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15
FOCUS 49 * 한국인터넷진흥원 해외사업개발팀 선임연구원([email protected])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FOCUS 4 이상은* 한국의 ICT분야 발전경험에 대한 개도국의 공유 요청이 많아지면서, ICT분야의 무상원조는 2000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였다. 급속히 발전하고 변화하는 ICT의 특성으로 무상원조는 양적인 성장 외에 질적인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본고는 한국의 원조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선진국의 ICT 무상원조 추세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ICT 무상원조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서론 . 무상원조의 이해 1. ODA의 개념과 형태 2. 무상원조 유형 .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1. 한국의 ODA (1) 공여국 한국의 ODA 역사 (2) 한국 ODA 현황 2.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Ⅳ. 선진국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분석 (1) 미국 국제개발처(USAID) (2) 스웨덴 국제개발협력기구(SIDA) (3)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 (4) 캐나다 국제개발기구(CIDA) Ⅴ. 한국 ICT분야 무상원조 개선방안 Ⅵ. 시사점

Upload: lyphuc

Post on 07-Feb-2018

227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FOC

US

49

* 한국인터넷진흥원 해외사업개발팀 선임연구원([email protected])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FO

CU

S

4

이상은*

한국의 ICT분야 발전경험에 대한 개도국의 공유 요청이 많아지면서, ICT분야의 무상원조는

2000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였다. 급속히 발전하고 변화하는 ICT의 특성으로 무상원조는 양적인

성장 외에 질적인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본고는 한국의 원조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선진국의

ICT 무상원조 추세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ICT 무상원조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Ⅰ. 서론

Ⅱ. 무상원조의 이해

1. ODA의 개념과 형태

2. 무상원조 유형

Ⅲ.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1. 한국의 ODA

(1) 공여국 한국의 ODA 역사

(2) 한국 ODA 현황

2.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Ⅳ. 선진국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분석

(1) 미국 국제개발처(USAID)

(2) 스웨덴 국제개발협력기구(SIDA)

(3)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

(4) 캐나다 국제개발기구(CIDA)

Ⅴ. 한국 ICT분야 무상원조 개선방안

Ⅵ. 시사점

Page 2: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50 INTERNET & SECURITY FOCUS February 2014

Ⅰ. 서론

교통, 통신의 발달로 세계화(Globalization)가 더욱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세계 각 국가들 간의 빈부 격차는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공통의 문제이다. 부유한 국가와 빈

곤한 국가들 간의 격차 해결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나온 것이 원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

제협력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들은 전쟁 피해 국가와 신생 국가 지원을

시작하였다. 한국 역시 전쟁 피해 국가로서 해방 이후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들로

부터 유상 및 무상 원조를 받았다. 원조는 경제성장을 위한 자본 기반을 형성하였고, 한국

은 ’95년에 원조 수원국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리고 ’09년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의 2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를 시작하였다. 원조 수원국의 위치에서 공여국 위치로

바뀐 사례는 한국이 세계 최초이다.

원조 공여국이 된 한국은 과거 경험을 토대로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개발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노력할 의무가 있다. 인류의 보편적 가치 실현을 위한 인도적 차원 목적 외에도 국제

금융위기, 기후변화, 환경문제, 전쟁과 테러, 전염성 질환 등의 문제는 국경을 초월하기 때문

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지구적 공조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공여국으로서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수준은 미국, 스웨덴 등의 다른 선진국에 비해 역사가

짧다. 하지만 수원국 위치에서 이룩한 경제성장의 경험과 그 동안 쌓아 온 첨단기술을 바탕

으로 한 원조는 수원국의 더 큰 성과를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특히 ICT분야는 개도국이 오늘날 꼭 필요로 하는 개발원조 분야이다. ICT 발전으로 ’00년

대에 들어 지구촌의 약 50억에 달하는 인구가 이동전화를 사용하고 있고, 인터넷 이용자 수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수많은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오늘날, 세계는

ICT를 통해 이전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ICT 발전으로 선진국과 후진국 간의

