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 · 하고 재미있는 오락...

30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 미디어교육 전문가와 교사의 주관성 사례를 중심으로 강 진 숙* 1)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부 부교수) 이 제 영** 2) (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교육 전문가와 교사들의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주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중독 문제의 예방 및 극복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TV중독과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전개하고, 이 논의 에 기초하여 전문가 및 교사들과의 인터뷰 자료들을 수집한 후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사례들의 주관 성 유형들과 특징, 그리고 각 유형들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주관성의 차이점 및 공통점 등을 추출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주제와 연관된 전문가 1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 . 여기에는 언론학 전공 교수들과 미디어중독예방센터 연구원들, 그리고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포함된 . 연구참여자 선정 근거는 청소년의 TV중독에 관한 원인과 예방에 대해 보다 생생하고 심도 깊은 의 견들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Q방법론을 선정한 이유는 연구참여자의 주관성과 본질 적인 의미에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Key words : 청소년, 미디어교육, TV중독, Q방법론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7-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미디어교육 전문가와 교사의 주관성 사례를 중심으로

    강 진 숙*1)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부 부교수)

    이 제 영**2)

    (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교육 전문가와 교사들의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주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중독 문제의 예방 및 극복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TV중독과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전개하고, 이 논의

    에 기초하여 전문가 및 교사들과의 인터뷰 자료들을 수집한 후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사례들의 주관

    성 유형들과 특징, 그리고 각 유형들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주관성의 차이점 및 공통점 등을 추출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주제와 연관된 전문가 1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

    다. 여기에는 언론학 전공 교수들과 미디어중독예방센터 연구원들, 그리고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포함된

    다. 연구참여자 선정 근거는 청소년의 TV중독에 관한 원인과 예방에 대해 보다 생생하고 심도 깊은 의

    견들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Q방법론을 선정한 이유는 연구참여자의 주관성과 본질

    적인 의미에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Key words: 청소년, 미디어교육, TV중독, Q방법론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80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처음에는 TV에서 하는 교육방송 위주로만 봤습니다. 하지만 점차 휴일에 가요 순위 프로

    와 계속되는 재미있는 프로를 보게 되면서 요즘에는 학교에서 돌아오기만 하면 저절로 TV

    를 켜게 되고 한번 보면 헤어날 수가 없습니다.”

    - 네이버의 어느 청소년 상담 사례 중에서

    위의 목소리는 자신의 TV 과다시청을 고민하는 한 남학생의 이야기이다. 고등학교 1

    학년이 된 이 남학생의 TV시청 의도는 교육방송을 통한 자율학습이었다. 하지만, 달콤

    하고 재미있는 오락 프로그램의 늪에 빠져들어 일상생활과 학업의 리듬을 되찾기가 어려

    운 상태이다. 물론 이 청소년은 자신의 통제력 상실을 절감하고 TV시청 습관을 고치려

    하지만, 오히려 컴퓨터에까지 중독성향을 나타내는 지경에 이르렀다. 과연 이 청소년은

    어떻게 자신의 TV 과다시청 습관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이 청소년 외에도 네이버와 다음 포털의 청소년 상담코너를 보면 TV뿐 아니라 인터넷, 게

    임, 채팅 등 다양한 미디어 중독에 대한 고민을 토로하고, 해결방법을 의뢰하는 내용들이 비

    일비재하다. 서울지역의 어느 고등학교 교사는 과거의 보호주의 미디어교육으로 돌아가 중

    고등학생들의 인터넷과 TV를 강력히 차단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변한다. 미디어의

    유해성이 청소년들의 수업태도와 인생을 ‘망치고 있다’는 과장 섞인, 하지만 현실적인 교육

    자의 우려 때문이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TV중독, 인터넷 중독 그리고 게임 및 스마트폰 중독 등의 다차원화된

    미디어 중독에 대한 통합적 대응방안은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특히 미디어 중독에 대한

    관심은 이제 더 이상 TV가 아니라 인터넷과 게임, 그리고 휴대폰 등의 뉴미디어 분야, 나아

    가 디지털 콘텐츠 분야의 중독 문제로 이행하고 있다. 청소년들의 주 이용 미디어가 아니라

    는 점에서, 또한 인터넷과 휴대폰 등을 통해 TV시청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TV중독은 청소년

    정책의제와 연구주제에서 거의 배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청소년의 미디어 중독성향

    이 단지 하나의 미디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점차 도미노적 파급 경향을 띠고 있다는 점이

    다. 즉 위의 남학생 사례처럼 TV시청 후 인터넷 채팅, 연이어 격렬한 온라인 게임 후 몇 시

    간의 취침, 그리고 기상하자마자 휴대폰 확인 및 검색 등 미디어의 이용이 연이어 발생하는

    ‘미디어 도미노’ 현상이 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환경에서 일상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 인터넷 이용자의 98.5%가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는 조사결과(보건복지

    가족부, 2009, 244쪽)는 가정 내의 다중적 미디어 이용현상을 뒷받침하는 단적인 예이다. 물

    론 미디어의 다중적 이용 자체가 문제인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과다이용과 의존성향

    이다. 즉 하나의 특정 미디어든 다중적 미디어 이용이든지 자신의 통제력 아래서 미디어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81

    밖의 외부활동 - 교우관계, 문화프로그램 참여, 취미활동, 학업 등 - 과 병행되어야 한다

    는 것이다. 때문에 미디어 중독에 대한 다층적 접근과 복합적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현안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할 때, 우선 오랜 기간 침잠해 있는 TV중독 연구분야의 녹

    물 제거 작업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인터넷이나 게임 중독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히 전개

    되고 있지만, TV중독에 대한 원인 및 예방교육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수준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교육 전문가와 교사들의 청소년 TV

    중독에 대한 주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중독 문제의 예방 및 극

    복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TV중독과 청소년 TV중독

    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전개하고, 이 논의에 기초하여 전문가 및 교사들과의 인터뷰 자료

    들을 수집한 후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사례들의 주관성 유형들과 특징, 그리고 각 유형들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주관성의 차이점 및 공통점 등을 추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의 주제와 연관된 전문가 1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여기에는 언

    론학 전공 교수들과 미디어중독예방센터 연구원들, 그리고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포함된다.

    연구참여자 선정 근거는 청소년의 TV중독에 관한 원인과 예방에 대해 보다 생생하고 심

    도 깊은 의견들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Q방법론의 적용 근거는 연구

    참여자의 주관성과 본질적인 의미에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2. 이론적 배경

    1) TV중독의 개념과 유형

    TV중독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논의를 위해, 우선 중독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검토가 필요

    하다. TV중독은 마약이나 알코올과 같이 물질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중독증과 다르고,

    그에 따라 상이한 예방 및 치료 방안들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중독의 개념과 유형

    을 살펴본 후 TV중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중독(addiction)의 어원은 라틴어 동사인 ‘addicere’에서 기원하는데, 이 라틴어는

    ‘~에 탐닉하다’, ‘~에 팔려가다’, ‘~헌신하다’는 의미들을 지니고 있다1). 이 어원에서 알

    1) 이 어원에 대한 기존 논의의 표기법상 오류 수정이 요구된다. 중독 및 미디어 중독에 대한 기존의 문헌

    들에는 중독의 어원이 ‘addicene’라고 표기된 경우가 많다. 하지만, 라틴어 사전 확인 및 전문가 자문을

    구한 결과 정확한 표기는 ‘addicere’가 맞다. 즉 ‘n’이 아닌 ‘r’이 적합한 표기이다. 이와 관련된 자료로서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82

    수 있듯이 중독은 역사적으로 노예 신분으로 팔려가거나 어느 하나의 대상에 탐닉 혹은 헌신

    하는 상태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그 대상은 노예를 지배하는 군주나 권력자 혹은 몰입 환경

    등 주체를 압도하고 순응하게 하는 강력한 힘을 지닌다. 문제는 이러한 힘이 반복적으로 주

    체에게 투영될 경우, 심각한 병적 증후를 일으켜 대인관계와 일상생활에 지장을 일으키고

    극단적으로는 자살 행위까지 초래한다는 점에서 발생한다. 이 때문에 중독은 개인이 아닌

    사회적 차원의 예방과 대응이 필요한 요주의 현상인 것이다.

