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34
1 국국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국 · 국국 국국 국 국국국국 2008. 5. 23( 금 ) [email protected] < 국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 > * 국 국국국 국국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국 · 국국국국국국 국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 · 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 국국국국 .

Post on 25-May-2015

4.624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TRANSCRIPT

Page 1: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 · 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008. 5. 23( 금 )

구 중 억

[email protected]

< 기획재정부 브라운백 세미나 >* 본 자료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 · 장비구축사업 심층평가와 관련하여 연구시설 · 장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된 것입니다 .

Page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

연구시설은 장비 및 실험실을 포함한 독립된 연구공간을 말하며 , 연구장비는 시험 , 연구 , 분석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기기를 말함

연구시설 · 장비 용어정의

시설 = 실험실 + ( 장비 )

대형시설 : 50 억이상 대형장비 : 50 억이상 대형시설 · 장비 : 50 억 ~100 억이상 연구시설 : 다른 부서 또는 건물과 구별되는 독립된 일정한 연구 공간과 연구개발활동에 직접 사용되는 실험실 및 연구장비를

포함함 연구장비 : 특정자본이 투입된 비소비적 자산으로 아래의 기준으로 기관이 소유 , 임차 , 통제 , 보유한 유형의 자산을 말함

- 시험 , 연구 , 분석 , 조사 , 교육 , 실습 , 훈련 , 검사 , 감정 , 측정 , 관측 , 시추 , 탐사 , 측량 , 의료 , 기타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기

- 1 개당 100 만원이상의 취득비용

- 1 년 이상의 내구년수

- 모든 설치는 비용을 수반

- 일정기간에는 물질적 부품 교체를 요구 소형장비 : 100 만원이상 ~3 천만원미만 중형장비 : 3 천만원이상 ~50 억미만 대형장비 : 50 억이상

연구시설 · 장비의 구분기준

Page 3: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3

과학지식에서 대부분의 중요한 발전은 실험기법의 향상으로 이루어짐 . 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장비는 과학기술의 새로운 발견을 이끌고 있음 . 새로운 실험기법 또는 기법의 향상은 과학기술에서 풍요로운 프론티어를 지속적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제조건임

출처 : Philip H. Abelson, Science, Vol. 283, p. 1263, 1999.

연구시설 · 장비의 중요성 (1/5)

주 ) 연구기법은 연구장비와 직접적 관계를 가짐출처 : 신승구 , Experimental Techniques Lead Biology, 2006 을 수정 , 인용

X - Ray Diffraction Double - Helix DNA

Electron Microscope

PAGE, CE, LC, etc

NMR , XRD

MRI

DNA - Chip

PCR

FT - ICR MS

Cellular Structure

Separation & Purification

Protein Structure & Folding

Detection and Imaging

DNA Sequencing

DNA Amplification

Protein Sequencing

Molecular Biology

Structural Biology

Proteomics

Genomics

Biotechnology

연구 기법 연구 분야 학문

Functional Imaging

Page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4

연구시설 · 장비의 중요성 (2/5)

출처 : Kruytbosch, C. E. 1997. The Role of Instrumentation in Advancing the Frontiers of Science, Equipping science for the 21st century: 29-42.

NSF 의 Kruytbosch(1997) 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 노벨상 수상 연구의 81%, 500 개 피인용 최고 논문의 76%, 1950~70 년대 67 개 주요 진보적 연구의 63% 가 연구시설 · 장비를 통해 도출

특정한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장비 , 실험기술 , 그리고 분석방법들이 개발됨 (Salter and Martin, 2001)

비실험계열19%

실험계열81%

노벨상 수상 (’45-’91)

참고 : Salter, A.J. and B.R. Martin, 2001, ‘The economic benefits of publicly funded basic research: a critical review’, Research Policy, 30, pp.509-32.참고 : Salter, A.J. and B.R. Martin, 2001, ‘The economic benefits of publicly funded basic research: a critical review’, Research Policy, 30, pp.509-32.

Page 5: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5

일본 문부과학성 (MEXT) 은 1914 년 이후 과학분야 ( 물리학상 , 화학상 , 생리의학상 ) 노벨상의 85% 는 분석장비 개발 및 기반기술 고도화에 따른 결과라고 발표

연구시설 · 장비의 중요성 (3/5)

연구장비 기반기술 개발과 관련된 노벨상 수상 현황 (1914~2005)

구분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 · 의학상 계노벨상 21 14 4 39

국가별

미국 4 2 4 10

영국 2 5 - 7

독일 7 - - 7

네덜란드 2 1 - 3

스위스 1 2 - 3

스웨덴 2 1 - 3

캐나다 1 - - 1

인도 1 - - 1

호주 1 - - 1

체코 - 1 - 1

오스트리아 - 1 - 1

일본 - 1 - 1

( 단위 : 개 )

출처 : KBSI. 주요국의 연구시설 · 장비 동향조사 . 2007.

출처 : MEXT, 先端計測分析技術・機器開発事業の概要 , ’05.6.1.출처 : MEXT, 先端計測分析技術・機器開発事業の概要 , ’05.6.1.

