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58
제7권 제1호 ISSN 2288360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7, No. 1, May, 31, 201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Upload: others

Post on 23-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제7권 제1호 ISSN 2288-360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7 No 1 May 31 201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 제1호 2015 5 31

차 례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성지은 양영애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부정아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이혜진 구영화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김은정 유찬욱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7 No 1 2015 5 31

CONTENTS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Sung Ji-Eun Yang Yeong-A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985169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Boo Jung-a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ee Hye-Jin Gu Young-Hwa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Kim Eun-Jung Yoo Chan-Uk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Gu Young-Hwa Lee Hye-Jin Yang Yeong-Ae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성지은 양영애

부산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서론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자 한다

본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으로 나누었다 작업치료 수행영역 중 일상생활 활동의 옷입기는 여

러 단계로 나뉘며 노인분들에게 도움이 필요하여 보조도구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 등이 고려되어

야 한다

결론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주제어 옷입기 노인 의상디자인

Corresponding author Sung Ji-Eun (je1744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ceived 1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March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

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7-14) 고령사회(Aged

Society 14-20)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 20

이상)로 나뉜다 수명 연장(평균 수명 80세)으로 2015

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131 2020년에는

157 2030년에는 243 2040년에는 323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75세 이상 노

인인구 증가는 사회적 부담을 증대시킨다 현재 고령

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얼마남지 않았으며

15년 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예정으로 이에 대

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

노화로 인해 피부 모발 키 몸무게 근육 뼈 균형

시력 등에서 변화를 보인다 피부는 주름형성 처짐

가려움증 피부염을 일으키며 모발은 가늘어지며 50

대 이후에는 키가 줄고 체질량이 감소한다 근력은 70

대 이후에는 30-40가 감소하며 하지근력이 상지근

력보다 현저히 감소한다 골 강도 또한 뼈의 미네랄

함량의 감소로 20대 이후 6-12씩 감소하며 골 강도

감소는 특히 여성에게 두드러진다 노화에 따른 전정

기관의 변화로 현기증과 현훈이 증가하고 균형에도

영향을 준다 움직임 장애가 없어도 비정상적인 보행

과 자세가 20-40 증가하며 근육의 운동 능력과 협응

이 감소한다 시력에서는 시력감퇴 안질환 증가 시야

축소 등의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노인의 낙상 위험성은 증가한다

노화로 인해 그 외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 심리사

회적 정신적인 면에서도 변화를 겪는다 인지적인 면

에서는 60대 이후에는 급격히 반응속도가 느려져 행

동을 결정 시작 변경하는 정신적 속도가 둔화된다

주의집중력은 단순 주의력은 유지되나 지속적 선택

적 분리집중력은 감소한다 언어능력은 일상적 대화

능력이나 이해력은 유지되나 언어인출능력은 다소 쇠

퇴하여 대화 등에서 말문이 자주 막힌다 기억력은 장

기기억에 비해 최근기억이 더 감퇴하며 인지장애와

동반하여 우울증이 생긴다 노인의 정신질환으로 우

울증 외에도 물질남용 과대망상 의심증 자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노화로 인해 인간관계의 변화 경

제적 변화 지위와 역할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

의 사회적 변화와 내향성과 수동성 증가 경직성 증

가 조심성 증가 우울한 경향 증가 등의 심리학적 변

화로 인해 발생한다

노인은 신체적으로 서서히 키가 줄고 허리와 엉덩

이가 커지며 사지가 가늘어지며 체온조절 기능이 감

소한다 또한 노인은 감정적인 변화도 겪어 역할 변화

로 인한 상실감 사회적 활동 범위 감소 동기 부족으

로 소극적인 성격으로 변한다 이에 의상은 노인의 신

체 기능을 보상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보행을 도와준

다 그리고 의상은 노인들에게 감정적인 지지의 역할

도 하며 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표현의 매체로 적

절한 의상은 일상생활활동과 사회 참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에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령화 사회로 인한 노인작업치료대상자가 늘어날

뿐 아니라 노인 전문 작업치료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최대한의 삶을 살 수 있

도록 목표를 둔 건강 관리 전문가이다(Hofman 2010)

이러한 매일의 인간 활동은 우리는 흔희 lsquo작업rsquo이라고

말하며 신체적 심리학적 감정적 그리고 영적 건강의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건

강하고 행복하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기술과

활동들을 실행 변경 그리고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준

다 작업치료 수행영역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일상생활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으로 식사하기 옷 입고 벗기 이동훈련 의사소

통 개인위생 등의 영역들로 각 영역들은 환자의 상태

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훈련하여 이에 필요한 보조

도구를 제작하기도 하고 사용방법들을 지도하며 남

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둘째 일과 생산적인 활동으로 집안일 돕기 가

정관리 학업수행 직업 훈련활동 등을 평가하고 필요

한 기술을 훈련한다 독립적으로 청소를 하고 시장을

보는 등의 집안일을 돕거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하고 이전 직업이나 직장으로 복귀를 도와

준다 셋째 놀이와 여가로 환자에게 적합한 놀이 취

미개발 및 여가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준다

작업치료 수행요소 역시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감각운동요소로 적절한 치료도

구나 목적적인 활동을 제공하여 어르신의 관절 움직

임 범위를 넓히거나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능력이

나 자세 조절능력을 정상화 한다 둘째 인지인지통합

요소로 뇌의 기능 구조 그리고 발달과정에 기초한 재

활치료방법을 통해 인지 지각능력이 저하된 어르신의

기억력 판단력 계산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결함을

교정 향상시키며 손상된 기능은 대체기술을 통해 보

완하도록 한다 셋째 정신사회심리적 요소로 가치

흥미 자아에 대한 개념 역할수행 대인관계 자기표

현 시간관리 자아조절 등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일상생활 활동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생활 속에 필

요한 모든 활동으로 독립성 기능 유지 노화 예방을

목표로 한다 요소로는 보행 목욕하기 식사하기 옷

입기 개인위생 용변처리 등으로 나뉜다 도구적 일상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

생활 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은 재

정관리 음식준비 살림하기 세탁하기 약 복용 쇼핑

전화기 사용 교통운송으로 나뉜다

한국판-수정바텔지수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에서 옷입기는 환자가 옷을 준비해서 입고 벗을 수 있

고 옷과 신발 끈을 조이거나 코르셋 보조기 의지를

조이고 벗을 수 있는 것으로 나와있다 환자는 속옷

바지 치마 허리띠 양말 신발 끈을 조정할 수 있으며

브레지어 목이 긴 스웨터 지퍼 단추 등을 관리할 수

있고 벨크로 지퍼 손잡이 등 다양한 보조장치도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상의 동작들을 적절한

시간 내에 수행 할 수 있어야 독립적인 옷입기 점수로

채점하게 된다

일상생활활동 중 옷입기는 상황과 계절에 맞는 옷

을 생각하기 입을 옷을 찾기 속옷 모자 신발들을 먼

저 신기 씻을 옷은 세탁기에서 빨기 씻은 옷은 개고

옷장에 넣기 보조도구 제공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옷입기를 위한 일상생활활동 보조 도구는 Dressing

Stick Reacher Zipper Pull Button Hook Cuff amp Collar

Button Extender Velcro Bell Front-Opening Bra

Buckingham Bra-Angel Deluxe Pants Assist Clip amp Pull

Pants Assist Sock Aid Stocking Aid Nonslip Socks 등

이 있다

2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옷입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작업치료 연

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옷 입기에 어려움을 주는 주요

요인과 보조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Mann et al 2005)

목욕 및 옷 입기 보조도구 사용에 관해 작업치료사의

고령 환자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Schemm amp Giflin

1998) 노인을 위해 디자인 한 겨울의복의 효과성 측

정에 대한 연구(Green Boger amp Mihailidis 2011) 등이

있다

노인들은 상의보다 하의 입기에 어려움을 많이 겪으

며 보조도구 또한 하의입기에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들

이 많았다(Mann et al 2005) 그리고 옷입기를 위해서는

평균 10분 25번의 교육과 3가지 도구에 관해 교육을

받으며 교육 후 26 정도 도움이 필요하며 이것은 목욕

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교육시간이 필요하나 돌보는

분의 필요정도는 적었다(Schemm amp Giflin 1998)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 환자수와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2004년 치매환자수는 421387명 치매

유병률은 840이나 2012년 치매환자수는 521516명

치매유병률은 980을 보인다 치매의 임상적인 특징

은 일상생활활동 문제 행동과 심리적인 문제 증상이

나타나며 인지기능에도 문제가 생긴다 치매환자 인지

평가로 Allen Cognitive Level Test가 사용되며 노인 인

지장애를 동반한 성인 정신과 환자 등을 대상으로 인

지기능 수준을 단계별로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치매환자 옷입기와 연관된 일상생활활동 훈련 방법

은 편안한 옷을 입도록 준비하기 입기 위한 옷을 스

스로 준비하기 선호하는 색깔이나 스타일의 옷을 준

비하기 옷을 입는 방법을 반복해서 훈련하기 미끄러

지지 않는 양말과 신발을 준비하기 등으로 나뉠 수 있

다 우주복과 유사한 치매복이 이용되기도 하며 단추

대신 고리를 채워 옷을 입고 벗는다

3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은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뉜다 독거노인 노인 환자 급증으로 모든

노인은 가난하고 병들었으며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사

회적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근로 노인에 대

한 시민들의 인식조사(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에 의하면 근로 노인 이미

지는 긍정적이었다

이미지 메이킹을 하기 위해서는 1단계 나 자신을

알기 2단계 역할에 대한 모델 선정과 목표 설정 3단

계 자기계발 4단계 매너 갖추기 5단계 자기존중과

자아사랑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미지 메이킹의 예

로서 박근혜 대통령을 들 수 있는데 반기문 UN 사무

총장과의 집견 인사에서는 평화를 상징하는 초록색

의상을 입고 한미 첫 정상회담에서는 신뢰를 상징하

는 파란색 의상을 입고 한미동맹 40주년 기념 만찬에

서는 한국의 미를 보여주는 한복을 입었다 시니어 패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션쇼는 단순한 패션쇼가 아니라 노인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전파하는 문화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한

다 tvN 꽃보다 할배 프로그램에서는 성공적으로 노화

한 시니어들이 삶을 즐기는 밝은 모습을 비추었다 최

근 힘과 의욕이 넘치고 은퇴 이후에도 왕성하게 활동

하는 신(新)중년(예전의 중년에 버금가는 체력정신력

을 갖춘 60-75세)은 머리염색은 밝은 갈색을 선호하며

60대 절반은 통좁은 바지를 입으며 자신을 더 젊고 멋

지게 가꾸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한다 신중년들이 패

션미용에 쓰는 돈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더 멋

진 외모에 대한 욕망은 신중년의 삶에 활기를 더해주

지만 집착이 과도하면 중독이 될 수도 있다

4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다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이다 그 예로 좌석 단추

벨크로 지퍼 큰 버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디자인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 쥐기 쉬운 지퍼 신축성 있는

허리 밴드 스마트 시계 등이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은 웰빙 패션 쉽게 입기 위

한 디자인 기온에 따라 조절되는 디자인 변형된 몸

을 가리는 디자인 안전을 위한 디자인 기능적인 디

자인 활동성을 위한 디자인 등으로 나뉜다 웰빙 패

션은 친환경 의류제품으로 착용감이 좋으면서도 인체

에 무해 혹은 유익한 신 기능성 소재로 심신의 건강을

위하여 즐기는 스포츠를 위한 패션이다 또한 웰빙패

션은 친환경적인 자연주의를 부각하며 과학과 테크놀

로지를 활용하여 신기능 소재를 사용하여 최근 심신

건강을 위한 스포츠 활동 피트니스 패션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쉽게 입기 위한 디자인은 앞이 열리고 큰 버튼에 지

퍼로 잠그기 쉬운 디자인과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며

느슨한 허리 디자인으로 치수가 큰 디자인이 있다 특

히 노인들은 입기 쉽고 온기를 주는 디자인을 선호한

다 안전을 위한 디자인은 드레스 타입을 선호하며 허

리띠가 버튼으로 된 것을 선호한다 허리선이 없어지

고 배가 나오기 때문에 허리에 치마나 바지 고정이 어

려워 상 하의가 분리된 것보다 원피스형이 좋다 투

피스라면 허리에 치마나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

깨 끈(멜빵)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능적인 디

자인은 새로운 소재의 위생적인 디자인 입었을 때 편

안함을 제공하는 진을 들 수 있다 활동성을 위한 디

자인으로 착탈의가 용이한 여성용 브래지어팬티 등

의 속옷 한 번의 조작으로 입고 벗는 속옷 밸크로로

착탈의가 용이한 속옷 등이 활용된다

Ⅲ 결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

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을 알아보았다 상황에

맞는 의상 착용은 여러 이점이 있다 파자마는 수면시

입는 옷으로 이완을 위함이고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감

을 줄여주며 등산복은 이동성과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사회적인 활동의 수트는 사회적 위치를 반영한다 이

처럼 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

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 Survey of citizen perception on elderly and

elderly working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

pational Therapy 68(Suppl1) S1-S48

httpdxdoiorg105014ajot2014682006

Green S L Boger J N amp Mihailidis A (2011) Toward

enabling winter occupations testing a winter coat

designed for older adults The Canadian Journ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5

of Occupational Therapy 78(1) 57-64

Hofman A (2010) Living Life To its Fullest Stories of

Occupational Therapy AOTA Press

Mann W C Kimble C Justiss M D Casson E

Tomita M amp Wu S S (2005) Problems with

dressing in the frail elderly The American Occu-

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9(4) 398-408

Schemm R L amp Gitlin L N (1998) How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 older patients to use bathing and

dressing devices in rehabilitation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2(4) 276-282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 제1호 2015 5 31

차 례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성지은 양영애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부정아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이혜진 구영화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김은정 유찬욱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7 No 1 2015 5 31

CONTENTS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Sung Ji-Eun Yang Yeong-A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985169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Boo Jung-a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ee Hye-Jin Gu Young-Hwa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Kim Eun-Jung Yoo Chan-Uk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Gu Young-Hwa Lee Hye-Jin Yang Yeong-Ae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성지은 양영애

부산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서론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자 한다

본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으로 나누었다 작업치료 수행영역 중 일상생활 활동의 옷입기는 여

러 단계로 나뉘며 노인분들에게 도움이 필요하여 보조도구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 등이 고려되어

야 한다

결론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주제어 옷입기 노인 의상디자인

Corresponding author Sung Ji-Eun (je1744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ceived 1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March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

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7-14) 고령사회(Aged

Society 14-20)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 20

이상)로 나뉜다 수명 연장(평균 수명 80세)으로 2015

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131 2020년에는

157 2030년에는 243 2040년에는 323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75세 이상 노

인인구 증가는 사회적 부담을 증대시킨다 현재 고령

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얼마남지 않았으며

15년 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예정으로 이에 대

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

노화로 인해 피부 모발 키 몸무게 근육 뼈 균형

시력 등에서 변화를 보인다 피부는 주름형성 처짐

가려움증 피부염을 일으키며 모발은 가늘어지며 50

대 이후에는 키가 줄고 체질량이 감소한다 근력은 70

대 이후에는 30-40가 감소하며 하지근력이 상지근

력보다 현저히 감소한다 골 강도 또한 뼈의 미네랄

함량의 감소로 20대 이후 6-12씩 감소하며 골 강도

감소는 특히 여성에게 두드러진다 노화에 따른 전정

기관의 변화로 현기증과 현훈이 증가하고 균형에도

영향을 준다 움직임 장애가 없어도 비정상적인 보행

과 자세가 20-40 증가하며 근육의 운동 능력과 협응

이 감소한다 시력에서는 시력감퇴 안질환 증가 시야

축소 등의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노인의 낙상 위험성은 증가한다

노화로 인해 그 외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 심리사

회적 정신적인 면에서도 변화를 겪는다 인지적인 면

에서는 60대 이후에는 급격히 반응속도가 느려져 행

동을 결정 시작 변경하는 정신적 속도가 둔화된다

주의집중력은 단순 주의력은 유지되나 지속적 선택

적 분리집중력은 감소한다 언어능력은 일상적 대화

능력이나 이해력은 유지되나 언어인출능력은 다소 쇠

퇴하여 대화 등에서 말문이 자주 막힌다 기억력은 장

기기억에 비해 최근기억이 더 감퇴하며 인지장애와

동반하여 우울증이 생긴다 노인의 정신질환으로 우

울증 외에도 물질남용 과대망상 의심증 자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노화로 인해 인간관계의 변화 경

제적 변화 지위와 역할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

의 사회적 변화와 내향성과 수동성 증가 경직성 증

가 조심성 증가 우울한 경향 증가 등의 심리학적 변

화로 인해 발생한다

노인은 신체적으로 서서히 키가 줄고 허리와 엉덩

이가 커지며 사지가 가늘어지며 체온조절 기능이 감

소한다 또한 노인은 감정적인 변화도 겪어 역할 변화

로 인한 상실감 사회적 활동 범위 감소 동기 부족으

로 소극적인 성격으로 변한다 이에 의상은 노인의 신

체 기능을 보상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보행을 도와준

다 그리고 의상은 노인들에게 감정적인 지지의 역할

도 하며 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표현의 매체로 적

절한 의상은 일상생활활동과 사회 참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에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령화 사회로 인한 노인작업치료대상자가 늘어날

