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교육의 내용 선정에 관한 연구 -...

17
249 성서교육의 내용 선정에 관한 연구 박 종 석 I. 들어가는 글 성서를 교육할 때 어떤 내용을 가르치느냐 하는 문제는 진지하게 고 려되지 않는다. 이미 성서교육 교재들이 나와 있고, 인도자의 취향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한편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서는 모두 배 워야 할 것이지 어느 것을 선별한다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 각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장 성서는 아동을 위해 기록된 것 이라 보기 어렵고, 그 시대적문화적 환경의 격차 때문에 성인이라도 이해하기 어렵다. 이 같은 기본적인 독서의 현실 때문에라도 성서의 내용은 선정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육의 차원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할 경우 그들의 조건에 적절한 내용을 고려하는 것은 기본일 것이다. 성서교육의 내용 차원에서 어떤 내용들을 다루어야 할 것인지를 알 기 위해서 성서교육의 내용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생 각해 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성서교육의 내용이라고 할 때, 성서를 교육하는 데 필요한 내용, 즉 성서교육의 목적, 방법, 성서 자체, 교 사, 학습자, 평가 등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교육 내용으로서의 성서 의 내용을 말하는 것이다. 성서의 내용으로서의 성서교육의 내용에 대해 말할 때, 우선 성서교 250 복음과 교육 제3집 육의 내용이 무엇인지와 성서의 내용을 구분해야 한다. 성서교육의 내 용을 성서의 내용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성서의 내용은 성서교 육에서 다루는 내용일 뿐 그것 자체가 성서교육의 내용은 아니다. 성 서는 그것을 성서교육에서 다룰 때 교육의 내용 안에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서교육은 그 취급 범위 안에서 성서의 내용과 관 여한다. 그러므로 성서교육은 성서의 내용 전체를 다 포함할 수 없다. 성서의 내용은 그 양이 방대하여 모두 다루기에는 여러 가지 면에서 어렵다. 따라서 성서의 내용 중에서 어떤 내용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 아야 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성서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 기 위해서는 다른 차원에서 성서교육 내용으로서 성서 전체와 선정된 것으로서의 성서 내용 둘 다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성서내용 전체와 관련해서 성서교육 교재로서의 성서를 번 역의 차원에서, 그리고 성서교육에서 교육해야 할 내용 선정의 기준과 그에 따른 성서교육의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고, 종합적으로 성서교육 의 내용이 어떠해야 할지에 대해 제안할 것이다. II. 성서교육내용으로서의 성서 번역 성서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은 성서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오늘날 신자가 활용할 수 있는 성서는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 다. 즉 각기 성격이 다른 다양한 번역들이 출간되어 있어 성서 연구 쓰임새에 맞는 바른 선정을 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서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성서들에는 국역으로는 <개역한글판>(1961), <개역개 정판>(1998), <표준새번역>(1993), 그리고 <표준새번역 개정판>의 개 명인 <새번역>(2001), 1) <공동번역성서>(1977), <공동번역성서개정 판>(1999) 등이 있다. 2) 이와 같은 역본들은 공존하고 있는데, 개정판

Upload: others

Post on 13-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249

성서교육의 내용 선정에 관한 연구

박 종 석 (서울신학대학교)

I. 들어가는 글

성서를 교육할 때 어떤 내용을 가르치느냐 하는 문제는 진지하게 고

려되지 않는다. 이미 성서교육 교재들이 나와 있고, 인도자의 취향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한편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서는 모두 배

워야 할 것이지 어느 것을 선별한다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

각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장 성서는 아동을 위해 기록된 것

이라 보기 어렵고, 그 시대적․문화적 환경의 격차 때문에 성인이라도

이해하기 어렵다. 이 같은 기본적인 독서의 현실 때문에라도 성서의

내용은 선정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육의 차원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할 경우 그들의 조건에 적절한 내용을 고려하는

것은 기본일 것이다.

성서교육의 내용 차원에서 어떤 내용들을 다루어야 할 것인지를 알

기 위해서 성서교육의 내용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생

각해 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성서교육의 내용이라고 할 때, 성서를

교육하는 데 필요한 내용, 즉 성서교육의 목적, 방법, 성서 자체, 교

사, 학습자, 평가 등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교육 내용으로서의 성서

의 내용을 말하는 것이다.

성서의 내용으로서의 성서교육의 내용에 대해 말할 때, 우선 성서교

250 복음과 교육 제3집

육의 내용이 무엇인지와 성서의 내용을 구분해야 한다. 성서교육의 내

용을 성서의 내용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성서의 내용은 성서교

육에서 다루는 내용일 뿐 그것 자체가 성서교육의 내용은 아니다. 성

서는 그것을 성서교육에서 다룰 때 교육의 내용 안에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서교육은 그 취급 범위 안에서 성서의 내용과 관

여한다. 그러므로 성서교육은 성서의 내용 전체를 다 포함할 수 없다.

성서의 내용은 그 양이 방대하여 모두 다루기에는 여러 가지 면에서

어렵다. 따라서 성서의 내용 중에서 어떤 내용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

아야 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성서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

기 위해서는 다른 차원에서 성서교육 내용으로서 성서 전체와 선정된

것으로서의 성서 내용 둘 다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성서내용 전체와 관련해서 성서교육 교재로서의 성서를 번

역의 차원에서, 그리고 성서교육에서 교육해야 할 내용 선정의 기준과

그에 따른 성서교육의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고, 종합적으로 성서교육

의 내용이 어떠해야 할지에 대해 제안할 것이다.

II. 성서교육내용으로서의 성서 번역

성서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은 성서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오늘날 신자가 활용할 수 있는 성서는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

다. 즉 각기 성격이 다른 다양한 번역들이 출간되어 있어 성서 연구

쓰임새에 맞는 바른 선정을 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서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성서들에는 국역으로는 <개역한글판>(1961), <개역개

정판>(1998), <표준새번역>(1993), 그리고 <표준새번역 개정판>의 개

명인 <새번역>(2001),1) <공동번역성서>(1977), <공동번역성서개정

판>(1999) 등이 있다.2) 이와 같은 역본들은 공존하고 있는데, 개정판

1) <성경전서 표준새번역 개정판>이 출간된 지 두 해가 지난 후에, 책 이름을 좀

더 쉽고 친숙하게 부를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성경전서 새번역>으로 바꾸

었다. http://www.bskorea.or.kr/bskorea/pr/info_read.aspx?idx=113

2) 이처럼 성서가 새롭게 번역되고 계속 수정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말과 글

의 표현이 계속 바뀌기 때문이다. 2. 기존의 번역에 잘못 번역된 곳이 있거나 부정

확하게 번역된 곳이 있기 때문이다(형제의 동방에서 살리라[창 16:12, 개역한글판]

251

들은 기존의 번역들을 개정한 것이기 때문에 성서교육에서는 개정판을

사용하는 것이 낫다. 영역으로는 KJV(The King James Version, 1611),

RSV(The Revised Standard Version, 1946/ 1952), NEB(The New

English Bible, 1961), NASB(The New American Standard Version,

1963), NIV(The New International Version, 1973) 등이 있다.

아동들이 사용할 수 있는 성서에는 The Good News Bible(The Good

News Translation, 1976), CEV(The Contemporary English Version,

1995) 등이 있다. “The Contemporary English Version은 “… 원래

The Good News Translation과 같이 아이들을 위한 번역본으로 계획된

이 번역본은 의미동역(dynamic/functional equivalence)의 원칙을 차

용하고 있다. 얼마나 쉽게 소리를 내어 읽을 수 있는가와 말씀을 들어

서 얼마나 이해를 할 수 있는가에 특별한 초점을 두었다.”3) 위에서

언급한 NIV 역시 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New

International Version은 “대체적으로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데, “명료하고 문학적으로 뛰어난 번역을 하는 것을 목표로

개역한글판 개역개정판 표준새번역 새번역공동번역/공동번역개정판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

평화를

이루는

사람은 복이

있다. 그들이

하나님의

자녀라고

불릴 것이다.

평화를

이루는

사람은 복이

있다.

하나님이

그들을

자기의

자녀라고

부르실

것이다.

평화를 위하여

일하는 사람은

행복하다.

그들은

하느님의

아들이 될

것이다.

→ 모든 형제와 대항해서 살리라[개역개정판]). 3. 성서 독자의 수준을 고려해야 하

기 때문이다. 4. 히브리어나 그리스어의 뜻의 다양성 때문이다(처녀 딸[고전 7:36,

개역한글판]→ 약혼녀[새번역]). 5. 성서 원문 연구의 발전 때문이다.

http://www.bskorea.or.kr/about/inquiry/inquiry.aspx

그리하여 동일구절에 대한 다양한 번역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마태 5:9에 대

한 번역은 다음과 같이 다르다.

