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41
베이비붐 세대의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 이 상 영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2011. 10. 11 ( 화 )

Upload: won-jun-hong

Post on 12-Jul-2015

485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TRANSCRIPT

Page 1: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베이비붐 세대의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

이 상 영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2011. 10. 11 ( 화 )

Page 2: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목 차

제 1 장 금융위기와 주택부동산시장의 구조변화

제 2 장 인구구조 변화가 미치는 영향

제 3 장 지역 및 주택선호 변화가 미치는 영향

제 4 장 자산구성의 변화

제 5 장 부동산투자전략

Page 3: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제 1 장 금융위기와 주택부동산 시장의 구조변화

1. 미국 주택시장의 변화

2. 일본 주택시장의 변화

Page 4: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1. 미국 주택시장의 변화

< 미국의 40 59~ 세 인구 비중 추이와 주택가격 >

자료 : S&P, Census

미국의 40, 50 대 인구비중 감소와 부동산가격 폭락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보임

미국의 40~59 세 베이비 붐 세대의 인구비중 2006 년 28% 를 정점으로 2007 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함

미국의 주택가격지수를 살펴보면 , 2005 년까지는 가격상승세를 유지하지만 금융위기와 베이비 부머의 은퇴에

따른 많은 경제 , 사회적 영향으로 인해 2006 년 이후 급격한 하락세를 나타냄

베이비 부머의 은퇴는 부동산 수요 감소를 초래하여 주택가격 하락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임

4

Page 5: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2. 일본 주택시장의 변화

일본의 40, 50 대 인구비중 감소와 부동산가격 감소도 동시에 나타남 .

일본의 토지가격은 91 년을 정점으로 이후 하락추세임 . 상업용 토지가격 과 주거용 토지가격지수도 같은 추

세를 나타냄

일본의 40~59 세 베이비 부머 세대의 인구비중은 1993 년 29.16%(3,636 만 2 천명 ) 을 정점으로 감소 일본 베이비 부머 역시 미국의 베이비 부머세대와 마찬가지로 부동산 수요 감소를 초래하여 토지 및 주택가격

하락의 원인으로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임

< 일본의 40 59~ 세 인구 비중 추이와 토지가격 >

자료 : 일본국토교통성 , 일본통계청5

Page 6: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2. 일본 주택시장의 변화

1990~ 2005 년 일본 수도권 맨션은 동경 중심지에서 10~ 20km 권에 집중 분포

도쿄 70km 권내의 맨션누적호수를 보면 10km 권 , 20km 권에 맨션이 집중되어 있음

맨션의 면적과 평균 판매가격 관계를 보면 10km 권에 1994 년 , 그 이외 권역에서는 1991 년 이후 판매가격

이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남

하지만 2004~2005 년부터는 10km 권 , 20km 권에서 맨션의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 면적이 확대되고 있으

며 , 30km 권 , 40km 권 이상 권역은 판매 가격 하락 , 면적 축소 경향이 나타남

< 수도권 권역별 공동분양 추이 > 백만 명

1990 1995 2000 2005 년자료 : 수도권 정비에 관한 연차보고 , 일본국토교통성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권역별 착공호수/

70㎞권내호수

< 도쿄 23 구의 인구추이 >

6

Page 7: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2. 일본 주택시장의 변화

인구감소와 버블붕괴 이후 신규주택공급이 급락

일본의 경우 ’ 68 년 이미 세대수를 상회하는 주택 재고 보유 . ’03 년 현재 1 세대당 주택수 1.14 호

신설주택착공수가 세대 증가 둔화에 따라 지속적인 감소 추이를 나타냄

일본의 경우 , 90 년대 버블붕괴 이후 신규주택공급이 급락

- 버블기 160~170 만 호 건설되던 신규주택은 2000 년대 들어 110-120 만호 수준으로 감소 . 금융위기 이

후 80-90 만호 .

- 버블기 신축맨션 , 수도권 호당 6 천만 엔에서 2000 년대 4 천만 엔 수준으로 하락

< 신설주택착공수 및 세대증감수 추이 >< 총주택수 , 총세대수 , 1 세대당 주택수 >

5,389

5,0254,588

4,2013,861

3,545

3,106

2,559

2,109

4,726

4,4364,116

3,7813,520

3,283

2,965

2,5322,182

0.97

1.01

1.05

1.08

1.101.11

1.111.13

1.14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1963년

1968

1978년

1983년

1988년

1998년

1993년

1998년

2003년

0.85

0.90

0.95

1.00

1.05

1.10

1.15

1.20총주택수_호(좌)

총세대수_세대(좌)

1세대당주택수_%(우)

단위 :1 만

출처 :2003 년 주택 · 토지통계조사

7,343

5,976

8,093

7,299

6,673

5,471

4,502

7,849

5,910

3,299

2,6902,882

1,224

313

2,280

2,2282,156

3,229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971~

1975

1976~

1980

1981~

1985

1986~

1990

1991~

1995

1996~

2000

2001~

2005

2006~

2010

2011~

2015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착공수(좌)

세대증감수(우)

(1,000호)

(년)

(1,000세대)실적치 예측치

주택착공수출처 : 국세 ( 國勢 ) 조사

7

Page 8: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2. 일본 주택시장의 변화 : 수도권 인구동향

최근 일본은 기성시가지 ( 동경 도심 ) 중심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도심회귀 현상을 나타냄

도쿄 근교 수도권 유입인구의 일부를 받아들여 기성 시가지 인구 증가를 억제한다는 기존의 인구동향

에 큰 변화가 생기고 있음

도쿄 23 구의 인구추이를 보면 , 90 년대 중반부터 증가로 바뀌었음

- 2000 년부터 2005 년까지 5 년 동안 , 도심 3 구 ( 치요다구 , 츄오구 , 미나토구 ) 의 인구증가율은

15% 이상임

도심 3 구는 전입이 전출을 초과하는 도심회귀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2000 2005~ 년 일본 수도권의 인구증감 >

