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장 기억장치 (2)

51
제 5 제 제제제제 (2) Lecture #7

Upload: tangia

Post on 06-Jan-2016

154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DESCRIPTION

Lecture #7. 제 5 장 기억장치 (2). 강의 목차. 5.1 기억장치시스템의 특성들 5.2 기억장치 계층 5.3 반도체 기억장치 5.4 기억장치 모듈의 설계 5.5 캐쉬 기억장치. 캐쉬 기억장치 개요 (1). 사용 목적 CPU 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로 인한 CPU 대기 시간을 최소화 CPU 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설치하는 고속 반도체 기억장치 특징 CPU 에 근접한 위치나 CPU 내부에 위치한다 주기억장치보다 액세스 속도가 높은 칩 사용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제 5 장 기억장치  (2)

제 5 장 기억장치 (2)

Lecture #7

Page 2: 제 5 장 기억장치  (2)

강의 목차 5.1 기억장치시스템의 특성들 5.2 기억장치 계층 5.3 반도체 기억장치 5.4 기억장치 모듈의 설계 5.5 캐쉬 기억장치

Page 3: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기억장치 개요 (1) 사용 목적

CPU 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로 인한 CPU 대기 시간을 최소화

CPU 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설치하는 고속 반도체 기억장치

특징 CPU 에 근접한 위치나 CPU 내부에

위치한다 주기억장치보다 액세스 속도가 높은 칩

사용 가격 및 제한된 공간 때문에 용량이 적다

Computer Architecture7-3

Page 4: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기억장치 개요 (2)

CPU 의 주기억장치 접근 동작 -MMU(Memory Management Unit) CPU 가 주소버스에 주소를 전송하여 주기억장치에 접근한다

CPU 는 캐쉬 기억장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한다 접근하려는 데이터가 캐쉬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캐쉬에 있으면 바로 CPU 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데이터를

수정한다 캐쉬에 없으면 주기억장치에 접근한다

주기억장치에 접근하여 읽어온 데이터를 캐쉬에 저장한다 데이터를 CPU 에 전송한다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쉬로 적재된 데이터는 CPU 가 다시 접근할

때에 빠른 속도로 접근이 가능하다 캐쉬 기억장치에 있는 수정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주기억장치에 write-back 되어 최근에 수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Computer Architecture7-4

Page 5: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기억장치 개요 (3)

캐쉬 성능 평가 캐쉬 적중 (cache hit) : CPU 가 원하는 데이터가 이미 캐쉬에

있는 상태 캐쉬 미스 (cache miss) : CPU 가 원하는 데이터가 캐쉬에 없는

상태 적중률 (hit ratio) : 캐쉬에 적중되는 정도 (H)

캐쉬에 적중되는 횟수 H = --------------------------- 전체 기억장치 액세스 횟수

캐쉬의 실패율 (miss ratio) = (1 - H)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 (Ta) :

Ta = H × Tc + (1 - H) × Tm 단 , Tc 는 캐쉬 액세스 시간 , Tm 은 주기억장치 액세스 시간

Computer Architecture7-5

Page 6: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기억장치 개요 (4)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 예 :

[ 예제 5-1] Tc = 50 ns, Tm = 400 ns 인 시스템에서 , 캐쉬 적중률이 70%, 80%, 90%, 95% 및 99% 일 때의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을 각각 구하라

H = 70% 의 경우 : Ta = 0.7 x 50 ns + 0.3 x 400 ns = 155 nsH = 80% 의 경우 : Ta = 0.8 x 50 ns + 0.2 x 400 ns = 120 nsH = 90% 의 경우 : Ta = 0.9 x 50 ns + 0.1 x 400 ns = 85 nsH = 95% 의 경우 : Ta = 0.95 x 50 ns + 0.05 x 400 ns = 67.5 nsH = 99% 의 경우 : Ta = 0.99 x 50 ns + 0.01 x 400 ns = 53.5 ns

캐쉬의 적중률이 높아질수록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시간은 캐쉬 액세스 시간에 접근

캐쉬 적중률은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지역성 (locality) 에 크게 의존

Computer Architecture7-6

Page 7: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기억장치 개요 (5) 지역성 (Locality)

CPU 가 주기억장치의 특정 부분 ( 지역 ) 에 위치한 프로그램 코드나 데이터를 빈번히 혹은 집중적으로 접근하는 현상

캐쉬 기억장치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침 시간적 지역성 (temporal locality)

최근에 액세스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가까운 미래에 다시 액세스 될 가능성이 높다