3) http://www.bskorea.or.kr/about/worldtrans/engbib/engbib_view06.aspx

252 복음과 교육 제3집

하고 있으며, 예배와 개인의 성경 읽기, 교육, 설교, 그리고 말씀 암

기용으로 준비되었다.”4)

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성서에는 <새번역>이 있다. 이 번

역의 원칙 중에는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와 교회학교 교육에 사용할

수 있는 번역이 되도록 한다.”는 내용이 있다.5) <개역개정판>과 같이

예배용 성경으로 언급된 경우는 있었지만 교회학교에서의 교육용으로

언급된 성서는 <새번역>이 처음이다. 그만큼 교육에 사용되기를 의도

한 성서라는 뜻이다. 아래에서 본격적인 교육용 성서라 할 수 있는 아

동성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1. 아동성서

아동을 위한 성서는 대체로 세 가지 형태를 취한다. 그것은 ‘이야

기 성서’, ‘발췌 성서’, 그리고 ‘성경전서’이다.6)

1) 이야기 성서

이야기 성서의 내용은 주로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와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속하는 성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찾아볼 수

있다.

① 이야기와 그림 성서

4) Ibid.

5) http://www.bskorea.or.kr/about/owntrans/major/feature03.aspx; <새번역>, 머리

말.

6) 손삼권, “어린이 성경의 번역과 편집의 방향”, 『성경원문연구』6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0), 137-44. 그 밖의 어린이성경에 대해서는, 심정택 외, “지금까지 나온 어린이 성

경”, 『성경원문연구』6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0), 112-26 참조.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나온 대표적인 어린이 성경(John R. Kohlenberger III and Noel Wescombe, TheAmazing Book [Portland, Oregon: Multnomah Press. 1991], Children's Bible: Words ofWisdom series [Hong Kong Bible Society. 1993], Read With Me Bible: An NIVStory for Children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Publishign House. 1997]), 비디오("The Animated Stories from the New Testament" [Family Entertainment

Network, 25분], “태초에” [교육개발사, 56분], “The Greatest Adventure Stories From

The Bible" [(주) 에덴 프로덕션, 총56분 각 28분(한글, 영어)], “The Animaited Stories

From The Bible" [AVACO, 25분]), 그리고 CD롬(CHILDREN'S BIBLE STORIES

[COMPTON'S NEWMEDIA, 1996]) 등을 구성, 특징, 분석, 방향 제시 면에서 검토한다.

253

Doris Rkker and Jean Syswerder, 『바울 그림 성경』(서울: 바울,

1995).

Elia Taniguci, 『그림과 함께 하는 이야기 성경』, 김명수 역 (서울:

성안당, 1999).

Gibert Beers and Ronald A. The Big Bok of All-time Favorite Bible

Stories; Childres's Bible: Words of Wisdom (Hong Kong

Bible Society, 1993).

Marian Schooland, Marian's Big Book of Bible Stories,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Pub. Co., 1975).

Rolf E. Aaseng, Augsburg Story Bible (Minneapolis: Augsburg,

1992).

Shalina Hastings, 『성경전과』 (서울: 홍성사, 1998).

Stories of Bible (American Bible Society, 1987).

The Daughters of St. Paul, The Bible for Children, St. Paul

Editions (1985).

Walter Wangerin Jr., The Book of God for Children,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Pub. House, 1997).

『모퉁이돌 그림 성경 이야기』(서울: 모퉁이돌, 1999).

편집부 편,『예쁜 이야기 성경』(서울: 모퉁이돌, 1999).

『지혜 성경(잠언)』(서울: 아가페, 2000).

길버트 비어스, 테리사 와쉬, 『귀염둥이 성경』(서울: 아가페,

1994).

김소진 그림, 『크레파스 성경』(서울: 모퉁이돌, 1999).

류은진 그림, 『아기 사랑 성경』(서울: 모퉁이돌, 1989).

마이크 매독스, 『그래픽 바이블』 고진하 역 (서울: 문학동네,

1993).

맥 토마스, 『두란노 Baby 그림 성경』(서울: 두란노, 1997).

유은진, 우지영 그림, 『리틀 구약/신약』(서울: 모퉁이돌, 1999).

전영택, 이봉구, 최효섭, 유영희, 『어린이 성경』(서울: 기독교대한

감리회 총리원 교육국, 1962).

전혜령 그림,『아름다운 성경』(서울: 모퉁이돌, 1999).

254 복음과 교육 제3집

정종화, 『명화로 엮은 이야기 성서』(대구: 동양출판사, 1968).

케린 헨리, 페나스 데이비스 그림, 『두란노 어린이 그림성경』(서울:

두란노, 1992).

팀 우드, 제니 우드, 『주머니 속에 꼬마 성경』(서울: 홍성사,

1998).

패트 알렉산더, 레온 백스터, 『꿈나무 성경』(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7).

박은희 편, 정준영 그림, 『엄마 무릎 성경』(파주: 모퉁이돌, 2002).

② 만화 성경

M. C. Gaines. Picture Stories from the Bible. New York: Scarf

Press, 1979.

David C. Cook, 『재미있는 만화성경』 생명의 말씀사, 1997

리비 워드, 짐 파게트, 『만화성서대전』 홍성사, 1994.

『Bible Now!: 어린이들에게 들려주는 101가지 성경 이야기(성경전서

새번역)』.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5.7)

에티엔느 달러 외. 『만화 성경』1-4.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1994.

이와 같은 성서의 성격은 성서의 이야기나 인물을 중심으로 동화나

이야기 혹은 만화 등의 형식을 사용하여 성서의 내용을 각색한 것이

다. 이와 같은 성서는 성서의 중요한 이야기나 주요 인물, 그리고 성

서 전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서의 집필자의 신학적 성향과 문학적 상상력에 따

라 성서의 본래 의미가 왜곡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와 같은 성

서는 성서의 본문을 직접 대하는 것으로부터 오는 만남이 배제된다는

것이다. 집필자가 이해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 받을 뿐 성서를 직

접 읽을 때 오는 영감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

은 성서는 개인적으로 가정 등에서 사용할 수는 있겠지만 공적인 교회

7) 이 성경은 지면이 만화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대사는 성구로 되어 있다.

255

학교에서 교육용으로는 사용될 수 없다는 점이다.

③ 일러스트레이션 성서

만화 성서와 그 형태는 유사하나 성격 면에서 다른 성서가 일러스트레

이션 성서이다. 일러스트레이션 성서는 성서에 그림이 들어 있는 성서

를 말한다. 그림 성서는 보통 아동을 위한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

제로 그림이 있는 일러스트레이션 성서는 7-8세기 성인 성서로부터 시

작되었다. 성경에 사용된 일러스트레이션은 보통 세 가지 형태로 나타

났다. 첫째, 문단의 첫 글자에 문양(illuminated initial letters)을

입히는 형태이다. 보통의 경우 단순한 도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

때에 따라서는 본문의 이야기와 관련된 이미지를 도안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둘째, 성경의 매 장마다 테두리에 장식(decorated borders)

을 도안하는 형태이다. 여기에는 꽃이나 장식 글씨, 또는 동물의 형상

등이 사용되었다. 셋째, 세밀화 또는 소화상(miniature pictures)의

형태이다. 그 내용은 본문의 장면이었다.8) 당시 성서에서 일러스트레

이션은 단순한 장식 이상의 의미를 갖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그림보다

본문 자체를 중시한 까닭이다.

그러나 13세기에 접어들면서 일러스트레이션은 성서 본문 내용의 묘사

를 넘어서 내용 전달에 있어서 본문보다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 같은 성서는 글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성서를 이해하는 결

정적 역할을 하였다. 여기에 적절한 인용구나 설명이 첨부될 경우 일

러스트레이션은 성서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 16세

기에 이르러서는 라파엘(Raphael), 도레(Gustave Doré), 루오(Georges

Roualult), 샤갈(Marc Chagall) 등 유명화가들의 그림이 일러스트레이

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아동그림성서는 19세기 이후 주로 미국에서

발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대한성서공회에서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성

경』을 발간하였다. 이 성서에는 1970년대 미국성서공회가 출판한

8) Bruce M. Metzger and Michael D. Coogan, The Oxford Companion to theBibl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98-299.

256 복음과 교육 제3집

Today's English Version에 실렸던 애니 발라톤(Annie Vallotton)의

그림이 실려 있다. 발라톤은 단순한 선을 사용하면서도 선의 사용을

최소한 절제하면서 심도 있는 의미와 느낌을 전달하는 일러스트레이션

을 추구해왔다. 시대와 공간성을 초월한 발라톤 일러스트레이션의 단

순성은 독자의 상상력이 개입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9) 이와 같은 발

라톤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성서공회는 색을 입히는 작업을 하였다.

