록 소득과 고용 안정에 정 으로 보고 있다.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문 인 기술을 요하게 되고 소득증가로 이어지는 가능

성이 높다. 반면 규모가 은 기업일수록 세한 기업구조를 지니고 있을 가능

성이 높아 단순기능을 요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따라서 기업규모 간에는 임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사회보장제도에 따라 공공부조 혜택을 받고 있는 장애인은 근로로 인하여

일정 임 이상을 받게 되면 공공부조 혜택에서 제외될 수 있기 때문에 고용을

기피하거나 소득이 제 로 드러나지 않는 분야에 종사할 가능성이 높다.

Page 6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50

Page 6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3장 연구방법 51

제 3 장

연구방법

본 연구의 주된 목 은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의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통해서 직업훈련을 실

시한 경우가 그 지 않은 경우보다 고용효과와 임 이 높다는 가설을 검증 하고

자 한다. 직업훈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평가지표는 직업훈련의 가장 큰 목 이

취업의 제고이기 때문에 주로 훈련수료생의 취업과 임 등 경제성과가 가장

리 사용된다(강순희 외, 2000; 유동철, 2000; 유완식‧신인수, 2004; 김주섭‧이병희

‧박성재, 2004; 황아윤,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에 한 직업훈련 효과를 취업과

임 수 을 지표로 하고자 한다.

제1 조사 상

조사 상은 5개 센터에서 2005년부터 2007년 사이에 직업훈련을 받고 수료

한 상자가 모집단이고 분석 자료는 공단 고용정보시스템 학사 리 DB이다.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을 받고 수료한 상자 22715)명을 연구 집단으로 하고 이

에 한 비교집단은 장애유형별 특화훈련과 동일 유형의 시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 정신장애유형 특화훈련이 아닌 타 훈련을 받고 수료한 상자

353명으로 총 580명이다.

15) 공단 고용정보 리 시스템 학사 리DB기 으로 훈련실 집계와는 차이가 있음.

Page 6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52

제2 변수의 정의 측정

1. 종속변수

본 연구에서 용할 변수의 정의 측정은 다음과 같다.

종속변수는 취업가능성과 임 수 , 근속유지기간으로 정하 다. 직업훈련의 궁

극 인 최종목표는 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소득향상의 요한 기제가 되는

것이 취업활동이기 때문이다.

첫 번째 취업가능성은 취업여부이며 소득을 발생시키는 직업에 취업을 했을

경우를 1, 그 지 않은 경우는 0으로 처리하 다.

두 번째 종속변수는 임 수 이며 임 은 취업당시 평균임 에 자연로그값

을 취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평균임 에 로그값을 취한 이유는 노동시간의

양을 고려하기 한 것이다. 임 수 은 일반 으로 정상분포를 이루지 못하

고 분포가 선형 이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분석결과에 왜곡된 해석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임 분포를 감안하여 평균임 에 자연로그 값을 취하여 사

용하 다.

세 번째 종속변수는 근속유지기간이다. 근속유지기간은 수료시 부터 조사

시 이 2008년 6월 30일을 기 재 취업을 하고 있는 상자의 근속일수이다.

만일 상자가 간에 퇴직하 을 경우 퇴직한 날짜까지를 근속일수로 계산하

여 연속변수로 처리하 다.

Page 6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3장 연구방법 53

2. 독립변수

독립변수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유무를 변수로 설정하 다. 본 연구에서 효

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특화훈련을 받은 장애유형별 장애인이다. 이에 한

비교집단으로 특화훈련을 받지 않고 일반훈련을 받은 훈련생 가운데 시각, 청

각, 뇌병변, 정신장애 유형의 증장애인을 선정하 다. 특화훈련을 받지 않은

상자는 일반훈련을 받은 수료생이다. 이외 나머지 변수는 통제하여 두 집단간

에는 장애유형별 차이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이 피 실험 상에 향을 미치는

요소를 제거하 다.

3. 통제변수

가. 성

일반 으로 남성은 여성에 비해 취업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안정된 직장에

서 상 으로 높은 임 을 받는다. 남성일 경우 0, 여성일 경우 1을 부여하 다.

나. 연령

연령이 높다는 것은 노동시장 내에서 생산기술의 습득과 숙련의 향상기간이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도장애는 이 경력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 그

러나 새로운 기술에의 응 용이성과 변화의 가능성 통제가능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편 으로 연령은 임 수 에는 정 인 향을 미칠 것

으로 상된다. 연령은 연속변수인 만 나이를 그 로 사용하 다.

Page 6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54

다. 교육수

일반 으로 교육수 은 생산성을 나타내는 가장 요한 변수로 취 된다. 교

육수 이 높을수록 기술과 기능의 습득수 이 높다고 단하기 때문이다. 교육

수 은 원자료의 범주별 변수를 연속변수로 변환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등졸

업은 6년, 학교 퇴는 7.5년, 학교 졸업은 9년, 고등학교 퇴는 10.5년, 고

등학교 졸업은 12년, 문 졸은 14년, 학졸업은 16년, 학원졸업은 18년으로

환산하여 용하 다. 한편 장애인은 일반학교에서 비장애인과 통합교육을 받은

사람과 장애인만 상으로 하는 특수학교졸업자가 있다. 즉 통합훈련과 용훈

련의 차이를 알아보기 해 일반학교를 졸업한 경우 0, 특수학교를 졸업한 경우

1을 부여하 다.

라. 장애유형

장애유형은 특화훈련 이수자들의 유형인 시각, 청각, 뇌병변, 정신장애로 구

분하며 시각장애 1, 청각장애 2, 뇌병변장애 3, 정신장애는 4를 부여하 다.

마. 장애등

장애등 은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자체가 증장애인을 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등 1 에서부터 3 까지이다. 장애 수는 일정한 간격의 연속선상

의 변인이 아니므로 범주형 변수로 정의하 다.

바. 직업훈련분야

직업훈련분야에 따라 취업률 등에 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산응용기

Page 6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3장 연구방법 55

계분야 1, 자분야 2, 디자인분야 3, 공 분야 4, 인쇄매체분야 5, 건축분야 6,

외식산업 7, IT분야 8, 의상분야 9, 사무행정분야 10, 인문사회분야 11, 창업분야

12, 실무작업분야 13, 기타 14로 정의하 다. 기타에는 공연 시, 직‧이직자과

정, 분야 구분 없는 분야훈련, 텔 마 , 건강보험청구직종이 해당된다.

사. 훈련기간

장애인의 직업훈련을 받은 기간이 길수록 직업유지기간에 정 향을 미

칠 수 있기 때문에(이형렬, 2008) 훈련기간을 알아보고자 하 다.

아. 장애인 직업훈련기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각 센터별로 다르기 때문에 상호 연 성을 보기 해

변수에 포함하 다. 일산센터를 1, 부산센터를 2, 센터 3, 남센터 4, 구

센터 5로 정의하 다. 세부 인 변수에 한 정의 측정은 <표 3-1>과 같다.

Page 6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56

〈표 3-1〉 변수에 한 설명

구분 변수명 변수설명 측정

종속변수

취업가능성 EMPLOY 취업여부 (0)미취업 (1)취업

임 WAGE 월평균 임 연속 변수

독립변수

특화훈련여부

SPEC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참여여부

(0)일반훈련 (1)특화훈련

통제변수

인구학 특성

성별 SEX 성별 (0)남성 (1)여성

연령 AGE 연령 연속 변수

인자본요인

교육수 EDU 교육연수 연속 변수

특수학교 SPED특수학교 졸업여부

(0) 일반학교 졸업(1) 특수학교 졸업

장애특성

장애유형 DISTYPE 장애유형범주 dummy변수(정신)(1) 시각장애 (2) 청각장애(3) 뇌병변장애, (4) 정신장애

장애등 DISGRADE장애등 ( 증장

애인)연속 변수

직업훈련특성

훈련분야 VOCOCC 직업훈련 분야

범주 dummy변수(기타)(1) 산응용기계분야 (2) 자분야 (3) 디자인‧애니분야(4) 공 분야 (5) 인쇄매체분야(6) 건축분야 (7) 외식산업분야(8) IT분야 (9) 의상분야 (10) 사무행정분야 (11) 인문사회분야 (12) 창업분야(13) 실무작업분야 (14) 기타

훈련기 VOCORG 센터

범주 dummy변수( 구센터)(1) 일산센터(2) 부산센터(3) 센터(4) 남센터(5) 구센터

수료연도 GRAD 수료연도

범주 dummy변수(2005)(5) 2005년 수료(6) 2006년 수료(7) 2007년 수료

훈련기간 VOCPER 직업훈련 기간 연속 변수

Page 6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3장 연구방법 57

제3 자료 분석방법

1. 모형 1 : 취업가능성 분석 모형

( 1․․․)

( : 취업할 확률, : 취업하지 못할 확률)

여기서 는 편항, , , 는 추정계수, 는 오차항을 나타낸다.

는 특화훈련을 받은 경험의 유무이고 는 일반훈련을 받은 경험 여부이

다. 즉 특화훈련을 받고 상자의 취업유무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의 취업유

무는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취업효과를 분석하여 그 차이를 효과로 보고자

한다.

는 특화훈련을 받은 훈련생이 취업할 확률이며 를 로 편미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 는 일반훈련을 받은 훈련생이 취업할 확률이며 를 로 편미분함으로

써 얻을 수 있다.

∂∂

Page 6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58

따라서 의결과가 양(+)의 값을 가지면 특화훈련이 취업확률이 더

높음을 의미하며 반 로 음(-)의 값을 가지면 취업확률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경험 유무

= 일반훈련 경험 유무

= 인구학 특성, 장애 특성, 직업훈련 특성의 변수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이항변수이므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고자한다.

2. 모형 2 : 임 수 에 한 향 분석 모형

( 1․․․)

=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경험 유무

= 일반훈련 경험 유무

= 인구학 특성, 장애특성, 직업훈련특성, 고용시장특성 변수

= 고용시장특성 변수

임 에 한 향 분석 모형에서는 종속변수가 취업당시 평균임 의 값으로

연속변수이므로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의 효과 결

과의 차이를 일반선형회귀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Page 6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3장 연구방법 59

3. 모형 3 : 근속유지기간에 한 향분석 모형

,

( 1․․․)

=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경험 유무

= 일반훈련 경험 유무

= 인구학 특성, 장애특성, 직업훈련특성, 고용시장특성 변수

= 고용시장특성 변수

근속유지기간도 마찬가지로 근속 개월 수를 연속변수로 선형회귀분석을 하

고자 한다.