Page 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6

연구시설 · 장비의 중요성 (4/5)

세계적우수성과

창출

노벨상수상

분석기술개발

Ernst Ruska (1986)

세계 최초 전자현미경 설계

분석장비개발 HVEM (2004)

세계 최고성능의 초고전압투과전자

현미경

PAL (1995)

제 3 세대 방사광가속기

과학기술의경제성장

기여

휴대폰 LCD 창과 회로 연결부위의 접촉불량 검사(SAIT, 2003)

세계최초 AMPK 의 항암 기능

규명( 정종경 교수 , 2008)* 분석기술 개발 : 분석장비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신규성을 지닌 독창적 요소기술의 개발을 말함

* 분석장비 개발 : 최첨단 연구수요 (needs) 에 부합되는 분석장비 및 그 주변시스템의 개발을 말함

과학기술의경제성장

기여

과학기술 및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분석기술 · 장비 개발 및 그 활용에 관한 분야인 분석과학 (Analytical Science) 에 대한 투자 필요

Page 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7

미국 공학한림원 (NAE) 은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 21 세기의 14 가지 위대한 도전 과제’의 하나로 ‘과학적 발견을 위한 분석장비 개발’을 선정 · 발표 (’08.2.15)

연구시설 · 장비의 중요성 (5/5)

구 분 과 제

Promoting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

 1. 경제성 있는 태양에너지 실용화

2. 탄소 격리

3. 핵융합을 통한 에너지 공급

4. 깨끗한 물 확보

5. 질소 순환 관리

6. 도시 기반시설의 재건 및 개선

 7. 과학적 발견을 위한 분석장비 개발

Advancing health( 건강증진 )

8. 개인맞춤형 신약 개발

9. 의료 정보학

 10. 인간의 뇌에 대한 역공학 (Reverse-Engineering)

Increasing joy of living( 행복한 삶 )

 11. 개인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12. 가상현실 활용

Reducing vulnerability to risk( 위험감소 )

 13. 핵무기 테러 예방

 14. 사이버공간의 보안

출처 : NAE. Grand Challenge of Engineering. <http://www.engineeringchallenges.org/>

Page 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8

미국

2002 년 , 국가과학위원회 (NSB) - 새로운 연구장비가 새로운 연구 프론티어를 창출하고 기술혁신을 촉진 - 현재의 연구기반구조를 대체하고 개선하며 , 차세대 연구기반 구조를 개발 - 젊은 사람들에게 최신의 연구시설 · 장비를 사용한 교육 및 훈련 기회를 확대해 주는 것은 미국이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리더쉽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라고 강조

2007 년 , 미국 경쟁력 강화 법안 (America COMPETES Act) - 국가 차원의 주요 연구시설 · 장비에 대한 수요조사 및 사전기획을 실시하여 투자우선순위를 결정 - 미국 행정부의 과학기술정책국 (OSTP) 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NSTC) 를 통해 주요 연구시설 · 장비

구축을 위한 통합 기획 및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치

해외 연구시설 · 장비 정책동향 (1/5)

( 단위 : 백만 달러 , %)

구 분 FY 2004Estimate

FY 2005Estimate

FY 2006Estimate

FY 2007Estimate

FY 2008Request

기초연구 26,552 26,855 27,834 28,310 28,228

응용연구 29,025 29,121 28,845 28,604 27,338

개발 66,192 71,764 74,198 80,144 79,948

R&D 시설 및 장비 ( 비중 )

4,407(3.5)

4,820(3.6)

4,378(3.2)

4,008(2.8)

4,763(3.4)

합계 126,176 132,560 135,255 141,066 140,277

출 처 : R&D Budget and Policy Program, AAAS. 2007.

미국 목적별 R&D 예산 미국 연방정부 R&D 예산의 목적별 GDP 대비 추이

Page 9: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9

영국

2005 년 , 영국연구협의회 (RCUK) 에서 대형연구시설 로드맵 (Large Facilities Roadmap) 마련 - 10~15 년간 미래의 대형연구시설에 대한 영국의 구상을 제시 - 최우선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관리와 투자기금을 조달하기 위한 최선의 전략적 결정을 내리는데 사용 - 매 2 년마다 정부의 지출계획 (Spending Review) 주기를 반영하여 보완 · 발전

2007 년 , 혁신 · 대학 · 기술부 (DIUS) 는 과학기술시설연구회 (STFC) 신설 - 각 연구회에 분산되어 있는 대형연구시설을 하나의 우산 아래 (A single umbrella) 에 통합 관리 - 국가차원의 대형연구시설은 특정기관의 독점적 사용보다 국가의 모든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이용

고등교육기금위원회 (HEFCE), 고등교육기관을 대상으로 HE-BCI 조사 - 대학이 기업이 독자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연구시설 · 장비의 제공자로서 기업의 R&D 비용 절감효과

및 기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연구시설 · 장비 수입금 (Equipment and Facilities Income)' 을 포함 * HE-BCI (Higher Education-Business and Community Interaction) : 대학과 기업 및 지역사회간의

지식이전 또는 지식교환의 규모와 효과를 측정

해외 연구시설 · 장비 정책동향 (2/5)

( 단위 : 백만 파운드 )

구분 JIF SRIF1 SRIF2 SRIF3

년도 1998 〜2001

2002 〜2004

2004 〜2006

2006 〜2008

예산 750 674 950 1,000

출 처 : Science Research Investment Fund (SRIF), HEFCE. 2007.

