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6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6, No. 2, November, 30 , 2014 제6권 제2호 ISSN 2288360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Upload: others

Post on 27-Sep-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6, No. 2, November, 30, 2014

제6권 제2호 ISSN 2288-360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Page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 제2호 2014. 11. 30

차 례

중기 또는 말기 치매 환자의 치료 및 케어를 위한 Basal Stimulation ······································ 1

최현세, 장태용, 이보민, 양영애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을 통한 대학생들의 인지능력 비교 ·················································· 11

장철, 이혜진, 김민우, 김찬우, 김성경, 장다혜

PNF 기법을 이용한 저항운동에 따른 노인의 상지 관절가동범위와 파악력 비교 ····················· 19

하경진, 유창민, 성지은

오류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 25

공인주, 황희영, 심규영, 전현숙, 심효진, 정다혜, 진하현, 김경옥, 김훈주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치매를 선별하기위한 새로운 평가도구:

DemTect ············································································································································· 35

최현세, 이두호, 김유진, 양영애

수공예활동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우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45

공인주

Page 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6, No. 2 2014. 11. 30

CONTENTS

Basal Stimulation Treatment for Moderate and Severe Dementia Patients ····················· 1

Choi, Hyun-Se, Jang, Tae-Yong, Lee, Bo-Min, Yang, Yeong-Ae

Comparison of the Cognitive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 11

Jang, Cheol, Lee, Hye-Jin, Kim, Min-Woo, Kim, Chan-Woo,

Kim, Sung-Kyung, Jang, Da-Hye

Comparison on the Elderly’s Range of Joint Motion of the Upper Limbs and

the Grasp Power According to the Resistance Exercise Using PNF Technique ··········· 19

Ha, Kyung-Jin, Yoo, Chang-Min, Seung, Ji-Eun

The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on

Attention Span and Memory Function for Mild Dementia People ···································· 25

Kong, In-Joo, Hwang, Hee-Young, Sim, Gyu-Young, Jeon, Hyeon-Suk,

Sim, Hyo-Jin, Jung, Da-Hye, Jin, Ha-Hyoen, Kim, Gyeong-Ok, Kim, Hun-Ju

New Assessment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ementia:

DemTect ··········································································································································· 35

Choi, Hyun-Se, Lee, Doo-Ho, Kim, Eu-Jin, Yang, Yeong-Ae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ay-care Center Elderly person ································································································ 45

Kong, In-Joo

Page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Page 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Ⅰ. 서 론

세계적으로 의학의 발전과 보건 수준의 향상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있다 (Young, Park & Yang,

2013).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2%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

며, 2018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

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하고 있다(Yang, 2012).

고령화 속도가 빠른 진행과 동시에 노인의 표적

인 질환인 치매의 유병률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002년부터

2009년까지 7년간 국내 치매 환자 수는 4.5배로 증가

하였으며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앞

으로 2020년에 이르면 전체노인인구 중 약 40만명의

치매노인이 발생할 것이며 이로 인해 치매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두되고 있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치매는 라틴어 ‘dementatus’에서 유래되었으며 ‘out

중기 또는 말기 치매 환자의 치료 및 케어를 위한 Basal Stimulation

최현세*, 장태용**, 이보민***, 양영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작업치료실

***부산광역시 광역치매센터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의학적인 발전으로 증가는 고령 치매 인구 중에 말기 치매 환자를 위한 치료

법으로 Basal Stimulation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론

Basal Stimulation(BS)은 감각기관으로 지각할 수 있는 신체의 모든 부분을 활성화 시키고 자신의

신체와 신체 동작을 지각할 수 있도록 돕는 치료적 컨셉이다. 신체의 7가지 지각영역을 이용한

접근법으로 환자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9가지 요소 기본 개념을 가지

고 치료적으로 사용하며, 환자에 맞게 9가지 잠재적인 목표를 가지고 치료를 적용한다.

결론

Basal Stimulation은 문제행동증상과 더불어 행동정신학적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중기 또는 말기

치매환자에게 필수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접근법이다. 향후 치매관리에 있어 환자의

감정, 스트레스, 감각에 대한 접근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앞으로의 치매관리 방안 모

색에 있어 시발점이 되리라 생각한다.

주제어 치매, Basal Stimulation, 조호

Corresponding author: Yang, Yeong-Ae([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Received 5 August 2014; Revised version received 17 August 2014; Accepted 2 October 2014

Page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of mind’, 즉 ‘제정신이 아니다’, ‘정신이 나갔다’의 의

미로 프랑스 의사인 Pinel에 의해 처음 사용되어왔으

며, 사전적인 의미로는 지능, 인지, 기억 등의 정신적

능력이 눈에 띄게 감소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의학에

서는 표적인 신경계 질환의 일종으로 분류하고 있

다(Lee, 2004). 치매환자들은 기억력, 사고력, 사회생

활을 지속하는 능력, 학습한 지각운동기능을 수행하

는 능력 등에서 저하가 나타나며(Kim, 2002), 지능, 학

습, 언어 등에 해당하는 전반적인 인지적인 기능과 행

동 그리고 정신 기능에 저하도 나타난다(Oh, 2002). 치

매가 진행되어 지적 기능의 감퇴가 뚜렷해지면 일상

생활(ADL), 즉 식사, 착의, 배뇨 및 배변에 이르기 까

지 장애가 나타난다. (Lee & Park, 1996) 이런 부분뿐

만 아니라 배회나 공격성과 같은 ‘행동증상’과 망상,

환각,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과적 증상’이 치매환자

에게 나타난다(Reisberg et al., 1987). 이러한 증상들은

말기 치매 환자로 갈수록 더욱더 증상이 심해지며, 치

매 중증 환자가 2000년에 약 3만 7천명, 2020년에는

약 8만 4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So et

al., 1996).

치매환자를 치료적인 접근에는 약물적인 부분과 비

약물적인 치료가 존재하며, 비약물적인 치료가 치매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다(Ha, 2007; Wang,

2004). 치매 환자를 위한 비약물적인 치료로는 원예치

료(Kang, 2005), 회상요법(Gang & Kim, 2006; Lee &

Gang, 2006; Park, Young, Gang & Yang, 2013), 음악치

료(Choi, 2003; Kim, 2000; Park, 2007), 아로마치료

(Lee, 2005)와 작업치료(Lee, Park, & Lem, 2013)가 시

행되고 있으나, 주로 경증과 중등증 환자에게 주로 사

용한다. 치매환자의 주된 증상은 말기 치매 환자에게

더욱 많이 나타나며, 말기로 갈수록 와병으로 발전되

어 간다. 와병 상태에서 치료보다는 케어를 받고 있으

며, 이외의 다른 치료적은 부분은 현실적으로 없는 상

태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설도 부족한 실정이다

(Lee, 2004).

치매환자에 한 전문적인 치료와 케어는 필수적이

다. 교정적 접근과 더불어 경도인지장애, 초기치매의

관리에만 초점이 맞춰져있는 실정에서, 중기 또는 말

기치매환자 관리에 한 관심 제고와 더불어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중기 또는

말기 환자를 상으로 할 수 있는 치료 기법인 Basal

stimulation에 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치매에 대한 이해와 특성

DSM-IV의 진단기준에 의하면 치매는 ‘직업적 일이

나 통상의 사회활동 또는 인관계에서 유의한 장애

가 있을 정도의 인지기능 및 지적능력의 감소’상태를

의미한다. 국제질병분류 10판(WHO, 1992)에 따르면

치매란 보통 뇌의 만성 또는 진행성 질환에서 생긴 증

후군이며, 이로 인해 기억력, 사고력, 이해, 계산, 학습

능력, 언어 및 판단력을 포함한 고도의 뇌피질 기능

의 다발성 장애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치매의 경우, 새로운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

고 말과 글을 통해 화나 이해가 어려우며 방향성을

상실과 사람 이름과 같은 간단한 사실도 잘 알지 못하

는 인지변화가 나타나고 우울, 불안, 무감동 또는 위

축, 불면, 두려움, 망상, 환각 그리고 비정상적인 생각

등 인지변화와 문제행동을 동반하는 신경정신 증상

(psychiatric symptoms)이 나타난다(Hebert et al., 1995).

치매의 신경정신 증상은 행동정신학적증상으로 불리

며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의 95%에서 이와 같은 증상

을 함께 경험한다(Steinberg et al., 2006). 그 중에서도

우울증은 치매노인에게 있어서 매우 일반적으로 나타

나는 증상이다(Amore et al., 2007; Cankurtaran et al.,

2007).

치매 진행단계 중 중기 또는 말기의 경우, 위의 여

러 다양한 문제행동 및 행동정신학적증상을 동반하고

의사소통이 제한되는 된다. 이때 상자가 원하는 다

양한 감각을 존중하는 환자 중심의 접근과 함께 특정

기술을 훈련하기 보다는 정서적 안정과 참여를 촉진

하여 다양한 감각을 즐기는 동기증진을 원칙으로 해

야 한다(Baker, Dowling, Wareing, Dawson & Assey,

Page 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중기 또는 말기 치매 환자의 치료 및 케어를 위한 Basal Stimulation 3

1997),

2. Basal Stimulation

1) Basal Stimulation의 정의

Basal Stimulation(BS)은 감각기관으로 지각할 수 있

는 신체의 모든 부분을 활성화 시키고 자신의 신체와

신체 동작을 지각할 수 있도록 돕는 치료적 컨셉이다.

환자와 치료사, 혹은 환자와 환자의 외부환경 사이의

점차적이고 비언어적인 화 방법을 찾고 익히는데에

도 도움을 준다.

2) Basal Stimulation의 역사적 배경

Basal Stimulation이라는 독일어를 직역하면 기초적

인 자극이라고 할 수 있는데 1970년도에 독일의 안드

레아스 프뢸리히 교수에 의해 발전되었다. 초기 1970

년 BS는 주로 다양한 장애가 있는 아동이나 청년들

을 상으로 신체지각능력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지

만 1980년 이후로는 중증 뇌손상환자, 반신마비 환자

들처럼 신체의 활동성이 크게 저하되어 있고 감각기

관을 통한 지각이 어려운 환자 그리고 섬망과 같은 정

신적인 장애가 있는 성인들을 상으로도 많이 사용

하고 있다. 1991년에 BS에 관한 교과서를 출판하고 3

년 뒤 BS 교육과정을 독일에서 만들었다 2005년에는

덴마크버전으로 BS 교과서가 만들어졌고 1998년 이

후로 덴마크에서 20개 이상의 BS 교육과정이 개설되

었다.

3) Basal Stimulation의 개념적 이해

BS는 의료서비스에 있어서 전인적인 접근을 기반

으로 한 매우 포괄적인 컨셉이다. 즉, 환자의 반응과

선호도를 고려해서 스트레스를 완화한다. 더불어 환

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고 사회상호작용과 독립성을

키우고 환자에게 감각인식⋅지각, 움직임, 비⋅언어

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Nydahl &

Bartoszek, 2005). BS가 초점을 두는 부분은 7가지 지

각영역이다(Table 1). 가장 일반적인 접근법은 환자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BS의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다.

4) Basal Stimulation의 구체적 목적

BS의 경우, 개별화의 개념을 하에 그리고 개념을

넘어, 구체적인 목적이 있다(Table 2). 그리고 각기 다

른 상황의 환자들에게 사용한 BS의 차이점들은 아래

표에 제시한 목적에 따라 성취하고자 시행된다.

No. Specific Goals

1That the patient can maintain life and

develop experiences

2 Feel his/hers own life

3 Feel security and build confidence

4 Develop his/her own rhythm

5 Experience the outside world

6 Maintain and establis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7 Make sense of his/her experiences

8 Maintain control over his/hers life

9 Experience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able 2. The Specific Goals of Basal Stimulation

5) Basal Stimulation의 공통 요소

각기 다른 환자의 특성에 따라, 상황에 따라 BS의

요소들을 달리 사용하지만, 공통적으로 유념하여 적

용해야하는 공통 요소들이 있다(Table 3).

이는 환자에 따른 개별화와 더불어 기본 개념을 이

해하고, 유념하여 시행해야 하는 것을 상기시킨다.

No. Seven Perception Areas

1 Somatic Perception

2 Tactile/Haptic Perception

3 Vestibular Perception

4 Vibration Perception

5 Oral/Olfactory Perception

6 Auditory Perception

7 Visual Perception

Table 1. The Focal Points of Perception Areas

Page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No. common elements

1 History of patients everyday life

2 Initial contact

3 Clear body delineation

4 Predictability

5 Day/night cycles and other rhythms

6 Organization of space

7 Stimulating or reassuring body wash

8 Positioning

9 Support in carrying out ordinary activities

Table 3. The Common Elements of Basal Stimulation

6) Basal Stimulation 중 전체 몸씻기 기법

BS 중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공통요소로 포함되

어 있는 전체 몸씻기의 원칙들에 해 자세히 알아보

고자 한다. 전체 몸씻기의 목적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안정감과 진정을 시키기 위한 방법과 두

번째, 자극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1) 안정감 제공의 씻기

안정감 제공의 씻기는 털이난 방향의 순방향으로

씻는 방법이다(Figure 1).

Figure 1. Soothing or calming wash

(2) 자극 제공의 씻기

자극 제공의 씻기는 털이 난 방향의 반 인 역방향

으로 씻는 것이며, 이때 누르지 않고 당기는 것이 중

요하다(Figure 2).

(3) 동시에 씻기

안정감 제공의 씻기와 동일한 원칙이지만, 두 사람

이 동시에 씻긴다. 단, 같은 리듬, 같은 속도로 제공해

야 한다.

Figure 2. Invigorating or activating

wash

(4) 신경생리학적 씻기

신경생리학적 씻기는 건측에서부터 환측으로 씻는

방법이다(Figure 3). 이 방법은 혈관성 치매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Figure 3. Neurophysiological wash

Page 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중기 또는 말기 치매 환자의 치료 및 케어를 위한 Basal Stimulation 5

(5) 편마비의 안정감 제공의 씻기

편마비의 안정감 제공의 씻기는 건측에서부터 환측

으로 씻는 방법이다(Figure 4).

Figure 4. Soothing wash by hemiplegia

(6) “렘니스케이트” 씻기

건측에서 환측으로 씻고, 렘니스케이트 움직임으로

다시 돌아간다(Figure 5). 먼쪽으로 갈 때는 아래로, 몸

쪽으로 갈 때는 위로 향한다.

Figure 5. Wash with “Lemniskate”

(7) 강직 감소를 위한 반 방향의 씻기

양손으로 반 방향의 씻으며 자극을 제공한다. 한

손이 손에서부터 어깨로 시작한다면, 다른 손은 어깨

에서 손의 방향으로 씻는다.

(8) 상지의 씻기 및 진동감각 제공

씻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동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Figure 6).

