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139

Upload: others

Post on 06-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Page 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연구홍수재해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in Seoul

- Focusing on Flood -

시 정 연2006-R-37

Page 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연구책임 이 창 희 디지털도시부 부연구위원•이 석 민 디지털도시부 연구위원•

연 구 원 여 창 건 디지털도시부 위촉연구원•자문위원 가나다 순( )

강 옥 륜 소방방재청 사무관•김 근 영 강남대학교 교수•김 영 호 주 웨텍 상무이사( )•김 현 주 소방방재청 방재연구소 연구관•심 우 배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안 재 현 서경대학교 교수•이 종 석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선임연구원•

Page 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i

연구의 개요.Ⅰ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배경1)

대규모 재난발생 위험성에 따른 대책 필요○

서울시에서는 인구와 건축물을 포함한 각종 시설물 등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엄청난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재난에 대한 사후처리뿐 아니라 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

고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함.

지역안전도 평가 도입의 필요성○

지역안전도는 재난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관리와 위험요인에 대한 대책-

을 마련하기 위해서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재난의 발생가능성과 재난

으로 인한 피해의 가능성을 평가함으로써 재난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할

수 있고 재난발생시 대응 및 피난계획 수립으로의 활용뿐만 아니라 안

전을 고려한 방재도시 구축과 재난관리 행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됨.

서울시 특성을 고려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현재까지 지역안전도에 대한 연구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나- ,

라별 도시별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표준화된 평가기법 및 지표가,

개발되지 못한 여지가 있다 따라서 도시화가 집중되어 있는 서울시 특.

성을 고려한 지역안전도 모형개발 연구가 필요함.

Page 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ii

목적2)

본 연구는 자연재난 중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지역적 특성이 반○

영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함.

지역안전도 개념을 정립하고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을 위하여 평가- ,

인자와 평가방법을 검토

서울시 위험지역 및 취약지역을 파악하여 재난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 ,

등 중장기 재난저감 대책 수립하고 서울시 풍수해저감 종합계획 수립이,

나 재난보험제도 도입 등에 활용,

연구결과2.

주요연구내용

세부 내용 산 출 물

국내 외․사례조사

국내 외 사례조사 및 시사점 도출• ․지역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본방안 제시•

-국외사례 미국 일본 유럽: , ,국내사례 소방방재청- : ,국토연구원 수자원공사,

서울시홍수피해자료 조사

서울시 지역별 홍수피해현황 조사•서울시 홍수피해 원인분석•서울시 홍수피해 위험증가 요인•

홍수피해 주요인자-

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홍수재해 위험•인자의 선별홍수재해 자료를 이용한 구역별 정성적•안전도 평가 방안지표의 계량화 및 표준화-설문조사를 통한 인자별 가중치-

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GIS-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지역안전도평가의 시범적용 중랑천 유역( )•

평가모형-평가기준 및 인자-평가방법-

결론 및정책건의

지역안전도 평가기법의 활용방안•관련 법령 검토 및 개선방안•서울시 추진방향 및 발전방향•

활용방안-

Page 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iii

지역안전도의 기본 개념1)

안전도 평가는 위험성에 저감요소를 고려하여 지역의 안전 수준을 평가○

하는 것임.

서울시 풍수해 현황 및 특성분석2)

현황○

서울지역의 최근 년간 홍수 피해액은 년도 약 억원 년- 10 ‘98 514 , ’01

도 약 억원 년 억원의 순으로 나타남219 , ‘99 105 .

최근 년간 구청별 홍수피해 발생회수로는 중랑구 성북구 노원구- 10 , , ,

서초구의 피해 발생이 회로 많았으며 평균 피해액은 관악구가 가장2 ,

크며 중랑구 강북구 순으로 발생하였음.

원인○

서울시 홍수피해의 주요원인은 하수관 역류 및 단면부족 노면수 유입- , ,

저지대 침수 및 배수시설 불량 등 내수침수에 의한 피해가 주요원인으

로 나타났음.

구 분 주요원인

자연적 요인

설계빈도 이상의 호우■고지배수의 저지대 집중 유입■개발로 인한 불투수율의 증가로 인한 홍수량 증대■지역의 평균경사의 변화■

사회적 요인하천변 지지대에 인구 집중■산업화로 인한 자산집중 및 증가로 홍수피해액 증가■사회기반시설의 침수로 인한 도시마비■

시설적 요인

노면 우수배제 시설 불량■빗물펌프장 및 유수지 용량부족■외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배제 불량■하수관거에 의한 침수■산사태 및 토사유출■하천 범람에 의한 침수■반지하 가옥하구 역류 방지 시설 미설치■

Page 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iv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기법 개발3)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 개발 절차< >

지역안전도 평가인자 선정

평가인자의 계량화 및 표준화 방안 결정

평가인자의 가중치 산정

각 요소별 평가 모형 개발

• 홍수피해 주요원인 분석

• 인자선정 원칙

• 자료의 구득 용이성

• 계량화- 주관적 평가 접근법

- 비용편익 평가

- 종합적 평가법

• 표준화- 표준치 적용법

- 순위적용법

- 기준치 비율 적용법

- 상한치 내 전이법

• 홍수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학계, 국공립기관, 설계회사 등

• 자료수집 및 GIS와의 연계

• 표준화 및 계량화

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 각 요소별 평가결과의 중첩

• 종합안전도 평가 방안 제시

• 풍수해 저감종합계획과의 연계방안

평가인자의 선정 및 자료변환○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요인별 인자는 홍수피해 원인 조사 자료를 토-

대로 인자선정 원칙과 자료의 구득용이성을 검토하여 선정

점수법과 점수법을 이용하여 자료의 표준화- Z T

평가인자의 가중치 산정○

학계 연구소 기업체 국가기관 종사자 중 하천 및 방재 분야 도시계- , , , ,

획 기상 등의 전문가에게 조사를 실시하여 인자별 가중치 산정,

안전도 평가인자 및 각 인자별 가중치< >

위험성(0.56) 저감성(0.44)

자연적요인(0.27)

과거피해요인(0.14)

사회적요인(0.15)

시설적 요인(0.30)

행정적요인(0.14)

강우량 불투수비율 저지대 침수

면적홍수피해액

인구밀도

자산밀도

SOC밀집

외수방어

내수방어

홍수조절

저감능력점수

0.12 0.07 0.07 0.07 0.07 0.06 0.05 0.04 0.10 0.10 0.10 0.14

Page 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v

안전도 평가모형의 개발○

을 이용하여 인자별 평가결과의 가중 합을 통한 중첩으로 위- GIS tool

험성과 저감성 요소별 평가

평가된 동별 위험성과 저감성 요소를 통합하여 단계 등급으로 나눈- 5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개발

지역안전도 평가 과정< >

레이어 중첩/intersect

인자별 표준화 데이터 구축(구, 행정동, 법정동, thissen망) 요소별 평가

•동별 합산 형가•가중치 부여•동별 면적평균점수 계산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

•위험요소와 저감요소 고려•최종 5단계 평가등급 부여

위험성 요소

저감성 요소

안전도 평가모형의 적용○

각 세부항목 별 계량화 및 표준화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랑천 유역에 대-

해서 시범적용을 실시

위험성지수 자연적요인 과거피해요인 사회적요인저감성지수 시설적요인 행정적요인

여기서, , , , , 는 계수이며 가중치 산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

Page 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vi

요소별 평가결과< >

(a) (b)

안전도 평가를 위한 안전도 지수는 위험성과 저감성에 대한 다음 선형 관계

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안전도 지수 위험성 지수 저감성 지수 (4.13)

여기서, , 안전도 지수의 선형 계수:

상수:

Page 1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vii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의 적용결과< >

정책건의5.

활용방안1)

도시계획 및 지역안전도 평가 주요시설의 배치 건물 최소 지반고 지정: ,○

및 성토고 지정 위험지역 집단이주 배수시설정비 토지이용규제 비상대, , , ,

피 계획 등의 기초자료 제공

풍수해보험과 지역안전도 평가 풍수해보험의 요율 결정 및 풍수해보:○ 「

험관리지도 제작의 기초 자료로 활용」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지역안전도 평가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 풍:○

수해 유형별 재해위험도 분석의 정성적 평가에 대한 기본 자료 제공

Page 1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viii

정책건의2)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시민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함.

하천제방 및 배수관거 위주의 구조적 대책뿐만 아니라 저류지 투수성포,○

장설치 지하공간침수방지시설 설치 등 다양한 수방대책 마련이 필요

홍수지도 침수흔적도 침수예상도 홍수대피지도 를 작성 보급하고 예경( , , ) ,○

보시스템 확충 풍수해보험 실시 등의 비구조적인 홍수대책을 활성화,

홍수에 대한 사회적 인신의 전환이 필요하며 계획규모이상의 호우가 발,○

생했을 경우 홍수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홍보하여 시민참여형 홍수방

어대책을 수립

Page 1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요약 및 정책건의

제 장 연구개요1 ·······························································································3

제 절 연구배경 및 목적1 ··············································································3

연구배경1. ······························································································3

연구목적2. ······························································································4

제 절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체계2 ·······························································4

연구범위 및 주요 연구내용1. ·································································4

연구방법 및 연구 수행체계2. ·································································6

제 장 지역안전도평가의 정의 및 관련연구2 ···················································11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의 기본 개념1 ·························································11

안전도와 위험도의 관계1. ····································································11

안전도 평가와 지역위험도 평가의 관계2. ············································11

제 절 국외사례2 ··························································································15

미국의 홍수재해에 관한 위험도 평가 사례1. ·······································15

일본의 지진피해에 관한 위험도 평가 사례2. ·······································19

기타 연구사례3. ···················································································21

제 절 국내사례3 ··························································································23

홍수피해잠재능 건설교통부1. ( , 2001) ···············································23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연구 소방방재청2. ( 2005) ····················26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3. (

2005) ·······························································································29

Page 1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제 절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4 ․ ·····················································31

국외 사례1. ························································································31

국내 사례2. ··························································································32

제 장 서울시 풍수해 현황 및 특성분석3 ······················································37

제 절 서울시 홍수피해 현황1 ·····································································37

서울시 홍수피해 현황1. ·······································································37

서울시 홍수피해액2. ············································································38

제 절 홍수피해 위험증가 요인2 ··································································42

일반적 홍수피해 주요 원인1. ·······························································42

서울시 홍수피해 원인2. ·······································································44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서울시 홍수피해위험 증가 요인3. ·················46

제 장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4 ······················································57

제 절 평가인자의 선정 및 자료변환1 ·························································58

지역안전도 평가인자의 선정1. ·····························································58

평가인자의 계량화 및 표준화 방안2. ···················································60

평가인자의 가중치 산정3. ····································································64

제 절 요소별 평가모형 개발2 ·····································································67

공간 단위의 결정1. ··············································································67

인자별 자료 구축 방안2. ······································································67

요소별 평가3. ·······················································································81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4. ·································································82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적용3 ·······························································87

1. 자료의 계량화 및 표준화··································································87

2. 인자 선정의 적절성 검증··································································89

3. 요소별 평가 적용··············································································94

Page 1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의 활용4 ································································102

지역안전도 평가와 도시계획1. ···························································102

지구단위 치수대책 수립과 지역안전도평가2. ·····································103

풍수해보험과 지역안전도 평가3. ························································103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지역안전도 평가4. ··········································104

제 장 결론 및 정책건의5 ·············································································109

제 절 결론1 ······························································································109

제 절 정책건의2 ························································································111

참고문헌········································································································117

부록···············································································································123

Page 1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표 주요 연구 내용< 1-1> ····················································································5

표 위험도 평가의 정의< 2-1> ········································································13

표 평가 항목< 2-2> CRS ·················································································16

표 홍수피해잠재능의 그룹별 치수 방향< 2-3> ···············································25

표 소방방재청 지역안전도 평가인자< 2-4> ·····················································27

표 홍수피해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및 대표 인자< 2-5> ··························30

표 국외사례 특징< 2-6> ···················································································31

표 국내 관련연구 특징 및 평가 방법 비교< 2-7> ··········································32

표 도시지역 홍수재해특성인자 반영여부< 2-8> ·············································33

표 국내 관련연구 한계점< 2-9> ·······································································34

표 최근 년간 서울시 연도별 홍수피해 현황 년< 3-1> 10 (1995 2004 )~ ·······38

표 최근 년간 구청별 피해발생 현황 년 년< 3-2> 10 (1995 2004 )~ ················41

표 홍수피해 영향 인자 및 발생원인< 3-3> ···················································42

표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 3-4> ···············································43

표 서울시 침수원인별 지역수< 3-5> ·······························································44

표 주요지점별 침수사례 및 침수원인< 3-6> ···················································45

표 서울시 홍수피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인자< 3-7> ·······························46

표 서울시 인구증가 추이< 3-8> ·······································································51

표 서울시 수해원인별 침수피해 현황< 3-9> ···················································52

표 위험성과 저감성 그리고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 ············58

표 요인별 대표인자의 선정< 4-2> ···································································59

표 홍수피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인자< 4-3> ··········································60

표 계량화 방법별 장단점< 4-4> ‧ ······································································61

표 표준화 방법별 장단점< 4-5> ‧ ······································································63

Page 1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표 가중치 산정방법별 장단점< 4-6> ‧ ·······························································64

표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자의 현장실무경력 현황< 4-7> ·······························65

표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자의 관련 직종 현황< 4-8> ····································65

표 설문조사 결과 각 인자별 가중치< 4-9> ( ) ·················································66

표 인자별 구득 가능 공간단위< 4-10> ···························································68

표 주요지천 합류부의 한강계획홍수위 년 빈도< 4-11> (200 ) ························71

표 소방방재청 풍수해분야 재난피해저감능력 진단점수 항목 및 배점< 4-12>

80

표 등급구간의 분류방법< 4-13> ······································································83

표 오차지수 산정절차< 4-14> ··········································································86

표 각 요소별 상관관계< 4-15> ······································································91

표 요인분석결과< 4-16> ·················································································93

표 분류법에 따른 오차지수 산정< 4-17> ························································98

Page 1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그림 연구 추진 절차< 1-1> ················································································8

그림 안전도 평가 개념< 2-1> ··········································································14

그림 의 위험도 산정 절차< 2-2> Understand Your Risks ···························17

그림 홍수피해산정 모듈의 구성도< 2-3> HAZUS ·········································18

그림 적용 화면< 2-4> RVAT (NOAA, 2006) ··············································18

그림 일본의 지진에 대한 종합위험도 작성 예< 2-5> ····································20

그림 의 취약도 산정과정< 2-6> ESPON ··························································22

그림 홍수피해 잠재능의 평가요소 및 방법< 2-7> ··········································24

그림 치수단위구역별 의 그룹화< 2-8> PFD ····················································25

그림 소방방재청 지역안전도 평가 절차< 2-9> ···············································27

그림 소방방재청 지역안전도 평가 통합지수 산정< 2-10> ·····························28

그림 침수피해주택관리대장에 의한 침수흔적도 년< 3-1> (98~03 ) ················37

그림 연도별 서울시 홍수 피해액의 비교도 년< 3-2> (1995 2004 )~ ·············39

그림 서울시 연도별 사망 및 이재민 피해 현황< 3-3> ···································39

그림 서울시 분야별 연도별 피해액 현황< 3-4> - ············································40

그림 최근 년간 구청별 평균 피해액< 3-5> 10 ················································41

그림 연도별 강수량 변화< 3-6> ·······································································47

그림 과거 년간 및 최근 년간 평균 월 강수량< 3-7> 10 10 ···························48

그림 홍수기와 비홍수기 강수량 비교 단위< 3-8> ( : mm)·····························48

그림 유출수문곡선의 도시화의 영향< 3-9> ·····················································49

그림 서울시 연도별 불투수 면적율 변화< 3-10> ···········································50

그림 서울시 인구변화 추이< 3-11> ·································································51

그림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 개발 순서< 4-1> ·················································57

그림 설문조사 결과 각 요인별 가중치< 4-2> ( ) ·············································66

Page 1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그림 지역안전도평가의 지자체별 평가순서< 4-3> ··········································67

그림 서울시 강우관측소 및 분할 현황< 4-4> Thiessen ·······························69

그림 강우량에 대한 위험정도 산정 절차< 4-5> ·············································70

그림 서울시 토지이용현황도< 4-6> ·································································70

그림 지역별 불투수비율 산정 절차< 4-7> ······················································71

그림 한강 계획홍수위 이하 저지대 현황< 4-8> ·············································72

그림 저지대비율 산정 절차< 4-9> ···································································72

그림 침수면적비 산정 절차< 4-10> ·································································73

그림 홍수 피해액밀도 산정 절차< 4-11> ························································73

그림 지역별 인구밀도 산정 절차< 4-12> ························································74

그림 지역별 자산밀도 산정 절차< 4-13> ························································74

그림 서울시 도로 및 지하철 철도 현황< 4-14> ·············································75

그림 지역별 사회간접시설밀도 산정 절차< 4-15> ·········································75

그림 지역별 외수방어능력 산정 절차< 4-16> ·················································76

그림 서울시 하수관망 현황< 4-17> ·································································77

그림 지역별 내수방어능력 산정 절차< 4-18> ·················································77

그림 서울시 빗물펌프장 현황< 4-19> ·····························································78

그림 지역별 홍수조절율 산정 절차< 4-20> ····················································78

그림 행정적 요인 산정 절차< 4-21> ·······························································79

그림 요소별 평가 방법 절차< 4-22> ·······························································81

그림 인자별 점수< 4-23> Z ·············································································88

그림 스크리 도표를 이용한 요인수 검증< 4-24> ···········································92

그림 자연적 요인 주요인자 수행결과< 4-25> ·················································94

그림 과거피해 요인 주요인자 수행결과< 4-26> ·············································95

그림 사회적 요인 주요인자 수행결과< 4-27> ·················································95

그림 시설적 요인 주요인자 수행결과< 4-28> ·················································95

그림 주요 요인별 수행결과< 4-29> ·································································96

그림 요소별 평가결과< 4-30> ··········································································97

그림 각 등급분류법에 따른 지역안전도평가 등급설정< 4-31> ······················99

Page 1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그림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의 적용결과< 4-32> ············································100

그림 투자대비 홍수피해 예측결과 김원 등< 4-33> ( , 2006) ······················101

그림 도시계획 시 지역안전도 평가 적용< 4-34> ·········································102

그림 지역안전도평가에 의한 공간계획< 4-35> ············································102

그림 지구단위별 치수계획의 도입 시 지역안전도 평가의 적용< 4-36> ·····103

그림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과정< 4-37> ················································104

그림 지역안전도평가와 풍수해저감 종합계획과의 관계< 4-38> ·················105

Page 2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제 절 연구배경 및 목적1

제 절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체계2

제 장 연구의 개요Ⅰ

Page 2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

제 절 연구배경 및 목적1

연구배경1.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태풍 및 홍수 한파 설해 등 자연, ,

재난의 피해발생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강우 패턴이 과거와.

달라지고 극한 호우의 발생가능성이 증가함으로써 홍수시 피해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구와 경제가 집중된 서울시에 대규모 홍수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

심각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매년 증가하는 홍수재해에 대하여 사후 복구 중심의 후진적 풍수해 대책에

서 첨단 정보화기술 등을 접목한 예측예방과 대응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나 예산․의 한계로 인하여 선택과 집중의 문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재난에 대한 사후.

처리뿐 아니라 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국가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풍수해대책사업을 위하여 자연.

재해대책법을 개정하여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하도록 하고 있다.

자연재해대책법 개정 안에 의하면 서울특별시장은 지역안전도평(2005.8.4) ,

가 특히 풍수해 에 의한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을 매 년마다 수립하여 행정( ) 5「 」

자치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시행 법제 조제 항 및 제 조 하여야 하며 이를 위( 2 5 16 ) ,

해서는 지역 안전도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역안전도평가는 위험지역의 사전파악을 통하여 치수방재사업의 우선순위

를 결정하도록 하여 경제성장 기반보호와 주민들의 거주 안정성 확보를 위한 방

재사업의 추진과 체계적인 풍수해 대응계획이 수립될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

미 재난유형별로 취약한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관리하며 재난발,

생에 대한 예방 대비 및 대응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지역안전도를 평가하여 활,

제 장Ⅰ 연구의 개요

Page 2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

용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지역안전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나라별 도시별, ,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표준화된 평가기법 및 지표가 개발되지 못한 여지

가 있다 따라서 도시화가 집중되어 있는 서울시 특성을 고려한 지역안전도 평.

가모형의 개발과 이를 통한 체계적인 수해 대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

다.

연구목적2.

본 연구는 자연재난 중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

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적.

합한 지역안전도의 개념을 정립하고 지역안전도 평가인자와 평가방법을 마련하

여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은 서울시 위험지역 및 취약지역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재난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등 중장기 재난저감 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

있다 또한 서울시 풍수해저감 종합계획 수립이나 재난보험제도 도입 등에서. , ,

반영될 수 있다.

제 절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체계2

연구범위 및 주요 연구내용1.

연구범위1)

최근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각종 자연재난 중 상당부분이 태풍과 국지성 돌

발강우 등 풍수해에 의하여 발생되고 있으며 풍수해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위험으로는 제방붕괴 내배수 침수 산사태 사면붕괴 토양유실 등이 있다, , , , .

Page 2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5

이들 풍수해 위험요소 중 서울시 풍수해 피해 대부분이 내배수 침수와 같은 홍

수재해에 의한 것이므로 본 연구의 내용적인 연구범위를 홍수재해에 대한 지역,

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2)

연구의 내용은 표 과 같이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 1-1> ․하고 서울시 과거 홍수피해 조사 및 원인 분석을 통하여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

한 인자를 선정한 후 서울시에 적합한 지역안전도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서

울시에 적용하였다 또한 개발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의 활용방안과 서울시의.

수방정책 추진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표 주요 연구 내용< 1-1>

주요연구내용

세부 내용 산 출 물

국내 외․사례조사

국내 외 사례조사 및 시사점 도출• ․지역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본방안 제시•

국외사례 미국 일본- : , ,유럽국내사례 소방방재청- : ,국토연구원 수자원공사,

서울시홍수피해자료 조사

서울시 지역별 홍수피해현황 조사•서울시 홍수피해 원인분석•서울시 홍수피해 위험증가 요인•

홍수피해 주요인자-

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홍수재해 위험•인자의 선별홍수재해 자료를 이용한 구역별 정성적•안전도 평가 방안지표의 계량화 및 표준화-설문조사를 통한 인자별 가중치-

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GIS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개발

평가모형-평가기준 및 인자-평가방법-

결론 및정책건의

지역안전도 평가기법의 활용방안•관련 법령 검토 및 개선방안•서울시 추진방향 및 발전방향•

활용방안-

Page 2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

연구방법 및 연구 수행체계2.

연구방법1)

본 연구는 홍수재해에 대한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을 위해서 국

내외에서 수행되었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안전도에 대한 개념 평가인자 평가, ,

방법 평가모형 등에 대하여 검토하여 최적의 평가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서울시,

에 적용하여 평가모형의 적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에서는 홍수재해에 대한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을 위해서 국2

내외에서 수행되었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안전도에 대한 개념 평가인자 평가, ,․방법 평가모형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서울시에 적합한 지,

역안전도 평가모형의 수립방향을 정립하였다.

