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12
핫뉴스 / Hot News 한식세계화 위한 국내외 종합 홍보마케팅 대행 전문업체 모집 Open Call from the KFF for Applications from Korean and Global Marketing Firms to Conduct Korean Food Globalization Initiatives 한식재단,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 첫 지정 KFF Designated as Promotion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한식세계화 소식 / Global Korean Food News 맛있는 한식이야기 / A Delicious and Fun Korean Food Story 21세기 한식의 새로운 패러다임-한식세계화 대토론회 개최 Grand Conference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 New Paradigm of Korean Food in the 21th Century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표준화 ‘노력’ Efforts to standardize foreign language notation of Korean food names 갖은 나물로 비빈 세계인의 건강식, 비빔밥 Mixed assorted vegetables—the world’s wholesome food bibimbap 한식재단이 촬영한 고소하고 시원한 콩국수. 날씨가 더워지면서 콩국수 한 그릇에 더위를 쫓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A bowl of savory kongguksu (cold soybean noodle soup). As the sweltering summer season approaches, many people refresh and cool themselves with a tasty kongguksu . (Image by the KFF)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May, 2012 2012 5 월 넷째주 뉴스레터 Vol.20

Upload: others

Post on 03-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핫뉴스 / Hot News

한식세계화 위한 국내외 종합 홍보마케팅 대행 전문업체 모집Open Call from the KFF for Applications from Korean and Global Marketing Firms to Conduct Korean Food Globalization Initiatives

한식재단,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 첫 지정KFF Designated as Promotion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한식세계화 소식 / Global Korean Food News

맛있는 한식이야기 / A Delicious and Fun Korean Food Story

21세기 한식의 새로운 패러다임-한식세계화 대토론회 개최Grand Conference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New Paradigm of Korean Food in the 21th Century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표준화 ‘노력’Efforts to standardize foreign language notation of Korean food names

갖은 나물로 비빈 세계인의 건강식, 비빔밥Mixed assorted vegetables—the world’s wholesome food bibimbap

한식재단이 촬영한 고소하고 시원한 콩국수. 날씨가 더워지면서 콩국수 한 그릇에 더위를 쫓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A bowl of savory kongguksu (cold soybean noodle soup). As the sweltering summer season approaches, many

people refresh and cool themselves with a tasty kongguksu. (Image by the KFF)The Taste of Korea

The Taste of Korea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May, 2012 2012 년 5 월 넷째주 뉴스레터 Vol.20

Page 2: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한식재단, 한식세계화 위한 국내외 종합 홍보마케팅 대행 전문업체 모집

한식재단(이하 재단)은 한식세계화를 위한 국내·외 종합 홍보마케팅을 대행할 전문업체를 모집한다.

국내 및 중국, 미국, 유럽 등 해외 지역을 타깃으로 PR, 광고, 이벤트 등의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

안서로 작성해 한식재단 홍보출판팀에 제출하면 된다.

제안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한식세계화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국내·외 종합홍보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 국

격 제고, 일거리 창출, 농식품 수출 증대, 농어촌 활성화, 외식산업 선진화 등 재단의 사업 목표와 부합해야 한

다. 사업추진 기간은 계약일로부터 2013년 3월까지다.

입찰 공고 및 제안 요청서 등 자세한 내용은 한식세계화사이트(www.hansik.org)의 공지사항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4개 단체 선정, 아이디어 공모 사업은 재공고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업체는 식품외식산업연구소, G3C(우리문화세계속으로), 한국전통음식연구소, 한국음식조리인연합 등으

로 올해 말까지 한식세계화 관련 사업에 대한 다방면의 지원을 받게 된다. 한식재단은 제출된 제안서들에 대해

추진전략 및 제안 내용 등에 대한 적격성을 평가하고 5월 7일 선정업체를 최종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관련단체 지원 부문과 함께 공고된 ‘한식세계화 아이디어 사업 과제 공모’의 경우 응모된 제안서들을 검

토·평가한 결과 적격한 업체 및 사업 내용이 없어, 오는 25일까지 재공고한다. 한식세계화 아이디어 공모 사업

은 한식문화 확산을 촉진하고 언론방송 매체 및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효과적인 한식홍보에 대한 참신한 아

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제안서 프리젠테이션 심사를 통해 적격한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한식세계화 아이디어 사업 과제 공모에 대한 자격, 과업 공고 및 제출 기간 등의 자세한 내용은 한식세계화사

이트(www.hansik.org)의 공지사항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외식 사업자가 꼭 알아야 할 지식재산권 가이드 발간

농림수산식품부와 한식재단은 한식당 등 외식업체가 해외에 진출할 때 필요한 지

식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 요건과 절차 등을 담은 ‘외식 사업자가 꼭 알아

야 할 지식재산권 가이드’를 발간·배포했다.

가이드북에는 외식재산권에 대한 기본지식부터 국내외 현황, 미국, 일본, 중국, 유

럽, 베트남, 싱가포르의 국가별 지식재산 제도와 취득절차 및 분쟁사례와 그에 대

한 대응방안 등이 담겨있다.

가이드북은 외식산업 관련 유관기관과 기업 등에 책자로 배포됐고, 한식세계화 공

식 홈페이지(www.hansik.org)에서도 볼 수 있다.

스타셰프 심화과정, 향토음식전문가 과정 재공고

한식재단은 2012년 한식 전문인력 양성 교육기관으로 3개 업체를 우선협상 대상으로 선정, 발표했다. 스타셰프

양성과정 위탁운영기관으로는 경희대학교와 우송대학교를, 향토음식전문가 과정 경상도권 위탁운영기관으로는

핀외식연구소를 각각 선정했다. 한식재단은 이들 업체들에 대해 조리교육에 필요한 시설 및 설비 등의 실사를

거쳐 적격업체로 인정될 경우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그러나 스타셰프 심화과정과 서울·경기도·인천광역시, 강원도·대전광역시·충청북도·충청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전라남도·제주도 등 3개 권역의 향토음식전문가 과정은 적격 업체가 없어 재공고했다.

<관련단체 지원 부문 선정 단체 및 제안 내용>

단체명 제안내용

식품외식산업연구소 프랑스 명문 초중고등학교 급식조리사 한식조리 교육 및 시식 체험

G3C(우리문화세계속으로) 프랑스 고성(古城)에서 열리는 ‘한식세계화 한불문화행사’

한국전통음식연구소 국내 거주 외국인 대상 한식체험교육프로그램 ‘Together with Hansik’

한국음식조리인연합 2012 중국 복주시 미식절 행사에 참가하여 ‘한식 전시 및 시식 행사’ 진행

외식사업자가 꼭 알아야 할 지식재산권 가이드.