위에서 제시한 씻기 방법은 실제 씻기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도포제 등 감각적 경험의 제공을 위해 건

조한 상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기도 하지만, 환자가 느끼는 감정, 환자의

주요 특징에 초점을 두어 제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Ⅲ. 결론과 고찰

Basal Stimulation은 문제행동증상과 더불어 행동정

신학적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중기 또는 말기 치매환

자에게 필수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접근

법이다.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는 환자에게 있어,

Page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교정적, 보상적 접근법보다 중요한 부분은 스트레스

완화 및 감정적지지이다. Basal Stimulation을 통해 치

매관리의 질을 높일 수 있고 더불어 환자에게 감각적

자극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뇌에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중기 또는 말기환자의 치료와 관리

에 있어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Basal

Stimulation은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기 또는 말기 치매환자 관리에 관한 관

심을 제고하고,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

록 치매관리 선진국인 독일에서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관리방법이지만, 현재 우리나라 현실에 즉각적

인 도입에는 시설의 부족, 인력의 부족 등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할 것이며, 치매 관리에 있어 새로운 접근법에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치매관리에 있어 환자의 감정,

스트레스, 감각에 한 접근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앞으로의 치매관리 방안 모색에 있어 시발

점이 되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Amore, M., Tagariello, P., Laterza, C., & Savoia, E. M.

(2007). Subtypes of depression in dementia.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4(1),

23-33.

Baker, R., Dowling, Z., Wareing, L. A., Dawson, J., &

Assey, J. (1997). Snoezelen: Its long-term and

short-term effects on older people with dementia.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5),

213-218.

Cankurtaran, M., Yavuz, B. B., Cankurtaran, E. S., Halil,

M., Ulger, Z., & Ariogul, S. (2007). Risk factors

and type of dementia: Vascular or Alzheimer?.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7(1),

25-34.

Chang, W, S., & Lee, J, M. (2006). The Effect of Group

Reminiscence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Social Behavior of Patient with Dementi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4(1), 239-269.

Choi, S. (2003). Effect on Symptoms Improvement for

Figure 6. Variations of the upper body

Page 1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중기 또는 말기 치매 환자의 치료 및 케어를 위한 Basal Stimulation 7

Severe Dementia Elderly by Music Therapy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Eu, C, U., Park, E, J., & Yong, M, H. (2013). A

Systematic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on Dementia in

Korea.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7(2), 39-46.

Gang, H, S., & Kim, G, J. (2000). The Correlation be-

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among the

Aged. The Journal of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26(4), 451-459.

Gi,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Th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Ha, J. (2007). Disease Awareness Process in Elderly with

Early Dementia(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Hebert, L. E., Scherr, P. A., Beckett, L. A., Albert, M.

S., Pilgrim, D. M., Chown, M. J., et al.. (1995).

Age-specific incidence of Alzheimer’s disease in

a community popul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17), 1354-1359.

Heo, S, G. (2010). The influence that taking part in

self-half groups has on geriatric depress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ang, M, H. (2005).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inter-

vention program on cognition, emotion, communi-

cation and problematic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Alzheimer(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im, B, Y. (2000).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for Dementia Senile People. The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2(1),

22-34.

Kim, G, A. (1998). The effects of validation therapy on

behavior and emotion of elderly demented peo-

ple(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im, G, S. (2004).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elde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 plans to acti-

vate it(Master’s thesis). Sungsan Hyo University,

Incheon.

Kim, H, S., & Kim, B, S. (2006). The Effects of Self-

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Stress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1), 23-37.

Kim, H, Y., Yun, S, Y., & Park, Y, K. (2004).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Attentiven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Dementia.

Th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22(1), 41-41.

Kim, Y, S. (2002). Integrated approach to dementia.

Paju: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publisher.

Lee, S, H., & Gang, S, Y. (2006). The effect of the

Story Recall Training Program using Newspaper

Influence on Elderly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Patients Dementia. The Journal of

Rehabilitation Science, 24(1), 19-33.

Lee, S, Y. (2005). The effect of Lavender Aroma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Aggressive

Behavior of Elderly with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2), 303-312.

Lee, Y, H. (2004). Housing Environment for Life Quality

of Korea Family with Demented Elderly(Doctoral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Seoul.

Lee, Y, N., Park, J, H., & Lem, G, M. (2013).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Physical

Exercise on Demented old Adult’s Executive

Function.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5), 322-331.

Lee, Y, R., & Park, J, H. (1996). Treatment and causes

of dementia. Seoul, Korea: Hakjisa.

So, M. G et al. (1996). Status and Challenges of

Dementi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Korean national

Page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health accounts and total health expenditure.

Seoul, Korea: Author.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4.5 times in-

crement of the people with dementia in recent 7

years. Seoul, Korea: Author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To Know Korea

through statistics. Daejeon, Korea: Author.

Nydahl, P. & Bartoszek, G. (2005), Basal Stimulation,

Munksgaard, K¢benhavn.

Oh, B, H. (2002). Dementia - Alzheimer’s treatment of

the right guidance and understanding. Rainbow

publisher.

Park, J, H., Young, M, H., Gang, S, U., & Yang, Y, A.

(2013). The Systematic Review for Research on

Applying the Reminiscence Therapy to Patient

with Dementia Domestically. The Journal of

Korea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2), 1-8.

Park, J, M. (2007). Development of creative, and ana-

lytical music therapy programs for old persons

with dementia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s(Doctoral dissertation). Busan, Korea:

Busan National University.

Reisberg, B., Ferris, S. H., de Leon, H. J., & Crook, T.

(1992).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for

Assessment of 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136-1139.

Sin, S, J., Lee, J, S., Kim, S, K., & Jeon, B, J. (2013).

The Effect of a Group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for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3),

45-60.

Steinberg, M., Corcoran, C., Tschanz, J. T., Huber, C.,

Welsh-Bohmer, K., Norton, M. C., et al. (2006).

Risk factors for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de-

mentia: The Cache Count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1(9), 824-830.

Wang, Z, S. (2004). The effects of hand movement ex-

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recog-

nition ability in the dementia old adults(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Williams, C., & Whttfield, G. (2001). Written and com-

puter-based self-help treatments for depression.

British Medical Bulletin, 57, 133-144.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1992). The ICD-10

Classification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Geneva: WHO.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Young, M, H., Park, J, H., & Yang, Y, A. (2013).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the Silver

Generation. The Journal of Korea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69-80.

Page 1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중기 또는 말기 치매 환자의 치료 및 케어를 위한 Basal Stimulation 9

Abstract

Basal Stimulation Treatment for Moderate and Severe Dementia Patients

Choi, Hyun-Se*, O.T.R., Jang, Tae-Yong**, O.T.R., Lee, Bo-M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Hallym University Kangdong Hospital

***Busan Metropolitan Dementia Cente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Basal Stimulation treatment for severe dementia patients.

Detours : Basal Stimulation is a therapy that activates every body part by stimulating sensory organs, which makes people recognize body action. This therapy has forcal points of 7 perception areas. Basal Stimulation made by 9 common elements has 9 specific goals.

Conclusion : Basal Stimulation is positive effect to moderate or severe dementia patients. This approach looks forward to dementia management plan shall be considered a starting point.

Key Words : Dementia, Basal Stimulation, Care

Page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Page 1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운전은 수많은 인지, 시각, 그리고 지각능력 등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복합적인 행동으로서 장애인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개인적인 이동

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가장 중요한 도구적 일

상생활활동(IADL)이다(Fuller, 2005). 노인과 장애인들

의 일상생활활동은 일상생활에서 활동 정도를 나타내

며, 그동안 노인과 장애인들의 건강상태와 사회적 참

여의 정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써 사용되어 왔

다(Shin & Park, 2012). 장애인들에게 있어서 자유롭게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을 통한 대학생들의 인지능력 비교

장철*, 이혜진**, 김민우***, 김찬우***, 김성경***, 장다혜***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과

**메드윌병원 작업치료실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운전면허소지자 학생과 비면허소지자의 실제 운전을 실시하

기 전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훈련이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측정 도구 가상운전시뮬레이터(drivingsimulator)를 이용한 인지평가 항목 반응평가, 판단력 평가,

예측력평가, 적성평가, 청각평가, 깊이감평가 총 6개 항목을 통해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

였고 실험군은 주 세 번의 세션으로 3주 동안 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반응평가와 예측력평가에 대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이 운전면허소지자군

보다 반응속도와 예측력이 향상되었다.

2. 관섭과제와 관섭과제2에 대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이 운전면허소지자군보

다 관섭하는 과제에 대한 대처능력이 향상되었다.

3. 깊이감평가에 대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이 운전면허소지자군 보다 깊이감

에 대한 반응이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면허소지자의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이 반응평가, 예측력, 장애

물이 없는 관섭과제능력, 장애물이 있는 관섭과제능력, 깊이감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면허소지장애인에게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고령

자와 장애인들에게 운전재활 프로그램으로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 적용을 통해 인지능력과 반

응속도, 예측력 등이 향상 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가상운전, 가상운전시뮬레이터, 인지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 Therapy, Pusan Medwill Hospital)

Received 25 August 2014; Revised version received 14 September 2014; Accepted 15 October 2014

Page 1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이동할 방법을 찾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며 복

지를 향한 기본적인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수

단적 일상생활과 관련된 장애인 운전재활은 매우 중

요하다(Lee & Jang, 2013). 이동시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이동에 어려움이 많은 고령자와 장애인에게 매

우 중요한 문제로 (Kim & Chang, 2010)이런 이동과 관

련한 운전재활은 고령자와 장애인에게 매우 중요하다

고 볼 수 있다.

운전은 장애인의 이동능력을 증진시켜줌으로써 사

회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고 독립적인 삶을 누릴수

있도록 하며(Trombly, 1983), 장애인들에게 있어 최상

의 자유를 가져다 준다(Hofkosh, Sipajlo & Brody,

1969).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는 운전 중에 생길 수 있

는 다양한 상황들에 한 시지각 정보들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이에 한 적절한 반응을 필요로 하는데 이

를 위해서는 지각, 인지기능 및 실행능력 등이 필요하

다(Heo et al., 2003). 시지각이란 인간이 환경으로부터

적응하기 위해 망막에서 얻은 정보를 인지개념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중추신경계가 시각정보를 통합하여

의사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이다(Cho & Kim, 2013).

사고나 노화로 인해서 신체적, 인지적 손상은 받은

장애인이나 노인들의 경우 운전을 하는데 필요한 운

전능력에 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필요한

경우 운전으로의 복귀를 위한 전문적인 재활을 받아

야 한다(Shin, 2011). 신체적기능이 손상된 장애인을

상으로 운전기능을 평가하고 운전 훈련을 하는 것

은 재활치료의 중요한 일부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arzer, Korner & Sofer, 1998).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

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tion), 인지기능

(cognitive function),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이 필

요한데, 뇌손상이후에는 신체, 인지기능, 시각, 지각,

의사소통, 감정 조절 능력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안전

한 자동차운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뇌손상 장애

인들이 퇴원 후 어떠한 운전훈련이나 평가 없이 운전

으로 복귀하는 것 은 위험할 수 있다(Galski, Bruno &

Williams, 1997). 최근 들어 인지의 향상과 일상생활에

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지만(Yoo, 2012),

국내에서는 이런 인지와함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인

운전과 관련된 운전재활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실제자동차를 이용한 도로주

행 훈련을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나 안전성 등의 문제가

있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며 많은 경우 운전훈련

의 기회조차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

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실내에서 안전하

게 시행할 수 있는 가상운전시뮬레이터(drivingsimulator)

이 좋은 안이 될 수 있을 것 이다(Lee, Cameron &

Lee, 2003).

실제로 뇌손상 환자에서 가상운전시뮬레이터

(drivingsimulator)을 이용한 운전연습은 안전하며 불안

감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고, Akinwuntan 등은 뇌

손상정도가 경한 환자를 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상

운전시뮬레이터 프로그램훈련 후 운전관련테스트에

서 향상이 있었고 운전 관련 인지 치료군에 비해서 더

많은 수가 운전면허시험에서 합격하였다고 보고하였

다. 기존의 국립재활병원에서는 실제 차량을 이용한

운전 훈련 방법이 장애인들에게 위험할 수도 있고 비

용 또한 많이 들게 되므로 모의운전을 통하여 운전훈

련을 시킨 후 실제 차량을 이용한 운전 훈련을 실시하

였다. 그러나 시내주행 화면을 비추어주는 영화화된

모의운전의 경우 상호작용이 전혀 없기 때문에 실제

의 운전감각을 익히는 데는 흥미와 효율이 덜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가상현실 기술을 자동차운전 훈

련에 적용하면 운전자와 눈앞의 상황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져 실제 차량운전과 거의 같은 상황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가상환경에서 체험을 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가상환경을 여러 가지로 구성하여 여러 가

지 상황에서 테스트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기존의 모

의운전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Lee et al., 2002).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을 상으로 운전

면허소지자 학생과 비면허소지자의 실제 운전을 실시

하기 전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훈련이 인지 능력에 미

치는 영향에 해서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상

으로 운전 시뮬레이터훈련에 한 연구를 하는데 기

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Page 1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을 통한 대학생들의 인지능력 비교 13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3년 9월 30일부터 10월 30일까지 3주

동안 부산소재지 K 학 작업치료과 학생 20명을 상

으로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를 통한 훈련이 환자들에

게도 적용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0

명의 상자는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 10명 (비

면허자) 운전면허소지자군 10명 (면허소지자) 으로 선

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험

에 동의한 사람 20명을 상으로 하였다.

2. 측정방법

1) 측정도구

가상운전시뮬레이터 (drivingsimulator)를 이용한 인

지평가 항목 중 반응평가, 판단력평가, 예측력평가, 적

성평가, 청각평가, 깊이감평가 총 6개 항목을 통해 작

업치료과 학생 중 선정한 20명을 상으로 실험을 실

시하였다.

2) 측정 방법

(1) 반응평가 : 초록불, 빨강불, 노란불 시각적 자극

이 오면 가속페달, 감속페달, 경적 등에 알맞은 반응

을 보이는지 평가한다.

(2) 판단력 평가 : 핸들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에

돌아가는 장애물에 형태에 맞게 조작 할 수 있는지 평

가한다.

(3) 예측력 평가 : 일정속도를 가진 물체가 안보이

는 동안 어느 만큼의 거리를 갈 수 있는 지를 예측하

는 평가이다.

(4) 관섭과제1 : 방송해주는 로 청각 자극에 반응

하여 차선 변경과 시각 자극을 통해 알맞은 페달을 밟

는 평가이다.

(5) 관섭과제2 : 장애물을 피해 차선을 변경하고 시

각 자극을 통해 알맞은 페달을 밟는 평가이다.

(6) 깊이감평가 : 양쪽의 깊이가 같은 물체를 찾아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는 평가이다.

3) 평가 방법

실험을 시작하기 전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 운

전면허소지자군 모두 초기평가를 실시하고 가상운전

시뮬레이터 훈련군 같은 경우 주당 세 번의 세션으로

삼주동안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최종평가는 4주차에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하였으며 K 학 작

업치료과에 재학중인 학생중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

련군 10명(실험군), 운전면허소지자군 10명( 조군)을

상으로 하였으며,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 A는

남자가 1명 여자가 9명 평균연령은 20세, 운전경력은

없었다. 운전면허소지자군 B는 남자가 4명 여자가 6

명 평균 운전경력은 1.5년 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Gender 1.90±0.316 1.60±0.516

Age (year) 20.1±0.316 21.1±1.663

Tall 162.8±6.989 166.5±7.59

Weight 54.0±10.06 61.3±7.86

Eyeglasses 1.50±0.527 1.60±0516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3. 군간 반응평가 비교

연구의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의 초기평가에

서는 73.20±7.32점이 나왔으며, 3주 훈련 후 최종평가

에서는 82±11.89점으로 향상을 보였다. 운전면허소지

자군의 초기 평가에서는 64.60±16.30점이 나왔으며 최

Page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종평가는 68.20±15.45점이 나왔다(P<0.05)(Table 2).