자료 분석은 사회과학통계분석을 한 SPSS/WIN 12.0을 사용하 다.

Page 7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60

Page 7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61

제 4 장

연구결과 및 논의

제1 분석 상자의 일반 특성

2005년부터 2007년까지 특화훈련에 참여하고 수료한 상자는 227명이다. 이

시기에 일반훈련을 받은 특화훈련과 동일 유형의 증장애인은 353명이고 총

580명이다. 이 에서 동일인, 맞춤훈련 상자를 제외하 다. 동일인은 일반훈련

과 특화훈련을 동시에 받은 사람, 타 센터에서 훈련을 받은 사람이었다. 이들은

최종 훈련센터를 기 으로 그 이 의 훈련과정은 제외하 다. 맞춤훈련은 장애

유형별 특화훈련 일반훈련과 운 방식, 모집방법 등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연구의 객 성을 유지하기 해서 상에서 제외하 다. 본 연구 분석에 사용한

특화훈련 참여자는 190명이고 일반훈련 참여자는 262명으로 총 452명이다. 취업

가능성은 빈도자료이므로 교차분석을 사용하 다. 평균임 과 직장근속유지기

간은 집단별 평균분석으로 기술통계를 하 고 상호작용 계를 보기 해 일반

선형모형에서 일변량 분석을 실시하 다. 직업훈련요인, 인구학 요인, 장애요

인, 인 자본요인으로 구분하여 SPSS 12.0k를 사용하 다.

Page 7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62

〈표 4-1〉 분석 상자 일반 특성(단 : 명, %)

구분일반훈련 특화훈련 계

인원 (백분율) 인원 (백분율) 인원 (백분율)

직업훈련

요인

훈련기

계 262 (58.0) 190 (42.0) 452

(100)

일산센터 93 (68.4) 43 (31.6) 136부산센터 59 (53.2) 52 (46.8) 111

센터 28 (54.9) 23 (45.1) 51남센터 28 (56.0) 22 (44.0) 50구센터 54 (51.9) 50 (48.1) 104

훈련 직종

산응용기계 19 (48.7) 20 (51.3) 39

(100)

자 49 (80.3) 12 (19.7) 61디자인 42 (85.7) 7 (14.3) 49공 11 (100.0) 0 (0.0) 11인쇄 11 (84.6) 2 (15.4) 13건축 8 (80.0) 2 (20.0) 10외식산업 24 (47.1) 27 (52.9) 51IT 27 (49.1) 28 (50.9) 55의상 19 (100.0) 0 (0.0) 19사무행정 0 (0.0) 11 (100.0) 11인문사회 10 (100.0) 0 (0.0) 10창업 4 (7.5) 49 (92.5) 53실무 25 (92.6) 2 (7.4) 27기타 13 (30.2) 30 (69.8) 43

수료연도2005년 99 (82.5) 21 (17.5) 120

(100)2006년 75 (51.0) 72 (49.0) 1472007년 88 (47.6) 97 (52.4) 185

인구학

요인

성별남자 190 (58.3) 136 (41.7) 326

(100)여자 72 (57.1) 54 (42.9) 126

연령

10 2 (28.6) 5 (71.4) 7

(100)20 152 (70.7) 63 (29.3) 21530 75 (50) 75 (50) 15040 29 (43.3) 38 (56.7) 6750 이상 4 (30.8) 9 (69.2) 13

장애요인

장애유형

시각 4 (4.2) 92 (95.8) 96

(100)청각 115 (82.7) 24 (17.3) 139뇌병변 121 (85.8) 20 (14.2) 141정신 22 (28.9) 54 (71.1) 76

장애등1 23 (27.4) 61 (72.6) 84

(100)2 162 (66.7) 81 (33.3) 2433 77 (61.6) 48 (38.4) 125

인 자본

요인

특수학교여부

일반학교졸업 239 (60.7) 155 (39.3) 394(100)

특수학교졸업 23 (39.7) 35 (60.3) 58

학력졸이하 21 (60.0) 14 (40.0) 35

(100)고졸 152 (56.5) 117 (43.5) 269문 졸이상 89 (60.1) 5 (39.9) 148

Page 7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63

1. 취업가능성

가. 직업훈련요인

각 훈련센터별 취업확률은 일반훈련은 센터가 82%로 가장 높고 부산,

일산, 구, 남 순이다. 특화훈련은 센터가 100%로 가장 높고 부산, 구,

남, 일산 순이다. 채 취업확률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의 취업확률은 75%

이고,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83%로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의 취업확률이

더 높았다.

〈표 4-2〉 센터별 취업확률

구분 훈련센터 취업률 인원

일반훈련

일산센터 0.74 93

부산센터 0.80 59

센터 0.82 28

남센터 0.61 28

구센터 0.76 54

합계 0.75 262

특화

일산센터 0.72 43

부산센터 0.96 52

센터 1.00 23

남센터 0.73 22

구센터 0.76 50

합계 0.83 190

훈련분야는 일반훈련은 건축분야가 100%로 가장 높고 이어 외식분야, 인쇄

분야, 공 분야, 디자인 분야 순이었다. 특화훈련은 인쇄매체, 외식산업, 디자인,

실무 분야의 취업확률이 100%로 가장 높고 이어 기계, 자, 기타 순이었다.

Page 7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64

〈표 4-3〉 훈련분야별 취업확률

구분 훈련분야 취업확률 인원

일반훈련

기계 0.74 19

자 0.78 49

디자인 0.81 42

공 0.82 11

인쇄 0.91 11

건축 1.00 8

외식산업 0.92 24

IT 0.63 27

의상 0.74 19

인문사회 0.20 10

창업 0.50 4

실무 0.76 25

기타 0.62 13

합계 0.75 262

특화훈련

기계 0.95 20

자 0.92 12

디자인 0.57 7

인쇄 1.00 2

건축 1.00 2

외식산업 1.00 27

IT 0.68 28

사무행정 0.73 11

창업 0.76 49

실무 1.00 2

기타 0.90 30

합계 0.83 190

수료연도별은 일반훈련은 2006년 수료생이 79%로 가장 높고, 2005년, 2007년

순이었다. 특화훈련 수료자는 2005년이 100%이고, 2006년, 2007년은 81%로 나타

났다.

Page 7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65

〈표 4-4〉 수료연도별 취업확률

구분 수료연도 평균 인원

일반훈련

2005년 0.75 99

2006년 0.79 75

2007년 0.73 88

합계 0.75 262

특화훈련

2005년 1.00 21

2006년 0.81 72

2007년 0.81 97

합계 0.83 190

나. 인구학 요인

인구학 요인 성별에 다른 취업확률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여성

이 83%로 남성 72%보다 높았다. 반면에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남성이 84%

로 여성 81%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5〉 성별 취업확률

구분 성별 취업률(%) 인원

일반훈련

남자 72 190

여자 83 72

합계 75 262

특화훈련

남자 84 136

여자 81 54

합계 83 190

연령에 따른 취업 가능성은 일반훈련에서는 10 의 취업률이 100%로 가장

높고, 20 , 30 , 40 , 50 이상 순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취업확률이 높은 것

Page 7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66

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특화훈련은 10 가 100%로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지단

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았지만, 50 이상, 40 , 30 , 20 순으로 나타났다. 특

화훈련은 높은 연령층에서 취업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6〉 연령별 취업확률

구분 연령 취업률(%) 인원

일반훈련

10 100 2

20 79 152

30 73 75

40 66 29

50 이상 25 4

합계 75 262

특화훈련

10 100 5

20 76 63

30 83 75

40 92 38

50 이상 89 9

합계 83 190

다. 장애요인

장애유형별 취업확률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시각장애가 100%로 가장

높고 이어 정신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 순이었다. 특화훈련은 청각장애가

100%로 가장 높고 이어 정신장애, 시각장애, 뇌병변 장애 순이었다.

Page 7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67

〈표 4-7〉 장애유형별 취업확률

구분 장애유형 취업률(%) 인원

일반훈련

시각 1 4

청각 0.82 115

뇌병변 0.66 121

정신 0.86 22

합계 0.75 262

특화훈련

시각 0.74 92

청각 1 24

뇌병변 0.7 20

정신 0.96 54

합계 0.83 190

장애등 별 취업확률은 일반훈련은 1 장애인이 83%로 가장 높고, 2 , 3

순으로 장애정도가 증일수록 취업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 상

자는 3 , 2 장애인이 88%로 높았고 이어 1 은 74%로 나타났다.

〈표 4-8〉 장애등 별 취업확률

구분 장애등 취업확률(%) 인원

일반훈련

1 83 23

2 78 162

3 66 77

합계 75 262

특화훈련

1 74 61

2 88 81

3 88 48

합계 83 190

Page 7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68

라. 인 자본 요인

인 자본 요인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고졸학력이 80%로 가장 높고 이

어 문 졸 이상, 졸 이하 순이었다. 반면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졸이

하가 93%로 가장 높고 이어 문 졸 이상, 고졸 순이었다.

〈표 4-9〉 학력별 취업확률

구분 학력 취업확률(%) 인원

일반훈련

졸이하 52 21

고졸 80 152

문 졸이상 73 89

합계 75 262

특화훈련

졸이하 93 14

고졸 82 117

문 졸이상 83 59

합계 83 190

특수학교 졸업여부에서는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100% 취업하 고, 일반

학교 출신은 73% 다. 반면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일반학교출신자가 84%

로 특수학교 출신자보다 취업확률이 높았다

〈표 4-10〉 특수학교 졸업여부 취업확률

구분 특수학교여부 취업률(%) 인원

일반훈련

일반학교졸업 73 239

특수학교졸업 100 23

합계 75 262

특화훈련

일반학교졸업 84 155

특수학교졸업 8 35

합계 83 190

Page 7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69

2. 평균임

가. 직업훈련요인

센터별 수료당시 평균임 은 센터가 1,125,277원으로 가장 많고, 일산,

남, 부산, 구 순이었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의 평균임 은 구센터가

1,235,789원으로 가장 많고 , 일산, 부산, 남 순이었다.