한식재단 뉴스레터 _ KOREAN FOOD FOUNDATION Newsletter

02

핫뉴스 Hot News

Page 3: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한식재단이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에 관한 일체의

사항을 위임받아 시행하는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으로 공식 지정됐다.

이는 한식세계화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전문성 있는 민간기관을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으로 지정하는 ‘식품산업진흥법’ 개정안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한식재단은 한식세계화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해 ‘외식

산업의 선진화·농어촌 활성화·농식품 수출 증대·일자리 창출·국격 제고’

에 일익을 담당하며, ‘한식으로 세계로 미래로’ 나아가는 한식재단의 정체

성과 위용을 갖추어나가게 된다.

한식재단은 지난 2010년 출범 이후 한식세계화를 위한 한식당의 경쟁력 강

화 사업은 물론 국내외 다양한 한식관련 홍보 사업,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법 보급, 한식 원형복원 및 산업화 추진을 위한 한식 컨텐츠 목록 DB 구축 등의 노력 및 성과 등을 인정

받아 5월 11일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에 지정됐다.

한식재단은 향후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으로서 한식세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전문인력 양성, 한

식당 경쟁력 강화, 국내외 한식홍보 사업 등의 업무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한식세계화 추진기관은 연간 사업 계획, 자금 집행 계획 및 전년도 사업 실적 등을 농식품부에 제출하

게 되며 필요시 업무 감사 및 회계 감사를 받게 된다.

한편,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한식세계화를 위한 연구, 조사, 교육 및 홍보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한식 관련 법인, 단체 또는 연구소여야 하고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설 전담조

직 및 인력 등을 갖춰야 한다. 또 △한식세계화 사업을 관리하거나 수행한 실적이 있어야 하며 △한식세

계화를 위한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이를 운영·관리하고 있어야 한다.

5월 넷째주 ┃

03

핫뉴스Hot News

한식재단,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 첫 지정실질적인 한식세계화 전문기관으로 사업에 날개 달아

한식재단이 지난 5월 11일자로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으로 지정·공고됐

다. 이에 따라 한식재단은 한식세계화 사업을 시행하는 실질적인 공식기관으로 관련 사업을 직접 위

탁, 수행하게 된다.

KFF Designated as Promotion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Now that KFF is an official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its initiatives will gain momentum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isheries and Forestry (MIFAFF) announced on May 11 that it had designated the Korean Food Foundation (KFF) as the Promotion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This makes the KFF the official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As the Promotion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the KFF is entrusted with all aspect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and has full control over conducting campaigns and commissioning initiatives.The MIFAFF’s decision was made under the revised Food Industry Promotion Act, which allows for the designation of a private organization with relevant expertise as the official agency for globalizing Korean cuisine. From now on, the KFF will contribute to “advancing the food service industry, revitalizing the rural economy, increasing the exports of food and agriculture products, creating jobs, and improving the national image” by effectively conducting Korean food globalization initiatives. The identity and status of the KFF will thus be enhanced through its work in promoting Korean food to the world and thereby contributing to Korea’s future.Since its establishment in 2010, the KFF has initiated various efforts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restaurants; conducting promotional campaigns for Korean cuisine at home and abroad; spreading the standardized notation of Korean food names in foreign languages; and establishing the Korean Food Contents List Database for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Korean recipe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Korean cuisine. Now that it is the Promotion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the KFF is more capable of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fostering talents with expertise,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restaurants, and conducting promotional campaigns for Korean cuisine at home and abroad. The KFF will report to the MIFAFF the details of its yearly business plan, budget, and operation results of the previous year, and it will be subject to performance or financial audits when necessary.To qualify as the Promotion Agency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an organization must fulfill the following criteria: be a Korean-food related corporation, organization, or research institution established with the purpose of research, investigation, education, and promotion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have permanent dedicated teams and staff to conduct its initiatives; have achieved solid results in conducting or supervising Korean food globalization campaigns; and have a website dedicated to the Korean food globalization initiative.

한식세계화 사업 추진기관 지정서.

Page 4: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한식세계화 대토론회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분야의

전문 학자와 매스미디어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음식전

문기자 그리고 식품업계 기업인, 외식기업인이 함께 참여해

‘한식세계화’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였다.

양일선 한식재단 이사장과 김재수 aT 사장의 축사를 시작

으로 1부에서는 한식의 개념과 정체성, 한식의 데이터 구축

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기조·주제강연에 이어 한식재

단 김홍우 사무국장의 ‘한식세계화와 한식재단의 역할’을 비

롯해 조리과학적 측면과 건강학적 측면에서 본 한식의 장점,

한류음식의 중심인 대장금 등에 대한 각 분야 전문가의 사례발표가 있었다. 제2부에서는 매스미디어 현

장에서 본 한식, 기업이 요구하는 새로운 시대의 한식을 비롯해 외국인이 생각하는 한식에 대해 전문자

료에 의한 사례발표가 이어져 한식을 여러 각도에서 세세하게 분석했다.

농림수산식품부 이은정 과장은 ‘한식세계화 전략 및 추진방향’이라는 주제강연에서 “세계인이 즐기는 우

리 한식을 만들기 위해 인프라 구축, 연구 개발, 인력 양성, 투자 활성화, 식문화 홍보 등의 전략을 통해

적지 않은 성과를 얻었다”며 “한식세계화 지수를 통해 볼 때 현재 한식세계화는 도입기를 지나 성장단계

에 진입했다”라고 발표했다. 한식재단 김홍우 사무국장은 사례발표를 통해 “한식세계화를 위한 체계적

인 전략을 수립하고, 국민이 공감하며 관련기관, 전문가, 업계 등이 유기적으로 연계해 통합된 시스템을

만들어 제대로 운용해 나간다면 한식세계화의 미래는 매우 밝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한식의 세계화는 섣부른 결론보다는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시·공간

성을 고려한 합의점을 찾아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A Discussion Forum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Grand Conference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New Paradigm of Korean Food in the 21th CenturyThe Grand Conference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New Paradigm of Korean Food in the 21th Century was held at the aT Center in Yangjae-dong, Seoul, on May 18. Government agencies, organizations, and experts promot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gathered to give presentations and hold discussions on a wide variety of topics, including challenges in promoting Korean food globalization and the future path for the campaign. Among experts in attendance were scholars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and natural sciences, culinary journalists, media experts, and businesspeople from the food and food service industries.

