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20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 www.segf.or.kr 2012 경경경 경경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 경경경경경경경경경 2012. 05 Ver. 0.1 세세 세세세 세세세세 세세 세세 1

Upload: hiroko-jackson

Post on 02-Jan-2016

22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세 상을 바꾸는 사람들의 희망 첫 걸음. 2012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제 안내.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사회적기업경기재 단 2012. 05 Ver. 0.1. www.segf.or.kr. 핵심적 두 가지 요소 - 사회적기업을 운영 하는 주요 동기가 “ 사회적목적 ” 실현 일 것 “ 우리는 빵을 굽는 사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바꾸는 사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 ( 루비콘 대표 Rick Aubry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www.segf.or.kr

2012 경기도예비사회적기업 지정제 안내

사회적기업경기재단2012. 05Ver. 0.1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의 희망 첫걸음

Page 2: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2

사회적기업의 정의

핵심적 두 가지 요소 -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주요 동기가 “사회적목적” 실현일 것 “ 우리는 빵을 굽는 사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바꾸는 사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 루비콘 대표 Rick Aubry)

-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판매와 같은 영업활동을 주요활동으로 할 것

‘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의 정의 “ 사회적기업”이라 함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서 제 7 조에 따라 인증받은 자

하이브리드 조직 ( 부분적으로 영리 , 부분적으로 비영리 )

사회적기업으로서의 실체를 갖추고 장차 사회적기업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기업을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하여 재정지원 ,

경영지원 등 각종 지원을 통해 사회적기업으로 육성하고자 함

◎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목적 ◎

Page 3: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3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절차

지정 신청공고

( 경기도 공고 제 2011-123 호 )

예비사회적기업신청기관

상담 및 컨설팅

지정신청서제출

( 시 , 군 )

사회적기업육성위원회

심의

( 소위원회 )

경기도지사지정

( 경기도 )

지정서교부

( 경기도 )

형식적 요건 심사현장실사 및 추천

( 시 , 군 )

( 권역별 민간지원기관의 상담은 의무사항은 아님 )

Page 4: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4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VS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 비교

구분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 법령 → 조례 또는 규칙 )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 법령 → 사회적기업 육성법 )

조직형태

○ 민법에 따른 법인 , 조합 / 상법에 따른 회사○ 법률에 따른 비영리 단체→ 법인 내 사업단 조건부 인정○ 조직의 소재지가 경기도에 위치

○ 민법에 따른 법인 , 조합 / 상법에 따른 회사○ 법률에 따른 비영리 단체 → 법인 내 사업단 조건부 인정

사회적목적실현 유형○ 일자리제공형 . 사회서비스제공형 . 혼합형 . 기타형 .

○ 일자리제공형 . 사회서비스제공형 . 혼합형 .

지역사회공헌형 . 기타형 .

○ 유형이 6 개월 이상 지속

영업활동 관련 수입( 수익모델 , 경쟁력 )

○ 영업활동이 있으면 가능 .

○ 기간 및 금액 비율 없음 .

○ 최소 6 개월 이상 사업 운영 . ○ 총수입 / 총노무비 비율이 30% 이상일 것

유급근로자 고용

○1 인 이상의 유급근로자 ○4 대 보험 가입 필수 ,

○ 최저임금준수 ○ 경기도민이 1 인 이상 필수로 있어야 함

○ 1 인 이상의 유급근로자 → 일자리제공형은 5 명 이상 고용○6 개월간 고용 기간 필요○4 대보험 가입 필수 , 최저임금 준수

민주적 의사 결정구조 ○ 해당사항 없음 .○( 운영위원회 ) 회의구조 요구됨○ 정관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내용 포함 .

정관 , 규약의 구비○ 법인의 정관 .

○ 사업단의 규약 또는 운영규정 .

※ 공증 필수 .

○ 법인의 정관 .

○ 사업단의 규약 또는 운영규정 .

※ 공증 필수 .

이윤의 재투자○ 정관에 이윤의 재투자 내용 포함 .

→ 상법상 회사 ○ 정관에 이윤의 재투자 내용 포함 .