    그런데, 중독의 유형은 물질중독(substance addiction)과 행위중독(behavioral addiction)

    으로 구분된다. 마약이나 알코올과 같은 물질을 대상으로 한 것이 물질중독이라면, 행위중

    독은 특정 대상에 대해 어떤 행동이나 활동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학 분야

    에서 중독은 ‘중단하면 심한 감정적, 정신적, 심리적 반응을 초래할 정도로 어떤 물질이나

    습관, 행위에는 통제가 불가능한 의존’(이우주, 1990, 54쪽)으로 정의된다. 즉 중독은 개인

    의 의지로 중단하기 어려운 물질, 습관, 행위에 대한 통제 불가능 상태이자 심각한 의존적

    행위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통제 불가능성과 의존성이라는 이중적 특성이 교차하는 중

    독 상황은 물질적 음용뿐 아니라 개인의 습관 및 행위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

    에서 심리학 분야에서의 중독 개념은 물질중독이 아니라 주요한 심리적 현상으로서 “생활 방

    식을 구성하는 행위 지표(constellation of behaviors)”(Cummings, 1979, pp. 1121~1122;

    Lovern, p. 99)로서 정의된다. 이처럼 ‘생활방식의 행위지표’라고 할 때, 중독 현상은 개인

    이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어떠한 생활태도와 습관을 지니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할 때, TV중독의 개념 역시 물질중독이라기 보다 행위중독에 포함시

    킬 수 있다. TV중독은 TV시청이라는 개인의 행위나 습관이 통제 불가능성과 과도한 의존상

    황을 초래하는 행위의 측면이기 때문이다. 즉 무의식적으로 시작했던 행위가 실제로 반복적

    인 습관으로 축적되면서 생활방식이 다르게 변화하는 것이다. 예컨대, 가족과 친구들과의

    관계, 그리고 학교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상황들, 심지어 자살을 선택하게 되

    는 극단적 행위들이 중독 혹은 중독성향과 연관된 것들이다. 이러한 TV중독 개념과 관련하

    여 다양한 이론적 정의들이 내려졌는데, 대표적인 의견들에 따르면 중독이란 도피현상

    (Barragan, 1976), 스트레스 감소도구의 과용 결과(Singer, 1980; Zillmann, Hezel &

    Medoff, 1983), 사회적 부적응 현상(Freedman, 1961; Schramm et al. 1961) 그리고 중간

    계급에서 주로 나타나는 시청행태로서 집약된다(Smith, 1988; 김동규․안정임, 1994). 학문

    적 입장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TV중독 개념이 제시되고 있지만, 공통의 관심은 시청자의

    행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제기되는 TV시청의 동기와 사회적 적응의 문제, 그

    리고 계급적 속성에 따른 중독 결과에 대한 문제 등은 특정 물질에 대한 탐닉보다는 행위 차

    가톨릭대학교 고전라틴어연구소(1995).『라틴-한글 사전』 참조.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83

    원의 중독 개념을 구성하는 근거이기 때문이다.

    이 점을 고려할 때, TV중독이란 개인의 모든 생활방식이 TV시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

    고, 이로 인해 통제 불가능성과 의존성이 커짐으로써 정신적, 육체적으로 대인관계 및 사회

    적 활동에 심각한 장애가 초래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렇게 볼 때, TV중독의 유형은 크게

    두 가지 측면, 즉 TV시청 시간의 통제력 상실로 인한 과다시청과 TV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

    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허경호․우형진․이효성, 2008, 13~4쪽). 과다시청이란 TV시청을

    자제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의지대로 되지 않는 시청태도로서, 여기에는 시청시간

    의 통제력 상실이 크게 작용한다. 우리나라의 인터넷 보급률과 확산속도가 세계적으로

    높은 순위에 있지만, 여전히 TV시청 경험이 높은 상황에서 TV 과다시청의 문제는 간과

    할 수 없는 현안이다. 단적으로 2007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우리

    나라 사람들의 약 95.2%가 TV시청과 라디오 청취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문화체육

    관광부, 2007). 이 집계는 2006년도보다 약 3~4% 증가한 수치이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TV시청과 라디오청취를 일반적인 여가생활로 여기고 있음을 입증하는 증거이다. 특히

    TV드라마의 경우 장르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많은 시청시간을 요하는 것이기에 드라마

    과다시청에 대한 청소년들의 상담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청소년기는 친구와 가족, 그

    리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성숙해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TV중독 성향은 청소년

    에게 심리적 충격과 자기혐오를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입시를 앞

    둔 청소년들에게 TV는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는 오락기능을 할 수 있지만, 문제는 반복

    적 시청행위가 돌이킬 수 없는 무의식적, 습관적인 과다시청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불

    거진다.

    한편, TV 의존성향은 명확한 목적의식이나 동기가 없는 상황에서 TV시청이 일상생활의

    무의식적 습관으로 고착된 상황을 의미한다. 예컨대, 드라마나 TV영화, 혹은 뉴스에 등장

    한 인물들과 사건들에 친밀감을 갖고, 일상생활의 필수불가결한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우들

    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TV드라마 의존성향은 다른 장르보다 더 강력한 몰입 현상

    과 정서적 불안감을 경험하게 만든다. 물론 몰입이 무조건 부정적인 현상은 아니다. 예술작

    품이나 영상물에 대한 몰입이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한 카타르시스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

    기 때문이다. 하지만, 몰입이 반복적이고 습관적으로 과도하게 표출될 경우 문제는 발생한

    다. 예컨대, TV드라마의 남자 주인공에 대한 몰입과 열정이 현실의 남자들에 대한 판단 척

    도로 작용함으로써 현실 세계는 오히려 낯설고 이질적인 공간으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

    이다. 특히 그 남자주인공이 ‘백마 탄 왕자’, ‘재벌’, ‘신데렐라’ 등과 같이 사회적 통념에

    충실한 캐릭터일 경우, 평범한 사람들이 다수인 현실은 보잘 것 없고 우울한 것일 수밖

    에 없다. 김동규․안정임(1994)이 설명했듯이, 중독자들은 TV 시청 동안 진정제를 마신

    것과 같은 기분을 느끼고 시간을 허비한다는 생각을 잊어버리지만, 시청 후에는 허탈감

    이나 죄의식을 갖게 되고 심지어 상실감에 따른 자살충동까지 느끼게 되는 것도 TV 환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84

    상과 현실의 괴리로 인한 결과이다.

    물론 이러한 드라마 의존성향이 청소년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다. 부모가 일방적으로 청소

    년의 TV시청을 차단하는 경우도 과도한 보호주의로 흐를 수 있지만, 역으로 부모 중심의

    TV시청 환경이 공고하게 지속될 경우 가정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환기시키는 요인이 된

    다. 예컨대, 한 청소년에 따르면, “TV를 없애자, 컴퓨터를 밖에 내놓자”고 해도 부모는 귀

    담아듣지 않고 오히려 반대하는 입장을 강력히 표명한다. 그래서 “이것저것 해볼 거 다 해봐

    도 부모님의 힘은 빌릴 수 없고. 스스로 자제하는 수밖에 없다”(네이버 지식iN의 지식Q&A

    상담문)는 것이 이 청소년의 결심이었다. 하지만, 그 결심이 일상의 TV 의존성향이나 통제

    력 상실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청소년들 스스로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경우는 많지만 성공한 사례는 그리 많지 않은 게 현실이다. TV중독의 문제는 청소년 개인이

    아닌 부모와 교사 모두가 책임져야 할 공동의 사안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청소년 TV중독의 원인은 무엇이고, 예방은 어떻게 가능한가? 여기서 청소년은

    청소년보호법상에 명시된 기준으로 만 19세 미만의 자이지만, 이 논문에서는 중․고등학교

    에 다니는 인구통계학적 집단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학교를 중퇴하거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진학하지 않은 청소년들도 존재하지만, 학교생활 및 교우관계와의 연관성을 고려한 문제들

    을 분석결과에서 논의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논외로 하고자 한다.

    2)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논의

    청소년들은 어떠한 미디어를 주로 이용할까? 언뜻 보기에는 TV와 라디오 같은 전통적인

    매체 보다는 뉴미디어로 특화되는 인터넷을 주로 이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예상은

    최근 연구결과에서 빗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미영․김담희․김성태(2010)의 연구결과에 따

    르면, TV는 여전히 청소년들에게 우월한 매체로서 분석되었다. 청소년의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을 분석한 결과, 미디어별 이용시간은 인터넷과 TV이용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휴대폰 순으로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다. 반면, 라디오, 블로그/미니홈피, 신

    문, 메신저, 잡지 순으로 비교적 낮은 이용률을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이미영․김담희․

    김성태, 2010)

    2008년도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보고서 “청소년 TV 시청행태 및 이용자 특성 분석”

    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기분전환, 스트레스 해소나 습관적으로, 그리고 흥미/오락거리 등

    의 세 가지 항목에서 50% 이상이 TV를 1순위 미디어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전

    히 강력한 여가활동 미디어임을 알 수 있다(박웅진, 2008). 또한 청소년들은 TV를 통해 일

    상생활에서 건강이나 언어활동, 이성교재 및 학습 등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

    다. 조사 결과의 흥미로운 사실은 청소년들이 TV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는 점이다. 학부모들은 청소년들이 얻는 정보가 유해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반면, 청소년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85

    들은 이 정보들이 유익하고 생활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물론 학부모와

    청소년들이 판단하는 TV의 유익함은 각기 다를 수 있고, 특수한 입장과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옳고 그름을 단정할 수는 없다. 오히려 선행되어야 할 것은 청소년에게 TV중독은 왜

    일어나는가 하는 원인진단에 대한 진단 작업이다.