4. 군간 판단력평가 비교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의 초기평가에서 98±

13.94점을 기록하였고 3주 훈련 후 97.8±7을 기록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운전면허소지자군의 초기평

가에서는 98±6.32점을 기록하였고 최종평가에서는

100±0을 기록하였다(P<0.05)(Table 3).

5. 군간 예측력평가 비교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의 초기평가에서는 78.80±

7.43점을 기록하였고 3주 훈련 후 87.4±8.11으로 향상

된 점수를 기록하였다. 운전면허소지자군의 초기평가

에서는 69.60±17.96점을 기록하였고 최종평가에서는

74±17.35점을 기록하였다(P<0.05)(Table 4).

6. 군간 관섭과제1 비교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의 초기평가에서는

57.20±11.24점을 기록하였고 3주 훈련 후 79.20±14점

으로 높은 향상됨을 보였다. 운전면허소지자군 B의

초기평가에서는 53.8±13.01점을 기록하였고 최종평가

에서는 64±13점으로 향상됨을 보였다(P>0.05)(Table 5).

7. 군간 관섭과제2 비교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의 초기평가에서는 50.4±

13.15점을 기록하였고 3주 훈련 후 67.2±8.44점으로

향상된 점수를 보였다. 운전면허소지자군 B의 초기평

가에서는 50.60±10.33점을 기록하였고 최종평가에서

는 52±6.8점을 기록하였다(P>0.05)(Table 6).

8. 군간 깊이감평가 비교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의 초기평가에서는 73.6±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 P

pre-test 98±13.94 98±6.32 -2.1 0.05

post-test 97.8±7 100±0 -1 0.33

Table 3. Judgment evaluation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 P

pre-test 78.80±7.43 69.60±17.96 1.5 0.15

post-test 87.4±8.11 74±17.35 2.21 0.05

Table 4. Prediction evaluation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 P

pre-test 57.20±11.24 53.8±13.01 0.63 0.54

post-test 79.20±14 64±13 2.52 0.21

Table 5. Interference task1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 P

pre-test 73.20±7.32 64.60±16.30 1.52 0.15

post-test 82±11.89 68.20±15.45 2.24 0.39

Table 2. Reaction evaluation

Page 1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을 통한 대학생들의 인지능력 비교 15

20.48점을 기록하였고 3주 훈련 후 96±3.78점으로 높

은 향상됨을 기록하였다. 운전면허소지자군의 초기평

가에서는 64.4±32.56점을 기록하였으며 최종평가에서

는 75.8±24.39점으로 향상됨을 기록하였다(P<0.05)

(Table 7).

Ⅳ. 고 찰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

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tion), 인지기능

(cognitive function),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이 필

요하다. 실제로 뇌손상 환자에서 가상운전시뮬레이터

(drivingsimulator)을 이용한 연구에서 가상운전 프로그

램훈련 후 운전관련테스트에서 향상이 있었고 운전관

련 인지 치료군에 비해서 더 많은 수 가 운전면허시험

에서 합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을 상으로 운전재활에 한 인지능

력을 파악하고 인지능력 훈련을 하여 인지능력 향상

이 운전재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하였다. 실험 참

가자로써 운전 면허증이 없는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

련군과 면허증을 취득한 운전면허소지자군 20명의

학생을 상으로 실험을 실행하였으며 2013년 9월부

터 시작하여 10월 까지 약 3주간의 훈련을 통해 실시

하였다.

학생들의 운전재활에 한 인지능력평가를 실행한

결과,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지능력을 반응평가, 판단

력평가, 예측력평가, 관섭과제평가, 깊이감평가 등으로

6가지로 나누어진 가상운전시뮬레이터(drivingsimulator)

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그 결과가 가

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의 초기데이터가 운전면허

소지자군의 초기데이터에 비해 낮을 것을 예상하고

가상운전시뮬레이터훈련군의 3주간의 훈련을 실행하

고 말기평가의 결과가 운전면허소지자군과 비슷하거

나 높을 것을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 반응평가 결과로는 가상운전시뮬레이

터 훈련군과 운전면허소지자군은 Table 1과 같이 가상

운전시뮬레이터 훈련군은 초기평가 73.20±7.32점에서

최종평가에서 82±11.89점으로의 향상을 보였고 운전

면허소지자군은 초기 평가 64.60±16.30점에서 최종평

가 68.20±15.45점 의 통계학적 변화가 나타났다. Jang

(2011)의 Dynavision을 이용한 시지각 훈련이 시지각

처리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군별

반응시간은 0.70에서 0.63으로 반응 점수는 24.13에서

58.20으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렇게 반응평가 훈련 결과가 선행논문과 유사한 결

과가 나타났다.

Kim(2011)의 재활 및 장애 관련 종사자들의 운전재

활에 한 인식도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운

전관련 제도 및 정책에 한 전반적인 지식수준이 없

는 종사자가 57명(44.5%)으로 절반에 가까웠으며, 우

리나라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에 한 전반적인

지식수준이 낮은 종사자도 65명(50.8%)으로 체적으

로 운전재활에 한 낮은 인식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Lee(2013)의 중추신경계 손상환자의 운

전재활에 한 인식과 필요성 에서는 인구조사 상자

가 지각하는 운전재활의 인식수준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전재활에 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 P

pre-test 73.6±20.48 64.4±32.56 0.76 0.46

post-test 96±3.78 75.8±24.39 2.59 0.03

Table 7. Perceptional depth evaluation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 P

pre-test 50.4±13.15 50.60±10.33 -0.04 0.97

post-test 67.2±8.44 52±6.8 4.43 0

Table 6. Interference task2

Page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1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으며 특히 ‘장애인을 위한 전문적인 운전 교육을 실시

하고 있는 기관에 한 인식’과 ‘장애인 운전 적합성

을 판단하기 위한 운동능력측정시행에 한 인식’이

낮다고 하였다. 반면 조사 상자가 지각하는 운전재

활의 필요성에 한 물음에서는 응답자의 부분이

(89.4%) 운전재활의 필요성을 강하게 지각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고 하였다.

이렇게 운전재활에 한 장애관련 종사자들과 장애

인의 인식도는 낮은 반면 필요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재활에 한 필요성 높아지는 반면 운

전재활의 실제적인 평가인 판단력평가, 예측력평가,

관섭과제평가, 깊이감평가 등과 같은 연구사례는 운

전재활이 국내에 도입된지는 오래 되었으나 선행논문

이 없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운전재활에 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

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K 학에 재학중인 몇 명의 학생을

상으로 운전면허소지자 학생과 비면허소지자의 실제

운전을 실시 하기 전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훈련이 인

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운전면허소지자와 비면허소지자를 선발하여 가상운

전시뮬레이터 훈련군(n=10)과 운전면허소지군(n=10)

으로 학생 20명을 상으로 초기평가를 실행한 후

3주간의 주 3회 가상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을 하

고 최종평가를 실행한 뒤 최종평가를 실행한 결과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반응평가에 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레

이터 훈련군이 운전면허소지자군 보다 반응속도가 향

상되었다.

2. 판단력평가에 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

레이터 훈련군과 운전면허소지자군이 판단력에 해

차이가 없었다.

3. 예측력평가에 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

레이터 훈련군이 운전면허소지자군 보다 예측력이 향

상되었다.

4. 관섭과제1에 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

레이터 훈련군이 운전면허소지자군 보다 관섭하는 과

제에 한 처능력이 향상되었다.

5. 관섭과제2에 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

레이터 훈련군이 운전면허소지자군 보다 관섭하는 과

제에 한 처능력이 향상되었다.

6. 깊이감평가에 한 훈련 결과에서 가상운전시뮬

레이터 훈련군이 운전면허소지자군 보다 깊이감에

한 반응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면허소지자의 가상

운전시뮬레이터 훈련이 반응평가, 예측력, 장애물이

없는 관섭과제능력, 장애물이 있는 관섭과제능력, 깊

이감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면

허소지장애인에게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이 도움

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고령자와 자장애인들에

게 운전재활 프로그램으로 가상운전시뮬레이터 훈련

적용을 통해 인지능력과 반응속도, 예측력 등이 향상

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후발 연구자들은 더욱 구체

적인 질환이나 장애인을 상으로 한 연구가 추가적

으로 실행되기를 기 한다.

참고문헌

Trombly, C. A. (1983). Occuap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2nd ed, Wiliams and Wilkins.

Cho, M. L., & Kim, D. J. (2013). Trends in research on

visual perceptual intervention approache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

ly policy association, 5(2), 55-64.

Galski, T., Bruno, L. R., & Williams, J. B. (1997). Off

road driving evaluationsfor persons with cerebral

injury: a factor analytic study of predriver and

simulator testing. Am J Occup Ther, 51, 352-359.

Ghim, D. G. (2011). study on cognition and needs tiward

driver rehabilitation of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Master’s thesis). Dagu University, Gyungsan.

Page 2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가상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을 통한 대학생들의 인지능력 비교 17

Heo, A. N., Park, S. U., Lee, B. S., Shin, O. S., Lee, E,.

S., Na, I. S., & Kim, B. S. (2003).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stroke patients using cognitive

behavioral river’s Ubvebtiry.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7(1), 7-12.

Hofkosh, J. M., Sipajlo, J., & Brody, L. (1969).

Drivereducation for the physical disabled: Evaluation,

selection, and training methods. Med Clin N Am,

53(3), 685-689.

Jang, C., Song, M., Kim, S. S., Kim, H., & Lee, K.

(2011). Visual perception reaction comparison be-

tween men and women o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olds using Dynavisio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Physical Therapy, 7(2), 17-23.

Kim, J. K., & Cha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ir the aged and the

disabled,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2(1), 5-26.

Lee, H. C., Cameron, D., & Lee, A. H. (2003). Assess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older adult drivers:

on-road versus simulated driving. Accid Anal

Prev, 35, 797-803.

Lee, B. J. (2013). Perception and necessity of driving re-

habilitation in CNS injury patients(Master’s the-

sis). Gatholic university, Daegu.

Lee, H. J., & Jang, C. (2013).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of busan on driving rehabilitation.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

sociation, 5(1), 47-57.

Lee, J. H., Kim, J. A., Lee, B. S., Lee, J. H., Kim, B.

S., Ku, J. H., Jang, D. P., & Kim, S. E. (2002).

Development and clinical trial of driving simu-

lator with virtual reality.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6(3), 311-315.

Lundqvist, A., Alinder, J., Alm, H. (1997). Neuropsychological

aspects of driving after brainlesion: simulator

study and on-road driving. Appl Neuropsychol, 4,

220-230.

Mazer, B. L., Korner-Bitensky, N. A., & Sofer, S.

(1998). Predicting ability todrive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79, 743-750.

Fuller, R. (2005). “Towards a general theory of driver

behaviour,” Accid Anal Prev, 37(3), 461-472.

Shin, J. I. (2011). Perception of Occpational therapists on

driving rehabilitation. National Digiral Science

Library, 11(4), 283-289.

Shin, J. I., & Park, S. J. (2010). Study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rehabilitation for

elderly out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2(2), 20-28.

Yoo, C. U. (2009). The effect of the cognitive re-

habilitation program rehacom on cognitive func-

tion elderly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1(2),

35-41.

Page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

Abstract

Comparison of the Cognitive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Jang, Cheol*, M.O.T, Lee, Hye-Jin**, O.T.R,

Kim, Min-Woo***, Kim, Chan-Woo***, Kim, Sung-Kyung***, Jang, Da-Hye***

*Dept. of Occupation Therapy,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Dept of Occupation Therapy, Pusan Medwill Hospital

***Dept. of Occupation Therapy,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prior to college students, to implement the actual operation of the non-license holders driving license holders, and students, the effects of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on the cognitive ability.

Methods : Use Evaluation of item response whether using driving simulator of the measurement tool (drivingsimulator), evaluation of the judgment, the evaluation of the predictive power, due diligence, evaluation of hearing, the item total of six of the evaluation of the sense of depth befo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argeting 20 people selected students working family, to start the test, the test groups, 3 sessions three times a week I have conducted training of week.

Results : 1. The results of training for response assessment,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group, the reaction rate was improved than the licensed driver group.2. The results of training of interference challenge 2,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group, ability to cope challenges interference than the licensed driver group was improved.3. The results of training for the evaluation of the sense of depth,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group, reacted improved sense of depth than the licensed driver group.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the ability interference challenge ability, the sense of depth that interference challenge ability not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of non-l icense holders evaluation of the reaction, predictive power, obstacles, obstacles can be improved I get it. Also, I suspect through the application of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as the reaction rate and cognitive ability, predictive power is improved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to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Key Words :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Cognitive

Page 2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의학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통

계청의 2012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2009년 10.7%에서 2018년 약 14.3%로 고

령사회에 진입하게 되고, 2026년 약 20.8%로 본격적

인 초 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

고 질병의 변화를 보면, 과거 인류 역사에서 질병의

전형적인 형태인 전염병이나 위생과 관련된 질병 등

급성질환들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인구 노령화와 생

활행태의 변화에 따른 만성퇴행성 질환이 주류를 이

루어 가는 추세가 뚜렷하다(Kim, & Yang, 2012). 선진

PNF 기법을 이용한 저항운동에 따른 노인의

상지 관절가동범위와 파악력 비교

하경진*, 유창민**, 성지은***

*동아대학교병원 물리치료실

**동아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부산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PNF기법을 이용한 저항운동이 노인의 상지 관절가동범위와 파악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부산의 N구, S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75세 미만의 남⋅여 노인으로 총 30명을 무

선배정 하였고, 피검자는 운동을 하는데 특별한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

구를 진행하였다. PNF운동그룹 15명 통제그룹 15명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기간은 4주간하였으며,

매주 1회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

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PNF기법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운동그룹이 어깨관절의 굴곡 관절가동범위의 효과가

있음(p<.05)를 보여주었다. PNF기법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운동그룹에서 운동 전 후

악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통제그룹간의 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4주간 PNF기법을 이용한 저항운동을 시행한 PNF운동그룹의 어깨관절의 굴곡 관절

가동범위가 통제그룹의 어깨관절의 굴곡 관절가동범위보다 크며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는 노인을 대상으로 PNF기법을 이용한 저항운동이 상지 관절가동범위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여 지며 PNF운동은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법이

라고 사료된다.

