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 지원 도구 개발 -...

177
유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 지원 도구 개발

Upload: others

Post on 11-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최 종 보 고 서

유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 지원 도구 개발

연구수행기관 : 한국안전전문기관협의회

공동연구기관 : (주) 세이프티아

2013. 12.

- iii -

최종보고서 / 2013.12

유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 지원 도구 개발

- i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유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 지원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용역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3. 12.

연구기관명 한국안전전문기관협의회

㈜세이프티아

연구책임자 윤 이

임 동 연

연 구 원 은 종 화

서 재 민

최 정 우

류 정 우

김 은 주

용 종 원

송 삼 성

하 민 지

김 우 정

김 민 욱

한 병 섭

이 기 원

백 운 성

김 기 철

- ii -

요 약 문

Ⅰ. 연구개요

연구과제명국문 유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 지원 도구 개발

영문

연구기관한국안전전문기관협의회

㈜세이프티아연구책임자

소속 인제대학교

성명 윤 이

연구기간 2013. 8 ~2013. 12 ( 5개월)

연구개발비 94,436천원

참여연구원수 총 15명 내부 : 14명, 외부 : 1명

Ⅱ. 연구목적 및 필요성

현재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38조 내지 제39조에서는 사고대비물질을 일정기준 이상 취급하

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취급물질의 유해성정보, 방제장비 및 물자현황, 비상시 피해예측범위

등을 포함하는 자체방제계획서를 작성·제출하고 있으나, 유독물 취급시설에 대해서는 별도의

사고예방제도가 없어 사업장이 취급하고 있는 유독물의 위험·유해성, 방제물품, 비상시 대응

방법 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더욱이 이들 사업장은 안전관리 기반이 약한

소규모(영세) 사업장이 많아 유해화학물질의 체계적인 관리나 사고예방·비상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해관계자가 유해화학물질 취급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안전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중소규모 사업장이 안전관리, 사고예방 및 비상 대응에 필요한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도구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유독물 취급업체에 취급물질 유해·위

해성 정보, 방제물품 및 개인 보호장비, 비상시 대처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관리 지원 도

구를 기획하고, 유독물 취급업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화 전략

을 수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 iii -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유독물 취급업체가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에 필요한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도구를 기획하고 누출 사고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보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

으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 기획

1) 유독물 취급시설 사업장 정보 및 주요 취급물질 정보 등을 사업장내 담당자가 직접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 기획

2) 사업장 내 안전관리 및 비상 대응에 필요한 정보항목 도출

3) 물질유형별로 사업장에 적용 가능한 초동대응지침 개발

나.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1) 현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고도화 계획 수립

2) 차기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로드맵 제시 및 세부내용 정의

3)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활용방안 마련

Ⅳ. 연구 결과

가.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 기획

본 연구는 유독물 취급업체에 취급물질 유해·위해성 정보, 방제물품 및 개인보호장비, 비

상시 대처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관리 지원 도구 개발에 대한 기획 연구로 다음과 같

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유독물 안전관리 지원도구 정보항목을 크게 취급정보, 비상정보, 법규정보로 대분류하

고, 취급정보에는 사업장 정보, 취급물질 정보, 취급시설 정보 등을 포함하고, 비상정보에는

일반물질정보, 긴급대응정보, 대응지침, 비상대응계획 등으로 구성하였다.

- iv -

Fig. 1. 안전관리 지원도구 정보항목

2) 유독물 안전관리 지원도구의 취급정보 항목은 사업장 일반정보, 취급물질 현황정보,

취급시설 정보, 방재자원 정보, 운송정보 등 5개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사업장 일반정보에는

사업장 기본정보와 법적규제현황, 사고예방제도 적용여부 등 14개 콘텐츠를 포함하였다. 취급

물질 현황정보에는 취급 물질명, 물질성상, 함량(%), 일일사용량과 연간취급량, 현재고량 등 6

개 콘텐츠로 구성하였다. 취급시설 정보는 취급시설 형태와 용량 등 8개 콘텐츠를 포함하였고,

방제자원 정보는 방재약품, 장비 및 소화약제 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운송정보는 차량

형태와 운송업체명, 운전자명 등의 5개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Table 1. 취급정보 항목 및 세부 콘텐츠

대분류 중분류 세부 콘텐츠

취급정보

사업장 일반정보

업체명, 대표자, 우편번호/주소, 관할기관, 사업자

등록번호, 근로자수, 업종분류, 대표전화(FAX)

담당자(연락처), 비상연락망, 허가등록구분, 취급시설

보유여부, 사고예방계획 수립·제출여부, 타 개별법 적용여부

취급물질 현황정보취급물질명, 물질성상, 함량(%), 일일사용량,

연간취급량, 현재고량

취급시설 상세정보취급물질, 취급시설 형태, 취급시설 용량, 취급용기

형태, 운전조건(온도, 압력), 시설종류, 전체배치도, 사진정보

방재자원 정보

방재약품(약품명, 보관장소, 수량(단위)),

방재장비(장비명, 보관장소, 수량(단위)), 소화장비 및

소화약제(명칭, 보관장소, 수량(단위))

운송정보차량번호, 차량형태, 1회 적재량, 운송업체명,

운전자명(연락처)

- v -

3) 비상정보에는 일반물질정보, 긴급대응정보, 대응지침, 비상대응계획 등 4개 항목

으로 구성하였다. 일반물질정보는 화학물질마다 관계법령에 따라 비치·작성해야 하는

물질정보 항목이나 수준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관계법령의 관리기준에 맞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부처별 개별 단위시스템을 Link 하도록 제안하였다. 긴급대응정보는

1차 초동대응기관의 조치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대응지침은 물

질유형별 대응지침과 사업장 초동대응 지침으로 세분하도록 하였고, 비상대응계획은

업체규모 및 수준에 따라 항목을 조정하도록 제안하였다.

Table 2. 비상정보 항목 및 세부 콘텐츠

4) 국내 DB 관련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DB 항목을 조사하여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고, 긴급대응에 필요한 정보 항목을 제안하였다. 긴급대응정보는 상황파

악, 대응요원 안전 확보, 물리적 위험제거, 현장통제 등 초동조치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중심

으로 취급하는 물리적 유해·위험을 식별할 수 있는 물리·화학적 성질, NFPA 등급, GHS 분

류 및 표시에 의한 그림문자, ERG 대응지침, 급성 독성정보, 법적규제현황 등이 포함되었다.

Table 3. 긴급대응정보 세부 내용

- vi -

5) 긴급대응정보 sheet 작성과 비상대응계획 수립의 핵심요소인 ERG 지침번호를 식별할

수 있게 국내 유통 중인 유독물 188종을 ERG 분류체계에 따른 물질유형을 분류하였다. UN번

호가 있는 139종은 UN번호에 따라, 46종은 GHS 분류 및 표시 결과에 따라 물질유형을 분류하

였으나, 3종은 물질유형 분류에 필요한 DB결손으로 분류가 어려웠다. 유독물 188종중에서 지

침번호 154인 물질_독성 및/또는 부식성(비가연성) 물질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Fig. 2. 물질유형 분류 알고리즘

6) 사업장 초동대응지침은 안전관리조직의 운영, 비상시 사고전파/연락 체계, 응급대응(조

치)요령/계획, 긴급 현장통제체제, 사고 초기대응기관의 지원 등의 5가지 요소로 제안하고 Ⅰž

ⅡžⅢ 등 3개의 유형으로 수행형태를 분류하였다. 수행 형태를 사고예방제도 적용 사업장 여

부, 유독물 취급시설 보유여부, 안전관리 조직 보유 여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

을 제시하고 Ⅰ·ⅡⅢ 수준에 따라 세부내용을 차별화하여 제시하였다.

Fig. 3. 초동대응 지침 수행형태 결정 알고리즘

- vii -

Table 4. 초동대응지침 수행 형태별 세부내용

구 분 수준-Ⅰ 수준-Ⅱ 수준-Ⅲ

초동대응지침

세부내용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긴급현장통제

Ÿ 안전관리조직운영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긴급현장통제

Ÿ 대응기관지원

소규모 사업장의 비상대응계획은 취급물질 현황정보 및 취급시설 정보, 긴급대응정보

sheet, ERG 대응지침 및 사업장 초동대응 지침으로 구성하고, 사업장 초동대응지침에 따라 수

준 Ⅰ, Ⅱ, Ⅲ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able 5. 사업장 비상대응계획 수준별 구성요소

구 분 수준-Ⅰ 수준-Ⅱ 수준-Ⅲ

취급정보Ÿ 취급업체 정보

Ÿ 물질 취급정보

Ÿ 취급업체 정보

Ÿ 물질 취급정보

Ÿ 취급업체 정보

Ÿ 물질 취급정보

비상대응정보 Ÿ 긴급대응정보 Ÿ 긴급대응정보 Ÿ 긴급대응정보

비상대응지침 Ÿ 물질 유형별 대응지침 Ÿ 물질 유형별 대응지침 Ÿ 물질 유형별 대응지침

대응지침

(사업장)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긴급현장통제

Ÿ 안전관리조직운영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긴급현장통제

Ÿ 대응기관지원

7) 안전관리 조직이 있고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유해물질 취급시설을 보유한 사업

장이 비상대응계획 개발 예시를 제시하였다. 비상대응계획의 수행형태는 Ⅲ 수준이며,

취급정보, 비상대응정보, 비상대응지침, 초동대응 지침 5개소로 구성될 수 있다. 비상대

응계획에는 암모니아에 대한 위험요인 제거와 사업장 내의 누출 최소화방안과 확산에

의한 「주민보호」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 viii -

나.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본 연구는 현재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안전센터에서 개발되어 사고 대응 및 예방훈련에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사고대응시스템(이하 CARIS)에 대한 차기 구축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

화전략을 수립하였다. 정보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현 시스템의 구축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

점 및 개선요소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화학물질안전원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차기 화학물질사고

대응시스템에 대한 구축방향 및 도입 요소를 도출하였다.

1) 현 화학물질사고대응 시스템은 사고대응 정보, 위험성 평가, 사고대응마법사, 상세확

산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다. 사고대응정보

는 사고대응 시 필요한 취급업체 정보, 유관기관 정보, 화학물질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정보는 매우 상세한 수준까지 구축되어 있다. 위험성 평가의 경우 미국화학공학회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의 그 기반을 둔 모델을 채택하여 화학사고시 신뢰성 있는 피해 거리를 예

측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으며 사고대응 마법사 기능을 통해 사고 발생 시 대응정보와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신속하게 사고를 전파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Fig. 4. 현 CARIS 구성요소

2) 차기 CARIS는 사고 대응뿐만 아니라 사고 사후 평가, 사고 예방 및 대응 등 화학사고

관련 포괄적인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어야 하며 환경부 혹은 타 부처에서 구축한 관련 시스템

과 연동하여 관련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2014년부터 시행

- ix -

Fig. 5. 차기 CARIS 로드맵

예정인 화학물질평가법 및 화학물질관리법에 맞춰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 및 설계돼야 하므로

광범위한 연구와 철저한 계획 하에 개발돼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해 CARIS 구축방안을 크게 4가지 분야로 나눠 구상하였으며 외부 시스템 연계방안을 추가하

여 전체 로드맵을 구상하였다.

3) 차기 CARIS구축의 첫 번째 단계로 현 CARIS의 요소 고도화가 선행돼야 하며 현

CARIS의 고도화 요소로는 GIS, 위험성 평가, 상세확산모델, 사고대응정보 수집방법 등이 있다.

CARIS는 모든 정보 및 기능을 GIS기반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GIS는 모든 요소의 기반이 된다

고 할 수 있으며 차기 CARIS는 웹기반으로 구축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에 맞는 적절한 GIS도

입 방안이 필요하다.

- x -

Fig. 6. 웹기반 GIS 구성 예

위험성 평가의 경우 사고 피해 범위를 예측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차기

CARIS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요소이며 현 CARIS의 위험성 평가가 지나치게 시뮬레이

션 성향을 추구하는 만큼 차기 CARIS에서는 이를 보안하여 사고 대응에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Fig. 7. 위험성 평가 개선 방안

상세확산평가의 경우 현 CARIS에서는 사고 대응과는 별개로 구축되어 있어 사후 평가용으

로만 활용되기 때문에 차기 CARIS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상세확산평가는 기상정보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

상정보를 도입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xi -

Fig. 8. 상세확산평가 구축방안

4) 차기 CARIS는 보다 포괄적인 화학사고 평가기법을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장외 영

향평가 및 특정 시설의 확산 평가를 통해 기존에 평가하지 못한 영역 및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장외영향평가의 경우 유해화학물질 누출사고에 의한 환경영향을 평가

하는 기법으로 이를 통해 사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Fig. 9. 장외영향평가에 의한 재해지도 생성

- xii -

특정시설 위험성 평가의 경우 기존 위험성평가가 실외 화학물질 누출사고만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임을 감안하여 건물이나 터널 그리고 지하철 역사와 같은 실내에서의 유해화학물질

의 누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도입돼야 한다. 실내 화학물질 누출의 거동은 대부분

CFD를 기반으로 수행되며 CFD는 실외 위험성평가에 비해 보다 많은 입력 인자와 수행 시간

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도입하기 위한 철저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Fig. 10. 특정시설 위험성 평가 구성도

5) 현 정부의 핵심 과제인 정부 3.0전략 중 정보의 공유는 차기 CARIS 구축에도 적극적

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구축비용의 최적화를 추구해야 한

다. 예를 들어 CARIS의 경우 취급업체 정보를 다년간에 걸쳐 수집하여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안전보건공단의 경우 이 보다 훨씬 많은 업체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보건

공단의 업체 정보를 CARIS에서 활용 할 수 있다면 기존보다 저비용 고효율의 사고 대응 정보

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국토해양부의 물류이동 관리시스템, 환경부의 사고이력

관리 시스템 등이 CARIS와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 xiii -

Fig. 11. 정부 3.0기반 정보 공유 방안 예

6) 화학물질안전원의 출범과 더불어 CARIS는 사고대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일 뿐만

아니라 안전원이 총괄하는 합동종합방재 센터의 핵심 운영시스템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합동

종합방재센터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대응 훈련이 필수적이며 CARIS는 이러

한 훈련을 통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기반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Fig. 12. 안전원과 합동종합방재 센터

- xiv -

Ⅴ. 연구결과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연구는 유독물 취급업체에 취급물질 유해·위해성 정보, 방제물품 및 개인보호장비, 비

상시 대처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관리 지원 도구를 기획하는 것으로 향후 안전관리

지원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연구를 통해 도출된 안전관리 지원 도구

의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는 향후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등 각종 비상대응을 위한 시

스템 개발의 콘텐츠로 사용 가능하며, 유독물 188종에 대한 물질유형 분류결과와 긴급대응 정

보의 세부 콘텐츠는 초동대응기관에서 활용하는 대응지침 작성에 도움이 이용될 수 있다.

사업장 초동대응지침과 비상대응계획의 모델은 자체방제계획서 작성 등 사고예방제도를 작

성·운영하지 않는 사업장에서 수행해야 할 최소한의 행동절차를 정리한 것으로 소규모 사업

장의 비상대응능력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리라 예상된다.

또한 새로 출범하는 화학물질안전원이 활용하게 될 차기 화학물질사고대응시스템은 향후 10

년을 내다보고 철저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차기 화학

물질사고대응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활용

한다면 화학물질사고대응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시 보다 올바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 xv -

차 례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1 연구 배경 ···································································································1

1.2 연구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방법 ··························································································2

2.1 연구내용 ·····································································································2

2.2 연구방법 ·····································································································3

Ⅱ.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 기획 ···································· 4

1.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의 취급정보 항목도출 ············4

2. 유독물 취급업체 중심의 안전관리 및 대응정보 기술항목 도출 ········9

2.1. 국내 DB 관련 시스템 및 운영현황 조사 ········································10

가. 환경부의 관련 시스템 ·········································································11

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MSDS/GHS(화학물질 정보) ····················21

다.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24

2.2. 유독물 취급업체 중심의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 정보항목 도출 25

3. 물질유형별로 사업장에 적용 가능한 초동대응지침 개발 ················31

3.1. 국내 유통 유독물의 물질유형 분류 ··················································31

가. 물질유형 분류 알고리즘 ·····································································31

나. 물질유형 분류 결과 ·············································································33

3.2. 업종/규모별 특성을 반영한 비상대응계획 개발 ····························67

가. 용어의 정의 ·························································································67

나. 소규모 유해물질 취급사업장 특성 ···················································67

다. 비상대응계획 구성요소 ·······································································68

라. 초동대응 지침 수행형태 결정 고려요소 ·········································72

마. 초동대응 지침 수행형태 ·····································································75

바. 비상대응계획 수준별 구성요소 ·························································76

- xvi -

3.3. 초동대응 지침 개발 예시 ····································································77

가. 초동대응 지침 작성 고려사항 ···························································77

나. 현장 응급대응 조치 모델 ···································································79

다. 초동대응 지침(예시) ············································································82

Ⅲ.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 86

1. CARIS 시스템 운영 현황 및 문제점 ······················································86

1.1. CARIS 시스템 도입경과 ······································································86

1.2. CARIS 시스템 기능현황 ······································································87

가. CARIS 전자지도 현황 ·········································································88

나. CARIS 정보 제공 현황 ·······································································89

다. CARIS 위험성 평가 현황 ····································································98

라. CARIS 사고대응 마법사 현황 ··························································102

마. 상세확산모델 현황 ·············································································103

1.3. 현 CARIS의 문제점 ·············································································105

가. PC용 응용프로그램 ············································································105

나. 사고대응정보 구축 ·············································································105

다. 타 기관정보 연계 ···············································································106

라. 보안 강화에 따른 사용제약 ·····························································106

마. 상세확산모델 현황 ·············································································105

2. CARIS 고도화를 위한 정보화 전략계획 ············································108

2.1. CARIS 고도화 로드맵 ·····································································108

가. 정보시스템 고도화 전략 ···································································109

나. 평가 및 시뮬레이션 고도화 전략 ···················································109

다. 사고 대응 고도화 전략 ·····································································109

라. 사고 예방 체계 구축 전략 ·······························································110

2.2. 현 CARIS 요소 고도화 ·····································································110

가. CARIS GIS 도입방향 ··········································································110

나. 사고대응정보 구축전략 ·····································································114

- xvii -

다. 화학사고대응 위험성 평가 고도화 ·················································116

라. 사고대응 가이드 고도화 구축전략 ·················································122

2.3. 외부 시스템 연계 고도화 ································································125

가. 정보화 통합 방안 전략 수립 ···························································125

나. 수송시스템 연계방안 ·········································································128

2.4. 신규연구개발을 통한 CARIS 요소 고도화 ···································131

가. 장외 영향 평가 ···················································································131

나. 특정시설 위험성 평가 ·······································································136

다. 사고원인 분석 구축전략 ···································································137

라. 사고 예방/대응교육 훈련 구축방안 ················································139

마. 이행방안 수립 ·····················································································141

바. 이행과제 도출 ·····················································································142

사. 선·후행 관계 분석에 따른 단계별 추진전략 ·····························143

아. 단계별 이행 로드맵 ···········································································144

Ⅳ. 연구결과 ·····························································································148

1.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 기획 ······································148

2.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150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51

Ⅴ. 참고문헌 ·····························································································152

- xviii -

표 차례

Table 2-1. CARIS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5

Table 2-2. 유독물 관리시스템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5

Table 2-3. 취급정보 항목 도출 ·······················································································6

Table 2-4. 사업장 일반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7

Table 2-5. 취급물질 현황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7

Table 2-6. 취급시설 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8

Table 2-7. 방재자원 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8

Table 2-8. 운송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8

Table 2-9. CARIS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13

Table 2-10. CEIS 일반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15

Table 2-11. CEIS 전문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16

Table 2-12. KISchem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18

Table 2-13. MSDS 작성항목 및 세부 콘센츠 ····························································23

Table 2-14.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24

Table 2-15. 법령정보 항목도출 ·····················································································26

Table 2-16. 비상정보 항목도출 ·····················································································26

Table 2-17. 긴급대응정보 Sheet 예시 ·········································································28

Table 2-18. GHS 분류체계, DOT 분류체계 및 ERG 지침번호 관계 ···················32

Table 2-19. UN번호에 따른 물질유형 분류 결과 ····················································33

Table 2-20. UN번호가 없는 46종의 물질유형 분류 결과 ······································41

Table 2-21. 물질유형 분류가 곤란한 유독물 3종 ·····················································50

Table 2-22. 국내 유통 유독물 188종의 물질유형 분류 결과 ·································51

Table 2-23. 물질유형별 대상물질 종수 ·······································································66

Table 2-24. 구미 무수불산 누출사고의 교훈 ·····························································68

Table 2-25. 유독물 취급사업장 비상대응계획 구성 ·················································69

Table 2-26. 자체방제계획서의 내용 구성 ···································································69

Table 2-27. 초동대응 지침 구성요소의 세부내용 ·····················································70

Table 2-28. 초동대응지침 수행형태별 세부내용 ·······················································76

Table 2-29. 사업장 비상대응계획 수준별 구성요소 ·················································77

- xix -

Table 3-1. CARIS 구성요소 ···························································································87

Table 3-2. CARIS 취급업체 기본정보 ·········································································90

Table 3-3. CARIS 취급업체 저장탱크 정보 ·······························································91

Table 3-4. CARIS 취급업체 방재물품 정보 ·······························································91

Table 3-5. CARIS 취급업체 공정정보 ·········································································92

Table 3-6. CARIS 유통량 정보 ·····················································································92

Table 3-7. CARIS 대응기관 일반정보 ·········································································94

Table 3-8. CARIS 방재물품 판매업체 정보 ·······························································95

Table 3-9. CARIS 화학물질 정보 ·················································································96

Table 3-10. CARIS 지역기반 검색 분류 ·····································································97

Table 3-11. CARIS 위험성 평가 대상 ·······································································98

Table 3-12. CARIS 위험성 평가 입력 요소 ·····························································99

Table 3-13. CARIS 위험성평가 사고 시나리오 입력 요소 ···································99

Table 3-14. CARIS 위험성 평가 피해 형태 ···························································100

Table 3-15. CARIS 위험성 평가 구성 모델 ···························································101

Table 3-16. CARIS 사고대응 마법사 입력 요소 ···················································102

Table 3-17. 사고대응 마법사 구성요소 ···································································103

Table 3-18. 웹 GIS 구현 방식 비교 ········································································112

Table 3-19. CARIS GIS구현 방안 비교 ··································································113

Table 3-20. 위험성 평가 누출 시나리오 ·································································116

Table 3-21. 상세확산모델 연구요소 ·········································································121

Table 3-22. 사고대응마법사 보고서 항목 ·······························································122

Table 3-23. 수질오염에 대한 국내 연구 사례 ·······················································132

Table 3-24. 수질오염 예측 해외 사례 ·····································································133

Table 3-25. 토양환경보전법 위해성 평가 대상 물질 ···········································134

Table 3-26. 해외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 사례 ·······················································134

Table 3-27. 이행계획 수립 개요 ···············································································141

Table 3-28. 업무영역 이행과제 ·················································································142

Table 3-29. 우선순위 평가 영역 도출 ·····································································143

Table 3-30. 단계별 구축요소 ·····················································································143

Table 3-31. 단계별 이행 로드맵 ···············································································144

- xx -

그림차례

Fig. 1-1. 연구내용 관계도 ································································································3

Fig. 2-1. 화평법과 화관법의 관계 ················································································10

Fig. 2-2. 국내 DB 관련 운영현황 ················································································11

Fig. 2-3.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운영체계 ···················································· 13

Fig. 2-4. CEIS 홈페이지 및 화학제품 검색화면 ·······················································14

Fig. 2-5. CEIS 구성도 ·····································································································14

Fig. 2-6. KISchem 운영 개념도 ····················································································19

Fig. 2-7. 유독물 GHS 지원시스템 홈페이지 및 분류·표시 검색화면 ··················20

Fig. 2-8. 유독물 GHS 시스템 구성도 ·········································································21

Fig. 2-9. MSDS/GHS 검색화면 및 GHS 분류 및 경고표시 작성프로그램 ········22

Fig. 2-10.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접속 및 GHS 위험물자료 검색화면 ···············24

Fig. 2-11.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 정보항목 관계도 ··················································25

Fig. 2-12. 물질유형 분류 알고리즘 ··············································································31

Fig. 2-13. 유독물 취급사업장 규모에 따른 취약성 비교 ········································74

Fig. 2-14. 초동대응 지침 수행형태 결정 알고리즘 ··················································76

Fig. 2-15. 화학사고 통제 및 대응 개념도 ··································································79

Fig. 2-16. 화학사고 현장 초기 응급조치 모델(누출) ···············································81

Fig. 2-17. 비상연락망/경보전파체계 예시 ·································································82

Fig. 2-18.. 긴급현장통제 체제 예시 ·············································································82

Fig. 2-19. 현장 응급조치 모델 예시 ············································································83

Fig. 2-20. 대응기관 지원 예시 ······················································································84

Fig. 2-21. 안전관리조직 예시 ························································································85

Fig. 3-1. CARIS 개발 배경 및 도입 경과 ··································································87

Fig. 3-2. CARIS 구성요소 ······························································································88

Fig. 3-3. CARIS 전자지도 ······························································································89

Fig. 3-4. CARIS 취급업체 정보 보기 화면 ································································93

Fig. 3-5. CARIS 병원 상세 정보 ··················································································94

Fig. 3-6. CARIS 화학물질 정보 ····················································································96

- xxi -

Fig. 3-7. CARIS 위험성 평가 입력 화면 ····································································99

Fig. 3-8. CARIS 위험성 평가 피해기준 설정 화면 ················································100

Fig. 3-9. CARIS 상세확산 모델 운영 현황 ······························································104

Fig. 3-10. CARIS 데이터 구축 체계 ··········································································106

Fig. 3-11. CARIS 고도화 로드맵 ················································································108

Fig. 3-12. 현 CARIS 데이터 구축 체계 ····································································114

Fig. 3-13. 취급업체 정보 시스템 ················································································115

Fig. 3-14. CARIS 위험성평가 수행 단계 ··································································117

Fig. 3-15. CARIS 위험성평가 개선 프로세스 ··························································118

Fig. 3-16. DNV PHAST 위험성평가 입력화면 ·······················································119

Fig. 3-17. 현 CARIS 상세확산 모델 구현 프로세스 ··············································120

Fig. 3-18. 차기 CARIS 상세확산 모델 구축도 ························································122

Fig. 3-19.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가 잘 구축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123

Fig. 3-20. ERG 분류체계에 의한 사고대응 정보 ····················································124

Fig. 3-21. ERG 131 인화성 액체 – 독성의 사고대응 가이드 예 ······················124

Fig. 3-22. 정보화 통합 방안 구성도 ··········································································125

Fig. 3-23. 안전보건공단 2013년 유해위험물질 취급사업장 DB 구축 ················126

Fig. 3-24. 안전관리공단 작업환경실태 일제조사 항목 ··········································126

Fig. 3-25. 작업환경 실태조사 화학물질 취급작업 조사 항목 ······························127

Fig. 3-26. CARIS 데이터 인터페이스 연계 방안. ···················································128

Fig. 3-27. CARIS 위험물 수송차량 사고대응 시스템 구현도 ······························129

Fig. 3-28. 위험지수 재해지도 ······················································································135

Fig. 3-29. CARIS 특정시설 위험성평가 구성도 ······················································137

Fig. 3-30. 사고원인 분석을 위한 Root Cause Analysis기법 ·······························138

Fig. 3-31. 사고 근본원인 분류 단계 예 ····································································138

Fig. 3-32. 안전원 산하 합동종합방재센터 운영 체계 ············································140

Fig. 3-33. CARIS 사고대응 훈련 운영 구성도 ························································141

Fig. 4-1. CARIS 정보화 전략 로드맵 ········································································150

- 1 -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연구의 배경

우리나라는 1970년대 중화학 공업화 정책 이후 1990년대까지는 에너지·화학 산업이, 1990

년대를 거치면서 전자정보소재, 반도체, 환경공학 등으로 화학 산업의 영역이 꾸준히 확대·

성장하고 있다. 기존 화학 산업에서 경험하지 못한 고압·고온상태의 가혹한 조건의 생산방식

과 유해성이 큰 화학물질 사용이 불가피해졌고, 사업장이 주거지와 인접함에 따라 주민건강

및 환경으로의 노출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제조·사용·폐기 등 전 과

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인체와 환경에 치명적 재난을 가져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

라서 화학물질은 시장 유입단계, 사용단계, 환경 배출단계를 거치면서 광범위하게 안전문제를

동반하게 되며, 전 과정에서 철저한 관리와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구미 무수불산 누출사고 등 연이은 화학사고 발생의 원인이 대부분 사업장 내

작업장의 안전의식 미흡 등으로 조사되어 지역주민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현재 유해화학물

질관리법 제38조 내지 제39조에서는 사고대비물질을 일정기준 이상 취급하는 사업장에 대해

서는 취급물질의 유해성정보, 방제장비 및 물자현황, 비상시 피해예측범위 등을 포함하는 자

체방제계획서를 작성·제출하고 있으나, 유독물 취급시설에 대해서는 별도의 사고예방제도가

없어 사업장이 취급하고 있는 유독물의 위험·유해성, 방제물품, 비상시 대응방법 조차 인지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더욱이 이들 사업장은 안전관리 기반이 약한 소규모(영세)

사업장이 많아 유해화학물질의 체계적인 관리나 사고예방·비상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해관계자가 유해화학물질 취급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안전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중소규모 사업장이 안전관리, 사고예방 및 비상 대응에 필요한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

할 수 있는 도구개발이 시급하다.

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독물 취급업체에 취급물질 유해·위해성 정보, 방제물품 및 개인 보호

장비, 비상시 대처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관리 지원 도구를 기획하고, 유독물 취급업체에

서 발생할 수 있는 누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그 주요내용

은 다음과 같다.

- 2 -

1)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 기획

가) 유독물 취급시설 사업장 정보 및 주요 취급물질 정보 등을 사업장내 담당자가

직접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 기획

나) 사업장 내 안전관리 및 비상 대응에 필요한 정보항목 도출

다) 물질유형별로 사업장에 적용 가능한 초동대응지침 개발

2) 화학사고대응정보시스템의 정보화 전략 계획 수립

2. 연구내용 및 방법

2.1 연구내용

가.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 도구 기획

○ 사업장에서 직접 입력하는 DB 활용성을 고려하여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 및

유독물 관리 전산시스템(유독물 영업등록실적 보고) 등과 연계하여 취급업체 DB 도출하되,

- 사업장 일반정보, 취급물질 현황정보, 취급시설 정보, 방재정보, 운송정도 등으로 구분하

고, 각 정보항목에 대해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도움말 정리

나. 사업장 내 안전관리 및 비상 대응에 필요한 정보항목 도출

○ 국내 DB 관련 시스템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에 필요한 세부 콘텐츠를

도출하고, 긴급대응 Sheet 정보항목 도출

○ 기존 관계시스템 등과의 연계를 통해서 DB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

다. 물질유형별로 사업장에서 적용 가능한 초동대응지침 개발

○ 실제 국내 유통 중인 유독물을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고려하여 물질유형 분류

및 ERG 대응지침 연계

- 물질유형은 CANUTEC ERG 2012 기준에 따라 분류하되, ERG에서 제공하지 않는 유독물

의 경우에는 UN 및 GHS 분류체계를 반영하여 유형분류

○ 업종/규모별 특성을 반영한 비상대응계획 개발

- 비상대응계획은 앞에서 개발한 취급정보, 비상대응 정보, 물질유형별 대응지침, 사업장 초

동대응지침으로 구성하되,

- 업종 및 규모 등에 따라 구성요소를 차별화하여 제시

○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 현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고도화 계획 수립

- 3 -

- 차기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로드맵 제시 및 세부내용 정의

-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활용방안 마련

2.2 연구방법

기존 관계시스템의 수록정보를 바탕으로 유독물 취급업체 관리자 및 담당공무원 관점에서 안

전관리와 비상대응에 필요한 정보항목 도출

Fig. 1-1. 연구내용 관계도

- 4 -

Ⅱ.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 기획

1.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의 취급정보 항목 도출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이하 “CARIS”라 한다) 및 유독물 관리 전산시스템(유독물

영업등록실적보고)과 연계하여 유독물 취급사업장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DB 항목을 도출하였

다. 현재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의 정보항목은 취급업체정보, 저장탱크정보, 방제물품정

보, 취급공정정보, 유통량정보, 운송정보 등 6개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취급업체정보는 업

체명, 대표자, 우편번호, 주소, 연락처 등 사업장 기본정보와 허가등록구분, 자체방제계획 대

상여부 등 법 적용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저장탱크정보는 취급하는 화

학물질이 보관·저장되는 용기의 번호, 저장용기의 규격, 탱크의 형태, 저장량, 운전조건 등

저장용기에 대한 상세명세가 포함되어 있다. 방제물품정보는 장비(약품)명, 저장위치, 저장량,

구입업체명, 방제대상물질이 세부 콘텐츠로 포함되어 있다. 취급공정정보는 대상물질이 취급

되는 공정도면, 해당 공정의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자료와 해당공정 및 물질의 가지는 잠재위

험을 체크하고 공장배치도와 관련사진 등의 이미지정보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통량

정보 항목에는 취급물질명, 함량(%), 주요용도, 제조량(톤/년) 등의 유통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 콘텐츠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17조에 규정에 따른 유통량 조사자료

의 내용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운송정보에는 차량등록번호, 차종(적재량), 운

전자명 등의 기본정보와 운전교육 이수내역, 운반계획, 운송업체 정보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

성되어 있다. Table 2-1에 CARIS의 정보항목과 세부 콘텐츠를 정리하였다.

