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상반기 식품출하 동향 - krei0919)1.pdf · 혼합음료 9.9, 탄산음료 9.0,...

5
이 자료는 2018년 상반기 출하지수, 생산자물가지수를 활용하여 2018년 출하액 규모를 전망하고 업종별·품목별 출하량 및 가격 증감률을 바탕으로 주요 품목의 수급 변화를 분석한 것임. 주요 내용은 2018년 상반기 식품제조업 출하 및 생산자물가 동향, 식품제조업 출하액 추정, 업종별 출하액의 전년대비 변화 추이, 주요 품목의 최근 3년 평균 출하량 및 가격증감률 비교, 급성장 품목들(가정간편식, 혼합조미료, 증류주)에 대한 세부 분석 등임. 2018년 상반기 식품 출하는 전년 대비 2.5% 증가하였으며, 출하액이 빠르게 증가한 업종은 곡물가공 및 전분제조업, 사료 제조업, 비알콜음료 제조업, 육류가공업 등이며, 최근 3년간 출하량이 크게 늘어난 품목은 간편식, 음료류, 위스키, 라면류 등임. 2018년 상반기 식품출하 동향 이용선 · 박미성 · 홍연아 · 최재현 식품제조업 출하 및 생산자물가 동향 식품제조업 출하액 추정 2018년 상반기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의 출하가 활발하여 출하지수가 작년 동기대비 각각 2.1%, 3.2% 상승함. 식료품제조업 출하지수: (‘17 상반기) 102.7→(‘18 상반기) 104.8 음료제조업 출하지수: (‘17 상반기) 110.4→(‘18 상반기) 113.9 2018년 상반기 기준 출하와 물가지수 변화율을 적용하면, 2018년 식료품 제조업과 음료 제조업의 출하액은 각각 전년대비 2.4%, 3.4%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출하지수는 상승한 반면, 물가지수 상승률은 낮았기 때문 상반기의 추세를 적용하면 2018년 식품제조업 출하액은 전년대비 2.5% 증가한 91조 5,420억 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 식품제조업 출하액(십억 원): (‘17) 89,268→(‘18 전망) 91,542 식료품제조업 출하액(십억 원): (‘17) 77,230→(‘18 전망) 79,096 음료제조업 출하액(십억 원): (‘17) 12,038→(‘18 전망) 12,447 2018년 상반기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대비 모두 0.3% 상승에 머물러 식품 도매물가는 안정된 것으로 나타남. 식료품제조업 생산자물가지수: (‘17 상반기) 118.5→(‘18 상반기) 118.9 음료제조업 생산자물가지수: (‘17 상반기) 116.2→(‘18 상반기) 116.5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 출하지수 연도별 추이(2015=100) 주: 2018년 출하지수는 상반기 출하지수의 전년대비 변화율을 바탕으로 전망한 것임. 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 생산자물가지수 연도별 추이(2015=100) 주: 2018년 생산자물가지수는 상반기 생산자물가지수의 전년대비 변화율을 바탕으로 전망한 것임. 자료: 한국은행 (생산자물가조사)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 출하액 연도별 추이 주: 2017, 2018년 출하액은 업종별 출하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의 전년대비 변화율을 바탕으로 계산 자료: 통계청(광업제조업조사, 광업제조업동향조사, 경제총조사), 한국은행(생산자물가조사)

Upload: others

Post on 15-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8년 상반기 식품출하 동향 - KREI0919)1.pdf · 혼합음료 9.9, 탄산음료 9.0, 생수 8.5, 냉동조리식품 6.3, 라면류 5.8 공급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도

이 자료는 2018년 상반기 출하지수, 생산자물가지수를 활용하여 2018년 출하액

규모를 전망하고 업종별·품목별 출하량 및 가격 증감률을 바탕으로 주요 품목의 수급

변화를 분석한 것임. 주요 내용은 2018년 상반기 식품제조업 출하 및 생산자물가 동향,

식품제조업 출하액 추정, 업종별 출하액의 전년대비 변화 추이, 주요 품목의 최근 3년

평균 출하량 및 가격증감률 비교, 급성장 품목들(가정간편식, 혼합조미료, 증류주)에 대한

세부 분석 등임.

2018년 상반기 식품 출하는 전년 대비 2.5% 증가하였으며, 출하액이 빠르게 증가한

업종은 곡물가공 및 전분제조업, 사료 제조업, 비알콜음료 제조업, 육류가공업 등이며,

최근 3년간 출하량이 크게 늘어난 품목은 간편식, 음료류, 위스키, 라면류 등임.