영국의 과학연구투자기금 (SRIF) 투자 현황

2000-2001

2001-2002

2002-2003

2003-2004

2004-2005

2005-2006

28 53 68 80 76 89

( 단위 : 백만 파운드 ) HE-BCI 의 연구시설 · 장비 수입금 현황

출 처 : HE-BCI survey, HEFCE. 2007.

Page 1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0

일본

문부과학성 (MEXT), 「제 3 기 과학기술기본계획 (2006 〜 2010) 」 - 첨단계측분석 기술 · 기기의 높은 해외 의존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첨단계측분석기술 · 기기개발을 중점

추진 - 일본내 첨단 대형연구시설에 대한 산 · 학 · 연 · 관의 폭넓은 분야의 연구자에 의한 효과적 · 활용을 지원 - 슈퍼컴퓨터 , X- 선 자유전자 레이저 개발 등 국가기간기술에도 집중적으로 투자 - 구조 기능과 계측분석 , 물질현상 계측분석 , 생명현상 계측분석 등의 새로운 분석기술 연구과제 지원

문부과학성 (MEXT), ‘ 연구 및 개발에 관한 평가 지침’ (2005.9 월 ) 마련 - 대형방사광시설 (Spring-8) 에 대한 중간평가 실시 * 보고서 구성 : 1. 운영기반의 강화 , 2. 운영 체제와 등록 기관의 실정 , 3. 이용 촉진대책

예산요구 주요사항 2006 예산 2007 예산 2008 요구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기반의 강화

특정 첨단대형연구시설의 정비 · 공용 - 27,408 49,117

첨단연구시설 공용 이노베이션 창출 사업 - 3,180 4,099

첨단계측분석 기술 · 기기 개발 프로젝트 11,067 10,386 10,730

첨단 대형연구시설 전략 활용프로그램 1,106 - -

대형방사광시설 (Spring-8) 등의 활용 11,741 - -

국가기간기술에의 집중투자

최첨단 · 고성능 범용 슈퍼 컴퓨터 개발 3,547 7,736 19,529

X- 선 자유전자 레이저 이용개발 2,306 7,473 17,757

출처 : 文部科学省 概算要求主要事項 , MEXT. 2007.

문부과학성의 연구시설 · 장비 예산현황 ( 단위 : 백만 엔 )

해외 연구시설 · 장비 정책동향 (3/5)

Page 11: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1

해외 연구시설 · 장비 정책동향 (4/5)

OECD(1992)•과학기술 기여도 ( 과학적 중요도 , 독창성 , 파급 효과 , 국제 협력성 )•국가 기여도 ( 산업적 중요도 , 사회적 중요도 , 국제 경쟁력 )

대형연구시설 · 장비 선정기준

영국 (2003)

•과학적 우수성•과학적 포괄성•사용자 적실성 ( 타당성 , 적시성 , 유용성 )•지역적 적실성 ( 지역적 , 국가적 , 세계적 )•시급성•실현가능성

독일 (2003)•전문가 관점 ( 과학적 발전 가능성 , 기술적 혁신 가능성 , 기관 역량 , 사용자 수용가능성 , 연구의 중요도 ( 기술이전 , 국제경쟁력 , 과학후속세대양성 )•정책적 관점 ( 과학적 잠재성 , 정책목표 수행가능성 , 과학적 실현가능성 , 과학적 발전가능성 )

호주 (2003)•투자효과성 ( 국가적 공동활용 , 사회문화적 적합성 , 국가적 역량 구축 정도 ( 전문성 , 경험 , 기술 ), 활용 가능성 , 국제협력 가능성 , 투자 파급효과 )•연구 기여도 ( 상용화 가능성 , 혁신 기여도 )

미국 (2003)

•과학기술적 기준 (1 단계 ) : 과학적 장점 , 잠재성 , 기회 /기술적 준비성 /과학적 신뢰성 ( 제안자 )/ 운영능력 ( 제안자 )•기관전략적 기준 (2 단계 ) : 과학적 균형발전의 효과성 ( 기관관점 )/ 학제간 연구수요의 대응성 /다른 기관과의 ( 기관간 ) 책임성 / 교육 및 노동력 발전 효과성 /발전 및 구축에 대한 준비성•국가적 기준 (3 단계 ) : 과학연구 변화 잠재성 /과학연구 국가적 선도 잠재성 /다양한 참여자에 대한 편익성 /시급성 /국가적 우선순위 효과성 /과학계의 지원 정도 /과학적 균형발전 ( 국가차원 )