채색은 파스텔조의 부드러운 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색채의 심리학

적 측면에 대해, 학자들은 강렬한 원색은 상상력을 감소시키고, 부드

러운 중간색은 상상력을 자극하고 증진시킨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어

서,10) 파스텔조의 부드러운 색을 입은 발라톤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시

각적으로 표현된 이야기에 심미적 경험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발라톤의 일러스트레이션은 그 단순성으로 인해 보편성을 띄

며 본문의 설명을 넘어 독자로 하여금 본문을 이해하고 경험하도록 유

도한다. 또한 채색된 발라톤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매체의 다양화가 인

식의 통전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면에서, 문자의 이해에서 이미지의 경

험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이처럼 일러스트레이션 성서는 초기 단순한 장식의 목적으로 출발하여,

의미 전달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였고, 더 나

아가 글로서는 그 느낌이 전달되지 않는 심미적 경험의 차원에 이르기

까지 그 기능이 확대되어왔다. 또한 일러스트레이션 성서는 단지 아동

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전 감각을 통해 이해와 경험을 하는 모든 연

령층에게 해당된다. 11)

2. 발췌 성서

‘이야기 성서’가 가진 성서와의 직접적인 만남의 한계, 그리고 기

독교 신앙공동체에서 공적 사용 사용 불가라는 제한을 극복하고자 한

9) 김영래,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새번역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활용의 인식론적

고찰: 문자 이해에서 이미지 경험으로“,『성경원문연구』17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5), 13.

10) Frans Carlgren, Education Towards Freedom (East Grinstead, England:

Lanthorn Press, 1993), 65-68.

11) 김영래,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새번역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활용의 인식론

적 고찰”, 12.

257

성서가 “발췌 성서”라 할 수 있다. 발췌 성서는 아동의 심리와 삶의

문맥을 고려하여 성서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순서대로 정렬한 것이다.

발췌 성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찾아볼 수 있다.

The Children's Daily Devotional bible

The Good News Children's Bible

Mary Batchelor, The Children's Bible in 365 Stories, Lion

Publishing, 1985

Kohlenberger III, John R. &Noel Wescombe, Amazing Book,

Internation Bible Society, 1991.

그러나 발췌 성서의 문제점은 성서의 어떤 내용을 발췌하느냐이다.

예를 들어, 발췌 성서인 The Good News Children's Bible과 The

Children's Daily Devotional bible에는 창조와 타락 이야기의 발췌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12)

The Good News

Children's Bible

The Children's Daily

Devotional bible

1)이것이 하나님의 세계이다.

태초에

창조이야기(1:1-2:3) 창조이야기(1:1-16)

짐승과 사람(1:24-2:4)

에덴 동산(2:8-9, 15-17)

12) 임동원, “어린이 성경 번역에 있어서 발췌 본문에 대한 연구,”『성경원문연구』6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0), 7-27

258 복음과 교육 제3집

인류가 범죄하다

첫번 사람들이 하나님께

불순종하다(3:1-13, 22-23)

첫 번째 죄(3:1-13, 20-24)

가인과 아벨(4:2-7)

네 아우가 어찌

되었느냐?(4:8-14,16)

가인과 아벨(4:1-11)

3. 성경전서

발췌 성서가 성서의 본문을 직접 대면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서 전체를 모두 다루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

제에 직면하여, 성경전서는, 성서는 하나님의 영감된 말씀이므로 인간

의 이해의 차원을 떠나서 모든 사람에게 말씀한다는 전제에서 아동도

성서 전체를 대면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성서 전체를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은 성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The Children's Living Bible, Tyndale House Pub. 1987.

John D. Clare, The Bible Alive, Zondervan Pub. House, 1993.

Walter Wangerin Jr., The Bible for Children, Checkerboard Press,

1986.

International Children's Bible, Sweet, 1986.

Psalty's Kids Bible, Nondervan Publishing House, 1991

Larry & Sue, The Teen Study Bible,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3.

Read with Me Bible: An NIV Story Bible for Children,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Contemporary English Version: Childrens's Illustrated Edition,

American Bible Society, 1995.

아동 성서의 세 가지 형태인 이야기 성서, 발췌 성서, 그리고 성경전

259

서는 각각 한계와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한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이용해야 할 것이다.

III. 선정준거에 따른 성서교육의 내용

성서교육에서 어떤 성서 내용을 다를 것인지를 물을 때, 우리는 선

정 기준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을 요구 받는다. 성서교육의 내용은 충동

적으로 우발적으로 선정되어서는 안 된다. 교육의 특성 중에 의도적

성격이 있기는 하지만 교육에는 계획성이라는 특성도 있어 충동에 의

한 내용 선정은 일과성에 지나지 않아 교육적이라 할 수 없다. 성서교

육에서 내용은 인간의 영혼 형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분

명한 준거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교육의 내용은 교육의 목표와 일관성을 지녀야 한다.

전성연은 교육내용과 교육목표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교육목표가 설정되면, 그러한 목표가 충

실히 반영된 교육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 교육내용은 교육목표를 달

성할 수 있도록 그 목표를 구체적인 교육활동으로 변환시켜놓은 것이

다. 따라서 교육의 성패, 즉 본래 의도한 교육목표의 달성 여부는 어

떠한 내용이 선정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13)

교육내용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관점에 기초하고 있는데, 하나는 교

육내용을 교과내용이나 지식으로 보는 견해이다. 즉 교육 내용을 인간

이 오랜 역사를 통해서 축적한 체계화되고 조직화된 교과지식으로 보

는 입장이다.14) 다른 하나는 교육내용을 학습경험(혹은 학습과정)으로

13) 전성연,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敎育學 대백과사전』

(춘천: 하우동설, 1998), 584.

14) 구체적으로 그 내용은 학문 속에 포함된 사실, 개념, 원리, 일반화, 사고 체계 등이다.

이 같은 접근을 옹호하는 이들은 J. G. Saylor and W. M. Alexander, CurriculumPlanning for Modern School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66); RichardS. Peters, Ethics and Education Peters, 이홍우․조영태 공역, 『윤리학과 교육』(서울:교육과학사, 2003); P. H. Phenix, Realms of Meaning: A Philosophy of the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1964); P. Hirst, "The

260 복음과 교육 제3집

보는 견해이다. 이 견해는 지식은 미리 규정된 것이라기보다 그것이

개인이나 사회에 필요한가하는 관점에서 판단해야 한다고 본다. 이와

같은 지식은 학습자와 주변 환경간의 부단한 상호작용, 즉 총체적인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15) 그러나 학습은 학습되어야

할 내용과 그에 수반되는 여러 학습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

과내용과 학습경험은 별개의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교육내용은 교과

내용과 학습경험 모두를 적절히 포함해야 한다.16)

교육내용에 대한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 입장에서 교육내용이 선정

되는데, 교육내용을 선정하기 위한 준거는 교육내용에 대한 기본 입장

의 차이에 따라 대단히 다양하며 상이하다. 그 다양하고 상이한 준거

내용들은 공통점들이 있으며, 그것들을 몇 가지로 가릴 수 있다. 전성

연은 그것을 ① 중요성, ② 타당성, ③ 유용성, ④ 학습 가능성, ⑤

사회적 관련성으로 제시한다.17) 첫째, 내용의 중요성이다. 이 준거는

선정될 내용이 해당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경중이다. 둘째, 내용

의 타당성이다. 이 준거는 선정될 내용이 교육목표와 부합하느냐 하는

것이다. 즉 선정될 내용이 교육목표 달성에 적합한가 하는 것이다. 셋

째, 내용의 유용성이다. 이 준거는 학습자의 생활에 유용하느냐이다.

그러나 학습자의 생활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진다.

학습자의 생활을 성인 활동을 위한 것으로 볼 경우, 학습자 개인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볼 경우,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생활, 사회적, 정

Contribution of Philosophy to the Study of Curriculum", J. Kerr, ed., Changing theCurriculum (London: University of London Press, 1968); H. S. Broudy, B. O. Smith& J. R. Burnett, Democracy and Excellence in American Secondary Education: AStudy in Curriculum Theory (Chicago: Rand McNally, 1964); Jerome S. Bruner, TheProcess of Education, 이홍우 역, 『교육의 과정』(서울: 배영사, 1997) 등이다.

15) 이 같은 입장을 가진 학자들은 L. L. Tyler, "Learning Experiences", T. Husen and T.

