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주민복합지원시설 조성사업ur-jeonjutb.org/we/pdf_down/주민복합지원시설... ·...

Post on 15-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3.5 주민복합지원시설 조성사업

3.5.1 사업계획 도출배경(1) 필요성

❚ 쇠퇴지역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경감 혹은 해결하는데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구심적 역할을 할 거점 공간조성이 필요함

❚ 현재 추진중인 도시재생사업, 10년간 추진될 도시재생사업의 지속적 추진을 위한

거점공간이 필요함(폐가철거, 합필건축, 도시재생지원센터, 마을 기업 등)

❚ 초기도시재생을 위한 임시거점공간(어울터, 지역경로당 등)의 기능을 이관하여 지속

적으로 수행할 공간이 필요함

❚ 마을의 번영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민들이 서로 소통하고 마을사업의 가능

성을 타진하고 실천에 옮기는 준비 장소가 필요함

❚ 노후 쇠퇴지역은 현대사회에 보편적으로 발달한 복지·여가·문화·교육서비스가 제공

될 수 있는 여건이 부재함으로 사회적 형평성을 지켜줄 수 있는 거점시설이 필요함

❚ 침체된 지역의 경기를 활성화하고, 자립경제를 도모할 수 있는 여건조성의 거점제

공이 필요함

❚ TB지역 내 재생사업의 효과를 초기에 드러내어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한 바, 폭넓은 주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주민복합지원시설 조성이 효과적 전달

이 될 것임

(2) 현황

① 지역현황

❚ TB지역은 노인인구 비중이 늘고 사회적 약자들이 군집해 있는 특성으로 신체적 건

강과 정신적 건강 그리고 사회적으로 배제되지 않고 더불어 살 수 있는 사회적 건

장을 도모하며, 자율적 재생이 일어나는 역량이 부족한 실정임

❚ TB지역에는 주민들이 생활·복지·여가를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이 전무하여 타 지역과

삶의 질 격차를 벌리고 있음

❚ 전반적으로 접근가능한 시설이 조성될 필요 있으나 주거지역 내 나대지가 있어 이

를 시작으로 주민지원시설도모 필요

❚ 전주시의 문화시설은(2009년 기준) 공연시설 23개소, 기타시설 2개소로 총 25개소

이며, 전시시설이나 지역문화복지시설 등의 시설이 부족한 실정임

(단위 : 개소)

구분 계공연시설 전시시설 지역문화복지시설 기타시설

공공공연장

민간공연장

영화상영관 미술관 화랑 시구민

회관복지회관

청소년회관 문화원 국악원 전수

회관2009 25 9 4 10 - - - - - 1 1 -

자료 : 전주시 통계연보(2010)

표 3-1. 전주시 문화시설 현황

② TB지역 임시거점 공간 현황

❚ 노송동 어울터 및 주민공방

▯ 시소유 공가를 활용한 노송동 어울터를 조성하여 천사축제시 전시공간 및 프로

그램공간으로 활용하였으며 쉼터와 도서관으로 조성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함(청

소 및 철거는 자원봉사자를 활용함)

▯ 노송동 어울터 인근의 옛 공가(이전에는 슈퍼마켓으로 사용됨)를 주민에게 허락

을 받아 주민공방으로 조성하여 지역 홍보마케팅의 거점으로 활용

▯ 주민공방에는 주민이 일하며 나눌 수 있는 거점공간으로 활용하고 안채를 추가

활용하여 전북보육정보센터와 공유하기로 한 장난감과 교구를 보관중임

그림 3-1. 노송동 어울터 및 주민공방에 보관중인 장난감

❚ 경노당

▯ TB지역 내 12개소가 있으나 경로당에 등록된 노인중심의 여가공간으로 폐쇄적

이고 낙후되었으며, 이용율이 저조한 실정임

▯ 주민주도 문화프로그램의 운영 및 노인들의 활기찬 노후생활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 노송천 어울터

▯ 노송천 복원공사로 인한 휴폐업상가가 많은 노송천변에 도로환경변화로 인한 건

축자재관련업종의 이전으로 공실로 남아있던 공간을 활용한 노송천 어울터를 조

성함

▯ 상인역량강화 교육공간, 노송천문화공동체 사무실, 문화공연시 지원공간 등으로

활용됨

▯ 공실로 남아있던 사무공간을 무상임대받아 상가신탁창업지원센터를 설립하였으

며 상가신탁과 창업인큐베이터, 상인 교류의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음

❚ 노송천 어울터

▯ 위치 : 중앙시장 노송천 JTV 맞은편 1층 상가 한신태양열

▯ 공간확보 및 조성 : 2011.7~현재

▯ 빈점포를 활용해 거점공간 마련

▯ 상인역량강화를 위한 상가컨설팅, 상인 모임, 홍보전시, 시장 맞춤형 체험프로그

램개발, 문화행사의 거점으로 사용중

그림 3-2. 노송천 어울터 임시거점공간 조성

③ TB 거점공간으로서의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에 대한 요구

❚ 주민활동거점공간 조성지원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을 마스터플랜에 반영함

❚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거점공간 조성이 필요함

❚ 지역의 복지와 문화욕구를 해소하고, 도시재생의 사무기능이 결합된 방식의 복합화

된 시설조성이 필요함

❚ 순환식 주거지정비를 위한 순환형 임대주택의 필요성이 제기됨

❚ 주민의 기부 및 참여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공공차원에서의 선지원이 필요함

