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13
- 1 -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1) 거시경제학 정의 (1) 거시경제학 연구분야 - 개별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 결과로 발생하는 국민경제의 총체적 현상을 연구하는 경제학 분야 (2) 거시경제학의 3가지 당면 과제 경제성장(국민소득) 물가안정 국제수지균형 => 3가지 당면과제 해결을 위해 경제 전체적인 변수의 결정요인과 상호연관관계를 분석 (3) 주요 거시경제변수(macroeconomic variable) - 총생산, 총소득, 총고용, 물가, 통화량, 금리, 재정, 경제성장, 국제수지 등 2) 거시경제학 연구대상 (1) 경제성장 - 한 나라의 경제성장 결정요인은? - 국가별로 경제성장률과 국민소득 격차가 발생하는 요인은? - 많은 개발도상국이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2) 실업과 인플레이션 - 실업과 인플레이션 발생원인? - 실업 해결 및 물가안정을 위한 정부 정책? (3) 국제수지와 환율 - 국제수지와 환율의 결정요인? - 환율과 물가, 이자율, 국민소득과의 상관관계?

Upload: others

Post on 06-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1 -

<제14강> 거시경제지표, 경기동향지표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1) 거시경제학 정의(1) 거시경제학 연구분야

- 개별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 결과로 발생하는 국민경제의 총체적 현상을 연구하는 경제학 분야

(2) 거시경제학의 3가지 당면 과제

① 경제성장(국민소득)

② 물가안정 ③ 국제수지균형

=> 3가지 당면과제 해결을 위해 경제 전체적인 변수의 결정요인과 상호연관관계를 분석

(3) 주요 거시경제변수(macroeconomic variable)

- 총생산, 총소득, 총고용, 물가, 통화량, 금리, 재정, 경제성장, 국제수지 등

2) 거시경제학 연구대상(1) 경제성장

- 한 나라의 경제성장 결정요인은?

- 국가별로 경제성장률과 국민소득 격차가 발생하는 요인은?

- 많은 개발도상국이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2) 실업과 인플레이션 - 실업과 인플레이션 발생원인?

- 실업 해결 및 물가안정을 위한 정부 정책?

(3) 국제수지와 환율 - 국제수지와 환율의 결정요인?

- 환율과 물가, 이자율, 국민소득과의 상관관계?

Page 2: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2 -

(4) 경기변동 - 경기순환과 변동의 원인?

- 경기변동 완화를 위한 정부 정책과 정부 개입 방식은?

(5) 정부의 거시경제정책 - 정부의 경제안정화 정책의 바람직한 사용?

- 시장 자율조정기구와 정부개입의 효율성

2. 미시경제학(micro economics)과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 비교1) 분석대상의 차이(1) 미시경제학

- 미시경제학은 개별경제주체의 최적화 행위를 분석하고 균형점을 찾고자 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 개별나무 종류, 나이, 지름 등을 관찰하는 분석체계와 유사* (비유) 미시경제학은 숲을 구성하는 ‘나무’하나하나의 생태를 관찰

(2)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학은 개별경제주체의 최적화 행위가 아니라 시장 전체의 균형점을 찾고자 하는 경제학 의 한 분야

* 숲 전체의 면적, 크기, 숲을 차지하는 나무의 분포 관찰하는 분석체계와 유사* [비유) 거시경제학은 나무로 구성된 ‘숲’의 전체를 관찰

2) 사용하는 경제변수의 차이(1) 가격과 물가

Page 3: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3 -

(2) 생산량과 총생산량

3) 이론체계상의 차이(1) 미시경제학

- 미시경제학은 단일화된 이론체계를 가지고 있음 - 미시경제학의 근간이 되는 주류 경제학파는 고전학파로 어떤 경제현상에 대해 이론적 견해의 차이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음.

(2)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학은 1930년대 발생한 <세계대공항>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태생한 경제학의 한 분야

* 기존 고전학파 이론체계는 1930년대 세계대공항의 만성적의 경기침체와 장기 실업현상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없었음. (고전학파 합리적 경제인과 가격 신축성 기본전제로 함)

* 케인즈(J.M. Keynes)은 고전학파의 한계점 인식하고, 제한된 합리성과 가격의 경직성을 바탕 으로 경제현상 재해석함.

