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dgi.re.kr · 그 시점에서 바로 보존...

14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Vol. 12. No.1 2013. 4. pp 99~112 9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 오 동 욱 * 1) A Study on Archiving of Cultural Arts in a Region : Focusing on Performing Arts Oh, Dong-Wook 국문 요약 문화예술 창작 산출물을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하면서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예술 창작의 영감이 됨과 동시에 지역 경쟁력의 원천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함께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대한 필 요성이 커지고 있다. 음악연극무용미술 등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해당 지역 문화예술의 과거와 현재를 뒤돌아보고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가 지속적으로 예술 창작물을 축적하고 그 성과를 다시 문화예술계에 제공함으로써 문화예술 창작과 진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 문화예술자원 등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면서 문화예술 아카이브와 관련한 정책적 방향을 제안하 고자 한다. 아울러 국내외 문화예술 유관기관의 아카이브 운영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아카 이브 구축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주제어:문화예술, 아카이브, 지역 경쟁력 Abstract It plays as a new regional potentials as well as creative intuitions to collect, manage and use cultural arts. This calls for the needs to build an archive of cultural and arts at the regional level. This is because using the archives of music, play, dance and arts we can both remind and imagine those of the past and future in a specific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desirable directions aiming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creation and promotion * 대구경북연구원 사회문화팀 부연구위원(Associate Research Fellow, The Team for Society & Culture, Daegu-Gyeonbuk Development Institute),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53-770-5078

Upload: others

Post on 02-Oct-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Vol. 12. No.1 2013. 4. pp 99~112

    9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

    오 동 욱*1)

    A Study on Archiving of Cultural Arts in a Region :

    Focusing on Performing Arts

    Oh, Dong-Wook

    국문 요약

    문화예술 창작 산출물을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하면서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예술 창작의 영감이 됨과

    동시에 지역 경쟁력의 원천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함께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대한 필

    요성이 커지고 있다. 음악・연극・무용・미술 등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해당 지역 문화예술의 과거와

    현재를 뒤돌아보고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가 지속적으로 예술 창작물을 축적하고 그 성과를 다시 문화예술계에 제공함으로써 문화예술

    창작과 진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 문화예술자원

    등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면서 문화예술 아카이브와 관련한 정책적 방향을 제안하

    고자 한다. 아울러 국내외 문화예술 유관기관의 아카이브 운영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아카

    이브 구축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주제어:문화예술, 아카이브, 지역 경쟁력

    Abstract

    It plays as a new regional potentials as well as creative intuitions to collect, manage and

    use cultural arts. This calls for the needs to build an archive of cultural and arts at the regional

    level. This is because using the archives of music, play, dance and arts we can both remind

    and imagine those of the past and future in a specific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desirable directions aiming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creation and promotion

    * 대구경북연구원 사회문화팀 부연구위원(Associate Research Fellow, The Team for Society & Culture, Daegu-Gyeonbuk

    Development Institute),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53-770-5078

  • 100 오 동 욱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regarding cultural arts by accumulating arts creative work and providing its outco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s the policy directions in relation to the archives of cultural arts

    while establishing the concepts and necessity of the archives and cultural art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suitable way to establish the archive of Korea while exploring the examples

    of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s for Korea and a number of the other countries.

    Keywords : Cultural Arts, Archives, Regional Potentials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지식과 정보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근원으

    로서 지역 경쟁력의 중요한 원천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식정보사회의 대표적 분야로

    서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증대되면서 문화예

    술자원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문화예술자원은 그 자체로 미래 예술창작을 위

    한 자원인 동시에 문화정책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기초정보로서 활용된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개별 자원의 온전한 재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새

    로운 창작소재 발굴의 원천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예술자원의 잠재적 가치와 활

    용에 대한 인식과는 달리 실제 자원의 수집·보존

    과 활용을 위한 시스템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주요한 문화예술자원들이 지속적으로 사리

    질 위기에 놓여 있다. 이러한 자료는 지역의 문화

    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시킬 수 있는 원동력으

    로서의 존재가치가 있으므로 반드시 자료의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자원을 수집·보존하고, 관리

    하는 일은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예술적, 산업

    적 상상력과 창조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가장 기초

    적인 작업이면서 지속적인 문화자산을 만들어내

    는 기반 역할을 한다는 인식에 배경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아카이브 구축으로 지

    역 문화예술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

    리·보존함으로써 지역민을 비롯하여 예술단체, 예

    술계 현장, 행정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하여 그

    성과를 다시 문화예술계에 제공함으로써 문화예

    술 창작과 진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아카이브, 문화예술자원 등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

    을 설정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문화예술 아카

    이브와 관련한 정책적 방향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향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단계별 구축 프로세스

    와 운영방식, 활용방안 등을 제시하여 정책 추진

    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아카이브는 자원의 문제와 함께 그 자원을 활용

    하는 기관의 문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례분석

    에서는 문화예술자원을 활용하는 국내외 기관들

    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아카이브 구축 후

    운영방향에의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문화예술 아

    카이브의 실제 업무과정에서 발생하게 될 프로세

    스별 고려사항을 수집단계에서부터 정리, 보존,

    활용까지의 단계별로 제시한다. 이것은 문화예술

  •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 101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아카이브가 현재는 구축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향

    후 구축 이후를 가정하여 각 단계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실무자들의 업무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