N. Postlethwaite, ed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5 (New York:Pergamon Press, 1949); F. Bobbit, How to Make a Curriculum (Boston:

Houghton-Mifflin, 1924); H. L. Caswell and D. S. Campbell, Curriculum Development(New York: American Book Company, 1935); J. S. Parker and L. J. Rubin, Processas Content (New York: Rand McNally, 1966); R. Hyman, Approaches in Curriculum(New Jersey: Prentice-Hall, 1973) 등이다.

16) Hilda Taba,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이경섭 외 공역, 『교육과정론』(서울: 형설출판사 1982).

17) 전성연,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584-86.

261

치적 논제 등에 대한 것으로 볼 경우의 내용이 달라질 것이다. 넷째,

내용의 학습 가능성이다. 이 기준은 선정될 내용이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학습자의 학습 준비도,

경험, 욕구, 흥미 등이 반영된 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

섯째, 내용의 사회적 관련성이다. 이 기준은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

키는 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사회문제, 제도, 인간정서, 그리고

도덕적 가치, 민주주의의 원리와 가치 등과 관련된 교육내용이 반영되

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교육내용의 선정 준거에 대해 전성연은 다음과 같이 말

한다.

“이상에서 논의한 교육내용 선정준거들은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반

드시 적용되어야 할 준거들이다. 물론 교과특성에 따라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내용 선정의 준거가 있겠지만, 위에서 제시한 준거들은 교육내

용의 선정과 평가의 방향을 안내해 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적용 가

능한 준거들이다.”18)

여기서는 이와 같은 전성연의 견해에 동의하며, 성서교육에서 가르

쳐야 할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중요성

성서교육에서 학습자에게 교육할 내용은 주로 교회(구체적으로는 교

사)가 가르쳐야 할 내용으로 생각되어왔다. 이 경우의 교육내용은 일

반적으로 교육에서 말하는 교과중심의 교육내용과 그 성격이 유사하

다.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교육의 내용은 교과에서 중요하다고 여기는

내용이라는 이 입장은 성서교육의 내용은 교회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성서의 내용이어야 한다는 입장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내용의 선정 준거에서 중요성이 의미하는 바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 기준에 따라 해당 영역에서 가장 가치롭다고 인정되는 내용

18) Ibid., 586-87.

262 복음과 교육 제3집

을 선정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해당 영역에서 더 정교화되

고 전문화된 내용을 습득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선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요성이라는 교육내용의 선정준거에 따르면 성서교육 내용은 첫

째, 성서에서 가장 가치로운 내용이 교육의 내용으로 선정되어야 한

다. 그런데 성서의 내용 중에서 어느 것을 가치롭다고 말하고 정하는

자는 누구인가? 성서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구약은 여명이고, 복음

서는 빛이며, 서신서는 빛을 받은 자들의 삶이다. 그리고 이것이 성서

의 핵심적 내용이다. 이는 밀러(Randolph C. Miller)가 말하는 드라마

로서의 성서의 주요 내용과 일맥상통한다. 그 내용은 하나님이 인간과

관계하는 대표적 사건들로서 5C(creation, covenant, Christ, church,

consummation)로 표현된다.19)

한편 웨버(Hans-Ruedi Weber)에 따르면, 기독교교육의 의무는 사람

들이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서 자라가도록 돕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

을 아는 주 자원은 성서이다. 그는 기독교교육은 전생에 걸친 모험의

여행이며 그 나침반 역할을 하는 것이 성서라고 한다. 성서의 내용은

대단히 풍성하고 다양해서 간단히 요약할 수 없다. 기독교교육의 입장

에서 성서의 메시지를 요약하는 여러 가능한 방법들 중의 유일한 것은

하나님의 창조하고 구원하고 완전케 하시는 행위로부터 보는 관점이

다. 그래서 성서에서 가르쳐야 할 주요 내용은 창조자, 구원자, 온전

케 하는 자가 된다.20)

창조자로서의 하나님은 만물의 창조자(창 1-2; 골 1:15-17), 인간의

창조자(창 1:27; 골 3:9-11)로 소게될 수 있으며, 하나님의 피조물인,

자연(시 8; 레 25), 인간(마 25:31-46), 그리고 소유(마 25:14-30)에

대한 청지기직을 가르칠 수 있다. 구주로서의 하나님은 구원의 지평

(출 6;6-8)과 관련해서 만민을 위한 구원을 소개할 수 있다(마 1:21;

28:16-20; 골 1:18-20). 온전케 하시는 주로서 하나님은 세계를 정의

19) Randolph C. Miller, Biblical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New York: CharlesScribner's Sons, 1956), 5.

20) Hans-Ruedi Weber, "The Bible in Religious Education", Iris V. Cully and

Kendig Brubaker Cully, eds., Harper’s Encyclopedia of ReligiousEducation (San Francisco: Harper & Row, 1990), 62-64.

263

와 평화의 나라(사 11:1-9; 단 7:13-14)로, 낡은 세상을 두루마리처럼

말아버리고 새 하늘 새 땅(렘 31:31-34; 겔 47:1-12, 사 65:17)을 여

실 것이다. 이 나라는 예수 안에 이미 임했으며(막 1:15: 눅 17:21),

십자가로 완성되는 나라이다(고전 15: 20-28; 계 19:11-160, 21-22).

그리고 아직도 성취되기를 희망해야 할 것이다(벧전 3:15).

가르쳐야 할 중요한 성서의 핵심적 주제들이 있다. 마리노(Joseph

S. Marino)에 따르면, 그것들은 하나님 발견(주님을 발견하기), 신앙

(주님과 걷기), 기도(주님과 있기), 제자직(주님 따르기), 정의(주님

나타내기), 죄(주님 배반), 화해(주님 안에서의 회복)이다.21)

2. 타당성

타당성의 준거는 선정될 내용이 교육목표 달성에 적합한가 하는 것

이다. 성서교육을 왜 하느냐 하는 성서교육의 목적은 차원적인 관점에

서 탐구할 수 있다. 그것은 그것을 성서교육이 무엇을 위한 것이냐 하

는 외재적 차원, 성서교육 자체를 위한 내재적 차원, 개인의 삶을 보

다 정제하고자 하는 개인적 차원, 사회적 지향점을 위한 사회적 차원,

교수-학습 상황을 고려한 학습자 차원, 그리고 성서가 말하는 성서교

육의 차원으로 나누어 검토될 수 있다.

성서교육의 외재적 차원의 내용으로는 성서의 내용을 알기 위해서,

구원의 도를 배우기 위해서, 그리고 신자로서 경전을 알아야 할 의무

를 다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하는 성서교육의 내용은

목적의 합집합으로서 성서 전체가 될 것이다. 그러나 성서교육의 내용

이 성서 전체라고 말하는 것은 실제로는 성서교육의 내용이 없다는 말

과 다름없다. 성서교육의 내재적 차원은 성서교육을 통해 성서를 교육

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교육의 내용 면에서 볼 때 성서를 교육하는

법을 배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성서의 내용이 어떤 것인지는 성서

가 실제적인 전문적 교육서가 아니기 때문에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찾

을 수 있다하더라도 성서교육의 일반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그와 같

은 내용을 가르치는 것은 부적절하다. 성서를 교육하는 법을 배운다는

성서교육의 내재적 목적은 마치 잠재적 교육과정과 같은 것이지, 명시

21) Joseph S. Marino, ed., Biblical Themes in Religious Education (Birmingham,Alabama: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3).

264 복음과 교육 제3집

적 목적이라고 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3. 유용성

이 준거는 교육의 내용이 학습자의 생활에 유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학습자의 무엇을 위해 유용한가 하는 문제인데, 즉 미래의 준

비를 위해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인지, 학습자의 취향에 맞는다는

것인지, 아니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유용한 것이어야 한

다는 의견으로 나뉠 수 있다.

학습자가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성서의 내용은 무엇일까.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학습자의 미래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

는지를 규정해야 한다. 이것은 일종의 교육의 목적일 텐데, 이 교육의

목적은 교육관에 따라 상이하고 그에 따라 성서교육의 내용도 다양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기독교교육은 신앙인을 지향할 것이

다. 그렇다고 볼 경우, 성서교육의 내용은 신앙에 관한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취향은 하도 다양하여 그에 따른 성서내용의 선정은 무엇

이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성서내용을 선정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현재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성서내용의 선정은

현재의 문제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생활 또는

신앙생활과 관련된 사회적, 정치적 논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다 해

도 그 같은 논제에 대한 성서내용이 있다는 보장을 하기는 어렵다. 성

서는 고대의 책이며 현대의 상황과는 매우 다른 사회 문화적 문맥에서

쓰여진 기록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성서 공

부반에서 사회적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22) 그 같은 시도들에 자료와

근거를 제공하는 성서학의 시도가 있다. 예를 들어, 로거슨(John

Rogerson)은 핵문제, 유산, 노동과 실업, 복지, 세계질서 등의 사회

정치적 문제들을 구약의 차원에서 다룬다.23) 환경 문제 역시 오늘날

중요한 문제이다. 불모어(Michael A. Bullmore)에 따르면, 환경이란

22) Catherine P. Zeph, “Turning the Kaleidoscope: The Adult Religious Educator

as Learning Consultant", Religious Education 94:3 (Summer 1999), 351.

