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28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2009. 12 국립환경과학원

Upload: others

Post on 23-May-2020

1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최종보고서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2009. 12

국립환경과학원

Page 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40개 화학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유해물질 분석과 유해특성판정방법 제시 -

2009. 12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age 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연구용역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12월 15일

총괄연구기관 (가천의과학대학교)

연구책임자 ː 민달기

연구보조원 ː 양미희

보 조 원 ː 한정민, 강은영, 정다영, 최은희

공동연구기관 (경기대학교)

연구책임자 ː 이승희

연 구 원 ː 최효현

연구보조원 ː 박헌수

보 조 원 ː 조정호, 조태영

공동연구기관 (세명대학교)

연구책임자 ː 윤석표

연구보조원 ː 오원재

보 조 원 ː 김준환, 오은석, 조흠, 홍근일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age 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목 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범위 및 내용 ·······························································································3

1.2.1 연구범위 ···································································································3

1.2.2 연구내용 ···································································································3

1.2.3 연구의 효과 및 활용방안 ·······································································8

제2장. 주요 국가의 유해폐기물 목록화 ····································································11

2.1 유해폐기물 특성 및 분류 ···············································································11

2.1.1 유해폐기물의 정의 및 종류 ·································································11

2.1.2 유해폐기물의 분류 ················································································14

2.2 외국의 유해폐기물 목록화 ··············································································17

2.2.1 바젤 유해폐기물 분류 및 특성 ···························································17

2.2.2 OECD 유해폐기물 분류 및 특성 ························································36

2.2.3 EU 유해폐기물 목록화 ·········································································43

2.2.4 미국의 유해폐기물 목록화 ···································································52

2.2.5 일본의 유해폐기물 분류 ·······································································72

2.2.6 영국의 유해폐기물 분류 ·······································································77

2.2.7 독일의 유해폐기물 분류 ·······································································82

2.3 우리나라의 유해폐기물 ···················································································84

2.3.1 국내 지정폐기물 ····················································································84

2.3.2 국내 유해 수출입 폐기물의 관리 ························································89

2.4 각국의 유해폐기물 비교 ·················································································93

Page 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2.4.1 국내외 유해폐기물 관리현황 ·······························································93

2.4.1 국내외 유해폐기물 목록간 비교 ··························································95

제3장. 국내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된 유해폐기물 배출특성 분석 ·····················123

3.1 유해폐기물 시료의 채취 및 전처리 ····························································123

3.1.1 유해폐기물 시료의 채취 ·····································································123

3.1.2 유해폐기물 시료의 분석방법 ·····························································131

3.2 무기성 유해물질의 배출특성 ········································································138

3.2.1 규제대상 무기물질의 배출특성 ··························································138

3.2.2 미규제대상 무기물질의 배출특성 ······················································152

3.3 유기성 유해물질의 배출특성 ········································································165

3.3.1 규제대상 유기물질의 배출특성 ··························································165

3.3.2 미규제대상 유기물질의 배출특성 ······················································174

제4장. 국내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된 유해폐기물의 배출목록(안) ···················· 185

4.1 국내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된 폐기물의 배출목록 ··································185

4.2 국내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된 유해폐기물의 목록화(안) ························200

제5장. 결론 ··················································································································205

참고문헌 ······················································································································207

<부록Ⅰ> 미국의 유해폐기물 목록 ··········································································210

<부록Ⅱ> EWC ···········································································································241

<부록Ⅲ> 분석 결과표 ·······························································································256

Page 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표 목 차

[표 1. 1] European Waste Catalogue ‥‥‥‥‥‥‥‥‥‥‥‥‥‥‥‥‥ 5

[표 1. 2] 연구사업 관리계획 ‥‥‥‥‥‥‥‥‥‥‥‥‥‥‥‥‥‥‥‥‥ 8

[표 2. 1] 각국의 폐기물 분류 ‥‥‥‥‥‥‥‥‥‥‥‥‥‥‥‥‥‥‥‥‥ 13

[표 2. 2] 바젤협약 유해특성 목록 ‥‥‥‥‥‥‥‥‥‥‥‥‥‥‥‥‥‥‥ 25

[표 2. 3] 바젤협약의 폐기물 분류 ‥‥‥‥‥‥‥‥‥‥‥‥‥‥‥‥‥‥‥ 29

[표 2. 4] 바젤협약 폐기물목록 A (부속서 Ⅷ) ‥‥‥‥‥‥‥‥‥‥‥‥‥ 30

[표 2. 5] 바젤협약 폐기물목록 B (부속서 Ⅸ) ‥‥‥‥‥‥‥‥‥‥‥‥‥‥ 33

[표 2. 6] 국제 폐기물 분류체계 (IWIC) ‥‥‥‥‥‥‥‥‥‥‥‥‥‥‥‥ 37

[표 2. 7] OECD 폐기물분류 ‥‥‥‥‥‥‥‥‥‥‥‥‥‥‥‥‥‥‥‥‥‥ 39

[표 2. 8] OECD 녹색폐기물 목록 ‥‥‥‥‥‥‥‥‥‥‥‥‥‥‥‥‥‥‥ 41

[표 2. 9] OECD 황색폐기물 목록 ‥‥‥‥‥‥‥‥‥‥‥‥‥‥‥‥‥‥‥ 42

[표 2.10] 유해특성 목록 (H1~H14) ‥‥‥‥‥‥‥‥‥‥‥‥‥‥‥‥‥‥ 46

[표 2.11] Categories of Danger in EU ‥‥‥‥‥‥‥‥‥‥‥‥‥‥‥‥‥ 48

[표 2.12] EU의 폐기물 대분류 및 항목수 ‥‥‥‥‥‥‥‥‥‥‥‥‥‥‥‥ 51

[표 2.13] 미국의 유해폐기물 종류 ‥‥‥‥‥‥‥‥‥‥‥‥‥‥‥‥‥‥‥ 59

[표 2.14] 미국의 목록에 의한 유해폐기물 ‥‥‥‥‥‥‥‥‥‥‥‥‥‥‥ 60

[표 2.15] 일본의 폐기물 4분류 ‥‥‥‥‥‥‥‥‥‥‥‥‥‥‥‥‥‥‥‥ 74

[표 2.16] 영국의 유해폐기물 발생량 ‥‥‥‥‥‥‥‥‥‥‥‥‥‥‥‥‥‥ 82

[표 2.17] 독일의 유해폐기물 발생량 ‥‥‥‥‥‥‥‥‥‥‥‥‥‥‥‥‥‥ 83

[표 2.18] 국내 지정폐기물 ‥‥‥‥‥‥‥‥‥‥‥‥‥‥‥‥‥‥‥‥‥‥ 86

[표 2.19] 허가대상 폐기물 수출입 목록 ‥‥‥‥‥‥‥‥‥‥‥‥‥‥‥‥ 92

[표 2.20] 국내․외 유해폐기물의 관리현황 ‥‥‥‥‥‥‥‥‥‥‥‥‥‥‥ 94

[표 2.21] 국내외 수출․입 통제대상 폐기물의 관리현황 ‥‥‥‥‥‥‥‥‥ 95

[표 2.22] 생산공정별 유해폐기물 분류기준 비교 ‥‥‥‥‥‥‥‥‥‥‥‥ 97

Page 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표 3. 1] 시료채취 대상 사업장 선정 ‥‥‥‥‥‥‥‥‥‥‥‥‥‥‥‥‥ 124

[표 3. 2] EWC 폐기물 시료채취 대상 목록 (대/중분류) ‥‥‥‥‥‥‥‥‥ 125

[표 3. 3] EWC 폐기물 시료채취 대상 목록 (중/소분류) ‥‥‥‥‥‥‥‥‥ 125

[표 3. 4] 시료 채취 현황 ‥‥‥‥‥‥‥‥‥‥‥‥‥‥‥‥‥‥‥‥‥‥‥ 129

[표 3. 5] 채취된 시료의 코드 ‥‥‥‥‥‥‥‥‥‥‥‥‥‥‥‥‥‥‥‥‥ 130

[표 3. 6] 영문 시료코드에 따라서 분석할 항목의 구분 ‥‥‥‥‥‥‥‥‥ 130

[표 3. 7] 분석항목 ‥‥‥‥‥‥‥‥‥‥‥‥‥‥‥‥‥‥‥‥‥‥‥‥‥‥ 131

[표 3. 8] 분석내용 및 항목 ‥‥‥‥‥‥‥‥‥‥‥‥‥‥‥‥‥‥‥‥‥‥ 132

[표 3. 9] 항목별 무기성 유해물질 용출시험방법 ‥‥‥‥‥‥‥‥‥‥‥‥ 134

[표 3.10] 항목별 무기성 유해물질 함량시험방법 ‥‥‥‥‥‥‥‥‥‥‥‥ 135

[표 3.11] 항목별 유기성 유해물질 시험방법 ‥‥‥‥‥‥‥‥‥‥‥‥‥‥ 136

[표 3.12] 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 139

[표 3.13] 공정별 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 142

[표 3.14] 폐기물별 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 143

[표 3.15] 미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 152

[표 3.16] 공정별 미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 155

[표 3.17] 폐기물별 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 156

[표 3.18] 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 166

[표 3.19] 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 169

[표 3.20] 비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 174

[표 3.21] 공정별 비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 177

[표 3.22] 폐기물별 비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 178

[표 3.23] 측정시료의 농도검출 시료수 ‥‥‥‥‥‥‥‥‥‥‥‥‥‥‥‥‥ 183

[표 4. 1] 유해물질 함유 폐기물 배출목록(안) - 용출 ‥‥‥‥‥‥‥‥‥‥ 186

[표 4. 2] 유해물질 함유 폐기물 배출목록(안) - 함량 ‥‥‥‥‥‥‥‥‥‥ 193

[표 4. 3] 유해폐기물 목록화(안) ‥‥‥‥‥‥‥‥‥‥‥‥‥‥‥‥‥‥‥‥ 201

[표 5. 1] 유해폐기물 배출목록 요약 ‥‥‥‥‥‥‥‥‥‥‥‥‥‥‥‥‥‥ 206

Page 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그 림 목 차

[그림 1. 1] 연구관리 추진체계도 ‥‥‥‥‥‥‥‥‥‥‥‥‥‥‥‥‥‥‥ 7

[그림 2. 1] 바젤협약 폐기물의 범위 ‥‥‥‥‥‥‥‥‥‥‥‥‥‥‥‥‥‥ 22

[그림 2. 2] Hazardous Waste Assessment Methodology in EU ‥‥‥‥‥ 45

[그림 2. 3] 미국의 폐기물 분류 ‥‥‥‥‥‥‥‥‥‥‥‥‥‥‥‥‥‥‥‥ 58

[그림 2. 4] 유해폐기물 목록에 의한 확인체계 ‥‥‥‥‥‥‥‥‥‥‥‥‥ 69

[그림 2. 5] 유해폐기물 독성에 의한 확인체계 ‥‥‥‥‥‥‥‥‥‥‥‥‥ 71

[그림 2. 6] 일본의 폐기물 분류 체계 ‥‥‥‥‥‥‥‥‥‥‥‥‥‥‥‥‥ 72

[그림 2. 7] 수출입 규제대상의 구분 ‥‥‥‥‥‥‥‥‥‥‥‥‥‥‥‥‥‥ 75

[그림 2. 8] 일본 바젤법의 규제대상 물질 판별법 ‥‥‥‥‥‥‥‥‥‥‥‥ 76

[그림 2. 9] 유해성에 따른 국내 수출입 폐기물의 판단근거 ‥‥‥‥‥‥‥ 90

[그림 3. 1] 기초 유기화학 공정 (07 01공정) ‥‥‥‥‥‥‥‥‥‥‥‥‥‥ 127

[그림 3. 2] 합성 섬유 제조공정 (07 02공정) ‥‥‥‥‥‥‥‥‥‥‥‥‥‥ 127

[그림 3. 3] 살충제 및 화약류 제조공정 (07 04공정) ‥‥‥‥‥‥‥‥‥‥‥ 128

[그림 3. 4] 항목별 무기성 유해물질 용출시험방법 흐름도 ‥‥‥‥‥‥‥‥ 134

[그림 3. 5] 항목별 무기성 유해물질 함량시험방법 흐름도 ‥‥‥‥‥‥‥‥ 135

[그림 3. 6] 항목별 유기성 유해물질 함량시험방법 흐름도 ‥‥‥‥‥‥‥‥ 137

[그림 3. 7] 규제대상 무기물질(Cu) 발생특성 ‥‥‥‥‥‥‥‥‥‥‥‥‥‥ 144

[그림 3. 8] 규제대상 무기물질(Pb) 발생특성 ‥‥‥‥‥‥‥‥‥‥‥‥‥‥ 145

[그림 3. 9] 규제대상 무기물질(Cd) 발생특성 ‥‥‥‥‥‥‥‥‥‥‥‥‥‥ 146

[그림 3.10] 규제대상 무기물질(T-Cr) 발생특성 ‥‥‥‥‥‥‥‥‥‥‥‥‥ 147

[그림 3.11] 규제대상 무기물질(Cr+6) 발생특성 ‥‥‥‥‥‥‥‥‥‥‥‥‥ 148

[그림 3.12] 규제대상 무기물질(Hg) 발생특성 ‥‥‥‥‥‥‥‥‥‥‥‥‥‥ 149

[그림 3.13] 규제대상 무기물질(As) 발생특성 ‥‥‥‥‥‥‥‥‥‥‥‥‥‥ 150

Page 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그림 3.14] 규제대상 무기물질(CN) 발생특성 ‥‥‥‥‥‥‥‥‥‥‥‥‥‥ 151

[그림 3.15] 미규제대상 무기물질(Ni) 발생특성 ‥‥‥‥‥‥‥‥‥‥‥‥‥ 157

[그림 3.16] 미규제대상 무기물질(Zn) 발생특성 ‥‥‥‥‥‥‥‥‥‥‥‥‥ 158

[그림 3.17] 미규제대상 무기물질(Ba) 발생특성 ‥‥‥‥‥‥‥‥‥‥‥‥‥ 159

[그림 3.18] 미규제대상 무기물질(Be) 발생특성 ‥‥‥‥‥‥‥‥‥‥‥‥‥ 160

[그림 3.19] 미규제대상 무기물질(Sb) 발생특성 ‥‥‥‥‥‥‥‥‥‥‥‥‥ 161

[그림 3.20] 미규제대상 무기물질(Se) 발생특성 ‥‥‥‥‥‥‥‥‥‥‥‥‥ 162

[그림 3.21] 미규제대상 무기물질(V) 발생특성 ‥‥‥‥‥‥‥‥‥‥‥‥‥‥ 163

[그림 3.22] 미규제대상 무기물질(F) 발생특성 ‥‥‥‥‥‥‥‥‥‥‥‥‥‥ 164

[그림 3.23] 규제대상 유기물질(Oil) 발생특성 ‥‥‥‥‥‥‥‥‥‥‥‥‥‥ 170

[그림 3.24] 규제대상 유기물질(Org.-P) 발생특성 ‥‥‥‥‥‥‥‥‥‥‥‥ 171

[그림 3.25] 규제대상 유기물질(TCE) 발생특성 ‥‥‥‥‥‥‥‥‥‥‥‥‥ 172

[그림 3.26] 규제대상 유기물질(TeCE) 발생특성 ‥‥‥‥‥‥‥‥‥‥‥‥‥ 173

[그림 3.27] 비규제대상 유기물질(PCBs) 발생특성 ‥‥‥‥‥‥‥‥‥‥‥‥ 179

[그림 3.28] 비규제대상 유기물질(HCB) 발생특성 ‥‥‥‥‥‥‥‥‥‥‥‥ 180

[그림 3.29] 비규제대상 유기물질(PAHs) 발생특성 ‥‥‥‥‥‥‥‥‥‥‥‥ 181

[그림 3.30] 비규제대상 유기물질(PCDD/PCDFs) 발생 ‥‥‥‥‥‥‥‥‥‥ 182

Page 1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 -

제1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내 폐기물관리는 1986년에 통합․제정된 폐기물관리법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폐기물관리법 제정법은 1961년에 제정된 오물청소법과 1977년에 제정된 환경보

전법의 「제8장 산업폐기물」을 통합하여 만들어졌으며, 곧 이어 1991년에 폐기

물관리법 제1차 전문개정과, 이후 연이은 수차례 개정으로 현재와 같은 법률 체

계를 유지하였다. 큰 틀에서 평가할 때, 현재 국내 폐기물관리는 다양하게 잘 관

리되고 있다고 평가된다. 한 때 전세계적으로 폐기물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비

위생매립지를 운영한 적도 있었으나, 1991년 이후 꾸준한 정책반영으로 인하여

현재는 선진국 수준인 1㎏/인/일의 폐기물 발생원단위를 보이고 있으며, 안정된

수거체계와 다변화된 처리/처분시설을 확보함으로써 폐기물관리 선진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돋보이는 면은, 다양한 폐기물 분리배출

체계의 운영과, 폐기물 정책의 다변화 및 순응성 적용, 전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폐기물 재활용율 및 저탄소 녹색성장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순환자원에 대한 정

책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IT 강국답게 2008년 8월 4일을 기하여 모든 종류의

사업장폐기물은 전산입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운영체계는 여러 국가의 귀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과 생활폐기물의 양분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

폐기물관리법에서는 유해폐기물(hazardous waste)에 대한 명칭을 시기별로, 특정

유해산업폐기물 → 특정산업폐기물 → 특정폐기물 → 지정폐기물(specified

waste)로 정하였다. 유해성 폐기물의 명칭에 대한 정의로부터 혼란이 야기되었으

Page 1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 -

며, 국내 유해폐기물은 폐기물관리법 이외에도, 타 법률에서도 산재하여 관리하

고 있다. 그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일명 ‘국내 바젤폐기물’을 관리

하는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이며, 현재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

처리에관한법률에서는 국가간 이동 통제 대상 폐기물에 대해서 지방(유역)환경청

장으로부터 사전 수출입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폐기물의 분류 및 정

의나 통제대상 목록이 국가별로 상이함에 따라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통제가 다

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외에도 폐유독물을 관리하는 유해화

학물질관리법과 폐기물부담금 품목을 관리하고 있는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등

에관한법률 등이 유해폐기물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즉, 국내 유해폐기물을 적정하게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는 쉬운 작업은 아니지

만, 근본적으로 폐기물 분류체계를 개선하는 방법밖에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미

국은 발생원 및 유해성분에 의해 유해폐기물을 분류하여 코드화하고, 비목록화

폐기물은 반응성, 용출특성 등 유해특성을 확인하여 유해폐기물여부를 판정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은 함유된 유해물질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독성․위해성)을

고려하여, 발생공정, 폐기물 성상, 유해특성 등에 의해 유해폐기물을 목록화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국제적 동향에 발맞추어 폐기물

분류를 업종별․공정별, 유해성분, 유해특성 등에 의해 명확히 분류함으로써 인

간에 미치는 영향에 의해 유해폐기물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고려하여 유해폐기

물 목록을 세분화함으로써 폐기물 분류의 오류를 방지하고 분류번호에 의해 폐

기물 특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U, 미국 등 선진국의 유해 폐기물 목록을 조사하여,

국내 공정별 발생폐기물 조사대상 사업장을 선정하고, 40여개 화학공정의 유해폐

기물 시료를 채취하여, 유해물질의 함량과 용출량을 분석함으로써, 조사업종의

유해폐기물 목록(초안)을 작성하고, 발생업종, 발생공정, 성상 등으로 유해폐기물

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폐기물의 판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Page 1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3 -

1.2 연구 범위 및 내용

1.2.1 연구범위

1.2.1.1 시간적 범위

○ 과업기간 ː 계약일로부터 10개월 (2009. 2. 16 ~ 2009. 12. 15)

○ 기준년도 ː 정책, 제도, 법령 등의 시간적 기준은 2009년 현재를 기준으로,

국내 폐기물관리(각종 자료) 현황 등은 2007년도 말을 기준으로 한다.

1.2.1.2 공간적 범위

○ 국내 폐기물 분류기준 및 분석방법

○ 일본, 독일, 미국의 폐기물 분류기준 및 유해성 판정기준

1.2.1.3 내용적 범위

○ EU, 미국 등 선진국의 유해 폐기물 목록의 조사

○ 공정별 발생폐기물 조사 대상 사업장 선정

○ 화학공정 40개의 유해폐기물 시료 채취 및 함량 및 용출량 분석

○ 조사업종의 유해폐기물의 목록화(초안) 제시

1.2.2 연구내용

1.2.2.1 공정별 발생폐기물 조사를 위한 사업장 선정

Page 1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4 -

○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등 40개 공정 (EWC 07 대상, [표 1.1]

참조)

○ 유럽연합 유해폐기물목록(EWC) 및 바젤협약 목록을 기초로 한국환경자원

공사 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의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자료와, 생산 공

정을 고려하고 통계학적 기법 이용하여 사업장을 선정

- 지정폐기물에 해당되는 폐기물은 기존 유해물질 분석자료를 검토하여 코

드를 부여하는 등 스크리닝

1.2.2.2 폐기물의 배출특성 조사 및 시료채취

○ 선정한 사업장의 현지를 방문하여 폐기물의 배출특성 조사 및 폐기물 발생

공정별과 유해특성을 고려하여 시료채취

- 폐기물 배출공정에서 200건 이상 시료채취 : 각 공정별 5건 이상 × 40

공정

○ 기존 분석자료 수집

1.2.2.3 폐기물 중 유해물질 시험분석

○ 유해물질 함유 폐기물의 공정 및 종류에 따라 분석항목을 선정하여 분석

- 무기금속물질류 Cd 등 15종, 유기물질류 TCE 등 8종에 대한 용출량 및

함량 분석

1.2.2.4 폐기물 중 유해물질 분석결과 비교 검토

○ 폐기물 배출업종의 공정별, 폐기물 종류별 유해물질 분석 함량 및 용출량

비교 분석

○ 유해성분 발생범주, 함유성분의 함량과 용출량 등 유해성 비교 검토

Page 1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5 -

[표 1.1] European Waste Catalogue

분류공정

대 중/세

07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07 07 01 기본 유기화학물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1 01 수성세척액 (aqueous washing liquids and mother liquors)07 01 03 할로겐 유기용제, 세척액07 01 04 기타 유기용매, 세척액07 01 07 할로겐족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1 08 기타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1 09 할로겐족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1 10 기타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1 11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7 02 합성수지, 고무, 섬유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2 01 수성세척액 (aqueous washing liquids and mother liquors)07 02 03 할로겐 유기용제, 세척액07 02 04 기타 유기용매, 세척액07 02 07 할로겐족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2 08 기타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2 09 할로겐족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2 10 기타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2 11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기물07 02 14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첨가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07 02 16 위험한 실리콘을 함유한 폐기물

07 07 03 유기염료 및 안료(06 11 제외)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3 01 수성세척액 (aqueous washing liquids and mother liquors)07 03 03 할로겐 유기용제, 세척액07 03 04 기타 유기용매, 세척액07 03 07 할로겐족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3 08 기타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3 09 할로겐족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3 10 기타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3 11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7 04유기성 살충제(020108, 020109제외), 목재방부제(0302제외), 기타 살생물제

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4 01 수성세척액 (aqueous washing liquids and mother liquors)07 04 03 할로겐 유기용제, 세척액07 04 04 기타 유기용매, 세척액07 04 07 할로겐족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4 08 기타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4 09 할로겐족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4 10 기타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4 11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기물07 04 13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고형폐기물

Page 1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6 -

분류공정

대 중/세

07 07 05 의약품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5 01 수성세척액 (aqueous washing liquids and mother liquors)07 05 03 할로겐 유기용제, 세척액07 05 04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07 05 07 할로겐족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5 08 기타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5 09 할로겐족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5 10 기타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5 11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기물07 05 13 위험한 물질 M을 함유한 고형폐기물

07 07 06 지방, 유지, 비누, 세제, 살균제, 화장품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6 01 수성세척액(aqueous washing liquids and mother liquors)07 06 03 할로겐 유기용제, 세척액07 06 04 기타 유기용매, 세척액07 06 07 할로겐족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6 08 기타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6 09 할로겐족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6 10 기타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6 11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7 07 정밀화학약품과 기타 불특정 화학약품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7 01 수성세척액(aqueous washing liquids and mother liquors)07 07 03 할로겐 유기용제, 세척액07 07 04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07 07 07 할로겐족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7 08 기타 침전물 및 반응 잔류물07 07 09 할로겐족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7 10 기타 여과케이크와 폐흡수제07 07 11 위험한 물질을 함유한 폐수처리 시 발생하는 폐기물

1.2.2.5 EU, 미국 등 선진국의 유해 폐기물 목록의 운영실태 조사

○ 목록화 추진배경 및 논의 사항, 현재 개선을 추진 중인 내용 등

○ EWC 2002(European Waste catalogue 2002) 및 IWIC의 적용 현황

○ 국제기구의 유해폐기물 및 국내 지정폐기물의 목록 비교

- 바젤협약, OECD 등 유해폐기물 배출목록(생산․공정별) 조사

Page 1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7 -

1.2.2.6 유해폐기물의 목록화(안) 제시

○ 폐기물 분석결과와 선진국 자료 등을 검토하여, 유해폐기물 배출목록 세분

(안) 작성 제시

○ 배출공정별로 유해물질 함량 및 농도가 변하는 경우의 유해폐기물 판정방

법 제시

유해폐기물 목록 조사한 국 표 준

산 업 분 류

ENVICO

적법처리시스템

선 진 국

한국일본 EU 미국

공정별 발생폐기물

조사 대상 사업장 선정

∙각국 유해폐기물의 발생원과 발생

공정, 폐기물 유해성 평가기법 및

목록 운영실태 조사

∙40개 유기화학공정의 배출특성

조사 및 유해폐기물 시료 채취

∙용출농도/함량 분석 등 유해물질

시험분석

유기화학공정 업종의 유해폐기물 목록(안) 제시

∙ 폐기물 분석결과와 선진국 자료 등을 검토하여, 유해폐기물 배출목록 세분

안 작성 제시

∙ 배출공정별로 유해물질 함량 및 농도가 변하는 경우의 유해폐기물 목록화

방법 제시

[그림 1.1] 연구관리 추진체계도

Page 1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8 -

[표 1.2] 연구사업 관리계획

단위사업 연구개발내용 및 범위 가중치 평가의 착안점 및 척도

폐기물중

유해물질

분석

▪공정별 발생폐기물 조사를 위

한 사업장 선정10%

적법처리시스템에 등재된 지정폐기물

배출업소중 5배수 사업장 도출

▪폐기물의 배출특성 조사 및

시료채취10%

(08)유기업종의 유해폐기물 배출특성

조사 및 시료채취

▪폐기물중 유해물질 시험분석 50%무기물 15종, 유기물 8종을 전처리,

분석

유해폐기물

목록화

▪폐기물중 유해물질 분석결과

비교 검토10%

분석된 폐기물 유해성분의 분석 및

목록화를 위한 비교

▪선진국 유해폐기물 목록 운영

실태 조사10%

미국, 일본, EU의 유해폐기물 목록 운

영실태 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안) 제시 10%선진국형 폐기물관리를 위한 유해폐

기물 목록화(안) 제시

1.2.3 연구의 효과 및 활용방안

따라서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2.3.1 연구의 기대효과

○ 유해폐기물 배출 업종별, 공정별 유해성분, 유해특성을 조사하여 국가차원

의 유해폐기물 목록 DB를 구축하고 폐기물 분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목록화(안) 제시

○ 유해폐기물의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관리체계 구축으로 폐기물 정책에 대한

신뢰성 제고

○ 공정별 발생폐기물 평가

Page 1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9 -

○ 유해폐기물 코드체계 확립

1.2.3.2 연구의 활용방안

○ 새로운 시각에서 유해폐기물을 분류하고 목록화하는데 활용

○ 발생 업종, 발생 공정, 폐기물 성상 등으로 유해폐기물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방법 마련

Page 1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Page 2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1 -

제2장. 주요 국가의 유해폐기물 목록화

2.1 유해폐기물 특성 및 분류

2.1.1 유해폐기물의 정의 및 종류

2.1.1.1 유해폐기물(hazardous waste)의 정의

일반적으로 유해폐기물은 R, I, C, T의 특성을 갖는 폐기물을 말한다. R은

reactivity(반응성)의 약어이고, I, C, T는 각각 ignitability(인화성), corrosivity(부

식성), toxicity(독성) 또는 EP toxicity(용출독성)을 의미한다. 폐기물들이 R, I, C,

T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지니고 있을 때, 관례상 국제적으로 유해폐

기물이라고 정의한다.

⑴ WHO에 의한 유해폐기물의 정의

단기적인 위해와 장기적인 위해를 미치는 폐기물로써,

① 단기적인 위해는 섭취, 호흡 및 피부나 눈에 접촉될 경우 급격한 독성현상

을 일으키거나 부식현상을 나타내거나 화재의 유발, 폭발가능한 물질을 말

하며,

② 장기적인 위해는 장기적인 접촉에 의한 만성적인 독성유해를 미치거나, 발

암물질이거나, 생물분해에 의한 독성물질의 제거작용을 저해하는 물질, 지

하수, 지표면, 토양 등을 오염시키거나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말한다

Page 2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2 -

⑵ 미국, 자원보전과 재활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유해폐기물의 정의

유해폐기물은 고체, 액체 및 용기내의 가스 또는 반고체 상태의 폐기물로써

부적정하게 운반, 저장, 처리할 경우 그 양이나 농도 또는 물리, 화학적 특성과

전염성에 의하여,

① 사망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거나 치유될 수 없는 질병을 유발하거나,

② 인체나 주위환경에 실질적으로 위해를 주거나 위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물질을 말한다

2.1.1.2 유해폐기물의 종류

⑴ 유해폐기물의 종류

일반적으로 유해폐기물로는, 방사성물질, 유독화학물질, 생물학적 폐기물, 인

화성물질, 폭발성물질 등을 포함한다. 그 중 생물학적 폐기물은 의료(감염성)폐기

물에 국한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방사성폐기물은 과학기술부의 원자력법에 의

하여 관리되고 있다.

① 방사성 물질 (radioactive substances)

② 유독 화학물질 (toxic chemicals)

․합성 유기물 (synthetic organic)

․무기성 금속, 염, 산과 염기 (inorganic metals, salts, acids and bases)

․인화물질 (flammables)

․폭발물 (explosives)

③ 생물학적 폐기물 (biological wastes)

․병원 및 생물학적 연구시설에서 배출된 폐기물

(hospital and biological research facilities wastes)

④ 인화성 폐기물 (flammable wastes)

․유기 용매, 유류, 가소성 물질, 유기 오니

(organic solvents, oils, plasticizers, organic sludges)

Page 2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3 -

⑤ 폭발물 (explosives)

⑵ 각국의 유해폐기물 분류

각국은 [표 2.1]에서와 같은 분류기준을 마련하여 유해폐기물을 관리하고 있

다. 미국은 유해폐기물과 고형폐기물로 구분하고 있으며, 프랑스와 독일 등 EU

국가들은 업종별, 공정별로 폐기물을 분류하여 유해성이 있는 절대유해폐기물

(Absolute Entry) 및 상대유해폐기물(Mirror Entry)로 구분하고 있다. 일본의 경

우에는 일반폐기물, 산업폐기물로 구분하고 있으묘, 다시 각각 특별관리폐기물과

일반관리폐기물로 재분류하고 있다.

[표 2.1] 각국의 폐기물 분류

국 가 유해폐기물의 종류

미 국

․유해폐기물 (hazardous waste)

① 목록화 ② 유해특성 (R, I, C, T)

․고형폐기물 (solid waste)

E U

․유해폐기물 (hazardous waste)

- 절대유해폐기물(absolute entry), 상대유해폐기물(mirror entry)

․일반 폐기물 (general waste)

일 본

․일반폐기물 (general waste)

- 특별관리일반폐기물, 일반폐기물

․산업폐기물 (industrial waste)

- 특별관리산업폐기물, 일반산업폐기물

․航行폐기물

한 국

․생활폐기물 (general waste)

․사업장폐기물 (industrial waste)

- 사업장생활계폐기물,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건설폐기물, 지정폐기물

Page 2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4 -

2.1.2 유해폐기물의 분류

폐기물 분류체계를 확립하는 것은 폐기물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

려는 국가환경계획의 첫 단계이다. 국가폐기물 목록은 폐기물을 관리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폐기물관련 법률에 의한 관리대상 범위를 정의하는데 꼭 필요하다. 또

한 국가폐기물 목록은 수출입되어 국가간에 이동하는 폐기물을 제어하기 위한

범위, 이동하는 동안에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폐기물의

적절한 관리, 취급되는 폐기물의 특성에 적합한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처리되도록

규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많은 국가들은 바젤협약이나 OECD 위원회

결정과 같은 국제협약하에서 폐기물의 발생과 국가간의 이동에 관한 보고를 하

게 되며, 이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국가폐기물 목록이나 분류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모든 국가들은 국제적으로 보고를 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표준양

식의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폐기물 목록이나 분류체계를 개발할 때

에는 이러한 국제적인 보고양식을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1.2.1 폐기물 분류방법

정부와 기업은 폐기물 흐름에 부합한 규칙이나 지침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

다. 규칙이나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폐기물을 분류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이 3가

지 분류체계가 있다.

⑴ 목록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체계

목록을 기준으로 하는 대표적인 분류체계는 유해폐기물에 관한 EC 지령을

들 수 있다. 정부는 폐기되거나 재활용 또는 최종처분될 때 유해하다고 판단되는

물질의 목록을 작성한다. 이와 같이 목록에 첨가된 물질은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

으로 하여 작성되며, 이는 실질적 또는 잠재적으로 폐기물 흐름에 심각한 위해성

을 갖게 된다. 또한 목록화된 폐기물에는 농도를 한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높

Page 2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5 -

은 농도에서는 유해하지만, 저농도에서는 무해한 폐기물이 있기 때문에, 최근 바

젤에서는 유해농도의 최소 수준을 설정하였다. 이 체계의 장점은 개인이나 기업

이 개별 폐기물에 대한 유해기준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따라

서 주어진 폐기물이 목록에 기재되어 있다면, 그 폐기물은 유해한 것이므로 곧

바로 통제되어야 한다. 이 체계의 단점은 유해폐기물 목록을 기술적으로 개발하

고 관리하는데 수반하여 행정적인 노력이 투입된다는 것이다. 유해폐기물 목록은

폐기물의 범위를 통제하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⑵ 유해성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체계

이 체계는 주어진 폐기물 흐름 내에서 실제적인 유해성에 초점을 맞추는 방

식이다. 이 방식은 북미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OECD 위원회 결정 C(88)90의

표5와 바젤협약에서 사용된다. 정부는 폐기물에 대한 정의를 확립하고, 각각의

폐기물 흐름의 유해성을 평가할 일련의 실험방법과 기준을 마련한다. 이후 기업

체들은 자신들이 발생시킨 폐기물의 유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실험

해야 할 의무를 진다. 이 방법의 단점은 개별 폐기물 흐름의 평가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유해폐기물의 목록이 없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소요

된다는 것이며, 또는 주어진 폐기물의 유해성을 평가하는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려

운 과정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기업체가 자신들이 발생시킨 폐기물이 유해한 지

를 자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유해한 폐기물일지라도 특별한

상황하에서는 유해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기업체가 증명하도록 하는 유연

성이 있다는 것이다.

⑶ 목록과 유해성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체계

두 가지 방법의 이점을 극대화하고 평가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

되는 방법으로써, 정부는 유해하다고 알려진 폐기물과 폐기물 성분의 목록을 개

발하고, 복잡한 폐기물 흐름과 목록화되어 있지 않은 성분에 대해서는 유해성 기

준에 대한 시험을 요구한다. 이 체계는 시험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주어진 폐

Page 2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6 -

기물 흐름이 유해한 지를 결정하는 시험에 대한 유연성을 허용한다. 이 방식을

사용하는 국가로는 캐나다가 있으며, 사용하는 기준은 바젤협약과 위험물질의 운

송에 관한 UN 권고하에서 확립된 분류체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분류체계에 대한 보완작업을 계속하여, 폐기물의 정의와 기준을 새롭게 작성하였

고 주정부와 연방정부가 조화를 이루게 되었다.

2.1.2.2 유해폐기물 목록

폐기물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폐기물 분류체계가 확립되어야 하며, 데이터

수집, 데이터 편집, 데이터 보고 등의 3가지 요인이 수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해폐기물 관리에 있어서 통제와 입법을 위한 수단으로 폐기물 발생목록을 작

성하는 것이 용이한 방법이며, 수집단계에서 사용된 폐기물 범주가 더 자세하고

정밀할 수록 데이터의 활용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

은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비용과 데이터 활용도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또한 정보의 최종 사용목적에 따라서 데이터 편집과 데이터 보고 방식이

결정된다. 매우 세세한 범주의 폐기물 흐름을 보다 포괄적인 방식으로 통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은 최근의 캐나다 유해폐기물 목록작성을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기본 정의와 기준이 국가유해폐기물 발생목록의 범위로 사용되었다. 이 목

록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발생 데이터를 폐기물 성상에 따라 폐기물이 발생된

주와 기업체에 곧 바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2.1.2.3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단계

폐기물 분류체계를 확립시키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하여 진행된다.

① 폐기물 목록 및 분류체계를 개발하려는 목적을 분명하게 한다.

② 상기 3가지 분류체계 중에서 가장 적합한 분류방법을 선택한다.

Page 2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7 -

③ 분류목록이나 체계를 새롭게 개발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시간, 노력이 요구

되므로, 타 국가나 국제협약에서 기개발된 분류체계의 요소들을 채택하는

곳을 고려한다.

④ 기술적인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는다.

⑤ 새로운 유해폐기물 분류체계를 작성한 후에는, 개발된 분류체계를 효과적으

로 시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한 홍보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⑥ 목록이나 분류체계를 사용하는 도중, 주기적으로 재조사를 위한 기구를 마

련하여야 한다.

2.2 외국의 유해폐기물 목록화

2.2.1 바젤 유해폐기물 분류 및 특성

2.2.1.1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

⑴ 협약명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

(Base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s of

Hazardous Wastes and their Disposal)

⑵ 협약의 배경 및 필요성

1987년 10월 아이티 상공부는 한 비료회사에 비료 수입허가서를 발부하였으

나 실제 선적된 것은 미국 필라델피아주의 독성 도시폐기물 소각로에서 발생된

Page 2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8 -

약 14,000톤의 소각재였다. 1988년 1월 아이티 정부는 이 소각재를 국외로 반출

하도록 명령하였으나 이행되지 않고 해변에 방치하여 약 3,000톤의 소각재가 해

수에 흘러 들어가 해변을 오염시킨 사건이 발생하였다. 최근 들어 선진국에서 자

국의 엄격한 규제를 피하여 유해폐기물을 중남미 및 아프리카 등 후진국에 밀수

출 또는 매각하는 유해폐기물의 부적정 처리로 인한 환경오염이 국제 문제화되

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즉, 유해폐기물의 교

역 최소화와 불법교역 방지, 폐기물 이동시 수출입국간의 협조체제 구축으로 유

해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⑶ 협약의 정의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불법이동에 따른 지구 규모의 환경오염 방지와 개도국

의 환경친화사업을 지원할 목적으로 UNEP와 세계환경단체들이 1983년 3월 스위

스 바젤(Basel)에서 채택한 협약이다.

⑷ 협약의 추진경위

○ ’87. 6 유엔환경계획(UNEP) 제14차 집행이사회에서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교역통제에 관한 협약을 결성토록 결의 (카이로선언)

○ ’87. 12 유엔총회에서 협약마련을 재결의

○ ’88.2~’98.3 제1차 ~ 제5차 실무회의 개최

○ ’89. 3. 22 22일 스위스 바젤에서 UNEP(United Nation Environment Plan)

가 전권 대표회의 개최 및 바젤협약 채택

- 협약서명국 : 멕시코, 네덜란드, 프랑스 등 36개국

- 최종의정서 서명국 : 한국, 북한, 일본, 미국 등 105개국

○ ’89. 5. 22 협약 발효

○ ’92. 12. 3~4 제1차 당사국 회의 (우루과이 피리아폴리스)

회수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선진국에 의한 최종 처

리용 유해폐기물의 개도국 이동 금지 등 23개 결정 사항 채택

Page 2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9 -

○ ’93. 3. 31~25 제2차 당사국 회의 (스위스 제네바)

바젤협약 대상폐기물의 환경적 건전관리를 위한 기술지침, OECD 국가에

서 비OECD 국가로의 유해폐기물 이동금지 등 27개 결정 사항 채택

○ ’95. 9. 18~22 제3차 당사국 회의 (스위스 제네바)

협약 개정 등 27개 결정 사항 채택

○ ’98. 2. 23~27 제4차 당사국 회의 (말레이지아 쿠칭)

협약 부속서 개정

○ ’02. 12. 9~15 제6차 당사국 회의 (스위스 제네바)

바젤협약 이행을 위한 10년간 전략계획 및 폐기물의 환경친화적 관리

(ESM)에 관한 바젤선언

⑸ 협약 발효

’92.2.5 호주가 20번째로 비준서를 기탁하였으며, “20개국 이상이 비준 등의

적법한 절차를 거쳐 관계문서를 기탁한 날로부터 90일이 경과하면 효력이 발생

한다”는 협약 25조의 규정에 따라 ’92.5.5 협약이 발효됨.

① 최초 협약 서명국

1989년 3월 22일 현재 아프가니스탄, 바레인, 벨기에, 볼리비아, 캐나다, 콜

롬비아, 시프러스, 덴마크, 에쿠아도르, EU, 필란드, 프랑스, 그리스, 과테말라, 하

이티, 헝가리, 이스라엘, 이태리,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리히텐스타인, 룩셈브

르그,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파나마,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스

페인, 스웨덴, 스위스, 터키, 아랍에미레이트, 베네주엘라 등 36개국

② 최종 의정서 서명국

2005년 5월 현재 한국, 미국(1990.3.22), 일본 등 168개국

③ 최종 협약 가입국

○ 170개국 1기구 (’2008. 8월 현재)

○ 미비준국(→미가입국)

아프카니스탄, Haiti(아이티서인도제도), 미국, 대만, 북한

Page 2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0 -

※ 바젤협약 가입국가 현황(참고자료 www.basel.int 참조)

⑹ 우리나라의 협약가입

① 바젤협약은 유해폐기물의 수출입을 통제하여 유해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나라 유해폐기물 관리정책과 일치

- 동 협약가입시 유해폐기물 수출입의 효율적인 통제가 가능

-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증대 측면에서 가입을 추진함이 바람직

② 협약가입일 ː ’94. 2. 28

③ 협약발효일 ː ’94. 5. 29

- 가입서 기탁 후 90일 이후 효력발생, 국내법 동시발효

④ 협약과 관련한 국내법의 제정

- 1992년 12월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 제정(법률제4534호)

- 1994년 5월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 시행령 제정

- 1994년 12월 동법 적용대상 폐기물의 품목 고시

2007년 12월 24일 적용대상 폐기물 품목 최종 고시 (제4차 개정)

* 국내주무부처(Competent Authority) : 한강유역환경청 등 7개 환경청

환경부 연락관(Focal Point) :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

2.2.1.2 바젤협약의 주요내용

⑴ 협약구성

전문, 본문 29조 및 9개의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다.

⑵ 전문

유해폐기물의 교역최소화 및 유해폐기물 수출입국간의 협조체계 구축으로 유

해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Page 3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1 -

⑶ 본문

① 협약의 범위 (제1조)

국가간이동 통제대상 폐기물은 부속서 Ⅲ에 포함된 특성과 부속서 Ⅰ에

포함된 폐기물, 수출․수입 및 경유 당사자의 국내법에 의하여 유해폐기물

(Hazardous Wastes)로 정의되거나 간주되는 폐기물이다. 이러한 유해폐기물은

부속서 I에 나타낸 의료폐기물․폐광물유 등 18개 범주의 폐기물과 구리화합

물․유기용제류 등 27종의 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등 45개 범주의 폐기물, 부속서

Ⅷ에 나타낸 제4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한 폐기물 품목 59종, 그리고 부속서 Ⅱ

에 나타낸 기타 폐기물(Other Wastes)로 가정폐기물 및 그 소각잔재물 등 2종이

이에 속한다. 통제대상이 아닌 비유해폐기물은 제4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한 비

유해폐기물 품목 53종으로 부속서 Ⅸ에 나타내었다. 그러나 방사성폐기물, 선박

운용과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등 다른 국제적 규제체계의 적용을 받는 폐기물

은 동 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2007년 현재 폐유․폐유기용제․

PCB 함유폐기물․하수슬러지 등 86종의 폐기물을 통제대상으로 고시하고 있다.

○ 규제대상폐기물을 47종으로 하여 관리

- 유해폐기물(Hazardous Wastes) : 병원발생폐기물 등 18종류와 구리화

합물 등 27종의 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등 45종(부속서Ⅰ)

- 기타폐기물(Other Wastes) : 가정폐기물 및 그 연소 잔재물 등 2종(부

속서Ⅱ)

② 협약국의 일반적 의무사항 (제4조)

폐기물의 수입을 금지하는 당사자는 수입금지 폐기물의 품목을 다른 당사

자에게 통보하며, 폐기물의 수입을 금지한 당사자에 대하여는 해당 폐기물의 수

출을 허가하지 아니하거나 금지한다. 수입국이 상기 폐기물의 수입을 금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수입국으로부터 특정 수입에 대한 서면동의가 없으면 수출을

허가하지 아니하거나 금지하며 폐기물의 불법거래를 범죄로 간주하며 이에 대한

처벌 등 법적․행정적 조치를 취한다. 비당사국과의 폐기물 수출입 및 남위 60도

이남 지역에서의 폐기물 처리를 위한 수출은 허가하지 아니한다.

Page 3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2 -

<부속서 Ⅰ>

폐기물의 배출경로

유해물질(함유성분)

- 의료폐기물 등 18개 폐기물

- 유기용제 등 27종 성분함유 폐기물

<부속서 Ⅲ>

유해특성

규제대상

+ 부속서 Ⅱ의

2종 폐기물

+ 조약 당사국이

통보한 폐기물

<부속서 Ⅷ>

규제대상 폐기물 목록

- 제4차 당사국총회 채택 폐기물 61종

- 부속서 Ⅱ의 가정폐기물 / 소각잔재물

- 조약 당사국이 통보한 폐기물

<부속서Ⅸ>

비규제대상 폐기물 목록

[그림 2.1] 바젤협약 폐기물의 범위

③ 협약국간 폐기물의 이동절차에 관한 사항 (제6조)

④ 재수입 의무 (제8조)

⑤ 불법거래 (제9조)

⑥ 양자․다자 및 지역협정의 체결 (제11조)

⑦ 정보전달 (제13조)

⑧ 협약시행일 (제25조)

○ 20개국이 비준․수락․공식확인․승인 또는 가입문서를 기탁한 날로부

터 90일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

○ 협약 발효이후에 추가로 협약에 가입하는 나라의 경우에는 가입문서를

기탁한 날로부터 90일이 경과한 날로부터 당해국가에 대하여 시행

Page 3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3 -

⑷ 부속서

① 부속서Ⅰ ː 통제대상 폐기물의 범위 (Y1~Y45)

- 폐기물의 범주ː Y1~Y18

- 구성성분을 함유한 폐기물ː Y19~Y45

② 부속서Ⅱ ː 특별고려를 요하는 폐기물의 범주 (Y46, Y47)

③ 부속서Ⅲ ː 유해특성 목록 (H1~H13)

- 유해특성 목록 : 폭발성․독성․부식성․감염성 등

④ 부속서Ⅳ ː 폐기물 처리방법의 종류

⑤ 부속서Ⅴ/A ː 수출입시 교역상대국에 제공해야하는 정보

⑥ 부속서Ⅴ/B ː 폐기물 이동서류에 기재해야하는 정보

⑦ 부속서Ⅵ ː 중재 - 국가간 분쟁조정에 관한 사항

⑧ 부속서Ⅶ ː OECD, 유럽연합국가 및 리히텐슈타인은 그 외 국가에 유해폐

기물 수출금지 - 동 부속서는 비준국수 미달로 미발효

⑨ 부속서Ⅷ ː 구체적인 유해폐기물 목록

- 바젤협약 부속서 Ⅰ의 1⒜ 유해물질로 규정된 폐기물

⑩ 부속서Ⅸ ː 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는 폐기물 목록

바젤협약 부속서 Ⅰ의 1⒜ 유해물질로 규정되지 않은 폐기물

2.2.1.3 바젤협약의 폐기물 분류체계

⑴ 바젤협약에서 유해폐기물의 분류

① 유해폐기물의 분류의 필요성

선진국에서는 자국의 엄격한 규제를 피하여 유해폐기물을 중남미 및 아프

리카 등 후진국에 밀수출하거나 매각함으로써 유해폐기물의 부적정 처리로 인한

환경오염이 국제 문제화됨에 따라 후진국의 환경보호 및 지구환경의 보호를 위

한 국제 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Page 3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4 -

② 유해특성 목록 (부속서 Ⅲ)

[표 2.2]는 바젤협약 부속서 Ⅲ에서 목록화되어 있는 유해폐기물 분류기준

이다. H1은 폭발성 물질 또는 폭발성 폐기물은 자체적으로 가스를 생성하는 화

학반응을 일으키며, 그때의 온도․압력 및 반응속도가 주위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고체상 또는 액상의 물질 또는 폐기물이며, H3는 인화성 액상물질로서, 페

인트․니스․락카 등 가연성 물질을 말한다. H4.1은 인화성 고형물로써, 폭발성

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서 운반중에 쉽게 연소되거나 마찰로 인하여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고체 또는 폐고형물을 말하며, H4.2는 자연발생적으로 연소되기

쉬운 물질 또는 폐기물을 나타내고, H4.2는 물과 접촉하여 인화성 가스를 방출

하는 물질 또는 폐기물을 말한다. H5.1은 산화성 물질로서 자체적으로 반드시

연소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산소를 생성시켜 다른 물질의 연소를 유발하거나

이에 기여하는 물질 또는 폐기물을 말하며, H5.2는 2가의 -O-O- 구조를 가진 유

기성 과산화물 및 폐기물로서 발열성 자기가속분해를 할 수 있는 열적으로 불안

정한 물질을 말한다. H6.1은 급성독성 물질이며, H6.2는 감염성 물질을, H8은 부

식성 물질을, H10은 공기 또는 물과 접촉시에 유독가스를 방출하는 물질이며,

H11은 만성독성물질이며, H12는 생태독성물질이다. H13은 처리한 후에 위에서

열거한 특성중 어느 하나를 가진 또 다른 물질을 어떤 방법으로든 생성할 수 있

는 물질 또는 폐기물을 말한다.

③ 폐기물의 분류

바젤협약에서는 바젤협약 적용대상 폐기물을 생산공정과 유해 성분, 그리

고 유해폐기물의 특성에 따라 규제대상폐기물, 비규제대상 폐기물과 분류가 어려

운 폐기물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바젤협약에서는 바젤협약 부속서에 포함된

유해폐기물 이외의 폐기물의 이동과 관련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협약국이 국

내법에 의하여 유해한 것으로 규정된 폐기물도 유해폐기물로 간주하고 있다.

Page 3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5 -

[표 2.2] 바젤협약 유해특성 목록

UN

분류

바젤

코드특 성 비 고

1 H1폭발성

(Explosive)

․자체적으로 가스를 생성하는 화학 반응을 일으킴

․그때의 온도, 압력 및 반응속도가 주위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고형상 또는 액상물질 또는 폐기물

3 H3인화성 액상 물질

(Flammable liquids)

․가연성과 동일한 의미

․밀폐컵 시험으로 60.5℃ 이하, 개방컵 시험으로 65.5℃ 이하의

온도에서 인화성 증기를 방출하는 액체나 액체 혼합물

․또는, 용액 혹은 현탁 액상으로 고형물을 함유한 액체(ex. 페

인트, 니스, 락카 등)

4.1 H4.1인화성 고형물

(Flammable Solids)

․폭발성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서 운반 중에 쉽게 연소되

거나 마찰로 인하여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고체 도는 고형

4.2 H4.2

자연발생적으로

연소되기 쉬운 물질

또는 폐기물

․운반 중 정상 상태하에서 자연적으로 열을 발생

․공기와의 접촉으로 열이 발생하여 화재를 유발하기 쉬운 물

질 또는 폐기물

4.3 H4.3

물과 접촉하여 인화성

물질을 방출하는 물질

또는 폐기물

․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인화되기 쉽거나

․인화성 가스를 위험할 정도로 방출하는 물질 또는 폐기물

5.1 H5.1산화성

(Oxidizing)

․자체적으로 연소되지 않음

․산소를 생성시켜 다른 물질의 연소를 유발하거나 이에 기여

하는 물질

5.2 H5.2 유기성 과산화물․2가의 -O-O- 구조를 가진 유기성 물질 및 폐기물로 발열성

자기가속분해를 할 수 있는 열적으로 불안정한 물질

6.1 H6.1유독성(급성)

Poisonous(acute)

․마시거나 흡입하거나 피부 접촉에 의해 사망 또는 중상을 입

히거나 인간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물질 또는 폐기물

6.2 H6.2감염성 물질

infection substances

․동물 또는 인간에게 발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

나 우려가 있는 살아 있는 미생물이나 그들의 독소를 함유한

물질 또는 폐기물

8 H8부식성

Corrosives

․생체조직과 접촉했을 때 화학반응에 의하여 심한 피해를 유

발하거나

․누출되는 경우에 다른 물품 또는 수송 수단에 물질적인 피해

를 주거나 심지어 이들을 파괴하는 물질 또는 폐기물

9 H10공기 또는 물과 접촉시

유독가스 방출

․공기 또는 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위험한 정도의 유독가

스를 방출하는 물질 또는 폐기물

9 H11독성(지연성 또는 만성)

(Toxic)

․흡입 또는 마시거나 피부에 침투되었을 때 발암성․지연성

또는 만성적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또는 폐기물

9 H12생태독성

(Ecotoxic)

․방출시 생물축적 및 생체독성 효과에 의하여 환경에 즉시 또

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질 또는

폐기물

9 H13 -․처리후 위에 열거한 특성 중 하나를 가진 또 다른 물질을 어

떤 방법으로든 생성 할 수 있는 물질 또는 폐기물

Page 3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6 -

⑵ 통제대상폐기물 (부속서 Ⅰ 및 Ⅱ)

바젤협약에서 규제하고 있는 유해폐기물은 부록서 I, II에 해당하는 47종 중

유해성이 있는 폐기물과 협약당사국에서 국내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유해폐기물

이다.

① 폐기물의 범주 (부속서 Ⅰ)

Y1 병원, 의료센터 및 의원에서 의료행위로부터 발생되는 의료폐기물

Y2 의약품의 제조 및 조제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Y3 폐의약품

Y4 살생물질 및 식물약품의 생산, 조제 및 사용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Y5 목재 보존 화학물질의 생산, 조제 및 사용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Y6 유기용제의 생산, 조제 및 사용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Y7 시안화물을 함유한 물질의 열처리와 담금질 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Y8 원래 용도에 부적합한 폐광물유

Y9 기름류와 혼합물, 탄화수소류와 물의 혼합물, 유제로서 폐기되는 것

Y10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 폴리클로리네이티드터페닐(PCTs),

또는 폴리브로미네이티드비페닐(PBBs)을 함유하거나 이러한 물질로

오염된 폐기물

Y11 정제, 증류 및 열분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타르 잔재물

Y12 잉크, 염료, 안료, 페인트, 락카, 니스의 생산, 조제 및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Y13 수지, 라텍스, 가소제, 아교/접착제의 생산, 조제 및 사용과정에서 발

생되는 폐기물

Y14 조사연구 또는 교육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으로서 지금까지 인간이

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규명되지 아니한 신종의 폐화학물질

Y15 다른 법의 규제를 받지 아니하는 폭발성 폐기물

Y16 사진현상 및 인화물질의 생산, 조제․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Page 3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7 -

Y17 금속 및 플라스틱의 표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Y18 산업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잔재물

② 구성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부속서 Ⅰ)

Y19 금속카보닐

Y20 베릴륨 및 그 화합물

Y21 6가 크롬화합물

Y22 구리화합물

Y23 아연화합물

Y24 비소 및 그 화합물

Y25 세레늄 및 그 화합물

Y26 카드뮴 및 그 화합물

Y27 안티몬 및 그 화합물

Y28 텔레늄 및 그 화합물

Y29 수은 및 그 화합물

Y30 바륨 및 그 화합물

Y31 납 및 그 화합물

Y32 불화칼슘을 제외한 무기불소 화합물

Y33 무기시안화물

Y34 산성용액 또는 고형상의 산류

Y35 염기성 용액 또는 고형상의 염기류

Y36 석면 (먼지 및 섬유)

Y37 유기인화합물

Y38 유기시안화물

Y39 페놀 및 클로로페놀류를 포함한 페놀화합물

Y40 에테르

Y41 할로겐족 유기용제류

Page 3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8 -

Y42 할로겐족 이외의 유기용제류

Y43 폴리클로리네이티드 벤조퓨란류

Y44 폴리클로리네이티드벤조파라다이옥신류

Y45 이 부속서에 언급된 물질 (예 : Y39, Y41, Y42, Y43, Y44) 이외의 유

기할로겐 화합물

③ 특별고려를 요하는 폐기물의 범주 (부속서 Ⅱ)

Y46 가정으로부터 수거된 폐기물

Y47 생활폐기물의 소각 잔재물

2.2.1.4 바젤폐기물 분류품목

유해폐기물의 수출입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는 유해폐기물의 분

류기준에 근거하여 유해폐기물의 품목을 구체적으로 목록화하는 작업이 필요하

다. 따라서, 최근 바젤협약 기술실무회의에서는 국가간이동 대상 폐기물을 규제

대상폐기물과 비규제대상폐기물로 나누어 목록화하였다. 규제대상폐기물은 바젤

협약 제1조 1⒜항에 의한 유해폐기물이며, 부속서에서 정한 유해특성을 가진 폐

기물을 목록 A(부속서 Ⅷ)로 규정하고 있다. 비규제대상폐기물은 바젤협약 제1조

1⒜항에 명시되지 않고 부속서의 유해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목록 B(부속서

Ⅸ)로 규정하고 있다. 즉, 목록 A는 유해폐기물로 간주되어 국가간 이동시 규제

가 엄격하며, 목록 B는 국가간 이동시 규제가 덜 엄격하다. 목록 A와 목록 B의

품목수는 [표 2.3]과 같이 각각 61개와 59개로 총 120개의 품목을 구체적으로 분

류 지정하고 있다.

Page 3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9 -

[표 2.3] 바젤협약의 폐기물 분류

물질의 특성 목록 A 목록 B

․금속 및 금속함유 폐기물A1010~A1190

19개 품목

B1010~B1250

27개 품목

․금속 및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무기

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

A2010~A2060

6개 품목

B2010~B2130

13개 품목

․금속 및 무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유기

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

A3010~A3200

20개 품목

B3010~3140

16개 품목

․무기 또는 유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A4010~A4160

16개 품목

B4010~B4030

3개 품목

(계) 61개 품목 59개 품목

⑴ 폐기물 목록 A (부속서 Ⅷ)

[표 2.4]와 같이 목록 A의 경우를 보면, A1~A4의 4종류로 중분류하였고,

다시 세분류하여 총 61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A1은 금속 및 금속함유 폐기물

로서 A1010(금속과 금속합금 폐기물)~A1190(타르, PCB, 납, 카드뮴, 유기할로겐

화합물, 또는 부속서Ⅲ의 특성을 나타내는 부속서Ⅰ의 성분을 함유하거나 오염된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폐금속 케이블)의 19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A2는 금속

및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무기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로써

A2010(음극선 튜브와 기타 활성유리로부터의 유리폐기물)~A2060(화력발전소 비

산재)의 6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A3는 금속 및 무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유기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로서 A3010(석유코크스나 역청의 정제

과정 또는 생성과정으로부터의 폐기물)~A3200(도로 건설 및 하자보수시 발생하

는 타르를 포함한 역청질 재료, 아스팔트 폐기물)의 20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A4는 무기 또는 유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로서 A4010(의약제조 조제시

발생되는 폐기물)~A4160(폐활성탄소)의 16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Page 3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30 -

[표 2.4] 바젤협약 폐기물목록 A (부속서 Ⅷ)

목 록 폐 기 물 명

가. 금속 관련 폐기물

A1010

⑴ 금속폐기물 또는 다음 성분의 합금으로 구성된 폐기물

- 안티몬, 비소, 베릴륨, 카드뮴, 납, 수은, 셀레늄, 텔레륨, 탈륨

상기에 나열된 것 이외의 폐기물은 목록 B

A1020

⑵ 다음의 성분을 함유하거나 이로 오염된 폐기물 (덩어리(괴) 형태의 금속폐기물 제외)

- 안티몬; 안티몬 화합물 - 베릴륨; 베릴륨 화합물

- 카드뮴; 카드뮴 화합물 - 납; 납 화합물

- 셀레늄; 셀레늄 화합물 - 텔레늄; 텔레륨 화합물

A1030⑶ 다음의 성분을 함유하거나 이로 오염된 폐기물

- 비소; 비소 화합물 - 수은; 수은 화합물 - 탈륨; 탈륨 화합물

A1040⑷ 다음의 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 금속카보닐 - 6가크롬화합물

A1050 ⑸ 갈바닉전기 슬러지

A1060 ⑹ 금속 세척시 발생되는 폐용액

A1070 ⑺ 자로사이트, 적철광 등과 같은 슬러지, 분진 및 아연가공으로부터 발생되는 침출 잔재물

A1080⑻ 폐 아연 잔재물

(바젤협약 부속서Ⅲ의 특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의 납과 카드뮴을 포함)

A1090 ⑼ 절연구리선 소각잔재

A1100 ⑽ 동제련 가스정제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분진 및 잔재물

A1110 ⑾ 동전기정련 및 전기건조공정으로부터 발생되는 전해용액

A1120 ⑿ 동전기정련 및 전기건조공정의 전해액 정제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양극제외)

A1130 ⒀ 용해된 구리를 함유하고 있는 부식액

A1140 ⒁ 폐염화구리 및 시안화구리 촉매

A1150 ⒂ 목록 B에 포힘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 소각시 발생되는 고가금속의 재

A1160 ⒃ 전체 또는 파편상태의 폐납함유산 밧데리

A1170⒄ 미분류된 폐밧데리(바젤협약 목록B의 밧데리만의 혼합물은 제외하되, 유해할 정도로 바

젤협약 부속서Ⅰ의 성분을 함유하고 바젤협약 목록B에 명시되지 않은 폐밧데리는 포함)

A1180

⒅ 바젤협약 목록A에 포함된 축전지 및 기타밧데리, 수은 스위치, 브라운관의 유리폐기물

및 기타활성유리,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축전기등 성분을 함유하거나 바젤협약 부

속서Ⅲ의 특성을 지닐 정도로 바젤협약 부속서Ⅰ의 성분(예: 카드뮴, 수은, 납, PCB)에

오염된 폐전기․전자 조립품 또는 스크랩

A1190⒆ 타르, PCB, 납, 카드뮴, 유기할로겐 화합물, 또는 부속서Ⅲ의 특성을 나타내는 부속서Ⅰ

의 성분을 함유하거나 오염된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폐금속 케이블

나. 금속 및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무기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폐기물

A2010 ⑴ 브라운관의 유리폐기물 및 기타 활성유리

A2020 ⑵ 액체 또는 슬러지 형태의 폐 무기불소화합물

A2030 ⑶ 목록 B에 열거된 폐기물을 제외한 폐촉매

A2040⑷ 화학산업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석고(바젤협약 부속서Ⅲ의 유해특성을 나타낼 정도로 바

젤협약 부속서Ⅰ의 성분을 포함한 것)

A2050 ⑸ 폐석면(분진과 섬유)

A2060⑹ 바젤협약 부속서Ⅲ의 특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의 바젤협약 부속서I 물질을 함유

하는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부유성 석탄재

다. 금속 및 무기물질을 함유하고, 유기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폐기물

A3010 ⑴ 석유코크스 및 역청탄의 제조, 처리시 발생된 폐기물

A3020 ⑵ 원래 의도한 용도에 부적합한 폐광물 유류

A3030 ⑶ 납성분 녹킹방지제 화합물 슬러지를 함유하거나 이로 구성 또는 오염된 폐기물

A3040 ⑷ 열전도 유체

A3050 ⑸ 수지, 라텍스, 가소제, 아교, 접착제의 생산, 조제 및 사용과정시 발생되는 폐기물

Page 4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31 -

목 록 폐 기 물 명

A3060 ⑹ 폐질산섬유소

A3070 ⑺ 폐페놀, 페놀화합물(액체 또는 슬러지 형태의 클로로페놀 포함)

A3080 ⑻ 폐에테르

A3090 ⑼ 6가크롬 또는 생체독성물질을 함유한 폐가죽물품 분진, 재, 슬러지 및 분말

A3100⑽ 가죽물품 제조에 부적합한 가죽이나 합성가죽 폐기물 (6가크롬 또는 생체독성물질을 함

유한 것)

A3110⑾ 6가크롬화합물 또는 생체독성물질 또는 전염성물질 함유한 양피처리 과정으로부터 발생

되는 가죽 폐기물

A3120 ⑿ 자동차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파편

A3130 ⒀ 폐유기인화합물

A3140 ⒁ 목록 B에 열거된 폐기물을 제외한 비할로겐화 폐유기용제

A3150 ⒂ 할로겐화 폐유기용제

A3160 ⒃ 유기용제 재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할로겐 또는 비할로겐화 증류잔재

A3170⒄ 지방족화합물의 할로겐화 탄화수소(클로르메탄, 디클로르에탄, 비닐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알릴클로라이드, 에피크로르하이드린) 생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폐기물

A3180

⒅ 50㎎/㎏이상의 응축수준에서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 폴리클로리네이티드터페

닐(PCT), 폴리클로리네이티드나프탈렌(PCN), 폴리브로미네이티드비페닐(PBB)를 함유하

거나 이로 구성 또는 오염된 폐기물, 물질 및 물품

A3190 ⒆ 유기물질의 정제, 증류 및 열분해 처리에서 발생되는 폐타르잔재(아스팔트 시멘트 제외)

A3200 ⒇ 도로 건설 및 하자보수시 발생하는 타르를 포함한 역청질의 재료, 아스팔트 폐기물

라. 무기 또는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폐기물

A4010 ⑴ 의약품 생산, 제조,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A4020 ⑵ 의약 및 관련된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폐기물

A4030 ⑶ 생물독소 및 식물약품의 생산, 조제 및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A4040 ⑷ 목재보존화학물질의 생산, 조제 및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A4050

⑸ 다음의 물질을 함유하거나 이로 구성 또는 오염된 폐기물

- 미량의 무기시안화물을 함유한 고형의 귀금속함유 잔재물을 제외한 무기시안화물

- 유기시안화물

A4060 ⑹ 폐유/폐수, 탄화수소/물의 혼합물, 유제

A4070 ⑺ 잉크, 염료, 안료, 페인트, 락카, 니스 생산, 조제 및 사용으로부터 발생되는 폐기물

A4080 ⑻ 폭발성폐기물

A4090 ⑼ 폐산 또는 폐알카리 용액

A4100 ⑽ 가스정제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A4110

⑾ 다음 물질을 함유하거나 이로 구성 또는 오염된 폐기물

- 폴리클로리네이티드 다이벤조-퓨란과 동종인 것

- 폴리클로리네이티드 다이벤조-다이옥신과 동종인 것

A4120 ⑿ 과산화물을 함유하거나 이로 구성 또는 오염된 폐기물

A4130⒀ 부속서Ⅲ의 유해특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의 바젤협약 부속서I 물질을 함유(부속서

Ⅲ의 유해특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하는 폐 포장 및 용기

A4140⒁ 바젤협약 부속서Ⅰ의 범주에 해당하고 바젤협약 부속서Ⅲ의 유해특성을 나타내는 화학

물질로 구성되거나 이를 함유하는 폐기물 또는 화학물질

A4150⒂ 조사연구, 개발 또는 교육활동으로 부터 발생되는 것으로서 지금까지 인간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규명되지 않은 신종의 폐화학물질

A4160 ⒃ 폐 활성탄

Page 4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32 -

⑵ 폐기물 목록 B (부속서 Ⅸ)

[표 2.5]와 같이 목록 B는 B1~B4의 4개 종류로 중분류되고, 다시 세분류되어

총 59개로 구분된다. B1은 금속과 금속함유 폐기물로서 B1010(비분산형태의 금속

및 금속합금 폐기물)~B1250(액상폐기물이나 기타 유해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폐

자동차)의 27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B2는 금속 및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무기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로서 B2010(비분산형태의 채광과정

에서 발생된 폐기물)~B2130(도로 건설 및 하자보수시 타르가 포함되지 않는 역

청질의 재료, 아스팔트 폐기물)의 13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B3는 금속 및 무기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유기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로서 B3010

(고형 플라스틱 폐기물)~B3140(목록A에 언급된 것 외의 고물 공기타이어)의 16

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B4는 무기 또는 유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로써

B4010(잉크, 염료, 안료, 페인트, 락카, 니스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는 폐기물로

서 유해한 유기용제, 중금속 등은 제외한다)~B4030(배터리가 없는 1회용 카메

라)의 3개 품목으로 구분하였다.