정보격차는 더욱 벌어져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개도국들이 세계경제에

서 소외되지 않고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ICT 부문의 개발원조 및 협력은 절실하

다. 개도국들은 한국의 빠른 ICT 발전 경험에 대한 공유를 요청하고 있다. 특히 정부 주도

아래 성공적으로 성장한 ICT분야의 국내 정책 및 기술에 대한 지원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Page 3: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FOC

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무상원조의 개념을 파악하고, 한국과 선진국들의 국제개발

협력 사례를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

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무상원조의 이해

1. ODA의 개념과 형태

국가 간 원조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도 제국주의의 자국 이익 중심으로 규모는 크지 않

았지만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였다. 본격적인 원조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미국 정부가

중심이 되어 자본 또는 기술의 무상이전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점차 개발협력에 동

참하는 공여국 수가 증가하면서 원조 형태는 환경에 따라 다양화 되었다(한국국제협력단,

2009).

’60년 개발원조그룹(DAG: Development Assistance Group)은 OECD의 DAC로 개편되

었고 현재까지 대외원조를 이끌고 있다. 이곳에서 정의하는 개발원조(Development Assis-

tance)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자금흐름(Flow of financial resources to developing coun-

tries)’이다. 개발원조는 자금 흐름에 따라 공적자금(Official Flows)과 민간자금(Private

Flows)으로 구분된다. 공적개발원조(ODA)는 공적자금에 해당하는 경우로 개발도상국의 경

제개발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원조 공여국이 자체의 재정자금을 이용하여 공여하는 순수한

원조로 정의된다(한국수출입은행, 2013).

공적자금은 공적개발원조와 기타공적자금(OOF: Other Official Flows)으로 구분되고, 민

간자금은 일반 민간자금(Private Flows at Market Terms)과 비정부기관에 의한 무상원조

(Net Grants by NGOs)로 나누어진다.

공적개발원조는 전달경로, 상환조건, 원조유형에 따라 지원형태를 구분할 수 있다. 전달경

로에 의해 양자간, 다자간 원조로 나누어지는데, 양자간 원조는 원조 공여국에서 수원국으로

원조자금 및 물자를 직접 지원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양자간 원조는 수원국의 상환 의무에

따라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원조 효과성이 더 높은 무상원조

Page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의 비중을 높이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다자간 원조는 공여국들이 UN, 세계은행 등의 국제기

구를 통해 분담금을 수원금에 간접 지원하는 형태이다.

<표 1> 개발도상국에 대한 개발자금의 흐름

공여주체 구분 원조전달경로 상환조건 내용

공적자금

(Official

Flows)

공적개발원조(ODA)

양자간 공적개발원조 무상원조 기술협력, 식량원조, 행정비용 등

유상원조 차관, 출자 등

다자간 공적개발원조- 국제기구 출연, 출자, 분담금 납입 등

- 국제기구에 대한 양허성 차관

기타 공적자금(OOF)

양자간 기타 공적자금

- 공적수출신용

- 투자금융

- 채무재조정 등

다자간 기타 공적자금 - 국제기구에 대한 상업성 차관

민간자금

(Private

Flows)

일반 민간자금(Private Flows at Market Terms)

양자간 민간자금- 해외직접투자

- 민간 수출 신용 등

다자간 민간자금 - 국제기구에 대한 상업성 차관

민간부문에 의한 무상원조

(Net Private Grants)비정부기관에 의한 무상원조

※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숫자로 보는 ODA_2013 우리나라 ODA 통계자료집(2013)

2. 무상원조 유형

무상원조는 법적 채무를 동반하지 않는 현금 또는 현물의 이전으로 공여된 원조자금에 대

해 수원국의 상환의무가 없는 원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무상원조는 개도국에 예산지원

(budget support), 프로젝트(project) 원조, 기술협력(technical cooperation), 부채경감

(debt relief), 식량지원(food aid), 인도적 지원(humanitarian aid), NGO에 대한 지원

(general support to NGOs), 공공-민간 파트너십에 대한 기여(contributions to public-

private partnerships), 개발 인식 증진(promotion of development awareness), 비용

(administrative costs) 등의 유형으로 제공된다.