23) John Rogerson, Theory and Practice in Old Testament Ethics (London/NewYork: Clark, 2004), 81-143.

265

주제에 대해 가장 중요한 성구들은 네 가지이다. 그것들은 시편 104

편, 창세기 1-2장, 창세기 9장 8-17절, 그리고 로마서 8장 18-23절이

다.24)

4. 학습 가능성

이 기준은 선정될 내용이 학습자의 학습 능력 안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성서교육에서 이 학습자의 준비도는 일반적으로 종교적 사고

의 발달 문제로 다루어진다. 기독교교육에서 종교적 사고에 대한 논의

는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첫째 부류는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

달구조의 단계를25) 아동의 종교적 사고에 적용하며, 얼킨드(David

Elkind)는 이를 아동의 종교적 정체성과 기도 개념 발달에,26) 골드만

(Ronald Goldman)은 성서 서사의 이해에 적용한다.27) 둘째 부류는 콜

버그(L. Kohlberg)의 도덕발달론의 영향 아래서28) 피아제의 이론을 확

대하는 입장으로, 이에는 종교적 사고의 정서적, 실존적 측면에 주의

를 기울이고자 하는 입장과 종교 발달을 사춘기 초기가 아닌 전생애에

걸친 것으로 설명하는 입장이 있다. 기독교교육에서는 콜버그의 제자

들인 파울러(James Fowler)와29) 오저(Fritz Oser)가30) 모두 여섯 단계

24) Michael A. Bullmore, “The Four Most Important Biblical Passages for a Christian

Enviromentalism", Trinity Journal 19:2 (Fall 1998), 139-62.

25) B. Inhelder and J. Piaget,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to Adolescence (New York: Basic Books, 1958).

26) D. Elkind, "The Child's Conception of His Religious Domination: (1) The

Jewish Child",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99 (1961): 649-659; _____ , "TheChild's Conception of His Religious Domination: (2) The Catholic Child",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1 (1962): 185-193; _____ , The Child'sConception of His Religious Domination: (3) The Protestant Child, Journal ofGenetic Psychology 103 (1963): 291-304; D. Long, D. Elkind, and B. Spilka,“The Child's Conception of Prayer”,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6 (1967): 101-109.

27) R. Goldman, Religious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London:Routledge and Kegan Paul, 1964).

28) L. Kohlberg, "From Is to Ought: How to Commit the Naturalistic Fallacy

and Get Away with it in the Study of Moral Development", T. Mischel, ed.,

Cognitive Development and Epistem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1971).

29) J. W. Fowler, “Toward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Faith", ReligiousEducation 69 (1974): 207-219; _____ , "Faith and the Structuring of Meaning",C. Brusselmans, ed.,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Morristown, NJ:Silver Burdert Company, 1980); _____ , Stages of Faith (San Francisco: Harper

ami Row, 1981); _____ , "Stages in Faith Consciousness", New Directions for

266 복음과 교육 제3집

의 다차원적 종교발달 모델을 제안했다. 셋째 부류는 현대 피아제 발

달 연구의 영감을 받아 아동과 성인의 사고 연속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잔류연령차를 문화적 지식의 양적 차이로 돌린다.31) 하지만

이와 같은 제한들이 신이나 기도와 같은 영적 사실에는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32)

학습자에 대한 종교적 사고에 대한 이 같은 연구들은 경쟁적 양상

을 보여주면서 부분적이며 불완전해서 종교적 사고의 본성과 발달에

대한 종합적이고 신뢰할만한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이 이론들이 보여주는 바는 종교적 사고가 상당히 교육의 영향

을 받는다는 점, 그리고 종교적 사고에 발달 단계가 있음으로서 교육

의 구체성을 높인다는 점에서33) 성서교육에서 학습자의 준비도에 대해

긍정적일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종교적 사고에 대한 저간의

연구들이 교육해야 할 성서의 내용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성서

내용 선정을 위한 큰 울타리를 쳐준다고 할 수 있다.

5. 사회적 관련성

이 기준은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교육내용을 선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서교육에서 이 기준과 궤를 같

이 하는 내용은 “하나님의 나라”라는 개념일 것이다. 그룸(Thomas

Child Development 52 (1991): 27-45.

30) F. K. Oser, "Stages of Religious Judgment", C. Bnisselmans, ed., TowardMoral and Religious Maturity (Morristown, NJ: Silver Burdett Company, 1980);F. K. Oser and Paul Gmunder, Religions Judgement: A DevelopmentalPerspective (Birmingham, AL: Religious Education Press, 1991).

31) A. Gopnik and H. M. Wellman, "The Theory Theory", L. A. Hirschfeld, ed.,

Mapping the Mind: Domain specificity in Cognition and Culture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A. Gopnik, A. N. Meltzoff, and Patricia K.

Kuhl, The Scientist in the Crib: Minds, Brains, and How Children Learn (NewYork: William Morrow, 1999).

32) J. L. Barrett, R. A. Richert, and A. Driesenga, "God's Beliefs Versus

Mother's: The Development of Nonhuman Agent Concepts", Child Development72:1 (200l):50-65; J. D. Woolley and K. E. Phelp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Beliefs about Prayer", Journal of Culture and Cognition 1:2

(2001):139-166.

33) Eli Gottlieb, “Development of Religious Thinking", Religious Education 101:2(Spring 2006), 256-57.

267

H. Groome)에 따르면, 기독교교육의 목적 중에 하나는 사람들로 하여

금 기독교인으로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살도록 돕는 것이다. 하나님

의 나라는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통치이며, 신약에서 예수 안에 나

타난 인격과 사역이다. 이 하나님의 나라는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요구

하며, 그 책임은 개인적으로는 회심을, 교회적으로는 케리그마

(kerygma), 코이노니아(koinonia), 그리고 디아코니아(diakonia) 사명

을 넘어 “그 나라의 가치들을 증진시킬 능력이 있는 사회적․정치적․경제적 구조를 창조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정

치․경제․사회․문화적 구조들에 대한 심판과 그 나라의 가치에 위배되는

실재들(예를 들어, 인종주의, 성적 쾌락주의, 차별, 억제되지 않은 자

본주의, 전체주의, 소비주의 등)을 정복하고 제거하는 것이어야 한

다.34)

성서교육의 내용을 선별하기 위해서, 교육내용 선정의 준거로서의

사회적 관련성의 구체적 내용으로서의 사회문제, 제도, 인간정서, 그

리고 도덕적 가치, 민주주의의 원리와 가치 등의 기독교교육적 번역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성서 시대와는 대단히 격차가 큰 사회적 문제들이

즐비하다. 특히 정보화, 포스트모던, 그리고 세계화 시대가 빚어낸 사

회적 문제들과 관련된다고 여겨지는 성서내용의 선정이 필요하다. 사

회적 제도는 종종 공동의 선을 위한 것이라는 명분으로 인간이 무시되

는 경우가 있다. 무한 경쟁이 요구되는 신자유주의 시대에 인간성은

파괴되고 폭력적으로 변해 가고 있다. 인간다움이 무엇인가를 새롭게

발견해나가는 것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인간 본연의

숭고한 가치들은 폐기되고 타락하고 부패한 가치들이 자연스럽게 여겨

지며 위세를 드러내는 시대가 되었다. 인간 사회에 필요한 참다운 가

치가 무엇인지 성서내용을 통해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내용의 사회적 관련성과 관련해서 성서 세계의 문화에 대해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성서의 세계는 현대의 세계와 시공간적인 간격

때문에 사회적 관련성이 희박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성서에는

오늘날의 독자가 보기에 이상해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있다.

34) Thomas H. Groom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haring Our Story and Vision, 이기문 역,『기독교적 종교교육』(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80), 86-87.