주제어 PNF, 노인, 관절가동범위

Corresponding author: Yoo, Chang-Min([email protected]/Dong-a university hospital Occupational therapy center)

Received 20 September 2014; Revised version received 1 October 2014; Accepted 25 October 2014

Page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국들의 고령사회와 비교하더라도 우리나라의 고령화

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고령자들의 진료

인원과 진료비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심각성으로 두되고 있다(Kim, & Kim, 2011). 노인들

의 신체적 특징은 근력의 약화와 신체의 관절 가동범

위의 제한으로 인한 일상생활이 어렵게 되며 기능적

인 저하를 보인다(Bae, & Lee, 1996). 일반적으로 노화

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기능뿐만 아니라 골격근의 부

피가 감소되고(Frontera et al., 1991), 근육 내 지방과

콜라겐 증가로 인한(Kent-Braun et al., 2000) 근감소증

의 생리적 변화가 나타난다(Yoon, 2012). 이러한 노인

의 관절 쇠퇴를 보호하고 주요 관절의 근력과 관절가

동범위의 유연성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쉽

게 흥미를 느끼며 접근할 수 있는 규칙적인 저강도 스

트레칭을 권장하고 있다(Chappleear, Landin, Linnemeier,

Noble & Rothbaum, 1985)

신체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허약노인의 경우 근력

감소 예방 및 자세, 균형, 그리고 신체 기능향상을 위

해서 포괄적인 저항운동이 권장되며, 여러 가지 저항

운동법 중에서도 중량 없이 운동을 시작하여 손목과

발목에 중량을 부착하여 점증적으로 운동 강도를 증

가 시키는 형태의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Best-Martini &

Botenhagen-DiGenova, 2003). 특히 노인에게 저항운동

과 함께 관절의 스트레칭이 동시에 나타나서 관절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근이 과도하게 유착되는 것을 줄인다. 또한

혈액 순환을 증가시키고 호흡순환능력과 환경 적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운동은 국내연구 중 Yang,

Hwang과 Ko(2011)의 연구에서는 중량 부착물 착용 운

동을 12주간 적용한 결과 허약 노인의 신체 기능 향상

을 보고하였다. Sun, Lee와 Park(2008)의 연구에서도

신체기능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허약노인의 효과적인 근골격계 기능

강화에 하여 검토하였지만, 일상생활의 제한이 있

는 허약노인 경우 시설과 경제적 제약을 받지 않는 운

동을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Min, & Kim,

2002).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기능장애 및 만성질환인 상지 관

절가동범위 제한과 근력약화를 PNF기법을 이용한 저

항운동을 실시하여 근력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고 노인들의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법을 연

구해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부산의 N구, S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75

세 미만의 남⋅녀 노인으로 총 30명을 무작위 배정하였

다. 피검자는 운동을 하는데 특별한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노인들을 선별하였다(table 1). 선행연구와 같은 기

중으로 PNF운동그룹 15명 통제그룹 15명으로 각각 구분

하였다. 기간은 4주간하였으며, 매주 1회 측정하였다.

2. 연구방법 및 절차

1) PNF기법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

PNF기법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은 준비운동을 두

그룹 모두 동일하게 10분간 실시하였으며, 견관절의

관절가동범위 안에서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스트레칭

위주의 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운동은 PNF기법 운동

은 견관절을 굴곡-외전-외회전, 그리고 신전-내전-내

회전을 수축-이완(Contract-relax)과 같은 이완기법을

Group N Age (year) Tall (cm) Weight (kg)

PNF exercise group 15 73.23±3.22 153.55±2.3 54.34±3.2

Control group 15 72.55±2.38 149.72±4.31 57.14±8.6

Table 1. Physical status of population

Page 2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PNF 기법을 이용한 저항운동에 따른 노인의 상지 관절가동범위와 파악력 비교 21

가동범위 증가를 위해서 사용하였다. 운동은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10분간 실시하였고 이어

서 등장성 수축의 혼합(combination of isotonics) 촉진

기법을 사용하여 가동범위 내에서 근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 운동이 끝난 후 모든 상자들

은 마무리 운동으로 약 10분간 자가 정적, 동적 스트

레칭을 실시하였다.

2) 실험 전⋅후 관절가동범위 검사

상자들은 누워있는 자세에서 굴곡과 신전시 중립

자세에 있을 때 각도계를 견관절의 동일한 측정자의

지시에 따라 최 한으로 움직여서 근육 긴장 또는 통

증이 발생하거나 더 이상 움직일 수 없을 때의 측정치

를 관절가동범위의 값으로 하고 이 값을 2번 측정하

여 그 평균을 측정하였다.

3) 악력

손의 쥐는 힘을 측정하는 악력은 휴 용 악력계(TKK

5401, TAKEI)를 이용하여 두 번에 걸쳐 운동을 실시한

손을 측정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손가락의

관절이 직각이 되어 잡을 수 있도록 개인별로 조절한

후 두발을 자연스럽게 벌린 다음 팔을 자연스럽게 내리

고 안력계가 몸에 닿지 않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3. 자료 처리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집단 간 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측정 도구의

동질성 확인은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다. 또한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의 신체 기능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어깨관절의 굴곡 관절가동범위

어깨 관절의 굴곡 관절가동범위의 결과는 Figure 1과

같다. 각 운동 집단 간 어깨관절의 굴곡 관절가동범위

Figure 1. Range of motion in shoulder flexion

Group Before 1week 2week 3week 4week p

PNF exercise group (n=15) 150±1.81 153±1.12 155±0.33 154±0.14 160±2.1 0.15*

Control group (n=15) 152±0.34 153±0.63 154±1.20 155±0.33 156±1.03 .002**

**p<.01, *p<.05

Table 2. Analysis of Range of motion in shoulder flexion

Page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의 효과가 있음(p<.05)를 보여주었다. PNF운동그룹과 통

제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p<.05)가 나타났다(Table 2).

2. 운동 전⋅후 악력 비교

PNF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운동 전과 후의 악력

차이를 비교한 결과 Table 3과 같다. PNF 운동그룹에

서 운동 전 후 악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통

제그룹간의 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Ⅳ. 고 찰

한국의 초고령사회는 노동력의 감소, 경제 활력의

저하, 성장 잠재력 감퇴로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Park, & Shin, 2012). 이러한 노인의 성공적인 노

화를 위한 적절한 운동과 신체 활동이 노인의 신체기

능 향상 및 유지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선행연구들은

제시하고 있다. 일상생활에 제약이 있는 노인을 위한

적절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생활 기능을 유지하

는 것이 의료비 감소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삶의 질 개

선에도 기여할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노화에 따른 근력 약화로 의존적인 생활을 하며 전

반적인 신체활동이 제약을 받게 된다(Evans, 1999). 특

히 악력은 노인의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옷을 입거나 물건을 옮기거나 들어

올릴 때 반드시 필요하다(Yang, Hwang & Ko, 2011).

본 연구 결과 4주간 PNF기법을 이용한 운동을 시행한

그룹에서 악력이 운동전보다 약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에 따른 근력의 약화는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으

로 이어진다. 운동을 통해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이 있으며 특히 PNF 적용 후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는 많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4주간 PNF기법을 이용한 운동을 시행

한 그룹에서 관절가동범위가 운동 전보다 10도 이상

증가하여 통제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화에

따른 신체기능의 변화에 맞는 운동방법으로 관절가동

범위를 유지시키는 운동방법을 적극 권장하고 있어

(Krug et al., 1994) PNF기법을 이용한 운동이 이에 맞

는 운동방법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Kim과 Kim(2013)의 연구에 따르면 PNF는 여성노인

의 신체기능(보행, 균형, 하지근력, 도구적 일상생활수

행능력) 및 낙상효능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낙상

예방에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라는 것을 확인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하여 PNF기법은 노인의 악력과 관절

가동범위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65세 이상 75세 미만의 특별한 질환을 가

지고 있지 않은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PNF기법을 이

용한 저항운동에 따른 상지 관절가동범위와 파악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4주간 PNF기법을 이용한 저항운동을 시행한 그룹

과 통제그룹 모두 운동 전과 후 어깨관절의 굴곡 관절

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NF운동그룹의

어깨관절의 굴곡 관절가동범위가 통제그룹의 어깨관

절의 굴곡 관절가동범위보다 크며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NF 운동그룹에서 운동 전과 후 악

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상의 결과는 노인을 대상으로 PNF기법을 이용

한 저항운동이 상지 관절가동범위 증가와 근력강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 운동은 노인

에게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법이라

고 사료된다.

Group Before 1week 2week 3week 4week p

PNF exercise group (n=15) 13.01±3.2 13.26±2.1 14.18±1.42 15.31±1.38 16.22±1.1 0.15*

Control group (n=15) 14.0±0.34 14.1±2.3 14.5±1.54 14.5±2.1 14.63±1.44 .262

Table 3. Analysis of PNF motor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Page 2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PNF 기법을 이용한 저항운동에 따른 노인의 상지 관절가동범위와 파악력 비교 23

참고문헌

Bae C. Y., & Lee Y. J. (1996). Geriatric medicine,

Seoul. Korea medical book.

Best-Martini, E., Botenhagen-DiGenova, K. A. (2003).

Exercise for frail elder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Chappelear, J., Landin, R. J., Linnemeier, T. J., Noble,

R. J., & Rothbaum, D. A. (1985). Exercise test-

ing and training of the elderly patient. Cardiiovasc

Clinic, 15. 20, 201-218

Evans, W. J. (1999). Exercise training guidelines for the

elderly. Med Sci Sports Exerc. 31(1), 12-17

Frontera, W. R., Hughes, V. A., & Lutz, K. J., (1991).

A cross-sectional study of muscle strength and

mass in 45 to 78yr old men and women. J Appl

Physiol, 71(2), 644-50.

Kent-Braun, J. A., Ng, A. V., & Young, K. (2000).

Skeletal muscle contractile and noncontractile

components in young and older women and men.

J Appl Physiol, 88(2), 662-8.

Kim, D. J., &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

icy association, 3(1), 33-44

Kim D. J., & Yang, Y. A. (2012). A study of Korean

elderly health care system and it’s improvement

plan. The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

sociation, 4(2), 1-7

Krug, H. E., Mahowald, M. L., & Ytterberg, S. R.

(1994). Exercise for arthritis. Baillieres clinical

Rheumatoid, Feb, 8, 1, 161-189.

Min, K. J., & Kim, H. S. (2002). Effects of home ex-

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gait in the

elderly.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8(2), 212-223

Park, B. R., & Shin, J. I. (2012). A study on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of hospital worker. The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4(2),

79-88.

Sun, W. D., Lee, S. H., & Park, J. S. (2008). 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1), 39-53

Kim S. H., & Kim D. H. (2013). The effects of PNF ex-

ercise on body functions and fall efficacy of eld-

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2), 495-512

Yang, J. S., Hwang, B. G., & Ko, D. G. (2011). The ef-

fects of exercise program with added weight on

human function, active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Exercise Science, 19(1), 81-90

Yoon, J. H. (2012). Resistance exercise strategies for sar-

copenic obesity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1(1),

5-10.

Page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Abstract

Comparison on the Elderly’s Range of Joint Motion of

the Upper Limbs and the Grasp Power According to

the Resistance Exercise Using PNF Technique

Ha, Kyung-Jin*, O.T.R., Yoo, Chang-Min**, O.T.R., Seung, Ji-Eun***, O.T.R.

*Dept. of Physical Therapy, Dong-a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a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university hospital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elderly’s range of motion of the upper limbs and grasp power according to the resistance using PNF technique.

Methods : First, a total of 65-to-75-year-old men and women residing in N and S districts in Busan were assigned wirelessly. The researcher than conducted the research on the elders who did not any diseases and problems for exercising,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by having 15 elders in the PNF exercise group and another 15 in control group. The research period lasted for 4 weeks, measuring the elders once a week.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0, and all statistical levels of significance was determined to be p<.05.

Results : The exercise group that carried out an exercising program using the PNF technique demonstrated that the members’ shoulder joint curves had an effect of the range of motion (p<.05). In terms of the profiles before and after the workout, the exercise group with the program that employed the PNF had a noticeable different,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Conclusion :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motion range of curves of shoulder joints for the PNF exercise group that performed the resistance using the PNF technique for 4 week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s motion range of the curves for shoulder joint;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he result above, it can be discerned that the resistance exercise using the PNF technique is more helpful to increase the motion range of the elderly’s upper limbs, and that PNF exercise can be considered to be a safe and effective way to be applied for elders.

Key Words : PNF, Elders, Range of Joint Motion

Page 2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Ⅰ. 서 론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 노인의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2007년 치매 노인은 39만 9천명으로

치매 유병률 8.3%이고 2011년에는 49만 5천명으로 추

정되고 있으며, 2020년에는 75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

망했다(Statistics Korea, 2012). 치매는 정도에 따라 경

도, 중등도, 중증으로 구분되며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점수에 따라 14점 이하를 중증치매 의

심, 15∼19점을 경도치매 의심, 20∼23점을 치매의심,

24점 이상을 정상으로 분류하고 있다(한국치매가족협

회, 2006). 치매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학력이

오류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공인주*, 황희영**, 심규영**, 전현숙**, 심효진**, 정다혜**, 진하현**, 김경옥**, 김훈주**

*워크재활의학병원 작업치료실

**동주대학교 작업치료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연구의 목적은 경도치매노인에 대한 오류배제학습과 시간차 회상프로그램이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4년 6월 27일부터 8월 17일까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요양원에서 MMSE-K를 실

시한 후 선정 기준에 적합한 경도 치매노인 1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5명씩 2개 군을 대상

으로 하였다. 모든 중재는 치료사와 관찰자가 주 5회 4주간 총 20회기로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Trail making testⅠ, K-DRS, 숫자외우기 검사로 실시하여 중재 전 후 점수의 변화와 두 집단의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재 후, K-DRS에서 실험군의 실험 전, 후의 기억력 점수는 9.0±4.69에서 13.0±3.53로 향상을

보였고, 집중력 점수는 28.4±4.66에서 28.4±4.66로 기억력과 집중력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숫자외우기 검사에서 실험군의 실험 전, 후의 점수가 4.2±1.48에서 5.4±1.51로 증가하여

집중력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두 집단의 Trail making testⅠ점수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115.0±108.82초, 대조군은 81.6±81.75초 로 집중력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결론본 연구 결과, 오류배제학습과 시간차 회상 프로그램이 경도 치매 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의 향

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오류배제학습, 시간차 회상프로그램, 경도 치매

Corresponding author: Kim, Hun-Ju([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Ju College)

Received 10 September2014; Revised version received 25 September2014; Accepted 24 October 2014

Page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낮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높았으며, 최경도 치

매 17.4%, 경도 치매 41.4%, 중등도 치매 25.7%, 중증

치매 15.5%로 최경도 및 경도치매가 전체의 58.8%를

차지하였다(Statistics Korea, 2012).

일반적인 경도 치매노인의 일차적인 인지 손상영역

은 집중력과 기억력이며 치매가 진행됨에 따라서 단

어 이름 기와 같은 회상능력에서도 차이를 나타낸다

(Ahn et al., 2000). 이러한 손상에 따른 치매노인의 인

지재활은 더 이상의 증상 악화를 예방하고 남아있는

인지 기능이나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Kim, 2006). 지역사회 경도치매환자에게 초

기에 적절한 중재를 적용하면 중증치매로의 이행을

감소시키거나 지연시켜서 치매상태의 악화를 완화시

키고 독립적으로 살 수 있는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Ji, 2003).