    선행연구를 검토해 볼 때, 최근 학계의 미디어중독에 대한 논의의 중심축은 TV가 아니라

    인터넷과 게임중독이다. 이 때문에 청소년의 TV중독 원인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반영하기

    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기존의 일반적인 TV중독의 원인과 청소년의 세대적 특성

    을 고려할 때, 크게 다음 세 가지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우선, TV 프로그램 편성의 문제이다. 즉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연예오락 프로그램에 치중

    된 편성이 청소년들의 문화소비에 대한 균형성 결여뿐 아니라 심각한 중독현상을 초래한다

    는 것이다. 특히 케이블 TV의 등급 외 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 점유율이 높다는 분석결과

    (박웅진, 2008)는 ‘금단의 열매’ 효과가 오히려 청소년 시청자의 유인효과로 작용하고 있다

    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프로그램 시청을 통해 청소년들은 기성세대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할 수 있으며, 사회적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중요한 것은 TV프로그램 편중현

    상의 이면에는 청소년 주시청시간대를 고려한 청소년 TV프로그램 편성의 축소 및 폐지 등

    방송 공공성을 등한시하며 강력해진 방송사의 상업화 정책이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방

    송의 상업화 요인은 한 마디로 일축할 수 없다. 프로그램 편성, 외주제작 시스템, 프로그램

    내용 등 다양한 상업화 경향 및 요인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김진웅, 2008). 하지만, 이

    요인들은 다양하지만 그 의도와 목적은 집약적이다. 즉 높은 시청률과 광고 소구효과와 같

    은 경제적 이윤추구의 목적이 그것이다. 문제는 방송의 공공성 대신 시장의 논리가 중시된

    결과, 쇼․오락프로그램뿐 아니라 드라마 등 청소년들의 이야기와 먼 성인들의 러브스토리

    에서도 청소년들을 위한 인형 마스코트와 팬시 용품들이 간접광고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청소년층의 높은 스트레스와 도피적 시청의 문제이다. 1950년대에 발표된

    페얼린(Pearlin)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양과 주 선호 TV프로그램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arlin, 1959). 즉 일상생활에서 스트레

    스를 많이 받는 시청자일수록 뉴스나 정보 프로그램이 아닌 드라마, 영화, 시리즈물 등의

    연성 프로그램들을 시청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곧 ‘판타지 프로그램’을 통해

    알코올 효과처럼 현실의 문제들을 잊으려는 현실도피적 시청 동기가 작용한 결과이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스미스(Smith)는 TV중독성향에 대한 다섯 가지 연구모델 중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위치에 현실도피이론과 스트레스 감소이론을 우선적으로 배치하여,

    TV중독 성향의 두드러진 원인과 경향으로서 강조한 바 있다(Smith, 1988). 우리나라의

    청소년 시청자 조사 결과(박웅진, 2008)도 이와 다르지 않다. 평일 지상파 시청률을 볼

    때, 미니시리즈가 시작되는 22시 무렵에 중고생 모두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고, 주말의 경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86

    우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시작하는 19시 경에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다는 것이다. 반

    면, 주말 지상파의 경우, 뉴스와 다큐멘터리 등이 편성되는 20시대의 청소년 시청률은 일

    시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요컨대,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및 교우관계, 그리고

    가족관계 등의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심리적 압박이 TV 과다시청과 의존

    성향으로 귀결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이 소속된 가정환경의 문제이다. 성인들과 달리 청소년들의 세대적

    특수성은 어린이와 성인 사이의 과도기적 위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가치관과 대인

    관계, 그리고 사회적 소속감 등 명확하지 않은 사회적 위상으로 인해 고립감을 느낄 수

    있는 불안정한 이행기에 위치해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정환경과 부모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청소년들의 TV중독성향의 원인 역시 이러한 요인들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다. 김동규․안정임(1994)의 TV중독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당수의 가정에서 TV

    시청량에 관계없이 아침부터 밤까지 TV를 켜놓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시청유형에 대

    한 질적 분석 결과 무계획적, 무의식적 시청행위가 두드러지게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TV를 가족처럼 여기며 동거하듯이 여기는 ‘습관적 동거형’과 TV로 인해 가족 간의 대

    화 단절 및 일의 장애를 인지하면서도 시청을 절제하지 못하는 ‘갈등형’ 가정 등이 포함

    되었다. 이로써 유추해 보면, 가정의 부모나 형제들이 책을 많이 보고 대화를 많이 할 때

    보다는 주로 TV시청 및 대화단절이 주로 나타날 때, 청소년들 역시 TV중독의 위험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지했듯이 세대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청소년들은 개

    인적으로 많은 고민과 갈등을 반복하는 가치관 형성의 시기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대인관계 지속의 어려움과 고립감을 강하게 느끼고 경험하는 존재론적 위상을 지니고 있

    기 때문이다.

    요컨대, 청소년 TV중독의 원인은 단일하고 결정적인 하나의 원인이 작동하기 보다는 다

    층적 접근과 해석이 요구된다. 특히 여기서는 청소년 TV중독의 원인으로서 우선, 청소년을

    고려하지 않은 성인층 중심의 TV프로그램 편성 문제, 청소년층의 높은 스트레스와 도피적

    시청, 그리고 가정환경과 부모의 역할 등의 문제들이 집약된다. 그 외에도 청소년 TV중

    독의 원인을 TV화면의 현란함, 생생함, 실제성, 그리고 TV의 고유한 ‘흐름’에서 찾는 연

    구(최진혁, 2009)도 진행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원인 진단작업은 본 연구의 Q방

    법론 설문 중 TV중독의 원인에 대한 전문가 주관성 항목들을 추출하는 데 유의미하다.

    서로 접근하는 방법과 시각은 다르지만, 청소년 TV중독이 점차 인터넷과 스마트폰 분야

    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원인규명은 중독 예방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기 때

    문이다. 이러한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한 미디어교육 전문가와

    교사의 주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87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1) 연구문제

    이상의 논의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주관성 유형 및 특성 분

    석을 위해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미디어교육 전문가 및 교사들의 청소년 TV중독 원인과 예방에 대한 평가,

    태도, 가치, 의미 등 주관성의 유형과 특성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미디어교육 전문가 및 교사들의 청소년 TV중독 원인과 예방에 대한 주관

    성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미디어교육 전문가 및 교사들의 청소년 TV중독 원인과 예방에 대한 주관

    성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는 청소년의 TV중독 원인과 예방에 대한 유형화된 주관성 분석을 통해

    보다 실효성 있는 청소년 TV중독의 대응방안을 정립하기 위한 주요한 문제틀로서 의의를

    지닌다.

    2) 연구참여자 선정과 연구방법

    이 연구는 청소년의 TV중독 원인과 예방에 대한 심층적인 주관성 연구를 위해 관련 전문

    가 1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14명의 전

    문가들은 미디어교육 전문가 및 교사들로 선정하였고, 선정기준은 청소년 교육활동의 참여

    기간과 주이용 미디어에 관한 내용으로 제한을 두었다. 연구참여자 선정 근거는 미디어교육

    및 언론학 관련 전문가들로서 현장과 학계의 청소년 TV중독 현상 및 미디어 환경의 문제들

    에 대해 전문적이고 심도 깊은 견해들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도식화하면 과 같다.