무상원조의 첫 번째 형태인 ‘예산지원’은 수원국 정부의 국고로 공여국의 재원을 이전하여

수원국에 예산을 지원하는 것이다. 수원국은 자체적으로 예산을 배분, 집행하고 그 내역을

공여국에 보고한다. 두 번째 유형인 ‘프로젝트 원조’는 구체적인 목표 또는 결과를 얻기 위한

Page 5: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것으로 공여국은 한정된 예산을 갖고 수원국과 합의된 자원을 가지고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

다. ‘기술협력’은 수원국의 인적자원(human resource) 개발을 위해 정책 및 기술 자문, 조사

및 연구 준비, 교육훈련, 전문가 파견 등을 지원하고 과학, 연구 및 기술개발을 위한 기여금

형태이다. ‘부채경감’은 채권자의 동의 하에 채무국에 대한 원금과 이자를 포기하는 것으로

부채탕감, 부채 재조정, 재융자, 부채 재구성 등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인도적 지원’

은 재난 및 긴급사태시 인간의 존엄성 유지를 위하여 생명을 구조하고 고통을 경감하도록 돕

는 원조이다. ‘NGO에 대한 지원’은 정부의 공적원조 사업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비영리,

비정부 기구(NPO/NGO: Non-Profit Organization / Non-Government Organization)

의 원조활동 전문성과 경험, 개도국 사회와의 유대관계 등을 활용하는 것이다. ‘공공-민간

파트너십에 대한 기여’는 기업과 같은 민간주체와 양자/다자 기관 및 정부부처와 같은 공공

기관이 체결한 공공협의로 특정 개발 이슈를 다루는 것이다. ‘개발 인식 증진’은 대중에게 공

여국의 개발원조에 대한 노력과 필요성을 알려 지지기반을 넓히기 위한 활동 기금을 의미한

다. 마지막으로 ‘비용’은 원조전담 및 집행기관의 행정비용을 말한다.

Ⅲ.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1. 한국의 ODA

1) 공여국 한국의 ODA 역사

원조 공여국으로서 한국의 역사는 ‘63년 미국의 원조자금으로 실시한 개도국 훈련생 위탁

훈련이 시초이다. 순수한 우리정부의 자금으로 실시한 원조는 ’65년 개도국 훈련생 초청사업

이다. 이후 ’70년대 중반까지는 국제기구, UN 등의 자금 지원으로 실시하였으나, 원조 수요

가 증가되면서 우리정부 자금에 의한 원조규모를 점차 확대하였다. 개발원조의 본격화는 외

채감축과 국제수지 흑자 실현이 된 ’86년 아시안게임과 ’88년 올림픽 전후이다. ’91년에는 건

설부, 노동부, 외무부, 과학기술처 등 여러 부처에서 분산되어 실시해 오던 인적교류사업, 기

술협력 등의 무상원조가 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으로통합되어 관리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09년에는 대한민국 정부파견 해외봉사

단 단일브랜드 “World Friends Korea”를 출범시켰다.

Page 6: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54 INTERNET & SECURITY FOCUS February 2014

2) 한국의 ODA 현황

우리나라는 ’05년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국제개발협력 개선 종합대책’ 발표를 통해 ’15년까지

개발협력의 중장기 비전 제시와 대외원조시스템 구축 목표를 마련하였다. 중점지원국을 대상

으로 국별지원 전략을 수립하고, 한국형 원조모델 정립, 원조 추진시스템 개선, 원조 효율성

제고, 인프라 구축, 국민 참여 확대 등 5개 항목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주동주 외,

2010).