연평균인구변화율1.0%이상감소0.5~1.0%감소0.0~0.5%감소

2.0%이상증가

0.5~1.0%증가

0.0~0.5%증가

1.0~2.0%증가

< 1 990 1 995~ 년 일본 수도권의 인구증감 >

연평균인구변화율

1.0%이상감소

0.5~1.0%감소

0.0~0.5%감소

2.0%이상증가

0.5~1.0%증가

0.0~0.5%증가

1.0~2.0%증가

자료 : 수도권 정비에 관한 연차보고 , 일본국토교통성8

Page 9: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제 2 장 인구구조 변화가 미치는 영향

1. 인구 전망

2. 가구 인원별 추이

3. 1 인 가구 동향

4. 혼인추이

5. 합계출산율 및 완결출산율 추이

6. 평형별 공급추이 ( 아파트 )

Page 10: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1. 인구 전망

주택 주 수요층 35~ 54 세 인구비중은 2011 년부터 감소

자료 : 통계청

주요 경제활동 및 주택 주 수요층인 35~54 세 인구는 2010 년 33.87%(1,665 만 4 천명 ) 로 정점을 보인 후

꾸준히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총인구 변화 > < 수도권 - 지방 인구 추계변화 >

- 연령대별 인구는 35 세 미만의 인구가 1988 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고 , 주택 주 수요층인 35~54

세 인구는

2010 년을 정점으로 감소로 돌아섬

- 55 세 이상 인구는 2021 년 35~54 세 , 2024 년 35 세 미만 인구수를 앞지를 것으로 예상됨

- 수도권과 지방인구는 2010 년을 기점으로 지방인구 감소 , 수도권 인구 증가를 보이나 수도권의 경우

2018 년 이후 감소함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1960 1967 1974 1981 1988 1995 2002 2009 2016 2023 2030

-0.5%

0.0%

0.5%

1.0%

1.5%

2.0%

2.5%

3.0%

3.5%

증가율(우) 인구(좌)

(천명)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1970 1976 1982 1988 1994 2000 2006 2012 2018 2024 2030

수도권 지방

(천명)

자료 : 통계청

10

Page 11: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1 인 가구 2 인 가구 3 인 가구 4 인 가구 5 인 가구

2. 가구 인원별 추이

1- 2 인 가구는 2030 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 3- 4 인 가구는 2020 년까지 증가함

( 천 가구 )

( 년 ) ( 년 )

(%)

2000 년대 이후 총 가구수는 2030 년까지 증가하며 , 특히 1~2 인 가구 증가가 두드러짐

가구 비중을 살펴보면 1 인 (20.3 → 23.7%) 2 인 가구 (23.1 → 28.1%) 의 증가에 따라 소형평형 공급의 필요

성 시사

그렇지만 3~4 인 가구의 경우도 2020 년까지는 절대 가구수는 9 만 가구 (852 만 ->861 만 ) 가 증가하고 ,

이후에도 감소 속도는 느림 (2030 년 832 만 )

< 가구 인원별 추이 > < 가구 인원별 비중 >

따라서 1-2 인 가구 대상으로 한 소형평형대의 주택만이 아니라 3~4 인 가구를 위한 중형주택의 부족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자료 : 통계청 , 전국 가구구성 / 가구원수별 추계가구

11

Page 12: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3. 1 인 가구 동향

혼인 감소 이혼 , 사별 증가 등의 이유로 인한 1 인 가구는 급증하는 추세

< 가구주의 혼인상태별 1 인가구 (서울 )> < 가구주의 연령별 1 인가구 (서울 )>

자료 : 통계청 , 인구주택총조사

1 인 가구 구성변화를 살펴보면 미혼 가구는 서울의 경우 1985 년 9 만 8,896 가구에서 2005 년 41 만 310

가구로 늘었으며 , 65 세 이상 독거노인 가구는 동일기간 1 만 1,632 가구에서 9 만 4,855 가구로 증가함 . 미

혼 가구 (4 배 ) 보다 사별 (5 배 ), 이혼 (8 배 ) 으로 1 인 가구가 더 빨리 증가함

가구주의 연령별 1 인 가구를 보면 30 세 이하 1 인 가구보다는 30 세 이상 , 특히 65 세 이상의 1 인가구가

증가속도가 더 높게 나타남

2030 년까지도 현재와 비슷한 추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음

( 가구 ) (%)

12

Page 13: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4. 혼인추이

자료 : 통계청 , 인구동태통계연보 (2011)

초혼 연령층은 지속적으로 증가 , 2003 년 이후 연간 15 만 - 17 만 가구 정도로 정체되고 있음

혼인은 90 년대 후반 이후 하락 , 2003 년 최저점 기록 후 07 년 상승 , 09 년 하락을 반복함

초혼 연령층은 남자의 경우 31.80 세 , 여자의 경우 28.90 세 (2010 년 기준 ) 으로 지난 15 년간 3.5 세 늘어

< 혼인추이 > < 초혼연령 >

( 년 )

( 세 )

이런 혼인추세의 감소 및 초혼 연령의 증가는 출산율 감소로 인구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음

또한 초혼 연령의 증가는 미혼자녀가 중장년층 부모와 같은 주택에 거주하는 기간을 증가시켜 주택수요를 감소

시킴

( 년 )

( 가구 )

2010

13

Page 14: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5. 합계출산율 및 완결출산율 추이

합계출산율의 비율은 줄어들었지만 , 완결출산율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임

전체 가임 여성의 합계출산율은 1980 년 2.83 명 → 2005 명 1.08 명으로 비율이 크게 줄어듦 .

그러나 기혼 여성 (30~34 세 ) 의 평생 총출생아 수 ( 완결출산율 ) 를 살펴보면 1980 년 2.67 명 → 2005 년

1.52 명으로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크게 줄지 않았다 .