Page 4: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4 -

3. 거시경제학의 두 조류

시기 시대상황 학문적 조류

1776

~1920년대

대공항(영국)

고전학파

• 미시경제학 집대성

• 세이의 법칙 : 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함

• 시장기능 중시 : 보이지 않는 손

• 가격신축성  → 시장균형• 자유방임주의 : 정부개입반대

1930년대대공항

(미국)

케인즈

• 거시경제학의 출발

• 유효수요이론

: 총수요가 총공급을 결정함

• 시장에 대한 불신 : 보이지 않는 손이 아닌 마비된 손

• 가격경직성 → 시장실패• 시장개입주의:정부개입 정당화

1940

~1960년대고원 경기

(미국)

케인즈 학파

• 시장실패가 정부실패보다 더 큰 문제

• 실업이 더 큰 해악 • 재량적 재정정책

• 스태그플레이션 원인

: 원유파동, 원자재가격 상승

통화주의 학파

• 정부실패가 시장실패보다 더 큰 문제

• 인플레이션 더 큰 해악• 준칙적 금융정책

• 스태그플레이션 원인

: 정부재정정책에 의한 기대인플레이션율 상승

1970

~1980년대

스태그

플레이션

새고전학파

• 합리적 기대와 시장균형

• 총수요관리정책 무력성

새케인즈 학파

• 합리적 기대와 시장불균형• 단기 총수요관리정책의 유효성

Page 5: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5 -

4. 국민소득1) 국민소득과 국부의 이해(1) 국민소득과 국부 개념

- 국민소득(national income) :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의 경제가 벌어들인 총화폐액 (=한 나라 국민들의 소득. 즉 임금, 이자, 지대, 이윤을 모두 합한 금액) 유량(flow) * '국민소득'의 해석 : 국민소득이 많다는 것은 그 나라가 그만큼 풍요롭고 시장이 크고 국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 -국부(national wealth) : 일정 시점에서 측정한 국민경제 전체의 부 저량(stock)

(2) 국민소득과 국부의 구분 - 국부 자체가 높은 생활수준을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님. - 국민소득이 직접적인 경기상황을 반영.

* 국부 - 한 나라 전체의 자본, 토지 등 생산요소 (저량 변수 개념) * 국민소득 -생산요소를 통해 유량 개념인 생산과 국민소득 결정

2) 국민소득의 순환(1) 가계와 기업만 있는 경우 (국민소득 순환)

① 생산요소 시장 -(가계) 생산요소(토지,노동,자본 등)를 기업에 제공 -(기업) 생산요소구입 대가로 요소소득(임금, 이자, 지대, 이윤 등)을 가계에 제공 ② 생산물 시장 -(가계) 생산물(옷, 구두 등) 구입으로 소득 지출 -(기업) 생산물 판매 수입 획득

<그림1> 국민소득 순환도 : 가계, 기업만 있는 경우

Page 6: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6 -

⇒ ① 개인들이 분배받는 <임금, 이자, 지대, 이윤>을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합산하여 국민소득을 구할 수 있음. '분배국민소득' ② 분배받는 소득은 모두 재화를 구입하기 위해 지출되므로 가계의 지츌액을 모두 합산하여 국 민소득을 구할 수 있음. '지출국민소득' ③ 가계에 분배되는 소득은 결국 총생산물에서 나오므로 기업이 생산한 생산량을 모두 합산하여 국민소득을 구할 수 있음. '생산국민소득'

(2) 가계, 기업, 정부, 해외가 있는 경우 (국민소득 순환)

① 정부 - 가계와 기업으로부터 조세 징수하여 공공재 공급 및 이전지출(=정부지출)에 사용.

◦정부투자⇒ 정부구매

* 정부지출 ◦정부소비◦(이전지출)

⇒ 여기서, '이전지출'은 없는 것으로 가정함. 보편적으로 (정부지출=정부구매)로 봄.