The conference was opened with congratulatory speeches by Yang Il-sun, the chairperson of the Korean Food Foundation (KFF), and Kim Jae-su, the president of the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aT). The first session of the conference featured keynote lectures on the concept and identity of Korean cuisine and how a Korean food database should be established. These were followed by a speech entitled “Korean Food Globalization and the Korean Food Foundation’s Role” by Kim Hong-wu, the director general of the KFF, and case study presentations by field experts on the excellence of Korean food from the perspectives of culinary science, nutritional science, and Daejanggum, the historical figure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 global Korean food boom. The second session consisted of case study presentations on how Korean food is viewed from a mass media perspective, what form of Korean food is businesses need to produce in the future, and how the world views Korean food.In a lecture entitled “Promotional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Lee Eun-jeong, a director at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isheries and Forestry (MIFAFF), said, “In order to make Korean food the world’s favorite, we implemented strategies involving building infrastructure, stepping up research and development, nurturing talents, spurring investment, and promoting Korean food culture. Through these efforts we achieved significant results. Judging from the Korean Food Globalization index, it is safe to say that Korean food globalization efforts have passed their initial phase and have entered a maturing phase.” In his case study, Kim Hong-wo said “Korean food globalization efforts will have a bright future if well-organized strategies are employed, if there is a consensus with the Korean public on the issue, and if we can build and implement an integrated system, bringing the relevant organizations, experts, and businesses together in close cooperation.”In the discussion, experts agreed not to make hasty decisions and to reach agreements through continued discussions on the promotion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한식세계화를 위한 ‘토론의 장’ 마련 21세기 한식의 새로운 패러다임-한식세계화 대토론회 개최

「21세기 한식의 새로운 패러다임-한식세계화 대토론회」가 지난 5월 18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

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식세계화를 추진하고 있는 관련 기관 및 단체, 전문가들이 한식세계화의

문제점과 미래 방향 제시 등에 대한 다양한 사례발표에 이어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한식세계화 대토론회에서 양일선 한식재단 이사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한식재단 뉴스레터 _ KOREAN FOOD FOUNDATION Newsletter

04

한식세계화 소식 Global Korean Food News

Page 5: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유럽에서 K-POP이 호평을 받으면서 한식의 세계화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그동안 국내·외 한식당을 찾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 메뉴의 인지도를 높여 향후 ‘스시’나 ‘베이징덕’처럼 이름만 들어

도 그 음식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외국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비빔밥이 해외의 한

국식당이나 인사동의 일부 음식점에서는 ‘한국식 소고기와 샐러드

밥’이라는 뜻으로 ‘Korean Style Beef and Salad Bowl’로 표기하

는 경우가 있으며, 잡채 역시 ‘투명한 파스타(Clear noodle pasta)’로

소개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에는 뉴욕대학 NYU의 한인 학생

회가 잘못된 한식메뉴 표기법을 바로잡기 위해 나서기도 했다.

이보다 앞서 농림수산식품부와 한식재단은 지난 2009년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길라잡이」를 한국어, 영어, 일어, 중국어 등 4개 국어로

발행한 바 있다.

이번 증보·개정판은 지난 2009년 발행판을 기본으로 메뉴와 언어를 보강해 밥, 죽, 면, 국·탕, 찌개, 전

골, 찜, 나물과 전채, 조림, 볶음, 구이, 전, 회, 김치 등 대표적인 한식메뉴 154개를 한국어를 비롯해 영

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독일어, 아랍어, 베트남어로 표기했다.

메뉴명은 한글과 로마자, 각국 언어순으로 표기했으며 메뉴 설명은 한글 표기를 바탕으로 각 나라의 문

화적 특성을 반영해 특징있게 설명했다. 또 잡곡밥, 호박죽, 미역국의 경우처럼 밥·죽·탕·차·떡 등으

로 끝나는 메뉴명은 외국인이 발음하기 쉽게 끝자리를 띄어쓰기해 표기했다.

Efforts to standardize foreign language notation of Korean food names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e International Korean Menu Guide 2012The Korean Food Foundation (KFF) has published 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e International Korean Menu Guide 2012, based on the 2009 first edition. The new edition has more menu names in more languages, with improved word spacing to make the names easier for global Korean food fans to read and pronounce. This new edition will be distributed to releva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Korean diplomatic missions, overseas offices of the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aT) and the Korean Tourism Organization, and trade associations for Korean restaurants outside of Korea.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gained considerable momentum after K-Pop was favorably received in Europe. After that, many people have argued for the need to take things a step further and raise awareness of Korean food worldwide. The goal is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Korean food around the world and make the names of Korean dishes instantly recognizable, just like other famous national foods such as sushi of Japan and Beijing duck of China.According to the media, the Korean traditional dish of bibimbap is often referred to as “Korean style beef and salad bowl” on some menus overseas, and even on menus in some Insa-dong restaurants, while japchae is often called “clear noodle pasta.” So last year, the Korean students’ association at New York University launched an initiative to correct the wrong notations of Korean food names. Before that, in 2009,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isheries and Forestry (MIFAFF) and the KFF published International Korean Menu Guide in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languages. This year’s new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has more menu names in more languages and covers 154 representative Korean foods, such as bap (rice), juk (porridge), myeon (noodle), guk or tang (soup), jjigae (stew), jeongol (hot pot), jjim (steamed food), namul (sautéed vegetable or herb), jeonchae (hors d’oeuvre), jorim (braised food), bokkeum (stir-fried food), gui (roasts), jeon (pan-fried delicacy), heo (sliced raw fish), kimchi. The languages coverd are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French, Italian, Spanish, German, Arabic, and Vietnamese.The book shows names of Korean menus in Korean, followed by its Romanization and then translation in each of the featured languages. The menu also contains explana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language region for better understanding, based on Korean notation. In addition, foods whose names end with, for instance, bap, juk, tang, cha (tea), tteok, etc—japgok bap (boiled rice mixed with other grains), hobak juk (pumpkin porridge) and miyeok guk (seeweed soup), now have those suffixes distinguished with a space in order to make the names easier for global Korean food fans to read and pronounce.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표준화 ‘노력’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길라잡이’ 증보·개정판 발행

한식재단이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길라잡이」 증보·개정판을 발행했다. 지난 2009년에 발행된 초판

을 기본으로 메뉴와 언어를 보강하고, 외국인이 발음하기 쉽게 띄어쓰기 등을 보완해 해외공관 및 aT

해외 지사, 관광공사 해외지사 및 해외 한식당협의체 등 관련 기관과 단체에 배포하고 있다.

10개 언어로 표기된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길라잡이」 증보·개정판.

5월 넷째주 ┃

05

한식세계화 소식Global Korean Food News

Page 6: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한식재단 뉴스레터 _ KOREAN FOOD FOUNDATION Newsletter

06

재단사업성과 The Foundation's Operation Results

2011년 기준 해외진출 외식 브랜드는 총 70개로 한식업종 브랜드가 29개, 기타 업종이 41개로 조사됐다.

이중 IP(Intellectual Property)를 보유한 브랜드는 한식업종이 26개, 기타 업종이 36개로 나타났다.