④ 주민복합지원시설부지 현황

❚ 위치 대지위치 : 전주시 완산구 서노송동 735-13번지외 9필지

❚ 대지면적 : 약 3,809㎡

❚ 지역지구 : 제1종일반주거지역

❚ 전주시 소유의 나대지로 사업추진 용이(1단계 부지)

❚ 구릉지에 위치하여 조망 양호한 반면 경사가로에 위치하여 주변 보행환경 열악

그림 3-3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부지 및 현장모습

그림 3-4.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예정지 주변현황

(3) 기대효과

❚ TB지역 요구를 폭넓게 수용해 줌으로서 재생의 신뢰성 구축 및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

❚ 최초의 주민참여기반으로 조성된 시설로서 이후 지자체들의 주민시설조성 벤치마킹

대상으로 선도

❚ TB지역 재생의 거점으로서 이후 재생계획 및 추진을 촉진시키는 효과

❚ TB지역의 부가가치를 순식간에 상승시키는 효과

❚ 지역공동체 시설로서 특정 계층이 아닌 주민모두의 시설을 조성함으로써 공생, 통

합적 공동체 형성 효과

❚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소득증대. 경제적 자립도 개선효과

❚ 지역의 문화, 복지, 의료, 교육수준 향상효과

3.5.2 사업실행계획(1) 사업구상

① 전략거점시설 조성

❚ 주민복합지원시설 조성사업: 지역에 부재한 복지·문화·교육·일자리 등 주민에게 필

요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물리적 공공지원시설을 조성하는 사업

❚ 재생사업을 선도하는 전략적 시설로서 재생사업 초기에 조성하여 사업효과를 극대

화하고 세부사업들에 필요한 공간과 프로그램 등을 수용

❚ 전략거점시설은 주거지구에 1개소, 상가지구에 1개소 설치하되, 주민복합지원시설

은 지역 주민들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쇠퇴주거지구에 건립함

② 주민복합지원시설 조성사업구상

❚ 주민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주민참여 및 합의기반 시설조성

❚ 주민주도 자력재생을 지원하는 거점시설 : 주민들이 지역사회의 문제를 자발적으로

찾아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며 실제활동과 사업에 합의하여 주민 스스로 주도적으

로 결정하고 지역사회를 활성화시키는 사업의 실행

❚ 지역의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재생의 거점시설

❚ 친환경, 그린빌딩으로서 에너지 절감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한 시설조성

그림 3-5. 주민복합지원시설을 거점으로 한 총체적 재생전략 구상

❚ TB지역내 도시재생관련 임시공간, 즉 노송동 어울터, 마을알뜰공방, 보육카페, 노송

교회의 강당 및 식당, 도시재생지원센터, 신중앙시장 돔광장, 노송천 어울터, 지역

경노당의 기능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거점공간 마련

소마미술관 Olympics Sculpture Park 가상조감도그림 3-6. 참고사례 및 가상조감도

(2) 사업계획

① 목표 및 방향설정

❚ 실질적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시설계획

❚ 주민의 참여와 협조를 통해 조성되고 운영되는 시설

❚ 지역커뮤니티사회의 거점시설로서 총체적 재생을 지원하는 시설

❚ TB 전역은 물론 전주시의 문화․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 지속적인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거점시설

❚ 주민참여 및 자율운영 프로그램 및 인력양성에 부합되는 시설

❚ 친환경, 녹색 및 에너지 절감형 시설

② 시설개요

❚ 대지면적 :3809㎡

❚ 도시계획(지역․지역 등 : 1종일반주거지역,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도시재생지구 환

경정비지구 등 (건폐율 60%이하, 용적률 200%이하)

❚ 대지특성

▯ 구릉지에 위치하여 주변 경관이 양호

▯ 도로레벨이 7~10m의 차이가 있음 : 지형을 활용한 계획 및 채광문제의 해결

❚ 예상사업비용 : 9628백만원(공사비 9230백만 원 + 설계비 398백만 원)

(3) 사업추진전략

① 사업추진방향

❚ TB지역 내 첫 주민복합지원시설로서 국내 주민 참여형 선도모델로 진행

▯ 주민참여계획에 의해 추진

▯ 친환경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녹색기술팀」과 협력 추진

▯ 공모전으로 진행하되 주민의견에 기반

❚ 주민지원 서비스 프로그램 및 콘텐츠는 다음과 같이 추진

▯ 시설조성 전에 주민활동과 교육을 통해 미리 준비

▯ 시설조성 전에 외부전문가 영입과 공동작업을 통해 서비스 프로그램을 미리준비

❚ 전주시 지자체 사업과 연계하여 사업을 추진 : 전주시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되,

도시재생과 관련된 내용은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지원하는 체제로 사업추진

② 예산확보

▯ 현재 전주시에서 추진중인 사업은 총 19개 사업이며, 공약사업 16개, 도시활력

사업 2개, 국가시범사업 1개임

▯ 19개 사업 중 TB지역과 관련된 사업은 6개이며, 그 중 하나인 전주 도시재생 테

스트베드는 국가시범사업으로 도시재생과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2011~2014년까