② 해외 - 우리나라 국민들이 해외로부터 재화와 서비스를 수입하고 우리나라 재화와 서비스를 해외로 수출함. - 수출액만큼 우리나라 판매액이 증가하나, 우리나라 소비와 투자, 정부지출에는 수입재가 포함 되어 있으므로 수입액만큼 우리나라 상품의 판매가 감소함.

* 순수출(net export) : 수출에서 수입 뺀 금액

<그림1> 국민소득 순환도 : 가계, 기업만 있는 경우

Page 7: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7 -

5. 삼면등가의 법칙1) 삼면등가의 법칙(1) 개념

- GDP를 생산, 지출, 분배라는 3가지 측면에서 측정하면 모두 동일한 값이 나오는 것을 말함. ( ⇒ 통계작성의 시차와 부정확을 통계적 불일치(오차)로 처리한다면, 생산, 지출, 분배라는 3가지 측면에서 측정한 GDP는 모두 동일하게 계산됨. )

삼면등가의 법칙

= 국내총생산 = 국내총지출 = 국내총소득

(생산GDP) (지출GDP) (분배GDP)

* Y = G D P = C + I+ G + (X - M ) = C + S + T

(2) 생산GDP (국내총생산)

- 해당기간에 생산해 낸 최종재의 총 가치를 합한 것. ( ⇒ 각 생산단계에서 부가가치와 고정자본소모를 합하여 계산할 수도 있음) * 부가가치(value added) : 생산자가 생산과정에서 새로 창출한 가치 * 고정자본소모(fixed capital consumption) : 생산과정에서 마모된 자본재의 가치

▶ 생산 GDP = 최종재가치의 합

= 부가가치의 합 + 고정자본소모

(3) 지출GDP (국내총지출)

- 해당기간에 최종재에 대한 지출을 합계한 것. * 최종재는 ①가계의 소비지출 ②기업의 투자지출 ③정부의 정부지출 ④외국의 순수출 구분 * [표시] 소비지출 C , 투자지출 I, 정부지출 G, 수출 X, 수입 M * 각 경제주체의 총 구입액과 `총생산액이 불일치하는 경우 → 총 구입액이 총생산액에 미달하는 경우 생산액이 일부가 기업의 재고로 남음. → 재고의 증가는 재고투자 항목에 포함되기 때문에 사후적으로 생산 GDP와 지출 GDP는 언제나 일치함.

Page 8: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8 -

▶ 지출 GDP = C + I + G + (X-M)

= C + I + G + XN

* 순수술(net export) = XN = (X-M)

(4) 분배GDP (국내총소득)

- 해당기간에 생산요소시장에서의 요소소득을 모두 합한 것. ( ⇒ 한 해 동안 전 국민이 얻은 소득의 합을 의미함) * 기업의 부가가치는 노동, 자본, 토지 와 같은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로 * 총생산액 중에서 고정자본소모분과 순간접세는 요소소득으로 분배될 수 없으므로 분배GDP는 이 두 가지를 더 해주어야 함.

6. 국내총생산(GDP)1) 국내총생산(GDP) 개요(1)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 GDP) 개념

① 일정기간에 ② 한 나라 안에서 ③ 생산되어 ④ 최종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⑤ 재화와 서비스의 ⑥ 시장가치를 모두 더한 것.

** GDP 구체적인 개념 해석 ` ① 일정기간 동안에

ü 국내총생산은 일정한 기간에 측정되는 유량(flow) ü 측 정 : 보통 분기(3개월, quarterly), 반년, 1년을 단위로 한국은행에서 측정

` ② 한 나라 안에서ü 생산 주체가 누구인지 관계없이 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를 측정함. ü 우리나라안 외국기업에 의한 생산은 포함되지만, 우리나라 국민이 외국에서 생산한 것은

포함되지 않음. ` ③ 생산되어

ü 해당년도에 생산된 상품의 가치만 포함.ü 증권, 채권 등 금융자산의 매매차익은 생산활동에의한 소득이 아닌 소유권이전에 불과하므로

GDP에 포함되지 않음. ` ④ 최종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Page 9: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9 -

ü 최종재만 포함, 중간재는 포함되지 않음.ü 단, 중간재 하더라도 그 해 판매되지 않은 중간재는 일단 최종재로 간주하여 포함시킴.