    도록 한다. 문화예술 아카이브 활용방안은 아카이

    브 구축의 필요성과 실효성에 대한 것이다. 아카

    이브의 목표 및 방향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

    다. 아카이빙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

    해서 국내외 아카이브 기관 사례를 참고로 제시함

    으로서 아카이브 관련 정책수립 단계에서 활용방

    안까지를 고려하여 아카이브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문화예

    술자원과 아카이브에 대한 문헌조사를 하였다. 문

    헌조사는 관련 서적과 관련 유관기관의 발표자료,

    학위논문과 신문, 정기간행물 등을 참고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Ⅱ. 본 론

    1. 문화예술자원 개념 및 보존

    1) 문화예술자원의 개념

    문화예술은 문화와 예술을 융합한 복합어로서,

    문화라고만 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넓고, 예술이라

    고 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좁기 때문에 문화와 예

    술을 융합하여 ‘예술활동이 있는 문화’를 나타낸

    다. 문화예술진흥법에서 문화예술 장르는 문학,

    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

    축, 어문 및 출판 등을 말한다1). 문화예술자원은

    문화예술 활동의 바탕이 되는 재료로서 예술활동

    이 있는 문화의 생산과 유통의 과정에서 필요한

    것들이 기록된 유형의 것을 의미한다. 문화예술자

    원은 악보, 포스터 등의 유형 자료와 예술인정보

    등의 무형 자료가 모두 포함된다. 문화예술 활동

    의 내용 자체를 수록하고 있는 자료, 문화예술 활

    동의 소개 및 정보제공을 위한 자료, 문화예술현

    장에서 직접 활용되는 자료 등이 그것이다.

    2) 문화예술자원 보존현황 및 문제점

    지역에는 문화예술자원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주체로서 문화예술회관, 문화원, 미술관 등 다양

    한 형태의 문화기반시설이 있다. 지역의 문화기반

    시설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들 기관이 생

    산하는 자료 또한 늘어날 것이다. 이들 문화기반

    시설들은 문화예술진흥기금지원사업2)을 비롯하

    여 각종 공연·전시 등 문화 행사, 교육 프로그램,

    공간 운영 등 여러 가지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문

    화기반시설에서 나오는 모든 자료는 해당기관 활

    동 관련 기록일 뿐만 아니라, 기본 자산이 된다.

    그러나 생산 또는 수집되는 자료의 상당 부분은

    올바로 관리·보존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으며,

    자료가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고, 특별한 관리 방

    법이 없이 자료를 모아놓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관리 또한 행정문서와 자체발간물 위주로 이루어

    지는 경향이 강하며, 기록되고 보존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에 근거하여 단순 저장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 기록 내용들을 임의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중요한 문화예술 기록들이 멸실될 우려도 존재

    한다.

    또한 문화예술자원의 수집과 관리 교육이 체계

    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이용

    1)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2) 문화예술단체 및 예술가의 각종 문화예술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예술 역량을 제고하고 주민의 문화향유 기회

    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

  • 102 오 동 욱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과 접근이 수월하지 않다. 문화예술자원에 대한

    이용은 허용되나, 목록 검색이 어려우므로 원활한

    이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특히 각 기관의

    자료가 외부에서 검색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화 되

    지 않아서, 지역의 문화예술 지형을 한 눈에 알아

    보기 어렵고, 지역 문화예술사 연구의 기초 자료

    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다. 요약하자면

    자료수집, 관리·보존방법, 시민이용방법 등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

    이다.

    2. 문화예술자원 보존·관리의 필요성

    사라져가는 문화예술자원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기록을 잘 보존·관리해 두어야 한다. 문

    화예술작품은 작가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동시대 사람들의 정서와 감수성을 드러내

    는 대표적 표현수단으로 역사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록과 정보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가치가 줄어들거나 소멸되는 것이 보통이나,

    문화예술작품과 이에 대한 기록과 정보는 시간이

    지나도 그 가치는 반감되지 않는다. 오히려 시간

    이 경과함에 따라 특정 시대의 사회적·문화적 경

    향을 나타내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아진다.

    또 한 가지는 문화예술자원은 한번 멸실되면 이

    를 그대로 복원하기 매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체계적 보관을 위한 노력이 절실

    하다.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지역단위에서 수행해

    야 보존율 제고가 가능하다. 현재 (재)국립예술자

    료원을 중심으로 국가 차원의 문화예술 아카이브

    구축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국가 차원의 아카이

    브는 지역의 아카이브를 통합하는 차원에서 이루

    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문화예술자원은 생산되는

    그 시점에서 바로 보존 작업에 들어가는 것이 문

    화예술자원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면서 보존율을

    가장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가 차원과

    병행하여 지역 차원에서 아카이브 사업을 수행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문화예술자원은 단순

    히 문화콘텐츠라고 표현하기에는 매우 중요한 역

    사적 기록이므로, 체계적 보관·관리가 필수적이

    다. 체계적으로 관리된 기록을 기반으로 문화예술

    사 편찬, 전시, 홍보 등의 업무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3.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개념 및 필요성

    1)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개념

    아카이브(Archives)는 사전적 의미로 기록보관

    소 혹은 기록보관소에 파일 등을 보관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아카이브에서는 문화적, 역사적, 입증

    가능한 가치를 지닌 분야에서 영구적이거나 장기

    간 보존된 기록물 등을 포함한다. 김주관(2006)은

    아카이브를 특정분야에 대해서 도서뿐만이 아닌

    사진, 의상, 소품, 동영상과 개인의 구술채록까지

    담아 모든 부분을 정리하여 모아 영구히 보존하는

    곳이라고 하였다. Elizabeth Yakel(2003)은 보존

    자료의 선별과 평가 그리고 보존하는 것을 책임지

    고, 보존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행위

    나 작업의 일정을 의미하기도 하며, 기록보존을

    책임지는 기관이나 부서가 아카이브라고 하였다.