2018년 상반기 식품출하 동향

이용선 · 박미성 · 홍연아 · 최재현

식품제조업 출하 및 생산자물가 동향 식품제조업 출하액 추정

2018년 상반기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의 출하가 활발하여 출하지수가 작년 동기대비

각각 2.1%, 3.2% 상승함.

식료품제조업 출하지수: (‘17 상반기) 102.7→(‘18 상반기) 104.8

음료제조업 출하지수: (‘17 상반기) 110.4→(‘18 상반기) 113.9

2018년 상반기 기준 출하와 물가지수 변화율을 적용하면, 2018년 식료품 제조업과

음료 제조업의 출하액은 각각 전년대비 2.4%, 3.4%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출하지수는 상승한 반면, 물가지수 상승률은 낮았기 때문

상반기의 추세를 적용하면 2018년 식품제조업 출하액은 전년대비 2.5% 증가한 91조

5,420억 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

식품제조업 출하액(십억 원): (‘17) 89,268→(‘18 전망) 91,542

식료품제조업 출하액(십억 원): (‘17) 77,230→(‘18 전망) 79,096

음료제조업 출하액(십억 원): (‘17) 12,038→(‘18 전망) 12,447

2018년 상반기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대비 모두 0.3%

상승에 머물러 식품 도매물가는 안정된 것으로 나타남.

식료품제조업 생산자물가지수: (‘17 상반기) 118.5→(‘18 상반기) 118.9

음료제조업 생산자물가지수: (‘17 상반기) 116.2→(‘18 상반기) 116.5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 출하지수 연도별 추이(2015=100)

주: 2018년 출하지수는 상반기 출하지수의 전년대비 변화율을 바탕으로 전망한 것임.

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 생산자물가지수 연도별 추이(2015=100)

주: 2018년 생산자물가지수는 상반기 생산자물가지수의 전년대비 변화율을 바탕으로 전망한 것임.

자료: 한국은행 (생산자물가조사)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 출하액 연도별 추이

주: 2017, 2018년 출하액은 업종별 출하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의 전년대비 변화율을 바탕으로 계산

자료: 통계청(광업제조업조사, 광업제조업동향조사, 경제총조사), 한국은행(생산자물가조사)

Page 2: 2018년 상반기 식품출하 동향 - KREI0919)1.pdf · 혼합음료 9.9, 탄산음료 9.0, 생수 8.5, 냉동조리식품 6.3, 라면류 5.8 공급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도

2018년 상반기 곡물가공품 및 전분(제품) 제조업 출하액이 크게 증가한 것은

용기면, 냉면, 쌀국수면 등의 면류 제품과 다이어트 관련한 귀리 가공품, 곤약 제품

등의 판매가 활발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됨.

2018년 상반기 사료 및 조제식품, 비알콜음료, 육류가공품 등도 각각 도매가격은

작년과 비슷하였으나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였음.

주 1) 2018 상반기 출하액의 전년대비 증감율은 출하량과 생산자물가지수의 전년대비 변화율을 통해 추정함. 2) *은 2015-17 평균 증감률 대비 2018 상반기 증감률이 5.0%이상 차이나는 업종을 표시함. 3) 기타 식품 제조업에는 떡, 빵 및 과자류, 면류, 건강보조식품, 조미료 및 첨가물 등이 포함됨.자료: 통계청(광업제조업조사, 광업제조업동향조사, 경제총조사), 한국은행(생산자물가조사)

단위: %

업종별 출하액 연평균 증감률 비교

업종명(축약 업종명)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육류가공)

수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수산물가공)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과·채가공)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유지)*

낙농제품 및 식용빙과류 제조업(낙농품)*

곡물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곡물가공및전분)*

기타 식품 제조업(기타식품)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사료및조제식품)

알콜음료 제조업(알콜음료)

비알콜음료 및 얼음 제조업(비알콜음료)

2015-17 평균 증감률

3.6

5.8

7.6

6.3

1.9

1.5

0.2

5.6

-2.5

5.0

2018 상반기(2017 상반기 대비)

4.6

3.8

3.7

-8.2

-4.1

8.4

0.9

7.0

-0.5

6.7

업종별 출하액 증감률 비교

2018년 상반기 출하액의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은 곡물가공 및 전분 제조업 8.4%,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 7.0%, 비알콜음료 제조업 6.7%, 육류가공업 4.6% 등의 순으로

추정됨.