` ⑤ 재화와 서비스의 ü 유형의 재화 뿐 아닌 무형의 서비스도 포함.ü 무형서비스 : 교육, 의료, 법률, 수송, 운송, 오락, 미용, 각종 문화서비스 등

` ⑥ 시장가치를 모두 더한 것.

ü 원칙적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생산물 가치만이 GDP에 포함.ü 시장에서 거래되지만, GDP에 포함되지 않은 항목 : 지하경제, 이전거래, 자본이득ü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GDP에 포함되는 항목 : 전가가격(imputed value),

주택소유의 임대료, 정부서비스의 가치

7. 국민소득의 여러가지 지표1) 국민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 : GNP) (1) 국민총생산 (Gross National Product : GNP) 개념

- 일정 기간 동안에 자국 국민에 의하여 생산된 최종 재화 및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

(2) 국내총생산(GDP)과 비교

2)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 GNI)(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국내외에 제공한 벌어들인 소득

(2) 국민총생산(GDP)과 비교 ① GDP가 한 나라의 생산활동을 나타내는 ‘생산지표’라면, GNI는 국민 생활수준을 측정하기 위 한 '소득지표'

Page 10: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10 -

② GDP가 ‘경제성장률’의 중심지표이지만, GNI는 ‘1인당 국민소득’의 중심지표로 이용됨.

(3) 국내총생산(GNP)과 비교 ① UN은 1993년 개정한 신국민계정체계(System of Nation Accounts : SNA)에 따라 각 나라에 소득지표로서 GNP 대신 GNI 개념을 사용할 것을 권장함. ② GNI는 GNP의 구매력을 나타내주는 지표. ⇒ 교역조건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GNP의 구매력의 변화를 반영한 지표 ③ 예시 - 우리나라 수출 (자동차)가격이 내려가고, 수입 (석유)가격이 오르면...

ü (작년) 자동차 5만대 수출 = 석유 1억 배럴 수입ü (올해) 자동차 10만대 수출 = 석유 1억 배럴 수입 {⇒ 올해는 자동차 5만대를 더 생산해야 작년 수준의 실질 구매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

▶ 명목 GNI = 명목 GNP

▶ 실질 GNI = 실질 GN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3) 국민순생산(Net National Product : NNP)

- GNP에서 감가상각을 뺀 금액으로, 생산과정에서 자본재가 마모되고 노후화되는 부분을 제한 것. - 감가상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부분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 지표.

▶NNP = GNP - 감가상각

4) 국민소득(National Income : NI) - 좁은 의미에서 살펴본, 국민소득 지표로 민간부문의 요소소득(임금,이자,지대,이윤)의 합계

▶NI = NNP - 간접세 + 보조금

5) 새로운 후생지표(1) -"경제후생지표(MEW: Measure of Economic Welfare)" - GDP개념이 사회후생수준을 잘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토빈(J. Tobin)과 노드하우스(W. Nordhaus)에 의해 도입된 개념

▶ 경제후생지표 (MEW) = GDP + 사회후생 증가시키는 요인 - 사회후생 감소시키는 요인

= GDP + 여가의 가치 + 가정주부의 가사서비스 가치 - 공해비용

6) 새로운 후생지표(2)-그린GDP (환경계정) - 환경자산도 경제자산으로 취급하여 GDP계산 시 재생 불가능한 자원의 소비액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해액을 반영한 후생지표

Page 11: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11 -

8. 경제수준 및 물가수준의 측정1) 명목GDP와 실질GDP의 이해 (1) 명목GDP(nominal GDP)

- 해당연도의 생산량에 해당연도의 가격을 곱해 각 상품의 시장가치를 합한 것.

▶ 명목 GDP = 해당년도 생산량 × 해당년도 가격

(2) 실질GDP(real GDP)

- 해당연도의 생산량에 기준년도의 가격을 곱해 각 상품의 시장가치를 합한 것.