치매의 치료적 접근에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로

나누어지는데, 약물치료 방법은 인지기능을 개선하고

치매의 확산을 더디게 하거나 예방하는 차원의 방법

으로, 의학적인 치료로서 처되고 있다. 하지만 약물

을 이용하여 치매를 치료하고 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에 따른 부작용의 가능성도 배제될 수 없다

(Bang, 2005). 비약물치료는 증상에 따라 매우 다양하

게 적용 할 수 있는데 주로 인지치료, 컴퓨터를 이용

한 인지치료, 회상치료, 신체활동 프로그램, 일상생활

프로그램, 다감각 자극 프로그램(스노즐렌) 등이 있다.

인지재활치료 중 시간차 회상훈련은 점점 길어진

간격으로 정보를 회상시킴으로써 정보를 배우는 것과

저장하는 것을 촉진하는 기법으로(Camp, Foss,

Stevens, & O’ Hanlon, 1996), 경도의 치매 환자에게 시

행하기 쉽고 상 적으로 손상이 적은 내현기억에 의

존하기 때문에 초기 치매 환자의 인지재활에 효과적

인 방법이 될 수 있다(Lee, & Kim, 2009). 또한 시간차

회상훈련은 전문적인 프로그램 없이 환자 자신이 혼

자서 시행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하고 이해하기가 쉬

운 장점이 있다(Vance, & Farr, 2007). Lee와 Kim(2009)

의 연구에 의하면, 시간차 회상훈련과 오류배제학습

을 함께 적용한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오류배제학습이란 정보를 최초로 학습하는 단계에

서 발생 할 수 있는 착오를 제거함으로써 기억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법이다(Lee & Kim, 2009). 기억장애 환

자들은 정보를 습득할 때 상 적으로 내현기억에 더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학습단계에서 생긴 착오의 영

향을 크게 받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교정하는데도 한

계를 보인다. 따라서 첫 학습단계에서 착오가 발생하

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Kim과 Lee(2013)의 연구에 의하면 경도 치매노인에

게 시간차 회상훈련을 적용했을 때 기억력과 수단적

일상생활(I-ADL)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

며, 또한 Jang(2010)의 연구에서는 인지기능향상이 클

수록 우울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프로그램

에 관하여 국내외에서도 활발히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선행연구들은 충분한 효과를 확인하기에 제한점을 가

지고 있다(Abrahams & Camp, 1993; Bier et al., 2008;

Ban & Jun, 2012; Camp & Stervens, 1990; Jang, 2010;

Lee & Lee, 2013; McKitrick, Camp & Black, 1992;).

부분이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적용이 되었고(Erik &

Martine,2003), 중재가 10회기 이하로 실시되었고

(Cherry, Walvoord & Hawley, 2010; Hopper, Drefs,

Bayles, Tomoeda & Dinu, 2010), 최 회상기간이 10분

이하(Hawley, 2005; Olinde, 2006)였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선행연구의 보완과 함께 경도치매환자에게 오류

배제학습과 시간차 회상훈련을 병행하여 적용함으로

써 경도치매환자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기간 및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요양원의

경도 치매노인 23명에게 MMSE-K를 실시한 후 선정

기준에 적합한 경도 치매노인 10명을 상으로 하였

다. 무작위 추출을 통해 실험군과 조군 각각 5명씩

2개 군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에게는 시간차 회상훈

련을 주 5회 4주간 총 20회기동안 실시하였고, 중재자

Page 3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오류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27

한 명과 관찰자 한 명이 한 명의 상자에게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조군에게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다.

중재 시간은 1회당 30분으로 하였다. 실험군의 평균

나이는 82.2±6.3세로 MMSE-K 평균 점수는 18.2±1.30

점이며 조군의 평균 나이는 85.4±4.66세로 MMSE-K

평균 점수는 17.6±1.34점으로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MMSE-K 15점∼19점으로 경도치매에 해당하는 자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우울, 정신분열병 등의 다른 정신질환이 없는 자

subject gender age MMSE-K

experimental group

A F 89 19

B F 82 19

C F 85 18

D M 72 19

E F 83 16

control group

F M 90 19

G F 84 19

H F 79 17

I M 90 17

J F 84 16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igure 1. Study Flow Chart

Page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2. 연구도구

1) 시간차 회상훈련

시간차 회상훈련과 오류배제학습은 선행 연구에 근

거하여 모든 상자에게 개별적으로 테이블에 단어카

드를 제시한 후 즉시회상, 45초, 1분 30초, 3분, 6분, 12

분, 24분 간격으로 단어를 회상하여 측정하는데, 단어

회상 성공 시 다음 단계로 넘어가며 실패 시에는 전

단계부터 다시 진행하였다(Jang, 2010). 단어를 예측해

서 말하지 못하게 하여 잘못된 정보가 들어가지 않도

록 단어를 모를 경우 단어카드를 다시 보여주어 단어

를 재인식 시킨다. 만약 환자가 12분 회상을 연속해서

2회기 성공하면 단어의 수를 늘려간다. 총 치료 시간

은 30분으로 하고 매 회기마다 시간차 회상 수행 기록

지를 작성하여 매일 회상 단어와 활동 내용, 성공여

부, 회상시간을 기록하였으며, 회상시간 사이에 적용

되어지는 활동은 과도한 기억력을 요구하지 않는 활

동으로 소근육 운동, 집중력,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

키기 위해 퍼즐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단어는 고려 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0년도 판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 사용빈도의 분

석”에 최 빈도 단어순으로 선정한 2음절로 된 20개 단

어를 사용하였다. 단어카드의 글자체는 ‘굴림’이고 크

기는 90point, 색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만들었

다. 카드크기는 9×6.5cm이다.

2) 선로 잇기 검사 (Trail making test Ⅰ)

종이 위에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 번호와 한글 자음

을 순서 로 찾아 연결하는 검사로서, A형 검사는 번

호를 순서 로(1, 2, 3…) 이어가며, 수행시간을 측정

한다(Koo et al., 1994).

3) 한국판 치매평가 검사 (Korean Dementia Rating

Scale : K-DRS)

치매환자의 진단 및 경과측정을 위하여 제작된

Mattis(1988)의 Dementia Rating Scale(DRS)을 한국의

실정에 맞도록 표준화한 검사 도구이다(Choi, 1998).

K-DRS는 집중력, 관리기능, 구성, 개념화, 기억 등의

5개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은 144점이다(Lee

& Yun, 1999). 본 연구에서는 5개 소검사 중에서 집중

력, 기억력 항목을 사용하였다.

4) 숫자외우기 검사 (Digit span test)

본 검사는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DF)와 숫자 거꾸

로 따라 외우기(DB),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숫자 거

꾸로 따라 외우기(DF-DB)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

다.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는 검사자가 불러주는 일련

의 숫자들을 듣고 그 숫자들을 들은 순서 로 즉시 그

로 따라 말하도록 되어 있는 과제로서, 첫 시행은 3

개의 숫자로 시작하며, 매 단계마다 숫자가 한 개씩

더해져서 7번째 단계에서는 총 9개의 숫자를 따라하

게 되어있다.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검사는 일련의

숫자들을 듣고 그 숫자들을 역순으로 다시 말하는 과

제이다. 첫 시행은 2개의 숫자로 시작하며, 마지막 7

번째 단계에서는 총 8개의 숫자를 거꾸로 따라 외우

게 되어있다(Kang, 1998).

3. 결과 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증을 하였으며, 중재 전 후 비교는 응표본

t 검정(paired t test)을 사용하여 평균과 유의확률을 분

석하였고, 두 집단의 주의력과 집중력의 변화량을 알

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 test)을 실

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MSE-K 15점∼19점인 경도 치매노인을 10명을 상

으로 선로 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 Ⅰ), 한국판 치

매평가 검사(K-DRS), 숫자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

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의 집중력과 기억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Page 3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오류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29

1. 선로 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 Ⅰ)

실험군의 Trail making testⅠ 점수는 중재 전 277.8±

147.21초에서 중재 후 162.8±65.14초로 수행시간의 감

소를 보였고(p>.05), 조군의 Trail making testⅠ 점수

는 중재 전 178.6±74.62초에서 중재 후 260.2±82.76초

로 오히려 수행시간의 증가를 보였으나(p>.05) 두 집

단 모두 중재 전후의 집중력 과제 수행시간이 통계학

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두 집단의 Trail

making testⅠ 중재 전후 점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115.0±108.82초, 조군은 81.6±81.75초로

두 집단의 점수 변화량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중재를 통한 실험군의 집중력 향상을

알 수 있었다(p<.05).

2. 한국판 치매평가 검사(Korean-Dementia

Rating Scale : K-DRS)

실험군의 K-DRS 집중력 점수는 중재 전 28.4±4.66

점에서 중재 후 34.6±1.14점으로 증가하였고 K-DRS

기억력 점수는 중재 전 9±4.69점에서 중재 후 13±3.53

으로 증가하였다. 조군의 K-DRS 집중력 점수는 중

재 전 25±6.04점에서 중재 후 27±6.74로 증가 하였고

K-DRS 기억력 점수는 중재 전 8.2±5.21점에서 중재

후 10.8±2.48로 증가 하였다. 각 실험군과 조군의 집

중력과 기억력의 중재 전 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실

험군의 집중력과 주의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를 나타내었다(p<.05).

두 집단의 중재 전 후 K-DRS 점수의 변화량의 비교

before after t p

attentionexperimental group 28.4±4.66 34.6±1.14 -2.818 .048∗

control group 25.0±6.04 27.0±6.74 -.527 .626

memoryexperimental group 9.0±4.69 13.0±3.53 -3.508 .025∗

control group 8.2±5.21 10.8±2.48 -1.231 .286

*p<.05

Table 4. K-DRS Score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277.8±147.21 162.8±65.14 2.363 .077

control group 178.6±74.62 260.2±82.76 -2.232 .089

Table 2. Trail making testⅠScore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core change t p

experimental group -115.0±108.82-3.23 .013∗

control group 81.6±81.75

*p<.05

Table 3. Trail making testⅠScore Change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core change t p

attentionexperimental group 6.2±4.91

.958 .373control group 2±8.48

memoryexperimental group 4±2.54

.583 .580control group 2.6±4.72

Table 5. K-DRS Change Score Change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age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에서는 실험군의 집중력 점수는 6.2±4.91점이고 기억

력 점수는 4±2.54점이며, 조군의 집중력 점수는

2±8.48점이고 기억력 점수는 2.6±4.72점이었다. 두 집

단의 중재 전 후 K-DRS 점수의 변화량은 실험군이 집

중력과 기억력 모두 더 큰 향상을 보였지만 통계학적

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숫자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

실험군의 DF점수는 중재 전 4.20±1.48점에서 중재

후 5.40±1.51점으로 증가하였고, DB점수는 중재 전

1.40±0.89에서 중재 후 1.60±1.34로 증가하였으며,

DF-DB점수는 중재 전 2.80±1.09에서 중재 후

3.80±2.16으로 증가하였다. 조군의 DF점수는 중재

전 5.00±1.00에서 중재 후 4.40±2.19로 감소하였고, DB

점수는 중재 전 1.80±1.09에서 중재 후 1.40±0.89로 감

소하였으며, DF-DB점수는 중재 전 3.20±1.48에서 중

재 후 3.00± 1.41로 감소하였다. 실험군이 조군보다

숫자외우기 세 항목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평균

점수의 증가를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는 실험군의

DF점수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반면 두 집단의 숫자외우기 사전 사후 점수의 변화

량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의 점수 변화량 간에 통계

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하지만 실험

군의 DF점수 변화량은 1.2±.83점이고 DB점수는 1±

1.41점이었고, DF-DB점수는 1±2.23점으로 모든 항목

에서 점수의 향상을 보였다. 반면 조군의 DF점수

변화량은 -.6±1.67점이고 DB점수는 -.4±1.67점이며,

DF-DB점수는 -.2±.447점으로 중재가 없었던 조군은

모든 항목에서 점수의 감소를 보였다.

Ⅳ. 고 찰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노인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최경도 및 경도치매 환자

가 전체의 58.8%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2). 경도치매환자는 집중력과 기억력을 증진 시키

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손상에 따른 치

매노인의 인지재활은 더 이상의 증상악화를 예방하

before after t p

DFexperimental group 4.2±1.48 5.4±1.51 -3.207 .033∗

control group 5±1 4.4±2.19 .802 .468

DBexperimental group 1.4±0.89 1.6±1.34 -.250 .815

control group 1.8±1.09 1.4±0.89 .535 .621

DF-DBexperimental group 2.8±1.09 3.8±2.16 -1.000 .374

control group 3.2±1.48 3±1.41 1.000 .374

*p<.05

Table 6. Digit span test Score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core change t p

DFexperimental group 1.2±0.83

2.151 .076control group -.6±1.67

DBexperimental group 1±1.41

1.429 .192control group -.4±1.67

DF-DBexperimental group 1±2.23

1.177 .300control group -.2±0.447

Tabel 7. Digit span test Score Change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age 3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오류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31

고 남아있는 인지기능이나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도

치매환자에게 시간차 회상훈련과 오류배제학습을 적

용하여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 하였다.

Kim과 Lee(2013)의 연구에서는 시간차 회상훈련을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했을 때 기억력과 수단적 일

상생활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외의 선

행연구에서도 인지기능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Ban

& Jun, 2012; Hopper, Drefs, Bayles, Tomoeda & Dinu,

2010; Lee et al., 2009; ). 본 연구에서도 경도치매환자

의 기억력 향상을 나타내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집중력의 향상은 기억력을 증진시

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집중력 향상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억력과 집중력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오류학습을 배제한 시간차 회상훈련에 한 선

행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상으로 중재

를 실시하였고(Erik & Martine, 2003), 중재를 10회

기 이하로 실시되었으며(Cherry, Walvoord & Hawley,

2010; Hopper, Drefs, Bayles, Tomoeda & Dinu, 2010),

최 회상기간을 10분 이하(Hawley, 2005; Olinde,

2006)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 치매노인을 상으

로 실시하였고, 20회기 동안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최 회상기간을 12분으로 하여 선행연구들에게서

제기되었던 제한점을 보완하였으며, 경도 치매노인

을 위한 중재활동으로 K-DRS에서 중재 전 후의 점

수 비교를 통해 실험군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

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숫자외우기 검사에서 중

재 전 후의 DF 점수와 Trail making testⅠ의 두 집

단 점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집중력 향

상에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

은 연구결과와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

결과의 방향성을 놓고 보면 경도 치매노인에게 시

간차 회상훈련을 적용하는 것은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차 회상훈련은 활용한 본 연구는 다음

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다. 첫째, 경도 치매

노인으로 한 상자 수가 적었다. 둘째, 상자들의

컨디션에 따라 평가결과가 다르게 나왔을 수도 있다.

셋째, 치료회기 종료 후 추적조사가 없어 치료효과의

유지여부를 확인하지 못 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

한 제한점들을 보완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상자의

수를 확 하고 추적조사를 통한 치료효과의 유지여부

를 확인하는 연구와 더 다양한 치료적 중재를 사용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오류배제학습과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요양원의 경도 치매

노인 10명을 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6월

27일부터 8월 17일까지 4주간 주 5회 총 20회기 중재

를 실시하였다. Trail making testⅠ, K-DRS, 숫자외우

기 검사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조군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DRS에서는 실험군의 집중력과 기억력이

모두 유의함에 따라 중재활동이 집중력과 기억력 향

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숫자외우기 검사에서는 실험군의 점수가 유

의함에 따라 중재활동이 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Trail making testⅠ에서는 실험군과 조군의

점수변화량 비교가 유의함에 따라 중재활동이 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오류배제학습과 시

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Page 3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참고문헌

Abrahams, J. P., & Camp, C. J. (1993).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object naming training in anom-

ia associated with degenerative dementia. Clinical

gerontologist, 12, 57-72.