유독물 관리 전산시스템(이하 “유독물 관리시스템”이라 한다.)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

45조 1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41조 규정에 따라 매년 보고되는 유독물 영업자 등록현황, 연

간 유통되는 유독물의 종류 및 유통량 등의 정보를 전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문서형태로 제출하

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보고 항목의 누락, 오류기재 등을 예방하고 자료의 신뢰성을 개선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유독물영업자 등은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간 실적보고서 제출의무를 이행할 수 있다.

시스템을 통해 보고되는 항목은 별지 제40호 서식과 동일하며, 사업자 일반정보, 제품명, 유독물

명, 유독물 함유량(%), 취급량, 주요용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유독물 담당공무원은 본 시스템

을 통해 관할지역의 유독물 등의 영업등록·허가 현황을 검색할 수 있고, 법 제46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44조 제2항에 따른 화학물질 관리대장을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할 수 있다.

Table 2-2에 유독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항목을 정리하였다.

- 5 -

Table 2-1. CARIS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대분류 중분류 세부 콘텐츠

취급시설 정보

취급업체 상세정보

업체명, 대표자, 우편번호, 주소, 관할기관, 사업자

등록번호, 업종분류, 대표전화, FAX, 주간비상연락망,

야간비상연락망, 관리 담당자명, 관리담당자 전화번호,

관리담당자 e-mail, 허가등록구분, 자체방제계획 대상여부,

자제방제계획 제출여부

저장탱크 정보

탱크번호, 저장용기 지름, 저장용기 높이, 지표면으로부터

높이, DIKE 길이, DIKE 너비, 저장물질, 물질성상,

저장위치구분, 탱크의 형태, 평균 저장량(톤),

운전조건(온도), 운전조건(압력)

방재물품 정보 장비(약품)명, 저장위치, 저장량, 구입업체명, 방제대상물질

취급공정 정보취급공정, 공정개요, 잠재위험, 이미지정보(Layout),

관련그림

유통량 정보

취급물질명, 함량(%), 주요용도, 제조량(톤/년),

수입량(톤/년), 구매량(톤/년), 이월량(톤/년), 사용량(톤/년),

판매량(톤/년), 재고량(톤/년), 수출량(톤/년), 손실량(톤/년)

운송정보

운송자

정보

차량등록번호, 차량(적재량), 운전자명, 운전자 연락처,

교육이수대상여부, 교육과정명, 운송물질명, 1회 운송량,

출발지 주소, 출발지 회사명, 도착지주소, 도착지 회사명,

구입처(간단기술), 이동경로(총길이),

운송업체

정보업체명,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명, 연락처

Table 2-2. 유독물 관리시스템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대분류 중분류 세부 콘텐츠

제조, 사용,

보관·저장,

운반, 판매

영업실적

사업장 기본정보

상호(명칭), 사업자등록번호, 성명(대표자), 주소, 전화,

사업장 소재지, 등록번호, 등록일자, 등록관청, 보관시설수,

보관시설총용량, 저장시설수, 저장시설 총용량, 사업장

경유하천

영업실적정보

제품내역(제품명, 수량, 단위, 주요용도), 물질내역(유독물명,

유독물번호, CAS No, 함유량(%), 상온·상압에서의 상태,

사고대비물질여부

CARIS 및 유독물 관리시스템 취급정보 항목의 특징은 각 시스템의 개발 목적에 충실하게

반영되었다는 점이다. CARIS는 평시 안전관리와 비상시 전문 대응에 필요한 정보제공을 위해

사업장의 기본정보에서부터 운송정보까지 안전관리와 비상대응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종합적

으로 포함하고 있다. 특히 위험성평가 결과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의 종류, 저장용기 및 운

전조건, 저장량, 완충장치 등의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으며, 공정개요, 잠재위험, 공정도면 등

도 포함되어 비상시 대응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관련

- 6 -

성이 매우 높으며, 향후 유독물 취급업체가 입력하는 정보를 CARIS에서 활용하여야 하므로,

CARIS DB를 바탕으로 정보항목을 도출하였다. 다만, 전문성이 요구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유

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 담당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세부내용을 조정하였다. 유독물 관리시스템

의 경우에는 법 집행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개발되어 연간 영업실적을 확인하는 수준의 정

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반영할 수 있는 부분은 크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의 취급정보 항목은 Table 2-3과 같이 도출하였다. 정

보를 크게 사업장 일반정보, 취급물질 현황정보, 취급시설 정보, 방재자원 정보, 운송정보 등

의 5개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사업장 일반정보는 사업장 기본정보와 법적 규제현황, 사고예방

계획의 적용여부 등을 포함하였다. 취급물질 현황정보에는 취급 물질명, 물질성상, 함량(%),

일일사용량과 연간취급량, 현재고량을 포함하였다. 취급시설 정보는 취급물질별 취급시설의

형태와 용량, 용기의 종류, 운전조건 등이 포함되며, 취급시설의 관련사진과 전체배치도를 포

함하여 비상시 대응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방재자원 정보는 방재약품과 장비, 소방

장비·약제로 세분하였고, 운송정보에는 차량번호, 차량형태, 1회 적재량, 운송업체명, 운전자

명과 연락처를 포함하였다.

Table 2-3. 취급정보 항목 도출

대분류 중분류 세부 콘텐츠

취급정보

사업장 일반정보

업체명, 대표자, 우편번호/주소, 관할기관, 사업자 등록번호, 근로자수, 업종분류, 대표전화(FAX)

담당자(연락처), 비상연락망, 허가등록구분, 취급시설 보유여부, 사고예방계획 수립·제출여부, 타 개별법 적용여부

취급물질 현황정보취급물질명, 물질성상, 함량(%), 일일사용량,

연간취급량, 현재고량

취급시설 상세정보취급물질, 취급시설 형태, 취급시설 용량, 취급용기 형태, 운전조건(온도, 압력), 시설종류, 전체배치도,

사진정보

방재자원 정보방재약품(약품명, 보관장소, 수량(단위)),

방재장비(장비명, 보관장소, 수량(단위)), 소화장비 및 소화약제(명칭, 보관장소, 수량(단위))

운송정보차량번호, 차량형태, 1회 적재량, 운송업체명,

운전자명(연락처)

각 정보항목에 대해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도움말을 정리하였다 [Table 2-4].

- 7 -

Table 2-4. 사업장 일반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구 분 작 성 내 용

① 업 체 명 사업자 등록증에 표시된 바대로 입력

② 대 표 자 사업자 등록증에 표시된 바대로 입력

③ 우편번호/주소 우편번호/주소를 사업자 등록증에 표시된 바대로 입력

④ 관 할 기 관사업장 인·허가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을 입력

“예” 한강유역환경청, 서울시 중구청 등

⑤ 사업자 등록번호 사업자 등록증에 표시된 바대로 입력

⑥ 근로자수 고용보험에 가입하고 있는 근로자 수를 입력, 단위 : 명

⑦ 업종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업종을 입력

⑧ 대표전화, FAX 상시 연락이 가능한 업체 대표전화와 FAX 번호 입력

⑨ 담당자, 연락처 담당자 인적사항, 전화번호, 메일주소 입력

⑩ 허가·등록 구분유독물 등의 영업등록·허가증에 표시된 바대로 입력

“예” 유독물 제조업, 유독물 판매업, 유독물 사용업 등

⑪ 취급시설 보유여부 유독물 등의 영업등록·허가증에

⑫ 사고예방계획 대상여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39조(자체방제계획서),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

(공정안전보고서),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13조 2(안전성향상계획서) 대상

여부 체크

⑬ 사고예방계획 제출여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39조(자체방제계획서),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

(공정안전보고서),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13조 2(안전성향상계획서) 제출

여부 체크

※ “부”의 경우 미 제출사유 입력

⑭타 개별법의

허가등록여부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위험물안전관리법 등에 따른 인·허

가·등록·신고사항 체크

Table 2-5. 취급물질 현황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구 분 작 성 내 용

① 구 분 번호순서를 기입

② 취급물질명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명을 기재

③ 물질성상 상온에서의 물질의 상태를 기체, 액체, 고체, 반고상 등으로 기재

④ 함량(%) 취급하고 있는 화학물질의 함량(%) 기재

⑤ 일일사용량 대상물질의 일일 단위 사용·제조 등 취급하는 양을 기재

⑥ 연간취급량 대상물질의 연간 사용·제조, 보관·저장, 운송하는 양을 기재

⑦ 현 재고량 사업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대상물질의 현 재고량 기재

- 8 -

Table 2-6. 취급시설 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구 분 작 성 내 용

① 취급물질 유해화학물질명을 기재

② 취급시설 형태 보관창고, 저장탱크, 사용시설 등으로 기재

③ 취급시설 용량 해당 화학물질을 보유할 수 있는 최대용량 기재

④ 취급용기 형태 수평원통형, 수직원통형, 구형, 기타(20ℓ용기, 200ℓ 드럼 등)

⑤ 운전조건 대상물질이 취급되고 있는 시설·탱크·용기의 운전온도와 압력기재

⑥ 시설종류보관·저장시설, 제조시설, 사용시설, 반응시설, 운송시설 등으로 기

⑦ 공장배치도대상물질이 제조·사용·보관·저장되는 공정·설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Layout 입력

➇ 관련사진 대상물질을 취급하고 있는 시설의 이미지 입력

Table 2-7. 방재자원 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구 분 작 성 내 용

① 방재약품명사업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방재약품명을 기재

예) 벤토나이트, 소석회, 생석회, 묽은 염산, 티오황산나트륨 등

② 방재약품 보관장소 방재약품 보관장소를 기재(취급시설 형태와 연계)

③ 수량(단위) 보유하고 있는 방재약품의 수량 및 단위기재

④ 방재장비명사업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방재장비명 기재

예) 송기마스크, 공기호흡기, 호흡보호구 등

⑤ 방재장비 보관장소 방재장비 보관장소를 기재

⑥소화장비 및

소화약제명보유하고 있는 소화장비 및 소화약제명을 기재

⑦ 보관장소 소화장비 및 소화약제 보관장소를 기재

➇ 수량(단위) 보유하고 있는 소화장비 및 소화약제의 수량 및 단위기재

Table 2-8. 운송정보 작성내용 도움말

구 분 작 성 내 용

① 차량번호 차량등록증에 있는 차량번호 기재

② 차량형태자동차관리법 제3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조 별표 1에 따른 자동차의

형태를 기재

③ 1회 적재량 해당차량에 허용된 1회 적재용량을 기재

④ 운송업체명 해당차량이 등록되어 있는 업체명을 기재

⑤ 운전자명(연락처) 해당차량 운전자명과 연락처(핸드폰) 기재

- 9 -

2. 유독물 취급업체 중심의 안전관리 및 대응정보 기술항목 도출

현재 국내 화학 산업 규모는 2010년 기준 4조 1천억 USD로 화학시장 점유율 세계 6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유통된 화학물질은 약 4만 4천여종이며, 매년

약 300여종의 신규화학물질이 국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이들 화학물질은 2010년 기준 약

433백만톤이 유통되었으며, 이는 2006년 418백만톤에 비해 약 3.5% 증가한 것이다1). 화학물질

유통량 증가와 함께 화학 산업의 구조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기존의 에너지·화학 산업의 틀

에서 벗어나 정밀유기화학, 반도체, 나노·무기소재 등 기술발전이 빠른 첨단산업으로 영역이

확대되어 다양한 종류의 화학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유해성·위험성이 있어 별도의 법적

규제를 받고 있는 화학물질 종류도 증가하여 현재 약 4,000여종에 이르고 있다. 화학물질은

시장 유입단계, 사용단계, 환경 배출단계를 거치면서 광범위하게 안전문제를 동반하게 되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문제는 사고의 예방·대비 및 대응활동에 깊은 관련성을 갖게 된

다. 이에 따라 화학물질 관리에 관계하고 있는 기관은 안전관리와 비상시 대응을 위해 화학물

질의 유해성을 식별하고 대처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 전산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툴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소방방재청 등에

서 운영 중인 화학물질 정보제공 관련 시스템 운영현황을 조사하고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에

필요한 정보항목을 검토하였다.

화학물질 관리의 목적은 전 취급과정의 적정 관리를 통해 화학물질의 유해성으로부터 노출

을 최소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에는 국내 유입되는 화학물질의 위험·유해성

을 식별하고 관리수준을 결정하는 사전 예방적 관리와 위험·유해성이 확인된 화학물질의 취

급과정과 사고를 예방·대응하는 사후관리로 구분할 수 있다.

사전 예방적 관리 단계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하고 수집하여 위

험·유해성을 판단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고, 사후관리는 화학물질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유

해성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비상시 적절하게 대응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각 단계의 업무범위

는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및 화학물질관리법의 규정에 따라 구분되지만, 화학물

질 risk 관리라는 측면에서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Fig. 2-1].

1) “화학사고 대응체계의 입법·정책적 개선방안” 국회세미나(2013.3.6.) 발표자료집, 39-40쪽

- 10 -

Fig. 2-1.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과 화학물질관리법의 관계

2.1 국내 DB 관련 시스템 및 운영현황 조사

각 관계부처에서 운영 중인 시스템의 성격도 사전 예방적 관리와 사후관리 지원을 위한 정

보제공 수단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환경부의 화학물질정보시스템(NCIS), Reach 도움센터 &

화학물질 정보전달 프로그램 등은 사전 예방적 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화학물질 응급대응 정보시스템(CEIS, Chemical Accident Emergency Information

System),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KISchem, Korea Information System for Chemical

Safety Management)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제공 서비스는 사후관리를 지원하는 DB 시스템의 일종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독물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시스템은 이해관계자에게 위

험·유해정보를 인지시키는 중요한 요소이자, 화학물질의 안전관리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Fig. 2-2]. 본 연구는 유독물 취급업체의 안전관리 및 비상 대응에 필요한 기술항목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사후관리를 지원하고 있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세부내용을 분석하

되, 유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와 비상대응 관점에서 핵심정보는 취급업체 상세정보와 물질정

보이나, 취급업체 상세정보는 앞에서 다루었으므로 여기에서는 물질정보에 한정해서 조사하였

다.

- 11 -

Fig. 2-2. 국내 DB 관련 운영현황

가. 환경부의 관련 시스템

(1)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

CARIS는 현행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4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40조에 따라 화학물질의 독

성ㆍ위험성ㆍ방제요령 등 응급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사고 대응기관에게 신속·정확하게 제공하

기 위해 개발되었다. CARIS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약 3년의 개발 사업을 통해 완성되었으

며, 현재에도 전국의 소방·경찰·군·지자체 등의 대응기관에서 사용 중에 있다. CARIS는 평

시 기상청으로부터 전송된 기상자료와 실측자료를 기초로 실시간 상세 기상정보를 생성하여

사용기관에 제공하고 있으며, 사고발생 시에는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화학물질의 물

리·화학적 특성과 사고유형을 바탕으로 화재·폭발 또는 확산예측모델을 기반으로 한 위험

성평가를 실시한다. 위험성 평가결과는 전자지도상에 표출되어 각 대응기관에 온라인 네트워

크 기반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며, 현장 대응요원은 CARIS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지역으로

진입, 주민 통제구역과 대피범위를 결정하며, 대응에 필요한 조치를 하게 된다.

CARIS는 사고대응에 필요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사고대응에 필요한

정보의 통합본이라 할 수 있다. CARIS는 운영자에 따라 크게 센터용 사고대응정보시스템과 지

역비상대응기관용 시스템으로 구분되며, 시스템 내에 물질정보, 취급업체 상세정보, 위험성 평

가정보, 실시간 기상정보, 전자지도 정보, 사고대응 시나리오 정보 등을 수록하고 있다. CARIS

에서 제공되는 물질정보는 물질주요정보, 물질 등록정보, 물질 확인정보, 사고위험정보, 사고

대응정보, 유해성/응급조치 정보, 물리·화학적 특성정보, 노출기준/국내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

다. 물질주요정보에는 국문명, 영문명, CAS번호, 캐나다 CANUTEC의 ERG에 따른 위험유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물질 등록정보에는 국문유사명, 영문유사명, 유해물질 관리번호, 유해

- 12 -

물질관리법의 적용범위, 사고대비물질의 적용범위, RTECS·ISCS·EC·UN번호, IMDG 코드,

화학물질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질 확인정보는 사고발생시 물질 식별에 도움이 되는 정

보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온상태, 색상, 냄새, 맛, pH, 비중, 증기밀도, 인체노출징후, 사용용

도, 유해그림 등이 포함되어 있다.

사고위험정보는 화재·폭발 등 물리적 위험성을 나타내는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의 화재소방협회에서 개발한 NFPA 등급과 화재/폭발가능성, 인화점, 발화점, 폭발한계(하한

및 상한), 연소/열 분해생성물, 반응성, 부식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는 해양 위험성 및

유해성, 해양 유해등급까지 수록되어 위험유해물질의 해양 유출시에도 정보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사고대응정보에는 사고유형별 대처요령과 방재자원을 수록하고 있는데, 화재진압요

령, 소화제 및 장비, 누출방제요령, 방제약품 및 장비, 개인보호장비, ERG 지침번호와 ERG 지

침에 따른 초기이격거리, 방호활동거리, 해양 유출시 방제요령 등이 포함되어 있다. 유해성/응

급조치 분야에서는 흡입·피부·안구·경구 등의 노출경로별 세부증상과 독성자료를 수록하

고, 노출경로별 응급조치요령을 수록하고 있다. 물리/화학적 특성에는 분자식, 분자량, 끓는점,

녹는점, 밀도, 증기압, 점도, 임계온도, 임계압력, 기화열, 옥탄올­물 분배계수, 용해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누출기준/국내규제 항목에서는 NOISH IDLH, KOSHA

TWA·STEL·CEIL 등의 허용농도기준과 해당물질의 적용받는 법령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Table

2-9에 CARIS DB 항목 및 세부내용을 정리하였다.

CARIS는 2009년 국방부 해킹사건을 이유로 현재 국가 행정망 내에서만 온라인으로 연결되

어 운영이 가능하며, Off-Line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상정보 제공, 사고의 실시간 전파 등이

불가능한 제약을 가지고 있다. 배포기관의 잦은 IP 주소 변경과 담당자 교체로 시스템 상시 운

영에 한계를 있으며, 수록정보의 지속적인 갱신 장치가 없고 타 DB 시스템과의 DB 연계가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하지만 화학사고 대응에 관련한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표준 시스

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대응정보 항목 도출 측면에서의 과제 관련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전문적인 내용을 함께 수록하고 있는 만큼 세부 내용을 차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 13 -

Table 2-9. CARIS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대분류 중분류 세부 콘텐츠

물질정보

물질주요정보 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위험유형 정보

물질등록정보

국문유사명, 영문유사명, 유해화학물질 관리번호, 법의

적용범위(유독물·사고대비물질), RTECS 번호, ISCS 번호, EC번호,

UN번호, IMDG 코드, 화학물질군 등

물질확인정보상온상태, 색상, 냄새, 맛, pH, 비중, 증기밀도, 인체노출징후,

사용용도, 법에 따른 유해그림

사고위험정보

NFPA 등급(건강, 화재, 반응, 특수), 화재 및 폭발위험성, 인화점,

발화점, 폭발하한계(%), 폭발상한계(%), 연소/열 분해생성물,

반응성, 부식성, 해양위험성 및 유해성, 해양 유해등급

사고대응정보

화재진압요령, 소화제 및 장비, 누출방제요령, 방제약품 및 장비,

개인보호장비, ERG지침번호, 초기이격거리, 방호활동거리,

해양유출방제조치, 해양유출이동 및 확산방지, 해양유출물질회수,

해양유출방제, 기타

유해성/응급조치인체유해성(흡입·피부·안구·경구노출, 기타), 발암등급,

환경유해성, 응급조치(흡입·피부·안구·경구노출, 기타)

물리화학적성질분자식, 분자량, 끓는점, 녹는점, 밀도, 증기압, 점도, 임계온도,

임계압력, 기화열, 옥탄올-물 분배계수, 용해도(물), 용해도(용매)

노출기준/

국내규제

NOISH IDLH, KOSHA TWA·STEL·CEIL,

법령관계(유해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해양위험유해물질

Fig. 2-3.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운영체계

- 14 -

(2) 화학사고 응급대응 정보시스템(CEIS)

환경부는 화학물질 안전관리에 관한 포괄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부처로서 유해화학물질관리

법 제4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40조에 따라 각 대응기관에 필요한 사고대응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CEIS는 생활주변에서 화학제품·화학물질 취급 부주의 등으로 인한 중독

등 사고발생시 응급대응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의 생활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섭취, 노출 등으로 인하여 응급의료센터 내원 시 제품의 구성성분을 확보하여

제공한다면, 중독으로 인한 사망이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므로 화학물질 노출환자 정보제공 및 치

료라는 측면에서 운영하게 되었다.

Fig. 2-4. CEIS 홈페이지 및 화학제품 검색화면

CEIS의 제공정보는 화학제품(상품) 및 화학물질(성분) 각 1,000여종에 대한 응급대응정보,

화학물질 중독 사고사례, 질의에 대한 응대, 국내·외 연구동향, 학습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

다 [Fig. 2-5].

응급대응

정보 검색궁금해요 자료마당 알림마당 시스템 소개

-화학제품(상품)

-화학물질(성분)

-FAQ

-질문있어요

-중독사고사례

-국내외연구동향

-학습코너

-용어집

-설문조사

-공지마당

-자유게시판

-오류신고센터

-시스템 개요

-이용방법

Fig. 2-5. CEIS 구성도

- 15 -

이중 화학제품 및 화학물질에 대한 응급대응정보는 화학제품 제조 및 유통업체의 제품 MSDS

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서 영유아 부모 등 일반인과 의료기관 전문가 등 전문

인에게 제공되는 정보범위를 다르게 하여 제공하고 있다.

일반정보는 기본물질정보와 독성에 대한 정보, 응급조치, 취급 시 주의사항 등의 정보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정보는 기본물질 정보, 물질 등록정보, 물리화학적 특성, 독성에 대한

정보, 응급처치, 폭발 및 화재위험성, 누출시 대처요령, 환경거동, 취급시 주의사항, GHS 정

보 항목 등이 포함되어 있다. 각 정보항목의 세부내용은 화학제품 및 화학물질에 따라서 차이

가 있으며, Table 2-10, 2-11에 정보 항목별 세부내용을 정리하였다.

Table 2-10. CEIS 일반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세부 콘텐츠

일반정보

화학물질(성분)

기본물질정보 제품군, CAS 번호, 국문명, 영문명, 사용용도

물리화학적 특성 물리적 상태, 색상, 냄새

독성에 대한 정보흡입시 유해성. 피부노출시 유해성, 안구노출시

유해성, 섭취시 유해성

응급조치병원 전 응급처치

(의식이 없는 경우, 의식이 있는 경우)

폭발 및 화재위험성 화재 및 폭발위험, 소화방법, 소화제 및 장비

누출시 대처요령 일반적인 대처요령

취급시 주의사항 취급 및 저장방법, 폐기시 주의사항

화학제품(상품)

기본물질정보제품군, 국문 제품명, 영문 제품명, 제품형태,

제품사진, 제조사 및 판매원, 사용용도

독성에 대한 정보흡입시 유해성, 피부노출시 유해성, 안구누출시

유해성, 섭취시 유해성

응급조치병원 전 응급처치

(의식이 없는 경우, 의식이 있는 경우)

취급시 주의사항 취급 및 저장방법

- 16 -

Table 2-11. CEIS 전문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세부 콘텐츠

전문정보

화학물질(성분)

기본물질정보제품군, CAS 번호, 국문명, 영문명, 구조식,

사용용도

물질등록정보 UN번호

물리화학적 특성

분자식, 분자량, 물리적 상태, 색상, 냄새,

냄새역치, 맛, 끓는점, 녹는점, 증기압, 증기밀도,

수용해도, 용해도, pH, 비중, 헨리상수, 점도,

임계온도, 임계압력, 기화열, 증발속도, 분해온도

독성에 대한 정보흡입시 유해성. 피부노출시 유해성, 안구노출시

유해성, 섭취시 유해성, 발암성

응급조치

병원 전 응급처치

(의식이 없는 경우, 의식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내 응급처치

폭발 및

화재위험성

NFPA등급, 화재 및 폭발위험, 소화방법, 소화제

및 장비, 인화점, 발화점, 폭발하한범위,

폭발상한범위, 연소생성물

누출시 대처요령

일반적인 대처요령, 방제약품 및 장비,

초기이격거리, 방호활동거리, 누출 방지 및

개인보호구

환경거동 안정성, 분해성, 생물농축성, 토양흡착성

취급시 주의사항 취급 및 저장방법,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정보

GHS 정보유해위험성 분류결과,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화학제품(상품)

기본물질정보

제품군, 국문 제품명, 영문 제품명, 주요성분명 및

함량, 제품형태, 제품형태, 제조사 및 판매원,

사용용도

독성에 대한 정보흡입시 유해성, 피부노출시 유해성, 안구누출시

유해성, 섭취시 유해성

응급조치

병원전 응급처치

(의식이 없는 경우, 의식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 내 응급처치, 기타사항

취급시 주의사항 취급 및 저장방법,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정보

GHS 정보유해위험성 분류결과,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 17 -

특히 화학제품에 대한 정보는 실제 판매되고 있는 상품명 검색을 통해 제품사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명 및 함량을 클릭하면 각 해당 물질의 화학물질

정보가 자동으로 화면에 표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CEIS는 홈페이지(http://ccsms.nier.go.kr)를 통하여 제공하고, 별도의 로그인 절차 없이 구축정보

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전문적인 응급정보 DB 구축과 운영을 위해 외부 전문

기관에 위탁·운영 중에 있다. CEIS 정보는 생활주변의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의 성분정보와

화학물질 노출환자에 대한 처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데 가치가 있으며, 기본물질 정보, 물질

등록정보, 물리화학적 특성 등 세부 콘텐츠는 사고대응정보시스템과 유사하다 할 수 있다.

(3) 화학물질안전관리 정보시스템(KISchem)

각 부처별로 관리물질에 대한 필요정보를 개별 단위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 유통 화학물질 전반의 안전관리와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전문 DB 제공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KISchem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40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42조를 법적 기

반으로 하여 범 정부차원의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DB구축 사업”을 통해 완성되었다.

KISchem은 국내 관계법령의 규제를 받는 화학물질 6,770 종에 대해 안전관리, 사고 시 초동대

응 및 사고 후 영향조사 등의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종합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콘

텐츠 개발과정에 관계기관, 유관기관, 민간단체 등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정보항목을

결정하였다. KISchem 정보는 크게 Ⅰ분야 물질특성정보(53 항목), Ⅱ분야 사고위험정보(91 항

목), Ⅲ분야 안전/특수대응정보(117 항목)로 대분류 되어 있고, 각각의 대분류 특성에 맞는 중/

소/세분류 정보들이 수록되어 있다.

Ⅰ분야 물질특성정보는 해당 화학물질의 물질명, 물리화학적 성질 등 기본적인 특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본정보, 특성정보, 환경거동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53항목이 포함

되어 있다. Ⅱ 분야 사고위험정보는 사고 발생 가능성, 노출 가능성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

인 물리·화학적 위험성, 위험/안전 분류정보, 인체 유해성, 응급정보, 독성정보, 사고 및 테러

이력 정보 등의 91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Ⅲ 분야 안전/특수대응정보는 비상시 대처요령과 법

적 규제사항 등 안전 관련 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방제약품 및 개인보호구 등의 자원정보를

포함한 사고대응정보, 화재대응정보, 취급주의정보, 해양대응정보, 운송정보, 규제 정보, 노출기준

정보 등 117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KISchem은 화학물질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화

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화학사고응급대응정보시스템, 소방방재청의 소방방재시스템, 울산

광역시의 국가산업단지통합대응시스템 등 다양한 DB시스템의 자료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18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세분류 / 세세분류)

I.

물질

특성

정보

기본 정보 물질명 / 화학구조 / 관리정보 등

특성 정보물리화학적 성질(상태 / 색상 / 냄새 / 끓는점 / 녹는점 / 증기압 /

용해도 등), 물질 제조방법, 사용용도

환경거동정보매체간 이동정보

체류정보(생물 농축성 / 잔류성 등)

II.

사고

위험

정보

사고 위험성

물리․화학적 위험성(NFPA 위험성코드 등)

화재 및 폭발 위험 특성(화재 및 폭발 가능성 / 인화점 / 발화점 등)

안전/반응 위험특성(반응성 / 부식성 / 피해야 할 조건 등)

위험/안전

분류 정보

(GHS 분류)

물리․화학적 위험성(폭발성 물질 또는 화약류 / 인화성가스 등)

인체 유해성(급성독성 / 피부 부식성 자극성 / 발암성 등)

생태 유해성(수생환경 유해성 등)

인체 유해성일반증상

노출유해성(흡입 / 피부 / 안구 / 경구 등)

응급정보 응급조치 요령(흡입 / 피부 / 안구 / 경구 등)

독성정보

약물동력학정보(흡수 / 분포 / 대사 / 배설 등)

인체독성 정보(급성독성 / 자극성 및 부식성 / 만성독성 등)

생태독성정보(급․만성독성/ 육상생태독성등)

사고/테러 이력사고 이력(국내 / 국외)

테러 이력(국내 / 국외)

III. 안전

/

특수

대응

정보

사고대응정보 화학사고 대응(누출방제요령 / 방제약품 / 개인보호구 등)

화재대응정보 화재 진압요령 / 소화제 및 장비

취급주의정보 취급 및 저장 / 취급시 / 폐기시 주의사항 등

해양대응정보

물질분류(유해액체 물질분류)

해양 유해성(해양 유해등급 / 위험성 및 유해성 등)

유출방제(방제 조치 / 이동확산 방지 / 유출물질 회수 등)

운송정보

UN RTDG

AIR TRANSPORT IATA

MARITIME TRANSPORT IMDG

규제 정보 국내(유해화학물질관리법 / 위험물안전관리법 / 산업안전보건법 등)

노출기준정보작업장 허용노출기준 ([노동부]-TWA / [NIOSH]-TWA 등)

위험노출기준([NIOSH] IDLH / [DOE] PAC 등)

Table 2-12. KISchem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시스템 구축 환경은 3단계 전산자원(3-Tier Architecture)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서버, 웹 어

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버로 구성되었다. 각 시스템은 분산처리 형태로 서버의 과부하에 문제

가 없이 수행되며, 계층별로 정보를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서버의 장애나 유지관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정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게 되면, 웹 서버가 이를 받아들이고,

- 19 -

웹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낼 데이터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가

공된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본 시스템은 ORACLE의 JDK1.6 환경의 Java/Jsp, Servlet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어플리케이션

성능이나 보안과 관련 안전성 확보를 위해 표준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였다. 시스템 이용자는

KISChem 홈페이지(http://kischem.nier.go.kr/)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구축정보의

대부분은 회원가입 없이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정보의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일부정보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사고대응기관 관련자의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타 시스템과

는 URL 링크를 통해 연결해야 하며, Off-line 으로 원본 DB 자체 제공은 가능하지만 DB서버를

연계하여 타 시스템의 DB를 업 로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Fig. 2-6. KISchem 운영 개념도

(4) 유독물 GHS 지원 시스템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29조에 따라 GHS 제도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분류·표시 방법과 내용을

산업체에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화학물질 안전관리의 한 중요한 요소로써 화학물질의 분

류 및 표시제도는 해당물질의 인체, 환경, 재산에 대한 위험성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하

여 분류·표시함으로써 화학물질 관리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적절한 위

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 화학물질 분류 및 표시제도는

국가별로 혹은 동일국가 내에서도 적용법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었지만, 화학물질의 국제

- 20 -

교역량이 증가하고 화학물질에 의한 환경 사고의 발생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선진국을 중심으

로 위험성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화학물질의 유해성 분류 및 표시를 국제적으로 조화·통일

화(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이하 GHS)하는

활동이 진행되었다. 국내에서도 무역장벽의 최소화와 안전관리를 위해 유독물의 경우 단일물

질은 2011년 7월, 혼합물질은 2013년 7월부터 전면 시행되고 있다. 유독물 GHS 지원 시스템

은 국제협력과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시행과정에서 축적된 자료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화학물질

정보시스템과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Fig. 2-7].