반복 문장 , 호출빈도가 높은 서브루틴 , 공통 변수 등 공간적 지역성 (spatial locality)

기억장치 내에 인접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연속적으로 액세스 될 가능성이 높다

표 또는 배열 형식의 데이터 등 순차적 지역성 (sequential locality)

분기 (branch) 가 발생하지 않는 한 , 명령어들은 기억장치에 저장된 순서대로 인출되어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순차 실행과 비순차 실행의 비율은 5:1 정도Computer Architecture7-7

Page 8: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기억장치 개요 (6)

캐쉬 기억장치의 사용 목적 평균 기억장치 접근 시간의 단축 목적 달성을 위해 캐쉬 설계 시에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야

캐쉬 설계의 공통적인 목표 캐쉬 적중률의 극대화 – 프로그램 특성으로 한계성을 가짐 캐쉬 액세스 시간의 최소화 캐쉬 미스에 따른 지연 시간의 최소화 주기억장치와 캐쉬간의 데이터 일관성 유지 및 그에 따른

오버헤드의 최소화

Computer Architecture7-8

Page 9: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의 크기 캐쉬의 크기

용량이 커질수록 적중률이 높아지지만 , 상대적으로 비용이 증가 용량이 커질수록 주소 해독 및 정보 인출을 위한 주변 회로가 더

복잡해지기 때문에 액세스 시간이 다소 더 길어진다 Chip 의 종류 및 Board 의 공간에 의한 제약

Computer Architecture7-9

Page 10: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인출 방식 (1)

인출 방식 주기억장치에서 캐쉬 기억장치로 정보를 가져오는 방식 요구 인출 (demand fetch) 방식

필요한 정보만 인출해 오는 방법 선인출 (prefetch) 방식

필요한 정보 외에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정보도 미리 인출 지역성이 높은 경우에 효과가 높다 .

Computer Architecture7-10

Page 11: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인출 방식 (2)

주기억장치와 캐쉬의 조직 블록 (block)

주기억장치로부터 동시에 인출되는 정보들의 그룹 일반적으로 블록의 크기는 2~4 word 정도 주기억장치 용량 = 2n 단어 , 블록 = K 단어

블록의 수 = 2n/K 개 슬롯 (slot or line)

캐쉬에서 한 메모리 블록이 저장되는 장소 하나의 캐쉬 슬롯은 여러 개의 메모리 블록에 의해 공유 가능

태그 (tag) 슬롯에 적재된 블록을 구분해주는 정보

Computer Architecture7-11

Page 12: 제 5 장 기억장치  (2)

캐쉬 인출 방식 (3)

주기억장치와 캐쉬의 조직 ( 계속 )

Computer Architecture7-12

Page 13: 제 5 장 기억장치  (2)

사상 방식 (Mapping Scheme)

캐쉬 사상 방식 어떤 주기억장치 블록들이 어느 캐쉬 슬롯을 공유할 것인 지를 결정

주기억장치 블록이 로딩되는 캐쉬 슬롯을 결정 캐쉬 적중률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 캐쉬 기억장치의 내부 구조를 결정 종 류

직접 사상 (direct mapping) 완전 - 연관 사상 (fully-associative mapping) 세트 - 연관 사상 (set-associative mapping)

Computer Architecture7-13

Page 14: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Direct Mapping) (1)

주기억장치의 블록들이 지정된 하나의 캐쉬 슬롯으로만 적재 주기억장치 주소 해석

태그 필드 (t 비트 ) : 태그 번호 슬롯 번호 (s 비트 ) : 캐쉬의 m = 2s 개의 슬롯들 중의 하나를 지정 단어 필드 (w 비트 ) : 각 블록 내 2w 개 단어들 중의 하나를 구분

주기억장치의 블록 j 가 적재될 수 있는 캐쉬 슬롯의 번호 i :

i = j mod m 단 , j : 주기억장치 블록 번호 , m : 캐쉬 슬롯의 전체 수

Computer Architecture7-14

Page 15: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Direct Mapping) (2)

캐쉬 슬롯을 공유하는 주기억장치 블록 및 식별 각 캐쉬 슬롯은 2t 개의 블록들에 의하여 공유 같은 슬롯을 공유하는 블록들은 서로 다른 태그를 가짐 캐쉬 슬롯에는 태그와 데이터 블록이 저장

