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독교 수용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bufs/parktaeseong/5.pdf · 2016-09-09 ·...

17
(1) 동방교회 발달사 1. 기독교 수용 1) 루시 교회의 기원 콘스탄티누스 대제(306-337) : 밀라노 칙령(313) 기독교 공인 니케아 종교회의(325) 3위일체설을 정통교리로 인정 인성 강조하는 아리우스파를 이단으로 / 콘스탄티노플 천도(330) 테오도시우스(379-395) : 기독교를 국교(392), 죽기 전 제국을 양분 / 聖 아우구스티누스 4C 후반 훈족 침입 → 게르만족 대이동(프랑크족은 로마가톨릭과 제휴) → 고트족, 서로마 멸망(476) 고대 중세 근대로의 이행 유스티니아누스 대제(527-565): 성소피아 대성당 8C초 이슬람 세력과 대결 / 우상숭배 금지(726) 마케도니아 왕조(867~1057): 중무장 기병대 988년 동로마 황제 누이 + 블라디미르 대공 동서교회 분리(1054): 교황이 콘스탄티노플 총주교 파문 십자군 원정(1095~1270): 콘스탄티노플예루살렘 8차원정(루이 9세) 1291년 최종 철수 동로마제국 : 잦은 왕조 교체, 주변국과의 전쟁 1453년 오스만 투르크 동로마 멸망 / 백년전쟁

Upload: others

Post on 21-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1) 동방교회 발달사

    1. 기독교 수용

    1) 루시 교회의 기원

    콘스탄티누스 대제(306-337) : 밀라노 칙령(313) 기독교 공인 니케아 종교회의(325)

    3위일체설을 정통교리로 인정 인성 강조하는 아리우스파를 이단으로 / 콘스탄티노플 천도(330)

    테오도시우스(379-395) : 기독교를 국교(392), 죽기 전 제국을 양분 / 聖 아우구스티누스

    4C 후반 훈족 침입 → 게르만족 대이동(프랑크족은 로마가톨릭과 제휴) → 고트족, 서로마 멸망(476)

    고대 중세 근대로의 이행

    유스티니아누스 대제(527-565): 성소피아 대성당

    8C초 이슬람 세력과 대결 / 우상숭배 금지(726)