Fig. 2-7. 유독물 GHS 지원시스템 홈페이지 및 분류·표시 검색화면

GHS 지원시스템은 GHS 개요, GHS 분류·표시 검색, GHS 분류·표시활용, 정보마당 등의 4

가지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GHS 분류·표시 검색 메뉴에는 분류표시에 관한 규정, 새로

고시된 유독물, 단일·함량별·혼합물에 대한 분류·표시 검색창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영문명,

CAS 번호, 유독물번호로 유독물을 검색하면 유해성 분류결과와 표시사항에 대한 정보가 제공

된다. 유해성 분류결과는 항목과 구분정보로 나타나며, 표시사항에는 그림문자, 신호어, 유

해·위험문구가 포함되어 있다.

- 21 -

GHS개요GHS 분류·

표시검색

GHS 분류·

표시활용정보마당

-개요

-목적

-추진현황

-향후계획

-분류표시에 관한 규정

-새로 고시된 유독물

-유독물분류·표시

-함량별분류·표시

-혼합물분류·표시

사업장

혼합물분류·표시

-용어정의

-분류기준

-표시사항

-유해위험 및

예방조치 문구

-분류·표시

매뉴얼

-정보마당

-자료실

-교육안내

-유독물분류신청

-유독물 분류표시

라벨검증

Fig. 2-8. 유독물 GHS 시스템 구성도

GHS 지원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GHS 분류·표시정보는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의 핵심 요소이

므로, 본 과제 관련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나. 고용노동부(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MSDS/GHS(화학물질 정보)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92조의 8에 따라 공단은 물질안전보건자료와

관련된 자료를 근로자와 사업주에게 제공하고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의 화학물질 정보는 11,377종의 단일 화학물질에 대한 GHS MSDS와 50,802종의 단일 및

혼합물질에 대한 기존 MSDS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공단의 MSDS 정보는 UN에서 시행하는 GHS 제도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이하 “ISO”라 한다.)의 「화학물질 생산을 위한 안전 데이터 지침」인

ISO 11014 : 2009E의 내용과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ILO) 조약 170호 「화학

물질의 작업장내 안전에 관한 정보, 물리화학적 특성,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노출방지 및 개

인보호구, 법적 규제현황 등 16가지 항목의 90여 가지 세부항목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UN GHS의 국내 제도화 정착 지원을 위해 사업장에서 직접 GHS MSDS 및 경고표

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GHS MSDS 작성프로그램과 GHS 분류 및 경고표시 작성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22 -

Fig. 2-9. MSDS/GHS 검색화면 및 GHS 분류 및 경고표시 작성프로그램

전술한 바와 같이 공단에서 제공하는 MSDS/GHS 는 16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2-13]. MSDS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생산·보관·저장시설에 비치해야 하며, 유해화학물질

에 노출되거나 노출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갖고 있는 근로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MSDS는 해당 화학물질의 유해성 평가결과를 사업주가 직접 작성하게 하고 있다.

1996년 국내에 도입되었고, 화학물질의 유해성을 알려주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익숙한 정보제

공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현재 MSDS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http://www.kosha.

or.kr/msds/)로 접속하여 로그인 없이 해당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 23 -

Table 2-13. MSDS 작성항목 및 세부 콘텐츠

대분류 중분류 세부내용

MSDS/GHS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제품명, 제품의 권고 용도와 사용상의 제한,

공급자 정보

유해성·위험성

유해성·위험성 분류, 예방조치문구를 포함한

경고표지 항목, 유해·위험성 분류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유해·위험성(NFPA)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물질명, 관용명, CAS 번호, 함유량(%)

응급조치요령눈에 들어 갔을 때, 피부에 접촉했을 때,

흡입했을 때, 먹었을 때, 기타 의사의 주의사항

폭발·화재시 대처방법적절한 소화제, 화학물질로부터 생기는 특정

유해성, 화재진압시 착용할 보호구 및 예방조치

누출사고시 대처방법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사항 및

보호구,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사항,

정화 또는 제거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안전취급요령, 안전한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화학물질의 노출기준, 생물학적 노출기준, 적절한

공학적 처리, 개인보호구

물리화학적 특성

외관, 냄새, 냄새역치, pH, 녹는점/어는점, 초기

끓는점과 끓는점 범위, 인화점, 증발속도,

인화성(고체, 기체), 인화 또는 폭발범위의

상한/하한, 증기압, 용해도, 증기밀도, 비중,

n-옥탄올/물분배계수, 자연발화온도, 분해온도,

점도, 분자량

안정성 및 반응성화학적 안정성 및 유해반응의 가능성, 피해야 할

조건, 피해야 할 물질, 분해시 생성되는 유해물질

독성에 관한 정보가능성이 높은 노출경로에 관한 정보,

건강유해성 정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생태독성, 잔류성 및 분해성, 생물농축성,

토양이용성, 기타 유해영향

폐기시 주의사항 폐기방법,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에 필요한 정보UN번호, 적정선적명, 운송에서의 위험성 등급,

해양오염물질, 안전대책

법적규제 현황산업안전보건법,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폐기물관리법, 기타

그 밖의 참고사항자료출처, 최초작성일, 개정횟수 및

최종개정일자, 기타

- 24 -

다. 소방방재청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위험물안전관리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인화성,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위험성

물질에 대한 정보로서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령 제2조 및 제3조에 규정된 위험물 분류에 따라

위험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4,626종의 위험물 정보와 359종의 위험물 GHS 정보를 제

공하고 있다. 화학물질에 대한 기본정보 및 위험유해성, 저장·취급시 유의사항, 화재시 소방

활동 등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보항목이 간단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Table

2-14]. 사용자는 홈페이지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Fig. 2-10.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접속 및 GHS 위험물자료 검색화면

Table 2-14.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대분류 중분류 세부내용

Hazmat Information

기본정보물질명, CAS번호, UN번호, 관용명·별명,

법적규제현황, GHS 위험물정보

위험·유해성 연소성, 산화성, 폭발성

저장·취급시 유의사항 보관방법, 안전취급요령 등

화재시 소방활동 적응 소화약제, 소방활동 요령

혼재금지물질

기타참고사항

GHS 분류정보

기본정보 물질명, CAS 번호, UN번호

위험물의 분류 Class, Category, 신호어, 유해문구, 그림문자

예방조치 문구 예방, 대응, 저장, 폐기

표지형식 예시

- 25 -

2.2 유독물 취급업체 중심의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 정보항목 도출

안전관리의 대상은 인적·물적 요소, 프로세스, 매뉴얼 등 모두 요소가 포함된다. 인적요소에

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자 또는 사업장이 포함되며, 물적요소에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시설

과 화학물질이 포함된다. 따라서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 정보항목은 취급자 관리정보, 취급정보,

물질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Fig. 2-11].

Fig. 2-11.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 정보항목 관계도

취급정보는 앞에서 전술했으므로 여기에서는 취급자 관리정보와 물질정보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취급자 관리정보에는 화학물질 취급자에 대한 정보와 취급자 관리를 위한 정보로 구

분할 수 있다. 화학물질 취급자에 대한 정보는 전술했던 사업장의 일반정보가 포함된다. 취급

자 관리를 위한 정보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자가 지켜야 하는 안전관리 의무 규정을 말하는

데, 이는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취급자 관리 정보는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각종 규제기준 및 의무사항이 포함되므로

법령정보로 대신할 수 있다. 화학물질은 다수의 법령에서 관리되나, 화학물질 안전관리에 관계

하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을 정보제

공 대상으로 도출하였다. 그러나 상세법령에 대해서는 국가법령정보센터에 접속하여 상시 활

용이 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의 각종 관련규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가이

드를 업무별로 제공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가이드정보는 법령해설서, 업무지침 등의 형태

로 매년 발간되고 있으므로, 발간되는 책자의 자료를 매년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

- 26 -

직하다 할 수 있다.

Table 2-15. 법령정보 항목도출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비고

법령정보

관계법령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국가법령정보센터

link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업무가이드

환경부 자료 업로드

고용노동부 자료 업로드

산업통상자원부 자료 업로드

소방방재청 자료 업로드

비상정보에는 일반물질정보, 긴급대응정보, 대응지침, 비상대응계획이 포함된다 [Table 2-16].

일반물질정보는 국내 DB 관련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가 해당된다.

Table 2-16. 비상정보 항목 도출

국내 DB 관련 시스템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정보항목의

대분류 및 중분류는 유사하나, 대상물질, 세부 콘텐츠의 항목 수, 상세정보 수준에는 많은 차

이가 있다. 둘째, 각 DB 관계시스템은 운영부처의 역할·기능 및 법적 기반에 따라 필요정

- 27 -

보 중심으로 DB를 수집·제공하고 있다. 셋째, 국내 DB 관계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제공하는

정보항목은 물질기본정보, 사고위험정보(위험·유해성, GHS 분류정보), 사고유형별 대응정보,

저장/취급요령 등으로, 사고위험성을 예측하거나 대비·대응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

다. 넷째, 환경부의 화학사고대응정보시스템을 제외하고, 웹 서비스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일반인을 포함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정보 접근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유독물 취급업체 안전관리 목적으로 별도의 DB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것은 예산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므로, 기존 시스템의 DB를 활용하되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

해야 한다. 화학물질마다 관계법령에 따라 비치·작성해야 하는 물질정보 항목이나 수준에 차

이가 있으므로 평시 안전관리에서는 각 관계법령의 관리기준에 맞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부처별 개별 단위시스템을 Link 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비상시에는 많은 정보를 일시에 해독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사고대응에 필요한 핵심

정보만을 모아 긴급대응정보 Sheet로 출력하여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화학사

고 발생 시 초동조치를 시간단위로 기술하는 것은 어려우나, 사고신고가 접수되면 15분 이내

1차 초동대응기관이 현장에 도착하게 되고 대응요원의 안전을 확보한 다음, 인원을 구조하며

화재 등 물리적 위험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피해가 확대되지 않도록 사고현장 주변을 통제하

게 되며, 전문대응팀의 도착과 함께 전문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게 된다. 긴급대응정보는 1차

초동대응기관의 조치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초동조치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정리하면 상황파악, 대응요원 안전 확보, 물리적 위험제거,

현장통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상황파악은 사고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사업장의 위치, 해당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 취급량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 취급정보

로부터 확인이 가능하다. 대응요원의 안전 확보에 필요한 정보는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종류,

화재·폭발·누출 등의 사고유형, 노출경로에 따라서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사고유형에 따라

서 화재·폭발의 경우에는 방화장비를, 독성물질 누출의 경우에는 레벨 B 수준 이상을 권장

한다. 물리적 위험제거에 있어 필요한 정보는 사고 물질의 물리적 위험성을 대표할 수 있는

지표로, NFPA 등급, 끓는점·인화점·발화점·폭발한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GHS 분류

및 표시에 의한 그림문자는 유해·위험성을 전달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장통제 범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은 두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

다. 첫 번째는 위험성 평가모델 구동 결과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두 번째는

ERG(Emergency Response Guidebook)의 대응지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사고현장의 초기

대응은 가장 보수적인 기준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접근이 편리한 ERG 대응지침을

이용하여 통제범위를 선정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여기에 초기 대응시 물의 사용이 사고 피

해를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물과의 반응성, 방제약품 정보도 긴급정보에 포함하였고, 필요시

현장오염도를 확인하여 통제범위를 조정할 수 있게 탐지장비 및 일부 독성정보를 포함하였다.

- 28 -

Table 2-17에 긴급대응정보 Sheet의 예를 정리하였다.

Table 2-17. 긴급대응정보 Sheet(예)

물 질 명 m-Xylene(m-크실렌, m-자이렌)

CAS번호 1330-20-7 UN번호 1307

NFPA 코드

(0~4단계)

건강: 2

화재: 3

반응: 0

위험유해분류

위험

상온상태 액체 끓는점 139.3℃

인화점 27℃(밀폐) 폭발한계 상한 : 7.0%

하한 : 1.0%

발화점 527℃ 증기압 7.99mmHg (25℃)

대응지침

ERG 지침번호 130(클릭)흡입독성유해 물질

또는 물 반응성 물질

개인보호수준 레벨 B 이상

탐지장비 대기 중 탐지 : PID, 가스검지관

방제약품 흙, 모래주머니, 시멘트분말, 탄산나트륨, 점토, 모래

법적

규제현황

유해화학

물질관리법유독물·사고대비물질

고압가스

안전관리법4류 1석유류

산업안전

보건법작업 · 관리 · 노출

위험물안전

관리법4류 1석유류

독성정보

NOISH TWA 100ppm

KOSHA TWA 50ppm

IDLH

130 인화성액체(비극성/물과 섞이지 않는/유해성)

- 29 -

잠 재 위 험

화 재 · 폭 발 고인화성: 열, 스파크, 불꽃에 의해 쉽게 점화된다. 증기는 공기와 섞여 폭발성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증기가 점화원으로 이동하여 역인화될 수 있다. 대부분의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워 지면을 따라 확산되다가 낮거나 제한된 장소(하수구, 지하실, 탱크)에 모인다. 실내외 또는 하수구에 증기폭발위험이 있다. "P"라고 표시된 물질들은 열이나 화재에 의하여 폭발적으로 중합될 수 있다. 화재에 사용된 물이 하수구로 유입되면 화재나 폭발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용기는 가열되면 폭발할 수 있다. 많은 액체들이 물보다 가볍다.

건 강 흡입 또는 피부 흡수 시 독성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물질의 흡입 또는 접촉 시 피부와 눈에 자극 또는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 화재 시 자극성, 부식성 및/또는 독성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증기의 흡입은 현기증 또는 질식을 일으킬 수 있다. 화재진압 또는 희석을 위해 사용된 물은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공 공 안 전 가장 먼저 운송장의 비상대응전화번호로 연락한다. 운송장이 없거나 연락이 되지 않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응기관이나 관계회사에 연락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도록 한다. 즉시 사전예방조치로 누출 또는 유출지점으로부터 최소 반경 50m 지역을 격리시킨다. 관계자 외 출입을 통제한다. 풍상(風上)에 위치하도록 한다. 저지대에 머물지 않도록 한다. 밀폐된 장소는 진입 전에 반드시 환기 시킨다.

보 호 의 양압의 자급식 공기호흡기를 착용한다(SCBA). 화재진압복은 제한적인 보호만을 제공한다.

소 개 , 대 피대량유출시 풍하(風下) 방향 최소 300m의 초기대피를 고려한다.

화재시 탱크, 철도차량 또는 탱크트럭 화재시, 반경 800m를 초기이격거리로 설정하고, 반경 800m 지역의 초기대피를 고려한다.

- 30 -

비 상 대 응화 재

※ 경고 : 인화점이 매우 낮은 물질로, 화재시 분무주수가 비효과적일 수 있다.소형화재 분말 소화약제, 이산화탄소, 분무 주수 또는 일반 포말을 사용한다.

대형화재 분무주수, 무상주수 또는 일반 포말을 사용한다. 직사주수를 하지 않는다. 위험 없이 할 수 있다면 화재지역으로부터 용기를 옮긴다.

탱크 또는 차량/트레일러 화물화재 최대한 먼 곳에서 화재를 진압하거나 무인호스지지대 또는 방수포를 사용한다.

불이 꺼진 후에도 다량의 물로 용기를 냉각시킨다. 배출안전장치에서 가스배출소리가 커지거나 탱크가 변색된 경우는 즉시 철수한다.

탱크가 화재에 휩싸였을 경우에는 절대 접근하지 않는다. 대규모 화재인 경우, 무인호스지지대 또는 방수포를 사용한다; 불가능할 경우 타도록 내버려둔채 해당지역에서 철수한다.

유 출 · 누 출 모든 점화원을 제거한다(주변지역에서의 흡연 금지, 화염, 스파크, 불꽃 제거). 물질을 다룰 때 사용하는 모든 장비는 반드시 접지해야 한다. 유출물과 접촉하거나 가로질러 다니지 않는다. 위험하지 않다면 누출을 차단한다. 수로, 하수구, 지하실 또는 밀폐된 장소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증기를 줄이기 위해 증기 억제 포말을 사용할 수 있다. 마른 흙, 모래 또는 기타 불연성 물질로 덮어 흡수시킨 후 용기로 옮긴다. 흡수된 물질의 수집을 위해 깨끗하고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도구를 이용한다.

대량유출 추후 처리를 위해 액체유출물 전방에 제방을 쌓는다. 분무주수가 증기를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밀폐된 장소에서의 발화는 방지할 수 없다.

응 급 처 치 피해자를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옮긴다. 119 또는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피해자가 호흡이 없으면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호흡이 곤란하면 산소를 공급한다. 오염된 의복과 신발은 제거 후 격리시킨다. 물질에 노출된 피부와 눈은 즉시 흐르는 물에 20분 이상 씻어준다. 피부를 비눗물로 씻어낸다. 화상의 경우 즉시 찬물로 가능한 오랫동안 상처부위를 식혀준다. 피부에 들러붙은 옷은 떼어내지 않는다. 피해자를 따뜻하게 해주고 안정시킨다. 노출(흡입, 섭취, 피부접촉) 영향이 지연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의료진에게 사고 물질의 특성을 알려,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 31 -

3. 물질유형별로 사업장에 적용 가능한 초동대응지침 개발

3.1 국내 유통 유독물의 물질유형 분류

가. 물질유형 분류 알고리즘

2010년 유독물 등 영업등록실적 보고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유통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을

확인하고 물질유형 분류를 위한 대상물질을 선정하였다. 우선 유독물 등 영업등록실적 보고자

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연간 취급량이 1톤 이내로 연구용이거나 일회성으로 사용될 가

능성이 높은 유해화학물질을 제외시켜 대상물질 188종을 결정하였다. 물질유형의 분류 목적이

북미국가 ERG에서 대응지침을 찾기 위한 것이므로, 1단계, UN번호가 있는 경우에는 UN번호

를 이용하고, 2단계, UN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GHS 분류결과를 이용하였으며 3단계 물리화학

적 성질을 고려하여 물질유형을 분류하였다 [Fig. 2-12].

Fig. 2-12. 물질유형 분류 알고리즘

ERG 에서는 유해물질의 공통적인 특성에 기인하여 물질을 62유형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각 화학적, 독성학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지닌 물질 유형에 적용하도록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ERG는 UN의 유해물질 분류체계를 기본으로 폭발성물질, 가스류, 인화성액체(및 가연성가

스), 인화성고체 : 자연발화성, 젖었을 때 위험한 물질, 산화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독성 물

질 및 전염성물질, 방사성물질, 부식성물질, 기타 유해물질 및 물품으로 크게 대분류하고 성상,

인화점, 끓는점, 비중 등 물리․화학적 특성과 반응성, 극성․비극성 등 위험성, 독성을 기준으로

중/소분류 하였다. ERG에서 적용하고 있는 분류방법은 사고현장에 도착한 초동대응자에게 사

- 32 -

고와 관련한 조치를 결정하기 위한 좀 더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물질

분류에 관계하는 지표와 인자가 광범위하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 하지만 지침번호 뒤에 있는

물질유형의 제목을 보고 유해물질의 일반적인 위험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각각의 Guide는 잠

재적인 위험(Potential Hazards), 대중안전(Public Safety), 비상대응(Emergency Response)으로

구성되어 있다(CANUTEC; ERG2000 user's guide)

Table 2-18에 GHS 분류체계, DOT 분류체계 및 ERG 지침번호와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Table 2-18. GHS 분류체계, DOT 분류체계 및 ERG 지침번호 관계

- 33 -

나. 물질유형 분류 결과

대상물질 188종중에서 UN번호를 가지고 있는 139종이며 물질유형 분류 결과는 Table 2-19와 같

다.

Table 2-19. UN 번호에 따른 물질유형 분류 결과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2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7722-84-1

2014, 2015,

2984140,143

5 글루타르알데히드 Glutaraldehyde 111-30-8 2928 154

6 글리시딜아크릴산 Glycidyl acrylate 106-90-1 2922 154

7 나트륨 Sodium 7440-23-5 1428 138

9 납 화합물질Lead

compounds

Dibasic lead

phosphite :

12141-20-7, Lead

acetate :

301-04-2, Lead

chloride :

7758-95-4, Lead

chromate :

7758-97-6, Lead

dioxide :

1309-60-0, Lead

nitrate :

10099-74-8, Lead

oxide : 1317-36-8,

Lead thiocyanate :

592-87-0

Dibasic

lead

phosphite :

2989, Lead

acetate :

1616, Lead

dioxide :

1872, Lead

nitrate :

1469

133, 151,

141,156

12 니트로벤젠 Nitrobenzene 98-95-3 1662 152

21 디-n-부틸아민Di-n-butyl

amine 111-92-2 2248 132

24 디노셉 Dinoseb 88-85-72779, 2780,

3013153

41 디엠에이비 DMAB 74-94-2 2811, 2925 154

45디이소시안산

이소포론

Isophorone

diisocyanate4098-71-9 2290 156

46디이소시안산

헥사메틸렌

Hexamethylene

diisocyanate822-06-0 2281, 2810 153

49 디클로로아세트산Dichloroacetic

acid79-43-6 1764 153

50 디클로르보스 Dichlorvos 62-73-7 2996 151

- 34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73 메타아크릴로니트릴Meth

acrylonitrile126-98-7 3079 131

80 메틸알코올 Methylalcohol 67-56-1 1230 131

81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78-93-3 1193 127

90 시안화칼륨Potassium

cyanide151-50-8 1680 157

90 시안화 나트륨 Sodium cyanide 143-33-9 1689 157

92 무기은 염류Inorganic

silver,salts

Silver(I)

nitrate(1:1) :

7761-88-8, Silver

sulfate :

10294-26-5

Silver(I)

nitrate(1:1) :

1493

140

93 무기주석 염류Inorganic tin,

salts

Tin(IV) bromide,

Stannic bromide :

7789-67-5, Tin

fluoride :

7783-47-3, Tin

bromide, Stannous

bromide :

10031-24-0, Tin(II)

chloride :

7772-99-8, Tin

sulfate, Stannic

sulfate :

19307-28-9,

Tin(IV) chloride :

7646-78-8, Tin(II)

sulfate,

Tin(IV)

chloride :

1827

137

96 발연황산 Fuming sulfuric

acid8014-95-7 1831 137

99 벤젠 Benzene 71-43-2 1114 130

106 브로노폴 Bronopol 52-51-7 3241 133

111 브롬 Bromine 7726-95-6 1744 154

114 브롬화수소 Hydrogen

bromide 10035-10-6 1048, 1788

무수 125.

액상 154

119 비소 Arsenic 7440-38-2 1558 152

129 산화 프로필렌 Propyleneoxide 75-56-9 1280 127

- 35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132 삼염화 인Phosphorus

trichloride7719-12-2 1809 137

134 셀레늄 Selenium 7782-49-2 2658 131

136 히드록시 나트륨Sodium

hydroxide 1310-73-2 1823 154

137 히드록시 칼륨Potassium

hydroxide1310-58-3 1813 154

140 수은 Mercury 7439-97-62024, 2025,

2809

액상 151,

금속 174

145 시안아미드 Cyanamide 420-04-2 2928,3276 154

148 시클로헥실아민Cyclohexyl

amine 108-91-8 2357 132

153 싸이할로트린 Cyhalothrin 68085-85-8 2902 151

156 아닐린 Aniline 62-53-3 1547 153

161 아세트산 에틸 Ethyl acetate 141-78-6 1173 129

163 아염소산 나트륨 Sodium chlorite 7758-19-2 1496 143

165 나트륨 아지드화물 Sodium azide 26628-22-8 1687 153

167 아질산 염류Nitrous acid,

salts

Nitrous acid, salts

: 7782-77-6,

Sodium nitrite :

7632-00-0,

Ammonium nitrite

: 13446-48-5

Sodium

nitrite :

1500,

Ammonium

nitrite :

2627

140

168 아크롤레인 Acrolein 107-02-8 1092 131(P)

170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107-13-1 1093 131(P)

171 아크릴아미드 Acrylamide 79-06-1 2074 153

176 안티몬 화합물질Antimony

compounds

Antimony(III)chlorid

e:10025-91-9,Antim

ony(V)chloride:7647

-18-9,Antimonytris

ulfide:1345-04-6

Antimony(III)

chloride :

1733,

Antimony(V)

chloride :

1730, 1731

157

182 알릴 알코올 Allylalcohol 107-18-6 1098 131

183 알킬 아닐린Alkylaniline

N-Ethylaniline :

103-69-5,

N-Methylaniline :

100-61-8

N-Ethylanili

ne : 2272,

N-Methylani

line : 2294

153

- 36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184 암모니아 Ammomia 7664-41-7 1005 125

188 에이시티피 ACTP 79456-26-1   154

192 에피클로로히드린 Epichlorohydrin 106-89-8 2023 131(P)

198 염소산 염류Chloricacid,salts

Potassium

chlorate :

3811-04-9, Sodium

chlorate :

7775-09-9

Potassium

chlorate :

1485, 2427,

Sodium

chlorate :

1495, 2428

140

199

염화

2,3-에폭시프로필트

리메틸암모늄

2,3-Epoxypropyltri

methylammonium

chloride

3033-77-0 2811 154

200

염화

N-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N-Alkyldimethylbe

nzylammonium

chloride

8001-54-5 1759 154

201 염화메틸 Methyl chloride 74-87-3 1063 115

203 염산Hydrochloric

acid7647-01-0 1789 157

204 염화시안Cyanogen

chloride, CK506-77-4 1589 125

205 염화에틸 Ethylchloride 75-00-3 1037 115

208 염화 티오닐 Thionyl chloride 7719-09-7 1836 137

209 염화 황Sulfur

monochloride10025-67-9 1828 137

212 오산화인 Phosphoruspentoxi

de 1314-56-3 1807 137

213 오염화인Phosphorus

pentachloride10026-13-8 1806 137

218 옥시염화인Phosphorus

oxychloride10025-87-3 1810 137

220 요오드화 메틸 Methyliodide 74-88-4 2644 151

237이플루오르화

암모늄

Ammonium

bifluoride1341-49-7 1727 154

239 이황화 탄소 Carbondisulfide 75-15-0 1131 131

240 백린White

phosphorus 7723-14-0 1381 136

244 지람 Ziram 137-30-4 2588 151

- 37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246 질산 Nitric acid 7697-37-2 2031 157

250 카드뮴 화합물질

Cadmium

compounds

Cadmium acetate :

543-90-8,

Cadmium chloride

: 10108-64-2,

Cadmium iodide :

7790-80-9,

Cadmium nitrate :

10325-94-7,

Cadmium oxide :

1306-19-0,

Cadmium red :

58339-34-7,Cadmiu

m stearate :

2223-93-0,

Cadmium sulfate :

10124-36-4,

Cadmium sulfide :

1306-23-6,Cadmiu

m borate :

13701-66-1

Cadmium

nitrate,

Cadmium

oxide,

Cadmium

stearate,

Cadmium

sulfate,

Cadmium

sulfide :

2570,

Cadmium

red : 1263

154

252 카바릴 Carbaryl 63-25-2 2757 151

255 카보푸란 Carbofuran 1563-66-2 2757 151

268 크레졸 Cresol 1319-77-3 2076 153

271 크롬산 염류Chromic acid,

salts

Barium chromate :

10294-40-3, Lead

chromate :

7758-97-6,

Lithium chromate

: 14307-35-8,

Potassium

chromate :

7789-00-6,

Sodium chromate :

7775-11-3,

Strontium

chromate :

7789-06-2, Zinc

chromate :

13530-65-9

Barium

chromate :

1564

154

- 38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273 크리올라이트 Cryolite 15096-52-3 3077  151

274 자일렌올 Xylenol 1300-71-6 2261 153

275 크실렌 Xylene 1330-20-7 1307 130

276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

Chloromethyl

methylether 107-30-2 1239 131

277 클로로술폰산Chloro

sulfonicacid 7790-94-5 1754 137

278 클로로아세트산 Chloroaceticacid 79-11-8 1751 153

281 클로로포름 Chloroform 67-66-3 1888 151

284 클로로히드린 Chlorohydrin 96-24-2 2689 153

298 톨루엔 Toluene 108-88-3 1294 130

299 톨루엔디아민 Toluenediamine 25376-45-8 1709 151

300 톨루이딘 Toluidine

Toluidine :

26915-12-8,

o-Toluidine :

95-53-4,

m-Toluidine :

108-44-1,

p-Toluidine :

106-49-0

Toluidine,

o-/m-/p-

Toluidine :

1708

153

310 트리클로르폰 Trichlorfon 52-68-6 2783 152

313 트리플루오로보란 Trifluoroborane 7637-07-2 1008 125

315 티람 Thiram 137-26-8 2771 151

332 페놀 Phenol 108-95-2 1671 153

334 페닐렌디아민Phenylene

diamine 25265-76-3 1673 153

345 포르말린 Formalin 50-00-0 1198, 2209 132

349 포스겐 Phosgene, CG 75-44-5 1076 125

359 푸르푸랄 Furfural 98-01-1 1199 132(P)

376 플루오로규산 Fluorosilicicacid 16961-83-4 1778 154

377 플루오로붕산 Fluoroboricacid 16872-11-0 1775 154

379 플루오로아세트산 Fluoroaceticacid

144-49-0 2642 154

- 39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381 플루오르화 나트륨 Sodium fluoride 7681-49-4 1690 154

382 플루오르화 수소Hydrogen

fluoride7664-39-3 1052 125

384 플루오르화 칼륨Potassium

fluoride7789-23-3 1812 154

402헥사클로로시클로로

펜타디엔

Hexachlorocyclope

ntadiene 77-47-4 2646 151

405 황산 Sulfuric acid 7664-93-9 1830 137

406 황산 디메틸 Dimethylsulfate 77-78-1 1595 156

407 황산디에틸 Diethylsulfate 64-67-5 1594 152

409 히드라진 Hydrazine 302-01-2 2029, 2030

64% 이상

123, 64%

이하 153

410 히드라진 수화물Hydrazine

hydrate 7803-57-8 2030 153

4271,3-디클로로-2-프

로판올

1,3-Dichloro-2-pr

opanol 96-23-1 2750 153

432

1,1'-메틸렌비스[4-

이소시아나토시클로

헥산]

1,1'-Methylenebis[

4-isocyanatocyclo

hexane]

5124-30-1 2810 153

434 1,4-벤조퀴논1,4-benzoquinone

106-51-4 2587 153

435 2-부틴-1,4-디올2-Butyne-1,4-diol

110-65-6 2716 153

449 4-아미노피리딘4-Amino

pyridine 504-24-5 2671 153

4523-에톡시프로필

아민

3-Ethoxypropylam

ine 6291-85-6 2920 132

455 2-클로로에탄올 2-Chloroethanol 107-07-3 1135 131

457 2-클로로피리딘2-Chloro

pyridine 109-09-1 2822 153

4601,1,2,2-테트라브로

모에탄

1,1,2,2,-Tetra

bromoethane79-27-6 2504 159

465N-2-프로펜일-2-프

로펜- 1-아민

N-2-Propenyl-2-p

ropen-

1-amine

124-02-7 2359 132

466 2-프로핀-1-올 2-Propyn-1-ol 107-19-7 1986, 2929 131

475 디클로로(페닐)포스핀Dichloro(phenyl)p

hosphine644-97-3 2798 137

- 40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480 트리부틸아민 Tributylamine 102-82-9 2542 153

481 (에폭시에틸)벤젠(Epoxyethyl)benze

ne96-09-3 2922 154

483

염화

2-클로로에틸디에틸

암모늄

2-Chloroethydieth

yl ammonium

chloride

869-24-9 2811 154

492 2-푸란메탄올2-Furanm

ethanol98-00-0 2874 153

500 4-니트로톨루엔 4-Nitrotoluene 99-99-0 1664 152

501 아미트롤 Amitrole 61-82-5 2588 151

505옥타플루오르사이클

로펜텐

Perfluorocyclo

pentene559-40-0 2810 153

506 디크롬 산 Dichromic acid 13530-68-2 3093 140

515 노닐페놀Nonylphenols,

4-tert-Octylpheno

Nonylphenols :

25154-52-3,

104-40-5,

84852-15-3,

139-84-4,

136-83-4,

4-tert-Octylphenol

: 140-66-9

1760 154

518 1,2-디클로로에탄1,2-Dichloro

ethane107-06-2 1184 131

519 염화 비닐 Vinyl chloride 75-01-4 1086 116(P)

520 산화 에틸렌 Ethylene oxide 75-21-8 1040 119(P)

521트리클로로아세토니

트릴

Trichloroacetonitri

le545-06-2 1760 154

524헥사플루오르-1,3-

부타디엔

Hexafluoro-1.3-bu

tadiene685-63-2 3160 119

525

1,1,1-트리플루오로-

N-[(트리플루오로메

틸)술포닐]메탄술폰

아미드 리튬 염

1,1,1-Trifluoro-N-

[(trifluoromethyl)s

ulfonyl]methanesu

lfon amide

lithium salt

90076-65-6 3077 171

538n-프로필

클로로포름산

n-Propyl

chloroformate109-61-5 2740 155

545메낱설포닐

클로라이드

Methanesulfonyl

chloride124-63-0 3246 156

558 뷰틸벤질프탈산Butylbenzyl

phthalate85-68-7 3082 171

- 41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593  

1,1,2,2-Tetrafluor

o-3-(1,1,2,2-tetraf

luoroethoxy)propa

ne

16627-68-2 1760 154

604 리튬플루오라이드 Lithium fluoride 7789-24-4 3288 151

609 황산니켈 Nickel sulfate 7786-81-4 3288 151

610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123-31-9 2662 153

611톨루엔디이소시아

네이트

Toluene

diisocyanate26471-62-5 2078 156

613 벤질퍼옥사이드 Benzoyl peroxide 94-36-0 3102 146

대상물질 188종중에서 UN번호가 없는 46종은 GHS 분류 및 표시결과를 이용하여 물질유형을 분

류하였다 [Table 2-20].