뿐 아니라 노인 전문 작업치료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최대한의 삶을 살 수 있

도록 목표를 둔 건강 관리 전문가이다(Hofman 2010)

이러한 매일의 인간 활동은 우리는 흔희 lsquo작업rsquo이라고

말하며 신체적 심리학적 감정적 그리고 영적 건강의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건

강하고 행복하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기술과

활동들을 실행 변경 그리고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준

다 작업치료 수행영역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일상생활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으로 식사하기 옷 입고 벗기 이동훈련 의사소

통 개인위생 등의 영역들로 각 영역들은 환자의 상태

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훈련하여 이에 필요한 보조

도구를 제작하기도 하고 사용방법들을 지도하며 남

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둘째 일과 생산적인 활동으로 집안일 돕기 가

정관리 학업수행 직업 훈련활동 등을 평가하고 필요

한 기술을 훈련한다 독립적으로 청소를 하고 시장을

보는 등의 집안일을 돕거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하고 이전 직업이나 직장으로 복귀를 도와

준다 셋째 놀이와 여가로 환자에게 적합한 놀이 취

미개발 및 여가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준다

작업치료 수행요소 역시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감각운동요소로 적절한 치료도

구나 목적적인 활동을 제공하여 어르신의 관절 움직

임 범위를 넓히거나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능력이

나 자세 조절능력을 정상화 한다 둘째 인지인지통합

요소로 뇌의 기능 구조 그리고 발달과정에 기초한 재

활치료방법을 통해 인지 지각능력이 저하된 어르신의

기억력 판단력 계산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결함을

교정 향상시키며 손상된 기능은 대체기술을 통해 보

완하도록 한다 셋째 정신사회심리적 요소로 가치

흥미 자아에 대한 개념 역할수행 대인관계 자기표

현 시간관리 자아조절 등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일상생활 활동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생활 속에 필

요한 모든 활동으로 독립성 기능 유지 노화 예방을

목표로 한다 요소로는 보행 목욕하기 식사하기 옷

입기 개인위생 용변처리 등으로 나뉜다 도구적 일상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

생활 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은 재

정관리 음식준비 살림하기 세탁하기 약 복용 쇼핑

전화기 사용 교통운송으로 나뉜다

한국판-수정바텔지수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에서 옷입기는 환자가 옷을 준비해서 입고 벗을 수 있

고 옷과 신발 끈을 조이거나 코르셋 보조기 의지를

조이고 벗을 수 있는 것으로 나와있다 환자는 속옷

바지 치마 허리띠 양말 신발 끈을 조정할 수 있으며

브레지어 목이 긴 스웨터 지퍼 단추 등을 관리할 수

있고 벨크로 지퍼 손잡이 등 다양한 보조장치도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상의 동작들을 적절한

시간 내에 수행 할 수 있어야 독립적인 옷입기 점수로

채점하게 된다

일상생활활동 중 옷입기는 상황과 계절에 맞는 옷

을 생각하기 입을 옷을 찾기 속옷 모자 신발들을 먼

저 신기 씻을 옷은 세탁기에서 빨기 씻은 옷은 개고

옷장에 넣기 보조도구 제공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옷입기를 위한 일상생활활동 보조 도구는 Dressing

Stick Reacher Zipper Pull Button Hook Cuff amp Collar

Button Extender Velcro Bell Front-Opening Bra

Buckingham Bra-Angel Deluxe Pants Assist Clip amp Pull

Pants Assist Sock Aid Stocking Aid Nonslip Socks 등

이 있다

2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옷입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작업치료 연

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옷 입기에 어려움을 주는 주요

요인과 보조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Mann et al 2005)

목욕 및 옷 입기 보조도구 사용에 관해 작업치료사의

고령 환자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Schemm amp Giflin

1998) 노인을 위해 디자인 한 겨울의복의 효과성 측

정에 대한 연구(Green Boger amp Mihailidis 2011) 등이

있다

노인들은 상의보다 하의 입기에 어려움을 많이 겪으

며 보조도구 또한 하의입기에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들

이 많았다(Mann et al 2005) 그리고 옷입기를 위해서는

평균 10분 25번의 교육과 3가지 도구에 관해 교육을

받으며 교육 후 26 정도 도움이 필요하며 이것은 목욕

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교육시간이 필요하나 돌보는

분의 필요정도는 적었다(Schemm amp Giflin 1998)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 환자수와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2004년 치매환자수는 421387명 치매

유병률은 840이나 2012년 치매환자수는 521516명

치매유병률은 980을 보인다 치매의 임상적인 특징

은 일상생활활동 문제 행동과 심리적인 문제 증상이

나타나며 인지기능에도 문제가 생긴다 치매환자 인지

평가로 Allen Cognitive Level Test가 사용되며 노인 인

지장애를 동반한 성인 정신과 환자 등을 대상으로 인

지기능 수준을 단계별로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치매환자 옷입기와 연관된 일상생활활동 훈련 방법

은 편안한 옷을 입도록 준비하기 입기 위한 옷을 스

스로 준비하기 선호하는 색깔이나 스타일의 옷을 준

비하기 옷을 입는 방법을 반복해서 훈련하기 미끄러

지지 않는 양말과 신발을 준비하기 등으로 나뉠 수 있

다 우주복과 유사한 치매복이 이용되기도 하며 단추

대신 고리를 채워 옷을 입고 벗는다

3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은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뉜다 독거노인 노인 환자 급증으로 모든

노인은 가난하고 병들었으며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사

회적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근로 노인에 대

한 시민들의 인식조사(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에 의하면 근로 노인 이미

지는 긍정적이었다

이미지 메이킹을 하기 위해서는 1단계 나 자신을

알기 2단계 역할에 대한 모델 선정과 목표 설정 3단

계 자기계발 4단계 매너 갖추기 5단계 자기존중과

자아사랑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미지 메이킹의 예

로서 박근혜 대통령을 들 수 있는데 반기문 UN 사무

총장과의 집견 인사에서는 평화를 상징하는 초록색

의상을 입고 한미 첫 정상회담에서는 신뢰를 상징하

는 파란색 의상을 입고 한미동맹 40주년 기념 만찬에

서는 한국의 미를 보여주는 한복을 입었다 시니어 패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션쇼는 단순한 패션쇼가 아니라 노인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전파하는 문화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한

다 tvN 꽃보다 할배 프로그램에서는 성공적으로 노화

한 시니어들이 삶을 즐기는 밝은 모습을 비추었다 최

근 힘과 의욕이 넘치고 은퇴 이후에도 왕성하게 활동

하는 신(新)중년(예전의 중년에 버금가는 체력정신력

을 갖춘 60-75세)은 머리염색은 밝은 갈색을 선호하며

60대 절반은 통좁은 바지를 입으며 자신을 더 젊고 멋

지게 가꾸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한다 신중년들이 패

션미용에 쓰는 돈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더 멋

진 외모에 대한 욕망은 신중년의 삶에 활기를 더해주

지만 집착이 과도하면 중독이 될 수도 있다

4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다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이다 그 예로 좌석 단추

벨크로 지퍼 큰 버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디자인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 쥐기 쉬운 지퍼 신축성 있는

허리 밴드 스마트 시계 등이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은 웰빙 패션 쉽게 입기 위

한 디자인 기온에 따라 조절되는 디자인 변형된 몸

을 가리는 디자인 안전을 위한 디자인 기능적인 디

자인 활동성을 위한 디자인 등으로 나뉜다 웰빙 패

션은 친환경 의류제품으로 착용감이 좋으면서도 인체

에 무해 혹은 유익한 신 기능성 소재로 심신의 건강을

위하여 즐기는 스포츠를 위한 패션이다 또한 웰빙패

션은 친환경적인 자연주의를 부각하며 과학과 테크놀

로지를 활용하여 신기능 소재를 사용하여 최근 심신

건강을 위한 스포츠 활동 피트니스 패션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쉽게 입기 위한 디자인은 앞이 열리고 큰 버튼에 지

퍼로 잠그기 쉬운 디자인과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며

느슨한 허리 디자인으로 치수가 큰 디자인이 있다 특

히 노인들은 입기 쉽고 온기를 주는 디자인을 선호한

다 안전을 위한 디자인은 드레스 타입을 선호하며 허

리띠가 버튼으로 된 것을 선호한다 허리선이 없어지

고 배가 나오기 때문에 허리에 치마나 바지 고정이 어

려워 상 하의가 분리된 것보다 원피스형이 좋다 투

피스라면 허리에 치마나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

깨 끈(멜빵)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능적인 디

자인은 새로운 소재의 위생적인 디자인 입었을 때 편

안함을 제공하는 진을 들 수 있다 활동성을 위한 디

자인으로 착탈의가 용이한 여성용 브래지어팬티 등

의 속옷 한 번의 조작으로 입고 벗는 속옷 밸크로로

착탈의가 용이한 속옷 등이 활용된다

Ⅲ 결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

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을 알아보았다 상황에

맞는 의상 착용은 여러 이점이 있다 파자마는 수면시

입는 옷으로 이완을 위함이고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감

을 줄여주며 등산복은 이동성과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사회적인 활동의 수트는 사회적 위치를 반영한다 이

처럼 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

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 Survey of citizen perception on elderly and

elderly working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

pational Therapy 68(Suppl1) S1-S48

httpdxdoiorg105014ajot2014682006

Green S L Boger J N amp Mihailidis A (2011) Toward

enabling winter occupations testing a winter coat

designed for older adults The Canadian Journ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5

of Occupational Therapy 78(1) 57-64

Hofman A (2010) Living Life To its Fullest Stories of

Occupational Therapy AOTA Press

Mann W C Kimble C Justiss M D Casson E

Tomita M amp Wu S S (2005) Problems with

dressing in the frail elderly The American Occu-

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9(4) 398-408

Schemm R L amp Gitlin L N (1998) How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 older patients to use bathing and

dressing devices in rehabilitation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2(4) 276-282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Vol 7 No 1 2015 5 31

CONTENTS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Sung Ji-Eun Yang Yeong-A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985169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Boo Jung-a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Lee Hye-Jin Gu Young-Hwa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Kim Eun-Jung Yoo Chan-Uk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Gu Young-Hwa Lee Hye-Jin Yang Yeong-Ae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성지은 양영애

부산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서론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자 한다

본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으로 나누었다 작업치료 수행영역 중 일상생활 활동의 옷입기는 여

러 단계로 나뉘며 노인분들에게 도움이 필요하여 보조도구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 등이 고려되어

야 한다

결론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주제어 옷입기 노인 의상디자인

Corresponding author Sung Ji-Eun (je1744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ceived 1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March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

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7-14) 고령사회(Aged

Society 14-20)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 20

이상)로 나뉜다 수명 연장(평균 수명 80세)으로 2015

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131 2020년에는

157 2030년에는 243 2040년에는 323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75세 이상 노

인인구 증가는 사회적 부담을 증대시킨다 현재 고령

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얼마남지 않았으며

15년 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예정으로 이에 대

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

노화로 인해 피부 모발 키 몸무게 근육 뼈 균형

시력 등에서 변화를 보인다 피부는 주름형성 처짐

가려움증 피부염을 일으키며 모발은 가늘어지며 50

대 이후에는 키가 줄고 체질량이 감소한다 근력은 70

대 이후에는 30-40가 감소하며 하지근력이 상지근

력보다 현저히 감소한다 골 강도 또한 뼈의 미네랄

함량의 감소로 20대 이후 6-12씩 감소하며 골 강도

감소는 특히 여성에게 두드러진다 노화에 따른 전정

기관의 변화로 현기증과 현훈이 증가하고 균형에도

영향을 준다 움직임 장애가 없어도 비정상적인 보행

과 자세가 20-40 증가하며 근육의 운동 능력과 협응

이 감소한다 시력에서는 시력감퇴 안질환 증가 시야

축소 등의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노인의 낙상 위험성은 증가한다

노화로 인해 그 외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 심리사

회적 정신적인 면에서도 변화를 겪는다 인지적인 면

에서는 60대 이후에는 급격히 반응속도가 느려져 행

동을 결정 시작 변경하는 정신적 속도가 둔화된다

주의집중력은 단순 주의력은 유지되나 지속적 선택

적 분리집중력은 감소한다 언어능력은 일상적 대화

능력이나 이해력은 유지되나 언어인출능력은 다소 쇠

퇴하여 대화 등에서 말문이 자주 막힌다 기억력은 장

기기억에 비해 최근기억이 더 감퇴하며 인지장애와

동반하여 우울증이 생긴다 노인의 정신질환으로 우

울증 외에도 물질남용 과대망상 의심증 자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노화로 인해 인간관계의 변화 경

제적 변화 지위와 역할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

의 사회적 변화와 내향성과 수동성 증가 경직성 증

가 조심성 증가 우울한 경향 증가 등의 심리학적 변

화로 인해 발생한다

노인은 신체적으로 서서히 키가 줄고 허리와 엉덩

이가 커지며 사지가 가늘어지며 체온조절 기능이 감

소한다 또한 노인은 감정적인 변화도 겪어 역할 변화

로 인한 상실감 사회적 활동 범위 감소 동기 부족으

로 소극적인 성격으로 변한다 이에 의상은 노인의 신

체 기능을 보상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보행을 도와준

다 그리고 의상은 노인들에게 감정적인 지지의 역할

도 하며 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표현의 매체로 적

절한 의상은 일상생활활동과 사회 참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에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령화 사회로 인한 노인작업치료대상자가 늘어날

뿐 아니라 노인 전문 작업치료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최대한의 삶을 살 수 있

도록 목표를 둔 건강 관리 전문가이다(Hofman 2010)

이러한 매일의 인간 활동은 우리는 흔희 lsquo작업rsquo이라고

말하며 신체적 심리학적 감정적 그리고 영적 건강의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건

강하고 행복하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기술과

활동들을 실행 변경 그리고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준

다 작업치료 수행영역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일상생활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으로 식사하기 옷 입고 벗기 이동훈련 의사소

통 개인위생 등의 영역들로 각 영역들은 환자의 상태

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훈련하여 이에 필요한 보조

도구를 제작하기도 하고 사용방법들을 지도하며 남

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둘째 일과 생산적인 활동으로 집안일 돕기 가

정관리 학업수행 직업 훈련활동 등을 평가하고 필요

한 기술을 훈련한다 독립적으로 청소를 하고 시장을

보는 등의 집안일을 돕거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하고 이전 직업이나 직장으로 복귀를 도와

준다 셋째 놀이와 여가로 환자에게 적합한 놀이 취

미개발 및 여가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준다

작업치료 수행요소 역시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감각운동요소로 적절한 치료도

구나 목적적인 활동을 제공하여 어르신의 관절 움직

임 범위를 넓히거나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능력이

나 자세 조절능력을 정상화 한다 둘째 인지인지통합

요소로 뇌의 기능 구조 그리고 발달과정에 기초한 재

활치료방법을 통해 인지 지각능력이 저하된 어르신의

기억력 판단력 계산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결함을

교정 향상시키며 손상된 기능은 대체기술을 통해 보

완하도록 한다 셋째 정신사회심리적 요소로 가치

흥미 자아에 대한 개념 역할수행 대인관계 자기표

현 시간관리 자아조절 등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일상생활 활동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생활 속에 필

요한 모든 활동으로 독립성 기능 유지 노화 예방을

목표로 한다 요소로는 보행 목욕하기 식사하기 옷

입기 개인위생 용변처리 등으로 나뉜다 도구적 일상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

생활 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은 재

정관리 음식준비 살림하기 세탁하기 약 복용 쇼핑

전화기 사용 교통운송으로 나뉜다

한국판-수정바텔지수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에서 옷입기는 환자가 옷을 준비해서 입고 벗을 수 있

고 옷과 신발 끈을 조이거나 코르셋 보조기 의지를

조이고 벗을 수 있는 것으로 나와있다 환자는 속옷

바지 치마 허리띠 양말 신발 끈을 조정할 수 있으며

브레지어 목이 긴 스웨터 지퍼 단추 등을 관리할 수

있고 벨크로 지퍼 손잡이 등 다양한 보조장치도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상의 동작들을 적절한

시간 내에 수행 할 수 있어야 독립적인 옷입기 점수로

채점하게 된다

일상생활활동 중 옷입기는 상황과 계절에 맞는 옷

을 생각하기 입을 옷을 찾기 속옷 모자 신발들을 먼

저 신기 씻을 옷은 세탁기에서 빨기 씻은 옷은 개고

옷장에 넣기 보조도구 제공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옷입기를 위한 일상생활활동 보조 도구는 Dressing

Stick Reacher Zipper Pull Button Hook Cuff amp Collar

Button Extender Velcro Bell Front-Opening Bra

Buckingham Bra-Angel Deluxe Pants Assist Clip amp Pull

Pants Assist Sock Aid Stocking Aid Nonslip Socks 등

이 있다

2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옷입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작업치료 연

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옷 입기에 어려움을 주는 주요

요인과 보조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Mann et al 2005)

