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15
17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 김민정 (우송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김민정.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 2, 17-31. 본 연구의 목적은 26개월에서 65개월 아동 220명을 대상으로 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나는 음운 오류패턴에 대한 예비적 진단 준거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운 오류패턴은 크게 전체단어 변동과 음소변화 변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연령대별로 10% 를 초과하는 아동이 3회 이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분석하여 총 10개의 일반적인 오류패턴을 얻었다. 전체단어 변동의 경우 전형적인 어중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 이었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파찰음마찰음의 파열음화, 파찰음화경구개음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전방화, 유음의 비음화파열음 화였다. 이 중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파열음화, 연구개음의 전 방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전형적 어중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파찰음마찰음의 파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상 의 결과는 아동이 보이는 음운 오류패턴이 나이에 적절한 것인지를 알아보는 진단 준거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오류패턴, 음운변동, 자음발달, 아동용 조음검사 . 서 론 우리말 조음검사들은 검사 말소리 중에 얼마나 많은 말소리를 정확하게 산출하는지를 점수화하 여 이를 또래 아동과 비교함으로써 조음음운장애를 진단한다. 그리고 좀 더 구체적인 진단을 위하여 연령별대로 어떤 자음을 정확하게 산출하는지에 대한 발달 준거도 연구되어져 있다(김민정배소영, 2005; 김영태, 1996). 그러나 정확하게 산출되는 말소리의 양과 종류가 또래와 비슷할지라도 오류패턴 이 또래와 다르다면 정상적인 조음음운발달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조음음운장애를 정확 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아동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오류패턴을 알아야 한다. 오류패턴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장소-방법-발성 분석(place-manner-voicing analysis), 변별자질 분석(distinctive feature analysis) 그리고 음운변동 분석(phonological process analysis)을 들 수 있다(Bankson & Bernthal, 2004). 장소-방법-발성 분석은 각각의 오류를 조음장소, 조음방법 그리 고 발성유형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하는 것이고, 변별자질 분석은 각각의 오류를 음성자질 측면으로 나

Upload: others

Post on 20-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17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

김민정(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2006 제11권 제2호 17-31 본 연구의 목 은 2세 6개월에서 6세 5개월 아동 220명을 상으로 lsquo아

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나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비 진단 거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음

운 오류패턴은 크게 체단어 변동과 음소변화 변동으로 나 어 살펴보았고 연령 별로 10

를 과하는 아동이 3회 이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분석하여 총 10개의 일반 인 오류패턴을

얻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

이었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

경구개음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

화 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상

의 결과는 아동이 보이는 음운 오류패턴이 나이에 한 것인지를 알아보는 진단 거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오류패턴 음운변동 자음발달 아동용 조음검사

Ⅰ 서 론

우리말 조음검사들은 검사 말소리 에 얼마나 많은 말소리를 정확하게 산출하는지를 수화하

여 이를 래 아동과 비교함으로써 조음음운장애를 진단한다 그리고 좀 더 구체 인 진단을 하여

연령별 로 어떤 자음을 정확하게 산출하는지에 한 발달 거도 연구되어져 있다(김민정배소

2005 김 태 1996) 그러나 정확하게 산출되는 말소리의 양과 종류가 래와 비슷할지라도 오류패턴

이 래와 다르다면 정상 인 조음음운발달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조음음운장애를 정확

하게 진단하기 하여 아동에게 일반 으로 나타나는 오류패턴을 알아야 한다

오류패턴을 분석하는 표 인 방법으로 장소-방법-발성 분석(place-manner-voicing analysis)

변별자질 분석(distinctive feature analysis) 그리고 음운변동 분석(phonological process analysis)을 들

수 있다(Bankson amp Bernthal 2004) 장소-방법-발성 분석은 각각의 오류를 조음장소 조음방법 그리

고 발성유형 측면으로 나 어 정리하는 것이고 변별자질 분석은 각각의 오류를 음성자질 측면으로 나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18

어 정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두 분석 방법은 치(substitution) 오류를 분석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생략(omission) 첨가(addition) 그리고 동화(assimilation)나 조화(harmony) 오류를 기술하는데는 한계

가 있다

이에 반해 음운변동 분석은 치뿐 아니라 생략 첨가 동화 오류도 기술할 수 있고 오류를 기술

하는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Velleman 1998) 이에 따라 어권에서는

90년 이후 음운변동을 검사할 수 있는 공식검사들이 활발히 출 되고 있다(Lowe 2002) 음운변동

분석이란 단어내 치 단어의 음 구조 음성 환경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음운 오류들 간의 공통

을 찾아내어 lsquo종성 생략rsquo lsquo자음 조화rsquo lsquo 열음의 마찰음화rsquo 등의 이름을 붙여 오류를 기술하는 것이다

음운변동 분석은 Stampe (1973)의 자연음운론(natural phonology)에 근간을 두고 있다 자연음운론에

서 음운변동이란 아동이 자신의 음성 지각과 산출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음운 단 를 바꾸거나 생략하

는 정신 장치를 말한다 이들 이론에 따르면 아이들은 다양한 음운변동을 가지고 태어나고 자신이 성

인의 말을 같이 따라하는 데 방해가 되는 음운변동들을 차 으로 버림으로써 모국어 소리 체계를

습득한다고 한다(Bauman-Waengler 2000)

음운 오류패턴을 음운변동으로 분석한 Stoel-Gammon amp Dunn (1985)은 어권 아동의 경우 3세

이 에 약한 음 생략(weak syllable deletion) 종성 자음 생략(final consonant deletion) 자음 동화

(consonant assimilation) 반복(reduplication) 방화(fronting) 모음 앞 유성음화(prevocalic devoicing)를

많이 사용하고 자음군 축소(cluster reduction) 삽입(epenthesis) 과도음화(gliding) 모음화(vowelization)

열음화(stopping) 탈 찰음화(deaffrication) 종성 무성음화(final devoicing)는 3세 이후에도 사용한다

고 하 다 한편 Bankson amp Bernthal (2004)은 음운변동을 크게 음 구조가 바 는 체단어 변동

(whole-word process)과 조음 장소나 방법이 바 는 음소변화 변동(segment-change process)으로 나

어 제시하 다 그리고 어권 아동에게 나타나는 일반 인 체단어 변동으로 비강세 음 생략

(unstressed syllable deletion) 종성 자음 생략 반복 자음 조화 자음군 단순화(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를 들었고 일반 인 음소변화 변동으로 연구개음의 방화 열음화 과도음화를 들었다

이 밖에도 음운변동에 한 연구들이 많지만 Dodd et al (2003)은 기존의 음운변동 연구 결과를

진단 기 으로 사용하기 어렵다고 지 하 다 그 이유로 상 아동의 수가 다는 그리고 오류 lsquo패

턴rsquo이란 말소리나 말소리 연쇄의 lsquo체계 인rsquo 변화를 의미하므로 어도 2회 이상 나타나야 오류패턴이

라고 할 수 있는데 기존 연구들은 해당 음운변동이 한번만 나타나도 아동이 그 오류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한 을 들었다 이에 따라 이들은 700여명의 아동을 상으로 10 이상의 아동이 5회 이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 찰음화와 자음군 축소 3세까지

방화 약한 음 생략과 열음화 2세까지 동화 종성 자음 생략과 반복을 나타낸다는 결과를 얻었다

우리나라 아동의 음운 오류에 한 연구는 치 분석부터 시작되었다 권경안이연섭손미령

(1979)은 3~5세 아동 33명이 보인 음운 오류들을 치의 에서 자세히 열거하 다 엄정희(1994)도

3~5세 아동 150명을 상으로 특정 음소를 습득하는 과정 에 어떤 치나 왜곡 오류가 빈번한지를

분석하 다 아동의 음운 오류를 음운변동으로 기술한 연구들은 90년 이후 나오기 시작하 다(김민정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19

배소 2000 김 태 1992 배소 1994) 김 태(1992)는 2~6세 아동 48명을 상으로 배소 (1994)

은 1~3세 10명을 상으로 김민정배소 (2000)은 2~4세 아동 24명을 상으로 하여 아동의 음운

오류를 음운변동으로 기술하 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모두 Dodd et al (2003)이 지 한 로 상 아

동 수가 고 한번 나타난 것을 오류패턴으로 간주하여 진단 거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그 외에도 기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제한 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하나의 오류에 해

체단어 변동과 음소변화 변동을 모두 용한 것이다(김 태 1992 배소 1994) 이러한 분석 방법은

각각의 음운변동 정의에 혼돈을 야기시킨다 를 들어 lsquo 구rsquo를 [ ] lsquo나무rsquo를 [마무]로 발음한 상

은 반복이나 자음 동화라는 체단어 변동으로 해석해야 하는데 이를 방화라는 음소변화 변동에도

포함시킴으로써 음소변화 변동에 속하는 연구개음의 방화( 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의 본질을 흐리게

만들었다 반 로 lsquo싸움rsquo을 [따움] lsquo풍선rsquo을 [풍던]으로 발음한 상은 열음화라는 음소변화 변동으로

해석해야 하는데 후자의 를 열음 동화라는 체단어 변동에도 포함시킴으로써 체단어 변동에

속하는 동화( lsquo사과rsquorarr [가과])의 본질을 흐리게 만들었다

둘째 음운변동 출 율(percentage of occurrence)을 이용하여 일반 인 음운변동을 기술한 것이

다(김 태 1992) 이러한 기 은 한 명에게 나타난 음운변동이 여러 명에게 나타난 음운변동보다 더 일

반 인 음운변동이 되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를 들어 10명 한 명에게만 100 나타난 음운변

동이 10명 4명에게 20씩 나타난 음운변동보다 더 일반 인 음운변동이라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에서 지 한 연구 방법 상의 문제들을 보완하여 첫째 취학 아동에게 나타나

는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을 체단어 변동과 음소변화 변동으로 나 어 살펴보고 둘째 각각의 오류

패턴이 사라지는 시기가 언제인지를 알아보았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상

김민정배소 (2005)의 연구와 동일한 아동으로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일반 아동

26(생년월)에서 65까지의 아동 220명을 상으로 하 다 다양한 계층의 아동을 포함시키기 하

여 공단 지역의 어린이집 서 문구의 직장 내 어린이집 비교 높은 생활수 을 보이는 강남 지역의

어린이집을 섭외하여 자료를 수집하 다 6개월 단 로 20명에서 30명이 분포하 고 남아와 여아의 비

율은 1 1이었다lt표 - 1gt 이들은 모두 (1) 서울 방언을 사용하 고 (2) 한쪽 귀의 간이 순음청력검

사에서 20 dB의 500Hz 1kHz 2kHz 4kHz 소리에 반응을 보 으며 (3) 말운동장애나 구개열 병력이

없었고 (4) lsquo그림어휘력검사rsquo에서의 백분 수가 10이상이었다 그러나 조음음운 능력이 낮은 아동부터

높은 아동까지 포함되도록 하기 하여 기능 조음음운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은 상에 포함시켰다

(Dodd et al 2003)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0

2 자료수집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김민정배소 2005)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 다 37개의 검사 단어와 이

에 포함된 97개의 말소리를 모두 자료로 이용하 다 검사 단어의 음 구조와 자음 분포는 lt표 - 2gt와

같다 자료 수집과 사 방법은 김민정배소 (2005)의 연구와 동일하 고 사에 한 채 자간 일치

율은 검사 말소리마다 80~100 다

lt표 - 1gt 상 아동의 연령 성별 분포

26~211 30~35 36~311 40~45 46~411 50~55 56~511 60~65 계

9

11

9

11

15

15

17

13

16

14

17

13

13

17

14

16

110

110

계 20 20 30 30 30 30 30 30 220

lt표 - 2gt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 단어의 음 구조와 자음 분포

음 구조 분포 (총 37개 단어) 자음 분포 (총 97개 말소리)

음 수

1음 단어

2음 단어

3음 단어

5개

24개

8개

ㄱㄹㅁㅂㅇㄴㅅㄷㅈㅆㅊㅎㅃㄸㄲㅍㅌㅋㅉ

12개11개 9개 9개 9개 7개 7개 5개 4개 4개 3개 3개 2개 2개 2개 2개 2개 2개 2개

음 구조

V

VC

CV

CVC

5개

6개

35개

26개

단어구조

V-

CV-

-V

-VC

-VCV-

-VCCV-

5개

72개

62개

15개

50개

25개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1

3 자료 분석

가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아동에게 나타난 오류는 lt표 - 3gt과 lt표 - 4gt의 음운변동으로 표시되었다 음운변동은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구분한 로 크게 음 구조가 변하는 체단어 변동과 조음 장소나 방법이 변하는 음

소변화 변동으로 나 었다 그런데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제시한 를 살펴보면 체단어 변동

에 음 구조가 변하지 않는 조화 오류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단어 변동을 음

구조를 변화시키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의 향으로 인한 오

류로 정의하 다 한 음소변화 변동을 흔히 lsquo 치rsquo 오류로 생각하지만 KLPA (Khan amp Lewis 1986)나

HAAP-3 (Hodson 2004) 등의 음운변동 검사에는 왜곡이나 생략 오류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서는 음소변화 변동을 음소가 치되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

의 향 없이 음소가 변화된 오류로 정의하 다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를 lt표 - 3gt lt표 - 4gt와 같이 선정하게 된 차는 다음과 같다 먼

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1994 2002) Velleman (1998)의 어 음운변동을 면 히 검토하여

우리말에 불필요한 것을 제외하 다 를 들어 자음군과 련된 자음군 단순화와 모음 삽입 성 성

유음이나 비음과 련된 모음화 순치음이나 치간음과 련된 치조음화 유무성 자질과 련된 유성음

화나 무성음화를 제외하 다

그리고 우리나라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2) 배소 (1994) 엄정희(1994)의 연

구 기능 조음장애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민정배소 (2000)의 연구 그리고 정신지체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5)의 연구를 참고하여 우리말에 필요하다고 단되는 음운변동을 추가하