<표 2> 연도별 ODA 지원현황(순지출, 달러기준, ’13년은 잠정치)

(단위: 백만 불)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총ODA 802.3 816.0 1173.8 1324.6 1597.5 1904.7

양자간원조

비중(%)

539.2

(67.2)

581.1

(66.1)

900.6

(76.7)

989.6

(74.7)

1183.2

(74.1)

1330.2

(69.8)

무상원조

비중(%)

368.7

(68.4)

367.0

(68.1)

573.9

(63.7)

575.0

(58.1)

714.9

(60.4)

706.3

(53.0)

유상원조

비중(%)

170.6

(31.6)

214.1

(39.7)

326.7

(36.3)

414.6

(41.9)

468.3

(39.6)

623.9

(46,9)

다자간원조

비중(%)

263.1

(32.8)

234.9

(28.8)

273.2

(23.3)

335.0

(25.3)

414.3

(25.9)

573.5

(30.1)

ODA/GNI(%) 0.09 0.1 0.12 0.12 0.14 0.15

※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숫자로 보는 ODA_2013 우리나라 ODA 통계자료집”(2013)

2008

무상원조 유상원조 양자간원조140

120

100

80

60

40

20

02009 2010 2011 2012 2013

원조금액 (단위: 백만 불)

※ 출처: 공적개발원조, “한국의 ODA 지원현황”<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2/T02/L03_S01_01.jsp>

[그림 1] 연도별 ODA 지원현황(순지출, 달러기준)

Page 7: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FOC

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5

’13년 한국의 공적개발원조의 잠정 통계치는 약 19.0억 불로 수원국에 직접 물자와 자금을

지원하는 양자간원조 약 13.3억 불과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원조 약 5.7억 불로 구성되어

있다. 전년에 비해 유상원조는 약 155.6억 불 증가하고 무상원조는 약 8.6억 불 감소하여 무

상원조의 비율이 양자간원조 비중에서 약간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국민총소득(GNI)

대비 비율은 0.15%로 DAC회원국 평균치인 0.31%에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

2.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ICT 분야 지원은 ’90년대부터 이루어져왔으나,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막대한 자금 조달과

낮은 수익성 등의 요인으로 두각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05년 정부의‘대외원조개선 종

합대책’이 발표되면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정부의 발표는 비교우위에 입각한 ‘한국적 원조

모델’추진을 명시하고, 추진시스템 개선, 효율성 제고, 인프라 구축 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

다. 이에 따라 정부 부처의 각 성격에 맞는 ICT 원조사업을 특성화하여 진행하였고, 원조 관

련 기관에서는 ICT분야를 핵심 비교우위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이것은 ’10년 UN 전자정부

지수 세계 1위, ’10년 ITU ICT 발전지수 세계 3위 등 한국의 ICT 역량이 국제적으로 인정받

은 배경에 기인한다(배정민, 2010). 현재 ICT분야의 개발원조 사업은 KOICA의 ICT 개발협

력과 수출입은행의 경제협력기금(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을

통한 ICT 부문 개발원조사업이 진행 중이며, 그 외에 정부 각 부처에서 다양한 ICT 개발협력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의 ODA 지원액 중 ICT분야 누계액은 ’10년 말 기준 1조 3,477억 원으로 전체 원조 금

액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그 중 EDCF가 9,980억 원으로 전체의 74%이고, KOICA의 무

상원조가 2,672억 원으로 20%, 그 외에 산하 여러 기관과 지차체 등에서 821억 원을 지원하

여 6%를 차지하였다.

ICT분야의 무상원조 개발 협력사업 형태는 각종 프로젝트사업, 초청연수사업, 봉사단

파견과 정책자문과 같은 개발컨설팅사업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

지하는 것은 각종 프로젝트 사업으로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총 1조 1,727억 원(86.9%)

을 지원하였다. 이어서 ICT 봉사단 파견이 902억 원(6.7%), 초청연수사업은 563억 원

(4.2%)이었다. 비중이 가장 작은 부분은 정책 자문으로 222억 원(1.6%)을 지원하였다(고

상원 외, 2012).