지 사업비는 140억원임

▯ 140억원의 사업비 중에서 일부는 주민역량강화사업, 일부는 녹색기술 적용에 사

용되기에 실질적인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을 위한 예산은 100억원임

③ 도시재생 기법의 적용

❚ 주민 조직화 및 활동지원 기법

❚ 주민 교육 기법(역량강화기법)

❚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지원기법

❚ 주민 워크샵 기법

❚ 정보교류지원기법

❚ 주민참여계획지원기법/시스템

④ 사업추진 일정

그림 3-7. 사업추진일정

3.5.3 사업실행내역(1) 준비 및 기반구축

① 기초조사

❚ 주민 400명을 대상으로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기초조사를 수행하였음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필요한 기능(다중선택 질문)에서 보건소 및 의료시설(53.3%) >

체육시설(43.3%) > 목욕시설(37.8%)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다양한 시설

에 대한 요구가 있었음

❚ 블만족하는 동네환경에 대해서도 주차환경, 동네생활수준, 도로, 복지시설, 체육시

설, 문화시설 등 총체적으로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 지역에 확중되어야 할 시설(다중선택)은 복지관(21.7%) > 공원 및 녹지(17.8%) >

방과 후 공부방(15.4%) > 야외놀이 및 운동공간(15.0%)의 순으로 나타났음

❚ 지역에 인구를 유입시키는 방안으로 일자리 및 사업창출과 편익시설 활성화가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음

❚ 전체적으로 분석하면, 해당 지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불만족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시설에 대한 요구를 보였으며, 특히 일자리 창출과 같은 경제적 문제와 복

지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판단됨

그림 3-8. 기초조사 내용 중 주민복합지원시설에 관한 분석결과

② 주민복합지원시설 계획지침서 개발

❚ 주민복합지원시설 계획지침서는 도시재생 차원에서 다양한 시설복합을 지향하기 때

문에 관련 자료를 찾아보기 어려움

❚ 기존의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소수의 기능을 복합시킨 지침서와 차별화된 주민

복합지원시설 계획지침서 개발이 필요함

❚ 6차년도에 주민복합지원 건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차원에서 시설 계획에 관한 지

침서를 개발함

❚ 주민복합지원시설 계획지침서는 실내단위공간 및 외부공간 계획으로 구분되며, 실

내단위공간은 관리시설, 근린생활시설, 복지시설, 여가프로그램시설로 구분됨

❚ 각 단위실별은 코드화되어 A4 1장씩 작성되었으며, 공간의 성격, 계획방향, 단위실

계획, 운영 및 관리에 관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함

❚ 건축법을 검토하여 함께 설치할 수 있는 용도와 불허의 용도를 정리함(전주시의 1

종일반주거지역의 경우, 숙박시설 및 위락시설의 복합은 불가능함. 일정규모 이상의

노래방 및 위락시설은 주민복합시설에 포함될 수 없음. 체육시설은 규모가 500㎡

이어야 함)

그림 9. 주민복합지원시설 계획지침서

③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에 대한 홍보 및 전시

❚ 주민복합지원시설은 대표적 물리적 재생사례로서 지역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과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수단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에게 지나친

기대감을 갖게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음

❚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에 대해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 주민에게 알리고 그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

❚ 일부 지역주민의 의견이 아니라 전체주민의 의견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 건립계획 초기단계에서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의 투명성을 담보하고, 주민참여와

관심을 끌어내기 위한 홍보 전략이 필요함

❚ 도시재생지원센터 1주년 기념행사를 통해 전주시청에서 관련 정보와 자료를 전시하

고 홍보하였으며, 이에 대한 주민의견을 조사함

그림 3-10. 도시재생지원센터 1주년 기념행사 및 홍보패널(2012. 05. 11, 전주시청)

(2) 어울모임을 통한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주민요구 및 의견 수렴

① 개요

❚ 시간 : 2012년 06월 16일

❚ 장소 : 노송교회

② 의견수렴 과정

❚ 주민복합지원시설 구상도를 통한 설명 후 주민의견 청취

❚ 주민 공동으로 협의된 의견은 아니며, 어울모임 참가주민들이 개별발언내용임

❚ 쉬운 용어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보다 쉬운 말로 설명해주기를 원함

③ 주민의견

❚ 인구유입을 위해서 육아 및 보육시설의 우선순위가 높아야 함

❚ 평생교육시설(언어, 취미생활 등)이 기본시설로 포함되어야 함

❚ 어린이도서관과 체육시설이 지하층에 들어가면 채광이 좋지 않아 부적합함 : 건축

디자인을 통해 충분히 해결 가능함

❚ 천사마을의 발원은 (구)중노동사무소가 맞지만, 현재 전주시의 천사거리 조성사업

대상지는 현 동사무소 근처로 주거지구의 컨셉과 맞지 않음(일부주민 의견)

❚ 주거지구는 노인 인구가 많기 때문에 노인복지관 기능이 우선 도입되어야 함

❚ 지하, 지상공간의 구분과 구조가 명확해야 함

❚ 이/미용시설이 도입되어야 함(답변 : 지하 건강/스포츠시설에 포함될 것임)

❚ 지하층 수영장 도입과 옥상정원 도입이 필요함

(3) 주민학교-공동시설반을 통한 주민의견 수렴

① 주민학교-공동시설반 강의준비(1차)

❚ 시간 : 2012년 08월 01일(수) 13:00~15:00

❚ 장소 : 연세대학교 삼성관 402호

❚ 참석자 : 이연숙, 김나미(대미건축), 연구진 5명)