Page 4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33 -

[표 2.5] 바젤협약 폐기물목록 B (부속서 Ⅸ)

목 록 폐 기 물 명

가. 금속 및 금속함유 폐기물

B1010

(1) 비분산형 금속 및 금속합금 폐기물

- 귀금속(금, 은, 백금군) - 철 및 강철 스크랩 - 구리 스크랩

- 니켈 스크랩 - 알루미늄 스크랩 - 아연 스크랩

- 주석 스크랩 - 텅스텐 스크랩 - 몰리브덴 스크랩

- 탄탈 스크랩 - 마그네슘 스크랩 - 코발트 스크랩

- 비스무트 스크랩 - 티타늄 스크랩 - 지르코늄 스크랩

- 망간 스크랩 - 게르마늄 스크랩 - 바나듐 스크랩

- 하프늄, 인듐, 니오브, 레늄 및 갈륨 스크랩 - 토륨 스크랩

- 희귀 토류금속 스크랩 - 크롬 스크랩

B1020

(2) 오염되지 않은 금속 및 금속합금 스크랩(부피가 크게 마무리된 형태)

- 안티몬 스크랩 - 베릴륨 스크랩

- 카드뮴 스크랩 - 셀레늄 스크랩

- 납 스크랩(납산 밧데리는 제외) - 텔륨 스크랩

B1030 (3) 잔류물을 포함한 내화성 금속

B1031(4) 금속분산(금속분말)형의 몰리브덴, 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니오븀, 레늄 및 그 합금 폐

기물과 갈바닉슬러지

B1040(5) 유해할 정도로 윤활유, PCB 또는 PCT에 오염되지 않은 발전소로부터 발생되는 조립품

스크랩

B1050(6) 혼합 비철금속, 무거운 파편 스크랩 (바젤협약 부속서 III의 특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에서 바젤협약 부속서 I의 물질을 함유한 것은 포함하지 않음)

B1060 (7) 분말을 포함한 금속 원소형태의 셀레늄 및 텔륨 폐기물

B1070(8) 바젤협약 부속서 III의 특성을 나타낼 정도로 바젤협약 부속서 I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

은 분산형의 구리 및 구리합금 폐기물

B1080

(9) 바젤협약 부속서 III의 특성을 나타내는 농도에서 바젤협약 부속서 I의 성분을 포함하거

나 H4.3 유해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분산형의 아연 합금 잔류물을 포함한 아연재 및 잔

재물

B1090 (10) 명세서에 부합하는 폐밧데리(납, 카드뮴 또는 수은으로 만들어진 것들은 제외)

B1100

(11) 금속의 용융, 제련 및 정련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속함유폐기물

- 경화 아연 스펠터

- 아연함유 드로스 (아연도금판의 상부 드로스, 아연도금판의 하부 드로스, 아연 다이캐

스팅 드로스, 고열 침전 아연도금판 드로스, 아연 잔재)

- 알루미늄 잔재 (염분을 함유한 슬래그 제외)

- 바젤협약 부속서 III의 유해특성을 나타낼 정도의 비소, 납, 카드뮴을 함유하지 않은

구리가공 또는 정련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

- 구리제련과정에서 발생되는 내화벽돌(도가니 포함)

- 귀금속 정련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 0.5%미만의 주석을 함유한 탄탈 함유 주석 슬래그

B1110

(12) 전기․전자 조립품

- 금속 또는 합금으로만 구성된 전자 조립품

- 바젤협약 목록A에 포함된 축전지 및 기타 밧데리, 수은 스위치, 브라운관의 유리 및

기타 활성유리, PCB 축전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바젤협약 부속서Ⅰ의 성

분(예 : 카드뮴, 수은, 납, PCB)에 오염되지 않거나 바젤협약 부속서Ⅲ의 특성을 지니

지 않을 정도로 제거된 전기 및 전자 조립품 폐기물 또는 스크랩(인쇄 회로기판 포

함)

- 재활용 또는 최종폐기의 목적이 아닌 직접적 재사용을 위한 전기․전자 조립품(인쇄

회로기판, 전자부품 및 전선을 포함)

Page 4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34 -

목 록 폐 기 물 명

B1115 (13) 플라스틱으로 피복된 폐금속 케이블

B1120

(14) 촉매로 사용된 액체를 제외한 다음을 포함하는 폐촉매

- 바젤협약 목록 A의 폐촉매(폐촉매, 사용된 액체촉매, 기타 촉매)를 제외한 전이금속ː

스칸튬, 티타늄, 바나늄, 크롬, 망간, 코발트, 구리, 이트늄, 니오븀, 하프뮴, 텅스텐, 티

탄, 크롬, 철, 니켈, 아연, 지르코늄, 몰리브덴, 탄탈, 레늄

- 희귀 토류 금속ː 란탄, 프라세오디뮴, 사마늄, 가돌리늄, 디스프로슘, 우러퓸, 이테르븀,

세륨, 네오디뮴, 유러퓸, 테르븀, 홀뮴, 툴륨, 루테튬

B1130 (15) 정제된 폐 귀금속을 함유한 촉매

B1140 (16) 미량의 무기 시안화물을 함유하는 고형의 귀금속 잔류물

B1150(17) 액체가 아닌 분산형태로 적절하게 포장되고 라벨이 부착된 귀금속 및 합금폐기물(수은

을 제외한 금, 은, 백금군)

B1160 (18) 인쇄회로기판 소각시 발생되는 귀금속 재

B1170 (19) 사진 필름 소각시 발생되는 귀금속 재

B1180 (20) 할로겐화된 은 및 금속 은을 함유하는 사진용 필름 폐기물

B1190 (21) 할로겐화된 은 및 금속 은을 함유하는 사진용 종이 폐기물

B1200 (22) 철 및 강철 제조시 발생되는 분말 슬래그

B1210 (23) 철 및 강철제조시 발생되는 슬래그(산화티타늄과 바나듐원이 되는 슬래그 포함)

B1220(24) 철성분이 20%이상으로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주로 건설을 위한 산업제원에 따라 처리

되는 아연생산시 발생되는 슬래그

B1230 (25) 철 및 강철 제조에서 발생하는 밀 스케일링

B1240 (26) 산화구리 밀스케일

B1250 (27) 액상 및 기타 유해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폐자동차

나. 무기성분을 주로 함유하고 금속 및 유기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B2010

(1) 비분산형태의 채광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 천연 흑연 폐기물 - 스레이트 폐기물 - 운모 폐기물

- 백류석, 하석, 하석 섬장암 폐기물 - 장석 폐기물

- 형석 폐기물 - 주물과정에 사용된 것을 제외한 고형 규소 폐기물

B2020(2) 비분산형태의 유리 폐기물

- 브라운관의 유리와 기타 활성유리를 제외한 유리조각 및 폐기물

B2030

(3) 비분산형태의 세라믹 폐기물

- 금속 세라믹 폐기물 및 스크랩 (금속 세라믹 합성물)

- 다른 곳에 명시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세라믹 이용섬유

B2040

(4) 주로 무기물질을 함유하는 기타 폐기물

- 탈황과정에서 발생되는 부분적으로 정제된 황산칼슘

- 건물파괴시 발생되는 폐석고 보드 또는 플라스터 보드

- 철성분이 많고(20%이상)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주로 건설과 연마제 산업제원에

따라 처리된 구리생산에서 발생된 슬래그

- 고형 유황

- 시안화 칼슘(pH 9 미만)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석회석

- 나트륨, 칼륨, 염화칼슘

- 탄화규소

- 깨진 콘크리트

- 리튬-탄탈, 리튬-니오브를 함유한 유리조각

B2050 (5) 석탄 화력발전소의 비산재(목록A에 포함된 것은 제외)

B2060(6) 부속서 I의 구성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부속서 III의 유해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폐활성

탄(예를 들면 먹는 물 처리, 식품산업 및 비타민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폐활성탄)

B2070 (7) 불화칼슘 슬러지

B2080 (8) 화학산업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석고(목록A에 포함된 것은 제외)

Page 4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35 -

목 록 폐 기 물 명

B2090

(9) 석유 코크스 또는 역청탄으로 만들어지고 표준산업 명세에 적합할 정도로 정화된 강철

및 알루미늄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양극(클로르 알칼리 전기분해 및 야금산업 공정

에서 발생되는 양극은 제외)

B2100(10) 가스정제 또는 여과공정에서 사용된 물질을 제외한 알루미나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알루미늄의 폐 수화물, 폐 알루미나 및 잔재물

B2110 (11) 보오크사이트 잔재물(적색 진흙)(pH 11.5미만)

B2120 (12) 부식성이나 기타 유해성이 없는 pH 2초과, 11.5미만의 산성 또는 염기성 폐용제

B2130 (13) 도로건설 및 하자보수시 발생하는 타르를 포함하지 않는 역청질 재료(아스팔트 폐기물)

다. 유기성분을 주로 함유하고 금속 및 무기물질을 함유하는 폐기물

B3010

(1) 고형플라스틱 폐기물

다음성분의 플라스틱 또는 혼합된 플라스틱 물질(다른 폐기물과 혼합되지 않고 명세서에

적합하게 준비된 것)

- 비할로겐화 중합체 및 공중합체 플라스틱 폐기물 스크랩

에틸렌, 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 아크릴 중합체, 알칸 C10-C13, 폴리우레탄, 폴리실리콘, 폴리메틸 메타

크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 다음을 포함하는 경화된 수지 또는 축합제품

요소포름알데히드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에폭시수지, 알

키드수지, 폴리아미드

- 다음의 불화중합체 폐기물

Perfluoroethylene/propylene (FEP), Perfluoroalkoxy alkane (PFA/MFA),

Polyvinylfluoride (PVF), Polyvinylidenefluoride (PVDF)

B3020

(2) 종이, 판지 및 종이제품 폐기물로서 유해폐기물과 혼합되지 않은 다음의 물질

- 표백되지 않은 종이, 판지, 골판지, 판지

- 주로 표백된 화학펄프로 만들어지고 전체적으로 색깔이 없는 기타 종이 또는 판지

- 주로 물리적인 펄프로 만들어진 종이 또는 판지(예 : 신문, 잡지 및 유사 인쇄물)

- 기타(라미네이팅된 판지, 분류되지않은 폐기물 및 스크랩)

B3030

(3) 섬유폐기물로서 다른 폐기물과 혼합되지 않고 명세서에 적합하게 준비된 아래의 물질

- 생사류폐기물(실을 뽑기에 부적합한 누에고치, 연사폐기물 및 비축품 포함)

- 연사폐기물을 포함하나 비축품을 제외한 모직이나, 양질/ 저질의 동물털 폐기물

- 면폐기물(연사폐기물과 비축품 포함)

- 아마부스러기 및 폐기물

- 대마부스러기 및 폐기물 (연사폐기물, 비축품 포함)

- 황마와 기타 인피섬유의 부스러기 및 폐기물(연사폐기물, 비축품 포함)

- 용설란과 기타 용설란속에 속하는 직물섬유 부스러기 및 폐기물

- 코코넛의 부스러기, 짧은 털 및 폐기물(연사폐기물 및 비축품 포함)

- 마닐라삼의 부스러기, 짧은 털 및 폐기물

- 다른 부분에 명시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래미와 기타 식물성 섬유 부스러기

- 인조 섬유 폐기물(연사폐기물 및 비축품 포함)

- 헌의복 및 기타 폐직물 물품

- 폐넝마, 삼실스크랩, 밧줄, 로프, 줄과 직물재질의 폐삼실, 로프등 낡은 물품

B3035 (4) 폐섬유 마루덮개, 카펫

B3040

(5) 고무폐기물로서 다른 폐기물과 혼합되지 않은 다음의 물질

- 경질고무 폐기물 및 스크랩(예: 에보나이트)

- 기타 고무폐기물(다른 곳에 명시된 폐기물은 제외)

B3050

(6) 처리되지 않은 코르크 및 목재폐기물

- 통나무, 연탄모양, 작은 알갱이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목재폐기물 또는 조각

- 코르크 폐기물 (으깨졌거나 알갱이로 되어 있거나 가루로 된 코르크)

Page 4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36 -

목 록 폐 기 물 명

B3060

(7) 전염성이 없는 농산식품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 와인찌꺼기

- 작은 알갱이 형태이거나 동물먹이로 사용되는 종류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부분에서 규

정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건조 및 살균된 식물성 폐기물, 잔재 및 부산물

- 지방질이나 동물성 혹은 식물성 밀랍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잔재

- 가공이 안되어 있거나, 지방이 제거되어 있거나 간단히 다듬거나(형태를 만들기 위해

절단되지 않음), 산으로 처리되거나, 비젤라틴화된 동물뼈와 뿔의 폐기물

- 어류폐기물

- 코코아껍질, 외피 및 기타 코코아 폐기물

- 인간과 동물에 의한 소비를 목적으로 국내 및 국제요구조건과 표준을 만족시키는 부산

물을 제외한 농산식품산업으로부터 발생되는 폐기물

B3065 (8) 식용가능한 동식물성 지방 및 기름

B3070(9) 다음의 폐기물

- 인모폐기물 - 폐밀짚 - 동물먹이로 사용될 페니실린 제품의 비활성균류

B3080 (10) 폐고무 부스러기 및 스크랩

B3090(11) 6가 크롬 화합물이나 생체독성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가죽물품제조에 부적합한 가죽이

나 합성가죽의 부스러기 및 기타 폐기물(가죽슬러지 제외)

B3100 (12) 6가크롬화합물이나 생체독성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가죽먼지, 재, 슬러지 또는 가루

B3110 (13) 6가크롬화합물이나 생체독성물질 또는 전염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양피 폐기물

B3120 (14) 식품염료로 이루어진 폐기물

B3130 (15) 과산화수소를 형성할 수 없는 유해하지 않은 폐단량체 에테르 및 폐중합체 에테르

B3140 (16) 폐 공기 타이어(바젤협약 부속서Ⅳ. A의 용도를 위한 것은 제외)

라. 무기 또는 유기성분을 함유하는 폐기물

B4010(1) 유해할 정도의 유기용제, 중금속 또는 생체독성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주로 수용성/라텍

스 페인트, 잉크 및 경화된 니스로 이루어진 폐기물

B4020

(2) 바젤협약 부속서 Ⅲ의 특성을 나타내지 않을 정도의 용제나 오염물질이 함유되지 않고

목록 A에 등재되지 않은 수지, 라텍스, 가소제, 아교/접착제의 생산, 조제 및 사용과정

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예 : 수용성 또는 카세인 전분, 덱스트린, 셀룰로스 에테르, 폴리

비닐 알콜성분의 접착제)

B4030 (3) 사용된 일회용 카메라(목록A에 포함되지 않은 전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

2.2.2 OECD 유해폐기물 분류 및 특성

2.2.2.1 국제폐기물분류코드 (IWIC)

많은 양의 유해폐기물이 OECD 회원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국제간 교역량도

상당량에 이르고 있다. 폐기물의 국제적인 교역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하나

는 소각, 매립 등 자국내의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감하고자 하여 경제․사회적인

Page 4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37 -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3국에서 처리를 희망하여 수출을 하는 경우이다. 또

다른 경우는 재활용 및 상업적인 목적으로 수입을 원하는 제3국이 폐기물의 수

입을 희망하는 경우에 이를 수출하는 것이다. OECD 결정 및 권고규정

[C(83)180]에 의거하여 유해폐기물을 적정처리하기 위해서 국가간의 교역이 있을

수 있으나, 교역된 대다수의 유해폐기물은 적정하게 처리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런 연고로 OECD는 재활용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폐기물의 국가간

교역에 대하여 규제범위를 정하고, 폐기물의 정의 및 특성을 참조하여 국가간 교

역을 통제하기 위한 폐기물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있으며, 이를 OECD 회원국

에 한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적용은 유해폐기물로서 OECD 규정의 부속서에 명시된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규제뿐 아니라 OECD 회원국의 국내법에 의하여 유해물질로 고려되는

폐기물도 포함하고 있고, 잠재적으로 유해성이 있는 폐기물도 망라하고 있기 때

문에 사실상 거의 모든 유해폐기물에 대하여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OECD 규정에 의한 유해폐기물의 분류기준은 [표 2.6]에서와 같이 배출원

및 공정에 따른 규제폐기물과 함유성분에 따른 규제폐기물로 구분된다.

[표 2.6] 국제 폐기물 분류체계 (IWIC)

분류기준 분류코드 비고

폐기물 처리 이유 Q 코드 2개 이상 표시가능

폐기물 처리 방법D 코드ː 환경적으로 적절한 처리방법

R 코드ː 유해폐기물과 관련된 일체의 재생처리방법

Dː 재활용 등과 무관

Rː 재활용 등과 관련

폐기물의 성상

및 발생공정

L 코드ː 액 상

P 코드ː 반고상

S 코드ː 고 상

폐기물의 구성 성분 C 코드 2개 이상 표시가능

폐기물의 유해 특성 H 코드 2개 이상 표시가능

폐기물의 발생업종 A 코드

Page 4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38 -

또한 OECD내 폐기물관리정책그룹(WMPG)은 회원국가간의 자료수집과 비교

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폐기물의 정의와 목록을 정하고 IWIC(국제폐기물분류

코드)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회원국들이 폐기물을 통일되게

구분토록 하였다. IWIC 코드는 국가간 이동에 따르는 규제가 요구되는 폐기물의

특성을 완전히 분석한 여러 코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코드를 이용할 경우

국가간의 비교와 분석이 용이하기 때문에 폐기물의 발생에서 처리까지 규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국제폐기물분류코드에 따라 폐기물의 특성을 분류하고 있

다.

2.2.2.2 폐기물 분류 품목

OECD는 유해폐기물의 위험발생 잠재성에 따라 녹색(G, green) 및 황색(A,

amber)의 2단계 분류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녹색폐기물은 국가간 이동시 규제를

받지 않지만, 황색폐기물은 국가간 이동시 규제를 받는다. 즉, 황색폐기물은 유해

하다고 판단되어 OECD체계의 통제를 따라야 하는 폐기물로서 이들 폐기물의

이동에 관여하는 모든 국가는 해당국가에서 요구하는 의무사항을 준수해야 하고,

녹색폐기물은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OECD체계의 통제를 받지 않으며,

녹색으로 분류된 폐기물은 단지 상용거래에 대한 기존의 통제만 따르면 된다.

OECD 폐기물 분류기준은 크게 녹색(G), 황색(A)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종류별

로 다시 A, B, C 등 서열순으로 문자가 부여되고, 각 종류마다 010, 020, 030, ‥

순으로 품목별로 세분화되어 있다. 또한 품목에 따라서는 다시 011, 012, 013, ‥

순으로 상세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2002년 5월 21일에 그간 확정해서 사용해오

던 OECD 폐기물 목록을 바젤협약에 맞추기 위하여 전면 개정하였다. 개정된

OECD 폐기물 목록은 바젤 폐기물 목록에 근간으로 두어 [표 2.7]과 같이 황색

및 녹색폐기물로 양분되었고, 폐기물 목록도 바젤목록(Part Ⅰ) 및 기존의 OECD

목록(Part Ⅱ)을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OECD 국가에 폐기물을

수출입할 경우, 바젤 규정에 의한 수출입 통제대상 폐기물 이외에 OECD 목록

Page 4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39 -

(Part Ⅱ)도 추가하여 통제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표 2.7] OECD 폐기물분류

분 류 코드 특 성 품목

황 색

폐기물

(Amber

Tier)

Part Ⅰ

∙Basel 협약 부속서 Ⅱ의 Y46 및 Y47 (2개 품목)

∙Basel 협약 부속서 Ⅷ의 List A 폐기물 전체 (61개 품목)

63

85

∙A1 ː 금속 및 금속함유 폐기물, A1010~A1190의 19개 품목

∙A2 ː 금속 및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무기

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 A2010~A2060의 6개 품목

∙A3 ː 금속 및 무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유기

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 A3010~A3200의 20개 품목

∙A4 ː 무기 또는 유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 A4010~

A4160의 16개 품목

Part Ⅱ

∙기존의 OECD Amber & Red Tier Waste 중 Part Ⅰ과 중복되지

않는 품목

22∙AA ː 금속폐기물 (3개 품목)

∙AB ː 주로 무기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5개 품목)

∙AC ː 주로 유기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9개 품목)

∙AD ː 유기 또는 무기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4개 품목)

∙RB ː 주로 무기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1개 품목)

녹 색

폐기물

(Green

Tier)

Part Ⅰ

∙Basel 협약 부속서 Ⅸ의 List B 폐기물 전체 (59개 품목)

59

72

∙B1 ː 금속과 금속함유 폐기물, B1010~B1250의 27개 품목

∙B2 ː 금속 및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무기

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 B2010~B2130의 13개 품목

∙B3 ː 금속 및 무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지만 주로 유기

성분들이 포함된 폐기물, B3010~3140의 16개 품목

∙B4 ː 무기 또는 유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 B4010~

B4030의 3개 품목

Part Ⅱ

∙기존의 OECD Green Tier Waste 중 Part Ⅰ과 중복되지 않는 품

13

∙GB ː 금속용융, 제련, 정련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1개 품목)

∙GC ː 기타 금속함유 폐기물 (4개 품목)

∙GE ː 비분산 상태의 유리폐기물 (1개 품목)

∙GF ː 비분산 상태의 세라믹 폐기물 (1개 품목)

∙GG ː 주로 무기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2개 품목)

∙GH ː 고형 플라스틱 폐기물 (1개 품목)

∙GN ː 무두질, 모피작업 및 가죽사용으로 인한 폐기물 (3개 품

목)

계 157

Page 4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40 -

⑴ 녹색폐기물 (Green Tier)

녹색폐기물은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국가간의 이동에 따른 OECD

체계의 통제를 받지 않으며, 녹색으로 분류된 폐기물은 단지 상용거래에 대한 기

존의 통제만 따르면 되어 있다. 녹색폐기물의 경우에는 국가간 교역이 자유로운

일반폐기물이며, [표 2.8]에 제시하였다. 현행 녹색폐기물은 Part Ⅰ과 Part Ⅱ로

구분된다. Part Ⅰ은 바젤 협약 부속서 Ⅸ의 목록 B 폐기물중 B1110과 B2050을

제외한 59개 품목이 지정되어 있으며, Part Ⅱ는 기존의 OECD 녹색 폐기물중에

서 Part Ⅰ과 중복되지 않는 13개 품목의 폐기물이 지정되어 있다.

녹색의 경우는 GA~GN의 10가지 종류로 구분되어 있고, 이들은 다음과 같

이 13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GB는 금속용융, 제련, 정련과정에서 발생된 폐

기물로서 1개 품목이 있으며, GC는 기타 금속함유 폐기물로 4개 품목이 있다.

GE는 비분산 상태의 유리폐기물로서 1개 품목이 있고, GF는 비분산 상태의 세

라믹 폐기물로서 1개 품목이 있고, GG는 주로 무기성분을 함유한 폐기물로서 2

개 품목이 있고, GH는 고형 플라스틱 폐기물로서 1개 품목이 있고, GN은 무두

질, 모피작업 및 가죽사용으로 인한 폐기물로서 3개 품목이 있다. 기존에 존속해

왔던, GA, GD, GI, GJ, GK, GL, GM, GO 등은 폐지되었다.

⑵ 황색폐기물 (Amber Tier)

황색폐기물은 유해한 것으로 판단되어 국가간의 이동에 따른 OECD체계의

통제를 받는 폐기물이며, 현행 황색폐기물은 녹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art Ⅰ

과 Part Ⅱ로 구분된다. [표 2.9]와 같이, Part Ⅰ은 바젤협약 부속서 Ⅷ의 목록

A 폐기물중 A1180과 A2060을 제외한 61개 품목과 바젤 협약 부속서 Ⅱ의 Y46

및 Y47 등 2개 품목이 지정되어 있으며, Part Ⅱ는 기존의 OECD 황색 및 적색

폐기물 중에서 Part Ⅰ과 중복되지 않는 22개 품목의 폐기물이 지정되어 있다.

전체 품목수는 85개이다.

Page 5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41 -

[표 2.8] OECD 녹색폐기물 목록

코드 녹색폐기물 목록

Part Ⅰ

∙Basel 협약 부속서 Ⅸ의 List B 폐기물 전체 (B1010~B4030의 59개 품목)

- 바젤 B1020의 “bulk finished form”은 관련된 스크랩의 모든 비분산형 금속을 포함한다.

- 바젤 B1100의 “구리공정에서 발생된 슬래그”는 적용치 않으며, OECD의 GB040으로 대

체하여 적용한다.

- 바젤 B1110은 적용치 않으며, OECD의 GC010과 GC020으로 대체하여 적용한다.

- 바젤 B2050은 적용치 않으며, OECD의 GG040으로 대체하여 적용한다.

- 바젤 B3010에서 불소화 중합체 폐기물에는 PTFE를 추가한다.

Part Ⅱ ∙기존의 OECD Green Tier Waste 중 Part Ⅰ과 중복되지 않는 다음의 품목

GB040

금속의 용해, 제련 및 정련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함유 폐기물

(4) 귀금속 및 구리정련 처리과정의 슬래그

GC010

GC020

GC030

GC050

금속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1) 금속 또는 합금으로만 구성된 전기조립품

(2) 전자폐기물(예 : 인쇄회로기판, 전자부품, 전선등), 금속재생에 적합한 재생전자부품

(3) 화물과 선박의 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물질 또는 폐기물을 적절하게 비운 해체용

선박이나 기타 부유구조물

(5) 폐촉매 - 유동 촉매 크래킹(FCC) 촉매

GE020

비분산형 유리폐기물

(2) 유리섬유 폐기물

GF010

비분산형 세라믹폐기물

(1) 세라믹 용기(사용전 및/또는 사용후)를 포함하여 형체제조후 구어진 세라믹 폐기물

GG030

GG040

주로 무기물성분을 함유하고 금속과 유기금속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3)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닥재 및 슬래그

(4)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비산재

GH013

고형플라스틱 폐기물

(1) 다음의 플라스틱 폐기물, 부스러기, 스크랩 - 염화비닐중합체

GN010

GN020

GN030

무두 공정 및 양피 처리공정과 가죽사용에서 생기는 폐기물

(1) 돼지등의 강모나 오소리 털 및 기타 솔제조용 털 폐기물

(2) 말털 폐기물

(3) 보존을 위한 세척, 소독 또는 처리 외에 더 이상 가공되지 않는 조류의 가죽과 깃털이

달린 다른 부분, 깃털(끝손질 여부에 관계없음)

Page 5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42 -

[표 2.9] OECD 황색폐기물 목록

코드 황색폐기물 목록

Part Ⅰ

∙Basel 협약 부속서 Ⅱ의 Y46 및 Y47

- Y46 ː 생활계로부터 수집된 폐기물

- Y47 ː 생활계 폐기물의 소각 잔재물

∙Basel 협약 부속서 Ⅷ의 List A 폐기물 전체 (A1010~A4160의 61개 품목)

- 바젤 A1010의 “부속서 Ⅸ의 목록 B에 열거되어 있는 폐기물은 제외함”은 B1020을 적

용한다.

- 바젤 A1180과 A2060은 적용치 않으며, OECD의 GC010과 GC020, GG040으로 적절하

게 대체하여 적용한다.

- 바젤 A4050에는 부속서 Ⅱ의 Y33 물질인 무기시안이 함유되었기 때문에 알루미늄 제련공

정에서 배출되는 폐 potlinings을 포함하며, 시안이 소멸되었을 경우에는 CaF2가 배제된 무

기불소 화합물인 Y32를 함유하게 되어 OECD의 AB120으로 대체하여 적용한다.

Part Ⅱ ∙기존의 OECD Amber & Red Tier Waste 중 Part Ⅰ과 중복되지 않는 다음 품목

AA010

AA060

AA190

금속관련 폐기물

철과 철강제조시 발생되는 불순물, 스케일링, 기타 폐기물

바나듐재와 잔재물

마그네슘 폐기물과 스크랩 (다량의 물, 가연성 가스와 접촉할 경우 가연성, 발연성인 것)

AB030

AB070

AB120

AB130

AB150

금속 및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무기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폐기물

금속표면처리시 발생되는 시안화합물을 기초로 하지 않는 시스템의 폐기물

주물공정 과정에서 사용된 모래

달리 분류되지 않은 무기할로겐화합물

폐블라스트사

정제되지 않는 황산칼슘과 연도가스 탈황과정에서 발생되는 황산칼슘

AC060

AC070

AC080

AC150

AC160

AC170

AC250

AC260

AC270

금속 및 무기물질을 함유하고, 유기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폐기물

압연유

브레이크액

부동액

염화불화탄소

할론

처리된 코르크 및 목재폐기물

계면활성제

액상 돼지거름, 배설물

하수슬러지

AD090

AD100

AD120

AD150

무기 또는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폐기물

달리 분류되지 않은 복사 및 사진용 화학물질 및 재료의 생산, 제조 및 사용과정에서 발

생되는 폐기물

플라스틱 표면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시안화물을 기초로하지 않는 시스템의 폐기물

이온교환수지

필터매체(바이오필터등)로 사용된 자연발생적 유기물질

RB020

금속 및 유기금속을 함유하고, 주로 무기성분을 포함하는 폐기물

석면과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한 세라믹계 섬유

Page 5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43 -

황색 폐기물의 경우에는 기존의 황색폐기물인 AA에서 AD까지 4가지 종류로

구분되어 있고, 기존의 적색폐기물인 RB의 1가지 종류가 있다. AA는 금속폐기

물로서 3개 품목이 있고, AB는 금속 및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무기성분을 주로

함유한 폐기물로서 5개 품목이 있고, AC는 금속 및 무기물질을 함유하고 유기성

분을 주로 함유한 폐기물로서 9개 품목이 있으며, AD는 유기 또는 무기성분을

함유한 폐기물로서 4개 품목이 있으며, RB는 금속 및 유기금속을 함유하고 주로

무기성분을 포함하는 폐기물로서 1개 품목이 지정되어 있다.

2.2.3 EU 유해폐기물 목록화

2.2.3.1 EU의 유해폐기물 평가기법

EU의 유해폐기물 평가기법은 [그림 2.2]에 제시된 바와 같이 7단계 평가를 통

하여 유해폐기물과 비유해폐기물로 구분된다.

• 단계 1 ː 우리나라와는 달리, 모든 생활폐기물, 상업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은

EU Waste Frame Directive에 등록된 폐기물이므로, 각기 유해폐기물인가를

평가해야 한다. 단지, Directive에 통제받지 않는 폐기물로는 방사성폐기물,

광업관련 폐기물, 도축장 폐기물 및 일부 농업폐기물, 액상 폐기물, 민간용

폭발물 등이다. 따라서 Directive 상의 폐기물이 아니라면, 이러한 폐기물은

유해폐기물이 될 수 없다.

• 단계 2 및 단계 3 ː SoS(Secretary of State), Welsh Assembly, Scottish

Executive 또는 북아일랜드 환경부 등의 기관에서 유해하다고 또는 비유해

하다고 지정한 폐기물 조작 과정에서 배출된 경우에는 각기 유해폐기물 및

비유해폐기물로 간주한다.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은 3가지 경우이다.

- EWC 폐기물 목록에 유해한 폐기물로 등록되어 있는가, 아니면 비유해

폐기물로 등록되어 있는가?

Page 5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44 -

- 1990년의 법률62(A)에 등록되어 있는 폐기물인가, 아니면 비등록된 폐기

물인가?

- 동 법률에서 유해 및 비유해 폐기물로 등록되어 있더라도, 법률8(2)조에

의하여 비유해 및 유해 폐기물로 인가되어 있는가의 여부

• 단계 4 ː EWC 폐기물 목록에서 어떻게 분류되어 있는가?

- "A(absolute)"는 유해폐기물로 확정

- "M(mirror)"는 단계 5로 판단을 유보

- “A”나 “M”이 아닌 경우에는 비유해폐기물로 구분

• 단계 5 ː 폐기물이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지의 사전 인지 상태

• 단계 6 ː 함유된 성분이나, 분석에 의하여 결과로 나타난 성분이 유해한 경

우에는 단계 7로 이관하고, 비유해한 경우에는 비유해 폐기물로 판정한다.

• 단계 7 ː 폐기물이 함유한 유해성분이 H1~H14([표 2.10] 참조)에 해당하는

가의 여부

즉, [그림 2.3]과 같이 EWC에서 규정한 7단계 유해폐기물 평가기법을 활용하

여 폐기물은 Absolute Entry(절대 유해폐기물 목록)와 Mirror Entry(상대 유해폐

기물 목록), 이외의 목록 등 크게 3개의 목록으로 구분되는데, Absolute Entry의

경우에는 유해폐기물로 규정하고 있으며, 4단계에서부터 분류된 Mirror Entry의

경우에는 4~7단계의 평가기법을 거처서 무해 및 유해폐기물로 구분되고, 4단계

에서 Absolute Entry나 Mirror Entry에도 속하지 않는 이외의 폐기물은 무해폐

기물로 규정한다. 즉, 유해폐기물로 규정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2가지 경우이

다. ① 2단계 및 4단계에서 Absolute Entry로 판정된 폐기물과 ② 4단계에서

Mirror Entry로 판정된 폐기물 중 유해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조성이 파악되어

H1(폭발성)~H14(생태독성)의 물질을 함유한 경우와, 조성이 파악되지 못하였으

나 유해성의 사유가 있고 H1~H14의 물질을 함유한 경우이다.

Page 5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45 -

[그림 2.2] Hazardous Waste Assessment Methodology in EU

Page 5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46 -

[표 2.10] 유해특성 목록 (H1~H14)

코드 특 성risk

phrasesubstance risk hazards

hazardous waste

threshold limits

H1폭발성

(Explosive)

R 1 explosive when dry H13 by H1 n/a

R 2risk of explosion by shock, friction, fire or other

sources of iginitionH1

test for

explosive by

iginition or

shockR 3

extreme risk of explosion by shock, friction, fire

or other sources of iginition

R 4 foams very sensitive explosive metal compounds

H13 by H1 n/aR 5 heating may cause an explosion

R 6 explosive with or without contact with air

R16 explosive when mixed with oxidising substances H13 by H1 n/a

R18in use of may form flammable / explosive

vapor-air mixtureH13 by H1,

H2 or H3n/a

R19 may form explosive peroxides

R44 risk of explosion if heated under confinement H13 by H1 n/a

H2산화성

(Oxidising)

R7 may cause fire

H2test and/or

calculation

R8contact with combustible material may cause

fire

R9explosive when mixed with combustible

material

H3

H3A. 고도

인화성

(Highly

Flammable)

H3B. 인화성

(Flammable)

R10 flammable H3Bflash point

>21℃ to 55℃

R11 highly flammableH3A ≤21℃

R12 extremely flammable

R14 reacts violently with water n/a n/a

R15contact with water liberates extremely

flammable gasesH3A

test and/or

calculation

R17 spontaneously flammable in air H3A test

R18in use of may form flammable / explosive

vapor-air mixture

H13 by H1,

H2 or H3n/a

R30 can became highly flammable in use n/a n/a

H4자극성

(Irritant)

R34 cause burns H8 (H4) ≥ 5%

R35 cause severe burns H8 (H4) ≥ 1%

R36 irritating to the eyes

H4 ≥ 20%R37 irritating to the respiratory

R38 irritating to the skin

R41 risk of serious damage to the eyes H4 ≥ 10%

H5위해성

(Harmful)

R20 harmful by inhalation

H5 ≥ 25%R21 harmful in contact with skin

R22 harmful if swallowed

R23 toxic by inhalation

H6 (H5) ≥ 3%R24 toxic in contact with skin

R25 toxic if swallowed

R26 very toxic by inhalation

H6 (H5) ≥ 0.1%R27 very toxic in contact with skin

R28 very toxic if swallowed

R39 danger of very serious irreversible effects H6 (H5)≥ 3%(T)

≥ 0.1%(T+)

R48danger of serious damage to health by

prolonged exposure

H5

H6

≥ 25% (H5)

≥ 3% (H6)

R65 harmfulː may cause lung damage if swallowed H5 ≥ 25%

R68 possible risk of irreversible effects H5 ≥ 25% (H5)

Page 5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47 -

코드 특 성risk

phrasesubstance risk hazards

hazardous waste

threshold limits

H6독성

(Toxic)

H7발암성

(Carcinogenic)

R40 limited evidence of a carcinogenic effect H7 ≥ 1%

R45 may cause cancer H7 ≥ 0.1%

R49 may cause cancer in inhalation H7 ≥ 0.1%

H8부식성

(Corrosives)

H9감염성

(INfectious)

H10재생성시 독성

(Teratogenic)

R60 may impair fertilityH10 ≥ 0.5%

R61 may cause harm to the unborn child

R62 possible risk of impaired fertilityH10 ≥ 5%

R63 possible risk of harm to the unborn child

H11변이원성

(Mutagenic)

R46 may cause heritable genetic damage H11 ≥ 0.1%

R68 possible risk of irreversible effects H11 ≥ 1% (H11)

H12

물이나 공기,

산과 접촉시

독성을 방출

R29 contact with water liberates toxic gas H12test and/or

calculation

R31 contact with acids liberates toxic gasH12

test and/or

calculationR32 contact with acids liberates very toxic gas

H13

폐기후 위에

언급된 특성을

보이는 물질

R 1 explosive when dry H13 by H1 n/a

R 4 foams very sensitive explosive metal compounds

H13 by H1 n/aR 5 heating may cause an explosion

R 6 explosive with or without contact with air

R16 explosive when mixed with oxidising substances H13 by H1 n/a

R18in use of may form flammable / explosive

vapor-air mixture

H13 by

H1, H2 or

H3

n/a

R19 may form explosive peroxides

R44 risk of explosion if heated under confinement H13 by H1 n/a

H14생태독성

(Ecotoxic)

R50 very toxic to aqueous organism H14 ≥ 25%

R51 toxic to aqueous organism H14 ≥ 2.5%

R52 harmful to aqueous organism H14 ≥ 25%

R53may cause long term effects in the aquatic

environmentH14 ≥ 25%

R54 toxic to flora

H14 not available

R55 toxic to fauna

R56 toxic to soil organisms

R57 toxic to bees

R58may cause long term adverse effects in the

environment

R59 dangerpus for the ozone layer H14 ≥ 0.1%

- 기타

R33 danger of cumulative effects n/a n/a

R42 may cause sensitisation by inhalationn/a n/a

R43 may cause sensitisation by skin contact

R64 may cause harm to breast fed babies n/a n/a

R66repeated exposure may cause skin dryness or

crackingn/a n/a

R67 vapours may cause drowsiness and dizziness n/a n/a

(주) 음영은 risk phrases, 기타는 related risk phrases, n/a = not application

Page 5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48 -

[표 2.11] Categories of Danger in EU

CategoriesConcentration Limits

or Flash PointProperty

1 Flammable flash point ≤ 55℃ H3

2 Very Toxictotal concentration of ≥ 0.1%

of one or more substanceH6

3 Toxictotal concentration of ≥ 3%

of one or more substanceH6

4 Hamfultotal concentration of ≥ 25%

of one or more substanceH5

5 Corrosive (R35)total concentration of ≥ 1%

of one or more substanceH8

6 Corrosive (R34)total concentration of ≥ 5%

of one or more substanceH8

7 Irritant (R41)total concentration of ≥ 10%

of one or more substanceH4

8 Irritant (R36/R37/R38)total concentration of ≥ 20%

of one or more substanceH4

9 Carcinogenic (Cat. 1 or 2)concentration of ≥ 0.1%

of one substanceH7

10 Carcinogenic (Cat. 3)concentration of ≥ 1%

of one substanceH7

11Toxic fot Reproduction

(Cat. 1 or 2, R60 or R61)

concentration of ≥ 0.5%

of one substanceH10

12Toxic fot Reproduction

(Cat. 3, R62 or R63)

concentration of ≥ 5%

of one substanceH10

13 Mutagenic (Cat. 1 or 2, R46)concentration of ≥ 0.1%

of one substanceH11

14 Mutagenic (Cat. 3, R40)concentration of ≥ 1%

of one substanceH11

Page 5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49 -

2.2.3.2 EU의 폐기물 분류 코드 및 구분

국제기관에 해당하는 유럽연합은 폐기물의 폐기경로, 유해물질, 유해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해폐기물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해

폐기물의 분류체계는 폐수처리오니 및 공정오니 발생사업장에 대한 구체적 규정

이 없이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EU 국가내에서 통용되는 것으로

서, EU 국가내의 독일, 영국, 프랑스 등 모든 국가가 이 규정 및 분류체계를 통

용하고 있다.

EU는 1991년에 업종에 근거한 유해폐기물 목록지침을 공표하였으며, 분류코드

는 대분류 2자리, 중분류 2자리, 소분류 2자리의 총 6자리 숫자로 통일하고 있다.

EU에서는 폐기물 배출원을 대분류로 01에서 20으로 구분하여 생산공정에서 발

생된 것과 특정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분화하여 목록화하고 있다. 2자리의 중

분류와 2자리의 소분류 항목을 추가하여, EU 폐기물 목록(EWC)은 모두 6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분류 2자리와 중분류 2자리는 업종구분을, 마지막인 소분류

2자리는 특정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즉, 01~12 및 17~20 등 15개 대분류는 생

산공정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구분하고 있으며, 13~16의 4개 대분류는 특정 유해

성분을 함유한 폐기물로서 발생공정과 유해성분을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또한 EU의 폐기물목록(European Waste Catalogue, EWC)은 OECD와 바젤협

약의 분류목록을 참조하여, 일반폐기물 및 유해폐기물로 구분하고 있으며, 폐기

물의 유해특성 분류기준은 OECD 및 바젤협약과 같은 H코드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은 유해폐기물과 비유해폐기물로 구분하고 있으며, 유해폐기물은

A(absolute entry, 절대유해목록)과 M(mirror entry, 상대유해목록)의 2종으로 구

분하고 있다. 절대유해목록에 해당하는 폐기물은 유해폐기물이며, 상대유해목록

에 해당하는 폐기물은 유해성분이 있거나 그 유해성이 입증될 경우(H1~H14)에

는 유해폐기물로 관리되고, 그 외에는 비유해폐기물로 취급된다.

2.2.3.3 EU의 폐기물 목록

Page 5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50 -

[표 2.12]는 EU의 폐기물 분류체계를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EU가 목록화한

폐기물의 종류는 총 839개이며, 이중 일반폐기물이 434개, 유해폐기물이 405개(절

대유해폐기물이 221종, 상대유해폐기물이 184종)이며, 목록에 없는 폐기물은 유해

성 확인 여부에 따라 폐기물 목록에 첨가하거나 또는 삭제하고 있다. 이 분류에

근거하여 EU내 모든 국가는 폐기물 목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자국에 필요한 폐

기물 항목을 새롭게 설정하거나 삭제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거의 통일된 분류

체계를 사용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대분류 01은 탐사, 광업, 선광 및 광물과 채석업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폐기

물, 02는 농업, 원예, 사냥, 낚시, 연못의 양어, 식료품제조와 가공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3은 목재가공, 펄프, 종이, 판지, 널빤지, 가구제조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4는 피혁, 섬유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5는 정유 천연가스정화, 석탄열분해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6은 무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은 유기

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8은 도료(페인트, 락카, 에나멜), 패킹물질, 인쇄

용잉크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9는 사진산업에서 발생

되는 폐기물, 10은 열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폐기물, 11은 금속가공과 도

금 및 비철-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금속함유 폐기물, 12는 금속, 플라스

틱의 기계적인 주조와 표면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3은 폐유, 14는 용제

로서 사용된 유기물질의 폐기물, 15는 포장, 흡수물질, 세척용 수건, 여과재, 보호

용 의류, 16은 목록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은 폐기물, 17은 건축 및 철거폐기물,

18은 의학 또는 수의학적인 처리와 연구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는 폐기물처리

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공공급수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20은 생활폐기물과

생활계, 상업 및 산업폐기물 그리고 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분리수거된 항

목으로 구분하였다. 이중 목록의 전반부는 생산공정에서 발생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록의 후반부는 특정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3

(폐유)과 14(유기용제)는 유해폐기물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Page 6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51 -

[표 2.12] EU의 폐기물 대분류 및 항목수

대분류

코 드목록

폐기물 공정(항목)수

유해폐기물 일 반

폐기물계

Absolute Mirror

01탐사, 광업, 선광 및 광물과 채석업의 처리과정에

서 발생된 폐기물1 5 17 23

02농업, 원예, 사냥, 낚시, 연못의 양어, 식료품제조

와 가공에서 발생되는 폐기물1 37 38

03목재가공, 펄프, 종이, 판지, 널빤지, 가구제조에서

발생되는 폐기물4 2 13 19

04 피혁, 섬유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4 17 21

05정유 천연가스정화, 석탄열분해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12 2 10 24

06 무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6 13 19 48

07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49 11 18 78

08도료(페인트,락카,에나멜), 패킹물질, 인쇄용잉크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5 12 21 38

09 사진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7 1 5 13

10 열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폐기물 20 49 104 173

11금속가공과 도금 및 비철-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금속함유 폐기물10 7 10 27

12금속, 플라스틱의 기계적인 주조와 표면가공공정

에서 발생되는 폐기물9 4 10 23

13 폐유 34 34

14 용제로서 사용된 유기물질의 폐기물 5 5

15 포장, 흡수물질, 세척용 수건, 여과재, 보호용 의류 3 9 12

16 목록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은 폐기물 16 27 28 71

17 건축 및 철거폐기물 1 15 22 38

18의학 또는 수의학적인 처리와 연구에서 발생되는

폐기물5 2 9 16

19폐기물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공공급수시설

에서 발생되는 폐기물18 21 59 98

20생활폐기물과 생활계, 상업 및 산업폐기물 그리고

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분리수거된 항목9 5 26 40

계221 184

434 839405

자료) Environment Agency Hazardous Waste ː Interpretation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Hazardous Waste (2nd edition v2.2)

Page 6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52 -

2.2.4 미국의 유해폐기물 목록화

2.2.4.1 미국의 유해폐기물 관련법

⑴ SWDA (Solid Waste Disposal Act, 1965)

폐기물 관련 법규는 폐기물처분법(Solid Waste Disposal Act)이 의회에서 제

정된 1965년부터 시작되었다. 이 법의 제정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대기, 물 그리고 토양 자원의 질을 보존하고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기물 관

리 및 자원회수 시설들의 가동상황 공개, 건설 및 적용의 장려

② 자원회수 및 폐기물 처분 프로그램의 계획과 개발을 시도하는 주 또는 기

타 행정기구에 기술적, 재정적 도움을 제공

③ 폐기물 관리기술의 개선, 더욱 효과적인 조직 정비, 폐기물의 수거, 선별,

회수 그리고 재활용에 관한 새롭고 개선된 방법 개발, 회수불가능한 폐기물의 안

전한 처분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연구 및 개발 프로그램 장려

④ 폐기물의 수거, 운반, 선별, 회수 및 처분체계 기준제정 근거 마련

⑤ 폐기물 처분체계의 설계, 운영 그리고 유지관리와 관련된 직종에서의 훈련

기회 제공

이 법의 시행은 보건사회부(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의

미국공중위생국(USPHS)과, 내무부의 광업국(Bureau of Mines)이 주관하게 되었

다. 미국공중위생국은 미국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도시폐기물을 통제하는 임무

를 수행하였다. 광업국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설비와 산업증기설비에서 발

생되는 폐기물과 광산에서 발생되는 광산폐기물을 감독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⑵ NEPA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1969)

1969년에 제정된 국가환경정책법(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NEPA)

은 환경 전분야에 적용되는 법이다. 이 법은 연방자금을 사용하거나 연방행정기

Page 6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53 -

구의 규제를 받는 모든 사업에 영향을 끼친다. 비록 이 법이 어느 정도의 단점이

있고 또한 일부 사업의 완공을 늦추는 원인이 되기는 했지만 여론수렴 등 일반

인이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법은 대통령직속기구로서의 환경질위원회(Council on Environmental

Quality)의 설립을 명문화하였다. 이 위원회는 모든 연방행정기구로부터 연방정

부가 후원하거나 감독권이 있는 활동이나 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EIS)를 제출토록 하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실

질적으로 환경영향평가서의 준비에는 여러 학문분야의 지식이 필요하다. 환경영

향평가서는 법정에서 정당성을 입증해야 할 경우도 있는 법적인 서류가 되므로

평가서 작성 시 환경에 대하여 예측할 수 있는 모든 영향을 고려해야만 한다. 자

문 전문회사나 계획입안전문회사들은 폐기물 관리 시설에 대한 환경영향보고서

를 준비해야만 하는 도시, 군(county) 그리고 주 행정기구를 돕기 위하여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규모로 고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가들 중에는 생태학, 토

지이용계획, 생물학, 토양학, 경제학, 그리고 사회학 등과 같은 전문가들이 포함

된다. 각각의 새로운 폐기물 관련 산업은 잘 계획되고, 완벽하게 준비되고, 철저

하게 분석된 환경영향보고서를 마련함으로 대중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관

련자를 초청하고, 그들의 지지를 획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완벽한

환경영향평가서가 준비되었을 때 국가환경정책법(NEPA)과 여타 관련법의 적용

하에 계획된 사업이 승인될 것이다.

⑶ RRA (Resources Recovery Act, 1970)

1965년도에 제정되었던 폐기물처분법은 1970년도에 자원회수법(Resources

Recovery Act, Public Law 95-512)으로 개정되었다. 이 법은 폐기물 관련정책이

매립 등 폐기물 처분위주에서 폐기물 내의 재활용 가능한 물질의 회수와 재이용

및 에너지 전환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폐기물관리국(National Office

of Solid Waste Management)의 지시에 의하여 미국공중위생국(USPHS)은 도시

폐기물의 자원회수와 이용에 관한 보고서를 1971년 완성하였다. 1971년에는 대통

Page 6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54 -

령 명령에 의한 국가 기구 재정비계획 3호(Reorgarnizational Plan No.3, 1970)에

의거하여 미국환경보호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이 설립

되었고, 모든 폐기물 관련업무가 미국공중위생국에서 미국환경보호청(EPA)으로

이관되었다. 그 이후 자원회수에 관한 의회연례보고서와 기본적 참고서인 폐기물

관리정책결정자를 위한 안내서(Decision-Makers Guide to Solid Waste

Management)를 포함한 여러 가지 폐기물 관련 보고서들이 출간되었다.

⑷ RCRA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overy Act, 1976)

1970년에 제정된 자원회수법(Resources Recovery Act)은 1976년에 자원보전

및 회수법(Resource Conservation and Recovery Act, RCRA, the Public Law

94-580)으로 발전되었다. 이 법규의 출현은 폐기물 관리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이 때 미국환경보호청은 일반인들에게 폐기물 관리에 관한 지침을 발표하였다.

자원보전 및 회수법(RCRA)은 폐기물의 저장, 처리 그리고 처분에 관한 지침과

기준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의회는 이 법규에서 유해폐

기물과 일반폐기물을 모두 다루었고 유해폐기물의 경우 필요한 조치를 위한 추

진일정을 보다 앞당겨 세워 놓았기 때문에 미국환경보호청은 도시폐기물로부터

유해폐기물을 분리시켰다.

자원보전 및 회수법(RCRA)은 1978, 1980, 1982, 1983, 1984, 1986 그리고 1988

년에 재차 개정되고 재인가 되었다. 1980년과 1984년에 의회는 유해폐기물에 깊

은 관심을 기울였고 유해폐기물의 저장, 처리 그리고 처분에 관하여 강력히 단속

하기 위한 초안을 마련하였다. 도시폐기물 관리시설들은 미국환경보호청이 공표

한 환경지침의 규제를 받았다. 이 지침은 엄중한 환경오염 통제하에서 도시폐기

물 매립을 시행하려는 의도였지만, 지방공무원과 주민들 사이에는 그 법규해석에

많은 논란이 있었으며 각 지역특성에 맞는 매립시설에 관하여도 논란이 있었다.

미국환경보호청은 1978년에 도시폐기물 관리를 위한 지침초안을 공표하였고,

1984년과 1988년에 이 지침 초안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유해폐기물 관련 법조항

에는 유해물질의 목록이 포함되어 있고, 도시폐기물에는 이러한 목록에 있는 유

Page 6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55 -

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청문회는 유해폐기물 관련 법조항과 조화를 이

루는 도시폐기물 처분 관련 법조항에 역점을 두었다.

⑸ CERCL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Response,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 1980)

1980년에 제정된 환경보상책임법(Comprehensive Environmental Response,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 CERCLA, Public Law 96-510)은 유해폐기물 불

량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에 직접적으로 대처하고 여기에 소요되는 기금

을 조성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도시폐기물 불량매립지란 자원보전 및 회수법

(RCRA)의 허가기준에 의하여 운영되어 오지 않았거나 현재 운영되지 않고 있는

매립시설을 의미한다. 현재 가동 중이거나 폐쇄된 도시폐기물 불량매립지가 만일

유해폐기물을 함유하고 있거나 유해물질 발생지임이 증명된다면 환경보상책임법

(CERCLA)의 적용을 받도록 되어있다. 환경보상책임법(CERCLA)은 일반적으로

Superfund Law로 알려져 있다.

⑹ HSWA (Hazardous and Solid Waste Amendment, 1984)

HSWA에서는 폐기물의 매립처분을 강력히 규제하기 시작하였다. 이 법률에

서는 몇 종류의 폐기물 매립을 금지하였고, 매립되는 폐기물의 수분함량을 제한

하였으며, 유해폐기물의 매립장의 시설기준을 엄격히 강화하였다. 또한 유해폐기

물의 처리 및 저장시설에 대한 기준도 강화하여 대부분 기준 미달 시설에 대해

서는 폐쇄조치를 시행하였다. Land Disposal program을 운영하여 적정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 매립을 금지하여 지하수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는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려는 정책으로써 폐기물의 최소화 프로그램 시행을 의

무화하였고, 폐기물의 유해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폐기물의 재이용에

관련된 규제를 강화한 결과 매립을 하는 유해폐기물의 70%가 감소하였다. 또한

벌금도 강화되어 개인에게는 최고 100만$, 법인에는 최대 10억$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 법이 시행됨에 따라 약 6,000건의 위반 사례가 적발되었다.

Page 6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56 -

⑺ SARA (Superfund Amendment and Reauthorization Act, 1986)

SARA(Super Fund Amendments and Reauthorization Act : 일명 New

Super Fund)는 1980년 제정된 CERCLA가 개정된 법으로, 정화를 위한 기술개

발, 현장적용, 법규제정 등이 더욱 구체화되었으며, 이후 Super Fund로 지정된

대규모 오염지역을 포함한 수천개의 오염지역에 대해 다양한 정화기술이 적용되

었으며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기술 개선과 복원전략의 발전을 이루었다. SARA

에서는 기존의 유해폐기물 부지의 정화 및 관련 책임집단의 법적 책임에 관한

조항을 두고 있다. 여기에는 현재와 과거의 토지소유자와 임대인, 유해폐기물의

생산․운반․폐기자들이 포함된다. 미국 환경처(EPA :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는 유해폐기물 부지에 대한 목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중보건과 환경에

위험한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다. 정화비용과 처벌에 따르는 잠재적

인 손실이 종종 지가를 상회하기 때문에 계획정보체계에서 기존의 유해폐기물

부지의 파악과 잠재적인 유해폐기물 부지의 파악을 중요시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년 동안에는 Super Fund 프로그램하에서 오염지역 및 매립지를 관리하며 복

원하는 일을 추진하였다. 여러 오염부지를 평가하고 복원하면서 얻어진 다년간의

많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EPA는 CERCLA 매립지에 대한 복원계획을 발달시켰

는데, 이러한 복원계획에는 오염부지내의 오염물질 확산방지를 비롯한 발생가스

와 침출수의 포집 및 처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Super Fund 부지들은 여

러 다양한 형태로 재활용되고 있는데, 부지들의 재개(redevelop- ment : 새로운

시설물 등의 건설), 현장에 있는 자원의 재사용(reuse : 기존에 유지되던 건물의

재사용) 또는 부지주변에서의 생태환경 조성 등이 있다. EPA는 복원 부지들에

대한 획일적인 재사용 방안을 지양하면서, 지역의 행정적인 협력을 통해 복원 목

적을 결정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Super Fund는 환경대응, 보상 및 책임

과 정화를 위한 기술개발, 현장적용, 법규제정을 통해서 다양한 기술개선과 복원

기술의 개발까지 포함하고 있다.

⑻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 Reauthorzation Superfund without

Page 6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57 -

major change (1990)

총괄예산조정법(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은 일차적으로 정액교부

금 block grant을 통해 사회서비스 프로그램, 모순 활동, 책임 등을 연방정부로부

터 주정부로 분산하도록 규정한 1981년에 개정된 연방법(P.L. 97-35)으로 사회보

장법 Social Security Act의 제20장을 개정한 것이다.

2.2.4.2 미국의 유해폐기물 정의 및 분류체계

미국의 폐기물분류는 RCRA(Resource Conservation, and Recovery Act; 1976)

에서 생활폐기물과 산업폐기물, 유해폐기물로 [그림 2.3]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미국은 폐기물 분류체계는 가장 복잡하면서도 체계적으로 되어 있어서, 미국의

유해폐기물은 법적이면서도 학문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RCRA

1004조항에는 유해폐기물은 양, 농도 또는 물리화학적, 전염성 특성에 의해 ①

사망률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거나, 치유될 수 없는 질병을 유발하거나, 치유는 되

지만 정신적 육체적 장애를 나타내는, 또는 ② 처리, 저장, 운반, 처분 과정에서

부적정한 관리로 인간 건강이나 주위 환경에 실질적으로 유해하거나 유해 가능

성이 있는 고형폐기물, 액체, 용기내의 가스 또는 반고형폐기물을 의미한다.

유해폐기물의 정의는 3가지에 의해 이루어지며, 첫째 EPA 규정에 있는 명확하

게 4가지 목록화된 폐기물에 포함되는 경우, 둘째 EPA 규정에 있는 4가지 유해

특성(인화성, 부식성, 반응성, 독성)중 1가지라도 나타내는 경우, 셋째 발생원으로

부터 폐기물의 기본 지식에 의해 유해폐기물로 표명되는 경우이다.

유해폐기물의 분류체계는 크게 목록에 의한 유해폐기물(listed hazardous

wastes)과 유해특성에 의한 유해폐기물(hazardous waste by characteristics)로 구

분되고, 유해특성에 의한 유해폐기물은 reactivity (반응성), ignitability (인화성),

corrosivity (부식성), toxicity (독성)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폐기물을 말한다 [표

2.13]. 그리고 목록에 의한 유해폐기물은 비특정공정오염원(F-list), 특정 공정오염

원 (K-list), 상업용 화학물질은 급성 유해성 폐기물(acute hazardous waste,

Page 6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58 -

P-list)와 독성폐기물(toxic waste, U-list)로 구분된다 [표 2.14].

•비특정공정오염원 (F-list)

탈지, 기타 용매 사용, 도금, 열처리, 다이옥신을 배출하는 합성공정 등 7개

공정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또는 공정 폐기물과 28종의 용매에 한정하여 지정하

였다.

•특정 공정오염원 (K-list)

17개의 특정 업종 및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전량 유해폐기물로 지정

하였다.

•상업용 화학물질 - 급성 유해성 폐기물(acute hazardous waste, P-list)

농약, 중금속, 시안화합물 등 478종의 독성이 강한 물질로서 1kg/월 이상

배출되면 RCRA의 규제대상이 된다.

•상업용 화학물질 - 독성폐기물(toxic waste, U-list)

용매, 살충제 등 587종의 유해성이 조금 덜한 물질로서 100kg/월 이상 배

출되면 RCRA의 규제대상이 된다.

폐기물

[Waste]

고형폐기물

[Solid Waste]

유해폐기물

[40 CFR 261 Subpart D]

공정폐기물/슬러지

[40 CFR 261.31/32]

화학물질폐기물

[40 CFR 261.33]

유해특성폐기물

[40 CFR 261.20/301]

▪특정배출원 [F 코드]

▪비특정배출원 [k 코드]

▪화학물질폐기물 [P 코드]

▪독성폐기물 [U 코드]

▪인화성

▪부식성

▪반응성

▪독 성

[그림 2.3] 미국의 폐기물 분류

Page 6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59 -

[표 2.13] 미국의 유해폐기물 종류

판 단근 거

⑴ 물질이 폐기물인가 ?Is the material a solid waste ?

⑵ 폐기물은 규정에서 배제된 것인가 ?Is the waste excluded from regulation ?

⑶ 폐기물은 40 CFR Part 261, Subpart D에서 목록화된 폐기물인가 ?Is the waste a listed hazardous waste in 40 CFR Part 261, Subpart D ?

⑷ 폐기물이 Part 261, Subpart C의 특성을 나타내는가 ?Does the waste exhibit a characteristic in Part 261, Subpart C ?

종 류

목록에의 한유 해폐기물(listed

hazardouswastes)

공정폐기물과 슬러지

(149종)

비특정공정오염원(28종)

• F-List ː 40CFR261.31• 다이옥신을 함유하는 7개 공정에서 배출

되는 공정 폐기물과 28종의 용매

특정 공정오염원(121종)

• K-List ː 40CFR261.32• 17개 특정 업종 및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전량 유해폐기물로 지정

상업용화학물질(1,065종,

CCPs,commercial

chemicalproducts)

급성 유해성폐기물 (478종,

acute hazardouswaste)

• P-List• 농약, 중금속, 시안화합물 등 독성이 강

한 물질로서 1kg/월 이상 배출되면RCRA의 규제대상

독성폐기물(587종, toxic

waste)

• U-List• 용매, 살충제 등 유해성이 조금 덜한 물

질로서 100kg/월 이상 배출되면 RCRA의 규제대상

유해특성에 의한유해폐기물

(hazardous waste bycharacteristics)

인화성ignitability

• 40CFR261.21 - D001 code• 인화점이 147℉(60℃) 이하 액체• 표준온도 및 압력하에서 발화가능한 비액체

• 인화성 압축가스, 산화제

부식성corrosivity

• 40CFR261.22 - D002 code• pH 2 이하 또는 12.5 이상의 것• 55℃에서 강철부식율이 6.35mm/yr 이상

인 액체

반응성reactivity

• 40CFR261.23 - D003 code• 환경중 불안정하고 폭발없이 격렬한 변

화를 일으키기 쉬운 것• 물과 격렬한 반응으로 독성가스를 발생

하거나 폭발을 일으키는 것• 독성가스를 발생하는 시안 및 황화합물

을 함유하는 폐기물• 표준 상온, 상압에서 폭발적 분해, 반응

하는 것• 금지된 폭발성 물질

용출독성EP toxicity

• 40CFR261.24 - D004~043 code• 고형물 함량이 0.5% 이하인 경우 그 자

체를 용출액으로 간주• TCLP 용출에 의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

질을 발생시키는 것 (비소 등 40종)

Page 6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60 -

[표 2.14] 미국의 목록에 의한 유해폐기물

F - ListK - List

배출원 폐기물종류

1. 사용후 버리는 용액

(Spent solvent)

2. 전기도금폐액

(electroplating wastes)

3. 다이옥신 베어링 폐기물

(dioxin bearing wastes)

4.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wastes from production

of certain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

5, 목재방부공정폐기물

(wastes from wood

preserving)

6. 석유정제공업 발생오니

(petroleum refinery

wastewater treatment

sludge)

7. 침출수

(multisource leachate)

1. 목재방부 슬러지

2. 무기안료 슬러지

3. 유기화학Still bottom, 증류폐액, 버려지는

촉매, 기타 폐기물

4. 무기화학 슬러지 및 기타 폐기물

5. 살충제슬러지, 여과 후의 폐기물, Still

bottom

6. 화약 슬러지, 폐탄소

7. 정유Slop oil, API, 유수분리기,

탱크바닥 슬러지

8. 주물 및 제철Pickle liquor, 대기오염방지에 의

한 먼지 및 슬러지

9. 피혁 각종 슬러지, 폐기물

10. 합금철

11. 잉크종류 슬러지 용제, 건조재, 흡수재

12. 코크스Ammonia still lime 슬러지, Tar,

Still bottom

13. Primary Copper Acid plant blowdown sludge

14. Primary Lead 슬러지

15. Primary Zinc 슬러지

16. Primary Aluminum Spent Potliners

17. Secondary Lead 대기오염방지에 의한 슬러지

P-List 농약, 중금속, 시안화합물 등 478 종의 독성이 강한 물질

U-List 용매, 살충제 등 587 종의 물질

2.2.4.3 미국의 유해폐기물 목록에 대한 규정 (Subpart D)

⑴ 일반사항 (261.30 조항)

① 260.20과 260.22 조항의 목록에서 제외되지 않으면, 세부규정(Subpart)에

목록화되어 있는 고형폐기물은 유해폐기물이다.

② 폐기물 목록화를 위해서 다음의 폐기물 코드를 이용하여 이 세부규정에

있는 목록화된 폐기물의 특성과 종류를 나타내어야 한다.

Page 7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61 -

폐기물 유해 특성 폐기물 코드Ignitable Waste (I)Corrosive Waste (C)Reactive Waste (R)

Toxicity Characteristic Waste (E)Acute Hazardous Waste (H)

Toxic Waste (T)

③ 세부규정(Subpart)에 목록화된 유해폐기물에는 EPA 유해폐기물 번호를

할당한다. 이 번호들은 법에 명시된 공지사항, 요구사항과 자료 보존, 보고요구를

준수하는데 사용된다.

④ 261.31 또는 261.32 조항에 목록된 다음의 유해폐기물들은 261.5 조항에 의

한 급성 유해폐기물(Acute Hazardous Waste)에서 제외하여야 한다.

(EPA 유해폐기물 번호 : FO20, FO21, FO22, FO23, FO26 및 FO27)

⑵ 비특정 오염원으로부터의 유해 폐기물 (261.31 조항; F-List)

① 260.20과 260.22 조항에서 제외되거나, Wastes excluded under 260.20 and

260.22에 목록화된 것들을 제외하고 다음의 고형폐기물은 비점 오염원으로부터의

목록화된 유해폐기물이다.

단위공정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5일을 넘지 않거나 또는 독성 특성에 의한

유해 폐기물인 슬러지를 발생하지 않는 단위공정에서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30

일을 넘지 않는 경우

② 생산자와 처리, 저장, 처분시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유해폐기물 목록화

정의에 따라 F037과 F038로서 이 목록화에서 제외되는 것을 입증하여야 한다.

발생원과 처리, 저장, 처분시설은 다음 사항을 증명하기 위하여 충분한 공정기록,

현장기록, 문서, 자료를 유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A) 단위장치가 이 세부 조항

에 정의된 활성생물학적 처리장치이어야 하고 (B) 슬러지는 활성생물학적 처리장

치에서 발생되는 것을 입증하여야 F037 와 F038 정의에 제외된다.

③ (i) F037 목록화를 위하여, 슬러지는 단위장치에서 침전, 즉 적어도 입자의

Page 7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62 -

좌우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침전으로부터 발생된 것으로 한다. (ii) F038

목록화를 위하여, (A) 슬러지는 단위장치에서 침전, 즉 적어도 입자의 좌우 움직

임을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침전으로부터 발생된 것으로 하고 (B) 부유물질들은

단위장치의 상단에 형성이 되는 것으로 한다.

④ F019 목록화를 위하여, zinc phosphating 공정을 이용하는 자동차 생산 공

정에서 발생되는 폐수처리 슬러지에는 다음 사항이 적용되어야 한다. (i) 자동차

제조공정은 자동차와 경트럭 다목적차량(밴, 픽업트럭, 미니밴, S.U.V를 포함)의

제조 공정을 의미한다. 제조시설은 자동차 완제품 또는 자동차 차대를 제작하는

데에 관계되어야 한다. (ii) 발생원은 폐수처리 슬러지를 F019 목록의 제외 조건

을 충족하기 위해 현장기록문서와 충분한 정보를 유지해야한다. 이러한 기록들은

다음의 사항들을 포함해야 한다 (발생된 폐기물의 부피, 처리장소; 발생된 폐기

물이 처리장소로 이송된 서류; 폐기물을 수거해가는 처리시설의 주소와 이름; 폐

기물을 수거해가는 확인 영수증). 발생원은 이러한 문서들을 3년 이상 보관해야

하며 문서들의 보관기간은 집행과정 또는 지역 공무원 또는 주(州) 기관이 규제

를 요청하는 동안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⑶ 특정 오염원으로부터의 유해 폐기물 (261.32 조항; K-List)

① 다음의 고형 폐기물은 260.20와, 260.22 조항과 Wastes excluded under

260.20 and 260.22의 목록에서 제외되지 않으면, 특정 오염원으로부터의 유해폐

기물이다.

② 특정 목록 정의(Listing Specific Definitions): (1) K181 목록화를 위하여,

염료 또는 안료제품은 다음의 제품을 제조하는 공장을 포함하도록 한다 (염료,

안료 또는 azo, triarylmethane, perylene 또는 anthraquinone 등급으로 분류되는

FDA 인증 색상 분류). Azo 제품은 azo, monoazo, diazo, triazo, polyazo, azoic,

benzidine과 pyrazolone 제품을 포함한다. Triarylmethane 제품은 triarylmethane

와 triphenylmethane 제품 모두 포함한다. 염료와 안료 생산 공장에서 발생하지

않는 폐기물(작업장 밖에서 발생한 폐기물, 포장 폐기물 등)은 K181 목록화에 포

Page 7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63 -

함되지 않는다.

③ K181 목록화 기준 (Listing Levels)

K181 목록화 기준과 같거나 초과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비폐수

(nonwastewater)는 K181 목록의 배제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면 K181 목록 대상이

된다. (1년 적용)

Constituent Chemical Abstracts No. Mass levels(kg/yr)Aniline 62–53–3 9,300

o-Anisidine 90–04–0 1104-Chloroaniline 106–47–8 4,800

p-Cresidine 120–71–8 6602,4-Dimethylaniline 95–68–1 100

1,2-Phenylenediamine 95–54–5 7101,3-Phenylenediamine 108–45–2 1,200

④ 실증과정에 대한 실례 (K181목록이 아닌 염료/안료 비폐수)

염료/안료 생산으로 비폐수(nonwastewater)가 유해폐기물로 목록화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실례이다. (이 예는 폐기물이 매립지에 폐기되거나 소각처리

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비폐수는 주어진 규정을 적용하여 매립되거나

소각처리되면 유해하지 않다. K181 목록 설명에 포함된 매립조건과 소각조건에

적합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하여, 발생원에서는 적절한 조건에 의해 이에 대한

문서들을 보존하여야 한다.

○ K181 비성분에 대한 결정(Determination based on no K181 constituents)

발생원에서는 정보(예를 들면, 사용된 원료에 대한 정보, 분석자료, 샘플링

전의 폐기물의 성분 지식, 생산 공정, 제품의 반응과 분해 등에 대한 정보)를 이

용하여 폐기물이 K181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그 자료를 이용하여 그 폐

기물이 K181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발생원은 매년 이러한 결정

자료를 문서화하여야 하며 3년 동안 이에 해당하는 기본적인 문서들을 보존해야

한다.