Page 8: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56 INTERNET & SECURITY FOCUS February 2014

ICT 중에서 무상지원의 60%는 프로젝트 지원으로 ICT센터 및 전자정부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프로젝트사업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전자정부(40%)로 정부부처의 전산

망 구축 및 페이지 구성 등과 같은 인트라넷 구축 지원이다. 그리고 통신 및 전산망(36%),

ICT 훈련센터(17%) 등에도 지원하고 있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22억

563억

902억

1조 1,727억프로젝트사업

ICT 봉사단

ICT 초청연수

정책자문

(단위: 억 원)

※ 출처: 홍승연, “세계은행의 ICT 전략계획(2012~2015) 고찰을 통한 한국 ICT 개발협력의 추진방향(2012)

[그림 2] ICT분야 사업 형태별 무상원조 현황(1990~2010)

기타7%ICT

훈련센터17%

전자정부40%

통신 및 전산망36%

※ 출처: 홍승연, “세계은행의 ICT 전략계획(2012~2015) 고찰을 통한 한국 ICT 개발협력의 추진방향(2012)

[그림 3] ICT분야 프로젝트사업 지원 현황(1990~2010)

Page 9: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FOC

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7

초청연수사업은 우리나라의 ICT 역량을 바탕으로 개도국 정보격차 해소, 인력양성, 관련

분야에 대한 산업발전 등을 위해 개도국 공무원과 전문가를 초청하여 교육 및 기관방문 등을

진행한다. 초청연수사업은 우리나라와 개도국 간에 우호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

내 기업의 해외진출을 돕는데 기여하고 있다. 주요 지원 분야는 전자정부, 정보보호, ICT정

책, 브로드밴드 구축 등 우리나라가 비교우위를 갖고 있는 ICT 분야의 기술 및 정책 관련 내

용이다.

봉사단 파견사업은 수원국 기관의 교육 훈련과 정보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ICT분야의

전문가와 봉사단을 선발하여 파견하고 있다. 수행 분야는 PC 교육, 네트워크 교육, 대학 및

기관의 IT 교육훈련, ICT 기술 및 정책 지도 등이다.

마지막으로 ICT 분야의 자문을 지원하는 개발컨설팅사업은 ICT 마스터플랜 지원, 브로드

밴드 구축 및 로드맵 구축, 정보보안, 전파관리, 표준화, 전자정부 마스터 플랜 등을 지원한

다. 한국의 ICT 정책경험을 바탕으로 수원국에 적합한 ICT 정책수립 및 관련 분야의 현황분

석 등을 지원하고 있다(홍승연, 2012).

Ⅳ. 선진국 ICT 분야 무상원조를 통해 본 한국의 개선방안

1. 선진국 ICT분야 무상원조

선진국인 미국, 스웨덴, 일본, 캐나다의 ICT 분야 무상원조는 수원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유연하게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개발협력의 목

표가 순수한 인도적 차원 동기 외에도 각 국의 역사적 경험과 환경에 따라 자국의 외교적, 경

제적인 이익이 계산되어 전략적으로 움직이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1) 미국 국제개발처(USAID: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00년 이후 총 공여금액에서 줄곧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은 단순히 개도국 빈곤해소를

위한 지원에서 벗어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 유지를 전제로 한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념적 측면과 미국 외교안보정책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ODA를 집행하고 있다(홍

승연 외, 2011).

Page 10: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58 INTERNET & SECURITY FOCUS February 2014

USAID의 ICT 분야 무상원조는 파트너십 구축, ICT 정책수립, 접근성 향상, 역량 강화,

타개발 분야에 대한 적용이라는 전략을 갖고 있다. 또한, 민관 협력을 강조하면서 원조를 진

행하고 있어 마이크로소프트, 시스코 등과 MOU 체결을 통해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각 기업

의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을 개발 수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전자기술 및 전자상거래 정책, 규

제 개혁을 지원하고, ICT 서비스 제공 범위 확대를 위한 ICT 접근성 확대 프로그램에 대한

정책 수립 및 경영을 위한 인적자원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ICT 관련 주요 프로젝트는 ICT 교육개발 프로그램, ICT와 양성평등(ICT & Gender)으로 나누