Table 2-20. UN번호가 없는 46종의 물질유형 분류 결과

유독물 번호

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ERG지침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상태

68메르캅토아세트산

Mercaptoaceticacid

68-11-1 151

급성독성-경구 3, 급성독성-경피 3, 급성독성-흡입 1, 피부부식성/자극성 1

위험 액체

128산화

펜브타틴

Fenbutatinoxide

13356-08-6

154

급성독성-흡입 2, 피부부식성/자극성 2, 심한 눈손상/자극성 2, 수생환경유해성-급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성 1

위험 고체

130

산화니켈 및 황화니켈류

Nickel oxide/monoxide, Nickel

sufide/subsulfide

Nickel oxide/monoxide : 1313-99-1, Nickel sulfide : 16812-54

-7, Nickel

subsulfide :

12035-72-2

159

피부과민성 1,발암성 1, 표적장기-반복노출 1, 수생환경유해성-만성 4

위험

Nickel oxide/monoxide : 고체, Nickel sulfide : 고체, Nickel

subsulfide : 고체

- 42 -

유독물 번호

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ERG지침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상태

188에이시

티피ACTP

79456-26

-1151

급성독성-경구 3,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3

위험 고체

236이프로

벤포스 Iprobenfos

26087-47

-8151

급성독성-경구 4,

급성 독성-흡입 2,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위험 액체

301

톨릴플

루아니

Tolylflua

nid 731-27-1 154

급성독성-흡입 2,

피부 부식성/자극성

2,

심한 눈 손상/자극

성 2,

피부 과민성 1, 표

적장기-1회노출 3,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

성-만성 1

위험 고체

311트리페

닐 인

Triphenyl

phosphine 603-35-0 171

급성독성-경구 4,수

생환경유해성-급성

1, 수생환경유해성-

만성 1

경고 고체

365프로파

포스 Propaphos

7292-16-

2151

급성독성-경구 3,

급성 독성-경피 2 위험 액체

404헵테노

포스

Heptenop

hos

23560-59

-0151

급성독성-경구 3,

급성 독성-흡입 3,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

해성-만성 1

위험 액체

- 43 -

유독물 번호

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ERG지침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상태

411히드록실아민

Hydroxylamine

7803-49-8

112

폭발성물질또는화약류 1, 금속부식성 물질 1, 급성 독성-경구 4, 급성 독성-경피 4, 피부부식성/자극성 2, 심한 눈손상/자극성 2, 피부 과민성 1, 발암성 2, 표적장기-1회노출 3, 표적장기 -반복노출 2,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위험 액체

416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Dimethylbutyl-N'-phenyl-p-phenylenediamine)

793-24-8 154

급성독성-경구4,피부과민성 1, 수생환경유해성-급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성 1

위험 고체

425

2,4-디클로로-6-니트로페놀

2,4-Dichloro-6-nitrophenol

609-89-2 151 급성독성-경구 3 위험 고체

456

4-(2-클로로에틸)몰포

린 염산

4-(2-Chloroethyl)morpholinehydrochlo

ride

3647-69-6

151급성독성-경구 3, 생식세포변이원성 2

위험 고체

461

p-톨릴 디요오도메틸 술폰

p-Tolyldiiodomethylsulfone

20018-09-1

154

급성독성-흡입 3, 심한 눈 손상/자극성 1, 피부 과민성 1, 표적장기-반복노출 2, 수생환경유해성-급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성 1

위험  

- 44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ERG

지침

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

상태

468

2-히드

라지노

에탄올

2-Hydraz

inoethan

ol

109-84-2 151 급성독성-경구 3 위험 액체

469

3-히드

록시-4-

[(2-히드

록시-1-

나프틸)

아조]-1

-나프탈

렌술포

나토(3-)

[1-[[2-

히드록

시-5-[(r

-메톡시

페닐)아

조]페닐]

아조]-2

-나프토

라토(2-)

]크롬산(

2-)

이나트

Disodium[

3-hydrox

y-4-[(2-h

ydroxy-1

-naphthy

l)azo]-1-

naphthal

enesulfon

ato(3-)[1

-[[2-hydr

oxy-5-[(r

-methoxy

phenyl)az

o]phenyl]

azo]-2-n

aphtholat

o(2-)]

chromate

(2-)

30785-74

-1159

심한 눈손상/자극성

2,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고체

472

4-메르

캅토메

틸-3,6-

디티아-

1,8-옥

탄디티

4-Mercap

tomethyl

-3,6-dithi

a-1,8-oct

anedi

thiol

131538-0

0-6159

피부부식성/자극성

2, 심한 눈

손상/자극성 2,

표적장기-반복노출

2,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액체

478

아세톤

티오쎄

미카르

바존

Acetone

thiosemic

arbazone

1752-30-

3151

급성독성-경구 2,

급성독성-경피 4,

급성독성-흡입 1

위험 고체

- 45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ERG

지침

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

상태

479

4,4-메

틸렌비

스(2-클

로로아

닐린)

4,4'-Meth

ylenebis(

2-chloroa

niline)

101-14-4 171

급성독성-경구 4,

생식세포변이원성2,

발암성1,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위험 고체

488

1,1'-(1,3

-페닐렌

디카르

보닐)비

스(메틸

아지리

딘)

1,1'-(1,3-

Phenylen

edicarbon

yl)bis(met

hylaziridi

ne)

7652-64-

4154

급성독성-경구 4,

피부 부식성/자극성

2,

심한 눈손상/자극성

1,

생식세포변이원성

2

위험 액체

489

에틸

5,5-디

페닐-2-

이소사

졸린-3-

카르복

실레이

Ethyl

5,5-diphe

nyl-2-iso

xazoline-

3-carbox

ylate

163520-3

3-0154

급성독성-경구

4,피부 과민성 1,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고체

499퍼메트

Permethr

in

52645-53

-1154

급성독성-경구

4,피부 과민성 1,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고체

509

헥사데

킬트리

메틸암

모늄

염화물

N-Hexad

ecyltrime

thylammo

nium

chloride

112-02-7 171

급성독성-경구 4,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액체

- 46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ERG

지침

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

상태

513

디이소

프로필

잔쏘겐

폴리설

파이드

Diisoprop

yl

xanthoge

n

polysulph

ide

137398-5

4-0159

급성독성-경구

4,피부 과민성 1,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516

디메틸

디티오

카르바

민산

나트륨

Sodium

dimethyld

ithio

carbamat

e

128-04-1 171

급성독성-경구 4,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고체

517

트리페

인산

Triphenyl

phosphat

e

115-86-6 171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고체

522

2-메틸-

2-프로

페노일

염화물

2-Methyl

-2-prope

noylchlori

de

920-46-7 131인화성액체 2,급성

독성-흡입 1 위험 액체

523

1,1'-(p-

톨리미

노)디프

로판-2-

1,1'-(p-T

olylimino)

dipropan

-2-ol

38668-48

-3154

급성독성-경구 3,

심한 눈

손상/자극성 2,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3

위험  

526

2,2'-티

오디에

탄티올

2,2'-Thio

diethanet

hiol

3570-55-

6151

급성독성-경구 3,

급성 독성-흡입 2 위험 액체

530

피리딘-

트리페

닐보란

Pyridine-

triphenyl

borane

971-66-4 171

급성독성-경구

4,수생환경유해성-

급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 47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ERG

지침

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

상태

531

N-[3-(

옥시라

닐메톡

시)페닐]

-N-(옥

시라닐

메틸)옥

시란메

타나민

N-[3-(Oxi

ranylmet

hoxy)phe

nyl]-N-(o

xiranylme

thyl)oxira

nemetha

namine

71604-74

-5171

생식세포변이원성

2 경고  

533

N-알킬(

C=8∼22

)폴리트

리메틸

렌폴리

아민,

카복시

메틸

데리브

스,

나트륨

N-Alkyl(

C=8∼22)

polytrime

thylenep

olyamine

s,

carboxym

ethyl

derivs.,

sodium

salt

97659-53

-5159

심한눈손상/자극성

2,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535

2,2'-[메

틸렌비

스[(2,6-

디메틸-

4,1-페

닐렌)옥

시메틸

렌]]비스

옥시란

2,2'-

[Methyle

nebis[(2,6

-dimethyl

-4,1-phe

nylene)ox

y

methylen

e]]bisoxir

ane

93705-66

-9171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경고  

539

염화테

트라메

틸암모

Tetramet

hylammo

nium

chloride

75-57-0 151

급성독성-경구 2,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2

위험 고체

- 48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ERG

지침

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

상태

547

에틸

카바메

이트

Ethyl

carbamate51-79-6 151

급성독성-경구4,생

식세포변이원성 1,

발암성 1

위험

원주형

결정

또는

알갱이

모양

분말

553  

N,N'-Bis[

3-(dimeth

ylamino)p

ropyl]urea

polymer

with

1,1'-oxyb

is[2-chlor

oethane]

21806-6

1-1151 급성독성-경구3 위험  

557

다이뷰

틸프탈

Dibutyl

phthalate84-74-2 171

생식독성1,수생환경

유해성-급성 1 위험 액체

559

4-브로

모-2-(4

-클로

로페닐)

-5-(트

리플루

오르메

틸)-1H

-피롤-

3-카르

보니트

4-Bromo

-2-(4-chl

oropheny

l)-5-(trifl

uorometh

yl)-1H-p

yrrole-3-

carbonitrile

122454-

29-9151

급성독성-경구2,급

성독성-흡입 3,

수생환경유해성-급

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

성 1

위험  

- 49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ERG

지침

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

상태

566  

[μ-[4-(H

ydroxy-k

O)-3,8-bi

s[[2-(hyd

roxy-kO)

-5-nitrop

henyl]azo

-kN1]-7-

(phenyla

mino-kN)

-2-napht

halenesul

fonato](5

-)]bis[3-(

hydroxy-

kO)-4-[[2

-(hydrox

y-kO)-1-

naphthal

enyl]azo-

kN1]-7-n

itro-1-na

phthalen

esulfonat

o(3-)]dich

romate(5

-),

disodium

trihydrog

en

874299-

53-3159

심한눈손상/자극성2,

피부과민성 1 , 수

생환경유해성-급성

1, 수생환경유해

성-만성 1

경고  

578  

Formalde

hyde

polymer

with

dimethylb

enzene

and

2-ethyl-2

-(hydrox

ymethyl)

-1,3-prop

anediol

146058-

40-4171 생식세포변이원성2 위험  

- 50 -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ERG

지침

번호

유해성분류 신호어 그림문자상온

상태

582  

2-Propanone

reaction products with

5-amino-1,3,3-trimethylcyclohexanemethanamine, reduced

156105-38-3

154

급성독성-경피 2, 피부부식성/자극성 1, 피부 과민성 1, 표적장기 -반복노출 2, 수생환경유해성-만성 2

위험  

584

요오드화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Tributylmethylphosphonium iodide

1702-42-7

151급성독성-경구 3, 수생환경유해성-만성 2

위험  

585  

Bis(3-dimethylamino-7-hydroxy-8-methyl-5-phenylphenazinium) sulfate

149057-64-7

154

심한눈손상/자극성1,피부과민성 1, 수생환경유해성-급성 1, 수생환경유해성-만성 1

위험  

595염화디메틸술파모일

Dimethylsulfamoyl chloride

13360-57-1

154급성독성-경구 4,급성독성-흡입 2, 피부 부식성/자극성 1

위험  

대상물질 188종중에서 3종은 UN번호, GHS 분류 및 표시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자료가 없

어 물질유형 분류가 곤란하였다 [Table 2-21].

Table 2-21. 물질유형 분류가 곤란한 유독물 3종

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451 N-알킬톨루이딘 N-Alkyl

toluidine NA

534

1,3-디-2-프로페닐-2-(2-

프로페닐옥시)벤젠,

에폭사이드

1,3-Di-2-propenyl-2-(2-propenyloxy)benzene,

epoxidizedNA

564  

[3-(Hydroxy-kO)-4-[[2-(hydroxy-kO)-1-naphthal

enyl]azo-kN1]-7-nitro-1-naphthalenesulfonato(3

-)][4-(hydroxy-kO)-3-[[2-(hydroxy-kO)-5-nitrop

henyl]azo-kN1]-7-(phenylamino)-2-naphthalenes

ulfonato(3-)]chromate(3-),sodium

824299-51-1

- 51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 411히드록실

아민Hydroxylamine 7803-49-8   112  

2 201 염화메틸 Methyl chloride 74-87-3 1063 115  

3 205 염화에틸 Ethyl chloride 75-00-3 1037 115  

4 519염화

비닐Vinyl chloride 75-01-4 1086 116(P)  

5 524

헥사플루

오르-1,3-

부타디엔

Hexafluoro-1,3-

butadiene685-63-2 3160 119 0

6 520산화

에틸렌

Ethylene

oxide75-21-8 1040 119(P)  

7 184 암모니아 Ammomia 7664-41-7 1005 125 0

8 204 염화시안Cyanogen

chloride, CK506-77-4 1589 125 0

9 313트리플루

오로보란

Trifluoro

borane 7637-07-2 1008 125 0

10 349 포스겐 Phosgene, CG 75-44-5 1076 125 0

11 382플루오르

화 수소

Hydrogen

fluoride7664-39-3 1052 125 0

12 81메틸

에틸 케톤

Methyl ethyl

ketone78-93-3 1193 127  

13 129산화

프로필렌

Propylene

oxide 75-56-9 1280 127  

14 161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141-78-6 1173 129  

15 99 벤젠 Benzene 71-43-2 1114 130  

16 275 크실렌 Xylene 1330-20-7 1307 130  

17 298 톨루엔 Toluene 108-88-3 1294 130  

18 73

메타

아크릴로

니트릴

Meth

acrylonitrile126-98-7 3079 131 0

19 80메틸

알코올 Methylalcohol 67-56-1 1230 131  

20 134 셀레늄 Selenium 7782-49-2 2658 131  

21 168아크롤

레인Acrolein 107-02-8 1092 131 0

대상물질 188종의 물질유형 분류 결과를 종합하여 Table 2-22에 정리하였다.

Table 2-22. 국내 유통 유독물 188종의 물질유형 분류 결과

- 52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22 170아크릴로

니트릴Acrylonitrile 107-13-1 1093 131  

23 182알릴

알코올Allylalcohol 107-18-6 1098 131  

24 239이황화

탄소Carbondisulfide 75-15-0 1131 131  

25 276

클로로메

틸 메틸

에테르

Chloromethylm

ethylether 107-30-2 1239 131  

26 4552-클로로

에탄올2-Chloroethanol 107-07-3 1135 131 0

27 4662-프로핀-

1-올2-Propyn-1-ol 107-19-7 1986, 2929 131 0

28 5181,2-디클로

로에탄

1,2-Dichloroeth

ane107-06-2 1184 131  

29 522

2-메틸-2-

프로페노일

염화물

2-Methyl-2-pro

penoylchloride 920-46-7   131  

30 192에피클로

로히드린

Epichloro

hydrin 106-89-8 2023 131(P)  

31 21디-n-부틸

아민

Di-n-butylamin

e 111-92-2 2248 132  

32 148시클로헥

실아민

Cyclohexylamin

e 108-91-8 2357 132  

33 345 포르말린 Formalin 50-00-0 1198, 2209 132  

34 452

3-에톡시

프로필아

3-Ethoxypropyl

amine 6291-85-6 2920 132  

35 465

N-2-프로

펜일-2-프

로펜-

1-아민

N-2-Propenyl-2

-propen-1-ami

ne

124-02-7 2359 132  

36 359 푸르푸랄 Furfural 98-01-1 1199 132(P)  

37 106 브로노폴 Bronopol 52-51-7 3241 133  

38 240 백린White

phosphorus 7723-14-0 1381 136  

- 53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39 93무기주석

염류

Inorganic tin,

salts

Tin(IV) bromide,

Stannic bromide :

7789-67-5, Tin

fluoride :

7783-47-3, Tin

bromide, Stannous

bromide :

10031-24-0,

Tin(II) chloride :

7772-99-8, Tin

sulfate, Stannic

sulfate :

19307-28-9,

Tin(IV) chloride :

7646-78-8,

Tin(II)sulfate,

Tin(IV)

chloride :

1827

137  

40 96 발연황산 Fuming

sulfuric acid8014-95-7 1831 137 0

41 132 삼염화 인Phosphorus

trichloride7719-12-2 1809 137 0

42 208염화

티오닐

Thionyl

chloride7719-09-7 1836 137 0

43 209 염화 황Sulfur

monochloride10025-67-9 1828 137 0

44 212 오산화인 Phosphoruspent

oxide 1314-56-3 1807 137  

45 213 오염화인Phosphorus

pentachloride10026-13-8 1806 137 0

46 218옥시염화

Phosphorus

oxychloride10025-87-3 1810 137 0

47 277클로로술

폰산

Chloro

sulfonicacid

7790-94-5 1754 137 0

48 405 황산 Sulfuric acid 7664-93-9 1830 137  

49 475

디클로로

(페닐)

포스핀

Dichloro(phenyl

)phosphine644-97-3 2798 137  

50 7 나트륨 Sodium 7440-23-5 1428 138  

- 54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51 92무기은

염류

Inorganic

silver,salts

Silver(I)

nitrate(1:1) :

7761-88-8, Silver

sulfate :

10294-26-5

Silver

(I) nitrate

(1:1) : 1493

140  

52 167아질산

염류

Nitrous acid,

salts

Nitrous acid,

salts : 7782-77-6,

Sodium nitrite :

7632-00-0,

Ammonium nitrite

: 13446-48-5

Sodium

nitrite :

1500,

Ammonium

nitrite :

2627

140  

53 198염소산

염류

Chloricacid,

salts

Potassium

chlorate :

3811-04-9,

Sodium chlorate :

7775-09-9

Potassium

chlorate :

1485, 2427,

▪ Sodium

chlorate :

1495, 2428

140  

54 506디크롬

Dichromic

acid13530-68-2 3093 140  

55 163아염소산

나트륨

Sodium

chlorite7758-19-2 1496 143  

56 613벤질퍼옥

사이드

Benzoyl

peroxide94-36-0 3102 146  

57 50디클로르

보스

Dichlorvos

62-73-7 2996 151  

58 68메르캅토

아세트산

Mercapto

aceticacid 68-11-1   151  

59 153싸이할로

트린Cyhalothrin 68085-85-8 2902 151  

60 188에이시티

피ACTP 79456-26-1   151  

61 220요오드화

메틸Methyliodide 74-88-4 2644 151 0

62 236이프로벤

포스 Iprobenfos 26087-47-8   151  

63 244 지람 Ziram 137-30-4 2588 151  

64 252 카바릴 Carbaryl 63-25-2 2757 151  

65 255 카보푸란 Carbofuran 1563-66-2 2757 151  

66 281클로로

포름Chloroform 67-66-3 1888 151  

- 55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67 299톨루엔

디아민

Toluene

diamine 25376-45-8 1709 151  

68 315 티람 Thiram 137-26-8 2771 151  

69 365프로파

포스 Propaphos 7292-16-2   151  

70 402

헥사클로

로시클로

로펜타

디엔

Hexachloro

cyclopentadiene 77-47-4 2646 151 0

71 404헵테노

포스Heptenophos 23560-59-0   151  

72 425

2,4-디클로

로-6-니트

로페놀

2,4-Dichloro-6-

nitrophenol 609-89-2   151  

73 456

4-(2-클로

로에틸)몰

포린

염산

4-(2-Chloroethy

l)morpholinehyd

rochloride

3647-69-6   151  

74 468

2-히드라

지노에탄

2-Hydrazino

ethanol 109-84-2   151  

75 478

아세톤

티오쎄미

카르바존

Acetone

thiosemi

carbazone

1752-30-3   151  

76 501 아미트롤 Amitrole 61-82-5 2588 151  

77 526

2,2'-티오

디에탄티

2,2'-Thiodietha

nethiol3570-55-6   151  

78 539

염화테트

라메틸암

모늄

Tetramethylam

monium

chloride

75-57-0   151  

79 547에틸카바

메이트

Ethyl

carbamate51-79-6   151  

80 553  

N,N'-Bis[3-(dim

ethylamino)prop

yl]urea

polymer with

1,1'-oxybis[2-c

hloroethane]

21806-61-1   151  

- 56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81 559

4-브로모-

2-(4-클로

로페닐)-5-

(트리플루

오르메틸)-

1H-피롤-3

-카르보니

트릴

4-Bromo-2-(4-c

hlorophenyl)-5-

(trifluoromethyl

)-1H-pyrrole-3

-carbonitrile

122454-29-9   151  

82 584

요오드화

트리부틸

메틸포스

포늄

Tributylmethylp

hosphonium

iodide

1702-42-7   151  

83 604리튬플루

오라이드

Lithium

fluoride7789-24-4 3288 151  

84 609 황산니켈 Nickel sulfate 7786-81-4 3288 151  

85 12니트로

벤젠Nitrobenzene 98-95-3 1662 152  

86 119 비소 Arsenic 7440-38-2 1558 152  

87 310트리클로

르폰Trichlorfon 52-68-6 2783 152  

88 407황산

디에틸Diethylsulfate 64-67-5 1594 152  

89 5004-니트로

톨루엔4-Nitrotoluene 99-99-0 1664 152  

90 24 디노셉 Dinoseb 88-85-72779, 2780,

3013153  

91 46

디이소시

안산

헥사메틸

Hexamethylene

diisocyanate822-06-0 2281, 2810 153  

92 49디클로로

아세트산

Dichloroacetic

acid79-43-6 1764 153  

93 156 아닐린 Aniline 62-53-3 1547 153  

94 165

나트륨

아지드화

Sodium azide 26628-22-8 1687 153  

95 171아크릴아

미드Acrylamide 79-06-1 2074 153  

96 183알킬

아닐린Alkylaniline

N-Ethylaniline :

103-69-5,

N-Methylaniline :

100-61-8

N-Ethylanili

ne : 2272,

N-Methylani

line : 2294

153  

- 57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97 268 크레졸 Cresol 1319-77-3 2076 153  

98 274 자일렌올 Xylenol 1300-71-6 2261 153  

99 278클로로아

세트산

Chloro

acetic acid 79-11-8 1751 153  

100 284클로로히

드린Chlorohydrin 96-24-2 2689 153  

101 300 톨루이딘Toluidine

Toluidine :

26915-12-8,

o-Toluidine :

95-53-4,

m-Toluidine :

108-44-1,

p-Toluidine :

106-49-0

Toluidine,

o-/m-/p-

Toluidine :

1708

153  

102 332 페놀 Phenol 108-95-2 1671 153  

103 334페닐렌디

아민

Phenylene

diamine 25265-76-3 1673 153  

104 410히드라진

수화물

Hydrazine

hydrate 7803-57-8 2030 153  

105 427

1,3-디클로

로-2-프로

판올

1,3-Dichloro-2-

propanol 96-23-1 2750 153  

106 432

1,1'-메틸

렌비스[4-

이소시아

나토시클

로헥산]

1,1'-Methylene

bis[4-isocyanato

cyclohexane]

5124-30-1 2810 153 0

107 4341,4-벤조퀴

1,4-benzoquino

ne 106-51-4 2587 153  

108 4352-부틴-1,4

-디올

2-Butyne-1,4-di

ol 110-65-6 2716 153  

109 4494-아미노

피리딘

4-Amino

pyridine 504-24-5 2671 153  

110 4572-클로로

피리딘

2-Chloro

pyridine 109-09-1 2822 153  

111 480트리부틸

아민Tributylamine 102-82-9 2542 153  

112 4922-푸란메

탄올

2-Furan

methanol98-00-0 2874 153  

- 58 -

순서유독물 번호

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13 505옥타플루오르사이클로펜텐

Perfluorocyclopentene

559-40-0 2810 153  

114 610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123-31-9 2662 153  

115 5글루타르알데히드

Glutaraldehyde 111-30-8 2928 154  

116 6글리시딜아크릴산

Glycidyl acrylate

106-90-1 2922 154  

117 41디엠에이

비DMAB 74-94-2 2811, 2925 154  

118 111 브롬 Bromine 7726-95-6 1744 154 0

119 128산화

펜브타틴 Fenbutatinoxide 13356-08-6   154  

120 136히드록시 나트륨

Sodiumhydroxide

1310-73-2 1823 154  

121 137히드록시 칼륨

Potassium hydroxide

1310-58-3 1813 154  

122 145시안아미

드Cyanamide 420-04-2

2928,3276

154  

123 199

염화 2,3-에폭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2,3-Epoxypropyltrimethylammonium chloride

3033-77-0 2811 154  

124 200

염화 N-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

N-Alkyldimethylbenzylammoniu

m chloride8001-54-5 1759 154  

125 222이미다클로프리드

Imidacloprid 105827-78-9   154  

126 237이플루오르화

암모늄

Ammonium bifluoride

1341-49-7 1727 154  

127 250카드뮴 화합물질

Cadmiumcompounds

Cadmium acetate : 543-90-8,

Cadmium chloride : 10108-64-2,

Cadmium iodide : 7790-80-9,

Cadmium nitrate : 10325-94-7,

Cadmium oxide : 1306-19-0,

Cadmium red : 58339-34-7,

Cadmium stearate : 2223-93-0,

Cadmium sulfate : 10124-36-4,

Cadmium sulfide : 1306-23-6,

Cadmium borate : 13701-66-1

Cadmium nitrate, Cadmium oxide,

Cadmium stearate, Cadmium sulfate, Cadmium sulfide : 2570,

Cadmium red : 1263

154  

- 59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28 271크롬산

염류

Chromic acid,

salts

Barium chromate

: 10294-40-3,

Lead chromate :

7758-97-6,

Lithium chromate

: 14307-35-8,

Potassium

chromate :

7789-00-6,

Sodium chromate

: 7775-11-3,

Strontium

chromate :

7789-06-2,Zinc

chromate :

13530-65-9

Barium

chromate :

1564

154  

129 273크리올라

이트Cryolite 15096-52-3   154  

130 301톨릴플루

아니드Tolylfluanid 731-27-1   154  

131 376플루오로

규산

Fluoro

silicicacid

16961-83-4 1778 154  

132 377플루오로

붕산

Fluoroboricacid

16872-11-0 1775 154  

133 379플루오로

아세트산

Fluoro

aceticacid 144-49-0 2642 154  

134 381플루오르화

나트륨

Sodium

fluoride7681-49-4 1690 154  

135 384플루오르

화 칼륨

Potassium

fluoride7789-23-3 1812 154  

136 416

N-(1,3-디

메틸부틸-

N'-페닐-p

-페닐렌디

아민)

N-(1,3-Dimethy

lbutyl-N'-pheny

l-p-phenylenedi

amine)

793-24-8   154  

137 423

4,4'-디이

소시안산

디페닐메탄

Diphenylmetha

ne-4,4'-diisocya

nate

101-68-8 2489 154  

- 60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38 461

p-톨릴

디요오도

메틸 술폰

p-Tolyldiiodome

thylsulfone 20018-09-1   154  

139 472

4-메르캅

토메틸-3,6

-디티아-1,

8-옥탄디

티올

4-Mercaptomet

hyl-3,6-dithia-1

,8-octanedi

thiol

131538-00-6   154  

140 481(에폭시에

틸)벤젠

(Epoxyethyl)ben

zene96-09-3 2922 154  

141 483

염화

2-클로로

에틸디에

틸 암모늄

2-Chloroethydie

thyl

ammonium

chloride

869-24-9   154  

142 488

1,1'-(1,3-

페닐렌디

카르보닐)

비스(메틸

아지리딘)

1,1'-(1,3-Phenyl

enedicarbonyl)b

is(methylaziridi

ne)

7652-64-4   154  

143 489

에틸

5,5-디페닐

-2-이소사

졸린-3-카

르복실레

이트

Ethyl

5,5-diphenyl-2-

isoxazoline-3-c

arboxylate

163520-33-0   154  

144 499 퍼메트린 Permethrin 52645-53-1   154  

145 515 노닐페놀

Nonylphenols,

4-tert-Octylphe

no

Nonylphenols :

25154-52-3,

104-40-5,

84852-15-3,

139-84-4,

136-83-4,

4-tert-Octylpheno

l : 140-66-9

1760 154  

146 521

트리클로

로아세토

니트릴

Trichloro

acetonitrile545-06-2 1760 154  

147 523

1,1'-(p-톨

리미노)디

프로판-2-올

1,1'-(p-Tolylimi

no)dipropan-2-

ol

38668-48-3   154  

- 61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48 582  

2-Propanone

reaction

products with

5-amino-1,3,3-t

rimethylcyclohe

xanemethanami

ne, reduced

156105-38-3   154  

149 585  

Bis(3-dimethyla

mino-7-hydroxy

-8-methyl-5-ph

enylphenaziniu

m) sulfate

149057-64-7   154  

150 593  

1,1,2,2-Tetraflu

oro-3-(1,1,2,2-t

etrafluoroethox

y)propane

16627-68-2 1760 154  

151 595

염화디메

틸술파모

Dimethylsulfam

oyl chloride13360-57-1   154  

152 538

n-프로필

클로로포

름산

n-Propyl

chloroformate109-61-5 2740 155  

153 45

디이소시

안산

이소포론

Isophorone

diisocyanate4098-71-9 2290 156  

154 406황산

디메틸

Dimethyl

sulfate

77-78-1 1595 156 0

155 545

메탄포닐

클로라이

Methanesulfonyl

chloride124-63-0 3246 156 0

156 611

톨루엔

디이소시

아네이트

Toluene

diisocyanate26471-62-5 2078 156  

157 90시안화

칼륨

Potassium

cyanide151-50-8 1680 157 0

158 90시안화

나트륨

Sodium

cyanide143-33-9 1689 157 0

159 176안티몬

화합물질

Antimony

compounds

Antimony(III)chlori

de:10025-91-9,

Antimony(V)chlori

de:7647-18-9,

Antimonytrisulfide

:1345-04-6

Antimony(III)

chloride :

1733,

Antimony(V)

chloride :

1730, 1731

157  

- 62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60 203 염산Hydrochloric

acid7647-01-0 1789 157  

161 246 질산 Nitric acid 7697-37-2 2031 157  

162 130

산화니켈

황화니켈류

Nickel

oxide/monoxide,

Nickel

sufide/subsulfide

Nickel

oxide/monoxide :

1313-99-1, Nickel

sulfide :

16812-54-7,

Nickel subsulfide

: 12035-72-2

  159  

163 460

1,1,2,2-테

트라브로

모에탄

1,1,2,2,-Tetrabr

omoethane79-27-6 2504 159  

164 469

3-히드록

시-4-[(2-

히드록시-

1-나프틸)

아조]-1-나

프탈렌술

포나토(3-)

[1-[[2-히

드록시-5-[

(r-메톡시

페닐)아조]

페닐]아조]

-2-나프토

라토(2-)]

크롬산(2-)

이나트륨

Disodium[3-hyd

roxy-4-[(2-hydr

oxy-1-naphthyl

)azo]-1-naphth

alenesulfonato(

3-)[1-[[2-hydro

xy-5-[(r-metho

xyphenyl)azo]p

henyl]azo]-2-na

phtholato(2-)]

chromate(2-)

30785-74-1   159  

165 513

디이소프

로필

잔쏘겐

폴리설파

이드

Diisopropyl

xanthogen

polysulphide

137398-54-0   159  

166 533

N-알킬(C=

8∼22)폴리

트리메틸

렌폴리아민

, 카복시

메틸

데리브스,

나트륨 염

N-Alkyl(C=8∼2

2)polytrimethyle

nepolyamine,

carboxymethyl

derivs,sodium

salt

97659-53-5   159  

- 63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67 566  

[μ-[4-(Hydroxy

-kO)-3,8-bis[[2

-(hydroxy-kO)-

5-nitrophenyl]a

zo-kN1]-7-(phe

nylamino-kN)-2

-naphthalenesul

fonato](5-)]bis[3

-(hydroxy-kO)-

4-[[2-(hydroxy-

kO)-1-naphthal

enyl]azo-kN1]-

7-nitro-1-napht

halenesulfonato

(3-)]dichromate

(5-), disodium

trihydrogen

874299-53-3   159  

168 311트리페닐

Triphenylphosp

hine 603-35-0   171  

169 479

4,4-메틸렌

비스(2-클

로로아닐

린)

4,4'-Methylene

bis(2-chloroanili

ne)

101-14-4   171  

170 509

헥사데킬

트리메틸

암모늄

염화물

N-Hexadecyltri

methylammoniu

m chloride

112-02-7   171  

171 516

디메틸디

티오카르

바민산

나트륨

Sodium

dimethyldithio

carbamate

128-04-1   171  

172 517트리페닐

인산

Triphenylphosp

hate115-86-6   171  

173 525

1,1,1-트리

플루오로-

N-[(트리플

루오로메

틸)술포닐]

메탄술폰

아미드

리튬 염

1,1,1-Trifluoro-

N-[(trifluoromet

hyl)sulfonyl]met

hanesulfon

amide lithium

salt

90076-65-6 3077 171  

- 64 -

순서유독물 번호

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74 530피리딘-트리페닐보

Pyridine-triphenylborane

971-66-4   171  

175 531

N-[3-(옥시라닐메톡시)페닐]-N-(옥시라닐메틸)옥시란메타나

N-[3-(Oxiranylmethoxy)phenyl]-N-(oxiranylmethyl)oxiranemet

hanamine

71604-74-5   171  

176 535

2,2'-[메틸렌비스[(2,6-디메틸-4,1-페닐렌)옥시메틸렌]]비스옥

시란

2,2'- [Methylenebis[(2,6-dimethyl-4,1-phenylene)oxy methylene]]biso

xirane

93705-66-9   171  

177 557다이뷰틸프탈산

Dibutyl phthalate

84-74-2 9095 171  

178 558뷰틸벤질프탈산

Butylbenzyl phthalate

85-68-7 3082 171  

179 578  

Formaldehyde polymer with

dimethylbenzene and

2-ethyl-2-(hydroxymethyl)-1,3-propanediol

146058-40-4   171  

180 5808-시클로헥사데센-

1-온

8-Cyclohexadecen-1-one

3100-36-5 3077 171  

181 2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7722-84-12014, 2015,

2984140,143  

182 9납

화합물질Lead

compounds

Dibasic lead phosphite :

12141-20-7, Lead acetate :

301-04-2, Lead chloride :

7758-95-4, Lead chromate :

7758-97-6, Lead dioxide :

1309-60-0, Lead nitrate :

10099-74-8, Lead oxide :

1317-36-8, Lead thiocyanate : 592-87-0

Dibasic lead

phosphite : 2989, Lead acetate : 1616, Lead dioxide :

1872, Lead nitrate :

1469

133, 151,

141,156 

- 65 -

순서유독물

번호국문명 영문명 CAS 번호 UN 번호

ERG

지침번호

TIH물질

또는 물

반응성

183 409 히드라진 Hydrazine 302-01-2 2029, 2030

64%

이상

123,

64%

이하 153

 

184 114브롬화

수소

Hydrogen

bromide 10035-10-6 1048, 1788

무수125.