목욕 및 옷 입기 보조도구 사용에 관해 작업치료사의

고령 환자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Schemm amp Giflin

1998) 노인을 위해 디자인 한 겨울의복의 효과성 측

정에 대한 연구(Green Boger amp Mihailidis 2011) 등이

있다

노인들은 상의보다 하의 입기에 어려움을 많이 겪으

며 보조도구 또한 하의입기에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들

이 많았다(Mann et al 2005) 그리고 옷입기를 위해서는

평균 10분 25번의 교육과 3가지 도구에 관해 교육을

받으며 교육 후 26 정도 도움이 필요하며 이것은 목욕

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교육시간이 필요하나 돌보는

분의 필요정도는 적었다(Schemm amp Giflin 1998)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 환자수와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2004년 치매환자수는 421387명 치매

유병률은 840이나 2012년 치매환자수는 521516명

치매유병률은 980을 보인다 치매의 임상적인 특징

은 일상생활활동 문제 행동과 심리적인 문제 증상이

나타나며 인지기능에도 문제가 생긴다 치매환자 인지

평가로 Allen Cognitive Level Test가 사용되며 노인 인

지장애를 동반한 성인 정신과 환자 등을 대상으로 인

지기능 수준을 단계별로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치매환자 옷입기와 연관된 일상생활활동 훈련 방법

은 편안한 옷을 입도록 준비하기 입기 위한 옷을 스

스로 준비하기 선호하는 색깔이나 스타일의 옷을 준

비하기 옷을 입는 방법을 반복해서 훈련하기 미끄러

지지 않는 양말과 신발을 준비하기 등으로 나뉠 수 있

다 우주복과 유사한 치매복이 이용되기도 하며 단추

대신 고리를 채워 옷을 입고 벗는다

3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은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뉜다 독거노인 노인 환자 급증으로 모든

노인은 가난하고 병들었으며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사

회적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근로 노인에 대

한 시민들의 인식조사(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에 의하면 근로 노인 이미

지는 긍정적이었다

이미지 메이킹을 하기 위해서는 1단계 나 자신을

알기 2단계 역할에 대한 모델 선정과 목표 설정 3단

계 자기계발 4단계 매너 갖추기 5단계 자기존중과

자아사랑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미지 메이킹의 예

로서 박근혜 대통령을 들 수 있는데 반기문 UN 사무

총장과의 집견 인사에서는 평화를 상징하는 초록색

의상을 입고 한미 첫 정상회담에서는 신뢰를 상징하

는 파란색 의상을 입고 한미동맹 40주년 기념 만찬에

서는 한국의 미를 보여주는 한복을 입었다 시니어 패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션쇼는 단순한 패션쇼가 아니라 노인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전파하는 문화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한

다 tvN 꽃보다 할배 프로그램에서는 성공적으로 노화

한 시니어들이 삶을 즐기는 밝은 모습을 비추었다 최

근 힘과 의욕이 넘치고 은퇴 이후에도 왕성하게 활동

하는 신(新)중년(예전의 중년에 버금가는 체력정신력

을 갖춘 60-75세)은 머리염색은 밝은 갈색을 선호하며

60대 절반은 통좁은 바지를 입으며 자신을 더 젊고 멋

지게 가꾸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한다 신중년들이 패

션미용에 쓰는 돈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더 멋

진 외모에 대한 욕망은 신중년의 삶에 활기를 더해주

지만 집착이 과도하면 중독이 될 수도 있다

4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다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이다 그 예로 좌석 단추

벨크로 지퍼 큰 버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디자인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 쥐기 쉬운 지퍼 신축성 있는

허리 밴드 스마트 시계 등이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은 웰빙 패션 쉽게 입기 위

한 디자인 기온에 따라 조절되는 디자인 변형된 몸

을 가리는 디자인 안전을 위한 디자인 기능적인 디

자인 활동성을 위한 디자인 등으로 나뉜다 웰빙 패

션은 친환경 의류제품으로 착용감이 좋으면서도 인체

에 무해 혹은 유익한 신 기능성 소재로 심신의 건강을

위하여 즐기는 스포츠를 위한 패션이다 또한 웰빙패

션은 친환경적인 자연주의를 부각하며 과학과 테크놀

로지를 활용하여 신기능 소재를 사용하여 최근 심신

건강을 위한 스포츠 활동 피트니스 패션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쉽게 입기 위한 디자인은 앞이 열리고 큰 버튼에 지

퍼로 잠그기 쉬운 디자인과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며

느슨한 허리 디자인으로 치수가 큰 디자인이 있다 특

히 노인들은 입기 쉽고 온기를 주는 디자인을 선호한

다 안전을 위한 디자인은 드레스 타입을 선호하며 허

리띠가 버튼으로 된 것을 선호한다 허리선이 없어지

고 배가 나오기 때문에 허리에 치마나 바지 고정이 어

려워 상 하의가 분리된 것보다 원피스형이 좋다 투

피스라면 허리에 치마나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

깨 끈(멜빵)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능적인 디

자인은 새로운 소재의 위생적인 디자인 입었을 때 편

안함을 제공하는 진을 들 수 있다 활동성을 위한 디

자인으로 착탈의가 용이한 여성용 브래지어팬티 등

의 속옷 한 번의 조작으로 입고 벗는 속옷 밸크로로

착탈의가 용이한 속옷 등이 활용된다

Ⅲ 결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

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을 알아보았다 상황에

맞는 의상 착용은 여러 이점이 있다 파자마는 수면시

입는 옷으로 이완을 위함이고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감

을 줄여주며 등산복은 이동성과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사회적인 활동의 수트는 사회적 위치를 반영한다 이

처럼 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

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 Survey of citizen perception on elderly and

elderly working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

pational Therapy 68(Suppl1) S1-S48

httpdxdoiorg105014ajot2014682006

Green S L Boger J N amp Mihailidis A (2011) Toward

enabling winter occupations testing a winter coat

designed for older adults The Canadian Journ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5

of Occupational Therapy 78(1) 57-64

Hofman A (2010) Living Life To its Fullest Stories of

Occupational Therapy AOTA Press

Mann W C Kimble C Justiss M D Casson E

Tomita M amp Wu S S (2005) Problems with

dressing in the frail elderly The American Occu-

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9(4) 398-408

Schemm R L amp Gitlin L N (1998) How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 older patients to use bathing and

dressing devices in rehabilitation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2(4) 276-282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성지은 양영애

부산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서론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자 한다

본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으로 나누었다 작업치료 수행영역 중 일상생활 활동의 옷입기는 여

러 단계로 나뉘며 노인분들에게 도움이 필요하여 보조도구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 등이 고려되어

야 한다

결론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주제어 옷입기 노인 의상디자인

Corresponding author Sung Ji-Eun (je1744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ceived 1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March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

라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7-14) 고령사회(Aged

Society 14-20)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 20

이상)로 나뉜다 수명 연장(평균 수명 80세)으로 2015

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131 2020년에는

157 2030년에는 243 2040년에는 323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75세 이상 노

인인구 증가는 사회적 부담을 증대시킨다 현재 고령

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얼마남지 않았으며

15년 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예정으로 이에 대

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

노화로 인해 피부 모발 키 몸무게 근육 뼈 균형

시력 등에서 변화를 보인다 피부는 주름형성 처짐

가려움증 피부염을 일으키며 모발은 가늘어지며 50

대 이후에는 키가 줄고 체질량이 감소한다 근력은 70

대 이후에는 30-40가 감소하며 하지근력이 상지근

력보다 현저히 감소한다 골 강도 또한 뼈의 미네랄

함량의 감소로 20대 이후 6-12씩 감소하며 골 강도

감소는 특히 여성에게 두드러진다 노화에 따른 전정

기관의 변화로 현기증과 현훈이 증가하고 균형에도

영향을 준다 움직임 장애가 없어도 비정상적인 보행

과 자세가 20-40 증가하며 근육의 운동 능력과 협응

이 감소한다 시력에서는 시력감퇴 안질환 증가 시야

축소 등의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노인의 낙상 위험성은 증가한다

노화로 인해 그 외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 심리사

회적 정신적인 면에서도 변화를 겪는다 인지적인 면

에서는 60대 이후에는 급격히 반응속도가 느려져 행

동을 결정 시작 변경하는 정신적 속도가 둔화된다

주의집중력은 단순 주의력은 유지되나 지속적 선택

적 분리집중력은 감소한다 언어능력은 일상적 대화

능력이나 이해력은 유지되나 언어인출능력은 다소 쇠

퇴하여 대화 등에서 말문이 자주 막힌다 기억력은 장

기기억에 비해 최근기억이 더 감퇴하며 인지장애와

동반하여 우울증이 생긴다 노인의 정신질환으로 우

울증 외에도 물질남용 과대망상 의심증 자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노화로 인해 인간관계의 변화 경

제적 변화 지위와 역할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

의 사회적 변화와 내향성과 수동성 증가 경직성 증

가 조심성 증가 우울한 경향 증가 등의 심리학적 변

화로 인해 발생한다

노인은 신체적으로 서서히 키가 줄고 허리와 엉덩

이가 커지며 사지가 가늘어지며 체온조절 기능이 감

소한다 또한 노인은 감정적인 변화도 겪어 역할 변화

로 인한 상실감 사회적 활동 범위 감소 동기 부족으

로 소극적인 성격으로 변한다 이에 의상은 노인의 신

체 기능을 보상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보행을 도와준

다 그리고 의상은 노인들에게 감정적인 지지의 역할

도 하며 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표현의 매체로 적

절한 의상은 일상생활활동과 사회 참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에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령화 사회로 인한 노인작업치료대상자가 늘어날

뿐 아니라 노인 전문 작업치료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최대한의 삶을 살 수 있

도록 목표를 둔 건강 관리 전문가이다(Hofman 2010)

이러한 매일의 인간 활동은 우리는 흔희 lsquo작업rsquo이라고

말하며 신체적 심리학적 감정적 그리고 영적 건강의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건

강하고 행복하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기술과

활동들을 실행 변경 그리고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준

다 작업치료 수행영역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일상생활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으로 식사하기 옷 입고 벗기 이동훈련 의사소

통 개인위생 등의 영역들로 각 영역들은 환자의 상태

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훈련하여 이에 필요한 보조

도구를 제작하기도 하고 사용방법들을 지도하며 남

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둘째 일과 생산적인 활동으로 집안일 돕기 가

정관리 학업수행 직업 훈련활동 등을 평가하고 필요

한 기술을 훈련한다 독립적으로 청소를 하고 시장을

보는 등의 집안일을 돕거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하고 이전 직업이나 직장으로 복귀를 도와

준다 셋째 놀이와 여가로 환자에게 적합한 놀이 취

미개발 및 여가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준다

작업치료 수행요소 역시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감각운동요소로 적절한 치료도

구나 목적적인 활동을 제공하여 어르신의 관절 움직

임 범위를 넓히거나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능력이

나 자세 조절능력을 정상화 한다 둘째 인지인지통합

요소로 뇌의 기능 구조 그리고 발달과정에 기초한 재

활치료방법을 통해 인지 지각능력이 저하된 어르신의

기억력 판단력 계산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결함을

교정 향상시키며 손상된 기능은 대체기술을 통해 보

완하도록 한다 셋째 정신사회심리적 요소로 가치

흥미 자아에 대한 개념 역할수행 대인관계 자기표

현 시간관리 자아조절 등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일상생활 활동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생활 속에 필

요한 모든 활동으로 독립성 기능 유지 노화 예방을

목표로 한다 요소로는 보행 목욕하기 식사하기 옷

입기 개인위생 용변처리 등으로 나뉜다 도구적 일상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

생활 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은 재

정관리 음식준비 살림하기 세탁하기 약 복용 쇼핑

전화기 사용 교통운송으로 나뉜다

한국판-수정바텔지수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에서 옷입기는 환자가 옷을 준비해서 입고 벗을 수 있

고 옷과 신발 끈을 조이거나 코르셋 보조기 의지를

조이고 벗을 수 있는 것으로 나와있다 환자는 속옷

바지 치마 허리띠 양말 신발 끈을 조정할 수 있으며

브레지어 목이 긴 스웨터 지퍼 단추 등을 관리할 수

있고 벨크로 지퍼 손잡이 등 다양한 보조장치도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상의 동작들을 적절한

시간 내에 수행 할 수 있어야 독립적인 옷입기 점수로

채점하게 된다

일상생활활동 중 옷입기는 상황과 계절에 맞는 옷

을 생각하기 입을 옷을 찾기 속옷 모자 신발들을 먼

저 신기 씻을 옷은 세탁기에서 빨기 씻은 옷은 개고

옷장에 넣기 보조도구 제공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옷입기를 위한 일상생활활동 보조 도구는 Dressing

Stick Reacher Zipper Pull Button Hook Cuff amp Collar

Button Extender Velcro Bell Front-Opening Bra

Buckingham Bra-Angel Deluxe Pants Assist Clip amp Pull

Pants Assist Sock Aid Stocking Aid Nonslip Socks 등

이 있다

2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옷입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작업치료 연

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옷 입기에 어려움을 주는 주요

요인과 보조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Mann et al 2005)

목욕 및 옷 입기 보조도구 사용에 관해 작업치료사의

고령 환자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Schemm amp Giflin

1998) 노인을 위해 디자인 한 겨울의복의 효과성 측

정에 대한 연구(Green Boger amp Mihailidis 2011) 등이

있다

노인들은 상의보다 하의 입기에 어려움을 많이 겪으

며 보조도구 또한 하의입기에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들

이 많았다(Mann et al 2005) 그리고 옷입기를 위해서는

평균 10분 25번의 교육과 3가지 도구에 관해 교육을

받으며 교육 후 26 정도 도움이 필요하며 이것은 목욕

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교육시간이 필요하나 돌보는

분의 필요정도는 적었다(Schemm amp Giflin 1998)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 환자수와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2004년 치매환자수는 421387명 치매

유병률은 840이나 2012년 치매환자수는 521516명

치매유병률은 980을 보인다 치매의 임상적인 특징

은 일상생활활동 문제 행동과 심리적인 문제 증상이

나타나며 인지기능에도 문제가 생긴다 치매환자 인지

평가로 Allen Cognitive Level Test가 사용되며 노인 인

지장애를 동반한 성인 정신과 환자 등을 대상으로 인

지기능 수준을 단계별로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치매환자 옷입기와 연관된 일상생활활동 훈련 방법

은 편안한 옷을 입도록 준비하기 입기 위한 옷을 스

스로 준비하기 선호하는 색깔이나 스타일의 옷을 준

비하기 옷을 입는 방법을 반복해서 훈련하기 미끄러

지지 않는 양말과 신발을 준비하기 등으로 나뉠 수 있

다 우주복과 유사한 치매복이 이용되기도 하며 단추

대신 고리를 채워 옷을 입고 벗는다

3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은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뉜다 독거노인 노인 환자 급증으로 모든

노인은 가난하고 병들었으며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사

회적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근로 노인에 대

한 시민들의 인식조사(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에 의하면 근로 노인 이미

지는 긍정적이었다

이미지 메이킹을 하기 위해서는 1단계 나 자신을

알기 2단계 역할에 대한 모델 선정과 목표 설정 3단

계 자기계발 4단계 매너 갖추기 5단계 자기존중과

자아사랑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미지 메이킹의 예

로서 박근혜 대통령을 들 수 있는데 반기문 UN 사무

총장과의 집견 인사에서는 평화를 상징하는 초록색

의상을 입고 한미 첫 정상회담에서는 신뢰를 상징하

는 파란색 의상을 입고 한미동맹 40주년 기념 만찬에

서는 한국의 미를 보여주는 한복을 입었다 시니어 패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션쇼는 단순한 패션쇼가 아니라 노인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전파하는 문화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한

다 tvN 꽃보다 할배 프로그램에서는 성공적으로 노화

한 시니어들이 삶을 즐기는 밝은 모습을 비추었다 최

근 힘과 의욕이 넘치고 은퇴 이후에도 왕성하게 활동

하는 신(新)중년(예전의 중년에 버금가는 체력정신력

을 갖춘 60-75세)은 머리염색은 밝은 갈색을 선호하며

60대 절반은 통좁은 바지를 입으며 자신을 더 젊고 멋

지게 가꾸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한다 신중년들이 패

션미용에 쓰는 돈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더 멋

진 외모에 대한 욕망은 신중년의 삶에 활기를 더해주

지만 집착이 과도하면 중독이 될 수도 있다

4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다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이다 그 예로 좌석 단추

벨크로 지퍼 큰 버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디자인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 쥐기 쉬운 지퍼 신축성 있는

허리 밴드 스마트 시계 등이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은 웰빙 패션 쉽게 입기 위

한 디자인 기온에 따라 조절되는 디자인 변형된 몸

을 가리는 디자인 안전을 위한 디자인 기능적인 디

자인 활동성을 위한 디자인 등으로 나뉜다 웰빙 패

션은 친환경 의류제품으로 착용감이 좋으면서도 인체

에 무해 혹은 유익한 신 기능성 소재로 심신의 건강을

위하여 즐기는 스포츠를 위한 패션이다 또한 웰빙패

션은 친환경적인 자연주의를 부각하며 과학과 테크놀

로지를 활용하여 신기능 소재를 사용하여 최근 심신

건강을 위한 스포츠 활동 피트니스 패션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쉽게 입기 위한 디자인은 앞이 열리고 큰 버튼에 지