어진다. ICT 교육개발은 미국 통신 교육 연구소(USTTI: United States Telecommunications

Training Institute)를 통하여 개도국 전문가들을 초청하거나 원격교육을 활용하여 무료교

육 및 민관 파트너십을 지원한다. ICT와 양성평등은 개도국 여성들에게 ICT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2) 스웨덴 국제개발협력기구(SIDA: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스웨덴의 무상원조는 연대(Solidarity)를 중요시 하고 있다. 이는 1950년대 후반 식민지

국가였던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운동 영향을 받아 스웨덴 구성원 간의 적극적인 연대를 통

해 복지국가를 달성하려고 한 역사적 배경에 기인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스웨덴 ODA 정책

은 억압받고 가난한 개도국 사람들과의 연대를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다.

스웨덴 무상원조 정책의 또 다른 특징은 계발된 자기이익(Enlitened self-interest)이다.

이것은 공여국과 수원국 모두가 만족되어야 장기적으로 개도국 지원정책이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나온 것이다(주해연, 2012).

스웨덴의 국제개발협력기구인 SIDA는 연대성과 계발된 자기이익 추구를 바탕으로 보다

발전적인 형태의 무상원조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SIDA의 ICT분야 무상원조

사업은 개도국 초청연수 프로그램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통신 네트워크 및 인프라 활용 역

량 강화 관련 프로그램 등이 있다. 초청연수 프로그램은 참여 연수생들의 각 국가 별 환경에

적합한 인프라, 전기통신, 에너지 및 운송 분야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4주 및 6주 과정으

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개도국 정보격차 해소를 위하여 ICT 정책과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

하고 있다. 지원 내용은 통신 네트워크 구축, ICT 인프라 활용 역량 강화, 개도국 ICT 현황

조사, 대학과 연구소의 기본 연결망 구축 지원이다. 그 외에도 ICT 프로젝트의 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해 다양한 수준의 기술 관련 인력양성 사업, 원격교육, 정책개발을 위한 ICT 기반

Page 11: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FOC

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9

서비스 개발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04년에는 개도국의 정보화 발전을 위해 SIDA의 재정적 지원 아래 SPIDER(Swedish

Program for ICT in Developing Regions)가 설립되었다. SPIDER는 스웨덴의 ICT 기술과

개도국 개발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ICT 국제협력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정보기술과

관련된 개도국 유관기관 조직의 개발 및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활동 내용은 정보접근

성 제고, e-교육, e-Health, 인권 향상을 위한 전자정부 등에 대한 지원이다.

3)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일본은 아시아에서 경제규모나 생산성 면에서 상당기간 동안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ICT 주도권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무상원조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ICT분야 무상원조는 자국 내의 지속적인 성장의 일환으로 인식되면서

점차 협력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임소영 외, 2013).

일본의 ODA 정책은 그 동안의 발전경험에 기초한 전문성 활용, 공정성 확립, 국제사회와

의 파트너십 구축으로 요약할 수 있다. 기술협력의 복합적인 지원과 원조를 통합하여 담당하

고 있는 JICA는 국제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일본의 포괄적 협력계획에 따라 개도국 ICT 발전

을 위해 원조를 진행 중이다(홍승연 외, 2011).

일본의 ICT 국제협력의 중기목표에는 ICT정책형성 능력 지원, ICT 분야 인적자원 개발,

통신 인프라 개선, ICT 활용을 통한 효율성 및 효과성 향상 등이 있다. 이러한 목표 하에 ICT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활동 내용은 세미나 및 훈련교육, ICT 활용 강화를 위한 워크

숍 및 인적교육, ICT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등이다.

JICA의 ICT분야 주요 사업에는 기술교육 프로그램과 전문가 파견을 통한 프로젝트 타입

의 기술 지원, 장비 지원, 지식 및 기술 이전, 해외협력봉사단 파견, 개발 연구 참여 등이 있

다. 프로젝트 타입 기술 지원의 경우 일본 내의 연수 프로그램, 전문가 파견, 장비 지원의 형

태로 협력이 진행된다.