캐쉬 적중 여부를 주소의 태그 비트와 슬롯에 저장된 태그 비트를 비교하여 결정

Computer Architecture7-15

캐쉬 슬롯 주기억장치 블록 번호들

0

1

m-1

0, m, …, 2t+s–m

1, m+1, …, 2t+s–m+1

m-1, 2m-1, …, 2t+s–1

Page 16: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캐쉬의 조직

Computer Architecture7-16

Page 17: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캐쉬의 동작 원리

캐쉬로 기억장치 주소가 보내지면 , 그 중 s- 비트의 슬롯번호를 이용하여 캐쉬의 슬롯을 선택

선택된 슬롯의 태그 비트들을 읽어서 주소의 태그 비트들과 비교 두 태그값이 일치하면 (Cache Hit) 주소의 w 비트들을

이용하여 슬롯내의 단어들 중에서 하나를 인출하여 CPU 로 전송 태그값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Cache Miss)

주소를 주기억장치로 보내어 한 블록을 액세스 인출된 블록을 지정된 캐쉬 슬롯에 적재하고 , 주소의 태그 비트들을

그 슬롯의 태그 필드에 기록 만약 그 슬롯에 다른 블록이 이미 적재되어 있다면 , 그 내용은

지워지고 새로이 인출된 블록을 적재

Computer Architecture7-17

Page 18: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캐쉬의 동작 예 (1) 주기억장치 용량 = 128(27) 바이트 주기억장치 주소 = 7 비트 ( 바이트 단위 주소 지정 ) 블록 크기 = 4 바이트 주기억장치는 128/4 = 32 개의 블록들로 구성 캐쉬 크기 = 32 바이트 캐쉬 슬롯 크기 = 4 바이트 ( 블록 크기 ) 전체 캐쉬 슬롯의 수 m = 32/4 = 8 개

기억장치 주소 형식 :

Computer Architecture7-18

Page 19: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캐쉬의 동작 예 (2)

각 기억장치 블록이 공유하게 될 캐쉬 슬롯 번호 i = j mod 8

Computer Architecture1-19

Page 20: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캐쉬의 동작 예 (3)

Computer Architecture7-20

Page 21: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캐쉬에서의 적중 검사 예 앞의 그림과 같이 메모리 블록이 적재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CPU 의 메모리 접급에 대해 캐쉬 적중 여부를 판별

(1) 0101000 (2) 0001100 (3) 1110100 (4) 1011000

< 풀이 > (1) 캐쉬 미스 2 번 슬롯의 데이터 필드 : ‘info’, 태그 : 01 (2) 캐쉬 적중 : 3 번 슬롯에 적재되어 있음 . (3) 캐쉬 미스 5 번 슬롯의 데이터 필드 : ‘tech’, 태그 : 11 (4) 캐쉬 적중 : 6 번 슬롯에 적재되어 있음 .

Computer Architecture7-21

Page 22: 제 5 장 기억장치  (2)

직접 사상 캐쉬의 장단점

[ 장점 ] 하드웨어가 간단하고 , 구현 비용이 적게 든다

[ 단점 ] 각 주기억장치 블록이 적재될 수 있는 캐쉬 슬롯이 한 개뿐이기

때문에 , 그 슬롯을 공유하는 다른 볼록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swap-out 됨

현재 실행중인 두 개의 프로그램인 같은 슬롯을 공유하는 경우에 캐쉬 슬롯에 대한 적중률이 떨어져 슬롯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 전체적인 캐쉬 성능이 저하

Computer Architecture7-22

Page 23: 제 5 장 기억장치  (2)

완전 - 연관 사상 (1)

완전 연관 사상 (Full Associative mapping) 주기억장치 블록이 캐쉬의 어떤 슬롯으로든 적재 가능

직접 사상 방식의 단점을 보완 기억장치 주소 해석

태그 필드 = 주기억장치 블록 번호 직접 사상 캐쉬의 예에 완전 - 연관 사상 방식을 적용하면 ,

Computer Architecture7-23

Page 24: 제 5 장 기억장치  (2)

완전 - 연관 사상 (2)

완전 연관 사상 (Full Associative mapping) ( 계속 ) 하나의 블록이 캐쉬에 적재되면 블록 번호 ( 태그 ) 필드 전체가

슬롯의 태그 영역에 저장 캐쉬 적중 여부 검사 방법

CPU 의 메모리 접근에 대해 주기억장치 주소에서 태그 필드를 추출 캐쉬의 모든 슬롯들의 태그 영역과 내용을 비교 일치하는 슬롯이 있으면 캐쉬 적중 (Cache Hit), 그렇지 않으면 캐쉬 미스 (Cache Miss)