장에서는 서울시 홍수재해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여 서울시 홍수피해 위험3

증가 요인을 파악하고 지역안전도평가에 필요한 인자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장에서는 서울시 홍수피해 위험 증가 요인 분석을 통한 지역안전도 평가4

인자를 선정하고 이들 각 인자에 대한 계량화 및 인자별 가중치 부여과정을 통,

해 최종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인자별 가중치는 학계 연구소 기업체 국공립. , , ,

기관 종사자하는 홍수재해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에 이

용되는 대표 인자의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자료구축 및.

분석이 보다 용이하도록 을 이용하여 자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료를 구축하고 위험성 요소와 저감성요소를 합하여 최종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

을 정립한 후 중랑천 유역에 시범 적용하였다.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의 적용을 위해서는 공간단위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

다 공간단위는 자치구청별 동별 지구단위별 블록별로 구축될 수 있으며 평가. , , , ,

모형 또한 공간단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서울시 지역안전도.

의 기본적인 공간단위는 가용자료를 검토하여 공간범위를 적용하고자 한다.

Page 2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

마지막으로 풍수해보험도입 풍수해 저감종합계획 이상호우에 대비한 수방, ,

기준 검토와 관련한 지역안전도 평가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수행에 필요한 조사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문헌 및 인터넷 조사◦지역안전도와 관련 문헌 선행 연구 자료 검토- ,

서울시 지역별 수해 현황 및 원인을 통한 수행특성 파악-

서울시청 및 자치구청 방재담당 공무원 방문 및 인터뷰◦서울시 재해특성에 대한 의견-

재해관련 업무 및 방재활동에 관한 제반 사항-

서울시 재난관련 자료 협조-

전문가 설문조사◦지역안전도 평가인자 선정의 적절성-

각 인자별 가중치 설정-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의 자문-

연구 수행체계2)

연구 협력체계○

서울시 공무원과의 자료협력 및 의견교환-

국내외 관련 연구기관과의 자료협력 및 기술자문- ․방재연구소 국토연구원 대학 등 관련 학교 연구소 등, , /ᆞ

Page 2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

연구 추진 절차○

그림 연구 추진 절차< 1-1>

지역안전도 평가인자 선정

평가인자의 표준화 및 계량화 방안 결정

평가인자의 가중치 선정

• 인자선정 원칙

• 자료의 구득 용이성

• 계량화

• 표준화

• 홍수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 학계, 국공립기관, 설계회사 등

• 인자별 가중치 부여후 GIS를 이용한 요소별 중첩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적용 • 서울시 동별 적용

각 요소별 평가 모형 개발

서울시 홍수재해 현황 및 특성분석• 홍수피해 현황조사

• 홍수피해 위험증가 요인 분석

지역안전도평가 정의 및 관련연구• 지역안전도 평가 기본개념

• 국내외 사례 시사점 도출

형 개

• 위험 및 저감요소 점수합산

Page 2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의 기본개념1

제 절 국외사례2

제 절 국내사례3

제 절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4 ․

제 장 지역안전도평가의Ⅱ

정의 및 관련연구

Page 2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1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의 기본 개념1

안전도와 위험도의 관계1.

지역별 재난 관리를 위해서 재난의 위험도를 줄이고 안전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지역의 안전도 평가를 바탕으로 재난예방.

사업을 위한 방재지구를 선정하고 방재시설 건설의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하며, ,

재해보험 적용 등의 핵심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안전도 란. , (Safety)

사전적 의미로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정도를 뜻한다 안전도.

와 위험도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위험도가 높으면 안전도가 낮아지고 위험도, ,

가 낮으면 안전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관계로 인하여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해.

지역위험도 평가가 이용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주로 위험도 평가 위험. (Risk) ,

도 분석 등 위험도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자연재,

해대책법1) 등에서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역안전도가 이용되고 있는 상황

이다.

지역안전도 평가와 지역위험도 평가의 관계2.

지역위험도 평가는 지역의 재난위험 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는 위험도를 위험성 피해가능성Fournier d'Albe(1979) (Hazard), (Damage

대처능력 의 조합된 결과라고 정의한 바 있다 위Potential), (Coping Capacity) .

1) 자연재해대책법 제 조 항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이라 함은 지역별로 풍수해의 예방 및 저감2 5 : " "을 위하여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이하 시 도지사 라 한다 및 시장 군수 구청장· · ( " · " ) · ·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이 지역안전도에 대한 평가 등을 거쳐 수립한 종합계( . )획을 말한다.

제 장Ⅱ 지역안전도평가의 정의 및 관련연구

Page 2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2

험도 평가를 위해 취약도 를 이용하기도 하였는데 과(Vulnerability) , Benouar

은 위험도를 재해위험 과 재해취약도 그리Mimi(2001) (hazard) (vulnerability),

고 재난관리 가 조합된 결과로 나타낸 바 있고(Disaster Management) , D&E

에서는 재난위험요소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한 인명과Reference Center(1998)

재산 피해 발생 확률로 위험도를 나타내었다 등 은 재난유형의. Kates (1983)

선별 각 재난별 발생가능성 조사 각 재난에 의해 발생된 손실 평가 등 과정을, ,

거쳐 위험도 평가가 이루어진다고 말하였고 등 은 어떤 특, Godschalk (1998)

정 기간동안에 특정지역에서 발생 가능한 인명손실과 재산피해에 대한 확률적

정도를 추정하는 것이라 하였다 미국 연방재난관리청 에서는 위. (FEMA, 2001)

험도 평가란 재난에 의한 인명피해와 건물 기반시설 등에 대한 피해 정도를 산,

정하는 것 지역사회의 위험과 취약도를 총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한 재난이 발,

생할 경우 그 잠재적인 결과를 추정하는 것 등으로 정의하였다 에서는 재해. UN

경감 국제전략 사업(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ISDR,

을 통해 위험도 평가란 인명과 재산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위협 또는 위2002) , ,

해를 입힐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 을 분석하고 현재의 취약도와 수용능(Hazard)

력 수준을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기존 연구사례로부터 위험도 평가.

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면 표 와 같다< 2-1> .

Page 3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3

표 위험도 평가의 정의< 2-1>

연구자 정의

d'Albe(1979) 지역의 재난위험 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ㆍ

Cutter(2001) 재난 위험도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위험성을 추정하고 계량화 하는 것,ㆍ

DisasterEmergency

Reference Center(1998)

재난위험요소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 발생 확률ㆍ

FEMA

주어진 정보수준에서 일련의 재난 경감 대처업무를 결정하기 위한ㆍ ㆍ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재난의 발생확률과 결과를 파악하기위한 과정

재난의 발생 강도 및 심각성 노출도 결과에 대한 확률과 빈도 측면에서, , ,ㆍ

어떤 특정 재난위험 과 연관된 재난위험도 를 평가하기 위한(Hazards) (Risk)

과정이나 방법

지역사회의 위험과 취약도를 총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한 재난이 발생할ㆍ

경우 그 잠재적인 결과를 추정하는 것

자연재난을 발생시키는 모든 위험에 대한 지역주민 건물 구조물의, ,ㆍ

취약도를 평가함으로써 자연위험으로부터 결과할 수 있는 잠재적인

사상자수 재산손실 경제적 피해를 측정하는 과정, ,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는 과정에서 제기되는 만일‘ㆍ

자연재난이 당신의 지역사회에 발생할 경우 어떤 일들이 나타날

것인가 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변하기위한 방법’

등Godschalk(1998)

어떤 특정 기간동안에 특정지역에서 발생 가능한 인명손실과 재산피해에ㆍ

대한 확률적 정도를 추정하는 것

등Benouar (2001)재해위험 과 재해취약도 그리고 재난관리(hazard) (vulnerability), (disasterㆍ

가 조합된 결과management)

등Kates (1983)재난유형의 선별 각 재난별 발생가능성 조사 각 재난에 의해 발생된, ,ㆍ

손실 평가 등 세 단계로 위험도를 평가

U.N. ISDR (2002)

인명과 재산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위협 또는 위해를 야기 시키는, ,ㆍ

잠재적인 위험 을 분석하고 현재의 취약도와 수용능력 수준을(Hazard)

평가하는 과정

Page 3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4

그러나 국내에서는 지역안전도 평가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며 우선 지역안,

전도 평가의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안전도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위험도 평가를 이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안전도. ,

평가는 지역위험도 평가보다 더 큰 개념으로써 위험 항목별 요인들을 조합한 위

험도에 저감성을 고려한 것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즉 지역안전도 평가란 그. , <

림 과 같이 자연적 위험 요인 과거 재난 피해정도 재난피해 발생시의 사2-1> , ,

회적 충격 등의 위험도와 구조적 혹은 시설적 대비 정도 비구조적 대책 등의,

저감성의 조합에 의한 지역의 안전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 안전도 평가 개념< 2-1>

항목별 분류

- 자연적 요인

- 과거피해요인

- 사회적 요인

위험도

저감성구조적(시설적)

비구조적

안전도

위험성

Page 3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5

제 절 국외사례2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수행된 연구사례 검토를 통해 각 나라의 평가 방법, , ,

을 참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서울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안전도 평가 항, ,

목 요소 도출 계량화 방법 등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

미국의 홍수재해에 관한 위험도 평가 사례1.

미국에서는 평가 결과를 안전도 보다는 위험도로 나타내고 있다 홍수보험제.

도 운영을 목적으로 년에 지역평가시스템1990 (CRS, Community Rating

을 도입한 이래 재난저감계획System) , (DMP, Disaster Mitigation and

수립 시 자연재해 유형별 위험도를 산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Preparedness) .

한 와, HAZUS(Hazard Uinted States ; FEMA, 1999) RVAT(Risk and

과 같은 재해 피해예측 및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 NOAA, 2003)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해에 대한 피해규모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위험도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지역평가시스템1) (CRS, Community Rating System)

홍수보험프로그램 의 지역평(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 NFIP)

가시스템 은 홍수보험프로그램의 최소 요구사항을 맞추고 지역 홍수터 관(CRS) ,

리에 대한 인식 및 독려를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는 홍수로 인한 피해를. CRS

줄이고 정확한 보험율의 산정 홍수보험의 홍보를 목적으로 하며 를 통하, , , CRS

여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지역의 활동 정도 및 행정적 측면을 평가하여 홍수

보험요율을 낮추는 인센티브 산정에 활용하고 있다.

는 표 와 같이 총 개의 세부 평가항목에 의해 평가된다 각 지CRS < 2-2> 19 .

역사회는 항목별 점수를 합산한 총점에 기반으로 하여 등급을 부여 받으며CRS

Page 3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6

등급은 개의 등급으로 분류된다 즉 등급은 안전한 지역으로 가장 높은CRS 10 . , 1

점수 수준 점 이상 으로 가장 많은 보험료 할인을 적용 받고 등급(4,500 ) , 10

점 이하 은 보험료 할인이 없다(500 ) .

표 평가 항목< 2-2> CRS

항목 세부항목 평가내용

공공정보사업

점(835 )

건물높이 확인서․ 모든 신축건물에 대해 가 발급한 확인서 관리­ FEMA지도정보․ 홍수보험등급지도 제공 및 관리­

대민사업계획․ 홍수정보에 대한 지역주민 홍보사업­위험공표․ 홍수위험 등의 공개­

홍수방지정보․ 도서관 및 웹사이트에 홍수정보 비치­홍수방지지원․ 홍수방지 정보 자료 시공자 명단 등 제공­ , ,

계획 및규제

점(6,594 )

추가홍수자료․ 새로 규정된 홍수위 및 수문자료­개방공간 보존․ 홍수터 보존 및 개발 제한­

상위법 준수여부․ 안전거리 토지개발기준 건축법 등의 기준 준수­ , ,

토지개발 기준․ 홍수터의 적절한 이용 의무화 및 홍수예상지역 건물신축­규제

홍수자료 유지․ 홍수 및 동산자료의 전산화 관리­호우 관리․ 물 관리 종합계획 건물신축에 따른 유역의 배수문제­ ,

홍수피해감소

점(6,639 )

침수지역․관리계획

기준계획 절차에 따른 계획수립 및 유지관리 갱신­

취득 및 이전․ 침수 예상 건물을 취득 이전하여 범람원에서 배제­

홍수대비․ 홍수조절 및 개보수 기술사용 홍수통제계획 하수구 범람 보호­ , ,계획

배수체계 관리․ 배수체계 조사 및 퇴적물제거 배수구 투기 규정 연안 침식 보호­ , ,유지

홍수대비책

점(1,300 )

홍수경고정책․ 홍수위협인식 체계 응급경고 선포 주요 시설 계획­ , ,

제방 안전․ 기본 홍수방지책에 해당되지 않는 제방관리­댐 안전․ 인가된 댐 안전 계획­

위험도 산정2) (Understanding Your Risks ; Identifying Hazards

and Estimating Losses)

재난저감계획 수립시 자연재해 유형에 대한 지역 위험도를 평가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위험도 산정, “ (Understanding Your Risks :

라는 기준서를 발간하였다 이 기준서 에는 재해유형 중FEMA 386-2, 2001)" .

Page 3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7

홍수 지진 해일 토네이도 해안 폭풍 산사태 산불 등의 개 재해유형에 대해, , , , , , 7

피해 위험과 피해규모 중심으로 위험도 산정방법을 기술되어 있다 이를 통해.

그림 와 같은 절차로 어떤 재해 유형이 지역을 위협할 수 있고 어느 지< 2-2> ,

역이 재해에 취약하고 어떤 자산이 영향을 받는지 평가할 수 있다 평가된 위험, .

도를 바탕으로 각 지역은 피해 저감 계획 수립에 대한 필요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림 의 위험도 산정 절차< 2-2> Understand Your Risks

위험도 평가 절차

위험요소의 분류

과거 피해사례 분석

위험지점내의 인명, 재산 , 시설물의 파악

손실 평가

3) HAZUS(HAZard Uinted States)

미국 긴급사태관리기관(FEMA,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에서는 년부터 홍수범람 허리케인 지진에 대비한 라는Agency) 1999 , , HAZUS

피해예측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그림 과 같이 사회기. < 2-3>

반 시설 학교 상업 건물 주택 등의 물리적인 피해와 이로 인한 실업과 경제, , ,

활동의 중단 그리고 이를 복구하는데 드는 비용 등의 경제적 손실 또한 질병,

등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마지막으로 사람들의 심리적 영향까지를 피해로 분류

하여 제시한다.

Page 3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8

그림 홍수피해산정 모듈의 구성도< 2-3> HAZUS

HAZUS

홍수피해 산정

홍수위험 분석모듈 손실 분석모듈

- 빈도

- 유량

- 침수심

- 유속

- 인명피해

- 경제적 손실

재해위험성과 취약성 평가 시스템4) (RVAT, Risk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미국 해양대기관리처(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에서는 위험에 노출된 인명 재산 시설물을 분석하기 위해서Administration) , ,

그림 와 같은 을< 2-4> (RVAT, Risk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개발하여 주 해안에 인접한 지역에 시범 운영 중에 있다 제공되는 정Florida .

보는 해당지역의 재난방재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예방조치들을 결정하거나 우선

순위를 지정할 때 이용된다.

그림 적용 화면< 2-4> RVAT (NOAA, 2006)

Page 3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9

활용방안5)

미국의 경우 홍수보험과 연계하여 오랜 기간동안 체계적으로 위험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었으며 사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도출하였

다.

피해위험 및 피해규모에 대한 평가모형과 지역 방재행정에 대한 평가 모○

형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행정에 대한 평가가 중심인 지역평가시스템 과 피해- (CRS)

위험과 피해규모를 중심으로 평가를 수행하는 위험도산정(Understand

기준이 마련되어 구조적 및 비구조적 재난방재대책을 수립Your Risks)

하는데 각각 활용되고 있다 홍수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 관리를 위.

해서는 피해위험 및 피해규모에 대한 평가모형과 지역 방재행정에 대한

안전도 평가모형이 요구된다.

지역 안전도 평가는 홍수보험제도와 연계 운용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홍수보험제도가 연계 운영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국내의 홍수보험제도 정-

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체계적인 자료 축적이 있어야만 안전도 평가가 가능하다.○

위험도평가를 위해서는 피해원인 피해규모 등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 ,

축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와 같은 안전도 평가시스HAZUS, RVAT

템의 개발이 가능하다.

일본의 지진피해에 관한 위험도 평가 사례2.

동경도의 지진에 관한 지역위험도 측정조사1)

일본은 지진의 발생빈도나 규모가 커서 지진분야에서 위험도 평가 관련연구

Page 3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0

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동경 도에서는 년부터 지진에 관한 지역위험도. 1975 「

측정조사 를 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지진에 대한 위험성 정도를 건물도괴5 .」

위험도 화재위험도 인적위험도 피난위험도의 가지 위험도에 대해서 측정하여, , , 4

각각 상대적인 크기로 평가하거나 가지 위험도를 전부 종합한 종합위험도를, 4

평가하여 지역별로 표시하며 위험도 측정 결과는 단계의 계급으로 구분하여, 5

나타낸다 그림 는 동경도 구부 타마 지역의 지진에 대한 종. < 2-5> ( ) ( )區部 多摩․합위험도이다.

그림 일본의 지진에 대한 종합위험도 작성 예< 2-5>

재해위험에너지 검토사례2)

요꼬하마 시에서는 재해발생의 잠재적인 요소가 도시 내에 어느 정도 분포

하고 있으며 어떠한 분포 형태를 취하고 있는가 대규모 재해시 이러한 요소들,

이 재해현상을 확대시켜 갈 것인가를 검토하기 위해 재해위험에너지에 대하여

정성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활용방안3)

일본의 경우 지진에 대한 위험이 특히 크기 때문에 지진에 대한 위험도 연

구를 많이 수행해 오고 있었으며 사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도출하

Page 3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1

였다.

체계적인 기초자료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세밀한 공간단위 평가를 수행하여 구체적인 위험지역을 파악하여 방재정○

책에 활용하였다.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에 이용될 적용 공간단위의 최소규모를 결-

정할 때 일본의 필지 단위 적용 사례를 참조하여 본 모형 개발 시에도

최소 공간단위 평가로 구체적인 위험지역을 파악하여 실질적이고 구체

적인 방재정책에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종합적인 안전도 평가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 일본사례에서 지진 안전도에 대하여 가지 위험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4

것처럼 다양한 위험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한 통합안전도 평가기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기타 연구사례3.

1) ESPON(European Spatial Planning Observation Network)-Project

1.3.1

유럽연합 에서는(EU) ESPON(European Spatial Planning Observation

프로젝트를 통해 산사태 눈사태 홍수 가뭄 산림화재 지진 등을Network) , , , , ,

포함한 자연재해와 방사능 재난 등과 같은 기술적 사고를 포함한 개의 위험13

요소에 대해서 위험정도를 지수화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지역별 위험. ,

발생확률 재난의 강도와 취약도를 조합한 위험도 지도를 제시하였다 재, (Risk) .

난의 강도는 지수 화된 각 재해요소별로 산정하며 취약성은 그림 과 같< 2-6>

이 지역의 인당 인구밀도 대응능력 등의 가중 합으로 계산된다 위험도1 GDP, , .

는 재난 강도와 취약성을 각각 단계로 분류하여 재난강도와 취약성에 대한5

Page 3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2

매트릭스에 의해 평가된다5×5 .

그림 의 취약도 산정과정< 2-6> ESPON

1인당 GDP 인구밀도

대응능력 - 1인당 GDP(55%) - 재정자립도(15%) - 교육율(15%) - 예측기술정도(15%)

경제적 취약정도사회적 취약정도

취 약 도

25% 50% 25%

독일의 뮌헨리사 보고서2) (Trend and challenges for insurance

and risk management, Munich Re Group, 2004)

독일의 재보험사인 뮌헨리사에서 인구수와 인구밀도 도시민의 소득수준 도, ,

시기반시설 세계 다른 지역과의 연계성 등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기준으,

로 선정한 거대도시 개에 대하여 도시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자연적인 요50 .

인 기술 시설적인 요인 사회 정치적인 요인 경제적인 요인 등 가지 요인에, , , 4

의한 재난발생 시나리오와 이러한 요인들에 의한 환경피해 인명피해 재산피해, , ,

경제손실 부문에서의 직간접적 피해결과를 선정기준으로 하여 평가하고 각 재,

난별로 지수화 한 후 발생위험 높음 중간 낮음 없음의 단계로 분류하였다, , , 4 .

활용방안3)

유럽은 위험도에 관하여 통합 유럽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었

으며 각각의 사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Page 4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3

프로젝트의 평가 과정에서 위험도에 대한 지수화 및 재난의 강ESPON○

도와 취약성을 이용하여 최종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참

조하여 본 모형 개발에 필요한 평가모형 개발의 이용가능성 검토할 필요

가 있다.

○ 프로젝트는 자연 및 인위재난에 대하여 각 세부항목별 안전도와ESPON

함께 통합안전도를 제시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안전도평가모형에서 우.

선 수해에 대해서 개발하고 있지만 향후 여러 재난에 대한 통합안전도평,

가시스템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독일 뮌헨리사 보고서에서 나타난 과거 재난의 발생기록 뿐만 아니라 인○

구수와 인구밀도 소득수준 기반시설 등이 고려되었다 이는 안전도 평, , .

가모형 개발에 있어서 재난발생시 사회에 미치는 파장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제 절 국내사례3

국내 사례 검토를 통해 각 평가 방법을 참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서울시, ,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안전도 평가 항목 요소 도출 평가요소의 자료가공 방안 등/ ,

을 모색하고자 한다.

홍수피해잠재능 건설교통부1. ( , 2001)

주요내용1)

건설교통부는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면서 치수단위구역별 치수특성

을 파악하고 단위유역간 치수 투자우선순위를 산정하거나 대규모 단위의 치수,

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age 4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4

이하 라 함 을 산정하였다 홍수피해잠재능은 특정 치수단위구역의; PFD, PFD ) .

잠재적인 홍수피해의 취약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홍수에 의한 잠재적인 피해

정도와 홍수피해가 발생할 가능성 및 이에 대한 방어능력 정도를 종합하여 평가

하는 것이다.

홍수피해잠재능은 그림 과 같이 홍수에 의한 잠재적인 피해 정도를< 2-7>

나타내는 잠재성 요소 인구 재산 도시화율 사회기반시설 와 홍수피해가 발생( , , , )

할 가능성 및 이에 대한 방어능력 정도를 나타내는 위험성 요소 홍수피해액 확( ,

률강우량 하천 개수율 홍수조절용량 를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 ) .

유역 중심으로 분할된 수자원단위구역을 기초로 전국을 개의 구역으로150

구분하여 각 요소별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다시 잠재성 지역 중요도 과 위험성, ( )

홍수피해 가능성 을 기준으로 그림 과 같이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 < 2-8> 4 .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서는 홍수피해잠재능을 통해 산정된 각 그룹에 대한 치수

방향을 표 과 같이 제시한다< 2-3> .