〈표 4-11〉 센터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훈련센터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훈련

일산센터 1,030,899 69 275464.6 600,000 2,000,000

부산센터 931,277 47 263320.1 600,000 2,000,000

센터 1,125,652 23 498496.2 700,000 2,500,000

남센터 943,529 17 257122.1 600,000 1,500,000

구센터 910,876 41 240524.7 400,000 1,5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3 400,000 2,500,000

특화훈련

일산센터 1,114,194 31 179569.4 710,000 1,500,000

부산센터 906,180 50 155383.5 500,000 1,350,000

센터 1,183,913 23 283977.3 750,000 1,800,000

남센터 856,250 16 285910.8 400,000 1,600,000

구센터 1,235,789 38 470299.7 400,000 2,500,000

합계 1,061,639 158 327116 400,000 2,500,000

합계

일산센터 1,056,720 100 251774.6 600,000 2,000,000

부산센터 918,340 97 213791.2 500,000 2,000,000

센터 1,154,783 46 402220.2 700,000 2,500,000

남센터 901,212 33 270806.2 400,000 1,600,000

구센터 1,067,163 79 401596 400,000 2,500,000

합계 1,019,484 355 316604.6 400,000 2,500,000

Page 8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70

〈표 4-11〉 센터별 취업당시 평균임 (계속)

구분 훈련센터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4.084** .044

훈련센터 4 7.805*** .000

특화훈련유무 * 훈련센터 4 4.749*** .001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훈련분야별 취업당시 평균임 은 일반훈련 상자는 인문사회분야가 2,250,000

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기타분야, 기계분야, 건축분야 순이었다. 특화훈련을 받

은 상자는 창업분야가 1,234,054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자분야, 사무행정분

야, 인쇄분야, IT분야, 기계분야, 외식산업분야 순이었다. 체평균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985,675원이었고,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의 평균임 은 1,061,639

으로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의 평균임 이 많았다.

특화훈련 유무와 훈련분야 간 효과검정은 훈련분야와 상 없이 특화훈련은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개체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아 효과가

상쇠 되었다.

〈표 4-12〉 훈련분야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훈련분야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훈련

기계 1,190,714 14 349999.2 750,000 2,000,000

자 1,022,947 38 265450 700,000 1,670,000

디자인 974,412 34 233837.4 650,000 1,500,000

공 987,778 9 171302.2 850,000 1,400,000

인쇄 942,000 10 234700.8 700,000 1,500,000

건축 1,051,250 8 278025.6 600,000 1,400,000

외식산업 932,727 22 269606.1 700,000 1,650,000

IT 911,765 17 190828.3 600,000 1,500,000

의상 803,279 14 204368.9 400,000 1,200,000

인문사회 2,250,000 2 353553.4 2,000,000 2,500,000

Page 8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71

(계속)

구분 훈련분야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훈련

창업 900,000 2 141421.4 800,000 1,000,000

실무 792,632 19 121236.3 600,000 1,000,000

기타 1,270,000 8 528529 800,000 2,5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3 400,000 2,500,000

특화훈련

기계 1,006,316 19 239495.1 700,000 1,600,000

자 1,230,000 11 366878.7 800,000 1,800,000

디자인 787,500 4 53774.22 720,000 850,000

인쇄 1,040,000 2 410121.9 750,000 1,330,000

건축 965,000 2 49497.47 930,000 1,000,000

외식산업 1,004,815 27 199641.4 750,000 1,400,000

IT 1,040,000 19 210317.2 710,000 1,500,000

사무행정 1,103,750 8 139584.8 870,000 1,300,000

창업 1,234,054 37 476663.5 400,000 2,500,000

실무 400,000 2 0 400,000 400,000

기타 953,667 27 196410.5 500,000 1,300,000

합계 1,061,639 158 327116 400,000 2,500,000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6.308** .012

훈련분야 2 1.071 .344

특화훈련유무 *훈 련분야 2 .174 .841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수료연도별 평균임 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 2005년 수료한 상자가

1,027,269원으로 가장 많고, 2007년, 2006년 순이었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2006년 수료생이 1,15,714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2006년 수료생, 2007년 수료생

순이었다.

특화훈련 유무와 수료연도 간 효과검정은 수료연도와 상 없이 특화훈련은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개체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아 특화훈

련의 효과가 상쇠 되었다.

Page 8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72

〈표 4-13〉 수료연도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수료연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훈련

2005년 1,027,269 74 321760.871 650,000 2,000,000

2006년 948,475 59 309832.066 400,000 2,500,000

2007년 971,875 64 276926.871 600,000 2,5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278 400,000 2,500,000

특화훈련

2005년 1,115,714 21 401118.08 700,000 2,000,000

2006년 1,066,534 58 370583.003 400,000 2,500,000

2007년 1,043,671 79 269511.32 400,000 1,800,000

합계 1,061,639 158 327115.968 400,000 2,500,000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6.308** .012

수료연도 13 1.071 .344

특화훈련유무 * 수료연도 9 .174 .842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나. 인구학 요인

성별 평균임 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의 남성 평균임은은 1,019,474원이

고 여성 평균임 은 908,499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특화훈련 상자는 남성

1,086,675원이고 여성은 998,318원이다. 특화훈련을 받은 여성이 일반훈련을 받

은 여성에 비해 상 으로 평균임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체 평균

은 일반훈련은 985,675원이고 특화훈련 상자는 1,261,639원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 유무와 성별 간 효과검정은 성별에서 주효과가 나타나고 특화훈련

에서 부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두 개체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아 효

과가 상쇠 되었다.

Page 8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73

〈표 4-14〉 성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성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훈련

남자 1,019,474 137 304770.335 600,000 2,500,000

여자 908,499 60 292054.594 400,000 2,5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278 400,000 2,500,000

특화훈련

남자 1,086,079 114 328323.662 500,000 2,500,000

여자 998,318 44 318946.432 400,000 1,800,000

합계 1,061,639 158 327115.968 400,000 2,500,000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4.525** .034

성별 1 7.304*** .007

특화훈련유무 * 성별 1 .100 .752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연령별 평균임 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20 가 991,699원으로 가장 많

고 40 , 30 , 10 , 50 이상 순이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10 가

1,484,000원으로 가장 많고 50 이상, 40 , 30 , 20 순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 유무와 연령 별 간 효과검증에서는 특화훈련은 효과가 나타났으

나 연령에는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두 개체 간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

았다.

Page 8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74

〈표 4-15〉 연령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연령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훈련

10 875,000 2 35355.3 850,000 900,000

20 991,699 120 266658.4 400,000 2,000,000

30 978,618 55 393604.2 600,000 2,500,000

40 989,474 19 267030.5 710,000 1,560,000

50 이상 800,000 1 . 800,000 8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3 400,000 2,500,000

특화

10 1,484,000 5 288496.1 1,270,000 1,800,000

20 1,025,208 48 201483.7 720,000 1,500,000

30 1,030,855 62 302185.0 400,000 2,000,000

40 1,065,600 35 330216.5 500,000 2,000,000

50 이상 1,237,500 8 757698.6 400,000 2,500,000

합계 1,061,639 158 327115.9 400,000 2,500,000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7.601*** .006

연령 4 .461 .765

특화훈련유무 * 연령 4 1.502 .201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다. 장애요인

장애요인 장애유형별 평균임 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청각장애가

1,020,361원으로 가장 많고 뇌병변, 시각, 정신 순이었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

자는 시각이 1,178,676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청각, 뇌병변, 정신장애 순이었다.

특화훈련 유무와 장애유형별 간 효과검정은 장애유형에서 주효과로 나타났고

특화훈련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체 간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지만, 내용 으로(F=1.984) 간과할 수 없는 정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Page 8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75

〈표 4-16〉 장애유형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장애유형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훈련

시각 920,000 4 118039.5 750,000 1,000,000

청각 1,020,361 94 306058.8 600,000 2,500,000

뇌병변 989,800 80 321143.8 600,000 2,500,000

정신 810,526 19 176901.5 400,000 1,1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8 400,000 2,500,000

특화

훈련

시각 1,178,676 68 374057.6 400,000 2,500,000

청각 1,190,833 24 279796.7 750,000 1,800,000

뇌병변 921,429 14 240251.7 700,000 1,600,000

정신 886,712 52 181269.2 400,000 1,350,000

합계 1,061,639 158 327115.9 400,000 2,500,000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4.511** .034

장애유형 3 8.354*** .000

특화훈련유무 * 장애유형 3 1.984 .116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장애등 별 평균임 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2 이 987,039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3 , 1 순이었다. 반면 특화훈련 상자는 1 이 1,132,667원으로 가

장 많고 이어 2 , 3 순으로 증장애일수록 평균임 이 많았다.

