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의 역사

53
미미미미 미미미 미미미미 미미

Upload: augustus-moser

Post on 03-Jan-2016

208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DESCRIPTION

화장품의 역사. 미용학과 노영희. 1. 화장품의 역사 석기시대 : 화장품사용에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음 ( 인류의 집단생활 )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 은폐 · 위장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신분 · 계급 · 종족 · 남녀를 구별하기 위함 . 고 대 얼굴에 착색 , 향사용 , 오일사용 눈 : 코울 (kohl) 눈꺼풀은 초록색 , 눈썹과 속눈썹은 검은 칠 벌꿀이나 올리브유에 꽃가루를 섞어 화장에 사용 , 그리스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화장품의 역사

미용학과 노영희

화장품의 역사화장품의 역사

Page 2: 화장품의 역사

1. 화장품의 역사

석기시대 : 화장품사용에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음 ( 인류의 집단생활 )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 은폐 · 위장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신분 · 계급 · 종족 · 남녀를 구별하기 위함 .

고 대• 얼굴에 착색 , 향사용 , 오일사용• 눈 : 코울 (kohl) 눈꺼풀은 초록색 , 눈썹과 속눈썹은 검은 칠• 벌꿀이나 올리브유에 꽃가루를 섞어 화장에 사용 ,

그리스 인간의 자연미 강조 , 메이크업보다는 헤어스타일 강조 최초의 약학과 본초학을 접목시켜 콜드크림 만듬

Page 3: 화장품의 역사

르네상스 시대 (14 세기 말엽∼ 16 세기 초 )

• 알코올 증류법이 개발되어 현재의 화장수와 유사한 화장품이 사용

• 특히 향수문화 발달 ( 몸냄새없애기 위한 수단 )

•화장법 : 흰 피부에 눈썹을 밀어 가늘게 그리고 화장을 옅게함

로 마 전성기를 이루어 귀족 층 여성을 중심으로 널리 유행 목욕문화 , 화장기술 , 향수문화 발달 , 공중목욕탕유행 , 맛사지 사우나 염색성행 : 헤나 금발염색선호

중세시대 기독교의 영향으로 여성들이 목욕을 하거나 화장하는 행위를 죄악시 하는 사회적인 영향으로 화장문화가 크게 발달되지 못함 . 흰 피부색강조 , 검정 흑갈색으로 머리나 눈썹을 장식

Page 4: 화장품의 역사

현 대•20C 급속한 발전 •화장품산업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김•영화 산업 발전 패션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유행•화장품 사용의 일반화시기 : 19 세기말 이후 . 점차 수요가 확대 제 2 차 세계 대전 후 산업이 발전 , 새로운 화장품 기술의 발전과 원료의 개발이 이루어짐• 화장품이 인체를 청결하게 하고 미화한다는 단순한 기능에서 좀더 젊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제품으로 개발되면서 현대에 와서는 일상생활에 있어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됨

근 세 • 17C 아이새도우와 얼굴에 점그리기 유행• 18C 프랑스파리에 향수와 화장품가게 open 남쪽 지중해 연안의 풍부한 꽃 생산지를 중심으로 향수 제조 발달• 19C 메이크업 표현 다양 , 산업혁명으로 인해 평민층에 화장품 널리 보급 뷰티살롱 등장

Page 5: 화장품의 역사

2) 우리나라의 화장품 역사 우리나라에서 화장품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 고대유적에서

발견된 장신구와 청동거울에서 화장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 5~6 세기경의 고분벽화를 통해 당시에 연지화장이 보편화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신라시대에는 흰색 백분이 사용되기 시작 ,

백분은 얼굴을 희게 보이게 하며 잔주름과 얼굴의 결점을 감추어 주는 장점

. 당시의 백분은 “분 ( 粉 )” 이 의미하는 그대로

“ 쌀 ( 米 )” 로 만든 “가루 ( 分 )”였다 . 우리나라의 경우엔 옛날부터 흰색 피부를 유달리

좋아한 것을 알 수 있다 . 백분에 버금갈 정도로 연지도 신라시대에 크게 대중화 되었다 .