다 를 들어 음 간 자음 연쇄와 련된 어 의 자음군 단순화와 열음의 삼 립과 련된 긴

장음화 기식음화 이완음화를 추가하 다

한 일반 인 음운변동(common process)과 특이한 음운변동(idiosyncratic process)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음운변동 이름에 음운변동이 나타나는 문맥을 붙여서 명명하 다 를 들어 열음화는

찰음과 마찰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일반 인 경우도 있고 비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특이한 경우도

있으므로 찰음마찰음의 열음화와 비음의 열음화를 구분하여 이름붙 다(Lowe 2002

Velleman 1998) 다른 로 어 자음군 단순화는 형 인 경우와 비 형 인(atypical) 경우로 나

어 살펴보았다(Stoel-Gammon amp Dunn 1985) 정상 성인의 말에서도 용되는 성 우선의 원칙이

나 양순음화와 연구개음화 같은 음운규칙을 참고하여(신지 차재은 2003) 어 자음군 에서 종성

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성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주하

고 조음장소가 동화되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조음방법이 동화되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

주하 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주된 오류패턴을 간결하게 기술하기 하여 같은 오류패턴이라고 생각되는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2

음운변동들을 함께 묶었다 묶어서 정리한 음운변동은 다음과 같다 반복은 일종의 체 조화로서

(Velleman 1998) 동일한 형태를 반복한다는 원리가 같으므로 이를 함께 묶었다 도치(metathesis)와

이동(migration)도 함께 묶었다(Velleman 1998) 어린 아동이나 장애 아동 에 격음의 긴장음화와 ㅎ

생략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격음의 긴장음화나 ㅎ 생략 모두 lsquo기식성rsquo 자질을 잃는 것이므로

(김민정배소 2000 표화 1998) 긴장음화와 탈기식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옥수수 시

소rsquo를 [옥쭈슈 치쇼]로 발음하거나 lsquo사탕rsquo을 [차탕 샤탕]으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자주 찰되어 찰음

화와 경구개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이모음 앞에서 유음이 과도음화되면 마치 생략된 듯이 들리

고 lsquo올라가rsquo가 [오야가]로 발음되기 때문에 KLPA (Khan amp Lewis 1986)에서처럼 유음의 생략과 과도

음화를 유음의 단순화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올라가 머리 호랑이rsquo를 각기 [온다가 머디 호낭이]로 발

음하거나 lsquo고래rsquo를 [고내 고 ]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유음의 비음화와 열음화도

하나로 묶었다

lt표 - 3gt 본 연구에 사용된 체단어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음 생략축약 음 이 생략되거나 축약된다lsquo할아버지rsquorarr [하버지]

lsquo할머니rsquorarr [함미]

반복자음 조화동일한 음 이나 자음이 반복된다 단어에 있는 다른 자음의 조

음장소나 조음방법이 반복된다

lsquo사탕rsquorarr [탕탕]

lsquo빗rsquorarr [빕]

lsquo거북이rsquorarr [거구기]

어말종성 생략어말종성이 생략된다 어말종성 ㄹ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책rsquorarr [채]

lsquo병원rsquorarr [병어]

어두 성 생략어두 성이 생략된다 어두 성 ㅎ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탈기식음화)으로 볼 수도 있다lsquo모자rsquorarr [오다]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종성이 생략되거나 어 성의 조음장소에 역행동화된다

는 연이음 자음이 합체된다(coalescence) 어 ㄹ 오류는 아

동에 따라 음소변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옥수수rsquo(rarr 옫쑤수)

rarr [오쑤수]

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이]

lsquo침 rsquorarr [친 ]

lsquo없어rsquorarr [어f어]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성이 생략되거나 어 종성에 의해 순행동화가 일어난다

는 조음방법이 동화된다

lsquo없어rsquorarr [어뻐]

lsquo침 rsquorarr [침배 침매]

lsquo햄버거rsquorarr [해뻐거]

첨가 음소가 첨가된다

lsquo우산rsquorarr [무산]

lsquo햄버거rsquorarr [햄버건]

lsquo그네rsquorarr [근네]

도치이동 자음의 단어 내 치가 서로 바 거나 다른 치로 이동한다lsquo빨 rsquorarr [딸빼 빠땔]

lsquo장갑rsquorarr [장박]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3

나 음운변동의 용

Lowe (2002)의 제안 로 아동마다 오류의 공통 을 찾아 음운변동을 용시켰다 이에 따라 같

은 오류라도 아동마다 용되는 음운변동이 다를 수 있었다 를 들어 lsquo사탕rsquo을 [타탕]으로 발음한 것

은 열음화와 동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치조마찰음도 열음으로 조음한다면

열음화를 용시키고 이 단어에서만 이러한 오류를 보인다면 동화를 용시켰다 lsquo이빨rsquo을 [이빠]로 발

음한 것은 종성 생략과 유음의 단순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종류의 종성도 생략한

다면 종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종성 자음의 생략 없이 성 ㄹ의 단순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유

음의 단순화를 용시켰다 lsquo햄버거rsquo를 [앰버거]로 발음한 것은 성 생략과 탈기식음화의 가능성이 모

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성 자음들도 생략했다면 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성 자음의 생략

없이 긴장음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탈기식음화를 용시켰다

한 단어에 여러 음운변동이 용될 수도 있었다(Bankson amp Bernthal 2004) 를 들어 연구개

음의 방화와 긴장음화가 빈번한 아동이 lsquo컵rsquo을 [떱]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 두 음운변동이 모두 용된

결과로 해석하 다

다 자료 분석

아동마다 각 음운변동이 출 한 횟수를 정리하 다 그리고 오류패턴의 기 을 3회 이상 사용되

는 음운변동으로 정하고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 다 참고

으로 교차분석의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으로 각 음운변동을 사용하는 아동수가 연령

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Ⅲ 결 과

1 체단어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체단어 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다 이 변동은 2세에

거의 모든 아동에게 나타나고 4세 반까지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다 자음 조화와 종성 생략

은 2세 후반에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지만 3세 반부터는 이 변동을 보이는 아동이 거의 없었

다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의 아동만이 오류패턴으로 사용하 다 그

리고 첨가 변동이 총 17회 도치나 이동 변동이 총 11회 어두 성 생략 변동이 총 3회 출 하 지만

각각의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은 없었다 그밖에 음 생략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를 정리하면 lt표 - 5gt와 같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4

체단어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χ2 (7) = 8248 p lt 001) 반복자음 조화(χ2 (7) = 6304

plt 001) 어말종성 생략(χ2 (7) = 5282 plt 001)이었다

lt표 - 4gt 본 연구에 사용된 음소변화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발성유형변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

평음이나 격음이 경음으로 변한다 아동에 따라서 ㅎ 생략을 탈기식음화로 볼 수도 있다

lsquo포도rsquorarr [뽀 ]

이완음화 경음이나 격음이 긴장 자질이 없는 평음으로 변한다 lsquo싸워rsquorarr [사워]

기식음화평음이나 경음이 기식 자질을 갖는 격음으로 변한다 ㅅㅆ가 ㅊㅌ로 바 것은 기식음화로 보지 않는다

lsquo뱀rsquorarr [팸]lsquo찢어rsquorarr [치 ]

조음장소변화

연구개음의방화

연구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변한다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니]

양순음화양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한다

lsquo고래rsquorarr [고배]lsquo단추rsquorarr [반추]

연구개음화연구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연구개음으로 변한다

lsquo찢어rsquorarr [끼 ]lsquo우산rsquorarr [우상]

성문음화ㅎ 이외의 자음이 성문마찰음이나 성문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사탕rsquorarr [하탕]

치간음화 치조마찰음이 치간음이나 치음으로 왜곡된다 lsquo싸워rsquorarr [ㅆㅏ워]

설측음화 치조마찰음이 설측마찰음으로 왜곡된다 lsquo사탕rsquorarr [ㅅㅏ탕]

조음방법변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이나 찰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색종이rsquorarr [택똥이]

비음의 열음화 비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머리rsquorarr [버리]

찰음화 경구개음화

치조음(주로 치조마찰음)이 찰음으로 변하거나 경구개음으로 왜곡된다

lsquo없어rsquorarr [업쩌업쎠]lsquo포도rsquorarr [포됴]

유음의 단순화 유음이 생략되거나 과도음으로 변한다 lsquo이빨rsquorarr [이빠j]lsquo고래rsquorarr [고애고얘]

유음의 비음화열음화

유음이 비음이나 열음으로 변한다lsquo이빨rsquorarr [이빤]lsquo고래rsquorarr [고내고 ]

마찰음화 찰음이 치조마찰음으로 변한다 lsquo침 rsquorarr [심 ]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2: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18

어 정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두 분석 방법은 치(substitution) 오류를 분석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생략(omission) 첨가(addition) 그리고 동화(assimilation)나 조화(harmony) 오류를 기술하는데는 한계

가 있다

이에 반해 음운변동 분석은 치뿐 아니라 생략 첨가 동화 오류도 기술할 수 있고 오류를 기술

하는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Velleman 1998) 이에 따라 어권에서는

90년 이후 음운변동을 검사할 수 있는 공식검사들이 활발히 출 되고 있다(Lowe 2002) 음운변동

분석이란 단어내 치 단어의 음 구조 음성 환경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음운 오류들 간의 공통

을 찾아내어 lsquo종성 생략rsquo lsquo자음 조화rsquo lsquo 열음의 마찰음화rsquo 등의 이름을 붙여 오류를 기술하는 것이다

음운변동 분석은 Stampe (1973)의 자연음운론(natural phonology)에 근간을 두고 있다 자연음운론에

서 음운변동이란 아동이 자신의 음성 지각과 산출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음운 단 를 바꾸거나 생략하

는 정신 장치를 말한다 이들 이론에 따르면 아이들은 다양한 음운변동을 가지고 태어나고 자신이 성

인의 말을 같이 따라하는 데 방해가 되는 음운변동들을 차 으로 버림으로써 모국어 소리 체계를

습득한다고 한다(Bauman-Waengler 2000)

음운 오류패턴을 음운변동으로 분석한 Stoel-Gammon amp Dunn (1985)은 어권 아동의 경우 3세

이 에 약한 음 생략(weak syllable deletion) 종성 자음 생략(final consonant deletion) 자음 동화

(consonant assimilation) 반복(reduplication) 방화(fronting) 모음 앞 유성음화(prevocalic devoicing)를

많이 사용하고 자음군 축소(cluster reduction) 삽입(epenthesis) 과도음화(gliding) 모음화(vowelization)

열음화(stopping) 탈 찰음화(deaffrication) 종성 무성음화(final devoicing)는 3세 이후에도 사용한다

고 하 다 한편 Bankson amp Bernthal (2004)은 음운변동을 크게 음 구조가 바 는 체단어 변동

(whole-word process)과 조음 장소나 방법이 바 는 음소변화 변동(segment-change process)으로 나

어 제시하 다 그리고 어권 아동에게 나타나는 일반 인 체단어 변동으로 비강세 음 생략

(unstressed syllable deletion) 종성 자음 생략 반복 자음 조화 자음군 단순화(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를 들었고 일반 인 음소변화 변동으로 연구개음의 방화 열음화 과도음화를 들었다

이 밖에도 음운변동에 한 연구들이 많지만 Dodd et al (2003)은 기존의 음운변동 연구 결과를

진단 기 으로 사용하기 어렵다고 지 하 다 그 이유로 상 아동의 수가 다는 그리고 오류 lsquo패

턴rsquo이란 말소리나 말소리 연쇄의 lsquo체계 인rsquo 변화를 의미하므로 어도 2회 이상 나타나야 오류패턴이

라고 할 수 있는데 기존 연구들은 해당 음운변동이 한번만 나타나도 아동이 그 오류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한 을 들었다 이에 따라 이들은 700여명의 아동을 상으로 10 이상의 아동이 5회 이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 찰음화와 자음군 축소 3세까지

방화 약한 음 생략과 열음화 2세까지 동화 종성 자음 생략과 반복을 나타낸다는 결과를 얻었다

우리나라 아동의 음운 오류에 한 연구는 치 분석부터 시작되었다 권경안이연섭손미령

(1979)은 3~5세 아동 33명이 보인 음운 오류들을 치의 에서 자세히 열거하 다 엄정희(1994)도

3~5세 아동 150명을 상으로 특정 음소를 습득하는 과정 에 어떤 치나 왜곡 오류가 빈번한지를

분석하 다 아동의 음운 오류를 음운변동으로 기술한 연구들은 90년 이후 나오기 시작하 다(김민정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19

배소 2000 김 태 1992 배소 1994) 김 태(1992)는 2~6세 아동 48명을 상으로 배소 (1994)

은 1~3세 10명을 상으로 김민정배소 (2000)은 2~4세 아동 24명을 상으로 하여 아동의 음운

오류를 음운변동으로 기술하 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모두 Dodd et al (2003)이 지 한 로 상 아

동 수가 고 한번 나타난 것을 오류패턴으로 간주하여 진단 거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그 외에도 기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제한 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하나의 오류에 해

체단어 변동과 음소변화 변동을 모두 용한 것이다(김 태 1992 배소 1994) 이러한 분석 방법은

각각의 음운변동 정의에 혼돈을 야기시킨다 를 들어 lsquo 구rsquo를 [ ] lsquo나무rsquo를 [마무]로 발음한 상

은 반복이나 자음 동화라는 체단어 변동으로 해석해야 하는데 이를 방화라는 음소변화 변동에도

포함시킴으로써 음소변화 변동에 속하는 연구개음의 방화( 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의 본질을 흐리게