특화훈련과 장애등 간 효과검정에서는 장애등 이 주효과로, 특화훈련이

부효과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개체간 상호작용효과도 유

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8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76

〈표 4-17〉 장애등 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장애등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훈련

1 978,421 19 412354.5 600,000 2,500,000

2 987,039 127 301711.1 400,000 2,500,000

3 984,980 51 270075.9 650,000 2,0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2 400,000 2,500,000

특화

훈련

1 1,132,667 45 404651.3 500,000 2,500,000

2 1,096,239 71 317176.9 400,000 2,000,000

3 927,048 42 190003.3 400,000 1,300,000

합계 1,061,639 158 327115.9 400,000 2,500,000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3.100* .079

장애등 2 2.728* .067

특화훈련유무 * 장애등 2 2.788* .063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라. 인 자원 요인

인 자원요인으로 학력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문 졸 이상 학력이

1,026,000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고졸, 졸 이하로 학력이 높을수록 평균임 이

높았다. 특화훈련 상자는 문 졸이상이 1,056,605원으로 가장 많았고 고졸,

졸 순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 유무와 학력간 효과검정에서는 두 개체 모두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체 간 상호작용에서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Page 8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77

〈표 4-18〉 학력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학력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훈련

졸이하 950,364 11 230011.8 700,000 1,484,000

고졸 967,222 121 284807.9 600,000 2,500,000

문 졸이상 1,026,000 65 348101.1 400,000 2,5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2 400,000 2,500,000

특화

훈련

졸이하 969,231 13 362984.4 400,000 1,800,000

고졸 1,056,000 96 326196.9 400,000 2,500,000

문 졸이상 1,097,204 49 320618.0 500,000 2,000,000

합계 1,061,639 158 327115.9 400,000 2,500,000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1.450 .229

학력 2 1.456 .234

특화훈련유무 * 학력 2 .143 .867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

특수학교 졸업자의 평균임 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일반학교 졸업자

가 988,149원으로 특수학교 졸업자 평균임 966,957원보다 많았다. 반면 특화훈

련 상자는 특수학교출신이 1,175,875원으로 일반학교출신 훈련생 1,037,685원보

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 여부와 특수학교 졸업여부에 한 효과 검정에서 특화훈련은 효과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수학교 졸업여부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개체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내용 으로 간과할 수없을 정도

(F=2.682, P=.102)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Page 8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78

〈표 4-19〉 특수학교졸업여부별 취업당시 평균임

구분 특수학교여부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훈련

일반학교졸업 988,149 174 310603.3 400,000 2,500,000

특수학교졸업 966,957 23 259324.9 650,000 1,500,000

합계 985,675 197 304546.2 400,000 2,500,000

특화

훈련

일반학교졸업 1,037,685 130 305134.9 400,000 2,000,000

특수학교졸업 1,172,857 28 402214.7 500,000 2,500,000

합계 1,061,639 158 327115.9 400,000 2,500,000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7.156*** .008

특수학교 졸업 여부 1 1.425 .233

특화훈련유무*특수학교

졸업여부1 2.682 .102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3. 근속 유지기간

가. 직업훈련요인

센터별 근속유지기간은 일반훈련은 평균 544.4일이고 특화훈련은 468일로 특

화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훈련 상자의 근속유지기간이 길었다. 센터별로 보면

수료 3년차인 2005년 수료 상자들은 , 부산, 일산 순이고, 2006년 수료생은

일산, , 부산 순이었다. 2007년 수료생은 남, 부산, 일산 순이었다. 특화훈

련을 받은 상자는 구, 남, 순이었고, 2006년 수료생은 구, , 부

산 순이었다. 2007년 수료생은 구, 일산, 부산 순이었다.

그러나 센터별은 훈련기간에 해 유의하지 않아 센터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특화훈련 유무가 주 효과로 나타나고 있고 센터와 상호

작용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특화훈련은 동일한 패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Page 8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79

〈표 4-20〉 센터별 근속유지기간

구분 훈련센터 수료연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훈련

일산

센터

2005년 817.9 25 405.5 80 1229

2006년 616.1 11 302.9 71 864

2007년 295.0 32 121.3 16 525

합계 539.2 68 371.3 16 1229

부산

센터

2005년 844.3 16 426.1 91 1207

2006년 499.3 18 267.7 32 808

2007년 327.8 10 164.6 84 535

합계 585.8 44 375.3 32 1207

센터

2005년 882.3 9 442.4 97 1242

2006년 522.3 6 256.8 205 815

2007년 290.9 7 163.7 97 528

합계 596.0 22 407.0 97 1242

센터

2005년 725.0 9 476.6 160 1246

2006년 463.0 4 452.8 31 864

2007년 424.0 4 100.9 276 503

합계 592.5 17 418.4 31 1246

센터

2005년 642.7 13 433.5 31 1183

2006년 456.1 18 304.0 29 868

2007년 199.7 9 122.2 37 360

합계 459.1 40 357.7 29 1183

특화

훈련

일산센터

2005년 733.2 6 490.0 60 1049

2006년 437.3 10 301.6 64 902

2007년 306.5 15 126.2 54 489

합계 431.3 31 317.4 54 1049

부산센터

2005년 118.4 5 50.8 62 182

2006년 558.8 19 248.7 32 864

2007년 300.7 25 128.9 30 476

합계 382.2 49 234.0 30 864

Page 9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80

(계속)

구분 훈련센터 수료연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특화

훈련

센터

2005년 920.0 3 0.0 920 920

2006년 573.2 6 264.9 63 815

2007년 295.3 14 108.1 137 459

합계 449.3 23 269.0 63 920

남센터

2005년 929.5 2 19.1 916 943

2006년 541.7 3 371.1 136 864

2007년 299.0 11 162.4 33 514

합계 423.3 16 290.3 33 943

센터

2005년 1005.0 5 0.0 1005 1005

2006년 757.6 20 111.8 570 874

2007년 324.3 13 105.8 193 523

합계 641.9 38 265.6 193 1005

자유도 F 유의확률

훈련센터 4 0.556 .695

특화훈련유무 1 5.042** .025

훈련센터 * 특화훈련유무 4 4.110*** .003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훈련분야별 근속유지기간은 일반훈련은 인문사회분야가 평균 822일로 근속

유지기간이 가장길고 건축분야 785.75일 인쇄매체 분야 725일 순이었다. 2005년

수료생 가운데 건축분야가 1165일로 가장 길고 이어 의상분야 1163일, IT분야

1154일 순이었다. 2006년 수료생은 인쇄매체분야가 825일로 근속유지기간이 가

장 길고 이어 디자인분야 747일, 기타564.3일, 건축분야 564일 순이었다. 2007년

수료생은 건축분야가 근속유지기간이 535일로 가장 길고 이어 인문사회계열

528일, 공 분야 347 순이었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창업분야가 649일로 근속유지기간이 가장 길고

이어 지다인 분야가 629일, 자분야 575일 순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05년 수

Page 9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81

료생은 창업과정이 1005일로 근속유지기간이 가장 길고 이어 디자인 943일,

자분야와 외식산업분야가 920일 순이었다. 2006년 수료생은 디자인 분야가 864

일로 근속유지기간이 가장 길고 이어인쇄매체분야 825일, 창업분야 757일 순이

었다.

개체간 효과검정에서는 특화훈련이 지배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이

F=10.135, (p<.001)이었고 특화훈련과 훈련분야 상호작용에서도 F=1.86, (p<.001)

으로 유의미 하 으나, 훈련분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표 4-21〉 훈련분야별 근속유지기간

구분 훈련분야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기계

2005 700.80 10 451.87 91 1228

2006 436.33 3 353.37 32 686

2007 228.00 1 . 228 228

합계 610.36 14 430.23 32 1228

2005 660.33 15 388.41 80 1147

2006 443.33 6 352.20 29 860

2007 256.88 16 111.75 16 458

합계 450.68 37 340.76 16 1147

디자인

2005 791.15 13 431.90 31 1242

2006 747.38 8 106.82 596 868

2007 326.33 9 125.08 153 503

합계 640.03 30 358.07 31 1242

2005 644.00 2 711.35 141 1147

2007 347.86 7 97.92 216 495

합계 413.67 9 295.80 141 1147

인쇄

2005 1111.50 4 83.14 1000 1175

2006 825.00 1 . 825 825

2007 313.50 4 193.41 85 525

합계 725.00 9 420.98 85 1175

건축

2005 1165.00 3 36.37 1144 1207

2006 564.00 4 192.93 295 752

2007 535.00 1 . 535 535

합계 785.75 8 339.20 295 1207

Page 9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82

(계속)

구분 훈련분야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외식산업

2005 798.33 9 491.12 95 1207

2006 552.63 8 289.39 75 815

2007 178.80 5 167.30 84 476

합계 568.18 22 428.98 75 1207

IT

2005 1154.50 2 54.45 1116 1193

2006 475.63 8 354.55 60 859

2007 338.14 7 145.17 111 507

합계 498.88 17 358.31 60 1193

의상

2005 1163.33 3 77.40 1078 1229

2006 412.38 8 278.83 44 777

2007 172.33 3 167.74 37 360

합계 521.86 14 421.47 37 1229

인문사회

2005 1116.00 1 . 1116 1116

2007 528.00 1 . 528 528

합계 822.00 2 415.78 528 1116

창업

2005 1034.00 1 . 1034 1034

2007 367.00 1 . 367 367

합계 700.50 2 471.64 367 1034

실무

2005 744.00 5 440.13 187 1246

2006 307.00 7 261.60 31 752

2007 296.29 7 124.47 49 427

합계 418.05 19 333.31 31 1246

기타

2005 374.00 4 436.15 123 1025

2006 564.25 4 342.47 71 864

합계 469.13 8 377.01 71 1025

특화

기계

2005 118.40 5 50.85 62 182

2006 453.00 3 274.86 136 625

2007 321.10 10 158.94 33 514

합계 286.78 18 191.77 33 625

2005 920.00 2 0.00 920 920

2006 667.00 4 358.70 129 853

2007 364.20 5 144.23 158 476

합계 575.36 11 310.37 129 920

디자인

2005 943.00 1 . 943 943

2006 864.00 1 . 864 864

2007 355.00 2 101.82 283 427

합계 629.25 4 323.70 283 943

Page 9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83

(계속)

구분 훈련분야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특화

인쇄

2006 32.00 1 . 32 32

2007 451.00 1 . 451 451

합계 241.50 2 296.28 32 451

건축2007 197.50 2 195.87 59 336

합계 197.50 2 195.87 59 336

외식산업

2005 920.00 1 . 920 920

2006 589.60 10 199.33 63 815

2007 286.06 16 98.44 137 459

합계 421.96 27 225.96 63 920

IT

2005 862.00 6 396.48 60 1049

2006 478.60 5 231.87 64 594

2007 348.88 8 118.22 177 489

합계 545.05 19 335.96 60 1049

사무행정

2005 143.00 1 . 143 143

2006 396.00 5 382.85 74 902

2007 327.00 2 229.10 165 489

합계 347.13 8 314.69 74 902

창업

2005 1005.00 5 0.00 1005 1005

2006 757.55 20 111.78 570 874

2007 320.75 12 109.71 193 523

합계 649.32 37 265.21 193 1005

실무2007 94.00 2 0.00 94 94

합계 94.00 2 0.00 94 94

기타

2006 540.22 9 218.96 257 864

2007 283.67 18 108.29 30 416

합계 369.19 27 193.93 30 864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10.135*** .0016

훈련분야 13 1.141 .323

특화훈련유무 *훈련분야 9 1.861* .0571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Page 9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84