○ K181 성분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발생량 결정 (Determination for

generated quantities of 1,000 MT/yr or less for wastes that contain K181

Page 7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64 -

constituents)

염색 또는 안료 비폐수(nonwastewater)의 연간 발생량이 1,000톤 또는 이

하가 되면, 발생원에서는 폐기물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사용된 원료에 대한 정

보, 분석자료, 샘플링 전의 폐기물의 성분 지식, 생산 공정, 제품의 반응과 분해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K181 성분에 대한 연간 질량부하가 목록화 기준 이

하로 결정되는데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발생원은 다음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i) 매년 발생되는 비폐수(nonwastewater)의 양이 1,000톤 이하인 것을 기록하여

서류로 보관하여야 한다. (ii)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발생하는 실제 비

폐수의 양을 기록한다. 만약 1년 동안 어느 시점에서 실제 양이 1,000톤을 초과

하면 발생원에서는 주어진 요구사항들을 당해의 남은 기간 동안 준수해야 한다.

(iii) 일년 동안 K181 성분의 질량부하에 대한 총량을 기록, 관리하여야 한다. (iv)

유해폐기물로 결정되는 과정에 대하여 최근 3년간 다음 기록들을 보관 유지 하

여야 한다. [(A) 염색/안료 비폐수(nonwastewater)의 발생양, (B) 사용된 관련된

공정 정보, (C) 비폐수에 포함되는 각각의 K181 성분의 년간 총 질량 부하를 결

정하는 계산]

○ K181 성분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발생량 결정 (Determination for

generated quantities greater than 1,000 MT/yr for wastes that contain K181

constituents)

연간 염색 또는 안료의 비폐수 발생량이 1,000톤 이상이면, 발생원에서는

폐기물이 K181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다음의 설명된 모든

과정들을 수행하여야 한다. (i) K181 성분들이 폐기물의 지식에 기초하여 합리적

으로 폐기물에 존재되는 것을 (예를 들면, 사용된 원료에 대한 정보, 분석자료,

샘플링 전의 폐기물의 성분 지식, 생산 공정, 제품의 반응과 분해 등에 대한 정

보) 나타내어야 한다. (ii)폐기물에 1,2-phenylenediamine이 존재하면, 발생원에서

는 폐기물에서의 이 성분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정보지식 또는 샘플링과 분

석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사용을 기초로 한 결정에 대하여 발생원은

적절한 정보사용 과정에 동의하여야 하며, 설명된 기록보존을 준수하여야 한다.

Page 7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65 -

샘플링과 분석에 대한 결정에 대하여 발생원은 이러한 샘플링과 분석에 동의하

여야 하며, 기록 보존 요구를 준수해야 한다. (iii) K181 성분이 포함되는 대표적

인 폐기물 샘플의 수집과 분석을 위하여 폐기물 샘플링과 분석 계획(또는 기존

계획을 수정)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 계획에는 적어도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A) 폐기물의 특성을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는 샘플의 개수 검토, (B) 대

표성을 띄는 폐기물 샘플을 획득하는 계획된 수집 방법, (C) 잠재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변화를 고려한 폐기물들의 수집 계획에 대한 검토, (D) 샘플의 전처리,

세척(필요한 경우), 결정 방법을 포함한 사용한 실험방법의 상세한 설명] (iv) 폐

기물 샘플링과 분석 계획에 따라 시료를 수집과 분석하여야 한다. [(A) 샘플링과

분석은 공정성, 정확성, 폐기물의 대표성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 (B) 분석 측정은

성분의 질량부하가 목록화 기준 이상과 이하로 되는 어떠한 주장에 대해서도 대

처할 수 있는 충분히 민감하고 정밀하며 정확하여야 한다.] (v) 분석결과는 기록

하여야 한다. (vi) 샘플링과 분석 결과에 나타나 폐기물 양을 기록한다. (vii) 특

별 성분의 질량부하를 계산한다 (폐기물 발생량과 농도의 곱). (viii) 1년 동안의

K181 성분의 총 질량 부하를 기록한다. (ix)목록화된 K181 성분들 중 어떠한 성

분 질량이 1월 1일부터 12월 31일 까지 1년 동안 K181 목록화 기준 이하인지를

알아야 한다. (x) 유해폐기물로 결정한 방법에 대해서 최근 3년간 다음의 현장

기록들을 유지해야 한다. [(A) 샘플링과 분석 계획, (B) 샘플링과 분석 결과

(QA/QC데이터 포함), (C) 염색과 안료 비폐수(nonwastewater) 발생량, (D) 년간

질량부하를 결정하는 계산 수행과정] (xi)비유해 폐기물 결정은 매년 폐기물이

비유해한지 검증하여야한다. [(A)연간 실험실시에 의해 3년 동안 연속적으로 폐

기물이 비유해폐기물로 입증되면 실험실시를 유예한다. 발생원에서는 연속적인

결정을 위하여 폐기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B) 연간 실험실시는 폐기

물을 발생하는 생산시설이나 폐기물 처리 공정이 크게 변화하거나 폐기물이 목

록화 기준을 초과할 잠재력이 증가할 경우, 복귀시킬 수 있다. (C) 연간 실험실

시가 보류될 경우, 발생원은 비유해폐기물 결정시 사용된 지식 정보 과정들의 기

록을 보관해 놓아야 한다. 만약 실험이 다시 시작될 경우, 공정변화 대한 설명도

Page 7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66 -

보존하여야 한다.

○ 매립과 소각 제외에 대한 기록보관 (Recordkeeping for the landfill

disposal and combustion exemptions)

K181 목록에 명시된 매립처분과 소각 조건을 충족하는 목적으로, 발생원

은 3년간의 현장 실증자료를 유지하여야 하고, 실증자료에는 목록에 명시한 매립

설계 기준을 만족하는 매립지로 보낸 폐기물 또는 목록에 포함된 특정물질로서

소각 시설에서 보낸 폐기물을 나타내어야 한다.

○ 폐기물의 보존과 취급

임시기간 동안, 폐기물 발생으로부터 유해폐기물로 결정되기까지, 발생원

은 폐기물을 적절하게 분류하는 책임을 진다. 폐기물이 유해폐기물로 결정되고

발생원에서 임시기간 동안 필요한 요구사항을 준수하지 않으면, 발생원은 부정

관리에 대한 강제적 책임을 질 수도 있다.

⑷ 폐기 상업적 화학제품, 명세 없는 품목, 용기 잔류물, 유출 잔류물에 대한 규

정 (261.33 조항; P-List와 U-List)

다음의 물질과 제품은 아래와 같은 여러 경우에 폐기되거나 폐기될 의도가

있다면 유해폐기물이 된다.

- 이러한 물질이 폐유나 다른 물질에 혼합되어 도로공사 또는 먼지 억제를

위해 도로에 적용되었을 경우,

- 원래 의도된 사용이 아닌 목적으로 도로에 사용하는 경우,

- 원래 의도된 사용이 아닌 목적으로 도로에 사용하는 품목에 포함되는 경우,

- 본 목적에 맞지 아니하게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생산되거나, 연료로 사용하

기 위해 배포되거나, 연료로서 연소되는 경우

① (e) 또는 (f) 목록에 일반명을 가진 상용 화학제품, 또는 제조된 화학 중간

제품

② (e) 또는 (f) 목록에 일반명을 가진 명세 없는 상용 화학제품, 또는 제조된

Page 7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67 -

화학 중간제품

③ 용기가 비워있지 않다면, (e) 또는 (f) 목록에 일반명을 가진 상용 화학제

품, 또는 제조된 화학 중간제품의 용기나 용기 내부 라이너에 잔류물.

④ e) 또는 (f) 목록에 일반명을 가진 상용 화학제품, 또는 제조된 화학 중간

제품에 의한 잔류물 또는 오염토양, 오염된 물 또는 토양에 유출된 기름정화로부

터 발생되는 잔해, e) 또는 (f) 목록에 일반명을 가진 명세가 없는 상용 화학제

품, 또는 제조된 화학 중간제품에 의한 잔류물 또는 오염토양, 오염된 물 또는

토양에 유출된 기름정화로부터 발생되는 잔해

⑤ (a)에서 (d)까지 설명한 상업적 화학제품, 제조된 화학 중간제품 또는 명세

가 없는 상업적 화학제품 또는 제조된 화학 중간제품은 심각한 유해폐기물(H)로

입증되나 적은 양은 배제조항에 의해 제외대상이 된다. (P-List)

⑥ (a)에서 (d)까지 설명한 상업적 화학제품, 제조된 화학 중간제품 또는 명세

가 없는 상업적 화학제품은 독성 폐기물(T)로 입증되나 적은 양은 배제조항에 의

해 제외대상이 된다. (U-List)

2.2.4.4 유해폐기물 목록화 제외사항

미국에서는 유해폐기물 목록을 우선적으로 수립하고 유해폐기물 목록에서 배

제할 수 있도록 제외사항을 두고 있다. 유해폐기물 목록에서 제외되기 위해서는

RCRA 규정의 목록 제외절차를 의해 폐기물에 대한 탄원서를 USEPA에 제출하

여야 하며, 목록 제외 절차는 40 CFR 260.20 & 260.22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렇

게 목록에서 제외되면 업종별 시설들의 목록에서 배제되는 제외목록(Delist)에 수

록되고 이러한 제외목록을 공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유해폐기물의 제외조항이 2007년 3월에 신

설되어 유해성 2차물질(부산물)의 재활용 또는 재이용되는 경우 유해폐기물에서

제외를 신청할 수 있으며 적절한 확인절차를 거친 후 유해폐기물 목록에서 제외

될 수 있다. 그러나 재이용되는 폐기물이 원료로서의 가치가 기존의 원료에 비해

Page 7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68 -

뒤떨어지지 않는 경제적 가치를 가져야 제외조항에 적합하다. 유해폐기물의 제외

조항으로는 유해성 2차물질이 발생되어진 곳에서 재이용 또는 재활용되는 경우

에 유해폐기물에서 제외될 수 있고, 유해성 2차물질이 발생되어진 곳에서 타지역

으로 이동되어 재이용 또는 재활용되는 경우에는 조건부로 제외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에는 유해폐기물 목록의 제외조항에 해당되지 않아 원천적

으로 제외신청을 할 수 없다.

① 근본적으로 유해성 물질(예, 다이옥신 함유 물질 등)을 함유한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경우

② 재활용하여 생산된 물질이 매립에 의해 처분되거나 토양에 적용되는 경우

③ 재활용 생산 물질이 에너지 생산을 위하여 연소되거나 유해성 2차물질을

연료로 사용하거나 연료의 생산에 이용되는 경우

2.2.4.5 미국의 유해폐기물 확인체계

미국에서는 실제적으로 폐기물의 유해성을 판단하고 확인하기 위한 근거로는

다음과 같이 4가지 판단을 시행하게 된다. 즉, ⑴ 물질이 폐기물인가? (Is the

material a solid waste?), ⑵ 폐기물은 규정에서 배제된 것인가? (Is the waste

excluded from regulation?), ⑶ 폐기물은 40 CFR Part 261, Subpart D에서 목록

화된 폐기물인가? (Is the waste a listed hazardous waste in 40 CFR Part 261,

Subpart D?), ⑷ 폐기물이 Part 261, Subpart C의 특성을 나타내는가? (Does the

waste exhibit a characteristic in Part 261, Subpart C?) 따라서 폐기물로 규정된

것 중에서 목록화(40 CFR Part 261, Subpart D)되어 있거나, 유해특성(40 CFR

Part 261, Subpart D)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유해폐기물로 규정하게 된다.

그러나 유해폐기물 목록화 특성에는 유해폐기물 특성인 4가지(인화성, 부식성,

반응성, 독성) 이외에도 2가지 특성(독성특성과 급성유해)을 포함하고 있다. 급성

유해(acutely hazardous)는 인간과 동물에게 매우 낮은 용량(dose)에서도 치명적

으로 유해한지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또한, 규정에 있는 여러 인자에 의

Page 7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69 -

해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은 독성성분 목록에 수록되고, 이러한 물질이 처

리, 저장, 운반, 처분 과정에서 부적정한 관리로 인간 건강이나 주위 환경에 실질

적으로 유해하거나 유해 가능성을 나타내면 이 물질을 급성유해한 것으로 규정

한다. 그리고 과학적으로 인간과 생명체에 독성 영향을 나타내는 물질은 독성성

분 목록화에 수록하여야 한다.

미국의 유해폐기물 확인체계는 목록화에 의한 확인체계와 급성유해에 의한 확

인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유해폐기물 목록화에 의한 확인체계는 [그림 2.4]에 도

시한 바와 같이 폐기물이 유해폐기물 대상인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고, 유해폐

기물 대상이면 유해폐기물 목록(F, K, P, U-List)에 의해 확인한 후 목록에 없으

면 용출시험을 실시하여 모든 용출항목이 기준이하로 될 때 유해폐기물로 나타

내지 않는다. 유해폐기물 목록에 있으면 목록의 제외사항을 확인하고를 제외사항

에 없으면 유해폐기물로, 있으면 유해폐기물 용출시험을 한 후에 판정한다.

[그림 2.4] 유해폐기물 목록에 의한 확인체계

Page 7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70 -

유해폐기물 급성유해에 의한 확인체계는 [그림 2.5]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어

떠한 특정물질에 대한 위해 유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대체로 급성유해 유

무를 기초로 하여 결정하고 있다. 미국의 유해물질 판정을 위한 과정으로, 처음

에 방사성 물질의 확인부터 시작하여 생물농축, 발화성, 경구독성, 피부독성, 수

중독성, 식물독성, 유전변이원성 등 10종의 사안에 대하여 확인하고 있다. 확인결

과, 10종의 판단기준 중 단 1가지라도 해당되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유해폐기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일반폐기물은 10가지 특성을 모두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만 적

용된다고 할 수 있다.

Page 8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71 -

폐기물 흐름

폐기물중의 방사능 성분이

최대허용농도 수준을 초과하는가 ?

YES→

↓ NO

폐기물이 생물농축을 하는가 ?YES

↓ NO

폐기물이 미국 국립소방국(NEPA)의

카테고리 4의 발연성을 가지는가 ?

YES→

↓ NO

폐기물의 경구독성, LD50이 50mg/kg 이하인가 ?YES

↓ NO

폐기물은 가스나 mist로 흡입시 흡입독성이 200ppm에서

나타나는가 ? dust 형태로 흡입시 LC50이 2mg/l 이하인가 ?

YES→

↓ NO

폐기물의 피부 침투독성, LD50이 200mg/l 이하인가 ?YES

↓ NO

피부자극반응이 8등급 이하인가 ?YES

↓ NO

폐기물의 수중독성, TLM-96hrs가 1000mg/l 이하인가 ?YES

↓ NO

폐기물의 식물독성 IL50이 1000mg/l 이하인가 ?YES

↓ NO

폐기물이 유전적 변화를 일으키는가 ?YES

↓ NO

일반 폐기물 유해 폐기물

[그림 2.5] 유해폐기물 독성에 의한 확인 체계

Page 8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72 -

2.2.5 일본의 유해폐기물 분류

2.2.5.1 일본의 폐기물 분류체계 및 목록

일본의 폐기물관리 기본법은 환경성에서 관리하는 「폐기물처리 및 청소에 관

한 법률」이며, 일본의 폐기물에 대한 정의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폐기물의

정의와 유사하다. 폐기물은 [그림 2.6]에서 보듯이 크게 일반폐기물과 산업폐기물

로 구분되며, 이는 각각 우리나라의 생활계 폐기물과 사업장 폐기물의 구분과 동

일하며, 산업폐기물 이외의 폐기물을 일반폐기물로 규정한 것도 우리나라의 경우

와 동일하다. 다만 우리나라 폐기물 분류와 차이가 있는 것은 일반 폐기물과 산

업폐기물에 각각 특별관리 폐기물을 구분하여, 특별관리 일반폐기물과 특별관리

산업폐기물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중 특별관리 산업폐기물은 우리나라의 지정

폐기물에 해당하나, 특별관리 일반폐기물은 우리나라 규정에 없는 폐기물 분류이

다. 특별관리 일반폐기물의 정의를 살펴보면, 일반폐기물 중 폭발성, 독성, 감염

성, 기타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대한 피해를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성

상을 가진 것으로써 정령으로 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일반 폐기물 ː 생활 폐기물

폐기물 특별관리 일반폐기물 ː (생활계 유해폐기물)

산업 폐기물 ː 사업장폐기물

특별관리 산업폐기물 ː지정폐기물

航行폐기물 / 携帶폐기물 ː (규정 없음)

[그림 2.6] 일본의 폐기물 분류 체계

Page 8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73 -

법적인 관점에서 일본의 유해폐기물은 [표 2.15]의 「폐기물의처리및청소에관

한법률」에서 제시되어 있는 8종의 특별관리 일반폐기물과 11종의 특별관리 산

업폐기물이 이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되어진다. 특별관리라는 용어에서 느껴지듯

이 독일의 법률상 유해폐기물 용어와 비슷하지만, 독일과 같이 공정별로 수백개

의 품목이 규정되어있지 않은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표 2.15]에 제시되어 있는 특별관리 일반폐기물은 동 법률에서 5개의 제품군

에 대한 8종의 대상 폐기물이 규정되어 있다. ① 폐전자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중

PCBs 성분을 함유한 것, ② 쓰레기소각시설의 비산재(우리나라의 경우 매연과

분진을 포함한 용어로 해석됨), ③ 폐기물처리시설인 특정시설에서 배출되는 매

진 또는 소각잔재물, ④ 폐기물소각시설인 특정시설의 폐가스 세정시설로부터 배

출된 오니로써 3ng/g 이상의 다이옥신류를 함유한 것, ⑤ 감염성폐기물 등이다.

이들 5개 품목은 법적인 용어 및 정의에서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간주되고는 있

지만, 일반적인 관점에서의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헤석되지는 않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이들 품목은 사업장 폐기물, 또는 지정폐기물로 분류하고 있다.

특별관리 산업폐기물은 특별관리 일반폐기물의 정의와 동일하며, ① 폐유, ②

폐산, ③ 폐알카리, ④ 감염성 산업폐기물, ⑤ 9종의 특정유해산업폐기물(폐PCB

/ PCB오염물 / PCB처리물 / 하수오니 / 광재 / 폐석면 / 소각시설의 비산재

또는 소각잔재물 / 폐유 / 오니, 폐산 또는 폐알카리), ⑥ 200kg/hr 이상의 소각

시설에서 발생한 매진 및 그 처리물, ⑦ 폐기물을 소각하여 발생한 비산재 또는

소각잔재물, ⑧ 폐기물 소각에 따라 발생한 오니로써 다이옥신류 함유 물질, ⑨

매진, ⑩ 소각잔재물로써 다이옥신류 함유 물질, ⑪ 오니로써 다이옥신류 함유

물질 등 11종류이다. 우리나라의 지정폐기물 11종과 비교적 유사한 품목으로 구

성되어 있다. 일본의 폐기물관리 특성상 PCB 오염물과 소각잔재물 맟 다이옥신

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일반폐기물로 지정되어 있는

하수오니가 특별관리되고 있는 것이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Page 8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74 -

[표 2.15] 일본의 폐기물 4분류

분류일 반

폐기물특별관리일반폐기물 산업폐기물 특별관리산업폐기물

정의

산업 폐기

물 이외의

폐기물

일반폐기물중 폭발성,

독성, 감염성, 기타 사

람의 건강 또는 생활

환경에 관한 피해를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성상을 가진 것

1. 사업 활동에 수반해서 발

생한 폐기물중 소각잔재

물, 오니, 폐유, 폐산, 폐

알칼리, 폐플라스틱, 기타

정령에서 정한 폐기물

2. 수입된 폐기물(항행폐기물)

및 일본에 입국한 자가

휴대한 폐기물을 제외한

다.

산업폐기물중 폭발성, 독성,

감염성, 기타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관계된 피

해를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성상을 가진 것

종류

1. 다음에 열거한 것에

포함된 PCB를 사

용한 부품

- 폐에어컨

- 폐TV 수상기

- 폐전자렌지

2. 쓰레기소각시설에서

발생한 비산재(분

진)

3. 및 이를 처분하기

위하여 처리한 것

4. 폐기물 소각시설에

서 발생한 매진 및

소각잔재물

5. 및 이를 처분하기

위하여 처리한 것

6. 폐기물 소각시설에

서 발생한 오니

7. 및 이를 처분하기

위하여 처리한 것

8. 감염성 일반폐기물

1. 폐지류

2. 폐목재류

3. 폐섬유류

4. 식료품,의약품,향료 제조업

에서 원료로 사용하는 동

식물에 관한 고상의 불필

요한 물질

4.2 도축장 또는 식용 조류

처리장에서 발생한 고상의

불필요한 물질

5. 폐고무류

6. 폐금속류

7. 폐유리 및 도자기조각

8. 광재

9. 공작물제거에 수반하여 발

생한 콘크리트 조각 기타

이와 유사한 불필요한 물

10. 동물의 분뇨

11. 동물의 시체

12. 매연발생시설 및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매

진(분진)

13. 소각잔재물,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칼리, 폐플라스

틱류, 전 각호에 열거한 폐

기물, 수입된 폐기물이외

폐기물

1. 폐유

2. 폐산

3. 폐알칼리

4. 감염성 산업폐기물

5. 특정유해산업폐기물(9종)

- 폐PCB등

- PCB오염물

- PCB처리물

- 하수오니

- 광재

- 폐석면 등

- 매진 또는 소각잔재물

(카드뮴화합물 함유 등

7종)

- 폐유(폐용제(TCE 등) 11

종)

- 오니, 폐산 또는 폐알칼

리(수은화합물 함유 등

25종)

6. 소각시설(200kg/hr 이상)

에서 발생한 매진 및 그

처리물

7. 폐기물 소각하여 발생한

비산재 또는 소각잔재물

8. 폐기물의 소각에 따라 발

생한 오니로서 다이옥신

류 함유

9. 매진(집진시설 포집)

10.소각잔재물로서 다이옥신

류 함유

11.오니로서 다이옥신류 함

Page 8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75 -

2.2.5.2 일본의 바젤폐기물

일본의 폐기물 정책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자국내 처리 및 재활용이

라고 할 수 있으며, 특정유해폐기물등의수출입등의규제에관한법률(일명 ‘일본 바

젤법’)은 물질의 유해성에 따라 폐기물을 규제하는 반면 폐기물의처리및청소에관

한법률(일명 ‘폐기물처리법’)은 물질의 가치에 따라 폐기물을 규제하는 이원적인

관리 체제를 갖고 있다. 폐기물중 무가성 및 유해성 폐기물은 규제대상이고, 반

대로 비유해성 유가물만이 수출이 가능하다.

폐기물처리법의 규제대상물

- 환경대신의 수출 확인

- 환경대신의 수입 허가

ː 有 價 物폐 기 물

(無 價 物)有 價 物

<------------------------------------------------->

(규제대상)

<-------------->

(수출가능)

일본 바젤법의 규제대상물

- 경제산업대신의 수출입

승인

ː 有 害 物 非 有 害 物

[그림 2.7] 수출입 규제대상의 구분

바젤협약의 부속서 Ⅷ 및 Ⅸ에 의거하여, 일본 바젤법에서 지정한 ‘특정유해폐기

물 등’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은 [그림 2.8]과 같다. 바젤협약의 부속서 Ⅳ에 의거하

여 최종처분을 목적으로 또는 리싸이클을 목적으로 수출입된 폐기물은, ⑴ 일본 바

젤법 별표 1(바젤협약 목록B 폐기물)에서 지정한 53품목에 해당하는 지, ⑵ 일본 바

젤법 별표 2(바젤협약 목록 A 폐기물)에서 지정한 59품목에 해당하는 지, ⑶ 마지

Page 8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76 -

막으로 일본 바젤법 별표 3(납, 비소, 다이옥신류 등 일정이상 함유한 폐기물)에서

지정한 기준에 해당되는 지를 각각 판별하여 규제대상인 특정유해폐기물과, 비규제

대상 폐기물로 구분한다. 규제대상 폐기물인 특정유해폐기물은 특정유해폐기물등의

수출입등의규제에관한법률에 의거하여, 비규제대상 폐기물은 폐기물의처리및청소에

관한법률에 의거하여 관리된다.

바젤 부속서 Ⅳ에 의하여 최종처분 목적 및 리싸이클 목적으로 수출입된 폐기물

바젤 목록 B 폐기물 (규제대상외 리스트, 53종류)

일정 이상 함유물질

(납/비소 등 물질)<

바젤 목록 A 폐기물

(규제대상 리스트, 59종)비해당

해당 비 해당 해당 해당

∨ ∨ ∨ ∨

규제대상 外 규제대상 (특정유해폐기물 등)

∥∨

∥∨

세관신고/환경대신 확인 외환법에 근거하는 수출입 승인 신청

[그림 2.8] 일본 바젤법의 규제대상 물질 판별법

일본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폭 넓은 국가간 이동통제 폐기물 목록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이다. 일본의 국가간 이동통제 폐기물 목록은 크게 3부류로 구분되는

데, ⑴ 첫째 OECD 폐기물 목록중 적색 폐기물 1종과 황색 폐기물 22종 등 총

Page 8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77 -

23종의 통제폐기물 목록이 포함되어 있으며, ⑵ 두 번째 기존의 바젤협약에서 목

록화되었던 61종의 폐기물 중에서 A1190(합성수지로 피복 또는 설치된 폐금속

케이블), A3200(역청질의 아스팔트 폐기물) 등 2종의 폐기물을 제외한 59종의 통

제폐기물 목록이 있다. ⑶ 마지막으로 일본국 자체에서 지정한 국가간 이동통제

폐기물로 41종을 별도로 지정하고 있으며, 이들 품목은 바젤협약 부속서Ⅰ에 규

정된 Y 코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본국에서 지정한 국가간 이동통

제대상 폐기물은 총 123종이 되고 있으며, OECD나 바젤에서 지정한 통제대상

폐기물 이외의 폐기물을 국가간 이동통제대상 폐기물로 지정하고 있는 유일한

국가이다. 그리고 별도의 특별법률을 지정하여 압축포장된 폐PET의 수출을 금지

시켰다.

2.2.6 영국의 유해폐기물 분류

2.2.6.1 영국의 유해폐기물 관련 규정의 변천

유해폐기물법의 주된 목적은 위험한 폐기물의 이동을 관리하는데 있다. 영국에

서는 1972년 Nuneaton에 시안폐기물을 무단투기한 사건으로 의회에서 Deposit

of Poisonous Waste Act가 제정되었다. 이 법에서는 2가지 형태의 분류가 취해

졌는데, 한 가지는 폐기물이 위험한지를 (예를 들면 부식성인지) 결정하도록 하

였으며, 다른 한 가지는 특정한 폐기물의 종류를 코드화하여(예를 들면 염산) 보

고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폐기물이 유해한지에 기초한 분류 체계였으며, 코딩시스템은 아니었다.

영국은 1974년에 Control of Pollution Act를 제정하여 폐기물 처리회사를 관리

하기 위한 허가제를 도입하였으며, special waste라 불리는 위험한 물질을 보다

엄격하게 제어하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1975년에 Waste Directive 75/442/EEC가

EEC(European Economic Community) 전역에 걸쳐 폐기물 제어를 규정하는 과

정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EEC의 회원국은 9개국이었다.

Page 8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78 -

최초의 유럽 유해폐기물 법률은 Council directive 78/319/EEC on toxic and

dangerous waste이다. 이 법은 부록에서 열거하는 폐기물을 함유하거나 폐기물

에 오염되었으면 독성과 위험성이 있는 폐기물로 분류하였다. 이는 부록에 있는

폐기물들에 대한 코딩 시스템이었다. 이 법은 영국에서 Control of Pollution Act

1974의 Section 17과 Control of Pollution (Special Waste) Regulations 1980에 도

입되었다. Waste Directive(현재는 Waste Framework Directive)는 1975년 이래로

수차례 변경되었으며, 최신 버전은 2008/98/EC이다.

유해폐기물 법령도 91/689/EEC을 포함하여 수차례 개정되었다. Hazardous

Waste Directive는 Toxic and Dangerous Waste Directive 78/319/EC를 대체한

것이다. 이것은 14가지 유해성질에 기초하여 유해유무를 결정하는 새로운 수단을

도입하였으며, 유해폐기물 목록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폐기물과 성분의 목록을 제

시하고 있다. Hazardous Waste Directive의 목적은 유럽 전역에 걸쳐서 정확하

고 균일한유해폐기물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유해폐기물의 올바른 관리가 되도록

하는데 있다.

91/689/EEC의 부록 IA, IB, II, III에서 주어진 근거에 기초하여 European

Waste Catalogue가 만들어졌다(EWC 1994, Commission Decision 94/3/EC). 이

목록은 1994년에 EC 회원국간의 협상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6자리의 분류체계

형태가 되었다. 또한 유해성질이 폐기물에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

한 threshold 농도가 도입되었다. 이 목록은 전문가 그룹들이 목록의 변경과 어

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수차례 회의한 후 2000년과 2001년에 개정

되었다(Revised European Waste Catalogue, EWC 2002). 이러한 회의에서 목록

을 사용하기 위한 절차가 합의되고, absolute entries와 mirror entries 용어의 사

용이 처음 결정되었다.

영국에서는 유해폐기물에 대한 EC Directive를 실행할 법률이 다음의 법률에

규정되어 있다. 즉, The Hazardous Waste (England and Wales) Regulations

2005 (HWR)와 The List of Wastes Regulations 2005 (LoWR, European Waste

Catalogue의 영국판)이 국내법에 해당된다.

Page 8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79 -

Hazardous Waste Directive는 2010년에 Waste Framework Directive

2008/98/EC로 대체될 예정인데, 2008/98/EC에서는 "Sensitising(민감성)"이라는

새로운 유해 성질이 도입된다. 즉, H13의 폐기물 특성이 "Sensitising(민감성)"으

로 바뀌었는데, “민감성”이란 흡입하거나 피부를 통과할 경우 추가적으로 그러한

물질이나 조제품에 노출되면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나 조제품을 말

한다.

폐기물 목록은 다시 논의되고 있는데, 이는 아래와 같은 이유를 포함하고 있

다.

- 새로운 classification, labeling and packaging legislation(CLP : 분류, 표지,

포장에 관한 규정)의 실행에 의해 야기되는 유해 성질 분류의 변화

- EC 국가들이 사용하기에 좋고, 간편한 목록을 만드는 변화를 원함

이러한 변화는 2009년 11월∼12월에 27개 EU 회원국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협상

이 진행될 예정이다.

2.2.6.2 유해폐기물 분류의 예

EU의 폐기물 목록에서 해당 폐기물이 absolute hazardous entry에 속하면 유

해폐기물로 간주하게 된다. 또한 absolute non-hazardous entry에 속하면 폐기물

은 무해한 것으로 간주된다. mirror entry의 경우 폐기물의 배출자나 보관자는

14가지 유해 성분 중 하나의 성질을 갖는지 평가를 해야한다.

Absolute hazardous waste는 목록에서 별표(*)를 가지고 있고, 특정한 혹은 일

반적인 위험 물질의 명칭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10 01 04*는 oil fly

ash and boiler dust인데 이것은 유해폐기물이다. Absolute non-hazardous entry

는 별표(*) 표시가 되어있지 않고, 특정한 혹은 일반적인 위험 물질의 명칭이 명

시되어 있지 않다. 20 01 10은 가정에서 발생한 의류로서 이는 어떤 경우에도 유

해하지 않다. Mirror entry waste는 최소한 1개 이상 특정한 혹은 일반적인 유해

물질이 명시되어 있는 entry이다. 예를 들어, 06 03 11*은 solid salts and

Page 8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80 -

solutions containing cyanides인데, 이 경우 cyanides라는 특정한 물질이 포함되

어 있다. 만약 cyanides가 폐기물이 유해한 특성을 발휘하도록 하면 해당 폐기물

은 06 03 11*로 분류되며, 이는 유해폐기물이 된다. 만약 cyanides를 함유하는

폐기물이 유해한 성질을 나타내지 않으면 아래의 다른 2가지 entry에 해당하는

지 검토하여야 한다.

- 06 03 13* solid salts and solutions containing heavy metals과

- 06 03 14 solid salts and solutio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06 03 11

and 06 03 13

만약 염이나 용액이 중금속이나 중금속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으면 06 03 14로

분류되어 유해폐기물로 분류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02 01 08*은 agrochemical waste containing dangerous

substances로서 일반적인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폐기물 배출자는

모든 가능한 물질에 대해 이들이 14가지의 유해 특성 중 한 가지를 나타내어 유

해폐기물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만약 해당되는 유해특성이 없으면 해당 폐

기물은 02 01 09 agrochemical waste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02 01 08로

분류되어 유해폐기물이 아닌 것으로 분류된다.

2.2.6.3 최근의 변동 사항

영국 환경청에서는 유해폐기물의 정의 및 분류에 대한 해석을 담은 기술자료집인

WM2(Interpretation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hazardous waste,

Second edition)를 발행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유해폐기물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다음

과 같은 화학물질 관련 규정과 지침들을 참고하고 있다.

- Approved Supply List

- Approved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Guide

- Test methods from Annex V of the Dangerous Substances Directive

- Chemicals (Hazard Information for Packaging and Supply) Regulations

Page 9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81 -

2002 (CHIP3)

그런데 최근 이들 규정과 지침들이 변경됨에 따라 유해폐기물을 정의하고 분류하

는데도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즉, 화학물질의 분류, 표지 및 포장에 관한 유럽연합

의 새로운 규정 (CLP Regulation, Regulation (EC) No 1272/2008)이 2008년 12월

에 채택되었으며, 이는 화학물질에 대한 세계조화시스템(Globally Harmonised

System)을 EU 내에서 채용한 것이다. CLP 규정은 EU의 Dangerous Substances

Directive (67/548/EEC)을 대체한다. Globally Harmonised System은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CHIP3는 2009년 4월에 CHIP 4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에 의해서,

- Approved Supply List는 더 이상 화학물질 분류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으며,

CLP 규정의 Annex VI의 표 3.2를 사용하여야 하며,

- The Approved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Guide는 재발행되었으며,

- 시험방법은 REACH 법률 하의 시험방법으로 시작한 EU Test Methods

Regulation (440/2008/EC)의 부록에 있는 시험방법을 준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European Waste Catalogue도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현재 검토

중에 있다.

2.2.6.4 영국의 유해폐기물 발생량

2007년도 현재 영국의 유해폐기물 발생량은 [표 2.16]과 같으며, 유기화학공정

폐기물(대분류 코드 7), 폐유(대분류 코드 13), 건설폐기물(대분류 코드 17) 등 3

개의 대분류 코드에서 전체 유해폐기물 발생량의 85%가 발생하였다.

Page 9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82 -

[표 2.16] 영국의 유해폐기물 발생량 (2007년)

대분류코드 대분류 년간

발생량(톤)

7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2,431,973

13 폐유 849,212

17 건축 및 철거폐기물 720,452

19폐기물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공공급수시설에서 발생

되는 폐기물717,623

16 목록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은 폐기물 561,502

20생활폐기물과 생활계, 상업 및 산업폐기물 그리고 시설에

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분리수거된 항목260,319

18 의학 또는 수의학적인 처리와 연구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64,234

10 열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폐기물 157,619

11금속가공과 도금 및 비철-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금속함유 폐기물136,170

8도료(페인트,락카,에나멜), 패킹물질, 인쇄용잉크의 제조, 가

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103,014

6 무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94,914

12금속, 플라스틱의 기계적인 주조와 표면가공공정에서 발생

되는 폐기물80,044

15 포장, 흡수물질, 세척용 수건, 여과재, 보호용 의류 68,496

1탐사, 광업, 선광 및 광물과 채석업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23,211

14 용제로서 사용된 유기물질의 폐기물 23,034

5 정유 천연가스정화, 석탄열분해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237

9 사진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5,791

3목재가공, 펄프, 종이, 판지, 널빤지, 가구제조에서 발생되

는 폐기물2,171

4 피혁, 섬유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215

2농업, 원예, 사냥, 낚시, 연못의 양어, 식료품제조와 가공에

서 발생되는 폐기물935

합 계 6,431,165

※ 자료출처 : http://www.umweltbundesamt.de/abfallwirtschaft-e/abfallstatistik/index.htm

2.2.7 독일의 유해폐기물 분류

독일도 영국과 동일하게 EU의 폐기물 분류체계를 따르고 있으므로, European

Page 9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83 -

Waste Catalogue인 Waste Catalogue Ordinance(AVV : Abfallverzeichnis-

Verordnung)가 국내법으로 시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독일의 아래와 같

은 다른 폐기물 관련 법령의 적용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 자원순환 및 폐기물 관리법(KrW-/AbfG)

- Federal Immission Control Act(BImSchV)

[표 2.17] 독일의 유해폐기물 발생량 (2007년)

대분류

코드대분류

년간

발생량(톤)

17 건축 및 철거폐기물 6,642,200

19폐기물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공공급수시설에서 발생

되는 폐기물4,702,600

7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610,200

10 열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폐기물 1,525,100

13 폐유 1,288,600

16 목록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은 폐기물 1,273,600

11금속가공과 도금 및 비철-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금속함유 폐기물1,239,700

12금속, 플라스틱의 기계적인 주조와 표면가공공정에서 발생

되는 폐기물719,800

6 무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472,000

20생활폐기물과 생활계, 상업 및 산업폐기물 그리고 시설에

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분리수거된 항목356,000

18 의학 또는 수의학적인 처리와 연구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335,200

15 포장, 흡수물질, 세척용 수건, 여과재, 보호용 의류 168,800

14 용제로서 사용된 유기물질의 폐기물 162,900

8도료(페인트,락카,에나멜), 패킹물질, 인쇄용잉크의 제조, 가

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123,400

1탐사, 광업, 선광 및 광물과 채석업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106,100

5 정유 천연가스정화, 석탄열분해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86,000

9 사진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42,100

3목재가공, 펄프, 종이, 판지, 널빤지, 가구제조에서 발생되

는 폐기물4,800

2농업, 원예, 사냥, 낚시, 연못의 양어, 식료품제조와 가공에

서 발생되는 폐기물1,400

4 피혁, 섬유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400

합 계 20,860,900

※ 자료출처 : http://www.environment-agency.gov.uk/research/library/data/97801.aspx

Page 9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84 -

2007년도 현재 독일의 유해폐기물 발생량은 [표 2.17]과 같으며, 건설폐기물(대

분류 코드 17),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대분류 코드 19), 유기화학

공정 폐기물(대분류 코드 7), 열처리 공정 무기폐기물(대분류 코드 10), 폐유(대분

류 코드 13), 기타 폐기물(대분류 코드 16) 등 6개의 대분류 코드에서 전체 유해

폐기물 발생량의 82%가 발생하였다.

2.3 우리나라의 유해폐기물

2.3.1 국내 지정폐기물

과거 국내 폐기물은 이원화되어 관리되었다. 생활쓰레기는 1961년 제정된 오물

청소법에 의하여 관리되었고, 산업폐기물은 1963년에 제정된 공해방지법의 후속

법인 1977년 제정된 환경보전법에 의하여 관리되었다. 그러나 1986년 12월에 폐

기물관리법에 제정되면서, 오물청소법의 전체 내용과 환경보전법 제8장 산업폐기

물 내용이 합쳐지게 되었고, 이후 일원화된 폐기물관리를 시행하였다. 1991년 전

문개정된 폐기물관리법은 이후 거의 매년 개정을 되풀이하다가 현재의 법률로

정착하였고,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법률 등 폐기물과 관련된 별도의 법률들이 폐기물관리법을 근간으

로 하여 제정되었다.

국내 폐기물의 분류는 폐기물이 발생되는 장소에 따라 분류하는 발생원 분류

방법과 폐기물의 유해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1986년 폐기물관리법이

제정된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발생장소에 따라 일반폐기물과 산업폐기물(일반산

업폐기물+특정산업폐기물)로 구분되었으며, 1991년에는 일반폐기물과 산업폐기

물(일반산업폐기물+특정폐기물)로 구분되었고, 1995년부터 현재까지는 생활폐기

물과 사업장폐기물(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건설폐기물)+지정폐기물)로 구분

Page 9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85 -

되었다.

사업장폐기물은 3가지 종류의 폐기물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관련 환경법률에

의하여 배출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과, 둘째, 1일 평

균 300kg 이상의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장 및 일련의 공사 또는 작업으로 인하

여 폐기물을 5톤 이상 배출하는 사업장, 즉 다량배출자에 의하여 배출되는 폐기

물이 포함되고, 마지막으로는 지정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장이 사업장폐기물의

범주에 속하게 되었다.

현행 폐기물관리법에서 폐기물을 “쓰레기․연소재․오니․폐유․폐산․폐알칼

리 및 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생활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로 분류하고 있

다. 생활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 이외의 폐기물을 통칭하며, 지정폐기물은 “사업

장 폐기물 중 폐유․폐산 등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

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폐기물”로 규정하

고 있다. 현재 폐기물관리법상 국내 유해폐기물은 용어 자체로는 지정폐기물

(specified wastes)로 정의되지만 내용적으로는 유해폐기물(hazardous waste)로

해석되어져야 마땅하다.

[표 2.18]은 국내 지정폐기물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며, 지정폐기물의 항목, 기

준 및 분류번호를 찾아 볼 수 있다. 지정폐기물은 총 11종으로 대분류되고 있으

며, 중분류 및 소분류하여, 모두 6자리의 숫자(○○―○○―○○)로 구분된다.

Page 9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86 -

[표 2.18] 국내 지정폐기물

코드번호 비고

01-00-00 특정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1-01-00 폐합성고분자화합물

01-01-01 폴리에틸렌

01-01-02 폴리프로필렌

01-01-03 폴리염화비닐수지

01-01-04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01-01-05 페놀수지

01-01-06 폴리우레탄

01-01-07 기타 합성수지

01-01-08 합성고무

고체상태의 것은 제외한다.

01-02-00 오니류수분함량이 95% 미만이거나 고형물함량이 5%

이상인 것으로 한정한다.

01-02-01 폐수처리오니 환경부령이 정하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환

경부장관이 고시한 시설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한정한다.01-02-02 공정오니

01-03-00 폐농약

01-03-01 유기인계 농약

01-03-02 유기염소계 농약

01-03-03 카바메이트계 농약

01-03-04 기타 농약

농약의 제조․판매업소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01-04-00 특정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중 달리 분

류되지 아니하는 폐기물

02-00-00 부식성폐기물

02-01-00 폐산

02-01-01 염산

02-01-02 황산

02-01-03 기타 폐산

액체상태의 폐기물로서 pH가 2.0 이하인 것으

로 한정한다.

02-02-00 폐알칼리

액체상태의 폐기물로서 pH가 12.5 이상인 것

으로 한정하며,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한다.

03-00-00 유해물질함유 폐기물환경부령이 정하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한

정한다.

03-01-00 광재

03-01-01 알루미늄제조공정에서 발생된 광재

03-01-02 납열처리 및 야금공정에서 발생된 광재

03-01-03 아연 열처리공정에서 발생된 광재

03-01-04 기타 달리 분류되지 아니하는 광재

철광 원석의 사용으로 인한 고로슬래그는 제

외한다

03-02-00 분진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포집된 것으로 한정하

되, 소각시설에서 발생되는 것은 제외한다.

03-03-00 폐주물사 및 폐사

03-03-01 폐주물사

03-03-02 폐사

폐주물사 및 샌드블라스트폐사

Page 9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87 -

코드번호 비고

03-04-00 폐내화물 및 도자기조각

03-04-01 내화물

03-04-02 도자기조각

폐내화물 및 재벌구이전에 유약을 바른 도자

기조각에 한한다.

03-05-00 소각재

03-05-01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중 바닥재와 비산재가

분리․배출되는 시설에서 발생되는 비산재

03-05-02 기타 소각시설중 바닥재와 비산재가 분

리․배출되는 시설에서 발생되는 비산재

03-05-03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중 바닥재와 비산재가

분리․배출되는 시설에서 발생되는 바닥재

03-05-04 기타 소각시설중 바닥재와 비산재가 분

리․배출되는 시설에서 발생되는 바닥재

03-05-05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중 바닥재와 비산재가 분

리․배출되지 아니하는 시설에서 발생되는 소각재

03-05-06 기타 소각시설중 바닥재와 비산재가 분리․

배출되지 아니하는 시설에서 발생되는 소각재

03-06-00 안정화 또는 고형화 처리물

03-06-01 안정화 처리물

03-06-02 시멘트고형화 처리물

03-06-03 킬레이트 처리물

03-06-04 기타 고형화 처리물

03-07-00 폐촉매

03-08-00 폐흡착제 및 폐흡수제

03-08-01 폐흡착제

03-08-02 폐흡수제

광물유․동물유 및 식물유의 정제에 사용된

폐토사를 포함한다.

04-00-00 폐유기용제

04-01-00 할로겐족 유기용제환경부령이 정하는 물질 또는 이를 함유한 물

질로 한정한다.

04-02-00 기타 폐유기용제 할로겐족 외의 유기용제를 말한다

05-00-00 폐페인트 및 폐락카

05-01-00 유성페인트

05-02-00 수성페인트

05-03-00 락카

다음 각목의 것을 포함한다.

가. 페인트 및 래커와 유기용제가 혼합된 것으

로서 페인트 및 래커제조업, 용적 5m3이

상 또는 동력 3HP 이상의 도장시설, 폐기

물을 재활용하는 시설에서 발생되는 것

나. 페인트 보관용기에 남아 있는 페인트를 제

거하기 위하여 유기용제와 혼합된 것

다. 폐페인트용기(용기 안에 남아 있는 페인트

가 건조되어 있고, 그 잔존량이 용기 바닥

에서 6mm를 넘지 아니하는 것은 제외한

다.)

06-00-00 폐유

기름성분을 5%이상 함유한 것을 포함하며,

PCB함유 폐기물, 폐식용유, 폐흡착제 및 폐흡

수제는 제외한다.

06-01-00 폐광물유

06-01-01 윤활유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시행령 제

15조의 규정에 의한 기어유 및 내연기관용 윤

활유를 말함

Page 9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88 -

코드번호 비고

06-01-02 연마유․절삭유금속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처리용유 및 비

수용성 절삭유 등을 말함

06-01-03 기계유․작동유

주로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기계유․냉동기

유․터어빈유․베어링윤활유․압축기유․유압

작동유․열매체유 및 프로세스유 등을 말함

06-01-04 연료유

06-01-05 기타

아스팔트유․전기절연유․그리스 및 방청유와

달리 분류되지 아니하는 30퍼센트 이상의 수

분이 함유되거나 20퍼센트 이상의 이물질이

함유된 폐유․고체상태의 폐유, 오일필터 등을

말함

06-02-00 폐동․식물유

06-03-00 기타 달리 분류되지 아니하는 폐유

07-00-00 폐석면

07-01-00 건조고형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석면

이 1% 이상 함유된 제품․설비(뿜칠로 사용된

것은 포함한다) 등의 해체․제거시 발생되는 것

07-02-00 슬레이트 등 고형화된 석면제품 등의 연

마․절단․가공공정에서 발생된 부스러기 및 연

마․절단․가공시설의 집진기에서 모아진 분진

07-03-00 석면의 제거작업에 사용된 바닥비닐시트

(뿜칠로 사용된 석면의 해체․제거 작업에 사용

된 경우에는 모든 비닐시트)․방진마스크․작업

복 등

08-00-00 PCB함유 폐기물

08-01-00 PCB함유 폐유

08-02-00 PCB함유 폐유기용제

08-03-00 기타 PCB함유 액상의 것

액체상태의 것은 1리터당 2㎎이상 함유한 것

으로 한정한다.

08-04-00 PCB함유 액상이 아닌 것용출액 1리터당 0.003㎎이상 함유한 것으로 한

정한다.

09-00-00 폐유독물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유독

물을 폐기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10-00-00 의료폐기물

10-01-00 조직물류

10-01-01 태반을 제외한 인체조직물

10-01-02 인체조직물중 태반

10-01-03 실험동물사체 및 동물 조직물

10-02-00 탈지면류

10-03-00 폐합성수지류

10-04-00 병리계폐기물

10-05-00 손상성폐기물

10-06-00 혼합감염성폐기물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의료기관이나 시험․검

사기관 등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111-00-00 기타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폐기

그 밖에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유해한

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물질

Page 9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89 -

2.3.2 국내 유해 수출입 폐기물의 관리

2.3.2.1 수출입 폐기물 유해성 판정

국내 폐기물의 유해성을 평가하여 수출입시 허가대상인가 혹은 신고대상인가

를 판단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사항은 폐기물에 대한 유해성 판단근거이다.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에는 수출․입통제대상 폐기

물이 정의되어 있다. 그 정의에서는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

제에 관한 바젤협약 부속서등에 규정된 폐기물 및 협약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양자간․다자간 또는 지역적 협정에서 수출․입의 규제가 필요한 것으로 정하는

물질로서 다음의 3가지를 들고 있다. ①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 부속서Ⅰ 또는 부속서Ⅷ에서 정한 폐기물로서 부속서Ⅲ에

규정한 유해한 특성을 가지는 것, ② 부속서Ⅱ에서 정한 폐기물, ③ 협약 제3조

제1항 내지 제3항 및 협약 제11조에 의하여 우리나라가 협약사무국에 통보하거

나 통보받은 폐기물 등이다.

그러나 바젤협약에 가입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입폐기물의 유해성은

바젤이나 OECD의 판단규정을 전적으로 따르고 있으며, 별도로 협약 제3조 제1

항 내지 제3항 및 협약 제11조에 의하여 우리나라가 협약사무국에 통보한 폐기

물은 현재까지 없다. 국내 수출입 통제를 위한 폐기물의 유해성 구분은 법적인

사항으로써, [그림 2.9]과 같이 직접 유해성을 판단하기보다는 목록화시키는 것이

행정적으로 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통제(허가)대상 폐기물인가 혹은 신고대상

폐기물인가를 구분하는 방법은, 바젤목록에 해당하는 폐기물인가를 판별하여 유

해성을 평가하는 방법뿐이다.

Page 9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90 -

재활용/처리 목적

폐기물인가?

No→ 수출입 금지

신고(관리)대상

폐기물

Yes ↑

No

신고/허가대상

이외의 폐기물←

Yes 신고(관리)대상외

폐기물인가 ?←

바젤 목록 B, OECD

녹색 폐기물인가?

Yes

No

폐기물이 허가대상

폐기물에 속하는가 ?

Yes→

통제대상 절차에 따르는

폐기물에 해당

No

해당 국가에서 유해

폐기물에

해당하는가?

Yes

No

[그림 2.9] 유해성에 따른 국내 수출입 폐기물의 판단근거

Page 10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91 -

2.3.2.2 국내 허가대상 폐기물의 수출입 관리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 관한 법률은 1992년에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

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바젤협약 및 동 협약에 의한 양자간, 다자간 또는 지역적

협정의 시행을 위하여 폐기물의 수출, 수입 및 국내경유를 규제함으로써 폐기물

의 국가간 이동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국제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제정

되었다.

이 법률의 적용대상 폐기물은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 부속서Ⅰ에 정한 규제대상 폐기물, 부속서Ⅲ에 규정한 유해한 특

성을 가진 폐기물, 부속서Ⅱ에서 정한 폐기물, 협약 제3조 제1항내지 제3항 및

제11조에 의하여 우리나라가 협약사무국에 통보하거나 통보받은 폐기물로 정하

고 있으며, 바젤협약과 OECD에서 비규제 대상 폐기물로 분류하고 있는 바젤협

약 목록B와 OECD의 녹색폐기물 목록에 포함된 폐기물은 이 법률에서도 비규제

대상 폐기물이다.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 시행령 제2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폐

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적용대상폐기물의품목은 1994년 12월 5일

환경부고시 제1994-93호로 제정되었으나, 1998년 7월 15일에 환경부고시 제

1998-78호로 개정되었다가, 2006년 8월에 최종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6년에 확정된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통제 폐기물품목은 과거 OECD의 기준에

따라 적색과 황색(녹색에 대한 규정은 표기되지 않았음)으로 폐기물을 구분하였

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국가간 수출․입을 규제하는 대상 폐기물은 적색폐기물

과 황색폐기물로 구분하고, 적색폐기물은 3개 분류 7개 품목에 해당하는 폐기물

을, 황색폐기물은 5개 분류 79개 품목 등 총 86개 품목의 폐기물이 등재되어 있

다.

[표 2.19]는 국내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에서 지정하고 있는

국가간 이동통제대상 폐기물의 적색 및 황색 목록으로, 총 86개의 통제대상 폐기

물 목록 중 63개 품목은 바젤 코드, 나머지 23개 품목은 OECD 코드로 되어 있

Page 10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92 -

으나, OECD가 바젤코드를 따라감에 따라 전체 86개 품목이 OECD 코드라고 해

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폐기물의국가간이동통제대상폐기물의 품목수는 총 86개 품목으로,

바젤협약에서 통제대상 폐기물로 규정한 품목수나 OECD에서 통제대상으로 선

정한 품목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해당 폐기물의 수출입시 바젤협약을 준

수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바젤협약 사무국에 통보한 폐기물 목록이 없지

만, 각국은 협약사무국에 수출입 통제대상 폐기물을 통보하고 있으므로, 우리나

라의 경우 수출입시 해당 국가가 통제하고 있는 수출입 폐기물 목록을 잘 살펴

보아야만 한다.

[표 2.19] 허가대상 폐기물 수출입 목록

수출시 수입시

폐기물의국가간이동 및

그처리에관한법률국내 86품목 폐기물 국내 86품목 폐기물

해당국가가

협약사무국에

통보한 폐기물

수입국/경유국이 바젤

협약사무국에 통제대상으로

통보한 폐기물

수출국/경유국이 바젤

협약사무국에 통제대상으로

통보한 폐기물

Basel 목록 OECD 목록 계

금속 관련 폐기물 A1000 19품목 AA 3품목 22품목

금속 및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무기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폐기물A2000 6품목 AB 6품목 12품목

금속 및 무기물질을 함유하고, 유기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폐기물A3000 20품목 AC 10품목 30품목

무기 또는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폐기물 A4000 16품목 AD 4품목 20품목

Basel 부속서 Ⅱ AnnexⅡ 2품목 - 2품목

계 63품목 23품목 86품목

Page 10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93 -

즉, [표 2.19]에서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외국으로 폐기물을 수출할 경우, 국내

이동통제 폐기물 86품목과, 수입/경유국가에서 협약사무국에 통보한 폐기물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하며, 반대로 외국에서 우리나라로 폐기물이 수입될 경

우에는 국내 이동통제 폐기물 86품목과, 수출/경유국가에서 협약사무국에 통보

한 폐기물에 해당하는지 잘 살펴보아야 한다.

2.4 각국의 유해폐기물 비교

2.4.1 국내외 유해폐기물 관리현황

[표 2.20]은 국내․외 유해폐기물의 관리현황으로 바젤, OECD, EU, 미국 및 우

리나라의 경우를 비교한 것이다. 이중 바젤이나 OECD 폐기물 목록은 국가간 수출

입되는 유해폐기물의 국제 공동코드로 작성되어 있으며, EU는 유럽국가내 국가코드

로, 미국이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가코드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

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만 목록화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특히 EU의

경우에는 모든 폐기물이 목록화되어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가장 전형적인 목록

화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표 2.21]은 국내외 수출․입 통제대상 폐기물의 관리현황으로, 바젤협약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미국을 제외한 바젤, OECD, EU, 일본 및 우리나라의 경우이다.

가장 전형적인 목록은 바젤이 보유하고 있으며, 바젤을 추종하고 있는 OECD는 바젤

품목에다가 OECD의 고유품목을 추가하여 85종의 유해폐기물에 대한 수출입을 통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적색과 황색폐기물을 통괄하여 61종의 바젤폐기물과 바젤

부속서 Ⅱ의 2품목 및 OECD 23품목을 모두 추가하여 총 86종의 품목을 유해폐기물

로써 통제하고 있다.

Page 10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94 -

[표 2.20] 국내․외 유해폐기물의 관리현황

Basel OECD EU 미국 대한민국

근거

법령바젤협약

OECD 결정 및

권고규정

Directive

2001/573/EC

자원보전및재생법

(40CFR)폐기물관리법

정의 국가간이동폐기물 유해폐기물 유해폐기물 유해폐기물 지정폐기물

구분

발생원․유해성분 발생원․유해성분

발생원․유해성분

․유해특성으로

구분

발생원․유해성분

․유해특성으로

구분

발생원․유해물질

함유 여부․감염

성 등으로 구분

14종(H1~H14)의

유해특성으로 구

유해성분으로 구

인화성․반응성

등 14종으로 구분

인화성․부식성․

반응성․용출독성

으로 구분

11종으로 대분류

폐기

물분

(코드)

∙국가간이동폐기

∙이동통제폐기물ː

61종

-A1ː19종

-A2ː 6종

-A3ː20종

-A4ː16종

∙이동가능폐기물ː

59종

-B1ː27종

-B2ː13종

-B3ː16종

-B4ː 3종

∙유해폐기물 부

속서Ⅰ(Y코드)ː45

-Y1~Y18(범주)ː18

-Y19~Y45(구성성

분)ː27종

∙수출입폐기물

∙황색(통제 )폐기

물ː85종

-Y46~Y47(바젤부

속서Ⅱ)ː2종

-목록A(바젤부속서

Ⅷ)ː61종

-AA010등ː22종(적

색폐기물ː1종)

∙녹색(비통제 )폐

기물ː72종

-목록B(바젤부속서

Ⅸ)ː59종

-GB040등ː13종

∙폐기물 배출원

을 01~20개로 대

분류

∙발생원 및 유해

성분에 따라 목록

화된 폐기물

-유해폐기물ː405종

-일반폐기물ː434종

∙유해특성에 의

한 폐기물

-폭발성, 인화성

등 바젤․OECD와

동일한 14종(H1~

H14)로 분류

∙공정폐기물 및

오니

-비특정배출원(F)ː

다이옥신함유폐기

물 등 28종

-특정배출원(K)ː유

기화학업종 등

121종

∙화학물질폐기물

-급성유해폐기물(P

)ː478종

-독성폐기물(U)ː58

7종

∙유해특성에 의

한 폐기물(D)ː43종

-인화성, 반응성,

부식성, 용출독성

등 40종

-감염성(별도관리)

∙특정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폐합성고분자화합

물, 오니, 폐농약

등 15종

∙부식성폐기물

-폐산,폐알카리 등

4종

∙유해물질함유폐

기물(용출시험대상

)

-광재, 소각재 등

22종

∙ 폐 유 기 용 제 ,

PCB 함유 폐기물,

의료폐기물 등 30

∙폐기물 코드

-지정폐기물 71종

-사업장폐기물 66

Page 10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95 -

[표 2.21] 국내외 수출․입 통제대상 폐기물의 관리현황

항 목 Basel OECD EU 일본한국

황색 적색

바 젤

A

목 록

금속관련폐기물(A1000)

19

(A1000)

19

(A1000)

19

(A1000)

1819

무기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폐기물(A2000)

6

(A2000)

6

(A2000)

6

(A2000)

65 1

유기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폐기물(A3000)

20

(A3000)

20

(A3000)

20

(A3000)

1917 3

무기 또는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폐기물

(A4000)

16

(A4000)

16

(A4000)

16

(A4000)

1614 2

(소계) 61 61 61 5955 6

61

바젤 부속서 Ⅱ 페기물 (Y Code)(Y46․Y47)

22

OECD 적색 폐기물(RB)

1

(RB)

11

OECD 황색 폐기물(AA~AD)

21

(AA~AD)

2222

기타 폐기물 (바젤 부속서 Ⅰ, Y 코드)(Y1~Y45)

41

(계) 61 85 61 12179 7

86

2.4.2 국내외 유해폐기물 목록간 비교

[표 2.22]는 바젤, OECD, EWC 및 국내 지정폐기물 등 주요 국가의 유해폐기

물 품목에 대한 비교로서, 다양한 폐기물 목록을 표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정별

분류법을 채택하였다. 폐기물의 공정은 EU의 20가지 공정을 표준으로 사용하였으

며, 일반폐기물과 유해폐기물 목록을 망라하여 비교하였다. 즉, 비교된 폐기물 목록

은 폐기물 품목수가 839개로 가장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는 EU의 공정별 유해폐기

물 목록을 기준으로 하여 OECD의 황색폐기물, 바젤협약의 목록 A 폐기물, 그리고

국내 지정폐기물을 비교하였다.

Page 10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96 -

국외의 폐기물 목록인 EU나 OECD, 바젤 목록 등이 폐기물 공정 및 일부 제

품으로 목록화되어 분류된 것임에 반하여, 국내 지정폐기물의 분류는 폐기물 공

정이 아닌 폐기물 재질품목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이를 상호연결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중․장기적으로 국내 지정폐기물 목록도 바젤의 목록에 맞추어져

야 할 것으로 보이나, 현실적으로 두 목록을 일원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바젤 및 OECD 폐기물 품목과 국내 지정폐기물을 비교해보면, 코드에서 주어

진 국내 수출․입 통제대상 폐기물의 품목수는 86개로 11개 품목의 지정폐기물

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OECD 적색폐기물 중에서는 지정폐기물로 등재된 품

목은 석면과 PCB 정도이다. 녹킹방지제 화학슬러지와 폐타르, 다이옥신류, 과산

화물로 오염된 폐기물 등은 국내 유해폐기물로 등재되어 있지 않으며, PCB 유사

화합물인 PCT, PCN, PBB 등도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황색폐기물 중에는 금속성분으로서 안티몬, 베릴륨, 셀레늄, 텔레륨, 탈륨, 바나

듐, 마그네슘 등이 관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금속제품으로는 폐밧데리, 폐금속케

이블, 유리, 폐석고(CaSO4) 등이 지정폐기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유기물질로

는 폐질산섬유소, 폐가죽 부산물, 자동차 폐기물, 폐아스팔트, 부동액, 염화불화탄

소, 할론, 목재폐기물, 계면활성제, 돈분, 하수오니 등이 유해폐기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의약관련 활동으로부터 배출된 폐기물과 폭발성 폐기물, 가

스정제시설로부터 배출된 폐기물, 폐포장용기, 복사 및 사진폐기물, 필터매체 등

도 국내 지정폐기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생활계로부터 수집된 폐기물도

바젤협약의 유해폐기물 품목으로 등재되어 있다.