젊음과 건강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해 입술과 볼 , 이마에 붉은 색깔의 연지를 발랐다 .

이때 연지는 홍화 (紅花 , 잇꽃 ) 와 돼지기름 등을 혼합하여 만들었다 .

Page 6: 화장품의 역사

• 고려시대의 여성들은 화장하는 것을 즐기지 않아 백분은 사용하였으나 연지는 사용하지 않고 , 버드나무 잎같이 가늘고 아름다운 눈썹을 그렸으며 또한 향낭 ( 향 주머니 )

을 차고 다녔다 .

• 조선시대에는 백분 , 연지 , 화장수와 같은 화장품과 향낭이 상류층과 기생들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 .

• 일부 화장품은 중국의 사신 등을 통해서 우리나라에 들어 왔으며 , 조선중기에는 백분이나 연지 등을 팔러 다니는 사람이 있을 정도였다 .

•구한말 갑오경장 (1894 년 ) 으로 개화의 물결이 밀려와 특수 계층의 여성들만이 쓰던 것으로 인식되었던 화장품이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

• 이때 일본으로부터 “화장 ( 化粧 )” 과 “화장품 ( 化粧品 )” 이라는 미용 용어• 원래 우리나라에서 화장은 가식 ( 假飾 ), 즉 거짓꾸밈이라는 의미를 가진 말로 ,

• 화장에 해당되는 것으로는 단장 ( 丹粧 ) 이라는 말이 사용

Page 7: 화장품의 역사

• 1916년 :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화장품 박가분 (朴家粉 )-(박승집이만듬 ) 상품명으로 등장하여 상당한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 그러나 박가분은 피부에 대한 부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 납 성분의 치명적인 독성이 나타나면서 그 인기가곧 수그러 들게 되었다 . 우리가 흔히 말하는 화장독이란 말도 이때 생겨나게 되었다 .

Page 8: 화장품의 역사

• 1930 년대 이후에는 납을 사용하지 않은 서가분과 서울분이라는 상품명의 백분이나왔으나 크게 인기를 끌지 못하였다 . 또 백분과 함께 크림도 “구리무”라는 이름으로 등장 , 주로 방물장수가 가가호호 방문하며 덜어 파는 경우가 많음 ( 동동구리무 ).

• 1945년 해방 이후 우리나라 화장품에는 많은 변화 콜드 크림 , 바니싱 크림 , 백분 , 머릿기름 , 포마드 , 헤어토닉 , 콜드 퍼머약 , 향수. 기초화장품으로 으뜸은 콜드 크림 (cold cream) 으로 일명 “만능 크림” . 화장을 지울 때 , 밑화장용 또는 마사지용으로 사용 , 콜드 크림은 현재의 마사지 크림과 유사 . •바니싱 크림 (vanishing cream) 콜드 크림과는 달리 유분이 적게 함유된 것으로 피부에 바를 때 우유빛 크림 상태가 즉시 사라지는 것 같은 현상을 나타냄 바니싱 크림이라는 별명이 붙여 졌으며 , 얼굴 · 목 ·손 ·팔 등 광범위한 신체부위에 사용된 일종의 영양 크림 .

Page 9: 화장품의 역사
Page 10: 화장품의 역사

• 1960 년대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이 본격화된 시기• 화장품들로는 백분 , 콜드 크림 , 바니싱 크림 , 유액 ( 로션 ), 화장수 , 립스틱 , 아스트린젠트 , 마스카라 , 오데코롱 , 파운데이션 , 네일에나멜 , 포마드 , 콜드 퍼머약 , 염모제 등 화장의 경향 : 부자연스러운 하얀 분화장에서 화사하고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으로 바뀌기 시작 . • 눈화장 ( 아이 메이크업 ) 이 크게 유행 •립스틱의색상도 빨강 , 오렌지 , 핑크 계통으로 다양 , 입술화장의 변화를 가져옴 • 화장품의 판매 방식도 방문판매제도가 도입되면서 가정에서 쉽게 화장품을 구입가능• 경제적 성장과 함께 화장품의 소비도 급격히 증가 .