❚ 내용

▯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에 대한 추진경과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지역민의 반응 및 기대감

▯ 강의진행방법 : 주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의 사용, 주민들을 위한 교재 및 교

구의 사용, 주민복합지원시설의 전체적인 시설 구성, 기존에 개발된 퍼즐 및 블

록도구의 활용, 스케일감이 없는 주민들을 배려 방안(자동차 및 인물 모형을 사

용하기로 함), 지하공간에 대한 계획방안(투명아크릴을 사용하고 상부에 개별 동

을 배치하도록 하는 방안)

그림 3-11. 주민학교-공동시설반 강의기획회의 (1차)

② 주민학교-공동시설반 강의준비(2차)

❚ 시간 : 2012년 08월 08일(수) 18:00~21:00

❚ 장소 : 연세대학교 첨단과학기술연구관 606호

❚ 참석자 : 김나미(대미건축), 이동주, 이지연, 박예완

❚ 내용

▯ 퍼즐 및 블록도구의 개발과정 및 특징

▯ 퍼즐 및 블록도구의 활용 (스케일에 적합한 대지모형의 제작 및 필요성 : 기존

전주도시재생센터에서 제작한 모형을 설명도구로 활용하기로 함)

▯ 퍼즐(바닥판)의 수가 4개이므로 워크샵의 조를 4개조로 구성하기로 함

▯ 지하공간부는 1/300블록을 그대로 사용하고, 상부 동별 배치를 위해서는 자석이

부착된 블록을 스케일을 고려하여 여러개 조합하여 투명 테이프로 고정시킴

▯ 모든 블록과 퍼즐에는 개발된 픽토그램을 부착하여 주민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할 것

▯ 필요한 퍼즐 및 블록의 갯수와 색깔을 미리 확보하고, 강의가 진행되는 전주도

지재생지원센터에서 수업전에 제작해 놓을 것

▯ 주민복합지원시설 배치와 관련한 교재 및 설명자료를 제작할 것(김나미 담당),

특히 지하공간에 대한 건축적 해법사례를 보여줄 것

▯ 무거운 퍼즐 및 교재의 운송방법

▯ 수강 주민의 모집(박경난 박사를 통해 미리 확인할 것)

▯ 수강 주민은 연령대별로 모집하고, 조별 구성 또한 연령대별로 이루어지도록 할

▯ 강의시간에 조별 보조인력 배치, 사진촬영 및 녹취 인력배분

▯ 스케일 준비, 테이블 세팅, 다과, 대지모형 배치 등을 기획함

▯ 주민워크샵의 결과 정리방법, 설문방법, 교재의 점검 등

그림 3-12. 주민학교-공동시설반 강의기획회의 (2차)

그림 3-13. 주민용으로 개발된 주민학교 홍보 브로슈어(좌) 및 공동시설반 교재(우)

③ 주민학교-공동시설반 1강

❚ 시간 : 2012년 08월 10일(금) 16:00~22:00

❚ 장소 :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 참석자

▯ 연구진 : 이연숙, 김나미(대미건축), 이동주 외 연구원 7~8명

▯ 주민(12명) : 10대(3명), 50대(3명), 60대(3명), 70대(3명)

❚ 내용

▯ 주민학교 및 공동시설반 강의 소개

▯ 도시재생과 주민복합지원시설의 관계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정의, TB 지역현황, 기존 사회복지시설과의 차이점, 건립과

정, 추진일정, 건립비용, 포함 가능한 시설들, 주민들의 요구사항 등

❚ 결과 및 평가

▯ 일과시간 후라서 주민들의 지각이 발생함(시간조정이 필요함)

▯ 다과 및 퀴즈를 통한 복습으로 인해 주민들의 수업 몰입도가 높아졌음

▯ 주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의 사용 및 교재 개발의 중요성이 확인됨

▯ 주민과 연구진과의 레포 형성이 매우 중요함

④ 주민학교-공동시설반 2강

그림 3-14. 주민학교-공동시설반 1강

❚ 시간 : 2012년 08월17일(금) 17:00~22:00

❚ 장소 :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 참석자

▯ 연구진 : 김나미(대미건축), 이동주 외 연구원 7~8명

▯ 주민(12명) : 10대(2명), 50대(3명), 60대(3명), 70대(3명)

❚ 내용

▯ 공동시설반 1강에 대한 복습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포함될 다양한 공간중에서 지하층에 포함될 시설에 대한 주

민들의 요구 및 배치안 도출

▯ 지하층은 주민공동시설로서 근린생활시설, 도서관, 목욕탕, 체력단련장, 체육관,

주차장 등이 포함됨

❚ 결과 및 평가

▯ 강의시작시간을 주민들의 퇴근시간을 고려하여 1시간 늦춤

▯ 강의 진행속도와 말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주민들의 이해도가 높아졌음

▯ 연령대별 지하층의 시설배치안이 다양하게 나타났음

▯ 조별로 보조인력을 적절히 배치하여 주민들의 의사결정을 도와줌

▯ 대지의 주출입구 위치 또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대체로 출구를 분리하자는 의

견이 많았음

▯ 도서실은 남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10대)

▯ 도로레벨을 통한 자연스러운 대지진입 주차장을 계획함(50대)