Page 10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97 -

[표 2.22] 생산공정별 유해폐기물 분류기준 비교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탐사, 광업, 선광 및 광물과 채석업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01

미네럴 채굴과정에서의 폐기물 0101

철금속 채굴과정에서의 폐기물 010101

비철금속 채굴과정에서의 폐기물 010102

철광의 물리화학적 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103

황철광 공정에서 발생되는 산성 부산물 010304AA010A1070 A1070 030100 A

위험물질을 함유하는 기타 부산물 010305 A3020 A3020 030104 M

010304, 010305 이외 작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010306

황철광의 물리화학적 제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010307 A1030A1140

A1030A1140

M

010307 이외의 작업에서 발생된 먼지 및 분진 폐기물 010308

010307 이외의 작업인 알루미나 생산시 발생하는 적색 진흙 010309

기타 폐기물 010399

비철광의 물리화학적 취급시 발생하는 폐기물 0104

비철광의 물리화학적 취급시 발생하는 위험물질을 함유하는 폐기물 010407A1080A1100

A1080A1100 030104 M

010407 이외의 작업에서 발생하는 폐자갈 및 암석 부스러기 010408

폐모래 및 폐점토 010409

먼지 및 분진성 폐기물 (010407 제외) 010410

잿물과 암염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10407 제외) 010411 020200

광물의 세척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및 기타 폐기물 (010407, 010411 제외) 010412

암석 절단 및 톱질로부터 나오는 폐기물 010413

기타 폐기물 010499

굴착 진흙 및 굴착 폐기물 0105

진흙과 폐기물 굴착수 010504

기름이 함유된 굴착 진흙과 굴착 폐기물 010505 A4060 A4060 060300 M

유해물질이 함유된 굴착 진흙 및 굴착 폐기물 010506 A3200 A3200 M

중정석이 함유된 굴착 진흙 및 굴착 폐기물 010507

염소가 함유된 굴착 진흙 및 굴착 폐기물 010508

기타 폐기물 010599

농업, 원예, 사냥, 낚시, 연못의 양어, 식료품제조와 가공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2

원재료 제조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201

세척공정에서 배출된 슬러지 020101

동물조직 폐기물 020102

식물조직 폐기물 020103

폐합성수지 (포장용 제외) 020104

동물 배설물, 분뇨(더러워진 볏짚 포함), 유출수, 분리수집되어 외부에서처리한 것

020106

삼림 폐기물 020107

유해물질을 함유한 농화학 폐기물 020108 A3130 A3130 013000 M

기타 농화학 폐기물 020109

폐금속 020110

기타 폐기물 020199

육류, 어류, 기타 육식성 음식을 준비할 때 발생하는 폐기물 0202

세척 및 청소시 발생한 슬러지 020201

동물조직 폐기물 020202

식음이나 요리에 부적합한 물질 020203

배출수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 020204

기타 폐기물 020299

Page 10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98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과일, 채소, 시리얼, 식용유, 코코아, 커피, 차, 담배 등 음식을 준비할 때발생하는 폐기물

0203

세척, 청소, 껍질벗기기, 원심분리로부터 발생하는 슬러지 020301

재료보존시 발생하는 폐기물 020302

용매추출시 발생하는 폐기물 020303

소비하거나 처리하기 곤란한 물질 020304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 020305

기타 폐기물 020399

제당공정 폐기물 0204

사탕수수 세척 및 청결시 발생한 흙 020401

규정되지 않은 탄산칼슘 020402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 020403

기타 폐기물 020499

낙농산업 폐기물 0205

소비하거나 처리하기 어려운 재료 020501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 020502

기타 폐기물 020599

제과 제빵산업 폐기물 0206

소비하거나 처리하기 어려운 재료 020601

재료보존시 발생하는 폐기물 020602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 020603

기타 폐기물 020699

주류 및 비주류 생산공정 폐기물 (커피, 차, 코코아 제외) 0207

원재료의 세척, 청소, 기계적 감량시 발생하는 폐기물 020701

주류 증류 폐기물 020702

약품처리 폐기물 020703

소비하거나 처리하기 어려운 재료 020704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 020705

기타 폐기물 020799

목재가공, 펄프, 종이, 판지, 널빤지, 가구제조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3

원목 가공, 판넬 및 가구 제작시 발생하는 폐기물 0301

목피 및 코크 폐기물 030101

유해물질을 함유한 톱밥, 대패밥, 목재조각, 목재, 합판, 베니어판 030104 AC170 A4040 M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톱밥, 대패밥, 목재조각, 목재, 합판, 베니어판 030105

기타 폐기물 030199

목재보존 관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0302

할로겐 성분이 없는 유기성 목재방부제 030201 A4040 A4040 040200 A

염소유기성 목재방부제 030202 A4040 A4040 040100 A

금속유기성 목재방부제 030203 A4040 A4040 040200 A무기성 목재방부제 030204 A4040 A4040 040200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목재방부제 030205 A4040 A4040 040200 M

기타 목재 방부제 030299

펄프, 제지, 골판지 제조공정 폐기물 0303

폐목피 및 폐목재 030301

가열된 액체 회수시 발생하는 녹색 액상 슬러지 030302

종이재생시 발생하는 除잉크 슬러지 030305

기계적으로 분리제거된 폐종이와 폐골판지 펄프 030307

재생용 종이와 합판지를 분류하는 공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030308

석회덩어리 폐기물 030309

Page 10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99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기계적으로 분리된 섬유 슬러지 030310

배출수의 현장처리시 발생된 슬러지 030311

기타 폐기물 030399

피혁, 섬유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4

피혁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401

제육 및 석회제거시 발생되는 폐기물 040101

석회 폐기물 040102

액상상태 이외의 용제가 포함된 탈지폐기물 040103A3090A3100A3110

A3090A3100A3110

040100040200 M

크롬을 함유한 무두액 040104

크롬이 없는 무두액 040105

크롬을 함유한 배출수의 현장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 040106

크롬을 없는 배출수의 현장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 040107

크롬을 함유한 무두질된 폐가죽 040108

가죽표면처리한 폐기물 040109

기타 폐기물 040199

섬유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402

합성재료로부터 발생된 폐기물 040209

천연 제품으로부터 발생한 유기물 040210

마무리공정에서 유기용매를 함유한 폐기물 040214A3140A3150A3170

A3140A3150A3170

040100040200 M

마무리공정에서 배출된 폐기물 040215

유해물질을 함유한 염료 및 안료 040216 A4070 A4070 050000 M염료 및 안료 040217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40219 A3070 A3070 010201 M

현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40220

공정을 거치지 않은 섬유로부터 발생된 폐기물 040221

공정을 거친 섬유로부터 배출된 폐기물 040222

기타 폐기물 040299

정유, 천연가스정화, 석탄열분해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5

원유슬러지와 고체 폐기물 0501

원유로부터 염소를 제거한 슬러지 050102A3010A4060

A3010A4060

010202060100 A

반유동상 급유잔재물 050103 A3010A4060

A3010A4060

040104 A

산성 알킬오니 050104A3010A4060

A3010A4060 A

엎지러진 오일 050105A3010A4060

A3010A4060 060104 A

작업공정과 유지, 보수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050106

AB150A3010A4060A4100

A3010A4060A4100

010202 A

산성 타르 050107A3010A4060A4090

A3010A4060A4090

060300 A

기타 타르 050108 A3010A4060

A3010A4060

060300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50109A3010A4060

A3010A4060 010201 M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50110

연료의 염기세척시 발생하는 폐기물 050111A3010A4060

A3010A4060 060300 A

Page 10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00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산이 함유된 유류 050112A3010A4060A4090

A3010A4060A4090

060104 A

보일러 공급수용 슬러지 050113

냉각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050114

사용한 여과 점토 050115A3010A4060

A3010A4060 A

원유 탈황과정에서 배출되는 황함유 폐기물 050116

아스팔트 피치 050117

기타 폐기물 050199

석탄열분해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506

산성 타르 050601A3010A3190A4090

A3010A3190A4090

A

기타 타르 050603 A3010A3190

A3010A3190 A

냉각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050604

기타 폐기물 050699

천연가스정화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507

수은함유 잔재물 050701A1030A3010

A1030A3010 M

황함유 폐기물 050702

기타 폐기물 050799

무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6

산함유폐용매제 (산용액) 0601

황산과 아황산 060101A1060A4090

A1060A4090 020102 A

염산 060102A1060A4090

A1060A4090 020101 A

불화수소산 060103 A1060A4090

A1060A4090

020103 A

인산과 아린산 060104 A4090 A4090 020103 A

질산과 아질산 060105 A1060A4090

A1060A4090

020103 A

기타 산 060106 A4090 A4090 020103 A

유사 폐기물 060199

폐염기용액 (알카리용액) 0602

수산화칼슘 060201 A4090 A4090 020200 A

암모니아 060203 A4090 A4090 020200 A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 060204 A4090 A4090 020200 A기타 염기 060205 A4090 A4090 020200 A

유사 폐기물 060299 020200

폐염과 폐염용액 0603

염과 용액, 청산염 함유 060311A1140A4050

A1140A4050 M

중금속이 함유된 고체 염이나 용액 060313 A1060 A1060 M기타 고체 염이나 용액 060314

중금속이 함유된 금속산화물 060315 M

기타 금속산화물 060316

기타 폐기물 060399

금속을 함유한 폐기물 0604

비소함유 폐기물 060403 A1030 A1030 030104 M수은함유 폐기물 060404 A1010 A1010 030104 M

Page 11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01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중금속함유 폐기물 060405A1020A1030A1040

A1020A1030A1040

030104 M

기타 폐기물 060499

현장처리 슬러지 0605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 060502 010201 M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 060503

황산과 황산처리 및 탈황처리시 발생되는 폐기물 0606

유해 황산이 함유된 폐기물 060602AB150A4090 A4090 020102 M

황산이 함유된 폐기물 060603 020102

기타 폐기물 060699 020102

할로겐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607

전기투석시 발생되는 석면 함유 폐기물 060701 A2050RB020

A2050 070000 M

염소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활성탄 060702 A4160 A4160 030801 A수은이 함유된 황산바륨 060703 A1030 A1030 M

산과 접촉시 생성된 용액 및 산 060704 A4090 A4090 020103 A

기타 폐기물 060799

실리콘류 가공시 발생되는 폐기물 0608

유해 실리콘을 함유한 폐기물 060802 M

기타 폐기물 060899

인산 및 인산가공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0609

인산 슬래그 060902

유해물질에 오염되었거나 유해물질이 함유된 칼슘염 반응 폐기물 060903A2040A4090

A2040A4090 020103 M

기타 칼슘염 반응 폐기물 060904

기타 폐기물 060999

질산 질산공정, 비료제조시 발생하는 폐기물 0610

유해물질 함유 폐기물 061002 A4090 A4090 020103 M

기타 폐기물 061099 020103

무기 염료, 피복재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611

과산화티타늄 생산시 배출되는 칼슘염 반응 폐기물 061101

기타 폐기물 061199

기타 무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613

무기성 살충제 061301 A3130 A3130 010304 A

폐활성탄 (060702 제외) 061302 A4160 A4160 030801 A카본 블랙 061303

석면제조산업에서 발생된 폐기물 061304 A2050RB020

A2050 070100 A

검댕이 061305A4100AB150AD140

A4100 030506 A

기타 폐기물 061399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

유기성 기본화학약품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1

수분함유 세척제, 잿물 070101 A4090 A4090 020200 A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과 잿물 070103 A3150A4090

A3150A4090

020200040100 A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104A3140A4090

A3140A4090

020200040200 A

Page 11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02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할로겐족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107A3150A3160A3190

A3150A3160A3190

010202040100 A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108A3140A3190

A3140A3190 010202 A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109 A3160 A3160010202030802040100

A

기타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110 010202030802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111 010201 M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112

기타 폐기물 070199

합성수지, 합성고무 및 합성섬유의 제조, 가공, 판매, 사용에서 발생되는폐기물 0702

수분함유 세척제, 잿물 070201 A4090 A4090010100010108020200

A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203 A3150A4090

A3150A4090

010100010108020200040100

A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204A3140A4090

A3140A4090

010100010108020200040200

A

할로겐족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207A3150A3160A3190

A3150A3160A3190

010100010108010202040100

A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208A3140A3190

A3140A3190

010100010108010202

A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209 A3160 A3160

010100010108010202030802040100

A

기타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210

010100010108010202030802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102 제외) 070211010100010108010201

M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212

폐합성수지 070213

유해물질이 함유된 첨가제가 포함된 폐기물 070214010100010108010202

M

기타 첨가제가 포함된 폐기물 070215

유해 실리콘이 함유된 폐기물 070216010100010108010202

M

기타 실리콘이 함유된 폐기물 070217

기타 폐기물 070299

유기색소와 염료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611제외) 0703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 070301 A4090 A4090 020200 A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303A3150A4090

A3150A4090

020200040100 A

Page 11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03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304 A3140A4090

A3140A4090

020200040200 A

할로겐족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307A3150A3160A3190

A3150A3160A3190

010202040100 A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308A3140A3190

A3140A3190 010102 A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309 A3160 A3160010202030802040100

A

기타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310010202030802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102 제외) 070311 010201 M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312

기타 폐기물 070399

유기성 살충제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20105제외) 0704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 070401A1030A3130A4090

A1030A3130A4090

010300020200 A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403

A1030A3130A3150A4090

A1030A3130A3150A4090

010300020200040100

A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404

A1030A3130A3140A4090

A1030A3130A3140A4090

010300020200040200

A

할로겐족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407

A1030A3130A3150A3160A3190

A1030A3130A3150A3160A3190

010202010300040100

A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408

A1030A3130A3140A3190

A1030A3130A3140A3190

010202010300 A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409A1030A3130A3160

A1030A3130A3160

010202010300040100

A

기타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410010202010300030802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102 제외) 070411010201010300 M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412

유해 물질이 함유된 슬러지 폐기물 070413010202010300 M

기타 폐기물 070499

의약품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5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 070501A4010A4020A4090

A4010A4020A4090

020200 A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503

A3150A4010A4020A4090

A3150A4010A4020A4090

010202040100 A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504

A3140A4010A4020A4090

A3140A4010A4020A4090

010202040200 A

Page 11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04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할로겐족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507

A3150A3160A3190A4010A4020

A3150A3160A3190A4010A4020

010202040100 A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508

A3140A3190A4010A4020

A3140A3190A4010A4020

010202 A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509A3160A4010A4020

A3160A4010A4020

010202030802040100

A

기타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510 010202030802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511 010201 M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 070512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폐기물 070513 010202 M기타 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폐기물 070514

기타 폐기물 070599

지방, 윤활제, 비누, 세제, 소독제, 피부관리물질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6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 070601 A4090 A4090 020200 A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603A3150A4090

A3150A4090

010202040100 A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604 A3140A4090

A3140A4090

010202040200 A

할로겐족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607A3150A3160A3190

A3150A3160A3190

010202040100 A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608A3140A3190

A3140A3190 010202 A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609 A3160 A3160010202030802040100

A

기타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610010202030802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611 010201 M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612

기타 폐기물 070699

정밀화학약품과 화학약품류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7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 070701 A4090 A4090 020200 A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703 A3150A4090

A3150A4090

010202040100 A

기타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 070704A3140A4090

A3140A4090

010202040200 A

할로겐족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707A3150A3160A3190

A3150A3160A3190

010202040100 A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 070708 A3140A3190

A3140A3190

010202 A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709 A3160 A3160010202030802040100

A

기타 여과케잌, 폐흡수제 070710010202030802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102 제외) 070711 010201 M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712

기타 폐기물 070799

Page 11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05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도료(페인트,락카,에나멜), 패킹물질, 인쇄용 잉크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8

페인트, 니스의 제조, 혼합, 공급, 사용에서 발생한 폐기물 0801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 080111A3140A3150A4070

A3140A3150A4070

050000 M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 080112 050000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 발생한 슬러지

080113A3140A3150A4070

A3140A3150A4070

010202050000 M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 발생한 슬러지 080114 050000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 발생한 물을 함유한 슬러지

080115A3140A3150A4070

A3140A3150A4070

010202050000 M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 발생한 물을 함유한 슬러지 080116 050000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의 제거시 발생된 폐기물

080117A3140A3150A4070

A3140A3150A4070

050000 M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의 제거시 발생된 폐기물 080118 050000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 발생된 물을 함유한 현탁액

080119A3140A3150A4070

A3140A3150A4070

050000 M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 발생된 물을 함유한 현탁액 080120 050000

폐페인트 및 바니쉬 제거제 080121A3140A3150A4070

A3140A3150A4070

050000 A

기타 폐기물 080199

세라믹 성분을 포함하여 기타 코팅제로부터 발생한 폐기물 0802

폐코팅 파우더 080201

세라믹 성분을 포함한 수용성 슬러지 080202

세라믹 성분을 포함한 수용성 현탁액 080203

기타 폐기물 080299

프린트잉크의 제조, 혼합, 공급, 사용에서 발생한 폐기물 0803

잉크성분을 포함한 수용성 슬러지 080307

잉크성분을 포함한 수용액 080308

유해물질을 포함한 폐잉크 080312 A4070 A4070 M기타 폐잉크 080313

유해물질을 포함한 잉크 슬러지 080314 A4070 A4070 010202 M

기타 잉크 슬러지 080315

폐 에칭액 080316 A4070 A4070 A

유해물질을 포함한 폐프린터 토너 080317 A4070 A4070 M

기타 폐프린터 토너 080318

분산기름 080319 A4060 A4060 060300 A

기타 폐기물 080399

접착제, 밀폐제의 제조, 혼합, 공급,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폐기물 (방수제포함)

0804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접착제, 밀폐제 폐기물 080409 A3050 A3050 M

기타 접착제, 밀폐제 폐기물 080410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접착제, 밀폐제 슬러지 080411 A3050 A3050 010202 M기타한 접착제, 밀폐제 슬러지 080412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접착제, 밀폐제가 포함된 물을 함유한 슬러지

080413 A3050 A3050 010202 M

기타 접착제, 밀폐제가 포함된 물을 함유한 슬러지 080414

Page 11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06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유기용매와 다른 유해물질을 함유한 접착제, 밀폐제가 포함된 물을 함유한 액체폐기물

080415 A3050 A3050 M

기타 접착제, 밀폐제가 포함된 물을 함유한 액체폐기물 080416

수지(나무액) 기름 080417 A4060 A4060 060300 A

기타 폐기물 080499

08에서 규정되지 않은 폐기물 0805

폐 이소시안 080501 A4050 A4050 A

사진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9

사진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901 AD090

수용성 현상액과 활성제 090101 AD090 A

수용성 오프세트판-현상액 090102 AD090 A

용제를 기초로 한 현상액 090103 AD090 040200 A정착용액 090104 AD090 A

표백용액과 표백-정착용액 090105 AD090A4120

A4120 A

기업의 사진산업 폐기물 자가처리시 발생하는 은을 함유한 폐기물 090106 AD090 M

은성분이 함유된 사진필름과 인화지 090107

은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사진필름과 인화지 090108

배터리가 없는 1회용 카메라 090110

160601, 160602, 160603에서 배터리를 내장한 1회용 카메라 090111 AD090A1170

A1170 A

기타 배터리를 내장한 1회용 카메라 090112

현장에서 은을 회수한 공정에서 발생한 액상 폐기물 090113 AD090 010202 A

기타 폐기물 090199

열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폐기물 10

발전소와 기타 연소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 제외) 1001

바닥재, 슬래그와 보일러 먼지 100101

석탄 비산재 100102

니토와 처리되지 않은 목재로부터 발생한 비산재 100103

유류 연소시 발생되는 비산재와 보일러 먼지 100104 AB150A4100

A2060A4100

030200030502 A

배가스 탈황에 사용된 고체상으로부터 칼슘반응을 한 폐기물 100105

배가스 탈황에 사용된 슬러지상으로부터 칼슘반응을 한 폐기물 100107

황산 100109 A4090 A4090 020102 A

연료로 사용된 에멀젼화된 탄화수소에서 발생한 비산재 100113 AB150A4100

A2060A4100

030502 A

조연소시 유해물질을 함유한 바닥재, 슬래그, 보일러 먼지 100114AB150A4100

A2060A4100

030200030502 M

조연소시 기타 바닥재, 슬래그, 보일러 먼지 100115

조연소시 유해물질을 함유한 비산재 100116AB150A4100

A2060A4100 030502 M

조연소시 기타 비산재 100117

배가스 정화시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00118 AB150A4100

A2060A4100

030506 M

배가스 정화시 기타 폐기물 100119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 100120AB150A4100 A4100 010201 M

기타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 100121

보일러 청소시 유해물질을 함유한 수용성 슬러지 100122 AB150A4100

A2060A4100

010201 M

보일러 청소시 기타 수용성 슬러지 100123

유동상 소각로에서 배출된 모래 100124

Page 11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07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석탄화력발전시 연료저장고에서 배출된 폐기물 100125

냉각수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126

기타 폐기물 100199

철광 및 제광산업에서 발생된 폐기물 1002

슬래그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201

가공하지 않은 슬래그 100202

배가스 처리시 발생한 유해물질을 함유 폐기물 100207 AB150A4100

A4100 010506 M

배가스 처리시 발생한 기타 폐기물 100208

분쇄기 스케일 100210

유분을 함유한 냉각수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211 A4060 A4060 060300 M

기타 냉각수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212

유해물질을 포함한 가스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100213AB150A4100 A4100 010201 M

기타 가스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100214

기타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0215

기타 폐기물 100299

열적 알루미늄 야금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003

양극 찌꺼기 100302

1차용해에서 발생되는 광재/흰색금속파편 100304 030101 A

폐알루미나 100305 030101

2차용해에서 발생되는 염광재 100308 030101 A2차용해에서 발생되는 검은 금속파편 100309 030101 A

인화성이거나 물과 접촉하여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스컴 100315 A4080 A4080 030101 M

기타 스컴 100316

양극 제조시 발생하는 타르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100317 A3190 A3190 010202 M

양극 제조시 발생하는 탄소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100318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 먼지 100319 AB150A4100

A4100 030200030506 M

기타 배가스 먼지 100320

유해물질을 함유한 입자와 먼지 100321 AB150A4100

A4100 030200030506 M

기타 입자와 먼지 100322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323AB150A4100 A4100 030506 M

기타 배가스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324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처리시 발생한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0325 AB150A4100

A4100 010201030506 M

기타 배가스처리시 발생한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0326

유분을 함유한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327 A4060 A4060 010201060300 M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328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래그염과 검은 쇠찌꺼기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329 010202 M

기타 슬래그염과 검은 쇠찌꺼기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330

기타 폐기물 100399

열적 납야금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004

광재 (1,2차용해) 100401A1010A1020

A1010A1020 030102 A

금속파편과 광사 (1,2차용해) 100402 A1010A1020

A1010A1020

030102 A

칼슘비산염 100403A2040A4100

A2040A4100 030506 A

Page 11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08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미세분진 100404A1020A4100AB150

A1020A4100 030200 A

기타 미립자와 분진 100405A1020A4100AB150

A1020A4100

030200030506 A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고체 폐기물 100406A1020A4100AB150

A1020A4100

030506 A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잔재물 100407A1020A4100AB150

A1020A4100 030506 A

유분을 함유한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409 AB150A4100

A4100 010201060300 M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410

기타 폐기물 100499

열적 아연야금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005

광재 (1,2차용해) 100501 030103

배가스 먼지 100503AB150A1080A4100

A1080A4100

030200030506 A

다른 분진과 먼지 100504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고체 폐기물 100505AB150A1080A4100

A1080A4100

030506 A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잔재물 100506AB150A1080A4100

A1080A4100 030506 A

유분을 함유한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508 A4060 A4060010201060300 M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 100509

물과 반응하면 폭발가능한 쇠찌꺼기와 스컴 100510 A4080 A4080 030103 M기타 쇠찌꺼기와 스컴 100511

기타 폐기물 100599

열적 구리야금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006

1, 2차 광재 100601 030104

1, 2차 용해로에서 발생한 쇠찌꺼기와 스컴 100602 030104

배가스 미세분진 100603

AB150A1100A1110A1120A4100

A1100A1110A1120A4100

030200030506 A

다른 분진과 먼지 100604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00606

AB150A1100A1110A1120A4100

A1100A1110A1120A4100

030506 A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0607

AB150A1100A1110A1120A4100

A1100A1110A1120A4100

010202030506 A

유분을 함유한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 폐기물 100609 A4060 A4060010201060300 M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 폐기물 100610

기타 폐기물 100699

은, 금, 백금 야금공정에서의 폐기물 1007

Page 11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09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1, 2차 광재 100701 030104

1, 2차 용해로에서 발생한 쇠찌꺼기와 스컴 100702 030104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00703

다른 분진과 먼지 100704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0705

유분을 함유한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 폐기물 100707 A4060 A4060010201060300 M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 폐기물 100708

기타 폐기물 100799

비철 야금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1008

입자와 먼지 100804

1, 2차 용해로에서 발생한 슬래그염 100808

A1010A1020A1030A1040

A1010A1020A1030A1040

030104 A

기타 슬래그 100809

물과 반응하면 폭발가능한 쇠찌꺼기와 스컴 100810 A4080 A4080 030104 M

기타 쇠찌꺼기와 스컴 100811

양극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타르 함유 폐기물 100812 010202 M양극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탄소 함유 폐기물 100813

양극 찌꺼기 100814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 먼지 100815 AB150A4100

A4100 030200 M

기타 배가스 먼지 100816

배가스처리시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와 필터케잌 100817 AB150A4100

A4100 010202030506 M

배가스처리시 기타 슬러지와 필터케잌 100818

유분을 함유한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 폐기물 100819 A4060 A4060010201060300 M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 폐기물 100820

기타 폐기물 100899

철주조공정 폐기물 1009

용해로 슬래그 100903

유해물질을 함유한 미사용 주물틀 100905

AA010A1010A1020A1030A1040

A1010A1020A1030A1040

030000 M

기타 미사용 주물틀 100906

유해물질을 함유한 사용 주물틀 100907

AA010A1010A1020A1030A1040

A1010A1020A1030A1040

030000 M

기타 사용 주물틀 100908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 먼지 100909 AB150A4100

A4100 030200 M

기타 배가스 먼지 100910

유해물질을 함유한 입자 100911AB150A4100 A4100 030506 M

기타 입자 100912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결합제 100913 030506 M기타 폐결합제 100914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균열 감지제 100915 030506 M

Page 11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10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기타 폐균열 감지제 100916

기타 폐기물 100999

비철주조공정 폐기물 1010

용해로 슬래그 101003

유해물질을 함유한 미사용 주물틀 101005

AA010A1010A1020A1030A1040

A1010A1020A1030A1040

030000 M

기타 미사용 주물틀 101006

유해물질을 함유한 사용 주물틀 101007

AA010A1010A1020A1030A1040

A1010A1020A1030A1040

030000 M

기타 사용 주물틀 101008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 먼지 101009AB150A4100 A4100 030200 M

기타 배가스 먼지 101010

유해물질을 함유한 입자 101011 AB150A4100

A4100 030506 M

기타 입자 101012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결합제 101013 030506 M

기타 폐결합제 101014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균열 감지제 101015 030506 M

기타 폐균열 감지제 101016

기타 폐기물 101099

유리 및 유리제품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011

폐유리섬유 재질 101103

입자 및 분진 101105

유해물질을 함유한 열처리 전의 혼합 폐기물 101109 A2010 A2010 030400 M

기타 열처리 전의 혼합 폐기물 101110

중금속을 함유한 작은 폐유리 조각과 유리 가루 110111 A2010 A2010 030400 M기타 폐유리 101112

유해물질을 함유한 유리 세척 및 연마 슬러지 101113 A2010 A2010 010202 M

기타 유리 세척 및 연마 슬러지 101114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01115AB150A4110 A4110 030506 M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기타 폐기물 101116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1117 AB150A4110

A4110 010202030506 M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기타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1118

배출수 현장처리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01119 A2020 A2020 010201 M

배출수 현장처리에서 배출되는 기타 폐기물 101120

기타 폐기물 101199

세라믹 제품, 브럭, 타일, 건축자재 생산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012

열처리 전의 폐혼합물 101201

입자와 분진 101203

가스처리에서 배출된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1205

폐기된 몰드 101206

폐세라믹, 브럭, 타일, 건축자재 등 101208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01209 A4110 A4110 030506 M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기타 폐기물 101210

Page 12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11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유약작업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을 함유한 폐기물 101211 030402 M

유약작업에서 배출되는 기타 폐기물 101212

배출수 현장처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101213

기타 폐기물 101299

시멘트, 석회, 석고, 이들로 만들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013

열처리전의 폐혼합물 101301

석회의 소석회화와 수화과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01304

입자와 분진 101306

가스처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와 필터 케잌 101307

석면-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석면을 포함한 폐기물 101309 A2050RB020

A2050 070200 M

석면-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기타 폐기물 101310

세멘트 조합 재료로부터의 폐기물 101311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01312 A4110 A4110 030506 M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기타 폐기물 101313

폐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슬러지 101314

기타 폐기물 101399

화장장 폐기물 1014

가스 정화공정에서 배출된 수은을 함유한 폐기물 101401 A4110 A4110 030506 M

금속가공과 도금 및 비철-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금속함유 폐기물 11

금속가공과 도금(전기도금, 아연도금, 부식, 부각, 인산염화, 알카리성 탈지등)에서 발생되는 액상폐기물과 슬러지 1101

산성 부식용액 110105 A1060A4090

A1060A4090

020100 A

기타 산용액 110106A1060A4090

A1060A4090 020100 A

알카리성 부식용액 110107 A4090 A4090 020200 A

인산염슬러지 110108 A4090 A4090010202020103 A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와 필터 케잌 110109 A1060 A1060 010202 M기타 슬러지와 필터 케잌 110110

유해물질을 함유한 수용성 세척액 110111 A1060 A1060 010202 M

기타 수용성 세척액 110112

유해물질을 함유한 탈지 폐기물 110113A1060A4090

A1060A4090 030104 M

기타 탈지 폐기물 110114

막분리 및 이온교환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함유한 누출액과 슬러지 110115A3050AD120 A3050 010202 M

포화되었거나 사용된 이온교환수지 110116A3050AD120 A3050 030801 A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110198 030104 M

기타 폐기물 110199

비철-유체야금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102

아연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10202 A1080 A1080 030103 A

전기분해시 양극 생산과정에서 배출된 슬러지 110203

구리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10205

A1110A1120A1130A1140

A1110A1120A1130A1140

030104 M

구리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기타 폐기물 110206 030104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110207 A1060 A1060 030104 M

기타 폐기물 110299

Page 12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12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정화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와 고체물질 1103

시안화물을 함유한 폐기물 110301 A4050 A4050 010202 A

기타 폐기물 110302AB030AD100A1060

A1060 010202 A

고온 도금공정에서 배출된 폐기물 1105

딱딱한 아연 110501

아연 재 110502

가스처리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10503 AB150A4100

A4100 030506 A

버려진 덩어리 110504 A1100 A1100 A기타 폐기물 110599

금속, 플라스틱의 기계적인 주조와 표면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2

기계적인 주조(단아,용접,압축,견인,회전,전공,절단,톱질,퇴고)에서 발생되는폐기물 1201

철금속 찌꺼기 120101

철금속 먼지 및 입자 120102

비철금속 찌꺼기 120103

비철금속 먼지 및 입자 120104

플라스틱 성형물 및 찌꺼기 120105

할로겐을 함유한 폐가공유 (유화액이 아닌 것) 120106A3150A4060

A3150A4060

040100060102 A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폐가공유 (유화액이 아닌 것) 120107A3140A4060

A3140A4060 060102 A

할로겐을 함유한 가공유화액 120108 A3150A4060

A3150A4060

040100060102 A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가공유화액 120109A3140A4060

A3140A4060 060102 A

합성가공유 120110 A4060 A4060 060102 A폐왁스와 폐유지 120112 A4060 A4060 060300 A

용접 폐기물 120113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계 슬러지 120114 010202 M기타 기계 슬러지 120115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발파 재료 120116 A4080 A4080 M

기타 폐발파 재료 120117

유분함유 금속 슬러지 120118 A4060 A4060010202060300 M

쉽게 분해되는 기계유 120119 A4060 A4060 060103 A유해물질을 함유한 폐연마체 및 폐연마재료 120120 060102 M

기타 폐연마체 및 폐연마재료 120121

기타 폐기물 120199

수분 또는 증기에 의한 탈지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1 제외) 1203

수분함유 세척제 120301 AC250 A

증기에 의한 탈지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20302 A4060 A4060 060300 A폐유 (식용유, 05, 12 제외) 13

폐유압유와 폐제동액 1301

PCB나 PCT를 함유한 유압유 130101A3180A4060

A3180A4060

060103080100 A

염소처리 유화액 130104 A4060 A4060 060103 A

비염소처리 유화액 130105 A4060 A4060 060103 A

수화된 염소화 광유 130109A3020A4060

A3020A4060 060100 A

수화된 광유 130110A3020A4060

A3020A4060 060100 A

Page 12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13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합성 수화유 130111 A4060 A4060 060100 A

쉽게 생분해되는 수화유 130112 A4060 A4060 060100 A기타 폐기물 130113 A3020 A3020 060300 A

폐기계유, 폐기어유, 폐윤활유 1302

염소화 엔진, 기어, 윤활용 광유 130204 A3020 A3020 060103 A엔진, 기어, 윤활용 광유 130205 A3020 A3020 060103 A

합성 엔진, 기어, 윤활용 광유 130206 A3020 A3020 060103 A

생분해되기 쉬운 엔진, 기어, 윤활용 광유 130207 A3020 A3020 060103 A기타 엔진, 기어, 윤활용 광유 130208 A3020 A3020 060103 A

폐절연유, 폐열전달유 1303

PCB를 함유한 절연유, 열전달유 130301 A3040 A3040060103060105 A

기타 광물성 절연유, 열전달유 130306 A3040 A3040 060103060105 A

광물성 비염소화 절연유, 열전달유 130307 A3040 A3040060103060105 A

합성 절연유, 열전달유 130308 A3040 A3040060103060105 A

쉽게 생분해되는 절연유, 열전달유 130309 A3040 A3040 060103060105 A

기타 절연유, 열전달유 130310 A3040 A3040060103060105 A

폐선박유 1304

내륙항행에서 발생되는 뱃바닥폐유 130401 A4060 A4060 060104 A

고속 배출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뱃바닥폐유 130402 A4060 A4060 060104 A

기타 항행에서 발생되는 뱃바닥폐유 130403 A4060 A4060 060104 A유수분리기의 내용물 1305

유수분리기에서 발생되는 고체물질 130501 A4060 A4060 060300 A

유수분리기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130502 A4060 A4060 010201 A유입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130503 A4060 A4060 010201 A

유수분리기로부터 배출된 기름 130506 A4060 A4060 060300 A

유수분리기로부터 배출된 기름액 130507 A4060 A4060 060300 A침사지와 유수분리기로부터 배출된 혼합폐기물 130508 A4060 A4060 010201 A

액체 연료 폐기물 1307

연료유와 디젤 130701 A4060 A4060 060104 A휘발유 130702 A4060 A4060 060104 A

기타 기름 130703 A4060 A4060 060104 A

규정되지 않은 기름폐기물 1308

기름슬러지와 에멀젼 오일 130801 A4060 A4060 060300 A

기타 에멀젼 130802 A4060 A4060 060300 A

기타 폐기물 130899 A4060 A4060 060300 A용제로서 사용된 유기물질의 폐기물 (07, 08 제외) 14

폐유기용제, 냉매제, 거품상 및 분사체 연료 1406

염화불화탄소, HCFC, HFC 140601AC150AC160A3170

A3170 040100 A

기타 할로겐화 용매 및 용매혼합물 140602 A3170 A3170 040100 A

기타 용매 및 용매혼합물 140603 A3170 A3170 040200 A할로겐화 용매를 포함한 슬러지와 고형폐기물 140604 A3170 A3170 040100 A

기타 용매를 포함한 슬러지와 고형폐기물 140605 A3170 A3170 040200 A

포장폐기물 - 규정되지 않은 흡수물질, 세척용 수건, 여과재, 보호용 의류 15

포장재 1501

Page 12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14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종이와 골판지 포장재 150101

플라스틱 포장재 150102

목재 포장재 150103

금속 포장재 150104

조합 포장재 150105

혼합 포장재 150106

유리 포장재 150107

섬유 포장재 150109

유해물질로 오염되었거나 유해물질이 포함된 포장재 150110 A4130 A4130 010100 M

진공포장재를 포함하여 유해 고형물을 함유한 금속 포장재 150111 A4130 A4130 M

흡수물질, 여과재, 세척용 수건과 보호용 의류 1502

유해물질에 오염된 흡수제, 필터재료, 헝겊 및 보호헝겊 150202 A4130 A4130 030802 M

기타 흡수제, 필터재료, 헝겊 및 보호헝겊 150203

목록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은 폐기물 16

폐자동차 1601

폐타이어 160103

폐기된 차량 160104 A3120 A3120 M액체나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폐자동차 160106

오일 필터 160107 A3120A4060

A3120A4060

060105 A

수은을 함유한 부품 160108A1030A3120

A1030A3120 M

PCB 함유 부품 160109 A3120A1180A3120 080400 M

폭발성분 160110 A3120A4080

A3120A4080 A

석면을 포함한 브레이크 패드 160111A2050A3120RB020

A2050A3120

070000 M

기타 브레이크 패드 160112

브레이크액 160113A3020A3120

A3020A3120 060103 A

유해물질을 함유한 부동액 160114 A3020A3120

A3020A3120 M

기타 부동액 160115

액화가스 탱크 160116

철금속 160117

비철금속 160118

플라스틱 160119

유리 160120

유해물질 160121 A3120 A3120 M

별도로 규정되지 않은 성분 160122

기타 폐기물 160199

폐기기와 파쇄잔재물 1602

PCB를 함유한 수송기기 160209 A1180 A1180 080400 M

PCB에 오염되었거나 함유된 폐기장비 160210 A1180 A1180 080400 M

염화불화탄소, HCFC, HFC를 함유한 폐장비 160211AC150AC160 A3170 040100 M

석면이 포함되지 않은 폐장비 160212 M유해성분이 함유된 폐장비 160213 M

기타 폐장비 160214

폐장비로부터 제거된 유해성분 160215 A4060 A4060 A

Page 12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15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폐장비로부터 제거된 기타 성분 160216

규정되지 않은 부품이나 사용되지 않은 제품 1603

유해성분이 함유된 무기성 폐기물 160303A2010A2020A2030

A2010A2020A2030

M

기타 무기성 폐기물 160304

유해성분이 함유된 유기성 폐기물 160305

A3010A3060A3070A3080A3200

A3010A3060A3070A3080A3200

M

기타 유기성 폐기물 160306

폐폭파물질 1604

폐탄약 160401 A4080 A4080 A

놀이 화약 160402 A4080 A4080 A기타 폐폭파물질 160403 A4080 A4080 A

용기에 든 가스류와 버려진 화학약품 1605

유해물질을 함유한 압력용기내 가스 160504 A4080 A4080 M기타 압력용기내 가스 160505

실험실 혼합약품을 포함하여 유해성분이거나 또는 유해성분을 함유한 실험실 약품

160506 A4150 A4150 M

유해물질을 함유한 무기성 폐약품 160507 A4150 A4150 M

유해물질을 함유한 유기성 폐약품 160508 A4150 A4150 M

기타 폐약품 160509

밧데리와 축전지 1606

납밧데리 160601 A1160 A1160 A

니켈-카드뮴 밧데리 160602 A1170 A1170 A수은건전지 160603 A1170 A1170 A

알칼라인 배터리 160604

기타 배터리 및 부품 160605

밧데리와 축전지에서 분리수집된 전해액 160606 A1180 A1180 A

운반용 탱크와 저장용 탱크세척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5, 12 제외) 1607

기름성분을 함유한 폐기물 160708 A4060 A4060 060300 M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60709 M

기타 폐기물 160799

폐촉매 1608

금, 은, 레늄, 로듐, 팔라듐, 이리듐, 백금을 함유한 폐촉매 160801 030700

유해전이금속 또는 전이금속화합물을 함유한 폐촉매 160802 A2030 A2030 030700 M

기타 전이금속 또는 전이금속화합물을 함유한 폐촉매 160803 030700

폐촉매액 160804 030700

인산을 함유한 폐촉매 160805 A2030 A2030 030700 M

촉매로 사용된 폐액 160806 A2030 A2030 030700 A유해물질에 오염된 폐촉매 160807 A2030 A2030 030700 M

산화제 1609

과망간산 160901 A4120 A4120 020103 A크롬산 160902 A4120 A4120 020103 A

과산화수소산 160903 A4120 A4120 020103 A

기타 산화제 160904 A4120 A4120 020103 A지정된 장소에서만 처리해야 하는 수용액 1610

유해물질을 함유한 수용액 161001 M

기타 수용액 161002

Page 12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16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유해물질을 함유한 농축액 161003 M

기타 농축액 161004

폐라이닝과 절연제 1611

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탄소계 라이닝 및 절연체 161101 A2050RB020

A2050 M

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기타 탄소계 라이닝 및 절연체 161102

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라이닝 및 절연체 161103A2050RB020 A2050 M

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기타 라이닝 및 절연체 161104

비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라이닝 및 절연체 161105 A2050RB020

A2050 M

비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기타 라이닝 및 절연체 161106

건설 및 철거폐기물 (도로철거 포함) 17

콘크리트, 벽돌, 타일, 세라믹, 석고가 기초가 된 재료 1701

콘크리트 170101

브럭 170102

타일 및 도자기류 170103

유해물질을 함유한 콘크리트, 브럭, 타일, 자기류 등의 혼합물 또는 분리물 170106 030400 M

기타 콘크리트, 브럭, 터일, 자기류 등의 혼합물 170107

목재, 유리, 합성수지 1702

목재 170201

유리 170202

플라스틱 170203

유해물질을 함유하거나 오염되어 있는 유리, 플라스틱, 목재 170204 A2010 A2010 M

아스팔트 혼합체, 코울타르, 타르 제품 1703

코울타르를 함유하고 있는 아스팔트 혼합체 170301 A3200 A3200 M기타 아스팔트 혼합체 170302

코울타르와 타르 제품 170303 A3190 A3190 A

금속 1704

구리, 청동, 놋쇠 170401

알루미늄 170402

납 170403

아연 170404

철 및 강 170405

주석 170406

금속혼합물 170407

유해물질이 함유된 금속폐기물 170409 A1020A1030

A1020A1030 M

기름, 코울타르, 유해물질이 함유된 케이블 170410 A1090 A1090 060300 M

기타 케이블 170411

토, 석 및 굴착토 1705

유해물질을 함유한 흙과 돌 170503 M

기타 흙과 돌 170504

유해물질을 함유한 준설토 170505 M기타 준설토 170506

유해물질을 함유한 자갈 170507 M

기타 자갈 170508

절연재, 석면함유 건설자재 1706

석면을 함유한 절연재 170601 A2050RB020

A2050 070000 M

Page 12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17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유해물질로 구성되거나 유해물질이 함유된 기타 절연재 170603 A2050RB020

A2050 060105 M

기타 절연재 170604

석면을 함유한 건설자재 170605A2050RB020 A2050 070200 M

건설용 석고 자재 1708

유해물질로 오염되어 있는 석고 건설자재 170801 A2040 A2040 M기타 석고 건설자재 170802

기타 건설 및 해체 폐기물 1709

수은을 함유한 건설/해체 폐기물 170901A1030A2040

A1030A2040 M

PCB 함유 건설/해체 폐기물 170902 A1180A2040

A1180A2040

080400 M

유해물질함유 건설/해체 폐기물 170903 A2040 A2040 M

기타 건설/해체 혼합폐기물 170904

의학 또는 수의학적인 처리와 연구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직접적인 환자간호에서 비롯되지 않는 주방 및 식당폐기물은 제외) 18

분만병동, 진단, 환자치료와 에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801

샤프 180101

혈액백과 혈액보존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 및 장기 180102 100400

감염예방관점에서 수집 또는 처리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제기되는 기타 폐기물

180103 A4150 A4150 100600 A

감염예방관점에서 수집 또는 처리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제기되지 않는 기타 폐기물 180104 100600

유해물질을 함유한 화학제품 180106 A4150 A4150 100400 M기타 화학제품 180107 100400

세포독성 의약품 180108 A4150 A4150 100400 A

기타 의약품 180109 100400

치아치료에서 발생한 수은 180110 A4150 A4150 A

연구, 진단, 병든 동물의 치료와 예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802

샤프 180201

감염예방 관점에서 수집 또는 처분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제기되는 기타폐기물 180202 A4150 A4150 100600 A

감염예방 관점에서 수집 또는 처분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제기되지 않는기타 폐기물 180203 100600

유해물질을 함유한 화학제품 180205 A4150 A4150 100400 M

기타 화학제품 180206 100400

세포독성 의약품 180207 A4150 A4150 100400 A

기타 의약품 180208 100400

폐기물 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공공급수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

생활폐기물과 상업, 산업, 설비에서의 생활계폐기물의 소각 또는 열분해시발생되는 폐기물 1901

바닥재에서 제거된 금속물질 190102 030503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여과케잌 190105 AB150A4100

A4100 030505 A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함유한 액상폐기물과 기타 수분함유 폐기물 190106

AB150A4100 A4100 030505 A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고체폐기물 190107 AB150A4100

A4100 030501 A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폐활성탄 190110A4100A4160

A4100A4160 030801 A

유해물질을 함유한 바닥재 및 슬래그 190111 AB150A4100

A4100 030503 M

유해물질을 함유한 열분해폐기물 190112

Page 12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18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유해물질을 함유한 비산재 190113 AB150A4100

A4100 030501 M

기타 비산재 190114

유해물질을 함유한 보일러 먼지 190115AB150A4100 A4100 030200 M

기타 보일러 먼지 190116

유해물질을 함유한 열분해 폐기물 190117 AB150A4100

A4100 030503 M

기타 열분해 폐기물 190118

유동상 소각로에서 배출된 모래 190119

기타 폐기물 190199

산업폐기물의 특수 물리화학처리(크롬성분제거, 시안화물제거, 중화 등)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02

비유해물질로만 구성된 혼합 폐기물 190203

하나 이상의 유해폐기물을 포함한 혼합 폐기물 190204A1040A4050

A1040A4050 010202 A

물리화학적 처리시설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190205A1040A4050

A1040A4050 010202 M

물리화학적 처리시설에서 배출된 기타 슬러지 190206

분리기에서 배출된 기름 및 농축물질 190207A1040A4050A4060

A1040A4050A4060

010201 A

유해물질을 함유한 액상 가연물질 190208 A1040A4050

A1040A4050

010201 M

유해물질을 함유한 고상 가연물질 190209A1040A4050

A1040A4050 010201 M

기타 가연성 물질 190210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190211A1040A4050

A1040A4050 010201 M

기타 폐기물 190299

안정화/고형화된 폐기물 1903

안정화된 유해폐기물 190304 030601 A

안정화된 기타 폐기물 190305

고형화된 유해폐기물 190306 030601 A

고형화된 기타 폐기물 190307

유리화된 폐기물과 유리화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04

유리화 폐기물 190401

비산재와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다른 폐기물 190402 A4100 A4100 030502 A

유리화되지 않은 고체물질 190403 A폐기물 유리화공정에서 배출되는 액상 폐기물 190404

고형폐기물의 호기성처리시 배출되는 폐기물 1905

도시폐기물의 비퇴비화 성분 190501

육류/채소류의 비퇴비화 성분 190502

규정되지 않은 퇴비 190503

기타 폐기물 190599

폐기물의 혐기성처리시 배출되는 폐기물 1906

도시폐기물의 혐기성처리시 배출되는 액상물질 190603

도시폐기물의 혐기성처리시 배출되는 소화물질 190604

육류/채소류의 혐기성처리시 배출되는 액상물질 190605

육류/채소류의 혐기성처리시 배출되는 소화물질 190606

기타 폐기물 190699

매립지 침출수 1907

유해성분을 함유한 매립지 침출수 190702 M

Page 12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19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기타 매립지 침출수 190703

폐수처리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08

스크린 협잡물 190801

침사지 폐기물 190802

도시하수처리 슬러지 190805

포화되거나 사용된 이온교환수지 190806 A4160 A4160 030800 A

이온교환기의 재생공정에서 발생되는 용액과 슬러지 190807 A4160 A4160 030800 A

중금속을 함유한 막처리 폐기물 190808 M유수분리기에서 배출된 식용 유지가 함유된 광유와 기름의 혼합물 190809 060300

유수분리기에서 배출된 기타 유지가 함유된 광유와 기름의 혼합물 190810 060300 A

생물학적 산업폐수처리로부터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190811 010201 M생물학적 산업폐수처리로부터 배출되는 기타 슬러지 190812 010201

기타 산업폐수처리로부터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190813 010201 M

기타 산업폐수처리로부터 배출되는 기타 슬러지 190814 010201

기타 폐기물 190899

생활용수와 산업용수 제조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1909

최초 여과지 및 스크린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90901

정화조 슬러지 190902

탈탄소공정 슬러지 190903

소비된 활성탄소 190904 A4160 A4160 030800

포화되었거나 소비된 이온교환수지 190905 A4160 A4160 030800

이온교환수지 재생시 배출되는 용액 및 슬러지 190906 010201

기타 폐기물 190999

소각로 및 폐기물 열분해시설에서 발생된 폐기물 1910

철 및 강 폐기물 191001

비철금속 191002

유해물질함유 먼지 및 분진 191003 030200 M

기타 먼지 및 분진 191004

유해물질을 함유한 다른 성분 191005 M기타 다른 성분 191006

재생유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911

소비된 여과 점토 191101 A산성 타르 191102 A

용액성 폐기물 191103 A

염기로 연료를 정화할 때 발생하는 폐기물 191104 A배출수 현장처리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191105 010201 M

배출수 현장처리시 배출되는 기타 슬러지 191106

배가스 정화시 배출되는 폐기물 191107 AB150A4100

A4100 030506 A

기타 폐기물 191199

기계적인 폐기물처리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912

종이 및 골판지 191201

철금속 191202

비철금속 191203

플라스틱과 고무 191204

유리 191205

유해물질이 함유된 목재 191206 A4040 A4040 M

기타 목재 191207

섬유 191208

Page 12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20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광물질 191209

가연성 폐기물 - RDF 191210

기계적 처리공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다른 폐기물 191211 A4040 A4040 M

기계적 처리공정에서 배출되는 기타 폐기물 191212

토양 및 지하수 복원시 발생되는 폐기물 1913

토양 및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91301 M

토양 및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기타 폐기물 191302

토양 복원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191303 010201 M토양 복원시 배출되는 기타 슬러지 191304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191305 010201 M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기타 슬러지 191306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액상 폐기물 191307 M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기타 액상 폐기물 191308

생활폐기물과 생활계, 상업 및 산업폐기물 그리고 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분리수거된 항목

20

분리수거된 항목 2001

종이 및 골판지 200101

유리 200102

분해가능한 부엌 및 음식물 폐기물 200108

의복 200110

섬유 200111

용매 200113A3070A3080

A3070A3080 A

산용액 200114 A4090 A4090 020100 A알카리용액 200115 A4090 A4090 020200 A

사진화학약품 200117 AD090 010300 A

살충제 200119 A3130 A3130 A

형광등과 기타 수은을 함유한 폐기물 200121A1030A2010

A1030A2010 A

염화불화탄소를 함유한 장비 200123AC150A3170 A3170 M

기름 및 지방 (200109 제외) 200125

유해물질을 함유한 세척제 200126 AC250 A

유해물질을 함유한 페인트, 잉크, 접착제 및 수지 200127A3050A4070

A3050A4070 050000 M

유해성분을 함유한 폐기된 장비 200128 -

유해물질을 함유한 세제 200129 AC250 M

160601, 160602, 160603에 포함된 배터리를 함유한 혼합 배터리 200130

세포독성 의약품 200131 A4030 A4030 A기타 의약품 200132

분리배출되지 않은 배터리와 축전지 200133 A1160A1170

A1160A1170 A

기타 배터리와 축전지 200134

유해물질이 함유된 폐가전 200135 A1180 M

기타 폐가전 200136

위험물을 함유한 목재 200137 A4040 A4040 M

기타 목재 200138

플라스틱 200139

금속 200140

굴뚝 청소 폐기물 200141

기타 폐기물 200199

Page 13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21 -

폐 기 물 명 칭분류코드

EU OECD Basel Korea 비고

정원 및 공원 폐기물 2002

생분해성 폐기물 200201

토양 및 돌 200202

기타 비생분해성 폐기물 200203

기타 도시폐기물 2003

혼합 도시폐기물 200301

시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200302

도로청소물 200303

정화조폐액 200304

하수정화 폐기물 200306

대형 폐기물 200307

기타 도시폐기물 200399

Page 13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Page 13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23 -

제3장. 국내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된

유해폐기물 배출특성 분석

3.1 유해폐기물 시료의 채취 및 전처리

3.1.1 유해폐기물 시료의 채취

3.1.1.1 유해폐기물 표본사업장의 선정

지정된 EWC 07(대분류) 코드에 해당하는 유기화학업종에서 배출되는 유해폐

기물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한국환경자원공사의 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에 등록

되어 있는 지정폐기물 배출목록과 환경부 국내 지정폐기물 발생현황 등의 자료

등을 기초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 등록시 한국표준산업분류

에 근거하여 업종 분류코드를 등록시키기 때문에, EWC의 지정 코드와 폐기물

목록을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산업분류코드를 검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

료를 토대로 하여 2008년도 적법처리시스템(Allbaro System)에 등록되어 있는

152,045건의 지정폐기물 배출 신고 자료로부터 유기화학업종 중 중분류된 7개 업

종의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8,165건의 지정폐기물을 도출하였다.

지정폐기물 발생현황에 따라 지정폐기물 배출업소를 분류하고, 통계적 기법 근

거로 하여 1차적으로 77개 사업장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시 표본 크기

산정을 위하여 표본추출법에서 표본 소집단의 크기와 분산에 비례하여 단순무작

위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인 비례층화추출법을 근거로 사업장을 선정하였다. 지정

Page 13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24 -

폐기물 종류의 다변화를 위하여 가급적 사업장들은 일정 규모 이상의 중․대형

기업을 선택하였다. 사업장의 분포는 [표 3.1]과 같이 공단이 밀집해 있는 한강청

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낙동강청과 금강청 등에서도 10개 사업장 이상을

방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 3.2]와 [표 3.3]에 제시된 60개 소분류된 폐기물에 대해서 시

료를 채취할 계획이었으며, 선정된 사업장에 미리 안내문 및 전화를 넣어서 배출

되는 폐기물의 종류와 양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현장방문시 기록해야 할 일반현

황, 원료 사용량, 주요 생산품,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폐기물 분석자료 등 조

사목록 양식을 작성하여 발생특성을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기선정된 77개 사

업장으로부터 200개의 시료를 확보하지 못하여 6개의 사업장을 추가로 선정하여,

총 83개의 사업장을 방문하였다. 그리고 사업장 운영 특성상, 연중 한정된 기간

내에서만 공장을 조업하는 0704 코드의 살충제 제조공정은 여러 곳을 방문하였

으나, 최종적으로 2개 사업장에서만 한정된 시료를 제공받았다.

[표 3.1] 시료채취 대상 사업장 선정

07 01 07 02 07 03 07 04 07 05 07 06 07 07 계

한 강 청 3 5 6 7 7 6 5 39

금 강 청 2 2 2 2 3 1 12

대 구 청 4 4 8

낙동강청 3 4 4 1 1 2 15

영산강청 2 1 3

계 10 15 10 9 10 10 13 77

Page 13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25 -

[표 3.2] EWC 폐기물 시료채취 대상 목록 (대/중분류)

EWC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중분류

코드 공정 코드 공정 코드 업종

07

유 기 화 학

공 정 에 서

발 생 하 는

폐기물

07 01기본 유기화학물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192

201

석유정제품 제조업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07 02합성수지, 고무, 섬유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

130

203

205

221

22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

화학섬유 제조업

고무제품 제조업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07 03유기염료 및 안료(06 11 제외)

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204 기타 화학약품 제조업

07 04

유기성 살충제(020108, 020109

제외), 목재방부제(0302제외),

기타 살생물제의 MFSU 시 발

생하는 폐기물

161

202

204

제재 및 목재 가공업

비료 및 질소화합물 제조업

기타 화학약품 제조업

07 05의약품의 MFSU 시 발생하는

폐기물21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07 06

지방, 유지, 비누, 세제, 살균

제, 화장품의 MFSU 시 발생

하는 폐기물

104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

07 07

정밀화학약품과 기타 불특정

화학약품의 MFSU 시 발생하

는 폐기물

201

701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표 3.3] EWC 폐기물 시료채취 대상 목록 (중/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01 03 04 07 08 09 10 11 13 14 16

수성

세척액

용제 침전물 흡수제 수처리

폐기물

고형

폐기물

첨가제

폐기물

실리콘

폐기물할로겐 기타 할로겐 기타 할로겐 기타

07 01 ◎ ◎ ◎ ◎ ◎ ◎ ◎ ◎

07 02 ◎ ◎ ◎ ◎ ◎ ◎ ◎ ◎ ◎ ◎

07 03 ◎ ◎ ◎ ◎ ◎ ◎ ◎ ◎

07 04 ◎ ◎ ◎ ◎ ◎ ◎ ◎ ◎ ◎

07 05 ◎ ◎ ◎ ◎ ◎ ◎ ◎ ◎ ◎

07 06 ◎ ◎ ◎ ◎ ◎ ◎ ◎ ◎

07 07 ◎ ◎ ◎ ◎ ◎ ◎ ◎ ◎

Page 13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26 -

3.1.1.2 유해폐기물 배출특성 조사

EWC 대분류 07 코드는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의미하며, 중분

류된 7개의 공정은 07 01 기본 유기화학물의 MFSU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2

합성수지, 고무, 섬유의 MFSU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3 유기염료 및 안료의

MFSU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4 유기성 살충제, 목재방부제, 기타 살생물제의

MFSU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5 의약품의 MFSU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6 지

방, 유지, 비누, 세제, 살균제, 화장품의 MFSU시 발생하는 폐기물, 07 07 정밀화

학약품과 기타 불특정 화학약품의 MFSU시 발생하는 폐기물이며, 소분류 항목으

로서는 [표 3.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수성세척액, 용제, 침전물, 흡수제, 슬러지,

첨가물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유기화학공정은 분야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고, 공정도 다변화되어 있어서 표

준 공정을 제시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가장 대표적인 기초 유기화학공정

은 [그림 3.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 원료로부터 1차 생성

물 및 중간생성물을 추출하고 최종적으로 용매, 연료첨가제, 합성수지, 합성섬유,

합성세제 등 5종의 산물을 생산하게 된다. 이들 유기공정은 공정상 액상폐기물이

주종을 이루게 되며, ⑴ COD 농도가 높고, ⑵ 용해성 고형물 농도가 높고, ⑶

COD/BOD 비가 높고, ⑷ 생물학적 처리시 간섭물질이 있으며, ⑸ 사용된 촉매

에 기인하여 중금속으로 오염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림 3.2]는 0702 공정중의 하나인 합성섬유 제조공정으로서 주공정은 염색,

표백, 염욕, 표면처리 등으로 구성되며, 폐기물은 액상이 주종을 이루게 된다. 고

형 폐기물로는 공정부산물, 수처리 폐기물 등이 배출된다. 그리고 [그림 3.3]은

07 04 공정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살충제 및 살생물제와 화약류를 동시에 제조하

는 대표적인 공정을 제시한 것이다. 배출되는 주요 폐기물은 폐유기용제, 폐수처

리오니 등이 발생하며, 공정폐기물로는 폐농약 및 폐흡수제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Page 13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27 -

Raw Material- petroleum - coal - natural gas

- misc. sources of carbon

↓First Generation of Petrochemicals

- alkenses - ethylene

- olefines - propylene

- paraffins - butylene

- aromatics - higher olefins

↓Basic Intermediates

- ethylene oxides - dichloroethane

- ethyl benzene - acetaldehyde

- ethyl chloride

Synthetic

Detergent BasesSolvents

Fuel

AdditivesPlastics & Resins

Synthetic Fiber

Bases-non ionic

detergents

-ethanolamines

-tri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methylchloroform

-tetraethyl lead

-ethyl bromide

-polyethylene glycol

-polyvinyl chloride

-polyrthylene

-polystylene

-polyester

-synthetics

-acetic anhydride

-ethylene glycol

-ethanolamines

-acrylonitrile

-acetic acid

[그림 3.1] 기초 유기화학 공정 (07 01공정)

Main Process Stream Sub-Process Characteristics of Wet Wastes

Chemical Preparation mix / boiled / skim off

Scouring / Dyeing rinse, dispersed & developed

color, dyes, naphthal,

developed, direct

oil, synthetic detergent

Scouring / Bleaching H2O2, chlorine, rinse

high or low pH, toxic

chlorities, sodium chlorite,

little BOD

Salt Bath bath, rinse salt, detergents

Special Finishing water proofing, oil repellent low pH

[그림 3.2] 합성 섬유 제조공정 (07 02공정)

Page 13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28 -

KAP공실폐수 EPN공실폐수 MNB공실폐수 BONA공실폐수

중화조 20

분리조 3 분리조 7 H2O2

FeSO4

KAP조 MTX조 EPN조 Edifen조 예비조 MNB조 H2O2조

1200 280 280 192×2 192 192 156

192 원수조 우수 지하수 중화응집조 AC흡착조 75×2

↓ ↓ 10 ← 고분자

450 조정폐수조 혼합수조 180 여과조 반응응집조

오수 청소수 23×2

↓ 0.5

혼합계량조180 집수조 가압여과조 침전조

59

2

0.075

1300폭기조 반송오니

계 량 조예비저장 저장조

305×2 192

145침전조

0.4혼합계량조

NaOH, PAC,NaOCl

→1.5

오니저장조

반응조1.44

폭기조

고분자 → 30.5반송오니계 량 조

305×4

응집조 침전조

15.5 0.5 138

제2침전조 오니저장조

NaOCl,NaOH

→ 183 37.5

탈취조오니계량조

전 처 리폐수중계18

방류조 0.054 3

57 탈수기 슬러지저장

방류 1.5/hr 37.5

여액저장조 탈수기 6/hr

1.5 ↘

cake

과잉오니여 액 조

활성탄오니여액조

3 3

[그림 3.3] 살충제 및 화약류 제조공정 (07 04공정)

Page 13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29 -

3.1.1.3 유해폐기물 시료 채취

본 조사에서는 총 채취된 시료의 수는 200개로, 유기화학업종 중 중분류된 7개

업종의 사업장을 방문하여 직접적인 시료 채취가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는 [표

3.3]에 제시된 60개 품목에 대하여 200개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국내 83개

사업장을 방문하였으며, 이중 실제로 시료가 채취된 사업장은 57개 사업장으로

평균 3.5시료/사업장의 시료가 채취되었다. 이중 07 04 업종의 유기살충제 제조

사업장의 경우에는 이미 추계~춘계에 조업을 실시하여 농약을 제조한 후, 나머

지기간에는 정상 조업을 실시하지 않는 관계로 인하여 채취된 시료가 다른 공정

에 비하여 적게 되었다.

[표 3.4] 시료 채취 현황

업종업체

시료수

01.

세척액

02.

용 제

03.

침전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소계

0701 기본유기물 9 8 3 4 4 10 29

0702 수지,고무,섬유 12 12 8 1 11 7 10 1 50

0703 유기염료/안료 8 7 4 7 6 6 30

0704 유기살충제 2 2 2 - 1 - 2 7

0705 의약품 10 12 5 1 5 7 5 35

0706 유지,세제,화장품 8 10 5 5 1 6 27

0707 정밀화학품 8 6 8 4 2 2 22

계 57社 57 35 22 30 38 7 10 1 200

Page 13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30 -

3.1.1.4 채취된 폐기물 시료의 작업 코드 부여

채취된 시료의 작업코드를 부여하기 위하여 [표 3.5]와 같은 6(혹은 7)자리 번

호를 부여하였다. 자릿수 ①은 EWC 중분류 코드로써 업종을 나타내고 있으며,

자릿수 ③은 [표 3.3]의 폐기물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할로겐화물

과 기타 물질로 구분되어 있는 용제, 침전물, 흡수제 등은 현장에서 시료채취시

특별한 판단기준이 없으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마지막 자료는 기기분석

을 위한 시료의 전처리 상태에 따라, 액상폐기물 용액(S), 용출액(E), 분해액(D)

및 폐기물 원시료(R)로 구분하였다.

[표 3.5] 채취된 시료의 코드

작업

코드

① 자리 ② 자리 ③ 자리 ④⑤ 자리 ⑥ 자리

1. 유기화합공정

2. 합성수지공정

3. 유기염료공정

4. 살충제제조업

5. 의약품제조업

6. 화장품제조업

7. 정밀화학약품

일련번호

(1~2자리)

1. 세척액

2. 용 제

3. 침전물

4. 흡수제

5. 슬러지

6. 페기물

7. 첨가제

8. 실리콘

일련번호

(2자리)

S. 용액(액상폐기물)

E. 용출액

D. 함량액

R. 원시액

[표 3.6] 영문 시료코드에 따라서 분석할 항목의 구분

S E D R

무기물Cd, Cu, Pb, T-Cr, Cr+6, Hg, As, F,

CN, Ba, Be, Sb, Ni, Zn, Se, V-

유기물

TCE, PCE, 유기인,

기름성분, PCB(7),

HCB, PAH(7)

TCE, PCE,

유기인, 기름성분-

PCB(7), HCB,

PAH(7)

단, PCDD/PCDF는

별도 표시- -

단, PCDD/PCDF는

별도 표시

Page 14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31 -

3.1.2 유해폐기물 시료의 분석방법

3.1.2.1 분석항목

분석 항목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로는 무기물질류와 유기물질류로

구분되고, 농도 산정시 용출농도와 함량으로 구분되며, 마지막으로는 기존 국내

지정폐기물 용출분석의 규제항목과 미규제 항목으로 구분된다.

국내 용출분석 항목으로는 Cd, Cu, Pb, Cr(Cr6+

), Hg, As, CN, 유기인, TCE,

PCE, 기름성분 등 7종의 무기물질과 4종의 유기물질 등 총 11종으로 되어 있다.

11종의 용출농도 항목 외에도 외국에서 유해성이 거론되는 F, CN, Ba, Be, Sb,

Ni, Zn, Se, V 등 8종의 무기물질과 HCB, PCBs(7종), PAHs(7종), PCDD/DFs(17

종) 등 4종의 유기물질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측정된 항목수는 모두 23항목의

오염물질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즉, 무기물질류 분석항목으로는 Cd, Cu, Pb, Cr(Cr6+), Hg, As, CN, F, Ba, Be,

Sb, Ni, Zn, Se, V 등 15종이며, 용출농도 및 함량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이중 F,

Ba, Be, Sb, Ni, Zn, Se, V 등 8종은 미규제 항목으로 나머지 7개 항목은 규제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기물질류는 유기인, TCE, PCE, 기름성분, HCB,

PCBs(7종), PAHs(7종), PCDD/DFs(17종) 등 총 8개 측정항목이며, 유기인, TCE,

PCE, 기름성분은 용출농도만을, 나머지 HCB, PCBs(7종), PAHs(7종),

PCDD/DFs(17종) 등은 함량만을 측정하였다.

[표 3.7] 분석항목

국내 규제용출항목 국내 미규제용출항목

무기물질류Cd, Cu, Pb, Cr(Cr6+), Hg, As, CN

(용출 및 함량 분석)

Ba, Be, F, Sb, Ni, Zn, Se, V

(용출 및 함량 분석)

유기물질류유기인, TCE, PCE, 기름성분

(용출분석)

HCB, PCBs(7종), PAHs(7종),

PCDD/DFs(17종) (함량 분석)

Page 14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32 -

[표 3.8] 분석내용 및 항목

분석항목분석내용

분석항목분석내용

용출농도 함량 용출농도 함량

Cd ○ ○

TCE ○

Cu ○ ○

PCE ○Pb ○ ○

Cr(total) ○ ○ 유기인 (EPN / Parathion /

Methyldimetone / Diazinon /

Pentoate 등 5종)

○Cr(+6) ○ ○

Hg ○ ○

기름성분 ○As ○ ○

F ○ ○ PCB (PCB #28, #52, #101, #118,

#138, #153, #180 등 7종)○

CN ○ ○

Ba ○ ○HCB ○

Be ○ ○

PAH (Naphthalene / Phenanthrene

/ Anthracene / Fluoranthene /

Benzo(a)anthracene /

Benzo(b)fluoranthene /

Benzo(a)pyrene 등 7종)

Sb ○ ○

Ni ○ ○

Zn ○ ○

Se ○ ○

17종의 PCDD/PCDFs ○V ○ ○

3.1.2.2 무기물질 항목의 용출농도 및 함량 분석

⑴ 무기물질 항목의 용출농도 분석

용출시험방법은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으며, 현재 규제하고

있는 7종(Cd, Cu, Pb, Cr6+, Hg, As, CN)과 미규제 무기금속물질류 8종(Ba, Be,

Sb, Ni, Zn, Se, V, F) 등 8종을 포함한 총 15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전치리 및

측정방법은 [표 3.9]와 [그림 3.4]를 참조하면 된다.

Page 14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33 -

⑵ 무기물질 항목의 함량 분석

국내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는 함량분석법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함량

분석법은 ‘폐기물 중 유해물질 조사 매뉴얼(국립환경과학원, 2007)’을 준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현재 규제하고 있는 7종(Cd, Cu, Pb, Cr6+

, Hg, As,

CN)과 미규제 무기금속물질류 8종(Ba, Be, Sb, Ni, Zn, Se, V, F) 등 8종을 포함

한 총 15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전처리 및 측정방법은 [표 3.10]과 [그림 3.5]를

참조하면 된다.

3.1.2.3 유기물질 항목의 용출농도 및 함량 분석

유기물질류는 국립환경과학원이 2004~2005년 연구과제에서 확립한 분석방법

에 의거하여 대분류 4종(17종의 PCDD/DFs, HCB, 7종의 PAH, 개별이성체 7종

의 PCBs)에 대한 함량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현재 폐기물관리법에서 지정폐기물

용출항목으로 규제하고 있는 유기물질 4종(유류, 유기인, TCE, TeCE)에 대해서는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서 규정한 용출시험방법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규제하고

있는 4종에 대해서는 용출시험 및 시료의 전처리, 분석 등을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에 의거하여 시행하였으며, 미규제 항목 4종에 대해서는 매질에 따라 제시되어

있는 여러 분석방법을 비교․평가하여 최적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유기물질의 용출 및 함량분석방법은 [표 3.11]에 간단하게 제시하였으며,

[그림 3.6]에는 국내 시험방법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 PCDD/DFs, HCB, PAH,

PCBs 등 4종에 대한 전처리 및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미규제 유기물질 4종은

조사대상 선정 물질의 대부분이 활로겐화된 유기물질이므로 GC/ECD 및

GC/FID를 이용하여 분석이 가능하며, 특히 많은 이성체가 존재하는 다이옥신은

HRGC/HR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age 14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34 -

[표 3.9] 항목별 무기성 유해물질 용출시험방법

구분대상

항목전처리 분석기기

규제

항목

Ba,Be,Ni,Sb

,Se,V,Zn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2장 제3항

HNO3 분해 HNO3-HCl 분해

HNO3-HClO4 분해 HNO3-H2O2 분해

FAASːNi,Zn

ICP-AESːBa,Be,Cr,Ni,Sb,Se,V,Z

n

F •증류법ː 란탄-알리자린컴플렉션법 UV-VIS

규제

항목

Cd,Cu,Pb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2장 제3항

HNO3 분해

HNO3-HClO4 분해

FAAS

ICP-AES

ICP-MS

CN•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4장 제5항

증류법ː 피리딘-피라졸란법UV-VIS

Cr+6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7장 제7항

HNO3-H2SO4 분해

UV-VIS

FAAS

ICP-AES

Hg•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2장 제3항

환원기화법

CVAAS

ICP-AES

As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2장 제5항FAAS

ICP-AES

용출분석방법

다성분 동시분석

개별분석항목

Ba,Be,Sb,Se,Ni,V,Zn

Cu,Pb,Cd,Cr,Cr+6 CN F As Hg

용출액 용출액 용출액 용출액 용출액

질산기열농축(약 5mL)실온까지 방냉여과최종액 100mL

(1+1)황산 및 질산5% 과망간산칼륨용액진탕 및 방치 (15분)가열(95℃ 수욕상 2시간)실온까지 방냉10% 염산히드록실아민용액최종액 250mL

산 분해 시안증류장치 불소증류장치

HNO3 분해

HNO3-HCl 분해

HNO3-HClO4 분해

HNO3-H2SO4 분해

10% 술퍼민산암모늄방냉가열 및 증류100mL

이산화규소인산황산 또는 과염소산유출액 가열 및 증류250mL

전처리 시료 전처리 시료 VGA 연결 VGA 연결

가열농축(약 5mL)실온까지 방냉여과최종액 100mL

인산염완충액1% 클로라민T용액혼합 및 방치피리딘-피라졸란 혼액최종액 50mL방치(25℃ 수용중에 30분)

란탄알리자린콤플렉션용액진탕혼합최종액 50mL1시간 방치

기기 매뉴얼(산화제,환원제)

기기 매뉴얼(산화제,환원제)

기기분석

(FAAS/ICP-AES)

기기분석

(UV-VIS)

기기분석

(UV-VIS)

기기분석

(FAAS)

기기분석

(CVAAS)

[그림 3.4] 항목별 무기성 유해물질 용출시험방법 흐름도

Page 14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35 -

[표 3.10] 항목별 무기성 유해물질 함량시험방법

구분대상

항목전처리 분석기기

규제

항목

Ba,Be,Ni

Sb,V,Zn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2장 제3항

HNO3 분해 HNO3-HCl 분해

HNO3-HF-HCl 분해 HNO3-H2O2-HCl 분해

FAASːCr,Ni,Zn

ICP-AESːBa,Be,Cr,Ni,Sb,V,Zn

ICP-MSːBe,Cr,Zn

Se •HNO3-HCl 분해 ICP-AES

F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제2장 제3항

지르코늄-스팬드스법

증류법ː 란탄-알리자린컴플렉션법

UV-VIS

규제

항목

Cd,Cu,

Pb

•HNO3-HF-HCl 분해

•HNO3-H2O2-HCl 분해

FAAS

ICP-AES

ICP-MS

CN•EPA 9013A

증류법ː 25g 이하UV-VIS

Cr+6

•EPA 3060 알칼리 분해

2.5g 이하

분해액ː20g/L NaOH + 30g/L Na2CO3

UV-VIS

Hg

•EPA 7471A 가압분해

초음파분해법ːHNO3와 HF 또는 HNO3

분해액은 H2SO4ːHNO3ːKMnO4=5ː2ː5

CVAAS

As •HNO3-HCl 분해 ICP-AES

함량분석방법

다성분 동시 분석

개별 항목 분석

Ba,Be,Sb,Se,Ni,V,Zn

Cu,Pb,Cd,CrBa,Be,Sb,Se,As

CN F Hg Cr+6

시료 0.5~2g 시료 0.5~2g 폐기물25g 이하추출 16시간

폐기물 1g회화 5시간

시료 0.5g 시료 0.5g

산 분해 산 분해시안증류 불소증류

10% 술퍼민산암모늄방냉가열 및 증류100mL

HNO3-H2O2-HCl 분해 HNO3-HCl 분해

전처리시료 전처리시료 초음파분해 알카리분해

가열농축(약 5mL)실온까지 방냉여과최종액 100mL

가열농축(약 5mL)실온까지 방냉여과최종액 100mL

인산염완충액1% 클로라민T용액혼합 및 방치피리딘-피라졸란 혼액최종액 50mL방치(25℃ 수용중에 30분)

냉각여과

가열방냉감압여과디페닐카바지드용액

기기분석

(FAAS/ICP-AES)

기기분석

(ICP-AES)

기기분석

(UV-VIS)

기기분석

(UV-VIS)

기기분석

(CVAAS)

기기분석

(UV-VIS)

[그림 3.5] 항목별 무기성 유해물질 함량시험방법 흐름도

Page 14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36 -

[표 3.11] 항목별 유기성 유해물질 시험방법

구분 대상항목 전처리 분석기기

규 제

항 목

(용출)

Oil노말핵산층에 용해되

는 모든 유기물질•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4장 제4항

Chemical

Balance

Org-P

EPN

Parathion

Methyldimetone

Diazinon

Pentoate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4장 제13항GC/FPD or

GC/NPD

TCE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4장 제15항 GC/ECD

TeCE •폐기물공정시험방법 제4장 제15항 GC/ECD

규 제

항 목

(함량)

PAHs

Naphthalene

Phenanthrene

Anthracene

Fluoranthene

Benzo(a)anthracene

Benzo(b)fluoranthene

Benzo(a)pyrene

•해양오염공정시험방법 제4장 제13항

•내분비계장애물질측정분석방법

•지정폐기물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

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

GC/MSD

[DB-5(30m)]

PCBs

PCB #28

PCB #52

PCB #101

PCB #118

PCB #138

PCB #153

PCB #180

•해양오염공정시험방법 제4장 제13항

•내분비계장애물질측정분석방법

•지정폐기물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

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

GC/ECD

[DB-5(30m)]

HCB

•내분비계장애물질측정분석방법

•지정폐기물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

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

GC/ECD

[DB-5(30m)]

PCDD/PCDFs

•해양오염공정시험방법 제4장 제13항

•내분비계장애물질측정분석방법

•지정폐기물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

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한 연구

HRGC/HR

MS

Page 14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37 -

폐기물 시료

PCBs & HCB 분석

(6eas in 1 batch)

PAHs 분석

(6eas in 1 batch)

PCDD/PCDFs 분석

(6eas in 1 batch)

속실렛 추출

(30g, 아세톤ː핵산=1ː1,

124시간, 3~4 cycle/hr)

속실렛 추출

(30g, 아세톤ː핵산=1ː1,

124시간, 3~4 cycle/hr)

속실렛 추출

(30g, 증류톨루엔, 24시간)

3~4 cycle/hr

PCBs(#209) 표준물질 주입 PAHs 표준물질 주입PCDD/PCDF 내부표준물질

주입

용매전환 및 농축

(hexane)

용매전환 및 농축

(hexane)

용매전환 및 농축

(hexane)

1N-KOH/황산처리 및 세정 1N-KOH/황산처리 및 세정

다층 실리카 컬럼5% 함수 실리카/알루미늄

컬럼

다층 실리카 컬럼

알루미나 컬럼

최종 농축 (1mL in vial)

최종 농축 (1mL in vial)

시린지 첨가용 표준물질

주입

최종 농축 (50㎕ in vial)

시린지 첨가용 표준물질

주입

GC/ECD 분석 GC/MSD 분석 HRGC/HRMS 분석

[그림 3.6] 항목별 유기성 유해물질 함량시험방법 흐름도

3.1.2.4 사업의 시험분석결과 정도관리 계획

⑴ 공정의 표준화

3곳의 수행기관이 작업을 통일하기 위하여 전체 공정을 기록한 작업 표준매

뉴얼을 작성하고, 작성된 매뉴얼에 의하여 3차례 워크샵을 실시하여, 모든 연구

자가 동일한 조작을 실시토록 하였다. 작업 초기에는 시료 채취나 시료 전처리시

타 기관의 연구원 및 연구보조원이 동참하여 공동 작업함으로써, 작업의 통일을

기하였다.