Page 1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2

해외 연구시설 · 장비 정책동향 (5/5)

< 일본의 대형연구시설․설비의 문제점 >

구분 대상 문제점

초대형시설일본 유일의 세계 최고 설비 (SPring-8, 지구시뮬레이터 , JMTR, HIMAC, B팩토리 등 )

- 소재정보 ( 보유기관 관리기관 , 문의처 등 ) 불명확- 사용절차 복잡- 기술적인 지원이 불충분- 장기적인 이용 불가능- 사용료 과다 ( 특히 비공개인 경우 사용료 부과 )- 연구성과 보호 규정 미비 등

대형 시설

연구기관이나 대학 내에 1 ~ 2 개 정도 있는 시설 ( 고성능 클린룸 , 대규모 풍동 설비 등 )

- 기술적인 지원이 불충분- 사용상 제약 ( 조건설정의 제약 , 장시간 이용 불가능 )- 이용절차 복잡 등

대형기기

수억원 이상의 고가 대형기기로 연구기관이나 대학에 소량 배치되어 있는 설비 ( 고분해 전자현미경 , 고분해 NMR, 질량분석장치 등 )

- 유지비 및 관리비 확보 곤란- 이용을 지원하는 기술자 부족- 설치할 공간을 확보 곤란

출처 : 大型研究施設・設備の現状と今後の課題 , NISTEP. 2004.

과학기술정책연구소 (NISTEP) 는 2004 년 6 월에 첨단 대형연구시설 장비의 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활용도⋅ 제고방안 마련 - 대형기기의 공용 정도는 81% 정도로 높은 편이나 , 적절한 기기의 정비 , 유지관리 관련 규정의 명확화 , 전문기술자의 배치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 - 대형기기의 공유화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기기의 업그레이드 , 기기 유지 보수 규칙의 명확화⋅ , 기기를 유효 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자 배치가 필요하다고 요구

Page 13: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3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향 (1/9)

부처 법률 및 시행령 관련조항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본법 제 28 조 ( 연구개발시설 · 장비의 고도화 )

과학기술기본법시행령 제 42 조 ( 연구개발시설 · 장비의 고도화 추진 )

기초과학연구진흥법 제 9 조 ( 기초과학연구진흥시책의 강구 등 )제 10 조 ( 대학연구시설 등의 확충 )

기초과학연구진흥법시행령 제 5 조 ( 기초과학연구사업의 추진 )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 11 조 ( 연구시설 등의 확충 )

학술진흥법시행령제 16 조 ( 공동이용 연구시설 )

제 17 조 ( 대학부설연구소 연구기반시설 등 )

지식경제부

산업기술기반조성에관한 법률

제 5 조 ( 기술기반조성사업 )

제 9 조 ( 기술연구시설 등의 확충 )

제 10 조 ( 기술연구의 집단화의 지원 )

산업기술기반조성에관한 법률시행령 제 19 조 ( 기술연구기반 확충의 지원 )

정보화촉진기본법제 17 조 ( 정보통신 산업의 기반조성 )제 18 조 ( 연구개발의 추진 )제 25 조 ( 정보통신 관련기관의 지원등 )

전기통신기본법 제 10 조 ( 연구기관 등의 육성등 )

연구시설 · 장비 확충 및 고도화 관련 법률

각 부처별로 개별적인 법률에 의거 연구기반구축사업 시행

Page 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4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향 (2/9)

연구시설 · 장비 공동활용 촉진 관련 법률

부처 법률 및 시행령 관련조항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본법시행령 제 42 조 ( 연구개발시설 · 장비의 고도화 추진 )

기초과학연구진흥법 제 12 조 ( 연구기기 공동이용 촉진 )

산업교육진흥및산학협력 촉진에관한법률 제 37 조 ( 협력연구소 )

지식경제부

협동연구개발촉진법 제 7 조 ( 연구개발정보의 공동이용 )제 8 조 ( 연구개발시설등의 공동이용 )

협동연구개발촉진법시행령 제 6 조 ( 연구개발정보의 공동이용 )제 7 조 ( 연구개발시설등의 공동이용 촉진 )

산업기술기반조성에관한 법률시행령 제 19 조 ( 기술연구기반 확충의 지원 )

범부처 차원에서 연구시설장비의 공동활용 촉진

Page 15: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515

1990 년대 중반부터 실험 · 실습기자재 및 · 첨단 연구시설 · 장비 본격 투자

( 시간 )

교과부

교과부

지경부

지경부

’81 ’85 ’90 ’95 ’00 ’05

차관 및 외화대출 (AID, OECF, IBRD 등 )(’81~’96)

’96

노후장비 교체 및 첨단장비확충 (’96~)

공동활용 연구기자재 및 장비확충사업 (‘96~)

’08

첨단측정교정장비 선진화사업 (’06~’15)

지질자원분석실용화 시스템 구축사업 (’06~’10)

국립대학 실험 · 실습 기자재 확충지원사업 (’81~) ※ 공동실험실습관 지원 포함

공 사립대학 시설∙ · 설비 확충지원사업 (’90~’02)