그림 홍수피해 잠재능의 평가요소 및 방법< 2-7>

홍수피해잠재능(PFD)

잠재성 위험성

- 인구

- 자산

- 도시화율

- 사회기반시설

가능성 방어능력

- 홍수피해액

- 확률강우량

- 외수방어능력

(제방개수율)- 댐 및 저수지

- 내수방어능력

(배수펌프장)

Page 4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5

그림 치수단위구역별 의 그룹화< 2-8> PFD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D

C

A

B(Number = 28)

(Number = 60) (Number = 43)

(Number = 19)

잠재성

위험

표 홍수피해잠재능의 그룹별 치수 방향< 2-3>

그룹 대 책

그룹A 홍수방어시설의 강화가 필요하며 주로 구조적 대책에 의한 치수사업 전개

그룹B홍수방어시설 설치가 필요하고 치수안전도의 상향 조정이 필요하지만 구조적,대책과 함께 비구조적 대책 병행 모색

그룹C 자연친화적 사업과 병행될 수 있는 방향으로 유도

그룹D상류지역의 범람에 의해 하류지역의 홍수 부담 감소를 모색하는 등 지역적인여건을 고려한 대책 마련

활용방안2)

치수단위구역별 홍수피해잠재능 평가 사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활용(PFD)

방안을 도출하였다.

의 평가에 사용된 지수화 및 가중치 부여 방법을 서울시 지역안전도PFD○

평가모형에 적용 시 문제점이 없는지 검토하고 이에 대한 보완사항을 도,

출하는 등 서울시에 도시특성을 반영하는 안전도 평가모형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4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6

적용 인자들이 서울시와 같은 도시유역 특성을 반영하는 지 검토가 필요○

하다 홍수방어대책 중 구조물적인 인자이외의 비구조물적인 대책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는 치수단위 구역을 근간으로 하여 그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치수단PFD○

위구역의 범위가 크고 의 값들의 분포도가 작기 때문에 서로간의 평PFD

가 값에 대한 절대적인 비교가 쉽지 않기 때문에 서울시 특성에 맞는 공

간단위 평가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연구 소방방재청2. ( , 2005)

주요내용1)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연구는 지역의 자연재난 위험도를 사전에 파악

하여 풍수해저감 종합계획 수립 재난보험제도 도입 등 중장기 재난저감대책 및,

시설투자사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방방재청에서 수행되었다 평가.

단위구역은 시군구이며 해당 시군구의 재난위험성 재난피해규모 재난피해저감, , ,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표 는 재난위험성 재난피해규모 재난피해저감. < 2-4> , ,

능력 평가에 이용되는 평가인자이다 각 평가항목을 통합한 지역안전도 평가 통.

합지수는 그림 의 재난피해저감능력 평가지표와 재난피해규모의 산정과< 2-9>

정을 거쳐 그림 과 같은 에 의해 단계 가장안전< 2-10> MATRIX 10 ( 1

가장위험 등급으로 산정된다<----> 10 ) .

Page 4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7

표 소방방재청 지역안전도 평가인자< 2-4>

요인 인자 세부 내용

재난

위험성

등급별 발생확률∙강우량에 따라 단계 분류( 4 )

재난발생확률 산정∙재해연보 발생수 재난강도( , )

재난

피해규모홍수피해액∙ 재난으로 인한 지역의 경제적 손실∙

재난 피해액 평균피해액 표준점수로 변환( , , )

피해

저감능력

유관기관단체 및 민간협력∙대비계획 및 사전점검∙방재전문강화 및 홍보∙예경보 및 대응∙재해복구∙

방재청 지자체평가지표 등 참조∙개 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5 , 23 , 89 )

그림 소방방재청 지역안전도 평가 절차< 2-9>

태풍, 강풍

홍수, 호우

해일

설해, 한파

바람(4등급)

강우(4등급)

파고(3등급)

설해(4등급)

바람등급별 발생확률

강우등급별 발생확률

파고등급별 발생확률

설해등급별 발생확률

재난유형별

등급별 시군구별

재난발생건수

(’89-’03년 건수)

자료 : 재해연보

<재난위험(발생확률) 산정>

태풍, 강풍

홍수, 호우

해일

설해, 한파

바람(4등급)

강우(4등급)

파고(3등급)

설해(4등급)

’89-’03년간 피해액의’03년 기준 불변가치 환산

(피해액ⅹ환산지수)

불변 피해액의 평균

재난유형별

등급별 시군구별

재난별 피해액

(’89-’03년 건수)

자료 : 재해연보

<재난피해규모(경제손실) 산정>

표준화 점수

표준화 점수

표준화 점수

표준화 점수

변환점수

변환점수

변환점수

변환점수

바람등급별 발생확률 ⅹ평균피해액

강우등급별 발생확률 ⅹ평균피해액

파고등급별 발생확률 ⅹ평균피해액

설해등급별 발생확률 ⅹ평균피해액

재난피해규모

통합점수

-지자체별재난유형별피해규모의가중치 적용

<재난위험(발생확률) 산정>

평가최종점수

평가점수합계평가대상항목 총점

표준화 점수

- 재난피해저감 활동지표- 인구경제지표

재난피해저감활동변환점수

인구경제지표

변환점수

재난피해저감활동

- 풍수해(800점)- 설해한파(200점)

인구경제지표(추후반영)- 인구밀도,인구변화율

의존인구비율- 재정력 지수

재난피해저감

능력 통합점수

-재난피해저감활동

변환점수(100%)

-인구경제점수

(추후반영)

<재난피해저감능력 평가>

X1000

불변피해액을 고려 등급산정

평가최종점수를 고려 등급산정

재난피해규모 통합점수

재난피해저감능력 통합점수

지자체의

최종 등급결정

<지역안전도평가 통합지수 산정>

Page 4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8

그림 소방방재청 지역안전도 평가 통합지수 산정< 2-10>

활용방안2)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 연구는 전국의 자연재난 위험도를 사전에 파

악하기 위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자연재난에 대해 시군구 행정단위구역을 기준으로 지역별 안전도평가기○

법 및 지표를 개발하였는바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행정단위구,

역 지정에서 시군구 행정단위 구역에 대한 평가기준 마련의 적절성을 검

토할 필요가 있다.

자연재해대책법 개정안 에 따르면 각 구청 및 서울시는 풍- (2005.8.4) ,

수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안전도평가를 거,

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소방방재청에서는 지역안전도평가방법 및.

절차에 관한 지침이 준비 중에 있으며 적용 범위가 시군구 행정구역별, ․ ․로 적용토록 구성됨으로써 각 구청별 풍수해저감계획 수립시 보다 적용

단위가 구보다 더 세밀화 한 지역 안전도 평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재난피해저감능력에 대한 인자가 상세히 구축되었는바 이를 지역의 수해○

Page 4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29

위험도와 연계할 수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재난 위험성 산정에 대하여 좀더 많은 인자에 대한 영향을 평가할 필요○

가 있으며 저감성에 대한 평가시 비구조물적인 행정대책 위주로 평가하

여 구조물적인 홍수방어대책에 대한 영향을 추가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홍수피해특성분석및홍수피해지표개발에관한연구국토연구원3. ( , 2005)

주요내용1)

국토연구원에서는 시군구간의 홍수피해 발생빈도나 피해액을 비교할 수 있

는 계량적인 기준이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전국 개 시군구의 최근 년232 33

간의 홍수피해특성을 분석하여 시군구간의 홍수피해 정도를 비교할 수 있는 계

량적인 홍수지표를 제시하였다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과 대표적.

인자는 자연적요인 사회적요인 정책적요인 시설적요인에 따라 표 와, , , < 2-5>

같이 구분하였고 시군구별 홍수피해지표는 홍수피해 영향인자에 대한 표준화와,

인자별 가중치의 선형 합에 의해 구하였다.

Page 4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0

표 홍수피해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및 대표 인자< 2-5>

요인 구분 대표적 인자

자연적 요인기후적 여건 연강수량∙지형적 여건 하천밀도∙

사회적 요인

인구집중 인구밀도∙자산가치 증가 제조업생산액∙상류유역 개발 불투수지역면적∙

정책적 요인

하천관리 미흡 하천관리인력∙관리재원 부족 재정자립도∙하천개수 미흡 제방연장∙

시설적 요인

공공시설 피해 관공서 및 주요기관의 수∙사유시설 피해 총 주택 수∙저류시설 미흡 투수지역면적∙

활용방안2)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는 시군구 간의 홍수

피해 발생빈도나 피해액을 비교할 수 있는 계량적인 기준이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홍수피해의 잠재적 위험성을 나타내기 위해 홍수피해지표라는 계량적 단○

일지표를 이용한 것을 참조하여 서울시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을 위한

단일지표 개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홍수 피해지표 개발에 사용된 인자들을 검토하여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

가를 위해 필요한 인자들을 도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Page 4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1

제 절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4 ․국외 사례1.

국외 선진국의 경우 각종 재난에 대한 안전도평가를 실시하여 평가 결과를

공표하고 시민들이 지역의 각 재난별 위험성을 인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재, . ,

난에 취약한 지역을 분석함으로써 재난관리를 대응 및 복구 중심이 아닌 예방적

차원의 관리를 통해 재난에 체계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국외.

사례 특징은 다음 표 과 같이 요약할 수 있으며 위험도를 미리 평가하여< 2-6> ,

체계적인 방재계획을 수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국외사례 특징< 2-6>

사례 특 징

공통

국외 선진국에서는 각종 재난과 관련된 위험도평가 기준 및 지역위∙험지도를 작성하여 재난에 체계적으로 대비하고 있음.국외 사례의 위험도 평가는 각각의 위험 에 대한 위험도와 취(Hazard)∙약도 및 저감능력들을 조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종합 위험 지도로 표현함(Risk) .재난별 취약지역에 대한 안전도평가를 통해 재해재난에 체계적으로∙대비하고 있음.

미국

CRS

평가는 홍수보험제도와 연계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행정구역 단위로CRS∙체계적으로 실시되고 있음.

평가는 행정적 측면에서 방재계획의 재난피해저감능력을 지수화 하CRS∙여 평가

UnderstandYour Risks

재해위험과 피해규모 중심으로 지역안전도를 평가∙피해규모와 발생 빈도의 정량화 방법에 대한 방법을 제시∙

재해피해예측프로그램

재해유형별 재해위험성과 피해규모를 예상하여 지역에 대한 안전도를∙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

일본동경도 지역위험도 평가

지진에 대한 피해가 많은 일본에서는 지진에 대비하여 체계적인 기∙초자료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위험지도를 구축하여 방재정책에 활용하고 있음.

유럽ESPON 개 위험요소에 대한 종합 위험도를 작성13 .∙뮌헨리사보고서

재난발생시의 사회적 파장에 대한 영향 검토∙

Page 4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2

국내 사례2.

앞에서 지역안전도 평가와 관련된 국내 연구사례로 건설교통부의 수자원 장

기종합계획 소방방재청의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연구 그리고 국토연구원, ,

의 홍수피해특성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고 이들 연,

구의 특징 및 평가 방법을 정리하면 표 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2-7> .

표 국내 관련연구 특징 및 평가 방법 비교< 2-7>

분류수자원 장기종합계획

건설교통부(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연구 보고서 소방방재청( )홍수피해특성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

산출물 홍수피해 잠재능(PFD) 지역안전도 평가 등급 홍수피해지표

요소

잠재성•위험성•

가능성-방어능력-

자연재난 위험 산정•자연재난 피해규모 산정•재난피해 저감능력 평가지표 개발•

자연적요인•사회적요인•정책적요인•시설적요인•

세부항목

잠재성

인구∙자산∙도시화율∙사회기반시설∙

재난위험성

등급별 발생확률∙강우량에 따라 단계 분류( 4 )

자연적요인

연강수량∙하천밀도∙

사회적요인

인구밀도∙제조업생산액∙불투수지역면적∙

위험성

가능성홍수피해액∙확률강우량∙

재난피해규모

홍수피해액∙정책적요인

하천관리인력∙재정자립도∙제방연장∙

방어능력

외수방어능력∙제방개수율( )댐 및 저수지∙내수방어능력∙배수펌프장( )

피해저감능력

풍수해관리 및 경감∙유관기관단체 및 민간협력∙대비계획 및 사전점검∙방재전문강화 및 홍보∙예경보 및 대응∙재해복구∙

시설적요인

관공서 및 주요기관의 수∙총 주택 수∙투수지역면적∙

산정방법

치수단위구역유역으로 평가( ) (150∙개 치수단위 구역)

행정구역 단위로 평가∙ 행정구역 단위로 평가∙개 시군구(232 )

표준화방법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무PFD( )∙차원화

정규분포로 변환하여 환산∙ 를 이용표준치 적용법Z-score ( )∙가중치산정방법

지수별 중요도를 고려하여 초기∙값을 부여한 후 시행착오방법으로 최종치 추적

각 요인별 점수를 부여하여 점수를∙합산하여 최종점수를 산정 시행착(오법)

전문가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가중치 산∙정

최종평가

지역별 홍수피해잠재능 을(PFD)∙그룹으로 분류4

저감능력 평가지표와 재난피해규모∙의 변환지표를 각각 단계로 구분10한 후 최종 단계의 지역안전도10평가 등급 설정

계량적 각 요인별 지표와 통합홍수피해∙지표를 개 시군구별 제시232

특징 유역단위 치수안전도 평가∙행정구역단위 저감능력 평가에 중점∙을 둠

특히 비구조적 요소를 평가함( )행정구역단위 홍수피해지표 제시∙

Page 5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3

그러나 표 과 같이 이들 국내 연구 사례들은 서울시와 같은 도시지역< 2-8>

의 홍수재해특성 인자 인구 자산 사회기반시설의 밀집 내수침수 영향인자 외수( / / , ,

범람 높은 불투수율 홍수위 보다 낮은 저지대 거주 등 의 반영이 부족한 실정, , )

이다.

표 도시지역 홍수재해특성인자 반영여부< 2-8>

분류수자원 장기종합계획

건설교통부( )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연구 보고서

소방방재청( )

홍수피해특성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

인구 자산/

의 밀집△

도시지역에서 자산평가시

토지공시지가 이용이

타당한지 검토 필요

× 비고려 △

자산피해 산정시

제조업생산액과 불투수율의

이용이 타당한지 검토 필요

내수침수

영향인자△

배수펌프장은 고려했으나,

하수관거 비고려× 비고려 × 비고려

외수범람 △도시지역에서 제방 개수율

이용이 타당한지 검토필요× 비고려 △

제방연장으로 외수범람 정도

평가

높은

불투수율○ 고려 × 비고려 △

불투수율을 홍수량

증가요인으로 고려한 것이

아니라 사회개발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이용함

저지대

등의

지형조건

× 비고려 × 비고려 × 비고려

또한 각 각의 사례들은 홍수재해 저감요인에 대하여 구조물적인 요인과 비

구조물적인 요인을 통합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위험성과 저감성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표 는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의 활용에 있어서 각 연구사례별 한계< 2-9>

점을 정리한 것이며 서울시 지역 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시 이러한 점들을 고려,

하여 서울시 특성에 맞는 모형개발이 필요하다.

Page 5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4

표 국내 관련연구 한계점< 2-9>

사례 한계점

공통

국내의 관련연구들은 전국을 대상으로 하여 안전도를 평가하였으므로∙서울시와 같은 도시지역의 홍수재해특성을 반영하는 인자가 상대적으로

미흡함.

홍수재해 저감요인에 대하여 구조물적인 요인과 비구조물적인 요인을∙통합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위험성과 저감성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산정 방법은 국가나 유역치수계획 수립시 예비 단계에서 분석PFD∙활용이 적절하므로 치수단위 구역별로 를 산정한 후 이를 토대로PFD

피해 집중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유역 치수 종합계획 방향 및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함.

치수단위구역별 유역단위 홍수피해의 위험성을 파악하였으나( )∙홍수발생빈도에 대한 고려나 관련계수 산정의 이론적 근거가 미흡함.

는 치수단위 구역을 근간으로 하여 그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PFD∙치수단위구역의 범위가 크고 의 값들의 분포도가 작기 때문에PFD

서로간의 평가 값에 대한 절대적인 비교가 쉽지 않음.

지역별 안전도평가기법개발연구보고서

재난 위험성과 피해규모에 대한 분석이 재난피해저감능력에 비해∙상대적으로 미약하며 관련계수 산정의 이론적 근거가 미흡함.

재난피해저감능력에 대한 평가시 비구조물적인 행정대책 위주로∙평가하여 구조물적인 홍수방어대책에 대한 영향을 추가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홍수피해특성분석 및

홍수피해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와 같은 도시지역의 홍수재해특성을 반영하는 인자가 상대적으로∙미흡함.

홍수피해를 저감시키는 대책 구조물적 비구조물적 대책 들의 영향에( )∙대한 평가 인자가 부족함.

Page 5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제 절 서울시 홍수피해 현황1

제 절 홍수피해 위험증가 요인2

제 장 서울시 홍수피해Ⅲ

현황 및 특성분석

Page 5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7

제 절 서울시 홍수피해 현황1

서울시 홍수피해 현황1.

최근 돌발성 집중호우 및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하여 하천주변과 저지대를

중심으로 홍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년 내에 서울시에 큰. , 10

홍수피해가 발생한 해는 년과 년 이었다1998 2001 .

년 강우는 국지적이고 집중적인 돌발홍수를 발생시켜 중랑천 연변에1998 ,

위치한 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및 중랑구 등에 집중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였, ,

고 주로 관거의 통수단면 부족과 관거합류부의 접속각 및 접속불량 및 관거내,

의 토사의 퇴적 등의 원인에 의하여 피해가 발생하였다.

년의 경우 서울지역에 강우가 집중하여 발생하였으며 주로 중랑천 중2001

하류부와 안양천 유역 일원에 대규모의 홍수피해를 발생하였다 특히 년의. 2001

경우 서울의 주택침수가 전국의 약 인명피해는 에 해당하는 규모로79%, 60%

서 서울지역에 홍수피해가 집중되었다 그림 은 서울시의 연도별 침수흔. < 3-1>

적을 나타낸 지도이다.

그림 침수피해주택관리대장에 의한 침수흔적도 년< 3-1> (98~03 )주 서울시 상습침수지역 설정기준 및( :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 2006 )

제 장Ⅲ 서울시 홍수피해 현황 및 특성분석

Page 5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8

서울시 홍수피해액2.

연도별 피해액 현황1)

서울지역의 최근 년간 홍수 피해 규모를 살펴보면 피해액 위는 년10 1 ‘98

도 약 억원 위는 년도 약 억원 위는 년 억원으로 나타514 , 2 ’01 219 , 3 ‘99 105

났으며 사망자수 위는 년도 명 위는 년 명으로 나타났다 건, 1 ‘01 40 , 2 ’98 24 .

물피해 동수에 있어서 위는 년 약 동 위는 년 약1 ‘01 94,375 , 2 ’98 40,386

동 위는 년 약 동으로써 월 건물피해의 규모가 가장 크게, 3 ‘02 8,799 ’01. 7

나타났다 표 은 년부터 년까지 최근 년간 서울시의 분야별. < 3-1> 1995 2004 10

홍수피해 현황을 나타내고 있고 그림 는 최근 년간 서울시 홍수피해, < 3-2> 10

액을 비교하였다.

표 최근 년간 서울시 연도별 홍수피해 현황 년< 3-1> 10 (1995 2004 )~ 단위 백만 원( : )

구분피해총액

이재민인명피해

사망 부상 실종건물피해동수

건물피해액

선박피해액

농경지피해액

농작물피해액

공공시설피해액

기타피해액

1995 4,312 5 3 1 1 17 14 0 4,026 272

1996 37 7 2 5 2,213 31 0 4 2

1997 461 161 241 149 0 32 281

1998 51,396 2,287 61 24 37 40,386 900 53 27,028 23,415

1999 10,509 1,823 3 3 716 311 0 9,570 629

2000 878 5 5 200 82 671 125

2001 21,925 338 144 40 104 94,375 2,929 14 18,735

2002 7,513 116 8,799 622 6,479 412

2003 1,814 1 1 5,439 65 1,378 371

2004 40 10 1 1 92 40

자료 수해백서 재난사례집 자료: 2001 , 2004 (02, 03 )피해액은 당해연도 가격기준임1. .

년 이후는 농작물 피해액이 포함 안 됨2. 1989 .

Page 5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39

그림 연도별 서울시 홍수피해액의 비교도 년< 3-2> (1995 2004 )~

4,312

37 461

51,396

10,509

878

21,925

7,513

1,81440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55,0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년 도

피해액(백만원)

연도별 사망 및 이재민 피해를 분석한 결과 년까지 피해가 적었다가, 1997

최근에 큰 호우가 발생한 년과 년에 크게 증가한 후 년부터는1998 2001 2002

다시 피해가 적었다 이것은 최근의 호우 패턴이 돌발홍수 집중호우의 성격이. ,

강해 짧은 시간에 많은 강우를 내려 단기간에 큰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년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져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였2001

다 따라서 위험지역에 대한 사전파악과 호우시 대피체계를 세우고 홍보와 훈련.

을 통해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림 서울시 연도별 사망 및 이재민 피해 현황< 3-3>

42

0

24

0 0

40

0 1 10 0

161

2,287

1,823

0

338

0 0 100

10

20

30

40

50

60

1995 년 1996 년 1997 년 1998 년 1999 년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사망

0

500

1,000

1,500

2,000

2,500

이재

사망 이재민

Page 5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0

분야별 연도별 피해를 분석한 결과 그림 와 같이 공공시설의 피해가, < 3-4>

년과 년에 크게 나타났다 서울시의 경우 도시기반시설이 집중된 도1998 2001 .

심지로 홍수발생시 공공시설의 피해가 크며 최근 년간 피해액이 약 억원10 679

에 이르며 전체 피해 종목의 를 차지하여 건물이나 농경지에 비하여 월등68.7%

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서울시 분야별 연도별 피해액 현황< 3-4> -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1995 년 1996 년 1997 년 1998 년 1999 년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총피해액 농경지 공공시설 건물

지역별 피해현황2)

최근 년간 년 년 서울시 구청별 피해는 표 그림10 (1995 2004 ) < 3-2>, <~

와 같다 홍수피해 발생회수로는 중랑구 성북구 노원구 서초구의 피해3-5> . , , ,

발생이 회로 많았으며 평균 피해액은 관악구가 가장 크며 중랑구 강북구 순으2 ,

로 발생하였다 최근 년간 구청별 총 피해액 기준으로 홍수피해 정도를 살펴. 10

보면 관악 노원 도봉구의 순으로 피해가 컸다, , .

Page 5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1

표 최근 년간 구청별 피해발생 현황 년 년< 3-2> 10 (1995 2004 )~

서울시 발생회수피 해 액

천원( )평균 피해액

천원( )

중구 1 2,097,819 2,097,819

광진구 1 2,062,759 2,062,759

중랑구 2 5,107,744 2,553,872

성북구 2 6,612,916 3,306,458

강북구 1 6,810,403 6,810,403

도봉구 1 9,832,452 9,832,452

노원구 2 10,530,183 5,265,092

서초구 2 4,931,930 2,465,965

영등포 1 4,970,652 4,970,652

강동구 1 2,449,959 2,449,959

관악구 1 16,939,112 16,939,112

송파구 1 2,338,439 2,338,439

총 계 16 74,684,368 4,667,773

자료출처 소방방재청 재해연보: (2005), 2004

그림 최근 년간 구청별 평균 피해액< 3-5> 10

0

2,000,000

4,000,000

6,000,000

8,000,000

10,000,000

12,000,000

14,000,000

16,000,000

18,000,000

중구 광진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서초구 영등포 강동구 관악구 송파구

Page 5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2

제 절 홍수피해 위험증가 요인2

일반적 홍수피해 주요 원인1.