▶ 실질 GDP = 해당년도 생산량 × 기준년도 가격

2) 물가수준의 측정 (1) GDP디플레이터(GDP deflator)

-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재화와 서비스 가격의 평균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물가수준을 나타 내주는 지표 - 이 물가지수는 중간재이 가격은 반영되지 않음. -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수치에 100을 곱한 것.

▶ 디플레이터 실질명목

×

(2)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 CPI)

- 일반적인 가계가 구입하는 소비재의 가격 변동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는 물가지수 - 소비자가 일정한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생계비의 지수이기도 함. - (우리나라) 매월 통계청이 전도시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전년을 기준년도 그해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놓고 올해 지수를 측정 소비지출이 높은 소비재 481개 항목을 대상으로 개발 재화의 가격을 조사하여 측정.

- 소비자물가지수는 생계비 지수를 나타내므로 임금인상률 결정이나 정부의 최저생계비 산출에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됨.

Page 12: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12 -

(3)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 PPI)

- 국내에서 생산되어 판매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에 대해서 생산자가 받는 가격의 평균적인 수준을 거래액에 따른 가중치를 곱하여 계산한 물가지수. - 기업 상호 간 거래 가격의 지수이므로 과거에는 ‘도매물가지수’라고도 불렀음. - (우리나라) 한국은행이 조사발표. 기준년도를 정하여 884개 정도 품목을 대상으로 가격조사.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재가격 뿐 아니라 중간재, 자본재, 원자재 가격도 포함됨.

3) 확인 문제 <문제1> 아래 표는 A와 B재화만을 생산하는 국가의 1999년과 2000년도 생산량과 가격이다.

1999년 2000년

A재화 생산량 40 60가격 200 360

B재화 생산량 100 120가격 2000 3000

<해설1> ü 1999년 명목GDP ? ∴× × ü 2000년 명목GDP? ∴× × (+173,600)ü 1999년도를 기준으로 측정한, 1999년과 2000년의 실질GDP? ∴ 년 실질

년 실질 × ×

(+44,000)

<문제2> 아래 표는 우리나라 2000년과 2005년의 명목GDP와 실질GDP를 보여 주고 있다. 2000년에는 명목GDP와 실질GDP가 같은데, 이는 2000년도를 기준년도로 하여 실 질GDP를 계산하였기 때문이다.

명목GDP(경상가격) 실질GDP(2000년 가격)2000년 578조 6645억원 578조 6645억원2005년 806조 6219억원 721조 2914억원5년간 39.4% 증가 24.6% 증가

⇒ 2000년과 2005년 명목GDP는 경상가격, 즉 2000년과 2005년 가격으로 각각 계산한 것. ⇒ 2000년과 2005년 실질GDP는 모두 2000년도 가격을 기준가격으로 하여 계산한 것. 2005년 실질GDP는 2000년에 비해 24.6% 상승한 반면, 명목GDP는 39.4% 증가

Page 13: 1.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의 의의 · (1)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 GNI) 개념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 13 -

하였다. 명목GDP상승은 물가상승이 반영되었기 때문인데, GDP디플레이터를 구해 물가상승 여부를 확인하여라.

<해설2> ü 2000년에 비해 2005년에 명목GDP가 39.4%증가 ⇒ (원인) 생산량이 24.6% 증가ü 그렇다면, GDP에 포함되어 있는 최종재화의 물가는 얼마나 상승하였는가?

⇒ 디플레이터 실질

명목× 를 토대로 2000년과 2005년의 GDP디플레이터 계산

계산 식 GDP 디플레이터2000년 (578조 6천억원/578조 6천억원)×100 1002005년 (806조 6천억원/721조 2천억원)×100 111.84

⁂ 2000년 GDP디플레이터는 100이고, 2005년 GDP디플레이터는 111.84임. 즉, 2000년에 비해 2005년에 GDP에서 물가가 11.84%정도 상승한 셈.

2000년에 비해 2005년까지 명목GDP가 39.4$%정도 상승한 원인은? 생산량이 24.65% 증가하고 물가가 11. 84%정도 상승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