나. 인구학 요인

인구학 요인 성별은 일반훈련의 경우 남자(561일)가 여자(506)보다 근속

유지기간이 더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 역시 남자(479일)가 여자(440)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 간 효과검정에서는 성별은 유의미하지 않고 특화

훈련은 유의미한 것(p<.1)으로 나타났으며 두 개체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2〉 성별 근속유지기간

구분 성별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남자

2005 785.47 53 421.37 80 1246

2006 510.92 39 304.61 29 868

2007 308.18 39 138.42 16 535

합계 561.64 131 379.76 16 1246

여자

2005 797.21 19 443.21 31 1242

2006 501.89 18 277.84 44 864

2007 270.74 23 138.46 37 528

합계 506.80 60 371.77 31 1242

특화

남자

2005 691.00 18 426.90 60 1049

2006 625.61 38 244.26 64 874

2007 315.81 57 126.37 30 523

합계 479.75 113 288.83 30 1049

여자

2005 732.33 3 510.85 143 1049

2006 571.60 20 267.05 32 902

2007 273.90 21 113.42 54 441

합계 440.48 44 277.71 32 1049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3.418* .065

성별 1 1.378 .241

특화훈련유무 *성별 1 .038 .846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Page 9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85

연령별 근속유지기간은 일반훈련의 경우 50 이상 이 672일로 가장 길고 이

어 20 (587일), 40 (559일), 30 (446일), 10 (358일) 순이었다. 연도별은 2005

년 수료생은 20 가 837일로 가장 길고 이어 40 (791일), 30 (612일)순이었다.

2006년은 50 이상이 672일로 가장 길고, 이어 20 (559일), 40 (451일), 30

(450일) 순이었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50 이상이 636일로근속유지기간이 가장 길고 이

어 40 (596일), 20 (443일), 30 (413일) 순이었다. 연도별로는 2005년 수료생은

50 이상이 1005일로 가장 길고 이어 40 (808일), 20 (803일), 30 (557일)순

이었다. 2006년 수료생은 50 이상이 728일로 가장 길고 이어 40 (724일), 20

(557일), 30 (508일) 순이었다. 2007년 수료생은 20 가 317일로 가장 길고 이어

30 (308일), 40 (290일), 10 (268일), 50 이상(223일)순이었다. 일반훈련과 특

화훈련 모두 50 이상에서 근속유지기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고 20 , 30

순이었다.

두 개체 간 효과검정에서는 연령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특화

훈련과 계없이 연령에서 향을 미치고 있다.

〈표 4-23〉 연령별 근속유지기간

구분 연령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102007 358.50 2 96.87 290 427

합계 358.50 2 96.87 290 427

20

2005 837.34 50 410.49 31 1246

2006 559.32 28 274.34 29 868

2007 287.15 39 130.30 49 507

합계 587.41 117 389.46 29 1246

30

2005 612.50 14 466.37 80 1183

2006 450.90 21 317.31 31 864

2007 305.53 17 150.60 37 535

합계 446.88 52 340.94 31 1183

Page 9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86

(계속)

구분 연령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40

2005 791.88 8 402.39 228 1193

2006 451.14 7 316.70 74 777

2007 284.00 4 215.97 16 525

합계 559.42 19 386.79 16 1193

50 이상2006 672.00 1 . 672 672

합계 672.00 1 . 672 672

특화

102007 268.80 5 95.27 158 364

합계 268.80 5 95.27 158 364

20

2005 803.40 5 419.96 60 1049

2006 557.27 15 271.96 63 864

2007 317.68 28 134.31 30 523

합계 443.15 48 273.40 30 1049

30

2005 557.20 10 447.91 71 1049

2006 508.50 20 257.04 32 902

2007 308.63 32 122.66 54 514

합계 413.19 62 264.46 32 1049

40

2005 808.20 5 419.75 62 1049

2006 724.06 18 205.61 74 874

2007 290.09 11 113.18 84 462

합계 596.03 34 306.56 62 1049

50 이상

2005 1005.00 1 . 1005 1005

2006 728.60 5 99.39 609 874

2007 223.50 2 183.14 94 353

합계 636.88 8 290.91 94 1005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0.322 .571

연령 4 2.557** .039

특화훈련유무*연령 4 0.817 .515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Page 9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87

다. 장애 요인

장애요인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 시각장애의 근속유지기간이 816일로

가장 길고 이어 뇌병변장애(601일), 청각장애(539일), 정신장애(288일) 순이었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시각장애가 550일로 가장길고 이어 뇌병변장애(470

일), 청각장애(443일), 정신장애(370일)순이었다. 일반훈련 상자나 특화훈련

상자 모두 고용유지기간에 있어 시각, 뇌병변, 청각, 정신장애 순이다. 정신장애

의 경우 고용유지기간이 타 유형의 장애보다 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정신장

애의 고용유지가 장애특성과 맞물려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화훈

련을 받은 정신장애의 고용유지기간의 격차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의 타 유

형 장애와 비교했을 때 어들고 있고 특히 2006년 특화훈련을 받은 정신장애는

청각장애보다 유지기간이 길고 뇌병변과 같게 나타나고 있다.

특화훈련 유무와 장애유형 간 효과검정에서 장애요인은 주 효과를 나타내는

변인이다. 장애유형의 유의수 은 p<.000으로 강력한 요인이며 이에 해 특화

훈련에 한 유의수 도 10%수 으로 상 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아 효과가 상쇠 되었다.

〈표 4-24〉 장애유형별 근속유지기간

구분 장애유형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시각

2005 1034 1 . 1034 1034

2006 743.33 3 120.23 619 859

합계 816.00 4 175.38 619 1034

청각

2005 786.72 36 421.05 91 1228

2006 481.26 27 301.63 29 868

2007 293.60 30 135.65 37 503

합계 538.97 93 378.93 29 1228

뇌병변

2005 812.27 33 433.44 31 1246

2006 556.33 21 305.45 32 864

2007 316.33 21 158.46 16 535

합계 601.75 75 395.87 16 1246

Page 9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88

(계속)

구분 장애유형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정신

2005 308.00 2 113.14 228 388

2006 342.17 6 189.35 181 594

2007 254.09 11 103.11 49 395

합계 287.58 19 135.28 49 594

특화

시각

2005 856.73 11 374.43 60 1049

2006 650.80 30 244.92 64 902

2007 315.04 27 117.57 54 523

합계 550.79 68 307.40 54 1049

청각

2005 920.00 3 0.00 920 920

2006 573.17 6 264.91 63 815

2007 296.07 15 104.24 137 459

합계 443.33 24 264.67 63 920

뇌병변

2005 929.50 2 19.09 916 943

2006 541.67 3 371.09 136 864

2007 344.56 9 141.90 33 514

합계 470.36 14 279.59 33 943

정신

2005 118.40 5 50.85 62 182

2006 558.79 19 248.72 32 864

2007 285.37 27 135.53 30 476

합계 370.86 51 236.16 30 864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3.243* .073

장애유형 3 6.208*** .000

특화훈련유무 *장애유형 3 1.611 .187

주 : ***는 1%, **는 5%, *는 10%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라. 인 자원 요인

인 자원 근속유지기간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는 졸이하가 607일로 가

장 길고 이어 고졸(542일), 문 졸 이상(536일)순이었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

자는 졸이하의 학력자가 607일로 가장 길고 이어 문 졸이상(469일), 고졸

Page 9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89

(449일)순이었다. 일반훈련과 특화훈련 모두 학력이 낮을수록 근속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과 학력간 효과검정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5〉 학력별 근속유지기간

구분 학력 수료년도 평균 인원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졸이하

2005 777.6 5 445.09 218 1196

2006 523 4 288.56 130 825

2007 351.5 2 106.77 276 427

합계 607.54 11 368.50 130 1196

고졸

2005 762.15 46 457.32 31 1246

2006 549.69 29 292.90 31 868

2007 285.8 40 144.55 37 535

합계 542.89 115 391.63 31 1246

문 졸

이상

2005 849.05 21 350.51 80 1193

2006 455.29 24 299.955 29 864

2007 305.55 20 132.17 16 528

합계 536.43 65 356.52 16 1193

특화

졸이하

2005 1005 1 . 1005 1005

2006 768.62 8 120.28 578 874

2007 181.25 4 85.56 84 290

합계 606.08 13 318.29 84 1005

고졸

2005 688.25 12 429.03 62 1049

2006 584.03 35 267.39 32 902

2007 295.12 49 124.82 33 523

합계 449.5938 96 284.49 32 1049

문 졸

이상

2005 671.375 8 462.72 60 1049

2006 574.3333 15 242.78 74 874

2007 342.68 25 113.1528 30 514

합계 469.8542 48 273.83 30 1049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1.012 .315

학력 2 1.141 .321

특화훈련유무 *학력 2 .220 .803

Page 10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90

특수학교 졸업여부는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 일반학교 졸업자의 평균근

속유지기간은 561일이고 특수학교 졸업자의 평균근속유지기간은 422일로 일반

학교 졸업자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는 일반학교 졸업자

의 근속유지기간은 454일이고 특수학교졸업자의 근속유지기간은 536일로 특수

학교졸업자가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과 특수학교 졸업여부 개체 간 효과검정은 각 개체는 효과가 나타

나지 않았으나, 두 개체 간에는 상호작용이 나타나고 있다(P<.05).

〈표 4-26〉 특수학교 졸업여부별 근속유지기간

구분특수학교

여부수료년도 평균 N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일반

훈련

일반학교

졸업

2005 842.38 63 394.82 80 1246

2006 511.71 49 297.37 29 868

2007 287.86 56 140.03 16 535

합계 561.10 168 381.24 16 1246

특수학교

졸업

2005 411.89 9 453.61 31 1151

2006 485.75 8 290.32 31 825

2007 354.33 6 116.43 185 476

합계 422.57 23 327.86 31 1151

특화

훈련

일반학교

졸업

2005 630.47 17 448.63 60 1049

2006 602.61 46 246.58 32 902

2007 305.14 66 124.29 30 514

합계 454.09 129 279.07 30 1049

특수학교

졸업

2005 979.25 4 58.74 920 1049

2006 623.75 12 279.66 63 874

2007 301.17 12 125.89 137 523

합계 536.29 28 309.42 63 1049

자유도 F 유의확률

특화훈련유무 1 .004 .948

특수학교졸업여부 1 .300 .584

특화훈련유무 *특수학교졸업여부 1 4.604 .033

주 : ***는 1%, **는 5%, *는 10% 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Page 10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91

제2 효과분석 결과

1. 취업가능성

특화훈련이 취업확률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장애유형별 특

화훈련 도입배경은 장애인 에서 특히 취업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장애유형을

상으로 차별화‧ 문화된 훈련을 실시하여 취업가능성을 높이는데 있다. 따라

서 특화훈련을 받은 장애인이 일반직업훈련을 받은 장애인보다 취업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화훈련이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 결과 χ2=43.827, p<.001로 분석

모형이 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류정확도는 78.5%이다.