반복적인 홍수피해의 방지를 홍수피해 현황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분류한 국내 홍수피해 원인과 영향인.

자 서울시의 홍수피해원인을 살펴본 후 서울시 특성을 반영한 홍수피해영향 인,

자를 선정하여 지역안전도평가 인자에 활용하고자 한다.

이종태 등 년 은 우리나라 홍수피해의 원인은 크게 수문기상학적 요인(2001 ) ,․구조물적 요인 비구조물적 요인으로 나누고 각 요인별 세부원인은 표 과, < 3-3>

같다고 한 바 있다.

표 홍수피해영향 인자 및 발생원인< 3-3>

구 분 발 생 원 인수 문 기 상 학 적․요 인

이상기후로 인한 설계 규모를 초과하는 집중호우와 폭풍 및 해일-

구 조 물 적요 인

체계적인 하천정비의 미비-하천제방 호안시설의 붕괴 유실- , ,저수지 소류지 보 등의 유실- , ,교량 등 하천횡단시설의 유수장애-

- 하천 부속시설물 수문 갑문 방수구 등 의 기능 및 제방과의 접속 부실( , , )빗물펌프장의 용량미비 및 침수-내배수시설의 미비-도시지하시설물의 침수방어시설 부재-산지하천에서의 유목 및 토사의 유입으로 인한 하도 통수능 저하-만곡부 하도 설계의 적정성 결여-하천연안 개발로 인한 하폭의 인위적 축소-상류 댐의 홍수조절능력의 부족-

비 구 조 물 적요 인

하천유역의 개발로 인한 유출요인의 증대-하천 연안 저지대의 난개발로 인한 상습침수지역 조장-

- 소하천 지방하천 및 국가하천의 분리관리로 인한 일관성 있는 하천관리의 미비,원상 복구에 치중하는 복구계획-환경단체 및 지역 사회와의 마찰로 인한 신규댐 건설부진-하천 관리 및 방재 조직 제도 및 법규의 미비- ,하천시설의 관리 소홀과 투자비중 저하-기상 홍수 예경보시설 및 기술의 미비- ,범람예측 및 비상대피계획 의 미비- (EAP)

자료 이종태 태풍매미로 인한 재해와 극복방향 한국수자원학회지: . 2003. . . Vol. 36. No. 6,

Page 5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3

pp17-23.

그리고 국토연구원 에서는 홍수피해의 요인과 피해 내역을 자연적 요(2005)

인 사회적 요인 정책적 요인 시설적 요인이라는 네 가지로 구분하고 각 인자, , ,

들은 표 와 같이 정리한 바 있다< 3-4> .

표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 3-4>

구 분 주요 원인 대표적 인자

자연적 요인집중호우 및 태풍 강 우 량 일 강우량 시간강우량 연강우량: , ,

저지대 침수 지 형 지역의 평균경사 하천밀도: ,

사회적 요인

인구의 집중 인구밀집 인구 수 인구밀도: ,

자산가치의 증가 생산시설 제조업 종사자 수 제조업 생산액 등: ,

유역개발에 따른

첨두홍수량 증가포장면적 불투수지역 면적 수해상습지 면적: ,

정책적 요인

하천관리 미흡 관리인력 하천관리 인원수:

하천재원 부족 관리재원 지역의 재정자립도:

하천정비 미흡 하천시설 제방 연장:

시설적 요인

공공시설물 피해

수방능력 미흡( )

공공기관 관공서 등 공공기관 수:

교통시설 도로 연장 철도 연장: ,

급수시설 상수관로 연장:

교육시설 학교 수 학교용지 면적: ,

사유시설 피해

시설물 침수 붕괴( / )

주거시설 총 주택 수:

농 업 농가 수 농가인구 추곡수매 실적: , ,

어 업 어가 수 어가인구 선박 수: , ,

축 산 업 가축사육 가구 가축 수: ,

우수저류 및

내수배수시설 미흡

배수시설 빗물펌프장 용량 펌프장 수 하수관거: , ,

연장

홍수조절 다목적 댐의 홍수조절용량:

투수면적 전 답 임야의 면적: / /

자료 국토연구원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2005. , pp 64.

Page 6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4

서울시 홍수피해 원인2.

서울시 홍수피해는 설계재현기간을 크게 상회하는 강우가 주요 원인이지만

도시화로 인하여 불투수비율의 증가 높은 인구밀도와 교통 등 사회기반시설의,

집중으로 그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또한 서울시의 홍수피해는 표 와 같. < 3-5>

이 하천 범람과 같은 외수에 의한 침수보다는 배수계통의 통수능 불량에 의한

내수침수 피해가 주로 발생하고 있다 표 은 년 년 년. < 3-6> 1998 , 2001 , 2003

홍수로 인한 주요지점별 피해사례 및 침수원인을 정리한 것이다 서울시 홍수피.

해 주요원인을 토대로 서울시 홍수피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인자는 표<

과 같이 정리하였다3-7> .

표 서울시 침수원인별 지역수< 3-5>

구분 원인 지역수

저지대 관련고지대 노면수 저지대 유입 43

노면수 저지대 집중 73

하수관거 관련하수관거 통수능 부족 78

하수관거 구배불량 35

수방 배수 시설( )관련

배수관거 용량부족 펌프용량부족/ 50

토사유출에 의한 배수불량 11

기타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39

기타 빗물받이 등( ) 27

계 356

년 수해백서에 년 침수기록을 보완하여 구분* 2001 2003각 지역은 원인에 따라 중복 계산*

Page 6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5

표 주요지점별 침수사례 및 침수원인< 3-6>

구 청 침수피해지역 주요 침수원인

종로구 내수동 가희동 종로 가동, , 1,2,3,4 배수 불량 노면수 저지대 유입,

중구 을지로 가동 광희동3,4,5 , 집중호우로 도로 노면수 유입 배수불량,

용산구 후암동 남영동 용문동, , 관거 처리용량 부족 및 노면수 집중 유입

성동구 용답동 성수동 마장동, , 하수역류 및 노면수 유입

광진구 능동 군자동 화양 노유동 중곡동, ,․ ․ 도로 고지대 노면수 유입 배수불량,․동대문구 이문 휘경동 장안동,․ 관거 처리용량 부족 빗물펌프장 용량 초과,

중랑구 신내동 면목동 상봉동, , 관거 처리용량 부족

성북구 장위동 석관동, 하천의 수위 상승으로 배수불량

강북구 미아동 번동 수유동, , 하수관거 통수단면 부족 배수불량,

도봉구 도봉동 창동 방학동, , 노면수 유입 배수불량 하천 수위상승, ,

노원구 공릉동 월계동, 하천의 수위 상승으로 배수불량

은평구 불광동 진관외동, 노면수 유입 하천 수위상승으로 배수불량,

서대문구 창천동 북아현동, 노면수 유입 배수불량,

마포구 동교 서교 망원 연남동․ ․ ․ 노면수 저지대 유입 배수시설 불량,

양천구 신정동 신월동, 저지대 및 하수관거 용량 초과

강서구 화곡동 공항동 방화동, , 노면수 유입 배수불량,

구로구 개봉본동 펌프장 용량 부족 등 배수시설 불량

금천구 시흥 동 시흥 동3 , 5 하수관거의 용량 초과 배수시설 불량,

영등포구 신길동 대림동, 배수시설 불량 펌프장 용량부족,

동작구 대방동 동작동 사당 동, , 1,2 설계 강우를 초과한 집중호우로 저지대 침수

관악구 신림동 일대 도림천 인접 지역 하수시설 불량 고지대 노면수 저지대 유입,

서초구 방배동 일대 하수박스 단면 부족

강남구 대치동 신사동일대, 노면수 저지대 집중 유입

송파구 석촌동 풍납동 송파 동, , 1,2 배수시설 불량 노면수 저지대 유입,

강동구 명일동 천호동 길동 암사동, , , 배수시설 불량 노면우수 저지대 유입,

Page 6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6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서울시 홍수피해위험 증가 요인3.

국내 홍수피해 원인과 영향인자 서울시의 홍수피해원인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서울시 홍수피해영향 인자를 표 과 같이< 3-7>

분류 하였다 서울시 홍수피해영향 인자는 크게 자연적 요인 사회적 요인 시설. , ,

적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에 대한 특성은 다음에 기술 하였다.

표 서울시 홍수피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인자< 3-7>

구 분 대표적 인자

자연적 요인

설계빈도 이상의 호우■설계빈도 이상의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발생-고지대 배수유량의 저지대 집중 유입■개발로 인한 불투수율의 증가로 인한 홍수량 증대■

사회적 요인하천변 지지대에 인구 집중에 의한 피해증가■산업화로 인한 자산집중 및 증가로 홍수피해액 증가■사회기반시설의 침수로 인한 도시마비■

시설적 요인

노면 우수배제 시설 불량■빗물받이가 쓰레기로 차단됨-도로상의 우수 집수시설 부족-시설물 신설로 인한 우수유입부의 장애-빗물펌프장■빗물펌프장 펌프용량 및 유수지 용량부족-

외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배제 불량■하수관거에 의한 침수■하수관 선형불량으로 인한 유수흐름장애-하수암거내 이송잡물로 배수불량-

- 하천에 설계빈도 이상의 호우에 의한 외수위 상승으로 내수배제 불량복개 하수암거 용량 초과-하수관거 용량초과 및 접합부 불량-토구가 하천과 직각으로 연결 방류되고 있어 흐름이 정체-산사태 및 토사유출■산사태로 인한 하수관거 빗물받이 유수장애-사면붕괴로 인한 토사유출 발생-하천 범람에 의한 침수■하천제방 붕괴-설계기준보다 초과하는 홍수유량의 유입-댐 방류량 증가로 인한 수위상승-주택 및 지하공간■하수역류 방지 시설 미설치-침수방지턱 방수판 미비- ,

Page 6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7

자연적 요인1)

강우의 변화(1)

한반도의 중서부에 위치한 서울시의 일반적인 기상은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기상현상과 대동소이한 대륙성 계절풍지역으로서 동북아 태평양의 고기압권과

중부지역의 아열대 저기압의 영향으로 장마 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

다 서울관측소에서 관측된 자료에 의하면 최근 년간 년 년 의 연. 30 (1976 2005 )~

평균 강수량은 이고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월로 이고 가1358.8 8 361.1 ,㎜ ㎜

장 적은 달은 월로 로서 대체적으로 여름철 월 월 의 강수량이1 19.5 (6 9 )㎜ ~

로 전체 강수량의 약 정도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연평균995.7 72% .㎜

강수량은 그림 과 같이 최근 들어 홍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홍수 규모, < 3-6>

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연도별 강수량 변화< 3-6>

0

500

1000

1500

2000

2500

1976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강수량 연평균 강수량 연평균 5년 이동평균

그림 은 서울시 강수량 자료의 최근 년간 년 과 과거< 3-7> 10 (1996 2005 )~

년간 년 을 월별로 평균하여 비교한 것이고 그림 은 홍10 (1976 1985 ) , < 3-8>~

수기인 월과 비홍수기인 월의 최근 년 평균 강수량과 과거 년6 9 10 5 10 10~ ~

Page 6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8

평균 강수량을 비교한 것으로 강수량이 비홍수기에는 감소되고 홍수기에 집중되

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그림 과거 년간 및 최근 년간 평균 월 강수량< 3-7> 10 10

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강수

과거 10년 평균 최근 10년 평균

그림 홍수기와 비홍수기 강수량 비교 단위< 3-8> ( : mm)

특히 년 월 일에는 이틀 동안의 의 강우를 보였으, 2001 7 14 15 852.1mm~

며 일 새벽 시 분에서 시 분 동안 관악구에 내린 시간 최대 강우량, 15 2 20 3 20 1

은 로서 년 빈도의 강우량 건설교통부 을 상회하는 등 최근156mm 1000 ( , 2000)

의 호우 패턴이 돌발홍수 집중호우의 성격이 강해 짧은 시간에 많은 강우 패턴,

을 보여준다.

Page 6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49

불투수비율의 증가(2)

도시지역의 유출은 콘크리트구조물 도로와 같은 불투수지역이 많고 우수관,

거와 같은 인공적이고 수리학적으로 잘 정비된 배수계통으로 되어 있는 점이 특

징이다 도시지역에서의 도시화의 영향은 유출의 변화로서 나타난다 강우의 침. .

투가 가능한 투수면적의 감소로 유출률이 증가하고 총 유출체적이 증가한다 도.

시의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포장지역과 같은 불투수지면은 강우의 자연 침투를

방해하여 농경지가 많은 비도시지역에 비하여 유출이 짧은 시간에 크게 발생하

여 홍수피해의 위험이 증가한다 그림 는 유역응답이 신속하여 수문곡선. < 3-9>

의 상승부가 급해져서 첨두시간이 빨라지고 유역지체는 감소하며 홍수첨두가 증

가하는 도시화로 인하여 유출경향이 변화된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 유출수문곡선의 도시화의 영향< 3-9>

도 시 화 로 인 한 첨 두 시 간 의 감 소

개 발 후 직 접 유 출 수 문 곡 선

개 발 전 직 접 유 출 수 문 곡 선

유출

시 간

서울시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그림 과 같이 불투수면적이 크게 증< 3-10>

가하였다 불투수면적율은 년 에 불과 하였으나 개발이 본격화된. 1962 7.8%

년대에 들어오면서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년부터는 급격하게1970 18.6% 1982

증가하여 가 되었으며 그 후로도 계속 증가하여 년에는 를37.2% 2001 47.1%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불투수면은 대부분 대지와 도로가 차지하고 있어 시.

가화가 진행되면서 산림과 같은 녹지가 불투수면으로 전환되었다.

Page 6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50

그림 서울시 연도별 불투수면적율 변화< 3-10>

서울시 침수피해저감을 위한 우수저류시설 적용방안 시정연( ( 2004))

지형적인 원인(3)

산업화에 의한 인구의 도시지역 집중현상으로 토지이용도가 극대화되면서

하천변 홍수터 등 저지대에 까지 생활공간이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 .

해 동일한 호우에 대해서도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정비 빗물펌프장,

신증설 하수관거 개량 홍수예경보체계 구축 등 다양한 수방대책이 이루어 졌, ,․ ․음에도 불구하고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의 상습침수지역들.

은 일반적으로 저지대 지역에 위치한다 불투수층이 많고 하천의 직선화로 인하.

여 서울시의 경우 도달시간이 짧기 때문에 고지대에서 배수되는 유량이 저지대

로 짧은 시간에 유입되어 저지대의 첨두홍수량이 크게 나타난다 배수시설의 설.

계 용량을 넘어서는 첨두홍수량이 유입되어 노면수의 배수가 불량하거나 하천,

수위의 상승으로 하수역류가 발생하여 저지대의 침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 요인 인구 자산 및 사회기반 시설의 밀집2) - ,

서울시는 인구 건축물 등이 많이 밀집되어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의 인명 및,

Page 6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51

재산피해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도심지역에는 도로 지. ,

하철 교량 등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설물의 침수는 운송 시스템의, ,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도시의 산업과 기능을 마비시킨다 도시의 고도화.

로 지하공간 활용의 증가는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침수가 발생할 경우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도시의 침수는 기존 시설물 및 재산 피해. ,

뿐 아니라 장래 생산성에 있어서도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예상된다.

서울의 인구는 표 그림 과 같이 년부터 년까지< 3-8>, < 3-11> 1970 1990

천인에서 천인으로 전국의 연평균 증가율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함5,433 10,613

으로써 년간 배 가까이 성장하였으나 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증가세가20 2 1990

둔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년 만 명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1992 1,097

다 전국대비 서울시 인구비율은 년에 에서 년. 1970 17.3% 1980 22.3%, 1990

년 년 년 로 년대 이후로 감소추세이나24.5%, 2000 21.5%, 2005 20.75% 2000

여전히 많은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표 서울시 인구증가 추이< 3-8>

구분 1970 1980 1990 2000 2005증가율(%)

1980/1970 1990/1980 2000/1990

전국(A) 31,460 37,436 43,411 46,136 47,041 19.0 16.0 6.3서울시(B) 5,433 8,364 10,613 9,895 9,763 53.9 26.9 -6.8C/A(%) 17.27 22.34 24.45 21.45 20.75

자료 년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2020 ( 2006),

그림 서울시 인구변화 추이< 3-11>

0

2 0 0 0 0 0 0

4 0 0 0 0 0 0

6 0 0 0 0 0 0

8 0 0 0 0 0 0

1 0 0 0 0 0 0 0

1 2 0 0 0 0 0 0

1970

1972

1974

1976

197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Page 6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52

시설적 요인3)

도시지역은 대부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불투수포장으로 피복되어 있

어 강우의 유출이 우수 관거와 같은 인공적인 배수계통을 통하여만 이루어진다.

도시지역의 침수방지를 위한 대책은 하천 제방이나 수문 등을 설치하여 외

수의 범람을 막으며 하수관 또는 빗물펌프장 등을 설치하여 도시지역 내의 내수

를 외부로 배제하는 방법이 있으며 도시침수 발생시 내수를 배제하기 위한 적절

한 하수도 시설의 설치와 관리는 침수피해 방지대책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나 이러한 하수관거와 빗물펌프장 등 하수도 시설상의 문제가 집중호우 시

침수피해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표 는 년. < 3-9> 2001

월 집중호우 시 서울특별시의 수해원인별 침수피해 현황이다 하수관거와 빗물7 .

펌프장이 원인이 되어 침수피해가 발생한 경우는 전체피해규모 침수피해 세대(

수 기준 의 를 차지하고 있다) 56.7% .

표 서울시 수해원인별 침수피해 현황< 3-9>

구분 피해원인피해세대수 세대( )

비율 (%)

단일분야하수관거 분야 21,556 26.5빗물펌프장 분야 3,118 3.8하천 분야 8,423 10.4

복합분야

하수관거 분야 빗물펌프장 분야+ 21,499 26.4하수관거 분야 하천 분야+ 12,364 15.2하수관거 분야 기타 분야+ 3,970 4.9하수관거 분야 빗물펌프장 분야 하천분야+ + 326 0.4하수관거 분야 하천 분야 기타 분야+ + 1,035 1.3빗물펌프장 분야 하천 분야+ 8,746 10.8하천 분야 기타 분야+ 251 0.3

합계 81,288 100

자료 서울특별시: , 2002

산업화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하천변 홍수터 등 저지대에 까지 생활공간이

확대되고 최근 집중호우의 빈번한 발생과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지역의 증가 등,

Page 6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53

으로 점점 내수침수의 위험성이 높아지면서 도시지역 주택가 등에서 넘치는 우,

수를 하천으로 배제하는 방재시설인 배수펌프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

지만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의 경우 배수펌프장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되면서 배수

펌프장의 용량부족이나 정전으로 인한 기능 정지 시 피해가 가중되는 상황이 초

래 할 수도 있으므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Page 7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제 절 평가인자의 선정 및 자료변환1

제 절 요소별 평가모형 개발2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적용3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의 활용4

제 장 서울시 지역안전도Ⅳ

평가모형 개발

Page 7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57

홍수피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순서는 그림 과 같다 우< 4-1> .

선 홍수피해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인자선정원칙과 자료의 구득용이성을 고, ,

려하여 지역안전도 평가 요인 및 인자를 선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홍수.

피해 주요 인자에 대한 자료 계량화 및 표준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세 번째 단.

계에서는 홍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홍수피해 안전도 평가

에 있어서 인자들의 각각의 비중을 조사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GIS Tool

을 이용한 각 요소별로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요소별 평.

가결과를 조합한 지역안전도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림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 개발 순서< 4-1>

지역안전도 평가인자 선정

평가인자의 계량화 및 표준화 방안 결정

평가인자의 가중치 산정

각 요소별 평가 모형 개발

• 홍수피해 주요원인 분석

• 인자선정 원칙

• 자료의 구득 용이성

• 계량화- 주관적 평가 접근법

- 비용편익 평가

- 종합적 평가법

• 표준화- 표준치 적용법

- 순위적용법

- 기준치 비율 적용법

- 상한치 내 전이법

• 홍수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학계, 국공립기관, 설계회사 등

• 자료수집 및 GIS와의 연계

• 표준화 및 계량화

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각 요소별 평가결과의 중첩

• 종합안전도 평가 방안 제시

제 장Ⅳ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Page 7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58

제 절 평가인자의 선정 및 자료변환1

지역안전도 평가인자의 선정1.

홍수피해에 대한 지역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를 도출하여야 한다 앞장에, .

서 수행된 홍수피해 현황조사결과와 관련된 문헌들을 토대로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표 과 같이 크게 위험성과 저감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4-1> .

표 위험성과 저감성 그리고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

구 분 내 용

위험성

자연적 요인홍수량 증가지점과 지형상 저지대인 경우 홍수피해 위-

험성이 큼

과거피해 요인과거 홍수피해 발생 지역의 경우 홍수 재발 가능성이-

사회적 요인인구 및 자산 사회기반시설 등이 밀집된 지역일수록- ,

홍수시 많은 피해를 받을 잠재성이 큼

저감성

시설적 요인구조물적 대책을 통한 홍수방어시설의 확대로 홍수피-

해위험을 저감할 수 있음

행정적 요인지역별 저감 대비 대응 복구 대책 마련을 통해 홍수- , , ,

피해위험을 저감할 수 있음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요인별 인자는 홍수피해 원인 조사 자료를 토대로

인자선정 원칙2)과 자료의 구득용이성3)을 검토하여 표 와 같이 선정하, < 4-2>

2) 일반적으로 인자선정원칙은 다음 여섯 가지임 정기측정성 보편적이고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 ,있는 인자일 것 계량가능성 각 항목들의 측정기준을 포함하고 있는 인자일 것 목적관련성), ( ),검토하고자 하는 목적과 관련성이 큰 인자일 것 대상영향성 검토하고자 하는 대상에 민감( ), (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일 것 예측가능성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일 것 인자중복성 다), ( ), (른 항목과 중복되지 않는 인자일 것 이 중에서 목적관련성 대상영향성은 고려요인의 선정). ,및 항목별 대표인자의 선정과정에서 이미 반영되었으므로 정기측정성 계량가능성 예측가능성, ,이라는 세가지 관점에서 검토하고 인자중복성은 자료의 계량화 후 검토하고자 함, .

Page 7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59

였다 지점별 자료이거나 자료구득이 어려운 경우는 인자선정에서 제외하였으며. ,

다른 인자와의 관련성이 높은 인자들은 가장 대표적인 인자를 선정하였다 최종.

적으로 선정된 인자는 모두 개이며 표 과 같다12 , < 4-3> .

표 요인별 대표인자의 선정< 4-2>

요인 요소정기측정성

계량가능성

예측가능성

자료구축용이성

선정여부

비고

자연적요인

시간당 강우량ㆍ일 강우량ㆍ연강우량ㆍ불투수비율ㆍ저지대ㆍ평균경사ㆍ

○○○△△△

○○○○○○

???△△△

○○○○○○

●◎◎●●◎

과거피해요인

홍수피해액ㆍ인명피해ㆍ침수흔적도ㆍ

○○○

○○○

???