또한 15~44 세 유배우 여성의 희망 평균 자녀 수 설문조사 결과 여전히 2.3 명의 아이 출산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년도 1980 1990 2000 2005

합계출산율 ( 명 ) 2.83 1.59 1.47 1.08

30~34 세 여성의

혼인비율 (%)97 95 89 81

30~34 세 기혼여성

의 평생 총출생아수

( 명 )

2.67 1.89 1.71 1.52

첫째아이 출산간격 (월

)22 22 25

둘째아이 출산가격 (월

)31 33 36

< 출산율 감소추이 (1 980 2005)>~

자료 : KDI (2009) 여성의 임금수준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분석 , 김정호( 년)

( 명 )

< 1 5 44~ 세 유배우 여성의 희망 평균 자녀 수 >

즉 , 초혼 연령이 높아져서 합계출산율은 줄어들었지만 결혼 후 기혼여성의 최종적 출산율은 상대적으로 변

화가 적음 .

따라서 여전히 3~4 인 가구는 주요한 가구 형태로 주택수요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

14

Page 15: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6. 평형별 공급추이 ( 아파트 )

2005 년 이후 소형공급 부족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 아파트의 경우 중형 평형의 필요성도 여전히 큼 .

중대형이 주도하던 2000 년 중반과 달리 2008 년 이후 대형 아파트 약세 , 중소형 강세로 전환됨 .

2005 년 이후 공급된 아파트 중 99 ㎡이하 물량 감소 . 공급되는 소형 물량의 대부분은 임대아파트로 공급

되고 있어서 일반 거래시장에 공급효과 적음

1~2 인 가구 증가는 소형주택 수요 증가 요인 , 1~2 인 가구 소득수준을 감안하면 매매수요보다 임대시장

수요층을 형성 할 것으로 예상 . 분양시장에서는 중형 (30 평 대 ) 이 주력 . 동시에 임대에서도 중형 공급 필

요성 있음 . < 2005 년 이후 아파트 규모별 공급비중 >

13.7%

82.6%

12.8%

59.1%

62.3%

12.7%

32.7%

24.1%

24.0%

4.7%

54.5%

16.9%

0% 20% 40% 60% 80% 100%

아파트_분양

아파트_임대

주상복합

오피스텔

25평이하 25~34평 35평이상

< 아파트 규모별 가격동향 >

-10

-5

0

5

10

15

20

25

30

35

01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08년 09년 10년10월66㎡미만 66~99㎡미만 99~132㎡미만

132~165㎡미만 165~198㎡미만 198㎡이상

중소형 주도소형주도 중대형 주도

출처 : 부동산 11415

Page 16: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제 3 장 지역 및 주택선호 변화가 미치는 영향

1. 지역 , 규모별 매매가격 추이

2. 지역 , 규모별 전세가격추이

3. 주택선호

4. 월세의 확산

Page 17: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80

130

180

230

280

330

1 6 11 4 9 2 7 12 5 10 3 8 1 6 11 4 9 2 7 12 5 10 3 8 1 6 11 4 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60㎡이하 60~85㎡이하 85㎡초과(2000.01.01=100)

80

130

180

230

280

330

1 6 11 4 9 2 7 12 5 10 3 8 1 6 11 4 9 2 7 12 5 10 3 8 1 6 11 4 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서울 경기 인천 지방광역시(2000.01.01=100)

1. 지역 , 규모별 매매가격 추이 ( 서울 , 인천 , 경기 , 지방광역시 )

수도권 가격 정체 , 지방광역시 가격 상승 , 60 ㎡미만 소형가격 지수 상승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004~06 년 가파른 지수 상승이 나타났으나 2007 년 이후 보합내지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지방광역시는 2003 년 이후 아파트 가격이 보합세를 보이며 완만한 상승을 보였으며 , 2010 년 이후 가격 상

승이 두드러짐

수도권 규모별 아파트 가격지수는 수도권 가격상승기간인 2004~06 년 동안 중대형이 전용면적 85 ㎡이상이

가파른 상승은 보인 반면 2007 년 이후는 60 ㎡미만 소형아파트의 지수가 상승하고 있는 반면 , 중대형은

하락하고 있음 . 특히 대형 하락이 두드러짐 .

자료 : 부동산 114 자료 : 부동산 114 주 ) 전용면적기준

< 전국 권역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 < 수도권 규모별 아파트 가격지수 (전용면적기준 )>

17

Page 18: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80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

260

1 6 11 4 9 2 7 12 5 10 3 8 1 6 11 4 9 2 7 12 5 10 3 8 1 6 11 4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60㎡이하 60~85㎡이하 85㎡초과(2000.01.01=100)

80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

260

1 6 11 4 9 2 7 12 5 10 3 8 1 6 11 4 9 2 7 12 5 10 3 8 1 6 11 4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서울 경기 인천 지방광역시(2000.01.01=100)

2. 지역 , 규모별 전세가격추이 ( 서울 , 인천 , 경기 )

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상승 , 60 ~ 85 ㎡이하 중형 가격지수 큰 폭 상승

권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을 비롯한 모든 아파트 전세가격지수가 2009 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수도권 규모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수도권 가격상승기간인 2000 년대 중반에는 소형이 많이 올랐지만 ,

2008 년 이후에는 중형의 전세가격 상승이 높게 나타남

< 전국 권역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 < 수도권 규모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전용면적기준 )>

자료 : 부동산 114 자료 : 부동산 114 주 ) 전용면적기준

18

Page 19: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3. 주택선호 : 지 역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들은 강남보금자리 → 광교 → 동북권 뉴타운 → 서북권 재개발 이나 위례신도시 선호

서울 거주자들은 강남보금자리와 동북권 뉴타운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음 .( 부동산 114 주거선호조사 2011

년 3 월 )