퍼로 잠그기 쉬운 디자인과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며

느슨한 허리 디자인으로 치수가 큰 디자인이 있다 특

히 노인들은 입기 쉽고 온기를 주는 디자인을 선호한

다 안전을 위한 디자인은 드레스 타입을 선호하며 허

리띠가 버튼으로 된 것을 선호한다 허리선이 없어지

고 배가 나오기 때문에 허리에 치마나 바지 고정이 어

려워 상 하의가 분리된 것보다 원피스형이 좋다 투

피스라면 허리에 치마나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

깨 끈(멜빵)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능적인 디

자인은 새로운 소재의 위생적인 디자인 입었을 때 편

안함을 제공하는 진을 들 수 있다 활동성을 위한 디

자인으로 착탈의가 용이한 여성용 브래지어팬티 등

의 속옷 한 번의 조작으로 입고 벗는 속옷 밸크로로

착탈의가 용이한 속옷 등이 활용된다

Ⅲ 결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

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을 알아보았다 상황에

맞는 의상 착용은 여러 이점이 있다 파자마는 수면시

입는 옷으로 이완을 위함이고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감

을 줄여주며 등산복은 이동성과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사회적인 활동의 수트는 사회적 위치를 반영한다 이

처럼 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

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 Survey of citizen perception on elderly and

elderly working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

pational Therapy 68(Suppl1) S1-S48

httpdxdoiorg105014ajot2014682006

Green S L Boger J N amp Mihailidis A (2011) Toward

enabling winter occupations testing a winter coat

designed for older adults The Canadian Journ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5

of Occupational Therapy 78(1) 57-64

Hofman A (2010) Living Life To its Fullest Stories of

Occupational Therapy AOTA Press

Mann W C Kimble C Justiss M D Casson E

Tomita M amp Wu S S (2005) Problems with

dressing in the frail elderly The American Occu-

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9(4) 398-408

Schemm R L amp Gitlin L N (1998) How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 older patients to use bathing and

dressing devices in rehabilitation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2(4) 276-282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노인의 낙상 위험성은 증가한다

노화로 인해 그 외 인지적 사회적 심리적 심리사

회적 정신적인 면에서도 변화를 겪는다 인지적인 면

에서는 60대 이후에는 급격히 반응속도가 느려져 행

동을 결정 시작 변경하는 정신적 속도가 둔화된다

주의집중력은 단순 주의력은 유지되나 지속적 선택

적 분리집중력은 감소한다 언어능력은 일상적 대화

능력이나 이해력은 유지되나 언어인출능력은 다소 쇠

퇴하여 대화 등에서 말문이 자주 막힌다 기억력은 장

기기억에 비해 최근기억이 더 감퇴하며 인지장애와

동반하여 우울증이 생긴다 노인의 정신질환으로 우

울증 외에도 물질남용 과대망상 의심증 자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노화로 인해 인간관계의 변화 경

제적 변화 지위와 역할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

의 사회적 변화와 내향성과 수동성 증가 경직성 증

가 조심성 증가 우울한 경향 증가 등의 심리학적 변

화로 인해 발생한다

노인은 신체적으로 서서히 키가 줄고 허리와 엉덩

이가 커지며 사지가 가늘어지며 체온조절 기능이 감

소한다 또한 노인은 감정적인 변화도 겪어 역할 변화

로 인한 상실감 사회적 활동 범위 감소 동기 부족으

로 소극적인 성격으로 변한다 이에 의상은 노인의 신

체 기능을 보상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보행을 도와준

다 그리고 의상은 노인들에게 감정적인 지지의 역할

도 하며 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표현의 매체로 적

절한 의상은 일상생활활동과 사회 참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에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을 알아보고 노인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령화 사회로 인한 노인작업치료대상자가 늘어날

뿐 아니라 노인 전문 작업치료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최대한의 삶을 살 수 있

도록 목표를 둔 건강 관리 전문가이다(Hofman 2010)

이러한 매일의 인간 활동은 우리는 흔희 lsquo작업rsquo이라고

말하며 신체적 심리학적 감정적 그리고 영적 건강의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치료사는 사람들이 건

강하고 행복하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기술과

활동들을 실행 변경 그리고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준

다 작업치료 수행영역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일상생활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으로 식사하기 옷 입고 벗기 이동훈련 의사소

통 개인위생 등의 영역들로 각 영역들은 환자의 상태

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훈련하여 이에 필요한 보조

도구를 제작하기도 하고 사용방법들을 지도하며 남

아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둘째 일과 생산적인 활동으로 집안일 돕기 가

정관리 학업수행 직업 훈련활동 등을 평가하고 필요

한 기술을 훈련한다 독립적으로 청소를 하고 시장을

보는 등의 집안일을 돕거나 일을 수행할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하고 이전 직업이나 직장으로 복귀를 도와

준다 셋째 놀이와 여가로 환자에게 적합한 놀이 취

미개발 및 여가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준다

작업치료 수행요소 역시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AOTA 2014) 첫째 감각운동요소로 적절한 치료도

구나 목적적인 활동을 제공하여 어르신의 관절 움직

임 범위를 넓히거나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능력이

나 자세 조절능력을 정상화 한다 둘째 인지인지통합

요소로 뇌의 기능 구조 그리고 발달과정에 기초한 재

활치료방법을 통해 인지 지각능력이 저하된 어르신의

기억력 판단력 계산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결함을

교정 향상시키며 손상된 기능은 대체기술을 통해 보

완하도록 한다 셋째 정신사회심리적 요소로 가치

흥미 자아에 대한 개념 역할수행 대인관계 자기표

현 시간관리 자아조절 등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일상생활 활동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생활 속에 필

요한 모든 활동으로 독립성 기능 유지 노화 예방을

목표로 한다 요소로는 보행 목욕하기 식사하기 옷

입기 개인위생 용변처리 등으로 나뉜다 도구적 일상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

생활 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은 재

정관리 음식준비 살림하기 세탁하기 약 복용 쇼핑

전화기 사용 교통운송으로 나뉜다

한국판-수정바텔지수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에서 옷입기는 환자가 옷을 준비해서 입고 벗을 수 있

고 옷과 신발 끈을 조이거나 코르셋 보조기 의지를

조이고 벗을 수 있는 것으로 나와있다 환자는 속옷

바지 치마 허리띠 양말 신발 끈을 조정할 수 있으며

브레지어 목이 긴 스웨터 지퍼 단추 등을 관리할 수

있고 벨크로 지퍼 손잡이 등 다양한 보조장치도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상의 동작들을 적절한

시간 내에 수행 할 수 있어야 독립적인 옷입기 점수로

채점하게 된다

일상생활활동 중 옷입기는 상황과 계절에 맞는 옷

을 생각하기 입을 옷을 찾기 속옷 모자 신발들을 먼

저 신기 씻을 옷은 세탁기에서 빨기 씻은 옷은 개고

옷장에 넣기 보조도구 제공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옷입기를 위한 일상생활활동 보조 도구는 Dressing

Stick Reacher Zipper Pull Button Hook Cuff amp Collar

Button Extender Velcro Bell Front-Opening Bra

Buckingham Bra-Angel Deluxe Pants Assist Clip amp Pull

Pants Assist Sock Aid Stocking Aid Nonslip Socks 등

이 있다

2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옷입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작업치료 연

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옷 입기에 어려움을 주는 주요

요인과 보조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Mann et al 2005)

목욕 및 옷 입기 보조도구 사용에 관해 작업치료사의

고령 환자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Schemm amp Giflin

1998) 노인을 위해 디자인 한 겨울의복의 효과성 측

정에 대한 연구(Green Boger amp Mihailidis 2011) 등이

있다

노인들은 상의보다 하의 입기에 어려움을 많이 겪으

며 보조도구 또한 하의입기에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들

이 많았다(Mann et al 2005) 그리고 옷입기를 위해서는

평균 10분 25번의 교육과 3가지 도구에 관해 교육을

받으며 교육 후 26 정도 도움이 필요하며 이것은 목욕

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교육시간이 필요하나 돌보는

분의 필요정도는 적었다(Schemm amp Giflin 1998)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 환자수와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2004년 치매환자수는 421387명 치매

유병률은 840이나 2012년 치매환자수는 521516명

치매유병률은 980을 보인다 치매의 임상적인 특징

은 일상생활활동 문제 행동과 심리적인 문제 증상이

나타나며 인지기능에도 문제가 생긴다 치매환자 인지

평가로 Allen Cognitive Level Test가 사용되며 노인 인

지장애를 동반한 성인 정신과 환자 등을 대상으로 인

지기능 수준을 단계별로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치매환자 옷입기와 연관된 일상생활활동 훈련 방법

은 편안한 옷을 입도록 준비하기 입기 위한 옷을 스

스로 준비하기 선호하는 색깔이나 스타일의 옷을 준

비하기 옷을 입는 방법을 반복해서 훈련하기 미끄러

지지 않는 양말과 신발을 준비하기 등으로 나뉠 수 있

다 우주복과 유사한 치매복이 이용되기도 하며 단추

대신 고리를 채워 옷을 입고 벗는다

3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은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뉜다 독거노인 노인 환자 급증으로 모든

노인은 가난하고 병들었으며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사

회적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근로 노인에 대

한 시민들의 인식조사(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에 의하면 근로 노인 이미

지는 긍정적이었다

이미지 메이킹을 하기 위해서는 1단계 나 자신을

알기 2단계 역할에 대한 모델 선정과 목표 설정 3단

계 자기계발 4단계 매너 갖추기 5단계 자기존중과

자아사랑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미지 메이킹의 예

로서 박근혜 대통령을 들 수 있는데 반기문 UN 사무

총장과의 집견 인사에서는 평화를 상징하는 초록색

의상을 입고 한미 첫 정상회담에서는 신뢰를 상징하

는 파란색 의상을 입고 한미동맹 40주년 기념 만찬에

서는 한국의 미를 보여주는 한복을 입었다 시니어 패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션쇼는 단순한 패션쇼가 아니라 노인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전파하는 문화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한

다 tvN 꽃보다 할배 프로그램에서는 성공적으로 노화

한 시니어들이 삶을 즐기는 밝은 모습을 비추었다 최

근 힘과 의욕이 넘치고 은퇴 이후에도 왕성하게 활동

하는 신(新)중년(예전의 중년에 버금가는 체력정신력

을 갖춘 60-75세)은 머리염색은 밝은 갈색을 선호하며

60대 절반은 통좁은 바지를 입으며 자신을 더 젊고 멋

지게 가꾸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한다 신중년들이 패

션미용에 쓰는 돈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더 멋

진 외모에 대한 욕망은 신중년의 삶에 활기를 더해주

지만 집착이 과도하면 중독이 될 수도 있다

4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다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이다 그 예로 좌석 단추

벨크로 지퍼 큰 버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디자인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 쥐기 쉬운 지퍼 신축성 있는

허리 밴드 스마트 시계 등이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은 웰빙 패션 쉽게 입기 위

한 디자인 기온에 따라 조절되는 디자인 변형된 몸

을 가리는 디자인 안전을 위한 디자인 기능적인 디

자인 활동성을 위한 디자인 등으로 나뉜다 웰빙 패

션은 친환경 의류제품으로 착용감이 좋으면서도 인체

에 무해 혹은 유익한 신 기능성 소재로 심신의 건강을

위하여 즐기는 스포츠를 위한 패션이다 또한 웰빙패

션은 친환경적인 자연주의를 부각하며 과학과 테크놀

로지를 활용하여 신기능 소재를 사용하여 최근 심신

건강을 위한 스포츠 활동 피트니스 패션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쉽게 입기 위한 디자인은 앞이 열리고 큰 버튼에 지

퍼로 잠그기 쉬운 디자인과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며

느슨한 허리 디자인으로 치수가 큰 디자인이 있다 특

히 노인들은 입기 쉽고 온기를 주는 디자인을 선호한

다 안전을 위한 디자인은 드레스 타입을 선호하며 허

리띠가 버튼으로 된 것을 선호한다 허리선이 없어지

고 배가 나오기 때문에 허리에 치마나 바지 고정이 어

려워 상 하의가 분리된 것보다 원피스형이 좋다 투

피스라면 허리에 치마나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

깨 끈(멜빵)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능적인 디

자인은 새로운 소재의 위생적인 디자인 입었을 때 편

안함을 제공하는 진을 들 수 있다 활동성을 위한 디

자인으로 착탈의가 용이한 여성용 브래지어팬티 등

의 속옷 한 번의 조작으로 입고 벗는 속옷 밸크로로

착탈의가 용이한 속옷 등이 활용된다

Ⅲ 결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

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을 알아보았다 상황에

맞는 의상 착용은 여러 이점이 있다 파자마는 수면시

입는 옷으로 이완을 위함이고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감

을 줄여주며 등산복은 이동성과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사회적인 활동의 수트는 사회적 위치를 반영한다 이

처럼 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

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 Survey of citizen perception on elderly and

elderly working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

pational Therapy 68(Suppl1) S1-S48

httpdxdoiorg105014ajot2014682006

Green S L Boger J N amp Mihailidis A (2011) Toward

enabling winter occupations testing a winter coat

designed for older adults The Canadian Journ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5

of Occupational Therapy 78(1) 57-64

Hofman A (2010) Living Life To its Fullest Stories of

Occupational Therapy AOTA Press

Mann W C Kimble C Justiss M D Casson E

Tomita M amp Wu S S (2005) Problems with

dressing in the frail elderly The American Occu-

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9(4) 398-408

Schemm R L amp Gitlin L N (1998) How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 older patients to use bathing and

dressing devices in rehabilitation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2(4) 276-282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

생활 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은 재

정관리 음식준비 살림하기 세탁하기 약 복용 쇼핑

전화기 사용 교통운송으로 나뉜다

한국판-수정바텔지수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에서 옷입기는 환자가 옷을 준비해서 입고 벗을 수 있

고 옷과 신발 끈을 조이거나 코르셋 보조기 의지를

조이고 벗을 수 있는 것으로 나와있다 환자는 속옷

바지 치마 허리띠 양말 신발 끈을 조정할 수 있으며

브레지어 목이 긴 스웨터 지퍼 단추 등을 관리할 수

있고 벨크로 지퍼 손잡이 등 다양한 보조장치도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상의 동작들을 적절한

시간 내에 수행 할 수 있어야 독립적인 옷입기 점수로

채점하게 된다

일상생활활동 중 옷입기는 상황과 계절에 맞는 옷

을 생각하기 입을 옷을 찾기 속옷 모자 신발들을 먼

저 신기 씻을 옷은 세탁기에서 빨기 씻은 옷은 개고

옷장에 넣기 보조도구 제공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옷입기를 위한 일상생활활동 보조 도구는 Dressing

Stick Reacher Zipper Pull Button Hook Cuff amp Collar

Button Extender Velcro Bell Front-Opening Bra

Buckingham Bra-Angel Deluxe Pants Assist Clip amp Pull

Pants Assist Sock Aid Stocking Aid Nonslip Socks 등

이 있다

2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옷입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작업치료 연

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옷 입기에 어려움을 주는 주요

요인과 보조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Mann et al 2005)

목욕 및 옷 입기 보조도구 사용에 관해 작업치료사의

고령 환자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Schemm amp Giflin

1998) 노인을 위해 디자인 한 겨울의복의 효과성 측

정에 대한 연구(Green Boger amp Mihailidis 2011) 등이

있다

노인들은 상의보다 하의 입기에 어려움을 많이 겪으

며 보조도구 또한 하의입기에 도움을 주는 보조도구들

이 많았다(Mann et al 2005) 그리고 옷입기를 위해서는

평균 10분 25번의 교육과 3가지 도구에 관해 교육을

받으며 교육 후 26 정도 도움이 필요하며 이것은 목욕

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교육시간이 필요하나 돌보는

분의 필요정도는 적었다(Schemm amp Giflin 1998)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 환자수와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2004년 치매환자수는 421387명 치매

유병률은 840이나 2012년 치매환자수는 521516명

치매유병률은 980을 보인다 치매의 임상적인 특징

은 일상생활활동 문제 행동과 심리적인 문제 증상이

나타나며 인지기능에도 문제가 생긴다 치매환자 인지

평가로 Allen Cognitive Level Test가 사용되며 노인 인

지장애를 동반한 성인 정신과 환자 등을 대상으로 인

지기능 수준을 단계별로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치매환자 옷입기와 연관된 일상생활활동 훈련 방법

은 편안한 옷을 입도록 준비하기 입기 위한 옷을 스

스로 준비하기 선호하는 색깔이나 스타일의 옷을 준

비하기 옷을 입는 방법을 반복해서 훈련하기 미끄러

지지 않는 양말과 신발을 준비하기 등으로 나뉠 수 있

다 우주복과 유사한 치매복이 이용되기도 하며 단추

대신 고리를 채워 옷을 입고 벗는다

3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

노인의 이미지 메이킹은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뉜다 독거노인 노인 환자 급증으로 모든

노인은 가난하고 병들었으며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사

회적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근로 노인에 대

한 시민들의 인식조사(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에 의하면 근로 노인 이미

지는 긍정적이었다

이미지 메이킹을 하기 위해서는 1단계 나 자신을

알기 2단계 역할에 대한 모델 선정과 목표 설정 3단

계 자기계발 4단계 매너 갖추기 5단계 자기존중과

자아사랑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미지 메이킹의 예

로서 박근혜 대통령을 들 수 있는데 반기문 UN 사무

총장과의 집견 인사에서는 평화를 상징하는 초록색

의상을 입고 한미 첫 정상회담에서는 신뢰를 상징하

는 파란색 의상을 입고 한미동맹 40주년 기념 만찬에

서는 한국의 미를 보여주는 한복을 입었다 시니어 패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션쇼는 단순한 패션쇼가 아니라 노인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전파하는 문화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한