이공계 대학 연구소 기자재 첨단화 지원사업 (’96~’01)

공 사립 전문대학 실험∙ · 실습 기자재 지원사업 (’90~’01)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95~)

출연( 연 )출연( 연 )

대학대학

대학 및 출연( 연 )

대학 및 출연( 연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방 연구중심 대학 육성지원사업 (’04~)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황 (3/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99~)

부처부처 수행주체수행주체

Page 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6

전략 분야 및 특정 프로젝트의 연구에

필요한 대형연구시설 ·장비 지원

연구장비의 시설화 ·집적화

국가연구개발의 경쟁력 및 생산성 향상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향 (4/9)

세계 최초 / 세계최고의 첨단 연구장비개발 지원

산 · 학 · 연 공동활용

연구시설 · 장비 투자의 3 대 특징

Page 1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007 년도를 기준으로 국가 R&D 사업에서 연구시설 · 장비구축사업에 대부분 치중 , 공동활용사업은 2% 로 미미 - 학연협력 차원에서 첨단 연구시설 · 장비를 활용한 고급 과학기술인력 및 산업인력 양성은 전무

17

구분 관련부처 사업명 예산( 억원 )

지원대상 비고

연구시설 · 장비구축사업

과학기술부 첨단연구장비구축 등 4 개 650 출연 ( 연 ) 등 장비구축

산업자원부 테크노파크조성 등 12 개 1,968 대학 등 장비구축

정보통신부 U-IT 허브구축 등 7 개 892 대학 등 장비구축

건설교통부 철도기술선진화연구기반사업 등 2 개 278 대학 등 장비구축

소계 3,788

연구시설 · 장비공동활용

사업

과학기술부 고가특수연구기기지원사업 12 대학 운영비 지원

정보통신부 공통서비스 인프라 구축운영 15 중소기업 장비 지원

중소기업청 연구장비 공동이용 클러스터 사업 50 중소기업 사용료 지원

소계 77

출처 : 과학기술부 (2007). 범부처 연구시설 · 장비 공동활용 촉진 세부추진방안 ( 안 ). 재정리 ..출처 : 과학기술부 (2007). 범부처 연구시설 · 장비 공동활용 촉진 세부추진방안 ( 안 ). 재정리 ..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황 (5/9)

Page 1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18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향 (6/9)

구분 건교부 과기부 산자부 정통부 출연( 연 )

A 형 503 3,664 1,444 250 -

B 형 - - 7,617 667 3,102

( 단위 : 억원 )

1) 유형 A : 대형공동 ( 응용분야 및 기술파급 효과가 커서 다양한 연구분야에 활용되고 , 단일기관 또는 연구소 구성이 가능한 연구시설 )

2) 유형 B : 중․소형 범용 ( 공동활용 목적으로 구축되는 장비 중 대형공동장비를 제외한 장비 )

1) 유형 A : 대형공동 ( 응용분야 및 기술파급 효과가 커서 다양한 연구분야에 활용되고 , 단일기관 또는 연구소 구성이 가능한 연구시설 )

2) 유형 B : 중․소형 범용 ( 공동활용 목적으로 구축되는 장비 중 대형공동장비를 제외한 장비 )

주요부처 ( 과기 , 산자 , 정통 , 건교 , 교육 , 중기 등 ) 연구시설 · 장비관련 사업비는 꾸준히 증가 - ('03) 4,954 → 억 ('04) 5,556 → 억 ('05) 7,305 → 억 ('06) 7,476 → 억 ('07) 7,236 억

- 최근 5 년간 (’03~’07) 대형시설 및 중․소형장비 관련 49 개 구축사업의 장비관련 예산은 총 17,247 억원

최근 5 년간 (’03~’07) 49 개 구축사업의 장비관련 예산

출처 : ․ 범부처 연구시설 장비 공동활용 촉진 세부추진방안 ( 안 ), 제 24 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 ’07.5.31.출처 : ․ 범부처 연구시설 장비 공동활용 촉진 세부추진방안 ( 안 ), 제 24 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 ’07.5.31.

출처 : 범부처 연구시설 · 장비 공동활용 촉진 세부추진방안 ( 안 ), 제 24 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 ’07.5.31.출처 : 범부처 연구시설 · 장비 공동활용 촉진 세부추진방안 ( 안 ), 제 24 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 ’07.5.31.

