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와 생명윤리

15
1 줄줄줄줄줄 줄줄줄줄 줄줄줄줄줄 줄줄줄

Upload: jerome-paul

Post on 03-Jan-2016

4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제자들교회 곽수량. 목차. 1. 줄기세포 1) 줄기세포란 ? 2) 줄기세포 연구현황 3)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쟁점 2. 성경적 생명윤리의 기초 3. 줄기세포와 생명윤리에 대한 여러 의견 4. 토론. 눅 1:42 큰 소리로 불러 가로되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도다 네 태중의 아이도 복이 있도다. 1) 줄기세포란 ?. 1. 줄기세포. 간세포 , Stem cell 몸을 구성하는 세포와 조직의 근간이 되는 세포 분화과정이 굳어지지 않은 세포 – 전형능력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1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제자들교회곽수량

Page 2: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2

목차

1. 줄기세포

1) 줄기세포란 ?

2) 줄기세포 연구현황

3)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쟁점

2. 성경적 생명윤리의 기초

3. 줄기세포와 생명윤리에 대한 여러 의견

4. 토론

눅 1:42

큰 소리로 불러 가로되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도다

네 태중의 아이도 복이 있도다

Page 3: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3

1) 줄기세포란 ?

• 간세포 , Stem cell

• 몸을 구성하는 세포와 조직의 근간이 되는 세포

• 분화과정이 굳어지지 않은 세포 – 전형능력– 보통의 세포는 조직 안에서 같은 역할을 하는 동일한 세포로만

분화하지만 줄기세포는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다 .

•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

1. 줄기세포

Page 4: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4

• 배아줄기세포– 배아는 일반적으로 8 주까지의 수정란을 의미한다 . 정자와 난자의

결합 후 8 주가 지나면 각 조직과 기관의 분화가 마무리 된다 .

– 배아줄기세포는 착상 직전의 배반포기배아 , 또는 12 주 이내에서 유산된 태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로 분열은 활발하지만 분화가 덜 된 세포들이다 . 이론적으로는 우리 몸을 이루는 210 여 종의 모든 세포들로 분화할 수 있다 .

–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려면 배아는 일단 파괴되어야 하며 정상적인 발생과정을 거치지 못한다 .

1) 줄기세포란 ?

1. 줄기세포

Page 5: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5

1) 줄기세포란 ?

• 배아줄기세포를 얻는 방법– 유산된 태아

• 비정상적 임신으로 유산하게 된 태아의 원시생식세포를 분리해 특수 조건에서 배양하여 줄기세포 채취

– 냉동배아• 시험관아기 시술에서 발생하는 잉여의 냉동배아를 부모의 동의 하에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줄기세포 채취– 체세포복제배아 ( 인간배아복제 )

• 인간의 체세포의 핵을 추출해 핵을 제거한 ( 인간 or 다른 종의 )난자에 주입하여 복제배아를 만들고 그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채취

• 배아를 파괴하지 않고 자궁에 착상시키면 복제인간이 탄생할 수도 있다 .

1. 줄기세포

Page 6: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6

1) 줄기세포란 ?1. 줄기세포

Page 7: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7

1) 줄기세포란 ?

• 성체줄기세포– 성체에서도 제대혈과 골수세포과 같은 일부

조직에서는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다

–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분화할 수 있는 가지수가 적다

– 채취하고 배양하는 과정이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까다롭다

1. 줄기세포

Page 8: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8

2) 줄기세포 연구 현황

• 2001 년 5 월 18 일 발표된 생명윤리기본법안– 생명윤리자문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체세포 복제 연구 가능– 사실상 복제배아의 사용 금지– 냉동배아와 유산된 태아의 경우만 제한적 허용

• 2005 년 1 월 1 일부터 시행 예정되었던 생명윤리안전법– 난치병 치료 목적의 배아복제 연구를 제한적으로 허용– 법적 허용을 앞두고 황우석 교수팀 연구 재개