액상1540

185 140 수은 Mercury 7439-97-62024, 2025,

2809

액상151,

금속174 

186 451N-알킬톨

루이딘

N-Alkyl

toluidine NA      

187 534

1,3-디-2-

프로페닐-

2-(2-프로

페닐옥시)

벤젠,

에폭사이드

1,3-Di-2-prope

nyl-2-(2-prope

nyloxy)benzene,

epoxidized

NA      

188 564  

[3-(Hydroxy-kO

)-4-[[2-(hydrox

y-kO)-1-naphth

alenyl]azo-kN1]

-7-nitro-1-nap

hthalenesulfona

to(3-)][4-(hydro

xy-kO)-3-[[2-(h

ydroxy-kO)-5-n

itrophenyl]azo-

kN1]-7-(phenyl

amino)-2-napht

halenesulfonato

(3-)]chromate(3

-),sodium

824299-51-1      

물질유형별로 대상물질을 정리하면 Table 2-23과 같다.

- 66 -

Table 2-23. 물질유형별 대상물질 종수

지침번호 물질유형 대상물질 종수

GUIDE 112 폭발성 물질 히드록실 아민, 1종

GUIDE 115 가스_인화성(냉동액체포함) 염화메틸, 염화에틸 등 2종

GUIDE 116 가스_인화성(불안정성) 염화비닐, 1종

GUIDE 119 가스_독성_인화성 산화에틸렌 등 2종

GUIDE 125 가스_부식성 암모니아, 염화시안 등 5종

GUIDE 127 인화성액체(극성/물과 섞이는) 메틸에틸케톤 등 2종

GUIDE 129 인화성액체(극성/물과 섞이는/독성) 아세트산 에틸, 1종

GUIDE 130 인화성액체(비극성/물과 섞이지 않는/독성)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3종

GUIDE 131 인화성액체(독성) 메틸알코올 등 13종

GUIDE 132 인화성액체(부식성) 푸르푸랄, 1종

GUIDE 133 인화성고체 브로노폴, 1종

GUIDE 136 물질_자연발화성_독성(공기와 반응성) 백린, 1종

GUIDE 137 물질_물과 반응성_부식성 발연황산, 삼염화인 등 11종

GUIDE 138 물질_물과 반응성(가연성 가스 방출) 나트륨, 1종

GUIDE 140 산화제 염소산 염류, 무기은 염류 등 4종

GUIDE 143 산화제_불안정한 것 아염소산 나트륨, 1종

GUIDE 146 유기과산화물(열과 이물질, 마찰에 민감) 벤질퍼옥사이드, 1종

GUIDE 151 물질_독성(비가연성) 톨루엔디아민 등 27종

GUIDE 152 물질_독성(가연성) 니트로벤젠 등 5종

GUIDE 153 물질_독성 및/또는 부식성(가연성) 크레졸 등 25종

GUIDE 154 물질_독성 및/또는 부식성(비가연성) 브롬, 플루오르화나트륨 등 37종

GUIDE 156물질_독성 및/또는 부식성(가연성, 수분에

민감)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등 4종

GUIDE 157물질_독성 및/또는 부식성(비가연성, 수분

에 반응성)시안화칼륨 등 5종

GUIDE 159 물질(자극성) 산화니켈 등 6종

GUIDE 171 물질(저∼중급 유해성) 트리페닐 인 등 17종

GUIDE 140, 143 (함량에 따라) 과산화수소

GUIDE 133, 151,

141,156(물질에 따라) 납 화합물

GUIDE 123, 153 (함량에 따라) 히드라진

GUIDE 125, 154 (성상에 따라) 브롬화수소

GUIDE 151, 174 (성상에 따라) 수은

- 67 -

3.2 업종/규모별 특성을 반영한 비상대응계획 개발

관계법령에 따라 사고예방계획의 적용을 받지 않는 사업장의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업장 초동대응 지침과 비상대응계획 모델을 제시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비상대응계획”과 “초동대응 지침”의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가. 용어의 정의

(1) 비상대응계획

본 연구의 “비상대응계획”은 관계법령의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사고에 취약한 유해화학물

질 취급 사업장에 적용하는 사고예방 및 방제계획으로 사고예방계획과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

된다.

(2) 초동대응 지침

초동대응 지침은 비상대응계획의 핵심 구성요소의 하나로 사고대응의 필수요소를 식별하고 유독

물 취급 사업장의 취약 업종별 및 규모를 고려하여 적용수준을 결정한 것이다.

나. 소규모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특성

(1) 구미 무수불산 누출사고 교훈

구미 불산 사고에 대한 많은 교훈 중에서 환경부가 최근 발표한 휴브 글로벌 사업장에 대

한 교훈을 보면 다음과 같다. 교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첫째,「신속하고 유효한 대응조치」가 핵심이다. 둘째, 다음으로 신속하고 유효한

대응조치의 첫 번째 행동이 사고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누출의 진원지(Source)를 찾는 것이

다. 사고 발생원을 찾는 과정에서 「정확한 공정 및 시설 배치도, 배관도 등의 정보」가 필요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사고물질의 주변으로의 확산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2-3중의 안전장치의 설치」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68 -

Table 2-24. 구미 무수불산 누출사고 화학안전의 교훈(2013.9.24. 환경부)

□ 화학 사고는 폭발적 분출로 짧은 시간에 큰 피해가 발생하므로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사고시 신속하고도 유효한 대응 조치 필요

□ 사고로 가는 연결 고리 중 하나라도 갖추어졌다면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

ㅇ 편의성만을 고려한 설비(1자형 밸브)

ㅇ 작업자 안전수칙 미 준수(작업 순서, 보호장구)

ㅇ 대응 기관의 콘트롤 타워 부재로 일사 분란한 대응 실패

ㅇ 시설·구조 미 파악(밸브 위치를 찾는데 만 6시간 소요)

ㅇ 위험시설에 인접한 주거지역

ㅇ 주민대피 과정에서의 혼선

ㅇ 부족한 보호 구(대응인력 150명, 보호 장구 8개)

※ 2중·3중의 안전장치 구축 및 사고 발생시 신속·일사 분란한 대응체계 개선 필요

(2) 정부합동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전수조사 결과

2013년 정부합동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전수조사 결과(2013.7.13)에서 화학사고의 취약성

이 높은 취급사업장의 특징은 첫째, 사업장 인원이 소규모이며, 둘째, 유해화학물질을 만드는

제조업이 아니라 사용업과 셋째, 완성된 유독물을 판매하는 취급 사업장이 특히 취약하다는

점이다. 이들 사업장의 주요 특징은 첫째, 인력구조의 제한으로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에 대

한 역량이 제한되며, 둘째, 낙후되고 노후 된 취급시설로 인한 누출사고 위험이 높으며, 셋째,

영세성으로 인해 투자가 제한되어 방호 및 안전수단의 확보가 어려운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작은 화학사고도 대형사고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고, 넷째, 사고발생시 사고현장의 신속대응

및 통제가 불가능하며 다섯째, 현장대응 통제능력이 제한됨에 따라 유해화학물질의 주변 확산

에 대한 주민보호 조치가 취약한 특성이 있다.

다. 비상대응계획 구성요소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비상대응계획은 취급정보, 비상대응정보, 비상대응지침, 사업장

초동대응지침 등의 4개의 요소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앞에서 연구되었던 유해화학물질의 취

급정보, 비상대응정보, 물질유형별 대응지침 자료를 기초로 하고 유독물 취급 사업장의 형편

에 맞게 초동대응 지침을 작성함으로서 비상대응계획이 완성된다.

- 69 -

Table 2-25. 유독물 취급 사업장 비상대응계획 구성

1. 취급정보 → 2.비상대응정보 → 3.비상대응지침 →4.사업장

초동대응지침

취급시설 및 취급물질 정보

긴급대응정보 Sheet

물질유형별 대응지침 연계

수준별 지침비상대응계획

(1) 초동대응 지침 구성요소 선정

본 연구의 비상대응계획을 개발하는 목표는 유독물 사업장에 사고에 대비한 업종별/규모별

초기 안전조치 및 현장 통제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초

동대응지침의 핵심 구성요소를 식별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요소를 식별하는 기준으로 현재 유

해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해 유독물 취급 사업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자체방제계획서 포함내용을 사용

하였다.

Table 2-26. 자체방제계획서 포함내용

구분유해성자료

방제시설장비현황

안전관리조직 구성도

사고 응급조치 계획

피해범위판단소산계획

안전관리필요사항

내용 - -

ž안전관리조직(평시)ž비상통제조직 편성ž임무/업무분장ž경보결정 책임자ž경보전파 책임자

ž조기경보전파체제ž방재안전작업 대책ž피해규모단계별조치 ž방재도로확보/ 통제ž방재상황홍보 방법ž환자후송/ 주민대피

ž피해지역 범위ž경보발령방법ž주민대피ž소산계획ž협력방안

ž안전점검조치 ž대기토양오염방지ž안전교육, 훈련ž외부침입방지대책

자체방제계획서는 크게 6개 분야에 21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서화된 사고예방 및

방제계획이다. 따라서 이 문서체계를 시행하려면 많은 자원과 전문인력이 소요된다. 그러나

영세한 소규모 유독물 취급 사업장은 모두 구성 항목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므로

소규모 사업장의 형편에 맞게 초동대응 지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항목 선정이 필요하였다. 자체

방제계획서의 21개 항목 중에서 초동대응 지침의 통제 모델의 구성 요소로 5개 항목을 제시하였

다. 항목 선정 시는 대상 사업장의 환경적인 취약성, 수용능력의 제한성, 현장 작동성과 실행

가능성, 현장 적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였다.

- 70 -

Ÿ 소규모 사업장 특성을 반영한 안전관리 조직의 운영Ÿ 비상시 사고전파/연락 체계Ÿ 응급대응(조치)요령/ 계획Ÿ 긴급 현장통제체제Ÿ 사고 초기대응기관의 지원

(2) 각 구성요소의 세부내용

사업장 초기대응 지침 각 구성요소의 세부내용은 Table 2-27과 같다.

(가) 안전관리조직 운영

안전관리조직에는 사고 발생시의 비상조직의 구성(편성)과 사업장의 공정 가동중지 결정권자

와 경보결정 및 전파 책임자 등이 포함된다.

Table 2-27. 초동대응지침 구성요소의 세부내용

구 분(구성요소) 세부내용

안전관리조직운영 ž 사고발생시 비상조직 구성 ž 가동중지결정권자 ž 경보발령/전파책임자

비상연락/전파체제

ž 비상연락망 (회사 및 사업장 내부 /인근 사업장/ 지역사회 및

대응ž지원기관 )

ž 경보전파체계도(음향. 방송. SNS. 자동경보장치 등 )

긴급현장통제체제ž 초기이격 및 방호거리 ž 피해예상지역범위 ž 안전 대피지역(시설)운영

ž 종사자 대피로 지정

응급조치절차(계획)ž 사업장 사고형태별 현장응급대응조치절차(화재. 폭발. 누출. 차량이송)

ž 현장 사상자 응급조치절차

대응기관 지원 ž 초기사고대응기관 현장 대응지원(상황연락. 안내. 진입. 사고현장정보)

특히 사고발생 시에 적용하기 위한 비상대응조직은 조직편성을 최소화하여 현장조치 팀과 지

원팀으로 구성되며 인원과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단순임무를 명확히 부여한다. 현장조

치 팀의 임무수행 범위는 사고현장에서 방제․소방 및 사업장 운전조치 통제 등이며, 구성인원

은 사업장 현장인원 (종사자)위주로 편성하되 임무 우선순위는 ① 운전조치통제, ② 소방, ③

방제 순이다.

지원팀의 임무수행범위는 사고현장의 현장대응을 용이하게 하고 상황을 조기에 종결하도록

- 71 -

하는 지원임무를 수행하며 경비․연락 및 인명구조․의료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편성은 행정인원

으로 구성하되 임무우선순위는 ① 인명구조, ② 연락체제유지, ③ 의료지원, ④ 경비지원 순이

다.

(나) 비상연락 및 경보전파체제

화학사고의 피해확산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은 사고발생 직후에 가장 빠르고 신속한

방법으로 경보를 전파하고 사고 대응관련 조직 및 기관, 부서에 비상연락을 전파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핵심사항은 비상 연락망과 사고발생 경보전파체제이다. 임무우선순위는 ① 경보전

파이며 ② 비상연락이다. 경보전파체계의 구성은 음향(타종, 사이렌), 방송, 감지장비의 경보음

등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신속히 사업장 내에 경보사각지대가 없도록 전파체제를 구축한다.

이때 화재와 화학사고(누출, 폭발)는 음원을 달리 규정하여 사업장 내 인원이 상황식별을 쉽

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경보의 인식을 통한 상황의 파악은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지 않으

므로 평상시에 반드시 경보음을 구분할 수 있는 교육훈련이 사업장내에서 주기적으로 이루

어져야 한다.

비상연락망 체제의 구성은 ① 회사 및 사업장 내부, ② 사업장 인근 사업장, ③ 초기 대응

기관 및 지원기관 순으로 비상연락망을 구성한다. 회사 및 사업장 내부연락망의 우선순위는

① 안전관리조직의 책임자 또는 가동중지 및 경보발령권자이며 ② 다음은 비상대응조직인 현

장조치 팀과 지원팀이다. 사업장 주변의 비상연락망 대상의 우선순위는 ① 사고 사업장과 인

접해 있고 사고 영향거리 내에 있는 주변 사업장과 ② 사업장이 속해 있는 지역 동사무소 이

다. 화학 사고를 초동 대응하는 초기 대응기관인 유역(지방)환경청, 인근 화학소방서 및 합동

방재센터 등의 연락망을 구성해야 하고 지원기관으로 시군구청과 관할공단의 연락망을 포함

한다.

(다) 긴급 현장통제 체제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내에서 화학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접 사업장 및 주변지역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고현장의 긴급 현장통제 대책과 절차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사업장이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할 사항은 해당 사업장이 취급하는 유해물질의 초기이

격거리 및 방호거리의 식별, 대규모누출(200ℓ 이상)과 소규모누출(200ℓ 이하)에서의 피해영향

범위의 예측, 그리고 안전 대피지역(장소, 시설)의 지정과 종업원의 대피로 지정 등이 준비되어

야 한다. 사업장이 취급하는 유해물질의 초기이격거리 및 방호거리, 대규모 누출과 소규모

누출의 피해범위는 앞에서 연구한 물질유형별 대응지침에서 식별할 수 있다. 대피지역 또는

대피시설의 지정은 기상과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사업장 지역의 계절별 평균 주 풍향을 확인

- 72 -

하여 피해영향범위 밖에 설치하고 실시간 주 풍향을 식별할 수 있는 수단(예: 풍향계)을 설치

해야 한다.

(라) 응급조치절차(모델)

긴급 현장통제 체제가 사고현장의 외부 긴급대응이라면 응급조치절차는 사업장의 사고현장

내부에 대한 사고 긴급대응조치라고 할 수 있다. 응급조치절차는 사고유형에 대한 응급조치절

차와 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상자에 대한 응급조치절차가 구분된다. 사고유형에 대한 응급조치

절차는 누출, 폭발 및 화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장 응급조치절차에는 사고초기에 사업장

에서 현장인원에 의해 대형사고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2-3중의 자체 안전장치 또는 시

스템을 가동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하며, 안전장치 및 시스템의 가동절차가 필수적으로 포

함되어야 한다. 또한 현장 응급조치절차는 취급 화학물질별 및 유해·위험요인별로 특성과 차

이가 있으므로 일반적인 현장 응급조치 모델을 기초로 사업장마다 특성과 사고발생 환경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장 사상자에 대한 응급조치는 현장에서의 생명보존과 피해 최소화

를 위한 응급처치와 의료후송을 위한 준비절차이다. 필수준비사항은 해당 취급 유해물질에 대

한 누출, 폭발 및 화재로 인한 피부오염, 흡입, 눈에 침투 및 취식의 경우에 대한 응급처치요

령이 준비되어야 하며 필요한 약품(제독제)이 준비되어야 한다.

(마) 초기 대응기관 지원

화학사고 현장의 상황을 조기에 종료하기 위해서는 초기 대응기관의 신속한 현장진입과 사

고대응여건의 구비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초기대응기관은 사고 사업장에 대한 정보가 단시간

내에 필요하게 된다. 초기대응기관이 사고 시에 필요한 현장의 필수사항은 현장의 진입안내

정보, 사고현장정보, 추가적 사업장의 정보이며 이들을 획득할 수 있는 연락창구가 필요하다.

특히 핵심적인 사고현장 정보로는 사업장의 시설배치도, 공정도, 보관ž 저장ž취급시설의 상

세도(사진) 및 급수원의 위치 그리고 인근 사업장의 위험시설·설비 현황 등이 있다.

라. 대응지침 수행형태 결정 고려요소

최적의 초동대응지침의 모델은 취급 사업장의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는 먼저 주요 결정요소를 식별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결정짓는 요소로 아래 사항들

을 고려하였다.

- 73 -

(1) 사고예방제도 적용여부

사업장 초동대응지침을 적용하는 첫 번째 기준은 유독물 취급 사업장이 법에 의하여 사고예

방제인 자체방제계획서, PSM, SMS, 예방규정 등을 적용받는지 유무이다. 현재 유해화학물질관

리법 제38조 내지 제39조에 의해 사고대비물질을 일정기준 이상 취급하는 자는 취급물질의

유해성정보, 방제장비 및 물자현황, 비상시 피해예측범위 등을 포함하는 자체방제계획서를 작

성·제출토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용받는 유독물 취급 사업장은 본 초동대응 지침을 적

용받는 비상대응계획 작성 대상에서 제외된다. 마찬가지로 타법에서 유사한 사고예방제도를 적

용받는 아래와 같은 유독물 취급 사업장도 본 초동대응지침을 적용받는 비상대응계획 작성

대상에서 제외된다.

Ÿ「산업안전보건법」:제49조의2의 규정에 의한 공정안전보고서(PSM)를 제출한 자Ÿ「고압가스 안전관리법」:제11조의 규정에 따른 안전관리규정 또는 동법 제13조의 2의 규정에 따른 안전성향상계획(SMS)을 제출한 자Ÿ「위험물 안전관리법」:제17조의 규정에 따른 예방규정을 제출한 자

(2) 유독물 취급시설의 보유여부

「유해화학물질관리법」제20조제1항의 규정에 따라 유독물 판매업의 등록을 한 자 중 취급

시설이 없이 판매를 알선하는 자는 비상대응계획 작성내용을 간략화 하도록 해야 한다. 취급

시설이 없다는 것은 화학사고의 원인이 되는 화학물질을 평시 보관하고 있지 않는 것이므로

사고 위험도가 현저히 낮다고 볼 수 있다.

(3) 안전관리조직의 보유 여부

2013년 정부합동 유독물 취급 사업장 전수조사 결과를 보면 아래 표에서와 같이 업체 규모별

로는 화학물질을 취급량이 많은 업체 일수록 관리가 우수하며, 1,000톤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

이 대규모 사업장보다 3배 이상 사고에 취약함을 알 수 있다〈그림 2-13〉. 이와 같이 대규모

취급 사업장이 사고의 취약요인이 낮은 이유는 방제계획을 수립 및 추진할 수 있는 안전관리

조직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동대응 지침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안전관리

조직을 유독물 취급 사업장이 보유하고 있는가의 여부가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어야 한다.

- 74 -

구 분(방제계획)

유독물 취급 규모비고(%)1,000 톤

이하10,000 톤

이상관리자 선임 3.1 0.5 16비상연락망 13.0 5.4 42안전교육 9.7 3.3 34방제계획 작성

0.9 0.3 33

안전점검 15.3 3.6 24보호

장구확보22.2 6.1 27

계 10.7 3.2 30

Fig. 2-13. 유독물 취급 사업장 규모에 따른 취약성 비교

유독물 취급 사업장의 안전관리조직 보유 유무에 따른 초동대응 지침의 수준 적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고예방제도의 적용대상 사업장은 기 계획된 자체방제계획서와 같은 사고

예방계획을 적용한다. 안전관리조직이 있지만 사고예방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는 사업장은 앞

에서 초동대응 지침 구성요소로서 도출한 안전관리 조직의 구성, 비상연락체계, 긴급현장통제

(안전조치), 응급대응 조치, 대응기관 지원 등이 포함된 비상대응계획을 개발하여 적용한다.

안전관리조직이 없는 경우는 현장요원 중심으로 대응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필수적인 행동절차

로 구성된 사고보고/전파체계, 긴급현장통제(안전조치) 및 응급대응조치 등을 포함된 초동대응

지침 수준을 개발하여 적용한다.

Ÿ 안전관리 조직이 있는 경우

* 사고예방제도 대상 사업장 : 기 계획된 자체방제계획 적용

* 사고예방제도 미 대상 사업장 : 비상대응계획 적용

: 안전관리 조직의 구성, 비상연락체계, 긴급현장통제(안전조치),응급대응조치, 대응기관 지원 등이 포함된 비상대응계획 개발

Ÿ 안전관리 조직이 없는 경우: 제한된 비상대응계획 적용

: 사고보고/전파체계, 긴급현장통제(안전조치), 응급대응조치 등을 포함

여기에서 안전관리조직이라 함은 사업장의 조직도 속에 정식으로 편성된 안전관리 전담조

직을 말하며 전문 안전관리 자격증을 가진 자 또는 이와 유사한 경력을 가진 안전관리 책임

자를 별도로 운영하는 사업장을 말한다.

- 75 -

마. 초동대응 지침 수행형태

초동대응 지침 수행형태를 ⅠžⅡžⅢ 등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초동대응지침 수준 결

정은 1단계로, 사고예방제도 적용 사업장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적용받지 않을 경우, 2단계로

유독물 취급시설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초

동대응지침 수준Ⅰ”을 수행한다. 또한 사업장이 취급시설을 보유하고 있다면 3단계로 사업장

에 안전관리 조직이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적용한다. 이때 안전관리 조직이 없다면

“초동대응지침 수준Ⅱ”을 적용하고 안전관리 조직이 사업장에 편성 운영되고 있다면 “초

동대응지침 수준Ⅲ”을 적용한다.

m 수준-Ⅰ

초동대응지침의 수준-Ⅰ을 적용하는 사업장의 성격은 취급시설이 없는 사고위험과 취약성

이 낮은 그룹에 속하므로 최소한의 대응지침을 적용한다. 따라서 “비상연락체계와 현장응급

조치 절차”만을 적용한다.

m 수준-Ⅱ

초동대응지침의 수준-Ⅱ을 적용하는 사업장은 유해물질 취급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나 안전

관리조직이 없는 사업장이므로 사업장의 화학사고 위험성이 높고 현장대응 능력에는 한계가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험성을 고려하여 보다 증가된 대응지침의 수준을 적용한

다. 초동대응지침의 수준-Ⅰ에 추가하여 현장대응 및 통제의 취약성을 보강하기 위한 “긴급

현장통제 절차”를 적용한다.

m 수준-Ⅲ

초동대응지침의 수준-Ⅲ을 적용하는 사업장의 성격은 수준-Ⅱ와 위험정도는 동일하나 안전관

리조직으로 인한 대응역량을 충분히 보유한 사업장이다. 따라서 안전관리조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안전관리조직 운영”과 현장응급조치절차를 확대한 “현장 응급대응조치” 및 사고발

생시 사업장에 출동하는 “초기 대응기관의 지원”에 관한 사항을 초동대응지침 수준-Ⅱ에

추가하여 적용한다.

- 76 -

Fig. 2-14. 초동대응 지침 수행형태 결정 알고리즘

Table 2-28. 초동대응지침 수행형태별 세부내용

구 분 수준-Ⅰ 수준-Ⅱ 수준-Ⅲ

초동대응지침

세부내용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긴급현장통제

Ÿ 안전관리조직운영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긴급현장통제

Ÿ 대응기관지원

바. 비상대응계획 수준별 구성요소

유독물 사업장의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대응계획은 취급정보, 비상대응정보, 비상대응지침,

사업장 초동대응지침으로 구성하였다. 비상대응정보에는 비상정보 sheet가 포함되며, 비상대

응지침은 물질유형별 대응지침이 포함된다. 사업장 초동대응 지침에 따라 수준 Ⅰ, Ⅱ, Ⅲ으로

구분할 수 있다 [Table 2-29].

- 77 -

Table 2-29. 사업장 비상대응계획 수준별 구성요소

구 분 수준-Ⅰ 수준-Ⅱ 수준-Ⅲ

취급정보Ÿ 취급업체 정보

Ÿ 물질 취급정보

Ÿ 취급업체 정보

Ÿ 물질 취급정보

Ÿ 취급업체 정보

Ÿ 물질 취급정보

비상대응정보 Ÿ 긴급대응정보 Ÿ 긴급대응정보 Ÿ 긴급대응정보

비상대응지침 Ÿ 물질 유형별 대응지침 Ÿ 물질 유형별 대응지침 Ÿ 물질 유형별 대응지침

대응지침

(사업장)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긴급현장통제

Ÿ 안전관리조직운영

Ÿ 비상연락체계

Ÿ 응급대응조치

Ÿ 긴급현장통제

Ÿ 대응기관지원

3.3 초동대응 지침 개발 예시

안전관리 조직이 있고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유해물질 취급시설을 보유한 사업장이 비상대응

계획 개발 예시를 제시하였다. 우선 위험성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을 식별하고, 초동대응 지침 작

성시 고려사항을 도출한다.

가. 초동대응 지침 작성 고려사항

m 화학사고의 유형은 심각한 누출사고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누출사고의 유해

위험 요인을 신속히 감소시키기 위한 초동대응 조치 지침이 개발되고 세부지침 항목들이 구

성되어야 한다.

m 수행형태를 결정하면 초동대응지침 수준-Ⅲ을 적용받는 사업장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초동대응지침의 5개 구성요소를 모두 적용받는다.

m 초동대응지침 구성요소를 취급물질인 암모니아에 대한 위험요인 제거와 사고대응에 초

점을 맞추어 작성한다.

m 초기대응지침 구성요소 중「초기 대응기관 지원」의 대응지침 작성의 예를 보면, 환경부

의 구미 무수불산 누출사고 교훈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불산 저장탱크 밸브를 찾는데 6시

간이 소요”되어 누출사고가 확대되었음으로 초기 대응기관이 사고 현장에 도착하여 사고 초

- 78 -

기에 정확한 누출 원을 찾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유독물 취급 사업장의 사고 확산

을 막는 1차적인 현장대응지침은 누출 원(Source)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초기대응기관에게 제

공하는 것이다. 이를 고려한 아래와 같이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3가지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Ÿ 시설배치 및 공정도(암모니아 저장탱크 위치 표시)Ÿ 저장탱크의 세부 사진자료Ÿ 저장탱크의 상세 구조도

m 초기대응지침 구성요소 중「현장응급조치 작성의 예를 보면, 환경부의 구미 무수불산 사

고의 교훈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안전작업순서 및 안전수칙 미 준수, 보호 장구 부족 및

2-3중 안전장치 미 구축으로 현장대응체제 미가동”되어 누출사고가 확대되었으며, 외부의 초

기대응기관이 현장도착 전에 화학사고 초기에 현장 종사자에 의한 현장 응급조치가 중요하다.

따라서 사고 현장에 있는 종사자 생존해야 하며 현장요원에 의한 1차적인 누출사고에 대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지고 이어서 2차적으로 사업장의 현장대응조직(현장조치 팀)이 가동되어야

한다. 1.2차의 현장 응급조치절차에는 사업장에서 개발한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화학사고 확산

방지목적의 안전장치 또는 시스템의 가동이 포함되어야 한다. 현장조치 팀에 의한 현장 응급

대응에는 누출원(Source)에 대한 방제(제독)절차가 포함되어야 하고 제독제가 유해위험요인 위

치에 인접해 있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아래의 내용이 사전준비 되어야 한다.

Ÿ 유해위험요소에 대한 안전장구 비치Ÿ 유해위험요소에 대한 방제약품(제독제) 비치Ÿ 현장요원(최초 발견자) 응급조치 절차Ÿ 현장대응조직(현장조치 팀) 초기대응 절차

m 초기대응지침 구성요소 중「안전관리조직 운영」은 소규모 취급사업장에서 누출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초기대응조직의 가동과 응급조치활동은 사고확대를 방지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욱이 사고 현장의 인원 또는 최초 발견자가 대응지연으로 현장에서 사망했을

경우에 사업장의 현장조치 팀의 역할은 더욱 중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화학사고시 안전관리조

직인 현장조치 팀은 사고현장을 처리할 수 있는 경험이 있는 인원과 안전관리책임자 및 시설

장비의 관리자가 참여해야 한다. 현장대응조치 팀은 시설장비의 가동중지의 결정권한과 안전

장치의 가동 및 현장응급조치 기술을 숙달해야하고 방호장비를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지급

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고려한 아래와 같이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다음 사항을 준비해야

한다.