    Schellenberg, eodore R(2002)은 아카이브를 참고

    와 연구목적으로 영구보존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

    되고, 기록보존기관에 의해 위탁되거나 위탁을 위

    해 선별된 모든 공적이거나 사적인 기관의 기록들

    로 정의하고 있다. 종합해 볼 때 아카이브는 기록

    물을 모아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자 보존 행위나

    관련 기관을 의미하기도 하고, 기록물 자체를 뜻

    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의미가 복합적으로 사용되

    고 있다.

  •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 103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데이터베이스(DB)가 중성적이며 객관적인 자료

    를 수집·관리하는 작업이라고 한다면 아카이브는

    DB와 같은 자료들 속에서 가치평가의 문제를 포

    함해 자료 선택 후 영구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것

    이다. 데이터베이스도 아카이브처럼 가치평가를

    통해 선택적으로 선정하지만 영구보존으로 전환

    하는 가치적, 역사적, 기술적, 경제적인 목적 하에

    서 진행된다는 점에서 아카이브는 차별화가 가능

    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개념을 상

    기의 다양한 개념들로부터 범위를 좁혀 ‘지역의

    문화예술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보존·활용하기 위

    해 가치를 갖는 문화예술 기록물의 총체적 집합체

    또는 그것들이 보전된 장소’로 규정하고자 한다.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단순히 문화예술작품을 수

    집하는 것이 아니라 각 대상의 역사를 엮어 나갈

    정보와 증빙가치를 갖는 원본기록물을 보존하는

    기관으로서 작품이 가지는 배경 정보를 습득할 수

    있기도 하고, 미학적으로 아름다운 자료 이면에

    쉽게 접할 수 없는 작가들의 세계를 볼 수도 있는

    종합적 성격을 갖는다.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지역의 문화예술 수준을

    알리는 중요한 바탕이 되고, 후세에 대구의 문화

    예술 활동현황을 보여주는 역사적인 보고(寶庫)

    가 될 것이다.

    2)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필요성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필요성은 첫째 자료 수집·

    보존·활용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우선 산재된 문화예술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할

    필요성이 크다는 것이다. 역사적이나 정보적으로

    충분한 가치를 가진 문화예술자원을 수집하는 것

    이 아카이브의 주요한 역할이며 핵심이다. 정연주

    (2006)는 공적 차원의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통해

    개인의 사적 자료들이 스스로 소멸되는 것을 예방

    하고, 이러한 자료들이 공적인 차원에서 관리됨으

    로써 보다 많은 이용자의 효율적 이용과 가치 확

    산을 유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자료 보존 및

    관리 측면에서 볼 때 문화예술자원의 훼손, 부식

    으로부터의 보호할 필요가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훼손되기 쉬운 자료들을 수집·보존·가공함으

    로서 문화예술사적 자료를 보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전문화된 시설과 인력,

    관련 기술, 재정 등을 동원하여 역사적으로 중요

    한 자료를 원자료 그대로의 모습으로 보존하거나

    디지털화하여 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리와 체계화 작업은 단순한 개인적

    기록에 불과한 자료를 활용도 높은 공적인 정보로

    한 단계 상승시키는 것과 같다. 아울러 자료 활용

    측면에서 볼 때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지역 문화예

    술의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역할

    을 수행하며 지역사회의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는

    거점의 역할을 수행한다. 문화예술관련 기록물들

    이 유용하게 활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단순한 자

    료가 아닌 하나의 문화적 산물로 인식되어 새로운

    문화예술을 선도하는 콘텐츠 기능을 한다. 단순히

    기록물을 모아서 보관하는 소극적 방법을 넘어 수

    집된 자료를 적극적으로 연구, 교육, 전시, 출판,

    문화산업 등으로 연계하여 아카이브 기능의 효율

    성을 극대화 한다.

    둘째,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행정적 측

    면, 역사적 측면, 현실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

    시할 수 있다. 우선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전문 기

    능에 의해 업무 수행의 내용을 정보화하여 업무

    지식을 전수·공유하기 위해 행정적으로 필요하다

    는 것이다. 사실이 담긴 기록을 전문적으로 보존

    관리하며 구성원 및 사회적 이용 요구를 충족시키

    는 등 보다 객관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행정의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유관기관에서도 정보를

  • 104 오 동 욱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참고,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등 기록물의 활용 범위

    를 확대할 수 있다. 임의적 폐기나 유출, 손상 등

    자원 기록의 신뢰성과 진본성 등에 손상이 발생하

    지 않도록 전문적인 조치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한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것은 지역의 문

    화예술유산을 지키는 일이다. 지역뿐만 아니라 대

    외적으로도 지역민 및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용하

    면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록

    자료 및 문화유산으로 인식된 지역의 문화예술유

    산의 수준을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후

    세에 대구의 문화예술자원 현황을 보여주는 역사

    자료로서의 보고가 될 것이다. 아울러 분실·소멸

    되는 기록을 보존하기 위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

    규모가 작은 자원들의 치폐가 빈발하는 현실 속에

    서 그 기록들을 수집 보존하는 것은 시급성을 요

    하는 문제이다. 아카이브 구축이 늦어질수록 자료

    의 손실이 매우 클 것이다. 이러한 기록의 수집과

    관리가 늦어질수록 자료의 분실을 복원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문화예술자원에 대한 자료와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관련 활동 및 활용사업에 대한 평가

    를 내릴 수 있으며, 미래의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문화산업의 원천 콘텐

    츠 저장고로 활용된다. 문화예술과 관련된 자료들

    은 타 분야에 비해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문화예술 활동과 관련된 일

    련의 과정과 배경에 대한 자료는 그 자체로 스토

    리텔링자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고, 다양한 문

    화적 소재들은 이차적으로 가공하여 현대 정보통

    신기술과 결합한 다양한 문화상품으로 재생산될

    여지가 많다.

