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40
세세 세세세세세세 세세세세세 세세 - 세세세세세세 , 세세세세세 세세세 세세세세 - 2010. 9. 3. 세세 ( 세 ) 세 세세세세 세세세 세세 ( 세 ) 세세세세세세 세세세

Upload: hanbat-national-university

Post on 20-Nov-2014

691 views

Category:

Technology


3 download

DESCRIPTION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recent trend in astronomy and space science

TRANSCRIPT

Page 1: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동향과 추세- 계량서지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2010. 9. 3.

천문 ( 연 ) 과 미래전략 세미나

천문 ( 연 ) 미래전략팀장 권기석

Page 2: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

차례

서론 및 방법론Ⅰ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Ⅱ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Ⅲ

천문 ( 연 ) 연구동향과 추세I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V

Page 3: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

Ⅰ. 서론 및 방법론

Page 4: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서지계량학 방법론과 분석 데이타

서지계량학서지계량학 논문의 서지정보 ( 저자의 인적사항 , 주제어 , 초록 ) 분석

방법론방법론

ISI SCIE database, SC A&A 데이타데이타

4

Trend analysis, Social network

Page 5: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과학기획의 방법론과 절차

5

출처 : 권기석 · 이문영 (2009)

Page 6: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과학기획의 방법론과 절차

6

출처 : 권기석 · 이문영 (2009)

Page 7: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7

II-1.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에 있어 전체적으로

국가별 , 기관별 논문 성과는 어떠한가 ?

Page 8: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8

세계 천문우주연구의 성장

< 그림 1> 지난 20 년간 (1989 년 -2009 년 ) 천문학 논문의 생산 추이와 성장률

* 주 : 막대그래프는 논문의 수 , 실선은 전년대비 성장률을 나타냄 .출처 : 저자 , ISI database.

전체 논문 수는 1989 년 5678편에서 2009 년 12961 편으로 20년간 약 2 배 이상 증가하였음 . 이를 연평균 성장률로 계산하면 4.34%에 해당

Page 9: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9

국가별 논문생산 – 양적 측면

< 그림 2> 2009 년도 국가별 논문 생산 순위 ( 상위 20 위권 )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13,170 건 중 3582 건 (27.2%) 을 생산한 미국이 1 위를 차지하였음 . 독일 , 영국 , 프랑스 , 이태리가 미국의 3 분의 1 에서 5 분의 1 수준에서 뒤를 잇고 있음 . 한국은 151 건 ( 점유율 1.1%)을 생산하여 18 위를 기록

1989 년 , 1999 년 , 2009 년의 국가별 점유율을 비교해 보면 미국의 점유율은 낮아졌으나 , 2 위 이하 상위권 국가들의 논문생산 점유율이 상승하여 국가가 논문생산의 불평등은 심화

Page 10: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0

국가별 논문인용 – 질적 측면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 그림 3> 2009 년도 국가별 논문 인용 순위 ( 상위 20 위권 )

논문 생산량 순위과는 다소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음 . 일본 , 캐나다 , 중국 , 스위스 , 인도 , 브라질 , 한국 , 벨기에 , 이스라엘의 경우 양적 생산성 순위보다 높은 질적 순위를 기록

미국의 경우 , 논문의 인용수에 있어서 다른 국가와의 격차가 더욱 벌려 질적인 측면에서 전세계를 주도 ( 상위 20 개국 중 생산 점유율은 26%, 인용 점유율은 38%)

Page 11: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1

국가별 논문 생산– 질적 /양적 모두 고려시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주 : 그래프의 선은 선형추세선임 , 주저자 기준으로 미국은 3582 개의 논문이 12883 회의 인용을 받음 .

미국 ( 주 참조 ) 은 물론 독일 , 영국 , 캐나다 , 스위스 등이 생산성 대비 질이 높은 반면 , 중국이나 러시아 , 인도 등은 그렇지 않음 .