4) 캐나다 국제개발기구(CIDA: Canadian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y)

캐나다의 ODA 관리는 ’68년 정부에 의해 설립된 캐나다 국제개발기구(CIDA)가 캐나다

외무부, 국방부 협력 하에 개발원조 예산을 운용하고 있다. CIDA의 목적은 빈곤, 분쟁, 자연

재해 등으로 발생된 세계 국가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외교(Diplomacy), 안보(Defence),

Page 12: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60 INTERNET & SECURITY FOCUS February 2014

개발(Development)을 통해 해결하는데 있다.

ICT 관련 지원은 CIDA 내 정보관리 및 기술부서인 IMTB(Information Management

and Technology Branch)이다. IMTB는 ICT 분야, ICT 활용 분야, ICT 네트워킹 및 지식공

유 증진의 3개 분야로 나누어 개도국 개발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ICT 분야의 주요 지원 내용

은 개도국 통신 분야 개혁, 디지털 훈련 등을 위한 규제 개혁, ICT 접근성 개선, ICT 활용을

위한 인적역량 강화, 지역 특화된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 개발 등이다. ICT 활용 분야는 교

육, 공공기관 행정 시스템 개선, 지리정보 시스템 보급, 정보공유, 보건 등의 분야로 원격교

육센터, 통신훈련 프로젝트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ICT 네트워킹과 지식공유 증진은 개도국

농촌의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이다.

Ⅴ. 한국의 ICT 무상원조 개선방안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국, 스웨덴, 일본, 캐나다의 ICT 무상원조 주요 추진 동향은

ICT 활용을 위한 교육, 인프라 구축과 ICT 정책 등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특히 무상

원조 분야에서는 ICT 교육 및 초청연수 프로그램이 중점적으로 지원되고, 특히 개도국의 경

우는 농촌, 보건, 양성평등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ICT를 활용하고 있다.

선진국의 ICT 무상원조와 비교하면 한국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 번째, 한

국은 선진국 위치가 아닌 개도국 입장에서 ICT 발전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이루어 내었다는

점이다. 수원국 입장에서 지원을 받아 이룩한 성장은 다른 여러 나라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

는 부분이다. 두 번째 특징은 정부의 강력한 리더십과 정책을 통하여 성공적인 발전을 이룩

한 점이다. 정부의 선투자를 통해 인프라 기반을 마련하고, ICT 교육 활성화, 정보화 인지도

제고 등으로 ICT 활용 수요를 창출하였다. 정부의 정책 실시로 ICT 부문에 대한 공급과 수요

를 만든 경험은 개도국에서 요청하는 개발협력 지원 분야이다. 세 번째 특징은 ICT 분야의

투자 및 발전이 경제발전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투자를 통해 개발한 ICT

신규 기술은 교육, 의료, 쇼핑,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어 세계에서 ICT 강국인 한국을

만들어냈다.

한국의 ICT 무상원조는 꾸준히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나 ICT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장기

적인 비전과 전략이 미흡하여 ICT 무상원조의 효과성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

Page 13: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FOC

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61

선하기 위하여 ’11년부터 ODA에 대한 평가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ICT는 하루가 다르게 계속 기술 발전을 이루고 있는 분야이다. 단순히 과거의 경험을 전수

하는 무상원조로는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환경과 수원국의 상황을 파악하여 적합

하게 지원할 필요가 있다. 개도국의 기술과 환경 고려가 필요하기 때문에 ICT 무상원조는 일

회성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 특히 ICT 무상원조 사후관리를 통해 한국

은 개도국과 지속적인 협력을 이끌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기업이 해

외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효과적인 사후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

원국 현실과 여건에 맞춰 ICT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상황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어야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선진국들의 ICT 무상원조 추세는 경제와 사회 전반을 포괄하는

시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국도 수원국 사회의 다양한 분야를 함께 발전시킬 수

있는 ICT 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사업, 초청연수사업, 봉사단

사업, 개발컨설팅사업 등의 사업간 연계를 통해 사업의 효과가 높아지도록 하여야 한다. ICT

인프라 구축, 정책 제안, 어플리케이션 활용 등 ICT 분야 간 시너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

는 전략이 수립된다면 원조 효과는 더욱 극대화 될 것이다.