    4. 문화예술 관련 아카이브 사례분석

    1) 사례분석 대상 선정

    국내 문화예술 유관기관의 자료 생산 및 수집·

    관리 현황과 해외 유관기관의 문화예술자원 관리

    와 활용 등 선진사례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자원

    관리의 모범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분

    석 대상은 문화예술 및 전시, 공연 프로세스의 과

    정별 기록물을 직접적으로 생산하는 문화기반시

    설 중 대표적인 곳을 선정하였다. 국내의 경우 국

    립예술자료원과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을, 해

    외의 경우 뉴욕의 공연예술도서관과 일본 시키극

    단의 연극자료센터를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설

    립 배경과 역할, 업무기능 및 조직운영에 대한 정

    보 등이다.

    2) 국내 사례

    (1) 국립예술자료원(Korea National Archives

    of the Arts)

    국립예술자료원은 국내 문화예술자원을 체계적

    으로 수집·보존하여 예술창작과 연구, 교육에 활

    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국내 최초

    의 예술기록보존 전문기관이다. 과거 한국 근대예

    술의 체계적인 수집과 보존의 부재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출발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1979년 5월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자료관으로 개관하여 2010년

    3월 (재)국립예술자료원으로 독립 설립되어 예술

    자료 정보서비스의 국가적 기반 확보를 위한 네트

    워크 구축, 저작권 관리 및 대응, 전문인력 양성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국립예술자료

    원의 전신인 아르코예술정보관 시기에 수집 활성

    화 및 소장 자료 개발을 위한 ‘아르코예술정보관

    소장자료 개발정책’에 따라 문학·미술·음악·연극·

    무용·전통연회로 구분하여 문화예술자원을 수집

    하고 있다. 매체별, 지역적·언어별, 시기별로 자료

    수집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다.

    2013년 1월 현재 289,382건의 자료를 소장하고

  •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 105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있으며 이 중 도서자료 85,927건, 비도서자료

    203,455건(연극자료 42,084건, 무용자료 43,318건,

    음악 67,954건, 미술자료 32,352건, 기타 17,747건

    등)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수집한 자료들은 온

    라인을 통해서 전자책 도서관, 공연대본, 공연예

    술 VOD, 문예연감, 구술로 만나는 한국예술사, 미

    술작가 500인 등 다양한 주제별, 유형별로 예술정

    보를 제공하고 있다. 아카이브를 통한 서비스 프

    로그램으로는 열람 및 감상 서비스, 감상실 대관

    서비스, 멀티미디어 자료 감상 서비스 , 감상회 제

    공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 외 대출 및 복

    사 서비스, 교육 서비스와 함께 예술과 기록 시리

    즈를 통해 예술자료를 활용한 전시 서비스 등을

    시행하고 있다.

    (2)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Performing Arts

    Museum)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은 공연예술의 역사를

    기록하고 공연 유물을 보존, 전시하기 위하여

    2009년 12월 개관되었다. 공연예술박물관의 설립

    으로 일회성이라는 속성 때문에 보존하지 않으면

    사라지기 쉬운 공연예술자료들을 보존·계승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국립극장은 전통예술을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고, 수준 높은 공연작품

    과 혁신적인 교육·전시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이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향유, 나아가 세계의 모

    든 인류를 위한 예술교류의 장을 만드는 데 주안

    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한국의 공연예술과 새로

    운 공연문화 선도를 지향하고 있다. 공연예술 아

    카이브는 1950년부터 현재까지 국립극장에서 이

    루어졌던 공연 및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해외초

    청공연자료 등의 영상과 음향 자료를 디지털로 구

    축하였다. 또한 영상 음향자료와 무대디자인, 사

    진자료, 공연포스터 등 흥미로운 공연예술자료들

    을 제공하고 있다.

    공연예술박물관은 2013년 1월 현재 207,095건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 중 도서자료 14,401건,

    공연예술자료 192,694건(연극자료 30,126건, 무용

    자료 30,397건, 음악 5,161건, 오페라 27,895건 등)

    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자료관리 규정은 국립

    극장 ‘국립중앙극장 자료실 운영 규정’ 제6조(자료

    수집 우선순위)와 제7조(자료의 납본) 규정에 따

    라 공연자료 수집범위를 명시하고 있다. ‘국립중

    앙극장 자료실 운영 규정’ 제7조(자료의 납본) 규

    정에 따라 극장 내 생산된 자료의 경우 소장자료

    중 공연자료가 90% 이상이다. 무대디자인, 녹음,

    녹화 등 공연실연과 관련된 자료가 함께 수집·정

    리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시청각자료는 공연예술박물관 아카이브실에서,

    공연 프로그램 및 도서 등 유형자료는 자료실에서

    열람이 가능하다. 디지털자료관에서는 공연자료

    실의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동영상, 사운드, 악보,

    사진, 프로그램, 무대디자인, 연보, 공연용품의 카

    테고리를 제공하여 디지털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

    록 하고 있다. 공연예술박물관은 기존 국립국악고

    등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해 별오름극장을 안에 두

    고 1차적으로 2009년 12월, 상설전시실과 아카이

    브실을 완비하여 개관하였다. 연면적 2,851㎡(지

    하 1층, 지상 2층)의 기획전시실, 공연아카이브실,

    상설전시실(공연예술사전시실, 공연주제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카이브실은 공연감상

    용 PC, 다인감상실(프로젝터, A/V 시스템), 노트

    북 및 열람석 등이 있다.