○○△

●◎●

사회적요인

인구수ㆍ인구밀도ㆍ자산밀도ㆍ공시지가ㆍ총 주택 수ㆍ

ㆍ사회기반시설

○○○○○○

○○○○○○

○○△△○○

○○△△△△

◎●●◎◎●

시설적요인

제방 개수율ㆍ댐 저수지 용량,ㆍ하수도 용량ㆍ배수펌프 용량ㆍ저류지ㆍ

○○○○○

○○○○○

△△△△△

△△△△△

●×●●◎

행정적요인

저감계획ㆍ대비계획ㆍ대응계획ㆍ복구계획ㆍ

○○○○

△△△△

△△△△

△△△△

●단일(화)

소방방재청의재난피해

저감능력진단점수 개발(중 의 활용)

주 대리변수로 고려 선정: ,◎ ●

양호 보통 미흡 어려움, , × , ?○ △

3) 자료구득의 용이성은 통계연보 보고서 등을 통해 가급적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인자인지,의 여부를 고려하였음.

Page 7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0

표 홍수피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인자< 4-3>

구 분 주 요 인 자

위험성

자연적 요인

강우량

불투수비율

저지대

과거피해 요인침수면적

홍수피해액

사회적 요인

인구밀도

자산밀도

사회간접시설의 밀집

저감성시설적 요인

외수방어능력

내수방어능력

홍수조절용량

행정적 요인 재난피해 저감능력진단점수4)

평가인자의 계량화 및 표준화 방안2.

계량화 방안1)

자료의 계량화를 통해 홍수피해에 대한 안전도를 지표화하여 각 지역별 상

대적인 홍수피해 안전도 정도를 손쉽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유무형의 가치를. ‧계량화하거나 서열을 매기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크게 주관적 평가법,

비용 편익 평가법 종합적 평가법이라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방법별- , .

로 지역별 홍수피해에 대한 안전도를 계량적 지표로 나타내기에 적합한 방법을

선정하기 위해 각 방법별 장단점을 요약하면 표 와 같다< 4-4> .‧

4) 행정적 요인의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점수는 소방방재청에서 풍수해에 대하여 가지 진단부6문 풍수해관리 및 경감 유관기관단체 및 민간 협력부문 대비계획 및 사전점검부문 방재전( , , ,문성 강화 및 홍보부문 예경보 및 대응부문 재해복구부문 을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평가하는, , )점수임.

Page 7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1

표 계량화 방법별 장단점< 4-4> ‧구 분 방 법 장 점 단 점

주관적 평가

접근법

계획가의 주관적 판단이나­

정책입안가의 정치적 의지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방법

자료분석비용이 부족한 경­ ‧우 환경변화를 예측키 어려운,

경우 소규모투자사업으로서,

결과가 분명할 때 유용

객관성 확보가 어려움­

사업의 영향 파악이 곤란­

대체사업과의 타당성 비교­ ‧검정 곤란

­바람직한 대안 파악이 곤란

순수

주관적

판단법

여러 개의 대안을 놓고 별­

다른 절차 없이 전적으로 계

획가의 주관적 판단이나 정

책입안자의 의도에 의존하여

결정하는 방법

향후 전망에 필요한 자료가­

부족 하여 직관이 합리적일

경우에 유리

사업 전후 파생되는 문제점­

들에 대한 대안수립이 곤란

­대규모 공공사업에는 부적합

서열법

사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대안별로 목표와의 합치성에

대해 주관적인 점수부여를

통해 우선순위 결정

사업효과를 분류점수화하여­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

점수화 과정이 주관적이어­

서 대규모공공사업에는 부적

델파이 법

평가자의 주관을 최소화하­

기 위하여 관련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법

반복수정으로 주관적 평가­

를 객관화

고립성반복성환류성이 특­ ‧ ‧징

반복과정이 복잡하고 긴­ ,

시간이 소요

리커드

척도법

평가자가 사업시행으로 인­

한 영향 정도를 기술 그에,

대한 등간척도를 수치로 제

시하여 의견수렴 후 그 결

과를 통계처리

척도의 구성이 간단­

측정의 정밀성 확보 가능­

서열척도라는 한계점­

단순 합산한 점수이므로 응­

답자의 태도를 명확히 알기

어려움

비용 편익­

평가법

사업시행에 따른 사회 경­ ,

제적 효과 검증을 위해 경

제적 편익과 비용을 현재가

치로 환산하여 비교분석함으

로써 사업의 우선순위와 타

당성을 평가함

금전적 가치로 계량화되므­

로 비교가 명확함

계량화의 한계 및 어려움­

다수의 소규모 사업은 분석­

에 많은 시간과 비용 필요

자료 국토연구원 자연형하천정비를 위한 하천환경특성 분석연구: . 2004. .

Page 7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2

표 계량화 방법별 장단점 계속< 4-4> ( )‧구 분 방 법 장 점 단 점

종합적

평가법

비용 편익분석법에 기초­ ­

하여 다양한 가치들을 상

정하고 기여도를 감안한

다판단 기준에 따라 합리

적으로 의사판단을 할 수

있게 함

계량화된 인자뿐만 아니­

라 계량화 불가능한 인자

도 고려가능

계획대차

대조표법

사업으로 인한 모든 사항­

을 금전적 또는 물량적으

로 계산하고 계량화가 불

가능한 사항도 기재하여

하나의 표로 정리

계량화가 어려운 항목도­

고려 가능함

계량비계량 요소를 모­ ‧두 고려 가능

단일지표로 나타나지 않­

아 인자간의 상대적 우열

비교가 곤란

체크

리스트법

각 기준별 지표의 평가치­

산정 후 지표별 가중치와

합산하여 부문별로 비교하

여 우선순위 결정

비용 편익법에 비해 다양­ -

한 투자우선순위 결정기준

을 고려할 수 있음

계산방법 및 적용이 간편­

부문별로 상이한 결정기­

준이나 지표를 채택할 경

우에는 다른 부문간의 직

접적 비교가 곤란함

복합변수

의사결정

분석법

측정할 수 없는 변수들에­

대해 효용곡선을 이용

양적질적 기준이 혼재­ ‧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

신뢰할만한 자료 확보가­

관건임

주관적 판단에 따름­

매트릭스

각종 행위와 그 행위로­

인해 영향을 받는 항목과

의 인과관계를 정량화한

매트릭스를 개발

단일지표를 이용­인자간의 인과성 규명이­

곤란

목표성취

행열법

각 목표에 대한 대안별­

상대적 달성도 산출 후 중

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곱

하여 합산함으로써 하나의

종합지표로 나타냄

단일지표를 이용­

가중치 산정과정에 정책­

결정자 참여

인자간의 가중치를 고려­

상대적 계량화만 가능­

절대적 타당성평가는 곤­

공조

분석법

두개의 대안을 평가하는­

기법으로 의사결정자의 선

호도를 체계적으로 밝혀

대안의 우열성을 식별

계량화된 판단기준을 이­

용함

여러 개의 대안비교에는­

불리

자료 국토연구원 자연형하천정비를 위한 하천환경특성 분석연구: . 2004. .

Page 7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3

표준화 방법2)

임의지역의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선정하여도 인자마다 단위

나 가중치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합산하여 비교할 수 없다 따라서 인자 값들.

의 크기와 단위에 따른 편차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표준화하는 과정이 필요

하다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표준화 방법들로는 정규분포상의 표.

준치 적용법 순위적용법 기준치비율 적용법이 있으며 각 방법별 장단점을 요, , , ‧약하면 표 와 같다< 4-5> .

표 표준화 방법별 장단점< 4-5> ‧구 분 방 법 장 점 단 점

표준치

적용법

각 인자별 점수를 정규분포­

로 가정하여 표준치를 계산

적용함

모든 인자에 대해 표준치를­

계산하면 서로 다른 의미의

인자를 단일한 척도 로 효과

적으로 전이시킬 수 있음

평균치 이하의 점수는 음수­

값으로 산정 되므로 별도로

처리해야 함

순 위

적용법

모든 대안들을 한 인자의­

평점 순으로 나열한 후 순위

에 따라 점수 부여

인자별 점수를 명확히 부여­

할 수 있음

사업의 개수에 따라 모든 사업­

대안의점수가 변할 수 있음

비율척도인 인자점수를 서열척­

도의 등간격으로 전이시키면서

점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음

기준치

비 율

적용법

기준치를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각 인자의 비율을

설정하여 비율에 따라 표준

화하는 방법

각 인자의 비율을 설정하는 작­

업이 값을 왜곡시킬 수 있음

기준치 설정이 문제시 됨­

상한치

전이법

부여된 평가점수의 최대치­

를 점으로 보고 다른 점100

수를 같은 비율로 환산하는

방법

한 인자 내에서는 주어진­

점수와 동일한 비율로 적용

될 수 있기 때문에 등간척

도화되지 않음

추가된 사업의 점수가 기존­

평가점수의 최대치 이상일

경우에는 모든 대안의 평가

점수를 재계산해야 함

모든 인자를 각각 점 만­ 100

점으로 봄

자료 국토연구원 자연형하천정비를 위한 하천환경특성 분석연구: . 2004. .

Page 7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4

평가인자의 가중치 산정3.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을 위해 표 의 각 인자에 대한 가중치 산정< 4-3>

방법을 조사하였다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조사목적 항목의. , ,

중요도 체계구성 그리고 설문조사의 용이성 등에 따라 적용하는 방법은 표, <

과 같이 대표적인 가중치 산정방법으로는 척도표시법 순위척도법 전문가4-6> , ,

에 의한 점수할당법 다중회귀분석법 교환분석법 개인질문법 계층분석법 컨조, , , , ,

이트분석 등이 있다.

표 가중치 산정방법별 장단점< 4-6> ‧구 분 방 법 장 점 단 점

척도표시법

의견조사를 통해 각 인자들­의 중요도를 점 척도나 점5 7척도로 표시한 후 통계처리하여 가중치 산정

적용이 용이함­

인자간의 상대적 중요도 파­악이 곤란함질문의 표현방법에 따라 응­답이 다름

순위척도법

여러 개의 인자설정 후­인자에 대한 선호도 순위를 정하고 통계 처리하여선호도가 가장 높은 대안선정

인간의 사고방식에 적합함­적용이 용이함­

순위는우선도를나타낼뿐 가중치­나 인자간의 상대적 중요도 파악이곤란우선순위에따라부여하는점수 자­체가임의적일수있음조사항목많으면왜곡결과도출­

전문가에 의한점수할당법

전문가들이 개발 인자들­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할당하여 산정

점수를 배분하는 과정에서­균형 잡힌 상대적 중요도의도출이 가능가중치 도출이 신속용이함­ ‧

인자수 증가시 배점이 곤란­인자의 측정단위 상한과 하­ ,한 과제의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고려하지 못함

다중회귀분석법

각 대안들의 프로필을 보여주­고 대안별 총점을 매겨 그 점수와 프로필에 대한 인자간의상호관계를회귀분석

작성자의 저항감이 없음­

다수의 프로필을 준비해야­함프로필의 설계와 구성이 곤­

교환분석법

한 인자에서는 손해를 보고­다른 인자에서는 이들을 보아종합적으로 득실이 영 이“ ”되게 하는 방법

이론적 타당성을 잘 갖추고­있음

질문과 응답에 많은 시간과­노력 필요

계층분석법

계층도 쌍체비교 중요­ → →도 결정 종합적 중요도→계산의 절차에 따라 결정하는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

숫자지표이므로인자들의영향을­상대적크기로표시가능대안별로 종합적인 비교검토가­ ‧가능판단의적합성검토가가능­

조사방법이 까다롭고 긴 시­ ,간이 필요전문가집단으로 조사대상을­한정하는 것이 바람직

자료 국토연구원 자연형하천정비를 위한 하천환경특성 분석연구: . 2004. .

Page 7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5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기간 등을 고려할 때 인자간의 중요도 파

악이 가능하고 작성자가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짧은 기간에 신속하게 균형 잡, ,

힌 가중치를 산정할 수 있는 점수할당법을 적용하였다.

점수할당법은 인자 수가 증가하면 작성자들의 배점이 곤란하다는 것이 단점

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안전도 평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크게 위.

험성과 저감성으로 나누고 이들을 각각 계층적 구조를 통해 점수할당법의 단점,

을 보완하고 작성자들이 손쉽게 균형 잡힌 가중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해 표 과 같이 학계 연구소 기업체 국가기관< 4-7> , , ,

종사자를 대상으로 경력은 표 과 같이 대부분 관련 직종 년 이상의 경< 4-8> 3

력자로서 하천 및 방재 분야 도시계획 기상 댐 관리 등의 전문가에게 조사를, , ,

실시하였다 사전에 전화연락을 통해 조사 개요와 목적 조사양식 작성방법 등을. ,

설명한 후 이나 팩스로 자료를 송부한 후 회수하였다 조사대상자, e-mail . 50

명 중에서 조사에 응답한 사람은 명으로서 회수율은 였다44 88% .

표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자의 현장실무경력 현황< 4-7>

경력 년미만1 년미만3 년미만5 년 미만10 년 이상10

인원 0 10 15 8 11

백분율 0.0% 22.7% 34.1% 18.2% 25.0%

표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자의 관련직종 현황< 4-8>

직업 학계 연구소 기업체국가기관및 공사

총계

인원 3 10 19 12 44

백분율 6.8% 22.7% 43.2% 27.3% 100%

Page 8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6

조사결과는 그림 와 같이 위험성과 저감성은 각각 와 의 비율< 4-2> 56% 44%

로 조사되었고 각 요인별로는 시설적요인 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자연적, (30%) ,

요인 사회적요인 과거피해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27%), (15%), (14%)

조사되었다 인자별로는 행정적요인의 저감능력 점수 가 가장 큰 영향을 미. (14%)

치며 강우량 외수 내수 홍수조절 등의 영향이 큰 반, (12%) (10%), (10%), (10%)

면 사회기반시설 밀집정도 가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조사되(4%)

었다 즉 전문가들은 홍수피해 안전도는 주로 강우량과 같은 자연적요인과 시설적. ,

요인과 저감능력점수 등에 높은 점수를 줌으로써 정확한 홍수예경보와 구조적 비, /

구조적 대책 수립을 통해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전문가 조사를 통하여 산정된 인자별 가중치는 표 와 같다. < 4-9> .

그림 설문조사 결과 각 요인별 가중치< 4-2> ( )

자연적요인27%

과거피해요인14%

사회적요인15%

시설적요인30%

행정적요인14%

자연적요인 과거피해요인 사회적요인

시설적요인 행정적요인

표 설문조사 결과 각 인자별 가중치< 4-9> ( )

위험성(0.56) 저감성(0.44)

자연적요인(0.27)

과거피해요인(0.14)

사회적요인(0.15)

시설적 요인(0.30)

행정적요인(0.14)

강우량불투수비율

저지대침수면적

홍수피해액

인구밀도

자산밀도

SOC밀집

외수방어

내수방어

홍수조절

저감능력점수

0.12 0.07 0.07 0.07 0.07 0.06 0.05 0.04 0.10 0.10 0.10 0.14

Page 8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7

제 절 요소별 평가모형 개발2

공간 단위의 결정1.

자연재해대책법 개정안 에 따르면 각 구청 및 서울시는 풍수해저(2005.8.4) ,

감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안전도평가를 거치도록 명시하,

고 있다 그러나 소방방재청에서는 지역안전도평가방법 및 절차에 관한 지침이.

준비 중에 있으며 적용 범위가 시군구 행정구역별로 적용토록 구성됨으로써, ․ ․각 구청별 풍수해저감계획 수립 시 보다 적용 단위가 구보다 더 세밀한 지점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표 는 자료의 구득 가. < 4-10>

능성을 조사한 내용이다 그 결과 많은 부분에서 세부지점에 대한 데이터 추출.

시 구득이 쉽지 않았다 대부분의 데이터는 동단위에서 구득이 용이하였으며 이. ,

러한 관계로 동단위로 적용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은 지역안전. < 4-3>

도평가의 지자체별 활용방안을 나타내며 를 이용한 자료의 중첩을 통해 동, GIS

단위별 지역안전도 평가를 이용하여 구단위 평가방안을 보여준다.

그림 지역안전도평가의 지자체별 평가순서< 4-3>

- 메뉴얼

- 기술지원

- 재원지원

서울시 구별 지역안전도 평가

서울시 지자체(구청)

동단위 평가

Page 8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8

표 인자별 구득 가능 공간단위< 4-10>

주요 인자구득 가능 공간단위

비 고구단위 동단위 세부지점

강우량 ○ △ △ 강우관측소가 조밀하게 분포하지 못함구별 한 두개( )

불투수비율 ○ ○ △ 분석 토지이용현황도GIS ( )

저지대 ○ ○ ○ 분석 저지대 분석GIS ( )

침수면적 ○ ○ △ 개별주택지침수피해주택관리대장( )

홍수피해액 ○ × × 재해연보 구별 집계( )

인구밀도 ○ ○ ×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 동별 집계( )

자산밀도 ○ ○ × 표준공시지가 동별 집계( )

사회간접시설의 밀집 ○ ○ × 분석 도로 철도연장GIS ( , )

외수방어능력 ○ ○ × 분석 하천 개수율GIS ( )

내수방어능력 ○ ○ × 서울시하수도관리전산시스템

홍수조절용량 ○ △ × 서울시하천관리전산시스템

재난피해저감능력진단점수

○ × × 구별 평가

인자별 자료 구축 방안2.

전 절에서 선정된 홍수피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인자인 표 에 대< 4-3>

하여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를 위한 자료의 구축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

다.

위험성 요소1)

자연적 요인(1)

강우량①

서울시에서는 홍수정보시스템에 의하여 구청별로 개소 또는 개소의 강우1 2

Page 8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69

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개의 강우 관측소에서 실시간으로 강우량을 관47

측하고 있다 정확한 지역 평균 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위하여 개 관측소. 47

중 개 구청 관측소를 기준으로 그림 와 같이 티센 망을 구25 < 4-4> (Thiessen)

성하여 지역별 면적비를 고려하였다 지역별 강우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우.

량 자료로는 빈도별 확률강우량자료 혹은 시간강우량 일강우량 연 강우량 자료, ,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강우량과 연강우량은 시간강우량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

되며 서울관측소를 제외한 대부분 관측소의 자료축적 기간이 짧은 관계로 확률,

강우량 산정이 어려운 관계로 호우주의보 발령 기준인 시간당 이상의 강20mm

우 발생 횟수를 기준으로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림 는 강우량에 대한 위. < 4-5>

험도를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그림 서울시 강우관측소 및 분할 현황< 4-4> Thiessen

Page 8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0

그림 강우량에 대한 위험정도 산정 절차< 4-5>

구청별 관측소 자료수집

Thiessen망 구축 / 면적비 산정

시간당 20mm이상의 강우 (호우주의보 발령기준) 발생횟수

강우량에 대한 위험정도 산정

불투수비율②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불투수포장 비율의 증가는 유출량을 증가시켜 홍

수재해를 가중시킨다 불투수비율자료 구축을 위하여 그림 과 같은. < 4-6> 2005

년 서울 도시생태현황도에 수록된 서울지역 토지이용현황을 조사한 후 대상 소

유역인 동별 불투수토포비율을 산정하였다 그림 은 지역별 불투수지역을. < 4-7>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그림 서울시 토지이용현황도< 4-6>

Page 8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1

그림 지역별 불투수비율 산정 절차< 4-7>

토지이용 현황도

불투수지역 기준 작성

불투수지역면적 / 해당지역 면적

지역별 불투수 비율 산정

저지대③

저지대의 사전적인 의미는 낮게 자리 잡은 한정된 일정구역을 뜻한다 본 연.

구에서는 서울시를 관류하는 하천인 한강의 홍수위를 기준으로 하여 한강의 계

획홍수위 년 빈도 이하인 지역을 저지대로 분류하였다 한강에 합류되는(200 ) .

주요 지천지점의 계획홍수위는 표 과 같으며 주요 지천이 합류하는 지< 4-11> ,

점의 계획홍수위 이하인 지점을 그림 과 같이 분석하였다 그림< 4-8> . < 4-9>

는 저지대비율을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표 주요지천 합류부의 한강계획홍수위 년 빈도< 4-11> (200 )

주요지점 창릉천 안양천 홍제천 반포천 중랑천 탄천 성내천 고덕천

계획홍수위(EL. m)

12.03 13.27 13.48 15.74 17.05 18.01 18.53 19.84

Page 8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2

그림 한강 계획홍수위 이하 저지대 현황< 4-8>

그림 저지대비율 산정 절차< 4-9>

각 유역 및 하천 합류지점의 계획홍수위 산정

각 유역별 계획홍수위 이하지점 산정

저지대 비율 산정

지형 표고자료 수집

과거피해 요인(2)

침수면적①

침수면적은 침수피해주택관리대장을 기반으로 하는 침수흔적도를 이용하여

서울시 침수피해가 심했던 년 년과 년의 침수흔적도에 수록된 침98 , 2001 2003

수지역의 면적을 해당지역의 침수면적비로 계산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림. <

은 침수면적비를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4-10> .

Page 8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3

그림 침수면적비 산정 절차< 4-10>

침수흔적도(침수피해 주택관리대장)

침수지역 침수주택면적 계산

주택침수면적/해당지역 면적

침수면적비 산정

홍수피해액②

홍수피해액은 재해연보에 기록된 과거 년간 지역별 평균피10 (1996-2005)

해액자료를 산정하여 피해액 밀도로 환산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림. <

은 홍수피해 밀도를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4-11> .

그림 홍수 피해액밀도 산정 절차< 4-11>

지역별 평균피해액(재해연보)

10년간 평균피해액 산정

10년간 평균피해액

/ 해당지역 면적

피해액 밀도 산정

사회적 요인(3)

인구①

인구는 서울시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인구를 수집 한 후 행정구

Page 8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4

역별 인구밀도로 환산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림 는 지역별 인구밀. < 4-12>

도를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그림 지역별 인구밀도 산정 절차< 4-12>

서울시 주민등록 인구통계자료

행정구역별 인구산정

행정구역별 인구/해당지역 면적

지역별 인구밀도 산정

자산밀도②

자산밀도는 표준공시지가 자료를 수집한 후 면적 평균하여 행정구역별 평균

표준공시지가 자료를 구축하여 자산밀도를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림. <

은 지역별 자산밀도를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4-13> .