    마케도니아 왕조(867~1057): 중무장 기병대

    988년 동로마 황제 누이 + 블라디미르 대공

    동서교회 분리(1054): 교황이 콘스탄티노플 총주교 파문

    십자군 원정(1095~1270): 콘스탄티노플예루살렘

    8차원정(루이 9세) 1291년 최종 철수

    동로마제국 : 잦은 왕조 교체, 주변국과의 전쟁

    1453년 오스만 투르크 동로마 멸망 / 백년전쟁

  • (1) 수용 배경

    사절단 파견 ⇐ 가톨릭, 정교, 이슬람, 유대교 사신들 설명

    콘스탄티노플 성당 예배 : 기둥이 없는 돔식의 웅장한 지붕

    하늘 나라를 구체화 / 훌륭한 성가, 기도의식, 성상, 금은 장식물

    모자이크와 이콘, 수많은 촛불 아래 진행되는 의식 ⇒ 천국의 감흥

    988년 크림 반도에서 시작 開眼 세례 대공의 행동 변화

    교회의 사회적 기능 강화 : 자발적 개종

    1. 기독교 수용

    2) 배경 및 과정

    (2) 수용 과정

    대외적 : 대공 블라디미르(980∼1015) : 정치적 or 상업상의 야심 충족

    국가의 위상 제고 / 야만족이란 오명 탈피 / 다른 세력과의 규합 필요

    대내적 : 루시 민족의 대내적 단결 / 공후 가문내 결속

    상호보완의 정치적 관계 ⇒ 긴밀한 정신적 유대관계 : 국가적 통합이 요구

    정치적 의도 / 이중신앙 탄생

  • (1) 키예프 시대

    2. 교회의 발달과 변천

    1) 초기 교회

    • 비잔틴과의 관계 변화 : 그리스인 대주교⇒ 러시아인(키릴) / 전국 순회

    • 민족 부흥의 중심지 : 면세 + 신분상 보호 + 몽고족의 종교적 관용

    • 러시아 교회 독립 : 플로렌스 종교화의(1439) 반대 / 대주교 독자적 선출

    • 모스크바-제 3 로마설 : 콘스탄티노플 멸망(1453) / 이반 3세의 정통 계승

    • 소유파 ⇔ 비소유파 논쟁 : 수도원의 토지소유 문제 / 교회의 기능

    • 모스크바 총주교 승격(1589): 짜리와 밀월관계 / 동란시대(위기극복 주역)

    • 교회분열 : 총주교 니콘의 개혁(1654) ⇔ 구교도 / 분리주의자 저항

    초기 교회의 확산과 기능 / 교회 중심의 민족 재통일

    (2) 타타르 지배 & 모스크바 왕국

    • 교회 건립 : 인근국의 기술자 초빙 / 문자 보급⇒ 문맹 탈피, 야만적 관습 교화

    • 사회적 기여 : 이념적 기반 + 자선과 병자 치료, 여행자에게 숙박 제공

    • 가톨릭 문화와 단절 : 러시아 독창적 문화의 창달 가능성

    • 정교회의 원심적 특성 : 루시 교회도 독립할 준비

  • (1) 표트르 대제의 개혁

    2. 교회의 발달과 변천

    2) 제정 러시아

    • 국가 교회로서 자리매김 : 신성종무원장 = 정부 각료

    • 종무국의 창설 : 교회 행정의 정규화 / 교회 재산 관리(경제국)

    • 1833 법전 : 신앙 자유 허용 but 정교회에 대한 법적 보장

    • 관제국민주의 : 체제 수호 기구의 연결고리

    • 교회와 국가의 긴밀한 협력 : 농민반란 / 초등교육 관장 / 정교회의 선전활동 강화

    • 러시아화 정책의 기수 : 구교도 탄압, 타종교의 정교 개종

    1905년 혁명 전후 (구도주의자 혁명세력의 건신론자)

    교회의 국가 종속 / 국가와 교회의 긴밀한 협력 관계

    (2) 19세기 교회

    • 서구화 정책에 따른 국가의 강화 : 자원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동원

    • 수도원과 교회 : 재산과 농노 소유 / 교단의 세속적 파워(인민 생활을 관장)

    • 총주교의 급사(1700)⇒ 교회 업무를 회의체 기구에 운영 시도

    • 1721 교회법 : 총주교제 폐지, 행정기구 설치 / 교회의 교육기능 명시

    • 교회의 국가 종속 : 교회 업무가 황제 통치下, 임명된 사제는 충성서약, 정교를 보호

  • (1) 소비에트 시대

    2. 교회의 발달과 변천

    3) 현대 러시아

    • 러시아 정교회 조직 : 모스크바 총대주교구 산하 128개 주교구

    러시아 자유정교회 : 1917년 망명 교회

    지하 정교회 : 소련 시절 국내 지하조직 / 구교파 정교회

    • 우크라이나 정교회 : 1992 분리 키예프 총대주교구

    주교관구 / 교구 / 수도원 / 신학교

    교회의 탄압 & 회유 / 제 2의 부흥기

    (2) 민주 러시아 시대

    •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관한 법령 : 교회 재산 국유화 / 교회의 교육기능 폐지