ICT 무상원조는 수원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ICT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무상원조와 사후관리를 통해 우리 기업의 후속 프로젝트 사업 수주와

연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향후 전략적으로 중점국가를 선택하여 체계적으로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는 더욱 커질 것이다. 프로젝트 사업 가

능성이 있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는 개발컨설팅, 봉사단 파견, 초청연수사업은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 및 사업 수주로 직결될 수 있다.

또한, ICT 무상원조사업에 국내기업 참여가 확대되면 원조 규모를 확대하고, 모델 유형도

다각화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이바지 하는 ICT 지원사업은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여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Ⅵ. 시사점

본고에서는 무상원조의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한국 ICT분야 무상원조의 역사와 현황을

Page 1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62 INTERNET & SECURITY FOCUS February 2014

살펴보고, 선진국 ICT분야 무상원조 사례를 통해 한국의 무상원조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한국은 짧은 시간 안에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룩하여 수원국에서 공여국 위치로 바뀔 수 있

었다. 이 점은 개도국을 포함한 여러나라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특히 ’00년 이후 급속하게

발전한 ICT 분야의 무상원조에 대한 개도국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ICT 원조 수요 증

가에 따라 우리나라는 ICT 무상원조의 양적인 성장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한국의 발전경험을 바탕으로 수원국의 다양한 수요에 적합한 질적으로 향상된 ICT 무상원조

추진이 필요하다.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보이고 있는 ICT 분야는 그 확산 효과를 고려하여 다양한 분야를 포

괄하면서, 보다 장기적인 전략과 비전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 초청연수사업, 봉사단사업, 프

로젝트사업, 개발컨설팅사업을 연계하면서 지원 내용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연결

될 수 있도록 하고, 사후관리에도 힘써야 한다. 또한 수원국과 함께 동반성장하여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개발원조를 추진하여야 한다. 중점협력국을 선택하여 우리의 발전경험 중 비교우

위가 있는 프로그램으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우리기업의 해외 진출을 모색할 수 있도록

개발컨설팅사업 육성에 힘써야 한다.

ICT 무상원조에 대한 이러한 전략을 기반으로 하여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무상원조

규모를 질적, 양적으로 확대하여 이를 국내산업의 발전과 연계시켜 나갈 수 있는 전략 수립

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고상원·권장우·공일영 (2012), “해외진출 전략국가 ICT 마스터플랜 정책자문(Ⅲ)”, 정보통신정책연

구원.

배정민 (2010), “한국의 개발협력정책 발전모델 연구: ICT 4D 국제비교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

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논문.

임소영, 김계환, 강지현 (2013), “산업분야 ODA의 동향과 이슈 분석”, 산업연구원.

주동주 (2012), “한국형 ODA 모델 수립 (1. 총론)”, 산업연구원.

주해연 (2012),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홍승연·김정민 (2011),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의 ICT 국제개발협력 동향”, 『정보통신정책연구』,

Page 15: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 kisa.or.kr · PDF filefoc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51 있다. 본고에서는 oda의 한 유형인

FOC

US

FOCUS 4 한국의 ICT분야 무상원조 현황 및 개선방안 63

23권 14호.

홍승연 (2012), “세계은행의 ICT 전략계획(2012~2015) 고찰을 통한 한국 ICT 개발협력의 추진방향”,

『국제협력정책』, 24권 18호.

한국국제협력단 (2009),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한국수출입은행 (2013), 숫자로 보는 ODA_2013 우리나라 ODA 통계자료집.

공적개발원조 (2014), “한국의 ODA 지원현황”,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2/T02/

L03_S01_01.jsp, 검색일 : 2014.2.6.

대한민국 ODA (2014), “ODA 형태 및 유형”, http://www.odakorea.go.kr, 검색일 : 2014.2.7.

한국국제협력단 (2014), “한국의 개발원조”, http://koica.go.kr, 검색일 : 201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