268 복음과 교육 제3집

예를 들어, 유다와 며느리 다말(창 38), 환자를 정하게 하는 의식(레

14), 피남편(“십보라가 부싯돌 칼을 가지고 제 아들의 포피를 잘라서

모세의 발에 대고, ‘당신은, 나에게 피 남편입니다’ 하고 말하였

다.” [출 4:25]), 허리띠와 포도주 항아리의 상징(렘 13), 침으로 흙

을 개어 나면서부터 눈 먼 사람을 고치시는 예수(요 9:6), 바울의 신

비한 체험(고후 12:2), 일곱 뿔 일곱 눈을 가진 어린양(계 5:6-7), 머

리 일곱 달린 용(12:3), 하나님을 모독하는 두 짐승(13)과 큰 창녀

(17) 등의 내용은 현대인들이 참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게다가 불평가

득한 민족을 보배로운 백성 삼으신 하나님의 뜻(신 7:6)이나, 사회적

으로 천한 자들을 옹호하시며, 가난하고 무력한 자로 오시고 수치스런

죽음을 당하고 부활하신 분은 당시 세계의 사람들에게 얼마나 어리석

게 보였겠는가?(고전 1)35) 그러나 이 같은 낯선 성서의 세계에 대한

인정이야말로 성서의 세계로 들어가는 입장권과 같다 할 수 있을 것이

다. 성서의 이상한 세계를 낯선 사실로 볼 때, 성서는 그 진정한 모습

을 드러내지 않는다. 사실을 뛰어넘는 상상력이 동원될 때, 성서의 낯

선 내용들은 오히려 의미의 전달자가 될 것이다.36)

이와 연관 지어 생각해볼 문제는 성서 세계의 문화는 시간과 공간의

거리 때문에 낯섦을 인정한다하더라도 이성적으로 용납하기 어려운 내

용들에 대해서이다. 그와 같은 내용들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지닐 때,

현대인의 이성에 호소하기 위해 과학적 입장에서 기적을 소홀히 여기

고 하나님에 대한 설명을 단순화할 수 있다. 분노하고 복수하는 하나

님을 생략하고 사랑과 용서의 하나님으로 만 소개하는 경우가 그렇

다.37) 성에 관한 것이나 강간 기사를 피하며, 긍정적 도덕적 메시지를

반영하기 위해 성서내용을 조작한다. 예컨대 우물가의 리브가 이야기

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거의 모든 책에 실려 있는데, 그 이유는 그

녀가 친절이라는 도덕적 덕에 부합되기 때문이다.38) 어느 경우에는 인

35) Carol M. Bechtel, “Teaching the ‘Strange New World' of the Bible",

Interpretation 56:4 (Oct 2002): 370.

36) Ibid., 375.

37) Penny Schine Gold. Making the Bible Modern: Children's Bibles andJewish Education in Twentieth-Century America (Ithaca: Cornell UniversityPress, 2003), 141.

38) Ibid., 153.

269

물들을 강하게 대조시킨다. 예컨대, 야곱은 선하고 의로우며, 에서는

이기적이고 감정적이라고 한다. 이처럼 누락, 삭제, 그릇된 강조 등의

조작을 통해 결국 성서에 특정 도덕을 부과하면서 성서내용을 왜곡시

키게 된다.

이제까지 살펴본 교육내용 선정의 기준은 성서교육적 측면에서 검토

할 때, 성서내용을 선정하는 데 지침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준들은 일반교육을 위한 것이기도 하기 때문에 신앙적 삶의 양육을

위한 성서교육의 성격에 좀 더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IV. 성서교육 내용의 성격

우리는 위에서 성서교육을 할 때 어떤 기준에서 그 내용을 선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이 기준들은 교육내용 선정의 일반

적 기준이기 때문에 교육의 특수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성서교육에 사

용될 경우 추상적이거나 단편적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따라서 성

서교육에 보다 적합한 내용의 선정을 위해서는 다른 성격의 기준이 요

구된다. 그 기준은 성서교육이 그 낭에 포함된 기독교교육의 일반적

성격으로부터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성서교육에서 그 내용이 어떤 성격을 지녀야 하는 지는 기독교교육

과 성서교육이 공유하는 영역으로부터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공

유 영역을 여기서는 신앙의 성장과 학습자의 발달로 보고 그에 대해

아래에서 살펴보겠다.

1. 신앙의 성장을 위한 내용

김수천은 종래의 교육내용 선정에 대한 준거가 주로 교과적 지식을

중시하느냐, 학습자의 경험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이루어졌다고 보고,

중요한 것은 지식이냐, 경험이냐가 아니라, “오히려 삶이란 무엇이며

질 높은 삶은 어떤 삶인가”가 문제로 보고 있다.39) 이 같은 입장은

39) 김수천, “교육내용과 방법의 관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敎育學 대백

과사전』(춘천: 하우동설, 1998), 578; _____, “서양의 교육과정사 연구: 삶과 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원대 교육연구소, 「교육연구」3 (1993): 92-107 참조.

270 복음과 교육 제3집

성서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성서교육에서도 어떤 내용을 가

르쳐야 하느냐고 할 때 성서내용의 중요도나 학습자에 대한 타당도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으나, 정작 중요

한 것은 선정된 성서내용이 학습자의 신앙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느냐

이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성서교육의 내용은 무엇보다 신앙의 성장을

가져올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교육에서는 신앙을 지․정․의적 차원을 가진 총체적

실재로 본다.40) 생동하는 기독교신앙은 이 세 가지 차원들, 즉 믿는

것, 신뢰하는 것, 그리고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독교신앙을 목적으

로 하는 기독교교육은 이 삼차원적인 신앙을 의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브루지만(Walter Brueggemann)에 따르면 성서는 이스라엘 신앙공동

체가 후손들에게 행한 신앙교육의 기록이다.41) 이와 같은 성격의 성서

에 대해 성서교육의 입장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이 성서의 내용이 학

습자의 신앙성장에 유익한가이다. 그랬을 때, 우리는 성서가 ‘그렇

다’고 대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서는 율법서, 예언서, 그리고

성문서로 구성되어 있는데, 브루지만에 따르면 각 분류의 책은 각각

에토스(ethos), 언약과 현실 사이에서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의 애증

적 갈등인 파토스(pathos), 그리고 로고스(logos)와 상응한다. 여기서

공동체의 성격에 대한 규정적 진술인 에토스는 신앙의 지적인 차원,

파토스는 신앙의 정서적 차원, 그리고 인생의 의미와 질서, 신념이 삶

의 형식으로 표현된 로고스는 신앙의 행위적 차원과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신앙의 성장을 위한 성서교육의 내용은 이 에토스, 파토스, 그

리고 로고스적 성격을 가진 성서 전체를 포함한 것이어야 한다. 물론

인간 발달을 고려할 때, 에토스적 토라는 아동, 파토스적 예언서는 청

소년, 그리고 로고스적 성문서는 성인에게 더 부합되는 내용으로 볼

수도 있다.

40) Groom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103-106; John H. Westerhoff III, Will OurChildren Have Faith?, 정웅섭 역, 『교회의 신앙교육』(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3), 89.

41) Walter Brueggemann, The Creative Word: Canon as a Model for Biblical Education,김도일․강성열 역, 『기독교 교육: 월터 브르거만의 창조적인 말씀을 통한』(서울: 한들,

1999).

271

2. 학습자의 발달에 맞는 내용

성서내용 전체가 학습자에게 교육 가능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 적

확성 면에서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학습자의 발달에 맞

는 내용의 예를 일부 살펴보자.

1) 아동42)

성서에 나오는 개념 중에는 아동이 파악하기 어려운 한자어와 종교적

용어 등이 있다. 또한 신약성서의 경우에는 단어는 현대적 어휘라 하

더라도 비유나 상징적 표현, 심지어 추상적 개념은 이해하기 힘들 것

이다. 예를 들면, 성경에 등장하는 한자어(창공, 형상, 인자, 반석,

서원, 경솔히, 증거, 수난 등), 종교적 언어(안식일, 랍비, 선지자,

번제, 구원, 속죄, 성령, 은혜, 영생, 은혜의 해, 임마누엘, 할렐루

야, 아멘 등), 추상적 개념(천국, 천부, 사랑, 용서, 하늘, 등), 은

유적 개념(겨자씨, 소금, 빛, 길 등), 문화적 개념(달란트, 발 씻기

기, 어부 등) 등이다.43) 이와 같은 성서내용의 난해성으로부터 아동의

발달에 필요한 성서내용의 선정이 요구된다.

① 취학전

하나님의 사랑과 돌봄에 대한 이야기(예를 들어, 창1장의 이야기, 막

10:13-16의 예수와 어린이 이야기, 확신과 감사 구절[예를 들어, 시

56:3; 145:10])44)

한편 로우랜드(Beth Rowland) 등은 취학전 아동이 배워야할 내용

을, 하나님이 멋지게 만드심(창 1:1-2:3); 비가 내리고 홍수가 남(창

6:9-9:17); 들은 것을 행한 모세(출 3:1-12:51); 소년과 거인(삼상

17:1-52); 자기 백성을 섬긴 왕비(에 1:1-8:17); 용감한 세 남자와 악

한 왕(단 3:1-30);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심(눅 2:1-20); 거칠고 무

42) Weber, "The Bible in Religious Education", 63.