→ 상법상 회사

Page 5: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5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요건 - 조직형태

조직형태

인증요건

○ 민법상 법인 조합 ․ : 사단법인 , 재단법인 , 조합법인○ 상법상 회사 : 주식회사 , 유한회사 , 합자회사 , 합명회사○ 공익법인의설립및운영에관한법률상 공익법인○ 비영리단체지원법상 비영리민간단체○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법인○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상 소비자생활협동조합○ 기타법상 : 비영리단체

※ 법령 (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 8 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 8 조 ) 에 규정되지 않았으나 ,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는 조직형태를 갖춘 기관 .

→“ 국세기본법” 제 13 조에 따른 “법인으로 보는 단체” ( 요건을 갖추고 관할 세무서장에게 승인을 받을 경우 )

→ 법인 단체내 사업단 및 지부․ ( 회 ).

구비서류

○ 법인설립허가증○ 비영리민간단체등록증 [ 주무부처 , 허가 ( 등록 ) 날짜 기재 ]

○ 등기사항전부증명서 ( 법인등기부등본 )

○ 사업자등록증 ( 필수 )

→ 개인사업자 , 고유번호증 , 장애인복지시설신고증 , 자활공동체인정서 불인정

※ 법인내 사업단

→ 공증받은 운영규정과 모법인의 정관 또는 이사회 회의록 ( 사업단을 사회적기업으로 운영한다 ) 도 제출 .

※ 지부 ( 회 )→ 본회 법인등기부등본과 공증받은 지부 ( 회 ) 정관이나 규약 제출 .

Page 6: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6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요건 - 조직형태

조직형태

인증요건

○ 사회적기업육성법 제 8 조 제 1 항 제 1 호에 따른 독립된 조직형태 .

→ 조직의 부서 , 사업단 등은 원칙적으로 불인증 .

○ 비영리 법인의 경우 , 독립법인형태의 지부 뿐만 아니라 등기부상에 지부가 명시되어 있고 회계 , 인사 , 의사결정 등 이 중앙회 본부와 독립운영 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경우 인증 가능○ 비영리 법인 , 단체 등의 사업단 → 사업단은 모법인의 정관에 사업단 명을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 불가피한 경우 모법인과 회계 · 인사 · 의사 결정 등에 있어 모법인과 실질적으로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가능 .

→ 정관변경이 어려운 경우 모법인의 이사회 회의록에 사업단의 독립성 ( 회계 , 인사 , 의사결정 ) 에 대한 내용 공증 필요 .

Page 7: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7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요건 – 사회적 목적 실현

사회적 목적 실현

인증요건

○ 일자리제공형 →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 . 전체 근로자 중 취약계층 고용비율이 30% 이상 .

○ 사회서비스제공형 →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 . 전체 서비스 수혜자 중 취약계층 수혜비율 30% 이상 .

○ 혼합형 →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과 사회서비스 제공이 혼합 . 전체 근로자 중 취약계층의 고용비율과 사회 서비스를 제공받는 취약계층의 비율이 각각 20% 이상 .

○ 지역사회공헌형 → 주된 목적이 지역사회 공헌으로 해당 조직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의 고용비율이나 서비스 비율이 20% 이상○ 기타형 → 고용 비율과 수혜 비율 산정이 어려운 경우 (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심사위원회에서 판단 )

구비서류

○ 저소득자 :

→ 확인 가능한 월평균 소득자료 .( 근로소득원천칭수영수증 , 수급자증명서 , 소득금액증명 외 기타소득 증빙자료 .

○ 고령자→만 55 세 이상을 확인 할 수 있는 증빙자료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등 )

○ 장애인→장애인등록증 , 전문의가 발행한 장애진단서 등 .

○ 성매매피해자→성매매피해여성 쉼터 , 보호시설 이용자 또는 상담 및 심리 치료기관 등의 확인서 .

※ ‘ 사회적기업육성법 시행령 제 2 조’에 명기된 취약계층과 그에 대한 증빙자료를 참조 .

Page 8: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8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요건 – 사회적 목적 실현

사회적 목적 실현

심사기준

○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 실현을 조직의 주된 목적으로 해야 함 .