만들었다 반 로 lsquo싸움rsquo을 [따움] lsquo풍선rsquo을 [풍던]으로 발음한 상은 열음화라는 음소변화 변동으로

해석해야 하는데 후자의 를 열음 동화라는 체단어 변동에도 포함시킴으로써 체단어 변동에

속하는 동화( lsquo사과rsquorarr [가과])의 본질을 흐리게 만들었다

둘째 음운변동 출 율(percentage of occurrence)을 이용하여 일반 인 음운변동을 기술한 것이

다(김 태 1992) 이러한 기 은 한 명에게 나타난 음운변동이 여러 명에게 나타난 음운변동보다 더 일

반 인 음운변동이 되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를 들어 10명 한 명에게만 100 나타난 음운변

동이 10명 4명에게 20씩 나타난 음운변동보다 더 일반 인 음운변동이라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에서 지 한 연구 방법 상의 문제들을 보완하여 첫째 취학 아동에게 나타나

는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을 체단어 변동과 음소변화 변동으로 나 어 살펴보고 둘째 각각의 오류

패턴이 사라지는 시기가 언제인지를 알아보았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상

김민정배소 (2005)의 연구와 동일한 아동으로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일반 아동

26(생년월)에서 65까지의 아동 220명을 상으로 하 다 다양한 계층의 아동을 포함시키기 하

여 공단 지역의 어린이집 서 문구의 직장 내 어린이집 비교 높은 생활수 을 보이는 강남 지역의

어린이집을 섭외하여 자료를 수집하 다 6개월 단 로 20명에서 30명이 분포하 고 남아와 여아의 비

율은 1 1이었다lt표 - 1gt 이들은 모두 (1) 서울 방언을 사용하 고 (2) 한쪽 귀의 간이 순음청력검

사에서 20 dB의 500Hz 1kHz 2kHz 4kHz 소리에 반응을 보 으며 (3) 말운동장애나 구개열 병력이

없었고 (4) lsquo그림어휘력검사rsquo에서의 백분 수가 10이상이었다 그러나 조음음운 능력이 낮은 아동부터

높은 아동까지 포함되도록 하기 하여 기능 조음음운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은 상에 포함시켰다

(Dodd et al 2003)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0

2 자료수집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김민정배소 2005)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 다 37개의 검사 단어와 이

에 포함된 97개의 말소리를 모두 자료로 이용하 다 검사 단어의 음 구조와 자음 분포는 lt표 - 2gt와

같다 자료 수집과 사 방법은 김민정배소 (2005)의 연구와 동일하 고 사에 한 채 자간 일치

율은 검사 말소리마다 80~100 다

lt표 - 1gt 상 아동의 연령 성별 분포

26~211 30~35 36~311 40~45 46~411 50~55 56~511 60~65 계

9

11

9

11

15

15

17

13

16

14

17

13

13

17

14

16

110

110

계 20 20 30 30 30 30 30 30 220

lt표 - 2gt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 단어의 음 구조와 자음 분포

음 구조 분포 (총 37개 단어) 자음 분포 (총 97개 말소리)

음 수

1음 단어

2음 단어

3음 단어

5개

24개

8개

ㄱㄹㅁㅂㅇㄴㅅㄷㅈㅆㅊㅎㅃㄸㄲㅍㅌㅋㅉ

12개11개 9개 9개 9개 7개 7개 5개 4개 4개 3개 3개 2개 2개 2개 2개 2개 2개 2개

음 구조

V

VC

CV

CVC

5개

6개

35개

26개

단어구조

V-

CV-

-V

-VC

-VCV-

-VCCV-

5개

72개

62개

15개

50개

25개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1

3 자료 분석

가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아동에게 나타난 오류는 lt표 - 3gt과 lt표 - 4gt의 음운변동으로 표시되었다 음운변동은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구분한 로 크게 음 구조가 변하는 체단어 변동과 조음 장소나 방법이 변하는 음

소변화 변동으로 나 었다 그런데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제시한 를 살펴보면 체단어 변동

에 음 구조가 변하지 않는 조화 오류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단어 변동을 음

구조를 변화시키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의 향으로 인한 오

류로 정의하 다 한 음소변화 변동을 흔히 lsquo 치rsquo 오류로 생각하지만 KLPA (Khan amp Lewis 1986)나

HAAP-3 (Hodson 2004) 등의 음운변동 검사에는 왜곡이나 생략 오류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서는 음소변화 변동을 음소가 치되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

의 향 없이 음소가 변화된 오류로 정의하 다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를 lt표 - 3gt lt표 - 4gt와 같이 선정하게 된 차는 다음과 같다 먼

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1994 2002) Velleman (1998)의 어 음운변동을 면 히 검토하여

우리말에 불필요한 것을 제외하 다 를 들어 자음군과 련된 자음군 단순화와 모음 삽입 성 성

유음이나 비음과 련된 모음화 순치음이나 치간음과 련된 치조음화 유무성 자질과 련된 유성음

화나 무성음화를 제외하 다

그리고 우리나라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2) 배소 (1994) 엄정희(1994)의 연

구 기능 조음장애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민정배소 (2000)의 연구 그리고 정신지체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5)의 연구를 참고하여 우리말에 필요하다고 단되는 음운변동을 추가하

다 를 들어 음 간 자음 연쇄와 련된 어 의 자음군 단순화와 열음의 삼 립과 련된 긴

장음화 기식음화 이완음화를 추가하 다

한 일반 인 음운변동(common process)과 특이한 음운변동(idiosyncratic process)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음운변동 이름에 음운변동이 나타나는 문맥을 붙여서 명명하 다 를 들어 열음화는

찰음과 마찰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일반 인 경우도 있고 비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특이한 경우도

있으므로 찰음마찰음의 열음화와 비음의 열음화를 구분하여 이름붙 다(Lowe 2002

Velleman 1998) 다른 로 어 자음군 단순화는 형 인 경우와 비 형 인(atypical) 경우로 나

어 살펴보았다(Stoel-Gammon amp Dunn 1985) 정상 성인의 말에서도 용되는 성 우선의 원칙이

나 양순음화와 연구개음화 같은 음운규칙을 참고하여(신지 차재은 2003) 어 자음군 에서 종성

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성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주하

고 조음장소가 동화되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조음방법이 동화되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

주하 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주된 오류패턴을 간결하게 기술하기 하여 같은 오류패턴이라고 생각되는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2

음운변동들을 함께 묶었다 묶어서 정리한 음운변동은 다음과 같다 반복은 일종의 체 조화로서

(Velleman 1998) 동일한 형태를 반복한다는 원리가 같으므로 이를 함께 묶었다 도치(metathesis)와

이동(migration)도 함께 묶었다(Velleman 1998) 어린 아동이나 장애 아동 에 격음의 긴장음화와 ㅎ

생략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격음의 긴장음화나 ㅎ 생략 모두 lsquo기식성rsquo 자질을 잃는 것이므로

(김민정배소 2000 표화 1998) 긴장음화와 탈기식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옥수수 시

소rsquo를 [옥쭈슈 치쇼]로 발음하거나 lsquo사탕rsquo을 [차탕 샤탕]으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자주 찰되어 찰음

화와 경구개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이모음 앞에서 유음이 과도음화되면 마치 생략된 듯이 들리

고 lsquo올라가rsquo가 [오야가]로 발음되기 때문에 KLPA (Khan amp Lewis 1986)에서처럼 유음의 생략과 과도

음화를 유음의 단순화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올라가 머리 호랑이rsquo를 각기 [온다가 머디 호낭이]로 발

음하거나 lsquo고래rsquo를 [고내 고 ]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유음의 비음화와 열음화도

하나로 묶었다

lt표 - 3gt 본 연구에 사용된 체단어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음 생략축약 음 이 생략되거나 축약된다lsquo할아버지rsquorarr [하버지]

lsquo할머니rsquorarr [함미]

반복자음 조화동일한 음 이나 자음이 반복된다 단어에 있는 다른 자음의 조

음장소나 조음방법이 반복된다

lsquo사탕rsquorarr [탕탕]

lsquo빗rsquorarr [빕]

lsquo거북이rsquorarr [거구기]

어말종성 생략어말종성이 생략된다 어말종성 ㄹ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책rsquorarr [채]

lsquo병원rsquorarr [병어]

어두 성 생략어두 성이 생략된다 어두 성 ㅎ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탈기식음화)으로 볼 수도 있다lsquo모자rsquorarr [오다]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종성이 생략되거나 어 성의 조음장소에 역행동화된다

는 연이음 자음이 합체된다(coalescence) 어 ㄹ 오류는 아

동에 따라 음소변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옥수수rsquo(rarr 옫쑤수)

rarr [오쑤수]

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이]

lsquo침 rsquorarr [친 ]

lsquo없어rsquorarr [어f어]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성이 생략되거나 어 종성에 의해 순행동화가 일어난다

는 조음방법이 동화된다

lsquo없어rsquorarr [어뻐]

lsquo침 rsquorarr [침배 침매]

lsquo햄버거rsquorarr [해뻐거]

첨가 음소가 첨가된다

lsquo우산rsquorarr [무산]

lsquo햄버거rsquorarr [햄버건]

lsquo그네rsquorarr [근네]

도치이동 자음의 단어 내 치가 서로 바 거나 다른 치로 이동한다lsquo빨 rsquorarr [딸빼 빠땔]

lsquo장갑rsquorarr [장박]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3

나 음운변동의 용

Lowe (2002)의 제안 로 아동마다 오류의 공통 을 찾아 음운변동을 용시켰다 이에 따라 같

은 오류라도 아동마다 용되는 음운변동이 다를 수 있었다 를 들어 lsquo사탕rsquo을 [타탕]으로 발음한 것

은 열음화와 동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치조마찰음도 열음으로 조음한다면

열음화를 용시키고 이 단어에서만 이러한 오류를 보인다면 동화를 용시켰다 lsquo이빨rsquo을 [이빠]로 발

음한 것은 종성 생략과 유음의 단순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종류의 종성도 생략한

다면 종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종성 자음의 생략 없이 성 ㄹ의 단순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유

음의 단순화를 용시켰다 lsquo햄버거rsquo를 [앰버거]로 발음한 것은 성 생략과 탈기식음화의 가능성이 모

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성 자음들도 생략했다면 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성 자음의 생략

없이 긴장음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탈기식음화를 용시켰다

한 단어에 여러 음운변동이 용될 수도 있었다(Bankson amp Bernthal 2004) 를 들어 연구개

음의 방화와 긴장음화가 빈번한 아동이 lsquo컵rsquo을 [떱]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 두 음운변동이 모두 용된

결과로 해석하 다

다 자료 분석

아동마다 각 음운변동이 출 한 횟수를 정리하 다 그리고 오류패턴의 기 을 3회 이상 사용되

는 음운변동으로 정하고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 다 참고

으로 교차분석의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으로 각 음운변동을 사용하는 아동수가 연령

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Ⅲ 결 과

1 체단어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체단어 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다 이 변동은 2세에

거의 모든 아동에게 나타나고 4세 반까지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다 자음 조화와 종성 생략

은 2세 후반에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지만 3세 반부터는 이 변동을 보이는 아동이 거의 없었

다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의 아동만이 오류패턴으로 사용하 다 그

리고 첨가 변동이 총 17회 도치나 이동 변동이 총 11회 어두 성 생략 변동이 총 3회 출 하 지만

각각의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은 없었다 그밖에 음 생략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를 정리하면 lt표 - 5gt와 같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4

체단어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χ2 (7) = 8248 p lt 001) 반복자음 조화(χ2 (7) = 6304

plt 001) 어말종성 생략(χ2 (7) = 5282 plt 001)이었다

lt표 - 4gt 본 연구에 사용된 음소변화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발성유형변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

평음이나 격음이 경음으로 변한다 아동에 따라서 ㅎ 생략을 탈기식음화로 볼 수도 있다

lsquo포도rsquorarr [뽀 ]

이완음화 경음이나 격음이 긴장 자질이 없는 평음으로 변한다 lsquo싸워rsquorarr [사워]

기식음화평음이나 경음이 기식 자질을 갖는 격음으로 변한다 ㅅㅆ가 ㅊㅌ로 바 것은 기식음화로 보지 않는다

lsquo뱀rsquorarr [팸]lsquo찢어rsquorarr [치 ]

조음장소변화

연구개음의방화

연구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변한다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니]

양순음화양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한다

lsquo고래rsquorarr [고배]lsquo단추rsquorarr [반추]

연구개음화연구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연구개음으로 변한다

lsquo찢어rsquorarr [끼 ]lsquo우산rsquorarr [우상]

성문음화ㅎ 이외의 자음이 성문마찰음이나 성문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사탕rsquorarr [하탕]

치간음화 치조마찰음이 치간음이나 치음으로 왜곡된다 lsquo싸워rsquorarr [ㅆㅏ워]

설측음화 치조마찰음이 설측마찰음으로 왜곡된다 lsquo사탕rsquorarr [ㅅㅏ탕]

조음방법변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이나 찰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색종이rsquorarr [택똥이]

비음의 열음화 비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머리rsquorarr [버리]

찰음화 경구개음화

치조음(주로 치조마찰음)이 찰음으로 변하거나 경구개음으로 왜곡된다

lsquo없어rsquorarr [업쩌업쎠]lsquo포도rsquorarr [포됴]

유음의 단순화 유음이 생략되거나 과도음으로 변한다 lsquo이빨rsquorarr [이빠j]lsquo고래rsquorarr [고애고얘]

유음의 비음화열음화

유음이 비음이나 열음으로 변한다lsquo이빨rsquorarr [이빤]lsquo고래rsquorarr [고내고 ]

마찰음화 찰음이 치조마찰음으로 변한다 lsquo침 rsquorarr [심 ]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3: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19

배소 2000 김 태 1992 배소 1994) 김 태(1992)는 2~6세 아동 48명을 상으로 배소 (1994)

은 1~3세 10명을 상으로 김민정배소 (2000)은 2~4세 아동 24명을 상으로 하여 아동의 음운

오류를 음운변동으로 기술하 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모두 Dodd et al (2003)이 지 한 로 상 아