    그리고 방법론으로서 Q방법론을 선택한 이유는 연구참여자의 주관성과 본질적인 의미에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질적연구방법이라는 점에 근거한다. 즉 방법론적 측면에서

    Q방법론은 기존의 연역적인 가설에 따른 계량적 결과들을 도출하는 방법과 달리, 개별 행위

    자들의 다양한 주관적 평가, 태도, 가치, 의미 등을 추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성을 지

    닌다. 다른 한편, 이론적 유용성의 측면에서 Q방법론은 기존의 이론에서 연역적인 가설을

    도출하는 방법과 달리,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갖게 되는 주관적 이미지에 의하여 새로운 가

    설(hypothesis)을 발견할 수 있다(선우동훈, 1991). 그 이유는 Q방법론이 행위자의 관점에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88

    연구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사례 성별 연령 직업/전공 주 이용 미디어미디어교육 활동 및

    현직 종사기간

    1 남 34 교사/일반사회 PC 3년 4개월

    2 남 42 교사/지리교육 TV, 인터넷, 휴대기기 16년 8개월

    3 남 41 교수/신문방송 인터넷 5년 2개월

    4 여 36 강사/신문방송 영상미디어 3년

    5 남 39 교사/미디어교육 스마트폰 10년

    6 여 38 교사/국어교육 인터넷 7년

    7 여 36 연구원/신문방송 TV, 인터넷 3개월

    8 여 32 연구원/신문방송 TV, 인터넷 3년

    9 여 42시민단체 미디어교육팀장

    /미디어교육인터넷 10년

    10 남 47 연구원/정보사회학 인터넷, 스마트폰 4년 10개월

    11 여 41청소년전문가

    /교육공학, 교육학, 상담심리전공TV, 인터넷, 휴대폰 16년

    12 남 36 연구원/경영학 인터넷, TV 11개월

    13 남 36 연구원/경영학 인터넷 10개월

    14 남 49 교수/언론학 인터넷, 방송, 신문 5년

    서 출발하며 인간 개개인별 주관성 구조에 부응하는 상이한 주관성의 유형화 및 상호관계성

    분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강진숙․이제영,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해 발견적이고 가설생성적(김흥

    규, 1992)인 Q방법론적 접근방법을 수행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진술문 형태의 카드를 분류하는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 진술문 작성을

    위하여 연구자는 본 논문과 관련된 참고문헌들과 선행연구들에 대한 분석 및 검토를 바탕으

    로 Q모집단(concourse)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진술문(Q-statement)을 작성한 후, P표본

    을 선정, 분류작업(sorting)을 실시하여 Q-sort를 확보하고자 한다. 분류 정리된 결과는 PC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Q요인분석(Q-factor analysis)방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3)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1) Q표본(Q-sample) 및 P표본(P-sample)

    이 연구의 Q표본은 청소년의 TV중독 원인과 예방의 유형에 관한 가치체계에 기초한 진술

    문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는 미디어교육 전문가 및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청소년의 TV중

    독 원인과 예방에 대한 평가, 태도, 가치, 의미 등의 주관성을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참고문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89

    -4 -3 -2 -1 0 1 2 3 4

    부정 ◀=== 중립 ===▶ 긍정

    각 진술문의 긍정 및 부정의견 점수 분포방식

    헌과 선행연구들을 탐구한 후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이들 진술문 중 주제에 부합하는 정도

    에 따라 진술문들을 2차 선택하는 과정을 거쳤고, 최종적으로 30개의 진술문 표본을 선정하

    였다. 최종 선정된 30개의 진술문 표본은 전체적으로 모든 의견들을 포괄하고, 긍정, 중립,

    부정의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였다( 참조).

    Q방법론은 개인 간의 차이(inter-individual differences)가 아니라 개인 내의 의미상의 차

    이(intra-individual difference in significance)에 주목하기 때문에 P표본의 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Q연구의 목적은 표본의 특성으로부터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P표본의 선정도 확률적 표집방법을 따르지 않는다(강진숙․이제영, 2010, 22~23

    쪽). 이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총 14명으로 구성된 P표본을 선정하였다.

    (2) Q분류작업(Q-sorting) 및 자료의 처리

    Q분류작업(Q-sorting)은 연구참여자들이 Q표본을 분류하는 절차이다. 이 절차는 연구

    참여자가 Q표본의 항목 중 자신의 주관적 평가, 태도, 가치, 의미 등에 가장 근접하는 내용

    들을 모형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들이 진술 항목들을 숙독한 후 선택한 번호

    들을 분포도 속에 기록하도록 요구하였다.

    구체적으로 Q분류 절차를 제시하면, 우선 Q표본으로 선정된 진술 항목들을 연구참여자

    들이 읽은 후 긍정(+), 중립(0), 부정(-)으로 분류된 3개의 그룹에 각각 자신의 주관적 의

    견들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그 후 긍정 진술문 중에서 가장 긍정적인 의견들을 차례로 골라

    서 바깥에서부터(+5) 안쪽 방향으로 분류작업을 진행하여 중립부분에서 정리하도록 하였

    다. 이와 유사하게 부정 진술문들을 분류하고, 이때 양끝에 놓여진 1개의 진술문에 대해서

    는 각각의 의견의 근거를 주관식 응답형태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Q-factor 해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Q분류작업 과정을 거쳐 청소년의 TV중독 원인과 예방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분석

    하기 위해 P표본에 대한 조사가 완료된 후 수집된 자료를 점수화하였다. 예컨대, Q표본 분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90

    분포별 점수 및 진술문 수

    분포 4 -3 2 1 0 1 2 3 4

    점수 2 3 4 5 6 7 8 9 10

    진술문 수 2 3 4 4 5 4 4 3 2

    포도에서 가장 부정적인 경우 (-4)를 1점으로 시작하여 2점(-3), 3점(-2), 4점(-1), 5점

    (0), 6점(+1), 7점(+2), 8점(+3), 9점(+4)을 부여하여 점수화 하였다( 참조).

    이상과 같이 추출된 분포별 점수 및 진술문 수를 번호순으로 코딩한 후 PC용 QUANL 프

    로그램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추출한 결과 유형별 인자가중치는 다음 과 같이 분석

    되었다. 여기서 ‘인자가중치(factor weight)'는 각 유형에 속한 응답자들의 설명력을 의미한

    다. 즉 각 유형별로 제시된 개인별 가중치가 높게 나타날수록 그 유형의 설명력은 높은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 분석결과, 인자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사례 6>으로서 미디어

    교육 활동 및 현직 종사기간 7년차의 국어교육 교사(2.8304)의 경우였고, 그 다음으로 4년

    10개월의 종사기간을 지닌 연구원(1.9519), 10개월 기간의 경영학 전공 연구원 순으로 가

    연구참여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유형별 인자가중치

    유형사

    령직업/전공 주 이용 미디어

    미디어교육 활동 및 현직

    종사기간

    인자

    가중치

    (N=5)

    1 남 34 교사/일반사회 PC 3년 4개월 1.6922

    10 남 47 연구원/정보사회학 인터넷, 스마트폰 4년 10개월 1.9519

    11 여 41

    청소년전문가

    /교육공학, 교육학,

    상담심리전공

    TV, 인터넷,

    휴대폰16년 1.1039

    13 남 36 연구원/경영학 인터넷 10개월 1.8122

    14 남 49 교수/언론학 인터넷, 방송, 신문 5년 0.9308

    (N=3)

    3 남 41 교수/신문방송 인터넷 5년 2개월 1.7191

    7 여 36 연구원/신문방송 TV, 인터넷 3개월 1.0532

    12 남 36 연구원/경영학 인터넷, TV 11개월 0.3259

    (N=4)

    2 남 42 교사/지리교육TV, 인터넷,

    휴대기기16년 8개월 0.7402

    4 여 36 강사/신문방송 영상미디어 3년 0.9016

    5 남 39 교사/미디어교육 스마트폰 10년 0.6810

    9 여 42시민단체 미디어교육팀장

    /미디어교육인터넷 10년 1.2836

    (N=2)

    6 여 38 교사/국어교육 인터넷 7년 2.8304

    8 여 32 연구원/신문방송 TV, 인터넷 3년 0.7748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91

    Q진술문의 유형별 표준점수

    Q진술문(Q-Statements)

    유형별 표준점수

    (N=5)

    (N=3)Ⅲ(N=4) Ⅳ(N=2)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2.3 0.5 -1.1 -1.8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1.9 0.1 0.7 -1.5

    3.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한다. -1.2 0.0 -2.2 -0.8

    4. TV 드라마나 연예인에 대한 유료정보들을

    수집한다.-0.9 1.4 -0.3 -0.3

    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1.4 1.1 -0.1 -0.5

    6. 주중에도 방과 후에는 종일 TV만 본다. -0.9 0.1 0.6 -1.2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2 1.1 1.3 -1.1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1.0 1.0 -0.8 -1.0

    9. TV 드라마의 내용을 현실에 일어난 일처럼

    꾸며서 이야기 한다.-1.1 -0.9 -1.7 0.1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0.8 0.5 1.1 -2.0

    11. TV에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 0.8 0.7 0.1 -0.3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1.6 1.8 -0.0 -0.4

    13. 학교수업과 TV 사이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1.0 0.8 0.1 -0.4

    14. 올바른 TV시청을 위한 학교 미디어교육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1.6 0.8 1.6 -0.1

    15. 교육현장에서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없다.0.2 0.5 1.9 0.3

    16. 가정에서 청소년의 TV 시청태도에 관심이 없다. -0.2 0.1 -0.6 -0.2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0.1 1.6 -1.1 0.3