그림 지역별 자산밀도 산정 절차< 4-13>

표준 공시지가 자료수집

면적평균 공시지가 산정

면적평균 공시지가

/ 해당지역 면적

지역별 자산밀도 산정

Page 8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5

사회간접시설③

사회간접시설은 홍수재해발생시 주로 피해를 입는 도로 및 철도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행정구역별 도로 및 철도의 밀도를 계산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림 는 서울시 도로 및 지하철 철도현황이며 그림 는 지역별< 4-14> < 4-15>

사회간접시설 밀도를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그림 서울시 도로 및 지하철 철도 현황< 4-14>

그림 지역별 사회간접시설밀도 산정 절차< 4-15>

도 로 , 지 하 철 G IS 자 료 수 집

지 역 별 도 로 , 지 하 철

총 연 장 산 정

지 역 별 도 로 ,지 하 철 총 연 장 /해 당 지 역 면 적

지 역 별 사 회 간 접 시 설 밀 도 산 정

Page 9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6

저감성 요소2)

시설적 요인(1)

외수방어능력①

외수방어능력은 행정구역별 인접하천의 개수율로 산정하였으며 하천정비기,

본계획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하천에 인접하지 않은 행정구역의 경우 외수

방어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포함 시켜 평가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림 은. < 4-16>

지역별 개수율을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그림 지역별 외수방어능력 산정 절차< 4-16>

하천정비 기본계획

하천별 개수율 산정

지역별 개수율 산정

하천 GIS자료

내수방어능력②

내수방어능력은 행정구역별 배수관거의 총 체적에 행정구역면적을 나눈 행

정구역별 배수관거의 용량으로 평가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림 은 서울. < 4-17>

시 하수관망 현황이며 그림 은 지역별 하수관거 비율을 산정하는 절차< 4-18>

를 나타낸다.

Page 9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7

그림 서울시 하수관망 현황< 4-17>

그림 지역별 내수방어능력 산정 절차< 4-18>

하 수 관 거 G IS 자 료 수 집

지 역 별 하 수 관 거 총 체 적 계 산(각 관 거 단 면 적 ×관 거 연 장 )

지 역 별 하 수 관 거 총 체 적

/ 해 당 지 역 면 적

지 역 별 하 수 관 거 비 율 산 정

홍수조절용량③

홍수조절용량은 빗물펌프장의 처리능력으로 평가하였다 빗물펌프장의 혜택.

을 입는 몽리면적을 행정구역의 면적으로 나눈 행정구역별 몽리면적비를 산정하

여 평가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림 는 서울시 빗물펌프장 현황이며 그. < 4-19> , <

림 은 지역별 홍수조절율을 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4-20> .

Page 9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8

그림 서울시 빗물펌프장 현황< 4-19>

그림 지역별 홍수조절율 산정 절차< 4-20>

펌프장 GIS자료 수집

지역별 빗물펌프장 몽리면적 산정

지역별 몽리면적/해당지역 면적

펌프장 운영자료 수집

지역벽 홍수조절율 산정

행정적 요인(2)

행정적 요인은 홍수재해저감을 위한 비구조물적인 대책을 고려하는 요인으

로 그림 과 같이 소방방재청에서 시행하는 재난피해저감능력 진단점수< 4-21>

를 이용하고자 한다 재난피해저감능력 진단점수는 풍수해와 설해한파분야로 나. ․뉘며 이중 풍수해분야 진단점수를 활용하고자 한다 풍수해 진단점수는 총점.

점을 기준으로 풍수해관리 및 경감 유관기관 단체 및 민간협력 대비 및 사810 , ,

Page 9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79

전점검 방재전문성 강화 및 홍보 예경보 및 대응 재해복구의 부문으로 나누어, , ,․평가하고 있어서 홍수재해저감에 대한 종합적이고 합리적인 지표로 판단된다.

풍수해분야 재난피해저감능력 진단점수 항목 및 배점은 표 와 같다< 4-12> .

하지만 아직 시범사업이 시행중으로 서울시 구청별 진단점수가 산정되지 않

은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소 안전 측에 속하는 의 점수를 전 구청에80%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추후 진단점수 산정 후 자료를 추가

할 경우 보다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행정적 요인 산정 절차< 4-21>

재난피해저감능력 진단점수(소방방재청 )

풍수해관리 및 경감

유관기관단체 및 민간협력 부분

대비계획 및 사전점검 부분

방재전문성 강화 및 홍보 부분

예경보 및 대응 부분

재해복구 부분

Page 9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0

표 소방방재청 풍수해분야 재난피해저감능력 진단점수 항목 및 배점< 4-12>

진단부문 진단항목 진단내용

풍수해관리 및경감

점(500 )가점 점( 30 )감점 점( 10 )

지역안전도 제고를 위한 지정학적 위치및 풍수해 특성 조사분야 점(30 )

지정학적 위치 특성조사 결과 정책 반영 점(15 )풍수해특성 분석결과 정책 반영 점(15 )

하천재해 예방 분야 점(130 )

하천정비 기본계획 수립정비 점(50 )․하천 기성제에 대한 점검조사 점(40 )하천 기성제 정비계획 수립 점(20 )하천 기성제 정비사업 수립 점(20 )

내수침수재해 예방분야 점(130 )

내수침수재해 예방 저감대책 점(30 )배수로 피해 저감대책 점(20 )외수위 영향으로 인한 피해 저감대책 점(20 )우수유입시설 문제로 인한 피해저감대책 점(20 )도로노면 침수유발 피해 저감대책 점(20 )우수유출 저감계획 수립 점(10 )저류지 시설계획 점(10 )

토사유출재해 저감대책 점(40 )토사유출 재해예방 저감대책 점(20 )산지침식 및 홍수피해 저감대책 점(20 )

급경사지붕괴 저감대책 점(50 )급경사지붕괴지역 재해예방 저감대책 점(30 )낙석 및 사면붕괴 저감대책 점(10 )절개지 옹벽 등 위험시설물 피해저감대책 점, (10 )

자연재해위험지구관리 점 감점 점(60 )( 10 )가점 점( 20 )

자연재해위험지구 지정 점 감점 점(20 )( 10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실적 점 가점 점(20 )( 20 )자연재해위험지구 재해사전대비 및 관리 점(20 )

소하천 정비사업 점(60 ) 소하천정비사업 추진 점(60 )

풍수해저감종합계획 가점 점( 10 )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가점 점( 10 )

유관기관단체및 민간협력

점(40 )방재관련 유관기관 네트워크구축 점(40 )

방재관련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점(20 )민간협력 네트워크 구축 운영 점(20 )․

대비계획 및사전점검

점(140 )

방재시설물 점검 정비 점(40 )방재시설물 정기수시 점검정비 실시 점(20 )․ ․중점관리대상 방재시설물 점검정비 점(20 )․

배수펌프장운영 점(60 )배수펌프장 운영 점(30 )배수펌프장 유지관리 및 주기적 점검 점(30 )

강풍대비태세 점(20 ) 강풍 시 시설물 보호대책 점(20 )

도시 내 홍수위험요소 제거 점(20 ) 가로등 등 침수 시 누전위험성 점검정비 점(20 )․방재전문 강화

및 홍보점(40 )

풍수해대비 주민 홍보 교육 점(40 ))․ 풍수해대비 시설물점검 등 안내방송홍보 점(20 )․재해위험취약지구 주민교육홍보 점(20 )․

예경보 대응,점(40 )

예 경보 체계 점(40 ))․ 예경보 체계 구축 점(20 )․예경보시설 유지관리 점(20 )․

재해복구점(40 )

감점 점( 10 )재해복구사업 추진 점 감점 점(40 )( 10 )

부실시공 방지대책 점(20 )피해재발 방지대책 점(20 )재해복구사업의 사전심의 실시 감점 점( 10 )

참고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구축 및 세부 평가수행방안에 대한 연구 소방방재청< : 2006>

Page 9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1

요소별 평가3.

지역안전도 평가의 요소별 평가는 인자별로 구축된 자료를 표준화 한 후 홍

수피해 요인별 위험성 저감성 평가를 위하여 각 인자별로 산정된 가중치를 인( , )

자에 곱한 후 요소별로 합산하여 평가 점수를 산정하였다 하지만 요소별로 구.

축된 자료들이 자료의 성격에 따라 구단위 또는 행정동 단위 법정동 단위와 같,

이 공간적 범위가 상이하게 구축되어 이들에 대한 통일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그림 와 같이 을 이용하여 각 요소들의 레이< 4-22> GIS tool

어를 중첩시킨 후 최소 단위로 분할한 후 각 영역의 속성정보인 인자들의 점수

를 최소 공간단위인 동단위로 면적 평균하여 통합하였다 요소별 평가는 각 인.

자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 합을 통하여 산정한다.

그림 요소별 평가 방법 절차< 4-22>

레이어 중첩/intersect

인자별 표준화 데이터 구축(구, 행정동, 법정동, thissen망) 요소별 평가

•동별 합산 형가•가중치 부여•동별 면적평균점수 계산

Page 9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2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4.

통합 지역안전도 평가1)

위험성 요소와 저감성 요소로 각각 평가된 점수를 통하여 지역의 위험성 정

도와 저감성 정도를 상대적으로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의 안전도는 지역.

의 위험성과 저감성을 고려한 개념으로 저감성은 지역의 위험성을 경감시키므로

위험성 요소 평가 점수에 저감성 요소 점수를 감 하여 지역안전도 평가 점수( )減

로 설정하였다.

위험성과 저감성은 전문가 조사에 의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하였다.

지역안전도 평가등급 분류방법2)

지역안전도평가에 의하여 평가된 지역에 대하여 위험성과 저감성 특성을 고

려하여 단계로 구분하고자 할 때 등급 구분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필요하다5 .

단계 구분도는 등급구간으로 나누어 각 등급구간별로 기호를 달리하며 표현

하는 지도이다 지역별 안전도를 상대적인 등급으로 구분하여 표현하는 지역안.

전도 평가지도는 단계구분도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겠다 단계구분도의 경우.

등급분류법에 따라서 표현되는 지도패턴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므로 단계구분도

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등급의 분류화.

는 지도제작자가 단계구분도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게 하는 수단(classification)

이라고 볼 수 있으며 지도제작자가 주어진 지리적 현상의 분포를 얼마나 잘 이

해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분류화의 방법이 달라진다.

등급구간의 분류방법이란 계급의 간격과 등급구간의 경계를 결정하는 방법

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표 과 같이 크게 다섯, < 4-13>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Page 9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3

표 등급구간의 분류방법< 4-13>

분류방법 내용

외인적 자료분류법

외부적으로 이미 보편화되어 있는 결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ㆍ예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소득수준 노인층의 인구는 세 이상 등: ( 65 )ㆍ

임의적 자료분류법

어떤 특별한 의미나 기준 없이 임의적으로 편의상 분류하는 방법(5,10,20,30,40,50,80,100)ㆍ

개성기술적분류법

자연적 구분 자료의 도수분포도를 토대로 자연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지점들을 중심으로 하여 분류ㆍ

단계적 구분 누적적 도수분포곡선상에서 기울기의 변화가 나타나는 점을 중심으로 하여 분류ㆍ

상관 관계적구분

주어진 지도에서의 유사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토대로 하여 분류ㆍ

사분법 각 계급에 같은 수의 관측치가 포함되도록 분류ㆍ

포섭된 평균계급구간법

도수분포평균을 두 계급으로 구분하기 위해 임계치를 정하여 분류한 후 나누어진 각 계급구간의ㆍ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다시 또 두 그룹으로 분류

연속적 분류법

정규비율법 가정된 정상곡선상에서 같은 빈도계급으로 나누는 법ㆍ

표준편차법 정규분포하는 자료집단의 경우 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표준편차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법ㆍ

등간격법도수분포상의 자료배열이 사각형 모양으로 나타나고 행정구역도 거의 같은 크기일 때 사용하는 분ㆍ류법

산술급수적누진법

자료집단의 배열이 산술급수의 누진적 형상으로 나타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변수적 체계,ㆍ적 수학적인 계급구간의 체계,

기하급수적누진법

자료의 배열이 기하급수의 누진적 형상으로 나타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지리적 자료의ㆍ경우에 이런 형상으로 나타남

최적 분류법자연적 구분법을 보완한 것으로 계급구간 내에서는 동질성을 계급구간에서는 이질성을 최대화 하도록 고안한 것으,ㆍ로 계급구간은 불규칙하고 계급구간의 경계도 비조직적이다.

이 중 본 연구 수행과정에서 수행된 에서는 자연적 구분법 등간격Arc GIS ,

법 표준편차법 사분법을 이용하며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자연적 구분법 의 최적화 방법(1) -Jenks

이 방법의 기본개념은 그룹 내에서는 동질성을 그룹 간에서는 이질성을 최,

대화하여 그룹하는 것이다 최적화 방법은 흔히. Goodness of Variance

라고 불리는데 이는 등급평균으로 부터의 편차의 제곱의 합을 최소화Fit(GVF) ,

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이며 이때의 의 값이 최대가 된다, GVF .

의 최적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산출된다Jenks .

식 과 같이 전체 자료집단의 평균값(4.3) (① 을 산출하고 각 관측치들이) ,

Page 9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4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분산되어 있는가를 계산한다.

(4.3)

등급구간을 설정한 후 각 등급구간의 평균을 구한 후(② 식 와 같) (4.4)

이 각 등급구간에 속한 관측치들이 그 구간의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분산

되어 있는가를 산출한 후 전체 분산의 합을 구한다.

(4.4)

의 값은 식 로 산출한다GVF (4.5) .③

(4.5)

등급구간을 변화시켜 을 구하여 값이 에 근접하는 최대값이 될SDCM GVF 1

때의 구간을 구하며 그때의 구간이 최적화된 등급구간이다.

의 최적화 방법의 장점은 원하는 등급의 수에 따라서 최적적인 등급구Jenks

간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등간격법(2)

자료를 분류화 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각 등급의 구간을 등

간격 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등간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equal interval) .

해 산출된다.

자료집단의 범위를 계산한다 범위 최고치 최저치.( = (H)- (L))①

이미 정해진 등급의 수로 범위를 나누어서 각 등급구간의 차이 를(CD)②

식 과 같이 산출한다(4.6) .

범위등급의 수 (4.6)

Page 9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5

각 등급구간의 경계를 정한다.③

- 제 계급구간의 경계= 1

- 제 계급구간의 경계= 2

- 마지막 계급구간의 경계=

이러한 분류방법에 의해 단계 구분도를 구축하는 경우 직관적으로 보기에 상

당히 좋으며 범례도 질서 정연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 분류법은 행정구역단위.

가 같은 크기이며 나타내고자 하는 현상의 도수분포도가 사각형으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우에 적용하기 좋은 방법이지만 실제에서는 그러한 경우가 거의 없다.

표준편차법(3)

자료집단이 정규분포를 하고 있는 경우 계급구간의 경계는 표준편차를 이용

하여 정하는 것이 좋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평균값을 중심으quartile .

로 표준편차의 값에 의해 구간의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여 지도화할 경우 독도 자가 표준편차의 의미( )讀圖

와 이 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만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분위법(4) (quartile)

분위법은 각 등급에 같은 수의 사례수가 포함되도록 등급구간의 경계를 설

정하는 것으로 분위법을 이용한 경우 등급구간은 불규칙한 간격으로 만들어진

다 따라서 행정구역의 크기가 상당히 다를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행정구역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 등급구간의 경계의 중요성을 약화시,

키게 된다.

등급구간의 경계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결정된다.

모든 자료를 가장 큰 값부터 크기 순으로 배열한다.①

Page 10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6

각 등급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례수를 다음 식으로 결정한다.②

행정구역의 수등급의 수 (4.7)

지역안전도평가 등급 분류방법 결정3)

다양한 분류방법에 의해서 구축된 단계구분도 가운데 어느 지도가 더 좋은

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와 은 오차지수 측정법을 고안하Jenks Caspell(1971)

였다 등급의 수와 등급구간의 경계에 따라서 지도상에 나타난 면적기호패턴이.

달라지므로 실제 각 지역의 실측값과 지도상에 등급구간으로 분류되어 표현된,

등급구간 값의 차이를 측정하여 그 차이가 적게 나타나는 지도일수록 보다 잘

구축된 지도라고 판정 할 수 있다 즉 가장 정확한 지도란 실측값과 등급구간으.

로 나타난 수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표현된 지도라고 할 수 있다 단계구분도의.

오차는 식 과 같은 오차지수의 형태로 표현되며 오차지수의 산정방법은(4.8)

표 와 같다< 4-14> .

오차지수(E) =특정분류법에 따른 오차

최대오차

=각 지역 면적비 계급구간의 중앙값 실제 관측치×( - )2

각 지역 면적비 계급구간의 중앙값 평균값×( - )2 (4.8)

표 오차지수 산정절차< 4-14>

평가단위전체면적에①

대한 비율실측값②

단계구분도에③의한 값

특정분류법에따른 오차

최대치 오차

행정동각 행정동면적

서울시면적/각 동별

안전도평가점수

각 분류법별계급구간의

중앙값(median)×( - )① ② ③ 2 평균값×( - )① ② 2

Page 10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7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적용3

앞 절에서 정립한 홍수피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서울시에 적용하

여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자료의 계량화 및 표준화1.

기 구축된 인자의 자료들은 서로 단위나 범위 등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하기

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인자들의 크기와 단위에 따른 편차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표준화 과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점수법과 점수법을 이용하여 표준화Z T

하였다 표준점수 는 원점수 의 상대적 위치를 알. (standard score) (raw score)

려주는 점수로서 어떤 점수와 평균간의 차이 즉 편차를 표준편차로 나누어서, ,

변환시킨 점수를 의미한다 표준점수를 사용하게 되면 서로 다른 의미의 인자를.

단일척도로 효과적으로 전이 시킬 수 있다.

점수법1) Z

어떤 분포의 원점수 를 표준점수(raw score) 로 바꾸면 평균이 표준편0,

차가 인 단위정상분포가 되기 때문에 산술적 조작을 쉽게 할 수 있고 분포가1 ,

다른 점수들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표준점수. 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

고 그림 은 각 인자별 결과이다, < 4-23> .

(4.9)

여기서, 는 표준화 값, 는 인자 값, 는 인자에 대한 평균치, 는 인자

에 대한 표준편차이다.

Page 10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8

강우량< >- 4

- 3

- 2

- 1

0

1

2

0 5 1 0 1 5 2 0 2 5 3 0

불투수 비율< >- 2 .5

- 2

- 1 .5

- 1

- 0 .5

0

0 .5

1

1 .5

2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6 0 0

저지대< >- 1

- 0 .5

0

0 .5

1

1 .5

2

2 .5

3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6 0 0

침수면적< >- 2

0

2

4

6

8

1 0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홍수피해액< >- 1 .5

- 1

- 0 .5

0

0 .5

1

1 .5

2

2 .5

3

3 .5

0 5 1 0 1 5 2 0 2 5 3 0

인구< >- 3

- 2

- 1

0

1

2

3

4

5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6 0 0

자산밀도< >- 2

- 1

0

1

2

3

4

5

6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사회간접자본< >- 2

- 1

0

1

2

3

4

5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6 0 0

내수방어< >- 2

- 1

0

1

2

3

4

5

6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6 0 0

홍수조절용량< >- 1

0

1

2

3

4

5

0 5 1 0 1 5 2 0 2 5 3 0

그림 인자별 점수< 4-23> Z

Page 10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89

2) 점수법

점수 또한 표준편차를 단위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종류의 표준점수

이다 그러나. 점수는 원점수가 평균보다 작을 경우에는 모두 음수로 표시되

며 대부분의, 점수가 소수점을 지니는 단점을 가진다 이 두 가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점수는 식 과 같이(4.10) 점수를 평균 표준편차, 의

분포로 전환시킨 표준점수이다.

(4.10)

즉 평균이 이고 표준편차 이라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50 , 10 .

× (4.11)

인자 선정의 적절성 검증2.

인자 독립성 검토1)

세부 평가 인자 중 각 세부 인자간의 독립성이 부족하여 상호 중첩되는 영

향이 나타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요인으로 지정한 인구밀도 자산밀. , ,

도 사회간접시설 등이 독립적인지 여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

인구가 많으면 자산밀도가 높고 사회간접시설이 많을 것이라는 추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자간 독립성에 대한 통계적 검토가 필요하며 이를 위. ,

해 각 인자들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각 변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어.

떤지를 수치적으로 판단하는 데는 상관계수라고 부리는 지표를 이용한다 상관.

계수는 통상 이라는 기호로 표기되고 에서 까지의 값을 취하며 상관계, -1 1

수의 부호가 양 일 때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음 일 때에는(+) , (-)

Page 10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0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변수. 와 의 상관계수는 다음 식을

이용한다.

(4.12)

여기서, 는 의 편차제곱의 합, 는 의 편차제곱의 합,

는 와 의 편차곱의 합이다.

상관관계의 강도는 절대값 또는 자승값 으로 평가하며 에 가까울수, 1

록 상관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수방어능력과 저감능력점수를 제외. 5)한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와 같다 검토 결, < 4-15> .

과 선별 인자간의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나며 각 인자간의 독립성이 보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외수방어정도는 서울시의 경우 계획홍수위에 대한 제방 여유고가 하천설계기준 에 충(2005)족하여 일괄적인 점수를 부여하였음 행정적요인의 저감능력지수는 현재 소방방재청에서 시범.구축 단계임 그러므로 서울시 각 지자체별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저감능력지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으므로 각 지자체별 일괄적으로 같은 점수 부여하였음 동일 점수를 부여한 외수.방어정도와 저감능력지수는 상관관계 분석에서 제외.

Page 10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1

표 각 요소별 상관관계< 4-15>

구 분

위험성 저감성

자연적요인 과거피해요인 사회적 요인 시설적요인

강우불투수비율

저지대침수면적

홍수피해액

인구밀도

자산밀도

사회간접시설

내수방어능력

홍수조절용량

위험성

자연적요인

강우 1.000 .093 -.079 -.143 .120 .114 -.082 -.009 .140 .031

불투수비율

.093 1.000 .096 .112 -.103 .647 .136 .533 .406 .106

저지대 -.079 .096 1.000 .072 -.236 -.015 .155 -.049 -.107 .276

시설적요인

침수면적

-.143 .112 .072 1.000 .414 .191 -.240 .009 -.107 .276

홍수피해액

.120 -.103 -.236 .414 1.000 .108 -.293 -.023 -.010 -.208

사회적용인

인구밀도

.114 .647 -.015 .191 .108 1.000 -.190 .359 .485 .122

자산밀도

-.082 .136 .155 -.240 -.293 -.190 1.000 .099 -.016 -.061

사회간접시설

-.009 .533 -.049 .009 -.023 .359 .099 1.000 .254 -.235

저감성

시설적요인

내수방어능력

.140 .406 -.107 -.017 -.010 .485 -.016 .254 1.000 .031

홍수조절용량

.031 .016 .276 .047 -.208 .122 -.061 -.235 .031 1.000

Page 10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2

요인수의 검증2)

요인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고유값 을 이용하는 경우가 가(eigenvalue)

장 많으며 기준은 보통 고유값 이 된다 그림 는 강우 불투수비율 저1 . < 4-24> , ,

지대 침수면적 홍수피해액 인구밀도 자산밀도 사회간접시설 등 위험성 요인, , , , ,

들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나타난 스크리도표를 보여준다 이 스크리도표는 각.

요인의 고유값 을 그림으로 보여주는데 첫 번째 요인부터 마지막(eigenvalue)

요인으로 갈수록 고유값은 점점 작아진다 스크리도표로부터 본 분석 시 고유값.

기준을 만족시키는 요인은 세 개임을 알 수 있다1 .

그림 스크리도표를 이용한 요인수 검증< 4-24>

요인 검증을 위해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를 이용하여 요인분석SPSS 6)을 수

행하였다 요인분석 방법으로 주성분분석. 7)을 이용하였고 요인 회전방법으로 베,

6) 요인분석 은 다수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변수들의 바탕을 이루는 공(factor analysis)통차원들을 통해 이 변수들을 설명하는 통계기법임 요인분석의 목적은 다수의 변수들을 정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소수의 요인들로 축약하는 것임.