경기도 거주자들은 광교 선호도가 높고 , 2 위는 강남보금자리로 조사됨

인천거주자들은 송도지구나 인천 구월보금자리지구 관심이 높게 조사됨 . 송도경제자유구역지구에 대한 관심도가

다시 높아지는 모습이지만 최근 인천지역 입주물량이 많아지고 있어 저렴한 매물 중심으로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됨

현 거주지에서 가까운 곳을 선호함 . 지역 우선으로 당첨확률을 높일 수 있고 익숙한 주거환경을 유지하려는 경향

때문 19.4%

10.1% 7.9% 9.7% 8.4%

10.10%

7.50%9.00% 6.30% 7.20%

강남보금 광교 동북권

뉴타운

서북권재개발 위례

1순위 2순위

19.9%14.0% 11.7%

8.4%4.4%

11.20%

9.80%9.10%

7.00%

6.10%

광교 강남보금 수도권기타 위례 광명시흥보금

1순위 2순위

19.8% 24.4%

29.10%14.00%

3.5% 3.5% 1.2%

3.5%

3.5%

5.80%

송도 인천구월보금 영종 부천옥길보금 광교

1순위 2순위

27.3%

13.1% 15.6%9.8% 6.2%

12.20%

15.10% 10.40%

8.70%7.10%

강남보금 동북권

뉴타운

서북권

재개발

위례 서남권

뉴타운

1순위 2순위

< 수도권 전체 거주자 >

< 경기도 거주자 >

< 서울 거주자 >

< 인천 거주자 >

19

Page 20: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고양 , 일산축

의정부 , 양주축

구리 , 남양주축

광주 , 하남축

용인 , 분당축

수원 , 화성축

안양 , 안산축

김포 / 부천인천축

40km

10km

20km

20km

20km

제 1 외곽

제 2 외곽

20km

10km

10km10km

제 2 경부

제 1 경부

KTX, 수도권전철

1 기 신도시

2 기 신도시

1 기 보금자리

2 기 보금자리

3 기 보금자리

서울 수도권 분리현상

20

Page 21: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3. 주택선호 : 구 조

선호하는 동 구조는 탑상형 선호에서 판상형 선호로 돌아섬 .

선호하는 동 구조는 ‘판상형’이 38.6% 로 ‘탑상형’ 37.0% 보다 높아짐 .

- 연령층이 낮을수록 판상형과 탑상형 선호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 분양 받을 주택의 면적이 클 수록 판상형보다 탑상형의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남

< 조사시기별 동구조 >

< 응답자 특성별 동구조 >

  

판상형 탑상형 가격저렴 상관없음 합계 

전체 37.0 38.6 22.3 2.1 100.0

도시

경기 41.0 38.2 19.2 1.6 100.0

서울 33.3 37.8 26.2 2.7 100.0

인천 36.0 45.3 17.4 1.2 100.0

성별남 33.5 42.2 22.9 1.4 100.0

여 46.2 29.3 20.7 3.8 100.0

연령대

20 대 24.5 43.6 28.7 3.2 100.0

30 대 32.5 37.6 26.3 3.6 100.0

40 대 44.9 36.4 18.0 0.7 100.0

50 대 이상 40.2 41.8 17.5 0.5 100.0

월소득

200 만원미만 36.9 28.6 33.3 1.2 100.0

300 만원미만 33.7 37.9 23.7 4.7 100.0

400 만원미만 37.8 35.7 25.3 1.2 100.0

700 만원미만 37.1 40.6 20.4 1.9 100.0

700 만원이상 40.2 48.5 10.3 1.0 100.0

분양예정규모

99 ㎡미만 28.2 32.5 35.7 3.5 100.0

99~132 ㎡ 39.0 37.1 22.0 1.9 100.0

132~165 ㎡ 45.0 47.7 6.7 0.7 100.0

165 ㎡이상 25.7 65.7 8.6 0.0 100.0

( 단위 : % )

39.1

34.9

2.3

41.5

34.8

21.1

2.5

22.3

2.1

23.7

37.038.6

탑상형 판상형 가격저렴 잘 모르겠음

2010년 상반기

2010년 하반기

2011년 상반기

(단위:%)

반면 , 가격이 저렴하다면 어느 구조도 상관없다는 응답은 지난 상반기에 비해 1.2%p 상승

21

Page 22: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3. 주택선호 : 외 부 조 건

교통여건 → 가격 → 투자가치 순으로 선호 : 교통 편의성 , 유가 등 고려

아파트 분양 시 외부조건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교통여건’이 4.59 점으로 가장 높고 가격 (4.56), 투자가치

(4.30) 순으로 조사됨

< 외부조건 중요성 점수 >

4.59

4.54

4.47

4.29

4.17

4.10

4.614.57

4.40

4.19

4.15

4.07

4.56 4.56

4.30 4.29

4.20

4.06

4.594.56

4.30

4.18

4.11

4.04

교통여건 가격 투자가치 자연환경 편의시설 교육환경

09년 하 10년 상 10년 하 11년 상

(단위:점)

- 지난 반기 조사보다 교통여건항목만 유일하게 0.03 점을 상승을 보임 . 타 항목 점수가 모두 하락한 점에 비해 가격이나 투

가치 점수에는 변동없이 중요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남

지난 조사에 비해 ‘자연환경 (4.18)’ 과 편의시설 (4.11)’ 항목 점수가 크게 하락

- 지난 반기 부동산침체가 지속되면서 투자가치보다 실제 거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항목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었지만 최근 아파트 가격이 상승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자연환경이나 편의시설 등 직접적으로 투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목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으로 사료됨

22

Page 23: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3. 주택선호 : 단 지 공 통 항 목

시공품질→ 보안서비스 → 단지규모 순으로 선호 : 불황기 선호도의 연장

단지공통조건에서는 ‘시공품질’ (4.61 점 ) 의 중요성이 가

장 높으며 , ‘ 보안서비스’ (4.28 점 ) > ‘ 단지규모’ (4.08 점 )

순으로 조사됨

< 단기공통항목 중요섬 점수 >

시공품질을 제외하고 전반기 조사보다 각 항목점수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임 .