    3) 해외 사례

    (1) 뉴욕 공연예술도서관(New York Public

    Library for the Performing Arts)

    뉴욕 공연예술도서관은 1965년 설립되었으며

  • 106 오 동 욱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뉴욕공공도서관의 4개 전문도서관 중 공연예술

    분야에 특화된 방대하고 폭넓은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이다. 공연예술의 풍부한 역사를 보존

    및 홍보하기 위해 중요 예술가와 기관 문화유산

    원천소스들을 지속적으로 수집·기록·보존하고 있

    다. 희귀 자원들에 대한 무료 접근 및 오픈 액세스

    (Open Access) 허용으로 창조노력에 기여하고 있

    다. 공연예술도서관의 범위는 고전적인 의미의 연

    극, 무용, 음악과 같은 순수예술뿐 아니라 거리공

    연, 대중음악, 뮤지컬, 서커스, 피겨스케이트에 이

    르는 다양한 대중문화까지를 포괄한다. 일반자료

    실 외 연구자료실은 공연예술에 관련된 9백만 점

    이상의 실물자료를 수집하여 보존, 소장하고 있다.

    그 중 70%가 비도서자료로 사진, 실황영상, 악보

    원본, 프로그램, 포스터, 육필원고, 스크립트, 의상

    디자인, 조명디자인, 큐시트, 세트모델, 서신, 공연

    행정서류, 신문스크랩 등 희귀하고 다양한 원천자

    료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배우, 극작가, 음악가,

    안무가, 디자이너 등 공연예술계 주요인물들의 작

    업흔적이 담겨있는 컬렉션들은 단지 완성된 결과

    물을 넘어, 창작을 위한 수많은 발상과 시행착오,

    사고의 과정들을 되짚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

    로 평가된다.

    세계 최고의 공연문화예술 자원관으로 평가되

    는 뉴욕 공연예술도서관은 구입, 제작, 기증 등 모

    든 수집채널들을 적극 활용하며 전문적이면서도

    망라적인 수집을 진행하고 있다. 기증 및 구입 등

    에 만족하지 않고 무대예술의 영상과 테이프 기록

    보존소(TOFT3))를 설립, 자체제작을 적극 수행하

    고 있다. 공연예술을 축으로 광범위한 수집대상을

    지향하나 이용자 그룹별로 연구컬렉션과 대출컬

    렉션을 분리하여 효율성 및 전문성을 추구함으로

    써 포괄적이지만 전문적인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

    다. 고급에서 대중문화까지 폭넓은 자료를 수집하

    며 35만여 점의 대출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고, 학

    자 및 연구자를 위한 무용, 음악, 연극, 녹음 사운

    드 관련 9백만 점의 연구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다.

    황동열(2007)은 뉴욕의 공연예술도서관이 종이책

    이 없는 도서관으로 유명하다고 하였다. 인쇄물

    소장 자료의 비율이 30%에 지나지 않으며, 나머

    지 70%는 다양한 비인쇄자료이다. 공연 외 영화,

    방송 프로그램, 서커스, 마술, 코미디, 만담, 인형

    극, 축제, 미인대회 등이 구성되어 있다.

    공연예술도서관에서는 정적인 도서관 아카이브

    환경에 머무르지 않고, 풍부한 전시 및 관객 프로

    그램의 개발을 통해 다양한 연령대와 관심분야를

    가진 이용자들이 공연예술의 창조적 작업들을 보

    다 적극적으로 흥미롭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

    다. 상설전시 등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으로 이용

    자와 예술가 모두를 고무시키며 전시 연계 상영회

    나 강연, 실연 등도 진행하는데 소장품은 외부로

    도 대여하고 있다. 도서관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

    고, 자료조사에 익숙하지 않은 예술가를 위해 목

    록 사용법부터 인터넷과 데이터베이스 사용법 등

    정보 활용 강좌도 진행하고 있다. 연구자 및 창작

    자에게 오리지널 초고 및 녹음자료 열람을 허락하

    여 창작을 돕는 시스템과 배우, 작곡가, 댄서, 가

    수, 의상디자이너, 무대미술가, 안무가 등이 일상

    적인 작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일본, 극단 시키(四季) 연극자료관 [Shiki

    Theatre Resource Center]

    1995년 나가노현 오마치에 극단 시키(四季) 창

    립 40주년을 기념하여 설립되었다. 공연예술분야

    전문 생산기관이자 수집기관 역할을 동시 수행하

    는 아카이브로서 아시아 지역의 선진적 모델을 대

    3) TOFT : Theatre on Film and Tape, 1970년부터의 연극・뮤지컬・전위적인 공연・각종 수상식의 수상소감・세미나・대담 등

    의 영상・음향 등을 테이프로 기록, 자체 제작해 보관하는 것

  •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 107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표하고 있다. 일본 최대의 극단인 시키의 유서 깊

    은 자료들을 보존하며 극단 시키의 역사를 대중들

    에게 소개하고 있다. 시키 연극자료관은 총무부서

    가 전체적으로 관리하며 운영은 (사)무대예술센

    터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시키 극단

    이 걸어온 길을 다양한 무대모형, 사진, 대본, 대도

    구, 소도구, 의상, 광고영상 등의 관련 자료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무대장치 별도 보관소인 무대미

    술보관고를 운영하면서 조명, 음향기자재, 대도구,

    소도구, 의상 등 자료정보를 온라인으로 연결해

    관리하고 생산(복제 포함), 구매, 기증의 방법 등

    으로 수집하고 있다.

    시키 연극자료관은 단지 내부자료를 보관한다

    는 의미에서 벗어나 박물관적 성격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획코너, 근대연극사, 특별전시코너, 뮤지

    컬, 드라마, 해외교류, 영상시청 메뉴, 추억의 인물

    들, 시키의 조직, 전국 공연 네트워크 등 다양한

    테마로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매년 테마

    를 정해 연극자료관을 새롭게 기획하고 있다.