    18. 청소년의 여가문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인 청소년

    프로그램이 부족하다.1.3 0.3 0.8 -0.1

    19. 인터넷과 휴대폰의 대중화로 인해 어디서든 TV를 시청할

    수 있다.1.2 -0.2 0.6 -0.2

    20.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TV 리터러시교육이 없다. 0.5 -0.6 1.5 0.3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0.1 -1.8 -0.6 1.6

    22. 꼭 시청하고 싶은 금주의 TV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하고, 간략한 시청일기를 써본다.-0.3 -1.2 0.4 1.0

    23.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작가와 PD의 다른 작품들을

    연관시켜 평가해 본다.0.4 -0.9 -0.2 1.0

    24. 어제 시청했던 TV뉴스와 드라마 등에 대해 친구들과

    토론해 본다.0.6 -0.7 0.1 1.5

    25. 선호하는 TV 속의 인물을 미래의 내 모습과 연관시켜

    보고, 내 꿈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기록해 본다.0.1 -0.5 -0.2 2.0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0.3 -1.9 0.9 1.6

    27. 1주일에 한번은 TV시청 없이 친구들과 운동하거나 외부

    활동을 한다.0.5 0.1 0.4 0.8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0.4 -1.6 -1.2 0.5

    29. 귀가 후 TV시청이 아니라 먼저 라디오를 틀어본다. 0.4 -1.0 -1.0 0.5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0.5 -1.1 -1.2 0.4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92

    중치의 비중, 즉 설명력의 정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Q진술문의 유형별 표준점수는 와 같이 분석되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각

    각의 사례에 대한 유형 및 특성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4. 연구결과

    1) 주관성 유형 분석

    이 연구의 주제인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서,

    Q요인분석을 한 결과 총 4개의 유형들이 추출되었다. 각각의 유형들은 P표본들이 청소년 TV

    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의식상태에 따라서 유사한 의견이나 생각, 태도

    등을 가진 사람들이 묶이기 때문에 고유한 특성들로 대별될 수 있다(김흥규, 2008, 253쪽).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석 결과, 전체변량의 약 53(0.5275)%를 설명하고 있는 4

    개의 유형으로는 각각 5, 3, 4, 2명이 포함되었다. 여기서 인원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다음으로, 인자가중치가 1.0이상인 사람이 각각 4명, 2명, 1명, 1명이 속해 있어

    제 1유형이 가장 큰 인자로 분석되었고, 에서 보듯이, 각 유형의 변량 크기를 나타내

    는 아이겐 값(eigen value)은 각각 3.6941, 2.3819, 1.3090 등으로 나타났다.

    은 각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유형간의 유사성 정도를 보여준

    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 각 유형 간의 상관관계는 제 1유형과 제 2유형간의 상

    아이겐 값(eigen value)과 변량의 백분율

    아이겐 값 3.6941 2.3819 1.3090

    전체변량 백분율 0.2639 0.1701 0.0935

    누적 빈도 0.2639 0.4340 0.5275

    유형 간의 상관관계

    제 1유형 제 2유형 제 3유형 제 4유형

    제 1유형 1.000 - - -

    제 2유형 -0.002 1.000 - -

    제 3유형 0.208 0.162 1.000 -

    제 4유형 0.411 -0.607 -0.051 1.000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93

    관계수는 -0.002, 그 밖의 제 1유형과 제 3유형은 0.208, 제 1유형과 제 4유형은 0.411(가

    장 정적 관계), 제 2유형과 제 3유형은 0.162, 제 2유형과 제 4유형은 -0.607(가장 부적 관

    계), 제 3유형과 제 4유형은 -0.051 등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상의 각 유형별 특성들을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이 유형별 특성 논의에서는 각 4개의

    유형별로 분석하며, 해당 진술문별 ±1.00이상의 표준점수를 보인 진술문들을 중심으로 각

    유형의 네이밍과 그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1) 제 1유형(N=5): 비판적 TV활용형

    , 을 보면, 제 1유형에 속한 5명 중에서 위 에서 분석된 바와 같이 인

    자가중치가 1을 넘은 응답자가 4명으로 분석되었고, ‘14(Z-score=1.60)’번 Q진술문에 가장

    긍정적 일치를 보이고 있고, ‘1(Z-score=-2.34)’번 Q진술문에 가장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을 확인된다. 이 점을 분석해 볼 때, 이 유형의 응답자들은 긍정적으로 TV를 활용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유형은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주관성을 분석한 결과, 청

    소년의 올바른 TV시청과 TV프로그램 편성에 관심을 갖는 ‘비판적 TV활용형’으로 분석된

    다. 즉 제 1유형은 TV시청환경과 청소년 여가문화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지니는 한편, 청

    소년 TV중독의 예방을 위해 시청 중단이 아닌 선용 방법들을 찾아내는데 관심을 두고 있

    는 입장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 1유형에서 높은 설명력을 지닌 항목들을 분석할 때, 제 1

    유형은 청소년들의 TV드라마 폭력성에 대한 모방이나 TV 의존증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

    제 1유형의 표준점수 ±1.00이상인 진술문

    Q 진 술 문 표준점수

    14. 올바른 TV시청을 위한 학교 미디어교육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1.60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 1.60

    18. 청소년의 여가문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인 청소년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1.25

    19. 인터넷과 휴대폰의 대중화로 인해 어디서든 TV를 시청할 수 있다. 1.21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1.02

    13. 학교수업과 TV 사이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1.00

    9. TV 드라마의 내용을 현실에 일어난 일처럼 꾸며서 이야기한다. -1.11

    3.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한다. -1.16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21

    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38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 -1.87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2.34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94

    제 1유형의 설명력 높은 항목들

    제 1유형의 진술항목Items Greater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

    19. 인터넷과 휴대폰의 대중화로 인해 어디서든 TV를 시청할 수

    있다.1.207 0.051 1.156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0.503 -0.640 1.143

    Items Less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4. TV 드라마나 연예인에 대한 유료정보들을 수집한다. -0.942 0.277 -1.219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2.336 -0.804 -1.532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381 0.156 -1.537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 -1.866 -0.248 -1.618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208 0.432 -1.640

    * A. or N. Z(Average Or Nearest Z): 평균 혹은 가장 가까운 표준점수

    * Differences = ±1.0 이상

    * Z-Score: 표준점수

    반응을 보인 반면, 학교 미디어교육과정의 체계화와 청소년을 위한 TV프로그램 편성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2) 제 2유형(N=3): 관조적 TV접근형

    에서 보면, 제 2유형에 속한 3명 중에서 인자가중치가 1을 넘은 응답자가 2명으로서

    ‘12(Z-score=1.84)’번 Q진술문에 가장 긍정적 일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26(Z-score=-1.90)’

    제 2유형의 표준점수 ±1.00이상인 진술문

    Q 진 술 문 표준점수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 1.84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1.62

    4. TV 드라마나 연예인에 대한 유료정보들을 수집한다. 1.43

    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12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10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1.02

    29. 귀가 후 TV시청이 아니라 먼저 라디오를 틀어본다. -1.04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 -1.10

    22. 꼭 시청하고 싶은 금주의 TV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하고, 간략한

    시청일기를 써본다.-1.17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1.56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 -1.83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 -1.90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95

    제 2유형의 설명력 높은 항목들

    제 2유형의 진술항목

    Items Greater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0.460 -1.736 2.196

    4. TV 드라마나 연예인에 대한 유료정보들을 수집한다. 1.433 -0.515 1.948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1.624 -0.198 1.821

    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122 -0.679 1.801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 1.837 0.386 1.452

    3.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한다. 0.014 -1.370 1.384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1.023 -0.256 1.279

    Items Less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

    29. 귀가 후 TV시청이 아니라 먼저 라디오를 틀어본다. -1.044 -0.023 -1.020

    25. 선호하는 TV 속의 인물을 미래의 내 모습과 연관시켜 보고,

    내 꿈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기록해 본다.-0.525 0.655 -1.179

    23.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작가와 PD의 다른 작품들을 연관시켜

    평가해 본다.-0.923 0.415 -1.338

    20.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TV 리터러시교육이 없다. -0.589 0.790 -1.379

    24. 어제 시청했던 TV뉴스와 드라마 등에 대해 친구들과 토론해

    본다.-0.724 0.750 -1.474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1.562 -0.087 -1.475

    22. 꼭 시청하고 싶은 금주의 TV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하고,

    간략한 시청일기를 써본다.-1.172 0.367 -1.539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1.835 0.351 -2.186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1.899 0.745 -2.643

    * A. or N. Z(Average Or Nearest Z) : 평균 혹은 가장 가까운 표준점수

    * Differences = ±1.0 이상

    * Z-Score : 표준점수

    번 Q진술문에 가장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제 2유형은 TV드

    라마 편성과 부모의 부정적 인식 등 TV 시청 환경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지만, 미디어교육