외식기업의 매출액 설문조사에 따르면, 76개 외식기업의 매출액 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4%

였고, 해외 매출액이 전혀 없는 업체도 78.7%에 달했다. 이는 100조 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는 네슬레가

전체 매출액 중 90% 이상을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것과 비교되는 수치다. 네슬레는 크고 작은 법적분쟁

까지 불사하며 지식재산권 보호를 통한 시장 확대를 지속적으로 꾀하고 있다.

우리나라 한식당의 경우 점포 규모나 매출면에서 일반적인 기업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스스로 IP

경쟁력을 강화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한식기업들이 IP를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갖추고,

해외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비용이나 시스템면에서 정부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의견이다.

또 한식당을 비롯한 외식기업들의 경우 IP를 보유하고 있어도 생산·판매에만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해 2차, 3차의 부가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외식업체들의 인식제고뿐 아니라 IP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적인 지원도 함께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외식기업들은 법적 권리 확보, 전반적

인 진단과 대책 수립, 종업원 교육 등 IP 강화

를 위한 다방면의 지원을 촉구했다. 특히 자국

음식 세계화를 둘러싼 국가간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만큼 IP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

책적인 지원을 통해 한식기업들의 브랜드 및 상

품의 개발을 촉진하고, IP를 통한 한식의 경쟁

력을 강화해 해외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필

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음호에 계속)

Lack of Progress in Securing International Trademarks by Korean Food BusinessesGovernment support is necessary for enhanced intellectual property competitiveness and the expansion of exportsDuring the previous five years, Korean businesses filed for 82 trademark registrations under the Madrid System for the International Registration of Marks. The number is less than 5 percent of the 3,764 applications filed in Korea by foreign brands. That highlights the urgent need to enhance the intellectual property competitiveness of Korea’s food service industry in global markets, where sales are directly determined by intellectual properties.

As of 2011, 70 Korean food service brands existed in overseas markets. Among those, 29 were offering Korean cuisine and the remaining 41 were selling other kinds of foods; 26 Korean cuisine brands and 36 other food brands were classed as intellectual properties. According to a survey on 76 Korean food service businesses, exports on average accounted for a meager 2.4 percent of revenue, while 78.7 percent of those businesses earned no overseas revenue at all. This presents a stark contrast with Nestle, which earns more than 90 percent of its over 100 trillion KRW revenue from overseas markets. Nestle makes continuous efforts to expand its market share by leveraging its intellectual properties, regardless of the risk of litigations.Compared to businesses in other industries, the size and revenue of most Korean restaurants are so small tha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nhance intellectual property competitiveness on their own.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financial and planning assistance for Korean food service businesses so they can harness intellectual properties, secure brand competitiveness, and increase their share in global markets.In addition, even when Korean restaurants and Korean food service businesses do hav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ir usage is only confined to production and sales in most case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work to raise awareness among businesses and assist them in finding ways to leverag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order to create and maximize added value.Food service businesses are calling for multifaceted government assistance in such areas as securing legal rights, analyzing current opportunities, and educating employees. At a time when other countries are competing with each other to globalize their national cuisines, Korea needs policy measures to help enhance intellectual property competitiveness and encourage Korean food businesses to develop brands and products so it too can compete on overseas markets. There is an urgent need rising that, by utiliz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is way, Korean food’s global competitiveness should be strengthened to help Korean restaurants make inroads into the overseas markets.

국내 한식관련 상표 해외 진출 ‘부진’IP경쟁력 확보 위한 정책적 지원으로 수출 확대 필요

마드리드 국제출원제도를 이용한 최근 5년의 국내외 상표 출원 건수는 82건으로, 해외 브랜드의 국내

출원 건수 3764건과 비교해 5%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IP의 경쟁력이 매출과 직결되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식을 비롯한 외식분야의 IP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IP 강화를 위한 정부지원이 필요한 분야>

복수응답(단위:%)

1.7전반적인 진단과 대책 수립

기술 개발

법적 권리 확보

유통 활성화

지식재산 보호

지식재산 사업화

기술협력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보제공

종업원 마인드 제고 및 실무교육

포털사이트 구축

49.2

23.0

59.0

29.5

21.3

21.3

14.8

13.1

27.9

16.4

Page 7: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aT, ‘해외 한식당 협의체’ 모집으로 한식세계화 해외 구심점 구축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해외의 한식당 활성화 및 한식세계화를 위한 해외 구심점을 조성하기 위해 해

외 한식당 협의체를 모집한다. 대상지역은 기존 협의체 지정 지역인 일본(동경, 오사카), 중국(연변, 상해), 미국

(뉴욕, LA), 유럽(프랑스, 영국), 홍콩을 제외한 지역이다. 협의체 구성 요건은 한식당 경영주, 식재료 유통업체

및 기타 관련 전문가들로 최소 한식당 50개 이상 또는 관할지역 한식당 수의 50% 이상이 참여해야 한다. 또

자치규약(회칙)을 제정하고 임원단을 구성하는 등 체계적인 운영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법인이 아닌 단체

일 경우에는 대표자 또는 관리인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향후 법인 형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계획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협의체 및 사업계획서는 오는 6월 4일까지 해외 aT센터 혹은 재외공관에서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신규지정 및

선정 심사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6월 초에 이뤄질 계획이다. 협의체로 선정될 경

우 업무 협약 체결을 통해 한식당 수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사업, 한식 관련행사 및 홍보·마케팅 사업, 식재

료 조달을 위한 공동구매·유통 관련 사업 등을 위한 비용 지원을 받게 된다.

한식당 협의체 신청 및 접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aT 홈페이지(www.at.or.kr)를 참고하면 된다.

농식품부 외식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정농림수산식품부가 외식산업 진흥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비롯해 국내 외식산업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육

성·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외식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 2월 (사)한국프랜차이즈협회, 3월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4월 (사)한국외식산업협회와

(주)한국조리사관직업전문학교, 그리고 5월 (주)한솔요리학원까지 총 5개 기관을 외식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

으로 지정, 공고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외식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을 점차적으로 늘려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

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aT, 국내 중소 한식업체 해외시장 개척 ‘지원’농식품부와 aT는 국내 한식관련 중소 외식업체들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해외 프랜차이즈 박람회 참가

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는 6월에 열리는 뉴욕 국제 프랜차이즈 박람회를 시작으로 9월 상하이,

11월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박람회까지 참가업체들을 모집,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박람회에 참가하여 제이피 페퍼다인 그룹(JP Pepperdine Group)과 마스터 프랜

차이즈 계약을 체결한 (주)위두(꽁돈삼겹살)는 지난 4월 26일 싱가포르로 1억 4000여만 원 규모의 수출물량을

선적했다. 제이피 페퍼다인 그룹의 발표에 의하면, 10개의 쇼핑몰과 입점계약을 확보한 상태로, 앞으로 수출액

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주)위두(꽁돈삼겹살) 외에도 (주)대대에프씨(보스바베큐), (주)크라제인터네셔널(크라제버거), 춘천닭갈비 영농조

합(춘천닭갈비) 등이 프랜차이즈 계약에 성공했다.