    4) 사례분석에 따른 시사점

    국내외 문화예술 유관기관의 아카이브 사례분

    석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기관 정체성을 반영한 일관된 자료수집 지침 및

    효율적 수집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적 차원에

    서 문화자원 수집·보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

    고, 문화자원에 대한 아카이브 정책 및 제도적으

    로 조기에 대응하고, 궁극적으로 디지털 아카이브

    를 위한 기반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각 기관마

    다 특성화된 기록관리 방법론과 프로세스를 구축

    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의 문화사 및 문화 수호자

    로서의 충실한 역할 수행을 위해 자료를 수집, 조

    직, 보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

    수집채널의 다각화를 위해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립예술자료원의

    경우, 수집채널의 다각화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유관기관(단체)과의 MOU4) 체결을 통해 유기적

    인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상호간의 원만한 협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소장자료 활용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자료의 수집에서부터 관리·보

    존·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프로세스별 인적·물리적

    지원체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양한 이해당

    사자들을 연계하고, 적극적으로 아카이브 관련 도

    구와 지식, 그리고 경험들을 공유하면서 기관 및

    연구자들 간 네트워킹이 중요하다. 셋째, 문화예

    술자원의 수집과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적인

    자료 저장소의 성격을 갖는 동시에, 기록으로서만

    정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소장자료가 또 다른 예

    술창작을 위한 정보와 영감을 제공하며, 문화예술

    연구의 원천이자 일반 대중의 감상을 위한 자료로

    까지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생명력을 가지려고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아날로그 자료의 수집

    에서 디지털 자료로의 전환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 지속적인 자료의 증가로

    인하여 수장 공간이 부족하게 되면서 물리적 공간

    에 대한 추가 확정에 대한 수요로 별도의 저장 공

    간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수요가 많은 자

    료에 대해서는 디지털로의 변환작업이 이루어지

    고 있고, 최근의 작업이 컴퓨터, 디지털카메라 등

    디지털도구가 많은 부분 활용되므로 이러한 자료

    에 대한 수집방식과 가치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

    로 이루어지고 있다.

    5.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구축·운영 방안

    1) 기본방향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문화예술자원의 집

    4) Memorandum of Understanding, 양해각서(諒解覺書)

  • 108 오 동 욱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대성과 활용을 위한 허브센터를 지향해야 한다.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근·현대사를 거치면서 소실

    되거나 유폐되었던 문화예술의 복원 및 발굴을 통

    해 지역 문화예술사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 또한 기록, 보존된 문화

    예술자원을 보다 높은 수준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이용 환경을 첨단화해야 할 것이다.

    문화예술 창작과 연구를 위한 원천자료 제공의 외

    연을 넓혀 국내의 예술기록 보존기관과의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

    2) 아카이브 구축 프로세스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초기에는 본격적인

    아카이브 구축사업에 필요한 기초연구를 수행하

    는 것이 요구된다. 문화예술자원 수집과 보존체계

    를 전문화하고, 서비스 체계의 안정적 확보를 위

    한 기반기술을 확충하여 수준 높은 정보를 제공하

    기 위해 기초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기초연구를

    실시한 이후 지역의 문화예술자원을 수집과 업로

    드, 시스템 개선을 통해 아카이브를 확충하는 방

    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3단계의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1단계는 문화예술 아카이브를 위한 초기 기반구

    축단계로서 필요한 기초연구와 함께 지역 문화예

    술자원들을 분류하는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그리

    고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가 원만하게 구축될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를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대

    내외적으로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비전 공유를 통

    해 그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아카이브 설립에 필

    요한 콘텐츠 구축과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재원을

    계획·편성한다. 문화예술자원 수집·정리 작업은

    기초조사→평가위원회 심의→수집결정→1차 자

    료 목록화 작업→등록번호 부여→메타데이터5) 입

    력 등의 순으로 진행한다.

    2단계는 기반 전문화단계로서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위상과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실현

    화 단계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세부적인 발전전

    략을 모색하는 단계이다. 이전 준비 단계에서 구

    축된 인프라가 보강 및 확충되어 본격적으로 가동

    되는 시기로 디지털 콘텐츠 파일럿 제작 및 서비

    스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안정화된 시스템과 체제

    하에서 문화예술 원천 자원은 계속 수집하고 보존

    하여 자료 업데이트율을 높이고 동시에 유관 기관

    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및 홍보에 주력하여 아카이

    브 자료를 활용하는 데 초점을 두기 시작하는 단

    계이다.

    3단계는 서비스 활성화단계로서 모든 인프라와

    시스템이 정착되고, 수집된 문화예술 자원이 모두

    디지털 아카이브를 거쳐 관리되어 안정적인 운영

    이 가능해지는 시기로 2차적 활용도에 초점을 두

    어야 한다. 아울러 예술자료에 대한 지속적 수집

    과 더불어 평가체제를 정착시키고 인프라 정비를

    완료해야 한다.