동 수가 고 한번 나타난 것을 오류패턴으로 간주하여 진단 거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그 외에도 기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제한 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하나의 오류에 해

체단어 변동과 음소변화 변동을 모두 용한 것이다(김 태 1992 배소 1994) 이러한 분석 방법은

각각의 음운변동 정의에 혼돈을 야기시킨다 를 들어 lsquo 구rsquo를 [ ] lsquo나무rsquo를 [마무]로 발음한 상

은 반복이나 자음 동화라는 체단어 변동으로 해석해야 하는데 이를 방화라는 음소변화 변동에도

포함시킴으로써 음소변화 변동에 속하는 연구개음의 방화( 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의 본질을 흐리게

만들었다 반 로 lsquo싸움rsquo을 [따움] lsquo풍선rsquo을 [풍던]으로 발음한 상은 열음화라는 음소변화 변동으로

해석해야 하는데 후자의 를 열음 동화라는 체단어 변동에도 포함시킴으로써 체단어 변동에

속하는 동화( lsquo사과rsquorarr [가과])의 본질을 흐리게 만들었다

둘째 음운변동 출 율(percentage of occurrence)을 이용하여 일반 인 음운변동을 기술한 것이

다(김 태 1992) 이러한 기 은 한 명에게 나타난 음운변동이 여러 명에게 나타난 음운변동보다 더 일

반 인 음운변동이 되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를 들어 10명 한 명에게만 100 나타난 음운변

동이 10명 4명에게 20씩 나타난 음운변동보다 더 일반 인 음운변동이라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에서 지 한 연구 방법 상의 문제들을 보완하여 첫째 취학 아동에게 나타나

는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을 체단어 변동과 음소변화 변동으로 나 어 살펴보고 둘째 각각의 오류

패턴이 사라지는 시기가 언제인지를 알아보았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상

김민정배소 (2005)의 연구와 동일한 아동으로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일반 아동

26(생년월)에서 65까지의 아동 220명을 상으로 하 다 다양한 계층의 아동을 포함시키기 하

여 공단 지역의 어린이집 서 문구의 직장 내 어린이집 비교 높은 생활수 을 보이는 강남 지역의

어린이집을 섭외하여 자료를 수집하 다 6개월 단 로 20명에서 30명이 분포하 고 남아와 여아의 비

율은 1 1이었다lt표 - 1gt 이들은 모두 (1) 서울 방언을 사용하 고 (2) 한쪽 귀의 간이 순음청력검

사에서 20 dB의 500Hz 1kHz 2kHz 4kHz 소리에 반응을 보 으며 (3) 말운동장애나 구개열 병력이

없었고 (4) lsquo그림어휘력검사rsquo에서의 백분 수가 10이상이었다 그러나 조음음운 능력이 낮은 아동부터

높은 아동까지 포함되도록 하기 하여 기능 조음음운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은 상에 포함시켰다

(Dodd et al 2003)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0

2 자료수집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김민정배소 2005)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 다 37개의 검사 단어와 이

에 포함된 97개의 말소리를 모두 자료로 이용하 다 검사 단어의 음 구조와 자음 분포는 lt표 - 2gt와

같다 자료 수집과 사 방법은 김민정배소 (2005)의 연구와 동일하 고 사에 한 채 자간 일치

율은 검사 말소리마다 80~100 다

lt표 - 1gt 상 아동의 연령 성별 분포

26~211 30~35 36~311 40~45 46~411 50~55 56~511 60~65 계

9

11

9

11

15

15

17

13

16

14

17

13

13

17

14

16

110

110

계 20 20 30 30 30 30 30 30 220

lt표 - 2gt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 단어의 음 구조와 자음 분포

음 구조 분포 (총 37개 단어) 자음 분포 (총 97개 말소리)

음 수

1음 단어

2음 단어

3음 단어

5개

24개

8개

ㄱㄹㅁㅂㅇㄴㅅㄷㅈㅆㅊㅎㅃㄸㄲㅍㅌㅋㅉ

12개11개 9개 9개 9개 7개 7개 5개 4개 4개 3개 3개 2개 2개 2개 2개 2개 2개 2개

음 구조

V

VC

CV

CVC

5개

6개

35개

26개

단어구조

V-

CV-

-V

-VC

-VCV-

-VCCV-

5개

72개

62개

15개

50개

25개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1

3 자료 분석

가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아동에게 나타난 오류는 lt표 - 3gt과 lt표 - 4gt의 음운변동으로 표시되었다 음운변동은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구분한 로 크게 음 구조가 변하는 체단어 변동과 조음 장소나 방법이 변하는 음

소변화 변동으로 나 었다 그런데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제시한 를 살펴보면 체단어 변동

에 음 구조가 변하지 않는 조화 오류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단어 변동을 음

구조를 변화시키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의 향으로 인한 오

류로 정의하 다 한 음소변화 변동을 흔히 lsquo 치rsquo 오류로 생각하지만 KLPA (Khan amp Lewis 1986)나

HAAP-3 (Hodson 2004) 등의 음운변동 검사에는 왜곡이나 생략 오류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서는 음소변화 변동을 음소가 치되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

의 향 없이 음소가 변화된 오류로 정의하 다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를 lt표 - 3gt lt표 - 4gt와 같이 선정하게 된 차는 다음과 같다 먼

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1994 2002) Velleman (1998)의 어 음운변동을 면 히 검토하여

우리말에 불필요한 것을 제외하 다 를 들어 자음군과 련된 자음군 단순화와 모음 삽입 성 성

유음이나 비음과 련된 모음화 순치음이나 치간음과 련된 치조음화 유무성 자질과 련된 유성음

화나 무성음화를 제외하 다

그리고 우리나라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2) 배소 (1994) 엄정희(1994)의 연

구 기능 조음장애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민정배소 (2000)의 연구 그리고 정신지체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5)의 연구를 참고하여 우리말에 필요하다고 단되는 음운변동을 추가하

다 를 들어 음 간 자음 연쇄와 련된 어 의 자음군 단순화와 열음의 삼 립과 련된 긴

장음화 기식음화 이완음화를 추가하 다

한 일반 인 음운변동(common process)과 특이한 음운변동(idiosyncratic process)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음운변동 이름에 음운변동이 나타나는 문맥을 붙여서 명명하 다 를 들어 열음화는

찰음과 마찰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일반 인 경우도 있고 비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특이한 경우도

있으므로 찰음마찰음의 열음화와 비음의 열음화를 구분하여 이름붙 다(Lowe 2002

Velleman 1998) 다른 로 어 자음군 단순화는 형 인 경우와 비 형 인(atypical) 경우로 나

어 살펴보았다(Stoel-Gammon amp Dunn 1985) 정상 성인의 말에서도 용되는 성 우선의 원칙이

나 양순음화와 연구개음화 같은 음운규칙을 참고하여(신지 차재은 2003) 어 자음군 에서 종성

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성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주하

고 조음장소가 동화되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조음방법이 동화되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

주하 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주된 오류패턴을 간결하게 기술하기 하여 같은 오류패턴이라고 생각되는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2

음운변동들을 함께 묶었다 묶어서 정리한 음운변동은 다음과 같다 반복은 일종의 체 조화로서

(Velleman 1998) 동일한 형태를 반복한다는 원리가 같으므로 이를 함께 묶었다 도치(metathesis)와

이동(migration)도 함께 묶었다(Velleman 1998) 어린 아동이나 장애 아동 에 격음의 긴장음화와 ㅎ

생략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격음의 긴장음화나 ㅎ 생략 모두 lsquo기식성rsquo 자질을 잃는 것이므로

(김민정배소 2000 표화 1998) 긴장음화와 탈기식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옥수수 시

소rsquo를 [옥쭈슈 치쇼]로 발음하거나 lsquo사탕rsquo을 [차탕 샤탕]으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자주 찰되어 찰음

화와 경구개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이모음 앞에서 유음이 과도음화되면 마치 생략된 듯이 들리

고 lsquo올라가rsquo가 [오야가]로 발음되기 때문에 KLPA (Khan amp Lewis 1986)에서처럼 유음의 생략과 과도

음화를 유음의 단순화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올라가 머리 호랑이rsquo를 각기 [온다가 머디 호낭이]로 발

음하거나 lsquo고래rsquo를 [고내 고 ]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유음의 비음화와 열음화도

하나로 묶었다

lt표 - 3gt 본 연구에 사용된 체단어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음 생략축약 음 이 생략되거나 축약된다lsquo할아버지rsquorarr [하버지]

lsquo할머니rsquorarr [함미]

반복자음 조화동일한 음 이나 자음이 반복된다 단어에 있는 다른 자음의 조

음장소나 조음방법이 반복된다

lsquo사탕rsquorarr [탕탕]

lsquo빗rsquorarr [빕]

lsquo거북이rsquorarr [거구기]

어말종성 생략어말종성이 생략된다 어말종성 ㄹ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책rsquorarr [채]

lsquo병원rsquorarr [병어]

어두 성 생략어두 성이 생략된다 어두 성 ㅎ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탈기식음화)으로 볼 수도 있다lsquo모자rsquorarr [오다]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종성이 생략되거나 어 성의 조음장소에 역행동화된다

는 연이음 자음이 합체된다(coalescence) 어 ㄹ 오류는 아

동에 따라 음소변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옥수수rsquo(rarr 옫쑤수)

rarr [오쑤수]

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이]

lsquo침 rsquorarr [친 ]

lsquo없어rsquorarr [어f어]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성이 생략되거나 어 종성에 의해 순행동화가 일어난다

는 조음방법이 동화된다

lsquo없어rsquorarr [어뻐]

lsquo침 rsquorarr [침배 침매]

lsquo햄버거rsquorarr [해뻐거]

첨가 음소가 첨가된다

lsquo우산rsquorarr [무산]

lsquo햄버거rsquorarr [햄버건]

lsquo그네rsquorarr [근네]

도치이동 자음의 단어 내 치가 서로 바 거나 다른 치로 이동한다lsquo빨 rsquorarr [딸빼 빠땔]

lsquo장갑rsquorarr [장박]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3

나 음운변동의 용

Lowe (2002)의 제안 로 아동마다 오류의 공통 을 찾아 음운변동을 용시켰다 이에 따라 같

은 오류라도 아동마다 용되는 음운변동이 다를 수 있었다 를 들어 lsquo사탕rsquo을 [타탕]으로 발음한 것

은 열음화와 동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치조마찰음도 열음으로 조음한다면

열음화를 용시키고 이 단어에서만 이러한 오류를 보인다면 동화를 용시켰다 lsquo이빨rsquo을 [이빠]로 발

음한 것은 종성 생략과 유음의 단순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종류의 종성도 생략한

다면 종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종성 자음의 생략 없이 성 ㄹ의 단순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유

음의 단순화를 용시켰다 lsquo햄버거rsquo를 [앰버거]로 발음한 것은 성 생략과 탈기식음화의 가능성이 모

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성 자음들도 생략했다면 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성 자음의 생략

없이 긴장음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탈기식음화를 용시켰다

한 단어에 여러 음운변동이 용될 수도 있었다(Bankson amp Bernthal 2004) 를 들어 연구개

음의 방화와 긴장음화가 빈번한 아동이 lsquo컵rsquo을 [떱]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 두 음운변동이 모두 용된

결과로 해석하 다

다 자료 분석

아동마다 각 음운변동이 출 한 횟수를 정리하 다 그리고 오류패턴의 기 을 3회 이상 사용되

는 음운변동으로 정하고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 다 참고

으로 교차분석의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으로 각 음운변동을 사용하는 아동수가 연령

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Ⅲ 결 과

1 체단어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체단어 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다 이 변동은 2세에

거의 모든 아동에게 나타나고 4세 반까지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다 자음 조화와 종성 생략

은 2세 후반에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지만 3세 반부터는 이 변동을 보이는 아동이 거의 없었

다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의 아동만이 오류패턴으로 사용하 다 그

리고 첨가 변동이 총 17회 도치나 이동 변동이 총 11회 어두 성 생략 변동이 총 3회 출 하 지만

각각의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은 없었다 그밖에 음 생략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를 정리하면 lt표 - 5gt와 같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4

체단어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χ2 (7) = 8248 p lt 001) 반복자음 조화(χ2 (7) = 6304

plt 001) 어말종성 생략(χ2 (7) = 5282 plt 001)이었다

lt표 - 4gt 본 연구에 사용된 음소변화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발성유형변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

평음이나 격음이 경음으로 변한다 아동에 따라서 ㅎ 생략을 탈기식음화로 볼 수도 있다

lsquo포도rsquorarr [뽀 ]

이완음화 경음이나 격음이 긴장 자질이 없는 평음으로 변한다 lsquo싸워rsquorarr [사워]

기식음화평음이나 경음이 기식 자질을 갖는 격음으로 변한다 ㅅㅆ가 ㅊㅌ로 바 것은 기식음화로 보지 않는다

lsquo뱀rsquorarr [팸]lsquo찢어rsquorarr [치 ]

조음장소변화

연구개음의방화

연구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변한다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니]

양순음화양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한다

lsquo고래rsquorarr [고배]lsquo단추rsquorarr [반추]

연구개음화연구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연구개음으로 변한다

lsquo찢어rsquorarr [끼 ]lsquo우산rsquorarr [우상]

성문음화ㅎ 이외의 자음이 성문마찰음이나 성문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사탕rsquorarr [하탕]

치간음화 치조마찰음이 치간음이나 치음으로 왜곡된다 lsquo싸워rsquorarr [ㅆㅏ워]

설측음화 치조마찰음이 설측마찰음으로 왜곡된다 lsquo사탕rsquorarr [ㅅㅏ탕]

조음방법변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이나 찰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색종이rsquorarr [택똥이]

비음의 열음화 비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머리rsquorarr [버리]