Page 11: 화장품의 역사
Page 12: 화장품의 역사

• 1970 년대 : 새로운 화장법을 소개하는 메이크업캠페인이 화장품 메이커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짐 . 화장은 어떤 고착된 틀에 얽매이지 않고 시대 감각에 따라 변해야 한다 때 (time), 장소 (place), 목적 (object) 에 적합한 화장 . 메이크업 캠페인은 우리나라 여성들의 화장품 소비패턴을 바꾸어 놈 .

원색 계통의 립스틱과 네일에나멜 , 향수 ( 오데코롱 ) 가 서서히 각광을 받기 시작 . •1970 년대 말 : “토탈 코디네이트”라는 말이 등장 화장품의 수준과 화장기술이 점점 향상되는 시기 . • 기초화장품에서도 보습 크림 등이 개발 , 화장품용기도 비교적 고급화되기 시작 .• 국내 화장품이 외국으로 수출되기 시작 , 현대적인 화장품으로의 기술 도약 .

Page 13: 화장품의 역사

• 1980 년대에는 첨단과학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화장품들이 개발 .• 천연고분자 보습제인 히아루론산과 바이오 화장품 (bio-cosmetics) 의 시대 . • 노화억제 (anti-aging) 화장품• 무향 , 무색소 , 저방부제의 민감성 (hypo-allergy) 화장품 개발 . • 1990 년대에 들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식물성 성분들을 함유한 자연성 화장품이 등장 머드팩 (mud pack) 이 유행 , 레티놀 (retinol) 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이 각광 •모발 화장품 분야 1980 년대 퍼머넌트 웨이브 (permanent wave) 가 유행 1990 년대 중반부터는 헤어컬러링 (hair coloring) 이 유행하기 시작 아로마오일을 사용한 아로마테라피 (aromatherapy) 에 대한 관심이고조

Page 14: 화장품의 역사

연대별 화장품의 변천과정연대별 화장품의 변천과정

Page 15: 화장품의 역사

1990 년대 향수모음

Page 16: 화장품의 역사

2. 화장품의 정의

화장품은 각종 성분들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신체에 바르거나 , 뿌려서 신체 및 모발을 청결히 하고 또한 건강하게 하여 아름다움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 화장품법 제 2 조 1항에 정의 .

“ 화장품”이라 함은 인체를 청결 ,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 •법적으로 화장품은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과 달라서 “인체에 대한 약리적인 효과가 비교적 적은 것”을 가르키며 , 화장품을 발라서 질병이치료된다는 것과는 다른것 .

Page 17: 화장품의 역사

. 의약품 : 인체에 직접 작용하여 진단 내지는 에방및 치료효과가 있는 물품

. 의약외품 : 정상인이 사용하는 물품중에서 어느 정도의 약리학적 효능 ·효과를 나타내는 물품 (육모제 , 염모제 , 탈색제 , 제모제 , 체취방지제 및 치약 ) 화장품과 마찬가지로 지속적 사용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

•기능성 화장품 (cosmeceuticals): 화장품과 의약외품의 중간적인 성질을 갖고있으며 화장품 중에서 효능 ·효과가 강조된 전문적인 기능을 갖는 제품 1. 미백 화장품 , 2. 노화억제 화장품 (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 3. 선탠 (suntan) 화장품 ,(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보호 ) 선스크린 (sunscreen) 화장품 ,셀프탠닝 (self-tanning) 화장품

Page 18: 화장품의 역사

3. 화장 의 목적

1. 신체보호 : 기초 , 자외선 차단류

2. 종교적의미 : 향유 바디 페인팅

3. 피부청결 : 클린징제품류

4. 아름다움 강조 : 메이크업제품류

Page 19: 화장품의 역사
Page 20: 화장품의 역사

화장품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Page 21: 화장품의 역사

• 화장품도 연령대에 맞게 선택

20 대 전반 : 여드름 , 피지과다 20 대 후반 - 30 대 후반 : 기미 , 주름살 40∼50 대 : 피부가 처지는 것에 고민 ,

화장자체 보다는 피부관리에 관심 60 대 이후 : 피부노화가 다른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을까 하는 불안