Page 14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38 -

⑵ 최종 분석의 측정 대행

최종 유해물질 분석은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이나, 기타 유해물질조사 매뉴얼

(NIER)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방법중 가장 우선하는 분석방법으로 기기분

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3곳의 기관이 각자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측정자료를 도

출하기보다는, 동일한 시료채취 및 수분함량 측정과정을 수행하였고, 해당 시료

에 대한 용출실험 및 함량분석을 위한 전처리, 유기물질에 대한 정제, 농축 등의

처리는 전문 전처리 기관에 의뢰하였고, 최종 시료분석은 1곳의 국가공인기관에

측정․분석을 대행시켰다.

⑶ 주기적인 QC관리

시료 기기분석시 총 2회의 표준시료를 자체적으로 검증하여 정도관리를 실시

하였다.

3.2 무기성 유해물질의 배출특성

3.2.1 규제대상 무기물질의 배출특성

3.2.1.1 분석항목

채취된 200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표 3.12]와 같이 업종별로 0701~0707

까지 분류하였고, 폐기물별로는 세척액, 용제, 침전물, 흡수제, 슬러지, 폐기물, 첨

가물, 실리콘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폐기물(0704와 0705만 해당)과 첨가물

(0702만 해당), 실리콘(0702만 해당)의 경우에는 해당되는 업종만 시료가 채취되

었다.

전체 시료 200개에 대하여 함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세척액, 용제 등 97개의 액

Page 14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39 -

상폐기물의 경우에는 용출분석이 제외되어서 103개 시료에 대해서만 용출과정을

통하여 무기성 유해물질이 분석되었다. 측정항목은 11개의 용출시험 판정항목 중

에서 오일, 유기인, TCE, TeCE 등 4종의 유기물을 제외한 7개 항목이었으며 총

크롬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Cu, Pb, Cd, T-Cr, Cr+6

, Hg, As, CN 등에 대한 분석

이 용출조작을 통한 용출액과 함량처리 조작을 통한 함량액에 대해서 분석되었

다.

[표 3.12] 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폐기물

업종

시료수

01.

세척액

02.

용 제

03.

침전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소계

0701

기본유기물

용출 - - 4 4 10 18

함량 8 3 4 4 10 29

0702

수지,고무,섬유

용출 - - 1 11 7 10 - 29

함량 12 8 1 11 7 10 1 50

0703

유기염료/안료

용출 - - 7 6 6 19

함량 7 4 7 6 6 30

0704

유기살충제

용출 - - - 1 - 2 3

함량 2 2 - 1 - 2 7

0705

의약품

용출 - - 1 5 7 5 18

함량 12 5 1 5 7 5 35

0706

유지,세제,화장품

용출 - - 3 1 6 10

함량 10 5 5 1 6 27

0707

정밀화학품

용출 - - 2 2 2 6

함량 6 8 4 2 2 22

계용출 - - 18 30 38 7 10 - 103

함량 57 35 22 30 38 7 10 1 200

Page 14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40 -

3.2.1.2 공정별 규제대상 무기물질 배출특성

[표 3.13] 및 [그림 3.7(상단)]~[그림 3.14(상단)]은 규제대상 무기물질에 대한

공정별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정은 0701~0707로 구분되었으며, 0701은

기본 유기물 공정, 0702 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 0703 유기염료 및 안료제조

공정, 0704 유기살충제제조 공정, 0705 의약품제조 공정, 0706 유지, 화장품, 세제

제조 공정, 0707은 정밀화학품제조 공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와 그림에 제시되

어 있는 제안기준(mg/L)은 국내 지정폐기물 판정을 위한 용출농도 기준치와 국

립환경과학원(2007년)이 자체 조사․분석하여 설정한 함량 제안치이다.

측정결과, 대부분의 시료는 농도가 검출되지 않은 것(ND)으로 나타났으며, [표

3.2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규제대상 무기물질은 평균적으로 용출시료 분석의

경우 84.3%, 함량시료 분석의 경우 71%의 시료에서 농도가 검출되지 않았다. 특

히 6가 크롬의 경우에는 용출 및 함량 시료에서 농도가 나타난 것이 전혀 없었

으며, 카드뮴의 경우에는 1개의 함량시료에서만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용출 및

함량분석 시료 303개중에서 수은은 6개, 비소는 10개의 시료에서만 농도가 검출

되었을 뿐이다.

공정별 용출분석 결과, 0702(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의 폐기물에서 무기물

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0704(유기살충제제조) 공정의 폐기물은 시안 용출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시안을 제외한 기타 무기물질류의 농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다. 무기물질별로는 시안이 평균적으로 0.084mg/L의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구리, 납, 총크롬, 비소 등이 0.039~0.091mg/L의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

카드뮴, 6가크롬, 수은 등은 농도를 보이고 있지 않다.

공정별 함량분석에서는 0703(유기염료/안료제조) 공정에서의 무기물질 농도가

대체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총크롬과 비소 및 시안은 0702(수지,고

무, 섬유제조) 공정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수은은 0701(기본유기물제조) 공

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용출과 함량분석시 농도의 비는 무기물질에 따

라 차이가 있으며, 그 범위는 300~700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비소는 용출

Page 15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41 -

과 함량분석시 17배의 농도 비를 보이고 있다.

용출시 규제기준치를 상회하는 무기물질의 농도를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0702 공정의 구리와 비소, 0703 공정의 수은과 시안과 0704 공정의 시안 등이다.

제안기준치를 넘어선 무기물질의 농도는 용출분석에서 10개 및 함량분석에서 33

개를 보이고 있을 뿐이다.

3.2.1.3 폐기물별 규제대상 무기물질 배출특성

[표 3.14] 및 [그림 3.7(하단)]~[그림 3.14(하단)]은 규제대상 무기물질에 대한

폐기물별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폐기물은 01 세척액, 02 용제, 03 침전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표와 그림에 제시되어 있는 제안기준(mg/L)은 국내 지정폐기물 판정을 위한 용

출농도 기준치와 국립환경연구원(2007년)이 자체 조사․분석하여 설정한 제안치

이다.

폐기물별 용출분석 결과, 액상폐기물인 01 세척액, 02 용제, 08 실리콘에서는

용출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침전물과 폐기물에서는 시안이 높게 배출되고

있으며, 흡수제에서는 구리와 납, 총크롬이, 첨가물에서는 구리와 비소 용출농도

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나머지 카드뮴, 6가크롬, 수은 등에서는 용출농도를 거의

보이고 있지 않다.

폐기물별 함량분석에서, 구리와 납은 침전물과 슬러지에서, 수은은 슬러지에서,

첨가물에서는 비소와 시안 용출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용출시 규제기준치를 상회하는 무기물질의 농도를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03 침전물에서 시안 및 수은, 04 흡수제에서 구리, 06 폐기물에서 시안, 07 첨가

물에서 비소 등이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용출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함량에서

는 33개의 시료가 제안치를 초과하고 있다.

Page 15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42 -

[표 3.13] 공정별 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구분 업종시료

(개)

규제대상 무기물질

Cu Pb Cd T-Cr Cr(Ⅵ) Hg As CN

용출

분석

0701

기본유기물18 0.006

(ND~0.100)

0.004(ND~0.070)

ND(ND)

0.000(ND~0.003)

ND(ND)

0.015(ND~0.210)

ND(ND)

0.091(0.03~0.432)

0702

수지,고무,섬유29 0.278

(ND~3.730)

0.119(ND~2.130)

ND(ND)

0.143(ND~3.160)

ND(ND)

ND(ND)

0.165(ND~4.560)

0.028(ND~0.300)

0703

유기염료/안료19 0.014

(ND~0.135)

0.020(ND~0.250)

ND(ND)

0.074(ND~1.220)

ND(ND)

ND(ND)

ND(ND)

0.177(0.01~2.140)

0704

유기살충제3 ND

(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40(ND~0.120)

0.540(0.04~1.400)

0705

의약품18 0.042

(ND~0.280)

0.004(ND~0.080)

ND(ND)

0.011(ND~0.190)

ND(ND)

ND(ND)

ND(ND)

0.047(ND~0.220)

0706

유지,세제,화장품10 0.016

(ND~0.070)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26(ND~0.150)

0707

정밀화학품6 ND

(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27(0.01~0.060)

평균 (계) 103 0.091(ND~3.730)

0.039(ND~2.130)

ND(ND)

0.056(ND~3.160)

ND(ND)

0.003(ND~0.210)

0.048(ND~4.560)

0.084(ND~2.140)

규제기준 (mg/L) 3.0 3.0 0.3 - 1.5 0.005 1.5 1.0

함량

분석

0701

기본유기물29 29.937

(ND~238.0)

4.931(ND~38.00)

ND(ND)

10.724(ND~78.00)

ND(ND)

11.586(ND~336.0)

1.172(ND~9.000)

20.479(0.03~230.0)

0702

수지,고무,섬유50 40.368

(ND~685.0)

23.000(ND~393.0)

0.100(ND~5.000)

86.780(ND~2951)

ND(ND)

0.980(ND~26.00)

2.500(ND~125.0)

59.073(0.02~1027)

0703

유기염료/안료30 197.844

(ND~2820)

123.257(ND~1808)

ND(ND)

53.167(ND~935.0)

ND(ND)

ND(ND)

ND(ND)

13.291(ND~54.00)

0704

유기살충제7 1.000

(ND~7.000)

0.714(ND~3.000)

ND(ND)

ND(ND)

ND(ND)

ND(ND)

0.857(ND~6.000)

3.880(0.02~19.00)

0705

의약품35 13.491

(ND~99.00)

2.400(ND~22.00)

ND(ND)

11.743(ND~244.0)

ND(ND)

ND(ND)

ND(ND)

22.667(0.02~238.0)

0706

유지,세제,화장품27 4.984

(ND~44.00)

1.556(ND~14.00)

ND(ND)

1.963(ND~33.00)

ND(ND)

ND(ND)

ND(ND)

12.236(0.02~78.00)

0707

정밀화학품22 25.189

(ND~290.0)

8.091(ND~109.0)

ND(ND)

17.545(ND~129.0)

ND(ND)

ND(ND)

ND(ND)

13.956(0.01~248.0)

평균 (계) 200 49.949(ND~2820)

26.499(ND~1808)

0.025(ND~5.000)

35.476(ND~2951)

ND(ND)

1.925(ND~336.0)

0.825(ND~125.0)

27.021(ND~1027)

제안기준 (mg/kg) 100 100 5 - 20 0.5 50 200

Page 15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43 -

[표 3.14] 폐기물별 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구분 폐기물시료

(개)

규제대상 무기물질

Cu Pb Cd T-Cr Cr(Ⅵ) Hg As CN

용출

분석

01. 세척액 - - - - - - - - -

02. 용 제 - - - - - - - - -

03. 침전물 18 0.015(ND~0.100)

0.022(ND~0.250)

ND(ND)

0.072(ND~1.220)

ND(ND)

0.012(ND~0.210)

ND(ND)

0.180(ND~2.140)

04. 흡수제 30 0.190(ND~3.730)

0.116(ND~2.130)

ND(ND)

0.119(ND~3.160)

ND(ND)

ND(ND)

0.011(ND~0.220)

0.062(ND~0.270)

05. 슬러지 38 0.008(ND~0.135)

0.002(ND~0.060)

ND(ND)

0.003(ND~0.086)

ND(ND)

0.001(ND~0.054)

ND(ND)

0.052(ND~0.432)

06. 폐기물 7 0.021(ND~0.150)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220(ND~1.400)

07. 첨가물 10 0.292(ND~2.920)

0.004(ND~0.040)

ND(ND)

0.076(ND~0.690)

ND(ND)

ND(ND)

0.456(ND~4.560)

0.009(ND~0.030)

08. 실리콘 - - - - - - - - -

평균 (계) 103 0.091(ND~3.730)

0.039(ND~2.130)

ND(ND)

0.056(ND~3.160)

ND(ND)

0.003(ND~0.210)

0.048(ND~4.560)

0.084(ND~2.140)

규제기준 (mg/L) 3.0 3.0 0.3 - 1.5 0.005 1.5 1.0

함량

분석

01. 세척액 57 2.327(ND~91.02)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72(0.02~1.630)

02. 용 제 35 0.801(ND~4.910)

0.791(ND~27.70)

ND(ND)

ND(ND)

ND(ND)

ND(ND)

ND(ND)

0.378(0.01~6.180)

03. 침전물 22 143.86(ND~2820)

76.682(ND~1461)

ND(ND)

26.045(ND~331.0)

ND(ND)

ND(ND)

ND(ND)

27.281(0.02~230.0)

04. 흡수제 30 46.467(ND~685.0)

32.433(ND~393.0)

ND(ND)

148.43(ND~2951)

ND(ND)

0.333(ND~10.00)

0.200(ND~6.000)

35.767(1.00~278.0)

05. 슬러지 38 134.132(ND~2769)

64.579(ND~1808)

ND(ND)

52.474(ND~935.0)

ND(ND)

8.842(ND~336.0)

0.895(ND~9.000)

28.274(ND~248.0)

06. 폐기물 7 4.429(ND~17.00)

0.286(ND~2.000)

ND(ND)

6.429(ND~45.00)

ND(ND)

ND(ND)

ND(ND)

45.857(4.0~238.0)

07. 첨가물 10 14.00(ND~70.00)

15.600(ND~112.0)

0.500(ND~5.000)

3.000(ND~19.00)

ND(ND)

3.900(ND~26.00)

12.500(ND~125.0)

231.80(1.00~1027)

08. 실리콘 1 2.17(2.17)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310(0.310)

평균 (계) 200 49.949(ND~2820)

26.499(ND~1808)

0.025(ND~5.000)

35.475(ND~2951)

ND(ND)

1.925(ND~336.0)

0.825(ND~125.0)

27.021(ND~1027)

제안기준 (mg/kg) 100 100 5 - 20 0.5 50 200

Page 15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44 -

⒜ process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070800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3.0mg/L

규제농도 상한가 1개

⒝ process - conten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1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11개

⒞ waste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3.0mg/L

규제농도 상한가 1개

⒟ waste - conten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1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11개

[그림 3.7] 규제대상 무기물질(Cu)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4]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5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45 -

⒜ process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3.0mg/L

⒝ process - conten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1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8개

⒞ waste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3.0mg/L

⒟ waste - conten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1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8개

[그림 3.8] 규제대상 무기물질(Pb)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4]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5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46 -

⒜ process - extract

0.00

0.10

0.20

0.30

0.40

0.5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0.3mg/L

⒝ process - content

0.00

1.00

2.00

3.00

4.00

5.00

6.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mg/kg

제안함량 상한가 1개

⒞ waste - extract

0.00

0.10

0.20

0.30

0.40

0.5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0.3mg/L

⒟ waste - content

0.00

1.00

2.00

3.00

4.00

5.00

6.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mg/kg

제안함량 상한가 1개

[그림 3.9] 규제대상 무기물질(Cd)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4]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5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47 -

⒜ process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 process - conten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 waste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 waste - conten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그림 3.10] 규제대상 무기물질(T-Cr)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4]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5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48 -

⒜ process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1.5mg/L

⒝ process - content

0.00

5.00

10.00

15.00

20.00

25.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20mg/kg

⒞ waste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1.5mg/L

⒟ waste - content

0.00

5.00

10.00

15.00

20.00

25.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20mg/kg

[그림 3.11] 규제대상 무기물질(Cr+6)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4]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5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49 -

⒜ process - extract

0.00

0.01

0.02

0.03

0.04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0.005mg/L

규제농도 상한가 2개

⒝ process - content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0.5mg/kg

제안함량 상한가 4개

⒞ waste - extract

0.00

0.01

0.02

0.03

0.04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0.005mg/L

규제농도 상한가 2개

⒟ waste - content

0.00

0.50

1.00

1.50

2.00

2.50

3.00

3.5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0.5mg/kg

제안함량 상한가 4개

[그림 3.12] 규제대상 무기물질(Hg)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4]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5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50 -

⒜ process - extract

0.00

1.00

2.00

3.00

4.00

5.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1.5mg/L

규제농도 상한가 1개

⒝ process - content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mg/kg

제안함량 상한가 1개

⒞ waste - extract

0.00

1.00

2.00

3.00

4.00

5.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1.5mg/L

규제농도 상한가 1개

⒟ waste - content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mg/kg

제안함량 상한가 1개

[그림 3.13] 규제대상 무기물질(As)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4]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6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51 -

⒜ process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2.5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1.0mg/L

규제농도 상한가 2개

⒝ process - content

0.00

50.00

100.00

150.00

2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2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8개

⒞ waste - extract

0.00

0.50

1.00

1.50

2.00

2.5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규제기준농도:1.0mg/L

규제농도 상한가 2개

⒟ waste - content

0.00

50.00

100.00

150.00

2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2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8개

[그림 3.14] 규제대상 무기물질(CN)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4]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6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52 -

3.2.2 미규제대상 무기물질의 배출특성

3.2.2.1 분석항목

전체 시료 200개에 대하여 함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세척액, 용제 등 97개의 액

상폐기물의 경우에는 용출분석이 제외되어서 103개 시료에 대해서만 용출과정을

통하여 무기성 유해물질이 분석되었다. 측정항목은 국립환경과학원(2007년)에서

조사․연구하여 제시한 8개 무기물질로서, Ni, Zn, Ba, Be, Sb, Se, V, F 등에 대

한 분석이 용출조작을 통한 용출액과 함량처리 조작을 통한 함량액에 대해서 각

각 분석되었다.

[표 3.15] 미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폐기물

업종

시료수

01.

세척액

02.

용 제

03.

침전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소계

0701

기본유기물

용출 - - 4 4 10 18

함량 8 3 4 4 10 29

0702

수지,고무,섬유

용출 - - 1 11 7 10 - 29

함량 12 8 1 11 7 10 1 50

0703

유기염료/안료

용출 - - 7 6 6 19

함량 7 4 7 6 6 30

0704

유기살충제

용출 - - - 1 - 2 3

함량 2 2 - 1 - 2 7

0705

의약품

용출 - - 1 5 7 5 18

함량 12 5 1 5 7 5 35

0706

유지,세제,화장품

용출 - - 3 1 6 10

함량 10 5 5 1 6 27

0707

정밀화학품

용출 - - 2 2 2 6

함량 6 8 4 2 2 22

계용출 - - 18 30 38 7 10 - 103

함량 57 35 22 30 38 7 10 1 200

Page 16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53 -

3.2.2.2 공정별 미규제대상 무기물질 배출특성

[표 3.16] 및 [그림 3.15(상단)]~[그림 3.22(상단)]은 미규제대상 무기물질에 대

한 공정별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정은 0701~0707로 구분되었으며, 0701

은 기본 유기물 공정, 0702 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 0703 유기염료 및 안료제

조 공정, 0704 유기살충제제조 공정, 0705 의약품제조 공정, 0706 유지, 화장품,

세제제조 공정, 0707은 정밀화학품제조 공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와 그림에 제

시되어 있는 미규제대상 무기물질의 용출 및 함량에 대한 제안기준(mg/L 및

mg/kg)은 국립환경과학원(2007년)이 자체 조사․분석하여 설정한 제안치이다.

측정결과, 대부분의 시료는 농도가 검출되지 않은 것(ND)으로 나타났으며, [표

3.2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미규제대상 무기물질은 평균적으로 용출시료 분석

의 경우 72%, 함량시료 분석의 경우 70%의 시료에서 농도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베릴륨의 경우에는 용출 및 함량 시료에서 농도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안티몬과 세슘, 바나듐 등에서도 거의 농도가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대신에 불

소의 경우에는 용출분석시 2개, 함량분석시 1개의 시료에서만 농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정별 용출분석 결과, 규제대상 무기물질과 마찬가지로 0702(수지, 고무, 섬유

제조) 공정의 폐기물에서 무기물질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0707(정밀화학

품제조) 공정의 폐기물은 바륨 용출농도가 높았으며, 베릴륨은 전 공정에서 검출

되지 않았다. 무기물질별로는 불소농도가 34.006mg/L로 가장 높았으며, 니켈 용

출농도가 4.289mg/L이고, 나머지 용출농도들은 1mg/L 내외를 보이고 있다.

공정별 함량분석에서도 0702(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에서의 무기물질 농도

가 대체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바륨은 0703(유기염료/안료제조) 공

정에서, 불소도 0703(유기염료/안료제조) 공정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

다. 미규제대상 무기물질의 용출과 함량분석시 농도의 비는 무기물질에 따라 차

이가 있지만 대략 10~30배 내외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연의 경우에는

1066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세슘은 용출농도와 함량농도가 거의 유사한 수

Page 16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54 -

치를 보이고 있다.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무기물질의 농도를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0702

공정의 니켈과 안티몬, 세슘, 바나듐, 불소(용출) 등 5개 항목, 4개 시료에서 용출

제안기준치를 상회하고 있었다.

3.2.2.3 폐기물별 미규제대상 무기물질 배출특성

[표 3.17] 및 [그림 3.15(하단)]~[그림 3.22(하단)]은 규제대상 무기물질에 대한

폐기물별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폐기물은 01 세척액, 02 용제, 03 침전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표와 그림에 제시되어 있는 제안기준(mg/L 및 mg/kg)은 국립환경연구원(2007

년)이 자체 조사․분석하여 설정한 제안치이다.

폐기물별 용출분석 결과, 액상폐기물인 01 세척액, 02 용제, 08 실리콘에서는

용출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03 침전물에서는 안티몬이, 04 흡수제에서는

세슘가 불소가, 첨가물에서는 니켈, 아연, 바나듐이 주로 용출되고 있었다. 특히

니켈, 바나듐, 불소 등은 특정한 폐기물에서 주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물별 함량분석시, 07 첨가물에서 니켈, 아연, 바나듐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

으며, 03 침전물에선은 아연, 바륨, 안티몬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니켈과 아연은

03 침전물, 05 슬러지 및 07 첨가물에서 동시에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바륨 및

안티몬은 침전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세슘은 02 용제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용출시에는 흡수제와 첨가물을 관리하는 것이,

함량시에는 03 침전물과 07 첨가물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무기물질의 농도를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03 침

전물에서 안티몬(용출)이, 04 흡수제에서 세슘과 불소(용출)가, 07 첨가물에서 니

켈과 바나듐(용출) 등 4종의 시료에서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용출농도를 보이고

있다.

Page 16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55 -

[표 3.16] 공정별 미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구분 업종시료

(개)

미규제대상 무기물질

Ni Zn Ba Be Sb Se V F

용출

분석

0701

기본유기물18 0.031

(ND~0.270)

0.107(ND~0.640)

0.043(ND~0.310)

ND(ND)

ND(ND)

ND(ND)

ND(ND)

4.659(0.20~8.29)

0702

수지,고무,섬유29 15.178

(ND~439.6)

1.309(ND~10.90)

0.021(ND~0.250)

ND(ND)

0.389(ND~10.94)

0.235(ND~6.820)

4.662(ND~135.2)

100.247(ND~2810)

0703

유기염료/안료19 0.045

(ND~0.740)

0.253(ND~1.360)

0.047(ND~0.220)

ND(ND)

ND(ND)

0.003(ND~0.060)

0.006(ND~0.120)

10.211(0.29~123.0)

0704

유기살충제3 ND

(ND)

0.123(ND~0.370)

ND(ND)

ND(ND)

ND(ND)

ND(ND)

ND(ND)

4.857(2.38~6.68)

0705

의약품18 0.007

(ND~0.120)

0.429(ND~3.340)

0.060(ND~0.220)

ND(ND)

0.004(ND~0.080)

0.034(ND~0.240)

0.019(ND~0.340)

9.225(4.65~30.0)

0706

유지,세제,화장품10 0.010

(ND~0.100)

0.175(ND~1.030)

0.021(ND~0.130)

ND(ND)

0.008(ND~0.080)

ND(ND)

ND(ND)

8.031(4.91~11.78)

0707

정밀화학품6 ND

(ND)

0.198(ND~0.830)

0.150(ND~0.800)

ND(ND)

ND(ND)

ND(ND)

ND(ND)

9.445(5.11~14.65)

평균 (계) 103 4.289(ND~439.6)

0.541(ND~10.90)

0.043(ND~0.800)

ND(ND)

0.111(ND~10.94)

0.073(ND~6.820)

1.317(ND~135.2)

34.006(ND~2810)

제안기준 (mg/L) 50 100 100 1.3 5 5 20 150

함량

분석

0701

기본유기물29 112.931

(ND~2160)

224.59(ND~3548)

42.483(ND~1019)

ND(ND)

1.103(ND~32.00)

ND(ND)

23.448(ND~318.0)

245.29(6.56~668.0)

0702

수지,고무,섬유50 401.057

(ND~19730)

1507.1(ND~16720)

18.240(ND~343.0)

ND(ND)

5.700(ND~113.0)

0.120(ND~6.000)

73.120(ND~3571)

185.20(ND~642.0)

0703

유기염료/안료30 7.133

(ND~167.0)

164.0(ND~3489)

67.667(ND~737.0)

ND(ND)

0.767(ND~13.00)

ND(ND)

14.367(ND~431.0)

909.31(3.24~20350)

0704

유기살충제7 ND

(ND)

2.571(ND~9.000)

11.571(ND~81.00)

ND(ND)

ND(ND)

ND(ND)

ND(ND)

178.48(3.53~614.0)

0705

의약품35 6.023

(ND~144.0)

41.032(ND~320.0)

3.200(ND~18.00)

ND(ND)

ND(ND)

ND(ND)

0.886(ND~18.00)

260.35(3.22~3215)

0706

유지,세제,화장품27 0.815

(ND~6.000)

147.11(ND~2296)

2.815(ND~35.00)

ND(ND)

ND(ND)

ND(ND)

ND(ND)

155.42(2.85~733.0)

0707

정밀화학품22 61.455

(ND~854.0)

1051.70(ND~21690)

12.773(ND~149.0)

ND(ND)

0.318(ND~7.000)

0.403(ND~8.860)

0.545(ND~12.00)

127.09(2.52~1045)

평균 (계) 200 125.63(ND~19730)

576.74(ND~21690)

23.620(ND~1019)

ND(ND)

1.735(ND~113.0)

0.074(ND~8.860)

24.050(ND~3571)

305.03(ND~20350)

제안기준 (mg/kg)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Page 16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56 -

[표 3.17] 폐기물별 규제대상 무기물질류 분석 현황

구분 폐기물시료

(개)

미규제대상 무기물질

Ni Zn Ba Be Sb Se V F

용출

분석

01. 세척액 - - - - - - - - -

02. 용 제 - - - - - - - - -

03. 침전물 18 0.004(ND~0.060)

0.267(ND~1.360)

0.037(ND~0.310)

ND(ND)

0.608(ND~10.94)

0.003(ND~0.060)

ND(ND)

11.301(0.2~123.0)

04. 흡수제 30 0.032(ND~0.740)

0.779(ND~6.870)

0.029(ND~0.220)

ND(ND)

0.014(ND~0.140)

0.243(ND~6.820)

0.015(ND~0.340)

99.193(0.3~2810)

05. 슬러지 38 0.031(ND~0.300)

0.141(ND~2.290)

0.064(ND~0.800)

ND(ND)

ND(ND)

ND(ND)

ND(ND)

5.892(ND~14.65)

06. 폐기물 7 ND(ND)

0.567(ND~3.340)

0.056(ND~0.220)

ND(ND)

0.011(ND~0.080)

0.019(ND~0.070)

ND(ND)

10.421(2.38~30.0)

07. 첨가물 10 43.960(ND~439.6)

1.822(ND~10.90)

0.012(ND~0.110)

ND(ND)

ND(ND)

ND(ND)

13.520(ND~135.2)

2.658(ND~5.190)

08. 실리콘 - - - - - - - - -

평균 (계) 103 4.289(ND~439.6)

0.541(ND~10.90)

0.043(ND~0.800)

ND(ND)

0.111(ND~10.94)

0.073(ND~6.820)

1.317(ND~135.2)

34.006(ND~2810)

제안기준 (mg/L) 50 100 100 1.3 5 5 20 150

함량

분석

01. 세척액 57 ND(ND)

0.834(ND~36.87)

ND(ND)

ND(ND)

ND(ND)

ND(ND)

ND(ND)

6.663(2.99~17.8)

02. 용 제 35 0.223(ND~7.820)

4.994(ND~88.12)

ND(ND)

ND(ND)

ND(ND)

0.253(ND~8.860)

ND(ND)

6.035(ND~14.96)

03. 침전물 22 43.50(ND~854.0)

1276.97(ND~21690)

75.727(ND~1019)

ND(ND)

5.136(ND~113.0)

ND(ND)

0.545(ND~12.00)

299.11(3.4~589.0)

04. 흡수제 30 22.10(ND~415.0)

115.77(3.0~660.0)

41.667(ND~343.0)

ND(ND)

5.233(ND~85.00)

0.200(ND~6.000)

0.600(ND~18.00)

313.783(199~521)

05. 슬러지 38 98.789(ND~2160)

757.90(10~11080)

43.211(ND~737.0)

ND(ND)

1.500(ND~32.00)

ND(ND)

31.474(ND~431.0)

941.63(235~20350)

06. 폐기물 7 0.857(ND~6.000)

18.429(3.0~80.00)

13.571(ND~81.0)

ND(ND)

ND(ND)

ND(ND)

1.857(ND~13.00)

791.29(228~3215)

07. 첨가물 10 1973.4(ND~19730)

5453.8(3.0~16720)

7.100(ND~18.00)

ND(ND)

2.000(ND~10.00)

ND(ND)

357.10(ND~3571)

312.6(206~642)

08. 실리콘 1 4.830(4.830)

91.700(91.700)

ND(ND)

ND(ND)

ND(ND)

ND(ND)

ND(ND)

12.41(12.41)

평균 (계) 200 125.63(ND~19730)

576.74(ND~21690)

23.620(ND~1019)

ND(ND)

1.735(ND~113.0)

0.074(ND~8.860)

24.050(ND~3571)

305.03(ND~20350)

제안기준 (mg/kg)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Page 16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57 -

⒜ process - extract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50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process - content

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4개

⒞ waste - extract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50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waste - content

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4개

[그림 3.15] 미규제대상 무기물질(Ni)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7]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6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58 -

⒜ process - extrac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100mg/L

⒝ process - content

0.0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10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13개

⒞ waste - extrac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100mg/L

⒟ waste - content

0.0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10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13개

[그림 3.16] 미규제대상 무기물질(Zn)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7]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6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59 -

⒜ process - extrac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100mg/L

⒝ process - content

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3개

⒞ waste - extrac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100mg/L

⒟ waste - content

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3개

[그림 3.17] 미규제대상 무기물질(Ba)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7]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6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60 -

⒜ process - extract

0.00

0.20

0.40

0.60

0.80

1.00

1.20

1.4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1.3mg/L

⒝ process - content

0.00

1.00

2.00

3.00

4.00

5.00

6.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mg/kg

⒞ waste - extract

0.00

0.20

0.40

0.60

0.80

1.00

1.20

1.4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1.3mg/L

⒟ waste - content

0.00

1.00

2.00

3.00

4.00

5.00

6.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mg/kg

[그림 3.18] 미규제대상 무기물질(Be)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7]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7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61 -

⒜ process - extract

0.00

2.00

4.00

6.00

8.00

1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5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process - content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mg/kg

제안함량 상한가 2개

⒞ waste - extract

0.00

2.00

4.00

6.00

8.00

1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5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waste - content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mg/kg

제안함량 상한가 2개

[그림 3.19] 미규제대상 무기물질(Sb)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7]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7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62 -

⒜ process - extract

0.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5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process - content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mg/kg

⒞ waste - extract

0.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5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waste - content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mg/kg

[그림 3.20] 미규제대상 무기물질(Se)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7]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7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63 -

⒜ process - extract

0.00

5.00

10.00

15.00

20.00

25.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20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process - content

0.00

50.00

100.00

150.00

2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2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3개

⒞ waste - extract

0.00

5.00

10.00

15.00

20.00

25.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20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waste - content

0.00

50.00

100.00

150.00

2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2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3개

[그림 3.21] 미규제대상 무기물질(V)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7]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7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64 -

⒜ process - extrac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150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process - content

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15개

⒞ waste - extrac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L

)

제안기준농도:150mg/L

제안농도 상한가 1개

⒟ waste - content

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0101

0201

0301

0401

0501

0601

0701

0801

concentr

ation(m

g/k

g)

제안기준함량:500mg/kg

제안함량 상한가 15개

[그림 3.22] 미규제대상 무기물질(F)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7]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7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65 -

3.3 유기성 유해물질의 배출특성

3.3.1 규제대상 유기물질의 배출특성

3.3.1.1 분석항목

채취된 200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표 3.18]과 같이 업종별로 0701~0707

까지 분류하였고, 폐기물별로는 세척액, 용제, 침전물, 흡수제, 슬러지, 폐기물, 첨

가물, 실리콘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폐기물(0704와 0705만 해당)과 첨가물

(0702만 해당), 실리콘(0702만 해당)의 경우에는 해당되는 업종만 시료가 채취되

었다.

규제대상 유기성 유해물질은 기름성분, 유기인, TCE, TeCE 등 4종으로, 국내

지정폐기물 판정을 위한 용출시험 항목으로 이미 선정되어 있는 항목들이다. 따

라서 103개의 고상 시료에 대하여 용출과정을 통하여 유기성 유해물질이 분석되

었고, 97개의 액상시료는 용출이나 digestion 등 전처리 조작없이 그대로 유기성

유해물질이 분석되어, 전체 시료 200개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Page 17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66 -

[표 3.18] 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폐기물

업종

시료수

01.

세척액

02.

용 제

03.

침전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소계

0701

기본유기물용출 8 3 4 4 10 29

0702

수지,고무,섬유용출 12 8 1 11 7 10 1 50

0703

유기염료/안료용출 7 4 7 6 6 30

0704

유기살충제용출 2 2 - 1 - 2 7

0705

의약품용출 12 5 1 5 7 5 35

0706

유지,세제,화장품용출 10 5 5 1 6 27

0707

정밀화학품용출 6 8 4 2 2 22

계 57 35 22 30 38 7 10 1 200

3.3.1.2 공정별 규제대상 유기물질 배출특성

[표 3.19(상단)] 및 [그림 3.23(상단)]~[그림 3.26(상단)]은 규제대상 유기물질에

대한 공정별 용출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정은 0701~0707로 구분되었으

며, 0701은 기본 유기물 공정, 0702 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 0703 유기염료 및

안료제조 공정, 0704 유기살충제제조 공정, 0705 의약품제조 공정, 0706 유지, 화

장품, 세제제조 공정, 0707은 정밀화학품제조 공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와 그림

에 제시되어 있는 제안기준(mg/L 및 %)은 국내 지정폐기물 판정을 위한 용출농

도 기준치이다.

Page 17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67 -

측정결과, 유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는 농도가 검출되지 않은 것(ND)으로

나타났으며, [표 3.2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규제대상 유기물질은 평균적으로

유분 분석의 경우 15%, 유기인 및 TCE, TeCE 등에 대해서는 평균 94%의 시료

에서 농도가 검출되지 않았다. 농도가 제시되어 있는 규제대상 유기물질은 전체

200개 시료에 대하여 유기인 및 TCE의 경우 10개 시료, TeCE는 15개 시료뿐이

다.

공정별 용출분석 결과, 유분의 경우 0704(유기살충제) 공정 시료의 평균농도가

5.07%이며, 0706(유지, 세제, 화장품제조) 공정 시료의 평균농도는 5.41%, 0707(정

밀화학품제조) 공정시료의 평균농도는 10.03%가 되어서 지정폐기물 판정기준인

5.0%를 상회하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유기인의 경우 0704(유기살충제) 공정시

료에서 평균 0.06mg/L를 나타내고 있으며, TCE의 경우 0706(유지, 세제, 화장품

제조) 공정시료의 평균농도가 27.01mg/L, 0707(정밀화학품제조) 공정시료의 경우

0.03mg/L를 나타내고 있어서 지정폐기물 판정기준을 넘어서고 있다. 그리고

TeCE의 경우에도 지정폐기물 판정기준인 0.1mg/L를 상회하는 공정이 0703(유기

염료/안료제조) 공정, 0706(유지, 세제, 화장품제조) 공정, 0707(정밀화학품제조)

공정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기인과 TCE, TeCE는 전체 시료중에서 농도가

검출된 경우가 극소수이므로, 몇몇 시료의 농도가 극단적으로 높기 때문에 평균

치가 상향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5.0%의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유분이 발생하는 공정으로는 0701 공정이 3개

시료, 0702 공정이 3개 시료, 0703 공정이 5개 시료, 0704 공정이 1개 시료, 0705

공정이 2개 시료, 0706 공정이 5개 시료, 0707 공정이 6개 시료 등 총 25개 시료

가 제안기준치를 넘어선 유분을 용출하거나 함유하고 있었다. 유기인의 경우에는

제안기준치를 초과한 공정이 없었으며, TCE는 0703 공정이 1개 시료, 0706 공정

이 1개 시료, 0707 공정이 2개 시료로 모두 4개 시료가 제안기준치를 초과하였으

며, TeCE는 0703 공정이 1개 시료, 0706 공정이 2개 시료, 0707 공정이 1개 시료

로 모두 4개 시료에서 제안기준치를 상회하였다.

Page 17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68 -

3.3.1.3 폐기물별 규제대상 유기물질 배출특성

[표 3.19(하단)] 및 [그림 3.23(하단)]~[그림 3.26(하단)]은 규제대상 무기물질에

대한 폐기물별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폐기물은 01 세척액, 02 용제, 03 침전

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을 의미한다. 마찬가

지로 표와 그림에 제시되어 있는 제안기준(mg/L 및 %)은 국내 지정폐기물 판정

을 위한 용출농도 기준치이다.

폐기물별 용출분석 결과, 유분은 용제에서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침전물과

폐기물도 3.0mg/L를 상회하고 있다. 유기인은 흡수제에서 낮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폐기물류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TCE와 TeCE도 용제

에서 큰 값을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 폐기물류에서는 거의 농도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결국 규제대상 유기물류는 주로 용제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0%의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유분이 발생하는 폐기물로는 01 세척액이 2개

시료, 02 용제가 13개 시료, 03 침전물이 5개 시료, 04 흡수제가 3개 시료이며,

05 슬러지와 06 폐기물은 각각 1개씩의 시료가 제안기준치를 상회하고 있다. 즉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유분의 발생원은 공정에 무관하게 다양하게 배출되고는

있지만, 배출되는 폐기물 형태의 절반가량이 용제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

다.

유기인은 제안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없었다. 그리고 TCE와 TeCE의 경우

에는 제안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각각 4개 시료에서 발생하였는데, 이들은 모

두 용제류에서 발생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저급휘발성염소화탄화수소류를

관리하기 위하여 용제류에 대한 관리가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7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69 -

[표 3.19] 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구분시료

(개)

규제대상 유기물질

Oil

(%)

Organic

PhosphorusTCE TeCE

0701

기본유기물29 2.490

(ND~50.910)

0.000(ND~0.050)

ND(ND)

ND(ND)

0702

수지,고무,섬유50 1.060

(ND~27.050)

0.000(ND~0.050)

0.000(ND~0.020)

0.000(ND~0.010)

0703

유기염료/안료30 4.790

(ND~59.150)

0.000(ND~0.010)

0.010(ND~0.350)

0.340(ND~10.130)

0704

유기살충제7 5.070

(ND~32.190)

0.060(ND~0.430)

ND(ND)

ND(ND)

0705

의약품35 1.190

(ND~21.630)

ND(ND)

0.000(ND~0.160)

0.000(ND~0.070)

0706

유지,세제,화장품27 5.410

(ND~72.840)

ND(ND)

27.010(ND~729.220)

3.570(ND~95.850)

0707

정밀화학품22 10.030

(ND~96.840)

0.000(ND~0.040)

0.030(ND~0.400)

2.710(ND~59.630)

평균 (계) 200 3.563(ND~96.844)

0.003(ND~0.430)

3.653(ND~729.218)

0.831(ND~95.962)

01. 세척액 57 0.510(ND~8.270)

ND(ND)

ND(ND)

ND(ND)

02. 용 제 35 14.410(ND~96.840)

0.000(ND~0.050)

20.870(ND~729.22)

4.750(ND~95.960)

03. 침전물 22 3.880(ND~43.580)

ND(ND)

ND(ND)

0.000(ND~0.020)

04. 흡수제 30 1.770(ND~32.190)

0.020(ND~0.430)

ND(ND)

ND(ND)

05. 슬러지 38 0.450(ND~13.870)

0.000(ND~0.040)

ND(ND)

ND(ND)

06. 폐기물 7 3.330(ND~21.630)

ND(ND)

ND(ND)

ND(ND)

07. 첨가물 10 0.010(ND~0.010)

ND(ND)

ND(ND)

ND(ND)

08. 실리콘 10.840

(0.840)

ND(ND)

0.020

(0.020)

ND(ND)

평균 (계) 200 3.563(ND~96.844)

0.003(ND~0.430)

3.653(ND~729.218)

0.831(ND~95.962)

규제기준 (mg/L) 5% 1.0 0.3 0.1

Page 17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70 -

⒜ process - extract

0.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10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

)

0701 0702 0703 0704 0705 0706 0707

규제기준: 5%

규제기준 상한가 25개

⒝ waste - extract

0.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100.000

0100 0200 0300 0400 0500 0600 0700 0800

concentr

ation(%

)

01 02 03 04 05 06 07 08

규제기준 : 5%

규제기준 상한가 25개

[그림 3.23] 규제대상 유기물질(Oil)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9]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8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71 -

⒜ process - extract

0.00

0.20

0.40

0.60

0.80

1.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0701 0702 0703 0704 0705 0706 0707

규제기준:1.0mg/L

⒝ waste - extract

0.00

0.20

0.40

0.60

0.80

1.00

0100 0200 0300 0400 0500 0600 0700 0800

concentr

ation(m

g/L

)

01 02 03 04 05 06 07 08

규제기준 : 1.0mg/L

[그림 3.24] 규제대상 유기물질(Org.-P)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9]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8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72 -

⒜ process - extract

0.00

0.05

0.10

0.15

0.20

0.25

0.30

0.35

0.40

0.45

0.5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0701 0702 0703 0704 0705 0706 0707

규제기준:0.3mg/L

규제기준 상한가 4개

⒝ waste - extract

0.00

0.05

0.10

0.15

0.20

0.25

0.30

0.35

0.40

0.45

0.50

0100 0200 0300 0400 0500 0600 0700 0800

concentr

ation(m

g/L

)

01 02 03 04 05 06 07 08

규제기준 : 0.3mg/L

규제기준 상한가 4개

[그림 3.25] 규제대상 유기물질(TCE)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9]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8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73 -

⒜ process - extrac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L

)

0701 0702 0703 0704 0705 0706 0707

규제기준:0.1mg/L

규제기준 상한가 4개

⒝ waste - extract

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0100 0200 0300 0400 0500 0600 0700 0800

concentr

ation(m

g/L

)

01 02 03 04 05 06 07 08

규제기준 : 0.1mg/L

규제기준 상한가 4개

[그림 3.26] 규제대상 유기물질(TeCE)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19]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8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74 -

3.3.2 미규제대상 유기물질의 배출특성

3.3.2.1 분석항목

채취된 200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표 3.20]과 같이 업종별로 0701~0707

까지 분류하였고, 폐기물별로는 세척액, 용제, 침전물, 흡수제, 슬러지, 폐기물, 첨

가물, 실리콘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폐기물(0704와 0705만 해당)과 첨가물

(0702만 해당), 실리콘(0702만 해당)의 경우에는 해당되는 업종만 시료가 채취되

었다.

미규제대상 유기성 유해물질은 PCBs, HCB, PAHs, PCDD/PCDFs 등 4종으로,

103개의 고상 시료에 대하여 용출과정을 통하여 유기성 유해물질이 분석되었고,

97개의 액상시료는 용출이나 digestion 등 전처리 조작없이 그대로 유기성 유해

물질이 분석되어, 전체 시료 200개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단, 다이옥신류는

40개 시료만을 분석하였다.

[표 3.20] 미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폐기물

업종

시료수

01.

세척액

02.

용 제

03.

침전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소계

0701

기본유기물함량

8

(1)

3

(1)

4

(1)

4

(1)

10

(1)

29

(5)

0702

수지,고무,섬유함량

12

(1)

8

(1)

1

(1)

11

(1)

7

(1)

10

(1)

1

(1)

50

(7)

0703

유기염료/안료함량

7

(1)

4

(1)

7

(1)

6

(1)

6

(1)

30

(5)

0704

유기살충제함량

2

(1)

2

(1)-

1

(1)-

2

(1)

7

(4)

0705

의약품함량

12

(1)

5

(1)

1

(1)

5

(1)

7

(1)

5

(1)

35

(6)

0706

유지,세제,화장품함량

10

(2)

5

(1)

5

(1)

1

(1)

6

(1)

27

(6)

0707

정밀화학품함량

6

(2)

8

(2)

4

(1)

2

(1)

2

(1)

22

(7)

계57

(9)

35

(8)

22

(6)

30

(7)

38

(6)

7

(2)

10

(1)

1

(1)

200

(40)

주) ( ) 안의 수치는 다이옥신 측정시료 숫자임.

Page 18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75 -

3.3.2.2 공정별 미규제대상 유기물질 배출특성

[표 3.21] 및 [그림 3.27(상단)]~[그림 3.30(상단)]은 미규제대상 유기물질에 대

한 공정별 함량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공정은 0701~0707로 구분되었으며,

0701은 기본 유기물 공정, 0702 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 0703 유기염료 및 안

료제조 공정, 0704 유기살충제제조 공정, 0705 의약품제조 공정, 0706 유지, 화장

품, 세제제조 공정, 0707은 정밀화학품제조 공정을 의미한다.

측정오염 물질로는 PCBs, HCB, PAHs, PCDD/PCDFs 등 4 항목이었다. PCBs

는 IUPAC #28-, #52-, #101-, #118-, #138-, #153-, #180-PCB 등 7종을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PAHs는 국내 해양배출규제 대상인 Nap.(Napthalene),

Phen.(Phenanthrene), Anthr.(Anthracene), Flt.(Fluoranthene),

B(a)A.(Benzo(a)anthracene), B(b)F.(Benzo(b)fluoranthene), B(a)P.(Benzo(a)pyrene)

등 7종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PCDD/PCDFs는 2378-, 12378-,

23478-, 123478-, 123678-, 234678-, 123789-, 1234678-, 1234789-, OCDF-PCDFs(10

종) 및 2378-, 12378-, 123478-, 123678-, 123789-, 1234678-, OCDD-PCDD(7종) 등

총 17종을 분석하였다.

표와 그림에 제시되어 있는 제안기준(mg/kg 또는 ng/g)은 국립환경과학원

(2007년)의 조사․연구에 의하여 정해진 기준치이다. PCBs, PAHs,

PCDD/PCDFs 등 3 항목의 농도는 유도체의 농도를 모두 합산하여 제안기준농

도로 평가하였다. PCBs와 PAHs, PCDD/DFs는 국내 폐기물의 해양배출처리기준

에 제1기준 및 제2기준으로 구분되어 있다. PCBs의 배출처리기준은 제2기준이

0.03mg/kg, 제1기준이 0.15mg/kg으로 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1.0mg/kg을

제안기준으로 설정하였다. PAHs는 37.5mg/kg을 제안기준으로, 그리고

PCDD/DFs는 15ng/g을 제안기준농도로 설정하였다.

측정결과, [표 3.2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200개의 시료중에서 PCBs는 2개의

시료에서만 농도가 검출되었으며, 헥사클로로벤젠은 46개 시료, 다환방향족탄화

수소류는 103개 시료에서만 농도가 검출되었다. 그리고 다이옥신류는 총 40개 시

Page 18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76 -

료중에서 12개 시료만이 농도가 검출되었다.

공정별 함량분석 결과, PCBs는 0702(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에서만 단 2개

의 시료가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최고농도도 0.149mg/kg로 국내 해양배출처리

제1기준인 0.15mg/kg보다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헥사클로로벤젠은 0706(유지,

세제, 화장품제조) 공정의 평균값만이 0.21mg/kg을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 공정

에서는 0.001~0.003mg/kg 사이의 값을 보이고 있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도

0702(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에서 배출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0701(기본유기물

제조) 공정, 0703(유기염료/안료제조) 공정 등에서는 1.0mg/kg을 약간 상회한 농

도를 보이고 있다. PCDD/DFs는 0707(정밀화학품제조) 공정에서만 0.175ng/g을

보이고 있으며, 기타 공정에서는 0.001ng/g의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는 0702(수지, 고무, 섬유제조) 공정에서 배출된

PAH 단 1개의 시료뿐이었다.

3.3.2.3 폐기물별 미규제대상 유기물질 배출특성

[표 3.22] 및 [그림 3.27(하단)]~[그림 3.30(하단)]은 규제대상 무기물질에 대한

폐기물별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폐기물은 01 세척액, 02 용제, 03 침전물,

04 흡수제, 05 슬러지, 06 폐기물, 07 첨가물, 08 실리콘을 의미한다.

폐기물별 함량분석 결과, PCBs는 04 흡수제에서만 배출되고 있으며, HCB는

03 침전물에서 0.194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04 흡수제에서도

0.047mg/kg을 보이고 있다. PAHs는 04 흡수제에서 가장 높은 농도인

6.689mg/kg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07 첨가물에서도 1.679mg/kg을 보이고 있다.

다이옥신은 04 흡수제에서 0.176ng/g의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 폐기물에

서는 검풀이 되지 않거나 0.001ng/g의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

제안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는 PAHs 단 1개뿐으로, 04 흡수제에서 발생된 것

이었다.

Page 18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77 -

[표 3.21] 공정별 미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분공 정

미규제대상 유기물질

PCBsHCB

#28 #52 #101 #118 #138 #153 #180 total

0701

기본유기물29 ND

(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02(ND~0.027)

0702

수지,고무,섬유50 0.000

(ND~0.009)

0.000(ND~0.022)

0.001(ND~0.036)

0.001(ND~0.038)

0.000(ND~0.013)

0.001(ND~0.026)

0.000(ND~0.005)

0.003(ND~0.149)

0.002(ND~0.060)

0703

유기염료/안료30 ND

(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02(ND~0.027)

0704

유기살충제7 ND

(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01(ND~0.002)

0705

의약품35 ND

(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00(ND~0.002)

0706

유지,세제,화장품27 ND

(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210(ND~4.051)

0707

정밀화학품22 ND

(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03(ND~0.062)

평균 (계) 200 0.000(ND~0.009)

0.000(ND~0.022)

0.000(ND~0.036)

0.000(ND~0.038)

0.000(ND~0.013)

0.000(ND~0.026)

0.000(ND~0.005)

0.001(ND~0.149)

0.030(ND~4.051)

배출처리기준

(제안기준)

0.15/0.03

(1.0)- 50㎍/g

분공 정

미규제대상 유기물질

PAHs PCDD

/DFsNap Phen Anthr Flt B(a)A B(b)F B(a)P total

0701

기본유기물29 0.241

(ND~5.651)

0.167(ND~3.772)

0.216(ND~4.570)

0.167(ND~4.549)

0.081(ND~1.421)

0.059(ND~1.054)

0.134(ND~3.251)

1.049(ND~23.103)

0.001(ND~0.003)

0702

수지,고무,섬유50 0.177

(ND~3.442)

1.275(ND~58.671)

1.337(ND~65.465)

0.492(ND~14.379)

0.018(ND~0.195)

0.021(ND~0.164)

0.090(ND~1.803)

3.411(ND~142.195)

0.000(ND~0.001)

0703

유기염료/안료30 0.331

(ND~4.013)

0.118(ND~2.561)

0.018(ND~0.460)

0.098(ND~1.985)

0.068(ND~1.284)

0.183(ND~3.888)

0.206(ND~4.036)

1.022(ND~13.071)

0.000(ND~0.001)

0704

유기살충제7 0.210

(ND~1.326)

0.006(ND~0.034)

0.001(ND~0.003)

0.004(ND~0.024)

0.002(ND~0.010)

0.054(ND~0.374)

0.032(ND~0.195)

0.308(ND~1.967)

0.000(ND~0.001)

0705

의약품35 0.022

(ND~0.234)

0.004(ND~0.045)

0.003(ND~0.051)

0.001(ND~0.007)

0.000(ND~0.005)

0.003(ND~0.059)

0.006(ND~0.158)

0.039(ND~0.370)

0.001(ND~0.001)

0706

유지,세제,화장품27 0.047

(ND~0.398)

0.006(ND~0.110)

0.014(ND~0.214)

0.007(ND~0.139)

0.007(ND~0.145)

0.098(ND~2.411)

0.073(ND~1.647)

0.252(ND~4.410)

0.000(ND~0.001)

0707

정밀화학품22 0.123

(ND~2.370)

0.330(ND~7.235)

0.367(ND~8.072)

0.001(ND~0.008)

0.001(ND~0.011)

0.003(ND~0.035)

0.002(ND~0.040)

0.827(ND~17.763)

0.175(ND~1.224)

평균 (계) 200 0.160(ND~5.651)

0.339(ND~58.671)

0.411(ND~65.465)

0.163(ND~14.379)

0.028(ND~1.421)

0.057(ND~3.888)

0.085(ND~4.036)

1.301(ND~142.195)

0.022(ND~1.224)

배출처리기준

(제안기준)

4/0.8 5/1 4/0.8 10/2.5 5/1 4/0.8 4.5/0.9

(37.5)

15/3

(15)

약어) Nap = Napthalene, Phen = Phenanthrene, Anthr = Anthracene, Flt = Fluoranthene,

B(a)A = Benzo(a)anthracene, B(b)F = Benzo(b)fluoranthene, B(a)P = Benzo(a)pyrene

Page 18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78 -

[표 3.22] 폐기물별 미규제대상 유기물질류 분석 현황

분폐기물

미규제대상 유기물질

PCBsHCB

#28 #52 #101 #118 #138 #153 #180 total

01. 세척액 57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2. 용 제 35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3. 침전물 22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194(ND~4.051)

04. 흡수제 30 0.000(ND~0.009)

0.001(ND~0.022)

0.001(ND~0.036)

0.001(ND~0.038)

0.001(ND~0.013)

0.001(ND~0.026)

0.000(ND~0.005)

0.005(ND~0.149)

0.047(ND~1.265)

05. 슬러지 38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07(ND~0.201)

06. 폐기물 7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01(ND~0.002)

07. 첨가물 10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000(ND~0.002)

08. 실리콘 1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평균 (계) 200 0.000(ND~0.009)

0.000(ND~0.022

0.000(ND~0.036)

0.000(ND~0.038)

0.000(ND~0.013)

0.000(ND~0.026)

0.000(ND~0.005)

0.001(ND~0.149)

0.030(ND~4.051)

배출처리기준

(제안기준)

0.15/0.03

(1.0)- 50㎍/g

분폐기물

미규제대상 유기물질

PAHs PCDD

/DFsNap Phen Anthr Flt B(a)A B(b)F B(a)P total

01. 세척액 57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2. 용 제 35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03. 침전물 22 0.227(ND~4.013)

0.021(ND~0.358)

0.004(ND~0.032)

0.005(ND~0.058)

0.003(ND~0.030)

0.008(ND~0.080)

0.008(ND~0.087)

0.276(ND~4.481)

0.001(ND~0.003)

04. 흡수제 30 0.604(0.004~3.442)

2.389(ND~58.671)

2.534(ND~65.465)

0.606(ND~14.379)

0.104(ND~1.284)

0.218(ND~3.888)

0.249(ND~4.036)

6.689(0.010~142.195)

0.176(ND~1.224)

05. 슬러지 38 0.186(0.002~5.651)

0.115(ND~3.772)

0.138(ND~4.570)

0.175(ND~4.549)

0.052(ND~1.421)

0.114(ND~2.411)

0.167(ND~3.251)

0.948(0.005~23.103)

0.000(ND~0.001)

06. 폐기물 7 0.058(0.005~0.211)

0.008(ND~0.045)

0.008(ND~0.051)

0.001(ND~0.003)

0.000(ND~0.001)

0.001(ND~0.002)

0.004(ND~0.026)

0.081(0.007~0.313)

0.001(ND~0.001)

07. 첨가물 10 0.138(0.003~0.639)

0.319(ND~1.444)

0.082(ND~0.346)

0.768(ND~3.422)

0.037(ND~0.182)

0.038(ND~0.118)

0.297(ND~1.803)

1.679(0.009~7.168)

ND(ND)

08. 실리콘 1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ND(ND)

평균 (계) 200 0.160(ND~5.651)

0.399(ND~58.671)

0.411(ND~65.465)

0.163(ND~14.379)

0.028(ND~1.421)

0.057(ND~3.888)

0.085(ND~4.036)

1.301(ND~142.195)

0.022(ND~1.224)

배출처리기준

(제안기준)

4/0.8 5/1 4/0.8 10/2.5 5/1 4/0.8 4.5/0.9

(37.5)

15/3

(15)

약어) Nap = Napthalene, Phen = Phenanthrene, Anthr = Anthracene, Flt = Fluoranthene,

B(a)A = Benzo(a)anthracene, B(b)F = Benzo(b)fluoranthene, B(a)P = Benzo(a)pyrene

Page 18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79 -

⒜ process - content

0.000

0.030

0.060

0.090

0.120

0.150

0.18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28

#52

#101

#118

#138

#153

#180

0.03mg/kg

0.15mg/kg

0701 0702 0703 0704 0705 0706 0707

#101,#118 상한가 각 1개

⒝ waste - content

0.000

0.030

0.060

0.090

0.120

0.150

0.180

0100 0200 0300 0400 0500 0600 0700 0800

concentr

ation(m

g/k

g)

#28

#52

#101

#118

#138

#153

#180

0.03mg/kg

0.15mg/kg

01 02 03 04 05 06 07 08

#101,#118 상한가 각 1개

[그림 3.27] 미규제대상 유기물질(PCBs) 발생특성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22]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8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80 -

⒜ process - content

0.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HCB

50mg/kg

0701 0702 0703 0704 0705 0706 0707

⒝ waste - content

0.00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0100 0200 0300 0400 0500 0600 0700 0800

concentr

ation(m

g/k

g)

HCB

50mg/kg

01 02 03 04 05 06 07 08

[그림 3.28] 미규제대상 유기물질(HCB)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22]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9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81 -

⒜ process - content

0.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0.000

11.000

12.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m

g/k

g)

Nap Phen Anthr Flt B(a)A B(b)F B(a)P

Flt (10mg/kg)

Phen,B(a)A (5mg/kg)B(a)P (4.5mg/kg)Nap,Anthr,B(a)F (4mg/kg)

Flt (2.5mg/kg)Phen,B(a)A (1mg/kg)B(a)P (0.9mg/kg)Nap,Anthr,B(a)F (0.8mg/kg)

0701 0702 0703 0704 0705 0706 0707

Nap Phen Anthr Flt B(a)A B(b)F B(a)P

기준치 0.8 4 1 5 0.8 4 2.5 10 1 5 0.8 4 0.9 4.5

상한가 8 2 6 2 4 3 3 1 2 0 4 0 5 0

⒝ waste - content

0.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0.000

11.000

12.000

0100 0200 0300 0400 0500 0600 0700 0800

concentr

ation(m

g/k

g)

Nap Phen Anthr Flt B(a)A B(b)F B(a)P

Flt (10mg/kg)

Phen,B(a)A (5mg/kg)B(a)P (4.5mg/kg)Nap,Anthr,B(a)F (4mg/kg)

Flt (2.5mg/kg)Phen,B(a)A (1mg/kg)B(a)P (0.9mg/kg)Nap,Anthr,B(a)F (0.8mg/kg)

01 02 03 04 05 06 07 08

Nap Phen Anthr Flt B(a)A B(b)F B(a)P

기준치 0.8 4 1 5 0.8 4 2.5 10 1 5 0.8 4 0.9 4.5

상한가 8 2 6 2 4 3 3 1 2 0 4 0 5 0

[그림 3.29] 미규제대상 유기물질(PAHs) 발생특성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22]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9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82 -

⒜ process - content

0.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070100 070200 070300 070400 070500 070600 070700

concentr

ation(n

g l-TE

Q/g

)

PCDDs/Fs

3ng l-TEQ/g

15ng l-TEQ/g

0701 0702 0703 0704 0705 0706 0707

⒝ waste - content

0.00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0100 0200 0300 0400 0500 0600 0700 0800

concentr

ation(n

g l-TE

Q/g

)

PCDDs/Fs

3ng l-TEQ/g

15ng l-TEQ/g

01 02 03 04 05 06 07 08

[그림 3.30] 미규제대상 유기물질(PCDD/PCDFs) 발생

그림 상단 X축의 0701~0707은 EU 중분류 코드를, 하단 X축의 01~08은 [표 3.22]의 폐기물 명칭을 나타냄

Page 19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83 -

[표 3.23] 측정시료의 농도검출 시료수

농도검출

시 료 수

규제대상 무기물질 (/총시료수)

Cu Pb Cd T-Cr Cr(Ⅵ) Hg As CN

용출분석 17/103 9/103 0/103 13/103 0/103 2/103 3/103 86/103

함량분석 113/200 70/200 1/200 70/200 0/200 4/200 7/200 199/200

농도검출

시 료 수

미규제대상 무기물질 (/총시료수)

Ni Zn Ba Be Sb Se V F

용출분석 12/103 68/103 37/103 0/103 5/103 6/103 3/103 101/103

함량분석 53/200 110/200 83/200 0/200 12/200 2/200 14/200 199/200

농도검출

시 료 수

규제대상 유기물질 (/총시료수) 미규제대상 유기물질 (/총시료수)

Oil Org-P TCE TeCE PCBs HCB PAHsPCDD/

PCDFs

용출분석 169/200 10/200 10/200 15/200 - - - -

함량분석 - - - - 2/200 46/200 103/200 12/40

Page 19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Page 19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제4장. 국내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된

유해폐기물의 배출목록 (안)

4.1 국내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된 폐기물의 배출목록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EU(독일), 일본 등 선진국 및 바젤협약, OECD 등 국

제기구의 유해폐기물 분류체계를 비교․검토하여 유해폐기물 배출목록과 국내

유해폐기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유해폐기물이 공정중심으로 목록화되어

있는 유럽을 토대로 하여 유해물질을 함유한 ‘07.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되는 폐

기물’을 대상으로 적법처리시스템의 자료를 정리하여 국내 사업장을 통계적인 기

법으로 선정하고 이중 77개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200개의 시료를 수거하였다.

77개 사업장을 현지 조사하여 관리대상 유해물질 파악 및 현재 지정폐기물로

관리되고 있는 11종의 유해물질(7종의 무기물질 및 4종의 유기물질) 및 우선관리

대상물질로 선정된 12종의 미규제 유해물질(8종의 무기물질 및 4종의 유기물질)

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고,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국내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유해

폐기물의 배출목록을 세분화․목록화하여 최종(안)을 [표 4.1] 및 [표 4.2]와 같이

작성․제시하였다.

[표 4.1] 및 [표 4.2]는 유럽의 유해폐기물 생성공정을 토대로 분석결과 등을

정리하여 유해폐기물 배출목록을 작성한 것이다. 표 왼편의 0701~0707은 EWC

중분류 폐기물 목록이며, 그 우측의 숫자는 EWC의 세분류 6자리 폐기물 코드이

다. 유기업종에 대한 7개 공정별 폐기물을 목록별로 세분화하여 작성하였다.