- 79 -

Ÿ 현장조치 팀과 지원 팀의 편성Ÿ 현장 응급조치 임무 부여/ 연락망 구성Ÿ 방호장비 지급Ÿ 현장응급조치 매뉴얼(숙달)

나. 현장 응급대응 조치모델

화학사고 발생시에 사고를 신속히 대응하고 조기에 피해를 최소화 한 가운데 사고를 종결

하기 위한 사고 통제 및 대응개념은 아래 그림과 같이 2개의 트랙으로 진행된다. 1개 트랙은

사업장내의 사고 현장에서 진행되는「현장대응」트랙이며 다른 하나는 사업장을 벗어난 유해

물질에 의한 피해에 대응하는「주민보호」트랙이다. 현장대응과 주민보호의 화학사고 통제 및

대응개념은 현장대응의 선진행과 거의 동시에 병행하여 진행되며, 두 트랙은 상호 긴밀한 관

계 속에서 영향을 주며 진행된다. 따라서 현장대응의 성공적인 대응은 곧바로 주민보호와 연

계되어 피해발생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선제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Fig. 2-15. 화학사고 통제 및 대응 개념도

사고 현장에서 진행되는 사고통제 및 대응활동은 Fig. 2-15에서와 같이 ① 경보. 대피, ②

초기대응1(차단, 탐지, 샘플링), ③ 초기대응2(통제, 구난구조), ④ 방제(제독), ⑤ 사후관리(해

제, 복구, 모니터링)의 5단계로 진행된다.

이들 5 단계의 사고 대응활동은 사업장 자체의 초기대응조직에 의한 현장 응급조치 내용과 외부에

- 80 -

서 지원되는 초기 대응기관에 의해서 지원되는 현장대응의 2가지 대응개념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사업장 자체에서 사고시 운영되는 자체 비상대응조직인 현장조치 팀이 외부

초기대응 팀이 도착 전까지 수행하는 현장응급조치 절차를 기술한다.

암모니아 취급 사업장에서 암모니아 주 저장탱크의 이송밸브 파열에 따른 누출사고에 대한

현장응급대응 조치모델의 예는 아래의 표와 같다. 모델은 화학사고 현장대응개념에 의한 5단

계 절차에 의해 각 단계별 최초 발견자로부터 사업장의 비상대응조직의 대응절차와 능력 초

과 시에 외부로부터 지원되는 초기대응조직에 의한 대응절차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

업장 내부와 외부에 경보전파 시기와 사상자 구호 및 방제 등으로 대응활동을 수행하는데 있

어서 요구되는 사고현장에 있어야 할 (준비) 필수소요 대응물자·장비를 표시하였다. 현장 응

급조치 모델의 용도는 사업장의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 결과로 식별된 주요 유해위험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초동대응지침을 개발하여 사업장의 비상대응계획의 실효성을 증

대시키는데 있다.

현장 응급대응조치모델의 적용은 취급 사업장에 있어서 화학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

한 도상훈련(War-game)의 성격을 갖는다. 사업장의 안전관리 책임자는 사업장의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결과로 식별된 모든 공정상의 주요 유해위험요인을 현장 응급조치모델의 틀

속에 넣어 사고대응을 위한 대응절차를 식별한다. 다음 도출된 결과를 초동대응지침에 반영하

고 이를 훈련과 교육을 통해 사업장내의 유해위험요인의 위치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이 사고발

생시 적용하도록 숙달시켜야 한다.

- 81 -

상 황

q 암모니아 저장탱크의 이송장치부분 밸브 파열 Ÿ 가스누출 발생 Ÿ 유해위험요인 식별 번호(10-1) Ÿ 저장량: 2,000KG Ÿ 밸브:30mm(D) Ÿ 안전장치: 있음(차단밸브) Ÿ 가스 탐지기(고정): 없음

구 분 응급대응조치절차 현장 준비(w사업장) 초동대응지침

경보/

대피

(최초발

견자)

Ÿ 방독면. 보호장비

Ÿ 비상벨. 인터폰

Ÿ 풍향계

Ÿ 비상연락망(사내)

Ÿ 경보발령/전파체제

초기대응

1

(최초

발견자)

Ÿ 방제약품(제독제).

흡착포 /제

Ÿ 제독기(현장용)

w 대피소

(사업장 내/ 외부)

Ÿ 안전관리조직운영

(비상대응조직)

Ÿ 현장응급대응조치

Ÿ 경보발령 전파체제

초기대응

2

(현장대

응 팀/

초기대응

팀)

w 현장대응 조치 팀

w 지원팀

Ÿ 긴급현장통제체제

Ÿ 안전관리조직운영

Ÿ 대응기관지원

방제

(제독)

w 현장대응 조치 팀

w 지원팀

Ÿ 대응기관지원

Ÿ 안전관리조직운영

사후

관리

w 현장대응 조치 팀

w 지원팀

Ÿ 경보발령/전파체제

Ÿ 대응기관지원

Fig. 2-16. 화학사고 현장 초기 응급조치 모델(누출: 예)

- 82 -

다. 초기대응 지침(예시)

(1) 비상연락망/경보전파체제

구 분 비상대응계획 내용

초기대응지침

수준

(Ⅰ)

Fig. 2-17. 비상연락망/경보전파체계 예시

(2) 긴급현장통제 체제

구 분 비상대응계획 내용

초기대응지침

수준

(Ⅰ)

Fig. 2-18. 긴급현장통제 체제 예시

- 83 -

(3) 현장 응급조치(모델)

구 분 비상대응계획 내용

초기대응지침

수준

(Ⅱ)

Fig. 2-19. 현장 응급조치 모델 예시

- 84 -

(4) 대응기관 지원

구 분 비상대응계획 내용

초기대응지침

수준

(Ⅲ)

Fig. 2-20. 대응기관 지원 예시

- 85 -

(5) 안전관리조직

구 분 비상대응계획 내용

초기대응지침

수준

(Ⅲ)

Fig. 2-21. 안전관리조직 예시

- 86 -

Ⅲ.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1. CARIS 시스템 운영 현황 및 문제점

1.1 CARIS 시스템 도입경과

CARIS는 2001년 2002월드컵을 앞두고 정부에서 주최한 테러대비정부종합대책회의에서 유해

화학물질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이슈화 되면서 그 필요성이 언급되었으며 화학테러 관련정보

를 제공하는 전담기구를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고 결론지어졌다.

이상의 결과로 2001년 11월 국립환경과학원내 유해화학물질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화학물

질안전센터가 설립되었으며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화학물질안전센터는 2002년 3월 화학물질사고 발생 시 사고 대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

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이하 CARIS) 개

발에 착수하였다.

CARIS는 2005년 4월 까지 총 3년에 걸쳐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2005년부터 화학물질안전센

터와 사고대응 유관기관에 배포되어 사용이 시작되었다.

CARIS는 2009년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보안 관련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2010년 취급업체 관

련 보안 강화를 위한 업데이트를 수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취급업체 정보가 암호화 되어 관리

되고 있다.

CARIS는 2011년 위험성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화재, 폭발, 확산에 대한

평가 범위를 대폭 확대하여 보다 많은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지원할 수 있게 되었

다.

CARIS는 매년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통해 기상모델 등 일부 요소를 업그레이드 하였으며 취

급업체 정보와 화학물질 정보를 강화하여 현재는 7700여개의 취급업체 정보와 1600여종의 화

학물질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87 -

Fig. 3-1. CARIS 개발 배경 및 도입 경과

1.2 CARIS 시스템 기능 현황

CARIS는 GIS를 기반으로 한 사고대응 정보시스템으로 크게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3-1. CARIS 구성요소

CARIS 구성요소 설명

사고대응정보사고대응에 필요한 화학물질정보, 취급업체 정보 등

의 데이터베이스

위험성평가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확산 결과의

피해범위 예측

사고대응마법사사고대응정보와 위험성평가에 의한 사고 대응 정보

제공 및 보고서 생성

상세확산평가 기상장 생성을 통한 상세한 확산 평가

CARIS는 이상과 같은 기능을 통해 화학물질안전 센터 혹은 사고대응 유관기관에서 화학사고

의 예방 및 사고대응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 88 -

Fig. 3-2. CARIS 구성요소

가. CARIS 전자지도 현황

CARIS는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대부분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CARIS에

구축된 전자지도는 사용자 PC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방식의 전형적인 Client/Server 기반 전자

지도이다.

CARIS에 구축된 전자지도는 벡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된 전자지도로 600Mbyte이내의

비교적 적은 데이터로 전국을 모두 표현 할 수 있으며 수백 배의 축척을 조절할 수 있는 고

성능 GIS이다.

CARIS에 구축된 전자지도는 확대, 축소, 이동, 거리재기, 면적재기, 건물 3D보기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외부에서 지도위에 임의의 도형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높은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CARIS에 구축된 전자지도는 내장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지번과 연계되어 지번을 통해 위치

를 추적할 수 있으며 도로정보를 내장하여 원하는 지점까지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 89 -

Fig. 3-3. CARIS 전자지도

나. CARIS 정보 제공 현황

CARIS는 사고대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는 크게 업체 정보와 물

질정보로 구분되어 지며 검색 가능은 업체는 다시 취급업체, 대응기관, 취정수장 등 사고 대

응에 필요한 요소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1) 취급업체 정보

CARIS의 취급업체 정보는 사고대응 시 대응기관이 업체에 필요한 정보를 접근하기 위해 구

축되었다. 취급업체 정보는 업체 주소 및 전화번호와 같은 기본정보와 저장용기, 공정, 유통량

과 같은 상세정보로 구분되어 진다. CARIS는 취급업체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 수집 작업을 통

해 사고대응 시 대응기관이 업체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

- 90 -

Table 3-2. CARIS 취급업체 기본정보

필드 설명

업체명 취급 업체명

대표자 취급업체 대표이사 성명

우편번호 행정 우편 번호

주소 취급업체 주소

관할기관 취급업체 행정 관할 구역

사업자등록번호 취급업체 사업자 등록번호

업종분류 제조업, 서비스업등 업종 분류

대표전화 대표 전화

FAX 대표 팩스 번호

주간비상연락망 비상시 주간연락처

야간비상연락망 비상시 야간연락처

관리담당자명 안전관리 담당자 성명

관리 담당자 전화번호 안전관리 담당자 전화번호

관리 담당자 E-Mail 안전관리 담당자 이메일

허가등록구분 판매업등의 업체 허가 구분

자체방재대상여부 자체방재 법규

자체방재수립여부 자체방재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지에 여부

취급업체는 유해화학물질을 대부분 저장탱크에 저장하기 때문에 현 CARIS는 취급업체가 보

유 및 운영하고 있는 저장탱크 정보를 제공한다.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저장탱

크에서 누출로 인해 대부분 사고가 발생하므로 저장탱크 정보는 CARIS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

이며 저장탱크 정보의 물질과 저장 상태 등을 이용하여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때문에 사고

대응 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정보이다.

- 91 -

Table 3-3. CARIS 취급업체 저장탱크 정보

필드 설명

탱크번호 취급 업체 명

저장용기 지름 취급업체 대표이사 성명

저장용기 높이 저장용기 자체의 실제 높이

지표면으로부터 높이 저장용기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

DIKE 여부 저장용기 지표면의 다이크 존재 여부

DIKE 길이 다이크가 존재할 경우 다이크의 직경

저장물질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질

물질성상 저장물질의 상태 (액상, 기상, 포화증기상)

저장위치 구분 저장 탱크의 실내, 실외 배치 여부

평군 저장량(톤) 저장탱크에 평균 저장량

운전온도 저장탱크 저장온도

운전압력 저장탱크 저장 압력

취급업체는 화학물질 누출 시 이에 대한 방재작업 위한 방재물품을 구비하고 있다. CARIS

는 업체의 이러한 방재 물품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응기관이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방재물품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방재물품 정보는 위험성평가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대응

기관의 대응 참고정보로 활용된다.

Table 3-4. CARIS 취급업체 방재물품 정보

필드 설명

장비(약품명) 취급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방재물품 혹은 약품

저장위치 방재물품 위치

저장량 방재물품 수량

구입업체명 방재물품 구입처

방재대상물질 방재물품으로 방재 가능한 물질

- 92 -

취급업체는 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정을 운영하고 있을 수 있으며 화학물질 누출사고는 공정

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취급업체 공정정보는 사고대응에 있어 참고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역시 직접 위험성 평가 등에 직접 사용되지는 않고 참고 정보로만 사용된

다.

Table 3-5. CARIS 취급업체 공정정보

필드 설명

취급공정 공정명

공정개요 공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

잠재위험 해당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의 종류

레이아웃 해당 공정의 2차원 레이아웃

취급업체는 취급하고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유통량을 관리하고 있으며 유통량의 많고 적음

에 따라 다루는 물질의 경중이 달라 질 수 있다. 유통량 정보도 위험성 평가 등에 직접 사용

되지는 않는 참고 정보로 활용된다.

Table 3-6. CARIS 유통량 정보

필드 설명

취급물질명 유통 물질

함량 (%) 유통물질의 순도

주요용도 유통물질의 사용처

제조량 해당 업체에서 생산되는 물질의 연간 수량 (톤)

수입량 해당 업체에서 수입되는 물질의 연간 수량 (톤)

구매량 해당 업체에서 구매되는 물질의 연간 수량 (톤)

이월량 해당 업체에서 이월되는 물질의 연간 수량 (톤)

사용량 해당 업체에서 사용되는 물질의 연간 수량 (톤)

판매량 해당 업체에서 판매되는 물질의 연간 수량 (톤)

재고량 해당 업체에서 남아있는 물질의 수량 (톤)

수출량 해당 업체에서 해외로 수출되는 물질의 수량 (톤)

손실량 해당 업체에서 손실되는 물질의 수량 (톤)

- 93 -

Fig. 3-4. CARIS 취급업체 정보 보기 화면

(2) 대응기관 정보

CARIS에 구축된 대응기관은 총 5개 종류로 구분되어 구축되어 있으며 그 종류는 다음과 같

다.

▪ 경찰서

▪ 병원

▪ 소방서

▪ 지방자체단체

▪ 지원기관

대응기관정보는 연락처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정보로 구축되어

있다.

- 94 -

Table 3-7. CARIS 대응기관 일반정보

필드 설명

대응기관명 대응기관 명

주소 대응기관 행정주소

전화번호 대응기관 대표 전화번호

팩스 대응기관 대표 팩스번호

담당자 대응기관 담당자

CARIS에 구축된 대응기관 중 병원 정보의 경우 화학물질누출사고 대응 시 환자의 이송에

주요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타 대응기관 대비 상세하게 구축되어 있다. 화학물질 사고 대응

시 인근 주변 병원의 정보는 환자의 상태나 수에 따라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되기 때문에

CARIS에서 제공하는 병원 정보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Fig. 3-5. CARIS 병원 상세 정보

- 95 -

(3) 방재물품판매업체 정보

CARIS는 화학사고 대응에 필요한 방재물품을 판매하는 업체 정보를 구축하여 사고대응에

필요한 방재물품을 필요시 구매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고 예방 차원에서의 평소

방재 물품 구비가 목적이며 사고 대응 시에는 필요한 방재 물품을 긴급 조달하는 것을 그 목

적으로 구축되었다. 방재물품 판매업체 정보는 업체의 주소와 전화번호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물품 구분을 통해 해당 판매업체가 어떤 종류의 방재물품을 취급하고 있

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Table 3-8. CARIS 방재물품 판매업체 정보

방재물품구분 설명

방재약품 화학물질 누출 시 방재에 필요한 약품

방재장비 화학물질 누출 시 방재에 필요한 장비

소화장비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비

보호장비 사고대응인원을 보호하기 위한 장비

지원물자 사고대응 지원물자

탐지/분석장비 화학물질을 탐지하거나 분석하기 위한 장비

(4) 화학물질 정보

CARIS는 화학사고 대응에 필요한 방대한 양의 화학물질정보를 구축하고 있다. CARIS가 구

축하고 있는 화학물질정보는 CARIS가 개발 완료된 이후에도 꾸준히 업데이트되어 현재는 5천

여 종에 이르고 있다.

현 CARIS에 구축된 화학물질 정보는 MSDS에 기반을 둔 대응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7개의

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96 -

Table 3-9. CARIS 화학물질 정보

물질정보 구분 설명

명칭화학물질을 식별하는 명칭. 한글명, 영문명, CAS번호,

유사명 등의 물질 명칭

물질기본정보 물질에 대한 기본 정보

물질법규정보 각종 법규에 대한 해당 물질의 대상여부

화학물질 위험

및 위해성 정보RTECS번호, EC번, UN번호등 위험군 분류 번호

화학물질 사고대처

및 방재방법

물질의 일반적인 특성 및 인체 노출 징후 및 방재 요령, 화

재진압요령, 소화제 및 장비, 누출방제요령

누출농도 기준 건강, 화재, 반응, 특수 위험성 지수 및 유해성 기준 값

물리화학적 계산 상수 물질의 공학적 물성치

이상과 같은 7개 대 항목은 다시 다수의 세부 항목으로 구분되어 화학물질 사고대응 시 주

요한 정보로 활용되며 평소 물질에 대한 정보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Fig. 3-6. CARIS 화학물질 정보

- 97 -

(5) CARIS 업체정보 검색 체계

현 CARIS의 업체검색 정보 체계는 업체 구분에 따른 개별 검색과 위치 혹은 행정구역과 같

은 지역에 따른 검색으로 나뉘어 구축되었다. 따라서 화학물질사고 대응 시 사고주변의 관련

업체를 종류별로 한 번에 검색이 가능하다.

CARIS에 구축된 지역기반 업체 검색의 기준은 5개로 상황에 업체를 검색하는 기준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Table 3-10. CARIS 지역기반 검색 분류

검색구분 설명

반경검색 GIS상에 일정 반경 내에 업체를 검색.

산업단지 검색 국내 산업 단지내 업체 검색

행정구역 검색 광역시도 시군구와 같은 행정구역 별 검색

분류별 검색업체의 구분에 따른 검색. 관공서, 학교, 병원 등의

구분으로 검색.

위치 검색GIS상의 특정 위치 상 업체 검색. UTM, TM, 위경도,

군좌표 등의 좌표 사용

- 98 -

다. CARIS 위험성 평가 현황

현 CARIS는 화학물질사고대응을 위해 위험성평가 기능을 구축하고 있다. CARIS에 구축된

위험성 평가는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CPQRA)이론을 기반으로 한 것으

로 유해화학물질이 저장 용기에서 누출되어 사고로 전이되는 현상으로 모사한 이론이다.

CPQRA 이론은 물질모델, 누출모델, 영향모델로 구성되어 있으며 CARIS는 이상의 모델을 일

정 순서로 연동하여 화학사고의 피해범위를 예측한다.

(1) 위험성 평가 절차

현 CARIS에 구축된 위험성평가는 화학물질 누출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피해예측방법으로 4

개의 누출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Table 3-11. CARIS 위험성 평가 대상

누출위치 구분 설명

업체 취급업체, 대응기관, 취정수장 등 업체

지형지물 업체를 제외한 기타 지물

지번 행정상 지번

임의 위치 지도상의 임의 위치

취급업체를 위험평가 대상으로 선정할 경우 해당 업체의 저장탱크 정보를 이용하여 누출물

질 등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업체에서 화학물질이 누출되었을 경우

물질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ARIS의 위험성평가는 누출위치 구분에 상관없이 실제 입력되는 요소는 동일하며 취급업체

를 선택하였을 경우 물질 및 저장량 등에 입력 요소를 자동으로 입력받는 점만 차이가 있다.

현 CARIS는 기상서버와 연계되어 있어 대기안정도, 상대습도, 풍향, 풍속 등의 기상정보를

기상서버와 연동하여 설정할 수 있고 이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기상정보를 직접 입력 할

수도 있다.

- 99 -

Table 3-12. CARIS 위험성 평가 입력 요소

위험성 평가 입력요소 설명

누출물질 누출화학물질

저장량 누출물질 저장용기의 총 저장량

온도 저장용기의 온도

압력 저장용기의 압력

대기안정도 누출시점의 대기 안정도 (A, B, C, D, E, F)

상대습도 누출시점의 상대습도

대기온도 누출시점의 대기온도

풍속 누출시점의 풍속

풍향 누출시점의 풍향

사고 대응 담당자는 사고유형 및 사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위험성 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

록 한다. 현 CARIS는 사고 시나리오 부분에 대해서는 최악의 시나리오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

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든 시나리오 부분을 담당해야 한다.

Table 3-13. CARIS 위험성평가 사고 시나리오 입력 요소

위험성 평가 시나리오 설명

사고유형 용기파열, 용기누출, 파이프 누출등의 누출유형

누출부 직경 용기 누출구멍의 크기

누출부 높이 용기 누출구멍의 용기 바닥으로부터의 높이

파이프직경 파이프 누출일 경우 파이프 직경

누출지점 거리 용기로부터 파이프의 파열된 지점까지의 거리

Fig. 3-7. CARIS 위험성 평가 입력 화면

- 100 -

(2) 위험성 평가 결과

현 CARIS에 구축된 위험성 평가는 CPQRA이론에 기반을 둔 것으로 화재, 폭발, 독성 흡입

에 의한 사람의 피해를 산정한다.

Table 3-14. CARIS 위험성 평가 피해 형태

위험성 평가 피해유형 설명

화재 가연성 물질의 화재에 의한 복사열 피해

폭발 가연성 물질의 폭발에 의한 과압 피해

독성 흡입 독성물질의 대기확산에 의핸 독성 흡입 피해

현 CARIS에 적용된 피해산정 모델은 피해유형에 따른 기준을 정하고 기준에 따른 피해거리

컨투어를 지도상에 표현하여 사고대응 담당자가 피해 범위를 예측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피해유형에 따른 기준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기준에 대한 유연성을 부여 하

였다.

Fig. 3-8. CARIS 위험성 평가 피해기준 설정 화면

(3) 위험성 평가 모델

현 CARIS는 위험성 평가를 모듈화된 계산 모델을 탑재하고 있다. CARIS에 탑재된 위험성

평가 모듈은 화학물질의 물성치를 기반으로 구현된 모델로 미국화학공학회(AIChE: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에서 정립한 모델을 기초로 구현되었다.

- 101 -

위험성 평가 모델에서 사용된 물성치는 DIPPR (Design Institute for Physical Properties)이라

고 명시되는 물성치 데이터베이스로 미국화학공학회에서 실험에 의해 구축한 물성치 데이터

베이스이다. CARIS는 약 1000여종의 DIPPR 물성치를 제공하고 있다.

Table 3-15. CARIS 위험성 평가 구성 모델

위험성 평가 모델 설명

물질모델DIPPR물성치 데이터베이스와 물질이 저장된 온도 압력을 통

해 물질의 누출시점에서의 물성치를 계산한다.

용기모델용기의 저장물질, 저장온도, 저장압력, 용기 모양 등을 통해

저장된 물질의 상태를 결정한다.

누출모델누출구멍의 크기, 누출 타입 등에 의해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결정한다.

영향모델

누출된 화학물질이 사고로 전이됐을 때 피해 범위를 산정한

다. CARIS에 구축된 영향모델은 총 7가지이다.

▪ Fireball (화재)

▪ Poolfire (화재)

▪ Jetfire (화재)

▪ Vapor Cloud Explosion (폭발)

▪ Gaussian Plume (확산)

▪ Gaussian Puff (확산)

▪ SLAB (확산)

CARIS는 물질 모델, 누출모델, 영향모델 총4개의 모델을 순차적으로 연계하여 위험성 평가

를 수행한다. 물질 모델은 DIPPR의 파라미터 형태의 물성치를 온도, 압력에 따른 실제 물성치

로 변환하며 누출모델은 용기에 저장되거나 파이프에서 흘러가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누출되

는 누출률을 계산한다. 영향모델은 누출된 화학물질이 사고로 이어졌을 때의 피해거리를 산정

한다.

(4) 위험성 평가 활용

현 CARIS에 구축된 위험성 평가는 사고 대응 시 피해범위를 예측하여 피해 범위내의 주민

대피 및 최적의 대응을 수행하기 위해 활용된다. 또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관련 부처 간 주

기적으로 실시한 화학사고 대응훈련 시에도 매우 주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 102 -

라. CARIS 사고대응 마법사 현황

현 CARIS는 사고대응마법사를 통해 화학사고대응정보와 위험성평가기능을 통합하여 사고대

응에 실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사고대응마법사는 사고에 대한 일련의 절차를 통해

사고결과를 전파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사고대응 마법사는 취급업체, 취정수장, 이동차량에서 발생한 사고를 전파할 수 있으며 각

각 시나리오에 따라 관련 대응정보를 자동으로 활용하도록 구축되었다.

사고대응 마법사는 사고를 전파하기 위해 신고관련 정보를 담당자가 입력하도록 구축되었

으며 입력된 정보는 대응마법사에 의해 내부적으로 수행된 위험성 평가 결과와 함께 별도로

지정한 유관기관 담당자에게 사고대응 보고서를 전파할 수 있다.

Table 3-16. CARIS 사고대응 마법사 입력 요소

사고전파입력요소 설명

신고처 사고를 신고하는 기관

신고자 사고를 신고하는 담당자

접수처 사고를 접수하는 기관

접수자 사고접수 담당자

사고내역 사고에 대한 요약 설명

발생시간 사고 발생 시간

전파대상 사고를 전파할 유관기관 사용자

위험성평가 시나리오

누출물질, 누출압력, 누출크기, 누출형태, 기상정보 등의 위험

성평가 시나리오. 취급업체의 경우 업체가 운영하고 있는 탱

크정보에서 자동으로 값을 가져와 설정됨

사고대응마법사에 의해 유관기관 담당자에게 사고가 전파되면 온라인으로 연결된 유관기관

담당자는 사고대응 보고서를 전달받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고대응 보고서의 내용은

대부분 CARIS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된 정보이며 이러한 정보는 CARIS에 구축된 대응정보와

위험성 평가 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 103 -

Table 3-17. 사고대응 마법사 구성요소

보고서 요소 설명

사고지점 사고 발생 지점

발생시각 사고 발생 시점

사고물질 누출된 유해화학물질

탱크정보 지름, 높이, 저장량

사고형태 완전파열, 용기누출, 파이프누출

사고내역 사고 원인에 대한 상세한 설명

기상정보 풍향, 풍속, 대기안정도

피해예상범위 위험지역, 주의지역, 주민대피지역 각각에 대한 반경 (m)

사고지역 피해정보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 및 해당 지역 피해인구, 면적

대응경로정보사고지점 근처에 위치한 대응기관 및 대피기관 및 최단거리

경로

방재물품판매처 사고지점 해당 시/도 지역에 위치한 방제물품 판매업체

마. 상세확산모델 현황

상세확산모델은 CARIS 기 구축된 대기확산모델을 운영하기 위한 기능으로 위험성평가와는

별도로 운영되도록 구축되었다. 상세 확산모델은 지형지물을 고려한 바람의 상세한 분포를 고

려한 확산모델로 위험성 평가에 구축된 Gaussian모델 및 SLAB모델에 비해 훨씬 더 정교한 모

델이다.

상세확산모델은 기상모델과 확산모델 두 개의 모듈로 나뉘어 구축되어 있으며 기상모델은

CARIS 클라이언트가 아닌 별도의 기상서버에서 운영된다. 기상서버는 수십 대에 이르는 컴퓨

터를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구축하였으며 기상청에서 전달받은 기상 수집 정보와 시스템에 구

축된 지형지물 정보를 이용하여 전국을 10개 권역으로 나눠 각 권역별로 바람의 분포도를 예

측한다. CARIS에서 기상장을 생성시키는 권역은 수도권, 대산권, 부산·울산권, 여수·광양권,

충청·대전권, 경북·대구권, 전북·전주권, 전남·광주권, 강원·원주권, 제주권 이다.

CARIS는 클러스터 기상서버에 의해 권역별로 생성된 기상장을 이용하여 실제 화학물질 누

출현상을 예측할 수 있는 확산모델인 DENTAD 모델을 구동할 수 있다. DENTAD 모델도

CARIS 클라이언트가 아닌 별도의 서버에서 구동되어 CARIS 클라이언트로 결과가 전송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 104 -

Fig. 3-9. CARIS 상세확산 모델 운영 현황

- 105 -

1.3. 현 CARIS의 문제점

현 CARIS가 구축되기 시작한 시점은 2002년으로 10년이 넘었으며 실제 운영되기 시작한 시

점도 2005년으로 10년에 다다르고 있다. CARIS가 구축된 시기는 지금과는 화학물질사고에 대

한 관련부서의 인식의 차이가 상당히 있으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IT기반의 차이도 매우

크기 때문에 오늘날 관점에서 본 CARIS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가. PC용 응용프로그램

현 CARIS가 구축될 당시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IT기기는 PC가 유일한 대안 이였기 때

문에 실 사용자는 PC를 통해서만 CARIS를 활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고 대응은 사무실에

업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사고가 발생한 현장에서 사고처리를 수행하는 개념이므로 현실적으

로 현장에서 사고 대응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는 어려운 문제를 자기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현 CARIS는 사고현장에서 직접 사용되는 것이 아닌 사고대응유관기관

의 사고대응본부에서 사용되어 현장에 있는 사고 대응 담당자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

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는 CARIS의 근본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당시 IT기반에 기인한 것이므로 오늘날처럼

모바일 기기와 통신 기반이 잘 구축된 시점에서 충분히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며 차기 CARIS

는 모바일 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장에서 CARIS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계획돼야

한다.

나. 사고대응정보 구축

현 CARIS에 구축되어 있는 취급업체, 유관기관과 같은 사고대응정보는 오로지 화학물질안

전센터에서 운영 중인 CARIS 센터버전에서만 입력 및 수정이 가능하다. 사고대응에 필요한

정보는 물질정보와 같이 변화하지 않은 정보도 있지만 탱크에 저장된 물질 등 많은 사고대응

정보들은 업체의 운영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정보이다.

하지만 현재 CARIS는 모든 정보의 갱신이 과학원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수집되고 이를 다시

중앙에서 입력 및 수정 관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를 최신으로 유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

하며 1년에 한두 번 정도 대규모 업데이트 작업을 통해 데이터를 갱신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CARIS는 이러한 사고대응정보를 당사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체계 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법 개정 등을 통해 이러한 체계가 정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 106 -

Fig. 3-10. CARIS 데이터 구축 체계

다. 타 기관정보 연계

과거에는 정부 부처 간 상호 공유되는 정보가 제한적 이여서 몇몇 정보를 제외하고는 각각

데이터를 구축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구축비용이 중복 투자되는 경우가 많았고 타 기관이 운

영하고 있는 데이터를 시스템적으로 연결하지 못해 연계활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현 CARIS에 기능상으로 존재하는 취급업체 화학물질 운송정보도 위와 같은 경우에 하나이

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현 정부에서는 부처 간 정보 공유를 정부 3.0의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현재 유해화학물질 운송정보의 경우 국토해양부에서 구축계획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면 차기 CARIS에서는 현재 구현은 되어 있지만 데이터를 구할 수 없어 사실상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운송정보도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라. 보안 강화에 따른 사용제약

현 CARIS는 Client/Server의 형태로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 PC에 클라이언트를 설치하

면 네트워크를 통해 국립환경과학원 내 화학물질안전센터의 CARIS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네

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현 CARIS는 보안상의 이유로 국가 인터넷망을 이용해서만 CARIS서버에 연결할 수 있기 때

문에 국가 인터넷망 이외의 영역에서는 CARIS서버에 접속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서 CARIS서버에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오프라인 모드라는 클라이언트에 내장된

- 107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구축되었다. 하지만 오프라인 모드의 데이터베이스는 화

학물질안전센터의 CARIS 서버 데이터베이스 변화와는 무관하기 때문에 최신 데이터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프라인 모드에서는 어떤 네트워크 기능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서버에 의존하는

상세확산 평가 및 사고대응전파의 기능 등은 정상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 이는 보안으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 및 기능을 제약하는 문제로 차기 CARIS에서는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네트워크

를 통해 모든 정보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개선돼야 할 점이다.