각 연령에 적합한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age 22: 화장품의 역사

4. 화장품과 피부

1) 화장품의 요건 하나의 화장품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디자인및 안전성 · 안정성 · 사용성 및 유효성의 연구가 필요

Page 23: 화장품의 역사

화장품표시사항및 광고시 주의 사항

용기 또는 포장 및 첨부문서에 표시하여야 할 사항 화장품법 제 10조에 명시 제품의 명칭 ▶ 제조업자 또는 수입자의 상호 및 주소 ▶ 타르색소 등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그 성분의 명칭 - 타르색소 - 금박 - 샴푸와 린스에 함유된 인산염의 종류 - 과일산 (AHA) - 기능성화장품의 경우 그 효능 ,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원료 -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배합한도를 고시한 화장품의 원료 ▶ 내용물의 용량 또는 중량 ▶ 제조번호 및 제조연월일 ▶ 가격 ▶ 기능성화장품의 경우 : "기능성화장품 "이라는 문자 ▶ 사용상의 주의사항

Page 24: 화장품의 역사

오픈 프라이스 (open price) 제기존의 제조업자가 정하는 권장 소비자가를 폐지하고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자가 기재 표시하여야 한다로 규정되어 있다․ .

한국은 1999년 9월 1 일부터 권장소비자가격 표시를 금지 , 오픈 프라이스제를 도입

Page 25: 화장품의 역사

오픈 프라이스제도 : 달리 최종 판매업자가 판매가를 표시하는 제도 실제 판매가보다 부풀려 소비자가격을 표시한 뒤 할인해 주는 기존의 할인판매의 폐단을 근절시키기 위해 소비자가격을 제조업체가 아닌 대리점 등 유통업체가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 정가가 없는 만큼 얼마를 받고 팔든 그것은 소매점의 자유이다

화장품을 광고할 때에도 화장품법 제 12 조 및 동법 시행령 14 조 2호에 의해 부당한 표시 및 광고행위를 규제하고 있다 . ( 화장품법 참조 )

화장품 : 의약품과 다르므로 간접적으로라도 그 효능 효과를 설명할․

수 없게돼 있어 소비자를 기만하고 현혹시키는 광고는 금지 .

Page 26: 화장품의 역사

2) 피부의 타입 •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피지와 수분의 함량에 따라 구분

• 피부 타입판정 : 세안 후 아무 것도 바르지 않고 피부 상태를 관찰

중성피부 : 미지근한 물로 화장비누를 사용하여 세안 후 처음에는 당기다가

3시간 정도 지나면서 촉촉

건성피부 : 세안후 3시간이 지나도 건조한 상태가 계속

지성피부 : 세안 후 3시간이 지난 후에 얼굴에 피지가 번들거림

Page 27: 화장품의 역사

(1) 지성피부 (Oily skin) • 젊은 사람에게 많고 피지의 분비량이 많은 타입• 피부가 곱지 않고 모공이 크고 얼굴이 쉽게 번들거리고 화장이 잘 지워진다 .• 이마 , 코 부분의 T- 존 (T-zone) 과 턱 부분이 가장 심함• 윤기와 탄력이 있기 때문에 피부가 쉽게 노화되지 않는 장점• 일주일에 2∼3회 딥클렌징 (deep cleansing) : 과잉의 피지와 모공 깊숙히 숨어 있는 찌꺼기를 없애줌 확장된 모공을 수축시키고 피지분비를 조절할 수 있는 알코올 성분의 화장수를 화장솜에 충분히 묻혀 두들겨 주면 좋은 효과 . 이외에 지방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의 ㅡ지나친 섭취 피할것

Page 28: 화장품의 역사
Page 29: 화장품의 역사

(2) 건성피부 (Dry skin) • 피부결은 곱지만 피지나 수분의 분비가 적어 피부가 거칠고 세안후 아무것도 바르지 않으면 피부가 몹시 당긴다 .• 수분과 피지의 분비가 적어 피부 표면이 건조하고 윤기가 없으며 주로 U- 존 (U-zone) 부위에 잘 생김 . •보습효과가 큰 크림을 발라 피부 표면에 수분을 공급•비타민 A와 지방분 함유된 식품섭취 :피부의 저항력을 증가 . •비타민 A함유식품 : 간유 , 버터 , 달걀 , 우유• 결핍경우 : 건성피부가 되고 각질층이 두꺼워지며 피부가 세균감염을 일으키기 쉽다 .