다 tvN 꽃보다 할배 프로그램에서는 성공적으로 노화

한 시니어들이 삶을 즐기는 밝은 모습을 비추었다 최

근 힘과 의욕이 넘치고 은퇴 이후에도 왕성하게 활동

하는 신(新)중년(예전의 중년에 버금가는 체력정신력

을 갖춘 60-75세)은 머리염색은 밝은 갈색을 선호하며

60대 절반은 통좁은 바지를 입으며 자신을 더 젊고 멋

지게 가꾸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한다 신중년들이 패

션미용에 쓰는 돈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더 멋

진 외모에 대한 욕망은 신중년의 삶에 활기를 더해주

지만 집착이 과도하면 중독이 될 수도 있다

4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다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이다 그 예로 좌석 단추

벨크로 지퍼 큰 버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디자인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 쥐기 쉬운 지퍼 신축성 있는

허리 밴드 스마트 시계 등이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은 웰빙 패션 쉽게 입기 위

한 디자인 기온에 따라 조절되는 디자인 변형된 몸

을 가리는 디자인 안전을 위한 디자인 기능적인 디

자인 활동성을 위한 디자인 등으로 나뉜다 웰빙 패

션은 친환경 의류제품으로 착용감이 좋으면서도 인체

에 무해 혹은 유익한 신 기능성 소재로 심신의 건강을

위하여 즐기는 스포츠를 위한 패션이다 또한 웰빙패

션은 친환경적인 자연주의를 부각하며 과학과 테크놀

로지를 활용하여 신기능 소재를 사용하여 최근 심신

건강을 위한 스포츠 활동 피트니스 패션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쉽게 입기 위한 디자인은 앞이 열리고 큰 버튼에 지

퍼로 잠그기 쉬운 디자인과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며

느슨한 허리 디자인으로 치수가 큰 디자인이 있다 특

히 노인들은 입기 쉽고 온기를 주는 디자인을 선호한

다 안전을 위한 디자인은 드레스 타입을 선호하며 허

리띠가 버튼으로 된 것을 선호한다 허리선이 없어지

고 배가 나오기 때문에 허리에 치마나 바지 고정이 어

려워 상 하의가 분리된 것보다 원피스형이 좋다 투

피스라면 허리에 치마나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

깨 끈(멜빵)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능적인 디

자인은 새로운 소재의 위생적인 디자인 입었을 때 편

안함을 제공하는 진을 들 수 있다 활동성을 위한 디

자인으로 착탈의가 용이한 여성용 브래지어팬티 등

의 속옷 한 번의 조작으로 입고 벗는 속옷 밸크로로

착탈의가 용이한 속옷 등이 활용된다

Ⅲ 결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

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을 알아보았다 상황에

맞는 의상 착용은 여러 이점이 있다 파자마는 수면시

입는 옷으로 이완을 위함이고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감

을 줄여주며 등산복은 이동성과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사회적인 활동의 수트는 사회적 위치를 반영한다 이

처럼 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

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 Survey of citizen perception on elderly and

elderly working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

pational Therapy 68(Suppl1) S1-S48

httpdxdoiorg105014ajot2014682006

Green S L Boger J N amp Mihailidis A (2011) Toward

enabling winter occupations testing a winter coat

designed for older adults The Canadian Journ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5

of Occupational Therapy 78(1) 57-64

Hofman A (2010) Living Life To its Fullest Stories of

Occupational Therapy AOTA Press

Mann W C Kimble C Justiss M D Casson E

Tomita M amp Wu S S (2005) Problems with

dressing in the frail elderly The American Occu-

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9(4) 398-408

Schemm R L amp Gitlin L N (1998) How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 older patients to use bathing and

dressing devices in rehabilitation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2(4) 276-282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션쇼는 단순한 패션쇼가 아니라 노인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전파하는 문화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한

다 tvN 꽃보다 할배 프로그램에서는 성공적으로 노화

한 시니어들이 삶을 즐기는 밝은 모습을 비추었다 최

근 힘과 의욕이 넘치고 은퇴 이후에도 왕성하게 활동

하는 신(新)중년(예전의 중년에 버금가는 체력정신력

을 갖춘 60-75세)은 머리염색은 밝은 갈색을 선호하며

60대 절반은 통좁은 바지를 입으며 자신을 더 젊고 멋

지게 가꾸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한다 신중년들이 패

션미용에 쓰는 돈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더 멋

진 외모에 대한 욕망은 신중년의 삶에 활기를 더해주

지만 집착이 과도하면 중독이 될 수도 있다

4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에서 노인의 편의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다 입기 쉬운 디자인

기능적 패턴 조절의 용이성이다 그 예로 좌석 단추

벨크로 지퍼 큰 버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디자인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 쥐기 쉬운 지퍼 신축성 있는

허리 밴드 스마트 시계 등이 있다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은 웰빙 패션 쉽게 입기 위

한 디자인 기온에 따라 조절되는 디자인 변형된 몸

을 가리는 디자인 안전을 위한 디자인 기능적인 디

자인 활동성을 위한 디자인 등으로 나뉜다 웰빙 패

션은 친환경 의류제품으로 착용감이 좋으면서도 인체

에 무해 혹은 유익한 신 기능성 소재로 심신의 건강을

위하여 즐기는 스포츠를 위한 패션이다 또한 웰빙패

션은 친환경적인 자연주의를 부각하며 과학과 테크놀

로지를 활용하여 신기능 소재를 사용하여 최근 심신

건강을 위한 스포츠 활동 피트니스 패션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쉽게 입기 위한 디자인은 앞이 열리고 큰 버튼에 지

퍼로 잠그기 쉬운 디자인과 고무 밴드로 이루어지며

느슨한 허리 디자인으로 치수가 큰 디자인이 있다 특

히 노인들은 입기 쉽고 온기를 주는 디자인을 선호한

다 안전을 위한 디자인은 드레스 타입을 선호하며 허

리띠가 버튼으로 된 것을 선호한다 허리선이 없어지

고 배가 나오기 때문에 허리에 치마나 바지 고정이 어

려워 상 하의가 분리된 것보다 원피스형이 좋다 투

피스라면 허리에 치마나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어

깨 끈(멜빵)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능적인 디

자인은 새로운 소재의 위생적인 디자인 입었을 때 편

안함을 제공하는 진을 들 수 있다 활동성을 위한 디

자인으로 착탈의가 용이한 여성용 브래지어팬티 등

의 속옷 한 번의 조작으로 입고 벗는 속옷 밸크로로

착탈의가 용이한 속옷 등이 활용된다

Ⅲ 결론

작업치료 관점에서 노인의상디자인을 접근하고자

작업치료와 옷입기 노인과 옷입기 노인의 이미지 메

이킹 노화에 대한 의상디자인을 알아보았다 상황에

맞는 의상 착용은 여러 이점이 있다 파자마는 수면시

입는 옷으로 이완을 위함이고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감

을 줄여주며 등산복은 이동성과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사회적인 활동의 수트는 사회적 위치를 반영한다 이

처럼 노인 의상에서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의상을 착

용하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도움이 되며 작업치료

관점에서도 노인 의상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2009) Survey of citizen perception on elderly and

elderly working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

pational Therapy 68(Suppl1) S1-S48

httpdxdoiorg105014ajot2014682006

Green S L Boger J N amp Mihailidis A (2011) Toward

enabling winter occupations testing a winter coat

designed for older adults The Canadian Journ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5

of Occupational Therapy 78(1) 57-64

Hofman A (2010) Living Life To its Fullest Stories of

Occupational Therapy AOTA Press

Mann W C Kimble C Justiss M D Casson E

Tomita M amp Wu S S (2005) Problems with

dressing in the frail elderly The American Occu-

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9(4) 398-408

Schemm R L amp Gitlin L N (1998) How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 older patients to use bathing and

dressing devices in rehabilitation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2(4) 276-282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5

of Occupational Therapy 78(1) 57-64

Hofman A (2010) Living Life To its Fullest Stories of

Occupational Therapy AOTA Press

Mann W C Kimble C Justiss M D Casson E

Tomita M amp Wu S S (2005) Problems with

dressing in the frail elderly The American Occu-

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9(4) 398-408

Schemm R L amp Gitlin L N (1998) How occupational

therapists teach older patients to use bathing and

dressing devices in rehabilitation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52(4) 276-282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Sung Ji-Eun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pproach of senior fashion design discuss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and provide the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eniors

Detours This study discussed aging ADL amp wearing image making of elderly costume design for aging Dressing of ADL in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area have many step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rovide assistive device for dressing and education for seniors Design for wearing easily amp using a functional design pattern amp adjustable design are considered for convenience for aging

Conclusion It need a lot of attention to the senior fashion desig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Key Words Dressing Costume Design for Ag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정아

드림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10분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적용

후 2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연구군 14명과 30분간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4명간에 상지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의 상지기능(MFT)

및 일상생활수행능력(MBI) 전 후 차이를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군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향

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논의 및

결론

작업치료 전 앉은 전신진동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

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주제어 만성뇌졸중 전신진동운동 상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Corresponding author Boo Jung-A(boo-j-a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Received 24 March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8 April 2015 Accepted 10 May 2015

Ⅰ 서 론

뇌졸중은 뇌혈관의 갑작스런 허혈이나 출혈로 인해

뇌 조직으로의 혈액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뇌

기능의 부분적 소실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유발시키

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Prange et al 2006) 뇌졸중 발

병 후 상지 기능의 손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초기 뇌졸중 발병 환자의 발병 85가 상지

의 기능적 운동장애를 보인다(Olsen 199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지 기능은 먹기 옷입기 씻기 쓰기 등과

같은 과제를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fine motor skill)에

기본이 되고 기기 걷기 균형 유지하기 보호반응 등과

같은 대단위 운동기술(gross motor skill)에 있어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하며 상지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에

제한을 초래한다(Shumway-Cook amp Woollacott 1995)

근육의 약화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장애를 일으

키고 주된 원인으로 골반의 저가동성을 초래한다 이는

체간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Karatas Ccediletin Bayramoglu amp

Dilek 2004)

작업치료의 경우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지

기능에 치료적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재활의 단계에서

상지 기능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는 이유는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서는 근위부의 회복뿐만 아니라 쥐기(grasp)

조작하기(manipulation)와 같은 섬세한 기능의 회복을 필

요로 하기 때문이다(Feys et al 1998) 또한 Yong amp Kim

(2014)의 연구에서 상지기능 향상을 통해 일상생활활동

의 향상을 보았고 Ahn You amp Kim (2011)은 상지의 수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행능력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삶의 질에 높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상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세의 유지 및 균형

의 효율적인 조절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몸통과

다리의 근력발달이 매우 중요하다(Song amp Yun 2003)

특히 몸통 근육의 강화는 몸통의 안정성으로 인해 상지

를 보다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의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몸통과 골반 팔다리의 운동성에도 영향을

주어 상지의 기능을 증진시킨다(Kim 2005) Verheyden

등 (2009)은 몸통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앉은 자세(sitting

positon)에서의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훈련은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를 용이

하게 하고 마비측 다리의 근육 활동을 증가시켜 그 효과는

선 자세로 변경되어도 지속된다(Dean amp Shepherd 1997)

진동 운동(vibration exercise)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체성감각 자극방법이다 이 중

전신진동운동(Whole-Body Vibration Exercise)은 인체에

외부의 하중 없이 근육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Miyazaki 2000) 이는 기계

적 자극을 유발시키는 발판 위에서 다양한 자세로 운

동을 실시함으로써 본래 근 섬유 자체의 형태적 기능

적 발달과 생리학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

근 훈련법이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최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운동을 이용

한 재활치료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Torvinen 등 (2002)

은 뇌졸중 환자에게 전신진동운동이 체성감각자극으로

인해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Tihanyi

등(2007)은 뇌졸중 환자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무릎 폄근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Verschueren 등 (2004)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전신진동운동을 단기간 적용하였을 때 흔들림 시

자세 동요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

자의 작업치료 전 전신진동운동이 상지기능과 일상생

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시

소재 D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아래의 연구조건을 충족시켜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성인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분류

하였다(Table 1)

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PGender N() N()M 4(143) 11(393)F 10(357) 3(107)Affected side N() N()Rt 8(286) 9(321)Lt 6(214) 5(179)Diagnoses N() N()Cerebral hemorrhage 8(286) 8(286)Cerebral infarction 6(214) 6(214)Age (year) N() N()30-39 4(143) 0(0)40-49 0(0) 3(107)50-59 7(250) 4(143)60-69 2(71) 3(107)70-79 1(36) 4(143)Weight(Kg) 6086 plusmn 1300 6100 plusmn 1341 0977Tall(cm) 16264 plusmn 995 16379 plusmn 728 0694MFT 1414 plusmn 859 1093 plusmn 632 0388MBI 6543 plusmn 1985 5693 plusmn 1685 033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9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선정 기준은 1) 전문

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을 받은

환자 2)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3) 한국판 간

이 정신 상태 검사(MMSE)에서 25점 이상인 자 4) 마

비측 팔에 정형 외과적인 질환으로 인하여 상지 움직

임에 장애가 없는자 5) 독립적으로 앉을 수 있는 자

6) 연구자의 지시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이다

2 검사도구

1) 대상자 선정 평가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K-MMSE는 임상에서 간편하게 인지 수준을 평가하

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검

사는 Folstein Folstein amp McHugh (1975)에 의해 제작

되었고 Park amp Gun (1989)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어 표

준화 되었다 이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099 이다

(Park amp Gun 1989) 총 6개 범주의 12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검사 결과가 총 30 점 중 24점 이하의 점수

는 인지 손상으로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25점 이상의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본 검사 도구

(1) Maunal Function Test(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

MFT(Maunal Function Test)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 일본에 있는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 명자분

원에서 개발되어(Cha amp Lee 1997) 초기 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기능에 대한 짧은 시간 동안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 수준

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 회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

MFT 평가는 상지의 건측 환측 모두를 측정하고

각 평가 항목은 원칙적으로 건측부터 시행하고 원칙

적으로 상지운동 - 어깨 기능 영역으로부터 장악력 - 손

기능 손가락 조작 영역의 순서로 진행한다 3가지 영

역에 대한 8항복 32개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순서로 되어 있어 평가시 각

항목에서 어려운 수준이 가능하면 그 이하는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측정 방법은 검사자는 환자를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고 1회 검사하여 측정하였고 이때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고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모든 평가 시 1인의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2) 바델인덱스(Modified Barthel Index)

MBI(Modified Barthel Index)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amp Barthel 1965)를 Shah

(1989) 등이 수정 보완하여 도입한 일상 생활 평가 도

구로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

고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 하고 있으며

총점은 100점이다 특히 다른 평가 도구에 비해 평가

의 편리함 높은 정확성 일관성 민감도 그리고 통계

처리의 용이함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자조 활동과 운

동성에 대한 훈련 시 지표가 되고 있다(Smith 1993)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모든 검사 과정에 동의하

였다 연구 기간 전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전

신운동 전과 후에 각각 처치를 시행하기 전에 사전 조사

와 처치를 한 후 사후 조사를 하여 효과를 확인 하였다

전신진동 기기는 우리나라의 NEXT사의 ldquoVibro wedgerdquo

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기기는 상하(수직)진동 운동

방식으로 웨지를 결합한 제품으로 motor 진동 방식이며

10~40Hz까지 진동 폭을 조절 가능하며 17kg의 무게

이며 0~25도까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 되었다

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 운동군

연구군은 대상자는 앉은 자세(short sitting)에서 기립

자세(upright)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지의 각관절

의 각도가 90deg 유지할 수 있게 앉아 있는다 안전하고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1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Subject selection (N=28)

darrPre-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Simple Randomization (N=28)

darr darrExperimental group (N=14) Control group (N=14)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4wks 10min 20times) +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20min 20times)

Genernal occupational therapy

(4wks 30min 20times)

darr darrPost-test

Upper extremity function(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MBI)

darrExperimental group

Analysis (SPSS ver180)

Control group

Analysis (SPSS ver180)

Figure 1 Analysis process

Figure 2 Vibro Wedge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발판을 이용하였으며 팔길이에 따른 팔

받침대도 사용하여 전신운동 기기를 적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 적용 시 양쪽 팔에 힘을 주어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주관절이 과신전 되지 않도록

예방하였다 전신 운동 기기를 매회 10분씩 그 후 일반

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2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적용되는 주파수는 근피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서(30hz이하) 환자의 감각 상태에 맞게 적용하였다

2) 대조군

대조군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일반적인 작업치료

활동을 30분간 주 5회 4주간 적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적인 처리는

SSPSS(ver180)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은 005 이하로 하였다 각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