찰음화 경구개음화

치조음(주로 치조마찰음)이 찰음으로 변하거나 경구개음으로 왜곡된다

lsquo없어rsquorarr [업쩌업쎠]lsquo포도rsquorarr [포됴]

유음의 단순화 유음이 생략되거나 과도음으로 변한다 lsquo이빨rsquorarr [이빠j]lsquo고래rsquorarr [고애고얘]

유음의 비음화열음화

유음이 비음이나 열음으로 변한다lsquo이빨rsquorarr [이빤]lsquo고래rsquorarr [고내고 ]

마찰음화 찰음이 치조마찰음으로 변한다 lsquo침 rsquorarr [심 ]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4: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0

2 자료수집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김민정배소 2005)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 다 37개의 검사 단어와 이

에 포함된 97개의 말소리를 모두 자료로 이용하 다 검사 단어의 음 구조와 자음 분포는 lt표 - 2gt와

같다 자료 수집과 사 방법은 김민정배소 (2005)의 연구와 동일하 고 사에 한 채 자간 일치

율은 검사 말소리마다 80~100 다

lt표 - 1gt 상 아동의 연령 성별 분포

26~211 30~35 36~311 40~45 46~411 50~55 56~511 60~65 계

9

11

9

11

15

15

17

13

16

14

17

13

13

17

14

16

110

110

계 20 20 30 30 30 30 30 30 220

lt표 - 2gt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 단어의 음 구조와 자음 분포

음 구조 분포 (총 37개 단어) 자음 분포 (총 97개 말소리)

음 수

1음 단어

2음 단어

3음 단어

5개

24개

8개

ㄱㄹㅁㅂㅇㄴㅅㄷㅈㅆㅊㅎㅃㄸㄲㅍㅌㅋㅉ

12개11개 9개 9개 9개 7개 7개 5개 4개 4개 3개 3개 2개 2개 2개 2개 2개 2개 2개

음 구조

V

VC

CV

CVC

5개

6개

35개

26개

단어구조

V-

CV-

-V

-VC

-VCV-

-VCCV-

5개

72개

62개

15개

50개

25개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1

3 자료 분석

가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아동에게 나타난 오류는 lt표 - 3gt과 lt표 - 4gt의 음운변동으로 표시되었다 음운변동은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구분한 로 크게 음 구조가 변하는 체단어 변동과 조음 장소나 방법이 변하는 음

소변화 변동으로 나 었다 그런데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제시한 를 살펴보면 체단어 변동

에 음 구조가 변하지 않는 조화 오류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단어 변동을 음

구조를 변화시키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의 향으로 인한 오

류로 정의하 다 한 음소변화 변동을 흔히 lsquo 치rsquo 오류로 생각하지만 KLPA (Khan amp Lewis 1986)나

HAAP-3 (Hodson 2004) 등의 음운변동 검사에는 왜곡이나 생략 오류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서는 음소변화 변동을 음소가 치되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

의 향 없이 음소가 변화된 오류로 정의하 다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를 lt표 - 3gt lt표 - 4gt와 같이 선정하게 된 차는 다음과 같다 먼

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1994 2002) Velleman (1998)의 어 음운변동을 면 히 검토하여

우리말에 불필요한 것을 제외하 다 를 들어 자음군과 련된 자음군 단순화와 모음 삽입 성 성

유음이나 비음과 련된 모음화 순치음이나 치간음과 련된 치조음화 유무성 자질과 련된 유성음

화나 무성음화를 제외하 다

그리고 우리나라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2) 배소 (1994) 엄정희(1994)의 연

구 기능 조음장애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민정배소 (2000)의 연구 그리고 정신지체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5)의 연구를 참고하여 우리말에 필요하다고 단되는 음운변동을 추가하

다 를 들어 음 간 자음 연쇄와 련된 어 의 자음군 단순화와 열음의 삼 립과 련된 긴

장음화 기식음화 이완음화를 추가하 다

한 일반 인 음운변동(common process)과 특이한 음운변동(idiosyncratic process)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음운변동 이름에 음운변동이 나타나는 문맥을 붙여서 명명하 다 를 들어 열음화는

찰음과 마찰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일반 인 경우도 있고 비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특이한 경우도

있으므로 찰음마찰음의 열음화와 비음의 열음화를 구분하여 이름붙 다(Lowe 2002

Velleman 1998) 다른 로 어 자음군 단순화는 형 인 경우와 비 형 인(atypical) 경우로 나

어 살펴보았다(Stoel-Gammon amp Dunn 1985) 정상 성인의 말에서도 용되는 성 우선의 원칙이

나 양순음화와 연구개음화 같은 음운규칙을 참고하여(신지 차재은 2003) 어 자음군 에서 종성

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성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주하

고 조음장소가 동화되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조음방법이 동화되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

주하 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주된 오류패턴을 간결하게 기술하기 하여 같은 오류패턴이라고 생각되는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2

음운변동들을 함께 묶었다 묶어서 정리한 음운변동은 다음과 같다 반복은 일종의 체 조화로서

(Velleman 1998) 동일한 형태를 반복한다는 원리가 같으므로 이를 함께 묶었다 도치(metathesis)와

이동(migration)도 함께 묶었다(Velleman 1998) 어린 아동이나 장애 아동 에 격음의 긴장음화와 ㅎ

생략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격음의 긴장음화나 ㅎ 생략 모두 lsquo기식성rsquo 자질을 잃는 것이므로

(김민정배소 2000 표화 1998) 긴장음화와 탈기식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옥수수 시

소rsquo를 [옥쭈슈 치쇼]로 발음하거나 lsquo사탕rsquo을 [차탕 샤탕]으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자주 찰되어 찰음

화와 경구개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이모음 앞에서 유음이 과도음화되면 마치 생략된 듯이 들리

고 lsquo올라가rsquo가 [오야가]로 발음되기 때문에 KLPA (Khan amp Lewis 1986)에서처럼 유음의 생략과 과도

음화를 유음의 단순화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올라가 머리 호랑이rsquo를 각기 [온다가 머디 호낭이]로 발

음하거나 lsquo고래rsquo를 [고내 고 ]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유음의 비음화와 열음화도

하나로 묶었다

lt표 - 3gt 본 연구에 사용된 체단어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음 생략축약 음 이 생략되거나 축약된다lsquo할아버지rsquorarr [하버지]

lsquo할머니rsquorarr [함미]

반복자음 조화동일한 음 이나 자음이 반복된다 단어에 있는 다른 자음의 조

음장소나 조음방법이 반복된다

lsquo사탕rsquorarr [탕탕]

lsquo빗rsquorarr [빕]

lsquo거북이rsquorarr [거구기]

어말종성 생략어말종성이 생략된다 어말종성 ㄹ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책rsquorarr [채]

lsquo병원rsquorarr [병어]

어두 성 생략어두 성이 생략된다 어두 성 ㅎ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탈기식음화)으로 볼 수도 있다lsquo모자rsquorarr [오다]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종성이 생략되거나 어 성의 조음장소에 역행동화된다

는 연이음 자음이 합체된다(coalescence) 어 ㄹ 오류는 아

동에 따라 음소변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옥수수rsquo(rarr 옫쑤수)

rarr [오쑤수]

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이]

lsquo침 rsquorarr [친 ]

lsquo없어rsquorarr [어f어]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성이 생략되거나 어 종성에 의해 순행동화가 일어난다

는 조음방법이 동화된다

lsquo없어rsquorarr [어뻐]

lsquo침 rsquorarr [침배 침매]

lsquo햄버거rsquorarr [해뻐거]

첨가 음소가 첨가된다

lsquo우산rsquorarr [무산]

lsquo햄버거rsquorarr [햄버건]

lsquo그네rsquorarr [근네]

도치이동 자음의 단어 내 치가 서로 바 거나 다른 치로 이동한다lsquo빨 rsquorarr [딸빼 빠땔]

lsquo장갑rsquorarr [장박]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3

나 음운변동의 용

Lowe (2002)의 제안 로 아동마다 오류의 공통 을 찾아 음운변동을 용시켰다 이에 따라 같

은 오류라도 아동마다 용되는 음운변동이 다를 수 있었다 를 들어 lsquo사탕rsquo을 [타탕]으로 발음한 것

은 열음화와 동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치조마찰음도 열음으로 조음한다면

열음화를 용시키고 이 단어에서만 이러한 오류를 보인다면 동화를 용시켰다 lsquo이빨rsquo을 [이빠]로 발

음한 것은 종성 생략과 유음의 단순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종류의 종성도 생략한

다면 종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종성 자음의 생략 없이 성 ㄹ의 단순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유

음의 단순화를 용시켰다 lsquo햄버거rsquo를 [앰버거]로 발음한 것은 성 생략과 탈기식음화의 가능성이 모

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성 자음들도 생략했다면 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성 자음의 생략

없이 긴장음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탈기식음화를 용시켰다

한 단어에 여러 음운변동이 용될 수도 있었다(Bankson amp Bernthal 2004) 를 들어 연구개

음의 방화와 긴장음화가 빈번한 아동이 lsquo컵rsquo을 [떱]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 두 음운변동이 모두 용된

결과로 해석하 다

다 자료 분석

아동마다 각 음운변동이 출 한 횟수를 정리하 다 그리고 오류패턴의 기 을 3회 이상 사용되

는 음운변동으로 정하고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 다 참고

으로 교차분석의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으로 각 음운변동을 사용하는 아동수가 연령

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Ⅲ 결 과

1 체단어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체단어 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다 이 변동은 2세에

거의 모든 아동에게 나타나고 4세 반까지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다 자음 조화와 종성 생략

은 2세 후반에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지만 3세 반부터는 이 변동을 보이는 아동이 거의 없었

다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의 아동만이 오류패턴으로 사용하 다 그

리고 첨가 변동이 총 17회 도치나 이동 변동이 총 11회 어두 성 생략 변동이 총 3회 출 하 지만

각각의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은 없었다 그밖에 음 생략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를 정리하면 lt표 - 5gt와 같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4

체단어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χ2 (7) = 8248 p lt 001) 반복자음 조화(χ2 (7) = 6304

plt 001) 어말종성 생략(χ2 (7) = 5282 plt 001)이었다

lt표 - 4gt 본 연구에 사용된 음소변화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발성유형변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

평음이나 격음이 경음으로 변한다 아동에 따라서 ㅎ 생략을 탈기식음화로 볼 수도 있다

lsquo포도rsquorarr [뽀 ]

이완음화 경음이나 격음이 긴장 자질이 없는 평음으로 변한다 lsquo싸워rsquorarr [사워]

기식음화평음이나 경음이 기식 자질을 갖는 격음으로 변한다 ㅅㅆ가 ㅊㅌ로 바 것은 기식음화로 보지 않는다

lsquo뱀rsquorarr [팸]lsquo찢어rsquorarr [치 ]

조음장소변화

연구개음의방화

연구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변한다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니]

양순음화양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한다

lsquo고래rsquorarr [고배]lsquo단추rsquorarr [반추]

연구개음화연구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연구개음으로 변한다

lsquo찢어rsquorarr [끼 ]lsquo우산rsquorarr [우상]

성문음화ㅎ 이외의 자음이 성문마찰음이나 성문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사탕rsquorarr [하탕]

치간음화 치조마찰음이 치간음이나 치음으로 왜곡된다 lsquo싸워rsquorarr [ㅆㅏ워]

설측음화 치조마찰음이 설측마찰음으로 왜곡된다 lsquo사탕rsquorarr [ㅅㅏ탕]

조음방법변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이나 찰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색종이rsquorarr [택똥이]

비음의 열음화 비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머리rsquorarr [버리]

찰음화 경구개음화

치조음(주로 치조마찰음)이 찰음으로 변하거나 경구개음으로 왜곡된다

lsquo없어rsquorarr [업쩌업쎠]lsquo포도rsquorarr [포됴]

유음의 단순화 유음이 생략되거나 과도음으로 변한다 lsquo이빨rsquorarr [이빠j]lsquo고래rsquorarr [고애고얘]

유음의 비음화열음화

유음이 비음이나 열음으로 변한다lsquo이빨rsquorarr [이빤]lsquo고래rsquorarr [고내고 ]

마찰음화 찰음이 치조마찰음으로 변한다 lsquo침 rsquorarr [심 ]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5: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1

3 자료 분석

가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아동에게 나타난 오류는 lt표 - 3gt과 lt표 - 4gt의 음운변동으로 표시되었다 음운변동은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구분한 로 크게 음 구조가 변하는 체단어 변동과 조음 장소나 방법이 변하는 음

소변화 변동으로 나 었다 그런데 Bankson amp Bernthal (2004)이 제시한 를 살펴보면 체단어 변동

에 음 구조가 변하지 않는 조화 오류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단어 변동을 음

구조를 변화시키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의 향으로 인한 오

류로 정의하 다 한 음소변화 변동을 흔히 lsquo 치rsquo 오류로 생각하지만 KLPA (Khan amp Lewis 1986)나

HAAP-3 (Hodson 2004) 등의 음운변동 검사에는 왜곡이나 생략 오류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서는 음소변화 변동을 음소가 치되는 오류라 하기보다 단어의 음 구조나 단어에 포함된 다른 자음

의 향 없이 음소가 변화된 오류로 정의하 다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를 lt표 - 3gt lt표 - 4gt와 같이 선정하게 된 차는 다음과 같다 먼

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1994 2002) Velleman (1998)의 어 음운변동을 면 히 검토하여

우리말에 불필요한 것을 제외하 다 를 들어 자음군과 련된 자음군 단순화와 모음 삽입 성 성

유음이나 비음과 련된 모음화 순치음이나 치간음과 련된 치조음화 유무성 자질과 련된 유성음

화나 무성음화를 제외하 다

그리고 우리나라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2) 배소 (1994) 엄정희(1994)의 연

구 기능 조음장애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민정배소 (2000)의 연구 그리고 정신지체 아동의