Page 30: 화장품의 역사

(3) 중성피부 (normal skin) • 피부 표면이 매끄럽고 윤기와 탄력이 있는 피부 , 화장도 잘 먹고 피부 저항력이 있으며 모공이 눈에 띠지 않는 좋은 피부• 중성피부는 땀과 피지의 분비가 정상적이며 ,피부색이 엷은 분홍빛• 중성 피부는 계절에 따라 피부 상태가 변하기 쉬운데 , 겨울철에는 수분과 피지의 부족으로 건성피부가 되기 쉽다 . • 수분과 유분을 동시에 공급하는 영양크림이나 로션 또는 화장수를 충분히 사용 . •

(4) 복합성 피부 (combination skin) • 지성과 건성이 복합된 상태 , 이마와 코 주위는 피지 분비가 많아 유난히 번들 거리지만 U- 존이나 눈 주위는 수분이 부족한 피부• 이마 , 코 , 턱 주위의 T- 존 : 청결유지 ,• U- 존 , 눈주위 :보습위주의 손질 .• 세안 후 화장수로 충분히 수분을 공급 , 버석거림이 심할 때는 피부 보습효과가 높은 에센스를 자주 사용 .

Page 31: 화장품의 역사
Page 32: 화장품의 역사
Page 33: 화장품의 역사

(5) 민감성 피부 (sensitive skin) • 아주 약한 자극에도 쉽게 피부가 반응을 나타냄• 자외선 , 계절의 변화 , 방부제 , 색소 , 향수 등에 의해 붉은 반점 , 가려움증과 같은 피부 반응 . •피부가 외부 자극에 민감해지는 경우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부의 생리기능이 약화되었을 때 주로 나타남 .

Page 34: 화장품의 역사

3) 피부의 수분과 보습 • 인체의 약 65∼70%( 수분 )• 각질층 10∼20% 의 수분을 함유 ,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억제 , 외부에서 과잉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 물을 흠뻑 머금고 있는 스폰지에 물이 통과되지 않는 비닐랩이 감싸져 있는 구조와 유사 천연보호막 각질층의 표면에있는 얇은 기름막으로 수분의 증발을 막아줌

Page 35: 화장품의 역사
Page 36: 화장품의 역사

(1) 천연보호막 • 표면을 덮고 있는 얇은 막 , 피지와 땀으로 구성 , 천연피지막이라고도함 •유중수형과 수중유형 사이에서 가역적인 전환 천연보호막은 피부의 상태에 따라 유중수형이나 수중유형의 가역적인 전환 수분조절에 기여 , 천연보호막의 역할은 화장품이 추구하는 이상임과 동시에 목표

땀을 흘리는경우평상시

Page 37: 화장품의 역사

(2) 각질층의 보습 ① 천연보습인자 (NMF) :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용성 성분들을 총칭 , 천연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각질층이 유연성을 나타내는 것은 NMF의 작용 때문 , 수분을 유지가능 NMF 의성분 :아미노산이 대부분 ,무기염이 18.5%, 피롤리돈 카르본산과 젖산염이 각각 12% 씩 차지 . ② 세포간지질 (細胞間脂質 ) : 각질층자체에서 생긴지질 ( 세포간지질 (intercellular lipid) 이존재 세포와 세포사이에 존재하여 각질세포 사이에 있는 물 분자와 수소결합을 형성하고 층상의 라멜라 (lamella)구조를 이룸으로써 수분을 적절히 유지 .