Page 12: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2

기관별 논문생산 – 양적 측면

< 그림 > 2009 년도 기관별 논문 생산량 순위전체논문 13,172 건 중 1.6% 에 해당하는 216 건을 중국과학원 (Chinese Academy of Science) 이 생산 1 위 차지 . 20 위 내의 기관 중 9 개의 기관이 미국 소속

일본의 동경대 , 교토대 , 국립천문대는 각각 8 위 , 10위 , 90 위를 차지하였음 . 한국의 서울대는 83 위 , 천문( 연 ) 이 95 위

출처 : 저자 , ISI database

Page 13: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3

기관별 논문생산 – 질적 측면

< 그림 > 2009 년도 기관별 논문 인용수 순위

생산량 순위와 다르게 미항공우주국 (NASA), 캘리포니아공대 , 하바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센터 , 버클리대 , 캠브리지 대학이 중국과학원보다 높은 논문의 질 . 러시아과학원은 인용수 72 회로 106 위로 나타나 생산량에 비해 턱없이 낮은 인용 수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Page 14: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4

기관별 논문생산 – 양적 /질적 측면 동시 고려시< 그림 > 천문학 분야 연구의 생산성과 질 ( 생산량 상위 20 위 기관 기준 )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러시아과학원은 그림에서 Outlier로 처리 .

미항공우주국 , 버클리대학 , 막스플랑크 천체물리연구소 등이 생산량 대비 인용률이 높은 반면 , CNRS, 멕시코국립대 , 중국과학원 등이 상대적 인용율이 낮음

Page 15: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5

II-2.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에 있어 전체적으로 어떤 분야가

활성화되어 있고 이와 국가와 기관간의 관계를 어떠한가 ?

Page 16: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6

고려시

주제어 ( 빈도순위 ) 빈도 인용 주제어 ( 인용순위 ) 빈도 인용

galaxies: active 505 1835 cosmology: observations 270 2316

galaxies: evolution 502 2271 galaxies: evolution 502 2271

stars: formation 477 1399 galaxies: active 505 1835

methods: numerical 367 1101 Dark matter 253 1600

accretion, accretion disks 295 766 cosmic microwave bgr. 122 1460

methods: data analysis 294 667 stars: formation 477 1399

galaxies: clusters: general 272 1006 galaxies: formation 260 1381

cosmology: observations 270 2316 methods: numerical 367 1101

X-rays: binaries 265 563 large-scale structure of uni 202 1042

galaxies: formation 260 1381 planetary systems 247 1024

black hole physics 259 844 galaxies: clusters: general 272 1006

cosmology: theory 256 879 surveys 194 1006

hydrodynamics 254 715 galaxies: high-red shift 187 952

Dark matter 253 1600 early universe 65 929

ISM: molecules 253 518 cosmology: theory 256 879

planetary systems 247 1024 black hole physics 259 844

galaxies: kinematics & dynamics 237 611 space vehicles: instruments 20 844

Sun: magnetic fields 236 456 accretion, accretion disks 295 766

ISM: clouds 232 572 super novae: general 159 725

MHD 232 666 hydrodynamics 254 715

2009 년도에 전 세계에서 생산된 천문학 및 천체물리분야 SCIE 급 논문 13,289 편의 주제어 (keyword) 분석을 실시한 결과 , 3 만 9 천여 개의 주제어 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는 ‘ galaxies: active (505 회 )’로 나타났으며 , 다음으로 ‘ galaxies: evolution (502 회 )’, ‘stars: formation (477 회 )’, ‘method: numerical (367 회 )’ 등으로 나타났음 . 한편 총 10 만여 회의 인용 중 , 인용수가 가장 높은 주제어는 ‘cosmology: observations (2316 회 )’ 이며 , 다음으로 ‘ galaxies: evolution (2271 회 )’, ‘galaxies: active (1835 회 )’, ‘Dark matter (1600 회 )’ 의 순위로 나타났음 . 빈도순위와 인용순위에 있어 상위 20 위까지의 주제어를 표시하면 다음 표와 같음 .