- 108 -

2. CARIS 고도화를 위한 정보화 전략계획

2.1. CARIS 고도화 로드맵

현 CARIS는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을 위한 대응정보와 사고 피해범위를 예측하기 위한 위

험성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차기 CARIS는 현 CARIS를 기반으로 고도화 돼야 하며 장점은 계승하고 부족한 점은 개선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고대응정보 중심의 시스템에서 사고관련 정보, 대응, 예방, 평가에 대

한 포괄적인 시스템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Fig. 3-11. CARIS 고도화 로드맵

- 109 -

가. 정보시스템 고도화 전략

현 CARIS의 정보 시스템은 CARIS독자적으로 구축되어 외부 시스템이 사용하거나 외부 시

스템의 정보를 활용할 수 없다. 향후 CARIS는 정부 3.0 전략이 맞춰 개방적인 정보 시스템으

로 발전하여 사고대응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2014년부터 시행예정인 화학물질 평가에 관한 법률(화평법)과 화학물질 관리 법률(화관법)에

의거 화학물질 취급업체는 관련 자료를 담당 기관에 제출해야 하며 대상 업체의 규모도 단계

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차기 CARIS는 이상의 기반을 십분 활용하여 사고대응정보 구축이 최대한 업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야 하며 업체는 이를 이용하여 업체의 안전관리 및 사고예방 수준을 높

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나. 평가 및 시뮬레이션 고도화 전략

현 CARIS에 구축된 위험성 평가는 사고피해범위를 예측하는데 사용되지만 그 상세 내용이

전문가가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라 실제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움 점이 있다.

또한 위험성 평가는 사고피해범위를 예측하여 사고 대응을 위한 것이 그 주목적이므로 그

중간 과정이나 공학적인 결과보다는 사고대응을 위한 정보로 재 가공되는 방향으로 고도화

돼야 할 것이다.

2014년부터 시행되는 화평법과 화관법에 의거 화학물질의 유해성관련 장외영향평가와 위해

관리계획서에 의해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가 승인되므로 CARIS 내에 장외영향 평가 모듈을

추가하여 이를 평가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 위험성평가를 통해 수행하기 어려운 지하철 역사, 터널 등에 대한 위험성평가 모

듈을 통해 기존에 수행하기 어려운 특정시설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가야 한다.

다. 사고 대응 고도화 전략

현 CARIS의 사고대응은 사고대응마법사에 의한 사고대응 결과 보고서를 작성 및 전파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기 CARIS는 사고의 결과뿐만 아니라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력 관리하는 체계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력관리의 경우 CATS와 같이 기존에 개

발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과 연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비용대비 효율적인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110 -

라. 사고 예방 체계 구축 전략

차기 CARIS는 사고의 대응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사고예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능이

구축돼야 하며 이 역시 화관법과 화평법을 기반으로 구상되어야 한다.

사고 예방은 그 원인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정량적인 사

고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사고원인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통계적 기법을 통해 사고의

재발방지, 제도개선, 예방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여 차기 CARIS에서 이를 적

용해야 할 것이다.

화학사고대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대응 훈련이다. 현 CARIS는 훈련을 위한 요소

가 별도로 포함되어 있지 않아 CARIS자체가 사고 대응 훈련의 길잡이 역할을 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차기 CARIS는 체계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여 평소 사고 대응 관련 인원이

사고 대응 훈련을 하는데 있데 체계적인 훈련 가이드의 매개체가 되도록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2.2. 현 CARIS 요소 고도화

가. CARIS GIS 도입방향

현 CARIS는 대부분의 기능을 GIS 기반 위에서 수행하도록 설계된 GIS 기반 시스템이다. 현

CARIS는 Client / Server형태로 구축 개발되었기 때문에 대규모의 GIS의 모든 정보를 Client

PC에 프로그램 설치 시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데이터의 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데이터

는 벡터 정보화되어 관리되고 있다.

고도화 될 차기 CARIS는 Web 기반으로 구축될 예정이기 때문에 대규모 GIS데이터를 서버

에서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개발될 계획이며 따라서 현 구현 방식과는 차별화 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현 CARIS가 구축된 시기와 현재는 GIS관점에서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주요 포털 사이

트 등에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

색하도록 한다.

최근 들어 웹 표준을 준수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ActiveX등 비표준

기술사용을 가급적 피하도록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CARIS고도화시

적용할 Web기반 GIS 또한 웹 표준을 준수할 수 있는 체계를 수립 할 수 있도록 한다.

- 111 -

(1) GIS 고도화의 필요성

현 CARIS는 GIS기반위에서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GIS가 모든 기능의 기반이 된다. 화학사고

대응은 사고지점에 대한 지리적 위치가 매우 중요하며 사고지형의 주변 환경, 접근 도로 여건

등은 GIS의 많은 요소들이 주요하게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향후 구축되는 차기 CARIS는 전반

적은 구성에 있어 현재와 많은 차별성을 가지게 되겠지만 이상의 이유로 GIS 기반으로 구축

되는 점에 있어서는 동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차기 CARIS에 대한 GIS 적용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며 현 CARIS가 개발될

당시 GIS기술과 현재의 GIS 기술은 그 차이가 매우 크므로 이를 고려한 GIS도입 방안을 수립

해야 한다.

(가) 현 CARIS GIS 현황

현 CARIS에 탑재된 GIS는 지오소프트사의 Mapponent 엔진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Mapponent 엔진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계열 운영시스템에서 COM(Component Object

Model) 형태로 제공되는 GIS엔진으로 데스크톱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위해 개발되

었다. Mapponent엔진은 벡터 형태의 지형데이터를 고속으로 화면에 그려낼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하고 각각의 정보마다 레이어를 통해 표출함으로서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 CARIS에 탑재된 Mapponent의 가장 큰 장점은 GIS데이터를 로컬에서 관리하므로 GIS 지

리정보의 표현 속도가 매우 빠르고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 한다. 또한 벡터 기반의

데이터로 지리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 전체 지형을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500MB 정도만을 소요한다. 이는 지형데이터를 사용자 PC마다 각각 설치해야 하

는 C/S방식의 현 CARIS에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나) 현 CARIS GIS 문제점

GIS는 그 명칭에서도 의미하듯이 단순히 지형을 표시하는 것이 아닌 지형상의 모든 정보를

포괄적으로 포함해야한다. 이러한 지형상의 정보는 유동적인 정보들이 상당 수 이며 효과적인

사고대응을 위해서 이러한 정보는 가능한 최신정보를 유지해야 한다. 현 CARIS에 구축된 GIS

는 완전한 오프라인 기반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

자에게 다시 배포하여 설치하기 전까지는 최근 정보가 반영되지 않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향후 구축될 CARIS는 웹 기반으로 구축될 것이며 이는 현재와는 매우 다른 기술 기반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CARIS의 중심이 되는 GIS역시 Web 기반에 맞춰 적용돼야 하는데 현 CARIS

- 112 -

의 GIS정보는 벡터 기반으로 되어 있어 Web기반 시스템에서 활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Web

기반 실행 프로그램인 브라우저의 경우 문자와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최적화 되어 있어 선과

면 형태의 벡터 데이터를 고속으로 그리는 현 GIS체계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 벡터기반 GIS

엔진은 모든 벡터데이터를 프로그램 시작 시 주 기억장치에 적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웹 기반에서 수백 메가바이트에 다다르는 지형 정보를 메모리에 적재해서 사용하는 것은 사

실상 불가능 하므로 이러한 형태는 변경돼야만 한다.

(다) GIS 고도화 전략

① 구축방식

향후 구축될 CARIS는 웹 기반 형태로 구현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에 맞는 GIS도입전략이 필

요하다. 웹 환경에서는 서버가 업무를 처리하고 브라우저는 이를 받아 표시만 해주기 때문에

C/S와는 매우 다른 구조를 가진 GIS엔진이 필요하다. 현재 웹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 GIS엔진

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진다.

Table 3-18. 웹 GIS 구현 방식 비교

형태 설명

ActiveX

방식

마이크로소프트사의 ActiveX기술을 이용하여 브라우저에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GIS

뷰어를 삽입하여 구현. GIS서버에서 브라우저에 보여줄 영역의 데이터를 전송하거

나 이미지화 하여 전송.

■ 장점

표현의 제한이 거의 없으며 3차원 맵 등의 표현도 가능함.

윈도우 IE외의 브라우저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 단점 :

표현의 제한이 거의 없으며 3차원 맵 등의 표현도 가능함.

윈도우 IE외의 브라우저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모바일 기기 등으로 확장할 수 없음.

Ajax 방식

웹 브라우저의 통신 기법인 Ajax를 이용하여 브라우저에 보여줄 영역의 이미지를

비동기로 전송하여 지형을 표시. 구글, 네이버, 다음과 같은 지도 서비스를 하는

주요 포털 사이트가 채택하고 있는 방식.

■ 장점

웹 표준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플랫폼 독립적인 운영.

모바일 기기에서도 동일한 방식 적용 가능

이미지 전송방식으로 동작속도가 빠름

■ 단점 :

HTML의 제약에 따른 UI 표현 한계

축척에 따른 이미지 타일을 구축해야 함으로 대용량 서버 필요

- 113 -

현 CARIS가 개발될 당시 CARIS를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은 윈도우 기반의 PC가 유일하였다.

차기 구축될 CARIS의 경우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환경을 목표로 구축될 예정이기 때문에 차

기 CARIS에 적용할 GIS기반은 가급적 웹 표준을 준수하여 플랫폼 독립성을 가지는 것이 향후

시스템의 유연성 및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 현재 주요 포털사이트에서는 지

도 기능을 제3자가 서비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Open API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CARIS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할 때 GIS는 포털 사이트의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발하는 것도 가능

한데 이러한 Open API기반의 서비스는 모두 Ajax방식의 웹 표준으로 구축되어 있다.

② 도입방안

차기 CARIS가 웹 기반으로 구축된다고 가정할 때 GIS를 구축하는 전략은 크게 두 가지 방

법을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자체구축을 하는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포탈 등의 공개 지도서

비스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GIS를 구축하기 위해서 전문 GIS업체의 특정 솔루션을

도입해서 구축을 해야 했지만 현재는 구글, 네이버, 다음,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양한 업체들이

제3자를 위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국토교통부에서 공공의 목적 지도

사용을 위해 브이월드라는 통합지도 서비스를 구축하여 대한민국 기업과 국민이 자유롭게 사

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able 3-19. CARIS GIS 구현 방안 비교

형태 설명

자체내장

지형데이터를 CARIS 서버에 저장하고 서버와 브라우저의 구동 모듈을 CARIS시스

템 내에 구축하는 방식.

■ 장점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롭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자유롭게 구현.

■ 단점 :

구축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비용대비 지도 품질이 낮음.

유지보수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함.

GIS업체의 회사 상황에 따라 향후 업데이트가 불가능할 수도 있음.

포털 메쉬업

공개 지도서비스를 통해 CARIS 어플리케이션에 이를 차용하여 GIS를 구축하는

방식. 구글, 네이버, 다음, 국토 교통부등이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장점

이미 구축된 지도 서비스를 사용하므로 별도 지도구축비용 절감

고품질 지도 사용 및 다양한 부가 정보 제공(주소, 도로정보 등)

별도의 업데이트 계획이 필요 없이 자동 지도 업데이트

■ 단점 :

커스터마이징이 어렵기 때문에 고유 기능 구현 제약

서비스 사업자 정책에 따라 적용 잠재 위험성 존재

- 114 -

나. 사고대응정보 구축전략

현 CARIS의 사고대응정보는 취급업체 정보, 유관기관 정보 그리고 화학물질정보와 같이 화

학사고발생시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정보는 GIS와 연계

하여 CARIS GIS상에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1) 현 체계의 문제점

현 CARIS의 사고대응 정보는 화학물질안전센터 해당 담당자가 오프라인으로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CARIS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오프라인 사용자를 위해 이를 다

시 매년 유관기관에 DVD로 배포하는 식으로 데이터를 갱신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체계로 운영되기 때문에 현 CARIS는 구축된 정보와 실 정보가 동기화되기 어

렵고 데이터를 구축하고 갱신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Fig. 3-12. 현 CARIS 데이터 구축 체계

(2) 대응정보 구축 개선 방안

2014년부터 시행되는 화관법과 화평법에 의거 화학물질은 취급업체는 화학물질 영업 허가

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취급업체가 취급하는 화학물질을 업체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

을 통해 업체의 부담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화학물질 취급업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체

- 115 -

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취급업체 정보관리 시스템은 CARIS와는 별개의 영역으로 구축돼야 하며 취급업체

정보는 별도의 보안계층을 통해 CARIS와 연동될 수 있도록 설계돼야 한다.

Fig. 3-13. 취급업체 정보 시스템

취급업체 정보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메인 시스템에서도 담당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어야

하며 업체와 기관에 의해 2중 관리됨으로서 취급업체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취급업체 정보를 관련법규를 기반으로 업체 스스로 관리함으로서 사고대응 시 기존해 비해

훨씬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업체는 업체 스스로 화학사고대응 정보를 구

축함으로서 안전관리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116 -

다. 화학사고대응 위험성 평가 고도화

위험성 평가는 유해화학물질 유출로 인한 피해를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로 현 CARIS에

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 CARIS에 구축된 위험성 평가는 유해화학물질 유출로 인한 화재, 폭발, 독성 물질 확산에

의한 흡입 등 3가지 사고 유형에 대한 피해 범위를 판정하며 모든 사고는 누출 시나리오를

사용자가 정의함으로써 수행된다.

Table 3-20. 위험성 평가 누출 시나리오

구성요소 설명

누출 물질 누출된 유해화학물질

누출의 형태 용기파열, 용기 누출, 파이프 누출

누출부의 크기 누출구멍의 크기

누출 압력 및 온도 누출되기 전 저장상태의 압력 및 온도

대기조건 대기압력 및 온도, 풍속, 풍향, 상대습도, 대기안정도

사고의 형태 파이어볼, 풀화재, 제트화재, 폭발, 독성확산 등

(1) 현 위험성 평가 활용 문제점

누출물질 및 누출 압력 및 온도는 공정 정보에서 자동으로 연동되어 질 수 있으나 누출형

태, 누출부의 크기 대기조건등은 사고 대응 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한다. 사고대응 훈련

시에는 이상의 사용자 입력이 훈련 시나리오에 맞춰 입력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으나 실제

사고 대응 시에는 사고현황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상의 입력사항을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위험성평가의 입력항목 중 사고시나리오에 해당하는 누출구멍의 크기 등을 실제 사고 대응

시 입력하는 것은 매우 판단하기 어려운 일이다. 위험성평가의 결과는 이러한 사고 시나리오

입력 값에 따라 그 결과가 매우 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사용자 판단에 의한 값 입력

이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피해범위와 달라 잘못된 대응을 초래할 수도 있다.

위험성평가의 입력항목 중 사고시나리오에 해당하는 누출구멍의 크기 등을 실제 사고 대응

시 입력하는 것은 사고 담당자가 판단하기 어려운 일이다. 위험성평가의 결과는 이러한 사고

시나리오 입력 값에 따라 그 결과가 매우 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사용자 판단에 의

한 값 입력이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피해범위와 달라 잘못된 대응을 초래할 수도 있다.

- 117 -

파이어볼, 풀화재, 제트화재등 사고의 유형은 공학적인 관점에서의 사고형태로 현장에서 피

해범위를 기반으로 대피계획 등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CARIS가 지향하

는 사고대응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고지점으로부터의 인명과 재산의 이격거리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격거리를 산정하는 기반으로 위험성 평가의 수학적인 모델에서 추론됨으로 그 근거

는 명확해야 한다.

이상의 신속한 사고대응과 정확한 근거를 모두 지향하기 위해서 차기 CARIS는 위험성 평가

의 수행 방식에 대해 다소 변경이 있어야 된다고 주장한다. 현재 위험성 평가는 노르웨이

DNV사의 PHAST와 같은 전문가용 위험성 평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구성되었기

때문에 유해화학물질 사고 비상대응 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3-14. CARIS 위험성평가 수행 단계

(2) 위험성 평가 활용 개선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 시 위험성 평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담당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하지만 결과에 대한 근거는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한다.

화학공정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때는 사고시나리오를 적정한 수준으로 결정

하여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적정한 수준이란 위험물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용기에 부착된 이음새 등의 구멍의 최대 직경을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최대 누출

구멍으로 산정하는 등의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사고는 용기가 파열되어 일어나는 경우보다 이

음새를 통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고의 형태의 경우 발생 가능한 모든 사고를 수행하여 가장 보수적인 피해범위의 이격거

리를 기준으로 삼는 방법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파이어볼의 사고 피해범위가 가장 크게 나

오게 됨으로 각 사고유형의 평균적인 발생빈도를 고려하여 이격 거리 기준의 사고 형태롤 선

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독성 확산에 대한 피해와 화재 폭발에 의한 피

- 118 -

해는 그 성격이 매우 다르므로 이 둘은 별개로 취급하여 피해범위를 산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위험성 평가를 적정 시나리오에 의해 수행되는 방식으로 변환함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하기

난해한 요소를 최소화함으로서 사고시나리오 입력보다 피해범위 결과에 집중할 수 있고 실제

보다 크게 벗어난 값에 대한 입력을 어느 정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위험성 평가

에 의한 신속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위험성 평가 수행방식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그 내부 결과에 대한 상세한 내역은 확인 가능해야 한다. 모든 결과는 그 근거가 무엇인지 명

확해야 하며 또 향후 위험성 평가 적용 방식을 개선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Fig. 3-15. CARIS 위험성평가 개선 프로세스

(3) 전문가 기능 병행

위험성평가 수행은 유해화학물질 사고 비상대응 시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비상대응 훈

련, 사고 사후 평가 등 다양한 용도에서 활용되므로 기존의 전문가 입력방식의 위험성 평가

수행 방식도 여전이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차기 CARIS는 위험성 평가 수행 시 사고 시나리오를 사용자가 상세하게 지정할 수

있는 전문가 모드와 실제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대피 이격 거리를 신속하게 산정할

수 있는 사고 대응 모드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고 대응 담당자의 별다른 입력 없이 즉시 피해 반경을 산정하는 사고대응 모드라

하더라도 이를 중간에 개입하여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자동화에 의한 위험성

평가 수행의 유연성 저하를 낮추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 119 -

Fig. 3-16. DNV PHAST 위험성평가 입력화면

(4) 상세확산모델 개선

현 CARIS에 구축된 상세확산모델은 유해화학물질의 대기 누출에 대한 확산 현상을 상세히

모사하기 위한 모델이다.

현 CARIS에 구축된 상세확산모델은 바람의 흐름을 예측하는 RAMS 기상모델과 누출된 유해

화학물질의 입자가 바람을 타고 확산되는 현상을 예측하는 확산모델로 나누어 구현되어 있다.

바람의 흐름을 예측하는 RAMS모델 기상모델은 별도의 클러스터 서버를 구축하여 구동되어

지며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기상관측자료 및 전 지구 예보모델자료를 기반으로 남한지역의 기

상장을 생성하여 예측한다.

RAMS모델은 지역의 국소 위치에서의 풍속과 풍향을 예측해 내는 모델로 연산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현 CARIS에서는 병렬 클러스터링을 통해 하루에 2회분의 결과를 산출해 낼 수

있다.

RAMS모델을 통한 생성된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현 CARIS는 다시 누출된 유해화학물질의 확

산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확산 모델을 구동하여 상세확산모델의 최종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

달한다.

- 120 -

Fig. 3-17. 현 CARIS 상세확산 모델 구현 프로세스

(가) 상세확산모델의 문제점

현 CARIS에 구축된 상세확산 모델은 그 결과를 도출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피해거리를 예측해야 하는 현장대응에는 활용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현

CARIS의 현장대응 기능인 사고대응마법사에서는 상세확산모델을 적용하고 있지 않다.

또한 현 CARIS는 현장 사고 발생 시 담당자의 요청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닌 화학물질안

전센터 담당자가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구동해 놓은 화산모델 결과를 조회하는 방식으로 구동

되어 실제 사고 대응에는 활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① 상세확산모델 구현 개선

현 기상청에서는 중규모기상 예측 모델인 MM5를 이용하여 풍속과 풍향을 예측하는 시스템

을 구축하고 있다.

MM5(PSU/NCAR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 Version3)는 중규모 기상모델로 미국 기상

연구소와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이 공동 개발한 후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온 모델로 최근에

는 중규모 및 미기상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 모델이다. 또한 대기오염 무질의 광화학 반응/

이동/침착 모형의 입력 자료 생성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차기 CARIS는 상세확산모델을 구현하는데 있어 현재의 병렬클러스터를 이용한 자체 기상모

델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MM5기상모델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121 -

현 CARIS에서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RAMS기상 모델은 지형의 높낮이 정보와 기상청의

기상관측 정보를 모두 활용해서 운영 돼야 하는데 지형의 높낮이의 경우 건물 등의 신축 및

철거 등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경되고 기상정보 또한 기상청의 기상 운영 서버와 연동해야 함

으로 처음부터 기상청에서 구동한 기상모델을 연계해서 CARIS의 확산 모델을 구축한다면 이

상의 문제는 모두 해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② 상세확산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

현 CARIS에 구축된 확산모델은 대기 중에 확산되는 유해화학물질을 이상기체에 가깝게 보

기 때문에 누출된 입자가 오로지 바람의 영향에 의해서만 확산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누출

된 물질의 물성치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고 누출된 물질의 입자 수만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독성이 높은 화학작용제의 점도가 높고 흡착반응 등을 병행하면서 대기 중으로 확

산되는 물질이 많기 때문에 이상기체를 가정하여 대기 중의 오염농도를 예측하는 경우 정확

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농도가 높은 누출 초기 혹은 누출지점 근처의 농도의 경우 예측된

농도와 실제 농도가 크게 다를 수 있다.

오히려 현 CARIS에 적용된 초기 확산 모델인 SLAB의 경우 무거운 가스의 특성을 반영한

모델로 누출방향에 따른 모멘텀, 중력에 의한 하강 등의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

오히려 현 CARIS에 적용된 초기 확산 모델인 SLAB의 경우 무거운 가스의 특성을 반영한

모델로 누출방향에 따른 모멘텀, 중력에 의한 하강 등의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별도의 확산모델 연구를 통해 현 상세확산모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단점을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래는 CARIS에 탑재되기 위해 연구돼야 할 상세확산모델 연구요

소이다.

Table 3-21. 상세확산모델 연구요소

요소 설명

누출 모멘텀용기에서 저장 압에 의해 대기 중으로 분출해 나오는 힘과 방향을

고려한 모델 적용

중력 및 흡착중력에 의한 누출물질의 입자에 대한 영향과 입자간 혹은 지표면과

흡착을 고려한 모델 적용

- 122 -

Fig. 3-18. 차기 CARIS 상세확산 모델 구축도

라. 사고대응 가이드 고도화 구축전략

CARIS의 사고대응정보는 화학물질유출 사고 발생 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정보로서 사

고대응마법사의 결과로 도출된다.

현 CARIS의 사고대응마법사는 사고대응을 위한 총 5가지 분류의 정보를 제공하며 각각의

분류는 다시 세부적인 상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Table 3-22. 사고대응마법사 보고서 항목

사고대응정보 분류 설명

사고개요 사고지점, 사고물질, 사고내역등 사고 일반 정보

피해정보 피해영향지역, 피해인구, 피해면적등 사고피해 정보

대응경로 인근 대응기관, 대피기관 목록 및 접근 경로

방재물품 판매처 인근 방재물품판매처 및 방재물품 목록

사고대처방법 물질에 대한 방재, 소화, 대처요령등 광범위한 대처방법

CARIS의 사고대응마법사에 의한 보고서는 사고 대응을 하는데 있어 매우 상세하며 유용하

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 CARIS의 사고대응마법사에 의한 사고대응체계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 차기 CARIS에 계승되어야 할 것이다.

- 123 -

(1) 사고대응정보의 문제점

현 CARIS의 사고대응마법사에 의한 대응정보는 많은 부분에 있어 화학물질의 대응정보에

의존한다. 현 CARIS는 1600여종의 화학물질 정보를 구축하고 있으며 많은 물질들이 상세한

사고 대응정보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매년 수행되는 유지보수에 의해 물질의 수가 증대됨에 따라 일부 물질들은 사고대

응정보가 누락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사용빈도 높지 않은 물질일수록 해당 정보가 누락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물질별로 사고대응정보를 운영하는 현 체계에서는 해당 물질에 대한 사고대응정보

가 구축되어 있지 않거나 빈약하게 되어 있을 경우 해당 물질이 유출되는 사고 발생 시 대응

정보를 조회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Fig. 3-19.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가 잘 구축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2) 사고 대응 가이드 고도화

미국 CANUTEC에서는 Emergency Response Guidebook(이하 ERG)을 발간하여 유해화학

물질을 ERG번호로 분류 구분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ERG체계에서는 물질별로 화학물질의 대응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아닌 ERG번호별로 사

고대응정보를 구축하기 때문에 물질별 세세한 관점에서는 그 수준이 떨어지지만 많은 물

질에 대한 광범위한 대응정보를 구축하는 관점에서는 훨씬 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ERG체계는 현재 62개의 분류로 구분되어 있으며 매년 갱신되어 그 지원 점위를 넓혀가

고 있다.

- 124 -

Fig. 3-20. ERG 분류체계에 의한 사고대응 정보

따라서 차기 CARIS 구축시 CARIS가 지원하는 물질들을 ERG에 맞춰 분류 및 통합하고

사고대응정보를 제공할 때 대응정보가 부족한 물질들에 대해서는 해당 ERG의 대응 가이

드를 표출하게 함으로서 대응정보가 누락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방향으로 구축

해야 할 것이다.

Fig. 3-21. ERG 131 인화성 액체 – 독성의 사고대응 가이드 예

- 125 -

2.3. 외부 시스템 연계 고도화

가. 정보화 통합 방안 전략 수립

현 정부 들어 정부 3.0을 캐치플레이로 내세우며 부처 간 자원의 공유 및 통합을 주요 목표

로 삼고 있다.

이는 각각의 부처가 전문성 있는 자원을 확보하고 이를 상호 공유함으로서 중복투자를 방

지하고 자원의 신뢰성을 증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원을 통합하는 것은 각 기관별 자원을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이에 접근 인터페이스를 구

축하여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과 중앙에 대규모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구축하여 이를 공유하는

방법이 있다.

데이터의 공유문제는 CARIS를 구축하는 문제와의는 별개로 현 정부의 추진력에 달려 있는

때문에 이를 고려한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Fig. 3-22. 정보화 통합 방안 구성도

- 126 -

(1) 정보화 통합을 위한 실태조사

CARIS 데이터 통합을 위한 실태조사의 일환으로 안전보건공단(KOSHA)를 방문하여 안전보

건공단이 확보하고 있는 화학물질 취급업체 정보를 조사하였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은 2013년 현재 18만여개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었으며 이를 분류하

여 연말까지 약 3만여개의 화학물질관련 업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예정이다.

3만여개의 취급업체 정보는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안전센터가 7년이상 수집한

7천여건의 취급업체 정보의 3배가 넘은 수치이며 이는 부서 특성상 안전보건공단의 업체 접

근성이 환경부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 3-23. 안전보건공단 2013년 유해위험

물질 취급사업장 DB 구축

산업안전보건공단은 2014년 전국 업체에 대한 작업환경실태일제조사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를 통해 대규모 업체 정보를 갱신할 계획이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이 계획하고 있는 작업환경실태일제조사의 조사표는 업체의 안전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매우 다양한 평가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작업근로자와 작

업 장치에 관한 것들이다.

Fig. 3-24. 안전관리공단 작업환경실태 일제조사 항목

산업안전보건공단이 계획하고 있는 작업환경실태일제조사의 조사표는 업체의 안전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매우 다양한 평가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작업근로자와 작

- 127 -

업 장치에 관한 것들이다.

따라서 현 정부의 부처 간 자원 공유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초기 단계부터 부처

간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며 데이터베이스화가 최종 목적인만큼 기술적인 요소까지 고려한 폭

넓은 협력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Fig. 3-25. 작업환경 실태조사 화학물질 취급작업 조사 항목

(2) 정보화 통합을 CARIS 시스템 설계

산업안전보건공단 작업환경실태조사 항목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부처 간 관심

사항이 달라 상호 구축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차기 CARIS구축은 2014년부터 착수되나 정부 3.0이 지향하는 부처 간 자원 공유는 향

후 몇 년은 더 걸릴 것으로 예상돼 자원공유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CARIS에 바로 적용하기

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CARIS를 설계할 때 정보의 출처에 가능한 종속적이 않는 설계를 구현하여 향후 변

경될 수 있는 자원의 출처에 대해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현을 위해서는 CARIS와 원 출처의 데이터 입출력 사이에 미들웨어를 구축하여 출

처가 변경될 경우 미들웨어만 교체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128 -

Fig. 3-26. CARIS 데이터 인터페이스 연계 방안

나. 수송시스템 연계방안

탱크로리 등에 의해 수송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은 지상에 고정되어 있는

저장용기에 비해 위험발생 지점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현 CARIS에는 위험물 운송정보가 구현되어 있으나 실제 데이터베이스는 구축되지 못해 활

용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운송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가 입력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운송차량에 대한 위치 추적은 현 구조상에

서는 불가능하다.

최근 국토해양부에서 유해화학물질의 유해화학물질 운송 추적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고 있

으며 이를 통해 전국의 유해화학물질을 운송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운송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추적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비롯하여 차량정보 데이터베이스등 대규모 사업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타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다면 매우 효율적인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 129 -

Fig. 3-27. CARIS 위험물 수송차량 사고대응 시스템 구현도

(1) CARIS에서 유해화학물질 운송정보 활용

CARIS는 GIS를 기반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운송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다. 이는 운송추적시스템으로부터 운송차량의 기본정보와 차량의 위치 등만 참조하

고 GIS 및 기타 정보를 CARIS의 자원을 이용함으로서 유해화학물질 운송정보를 매우 효과적

으로 사용할 수 있다.

CARIS가 구축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 대응 데이터베이스는 수송정보시스템과 결합하여 매

우 효과적인 대응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수송정보시스템은 수송차량에 저장된 물질에 대한

코드만을 CARIS로 전송하고 CARIS는 이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유해화학물질 정보를 사용자에

게 제공할 수 있다.

CARIS는 유해화학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었을 경우 그 피해범위를 산정할 수 있는 위험성평

가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이는 화학물질의 화재, 폭발, 독성확산에 대한 피해예측을 수행하기

때문에 운송차량의 누출로 인한 피해 범위도 동일한 논리로 예측할 수 있다.

(2) 수송차량 사고를 위한 예측 모델

탱크로리 등에 의해 운송되는 유해화학물질이 액상일 경우 차량의 전복등에 의해 도로 주

변에 오염될 수 있으며 오염 영역을 예측하여 사고대응 혹은 방재에 활용할 수 있다.

현 CARIS에는 화재, 폭발, 대기확산 모델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바닥에 유출된 액상 오염물

질의 오염범위를 예측하는 것은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 130 -

CPQRA에서는 바닥에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의 풀 생성에 관련된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를 구현하여 수송차량에서 누출된 액상 유해화학물질의 바닥의 오염범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차기 CARIS에 구축할 GIS는 도로정보 뿐만 아니라 하천 등 오염 확산의 매개체가 될 수 있

는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를 구축해 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바닥에 누출된 액상

유해 화학물질이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신속히 판단하여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 대응 및

방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차기 CARIS에 구축할 GIS는 도로정보 뿐만 아니라 하천 등 오염 확산의 매개체가 될 수 있

는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를 구축해 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바닥에 누출된 액상

유해 화학물질이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신속히 판단하여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 대응 및

방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3) 수송차량 사고 제약

하천 오염 확산 매개체에 의한 오염 확산을 수학적 모델로 모사하여 오염된 이후에 2차 확

산되는 현상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예측한다 하더라도 많은 시간을 소요하기

때문에 현장 대응용으로서의 가치는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 하천과 같은 유체의 유동흐름에 의한 오염물질의 확산 예측은 그 입력요소를 정의하기

위해 정밀한 수준의 입력인자를 정의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 없이 수행하기는 어렵

다.

따라서 수송차량 사고로 인한 누출피해 예측은 액상 오염의 1차 누출범위를 예상하고 하천

은 오염 매개체의 인접 여부를 판단하여 신속한 사고대응 및 방제 조치를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 131 -

2.4. 신규연구개발을 통한 CARIS 요소 고도화

가. 장외 영향 평가

CARIS의 위험성평가는 사고의 피해반경을 예측함으로서 화재, 폭발 등에 대한 대피 이격

거리를 판단하거나 독성확산에 대한 안전거리를 확인하는데 그 주목적이 있다.

이러한 위험성 평가에 더불어 사고의 영향이 사람과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

한 장외 영향 평가를 CARIS에서 수행함으로서 사고 사후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

다.

차기 CARIS에서 장외 영향 평가를 위해 수행돼야 할 평가 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의해 볼

수 있다.