→ 취약계층 고용여부 또는 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제공 여부 등은 기관에서 제출한 사실관계 확인 서류를 통해 확인○ 사회적 목적의 실현은 단순히 취약계층 고용 또는 서비스 제공 비율을 만족시켰다고 하여 당연히 인정되는 것은 아 니고 , 법 제 8 조제 1 항 3 호에 규정된 바와 같이 조직의 “주된 목적”이 사회적 목적을 추구해온 경우에만 인정 .

→ 사회서비스란 , 개인 또는 사회전체의 복지증진 및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사회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 .

→ 개별 사례가 사회서비스인지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심사위 원회에서 판단 .

○ 사회서비스 제공형의 경우에는 취약계층에게 시장가격보다 20~30% 낮은 가격으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 준으로 함 .

→ 정부 제도 기준에 의거하여 서비스 대상자 및 단가가 정해지는 경우 기본 활동 이외에 서비스 제공 실적이 별도로 증빙 할 수 있어야 함 . ( 직업훈련기관 , 노인장기요양보험기관 등 )

○ 일자리제공형의 경우에는 취약계층의 단순 고용 이외에 복리후생 개선 , 지역사회 재투자 실적 등 별도 증빙이 있어 야 인증 가능 .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 장애인복지법 ) 중 근로작업장 ,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지정 ) 등은 사회 적기업의 사회적 목적 실현으로 인정 가능함 .

○ 기타형은 불특정 다수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업의 특성상 취약계층 고용 또는 서비스 제공의 법정 비율을 계량화하기는 곤란하지만 ,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특별한 사회적 목적을 실현한다고 인정하는 경우 에 인증 가능함 .

Page 9: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9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요건 – 유급근로자의 고용 및 영업활동 수행

유급근로자의 고용 및 영업활동 수행

인증요건

○1 명 이상 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 .

※ 유급근로자 조건 : (1) 년도별 최저임금 준수 (2) 4 대보험 가입 ( 고용보험 , 건강보험 , 산재보험 , 국민연금 )

→ 인정가능범위 : 월 평균 60 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 , 노인장기요양법에 의한 요양보호사 , 장애인근로사업장 소속 근로자 ( 직업재활 프로그램 참여로 훈련수당 받는 장애인 제외 ), 사업주로부터 업무 , 복무 , 임금 등 직접 지도 감독을 받는 파견형태의 근로자 등 .

구비서류

○ 유급근로자 명부 :

○ 근로계약서○4 대 보험 가입확인서 ( 적용제외는 불필요 )

○ 영업활동을 통한 수입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 ( 재무제표 등 )

심사기준

○ “ 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영업활동”을 해야 함 .

→ 사업수행을 위해 고용된 인원은 고용형태와 상관없이 유급근로자로 인정 .

→ 자원봉사자 , 기관 대표 ( 사업을 총괄하는 자 ) 는 유급근로자에 포함되지 않음 .

○ 자체고용 근로자가 1 명도 없이 전체근로자가 모두 일자리참여 근로자인 경우 불인증 .

○ 모법인의 사업단이 신청한 경우 , 근로자는 반드시 사업단에 소속되어야 하며 , 모법인 소속 근로자는 불인정 .

○ 매출액의 규모는 상관없으나 , 자원봉사 활동은 영업활동으로 볼 수 없음 .

Page 10: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0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요건 – 정관 , 규약

정관 , 규약

인증요건

○ 조직의 목적과 사업이 명시된 정관이 규약 등을 갖추고 있을 것 .

구비서류

○ 정관 또는 규약 증빙서류 .

※ 이익재분배에 관한 내용이 정관에 없어 변경이 필요한 단체 ( 기업 ) 에서는 , 정관 변경에 관한 이사회 회의록

공증서류 제출 ( 단 , 1 개월 이내 정관 미개정시 지정 해지 )

심사기준

○ 조직형태가 상법상 회사인 경우 정관에 배분 가능한 이윤의 2/3 이상을 사회적목적에 사용한다는 내용이 있어야 함 → 회사의 해산 및 청산시에도 배분 가능한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 잔여재산의 3 분의 2 이상을 다른 사회적기업 또는 공익적 기금 등에 기부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 .

→ 조합원의 이익을 위해 설립된 영농조합 , 농업회사 , 협동조합 등도 상법상 회사에 준하여 동일하게 적용 .