오류패턴을 살펴본 김 태(1995)의 연구를 참고하여 우리말에 필요하다고 단되는 음운변동을 추가하

다 를 들어 음 간 자음 연쇄와 련된 어 의 자음군 단순화와 열음의 삼 립과 련된 긴

장음화 기식음화 이완음화를 추가하 다

한 일반 인 음운변동(common process)과 특이한 음운변동(idiosyncratic process)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음운변동 이름에 음운변동이 나타나는 문맥을 붙여서 명명하 다 를 들어 열음화는

찰음과 마찰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일반 인 경우도 있고 비음이 열음으로 변하는 특이한 경우도

있으므로 찰음마찰음의 열음화와 비음의 열음화를 구분하여 이름붙 다(Lowe 2002

Velleman 1998) 다른 로 어 자음군 단순화는 형 인 경우와 비 형 인(atypical) 경우로 나

어 살펴보았다(Stoel-Gammon amp Dunn 1985) 정상 성인의 말에서도 용되는 성 우선의 원칙이

나 양순음화와 연구개음화 같은 음운규칙을 참고하여(신지 차재은 2003) 어 자음군 에서 종성

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성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주하

고 조음장소가 동화되는 경우를 형 인 것으로 조음방법이 동화되는 경우를 비 형 인 것으로 간

주하 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주된 오류패턴을 간결하게 기술하기 하여 같은 오류패턴이라고 생각되는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2

음운변동들을 함께 묶었다 묶어서 정리한 음운변동은 다음과 같다 반복은 일종의 체 조화로서

(Velleman 1998) 동일한 형태를 반복한다는 원리가 같으므로 이를 함께 묶었다 도치(metathesis)와

이동(migration)도 함께 묶었다(Velleman 1998) 어린 아동이나 장애 아동 에 격음의 긴장음화와 ㅎ

생략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격음의 긴장음화나 ㅎ 생략 모두 lsquo기식성rsquo 자질을 잃는 것이므로

(김민정배소 2000 표화 1998) 긴장음화와 탈기식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옥수수 시

소rsquo를 [옥쭈슈 치쇼]로 발음하거나 lsquo사탕rsquo을 [차탕 샤탕]으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자주 찰되어 찰음

화와 경구개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이모음 앞에서 유음이 과도음화되면 마치 생략된 듯이 들리

고 lsquo올라가rsquo가 [오야가]로 발음되기 때문에 KLPA (Khan amp Lewis 1986)에서처럼 유음의 생략과 과도

음화를 유음의 단순화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올라가 머리 호랑이rsquo를 각기 [온다가 머디 호낭이]로 발

음하거나 lsquo고래rsquo를 [고내 고 ]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유음의 비음화와 열음화도

하나로 묶었다

lt표 - 3gt 본 연구에 사용된 체단어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음 생략축약 음 이 생략되거나 축약된다lsquo할아버지rsquorarr [하버지]

lsquo할머니rsquorarr [함미]

반복자음 조화동일한 음 이나 자음이 반복된다 단어에 있는 다른 자음의 조

음장소나 조음방법이 반복된다

lsquo사탕rsquorarr [탕탕]

lsquo빗rsquorarr [빕]

lsquo거북이rsquorarr [거구기]

어말종성 생략어말종성이 생략된다 어말종성 ㄹ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책rsquorarr [채]

lsquo병원rsquorarr [병어]

어두 성 생략어두 성이 생략된다 어두 성 ㅎ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탈기식음화)으로 볼 수도 있다lsquo모자rsquorarr [오다]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종성이 생략되거나 어 성의 조음장소에 역행동화된다

는 연이음 자음이 합체된다(coalescence) 어 ㄹ 오류는 아

동에 따라 음소변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옥수수rsquo(rarr 옫쑤수)

rarr [오쑤수]

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이]

lsquo침 rsquorarr [친 ]

lsquo없어rsquorarr [어f어]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성이 생략되거나 어 종성에 의해 순행동화가 일어난다

는 조음방법이 동화된다

lsquo없어rsquorarr [어뻐]

lsquo침 rsquorarr [침배 침매]

lsquo햄버거rsquorarr [해뻐거]

첨가 음소가 첨가된다

lsquo우산rsquorarr [무산]

lsquo햄버거rsquorarr [햄버건]

lsquo그네rsquorarr [근네]

도치이동 자음의 단어 내 치가 서로 바 거나 다른 치로 이동한다lsquo빨 rsquorarr [딸빼 빠땔]

lsquo장갑rsquorarr [장박]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3

나 음운변동의 용

Lowe (2002)의 제안 로 아동마다 오류의 공통 을 찾아 음운변동을 용시켰다 이에 따라 같

은 오류라도 아동마다 용되는 음운변동이 다를 수 있었다 를 들어 lsquo사탕rsquo을 [타탕]으로 발음한 것

은 열음화와 동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치조마찰음도 열음으로 조음한다면

열음화를 용시키고 이 단어에서만 이러한 오류를 보인다면 동화를 용시켰다 lsquo이빨rsquo을 [이빠]로 발

음한 것은 종성 생략과 유음의 단순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종류의 종성도 생략한

다면 종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종성 자음의 생략 없이 성 ㄹ의 단순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유

음의 단순화를 용시켰다 lsquo햄버거rsquo를 [앰버거]로 발음한 것은 성 생략과 탈기식음화의 가능성이 모

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성 자음들도 생략했다면 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성 자음의 생략

없이 긴장음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탈기식음화를 용시켰다

한 단어에 여러 음운변동이 용될 수도 있었다(Bankson amp Bernthal 2004) 를 들어 연구개

음의 방화와 긴장음화가 빈번한 아동이 lsquo컵rsquo을 [떱]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 두 음운변동이 모두 용된

결과로 해석하 다

다 자료 분석

아동마다 각 음운변동이 출 한 횟수를 정리하 다 그리고 오류패턴의 기 을 3회 이상 사용되

는 음운변동으로 정하고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 다 참고

으로 교차분석의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으로 각 음운변동을 사용하는 아동수가 연령

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Ⅲ 결 과

1 체단어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체단어 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다 이 변동은 2세에

거의 모든 아동에게 나타나고 4세 반까지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다 자음 조화와 종성 생략

은 2세 후반에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지만 3세 반부터는 이 변동을 보이는 아동이 거의 없었

다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의 아동만이 오류패턴으로 사용하 다 그

리고 첨가 변동이 총 17회 도치나 이동 변동이 총 11회 어두 성 생략 변동이 총 3회 출 하 지만

각각의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은 없었다 그밖에 음 생략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를 정리하면 lt표 - 5gt와 같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4

체단어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χ2 (7) = 8248 p lt 001) 반복자음 조화(χ2 (7) = 6304

plt 001) 어말종성 생략(χ2 (7) = 5282 plt 001)이었다

lt표 - 4gt 본 연구에 사용된 음소변화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발성유형변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

평음이나 격음이 경음으로 변한다 아동에 따라서 ㅎ 생략을 탈기식음화로 볼 수도 있다

lsquo포도rsquorarr [뽀 ]

이완음화 경음이나 격음이 긴장 자질이 없는 평음으로 변한다 lsquo싸워rsquorarr [사워]

기식음화평음이나 경음이 기식 자질을 갖는 격음으로 변한다 ㅅㅆ가 ㅊㅌ로 바 것은 기식음화로 보지 않는다

lsquo뱀rsquorarr [팸]lsquo찢어rsquorarr [치 ]

조음장소변화

연구개음의방화

연구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변한다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니]

양순음화양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한다

lsquo고래rsquorarr [고배]lsquo단추rsquorarr [반추]

연구개음화연구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연구개음으로 변한다

lsquo찢어rsquorarr [끼 ]lsquo우산rsquorarr [우상]

성문음화ㅎ 이외의 자음이 성문마찰음이나 성문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사탕rsquorarr [하탕]

치간음화 치조마찰음이 치간음이나 치음으로 왜곡된다 lsquo싸워rsquorarr [ㅆㅏ워]

설측음화 치조마찰음이 설측마찰음으로 왜곡된다 lsquo사탕rsquorarr [ㅅㅏ탕]

조음방법변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이나 찰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색종이rsquorarr [택똥이]

비음의 열음화 비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머리rsquorarr [버리]

찰음화 경구개음화

치조음(주로 치조마찰음)이 찰음으로 변하거나 경구개음으로 왜곡된다

lsquo없어rsquorarr [업쩌업쎠]lsquo포도rsquorarr [포됴]

유음의 단순화 유음이 생략되거나 과도음으로 변한다 lsquo이빨rsquorarr [이빠j]lsquo고래rsquorarr [고애고얘]

유음의 비음화열음화

유음이 비음이나 열음으로 변한다lsquo이빨rsquorarr [이빤]lsquo고래rsquorarr [고내고 ]

마찰음화 찰음이 치조마찰음으로 변한다 lsquo침 rsquorarr [심 ]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6: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2

음운변동들을 함께 묶었다 묶어서 정리한 음운변동은 다음과 같다 반복은 일종의 체 조화로서

(Velleman 1998) 동일한 형태를 반복한다는 원리가 같으므로 이를 함께 묶었다 도치(metathesis)와

이동(migration)도 함께 묶었다(Velleman 1998) 어린 아동이나 장애 아동 에 격음의 긴장음화와 ㅎ

생략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격음의 긴장음화나 ㅎ 생략 모두 lsquo기식성rsquo 자질을 잃는 것이므로

(김민정배소 2000 표화 1998) 긴장음화와 탈기식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옥수수 시

소rsquo를 [옥쭈슈 치쇼]로 발음하거나 lsquo사탕rsquo을 [차탕 샤탕]으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자주 찰되어 찰음

화와 경구개음화를 하나로 묶었다 한 이모음 앞에서 유음이 과도음화되면 마치 생략된 듯이 들리

고 lsquo올라가rsquo가 [오야가]로 발음되기 때문에 KLPA (Khan amp Lewis 1986)에서처럼 유음의 생략과 과도

음화를 유음의 단순화로 묶었다 한 아동이 lsquo올라가 머리 호랑이rsquo를 각기 [온다가 머디 호낭이]로 발

음하거나 lsquo고래rsquo를 [고내 고 ]로 고쳐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유음의 비음화와 열음화도

하나로 묶었다

lt표 - 3gt 본 연구에 사용된 체단어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음 생략축약 음 이 생략되거나 축약된다lsquo할아버지rsquorarr [하버지]

lsquo할머니rsquorarr [함미]

반복자음 조화동일한 음 이나 자음이 반복된다 단어에 있는 다른 자음의 조

음장소나 조음방법이 반복된다

lsquo사탕rsquorarr [탕탕]

lsquo빗rsquorarr [빕]

lsquo거북이rsquorarr [거구기]

어말종성 생략어말종성이 생략된다 어말종성 ㄹ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책rsquorarr [채]

lsquo병원rsquorarr [병어]

어두 성 생략어두 성이 생략된다 어두 성 ㅎ 생략은 아동에 따라 음소변

화 변동(탈기식음화)으로 볼 수도 있다lsquo모자rsquorarr [오다]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종성이 생략되거나 어 성의 조음장소에 역행동화된다

는 연이음 자음이 합체된다(coalescence) 어 ㄹ 오류는 아

동에 따라 음소변화 변동(유음의 단순화)으로 볼 수도 있다

lsquo옥수수rsquo(rarr 옫쑤수)

rarr [오쑤수]

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이]

lsquo침 rsquorarr [친 ]

lsquo없어rsquorarr [어f어]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어 성이 생략되거나 어 종성에 의해 순행동화가 일어난다

는 조음방법이 동화된다

lsquo없어rsquorarr [어뻐]

lsquo침 rsquorarr [침배 침매]

lsquo햄버거rsquorarr [해뻐거]

첨가 음소가 첨가된다

lsquo우산rsquorarr [무산]

lsquo햄버거rsquorarr [햄버건]

lsquo그네rsquorarr [근네]

도치이동 자음의 단어 내 치가 서로 바 거나 다른 치로 이동한다lsquo빨 rsquorarr [딸빼 빠땔]

lsquo장갑rsquorarr [장박]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3

나 음운변동의 용

Lowe (2002)의 제안 로 아동마다 오류의 공통 을 찾아 음운변동을 용시켰다 이에 따라 같

은 오류라도 아동마다 용되는 음운변동이 다를 수 있었다 를 들어 lsquo사탕rsquo을 [타탕]으로 발음한 것

은 열음화와 동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치조마찰음도 열음으로 조음한다면

열음화를 용시키고 이 단어에서만 이러한 오류를 보인다면 동화를 용시켰다 lsquo이빨rsquo을 [이빠]로 발

음한 것은 종성 생략과 유음의 단순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종류의 종성도 생략한

다면 종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종성 자음의 생략 없이 성 ㄹ의 단순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유

음의 단순화를 용시켰다 lsquo햄버거rsquo를 [앰버거]로 발음한 것은 성 생략과 탈기식음화의 가능성이 모

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성 자음들도 생략했다면 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성 자음의 생략

없이 긴장음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탈기식음화를 용시켰다

한 단어에 여러 음운변동이 용될 수도 있었다(Bankson amp Bernthal 2004) 를 들어 연구개

음의 방화와 긴장음화가 빈번한 아동이 lsquo컵rsquo을 [떱]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 두 음운변동이 모두 용된

결과로 해석하 다

다 자료 분석

아동마다 각 음운변동이 출 한 횟수를 정리하 다 그리고 오류패턴의 기 을 3회 이상 사용되

는 음운변동으로 정하고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 다 참고

으로 교차분석의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으로 각 음운변동을 사용하는 아동수가 연령

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Ⅲ 결 과

1 체단어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체단어 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다 이 변동은 2세에

거의 모든 아동에게 나타나고 4세 반까지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다 자음 조화와 종성 생략

은 2세 후반에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지만 3세 반부터는 이 변동을 보이는 아동이 거의 없었

