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14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아파트의 실내 오염물질 평가와 건강영향 연구- 기후대기연구부 실내환경연구팀 권명희, 장성기, 류정민, 서수연, 원수란, 정세진, 임종호 A Study on Management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 by House Type in Korea(I) -Indoor Air Pollution and Health Effects in Residential Apartment- M.H.Kwon, S.K.Jang, J.M.Ryu, S.Y.Seo, S.R.Won, S.J.Jung, J.H.Lim Indoor Environment and Noise Research Team Climate and Air Quality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12

Upload: others

Post on 17-May-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실내 오염물질 평가와 건강영향 연구-

기후 기연구부 실내환경연구

권명희, 장성기, 류정민, 서수연, 원수란, 정세진, 임종호

A Study on Management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 by House Type in Korea(I)

-Indoor Air Pollution and Health Effects in Residential Apartment-M.H.Kwon, S.K.Jang, J.M.Ryu, S.Y.Seo, S.R.Won, S.J.Jung, J.H.Lim

Indoor Environment and Noise Research TeamClimate and Air Quality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12

Page 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Page 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i -

요 약 문

1. 제 목

주거공간별 실내공기질 리방안 연구(I)

- 아 트의 실내 오염물질 평가와 건강 향 연구-

2. 목

신축 공동주택 뿐만 아니라 거주하고 있는 다양한 주거공간별 실내 오염

물질의 종류와 농도를 조사하고 오염물질 농도에 향을 미치는 유효인자와

실내 오염물질로 인한 건강 향을 악하여 실내 오염물질 리 필요성을

평가하기 함.

3. 연구내용 방 법

가. 연구기간(총 연구기간)

2009년 1월 ~ 2009년 12월 (2009년 1월 ~ 2012년 12월)

나. 연구 상

(1) 측정 상 아 트

- 수도권지역 아 트를 상으로 건축년도, 평형, 세 의 층, 실내개조

유무 등으로 구분하여 100 세 선정

Page 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ii -

(2) 실내공 기 오 염 물 질

- 총 부유미생물(세균류, 진균류)

- 미세먼지(PM2.5, PM10)

- TVOC 휘발성유기화합물 43 종

- 카보닐화합물 7 종

- 집먼지진드기

- 이산화탄소(CO2)

다. 연구방 법

(1) 시료채취

(가) 시료채취 방법

- 시료채취 조건 : 30 분 환기, 5 시간 폐 후 측정

- 시료채취 지 : 각 세 별 거실, 침실 2 지 , 아 트 외기 1지 ,

단, 집먼지진드기의 경우는 침실의 침구류 침 매트리스

- 시료채취 주기 : 각 세 별 여름 여름 외 계 총 2 회 측정

(나) 항목별 시료채취 방법

- 총부유미생물 : MAS-100 Bio Air Sampler를 사용하여 100 L/min 유속으로

1분간 시료채취

- 미세먼지 : 산란법을 측정 원리로 한 TSI사의 Aerosol Monitor를 이용하여

유속 1.7 L/min으로 10 분 동안 측정

- 휘발성유기화합물 : 100 mL/min 유속으로 고체흡착 (Tenax-TA)에

30분간 2 회 시료채취

Page 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iii -

- 카보닐화합물 : 500 mL/min 유속으로 DNPH-카트리지에 30 분간 2 회 시료채취

- 집먼지진드기 :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1회용 collector를 러쉬에

연결하여 먼지무게가 약 100 mg이상 되도록 시료채취

- 이산화탄소 : 비분산 외선법을 측정원리로 한 TSI사의 장비를 이용하여

10분 동안 측정

(2) 시료분 석방 법

(가) 총부유미생물 : 배양기에서 세균류는 48 시간, 진균류는 72 시간동안

각각 35 ℃, 25 ℃에서 배양한 후 증식된 균 집락수를

측정

(나) 미세먼지 : 5 간격으로 10 분 동안 측정한 자료를 장

(다) 휘발성유기화합물 : 고체흡착 을 열탈착 후 GC/MS로 분석

(라) 카보닐화합물 : DNPH-카트리지를 용매추출 후 HPLC로 분석

(마) 집먼지진드기 : ELISA법으로 Der p, Der f allergen을 분석

(바) 이산화탄소 : 5 간격으로 10 분 동안 측정한 자료를 장

(3) 환경 향 인 자 와 오 염 도 와 의 상 성 분 석

(가) 건축년도, 거주기간, 층수, 평형 등 주거공간의 특성에 따른 오염도

(나) 청소, 빨래주기, 환기횟수 시간, 흡연유무 등 생활습 에 따른 오염도

(다) 실내개조 유무, 가구류 구입여부 등 생활용품 황에 따른 오염도

(라) 입주자 건강 자각증상에 따른 오염도

Page 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iv -

4. 연구결 과

재 거주하고 있는 아 트에서의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분포를 조사하고

실내공기질에 향을 미치는 유효인자와 실내 오염물질로 인한 건강 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우리가 살고 있는 아 트의 주요 오염물질은 세균, 곰팡이, 집먼지진드기 등

생물학 인 자와 미 세먼지 등 물 리 인 인자, 휘 발성유 기화합 물 등

화학 인자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총 부유미생물 세균류(bacteria)의 경우에는 평균농도가 1,302 CFU/m3

(173~7,283 CFU/m3)로 다 이용시설(보육시설, 의료시설) 유지기 을

과하는 세 가 많았으며(67 %), 특히 여름철과 세탁을 자주 하지 않는

세 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곰팡이류(fungi)의 평균농도는 407 CFU/m3 (27~5,000 CFU/m3)로 WHO

권고기 을 과하는 세 가 22 %로 나타났으며, 여름철보다는 철과

층 아 트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3. 미세먼지 PM2.5의 평균농도는 48.36 μg/m3 (4~266μg/m3), PM10은

53.78 μg/m3 (6~284μg/m3)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건축된지 11년 이상인

아 트와 거주기간이 11년 이상인 아 트, 작은 평형(25평 이하)의

아 트에서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의 경우에는 평균농도가 신축 공동

주택의 권고기 치 이하로 나타났으나, 폼알데하이드의 경우는 기 치를

과하는 세 가 있어 거주하는 동안에도 여 히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천식, 알 르기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집먼지진드기 평균농도는 1,853 ng/g

(N.D.~10,519 ng/g)으로 국제 권고기 치인 2,000 ng/g보다 높게 나타난

Page 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v -

세 가 있어 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먼지진드기 농도는 청소,

빨래습 등에 따라 농도가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산화탄소 농도는 실내 환기의 척도로 사용되며, 침실에서 1,003 ppm,

거실 918 ppm으로 나타나 환기가 비교 잘 되는 거실에 비하여 침실

에서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최고농도가 2,764 ppm으로 다 이용시설

유지기 인 1,000 ppm을 넘는 세 가 있어 주기 으로 환기를 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아 트 입주민의 코, 목, 따가움 등 건강자각 증상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는 증상이 있는 그룹의 경우 그 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실내공기

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와 같은 화학물질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한 상 성 분석결과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 농도는 오염물질간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

향인자로는 건축년수, 실내개조 유무, 새 가구 구입 유무, 계 등에서

상 성이 높게 나타났다.

9.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한 회귀 분석 결과, 미세먼지 농도에 향을

미치는 인자는 건축년수와 주택 내 흡연유무, 총 부유세균은 세탁 조건,

계 로 나타났으며, 총 부유곰팡이는 아 트 층수, 건강자각증상, 세탁

조건 등이 농도에 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실내개조, 건축년수, 평수, 계 , 새 가구 구입, 주택 내 흡연유무 등이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폼알데히드 농도에 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인 것

으로 나타났다.

10. 아 트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건축년도, 층수, 평형 등 건물의 특성과 환기,

청소 등의 생활습 , 실내개조, 생활용품 구입 등 실내 환경, 아 트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가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vi -

11.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주기 인 환기와 청소, 정 온·습도 유지 등의

올바른 생활습 과 심을 가지고 실내 오염원을 이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으로 단되었다.

- 쾌 한 실내환경을 하여 실내온도는 20 ℃내외, 습도는 60 %이하,

환기는 하루 4회 이상으로 정 실내환경은 유지하도록 한다.

5. 연구결 과의 활 용

거주하고 있는 공간에서의 실내 오염물질에 한 심각성을 악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리의 필요성을 평가하고 올바른 리방안을 마련하는 기

데이터로 활용.

Page 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vii -

목 차

요약문 ························································································································ i

목 차 ····················································································································· vii

표 목차 ··················································································································· xii

그림 목차 ················································································································ xv

ABSTRACT ·········································································································· xvii

I. 서 론 ······················································································································ 1

II. 연구내용 방 법 ························································································· 4

1. 연구내용 ············································································································· 4

가. 연구 상 세 ······························································································· 4

(1) 우리나라 주택 형태별 분포 ····································································· 4

(2) 측정 상 아 트 선정 ············································································ . 5

나. 연구 상 실내공기 오염물질 ····································································· 6

(1) 총 부유미생물 ····························································································· 6

(2) 미세먼지 ······································································································· 7

(3) 휘발성유기화합물 ······················································································· 7

(4) 카보닐화합물 ····························································································· 10

(5) 집먼지진드기 ····························································································· 10

(6) 이산화탄소 ································································································· 11

Page 1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viii -

2. 연구방법 ··········································································································· 11

가. 아 트 실내공기질 황조사 ··································································· 11

(1) 거주공간에 한 실내공기질 시료채취방법 검토 ····························· 11

(2) 실내공기 오염물질 시료채취 분석방법 ········································· 12

(가) 총 부유미생물 ····················································································· 12

(나) 미세먼지 ······························································································· 14

(다) 휘발성유기화합물 ··············································································· 15

(라) 카보닐화합물 ······················································································· 17

(마) 집먼지진드기 ······················································································· 18

(바) 이산화탄소 ··························································································· 21

(3) 기타 향인자 측정방법 ········································································· 21

(가) 온·습도 ·································································································· 21

(나) 풍속 ······································································································· 21

(다) 가구면 부피 ··············································································· 22

(4) 정도 리 ····································································································· 22

(가) 미생물 집먼지진드기 ··································································· 22

(나) 미세먼지 ······························································································· 22

(다) 휘발성유기화합물 ··············································································· 23

(라) 카보닐화합물 ······················································································· 25

(마) 이산화탄소 ··························································································· 27

나. 건강 향 생활습 조사(설문조사) ·················································· 27

(1) 거주자의 사회 인구학 특성 ······························································· 28

(2) 주거공간의 특성 ······················································································· 28

Page 1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ix -

(3) 거주자의 생활환경 습 ··································································· 28

(4) 거주자의 건강자각증상 ··········································································· 29

다. 분석결과를 이용한 오염물질 리 필요성 평가 ··································· 29

III. 연구결 과 고 찰 ····················································································· 31

1. 정도 리 결과 ······························································································· 31

가. 미생물 집먼지진드기 ··········································································· 31

나. 휘발성유기화합물 ······················································································· 32

다. 카보닐화합물 ······························································································· 37

라. 이산화탄소 ··································································································· 40

2. 연구 상세 의 특성 ····················································································· 41

3. 거주공간에 한 실내공기질 시료채취방법 검토결과 ··························· 42

4. 기타 향인자 장측정 결과 ····································································· 47

가. 실내 온․습도 ····························································································· 47

나. 풍속 ··············································································································· 48

다. 가구면 부피 ······················································································· 50

5. 거주공간에서의 실내공기 오염물질 분포특성 ········································· 51

가. 총 부유미생물 ····························································································· 51

나. 미세먼지 ······································································································· 55

다.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 ······················································· 58

라. 집먼지 진드기 ····························································································· 66

마. 이산화탄소 ··································································································· 67

Page 1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 -

6. 건강 향 생활습 조사를 한 설문조사 결과 ······························· 68

가. 입주자 주택특성 ··················································································· 68

(1) 입주자 특성 ······························································································· 68

(2) 주거공간의 형태 ······················································································· 69

(3) 아 트 건축년도 거주기간 ······························································· 69

나. 거주환경 특성 ····························································································· 70

(1) 거주자의 실내 주택 내 거주시간 ··················································· 70

(2) 환기 ············································································································· 71

(3) 청소 빨래 ····························································································· 72

(4) 입주자의 주택 내 흡연 ··········································································· 75

(5) 애완동물 유무 ··························································································· 75

(6) 실내 개조 ··································································································· 76

(7) 생활용품 구입 ··························································································· 78

다. 건강 자각증상 ····························································································· 79

7. 환경 향인자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통계분석 ··································· 81

가. 주택 특성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81

(1) 건축년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81

(2) 거주기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83

(3) 층수 평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84

(4) 아 트 공간별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86

(5) 실내개조 생활용품 구입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87

(6) 가구부피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89

Page 1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i -

나. 생활습 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0

(1) 세탁습 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0

(2) 환기습 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2

다. 건강자각증상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3

라. 측정환경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4

(1) 계 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4

(2) 실내 온․습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5

(3) 측정 당일 조리 유무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6

(4) 재실자 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 97

마.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한 상 성 분석 ····································· 99

바.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한 회귀 분석 ······································· 102

IV. 결 론 ············································································································ 105

참고 문헌 ············································································································· 108

부록 ······················································································································ 113

Page 1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ii -

표 목 차

표 2-1. 우리나라 주택형태별 분포 ······································································· 4

표 2-2. 측정 상 아 트 선정 기 ···································································· 5

표 2-3. 측정 상 아 트 선정기 별 세 수 ······················································· 6

표 2-4. 측정 상 휘발성유기화합물 종류와 물리 특성 ······························ 8

표 2-5. 측정 상 휘발성유기화합물 분류 ·························································· 9

표 2-6. 측정 상 카보닐화합물 종류와 물리 특성 ···································· 10

표 2-7. 부유미생물의 시료채취 분석방법 ·················································· 14

표 2-8. 열탈착장치 분석조건 ·············································································· 16

표 2-9. GC/MS의 분석조건 ················································································· 16

표 2-10. HPLC의 분석조건 ·················································································· 18

표 2-11. 카보닐화합물의 검량곡선 농도 범 ················································ 26

표 3-1. GC/MS로 분석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직선성 ································· 33

표 3-2. Tenax-TA에 의한 실내공기오염물질의 과효율 ····························· 34

표 3-3. GC/MS에 의한 VOCs의 재 성 ··························································· 35

표 3-4. GC/MS로 분석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법검출한계 ····················· 36

표 3-5.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열탈착장치(TD)에 의한 회수율 ······················ 37

표 3-6. HPLC로 분석한 카보닐화합물의 직선성 ············································ 38

표 3-7. DNPH-카트리지에 의한 실내공기오염물질의 과효율 ·················· 39

표 3-8. HPLC에 의한 Carbonyls의 재 성 ······················································· 39

표 3-9. HPLC로 분석한 카보닐화합물의 방법검출한계 ································ 40

Page 1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iii -

표 3-10. 지역별 아 트 측정세 ······································································ 42

표 3-11. 아 트 거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오염물질의 농도 ········ 43

표 3-12. 아 트 침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오염물질의 농도 ········ 43

표 3-13. 측정기간 측정지 에 따른 온․습도 ·········································· 48

표 3-14. 측정방법에 따른 풍속 ·········································································· 49

표 3-15. 아 트 측정공간별 가구부피 ······························································ 50

표 3-16. 실내공기 총부유미생물 농도 분포 ············································· 52

표 3-17. 실내․외 공기 총부유미생물 농도비 ·········································· 54

표 3-18. 아 트 실내공기 미세먼지 농도 분포 ········································ 55

표 3-19. 아 트 실내․외 공기 미세먼지 농도비 ···································· 57

표 3-20. 아 트 실내공기 VOCs와 Carbonyls 검출농도 순 ··············· 59

표 3-21. 아 트 거실에서의 실내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 ·········· 60

표 3-22. 아 트 침실에서의 실내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 ·········· 61

표 3-23. 아 트 거실과 침실에서의 실내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 ········ 62

표 3-24. 아 트 실내․외 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비 ··················· 65

표 3-25. 아 트 집먼지 진드기의 농도 분포 ·················································· 66

표 3-26. 아 트 실내공기 이산화탄소의 농도 분포 ································ 67

표 3-27. 조사 상 세 의 입주자 특성 ···························································· 68

표 3-28. 주거공간 형태 ························································································ 69

표 3-29. 아 트 건축년도 거주기간 ···························································· 70

표 3-30. 거주자의 실내 주택 내 거주시간 ················································ 70

표 3-31. 조사 상 세 의 환기방법 ·································································· 71

표 3-32. 청소방법 횟수 ·················································································· 72

Page 1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iv -

표 3-33. 이불 빨래방법 리방법 ································································ 74

표 3-34. 주거공간의 실내 개조 부분 ································································ 77

표 3-35. 입주 후 신규 구입한 생활용품 ·························································· 78

표 3-36. 세 원의 건강 자각증상 종류 ···························································· 80

표 3-37. 건축년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82

표 3-38. 거주기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84

표 3-39. 층수 평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85

표 3-40. 아 트 공간별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86

표 3-41. 실내개조 생활용품 구입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88

표 3-42. 가구부피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89

표 3-43. 이불세탁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90

표 3-44. 빨래횟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91

표 3-45. 환기습 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92

표 3-46. 건강 자각증상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93

표 3-47. 계 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94

표 3-48. 실내온·습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95

표 3-49. 측정 당일 조리유무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96

표 3-50. 재실자 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 98

표 3-51. 아 트 실내공기 주요 오염물질 환경 향인자와의 상 성분석····· 101

표 3-52. 아 트 실내공기 주요 오염물질 환경 향인자와의 회귀분석 ···· 104

Page 1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v -

그 림 목 차

그림 2-1 폐시간에 따른 시료채취방법 ························································· 12

그림 2-2 실내공기질 시료채취방법 ··································································· 13

그림 2-3 실내․외에서의 시료채취 ··································································· 13

그림 2-4 집먼지진드기 시료채취방법 ······························································· 20

그림 2-5 집먼지진드기 분석방법 ······································································· 20

그림 3-1 standard sample의 시간단 별 OD405 값 측정의 ······················· 31

그림 3-2 Der f1의 standard curve ································································· 32

그림 3-3 Der p1의 standard curve ································································· 32

그림 3-4 휘발성유기화합물 표 시료에 한 GC/MS 크로마토그램 ········· 32

그림 3-5 카보닐화합물 표 시료에 한 HPLC 크로마토그램 ··················· 37

그림 3-6 아 트 상세 측정지 ································································· 41

그림 3-7 거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공기오염물질의 농도 분포 ············ 45

그림 3-8 침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공기오염물질의 농도 분포 ··············· 46

그림 3-9 거실과 침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그래 ···························································································· 47

그림 3-10 아 트 실내공기 PM2.5와 PM10의 농도 비교 ······················ 56

그림 3-11 아 트 실내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 구성비 ················· 63

그림 3-12 아 트 실내공기 BTEXS 폼알데하이드 농도 구성비 ·········· 64

그림 3-13 건축년도, 거주기간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 구성비 ···················· 64

그림 3-14 입주자의 주택 내 흡연 ····································································· 75

Page 1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vi -

그림 3-15 입주자의 주택 내 애완동물 사육 ··················································· 76

그림 3-16 주거공간의 실내 개조 여부 ····························································· 77

그림 3-17 입주 후 생활용품 구입 여부 ··························································· 78

그림 3-18 새집증후군 증상 유무 ······································································· 79

그림 3-19 새집증후군 련 병원내방 유무 ····················································· 80

Page 1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vii -

ABSTRACT

Since people typically spend more than 70 % of their day at indoor

area and indoor air pollution is issued the important social problems.

The recent increased prevalence of childhood asthma and atopy has

brought into question the impact of outdoor pollutants and indoor air

quality.

This study attemps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

Indoor Air Quality (IAQ) at residential apartments in South Korea. Air

pollutants measured in this study included airborne bacteria, airborne

fungi, suspended particulate matter(PM2.5, PM10), volitile organic

compounds (VOCs), carbonyl compounds, dust mite allergen and

carbon dioxide (CO2). An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occupation duration,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life style such as the frequency of cleaning and ventilation,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measured concentrations.

The major indoor air pollutants, in the studied residential apartments

were not only VOCs, but also bioaerosols such as airborne bacteria,

fungi and allergens, and physical matters such as PM2.5 and PM10.

Average levels of pollutants were lower than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s standards for maintenance of indoor air quality ;

however, formaldehyde levels in some apartments exceeded the current

standards. The levels of formaldehyde were remained high after the

long residence period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in the majority of

Page 2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xviii -

the domestic living rooms and bedrooms studied was 1,302 CFU/m3,

which is exceeded the standard for maintenance of IAQ value of 800

CFU/m3. 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during the

summer seasons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relative humidity(%)

were higher than other seasons. And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fungi

of the apartment at the low floors(1st and 2nd floor) were higher than

those at high floors(more than 3rd floor). The age of a residential

apartment, the frequency of cleaning and ventilation and the season

were predomin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within a domestic home.

The concentrations PM2.5 and PM10 were ranged from 4.0 ~ 266

μg/m3 (average 48.36 μg/m3) and 6 ~ 284 μg/m3(average 53.78 μg/m3).

The influence factors were the age and the location area of residential

apartments. In addition to tobacco smoking and outdoor air pollution,

household cleaning is a predominant indoor activity associated with

increased concentrations of PM10, PM2.5 within an apartment.

The concentrations of indoor air pollutants in residential apartments

were shown to be affected by the type of apartments such as

construction ages, floors and sizes, living patterns such as ventilation,

cleaning and smoking, interiors such as remodeling and purchase of

furniture and the location of the apartment.

Thus, risk communications with the resident are needed to be fortified

to reduce the indoor air pollutants before the move-in and during the

residency.

Page 2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 -

I. 서 론

인들은 하루 80 ~ 90 %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어 실내오염

문제는 기오염 문제에 못지않게 우리의 일상생활과 건강에 직 으로

큰 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 오염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요성을

인식하여 1980년 부터 여러가지 실내 오염물질에 한 규제와 리가 미국

환경청(EPA) 등 선진국을 심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1)

따라서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도 2004년 5월 다 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리법을 제정 공포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에 하여

실내공기질 기 을 설정하여 리를 하도록 하 으며, 2005년 12월에는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 을 설정하여 입주하기 실내공기질을

리하도록 하고 있다.2) 그러나 이 법규는 신축 공동주택 이외의,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 단독주택, 연립주택 등 다양한 형태의 주거공간은 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주거 공간은 체 국민 건강 보호와 국가

생산력 확보에 기본 으로 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어린이와 노인 등

건강 취약 계층은 그들의 부분의 시간을 주거 공간에서 보내고 있어,

이들의 건강 보호를 하여 주거 공간의 실내 공기질은 매우 요하다.

그러나 주거 공간에 한 정부 차원의 리는 쉽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으며,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해 개인 공간인 주거 공간의 공기질을 리할

필요가 있는 국가 책임 측면과 국민의 사생활과 사유재산을 보호해야 하는

국민 기본권 측면에서 주거 공간 실내공기질에 한 정부의 개입은 논의의

상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주거 공간 실내공기질의 실태와 건강 향을

조사하고, 리의 필요성을 평가한 후 올바른 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주거 공간 실내공기질 리의 주체에 한 논의 이 에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다양한 주거 공간에 한 실내공기질의 이해와 평가가

기 으로 필요한데, 이는 공조시스템의 오염, 비 생 주거공간 리,

Page 2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 -

건물 노후화로 인한 수 상 등에 의해 사용 인 주거공간은 새집에서

와는 다른 화학 생물학 유해 인자가 존재하고 그 심각성도 새집과는

다를 수 있기 때 문이다. 즉, 주거 공 간의 노 후화가 진 행됨에 따라 신축

주택과는 다른 종류와 농도의 실내 오염물질에 거주자가 노출되어 건강

향이 나타날 수 있고, 재 환경부의 포름알데히드와 벤젠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하여 리하고 있는 신축 공동 주택에 한 기 만으로는

국민의 건강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정부와 학계는 거주공간을 비롯한 실내

공간의 오염물질과 건강 향에 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부

분의 연구들은 자국의 실내공기 오염 실태조사, 실내 오염에 향을 미치는

인자 악, 환기를 통한 실내공기 오염 제어 방법 연구, 건축자재 별 오염

방출 조사, 실내농도와 개인 폭로량의 상 계 연구, 그리고 실내 공기

오염으로 인한 건강 향 평가 등을 목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 공기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에 향을 미치는 인자들로는 외부기후, 온.습도,

지역(도로), 도심 치 주변 시설, 풍속, 환기율, 창문방향, 창문개폐 여부,

가구와 건축 자재, 리모델링 여부, 방의 치, 바닥 코 여부, 애완동물,

거주자 생활패턴(환기/난방/실내연료/청소방법 횟수), 인구 도, 흡연 등이

악되고 있다. 나이, 성별, 개인 청결도와 함께 설문 조사한 실내 오염물

질로 인한 건강 향으로는 과 피부 자극, 콧물, 물, 기침, 어지러움,

혼수, 발열, 소화불량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 숨가쁨, 과민성 폐렴

(hypersensitivity pneumonitis)등 폐기능에의 향과,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아토피 등의 알러지성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3-16)

이번연구는 오래된 주택에서의 헌집증후군 상으로 오래된 집의 구석에

숨어 있는 곰팡이 와 세 균, 배 수 의 악취, 유해 곤충의 알 르겐 등오염

물질로 인한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알 르기성 질환, 피로감 등 건강이

상증상에 하여 문제가 제기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신축 공동 주택뿐만이

아니라 거주하고 있는 다양한 주거 공간에 하여 화학 인자뿐만 아니라

Page 2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 -

생물학 인자 등 건강 유해 인자의 종류와 해성을 악하고, 이에 근거

하여 주거 공간에 한 실내 오염물질 리 필요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한 주거 형태와 크기별, 건축 내장재의 시공 연도와 재료 특성별,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 그리고 환기와 청소 등의 생활 습 등이 실내 오염

물질의 종류와 농도에 미치는 향과 기여 정도를 악하는 것은 실내 오염

물질의 리 권고 지침 마련을 한 기 자료가 될 것이다. 나아가,

알러지성 질환 등 건강 향과 실내 오염물질의 상 계를 밝 궁극 으로는

건강한 국민 건강 확보를 한 합리 인 실내 오염물질 리 기 을 제시

하고자 한다.

올해 1 차년도 연구는 체 주거의 53 %를 차지하는 아 트에 해 실내

오염물질의 실태와 건강 향, 그리고 이들에 향을 미치는 유효인자를

악하여 4 차년도에 제시할 주택 종류별 실내공기질 유지 리방안 마련을

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 다.

Page 2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 -

II. 연구내용 방 법

본 연구에서는 주택형태 아 트를 상으로 실내공기질에 향을 미칠

것으로 단되는 항목별로 나 어 아 트를 선정하여 실내공기질 측정과

건강 향 생활습 에 한 설문조사를 하 으며, 실내공기질에 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를 악하여 오염물질 리 필요성을 평가하고자 하 다.

본 연구의 내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내용

가. 연구 상세

(1) 우 리 나라 주 택 형 태 별 분 포

본 연구에서는 입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기존 주택에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의 분포 황을 악하고자 우리나라의 주택 형태 차지하는 비율이

53 %로 가장 높은 주택인 아 트(표 2-1) 100 세 를 선정하여 실내공

기질 측정과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 다.

가구원 (명) 주택수 (호)

단독주택 17,993,358 (39.6 %) 3,984,954 (31.9 %)

아파트 21,448,707 (47.2 %) 6,626,957 (53.0 %)

연립주택 1,653,552 (3.6 %) 520,312 (4.2 %)

다세대주택 3,584,017 (7.9 %) 1,164,251 (9.3 %)

영업용 건물 내 주택 772,892 (1.7 %) 198,353 (1.6 %)

총 계 45,452,526 12,494,827

표 2-1. 우리나라 주택형태별 분포

* 통계청 2005년

Page 2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 -

(2) 측정 상 아 트 선 정

측정 상 아 트는 실내공기질에 향을 미칠 것으로 단되는 항목으로

다음 표 2-2와 같이 나 어 선정기 을 정하 다. 항목은 새 가구의 구입

이나 실내개조의 유무, 건축년도, 아 트 평형, 세 의 층으로 구분하여

총 100세 를 선 정 하 다. 이 게 선 정 된 측정 상 아 트 는 표 2-3과

같 다.