하여 훈련 전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정규분포 가

정을 만족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

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상지기능(MFT) 차이를 보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1093plusmn632 1114plusmn620 -188 0082

control group 1414plusmn859 1450plusmn872 -269 0019

Table 2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fter t p

experimental group 5693plusmn1685 5743plusmn1618 -218 0047

control group 6543plusmn1985 6707plusmn1971 -278 0015

Table 3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

한 연구군과 대조군이 일상생활수행능력(MBI)에 차

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군과 대조군간의 상지기능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성인 환자28명을 대상으

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

군(N=14)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N=14)

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뇌졸중 상지 기능의 변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군과 대조군

의 작업치료 활동의 전 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변화

는 다음과 같다

1) 상지기능의 변화

대조군과 연구군의 상지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Table 2)(Figure 34)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상지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졸중 상지 기

능(MFT) 검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1093plusmn632점

에서 실험 후 1114plusmn6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연구군은 실험 전 1414plusmn859점에서 실험 후 1450plusmn

872점으로 점수의 향상을 보여 상지 기능 변화를 나타

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3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4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2)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변화

는 다음과 같다(Table 3)(Figure 56) 대조군과 연구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바델인덱스(MBI)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5693plusmn1685점에서 실험 후 5743plusmn1618점으로

미약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군도 실험 전

6543plusmn1985점에서 실험 후 6707plusmn1971점으로 점수의

큰 향상을 보여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나타내었

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Figure 5 Experimental group(before amp after)

Figure 6 Control group(before amp after)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1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28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을 시행한 연구군

과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간의 실험전과

후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ldquo작업치

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rdquo라

는 문제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상지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둘째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lt 005)

셋째 대조군인 일반적인 작업치료에서는 상지기능

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

의 미약하게 통게적 유의한 차이는 보였다(p lt 005)

그러므로 상지기능의 향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향상

이 아니라 보상적인 교육으로 인해 향상을 보인것으

로 유추된다

Cirstea amp Levin (2000)은 뇌손상 환자들의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며 체간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방

해하여 보행 균형 물체에 대한 뻗기 조작의 어려움을

보인다 Dickstein Andersson amp Julin (2004)는 사지를 움

직이는 동안이나 움직이기 바로 전에 반드시 체간에

있어서 자세조절이 선행되는데 이러한 자세조절의 역

할은 사지를 움직이는 동안에 야기된 불안정에 대해

체간을 준비 시켜서 특정한 목적에 맞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뇌졸중 환자의 ADL수행과 운동

조절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장기적

인 기능적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

과 진단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Benaim Peacuterennou

Villy Rousseaux amp Pelissier 1999) 따라서 이 연구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하였다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

은 전신진동을 선 자세에서 적용하였으며 선 자세에

서의 전신진동운동은 정상성인 및 노인의 균형능력의

개선 근력 강화 체중조절 (Cormie Deane Triplett amp

McBride 2006 Kim 2005) 상위운동신경병변 환자의 경

직감소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Ahlborg

Andersson amp Julin 2006)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

자세의 전신진동치료의 효과는 규명된 반면 앉은 자

세에서의 효과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를 통해 앉은 자세에서의 전신진동운동의

효과가 선 자세에서 전신 진동운동에 대한 효과와 유

사함을 입증하였고 작업치료 전 준비단계로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ihanyi 등 (2007)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진동 운동을 단기적으로 실시한 결과 무릎 신전근 근

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고 하였으며 In(2009)은 전신진동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있어 효과를 보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상

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을 보았다고 사료

되오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았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로 볼 때 4주 동안의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

지기능의 증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시키는 데 긍

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은 작업치료 전 준비운동으로써 효

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본

연구의 조건을 충족하는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들의 일상생

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균 발병기간이 만성 환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전

신 진동운동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객

관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선행 연구를 보았을

때 다양한 적용을 통한 전신 진동운동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Ahlborg L Andersson C amp Julin P (2006)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effect on spasticity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Rehabil Med

38(5) 302-308

Ahn J Y You S J amp Kim J Y (2011) An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bility After a Cerebrovascular Acci-

dent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

and SS-QOL Th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3(1) 53-58

Benaim C Peacute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amp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

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

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30(9) 1862-1868

Cha G J amp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Cirstea M C amp Levin M F (2000) Compensatory strat-

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123(5) 940-953

Cormie P Deane R S Triplett N T amp McBride J

M (2006)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2) 257-261

Dean C M amp Shepherd R B (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Dickstein R Shefi S Marcovits E amp Villa Y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

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amp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Folstein M F Folstein S E amp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In T S (2009)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ith Chronic Stroke Samyook University

Karatas M Ccediletin N Bayramoglu M amp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mp Rehabilitation 83(2) 81-87

Kim S G (2005) (The)Effects of optimal seated position-

ing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Mahoney F I amp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

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Miyazaki Y (2000) Adverse effects of whole-body vi-

bration on gastric motility [Clinical Trial Controlled

Clinical Trial] Kurume Med J 47(1) 79-86

Olsen T S (1990) Arm and leg paresis as outcome pre-

dictors in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Support

Non-US Govt] Stroke 21(2) 247-251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1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Prange G B Jannink M J A Groothuis-Oudshoorn

C G M Hermens H J amp IJzerman M J (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

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3(2) 171-184

Park J C amp Gu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Ⅱ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08-513

Shumway-Cook A amp Woollacott M H (1995)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amp Wilkins Baltimore

Smith A (1993)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79 12-13

Song B H amp Yun G Y (2003)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2(2) 125-146

Tihanyi T K Horvath M Fazekas G Hortobagyi T

amp Tihanyi J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

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1(9) 782-793

Torvinen S Kannus P Sievanen H Jarvinen T A

Pasanen M Kontulainen S amp Vuori I (2002)

Effect of four-month vertical whole body vibra-

tion on performance and balance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Med Sci Sports Exerc 34(9) 1523-

1528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LaFosse

C Saeys W amp De Weerdt W (2009) Additional

exercises improv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3(3) 281-286

Verschueren S M Roelants M Delecluse C Swinnen

S Vanderschueren D amp Boonen S (2004) Effect

of 6-month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hip

density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control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earch Support Non-US Govt] J Bone

Miner Res 19(3) 352-359

Yong M H amp Kim D J (201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Stroke Patients Focused on

FMA MFT K-MBI The Journal of Korena Asso-

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6(1) 34-41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작업치료 전 앉은 자세 전신진동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Abstract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Occupational Therapy

Boo Jung-a MOT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ream Hospit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fore they go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Method This research applie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on 28 chronic CVA patients for 10 minutes before conducting occupational therapy After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research groups of 14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a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20 minutes and a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at had 30 minutes of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the before and after of the research and control group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MFT)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MBI)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SPSS (ver180)

Result For the research group of chronic CVA patients that had 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their score on upper extreme function increased from 1414plusmn859 before the experiment to 1450plusmn872 after the experiment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research group had an increased scor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rom 6543plusmn1985 before the experiment to 6707plusmn1971 after the experi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chronic CVA patientsrsquo upper extrem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us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before occupational therapy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s a warm-up exercise

Key Words Chronic CVA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Upper extrem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1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평가(K-SDBM)연구

이혜진 구영화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부산 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국문초록

서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

동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과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 종사자 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운전행동측정도구(K-SDBM)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 모든 요인에서 50이상의 응답자가 조금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 차선 유지하기에서

17명(531)로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않다가 높게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조금어렵다와 매우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에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19명(594)가 조금어렵다로 높았으며

이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결론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운전자들의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의 임상적 활용과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자 한다

주제어 장년근로자 노인운전 K-SDBM

Corresponding author Gu Young-Hwa(gyh8511hanmailnet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Received 4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

구가 72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3로 고령사회로 이후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8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Yang 2012)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부양과 보호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의료비 증가 노동력 감소 등 국가의 경

제적인 문제와 개인과 가족간의 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Lee 200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1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의 65세 이상 노인운전자가 2010년 1061000명에서

2020년에는 2330000명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Road Traffic Authority 2009) 노년기의 삶

을 풍족하게 보내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할 요소가 노

인의 이동권인데 노인에게 자동차를 직접 운전한다

는 것은 사회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남에게 의

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성과 편리성 더 나아가 사회

적 역할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

미한다(Jang Park amp Lee 2009) 이처럼 운전재활영역

은 신체장애인 대상 영역뿐만 아니라 노인을 대상으

로도 관심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60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는 108를 차지

하고 있고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 중 노인의 운전면

허 소지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National Police

Agency 2012) 하지만 노인운전자의 증가에 따라 도

로 환경이나 교통안전제도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인 운전이나 교통사고는

주목할 만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ang amp

jo 2012)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전

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고령운

전자 교통사고 건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151가

증가하여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안전운전이란 운전자가 차량의 조향장치 제동장치

기타의 장치를 정확히 조작하고 도로교통의 상황 및

차의 구조 성능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위해가 없도록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Road Traffic Authority 2011)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자기를 인식

하고 적절한 단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인지 시

각 운동 능력과 같은 개인의 능력이 요구된다(Hunt amp

Arbesman 2008)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 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도로의 상황판단 또는 주의력 저하 등 지각적 인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안전 운전을 하는데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는데 단지 노화 그 자체로 인해 운전이 어

렵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들이

인지적 신체적 기능의 연합이 요구되는 운전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하고 운전이 적합한

지 여부는 인지 전정감각 시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는 평가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Craik 2011)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판별검사와 운전평가와 재활

을 통해서 운전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lassen et al 2010) 미국의 경우 1995년 기준으로 작

업치료사가 운전자재활전문가의 62를 차지하고 있

을 정도로 작업치료의 전문분야로 여겨지고 있지만 아

직 국내에는 시설이나 평가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Kang 2003) 안전운전에 대한 평가도구 중 Classen 등

(2010)이 개발한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SDBM)

를 국내 운전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Jeong 등 (2014)

번안한 K-SDBM은 운전에서 겪을 수 있는 복잡하고 다

양한 환경에서의 운전상황을 반영한 자가보고식 측정

도구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최근 3개

월 동안 경험했던 안전운전행동에서의 어려운 정도에

대해 체크하는 방식의 신뢰도 있는 평가 도구이다 그

러나 현재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노인이 경험한 자가

운전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한 연구가 미

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

노인 운전자 대상의 연구 전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하여 운전 시 발

생할 수 있는 사고 특성들을 분석하고 알아봄으로써

차후 다양한 대상으로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4주 동

안 부산소재지 택시운송업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으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

고 실험에 동의한 사람으로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

운전행동 측정도구(K-SDMB)를 사용하였다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19

2 연구도구

1) K-SDBM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Jeong 등(2014)이 번안한 K-SDBM은 Classen 등

(2010)에 의해 개발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도구를 국내 운전상황에 맞게 문항

을 구성하여 번역 및 역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신뢰도

75로 높은 신뢰도를 받은 측정도구이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어렵다(4) 다소어렵다(3) 조

금어렵다(2) 어렵지 않다(1) 로 평가하였다 SDMB의

54문항을 토대로 1차 문항 구성 후 경험적 접근과 이

론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동일개념을 묻는 문항을

수정하고 lsquo좁은 길에서 운전하기rsquo lsquo주차장에서 커브

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rsquo lsquo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

차하기rsquo 문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

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운전행동 측정

도구(K-SDBM)에 대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항목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

여 분석하였다(P lt 05)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32명

(100) 연령은 65-70세 17명(531)으로 가장 많았으

며 71-75세 12명(375) 75-80세 3명(93)으로 나타

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9명(593)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졸업 6명(188) 대학졸업 4명

(125) 초등학교 졸업 3명(93) 순으로 나타났다

운전 경력은 15년 이상 30명(938)로 가장 많았으

며 5-10년 10-15년 각 1명(32)로 나타났다 하루 운

전시간은 10시간이상 24명(75)로 많았으며 주 근무

시간대는 야간이 17명(531) 주간 15명(468)에 비

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1년 동안의 사고횟수는 없

다 16명(50) 1회 14명(438) 2회 2명(62)이었다

사고의 종류로는 안전거리 미확보 7명(219)로 많

았고 중앙선 침범 3명(93) 신호위반 middot 안전운전 의

무 불이행 2명(62) 과속 middot 교차로 통행방법위반 1명

(31)순으로 나타났다 운전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로

는 시력저하 10명(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억력저

하 4명(125) 집중력 저하 2명(63) 청력저하 middot 어지

러움 middot 반응시간 저하 middot 신체통증이 각 1명(31)의 순

으로 나타났다

2 한국형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산출된 요인을 개념화하기 위해 각 요인별 lsquo집중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rsquo lsquo일반적 운전기술rsquo lsquo외부환경과

날씨rsquo lsquo공간 및 거리개념rsquo 명칭을 부여하였다 요인 1

에 14문항 요인 2에 9문항 요인 3과 요인 4가 각각

7문항으로 추출되었다(Jeong et al 2014)

1) 문항 및 요인 분석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

대상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한 결과는

동승자와 대화하면서 운전하기 14명(438)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18명(563)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15명(469)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운전하기 22명(688)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

기 15명(469)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22

명(688)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19명

(594)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하기

18명(563)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

기 16명(500) 충돌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 16명(500)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2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item category N(32) Percentage()

genderM 32 100

F 0 0

age

65 - 70 17 531

71 - 75 12 375

75 - 80 3 93

More than 81 0 0

education

non 0 0

elementary 3 93

middle 6 188

high 19 593

More than junior college 4 125

Driven

5 - 10 1 32

10 - 15 1 32

More than 15 30 938

hours of duty5 - 10 8 25

More than 10 24 75

Form workpermanent employee 21 657

Non-regular 11 344

Working dayWeekly 15 468

Night 17 531

A month salary

50 - 100 19 594

100 - 150 10 313

150 - 200 3 93

More than 200 0 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Yes 3 93

No 29 907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non 16 50

1 14 438

2 2 62

More than 3 0 0

Experienced an accident

non 14 438

Speeding 1 31

Median line 3 93

A safe distance 7 219

Signal violation 2 63

Violation of traffic intersection method 1 31

Breach of duty drive safely 2 62

etc 2 62

The reason for the difficult

operation

Amblyopia 10 313

Memory deterioration 4 125

Attention deterioration 2 63

Hearing deterioration 1 31

Dizziness 1 31

Degradation reaction time 1 31

Difficulty of maintaining good posture 1 31

Not applicable 12 37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1

(2) 일반적 운전기술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과는 흐린 차

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

유지하기 17명(531)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

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이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

대상자의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

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17명(531)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14명(438) 폭우 middot 천둥 middot 바람이 부

는 날씨에 운전하기 15명(469) 밤에 운전하기 15명

(469)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

길 운전하기에서는 13명(406)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 개념

대상자의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

로 진입하기 24명(750)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기 27명(844)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22명(688)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

나 내려가기 19명(594)이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19명(594)이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34번 항목인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가 r=003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시간대에서는 3번 항목인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r=0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일

년간 교통사고 횟수에서는 1번 항목인 차간거리와 차

선을 지키며 교통의 흐름 유지하기 r=009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5)(Table 6)

Factors N(32) Percentage()

14 Driving while talking to a passenge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3 406

15 Driving by avoiding a dangerous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2 63

16 Focusing on driving in a distraction

very difficult 3 94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8 Driving in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3 94

19 Driving near a construction sit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7 219

20 Driving on a ramp way or gravel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9 281

Table 2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2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21 Driving in a traffic jam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3 406

22 Driving in an familiar area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22 688not difficult 4 125

23 Driving on a narrow road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3 406

24 Passing other cars on a road that has

no passing lan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9 594not difficult 6 188

25 Driving with a bike motorcycle truck etc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8 563not difficult 5 156

26 Adjusting the car while driving down a

steep hill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12 375

27 Applying the brake or changing

the direction to avoid a crash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6 188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28 Using a control system such as the

turn signal wiper headlight etc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Factors N(32) Percentage()

1 Maintaining the traffic flow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cars and lane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3 719

2 Keeping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road marking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7 219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6 188

3 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3 94a little difficult 10 313not difficult 17 531

4 Observing traffic lights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4 125not difficult 25 781

Table 3 For a general driving skil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3

Factors N(32) Percentage()

5 Changing lanes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4 125a little difficult 5 156not difficult 22 688

6 Turning a curve while driving on the same lane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0 0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25 781

7 Changing the lane while checking the blind spot through

side mirrors and room mirror

very difficult 1 31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12 375not difficult 17 531

29 Pushing the brake to stop the car within the temporary

stop lin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1 31a little difficult 9 281not difficult 22 688

30 Driving on a highway with two lanes or more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2 63a little difficult 6 183not difficult 24 750

Factors N(32) Percentage()

8 Driving in a light rain or on a wet road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10 313a little difficult 17 531not difficult 3 94

9 Driving in a foggy area

very difficult 4 125little difficult 13 406a little difficult 14 438not difficult 1 31

10 Driving in a heavy rain thunderstorm or strong wind

very difficult 7 219little difficult 8 250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2 63

11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very difficult 13 406little difficult 12 375a little difficult 6 188not difficult 1 31

12 Driving in a too bright situation

very difficult 5 156little difficult 11 344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1 31

13 Driving at night

very difficult 0 0little difficult 9 281a little difficult 15 469not difficult 8 250

17 Changing the way of driving depending on changed

health condition

very difficult 2 63little difficult 5 156a little difficult 16 500not difficult 9 281

Table 4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2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actors N(32) Percentage()