Page 17: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7

주제어 분석

주제어 별 빈도수 순위를 보여주는 위의 표의 왼쪽 부분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 그림에 의하면 , ‘cosmology: observation', 'Dark matter', 'galaxies: formation' 이 빈도수 대비 인용수가 높은 주제어로 나타났음 . 빈도수 기준으로 표현된 아래 그림에는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표현되지 않았지만 , ’space vehicles: instruments', 'early univers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또한 빈도수 대비 인용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앞의 표 우측 참조 ).

Page 18: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8

미국 /일본 /한국 주제어 순위 (2009 년도 )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galaxies: active 170 744galaxies: evolution 164 835stars: formation 142 577planetary systems 118 554black hole physics 101 415cosmology: observations 101 1278accretion, accretion disks 100 300MHD 98 338methods: numerical 92 295Sun: corona 90 309circumstellar matter 89 274galaxies: formation 87 584X-rays: galaxies 84 341galaxies: clusters: general 82 339cosmology: theory 79 336ISM: clouds 79 259methods: data analysis 78 166infrared: stars 75 289hydrodynamics 74 208X-rays: binaries 74 196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accretion, accretion disks 36 116galaxies: active 28 70stars: formation 26 70X-rays: ISM 24 36ISM: clouds 21 28Galaxy: center 20 52hydrodynamics 20 46ISM: molecules 20 47dust, extinction 19 39black hole physics 18 38galaxies: formation 18 38Radiative transfer 18 82cosmology: theory 16 23galaxies: ISM 16 49ISM: supernova remnants 16 38supernovae: general 16 49galaxies: evolution 15 56methods: numerical 15 32relativity 15 26X-rays: galaxies 15 31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gravitational lensing 9 20galaxies: evolution 8 21stars: formation 8 8black hole physics 7 0shock waves 7 9galaxies: starburst 5 11hydrodynamics 5 0infrared: ISM 5 11planetary systems 5 17accretion, accretion disks 4 0cosmology: theory 4 7dark matter theory 4 22galaxies: formation 4 11galaxies: general 4 10galaxies: ISM 4 2galaxies: photometry 4 7HII regions 4 4inflation 4 30ISM: clouds 4 4ISM: molecules 4 2

미국 일본 한국

Page 19: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19

III-1.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

한국의 연구는 어떤 주체들이 어느 정도 성과를 내는지 ?

기관간 관계는 어떠한지 ?

Page 20: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한국천문학의 성장

20

지난 20 년간 한국 천문학 분야의 10 배 이상의 논문 증가를 보여주고 있음 . 총 논문 수는 서울대 (882 개 ), 천문연 (474), 연세대 (462 개 ), 경북대 (387 개 ), 성균관대 (311개 ), 고등과학원 (250 개 ), 고려대 (209 개 ), 한국과학기술원 (163 개 ), 세종대 (161개 ) 의 순위

Page 21: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한국천문학 연구기관의 양 /질

21

2009 년도 한국이 주저자로 생산한 151 개의 논문을 기관별로 논문의 수와 인용수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음 . 고등과학원 , 카이스트 , 서울대가 생산성 대비 질이 높은 반면 , 경희대 , 연세대 , 천문 ( 연 ) 등은 그렇지 않음 .

< 그림 > 한국 천문학 분야 기관별 연구 생산성과 질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2009 년 성과

Page 22: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2

한국천문학의 국가별 연구 네트워크Korea USA Japan Germany Russia Taiwan France England Switzerlan

d ChinaKorea 1055 492 265 194 172 159 153 145 141 131USA 492 496 190 156 154 141 142 128 137 100Japan 265 190 268 109 126 125 80 89 118 76Germany 194 156 109 196 109 82 104 101 95 51Russia 172 154 126 109 172 118 87 79 129 82Taiwan 159 141 125 82 118 160 63 59 112 64France 153 142 80 104 87 63 153 96 75 32England 145 128 89 101 79 59 96 146 74 24Switzerland 141 137 118 95 129 112 75 74 141 71China 131 100 76 51 82 64 32 24 71 132