Page 19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86 -

[표 4.1] 유해물질 함유 폐기물 배출목록(안) - 용출 (기준치 초과시료수 / 총

시료수)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Oil org-P TCE

기준치(mg/L) 3.0 3.0 0.3 1.5 0.005 1.5 1.0 50 100 100 1.3 5 5 20 150 5% 1 0.3

0701

기 본

유기물

070101

수성세척액- - - - - - - - - - - - - - - 0/8 0/8 0/8

070103

할로겐용제- - - - - - - - - - - - - - - 1/3 0/3 0/3

070104

기타용제

070107

할로겐침전물0/4 0/4 0/4 0/4 1/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2/4 0/4 0/4

070108

기타침전물

070109

할로겐흡수제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70110

기타흡수제

070111

수처리폐기물0/10 0/10 0/10 0/10 1/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701

(소계)0/18 0/18 0/18 0/18 2/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3/29 0/29 0/29

주) 미규제 기준치는 2007년도 국립환경과학원이 연구사업시 제안한 기준치임

Page 19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87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Oil org-P TCE

기준치(mg/L) 3.0 3.0 0.3 1.5 0.005 1.5 1.0 50 100 100 1.3 5 5 20 150 5% 1 0.3

0702

수지

고무

섬유

070201

수성세척액- - - - - - - - - - - - - - - 0/12 0/12 0/12

070203

할로겐용제- - - - - - - - - - - - - - - 2/8 0/8 0/8

070204

기타용제

070207

할로겐침전물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1/1 0/1 0/1 0/1 1/1 0/1 0/1

070208

기타침전물

070209

할로겐흡수제1/11 0/11 0/11 0/11 0/11 0/11 0/11 0/11 0/11 0/11 0/11 0/11 1/11 0/11 1/11 0/11 0/11 0/11

070210

기타흡수제

070211

수처리폐기물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0214

첨가제폐기물0/10 0/10 0/10 0/10 0/10 1/10 0/10 1/10 0/10 0/10 0/10 0/10 0/10 1/10 0/10 0/10 0/10 0/10

070216

실리콘폐기물- - - - - - - - - - - - - - - 0/1 0/1 0/1

0702

(소계)1/29 0/29 0/29 0/29 0/29 1/29 0/29 1/29 0/29 0/29 0/29 1/29 1/29 1/29 1/29 3/50 0/50 0/50

Page 19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88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Oil org-P TCE

기준치(mg/L) 3.0 3.0 0.3 1.5 0.005 1.5 1.0 50 100 100 1.3 5 5 20 150 5% 1 0.3

0703

유기

염료

070301

수성세척액- - - - - - - - - - - - - - - 0/7 0/7 0/7

070303

할로겐용제- - - - - - - - - - - - - - - 3/4 0/4 1/4

070304

기타용제

070307

할로겐침전물0/7 0/7 0/7 0/7 0/7 0/7 1/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0308

기타침전물

070309

할로겐흡수제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1/6 0/6 0/6

070310

기타흡수제

070311

수처리폐기물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1/6 0/6 0/6

0703

(소계)0/19 0/19 0/19 0/19 0/19 0/19 1/19 0/19 0/19 0/19 0/19 0/19 0/19 0/19 0/19 5/30 0/30 1/30

Page 19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89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Oil org-P TCE

기준치(mg/L) 3.0 3.0 0.3 1.5 0.005 1.5 1.0 50 100 100 1.3 5 5 20 150 5% 1 0.3

0704

유 기

살충제

070401

수성세척액- - - - - - - - - - - - - - - 0/2 0/2 0/2

070403

할로겐용제- - - - - - - - - - - - - - - 0/2 0/2 0/2

070404

기타용제

070407

할로겐침전물- - - - - - - - - - - - - - - - - -

070408

기타침전물

070409

할로겐흡수제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1/1 0/1 0/1

070410

기타흡수제

070411

수처리폐기물- - - - - - - - - - - - - - - - - -

070413

고형폐기물0/2 0/2 0/2 0/2 0/2 0/2 1/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704

(소계)0/3 0/3 0/3 0/3 0/3 0/3 1/3 0/3 0/3 0/3 0/3 0/3 0/3 0/3 0/3 1/7 0/7 0/7

Page 19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90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Oil org-P TCE

기준치(mg/L) 3.0 3.0 0.3 1.5 0.005 1.5 1.0 50 100 100 1.3 5 5 20 150 5% 1 0.3

0705

의약품

070501

수성세척액- - - - - - - - - - - - - - - 0/12 0/12 0/12

070503

할로겐용제- - - - - - - - - - - - - - - 0/5 0/5 0/5

070504

기타용제

070507

할로겐침전물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70508

기타침전물

070509

할로겐흡수제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1/5 0/5 0/5

070510

기타흡수제

070511

수처리폐기물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0513

고형폐기물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1/5 0/5 0/5

0705

(소계)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0/18 2/35 0/35 0/35

Page 20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91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Oil org-P TCE

기준치(mg/L) 3.0 3.0 0.3 1.5 0.005 1.5 1.0 50 100 100 1.3 5 5 20 150 5% 1 0.3

0706

유 지

세 제

화장품

070601

수성세척액- - - - - - - - - - - - - - - 2/10 0/10 0/10

070603

할로겐용제- - - - - - - - - - - - - - - 2/5 0/5 1/5

070604

기타용제

070607

할로겐침전물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1/5 0/5 0/5

070608

기타침전물

070609

할로겐흡수제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70610

기타흡수제

070611

수처리폐기물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706

(소계)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5/27 0/27 1/27

Page 20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92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Oil org-P TCE

기준치(mg/L) 3.0 3.0 0.3 1.5 0.005 1.5 1.0 50 100 100 1.3 5 5 20 150 5% 1 0.3

0707

정밀

화학

070101

수성세척액- - - - - - - - - - - - - - - 0/6 0/6 0/6

070103

할로겐용제- - - - - - - - - - - - - - - 5/8 0/8 2/8

070104

기타용제

070107

할로겐침전물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1/4 0/4 0/4

070108

기타침전물

070109

할로겐흡수제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70110

기타흡수제

070111

수처리폐기물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707

(소계)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6/22 0/22 2/22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Oil org-P TCE

기준치(mg/L) 3.0 3.0 0.3 1.5 0.005 1.5 1.0 50 100 100 1.3 5 5 20 150 5% 1 0.3

07

(계)

초과시료 1 0 0 0 2 1 2 1 0 0 0 1 1 1 1 25 0 4

전체시료 103 200

Page 20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93 -

[표 4.2] 유해물질 함유 폐기물 배출목록(안) - 함량 (기준치 초과시료수 / 총

시료수)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미규제 미규제 미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PCB HCB PAH

기준치(mg/L) 100 100 5 20 0.5 50 200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1 50 37.5

0701

기 본

유기물

070101

수성세척액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70103

할로겐용제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70104

기타용제

070107

할로겐침전물0/4 0/4 0/4 0/4 0/4 0/4 1/4 0/4 0/4 1/4 0/4 0/4 0/4 0/4 0/4 0/4 0/4 0/4

070108

기타침전물

070109

할로겐흡수제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70110

기타흡수제

070111

수처리폐기물3/10 0/10 0/10 0/10 1/10 0/10 0/10 2/10 1/10 0/10 0/10 0/10 0/10 1/10 3/10 0/10 0/10 0/10

0701

(소계)3/29 0/29 0/29 0/29 1/29 0/29 1/29 2/29 1/29 1/29 0/29 0/29 0/29 1/29 3/29 0/29 0/29 0/29

주) 미규제 기준치는 2007년도 국립환경과학원이 연구사업시 제안한 기준치임

Page 20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94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미규제 미규제 미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PCB HCB PAH

기준치(mg/L) 100 100 5 20 0.5 50 200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1 50 37.5

0702

수지

고무

섬유

070201

수성세척액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70203

할로겐용제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70204

기타용제

070207

할로겐침전물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1/1 0/1 0/1 0/1 0/1 0/1 0/1

070208

기타침전물

070209

할로겐흡수제1/11 1/11 0/11 0/11 1/11 0/11 1/11 0/11 0/11 0/11 0/11 1/11 0/11 0/11 0/11 0/11 0/11 1/11

070210

기타흡수제

070211

수처리폐기물2/7 2/7 0/7 0/7 0/7 0/7 0/7 0/7 3/7 0/7 0/7 0/7 0/7 0/7 2/7 0/7 0/7 0/7

070214

첨가제폐기물0/10 1/10 1/10 0/10 2/10 1/10 3/10 1/10 6/10 0/10 0/10 0/10 0/10 1/10 1/10 0/10 0/10 0/10

070216

실리콘폐기물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702

(소계)3/50 4/50 1/50 0/50 3/50 1/50 4/50 1/50 9/50 0/50 0/50 2/50 0/50 1/50 3/50 0/50 0/50 1/50

Page 20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95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미규제 미규제 미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PCB HCB PAH

기준치(mg/L) 100 100 5 20 0.5 50 200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1 50 37.5

0703

유기

염료

070301

수성세척액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0303

할로겐용제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70304

기타용제

070307

할로겐침전물1/7 1/7 0/7 0/7 0/7 0/7 0/7 0/7 1/7 1/7 0/7 0/7 0/7 0/7 0/7 0/7 0/7 0/7

070308

기타침전물

070309

할로겐흡수제0/6 1/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1/6 0/6 0/6 0/6

070310

기타흡수제

070311

수처리폐기물2/6 1/6 0/6 0/6 0/6 0/6 0/6 0/6 0/6 1/6 0/6 0/6 0/6 1/6 2/6 0/6 0/6 0/6

0703

(소계)3/30 3/30 0/30 0/30 0/30 0/30 0/30 0/30 1/30 2/30 0/30 0/30 0/30 1/30 3/30 0/30 0/30 0/30

Page 20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96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미규제 미규제 미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PCB HCB PAH

기준치(mg/L) 100 100 5 20 0.5 50 200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1 50 37.5

0704

유 기

살충제

070401

수성세척액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70403

할로겐용제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70404

기타용제

070407

할로겐침전물- - - - - - - - - - - - - - - - - -

070408

기타침전물

070409

할로겐흡수제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70410

기타흡수제

070411

수처리폐기물- - - - - - - - - - - - - - - - - -

070413

고형폐기물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1/2 0/2 0/2 0/2

0704

(소계)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1/7 0/7 0/7 0/7

Page 20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97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미규제 미규제 미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PCB HCB PAH

기준치(mg/L) 100 100 5 20 0.5 50 200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1 50 37.5

0705

의약품

070501

수성세척액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70503

할로겐용제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70504

기타용제

070507

할로겐침전물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70508

기타침전물

070509

할로겐흡수제0/5 0/5 0/5 0/5 0/5 0/5 1/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70510

기타흡수제

070511

수처리폐기물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

070513

고형폐기물0/5 0/5 0/5 0/5 0/5 0/5 1/5 0/5 0/5 0/5 0/5 0/5 0/5 0/5 1/5 0/5 0/5 0/5

0705

(소계)0/35 0/35 0/35 0/35 0/35 0/35 2/35 0/35 0/35 0/35 0/35 0/35 0/35 0/35 1/35 0/35 0/35 0/35

Page 20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198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미규제 미규제 미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PCB HCB PAH

기준치(mg/L) 100 100 5 20 0.5 50 200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1 50 37.5

0706

유 지

세 제

화장품

070601

수성세척액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70603

할로겐용제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70604

기타용제

070607

할로겐침전물0/5 0/5 0/5 0/5 0/5 0/5 0/5 0/5 1/5 0/5 0/5 0/5 0/5 0/5 1/5 0/5 0/5 0/5

070608

기타침전물

070609

할로겐흡수제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70610

기타흡수제

070611

수처리폐기물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1/6 0/6 0/6 0/6

0706

(소계)0/27 0/27 0/27 0/27 0/27 0/27 0/27 0/27 1/27 0/27 0/27 0/27 0/27 0/27 2/27 0/27 0/27 0/27

Page 20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199 -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미규제 미규제 미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PCB HCB PAH

기준치(mg/L) 100 100 5 20 0.5 50 200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1 50 37.5

0707

정밀

화학

070101

수성세척액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6

070103

할로겐용제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70104

기타용제

070107

할로겐침전물1/4 1/4 0/4 0/4 0/4 0/4 0/4 1/4 1/4 0/4 0/4 0/4 0/4 0/4 1/4 0/4 0/4 0/4

070108

기타침전물

070109

할로겐흡수제1/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70110

기타흡수제

070111

수처리폐기물0/2 0/2 0/2 0/2 0/2 0/2 1/2 0/2 0/2 0/2 0/2 0/2 0/2 0/2 1/2 0/2 0/2 0/2

0707

(소계)2/22 1/22 0/22 0/22 0/22 0/22 1/22 1/22 1/22 0/22 0/22 0/22 0/22 0/22 2/22 0/22 0/22 0/22

무기물질류 유기물질류

규제 미규제 미규제

Cu Pb Cd Cr Hg As CN Ni Zn Ba Be Sb Se V F PCB HCB PAH

기준치(mg/L) 100 100 5 20 0.5 50 200 500 1000 500 5 50 50 200 500 1 50 37.5

07

(계)

초과시료 11 8 1 0 4 1 8 4 13 3 0 2 0 4 15 0 0 1

전체시료 200 200

Page 20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00 -

4.2 국내 유기화학공정에서 배출된 유해폐기물의 목록화(안)

유해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국제적 관리동향에 적극 대처하기 위

해 공정중심으로 목록화되어 있는 폐기물 분류체계를 보유하고 있는 EU의 경우

를 토대로 하여 국내 유해폐기물 사업장을 조사하였다.

EU의 분류체계중 “07.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60개 유해폐기물

을 대상으로, 이와 동일한 지정폐기물이 배출되는 국내 사업장을 모색하여, 사업

장을 현지 방문하고, 관리대상 유해폐기물을 파악하여, 현재 지정폐기물로 관리

되고 있는 11종의 무기/유기 오염물질 및 우선관리 대상물질로 선정된 12종의

미규제 유해물질의 배출특성을 파악하여 [표 4.3]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Page 21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01 -

[표 4.3] 유해폐기물 목록화(안)

EWC유해

여부

기준초과 유해물질

평가결과

용출 함량

07

유기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기 물

0701

기 본

유기물

070101

수성세척액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103

할로겐용제A Oil A

070104

기타용제A Oil A

070107

할로겐침전물A Hg, Oil CN, Ba A

070108

기타침전물A Hg, Oil CN, Ba A

070109

할로겐흡수제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110

기타흡수제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111

수처리폐기물M Hg

Cu, Hg

Ni, Zn, V, FA

07

유기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기 물

0702

수지

고무

섬유

070201

수성세척액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203

할로겐용제A Oil PAH A

070204

기타용제A Oil PAH A

070207

할로겐침전물A Sb, Oil Sb A

070208

기타침전물A Sb, Oil Sb A

070209

할로겐흡수제A Se, F

Cu, Pb, Hg, CN,

Sb, PAHA

070210

기타흡수제A Se, F

Cu, Pb, Hg, CN,

Sb, PAHA

070211

수처리폐기물M

Cu, Pb,

Zn, FA

070214

첨가제폐기물M As, CN, V

Pb, Cd, Hg, As,

CN, Ni, Zn, V, FA

070216

실리콘폐기물M

H1~H14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Page 21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02 -

EWC유해

여부

기준초과 유해물질

평가결과

용출 함량

07

유기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기 물

0703

유기

염료

070301

수성세척액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303

할로겐용제A Oil, TCE, TeCE A

070304

기타용제A Oil, TCE, TeCE A

070307

할로겐침전물A CN Pb, Zn, Ba A

070308

기타침전물A CN Pb, Zn, Ba A

070309

할로겐흡수제A Oil Pb, F A

070310

기타흡수제A Oil Pb, F A

070311

수처리폐기물M Oil Cu, Pb, Ba, V, F A

07

유기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기 물

0704

유 기

살충제

070401

수성세척액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시료부족

070403

할로겐용제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시료부족

070404

기타용제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시료부족

070407

할로겐침전물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시료부족

070408

기타침전물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시료부족

070409

할로겐흡수제A Oil A

070410

기타흡수제A Oil A

070411

수처리폐기물M

H1~H14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시료부족

070413

고형폐기물M CN F A

Page 21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03 -

EWC유해

여부

기준초과 유해물질

평가결과

용출 함량

07

유기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기 물

0705

의약품

070501

수성세척액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503

할로겐용제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504

기타용제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507

할로겐침전물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508

기타침전물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509

할로겐흡수제A Oil CN A

070510

기타흡수제A Oil CN A

070511

수처리폐기물M

H1~H14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513

고형폐기물M Oil CN, F A

07

유기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기 물

0706

유 지

세 제

화장품

070601

수성세척액A Oil A

070603

할로겐용제A Oil, TCE, TeCE A

070604

기타용제A Oil, TCE, TeCE A

070607

할로겐침전물A Oil Zn, F A

070608

기타침전물A Oil Zn, F A

070609

할로겐흡수제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610

기타흡수제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611

수처리폐기물M F A

Page 21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04 -

EWC유해

여부

기준초과 유해물질

평가결과

용출 함량

07

유기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기 물

0707

정밀

화학

070701

수성세척액A

H3A, H4~H7의

유해특성실험 필요

070703

할로겐용제A Oil, TCE, TeCE A

070704

기타용제A Oil, TCE, TeCE A

070707

할로겐침전물A Oil Cu, Pb, Ni, Zn, F A

070708

기타침전물A Oil Cu, Pb, Ni, Zn, F A

070709

할로겐흡수제A Cu A

070710

기타흡수제A Cu A

070711

수처리폐기물M CN, F A

Page 21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05 -

제5장. 결 론

배출특성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국내 지정폐기물을 목록화하기 위한 적용 방법

으로, 업종별, 공정별, 유해특성별로 목록화되어 있는 유럽 폐기물 목록을 도입하

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 폐기물 목록 대분류인 “07. 유

기화학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중 절대유해폐기물과 상대유해폐기물로 지정되

어 있는 60종의 폐기물을 국내 지정폐기물 배출업소에 대한 배출실태를 조사하

였다.

지정된 EWC 07 대분류 코드에 해당하는 유기화학업종에서 배출되는 유해폐

기물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2008년도 한국환경자원공사의 폐기물적법처리시스

템에 등록되어 있는 152,045건의 지정폐기물 배출목록과 환경부 국내 지정폐기물

발생현황 등의 자료 등을 기초로 사용하여, 77개 사업장으로부터 관련된 200개의

시료를 수집하였다.

77개 사업장을 현지 조사하여 관리대상 유해물질 파악 및 현재 지정폐기물로

관리되고 있는 11종의 유해물질(7종의 무기물질 및 4종의 유기물질) 및 우선관리

대상물질로 선정된 12종의 미규제 유해물질(8종의 무기물질 및 4종의 유기물질)

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고,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국내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유해

폐기물의 배출목록을 세분화․목록화하여 EWC의 세분류 6자리 폐기물 코드에

대한 배출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표 5.1]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EWC 07코드의 절대유해(A) 폐기물에 해당하는 49개 중에서 31개는 절대유

해(A) 폐기물로 재입증되었으며, 18개는 유해특성(H3A, H4~H7)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EWC 07코드의 상대유해(M) 폐기물에 해당하는 11개 중에서 8개는 유해성

Page 21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06 -

이 입증되어 절대유해(A) 폐기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3개는 유해특성(H1~

H14)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종합하면, EWC 07코드의 60개의 유해폐기물(A & M) 중에서 39개 품목은

절대유해폐기물로 유해성이 확정되었으며, 18개 품목은 절대유해폐기물에 대한

유해특성 실험이 필요하며, 3개 품목은 상대유해폐기물에 대한 유해특성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1] 유해폐기물 배출목록 요약

중분류

소분류

01 03 04 07 08 09 10 11 13 14 16

수성

세척액

용제 침전물 흡수제

수처리

폐기물

고형

폐기물

첨가제

폐기물

실리콘

폐기물

할로겐 기타 할로겐 기타 할로겐 기타

07 01

기본유기물A (?) A A A A A (?) A (?) M→A

07 02

수지,고무A (?) A A A A A A M→A M→A M (?)

07 03

유기염료A (?) A A A A A A M→A

07 04

유기살충제A (?) A (?) A (?) A (?) A (?) A A M (?) M→A

07 05

의약품A (?) A (?) A (?) A (?) A (?) A A M (?) M→A

07 06

유지,세제A A A A A A (?) A (?) M→A

07 07

정밀화학A (?) A A A A A A M→A

Page 21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07 -

참 고 문 헌

국립환경과학원, 국내 유해폐기물의 적정관리 방안 연구, 2007

국립환경연구원, 바젤협약 제6차 당사국총회결과, 2003

국립환경연구원, 바젤협약 제3차 OEWG 회의 (개방형 기술실무그룹회의), 2004

국립환경과학원, 지정폐기물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

한 연구(Ⅰ), 2004

국립환경과학원, 지정폐기물중 신규 유해물질의 항목설정 및 시험방법 확립에 관

한 연구(Ⅱ), 2005

독일 환경부, 내부자료(http://www.bmu.de/), 2009.

외교통상부, 주요 국제환경협약 개관 및 협약의 무역관련 조치 목록

일본 환경성, 내부자료(http://www.env.go.jp), 2009.

한국환경자원공사, 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 2008

해양수산부, 해양오염공정시험방법, 2008

해양수산부, 해양오염방지법, 2008

환경부, 국제폐기물분류코드(IWIC)작성방법, 1997

환경부, 유해폐기물의 수출․입 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2005. 12

환경부, 폐기물관리법, 동법 시행령, 동법 시행규칙, 2009

환경부,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관련 법령 및 바젤협약 업무편람, 2008. 5

환경부, 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 동법 시행령, 2009

환경부,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적용대상폐기물의품목, 2007

Basel Convention, Methodological Guide for the Undertaking of National

Inventories of Hazardous Wast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Basel

Convention, First Version, UNEP, 2000

Page 21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08 -

Basel Convention, Consider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el

Convention Technical Matters : Preparation of Technical Guidelines, UNEP,

2002

Basel Convention, Technical Guidelines on Transboundary Movements of

Hazardous Wastes Destined for Recovery Operations, UNEP, 2002

Basel Convention, Guidance paper on hazard characteristic H6.2 (infectious

substances), UNEP, 2004

Basel Convention, Approach to Basel Convention hazard characteristic H11 :

characterization of chronic or delayed toxicity, UNEP, 2004

Basel Website 자료, 2008.

Collection of Materials on Import/Export Regulatory Requirement, US EPA.

Environmental Regulatory Services, Industrial Wast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ptions, Alberta Environmental Protection, 1996

EPA, RCRA Orientation Manual, 2006

OECD, Guidance Manual for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s of

Recoverable Wastes, 2009.

OECD Website 자료, 2008.1

Page 21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09 -

부 록

<부록 Ⅰ> 미국의 유해폐기물 목록

Ⅰ-1. F-List

Ⅰ-2. K-List

Ⅰ-3. P-List

Ⅰ-4. U-List

<부록 Ⅱ> EWC (European Waste Catalogue)

<부록 Ⅲ> 분석 결과표

Ⅲ-1. 무기물질 용출 분석 결과

Ⅲ-2. 무기물질 함량 분석 결과

Ⅲ-3. 유기물질 용출 분석 결과

Ⅲ-4. 유기물질 함량 분석 결과

Page 21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10 -

<부록 Ⅰ> 1. F-List

Industryand EPA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Generic:F001

The following spent halogenated solvents used in degreasing:Tetrachloroethylene, trichloroethylene, methylene chloride, 1,1,1-trichloroethane,carbon tetrachloride, and chlorinated fluorocarbons; all spent solventmixtures/blends used in degreasing containing, before use, a total of tenpercent or more (by volume) of one or more of the above halogenatedsolvents or those solvents listed in F002, F004, and F005; and still bottomsfrom the recovery of these spent solvents and spent solvent mixtures

(T)

F002

The following spent halogenated solvents: Tetrachloroethylene, methylenechloride, trichloroethylene, 1,1,1-trichloroethane, chlorobenzene,1,1,2-trichloro-1,2,2-trifluoroethane, ortho-dichlorobenzene, trichlorofluoromethane,and 1,1,2-trichloroethane; all spent solvent mixtures/blends containing, beforeuse, a total of ten percent or more (by volume) of one or more of the abovehalogenated solvents or those listed in F001, F004, or F005; and still bottomsfrom the recovery of these spent solvents and spent solvent mixtures

(T)

F003

The following spent non-halogenated solvents: Xylene, acetone, ethyl acetate,ethyl benzene, ethyl ether, methyl isobutyl ketone, n-butyl alcohol,cyclohexanone, and methanol; all spent solvent mixtures/blends containing,before use, only the above spent non-halogenated solvents; and all spentsolvent mixtures/blends containing, before use, one or more of the abovenon-halogenated solvents, and, a total of ten percent or more (by volume) ofone or more of those solvents listed in F001, F002, F004, and F005; and stillbottoms from the recovery of these spent solvents and spent solvent mixtures

(I)*

F004

The following spent non-halogenated solvents: Cresols and cresylic acid, andnitrobenzene; all spent solvent mixtures/blends containing, before use, a totalof ten percent or more (by volume) of one or more of the abovenon-halogenated solvents or those solvents listed in F001, F002, and F005; andstill bottoms from the recovery of these spent solvents and spent solventmixtures

(T)

F005

The following spent non-halogenated solvents: Toluene, methyl ethyl ketone,carbon disulfide, isobutanol, pyridine, benzene, 2-ethoxyethanol, and2-nitropropane; all spent solvent mixtures/blends containing, before use, a totalof ten percent or more (by volume) of one or more of the abovenon-halogenated solvents or those solvents listed in F001, F002, or F004; andstill bottoms from the recovery of these spent solvents and spent solventmixtures

(I,T)

F006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from electroplating operations except from thefollowing processes: (1) Sulfuric acid anodizing of aluminum; (2) tin plating oncarbon steel; (3) zinc plating (segregated basis) on carbon steel; (4) aluminumor zinc-aluminum plating on carbon steel; (5) cleaning/stripping associatedwith tin, zinc and aluminum plating on carbon steel; and (6) chemical etchingand milling of aluminum

(T)

F007 Spent cyanide plating bath solutions from electroplating operations (R, T)

F008 Plating bath residues from the bottom of plating baths from electroplatingoperations where cyanides are used in the process

(R, T)

F009 Spent stripping and cleaning bath solutions from electroplating operationswhere cyanides are used in the process

(R, T)

F010 Quenching bath residues from oil baths from metal heat treating operationswhere cyanides are used in the process

(R, T)

F011 Spent cyanide solutions from salt bath pot cleaning from metal heat treatingoperations

(R, T)

F012 Quenching waste water treatment sludges from metal heat treating operationswhere cyanides are used in the process

(T)

Page 22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11 -

Industryand EPA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F019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from the chemical conversion coating ofaluminum except from zirconium phosphating in aluminum can washing whensuch phosphating is an exclusive conversion coating process. Wastewatertreatment sludges from the manufacturing of motor vehicles using a zincphosphating process will not be subject to this listing at the point ofgeneration if the wastes are not placed outside on the land prior to shipmentto a landfill for disposal and are either: disposed in a Subtitle D municipal orindustrial landfill unit that is equipped with a single clay liner and ispermitted, licensed or otherwise authorized by the state; or disposed in alandfill unit subject to, or otherwise meeting, the landfill requirements in§258.40, §264.301 or §265.301. For the purposes of this listing, motor vehiclemanufacturing is defined in paragraph (b)(4)(i) of this section and (b)(4)(ii) ofthis section describes the recordkeeping requirements for motor vehiclemanufacturing facilities

(T)

F020

Wastes (except wastewater and spent carbon from hydrogen chloridepurification) from the production or manufacturing use (as a reactant, chemicalintermediate, or component in a formulating process) of tri- ortetrachlorophenol, or of intermediates used to produce their pesticidederivatives. (This listing does not include wastes from the production ofHexachlorophene from highly purified 2,4,5-trichlorophenol.)

(H)

F021

Wastes (except wastewater and spent carbon from hydrogen chloridepurification) from the production or manufacturing use (as a reactant, chemicalintermediate, or component in a formulating process) of pentachlorophenol, orof intermediates used to produce its derivatives

(H)

F022

Wastes (except wastewater and spent carbon from hydrogen chloridepurification) from the manufacturing use (as a reactant, chemical intermediate,or component in a formulating process) of tetra-, penta-, orhexachlorobenzenes under alkaline conditions

(H)

F023

Wastes (except wastewater and spent carbon from hydrogen chloridepurification) from the production of materials on equipment previously usedfor the production or manufacturing use (as a reactant, chemical intermediate,or component in a formulating process) of tri- and tetrachlorophenols. (Thislisting does not include wastes from equipment used only for the productionor use of Hexachlorophene from highly purified 2,4,5-trichlorophenol.)

(H)

F024

Process wast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distillation residues, heavy ends,tars, and reactor clean-out wastes, from the production of certain chlorinatedaliphatic hydrocarbons by free radical catalyzed processes. These chlorinatedaliphatic hydrocarbons are those having carbon chain lengths ranging fromone to and including five, with varying amounts and positions of chlorinesubstitution. (This listing does not include wastewaters, wastewater treatmentsludges, spent catalysts, and wastes listed in §261.31 or §261.32.)

(T)

F025

Condensed light ends, spent filters and filter aids, and spent desiccant wastesfrom the production of certain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by freeradical catalyzed processes. These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are thosehaving carbon chain lengths ranging from one to and including five, withvarying amounts and positions of chlorine substitution

(T)

F026

Wastes (except wastewater and spent carbon from hydrogen chloridepurification) from the production of materials on equipment previously usedfor the manufacturing use (as a reactant, chemical intermediate, or componentin a formulating process) of tetra-, penta-, or hexachlorobenzene under alkalineconditions

(H)

F027

Discarded unused formulations containing tri-, tetra-, or pentachlorophenol ordiscarded unused formulations containing compounds derived from thesechlorophenols. (This listing does not include formulations containingHexachlorophene sythesized from prepurified 2,4,5-trichlorophenol as the solecomponent.)

(H)

Page 22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12 -

Industryand EPA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F028Residues resulting from the incineration or thermal treatment of soilcontaminated with EPA Hazardous Waste Nos. F020, F021, F022, F023, F026,and F027

(T)

F032

Wastewaters (except those that have not come into contact with processcontaminants), process residuals, preservative drippage, and spent formulationsfrom wood preserving processes generated at plants that currently use or havepreviously used chlorophenolic formulations (except potentiallycross-contaminated wastes that have had the F032 waste code deleted inaccordance with §261.35 of this chapter or potentially cross-contaminatedwastes that are otherwise currently regulated as hazardous wastes (i.e., F034or F035), and where the generator does not resume or initiate use ofchlorophenolic formulations). This listing does not include K001 bottomsediment sludge from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wood preservingprocesses that use creosote and/or pentachlorophenol

(T)

F034

Wastewaters (except those that have not come into contact with processcontaminants), process residuals, preservative drippage, and spent formulationsfrom wood preserving processes generated at plants that use creosoteformulations. This listing does not include K001 bottom sediment sludge from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wood preserving processes that use creosoteand/or pentachlorophenol

(T)

F035

Wastewaters (except those that have not come into contact with processcontaminants), process residuals, preservative drippage, and spent formulationsfrom wood preserving processes generated at plants that use inorganicpreservatives containing arsenic or chromium. This listing does not includeK001 bottom sediment sludge from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woodpreserving processes that use creosote and/or pentachlorophenol

(T)

F037

Petroleum refinery primary oil/water/solids separation sludge—Any sludgegenerated from the gravitational separation of oil/water/solids during thestorage or treatment of process wastewaters and oil cooling wastewaters frompetroleum refineries. Such sludg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osegenerated in oil/water/solids separators; tanks and impoundments; ditches andother conveyances; sumps; and stormwater units receiving dry weather flow.Sludge generated in stormwater units that do not receive dry weather flow,sludges generated from non-contact once-through cooling waters segregated fortreatment from other process or oily cooling waters, sludges generated inaggressive biological treatment units as defined in §261.31(b)(2) (includingsludges generated in one or more additional units after wastewaters have beentreated in aggressive biological treatment units) and K051 wastes are notincluded in this listing. This listing does include residuals generated fromprocessing or recycling oil-bearing hazardous secondary materials excludedunder §261.4(a)(12)(i), if those residuals are to be disposed of.

(T)

F038

Petroleum refinery secondary (emulsified) oil/water/solids separationsludge—Any sludge and/or float generated from the physical and/or chemicalseparation of oil/water/solids in process wastewaters and oily coolingwastewaters from petroleum refineries. Such wastes include, but are notlimited to, all sludges and floats generated in: induced air flotation (IAF)units, tanks and impoundments, and all sludges generated in DAF units.Sludges generated in stormwater units that do not receive dry weather flow,sludges generated from non-contact once-through cooling waters segregated fortreatment from other process or oily cooling waters, sludges and floatsgenerated in aggressive biological treatment units as defined in §261.31(b)(2)(including sludges and floats generated in one or more additional units afterwastewaters have been treated in aggressive biological treatment units) andF037, K048, and K051 wastes are not included in this listing

(T)

F039

Leachate (liquids that have percolated through land disposed wastes) resultingfrom the disposal of more than one restricted waste classified as hazardousunder subpart D of this part. (Leachate resulting from the disposal of one ormore of the following EPA Hazardous Wastes and no other HazardousWastes retains its EPA Hazardous Waste Number(s): F020, F021, F022, F026,F027, and/or F028.)

(T)

Page 22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13 -

<부록 Ⅰ> 2. K-List

Industry andEPA

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Woodpreservation:K001

Bottom sediment sludge from the treatment of wastewaters from woodpreserving processes that use creosote and/or pentachlorophenol

(T)

Inorganicpigments:K002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chrome yellow andorange pigments

(T)

K003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molybdate orangepigments

(T)

K004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zinc yellow pigments (T)K005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chrome green pigments (T)

K006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chrome oxide greenpigments (anhydrous and hydrated)

(T)

K007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iron blue pigments (T)K008 Oven residue from the production of chrome oxide green pigments (T)Organicchemicals:K009

Distillation bottoms from the production of acetaldehyde from ethylene (T)

K010 Distillation side cuts from the production of acetaldehyde from ethylene (T)

K011 Bottom stream from the wastewater stripper in the production ofacrylonitrile

(R, T)

K013Bottom stream from the acetonitrile column in the production ofacrylonitrile (R, T)

K014Bottoms from the acetonitrile purification column in the production ofacrylonitrile

(T)

K015 Still bottoms from the distillation of benzyl chloride (T)

K016 Heavy ends or distillation residues from the production of carbontetrachloride

(T)

K017Heavy ends (still bottoms) from the purification column in the productionof epichlorohydrin (T)

K018 Heavy ends from the fractionation column in ethyl chloride production (T)

K019Heavy ends from the distillation of ethylene dichloride in ethylenedichloride production

(T)

K020 Heavy ends from the distillation of vinyl chloride in vinyl chloridemonomer production

(T)

K021 Aqueous spent antimony catalyst waste from fluoromethanes production (T)K022 Distillation bottom tars from the production of phenol/acetone from cumene (T)

K023Distillation light ends from the production of phthalic anhydride fromnaphthalene (T)

K024Distillation bottoms from the production of phthalic anhydride fromnaphthalene

(T)

K025 Distillation bottoms from the production of nitrobenzene by the nitration ofbenzene

(T)

K026 Stripping still tails from the production of methy ethyl pyridines (T)K027 Centrifuge and distillation residues from toluene diisocyanate production (R, T)

K028Spent catalyst from the hydrochlorinator reactor in the production of1,1,1-trichloroethane (T)

K029Waste from the product steam stripper in the production of1,1,1-trichloroethane

(T)

K030 Column bottoms or heavy ends from the combined production oftrichloroethylene and perchloroethylene

(T)

K083 Distillation bottoms from aniline production (T)

K085Distillation or fractionation column bottoms from the production ofchlorobenzenes (T)

Page 22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14 -

Industry andEPA

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K093Distillation light ends from the production of phthalic anhydride fromortho-xylene (T)

K094Distillation bottoms from the production of phthalic anhydride fromortho-xylene

(T)

K095 Distillation bottoms from the production of 1,1,1-trichloroethane (T)

K096 Heavy ends from the heavy ends column from the production of1,1,1-trichloroethane

(T)

K103 Process residues from aniline extraction from the production of aniline (T)

K104Combined wastewater streams generated from nitrobenzene/anilineproduction (T)

K105Separated aqueous stream from the reactor product washing step in theproduction of chlorobenzenes

(T)

K107 Column bottoms from product separation from the production of1,1-dimethylhydrazine (UDMH) from carboxylic acid hydrazines

(C,T)

K108Condensed column overheads from product separation and condensedreactor vent gases from the production of 1,1-dimethylhydrazine (UDMH)from carboxylic acid hydrazides

(I,T)

K109 Spent filter cartridges from product purification from the production of1,1-dimethylhydrazine (UDMH) from carboxylic acid hydrazides

(T)

K110Condensed column overheads from intermediate separation from theproduction of 1,1-dimethylhydrazine (UDMH) from carboxylic acidhydrazides

(T)

K111 Product washwaters from the production of dinitrotoluene via nitration oftoluene

(C,T)

K112Reaction by-product water from the drying column in the production oftoluenediamine via hydrogenation of dinitrotoluene (T)

K113Condensed liquid light ends from the purification of toluenediamine in theproduction of toluenediamine via hydrogenation of dinitrotoluene

(T)

K114 Vicinals from the purification of toluenediamine in the production oftoluenediamine via hydrogenation of dinitrotoluene

(T)

K115Heavy ends from the purification of toluenediamine in the production oftoluenediamine via hydrogenation of dinitrotoluene (T)

K116Organic condensate from the solvent recovery column in the production oftoluene diisocyanate via phosgenation of toluenediamine

(T)

K117 Wastewater from the reactor vent gas scrubber in the production ofethylene dibromide via bromination of ethene

(T)

K118Spent adsorbent solids from purification of ethylene dibromide in theproduction of ethylene dibromide via bromination of ethene (T)

K136Still bottoms from the purification of ethylene dibromide in the productionof ethylene dibromide via bromination of ethene

(T)

K149

Distillation bottoms from the production of alpha- (or methyl-) chlorinatedtoluenes, ring-chlorinated toluenes, benzoyl chlorides, and compounds withmixtures of these functional groups, (This waste does not include stillbottoms from the distillation of benzyl chloride.)

(T)

K150

Organic residuals, excluding spent carbon adsorbent, from the spent chlorinegas and hydrochloric acid recovery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of alpha- (or methyl-) chlorinated toluenes, ring-chlorinated toluenes,benzoyl chlorides, and compounds with mixtures of these functional groups

(T)

K151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excluding neutralization and biologicalsludges, generated during the treatment of wastewaters from the productionof alpha- (or methyl-) chlorinated toluenes, ring-chlorinated toluenes,benzoyl chlorides, and compounds with mixtures of these functional groups

(T)

K156

Organic waste (including heavy ends, still bottoms, light ends, spentsolvents, filtrates, and decantates) from the production of carbamates andcarbamoyl oximes. (This listing does not apply to wastes generated fromthe manufacture of 3-iodo-2-propynyl n-butylcarbamate.)

(T)

Page 22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15 -

Industry andEPA

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K157

Wastewaters (including scrubber waters, condenser waters, washwaters, andseparation waters) from the production of carbamates and carbamoyloximes. (This listing does not apply to wastes generated from themanufacture of 3-iodo-2-propynyl n-butylcarbamate.)

(T)

K158Bag house dusts and filter/separation solids from the production ofcarbamates and carbamoyl oximes. (This listing does not apply to wastesgenerated from the manufacture of 3-iodo-2-propynyl n-butylcarbamate.)

(T)

K159 Organics from the treatment of thiocarbamate wastes (T)

K161

Purification solids (including filtration, evaporation, and centrifugationsolids), bag house dust and floor sweepings from the production ofdithiocarbamate acids and their salts. (This listing does not include K125 orK126.)

(R,T)

K174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from the production of ethylene dichloride orvinyl chloride monomer (including sludges that result from commingledethylene dichloride or vinyl chloride monomer wastewater and otherwastewater), unless the sludges meet the following conditions: (i) they aredisposed of in a subtitle C or non-hazardous landfill licensed or permittedby the state or federal government; (ii) they are not otherwise placed onthe land prior to final disposal; and (iii) the generator maintainsdocumentation demonstrating that the waste was either disposed of in anon-site landfill or consigned to a transporter or disposal facility thatprovided a written commitment to dispose of the waste in an off-sitelandfill. Respondents in any action brought to enforce the requirements ofsubtitle C must, upon a showing by the government that the respondentmanaged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from the production of vinylchloride monomer or ethylene dichloride, demonstrate that they meet theterms of the exclusion set forth above. In doing so, they must provideappropriate documentation (e.g., contracts between the generator and thelandfill owner/operator, invoices documenting delivery of waste to landfill,etc.) that the terms of the exclusion were met

(T)

K175Wastewater treatment sludges from the production of vinyl chloridemonomer using mercuric chloride catalyst in an acetylene-based process

(T)

K181

Nonwastewaters from the production of dyes and/or pigments (includingnonwastewaters commingled at the point of generation with nonwastewatersfrom other processes) that, at the point of generation, contain mass loadingsof any of the constituents identified in paragraph (c) of this section that are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orresponding paragraph (c) levels, asdetermined on a calendar year basis. These wastes will not be hazardous ifthe nonwastewaters are: (i) disposed in a Subtitle D landfill unit subject tothe design criteria in §258.40, (ii) disposed in a Subtitle C landfill unitsubject to either §264.301 or §265.301, (iii) disposed in other Subtitle Dlandfill units that meet the design criteria in §258.40, §264.301, or §265.301,or (iv) treated in a combustion unit that is permitted under Subtitle C, oran onsite combustion unit that is permitted under the Clean Air Act. Forthe purposes of this listing, dyes and/or pigments production is defined inparagraph (b)(1) of this section. Paragraph (d) of this section describes theprocess for demonstrating that a facility's nonwastewaters are not K181.This listing does not apply to wastes that are otherwise identified ashazardous under §§261.21–261.24 and 261.31–261.33 at the point ofgeneration. Also, the listing does not apply to wastes generated before anyannual mass loading limit is met

(T)

Inorganicchemicals:K071

Brine purification muds from the mercury cell process in chlorineproduction, where separately prepurified brine is not used

(T)

K073Chlorinated hydrocarbon waste from the purification step of the diaphragmcell process using graphite anodes in chlorine production

(T)

K106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mercury cell process in chlorineproduction

(T)

Page 22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16 -

Industry andEPA

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K176Baghouse filters from the production of antimony oxide, including filtersfrom the production of intermediates (e.g., antimony metal or crudeantimony oxide)

(E)

K177Slag from the production of antimony oxide that is speculativelyaccumulated or disposed, including slag from the production ofintermediates (e.g., antimony metal or crude antimony oxide)

(T)

K178Residues from manufacturing and manufacturing-site storage of ferricchloride from acids formed during the production of titanium dioxide usingthe chloride-ilmenite process

(T)

Pesticides:K031 By-product salts generated in the production of MSMA and cacodylic acid (T)

K032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chlordane (T)

K033Wastewater and scrub water from the chlorination of cyclopentadiene in theproduction of chlordane

(T)

K034 Filter solids from the filtration of hexachlorocyclopentadiene in theproduction of chlordane

(T)

K035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generated in the production of creosote (T)

K036Still bottoms from toluene reclamation distillation in the production ofdisulfoton (T)

K037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from the production of disulfoton (T)K038 Wastewater from the washing and stripping of phorate production (T)

K039Filter cake from the filtration of diethylphosphorodithioic acid in theproduction of phorate

(T)

K040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phorate (T)K041 Wastewater treatment sludge from the production of toxaphene (T)

K042 Heavy ends or distillation residues from the distillation oftetrachlorobenzene in the production of 2,4,5-T

(T)

K043 2,6-Dichlorophenol waste from the production of 2,4-D (T)

K097Vacuum stripper discharge from the chlordane chlorinator in the productionof chlordane (T)

K098 Untreated process wastewater from the production of toxaphene (T)K099 Untreated wastewater from the production of 2,4-D (T)

K123Process wastewater (including supernates, filtrates, and washwaters) fromthe production of ethylenebisdithiocarbamic acid and its salt

(T)

K124 Reactor vent scrubber water from the production ofethylenebisdithiocarbamic acid and its salts

(C, T)

K125Filtration, evaporation, and centrifugation solids from the production ofethylenebisdithiocarbamic acid and its salts (T)

K126Baghouse dust and floor sweepings in milling and packaging operationsfrom the production or formulation of ethylenebisdithiocarbamic acid andits salts

(T)

K131Wastewater from the reactor and spent sulfuric acid from the acid dryerfrom the production of methyl bromide (C, T)

K132Spent absorbent and wastewater separator solids from the production ofmethyl bromide

(T)

Explosives:K044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from the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ofexplosives

(R)

K045 Spent carbon from the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explosives (R)

K046Wastewater treatment sludges from the manufacturing, formulation andloading of lead-based initiating compounds (T)

K047 Pink/red water from TNT operations (R)Petroleumrefining:K048

Dissolved air flotation (DAF) float from the petroleum refining industry (T)

K049 Slop oil emulsion solids from the petroleum refining industry (T)

Page 22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17 -

Industry andEPA

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K050Heat exchanger bundle cleaning sludge from the petroleum refiningindustry (T)

K051 API separator sludge from the petroleum refining industry (T)K052 Tank bottoms (leaded) from the petroleum refining industry (T)K169 Crude oil storage tank sediment from petroleum refining operations (T)

K170Clarified slurry oil tank sediment and/or in-line filter/separation solidsfrom petroleum refining operations

(T)

K171Spent Hydrotreating catalyst from petroleum refining operations, includingguard beds used to desulfurize feeds to other catalytic reactors (this listingdoes not include inert support media)

(I,T)

K172Spent Hydrorefining catalyst from petroleum refining operations, includingguard beds used to desulfurize feeds to other catalytic reactors (this listingdoes not include inert support media)

(I,T)

Iron andsteel:K061

Emission control dust/sludge from the primary production of steel inelectric furnaces

(T)

K062 Spent pickle liquor generated by steel finishing operations of facilitieswithin the iron and steel industry (SIC Codes 331 and 332)

(C,T)

Primarycopper:Primary lead:Primary zinc:Primaryaluminum:K088

Spent p otliners from primary aluminum reduction (T)

Ferroalloys:

Secondarylead:K069

Emission control dust/sludge from secondary lead smelting. (Note: Thislisting is stayed administratively for sludge generated from secondary acidscrubber systems. The stay will remain in effect until further administrativeaction is taken. If EPA takes further action effecting this stay, EPA willpublish a notice of the action in the Federal Register)

(T)

K100Waste leaching solution from acid leaching of emission control dust/sludgefrom secondary lead smelting

(T)

Veterinarypharmaceuticals:K084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generated during the production of veterinarypharmaceuticals from arsenic or organo-arsenic compounds (T)

K101Distillation tar residues from the distillation of aniline-based compounds inthe production of veterinary pharmaceuticals from arsenic or organo-arseniccompounds

(T)

K102Residue from the use of activated carbon for decolorization in theproduction of veterinary pharmaceuticals from arsenic or organo-arseniccompounds

(T)

Inkformulation:K086

Solvent washes and sludges, caustic washes and sludges, or water washesand sludges from cleaning tubs and equipment used in the formulation ofink from pigments, driers, soaps, and stabilizers containing chromium andlead

(T)

Coking:K060 Ammonia still lime sludge from coking operations (T)

K087 Decanter tank tar sludge from coking operations (T)

K141

Process residues from the recovery of coal ta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collecting sump residues from the production of coke from coal or therecovery of coke by-products produced from coal. This listing does notinclude K087 (decanter tank tar sludges from coking operations)

(T)

K142Tar storage tank residues from the production of coke from coal or fromthe recovery of coke by-products produced from coal

(T)

Page 22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18 -

Industry andEPA

hazardouswaste No.

Hazardous wasteHazard

code

K143Process residues from the recovery of light oil, including, but not limitedto, those generated in stills, decanters, and wash oil recovery units from therecovery of coke by-products produced from coal

(T)

K144Wastewater sump residues from light oil refining, including, but not limitedto, intercepting or contamination sump sludges from the recovery of cokeby-products produced from coal

(T)

K145Residues from naphthalene collection and recovery operations from therecovery of coke by-products produced from coal

(T)

K147 Tar storage tank residues from coal tar refining (T)

K148 Residues from coal tar distillat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tillbottoms

(T)

Page 22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19 -

<부록 Ⅰ> 3. P-List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023 107–20–0 Acetaldehyde, chloro-P002 591–08–2 Acetamide, N-(aminothioxomethyl)-P057 640–19–7 Acetamide, 2-fluoro-P058 62–74–8 Acetic acid, fluoro-, sodium saltP002 591–08–2 1-Acetyl-2-thioureaP003 107–02–8 AcroleinP070 116–06–3 AldicarbP203 1646–88–4 Aldicarb sulfone.P004 309–00–2 AldrinP005 107–18–6 Allyl alcoholP006 20859–73–8 Aluminum phosphide (R,T)P007 2763–96–4 5-(Aminomethyl)-3-isoxazololP008 504–24–5 4-AminopyridineP009 131–74–8 Ammonium picrate (R)P119 7803–55–6 Ammonium vanadateP099 506–61–6 Argentate(1-), bis(cyano-C)-, potassiumP010 7778–39–4 Arsenic acid H3AsO4

P012 1327–53–3 Arsenic oxide As2O3

P011 1303–28–2 Arsenic oxide As2O5

P011 1303–28–2 Arsenic pentoxideP012 1327–53–3 Arsenic trioxideP038 692–42–2 Arsine, diethyl-P036 696–28–6 Arsonous dichloride, phenyl-P054 151–56–4 AziridineP067 75–55–8 Aziridine, 2-methyl-P013 542–62–1 Barium cyanideP024 106–47–8 Benzenamine, 4-chloro-P077 100–01–6 Benzenamine, 4-nitro-P028 100–44–7 Benzene, (chloromethyl)-P042 51–43–4 1,2-Benzenediol, 4-[1-hydroxy-2-(methylamino)ethyl]-, (R)-P046 122–09–8 Benzeneethanamine, alpha,alpha-dimethyl-P014 108–98–5 BenzenethiolP127 1563–66–2 7-Benzofuranol, 2,3-dihydro-2,2-dimethyl-, methylcarbamate.

P188 57–64–7Benzoic acid, 2-hydroxy-, compd. with (3aS-cis)-1,2,3,3a,8,8a-hexahydro-1,3a,8-trimethylpyrrolo[2,3-b]indol-5-ylmethylcarbamate ester (1:1).

P001181–81–2

2H-1-Benzopyran-2-one, 4-hydroxy-3-(3-oxo-1-phenylbutyl)-, &salts, whenpresent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0.3%

P028 100–44–7 Benzyl chlorideP015 7440–41–7 Beryllium powderP017 598–31–2 BromoacetoneP018 357–57–3 Brucine

P045 39196–18–42-Butanone, 3,3-dimethyl-1-(methylthio)-, O-[(methylamino)carbonyl]oxime

P021 592–01–8 Calcium cyanideP021 592–01–8 Calcium cyanide Ca(CN)2

P189 55285–14–8Carbamic acid, [(dibutylamino)- thio]methyl-, 2,3-dihydro-2,2-dimethyl-7-benzofuranyl ester.

P191 644–64–4Carbamic acid, dimethyl-, 1-[(dimethyl-amino)carbonyl]- 5-methyl-1H-pyrazol-3-yl ester.

P192 119–38–0Carbamic acid, dimethyl-, 3-methyl-1- (1-methylethyl)-1H- pyrazol-5-ylester.

Page 22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20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190 1129–41–5 Carbamic acid, methyl-, 3-methylphenyl ester.P127 1563–66–2 Carbofuran.P022 75–15–0 Carbon disulfideP095 75–44–5 Carbonic dichlorideP189 55285–14–8 Carbosulfan.P023 107–20–0 ChloroacetaldehydeP024 106–47–8 p-ChloroanilineP026 5344–82–1 1-(o-Chlorophenyl)thioureaP027 542–76–7 3-ChloropropionitrileP029 544–92–3 Copper cyanideP029 544–92–3 Copper cyanide Cu(CN)P202 64–00–6 m-Cumenyl methylcarbamate.P030 Cyanides (soluble cyanide salts), not otherwise specifiedP031 460–19–5 CyanogenP033 506–77–4 Cyanogen chlorideP033 506–77–4 Cyanogen chloride (CN)ClP034 131–89–5 2-Cyclohexyl-4,6-dinitrophenolP016 542–88–1 Dichloromethyl etherP036 696–28–6 DichlorophenylarsineP037 60–57–1 DieldrinP038 692–42–2 DiethylarsineP041 311–45–5 Diethyl-p-nitrophenyl phosphateP040 297–97–2 O,O-Diethyl O-pyrazinyl phosphorothioateP043 55–91–4 Diisopropylfluorophosphate (DFP)

P004 309–00–21,4,5,8-Dimethanonaphthalene, 1,2,3,4,10,10-hexa-chloro-1,4,4a,5,8,8a,-hexahydro-,(1alpha,4alpha,4abeta,5alpha,8alpha,8abeta)-

P060 465–73–61,4,5,8-Dimethanonaphthalene, 1,2,3,4,10,10-hexa-chloro-1,4,4a,5,8,8a-hexahydro-, (1alpha,4alpha,4abeta,5beta,8beta,8abeta)-

P037 60–57–12,7:3,6-Dimethanonaphth[2,3-b]oxirene,3,4,5,6,9,9-hexachloro-1a,2,2a,3,6,6a,7,7a-octahydro-,(1aalpha,2beta,2aalpha,3beta,6beta,6aalpha,7beta, 7aalpha)-

P051 172–20–82,7:3,6-Dimethanonaphth [2,3-b]oxirene,3,4,5,6,9,9-hexachloro-1a,2,2a,3,6,6a,7,7a-octahydro-,(1aalpha,2beta,2abeta,3alpha,6alpha,6abeta,7beta, 7aalpha)-, &metabolites

P044 60–51–5 DimethoateP046 122–09–8 alpha,alpha-DimethylphenethylamineP191 644–64–4 Dimetilan.P047

1534–52–1 4,6-Dinitro-o-cresol, &salts

P048 51–28–5 2,4-DinitrophenolP020 88–85–7 DinosebP085 152–16–9 Diphosphoramide, octamethyl-P111 107–49–3 Diphosphoric acid, tetraethyl esterP039 298–04–4 DisulfotonP049 541–53–7 Dithiobiuret

P185 26419–73–8 1,3-Dithiolane-2-carboxaldehyde, 2,4-dimethyl-, O- [(methylamino)-carbonyl]oxime.

P050 115–29–7 EndosulfanP088 145–73–3 EndothallP051 72–20–8 EndrinP051 72–20–8 Endrin, &metabolitesP042 51–43–4 EpinephrineP031 460–19–5 Ethanedinitrile

P194 23135–22–0Ethanimidothioic acid, 2-(dimethylamino)-N-[[(methylamino)carbonyl]oxy]-2-oxo-, methyl ester.

P066 16752–77–5 Ethanimidothioic acid, N-[[(methylamino)carbonyl]oxy]-, methyl ester

Page 23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21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101 107–12–0 Ethyl cyanideP054 151–56–4 EthyleneimineP097 52–85–7 FamphurP056 7782–41–4 FluorineP057 640–19–7 FluoroacetamideP058 62–74–8 Fluoroacetic acid, sodium saltP198 23422–53–9 Formetanate hydrochloride.P197 17702–57–7 Formparanate.P065 628–86–4 Fulminic acid, mercury(2+) salt (R,T)P059 76–44–8 HeptachlorP062 757–58–4 Hexaethyl tetraphosphateP116 79–19–6 HydrazinecarbothioamideP068 60–34–4 Hydrazine, methyl-P063 74–90–8 Hydrocyanic acidP063 74–90–8 Hydrogen cyanideP096 7803–51–2 Hydrogen phosphideP060 465–73–6 IsodrinP192 119–38–0 Isolan.P202 64–00–6 3-Isopropylphenyl N-methylcarbamate.P007 2763–96–4 3(2H)-Isoxazolone, 5-(aminomethyl)-P196 15339–36–3 Manganese, bis(dimethylcarbamodithioato-S,S′)-,P196 15339–36–3 Manganese dimethyldithiocarbamate.P092 62–38–4 Mercury, (acetato-O)phenyl-P065 628–86–4 Mercury fulminate (R,T)P082 62–75–9 Methanamine, N-methyl-N-nitroso-P064 624–83–9 Methane, isocyanato-P016 542–88–1 Methane, oxybis[chloro-P112 509–14–8 Methane, tetranitro- (R)P118 75–70–7 Methanethiol, trichloro-

P198 23422–53–9Methanimidamide,N,N-dimethyl-N′-[3-[[(methylamino)-carbonyl]oxy]phenyl]-,monohydrochloride.

P197 17702–57–7Methanimidamide,N,N-dimethyl-N′-[2-methyl-4-[[(methylamino)carbonyl]oxy]phenyl]-

P050 115–29–76,9-Methano-2,4,3-benzodioxathiepin, 6,7,8,9,10,10-hexachloro-1,5,5a,6,9,9a-hexahydro-, 3-oxide

P059 76–44–8 4,7-Methano-1H-indene, 1,4,5,6,7,8,8-heptachloro- 3a,4,7,7a-tetrahydro-P199 2032–65–7 Methiocarb.P066 16752–77–5 MethomylP068 60–34–4 Methyl hydrazineP064 624–83–9 Methyl isocyanateP069 75–86–5 2-MethyllactonitrileP071 298–00–0 Methyl parathionP190 1129–41–5 Metolcarb.P128 315–8–4 Mexacarbate.P072 86–88–4 alpha-NaphthylthioureaP073 13463–39–3 Nickel carbonylP073 13463–39–3 Nickel carbonyl Ni(CO)4, (T-4)-P074 557–19–7 Nickel cyanideP074 557–19–7 Nickel cyanide Ni(CN)2

P075154–11–5 Nicotine, &salts

P076 10102–43–9 Nitric oxideP077 100–01–6 p-NitroanilineP078 10102–44–0 Nitrogen dioxideP076 10102–43–9 Nitrogen oxide NO

Page 23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22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078 10102–44–0 Nitrogen oxide NO2

P081 55–63–0 Nitroglycerine (R)P082 62–75–9 N-NitrosodimethylamineP084 4549–40–0 N-NitrosomethylvinylamineP085 152–16–9 OctamethylpyrophosphoramideP087 20816–12–0 Osmium oxide OsO4, (T-4)-P087 20816–12–0 Osmium tetroxideP088 145–73–3 7-Oxabicyclo[2.2.1]heptane-2,3-dicarboxylic acidP194 23135–22–0 Oxamyl.P089 56–38–2 ParathionP034 131–89–5 Phenol, 2-cyclohexyl-4,6-dinitro-P048 51–28–5 Phenol, 2,4-dinitro-P047 1534–52–1 Phenol, 2-methyl-4,6-dinitro-, &saltsP020 88–85–7 Phenol, 2-(1-methylpropyl)-4,6-dinitro-P009 131–74–8 Phenol, 2,4,6-trinitro-, ammonium salt (R)P128 315–18–4 Phenol, 4-(dimethylamino)-3,5-dimethyl-, methylcarbamate (ester).P199 2032–65–7 Phenol, (3,5-dimethyl-4-(methylthio)-, methylcarbamateP202 64–00–6 Phenol, 3-(1-methylethyl)-, methyl carbamate.P201 2631–37–0 Phenol, 3-methyl-5-(1-methylethyl)-, methyl carbamate.P092 62–38–4 Phenylmercury acetateP093 103–85–5 PhenylthioureaP094 298–02–2 PhorateP095 75–44–5 PhosgeneP096 7803–51–2 PhosphineP041 311–45–5 Phosphoric acid, diethyl 4-nitrophenyl esterP039 298–04–4 Phosphorodithioic acid, O,O-diethyl S-[2-(ethylthio)ethyl] esterP094 298–02–2 Phosphorodithioic acid, O,O-diethyl S-[(ethylthio)methyl] ester

P044 60–51–5Phosphorodithioic acid, O,O-dimethyl S-[2-(methylamino)-2-oxoethyl]ester

P043 55–91–4 Phosphorofluoridic acid, bis(1-methylethyl) esterP089 56–38–2 Phosphorothioic acid, O,O-diethyl O-(4-nitrophenyl) esterP040 297–97–2 Phosphorothioic acid, O,O-diethyl O-pyrazinyl ester

P097 52–85–7 Phosphorothioic acid, O-[4-[(dimethylamino)sulfonyl]phenyl]O,O-dimethyl ester

P071 298–00–0 Phosphorothioic acid, O,O,-dimethyl O-(4-nitrophenyl) esterP204 57–47–6 Physostigmine.P188 57–64–7 Physostigmine salicylate.P110 78–00–2 Plumbane, tetraethyl-P098 151–50–8 Potassium cyanideP098 151–50–8 Potassium cyanide K(CN)P099 506–61–6 Potassium silver cyanideP201 2631–37–0 PromecarbP070 116–06–3 Propanal, 2-methyl-2-(methylthio)-, O-[(methylamino)carbonyl]oxime

P203 1646–88–4Propanal, 2-methyl-2-(methyl-sulfonyl)-, O-[(methylamino)carbonyl]oxime.

P101 107–12–0 PropanenitrileP027 542–76–7 Propanenitrile, 3-chloro-P069 75–86–5 Propanenitrile, 2-hydroxy-2-methyl-P081 55–63–0 1,2,3-Propanetriol, trinitrate (R)P017 598–31–2 2-Propanone, 1-bromo-P102 107–19–7 Propargyl alcoholP003 107–02–8 2-PropenalP005 107–18–6 2-Propen-1-olP067 75–55–8 1,2-PropylenimineP102 107–19–7 2-Propyn-1-ol

Page 23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23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008 504–24–5 4-PyridinamineP075 154–11–5 Pyridine, 3-(1-methyl-2-pyrrolidinyl)-, (S)-, &salts

P204 57–47–6Pyrrolo[2,3-b]indol-5-ol, 1,2,3,3a,8,8a-hexahydro-1,3a,8-trimethyl-,methylcarbamate (ester), (3aS-cis)-.

P114 12039–52–0 Selenious acid, dithallium(1+) saltP103 630–10–4 SelenoureaP104 506–64–9 Silver cyanideP104 506–64–9 Silver cyanide Ag(CN)P105 26628–22–8 Sodium azideP106 143–33–9 Sodium cyanideP106 143–33–9 Sodium cyanide Na(CN)P108

157–24–9 Strychnidin-10-one, &salts

P018 357–57–3 Strychnidin-10-one, 2,3-dimethoxy-P108

157–24–9 Strychnine, &salts

P115 7446–18–6 Sulfuric acid, dithallium(1+) saltP109 3689–24–5 TetraethyldithiopyrophosphateP110 78–00–2 Tetraethyl leadP111 107–49–3 Tetraethyl pyrophosphateP112 509–14–8 Tetranitromethane (R)P062 757–58–4 Tetraphosphoric acid, hexaethyl esterP113 1314–32–5 Thallic oxideP113 1314–32–5 Thallium oxide Tl2O3

P114 12039–52–0 Thallium(I) seleniteP115 7446–18–6 Thallium(I) sulfateP109 3689–24–5 Thiodiphosphoric acid, tetraethyl esterP045 39196–18–4 ThiofanoxP049 541–53–7 Thioimidodicarbonic diamide [(H2N)C(S)]2NHP014 108–98–5 ThiophenolP116 79–19–6 ThiosemicarbazideP026 5344–82–1 Thiourea, (2-chlorophenyl)-P072 86–88–4 Thiourea, 1-naphthalenyl-P093 103–85–5 Thiourea, phenyl-P185 26419–73–8 Tirpate.P123 8001–35–2 ToxapheneP118 75–70–7 TrichloromethanethiolP119 7803–55–6 Vanadic acid, ammonium saltP120 1314–62–1 Vanadium oxide V2O5

P120 1314–62–1 Vanadium pentoxideP084 4549–40–0 Vinylamine, N-methyl-N-nitroso-P001

181–81–2 Warfarin, &salts, when present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0.3%

P205 137–30–4 Zinc, bis(dimethylcarbamodithioato-S,S′)-,P121 557–21–1 Zinc cyanideP121 557–21–1 Zinc cyanide Zn(CN)2

P122 1314–84–7 Zinc phosphide Zn3P2, when present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10%(R,T)

P205 137–30–4 Ziram.

P001181–81–2

2H-1-Benzopyran-2-one, 4-hydroxy-3-(3-oxo-1-phenylbutyl)-, &salts, whenpresent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0.3%

P001 181–81–2 Warfarin, &salts, when present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0.3%P002 591–08–2 Acetamide, -(aminothioxomethyl)-P002 591–08–2 1-Acetyl-2-thioureaP003 107–02–8 AcroleinP003 107–02–8 2-PropenalP004 309–00–2 Aldrin

Page 23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24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004 309–00–21,4,5,8-Dimethanonaphthalene,1,2,3,4,10,10-hexa-chloro-1,4,4a,5,8,8a,-hexahydro-, (1alpha,4alpha,4abeta,5alpha,8alpha,8abeta)-

P005 107–18–6 Allyl alcoholP005 107–18–6 2-Propen-1-olP006 20859–73–8 Aluminum phosphide (R,T)P007 2763–96–4 5-(Aminomethyl)-3-isoxazololP007 2763–96–4 3(2H)-Isoxazolone, 5-(aminomethyl)-P008 504–24–5 4-AminopyridineP008 504–24–5 4-PyridinamineP009 131–74–8 Ammonium picrate (R)P009 131–74–8 Phenol, 2,4,6-trinitro-, ammonium salt (R)P010 7778–39–4 Arsenic acid H3AsO4

P011 1303–28–2 Arsenic oxide As2O5

P011 1303–28–2 Arsenic pentoxideP012 1327–53–3 Arsenic oxide As2O3

P012 1327–53–3 Arsenic trioxideP013 542–62–1 Barium cyanideP014 108–98–5 BenzenethiolP014 108–98–5 ThiophenolP015 7440–41–7 Beryllium powderP016 542–88–1 Dichloromethyl etherP016 542–88–1 Methane, oxybis[chloro-P017 598–31–2 BromoacetoneP017 598–31–2 2-Propanone, 1-bromo-P018 357–57–3 BrucineP018 357–57–3 Strychnidin-10-one, 2,3-dimethoxy-P020 88–85–7 DinosebP020 88–85–7 Phenol, 2-(1-methylpropyl)-4,6-dinitro-P021 592–01–8 Calcium cyanideP021 592–01–8 Calcium cyanide Ca(CN)2

P022 75–15–0 Carbon disulfideP023 107–20–0 Acetaldehyde, chloro-P023 107–20–0 ChloroacetaldehydeP024 106–47–8 Benzenamine, 4-chloro-P024 106–47–8 p-ChloroanilineP026 5344–82–1 1-(o-Chlorophenyl)thioureaP026 5344–82–1 Thiourea, (2-chlorophenyl)-P027 542–76–7 3-ChloropropionitrileP027 542–76–7 Propanenitrile, 3-chloro-P028 100–44–7 Benzene, (chloromethyl)-P028 100–44–7 Benzyl chlorideP029 544–92–3 Copper cyanideP029 544–92–3 Copper cyanide Cu(CN)P030 Cyanides (soluble cyanide salts), not otherwise specifiedP031 460–19–5 CyanogenP031 460–19–5 EthanedinitrileP033 506–77–4 Cyanogen chlorideP033 506–77–4 Cyanogen chloride (CN)ClP034 131–89–5 2-Cyclohexyl-4,6-dinitrophenolP034 131–89–5 Phenol, 2-cyclohexyl-4,6-dinitro-P036 696–28–6 Arsonous dichloride, phenyl-P036 696–28–6 DichlorophenylarsineP037 60–57–1 Dieldrin

P037 60–57–1 2,7:3,6-Dimethanonaphth[2,3-b]oxirene,3,4,5,6,9,9-hexachloro-1a,2,2a,3,6,6a,7,7a-octahydro-, (1aalpha,2beta,2aalpha,3beta,6beta,6aalpha,7beta, 7aalpha)-

Page 23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25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038 692–42–2 Arsine, diethyl-P038 692–42–2 DiethylarsineP039 298–04–4 DisulfotonP039 298–04–4 Phosphorodithioic acid, O,O-diethyl S-[2-(ethylthio)ethyl] esterP040 297–97–2 O,O-Diethyl O-pyrazinyl phosphorothioateP040 297–97–2 Phosphorothioic acid, O,O-diethyl O-pyrazinyl esterP041 311–45–5 Diethyl-p-nitrophenyl phosphateP041 311–45–5 Phosphoric acid, diethyl 4-nitrophenyl esterP042 51–43–4 1,2-Benzenediol, 4-[1-hydroxy-2-(methylamino)ethyl]-, (R)-P042 51–43–4 EpinephrineP043 55–91–4 Diisopropylfluorophosphate (DFP)P043 55–91–4 Phosphorofluoridic acid, bis(1-methylethyl) esterP044 60–51–5 Dimethoate

P044 60–51–5Phosphorodithioic acid, O,O-dimethyl S-[2-(methyl amino)-2-oxoethyl]ester

P045 39196–18–4 2-Butanone, 3,3-dimethyl-1-(methylthio)-, O-[(methylamino)carbonyl] oximeP045 39196–18–4 ThiofanoxP046 122–09–8 Benzeneethanamine, alpha,alpha-dimethyl-P046 122–09–8 alpha,alpha-DimethylphenethylamineP047

1534–52–1 4,6-Dinitro-o-cresol, &salts

P0471534–52–1 Phenol, 2-methyl-4,6-dinitro-, &salts

P048 51–28–5 2,4-DinitrophenolP048 51–28–5 Phenol, 2,4-dinitro-P049 541–53–7 DithiobiuretP049 541–53–7 Thioimidodicarbonic diamide [(H2N)C(S)]2NHP050 115–29–7 Endosulfan

P050 115–29–7 6,9-Methano-2,4,3-benzodioxathiepin,6,7,8,9,10,10-hexachloro-1,5,5a,6,9,9a-hexahydro-, 3-oxide

P051 172–20–82,7:3,6-Dimethanonaphth[2,3-b]oxirene,3,4,5,6,9,9-hexachloro-1a,2,2a,3,6,6a,7,7a-octahydro-,(1aalpha,2beta,2abeta,3alpha,6alpha,6abeta,7beta, 7aalpha)-,&metabolites

P051 72–20–8 EndrinP051 72–20–8 Endrin, &metabolitesP054 151–56–4 AziridineP054 151–56–4 EthyleneimineP056 7782–41–4 FluorineP057 640–19–7 Acetamide, 2-fluoro-P057 640–19–7 FluoroacetamideP058 62–74–8 Acetic acid, fluoro-, sodium saltP058 62–74–8 Fluoroacetic acid, sodium saltP059 76–44–8 HeptachlorP059 76–44–8 4,7-Methano-1H-indene, 1,4,5,6,7,8,8-heptachloro-3a,4,7,7a-tetrahydro-

P060 465–73–6 1,4,5,8-Dimethanonaphthalene,1,2,3,4,10,10-hexa-chloro-1,4,4a,5,8,8a-hexahydro-, (1alpha,4alpha,4abeta,5beta,8beta,8abeta)-

P060 465–73–6 IsodrinP062 757–58–4 Hexaethyl tetraphosphateP062 757–58–4 Tetraphosphoric acid, hexaethyl esterP063 74–90–8 Hydrocyanic acidP063 74–90–8 Hydrogen cyanideP064 624–83–9 Methane, isocyanato-P064 624–83–9 Methyl isocyanateP065 628–86–4 Fulminic acid, mercury(2+) salt (R,T)P065 628–86–4 Mercury fulminate (R,T)P066 16752–77–5 Ethanimidothioic acid, N-[[(methylamino)carbonyl]oxy]-, methyl esterP066 16752–77–5 Methomyl

Page 23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26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067 75–55–8 Aziridine, 2-methyl-P067 75–55–8 1,2-PropylenimineP068 60–34–4 Hydrazine, methyl-P068 60–34–4 Methyl hydrazineP069 75–86–5 2-MethyllactonitrileP069 75–86–5 Propanenitrile, 2-hydroxy-2-methyl-P070 116–06–3 AldicarbP070 116–06–3 Propanal, 2-methyl-2-(methylthio)-, O-[(methylamino)carbonyl]oximeP071 298–00–0 Methyl parathionP071 298–00–0 Phosphorothioic acid, O,O,-dimethyl O-(4-nitrophenyl) esterP072 86–88–4 alpha-NaphthylthioureaP072 86–88–4 Thiourea, 1-naphthalenyl-P073 13463–39–3 Nickel carbonylP073 13463–39–3 Nickel carbonyl Ni(CO)4, (T-4)-P074 557–19–7 Nickel cyanideP074 557–19–7 Nickel cyanide Ni(CN)2

P075 154–11–5 Nicotine, &saltsP075 154–11–5 Pyridine, 3-(1-methyl-2-pyrrolidinyl)-, (S)-, &saltsP076 10102–43–9 Nitric oxideP076 10102–43–9 Nitrogen oxide NOP077 100–01–6 Benzenamine, 4-nitro-P077 100–01–6 p-NitroanilineP078 10102–44–0 Nitrogen dioxideP078 10102–44–0 Nitrogen oxide NO2

P081 55–63–0 Nitroglycerine (R)P081 55–63–0 1,2,3-Propanetriol, trinitrate (R)P082 62–75–9 Methanamine, -methyl-N-nitroso-P082 62–75–9 N-NitrosodimethylamineP084 4549–40–0 N-NitrosomethylvinylamineP084 4549–40–0 Vinylamine, -methyl-N-nitroso-P085 152–16–9 Diphosphoramide, octamethyl-P085 152–16–9 OctamethylpyrophosphoramideP087 20816–12–0 Osmium oxide OsO4, (T-4)-P087 20816–12–0 Osmium tetroxideP088 145–73–3 EndothallP088 145–73–3 7-Oxabicyclo[2.2.1]heptane-2,3-dicarboxylic acidP089 56–38–2 ParathionP089 56–38–2 Phosphorothioic acid, O,O-diethyl O-(4-nitrophenyl) esterP092 62–38–4 Mercury, (acetato-O)phenyl-P092 62–38–4 Phenylmercury acetateP093 103–85–5 PhenylthioureaP093 103–85–5 Thiourea, phenyl-P094 298–02–2 PhorateP094 298–02–2 Phosphorodithioic acid, O,O-diethyl S-[(ethylthio)methyl] esterP095 75–44–5 Carbonic dichlorideP095 75–44–5 PhosgeneP096 7803–51–2 Hydrogen phosphideP096 7803–51–2 PhosphineP097 52–85–7 Famphur

P097 52–85–7Phosphorothioic acid, O-[4-[(dimethylamino)sulfonyl]phenyl]O,O-dimethyl ester

P098 151–50–8 Potassium cyanideP098 151–50–8 Potassium cyanide K(CN)P099 506–61–6 Argentate(1-), bis(cyano-C)-, potassium

Page 23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27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099 506–61–6 Potassium silver cyanideP101 107–12–0 Ethyl cyanideP101 107–12–0 PropanenitrileP102 107–19–7 Propargyl alcoholP102 107–19–7 2-Propyn-1-olP103 630–10–4 SelenoureaP104 506–64–9 Silver cyanideP104 506–64–9 Silver cyanide Ag(CN)P105 26628–22–8 Sodium azideP106 143–33–9 Sodium cyanideP106 143–33–9 Sodium cyanide Na(CN)P108 1157–24–9 Strychnidin-10-one, &saltsP108 1157–24–9 Strychnine, &saltsP109 3689–24–5 TetraethyldithiopyrophosphateP109 3689–24–5 Thiodiphosphoric acid, tetraethyl esterP110 78–00–2 Plumbane, tetraethyl-P110 78–00–2 Tetraethyl leadP111 107–49–3 Diphosphoric acid, tetraethyl esterP111 107–49–3 Tetraethyl pyrophosphateP112 509–14–8 Methane, tetranitro-(R)P112 509–14–8 Tetranitromethane (R)P113 1314–32–5 Thallic oxideP113 1314–32–5 Thallium oxide Tl2O3

P114 12039–52–0 Selenious acid, dithallium(1+) saltP114 12039–52–0 TetraethyldithiopyrophosphateP115 7446–18–6 Thiodiphosphoric acid, tetraethyl esterP115 7446–18–6 Plumbane, tetraethyl-P116 79–19–6 Tetraethyl leadP116 79–19–6 ThiosemicarbazideP118 75–70–7 Methanethiol, trichloro-P118 75–70–7 TrichloromethanethiolP119 7803–55–6 Ammonium vanadateP119 7803–55–6 Vanadic acid, ammonium saltP120 1314–62–1 Vanadium oxide V2O5

P120 1314–62–1 Vanadium pentoxideP121 557–21–1 Zinc cyanideP121 557–21–1 Zinc cyanide Zn(CN)2

P122 1314–84–7Zinc phosphide Zn3P2, when present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10%(R,T)

P123 8001–35–2 ToxapheneP127 1563–66–2 7-Benzofuranol, 2,3-dihydro-2,2-dimethyl-, methylcarbamate.P127 1563–66–2 CarbofuranP128 315–8–4 MexacarbateP128 315–18–4 Phenol, 4-(dimethylamino)-3,5-dimethyl-, methylcarbamate (ester)

P185 26419–73–8 1,3-Dithiolane-2-carboxaldehyde, 2,4-dimethyl-,O-[(methylamino)-carbonyl]oxime.