Page 38: 화장품의 역사
Page 39: 화장품의 역사
Page 40: 화장품의 역사

(3) 진피층의 보습 • 진피의 보습에는 무코 -다당류 (muco-polysaccharide) 가 작용 ,• 히아루론산염 , 히아루론산염은 무게의 100∼1000 배의 수분을 흡수 , 보습력이 큼 . 무코 -다당류와 같은 생체고분자에 흡착된 수분 “ 결합수 (bound water)” 라 수소결합에 의해 붙잡혀 있어 고온에서 쉽게 증발되지 않고 저온에서도 잘 얼지 않는 특별한 성질을 나타내는 물 . 즉 , 진피의 히아루론산염은 결합수를 만들어냄 , 높은 보습효과를 나타냄 .

Page 41: 화장품의 역사
Page 42: 화장품의 역사

(1) 표피의 노화 • 표피는 두께가 0.2mm 정도로 얇지만 몇 개의 층으로 구성 . • 천연보호막으로 둘러싸여있음 , 이것의 두께는 0.5 ㎛ (0.0005 mm) 로 매우 얇다 . •표피에는 두 가지 종류의 세포가 존재 각질세포 : 표피의 90% 이상을 차지 , 표피의 기저층에서 생성 점점 표면으로 올라와서 약 14 일 후에는 가장 윗부분의 각질층에 도달 즉 , 각질층은 죽은 세포들의 잔해물이며 , 각화 (keratinization) . 즉 , 기저층에서 탄생된 세포가 약 4 주의 간격으로 표피에서 탈락되며 , 턴 -오버 (turn-over)” 현상 노화된 피부 :• 기저층의 세포분열 저하로 인해 세포의 교체가 느려져 “턴 -오버”에 소요되는 기간이 더 길어지므로 각질층은 더욱 두꺼워짐 . • 죽은 각질층에 의해 피부는 생기가 없으며 칙칙해 보이고 건조해지고 거칠어짐• 유두층의 기능 저하 : 기저세포로의 영양분 공급 불충분 , 살아있는 세포의 수가 감소하게 되고 , 표피의 두께는 더욱 얇아지게 된다 .

4) 피부의 노화와 주름

Page 43: 화장품의 역사

(2) 진피의 노화 젊은 진피 ; 교원섬유 (collagen) 가 입체구조를 이루고 그 사이에 신축성이 강한 탄력섬유가 스프링처럼 작용하여 피부의 탱탱함과 탄력을 유지 나이와 더불어 이 진피중의 교원섬유는 파괴되고 탄력섬유 (elastin) 도 체내에서 생성되는 말론 디알데히드 (malone dialdehyde; MDA) 에 의해 분자 사슬 사이의 가교결합 (cross-linking) 이 형성 , 신축성이 떨어지게 된다 . 기질중의 히아루론산도 연령증가와 함께 감소되어 피부는 수분을 감소 진피가 변성하여 피부는 팽팽함과 탄력을 잃고 주름이 잡히게 된다 .

Page 44: 화장품의 역사

5) 멜라닌과 자외선

(1) 멜라닌 색소 •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 (melanocyte)

티로신 (tyrosine) 도파 (DOPA) 멜라닌 색소 산화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멜라닌색소는 피부의 염증 , 내분비이상 , 신경성요인 , 임신 에 의해서도 생성 특히 자외선에 쪼이면 멜라닌 세포의 작용이 강해진다 . • 멜라닌 색소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그 에너지가 피부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막아줌으로써 일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는 역할 . • 표피층의 아래쪽에 위치한 멜라닌 세포에서 만들어진 멜라닌 색소는 피부의 신진대사에 의해 점차 피부 표면으로 떠밀려 올라와 각질과 함께 표면에서 탈락

Page 45: 화장품의 역사
Page 46: 화장품의 역사

(2) 자외선과 활성산소 자외선 : 파장범위가 200∼400nm,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선의 약 6%를 차지 UV-A : 320∼400nm, 파장이 길어 실내 유리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 자외선” 색소침착 (suntan) 과 콜라겐 손상에 의한 주름 발생의 원인 UV-B : 290∼320nm 비타민 D의 합성을 촉진 장점이 있지만 색소침착과 함께 일광화상 (sunburn) UV-C : 200∼290nm 피부암의 원인 기미를 포함한 피부의 이상색소침착의 원인 멜라닌 티로신이 티로시나아제의 촉매 작용으로 산화반응을 일으켜서 생성되나 , 이때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active oxygen) 가 존재하면 멜라닌의 생성이 급격히 증가된다 . 또 활성산소의 증가에 의해 교원섬유가 손상되며 , 이는 주름 발생의 원인이 된다 . 활성산소는 일명 유해산소 (harmful oxygen)