Page 19: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KBS I 보유현황

금액기준 종수 비율

5 천만원 미만 52 16%

5 천만원 ~1 억미만 85 25%

1 억 ~5 억미만 159 47%

5 억 ~10 억미만 29 9%

50 억 ~100 억미만 9 3%

100 억 ~150 억미만 1 0%

합계 335 100%

대학 공실관 보유현황

금액기준 종수 비율

5 천만원 미만 3,260

66%

5 천만원 ~1 억미만 710 14%

1 억 ~5 억미만 928 19%

5 억 ~10 억미만 44 1%

50 억 ~100 억미만 0 0%

100 억 ~150억미만 0 0%

합계 4,942

100%

금액기준 종수 비율5 천만원 미만 11,929 77%

5 천만원 ~1 억미만 1,715 11%

1 억 ~5 억미만 1,694 11%

5 억 ~10 억미만 134 1%

10 억 ~50 억미만 33 0%

50 억 ~100 억미만 3 0%

100 억 ~150억미만 0 0%

150 억 ~200억미만 1 0%

합계 15,509 100%

ITEP 보유현황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황 (7/9)

19

Page 2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0

대전

전주

광주

포항

오창

경주

서울

수원

중성미자검출장비 (’10)서울대학교 (SNU)

중대형이온빔가속기 (’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포항방사광가속기포항가속기연구소

포항 나노기술집적센터포항공과대학교 (POSTEC)

양성자가속기 (’12)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차세대자기공명장치 (800/900MHz NMR, 4.7T MRI)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BSI)

다목적질량분석기 (15T FT-ICR MS)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BSI)

초고분해능이차이온질량분석기 (HR_SIMS, ’0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BSI)

차세대초전도핵융합실험장치(KSTAR)

국가핵융합연구소 (NFRI)‘ 한빛 (Hanbit)’ 플라즈마장치국가핵융합연구소 (NFRI)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HANARO)’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BSI)

고분해능질량분석기 (12T FT-ICR MS)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주연구센터

나노소자특화팹센터( 재 ) 나노소자특화팹센터

전북 나노기술집접센터전북대학교 (CNU)

가속기질량분석기한국지질연구원 (KIGAM)

나노종합팹센터한국과학기술원 (KAIST)

대형연구장비

대형연구시설

집적시설

< 범례>

극초단광양자빔연구시설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

냉중성자연구시설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중형아음속풍동연구시설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비행체핵심시험장비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진공기술연구시설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

국가핵융합연구소 (NFRI)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황 (8/9)

Page 21: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121

장비종류

사용 목적

High-end전문

Low-end범용

교육지원 자체연구 연구지원 기업체 지원

대학

연구소 /센터(SRC, ERC, RRC 등 )

테크노파크 (TP)

정부출연 ( 연 )

기초 ( 연 )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투자현황 (9/9)

대학

공동실험실습관

Page 2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활용수준 (1/3]

2006 년 기준 , 공동활용가능 장비수 대비 실제 외부공동활용한 장비수는 22.7% 수준

22

구분 기관수 공동활용가능장비수

실제 공동활용한 장비수 ( 외부 )

%

대학

국 · 공립대학교 24 5,589 916 16.4

사립대학교 51 10,903 1,618 14.8

국 · 공립대학 1 21 2 9.5

사립대학 21 3,086 223 7.2

기능대학 2 411 15 3.6

소계 99 20,010 2,774 13.9

연구기관

정부출연 ( 연 ) 20 13,857 4,386 31.7

국 · 공립 ( 연 ) 26 3,611 930 25.8

민간시험기관 5 1,180 671 56.9

소계 51 18,648 5,987 32.1

계 150 38,658 8,761 22.7

(2006 년 12 월 말 현재 , 단위 : 종 )(2006 년 12 월 말 현재 , 단위 : 종 )

AS-IS

장비운영

(20%)

장비구축

(80%)

Page 23: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3

구분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세계경쟁력지수 (‘07) 11 34 8 1

- 고등교육과 훈련 6 78 22 5

- 과학기술수준 7 73 20 9

과학기술 논문수준 (‘06)

- 논문수 13 5 4 1

- 피인용 횟수 28 37 20 3

연구장비 활용수준 (‘07)

- 현미경 분석 논문수 13 6 2 1

- 분광학적 분석 논문수 17 3 4 1

- 결정학적 분석 논문수 18 7 3 1

과학기술경쟁력 대비 연구장비 활용 수준 비교과학기술경쟁력 대비 연구장비 활용 수준 비교( 단위 : 순위 )

출처 : 재정경제부 (2007). 2007 년 WEF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 보도자료 (10.31) 과학기술부 (2007). 2006 년 우리나라 SCI 과학기술 논문수 세계 13 위 . 보도자료 (6.1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07). 국가 연구장비 활용수준 분석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활용수준 (2/3]

우리나라는 세계경쟁력 지수에 비해 연구장비 활용수준은 주요 상대국가에 비해 다소 낮은 실정 - 독창적 연구활동 및 우수연구성과 창출에 기반이 되는 분석기술 · 기기 자체개발의 중요에 대한 인식 및 투자 미흡

23

Page 2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국내 연구시설 · 장비 활용수준 (3/3]

다국적 시험기관의 국제규격 (ISO, IEC) 시험 · 분석능력 수준 80% 대비 국내기관은 평균 43% 수준 불과 - 전기 · 전자산업의 시험 · 분석능력은 75% 수준이나 다른 분야는 30% 이하

해외 시험기관에 직접의뢰 1.2 조원 , 국내 진출 다국적시험기관 의뢰 0.8 조원 등 총 2 조원 해외유출 ( 총 국내시장 3.4 조원의 60% 상당 )