    • 종교는 아편 : 사상적 탄압⇒ 정교회 조직과 신자들은 지하활동

    • 제 2차 세계대전 : 스탈린의 화해 제스처 ⇒ 전 국민적 애국심에 호소

    • 교회의 생존전략 : 체제 찬양 / 반체제 사제들의 비판적 입장

    • 기독교 수용 1000주년 행사 : 1988년 고르바쵸프

    • 소연방의 해체(1991) : 민족의 해방 / 종교의 자유

  • (1) 교리적 차원

    3. 러시아 정교의 특성

    1) 비잔틴 문화의 계승

    • 교리상 정교 : 성서를 배우고 믿게 되면 착한 것, 과거의 전통을 무조건 배척 X

    • 루시가 수용한 정교 : 배움이란 머리로만 익히는 것 X, 마음과 몸을 포함한 총체적인 행위

    • 배움(修道): 악을 단절하고 선을 취하는 양자택일론 X, 악 가운데서 선을 회복하려는 노력

    • 핵심문제 : 사느냐, 죽느냐 X, 죽은 것을 어떻게 부활시켜 놓는가

    • 정교회의 벽면 : 모자이크 or 프레스코 이콘의 역할 = 선을 추구하기 위한 도구

    수도와 선을 중시 / 지성보다 정신성을 강조

    (2) 형식적 차원

    • 내부 장식 : 모자이크나 프레스코 이콘의 제작기술도 전수

    • 정교 : 신앙을 단순한 관념이나 지적 이해 X, 몸으로 수도하는 체험

    • 건축술 / 미술 / 교회 달력에 따른 예배 의식 / 성경책(번역)

    • 비잔틴 총주교구 : 지성 우위의 혁명을 거부 / 감정 수련과 정신적 수도를 중시

    지성에 대한 정신적 영역을 고수 / 수도원 교육; 정신성 > 지성

  • (1) 활용적 차원

    3. 러시아 정교의 특성

    2) 비잔틴과 다른 전통

    • 어버이 비잔틴이 자식에게 주지 않은 것 : 그리스 고전이라는 보물

    줄 기회가 없었다 / 줄 마음도 없었고 / 루시도 그것을 요구하지 X

    • 루시는 그리스어 독해 공부에 신경쓰지 X : 욕심, 능력, 용기 부재

    그리스 관련 내용 : 번역된 책들(精神書)에 만족 / 구어체만 습득

    • 교회의 지붕 모양 : 어니언-돔 / 이슬람교 사원과 흡사 ⇒

    [이슬람의 비잔틴 점령 : 콘스탄티노플의 성당을 자신들의 사원으로]

    • 북쪽 교회의 양파 모양 : 적설량의 무게로부터 돔을 보호

    • 루시의 이콘화 : 러시아적 특성과 형상을 보유

    비잔틴 : 수도원적, 신비주의적 / 개인적, 교부의 정통 중시 러시아 : 대중적, 신비주의 +사회적 이상 / 민족적, 러시아적 전통 중시

    http://www.metmuseum.org/explore/Byzantium/byzim_37.html

  • (1) 감동적 요소

    3. 러시아 정교의 특성

    3) 러시아적 특징

    • 비잔틴보다 덜 철학적 / 라틴보다는 덜 제도적

    • 정치적 필요에 의해 수용된 종교 : 지적·문화적 진보 지연

    • 감동적 요소가 강조 : 교회 의식의 화려함과 장중함에 매료

    • 감동적 기질 : 자연의 미, 인간의 용기나 사랑, 음악, 예술

    감동적 기질 + 의식 행사의 극화

    (2) 의식적 부분

    • 비잔틴의 교회의식을 대부분 전수

    • 예수의 탄생, 사망, 부활의 강조 ⇒ 의식미가 더욱 극적으로

    • 교회 : 명목만의 신의 집 X, 진실로 신이 거하시는 장소로 신성시

    • 예배의식 : 악기 사용 X, 신이 부여한 가장 아름다운 소리인 인간의 목소리만으로 노래

    선채로 예배 : 하느님 숭배 마음 / 십자가에 죽은 예수의 아픔을 기리는 뜻

    • 성직자의 역할이 미미 : 평신도들이 종교의식을 주도

  • (3) 독자적인 해석

    3. 러시아 정교의 특성

    3) 러시아적 특징

    • 기독교 진리에 새롭고도 깊은 통찰력

    • 비잔틴 : 예수의 神性 중시 ⇔ 루시 : 人性 중시(신성포기적 측면 강조)

