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23
6교수 적합화 1. 교수-학습의 방해 요인 2. 지체장애 학생의 교육을 위한 교수 적합 1) 교육 환경의 수정 2) 교수 집단의 수정 3) 교수 방법의 수정 4) 교수 내용의 수정 5) 평가 방법의 수정

Upload: others

Post on 02-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6장 교수 적합화 1. 교수-학습의 방해 요인

2. 지체장애 학생의 교육을 위한 교수 적합화 1) 교육 환경의 수정 2) 교수 집단의 수정 3) 교수 방법의 수정 4) 교수 내용의 수정 5) 평가 방법의 수정

Page 2: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1. 교수-학습의 방해요인

1) 언어와 의사소통장애로 인한 학습 수단의 부족 – 표현 언어 결함: 구강 주변의 근육조절과 협응의 문제 – 음소처리과정과 음소 인식에 대한 습득 방해 – 불완전한 문장, 덜 복잡한 문장, 문법적으로 부정확한 문장구조

– 언어습득 이전의 비언어적인 몸짓, 제스처 등의 언어전행동 습득의 방해

– 부적절한 학습 경험

Page 3: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1. 교수-학습의 방해요인

2) 운동장애로 인한 신체적 어려움 - 자료에의 접근과 상호작용의 제한 - 소근육 운동 조절의 문제 - 자세의 문제 - 이동 문제 - 소요시간과 피로

Page 4: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3) 인지적 어려움 – 짧은 주의집중력, 의존성, 자신감과 자기통제력 부족, 표현력 결여, 미성숙한 행동(이소현, 박은혜, 2006)

4) 시각,청각장애로 인한 방해 요인

– 글쓰기, 계산능력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이야기의 순서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정보처리의 어려움을 나타냄

5) 지각장애로 인한 어려움

– 정보수용능력 결함, 통합 조직능력 결함, 전경과 배경의 혼란, 신체 변화와 신체상에 대한 인식 부족

Page 5: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6) 감정과 기질적인 요인 – 긍정적 발달 경험이 부족하여 정서적 안정감이 부족함 – 주의산만, 이상행동 반복

7) 건강 요인

– 건강문제로 인한 진료와 치료의 반복은 수업 결손을 초래 – 입원, 치료로 인한 학습결손은 학습 실패를 야기하고 부적응 행동으로 나타남

8) 부정적 태도와 낮은 기대

– 교과학습에 대한 낮은 기대감과 제한된 학습제공

– 기능적 읽기를 통한 생존관련 문자학습(survival words)등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함.

Page 6: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2.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 적합화

1)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흥미를 고려한 환경 – 신체능력 및 잔존 감각을 고려한 환경 – 원활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 형성 – 아동과 교사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

Page 7: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2)건강과 위생, 안전을 고려한 환경 – 휴식할 수 있는 편안하고 독립된 공간 – 세면대 등 – 수업 중 휴식: 매트리스, 침대, 이불과 배게, 쿠션 – 위생적이고 청결한 상태 – 친환경적 소재 – 밝고 환한 분위기 – 채광, 환기

Page 8: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3)자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 – 보조기기와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넓은 공간 – 간단한 치료활동 위한 기기 및 운동 공간 – 지지대와 안전바 – 보조기기 보관 공간 확보 – 유니버설 디자인 – 학습기기의 접근성 확보: 높낮이 조절 테이블 등

Page 9: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4)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학습환경 – 올바른 자세 유지를 위한 책상과 의자의 수정

• 높이, 크기, 각도, 넓이, 기능성(용도, 표면, 재질 등) – 경사로 – 안전한 환경(자동문, 문턱) – 정보 접근성: 터치스크린, 높이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테이블과 스위치, 변형 키보드

– 이동식 칠판

Page 10: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5)감각적 특성을 고려한 학습환경 – 자리 배치 – 빛에 대한 반사, 눈부심 정도 – 시각적 자료, 청각적 자료 – 소음 규제 – 실내 조도

Page 11: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6)교육자료가 풍부한 학습환경 – 여러 감각을 경험할 수 있는 교재교구 – 접근 가능한 배치와 수납 – 동시나 동요 등 재미있는 읽을거리 – 인지적인 자극과 학습 동기 유발 – 풍부한 학습자료로 환경 구조화

Page 12: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7)다양한 교육활동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환경 –변화 가능한 공간 –재구성할 수 있는 공간

Page 13: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책상의 경계 만들어주기 대상물체 고정시켜주기 (테잎, 벨크로, 논슬립매트)

교수환경의 수정의 예

Page 14: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3) 신체, 감각적 특성을 고려한 학습 환경 예시

학생의 눈높이와 활동을 고려한 교재원

Page 15: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3) 신체, 감각적 특성을 고려한 학습 환경 예시

접근편의를 위한 거리와 높이 조절 마운팅 컴퓨터실

Page 16: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2) 교수 집단의 수정 • 활동중심적, 경험적, 지역사회 중심의 수업 형태 • 초기 학습단계에서는 교사와 아동 간의 안정된 관계를 위해 동질집단의 소그룹 형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통합된 환경

• 수업 내용에 따라 개별지도와 그룹지도의 적절한 결합

Page 17: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3) 교수방법의 수정

(1) 교수활동

• 구체적인 활동으로 구조화하여 작은 단계로 제시하기 • 양 줄이기, 교육과제나 활동의 순서 바꾸기, 규율이나 규칙 수정하기

• 과제를 활동 중심으로 수정 • 교수 회기 사이의 간격, 과제의 다양성 • 과제 활동 중에 이미 아는 유지 단계의 과제 삽입하기 • 부분 참여(partial participation): 보조기기 이용, 다른 사람의 개인적 보조 받기, 기술 계열의 수정

Page 18: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2)교수 전략 ① 선호도 평가와 선택

• 스스로 선택한 활동에 대한 더 높은 수행률 • 사회적 회피행동 감소 • 문제행동도 감소

② 강화 전략

• 체계적인 관찰을 통해 효과적인 강화자극 파악 • 일관성 있는 사용 • 체계적인 강화 소거 전략

③ 반응촉진 전략

• 구어적 촉진 • 모델링 • 신체적 촉진

교사의

개입정도

Page 19: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3) 교수자료 ① 물체 고정하기 ② 경계면 만들기 ③ 잡을 수 있는 보조기기 ④ 조작을 도울 수 있는 보조기기

Page 20: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Page 21: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Page 22: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4) 교수내용의 수정 • 기능적인 기술 강조: 가능한 한 독립적이고 덜 의존적이며 모든 생활환경에서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내용

• 생활연령 적절성 • 일반아동과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술 • 미래의 환경에서 유익할 수 있는 기능 • 다른 사람에 의해 더 잘 수용될 수 있는 내용 • 활동 중심의 내용 • 일반교육과정과 연관성이 높은 내용 • 개별아동에게 최적합한 교육 내용

Page 23: 6장 교수 적합화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5.pdf · 교육환경의 수정 (1)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습환경 – 아동의 개별적

5) 평가 방법의 수정 • 대안적인 평가 방법

– IEP에 근거한 수행 수준 평가 –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하는 정도의 평가 – 합격과 불합격 평가 – 최소 성취 기준을 정해 놓고 통과/유급 – 능력, 노력, 성취의 세 측면을 모두 평가하여 평균을 내는 다면화된 평가(multiple grading)

– 여러 평가자의 점수 부여하는 공동 평가 – 학생 스스로 평가하는 방법 – 계약평가 – 포트폴리오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