다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의 아동만이 오류패턴으로 사용하 다 그

리고 첨가 변동이 총 17회 도치나 이동 변동이 총 11회 어두 성 생략 변동이 총 3회 출 하 지만

각각의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은 없었다 그밖에 음 생략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를 정리하면 lt표 - 5gt와 같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4

체단어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χ2 (7) = 8248 p lt 001) 반복자음 조화(χ2 (7) = 6304

plt 001) 어말종성 생략(χ2 (7) = 5282 plt 001)이었다

lt표 - 4gt 본 연구에 사용된 음소변화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발성유형변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

평음이나 격음이 경음으로 변한다 아동에 따라서 ㅎ 생략을 탈기식음화로 볼 수도 있다

lsquo포도rsquorarr [뽀 ]

이완음화 경음이나 격음이 긴장 자질이 없는 평음으로 변한다 lsquo싸워rsquorarr [사워]

기식음화평음이나 경음이 기식 자질을 갖는 격음으로 변한다 ㅅㅆ가 ㅊㅌ로 바 것은 기식음화로 보지 않는다

lsquo뱀rsquorarr [팸]lsquo찢어rsquorarr [치 ]

조음장소변화

연구개음의방화

연구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변한다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니]

양순음화양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한다

lsquo고래rsquorarr [고배]lsquo단추rsquorarr [반추]

연구개음화연구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연구개음으로 변한다

lsquo찢어rsquorarr [끼 ]lsquo우산rsquorarr [우상]

성문음화ㅎ 이외의 자음이 성문마찰음이나 성문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사탕rsquorarr [하탕]

치간음화 치조마찰음이 치간음이나 치음으로 왜곡된다 lsquo싸워rsquorarr [ㅆㅏ워]

설측음화 치조마찰음이 설측마찰음으로 왜곡된다 lsquo사탕rsquorarr [ㅅㅏ탕]

조음방법변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이나 찰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색종이rsquorarr [택똥이]

비음의 열음화 비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머리rsquorarr [버리]

찰음화 경구개음화

치조음(주로 치조마찰음)이 찰음으로 변하거나 경구개음으로 왜곡된다

lsquo없어rsquorarr [업쩌업쎠]lsquo포도rsquorarr [포됴]

유음의 단순화 유음이 생략되거나 과도음으로 변한다 lsquo이빨rsquorarr [이빠j]lsquo고래rsquorarr [고애고얘]

유음의 비음화열음화

유음이 비음이나 열음으로 변한다lsquo이빨rsquorarr [이빤]lsquo고래rsquorarr [고내고 ]

마찰음화 찰음이 치조마찰음으로 변한다 lsquo침 rsquorarr [심 ]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7: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3

나 음운변동의 용

Lowe (2002)의 제안 로 아동마다 오류의 공통 을 찾아 음운변동을 용시켰다 이에 따라 같

은 오류라도 아동마다 용되는 음운변동이 다를 수 있었다 를 들어 lsquo사탕rsquo을 [타탕]으로 발음한 것

은 열음화와 동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치조마찰음도 열음으로 조음한다면

열음화를 용시키고 이 단어에서만 이러한 오류를 보인다면 동화를 용시켰다 lsquo이빨rsquo을 [이빠]로 발

음한 것은 종성 생략과 유음의 단순화의 가능성이 모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종류의 종성도 생략한

다면 종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종성 자음의 생략 없이 성 ㄹ의 단순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유

음의 단순화를 용시켰다 lsquo햄버거rsquo를 [앰버거]로 발음한 것은 성 생략과 탈기식음화의 가능성이 모

두 있지만 이 아동이 다른 성 자음들도 생략했다면 성 생략을 용시키고 다른 성 자음의 생략

없이 긴장음화가 함께 나타난다면 탈기식음화를 용시켰다

한 단어에 여러 음운변동이 용될 수도 있었다(Bankson amp Bernthal 2004) 를 들어 연구개

음의 방화와 긴장음화가 빈번한 아동이 lsquo컵rsquo을 [떱]으로 발음하는 것은 이 두 음운변동이 모두 용된

결과로 해석하 다

다 자료 분석

아동마다 각 음운변동이 출 한 횟수를 정리하 다 그리고 오류패턴의 기 을 3회 이상 사용되

는 음운변동으로 정하고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 수를 백분율로 계산하 다 참고

으로 교차분석의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으로 각 음운변동을 사용하는 아동수가 연령

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Ⅲ 결 과

1 체단어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체단어 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다 이 변동은 2세에

거의 모든 아동에게 나타나고 4세 반까지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다 자음 조화와 종성 생략

은 2세 후반에 약 30 이상의 아동에게 나타났지만 3세 반부터는 이 변동을 보이는 아동이 거의 없었

다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의 아동만이 오류패턴으로 사용하 다 그

리고 첨가 변동이 총 17회 도치나 이동 변동이 총 11회 어두 성 생략 변동이 총 3회 출 하 지만

각각의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하는 아동은 없었다 그밖에 음 생략은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를 정리하면 lt표 - 5gt와 같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4

체단어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χ2 (7) = 8248 p lt 001) 반복자음 조화(χ2 (7) = 6304

plt 001) 어말종성 생략(χ2 (7) = 5282 plt 001)이었다

lt표 - 4gt 본 연구에 사용된 음소변화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발성유형변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

평음이나 격음이 경음으로 변한다 아동에 따라서 ㅎ 생략을 탈기식음화로 볼 수도 있다

lsquo포도rsquorarr [뽀 ]

이완음화 경음이나 격음이 긴장 자질이 없는 평음으로 변한다 lsquo싸워rsquorarr [사워]

기식음화평음이나 경음이 기식 자질을 갖는 격음으로 변한다 ㅅㅆ가 ㅊㅌ로 바 것은 기식음화로 보지 않는다

lsquo뱀rsquorarr [팸]lsquo찢어rsquorarr [치 ]

조음장소변화

연구개음의방화

연구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변한다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니]

양순음화양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한다

lsquo고래rsquorarr [고배]lsquo단추rsquorarr [반추]

연구개음화연구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연구개음으로 변한다

lsquo찢어rsquorarr [끼 ]lsquo우산rsquorarr [우상]

성문음화ㅎ 이외의 자음이 성문마찰음이나 성문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사탕rsquorarr [하탕]

치간음화 치조마찰음이 치간음이나 치음으로 왜곡된다 lsquo싸워rsquorarr [ㅆㅏ워]

설측음화 치조마찰음이 설측마찰음으로 왜곡된다 lsquo사탕rsquorarr [ㅅㅏ탕]

조음방법변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이나 찰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색종이rsquorarr [택똥이]

비음의 열음화 비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머리rsquorarr [버리]

찰음화 경구개음화

치조음(주로 치조마찰음)이 찰음으로 변하거나 경구개음으로 왜곡된다

lsquo없어rsquorarr [업쩌업쎠]lsquo포도rsquorarr [포됴]

유음의 단순화 유음이 생략되거나 과도음으로 변한다 lsquo이빨rsquorarr [이빠j]lsquo고래rsquorarr [고애고얘]

유음의 비음화열음화

유음이 비음이나 열음으로 변한다lsquo이빨rsquorarr [이빤]lsquo고래rsquorarr [고내고 ]

마찰음화 찰음이 치조마찰음으로 변한다 lsquo침 rsquorarr [심 ]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8: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4

체단어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형 어 자음군 단순화(χ2 (7) = 8248 p lt 001) 반복자음 조화(χ2 (7) = 6304

plt 001) 어말종성 생략(χ2 (7) = 5282 plt 001)이었다

lt표 - 4gt 본 연구에 사용된 음소변화 변동의 종류 정의

음운변동 정의

발성유형변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

평음이나 격음이 경음으로 변한다 아동에 따라서 ㅎ 생략을 탈기식음화로 볼 수도 있다

lsquo포도rsquorarr [뽀 ]

이완음화 경음이나 격음이 긴장 자질이 없는 평음으로 변한다 lsquo싸워rsquorarr [사워]

기식음화평음이나 경음이 기식 자질을 갖는 격음으로 변한다 ㅅㅆ가 ㅊㅌ로 바 것은 기식음화로 보지 않는다

lsquo뱀rsquorarr [팸]lsquo찢어rsquorarr [치 ]

조음장소변화

연구개음의방화

연구개음이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변한다lsquo거북이rsquorarr [더부지]lsquo호랑이rsquorarr [호라니]

양순음화양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한다

lsquo고래rsquorarr [고배]lsquo단추rsquorarr [반추]

연구개음화연구개음이 아닌 자음(주로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연구개음으로 변한다

lsquo찢어rsquorarr [끼 ]lsquo우산rsquorarr [우상]

성문음화ㅎ 이외의 자음이 성문마찰음이나 성문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사탕rsquorarr [하탕]

치간음화 치조마찰음이 치간음이나 치음으로 왜곡된다 lsquo싸워rsquorarr [ㅆㅏ워]

설측음화 치조마찰음이 설측마찰음으로 왜곡된다 lsquo사탕rsquorarr [ㅅㅏ탕]

조음방법변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이나 찰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색종이rsquorarr [택똥이]

비음의 열음화 비음이 열음으로 변한다 lsquo머리rsquorarr [버리]

찰음화 경구개음화

치조음(주로 치조마찰음)이 찰음으로 변하거나 경구개음으로 왜곡된다

lsquo없어rsquorarr [업쩌업쎠]lsquo포도rsquorarr [포됴]

유음의 단순화 유음이 생략되거나 과도음으로 변한다 lsquo이빨rsquorarr [이빠j]lsquo고래rsquorarr [고애고얘]

유음의 비음화열음화

유음이 비음이나 열음으로 변한다lsquo이빨rsquorarr [이빤]lsquo고래rsquorarr [고내고 ]

마찰음화 찰음이 치조마찰음으로 변한다 lsquo침 rsquorarr [심 ]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9: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5

lt표 - 5gt 체단어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26~211

(20명)1

30~35

(20명)

36~311

(30명)

40~45

(30명)

46~411

(30명)

50~55

(30명)

56~511

(30명)

60~65

(30명)

어 자음군

단순화(16회)2

102회3

19명 4

(95)5

32회

5명

(25)

45회

8명

(27)

36회

5명

(17)

7회

0명

(0)

9회

0명

(0)

2회

0명

(0)

4회

0명

(0)

반복

자음 조화

(37회)

34회

7명

(35)

8회

1명

(5)

8회

0명

(0)

6회

0명

(0)

1회

0명

(0)

3회

0명

(0)

3회

0명

(0)

1회

0명

(0)

어말종성 생략

(13회)

31회

6명

(30)

4회

1명

(5)

3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16회)

18회

1명

(5)

7회

1명

(5)

1회

0명

(0)

3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첨가

(32회)

8회

0명

(0)

6회

0명

(0)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도치이동

(37회)

9회

0명

(0)

1회

0명

(0)

0명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어두 성 생략

(25회)

2회

0명

(0)

1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0회

0명

(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각 변동이 빈번하게 출 하는 문맥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 형 어 자음군 단순화

는 237회 에서 156회(66)가 성 조음장소로의 동화 고( 양말rarr [얌말]) 70회(30)가 생략이

었다( 없어rarr [어써]) 한 ㅂ의 양순 특성과 ㅆ의 마찰 특성을 합체하여 lsquo없어rsquo를 [어f어]로 발음

하는 경우도 6회 찰되었다

둘째 반복이나 자음 조화는 총 64회 에서 56회가 자음 조화 다 자음 조화 에서 양순음 조

화가 16회(29)로 가장 많았다( 나무rarr [마무] 빋rarr [빕]) 그리고 연구개음 조화( 거북이rarr [거

구기] 꽃rarr [꼭]) 열음 조화( 뱀rarr [뱁]) 경음 조화( 토끼rarr [ 끼])가 각각 8~9회(약15) 있

었다 그밖에 찰음 조화( 단추rarr [잔추]) 5회 비음 조화( 장갑rarr [장감]) 5회 격음 조화( 바

퀴rarr [ 퀴]) 4회 마찰음 조화( 색종이rarr [새쏭이]) 2회 치조음 조화( 포도rarr [ 도]) 2회가 나타

났다 성 간의 자음 조화( 나무rarr [마무] 거북이rarr [거구기])가 37회(66) 고 성과 종성 간의

자음 조화( 빋rarr [빕])가 16회(29) 으며 종성 간의 자음 조화( 싸람rarr [눔따람] 병원rarr [병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10: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6

])가 3회 나타났다 한편 반복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음 체를 반복하는 경우( 사탕rarr [탕탕])가

1회 CVC 음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 단추rarr [단춘])가 5회 나타났다

셋째 어말종성 생략은 7종성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종성이 두개 들어간 복잡한 단어에서 19회

나타났고 종성이 한개 들어간 단순한 단어에서 21회 나타나서 단어의 음 구조가 복잡하다고 해서 어

말종성 생략이 더 빈번한 것은 아니었다

넷째 비 형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이 종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햄버거rarr

[햄머거])가 10회 종성이 성의 조음방법으로 동화되는 경우( 장갑(rarr 작갑)rarr [자깝])가 8회

성이 생략되는 경우( 안경rarr [아녕])가 3회 나타났다

다섯째 첨가는 어 치에 첨가되는 경우( 그네rarr [근네])가 9회 어말 치에 첨가되는 경

우( 나무rarr [나문])가 6회 어두 치에 첨가되는 경우( 우산rarr [무탄])가 2회 나타났다

여섯째 도치 이동의 경우 도치가 6회 이동이 5회 있었다 도치 변동은 성 사이에 일어나거

나( 거북이rarr [버구기]) 성과 종성 사이에서 일어났지만( 장갑rarr [당박]) 이동 변동은 주로 종

성 사이에 일어났다( 옥수수rarr [오쑥수])

2 음소변화 변동

가장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소변화 변동은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다 이 변동은 거의 모