분석결과 특화훈련을 받은 장애인이 일반 훈련을 받은 장애인보다 취업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장애요인별로 보면 정신장애에 비해 시각장애는 취업에 성공할 가능성이 낮

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뇌병변장애는 정신장애보다 취업가능성이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p<.05). 청각장애도 정신장애보다 취업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

타났지만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학 요인 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취업가능성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취업가능성이 낮았지만 모두 유의한 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 자본 요인별로는 학력수 이 높을수록, 일반학교 졸업자보다 특수학교

출신 상자가 취업가능성이 높았지만 유의미한 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Page 10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92

〈표 4-27〉 취업가능성에 향을 미치는 요인

구 분 추정치(B) S.E. Wald 유의수 Exp(B)

독립변수 특화훈련 유무 .889** 0.447 3.956 .047 2.434

직업훈련

요인

훈련센터( 구센터) 6.454 .168

일산센터 -.119 .329 .131 .717 .887

부산센터 .337 .424 .633 .426 1.401

센터 .660 .571 1.338 .247 1.935

남센터 -.606 .465 1.698 .193 .545

수료연도(2005년)

2006 .473 .317 2.228 .136 1.605

2007 .247 .297 .693 .405 1.280

훈련기간 .000 .001 .134 .715 1.000

인구학

요인

성별 .172 .293 .344 .558 1.187

나이 -.005 .016 .097 .755 .995

장애요인

장애유형(정신장애) 15.364 .002

시각 -1.814*** .617 8.641 .003 .163

청각 -.604 .601 1.012 .314 .546

뇌병변 -1.433** .566 6.404 .011 .238

인 자본

요인

교육연수 .068 .059 1.315 .251 1.070

특수학교여부 .586 .458 1.637 .201 1.798

상수 1.147 1.195 .922 .337 3.149

Model Chi2(유의수 ) 43.827(.000)

Hosmer & Lemeshow

합도(유의수 ).733

Nagelkerke R2 .143

측 정확률 78.5%

주 : ***는 1%, **는 5%, *는 10% 내에서 유의(significant)함을 의미함

Page 10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93

2. 임 효과

특화훈련을 받은 장애인이 임 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 분석하 다. 이외

도 직업훈련요인, 인구학 요인, 장애요인, 인 자원요인이 임 에 미치는 향

을 분석하 다. 분석결과 F=4.065, p<.001로 분석모형이 합한 것으로 나타났으

며 VIF값이 <10 으로 다 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화훈련이 임 에

미치는 향과 직업훈련요인, 인구학 요인, 장애인, 인 자원요인별로 임 에

미치는 향을 추정하 다. <표 4-21>는 특화훈련을 받은 장애인이 고용 후 받

는 임 에 한 효과를 추정한 결과이다. 이때 임 은 고용당시 시 의 월평균

임 이다.

장애유형별f 보면 특화훈련을 받고 취업에 성공한 장애인이 특화훈련을 받지

않고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에 비해 높은 임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한 단 증가할 때 받는 임 추정치는 .117(1.12만원)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나 특화훈련이 임 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요인별로 보면 구센터기 으로 과 남에서는 유의미하나 나머지

센터에서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체 센터별 임 에 한 차이는 의미가 없다.

수료연도는 최근에 취업한 상자 일수록 임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시

유의미하지는 않다. 훈련기간은 임 에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 요인별로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은 임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

다(B=-.079, p<.05). 연령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요인

은 정신장애에 비해 시각장애는 가장 많은 임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B=.218, p<.01). 이어 청각장애(B=.144, p<.01), 뇌병변 장애(B=.132, p<.1)이 정

신장애보다 더 많은 임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 자본요인별로 보면 추정결과는 교육을 많이 받으면 받을수록 많은 임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B=.025, p<.01). 한편 일반 인 상과는 달리 일반학

교 졸업자보다 특수학교 졸업자가 높은 임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0.044, p<.01)유의미하지 않다.

Page 10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94

〈표 4-28〉 임 에 미치는 요인

변수 추정치(B) S.E

표 화

회귀계수

β

유의수 VIF

독립변수 특화훈련유무 .117** .054 .170 .031 2.480

훈련요인

훈련기 ( 구)

일산센터 .023 .052 .030 .661 1.885

부산센터 -.029 .061 -.038 .632 2.514

센터 .144** .070 .142 .041 1.909

남센터 -.132* .078 -.112 .090 1.745

수료연도 .027 .023 .064 .238 1.154

훈련기간 7.86E-05 .000 .039 .502 1.319

인구학

요인

성별 -.079** .039 -.106 .042 1.076

나이 .002 .002 .038 .544 1.552

장애요인

장애유형(정신장애)

시각장애 .218*** .074 .257 .003 3.021

청각장애 .193*** .070 .267 .006 3.687

뇌병변 장애 .132* .068 .171 .054 3.115

장애등 .004 .031 .008 .889 1.396

인 자본

요인

교육연수 연속변수 .025*** .009 .152 .004 1.095

특수학교여부 -.044 .056 -.045 .433 1.307

상수 13.044 .241 8E-169

F값(유의수 ) 4.056(.000)

.115

Durbin-Watson 1.834

주 : ***는 1%, **는 5%, *는 10% 내에서 유의

Page 10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95

3. 근속유지기간

근속유지기간은 2005년 수료생과 2006년 수료생을 상으로 하 다. 2007년

수료생은 회사 취업 1년 미만으로 분석에서 제외하 다.

근속유지기간 분석결과 F=2.579, p<.001로 분석모형은 합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 VIF값이 <10 으로 다 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결과 특화훈련

이 근속유지기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근속

유지기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유형과 교육연수, 특수학교 졸업여부, 임

수 이었다. 장애요인 장애요인은 정신장애보다 뇌병변 장애(B=315.549,

p<.01), 청각장애(B=290.438, p<.01), 시각장애(B=266.723, p<.05)유형이 근속유지

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요인보다 장애유형에서 강한 유의수 을 보이

고 있어 근속유지기간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장애등

은 3 보다 1 장애인의 근속유지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B=-165.382,

p<.01).

인 자본요인으로 교육연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근속유지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B=-24.768, p<.05). 한편 일반학교 졸업자가 특수학교 졸업자 보다 근

속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B=-179.662, p<.05). 기타사항으로 입사 당시 평

균임 은 유의한 수 이나 그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96

〈표 4-29〉 근속유지기간에 미치는 요인

변수 추정치(B) S.E표 화

회귀계수β유의수 VIF

독립변수 특화훈련유무 83.599 79.776 .112 .296 2.650

훈련요인

훈련기 ( 구)

일산센터 -1.334 74.078 -.002 .986 1.819

부산센터 10.749 78.132 .013 .891 2.170

센터 94.986 96.381 .083 .326 1.676

남센터 -2.699 106.445 -.002 .980 1.583

훈련분야(기타)

기계‧ 자계열 -47.622 75.724 -.055 .530 1.799

디자인계열 110.523 67.511 .137 .103 1.637

인구학

요인

성별 46.451 61.925 .058 .454 1.391

나이 0.774 3.458 .019 .823 1.655

장애요인

장애유형(정신)

시각장애 266.723** 115.697 .302 .022 4.011

청각장애 290.438*** 108.998 .380 .008 4.753

뇌병변 장애 315.549*** 103.878 .391 .003 3.875

장애등 (3 )

1 -165.382* 87.247 -.186 .060 2.244

2 -68.424 70.568 -.094 .333 2.180

인 자본

요인

교육연수 -24.768** 12.244 -.142 .044 1.158

특수학교여부 -179.662** 74.492 -.180 .017 1.309

기타 임 0.000*** 0.000 .223 .003 1.302

상수 478.107 232.711 .041

F값(유의수 ) 2.579(.001)

.115

Durbin-Watson 2.056

주 : ***는 1%, **는 5%, *는 10% 내에서 유의

Page 10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97

제3 논의

1. 특화훈련 효과분석 논의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성을 취업가능성과 임 에 미치는 향측면에서

요인을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 2005년 시범훈련을 시작으로 시행

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짧은 기간이지만 정 인 효과가 나타났다는 이

다. 특화훈련을 받은 장애인이 취업할 가능성이 일반훈련을 받은 수료생보다 더

높고, 임 한 일반 훈련을 받은 상자보다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

서 그동안 취업이 상 으로 어려운 장애유형의 증장애인에게 장애유형별

특화된 훈련으로 설계된 시스템이 정 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반 인 사회과학 연구에서는 학력과 성별이 가장 큰 변인 의 하나이다.

그러나 장애인 련 연구들은 장애유형 장애 등 이 강한 변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화훈련 유무가 장애유형과 비교에서도 주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화훈련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모든

상자에게 하는 일반 인 직업훈련보다 특정한 집단을 상으로 특화한 훈련은

비교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OECD보고서(1993)의 내용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겠다.