* 링크 빈도 140 이상

Page 23: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3

한국천문학의 기관별 연구 네트워크

* 링크 빈도 60 이상

SNU KASI YU KNU UT JHU OCU UCLA ITEP UISNU 305 30 58 108 93 62 104 58 83 74KASI 30 206 12 16 6 6 0 4 0 1YU 58 12 173 54 69 33 52 35 52 19KNU 108 16 54 159 56 55 109 57 88 74UT 93 6 69 56 125 7 52 3 54 22JHU 62 6 33 55 7 115 55 88 31 57OCU 104 0 52 109 52 55 112 55 83 72UCLA 58 4 35 57 3 88 55 112 34 55ITEP 83 0 52 88 54 31 83 34 107 65UI 74 1 19 74 22 57 72 55 65 104

Seoul Natl UnivKorea Astron & Space Sci InstYonsei UnivKyungpook Natl UnivUniv TokyoJohns Hopkins UnivOsaka City UnivUniv Calif Los AngelesInst Theoret & Expt PhysUniv Illinois

Page 24: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4

III-2.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

한국의 연구는 어떤 분야에서 성과를 내는지 ?

Page 25: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5

한국천문학의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순위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galaxies: evolution 56 667 inflation 16 70galaxies: active 33 228 cosmology: observations 15 164gravitational lensing 32 69 infrared: galaxies 15 86stars: formation 28 94 Sun: corona 15 43ultraviolet: galaxies 28 320 Sun: magneticfields 15 31large-scale structure of universe 24 93 surveys 15 276ISM: clouds 20 70 galaxies: structure 14 64ISM: molecules 20 34 dark matter 13 61black hole physics 19 41 methods: dataanalysis 13 94cosmology: theory 19 38 turbulence 13 42galaxies: ellipticalandlenticular,cD 19 201 methods: numerical 12 22galaxies: starburst 19 143 methods: statistical 12 17galaxies: fundamentalparameters 18 320 shock waves 12 56galaxies: formation 17 157 super nova remnants 12 27galaxies: clusters: general 16 123 galaxies: kinematics and

dynamics 11 60

Page 26: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6

IV-1. 천문 ( 연 ) 의 연구동향과 추세

천문 ( 연 ) 의 연구네트워크

Page 27: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7

천문 ( 연 ) 의 국가별 연구네트워크

* 링크 빈도 20 이상

Korea USA Japan China England Germany Russia Poland Chile IndiaKorea 694 256 74 49 42 43 42 40 34 30USA 256 260 30 17 27 29 12 23 24 17Japan 74 30 88 7 14 12 5 10 8 4China 49 17 7 49 2 8 3 5 0 2England 42 27 14 2 43 11 0 12 8 2Germany 43 29 12 8 11 43 8 13 7 2Russia 42 12 5 3 0 8 43 12 4 4Poland 40 23 10 5 12 13 12 40 17 1Chile 34 24 8 0 8 7 4 17 34 0India 30 17 4 2 2 2 4 1 0 31

Page 28: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8

천문 ( 연 ) 의 기관별 연구네트워크KASI SNU KNU CNU KHU CAS SU CfA KAIST YU

KASI 641 97 63 53 44 32 36 32 29 29SNU 97 102 3 2 6 2 3 4 1 6KNU 63 3 69 3 0 1 8 0 2 0CNU 53 2 3 59 2 0 7 8 2 2KHU 44 6 0 2 47 2 0 1 0 0CAS 32 2 1 0 2 37 1 3 0 0SU 36 3 8 7 0 1 37 1 0 1CfA 32 4 0 8 1 3 1 36 0 0KAIST 29 1 2 2 0 0 0 0 31 0YU 29 6 0 2 0 0 1 0 0 31