현재 aT는 6월 15~17일까지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뉴욕 국제 프랜차이즈 박람회에 참가할 국내 중소 외식

업체를 모집하고 있다. 참가신청은 aT 외식진흥팀(02-6300-1760)으로 문의하면 된다.

美 국무부에서 한식의 맛 펼쳐미국 워싱턴D.C. 내 국무부 청사 해리 트루먼 빌딩에서 한식을 소개하는 행사가 처음으로 열렸다. 주미 한국대

사관과 뉴욕 aT센터, 코리안헤리티지파운데이션(KHF)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지정한 ‘아ㆍ태 문화

유산의 달’ 행사의 하나로 ‘한식의 맛 비밀을 발견하세요’(Discover Korea’s Delicious Secret)를 개최했다.

우영희 요리 연구가가 현장에서 궁중음식인 탕평채를 직접 만들어 나눠주고 구절판, 신선로, 해물파전, 잡채,

양배추 삼색말이 김치 등 10여 가지 전통 메뉴를 선보였고 떡, 수정과 등 다과류와 음료도 제공했다.

윌리엄 번스 부장관과 해럴드 고(고홍주) 법률고문 등 미국 국무부 직원 300여 명이 참석했으며, 한국 전통 무

용단의 공연도 함께 열려 호응을 얻었다.

5월 넷째주 ┃

07

관련 소식Related News

Page 8: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한국인의 대표음식으로 손꼽히는 비빔밥. 한식재단이 촬영했다.

한식재단 뉴스레터 _ KOREAN FOOD FOUNDATION Newsletter

08

흰밥 위에 갖가지 나물과 고기볶음, 튀각 등을 올려 비벼 먹는 비

빔밥은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 첫손으로 꼽는 한국의 대표 음식이

다. 1800년대 말부터 각종 문헌에 나타나기 시작한 비빔밥은 1990

년대 초에 처음 대한항공 기내식으로 채택되었는데, 단시간 내에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아 지금은 전 세계 기내식 가운데 가장 인

기 있는 음식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제사와 품앗이 문화가 만든 비빔밥 비빔밥의 유래에 관해서는 세 가지 이야기가 전해 온다. 첫 번째는

한국만의 독특한 제사 풍습에서 비빔밥이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밥, 고기, 생선, 나물 등을 상에 올려놓고 정성껏 제사를 지낸 뒤

후손들이 음식을 골고루 나눠 먹었는데, 이때 밥을 비벼 먹었던 데서 비빔밥이 탄생했다는 이야기다.

두 번째는 한 해의 마지막 날 음식을 남긴 채 새해를 맞지 않기 위해 남은 밥에 반찬을 모두 넣고 비벼

서 밤참으로 먹었던 풍습으로부터 비빔밥이 유래했다는 설이다.

세 번째는 들에서 밥을 먹던 풍습에서 비빔밥이 생겨났다는 주장이다. 예로부터 모내기나 추수를 할 때

이웃끼리 서로 일을 도와주는 품앗이라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때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하기 위해 음식

재료를 들로 가지고 나가 한꺼번에 비벼서 나눠 먹었다는 것이다.

비빔밥은 각 지역마다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특히 전주비빔밥과 진주비빔밥이 유명하다.

전주비빔밥은 육수로 지은 밥에 30여 가지의 재료를 올린 것이고, 진주비빔밥은 잘 가꿔진 화원을 옮겨

놓은 듯 아름답다고 해서 옛날부터 ‘꽃밥’이라고도 불린다.

맛있는 한식이야기 ⑧비빔밥 A Delicious and Fun Korean Food Story ⑧Bibimbap

갖은 나물로 비빈 세계인의 건강식 비빔밥색과 맛, 계절과 지역, 자연과 인간이 한데 어울려 조화와 융합을 이루는 것이 비빔밥 정신이다.

Mixed assorted vegetables—the world’s wholesome food bibimbapThe spirit of bibimbap is a harmony between color and taste, seasons and regions, and nature and people.

It consists of boiled white rice served with assorted vegetables, fried meat, twigak (fried kelp), and so on, placed upon it. These are then well mixed, usually with a chili paste, before eating: Bibimbap is the Korean food of choice for both Koreans and foreigners. The earliest records of bibimbap go back to the 19th century. In the early 1990s, bibimbap became an official in-flight meal on Korean Air flights to the fascination of travelers. The world of travel has been fascinated ever since, and bibimbap remains one of the world’s most popular dishes served in flight.

Bibimbap originating from ancestral rites and pumasiThere are three legends regarding the origin of bibimbap. The first holds that bibimbap originated in the sharing of food during Korea’s unique tradition of ancestral worship, when people made offerings of rice, meat, fish, and vegetables to dead ancestors, and then ate the offerings after mixing them up in a bowl. The second legend says that bibimbap began at a time when it was customary to get rid of leftovers on the last night of the year by mixing them together and eating them.The third legend maintains that bibimbap came from the practice of having lunch while working in the fields. Since ancient times, there has been the custom of pumasi, in which neighbors help each other out with rice planting, harvesting, and other hard farming tasks. The farmers who worked together in the fields would just mix up everything they had brought for lunch to save themselves the time and energy in preparing the meal. Each region in Korea has its own unique kind of bibimbap. The most famous ones are Jeonju bibimbap and Jinju bibimbap. Jeonju bibimbap is made of rice boiled in broth with about 30 ingredients. Jinju bibimbap has been called a “kkotbap (flowery meal)” from ancient times, as it looks as beautiful as a well-cultivated flower garden.

출처 - <한식스토리텔링 107가지, 맛있고 재미있는 한식이야기>

이 책자는 농림수산식품부가 호서대학교에 의뢰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음식 문화 홍보 컨텐츠 개발>자료를 보급판으로 제작한 것이다. 대표 한식메뉴의 정의, 맛의 특징,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재구성했다.

From - 107 Delicious and fun korean food stories107 Delicious and Fun Korean Food Stories was adapt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Promotional Contents of Food Culture Using Storytellig compiled by Professor Jeong Hye Kyeong and his team at Hoseo University under commission from the Ministry for Food, Arg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t provieds the recipes, tast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representative Korean dishes.

Page 9: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작은 문제점 개선이 한식세계화의 시작이성미(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우리 문화를 외국사람들이 즐기도록 만드는 일은 생각처럼 쉽지 않다. 우

리나라 사람들은 무조건 우리 문화의 우월성을 주장하고 다른 나라 사람

들 역시 그렇게 생각해 줄 것을 기대한다. 하지만 그보다 앞서 고려해야 하

는 것이 다른 나라의 식습관, 테이블 매너 등이다.