새가구/실내개조 건축년도 평형 층수

1999~2009년

25 평 미만12 층

3 층 이상

25 평 이상1~2 층

3 층 이상

1998년 이전

25평 미만1~2 층

3 층 이상

25 평 이상1~2층

3 층 이상

1999~2009년

25 평 미만1~2 층

3 층 이상

25 평 이상1~2 층

3 층 이상

1998년 이전

25 평 미만1~2 층

3층 이상

25 평 이상1~2 층

3층 이상

표 2-2. 측정 상 아 트 선정 기

Page 2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 -

구 분 측정 세대

새가구/실내개조무 45

유 55

건축년도1999~2009년 51

1998년 이전 49

평형25 평 미만 34

25 평 이상 66

층수1~2 층 31

3 층 이상 69

표 2-3. 측정 상 아 트 선정기 별 세 수

나. 연구 상 실내공 기 오 염 물 질

(1) 총 부유 미 생 물

총 부유미생물은 실내환경에 존재하는 표 인 생물학 유해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세균류와 진균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 미생물은

공기 에 부유하여 인체의 호흡기, 막부 , 피부 등에 할 경우 과민성

질환, 알 르기,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건강한 성인에 비하여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유아에 특히

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공기 에 부유하지 않더라도 실내에

부착하여 서식할 경우 악취와 미 훼손, mVOCs(microbial volatile compounds)

물질을 발생시켜 두통과 불쾌감을 유발하고, 음식물이나 수에 오염될

경우 식품의 부패와 더불어 식 독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실내공기 에 부유하고 있는 총 부유세균(bacteria)과 총 부유진균류

(fungi)를 측정하 다.

Page 2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 -

(2) 미 세 먼 지

실내환경에서의 먼지 10 μm이하의 미세먼지는 공기 에 오랫동안

떠다니면서 호흡에 의해 기도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와 폐 깊숙이 안착하여

천식, 호흡기질환, 심폐질환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은 취사, 흡연, 애완동물, 외부공기 유입 등에 의해 발생하며, 본 연구

에서는 PM2.5와 PM10을 측정하 다.

(3) 휘 발 성 유 기화 합 물

측정 상물질 은 벤젠, 톨루엔 등 표 물질 로 확인 가능 한 개별 휘발 성

유기화합물 43 종(표 2-4)과 총휘발성 유기화 합물(TVOC)을 측정분 석하

다. TVOC는 크로마 토그램 상의 n-헥산에 서 n-헥사 데칸 까지 의 휘 발성유 기

화합물의 총합으로 측정하 다. 이를 표 2-5와 같이 Aromatic Hydrocarbons,

Aliphatic Hydrocarbon, Aldehyde 등 8개 물 질 군 으 로 구분 하 여 데 이 터 를

정 리하 다.

Page 2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 -

No. Compounds Molecular formula CAS No. Molecular weight

Boiling point (℃) Density Vapor

density1 Hexane CH3(CH2)4CH3 110-54-3 86.18 69 0.659 3.02 Chloroform CHCl3 67-66-3 119.38 61 1.492 4.13 1,2-Dichloroethane ClCH2CH2Cl 107-06-2 98.96 83 1.256 3.44 2,4-Dimethylpentane (CH3)2CHCH2CH(CH3)2 108-08-7 100.2 80 0.673 -5 1,1,1-Trichloroethane CH3CCl3 71-55-6 133.4 74~76 1.336 -6 n-Butanol C4H10O 71-36-3 84.16 64 0.673 2.67 Benzene C6H6 71-43-2 78.11 80 0.879 -8 Carbon tetrachloride CCl4 56-23-5 153.82 76 1.594 5.329 1,2-Dichloropropane CH3CH(Cl)CH2Cl 78-87-5 112.99 95~96 1.155 -10 Bromodichloromethane CHBrCl2 75-27-4 163.83 90 1.98 -11 Trichloroethylene ClCH=CCl2 79-01-6 131.39 86.7 1.463 4.512 Isooctane (CH3)2CHCH2C(CH3)3 540-84-1 114.23 98~99 0.692 3.913 n-Heptane CH3(CH2)5CH3 142-82-5 100.21 98 0.684 3.514 Methyl Isobutyl Ketone (CH3)2CHCH2COCH3 108-10-1 100.16 117 0.7978 3.515 Toluene C6H5CH3 108-88-3 92.14 110.6 0.866 3.216 Dibromochloromethane ClCHBr2 124-48-1 208.28 119~120 2.451 -17 Butyl acetate CH3COO(CH2)3CH3 123-86-4 116.2 124~126 0.882 4.018 n-Octane CH3(CH2)6CH3 111-65-9 114.23 118 0.705 -19 Tetrachloroethylene Cl2C=CCl2 127-18-4 165.83 121 1.622 5.820 Ethylbenzene C6H5Cl 100-41-4 106.17 136 0.867 3.7

21m-Xylene p-Xyleneo-Xylene

C6H4(CH3)2

108-38-3106-42-395-47-6

106.17 138 0.864 3.7

22 Styrene C6H5CH=CH2 100-42-5 104.15 145~146 0.909 3.623 n-Nonane CH3(CH2)7CH3 111-84-3 128.26 151 0.72 4.4124 α-Pinene C10H16 80-56-8 136.26 156 0.9 -25 m-Ethyltoluene C2H5C6H4CH3 620-14-4 120.19 158~159 0.865 -26 p-Ethyltoluene C2H5C6H4CH3 622-96-8 120.19 162 0.861 -27 1,2,3-Trimethylbenzene C6H3(CH3)3 526-73-8 120.19 175~176 0.894 -28 o-Ethyltoluene C2H5C6H4CH3 611-14-3 120.19 164~165 0.887 -29 β-Pinene C10H16 127-91-3 136.24 158~166 0.864 -30 1,2,4-Trimethylbenzene C6H3(CH3)3 95-63-6 120.19 168 0.876 -31 n-Decane CH3(CH2)8CH3 124-18-5 142.28 174 0.73 4.932 1,4-Dichlorobenzene C6H4Cl2 106-46-7 147 173 1.241 5.133 1,3,5-Trimethylbenzene C6H3(CH3)3 108-67-8 120.19 162~164 0.865 4.1534 D-Limonene CH3C6H8C(CH2)CH3 5989-27-5 136.24 178 0.8411 -35 Nonanal C9H18O 124-19-6 142.27 190 0.8264 -36 n-Undecane CH3(CH2)9CH3 1120-21-4 156.31 196 0.74 5.437 1,2,4,5-Tetramethylbenzene (CH3)4C6H2 95-93-2 134.22 191~197 0.838 -38 Decanal CH3(CH2)8CHO 112-31-2 156.3 207~209 0.8 -39 n-Dodecane CH3(CH2)10CH3 112-40-3 170.34 216.2 0.749 5.9640 n-Tridecane CH3(CH2)11CH3 629-50-5 184.37 235 0.7564 6.441 n-Tetradecane CH3(CH2)12CH3 629-59-4 198.4 254 0.767 6.8342 n-Pentadecane CH3(CH2)13CH3 629-62-9 212.42 271 0.7685 7.443 n-Hexadecane CH3(CH2)14CH3 544-76-3 226.45 287 0.773 7.8

표 2-4. 측정 상 휘발성유기화합물 종류와 물리 특성

Page 2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 -

Group Compounds Group Compounds

Aromatic

Hydrocarbons

Benzene

Aliphatic

Hydrocarbon

n-Hexane

2,4-DimethylpentaneToluene

2,2,4-Trimethylpentane Ethylbenzenen-Heptanem,p,o-Xylenesn-Octane

Styrenen-Nonane

m-Ethyltoluenen-Decane

p-Ethyltoluenen-Undecane

o-Ethyltoluenen-Dodecane

1,3,5-Trimethylbenzene n-Tridecane 1,2,4-Trimethylbenzene n-Tetradecane

1,2,3-Trimethylbenzene n-Pentadecane

1,2,4,5-Tetramethylbenzene n-Hexadecane

Halogenated

Hydrocarbon

(Halocarbon)

ChloroformAldehyde

Nonanal

1,2-Dichloroethane Decanal

1,1,1-Trichloroethane Alcohol Butanol

Carbon Tetrachloride Acetate Butyl acetate

1,2-Dichloropropane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Bromodichloromethane

Terpen

α-Pinene

Trichloroethylene β-Pinene

Dibromochloromethane D-Limonene

Tetrachloroethylene

1,4-Dichlorobenzene

표 2-5. 측정 상 휘발성유기화합물 분류

Page 3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 -

(4) 카 보 닐 화 합 물

카보닐화합물이란 알데하이드류와 톤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본 연구

에 서 는 폼 알 데 하 이 드, 아 세 트 알 데 하 이 드 등 7종 의 카 보 닐 화 합 물 을 선 택

하 여 측정․분석하 다. 각 물질별 물리․화학 특성은 표 2-6 에 나타내

었다.

No. Compounds Molecular formula CAS No. Molecularweight

Boilingpoint (℃)

Vapordensity

1 Formaldehyde CH2O 50-00-0 30.03 -19.5 1.00

2 Acetaldehyde CH3CHO 75-07-0 44.05 20.0 1.52

3 Acrolein CH2CHCHO 107-02-8 56.07 53.0 1.94

4 Acetone CH3COCH3 67-64-1 58.08 56.2 2.0

5 Propionaldehyde C2H5CHO 123-38-6 58.08 46∼50 2.0

6 Butyraldehyde CH3CH2CH2CHO 123-72-8 72.11 75 2.5

7 Benzaldehyde C6H5CHO 100-52-7 106.12 179 3.6

표 2-6. 측정 상 카보닐화합물 종류와 물리 특성

(5) 집 먼 지 진 드 기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실내에서의 카페트 사용, 침 , 쇼 사용 등으로

인하여 실내공기 집먼지 진드기에 의한 알 르겐이 증가하게 되었다.

세계 으로 집먼지 진드기과는 10여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유럽 집

먼지진드기(Dermatophagoids pteronyssium), 북아메리카 집먼지진드기(Dermatophagoids

farinae), D. microceras와 Euroglyphus maynei가 알 르기 질환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17).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럽 집먼지진드기 항원(Der-p)과 북아메리카 집먼지진드기 항원

(Der-f)을 측정하 다.

Page 3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1 -

(6) 이 산 화 탄 소

이산화탄소는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로 일반 으로 기 에 0.04 % 정도의

농도로 존재한다. 이산화탄소는 기오염물질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사람의

호흡 에 의하여 주로 배 출되고 연료 연소시 발생되 는 물질로 주로 실내

공기질 는 환기의 척도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실내공기질

농도를 측정하 다.

2. 연구방 법

가. 아 트 실내공 기질 황 조 사

(1) 거 주 공 간 에 한 실내공 기질 시료채취방 법 검 토

아 트 내 실내공기질 측정방법은 입주 아 트에 한 시료채취 방법

으로 실내공기질 공정시험기 에 30 분 사 환기 5 시간 폐 후 시료채취

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입주자가 거주하고 있는 실내

공간에 용하 을 때 실내공기질을 표할 수 있는 농도인지를 평가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 후 시간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변화

추이를 조사하여 오염물질의 의미있는 최소 측정시간을 결정하기 하여

거주 인 아 트 8 세 를 상으로 그림 2-1와 같이 8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시료채취를 하여 분석하 다.

Page 3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2 -

그림 2-1 폐시간에 따른 시료채취방법.

(2) 실내공 기 오 염 물 질 시료채취 분 석방 법

(가) 총 부유미생물

(1)의 거주공간에 한 실내공기질 시료채취방법 검토에 따라 5시간 폐

후 시료채취를 하 으며, 측정하기 하루 입주자의 조를 받아 5시간

폐한 후 시료채취를 하 다.

다양한 시료채취지 의 실내조건을 동일하게 만들기 해 외부공기가 통

하는 발코니 문, 방 혹은 부엌 창문을 모두 닫 아 5 시간 이상 폐 한 후

거실과 침실에서 3회씩 총 6개의 시료채취를 수행하 다. 시료채취방법에

한 상세한 설명 은 그림 2-2에 나타내었다. 이 방법으 로 하 기와 하 기

외의 계 에 2번 측정을 실시하 다.

시료채취는 벽으로부터 최소 1 m이상 떨어진 치에서 바닥 면으로부터

1.2 ~ 1.5 m 높이에 시료채취 장치를 설치하여 거실 침실 앙부에서

채취하 다. 한, 시료채취 시 외기에 의한 향을 고려하고자 시료채취 장소

마다 그림 2-3 과 같이 외기의 오염도를 측정하 다.

Page 3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3 -

(1) 30 분 환기 (2) 5 시간 폐 (3) 시료채취

↑ ↑ ↑ ↑

환기시작 폐시작 채취기 작동 종료

(1) 30 분 환기: 상세 의 거실에서 외부와 통하는 발코니 문과 방 혹은

부엌 창문을 개방하고 이 상태를 30 분간 지속하 다.

(2) 폐 : 거실과 외부공기가 통하는 개구부 (발코니 문, 방 혹은 부엌

창문)를 모두 닫아 실내․외 공기의 이동을 방지하 다.

단, 실내간의 이동을 한 문을 개방하 다.

(3) 시료채취 : 시료 채취는 거실과 침실에서 측정

그림 2-2 실내공기질 시료채취방법.

(a) Indoor air active sampling (b) Outdoor air sampling

그림 2-3 실내․외에서의 시료채취.

Page 3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4 -

미생물의 시료채취는 실내공기질 공정시험기 에 제시된 방법 충돌법을

이용 측정하 다. 부유세균 측정 장비(Bio Air Sampler) Merck의 model MAS-100 을

사용하여 100 L/min 유량으로 1분 동안 흡입하 다. 세균류는 TSA (Tryptic

Soy Agar)배지가 비된 패트리디쉬(petri dish)에 시료를 채취하 고, 진균류는

MEA(Malt extract agar)배지를 이용하여 채취하 다. 채취한 시료는 아이스

박스에 넣어 보 ․운반하고 배양기(incubator)를 이용하여 세균류는 48 시간,

진균류는 72 시간동안 각각 35 ℃, 25 ℃에서 배양하 다. 배양한 시료는

세균류 24 시간, 48 시간에 진균류는 48 시간, 72 시간 에 맞추어 증식된 균

집락수를 세어 포집한 공기의 단 체 당 균수 (CFU/m3) 로 산출하 다

(표 2-7). 시료의 보 ․운반․취 시의 오차를 보정하기 하여 장 바탕

시료를 사용하 다.

Bacteria Fungi

Sampling Flow 100 L/min 100 L/min

Sampling Time 1 min 1 min

Media TSA(Tryptic Soy Agar)

MEA(Malt extract agar)

Incubator 35 ℃, 48hr 25 ℃, 72 hr

counting 24, 48hr 48, 72hr

표 2-7. 부유미생물의 시료채취 분석방법

(나) 미세먼지

미세먼지는 2.5 μm 이하와 10 μm 이하의 입경을 갖는 PM2.5와 PM10을

측정하 다. 측정기기는 산란법을 측정 원리로 한 TSI사의 model

SidePak AM510 Aerosol Monitor을 이용하 으며, 측정범 는 0.001 ∼ 20 mg/m3

이다. 데이터는 5 간격으로 장하 으며, 유속 1.7 L/min으로 10분 동안

Page 3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5 -

측정하 다. 시료채취지 은 외기를 포함하여 부유미생물과 동일하며, 측정

조건도 동일하게 용하 다. 측정이 끝난 후 데이터는 TSI사에서 제공

하는 LogDat 로그램으로 다운로드하 다.

(다) 휘발성유기화합물

시료채취는 MP-∑30H (Sibata, JP) 펌 를 사용하여 100 mL/min 유량으로

30 분 간 Tenax-TA 200 mg이 충 된 흡 착 (1/4"× 9 cm, Perkin Elmer,

UK)을 이 용하 여 채취하 다. 본 연구에 서 사 용된 흡 착 은 자 동 처 리

장 치 인 Tube conditioner (ATC 1200, ACEN)를 이 용하 여 고 순 도 질 소 가 스

(99.999%)가 분 당 100 mL 로 흐 르 는 조 건 하 에 서 320 ℃에 서 2 ~ 3 시간

동 안 처 리 된 것 으 로 하 다. 처 리 과정 에 서 불 순 물 이 깨 끗 하 게 탈착

된 흡 착 을 1/4 인 치 나사형 타입의 마 개와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패럴 로 막은 후 50 mL 바 이 알(vial)에 넣 어 서 4 ℃에 서 습 기 혹 은 다 른 이

물 질 이 내부로 유 입 되 지 않 도 록 유 의 하 여 보 하 다.

시료채취 보 시 부가 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의 개연성을 보정하기

하여 본 연구에서는 「EPA method TO-17」에 따라 장용 바탕시료

(field blank) 실험실용 바탕시료 (laboratory blank)를 실제 시료 채취용과

동일한 흡착 으로 비하 다. 실험실용 바탕시료는 실제 시료와 동일한

기간 동안 4 ℃ 이하의 깨끗한 냉장고에 보 되었으며, 최소한 두 개 이상

비하여 실제 시료 분석 시작 과 마지막 단계에 확인하 다. 장용 바탕

시료는 시료 채취용 흡착 과 시료채취 장소로 같이 운반하되, 펌 에는 연결

하지 않고 장에서 실험실까지 운반하여 분석하 다.

흡착 에 포집된 표 시료 장 바탕시료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에는

가스크로마토그래 에 열탈착장치 (TD ; Thermal Desorption, Shimadzu, Japan)가

직 연결된 가스크로마토그래 /질량분석기 (GC/MS, GC-2010, Shimadzu, Japan)

시스템을 사용하 고, 시료 분석에 사용된 열탈착장치와 GC/MS의 운

조건은 표 2-8 과 표 2-9 와 같다. 기기 분석용 가스는 고순도 헬륨 (99.999 %) 을

Page 3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6 -

사용하 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표 물질은 액체상 표 혼합물질 (100 ppm,

Japanese Indoor Air Standards Mixture, Supelco)을 사용하 다.

Parameter Condition

Desorption time and flow 15 min, 60 mL/min

Desorption temperature 280 ℃

Cold trap packing Tenax-TA

Cold trap holding time 5 min

Trap heat temperature 280 ℃

Trap cool temperature -20 ℃

In split No

Valve temperature 250 ℃

Interface heat temperature 250 ℃

표 2-8. 열탈착장치 분석조건

Parameter Condition

GC column VB-1 (60 m × 0.25 mm × 1.0 um)

Initial temperature 40 ℃ (6 min)

Oven ramp rate 1 4 ℃/min (40 ~ 180 ℃)

Oven ramp rate 2 20 ℃/min (180 ~ 250 ℃)

Final temperature 250 ℃ (10 min)

Column flow 1.5 mL/min

MS source temperature 200 ℃

Detector type EI (Quadrupole)

Mass range 35 ~ 350 amu

Electron energy 70 eV

표 2-9. GC/MS 분석조건

Page 3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7 -

(라) 카보닐화합물

카보닐화합물의 시료채취지 은 외기를 포함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과

동일하며, 5시간 폐 후 측정하는 조건과 장용 바탕시료 실험실용

바 탕 시료 한 DNPH-카 트 리 지 (Supelco, USA)를 이 용하 여 휘 발 성 유 기

화 합물과 동일한 방법을 용하 다.

카보닐화합물의 시료채취는 MP-∑100H (Sibata, JP) 펌 를 사용하여 500

mL/min 유량으로 30 분간 2 회에 걸쳐 서로 다른 DNPH-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채취하 다. 이때 카보닐화합물 시료분석 시 결과에 향을 미치는 오존을

제거하기 하여 카트리지 앞에 오존스크러버 (Waters, USA)를 장착하 다.

그 외의 방법은 앞서 언 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시료채취방법과 동일하다.

채취된 시료는 처리 까지 4 ℃에서 냉장 보 하 다.

카보닐화합물은 시료가 흡착된 DNPH-카트리지를 추출과정을 거쳐 고성

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이하

HPLC - LC 10Avp, Shimadzu, Japan)로 분석하 다. 용매인 메탄올, 아세토니

트릴, 테 트라하 이드로 퓨란 분석용 정제수 는 HPLC 분석용으로 사용하

으며, 카 보 닐 화 합 물 표 물 질 은 혼 합 표 시료 (CARB Carbonyl-DNPH

Mixture 1, Supelco)를 사용하 다. HPLC의 분석 조건은 표 2-10과 같다.

DNPH 유도체는 350 ∼ 380 nm 에서 최 의 감도를 가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UV 장을 360 nm 에 고정하여 분석하 다. 이때, 이동상(물/테트라하이드로

퓨란(8:2, v/v), 아세토니트릴 혼합용액)은 분당 1.2 mL로 하 다.

카보닐화합물의 검량선은 DNPH에 미리 카보닐화합물을 반응시켜 만든

표 물질인 CARB Carbonyl-DNPH Mix 1(Supelco, USA)을 5 단계의 농도수

으로 희석하여 외부표 법으로 작성하 다.

실제 시료에서 카보닐화합물은 시료채취 시 펌 에 연결된 DNPH 카 트 리

지 내의 DNPH와 반 응 하 여 DNPH derivatives로 유 도 체 화 된 다. 이 카 트 리

지 를 SPE(Soild Phase Extraction, 고 체 상 추 출) vacuum manifold (Supelco,

USA)에 장착한 후, 일정한 유속의 아세토니트릴(HPLC grade) 5 mL 로 추 출

Page 3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8 -

하 으 며, 추 출 액 을 갈 색 바 이 알 에 담 아 마 개 로 잘 막 은 후 라 필 름 으 로

하 여 분 석 까 지 냉 장 보 하 다.

추출 시 사용하는 모든 유리기구는 아세토니트릴로 2 ∼ 3 회 세척한 후

60 ℃에서 건조하여 사용하 으며, 건조 후에는 공기 노출을 최소화하 다.

검량선을 작성하기 한 표 용액 추출된 카보닐화합물의 DNPH-유도체

분석은 HPLC를 이용하 다.

Parameter Condition

Injector Shimadzu SIL-10ADvp

Column ACE 5 C-18 (150 mm × 4.6 mm × 5 μm)

Detector UV-VIS Detector, Shimadzu

Mobile phase Water/Tetrahydrofuran(8:2, v/v)(A) Acetonitrile (B)

Gradient elution 0∼20 min : A/B = 80/20 → 40/60 20∼22 min : A/B = 40/60 → 80/20 22∼30 min : A/B = 80/20 hold

Detection Absorbance at 360 nm

Flow rate 1.2 mL/min

Injection volume 20 μL

Oven Temp. 40 ℃

표 2-10. HPLC의 분석조건

(마) 집먼지진드기

집먼지진드기의 시료 채취는 거주공간 침실의 침구류 침 매트리스를

상으로 하 으며 흡입에 사용된 진공청소기는 electrolux사의 model ze350 을

이용하여 채취하 다. 시료채취에 이용된 brush는 1 회용 collector를 연결하여

먼지무게가 약 100 mg이상 되도록 시료 채취를 하 으며 포집된 시료는

아이스박스에 보 , 운반하여 냉장보 하 다. 시료 채취 후 brush는 고압

멸균기에서 60℃ 15 분간 멸균하여 단백질을 제거 후 사용하 다.

Page 3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9 -

냉장보 된 시료는 ELISA (Enzyme-Linked Immunosrbent Assay)법으로

Der p, Der p allergen을 분석하 다. 분석에 앞서 시료의 처리는 425㎛

testing sieves를 사용하여 큰 입자나 섬유를 제거 후 100 mg 정량하여

conical tube 에 수집하 고, 시료 100 mg당 2 mL의 PBS-T (0.05% tween 20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 7.4)를 넣어 섞은 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 다. 추출된 먼지 부유액은 4 ℃에서 2,500 rpm 으로 20 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1.7 mL를 분주하여 분석 까지 -20 ℃ 에 보 하

다.

처리된 시료는 Anti-der f1 or p1 mAb를 50 mM carbonate-bicarbonate

buffer (pH 9.6)에 1/1000 으로 희석하여 96 well plate 에 10 μL씩 분주하여 4 ℃

에서 overnight 배양하여 PBS-T로 3회 세척하고 100 μL의 1 % BSA-PBS-T를

분주, 실온에서 1 시간 배양 하 다. 1 시간 후 PBS-T로 3 회 세척 후

Allergen standard 와 장시료를 추출한 먼지시료를 1 % BSA-PBS-T 용액으로

희석하여 100 μL씩 분주 하 다. 1시 간 후 PBS-T 용액으로 3 회 세척 후

biotinylated anti-Group 1 mAb 4C1을 1% BSA-PBS-T 용액으로 1/1000 으로

희석하여 100 μL 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1 %

BSA-PBS-T 용액을 1/1000으로 희석된 streptavidine-peroxidase 100 μL씩 분주

하여 PBS-T 용액으로 3 회 세척후 peroxidase substrates 용액 (ABTS

chromophore, Calbiochem, USA) 100 μL 씩 분주하 다.

발색된 시료는 Tecan Switzerland사의 model- infinite 200 series multimode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OD405로 2.0 ~ 2.4가 되었을때 흡 도를 측정

하 다. 측정시 모든 시료는 복 분주하여 실험 오차를 다. 분석된

흡 도 값은 Mafellan™ Data analysis Software (Tecan Switzerland) 는 Excal

2007 (Mucrosoft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 다.

Page 4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0 -

(a) 필터 장착 (b) 침 에서의 시료채취

그림 2-4 집먼지진드기 시료채취방법.

(a) 시료 처리(큰입자 제거 정량) (b) 시료 처리(교반 원심분리)

(c) Der p1 발색 (d) Der f1 발색

그림 2-5 집먼지진드기 분석방법.

Page 4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1 -

(바) 이산화탄소

측정에 사용된 기기는 비분산 외선법 (NDIR; Non-dispersive infrared)을

측정원리로 한 TSI사의 model 8760 IAQ-CalCTM을 이용하 으며, 측정범 는

0 ~ 5,000 ppm이다. 데이터는 5 간격으로 장하 으며, 10 분 동안 측정

하 다. 시료채취지 은 외기를 포함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과 동일하며, 5 시간

폐 후 측정하는 조건도 동일하게 용하 다. 측정이 끝난 후 데이터는

TSI사에서 제공하는 LogDat 로그램으로 다운로드하 다.

(3) 기타 향 인 자 측정 방 법

(가) 온· 습도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는 온도와 습도의 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18) 공기질을 측정하는 동안 측정지 의 온도와 습도를

온습도기 (Oregon, JB913R)를 이용하여 측정하 다. 온·습도는 휘발성유기

화합물과 카보닐화합물 등의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기록하 으며,

기기는 다른 오염물질을 채취하는 기기들 에 설치하 다. 외기 측정도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을 실시하 다.

(나) 풍속

측정 상 세 에서의 실내공기 오염물질 측정이 끝난 후, 발코니 혹은

거실 침실, 주방 창문에서 풍속을 측정하 다. 풍속은 TESCO사의 model

435에 열선 로 를 장착하여 측정하 다. 측정방법은 표 환기방법과

세 환기방법으로 구별하 으며, 표 환기방법은 거실 창문 혹은 발코니

에서 20,000 m2, 침실 창문에서 1,500 m2를 16 구역으로 나 어 풍속이 안정

된 후 측정하 여 16 구역 의 평균 값을 사 용하 다. 반면, 세 환기방 법은

측정하는 거주자의 생활 습 에 의하여 환기하는 방식을 기 으로 하여 16

구역으로 나 어 평균값을 사용하 다.