* 링크 빈도 10 이상

Page 29: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29

천문 ( 연 ) 의 개인별 연구네트워크

2010 년 1 월 11 일 기준 Korea* Ast* 로 검색한 논문 727 편의 공저자 네트워크

Page 30: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0

중심성저자별 중앙성 정도

순위근접 중심성

Closeness연결정도 중심성

Degree Centrality매개중심성

Node Betweenness Centrality

1 Kim,SL 0.18226 Raiteri,CM 0.132812 Raiteri,CM 0.145847

2 Jin,H 0.180072 Gould,A 0.065104 Lee,CU 0.145141

3 Lee,CU 0.176471 Stello,D 0.054688 Kim,SL 0.126357

4 Lee,JW 0.170648 Moon,YJ 0.044271 Jin,H 0.115757

5 Lee,MG 0.166297 Kim,SL 0.039062 Lee,MG 0.094455

6 Stello,D 0.163221 Edelstein,J 0.039062 Lee,SG 0.06969

7 Edelstein,J 0.16269 Seon,KI 0.036458 Stello,D 0.067104

8 Seon,KI 0.162514 Lee,MG 0.033854 Kim,HI 0.062991

9 Kim,HI 0.160772 Dong,SB 0.03125 Kim,KS 0.059547

10 Park,BG 0.160428 Cho,KS 0.03125 Gould,A 0.056204

11 Park,JH 0.158395 Jeong,WS 0.028646 Lee,JW 0.053741

12 Kim,D 0.155925 Lee,DH 0.026042 Cho,KS 0.052264

13 Yuk,IS 0.15448 Kim,YH 0.020833 Park,BG 0.050379

14 Youn,JH 0.152439 Lee,JW 0.020833 Lee,S 0.049472

15 Jeon,YB 0.152284 Kim,J 0.020833 Lee,DH 0.041745

16 Han,W 0.151976 Park,YD 0.020833 Edelstein,J 0.037981

17 Raiteri,CM 0.151668 Joshi,B 0.020833 Seon,KI 0.036249

18 Han,C 0.14985 Kim,KH 0.020833 Kim,KH 0.035745

19 Kim,KS 0.149105 Lee,SG 0.020833 Pak,S 0.034255

20 Chung,SJ 0.143541 Wajima,K 0.018229 Jeong,WS 0.031889

근접중심성은 한 점이 다른 점에 얼마만큼 가깝게 있는가를 말한다 ( 두 점 사이의 거리가 핵심개념 ). 다른 점과 가까이 있다면 그들과 쉽게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본다 . (예 , 김승리 )

연결정도 중심성은 다른 점과의 연결된 정도를 보는데 , 한 점에 연결된 다른 점의 수로 측정된다 ( 연결된 점의 수가 핵심개념 ). 협력을 얼마나 폭넓게 열심히 하는가의 문제

매개중심성은 한 점이 얼마나 다른 점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중개자 혹은 다리 역할을 하느냐이다 . (예 , 이충욱 )

Page 31: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1

IV-2. 천문 ( 연 ) 의 연구동향과 추세

천문 ( 연 ) 의 연구분야 변화

Page 32: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2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천문 ( 연 ) 의 지난 20 년간 주요 연구주제

주제어 빈도수 주제어 빈도수

ISM 454 circumstellar matter 31

stars 375 cosmology 26

galaxies 299 line 26

Sun 190 MHD 25

binaries 114 turbulence 25

accretion 73 ultraviolet 25

Galaxy 68 X-rays 24

methods 48 hydrodynamics 23

infrared 43 shock waves 23

techniques 43 astrometry 20

gravitational lensing

39 planetary systems 20

instabilities 38 radio lines 20

GPS 34 총 빈도수 2106

총 주제어 3148 개 중 10회 이상의 빈도를 보인 주제어 (2106 회로 67%에 해당 ) 를 빈도수 순서대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천문( 연 ) 이 지난 20 년간 생산한 논문의 연구대상 혹은 주제는 빈도수에 따라 성간물질 (ISM), 별(stars), 외부은하(galaxies), 태양 (Sun), 쌍성 (binaries) 의 순서로 나타났다 .