    적 예방과 대안 모색에는 관조적인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관조적 TV접근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3) 제 3유형(N=4): 체계적 교육추진형

    에서 보듯이, 제 3유형에 속한 4명 중에서 인자가중치가 1을 넘은 응답자가 0명으

    로, ‘15(Z-score=1.92)’번 Q진술문에 가장 긍정적 일치를 보이고 있고, ‘3(Z-score=-2.16)’

    번 Q진술문에 가장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고려할 때, 제 3유형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96

    은 청소년을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과 과정의 체계화 환경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를 하는 “체

    계적 교육추진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제 3유형의 표준점수 ±1.00이상인 진술문

    Q 진 술 문 표준점수

    15. 교육현장에서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없다. 1.92

    14. 올바른 TV시청을 위한 학교 미디어교육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1.61

    20.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TV 리터러시교육이 없다. 1.54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32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1.10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1.06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1.07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1.19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 -1.22

    9. TV 드라마의 내용을 현실에 일어난 일처럼 꾸며서 이야기 한다. -1.72

    3.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한다. -2.16

    제 3유형의 설명력 높은 항목들

    제 3유형의 진술항목

    Items Greater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1.100 -0.767 1.867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 0.692 -1.101 1.793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320 -0.410 1.731

    15. 교육현장에서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없다.1.919 0.327 1.592

    20.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TV 리터러시교육이 없다. 1.545 0.079 1.466

    6. 주중에도 방과 후에는 종일 TV만 본다. 0.647 -0.652 1.299

    Items Less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

    9. TV 드라마의 내용을 현실에 일어난 일처럼 꾸며서 이야기한다. -1.718-0.637

    -1.081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1.218 -0.066 -1.151

    3.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한다. -2.157 -0.646 -1.511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1.063 0.698 -1.761

    * A. or N. Z(Average Or Nearest Z) : 평균 혹은 가장 가까운 표준점수

    * Differences = ±1.0 이상

    * Z-Score : 표준점수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97

    (4) 제 4유형(N=2): 자가 수정형

    , 에서 보듯이, 제 4유형에 속한 2명은 인자가중치가 1을 넘은 응답자가 0

    명으로, ‘25(Z-score=2.02)’번 Q진술문에 가장 긍정적 일치를 보이고 있고,

    ‘10(Z-score=-2.02)’번 Q진술문에 가장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4유형은 TV시청의 장점과 단점을 활용하여 자가 진단과 개선책을 꾀하려는 “자가 수정형”

    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제 4유형의 표준점수 ±1.00이상인 진술문

    Q 진 술 문 표준점수

    25. 선호하는 TV 속의 인물을 미래의 내 모습과 연관시켜 보고, 내 꿈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기록해 본다.2.02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 1.62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 1.59

    24. 어제 시청했던 TV뉴스와 드라마 등에 대해 친구들과 토론해 본다. 1.52

    22. 꼭 시청하고 싶은 금주의 TV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하고, 간략한 시청일기를

    써본다.1.01

    23.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작가와 PD의 다른 작품들을 연관시켜 평가해 본다. 1.01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12

    6. 주중에도 방과 후에는 종일 TV만 본다. -1.23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 -1.52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1.80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2.02

    제 4유형의 설명력 높은 항목들

    제 4유형의 진술항목

    Items Greater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1.587 -0.789 2.376

    25. 선호하는 TV 속의 인물을 미래의 내 모습과 연관시켜 보고,

    내 꿈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기록해 본다.2.021 -0.194 2.215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1.625 -0.430 2.055

    24. 어제 시청했던 TV뉴스와 드라마 등에 대해 친구들과 토론해 본다 1.516 0.004 1.512

    22. 꼭 시청하고 싶은 금주의 TV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하고,

    간략한 시청일기를 써본다.1.011 -0.361 1.372

    9. TV 드라마의 내용을 현실에 일어난 일처럼 꾸며서 이야기한다. 0.109 -1.246 1.354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98

    계 속

    제 4유형의 진술항목

    Items Greater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0.505 -0.776 1.281

    23.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작가와 PD의 다른 작품들을 연관시켜

    평가해 본다.1.011 -0.229 1.240

    29. 귀가 후 TV시청이 아니라 먼저 라디오를 틀어본다. 0.505 -0.540 1.045

    Items Less Than All Others Z-Score A. or N. Z Diff.

    13. 학교수업과 TV 사이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0.397 0.640 -1.036

    6. 주중에도 방과 후에는 종일 TV만 본다. -1.228 -0.027 -1.201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0.973 0.410 -1.383

    14. 올바른 TV시청을 위한 학교 미디어교육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0.109 1.334 -1.443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 -0.397 1.130 -1.527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2.021 0.274 -2.295

    * A. or N. Z(Average Or Nearest Z) : 평균 혹은 가장 가까운 표준점수

    * Differences = ±1.0 이상

    * Z-Score : 표준점수

    2) 유형간 차이 분석

    각 유형간 차이 분석은 각 유형별 차별성을 긍정적(+), 부정적(-) 의견으로 비교 제시함

    으로써 그 차별성(독특성)을 설명해주는 작업이다. 즉, ‘차이’ 항목의 수치가 크면 클수록 해

    당 유형에 더 접근된 진술문이다. 본 내용에서는 각 유형간 차이점수가 가장 높은 긍정 및

    부정 의견을 중심으로 각 유형의 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1) 제 1, 2유형간 차이 분석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유형인 비판적 TV활용형과 제 2유형인 관조적

    TV접근형 간에는 크게 두 가지 진술문 상에서 차이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예컨대,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Differences = 1.984). 1. TV 드라마

    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Differences = -2.796)” 등이 대표적인 차이양상의 근

    거이다. 즉 TV시청 외의 미디어 활동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일치점을 보이지만, TV드라

    마의 폭력행위에 대한 모방에는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것이 의미

    하는 바는, 제 1유형과 제 2유형에서는 21번(1.984)과 28번(1.914) 진술문에서 유형 간 긍

    정적 차이점이 두드려졌고, 5번(-2.504)과 1번(-2.796) 진술문에서 부정적 차이점이 두드

    러지게 표출되었다는 것이다.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99

    제1 유형과 제 2유형간 차이 분석

    ITEM DESCRIPTIONS

    Z-SCORES

    Diff.TYPES

    1

    TYPES

    2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0.422 -1.562 1.984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 0.080 -1.835 1.914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 -0.295 -1.899 1.604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 0.503 -1.099 1.602

    29. 귀가 후 TV시청이 아니라 먼저 라디오를 틀어본다. 0.396 -1.044 1.440

    19. 인터넷과 휴대폰의 대중화로 인해 어디서든 TV를 시청할 수 있다. 1.207 -0.202 1.409

    23.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작가와 PD의 다른 작품들을 연관시켜 평가해 본다. 0.440 -0.923 1.363

    24. 어제 시청했던 TV뉴스와 드라마 등에 대해 친구들과 토론해 본다. 0.599 -0.724 1.323

    20.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TV 리터러시교육이 없다. 0.538 -0.589 1.126

    6. 주중에도 방과 후에는 종일 TV만 본다. -0.869 0.140 -1.009

    3.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한다. -1.159 0.014 -1.174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0.794 0.516 -1.310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0.144 1.624 -1.479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 -1.866 0.079 -1.945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208 1.096 -2.304

    4. TV 드라마나 연예인에 대한 유료정보들을 수집한다. -0.942 1.433 -2.375

    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381 1.122 -2.504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2.336 0.460 -2.796

    (2) 제 1, 3유형간 차이 분석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유형의 비판적 TV활용형과 제 3유형의 체계적 교

    육추진형 간에는 크게 두 가지 진술문 측면에서 차이 양상이 뚜렷하게 보였다. 일례로서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Differences = 1.825).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Differences = -2.558)” 등이 여

    기에 포함된다. 즉 일상생활에서 TV시청과 일의 병행에는 적극적인 일치점을 보이는 반

    면, TV시청 외의 다른 일에는 무관심하거나 의존증세를 보이는 태도에는 서로 다른 양

    상의 이견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요컨대, 제 1유형과 제 3유형에서는 8번(1.825)과 30

    번(1.721) 진술문에서 유형 간의 긍정적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반면, 7번(-2.528)과

    2번(-2.558) 진술문에서 부정적 차이점이 뚜렷하게 대별된 것으로 분석된다.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100

    제1 유형과 제 3유형간 차이 분석

    ITEM DESCRIPTIONS

    Z-SCORES

    Diff.TYPES

    1

    TYPES

    3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1.016 -0.810 1.825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 0.503 -1.218 1.721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 1.595 -0.042 1.637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0.422 -1.187 1.609