• 체세포 복제 유래 인간배아줄기세포 추출 확립– 이론상으로만 가능했던 실험을 성공적으로 반복수행할 수 있도록

했고 , 그 효율을 높였다– 인간배아복제의 세 가지 난관을 뚫었다

• 인간난자에서의 핵치환 , 적절한 자극 , 8 세포기 장벽

1. 줄기세포

Page 9: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9

2) 줄기세포 연구 현황

• 성체줄기세포는 윤리적 문제에서 자유로운 편• 근래에 다능성 성체줄기세포의 발견

– 골수 (HSCs), 뇌 (NSCs), 중간엽 (MSCs), 탯줄혈 (P/CB, 제대혈 )– 주로 혈액 세포 , 근육 세포 , 신경 세포로 분화– 가톨릭 의대 한훈 교수팀

• 성체줄기세포의 수득율을 높임• 제대혈 줄기세포에서 조골모세포 분화 성공

– 유전자 프로그램 분석 , 조작을 통해 원하는 세포치료 시도

1. 줄기세포

Page 10: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10

3)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쟁점• 찬성론

– 질병의 근본적인 치료 가능 난치병 환자들의 희망• 면역거부반응이 없는 장기 이식 가능• 자신의 세포로 세포대체요법 시술 가능• 알츠하이머 , 신경손상 등의 난치병의 거의 유일한 해결책

–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클 것• 유전자 차원에서의 질병의 근본 원인 알아내 해결 • 바이오 기술의 수출• 의약품 , 의료기계 수입의 감소• 신약개발의 경우 약물의 효능과 부작용 검사의 비용과 시간 절약

– 윤리적 ,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기관이 분화되지 않은 배아는 단순한 세포덩어리일 뿐• 민법 , 형법에서는 인격을 가진 생명체를 분만 진통 이후의 태아 또는 출산으로 탄생된 생명체로 규정

1. 줄기세포

Page 11: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11

3)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쟁점

• 반대론– 줄기세포를 얻기 위해 배아를 파괴하는 것은 살인 , 위헌

• 정자와 난자의 결합 순간부터 새로운 인간의 탄생• 배아도 하나의 인격체 우리도 모두 배아였다

– 인간복제의 가능성• 복제배아를 파괴하지 않고 자궁에 착상시키면 복제인간 탄생

– 여성을 생물학적 실험도구로 전락시킬 가능성• 호르몬 처리를 통해 비정상적인 배란을 일으켜야 한다• 제공한 난자는 핵이 제거되야 한다

– 동물의 난자를 이용할 경우 , 이종간 유전자 조작 교잡• 세포 내 소기관의 유전자는 동물의 것• 줄기세포의 유전자가 핵제공자와 100% 일치하지 않음

– 분화과정이 너무 다양한 것이 오히려 치료에 적용하는데 어려움

1. 줄기세포

Page 12: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12

3)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쟁점

•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과 대화 – 인식격차 해소

• 성체줄기세포의 활용– 제대혈 줄기세포를 비롯한 다능성 성체줄기세포 기술 향상

• 추출 , 배양 , 분화 기술의 향상이 이루어져야 함– MAPC(Multipotent Adult Progenitor Cell)

• 배아줄기세포에 버금가는 분화능력 , 면역거부반응 문제 해결– 배아를 파괴할 필요가 없다– 난자가 필요 없다– 인간복제의 가능성이 없다

1. 줄기세포

Page 13: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13

2. 성경적 생명윤리의 기초

• 성경– 창 1:27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눅 1:42큰 소리로 불러 가로되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으며

네 태중의 아이도 복이 있도다

– 출 20:13살인하지 말찌니라

Page 14: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14

3. 줄기세포와 생명윤리에 대한 여러 의견

• 가톨릭“수정된 순간부터 새로운 생명체 , 배아줄기세포연구는 반생명행위”

• 불교계“ 14 일 미만의 수정체는 인간의 가능태이지 생명체라고 보기 어렵다”

• 2005 년 3 월 8 일 유엔 총리 선언문“치료목적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복제를 금지한다 .”

• 생명윤리적 쟁점– 인간복제 악용 우려– 잠재적 생명인 배아의 파괴– 난자 채취의 적법성

Page 15: 줄기세포와 생명윤리

15

• 생육 , 번성 , 충만 Vs 인간 존엄성 , 신의 영역 침범 불가

• 냉동배아의 사용은 과연 윤리적 문제로부터 자유로운가 ?

• 사람과 짐승을 구분하는 기준이 영혼이라면 복제배아에는 영혼이 있는가 ?

4.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