31 Entering the highway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6 188

not difficult 24 750

32 Exiting the highway by moving to the right lane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4 125

not difficult 27 844

33 Driving backward on a road or in a parking space by

looking around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10 313

not difficult 20 625

34 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1 31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2 688

35 Row parking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2 63

a little difficult 9 281

not difficult 21 656

36 Driving upward or downward on curved road in a parking lo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0 0

a little difficult 13 406

not difficult 19 594

37 Parking in a dark space or at night

very difficult 0 0

little difficult 5 156

a little difficult 19 594

not difficult 8 250

Table 5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3 5 28 30 32 34

Age 045 023 029 045 036 003

19 34

Form work 043 002

1 3 4 29 30 33

Hours of duty 031 002 014 038 025 039

6 20

During the month whether traffic accident

037 021

1 4

Number of traffic accident over the year

009 016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p lt 005 p lt 001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5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증가

로 인해 다양한 운전환경에서 어려운 점과 위험요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일반 노인 운전자 이전에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운전상황에서의 교통사고율 증가는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정 요소들

에 기인되고 있으며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각 청각적 능력 외에도 지각능력(Perceptural func-

tion)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 필요 하다 대부분의 노인 운전자들은 신

체적 인지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운전 시간과

상황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하며 운전을 계속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Shin 2001) 국민일보에서는 서울 개인택시 운전자의

평균 연령이 604세로 65세 이상은 308 70세 이상도

1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령 개인택시 운전자를 대

상으로 심야시간 운행률을 살펴보면 50세 이하는 61~

65 65~69세 34 70세 이상은 24로 고령으로 갈수

록 급격히 낮아졌다 시에서는 고령 운전자들이 야간에

는 시력과 인지능력이 더 떨어져 교통사고를 우려해 운

행을 자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National news-

paper 2015)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서 대상자들의 50이

상이 어렵다고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운전 시 집중력의 저하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로 알 수 있다 노인은 일반으로 집중

력 인지기능 신체 능력이 감퇴하고 이로 인하여 젊은

층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한다는 것과 일

치한다(Rizzo et al 2001) 이러한 집중력에 방해되는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노인들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 운전자 대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위험율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대상자의 일반적 운전기술에 대한 결

과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에서 차선유지하기와 충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

표지판 읽기 및 사이드미러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확인하면서 차선변경하기에만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

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운전기술 요인에는 어렵지 않

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

업으로 하는 택시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요인에

서는 어려움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외부환경과 날씨에 모든 요인에서는 어렵다 항목에

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운전

하기와 폭우 천둥 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에서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Lee 등 (2006)은 고령운

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령운전자는 운전경력이

대부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

해서는 자신하는 반면 비나 눈이 오거나 교통량이 많

은 도로 등과 같이 특정 운전 상황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운전자

도 어려운 요인으로 일반 노인 운전자에게는 더욱 어

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외부환경과 날씨에는 운

전하는 상황을 피하여 사고의 위험요인을 줄여야 할

것이다 공간 및 거리개념의 요인으로는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 외 모든 항목에서 어렵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음 모든 요인에서 조금 어렵

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화로

인한 선천적 인지적 기능의 저하가 발생하여 이런 공

간 및 거리개념 요인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운전재활에서 운전재활전문가로서

환자가 운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지 운전능력을 평

가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재활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여야한다 환자

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기능 등을

평가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운전재활전

문가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ang (2003)의 논문에서도 운전재활전문가로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작업치료사협

회에서는 운전을 작업치료사가 평가하고 훈련해야 하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2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영역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운전

재활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도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작업치료사들에게 운전재활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리

고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DBM의

평가대상자가 택시운송업자로 제한성을 가지고 있어

전체 노인운전자의 대표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점

과 노인 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운전재활에 대한 연

구가 미비하여 선행연구와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일반적인 노인 운전

자 보다 운전을 주 직업으로 하는 장년택시운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

(K-SDBM)를 사용하여 최근 3개월 간 운전 시 운전자

가 경험했던 다양한 운전환경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

해 스스로 체크하여 운전 시 어려운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택시운전자 32명을 대상으로 K-SDBM평가를 실행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집중이 요구되는 운전상황에 대해 동승자와 대

화하면서 운전하기 위험한 상황을 피하여 운전하기

주의가 산만할 때 운전에 집중하기 매우 복잡한 상황

에서 운전하기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전하기 친숙하

지 않은 지역에서 운전하기 추월차선이 없는 곳에서

차 추월하기 자전거 middot 오토바이 middot 트럭 등과 함께 운전

하기 내리막 경사를 내려가면서 차를 조절하기 충돌

을 피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힘껏 밟거나 방향틀기에

서 조금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운전기술에서는 흐린 차선 울퉁불퉁한

길 등 도로표시가 없는 곳의 차선 유지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았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어렵지 않다로

나타났다

3 외부환경과 날씨에 대한 결과는 약한 빗속 또는

젖은 길에서 운전하기 안개 낀 곳에서 운전하기 폭

우middot천둥middot바람이 부는 날씨에 운전하기 밤에 운전하기

에서 조금 어렵다로 많았으며 눈길이나 빙판길 운전

하기에서는 매우 어렵다가 높게 나타났다

4 공간 및 거리개념에 대한 결과는 고속도로 진입

하기 오른쪽 차선으로 이동하여 고속도로 빠져나가

기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주차장에서 커브길을

오르거나 내려가기에서는 어렵지 않다가 많았으며

어두운 공간 또는 밤에 주차하기에서 조금 어렵다로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근무형태에서 주차장 칸에 맞게 주차하기 요

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시간대에서는 충

분한 거리에서 미리 도로표지판 읽기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lt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 및 운전 시 느낄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들을 자각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더욱 체계적인 운전 평가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고

령운전자에 대한 제도적 보안과 더불어 적절한 중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Classen S Winter S M Velozo C A Bedard M

Lanford D N Brumback B amp Lutz B J (2010)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for a self-and

proxy report The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296-305

Craik J M (2011) Occupational therapists lead a national

injury prevention strategy to help older driv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8(2)

137-140

Hunt L A amp Arbesman M (2008) Evidence-based and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2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65세 이상 택시운송업 종사자에 한국형 자가보고식 안전운전행동 평가(K-SDBM)연구 27

occupational perspective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older clients that remediate or support improved

driv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

tional Therapy 62 136-148

Jang C Lee H J Kim M W Kim C W Kim S

K amp Jang D H (2014) Comparison of Cognitive

Abil- i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raining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6(2) 11-18

Jang H R Park S J amp Lee S C (2009)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lderly drivers Psychology Korea 15(2)

251-271

Jeong Y J Jeong M Y Yu E Y Park J H Sherrilene

C Sandra M amp Winter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Korean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57-68

Kang D H (2003)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Rehabilitation of 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

tional Therapy 11(2) 135-142

Kang S C amp Jo S K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for

elderly drivers Seoul Korea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Science Institute

Lee S C Oh J S Park S J Lee S Y amp Kim I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and driving behaviour in elderly and young driver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2(1) 81-102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elderly per-

sons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Deajeon University Daejeon

National newspaper 2015 Severe aging personal taxi

driver May 5 11

National Police Agency 2012 The holder of a drivers

license status

Rizzo M McGeheeD DawsonJ amp AndersonS W

(2001) Simulated car crashes at intersections in

drivers with Alzheimerrsquo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5(1) 10-20

Road Traffic Authority 2009

S Classen O Shechtman K D Awadzi Y Joo amp D

N Lanford (2010) Traffic violations versus driving

errors of older adults Informing clinical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33-241

Shin Y S (2001) A study of discussion of driving behav-

ior and prevention policies of safe driving for eld-

erly drivers Goyang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sut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Trans-

portation safety to safety to reduce Traffic Accident

of Elderly Drivers

Yang Y A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Aging person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2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Abstract

A Study on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by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Lee Hye-Jin OTR Gu Young-Hwa OTR

Dept of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accidents and risk factors that can occur while driving by using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drivers aged 65 or over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Methods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was carried out on 32 drivers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in Busan for four weeks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2015

Results 1 In a driving situation that requires concentrat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 in all factorsrsquo

2 For a general driving skill 17 respondents (531) answered it is a lsquolittle difficultrsquo to keep the lane in an area with a blurry lane uneven road and no marking while the other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3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weather all items were mostly answered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and lsquovery difficultrsquo

4 In terms of space and distance 19 people (594) answered it is lsquoa little difficultrsquo to park in a dark space or at night and other items were usually answered lsquonot difficultrsquo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rsqu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squoparallel parking to fit the space in a parking lotrsquo in terms of their age and work The correl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lt005) in lsquoreading a road sign in advance at a discreet distancersquo in terms of work hour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and demonstrated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ile elderly drivers are driving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clinical and foundational data of the Korean Self-Report Safe Driving Behavior Measure (K-SDBM) for various elders Also a more systemized driving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elders

Key Words Aged workers Elderly driving K-SDBM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김은정 유찬욱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콘텐츠가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학습자

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36명)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단(36명)의 이해도

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두 가지 학습지를 모두 제공하고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이해도를 나

타냈다

둘째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

뢰성 항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유의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자를 확대하여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주제어 만화콘텐츠 선호도 작업치료 학습효과

Corresponding author Kim Eun-Jung(kej0528gyackr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Received 9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28 April 2015 Accepted 2 May 2015

Ⅰ 서 론

오랜 세월 동안 만화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저

급하고 유해한 존재로서 다루어지거나 단순한 오락물

로 취급받아왔지만 최근 들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많

이 변화하였다 과거에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만 읽혀

지던 만화는 이제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활

용되고 흥미유발 및 타인을 설득하기 위한 용도로 점

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신문의 시

사면 각종 설명서 광고 선거 만화소설 등에도 많이

사용되어 사회적 이용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정보 전달

과 설득의 중요성이 훨씬 더 커져가고 있다(Ha 2011)

McCloud(2008)는 lsquo만화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보는

이에게 미적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그 밖의

형상들을 의도한 순서대로 나란히 늘어놓은 것rsquo이라

고 정의하였다 Park(1997)은 lsquo만화란 그림이나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

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3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

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

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rsquo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국어 영어 역사

과학 지리 사회 등의 교육에서는 만화의 학습적 효

과를 다루는 연구가 이미 이루어져 왔다(Lim amp Kim

2006 Chae 2006 Choi 2013) 하지만 작업치료 전공

및 보건의료 교육 분야에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적 효

과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만화를 활용한 전공 관련 교육이 학습의 이해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하여 광양시에 소재한 G 대학교의 작업치

료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 36명 텍스트북을 활용

한 학습군 36명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는 두 집단의 동

등화를 위해 직전 학기 성적을 바탕으로 할당표본추

출을 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고르게 분포

시켰고 학년 성별 등을 동일하게 할당배정 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만화콘텐츠 도입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만화콘텐츠 실험지 텍스트북 실험지)와 학습

효과 측정 검사지 선호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만화를 활용한 교육이 대학생들의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만화콘텐츠 실험지를

제공한 실험집단과 텍스트북 실험지를 제공한 비교집

단의 이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작

업치료전공 교육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형의 실험지 중 더욱 선호하는 학

습자료 형식을 알아보고자 두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효과 검증 실험이 끝난 후 만화콘텐츠 실험지와

텍스트북 실험지를 모두 제공하고 선호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습자료 실험지

실험지에 들어갈 학습내용으로는 근골격계 작업치

료영역에서 다루는 허리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경추

성 두통의 내용을 선택하였다 만화 실험지로는 Lim

(2014)의 lsquo마이아파(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맞춤형 물

리치료 전문 만화)rsquo를 도입하여 스토리식 만화를 발췌

하였고(Picture 1) 텍스트 실험지로는 전공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hoi (2014)의 lsquo패드리티의 작업

치료학(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rsquo의 내용을 발

췌하여 동일한 내용의 실험지를 개발하였다

2)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

학습효과 측정 검사지는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지의 내용에 대한 총 10문항으로 5지선다 객관식

3문항 빈 칸 채우는 형식의 단답형 주관식 4문항 서

술형 주관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점을 10점

으로 하여 채점되었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

지의 수준 흥미도 설문 및 학습 효과검사 문항의 문

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작업치료전공 현직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절차를 거쳤다

3) 선호도 설문지

선호도 설문지는 Choi amp Kim (2013)의 연구에서 사

용된 선호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선호도 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1

문지는 각 실험지에 대한 lsquo전체적 흥미rsquo lsquo흥미의 지속

도rsquo lsquo집중도rsquo lsquo친밀감rsquo lsquo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rsquo lsquo과목

에 대한 관심 유발rsquo lsquo자료의 신뢰성rsquo 등을 묻는 7개 문

항으로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고 생각하

는 자료를 둘 중에 하나 고르거나 lsquo차이 없음rsquo을 고르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는 서술형 문항을 하나 더 추가하여 학습 자료와 관련한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및 학습자료 형식

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고 만화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만화

콘텐츠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실험집단 36명

텍스트북 실험지를 교육자료로 활용한 대조집단 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

과 같다 두 집단은 성별 나이 학년 학업성취도 수준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lt 001)(Table 1)

2 만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효과

근골격계 작업치료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의 이해

도를 측정하기 위해 lsquo학습효과 측정 검사지rsquo를 통한

검사 결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은 10점 만점

에 758plusmn163점이 나왔고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

은 611plusmn174점을 획득하였다 만화콘텐츠 학습군이

텍스트북 학습군에 비해 147점 더 높은 점수를 나타

냈다(P lt 0001)(Table 2)

reference Lim S H (2014) 마이아파 chapter 4 wrist amp hand pain pp 71-72

Figure 1 Part of the comic content learning materials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3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Experimental group

(n=36)

Control group

(n=36)

Total

(n=72)

GenderMale 19 18 37(514)

Female 17 18 35(486)

Age

Less than 20 years 4 4 8(111)

21 ~ 25 years 31 31 62(861)

More than 26 years 1 1 2( 28)

Grade

Grade 1 6 6 12(167)

Grade 2 10 9 19(264)

Grade 3 20 21 41(56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Group N Mean SD F P

Experimental group 36 758 16313772 000

Control group 36 611 174

Table 2 Learning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comics

plt0001

3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만화콘텐

츠 형식에 대한 선호도가 7문항 모두 텍스트북 형식

에 대한 선호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흥미의

지속도(819) 주제에 대한 관심유발(806)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847) 영역에서는 80를 넘는 압도적

인 비율로 학생들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만화를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

이 기존의 텍스트 형태의 학습재료와 비교할 때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자료의 선호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화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

는 것은 학습자의 이해도 및 흥미 유발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그림 및 언어정보의

대응과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적 개입을

Items DomainsSelection

Comics Textbooks No difference

1 Holistic interesting 53(736) 9(125) 10(139)

2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59(819) 5( 69) 8(111)

3 Concentration 48(667) 13(181) 11(153)

4 Intimacy 46(639) 17(236) 9(125)

5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58(806) 8(111) 6( 83)

6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61(847) 6( 83) 5( 69)

7 Reliability 38(528) 28(389) 6( 83)

Table 3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udy material form [단위 명()]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3

요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인지적 흥미가 발생할 것이

며 등장인물 등의 피상적 요소들에 의한 정서적 흥미

역시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Lee amp Kim 2003) Kim

(1999)의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언어정보나 그림정보가

따로 제시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이야기의 높은 모

호성이 두 가지 정보의 동시제시로 모호성 해결을 위

한 상호 보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므로 모호성의 수

준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학습자에게 높은 인지적 흥

미를 줄 수 있다

Paek amp Han (2011)의 학습만화 독서지도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에서 독서부진아 및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육 시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습 집중력

이 떨어져 있는 아동들의 독서의욕과 학습능력을 증

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amp Kim (2013)

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수업

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고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mp Kim (2013)의 심리학 개론을 수강하는 대학

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만화유형

삽화가 포함된 텍스트 유형 텍스트 유형)의 학습자료

중 만화유형의 학습재료가 흥미와 학습효과에 있어서

가장 나은 결과를 보였다 Chae (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사만화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학습목표로 유인할 수 있고 학

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시사만화 자료는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내용을 뚜

렷하게 각인시키며 이 정보를 오래 지속시킴으로 학

습의 이해도 증진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더불

어 시사만화를 활용한 학습 활동은 고등학교 학생들

에게 자기주도적 수업태도를 형성시켜 주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흥미

어휘력 이해도 자기주도성 등 많은 측면에서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만화의 교육적 효과 및

흥미유발에 대한 선행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한

되어 있고 보건의료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갖게 된 관련 분

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교육과정에 대한 의욕과 학

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동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적으로 만화콘텐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작업치료 학문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교육프로그

램에서 만화콘텐츠를 도입한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G대학교에 재학중인 작업치료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효과

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료 형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작업치료 교과목의 일부

교육내용에 대해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실험집

단)과 일반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군(비교집단)의 학습

효과 및 학습자료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군이 일반 텍스트북을

활용한 학습군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2 전체적 흥미 흥미 지속도 집중력 친밀감 주제

에 대한 관심유발 과목에 대한 관심유발 신뢰성 항

목에서 텍스트북 학습자료 보다 만화콘텐츠 학습자료

의 선호도가 확연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작업치료 전공교육에서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은 유의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주제 및