직업훈련요인은 훈련기 별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로 특화훈

련은 일산센터가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부산센터가 정신장애, 센터가 청각

장애, 남센터가 뇌병변장애 그리고 구센터가 시각장애 특화훈련을 실시하

다. 추정 결과는 취업가능성은 센터와 부산센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당시 임 은 센터와 일산센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

러한 결과는 각 센터별로 훈련의 내용이나 수 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장애유형에 따라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바는 각 센터별로 훈련성과에 한 차이가 아니라 장애유형에

Page 10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98

따른 차이로 해석하고 훈련 성과를 평가 할 경우 장애유형에 따른 보정을 해야

올바른 평가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센터가 취업과 임 이 높게 나타난 것은 특화장애유형과 훈련분야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센터의 특화유형은 청각장애로 임 은 시각 다음으

로 높고, 취업가능성은 정신장애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센터의

훈련분야는 외식산업분야와 자분야이다. 외식산업분야와 자분야 역시 취업

가능성이나 통산임 측면에서 정 인 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

인으로 센터의 훈련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장애유형별로는 취업가능성은 정신장애가 가장 높고 이어 청각, 뇌병변, 시

각 순이었다. 임 은 시각장애가 가장 높고, 이어 청각, 뇌병변 장애 순이고 정

신장애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료시 은 취업가능성이나 임 에 미치

는 향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임 은 2005년보다 이후에 취업한 상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 이 조사기 시 인 2008년 6월 시 의 임 이 아니

라 취업할 당시 평균임 으로 이후 취업한 상자는 물가상승률 등이 반 되었

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훈련기간은 취업가능성 임 에 미치는 향은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 요인으로 성별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임 을 받는 것으로 추정

되었다. 우리나라 사회구조상 남성근로자가 여성근로자보다 높은 임 을 받는

것과 무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 이외의 변수에서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수 은 아니지만 취업가능성은 여성장애인이

남성장애인보다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에서 훈련받은 상자 여성

장애인비율이 27.9%에 불과해 남성보다 고용가능성 측면에서 정 으로 작용

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해석해 본다. 나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나이가 많을

수록 취업가능성은 낮고 임 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상자의 평균 나이

가 31.7세이고 최하 19세부터 64세까지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고령 장애인은 상

으로 취업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본다. 반면 임 은 연령이 많을수록 정

Page 10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99

으로 나타났지만 유의미하지 않았다.

장애요인은 가장 높은 유의수 을 보이고 있다. 취업가능성은 정신장애 기

으로 시각장애가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뇌병변, 청각장애 순으로

정신장애보다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임 수 은 역으로 시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 순이고 취업가능성이 가장 높았던 정신장애는 임 과 근

속유지기간에서 가장 부정 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는 취업 보다는 고용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잦은 이직과 장애특성상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에 많이 종사하

고 있어 이러한 결과에 향을 미친 것으로 단된다. 반면에 시각장애의 경우

고용은 어렵지만 유보직종인 안마직종 창업이 높은 임 에 향을 미쳤을 것으

로 본다. 뇌병변장애는 취업 가능성과 임 에서 모두 부정 인 결과로 나타나

뇌병변장애에 한 제도 응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장애 등 은 장

애유형별 특화훈련이 증장애인만을 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훈련이기 때문에

취업가능성과 임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인 자원 요인은 학력이 높을수록 임 에서 정 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취업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유의미하지는 않지

만 학력이 높을수록 취업가능성 한 높게 나타났다. 특수학교 졸업 여부는 통

합교육이 아닌 용기 에서 교육을 받았다는데 있어서 심의 상이 되었다.

그러나 취업가능성과 임 의 효과성 측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

다. 유의미 하진 않지만 특수학교 졸업자가 상과 달리 일반학교 졸업자 보다

임 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특수학교는 주로 시

각장애인을 한 맹학교와 청각장애인을 상으로 하는 농학교 주로 되어있

어 시각장애 청각장애가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높은 임 을 받는 것과 연

성이 있어 보인다.

특화훈련 유무에 따른 근속유지기간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특화훈련

이 취업가능성과 임 에 한 효과는 있지만 고용유지기간에는 효과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다만 특화훈련보다는 장애유형에 따라 뇌병변장애, 청각장애, 시

Page 110: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00

각장애, 정신장애 순으로 고용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나 정신장애의 고용유

지가 어렵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정신장애의 경우 고용시장 진입보다 고

용유지를 한 사례 리가 요한 만큼 이에 한 응방안이 필요하다. 반면

뇌병변장애는 고용유지기간이 가장 긴데 반해 취업가능성이 시각 다음으로 낮

은 유형이므로 고용시장 진입을 한 응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시각장애의 경

우 고용시장 진입과 유지는 어려우나 취업 시 평균임 이 가장 높은 유형으로

고용시장 진입활성화와 고용유지에 역 을 두어야 한다.

2. 특화훈련 운 상 논의사항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담당자들을 상으로 심층면 결과 일산센터의 청각

특화훈련은 성공 으로 운 되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그런 이유를 미국

NTID 연수 등 담당자 문교육과 특화훈련 운 에 하여 사 에 충분한 비

과정을 거친 이후 학생을 모집하여 운 했다는데서 찾고 있다. 한 시행 첫 해

에 실 에 한 부담감이 없어 훈련교수방법과 상담 매뉴얼을 개발하여 용하

는 등 청각장애에 맞춤식 교육훈련이 진행하 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반면 타

센터의 경우 일산센터 청각특화와는 달리 사 비기간도, 담당자에 한 연수

교육도 없이 지침에 의해서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일반 훈련과 큰 차

별성 없이 운 되고 있기 때문에 운 담당자의 업무에 해 만족도가 낮다는 문

제의식을 의식을 가지고 있다. 센터 특화훈련 담당자들이 지 하는 운 상 문제

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화훈련을 실시하기에 앞서 충분한 사 비가 선행되지 못했다. 일

산센터의 청각특화는 오랜 시간동안 사 비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늦게 시작

했지만 지 은 다른 센터 특화 보다 앞서 정착단계에 있다. 문가를 상으로

근무희망지원을 받아 담당자를 선발하 고 해외연수를 포함해서 충분한 교육

연수가 선행 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1년간 사 비과정을 거친 이

Page 111: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4장 연구결과 논의 101

후 학생모집을 하 고 담당자도 부분 인사발령 없이 지 까지 업무를 계속하

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타 센터의 특화훈련운 에 비해 빠른 시일 내 안

정 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타 센터의 경우 ‘특화훈련

운 지침’에 의하여 사 비 없이 진행된 경우가 부분이다. 2008년부터 척

수장애 상지 단장애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사 충분한 비과정 없이 시행

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특화훈련은 인력구성에서 문가들에 의한 별 근이 필요함에도 담

담훈련교사 주로 운 하고 있다. 일산센터 청각특화의 경우 공훈련교사, 청

각장애 연구원, 취업 국제 력기구 담당자로 이 구성되어있어 공훈련 뿐

만 아니라 의사소통 훈련, 독해훈련, 사회성 훈련, 취업담당, 보조학습도구 개발

에 이르기까지 별 근으로 복합 인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타 센터의 경우 훈련교사만으로 구성된 특화 에서 차별화되고 문화된 서비

스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셋째, 특화훈련 담당자의 인사이동이 잦다. 일산센터 청각특화훈련을 제외한

나머지 센터의 특화훈련 담당자의 경우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해 특화훈련이 내

실 있는 운 이 어려웠다. 공단 감사실의 자체감사결과에서도 ‘05년부터 ’07년

까지 5개 센터 특화훈련 교사 인사변동인원 총 29명 22명(75.9%)이 2년

이하 근속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실운 이 우려된다고 지 하고 있다(공

단 감사사례집, 2008: 121).

넷째, 특화훈련 목표인원 배정이 비합리 으로 되고 있다. 특화훈련이 지역

특성 고려 없이 획일 으로 동일 목표인원을 배정하고 있어 비합리 이다.

특화훈련은 장애유형에 따라 합한 무언가를 찾고 연구하고 시범 으로 운

해볼 수 있는 사업이 되어야 하는데 실 때문에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

하고 있다.

이와는 조 으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가운데 가장 모범 으로 운 하고

있는 곳은 일산센터 청각특화훈련이다. 일산센터 청각특화 은 ‘수업에서 청각

Page 112: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02

장애인은 건청인과 다른 교육니즈(Needs)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청각

학생들은 주로 시각에 의존하는 학습 스타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학습

스타일에 맞춘 교수기법과 교보재 개발이 요하다.’고 보고 여러 가지 차별화

된 훈련시스템을 마련하 다. 청각학생들을 한 교육환경을 구축함과 아울러

수화동 상제작, 공수화사 개발, 수화 아바타 시스템 반 , 청각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를 한 지침서 발간, MBTI 성격유형검사 수화 동 상 제작, 수료

생을 한 사후자도 서비스체제 구축 등 이 그 사례이다. 일산센터 청각특화훈

련 이 이러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동기는 훈련교사, 연구원, 일반직 등 다양한

문가로 구성되어있어 종합 인 서비스제공이 가능했다. 한 1년간의 사

비기간을 거처 학생을 모집하 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타 센터 특화훈

련에도 용이 되도록 극 인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다음은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왜 필요한가를 단 으로 설명하는 사례이다.

《청각장애학생들의 목소리》

“ 에 내가 학에 들어갔을 때, 난 수업을 따라가지 못했다. 수화통역이 없었기 때

문이다. 날 불 하게 생각한 친구가 노트를 필해 주었고 종종 교수님도 찾아갔지만

시간이 흐르자 모두 지쳐갔고 나는 동 생들에게 뒤처질 수밖에 없었다.” (A훈련생, 청

각2 )

“일반학교를 다녔는데 당연히 수업이 잘 들리지 않았다. 하지만 나 때문에 다른 학

생들에게 피해를 수 없었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잤다. 당연히 성 은 바닥이었고 결

국 특수반에 배정되어 공부하게 되었다. 내가 머리가 나쁜 게 아니었는데...” (B훈련생,

청각 3 )

“지 까지 청각장애인들은 단순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의사소통 때문

에 문교육을 받을 기회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 청각장애인에 특화된

과정이 생겼고 개인의 노력만큼 성공할 기회는 많아졌다.” (C훈련생, 청각3 )

“이 에 공장에서 단순 생산일을 오래했다. 단순 반복되는 일이 지루하고 힘들었다.