곡물가공·전분 출하액 연 증가율(%): (’15-‘17) 1.5→(‘18 상반기) 8.4

사료·조제식품 출하액 연 증가율(%): (’15-‘17) 5.6→(‘18 상반기) 7.0

비알콜음료 출하액 연 증가율(%): (’15-‘17) 5.0→(‘18 상반기) 6.7

육류가공업 출하액 연 증가율(%): (’15-‘17) 3.6→(‘18 상반기) 4.6

최근 3년간 출하량이 증가하면서도 소비자 물가도 상승한 가공식품은 혼합조미료,

소주, 소시지, 라면류, 냉동조리식품, 레토르트, 탄산음료, 혼합음료, 생수, 위스키

등이 있음.

주요 품목별 출하량 및 가격증감률 비교

특히 출하량이 연평균 5% 이상 증가하면서도 가격도 상승한 품목은 레토르트,

냉동조리식품 등 간편식, 탄산음료, 혼합음료, 생수 등 음료류, 위스키, 라면류 등임.

2015-17년 간 출하량의 연평균 증가율(%): 레토르트 16.6, 위스키 15.0,

혼합음료 9.9, 탄산음료 9.0, 생수 8.5, 냉동조리식품 6.3, 라면류 5.8

공급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도 가격도 오르는 것은 해당 품목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혼합조미료와 소주는 최근 3년 연평균 출하량 증가율이 2% 이하에 불과하였으나

가격상승률은 타 품목에 비해 높았음.

한편, 우유, 약주, 분유 등의 품목은 최근 3년간 출하량과 가격이 모두 감소(하락)함. 특히

분유는 출하량이 연 12.9% 감소하면서도 가격은 연평균 1.9% 하락하여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2015-17년 간 가격 연평균 상승률(%): 혼합조미료 7.9, 소주 4.3

혼합조미료가 ‘자연’조미료 제품 출시 증가, 소주는 저도주 출시와 더불어

업계의 가격 인상도 이루어졌기 때문

한편 2018년 상반기 출하액이 감소한 업종은 유지 제조업, 낙농품 제조업, 알콜

제조업임. 특히 유지 제조업과 낙농품 제조업의 출하액은 전년 동기보다 각각 8.2%,

4.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유지류 제조업 출하액 연 증감률(%): (’15-‘17) 6.3→(‘18) -8.2

낙농품 제조업 출하액 연 증감률(%): (’15-‘17) 1.9→(‘18) -4.1

알콜음료 제조업 출하액 연 증감률(%): (’15-‘17) -2.5→(‘18) -0.5

단위: %

주요 품목의 최근 3년 평균 출하량 및 가격증감률 비교 (2015-17년)

주: 2017 출하량은 추정치임.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소비자물가조사)

Page 3: 2018년 상반기 식품출하 동향 - KREI0919)1.pdf · 혼합음료 9.9, 탄산음료 9.0, 생수 8.5, 냉동조리식품 6.3, 라면류 5.8 공급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도

주 1) 도시락을 포함한 HMR 국내 판매액(출하액 기준)이며, 2016년에 추가된 즉석조리식품(순대)는 제외함. 2) ( )내는 간편식 합계에 대한 각각의 구성비임.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단위: 십억 원, %

HMR 식품 세부 분류별 국내판매액 추이

구분

간편식

즉석섭취식품

-도시락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

2010

863(100.0)

545(63.1)

363(42.1)

249(28.9)

43(5.0)

2011

1,137(100.0)

665(58.5)

422(37.1)

381(33.6)

60(5.3)

2012

1,369(100.0)

810(59.2)

550(40.2)

467(34.1)

65(4.8)

2013

1,606(100.0)

942(58.7)

593(36.9)

559(34.8)

78(4.9)

2014

1,544(100.0)

917(59.4)

412(26.7)

538(34.8)

83(5.4)

2015

1,682(100.0)

992(59.0)

445(26.4)

584(34.7)

96(5.7)

2016

2,170(100.0)

1,324(58.4)

672(30.9)

722(33.3)

110(5.1)

주: 식품공전은 「식품위생법」제7조에 따라 식품의 제조·가공·사용·조리 및 보존방법에 관한 기준과 그 식품 성분에 관한 규격을 의미함.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 체계상 HMR 식품 세부 분류

국, 탕, 찌개 등의 즉석조리식품은 다양한 제품의 판매가 크게 늘어난 반면,

즉석섭취식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시락류 성장세는 둔화되었기 때문임.

가정간편식(HMR) 시장규모는 2016년 기준 2조 1,702억 원으로 추정됨. 가정간편식

시장규모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14.3% 증가하였으나 2016년에는

29.0% 증가로 성장세가 가속화됨.