Ahn, S. Y., Kim, J. H., Kim, D. K., & Kim, I. Y.

(2000). The Neuropsychological Function and

Differentiation of Mild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31-150.

Kang, Y. W. (1998).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tatus of dementia research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for Dementia 7th Scholarship

symposium, 99-107.

Ban, S. H., & Jun, S. S. (2012). Spaced Retrieval Effects

in Older Adul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4), 399-400

Bang, J. W. (2006).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Behavior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 with Dementia. Seoul: Dongguk University.

Bier, N., Linden, M., Gagnon, L., Desrosisers, J., Adam,

S. Louveaux, S., et al. (2008). Face-name associ-

ation learning in early Alzheimer’ disease: a com-

parison of learning methods and their underlying

mechanisms. Neuropsychology Rehabilitation. 18,

343-371.

Camp, C. J., Foss, J. W., Stevens, A. B., & O’ Hanlon,

A. M. (1996). Memory intervention for persons

with dementia.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10,

193-210.

Camp, C. J., & Stervens, A. B. (1990). Spaced re-

trieval : a memory intervention for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AD). Clinical Gerontologist,

10, 58-61.

Cha, S. M., & Yong, M. H. (2013). Trends in research

on cognitive rehabilitation approach for dementia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5(1), 60.

Cherry, K. E., Walvoord, A. G., & Hawley, K. (2010).

Spaced retrieval enhances memory for a name-

face-occupation association in older adul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1(2), 168-181.

Cho, J. H. (2012). A study on the art therapy program

and the leading research program analysis for the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Seoul:

Hanyang University.

Choi, B. G., Lee, S. H., & Koo, A. S. (1994). Correlations

between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a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3(5), 1117.

Choi, J. Y. (1998). Korean Dementia Ration Scale

Professional Outline. Seoul: Hakjisa.

Erik, G., & Martine, S. (2003). A critical review of

memory stimulation programs in Alzheimer’s

disease.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15(2), 130-144.

Hawley, K. S. (2005). Effects of spaced-retrieval on

memory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Unpublished doc-

toral dissertation. North Florida: Louisiana State

university.

Hopper, T., Drefs, S. J., Bayles, K. A., Tomoeda, C. K.,

& Dinu, I. (2010). The effect modified spaced-re-

trieval training on learning and retention of face

name associations by individuals with dementia.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20(1), 81-102.

Jang, M. E. (2012). The Effest of the Group Art Therapy

to Enhance of a Verbal Self-Expression on the

alzheimer’s Disease patients Residing in Adult

Nursery-Based on Recall Technique-. Seoul:

Hanyang University.

Jang, J. S. (2010). The Effects of the Change of the

Cognition to Spaced Retrieval Training(SRT) on

the Depression and ADL patients with dementia.

Page 3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오류배제학습을 병행한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집중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33

Nonsan: Konyang University.

Jeong, W. M., Lee, D. Y., Ryu, S. H., Hwang, Y. J.,

Kim, S. G., Choo, I. H., & Kim, K. W. (2008).

Focused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Focu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4), 2.

Ji, H. R. (2003). The Effects of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ocial

behavior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ang, Y. W., Chin, J. H., & Na, D. L.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Digit Span Test for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914.

Kim, H. K., & Park, T. J. (2003). Korean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igits forward and digits

backward.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3), 603.

Kim, S. Y. (2006). The Effect of autographical memory

training on discourses in moderate Alzheimer’s

Dementia. Daegu: Daegu University.

Kim, Y. H. (2006). Rehabilitation of cognitive impair-

ment in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

atrics, 52-57.

Lee, N. R., & Kim, S. K. (2013). The effect of in-

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on

memory train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2(1), 6-9.

Lee, S. B., & Kim, K. W. (2009).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lzheimer’s Disease. J Korean

Med Assoc, 52(11), 1069-1076.

Lee, Y. H. & Yun, G. H. (1999). Generaliz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Dementia Rating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8,

23-24.

Lee, Y. M., Lee, B. D., & Park, J. M. (2009). Stage re-

late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3, 61-70.

McKitrick, L. A., Camp, C. J., & Black, F. W. (1992).

Prospective memory intervention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gerontology, 47(5), 337-343.

Olinde, E. (2006). Spaced-retrieval effects on memory for

scenes in older adults with probable Alzheimer’

disease. Unpublished master’ thesis. North Florida:

Louisiana State University.

Shon, J. H., Park, S. Y., & Kim, J. K. (2013). Enhancing

activity daily living and memory of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though a graded attention

training.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7(1), 1.

Song, H. J. (2012). Chant-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Mild Dementia. Seoul:

Myongji University.

Statistics Korea. (2012). 2012’ Epidemiological Study of

Dementia in a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istics Korea. (2012). 2012’ National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Vance, D. E., & Farr, K. F. (2007). Spaced retrieval for

enhancing memory: Implications for nursing prac-

tice and research.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3(9), 46-52.

Page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Abstract

The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on

Attention Span and Memory Function for Mild Dementia People

Kong, In-Joo*, M.Ed. O.T., Hwang, Hee-Young**, Sim, Gyu-Young**,

Jeon, Hyeon-Suk**, Sim, Hyo-Jin**, Jung, Da-Hye**, Jin, Ha-Hyoen**,

Kim, Gyeong-Ok**, Kim, Hun-Ju**, M.Sc.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alk Rehabilitation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Ju College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know the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to attention span and memory of mild dementia people.

Methods : This study used MMSE-K to the patients of nursing home in Busan and select 10 mild dementia patient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July 27, 2014 to August 17, 2014. We divided the patient into two group, one as experimental and the other as comparison group. Intervention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4 weeks. This study used Trial making test I, K-DRS and digit span tes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n analysing the results.

Results : In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 of K-DRS is meaningfully increased from 9.0±4.69 to 13.0± 3.53, attention span score is also increased from 28.4±4.66 to 28.4±4.66 (p<.05). The score of digit span test is meaningfully increased from 4.2±1.48 to 5.4±1.51 (p<.05). Differences of trail making test I are also meaningful, –115.0±108.82 seconds in experimental group and 81.6±81.75 seconds in comparison group (p<.05).

Conclusion : We confirm that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training are effective to attention span and memory of mild dementia people.

Key Words : Errorless Learning, Spaced Retrieval Training, Mild Dementiaㅔ

Page 3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Ⅰ. 서 론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후 세

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고령화 속도

를 보이고 있다. 2006년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자료

를 기반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행되는

속도를 비교하면, 프랑스의 경우 154년, 미국은 94년,

스웨덴은 127년이 걸렸다. 고령화가 진행되는 속도가

빠르다는 일본의 경우 36년이 걸렸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불과 26년 밖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고령화의 속도는 더 빨라지고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Lee, & Yang, 2014). 2014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치매를 선별하기위한 새로운 평가도구:

DemTect

최현세*, 이두호**, 김유진***, 양영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인창병원 작업치료실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인지선별평가도구인 DemTect을 소개하고자 한다. DemTect은 경도치매와

경도인지장애를 발견한 정도로 충분히 민감하게 설계된 평가도구이다.

본론

2000년도 독일버전으로 처음 발표된 DemTect은 미국을 포함하여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어지

고 있는 인지 선별검사도구로서, 5가지 하위 항목인 10개의 단어목록, 숫자 변환, 단어 유창성;

슈퍼마켓 과제, 숫자 거꾸로 외우기, 단어목록의 지연회상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평가 시 대상자

의 명령 및 학력 차이에 따라 교정 점수가 주어지며, 전체 최대 점수 18점으로 13∼18점 사이는

정상, 9∼12점은 경도인지장애, 마지막으로 8점 이하면 치매를 의심할 수 있다.

결론

DemTect 인지선별검사 도구는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 치매평가 진단에 많이 사용되는 인지평가로

서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에 비하여 평가 시간이 짧으며, 반복된 사용에 의한 학

습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치매 진단에 예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세계 여러나라

에서 사용되고 있는 DemTect 인지선별검사 도구에 대한 한국어판 재정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한다.

주제어 치매, 경도인지장애, DemTect, 평가도구

Corresponding author: Yang, Yeong-Ae([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Received 2 September 2014; Revised version received 30 September 2014; Accepted 10 October 2014

Page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3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는 전체 인구 중 12.7%를 차지하나,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Statistics

Korea, 2014).

고령화 사회가 될수록 치매환자 역시 증가하고 있

는데 치매는 최근 우리나라 노인 다빈도 상병 증가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치매환자는 2009년 21만7000

명에서 2013년 40만5000명으로 4년 사이 무려 87.2%

나 늘었다(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3). 치매는 다양한 행동 증상과 심각한 신

경세포 손상으로 인해 기억장애, 판단력 언어 등의 인

지기능과 성격변화, 행동장애를 나타내고 기능적 활

동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장애로 한번 저하된 기능

은 다시 회복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Kim, 2014;

Perterson, 2003; Yoo, Park, & Yong, 2013).

경도인지장애는 정상적인 노화와 알츠하이머 치매

초기 사이에 나타나는 과도적인 인지단계로 정의되고

있으며 치매와의 가장 큰 차이는 기능은 저하되었으나

뇌의 신경학적인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Albert et al.,

2011; Peterson, 2003). 경도인지손상(Mild Cognitive im-

pairment, MCI)은 75세 이상의 연령에서 현저하게 나타

나며 1년 뒤 약 15%정도가 치매로 진행되고 6년 뒤

80%정도가 치매로 진행이 된다(Kim, Park, & Lee,

2007; Pertersen et al., 1999; ). 따라서 적절한 의료 및 사

회적 중재를 마련하기 위해 치매의 조기진단을 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스크리닝테스트(선별검사)는 임상

현장에서 인지장애환자의 발견을 돕는다(Kalbe et al.,

2004).

인지 선별검사는 적은시간에 빨리 확인할 수 있고

비용도 경제적인 평가도구로 신경심리학적인 기능장

애나 경도인지손상, 치매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Kalbe et al., 2013). 이상적인 인지선별검사는 관리자

가 빨리 검사하고, 점수 내는 것이 쉽고, 환자가 잘 참

고 허용해야 하고, 문화, 언어 그리고 교육으로 부터

상 적으로 독립되어 있어야 한다. 선별검사는 또한

좋은 자간이 있어야 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뿐만 아

니라 동시에 유효성과 예측 타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인지선별검사는 경도인지손상과 알츠하이머치

매에서 효과적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종류

로 이루어진 다른 형태의 치매에서도 효과적이기 위

해서 테스트는 또한 인지 영역의 넓은 범위를 다뤄야

한다(Kalbe et al., 2004; Shulman, 2000).

성인의 인지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선별도구인

MMSE는 국내에서 사용률이 80.3%로 국내에서 보편

화 되어 사용되고 있는 선별도구이다(Jung, & Cha,

2013; Yoo, Jung, Park, & Choi, 2006). MMSE는 실시방

법이 까다롭지 않아서 간단한 교육을 받으면 쉽게 실

시할 수 있고 빠른 시간 안에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Shin, 2010) 심하거나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진행

된 치매를 탐지하는 데 있어 그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

증 되었다(Kaszniak, 1986). 그러나 MMSE는 경도인지

장애를 평가하는 민감도의 부족과 경증치매환자

(Tierney et al., 2000)와 교육과 연령에 한 의존도

(Tombaugh, & McIntyre, 1992)에 해 비판을 받아왔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인지선별평가도구

인 DemTect을 소개하고자 한다. DemTect은 경도 치매

와 경도인지손상을 발견할 정도로 충분히 민감하게

특별히 설계된 평가 도구이다.

Ⅱ. 본 론

1. DemTect 개요

2000년도 독일버전으로 처음 발표된 DemTect은

경도인지손상 단계에서 치매의 초기 증상을 발견하

기 위하여 민감하게 설계된 인지 선별검사도구이다.

DemTect은 일반적인 손상인 경미한 인지손상(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뿐만 아니라 넓은 범위의

인지 영역인 알츠하이머와 다양한 유형의 치매 환자

들에 한 분류 기준을 제공한다. 인지 선별검사도구

인 DemTect은 인지 선별의 일반적인 도구로 중요하

게 발전되어 왔고, 2004년 미국 버전 뿐만 아니라, 폴

란드어, 프랑스어 등 다양한 버전이 출판되어 사용되

어지고 있다.

DemTect은 5개의 하위 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하위 검사는 인지 능력의 넓은 범위를 포함하고 치매

Page 4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치매를 선별하기위한 새로운 평가도구 37

를 위해 중요하게 증명(Kessler et al, 1996) 되어진 짧

고 쉬운 검사 항목을 포함한다(Raiha et al, 2001). 5가

지 하위 항목으로는 10개의 반복하기(10-word list rep-

etition), 숫자 변환(number transcoding), 단어 유창성;

슈퍼마켓 테스크(semantic word fluency task), 숫자 거

꾸로 외우기(backward digit span), 단어목록의 지연회

상(delayed word list recall)으로 구성되어 있다.

2. DemTect 하위항목

1) 10개의 단어목록(10-word list repetition), 단어목

록의 지연회상(delayed word list recall)

일반적으로 치매의 가장 눈에 띄는 문제 중 하나인

기억 장애는 경도인지손상(Mild Cognitive Injury)의 주

요 증상중 하나이다(Petersen et al., 1999, 2001a,b). 따라

서 10개의 단어목록 (10-word list repetition)과 단어목

록의 지연회상(delayed word list recall) 항목은 이를 평

가하기 위한 항목으로 존재한다. 단어 목록에는 다양

한 변형이 존재하고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 기억 장애

에 의한 어려움으로 10개의 단어목록(10-word list repe-

tition)과 단어목록의 지연회상(delayed word list recall)

항목에 민감하다. 따라서 선택적 연상 작업에 어려움

이 있기 때문에 평가수행 시 지시 사항은 이해하기 쉽

게 해야한다. 10개의 단어목록(10-word list repetition)의

10가지 목록은 음절의 길이와 음운론적 비교로 기억하

기 쉬운 항목으로 선택되었고, 이 10가지 목록은 치매

환자의 언어기억 평가에 적합하다는 사실이 예비 조사

에 의해 보여졌다(Kalbe et al., 2004) (Figure 1).

2) 숫자 변환(number transcoding)

언어의 특수한 현상으로 아리비아 숫자, 단어, 로마

숫자 등 다른 코드체계로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전화번호를 단어에서 아라비아 숫자로 변환

하여 적는 것처럼 다른 코드체계로 전환하여 표현하

는 것을 ‘숫자 변환(number transcoding)’이라고 한다.