7) 주성분 분석의 경우 원래의 변수들의 분산 중 가급적 많은 부분을 설명하는 소수의 요인을추출하는데 목적이 있음.

Page 10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3

리멕스법8)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표 과 같이 세 요인에 대한 각 인자. < 4-16>

별 적재량을 추출하였고 각 요인에 높게 적재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요인의 명,

칭을 부여 할 수 있다 성분 은 인구밀도 불투수비율 사회간접시설에서 공통. 1 , ,

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성분 는 홍수피해액 침수면적에서 공통적 특성을 가, 2 ,

지며 성분 은 강우 저지대 불투수비율의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 3 , ,

로 보인다 이 결과를 가지고 각 요인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성분 은 사. , 1

회적 요인 성분 는 과거피해 요인 성분 은 자연적 요인으로 부를 수 있다, 2 , 3 .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의 수 및 분류 항목은 요인분석 결과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요인분석결과< 4-16>

구 분성분

1 2 3

인구밀도 .808 .253 -.076

자산밀도 .774 -.091 .056

사회간접시설 .736 -.112 -.037

홍수피해액 -.031 .779 -.187

침수면적 .155 .742 .440

불투수비율 .060 .216 .666

강우 .128 -.018 .714

저지대 .067 -.226 .655

8) 변수들이 여러 요인에 대하여 비슷한 요인부하량을 나타낼 경우에 변수들이 어느 요인에 속하는지를 분류하기가 어려움 따라서 변수들의 요인부하량이 어느 한 요인에 높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 요인축을 회전시킴 회전방식은 몇 가지가 있는데 크게 직각회전 과 사. (orthogonal)각회전 으로 나누어지며 직각회전방식 중 방식이 가장 널리 이용됨(oblique rotation) , Varimax .

Page 10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4

요소별 평가 적용3.

각 세부항목 별 계량화 및 표준화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랑천 유역에 대해서

시범적용을 실시하였다 중랑천 유역은 홍수 등 최근 홍수피해가 잦은 지. ’98

역으로 최근 이상강우에 의해 홍수량이 커짐에 따라 홍수피해에 대한 안전도 확

보가 요구되는 지역이다 위험성에 관한 주요인자인 강우 불투수비율 저지대. , , ,

침수면적 홍수피해액 인구밀도 자산밀도 사회간접시설의 밀집도에 대해서 분, , , ,

석하여 그림 그림 과 같이 자연적 구분법에 의해< 4-25> < 4-27> A( )小~ ↔

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마찬가지로 저감성에 관한 주요인자인 내수방E( ) 5 .大

어능력과 홍수조절용량에 대해서 분석하여 그림 과 같이 자연적 구분법< 4-28>

에 의해 로 구분하였다 외수방어정도와 행정적요인의 저감능력A( ) E( ) .小 大↔

지수는 일괄적으로 같은 점수 부여9)하였다.

그림 자연적 요인 주요인자 수행결과< 4-25>

강우(a) 불투수비율(b) 저지대(c)

9) 외수방어정도는 서울시의 경우 계획홍수위에 대한 제방 여유고가 하천설계기준 에 충(2005)족하여 일괄적인 점수를 부여하였음 행정적요인의 저감능력지수는 현재 소방방재청에서 시범.구축 단계임 그러므로 서울시 각 지자체별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저감능력지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으므로 각 지자체별 일괄적으로 같은 점수 부여하였음.

Page 10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5

그림 과거피해 요인 주요인자 수행결과< 4-26>

침수면적(a) 홍수피해액(b)

그림 사회적 요인 주요인자 수행결과< 4-27>

인구밀도(a) 자산밀도(b) 사회간접시설(c)

그림 시설적 요인 주요인자 수행결과< 4-28>

내수방어능력(a) 홍수조절용량(b)

Page 11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6

그림 그림 의 결과로부터 표 의 가중치를 이용하< 4-25> < 4-28> < 4-9>~

여 위험성은 자연적 요인 과거피해 요인 사회적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저, , ,

감성은 시설적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형 수행결과는 그림 와 같. < 4-29>

다.

그림 주요 요인별 수행결과< 4-29>

자연적 요인(a) 과거피해 요인(b)

사회적 요인(c) 시설적 요인(d)

Page 11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7

이들 각 요인들을 조합하여 위험성 지수 및 저감성 지수를 식 과 식(4.12)

에 의해 산정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는 자연적 구분법에 의해 그림(4.13) , <

과 같이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즉 등급은 위험성의4-30> A( ) E( ) 5 . , E小 大↔

경우 위험요소가 큰 것을 의미하고 저감성의 경우 시설적 요인과 행정적 요인,

이 잘 구비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위험성지수 자연적요인 과거피해요인 사회적요인 (4.13)

저감성지수 시설적요인 행정적요인 (4.14)

여기서, , , , , 는 계수10)이다.

그림 요소별 평가결과< 4-30>

위험성(a) 저감성(b)

10) 표 의 가중치 산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 4-9>

Page 11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8

안전도 평가를 위한 안전도 지수는 위험성과 저감성에 대한 다음 선형 관계

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안전도 지수 위험성 지수 저감성 지수 (4.15)

여기서, , 안전도 지수의 선형 계수=

상수 모든 위험성은 저감성 요소로 제거 될 수 없음을 고려= . ( )

평가 결과에 되한 최적 평가등급 분류법을 결정하기 위해 가지 등급 분류4

법인 자연적 구분법 최적화방법 등간격법 표준편차법 분위법을 표(Jenks ), , , <

과 같이 각 분류법의 오차지수를 산정하여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그림4-17> ,

과 같다<4-31> .

표 분류법에 따른 오차지수 산정< 4-17>

등급분류법자연분류법

최적화방법(jenks )등간격법 표준편차법 분위법

특정분류법에따른 오차

0.907 1.364 0.944 1.334

오차지수(E)

0.888 0.831 0.883 0.835

오차지수 산정결과 오차지수가 에 가장 가까운 자연분류법 최적화방1 (jenks

법 으로 분류한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Page 11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99

그림 각 등급분류법에 따른 지역안전도평가 등급설정< 4-31>

자연분류법 최적화방법(a) (jenks ) 등간격법(b)

분위법(c) 표준편차법(d)

위험성과 저감성을 고려한 통한 지역안전도 평가 결과는 그림 와 같< 4-32>

다.

Page 11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00

그림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의 적용결과< 4-32>

식 와 같이 저감성 요인의 투자에 따라 지역의 안전도는 개선될 수(4.15)

있다 그러므로 치수대책을 위한 꾸준한 투자가 요구된다 치수 시설 투자별 홍. .

수피해 절감효과와 관련된 연구결과로 김원 등 은 그림 과 같이(2006) < 4-33>

년까지 전국 홍수피해를 까지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매년 약 정도2020 70% 8%

의 예산 투자의 상승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홍수재해에 대한 위험성과 저감성을 고려한 지역별 안전

도 파악을 위한 상대적인 평가이므로 위험으로 평가된 지역이 절대적으로 위험

하다고 쉽게 판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다만 구 또는 시에서 지역방재계획 등의.

수립 시 위험성과 저감성의 수준을 파악 할 수 있으며 이들을 고려한 지역의 안

전도 수준을 파악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홍수재해예방사업의 방향.

성 및 투자 우선순위 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1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01

그림 투자대비 홍수피해 예측결과 김원 등< 4-33> ( , 2006)

일반적으로 지역안전도 평가지도와 같은 단계구분도 작성 시 단위지역의 면

적이 클수록 자료의 공간적 변이는 감소되거나 평균화 되어지는 경향이 있는 반

면에 단위지역이 작을수록 공간적 변이가 그대로 잘 나타난다 즉 행정구역의, .

수가 증가될수록 동별 평가 공간적 분포는 상세하게 나타나게 되고 반면에 행( ) ,

정구역의 수가 적을수록 구별평가 공간적 분포는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본 연( ) .

구에서는 동단위로 시범 적용한 것으로써 치수방재사업을 수행 및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소단위구역별 관련 자료의 축적이 요구된다.

Page 11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02

제 절 지역안전도 평가의 활용4

지역안전도 평가와 도시계획1.

그림 와 그림 는 도시계획에 있어서의 지역안전도 평가의< 4-34> < 4-35>

활용 과정을 보여준다 홍수로 인해 인명 및 재산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피해를 급증시키고 있는 바 이를 체계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방재사업의,

추진과 체계적인 재해 대응계획 수립 방안을 마련하여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도

시를 건설하여야 한다.

신도시의 설계 시 지역안전도 평가를 통하여 재해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

여 주요시설의 배치 건물 최소 지반고 지정 및 성토고 지정 배수시설정비 토, , ,

지이용규제 비상대피 계획 수립 등과 같은 신도시 방재계획 수립에 있어서의,

기초자료 제공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도시의 재개발 계획 시.

지역안전도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재해위험지역에 대하여 항구적인 대책을 병행

하여 도시계획수립 시 방재계획을 병행하여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정비 사업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도시계획 시 지역안전도 평가 적용< 4-34>

안전도 평가

위험성

저감대책 수립

(구조적/비구조적)

토지이용계획

(기존, 향후)

안전도 평가

허용 규정

저감성

대책에 대한 평가

저감대책 시행

방재도시

보완

부적합

적합

부적합

적합

그림 지역안전도평가에 의한 공간계획< 4-35>

높은 지역

낮은 지역

피해정도가 크지 않는 토지이용

중요지역으로 활용

침수가능성 도시계획

Page 11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03

지구단위 치수대책 수립과 지역안전도평가2.

현재 치수수방기준은 하천등급 및 우수배제시설에 대해서 일률적으로 지정

되어 있는 관계로 국가하천 주변 농경지는 과대보호 되고 있고 소하천 주변주,

거지는 과소 보호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하천제방축조 및 우수배제시설.

증설로는 치수대책의 다양화에 한계가 있고 피해 가능 지역별 대책이 필요하다, .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림 과 같이 기존 유역종합치수계획을 보완한< 4-36>

지구단위별 치수계획 수립 건설교통부 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역안전( , 2006) .

도평가를 통하여 위험지역을 파악을 통해 지구단위 홍수대책 시 기초 자료로 활

용하여 치수계획을 보다 합리적으로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지구단위별 치수계획의 도입 시 지역안전도 평가의 적용< 4-36>

유역종합치수계획

- 유역차원의 대책

- 저류지, 제방, 홍수량배분

- 하천정비기본계획

지구단위 치수계획

- 지역 단위별 대책

- 제방, 택지증고, 토지이용계획, 이주 등 지역특성에 적합한 대책

- OO지구 홍수관리 기본계획

지역 안전도

평가

풍수해보험과 지역안전도 평가3.

홍수를 방어하여 홍수재해 자체 크기를 경감시키려는 구조적 또는 비구조물

적 대책뿐만 아니라 재해에 의해 일어나는 피해를 보상하는 재정적 대책의 하나

로 풍수해보험제도가 이용될 수 있다 풍수해 보험은 홍수피해자들에 대한 경제.

적 손실보상 구조물적 홍수방어대책의 잔존위험 보충 홍수위험에 대한 인식 확, ,

대 및 홍수 위험지역 관리의 체계화 경제활동의 중단 피해 최소화로 인한 국가,

경제의 효율성 제고 재해손실의 시간적 공간적 분산 등의 효과가 있으며 현재, ,

Page 11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04

풍수해보험법 제정 법률 제 호 을 제정하여 시범사업을 시행( 2006. 3. 3 7859 )

중이다 지역안전도 평가는 풍수해보험 실시를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위험지역.

의 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풍수해보험 사업의 조기 정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별 안전도 평가는 풍수해보험의 요율 결정과 풍수해보.

험법에 의하여 각 지자체에서 제출해야 할 침수흔적도 등 과거의 풍수해 발생

이력 및 향후 발생 위험 등을 고려하여 풍수해 위험정도를 지역별로 표시하는

풍수해보험관리지도 제작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지역안전도 평가4.

자연재해대책법 개정안 에 따르면 각 구청 및 서울시는 풍수해(2005. 8. 4) ,

저감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안전도평가를 거치도록 명시,

하고 있다 제 조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자연재해대책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발( 2 ).

생한 신규업무로서 그림 과 같이 풍수해로 인한 피해지역 및 예상지역< 4-37>

의 예방과 대책을 수립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개년 단위 종합계획이라 할 수 있5

으며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수립범위에 대하여 간략히 기

술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과정< 4-37>

기초조사

1. 일반현황조사 - 지역현황

- 하천 및 수계현황

- 기상개황

- 방재시설현황

- 재해지구 관리현황

2. 풍수해특성조사 - 풍수해발생현황

- 주요풍수해 상세이력

- 재해유형별 풍수해 특성조사

3.관련계획조사 - 방재 관련 계획

- 토지이용 관련 계획

- 시설정비 관련 계획

재해위험도

1.홍수재해위험도 - 지역안전도평가를 통한 정성적 분석

- 내외수 모델링을 통한 정량적 분석

2.산사태위험도 -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3.급경사지 및 축대붕괴 위험도 - 토사 및 암반사면평가표에 의한 간이조사

4.토사유출 위험도 - 토사침식위험도 분석

5.풍해위험도 - 지역별 풍속현황 및 내풍기준 조사

6.시설물재해위험도 - 각 시설물의 주요제원 및 예상 피해 분석

풍수해저감 단위지구

1.단위지구 구분 - 수계 , 행정구역 , 소지역단위

2.단위지구 설정기준 - 지역특성 반영

- 관계기관과 협의

3.풍수해저감 단위지구 지정 - 과거피해자료 , 각종기본계획

분석결과 등을 이용한 단위 지구 설정

저감대책

1.단위지구별 풍수해 저감대책 - 단위지구별 풍수해저감대책 - 재해원인별 저감대책

2.풍수해저감 종합 계획도 작성 - 풍수해저감 종합계획도 작성

3.기대효과 - 단위지구별 기대효과

투자우선순위

1.사업비 산정 - 풍수해저감단위지구별 사업비 산출

2.평가항목 선정 및 가중치 산정 - 평가항목 선정

- 가중치 부여

3.투자우선순위 결정 - 투자우선순위 결정

Feed back

Page 11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05

지역 안전도 평가의 기본개념은 지역별 재난위험 및 피해규모를 분석하고,

재난유형별 재난피해 저감능력과 대비시켜 재난위험 강도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진단하여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부여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특성에,

적합한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 재난관리정책 수립을 유도해 나가는 것을 말한

다.

지역 안전도 등급에 따라 재해위험지구정비사업 하천정비사업 하수도개선, ,

사업 펌프장 개선사업 등 치수방재사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을 것,

이며 지역의 풍수해의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종합대책인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

립 시 풍수해 유형별 재해위험도 분석의 정성적 평가에 대한 기본 자료로 그 활

용성이 높을 것이다 그림 은 지역안전도평가와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 4-38>

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지역별로 홍수피해 위험성을 분석하고 피해저감능력을 대비시켜 안전도 등

급을 부여함으로써 자주방재역량을 제고하고 평가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각종,

방재정책에 개선 반영하는 상호보완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방재에 대한,

지역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재난저감 책임행정을 강화를 도모 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림 지역안전도평가와 풍수해저감 종합계획과의 관계< 4-38>

- 정성적 분석

- 지역 안전도 등급

재해위험도풍수해저감

단위지구설정 저감대책 수립 투자우선순위

Feed back

지역안전도평가도

- 정량적 분석

- 하천범람예상도

- 내수침수예상도

위험지역 침수분석

풍수해저감종합계획

Page 12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제 절 결론1

제 절 정책건의2

제 장 결론 및 정책건의Ⅴ

Page 12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09

제 절 결론1

본 연구는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한 지역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로써 다음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서울시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1.

인구 자산 사회기반시설의 밀집되어 있고 높은 불투수율 분포를 지니며/ / , ,◦홍수위 보다 낮은 저지대의 개발로 내수침수 발생위험이 높은 서울시 홍

수피해 위험요인 반영할 수 있는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홍수피해 특성조사 및 안전도 평가 항목 도출2.

서울시 홍수피해현황을 조사하고 주요원인을 분석하여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에 필요한 평가항목을 크게 위험성과 저감성으로 구분하였다 위.

험성은 자연적요인 과거피해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구성하고 저감성은, , ,

시설적요인과 행정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각 인자별 평가기법 개발3.

지역안전도평가를 위한 각 인자별로 를 이용한 계량화 및 표준화 방GIS◦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각종 데이터를 추출하여 평가모형에 필요한 자료. ,

구축 과정을 일반화하였다 이는 직접적으로 서울시 실무분야에 적용함에.

있어 편의성과 실용성을 부여하는데 있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제 장Ⅴ 결론 및 정책건의

Page 12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10

전문가조사를 통한 홍수피해 주요 인자별 가중치 산정4.

홍수피해 안전도는 주로 강우량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시설적 요인 저감,◦능력점수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됨으로써 정확한 홍수예경,

보와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 수립을 통해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인자별 평가결과를 이용한 통합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5.

각 인자별 평가결과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인 안전도평가 수행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모형 개발과정에서 제시된 과정들은 향후 이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서울시 지역안전도 영향 평가를 위한,

기본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한 서울시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적용하고 평가결과 분석을 위해 등급별로 분류하였다 등급별, .

분류법으로 자연분류법 등간격법 표준편차법 분위법의 적용결과 자연, , ,

분류법의 분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지역안전도 평가지도와 같은 단계구분도 작성 시 단위지역의◦면적이 클수록 자료의 공간적 변이는 감소되거나 평균화 되어지는 경향

이 있는 반면에 단위지역이 작을수록 공간적 변이가 그대로 잘 나타난,

다 즉 행정구역의 수가 증가될수록 동별 평가 공간적 분포는 상세하게. ( )

나타나게 되고 반면에 행정구역의 수가 적을수록 구별평가 공간적 분포, ( )

는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단위로 시범 적용한 것으로써.

치수방재사업을 수행 및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소단위구역별 관련 자료

의 축적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홍수재해에 대한 위험성과 저감성을 고려한 지역별 안◦전도 파악을 위한 상대적인 평가이므로 위험으로 평가된 지역이 절대적

Page 12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11

으로 위험하다고 쉽게 판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다만 구 또는 시에서 지.

역방재계획 등의 수립 시 위험성과 저감성의 수준을 파악 할 수 있으며

이들을 고려한 지역의 안전도 수준을 파악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홍수재해예방사업의 방향성 및 투자 우선순위 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제 절 정책건의2

풍수해저감종합계획수립1.

풍수해를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풍수해저감계획을 수립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풍수해에 대한 위험성.

을 공표하여 시민들에 주지시키고 과거 침수실적에 대한 침수실적도와,

내수침수분석 및 하천범람분석 이와 연계된 침수예상분석 등을 통한 침,

수예상지도가 작성하고 홍수피해가능지역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토대로

토지이용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지역별로 홍수피해 위험성을 분석하고 피해저감능력을 대비시켜 안전도◦등급을 부여함으로써 방재역량을 제고하고 안전도 평가결과 나타난 문제,

점을 각종 방재정책에 개선 반영하는 상호보완체계를 구축할 수 있고 방,

재에 대한 지역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풍수해저감을 위한 책임

행정 강화를 도모 할 수 있다.

구조적 대책 다양화 및 수방기준 재검토2.

서울시 침수피해 및 원인을 분석하고 수방 시설물 설계기준과의 관련성,◦검토가 필요하다 수방 시설물에 대한 국내 외 설계기준을 검토하고 국. ,ᆞ

지성 집중호우에 대응할 수 있는 수방 시설물의 설계기준에 대한 개편방

Page 12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12

향을 마련하여야 한다.

기존 치수대책은 주로 하천제방 및 배수시설 펌프장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최근 발생하는 도시홍수 돌발홍수 등에 의한 피해저감을 위해서는. ,

치수대책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구조물적 다양화를 위해서는 우수 침투저.

해행위규제 저류지 등 홍수조절시설 설치 투수성 포장 설치 지하공간, , ,

침수피해 방지시설 설치 택지 증고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

기존의 국가하천 지방하천 등 하천중심의 수방기준에서 벗어나 제내지의,◦특성에 따른 중요도로 변경하여 보호수준을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치수단위구역 또는 제내지의 중요도 특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치수경제성 분석 등을 활용하여 치수사업 투자비용의 효과를 분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구조적인 홍수대책 활성화3.

홍수예보 능력의 향상을 위한 관측 장비 화상감시시스템 등의 설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상 홍수 시 침수지도 및 대피경로를 제시하는 홍수.

위험지도를 제작하여 배포하여 도시계획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

해서는 침수흔적도 침수예상도 홍수대피지도 작성을 위한 기준마련이, ,

필요하다 또한 주민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대피기준개발 대피소의 지. , ,

정관리 정보전달체계 등 주민대피체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풍수해보험법의 도입으로 서울시와 각 구청은 침수흔적도 등 과거의 풍◦수해 발생 이력 및 향후 발생 위험 등을 고려하여 풍수해 위험정도를 지

역별로 표시하는 지도인 풍수해보험관리지도 를 작성하여 한다 풍수해(「 」

보험법 제정 법률 제 호 제 조 풍수해 위험지점에 대[ 2006.3.3 7859 ] 25 ).

한 체계적 관리 및 풍수해저감 사업 수행을 위해서는 풍수해보험관리지

도의 원활한 활용이 필요하며 각 구청별로 풍수해보험관리지도를 작성을,

Page 12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13

위해서는 풍수해보험관리지도 작성 지침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시민 참여형 홍수방어 정책 마련4.

적극적인 치수대책의 수립과 더불어 필요한 것이 홍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다 배수시설 제방 등 방어 시설물이 있는 경우에도 계획규. ,

모를 넘어서는 경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

다 또한 모든 홍수를 완벽하게 방어할 수 없다는 사실에 대한 홍보도 필.

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홍수 담당 실무자 주도의 홍수방어에서 시민참여형 홍수◦방어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홍수피해 지원 체계의 개선도 필요한데. ,

지원 일변도에서 적절한 분담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홍수에 대한 비.

구조물적 대책으로 풍수해 보험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Page 12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참고문헌

Page 12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17

건설교통부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2000, 『 』

건설교통부 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제 권 한국(2000). 1999 : 1『

확률강우량도 작성 .』

건설교통부 유역종합치수계획, 2001, 『 』

건설교통부 년 월 집중호우 피해 원인 및 대책 심포지엄, 2006, 2006 7『 』

국토연구원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005, 『 』

김원 고양수 치수종합계획 홍수에 안전한 기반구축 한국수자원학회, . 2006. : ,『 』

학회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대규모 재난관리를 위한 기본 추진전략 수립, 2004, 『

방안(I)』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방재지도 작성방안 화재위험도를 중심으로, 2004, -『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서울시 침수피해저감을 위한 우수저류시설 적용방

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상습침수지역 설정기준 및 관리방안 연구, 2006, 『 』

서울특별시 수해백서 보고서, 1999, 98『 』

서울특별시 수해백서, 2002, ’01『 』

서울특별시 극한강우에 따른 돌발홍수 대응체계 마련을 위한 기본전략 수, 2003, 『

립』

서울특별시 극한강우시 침수예상지역 대피계획 수립, 2004, 『 』

서울특별시 재해대책본부 지역방재계획 풍수해 분야, 2004, 2004 ( )『 』

Page 12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18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안전관리계획, 2005, 『 』

소방방재청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연구 보고서, 2005, 『 』

소방방재청 재해연보, 2005, 2004『 』

소방방재청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지침 작성에 관한 연구, 2005, 『 』

이종태 태풍매미로 인한 재해와 극복방향 한국수자원학회지. 2003. . Vol. 36.『 』

No. 6, pp17-23.