    • 인간으로서의 예수(청빈, 사랑, 다정다감, 연민) : 본받는 것이 곧 구원의 길

    • 천국과 지상의 지배자 하느님 < 겸허한 예수의 성품과 희생에 대한 믿음

    • 기독교 안의 자기비하적 요소를 중시

    인간 예수의 자기비하적 요소 / 인민들의 이중신앙

    (4) 이중신앙

    • 기독교로의 개종 : 어느 나라보다 급속히, 비교적 고통 없이 진행

    • 세례의 실효성 : 인민들에게 표면적인 지배력

    인민 : 신념과 관습은 여전히 이교도, 이전의 미신들을 기독교에 포함

    • 자연에 대한 강렬한 사랑 : 자연 속에서 신의 사랑에 대한 증거 발견

    • 기독교 성인들 + 이교도 신들 : 새로운 숭배 대상

  • (5) 소보르노스찌 정신

    3. 러시아 정교의 특성

    3) 러시아적 특징

    • 정교를 서방 가톨릭이나 개신교와 완전히 구분 짓는 개념

    • 가톨릭 교회 : 통일은 있으나 자유가 X / 개신교회 : 통일 없는 자유만 존재

    • 러시아 정교 : 진정한 자유 안에 통일을 지향하는 정신

    소보르노스찌 / 종말론적 성격 / 황제교황주의

    (6) 종말론적 성격

    • 러시아인 : 문화의 중간 영역에 관심 X

    종말론적인 신의 나라에 대한 사상 : “묵시론자들 or 허무주의자들”

    • 러시아 정교 : 문화를 정당화 X / 인간의 창조물에 대해 허무주의적 반응

    • 초지상적인 絶對善 지향 : 모든 예배와 연중 교회생활 속에 선명하게 표현

    • 부활절을 가장 성대하게 : 죽음을 이기고 새로운 생명을 얻은 그리스도를 찬미

    • 성상화의 아름다움 : 속세의 아름다운 모습 X, 초지상적인 영성(靈性)에서 추구

    (7) 기타

    • 황제교황주의 : 비잔틴 전통 / 교회&국가의 긴밀한 협조⇒ 황제의 권한이 강조

    • 상징 : 백승 & 흑승 / 꾸뽈(신에 대한 염원) / 내타식 종 / 십자가 / 성호 손가락

  • (1) 대외적 위상의 변화

    4. 정교회의 부활

    1) 위상과 인식의 변화

    양심의 자유 및 종교 연맹에 대한 러시아 연방법(1997.10.1.) : 법 앞에서 평등한 권리를 확인 /

    정교, 이슬람교, 불교, 유대교 및 러시아 민족의 역사적 유산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요소를 이루고

    있는 다른 종교들을 존중 상호이해와 인내, 협력을 강조

    푸틴의 방문(2005.9.9.): 그리스정교 총본산 아토스 수도원

    러시아가 가장 거대한 정교 강국이라고 선언

    러시아 국민의 민족적, 종교적 자긍심을 고취

    옐친 전 대통령의 정교회 장례식(2007.4.25.)

    그리스도 구세주 사원에서 거행(제정 이후 최초)

    러시아정교회 + 해외 러시아정교회의 재통합(2007.5.17.)

    : 예수승천대축일 / 총대주교 알렉세이 2세(2008.12.타계)

    + 해외지도자 메트로폴리탄 라우루스 수좌대주교가 협정 서명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특권 인정 : 법인체로 권리를 공식 인정