음식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 음식을 어떻게 서브(serve) 해야 하는가를 생

각해봐야 한다. 대부분의 한식전문점에서는 모든 음식을 4인 1조의 방식

으로 제공한다. 반면 외국의 경우 한 사람, 한 사람의 음식이 각각 서빙된

다. 즉 4인 공동 반찬그릇의 음식을 함께 집어먹는 것에 대해 외국인들은

비위생적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TV 드라마의 조리 장면도 한번 언급해보자. 부엌에서 요리를 하던 주인공은 국물을

숟가락으로 떠서 맛을 보고 자신의 입에 들어갔던 그 숟가락을 다시 국에 집어넣어 젓는 장면이 버젓이

방영된다. 한류의 첨병 역할을 한 드라마 <대장금>에서도 장금이는 국물을 맛보고 그 숟가락을 다시 넣

어 국물을 휘휘 젓는다. 아무리 드라마라고 해도 한국 식문화의 좋지 않은 모습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요즘은 고급 한식을 세트로 묶어 순차적으로 찬을 내 오고 마무리에 밥과 국을 김치, 젓갈 등 다른 밑반

찬과 함께 내는 방식이 대중화 되었다. 여기에도 문제점이 있다. 한식요리는 대부분 밥과 같이 먹었을 때

그 간이 적당한 경우가 많다. 갈비찜이나 불고기 같은 것을 밥 없이 그냥 먹기에는 간이 너무 짤 수밖에

없다. 찬이 불필요하게 많아 음식이 낭비되는 것 또한 시정돼야 할 것이다.

한식은 원래 모든 것을 한 입에 넣을 수 있는 크기로 잘라서 조리하는 것이 전통 조리방법이다. 그런데

세트메뉴에 나오는 고기는 보통 한입에 들어가지 않을 만큼 덩어리가 크다. 이 큰 고기를 이로 베어 잘

라 먹고, 잇자국이 난 나머지 덩어리는 접시에 떨어뜨렸다가 다시 집어 먹게 된다. 이런 방식도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는 외국인들에게는 야만스럽게 비쳐질 수 있다. 음식의 덩어리가 크면 적절한 기구를

상에 놓고, 아니면 전통방식대로 한입에 들어갈 만한 크기로 조리해야 한다.

위에 지적한 것들은 어떤 의미에서는 매우 작은 문제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작은 문제들을

개선했을 때 생활방식이 다른 외국인들이 한식을 제대로 즐기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mall Changes can be the First Step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Yi Seong-mi, Professor Emeritu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It is not as easy as one might think to make foreigners enjoy Korean culture. Koreans tend to blindly assert the superiority of Korean food culture and expect people from other countries to agree. But we should consider the eating habits and table manners of other cultures before insisting on the excellence of Korean food.While the food itself is important, we should give thought to the way it is served. Most Korean restaurants serve dishes on a one-meal-for-four-people basis, whereas in other countries a single meal is served to each diner. To non-Koreans, four people sharing the same side dishes might appear unhygienic. In this context, I’d like to address cooking scenes in our TV dramas. When characters in these shows cook something, they often taste it with a spoon and casually put the spoon from their mouths straight back into the pot to stir the food. It was the same with Janggeum, the protagonist of the TV drama Daejangguem, a drama that was a major driving force behind the Korean Wave. We need to do away with undesirable aspects of Korean food culture, even in fictional TV dramas.These days, many upscale Korean restaurants are offering Korean food on table d’hôte menus. They serve side dishes one after another then later complete the course with a bowl of boiled rice, soup, and other basic side dishes, such as kimchi and jeotgal (salted seafood). This practice of serving rice after so many side dishes can be problematic. Most Korean dishes are salted to the point where they taste best when consumed with boiled rice. Without rice, dishes such as galbijjim (braised short ribs) or bulgogi taste too salty. In any case, an average Korean meal has too many side dishes, resulting in too much food waste.According to the traditional Korean cooking method, each food portion should come in a single-bite size. However, those table d’hôte menus often have meat chunks that are too big to eat in one mouthful. Diners have to take a bite out of the meat and put the rest back on the plate. Such behavior may appear uneducated to people from other cultures that predominantly use knives and forks. A large chunk of food should be served along with an appropriate tool to cut it. Otherwise, food should be cooked in single-bite sizes, following the tradition.The issues I raised above might seem trivial to some. However, it might be very helpful for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to enjoy Korean food if those small issues are addressed.

5월 넷째주 ┃

09

칼럼Column

Page 10: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한식재단 뉴스레터 _ KOREAN FOOD FOUNDATION Newsletter

10

한식세계화 Q&A Q/A abou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한식세계화 Q&A

아시아 지역의 한식당들이 궁금합니다. 특히 일본과 중국에는 어떤 한식당들이 있으

며 무슨 메뉴를 취급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농림수산식품부와 aT에서 수행한 2007년(일본), 2009년(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한식당

해외진출 현황 조사보고서>의 조사내용과 재외공관(기타국가)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따르

면, 전 세계에 약 1만여 곳의 한식당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중에서

아시아에는 약 8400여 곳의 한식당이 영업 중이며, 일본에 약 5600곳, 중국에 약 2050곳이 분포돼 있

어 이 두 나라가 전 세계 한식당 수의 약 75%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유명한 한식당으로는 「처가방」, 「빗소리」, 「대사관」, 「고시레」, 「대나무」, 「춘하추동」 등이 있습니다.

특히 일본 도쿄의 한식당 「모란봉」은 ‘2012 미슐랭 레스토랑 가이드 도쿄편’에서 한식당 최초로 별 두 개

등급을 받아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일본에서 인기 있는 한식 메뉴는 불고기, 비빔밥, 순두부, 냉면, 잡채 등 다양합니다. 한정식을 코스화

한 메뉴뿐만 아니라 된장찌개, 갈비정식 등 단품 메뉴도 일본의 한식당을 찾는 고객들이 즐기는 메뉴입

니다. 삼계탕, 곱창전골처럼 외국인에게 다소 낯선 한식을 취급하는 업소도 조금씩 늘고 있습니다. 메인

메뉴뿐만 아니라 나물, 장조림, 전, 김 등 반찬류와 막걸리 같은 주류도 인기가 높습니다.