43) 손삼권, “성경 읽기의 차원에서 본 어린이 성경 번역”, 『성경원문연구』6 (서울: 대한

성서공회, 2000), 100.

44) Hans-Ruedi Weber, "The Bible in Religious Education", 63.

272 복음과 교육 제3집

서운 승선(막 4:35-41); 결코 작지 않은(막 10:13-16); 선한 이웃(눅

10:25-37); 잃고 찾기(눅 15;1-7); 위대하고 큰 소풍(요 6:1-14); 다

시 사심!(막 15:12; 막 16:1-13)45)

그리고 자렐(Jane C. Jarrell) 등은 하나님이 동물들을 만드심(창

1), 하나님이 사람을 만드심(창 2), 노아와 방주(창 6-8), 바벨탑(창

11), 아브람과 사래가 하나님을 따름(창 16), 요셉과 그의 옷( 아마존

검색하여 채울 것46)

② 학령기47)

․유년부/ 사람들 이야기(예를 들어, 창 37장의 요셉, 삼상 16:1-23의

다윗, 막 1:16-20의 제자들의 부름, 행 1:16-20의 루디아); 확신과 감

사의 구절들(예를 들어, 시 100; 121)

․초등부/ 이어지는 이야기들(예를 들어, 모세의 사람들과 이스라엘 백

성, 또는 예수 생애의 이야기들); 시편에서 더(예를 들어, 시 136,

150)

한편, 아동은 성서의 내용을 자기중심적 혹은 자폐증적으로 이해하므

로 아동에게 제공되는 성서의 내용은 아동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범

위의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골드만(Ronald Goldman)은 아동에게

교육 가능한 성서내용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1) 초기 아동기(5-7세)

이 단계의 아동에게 행할 수 있는 종교 교육의 범위는 기본적인 욕구

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성서나 기독교의 지식을 제공하려고 해서는

안 되며, 관계와 영향에 의해서 학습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 단

계의 어린이들 스스로 질문하고 연구하도록 자극을 주며 성취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48) 그들은 부모를 하나님으로 생각하는

45) Beth Rowland Wolf and Bonnie Temple, First & Favorite Bible Lessonsfor Preschoolers (Group Publishing, 1996).

46) Jane C. Jarrell and Deborah Saathoff, Incredible Edible Bible Story Fun forPreschoolers (Group Publishing, 1999).

47) Weber, "The Bible in Religious Education", 63.

48) Ronald Goldman, Readiness for Religion: A Basis for Developmental ReligiousEducation (New York: Seabury Press, 1974), 90.

273

경향이 짙다. 부모의 모습에서 종교적 언어를 찾고 사용한다. 이들을

위한 교수 내용은 거의 “생활 중심”으로 전개되고, 중심 되는 주제

는 다음과 같다.

죽음과 생명, 크리스마스나 추수감사절, 예배 참여, 아동의 욕구, 즉

안전에 대한 욕구, 환상에 대한 욕구, 재미를 가지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내용을 가져야 할 것이다.

2) 유년기(7-11세)

유년기는 신체가 발달하는 단계로써 구체적인 조작으로 사고가 가능하

며, 다소 논리적이어서 한 가지 사고와 연관시켜서 사고를 하게 된다.

그들은 유물론적이고 물질적인 접근이 강하며, 타인에 의한 충동이나

욕망의 영향이 강하게 일어난다. 타인과 권위를 의식하며, 이들의 언

어에 의해 행동이 좌우되기도 한다. 이들을 위한 성경의 범위는 다음

과 같다.

① 초기

가정, 친구, 애완동물, 우리를 돕는 사람, 목자와 양, 손, 다리, 옷,

조반 식사, 시간, 씨앗, 생일 파티 등 생활 내용으로 아동을 만나고

도와주는 새로운 것들, 그리고 주는 것과 받는 것, 양(양치기, 양의

하루, 선한 목자 등).

② 후기

가정과 관련된 내용(예수님의 가정, 유목민, 피난민, 룻의 가정 등),

방학, 노래, 음악, 시, 우유, 불, 선물, 빵, 4계절, 여행, 처음과 나

중 등 감정적이고 육체적인 내용 등

3) 후기 아동기와 전청소년기(11-13세)

이 단계의 아동은 영웅들의 이야기를 좋아하며, 취미 활동에 관심을

가진다. 사회적으로 자기 또래를 형성하며, 부모보다 친구관계를 중요

시하며, 미지의 세계에 대한 탐구의욕이 강하다. 또한 종교적 환상이

사라지고, 의인적 관념으로 하나님을 이해한다. 단어 구사 능력이 굉

장히 발달하며, 사고는 구체적이며 항상 사실과 관련시켜서 사고한다.

274 복음과 교육 제3집

이러한 아동을 위한 성경 주제는 다음과 같다.

① 생활 중심 주제

나 자신, 창조, 빛, 물, 소리, 공기, 법과 질서, 이름, 이야기 등

② 종교적․성서 중심 주제

성경의 본질, 예수님의 생애와 교훈

그러나 발달단계에 맞는 내용만 가르쳐서는 신앙의 성장을 기약할

수 없다. 신앙 성장을 하나의 연속적 발달 단계로 볼 경우, 상위 단계

로의 전이는 하위 단계의 내용과의 갈등으로부터 촉발된다. 따라서 신

앙의 성장을 위해서는 현 발달단계의 수준보다 조금 높은 수준의 내용

을 제시할 필요도 있다.

2) 청소년49)

① 중등

예언서 일부(예를 들어, 사 6; 렘 36); 복음서와 사도행전 전체; 시편

전체

② 고등

고등부/ 성서의 주제와 사상과 관련된 구절들(예를 들어, 신 5-6장에

나타난 언약 주제, 누가복음에서 복음의 개념, 그리고 빌립보서와 빌

레몬서에서 교회의 개념)

3) 성인50)

(잠언과 같은) 지혜문학을 포함한 성서 전체, 예언서, 서신서, 그리고

(다니엘과 계시록과 같은) 묵시문학

4) 노년

삶과 죽음, 세대와의 연대 문제, 은퇴, 소외, 외로움(홀로 되었거나

가족이 없는 노인들) 등과 관련된 성서 내용.

49) Weber, "The Bible in Religious Education", 63.

50) Ibid.

275

V. 나가는 글

우리는 이상에서 성서교육에서 어떤 내용을 다루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 성서교육의 텍스트라고 할 수 있는 성서 자체에 대해서, 그리고

성서교육 내용의 일반적 선정 기준과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

서교육의 주 대상인 아동을 중심으로 볼 때, 성서는 이야기 성서, 발

췌성서, 그리고 성경전서의 유형이 있다. 이야기 성서와 발췌성서는

저자의 주관이 개입될 소지가 많아 교회학교 등에서 교육용으로 사용

하기 어렵다. 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성경전서로는 <새번역>이 있

다. 통전적 인식을 위해서는 일러스트레이션 성서를 사용할 수 있다.

성서내용 선정의 일반적 기준은 중요성, 타당성, 유용성, 학습 가능

성, 그리고 사회적 관련성 등이다. 성서교육의 내용은 중요성 면에서

성서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것, 타당성 면에서 성서교육의 내용

은 목적의 내․외재적 차원에 부합되는 것, 유용성 면에서 학습자의 현

재의 문제 해결과 미래의 준비를 위한 것, 학습 가능성 면에서 학습자

의 인지․도덕․종교적 사고 발달에 적합한 것, 그리고 사회적 관련성 면

에서 하나님의 나라 건설을 위한 것이 선정되어야 한다. 이 모든 성서

교육 내용 선정의 기준은 마지막으로 신앙의 성장을 위한 것인지, 그

리고 학습자의 발달에 적합한 지로 요약될 수 있다.