※ 정관 , 규약 , 운영규정은 등기 또는 공증이 완료된 것만 인정 .

Page 11: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1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지정요건 –이윤의 사회적 목적 재투자 ( 상법상 회사만 해당 )

이윤의 사회적 목적 재투자 ( 상법상 회사만 해당 )

인증요건

○ 정관 또는 운영규정에 수익배분 , 재투자 , 이윤의 2/3 이상을 사회적 목적을 위해사용한다는 내용을 반드시 기재 .

○ 회계연도별 배분가능한 이익은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으로 해석 .

◎ 정의 → 상법 제 462 조에 따르면 배당가능이익이란 대차대조표상 순자산액으로부터 ①자본의 액 , ② 그 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 ③ 그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액 등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하여 이익배당을 하도록 규정 .

◎ 판단사유 → 사회적기업은 사업초기에 이익보다는 결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 , 누적결손금을 상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당기 의 이익을 사회적 목적에 사용토록 하면 재무적 건전성이 훼손될 수 있음 .

구비서류

○ 정관 . 규약 또는 운영규정 →’ 수익배분 , 재투자 , 이윤의 2/3 이상을 사회적 목적을 위해 사용한다’는 내용을 반드시 포함 .

→ 회사의 해산 및 청산시에도 배분 가능한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 잔여재산의 2/3 이상을 다른 사회적기업 또는 공익적 기금 등에 기부하도록 하는 내용 포함

심사기준

○ 조합원의 이익을 위해 설립된 영농조합 , 농업회사 , 협동조합 등도 상법상 회사에 준하여 동일하게 적용 .

○ 상법상 회사의 배당가능이익 발생시 ‘ 1/3 에 한해 주주 및 질권자에 대한 배당’이 허용되나 , 계량적 기준을 정관에 미 기재 시 불인증 처리 .

○ 정관상의 형식적 명기 뿐 아니라 주주동의서 작성 여부 , 지난 회계연도 이윤 사용 및 재투자 내역을 종합적으로 평 가하여 인증 .

○ 이윤의 재투자 범위 예시 .

→ 지역사회 환원 , 설비재투자 기술개발 등을 통한 사업확장을 통한 추가 인력 고용․ , 취약계층에 대한 봉급 인상으로 근로여건 개선 ( 복지 강화 ),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발 등 ( 이를 위한 적립금도 허용 )

※ 대표 , 임원 , 직계존비속에 대한 성과급 지급 사회적 목적 불인정 .

※ 수익을 특정 종교조직으로 기부하거나 선교 사업에만 사용하는 것은 ‘사회적 재투자’라 볼수 없음 .

Page 12: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2

기타사항

기타 사항

기타사항

○ 조직의 소재지가 경기도 행정구역 내 위치하고 , 채용인력 중 경기도민이 있어야 함 .

○ 지정기간

→ 지정기간은 지정서 발급일로부터 1 년으로 하며 , 재심사를 통해 지정기간을 1 년씩 연장 할 수 있음 .

→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할 수 있는 최대지정기간은 3 년으로 함 .

→ 지역개발사업 (마을기업 ,농어촌공동체회사 등 ) 에 참여한 경우에는 해당사업에 참여한 기간을 최대지정기간에 합산 .

○ 지정제한 및 지정취소

→’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 으로 지정된 후 최대지정기간 (3 년 ) 이내에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받지 못한 기관 단체․ .

→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이 취소된 경우 , 그 취소일로부터 3 년이 지나지 않은 기관 .

→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

→ 국가 또는 자치단체의 재정지원을 받으면서 부정수급으로 지원약정이 해지된 경우 .

○’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 .