이희연 지도학 법문사, 1995, 『 』

한국상하수도협회 하수도시설기준, 2005, 『 』

한국수자원학회 하천설계기준해설, 2005, 『 』․Benouar, Djillali, and Ahcene Mimi. 2001, Improving Emergency『

Management in Algeria. , Global Alliance International Workshop』

on Disaster Reduction

Cutter, Susan L. 2001. The Changing Nature of Risks and Hazards, Chapter『

1, in American Hazardscapes: The Regionalization of Hazards and

Disasters , Joseph Henry Press.』

FEMA. 2001. Understanding Your Risks: Identifying Hazards and Estimating『

Losses (FEMA 386-2 Draft)』

FEMA, 2003, Flood Information Tool User Manual-HAZUS-MH『 』

FEMA, 2003, Flood Insurance Manual(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

Fournier d'Albe, E.M., 1979, Objectives of volcanic monitoring and『

predic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 Society of London, 136,』

321-326.

Godschalk, David R., Edward Kaiser, and Philip Berke. 1998. Integrating『

Hazard

Page 12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19

Jenks, G.F. and Caspell, F.G. 1971 Error on choropleth maps: Definitions,

measurement, and reduction. A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61:217-244.

Mitigation and Local Land Use Planning. Chapter four in Cooperating with

Nature edited by Raymond Burb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Joseph Henry Press.

Kates, R.W., and J.X. Kasperson. 1983. Comparative Risk Analysis of『

Technological Hazards (A Review) .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80: 7027-7038

Krisno Nimpuno 1998. Disaster Management Glossary , Disaster and『 』

Emergency Reference Center, Netherland

Risk Management Solutions, 2003, Central Europe Flooding, August 2002『 』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6, Risk-Based Analysis for Flood Damage『

Reductio Studies , Washington, D.C.』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ISDR). 2002.

Living With Risk: A Global Review of Disaster Reduction『

Initiatives (preliminary version). . Geneva: UN ISDR, July.』

Ven Te Chow et al, 1988, Applied Hydrology , McGraw Hill.『 』

Page 130: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소방방재청 풍수해분야 재난피해저감능력1.

진단점수 항목 및 배점

부 록

Page 131: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23

진단부문 진단항목 진단내용 진단기준

ꊱꊰꊰ풍 수 해 관 리및 경감

점(500 )가점 점( 30 )감점 점( 10 )

ꊱꊱꊰ지역안전도 제고를 위한 지정학적위치 및 풍수해특성 조사분야(30점)

ꊱꊱꊱ지정학적 위치 특성조사 결과 정책 반영(15점)

점- (5 )ꊱꊱꊱ ꊱ시군구별 관할구역에 대한 지정학적 특성 분석 실시여부(A,D)․

점- (10 )ꊱꊱꊱ ꊲ분석된 지정학적 특성을 각종 방재정책 반영 여부(A,D)․

ꊱꊱꊲ풍수해특성 분석결과정책 반영 점(15 )

점- (10 )ꊱꊱꊲ ꊱ시군구별 관할구역에 대한 풍수해 유형별 특성분석이 되어 있․는지 여부 최근 년이상( 5 )분석된 재해유형별 풍수해 특성을 각종 방재정책 수립시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방재정책 추진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시정 환류체계․구축 여부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음(D)

ꊱꊲꊰ하천재해 예방분야 점(130 )

ꊱꊲꊱ하천정비 기본계획 수립정비 점(50 )․

점- (10 )ꊱꊲꊱ ꊱ․ 하천정비기본계획수립 실태 계획수립연장 하천총연장( / ×100)

표준화 점수※점- (10 )ꊱꊲꊱ ꊲ

․ 하천정비실적 실적 계획( / ×100)표준화 점수※

점- (10 )ꊱꊲꊱ ꊳ․ 정비대상하천중정비되지않은하천에대한정비계획수립여부(A,D)

점- (10 )ꊱꊲꊱ ꊴ․ 하천정비계획수립 및 기성제 재평가시 최근 기상여건에 따라 개정된 하천설계빈도를 적용하고 있는지 여부(A,D)

점- (10 )ꊱꊲꊱ ꊵ․ 기수립된 하천정비기본계획에 대한 재수립 년단위 및 타당성(10 )검토 년마다 이행여부(5 ) (A,D)

ꊱꊲꊲ하천 기성제에 대한점검조사 점(40 )

점- (10 )ꊱꊲꊲ ꊱ․ 하천의 홍수위를 고려한 피해 재발방지대책

하천설계기준에서 정한 제방여유고 제방천단폭 법면구배가- ,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하천 홍수위를 고려한 호안시공이 되어 있는지 여부-상습피해구간의 경우 개량복구 실시-만곡부 외측수충부 호안석축 옹벽기초 보강여부- , ,파이핑 현상 제방에 대한 누수방지공법 실행-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5 (A), 3~4 (B), 1~2 (C),※

실적 없음(D)점- (10 )ꊱꊲꊲ ꊲ

․ 하천 유수소통 장애시설물 제거 및 개선대책유수소통에 지장을 초래하는 수목제거-교량 장경간화에 의한 통수단면 확보 개선-하천내 고정시설물 유수흐름 방해요인 제거-하천횡단구조물 설치를 가급적 억제하는 방향으로 정비계획수-립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4 (A), 2~3 (B), 1 (C),※

없음(D)

부록1소방방재청 풍수해분야 재난피해저감능력

진단점수 항목 및 배점

Page 132: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24

진단부문 진단항목 진단내용 진단기준

ꊱꊰꊰ풍 수 해 관 리및 경감

점(500 )가점 점( 30 )감점 점( 10 )

ꊱꊲꊰ하천재해 예방분야 점(130 )

ꊱꊲꊲ하천 기성제에 대한점검조사 점(40 )

점- (10 )ꊱꊲꊲ ꊳ․ 하천 하상안정 훼손저감대책

하상안전시설 유지- 보수여부․하상 퇴적물 준설계획 추진여부-하천횡단구조물 철거 및 개량사업 추진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점- (10 )ꊱꊲꊲ ꊴ

․ 개수된 하천횡단 구조물 피해저감대책홍수량 변동을 고려한 하천횡단 구조물 유지- 보수․대홍수 직후 통수능의 신속한 복원 조치실적-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음2 (A), 1 (B), (D)※

ꊱꊲꊳ하천 기성제 정비계획 수립 점(20 )

점- (10 )ꊱꊲꊳ ꊱ․ 하천기성제 점검조사 결과 정비계획수립 여부(A,D)

점- (10 )ꊱꊲꊳ ꊲ․ 점검조사결과 나타난 문제점 정비대책

유형별 세부정비 추진계획 반영여부-정비계획을 우기전까지 마무리토록 수립하였는지 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

ꊱꊲꊴ하천 기성제 정비사업 수립 점(20 )

점- (10 )ꊱꊲꊴ ꊱ․ 하천기성제 유지보수 정비사업비 적정예산 확보

표준화 점수※점- (10 )ꊱꊲꊴ ꊲ

․ 하천 기성제 유지보수 정비사업 추진․우기에 대비한 시설별 우선설치 결정 여부-정비사업을 우기전까지 마무리 여부 완료개소 정비대상- ( / 90%이상)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음2 (A), 1 (B), (D)※

ꊱꊳꊰ내수침수재해예방분야 점(130 )

ꊱꊳꊱ내수침수재해 예방저감대책 점(30 )

-ꊱꊳꊱ ꊱ 점(10 )․ 내수침수 예상지역 조사분석 실시여부(A,D)․

-ꊱꊳꊱ ꊲ 점(10 )․ 내수침수 예상지역 재해예방 추진계획 실시여부(A,D)

-ꊱꊳꊱ ꊳ 점(10 )․ 내수침수 지역 정비사업 추진실적 완료개소 계획개소( / )

표준화 점수※ꊱꊳꊲ배수로 피해 저감대책 점(20 )

-ꊱꊳꊲ ꊱ 점(20 )우수배제 상황 파악 및 시설 개선계획 수립여부-노후관이나 배수계통 취약부분의 집중호우기 대비 정기적 조-사유지- 보수 실시여부․역류방지 시설 설치- 확대 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4 (A), 2~3 (B), 1 (C),※

없음(D)

ꊱꊳꊳ외수위 영향으로 인한 피해 저감대책(20점)

-ꊱꊳꊳ ꊱ 점(20 )지류 소하천 하상 정비 및 준설 여부-외수에 인접한 도로나 산책로 노견에 홍수방지턱 설치-내륙( )

해수와 접한 암거 준설 여부 해안- ( )- 해수와 접한 해안도로나 월류방지 시설 설치여부 해안( )내륙해안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4 (A), 2~3 (B), 1※

해당 실적 없음(C), (D)내륙 :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음2 (A), 1 (B), (D)해안 :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음2 (A), 1 (B), (D)

Page 133: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25

진단부문 진단항목 진단내용 진단기준

ꊱꊰꊰ풍 수 해 관 리및 경감

점(500 )가점 점( 30 )감점 점( 10 )

ꊱꊳꊰ내수침수재해예방분야 점(130 )

ꊱꊳꊴ우수유입시설 문제로인한 피해저감대책

점(20 )

-ꊱꊳꊴ ꊱ 점(20 )도로 빗물받이 측구 필요지역 증설 및 개량여부- ( ) .정기적인 빗물받이 청소 실시 여부-지하공간 출입구에 빗물 유입 방지시설물 설치확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ꊱꊳꊵ도로노면 침수유발피해 저감대책

점(20 )

-ꊱꊳꊵ ꊱ 점(20 )도로시설물의 자연 배수망 구축을 통한 노면 피해 저감-대책 수립 여부도로표면 지반고가 높을 경우 인근 저지대 건물- 주택에․수방문 및 빗물유입방지시설 설치유도 여부도로공사 후 인접 지역 우수 배제 능력이 손상 없도록 대책-수립시행․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

ꊱꊳꊶ우수유출 저감계획수립 점(10 )

-ꊱꊳꊶ ꊱ 점(10 )․ 우수유출 저감계획 수립 여부(A,D)

ꊱꊳꊷ저류지 시설계획 점(10 )

-ꊱꊳꊷ ꊱ 점(10 )․ 저류지 시설계획 수립여부(A,D)

ꊱꊴꊰ토사유출재해저감대책 점(40 )

ꊱꊴꊱ토사유출 재해예방저감대책 점(20 )

점- (10 )ꊱꊴꊱ ꊱ․ 토사유출지역 재해예방 추진계획 수립여부(A,D)

점- (10 )ꊱꊴꊱ ꊲ․ 토사유출지역 정비사업 추진실적 완료개소 계획개소( / )

표준화 점수※

ꊱꊴꊲ산지침식 및 홍수피해 저감대책 점(20 )

점- (20 )ꊱꊴꊱ ꊲ산사태지역 사면보호공 침사지 등의 비상대책 마련- ,벌목지역 사면보호공 침사지 등의 비상대책 마련- ,산불피해지역 사면보호공 침사지 등의 비상대책 마련- ,산지침식 및 토사유출저감방안 수립-벌목지의 경우 벌목한 목재 유실방지를 위한 제거조치-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5 (A), 3~4 (B), 1~2 (C),※

실적 없음(D)

ꊱꊵꊰ급경사지붕괴저감대책 점(50 )

ꊱꊵꊱ급경사지붕괴지역 재해예방 저감대책(30점)

점- (10 )ꊱꊵꊱ ꊱ․ 급경사지붕괴지역 조사분석 실시․ 여부(A,D)

점- (10 )ꊱꊵꊱ ꊲ․ 급경사지붕괴지역 재해예방 추진계획 수립여부(A,D)

점- (10 )ꊱꊵꊱ ꊳ․ 급경사지붕괴지역 정비사업 추진실적 완료개소 계획개소( / )

표준화 점수※

ꊱꊵꊲ낙석 및 사면붕괴 저감대책 점(10 )

점- (10 )ꊱꊵꊲ ꊱ정기적 안전점검 실시여부-방지대책 수립 여부-방지대책 사업 시행 여부-사면재해의 위험성에 대한 해당지역 주민인식을 고취하기-위한 교육홍보훈련 활동 실시,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4 (A), 2~3 (B), 1 (C),※

없음(D)

ꊱꊵꊳ절개지 옹벽 등 위험,시설물 피해저감대책

점(10 )

점- (10 )ꊱꊵꊳ ꊱ집중호우 발생 전후에 옹벽이나 토사방지시설의 배수효과-점검정기적 노후시설 관리- ․정비사면 안전율 및 예상 파괴면에 대한 지지력 확보 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

Page 134: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26

진단부문 진단항목 진단내용 진단기준

ꊱꊰꊰ풍 수 해 관 리및 경감

점(500 )가점 점( 30 )감점 점( 10 )

ꊱꊶꊰ자연재해위험지구관리 점(60 )감점 점( 10 )가점 점( 20 )

ꊱꊶꊱ자연재해위험지구 지정 점(20 )감점 점( 10 )

점- (20 )ꊱꊶꊱ ꊱ재해위험지구 지정 조사 분석 실시 여부- ,

- 정비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투자우선순위 분석실시지구내 행위 제한 조례 제정 운영 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감점- ( 10)ꊱꊶꊱ ꊲ

지구지정 대상지역에 대한 지정을 회피한 사례․ꊱꊶꊲ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실적 점(20 )가점 점( 20 )

점- (20 )ꊱꊶꊲ ꊱ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추진실적 완료개소 계획개소( / )․표준화 점수※

가점- ( 10)ꊱꊶꊲ ꊲ재해위험지구에 대한 이주대책 수립여부․

가점- ( 10)ꊱꊶꊲ ꊳ이주대책 추진실적․

ꊱꊶꊳ자연재해위험지구 재해사전대비 및 관리

점(20 )

점- (20 )ꊱꊶꊳ ꊱ각 지구별 관리 책임자 지정-자연재해위험지구 정기 점검실적 회이상- (3 )

- 재해사전대비를 위한 수용시설 응급복구 물자, 장비 확보․재해 정보체계 구축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4 (A), 2~3 (B), 1 (C),※

없음(D)

ꊱꊷꊰ소하천정비사업 점(60 )

ꊱꊷꊱ소하천정비정비사업추진 점(60 )

점- (20 )ꊱꊷꊱ ꊱ소하천정비계획수립 실태 계획수립연장 하천총연장( / *100)․표준화 점수※

점- (20 )ꊱꊷꊱ ꊲ소하천정비실적 실적 계획( / *100)․표준화 점수※

점- (20 )ꊱꊷꊱ ꊳ년도 소하천정비사업 지침 이행 여부05 (A,D)․

ꊱꊸꊰ풍수해저감종합계획 가점 점( 10 )

ꊱꋁꊱ풍수해저감종합계획수립 가점 점( 10 )

가점 점- ( 10 )ꊱꋁꊱ ꊱ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여부․

ꊲꊰꊰ유관기관 단체 및 민간협력

점(40 )

ꊲꊱꊰ방재관련 유관기관네트위크구축 점(40 )

ꊲꊱꊱ방재관련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점(20 )

점- (20 )ꊲꊱꊱ ꊱ비상연락 및 소집체계 구축여부-유관기관 직원 비상단계별 실무반 편성여부-실무반별 행동매뉴얼 작성 활용여부-상황파악 등을 위한 전문기관과 협조체제 구축-지역긴급지원계획 수립 여부-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5~6 (A), 3~4 (B), 1~2※실적 없음(C), (D)

ꊲꊱꊲ민간협력 네트워크 구축 운영 점(20 )․

점- (20 )ꊲꊱꊲ ꊱ시민단체 지역자율방재단 등 협력체계 구축 운영 여부- ,비상연락 및 소집체계 구축여부-민간모니터요원 구성- 운영여부․주민의사 정책반영 여부-지자체에 대한 민간참여 유도대책 추진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5 (A), 3~4 (B), 1~2 (C),※

실적 없음(D)

Page 135: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27

진단부문 진단항목 진단내용 진단기준ꊳꊰꊰ대비계획 및사전점검

점(140 )

ꊳꊱꊰ방재시설물 점검정비 점(40 )

ꊳꊱꊱ방재시설물 정기수시․점검정비 실시․

점(20 )

점- (20 )ꊳꊱꊱ ꊱ점검계획에 따른 정기- 수시점검 실시여부․방재시설물 우기전 사전대비 일제점검-일제점검결과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정비 등 조치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ꊳꊱꊲ중점관리대상 방재시설물 점검정비․

점(20 )

점- (20 )ꊳꊱꊲ ꊱ여름철 중점관리대상 방재시설물 선정 여부-중점관리대상 방재시설물에 대한 관리책임자 지정여부-여름철 비상시 현장상주 계획 수립 여부-점검계획에 따른 정기- 수시점검사실시 여부․점검결과에 따른 정비실적-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5 (A), 3~4 (B), 1~2 (C),※

실적 없음(D)

ꊳꊲꊰ배수펌프장 운영

점(60 )

ꊳꊲꊱ배수펌프장 운영

점(30 )

점- (30 )ꊳꊲꊱ ꊱ점문인력 확보실태 및 실시가동 비상연락체계 구축․배수펌프장 운영 전문인력 확보 적정성 여부-전문인력 운영 교육실시 여부-비상근무체계 수립 여부-전문인력 비상연락망 구축 여부-신속한 기상특보상황 인지체계 구축여부-배수펌프장별 운영계획에 따른 실시여부-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5~6 (A), 3~4 (B), 1~2※실적 없음(C), (D)

ꊳꊲꊲ배수펌프장 유지관리및 주기적 점검

점(30 )

점- (30 )ꊳꊲꊲ ꊱ배수펌프장 유지관리 및 주기적 점검 실적․전동기 펌프 등 운영기계 정비 보수 여부- ,여름철 한국 전기안전공사 등 점검여부-유수지 및 유입배수로 준설여부-유입구 스크린 잔류물 제거 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4 (A), 2~3 (B), 1 (C),※

없음(D)

ꊳꊳꊰ강풍대비 태세

점(20 )

ꊳꊳꊱ강풍시 시설물 보호대책 점(20 )

점- (20 )ꊳꊳꊱ ꊱ- 비닐하우스 축사 등 농림축산시설 보호 행동요령 지도농촌, ( )선박 어구 등 수산시설 보호 행동요령 지도해안- , ( )대현간판 대형공사장 등 시설물 관리 행동요령 지도공통- , ( )

- 건물 옥상지붕 낙하위험시설물 관리 행동요령 지도 공통( )․농촌해안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4 (A), 2~3 (B), 1※

해당 실적 없음(C), (D)농촌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3 (A), 2 (B), 1 (C),

실적 없음(D)해안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3 (A), 2 (B), 1 (C),

실적 없음(D)도시 :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음2 (A), 1 (B), (D)

ꊳꊴꊰ도시내 홍수위험요소 제거 점(20 )

ꊳꊴꊱ가로등 등 침수시 누전위험성 점검정비(20․점)

점- (20 )ꊳꊴꊱ ꊱ가로등신호등 등 침수시 누전위험성 점검정비 실태․ ․ ․자체 우기대비 수시점검정비 실시여부- ․한국전기안전공사 정기점검결과에 대한 조치여부-경찰관서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유관기관 인력지원 등 협조- ,체계 구축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

Page 136: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28

진단부문 진단항목 진단내용 진단기준ꊴꊰꊰ방재전문 강화 및 홍보

점(40 )

ꊴꊱꊰ풍수해대비 주민홍보교육 점(40 )․

ꊴꊱꊱ풍수해대비 시설물점검 등 안내방송홍보․

점(20 )

점- (20 )ꊴꊱꊱ ꊱ풍수해 대비 주민행동 매뉴얼 제작 배포-재해예방을 위한 도상훈련 및 기관별 자체 훈련 실시여부-인터넷 등 대중매체를 활용 홍보 실시여부-재해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방재교육 실시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4 (A), 2~3 (B), 1 (C),※

없음(D)ꊴꊱꊲ재해위험취약지구 주민교육홍보 점(20 )․

점- (20 )ꊴꊱꊲ ꊱ재해위험 취약지구별 교육- 홍보요원 지정․재해위험 취약지구 주민 방재교육 실시-재해위험 취약지구 주민 대피훈련 실시-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

ꊵꊰꊰ예경보대응,

점(40 )

ꊵꊱꊰ예경보 체계 점(40 )․

ꊵꊱꊱ예경보 체계 구축(20․점)

점- (20 )ꊵꊱꊱ ꊱ기상특보 등 재난정보 수집 및 전파체계 구축-특정인 대상 자동음성통보시스템 구축- DB시간 재난 예- 24 경보 체제 구축․

예경보 시설관리 및 확충사업 추진-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4 (A), 2~3 (B), 1 (C),※

없음(D)

ꊵꊱꊲ예경보시설 유지관리․

점(20 )

점- (20 )ꊵꊱꊲ ꊱ관리 책임자 지정-관리점검계획에 따라 정기- 수시점검 실시․산간계곡 등 행락지에 설치된 자동우량경보시설 전광판의- ,상시 가동 유지 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

ꊶꊰꊰ재해복구

점(40 )감점 점( 10 )

ꊶꊱꊰ재해복구사업 추진

점 감점 점(40 ) ( 10 )

ꊶꊱꊱ부실시공 방지대책(20점)

점- (20 )ꊶꊱꊱ ꊱ부실공사방지대책 수립여부-수해복구공사 감리 지도반 구성- 운영여부․현장 확인점검 실시-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

ꊶꊱꊲ피해재발 방지대책(20점)

점- (20 )ꊶꊱꊲ ꊱ우기전 미완공 사업장에 대한 특별대책․우기전 미완공 사업장 특별대책 수립여부-미완공 사업장 현장 점검관리 여부- ․재발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여부-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개항목 해당 실적 없3 (A), 2 (B), 1 (C),※

음(D)

ꊶꊱꊳ재해복구사업의 사전심의 실시감점 점( 10 )

감점 점- ( 10 )ꊶꊱꊳ ꊱ재해복구사업의 사전심의 미실시․

Page 137: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29

Development of the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in Seoul- Focusing on Flood -

Project Number SD I 2006-R-37

Research Staff Chang-Hee Lee (in Charge)

Sukm in Lee (in Charge)

Chang-Geon Yeo

Page 138: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130

Summary and Policy Recommendations

Page 139: 서울시지역안전도평가모형개발연구 · -gis를 활용한 인자별 평가모형 개발 - 각 인자를 조합한 통합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지역안전도평가의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연구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

발 행 인 강 만 수

발 행 일 년 월 일2006 12 31

발 행 처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번지137-071 391

전화 팩스(02)2149-1295 (02)2149-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