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22
제 10 제 제제제제제제제 • 제 1 제 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제 • 제 2 제 제제제 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 제제 • 제 3 제 제제제제제제제 • 제 4 제 제제제제제 • 제 5 제 제제제제제제 (disinflation) 제제 • 제 6 제 제제제

Upload: purity

Post on 06-Jan-2016

81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

DESCRIPTION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제 2 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제 3 절 장기총공급곡선 제 4 절 필립스곡선 제 5 절 반인플레이션 (disinflation) 정책 제 6 절 맺음말.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1. 경직적 임금모형. • 임금계약. W : 명목임금 , w : 목표실질임금.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 고용 : 기업의 노동수요가 결정. < 그림 10.2>. - 노동의 한계생산 체감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 제 2 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 제 3 절 장기총공급곡선

• 제 4 절 필립스곡선

• 제 5 절 반인플레이션 (disinflation) 정책

• 제 6 절 맺음말

Page 2: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0),()1( aPPaYY eNR

.0),(1

)1( aYYa

PP NRe

1. 경직적 임금모형• 임금계약

.)2( ePwW

.)3(P

Pw

P

W e

W: 명목임금 , w: 목표실질임금

Page 3: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wP

WPP e :

wP

WPP e :

• 고용 : 기업의 노동수요가 결정

)./()4( PWNN d

- 노동의 한계생산 체감 :

• 기업의 이윤극대화조건

W=P*MPL

< 그림 10.2>

W/P = MPL

Page 4: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wP

WPP e :

wP

WPP e :

노동수요 증가 Y

노동수요 감소 Y

.0),()1( aPPaYY eNR

: 실제물가수준 = 기대물가수준일 때의 생산

• 단기총공급곡선 : 우상향< 그림 10.3>

• 시사점 : 실질임금이 경기역행적

- 실질임금이 낮을 때 고용 , 생산 증가

NRY

Page 5: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2. 경직적 가격모형• 신축적 가격설정 기업 : 1-s

.0),()6( bYYbPp NR

.)7( ePp

)].()[1()8( NRe YYbPssPP

).](/)1[()9( NRe YYsbsPP

• 경직적 가격설정 기업 : s

• 평균물가수준

Page 6: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NRe YYPP

.0),()1( aPPaYY eNR

NRe YYPP

• 시사점 : 실질임금이 경기순응적일 수 있다 .

수요 판매 Y

노동수요곡선 좌측 이동

노동수요

W/P, 고용 , 생산

Page 7: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1 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 메뉴비용의 크기

- Levy, Bergen, Dutta and Venable 1997, QJE

(1) 인건비 : 70%

(2) 인쇄 , 배달비 : 6%

(3) 실수로 인한 비용 :

19%

(4) 감독비 : 5%- 메뉴비용 : 수입의 0.7%, 순수익의 35.2%

- 메뉴비용은 작지 않으며 이론적으로 가격조정의 장애가 될 정도의 임계치는 초과

- 메뉴비용이 빈번한 가격조정의 장애가 될 정도로 크기는 하지만 상당수 품목의 가격조정을 억제할 정도로 크지는 않다 .

Page 8: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2 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이론

1. 불완전 정보모형- 자가 경영자

- 자신이 생산하는 상품의 가격은 알지만 전반적인 물가수준은 잘 모른다 .

- 상대가격 상승 생산 증가

.0),()1( aPPaYY eNR

Page 9: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 고전학파- 총수요의 변화가 크면 물가수준의 변화가 크다 .

- 가격변화가 상대가격의 변화보다는 전반적인 물가수준의 변화일 가능성이 크다 .

- 예상치 못한 물가수준의 변화에 작게 반응

- SRAS 의 기울기가 급하다 .

Box 총공급이론에 관한 실증분석

- 케인즈학파 VS. 고전학파

제 3 절 장기총공급곡선

Page 10: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Box 총공급이론에 관한 실증분석

• 케인즈학파

(1) 물가수준의 변화가 크면 경직적 가격설정 기업의 비중이 작다 .

→ SRAS 의 기울기가 급하다 .

(2) 평균인플레이션이 높을수록 가격조정을 자주한다 .

→ SRAS 의 기울기가 급하다 .

- 평균인플레이션이 높을수록 총수요의 변화가 생산보다 물가수준의 변화로 반영

- 평균인플레이션이 낮을수록 총수요의 변화가 물가수준보다 생산의 변화로 반영

Page 11: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4 절 필립스곡선

필립스곡선 : 1958- 1861-1957, 영국의 임금상승률과 실업률 간의 역관계- 시사점 : 경기안정화 정책의 실증적 증거

).()1( NRe YYapp

).()2( 11 NRe YYapppp

).()3( NRe YYa

1 pp

.0),()4( buub NRe

.)()5( NRe uub

오쿤의 법칙

Page 12: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4 절 필립스곡선

• 기대첨가형 필립스곡선 : 프리드만 , 펠프스- 첫 번째 항 : 인플레이션이 기대인플레이션에 의존

기대인플레이션 임금 가격 : 인플레이션의 관성

UNR : NAIRU

- 두 번째 항 :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세 번째 항 : 비용상승 인플레이션

• 단기필립스곡선- -u 평면에서 우하향

< 그림 10.4>

Page 13: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4 절 필립스곡선• 단기필립스곡선의 이동

- e, , uNR : 단기필립스곡선 위로 이동< 그림 10.5>

• 합리적 기대가설 :경제주체는 구조적이고 지속적인 실수를 하지 않는다- 필립스곡선이 정책담당자들이 조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실업과 인플레이션 간의 상충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

< 그림 10.6>

• 장기필립스곡선합리적 기대가설에 의하면 장기적으로

기대인플레이션 = 실제인플레이션장기필립스곡선은 uNR 에서 수직< 그림 10.7>

- 고전학파적 이분법 : 화폐의 중립성

Page 14: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5 절 반인플레이션 정책

• 희생비율 :

• 급진적 정책 (cold-turkey) vs. 점진적 정책(gradualism) 기대인플레이션의 역할• 합리적 기대론자 : 희생비율 = 0 가능

인플레이션율을 1% 줄이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생산의 감소비율

• 볼커실험인플레이션율 : 9.7%(1981), 3%(1985)

실업률 : 9.5%(1982), 9.5%(1983), 7.4%(1984), 7.1%(1985)자연실업률 : 6%오쿤의 법칙 : 2

인플레이션율 6.7% 감소 , 실업률 9.5% 증가 , 생산 19% 감소희생비율 2.8

< 그림 10-0>

Page 15: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제 5 절 반인플레이션 정책

• 케인즈학파는 점진적 정책 (gradualism) 을 선호

- 임금 및 가격의 경직성

- 테일러 : 가격조정의 층차화

- 점진적 정책이 신뢰를 획득할 수 있을지는 의문

Page 16: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 그림 10.2>

< 다시본문으로>

Page 17: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 그림10.3>

< 다시본문으로>

Page 18: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 그림10.4>

< 다시본문으로>

Page 19: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 그림 10.5>

< 다시본문으로>

Page 20: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 그림10.6>

< 다시본문으로>

Page 21: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 그림10.7>

< 다시본문으로>

Page 22: 제 10 장 단기총공급이론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