Page 4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2 -

(다) 가구면 부피

가구와 자제품에서 방출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향을 알아보기

하여 측정 세 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면 과 부피를 측정하 다. 세 의

거실과 침실에서 그 공간을 차지하는 가구와 자제품은 자를 이용하여

가로, 세로, 높이를 측정하여 면 부피를 계산하고 체 아 트 부피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산정하 다.

(4) 정 도 리

(가) 미생물 집먼지진드기

미생물 측정기기 (MERCK, MAS-100)는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매년

정도검사를 받았다. 집먼지진드기는 서울 학교 보건 학원에 분석을 의뢰

하 기 때문에 분석기 의 정도 리에 따랐으며, 장시료 처리과정에서는

처 리 의 시료 보 , 여 과, 무게 정 량, 추출 액의 양, 원 심분리 후 먼지

부유액의 보 등이 하게 진행되었는지 평가하고 수행하 다. 그리고

진드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양성 조는 이미 알고 있는 농도의 allergen

standard를 계단 희석하여 사용하 으며 음성 조는 먼지의 추출에 사용된

buffer를 사용하 다. 각 양성, 음성 조는 ELISA 수행 시 plate마 다 동일

조건에서 분석하여 농도환산에 이용하 다.

(나) 미세먼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산란기 (TSI, SidePakTM Personal Aerosol Monitor

AM510)는 측정 ·후에 매번 기기의 보정을 하여서 먼지 농도가 낮을

때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하 다. PM2.5, PM10과 같은 먼지의 크기를

결 정 하 는 임 팩 터 는 특 수 라 스 틱 으 로 제작 되 어 정 기로 인 한 입 자 의

손실을 방지하 으며, 임팩터 (Impactor insert)의 경우, 진공그리스를 발라서

측정 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보다 큰 먼지 입자들 을 걸러 내도록 하 다.

Page 4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3 -

유속의 경우, 임팩터의 종류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측정 에 유속측정기

(Gilian, Gilibrato2)를 이용하여 1.7 L/min로 조 하 다.

(다) 휘발성유기화합물

주거공간 내에 서 발 생 되 는 실내공 기 오 염 물 질 을 측정 하 기 에 시료

채 취 분 석 시 사 용 된 고 체 흡 착 의 과 용 량 을 평 가 하 고 , 오 염

물 질 의 농 도 를 정 량 하 고 자 검 량 선 을 작 성 하 으 며, 휘 발 성 유 기화 합 물 의

분 석 을 한 고 체 흡 착 /자 동 열 탈 착 /GC/MS의 반 인 성 능 을 평 가

하 고 자 재 성, 시료의 검 출 한 계 회 수 율 실험 을 수 행 하 다.

1) 과용량 평가

VOCs의 과용량 평가는 Tenax-TA가 충진된 고체 흡착 2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100 mL/min 유량으로 30 분간 포집한 후, 뒤쪽에 연결된 고체흡착

을 분석하여 과되는 양을 계산하 다.

2) 검량선 작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 정량을 한 검량선 (calibration curves)은 표

시료 함침 장치를 이용하여 액상표 물질 (20 ng, 50 ng, 100 ng, 200 ng, 500

ng)을 각각 자동 기화 장치에 의해 기화시킨 후 흡착 에 함침받아, 본 연구

의 실제 시료 분석 시와 동일한 기기조건으로 분석하여 작성하 다.

3) 분석기기의 재 성 평가

가스크로마토그래 의 재 성을 악하고자 액상표 물질을 이용하여

감응계수 (RF; Response Factor) 머무름 시간 (Retention Time, RT)의 상

표 편차 (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를 구하 다.

가스크로마토그래 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재 성은 액상표 시료를

흡착 에 함침시켜 시료의 분석이 행해지는 매번 실험 (batch)마다 시료와

Page 4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4 -

함께 분석․평가하 다.

4) 검출한계 평가

일반 으로 검출한계 (Detection limits)의 평가에 있어서는 기기검출한계

(IDL; Instrumental detection limits)와 방법검출한계 (MDL; Method Detection

Limits)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MDL 을 사용하 다.

MDL은 주어진 매질 속에서 분석 상물질이 99 % 신뢰도로서 측정될 수

있는 최소농도로 규정된다. MDL 계산은 잡음 (signal/noise)비가 2.5 ~ 5.0 에

해당되는 농도 값 는 검량선에서 직선성이 깨어지고 감도의 격한 변화가

일어 나는 농도를 구하 는데, 다 음과 같은 계산식 에 의 해 구할 수 있다. 각

분석물질의 variance (S2)는 다음 식 2.1 과 같다.

∑ 식 2.1

xi = 변수 x의 i 번째 측정값

x' = x의 평균값 = 1/n ∑xi

s = (S2)1/2

식 2.2

여기서 는 아래의 표에서 구한다.

No of samples 3 4 5 6 7 8 9 10

t-statistic 6.96 4.54 3.75 3.36 3.14 3.00 2.90 2.82

여기서 는 자유도 n-1, 1 % 유의수 에서의 student-t 값이며, n은

반 복 분 석 횟 수 를 의 미한다. 이와 같이 추정한 MDL이 주는 의미는 실제

분석기기상에서의 상 인 검출한계가 아닌 분석 체과정에 내재된 불확실

성을 고려한 검출한계에 한 정보를 다는 측면에서 VOCs 측정과 같이

Page 4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5 -

여러 단 계의 시료처 리과정 을 거치는 화학 분석방 법의 정 성 (sensitivity)

평 가에 합한 것으 로 알 려져 있다 (Glaser 1981, US EPA 1990).

본 연구에 사용된 MDL은 피크면 의 검출에 용된 Signal Noise 값을

고려 하여 추 정된 값 (IDL)의 3 ~ 5 배 되는 낮 은 농도의 액상표 물질 을

상으로 7 회 반 복 분석을 수 행한 후 각 물 질의 측정 농 도에 한 표 편

차를 의 식에 용하여 계산하 다.

5) 열탈착장치의 회수율 평가

휘발성유기화합물 채취용 고체흡착 의 처리 장치인 열탈착장치(TD)의

효율을 평가하기 하여 열탈착장치와 GC/MS를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

물에 한 회수율 평가 (recovery test)를 수행하 다.

기지의 액상 표 물질을 기화시킨 후 흡착 에 함침시켜 cold trap의 탈착

능을 평가하고자 열탈착장치의 transfer line으로 시료를 도입하여 분석한

결과와 열탈착장치의 transfer line을 분리한 후 GC Injector에 직 기지의

액상 표 물질을 주입하여 분석한 결과의 두 실험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cold trap의 탈착능과 회수율을 평가하 다. 이때 GC와 열탈착장치의 split

ratio 운반 기체의 압력은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하고 동일한 양의 표

물질을 각 5 회 반복․분석하 다.

(라) 카보닐화합물

주 거 공 간 내에 서 발 생 되 는 실내공 기 오 염 물 질 을 측정 하 기 에 시료

채 취 분 석 시 사 용 된 DNPH 카 트 리 지 의 과 용 량 을 평 가 하 고 ,

오 염 물 질 의 농 도 를 정 량 하 고 자 검 량 선 을 작 성 하 으 며, 카 보 닐 화 합 물 의

분 석을 한 DNPH 카 트 리 지/용매 추 출/HPLC의 반 인 성 능 을 평 가

하 고 자 재 성, 시료의 검 출 한 계 회 수 율 실험 을 수 행 하 다.

Page 4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6 -

1) 과용량 평가

휘발성유기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DNPH-카트리지를 연결하여 500

mL/min의 유량으로 30 분간 포집한 후, 뒤쪽에 연결된 DNPH-카트리지를

분석하여 과되는 양을 계산하 다.

2) 검량선 작성

카보닐화합물의 농도 정량을 한 검량선은 카보닐화합물에 미리 DNPH가

반 응 된 표 물 질 인 CARB Carbonyl-DNPH Mix를 5 개의 농도로 희석하여

본 연구의 실제 시료 분석 시와 동일한 기기조건으로 분석하여 작성하 다

(표 2-11).

Calibration curves

Compounds Cali-1 Cali-2 Cali-3 Cali-4 Cali-5

Formaldehyde 0.11 0.21 0.27 0.54 1.07

Acetaldehyde 0.10 0.20 0.25 0.49 0.98

Acetone 0.06 0.12 0.15 0.31 0.61

Acrolein 0.06 0.12 0.15 0.30 0.60

Propionaldehyde 0.06 0.12 0.15 0.31 0.61

Butylaldehyde 0.07 0.14 0.18 0.36 0.71

Benzaldehyde 0.09 0.19 0.23 0.46 0.93

표 2-11. 카보닐화합물의 검량곡선 농도 범 (농도 : μg/mL)

Page 4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7 -

3) 분석기기의 재 성 평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 의 재 성을 악하고자 액상표 물질을 이용

하여 감응계수 (RF; Response Factor) 머무름 시간 (Retention Time, RT)의

상 표 편차 (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를 구하 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 에 의한 카보닐화합물의 재 성은 카보닐화합

물에 미리 DNPH가 반응된 표 물질을 사용하여 시료의 분석이 행해지는

월별 실험마다 시료와 함께 분석․평가하 다.

4) 검출한계 평가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같은방법으로 평가하 다.

(마)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측정기기에 한 정도 리는 표 가스를 이용하여 기기의

정 확 성 을 단 하 다. 표 가 스 는 190, 499, 904, 1,404, 2,050, 2,723 ppm

으 로 제작하여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교정용가스 검정성 서를 받았다.

측정기기는 한 달에 한번 기기에 보정덮개를 덮고, 표 가스를 흘려 후에

안정화된 측정치를 표 가스의 농도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리를 하 다.

나. 건 강 향 생 활 습 조 사(설 문조 사)

실내공기질 측정이 실시되는 공간 내에 실제 거주하고 있는 세 의 특성

생활습 등이 실내공기질에 어떠한 향을 미치고, 실내공기질에 따른

건강 향을 평가하기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본 조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부록에 제시하 다.

Page 4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8 -

(1) 거 주 자 의 사 회 인 구학 특 성

가족 구성원의 성별, 연령, 체 학력과 직업, 하루 실내에 거주하는

시간과 주택 내에서 거주하는 시간에 따른 인자들을 조사하 다. 여기서

하 루 실내에 거 주 하 는 시간 은 주 택 을 포 함 하 여 교 통 자 가 용,

사 무실이 나 학교 등 실내에 거주 하는 시간을 가 리키며, 주 택 내에 서 거주

하는 시간은 재 생활하고 있는 주택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말한다.

(2) 주 거 공 간 의 특 성

거주자가 생활하고 있는 아 트의 완공연도와 이사연도, 평형과 방향에

한 기본 정보와 실내개조(remodeling)를 하 다면 개조 장소와 항목, 시기

에 한 정보를 얻었다. 실내 개조 항목에는 사이 벽 철거, 바닥재 교체, 천

장재 교체, 벽지 교체, 색을 칠하거나 붙박이 가구(옷장, 선반, 책장, 신발장

등) 설치, 싱크 , 수도시설 교체 설치, 욕조 변기 교체, 타일 교체 등

을 목록으로 정하여 선택하도록 하 다. 한, 실내 공기질에 향을 끼칠

수 있는 새 가구와 자제품 구입 여부와 시기도 설문 항목에 추가하여 주

거공간의 특성을 악하 다.

(3) 거 주 자 의 생 활 환경 습

거 주 자 의 생 활 패 턴 에 의 한 실내 공 기질 향 을 알 아 보 기 하 여 환기

방 법, 청소방법, 이불 침 커버 빨래 주기 건조방법, 방향제나 표백

제와 같은 휘발성화학물질 사용 유무, 흡연 유무 등을 조사하 다.

주거공간 내․외에서의 공기 순환을 한 환기방법에는 자연환기, 강제

환기, 공 기청 정 기 등 과 같 은 항 목을 넣 어 지 난 일 주 일 간 환기한 횟 수 와

하루 환기 횟수와 시간을 조사하 다. 청소방법에는 진공청소기, 스 청소기,

물걸 등의 방법과 해당 청소법에 한 청소 횟수, 최근 청소한 날에 한

정보를 조사하 다. 한, 침 이불, 요 등의 빨래방법(일반빨래, 삶는

빨래, 털기, 햇빛건조)에 따른 빨래 주기와 최근 시행일을 조사하 고, 가구

Page 4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29 -

택제, 방향제, 표백제, 살충제, 드라이클리닝 의류 등의 휘발성화학물질의

사용 유무와 보 장소에 한 정보를 조사하 다. 그리고 거주하고 있는

가족 구성원 흡연자의 유무에 따른 정보와 그 외의 애완동물 여부, 측정

당 일 요리 혹 은 식 사 여 부 등 생 활 환경에 따 른 향 에 한 조 사 도 실시

하 다.

(4) 거 주 자 의 건 강 자 각 증 상

거주자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실내 공기에 의해 발생한 건강 향에 한

생물 학 인 자를 알 아보기 하여 나타나는 증상 지속 기간과 정도에

하 여 조 사 하 다. 증 상으 로 는 이 건 조 하 거 나 따 갑 고, 코 막 힘, 콧 물,

알 르기성 비염, 목이 건조하거나 따갑고, 잦은 기침, 목아픔, 어지러움, 잦은

두통, 가슴이 답답하거나 호흡곤란, 메스꺼움, 피부가 건조하거나 가려움,

발진, 아토피성 피부염, 자주 졸리고 쉽게 피로함 등을 목록에 추가하 고,

그에 따른 증상의 정도를 각 단계별로 나타내어 조사하 다.

다. 분 석결 과를 이 용한 오 염 물 질 리 필 요성 평 가

본 연구에서 측정한 아 트의 실내오염물질 농도와 설문조사를 통한 거주

자의 생활습 , 거주공간의 특성 등과의 향인자를 악하기 하여 SPSS

for Windows 12.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통계분석하 다.

(1) 조 사 상 아 트 의 실내공 기 주 요 오 염 물 질 농 도 거 주 자 의

사회 인구학 특성 등 설문 내용에 한 일반사항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등의 기술통계분석으로 악하 다.

(2)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오염물질 농도에 향을 미칠 수 있는 향

인자들과의 계는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상 분석),

Kruskal-Wallis test (세 집단 이상에서의 차이검정), Mann-Whitney test

Page 5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0 -

(두 집단에서의 차이검정), Tukey-test (사후검정)를 이용하여 분석하 고,

유의수 (p)은 0.05 이하로 단하 다.

(3) 입주자 생활용품, 거주자 생활습 건강 자각증상 등에 따른 실내

공기 주요 오염물질 농도차이 분석은 t-test, Mann-Whitney test를 이용

하 다.

(4) 실내공기 주요 오염물질에 한 환경 향인자의 향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여 회귀방정식 결정계수를

구하 다.

Page 5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1 -

III. 연구결 과 고 찰

1. 정 도 리 결 과

가. 미 생 물 집 먼 지 진 드 기

미생물 측정기기의 정도 리는 매년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받았

으며, 집먼지진드기 항원의 단계 으로 희석된 standard 샘 의 duplicate

data는 그림 3-1과 같이 발색의 진행을 1분 단 로 측정하 다.

(a) (b)

(a): anti-Der f1 monoclonal antibody 6A8과 biotinylated monoclonal antibody 4C1을 사용하여 Allergen

standard를 1/160-1/5,120(15.625ng/mL-0.488ng/mL)까지 0.5배씩 희석한 결과.

(b): anti-Der p1 monoclonal antibody 5H8과 biotinylated monoclonal antibody 4C1을 사용하여 Allergen

standard를 1/80-1/2,560(31.25ng/mL-0.977ng/mL)까지 0.5배씩 희석한 결과.

그림 3-1 standard sample의 시간단 별 OD405 값 측정의 .

분석된 흡 도값을 Excel 2007을 이용하여 그림 3-2, 3-3과 같은

standard curve를 얻었으며, 직선성(lineality, R2)은 모두 0.98 이상으로 좋은

결과를 보 다.

Page 5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2 -

그림 3-2 Der f1의 standard curve . 그림 3-3 Der p1의 standard curve .

나. 휘 발 성 유 기화 합 물

(1) 크 로 마 토 그 램

휘발성유기화합물은 GC/MS로 분석하 고, 그림 3-4 는 43 종의 VOCs의

TIC(Total Ion Chromatogram)로 물질별로 모두 좋은 분리능을 나타내었다.

크로마토그램 상단의 숫자들은 표 2-4 의 표 물질별 일련번호이다. 참고로,

크로마토그램 상에는 m,p-Xylene과 o-Xylene이 각각의 개별물질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일련번호가 44번까지로 되어있다.

그림 3-4 휘발성유기화합물 표 시료에 한 GC/MS 크로마토그램.

Page 5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3 -

(2) 검 량 선

GC/MS로 분석한 43 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검량선은 표 시료 함침

장치를 이용하여 액상표 물질(20 ng, 50 ng, 100 ng, 200 ng, 500 ng)을 각각

자동 기화 장치로 기화시킨 후 흡착 에 함침 받아, 실제 시료 분석 시와

동일한 기기조건으로 분석하여 작성하 다. TVOC의 검량선은 톨루엔 검량

선에 입하여 구하 으며, 그 외 개별 VOCs 43 종은 외부표 법으로 각각

해당되는 표 물질의 크로마토그램을 정량하여 작성하 다. VOCs의 직선성

(lineality, R2)은 모두 0.999 이상으로 좋은 결과를 보 다.

Comp ound s R2 Comp ound s R2

n-Hexane 0.999 n-Nonane 0.999

Chloroform 0.999 α-Pinene 0.999

1,2-dichloroethane 0.999 m-Ethyltoluene 0.999

2,4-Dimethylpentane 0.999 p-Ethyltoluene 0.999

1,1,1-trichloroethane 0.999 1,3,5-Trimethylbenzene 0.999

Benzene 0.999 o-Ethyltoluene 0.999

n-Butanol 0.999 β-Pinene 0.999

Carbon tetrachloride 0.999 1,2,4-trimethylbenzene 0.999

1,2-dichloropropane 0.999 n-Decane 0.999

Bromodichloromethane 0.999 1,4-dichlorobenzene 0.999

Trichloroethylene 0.999 1,2,3-Trimethylbenzene 0.999

Isooctane 0.999 D-Limonene 0.999

n-Heptane 0.999 Nonanal 0.999

Methyl isobutyl ketone 0.999 n-Undecane 0.999

Toluene 0.999 1,2,4,5-Tetramethylbenzene 0.999

Dibromochloromethane 0.999 Decanal 0.999

n-Butyl acetate 0.999 n-Dodecane 0.999

n-Octane 0.999 n-Tridecane 0.999

Tetrachloroethylene 0.999 n-Tetradecane 0.999

Ethylbenzene 0.999 n-Pentadecane 0.999

Xylene 0.999 n-Hexadecane 0.999

Styrene 0.999

표 3-1. GC/MS로 분석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직선성

Page 5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4 -

(3) 과용량 평 가

휘발성 유기화 합물의 시료 채취 시 본 연구에 서 선택 한 흡 착제 포집

유량에서의 과용량 평가를 수행하 다. Tenax-TA가 충진된 고체흡착 에

포 집 된 VOCs 주 요 오 염 물 질 의 과효 율 은 표 3-2에 나타 내었 다. 본

연구에서 의 과효율 은 U.S. EPA의 과기 인 5 % 보다 낮게 측정 되었

으므로(EPA Method TO-17 5.7), 본 연구의 시료채취조건에서 VOCs의 과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CompoundsConcentration (μg/m3)

Ratio* (%)First tube Back-up tube

Benzene 6.86 N.D -

Toluene 186.66 N.D -

Ethylbenzene 153.34 N.D -

Xylenes 44.81 N.D -

Styrene 7.00 N.D -

TVOC 2402.37 14.73 0.61

표 3-2. Tenax-TA에 의한 실내공기오염물질의 과효율

* Ratio (%) = [ Conc. in Back-up tube / Conc. in (First+Back-up) tube ]× 100 * Tenax-TA Total sample volumes : 3 L (100 mL/min, 30 min )

(4) 재 성 평 가

GC/MS에 의한 측정 상물질 분석방법의 재 성은 액상표 물질의 감응

계수 머무름 시간에 한 상 표 편차로 평가하 다. GC/MS로 분석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재 성은 액상표 시료를 흡착 에 함침시켜 시료의

분석이 행해지는 매 실험마다 시료와 함께 분석하여 평가하 다. GC/MS의

머무름 시간 감응계수에 한 재 성은 0.1 % 미만, 19.3 % 이하로 양호

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3).

Page 5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5 -

Compounds Retention time

Response factor Compounds Retention

timeResponse

factor

Hexane < 0.1 19.3 o-Xylene < 0.1 10.0

Chloroform < 0.1 10.2 n-Nonane < 0.1 10.4

1,2-Dichloroethane < 0.1 15.5 α-Pinene < 0.1 10.8

2,4-Dimethylpentane < 0.1 14.9 p-Ethyltoluene < 0.1 11.5

1,1,1-Trichloroethane < 0.1 15.6 m-Ethyltoluene < 0.1 12.1

n-Butanol < 0.1 17.4 1,2,3-Trimethylbenzene < 0.1 11.8

Benzene < 0.1 8.7 o-Ethyltoluene < 0.1 11.9

Carbon tetrachloride < 0.1 13.8 β-Pinene < 0.1 12.4

1,2-Dichloropropane < 0.1 12.8 1,2,4-Trimethylbenzene < 0.1 12.0

Bromodichloromethane < 0.1 17.9 n-Decane < 0.1 9.1

Trichloroethylene < 0.1 15.2 1,4-Dichlorobenzene < 0.1 12.1

Isooctane < 0.1 16.6 1,3,5-Trimethylbenzene < 0.1 12.2

n-Heptane < 0.1 11.1 D-Limonene < 0.1 12.9

Methyl Isobutyl Ketone < 0.1 10.4 Nonanal < 0.1 12.8

Toluene < 0.1 9.8 n-Undecane < 0.1 10.4

Dibromochloromethane < 0.1 15.2 1,2,4,5-Tetramethylbenzene < 0.1 13.0

Butyl acetate < 0.1 12.8 Decanal < 0.1 15.3

n-Octane < 0.1 10.5 n-Dodecane < 0.1 10.8

Tetrachloroethylene < 0.1 12.3 n-Tridecane < 0.1 12.1

Ethylbenzene < 0.1 10.1 n-Tetradecane < 0.1 13.1

m,p-Xylene < 0.1 9.1 n-Pentadecane < 0.1 13.5

Styrene < 0.1 13.0 n-Hexadecane < 0.1 12.0

표 3-3. GC/MS에 의한 VOCs의 재 성 (Unit :RSD(%), n=47)

(5) 검 출 한 계 평 가

GC/MS로 분석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법검출한계를 평가한 결과, 표

3-4 와 같이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0.26 ng (1,3,5-Trimethylbenzene) ~

6.92 ng (n-Butanol)의 범 로 나타났다. 이 값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장

시료채취 유량 3 L로 나 어 공기 농도로 환산하면 0.09 ~ 2.31 μ

g/m3에 해당하 다.

Page 5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6 -

CompoundsMDL

CompoundsMDL

ng μg/m3 ng μg/m3

Hexane 0.38 0.13 o-Xylene 0.56 0.19 Chloroform 0.31 0.10 n-Nonane 0.32 0.11

1,2-Dichloroethane 1.77 0.59 α-Pinene 0.71 0.24 2,4-Dimethylpentane 0.41 0.14 p-Ethyltoluene 0.36 0.12 1,1,1-Trichloroethane 0.83 0.28 m-Ethyltoluene 0.37 0.12

n-Butanol 6.92 2.31 1,2,3-Trimethylbenzene 0.43 0.14 Benzene 0.38 0.13 o-Ethyltoluene 0.39 0.13

Carbon tetrachloride 0.60 0.20 β-Pinene 0.64 0.21 1,2-Dichloropropane 0.74 0.25 1,2,4-Trimethylbenzene 0.37 0.12 Bromodichloromethane 1.12 0.37 n-Decane 0.32 0.11

Trichloroethylene 0.63 0.21 1,4-Dichlorobenzene 0.45 0.15 Isooctane 0.47 0.16 1,3,5-Trimethylbenzene 0.26 0.09 n-Heptane 1.22 0.41 D-Limonene 0.40 0.13

Methyl Isobutyl Ketone 1.77 0.59 Nonanal 3.78 1.26 Toluene 0.63 0.21 n-Undecane 0.27 0.09

Dibromochloromethane 1.87 0.62 1,2,4,5-Tetramethylbenzene 0.33 0.11 Butyl acetate 1.67 0.56 Decanal 3.35 1.12

n-Octane 1.65 0.55 n-Dodecane 0.41 0.14 Tetrachloroethylene 0.44 0.15 n-Tridecane 0.52 0.17

Ethylbenzene 0.64 0.21 n-Tetradecane 0.30 0.10 m,p-Xylene 1.22 0.41 n-Pentadecane 0.37 0.12

Styrene 0.54 0.18 n-Hexadecane 0.82 0.27

표 3-4. GC/MS로 분석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법검출한계

(5) 열 탈 착 장 치 의 회 수 율 평 가

휘 발 성 유 기화 합 물 주 요 오 염 물 질 에 한 열 탈 착 장 치 의 회 수 율 을

평가한 결과, 표 3-5 와 같이 107 ~ 120 % 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탈착 과정에서의 시료손실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단

하여 시료의 농도 계산 시 회수율 보정은 실시하지 않았다.

Page 5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7 -

Comp ound s Re c ove r y ( %) Comp ound s Re c ove r y ( %)

Benzene 116 o-Xylene 118 Toluene 117 α-Pinene 120

Ethylbenzene 120 β-Pinene 120m,p-Xylene 119 n-Decane 107

Styrene 114 D-Limonene 113

표 3-5.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열탈착장치(TD)에 의한 회수율

다. 카 보 닐 화 합 물

(1) 크 로 마 토 그 램

카보닐화합물은 HPLC로 분석하 으며, 그림 3-5는 카보닐화합물의 크로

마 토 그 램 이 고, 물 질 별 로 모 두 좋 은 분 리 능 을 나타 내었 다. 크 로 마 토 그 램

상단에는 각각의 표 물질명을 기재하 다.

0.0 2.5 5.0 7.5 10.0 12.5 15.0 17.5 20.0 min

0.0

1.0

2.0

3.0

4.0

5.0

6.0

7.0

(x10,000)

Form

aldehyde

Acetaldeh

yde

Aceton

e

Acrolein

Propion

aldehyde

Butyraldeh

yde

Benzaldeh

yde

0.0 2.5 5.0 7.5 10.0 12.5 15.0 17.5 20.0 min

0.0

1.0

2.0

3.0

4.0

5.0

6.0

7.0

(x10,000)

Form

aldehyde

Acetaldeh

yde

Aceton

e

Acrolein

Propion

aldehyde

Butyraldeh

yde

Benzaldeh

yde

그림 3-5 카보닐화합물 표 시료에 한 HPLC 크로마토그램.

Page 5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8 -

(2) 검 량 선

HPLC로 분석한 7 종의 카보닐화합물의 검량선은 미리 DNPH가 반응된

각각 농도가 다른 7 종의 액상혼합표 물질인 CARB Carbonyl- DNPH Mix를

5 단계의 농도수 으로 조제하여 본 연구의 실제 시료 분석 시와 동일한

기기조건 으로 분석하 다. 카 보닐화 합물의 검량 선은 검출된 각각 의 표

물질의 크로마토그램을 정량하여 작성하 다. 카보닐화합물의 직선성

(lineality, R2)은 모두 0.999 이상으로 좋은 결과를 보 다(표 3-6).

Compounds R2 Compounds R2

Formaldehyde 0.999 Propionaldehyde 0.999

Acetaldehyde 0.999 Butylaldehyde 0.999

Acetone 0.999 Benzaldehyde 0.999

Acrolein 0.999

표 3-6. HPLC로 분석한 카보닐화합물의 직선성

(3) 과용량 평 가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의 시료 채취 시 본 연구에서 선택한

흡착제 포집유량에서의 과용량 평가를 수행하 다.