가정간편식 시장 분석단위: %

품목별 최근 3년간 출하량 및 가격증감률 비교

품목

햄**

소시지*

수산물통조림

농산물통조림

참기름*

식용유*

우유

분유**

발효유

치즈

아이스크림**

밀가루

물엿

빵및케이크*

설탕과자

건과자및스낵

라면류*

혼합조미료*

간장*

고추장

냉동조리식품*

레토르트*

막걸리*

약주**

복분자주

소주*

위스키*

생수*

탄산음료*

주스

두유

커피음료*

혼합음료*

출하량증감률(2015-17)

4.2

4.7

-1.3

1.0

5.4

5.8

-0.8

-12.9

-0.3

4.0

-5.7

1.9

2.7

-1.4

4.3

0.4

5.8

1.9

0.4

-0.5

6.3

16.6

-4.2

-7.2

0.5

1.0

15.0

8.5

9.0

4.3

3.2

5.1

9.9

가격등락률(2015-17)

-2.0

1.7

0.5

1.1

-0.3

-1.9

-0.4

-1.9

0.8

0.5

0.3

-1.0

0.1

3.3

-0.4

1.3

1.6

7.9

1.9

0.4

0.5

0.3

1.8

-0.2

-1.3

4.3

0.8

0.2

3.8

-1.0

0.8

-1.2

1.2

주 1) 2017 출하량은 추정치임. 2) *은 2015-17 출하량증가율이 5.0% 이상이거나 가격증가율이 1.5% 이상인 품목을, **은 2015-17 출하량감소율이 –5.0% 이하이거나 가격하락률이 –1.5% 이하인 품목을 표시함.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소비자물가조사)

HMR 식품 중 즉석조리식품의 2010~16년 간 연평균 성장률은 17.8%로

신선편의식품(16.8%)과 즉석섭취식품(15.9%)보다 큼.

이에 따라 HMR 시장에서 즉석조리식품의 비중은 증가하고 즉석섭취식품의

비중은 감소함.

HMR시장 즉석섭취식품 비중(%): (‘10) 63.1→(‘16) 58.4

HMR시장 즉석조리식품 비중(%): (‘10) 28.9→(‘16) 33.3

HMR시장 신선편의식품 비중(%): (‘10) 5.0→(‘16) 5.1

HMR 시장규모(국내 판매액) 추이

주: 도시락을 포함한 HMR 국내 판매액(출하액 기준)이며, 2016년에 추가된 즉석조리식품(순대)은 제외함.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품목분류

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

주요품목

도시락, 김밥, 샌드위치, 햄버거 등

가공밥, 국, 탕, 스프, 순대 등

샐러드, 간편과일 등

정의

동·식물성 원료를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가공한 것으로서 더 이상의 가열, 조리 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식품

동·식물성 원료를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가공한 것으로서 단순가열 등의 조리과정을 거치거나 이와 동등한 방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는 식품

농·임산물을 세척, 박피, 절단 또는 세절 등의 가공공정을 거치거나 이에 단순히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으로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샐러드, 새싹채소 등의 식품

Page 4: 2018년 상반기 식품출하 동향 - KREI0919)1.pdf · 혼합음료 9.9, 탄산음료 9.0, 생수 8.5, 냉동조리식품 6.3, 라면류 5.8 공급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도

증류주 시장 분석

최근 3년간 위스키에서는 높은 출하량 증가율을, 소주에서는 높은 가격 상승률을

나타내었음. 이는 저도수 증류주의 인기, 주류업체들의 가격인상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음.

혼합조미료 시장 분석

혼합조미료는 지난 3년간 출하량이 연평균 1.9% 증가하였으나 가격은 연 7.9%

상승함.

혼합조미료의 소비자물가지수는 2015년에서 2018년까지 24.5% 상승함.

혼합조미료 소비자물가의 상승은 1~2인 가구 용 소용량, 고가의 제품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최근 소비자들이 과음을 자제하고 술자리 자체를 즐기려는 트렌드가 반영되어

저도수 증류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2016년 기준 즉석조리식품 판매단가는 kg당 3,237원으로 즉석섭취식품(2,402

원)보다 34.8% 높음.

즉석섭취식품의 판매단가 상승세가 즉석조리식품보다 높아 두 품목 간 가격

차이가 2010년 2.3배에서 2016년 1.3배로 축소됨.