Computer Architecture7-24

Page 25: 제 5 장 기억장치  (2)

완전 - 연관 사상 캐쉬의 조직 (1)

Computer Architecture7-25

Page 26: 제 5 장 기억장치  (2)

완전 - 연관 사상 캐쉬의 조직 (2)

연관 기억장치 (Associative Memory) 적용 캐쉬 적중을 검사하기 위해 주기억장치 주소 태그를 모든 캐쉬

슬롯의 태그와 비교 병렬적인 비교와 기억장치 접근을 위해 연관 기억장치를 사용 상대적으로 구현 비용이 높다

캐쉬 슬롯 교체 (Replacement) 알고리즘 필요 주기억장치에서 인출된 데이터 블록을 적재할 캐쉬 슬롯을 결정 캐쉬의 빈 슬롯을 검사하여 있으면 비어있는 슬롯에 적재 만약 빈 슬롯이 없을 경우 , 기존에 채워진 슬롯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새로운 데이터 블록으로 교체 (Replacement) 교체 슬롯 선택 방법에 따라 캐쉬 성능에 영향

Computer Architecture7-26

Page 27: 제 5 장 기억장치  (2)

완전 - 연관 사상의 예

Computer Architecture7-27

Page 28: 제 5 장 기억장치  (2)

완전 - 연관 사상 캐쉬에서의 적중 검사 예

앞의 그림과 같이 메모리 블록이 적재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CPU 의 메모리 접급에 대해 캐쉬 적중 여부를 판별

(1) 1011000 (2) 0010100 (3) 0000000 (4) 0111100

< 풀이 >(1) 캐쉬 적중 : 현재 3번 슬롯에 적재되어 있음(2) 캐쉬 미스 (3) 캐쉬 미스(4) 캐쉬 적중 : 현재 1번 슬롯에 적재되어 있음

Computer Architecture7-28

Page 29: 제 5 장 기억장치  (2)

완전 - 연관 사상 캐쉬의 장단점

[ 장점 ] 새로운 블록이 캐쉬로 적재될 때 슬롯의 선택이 매우 자유롭다 지역성이 높다면 , 적중률이 매우 높아진다

[ 단점 ] 캐쉬 슬롯들의 태그들을 병렬로 검사하기 위하여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회로가 필요 실제 시스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Computer Architecture7-29

Page 30: 제 5 장 기억장치  (2)

세트 - 연관 사상 (1)

세트 - 연관 사상 (Set-Associative Mapping) 직접 사상과 완전 - 연관 사상의 조합 캐쉬 슬롯을 두 개 이상의 슬롯을 갖는 캐쉬 세트 (set) 로

그룹핑하고 주기억장치 블록 그룹이 하나의 캐쉬 세트를 공유하도록 함

캐쉬는 v 개의 세트들로 나누어지고 , 각 세트들은 k 개의 슬롯들로 구성됨을 가정

캐쉬 슬롯의 수 m 과 주기억장치 블록이 적재될 수 있는 캐쉬 세트 번호 i :

m = v x k i = j mod v

단 , i : 캐쉬 세트의 번호 , j : 주기억장치 블록 번호 m : 캐쉬 슬롯의 전체 수

Computer Architecture7-30

Page 31: 제 5 장 기억장치  (2)

세트 - 연관 사상 (2)

세트 - 연관 사상 (Set-Associative Mapping) ( 계속 )

기억장치 주소 해석 태그필드와 세트필드를 합한 (t+d) 비트가 주기억장치의 2(t+d)

블록들 중의 하나를 지정

직접 사상 캐쉬의 예에 완전 - 연관 사상 방식을 적용하면 ,

세트 수 = 캐쉬 슬롯 수 (v = m), 세트 내 슬롯의 수 k = 1 직접 사상

세트 수 = 1, 세트 내 슬롯의 수 = 캐쉬의 전체 슬롯 수 (k = m) 완전 - 연관 사상

세트 내의 슬롯 수 = 1 < k < m/v k-way 세트 연관 사상

Computer Architecture7-31

Page 32: 제 5 장 기억장치  (2)

세트 - 연관 사상의 동작 원리 기억장치 주소의 세트 비트들을 이용하여 캐쉬 세트들

중의 하나를 선택 주소의 태그 필드 내용과 그 세트내의 태그들을 비교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 캐쉬 적중 ) 그 슬롯내의 한 단어를 w 비트에 의해 선택하여 인출