Cabonyls 주요 오염물질의 과효율은 각각 0.6 % 1.2 ∼ 4.6 %로

나타났다(표 3-7). 본 연구에서의 과효율은 U.S. EPA의 과기 인 5 %

보다 낮 게 측정되 었으므 로(EPA Method TO-17 5.7), 본 연구의 시료채취

조건에서 Carbonyls의 과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Page 5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39 -

CompoundsConcentration (μg/m3)

Ratio* (%)First tube Back-up tube

Formaldehyde 135.49 3.35 2.41

Acetaldehyde 35.20 1.69 4.58

Acetone 136.70 1.65 1.19

표 3-7. DNPH-카트리지에 의한 카보닐화합물의 과효율

* Ratio (%) = [ Conc. in Back-up tube / Conc. in (First+Back-up) tube ]× 100 * Tenax-TA Total sample volumes : 3 L (100 mL/min, 30 min ) DNPH-cartridge Total sample volumes : 15 L ( 500 mL/min, 30 min )

(4) 분 석기기의 재 성 평 가

HPLC에 의한 측정 상물질 분석방법의 재 성은 액상표 물질의 감응

계수 머무름 시간에 한 상 표 편차로 평가하 다.

HPLC로 분 석한 카 보 닐 화 합 물 의 머 무 름 시간 감 응 계 수 에 한

재 성 역시 월별 실험마다 평가하 다. 7종의 물질 모두 분석기간 동안

머 무 름 시간 감 응 계 수 의 재 성 은 약 1.4 % 이 하, 9.7 % 이 하 로

나타 나 기기분 석에 따 른 측정 상물 질 의 재 성 은 양 호 한 것 으 로 평 가

되 었 다(표3-8).

Compounds Retention time Response factor

Formaldehyde 1.4 3.6

Acetaldehyde 1.4 9.7

Acetone 1.4 3.6

Acrolein 1.3 3.9

Propionaldehyde 1.3 4.3

Butylaldehyde 1.1 3.4

Benzaldehyde 1.1 4.0

표 3-8. HPLC에 의한 Carbonyls의 재 성 (Unit :RSD(%), n=40)

Page 6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0 -

(5) 검 출 한 계 평 가

HPLC로 분석한 카보닐화합물의 방법검출한계를 평가한 결과, 표 3-9와 같이,

카보닐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0.0030 μg/mL (formaldehyde) ~ 0.0064 μg/mL

(propionaldehyde)의 범 로 나타났다. 이 값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장

시료채취유량인 15 L로 나 어 공기 농도로 계산하면 0.99 ~ 2.14 μg/m3에

해당하 다.

CompoundsMDL

CompoundsMDL

μg/mL μg/m3 μg/mL μg/m3

Formaldehyde 0.0030 0.99 Propionaldehyde 0.0064 2.14

Acetaldehyde 0.0040 1.32 Butylaldehyde 0.0042 1.40

Acetone 0.0054 1.78 Benzaldehyde 0.0062 2.06

Acrolein 0.0043 1.44

표 3-9. HPLC로 분석한 카보닐화합물의 방법검출한계

라. 이 산 화 탄 소

이 산 화 탄 소 기기에 각 기 다 른 농 도 의 표 가 스 를 흘 려 보 내 후 기기

에서 그 값을 어느 정도 측정하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정도 리를 실시하 다.

그 결 과, 측정 기기의 정 도 리 는 R2이 0.992, 기울 기가 0.913으 로 비 교

정 확하게 표 가스의 농도가 측정되었다.

Page 6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1 -

2. 연구 상 세 의 특 성

본 연구의 연구 상 세 는 수도권을 상으로 모집하 으며, 각 측정

지 에 한 상 세 는 그림 3-6과 표 3-10과 같다.

그림 3-6 아 트 상세 측정지 .

측정 지 은 서 울 28 세 , 경기도 43 세 , 인 천 29 세 등 총 100

세 를 상으로 하 으며, 부분의 측정세 는 공동주택단지 형 인

주거지역이었다.

서울 지역 은 상세 가 주택 단지와 빌 딩들이 혼 재되어 있는 지 이

부분이 었고, 2 ~ 8 차 선 도로 와 인 하여 교 통량이 다소 많 은 지역 이

었으나, 자동차 배출가스 이외에 특별한 오염원은 외부 환경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기도 지역은 상세 가 규모 아 트 단지가

치한 형 인 주거지역이었으며, 단지 내 교통량은 출퇴근 시간 이외

에는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천 지역의 상세 는 소규모의

공동주택 단지의 주거지역이었으며, 주변은 한쪽 면에 낮은 산이 치해

있거나, 5 층 이하의 낮은 건물들이 주변에 치해 있었다.

Page 6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2 -

시 구 세 수 시 구 세 수

서울시

강남구 3 군포시 -  4강동구 1 부천시 원미구 8강북구 1 성남시 분당구 1강서구 3

수원시통구 1

악구 2 장안구 4구로구 1

안양시동안구 5

동작구 2 만안구 1서 구 1 오산시  - 4성동구 1 용인시 기흥구 5성북구 4

인천시

계양구 5송 구 3 남구 2양천구 2 남동구 2

등포구 2 동구 1은평구 2 부평구 4

고양시덕양구 6 서구 12

일산동구 2 연수구 3명시 -  2 총 100 세  

표 3-10. 지역별 아 트 측정세

3. 거 주 공 간 에 한 실내공 기질 시료채취방 법 검 토 결 과

아 트 내 실내공기질 시료채취시 정 측정시간의 검토를 하여 폐

후 시간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변화 추이를 조사하 다. 상세 100 세

8 세 를 상으로 8 시간 동안 1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는 표

3-11, 3-12 와 같다.

외기 농도에 향을 많이 받는 물질인 미세먼지와 곰팡이의 경우는 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 으며, 폐하지 않았을

경우와 5 시간 폐 후 농도와의 비는 50 %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Page 6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3 -

 compoundsairtight time

0 hr 1 hr 2 hr 3hr 4 hr 5 hr 6 hr 7 hrBenzene 9.22 9.11 8.43 7.69 7.46 6.79 6.05 5.50

Toluene 47.95 58.40 66.63 64.16 71.44 76.28 74.42 80.23

Ethylbenzene 7.06 7.61 7.45 7.15 7.63 7.95 7.90 8.09

Xylenes 7.57 9.39 10.63 10.21 11.58 12.67 12.43 12.61

Styrene 1.83 3.08 3.47 3.64 3.94 3.99 3.97 4.18

TVOC 310.20 374.32 531.78 544.30 549.26 538.25 505.51 549.85

Formaldehyde 51.33 72.62 87.11 90.85 93.82 92.51 92.27 90.39

Acetaldehyde 10.04 15.56 21.94 31.46 31.82 29.85 28.99 30.63

Acetone 30.63 47.71 50.46 55.35 58.77 60.89 60.82 61.47

Bacteria 1023.0 1391.2 1630.4 1471.9 1765.0 1675.7 1378.4 1331.3

Fungi 423.6 203.4 315.3 206.5 147.0 135.5 112.2 175.8

CO2 683.3 860.0 1087.7 1306.3 1332.7 1454.7 1485.0 1505.3

PM10 128.6 99.25 85.9 82.3 69.8 66.3 58.4 55.8

표 3-11. 아 트 거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오염물질의 농도

 compoundsairtight time

0 hr 1 hr 2 hr 3hr 4 hr 5 hr 6 hr 7 hrBenzene 7.98 7.41 7.70 7.15 6.73 6.11 5.82 4.85

Toluene 49.64 54.35 58.12 58.40 62.39 65.92 72.53 69.75

Ethylbenzene 4.99 7.09 7.14 6.73 7.19 7.27 7.68 7.27

Xylenes 8.30 9.21 9.93 9.75 12.18 11.14 11.09 11.96

Styrene 1.83 3.31 3.64 3.72 3.99 4.01 4.18 4.16

TVOC 310.32 381.51 469.58 505.20 501.66 505.27 533.04 537.50

Formaldehyde 52.49 73.94 83.93 89.14 96.69 94.27 95.18 89.69

Acetaldehyde 9.92 15.07 21.30 30.02 32.42 30.58 30.72 29.29

Acetone 28.72 42.21 48.25 54.55 59.34 61.29 62.53 57.75

Bacteria 889.4 1327.6 1405.1 1406.1 1276.5 1487.9 1335.1 1190.4

Fungi 343.7 165.8 269.3 17367 142.0 111.2 104.7 170.5

CO2 590.6 884.5 1094.4 1302.5 1390.5 1484.9 1527.5 1544.0

PM10 161.0 139.3 115.0 94.0 85.0 81.3 76.3 70.3

표 3-12. 아 트 침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오염물질의 농도

Page 6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4 -

그러나, VOCs와 Carbonyls 화합물의 경우에는 반 으로 거실과 침실

모두 폐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건축자재 가구류 등에서 오염물질이

방출되어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 으며, CO2 농도는 실내

에서의 사람들의 호흡에 의하여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 으며, 재실자

수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폐를 하지 않았을 경우와 5 시간 폐

후 농도와의 비는 오염물질 별로 약 1.1 ~ 3.0 배로 나타났으며, 1 시간

폐 후 농도와 5 시간 폐 후 농도와의 비는 오염물질 별로 약 1.0 ~

2.0 배로 나타났다.

한, 폐 시간 에 따 른 오 염 물 질 농 도 변 화 와 각 폐 시간 별 농 도 의

변화폭은 그림 3-7, 3-8과 같으며,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그림 3-9와 같이

5 시간 폐 후 부분 오염물질의 농도변화가 크지 않았으므로 5 시간

폐후 측정하는 것으로 하 다.

박진철19)

의 연구에서도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TVOC와 포름알데히드의

농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 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5

시간 폐 후, 시간 변화에 따른 농도 증감은 크지 않았다. 따라서 충분히

실외공기로 환기 된 실내에서 실내오염원의 방출에 의하여 실내공기 오염

물질농도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폐시간은 5시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행 입주 신축공동주택 내 실내공기질 측정방법은 실내공기질 공정

시험방법에서 30 분 사 환기 5 시간 폐 후 시료를 채취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입주 공동주택이 아닌 거주자가 살고 있는

주택을 상으로 하고 있기에 측정방법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8 세 를 상으로 폐시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농도를 살펴본 결과 실내

공기질 공정시험방법상의 5 시간 폐 후 시료채취는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age 6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5 -

Bacteria Fungi PM10

CO2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

Formaldehyde Acetaldehyde Acetone

그림 3-7 거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 분포.

Page 6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6 -

Bacteria Fungi PM10

CO2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

Formaldehyde Acetaldehyde Acetone

그림 3-8 침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 분포.

Page 6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7 -

(a) living room

(b) bed room

그림 3-9 거실과 침실에서의 폐시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그래 .

4. 기타 향 인 자 장 측정 결 과

가. 실내 온․습 도

실내공기 오염물질 측정기간과 측정지 에 다른 온․습도의 변화는표

3-13과 같으며, 하 기와 /가을에 한 온도의 차이는 거실과 침실에서

2 ℃ 정도, 외기에 서는 5 ℃정도 의 차이를 보 다. 습도는 10 % 정도

여 름이 높 은 것으 로 나타 났는데 이것은 장마철 에 습기가 높기 때문에

반 으 로 높 게 나타 난 것 이 라 고 단 되 었 다. 실내와 실외 의 온 도 를

비 교하 을 때, 하 기에는 실내보 다 실외 의 온도 가, 하 기를 제외 한

계 에서는 실외보다 실내에서의 온도가 높고, 습도는 반 으로 실내가

Page 6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8 -

실외보다 더 높았다. 5시간 동안 폐를 하면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

되지 않으면서 여름에는 냉방기의 사용 때문에 상 으로 외부의 온도가

높고, 여름이 아닌 계 에는 난방으로 실내의 온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Summer Out of SummerIndoor

OutdoorIndoor

OutdoorLiving Room

Bed Room

Living Room

Bed Room

Temp.

(℃)

Mean 27.2 27.3 28.7 25.1 25.2 23.6

S.D. 1.7 1.3 2.9 3.0 2.1 4.3

Min 20 24 19 16 20 13

Median 27 27 29 25 26 24

Max 31 30 35 30 29 34

Humidity

(%)

Mean 65.6 65.7 52.4 53.9 55.6 43.1

S.D. 11.1 10.8 13.6 12.5 10.3 10.0

Min 26 21 22 17 34 19

Median 68 67 50 54 55 43

Max 84 84 93 75 76 71

표 3-13. 측정기간 측정지 에 따른 온․습도

나. 풍 속

본 연구에 서 풍 속 에 한 측정 은 하 기와 하 기를 제외 한 계 ,

거 실과 침 실, 표 방 법과 세 방 법으 로 나뉘 어 비 교 하 다 (표 3-14).

하 기와 하 기를 제외한 계 을 비교하면, 하 기에 반 으로 풍속이

더 세 고, 거 실과 침 실을 비 교 하 을 때 침 실의 풍 속 이 세 었 으 며, 표

방 법과 세 방법을 비교하 여 보았 을 때, 거실에 서는 큰 차 이가 없으 나,

침실에서는 표 방법으로 환기할 때 풍속 값 의 차 이가 크다 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Page 6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49 -

측정한 풍속의 값을 통하여 환기량을 추정하는 것은 각 세 마다 환기

하는 방 식과 시간이 다 르고 측정하 는 장소와 측정 할 당시에 한 일 기

변화, 측정자의 주 성 등 달라질 수 있는 요인이 많기 때문에 풍속 값만을

가지고 환기량을 평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되었으며, 추후 아 트

실내공기질을 평가하기 해서는 환기량 측정이 꼭 필요하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라고 사료되었다.

Mean S.D. Min Median Max

Summer

Living

Room

StandardWidth (cm) 92.7 14.0 60.0 90.9 166.0 Height (cm) 204.9 28.5 115.0 210.0 240.0

Wind Speed (m/s) 0.33 0.34 0.06 0.21 2.12

generalWidth (cm) 100.2 23.7 10.0 100.0 210.0 Height (cm) 205.1 27.7 115.0 210.0 240.0

Wind Speed (m/s) 0.33 0.32 0.05 0.22 1.92

Bed

Room

StandardWidth (cm) 12.1 12.8 6.3 8.8 120.0 Height (cm) 157.6 40.2 30.0 170.0 240.0

Wind Speed (m/s) 0.50 0.56 0.06 0.31 3.04

generalWidth (cm) 79.2 26.3 7.5 80.0 130.0 Height (cm) 155.6 41.8 30.0 170.0 240.0

Wind Speed (m/s) 0.32 0.38 0.05 0.21 2.49

Out of

Summer

Living

Room

StandardWidth (cm) 93.3 25.1 6.8 90.0 220.0 Height (cm) 203.4 30.7 90.0 210.0 235.0

Wind Speed (m/s) 0.25 0.18 0.06 0.21 1.17

generalWidth (cm) 102.8 25.5 60.0 100.0 220.0 Height (cm) 203.4 29.9 90.0 210.0 240.0

Wind Speed (m/s) 0.28 0.23 0.06 0.22 1.45

Bed

Room

StandardWidth (cm) 10.6 4.2 6.3 8.8 27.3 Height (cm) 158.0 39.9 60.0 170.0 240.0

Wind Speed (m/s) 0.35 0.35 0.04 0.22 1.57

generalWidth (cm) 82.4 27.7 8.6 80.0 150.0 Height (cm) 154.8 39.0 60.0 160.0 240.0

Wind Speed (m/s) 0.28 0.32 0.06 0.19 2.02

표 3-14. 측정방법에 따른 풍속

※ width : 창문넓이, Height : 창문높이

Page 7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0 -

다. 가 구면 부피

가구 혹은 자제품(이하 ‘가구’로 명명)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실내공기질이 많은 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거주공간 내에서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았다. 측정이 이루어지는 거실과 침실에

있는 가구의 면 과 높이를 통하여 부피를 측정하여 표 3-15 에 나타내었다.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거실이 약 16 %, 침실이 약 19 % 정도로 침실이

면 이 작으므로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Living Room Bed Room

Living room volume (㎥)

Sum of furniture

volume (㎥)

Bed room volume (㎥)

Sum of furniture

volume (㎥)

Mean 37.6 6.1 28.1 5.3

S.D. 12.0 2.5 6.6 2.6

Min 7.4 1.9 13.6 0.4

Median 37.1 5.8 28.6 5.2

Max 67.9 16.5 42.5 16.9

Ratio (%)(Furniture/Room) 16.2 18.8

표 3-15. 아 트 측정공간별 가구부피

Page 7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1 -

5. 거 주 공 간 에 서 의 실내공 기 오 염 물 질 분 포 특 성

가. 총 부유 미 생 물

입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기존 아 트에서의 총부유미생물 분포특성은

표 3-16과 같다.

총부유세균(bacteria)의 경우 평균농도는 1,302 CFU/m3(173 ~ 7,283

CFU/m3)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공간별 분포는 침실 (1,366 CFU/m3)이 거실

(1,238 CFU/m3)보다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이 농도는 실내공기질 리법의

다 이용시설(의료기 , 보육시설, 국공립 노인요양시설 노인 문병원,

산후조리원)의 실내공기질 유지기 인 800 CFU/m3를 과하는 세 가 67 %로

많 은 세 가 기 을 과하 다. 총부유 세 균 은 특 히 온·습 도 가 높 아

유기물이 부패하기 쉬운 여름철에 높게 나타나 부유미생물에 한 리가

필 요한 것 으 로 나타 났 다. Shun Chen Lee12)에 따 르 면 홍 콩 의 주 거 공 간

에 서의 총부유세균 농도는 800 CFU/m3 (400 ~ 1,100 CFU/m3)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주거공간에서의 농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부유진균(곰팡이)의 경우 평균농도는 380 CFU/m3 (19 ~ 5,000

CFU/m3)으로 나타났으며, 이 농도는 WHO 권고기 치인 500 CFU/m3을

과하 는 세 가 22 %로 많 은 세 가 기 을 과하 다. 총부유 진 균

(곰 팡이)의 경우는 부유세균과는 달리 여름철(387 CFU/m3)보다는 철에

602 CFU/m3로 높 게 나타 났 으 며, 이 는 측정 시기가 곰 팡 이 포 자 가 번 식

하 기 좋은 조건인 25 ℃ 이상이여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단되었다.

Page 7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2 -

총 부유 미 생 물 농 도(CFU/m3)

mean s.d. min median max

living roomBacteria 1,237.67 858.61 173.33 1,020.0 5,573.33

Fungi 407.30 480.08 27.67 280.00 4,216.00

bed roomBacteria 1,365.82 997.90 223.33 1,120.00 7,283.33

Fungi 407.49 487.53 26.67 286.67 5,000.00

totalBacteria 1,301.74 931.90 173.33 1,080.00 7,283.33

Fungi 407.40 483.21 26.67 283.33 5,000.00

summer

living roomBacteria 1,339.23 989.83 173.33 1,086.67 5,573.33

Fungi 385.41 442.93 26.67 266.67 2,696.67

bed roomBacteria 1,545.49 1,116.86 223.33 1,306.67 7,283.33

Fungi 388.25 409.79 26.67 274.16 2,753.33

totalBacteria 1,442.36 1,057.82 173.33 1,205.00 7,283.33

Fungi 386.83 425.68 26.67 270.00 2753.33

out of

summer

living roomBacteria 1,121.91 665.55 248.00 993.33 3,603.33

Fungi 432.25 520.51 49.33 300.00 4,216.00

bed roomBacteria 1,161.04 799.96 233.33 900.00 4,393.33

Fungi 429.42 564.77 58.67 303.33 5,000.00

totalBacteria 1,141.48 734.10 233.33 949.00 4,393.33

Fungi 430.84 541.62 49.33 303.33 5,000.00

spring

living room

Bacteria 1,211.48 722.34 248.00 985.00 2,749.33

Fungi 604.26 832.25 49.33 333.67 4,216.00

bed room

Bacteria 1,075.88 619.40 440.00 907.34 2,998.67

Fungi 599.33 929.60 58.67 353.33 5,000.00

totalBacteria 1,143.68 670.20 248.00 955.67 2,999.67

Fungi 601.80 874.21 49.33 352.00 5,000.00

fall

living room

Bacteria 1,083.33 641.56 283.33 993.33 3,603.33

Fungi 358.15 280.60 63.33 276.67 1,730.00

bed room

Bacteria 1,197.72 868.06 233.33 900.00 4,393.33

Fungi 356.23 275.46 66.67 280.00 1,583.33

totalBacteria 1,140.53 762.46 233.33 948.34 4,939.33

Fungi 357.19 276.96 63.33 280.00 1,730.00

표 3-16 실내공기 총부유미생물 농도 분포

Page 7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3 -

이지 등20)

에 따르면 아 트의 실내외 공기에서 18 종의 fungal genera

(균류)가 검출되었으며 그 Cladosporium, Penicillum, Aspergillus, Alternaria 가

실내외 모두 우세하게 나타났다. 한 장마철/장마철 아닌 시기의 농도비는

실내에서 박테리아 1.9, 균류 2.1로 장마철이 두배정도 농도가 높았으며,

실외에서는 박테리아 1.4, 균류 3.9로 장마철에 균류가 약 4 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마기간 동안에는 Cladosporium, Penicillum가 실내외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게 검출되었다. 한 총균류와 Cladosporium 농도는

다른 룸보다 부엌에서 유의하게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 다.

본 연구에 서는 실내공기 부유 진균에 한 종 분류를 하 지는 못하

지만 이지 등의 논문에 따르면 아 트 실내공기 에 알 르기성비염,

천식, 과민성폐렴, 갈색 진균증, 만성 비 성 부비강염, 피부감염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진균류가 검출되므로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Megan Hargreaves21)에 따르면 호주의 주거용 집에서 많이 검출되는 진균

류는 Cladosporium, Curvularia, Alternaria, Fusarium, Penicillium 으로 외기

1,133 CFU/m3(463~3,125 CFU/m3), 거실(normal vent) 810 CFU/m3 (400~1,675

CFU/m3), 침실(normal vent) 692 CFU/m3(350~1,688 CFU/m3)로 호주에서의

주거형태는 단독주택으로 외기에서 향을 많이 받아 우리나라보다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Josef22)에 따르면 폴란드의 주거용 집을 healty home와 mold home으로

나 어 곰팡이 농도릉 측정한 결과 healty home은 여름철이 225 CFU/m3(36~2,494

CFU/m3), 겨울철 59 CFU/m3 (34 ~143 CFU/m3)으로 나타났으며, mold

home은 여름철 834 CFU/m3(103~16,968 CFU/m3)과 겨울철 256 CFU/m3(49

~ 3,852 CFU/m3)로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한, 문 등23)에 따르면 체 으로 아 트의 상부세 에서 곰팡이

발생 면 이 넓고 특히 최상층에서 곰팡 이 발 생이 가장 활발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상층의 경우 옥상과 면해 있어 외기의 향을 가장

Page 7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4 -

많이 받기 때문으로 보고하 다. 한 외기에 면한 단 세 의 노출 벽면의

수에 따른 곰팡이 발생면 을 분석한 결과 2면 노출 가운데 라인보다 3

면이 외기에 해있는 측벽 세 에서 곰팡이 발생면 이 크게 나타났다.

한 향별 분석을 해 남서향 가구와 남동향 가구의 곰팡이 발생면 을

분석한 결과 남서향 1.104 m2, 남동향 1.022 m2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고하 다. 각 실별(침실, 발코니, 욕실, 거실) 곰팡이 발생

면 을 산출한 결과 부분이 발코니에서 발생하 으며 체 면 의 약

90%를 차지하 으며, 발코니에서 곰팡이 분포가 가장 심한 이유는 외기와

한 공간으로 내/외부의 기온차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콘크리트 에

페인트로 마감한 발코니 벽체도 온습도 조건에 따라 곰팡이가 쉽게 번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 외기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도 향 실내오염원의 존재 유무를

악하기 하여 총부유미생물의 실내/실외 농도비를 계산한 결과 표

3-17과 같이 박테리아의 경우 거실 13.7, 침실 15.2 로 나타나 실내오염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 면 곰팡이 의 경우 거 실과 침 실 모두 0.6으로

실내보다는 실외에 오염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oom

compounds

living room bed room total

indoor outdoor I/O indoor outdoor I/O indoor outdoor I/O

Bacteria 1237.67 90.08 13.7 1365.82 90.08 15.2 1301.74 90.08 14.5

Fungi 407.30 684.21 0.6 407.49 684.21 0.6 407.40 684.21 0.6

표 3-17. 실내․외 공기 총부유미생물 농도비

※ I/O : indoor air/outdoor air

Page 7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5 -

나. 미 세 먼 지

입주자가 거주 인 아 트의 거실과 침실의 미세먼지의 분포특성을 표

3-18에 나타내었다. 거실과 침실의 미세먼지 농도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

났 으 며, PM2.5는 거 실에 서 48.92 μg/m3 (4.00 ~ 266.00 μg/m3)으 로 나타

났으며, 침실은 47.77 μg/m3 (5.00 ~ 205.00 μg/m3)로 사람들의 활동이 많은

거실보다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PM10은 거실에서 54.34 μg/m3 (6.00 ~ 284.00 μg/m3) 으로 나타났으며,

침실은 53.20 μg/m3 (5.00 ~ 223.00 μg/m3)으로 PM2.5와 같이 거실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미 세 먼 지(μg/m3)

mean s.d. min median max

living roomPM2.5 48.92 37.89 4.00 40.00 266.00

PM10 54.34 40.55 6.00 45.00 284.00

bed roomPM2.5 47.77 35.70 5.00 39.50 205.00

PM10 53.20 38.50 6.00 42.50 223.00

totalPM2.5 48.36 36.75 4.00 40.00 266.00

PM10 53.78 39.47 6.00 44.50 284.00

표 3-18. 아 트 실내 공기 미세먼지 농도 분포

Massey24)에 따르면 주택내의 PM2.5농도는 요리, 흡연, 담배, 청소활동에

의해 높아지며 특히, 주택 내에서의 흡연에 의해서는 PM2.5 농도가 20 μg/m3

(24시간 평 균)이 높 아 질 수 있 으 며, 담 배 를 피 운 직 후 30 분 동 안 300

μg/m3 증 가 하 며, 요리 종 류 에 따 라(특 히 튀 김)에 따 라 증 가 한 다 고 보 고

하 다.

Shun Chen Lee25)에 따르 면 홍콩시내 음식 의 요리종 류에 따른 미 세

Page 7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6 -

먼지 농도를 살펴보면 한국식 바베큐식당(PM10 1,442 μg/m3 , PM2.5 1,167

μg/m3)이 국식 딤섬식당(PM10 33.9 μg/m3, PM2.5 28.7 μg/m3)이나 국식

골요리식당(PM10 105.3 μg/m3, PM2.5 81.1 μg/m3), 서양식 간이식당

(PM10 38.8 μg/m3, PM2.5 21.8 μg/m3)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보다 약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음식의 종류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한, 한돈희26)에 따르면 환기가 불량한 실내공간에서의 담배연기에 의한

에 어 로 졸 의 개 수 를 살 펴 보 면, 흡 연 후 8 시간 이 경과하 여 도 담 배 한

개 비는 75 개/cc, 세 개비는 141 개/cc가 남는 것으로 측되어 실내공기

미세먼지 농도에 흡연이 향을 많이 끼치는 것으로 보고하 다.

실내공기 PM2.5와 PM10의 농도를 비교하여 보면 그림 3-10과 같으며,

PM2.5는 PM10농도의 90 % 수 으로 나타났다.

y = 1.0454x + 3.0645R? = 0.9958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0 100 200 300 400

PM10(ug/m

3)

PM2.5(ug/m3)

2

그림 3-10 아 트 실내공기 PM2.5와 PM10의 농도 비교.