초기단계의 치매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는

숫자 변환의 어려움이다(Kalbe, & Kessler, 2002). 이러

한 치매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숫자 변환의 어려움은

실어증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언어 장애로 인한 어려

움과 비슷하게 관찰된다(Deloch, & Seron, 1982; Seron,

& Deloche, 1983). 이는 어휘 처리의 부족과 구문 처리

의 부족 그리고 읽기 쓰기의 여려움을 통해 숫자 변환

(number transcoding)의 어려움이 나타난다. 건강한

조군에서 쉽게 수행이 가능하나 쓰기와 읽기를 포함

하는 언어 처리, 숫자 처리, 수행 기능 등 다양한 인지

영역이 포함된 것으로 평가가 쉽고 인지 장애를 선별

하기에 편리하다. DemTect 숫자 변환(number trans-

coding) 항목에서 4개의 항목 중 2개 항목은 아랍어 숫

자를 단어로 변환시키는 수행이고 나머지 2개 항목은

단어를 아랍어 숫자로 변환시키는 수행이다(Figure 2).

Figure 1. 10-word list repetition, delayed word list recall

Page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3) 단어 유창성; 슈퍼마켓 과제(semantic word fluency

task)

치매 환자들은 감소된 어휘력과 단어 사용법으로

인해 기본적인 개념만을 사용하거나 매우 짧을 단

어만을 이용한다. 이는 치매의 초기단계(Cerhan et al.,

2002; Chertkow, & Bub, 1990; Monsch et al., 1992;

Tro¨ster et al., 1989)에서 언어 유창성의 양적(i.e. num-

ber of words entioned) 및 질적(i.e. type of output)인 방

법 모두에서 어려움이 발생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치

매 평가중 널리 알려진 것 중 하나가 단어 생성작업

또는 단어 유창성; 슈퍼마켓 테스크(semantic word flu-

ency task) 이다. 평가 방법으로는 제한된 시간과 공간

또는 조건 안에서 제시된 단어로 시작하는 도구 또는

물건, 동물들의 이름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평가자에

게 주어진 제한 시간 안에 단어를 생성하는 것이 주요

원리이다. DemTect 평가에서는 ‘슈퍼마켓’ 작업을 선

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슈퍼마켓’ 작업은 다른 작업

에 비하여 치매 환자 검출에 더 가치 있다(Kessler et

al., 1997)(Figure 3).

4) 숫자 거꾸로 외우기(backward digit span)

복잡한 문장을 생성하고 이해하는 언어 생산성과

계산등과 같은 많은 인지 과정에 작업 기억이 사용된

다. 숫자를 외울 때 순서 로 외울 경우(forward digit

span)에는 단기 기억을 이용하지만, 반 로 숫자 거꾸

로 외우기(backward digit span) 수행을 할 때는 이러한

작업 기억이 사용된다. 치매의 초기 증상중 하나가 작

업 기억의 손상(Baddeley et al., 2001; Belleville et al.,

1996)이기 때문에 DemTect 에서 숫자 거꾸로 외우기

(backward digit span) 작업을 선정 하였다. 이러한 숫

자 거꾸로 외우기(backward digit span) 작업은 고전 적

으로 작업 기억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민감하게 사용

되어 졌고, 과제 수행에서는 짧고 이해하기 쉬운 장점

을 가진다(Figure 4).

치매의 경증 형태를 검출하기 위해 설계 되어진

DemTect은 넓은 범위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5가지

하위 항목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6∼8분 내외로 짧

은 시간 안에 평가를 수행하고 분석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이다. DemTect 평가 점수는 이전 또는 다른 임상

학적 또는 신경심리학적 검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점수 체계는 전체 최 점수 18점으로 13∼18점 사이

는 정상, 9∼12점은 경도인지장애, 마지막으로 8점 이

하면 치매를 의심할 수 있다. DemTect 평가는 연령 및

학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12세 기초교육의 기준으

로 전체 점수에서 1점의 추가 점수가 제공되어 지고,

이러한 보정으로 상자의 연령 및 학력에 따른 점수

차이를 보정(Kessler et al., 2000)할 수 있다.

3. MMSE-K

1975년 Folstein과 McHugh에 의해 출판된 MMSE는

인지 손상을 선별하고, 인지 손상의 시점을 추정하고

측정할 수 있는 간단한 인지 선별 도구이다. MMSE는

Figure 3. Semantic word fluency task

Figure 2. Number transcoding

Page 4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치매를 선별하기위한 새로운 평가도구 39

“all-in-one”인 간단하고 새로운 평가 도구로서, 분리된

용지를 이용하여 치료에 한 개인적 반응을 기록하

며 이해력, 읽기, 쓰기, 그리기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양식을 가진다. 그 이후 1989년 Park과 Kwon 한국 버

전으로 번안 및 출판한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

(MMSE-K)는 치매가 의심되거나 뇌손상 환자의 인지

기능과 치매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간단한 선

별감사도구 이다.

Park과 Kwon(1989)에 의해 표준화된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는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선

별 검사로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는 평가도구이다

(Ruy et al., 2006).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

(MMSE-K)는 크게 5개의 하위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지남력, 기억등록 및 회상, 주의집중 및 계산, 언어기

능, 그리고 글을 모르는 검사자를 고려하여 읽기를 제

외하는 신 이해 및 판단 항목을 추가하여 구성되어

졌다. MMSE-K의 점수 체계는 전체 최 점수 30점으

로 30∼24점 사이는 확정적 정상, 23∼20점은 치매 의

심, 마지막으로 19점 이하면 확정적 치매로 간주된다.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평가시 평가자

의 교육 유무에 따라(초등학교 4학년 이하) 가산 점수

를 제공하여 점수 교정을 하게 된다. 가산 점수제공시

각 문항에서 만점을 넘지 않도록 하며, 지남력 항목

중 시간에 한 문항에서 1점, 주의집중 및 계상 항목

에서 2점, 언어기능 항목에서 1점의 가산점 부여를 한다.

Ⅲ. 결 론

현재 우리의 사회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비례하여 노인성 질환

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노인성 진환 중 인지적 측면

에서의 장애를 가지는 치매가 표적인 질환이다(Kim,

Kim, Yong, & Oh, 2010). 노인의 인지기능 검사 중 치매

를 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Yong, Yoo, & Park, 2013). DemTect 평가도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모두 피검자를 상으로

평가자가 직접 평가하는 선별검사방법이다. 질병의 초

기 단계에서 인지 손상을 추정하고 측정할 수 있는 간단

한 인지 선별 도구로서,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 치매 평

가 및 진단에 많이 사용되는 인지평가도구이다.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는 높은 신뢰

도와 타당도를 바탕으로 정상노인과 치매 노인의 인지

기능 검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Yong, Yoo, &

Park, 2013). 하지만 평가시간이 5∼10분 정도 소요되

어 바쁜 외래 등의 환경에서 시행하기에는 부담스러

울 수 있다(Albert, 1991). DemTect 짧은 시간 안에 행

해지는 인지 선별검사도구 로서, 경도인지손상 단계

에서 치매의 초기 증상이 발견될 수 있도록 민감하게

설계 되었다(Kalbe et al., 2013). 따라서 단기간에 행해

져야 하는 환경에서는 간단하고 유용하게 사용되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는 우리나라

에서 널리 사용함에 따라 평가에 한 학습 효과가 있

다(Ruy et al., 2006). DemTect 인지 선별검사도구는 한

Figure 4. Backward digit span

Page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만큼 우리나라에

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평가도구가 아니다. 따라

서 DemTect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경도 인지장애에

한 평가 시 반복된 평가로 인한 학습 효과가 영향을

주기 않기 때문에 경도 인지장애 즉 치매 진단에 더

예민하게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인지선별검사 도구인 DemTect은 독일과 미국

을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어 각 나라의

표적인 인지 선별검사 즉 치매선별 검사로 사용되

어지고 있다. 또한, 경도인지장애(Chertkow et al.,

2008)의 초기단계 선별 검사도구로서 국제적 가이드

라인(Feldman, 2008)으로 추천되어 지고 있다. 한편 우

리나라의 경우 현재까지 정식적인 한국어판이 출판되

지 않았고, 그에 따라 DemTect 인지선별 검사에 한

전문가들의 인지도가 매우 낮으며, 이에 관련한 연구

들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치매환자 특히나 최근 치매의 전 임상단계

로 의심되고 있는 경도인지 장애(Petersen et al., 1999)

의 객관적인 평가와 진단을 위하여 DemTect을 한국에

도 들여와 이에 한 많은 관심과 세분화된 연구가 활

발히 이루어져야한다.

참고문헌

Albert, L. S. (1991). Screening for Dementia and

Investigating Its Caus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5, 122-123.

Albert, M. S., DeKosky, S. T., & Dickson, D. (2011).

The diagnosi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due to

Alzheimer’ disease: recommendation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Alzheimer’ Association

workgroups on diagnostic guidelines for Alzheimer’

disease. Alzheimers Dement, 7(3), 270-279.

Chertkow, H., Massoud, F., Nasreddine, Z., Belleville,

S., Joanette, Y., Bocti, C. et al. (2008).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mentia: 3. Mild cognitive im-

pairment and cognitive impairment without

dementia.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8, 1273-1285.

Elke, K., & Josef, K. (2013). Cognitive Screening

Instruments. pp. 153-163.

Elke, K., Pasquale, C., Sophie, F., & Josef, K. (2013).

DemTect, PANDA, EASY, and MUSIC: Cognitive

Screening Tools with Age Correction and

Weighting of Subtests According to Thei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34, 813-834.

Feldman, H., Jacova, C., Robillard, A., Garcia, A.,

Chow, T., Borrie, M., et al. (2008).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mentia: 2. Diagnosi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8, 825-836.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3).

Regional, Age-specific, Total treatments of

people.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Jacova, C., Kertesz, A., Blair, M., Fisk, J. D., &

Feldman, H. H. (2007). Neuropsychological test-

ing and assessment for dementia. Alzheimers

Dement, 3, 299-317.

Jung, J. Y., & Cha, S. M. (2013). The Adequacy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for Stroke Patients

with Cognitive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4(2). 59-65.

Kalbe, E., Kessler, J., Calabrese, P., Smithe, R.,

Passmore, A. P., Brand, M., et al. (2004).

DemTect: a new, sensitive cognitive screening

test to support the diagnosis of mild cognitive im-

pairment and early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 136-143.

Kaszniak, A. W. (1986). The neuropsychology of

dementia.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neu-

ropsychiatric disorders.(pp. 172-22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Kim, H., Park, J. K., & Lee, K. J. (2007). The neuro-

Page 4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치매를 선별하기위한 새로운 평가도구 41

cognitive func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comparison of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and normal control. The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14(1), 1-16.

Kim, S. T., Hwang, J. H., & Lim, J. H. (2014).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Cognition in the

Alzheimer’s Dementia -Single Subject Desig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8(1). 1-11.

Kim, W. T., Kim, E. J., Yong, M. H., & Oh, H. W.

(2010).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for

Domestic Elderly Cognitive Health Management:

Proposal for Forms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2(2), 31-41.

Ko, H. E., Kim, J. W., Kim, H. D., Jang, Y. S., & Chun,

H. A. (2013). Construction validity of the MoCA-

K to MMSE-K, LOTCA-G in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 312-320.

Lee, B. M., & Yang, Y. A. (2014). The Number of Old

Age Populations and Present Condition of the

Service Offered Facility of the Bus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8(1), 27-32.

Park, J. H., & Kwo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the korea neuropsyc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Petersen, R. C., Smith, G. E., Waring, S. C., Ivnik, R.

J., Tangalos, E. G., & Kokmen, E. (1999).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ives of Neurology, 56, 303-

308.

Petersen. R C. (2003). Conceptual issues. In R. petersen

(Ed). Mild cognitive impairment: Aging to

Alzheimer’s disease (p. 1114).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Raiha, I., Isoaho, R., Ojanlatva, A., Viramo, P., Sulkava,

R., & Kivela, S. L. (2001). Poor performance in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due to causes

other than dementia. Scandinav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Care, 19, 34-38.

Ruy, S. H., Lee, D. W., Lee, K. J.. Jung, H. Y., & Han,

E. J. (2006). “Usefulness of brief screening tests

for early detection of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0(1), 33-40.

Shulman, K. I. (2000). Clock-drawing: is it the ideal cog-

nitive screening test?,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5, 548-561.

Sin, J. H. (2010). The Diagnosis of Dementia:

Neuropsychological Tes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31, 253-266.

Statistics Korea. (2014). 2014 Elderly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Tierney, M. C., Szalai, J. P., Dunn, E., Geslani, D., &

McDowell, I. (2000). Prediction of probable

Alzheimer’s disease in patients with symptoms

suggestive of memory impairment. Value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rchives of

Family Medicine, 9, 527–532.

Tombaugh, T. N., & McIntyre, N. J. (1992).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40, 922–935.

Viviane, P., Helene, A., Sandrine, A., Carole, D.,

Claudine, B., Dartigues, J. F., Helene, J. G., &

Cecile, P. L. (2014). Normaliz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Assessing Cognitive Change

in Population-Based Brain Aging Studies.

Neuroepidemiology, 45, 15-25.

Yoo, E. Y., Jung, M. Y., Park, S. Y., & Choi, E. H.

(2006).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4(3), 27-37.

Page 4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Yoo, C. U., Park, E. J., & Yong, M. H. (2013). A

Systematic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on Dementia in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7(2), 39-46.

Yong, M. H., Yoo, C. U., & Park, E. J. (2013).

Correlation of the Clock Drawing Test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in the

Elderly and Demented Elderly. Journal of th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Age and

Dementia, 7(2), 11-16.

Page 4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치매를 선별하기위한 새로운 평가도구 43

Abstract

New Assessment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ementia:

DemTect

Choi, Hyun-Se*, O.T.R., Lee, Doo-Ho**, O.T.R., Kim, Eu-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Chang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llym Universit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cognitive screening assessment tool DemTect. It is designed sensitive enough to find a mild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ubject : DemTect was first published in 2000 in a German version. It is cognitive screening tool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which is us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Five tasks were included in the DemTect: a word list, a number transcoding task, a word fluency task, digit span reverse, and delayed recall of the word list. The DemTect helps in deciding whether cognitive performance is adequate for age (13–18 points), or whether MCI (9-12 points) or dementia (8 points or below) should be suspected.

Conclusion : DemTect is highly sensitive screening tool to identif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patients with dementia in the early stages of the disease. DemTect screening tool running time is shorter th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MMSE-K). Also it does not affect the learning effect by repeated use. So we can able to use to sharpen the diagnosis of dementia. We should publish DemTect Korean version and DemTect which is used many countries needs much more work to be done.

Key Words : Dementia,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DemTect, Assessment Tool

Page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Page 4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Ⅰ. 서 론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가

7%를 넘어서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19

년에는 14.4%, 2026년에는 20.8%에 이르는 것으로 예

측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의 고령화 속도는 OECD국

가들 중에서도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Statistics Korea, 2010).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부

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의 증가,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

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Lee, 2008).

노인은 노화로 인해서 각종 퇴행성 질환과 골다공

증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나타나며 심부전, 만성폐

쇄성폐질환 등 심폐기관의 질병의 빈도도 높아지게

되며 또한 각종 생리적 변화로 인해서 신체적 기능이

약화된다(Cho, & Kim, 2012). Sun(2006)의 연구에 의

하면 실제로 한국 노인의 74%가 2가지 이상의 만성질

환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근골격계 질환이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노인들의 사회적 역할변화와 상실감, 소외감 등으

로 인한 심리적 변화 또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배우자의 죽음, 가족관계의 변화, 신체적 기능 저하

등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러한 정신적 스

트레스는 노인의 자아 존중감을 저하시키며 상실감으

로 인한 우울을 겪게 된다(Sung & Kim,2008).

