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장

22
6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5 절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201325031 이승희

Upload: seung-hee-lee

Post on 02-Jul-2015

20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TRANSCRI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제5절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201325031 이승희

국가수준 교육과정

: 국가. 지역. 학교.

: 국가의 교육목적, 내용기준 , 학생의 성취기

준, 교육기관 및 교육행정기관의 교육과정

운영기준 등을 포함

: 교육에 대한 국가의 의도를 담는 문서 내용

• 필요성 : - 찬성 - 반대

1.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수준의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학생중심의 교육과정

교육청과 학교, 교원, 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과정

학교 교육체계를 교육과정중심으로 개선하기위한 교육과정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

1)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구체적 특성

우리나라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 초.중등 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고시된 것

: 초.중등학교의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

하기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 초.등 학교에서 편성.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

육과정의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

2)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의 구체적 특성

교육부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역할

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②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의 개발

③ 교과용 도서의 개발, 보급

④ 교육과정 시행대비 교원연수

⑤ 교육과정 해설서 발간 배부

⑥ 교과용 도서 실험.연구학교 운영

⑦ 교육과정 연구학교 운영

지역수준 교육과정

: 교육에 대한 지역의 의도를 담는 문서 내용

: 국가 수준의 기준과 학교의 교육과정을 연결하는 교량역할

: 각 시.도와 지역의 특성, 필요, 요구, 교육기반, 여건 등의 제 요인을 조사.분석하여 전국 공통의 일반적 기준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조정하고 보완 → 학교 교육과정에반영하는 데 목적

2. 지역수준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결정이 분권화로 나아가는 경향

• 다원적이고 개별적인 사회에서 학생들이 변화하는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 평등에 대한 해석이 동일한 교육을 제공해 주는 것에서 학생들의 개인차에 따른 적절한 자원 혹은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변화되었기 때문

• 학교 효율성과 학교 개선에 과한 연구결과에서 지적되었듯이 학교와 교직원에게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권한이 주어질 때 효율성은 가장 커진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학교는 고객에게 학교의 결과에 대해책임을 져야 한다는 사실도 분권화를 촉진

중앙집권 교육과정 개발

: 교육체계의 상급자들이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가르치며,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에 대해 결정하는것

- 장점 -단점

지방분권적인 교육과정 개발

: 중앙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에서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는 위에서 아래로의 방식은 실효를 거두기가 어렵다는 인식

-장점 -단점

지방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 제22조에서 규정

대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위임받은 사항의 수행을 위해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지침을 작성

각 시.군. 구 교육청에서는 장학 자료를 개발하여 학교교육과정을 안내하고 통제

제 5차 교육과정에서 개정의 주요방침

교육과정 지역화를 공식적으로 도입

역할강화: 제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

: 국가, 시.도 및 지역교육청, 학교 등 교육과정주체 간의 역할 분담 보다 명확하게 하고, 지역 단위의교육과정 자율권을 더욱 확대

1)우리나라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실무 위원회 조직

기초 조사. 연구

편성.운영 지침 작성

지침안의 심의.확정

지침의 적용

지침의 평가

교육과정 실천의 효율화를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가 고시한 국가 교육과정 기준과 시.도 교육청이 개발한 교육과정 편성. 운영지침을 기초로 학교 교육과정편성. 운영에 관한 실천 중심의 장학자료를 작성하여 관내 초.중학교에제시

시.도 교육청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개발하고 시.군.구 교육청은 지역 학교에서 필요한 장학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역할

2)지역 교육청의 편성.운영지침 개발

절차

우리나라에서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은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시.도 및 기.군.구 지역교육청의 교육문제해결 능력을 신장하고 교육관련전문성을 신장시킬 수있다는 공통적인 장점

시간, 인력, 비용 등의 부족으로 교육과정 자체의 질적 수준이 낮아지고, 지역 간의 교육 격차가 심화 될수 있다는 위험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의 개발과 보급은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자치 의 실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

3)우리나라 지역수준 교육과정의 장.단 점

학교의 실태를 반영

학부모와 학생들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

교육에 대한 학교의 의도를 담은 문서 내용

교육과정

↓ ↓ ↓

1.공약된 목표 2.수업 속에 반영 3.학습 성

3.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교육의 효율성제고

교육의 적합성제고

교원의 자율성과 전문성의 신장

교육의 다양성추구

학습자 중심 교육구현

1)학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연구.개발.보급접근에 의한 것

R.D&D모형(연구.개발모형)은 연구를 통

해서 입증된 이론을 실제와 연결시켜 적용

하고 보급하는 방식으로 가장 합리적인 모

2)우리나라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R.D&D모형의 단계

①연구 단계

기초적 과학적 탐구, 문제조사, 자료 수집

②개발 단계

발명과 고안, 제작과 생산, 실험과 평가

③보급단계(확산.채택단계)

• 확산-촉진, 정보를 알려줌, 전지, 훈련을 도와줌, 서비스 교육

• 채택 – 인식, 관심, 평가.시도,장치,채택,제도화

단위학교는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지는 최종적인 단계

단위학교에서의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과 관련된 조치는 국가 교육과정과 시.도 닟 지역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기반으로이루어지게 된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보면 각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계획을 수립하여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을 위한 계획을 세운다.

4)학교의 편성 역할

①편제와 시간 배당,수업일수,수업시수 결정

②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의 연간 운영계획

③특별 활동의 학교별 확보시간 결정

④목표, 내용,수준,지도 순서,시간,,방법의 조정

⑤교육평가 계획 수립

⑥생활지도, 특수아 지도 및 교육자료 활용 계획의 수립

⑦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특별 보충과정 운영계획

⑧기타 학교 운영 전반에 필요한 계획 수립 등을 마련

⑴학교 교육과정위원회 조직과 편성 계획 수

⑵교육과정 개발의 성격

⑶학교 교육과정 편성 요령

⑷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이점

⑸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기준(Ⅰ)을 가장 상위 수준

국가수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의 공통적, 일반적

시침(Ⅱ)을 중간수준

국가기준에 의거하여 각 지역별로 그 지역의 특성,역사,정통,자연,산업,사회,문화 등과 주민,학부모의요구,의견 등을 충분히 고려한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학교 교육과정(Ⅲ)국가기준(Ⅰ)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Ⅱ)에 근거

를 두고 각 학교의 실정,학생의 실태,학교 환경,교원의 실태등을 감안하여 작성

4.국가,지역,학교수준의 교육과정

:학교 교육과정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혹은 평가의 의미에 대한 해석과 평가의 목적

에 따라 그 개념적 정의와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5.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편성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은 각과의 교과 교육과정

:교과, 재량활동, 특별 활동 3대 영역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교과

운영의 실제

:실제로 교사들의 주요 역할이 교실에서 각 교과를 가르치는 것

:각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편성 및 운영의 실천이 제대로 이루어지느냐의 여부에 따라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육의 성패가 좌우된다.

6. 교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