한 실외 공기에 의 한 실내공 기 오염도 향 실내오 염원의 존 재

유무를 악하기 하여 미세먼지의 실내/외 농도비를 계산한 결과 표

3-19와 같 이 PM2.5 PM10 모 두 0.7 ~ 0.8 로 나타 나 실내오 염 원 에

Page 7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7 -

의 한 것보다는 실외 오염원에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의 오염

원은 도로비산먼지, 도로의 이동오염원에 의한 향이 큰 것으로 단

되었다.

Massey24)에 따르면 도시와 도로변에 있는 가구의 PM2.5의 실내/외 농도

비는 1보다 작아 외부 오염원의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골에

있는 가구의 실내/외 농도비는 1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외부공기의 농도

가 낮은 경우에는 실내공기의 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하 다. 특히, 도로

변에 있는 가구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와의 PM2.5농도의 상 계수가

0.9059로 상 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living room bed room total

indoor outdoor I/O indoor outdoor I/O indoor outdoor I/O

PM2.5 (μg/m3) 48.92 63.93 0.8 47.77 63.93 0.7 48.36 63.93 0.8

PM10 (μg/m3) 54.34 69.55 0.8 53.20 69.55 0.8 53.78 69.55 0.8

표 3-19. 실내․외 공기 미세먼지 농도비

박지연 등에 따르면27) PM10은 실외가 평균 53.07 μg/m3

으로 실내평균

46.27 μg/m3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나타내며, PM2.5는 실내가 평균 43.17

μg/m3로 실외평균 36.33 μg/m3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PM10 농도가

실내보다 실외가 높은 곳이 78.6 %를 차지하 으며, PM2.5농도는 실외

보다 실내가 높은 곳이 71.4 % 다. PM10의 실내농도가 100.69 μg/m3로

가장 높았던 곳의 특징은 측정당일 집안에 재실자가 많았으며, 재실자

특히 흡연자가 많았던 경우인 것으로 보고하 다.

실내외 농도 계를 paired t-test로 분석한 결과 PM10은 실내외 농도 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p=0.6691), PM2.5는 실내가 유의하게 높았다고

(p=0.0024) 보 고 하 여 본 연구결 과에 서 나타 난 PM2.5의 결 과와 는 다 소

Page 7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8 -

상반 된 결 과를 나타 내었 다. 이 는 본 연구에 서 는 산 란 법으 로 10분 간

측정한 결과이고, 박지연의 연구에서는 24시간 량법에 의한 결과이므로

사람들의 활동에 따라 시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단되었다.

다. 휘 발 성 유 기화 합 물 카 보 닐 화 합 물

입주자 가 거 주 인 아 트의 거실과 침 실에서 의 VOCs 카 보닐화

합물의 실내공기 오염물질 분포특성은 표 3-20 과 같이, 폼알데하이드가

129.97 μg/m3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톨루엔 114.68 μg/m3, 아세톤

80.69 μg/m3, 아세트알데하이드 37.58 μg/m3, 리모넨 23.96 μg/m3의 농도

순으로 검출되었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오염물질은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 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이 부분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주택의 시계열조사결과18)와 같이 거주 인 아 트의 실내 폼알

데하이드가 1 순 로 검출되었다.

그 러 나, 공 동 주 택 시 계 열 조 사 결 과 에 서 는 입 주 후 3 년 이 경 과 한

아 트의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147.71 μg/m3(측정 시 1 시간 폐 후 측정)로

본 연구에서 측정된 129.97 μg/m3(측정 시 5 시간 폐 후 측정)을 측정시

1 시간 폐 후 측정한 농도로 환산하면 약 1/2로 농도가 어들게 되어

약 65 μg/m3으로 나타나 건축자재, 가구류에서 방출되는 폼알데하이드가

입주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톨루엔, 아세톤

등도 입주 후 36 개월과 비교하여 큰 폭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 아 트 의 주요 공 간별 휘발 성유기화합물 43 종 과 카보 닐화합 물

7 종 에 한 농 도 분 포 와 검 출 빈 도 는 표 3-21, 3-22, 3-23과 같 다. 휘 발 성

유 기화 합물 은 25 개 항 목이 약 50 %이상의 검 출빈도 를 나타내었으며,

카 보 닐 화 합 물 은 Acrolein을 제외 하 고 는 90 %이 상의 검 출 빈 도 를 나타

내었다. 거 실과 침실에서의 농도는 모든 항목에서 비슷한 농도로 나타나

Page 7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59 -

이는 아 트의 경우에는 거실과 침실의 실내공기의 혼합이 원할히 이루

어지고 있다고 단되었다. 한,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공동주택에 한

실내공기질 조사 에 있 어 거 실과 침실을 하나의 공 간으로 하여 조사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No. living room conc.(μg/m3) No. bed room conc.

(μg/m3) No. total conc.(μg/m3)

1 Formaldehyde 127.03 1 Formaldehyde 132.91 1 Formaldehyde 129.97

2 Toluene 115.38 2 Toluene 113.99 2 Toluene 114.68

3 Acetone 80.13 3 Acetone 81.24 3 Acetone 80.69

4 Acetaldehyde 37.37 4 Acetaldehyde 37.79 4 Acetaldehyde 37.58

5 D-Limonene 23.57 5 D-Limonene 24.34 5 D-Limonene 23.96

6 Xylene 18.91 6 Nonanal 20.29 6 Nonanal 19.52

7 Nonanal 18.76 7 Xylene 19.16 7 Xylene 19.04

8 n-Tridecane 14.92 8 n-Tridecane 15.63 8 n-Tridecane 15.28

9 n-Butanol 12.17 9 n-Butanol 13.15 9 n-Butanol 12.66

10 Ethylbenzene 10.30 10 Ethylbenzene 10.49 10 Ethylbenzene 10.39

표 3-20. 실내공기 VOCs와 Carbonyls 검출농도 순

Page 8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0 -

  MDL n <MDL Concentration(ug/m3) freq.mean SD min median maxHexane 0.06 200 121 2.70 7.52 0.06 0.06 77.79 39.5

Chloroform 0.05 200 39 3.95 5.34 0.05 2.05 34.70 80.5 1,2-dichloroethane 0.29 200 191 0.71 2.26 0.29 0.29 21.75 4.5

2,4-dimethyl-pentane 0.07 200 200 0.07 0.00 0.07 0.07 0.07 0.0 1,1,1-trichloroethane 0.14 200 200 0.14 0.00 0.14 0.14 0.14 0.0

n-Butanol 1.15 200 12 12.17 10.15 1.15 9.95 68.48 94.0 Benzene 0.06 200 2 3.55 1.84 0.06 3.14 14.22 99.0

Carbon tetrachloride 0.10 200 200 0.10 0.00 0.10 0.10 0.10 0.0 1,2-dichloropropane 0.12 200 199 0.16 0.57 0.12 0.12 8.23 0.5

Bromodichloro-methane 0.19 200 197 0.25 0.51 0.19 0.19 5.08 1.5 Trichloroethylene 0.10 200 122 2.37 4.40 0.10 0.10 32.25 39.0

Isooctane 0.08 200 187 0.42 1.62 0.08 0.08 13.53 6.5 n-Heptane 0.20 200 60 4.10 10.50 0.20 1.65 91.34 70.0

MethylIsobutylKetone 0.29 200 27 5.56 13.25 0.29 2.70 164.64 86.5 Toluene 0.11 200 0 115.38 125.66 12.22 75.82 831.34 100.0

Dibromochloromethane 0.31 200 200 0.31 0.04 0.00 0.31 0.31 0.0 Butyl acetate 0.28 200 4 9.98 28.59 0.28 4.56 311.06 98.0

n-Octane 0.27 200 38 3.34 8.71 0.27 1.49 80.14 81.0 Tetrachloroethylene 0.07 200 191 0.29 1.14 0.07 0.07 8.80 4.5

Ethylbenzene 0.11 197 1 10.30 10.83 0.11 7.08 98.91 99.5 Xylene 0.30 197 1 18.91 15.38 0.30 14.68 96.51 99.5 Styrene 0.09 200 0 9.34 15.19 0.09 4.04 101.26 100.0

n-Nonane 0.05 200 0 2.13 2.93 0.05 1.50 22.31 100.0 alpha-Pinene 0.12 200 13 8.96 14.04 0.12 4.24 119.82 93.5

p-Ethyltoluene 0.06 200 168 0.34 0.87 0.06 0.06 7.16 16.0 m-Ethyltoluene 0.06 200 77 1.65 1.99 0.06 1.30 13.20 61.5

1,2,3-trimethylbenzene 0.07 200 139 0.54 0.85 0.07 0.07 3.98 30.5 o-Ethyltoluene 0.06 200 176 0.26 0.68 0.06 0.06 6.28 12.0

beta-Pinene 0.11 200 43 5.12 9.07 0.11 2.41 60.62 78.5 1,2,4-trimethylbenzene 0.06 200 42 1.97 2.41 0.06 1.47 24.15 79.0

n-Decane 0.05 200 0 6.89 10.89 0.35 3.84 112.77 100.0 1,4-dichlorobenzene 0.07 200 197 0.13 0.57 0.07 0.07 7.29 1.5

1,3,5-trimethylbenzene 0.04 200 177 0.26 0.86 0.04 0.04 9.17 11.5 D-Limonene 0.07 200 2 23.57 32.14 0.07 13.48 261.47 99.0

Nonanal 0.63 200 0 18.76 13.85 3.95 16.77 165.31 100.0 n-Undecane 0.05 200 22 5.03 20.10 0.05 1.58 199.77 89.0

1,2,4,5-tetramethylbenzene 0.06 200 197 0.09 0.30 0.06 0.06 3.88 1.5 Decanal 0.56 200 1 8.67 3.41 0.56 7.99 20.00 99.5

n-Dodecane 0.07 200 5 8.57 19.20 0.00 3.33 194.45 97.5 n-Tridecane 0.09 200 3 14.92 35.00 0.09 4.88 309.38 98.5

n-Tetradecane 0.05 200 0 8.91 12.22 1.01 5.51 118.72 100.0 n-Pentadecane 0.06 200 8 1.91 1.17 0.06 1.65 7.01 96.0 n-Hexadecane 0.14 200 3 2.39 1.34 0.14 2.20 8.15 98.5

TVOC - 200 - 635.63 556.02 78.90 501.72 4735.20 100.0 Unidentified VOCs - 200 - 300.66 395.31 19.86 192.79 3380.10 100.0

Formaldehyde 0.49 200 0 127.03 54.58 24.18 115.02 287.42 100.0 Acetaldehyde 0.66 200 2 37.37 20.35 0.66 33.20 120.01 99.0

Acrolein 0.89 200 148 1.04 0.45 0.89 0.89 5.20 26.0 Acetone 0.72 195 0 80.13 62.99 14.18 65.38 566.28 100.0

Propionaldehyde 1.07 200 13 4.94 2.87 1.07 4.46 17.02 93.5 butyraldehyde 0.70 200 0 6.24 2.82 1.56 5.87 22.44 100.0 Benzaldehydye 1.03 200 8 7.07 5.95 1.03 5.52 43.06 96.0

표 3-21. 아 트 거실에서의 실내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

Page 8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1 -

  MDL n <MDL Concentration(ug/m3) freq.mean SD min median maxHexane 0.063 200 121 2.720 7.818 0.063 0.063 80.316 39.5

Chloroform 0.051 200 39 4.128 5.485 0.051 2.166 34.412 80.5 1,2-dichloroethane 0.295 200 191 0.731 2.423 0.290 0.295 26.239 4.5

2,4-dimethyl-pentane 0.069 200 200 0.069 0.000 0.069 0.069 0.069 0.0 1,1,1-trichloroethane 0.138 200 200 0.138 0.000 0.138 0.138 0.138 0.0

n-Butanol 1.154 200 12 13.150 10.999 1.154 10.647 82.921 94.0 Benzene 0.063 200 2 3.557 1.768 0.063 3.172 14.674 99.0

Carbon tetrachloride 0.100 200 200 0.100 0.000 0.100 0.100 0.100 0.0 1,2-dichloropropane 0.123 200 199 0.158 0.494 0.123 0.123 7.114 0.5

Bromodichloro-methane 0.186 200 197 0.264 0.555 0.186 0.186 4.866 1.5 Trichloroethylene 0.104 200 122 2.341 4.356 0.104 0.104 33.829 39.0

Isooctane 0.078 200 187 0.399 1.607 0.078 0.078 13.793 6.5 n-Heptane 0.203 200 60 4.078 10.803 0.203 1.581 95.274 70.0

MethylIsobutylKetone 0.295 200 27 5.802 14.260 0.295 2.785 175.277 86.5 Toluene 0.106 200 0 113.986 126.330 12.358 76.056 797.763 100.0

Dibromochloromethane 0.311 200 200 0.305 0.044 0.000 0.311 0.311 0.0 Butyl acetate 0.279 200 4 10.220 29.373 0.279 4.692 307.882 98.0

n-Octane 0.275 200 38 3.402 8.897 0.275 1.535 78.675 81.0 Tetrachloroethylene 0.074 200 191 0.387 1.441 0.074 0.074 11.073 4.5

Ethylbenzene 0.107 197 1 10.486 11.045 0.107 6.964 95.878 99.5 Xylene 0.297 197 1 19.158 16.647 0.297 14.573 99.887 99.5 Styrene 0.090 200 0 10.202 16.745 0.090 4.384 119.466 100.0

n-Nonane 0.053 200 0 2.196 3.116 0.053 1.460 22.353 100.0 alpha-Pinene 0.118 200 13 9.311 14.154 0.118 4.346 102.516 93.5

p-Ethyltoluene 0.061 200 168 0.387 1.038 0.061 0.061 7.170 16.0 m-Ethyltoluene 0.062 200 77 1.729 2.104 0.062 1.503 13.284 61.5

1,2,3-trimethylbenzene 0.072 200 139 0.607 0.963 0.072 0.072 4.603 30.5 o-Ethyltoluene 0.064 200 176 0.256 0.696 0.064 0.064 5.892 12.0

beta-Pinene 0.106 200 43 5.464 10.632 0.106 2.611 92.061 78.5 1,2,4-trimethylbenzene 0.061 200 42 2.106 2.712 0.061 1.527 23.964 79.0

n-Decane 0.053 200 0 7.076 10.858 0.053 4.040 108.290 100.0 1,4-dichlorobenzene 0.074 200 197 0.145 0.650 0.074 0.074 8.102 1.5

1,3,5-trimethylbenzene 0.043 200 177 0.281 0.911 0.043 0.043 8.677 11.5 D-Limonene 0.067 200 2 24.343 36.515 0.067 13.431 348.441 99.0

Nonanal 0.630 200 0 20.291 17.601 3.221 17.190 224.062 100.0 n-Undecane 0.046 200 22 6.299 33.269 0.046 1.565 425.758 89.0

1,2,4,5-tetramethylbenzene 0.056 200 197 0.074 0.191 0.056 0.056 2.616 1.5 Decanal 0.558 200 1 9.733 4.033 0.558 8.712 23.690 99.5

n-Dodecane 0.068 200 5 8.843 18.909 0.068 3.369 183.551 97.5 n-Tridecane 0.086 200 3 15.631 34.582 0.086 5.057 272.581 98.5

n-Tetradecane 0.050 200 0 9.503 12.887 0.827 5.738 100.680 100.0 n-Pentadecane 0.061 200 8 1.985 1.388 0.061 1.632 10.971 96.0 n-Hexadecane 0.137 200 3 2.371 1.384 0.137 2.138 7.918 98.5

TVOC - 200 - 667.416 607.497 100.038 516.855 5417.910 100.0 Unidentified VOCs - 200 - 333.451 487.779 28.411 217.183 4660.603 100.0

Formaldehyde 0.495 200 0 132.912 56.551 29.132 123.736 350.642 100.0 Acetaldehyde 0.662 200 2 37.795 20.189 0.662 34.624 118.721 99.0

Acrolein 0.892 200 148 1.023 0.418 0.891 0.892 4.728 26.0 Acetone 0.718 195 0 81.241 61.614 19.474 65.973 509.514 100.0

Propionaldehyde 1.068 200 13 5.060 3.071 1.068 4.534 21.235 93.5 butyraldehyde 0.702 200 0 6.387 2.818 1.226 5.984 21.033 100.0 Benzaldehydye 1.032 200 8 6.702 5.116 1.032 5.580 36.388 96.0

표 3-22. 아 트 침실에서의 실내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

Page 8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2 -

  MDL n <MDL Concentration(ug/m3) freq.mean SD min median maxHexane 0.06 400 242 2.71 7.66 0.06 0.06 80.32 39.5

Chloroform 0.05 400 78 4.04 5.40 0.05 2.08 34.70 80.5 1,2-dichloroethane 0.29 400 382 0.72 2.34 0.29 0.29 26.24 4.5

2,4-dimethyl-pentane 0.07 400 400 0.07 0.00 0.07 0.07 0.07 0.0 1,1,1-trichloroethane 0.14 400 400 0.14 0.00 0.14 0.14 0.14 0.0

n-Butanol 1.15 400 24 12.66 10.58 1.15 10.22 82.92 94.0 Benzene 0.06 400 4 3.55 1.80 0.06 3.15 14.67 99.0

Carbon tetrachloride 0.10 400 400 0.10 0.00 0.10 0.10 0.10 0.0 1,2-dichloropropane 0.12 400 398 0.16 0.53 0.12 0.12 8.23 0.5

Bromodichloro-methane 0.19 400 394 0.26 0.53 0.19 0.19 5.08 1.5 Trichloroethylene 0.10 400 244 2.36 4.37 0.10 0.10 33.83 39.0

Isooctane 0.08 400 374 0.41 1.61 0.08 0.08 13.79 6.5 n-Heptane 0.20 400 120 4.09 10.64 0.20 1.63 95.27 70.0

MethylIsobutylKetone 0.29 400 54 5.68 13.75 0.29 2.76 175.28 86.5 Toluene 0.11 400 0 114.68 125.84 12.22 75.92 831.34 100.0

Dibromochloromethane 0.31 400 400 0.31 0.04 0.00 0.31 0.31 0.0 Butyl acetate 0.28 400 8 10.10 28.95 0.28 4.60 311.06 98.0

n-Octane 0.27 400 76 3.37 8.79 0.27 1.52 80.14 81.0 Tetrachloroethylene 0.07 400 382 0.34 1.30 0.07 0.07 11.07 4.5

Ethylbenzene 0.11 394 2 10.39 10.93 0.11 7.04 98.91 99.5 Xylene 0.30 394 2 19.04 16.01 0.30 14.62 99.89 99.5 Styrene 0.09 400 0 9.77 15.97 0.09 4.37 119.47 100.0

n-Nonane 0.05 400 0 2.16 3.02 0.05 1.48 22.35 100.0 alpha-Pinene 0.12 400 26 9.13 14.08 0.12 4.28 119.82 93.5

p-Ethyltoluene 0.06 400 336 0.36 0.96 0.06 0.06 7.17 16.0 m-Ethyltoluene 0.06 400 154 1.69 2.05 0.06 1.41 13.28 61.5

1,2,3-trimethylbenzene 0.07 400 278 0.57 0.91 0.07 0.07 4.60 30.5 o-Ethyltoluene 0.06 400 352 0.26 0.69 0.06 0.06 6.28 12.0

beta-Pinene 0.11 400 86 5.29 9.87 0.11 2.48 92.06 78.5 1,2,4-trimethylbenzene 0.06 400 84 2.04 2.56 0.06 1.51 24.15 79.0

n-Decane 0.05 400 0 6.98 10.86 0.05 3.92 112.77 100.0 1,4-dichlorobenzene 0.07 400 394 0.14 0.61 0.07 0.07 8.10 1.5

1,3,5-trimethylbenzene 0.04 400 354 0.27 0.88 0.04 0.04 9.17 11.5 D-Limonene 0.07 400 4 23.96 34.36 0.07 13.48 348.44 99.0

Nonanal 0.63 400 0 19.52 15.84 3.22 16.95 224.06 100.0 n-Undecane 0.05 400 44 5.67 27.46 0.05 1.58 425.76 89.0

1,2,4,5-tetramethylbenzene 0.06 400 394 0.08 0.25 0.06 0.06 3.88 1.5 Decanal 0.56 400 2 9.20 3.77 0.56 8.48 23.69 99.5

n-Dodecane 0.07 400 10 8.70 19.03 0.00 3.35 194.45 97.5 n-Tridecane 0.09 400 6 15.28 34.75 0.09 4.91 309.38 98.5

n-Tetradecane 0.05 400 0 9.21 12.54 0.83 5.60 118.72 100.0 n-Pentadecane 0.06 400 16 1.95 1.28 0.06 1.65 10.97 96.0 n-Hexadecane 0.14 400 6 2.38 1.36 0.14 2.16 8.15 98.5

TVOC - 400 - 651.52 581.82 78.90 507.12 5417.91 100.0 Unidentified VOCs - 400 - 322.17 464.77 19.86 207.35 4660.60 100.0

Formaldehyde 0.49 400 0 129.97 55.58 24.18 119.21 350.64 100.0 Acetaldehyde 0.66 400 4 37.58 20.24 0.66 33.73 120.01 99.0

Acrolein 0.89 400 296 1.03 0.44 0.89 0.89 5.20 26.0 Acetone 0.72 390 0 80.69 62.23 14.18 65.40 566.28 100.0

Propionaldehyde 1.07 400 26 5.00 2.97 1.07 4.51 21.23 93.5 Butyraldehyde 0.70 400 0 6.31 2.82 1.23 5.89 22.44 100.0 Benzaldehydye 1.03 400 16 6.88 5.55 1.03 5.54 43.06 96.0

표 3-23. 아 트 거실과 침실에서의 실내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

Page 8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3 -

아 트 실내공기 오염물질 구성비를 표 2-5 에서 나 8개 물질군

으로 구분하여 그림 3-11에 나타내었다. 이 그래 는 거주기간을 구분하지

않고 재 거주하고 있는 공간의 오염물질 구성비를 나타낸 것으로 벤젠,

톨루엔과 같은 aldehyde류가 거실과 침실 모두 36 %로 가장 많이 검출되

었으며, aromatic류가 거실 28 %, 침실 27 % 로 많이 검출되었다.

Aldehyde 36%

Aromatic28%

Ketone14%

Aliphatic 11%

Terpene6%

Alcohol2%

Acetate2% Halocarbon

1%Aldehyde

Aromatic

Ketone

Aliphatic

Terpene

Alcohol

Acetate

Halocarbon

Aldehyde36%

Aromatic27%

Ketone 14%

Aliphatic11%

Terpene7%

Alcohol 2%

Acetate2% Halocarbon

1%Aldehyde

Aromatic

Ketone

Aliphatic

Terpene

Alcohol

Acetate

Halocarbon

그림 3-11 아 트 실내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 구성비.

체 VOCs 에서 표 물질로 확인이 가능한 43종의 VOCs를 identified

VOCs 로, 확인이 불가능한 VOCs를 unidentified VOCs로 구분하여 체

VOCs 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하 으며, 43종의 identified VOCs

에서 신축 공동주택의 권고기 이 설정되어 있는 BTEX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의 구성비율과 Carbonyl 화합물 7종의

구성비율을 다음 그림 3-12와 같이 나타내었다.

체 TVOC 에서 identified VOCs는 약 52 % 의 비율로 나타났고,

unidenrified VOCs는 약 48 %로 나타났다. TVOC 에서 BTEXS는 26 % 로

나타났으며, identified VOCs에서 49 %를 차지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Carbonyls 화합물의 구성비율은 폼알데하이드가 약 49 %의 비율로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아세톤이 약 30 %를 차지하 다.

Page 8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4 -

Benzene1% etc.

26%

Xylene 4%

Styrene 1%

Ethylbenzene 2%Toluene

18%

unidentified48%

Benzene etc. Xylene Styrene Ethylbenzene Toluene unidentified

Formaldehyde49%

Acetaldehyde14%

Acetone30%

Propionaldehyde2%

Butyraldehyde2%

Benzaldehydye3%

Formaldehyde Acetaldehyde Acetone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Benzaldehydye

그림 3-12 실내공기 BTEXS 폼알데하이드 농도 구성비.

건축년도, 거주기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구성비 변화를 보면 그림 3-13과

같으며, 건축된지 오래된 아 트 일수록 방향족화합물의 농도가 낮았다.

2006년 이후에 건축된 아 트의 경우 방향족류가 체의 약 34 %, 알데

하이드류가 약 32.5 %를 차지하 고, 1990년 이 아 트는 2006년 이후에

건축된 아 트 보다 방향족화합물의 농도는 64.1 %, 알데하이드류는 농도가

26.9 % 낮게 나타나, 건축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990년이전 1991~1995년 1996~2000년 2001~2005년 2006년이후

ug/m3

건축년수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년 3~4년 5~10년 11년이상

Alcohol

Acetate

Ketone

Terpenes

Aldehyde

Halocarbon

Aliphatic

Aromatic

ug/m3

거주기간

그림 3-13 건축년도, 거주기간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 구성비

Page 8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5 -

실외공기오염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도 향 실내오염원의 존재 유무를

악하기 하여 아 트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하여 실내/외 농도비를

계산하 다. 아 트에서의 실내․외 VOCs Carbonyls의 농도비를 다음

표 3-24에 나타내었다. I/O 농도비가 높은 물질일수록 실내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물질임을 알 수 있으며, 1에 가까울수록 실내에 오염원이 없거나,

실외 향을 받는다고 단할 수 있다.

부분 오염물질의 실내/외 농도비는 1.4 ~ 73.8 범 로 나타나 실내의

오 염 물 질 농 도 가 실외 보 다 높 게 나타 났 으 며, 특 히 styrene은 약 70으 로

나타나 실외보다 실내 방출원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oom

compounds

living room bed room total

indoor outdoor I/O indoor outdoor I/O indoor outdoor I/O

Benzene 3.55 2.56 1.4 3.56 2.56 1.4 3.55 2.56 1.4

Toluene 115.38 28.15 4.1 113.99 28.15 4.0 114.68 28.15 4.1

Ethylbenzene 10.30 4.72 2.2 10.49 4.72 2.2 10.39 4.72 2.2

Xylenes 18.91 5.52 3.4 19.16 5.52 3.5 19.04 5.52 3.4

Styrene 9.34 0.14 67.6 10.20 0.14 73.8 9.77 0.14 70.7

TVOC 635.63 68.86 9.2 667.42 68.86 9.7 651.52 68.86 9.5

Formaldehyde 127.03 14.44 8.8 132.91 14.44 9.2 129.97 14.44 9.0

Acetaldehyde 37.37 4.66 8.0 37.79 4.66 8.1 37.58 4.66 8.1

Acetone 80.13 8.42 9.5 81.24 8.42 9.6 80.69 8.42 9.6

표 3-24. 실내․외 공기 휘발성오염물질의 농도비

Page 8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6 -

라. 집 먼 지 진 드 기

집 먼 지 진 드 기가 많 이 서 식 할 것 으 로 상되 는 침 실에 서 의 침 매 트

리 스, 이불에서 채취한 집먼지진드기의 농도분포는 표 3-25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 집먼지진드기 항원(Dermatophagoids pteronyssiunus,

Der-p1)과 북아메리카 집먼지진드기 항원(Dermatophagoids farinae, Der-f1)을

조 사 하 으 며, 우 리 나라 부분 의 아 트 에 서 는 유 럽 집 먼 지 진 드 기가

많 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먼지진드기의 평균농도는 1,853

ng/g (<MDL ~ 12,463 ng/g) 으로 이는 국제 workshop “Dust mite allergens

and asthma(1992)”에서 제시한 권고치인 2,000 ng/g이하(100 마리/g) 보다

높은 농도로 나타났으나 권고기 을 과하는 세 가 23 % 다.

room

allergen

bed room

mean s.d. min median max

Der-f1 1,875.21 2,672.74 <MDL 733.03 12,462.52

Der-p1 46.25 226.31 <MDL 3.96 2,216.00

total dust mite 1,853.33 2,566.75 <MDL 777.38 12,462.52

표 3-25 집먼지 진드기의 농도 분포 (unit : ng/g)

손종렬 등17)에 따르면 아토피가 있는 가정에서의 집먼지진드기의 농도는

4,170.10 ± 922.33 ng/g으 로 아 토 피 가 없 는 가 정 의 경우 인 1,551.22 ±

570.04 ng/g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 고, 2,000 ng/g 이상이면 집

먼지진드기에 한 감작이 시작되고, 10,000 ng/g(500 마리/g) 이상이면 천

식증상이 유발된다고 하 다.