→ 경기도가 추진하는 재정지원 , 전문성지원 등 각종 지원사업 참여자격 부여

→ 재정지원 : 예비사회적기업 전문인력 지원사업 , ( 예비 )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사업 , 사업개발비 지원사업

→ 전문성지원 : 경영 , 법률 , 세무 , 노무 , 회계 등 전문컨설팅 제공

→ 기타 : 포럼 , 제품전시회 , 기업연계 등

→ 사회적기업 인증 고용노동부 심사 시 추천

→ 도 , 시 군 및 산하 공공기관에 대해 제품 우선 구매 독려․

Page 13: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3

신청서류

신 청 서 류

신청서류

○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신청서 1 부 [ 서식 1] ※ 재심사 신청일 경우 [ 서식 5]

→ 사업단의 경우 사업체명은 ‘ㅇㅇㅇ 법인 내 사업단 ㅇㅇㅇ’으로 표기

○ 사업계획서 ( 신청기관 소개서 , 사회적기업 인증 계획서 포함 ) [ 서식 2,3,4] ※ 재심사 신청일 경우 [ 서식 6,7,8]

○ 조직형태 확인 서류 → 법인설립 허가증 ,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 법인등기부등본 중 택일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정관 또는 규약 증빙서류→주무부처의 허가승인을 받거나 법무법인 등의 공증 받은 것에 한함 .

○ 사회적목적 실현 판단기준 구체적 증명서류

○ 유급근로자 명부 ( 근로계약서 , 4 대보험가입증명서 )

○ 영업활동을 통한 수입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재무제표 등

○ 사회적기업 인증 전환계획을 이행하고 있는지 증명할 수 있는 서류 [ 재심사 신청인 경우 ]

○CD1 부→신청서 , 소개서 , 사업계획서 , 인증계획서 등을 한글파일로 저장

Page 14: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4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 서식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신청서처리기한

60 일

① 신 청 기 관명② 대표자 ③ 연락처

④ 전체유급근로자수

명 ( 여 : 명 )취약 계층근로자 수 명 ( 여 : 명 )

취약계층 고용비율

%

⑤ 소재지⑥ 조직 형태

□ 상법상 회사 □ 민법상 법인 □ 민법상 조합 □ 그 밖의 다른 법률에 따른 비영리법인 또는 단체

⑥주된사업⑦주된목적

□ □ 일자리 제공형 □ 사회서비스 제공형 □ 혼합형 □ 지역사회 공헌형□ 기타형

⑧ 사 회 서 비스제공실적

전체서비스수 혜 자

취 약 계 층서비스수혜자

취 약 계 층 서 비스수 혜 자 비 율

%

⑨ 부 정 수 급 해당 여 부 (최근 3 년 )

□ 예 □ 아니오 ⑩ 매출액 천원

⑪ 연 계 기 업명( 해당자만 기재 )

⑫ 연 계 기 업 지원금총액 및 내용

⑬ 정 부 재 정 지 원 사 항 (지 원 을 받 은 경 우 에 만 기재 )

지원기관명지원금 총액

( 지원기간 포함 )

지원사업의 내용

경기도 사회적기업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제 6 조에 따라 위와 같이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을 신청합니다 . 2011 년 월 일 신청기관 대표자 ( 서명 또는 인 )경 기 도 지 사 귀중

1. 신청기관명 - 신청 모법인과 사업단 명칭까지 정확하게 기입 - ex : ( 사 )ㅇㅇ협회 ㅇㅇ사업단2. 대표자 - 신청기관 대표자의 이름 기입 - 공동대표인 경우에 모두 기입4. 유급근로자 수 - 신청일 당시 대표자 , 자원봉사자 제외한 근로자수 기입 - 근로계약형태 관계없이 4 대 보험 가입자 해당5. 소재지 - 신청기관 ( 사업단 ) 의 등기부등본상 소재지 기입6. 조직형태 - 신청기관 ( 단체 ) 의 해당 형태를 기입7. 주된목적 - 일자리제공 , 사회서비스제공 , 혼합형 , 지역사회공헌형 , 기타형 중 택 1 기입8. 사회서비스 제공실적 - 비율을 확인할수 있도록 기입 일자리제공형은 일자리 참여자 수 , 서비스 제공형은 서비스 대상자수 기입10 매출액 - 제출 서류의 매출액 기입11. 연계기업명 - 신청사업에 연계하고 있는 기업 ( 기관 ) 을 기입12. 연계기업 지원금 총액 및 내용 - 신청사업에 대한 연계기업의 지원 ( 현금 , 현물 등 ) 기입13. 재정지원사항 - 노동부 사회적일자리창출사업 등 정부 , 지자체 지원시 내역을 모두 기입

Page 15: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5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 서식