    교회 자체의 부동산 소유 / 사회활동과 대중매체 활용 가능

    폐허 교회건물의 재건 : 정부의 재정 지원 / 사원이 복원

  • 4. 정교회의 부활

    1) 위상과 인식의 변화 (2) 인식의 변화

    이념적 정교 : 러시아 주민의 절대 다수가 ‘정교 신자’라 간주 → 종교로서가 아니라 정신적 가치를

    상징 미신이나 무속, 점성술, 사교에도 심취

    정교회의 부활 : 종교 자체의 부활 X, 정교와 동일시된 민족주의 부활

    정교를 일정한 종교체계 + 자연스런 문화적 영역이자 민족적 삶의 모습

    러시아 학술원 정회원들의 공개서한(2007 여름): 정교회의 영향력 증대와 이를 위한 전방위적 노력

    에 대한 우려를 대통령에게 , 국가교육기관의 필수교과목으로

    (3) 정교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점

    심각한 사회문제 : 빈번해진 성직자 살해사건 / 교회재산 약탈

    외형적 부활에 따른 내면적 성찰이 부족 : 불안감 해소나 기복신앙에 경도 / 다수가 피상적 신앙을 가

    진 신자 혼돈에 빠지거나 초자연적 현상을 신봉, 종교에 무관심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에 미대비 : 저학력 수동적인 신자 고학력 전문가 계층 출신의 새로운 신자 /

    충분한 이념적 대안과 답변을 제공 X

    역사적 인식(소비에트 시대의 비겁함) : 정교회가 공산주의 정권에 협력했다는 것을 알고 실망

    생활양식의 급속한 서구화 : 러시아 사회에 미치는 정교의 영향력도 한계

    진정한 정교문화의 부활 : 외형적 측면 X, 정신문화의 전통을 현 상황에 맞게 부활 혼란스런 현대

    인에게 정신적 토대를 제공

  • 4. 정교회의 부활

    2) 국가-교회관계

    (2) 국민 대중들의 인식

    소련 붕괴 이전 : 국가-교회관계 설정은 통치자의 고유 권한(오랜 전통)

    신종교법 : 개신교 활동 급증 정교회 지도자를 자극 전통적인 국가-교회관계 회복을 요구

    젊은 층 다수가 4대 전통종교 단체들의 특권적 지위를 인정 국교화 문제가 대두

    러시아 전통문화 상징으로서의 정교회를 인정(정부지원 하) TV에서 정교회 방송의 증가

    국가-교회간의 조화 : 교회가 국가에 종속된 상태와 동일시 / 정교회의 직접적인 정치 참여에 부정

    적인 시각 국가-교회 분리 + 정교회의 지배적 위상 + 국가에의 종속

    1997년 신종교법 : 4대 전통종교에 대한 특권적 지위 부여 현실화 행정적 지원 본격화

    발표(2000.1.14.): “러시아내 모든 삶의 영역에서 내외부적 위협으로부터

    개인, 사회와 국가를 수호하기 위한 입장” 종교도 이 영역에 포함

    정교회 주교회에서 표명(2000.8): 국가로부터 분리, 일정한 거리 유지 / 종교단

    체 활동의 정치화 / 종교문제 전담 상설 국가기관 설치 요구

    (2004.5): 국가정책이 최우선 / 종교단체도 국가이익을 위한 하

    나의 도구 / 종교적 극단주의와 문화영역 팽창에 대응 국가의 주도적이며 실질적 역할이 강화

    (1) 새로운 교회-국가관계의 변화

  • ** 종교의 자유 **

    5. 기타 종교

    이슬람교 : 역사적 유래 / 폭력주의에 대한 부정적 ↔ 긍정적 인식 60% 이상

    세속주의 이슬람 (타타르스탄 공화국) : 20% 정도가 독실 → 세속주의와 무신론

    수피즘 (북카프카즈-체첸인) : 신비주의·금욕주의 경향 → 정치적 과격주의

    불교 : 15C 후반부터 몽고, 중국, 티베트를 통해 → 서구에서 불교도 2위(학문적 업적)

    부랴트, 투바, 칼미크 공화국 : 자본주의와 사회경제적 혼란을 해결할 수 있는 위안처로 각광

    유대교 : 19C 후반부터 反유대주의(погром) → 혁명의 실패(대학살) → 팔레스타인으로 이주

    1990년대부터 보호 : 약 400만명

    개신교 :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 서방(미국)의 지원 속에 선교

    가톨릭교 : 1991년 이후 본격적 진출, 정교회 사제들의 견제

    러시아 정교회가 국가교회로서 거듭 날 수 있을 것인가?

  • 러시아의 샤머니즘 몽골의 샤머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