P185 26419–73–8 Tirpate

P188 57–64–7Benzoic acid, 2-hydroxy-, compd. with(3aS-cis)-1,2,3,3a,8,8a-hexahydro-1,3a,8-trimethylpyrrolo[2,3-b]indol-5-ylmethylcarbamate ester (1:1)

P188 57–64–7 Physostigmine salicylate

P189 55285–14–8 Carbamic acid, [(dibutylamino)-thio]methyl-,2,3-dihydro-2,2-dimethyl-7-benzofuranyl ester

P189 55285–14–8 CarbosulfanP190 1129–41–5 Carbamic acid, methyl-, 3-methylphenyl ester

Page 23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28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P190 1129–41–5 Metolcarb

P191 644–64–4Carbamic acid, dimethyl-,1-[(dimethyl-amino)carbonyl]-5-methyl-1H-pyrazol-3-yl ester

P191 644–64–4 Dimetilan

P192 119–38–0 Carbamic acid, dimethyl-, 3-methyl-1-(1-methylethyl)-1H-pyrazol-5-ylester

P192 119–38–0 Isolan

P194 23135–22–0Ethanimidthioic acid, 2-(dimethylamino)-N-[[(methylamino)carbonyl]oxy]-2-oxo-, methyl ester

P194 23135–22–0 OxamylP196 15339–36–3 Manganese, bis(dimethylcarbamodithioato-S,S')-,P196 15339–36–3 Manganese dimethyldithiocarbamateP197 17702–57–7 Formparanate

P197 17702–57–7Methanimidamide,N,N-dimethyl-N'-[2-methyl-4-[[(methylamino)carbonyl]oxy]phenyl]-

P198 23422–53–9 Formetanate hydrochloride

P198 23422–53–9 Methanimidamide,N,N-dimethyl-N'-[3-[[(methylamino)-carbonyl]oxy]phenyl]-monohydrochloride

P199 2032–65–7 MethiocarbP199 2032–65–7 Phenol, (3,5-dimethyl-4-(methylthio)-, methylcarbamateP201 2631–37–0 Phenol, 3-methyl-5-(1-methylethyl)-, methyl carbamateP201 2631–37–0 PromecarbP202 64–00–6 m-Cumenyl methylcarbamateP202 64–00–6 3-Isopropylphenyl N-methylcarbamateP202 64–00–6 Phenol, 3-(1-methylethyl)-, methyl carbamateP203 1646–88–4 Aldicarb sulfoneP203 1646–88–4 Propanal, 2-methyl-2-(methyl-sulfonyl)-, O-[(methylamino)carbonyl] oximeP204 57–47–6 Physostigmine

P204 57–47–6Pyrrolo[2,3-b]indol-5-ol, 1,2,3,3a,8,8a-hexahydro-1,3a,8-trimethyl-,methylcarbamate (ester), (3aS-cis)-

P205 137–30–4 Zinc, bis(dimethylcarbamodithioato-S,S')-,P205 137–30–4 Ziram

Page 23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29 -

<부록 Ⅰ> 4. U-List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394 30558–43–1 A2213.U001 75–07–0 Acetaldehyde (I)U034 75–87–6 Acetaldehyde, trichloro-U187 62–44–2 Acetamide, N-(4-ethoxyphenyl)-U005 53–96–3 Acetamide, N-9H-fluoren-2-yl-U240 194–75–7 Acetic acid, (2,4-dichlorophenoxy)-, salts &estersU112 141–78–6 Acetic acid ethyl ester (I)U144 301–04–2 Acetic acid, lead(2+) saltU214 563–68–8 Acetic acid, thallium(1+) saltsee F027 93–76–5 Acetic acid, (2,4,5-trichlorophenoxy)-U002 67–64–1 Acetone (I)U003 75–05–8 Acetonitrile (I,T)U004 98–86–2 AcetophenoneU005 53–96–3 2-AcetylaminofluoreneU006 75–36–5 Acetyl chloride (C,R,T)U007 79–06–1 AcrylamideU008 79–10–7 Acrylic acid (I)U009 107–13–1 AcrylonitrileU011 61–82–5 AmitroleU012 62–53–3 Aniline (I,T)U136 75–60–5 Arsinic acid, dimethyl-U014 492–80–8 AuramineU015 115–02–6 Azaserine

U010 50–07–7Azirino[2′,3′:3,4]pyrrolo[1,2-a]indole-4,7-dione,6-amino-8-[[(aminocarbonyl)oxy]methyl]-1,1a,2,8,8a,8b-hexahydro-8a-methoxy-5-methyl-, [1aS-(1aalpha, 8beta,8aalpha,8balpha)]-

U280 101–27–9 Barban.U278 22781–23–3 Bendiocarb.U364 22961–82–6 Bendiocarb phenol.U271 17804–35–2 Benomyl.U157 56–49–5 Benz[j]aceanthrylene, 1,2-dihydro-3-methyl-U016 225–51–4 Benz[c]acridineU017 98–87–3 Benzal chlorideU192 23950–58–5 Benzamide, 3,5-dichloro-N-(1,1-dimethyl-2-propynyl)-U018 56–55–3 Benz[a]anthraceneU094 57–97–6 Benz[a]anthracene, 7,12-dimethyl-U012 62–53–3 Benzenamine (I,T)U014 492–80–8 Benzenamine, 4,4′-carbonimidoylbis[N,N-dimethyl-U049 3165–93–3 Benzenamine, 4-chloro-2-methyl-, hydrochlorideU093 60–11–7 Benzenamine, N,N-dimethyl-4-(phenylazo)-U328 95–53–4 Benzenamine, 2-methyl-U353 106–49–0 Benzenamine, 4-methyl-U158 101–14–4 Benzenamine, 4,4′-methylenebis[2-chloro-U222 636–21–5 Benzenamine, 2-methyl-, hydrochlorideU181 99–55–8 Benzenamine, 2-methyl-5-nitro-U019 71–43–2 Benzene (I,T)

U038 510–15–6Benzeneacetic acid, 4-chloro-alpha-(4-chlorophenyl)-alpha-hydroxy-, ethylester

U030 101–55–3 Benzene, 1-bromo-4-phenoxy-U035 305–03–3 Benzenebutanoic acid, 4-[bis(2-chloroethyl)amino]-U037 108–90–7 Benzene, chloro-U221 25376–45–8 Benzenediamine, ar-methyl-U028 117–81–7 1,2-Benzenedicarboxylic acid, bis(2-ethylhexyl) ester

Page 23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30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069 84–74–2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butyl esterU088 84–66–2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ethyl esterU102 131–11–3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methyl esterU107 117–84–0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octyl esterU070 95–50–1 Benzene, 1,2-dichloro-U071 541–73–1 Benzene, 1,3-dichloro-U072 106–46–7 Benzene, 1,4-dichloro-U060 72–54–8 Benzene, 1,1′-(2,2-dichloroethylidene)bis[4-chloro-U017 98–87–3 Benzene, (dichloromethyl)-U223 26471–62–5 Benzene, 1,3-diisocyanatomethyl- (R,T)U239 1330–20–7 Benzene, dimethyl- (I,T)U201 108–46–3 1,3-BenzenediolU127 118–74–1 Benzene, hexachloro-U056 110–82–7 Benzene, hexahydro- (I)U220 108–88–3 Benzene, methyl-U105 121–14–2 Benzene, 1-methyl-2,4-dinitro-U106 606–20–2 Benzene, 2-methyl-1,3-dinitro-U055 98–82–8 Benzene, (1-methylethyl)- (I)U169 98–95–3 Benzene, nitro-U183 608–93–5 Benzene, pentachloro-U185 82–68–8 Benzene, pentachloronitro-U020 98–09–9 Benzenesulfonic acid chloride (C,R)U020 98–09–9 Benzenesulfonyl chloride (C,R)U207 95–94–3 Benzene, 1,2,4,5-tetrachloro-U061 50–29–3 Benzene, 1,1′-(2,2,2-trichloroethylidene)bis[4-chloro-U247 72–43–5 Benzene, 1,1′-(2,2,2-trichloroethylidene)bis[4- methoxy-U023 98–07–7 Benzene, (trichloromethyl)-U234 99–35–4 Benzene, 1,3,5-trinitro-U021 92–87–5 BenzidineU202 181–07–2 1,2-Benzisothiazol-3(2H)-one, 1,1-dioxide, &saltsU278 22781–23–3 1,3-Benzodioxol-4-ol, 2,2-dimethyl-, methyl carbamate.U364 22961–82–6 1,3-Benzodioxol-4-ol, 2,2-dimethyl-,U203 94–59–7 1,3-Benzodioxole, 5-(2-propenyl)-U141 120–58–1 1,3-Benzodioxole, 5-(1-propenyl)-U367 1563–38–8 7-Benzofuranol, 2,3-dihydro-2,2-dimethyl-U090 94–58–6 1,3-Benzodioxole, 5-propyl-U064 189–55–9 Benzo[rst]pentaphene

U248181–81–2

2H-1-Benzopyran-2-one, 4-hydroxy-3-(3-oxo-1-phenyl-butyl)-, &salts, whenpresent at concentrations of 0.3% or less

U022 50–32–8 Benzo[a]pyreneU197 106–51–4 p-BenzoquinoneU023 98–07–7 Benzotrichloride (C,R,T)U085 1464–53–5 2,2′-BioxiraneU021 92–87–5 [1,1′-Biphenyl]-4,4′-diamineU073 91–94–1 [1,1′-Biphenyl]-4,4′-diamine, 3,3′-dichloro-U091 119–90–4 [1,1′-Biphenyl]-4,4′-diamine, 3,3′-dimethoxy-U095 119–93–7 [1,1′-Biphenyl]-4,4′-diamine, 3,3′-dimethyl-U225 75–25–2 BromoformU030 101–55–3 4-Bromophenyl phenyl etherU128 87–68–3 1,3-Butadiene, 1,1,2,3,4,4-hexachloro-U172 924–16–3 1-Butanamine, N-butyl-N-nitroso-U031 71–36–3 1-Butanol (I)U159 78–93–3 2-Butanone (I,T)U160 1338–23–4 2-Butanone, peroxide (R,T)U053 4170–30–3 2-Butenal

Page 24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31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074 764–41–0 2-Butene, 1,4-dichloro- (I,T)

U143 303–34–4

2-Butenoic acid, 2-methyl-, 7-[[2,3-dihydroxy-2-(1-methoxyethyl)-3-methyl-1-oxobutoxy]methyl]-2,3,5,7a-tetrahydro-1H-pyrrolizin-1-yl ester,[1S-[1alpha(Z),7(2S*,3R*),7aalpha]]-

U031 71–36–3 n-Butyl alcohol (I)U136 75–60–5 Cacodylic acidU032 13765–19–0 Calcium chromateU372 10605–21–7 Carbamic acid, 1H-benzimidazol-2-yl, methyl ester.

U271 17804–35–2Carbamic acid, [1-[(butylamino)carbonyl]-1H-benzimidazol-2-yl]-, methylester.

U280 101–27–9 Carbamic acid, (3-chlorophenyl)-, 4-chloro-2-butynyl ester.U238 51–79–6 Carbamic acid, ethyl esterU178 615–53–2 Carbamic acid, methylnitroso-, ethyl esterU373 122–42–9 Carbamic acid, phenyl-, 1-methylethyl ester.

U409 23564–05–8 Carbamic acid, [1,2-phenylenebis (iminocarbonothioyl)]bis-, dimethylester.

U097 79–44–7 Carbamic chloride, dimethyl-

U389 2303–17–5Carbamothioic acid, bis(1-methylethyl)-, S-(2,3,3-trichloro-2-propenyl)ester.

U387 52888–80–9 Carbamothioic acid, dipropyl-, S-(phenylmethyl) ester.U114 1111–54–6 Carbamodithioic acid, 1,2-ethanediylbis-, salts &estersU062 2303–16–4 Carbamothioic acid, bis(1-methylethyl)-, S-(2,3-dichloro-2-propenyl) esterU279 63–25–2 Carbaryl.U372 10605–21–7 Carbendazim.U367 1563–38–8 Carbofuran phenol.U215 6533–73–9 Carbonic acid, dithallium(1+) saltU033 353–50–4 Carbonic difluorideU156 79–22–1 Carbonochloridic acid, methyl ester (I,T)U033 353–50–4 Carbon oxyfluoride (R,T)U211 56–23–5 Carbon tetrachlorideU034 75–87–6 ChloralU035 305–03–3 ChlorambucilU036 57–74–9 Chlordane, alpha &gamma isomersU026 494–03–1 ChlornaphazinU037 108–90–7 ChlorobenzeneU038 510–15–6 ChlorobenzilateU039 59–50–7 p-Chloro-m-cresolU042 110–75–8 2-Chloroethyl vinyl etherU044 67–66–3 ChloroformU046 107–30–2 Chloromethyl methyl etherU047 91–58–7 beta-ChloronaphthaleneU048 95–57–8 o-ChlorophenolU049 3165–93–3 4-Chloro-o-toluidine, hydrochlorideU032 13765–19–0 Chromic acid H2CrO4, calcium saltU050 218–01–9 ChryseneU051 CreosoteU052 1319–77–3 Cresol (Cresylic acid)U053 4170–30–3 CrotonaldehydeU055 98–82–8 Cumene (I)U246 506–68–3 Cyanogen bromide (CN)BrU197 106–51–4 2,5-Cyclohexadiene-1,4-dioneU056 110–82–7 Cyclohexane (I)

U129 58–89–9Cyclohexane, 1,2,3,4,5,6-hexachloro-,(1alpha,2alpha,3beta,4alpha,5alpha,6beta)-

Page 24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32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057 108–94–1 Cyclohexanone (I)U130 77–47–4 1,3-Cyclopentadiene, 1,2,3,4,5,5-hexachloro-U058 50–18–0 CyclophosphamideU240 194–75–7 2,4-D, salts &estersU059 20830–81–3 DaunomycinU060 72–54–8 DDDU061 50–29–3 DDTU062 2303–16–4 DiallateU063 53–70–3 Dibenz[a,h]anthraceneU064 189–55–9 Dibenzo[a,i]pyreneU066 96–12–8 1,2-Dibromo-3-chloropropaneU069 84–74–2 Dibutyl phthalateU070 95–50–1 o-DichlorobenzeneU071 541–73–1 m-DichlorobenzeneU072 106–46–7 p-DichlorobenzeneU073 91–94–1 3,3′-DichlorobenzidineU074 764–41–0 1,4-Dichloro-2-butene (I,T)U075 75–71–8 DichlorodifluoromethaneU078 75–35–4 1,1-DichloroethyleneU079 156–60–5 1,2-DichloroethyleneU025 111–44–4 Dichloroethyl etherU027 108–60–1 Dichloroisopropyl etherU024 111–91–1 Dichloromethoxy ethaneU081 120–83–2 2,4-DichlorophenolU082 87–65–0 2,6-DichlorophenolU084 542–75–6 1,3-DichloropropeneU085 1464–53–5 1,2:3,4-Diepoxybutane (I,T)U108 123–91–1 1,4-DiethyleneoxideU028 117–81–7 Diethylhexyl phthalateU395 5952–26–1 Diethylene glycol, dicarbamate.U086 1615–80–1 N,N′-DiethylhydrazineU087 3288–58–2 O,O-Diethyl S-methyl dithiophosphateU088 84–66–2 Diethyl phthalateU089 56–53–1 DiethylstilbesterolU090 94–58–6 DihydrosafroleU091 119–90–4 3,3′-DimethoxybenzidineU092 124–40–3 Dimethylamine (I)U093 60–11–7 p-DimethylaminoazobenzeneU094 57–97–6 7,12-Dimethylbenz[a]anthraceneU095 119–93–7 3,3′-DimethylbenzidineU096 80–15–9 alpha,alpha-Dimethylbenzylhydroperoxide (R)U097 79–44–7 Dimethylcarbamoyl chlorideU098 57–14–7 1,1-DimethylhydrazineU099 540–73–8 1,2-DimethylhydrazineU101 105–67–9 2,4-DimethylphenolU102 131–11–3 Dimethyl phthalateU103 77–78–1 Dimethyl sulfateU105 121–14–2 2,4-DinitrotolueneU106 606–20–2 2,6-DinitrotolueneU107 117–84–0 Di-n-octyl phthalateU108 123–91–1 1,4-DioxaneU109 122–66–7 1,2-DiphenylhydrazineU110 142–84–7 Dipropylamine (I)U111 621–64–7 Di-n-propylnitrosamine

Page 24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33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041 106–89–8 EpichlorohydrinU001 75–07–0 Ethanal (I)U404 121–44–8 Ethanamine, N,N-diethyl-U174 55–18–5 Ethanamine, N-ethyl-N-nitroso-U155 91–80–5 1,2-Ethanediamine, N,N-dimethyl-N′-2-pyridinyl-N′-(2-thienylmethyl)-U067 106–93–4 Ethane, 1,2-dibromo-U076 75–34–3 Ethane, 1,1-dichloro-U077 107–06–2 Ethane, 1,2-dichloro-U131 67–72–1 Ethane, hexachloro-U024 111–91–1 Ethane, 1,1′-[methylenebis(oxy)]bis[2-chloro-U117 60–29–7 Ethane, 1,1′-oxybis-(I)U025 111–44–4 Ethane, 1,1′-oxybis[2-chloro-U184 76–01–7 Ethane, pentachloro-U208 630–20–6 Ethane, 1,1,1,2-tetrachloro-U209 79–34–5 Ethane, 1,1,2,2-tetrachloro-U218 62–55–5 EthanethioamideU226 71–55–6 Ethane, 1,1,1-trichloro-U227 79–00–5 Ethane, 1,1,2-trichloro-

U410 59669–26–0Ethanimidothioic acid, N,N′- [thiobis[(methylimino)carbonyloxy]]bis-,dimethyl ester

U394 30558–43–1 Ethanimidothioic acid, 2-(dimethylamino)-N-hydroxy-2-oxo-, methyl ester.U359 110–80–5 Ethanol, 2-ethoxy-U173 1116–54–7 Ethanol, 2,2′-(nitrosoimino)bis-U395 5952–26–1 Ethanol, 2,2′-oxybis-, dicarbamate.U004 98–86–2 Ethanone, 1-phenyl-U043 75–01–4 Ethene, chloro-U042 110–75–8 Ethene, (2-chloroethoxy)-U078 75–35–4 Ethene, 1,1-dichloro-U079 156–60–5 Ethene, 1,2-dichloro-, (E)-U210 127–18–4 Ethene, tetrachloro-U228 79–01–6 Ethene, trichloro-U112 141–78–6 Ethyl acetate (I)U113 140–88–5 Ethyl acrylate (I)U238 51–79–6 Ethyl carbamate (urethane)U117 60–29–7 Ethyl ether (I)U114

1111–54–6 Ethylenebisdithiocarbamic acid, salts &esters

U067 106–93–4 Ethylene dibromideU077 107–06–2 Ethylene dichlorideU359 110–80–5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U115 75–21–8 Ethylene oxide (I,T)U116 96–45–7 EthylenethioureaU076 75–34–3 Ethylidene dichlorideU118 97–63–2 Ethyl methacrylateU119 62–50–0 Ethyl methanesulfonateU120 206–44–0 FluorantheneU122 50–00–0 FormaldehydeU123 64–18–6 Formic acid (C,T)U124 110–00–9 Furan (I)U125 98–01–1 2-Furancarboxaldehyde (I)U147 108–31–6 2,5-FurandioneU213 109–99–9 Furan, tetrahydro-(I)U125 98–01–1 Furfural (I)U124 110–00–9 Furfuran (I)U206 18883–66–4 Glucopyranose, 2-deoxy-2-(3-methyl-3-nitrosoureido)-, D-U206 18883–66–4 D-Glucose, 2-deoxy-2-[[(methylnitrosoamino)- carbonyl]amino]-

Page 24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34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126 765–34–4 GlycidylaldehydeU163 70–25–7 Guanidine, N-methyl-N′-nitro-N-nitroso-U127 118–74–1 HexachlorobenzeneU128 87–68–3 HexachlorobutadieneU130 77–47–4 HexachlorocyclopentadieneU131 67–72–1 HexachloroethaneU132 70–30–4 HexachloropheneU243 1888–71–7 HexachloropropeneU133 302–01–2 Hydrazine (R,T)U086 1615–80–1 Hydrazine, 1,2-diethyl-U098 57–14–7 Hydrazine, 1,1-dimethyl-U099 540–73–8 Hydrazine, 1,2-dimethyl-U109 122–66–7 Hydrazine, 1,2-diphenyl-U134 7664–39–3 Hydrofluoric acid (C,T)U134 7664–39–3 Hydrogen fluoride (C,T)U135 7783–06–4 Hydrogen sulfideU135 7783–06–4 Hydrogen sulfide H2SU096 80–15–9 Hydroperoxide, 1-methyl-1-phenylethyl- (R)U116 96–45–7 2-ImidazolidinethioneU137 193–39–5 Indeno[1,2,3-cd]pyreneU190 85–44–9 1,3-IsobenzofurandioneU140 78–83–1 Isobutyl alcohol (I,T)U141 120–58–1 IsosafroleU142 143–50–0 KeponeU143 303–34–4 LasiocarpineU144 301–04–2 Lead acetateU146 1335–32–6 Lead, bis(acetato-O)tetrahydroxytri-U145 7446–27–7 Lead phosphateU146 1335–32–6 Lead subacetateU129 58–89–9 LindaneU163 70–25–7 MNNGU147 108–31–6 Maleic anhydrideU148 123–33–1 Maleic hydrazideU149 109–77–3 MalononitrileU150 148–82–3 MelphalanU151 7439–97–6 MercuryU152 126–98–7 Methacrylonitrile (I, T)U092 124–40–3 Methanamine, N-methyl- (I)U029 74–83–9 Methane, bromo-U045 74–87–3 Methane, chloro- (I, T)U046 107–30–2 Methane, chloromethoxy-U068 74–95–3 Methane, dibromo-U080 75–09–2 Methane, dichloro-U075 75–71–8 Methane, dichlorodifluoro-U138 74–88–4 Methane, iodo-U119 62–50–0 Methanesulfonic acid, ethyl esterU211 56–23–5 Methane, tetrachloro-U153 74–93–1 Methanethiol (I, T)U225 75–25–2 Methane, tribromo-U044 67–66–3 Methane, trichloro-U121 75–69–4 Methane, trichlorofluoro-U036 57–74–9 4,7-Methano-1H-indene, 1,2,4,5,6,7,8,8-octachloro-2,3,3a,4,7,7a-hexahydro-U154 67–56–1 Methanol (I)U155 91–80–5 Methapyrilene

Page 24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35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142 143–50–01,3,4-Metheno-2H-cyclobuta[cd]pentalen-2-one,1,1a,3,3a,4,5,5,5a,5b,6-decachlorooctahydro-

U247 72–43–5 MethoxychlorU154 67–56–1 Methyl alcohol (I)U029 74–83–9 Methyl bromideU186 504–60–9 1-Methylbutadiene (I)U045 74–87–3 Methyl chloride (I,T)U156 79–22–1 Methyl chlorocarbonate (I,T)U226 71–55–6 Methyl chloroformU157 56–49–5 3-MethylcholanthreneU158 101–14–4 4,4′-Methylenebis(2-chloroaniline)U068 74–95–3 Methylene bromideU080 75–09–2 Methylene chlorideU159 78–93–3 Methyl ethyl ketone (MEK) (I,T)U160 1338–23–4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R,T)U138 74–88–4 Methyl iodideU161 108–10–1 Methyl isobutyl ketone (I)U162 80–62–6 Methyl methacrylate (I,T)U161 108–10–1 4-Methyl-2-pentanone (I)U164 56–04–2 MethylthiouracilU010 50–07–7 Mitomycin C

U059 20830–81–35,12-Naphthacenedione,8-acetyl-10-[(3-amino-2,3,6-trideoxy)-alpha-L-lyxo-hexopyranosyl)oxy]-7,8,9,10-tetrahydro-6,8,11-trihydroxy-1-methoxy-, (8S-cis)-

U167 134–32–7 1-NaphthalenamineU168 91–59–8 2-NaphthalenamineU026 494–03–1 Naphthalenamine, N,N′-bis(2-chloroethyl)-U165 91–20–3 NaphthaleneU047 91–58–7 Naphthalene, 2-chloro-U166 130–15–4 1,4-Naphthalenedione

U236 72–57–12,7-Naphthalenedisulfonic acid, 3,3′-[(3,3′-dimethyl[1,1′-biphenyl]-4,4′-diyl)bis(azo)bis[5-amino-4-hydroxy]-,tetrasodium salt

U279 63–25–2 1-Naphthalenol, methylcarbamate.U166 130–15–4 1,4-NaphthoquinoneU167 134–32–7 alpha-NaphthylamineU168 91–59–8 beta-NaphthylamineU217 10102–45–1 Nitric acid, thallium(1+) saltU169 98–95–3 Nitrobenzene (I,T)U170 100–02–7 p-NitrophenolU171 79–46–9 2-Nitropropane (I,T)U172 924–16–3 N-Nitrosodi-n-butylamineU173 1116–54–7 N-NitrosodiethanolamineU174 55–18–5 N-NitrosodiethylamineU176 759–73–9 N-Nitroso-N-ethylureaU177 684–93–5 N-Nitroso-N-methylureaU178 615–53–2 N-Nitroso-N-methylurethaneU179 100–75–4 N-NitrosopiperidineU180 930–55–2 N-NitrosopyrrolidineU181 99–55–8 5-Nitro-o-toluidineU193 1120–71–4 1,2-Oxathiolane, 2,2-dioxide

U058 50–18–02H-1,3,2-Oxazaphosphorin-2-amine, N,N-bis(2-chloroethyl)tetrahydro-,2-oxide

U115 75–21–8 Oxirane (I,T)U126 765–34–4 Oxiranecarboxyaldehyde

Page 24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36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041 106–89–8 Oxirane, (chloromethyl)-U182 123–63–7 ParaldehydeU183 608–93–5 PentachlorobenzeneU184 76–01–7 PentachloroethaneU185 82–68–8 Pentachloronitrobenzene (PCNB)See F027 87–86–5 PentachlorophenolU161 108–10–1 Pentanol, 4-methyl-U186 504–60–9 1,3-Pentadiene (I)U187 62–44–2 PhenacetinU188 108–95–2 PhenolU048 95–57–8 Phenol, 2-chloro-U039 59–50–7 Phenol, 4-chloro-3-methyl-U081 120–83–2 Phenol, 2,4-dichloro-U082 87–65–0 Phenol, 2,6-dichloro-U089 56–53–1 Phenol, 4,4′-(1,2-diethyl-1,2-ethenediyl)bis-, (E)-U101 105–67–9 Phenol, 2,4-dimethyl-U052 1319–77–3 Phenol, methyl-U132 70–30–4 Phenol, 2,2′-methylenebis[3,4,6-trichloro-U411 114–26–1 Phenol, 2-(1-methylethoxy)-, methylcarbamate.U170 100–02–7 Phenol, 4-nitro-See F027 87–86–5 Phenol, pentachloro-See F027 58–90–2 Phenol, 2,3,4,6-tetrachloro-See F027 95–95–4 Phenol, 2,4,5-trichloro-See F027 88–06–2 Phenol, 2,4,6-trichloro-U150 148–82–3 L-Phenylalanine, 4-[bis(2-chloroethyl)amino]-U145 7446–27–7 Phosphoric acid, lead(2+) salt (2:3)U087 3288–58–2 Phosphorodithioic acid, O,O-diethyl S-methyl esterU189 1314–80–3 Phosphorus sulfide (R)U190 85–44–9 Phthalic anhydrideU191 109–06–8 2-PicolineU179 100–75–4 Piperidine, 1-nitroso-U192 23950–58–5 PronamideU194 107–10–8 1-Propanamine (I,T)U111 621–64–7 1-Propanamine, N-nitroso-N-propyl-U110 142–84–7 1-Propanamine, N-propyl- (I)U066 96–12–8 Propane, 1,2-dibromo-3-chloro-U083 78–87–5 Propane, 1,2-dichloro-U149 109–77–3 PropanedinitrileU171 79–46–9 Propane, 2-nitro- (I,T)U027 108–60–1 Propane, 2,2′-oxybis[2-chloro-U193 1120–71–4 1,3-Propane sultoneSee F027 93–72–1 Propanoic acid, 2-(2,4,5-trichlorophenoxy)-U235 126–72–7 1-Propanol, 2,3-dibromo-, phosphate (3:1)U140 78–83–1 1-Propanol, 2-methyl- (I,T)U002 67–64–1 2-Propanone (I)U007 79–06–1 2-PropenamideU084 542–75–6 1-Propene, 1,3-dichloro-U243 1888–71–7 1-Propene, 1,1,2,3,3,3-hexachloro-U009 107–13–1 2-PropenenitrileU152 126–98–7 2-Propenenitrile, 2-methyl- (I,T)U008 79–10–7 2-Propenoic acid (I)U113 140–88–5 2-Propenoic acid, ethyl ester (I)U118 97–63–2 2-Propenoic acid, 2-methyl-, ethyl esterU162 80–62–6 2-Propenoic acid, 2-methyl-, methyl ester (I,T)U373 122–42–9 Propham.

Page 24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37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411 114–26–1 Propoxur.U387 52888–80–9 Prosulfocarb.U194 107–10–8 n-Propylamine (I,T)U083 78–87–5 Propylene dichlorideU148 123–33–1 3,6-Pyridazinedione, 1,2-dihydro-U196 110–86–1 PyridineU191 109–06–8 Pyridine, 2-methyl-U237 66–75–1 2,4-(1H,3H)-Pyrimidinedione, 5-[bis(2-chloroethyl)amino]-U164 56–04–2 4(1H)-Pyrimidinone, 2,3-dihydro-6-methyl-2-thioxo-U180 930–55–2 Pyrrolidine, 1-nitroso-U181 99–55–8 Benzenamine, 2-methyl-5-nitro-U181 99–55–8 5-Nitro-o-toluidineU182 123–63–7 1,3,5-Trioxane, 2,4,6-trimethyl-U182 123–63–7 ParaldehydeU183 608–93–5 Benzene, pentachloro-U183 608–93–5 PentachlorobenzeneU184 76–01–7 Ethane, pentachloro-U184 76–01–7 PentachloroethaneU185 82–68–8 Benzene, pentachloronitro-U185 82–68–8 Pentachloronitrobenzene (PCNB)U186 504–60–9 1-Methylbutadiene (I)U186 504–60–9 1,3-Pentadiene (I)U187 62–44–2 Acetamide, -(4-ethoxyphenyl)-U187 62–44–2 PhenacetinU188 108–95–2 PhenolU189 1314–80–3 Phosphorus sulfide (R)U189 1314–80–3 Sulfur phosphide (R)U190 85–44–9 1,3-IsobenzofurandioneU190 85–44–9 Phthalic anhydrideU191 109–06–8 2-PicolineU191 109–06–8 Pyridine, 2-methyl-U192 23950–58–5 Benzamide, 3,5-dichloro-N-(1,1-dimethyl-2-propynyl)-U192 23950–58–5 PronamideU193 1120–71–4 1,2-Oxathiolane, 2,2-dioxideU193 1120–71–4 1,3-Propane sultoneU194 107–10–8 1-Propanamine (I,T)U194 107–10–8 n-Propylamine (I,T)U196 110–86–1 PyridineU197 106–51–4 p-BenzoquinoneU197 106–51–4 2,5-Cyclohexadiene-1,4-dioneU200 50–55–5 Reserpine

U200 50–55–5Yohimban-16-carboxylic acid,11,17-dimethoxy-18-[(3,4,5-trimethoxybenzoyl)oxy]-, methylester,(3beta,16beta,17alpha,18beta,20alpha)-

U201 108–46–3 1,3-BenzenediolU201 108–46–3 ResorcinolU202 181–07–2 1,2-Benzisothiazol-3(2H)-one, 1,1-dioxide, &saltsU202 181–07–2 Saccharin, &saltsU203 94–59–7 1,3-Benzodioxole, 5-(2-propenyl)-U203 94–59–7 SafroleU204 7783–00–8 Selenious acidU204 7783–00–8 Selenium dioxideU205 7488–56–4 Selenium sulfideU205 7488–56–4 Selenium sulfide SeS2(R,T)U206 18883–66–4 Glucopyranose, 2-deoxy-2-(3-methyl-3-nitrosoureido)-, D-

Page 24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38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206 18883–66–4 D-Glucose, 2-deoxy-2-[[(methylnitrosoamino)-carbonyl]amino]-U206 18883–66–4 StreptozotocinU207 95–94–3 Benzene, 1,2,4,5-tetrachloro-U207 95–94–3 1,2,4,5-TetrachlorobenzeneU208 630–20–6 Ethane, 1,1,1,2-tetrachloro-U208 630–20–6 1,1,1,2-TetrachloroethaneU209 79–34–5 Ethane, 1,1,2,2-tetrachloro-U209 79–34–5 1,1,2,2-TetrachloroethaneU210 127–18–4 Ethene, tetrachloro-U210 127–18–4 TetrachloroethyleneU211 56–23–5 Carbon tetrachlorideU211 56–23–5 Methane, tetrachloro-U213 109–99–9 Furan, tetrahydro-(I)U213 109–99–9 Tetrahydrofuran (I)U214 563–68–8 Acetic acid, thallium(1+) saltU214 563–68–8 Thallium(I) acetateU215 6533–73–9 Carbonic acid, dithallium(1+) saltU215 6533–73–9 Thallium(I) carbonateU216 7791–12–0 Thallium(I) chlorideU216 7791–12–0 Thallium chloride TlClU217 10102–45–1 Nitric acid, thallium(1+) saltU217 10102–45–1 Thallium(I) nitrateU218 62–55–5 EthanethioamideU218 62–55–5 ThioacetamideU219 62–56–6 ThioureaU220 108–88–3 Benzene, methyl-U220 108–88–3 TolueneU221 25376–45–8 Benzenediamine, ar-methyl-U221 25376–45–8 ToluenediamineU222 636–21–5 Benzenamine, 2-methyl-, hydrochlorideU222 636–21–5 o-Toluidine hydrochlorideU223 26471–62–5 Benzene, 1,3-diisocyanatomethyl- (R,T)U223 26471–62–5 Toluene diisocyanate (R,T)U225 75–25–2 BromoformU225 75–25–2 Methane, tribromo-U226 71–55–6 Ethane, 1,1,1-trichloro-U226 71–55–6 Methyl chloroformU226 71–55–6 1,1,1-TrichloroethaneU227 79–00–5 Ethane, 1,1,2-trichloro-U227 79–00–5 1,1,2-TrichloroethaneU228 79–01–6 Ethene, trichloro-U228 79–01–6 TrichloroethyleneU234 99–35–4 Benzene, 1,3,5-trinitro-U234 99–35–4 1,3,5-Trinitrobenzene (R,T)U235 126–72–7 1-Propanol, 2,3-dibromo-, phosphate (3:1)U235 126–72–7 Tris(2,3-dibromopropyl) phosphate

U236 72–57–12,7-Naphthalenedisulfonic acid,3,3'-[(3,3'-dimethyl[1,1'-biphenyl]-4,4'-diyl)bis(azo)bis[5-amino-4-hydroxy]-,tetrasodium salt

U236 72–57–1 Trypan blueU237 66–75–1 2,4-(1H,3H)-Pyrimidinedione, 5-[bis(2-chloroethyl)amino]-U237 66–75–1 Uracil mustardU238 51–79–6 Carbamic acid, ethyl esterU238 51–79–6 Ethyl carbamate (urethane)U239 1330–20–7 Benzene, dimethyl- (I,T)

Page 24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39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239 1330–20–7 Xylene (I)U240 194–75–7 Acetic acid, (2,4-dichlorophenoxy)-, salts &estersU240 194–75–7 2,4-D, salts &estersU243 1888–71–7 HexachloropropeneU243 1888–71–7 1-Propene, 1,1,2,3,3,3-hexachloro-U244 137–26–8 Thioperoxydicarbonic diamide [(H2N)C(S)]2S2, tetramethyl-U244 137–26–8 ThiramU246 506–68–3 Cyanogen bromide (CN)BrU247 72–43–5 Benzene, 1,1'-(2,2,2-trichloroethylidene)bis[4- methoxy-U247 72–43–5 Methoxychlor

U248181–81–2

2H-1-Benzopyran-2-one, 4-hydroxy-3-(3-oxo-1-phenyl-butyl)-, &salts, whenpresent at concentrations of 0.3% or less

U248181–81–2 Warfarin, &salts, when present at concentrations of 0.3% or less

U249 1314–84–7 Zinc phosphide Zn3P2, when present at concentrations of 10% or lessU271 17804–35–2 Benomyl

U271 17804–35–2 Carbamic acid, [1-[(butylamino)carbonyl]-1H-benzimidazol-2-yl]-, methylester

U278 22781–23–3 BendiocarbU278 22781–23–3 1,3-Benzodioxol-4-ol, 2,2-dimethyl-, methyl carbamateU279 63–25–2 CarbarylU279 63–25–2 1-Naphthalenol, methylcarbamateU280 101–27–9 BarbanU280 101–27–9 Carbamic acid, (3-chlorophenyl)-, 4-chloro-2-butynyl esterU328 95–53–4 Benzenamine, 2-methyl-U328 95–53–4 o-ToluidineU353 106–49–0 Benzenamine, 4-methyl-U353 106–49–0 p-ToluidineU359 110–80–5 Ethanol, 2-ethoxy-U359 110–80–5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U364 22961–82–6 Bendiocarb phenolU364 22961–82–6 1,3-Benzodioxol-4-ol, 2,2-dimethyl-,U367 1563–38–8 7-Benzofuranol, 2,3-dihydro-2,2-dimethyl-U367 1563–38–8 Carbofuran phenolU372 10605–21–7 Carbamic acid, 1H-benzimidazol-2-yl, methyl esterU372 10605–21–7 CarbendazimU373 122–42–9 Carbamic acid, phenyl-, 1-methylethyl esterU373 122–42–9 ProphamU387 52888–80–9 Carbamothioic acid, dipropyl-, S-(phenylmethyl) esterU387 52888–80–9 Prosulfocarb

U389 2303–17–5Carbamothioic acid, bis(1-methylethyl)-, S-(2,3,3-trichloro-2-propenyl)ester

U389 2303–17–5 TriallateU394 30558–43–1 A2213U394 30558–43–1 Ethanimidothioic acid, 2-(dimethylamino)-N-hydroxy-2-oxo-, methyl esterU395 5952–26–1 Diethylene glycol, dicarbamateU395 5952–26–1 Ethanol, 2,2'-oxybis-, dicarbamateU404 121–44–8 Ethanamine, N,N-diethyl-U404 121–44–8 Triethylamine

U409 23564–05–8Carbamic acid, [1,2-phenylenebis (iminocarbonothioyl)]bis-, dimethylester

U409 23564–05–8 Thiophanate-methyl

U410 59669–26–0 Ethanimidothioic acid, N,N'-[thiobis[(methylimino)carbonyloxy]]bis-,dimethyl ester

U410 59669–26–0 ThiodicarbU411 114–26–1 Phenol, 2-(1-methylethoxy)-, methylcarbamate

Page 24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40 -

Hazardouswaste No.

Chemicalabstracts No. Substance

U411 114–26–1 PropoxurSee F027 93–76–5 Acetic acid, (2,4,5-trichlorophenoxy)-See F027 87–86–5 PentachlorophenolSee F027 87–86–5 Phenol, pentachloro-See F027 58–90–2 Phenol, 2,3,4,6-tetrachloro-See F027 95–95–4 Phenol, 2,4,5-trichloro-See F027 88–06–2 Phenol, 2,4,6-trichloro-See F027 93–72–1 Propanoic acid, 2-(2,4,5-trichlorophenoxy)-See F027 93–72–1 Silvex (2,4,5-TP)See F027 93–76–5 2,4,5-TSee F027 58–90–2 2,3,4,6-TetrachlorophenolSee F027 95–95–4 2,4,5-TrichlorophenolSee F027 88–06–2 2,4,6-Trichlorophenol

Page 25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41 -

<부록 Ⅱ> EWC (European Waste Catalogue)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01 탐사,광업, 선광 및 광물과 채석 업 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0101 미네럴채굴과정에서의 폐기물

010101 철금속 채굴과정에서의 폐기물010102 비철금속 채굴과정에서의 폐기물

0103 철광의물리화학적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폐기물

010304 황철광 공정에서발생되는 산성 부산물

010305 위험물질을 함유하는 기타 부산물010307 황철광의 물리화학적 제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기타 폐기물

010306 황철광공정 이외 작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010308 황철광의 물리화학적 제련공정 이외의 작업에서 발생된 먼지 및 분진 폐기물010309 황철광의 물리화학적 제련공정이외의 작업인 알루미나 생산시 발생하는 적색 진흙010399 기타 폐기물

0104 비철광의 물리화학적 취급시발생하는 폐기물

010407 비철광의 물리화학적 취급시 발생하는위험물질을 함유하는 폐기물

010408 비철광의 물리화학적 취급 이외의 작업에서 발생하는 폐자갈 및 암석부스러기010409 폐모래 및 폐점토010410 먼지 및 분진성 폐기물010411 잿물과 암염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010412 광물의 세척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및 기타 폐기물010413 암석 절단 및 톱질로부터 나오는 폐기물010499 기타 폐기물

0105 굴착진흙 및 굴착 폐기물

010505 기름이 함유된굴착 진흙과 굴착 폐기물010506 유해물질이 함유된 굴착 진흙 및 굴착폐기물

010504 진흙과 폐기물 굴착수010507 중정석이 함유된 굴착 진흙 및굴착 폐기물010508 염소가 함유된 굴착 진흙 및 굴착 폐기물010599 기타 폐기물

02 농업,원예, 사냥, 낚시,연 못 의양어, 식료품제조와 가공에서 발생 되 는폐기물

0201 원재료제조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20108 유해물질을 함유한 농화학 폐기물

020101 세척공정에서 배출된 슬러지020102 동물조직 폐기물020103 식물조직 폐기물020104 폐합성수지 (포장용 제외)020106 동물 배설물, 분뇨(더러워진 볏짚 포함), 유출수, 분리수집되어 외부에서 처리한 것020107 삼림 폐기물020109 기타 농화학 폐기물020110 폐금속020199 기타 폐기물

0202 육류,어류, 기타육식성 음식을 준비할때 발생하는폐기물

020201 세척 및 청소시 발생한 슬러지020202 동물조직 폐기물020203 식음이나 요리에 부적합한 물질020204 배출수의 현장처리시 발생한슬러지020299 기타 폐기물

0203 과일,채소, 시리얼, 식용유,코코아, 커피, 차, 담배등 음식을준비할 때발생하는 폐기물

020301 세척, 청소, 껍질벗기기, 원심분리로부터 발생하는 슬러지020302 재료보존시 발생하는 폐기물020303 용매추출시 발생하는 폐기물020304 소비하거나 처리하기 곤란한 물질020305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020399 기타 폐기물

0204 제당공정 폐기물

020401 사탕수수 세척 및 청결시 발생한 흙020402 규정되지 않은 탄산칼슘020403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020499 기타 폐기물

Page 25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42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0205 낙농산업 폐기물

020501 소비하거나 처리하기 어려운 재료020502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020599 기타 폐기물

0206 제과제빵산업 폐기물

020601 소비하거나 처리하기 어려운 재료020602 재료보존시 발생하는 폐기물020603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020699 기타 폐기물

0207 주류및 비주류생산공정 폐기물

020701 원재료의 세척, 청소, 기계적 감량시 발생하는 폐기물020702 주류 증류 폐기물020703 약품처리 폐기물020704 소비하거나 처리하기 어려운 재료020705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 슬러지020799 기타 폐기물

03 목재가공, 펄프, 종이,판지, 널빤지, 가구제조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301 원목가공, 판넬및 가구 제작시 발생하는 폐기물

030104 유해물질을 함유한 톱밥, 대패밥, 목재조각, 목재, 합판, 베니어판

030101 목피 및 코크 폐기물030105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톱밥, 대패밥, 목재조각, 목재, 합판, 베니어판030199 기타 폐기물

0302 목재보존 관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030201 할로겐 성분이없는 유기성 목재방부제030202 염소유기성 목재방부제030203 금속유기성 목재방부제030204 무기성 목재방부제

030205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목재방부제

030299 기타 목재 방부제

0303 펄프,제지, 골판지제조공정 폐기물

030301 폐목피 및 폐목재030302 가열된 액체 회수시 발생하는녹색 액상 슬러지030305 종이재생시 발생하는 除잉크 슬러지030307 기계적으로 분리제거된 폐종이와 폐골판지 펄프030308 재생용 종이와 합판지를 분류하는 공정에서 발생된 폐기물030309 석회덩어리 폐기물030310 기계적으로 분리된 섬유 슬러지030311 배출수의 현장처리시 발생된 슬러지030399 기타 폐기물

04 피혁,섬유산업에서 발생 되 는폐기물

0401 피혁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40103 액상상태 이외의용제가 포함된 탈지폐기물

040101 제육 및 석회제거시 발생되는폐기물040102 석회 폐기물040104 크롬을 함유한 무두액040105 크롬이 없는 무두액040106 크롬을 함유한 배출수의 현장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040107 크롬을 없는 배출수의 현장처리시 발생하는 슬러지040108 크롬을 함유한 무두질된 폐가죽040109 가죽표면처리한 폐기물040199 기타 폐기물

0402 섬유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40214 마무리공정에서유기용매를 함유한 폐기물040216 유해물질을 함유한 염료 및 안료

040209 합성재료로부터 발생된 폐기물040210 천연 제품으로부터 발생한 유기물040215 마무리공정에서 배출된 폐기물040217 염료 및 안료

Page 25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43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040219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40220 현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슬러지040221 공정을 거치지 않은 섬유로부터발생된 폐기물040222 공정을 거친 섬유로부터 배출된폐기물040299 기타 폐기물

05 정유,천연가스정화, 석탄열분해공정에서발생되는폐기물

0501 원유슬러지와 고체폐기물

050102 원유로부터 염소를 제거한 슬러지050103 반유동상 급유잔재물050104 산성 알킬오니050105 누출된 오일050106 작업공정과 유지,보수에서 발생되는 슬러지050107 산성 타르050108 기타 타르050111 연료의 염기세척시 발생하는 폐기물050112 산이 함유된 유류050115 사용한 여과 점토

050109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50110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슬러지050113 보일러 공급수용 슬러지050114 냉각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050116 원유 탈황과정에서 배출되는 황함유 폐기물050117 아스팔트 피치050199 기타 폐기물

0506 석탄열분해공정에서 발생되는폐기물

050601 산성 타르050603 기타 타르

050604 냉각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050699 기타 폐기물

0507 천연가스정화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50701 수은함유 잔재물 050702 황함유 폐기물050799 기타 폐기물

06 무기화학공정에서 발생 되 는폐기물

0601 산함유폐 용 매 제(산용액)

060101 황산과 아황산060102 염산060103 불화수소산060104 인산과 아린산060105 질산과 아질산060106 기타 산

060199 유사 산 폐기물

0602 폐염기용액 (알카리용액)

060201 수산화칼슘060203 암모니아060204 수산화나트륨과수산화칼륨060205 기타 염기

060299 유사 염기 폐기물

0603 폐염과폐염용액

060311 염과 용액, 청산염 함유060313 중금속이 함유된고체 염이나 용액060315 중금속이 함유된금속산화물

060314 기타 고체 염이나 용액060316 기타 금속산화물060399 기타 폐기물

0604 금속을함유한 폐기물

060403 비소함유 폐기물060404 수은함유 폐기물060405 중금속함유 폐기물

060499 기타 폐기물

0605 현장처리 슬러지

060502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

060503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한슬러지

0606 황산과황산처리 및탈황처리시발생되는 폐기물

060602 유해 황산이 함유된 폐기물

060603 황산이 함유된 폐기물060699 기타 폐기물

0607 할로겐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폐기물

060702 염소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활성탄060704 산과 접촉시 생성된 용액 및 산

060701 전기투석시 발생되는 석면 함유 폐기물060703 수은이 함유된황산바륨

060799 기타 폐기물

Page 25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44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0608 실리콘류 가공시발생되는 폐기물

060802 유해 실리콘을함유한 폐기물

060899 기타 폐기물

0609 인산 및인산가공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060903 유해물질에 오염되었거나 유해물질이 함유된 칼슘염 반응 폐기물

060902 인산 슬래그060904 기타 칼슘염 반응 폐기물060999 기타 폐기물

0610 질산 질산공정, 비료제조시 발생하는 폐기물

061002 유해물질 함유폐기물

061099 기타 폐기물

0611 무기염료, 피복재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폐기물

061101 과산화티타늄 생산시 배출되는칼슘염 반응 폐기물061199 기타 폐기물

0613 기타무기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61301 무기성 살충제061302 폐활성탄061304 석면제조산업에서 발생된 폐기물061305 검댕이

061303 카본 블랙061399 기타 폐기물

07 유기화학공정에서 발생 되 는폐기물

0701 유기성기본화학약품의 제조,가공, 판매와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101 수분함유 세척제,잿물070103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과 잿물070104 기타 유기용제,세척액, 잿물070107 할로겐족 반응및 증류잔재물070108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070109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071010 기타 여과케잌,폐흡수제

070111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112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199 기타 폐기물

0702 합성수지, 합성고무및 합성섬유의 제조, 가공, 판매,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201 수분함유 세척제,잿물070203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070204 기타 유기용제,세척액, 잿물070207 할로겐족 반응및 증류잔재물070208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070209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070210 기타 여과케잌,폐흡수제

070211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214 유해물질이 함유된 첨가제가 포함된 폐기물070216 유해 실리콘이함유된 폐기물

070212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213 폐합성수지070215 기타 첨가제가 포함된 폐기물070217 기타 실리콘이 함유된 폐기물070299 기타 폐기물

0703 유기색소와 염료의제조, 가공,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301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070303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070304 기타 유기용제,세척액, 잿물070307 할로겐족 반응및 증류잔재물070308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070309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070310 기타 여과케잌,폐흡수제

070311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312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399 기타 폐기물

Page 25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45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0704 유기성살충제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폐기물

070401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070403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070404 기타 유기용제,세척액, 잿물070407 할로겐족 반응및 증류잔재물070408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070409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070410 기타 여과케잌,폐흡수제

070411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413 유해 물질이 함유된 슬러지 폐기물

070412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499 기타 폐기물

0705 의약품의 제조, 가공, 판매와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501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070503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070504 기타 유기용제,세척액, 잿물070507 할로겐족 반응및 증류잔재물070508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070509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070510 기타 여과케잌,폐흡수제

070511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513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폐기물

070512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070514 기타 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폐기물070599 기타 폐기물

0706 지방,윤활제, 비누, 세제, 소독제, 피부관리물질의 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폐기물

070601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070603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070604 기타 유기용제,세척액, 잿물070607 할로겐족 반응및 증류잔재물070608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070609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070610 기타 여과케잌,폐흡수제

070611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612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699 기타 폐기물

0707 정밀화학약품과 화학약품류의제조, 가공,판매와 사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70701 수분함유 세척액과 잿물070703 할로겐족 유기용제, 세척액, 잿물070704 기타 유기용제,세척액, 잿물070707 할로겐족 반응및 증류잔재물070708 기타 반응 및 증류잔재물070709 할로겐족 여과케잌, 폐흡수제070710 기타 여과케잌,폐흡수제

070711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070712 기타 공장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070799 기타 폐기물

08 도료(페인트 ,락카 , 에나멜), 패킹물 질 ,인 쇄 용잉 크 의제조, 가공, 판매와 사용

0801 페인트,니스의 제조,혼합, 공급,사용에서 발생한 폐기물

080121 폐페인트 및 바니쉬 제거제

080111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080113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발생한 슬러지080115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

080112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080114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발생한 슬러지080116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발생한 물을 함유한 슬러지080118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의제거시 발생된 폐기물080120 기타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발생된 물을 함유한 현탁액

Page 25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46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에서 발생 되 는폐기물

발생한 물을 함유한 슬러지080117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의 제거시 발생된 폐기물080119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폐페인트 및 폐바니쉬에서발생된 물을 함유한 현탁액

080199 기타 폐기물

0802 세라믹성분을 포함하여 기타코팅제로부터 발생한폐기물

080201 폐코팅 파우더080202 세라믹 성분을 포함한 수용성슬러지080203 세라믹 성분을 포함한 수용성현탁액080299 기타 폐기물

0803 프린트잉크의 제조,혼합, 공급,사용에서 발생한 폐기물

080316 폐 에칭액080319 분산기름

080312 유해물질을 포함한 폐잉크080314 유해물질을 포함한 잉크 슬러지080317 유해물질을 포함한 폐프린터 토너

080307 잉크성분을 포함한 수용성 슬러지080308 잉크성분을 포함한 수용액080313 기타 폐잉크080315 기타 잉크 슬러지080318 기타 폐프린터 토너080399 기타 폐기물

0804 접착제,밀폐제의 제조, 혼합, 공급, 사용으로부터 발생한폐기물 (방수제 포함)

080417 수지(나무액) 기름

080409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접착제, 밀폐제 폐기물080411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접착제, 밀폐제 슬러지080413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접착제, 밀폐제가 포함된 물을 함유한 슬러지080415 유기용매와 다른유해물질을 함유한 접착제, 밀폐제가 포함된 물을 함유한 액체폐기물

080410 기타 접착제, 밀폐제 폐기물080412 기타한 접착제, 밀폐제 슬러지080414 기타 접착제, 밀폐제가 포함된물을 함유한 슬러지080416 기타 접착제, 밀폐제가 포함된물을 함유한 액체폐기물080499 기타 폐기물

0805 고료/잉크 제조공정에서 규정되지 않은폐기물

080501 폐 이소시안

09 사진산업에서발생되는폐기물

0901 사진산업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090101 수용성 현상액과활성제090102 수용성 오프세트판-현상액090103 용제를 기초로한 현상액090104 정착용액090105 표백용액과 표백-정착용액090111 납밧데리,니카드전지, 수은 배터리를 내장한 1회용 카메라090113 현장에서 은을회수한 공정에서 발생한액상 폐기물

090106 기업의 사진산업폐기물 자가처리시 발생하는 은을 함유한 폐기물

090107 은성분이 함유된 사진필름과 인화지090108 은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사진필름과 인화지090110 배터리가 없는 1회용 카메라090112 기타 배터리를 내장한 1회용 카메라090199 기타 폐기물

10 열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폐기물

1001 발전소와 기타 연소시설에서발생되는 폐기물

100104 유류 연소시 발생되는 비산재와 보일러먼지100109 황산100113 연료로 사용된에멀젼화된 탄화수소에서 발생한 비산재

100114 조연소시 유해물질을 함유한 바닥재, 슬래그, 보일러 먼지100116 조연소시 유해물질을 함유한 비산재100118 배가스 정화시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00101 바닥재, 슬래그와 보일러 먼지100102 석탄 비산재100103 니토와 처리되지 않은 목재로부터 발생한 비산재100105 배가스 탈황에 사용된 고체상으로부터 칼슘반응을 한 폐기물100107 배가스 탈황에 사용된 슬러지상으로부터 칼슘반응을 한 폐기물

Page 25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47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00120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출수 현장처리시발생한 슬러지100122 보일러 청소시유해물질을 함유한 수용성 슬러지

100115 조연소시 기타 바닥재, 슬래그,보일러 먼지100117 조연소시 기타 비산재100119 배가스 정화시 기타 폐기물100121 기타 배출수 현장처리시 발생한슬러지100123 보일러 청소시 기타 수용성 슬러지100124 유동상 소각로에서 배출된 모래100125 석탄화력발전시 연료저장고에서배출된 폐기물100126 냉각수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199 기타 폐기물

1002 철광및 제광산업에서 발생된폐기물

100207 배가스 처리시발생한 유해물질을 함유폐기물100211 유분을 함유한냉각수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213 유해물질을 포함한 가스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

100201 슬래그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202 가공하지 않은 슬래그100208 배가스 처리시 발생한 기타 폐기물100210 분쇄기 스케일100212 기타 냉각수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214 기타 가스처리과정에서 발생된슬러지100215 기타 슬러지와 필터 케잌100299 기타 폐기물

1003 열적알루미늄 야금공정에서발생되는 폐기물

100304 1차용해에서 발생되는 광재/흰색금속파편100308 2차용해에서 발생되는 염광재100309 2차용해에서 발생되는 검은 금속파편

100315 인화성이거나 물과 접촉하여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스컴100317 양극 제조시 발생하는 타르성분을 함유한 폐기물100319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 먼지100321 유해물질을 함유한 입자와 먼지100323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처리시 발생한폐기물100325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처리시 발생한슬러지와 필터 케잌100327 유분을 함유한냉각수 처리시 발생한폐기물100329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래그염과 검은 쇠찌꺼기 처리시 발생한폐기물

100302 양극 찌꺼기100305 폐알루미나100316 기타 스컴100318 양극 제조시 발생하는 탄소성분을 함유한 폐기물100320 기타 배가스 먼지100322 기타 입자와 먼지100324 기타 배가스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326 기타 배가스처리시 발생한 슬러지와 필터 케잌100328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330 기타 슬래그염과 검은 쇠찌꺼기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399 기타 폐기물

1004 열적납야금에서발생되는 폐기물

100401 광재 (1,2차용해)100402 금속파편과 광사(1,2차용해)100403 칼슘비산염100404 미세분진100405 기타 미립자와분진100406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고체 폐기물100407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잔재물

100409 유분을 함유한냉각수 처리시 발생한폐기물

100410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499 기타 폐기물

1005 열적아연야금에서 발생되는폐기물

100503 배가스 먼지100505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고체 폐기물100506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잔재물

100508 유분을 함유한냉각수 처리시 발생한폐기물100510 물과 반응하면폭발가능한 쇠찌꺼기와스컴

100501 광재 (1,2차용해)100504 다른 분진과 먼지100509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한 폐기물100511 기타 쇠찌꺼기와 스컴100599 기타 폐기물

Page 25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48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006 열적구리야금에서 발생되는폐기물

100603 배가스 미세분진100606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폐기물100607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와 필터케잌

100609 유분을 함유한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폐기물

100601 1, 2차 광재100602 1, 2차 용해로에서 발생한 쇠찌꺼기와 스컴100604 다른 분진과 먼지100610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폐기물100699 기타 폐기물

1007 은, 금,백금 야금공정에서의 폐기물

100707 유분을 함유한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폐기물

100701 1, 2차 광재100702 1, 2차 용해로에서 발생한 쇠찌꺼기와 스컴100703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폐기물100704 다른 분진과 먼지100705 가스정화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와 필터 케잌100708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폐기물100799 기타 폐기물

1008 비철야금공정에서 발생하는폐기물

100808 1, 2차 용해로에서 발생한 슬래그염

100810 물과 반응하면 폭발가능한 쇠찌꺼기와 스컴100812 양극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타르 함유 폐기물100815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 먼지100817 배가스처리시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와 필터케잌100819 유분을 함유한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폐기물

100804 입자와 먼지100809 기타 슬래그100811 기타 쇠찌꺼기와 스컴100813 양극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탄소함유 폐기물100814 양극 찌꺼기100816 기타 배가스 먼지100818 배가스처리시 기타 슬러지와 필터케잌100820 기타 냉각수 처리시 발생하는폐기물100899 기타 폐기물

1009 철주조공정 폐기물

100905 유해물질을 함유한 미사용 주물틀100907 유해물질을 함유한 사용 주물틀100909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 먼지100911 유해물질을 함유한 입자100913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결합제100915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균열 감지제

100903 용해로 슬래그100906 기타 미사용 주물틀100908 기타 사용 주물틀100910 기타 배가스 먼지100912 기타 입자100914 기타 폐결합제100916 기타 폐균열 감지제100999 기타 폐기물

1010 비철주조공정 폐기물

101005 유해물질을 함유한 미사용 주물틀101007 유해물질을 함유한 사용 주물틀101009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가스 먼지101011 유해물질을 함유한 입자101013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결합제101015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균열 감지제

101003 용해로 슬래그101006 기타 미사용 주물틀101008 기타 사용 주물틀101010 기타 배가스 먼지101012 기타 입자101014 기타 폐결합제101016 기타 폐균열 감지제101099 기타 폐기물

1011 유리및 유리제품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폐기물

101109 유해물질을 함유한 열처리 전의 혼합 폐기물101111 중금속을 함유한작은 폐유리 조각과 유리 가루101113 유해물질을 함유한 유리 세척 및 연마슬러지101115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함유한 폐기물

101103 폐유리섬유 재질101105 입자 및 분진101110 기타 열처리 전의 혼합 폐기물101112 기타 폐유리101114 기타 유리 세척 및 연마 슬러지101116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기타 폐기물101118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기타 슬러지와 필터 케잌101120 배출수 현장처리에서 배출되는기타 폐기물

Page 25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49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01117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함유한 슬러지와 필터케잌101119 배출수 현장처리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01199 기타 폐기물

1012 세라믹제품, 브럭,타일, 건축자재 생산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01209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함유한 폐기물101211 유약작업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을 함유한폐기물

101201 열처리 전의 폐혼합물101203 입자와 분진101205 가스처리에서 배출된 슬러지와필터 케잌101206 폐기된 몰드101208 폐세라믹, 브럭, 타일, 건축자재등101210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기타 폐기물101212 유약작업에서 배출되는 기타 폐기물101213 배출수 현장처리에서 배출되는슬러지101299 기타 폐기물

1013 시멘트,석회, 석고,이들로 만들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배출되는폐기물

101309 석면-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석면을 포함한 폐기물101312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함유한 폐기물

101301 열처리전의 폐혼합물101304 석회의 소석회화와 수화과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101306 입자와 분진101307 가스처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와 필터 케잌101310 석면-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기타 폐기물101311 세멘트 조합 재료로부터의 폐기물101313 배가스 처리공정에서 배출된 기타 폐기물101314 폐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슬러지101399 기타 폐기물

1014 화장장폐기물

101401 가스 정화공정에서 배출된 수은을 함유한 폐기물

11 금속가 공 과도금 및비철 - 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금속 함 유폐기물

1101 금속가공과 도금(전기도금, 아연도금, 부식,부각, 인산염화, 알카리성탈지 등)에서발생되는 액상폐기물과슬러지

110105 산성 부식용액110106 기타 산용액110107 알카리성 부식용액110108 인산염슬러지110116 포화되었거나 사용된 이온교환수지

110109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와 필터 케잌110111 유해물질을 함유한 수용성 세척액110113 유해물질을 함유한 탈지 폐기물110115 막분리 및 이온교환공정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함유한 누출액과 슬러지110198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110110 기타 슬러지와 필터 케잌110112 기타 수용성 세척액110114 기타 탈지 폐기물110199 기타 폐기물

1102 비철-유체야금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10202 아연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10205 구리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을함유한 폐기물110207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110203 전기분해시 양극 생산과정에서배출된 슬러지110206 구리유체야금에서 발생되는 기타 폐기물110299 기타 폐기물

1103 정화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와 고체물질

110301 시안화물을 함유한 폐기물110302 기타 폐기물

1105 고온도금공정에서 배출된폐기물

110503 가스처리에서 배출되는 폐기물110504 버려진 덩어리

110501 딱딱한 아연110502 아연 재110599 기타 폐기물

Page 25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50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2 금속,플라스틱의 기계적인 주조와 표면가공공정 에 서발생되는폐기물

1201 기계적인 주조(단아,용접,압축,견인,회전,전공,절단,톱질,퇴고)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20106 할로겐을 함유한폐가공유 (유화액이 아닌 것)120107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폐가공유 (유화액이 아닌 것)120108 할로겐을 함유한가공유화액120109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가공유화액120110 합성가공유120112 폐왁스와 폐유지120119 쉽게 분해되는기계유

120114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계 슬러지120116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발파 재료120118 유분함유 금속슬러지120120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연마체 및 폐연마재료

120101 철금속 찌꺼기120102 철금속 먼지 및 입자120103 비철금속 찌꺼기120104 비철금속 먼지 및 입자120105 플라스틱 성형물 및 찌꺼기120113 용접 폐기물120115 기타 기계 슬러지120117 기타 폐발파 재료120121 기타 폐연마체 및 폐연마재료120199 기타 폐기물

1203 수분또는 증기에의한 탈지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20301 수분함유 세척제120302 증기에 의한 탈지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3 폐유 1301 폐유압유와 폐제동액

130101 PCB나 PCT를 함유한 유압유130104 염소처리 유화액130105 비염소처리 유화액130109 수화된 염소화광유130110 수화된 광유130111 합성 수화유130112 쉽게 생분해되는수화유130113 기타 폐기물

1302 폐기계유, 폐기어유, 폐윤활유

130204 염소화 엔진, 기어, 윤활용 광유130205 엔진, 기어, 윤활용 광유130206 합성 엔진, 기어,윤활용 광유130207 생분해되기 쉬운엔진, 기어, 윤활용 광유130208 기타 엔진, 기어,윤활용 광유

1303 폐절연유, 폐열전달유

130301 PCB를 함유한절연유, 열전달유130306 기타 광물성 절연유, 열전달유130307 광물성 비염소화절연유, 열전달유130308 합성 절연유, 열전달유130309 쉽게 생분해되는절연유, 열전달유130310 기타 절연유, 열전달유

1304 폐선박유

130401 내륙항행에서 발생되는 뱃바닥폐유130402 고속 배출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뱃바닥폐유130403 기타 항행에서발생되는 뱃바닥폐유

1305 유수분리기의 내용물

130501 유수분리기에서발생되는 고체물질130502 유수분리기에서발생되는 슬러지130503 유입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Page 26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51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30506 유수분리기로부터 배출된 기름130507 유수분리기로부터 배출된 기름액130508 침사지와 유수분리기로부터 배출된 혼합폐기물

1307 액체연료 폐기물

130701 연료유와 디젤130702 휘발유130703 기타 기름

1308 규정되지 않은 기름폐기물

130801 기름슬러지와 에멀젼 오일130802 기타 에멀젼130899 기타 폐기물

14 용제로서 사용된 유기물질의폐기물

1406 폐유기용제, 냉매제, 거품상및 분사체연료

140601 염화불화탄소,HCFC, HFC140602 기타 할로겐화용매 및 용매혼합물140603 기타 용매 및 용매혼합물140604 할로겐화 용매를포함한 슬러지와 고형폐기물140605 기타 용매를 포함한 슬러지와 고형폐기물

15 포장폐기물 -규정되지않은 흡수 물 질 ,세 척 용수건, 여과재, 보호용 의류

1501 포장재 150110 유해물질로 오염되었거나 유해물질이 포함된 포장재150111 진공포장재를 포함하여 유해 고형물을함유한 금속 포장재

150101 종이와 골판지 포장재150102 플라스틱 포장재150103 목재 포장재150104 금속 포장재150105 조합 포장재150106 혼합 포장재150107 유리 포장재150109 섬유 포장재

1502 흡수물질, 여과재, 세척용 수건과보호용 의류

150202 유해물질에 오염된 흡수제, 필터재료, 헝겊 및 보호헝겊

150203 기타 흡수제, 필터재료, 헝겊 및보호헝겊

16 목록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은 폐기물

1601 폐자동차

160107 오일 필터160110 폭발성분160113 브레이크액

160104 폐기된 차량160108 수은을 함유한부품160109 PCB 함유 부품160111 석면을 포함한브레이크 패드160114 유해물질을 함유한 부동액160121 유해물질

160103 폐타이어160106 액체나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폐자동차160112 기타 브레이크 패드160115 기타 부동액160116 액화가스 탱크160117 철금속160118 비철금속160119 플라스틱160120 유리160122 별도로 규정되지 않은 성분160199 기타 폐기물

1602 폐기기와 파쇄잔재물

160215 폐장비로부터 제거된 유해성분

160299 PCB를 함유한수송기기160210 PCB에 오염되었거나 함유된 폐기장비160211 염화불화탄소,HCFC, HFC를 함유한폐장비160212 석면이 포함되지않은 폐장비160213 유해성분이 함유된 폐장비

160214 기타 폐장비160216 폐장비로부터 제거된 기타 성분

1603 규정되지 않은 부품이나 사용되지 않은제품

160303 유해성분이 함유된 무기성 폐기물160305 유해성분이 함유된 유기성 폐기물

160304 기타 무기성 폐기물160306 기타 유기성 폐기물

Page 26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52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604 폐폭파물질

160401 폐탄약160402 놀이 화약160403 기타 폐폭파물질

1605 용기에든 가스류와버려진 화학약품

160504 유해물질을 함유한 압력용기내 가스160506 실험실 혼합약품을 포함하여 유해성분이거나 또는 유해성분을함유한 실험실 약품160507 유해물질을 함유한 무기성 폐약품160508 유해물질을 함유한 유기성 폐약품

160505 기타 압력용기내 가스160509 기타 폐약품

1606 밧데리와 축전지

160601 납밧데리160602 니켈-카드뮴 밧데리160603 수은건전지160606 밧데리와 축전지에서 분리수집된 전해액

160604 알칼라인 배터리160605 기타 배터리 및 부품

1607 운반용탱크와 저장용 탱크세척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60708 기름성분을 함유한 폐기물160709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160799 기타 폐기물