중국에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유명한 한식당이 많이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한식이 고급메뉴로 포지셔닝

되어 있어 프리미엄 고객층을 타깃으로 하는 한식당들이 눈에 띕니다. 대표적인 곳이 중국 북경에 위치

한 「애강산」인데요. 이곳을 즐겨 찾는 고객들은 유명 연예인과 장

관급 정관계 인사, 외국인 주재원 등 상위 1%의 계층입니다. 비빔

밥 전문 프랜차이즈 「정일미」도 유명합니다. 이곳은 비빔밥과 덮밥

을 주메뉴로 하면서 된장찌개, 김치찌개 등 39가지의 다양한 메뉴

를 빠르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본에서와 마찬가지로 중

국에서도 불고기, 갈비, 비빔밥 등의 메뉴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황태구이, 칼국수, 족발 등 중국인들에게 익숙치 않은 한식 메뉴

를 취급하는 업소도 늘고 있습니다.

QA

일본에서 인기 있는 메뉴 중 하나인 순두부찌개.

Q/A abou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Q ┃ Please tell me about Korean restaurants in Asia. In particular, I’d like to learn about what kind of Korean restaurants are in Japan and China and what meals they serve.

A ┃ According to the Korean Restaurants in Overseas Markets report on Japan (2007) and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Vietnam (2009) by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isheries and Forestry (MIFAFF) and the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aT), together with data collected by Korean overseas diplomatic missions, there are about 10,000 Korean restaurants outside of Korea. Approximately 8,400 of them are located in Asia, with about 5,600 in Japan and about 2,050 in China. Thus, Japan and China host approximately 75% of all overseas Korean restaurants.Cheogabang, Bitsori, Daesagwan, Gosire, Daenamu, and Chunhachudong are among the famous Korean restaurants in Japan. In particular, Moranbong, in Tokyo, gained a lot of attention when it became the first Korean restaurant to win two Michelin stars and was listed in the 2012 Michelin Guide: Tokyo.Various Korean dishes are popular in Japan, including bulgogi, bibimbap, sundubu (soft soy bean curd), nangmyeon (cold noodle soup), and japchae (noodles with sautéed vegetables). In addition to Korean table d’hôte dishes, single entree dishes such as doenjang jjigae (soybean paste stew) and galbi jeongsik (set meal with braised short ribs) are popular with Japanese diners. An increasing number of restaurants are now serving Korean dishes that are unfamiliar to local customers, including samgyetang (ginseng chicken soup) and gopchang jeongol (spicy beef tripe hot pot). Aside from main menu items, side dishes such as namul (sautéed vegetables), jangjorim (marinated pork), jeon (pan-fried delicacies) and gim (laver), along with alcoholic beverages such as maggeolli (rice wine), are also becoming very popular.China also has many famous Korean restaurants. Many of them are frequented by upper-class customers, since Korean food considered high-class cuisine in China. The most exemplary restaurant is Aegangsan, in Bejing, whose customers are among the elite, such as top celebrities, government officials of cabinet rank, and foreign diplomats from other countries. Also famous is Jeongilmi, a franchise restaurant specializing in bibimbap. The franchise is well known for its fast service and its offer of as many as 39 dishes, including doenjang jjigae and kimchi jjigae (kimchi stew), as well as main menu items such as bibimbap and deopbap (rice mixed with various delicacies). As in Japan, bulbogi, galbi (braised short ribs) and bibimbap are popular in China, and more and more Korean restaurants are offering Korean dishes that are quite new to Chinese diners, such as hwangtae gui (dried pollack roast), kalguksu (knife-cut noodle soup), and jokbal (pigs’ trotters).

Page 11: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5월 넷째주 ┃

11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라스팔마스 등지

에서 20여 년간 「강촌」식당을 운영한 오

너셰프가 2008년 10월 아들과 함께 마

드리드에 문을 연 식당으로 정통 한국

식당을 표방한다.

‘음식은 정성’이라는 철학을 가진 오너셰

프가 스페인의 신선한 해산물과 채소를

이용해 요리한 다양한 한국적인 메뉴와 스페인에서 자란 아들의 감각이 어우러진 스페인식 인테리어로

유럽인을 비롯해 현지인 고객들에게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

‘시스네로스 추기경 거리(CARDENAL CISNEROS)의 한국식당’이라는 의미로 식당 이름을 짓고, 돌솥비

빔밥, 닭강정 등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먹는 한식을 주메뉴로 선보이고 있다. 특히 사골육수를 붓고 고

추기름으로 얼큰하게 맛을 낸 한국식 짬뽕은 스페인을 찾는 한국 사람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추기경의 젓가락 특징>

1. 30여 년 경력 오너셰프의 탄탄한 메뉴

•9가지 재료를 넣은 돌솥비빔밥 등 즉석에서 요리한 한국적인 메뉴

2. 식당 이름이 주는 특별한 인상과 현지 감각의 인테리어

•젓가락을 사용한 독특한 이름과 스페인 특유의 인테리어에 한국식 퓨전을 포인트로 가미

세계속의 한식당Korean Restaurants on the International Stage

한국과 스페인의 만남 추기경의 젓가락

추기경거리의 한국식당이라는 의미로 ‘추기경의 젓가락’이라는 간판을 건 식당의 외관과 스페인 현지인에게 익숙한 내부 인테리어.

Palillos del Cardenal: Harmony between Korea and SpainPalillos del Cardenal (Chopsticks of the Cardinal) was established in Madrid in October 2008 and serves authentic Korean cuisine. It is run by a veteran chef who used to run a Korean restaurant named Gangchon in Barcelona, Madrid, and Las Palmas for about 20 years.The owner-chef, who believes that putting your heart and soul into every dish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you can have as a cook, makes a wide variety of Korean foods using fresh Spanish seafood and vegetables. His son, who was raised in Spain, has artistic talents and contributed to the restaurant’s unique Spanish-style interior decor. With great food and design, the restaurant is loved by both local residents and European travelers. Located on Madrid’s Cardenal Cisneros Street, the Palillos del Cardenal serves authentic Korean foods commonly enjoyed by Koreans, such as dolsot bibimbap (bibimbap cooked and served in a stone kettle) and dakgangjeong (fried and braised chicken). Its Korean-style jjambbong (spicy seafood noodle soup) is also popular with Korean visitors to Spain, with its refreshing spicy broth made with beef shanks stock and hot pepper oil.

<Strong Points of Palilos del Cardenal>1. Excellent food by the owner-chef with about 30 years of experience

- Fresh and authentic Korean foods such as a dolsot bibimbap with nine ingredients2. Distinctive image inspired by the restaurant’s unique name and a harmonious interior appealing to both Spaniards and tourists.

- The word “chopstick” in the restaurant signboard and a Spanish-style interior complemented with Korean design elements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법 「한식메뉴 외국어 표기 길라잡이」 참조.

영어 표기명

일본어 표기명

중국어 표기명

프랑스어 표기명

스페인어 표기명

제육볶음 ┃ 돼지고기를 얇게 저며 생강즙을 넣은 고추장 양념에 재웠다가 볶은 음식이다

Jeyuk bokkeum / Stir-fried Pork ┃ Thinly sliced pork marinated in spicy ginger-gochujang sauce and stir-fried with onion, carrots, perilla leaves or cabbage. Ingredients vary according to taste.