    3) 운영방식 및 조직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운영주체는 전문적

    인 수집·보존·관리·활용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체를 지향해야 한다. 아카이브 운영을 위한

    성격, 운영방향 등의 조건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운영체계가 필요하다. 운영방식 유형은 지자

    체 직접 운영에서부터 전문기관에게 위탁경영을

    맡기는 경우까지 주체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존

    재한다.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지역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한 기초적 구심점으로 문화예술 분야 전반에 대

    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역 문화예술의 과거와 현

    5)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

  •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 10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재 및 비전에 맞도록 콘텐츠 수집 및 가공 등 문화

    예술 전반의 기본 인프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야 한다. 그러므로 아카이브의 바람직한 운영 방

    식은 운영 효율성을 달성함과 동시에 더 많은 공

    공의 문화적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가

    장 이상적이다. 지역 전체의 문화예술자원의 수집

    과 보존을 체계화하는 일은 방대한 작업이기 때문

    에 세부적인 기능을 전담할 단위기관들의 연계와

    협력을 이끌어내고 각 부문별로 협조를 이끌어내

    는 작업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문화예술 아카이

    브 조직은 문화예술 원천 자원을 수집·관리·활용

    하는 콘텐츠 기획·수집팀, 시스템 운영·관리팀 등

    2개 기능의 팀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는 최소 조

    직으로서 각 기능은 전문성이 보장되고 기능 간의

    유대가 긴밀해야 한다. 각각의 팀은 특화된 업무

    를 분담하며 유사 시 협업 할 수 있는 루트와 외부

    조직과의 아웃소싱 가능성을 열어둔 열린 운영을

    지향해야 한다.

    문화예술자원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평가와 검

    증 등 수집업무의 안정적 수행과 체계적인 수행을

    위하여 전문화된 운영위원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

    다. 운영위원회는 아카이브 구축 총괄자문과 자료

    추천 및 선정평가위원회, 콘텐츠 저작권 심의위원

    회, 구술채록대상 선정위원회, 아카이브 등록 검

    정위원회 등을 포괄한다. 문화예술자원의 효율적

    인 수집·관리와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자료의 가

    치와 상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절차를 규

    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평가 가이드라인을

    통한 자료에 대한 적극적 평가 수행으로 업무 효

    율화 및 자료관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하고 이용자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

    하여 자료의 이용 활성화를 도모한다.

    6. 문화예술 아카이브 활용 방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지

    역 문화예술과 관련한 원천 자료를 수집하여 장기

    적으로 보존·활용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아카이

    빙된 자료는 단순한 자료의 수집만으로는 의미를

    획득할 수 없다. 수집된 자료를 보관한 수장 공간

    자체를 공개하기도 하지만, 수요자나 자료를 필요

    로 하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활용방안은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는 부분과 각 주체들이 아카이브를 통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아카이브를 통하여 수집된 문화예술자원은 향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문화콘텐츠라는 점에서

    온라인콘텐츠, 학술, 출판, 전시 분야 등 다양한 활

    용방안이 가능할 것이다.

    먼저 온라인 콘텐츠로서 검색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지역의 모든 문화예술자원을 검색할 수 있

    도록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전문가 및

    일반대중 등 고객군별로 접근 권한에 차별을 두고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문화콘텐츠 확대 재생산

    에 활용할 수 있다. 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 등 창

    작물 속 주요 이벤트와 모티브에 대한 풍부한 소

    스로 활용할 수 있다. 또 한 가지는 편찬 및 학술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소장 자원을 도

    록 및 해제집 등의 간행물로 발간하되, 일반 서적

    뿐만 아니라 디지털 매체로 발간해 아카이브 형태

    를 활용할 수 있다.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원은 소장가치로도 훌륭하지만,

    장소와 더불어 자원의 홍보를 위해서도 전시가 가

    능하다. 전시는 단독 전시뿐만 아니라 협력전시

    및 유치전시 형태 모두 가능하다. 또한 각급 학교

    별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과

    소장 자원을 매개로 한 주제별 교육 프로그램이

    가능하다.

  • 110 오 동 욱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Ⅲ. 결 론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보다 체계적으로 문화예술자원을 수집·관리

    하고 활용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의 정체성을 보

    존하고, 더 나아가서는 지역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지역에 산재된 문화예술 관련 기초자

    료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문화자산을 만들어내는

    기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문화적인 가치를 창출

    하고 지역 문화예술 분야의 문화력 강화를 위한

    중추적인 주체가 되어야 한다. 아카이브 구축 관

    리는 지역 문화예술에 대한 일반인의 기억과 경험

    을 체계적으로 정리·보존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

    과 역사인식의 지평을 바로 세우는 작업의 출발점

    이다. 수집된 자료를 민간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

    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발전상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는 선순환 구조의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

    다. 무엇보다도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는 산발적

    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문화예술 원천 자료

    들을 체계적으로 집적하고,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

    한 모델을 개발하여 정보화 시대에 변화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가 진정한 의미의 지역

    문화예술자원의 허브센터로서 역할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자원의 수집 및 관리 선진화 기반 구축으

    로 업무지식을 정보화하고 자료 보존체계를 강화

    해야 한다. 문화예술자원의 수집 및 보존 체계의

    선진화를 위한 제도를 구축·정비하고 문화 지식과

    사실에 대한 정보화를 구축하여 문화적 거점을 확

    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카이브 구축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절차가 필요하다. 아카이

    브 초기에는 본격적인 구축에 필요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기초연구와 함께 지역

    문화예술자원들을 분류하는 체제를 마련해야 한

    다. 그리고 기반 전문화단계로서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위상과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실현

    화 단계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세부적인 발전전

    략을 모색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전 준비 단계

    에서 구축된 인프라가 보강 및 확충되어 본격적으

    로 가동되는 시기로 디지털 콘텐츠 파일럿 제작

    및 서비스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비스

    활성화단계로서 모든 인프라와 시스템이 정착되

    고, 수집된 문화예술 자원이 모두 디지털 아카이

    브를 거쳐 관리되어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의 운영주체는

    전문적인 수집·보존·관리·활용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체를 지향해야 한다. 아카이브 운영

    을 위한 성격, 운영방향 등의 조건을 충분히 충족

    시킬 수 있는 운영체계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아

    카이브의 바람직한 운영 방식은 운영 효율성을 달

    성함과 동시에 더 많은 공공의 문화적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가장 이상적이다. 문화예

    술 아카이브 조직은 문화예술 원천 자원을 수집·

    관리·활용하는 콘텐츠 기획·수집팀, 시스템 운영·

    관리팀 등 2개 기능의 팀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

    는 최소 조직으로서 각 기능은 전문성이 보장되고

    기능 간의 유대가 긴밀해야 한다. 또한 기능별·목

    적별로 분화된 제 운영위원회를 구축해야 한다.