일치하는 것이 없다면 ( 캐쉬 미스 ) 주기억장치를 액세스 슬롯들 중의 어느 슬롯에 새로운 블록을 적재할 것인 지를 결정하여

교체 ( 교체 알고리즘 필요 )

Computer Architecture7-32

Page 33: 제 5 장 기억장치  (2)

세트 - 연관 사상 캐쉬의 조직

Computer Architecture7-33

Page 34: 제 5 장 기억장치  (2)

세트 - 연관 사상의 예

Computer Architecture7-34

Page 35: 제 5 장 기억장치  (2)

세트 - 연관 사상 캐쉬에서의 적중 검사 예

앞의 그림과 같이 메모리 블록이 적재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CPU 의 메모리 접급에 대해 캐쉬 적중 여부를 판별

(1) 1011000 (2) 1110100(3) 1000000 (4) 0001100

< 풀이 >(1) 캐쉬 적중 : 현재 2 번 세트의 두 번째 슬롯에 적재되어 있음 (2) 캐쉬 미스 1번 세트의 두 번째 슬롯에 적재 (3) 캐쉬 미스 0번 세트의 첫 번째 슬롯에 적재(4) 캐쉬 적중 : 현재 3번 세트의 첫 번째 슬롯에 적재되어 있음

Computer Architecture7-35

Page 36: 제 5 장 기억장치  (2)

세트 - 연관 사상의 적용 2-way 세트 연관 사상 조직인 보편적으로 사용

캐쉬 세트 당 두개의 슬롯을 가지는 구조 (v = m/k, k = 2) 직접 사상 보다 캐쉬 적중률이 훨씬 향상

4-way 세트 연관 사상의 경우 비교적 적은 추가 비용으로 성능을 더욱 향상

세트 당 슬롯 수를 4보다 높여도 성능은 크게 향상되지 않음

Computer Architecture7-36

Page 37: 제 5 장 기억장치  (2)

교체 (Replacement) 알고리즘 (1)

세트 - 연관 사상에서 주기억장치로부터 새로운 블록이 캐쉬로 적재될 때 , 만약 세트내 모든 슬롯들이 다른 블록들로 채워져 있다면 , 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새로운 블록으로 교체

교체 알고리즘 : 캐쉬 적중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교체할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알고리즘 최소 최근 사용 (Least Recently Used: LRU) 알고리즘 :

사용되지 않은 채로 가장 오래 있었던 블록을 교체하는 방식 FIFO(First-In-First-Out: FIFO) 알고리즘 : 캐쉬에 적재된 지

가장 오래된 블록을 교체하는 방식 최소 사용 빈도 (Least Frequently Used: LFU) 알고리즘 : 참조되었던 횟수가 가장 적은 블록을 교체하는 방식

Computer Architecture7-37

Page 38: 제 5 장 기억장치  (2)

교체 알고리즘 (2)

LRU 교체 알고리즘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알고리즘으로 평가 캐쉬 슬롯 별로 use 비트를 가지도록 하고 , 세트 내의 임의의

슬롯이 접근되면 해당 슬롯의 use 비트를 1로 설정하고 나머지 슬롯의 use 비트를 0으로 설정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use 비트가 0인 슬롯을 교체

Computer Architecture7-38

Page 39: 제 5 장 기억장치  (2)

교체 알고리즘 (3) LRU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세트 - 연관 사상 캐쉬로 아래와

같은 블록들이 연속적으로 들어온다고 할 때 , 각 슬롯에 적재되는 블록을 표시하고 적중률 (H) 을 구하라 . 단 , 각 세트의 슬롯 수는 (a) 2 개 , 혹은 (b) 3 개이다 .

Computer Architecture7-39

Page 40: 제 5 장 기억장치  (2)

쓰기 정책 (Write Policy) (1)

캐쉬의 데이터 블록이 변경되었을 때 그 내용을 주기억장치에 갱신하는 시기와 방법의 결정

쓰기 정책 Write-through Write-back

Computer Architecture7-40

Page 41: 제 5 장 기억장치  (2)

쓰기 정책 (Write Policy) (2)

Write-through 모든 쓰기 동작들이 캐쉬로 뿐만 아니라 주기억장치로도 동시에

행해지는 방식 장점 - 캐쉬에 적재된 블록의 내용과 주기억장치에 있는 그

블록의 내용이 항상 같다 단점 - 모든 쓰기 동작이 주기억장치 쓰기를 포함하므로 , 쓰기

시간이 길어진다

Computer Architecture7-41

Page 42: 제 5 장 기억장치  (2)