チェユッポックム(豚肉甘辛炒め)┃ 細切りにした豚肉を、しょうが汁を加えたコチュジャンベースの薬味に漬け込み、炒めた料理。

辣炒猪肉 ┃

Porc sauté aux légumes ┃ Tranches de porc, marinées dans une sauce à base de pâte de piment et de jus de gingembre.

Cerdo salteado ┃ Cerdo en rodajas finas marinado y salteado en una salsa de jengibre y gochujang con cebolla, zanahorias, hojas de perilla o repollo.

Page 12: The Taste of Korea · 한식재단이 지난 4월 공고한 ‘2012 한식세계화 과제 공모’의 ‘관련단체 지원’ 부문에 총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이들

한식재단은 한식세계화 사업을 추진하는 민간전문기구입니다.

The Korean Food Foundation is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promoti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32 aT센터 1306호 / 232 aT Center, Room 1306, Yangjae-dong, Seocho-gu, Seoul

Tel_02.6300.2050 ┃ Fax_02.6300.2055 ┃ www.hansik.orgtwitter.com/hansikkorea ┃ facebook.com/hansikkorea

한식재단 뉴스레터 _ KOREAN FOOD FOUNDATION Newsletter

The Taste of Korea

The Taste of Korea

Newsletter for the Fourth Week of May, 2012 2012 년 5 월 넷째주 뉴스레터 Vol.20

재단의

북한의 전통한식

언제부터인가 우리의 뇌리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북한의 사회상에 대한 대표적인 이미지 중 하나가 기아선상에서

식량난에 허덕이는 북한주민들의 모습이 아닐까 싶다. 동족으로서 불행하고 안타까운 일이다. 북한의 전통음식에

대해서도 얼른 생각할 수 있는 것이 평양냉면 정도다. 그러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지금의 초라함과는 달리

만주벌판을 호령하던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과 고려의 400년 도읍지인 개성이 그 곳에 있었다. 당연히 나름의

궁중음식도 있었을 것이다. 그 뿐인가, 모든 향토음식의 특성이 그렇듯 지역별로 다른 기후와 지형적 여건에 따른

식재료, 그리고 선조들의 지혜가 함께 녹아들어 만들어진 다양한 전통음식이 있었다는 것을 지금 당장 현지에서

확인을 할 수는 없지만 동국세시기와 규합총서 등 수많은 고문헌들이 분명하게 입증해주고 있다. 하마터면 잃어

버릴 뻔했던 우리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고려청자의 복원과정에서도 경험했듯이 단절된 역사로 인해 선조들의 땀

과 혼이 담긴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영영 멸실하는 것은 학문적인 영역을 떠나서라도 조상에 대한 예의가 아니

다. 더군다나 후손에게 전달해야 할 책임이 있는 세대로서는 직무유기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그중

에는 어쩌면 현재 진행 중인 한식세계화 사업의 중요한 자원이 숨겨져 있을지 누가 알겠는가. 한식재단에서 지난

해 연말부터 북한전통음식문화연구원과 협력하여 우선 150품목의 「북한전통음식 조사·발굴 사업」을 전개하여

아카이브(archive) 구축과 복원을 추진하는 이유이다. 복원이 완료되어 귀리로 만든 함경도의 귀밀송편과 황해도

의 연안식혜를 맛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만두와 떡볶이, 김치가 그립습니다저는 만두를 좋아합니다. 만두가 한국음식이 맞죠? 떡볶이와 김치도 좋아합니다. 전에 한국에서 2년반 정도 지낸적

이 있는데, 그때 다양하고 매력적인 맛을 내는 한국음식들을 먹을 기회가 많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생각하니 그

때 더 많은 한국음식들을 맛보지 못한 것이 아쉽네요. 이곳 앨러바마에 와서도 가끔씩 한국의 김치냄새가 코에 와

닿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인터넷에서 만두와 떡볶이, 김치 등에 대한 레시피와 사진을 찾아보기도 한답니다. 다시 한

국에 가면 그리운 한국음식들을 모두 먹어볼 생각입니다. -머독( The Taste of Korea)

I Miss Mandu, Tteokbokki, and KimchiI love mandu (Korean dumplings). It is a Korean food, right? I also love tteokbokki (rice cakes broiled in spicy sauce) and kimchi. I was in Korea two and a half years ago, and while there I had many different Korean foods with diverse and fascinating tastes. Looking back now, I wish I had tried more varieties of Korean food than I did. Sometimes I feel as if I smell kimchi even here in Alabama. When I think of Korean food, I look up the Internet for recipes and photos of mandu, tteokbokki, kimchi, and other Korean dishes. I would love to visit Korea again and have all the Korean foods I miss so much.

- Linville Murdock (from The Taste of Korea)

From the Foundation ┃ Traditional Korean Foods in North KoreaSince long ago, the most definitive image of North Korean society has been that of starving North Koreans suffering from the food shortages. It is truly lamentable for us to see our brethren in such a predicament. No wonder, then, that there are few traditional North Korean foods we can think of except Pyeongyang nangmyeon (cold noodle soup). However, in the ancient times, North Korea was far from the poor and devastated nation it is now. Pyeongyang was the capital of the Kingdom of Goguyeo, which even ruled Manchuria, and Gaseong, which was the capital of Goryeo for four centuries, was also within what is now North Korea. There must have been their own royal cuisine. We have documented evidence, including Dongguksesigi and Gyuhapchongseo, that shows that a variety of traditional Korean foods have existed in each region of North Korea, based on differences in climate, the availability of ingredients, and the ingenuity of ancient Koreans. Food diversity was just like it was in the South. We must do everything we can to preserve the knowledge of traditional North Korean foods. From our experience of restoring the Goryeo celadon porcelain, we know what it is like to almost completely lose a major part of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We learned we must do everything possible to preserve Korea’s priceless cultural assets, the embodiments of the soul, the history, and the identity of ancient Koreans. Such a loss of North Korean food culture would be a betrayal of our ancestors, if not an academic disaster and cultural travesty. After all, it is our duty to pass the legacy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The ongoing efforts for Korean food globalization could benefit from uncovering knowledge of the traditional foods of North Korea. That is why the Korean Food Foundation has been conducting the “Research and Discovery of Traditional Foods of North Korea” initiative, focusing on about 150 traditional food items. Since last year, its aim has been to establish an archive of ancient recipes in cooperation with North Korea’s Traditional Food Culture Research Institute. It would be great if guimilsongpyeon (oats cake steamed on a pile of pine needles) of Hamgyeong Province and yeonansikhye (fermented rice with chowders) of Hwanghae Province started appearing on menus everywhere!

우 리 이들 야의 기한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