그림 3-15. 주민학교-공동시설반 2강

⑤ 주민학교-공동시설반 3강

❚ 시간 : 2012년 08월 24일(금) 17:30~22:00

❚ 장소 :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 참석자

▯ 연구진 : 김나미(대미건축), 황지혜 외 연구원 7~8명

▯ 주민(12명) : 10대(2명), 50대(3명), 60대(3명), 70대(3명)

❚ 내용

▯ 공동시설반 2강에 대한 복습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포함될 다양한 공간중에서 순환형 임대주택에 대한 주민들

의 요구사항 및 배치 워크샵

▯ 순환형 임대주택의 목적, 국내외 사례 소개, 유형별 특징을 소개한 후 직접 순환

형 임대주택을 계획해보도록 함

▯ 강의를 위해 순환형 임대주택의 건물유형(Y형, 중복도형, 중정형)과 평면유형(단

독주택, 다세대주택, 다가구 주택)을 개발함

▯ 개발된 건물유형 및 평면유형을 통해 순환형 임대주택의 특징과 유형별 장단점

을 설명함

Y형 중복도형 중정형

표 3-2. 개발된 순환형 임대주택의 건물유형

단독 독립주택형

다세대 주택형

다가구 주택형

표 3-3 개발된 순환형 임대주택의 평면유형

❚ 결과 및 평가

▯ 주민들의 퇴근시간을 고려하여 수입시작시간을 30분 늦춤

▯ 순환형 임대주택에 대한 목적(순환형 개발, 재정착율 향상)에 대해 매우 긍정적

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 순환형 임대주택에 대한 강한 기대감과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음

▯ 연령대별로 주택 평면에 대한 차이는 크지 않음

⑥ 주민학교-공동시설반 4강

❚ 시간 : 2012년 08월31일(금) 17:30~22:00

❚ 장소 :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 참석자 : 김나미(대미건축), 이연숙, 김광미, 박예완 외 연구원 5~6명

그림 3-16 주민학교-공동시설반 4강

❚ 내용

▯ 공동시설반 3강에 대한 복습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노인복지관의 목적, 사례소개, 배치계획 워크샵 진행

▯ 교재 : 안전생활을 위한 집수리 가이드라인

▯ 교재를 통해 노인들의 낙상의 위험성, 주택부위별 위험요인, 주택부위별 낙상방

지 주택개조방안, 주택개조 지원사업과 제도 소개

그림 3-17. 교재 : 안전생활을 위한 집수리 가이드

▯ 나눔천사관에 대한 소개

▯ 순환형 임대주택에 대한 필요성(설문조사)

▯ 각 층별 배치계획 : 각 층별 어떤 기능들이 포함되는지를 배치하게 함

❚ 결과 및 평가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전체계획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주어진 시간내에 개별 동

의 평면계획을 모두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음

▯ 주민복합지원시설 전체공간계획을 위해 동별 시설의 특성을 소개하는 강의식 수

업 중심으로 진행됨

▯ 층별 공간계획 사전워크샵을 통해 주민복합지원시설 전체공간계획의 가능성을

탐색함

▯ 집수리 지원제도에 대한 질문과 요구가 많았음

▯ 각 층별 평면계획에서는 전문가의 의견이 없으면 주민 스스로 결정하기 힘들어

함. 각 층별 위치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음

⑦ 주민학교-공동시설반 5강

❚ 시간 : 2012년 09월07일(금) 17:30~22:00

❚ 장소 :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 참석자

▯ 연구진 : 김나미(대미건축), 이지연 외 연구원 7~8명

▯ 주민(12명) : 10대(2명), 50대(3명), 60대(3명), 70대(3명)

❚ 내용

▯ 공동시설반 4강에 대한 복습

▯ 퍼즐 및 블록도구를 사용하여 주민복합지원시설 전체에 대한 층별 배치계획 워

크샵

▯ 지하층은 평면계획을, 지상층은 동별 배치계획을 조별로 진행함 : 계획상에 있어

결정이 어렵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면 보조원에게 질문하여 팀 구성원간 논의하

여 결정해나가는 방식으로 진행함

❚ 결과 및 평가

▯ 3개조의 배치계획안은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출입구 남쪽에 위치

▫ 지형상, 사람과 차의 동선분리를 위해 출입구의 개수는 2개

▫ 실내체육관을 남동쪽에 배치

▫ 실내체육관과 건강레포츠시설은 인접하여 배치

▫ 소강당과 도서관은 떨어져서 배치

▫ 공동식당은 지하 1층에 배치

지하2층 지하1층 지상층

⑧ 주민학교-공동시설반 6강

❚ 시간 : 2012년 09월14일(금) 17:30~22:00

❚ 장소 :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 참석자

▯ 연구진 : 김나미(대미건축), 이연숙, 이동주, 이지연 외 연구원 7~8명

▯ 주민 : 6명

❚ 내용

▯ 2강에서 다루었던 마을공동공간에 대한 각 팀별 결과물 소개

▯ 각팀별 결과물에 대한 최종 합의안 만들기 : 팀별 결과물을 비교설명하면서 주

민들의 의견과 결정에 따라 최종 합의안 1개를 도출함(전주시에 전달)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관한 최종 종합토론 : 지금까지의 과정에 대해 최종 마무리

설명, 주민의견 들어보기

▯ 말레이시아 최근 커뮤니티센터 사례소개

▯ 김복남씨의 주민복합지원시설 구상안 발표(주민학교 수업동안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통해 자신의 계획안에 대한 강력한 주장을 해왔음)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주민참여 자율운영 방안 논의