쓰기 정책 (Write Policy) (3)

Write-back 캐쉬에서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그 즉시 주기억장치에 갱신하지

않고 교체시에 갱신하는 방식 장점 - 기억장치에 대한 쓰기 동작의 횟수가 최소화되고 , 쓰기

시간이 짧아진다 단점 - 캐쉬의 내용과 주기억장치의 해당 내용이 서로 다르다 블록을 교체할 때는 캐쉬의 상태를 확인하여 갱신하는

동작이 선행되어야 하며 , 그를 위하여 각 캐쉬 슬롯이 상태 비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Computer Architecture7-42

Page 43: 제 5 장 기억장치  (2)

쓰기 정책 (Write Policy) (4)

Computer Architecture7-43

Page 44: 제 5 장 기억장치  (2)

다중프로세서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불일치 (1)

다중프로세서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불일치 문제 (data inconsistency problem) 주기억장치에 있는 블록의 내용과 캐쉬 슬롯에 적재된 복사본들

간에 서로 달라지는 문제

Computer Architecture7-44

Page 45: 제 5 장 기억장치  (2)

다중프로세서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불일치 (2)

Computer Architecture7-45

Page 46: 제 5 장 기억장치  (2)

다중 캐쉬 (Multiple Cache) (1)

온 - 칩 캐쉬 (on-chip cache) 캐쉬 액세스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CPU 칩 내에 포함시킨

캐쉬 계층적 캐쉬 (hierarchical cache)

온 - 칩 캐쉬를 1차 (L1) 캐쉬로 사용하고 , 칩 외부에 더 큰 용량의 2 차 (L2) 캐쉬를 설치하는 방식

Computer Architecture7-46

Page 47: 제 5 장 기억장치  (2)

다중 캐쉬 (Multiple Cache) (2)

계층적 캐쉬 (hierarchical cache) ( 계속 ) L2 는 L1 의 슈퍼 - 세트 (super-set)

L2 의 용량이 L1 보다 크며 , L1 의 모든 내용이 L2 에도 존재

먼저 L1 을 검사하고 , 만약 원하는 정보가 L1 에 없다면 L2를 검사하며 , L2 에도 없는 경우에만 주기억장치를 액세스

L1 은 속도가 빠르지만 , 용량이 작기 때문에 L2 보다 적중률은 더 낮다

2- 단계 캐쉬 시스템의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 : Ta = H1 x TC1 + (H2 - H1) x TC2 + (1 - H2) x Tm L1 과 L2 에서 서로 다른 사상 알고리즘 및 교체 알고리즘

적용 가능

Computer Architecture7-47

Page 48: 제 5 장 기억장치  (2)

다중 캐쉬 (Multiple Cache) (3)

분리 캐쉬 (split cache) 캐쉬를 명령어 캐쉬와 데이터 캐쉬로 분리 명령어 인출 유니트와 실행 유니트 간에 캐쉬 액세스 충돌 현상

제거 대부분의 고속 프로세서들 (Pentium 계열 , PowerPC 등 )

에서 사용

Computer Architecture7-48

Page 49: 제 5 장 기억장치  (2)

다중 캐쉬 (Multiple Cache) (4)

분리 캐쉬의 예 : PowerPC 620 프로세서 캐쉬 용량 : 32 KB, 캐쉬 구조 : 8-way 세트 연관 사상 구조

Computer Architecture7-49

Page 50: 제 5 장 기억장치  (2)

다중 캐쉬 (Multiple Cache) (5)

분리 캐쉬의 예 : 인텔 이타늄 (Itanium) 프로세서 3- 계층 캐쉬 구조 1st Layer Cache( 명령어 캐쉬 L1I & 데이터 캐쉬 L1D)

16 KB, 4-way 세트 연관 사상 구조 (32 byte block size) Write-through

2nd Layer Cache 96 KB unified cache, 6-way 세트 연관 사상 구조 (32 byte block

size) Write-back

3rd Layer Cache 4MB unified cache, 4-way 세트 연관 사상 구조 (64 byte block size) Write-back

L2 는 L1 의 super-set, L3 는 L2 의 super-set L3 cache 에 대해 128bit backside 버스를 사용하여 빠른 속도로

접근Computer Architecture7-50

Page 51: 제 5 장 기억장치  (2)

다중 캐쉬 (Multiple Cache) (6)

분리 캐쉬의 예 : 인텔 이타늄 (Itanium) 프로세서 ( 계속 )

Computer Architecture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