    29. 귀가 후 TV시청이 아니라 먼저 라디오를 틀어본다. 0.396 -0.972 1.368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0.144 -1.063 1.207

    20.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TV 리터러시교육이 없다. 0.538 1.545 -1.007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 -0.295 0.904 -1.199

    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381 -0.149 -1.233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2.336 -1.068 -1.268

    6. 주중에도 방과 후에는 종일 TV만 본다. -0.869 0.647 -1.516

    15. 교육현장에서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없다. 0.233 1.919 -1.686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0.794 1.100 -1.895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208 1.320 -2.528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 -1.866 0.692 -2.558

    (3) 제 1, 4유형간 차이 분석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유형 비판적 TV활용형과 제 4유형 자가 수정형 간

    에는 크게 두 가지 진술문의 차원에서 차이양상이 두드러진다. 이를테면, “12. TV 주시

    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Differences = 1.992). 26. 선호하는 TV프로

    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Differences = -1.920)” 등이 그것이

    다. 즉 TV 주시청 시간대의 성인 중심 드라마 편성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일치점을 보이

    고 있으나, TV비평이나 제작에 대한 능동적 개입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양상의 이견이

    도출된 것이다. 따라서 제 1유형과 제 4유형에서는 12번(1.992)과 8번(1.989) 진술문에서

    유형 간의 긍정적 차이점이 대별되었다면, 25번(-1.893)과 26번(-1.920) 진술문에서 부정

    적 차이점이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101

    제1 유형과 제 4유형간 차이 분석

    ITEM DESCRIPTIONS

    Z-SCORES

    Diff.TYPES

    1TYPES 4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 1.595 -0.397 1.992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1.016 -0.973 1.989

    14. 올바른 TV시청을 위한 학교 미디어교육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1.605 -0.109 1.714

    19. 인터넷과 휴대폰의 대중화로 인해 어디서든 TV를 시청할 수 있다. 1.207 -0.217 1.424

    13. 학교수업과 TV 사이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1.002 -0.397 1.399

    18. 청소년의 여가문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인 청소년 프로그램이

    부족하다.1.253 -0.109 1.362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0.794 -2.021 1.227

    11. TV에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 0.811 -0.288 1.100

    9. TV 드라마의 내용을 현실에 일어난 일처럼 꾸며서 이야기 한다. -1.108 0.109 -1.216

    22. 꼭 시청하고 싶은 금주의 TV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하고, 간략한

    시청일기를 써본다.-0.277 1.011 -1.288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 0.080 1.587 -1.507

    25. 선호하는 TV 속의 인물을 미래의 내 모습과 연관시켜 보고, 내 꿈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기록해 본다.0.128 2.021 -1.893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 -0.295 1.625 -1.920

    (4) 제 2, 3유형간 차이 분석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유형 관조적 TV접근형과 제 3유형 체계적 교육추

    진형 간에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 진술문에서 차이양상이 명료하게 나타났다. 즉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Differences = 2.687).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Differences = -2.803)”는 항

    목이 그것이다. 요컨대, 제 2유형과 제 3유형에서는 TV에 대한 부모의 부정적 인식

    (2.687)과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하는 현상(2.171)에서 유형 간의 긍정적 차이점이

    두드려졌고, TV리터러시 교육의 부재(-2.134)와 TV비평이나 제작에 대한 능동적 개입

    (-2.803)에 대한 진술문에서 부정적 차이점이 부각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102

    제2 유형과 제 3유형간 차이 분석

    ITEM DESCRIPTIONSZ-SCORES

    Diff.TYPES 2 TYPES 3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1.624 -1.063 2.687

    3.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한다. 0.014 -2.157 2.171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 1.837 -0.042 1.879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1.023 -0.810 1.833

    4. TV 드라마나 연예인에 대한 유료정보들을 수집한다. 1.433 -0.314 1.747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0.460 -1.068 1.528

    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122 -0.149 1.271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 -1.835 -0.613 -1.221

    15. 교육현장에서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없다.0.460 1.919 -1.459

    22. 꼭 시청하고 싶은 금주의 TV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하고, 간략한

    시청일기를 써본다.

    -1.1720.366 -1.539

    20.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TV 리터러시교육이 없다. -0.589 1.545 -2.134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1.899 0.904 -2.803

    (5) 제 2, 4유형간 차이 분석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유형 관조적 TV접근형과 제 4유형 자가 수정형 간

    에는 다음 두 가지 진술문 상에서 차이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예컨대, “10. TV 시

    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Differences = 2.537).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Differences =

    3.524)” 등이 대표적인 항목이다. 이렇게 볼 때, 제 2유형과 제 4유형에서는 TV시청 방

    해에 대한 폭력적 대응태도(2.537)와 TV드라마의 폭력행동 모방(2.264) 진술문에서 유형

    간의 긍정적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반면, 식사시간의 TV시청 중단(-3.422)과 TV

    비평과 제작에 대한 능동적 개입형(-3.524) 진술문에서는 부정적 차이점이 뚜렷하게 나

    타났다.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103

    제2 유형과 제 4유형간 차이 분석

    ITEM DESCRIPTIONSZ-SCORES

    Diff.TYPES 2 TYPES 4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0.516 -2.021 2.537

    1. TV 드라마의 폭력적 행동들을 자주 따라한다. 0.460 -1.804 2.264

    12. TV 주시청 시간대에 성인용 드라마를 주로 편성한다. 1.837 -0.397 2.234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096 -1.119 2.216

    8. 일상생활 중에도 TV를 보며 다른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 1.023 -0.973 1.996

    4. TV 드라마나 연예인에 대한 유료정보들을 수집한다. 1.433 -0.288 1.722

    5.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보다 TV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1.122 -0.505 1.628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 0.079 -1.516 1.595

    6. 주중에도 방과 후에는 종일 TV만 본다. 0.140 -1.228 1.368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1.624 0.326 1.298

    13. 학교수업과 TV 사이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0.774 -0.397 1.171

    9. TV 드라마의 내용을 현실에 일어난 일처럼 꾸며서 이야기 한다. -0.911 0.109 -1.020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1.099 0.397 -1.496

    29. 귀가 후 TV시청이 아니라 먼저 라디오를 틀어본다. -1.044 0.505 -1.549

    23.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작가와 PD의 다른 작품들을 연관시켜

    평가해 본다.-0.923 1.011 -1.934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1.562 0.505 -2.067

    22. 꼭 시청하고 싶은 금주의 TV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하고,

    간략한 시청일기를 써본다.-1.172 1.011 -2.183

    24. 어제 시청했던 TV뉴스와 드라마 등에 대해 친구들과 토론해 본다. -0.724 1.516 -2.240

    25. 선호하는 TV 속의 인물을 미래의 내 모습과 연관시켜 보고,

    내 꿈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기록해 본다.-0.525 2.021 -2.546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 -1.835 1.587 -3.422

    26.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비평문이나 개선사항을 방송사에 보내

    본다.-1.899 1.625 -3.524

    (6) 제 3, 4유형간 차이 분석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유형 체계적 교육추진형과 제 4유형 자가 수정형 간에

    는 다음 두 가지 진술문들에서 차이양상이 대별되었다.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Differences = 3.122). 25. 선호하는 TV 속의 인물

    을 미래의 내 모습과 연관시켜 보고, 내 꿈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기록해 본다(Differences

    = -2.207)” 등이 그것이다. 즉 10번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일치점을 보이고 있으나, 25번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양상의 부정적 의견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제 3유형과 제 4유형에서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104

    제3 유형과 제 4유형 간 차이 분석

    ITEM DESCRIPTIONSZ-SCORES

    Diff.TYPES 3 TYPES 4

    10. TV 시청의 방해를 받았을 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나타낸다.1.100 -2.021 3.122

    7. TV시청 시간의 통제력이 상실된 태도를 보인다. 1.320 -1.119 2.440

    2. TV를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거나 다른 일에 의욕이 없다. 0.692 -1.516 2.208

    6. 주중에도 방과 후에는 종일 TV만 본다. 0.647 -1.228 1.875

    14. 올바른 TV시청을 위한 학교 미디어교육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1.612 -0.109 1.721

    15. 교육현장에서 청소년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없다.1.919 0.288 1.631

    20.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반영한 TV 리터러시교육이 없다. 1.545 0.288 1.257

    23. 선호하는 TV프로그램의 작가와 PD의 다른 작품들을 연관시켜

    평가해 본다.-0.204 1.011 -1.215

    3.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한다. -2.157 -0.794 -1.363

    24. 어제 시청했던 TV뉴스와 드라마 등에 대해 친구들과 토론해 본다. 0.136 1.516 -1.380

    17. 부모가 TV에 대해 매우 부정적 인식을 지니고 있다. -1.063 0.326 -1.389

    29. 귀가 후 TV시청이 아니라 먼저 라디오를 틀어본다. -0.972 0.505 -1.477

    30.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내 이야기를 담은 사연엽서나 신청곡을

    보내본다.-1.218 0.397 -1.614

    28.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 대신 영화관에 간다. -1.187 0.505 -1.693

    9. TV 드라마의 내용을 현실에 일어난 일처럼 꾸며서 이야기 한다. -1.718 0.109 -1.827

    21. 식사시간에 TV를 켜지 않고 오늘 만나게 될 사람들을 상상해 본다. -0.613 1.587 -2.200

    25. 선호하는 TV 속의 인물을 미래의 내 모습과 연관시켜 보고, 내

    꿈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기록해 본다.-0.185 2.021 -2.207

    는 TV시청 방해에 대한 폭력적 대응(3.122)과 TV시청 시간의 통제력 상실(2.440) 진술문

    에서 유형 간의 긍정적 차이점이 부각되어 나타난 반면, 식사시간의 TV시청 금지(-2.200)

    나 TV속의 인물을 통한 내 꿈의 구상(-2.207) 진술문에서는 부정적 차이를 두드러지게 보

    인 것으로 분석된다.