따라서 본 조사의 최 농도가 12,463 ng/g으로 천식을 유발할 수 있는 농도

이상이므로 리가 필요하며, 진드기가 잘 자라는 온도인 25 ℃, 상 습도

75 ~ 85 %를 피하며, 침구류의 청소와 소독 등을 지속 으로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8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7 -

마. 이 산 화 탄 소

이산화탄소는 기오염물질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사람의 호흡에 의하여

주로 배출되고 연료 연소 시 발생되는 물질로 주로 실내공기질 는 환기의

척도 로 사용되 고 있 다. 본 연구에서 측정 한 세 는 부분 자 연환기에

의한 환기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실내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표

3-26과 같 이 침 실에 서 의 농 도 는 463 ~ 2,764 ppm(평 균 1,003 ppm) 로

거 실이 366 ~ 2,784 ppm, 평균 918 ppm 보다 비교 좁 은 공 간이므 로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때 최 농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폐된 방에서

2명이 취침 할 때 최 증 가되는 농도 인 2,800 ppm과 유사한 농도28)

나타내었다. Shun Chen Lee 등12)

에 따르면, 주거공간에서의 CO2 농도는

주방이 거실에 비하여 요리 등의 활동에 따라 14 ~ 67 % 정도가 높은 것

으로 보고하 다.

윤정숙 등에 의하면29) 시간에 따른 실내의 CO2 농도 변화추이는 여름

철의 경우는 비교 안정된 농도변화를 보이며 주로 410 ~ 490 ppm 사이에

분포되어 있으나 겨울철의 경우에는 주로 평균값이 690 ~ 1,200ppm (400

~ 2,200 ppm) 사이 에 분 포되어 있어 여름 철에 비하여 상 으로 높은

농도를 보이며 매우 불규칙한 큰 변화추이를 보이고 각 주택마다 농도치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각 주택에서의 환기실태의

차이, 재실자, 가스 인지 사용 시간량의 차이 등 각기 다른 생활 요인의

향으로 생각된다.

CO2 (ppm)

mean s.d. min median max

Living room 917.87 413.18 366.00 843.00 2,784.00

Bed room 1,003.34 406.91 463.00 950.00 2,764.00

total 961.06 411.71 366.00 876.50 2,784.00

표 3-26 아 트 실내공기 이산화탄소의 농도 분포

Page 8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8 -

6. 건 강 향 생 활 습 조 사 를 한 설 문조 사 결 과

가. 입 주 자 주 택 특 성

(1) 입 주 자 특 성

입 주 자 특 성 은 응 답 의 변 이 가 비 교 게 나타 나므 로 첫 번 째 측정 시

설문조사를 상으로 하 다. 시료 채취가 행해진 시간에는 주로 부인이 거주

하고 있어, 부분의 설문지를 작성하 다. 설문조사 결과 표 3-27과 같이

본 연구의 조사 상 세 의 가족 수는 약 3.6 명으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남편은 43.4 세, 아내는 40.7 세, 자녀는 12.0 세로 조사되었다. 평형은

20 ∼ 30 평이 50.0 %로 가장 많았으며, 한 가계 총수입은 300 ∼ 500 만원이

43.0 %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구 분 특 성

가족 수(명) 3.6 ± 0.8

연령

(세)

남편 43.4 ± 10.4

아내 40.7 ± 9.9

자녀 12.0 ± 10.8

평형

(세 )

20 평 미만 16

20 ~ 30 평 50

31 ~ 40 평 29

41 평 이상 3

월 소득

(세 )

200 만원 미만 6

200 ~ 300 만원 25

300 ~ 500 만원 43

500 만원 이상 24

기타 2

표 3-27. 조사 상 세 의 입주자 특성

Page 8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69 -

(2) 주 거 공 간 의 형 태

주거공간 입주자의 주거 소유형태는 표 3-28 과 같이 자가가 62 세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 상 주거공간의 구조 형태를 보면 방 개수는

세 개인 곳이 73.0 %로 가장 많았으며, 두 개인 곳이 24.0 %, 네 개인 곳이

3.0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방이 두 개인 세 의 방 하나가 거실 겸

방으로 되어 있는 곳이 2 세 가 있었다. 한, 아 트의 특성상 부엌과

거실 공간이 연결된 세 는 98.0 %로 부분을 차지하 으며, 격리되어

있는 세 는 2.0 %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세

소유

형태

자가 62

세 36

무응답 2

방 개수

2 개 24

3 개 73

4 개 3

부엌 거실격리 2

연결 98

표 3-28. 주거공간 형태

(3) 아 트 건 축 년 도 거 주 기간

아 트 건 축 년 도 와 거 주 기간 은 표 3-29와 같 으 며, 건 축 기간 이 10년

이 하인 세 가 48 세 , 11 년 이상인 세 가 52 세 으며, 2001 ~

2005년에 완공 되어 5 ~ 9 년 된 세 가 25 세 로 가장 많았으며, 15 ~ 19 년,

10 ~ 14 년 된 세 가 각각 20 세 다. 입주민이 아 트에 거주한 기간은

2 년 이하, 5 ~ 10 년 이하인 세 가 각각 24 세 로 가장 많았다.

Page 9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0 -

구분 세 구 분 세

건축년도

2

group

10 년 이하 48

거주기간

1 년 이하 1811 년 이상 52 2 년 이하 24

5

group

1990 년 이하 16 3 년 이하 161991 ~ 1995 년 20 4 년 이하 101996 ~ 2000 년 20 5 ~ 10 년 이하 242001 ~ 2005 년 25

10 년 이상 82006 년 이상 19

표 3-29. 아 트 건축년도 거주기간

나. 거 주 환경 특 성

(1) 거 주 자 의 실내 주 택 내 거 주 시간

주거공간의 입주자를 상으로 거주자의 실내 주택 내 거주시간을

설문조사 결과 표 3-30과 같이 하루 실내에 거주하는 시간은 평균

19.2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그 할머니, 할아버지 등 기타 구성원이 하루

22.1 시간 가장 많은 시간 동안 실내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

20.0 시간, 자녀 19.1 시간, 남편 18.2 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한 하루 주택 내에 머무르는 시간은 평균 14.1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실내 거주하는 시간과 같이 기타 구성원이 18 시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부인 16.7 시간, 자녀 14.6 시간, 남편 10.4 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남편 부인 자녀기타

구성원total

indoor (hr/day) 18.2 ± 5.2 20.0 ± 3.9 19.1 ± 4.2 22.1 ± 1.8 19.2 ± 4.4

house (hr/day) 10.4 ± 3.1 16.7 ± 5.0 14.6 ± 4.7 18.0 ± 6.4 14.1 ± 5.1

표 3-30. 거주자의 실내 주택 내 거주시간

※ indoor : 주택, 대중교통 및 자가용, 사무실 등 실내 거주시간 house : 생활하고 있는 주택에서 머무르는 시간

Page 9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1 -

(2) 환 기

환기방법, 환기횟수 시간에 한 설문조사 결과는 표 3-31과 같으며,

환기방법 여름철 자연환기가 99 세 로 나타났고, 여름을 제외한 계

에서도 자연환기 88 세 로 자연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기방법 가장 높게 나타난 자연환기의 1일 환기횟수에서는 여름철

1 회 이내 45.5 %, 2 회 이내 33.3 %, 3 회 이상 19.2 %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름 을 제외한 계 에서 도 1 회 이내 54.6 %, 2 회 이내 30.7 % 3 회

이상 8.0 % 순으로 나타났다. 환기시간은 여름철에는 하루 7.2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을 제외한 계 에서는 하루 4.8 시간으로 나타났다.

구 분

여름 여름 외

자연

환기

기계

환기

공기

청정기

자연

환기

기계

환기

공기

청정기

환기방법 99 2 10 88 2 10

1일

1회

이내

45(45.5 %) - 7

(70 %)48

(54.6 %) - 7(70 %)

2회

이내

33(33.3 %) - 1

(10 %)27

(30.7 %)1

(50 %) -

3회

이상

19(19.2 %)

1(50 %) - 7

(8.0 %) - -

기타1

(1.0 %)1

(50 %)2

(20 %)6

(6.8 %)1

(50 %)3

(30 %)

환기시간

(hr/day) 7.2±8.7 0.8±0.4 16.6±10.6 4.8±7.6 0.6±0.6 14.6±10.5

표 3-31. 조사 상 세 의 환기방법 (단 : 세 )

* 복수응답 포함

Page 9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2 -

(3) 청 소 빨 래

청소방 법 횟수 에 한 설 문조사 결과는 표 3-32와 같 으며, 청 소방법

횟 수 는 2회 의 설 문조 사 결 과 비 슷 하 게 나타 나 청 소 방 법 횟 수 는

계 과 무 한 것 으 로 나타 났 다. 청 소 방 법으 로 는 진 공 청 소 기와 물 걸

청소가 여름철에 41.3 %, 40.8 %, 여름 외에는 각각 40.8 %로 나타나 80 %

이 상으 로 가 장 많 이 사 용하 는 청 소 방 법인 것 을 알 수 있 었 다. 청 소 방 법

별 횟수는 주당 7 회 의 진 공청소 기 청 소가 가장 많았으 며, 물걸 청 소는

주당 7 회 와 3 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주당

횟수

여름 여름외

진공

청소기

청소기물걸

청소기빗자루

진공

청소기

청소기물걸

청소기빗자루

1 회11

(12.5)11

(50.0)14

(16.1) - 4(26.7)

11(13.4)

14(70.0)

11(13.4) - 3

(20.0)

2 회12

(13.6)6

(27.3)11

(12.6) - 2(13.3)

14(17.0)

3(15.0)

12(14.6)

1(50.0)

4(26.7)

3 회18

(20.5)1

(4.5)18

(20.7) - 2(13.3)

10(12.2)

1(5.0)

18(22.0)

1(50.0)

3(20.0)

4 회4

(4.5) - 7(8.0) - - 3

(3.7) - 8(9.8) - 1

(6.7)

5 회8

(9.1)2

(9.1)9

(10.3) - - 13(15.9)

1(5.0)

11(13.4) - -

6 회4

(4.5) - 3(3.4)

1(100.0)

2(13.3)

6(7.3)

1(5.0)

2(2.4) - 1

(6.7)

7 회28

(31.8)2

(9.1)19

(21.8) - 4(26.7)

21(25.6) - 15

(18.3) - 2(13.3)

8 회

이상

3(3.4) - 6

(6.9) - 1(6.7)

4(4.9) - 5

(6.1) - 1(6.7)

total 88(41.3)

22(10.3)

87(40.8)

1(0.5)

15(7.0)

82(40.8)

20(10.0)

82(40.8)

2(1.0)

15(7.5)

표 3-32. 청소방법 횟수 (단 : 세 (%))

* 복수응답 포함

Page 9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3 -

한, 이불 빨래 리에 한 설문조사 결과는 표 3-33과 같으며, 이불

빨래와 털기 등 리는 여름철이 여름 외의 계 보다 더 많이 청소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침 /커버와 이불/요의 빨래는 일반빨래를 주로 하 으며, 1 개월 당 7 회

이상 털어주며, 햇빛건조는 1 개월 당 1 ~ 2 회 건조시켜 리하고 있었다.

침 매트리스는 6 개월 당 1 회 정도 청소기로 청소하고 있었으나 60 세

정도는 청소를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 /커버의 일반빨래는 6 개월 당 3 회가 여름 22.9 %, 여름 외 26.6 %로

가장 많았고, 이불/요의 일반 빨래는 여름이 7 회 이상이 26.9 %, 여름 외의

계 은 3회가 22.6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age 9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

4 -

 여

름여

름외

1회2회

3회4회

5회6회

7회 이

상to

tal

1회2회

3회4회

5회6회

7회 이

상to

tal

침/

커버

일반

빨래

15(1

8.1)

14(1

6.9)

19(2

2.9)

3(3

.6)

2(2

.4)

15(1

8.1)

15(1

8.1)

83(2

3.4)

5(7

.8)

12(1

8.8)

17(2

6.6)

3(4

.7)

1(1

.6)

15(2

3.4)

11(1

7.2)

64(2

3.4)

삶는

빨래

1(2

0.0)

3(6

0.0)

--

-1

(20.

0)-

5(1

.4)

1(3

3.3)

2(6

6.7)

--

--

-3

(1.1

)

털기

5(1

2.2)

7(1

7.1)

5(1

2.2)

5(1

2.2)

1(2

.4)

1(2

.4)

17(4

1.5)

41(1

1.5)

8(2

3.5)

6(1

7.6)

3(8

.8)

5(1

4.7)

--

12(3

5.3)

34(1

2.5)

햇빛

건조

13(3

6.1)

11(3

0.6)

2(5

.6)

2(5

.6)

1(2

.8)

-7

(19.

4)36

(10.

1)9

(37.

5)6

(25.

0)2

(8.3

)3

(12.

5)-

-4

(16.

7)24 (8.8

)

이불 /요

일반

빨래

13(1

6.7)

13(1

6.7)

14(1

7.9)

5(6

.4)

1(1

.3)

11(1

4.1)

21(2

6.9)

78(2

2.0)

8(1

2.9)

9(1

4.5)

14(2

2.6)

5(8

.1)

1(1

.6)

12(1

9.4)

13(2

1.0)

62(2

2.7)

삶는

빨래

-1

(50.

0)1

(50.

0)-

--

-2

(0.6

)1

(50.

0)1

(50.

0)-

--

--

2(0

.7)

털기

5(1

2.8)

5(1

2.8)

2(5

.1)

5(1

2.8)

3(7

.7)

2(5

.1)

17(4

3.6)

39(1

1.0)

7(2

3.3)

5(1

6.7)

1(3

.3)

5(1

6.7)

2(6

.7)

-10

(33.

3)30

(11.

0)햇

건조

11(3

0.6)

9(2

5.0)

3(8

.3)

3(8

.3)

2(5

.6)

-8

(22.

2)36

(10.

1)7

(29.

2)7

(29.

2)3

(12.

5)2

(8.3

)2

(8.3

)-

3(1

2.5)

24 (8.8

)

매트

리스

일반

청소

8(3

3.3)

6(2

5.0)

2(8

.3)

-1

(4.2

)6

(25.

0)1

(4.2

)24 (6.8

)6

(33.

3)2

(11.

1)4

(22.

2)-

1(5

.6)

4(2

2.2)

1(5

.6)

18 (6.6

)스 청

2(5

0.0)

1(2

5.0)

-1

(25.

0)-

--

4(1

.1)

2(5

0.0)

1(2

5.0)

-1

(25.

0)-

--

4(1

.5)

털기

2(6

6.7)

1(3

3.3)

--

--

-3

(0.8

)4

(66.

7)2

(33.

3)-

--

--

6(2

.2)

햇빛

건조

3(7

5.0)

-1

(25.

0)-

--

-4

(1.1

)2

(100

.0)

--

--

--

2(0

.7)

표 3

-33.

이불

빨래

방법

리방

* 복수응

답 포함

, (단위

: 일반․

삶는빨래

-회/6개

월(%)

, 털기,

햇빛건

조-회/

개월(%

))

Page 9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5 -

(4) 입 주 자 의 주 택 내 흡 연

입주자의 흡연여부 주택 내 흡연여부에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림

3-14와 같이 총 100 세 37 세 가 흡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 연을 하 는 세 주 택 내에 서 흡 연을 하 는 세 로 12 세 로 나타

났 다.

입주자 흡연여부(세 )

유 (세 ) 무 (세 )

37 63

주택 내 흡연 여부

구분 아니오

세 (%) 12(32.4) 25(67.6)

그림 3-14 입주자의 주택 내 흡연.

(5) 애 완 동 물 유 무

입주자를 상으로 애완동물 유무에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림 3-15와

같이 100 세 12 세 가 애완동물을 키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완

동 물 을 키 우 는 12 세 7 세 가 1 마 리 이 상 키 우 는 것 으 로 조 사

되 었 다.

Page 9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6 -

애완동물 유무

유 (세 ) 무 (세 )

12 88

애완동물 마리수

구분 1 마리 1 마리 이상

세 (%) 5(41.7) 7(58.3)

그림 3-15 입주자의 주택 내 애완동물 사육.

(6) 실내 개 조

거주공간의 입주자를 상으로 실내개조에 한 설문 조사결과는 그림

3-16과 같으며, 100 세 60 세 가 개조를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1 년 이내 개조를 한 세 가 22 세 , 2 년 이내 개조를 한 세 가 33

세 로 나타났다.

실내개조 부분은 표 3-34와 같이 거실이 89 세 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 지 하 고 있 었 으 며, 거 실 벽 지 교 체 가 29 세 , 바 닥 재 교 체 20 세 ,

사 이벽 철거가 17 세 로 나타났다. 거실 다음으로는 침실이 많은 개조가

이루어졌으며, 침실은 벽지교체가 27 세 , 바닥재 교체가 21 세 , 사이

벽철거가 10 세 로 나타나 개조부분은 거실과 침실 모두 같은 항목을

많이 교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 개조항목 부분에서는 벽지교체가

24.2 % 바닥재 교체 21.3 %, 사이벽 철거 11.5 %, 도색 11.2 % 순으로

조사되었다.

Page 9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7 -

주거공간 실내 개조 여부

유 (세 ) 무 (세 )

60 40

최근 1년간 구입여부

구분 유 (세 ) 무 (세 )

1 년 이내 개조여부 22 382 년 이내 개조여부 33 2

그림 3-16 주거공간의 실내 개조 여부.

베 란 다 거 실 주 방 침 실 Total

사이벽철거 10(14.5) 17(19.1) 3(4.5) 10(12.7) -  40(11.5)

바닥재교체 17(24.6) 20(22.5) 11(16.4) 21(26.6) 5(11.6) 74(21.3)

천장재 교체 5(7.2) 7(7.9) 2(3.0) 5(6.3) 3(7.0) 22(6.3)

벽지교체 8(11.6) 29(32.6) 14(20.9) 27(34.2) 6(14.0) 84(24.2)

도색 13(18.8) 9(10.1) 6(9.0) 7(8.9) 4(9.3) 39(11.2)

붙박이 가구 4(5.8) 2(2.2) 2(3.0) 6(7.6) 14(32.6) 28(8.1)

주방 개조 2(2.9) - 20(29.9) - - 22(6.3)

화장실 개조 - 1(1.1) - - 1(0.3)

타일교체 7(10.1) 1(1.1) 6(9.0) - 10(23.3) 24(6.9)

기타 3(4.3) 3(3.4) 3(4.5) 3(3.8) 1(2.3) 13(3.7)

총합 69 89 67 79 43 347

표 3-34. 주거공간의 실내 개조 부분 (단 : 빈도(%))

*복수 응답 포함

Page 9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8 -

(7) 생 활 용품 구입

입주 후 생활용품 구입에 한 조사 결과 그림 3-17과 같이 입주 후 생활

용품을 새로 구입한 세 는 86 세 로 부분의 세 가 입주 후 새로운

생활용품을 구입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용품을 구입한 세 73.3 %가

최근 1년간 생활용품을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입한 생활용품 종류는

TV 10.3 %, 식탁 8.1 % 소 7.9 % 세탁기 7.7 %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용품 구입 여부

유 (세 ) 무 (세 )86 14

최근 1년간 구입여부

구분 유 무

세 (%) 63(73.3) 23(26.7)

그림 3-17 입주 후 생활용품 구입 여부.

생활용품 개수 생활용품 개수

침 26(6.2) TV 43(10.3)

장롱 23(5.5) 냉장고 27(6.5)

화장 14(3.4) 김치냉장고 27(6.5)

소 33(7.9) 세탁기 32(7.7)

책상 의자 31(7.4) 자 인지 20(4.8)

식탁 34(8.1) 컴퓨터, 린터 30(7.1)

테이블 10(2.4) 오디오 13(3.1)

커튼 28(6.7) 기타 23(5.5)

카펫 4(1.0) 총합 418

표 3-35. 입주 후 신규 구입한 생활용품 (단 : 빈도(%))

Page 9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79 -

다. 건 강 자 각 증 상

입주자의 건강에 한 자각증상 여부를 묻는 질문에 해 그림 3-18과

같 이 100 세 74 세 , 세 원 41.2 %가 “새 집 증 후군 증 상이

있 다”라고 응답하 다. 새집증후군 증상이 있는 세 원 46.3 %가 남자

고, 나머지 53.7 %가 여 자로, 새집 증후군 증상은 남자보 다 여자 가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원의 건강자각 증상 종류는 표 3-36과 같이 비염 축농증 등의

코와 련 증상이 36.3 %, 피부건조, 아토피, 피부염 등 피부와 련 증상

이 27.2 %, 후두염, 인후염, 부비동염, 편도선염 등의 목과 련 증상이

13.9 %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자각 증상이 있는 세 원 병원을 내방한 경우는 그림 3-19와

같이 51.7 % 고, 그 비염 축농증 등 코와 련이 있는 진단이

52.8 %, 아토피 피부건조 등이 18.0 %로 나타났다. 천식 폐렴,

면역이 약함, 스트 스성 등 기타증상이 14.6 %로 조사되었다.

세 세 원의 새집증후군 증상 유무

유 무

74(세 )147(세 원, 41.2 %)

26(세 )210(세 원, 58.8 %)

남자 여자

68(46.3 %)

79(53.7 %)

그림 3-18 새집증후군 증상 유무.

Page 10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0 -

  남 자 여 자 total10

(6.1)19

(9.0)29

(7.7)

코67

(40.6)69

(32.9)136

(36.3)

목22

(13.3)30

(14.3)52

(13.9)

머리7

(4.2)10

(4.8)17

(4.5)

가슴3

(1.8)3

(1.4)6

(1.6)

피부43

(26.1)59

(28.1)102

(27.2)

졸립다4

(2.4)9

(4.3)13

(3.5)

피로하다9

(5.5)11

(5.2)20

(5.3)total 165 210 375

표 3-36. 세 원의 건강자각증상 종류 (단 : 빈도(%))

* 복수응답 포함

세 원의 새집증후군 련 병원내방 유무

유 무

76(51.7 %)

71(48.3 %)

코 피부 감기 목 기타

진단

(%)47

(52.8)16

(18.0)7

(7.9)6

(6.7)13

(14.6)

* 진단명 복수응답

그림 3-19 새집증후군 련 병원내방 유무.

Page 10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1 -

7. 환경 향 인 자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도 통 계 분 석

가. 주 택 특 성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1) 건 축 년 수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본 연구에서는 아 트에서 발생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건축년수와의

상 성을 알아보고자 입주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아 트를 상으로 건축

년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를 비교․분석하 으며, 결과는 표

3-37과 같다.

건축년수는 2 개 그룹과 5 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실내공기 오염도를

분석하 다. 2 개 그룹은 완공된 지 10 년 이하인 세 와 완공된 지 11 년

이상인 세 로 분류하 으며, 5 개 그룹은 1990년 이 에 완공된 세 (20 년

이상), 1991 ~ 1995 년에 완공된 세 (15 ~ 19 년), 1996 ~ 2000 년에 완공된

세 (10 ~ 14 년), 2001 ~ 2005 년에 완공된 세 (5 ~ 9 년), 2006 년 이후에

완공된 세 (5 년 미만)로 범주화하여 분석하 다.

건축년수를 2 개 그룹으로 분류한 경우, PM2.5와 PM10의 경우는 완공

된 지 10 년 이하인 세 의 농도가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p<0.05), 부유미생물과 곰팡이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VOCs와

Carbonyls의 농도는 완공된 지 10 년 이하인 세 가 11 년 이상 된 아

트보다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이는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카보닐화합물은 건축자재와 생활용품

등에서 많이 방출되며 완공된지 오래된 아 트들은 이들 물질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방출 되어 새 아 트의 경우 는 농 도가 높게 나타나고

오래된 아 트일수록 농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단된다.

건축년수를 5 개 그룹으로 분류한 경우, PM2.5와 PM10의 경우 완공된지

15 ~ 19 년 경과한 아 트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완공된지 5 ~ 9

년 된 아 트에서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미세먼지 농도의 사후분석

결과 완공된 지 오래될수록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아졌으며, 2000 년 이 에

Page 10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2 -

완공된 세 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p<0.05). 반면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의 농도는 사후분석

결과 완공된 지 10 년 이하인 아 트 에서 5 년 미만인 아 트와 5 년

이상인 아 트의 두 그룹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완공된 지 오래

될수록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부유세균

(bacteria)과 곰팡이(fungi)의 경우는 5 년 이하인 아 트에서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완공 된지 5 ~ 9 년 경과한 아 트에서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year of construction

10 years and

below(n=208)

more than

11 years(n=192)

p-value~1990

(n=68)

1991~1995(n=80)

1996~2000(n=80)

2001~2005

(n=100)

2006~

(n=72)p-value

Toluene 149.30 82.73 0.000 70.75b 77.16b 102.83b 113.39b 212.84a 0.000

Ethylbenzene 13.82 7.27 0.000 7.22b 6.31b 8.76b 11.20b 19.06a 0.000

Xylenes 24.05 14.04 0.000 14.70b 11.91b 15.73b 21.80b 31.48a 0.000

Styrene 13.32 6.49 0.000 4.46b 5.06b 9.37b 9.91b 20.29a 0.000

TVOC 685.18 620.45 0.000 693.93ab 480.56b 717.78ab622.57ab 768.01a 0.000

Formaldehyde 151.07 110.49 0.000 104.60c 100.31c 106.83c 128.98b 159.77a 0.000

Acetaldehyde 40.01 35.34 0.015 37.20b 30.63b 38.32b 33.53b 50.47a 0.000

Acetone 94.97 67.66 0.000 60.29c 61.39c 89.65b 72.47ab 123.14a 0.000

PM2.5 37.43 57.71 0.000 44.69abc 63.46a 57.63ab 35.27c 38.13bc 0.000

PM10 42.22 63.67 0.000 49.09abc 70.35a 63.48ab 40.23c 42.56bc 0.000

Bacteria 1,257.43 1,350.26 0.988 1,131.631,205.131,333.971,664.291,031.32 0.014

Fungi 392.11 424.13 0.200 401.36 387.83 347.27 576.35 265.31 0.006

* p<0.05a, ab, b, bc, c : Tukey Grouping(Multiple comparison)

표 3-37. 건축년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0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3 -

(2) 거 주 기간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아 트에서 발생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거주기간과의 상 성을 알아

보고자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는 표 3-38과 같다

거주기간은 2 개 그룹과 5 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실내공기 오염도를

분석하 다. 2 개 그룹은 거주기간이 1 ~ 2 년인 세 와 11 년 이상인

세 를 비교 분석하 고, 5 개 그룹은 거주기간을 1 ~ 2 년, 3 ~ 4 년, 5

~ 10 년, 11 년 이상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 다.

거주기간을 2개 그룹으로 분류한 경우, PM2.5, PM10, 부유세균과 곰팡

이는 그룹간의 농도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카보닐화합물은 거주기간이 1 ~ 2 년인 세 가 11년 이상 된 세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톨루엔, 스티 , 폼알데하이드와 아세톤 등의 오염물질

에서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거주기간이 짧은 경우

에는 이사 시 실내개조(60 %)를 하거나 새 가구를 구입(63 %)하는 경우가

많 아 새 가 구류 에 서 오 염 물 질 의 방 출 이 많 아 지 는 것 이 원 인 으 로 단

된 다.