    운영위원회는 실질적 기능보다는 자문기구로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날

    로그·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한 접근 가능한 공공

    서비스를 개발한다. 자료의 유형은 전통적인 방식

    의 아날로그 자료에 대한 지속적인 수집과 더불어

    디지털자료의 급속한 양적 확대에 대한 고려가 필

    요하다. 이용자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전파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식을 병행하

    여 진행하는 것이 시대적 요청사항이다. 마지막으

    로 문화예술자원을 활용한 전시, 교육, 학술, 문화

  •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 111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콘텐츠 등 2차 확대·재생산의 사례개발과 함께 아

    카이브에 대한 중요성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적극적

    인 홍보마케팅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

    이다.

    참고문헌

    □ 논문 및 단행본

    국가기록원, 2007, 「국가기록원 업무매뉴얼」, 국가기

    록원.

    국가기록원, 2007, 「기록관리 국제 표준 자료집」, 국

    가기록원.

    국립예술자료원, 2010, “예술자료관리 전문화 방안 연

    구”, 국립예술자료원.

    국립예술자료원, 2010, “예술자료원 현황과 전망”, 국

    립예술자료원.

    김기현, 2000, “아트 아카이브의 국내 도입을 위한 연

    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김명훈 외, 2004, , “전자기록관리의 이해”, 한국국가

    기록연구원.

    김자경, 2004, “전자기록관리를 위한 행정기관의 자료

    관시스템 규격 발전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지방사와 지방문화.

    김진욱, 2008, “건축설계·엔지니어링 산업동향조사 및

    활성화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남성운 외, 2001,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방

    안 연구: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유광흠 외, 2008, “건축ㆍ도시공간 아카이브 구축 전

    략수립을 위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명지대학교 디지털아키이빙연구소, 2008, “대통령기록

    관의 디지털 아카이브 발전전략 연구”, 국가기

    록원 대통령기록관.

    박은경, 2005, “기록정보의 디지털 아카이브즈 구축과

    사례”, 한국기록관리협회.

    서은경, 2004, “디지털 아카이브의 영구적 보존을 위

    한 개념적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

    보학회지.

    안운석, 2008, “국가 연구업적 통합정보 구축 및 운영

    을 위한 제도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윤재호, 2010,「도서관이 만드는 행복한 세상」, 나루코.

    이소연, 2004, “디지털유산의 장기적 보존: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 기록학연구.

    이영학 외, 2010, “경기 문화예술 아카이브 구축 방

    안”, 경기문화재단.

    이재윤, 2004, “국외 디지털 아카이빙 사례”,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이호신, 2004, “도서관의 저작물 복제와 전송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이호신, 2007, “예술자료의 체계적 활용 방안 연구”,

    예술경영지원센터.

    이호신, 2007, “국립예술아카이브 설립ㆍ운영방안”, 예

    술경영지원센터.

    장지원, 2011, 「예술아카이브 시리즈」, 김달진미술연

    구소.

    전봉희, 2003, “건축아카이브와 건축박물관”, 대한건축

    학회지.

    정연주, 2006, “아트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

    교 기록학과대학원.

    조재인, 2004, “지식정보자원 보존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조준배 외, 2009, “건축가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최학열, 2006, “디지털 자료를 장기 보존하기 위한 국

    제 표준”, 정보통신신산업진흥원.

    한국영상자료원, 2009, “디지털 시대에 영상기록물 아

    카이브 전략”, 한국영상자료원.

    허영란 외, 2004, 「구술자료 수집의 기획과 실행」,

    국사편찬위원회.

    황동열, 2007, “예술아카이브의 현황과 도입방안 연

    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鄧紹興(덩사오싱), 2003,「당안관리학 개론:중국 기록

  • 112 오 동 욱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관리학」, 정문상 역, 혜안.

    Elizabeth Yakel, 2003, 「아카이브 만들기‘(2003)」,

    강명숙 역, 진리탐구.

    Schellenberg eodore R, 2002,「현대기록학개론」, 진리

    탐구.

    □ 웹자료

    국가기록원 공식 홈페이지, http://www.archives.go.kr

    국가지식포털 공식 홈페이지, http://www.knowledge.go.kr

    국립예술자료원 공식 홈페이지, http://www.knaa.or.kr

    김달진미술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http://www.daljin.com

    두산백과사전 두피디아 공식 홈페이지, http://www.doopedia.co.kr

    문화체육관광부 공식 홈페이지, http://www.mcst.go.kr

    아르코미술관 공식 홈페이지, http://www.arkoartcenter.or.kr

    아트아카이브 공식 홈페이지, http://www.artarchives.or.kr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식 홈페이지, http://www.gokams.or.kr

    정보화추진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http://www.jpc.go.kr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http://www.copyright.or.kr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식 홈페이지, http://www.arte.or.kr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http://www.arko.or.kr

    한국영상자료원 공식 홈페이지, http://library.koreafilm.or.kr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http://www.copyright.or.kr

    한국콘텐츠진흥원 공식 홈페이지, http://www.kocca.or.kr

    劇團 四季(극단 시키) 공식 홈페이지, http://www.shiki.gr.jp/kr

    New York Lincolncenter 공식 홈페이지, http://www.lincolncenter.org

    논문접수일 : 2013. 3. 19, 심사완료일 : 2013. 4. 19

    최종원고 : 2013.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