즉석섭취식품 판매단가(원): (‘10) 1,123→(‘16) 2,402, 연 13.5% 상승

즉석조리식품 판매단가(원): (‘10) 2,627→(‘16) 3,237, 연 3.5% 상승

즉석섭취식품 대비 즉석조리식품 가격(배): (‘10) 2.3→(‘16) 1.3

2000년대 이후 가정 내 조리 감소, 간편식품의 발달,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웰빙 트렌드의 확산 등이 조미료 시장의 위축을 초래

017년 조미료 누적 매출액은 2012년 대비 15.0% 감소

혼합조미료는 크게 종합 조미료와 자연 조미료로 구분되는데, 조미료 시장의

정체를 타개하기 위해 자연조미료가 출시됨.

2007년 D사 ‘맛선생’, C사 ‘산들애’, 2012년 S사의 ‘연두’ 출시

자연조미료 시장은 액상 조미료가 최근 성장이 정체되는 반면 티백 조미료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냄.

2017년 티백 매출액 2015년 대비 88.7% 증가한 107억 원으로 추정

소주는 최대 출하업체가 2014년 이래 세 차례에 걸쳐 도수를 낮추는 등

업계가 저도수 증류주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고 있음.

J브랜드 도수(도): (‘14) 19→18.5→17.8, (‘18) 17.8→17.2

저도수 소주의 출시와 가격 인상이 병행됨에 따라 소주의 소비자물가지수도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소주 소비자물가지수: (‘12) 91.8→(’16) 106.4→(‘17) 112.4

즉석섭취식품과 즉석조리식품의 판매단가 추이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자료: 링크아즈텍. POS DATA, 2018. 식품유통연감에서 발췌

단위: 백만 원

자연조미료 유형별 판매액 현황

구분

2015

2016

2017

분말

14,071

10,743

10,108

증감률

-23.65%

-5.91%

액상

16,353

14,443

12,580

증감률

-11.68%

-12.90%

티백

5,677

8,456

10,713

증감률

48.95%

26.69%

혼합조미료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2015=100)

자료: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

주: 2017 출하량은 추정치임.자료: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

소주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2015=100)

Page 5: 2018년 상반기 식품출하 동향 - KREI0919)1.pdf · 혼합음료 9.9, 탄산음료 9.0, 생수 8.5, 냉동조리식품 6.3, 라면류 5.8 공급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도

저도주에 대한 트렌드는 위스키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2014-16년 위스키

출하량의 전년대비 평균 증감률이 17.3%로 큰 편임. 이는 도수 40도 미만의 저도

위스키 시장의 성장세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주: 2017 출하량은 추정치임.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위스키 출하량 추이

저자정보

이용선 선임연구위원(061-820-2320) [email protected]

박미성 부연구위원(061-820-2362) [email protected]

홍연아 부연구위원(061-820-2271) [email protected]

최재현 연구원(061-820-2188) [email protected]

주: 기타 식품 제조업에는 떡, 빵 및 과자류, 면류, 건강보조식품, 조미료 및 첨가물 등이 포함됨.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동향조사, 경제총조사)

단위: %

업종별 출하지수 증감률 비교

업종명(축약 업종명)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육류가공)

수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수산물가공)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과·채가공)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유지)

낙농제품 및 식용빙과류 제조업(낙농품)

곡물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곡물가공및전분)

기타 식품 제조업(기타식품)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사료및조제식품)

알콜음료 제조업(알콜음료)

비알콜음료 및 얼음 제조업(비알콜음료)

2015-17 평균 증감률

1.5

0.6

-1.0

5.0

3.5

-0.1

3.2

2.6

-0.3

4.7

2018 상반기(2017 상반기 대비)

5.7

2.1

5.8

-7.3

-5.1

9.3

0.1

7.3

-0.5

6.3

주: 기타 식품 제조업에는 떡, 빵 및 과자류, 면류, 건강보조식품, 조미료 및 첨가물 등이 포함됨.ㅍ자료: 한국은행 (생산자물가조사)

단위: %

업종별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비교

업종명(축약 업종명)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육류가공)

수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수산물가공)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과·채가공)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유지)

낙농제품 및 식용빙과류 제조업(낙농품)

곡물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곡물가공및전분)

기타 식품 제조업(기타식품)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사료및조제식품)

알콜음료 제조업(알콜음료)

비알콜음료 및 얼음 제조업(비알콜음료)

2015-17 평균 증감률

1.0

1.5

3.3

3.9

-2.2

1.0

-0.5

1.1

1.3

1.8

2018 상반기(2017 상반기 대비)

-1.1

1.8

-2.0

-1.0

1.0

-0.8

0.8

-0.2

0.0

0.4

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