하지만 지 은 문기술을 배워서 만족하는 월 을 받는 곳에 취직을 했다. 무엇보다도

배운 기술을 사용하는 일이어서 힘들어도 재미있다.” (D수료생, 청각3 )

“수화가 가능한 선생님을 통한 1:1 교육은 많은 발 을 가능하게 한다” (E훈련생, 청

각2 )

자료 : 일산센터 “청각장애인 특성화 교육 과정 안내” 리 릿

Page 113: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5장 결론 제언 103

제 5 장

결론 및 제언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은 증장애인 에서 취업에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정유형 장애인을 상으로 해당 유형별 합한 훈련시스템을 설계하고 용

한 훈련방법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른 장애유형과 통합해서 훈련을 받은

상자 보다 장애유형별로 특화한 훈련이 취업가능성과 임 에 미치는 효과가

정 이라는 것을 실증 으로 입증하 다. 반면에 근속유지기간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취업가능성은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가 일반훈련을 받은 상자보다 .889

만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는 정신장애가 취업가능성이 가장 높

고 이어 청각, 뇌병변, 시각 순이었다. 임 에서는 특화훈련을 받은 상자가 일

반훈련을 받은 상자보다 한 단 증가 할 임 은 1.12만원씩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1.08만원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장애유형은

정신장애보다 시각장애가 1.42만원 더 많고 청각유형은 1.21만원 뇌병변은 1.14

만원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근속유지기간은 특화훈련 유무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장애유형별로는 정신장애보다 뇌병변장애가 315.5일 더 오래 근무

하는 것으로 추정 되고 청각장애는 290.4일, 시각장애는 266.7일 더 오래 근무하

는 것으로 추정된다.

각 훈련센터별로 훈련성과에 한 차이는 없다. 반면에 장애유형에 따른 차

이가 각 훈련센터에서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센터별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임 은 구센터를 기 으로 양의 효과가 나타난 과 일산은 청각과 시각장

Page 114: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04

애유형이 향을 미친것이고, 반면 음의 효과로 나타난 남센터와 부산센터는

뇌병변 장애와 정신장애로 인한 요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각 센

터별 훈련성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 인 사회과학 연구에서는 학력과 성별이 가장 큰 변인 의 하나이다.

그러나 장애인 련 연구들은 장애유형 장애 등 이 강한 변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화훈련 유무가 장애유형과 비교에서도 주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특

화훈련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공단 직업능력개발사업 가운

데 핵심 으로 추진하고 있는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이 실시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시 임에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장애유형별 특화훈

련이 향후 증장애인의 직업생활을 한 안정된 훈련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에서 얻은 성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화훈련이 효과가 있지만 좀더 활성화를 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각 센터별 특화훈련 운 에 있어서 장애유형별 특성을 반 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각장애의 경우 임 은 높은 반면 고용진입가능성 직장근속유지

기간이 타 유형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시장 확 방안과 근속유

지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청각장애유형은 고용시장 진입가능성과 임 그리고

근속유지기간에서 타 장애보다 비교우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뇌병변 장애의

경우 근속유지기간에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용시장 진입가능성과 임

에서 상 으로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병변 장애유형에

한 특화훈련은 고용시장개발과 고임 분야로 취업을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정신장애의 경우 취업가능성에서는 가장 정 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용유지기간은 타 유형의 장애보다 그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임 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장애유형은 사례 리 등을 통해 고용유

지와 고용안정에 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본부사업추진부서에서는 특화훈련 목표를 배정할 때 일률 인 인원배

Page 115: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제5장 결론 제언 105

분보다는 장애유형별 특성을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결과에 나타났듯이 정신장애

유형과 뇌병변 장애유형은 타 유형의 장애 장애보다 고용시장 진입 는 임 과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형에 한 훈련목표는 배정인원

을 축소하고 신 사례 리 등 고용의 질 요소를 훈련목표에 반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특화훈련은 문가들로 구성된 별로 종합 으로 근할 필요성이 있

다. 이에 따라 특화훈련 을 훈련교사 심에서 문가 심으로 재편하는 것

이 필요하다. 시각장애특화는 공교사, 보조공학기기 문가, 재활교사(이동 훈

련, 자, 시력 훈련), 시각 담 취업 사후 리자가 필요하다. 청각장애특화

는 공훈련교사, 청각재활교사, 청각취업담당 사후지도 리자가 필요하다.

뇌병변장애 특화는 공훈련교사, 작업 물리치료사 등 재활담당, 뇌병변 취

업 사후지도 리자가 필요하다. 정신장애 특화는 공교사, 정신장애 사회복

지사(약물 리, 심리, 사례 리 등), 정신장애 취업 취업 후 사례 리담당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가들로 구성된 특화훈련 을 구성하여 체계 이고 종합

인 지원서비스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아울러 별 최소인원은 5명이상이

합하다.

넷째, 특화훈련 담당자 선발과정을 지원체계로 변경하여 운 하여야 한다.

행 특화 운 담당자들은 부분 인사명령에 의해 배정되고 있다. 반면에

일산센터 청각특화경우 지원을 받아 운 을 하고 지 까지 인사발령 없이 지속

으로 운 을 해오고 있다. 따라서 타 센터에서도 특화훈련 희망자를 선발하여

일정기간 인사발령 없이 지속 으로 근무를 하도록 하여 문성과 내실화를 이

룰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유형 특화훈련 확 시에는 사 에 비과정과 담당자에 한

문훈련이 선행된 이후 확 시행 할 필요가 있다. 사 비 없이 특화훈련을

확 하면 졸속으로 운 될 소지가 많기 때문에 향후 확 되는 장애유형별 특화

훈련은 비과정을 거친 이후에 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산센터의 청각특

Page 11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06

화훈련의 경우 타 센터보다 출발은 늦었지만 희망자를 상으로 각 분야 담당자

를 선발하여 해외연수를 포함하여 문가 교육을 실시하 다. 이어 1년간 비

과정을 거처 2006년 9월부터 훈련을 시작하 다. 그럼에도 타 센터 특화훈련보

다 교수기법 개발, 교보재 개발, 청각학생들의 만족도 등에서 타 유형의 특화훈

련보다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따라서 일산청각특화훈련의 비과정에서 시행

한 시스템을 신규 장애유형별 특화훈련에도 동일하게 용하여야 한다.

Page 11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참고문헌 107

참고문헌

강순희‧이병희‧김미란(2000),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성과분석」, 서울: 한국노동

연구원.

김기원‧김승아(1995), “장애인근로자 장기근속요인에 한 연구”, 「한국사회복

지학」, 26, 9-5.

김주섭‧이병희‧박성재(2004), 「직업능력개발사업 효율성 평가분석」, 서울: 한국

노동연구원.

박석돈‧조주 ‧한상희(2007), “직업훈련생의 직업 욕구와 훈련만족도에 한

연구”, 「특수교육 」, 8(1), 381-404.

변용찬‧이은정‧이계철(2004), “경기도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업재활연구」, 14, 105-131.

변용찬‧김성희‧윤상용‧최미 ‧계훈방‧권선진‧이선우(2006), 「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어수 (1996),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 분석”, 「노동경제논집」, 19, 69-100.

오혜경(1999), 「장애인과 사회복지실천」, 서울: 아시아미디어리서치.

유동철(2000), “장애인에 한 직업훈련이 취업 소득에 미치는 향”, 「한

국사회복지학」, 42, 290-312.

유완식‧신인수(2004),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분석 발 방향」, 성남: 한국장

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유완식‧김호진‧ 환‧이 진‧황아윤(2006), 「2005년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

」, 성남: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유완식‧이정주(2006), “장애인 직업능력 개발훈련 효과분석 연구”, 「직업교육

연구」, 25, 111-133.

Page 11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108

이선우(1997), “장애인의 취업형태와 소득에 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분

석”, 「한국사회복지학」, 33, 287-313.

(2001), “장애인의 취업형태와 소득에 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분

석”, 「보건사회 연구」 21, 3-33.

이선우‧김성희‧임정기‧권선진‧유동철‧이계존(2001), 「장애유형별 고용 황과

직업재활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성규(2004), “장애인 직업훈련사업의 효과성과 활성화에 한 연구”, 「한국

사회복지학」, 56, 155-179.

이윤석‧홍보람(2007), “장애인 고용법제의 직업훈련효과성에 한 연구”, 「법

학연구」 26, 381-406.

이형렬(2007), “취업직종별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에 향을 미치는 요

인분석”, 「특수교육 」, 8(4), 263-291.

(2008), “장애유형별 취업 근로자의 개인 특성, 직업훈련, 직업만족이

직업유지기간에 미치는 향”, 「사회복지정책」 32, 109-134.

일산직업능력개발센터(2008), “2008년도 시각특화 운 계획”(2008), 내부자료.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2004), “학교기능과 역할 변화를 한 세부실천계획”,

공단 내부자료.

(2007),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운 방법”, 공단 내부자료.

(2008a), “민간훈련활성화 방안”, 공단 내부자료.

(2008b), 「감사 사례집」, 성남: 한국장애인고용 진공

단 감사실.

황아윤(2006), 「직업능력개발센터 사업평가 활성화 방안」, 성남: 한국장애인

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OECD(1993), "Active Labour Market Policies: Assessing Macroeconomic and

Microeconomic Effects“, Employment Outlook.

Page 119: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 - KEAD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모형 1〉 취업확률 영향분석 모 형은 종속변수가 취업여부로

자 문 위 원(가나다순)

․강병조 ( 남센터 뇌병변장애 특화훈련 교사)

․김경일 (아주 학교 심리학과 교수)

․김상 (일산센터 시각장애 특화훈련 교사)

․오원희 ( 남센터 뇌병변장애 특화훈련 교사)

․윤병천 (나사렛 학교 재활학부 교수)

․윤 오 (일산센터 청각장애 특화훈련 교사)

․이한선 ( 센터 청각장애 특화훈련 교사)

․조동기 ( 구센터 척수장애 특화훈련 교사)

․정종규 ( 구센터 시각장애 특화훈련 교사)

․홍인숙 (부산센터 정신장애 특화훈련 교사)

연구개발 2008-16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인쇄 2008년 12월 26일

발행 2008년 12월 29일

발 행 인 김 종 진

발 행 처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주 소 (463-93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65 (구미동)

화 (031) 728-7000

팩 스 (031) 728-7199

홈페이지 (공단) http://www.kepad.or.kr

(고용개발원) http://edi.kepad.or.kr

자우편 [email protected]

I S B N 978-89-5813-675-0 93330

인 쇄 처 세 스가든 ☏ (02) 2263-0066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