과목에 대한 관심 유발 집중도 신뢰도 등에 있어서

선호하는 학습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화콘텐츠

를 활용한 학습은 근골격계 작업치료 전공 교육에 국

한되어 연구되었지만 그 외의 과목 및 관련 보건의료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유발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효율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3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적인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

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Chae B H (2006) A study on social subject learning

effect utilizing current-affairs cartoon centered on

high scholl politics area (Masterrsquo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Choi H S (2014)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

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eoul Korea

Elsevier Korea LLC

Choi J Y (2013) Learning effect of cartoons in geograph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 21(3) 147-162

Choi S amp Kim H B (2013) The effects of animation-

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

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

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Jour-

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379-392

Ha J Y (2011)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learn-

ing comic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ability (Masterrsquo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

sity of Education Chongju

Kim S (1999) Inferen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 57-71

Lee M J amp Kim S I (2003) The effect of types of

learning material presentation mode and goal ori-

entation on interest The Journal of Korean Edu-

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4) 1-17

Lim M J amp Kim S I (2006) The effect of comic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3) 549-569

Lim S H (2014) It hurts a lot Suwon Korea Naneowoori

McCloud S (2008) Understanding comics vizandbiz

Park I H (1997) Book for comics Kyobo book centre

Paek J H amp Han Y O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작업치료 전공 교육의 학습효과 35

Abstract

The Effect of Comics Contents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Occupational Therapy

Kim Eun-Jung MOT Yoo Chan-Uk MOT

Dept of Occupation Therapy Gwangyang Health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Hanlyo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ic contents on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Methods This study verifi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mic contents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group(using a comic contents 36 people) and control group(using a text book 36 people) After learning effects measurement is completed it provides both worksheets to both groups and the questionnaire was to writing preference for learning materials form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using a comic conten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text book study group Second the preference for the comic contents learning materi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xt book in holistic interesting continuation of the interesting concentration intimacy causing concern for the topic causing concern about the course and reliability

Conclusion As a result a study using the comic contents can enhance the interest as well as th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While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culoskeletal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in other subjects and health car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for educational programs using comic contents

Key Words Comic contents Learning effects Occupational therapy Preference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이혜진 양영애

부산동래봉생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

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

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

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

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

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체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dnjstnddl6389hanmailnet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Received 15 April 2015 Revised version received 3 May 2015 Accepted 15 May 2015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27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 베이비부머가 포함된

준고령자는 전체 인구 중 208를 차지하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에는 190 2034년에는 276로 계

속 늘어날 전망이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고

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회적 middot 경제적인 배경으

로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노인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등 고령사회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

며(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경제수준과

의료의 질적 향상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기여

를 하지만 그로인한 노인의 부양과 보호문제 의료비

와 연금부담의 증가 주거와 생활환경 등과 같은 노인

에 대한 사회적 부양부담을 주게 되었다(Kim amp Kim

2011) 또한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서비스의 내용이 급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3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3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성기 진료에서 만성질환 내지는 장기요양으로 급속히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Song Kim amp Kim 2013)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에 따라 요양시설

및 재가 시설 또한 급소기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생활

시설 4978개소 재가시설 11998개소 노인병원 1297

개소가 설치 middot 운영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장기요양보험 급여비로 재가급여와 시

설급여는 2009년 17백억 원에서 2013년 3천억 원대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이런 노인인구의 증가로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으며(Yong Kim amp Yang 2010) 급속

한 인구고령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베이비부

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면서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친화산업은

요양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여가 금융 주

거 용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

모는 2010년 현재 33조 2241억원이며 2020년에는 125

조원으로 증가하여 142의 연평균성장률(CAGR)이

예상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2005년 이후 저 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다양한

관련법 및 기본계획이 순차적으로 수립되어 분야별 전

문인력양성과 3차 저 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으로 고령친화산업을 성장동력산업으로 집중 육성

하기 위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특히 출산율의 저하와 더불어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

율이 점차 증가하므로 고령자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고 고령자

들이 사회에서 활동해야 하는 역할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Kim amp Chong 2010) 이러한 사회 middot 경제 middot

제도적 배경을 근거로 급속한 고령화사회에 선제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및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으며 노인

층의 질병치료 middot 요양 middot 용품 등 사회복지에 대한 고령

자의 관심과 고령친화산업시장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 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요양기관은 급속한 양

적 팽창을 이루었지만 이용료 부당 middot 허위청구 과다경

쟁 등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며 요

양기관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이해 부족 및 관련 산업

의 낮은 전문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산업관련 전문 직종을 구분한 경

우는 없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따라서 고령친화용품 산업 관련 제도 및 서비스

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용

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생산자 및 복지용구사용자 대상

교육관련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령친화산업 선진국 일본의 경우 관련 사업규모가

크고 전문직종으로 개호지원전문원(케어매니저) 9만1

천명(2014년) 개호시설 종사자 122만명 개호방문 종

사자 46만명(2014년) 복지용구플래너 12127명(2013

년) 복지용구전문상담원 26997명(2013년)으로 명확

히 구분되어 있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고령친화산업체는 2008년 총 866개 업체로 나타났

으며 2007년 415개 업체 대비 1087로 2배 이상의 업

체가 증가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체의 평균 성장률을

59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010년

168개 업체로 806 감소하였으며 2008년 이후 고부

가가치의 제품의 수입이 늘고 국내 제조업의 수가 감소

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제품시장의 40 이상이 제

조단가가 국내 생산단가보다 낮은 수입제품이며 이로

인해 국내 제조업과 연구개발이 축소된 것이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축소된 고

령친화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용품 종사자 수는 2008년 10130

명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6403명 대비 582 증가하

였으며 2006~2008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도

310를 기록하면서 고령친화산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4072명으로 598 감소

하였으며 감소인원은 생산인력보다 연구인력 및 사무

인력의 감소가 심화 되었고 그로인한 고령친화산업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39

category N Percentage

There are industrial type

Social enterprise 21 188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44 393

Hospital 34 304

Public institution 13 116

Annual sales

Less than 05 billion 15 134

1 billionsim2 billion 39 348

2 billionsim5 billion 49 438

5 billionsim10 billion 5 45

More than 10 billion 4 36

Calculation of sales from Ruth 0 0

The number of staff

Less than 10 12 107

10sim20 32 286

20sim30 21 188

30sim50 35 313

50sim100 5 45

More than 100 people 7 63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Yes 46 411

No 66 589

Responders position

CEO 28 250

Executive 24 214

Manager 39 348

The working level 21 18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업체98가 영세화를 이루게 되었다(Le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령친화산업체를 대상으

로 전문인력양성의 요구도와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를 통하여 향후 고령친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

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middot 판매 복지용구 제조 middot 판

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18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

간 이루어졌다

2 연구도구

1) 설문지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Park

Lee amp Shin(2008)연구의 설문내용과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유무 고령친화산업

기술 필요성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인력의 문제 고령

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현재의 고령친화산

업기술 정도 고령친화기술 인력양성 목적 필요한 고

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4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Figure 1 Survey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산업체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중소기업 44명(393) 공공기관 13명(116) 사회적

기업 21곳(188)으로 조사되었으며 산업체의 연매출

규모는 20억 이상 50억 미만 49명(438) 10억 이상

20억 미만 39명(348) 5억 미만 15명(134)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근로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0명

이상 50명 미만 35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

상 20명 미만 32명(286) 20명 이상 30명 미만 21명

(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체 소속의 부설연구소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 46명(411) 없다 66명(589)로 조사되었다 또

한 설문에 응답한 112명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관리자

가 39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 28명(250) 임

원 24명(214) 실무진 21명(188)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관심 유무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의 112명(100)

이 고령친화산업기술 전문 인력양성과 관련하여 관심

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 고령친화산업기술 필요성

고령사회 및 국민생활 증진을 위해 고령친화산업기술

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lsquo매우 필요하다rsquo 84명(75)

lsquo필요하다rsquo 28명(25)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4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문제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

답으로 실시한 결과 현장 고급연구인력 부족이 38명

(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투입 가능한 인력양

성체계 부족 36명(400) 교육기관의 부족으로 전문

성 저하 32명(358)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고령친화산업기술 이해 및 지식 정도

설문대상자의 고령친화산업기술에 대한 이해 및 지

식 정도에 대한 질문에 잘 알고 있다 41명(37)이 가장

많았고 알고 있다 39명(35) 보통이다 31명(2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1

category N Percentage

Interest in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Yes 112 0

No 0 0

Necessity ofage-friendly industry

Strongly necessary 84 750

Necessary 28 250

Average 0 0

Not necessary 0 0

Not necessary at all 0 0

Current manpower problemsin the age-friendly industry(can have more thanon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aged 25 280

Decline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s

32 358

Small size of age-friendly businesses 20 224

Lack of skilled manpower on-site 38 425

Lack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n-site 36 40

Understanding and knowledge 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well-aware 41 370

Well-aware 39 350

Average 32 280

Not aware 0 0

Not aware at all 0 0

Current technology levelin the age-friendly industry

Very excellent 0 0

Excellent 12 10

Average 58 520

Insufficient 42 380

Very insufficient 0 0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o have skilled manpower 31 280

To understand the overseas market and international trend

16 179

To cultivate well-rounded academics and rofessionalism

25 228

To connect schools and businesses 18 160

To gain guidance and advice in theage-friendly industry

22 192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can have more thanone answer)

Recuperation industry 44 400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11 98

Food industry 35 315

Age-friendly medical equipment industry 67 600

Age-friendly goods 92 825

Financial industry 37 330

Housing industry 22 196

Leisure industry 36 321

Others 13 116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have more than one answer)

To cultivate manpower to work on-site 98 875

To carry out continuous technological training 85 759

To provide basic age-friendly related education 99 884

To act as a mediator with businesses 61 544

Table 2 Survey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4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6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

현재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가 58명(52) 부족하다 42명(38) 우수하다 11명

(1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7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 목적으로 인력의 고급

화가 31명(280)으로 가장 많았고 학문간 융합 및 전

문성 배양 25명(228) 고령친화산업기술의 지도 및

자문 22명(192) 학교와 산업체의 연결추진 18명

(16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8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

현재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에 대한

설문을 중복응답으로 실시한 결과 필요한 고령친화산

업기술 분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응답(400)

순으로 조사되었다(Figure 1)

9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설문(중복

응답)을 실시한 결과 고령친화관련 기본 교육 실시가

99명(8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활용가능한 인력

양성 98명(875)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 85명(759)

산업체와의 조정자 역할 61명(544) 순으로 조사되었

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고령친화산업체 112기

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중 112명의 전체 응답자 100가 전문인력양성에 관심

을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요구

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Woo(2012)의 연구에서

는 현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의 은

퇴시점은 각각 2006년 2007년 및 2008년으로 이 기간

이후에는 본격적인 베이비 붐 세대를 겨냥한 고령친화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였는데 이

와 같은 결과는 현재 고령친화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산업체에서 전문인력양성에 관심과 요구도가 증

대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2011)의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소득은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인 국내 총생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노인을 실수

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강점으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고령친화산업관

련 ICT기술기반 시설이 우수하고 베이비붐세대의 고

령화로 인한 수요 확대 관련분야 융합형 산업 수요 증

가 정부의 관심 증가로 기술개발 지원 확대 등의 강점

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반해 고령친화산업의 약점으로는 관련분야의

융합교과목 및 교수진 부재와 관련 기업체 소규모 및

영세성 전문 실무기술인력 부족 고가상품 수입 의존

및 개발 미흡 제도적 여건 및 지원이 미비한 점이 약

점이 될 수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 수혜자가 확대되고 요양 및 용품관련 제도

middot 정책의 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실무교육 필요성 및 전문인력 취업향상 기대 고

령친화산업에 기술융합을 통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산

업 육성이 가능한 점이 기회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의 급속한 소비확대 추세로 백화점

성장이 촉진되고 고령층의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로

의료산업이나 전자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다

양한 산업발전의 기회 요인이 대두되고 있지만(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이에 대비

한 국내의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Yu Kim amp Joo (2009)의 연구에서는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현실을 고령화 추세에 비해 고령친화 관련 산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3

업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며 이미 일본과 유럽 등 고

기술 고가제품 위주로 반면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저 기술 저가제품 위주로 각각 국내 고령친화 관련 용

품 시장을 70 이상 잠식하고 있어 위협 요인이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고령친화산업

위협으로 요양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선진국 고가 제

품과 중국 등의 저가 기기로 인한 넛 크래커 현상이

초래되며 저가품 제조 영세업체의 증가와 자격미달

요양기관의 난립 등으로 공공역역에서 제도적 기반과

역할이 부족한 실정 등의 위협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상황과 미래의 목표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으로는 노인의 심리 middot 노화과정 middot 일상생활활

동에 대한 전문적 이해와 시장분석능력을 갖춘 인력과

연구개발역량 및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전문인력을 양

성해야하며 이러한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교육

과정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고령친화산업 전문교육기

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이런 전문인력양성을 통

하여 고령친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며 고령친

화산업의 전문성 제고 및 여러 분야에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의 전문인력양성 요구도와

활성화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고령친화

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

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

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현재 고령친화산업 인력

문제로는 현장고급연구인력의 부족과 현장투입 가능

한 인력양성체계 부족 등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확대된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전문성있는 질 좋은 서비

스를 고령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고령친화산업에서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특히 고령친화용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요양

산업 순으로 특정 분야에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

고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 등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역할로는 고령친화관

련 기본 교육 실시 현장활용가능한 인력양성 지속적

기술지도 시행의 순으로 역할에 대해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

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

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 등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

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

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2014) Older statistics

Kim J K amp Chong B H (2010) The Current State

of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ged and

the Disabled-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

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1) 1-25

Kim J Y (2011) Senior class income characteristics

and senior-friendly industry A Study on economic

management 33(2) 73-99

Kim D J amp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0-4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enior-Friendly Industry Survey and industry

analysi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On

Survey of senior-friendly products from industr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Senior

Care On Survey of industry

Lee K B (2015) The study on invigoration plan of sil-

ver industry prepare for super-aced society Seoul

Konkuk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Fund-rais-

ing and Salary cost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5: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4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Aging employment

trends

Park Y H Lee S J amp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Song K M Kim Y W amp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The goverma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2)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oo K S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s of

the Industries for the Elderly Asan Hoseo Uni-

versity

Yong M H Kim E J amp Yang Y A (2010)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2) 41-50

Yu Y M Kim H B amp Joo S H (2009) A Study

on the Growth Sources and Fosterage Plan of

Old-Age Friendly Industry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 Study on Local Governments

13(3) 321-337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6: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45

Abstract

A Study on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Gu Young-Hwa OTR Lee Hye-Jin OTR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rea Bong-saeng Hospital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Key Words Age-friendly industry Professional training Age-friendly business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7: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

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 아래 좌 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48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_______ 본문 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외국문헌)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ldquo표 만들기rdquo를 이용하여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49: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저자 점검표 49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50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

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3 본 학회지는 고령자 및 장애인과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작업치료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건강증진 고령자 및 장애인 복지 고령자 및 장애인

직업훈련 일상생활환경 인지 및 지각관련 지역사회재활 ADL 및 보조도구 고령자 및 장애인 주거환경 연하장

애 교육관련 기타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분야

4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ition

2010) 규정에 따른다

5 본 논문집은 년 2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5월 30일 11월 30일까지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

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와 연구윤리 서약 및 저작권이양 동의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

다(APA 2001 pp 208-209 참조)

6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7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30부를 기본으로 하며 별쇄본 비용은 게재료에 포함되어 있다

8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저자 모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해야 한다

9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송한다

10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장평 95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51: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투고규정 51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times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

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

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11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

하되 가나다순으로 외국인인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2) 외국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3)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4)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lsquoamprsquo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lsquoamprsquo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6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제1저자명 뒤에 lsquoet alrsquo을 붙인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①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②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

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

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Mattingly C amp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amp B A Boyt Schell (Eds)

Willard amp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 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mp Wilkins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52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7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①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②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Kim E J Park B R Park S J Park Y H Park J H Shin J I Yang Y A Young M H Chung J Y

Cho M L amp Cha S M (2014) WORK Promoting Participation and Productivity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Yeongmunsa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①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②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amp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

ments_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12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한 국 고 령 친 화 건 강 정 책 학 회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53: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

2015년 5월 31일 발행

발행인 양 영 애

발행처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Tel 055-320-3799

인 쇄 한국학술정보(주) TEL 031-940-1118 FAX 031-940-1166

E-mail booktory1118kstudycom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획이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총무이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학술이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국제이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홍보이사 이현숙 (신성대학교)

교육이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사업이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재무이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출판이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강동구치매지원센터)

이 사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김덕주 (서라벌대학교) 김미점 (청양대학)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우택 (부산백병원)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박윤희 (호원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주형 (경북전문대학교) 손덕현 (소망요양병원) 송기민 (한양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송은희 (서초구립노인요양센터) 안선정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원시연 (입법조사처) 유찬욱 (한려대학교) 이나윤 (경동대학교)

이세희 (김천과학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김천과학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남경 (김천과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편집위원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집위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심재훈 (백석대학교) 안창식 (을지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염동삼 (청양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센터)

고문위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이미자 (경복대학교) 조남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 사 최은미 (관동대학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임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Vol 7 No 1

Page 54: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ot-kapa.co.kr/board/board_file/HM41895464.pdf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의상디자인의 접근 3생활 활동(Instrumen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