Jin과 Kang(2009)의 연구에 의하면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46%, 복지시설 이용 노인의 58.6%, 시설거주

노인의 71.3%가 우울증상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다. 노인들은 자연스럽게 퇴직을 하고 일자리를 구하

수공예활동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우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공인주*

*워크재활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주간보호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수공예활동 프로그램이 우울과 인

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A주간보호센터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노인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연구결과를 통해 수공예 프로그램은 노인의 우울감소와 인지기능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지기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지만 여전히 수공예 프

로그램은 인지기능의 향상을 위한 좋은 프로그램 중 하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노인들의 경우 인지기능의 향상과 우울의 감소에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는바 향후 주간보호센

터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또한 수공예 프로그램에 확대와 치료적 적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수공예 프로그램에 조금 더 발전하고 확산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주제어 수공예프로그램, 인지기능, 우울, 주간보호센터, 노인

Corresponding author: Kong, In-Joo([email protected]/Walk Rehabilitation Hospital)

Received 1 September 2014; Revised version received 18 September 2014; Accepted 29 October 2014

Page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4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지 못하며 사회적 역할상실과 지위의 저하는 고독과

우울증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반 로 높은 사회적 지

지는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다(Jin & Kang, 2009; Lee,

Kang & Jung, 2013).

인지기능은 노인의 정신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

남력, 기억력(단기, 장기), 주의집중 및 계산능력, 언어

기능, 이해 및 판단기능 상태를 말한다(Hodge, 1994).

우울은 노인의 신체적 건강문제나 생활에 많은 어려

움을 야기하며(Park, 1998),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미친

다(Choi, 2001). 노화로 인해 인지기능이 감소되고 점

차적으로 집중력과 주의력이 떨어지면서 정상적인 일

상생활의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로 인한 자아 존중감

이 낮아지면서 우울감이 동반되며 전체 노인의 21%

에서 우울 증상이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12).

인지기능과 우울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ee, Lee, Kim, Yang & Park, 2014), 치매의 특

성으로 인해 치매노인의 경우 정상노인보다 우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Ryu, Kang, Na, Lee &

Jung, 2000). 또한 시설의 치매노인은 인지기능이 낮을

수록 우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인지기능

의 장애가 불안, 우울, 흥분, 좌절과 같은 정서적 영역

의 문제와 동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o, 2008).

수공예 활동은 다양한 질환에 적용가능 하지만 치

매환자 등 노인을 상으로 인지기능과 손기능 증진

을 위한 활동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Joe, Jo & Saul,

2005). 고령자에게 있어서의 수공예 활동은 소근육과

근육의 퇴화를 방지하고 강화시키며, 손을 사용함

으로써 뇌에 자극을 주어 인지기능을 회복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수공예는 수예 및 공작을 이용한 생산적

이고 창조적인 과정을 거쳐 물건을 만드는 실용 예술

의 하나로서 종류는 크게 가죽공예, 구슬공예, 금속공

예, 도기공작, 모자이크, 목재작업, 미술작업, 실 공예,

원예작업 등으로 나뉜다(Hong, Kima, Yang, Chae &

Choi, 2005). 수공예는 19세기 정신과 환자 치료를 위

해 제시된 이래로 꾸준히 정신보건 및 신체장애 재활

영역에서 인지, 정서, 신체기능 치료를 목적으로 제공

되어 왔다(Bissell & Mailloux, 1981; Horqhaqen,

Josephson & Alsaker,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

간보호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노인을 상으로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이 우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K시의 K복지관의 A주간보호센터에 등

록된 65세 이상의 노인 24명을 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9월3일부터 12월 11일까지 10주간

이루어졌다. 매회기 40분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전 상자에게 연구 목적 및 방법에 하여 충분

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에 연구를 실시하였다.

2. 연구도구

1) 한국형 단순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MMSE-K는 노인들의 인지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

구로 Kwon과 Park(1989)이 Folstein, Folstein과

McHugh(1975)가 개발한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를 노인 문맹자가 많은 우리나라를 고려하여

수정 보완하였다(Flostein & Flostein, 1975; Kwon &

Pakr, 1989). 각 하위항목의 점수 배분은 지남력 10점,

기억등록 3점, 주의력 및 계산능력 5점, 기억회상 3점,

언어기능 7점 및 이해판단 2점인 총 30점으로 되어있

다(kwon & Park, 1989). 무학의 경우 지남력 1점, 주의

집중과 계산 2점, 언어기능 항목에 1점을 부여하여 각

각 만점이 넘지 않는 범위로 가산하였다(kwon & Park,

1989). 인지 장애의 평가기준은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절단점(cut-off point)을 이용하였고 24점 이상은 정상,

18-23점은 경도 인지장애, 17점 이하는 중증 인지장애

로 정의하였다(Oh, Shin, Lee & Kim, 2003).

Page 5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수공예활동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우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47

2)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KGDS는 Jung, Kwak, Cho와 Lee(1997)가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우리나라 노

인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것이다. Yes/No의 1점 척도

로서 우울증세가 심할수록 점수가 높다. 총 30문항으

로 0점에서 18점 사이는 경도의 우울증, 19점에서 21

점 사이는 중등도의 우울증, 22점 이상은 심도의 우울

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Jung, Kwak, Cho & Lee, 1997).

이 도구는 사고, 인지, 신체, 사회적 측면이 골고루 반

영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우울현상을 쉽게

알 수 있다. 반분신뢰도는 0.79이며 내적 신뢰도는

0.72이다(Jung, Kwak, Cho & Lee, 1997).

3) 수공예 프로그램(Art and Craft Program)

수공예 프로그램은 노인들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

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에 한 적극적 참여와 상호작

용을 통해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집중력, 기억력, 절차

기억 등을 통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향상을 목표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작업치료전문가 3인이 구성

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는 시설의 여건을

고려하여 작성하였다. 각 활동은 1회기 40분 정도로

구성하였으며 전체 10회기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시작 전 활동에 한 소개를 실시하고 시범을 보여주

었으며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중간에 과정을 잊

어버리는 노인들에게는 보조를 제공하거나 과정에

해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였다.

3. 분석방법

위와 같은 측정도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21.0 for Window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기술통

계를 실시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able 2). 성별은 남자가 6명(25.5%), 여자가 18명

(75.0%)이었으며 연령을 보면 65-72세가 10명(41.7%)

으로 가장 많았으며 73-80세가 9명(37.5%)이었으며

81-86세가 3명(12.5%), 87-90세가 2명(8.3%)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초등학교졸업이 11명(45.8%)으로 가장

많았으며 무학 7명(29.2%), 중학교졸업 5명(20.8%), 고

등학교졸업 1명(4.2%)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유무에

있어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14명(58.3%), 없는 경

우가 10명(41.7%)으로 나타났다.

Session Program

1 cutting paper

2 painting pattern

3 frame making

4 dance routine

5 paper necklace

6 origami

7 mosaic

8 puzzle

9 candy necklace

10 cooking class

Table 1. Art and Craft Program

Page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2. 수공예 프로그램을 통한 우울변화

수공예 프로그램을 통한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우

울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공예 프로그램 적

용하기 전 상자들의 우울점수는 13.33±7.22점 이었

으나 수공예 프로그램 적용 후 11.88±6.61점으로 프로

그램을 통한 우울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3. 수공예 프로그램을 통한 인지변화

수공예 프로그램을 통한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인

지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공예 프로그램 적

용하기 전 상자들의 인지점수는 15.83±6.61점 이었

으나 수공예 프로그램 적용 후 16.75±6.00점으로 프로

그램을 통한 인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Ⅳ. 논 의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의 노인들을 상으로 수공

예활동 프로그램이 이들의 우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전체 10회기

로 구성이 되었으며 전체 상자를 프로그램이 진행

되는 10회기에 모두 참여하였다. 수공예 프로그램 자

체가 어려운 난이도를 가지는 활동이 아니며 프로그

램을 수행하고 나면 성취할 수 있는 것이 있고 그에

따른 성과물이 생기기 때문에 노인들이 쉽게 참여하

고 참여를 위한 동기가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Before (n=24) After (n=24) t

Depression 13.33±7.22 11.88±6.61 3.238**

*p.<.01

Table. 3. Depression change though art and craft

Before (n=24) After (n=24) t

Cognitive function 15.83±6.61 16.75±6.00 3.238**

*p.<.01

Table 4. Cognitive function change though art and craft

item category N(%)

genderM 6(25.5%)

F 18(75.0%)

age

65 - 72 10(41.7%)

73 - 80 9(37.5%)

81 - 86 3(12.5%)

87 - 90 2(8.3%)

education

non 7(29.2%)

elementary 11(45.8%)

middle 5(20.8%)

high 1(4.2%)

spouseyes 14(58.3%)

no 10(41.7%)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Page 5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수공예활동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우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49

수공예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주간보호센터 노인들

의 우울변화를 살펴보면 수공예 프로그램 적용하기

전 상자들의 우울점수는 13.33±7.22점 이었으나 수

공예 프로그램 적용 후 11.88±6.61점으로 프로그램을

통한 우울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전반적으로 우울이 감소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

는 Crepeau, Cohn과 Schell(2003)의 연구에서 수공예가

자기 효능감, 자존감 등을 높여준다는 연구와 같은 결

과를 나타내며(Crepeau, Cohn, & Schell, 2003), Baker

(2005)의 연구에서 긍정적 마음, 성취감과 자부심 등

의 변화를 통한 긍정적 정서변화가 일어난다는 결과

와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Baker, 2005).

수공예 프로그램을 통한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인

지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공예 프로그램 적

용하기 전 상자들의 인지점수는 15.83±6.61점 이었

으나 수공예 프로그램 적용 후 16.75±6.00점으로 프로

그램을 통한 인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손상 환자를 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서

도 수공예 프로그램은 노인의 인지기능의 회복에 도

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Joe, Jo & Saul,

2005). Park, Park, Shin과 Yang(2009)의 연구와 Bang,

Kim과 Heo(2010)의 연구를 통해서도 수공예 프로그램

이 노인의 인지기능의 향상과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경우 우울과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를 한가지씩만 사용하여 세부적

인 내용을 평가할 수 없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향

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지기능과 우울 평가도구를

활용해 조금 더 다양한 영역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

리라 생각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의 노인들을 상으로 수공

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노인들의 우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수공예 프로그램은 노인의 우울감소와 인지기능의 향

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지

기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지만

여전히 수공예 프로그램은 인지기능의 향상을 위한

좋은 프로그램 중 하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 인지기능의 향상과 우울의 감소

에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는바 향후 주간보호센터

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또한 수

공예 프로그램에 확 와 치료적 적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수공예 프로그램에 조금 더 발전하고 확

산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Bang, Y. S., Kim, H. Y., & Heo, M. (2010).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cognition in elderly at

institution according to craft activity program.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4(2), 1-9.

Bissell, J. C., & Mailloux, Z. (1981). The use of crafts

in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physically

disabl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5(6), 369-374.

Choi, S. Y. (2001).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Chronic Low Back Pain in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7(2), 169-187.

Cho, H. C., & Kim, J. S. (2012). The effects of the

Complex exercise on activity fitness and car-

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elderly women.

Korea Society for wellness, 7(2), 251-260.

Crepeau, E. B., Cohn, E. S., & Schell, B. A. (2005).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20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Press, 2003. W.

Baker, Art and crafts for recovery.

ht tp: / /www.toydirectory.com/monthly/ju-

ly2002/arts-for-recovery.asp.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Page 5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Hodges, J. H. (1994). Cognitive assessment for clini-

cians, USA: Oxford University Press.

Horqhaqen, S., Josephson, S., & Alsaker, S. (2007). The

use of craft activities as an occupational therapy

treatment modality in norway during 1952-1960.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14(1), 42-56.

Hong, J. R., Kim, H. R., Yang, G. H., Yang, Y. A.,

Chae, S. K., & Choi, H. S., (2005). Art and Craft

for Occupational Therapy, Seoul: Gyechookmunhwasa.

Jin, J. Y., & Kang, J. S. (2009). A Comparative Study

of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emented Elderly in Health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3), 339-348.

Joe, S., Jo, A., & Saul, B. (2005). Health, well-being,

and social inclusion: therapeutic horticulture in

the UK, UK: The policy press.

Jung, I. G., Kwak, D. I., Cho, S. H., & Lee, H. S.

(1997). A Study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1), 61-72.

Ko, H. J. (2008).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

sion and cognition in a community for the aged.

Kyungpook University, Deagu.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Lee, E. R., Kang, J. H., & Jung, J. P. (2013).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Aged People. The

Korea Contests Association, 13(7), 290-300.

Lee, S. H. (1995). Perceptions of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the mainstream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12, 37-60.

Lee, Y. J., Lee, J. H., Kim, Y. J., Yang, N. Y., & Park,

J. H. (2014). The Effect of Multimodal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85-98.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Oh, M. A., Shin Y. O. Lee, T. Y., & Kim, J. S. (2003).

A Study on the Cognitive Function by MMSE in

the Urban Elderly. Chungnam medical journal,

30(2) 101-113.

Park, I. O. (1998). Depression Factor of Korean Elderly

Person. Seoul: Korea University.

Park, S. H., Park, S. J., Shin, J. I., & Yang, Y. A.

(2009). effect of art and craft for CVA patient on

cognitio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3(1), 55-61.

Ruy, K. H., Kang, Y. W., Na, D. R., Lee, G. H. & Jung

J. S. (2000).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n

Dementia Pati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19(1),

117-129.

Statistics Korea. (2010). Population statistics.

Statistics Korea. (2012). Aging Population.

Sun, W. D. (2006). Policy direction for health care for

older people. Health-welfare policy forum, 106,

81-89.

Sung, G. W., & Kim, M. H. (2008). Self-Care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of Low-Income Elderly

Women with Hypertension. J Korean Acad Nurs,

38(4), 593-602.

Page 5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수공예활동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우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51

Abstract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ay-care Center Elderly person

Kong, In-Joo*, M.E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alk Rehabilitation Hospital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rt and craf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ay-care center elderly person.

Methods : Subject was 24 registered member of day-care center with over 65 age.

Results :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 among art and craft program,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ay-care center elderly person. Many program was developed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Nevertheless, art and craft program was very important intervention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Conclusion : his program was befit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nd depression decrement of elderly person. So, I hope that Day-care center apply on routine program. Also, researcher was study art and craft program application methods and utilization.

Key Words : Art and Craft Program,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Day-Care Center, Elderly Person

Page 5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Page 5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논문제목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 아래 ․ 좌 ․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Page 5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5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표 만들기”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 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Page 5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55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Page 6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5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Page 6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7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et al.’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 B. A. Boyt Schell (Eds.),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age 6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5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6권2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Page 6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 ot-kapa.co.kr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77094.pdf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2014년 11월 30일 발행

발행인 / 양 영 애

발행처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 055-320-3799

인 쇄 /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email protected]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6, No. 2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춘해보건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가톨릭상지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한국안전진흥협회)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