특히 , 조경이나 주거서비스 / 커뮤니티 시설 등 중요도가 크게 하락함

4.19

4.10

3.94

4.14

3.97 3.99

4.33

4.154.08 4.10

3.913.85

3.72

4.28

4.08

3.963.99

3.843.78

3.64

3.88

4.29

4.60

4.05

3.693.66

3.88

4.63

4.29

3.91

4.61 4.61

시공품질 보안서비스 단지규모 조경 주거서비스 단지디자인 브랜드 커뮤니티시설

09년 하 10년 상 10년 하 11년 상

(단위:점)

23

Page 24: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3. 주택선호 : 세 대 개 별

평면구조 → 조망 → 인테리어 → 향 순으로 선호 : 향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음 .

< 세대개별항목 중요성 점수 >

4.47

4.33

4.22

4.13 4.13

3.93

4.48

4.294.25

4.104.14

3.97

4.45

4.35

4.24

4.134.15

4.00

4.43

4.234.18

4.07 4.09

3.91

평면구조 조망 인테리어 동배치 및 구조 향 첨단설비

09년 하 10년 상 10년 하 11년 상

(단위:점)

‘ 첨단설비’ 항목 중요도는 3 분기 동안 상승하다 0.09 점 하락함

- 최근 에너지 절감 , 친환경 아파트 등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도입한 아파트가 계속 늘어나면서 과거 고급아파트에 국한되었던 첨단설비가

일반화 되면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판단됨

세대개별 항목 중에서는 ‘평면구조’가 4.43 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

‘ 조망’ (4.23 점 ) > ‘ 인테리어’ (4.18 점 ) > ‘ 향’ (4.09 점 ) 순으로 조사됨

24

Page 25: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0.0%1.0%2.0%3.0%4.0%5.0%6.0%7.0%8.0%9.0%

10.0%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아파트 오피스텔(%)

4. 월세의 확산 :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소득수익률 비교

2008 년 이후 아파트 소득수익률 상승 , 오피스텔은 하락

오피스텔의 소득수익률은 05~07 년의 상승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하락

반면 아파트의 소득수익률은 08 년 9 월 금융위기 이전까지 하락하다 금융위기 이후 상승으로 반등

아파트와 오피스텔 모두 대형보다 소형에서 소득수익률이 더 높게 나타남

아파트의 소득수익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면 ( 월세시장이 성장한다면 )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음

< 서울시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수익률 비교 >

출처 : 부동산 11425

Page 26: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5.00

0.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11 1 3 5 7 9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아파트 오피스텔(%)

4. 월세 확산 :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자본수익률 비교

아파트가 오피스텔보다 기대가격 상승률이 높았으나 최근 아파트 시장 침체로 움직임이 역전됨

2008 년 금융위기 이전까지 아파트가 오피스텔보다 기대가격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 소득수익률

과는 반대됨

하지만 08 년 금융위기 이후 아파트의 기대가격상승률은 오피스텔의 기대가격상승률보다 낮게 나타남 . 반면

동일시점에 소득수익률은 아파트는 상승세를 보였고 오피스텔은 하락세를 보임

아파트의 기대가격상승률은 낮아지는 반면 소득수익률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 주택가격의 안정이 소득수

익률을 증가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사료됨< 서울시 기대가격상승률 >

출처 : 부동산 114

* 기대가격상승률은 전년대비 가격변동률의 과거 12개월 평균값으로 함26

Page 27: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4. 월세 확산 : 아파트 월세시장의 가능성 검토 1

아파트 매매시장이 안정된다면 소형아파트를 중심으로 아파트 시장 내 월세 비중 증가 예상

소득수익률 변화를 보면 , 아파트 시장 내 보증부월세시장이 확대되고 있음 . 자본수익율이 감소 ( 기대가격

상승률이 감소 ) 하면서 임대인들은 기대총수익률을 유지하기 위해 소득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는 보증보월세

선호 때문

기대가격상승률이 낮았던 오피스텔은 높은 소득수익률 확보를 위해 예전부터 보증부월세를 선호해 온 것으로

보임

향후 아파트 매매시장이 안정된다면 소형아파트를 중심으로 아파트 시장 내 월세 비중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

아파트 시장 내 이와 같은 변화는 오피스텔 수요에 영향을 미쳐 장기적으로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소득수익률

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임 .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2011.

08비고

아파트

전월세전환률 9.8 9.7 9.3 8.5 8.4 8.7 8.8 8.2 7.2 전반적으로 하락세소득수익률 3.9 3.6 3.4 3.2 2 .8 2.6 2.7 2.8 3.1 2008 년을 기점으로 상승기대가격상승률 28.3 1 5 .5 6.2 1 5 .2 26.1 1 2.5 2 .7 2.2 - 1 .92 전반적으로 하락세전세 /매매비 50.7 47.9 46.8 46.1 41 .2 37.9 38.3 41 .6 50.1 2008 년을 기점으로 상승보증금 /전세비 34.5 34.6 33.8 31 .0 29.5 29.1 28.7 27.0 24.9 전반적으로 하락세월세 /보증금비 2.3 2.2 2.2 2 .2 2 .4 2.5 2 .5 2.5 2 .5 전반적으로 상승세

오피스텔

전월세전환률 1 3.4 1 2 .4 1 1 .8 1 1 .5 1 1 .3 1 1 .1 1 0.9 1 0.6 9.8 전반적으로 하락세소득수익률 8.3 7.3 6.6 6.6 6.8 6.4 6.2 6.1 5 .9 전반적으로 하락세

기대가격상승률 3.7 2.9 1 .0 2.2 3.8 1 0.7 4.0 4.7 4.02 물가상승률과 비슷 (4% 내외 )

전세 /매매비 65.9 63.2 59.7 61 .7 63.3 61 .7 60.6 60.6 63.3 60% 수준 유지보증금 /전세비 1 5 .5 1 6.6 1 6.4 1 5 .4 1 4.3 1 3.6 1 3.3 1 2.7 1 1 .4 전반적으로 하락세월세 /보증금비 7.2 6.3 5.9 6.2 6.6 7.0 7.1 7.1 7.4 7% 수준 유지

출처 : 부동산 11427

Page 28: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1~ 2 인 가구의 소득대비 오피스텔 월세 비중과 3~ 4 인 가구의 아파트 월세 비중이 지속적으로 낮아짐

20 평 미만의 오피스텔의 경우 2002 년 1 인 가구 (72%) , 2 인 가구 (43%) 의 소득대비 월세 비중이 높았

음 .