Page 47: 화장품의 역사
Page 48: 화장품의 역사

• 인체에 손상을 미치는 활성산소 수퍼옥사이드 (superoxide ; O2-),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 H2O2), 히드록시라디칼 (hydroxy radical ; .OH), 싱글렛 옥시젠 (singlet oxygen ; 1O2)• 인체내에서 활성산소가 생기는 경로 산소 (O2) 수퍼옥사이드 과산화 수소 히드록시라디칼과 싱글렛옥시젠• 활성산소는 반응성이 높아 과산화지질을 생성 , 세포와 조직에 손상을 가해 노화를 촉진 활성산소가 반응성이 빠른이유 : 수퍼옥사이드 : 산소에 마이너스 전자를 가지고 있어 자신을 안정화하기 위해 플러스의 전하를 가진 물질과 재빨리 반응하려 함 , 과산화수소 : 물분자 (H2O) 와 같은 안정한 화학구조를 가지기 위하여 여분의 산소원자를 없애기 위해 세포중의 지질성분과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만들려 함 , 히드록시라디칼 : 수소원자를 생체로부터 빼앗아오면 물분자 (H2O) 로 안정화되기 때문에 수소원자를 가진 물질과 빨리 반응하려 함 , 싱글렛옥시젠 : 에너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자신의 에너지를 없애고 안정한 산소 (O2) 분자로 되려 하기 때문 . 활성산소는 자외선 , 스트레스 , 음주 , 흡연 및 각종 공해물질에 의해서 발생이 촉진

항산화제 (antioxidant) : 활성산소를 제거해 주는 물질 비타민 C , E, 비타민 A와 베타 - 카로틴 (beta-carotene) 수퍼옥사이드 제거 효소 :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 SOD)

Page 49: 화장품의 역사

(3) 자외선과 지질 산화 • 금속이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녹이 슬어 못쓰게 되듯이 , 활성산소는 불포화지질을 과산화지질로 바꾸며 세포에 손상을 준다 . • 과산화지질은 불포화지질이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생성 . 피부의 피지막에는 다량의 불포화지질이 함유 , 자외선에 의해 과산화지질이 될 때 피부는 더욱 건조해지며 거칠어져 , 주름 등 피부노화의 원인 피부의 3대 유해 요인 : 자외선 , 건조 및 산화 내부적이 아니라 대부분 외부적인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피부 손질에 의해 예방할 수 있다 .

Page 50: 화장품의 역사
Page 51: 화장품의 역사
Page 52: 화장품의 역사

6) 화장품의 피부 흡수 화장품 성분이 피부에 흡수되는 경로 1) 부속기관 (모낭 , 땀샘 , 피지선 ) 을 지나 모세혈관에 이르는 경로 실험적으로 밝혀진 바에 따르면 대부분의 성분이 피지선과 모낭을 통해 흡수 2) 각질세포와 세포사이에 존재하는 세포간지질에 녹아 흡수 되는 것 가장 중요한 흡수경로 , 피지선이나 모낭을 통한 흡수에 비해 신속한 흡수는 이루어지지 않지만 상대적인 비율이 높음 . 피지선과 모낭을 통한 흡수는 초기단계에서는 크지만 , 시간이 지나면 작아져서 각질세포사이를 통한 흡수가 증대된다 . 기름은 기름과 잘 섞이므로 , 피지에 잘 녹는 지용성 성분이 수용성 성분에 비해 피부 흡수가 잘되고 , 또한 분자량이 높은 것보다 낮은 것이 쉽게 피부에 흡수된다 . 대개 분자량 800 이하의 지용성 성분이 피부에 흡수되고 수용성 고분자의 경우 거의 흡수되지 않는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

Page 53: 화장품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