거주기간을 5 개 그룹으로 나 어 분류한 경우, PM2.5, PM10의 경우

거주기간이 3 ~ 4 년인 경우가 다른 그룹에 비하여 농도가 높게 나타났

으며, 부유세균과 곰팡이는 그룹 간에 농도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거주기간에 따른 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카보닐화합물은 거주기간이 1 ~ 2 년인 세 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오염물질 별 사후분석 결과,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 , 폼알데하이드와

아세톤 등은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Page 10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4 -

 dwelling period(years)

1~2

(n=168)

more than 11(n=32)

p-value1~2

(n=168)

3~4

(n=104)

5~10

(n=96)

more than 11(n=32)

p-value

Toluene 161.93a 76.54b 0.001 161.93a 95.19b 65.84b 76.54b 0.000

Ethylbenzene 12.73a 7.92b 0.146 12.73a 9.09b 8.69b 7.92b 0.000

Xylenes 22.51 13.84 0.108 22.51 17.19 16.90 13.84 0.094

Styrene 13.14a 3.29b 0.000 13.14a 6.24b 5.39b 3.29b 0.000

TVOC 712.88 725.21 0.721 712.88 562.68 615.83 725.21 0.101

Formaldehyde 142.96a 87.10c 0.000 142.96a 140.37a 110.25b 87.10c 0.000

Acetaldehyde 37.94 31.86 0.081 37.94 37.21 39.25 31.86 0.146

Acetone 92.56a 48.56b 0.000 92.56a 84.30a 66.51ab 48.56b 0.000

PM2.5 42.87 45.25 0.802 42.87 62.11 46.46 45.25 0.021

PM10 47.82 49.85 0.718 47.82 68.98 51.65 49.85 0.012

Bacteria 1,404.11 1,358.71 0.616 1,404.11 1,241.42 1,171.10 1,358.71 0.508

Fungi 358.20 417.24 0.135 388.58 479.81 358.20 417.24 0.294* p<0.05a, ab, b, bc, c : Tukey Grouping(Multiple comparison)

표 3-38. 거주기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3) 층 수 평 수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아 트 층수 평수와의 상 성 분석을 하여

T-test를 실시하 으며, 그 결과는 표 3-39와 같다

층수는 1 ~ 2 층과 3 층 이상의 2개 그룹으로 나 어 분석하 고, 평수는

25 평 미만과 25 평 이상으로 나 어 분석하 다.

아 트 층수에 따른 PM2.5, PM10, 부유세균,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는

1 ~ 2 층과 3 층 이상 간의 농도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곰 팡이의 경우 는 1 ~ 2 층 아 트의 경우 3 층 이상보다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다른 오염물질과

Page 10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5 -

달리 곰팡이의 농도가 층에서 높게 나타난 것은 외기의 향을 받아

곰 팡 이 의 농 도 가 높 게 나타 난 것 으 로 사 료된 다. 폼 알 데 하 이 드 등 알 데

하 이드류는 1 ~ 2 층보다 3 층 이상에서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아 트 평수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는 부분의 오염물질에서는 통계

으 로 유 의 한 차 이 가 나타 나지 않 았 다. 그 러 나 부유 세 균 의 경우 25평

미 만 인 세 에 서, 휘 발 성 유 기화 합 물 스 틸 은 25 평 이 상인 경우

농 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PM2.5, PM10의 경우 에도 25 평 미만인 세 에 서 농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floor area(pyeong)

1 ~ 2(n=136)

more than 3(n=264) p-value below 25

(n=154)more than 25

(n=234) p-value

Toluene 114.52 114.77 0.534 135.97 103.65 0.063

Ethylbenzene 10.49 10.35 0.739 11.13 9.90 0.825

Xylenes 20.56 18.26 0.236 21.23 17.70 0.340

Styrene 7.64 10.87 0.152 8.49 8.90 0.047

TVOC 650.35 652.13 0.938 690.13 636.20 0.110

Formaldehyde 110.84 139.82 0.000 123.87 133.81 0.117

Acetaldehyde 34.96 38.93 0.001 37.86 37.33 0.992

Acetone 65.63 88.04 0.000 84.17 78.91 0.064

PM2.5 52.37 45.86 0.302 54.73 44.41 0.135

PM10 58.20 51.03 0.276 60.96 49.16 0.094

Bacteria 1,369.79 1,266.42 0.335 1,369.71 1,260.73 0.029

Fungi 540.09 338.52 0.000 384.24 424.86 0.415* p<0.05

표 3-39. 층수 평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0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6 -

(4) 아 트 공 간 별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아 트 공간별(침실, 거실) 실내공기 오염물질과의 상 성분석을 하여

T-test를 실시하 으며, 그 결과는 표 3-40과 같다

거실과 침실에서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거의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어

아 트 공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농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living room(n=200)

bed room(n=200) p-value

Toluene 115.38 113.99 0.880

Ethylbenzene 10.30 10.49 0.988

Xylenes 18.91 19.16 0.904

Styrene 8.41 9.10 0.437

TVOC 635.63 667.42 0.461

Formaldehyde 127.03 132.91 0.289

Acetaldehyde 37.37 37.79 0.766

Acetone 80.13 81.24 0.758

PM2.5 48.92 47.77 0.797

PM10 54.34 53.20 0.825

Bacteria 1,237.67 1,365.82 0.221

Fungi 407.30 407.49 0.790

CO2 917.87 1,003.34 0.884

* p<0.05

표 3-40. 아 트 공간별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0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7 -

(5) 실내개조 생활용품 구입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 향인자 분석

실내개조와 생활용품 구입 여부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변화를

알아보기 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1 년 이내에 실내개조를 한 세 와,

1 년 이내에 생활용품을 구입한 세 를 조사하여 t-test를 실시하 고 그

결과는 표 3-41과 같다.

실내개조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카보닐화합물의 평균 농도가 실내개조를 실시한 세 에서 그 지 않은

세 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p<0.05).

한 일 반 세 균 의 농 도 는 실내개 조 를 한 세 에 서 낮 게 나타 났 으 며,

통 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내개조를 실시하며, 실내청소

환기 등을 실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단되었다. PM2.5, PM10도 실내

개조 를 실시한 세 에 서 평 균농도 는 낮 게 나타났으 나 통 계 으 로 유 의

하지는 않았다.

생 활 용품 구입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도 를 분 석한 결 과, 휘 발 성 유 기

화합 물과 카보닐화합물의 평균 농도가 실내개조를 실시한 세 에서 그 지

않은 세 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PM2.5, PM10, 일반세균, 곰팡이의 농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8 -

remodeling new consumer products

Yes(n=80)

No(n=320) p-value Yes

(n=168)No

(n=232) p-value

Toluene 205.89 91.88 0.000 140.66 78.81 0.000

Ethylbenzene 14.16 9.44 0.000 10.96 9.61 0.000

Xylenes 23.58 17.88 0.014 20.47 17.07 0.008

Styrene 15.83 6.97 0.000 10.83 5.82 0.001

TVOC 752.18 626.36 0.002 753.42 510.80 0.000

Formaldehyde 168.35 120.37 0.000 138.90 117.63 0.000

Acetaldehyde 43.09 36.20 0.012 40.49 33.57 0.001

Acetone 111.78 72.91 0.000 83.44 76.97 0.080

PM2.5 38.55 50.65 0.071 48.90 47.49 0.558

PM10 43.25 56.24 0.060 54.23 53.06 0.486

Bacteria 1,166.86 1,334.62 0.013 1,330.98 1,260.89 0.421

Fungi 490.08 387.24 0.462 399.67 418.20 0.515

* p<0.05

표 3-41. 실내개조 생활용품 구입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0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89 -

10 % and below(n=60)

11 ~ 20 %(n=212)

more than 21 %(n=124) p-value

Toluene 128.77 114.92 109.45 0.563

Ethylbenzene 8.87 11.12 9.94 0.119

Xylenes 17.28 20.09 18.19 0.550

Styrene 7.44 9.79 7.75 0.088TVOC 708.18 603.01 719.31 0.787

Formaldehyde 132.10 133.91 130.17 0.102Acetaldehyde 363.66 40.09 37.64 0.326

Acetone 76.12 80.25 85.12 0.534

PM2.5 41.26b 44.26ab 58.41a 0.030

PM10 46.69b 49.26ab 64.59a 0.040

Bacteria 1,389.35 1,228.97 1,392.85 0.690

Fungi 416.80 391.76 426.35 0.567* p<0.05a, ab, b, bc, c : Tukey Grouping(Multiple comparison)

(6) 가 구부피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아 트 실내공간의 가구류 는 자제품에서 방출되는 실내공기 오염

물질의 향을 알아보기 하여 거실과 침실의 부피당 가구류 는 자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산정하고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3-42과

같다.

가구류가 차지하는 부피가 21 % 이상인 경우 10 % 이하인 경우보다

PM2.5와 PM10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통 계 으 로 유의 한

결 과를 나타내었 다. 그 러나, 휘 발성유 기화합 물, 부유세균(bacteria), 부유

곰팡이(fungi)의 경우에는 가구류의 부피가 21 % 이상일 경우 농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알데하이드류의 경우에는

오히려 가구류 부피가 10 % 이하인 경우에 농도가 높게 나타나, 이는

가구류의 부피보다는 가구류에서 방출되는 농도에 향을 많이 받는 것

으로 단되었다.

표 3-42. 가구부피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0 -

나. 생 활 습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1) 세 탁 습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설문조사를 통하여 6 개월 이내에 이불세탁을 하 는가에 해 조사한

결과, 100 세 약 31 세 에 서 세탁하 지 않은 것으 로 응답하 다.

이불세탁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결과 표 3-43와 같이 미세먼지는

이불세탁 여부에 따른 농도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아,

곰팡이와 집먼지진드기는 6 개월 이내에 이불을 세탁하지 않은 세 가

세탁한 세 보다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Yes(n=276)

No(n=122) p-value

PM2.5 48.58 48.94 0.866

PM10 54.08 54.30 0.805

CO2 958.10 978.28 0.098

Bacteria 1,160.73 1,634.04 0.000

Fungi 349.08 540.10 0.001

Der f1 1,584.47 2,433.72 0.008

Der p1 38.39 49.89 0.946

total dust mites 1,634.36 2,187.93 0.041

* p<0.05

표 3-43. 이불세탁에 따른 실내공기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1 -

한 침 커버 는 이불을 일반빨래한 횟수에 한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결과는 표 3-44과 같이 부유세균과 부유곰팡이의 경우 6 개월 동안

한번도 빨래하지 않은 경우가 7 회 이상 빨래한 경우와 비교하여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PM2.5,

집먼지진드기의 경우는 한번도 빨래하지 않은 경우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

등 화학물질의 경우는 6 개월 동안 한번도 빨래하지 않은 경우보다 7 회

이 상 빨 래 하 는 경우 가 오 히 려 오 염 물 질 농 도 가 높 게 나타 나며, 통 계

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자각증상이나 냄새와 같은 심리 인 증상이

있을 경우 빨래하는 횟수도 증가한다고 생각되었다.

0 time/ 6month(n=122)

1 time/ 6month(n=48)

more than7 times/ 6month

(n=52)p-value

Toluene 95.40 91.48 124.27 0.041

Ethylbenzene 7.47b 8.65ab 11.00a 0.000

Xylenes 14.51b 16.64ab 19.94a 0.017

Styrene 7.51 4.14 7.88 0.010TVOC 594.57 583.76 515.06 0.723

Formaldehyde 115.11b 125.53ab 149.16a 0.003Acetaldehyde 36.29 39.01 35.20 0.146

Acetone 64.48 79.25 71.24 0.312

PM2.5 48.94 47.25 41.72 0.984

PM10 46.91 54.30 52.38 0.917

Bacteria 1,634.04a 1,116.11b 1,199.54b 0.003

Fungi 540.10a 357.22b 359.77b 0.024

total dust mites 2,187.93 1,534.43 2,133.81 0.275* p<0.05a, ab, b, bc, c : Tukey Grouping(Multiple comparison)

표 3-44. 빨래 횟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2 -

(2) 환기습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환기습 과 실내공 기 오 염 물 질 농 도 와 의 상 성 을 알 아 보 기 하 여

2 개의 그 룹으로 분 류하여 1 일 자연환기 횟수 가 1 회 인 세 와 4 회

이상인 세 를 T-test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 으며, 그 결과는 표 3-45와

같다.

그 결과 PM2.5 PM10과 같이 외기농도에 향을 받는 항목은 환기

횟수가 1 회인 세 보다 4 회 이상인 세 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휘발 성유기화합물 알데하 이드류 는 환기횟수 가 1 회인 세 가 4 회

이 상인 세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폼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톤 등의 오염물질에서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p<0.05) 환기

횟수가 많을수록 휘발성 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number of ventilation1

(n=180)more than 4

(n=20) p-value

Toluene 125.08 74.93 0.314Ethylbenzene 10.48 9.08 0.397

Xylenes 19.80 12.66 0.079Styrene 9.21 4.35 0.075TVOC 656.33 509.67 0.095

Formaldehyde 130.52 87.22 0.000Acetaldehyde 37.96 27.85 0.019

Acetone 80.18 51.05 0.002PM2.5 41.23 58.06 0.023PM10 46.40 63.75 0.027

Bacteria 1,293.24 2,744.17 0.004Fungi 439.26 299.17 1.000

* p<0.05a, ab, b, bc, c : Tukey Grouping(Multiple comparison)

표 3-45. 환기습 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3 -

다. 건 강 자 각 증 상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설문조사를 통하여 아 트 거주자들을 상으로 건강자각증상을 조사한

결과, 100 세 약 62 세 에서 건강자각증상이 있다고 응답하 다.

건강자각증상에 따른 오염물질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표 3-46와 같이

VOCs Carbonyls의 경우, 건강자각증상의 있다고 응답한 세 의 농도가

높게 나타 났다. 특 히, 톨루 엔, 에틸 벤젠, 스 티 , TVOC, 폼알데 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톤 등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도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부유세균 곰팡이는 자가증상이 있는

세 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박지연 등의 연구에서는20) 실내공기 PM10, PM2.5농도와 호흡기계

증 상과의 련 성 을 통 계 분 석한 결 과 농 도 와 기침, 가 래, 가 슴 속 소 리,

코 감기증상, 숨참, 가슴답답함, 기 지염증상, 천식증상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 다.

Yes (n=248) No (n=152) p-value

Toluene 124.67 98.38 0.005Ethylbenzene 11.28 8.99 0.005

Xylenes 19.49 18.30 0.136Styrene 9.56 7.41 0.004TVOC 695.89 579.14 0.000

Formaldehyde 132.87 125.23 0.025Acetalehyde 39.30 34.77 0.016

Acetone 86.88 70.78 0.007PM2.5 46.55 51.16 0.190PM10 52.06 56.45 0.249

Bacteria 1,311.71 1,285.62 0.812Fungi 461.58 319.71 0.123

* p<0.05

표 3-46. 건강 자각증상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4 -

라. 측정 환경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1) 계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여 름 과 여 름 외( , 가 을) 등 계 에 따 른 오 염 물 질 의 농 도 를 조 사 한

결 과는 표 3-47과 같이 부유세균 은 여름 철에 높 게 나타 났고 통 계 으 로도

유 의 한 것 으 로 나타 났 다(p<0.05). 부유 곰 팡 이 는 여 름 외 계 에 농 도 가

높 게 나타 났 으 나 통 계 으 로 유 의 하 지 는 않 았 다. 휘 발 성 유 기화 합 물

카 보 닐 화 합 물 은 부분 의 항 목에 서 여 름 철 에 높 게 나타 났 으 며 통 계

으 로도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p<0.05).

Summer(n=212)

Out of Summer(n=188) p-value

Toluene 124.44 103.68 0.451

Ethylbenzene 10.57 10.20 0.364

Xylenes 20.60 17.28 0.035

Styrene 10.60 8.83 0.001

TVOC 662.19 639.50 0.014

Formaldehyde 144.53 113.55 0.000

Acetaldehyde 43.76 30.62 0.000

Acetone 95.88 63.68 0.000

PM2.5 48.33 48.38 0.223

PM10 53.58 53.93 0.211

Bacteria 1,442.36 1,141.48 0.002

Fungi 386.83 430.84 0.078* p<0.05

표 3-47. 계 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5 -

(2) 실내 온․습 도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실내 온․습도에 따른 상 성 분석을 하여

T-test를 실시하 으며, 그 결과는 표 3-48과 같이 부유세균의 경우 실내

온도(26 ℃ 이 상)와 습도(51 % 이상)가 높 을수록 평균농 도가 높게 나타

났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부유곰팡이는

온 도 보 다 는 습 도 가 51 % 이 상일 경우 평 균 농 도 가 높 게 나타 났 으 며,

통 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의 경우 실내 온․습도가 높을수록

평균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Temperature(℃) Humidity(%)

25 and below(n=122)

more than 26(n=278) p-value 50 and below

(n=82)more than 51

(n=318) p-value

Toluene 98.81 121.65 0.024 99.21 118.67 0.008

Ethylbenzene 9.13 10.96 0.021 7.54 11.14 0.015

Xylenes 18.06 19.47 0.234 14.55 20.21 0.002

Styrene 7.52 9.29 0.001 7.02 9.21 0.001

TVOC 570.87 686.91 0.005 526.80 683.68 0.013

Formaldehyde 106.61 140.22 0.000 106.71 135.97 0.000

Acetaldehyde 29.40 41.17 0.000 23.90 39.72 0.000

Acetone 64.78 87.59 0.000 68.67 83.89 0.001

PM2.5 50.54 47.44 0.128 47.14 48.69 0.567

PM10 56.72 52.53 0.077 52.60 54.10 0.659

Bacteria 1,181.11 1,353.82 0.147 1,165.26 1,336.08 0.085

Fungi 435.72 395.17 0.731 369.39 416.96 0.029* p<0.05a, ab, b, bc, c : Tukey Grouping(Multiple comparison)

표 3-48. 실내 온·습도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6 -

(3) 측정 당 일 조 리 유 무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측정당일 5 시간 폐 시 가스 지를 이용하여 조리를 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의 조리유무에 따른 실내공기질 향인자를 분석한 결과 표

3-49과 같이 조리를 한 경우에 CO2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도

유의 한 것으로 나타 났다(p<0.05). PM2.5와 PM10의 경우에 도 조 리를 한

경우에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부유세균,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의 경우에는 조리유무와

상 없이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Yes(n=280)

No(n=112) p-value

Toluene 110.57 128.00 0.296

Ethylbenzene 10.61 9.51 0.996

Xylenes 18.94 19.07 0.846

Styrene 7.94 10.41 0.178

TVOC 620.02 670.14 0.601

Formaldehyde 129.00 130.97 0.972

Acetalehyde 37.15 37.65 0.394

Acetone 76.87 89.16 0.048

PM2.5 50.79 44.06 0.174

PM10 56.51 48.94 0.164

CO2 1,008.78 851.18 0.001

Bacteria 1,296.05 1,286.04 0.484

Fungi 438.52 331.67 0.034* p<0.05

표 3-49. 측정 당일 조리유무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7 -

(4) 재 실자 수 에 따 른 실내공 기 오 염 향 인 자 분 석

재실자 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물질 농도를 비교하기 하여 T-test,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는 표 3-50와 같다

재실자는 2 개의 그룹과 4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실내공기 오염도를

분석하 다. 2 개의 그룹은 1 명이 재실한 세 와 4 명 이상이 재실한

세 를 비교분석하 고, 4 개의 그룹은 1 명, 2 명, 3 명, 4 명 이상 등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 다.

재실자 수를 2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경우, 부유세균의 경우 재실자가

4 명 이상인 세 에서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도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p<0.05). 한 부분의 실내 오염물질이 재실자가 4 명

이상인 세 가 1 명이 재실한 세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재실자 수를 5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경우, 부유세균의 경우 4 명 이상인

세 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재실자 수가 4 명 이상인

세 가 1 ~ 3 명인 세 와 비교하여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한

부분의 항목에서 1 ~ 3 명이 재실한 세 보다 4 명 이상인 세 에서

농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Page 11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8 -

 the number of occupant in room

1(n=187)

more than 4(n=29)

p-value 1(n=187)

2(n=103)

3(n=58)

more than 4(n=29)

p-value

Toluene 106.08 132.45 0.827 106.08 110.47 112.76 132.45 0.930

Ethylbenzene 10.23 10.66 0.226 10.23 10.57 10.04 10.66 0.549

Xylenes 18.40 21.47 0.141 18.40 18.35 19.40 21.47 0.490

Styrene 9.21 11.05 0.872 9.21 8.71 6.07 11.05 0.439

TVOC 642.48 659.71 0.573 642.48 727.07 498.31 659.71 0.267

Formaldehyde 132.72 130.74 0.987 132.72 129.15 118.60 130.74 0.380

Acetaldehyde 35.78 41.42 0.970 35.78 37.86 36.63 41.42 0.787

Acetone 76.20 88.27 0.466 76.20 76.51 85.62 88.27 0.696

PM2.5 49.60 50.47 0.352 49.60 48.25 44.13 50.47 0.778

PM10 54.94 56.79 0.484 54.94 53.78 49.43 56.79 0.879

CO2 959.93 1,159.17 0.379 959.93 898.25 947.52 1,159.17 0.463

Bacteria 1,401.58 1,617.07 0.045 1,401.58ab 1,082.99b 1,216.69ab 1,617.07a 0.031

Fungi 418.69 362.09 0.027 418.69 439.54 405.20 362.09 0.182

* p<0.05a, ab, b, bc, c : Tukey Grouping(Multiple comparison)

표 3-50. 재실자 수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도 분석 (단 : μg/㎥)

Page 11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99 -

마. 주 요 실내공 기질 오 염 물 질 에 한 상 성 분 석

아 트 실내공기 주요 오염물질과 온·습도 환경 향 인자와의

상 성 분석을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로 수행하 으며, 그 결과는 표

3-51과 같다.

계 인자가 농도에 향을 주는 오염물질은 자일 , 스티 , 폼알데하이드,

부유세균 집먼지 진드기 등에서 상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년수 인자는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 , 스티 , 폼알데하이드, 곰팡이,

이산화탄소, PM2.5, PM10 등과 상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

계수는 에틸벤젠 0.422, 자일 0.396, 스티 0.450, 폼알데하이드 0.338

등으로 높은 상 성을 나타내었다.

거주기간은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 , 스티 , 폼알데하이드 등과 상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 계수는 톨루엔 0.367, 스티 0.324, 폼알데

하이드 0.342 등으로 높은 상 성을 나타내었다.

아 트 층수는 폼알데하이드, 곰팡이, 이산화탄소 등과 상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 트 평수는 스티 , 부유세균, 곰팡이, 이산화탄소,

PM2.5, PM10 등과 상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 트 실내의 가구 부피는 스티 , 폼알데하이드, 부유세균, 곰팡이,

이산화탄소 등과 상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온도는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 , 폼알데하이드, 이산화탄소,

PM2.5, PM10 등과 상 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내습도의 경우에는

VOCs와 폼알데하이드 등에서 상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물질간의 상 성은 톨루엔의 경우에는 에틸벤젠, 자일 , 스티 ,

폼알데하이드가 95 % 신뢰도 구간에서 상 계수 0.5 이상의 높은 상 성을

나타내었으며, 에틸벤젠과 자일 은 상 계수 0.836의 높은 상 성을 보 다.

오염물질 농도간의 상 성 분석은 모두 양의 계를 나타내어 같은 발생원

에 서 배 출 되 고 있 음 을 알 수 있 었 으 며, 휘 발 성 유 기화 합 물 톨 루 엔,

Page 12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0 -

에틸벤젠, 스틸 , 자일 의 농도는 높은 상 계를 보 지만, 상 으로

폼알 데하이 드는 낮 은 상 계를 나타내어 휘발 성유기화합물 과 폼알 데

하이드는 서로 다른 발생원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심상효 등13)

에 의한 상 성 분석결과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

내었다.

Page 12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

01 -

se

ason

cons

t.pe

riod

Floo

rar

eafu

rni

in.T

empi

n.H

umiT

olue

neE.

BX

ylen

eSt

yren

eH

CH

OB

acte

riaFu

ngi

CO

2PM

2.5

PM10

dust

m

ites

seas

on1.

000

cons

t.0.

037

1.00

0

perio

d0.

002

-0.4

171.

000

Floo

r-0

.001

0.05

30.

020

1.00

0

area

0.04

10.

306

0.17

40.

149

1.00

0

furn

i0.

021

0.04

60.

188

0.13

00.

412

1.00

0

in.T

emp

-0.4

40-0

.040

-0.0

600.

154

-0.0

49-0

.043

1.00

0

in.H

umi

-0.4

66-0

.037

0.02

0-0

.136

-0.0

79-0

.070

0.39

21.

000

Tolu

ene

-0.0

380.

295

-0.3

670.

031

-0.0

87-0

.009

0.06

00.

066

1.00

0

E.B

-0.0

460.

422

-0.2

41-0

.017

0.05

20.

041

0.04

70.

052

0.64

71.

000

Xyl

ene

-0.1

060.

396

-0.1

71-0

.060

-0.0

290.

036

0.02

30.

070

0.55

50.

836

1.00

0

Styr

ene

-0.1

650.

450

-0.3

240.

072

0.13

70.

110

0.10

70.

095

0.58

20.

602

0.50

31.

000

HC

HO

-0.2

800.

338

-0.3

420.

228

0.08

90.

132

0.28

20.

193

0.48

00.

463

0.45

30.

616

1.00

0

Bac

teria

-0.1

560.

020

-0.0

39-0

.048

-0.1

27-0

.104

0.09

60.

105

0.03

20.

119

0.13

50.

056

0.02

31.

000

Fung

i0.

088

-0.1

000.

101

-0.2

31-0

.117

-0.0

97-0

.028

0.22

90.

001

-0.1

07-0

.094

-0.1

05-0

.200

0.08

51.

000

CO

20.

022

-0.0

950.

013

-0.1

29-0

.315

-0.1

23-0

.141

0.09

50.

180

0.21

30.

288

0.07

10.

092

0.20

80.

026

1.00

0

PM2.

50.

080

-0.2

530.

067

-0.0

68-0

.142

0.00

2-0

.133

0.08

7-0

.011

0.00

5-0

.017

-0.1

99-0

.042

0.08

6-0

.028

0.24

21.

000

PM10

0.08

2-0

.247

0.06

3-0

.072

-0.1

54-0

.002

-0.1

400.

093

-0.0

140.

002

-0.0

18-0

.201

-0.0

450.

098

-0.0

270.

244

0.99

51.

000

dust

mite

s0.

258

0.07

7-0

.086

-0.0

330.

041

0.00

0-0

.150

-0.1

18-0

.181

-0.0

64-0

.010

-0.1

09-0

.226

0.09

10.

163

-0.0

470.

037

0.03

71.

000

3-51

아트

내공

주요

오염

물질

경향

인자

와의

상성

분석

Const.

: year

of co

nstruc

tion, fu

rni : fu

rniture

volum

e(m3 ), i

n. Tem

p. : ind

oor Te

mpera

ture, in

Humi

: Indoo

r Hum

idity,

HCHO

: Form

aldehyd

e

Page 12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2 -

바. 주 요 실내공 기 오 염 물 질 에 한 회 귀 분 석

본 연구에서는 거주 인 아 트에서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향을

미치는 온·습도 환경 향인자들간의 계를 알아보고자 다 회귀분석을

수행 하여 모 형의 합성을 단하 고 단 계선택 법(stepwise selection)을

통해 변수를 검토한 후 각 향인자에 한 회귀 방정식 결정계수를

구하 다.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한 회귀분석 결과는 표 3-52과 같으며,

부분 오 염물질 농도 에는 건축 년수, 거 주기간, 계 , 흡연유 무, 건 강자각

증상, 실내온도, 실내습도, 실내개조 유무, 새 가구 구입 유무, 아 트 평수,

아 트 층수 등이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M10 농도는 건축년수 11 년 이하일 경우 평균농도가 1.3 μg/㎥ 만큼

낮아졌으며, 주택 내 흡연자가 있을 경우에 평균농도가 20.6 μg/㎥ 만큼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정계수가 0.075로 매우 낮게 나타

났다.