▯ 지금까지 6강에 걸친 내용을 최종정리하기 위한 설문지를 배포하고 의견을 물음

▯ 수료 및 시상식 : 다수의 주민에게 상장과 사은품을 전달함

그림 3-18. 김복남 주민의 주민복합지원시설 구상안 및 발표

그림 3-19. 주민학교-공동시설반 6강 및 수료식

❚ 결과 및 평가

▯ 마지막 수업이라 주민들과 스텝들간에 친밀함이 형성되어서 수업을 진행하기에

수월하였음

▯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주민들이 의견을 절충하여 합의를 도모하는 과정을 겪음

으로서 주민복합지원시설이 주민참여에 의해서 조성되고 운영 될 수 있는 역량

표 5. 각팀별 결과물의 공통점 및 차이점 설명자료

을 강화함

▯ 최종합의안

▫ 철저히 사람과 차의 동선은 분리하고, 순환형 임대주택과 도서관의 남측배치

등으로 주민들이 보다 중시하는 계획적인 요건이 파악되었음

▫ 출입구는 사람이 가장 많이 다니는 남쪽과 주차장 쪽에 위치(차와 사람의 동

선 분리)

▫ 여가활동유형이 비슷한 공간끼리 인접시켜 배치 (헬스장, 샤워장을 실내체육

관 양쪽에  배치)

▫ 도서관을 남측전면에 배치함

▫ 식당은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평수를 넓힘

지하2층 지하1층 지상표 3-6. 주민복합지원시설 최종합의안 및 블록을 통한 최종합의안의 재연

⑧ 주민학교 운영기법 정리

❚ 리크르팅(Recruiting)

▯ 할머니들은 어두워지면 못 오므로 7시 이전에 수업시간 조정 필요

▯ 7시 이후에 수업하게 되면 남자 할아버지만 올 확률이 높음

▯ 직장인을 고려하여 30분 연기하여 7시 반부터 수업시간 조정필요

▯ 직장 이후 수업은 피곤하다고 인식함으로 출석률이 저조함(50%)

▯ 주민들은 시간관념이 적음

▯ 수강생을 설득해서 오게 하더라도 오겠다는 사람과 실제 온 사람의 수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함

▯ 참석하더라도 장시간 수업에 참석시키는 것은 무리임

▯ 수업당일과 그 전날 미리 알려야 하는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소요됨

▯ 마지막 수업임을 주민들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전화통화나 홍보활동을 할 때 어

필하여 마지막까지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해 노력함

❚ 다과준비

▯ 7시라는 시간은 저녁 식사 이후이기 때문에 음식에 대한 매력도가 낮음

▯ 주민들은 수업 후 남은 음식을 싸서 집에 가져가는 것을 좋아함

▯ 다양한 주민의견의 소통이 중요하므로 편안한 분위기를 위해 과일과 떡 등을 준

비할 필요가 있음

▯ 주민들의 기호에 맞는 다과 준비

▯ 여분의 다과를 준비하여 늦게 귀가하는 주민을 배려하는 것도 필요함

❚ 발표자료 및 유인물

▯ 설문의 양이 다소 많아서 모든 주민들이 다 설문을 하지는 못함 : 글씨를 크게

하고 양을 줄여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함

▯ 교육수준이나 시각의 노화로 인해 글자를 크게 하고 표현을 간략하게 함

▯ 글보다는 그래픽이나 그림, 사진 등의 시각적 자료중심으로 제작해야 함

▯ 발표자료 및 유인물은 주민들에게 매력적이고 정감있게 제작함

▯ 교재의 크기는 접거나 하는 형식이 아니라 간단하게 손에 들 수 있는 형태가 무

난함

❚ 레포(소통할 분위기) 형성

▯ 소규모 그룹 및 연령대별로 자리 배치하는 것은 레포형성에 있어 긍정적임

▯ 미리 온 사람의 지루함을 덜기 위해 미리 예행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

▯ 주민들의 시선과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각 테이블당 1명의 보조인력을 배치함

▯ 테이블은 주민 그룹간 자연스러운 교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토론식 배치를 권장

▯ 주민상호간의 관계가 복잡하고 서먹서먹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배려 필요함

▯ 주민간 친한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주민도 있기에 이들에 대한 특별한 배

려가 필요

▯ 시간이 지나면 소통분위기는 자연스럽게 형성됨

▯ 다만, 그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노력(테이블 배치, 사소한 배려, 편안한 분위

기 조성, 친밀한 말씨와 인상 등)은 주민들의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침

▯ 친숙하지 못하거나 따돌림받는다는 느낌을 가지지 않도록 배려할 것

❚ 수업

▯ 주민은 지자체 주도의 공공건물 시공에 대한 불신이 있었음

▯ 수업이후에는 주민복합지원센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높아짐

▯ 지역현안에 대한 개인적인 불만을 토로하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조절할 전문가의 노력과 역량도 매우 중요함

▯ 말투는 문어체보다는 구어체로 하고, 이해하기 수월하게, 관심을 유도하는 화술

과 화법이 필요함

▯ 말의 속도는 너무 느려서 지루하지 않도록 하며, 강조할 부분과 그렇지 않는 부

분에 대한 강약 조절이 필요함

▯ 참석시간대가 주민별로 큰 차이(1시간)가 있으므로 2개 그룹으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여 집중할 수 있는 수업분위기 형성이 필요함