30 평 대 아파트의 경우도 2002 년 3 인 가구 (51%), 4 인 가구 (37%) 로 높았으나 이후 하락함 .

2008 년 1-2 인 가구의 경우 30-50%, 3-4 인 가구 27-34% 로 떨어짐 .

오피스텔의 경우 2000 년대 초기에는 높은 월세비중에 따라 고소득의 1~2 인가구들만이 입주하였지만 점점

하락하는 월세 비중에 따라 부담이 줄어듦 . 아파트 월세 역시 3~4 인 가구에서 소득 대비 월세 비중이 낮아

지고 있음 .

< 가계소득 대비 1 2~ 인가구 20 평미만 오피스텔 월세비중추이 (서울 )> < 가계소득 대비 3 4~ 인가구 30 평대 아파트 월세비중추이 (서울 )>

출처 : 월세는 부동산 114, 소득은 노동패널에서 산출함 .

( 년 ) ( 년 )

( 단위 : %)( 단위 : %)

4. 월세 확산 : 아파트 월세시장의 가능성 검토 2

28

Page 29: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제 4 장 자산구성의 변화

1. 주택금융의 변화 가능성 및 변화방향

2. 가계자산구성의 변화방향

Page 30: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2006 년부터 우리나라 금융자산은 부동산 자산에 비해 빠르게 증가함

2006 년 이후 국가 전체 금융자산의 증가속도가 부동산 자산에 비해 빠름 . 1998 년 ~2002 년은 금융자산 ,

2003 년 ~2005 년은 부동산 자산 , 2006 년 이후는 다시 금융자산이 빠른 속도로 증가

해외의 경우 가계 자산 중 부동산 자산의 비중은 일본은 05 년 이후 소폭 증가했으나 05 년까지 지속적인 감

소세를 보임 .

미국은 2006 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국내 자산별 변동률 추이 > < 국가별 가계의 부동산 자산 비중 비교 >

주 ) 부동산 자산 = 토지자산 + 주거용건물 + 비주거용 건물 전년동기대비

자료 : 한국은행 , 통계청

1. 주택금융의 변화 가능성 및 변화방향

0%

5%

10%

15%

20%

25%

30%

35%

40%

45%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미국가계자산부동산비중 일본가계자산토지비중(%)

-10%

-5%

0%

5%

10%

15%

20%

25%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토지자산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 년 ) ( 년 )

주 ) 자산 비중은 총자산 대비

자료 : FRB, 일본 내각부30

Page 31: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부동산 자산의 규모가 정체되는 국면에 진입하고 있으며 , 주택담보대출 위주의 개인대출 부담 증가

우리나라 GDP 대비 토지자산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점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우리나라는 GDP 대비 토지자산이 2001 년 2.25 배를 기록한 후 빠르게 증가하며 , 2009 년 3.25 배로

나타나고 있으나

일본은 GDP 대비 토지자산이 감소추세가 지속되며 2008 년 1.55 배 수준을 보이고 있음

2009 년 개인부채증가율이 주택담보대출증가율과 비슷한 증가 속도를 보임< G D P 대비 토지자산 > < 가계부채 증가율 >

자료 : 한국은행 , 일본 내각부

1. 주택금융의 변화 가능성 및 변화방향

자료 : 한국은행 주 ) 전년동기 대비

0

0.5

1

1.5

2

2.5

3

3.5

4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00 02 04 06 08

한국 일본(배)

09

0%

2%

4%

6%

8%

10%

12%

14%

16%

18%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2007 2008 2009 2010

개인부채 주택담보대출(%)

31

Page 32: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한국 미국 일본(배)

-15%

-10%

-5%

0%

5%

10%

15%

20%

25%

30%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한국 미국 일본(%)

자료 : 통계청 , 한국은행 , FRB, 미국 상무부 , 일본 내각부 , 자료 : 한국은행 , FRB, 미국 상무부 , 일본 내각부

1. 주택금융의 변화 가능성 및 변화방향

우리나라 개인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2009 년 1.52 배에 달함

- 미국 개인소득대비 부채는 2007 년 1.38 배에서 1.28 배로 감소

- 일본은 2004 년 이후 계속 감소하여 2007 년 가장 낮은 소득 대비 부채를 기록함 .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

섬 우리나라 부채증가율은 2009 년 들어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7% 대의 높은 증가율을 보임

< 개인소득 대비 부채비율 비교 > < 개인 부문 부채 증가율 >

32

Page 33: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2. 가계자산구성의 변화방향

선진국은 가계자산에서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 비중이 우리나라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 2000 년 미국 금융자산 비중 42%,, 일본 30%, 캐나다 29%

- 한국 2000 년 19%->2006 년 17% 로 감소

실물자산 비중이 높고 , 이로 인해 부채부담이 큰 국내 가계자산 구조는 선진국에 비해 경기침체에 대한 신축

적인 대응 여력이 낮음

< 가계 자산의 구성 : 금융자산과 실물자산 (2000년 )>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 실물자산 비중이 높음