Page 33: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3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그렇다면 ISM 과 stars 에서도 어느 세부분야를 연구하는가 ?

주제어 ISM 의 세부 키워드 빈도수

ISM 의 세부 주제어 빈도수 ISM 의 세부 주제어 빈도수

ISM : clouds 63 stars : variables 46

ISM : molecules 38 stars : formation 41

ISM : abundances 28 stars : evolution 22

ISM : structure 17 stars : binaries 17

ISM : kinematics and dynamics 14 stars : oscillations 17

ISM : lines and bands 14 stars : binaries : eclipsing 10

ISM : magnetic fields 12 stars : low-mass 10

ISM : jets and outflows 11 stars : pre-main sequence 10

ISM : bubbles 9 stars : general 10

ISM : individual (NGC 1333 IRAS 4) 7 stars : fundamental parameters 9

ISM : globules 6 stars : activity 8

ISM : individual : Sgr A East 5 stars : magnetic fields 7

ISM : atoms 4 stars : white dwarfs 7

ISM : evolution 4 stars : abundances 6

ISM : individual (HB 21) 4 stars : late-type 6

ISM : individual : NGC 6822 4 stars : low-mass, brown dwarfs 6

ISM : individual (G216-2.5) 4 stars : novae, cataclysmic variables 6

ISM : general 3 stars : variables : general 6

ISM : individual (B335) 3 stars : rotation 5

Page 34: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4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주제어의 결합 빈도수

주제어 쌍 빈도수 주제어 쌍 빈도수

stars binaries 52 planetary systems gravitational lensing 8

ISM stars 29 quasars galaxies 7

ISM instabilities 19 blue stragglers stars 7

ISM ultraviolet 15 black hole physics accretion 7

stars accretion 13 galaxies accretion 7

ISM Galaxy 12 accretion ISM 7

ISM infrared 11 galaxies techniques 7

ISM turbulence 11 astrometry stars 6

Sun shock waves 11 binaries X-rays 6

stars techniques 10 catalogs galaxies 6

stars circumstellar matter 10 Galaxy stars 6

ISM radio lines 9 Galaxy gravitational lensing 6

ISM HII regions 9 infrared stars 6

instabilities MHD 9 ISM MHD 6

ISM supernova remnants 8 ISM line 6

별 (stars), 성간물질 (ISM) 을 연결하는 축을 중심으로 다른 주제어와 연계되고 있다 . 두 그림을 비교해보면 3 번째로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인 외부은하 (galaxies) 상대적으로 약하게 앞의 두 주요 주제어와 연계되어 있다 . 태양 (Sun) 연구는 shock waves 와 함께 별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으며 , 이를 technique 가 두 주요주제어와 약하게 연결시켜주고 있다 .

Page 35: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5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90 년대 00 년 초반 00 년 후반

ISM 81 ISM 110 ISM 277

Stars 37 Stars 96 Stars 244

Galaxies 22 Galaxies 41 Galaxies 237

Binaries 21 Sun 36 Sun 152

Circumstellarmatter 14 Binaries 35 Binaries 58

Galaxy 14 Instabilities 19 Accretion 52

Line 13 Accretion 14 Galaxy 40

Instabilities 11 Galaxy 14 Methods 38

Masers 9 Astrometry 13 Techniques 35

Accretion 7 Gravitationallensing 12 Infrared 32

시기별 주제어 빈도수 변화

Page 36: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6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시기별 주제어 결합 변화