▯ 주민 중에서 특정사람이 질문하면 나머지 사람은 금방 수업에 흥미를 잃고 떠나

버릴 수가 있음

▯ 수업 중 틈틈이 수업내용을 상기시키는(remind)하는 전략이 필요함

▯ 주민발표 등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충분히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할 것

▯ 수업이후에는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높아짐

❚ 주민의 자세 및 태도

▯ 주민은 수업참여에는 부정적이면서 제공된 것만을 사용하려함

▯ 기본적으로 주민은 지자체나 연구진이 해주는 대로 사용하겠다는 수동적인 자세

를 지니고 있음

▯ 주민참여의 의미를 잘 모름(피해의식, 무기력감, 박탈감, 소외감, 분노감 등)

▯ 처음에는 소극적인 주민들도 마지막 강의에서는 손을 들고 의견을 낼 정도로 적

극적으로 변하였음

▯ 주민 자발적으로 본인이 도면을 그려와 본인의 의견을 발표하는 시간은 매우 좋

았음. 다른 주민들에게도 좋은 영향을 끼침

❚ 퀴즈

▯ 수업내용의 이해를 돕는 전략으로서 퀴즈는 매우 효과적임

▯ 퀴즈에 소정의 상품은 주민의 참여에 도움이 되고 분위기를 화기애애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

▯ 후속강의에서 중요한 내용을 상기시킬 수 있도록 퀴즈를 통해 복습하는 것은 매

우 중요함

❚ 다음 준비(Follow Up)

▯ 수업 후 개별적으로 다음 수업에 대한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서 참석을 독려할

필요가 있음

▯ 남은 음식을 필요로 하는 주민에게 포장하여 전달함으로써 가족적인 친밀감을

형성함

▯ 수업 후, 마중 및 인사를 통해 한 명의 주민 참석도 매우 중요함을 주지시킬 것

▯ 수업 후 곧바로 연구진은 당일수업을 자체평가하고, 개선방안 및 대책을 논의할

필요가 있음

▯ 마지막 수업까지 주민들 관리를 철저히 할 것

▯ 주민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매 강의 시간마다 디테일한 시나리오를 짜서

스텝들간에 미리 사전연습을 할 것

▯ 마지막까지 참여한 주민들에게 추 후 계획에 대해 확실히 어필하여 수업에서 진

행된 내용이 계획에 반영됨을 인지시킬 것

▯ 수업이 끝난 후에도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하는 일들에 꾸준한 관심을 가지도록

하여 주민들의 참여가 꾸준히 이어지도록 할 것

⑨ 주민학교-공동시설반 사업성과․정산 보고서 및 주민소식지 투고

❚ 주민학교 공동시설반 개요

▯ 주민학교를 통해 주민복합지원시설 계획 워크샵을 6주간에 걸쳐 진행함

▯ 노송동에 건립될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

▯ 주민의견 및 요구사항은 공모전 지침서에 반영

▯ 주민인터뷰 및 홍보를 통해 지역 거점공간 조성의 필요성과 중요성 확산

▯ 주민과의 의사소통 및 계획참여를 위해 퍼즐 및 블록을 활용하였으며, 홍보용

책자와 교재를 별도로 제작함

❚ 주요성과 및 활용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과 이해의 폭이 넓어짐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각 층별 주민합의안을 도출함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동별 배치를 통해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함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관한 이해도, 관심도 상승, 추후 운영·관리에 대한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확인함

▯ 도출된 주민합의안은 어울모임을 통해 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주민들에게 알리

고, 이에 대한 주민전체의 의견을 타진하는 데에 활용함

▯ 공모전의 기본계획이 완료되면, 해당 대안에 주민의견이 잘 반영되었는지, 그리

고 지속적인 수정 수정․보완의 근거자료로 활용함

❚ 자체평가 결과

▯ 잘된 점

▫ 주민소통용 교재와 교구를 통해 건축계획과정에 있어 주민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의견 개진 및 참여가 이루어짐

▫ 주민간의 합의를 통해 각 층별 대안이 도출됨으로서 주민상호간의 이합의

및 협력 가능성을 확인함

▫ 심층적인 워크샵을 통해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선결

과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문제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확보함

▫ 주민모집, 레포형성, 테이블 세팅, 강의, 워크샵, 발표, 마무리 등의 강의를

사전에 치밀하게 사전에 기획함으로써 전반적인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었

▫ 주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재와 언어 및 용어사용, 복습을 통한 강의내용의

연속성 확보, 주민과의 친화력(다과, 퀴즈선물, 수료증 수여 등)을 높이고자

다양한 노력을 하였음

▯ 미흡한 점

▫ 젊은 세대(20~30대)의 참여 미흡 및 주민모집(recruiting)의 어려움

▫ 참석시간대가 주민별로 큰 차이가 있으므로 수업시간 조절 필요함 : 참석시

간대가 주민별로 큰 차이(1시간)가 발생하기 때문에 2개 이상의 소규모 그룹

식 수업진행을 통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 형성이 필요함

❚ 문제점 및 애로사항

▯ 강의 초기에는 주제를 벗어난 이의제기나 개인적인 불만토로의 분위기가 형성되

었으나, 이를 조절할 역량있는 전문가의 노력으로 인해 주민들의 교육에 대한

호응도를 높일 수 있었음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부족으로 주민모집(recruiting)에 많은 시