출처 : 시험 · 분석 장비 인프라 확충 방안 , 경제정책조정회의 , ’07.11.30출처 : 시험 · 분석 장비 인프라 확충 방안 , 경제정책조정회의 , ’07.11.30

24

Page 25: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5

( 기획 ) 연구시설 · 장비의 철저한 수요조사 , 미래예측을 통한 사전 기획

( 구입 ) 연구시설 · 장비 심의위윈회 구성 · 운영을 통한 체계적 구입

( 운영 ) 연구시설 · 장비의 체계적인 로그북 및 성과지표 관리

( 폐기 ) 유휴 · 불용장비의 관리이전 활성화를 통한 사용연한 증대

전주기 관리체계의 주안점

기획

구입운영

폐기

국가 연구시설 · 장비 전주기 종합관리체계 구축방안

Page 2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6

국가 연구시설 · 장비 확충 개선방안

개선방안

공급자·

수요자

현황 문제점

( 기획 ) ‘ 있으면 좋다’식의 사전기획 , 기술예측 및 수요조사 미흡

( 구입 ) ‘ 일단 사고 보자’식의 예산 신청 , ‘ 더 많은 장비’식의 장비소유욕

( 운영 ) 첨단장비 운영경험 및 노하우 부족 개별소유를 선호하는 연구문화

( 폐기 ) 불이익 등의 이유로 유휴 ·불용

장비 보유

실수요 ( 활용도 , 장비성능 ) 반영 미흡 , 과부족 발생

불요불급한 장비선정 , 단기적 수요 위주로 장비구입

치명적 고장 원인 , 대외개방에 미온적

연구실험실 공간 부족 , 사회적 손실 발생

로드맵 수립 및 투자 우선순위 선정 , 주기적 보완 · 발전

동향정보 공유 , 인적교류 활성화

인센티브 제공 , 평가 반영 등 유인책 강구

( 대학 ) 교육용 , ( 기업 )

산업용으로 관리이전 활성화

Page 2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7

TO-BE

장비운영

(20%)

장비구축

(80%)

D ( 활용실적 低 , 자립화 弱 )

D ( 활용실적 低 , 자립화 弱 )

A ( 활용실적 高 , 자립화 可 )

A ( 활용실적 高 , 자립화 可 )

B ( 활용실적 高 , 자립화 弱 )

B ( 활용실적 高 , 자립화 弱 )

C ( 활용실적 低 , 자립화 可 )

C ( 활용실적 低 , 자립화 可 )

국가 연구시설 · 장비 공동활용 개선방안 (1/2)

연구시설 · 장비 운영성과 모델

Page 2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28

국가 연구시설 · 장비 공동활용 개선방안 (2/2)

기대효과

공급자

수요자

애로요인 개선방안

적합한 활용기관 부재

장비소재정보 부족

장비사용료 부담

장비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범부처 통합 DB 및 장비전문가 DB 구축

R&D 목적의 장비사용료 일부 지원

숙련된 전문인력 절대 부족

유지보수 등 운영비 확보 곤란

분석과학 전문인력 양성 · 배출

운영비 선별 및 차등 지원

기술지원수준 격차 해소

공급자 - 수요자 연계서비스 , 컨설팅 제공

기술개발 애로요인 해소

장비가동율 제고

경제적 사용연한 증대

Page 29: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Program’s Assessment Summary

미국의 경우 4 개 섹션의 평가기준에 따라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 그 결과를 5 단계의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관리함

Assessment Summary 주요 내용

Assessment Rating: 프로그램 운영 성과를 5 단계의 지료로 구분하여 표시

Asessment Section Scores - Program Purpose&Design( 프로그램 운영 목적 및 설계 ) - Strategic Planning( 프로그램의 전략적 특성 ) - Program Management( 프로그램 운영 실적 ) - Program Result/Accountability( 프로그램 성과 평가 )

Assessment Summary 주요 내용

Assessment Rating: 프로그램 운영 성과를 5 단계의 지료로 구분하여 표시

Asessment Section Scores - Program Purpose&Design( 프로그램 운영 목적 및 설계 ) - Strategic Planning( 프로그램의 전략적 특성 ) - Program Management( 프로그램 운영 실적 ) - Program Result/Accountability( 프로그램 성과 평가 )

구분 내용목표 및 성과 모두에서 최상의 운영상태

일반적인 운영상태 , 개선 가능성 존재

목표 , 성과 상향 조정 및 운영 개선 필요

성과 미달 , 목표 설정 /운영역량 부족

성과평가가 불가능한 상태

※ 출처 :http://www.whitehouse.gov/omb/expectmore/detail/10001145.2003.html

국가 연구시설 · 장비구축사업 심층평가 (1/5)

29

Page 30: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30

국가 연구시설 · 장비구축사업 심층평가 (2/5)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심층적 성과분석평가 틀 개발

평가대상사업

계획분석

과정분석

산출분석

성과분석

환경분석

투입 및포트폴리오 분석

효율성 평가효과성 평가 유용성 평가적합성 평가

사업의 개선방향 및 대상 사업군의 조정방안 등 정책대안 제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심층적 성과분석평가 틀 개발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심층적 성과분석평가 틀 개발