든 연령 아동들에게 빈번하게 사용되는 오류패턴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변동은

열음화와 찰음화로 4세 후반까지 빈번하게 나타났다 유음에 한 오류로 3세 후반까지 생략이나

과도음화 변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비음이나 열음화 변동도 종종 나타났다 긴장음화와 연구

개음의 방화는 2세 후반 아동에게서만 빈번하게 나타났다 한두 연령 에서 한두 명만이 사용한 오

류패턴으로 이완음화 기식음화 양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탈비음화 마찰음화 설측음화 찰

음의 치간음화가 있었다 이밖에 10회 이상 출 하 으나 오류패턴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성문음

화가 있었다 총 10회 이상 출 한 음소변화 변동에 해 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

한 아동 수를 lt표 - 6gt에 정리하 다

음소변화 변동에 해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동 수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음운변동은 찰음마찰음의 열음화(χ2 (7) = 6854 plt 001) 찰음화경구개음화(χ2 (7) = 4118

plt 001) 유음의 단순화(χ2 (7) = 3017 plt 001) 긴장음화탈기식음화(χ2 (7) = 8302 p lt 001) 그리

고 연구개음의 방화(χ2 (7) = 4221 plt 001) 다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χ2 (7) = 795 pgt 05)와 유

음의 비음화 열음화(χ2 (7) = 931 pgt 05)는 연령에 따른 아동 수의 차이가 없었다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11: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7

lt표 - 6gt 음소변화 변동이 나타난 횟수와 해당 음운변동을 3회 이상 사용한 아동 수

음운변동26~211(20명)

130~35(20명)

36~311(30명)

40~45(30명)

46~411(30명)

50~55(30명)

56~511(30명)

60~65(30명)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11회)2

21회3

3명4

(15)5

32회4명

(20)

60회7명

(23)

53회10명(33)

48회7명

(23)

72회13명(43)

55회9명

(30)

47회6명

(20)

찰음마찰음의열음화(20회)

159회16명(80)

72회6명

(30)

59회6명

(20)

42회4명

(13)

64회7명

(23)

13회1명(3)

9회1명(3)

4회0명(0)

찰음화경구개음화(11회)

61회11명(55)

41회5명

(25)

47회7명

(23)

37회5명

(17)

23회3명(10)

18회2명(7)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단순화(11회)

52회8명

(40)

35회5명

(25)

29회6명

(20)

12회2명(7)

13회3명(10)

9회2명(7)

1회0명(0)

0회0명(0)

긴장음화탈기식음화(49회)

54회8명

(40)

11회0명(0)

11회0명(0)

11회0명(0)

5회0명(0)

4회0명(0)

4회0명(0)

5회0명(0)

연구개음의방화(11회)

29회5명

(25)

3회0명(0)

9명1명(3)

0회0명(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유음의 비음화열음화(11회)

26회3명

(15)

7회1명(5)

16회1명(3)

10회2명(7)

0회0명(0)

2회0명(0)

5회1명(3)

4회1명(3)

비음의 열음화(25회)

9회2명(10)

2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찰음의마찰음화(9회)

8회1명(5)

0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기식음화(38회)7회1명(5)

2회0명(0)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이완음화(24회)4회0명(0)

3회1명(5)

1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치조마찰음의 설측음화(11회)

0회0명(0)

6회1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찰음의 치간음화(9회)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8회1명(3)

0회0명(0)

3회1명(3)

0회0명(0)

양순음화(47회)3회0명(0)

1회0명(0)

2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4회1명(3)

연구개음화(47회)15회2명(10)

2회0명(0)

2회0명(0)

4회1명(7)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성문음화(72회)4회0명(0)

4회0명(0)

4회0명(0)

3회0명(0)

1회0명(0)

0회0명(0)

0회0명(0)

0회0명(0)

1은 연령별 총 아동수

2는 각 변동이 출 할 수 있는 기회 수

3은 변동이 나타난 총 횟수

45는 변동을 3회 이상 사

용한 아동수와 아동수에 한 백분율을 나타냄 연령 별로 10를 과하는 아동들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진하게 표시하 음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12: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8

Ⅳ 논 의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통해 알아본 취학 아동의 일반 인 음운 오류패턴은 총 10개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체단어 변동의 경우 형 인 어 자음군 단순화 반복자음 조화 어말종성 생략이 나타

났고 음소변화 변동의 경우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찰음마찰음의 열음화 찰음화경구개음

화 유음의 단순화 긴장음화탈기식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가 나타났다

이 에서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 유음의 비음화 열음화 연구개음의 방화 긴장음화

탈기식음화는 3세에 사라졌고 형 어 자음군 단순화 유음의 단순화 찰음화경구개음화는

4세에 사라졌으며 찰음마찰음의 열음화는 5세에 사라졌다 이 에서 어 자음군 단순화는

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는 우리말 음 구조 특징 때문에 기존 우리말 연구에서 쉽게 간과되

어 왔지만 4세 반 아동에게서도 종종 찰되는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체단어 변동에 한 결과를 기존 우리말 연구와 비교해 보았다 배소 (1994)이 보고한 음운변

동 체단어 변동은 음 탈락 VCV형의 선호 반복 동화 단어끝소리 자음의 탈락이었고 모두 30

세 이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이 에서 2세 이 아동에게서만 나타난 음 탈락 VCV형 선호 반복

을 제외한다면 2세 이후의 아동에게 어말종성 생략 반복자음 조화가 빈번하다는 본 연구 결과와 일

치한다 어 자음군 단순화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수가 없었다 한편 김 태

(1992)의 연구에서 10 이상의 음운변동율을 나타낸 빈번한 체단어 변동은 종성생략이었고 2세와

3세 나타났다 여기서 종성생략이 3세까지 지속된 것은 이 변동에 어말종성 생략과 어 종성 생략이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김 태의 음운변동율과 본 연구의 아동수는 다른 개념이

므로 직 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연구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종성생략은 우리나라 아동에

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변동이었다

음소변화 변동에 한 결과는 음운변동에 한 정의가 연구마다 많이 달라서 기존 연구와의 직

인 비교가 어려웠다 오히려 엄정희(1994)의 찰음 치조마찰음 유음에 한 치 분석 결과를 비

교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 다 엄정희 연구에 따르면 찰음은 열음으로 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

번하 다 치조 마찰음은 치간음 오류가 가장 빈번하 고 열음 찰음 ㅎ으로의 오류도 종종 나타

났다 유음은 어두 성의 경우 비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어 성의 경우 열음으로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찰음과 마찰음의 열음화 치조마찰음의 찰음화 치조마찰음의 치간음화 그리

고 유음의 비음과 열음화 변동이 빈번했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성문음화가 고 유음

의 단순화가 많았던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샘 집단의 특성이 반 된 것인지 검사 단어

차이 때문인지 채 기 에 차이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10년 아동과 지 아동의 발음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인지 등 결과 차이의 원인을 알아보기 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음운 오류패턴에 한국어의 음운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말에서 빈번

하게 나타나는 오류패턴은 어의 오류패턴과 비슷하 다(Bankson amp Bernthal 2004 Stoel-Gammon

amp Dunn 1985) 그러나 우리말의 음운 특성을 반 한 상도 엿보 다 첫째 체단어 변동의 구체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13: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29

인 를 살펴볼 때 우리말이 성과 종성의 구분이 명확한 음 심의 언어라는 특징이 드러났다

를 들어 어 자음군 단순화는 어의 자음군 단순화와 비슷한 변동이지만 어는 늦게 발달하는 자음

에 오류를 보이는 반면 우리말은 음소의 습득 순서와 계없이 종성에 오류를 보 다 ㅆ이 ㅂ보다

늦게 습득되지만 lsquo없어rsquo를 [어써]로 발음하는 것이다 한 어의 자음 조화나 이동도치는 어두와 어

말 사이에 일어나는 가(dograrr [gʌg] snoerarr [nos])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Bankson amp Bernthal

2004 Lowe 2002 Velleman 1998) 우리말에서는 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나무

rarr [마무] 거북이rarr [버구기]) 심지어 종성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병원rarr [병 ] 옥수수

rarr [오쑥쑤]) 이는 한국어가 음 심의 언어이기 때문에 나타난 상으로 생각된다

둘째 우리말에서 경음과 찰음이 일 발달한다는 상을 일반 인 오류패턴에 긴장음화와

열음화가 포함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김민정배소 (2005)은 우리말의 열음 삼 립 에

서 경음이 일 습득되고 어에 비해 찰음의 습득연령이 빠르다고 하 다 아동은 보통 자신들이

잘 산출하지 못하는 소리를 자신이 산출할 수 있는 소리 목표음과 가장 가까운 소리로 치하기 때

문에 격음을 경음으로 산출하는 긴장음화나 마찰음을 찰음으로 산출하는 찰음화 오류패턴이 빈번

한 것이다

셋째 유음에 한 오류패턴이 어와 달랐다 어와 한국어 모두 유음의 생략이나 과도음화는

일반 인 음운변동이다 그러나 유음의 비음화나 열음화는 어의 경우 특이한 오류패턴인 반면

(Stoel-Gammon amp Dunn 1985) 우리말의 경우 나이어린 아동에게 일반 인 오류패턴이었다 치변

동을 연구한 엄정희(1994)도 우리나라 아동들이 유음을 비음 ㄴ이나 열음 ㄷ으로 치하는 경우

가 많다고 하 다 이러한 상은 우리말 성 유음이 어와 달리 주로 탄설음(flap)으로 조음되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조음음성학 으로 탄설음은 막음의 지속시간은 다르지만 비음이나 열음과 같이 조

음기 을 다 막는 소리라는 공통 을 가지고 있다(신지 차재은 2003) 유음이 비음과 열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막힘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련되는 것 같다

본 연구는 음운 오류패턴에 한 발달 거를 제시한 에서 임상 인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상된다 Dodd et al (2003)은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나이에 한

(age-appropriate) 오류패턴으로 자기 연령 의 아동 10 이하가 사용하지만 그 보다 어린 연령

에서는 10 이상이 사용하는 오류패턴을 지체된(delayed) 오류패턴으로 어떤 연령 에서도 10 이상

의 아동이 사용하지 않는 오류패턴을 특이한(unusual) 오류패턴으로 진단할 것을 제안하 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경제계층에 속한 더 많은 일반 아동의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할만한 발달 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운변동의 종류와 정의 그리고 오류패턴 분석 방법은 사

례에 따라 오류패턴을 밝히는데 부 할 수도 있다 본 분석 방법에 한 이론 근거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사례에 용하여 임상 타당성을 알아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14: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언어청각장애연구 2006 11(2) 17-31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0

참 고 문 헌

권경안이연섭손미령(1979) 985172한국아동의 음운발달(Ⅰ)985173 서울 교육개발원

김민정배소 (2000) 정상 아동과 기능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 오류 비교 자음정확도와 발달 유형을

심으로 985172음성과학985173 7(2) 7-18김민정배소 (2005)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 연령

985172음성과학985173 12(2) 139-149김 태(1992) 서울-경기 지역 2-6세 아동의 발달기 음운변동에 한 연구 985172말소리985173 21 3-24김 태(1995) 조음장애아와 정상아의 음운변동 패턴에 한 비교 연구 985172특수교육논총985173 12 1-25김 태(1996)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985172말-언어장애 연구985173 1 7-33배소 (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Ⅰ) 14-311세의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신지 차재은(2003) 985172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 를 하여985173 서울 한국문화사

엄정희(1994) 정상 말소리 발달(Ⅱ) 3 4 5세 아동 한국언어병리학회(편) 985172아동의 조음장애치료985173 서울 군자출 사

표화 (1998) 열 기식음 오류를 보이는 조음장애 아동의 치료 985172언어청각장애연구985173 3 175-182 Bankson N W amp Bernthal J E (2004) Phonological assessment procedure In J E Bernthal amp N

W Bankson(Ed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Inc

Bauman-Waengler J (2000)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impairment A clinical focus Needham

Heights MA Allyn amp Bacon

Dodd B Holm A Hua Z amp Crosbie S (2003) Phonological development A normative study of

British English-speaking children Clinical Linguistics amp Phonetics 17 617-643

Hodson B W (2004) Hodson Assessment of Phonological Patterns(3rd ed) Austin TX PRO-ED

Khan L amp Lewis M (1986) Khan-Lewis Phonological Analysis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Lowe R J (1994) Phonolog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pplication in speech pathology

Baltimore MD Williams amp Wilkins

Lowe R J (2002)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distinctive

features (3rd ed) Austin TX PRO-ED

Stampe D (1973) A dissertation on natural pho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Stoel-Gammon C amp Dunn C (1985) Normal and disordered phonology in children Austin TX

PRO-ED

Velleman S L (1998) Making phonology functional What do I do first Woburn MA Butterworth-

Heinemann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

Page 15: ‘아동용 조음검사’에 나타난 취학 전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2)_2.pdf · 상 사용하는 음운변동을 알아보아, 5세까지 과도음화, 4세까지 탈파찰음화와

김민정 lsquo아동용 조음검사rsquo에 나타난 취학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31

게재 신청일 2006년 5월 20일게재 확정일 2006년 7월 5일

김민정(제 1 자 교신 자) 우송 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kimmjwsuackr

ABSTRACT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Min Jung Kim (Dept of Speech Therapy Woos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eliminary norm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for the

lsquo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rsquo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220 children aged 26 (years

months) to 65 Error patterns were described as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an

error pattern was based on the process occurring three times The phonological processes used by

more than 10 of late 2-year-olds were as follows (1) The whole-word processes including re-

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and intersyllabic cluster simpli-

fication and (2) The segment-change processes including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liquid simplification affrication or palatalization stopping of fricative

or affricate and interdentalization of fricative Early-disappearing phonological processes included

reduplication or consonant harmony word-final consonant deletion tensing or deaspiration velar

fronting and nasalization or stopping of liquid

Key Word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phonological process Korean conson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