1608 폐촉매 160806 촉매로 사용된폐액

160802 유해전이금속 또는 전이금속화합물을 함유한 폐촉매160805 인산을 함유한폐촉매160807 유해물질에 오염된 폐촉매

160801 금, 은, 레늄, 로듐, 팔라듐, 이리듐, 백금을 함유한 폐촉매160803 기타 전이금속 또는 전이금속화합물을 함유한 폐촉매160804 폐촉매액

1609 산화제 160901 과망간산160902 크롬산160903 과산화수소산160904 기타 산화제

1610 지정된장소에서만처리해야 하는 수용액

161001 유해물질을 함유한 수용액161003 유해물질을 함유한 농축액

161002 기타 수용액161004 기타 농축액

1611 폐라이닝과 절연제

161101 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탄소계 라이닝 및 절연체161103 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라이닝 및 절연체161105 비야금과정에서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라이닝 및 절연체

161102 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기타 탄소계 라이닝 및 절연체161104 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기타 라이닝 및절연체161106 비야금과정에서 배출되는 기타라이닝 및 절연체

17 건설및 철거폐 기 물( 도로철거 포함)

1701 콘크리트, 벽돌, 타일, 세라믹,석고가 기초가 된 재료

170106 유해물질을 함유한 콘크리트, 브럭, 타일,자기류 등의 혼합물 또는 분리물

170101 콘크리트170102 브럭170103 타일 및 도자기류170107 기타 콘크리트, 브럭, 터일, 자기류 등의 혼합물

1702 목재,유리, 합성수지

170204 유해물질을 함유하거나 오염되어 있는유리, 플라스틱, 목재

170201 목재170202 유리170203 플라스틱

1703 아스팔트 혼합체,코울타르, 타르 제품

170303 코울타르와 타르제품

170301 코울타르를 함유하고 있는 아스팔트 혼합체

170302 기타 아스팔트 혼합체

1704 금속 170409 유해물질이 함유된 금속폐기물

170401 구리, 청동, 놋쇠170402 알루미늄

Page 26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53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70410 기름, 코울타르,유해물질이 함유된 케이블

170403 납170404 아연170405 철 및 강170406 주석170407 금속혼합물170411 기타 케이블

1705 토, 석및 굴착토

170503 유해물질을 함유한 흙과 돌170505 유해물질을 함유한 준설토170507 유해물질을 함유한 자갈

170504 기타 흙과 돌170506 기타 준설토170508 기타 자갈

1706 절연재,석면함유 건설자재

170601 석면을 함유한절연재170603 유해물질로 구성되거나 유해물질이 함유된 기타 절연재170605 석면을 함유한건설자재

170604 기타 절연재

1708 건설용석고 자재

170801 유해물질로 오염되어 있는 석고 건설자재170901 수은을 함유한건설/해체 폐기물170902 PCB 함유 건설/해체 폐기물170903 유해물질함유건설/해체 폐기물

170802 기타 석고 건설자재1709 기타 건설 및 해체 폐기물170904 기타 건설/해체 혼합폐기물

18 의학또는 수의학적인처 리 와연구에서발생되는폐 기 물(직접적인 환자간호에서비롯되지않는 주방 및 식당폐기물은 제외)

1801 분만병동, 진단, 환자치료와 에방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80103 감염예방관점에서 수집 또는 처리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제기되는 기타 폐기물180108 세포독성 의약품180110 치아치료에서 발생한 수은

180106 유해물질을 함유한 화학제품

180101 샤프180102 혈액백과 혈액보존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 및 장기180104 감염예방관점에서 수집 또는 처리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제기되지 않는 기타 폐기물180107 기타 화학제품180109 기타 의약품

1802 연구,진단, 병든동물의 치료와 예방에서발생되는 폐기물

180202 감염예방 관점에서 수집 또는 처분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제기되는 기타 폐기물180207 세포독성 의약품

180205 유해물질을 함유한 화학제품

180201 샤프180203 감염예방 관점에서 수집 또는처분에 특별한 요구사항이 제기되지않는 기타 폐기물180206 기타 화학제품180208 기타 의약품

19 폐기물 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 시 설 ,공공급수시설에서발생되는폐기물

1901 생활폐기물과 상업,산업, 설비에서의 생활계폐기물의 소각 또는 열분해시 발생되는 폐기물

190105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여과케잌190106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수분을함유한 액상폐기물과 기타 수분함유 폐기물190107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고체폐기물190110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폐활성탄

190111 유해물질을 함유한 바닥재 및 슬래그190113 유해물질을 함유한 비산재190115 유해물질을 함유한 보일러 먼지190117 유해물질을 함유한 열분해 폐기물

190102 바닥재에서 제거된 금속물질190112 유해물질을 함유한 열분해폐기물190114 기타 비산재190116 기타 보일러 먼지190118 기타 열분해 폐기물190119 유동상 소각로에서 배출된 모래190199 기타 폐기물

1902 산업폐기물의 특수물리화학처리(크롬성분제거, 시안화물제거, 중화등)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0204 하나 이상의 유해폐기물을 포함한 혼합폐기물190207 분리기에서 배출된 기름 및 농축물질

190205 물리화학적 처리시설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190208 유해물질을 함유한 액상 가연물질190209 유해물질을 함유한 고상 가연물질190211 유해물질을 함유한 기타 폐기물

190203 비유해물질로만 구성된 혼합 폐기물190206 물리화학적 처리시설에서 배출된 기타 슬러지190210 기타 가연성 물질190299 기타 폐기물

1903 안정화/ 고 형 화 된폐기물

190304 안정화된 유해폐기물190306 고형화된 유해폐기물

190305 안정화된 기타 폐기물190307 고형화된 기타 폐기물

Page 26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54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904 유리화된 폐기물과유리화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190402 비산재와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발생되는 다른 폐기물190403 유리화되지 않은고체물질

190401 유리화 폐기물190404 폐기물 유리화공정에서 배출되는 액상 폐기물

1905 고형폐기물의 호기성처리시 배출되는 폐기물

190501 도시폐기물의 비퇴비화 성분190502 육류/채소류의 비퇴비화 성분190503 규정되지 않은 퇴비190599 기타 폐기물

1906 폐기물의 혐기성처리시 배출되는 폐기물

190603 도시폐기물의 혐기성처리시 배출되는 액상물질190604 도시폐기물의 혐기성처리시 배출되는 소화물질190605 육류/채소류의 혐기성처리시배출되는 액상물질190606 육류/채소류의 혐기성처리시배출되는 소화물질190699 기타 폐기물

1907 매립지침출수

190702 유해성분을 함유한 매립지 침출수

190703 기타 매립지 침출수

1908 폐수처리시설 등에서 발생되는폐기물

190806 포화되거나 사용된 이온교환수지190807 이온교환기의 재생공정에서 발생되는 용액과 슬러지190810 유수분리기에서배출된 기타 유지가 함유된 광유와 기름의 혼합물

190808 중금속을 함유한막처리 폐기물190811 생물학적 산업폐수처리로부터 배출되는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190813 기타 산업폐수처리로부터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

190801 스크린 협잡물190802 침사지 폐기물190805 도시하수처리 슬러지190809 유수분리기에서 배출된 식용 유지가 함유된 광유와 기름의 혼합물190812 생물학적 산업폐수처리로부터배출되는 기타 슬러지190814 기타 산업폐수처리로부터 배출되는 기타 슬러지190899 기타 폐기물

1909 생활용수와 산업용수 제조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190901 최초 여과지 및 스크린에서 배출되는 폐기물190902 정화조 슬러지190903 탈탄소공정 슬러지190904 소비된 활성탄소190905 포화되었거나 소비된 이온교환수지190906 이온교환수지 재생시 배출되는용액 및 슬러지190999 기타 폐기물

1910 소각로및 폐기물열분해시설에서 발생된폐기물

191003 유해물질함유 먼지 및 분진191005 유해물질을 함유한 다른 성분

191001 철 및 강 폐기물191002 비철금속191004 기타 먼지 및 분진191006 기타 다른 성분

1911 재생유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191101 소비된 여과 점토191102 산성 타르191103 용액성 폐기물191104 염기로 연료를정화할 때 발생하는 폐기물191107 배가스 정화시배출되는 폐기물

191105 배출수 현장처리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함유한 슬러지

191106 배출수 현장처리시 배출되는 기타 슬러지191199 기타 폐기물

1912 기계적인 폐기물처리 공정에서배출되는 폐기물

191206 유해물질이 함유된 목재191211 기계적 처리공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다른 폐기물

191201 종이 및 골판지191202 철금속191203 비철금속191204 플라스틱과 고무191205 유리191207 기타 목재191208 섬유191209 광물질191210 가연성 폐기물 - RDF191212 기계적 처리공정에서 배출되는기타 폐기물

Page 26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55 -

대/중분류waste entry

absolutely entry mirror entry general entry

1913 토양및 지하수복원시 발생되는 폐기물

191301 토양 및 지하수복원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폐기물191303 토양 복원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191305 지하수 복원시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슬러지191307 지하수 복원시배출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액상 폐기물

191302 토양 및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기타 폐기물191304 토양 복원시 배출되는 기타 슬러지191306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기타슬러지191308 지하수 복원시 배출되는 기타액상 폐기물

20 생활폐기물과생 활 계 ,상업 및산업폐기물 그리고 시설에서 발생 되 는폐기물의분리수거된 항목

2001 분리수거된 항목

200113 용매200114 산용액200115 알카리용액200117 사진화학약품200119 살충제200121 형광등과 기타수은을 함유한 폐기물200126 유해물질을 함유한 세척제200131 세포독성 의약품200133 분리배출되지 않은 배터리와 축전지

200123 염화불화탄소를함유한 장비200127 유해물질을 함유한 페인트, 잉크, 접착제및 수지200129 유해물질을 함유한 세제200135 유해물질이 함유된 폐가전200137 위험물을 함유한목재

200101 종이 및 골판지200102 유리200108 분해가능한 부엌 및 음식물 폐기물200110 의복200111 섬유200125 기름 및 지방200128 유해성분을 함유한 폐기된 장비200130 납, 니카드, 수은 배터리를 함유한 혼합 배터리200132 기타 의약품200134 기타 배터리와 축전지200136 기타 폐가전200138 기타 목재200139 플라스틱200140 금속200141 굴뚝 청소 폐기물200199 기타 폐기물

2002 정원및 공원 폐기물

200201 생분해성 폐기물200202 토양 및 돌200203 기타 비생분해성 폐기물

2003 기타도시폐기물

200301 혼합 도시폐기물200302 시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200303 도로청소물200304 정화조폐액200306 하수정화 폐기물200307 대형 폐기물200399 기타 도시폐기물

Page 26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56 -

<부록 Ⅲ> 1. 무기물질 용출 분석 결과 (mg/L)

Code규제항목 미규제항목

Cu Pb Cd TCr Cr+6 CN Hg As Ni Zn Ba Be Sb Se V F

1 1 3 01 0.100 0.070 ND ND ND 0.040 0.210 ND 0.060 0.640 0.130 ND ND ND ND 5.620

1 1 5 01 ND ND ND ND ND 0.432 0.054 ND ND 0.022 ND ND ND ND ND 4.223

1 2 1 01

1 2 2 01

1 2 3 02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0.310 ND ND ND ND 2.270

1 2 4 01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0.030 0.040 ND ND ND ND 2.530

1 2 5 02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050

1 3 1 02

1 3 2 02

1 3 3 03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310

1 3 5 03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6.570

1 4 1 03

1 4 2 03

1 4 4 02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0.110 ND ND ND ND ND 5.150

1 4 5 04 ND ND ND ND ND 0.040 ND ND 0.270 0.250 ND ND ND ND ND 3.560

1 5 1 04

1 5 1 05

1 5 1 06

1 5 4 03 ND ND ND ND ND 0.260 ND ND ND 0.390 ND ND ND ND ND 6.750

1 6 4 04 ND ND ND ND ND 0.080 ND ND ND 0.060 ND ND ND ND ND 3.740

1 7 5 05 ND ND ND ND ND 0.050 ND ND ND 0.030 0.120 ND ND ND ND 6.190

1 7 5 06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6.960

1 8 1 07

1 8 3 04 ND ND ND 0.003 ND 0.230 ND ND 0.015 0.003 ND ND ND ND ND 0.200

1 8 5 07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0.030 0.040 ND ND ND ND 2.900

1 9 1 08

1 9 5 08 ND ND ND ND ND 0.052 ND ND ND ND ND ND ND ND ND 7.230

1 9 5 09 ND ND ND ND ND 0.100 ND ND 0.210 ND 0.070 ND ND ND ND 8.290

1 9 5 10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0.364 0.061 ND ND ND ND 2.313

2 1 1 01

2 1 4 01 ND ND ND ND ND 0.140 ND ND ND 0.200 ND ND ND ND ND 5.270

2 1 5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70 0.250 ND ND ND ND 4.200

2 1 7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0.610 ND ND ND ND ND 5.190

2 2 1 02

2 2 1 03

2 2 2 01

2 2 2 02

2 2 4 02 0.150 ND ND 3.160 ND ND ND ND ND 0.940 0.160 ND ND 6.820 ND 6.250

2 2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0.300 0.040 ND ND ND ND ND 5.740

2 2 7 02 2.920 ND ND 0.690 ND ND ND 4.560 439.6 10.90 ND ND ND ND 135.2 2.720

2 3 1 04

2 3 5 03 ND ND ND ND ND 0.300 ND ND 0.160 0.080 ND ND ND ND ND 1.100

2 3 7 03 ND 0.040 ND 0.070 ND ND ND ND ND 0.680 0.110 ND ND ND ND 3.240

2 3 7 04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3.450 ND ND ND ND ND 2.830

2 4 4 03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2.840 ND ND ND ND ND 2810

2 5 4 04 1.100 1.270 ND 0.190 ND 0.060 ND 0.220 ND 6.870 ND ND 0.140 ND ND 4.960

2 6 4 05 ND ND ND ND ND 0.010 ND ND 0.11 0.250 ND ND ND ND ND 4.460

2 6 7 05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2.490 ND ND ND ND ND 1.990

2 7 1 05

2 7 1 06

Page 26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57 -

Code규제항목 미규제항목

Cu Pb Cd TCr Cr+6 CN Hg As Ni Zn Ba Be Sb Se V F

2 7 1 07

2 7 2 03

2 7 4 06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0.220 ND ND ND ND ND 3.230

2 7 5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2.290 ND ND ND ND ND 4.840

2 7 7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4.140

2 7 7 07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3.330

2 7 8 01

2 8 1 08

2 8 2 04

2 8 4 07 0.170 ND ND ND ND 0.030 ND ND ND 0.840 ND ND ND ND ND 0.300

2 8 5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8 7 08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9 1 09

2 9 2 05

2 9 2 06

2 9 5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40 0.081 ND ND ND ND 0.121

2 9 7 09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ND 1.140

2 10 1 10

2 10 2 07

2 10 4 08 ND ND ND ND ND ND ND ND ND 0.350 ND ND 0.130 ND ND 5.620

2 10 4 09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220

2 11 1 11

2 11 1 12

2 11 2 08

2 11 3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0.620 ND ND 10.94 ND ND 4.740

2 11 4 10 3.730 2.130 ND 0.040 ND 0.080 ND ND ND 3.900 ND ND 0.080 ND ND 6.340

2 11 5 07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450

2 11 7 10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2.000

2 12 4 11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0.190 ND ND ND ND ND 2.730

3 1 1 01

3 1 2 01

3 1 3 01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300

3 1 4 01 ND ND ND ND ND 0.270 ND ND ND ND 0.090 ND ND ND ND 5.640

3 1 5 01 ND ND ND ND ND 0.080 ND ND 0.120 ND 0.140 ND ND ND ND 8.340

3 2 1 02

3 2 4 02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0.280 0.100 ND ND ND ND 2.500

3 2 4 03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1.150 ND ND ND ND ND 1.760

3 2 4 04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0.650 ND ND ND ND ND 1.690

3 2 5 02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0.220 ND ND ND ND 2.210

3 3 1 03

3 3 2 02

3 3 4 05 ND ND ND ND ND 0.220 ND ND ND ND 0.220 ND ND ND ND 2.710

3 3 5 03 0.135 ND ND 0.086 ND 0.052 ND ND ND 0.018 0.012 ND ND ND ND 0.488

3 4 1 04

3 4 2 03

3 4 4 06 ND ND ND ND ND 0.010 ND ND 0.740 0.060 ND ND ND ND 0.120 2.610

3 4 5 04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920

3 5 1 05

3 5 3 02 0.070 0.250 ND 0.040 ND 2.140 ND ND ND 0.890 0.050 ND ND ND ND 8.450

3 5 5 05 0.050 0.060 ND 0.030 ND 0.020 ND ND ND 0.230 0.060 ND ND ND ND 7.200

Page 26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58 -

Code규제항목 미규제항목

Cu Pb Cd TCr Cr+6 CN Hg As Ni Zn Ba Be Sb Se V F

3 6 1 06

3 6 3 03 0.003 0.026 ND 0.004 ND 0.019 ND ND ND 0.081 0.005 ND ND ND ND 3.160

3 7 1 07

3 7 2 04

3 7 3 04 ND ND ND ND ND 0.054 ND ND ND 0.018 ND ND ND ND ND 0.359

3 7 3 05 ND 0.042 ND 0.020 ND 0.049 ND ND ND 0.008 0.002 ND ND ND ND 0.288

3 7 3 06 ND ND ND 1.220 ND 0.270 ND ND ND 1.360 ND ND ND 0.06 ND 123.0

3 7 5 06 ND ND ND ND ND 0.06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0.428

3 8 3 07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0.060 ND ND ND ND ND 4.960

4 1 1 01

4 1 2 01

4 1 4 01 ND ND ND ND ND 0.180 ND 0.120 ND 0.370 ND ND ND ND ND 5.510

4 1 6 01 ND ND ND ND ND 1.400 ND ND ND ND ND ND ND ND ND 2.380

4 1 6 02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6.680

4 2 1 02

4 2 2 02

5 1 1 01

5 1 1 02

5 1 1 03

5 1 1 04

5 1 5 01 ND ND ND ND ND 0.1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6.170

5 2 1 05

5 2 3 01 ND ND ND ND ND 0.090 ND ND ND 0.250 0.100 ND ND ND ND 6.870

5 2 5 02 ND ND ND ND ND 0.011 ND ND ND ND 0.111 ND ND ND ND 10.023

5 2 6 01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0.030 ND ND ND 0.060 ND 9.420

5 3 1 06

5 3 2 01

5 3 5 03 ND ND ND ND ND 0.180 ND ND ND 0.040 0.060 ND ND ND ND 5.290

5 4 1 07

5 4 2 02

5 4 2 03

5 4 4 01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0.810 ND ND ND ND ND 6.250

5 4 6 02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0.060 ND ND ND ND ND 5.400

5 4 6 03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3.340 0.170 ND ND 0.070 ND 10.19

5 5 1 08

5 5 2 04

5 5 5 04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0.100 ND ND ND ND 4.860

5 6 1 09

5 6 4 02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0.320 ND ND ND ND ND 12.00

5 6 5 05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ND 0.140 ND ND ND ND 8.710

5 6 6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8.880

5 7 1 10

5 7 4 03 0.270 ND ND ND ND 0.220 ND ND ND 0.160 ND ND ND 0.240 0.340 19.13

5 7 5 06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4.920

5 8 1 11

5 8 2 05

5 8 4 04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0.240 ND 6.150

5 8 4 05 0.280 0.080 ND 0.190 ND 0.020 ND ND 0.120 2.060 0.180 ND ND ND ND 4.650

5 9 1 12

5 9 5 07 0.050 ND ND ND ND 0.010 ND ND ND 0.070 ND ND ND ND ND 7.140

Page 26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59 -

Code규제항목 미규제항목

Cu Pb Cd TCr Cr+6 CN Hg As Ni Zn Ba Be Sb Se V F

5 10 6 05 0.150 ND ND ND ND 0.050 ND ND ND 0.540 0.220 ND 0.080 ND ND 30.00

6 1 1 01

6 1 2 01

6 1 3 01 0.060 ND ND ND ND 0.010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4.910

6 1 4 01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ND 0.020 ND 0.080 ND ND 9.500

6 1 5 01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0.290 0.020 ND ND ND ND 9.760

6 2 2 02

6 3 1 02

6 3 2 03

6 3 5 02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0.040 0.130 ND ND ND ND 6.610

6 4 1 03

6 4 1 04

6 4 1 05

6 4 1 06

6 4 3 02 0.030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11.78

6 4 5 03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0.350 ND ND ND ND ND 9.450

6 5 1 07

6 5 2 04

6 5 2 05

6 5 3 03

6 5 5 04 0.070 ND ND ND ND 0.010 ND ND 0.100 1.030 ND ND ND ND ND 7.930

6 6 1 08

6 6 5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610

6 7 1 09

6 8 1 10

6 8 3 04

6 8 3 05 ND ND ND ND ND 0.1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960

6 8 5 06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ND ND ND ND ND ND 6.800

7 1 2 01

7 1 3 01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5.110

7 2 1 01

7 2 2 02

7 2 5 01 ND ND ND ND ND 0.060 ND ND ND 0.050 0.800 ND ND ND ND 7.650

7 3 2 03

7 4 2 04

7 4 4 01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0.060 ND ND ND ND ND 10.05

7 5 1 02

7 5 3 02

7 5 3 03

7 5 4 02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0.250 0.070 ND ND ND ND 11.08

7 6 1 03

7 6 2 05

7 6 2 06

7 7 1 04

7 7 1 05

7 7 3 04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0.830 ND ND ND ND ND 8.130

7 8 1 06

7 8 2 07

7 8 2 08

7 8 5 02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4.65

Page 26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60 -

<부록 Ⅲ> 2. 무기물질 함량 분석 결과 (mg/kg)

Code규제항목 미규제항목

Cu Pb Cd TCr Cr+6 CN Hg As Ni Zn Ba Be Sb Se V F

1 1 3 01 3.000 5.000 ND 16.00 ND 25.00 ND ND ND 11.00 ND ND ND ND ND 471.0

1 1 5 01 86.00 ND ND 25.00 ND 22.00 336.0 ND 215.0 705.0 13.00 ND ND ND ND 311.0

1 2 1 01 8.960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8.850

1 2 2 01 4.910 ND ND ND ND 1.390 ND ND ND ND ND ND ND ND ND 8.470

1 2 3 02 4.000 3.000 ND 2.000 ND 3.000 ND ND 3.000 2.000 1019 ND ND ND ND 304.0

1 2 4 01 3.000 3.000 ND 4.000 ND 9.000 ND ND ND 26.00 2.000 ND ND ND ND 270.0

1 2 5 02 122.0 ND ND 21.00 ND 15.00 ND ND 20.00 161.0 15.00 ND ND ND 162.0 420.0

1 3 1 02 3.050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1.19

1 3 2 02 2.220 ND ND ND ND 0.1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2.19

1 3 3 03 3.000 ND ND ND ND 16.00 ND ND ND 13.00 7.000 ND ND ND ND 405.0

1 3 5 03 53.00 ND ND 15.00 ND 39.00 ND ND 22.00 124.0 18.00 ND ND ND 59.00 393.0

1 4 1 03 1.610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6.560

1 4 2 03 1.490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1.34

1 4 4 02 6.000 ND ND 12.00 ND 4.000 ND ND 7.000 39.00 7.000 ND ND ND ND 408.0

1 4 5 04 145.0 9.000 ND 23.00 ND 16.00 ND ND 19.00 158.0 9.000 ND 32.00 ND 17.00 250.0

1 5 1 04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1.69

1 5 1 05 ND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0.43

1 5 1 06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0.16

1 5 4 03 6.000 5.000 ND 2.000 ND 8.000 ND ND ND 36.00 2.000 ND ND ND ND 286.0

1 6 4 04 3.000 13.00 ND 4.000 ND 65.00 ND ND ND 23.00 ND ND ND ND ND 266.0

1 7 5 05 238.0 38.00 ND 78.00 ND 23.00 ND 5.000 729.0 3548 50.00 ND ND ND 318.0 668.0

1 7 5 06 17.00 3.000 ND 14.00 ND 32.00 ND ND 10.00 142.0 2.000 ND ND ND 49.00 621.0

1 8 1 07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7.80

1 8 3 04 ND ND ND 3.000 ND 230.0 ND ND 15.00 3.000 ND ND ND ND ND 200.0

1 8 5 07 27.00 6.000 ND 71.00 ND 5.000 ND 6.000 2160 78.00 ND ND ND ND ND 491.0

1 9 1 08 2.930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5.59

1 9 5 08 10.00 3.000 ND ND ND 17.00 ND 9.000 3.000 20.00 9.000 ND ND ND ND 563.0

1 9 5 09 78.00 34.00 ND 14.00 ND 18.00 ND 7.000 41.00 917.0 50.00 ND ND ND 55.00 297.0

1 9 5 10 39.00 21.00 ND 7.000 ND 45.00 ND 7.000 31.00 489.0 29.00 ND ND ND 20.00 365.0

2 1 1 01 1.470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8.400

2 1 4 01 29.00 7.000 ND 739.0 ND 9.000 ND ND 8.000 134.0 12.00 ND 14.00 ND ND 456.0

2 1 5 01 451.0 240.0 ND 58.00 ND 10.00 ND ND 10.00 3455 134.0 ND ND ND ND 590.0

2 1 7 01 ND 3.000 ND ND ND 140.0 13.00 ND ND 6143 6.000 ND ND ND ND 272.0

2 2 1 02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1.79

2 2 1 03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9.160

2 2 2 01 ND ND ND ND ND 0.46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4.96

2 2 2 02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2.57

2 2 4 02 5.000 ND ND ND ND 8.000 ND ND 3.000 6.000 5.000 ND ND ND ND 391.0

2 2 5 02 19.00 5.000 ND 53.00 ND 11.00 ND ND 4.000 325.0 16.00 ND ND ND 24.00 389.0

2 2 7 02 70.00 17.00 ND 19.00 ND 1.000 26.00 125.0 19730 291.0 4.000 ND ND ND 3571 280.0

2 3 1 04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9.640

2 3 5 03 99.00 107.0 ND 49.00 ND 55.00 ND ND 64.00 3041 19.00 ND ND ND 61.00 528.0

2 3 7 03 42.00 112.0 5.000 3.000 ND 2.000 ND ND ND 16720 18.00 ND 10.00 ND ND 482.0

2 3 7 04 4.000 5.000 ND ND ND 484.0 ND ND ND 7204 11.00 ND ND ND ND 257.0

2 4 4 03 58.00 60.00 ND 16.00 ND 9.000 ND ND 5.000 660.0 51.00 ND ND ND ND 249.0

2 5 4 04 16.00 58.00 ND 4.000 ND 17.00 ND ND ND 90.00 13.00 ND ND ND ND 265.0

2 6 4 05 27.00 41.00 ND 9.000 ND 128.0 ND ND ND 118.0 8.000 ND ND ND ND 201.0

2 6 7 05 20.00 9.000 ND ND ND 1027 ND ND 4.000 11360 14.00 ND ND ND ND 214.0

2 7 1 05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36.87 ND ND ND ND ND 7.930

2 7 1 06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4.170 ND ND ND ND ND 13.18

Page 27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61 -

Code규제항목 미규제항목

Cu Pb Cd TCr Cr+6 CN Hg As Ni Zn Ba Be Sb Se V F

2 7 1 07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3.88

2 7 2 03 3.910 ND ND ND ND 0.440 ND ND ND 86.66 ND ND ND ND ND 11.61

2 7 4 06 17.00 9.000 ND 6.000 ND 16.00 10.00 ND ND 346.0 38.00 ND ND ND ND 203.0

2 7 5 04 54.00 13.00 ND 89.00 ND 7.000 ND ND 46.00 11080 59.00 ND ND ND ND 280.0

2 7 7 06 ND 3.000 ND ND ND 518.0 ND ND ND 10290 2.000 ND ND ND ND 206.0

2 7 7 07 ND 3.000 ND ND ND 9.000 ND ND ND 2513 ND ND ND ND ND 270.0

2 7 8 01 2.170 ND ND ND ND 0.310 ND ND 4.830 91.70 ND ND ND ND ND 12.41

2 8 1 08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7.900

2 8 2 04 1.740 ND ND ND ND 6.180 ND ND ND ND ND ND ND ND ND 7.990

2 8 4 07 85.00 18.00 ND 20.00 ND 23.00 ND ND 12.00 140.0 16.00 ND ND 6.000 ND 248.0

2 8 5 05 49.00 ND ND 46.00 ND 3.000 ND ND 21.00 92.00 4.000 ND ND ND ND 271.0

2 8 7 08 ND ND ND 8.000 ND 98.00 ND ND ND 4.000 16.00 ND ND ND ND 642.0

2 9 1 09 1.940 ND ND ND ND 0.11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0.95

2 9 2 05 2.220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9 2 06 1.780 ND ND ND ND 0.2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0.86

2 9 5 06 133.0 12.00 ND 138.0 ND 13.00 ND ND 117.0 251.0 6.000 ND 15.00 ND ND 267.0

2 9 7 09 4.000 4.000 ND ND ND 38.00 ND ND ND 10.00 ND ND ND ND ND 218.0

2 10 1 10 2.850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8.830

2 10 2 07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9.150

2 10 4 08 ND ND ND ND ND 3.000 ND ND ND 8.000 ND ND 8.000 ND ND 238.0

2 10 4 09 99.00 23.00 ND 26.00 ND 2.000 ND ND 4.000 207.0 98.00 ND 85.00 ND ND 245.0

2 11 1 11 1.420 ND ND ND ND 0.3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9.280

2 11 1 12 2.960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2.73

2 11 2 08 1.920 ND ND ND ND 0.1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0.81

2 11 3 01 ND ND ND 3.000 ND 11.00 ND ND ND 7.000 ND ND 113.0 ND ND 247.0

2 11 4 10 685.0 393.0 ND 99.00 ND 6.000 ND ND 16.00 450.0 343.0 ND ND ND ND 256.0

2 11 5 07 22.00 5.000 ND 3.000 ND 18.00 ND ND 4.000 149.0 15.00 ND ND ND ND 371.0

2 11 7 10 ND ND ND ND ND 1.000 ND ND ND 3.000 ND ND 10.00 ND ND 285.0

2 12 4 11 6.000 3.000 ND 2951 ND 278.0 ND ND ND 35.00 4.000 ND 30.00 ND ND 225.0

3 1 1 01 2.180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10.38

3 1 2 01 ND ND ND ND ND 0.1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7.360

3 1 3 01 ND ND ND ND ND 6.000 ND ND ND 4.000 ND ND ND ND ND 297.0

3 1 4 01 2.000 ND ND ND ND 1.000 ND ND ND 11.00 79.00 ND ND ND ND 484.0

3 1 5 01 27.00 ND ND 35.00 ND 2.000 ND ND 167.0 115.0 12.00 ND ND ND 431.0 20350

3 2 1 02 ND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240

3 2 4 02 20.00 ND ND 40.00 ND 18.00 ND ND 13.00 55.00 326.0 ND ND ND ND 346.0

3 2 4 03 7.000 197.0 ND 87.00 ND 42.00 ND ND ND 67.00 29.00 ND ND ND ND 474.0

3 2 4 04 6.000 79.00 ND 56.00 ND 49.00 ND ND ND 78.00 23.00 ND ND ND ND 421.0

3 2 5 02 25.00 28.00 ND 11.00 ND 14.00 ND ND ND 53.00 737.0 ND ND ND ND 243.0

3 3 1 03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910

3 3 2 02 ND ND ND ND ND 1.9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370

3 3 4 05 12.00 ND ND ND ND 3.000 ND ND 4.000 26.00 8.000 ND ND ND ND 265.0

3 3 5 03 135.0 ND ND 86.00 ND 52.00 ND ND ND 18.00 12.00 ND ND ND ND 488.0

3 4 1 04 ND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940

3 4 2 03 2.660 27.70 ND ND ND 0.3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300

3 4 4 06 ND ND ND ND ND 4.000 ND ND ND 7.000 ND ND 13.00 ND ND 521.0

3 4 5 04 4.000 ND ND 2.000 ND 6.000 ND ND ND 22.00 10.00 ND ND ND ND 557.0

3 5 1 05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770

3 5 3 02 3.000 26.00 ND 4.000 ND 19.00 ND ND ND 81.00 5.000 ND ND ND ND 316.0

3 5 5 05 2769 1808 ND 935.0 ND ND ND ND 27.00 481.0 175.0 ND 10.00 ND ND 309.0

Page 27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62 -

Code규제항목 미규제항목

Cu Pb Cd TCr Cr+6 CN Hg As Ni Zn Ba Be Sb Se V F

3 6 1 06 91.02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790

3 6 3 03 3.000 26.00 ND 4.000 ND 19.00 ND ND ND 81.00 5.000 ND ND ND ND 316.0

3 7 1 07 1.470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450

3 7 2 04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750

3 7 3 04 ND ND ND ND ND 54.00 ND ND ND 18.00 ND ND ND ND ND 359.0

3 7 3 05 ND 42.00 ND 2.000 ND 49.00 ND ND ND 8.000 2.000 ND ND ND ND 288.0

3 7 3 06 2820 1461 ND 331.0 ND 9.000 ND ND 3.000 3489 546.0 ND ND ND ND 443.0

3 7 5 06 5.000 3.000 ND 2.000 ND 45.00 ND ND ND 174.0 61.00 ND ND ND ND 491.0

3 8 3 07 ND ND ND ND ND 4.000 ND ND ND 132.0 ND ND ND ND ND 252.0

4 1 1 01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560

4 1 2 01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870

4 1 4 01 ND 3.000 ND ND ND 19.00 ND 6.000 ND 9.000 ND ND ND ND ND 199.0

4 1 6 01 7.000 ND ND ND ND 4.000 ND ND ND 6.000 81.00 ND ND ND ND 418.0

4 1 6 02 ND 2.000 ND ND ND 4.000 ND ND ND 3.000 ND ND ND ND ND 614.0

4 2 1 02 ND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420

4 2 2 02 ND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530

5 1 1 01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520

5 1 1 02 ND ND ND ND ND 0.06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310

5 1 1 03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220

5 1 1 04 2.750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300

5 1 5 01 7.000 3.000 ND 3.000 ND 36.00 ND ND 2.000 21.00 8.000 ND ND ND ND 377.0

5 2 1 05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470

5 2 3 01 3.000 ND ND ND ND 6.000 ND ND ND 8.000 4.000 ND ND ND ND 411.0

5 2 5 02 40.00 10.00 ND 21.00 ND 14.00 ND ND 8.000 110.0 18.00 ND ND ND ND 353.0

5 2 6 01 ND ND ND ND ND 53.00 ND ND ND 6.000 3.000 ND ND ND ND 372.0

5 3 1 06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380

5 3 2 01 ND ND ND ND ND 0.030 ND ND 7.820 88.12 ND ND ND ND ND 6.140

5 3 5 03 78.00 6.000 ND 8.000 ND 28.00 ND ND 4.000 116.0 8.000 ND ND ND ND 391.0

5 4 1 07 ND ND ND ND ND 0.18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080

5 4 2 02 ND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310

5 4 2 03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930

5 4 4 01 ND ND ND ND ND 15.00 ND ND ND 10.00 ND ND ND ND ND 313.0

5 4 6 02 3.000 ND ND ND ND 5.000 ND ND ND 8.000 ND ND ND ND ND 278.0

5 4 6 03 ND ND ND ND ND 13.00 ND ND ND 80.00 3.000 ND ND ND ND 414.0

5 5 1 08 ND ND ND ND ND 1.6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220

5 5 2 04 ND ND ND ND ND 0.07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730

5 5 5 04 ND 3.000 ND 5.000 ND 24.00 ND ND ND 38.00 3.000 ND ND ND ND 419.0

5 6 1 09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480

5 6 4 02 49.00 22.00 ND 244.0 ND 8.000 ND ND 144.0 187.0 5.000 ND ND ND ND 334.0

5 6 5 05 44.00 5.000 ND 3.000 ND 24.00 ND ND ND 320.0 15.00 ND ND ND ND 386.0

5 6 6 04 17.00 ND ND 45.00 ND 4.000 ND ND 6.000 11.00 4.000 ND ND ND 13.00 228.0

5 7 1 10 2.440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180

5 7 4 03 16.00 2.000 ND ND ND 210.0 ND ND ND 8.000 4.000 ND ND ND 18.00 283.0

5 7 5 06 40.00 12.00 ND ND ND 28.00 ND ND ND 250.0 7.000 ND ND ND ND 311.0

5 8 1 11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390

5 8 2 05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880

5 8 4 04 46.00 4.000 ND 11.00 ND 28.00 ND ND 8.000 17.00 7.000 ND ND ND ND 312.5

5 8 4 05 21.00 5.000 ND 50.00 ND 17.00 ND ND 24.00 40.00 6.000 ND ND ND ND 283.0

5 9 1 12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6.310

5 9 5 07 99.00 12.00 ND 21.00 ND 40.00 ND ND 7.000 103.0 13.00 ND ND ND ND 353.0

Page 27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63 -

Code규제항목 미규제항목

Cu Pb Cd TCr Cr+6 CN Hg As Ni Zn Ba Be Sb Se V F

5 10 6 05 4.000 ND ND ND ND 238.0 ND ND ND 15.00 4.000 ND ND ND ND 3215

6 1 1 01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5.030

6 1 2 01 ND ND ND ND ND 0.300 ND ND ND ND ND ND ND ND ND 2.850

6 1 3 01 ND 3.000 ND ND ND 78.00 ND ND ND 6.000 ND ND ND ND ND 488.0

6 1 4 01 ND ND ND ND ND 52.00 ND ND ND 3.000 ND ND ND ND ND 477.0

6 1 5 01 29.00 9.000 ND 6.000 ND 72.00 ND ND 4.000 902.0 5.000 ND ND ND ND 336.0

6 2 2 02 ND ND ND ND ND 0.08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610

6 3 1 02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320

6 3 2 03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330

6 3 5 02 44.00 14.00 ND 7.000 ND 12.00 ND ND 5.000 642.0 3.000 ND ND ND ND 362.0

6 4 1 03 ND ND ND ND ND 0.0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780

6 4 1 04 2.640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780

6 4 1 05 1.540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900

6 4 1 06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7.020 ND ND ND ND ND 4.260

6 4 3 02 8.000 3.000 ND 3.000 ND 43.00 ND ND 3.000 2296 11.00 ND ND ND ND 545.0

6 4 5 03 4.000 ND ND 2.000 ND 7.400 ND ND ND 10.00 13.00 ND ND ND ND 733.0

6 5 1 07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370

6 5 2 04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860

6 5 2 05 ND ND ND ND ND 0.09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680

6 5 3 03 ND ND ND ND ND 0.09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490

6 5 5 04 17.00 8.000 ND 33.00 ND 18.00 ND ND 6.000 35.00 ND ND ND ND ND 235.0

6 6 1 08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770

6 6 5 05 4.000 ND ND ND ND 26.00 ND ND ND 27.00 5.000 ND ND ND ND 325.0

6 7 1 09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830

6 8 1 10 ND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670

6 8 3 04 7.380 ND ND ND ND 0.03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690

6 8 3 05 9.000 ND ND ND ND 5.000 ND ND 4.000 14.00 35.00 ND ND ND ND 313.0

6 8 5 06 8.000 5.000 ND 2.000 ND 16.00 ND ND ND 30.00 4.000 ND ND ND ND 318.0

7 1 2 01 3.110 ND ND ND ND 0.150 ND ND ND ND ND ND ND 8.860 ND 4.250

7 1 3 01 290.0 109.0 ND 76.00 ND 4.000 ND ND 854.0 21690 29.00 ND ND ND 12.00 320.0

7 2 1 01 1.400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760

7 2 2 02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500

7 2 5 01 40.00 13.00 ND 95.00 ND 248.0 ND ND 3.000 392.0 65.00 ND ND ND ND 287.0

7 3 2 03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760

7 4 2 04 ND ND ND ND ND 0.1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2.520

7 4 4 01 165.0 14.00 ND 73.00 ND 14.00 ND ND 415.0 595.0 15.00 ND 7.000 ND ND 252.0

7 5 1 02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340

7 5 3 02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0.280 ND ND ND ND ND 5.910

7 5 3 03 0.590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400

7 5 4 02 5.000 14.00 ND ND ND 8.000 ND ND ND 42.00 149.0 ND ND ND ND 242.0

7 6 1 03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2.990

7 6 2 05 2.060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560

7 6 2 06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480

7 7 1 04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120

7 7 1 05 ND ND ND ND ND 0.02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890

7 7 3 04 11.00 9.000 ND 129.0 ND 19.00 ND ND 75.00 212.0 3.000 ND ND ND ND 589.0

7 8 1 06 ND ND ND ND ND 0.04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720

7 8 2 07 ND ND ND ND ND 0.460 ND ND ND ND ND ND ND ND ND 3.810

7 8 2 08 ND ND ND ND ND 0.010 ND ND ND ND ND ND ND ND ND 4.890

7 8 5 02 36.00 19.00 ND 13.00 ND 13.00 ND ND 5.000 206.0 20.00 ND ND ND ND 1045

Page 273: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64 -

<부록 Ⅲ> 3. 유기물질 용출 분석 결과 (mg/kg, %-oil)

Code규제항목

Oil TCE TeCE org-P

1 1 3 01 8.702 ND ND ND

1 1 5 01 0.031 ND ND ND

1 2 1 01 0.003 ND ND ND

1 2 2 01 50.909 ND ND 0.0524

1 2 3 02 4.271 ND ND ND

1 2 4 01 0.468 ND ND ND

1 2 5 02 0.003 ND ND ND

1 3 1 02 0.002 ND ND ND

1 3 2 02 0.279 ND ND ND

1 3 3 03 6.114 ND ND ND

1 3 5 03 0.005 ND ND ND

1 4 1 03 0.005 ND ND ND

1 4 2 03 0.003 ND ND 0.0175

1 4 4 02 0.004 ND ND ND

1 4 5 04 0.005 ND ND ND

1 5 1 04 0.003 ND ND ND

1 5 1 05 0.003 ND ND ND

1 5 1 06 0.003 ND ND ND

1 5 4 03 0.032 ND ND ND

1 6 4 04 0.033 ND ND ND

1 7 5 05 0.036 ND ND 0.0361

1 7 5 06 0.170 ND ND ND

1 8 1 07 0.003 ND ND ND

1 8 3 04 0.793 ND ND ND

1 8 5 07 ND ND ND ND

1 9 1 08 0.432 ND ND ND

1 9 5 08 0.005 ND ND ND

1 9 5 09 0.011 ND ND ND

1 9 5 10 0.005 ND ND ND

2 1 1 01 ND ND ND ND

2 1 4 01 0.014 ND ND ND

2 1 5 01 0.002 ND ND ND

2 1 7 01 0.003 ND ND ND

2 2 1 02 ND ND ND ND

2 2 1 03 0.031 ND ND ND

2 2 2 01 8.197 ND ND ND

2 2 2 02 27.049 ND ND ND

2 2 4 02 0.006 ND ND ND

2 2 5 02 0.003 ND ND ND

2 2 7 02 ND ND ND ND

2 3 1 04 0.002 ND ND ND

2 3 5 03 ND ND ND ND

2 3 7 03 0.014 ND ND ND

2 3 7 04 0.002 ND ND ND

2 4 4 03 ND ND ND ND

2 5 4 04 0.004 ND ND ND

2 6 4 05 0.029 ND ND ND

2 6 7 05 0.009 ND ND ND

2 7 1 05 ND ND ND ND

2 7 1 06 0.014 ND ND ND

Code규제항목

Oil TCE TeCE org-P

2 7 1 07 0.002 ND ND ND

2 7 2 03 0.018 ND ND ND

2 7 4 06 0.087 ND ND ND

2 7 5 04 0.021 ND ND ND

2 7 7 06 0.006 ND ND ND

2 7 7 07 0.005 ND ND ND

2 7 8 01 0.840 0.0230 0.0020 ND

2 8 1 08 0.003 ND ND ND

2 8 2 04 1.540 ND ND ND

2 8 4 07 0.191 ND ND ND

2 8 5 05 0.009 ND ND ND

2 8 7 08 0.009 ND ND ND

2 9 1 09 0.004 ND ND ND

2 9 2 05 4.238 0.0100 0.0080 ND

2 9 2 06 0.005 ND ND ND

2 9 5 06 0.009 ND ND ND

2 9 7 09 0.012 ND ND ND

2 10 1 10 0.008 ND 0.0020 ND

2 10 2 07 0.009 ND 0.0040 ND

2 10 4 08 0.005 ND ND ND

2 10 4 09 0.010 ND ND ND

2 11 1 11 0.004 ND ND ND

2 11 1 12 0.005 ND ND ND

2 11 2 08 0.355 ND ND ND

2 11 3 01 9.976 ND ND ND

2 11 4 10 0.030 ND ND ND

2 11 5 07 0.005 ND ND ND

2 11 7 10 0.008 ND ND ND

2 12 4 11 0.005 ND ND 0.0538

3 1 1 01 0.059 ND ND ND

3 1 2 01 1.782 ND 0.0083 ND

3 1 3 01 0.014 ND ND ND

3 1 4 01 0.002 ND ND ND

3 1 5 01 0.007 ND ND ND

3 2 1 02 0.017 ND ND ND

3 2 4 02 0.015 ND ND ND

3 2 4 03 0.020 ND ND ND

3 2 4 04 7.674 ND ND ND

3 2 5 02 0.010 ND ND ND

3 3 1 03 0.002 ND ND ND

3 3 2 02 59.148 ND ND ND

3 3 4 05 0.002 ND ND ND

3 3 5 03 0.002 ND ND ND

3 4 1 04 0.044 ND ND ND

3 4 2 03 50.754 0.3520 10.1250 0.0074

3 4 4 06 0.003 ND ND ND

3 4 5 04 0.006 ND ND ND

3 5 1 05 0.006 ND ND ND

3 5 3 02 ND ND ND ND

3 5 5 05 0.013 ND ND ND

Page 274: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65 -

Code규제항목

Oil TCE TeCE org-P

3 6 1 06 3.630 ND ND ND

3 6 3 03 ND ND ND ND

3 7 1 07 0.008 ND ND ND

3 7 2 04 6.692 ND ND ND

3 7 3 04 ND ND ND ND

3 7 3 05 ND ND ND ND

3 7 3 06 ND ND ND ND

3 7 5 06 13.871 ND ND ND

3 8 3 07 ND ND ND ND

4 1 1 01 2.797 ND ND ND

4 1 2 01 0.006 ND ND 0.006

4 1 4 01 32.194 ND ND 0.4300

4 1 6 01 0.003 ND ND ND

4 1 6 02 0.003 ND ND ND

4 2 1 02 0.170 ND ND ND

4 2 2 02 0.286 ND ND ND

5 1 1 01 ND ND ND ND

5 1 1 02 0.004 ND ND ND

5 1 1 03 0.012 ND ND ND

5 1 1 04 0.004 ND ND ND

5 1 5 01 0.145 ND ND ND

5 2 1 05 0.007 ND ND ND

5 2 3 01 ND ND ND ND

5 2 5 02 0.002 ND ND ND

5 2 6 01 0.065 ND ND ND

5 3 1 06 0.078 ND ND ND

5 3 2 01 ND 0.1600 0.0680 ND

5 3 5 03 1.066 ND ND ND

5 4 1 07 0.359 ND ND ND

5 4 2 02 0.001 ND 0.0030 ND

5 4 2 03 0.255 ND 0.0030 ND

5 4 4 01 0.719 ND ND ND

5 4 6 02 0.430 ND ND ND

5 4 6 03 0.421 ND ND ND

5 5 1 08 0.008 ND ND ND

5 5 2 04 0.005 ND ND ND

5 5 5 04 0.005 ND ND ND

5 6 1 09 1.507 ND ND ND

5 6 4 02 0.401 ND ND ND

5 6 5 05 0.467 ND ND ND

5 6 6 04 0.721 ND ND ND

5 7 1 10 0.619 ND ND ND

5 7 4 03 3.566 ND ND ND

5 7 5 06 0.974 ND ND ND

5 8 1 11 0.337 ND ND ND

5 8 2 05 0.034 ND ND ND

5 8 4 04 6.760 ND ND ND

5 8 4 05 0.673 ND ND ND

5 9 1 12 0.212 ND ND ND

5 9 5 07 0.012 ND ND ND

Code규제항목

Oil TCE TeCE org-P

5 10 6 05 21.631 ND ND ND

6 1 1 01 ND ND ND ND

6 1 2 01 72.844 ND ND ND

6 1 3 01 0.010 ND ND ND

6 1 4 01 0.003 ND ND ND

6 1 5 01 0.010 ND ND ND

6 2 2 02 2.000 ND ND ND

6 3 1 02 8.270 ND ND ND

6 3 2 03 0.029 ND ND ND

6 3 5 02 0.002 ND ND ND

6 4 1 03 0.076 ND ND ND

6 4 1 04 0.065 ND ND ND

6 4 1 05 7.065 ND ND ND

6 4 1 06 0.491 ND ND ND

6 4 3 02 ND ND ND ND

6 4 5 03 0.007 ND ND ND

6 5 1 07 0.333 ND ND ND

6 5 2 04 ND ND 0.2950 ND

6 5 2 05 11.326 729.2180 95.9620 ND

6 5 3 03 ND ND ND ND

6 5 5 04 0.002 ND ND ND

6 6 1 08 0.010 ND ND ND

6 6 5 05 ND ND ND ND

6 7 1 09 0.006 ND ND 0.0015

6 8 1 10 0.007 ND ND ND

6 8 3 04 43.581 0.0040 0.0160 ND

6 8 3 05 ND ND ND ND

6 8 5 06 ND ND ND ND

7 1 2 01 96.844 ND ND 0.0031

7 1 3 01 0.001 ND ND ND

7 2 1 01 0.003 ND ND ND

7 2 2 02 1.964 0.0450 0.0010 ND

7 2 5 01 ND ND ND ND

7 3 2 03 13.397 ND ND ND

7 4 2 04 ND 0.4020 59.6320 ND

7 4 4 01 ND ND ND ND

7 5 1 02 0.001 ND ND ND

7 5 3 02 ND ND ND ND

7 5 3 03 ND ND ND ND

7 5 4 02 0.001 ND ND ND

7 6 1 03 ND ND ND ND

7 6 2 05 ND ND ND 0.0351

7 6 2 06 42.873 0.3050 0.0470 ND

7 7 1 04 2.113 ND ND ND

7 7 1 05 0.003 ND ND ND

7 7 3 04 11.889 ND ND ND

7 8 1 06 0.042 ND ND ND

7 8 2 07 38.628 0.0040 ND ND

7 8 2 08 12.813 ND ND ND

7 8 5 02 ND ND ND ND

Page 275: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66 -

<부록 Ⅲ> 4. 유기물질 함량 분석 결과 (mg/kg, ㎍/kg-dioxin)

CodePCBs PAHs

#28 #52 #101 #118 #138 #153 #180 계 Nap. Phe. Ant. Flt. BaA BbF BaP 계

1 1 3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06 0.002 ND ND 0.009 ND ND 0.017

1 1 5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07 0.006 0.006 0.004 0.002 0.002 ND 0.026

1 2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2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2 3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18 0.007 0.002 0.008 0.002 0.004 0.003 0.045

1 2 4 01 ND ND ND ND ND ND ND ND 0.639 0.723 1.351 ND 0.011 0.042 0.049 2.364

1 2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11 0.011 0.002 0.004 0.001 0.001 0.002 0.032

1 3 1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3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3 3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0.008 0.001 0.009 0.002 0.003 0.003 0.030

1 3 5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20 0.003 0.001 0.003 0.001 0.002 0.001 0.030

1 4 1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4 2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4 4 02 ND ND ND ND ND ND ND ND 0.102 0.073 0.081 0.016 0.004 0.002 0.002 0.280

1 4 5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0.002 ND ND ND 0.003 0.002 0.011

1 5 1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5 1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5 1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5 4 03 ND ND ND ND ND ND ND ND 0.433 0.014 0.016 0.043 0.639 0.051 0.082 1.278

1 6 4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10 0.001 ND 0.001 0.001 ND 0.001 0.013

1 7 5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45 0.202 0.219 0.203 1.421 0.514 0.483 3.087

1 7 5 06 ND ND ND ND ND ND ND ND 0.012 0.016 0.002 ND ND 0.003 0.002 0.036

1 8 1 07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8 3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11 ND 0.012

1 8 5 07 ND ND ND ND ND ND ND ND 0.008 ND ND ND ND ND ND 0.008

1 9 1 08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9 5 08 ND ND ND ND ND ND ND ND 0.005 0.002 0.001 0.002 0.002 0.001 0.001 0.014

1 9 5 09 ND ND ND ND ND ND ND ND 5.651 3.772 4.570 4.549 0.256 1.054 3.251 23.103

1 9 5 10 ND ND ND ND ND ND ND ND 0.010 0.001 0.001 0.007 0.008 0.004 0.003 0.034

2 1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 4 01 0.009 0.022 0.036 0.038 0.013 0.026 0.005 0.149 3.442 58.671 65.465 14.379 0.023 0.113 0.102 142.195

2 1 5 01 ND ND ND ND ND ND ND ND 0.271 0.013 0.014 1.350 0.034 0.008 0.282 1.970

2 1 7 01 ND ND ND ND ND ND ND ND 0.639 1.444 0.072 2.394 0.182 0.049 0.519 5.299

2 2 1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2 1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2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2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2 4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05 0.001 ND ND 0.125 0.065 0.003 0.198

2 2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0.019 0.007 0.043 0.010 0.030 0.012 0.126

2 2 7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06 0.001 0.001 ND 0.001 ND ND 0.009

2 3 1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3 5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41 0.104 0.021 0.273 0.011 0.009 0.051 0.510

2 3 7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07 0.005 0.006 0.003 0.001 ND ND 0.023

2 3 7 04 ND ND ND ND ND ND ND ND 0.339 1.311 0.077 3.422 0.101 0.117 1.803 7.168

2 4 4 03 ND ND ND ND ND ND ND ND 0.132 0.367 0.170 0.549 0.195 0.083 0.115 1.611

2 5 4 04 ND ND ND ND ND ND ND ND 2.014 0.027 0.030 0.012 0.023 0.164 0.370 2.640

2 6 4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26 0.009 0.001 0.017 0.001 0.005 0.004 0.064

2 6 7 05 ND ND ND ND ND ND ND ND 0.164 0.310 0.346 1.550 0.022 0.042 0.045 2.478

2 7 1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7 1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Page 276: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67 -

CodePCBs PAHs

#28 #52 #101 #118 #138 #153 #180 계 Nap. Phe. Ant. Flt. BaA BbF BaP 계

2 7 1 07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7 2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7 4 06 ND ND ND ND ND ND ND ND 0.290 0.695 0.112 0.063 0.026 0.035 0.189 1.410

2 7 5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07 0.001 0.003 0.011 0.004 0.002 0.003 0.030

2 7 7 06 ND ND ND ND ND ND ND ND 0.093 0.070 0.189 0.170 0.023 0.024 0.131 0.700

2 7 7 07 ND ND ND ND ND ND ND ND 0.103 0.039 0.127 0.143 0.033 0.021 0.030 0.496

2 7 8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8 1 08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8 2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8 4 07 ND ND ND ND ND ND ND ND 0.078 0.504 0.077 0.107 0.034 0.065 0.192 1.057

2 8 5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08 0.002 ND 0.008 0.001 0.001 0.002 0.023

2 8 7 08 ND ND ND ND ND ND ND ND 0.003 ND ND ND 0.002 0.118 0.440 0.564

2 9 1 09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9 2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9 2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9 5 06 ND ND ND ND ND ND ND ND 0.012 0.012 0.014 0.008 ND 0.001 0.001 0.048

2 9 7 09 ND ND ND ND ND ND ND ND 0.017 0.005 0.006 0.001 0.001 0.001 ND 0.031

2 10 1 1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0 2 07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0 4 08 0.001 0.001 0.002 0.002 0.002 0.001 ND 0.009 0.146 0.033 0.037 0.026 0.003 0.008 0.002 0.256

2 10 4 09 ND ND ND ND ND ND ND ND 0.049 0.008 ND 0.001 ND ND ND 0.060

2 11 1 1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1 1 1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1 2 08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1 3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38 0.002 0.002 0.002 0.030 0.037 0.087 0.197

2 11 4 10 ND ND ND ND ND ND ND ND 0.571 0.083 0.092 0.057 0.008 0.008 0.007 0.826

2 11 5 07 ND ND ND ND ND ND ND ND 0.024 0.005 0.004 ND 0.019 0.051 0.094 0.196

2 11 7 10 ND ND ND ND ND ND ND ND 0.008 0.001 ND ND ND 0.008 0.002 0.019

2 12 4 11 ND ND ND ND ND ND ND ND 0.317 0.003 0.001 0.005 0.003 ND 0.001 0.329

3 1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1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1 3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6

3 1 4 01 ND ND ND ND ND ND ND ND 0.231 0.002 0.002 0.001 ND 0.001 0.001 0.238

3 1 5 01 ND ND ND ND ND ND ND ND 0.223 0.010 ND 0.001 ND 0.001 ND 0.235

3 2 1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2 4 02 ND ND ND ND ND ND ND ND 0.232 2.561 0.460 1.985 1.284 1.351 1.884 9.757

3 2 4 03 ND ND ND ND ND ND ND ND 0.909 0.156 0.012 0.246 0.005 0.132 0.133 1.593

3 2 4 04 ND ND ND ND ND ND ND ND 3.440 0.366 0.016 0.620 0.705 3.888 4.036 13.071

3 2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46 0.012 0.001 0.003 0.001 0.001 0.018 0.082

3 3 1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3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3 4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41 0.004 ND ND ND ND 0.001 0.046

3 3 5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66 0.007 0.004 ND 0.002 0.002 0.037 0.117

3 4 1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4 2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4 4 06 ND ND ND ND ND ND ND ND 0.347 0.024 0.004 0.010 0.009 0.016 0.008 0.418

3 4 5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28 0.004 0.001 0.002 ND ND 0.001 0.036

3 5 1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5 3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5 5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32 0.003 0.001 ND ND ND 0.001 0.037

Page 277: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68 -

CodePCBs PAHs

#28 #52 #101 #118 #138 #153 #180 계 Nap. Phe. Ant. Flt. BaA BbF BaP 계

3 6 1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6 3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54 0.015 0.006 0.014 0.001 ND ND 0.091

3 7 1 07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7 2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7 3 04 ND ND ND ND ND ND ND ND 0.102 ND ND 0.001 ND ND ND 0.104

3 7 3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89 ND 0.001 0.001 0.001 ND 0.001 0.094

3 7 3 06 ND ND ND ND ND ND ND ND 4.013 0.358 0.029 0.058 0.016 0.001 0.007 4.481

3 7 5 06 ND ND ND ND ND ND ND ND 0.009 0.002 0.001 0.001 0.023 0.002 0.002 0.040

3 8 3 07 ND ND ND ND ND ND ND ND 0.076 0.011 0.002 ND 0.001 0.080 0.034 0.203

4 1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4 1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4 1 4 01 ND ND ND ND ND ND ND ND 1.326 0.034 0.003 0.024 0.010 0.374 0.195 1.967

4 1 6 01 ND ND ND ND ND ND ND ND 0.133 0.006 0.001 0.001 ND 0.001 0.001 0.144

4 1 6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14 0.001 0.001 ND 0.001 0.002 0.026 0.044

4 2 1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4 2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1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1 1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1 1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1 1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1 5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06 0.001 ND 0.001 0.001 0.001 0.158 0.169

5 2 1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2 3 01 ND ND ND ND ND ND ND ND 0.120 0.029 0.032 0.003 0.001 0.007 0.018 0.209

5 2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19 0.001 0.001 0.001 0.001 0.001 ND 0.024

5 2 6 01 ND ND ND ND ND ND ND ND 0.211 0.045 0.051 0.003 0.001 0.001 0.001 0.313

5 3 1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3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3 5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08 0.002 ND 0.001 ND ND ND 0.011

5 4 1 07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4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4 2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4 4 01 ND ND ND ND ND ND ND ND 0.234 0.023 0.026 0.007 0.005 0.059 0.016 0.370

5 4 6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09 0.001 0.002 ND 0.001 ND 0.001 0.014

5 4 6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06 0.001 ND ND ND ND ND 0.008

5 5 1 08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5 2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5 5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05 ND ND ND 0.001 0.001 ND 0.008

5 6 1 09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6 4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06 0.001 0.001 0.001 ND 0.002 ND 0.010

5 6 5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0.001 0.001 ND ND ND ND 0.008

5 6 6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30 0.001 0.001 0.001 ND 0.001 0.002 0.036

5 7 1 1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7 4 03 ND ND ND ND ND ND ND ND 0.031 0.002 ND ND 0.001 0.018 0.002 0.055

5 7 5 06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0.004 0.005 0.003 ND 0.001 0.001 0.019

5 8 1 1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8 2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8 4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50 0.013 0.001 0.001 0.001 ND ND 0.066

5 8 4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ND ND 0.001 0.001 0.007 0.014 0.026

5 9 1 1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9 5 07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ND ND ND ND ND ND 0.005

Page 278: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69 -

CodePCBs PAHs

#28 #52 #101 #118 #138 #153 #180 계 Nap. Phe. Ant. Flt. BaA BbF BaP 계

5 10 6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05 ND ND ND ND ND ND 0.007

6 1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1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1 3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29 0.013 0.015 0.007 ND 0.032 0.007 0.104

6 1 4 01 ND ND ND ND ND ND ND ND 0.382 0.009 0.001 0.007 0.001 0.004 0.005 0.409

6 1 5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41 0.008 0.143 0.014 0.145 2.411 1.647 4.410

6 2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3 1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3 2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3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15 0.110 0.214 0.139 0.037 0.183 0.248 0.947

6 4 1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4 1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4 1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4 1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4 3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ND 0.001 ND ND ND 0.001 0.006

6 4 5 03 ND ND ND ND ND ND ND ND 0.364 0.008 0.012 0.006 0.002 0.007 0.004 0.404

6 5 1 07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5 2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5 2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5 3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5 5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16 0.006 0.002 0.002 0.001 0.001 ND 0.028

6 6 1 08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6 5 05 ND ND ND ND ND ND ND ND 0.002 ND ND ND ND 0.002 0.032 0.037

6 7 1 09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8 1 1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8 3 04 ND ND ND ND ND ND ND ND 0.398 0.013 0.001 0.005 0.003 0.001 0.003 0.424

6 8 3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8 5 06 ND ND ND ND ND ND ND ND 0.013 0.001 0.001 0.003 0.001 0.010 0.015 0.045

7 1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1 3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33 0.001 0.001 0.001 0.002 0.001 0.002 0.041

7 2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2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2 5 01 ND ND ND ND ND ND ND ND 0.027 0.002 0.001 0.001 0.001 0.001 0.001 0.034

7 3 2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4 2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4 4 01 ND ND ND ND ND ND ND ND 2.370 7.235 8.072 ND 0.011 0.035 0.040 17.763

7 5 1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5 3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ND ND 0.001 ND ND ND 0.003

7 5 3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5 4 02 ND ND ND ND ND ND ND ND 0.276 0.015 0.002 0.002 0.001 0.002 0.002 0.300

7 6 1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6 2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6 2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7 1 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7 1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7 3 04 ND ND ND ND ND ND ND ND 0.003 0.001 ND ND ND 0.004 ND 0.008

7 8 1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8 2 07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8 2 08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8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0.004 0.003 0.001 0.008 0.004 0.014 0.006 0.041

Page 279: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70 -

Code HCB

PCDD/PCDFs

PCDFs PCDD계

2378 12378 23478 123478 123678 234678 123789 1234678 1234789 OCDF 소계 2378 12378 123478 123678 123789 1234678 OCDD 소계

1 1 3 01 ND

1 1 5 01 ND

1 2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2 2 01 ND

1 2 3 02 0.002 ND 0.001 ND ND ND ND ND ND ND ND 0.003 ND ND ND ND ND ND ND ND 0.003

1 2 4 01 0.01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1 2 5 02 ND

1 3 1 02 ND

1 3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3 3 03 ND

1 3 5 03 0.0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1 4 1 03 ND

1 4 2 03 ND

1 4 4 02 0.002

1 4 5 04 ND

1 5 1 04 ND

1 5 1 05 ND

1 5 1 06 ND

1 5 4 03 0.001

1 6 4 04 ND

1 7 5 05 0.027

1 7 5 06 ND

1 8 1 07 ND

1 8 3 04 ND

1 8 5 07 ND

1 9 1 08 ND

1 9 5 08 0.001

1 9 5 09 0.003

1 9 5 10 ND

2 1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 4 01 0.06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ND ND ND ND ND 0.001 0.001

2 1 5 01 0.004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 7 01 0.0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2 1 02 ND

2 2 1 03 ND

2 2 2 01 ND

2 2 2 02 ND

2 2 4 02 ND

2 2 5 02 ND

2 2 7 02 ND

2 3 1 04 ND

2 3 5 03 0.001

2 3 7 03 ND

2 3 7 04 ND

2 4 4 03 ND

2 5 4 04 ND

2 6 4 05 ND

2 6 7 05 0.001

2 7 1 05 ND

2 7 1 06 ND

Page 280: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71 -

Code HCB

PCDD/PCDFs

PCDFs PCDD계

2378 12378 23478 123478 123678 234678 123789 1234678 1234789 OCDF 소계 2378 12378 123478 123678 123789 1234678 OCDD 소계

2 7 1 07 ND

2 7 2 03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7 4 06 0.001

2 7 5 04 ND

2 7 7 06 ND

2 7 7 07 0.001

2 7 8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8 1 08 ND

2 8 2 04 ND

2 8 4 07 ND

2 8 5 05 ND

2 8 7 08 ND

2 9 1 09 ND

2 9 2 05 ND

2 9 2 06 ND

2 9 5 06 0.001

2 9 7 09 ND

2 10 1 10 ND

2 10 2 07 ND

2 10 4 08 ND

2 10 4 09 ND

2 11 1 11 ND

2 11 1 12 ND

2 11 2 08 ND

2 11 3 01 0.0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2 11 4 10 ND

2 11 5 07 0.023

2 11 7 10 ND

2 12 4 11 ND

3 1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1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1 3 01 0.0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1 4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3 1 5 01 0.0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ND ND ND ND ND 0.001 0.001

3 2 1 02 ND

3 2 4 02 0.003

3 2 4 03 0.001

3 2 4 04 0.002

3 2 5 02 ND

3 3 1 03 ND

3 3 2 02 ND

3 3 4 05 0.001

3 3 5 03 ND

3 4 1 04 ND

3 4 2 03 ND

3 4 4 06 ND

3 4 5 04 ND

3 5 1 05 ND

3 5 3 02 ND

3 5 5 05 ND

Page 281: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 조사[Ⅰ]

---------------------------------------------------------------------------------

- 272 -

Code HCB

PCDD/PCDFs

PCDFs PCDD계

2378 12378 23478 123478 123678 234678 123789 1234678 1234789 OCDF 소계 2378 12378 123478 123678 123789 1234678 OCDD 소계

3 6 1 06 ND

3 6 3 03 0.001

3 7 1 07 ND

3 7 2 04 ND

3 7 3 04 ND

3 7 3 05 0.027

3 7 3 06 0.019

3 7 5 06 ND

3 8 3 07 0.003

4 1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4 1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4 1 4 01 0.0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0.001

4 1 6 01 0.0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4 1 6 02 0.002

4 2 1 02 ND

4 2 2 02 ND

5 1 1 01 ND

5 1 1 02 ND

5 1 1 03 ND

5 1 1 04 ND

5 1 5 01 ND

5 2 1 0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2 3 01 0.0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ND ND ND ND ND 0.001 0.001

5 2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2 6 01 0.0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ND ND ND ND ND 0.001 0.001

5 3 1 06 ND

5 3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5 3 5 03 ND

5 4 1 07 ND

5 4 2 02 ND

5 4 2 03 ND

5 4 4 01 0.0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ND ND ND ND ND 0.001 0.001

5 4 6 02 ND

5 4 6 03 ND

5 5 1 08 ND

5 5 2 04 ND

5 5 5 04 ND

5 6 1 09 ND

5 6 4 02 0.002

5 6 5 05 ND

5 6 6 04 0.001

5 7 1 10 ND

5 7 4 03 ND

5 7 5 06 ND

5 8 1 11 ND

5 8 2 05 ND

5 8 4 04 ND

5 8 4 05 ND

5 9 1 12 ND

5 9 5 07 ND

Page 282: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Ⅰ]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8.pdf · 2015-11-03 ·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

유해폐기물 목록화를 위한 배출실태조사[Ⅰ]

--------------------------------------------------------------------------------------

- 273 -

Code HCB

PCDD/PCDFs

PCDFs PCDD계

2378 12378 23478 123478 123678 234678 123789 1234678 1234789 OCDF 소계 2378 12378 123478 123678 123789 1234678 OCDD 소계

5 10 6 05 ND

6 1 1 01 ND

6 1 2 01 ND

6 1 3 01 4.051

6 1 4 01 1.265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ND ND ND ND ND 0.001 0.001

6 1 5 01 ND

6 2 2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3 1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3 2 03 ND

6 3 5 02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4 1 03 ND

6 4 1 04 ND

6 4 1 05 ND

6 4 1 06 ND

6 4 3 02 ND

6 4 5 03 0.201

6 5 1 07 ND

6 5 2 04 ND

6 5 2 05 ND

6 5 3 03 ND

6 5 5 04 ND

6 6 1 08 ND

6 6 5 05 0.005

6 7 1 09 ND

6 8 1 1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8 3 04 0.150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6 8 3 05 ND

6 8 5 06 0.008

7 1 2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1 3 01 0.0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ND ND ND ND ND 0.001 0.001

7 2 1 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2 2 02 ND

7 2 5 01 0.001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0.001

7 3 2 03 ND

7 4 2 04 ND

7 4 4 01 0.062 0.019 0.002 1.198 0.002 0.004 ND ND ND ND ND 1.224 ND ND ND ND ND ND ND ND 1.224

7 5 1 02 ND

7 5 3 02 ND

7 5 3 03 ND

7 5 4 02 0.001

7 6 1 03 ND

7 6 2 05 ND

7 6 2 06 ND

7 7 1 04 ND

7 7 1 05 ND

7 7 3 04 ND

7 8 1 06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8 2 07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ND

7 8 2 08 ND

7 8 5 02 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