평가대상사업

계획분석

과정분석

산출분석

성과분석

환경분석

투입 및포트폴리오 분석

효율성 평가효과성 평가 유용성 평가적합성 평가 효율성 평가효과성 평가 유용성 평가효율성 평가효과성 평가 유용성 평가적합성 평가

사업의 개선방향 및 대상 사업군의 조정방안 등 정책대안 제시사업의 개선방향 및 대상 사업군의 조정방안 등 정책대안 제시

Page 31: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31

국가 연구시설 · 장비구축사업 심층평가 (3/5)

< GPRA 에서의 성과지표의 4 가지 유형 >

투입지표(Input)

ㅇ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데 소요된 자원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 ( 예 : 사업수행에 소요된 총사업비 )

산출지표(Output)

ㅇ 광의의 산출지표 : 활동이나 노력을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표현한 표 , 계산 또는 기록을 총괄ㅇ 협의의 산출지표 : 어떤 사업에 의해 생산된 상품과 재화를 의미 - 이때 산출의 범위는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고 , 사업목적과 관련된 특정 상품에 한정하는 경우도 있음 . ( 예 : 도로사업을 예로 든다면 도로의 연장 및 폭 )

결과지표(Outcome)

ㅇ사업이 의도한 목표와 비교한 사업의 결과를 측정하는 지표 ( 예 : 도로사업을 예로 든다면 교통량 증가 )

효과지표(Impact)

ㅇ사업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초래된 간접 , 직접적 효과 또는 결과 ( 예 : 도로사업을 예로 든다면 도로건설로 인한 부동산 가격의 변화 )

Page 3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32

국가 연구시설 · 장비구축사업 심층평가 (4/5)

구 분 측정방법

연구시설․장비확충 및 고도화

- 수요조사 및 사전기획 실적 , 중장기 계획 여부- 심의 ( 운영 ) 위원회 및 외부 의견반영 실적- 신규장비 확충 노후장비교체 실적- 당초 계획대비 집행 실적 , 예산집행의 적절성- 업그레이드 및 유지보수 ( 자체 또는 외부업체 ) 실적- 노후화 수준 ( 내구연한 )- 불용처분 ( 관리전환 , 매각 , 무상양여 등 ) 실적

연구시설․장비운영여건

- 단독 ( 건물 ) 시설 확보여부 , 연면적 대비 사용면적 ( 사용공간 )- 전체 운영비 대비 자립률 ( 수입비 ), 자구노력 및 대응투자 현황- 운영 전담인원 확보 여부 ( 행정지원인력 제외 ) - 1 인당 장비운영 대수 , 장비 1 종당 연간 운영비- 운영비 대비 유지보수비 비중

연구시설․장비 활용도

- 가동률 ( 시간 , 일 ), 공동활용률 ( 내부 /외부 ), 개방율 ( 외부 )- ( 대형 ) 신청과제수 , 지원과제수 ( 공개 /비공개 , 이용자수 , 사용료 )- ( 중소형 ) 장비수 , 이용건수 , 시료수 , 사용시간 , 이용자수 , 이용기관수 , 사용료- 외부사용주체별 ( 대학 , 연구소 , 산업체 , 기타 ) 공동활용실적- 지원분야 ( 예 : 6T) 또는 지역별 ( 예 : 16 개 시도 ) 공동활용실적- 분석․측정기법 개발 및 활용 실적

Page 33: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33

국가 연구시설 · 장비구축사업 심층평가 (5/5)

구 분 측정방법

연구시설․장비외부이용자 성과

- 논문 , 학술발표 , 학위논문 등 학술적 성과- 특허 , 프로그램 등 기술적 성과- 석․박사과정 지원 , 일반 / 전문가 교육훈련 등 인력양성 성과- 연구시설․장비 지원의 경제적 성과- 대표적인 연구성과 및 성공사례

연구시설․장비고객만족도 제고

- 고객 만족도 실시 ( 이용과정 , 이용결과 , 고객서비스 등 )- 고객 불편사항 반영 ( 이용절차 개선 , Happy Call 서비스 등 )- 고객 편의성 향상 ( 사용료 결재 , Tracking 서비스 , SMS 등 )

연구시설․장비이용자 저변확대

- 다각적인 홍보 노력 ( 책자배포 , 학회 등 ) - 연구성과 발표회 , 지역순회설명회- 수익모델 다변화 및 창출 노력

연구시설․장비정보시스템 구축 및 활용

- 업무전산화 시스템 구축․운영- 홈페이지 구축․운영

연구시설․장비공동이용 제도

- 이용규정 ( 이용절차 , 사용료 책정 등 )- 운영위원회 , 이용자협의회 , 사용자 모임- 유관기관 협의체 구성․운영 및 공동이용 협약- 회원제 ( 회원사 ) 제도- 우수이용자에 대한 사용료 할인- 사용료 수입 처리 및 활용 방안

Page 3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34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