자료 : D avie s , S and s tro m , S ho rro cks and Wo lff. “The Wo rld D is trib u tio n o f H o us e ho ld We alth" (2008), 가계대출의 현황 및 평가 김준호 재인용

구분 미국 일본 캐나다 독일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한국

2000년 2006년

실물자산 58 70 71 76 78 95 97 81 83

금융자산 42 30 29 24 22 5 3 1 9 1 7

총자산 1 00 1 00 1 00 1 00 1 00 1 00 1 00 1 00 1 00

( 단위 : % )

33

Page 34: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2. 가계자산구성의 변화방향

노동패널 자료에 따르면 , 우리나라 가구 자산의 90% 이상은 부동산이며 그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음

- 지난 10 년간 부동산 시장은 안정적이면서 높은 상승을 보임 . 그 결과 가구는 금융자산보다 부동산 자산을

선호

점유형태별 거주외 부동산을 보면 , 자가는 토지 · 임야와 같은 비수익형 부동산 비중이 높고 , 차가는 주택비중

이 높음

- 비수익형 부동산은 유동화가 어렵다는 점을 생각하면 , 자가의 거주외 부동산은 재조정이 필요함

- 차가의 경우 소유한 주택이 자신들의 거주목적에 적합하지 않아 이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고 자신이 거주할

주택을 빌리는

가구가 많음 . 결국 , 차가의 거주외 부동산은 자가와 다른 성격이라 볼 수 있음 . ( 서울 지역 전세가구의

20%, 강남 40% 선 )

가구 자산 내 거주외 부동산 비중이 증가함

< 가구의 자산 포트폴리오 > < 점유형태별 거주외 부동산 구성비 >

23.1% 26.1%

64.0% 60.8%12.4% 15.0%

10.1% 9.7%

13.8% 11.5%

5.8% 4.3%49.6% 47.1%

19.4% 24.5%

0%10%20%30%40%50%60%70%80%90%

100%

1999 2008 1999 2008

자가 차가

주택 건물 임야 토지 기타(%)

61.4%

27.9%

7.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거주부동산 거주외부동산 기타부동산 금융자산(%)

자료 : 노동패널 , 미래에셋부동산연구소 주 : 거주외 부동산을 보유한 가구들의 가구 수를 기준으로 계산한 비중임 ( 금액기준이 아님 )

자료 : 노동패널 , 미래에셋부동산연구소34

Page 35: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2. 가계자산구성의 변화방향

연령이 높아지면서 보유한 거주외 부동산을 보증부 월세로 활용하는 가구 증가

- 연령이 높아지면서 전세로 활용하는 가구는 감소하는 반면 보증부 월세 비중은 증가

- 이런 패턴은 99 년보다 2008 년에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

부동산 활용이 임대수익 목적으로 변하는 것은 근로소득 감소를 임대소득으로 대체하기 때문

- 50 대부터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는데 반해 임대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아지고 있음

연령이 높아지면서 거주외 부동산은 임대수익 목적으로 활용

< 거주외 부동산 보유 가구의 임대차 유형 > < 거주외 부동산 보유 가구의 연령별 소득유형 >

0%10%20%30%40%50%60%70%80%90%

100%

99 08 99 08 99 08 99 08 99 08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이상

전세금 보증부월세 순수월세(%)

주 ) 임대부동산에 대해 임대보증금만 받는 가구 (전세금 ), 임대보증금과 월세를 모두 받는 가구 (보증부월세 ), 월세만 받는 가구 (순수월세 ) 등으로 나누어 임대부동산을 임대한 가구에서 각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이용하여 계산 ( 금액기준이 아님 )

자료 : 노동패널 , 미래에셋부동산연구소

주 1 ) 노동패널자료 (2008년 ) 샘플 중 거주외부동산 보유자 대상주 2) 기타소득 : 연금 및 보험 , 증여 , 퇴직금 , 금융소득 , 각종 보조금자료 : 노동패널 , 미래에셋부동산연구소

연령 근로소득 임대소득 기타소득 합계

30대 93.70% 1. 30% 5.1 0% 1 00.00%

40대 92.30% 3. 60% 4.1 0% 1 00.00%

50대 82.50% 6. 10% 1 1 .40% 1 00.00%

60대 65.90% 9. 00% 25.1 0% 1 00.00%

70 대 이상 44.30% 13. 60% 42.1 0% 1 00.00%

총합계 81 .60% 5.70% 1 2.70% 1 00.00%

35

Page 36: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제 5 장 부동산투자전략

1. 부동산시장 구조변화의 원인과 과제

2.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

Page 37: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1. 부동산 시장 구조변화 원인과 과제

구조변화 영역 원인 전망 과제

인구구조 베이비부머 은퇴 , 가구 구성 변화 장기적인 수요 감소 , 부동산편중 조정 가계 부동산 자산조정 촉진

주택유형 및 지역 선호 대형 선호 쇠퇴 ,도심회귀 ,

교외화 중단 중소형 실수요 중심 , 도심재개발 난항

평형 불일치 해소 ,

도심 토지가 안정정책

주택금융 제도권 융자 중심 ,

단기변동금리 의존

주택융자 증가 지속 ,

가계부실문제 심화

장기모기지제도 정착 ,

주택금융감독 강화

주택산업 가격차익 급감 ,

소득수익 중심 전환

자산관리산업 성장 ,

월세중심으로 재편

민간기업 육성 및

임대차제도 개선 ,

공공주택 확대

부동산 시장의 구조변화를 야기한 원인은 인구구조 , 주택유형 및 지역 선호 , 주택금융 , 주택산업의 변화임

인구구조 변화는 베이비부머의 동향이 중요하고 , 이들의 향후 가계 부동산 자산조정이 과제가 됨

주택유형 및 지역 선호는 수요하는 주택의 평형 불일치 해소 및 도심의 높은 토지가의 안정이 과제임

주택금융은 장기모기지 제도의 정착을 통해 가계부실을 막는 것이 필요함 .