90 년대 00 년 초반 00 년 후반

Binaries Stars 8 Binaries Stars 20 Binaries Stars 28

Binaries X-Rays 7 Instabilities ISM 12 ISM Stars 22

Galaxy ISM 5 Open cluster Stars 6 ISM Ultraviolet 14

ISM Radio lines 5 ISM Stars 6 Shockwaves Sun 11

Instabilities ISM 5 Hiiregions ISM 5 ISM Turbulence 9

Galaxy Stars 5 Blue stragglers Stars 5 Techniques Stars 8

Line ISM 4 Accretion Stars 5 Accretion Stars 8

Circumstellar m. Stars 4 Instabilities Mhd 5 Infrared ISM 8

Line Rad. transfer

3 Astrometry Stars 5 Galaxies Quasars 7

Circumstellar m. Masers 3 Galaxy ISM 5 Galaxy ISM 7

Page 37: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7

2000 년대 후반

시기별 주제어 결합 변화

2000 년대 초반

1990 년대

Page 38: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8

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계량서지분석 ,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기관 연구개발 정책 수립

Page 39: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39

향후 과제 – 천문학의 세부연구분야와 매칭

1 차분야 2 차분야

Applied Mathematics, Physics

Mathematical Papers Relates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Computing, Physical Papers Related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Astronomical Instruments & Techniques

Astronomical Optics, Astronomical Instruments, Radio Telescopes and Equipment, Auxiliary Instrumentation, Space Instrumentation, Methods of Observation and Reduction, Data Processing

Positional Astronomy, Celestial Mechanics

Astrometry, Celestial Mechanics, Figures of Celestial Bodies, Astronomical Constants, Reference systems, Time and Latitude Determination, Earth Rotation, Polar Motion, Astronomical Geodesy, Satellite Geodesy, Navigation, Ephemerides, Almanacs, Calendars, Chronology

Space Research

Extraterrestrial Research Related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Astrodynamic, Navigation of Space Vehicles, Artificial satellites, Space Probes

Theoretical Astrophysics

General Aspects, Hydrodynamics, Magnetohydrodynamics, Plasma, Radiative Transfer, Scattering, Stella Atmospheres, Stella Envelopes, Mass Loss, Accretion, Stella Structure and Evolution, Relativistic Atmosphysics, Gravitation Theory, Atmosphysics of Compact Objects (Neutron Stars, Black Holes)

Sun

Photosphere, Spectrum, Sunspots, Faculae, Activity Cycles, Solar Patrol, Chromosphere Flares, Prominences, Corona, Solar Wind, Magnetic Fields, UV, X, Gamma Radiation, Radio, Infrared Radiation, Cosmic Radiation, Solar Eclipses, Atmosphere, Figure, Internal Constitution, Neutrinos, etc

EarthStructure etc, Atmosphere, Ionosphere, Aurorae, Solar-terrestrial Relations

Planetary system

Physics and Dynamics of the Planetary System, Mercury, Venus, Moon, Lunar Eclipses, Lunar and Planetary Occultations, Mars, Minor Planets, Jupiter, Saturn, Uranus, Comets Meteors, Meteorites, Interplanetary Matter, Cosmogony

Stars

Parallaxes, Spectra, Luminosities, Rotation, Close Binaries, Visual Binaries, Eclipsing Binaries, Spectroscopic Binaries, Early-stage Stars, Intrinsic Variables, variables Stars, Novae, Supernovae, Degenerate Stars, Stella Evolution

Interstella Matter, Nebulae

Interstella Matter (Molecular Cloudes, Reflection Nebulae, etc.), Star Formation, HⅡRegions Emission Nebulae, Infrared Sources, Planetary Nebulae

Radio Sources, High Energy Astrophysics

Radio Sources, High Energy Astrophysics

Stella systems

Stella systems, Stella systems (Kinematics, Dynamics), Stella Associations, Open clusters, Globular clusters

Galaxy, Extragalactic Objects

Galaxy, Magellanic Clouds, Normal Galaxies, Active Galaxies, Quasi-stella Objects, Galaxy Groups

Cosmology Universe, Cosmology, Background Radiation

Historical Astronomy

천문기록연구 , 천문기기연구

Page 40: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