사업명

기관명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 설립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Tel : Fax : E-mail

조직현황

근로자 총근로자 : 명 ( 여 : 명 )

취약계층 취약계층 근로자 ( 여 : 명 ) : 고령자 () 명 , 장애인 () 명 , 저소득층 () 명 , 기타 ( ) ( ) 명

수혜대상자 총수혜자 ( 명 ) 취약계층 수혜자 ( 명 )

근로조건 임금수준 : 평균 원 ( 최대 : 원 , 최저 : 원 )4 대보험 가입확인 : □ 고용 □ 산재 □ 의료 □ 연금

의사결정구조 □ 이사회 □운영위원회 □자문위원회 □주주총회 □총회

재정구조

총수입 (1 월 ~8

월 )영업수입

정부 ·지자체보조

민간 기부 ·후원

회비 등 기타수입

원 원 원 원 원

비즈니스 모델

수익확보 수단과 수익발생 규모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재할 것

신청기관 소개서

1. 근로자

- 대표자를 제외한 유급근로자 수 기입

2. 취약계층

- 고령자 , 장애인 , 저소득 층 등 인원수 명기

3. 의사결정구조

- 조직의 주된 의사결정구조 기입

4. 비즈니스모델

- 현재 수익확보 수단 및 규모 현황에 대한 기입

Page 16: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6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 서식

사업내용 현재 추진중인 사업내용을 사업건별로 기재( 예를들어 추진사업이 3 건이면 사업계획서를 3 장 작성 )

마케팅 및 홍보방안  

수혜내용( 서비스 내용 / 가격 )  

사회서비스제공( 서비스 내용 , 지원 대상

취약계층 ) 

사업개발 연구․교육훈련 계획  

수익확보 수단 및 수익산출 근거  

수익 사용계획  

향후 계획  

사업계획서

Page 17: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7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 서식

사회적기업 인증 계획서 1

◈ 조직 및 인사관련 내용 ( 신청일 기준 )

단체연혁

설립후 연혁을 기재예시 )98.11. 00 지역실업극복단체 결성‘04 .1.1. 비영리법인 설립 허가 ( 고용노동부 )04.1.1.~ 7.30 간병사업 실시 (3,O00 명 )‘04.2.5. 노인쉼터 마련 ( 일 평균 30 명 이용 )

설립목적 단체의 설립 목적을 기재 ( 정관내용 등 )

조직현황( 근로자수 )

예시 ) 본부 : 총무국 (3 명 ), 홍보부 (2 명 ), 개발부 (3 명 )지방 : 5 개시 · 도에 지부 , 서울 (2), 경기 (2), 광주 (2), 부산 (2), 대전 (2)※ 총 근로자수 : 18 명

◈ 사업계획

사업내용( 사회적기업 인증받기

위한 사업내용 )

사회적목적 실현 방법을 기준으로 작성- 단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 및 시장내 타 업체와의 차별성 제시예 ) 취약계층 ( 주 대상 ) 을 00% 이상 고용하여 0000 사업 추진취약계층 ( 주 대상 ) 에게 000% 이상 사회서비스 ( 주 사업 ) 제공

사업수행장소

( 장소 확보 방안 포함 )

주된 사무실 및 사업수행 장소 소재지와 구체적 시설 및 규모 ( 면적 ), 신청일 현재 미확보시 확보방안 기재

수혜대상( 인원수 , 서비스가

격 , 특성 등 )

유료 , 무료로 구분→ 가능한 한 유료고객의 경우 어떠한 연령대․특성의 고객을 대상으로 할 것인가를 객관적 근거에 의해 기술

◈ 사업 지속 및 자립 가능성

수익확보 수단 수익금 확보수단 ( 예 : 수혜자로부터 서비스 이용료 징수 등 ) 과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각 수단별 비중

수익발생의지 속 성

수익발생의 지속성 여부→ 가능한 한 관련 시장의 성장가능성 , 향후 시장규모 , 향후 시장에서 경쟁력 학보 방안 제시 , 매년 목표로 하는 시장점유율 및 이를 통한 수익발생 목표를 명확히 제시