주택산업은 월세시장 성장에 대비한 자산관리산업의 육성 , 임대차제도의 선진화 , 공공주택의 확대가 과제임

< 부동산 시장의 구조변화의 원인 , 전망 , 과제 >

37

Page 38: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Ⅴ.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2.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

가계부동산의 위험요소와 새로운 부동산자산관리전략의 필요성

인구구조변화 : 베이비 부머의 은퇴에 따른 주택수요의 장기침체

경제성장률의 둔화와 지역별 산업양극화에 따른 격차 확대 : 성장지역과 소외 지역의 양극화 심화

수도권 내 지역간 주택선호의 변화 : 도심회귀와 교외화 중단

짧은 경기회복 후 부동산경기의 장기 하락 , 정체 위험성

중장기적으로 주택가치 하락에 대응할 필요성 증대

새로운 부동산자산관리전략하에서 가계가 의사 결정해야 할 내용

1) 주택보유 여부 : 미래에는 소유와 임대 중 어느 것을 선호할까 ?

2) 보유 부동산이 적정규모 : 최적의 가계 자산포트폴리오 구성 . 적절한 가계 부동산보유비율은 ?

3) 대출의 적정규모와 이자율의 형태 : 대출비율의 적정성 , 고정금리로 할까 ? 변동금리로 할까 ?

4) 라이프 사이클에 따른 주택보유전략 : 연령별 주택보유전략

5) 지역선택의 문제 : Location! Location! Location!

38

Page 39: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Ⅴ.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2.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

1) 주택보유 여부 : 미래에는 소유와 임대 중 어느 것을 선호할까 ?

‘ 토지가 저축이나 주식 등에 비해 유리한 자산인가’ ( 일본 국토교통성 ) 에 대해 1990 년대 초에는 ‘그렇다’가

62%, 였으나 , 2003 년 32.9% 로 됨 . ‘ 그렇지 않다’는 36.7% 임 . 이 기간 중 가격이 80% 이상 하락 . 토지

거래와 건설수주액은 절반으로 줄어듦 . 주택보급률은 114% 로 700 만호의 공가가 발생함 . 이러한 환경에서

주택 소유보다는 임대를 선호하고 , 임대주택 투자가 일반화됨

우리나라는 주택가격 하락이 본격화되지 않음 . 토지거래와 건설수주액은 증가추세 , 주택보급률은 101% 수

준임 . 따라서 임대보다는 소유에 대한 기대감이 큼 .

다만 주거외 부동산투자에서는 임대부동산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점에 이 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 .

2) 보유 부동산의 적정규모 : 적절한 가계 자가 부동산보유비율은 ?

우리나라 40 대 이상 가계자산 중 부동산은 80-85% 임 . 미국의 베이비부머는 약 60% 임

현재 우리나라 베이비부머 가계가 보유하고 있는 주택은 중대형아파트가 중심 . 이 아파트의 가격변동위험이

커지고 있음

중장기적으로 자산배분의 리모델링 필요 . 적어도 10-20%P 정도 낮출 필요가 있음 .

이를 통해 은퇴 후 장기간의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방안이 준비되어야 함 . 39

Page 40: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Ⅴ.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2.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

3) 적정한 대출비율은 ? 그리고 고정금리로 할까 , 변동금리로 할까 ?

소비 엥겔지수와 같은 주택대출에 슈바베 (Schwabe) 지수가 있음 . 소득대비 원리금상환 비율을 의미함 . 미

국에서는 이 지수

가 25% 를 넘지 않도록 권고함 (25% 룰 ) . 일본도 20% 이상 부담하지 않는 것을 바람직하게 여김

반면 우리나라는 집값대비 비율 (LTV) 을 중점적으로 관리함 . DTI 는 40-60% 를 허용하고 있음

그렇지만 우리도 월 20-25% 선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

금리도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이자율 변동 위험으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임 ( 중장기 보유 시 )

4) 라이프 사이클에 따른 자가 주거전략 : 연령별 주택보유전략

연령층 주택규모 방법 위치

20 대 신규취업 1 0- 20평 임차 직장위주

생애최초구입 20평대 청약 직장위주

30 대 20- 30평대 청약 , 기존주택 직장 ,자녀교육

40- 50대 40- 50평대 청약 , 기존주택 대체확장

60 대 이상 20- 30평대 임차 ,기존주택 ,주택연금 노후생활편의

40

Page 41: 조선비즈_부동산포럼_20111011_부동산투자전략_이상영교수

Ⅴ.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2. 새로운 부동산투자전략

5) 지역선택의 문제

주택구매나 임차시 자신의 현주거지와 근거리에 마련하는 비율이 70-80% 임 ( 예외도 있음 )

지역선택 시 중요한 것은 가족 구성원의 생활영역 , 교통 동선 등임 . 최근 주택선호의 1 순위는 교통 .

그렇지만 내집 마련 시에는 출구전략이 필요함 . 이 때 현재의 관심지역보다는 중장기적인 발전축 , 성장가능

성 , 환금성 등을 고려해야 함

리처드 플로리다 교수는 3T 를 강조함 .(Talent, Technology, Tolerance) 3T 가 도시경쟁력의 기초

일본의 경우 광역도시권의 경우 교통 등에서 지나치게 불편한 지역은 장기적으로 기피함

그런데 성장 지역을 중심으로 주거 선택하는 것이 누구나 가능하지 않음 . 향후 중장기적으로 주택가격위험이나

대출위험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통제할 수 있는 지역선택이 필요함

따라서 라이프사이클상의 위치 , 가족구성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지역을 선택하여야 하며 , 이 과정에서 평형

이나 가격 대를

자신의 소득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결정해야 함

자가주택과 달리 투자용 부동산은 인구추세 , 지역선호 , 투자자산 비중 등을 고려함과 부동산관리의 문제를 고

려하여야 함 .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