    3) 일치하는 항목별 분석

    일치하는 항목별 분석결과, 앞에서 제시한 4개의 주관성 유형에서 긍정적 동의를 표한 Q

    진술문은 총 1개로 나타났고, 부정적 동의 역시 Q진술문 중 1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적어도 1주일에 한 번은 TV시청을 금지할 필요성(표준점수 : 0.47)

    에 긍정적 동의를 표하는 한편, 가정 내 청소년의 TV시청태도에 대한 관심의 부재에 부정적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105

    각 유형 간 일치항목(Consensus Items)과 비중치

    Q 진 술 문 표준점수

    27. 1주일에 한번은 TV시청 없이 친구들과 운동하거나 외부 활동을 한다.

    16. 가정에서 청소년의 TV 시청태도에 관심이 없다.

    0.47

    -0.25

    (* CRITERION = ±1.000)

    동의(표준점수 : -0.25)를 표하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였다. 요컨대, 연구참여자들은 청소

    년들의 TV중독 예방을 위한 가정 내의 관심과 TV시청 외의 활동 등에 긍정적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연구참여자들은 청소년 TV중독의 예방과 대처에 대한 높은 관심

    을 갖고 있고, 중독 극복을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데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5. 결론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관련 전문가 및 교사들의

    주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우

    선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주관성의 유형과 특성, 둘째,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주관성의 차

    이점, 마지막으로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주관성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 그것이다.

    이 연구는 청소년 TV중독에 대한 주관성 사례를 선택하여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들을 도

    출하고자 하였고, 분석결과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유형화할 수 있었다. 우선,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따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제 1유형은 TV 환경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예방을

    위한 TV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비판적 TV활용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2유형은 TV 시청 환

    경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지만, 미디어교육적 예방과 대안에는 관조적인 입장을 보이는 점

    에서 “관조적 TV접근형”으로 구분하였다. 제 3유형은 청소년을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과 미

    디어교육의 체계화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는 “체계적 교육추진형”으로 특징되었다. 마지막

    으로 제 4유형은 TV시청의 장․단점을 활용하여 자가진단과 개선책을 꾀하는 데 긍정적 태

    도를 보이는 “자가 수정형”의 모습을 나타냈다. 요컨대, 이상의 네 가지 유형들, 즉 1유형(5

    명), 2유형(3명), 3유형(4명) 그리고 4유형(2명)(인자가중치 1.0 이상인 사람이 각 유형별로

    4명, 2명, 1명, 1명 등임)은 1유형을 중심축으로 나머지 3유형들이 서로 상이한 특성과 상관

    성을 유지하면서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주관성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따른 주관성의 차이점 분석결과, 제 1, 제 2유형에서는 TV시청 외의

    미디어 활동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일치점을 보이고 있으나, TV드라마의 폭력행위에 대한

    모방에는 이견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 다음 제 1유형과 제 3유형에서는 즉 일

    상생활에서 TV시청과 일의 병행에는 적극적인 일치점을 보이는 반면, TV시청 외의 다른 일

  • 韓國言論學報, 55권 1호 (2011년 2월)·106

    에는 무관심하거나 의존증세를 보이는 태도에는 서로 다른 양상의 부정적 의견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제 4유형에서는 TV 주 시청 시간대의 성인 중심 드라마 편성에 있

    어서는 적극적인 일치점을 보이고 있으나, TV비평이나 제작에 대한 능동적 개입에 대해서

    는 서로 다른 양상의 부정적 의견이 도출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 2, 제 3유형에서는 TV

    에 대한 부모의 부정적 인식(2.687)과 학교에 지각이나 결석을 자주 하는 현상(2.171)에서

    유형 간의 긍정적 차이점이 두드려졌고, TV리터러시 교육의 부재(-2.134)와 TV비평이나

    제작에 대한 능동적 개입(-2.803)에 대한 진술문에서 부정적 차이점이 부각되어 나타났음

    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 2, 제 4유형에서는 TV시청 방해에 대한 폭력적 대응태도

    (2.537)와 TV드라마의 폭력행동 모방(2.264) 진술문에서 유형 간의 긍정적 차이점이 두드

    러지게 나타난 반면, 식사시간의 TV시청 중단(-3.422)과 TV비평과 제작에 대한 능동적 개

    입형(-3.524) 진술문에서는 부정적 차이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 3, 제 4유

    형에서는 TV시청 방해에 대한 폭력적 대응(3.122)과 TV시청 시간의 통제력 상실(2.440)

    진술문에서 유형 간의 긍정적 차이점이 부각되어 나타난 반면, 식사시간의 TV시청 금지

    (-2.200)나 TV속의 인물을 통한 내 꿈의 구상(-2.207) 진술문에서는 부정적 차이를 두드러

    지게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세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청소년들의 TV중독 예방을 위한 가

    정 내의 관심과 TV시청 외의 활동 등에 긍정적 입장을 취하였다. 즉 연구참여자들은 청소년

    TV중독의 예방과 대처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중독 극복을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

    하는 데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전문가 외에 청소년, 학부모, TV방송 제작자 등의 주관성 유형화 및

    특성 분석 등 보다 광범위하고 중층적인 연구참여자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지 못했다는 점

    에 있다. 이처럼 TV중독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종사자들을 연구참여자로 설정할 경우 Q

    방법론을 통한 주관성 연구의 다각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디어의 다중

    적 이용과 TV중독의 문제들에 대한 보다 면밀한 이론적 검토가 필요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TV시청의 문제에 제한을 두었다. 이 주제는 미디어의 다중 이용이 확대되는 현 상황에서 중

    요하기 때문에 보다 집약되고 세분화된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후속 연구에

    서는 보다 더 세밀한 Q 진술문의 구성과 다각적인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의 심층성과 외

    연 확장을 꾀하고자 한다.

    후속 연구를 고려할 때, 이 연구는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을 위한 미디어교육 프로

    그램 개발과 미디어 중독 예방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이 연구는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전문가들의 주관성 유형화를 통해 향후

    보다 다양한 미디어 중독 문제들에 대한 집단별(성별, 연령별, 다문화계층 등) 주관성 유형의

    도출 및 집단별 중독 예방 프로그램들을 개발하는 데 한 줌의 씨앗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107

    ■참고문헌

    가톨릭대학교 고전라틴어연구소 편 (1995).『라틴-한글 사전』. 서울: 가톨릭대학교출판부.

    강진숙․이제영 (2010). 미디어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한국방송학보』, 24권 3호,

    7~47.

    고영삼 (2009).『인터넷 중독 실태 및 정부정책. 성남시 청소년포럼 발제문.김동규․안정임 (1994). 텔레비전 중독에 관한 연구.『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25~147.

    김진웅 (2008). 공영방송의 상업화에 대한 연구.『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일반』, 16권 3호, 31~51.

    김흥규 (1992).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간호학 논문집』, 6권 1호, 1-11.

    김흥규 (1993). Q방법론의 과학정신탐구.『언론학보』 13집, 한양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5-44.

    김흥규 (2008).『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방송통신위원회 (2008).『미디어 중독에 관한 연구.방정배․이영주․정수영 (2008).『미디어 중독의 현황과 향후전망 및 대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보건복지가족부 (2009. 7.).『청소년보호법 및 매체물 관련 법령집』.

    보건복지가족부 (2009).『아동․청소년백서』. 보건복지가족부.

    우형진 (2007). 미디어 이용자의 자아 안정성, 성향적 미디어 이용동기, 플로우 그리고 중독에

    관한 연구.『한국방송학보』, 21권 4호, 101~140.

    우형진․김성벽․성윤숙 (2007).『YP(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