수 익 금사용계획

- 수익금 사용계획을 기재 ( 절대액과 비율을 동시에 기재할 것 )예시 ) 참여근로자 임금 지급 30%( 금액 30 만원 ), 추가고용인원 40%( 금액 40 만원 ), 운영경비 20%(20 만원 ) 등- 가능한 한 금액이 지출되는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고 , 수익사용에 대한 정기적 모니터링 계획도 제시

Page 18: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8

경기도 예비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 서식

사회적기업인증계획서 2

◈ 기간별 사회적기업 인증 계획 (3 개월 단위로 작성 )

3 개월이내

사업 계획 수립 ( 기초 )- 사회적목적 실현 방법을 위한 사업 추진 ( 취약계층 고용 , 사회서비스 제공 등 ) - 구비서류 준비 ( 정관 변경 ,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운영위원회 구성 및 규칙 제정 등 검토 )- 모법인과의 관계 정립을 위한 계획 수립- 대표 및 근로자 사회적기업에 대한 교육 실시- 영업수익 확보 ( 인증 기준 ) 를 위한 00000 계획 추진

6 개월이내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기 위한 구체적인 사업 수행- 계획 수립에 따른 이행 사항 확인 ( 정관 변경 이사회 개최 , 운영위원회 개최 , 별도 법인 설립을 위한 행정기관 협의 등 )- 모법인과의 관계 정리를 위한 후속 초치 ( 법인내 사업단으로 인증 신청 -2 년내 독립 계획 , 별도 조직 형태로 독립 등 ) - 영업수익 확보 ( 인증 기준 ) 를 위한 지속적인 업무 추진 ( 프로보노 , 기업 및 공공기관 연계 )- 근로자 등에게 직무 교육 실시 계획- 경영컨설팅 실시 ( 권역별 지원기관 - 컨설팅 제공기관 )

9 개월이내

사회적기업 인증 요건 중 미비한 부분 집중 육성- 인증 요건 ( 조직형태 , 사회적 목적 실현 방법 실적 관리 , 영업수입 규모 확인 , 운영위원회 운영 현황 등 ) 중 기준에 미비한 분야 관리- 권역별 지원기관의 인증 컨설팅 정부 지원 중단 후 사회적기업 수익 확보 방안 강구

12 개월이내 사회적기업 인증 신청

Page 19: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SOCIAL ENTERPRISE GYEOGGI FOUNDATION

19

연락처

사회적기업 지원센터

시군 전화번호

수원시 247-4545

부천시 (032)710-6491~2

시흥시 310-2781~3

성남시 729-4958

남양주시 594-2965 / 592-2965

오산시 371-4784

경기도 사회적기업 통합지원센터

시군 전화번호

사회적기업경기재단 1577-5610

시 군 사회적기업 담당부서․

시군 부서 전화번호 시군 부서 전화번호

수원시 일자리창출과 228-3881 성남시 주민생활지원과 729-3663

고양시 일자리창출과 8075-3722 부천시 일자리정책과 032-625-

2709

용인시 지역경제과 324-2472 안산시 일자리정책과 481-2609

안양시 주민생활지원과 8045-2336 남양주시 고용경제과 590-8906

의정부시 사회복지과 828-2733 평택시 일자리정책과 8024-3522

시흥시 일자리정책과 310-6052 화성시 경제정책과 369-2275

광명시 기업지원과 02-2680-

2269

파주시 기업지원과 940-5086

군포시 지역경제과 390-0658 광주시 일자리위생과 760-8433

김포시 경제진흥과 980-2682 이천시 기업지원과 644-2282

구리시 산업경제과 550-8332 양주시 기업경제과 820-5163

안성시 지역경제과 678-5453 포천시 지역경제과 538-2287

오산시 지역경제과 370-3695 하남시 기업지원과 790-5382

의왕시 기업지원과 345-2373 여주군 복지정책과 887-2691

동두천시 주민생활지원실 860-2369 양평군 주민복지과 770-2298

과천시 주민생활지원실 02-3677-

2858

가평군 경제과 580-2951

연천군 주민생활지원과 839-2447 경기도청 일자리정책과 8008-4648

Page 20: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의 그 4 번째 도전 이야기…

www.segf.or.kr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2012 경기도예비사회적기업 지정제 안내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