PM2.5 농도는 건축년수 11 년 이하일 경우 평균농도가 1.3 μg/㎥ 만큼

낮 아졌으며, 주택 내 흡연자가 있을 경우에 평균농도가 19.7 μg/㎥ 만큼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정계수가 0.079로 매우 낮게 나타

났다.

CO2 농도는 아 트 평수가 26 평 이상일 경우 평균농 도가 16.6 ppm

만큼 낮아졌으며, 결정계수가 0.074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부유세균 농도는 6 개월 이내에 침 시트 이불빨래를 하 을 경우

573.2 CFU/m3만 큼 낮 아 졌 고, 여 름 철 에 354.3 CFU/m3만 큼 높 아 졌 으 며,

수 정된 결정계수는 0.109로 독립변수(계 빨래)가 부유세균 농도의

변이 10.9 %를 설명하고 있었다.

부유곰팡이 농도는 아 트 층수가 1,2 층인 경우 249.4 CFU/m3 만큼

농도가 높아졌고, 건강자각증상이 있는 경우 166.2 CFU/m3만큼 농도가

Page 12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3 -

높아졌으며, 6 개월 이내에 침 시트 이불빨래를 하 을 경우 211.6

CFU/m3 만큼 농도가 낮아졌다. 결정계수는 0.120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톨루엔은 실내개조를 한 경우에 평균농도가 106.2 μg/㎥, 새 가구 구입 시

에도 평균농도가 51.5 μg/㎥, 건축년수가 11 년 이하일 경우 5.7 μg/㎥ 만큼

농도 가 높아 지는 것 으로 나타났으 며, 평수가 26 평 이상일 경우 3.1 μg/㎥

만큼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된 결정계수는 0.288로 독립

변수(실내개조 유무, 새 가구 구입 유무, 건축년수, 아 트 평수, 계 )가

톨루엔 농도의 변이 29 %를 설명하고 있었다.

에틸벤젠은 건축년수가 11 년 이하일 경우 평균농도가 0.5 μg/㎥, 실내

개조를 한 경우 4.0 μg/㎥ 만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수가 26 평

이상일 경우 0.2 μg/㎥ 만큼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수정된 결정

계수는 0.135로 독립변수(건축년수, 실내개조 유무, 아 트 평수)가 농도의

변이 약 14 %를 설명하고 있었다.

자 일 은 건 축 년 수 가 11년 이 하 일 경우 평 균 농 도 가 0.9 μg/㎥, 실내

개 조를 한 경우 4.5 μg/㎥, 여 름일 경우 3.7 μg/㎥ 만큼 평균 농도가 높 아

지는 것 으로 나타났 으며, 평수 26 평 이상일 경우 농도가 0.5 μg/㎥ 만큼

낮아 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수 정된 결정계 수는 0.181로 독립 변수(건축 년

수, 실내개조 유무, 아 트 평수, 계 )가 농도의 변이 약 18 %를 설

명하 고 있 었다.

스티 은 건축 년수가 11 년 이하 일 경우 평균농 도가 0.6 μg/㎥, 실내

개조 를 한 경우 8.3 μg/㎥, 새 가구 구입 시 3.5 μg/㎥, 여름 일 경우 2.6

μg/㎥, 주택 내 흡연자가 있을 경우 3.5 μg/㎥ 만큼 평 균 농도가 높 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 으며, 수정된 결 정계수 는 0.263로 독 립변수(건 축년수, 실내

개조 유무, 새 가구 구입 유무, 계 , 주택 내 흡연 유무)가 농도의 변이

약 26 %를 설 명하고 있었 다.

폼알데하이드는 건축년수가 11 년 이하일 경우 평균농도는 1.9 μg/㎥

만큼, 실내개조를 한 경우 40.2 μg/㎥, 새 가구를 구입한 경우 17.0 μg/㎥,

Page 12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4 -

실내온도가 1 ℃ 상승할 경우 2.6 μg/㎥, 여름철일 경우 23.8 μg/㎥ 만큼

평균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2.26 μg/

㎥ 만큼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된 결정계수는 0.424로 독립변수

(건축년 수, 실내온 도, 실내개조 유무, 새 가구 구입 유무, 아 트 층수,

실내온도, 실내습도, 계 , 거주기간)가 폼알데하이드 농도의 변이 42

%를 설명하고 있었다.

regression model p-value adjusted r-square

Toluene = −11124.6 + 106.2 remodel + 5.7 const. + 51.5 new_furni −3.1 area 0.000 0.288

Ethylbenzene = −1052.6 + 0.5 const. + 4.0 remodel −0.2 area 0.000 0.135Xylene = −1787.4 + 0.9 const. − 0.5 area + 3.7 season +

4.5 remodel 0.000 0.181

Styrene = −1261.1 + 0.6 const. + 8.3 remodel + 3.5 new + 2.6 season + 3.5 smoke 0.000 0.263

Formaldehyde = −3707.0 + 1.9 const + 40.2 remodel + 17.0 new_furni + 23.8 floor + 2.6 in_Temp. + 0.4 in_Humi. + 2.2 furni_vol + 23.8 season − 2.26 period

0.000 0.424

PM2.5 = 2587.4 − 1.3 const + 19.7 smoke 0.000 0.079

PM10 = 2733.6 − 1.3 const + 20.6 smoke 0.000 0.075

CO2 = 1431.3 −16.6 area 0.000 0.074

Bacteria = 1861.2 − 573.2 laundry + 354.3 season 0.000 0.109

Fungi = 841.0 − 249.5 floor + 166.2 symptom − 211.6 laundry 0.000 0.120

표 3-52. 아 트 실내 공기 주요 오염물질 환경 향인자와의 회귀분석

in_Temp : 실내온도, in_Humi : 실내습도, period : 거주기간, const : 건축년도(o=10 년 이상, 1=11 년 이하), area : 평수(0=25 평 이하, 1=26 평 이상), floor : 층수(0=1~2 층, 1= 3층 이상), remodel : 실내개조여부(0=no, 1=yes), new_furni : 새 가구 구입 여부(0=no, 1=yes), smoke : 주택 내 흡연(0=no, 1=yes), season : 계절(0=여름 외, 1=여름), laundry : 6 개월 이내 세탁(o=no, 1=yes), symptom : 건강자각증상(0=no, 1=yes), furni_vol : 가구부피(0=20%이하, 1=21%이상)

Page 12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5 -

Ⅳ. 결 론

재 거주하고 있는 아 트에서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분포와 실내

공기질에 향을 미치는 유효인자와 실내 오염물질로 인한 건강 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우리가 살고 있는 아 트의 주요 오염물질은 세균, 곰팡이, 집먼지진드기 등

생물학 인 자와 미 세먼지 등 물 리 인 인자, 휘 발성유 기화합 물 등

화학 인자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총 부유미생물 세균류(bacteria)의 경우에는 평균농도가 1,302 CFU/m3

(173~7,283 CFU/m3)로 다 이용시설(보육시설, 의료시설) 유지기 을

과하는 세 가 많았으며(67 %), 특히 여름철과 세탁을 자주 하지 않는

세 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곰팡이류(fungi)의 평균농도는 407 CFU/m3 (27~5,000 CFU/m3)로 WHO

권고기 을 과하는 세 가 22 %로 나타났으며, 여름철보다는 철과

층 아 트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3. 미세먼지 PM2.5의 평균농도는 48.36 μg/m3 (4~266μg/m3), PM10은

53.78 μg/m3 (6~284μg/m3)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건축된지 11년 이상인

아 트와 거주기간이 11년 이상인 아 트, 작은 평형(25평 이하)의

아 트에서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의 경우에는 평균농도가 신축 공동

주택의 권고기 치 이하로 나타났으나, 폼알데하이드의 경우는 기 치를

과하는 세 가 있어 거주하는 동안에도 여 히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6 -

5. 천식, 알 르기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집먼지진드기 평균농도는 1,853 ng/g

(N.D.~10,519 ng/g)으로 국제 권고기 치인 2,000 ng/g보다 높게 나타난

세 가 있어 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먼지진드기 농도는 청소,

빨래습 등에 따라 농도가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산화탄소 농도는 실내 환기의 척도로 사용되며, 침실에서 1,003 ppm,

거실 918 ppm으로 나타나 환기가 비교 잘 되는 거실에 비하여 침실

에서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최고농도가 2,764 ppm으로 다 이용시설

유지기 인 1,000 ppm을 넘는 세 가 있어 주기 으로 환기를 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아 트 입주민의 코, 목, 따가움 등 건강자각 증상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는 증상이 있는 그룹의 경우 그 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실내공기

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와 같은 화학물질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한 상 성 분석결과 휘발성유기화합물

카보닐화합물 농도는 오염물질간의 상 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

향인자로는 건축년수, 실내개조 유무, 새 가구 구입 유무, 계 등에서

상 성이 높게 나타났다.

9.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한 회귀 분석 결과, 미세먼지 농도에 향을

미치는 인자는 건축년수와 주택 내 흡연유무, 총 부유세균은 세탁 조건,

계 로 나타났으며, 총 부유곰팡이는 아 트 층수, 건강자각증상, 세탁

조건 등이 농도에 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실내개조, 건축년수, 평수, 계 , 새 가구 구입, 주택 내 흡연유무 등이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폼알데히드 농도에 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인 것

으로 나타났다.

Page 12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7 -

10. 아 트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건축년도, 층수, 평형 등 건물의 특성과 환기,

청소 등의 생활습 , 실내개조, 생활용품 구입 등 실내 환경, 아 트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가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주기 인 환기와 청소, 정 온·습도 유지 등의

올바른 생활습 과 심을 가지고 실내 오염원을 이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으로 단되었다.

- 쾌 한 실내환경을 하여 실내온도는 20 ℃내외, 습도는 60 %이하,

환기는 하루 4회 이상으로 정 실내환경은 유지하도록 한다.

Page 12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8 -

참 고 문 헌

1. EPA, Biological pollutants, http://www.epa.gov/iaq/biologic.html

2. 환경부, 다 이용 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리법, 2004.

3. Indoor air pollution and respiratory health in the elderl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03, Vol.21, No.40, pp.15–20.

4. Hodgson AT, Beal D, Sources of Formaldehyde, Other Aldehydes and Terpenes

in a New Manufactured House, IndoorAir, 2002, Vol.12, pp.235–242.

5. Mølhave L, Sparks LE, Wolkoff P, Clausen PA, Nielsen PA, Bergsø NC,

The Danish Twin Apartment Study - Part II: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relative strength of sources of indoor air pollution, IndoorAir, 1996,

Vol.6, pp.18-30.

6. YAMAGUCHI Takafumi Y, NAKAJIMA Daisuke, EZOE Yuka, FUJIMAKJ

Hidekazu, SHIMADA Yoshitaka, KOZAWA Kunihisa, ARASHIDANI

Keiichi, GOTO Sumio, Measure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in New Residential buildings and VOCs Behavior over Time, Journal of

UOEH, 2006, Vol.28, No.1, pp.13-27.

7. Engvall K, Norrby C, Sandstedt E, The Stockholm Indoor Environment

Questionnaire: a sociologically based tool for the assessment of indoor

environment and health in dwellings, Indoor Air, 2004, Vol.14, pp.24-33.

8. Junfeng (Jim) Zhang, and Kirk R. Smith, Household air pollution from coal

and biomass fuels in China: measurements, health impacts, and intervention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07, Vol.115, No.6, pp.848-55.

9. Strachan DP and Sanders CH, Damp housing and childhood asthma;

respiratory effects of indoor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Journal

Page 12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09 -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1989, Vol.43, pp.7-14.

10. Leaderer BP, Belanger K, Triche E, Holford T, Gold DR, Kim Y,

Jankun T, Ren P, McSharry Je JE, Platts-Mills TA, Chapman MD,

Bracken MB, Dust mite, cockroach, cat, and dog allergen concentrations

in homes of asthmatic children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population density,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02, Vol.110, No.4, pp.419-425.

11. Huss K, Adkinson NF Jr, Eggleston PA, Dawson C, Van Natta ML,

Hamilton RG, House dust mite and cockroach exposure are strong risk factors

for positive allergy skin test responses in the Childhood Asthma Management

Program, Journal Allergy Clinical Immunology, 2001, Vol.107, No.1, pp.48-54.

12. Shun Cheng Lee, Wai-Ming Li, and Chio-Hang Ao, Investigation of

indoor air quality at residential homes in Hong Kong—case study,

Atmospheric Environment, 2002, Vol.36, No.2, pp.225-237.

13. 손종렬, 최달웅, 백용규, 일부 주택의 침구류 실내공기 의 집먼지

진드기 알러젠 농도 측정,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6, Vol.13, No.3, pp.237-240.

14. 국립환경과학원, 공동주택 오염도 변화추이 악을 한 시계열 조사연구(IV),

2009.

15. Ji-Hyun Lee, Wan-Keun Jo, Characteristics of indoor and outdoor

bioaerosols at Korea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Environmental

Research, 2006, Vol.101, pp.11-17.

16. Megan Hargreaves, Sandhya Parappukkaran, Lidia Morawska, Jane

Hitchins, Congrong He, Dale Gilbert, A pilot investigation into

associations between indoor airborne fungal and non-biological particle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houses in Brisbane, Astralia,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3, Vol.312, pp.89-101.

Page 13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10 -

17. 문 , 윤 란, 박진우, 사례조사를 통한 공동주택 내 곰팡이 발생 황

요인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8, Vol.15, No.3, pp.331-336.

18. 윤동원, 주택 내부의 실내공기오염 특성과 책, 한설비공학회,

2002, Vol.31, No.12, pp.23-31.

19. 윤정숙, 유복희, 공동주택의 실내열환경의 계 별 특성 평가, 한국생활환경

학회지, 1997, Vol.4, No.2, pp.29-35.

20. 박지연, 서혜경, 주택실내·외에서의 PM10, PM2.5농도와 호흡기계 증상

과의 련성조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5, Vol.1, No.2, pp.228-235.

21. 박진철, 신축 공동주택에서의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연구,

2004, 앙 학교 석사학 논문.

22. D.Massey, J.Masih, A.Kulshrestha, M.Habil, A.Taneja, Indoor/outdoor

relationship of fine particles less than 2.5 μm(PM2.5) in residential homes

locations in central indian region, Building and Environment, 2009,

Vol.44, pp.2037-2045.

23. 심상효, 김윤신,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특성 평가-휘발성유기

화합물 포름알데히드를 심으로-,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06,

Vol.32, No.4, pp.275-281.

24. Sun-Sook Kim, Dong-Hwa Kang, Dong-Hee Choi, Myoung-Souk Yeo,

Kwang-Woo Kim, Comparison of strategies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at the pre-occupancy stage in new apartment buildings, Building

and Environment, 2008, Vol.43, pp.320-328.

25. Charles J. Weschler, Changes in indoor pollutants since the 1950s,

Atmospheric Environment, 2009, Vol.43, pp.153-169.

26. Xinhui Bi, Guoying Sheng, Yanli Feng, Jiamo Fu, Juexin Xie, Gas- and

particulate-phase specific tracer and toxic organic compounds i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Chemosphere, 2005, Vol.61, pp.1512-1522.

Page 13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11 -

27. 한돈희, 박수진, 류지혜, 환기가 불량한 실내공간에서 담배연기에 의한

CO, CO2, TVOC 에어로졸의 변화,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06, Vol.32,

No.2, pp.132-139.

28. Shun Chen Lee, Wai-Ming Li,Lo Yin Chan, Indoor air quality at restaurants

with different styles of cooking in metropolitan Hong Kong,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79, 2001, pp.181-193.

29. Jozef S. Pastuszka, U.Kyaw Tha Paw, Danuta O. Lis, Agnieszka Wlazło,

Krzysztof Ulfig, Bacterial and fungal aerosol in indoor environment in Upper

Silesia, Poland, Atmospheric Environment, 2000, Vol.34, pp.3833-3842.

30. Risto Kostiainen,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indoor air of normal and

sick houses, Atmospheric Environment, 1995, Vol.29, No.6, pp.693-702.

31. David L.Heavner, Walter T.Morgan and Michael W.Ogden,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ETS apportionment in 49 homes,

Environmental International, 1995, Vol.21, No.1, pp.3-21.

32. Wan-Je Jo, Jang-Yeul Soh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factors on indoor air quality of apartments in Korea, Building and

Environment, 2009, Vol.44, pp.1794-1802.

Page 13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Page 133: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13 -

부 록

Page 134: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Page 135: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15 -

< 부 록 >

주거공간 실내공기질 연구

실내환경 및 건강영향 설문

안녕하십니까?

본 설 문은 환경부 국 립환경과학원 이 진행 하는「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리

방안 연구」를 해, 오염물질 농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악하고, 거주자의

건강자각증상의 경험정도를 조사하여 해성평가를 하고자합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으며 본 연구이외의 다른 목 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귀한 시간을 내어 연구에 도움을 주시는 여러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응답자 번호(ID)

설문응답일시 2009 년 월 일

환 경 부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제어연구과 실내환경연구팀

Page 136: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목 차

가. 거주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나. 주거공간(아파트)의 특성

다. 생활습관 및 생활용품 현황

라. 입주자 건강자각증상 및 위해성 평가

응답자의 기본 사항

성명 및 성별 ( 남, 여 ) (가족구성원 항목: )

거주지 주소 시 구 동 번지

아파트 동 호

연락처 ( ) -

Page 137: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17 -

가. 거주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 주택에 같이 살고 있는 귀하의 가족구성 최종학력과 직업은 각각 무엇입니

까? (보기를 읽고 아래 표에 해당하는 번호를 어주십시오.)

본 설문의 주요 응답 구성원을 'V'로 표시해 주세요.

가족원 성별 연령 (세)

체중(kg)

학력1)

(보기 번호)직업2)

(보기 번호)

하루 중 실내에

거주하는 시간3)

하루 중 주택내에 거주하는 시간4)

1 남 편 -

2 부 인 -

3 자녀 1 남 , 여

4 자녀 2 남 , 여

5 자녀 3 남 , 여

6 기 타 1 남 , 여

7 기 타 2 남 , 여

총 ( )명 -

보 기

1) 학력① 무학․미취학 ② 초등교재․졸 ③ 중재․졸

④ 고재․졸 ⑤ 대재․졸 ⑥ 대학원재․졸2) 직업 ① 자영업, 직장인 ② 주부 ③ 학생 ④ 기타

3) 하루 실내 거주하는 시간 : 주택 + 교통 자가용 + 사무실 + .. 등 실내 거주 시간

4) 하루 주택내 거주하는 시간 : 생활하고 있는 주택에서 머무르는 시간

2. 귀 의 소유상태는 다음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 자가 ② 세 ③ 월세 ④ 기타

3. 귀 가족 체의 월평균 소득은 다음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 100~200만원 ② 200~300만원 ③ 300~500만원 ④ 500만원 이상

Page 138: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18 -

나. 주거공간(아파트)의 특성

1. 아 트 기본 정보

아파트 정보

1) 완공연도 년 월

2) 이사연도 년 월

3) 평형 공급 ( 평), 전용( 평)

4) 방향① 북향 ② 북서향 ③ 서향 ④ 남서향 ⑤

남향 ⑥ 남동향 ⑦ 동향 ⑧ 북동향

2. 아 트 실내개조(remodeling) 정보

실내개조를 하신 이 있으시면, 아래의 표를 작성하여 주십시오. 개조 항목은 ‘항

목 보기’에서 찾아 해당 번호를 모두 어주십시오.

개조 장소 개조 여부 개조 항목 개조 년 월

1) 베란다 예, 아니오

2) 거실 예, 아니오

3) 주방 예, 아니오

4) 침실 예, 아니오

5) 현관 예, 아니오

항목 보 기

① 사이 벽 철거 ② 바닥재 교체 ③ 천장재 교체 ④ 벽지 교체

⑤ 색을 칠함 ⑥ 붙박이 가구(옷장, 선반, 책장, 신발장) 설치

⑦ 싱크대, 수도시설 교체 및 설치 ⑧ 욕조 및 변기 교체 ⑨ 타일 교체 ⑨ 기타

3. 새 가구와 자 제품 구입 정보

이사 당시 혹은 그 이후에 새로 구입한 가구 혹은 자제품이 있으시면 보기에서

모두 골라 주십시오.

가구 구입 여부 구입연월 전자 제품 구입 여부 구입연월

1) 침대 예, 아니오 년 월 TV 예, 아니오 년 월

2) 장롱 예, 아니오 년 월 냉장고 예, 아니오 년 월

3) 화장대 예, 아니오 년 월 김치냉장고 예, 아니오 년 월

4) 소파 예, 아니오 년 월 세탁기 예, 아니오 년 월

5)책상,

의자예, 아니오 년 월 전자렌지 예, 아니오 년 월

6) 식탁 예, 아니오 년 월 컴퓨터,프린터 예, 아니오 년 월

7) 테이블 예, 아니오 년 월 오디오 예, 아니오 년 월

8) 커튼 예, 아니오 년 월 음식물처리기 예, 아니오 년 월

9) 카펫 예, 아니오 년 월 기타 ( ) 예, 아니오 년 월

10) 기타( ) 년 월 기타 ( ) 년 월

Page 139: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19 -

다. 거주자의 생활환경 및 습관

1. 환기방법조사

귀하나 귀하의 가족은 집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환기) 시키기 해 주로 어

떤 환기 방법을 사용하십니까? 귀하의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환기 방법을 제를 참고

하여 모두 체크해주세요.

예 제

환기방법지난 1주일간

사용 횟수1일 환기 횟수 1회 환기 시간

1) 자연환기 2 회/주 2 회/일 30 분

2) 기계환기 0 회/주 - -

3) 공기청정기 5 회/주 3 회/일 5 시간

4) 기타( ) 0 회/주 -

환기방법지난 1주일간

환기 횟수1일 환기 횟수 1회 환기 시간

1) 자연환기 회/주 회/일

2) 기계환기 회/주 회/일

3) 공기청정기 회/주 회/일

4) 기타( ) 회/주 회/일

2. 청소방법조사

귀하의 평소 청소 방법과 횟수는 어떻게 되십니까? ( 복체크 가능)

환기 방법

지난 1주일간 해당

청소법

사용 회수

해당 방법 가장

최근 청소일

1) 진공청소기 회/주 일 이전

2) 스팀청소기 회/주 일 이전

3) 물걸레 회/주 일 이전

4) 로봇청소기 회/주 일 이전

5) 빗자루 회/주 일 이전

6) 기타( ) 회/주 일 이전

3. 이불 침 커버 빨래 주기 건조방법 조사

귀하의 평소 이불 침 커버의 빨래와 매트리스는 어떤 주기로 어떻게 리 하십니까?

Page 140: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20 -

평소 빈도해당 방법 가장

최근 시행일

1) 침대/이불/요커버

일반빨래

삶는빨래

털기

햇빛건조

회/6개월

회/6개월

회/월

회/월

일 이전

일 이전

일 이전

일 이전

2) 이불/요

일반빨래

스팀청소

털기

햇빛건조

회/6개월

회/월

회/월

회/월

일 이전

일 이전

일 이전

일 이전

3) 침대매트리스

일반청소

스팀청소

털기

햇빛건조

회/6개월

회/월

회/월

회/월

일 이전

일 이전

일 이전

일 이전4) 기타( ) 회/6개월 일 이전

4. 휘발성화학물질 사용 유무

아래의 제품을 최근 사용하셨습니까? 제품의 사용 장소와 사용 일시를 어주십시오.

제품 종류 사용유무 제품명 최근사용일 사용/보관 장소

1) 가구광택제 유,무 ( )일전2) 방향제 유,무 ( )일전3) 표백제 유,무 ( )일전4) 살충제 유,무 ( )일전5) 드라이클리닝의류 ( )일전6) 기타( ) ( )일전

5. 흡연 유무 조사

귀 에서는 가족 구성원 흡연자가 있습니까?

가족원 흡연유무 흡연량(개피/일)

주거공간 흡연유무

주거 공간에서흡연량

(개피/일)

주거공간중 주요 흡연장소

주거공간 최근

흡연시간

최근흡연량 (개피)

1) 남 편 유, 무 유, 무 ( )시간전

2) 부 인 유, 무 유, 무

3) 자녀 1 유, 무 유, 무

4) 자녀 2 유, 무 유, 무

5) 자녀 3 유, 무 유, 무

6) 기 타 1 유, 무 유, 무

7) 기 타 2 유, 무 유, 무

총( )명

Page 141: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21 -

6. 귀 에서는 애완동물을 키우고 계십니까?

① ( ), 종류 : ( , 마리) ② 아니오 ( )

7. 귀 에서 육안으로 바퀴벌 가 찰 되십니까?

① ( ) ② 아니오 ( )

8. 귀 에서 육안으로 곰팡이가 찰 되십니까? 찰 된다면 그 장소는 어디입니까?

① ( ), 장소 : ( ) ② 아니오 ( )

9. 귀 에서 육안으로 벽, 천정 등에서 물자국이 찰 되십니까? 찰 된다면 그 장소

는 어디입니까?

① ( ), 장소 : ( ) ② 아니오 ( )

10. 화장실의 습기차는 정도는 어떠합니까?(바닥과 벽이 주로 젖어있는 시간은?)

① 30분 이하 ② 30분 ~ 1시간 ③ 1 ~ 2시간 ④ 3 ~ 4시간 ⑤ 5시간 이상

11. 측정 당일 집안에서 요리 혹은 식사를 하셨습니까? 하셨다면 식사 메뉴는 무엇이

었습니까?

① 요리( ___________:아침, 심, 녁 , 아니오______)

요리시간 : ( ), 사용연료원: ( )

② 식사( _____________:아침, 심, 녁, 아니오________)

③ 메뉴 :밥____, 라면,국수____(이름: ), 김치___, 게_____(이름,: ), 장류___,

빵____, 과일____(이름: , 개), 기타 ____ (이름: )

라. 거주자의 건강영향

1. 본인이나 가족이 지난 1년 동안 거주 공간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화학물질 혹은 곰

팡이와 진드기 등 생물학 인자에 의해 발생했다고 의심되는 건강 증상들을 경험

해 보셨습니까? 증상을 경험한 사람이 가족 구성원 에 있다면, 증상 경험한 개개

인 모두에 해 개별 표에 기입해 주세요. (‘보기 ’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요 : 공기오염이 원인이 아닌 증상 ( , 일반 인 유행성 감기, 유 질병, 일

반 건성피부로 인한 건조함 등)은 응답에서 제외됩니다.

Page 142: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5001472.pdf · 2015-11-03 · 주거 공간별 실내공기질 관리 방안 연구(I)-아파트의

- 122 -

<보기 예>가족원 성명 홍 길 동 성별 남 나이 30 세

증상

증상시작 및 빈도 증상 정도

주요발생월

증상지속기간(일)

증상빈도(회/달)

매우약함

약함 보통 심함매우심함

눈건조함따가움

코막힘 11~2월 2주일 2회/달 O

콧물

알레르기성비염 일년내내 3일 15회/달 O

가족원 성명 성별 나이

증상

증상시작 및 빈도 증상 정도

주요발생월

증상지속기간(일)

증상빈도 (회/달)

매우약함

약함

보통

심함

매우심함

눈건조함

따가움

코막힘

콧물

알레르기성 비염

건조함

따가움

잦은기침

아픔(통증)

어지러움

잦은두통

답답함

호흡곤란

메스꺼움

건조함

가려움

발진

아토피성 피부염

자주졸립다

쉽게 피로함

2-1 의 자각증상으로 인해 지난 1년 동안 이러한 증세로 병원을 방문한 이 있습니까?

① ( , 년 월 ) ② 아니요 ( )

⇒“ ”인 경우 어떤 진단명이었습니까? ( )

⇒ 치료를 받았습니까? ① ( ) ② 아니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