■ 수질 오염평가

■ 토양 오염평가

각각의 오염 및 피해 평가를 위해서는 별도의 평가 모델 연구가 수반돼야 하며 이 평가모

델들은 정량적 혹은 정성적 기반으로 연구될 수 있으며 최종 결과는 지수 형태로 도출되어

평가 지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1) 수질 오염 평가

수질오염평가는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이 하천 등 지류를 통해 오염범위를 확산하는 현상을

예측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별도의 수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수질오염평가에 대한 연구는 국내 몇몇 기관에서 연구된 사례가 있으나 완전한 수질오염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아래는 국내에서 수질 오염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였거나 관련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실태조사 결과이다.

- 132 -

Table 3-23. 수질오염에 대한 국내 연구 사례

연구기관 연구내용 및 운영 시스템

국립환경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지류에서 발생한 오염사고대응을 위해서 1차원

수치모델과 한국형 Reach File, 수리계수 DB 등이 결합된 1차원 지류·

지천 오염사고대응예측시스템을 운영중. 또한 상류의 댐과 보로 연계된

본류 구간의 오염사고를 대응하기 위하여 미국 환경청에서 공인된

EFDC의 수리모델과 독성모델을 이용하는 2차원 수질오염사고대응예측

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다.

- 본류 대응용 2차원 사고대응예측시스템은 매일 수리모델이 자동갱신

되어 수질오염사고 시 이를 기반으로 신속하게 유출된 오염물질의 이

동시간과 확산농도를 예측하고 있음. 또한 상·하류 보의 개폐를 통해

서 다양한 방제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최적방제방안을 제시

하기 위하여 수질오염 사고대응예측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음

- 그러나 핵심 수치모델인 EFDC가 미국에서 개발되어 국내의 댐-보의

수리구조물에 의한 해석과 오염물질의 입력변수(1차 감쇄율, 가수분해,

휘발율 등)의 확보에 제한이 있으며, 아직 기상예보나 댐-보의 실시간

운영자료와의 연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공단에서는 수질오염방제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시

스템은 수질오염사고의 조기감시 및 방제상황 전파, 방제물품 보유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인터넷 기반의 시스템으로 수질오염사고대

응예측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는 자연형 하천에 적용할 수 있는 2차원 수리모형을 국

내기술로 개발하였으나 아직 댐-보 등의 하천수리구조물의 운영조건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독성모델이나 기상예보 반영 등의 기능을 구

현하지는 못했다.

- 133 -

해외의 경우 선진국을 중심으로 유해화학물질의 수질오염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시

스템이 연구 개발되어 활용하고 있으며 아래는 그 실태조사 결과이다.

Table 3-24. 수질오염 예측 해외 사례

국가 시스템 특징

유럽 Rhine alarm

model

라인 강 수문위원회에서 운영하는 GIS 기반의 2차원 수치모형 시

스템, 라인 강의 유해물질 이동시간, 확산농도 예측

미국 River spill미국환경청(EPA)에서 운영하는 GIS 기반의 1차원 모형시스템, 상

수원의  오염물질 이동 예측

일본 오염물질유하

예측 시스템

지자체 수도국에서 이용하는 탱크모델 기반의 오염물질유하  예측

시스템, 하천특성 DB 구축

중국 GIS-SD 프레임 송화강 벤젠유출사건을 모의한 GIS 기반의 1차원 모형시스템

특히 유럽 라인 강 수질오염사고대응예측 모델(Rhine Alarm Model. RAM)의 경우 1986년 스

위스 화학공장 화재로 인한 유독물질 유출사고 이후 개발되었으며, 수질사고정보와 실시간 유

량, 수위자료를 통해 수질사고 발생 즉시 하천에 유입된 오염원의 거동을 분석하는 시스템으

로 다년간 검·보정을 통해 실제 측정 수치와 5%이내의 오차를 보일 정도로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운영되고 있는 수질관련 정보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구된 해외의 수리모형 모

델을 참조하고 기상관측, 수문자료 등 각종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수질오염

평가 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2) 토양 오염 평가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해 대기와 수질뿐만 아니라 토양도 오염될 수 있으며 대기와 수질

에 비해 오염범위는 크지 않지만 오염 지속시간이 길기 때문에 토양 오염에 대해서도 사후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위해성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토양환경보전법의 규정에 따라 몇 가지 종류의 유해화학물질 및 중금속에 대

해 토양이 오염된 경우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 134 -

Table 3-25. 토양환경보전법 위해성 평가 대상 물질

평가대상 물질

유류 벤젠, 에틸벤젠, 톨루엔, 크실렌

중금속류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납, 6가크롬, 아

연, 니켈

토양오염관리에 있어 토양위해성평가의 적용은 법적으로 규정된 토양오염물질의 규제기준

의 설정과부지 특성에 따른 복원 우선순위결정 및 토양복원 기준설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토양오염물질로 지정된 17종에 대한 토양오염규제기준의 설정은 외국의 기준(위해성가 고

려 자국의 환경에 맞게 설정)에 국내 배경농도, 외국에서 기 확립된 위해성 평가모델을 이용

해 기준치를 비교 검토하였다. 따라서 그러나 해당 물질에 대한 기준설정 시 체계적인 위해성

평가수단을 이용한 것이 아니어서 위해성에 근본을 둔 종합적인 재평가가 필요하다.

해외의 경우 선진국을 중심으로 토양오염에 대한 위해성 평가 기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아

래는 그 실태조사 결과이다.

Table 3-26. 해외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 사례

국가 위해성 평가기법 적용현황

미국

토양지하수오염지역에 대한 정화대책법인 종합환경대책 보상 및 책임 법에 의거 중앙정

부가 관할하는 지역의 국가우선순위목록을 작성하기 위하여 E P A의 위해성평가지침( R

A G S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E P A는 오염지역에 대해 위해성을 고려한 정화 목표

수준으로 독성자료와 노출정보를 결합시켜 산정하는 Soil Screening Level (SSL,1996)을 이

용하여 SSL치 이하의 오염지역에 대해서는 CERCLA에 의한 규제를 받지 않는 근거로 사

용되고 있다.

영국

DoE는 오염토지의 위해성평가 및 관리를 위해 오염토지노출평가모델(Contaminated Land

Exposure Assessment: CLEA)을 개발하여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한 복원지역의 우선순위

의 선정과 다양한 노출경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대상생물에 대한 노출을 평가하고 있

다. CLEA는 향후 토지 이용선택을 위한 일반적인 모델로, 위해성 또는 노출수치를 대입

하여 이에 사용된 화합물질이 토양 농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거꾸로 실행될 수 있다.

네덜

란드

네덜란드 토양보호정책의 원칙은 건전한 토양질의 유지 또는 토양의 다기능성을 복원하

는데 있다. 이러한 원칙은 토양, 침전물 ,지하수 및 생태계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매체의 보호를 위해 잘 알려진 Dutch List가 마련되었으며, 본 리스트는 토

양·침전물, 지하수에 대해 중금속, 무기화합물질, 방향족화합물, 다고리방향족화합물, 염

소계화합물, 농약등 8 0종 물질에 대해 목표치와 간섭치가 설정되어있으며 이를 토대로

오염부지에 대한 복원이 시행되고 있다.

- 135 -

토양의 경우 수질에 비해 정적인 성격이 강해 고도의 수학적 예측모델에 대한 연구보다는

물질별 오염에 따른 영향요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오염 물질이 누출되었을 때 그 피해 범

위 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

단된다.

(3) 위험지수에 의한 재해지도 도출

수질이나 토양에 대한 위해성 평가 결과를 GIS상에 표현하여 유해화학물질 사고의 위해성

이 미치는 영향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CARIS는 GIS를 기반으로 구축된 시스템이기 때문이 이와 같은 위해성을 표출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기존 체제와 자연스럽게 통합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다.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천정보와 토지 이용정보가 필요하므로 CARIS GIS 구축

시 하천 및 토지 이용정보를 추가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도로 정보를 구축 하는 것

과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위해성 평가의 결과를 GIS상에 표현하는 것을 재해지도로 정의해 볼 수 있으며 효과적인

재해지도 표출을 위해서는 하천 및 토양에 대한 오염 위해성 평가의 결과를 정량적 위험 지

수로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차기 CARIS는 위해성 평가에 의한 위험지수 기법을 통해 유해화학물질 사고 발생 시 이로

인한 재해의 범위와 심각도를 GIS상에서 파악할 수 있는 위험 지수 재해 지도를 제공함으로

서 사고 이후의 영향도 분석에 주요하게 사용 될 수 있다.

Fig. 3-28. 위험지수 재해지도

- 136 -

나. 특정시설 위험성 평가

현 CARIS의 위험성평가는 화학공정의 위험성평가 이론에 기초를 둔 것으로 장외용기의 유

해화학물질의 화재, 폭발, 독성 확산의 피해범위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성 평가는 실내의 화재나 독성물질의 테러로 인한 피해 범위를 예측하

는데 활용될 수 없으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평가 모델이 필요하다.

실내의 화재나 독성물질의 확산을 예측하는데 일반적으로 CFD기반의 모델이 필요하며 CFD

모델은 모델을 구동하기 위한 장소에 대한 3차원 모델을 필요로 한다.

(1) 특정시설 위험성 평가 구축의 문제점

CFD 기반 피해예측 모델은 피해예측을 수행하고자 하는 공간에 3차원으로 데이터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CFD 기반 모델은 3차원 공간정보 외에도 각종 경계조건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는 CFD에 대

한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한다.

CFD 기반 모델은 피해예측을 수행하는데 일반적으로 수 시간에서 수일이 소요될 정도로

많은 수행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국내 지하철 역사나 터널들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위한 삼차원 정보를 기 구축하는

것은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하며 구현을 했다 하더라도 실제 사고 발생에 대한 사고 대응용으

로 활용되기는 어렵다.

(2) 특정시설 위험성 평가 구축 전략

특정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GIS기반 사고대응 시스템과는 별개의 운영

시뮬레이션 체계를 CARIS 내에 구축하여 CFD 전문가가 이를 이용해 특정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평가 전문가는 평가할 대상의 구조도를 별도의 3D모델링 툴을 이용하여 3D 데이터로 생성

하고 생성된 데이터와 운영조건을 입력하여 지하철 역사나 터널과 같은 특정 시설에 대한 위

험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CARIS는 CFD 모델에 의해 수행된 결과를 3차원 상에 표출하여 특정 시설 내에서의 피해

범위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결과를 별도로 저장하여 평가 이후 관련 담당자들이 참조

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담당자는 특정시설의 확산평가 피해범위 결과를 GIS상의 실제 지형지물에 연결하여 평

가 시설이 늘어날수록 일반 사용자가 조회가능한 시설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한다.

- 137 -

CFD모델은 별도의 연구를 수행하기보다는 현존하는 상용엔진이나 오픈소스 엔진을 최대한

활용하여 구축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Fig. 3-29. CARIS 특정시설 위험성평가 구성도

다. 사고원인 분석 구축전략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사고원인을 분석하여 공유함으로써 차후에 발생할 유사사고의 재발방

지와 제도개선, 예방대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나 현 CARIS에는 사고원인 데

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는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 CARIS에는 사업장 정보를 통해 위험성평가를 수행하여 사고 피해 거리와 물질에 대한

대응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고원인과 관련된 기능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향후

고도화 사업 시 발생한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고 원

인에 따른 예방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야 한다.

사고원인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RCA(Root Cause Analysis) 방법론을 가장 많이 사

용하고 있으며 아래의 그림과 같이 도식화된 사고 근본원인 분류를 통하여 가장 근본적인 사

고 원인을 찾아나가는 방법이다. 그림은 Root Cause Map과 근본원인 분류 단계를 표현하고

있다. RCA 방법론을 유해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에 맞게 내용을 보완하여 사고원인

분석에 활용한다면 유사 사고 예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138 -

Fig. 3-30. 사고원인 분석을 위한 Root Cause Analysis기법

Fig. 3-31. 사고 근본원인 분류 단계 예

현재 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가스안전공사 등과 같이 사고관리를 하는 기관에서도 사고원인

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미비로 인해 유사한 사고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

는데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이에 두 기관에서는 일차적으로 사고이력관리 및 사고사례 관리

시스템 구축 계획을 가지고 있다.

차기 CARIS는 현재와 같이 단순하게 사고 발생 시 결과를 보고하는데서 벗어나 정성적 혹

은 정량적인 방법론에 의해 사고원인을 분석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향후 사고 대응에

주요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 139 -

라. 사고 예방/대응교육 훈련 구축방안

CARIS는 유해화학물질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전산 시스템이다. 실제 화학사고 발생시 CARIS

의 역할은 화학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신속정확하

게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결국 사고 대응은 사고대응 담당자들이 체계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에

사고대응을 위한 체계 및 평소 대응 훈련에 달려 있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CARIS는 사고대

응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인 사고대응의 훈련을 위한 훈련 시스템으

로서의 역할도 중요하다.

현 CARIS는 시스템 자체적으로는 훈련을 위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환경부 국립환

경과학원에서는 정기적으로 CARIS에 대한 집체교육을 실시하여 CARIS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CARIS의 사용법에 대한 교육으로 CARIS를 활용한 사고 대응 훈련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차기 CARIS는 사고대응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여 사고대응훈련

시 훈련의 중심이 되는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1) 사고대응체계

정부는 2014년을 기점으로 화학사고대응을 위한 화학물질안전원을 발족하여 운영한다. 따라

서 현재 화학물질안전센터에서 수행중인 화학사고대응 업무는 화학물질 안전원으로 이관되어

운영된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사고대응업무를 단순히 이관 받아 운영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화학

사고대응체제의 허브의 중심이 되어 운영된다.

안전원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는 화학사고대응체제는 전국 6개 산업단지에 5개 팀으로 이루

어진 화학재난 상시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운영되며 5개 팀은 환경팀, 화학구

조팀, 고용팀, 산업팀, 지자제팀으로 구성되어 사고대응 시 각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계획 되어

있다.

따라서 향후 화학사고대응 훈련은 합동종합방재센터 체계에 맞춰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며 산단이 아닌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조직을 구성한 사고대응 체계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140 -

Fig. 3-32. 안전원 산하 합동종합방재센터 운영 체계

(2) CARIS 사고/예방 교육훈련 시스템 방향

사고대응에 있어 훈련의 중요성을 인식 차기 CARIS는 훈련을 위한 기능을 주요한 기능으로

구축돼야 한다.

차기 CARIS는 신규로 운영되는 합동종합방재센터 운영 체제에 맞춰 훈련 시나리오 콘텐츠

를 탑재하여 훈련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훈련 시나리오 콘텐츠는 합동종합방재센터의 통제

센터와 사고대응 5개 팀의 팀원들이 하는 역할을 반영하고 사고대응 절차를 숙지할 수 있는

체계로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훈련 수행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정의하여 훈련결과를 정량화하여 각 훈련단

계를 단계별로 분석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정량화된 훈련 결과는 사고대응

절차의 분석 및 개선 대책을 수립하는 데 사용되어 CARIS가 사고대응시스템으로서의 역할 뿐

만 아니라 사고대응체계를 발전시켜나가는 자원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141 -

Fig. 3-33. CARIS 사고대응 훈련 운영 구성도

마. 이행방안 수립

(1) 이행계획 수립 개요

이행계획 수립은 To-Be 모델로의 이행을 위한 과제를 정의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단계

별 우선순위와 소요자원을 산정한 후 과제별 상세일정과 투자비용 계획을 수립한다. 시스템

분석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고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변화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Table 3-27. 이행계획 수립 개요

단계 세부과제 설명

1) 프로젝트 정의이행과제 정의 ▪ 목표모델 추진을 위한 이행과제

정의 및 과제별 우선순위 선정이행 우선순위 부여

2) 이행일정 수립

구축전략 검토

▪ 과제 이행을 위한 전체/과제별

일정 및 자원소요계획 수립

▪ 기대효과 분석

전체 로드맵

이행 과제별 로드맵

3) 소요자원산정 단계별 투자비용 산정

4) 기대효과 분석기대효과 분석

정성적 기대효과 분석

5) 변화관리방안

수립

변화관리 과제도출

▪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변화

관리방안 마련

변화관리 로드맵

변화관리 핵심성공요인

- 142 -

바. 이행과제 도출

(1) 이행과제 정의

이행과제는 CARIS 고도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존요소 고도화, 기반 연구, 신규

구축, 외부시스템 연계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Table 3-28. 업무영역 이행과제

대영역 이행과제 세부설명

기존요소

고도화 영역

GIS 고도화 CARIS 전자지도 체계에 대한 고도화 전략

위험성평가 고도화현 위험성평가의 사고대응 활용 문제를 극

복하기 위한 고도화 전략

상세확산 고도화기상청 기상장 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론을 제시 및 확산모델 개선 전략

사고대응 고도화사고대응마법사의 장점을 계승하고 ERG도

입을 통한 사고대응정보 범용화 추진

기반 연구

영역

장외영향평가 모델유해화학물질 사고로 인한 수질, 토양등에

대한 영향 평가 사례 및 구축 전략

위해관리계획 방법론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위한

CARIS 고도화 요소 정의

사고원인 분석 방법론

사고 재발방지, 제도개선, 예방대책의 기반

이 되는 사고원인 분석 시스템 구축 방법

신규구축

영역

사고이력관리 시스템CATS기능개선을 통한 CARIS연계 시스템

구축방안

교육훈련 시스템합동종합방재센터 체제 구축에 따른 교육

훈련 시나리오 및 콘텐츠 구축방안

특정시설 확산평가

지하철역사, 터널 등 기존 위험성평가와는

별개의 CFD 기반의 위험성평가 기법 적용

방안외부 시스템

연계영역대응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부 3.0 취지에 부합되는 취급업체 정보

를 통합하기 위한 방안

위험물수송차량 시스템국토교통부 물류이동 관리시스템 연계 위

험물 수송정보 활용 전략

- 143 -

사. 선·후행 관계 분석에 따른 단계별 추진전략

(1) 선·후행 관계 분석

도출된 이행과제에 대하여 과제의 중요성, 시급성, 적용성 등의 정책적 중요 및 도 관점과

구현용이성 관점에서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행단계를 분류한다.

Table 3-29. 우선순위 평가 영역 도출

구분 우선순위 평가 영역 도출

정책적 중요도

관점

중요성 화학사고대응을 위해 필요한 필수 기능 여부

시급성 현 CARIS의 고도화 요소여부

적용성전문 인력의 연구가 필요치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을 확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

구현 용이성

관점

예산 정보화 사업에 소요되는 예산규모 평가

기간정보화 사업의 요소가 단기간에 완료 가능한지 여

난이도

이행과제를 수행하여 완료하는데 여러 가지 요구조

건들이 쉽게 충족가능하며, 기술적인 어려움은 없

는지 평가

(2) 단계별 추진전략

Table 3-30. 단계별 구축요소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기존요소

고도화

- GIS고도화

- 위험평가고도화

- 상세확산평가고도

기반 연구- 상세확산모델개선

- 사고대응가이드- 위해관리계획 - 장외영향평가

신규 구축 - 훈련시스템 - 특정시설평가

정보 통합

및 공유- 취급업체 통합방안

- 사고이력관리연동

- 수송차량연동

업무영역

- 시스템 운영 및 법제도 개선 활동

- 업무분석설계

- 표준포맷 정의

- 144 -

아. 단계별 이행 로드맵

(1) 단계별 구축 사업 추진 목표

Table 3-31. 단계별 이행 로드맵

단계별 주요내용1단계

기반구축단계

2단계

신기술연구단계

3단계

운영단계

중장기전략계획수립

현 CARIS 고도화

외부시스템 연계방안 연구

신규 분야 연구

시스템 확장 및 고도화

시스템 안정화

(2) 단계별 이행 내용

① 1단계 : 중장기 전략 수립 및 현 CARIS 고도화

차기 CARIS는 단순한 현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개념의 고도화가 아닌 화학물질안전원을 중

심으로 한 국가기반의 화학물질사고대응의 주축이 되는 시스템으로 거듭나는 시스템인 만큼

초기 단계에서의 중장기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장기 계획 수립 시 각 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청취하고 차기 CARIS를 운영할 기관

에서 이를 잘 정리하여 CARIS가 발전해 나갈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CARIS는 S/W이므

로 관련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사명감을 가진 전문 개발업체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초

기 단계부터 협력 관계를 다져 나가는 것도 CARIS 추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

다.

- 145 -

㉮ 사업목표

화학물질안전원 및 합동종합 방재센터 체제 구축에 따른 CARIS 중장기 발전 전략 수립.

현 CARIS의 웹기반 마이그레이션 고도화.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용 앱을 통한 현장 관리 지원.

㉯ 사업내용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평가법(화관법, 화평법)에 따른 향후 정부가 지향하는 화학사고대

응 개념 정립 및 이에 따른 CARIS 중장기 개발 및 발전 전략 수립

현 CARIS의 웹 기반 고도화를 위한 시스템 아키텍쳐 설계

- 데이터베이스 설계

- 구성요소 컴포넌트 설계

웹 GIS 도입 방안 연구 및 적용을 통한 웹 GIS 구축

- 웹 기반 GIS도입 비교 분석

- 도입 방법별 프로토타입 개발을 통한 타당성 검토

- 비용대비 최적의 웹 GIS구축

위험성 평가 고도화

- 현장 사고 대응 및 사고예방을 위한 위험성 평가 수행 방법 연구

- 선진 위험성 평가 시스템 벤치마크

- 사고예방을 위한 전문가 위험성 평가 시뮬레이션 구축

상세확산모델 고도화

- 기상청 기상정보 활용방안 연구

- 기상청 기상정보를 이용한 CARIS 자체 상세 기상장 모델 연구

- 상세확산 모델 고도화

모바일 기기 앱 개발

- 사고 현장 사용 및 훈련을 위한 모바일 기기 사용

-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지원

- 다중 플랫폼 지원 개발환경 구축

- 146 -

② 2단계 : 신기술 연구 단계

차기 CARIS는 사고대응 뿐만 아니라 사고 평가, 예방 등 화학 사고에 대한 포괄적인 역할

을 담당하므로 이에 대응되는 새로운 기술들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단계를 가져야 한다.

또한 정부 3.0 지향점에 맞춰 타 기관에서 운영 중인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연

구하여 데이터 구축에 대한 중복 투자를 막고 신뢰성 있는 사고대응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 사업목표

차기 CARIS에 도입될 신규 요소에 대한 기반 연구.

정부 3.0기반 자원 공유를 위한 통합 방안 연구.

㉯ 사업내용

특정 시설 평가를 위한 관련 모델 연구

- CFD 기반 실내 화재, 확산 모델 연구

- CFD 모델을 웹기반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한 통합 기술 연구

장외영향평가 모델 연구

- 수질 및 토양에 대한 오염 모델 연구

- 기 개발 모델에 대한 조사 및 적용방안 연구

- GIS와 연계를 통한 재해지도 생성방안 연구

데이터 통합 방안 연구

- 산업안전보건공단과 연계를 통한 취급업체 연계방안 연구

- 국토교통부 물류이동 관리 시스템 연계를 통한 수송 시스템 연계방안 연구

- CATS와 연계를 통한 사고이력 연계방안 연구

③ 3단계 : 운영단계

연구된 요소를 최적화 하여 시스템에 통합하여 각 요소가 고유의 목적에 맞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또한 각 요소의 상호 작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여 구축하도록 한다.

- 147 -

사고대응은 시스템이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CARIS가 사고 대응

및 예방 훈련의 핵심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한다.

㉮ 사업목표

CARIS 구성요소 시스템 통합.

사고대응 훈련 시스템 구축.

시스템 안정화를 통한 운영범위 확대.

㉯ 사업내용

시스템 통합

- 연구된 신기술 통합으로 사고 대응 및 예방 전문화 및 고도화

- 외부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 정의를 통한 데이터 연동

사고대응 훈련 시스템 구축

- 합동종합방제센터 운영 체계에 맞는 예방/대응 교육 훈련 시스템 구축

-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현장 대응 훈련 체계 구축

- 수행도 평가 및 훈련결과 분석 및 개선 대책 개선 수립

시스템 안정화

- 유관기관 배포를 통한 적용 범위 확대

- 실제 훈련 적용을 통한 개선사항 도출 및 개선 방안 수립 및 안정화

- 148 -

Ⅳ. 연구결과

1. 유독물 취급사업장 안전관리 지원도구 기획

본 연구는 유독물 취급업체에 취급물질 유해·위해성 정보, 방제물품 및 개인보호장비, 비상시 대처

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관리 지원 도구 개발에 대한 기획 연구로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유독물 안전관리 지원도구의 취급정보 항목은 사업장 일반정보, 취급물질 현황정보, 취급시설

정보, 방재자원 정보, 운송정보 등 5개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사업장 일반정보에는 사업장 기본정보와

법적규제현황, 사고예방제도 적용여부 등 14개 콘텐츠를 포함하였다. 취급물질 현황정보에는 취급 물

질명, 물질성상, 함량(%), 일일사용량과 연간취급량, 현재고량 등 6개 콘텐츠로 구성하였다. 취급시설

정보는 취급시설 형태와 용량 등 8개 콘텐츠를 포함하였고, 방제자원 정보는 방재약품, 장비 및 소화

약제 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운송정보는 차량형태와 운송업체명, 운전자명 등의 5개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둘째, 비상정보에는 일반물질정보, 긴급대응정보, 대응지침, 비상대응계획 등 4개 항목으로 구

성하였다. 일반물질정보는 화학물질마다 관계법령에 따라 비치·작성해야 하는 물질정보 항목

이나 수준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관계법령의 관리기준에 맞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부처별

개별 단위시스템을 Link 하도록 제안하였다. 긴급대응정보는 1차 초동대응기관의 조치에 필요

한 핵심정보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대응지침은 물질유형별 대응지침과 사업장 초동대응 지

침으로 세분하도록 하였고, 비상대응계획은 업체규모 및 수준에 따라 항목을 조정하도록 제안

하였다.

셋째, 국내 DB 관련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DB 항목을 조사하여 안전관리 및 비상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고, 비상대응에 필요한 정보 항목을 제안하였다. 긴급대응정보는 상황파악, 대응요원 안

전 확보, 물리적 위험제거, 현장통제 등 초동조치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중심으로 취급하는 물리적

유해·위험을 식별할 수 있는 물리·화학적 성질, NFPA 등급, GHS 분류 및 표시에 의한 그림문자,

ERG 대응지침, 급성 독성정보, 법적규제현황 등이 포함되었다.

넷째, 긴급대응정보 sheet 작성과 비상대응계획 수립의 핵심요소인 ERG 지침번호를 식별할 수 있게

국내 유통 중인 유독물 188종을 ERG 분류체계에 따른 물질유형을 분류하였다. UN번호가 있는 139종

은 UN번호에 따라, 46종은 GHS 분류 및 표시 결과에 따라 물질유형을 분류하였으나, 3종은 물질유형

분류에 필요한 DB결손으로 분류가 어려웠다. 유독물 188종중에서 지침번호 154인 물질_독성 및/또는

부식성(비가연성) 물질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 149 -

다섯째, 소규모 사업장의 비상대응계획은 취급물질 현황정보 및 취급시설 정보, 비상정보 sheet, ERG

대응지침 및 소규모 사업장 초동대응지침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초동대응지침은 업종 및 규모, 안전관

리조직의 유무, 사고예방제도 이행여부, 취급시설 보유여부에 따라 수행형태 Ⅰ, Ⅱ, Ⅲ 수준으로 차등

화하여 제시하였다. Ⅰ수준은 사고 위험이 가장 낮은 사업장으로 취급물질 현황정보, 비상정보 및 물

질유형별 대응지침, 비상연락체계, 응급대응조치 등으로 구성되었다. Ⅱ수준은 화학사고 위험성이 높고

현장대응능력이 제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Ⅰ수준에 추가하여 긴급현장통제 절차를 포함시켰

다. Ⅲ 수준은 안전관리조직을 조직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사업장으로 Ⅱ수준에 현장 응급조치 및

초기 대응기관 지원 항목을 추가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여섯째, 안전관리 조직이 있고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유해물질 취급시설을 보유한 사업장이 비

상대응계획 개발 예시를 제시하였다. 비상대응계획의 수행형태는 Ⅲ 수준이며, 취급정보, 비상대

응정보, 비상대응지침, 초동대응 지침 5개소로 구성될 수 있다. 비상대응계획에는 암모니아에 대

한 위험요인 제거와 사업장 내의 누출 최소화방안과 확산에 의한 「주민보호」방안이 포함되

어야 한다.

- 150 -

2.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2013년 구미 불산 누출 사고로 인해 화학사고대응에 대한 기존의 인식이 크게 바뀌었으며

2014년 화관법/화평법 시행을 앞두고 화학사고대응을 위한 CARIS시스템 활용에 대한 인식에

대한 변화도 생기게 되었다.

CARIS 활용에 대한 인식은 증대되었지만 현 CARIS는 이러한 인식 수준이 낮았던 2000년대

초 중반에 개발되어 현재의 기대를 부응하기에는 다소무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차기 CARIS는 현 CARIS의 운영 경험과 그동안 발전되어온 화학사고대응 관련 기반 발달

그리고 IT기술이 잘 조화되어 구축 되도록 계획돼야 할 것이다. 또한 차기 CARIS구축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본 연구가 수행한 전략계획을 참조하여 철저한 계획아래

구축돼야 할 것이다.

차기 CARIS는 사고대응 뿐만 아니라 사고예방, 평가에 이르기까지 화학사고 전반에 걸처

폭넓게 사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요소의 고도화, 신규 적용 분야 아이

템 정의, 타 시스템 연계방안 등 폭넓은 분야에 걸친 전략을 수립하였다.

Fig. 4-1. CARIS 정보화 전략 로드맵

- 151 -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유독물 취급업체에 취급물질 유해·위해성 정보, 방제물품 및 개인보호장비, 비상시 대처

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관리 지원 도구를 기획하는 것으로 향후 안전관리 지원도구 개발의 기

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연구를 통해 도출된 안전관리 지원 도구의 정보항목 및 세부 콘텐츠

는 향후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등 각종 비상대응을 위한 시스템 개발의 콘텐츠로 사용 가능하

며, 유독물 188종에 대한 물질유형 분류결과와 긴급대응 정보의 세부 콘텐츠는 초동대응기관에서 활용

하는 대응지침 작성에 도움이 이용될 수 있다.

사업장 초동대응지침과 비상대응계획의 모델은 자체방제계획서 작성 등 사고예방제도를 작성·운영하

지 않는 사업장에서 수행해야 할 최소한의 행동절차를 정리한 것으로 소규모 사업장의 비상대응능력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리라 예상된다.

또한 새로 출범하는 화학물질안전원이 활용하게 될 차기 화학물질사고대응시스템은 향후 10년을 내

다보고 철저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차기 화학물질사고대응시스

템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활용한다면 화학물질사고대응시

스템 구축 계획 수립 시 보다 올바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52 -

Ⅴ. 참고문헌

박춘화 외, 2012, 화학사고 응급정보 제공을 위한 환경부의 정보시스템 구축, 한국재난정보학회지 Vol 8 No

2, 178-187

박연신 외, 2013, 화학물질 안전관리 DB 구축 및 정보시스템 개발, 한국위험물학회 제1권 제1호

이권섭 외, 2010, “국내 화학물질 정보제공 실태분석과 콘텐츠의 다양화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한국

산업안전보건공단

국립환경과학원, 2012, “화학물질 통합정보시스템 확대 및 기능 강화 마련” 최종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2012,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2012 사용자 매뉴얼

국립환경과학원 외, 2012, 2012 유해물질 비상대응 핸드북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4, 2004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홈페이지 유독물 관리시스템(온라인보고)(http://chemical.kcma.or.kr/)

유독물 GHS 지원 시스템 홈페이지(http://ncis.nier.go.kr/ghs/)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http://www.kosha.or.kr/msds/msdsMain.do?menuId=69)

국가위험물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nema.kr/hazmat/main/main.jsp)

화학사고 응급대응 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ceis.nier.go.kr/index.do)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kischem.nier.go.kr/kischem2/wsp/main/main.jsp)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2013, 환경기술전문인력 양성교육 교육교재

국토해양부, 2011, “국가 위험물 안전관리 정보전략 수립” 최종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2007,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 관리를 위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및 DB 시

스템 구축” 최종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2007, “화학사고 예방·대비 및 대응 국제세미나”자료집

국립환경과학원, 2006,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 관리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2004, “사고대비물질 선정기법 및 관리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2007, “화학사고 응급정보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작업반 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2003, “화학사고 예방 대비 및 대응을 위한 OECD 지침서”한글번역본

국립환경과학원, 2008, 유독물 영업자 사고대응 교육 자료집

해양경찰청, 2006, “HNS 대응기술 및 지침” 최종보고서

- 153 -

국립환경과학원, 2008, 유해화학물질 KEY INFO GUIDE

환경부, 2011, 유독물 영업자 안내서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 2010, 화학사고 비상대응 안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