성서교육의 내용에 관한 이 글에서 아쉬운 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성서교육과 관련된 교육의 내용이다. 이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먼

저 성서교육의 목적이 무엇인지 언급되어야 하는데, 이 글에서 이 문

제까지 다루는 것은 이 글의 성격과 범위를 벗어난다. 따라서 성서교

육의 목적과 관련된 교육의 내용은 다른 지면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성서교육에서 성서의 내용에 대한 이상의 논의는 좀 더 구체화될 필

요가 있다. 교재의 경우에만 보더라도 학습자들을 고려했다고 하더라

도 그 내용은 저자의 신학적 경향 등에 의해 큰 차이를 드러내고 있

다. 따라서 일반적 의미에서 성서교육의 내용을 물을 때 대부분이 수

용할 수 있는 답변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성서교육에서

276 복음과 교육 제3집

앞으로의 과제 중의 하나는 학습자의 신앙 성장을 추구하고 발달을 고

려한 보다 일반적인 내용의 제시이다. 이 글은 이 같은 과제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77

참고문헌

김수천. “교육내용과 방법의 관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敎育學 대백과사전』. 춘천: 하우동설, 1998. 577-84.

______. “서양의 교육과정사 연구: 삶과 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원대 교육연구소.「교육연구」3 .1993. 92-107.

김영래.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새번역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활용

의 인식론적 고찰: 문자 이해에서 이미지 경험으로”.『성경원

문연구』17.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5. 7-24.

손삼권. “성경 읽기의 차원에서 본 어린이 성경 번역”. 『성경원문연

구』6.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0. 88-104.

______. “어린이 성경의 번역과 편집의 방향”. 『성경원문연구』6. 서

울: 대한성서공회, 2000. 134-47.

심정택 외. “지금까지 나온 어린이 성경”. 『성경원문연구』6. 서울: 대

한성서공회, 2000. 112-26.

임동원. “어린이 성경 번역에 있어서 발췌 본문에 대한 연구”.『성경원

문연구』6.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0. 7-27.

전성연.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敎育

學 대백과사전』. 춘천: 하우동설, 1998. 584-89.

Bechtel, Carol M. “Teaching the ‘Strange New World' of the Bible".

Interpretation 56:4 (Oct 2002): 368-77.

Bobbit, F. How to Make a Curriculum. Boston: Houghton-Mifflin, 1924.

Broudy, H. S., Smith, B. O. and Burnett, J. R. Democracy and

Excellence in American Secondary Education: A Study in

Curriculum Theory. Chicago: Rand McNally, 1964.

Brueggemann, Walter. The Creative Word: Canon as a Model for Biblical

Education. 김도일․강성열 역.『기독교 교육: 월터 브르거만의 창

조적인 말씀을 통한』. 서울: 한들, 1999.

Bruner, Jerome S. The Process of Education. 이홍우 역.『교육의 과

정』. 서울: 배영사, 1997.

Bullmore, Michael A. “The Four Most Important Biblical Passages for

278 복음과 교육 제3집

a Christian Enviromentalism". Trinity Journal 19:2 (Fall

1998): 139-62.

Carlgren, Frans. Education Towards Freedom. East Grinstead, England:

Lanthorn Press, 1993.

Caswell, H. L. and Campbell, D. S. Curriculum Development. New York:

American Book Company, 1935.

Elkind, D. "The Child's Conception of His Religious Domination: (1)

The Jewish Child".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99 (1961): 649-659.

_________. "The Child's Conception of His Religious Domination: (2)

The Catholic Child".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1

(1962): 185-193.

_________. The Child's Conception of His Religious Domination: (3)

The Protestant Child,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3

(1963): 291-304.

_________., Long, D. and Spilka, B. “The Child's Conception of

Prayer”.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6

(1967): 101-109.

Fowler, J. W. “Toward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Faith".

Religious Education 69. 1974. 207-219.

_____________. "Faith and the Structuring of Meaning". Brusselmans,

C. ed.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Morristown, NJ:

Silver Burdert Company, 1980.

_____________. Stages of Faith (San Francisco: Harper ami Row, 1981.

_____________. "Stages in Faith Consciousnes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2. 1991. 27-45.

Gold, Penny Schine. Making the Bible Modern: Children's Bibles and

Jewish Education in Twentieth-Century America.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Goldman, Ronald. Religious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64.

_________________. Readiness for Religion: A Basis for Developmental

Religious Education. New York: Seabury Press, 1974,

Gopnik, A. and Wellman, H. M. "The Theory Theory", L. A. Hirschfeld,

279

ed., Mapping the Mind: Domain specificity in Cognition and

Cultur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__________., Meltzoff, A. N. and Kuhl, Patricia K. The Scientist in

the Crib: Minds, Brains, and How Children Learn. New York:

William Morrow, 1999.

Gottlieb, Eli. “Development of Religious Thinking". Religious

Education 101:2 (Spring 2006): 242-60.

Groome, Thomas H.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haring Our Story

and Vision. 이기문 역.『기독교적 종교교육』. 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총회교육부, 1980.

Hirst, P. "The Contribution of Philosophy to the Study of

Curriculum". J. Kerr, ed. Changing the Curriculum . London:

University of London Press, 1968.

Hyman, R. Approaches in Curriculum. New Jersey: Prentice-Hall, 1973.

Inhelder, B. and Piaget, J.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New York: Basic Books, 1958.

Jarrell, Jane C. and Saathoff, Deborah. Incredible Edible Bible Story

Fun for Preschoolers. Group Publishing, 1999.

Kohlberg, L. "From Is to Ought: How to Commit the Naturalistic

Fallacy and Get Away with it in the Study of Moral

Development". Mischel, T. ed. Cognitive Development and

Epistemology . New York: Academic Press, 1971.

Marino, Joseph S. ed. Biblical Themes in Religious Education.

Birmingham, Alabama: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3.

Metzger, Bruce M. and Coogan, Michael D.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Miller, Randolph C. Biblical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6.

Oser, F. K. "Stages of Religious Judgment". Bnisselmans, C. ed.

Toward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Morristown, NJ: Silver

Burdett Company, 1980.

___________. and Gmunder, Paul. Religions Judgemen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Birmingham, Alabama: Religious Education Press,

280 복음과 교육 제3집

1991.

Parker, J. S. and Rubin, L. J. Process as Content. New York: Rand

McNally, 1966.

Peters, Richard S. Ethics and Education Peters. 이홍우․조영태 공역.

『윤리학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003.

Phenix, P. H. Realms of Meaning: A Philosophy of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1964.

Rogerson, John. Theory and Practice in Old Testament Ethics.

London/New York: Clark, 2004.

Saylor, J. G. and Alexander, W. M. Curriculum Planning for Modern

School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66.

Taba, Hilda.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이경섭 외

공역.『교육과정론』. 서울: 형설출판사 1982.

Tyler, L. L. "Learning Experiences". Husen, T. and Postlethwaite, T.

N. ed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5. New

York: Pergamon Press, 1949.

Weber, Hans-Ruedi. "The Bible in Religious Education". Cully, Iris V.

and Cully, Kendig Brubaker. eds. Harper’s Encyclopedia of

Religious Education. San Francisco: Harper & Row, 1990.

62-64.

Westerhoff III, John H.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정웅섭 역.『교

회의 신앙교육』.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3.

Wolf, Beth Rowland and Temple, Bonnie. First & Favorite Bible Lessons

for Preschoolers. Group Publishing, 1996.

Woolley, J. D. and Phelps, K. 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Beliefs about Prayer". Journal of Culture and Cognition 1:2.

2001. 139-166.

Zeph, Catherine P. “Turning the Kaleidoscope: The Adult Religious

Educator as Learning Consultant". Religious Education 94:3

(Summer 1999): 345-53.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http://www.bskorea.or.kr

281

A Study on Selecting Content for Teaching the

Bible

Park, Jong-Seok

Assistant Professor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Bucheon, Korea

It is important to select content for teaching the Bible.

Improper content will make the Bible education improper. To know

how to deal content for the Bible education, this article

observes the Bible itself as text, general standards for choosing

of the Bible content, and characters of teaching the Bible. There

are story Bible, excerpt Bible, and complete Bible in view of

children who are learners of the Bible. It is not proper good to

use the story Bible and the excerpt Bible for education because

of intervention of writers' subjectivities. <Revised new korean

standard version> is recommended for teaching the Bible. The

illustration Bible is appropriated for the whole understanding.

general standards for choosing of the Bible content are

significance, validity, availability, possibility for learning,

and relevance to society.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things in view of significance, coincidence with inward-outward

dimensions of objective in view of validity, ones for solving

students' present problem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in view

of availability, compatible ones for learners' mental, moral,

religious thinking development in view of possibility for

282 복음과 교육 제3집

주제어:

이야기 성서, 발췌 성서, 일러스트레이션 성서, 교육내용

선정 기준, 신앙의 성장, 학습자의 발달

(Story Bible, Excerpt Bible, Illustration Bible, Standards

for Selection of the Bible Content, Growth of Faith,

Development of Learner.)

learning, and on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view of relevance to society must be selected for the content of

the Bible. The final criteria for selecting the content of the

Bible are one for the growth of faith and conformity for the

development of lear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