간과 에너지가 소비됨

▯ 전주 전지역이 아닌 TB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주민합의안이 일부지역

주민의 의견일 수 있음

▯ 건립예정시기의 지연으로 인한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 자체에 대한 주민불신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설득시키는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됨

❚ 종합의견

▯ 관주도의 시설물 건립에서 벗어나 주민과 연구진이 소통하여 합의된 계획안을

도출함으로써, 시설건립에 따른 민원의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고 시설건립과정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함

▯ 주민합의 및 요구사항은 공모전 지침서에 반영되었으며, 추후 기본계획안의 평

가 및 수정보완을 위한 근거 자료를 확보함

▯ 낙후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워크샵을 진행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동일사업 수행시 발생될 수 있는 시행

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주민참여 워크샵 기획 및 운영매뉴얼을 정리할 예정임

▯ 주민들은 전문가와 달리 자신들의 관심사에 국한하여 의사를 표현하는 바, 연구

진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다양한 교재 및 도구의 활용이 필요함

▯ 심층 워크샵을 통해 주민복합지원시설 완공후 주민들의 자율운영에 대한 참여의

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설의 유지 및 운영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기획할 필

요가 있음

그림 3-23. 주민학교 주민공동시설반 사업성과 및 정산보고서(좌) 및 주민소식지 기사

(4) 주민복합지원시설 건축설계 공모전 지원

① 공모전 기획 : 전주시 의견

❚ 시간 : 2012년 06월 07일(목) PM 16:00~18:00

❚ 장소 : 전주도시재생센터

❚ 참석자 : 이연숙, 이동주, 곽희종, 오정섭, 전주시청 관계자

❚ 내용

▯ 김중성 주무관

▫ 건축비만 140억으로 산정됨(2010년 조달청 건축비 기준 : 평당 700만원) :

연면적 축소가 불가피함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핵심시설은 마을기업이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운영수

익이 창출되어야 함

▫ 국내사회복지시설 운영비 평균은 10000원/㎡, 복합시설의 경우 평당 20000

원/㎡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함

▫ 주민복합지원시설 운영비에서 인건비를 제외하더라도 5000~6000만원/년이

예상됨

▫ 결국 1억원 이상의 운영수익을 발생하여야 함

▫ 마을기업 혹은 임대순환주택으로 이를 충당할 수 있는지 운영 및 수익모델

을 제시해야 함

▫ 임대주택은 숙박시설로서 조례상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들어갈 수 없음

▫ 예산확보에 따른 증축과 이를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함

▫ 설계비는 5억 정도로 추정됨

▫ 지하층 굴착에 따른 과다건설비가 예상됨(2개 지하층 굴착비 : 70억 예상)

▫ 순환형 임대주택은 예상대로 운영되어 수익을 낼 수 있는지 우려됨

▫ 국외 공모전 추진은 현실상 어려움 : 시간 제약 →심사위원으로 세계적 인물

을 초대함(공모제안서 등의 영문작성 및 번역의 문제가 발생함)

▯ 이연숙 교수

▫ 시설복합의 법적 문제점 해결방안이 필요함 :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사업단에서 궁금해함

▫ 지역 건축사는 공모전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함

▫ 상기한 내용에 대해 건축전문가에게 자문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음

▫ 주민들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제시해서 공모전에 반영

하여야 함

▫ 운영기획 및 수익모델 등을 제시해야 함

그림 3-24. 주민복합지원시설 공모전 기획회의

② 공모전 기획 : 건축 전문가 자문회의

❚ 시간 : 2012년 6월 11일 AM 07 : 00~ 10 : 00

❚ 장소 : 연세대학교 상남경영원

❚ 참석자 : 이연숙, 이동주, K건축 이초성 부장

❚ 내용

▫ 지하층 설계 공사비 : 지질조사후 공사비 산정 (지하에 암이 나오면 공사비

가 상승할 수 있음)

▫ 지하 2층 공사시 공사비 70억은 토목,건축공사 합한 금액이며 지질조사를

하여 토목공사비를 산정가능(토질종류, 흙막이 공법 등에 따라 공사비 상승

요인이 있음)

▫ 설계비용 : 약 250,000원/평

▫ 주민복합지원시설 건설비용 : 약 520,000원/평

▫ 조달청 단가기준이 비싼 것이 아니고 공공건축시 친환경, 에너지절감, 신재

생에너지 등 설치기준이 강화되고 조달청 자재기준이 올라감으로 공사비 상

승이 예상됨

▫ 층수제한 : 4층(전주시 도시계획조례 27조 2항),

▫ 건폐율 : 60%, 용적률 : 180% 이하

▫ 숙박시설 포함 가능여부 :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 숙박시설 설치 불허(전주시

도시계획조례에 의해 건축할수 있는 시설이 정해짐) → 용도를 연수원으로

지정하여 수익시설로 운영가능

▫ 순환형 임대주택 임대수익예측 : 임대수익 전문 컨설팅 업체가 있음

▫ 공모전에 국외 건축가 포함방안 : 건물 규모가 작아서 외국 건축사 참여는

현실성이 없음(설계비 상승요인)

▫ 자문 코디네이터로 국외 건축가를 섭외하는 방안을 권장함 : 부산시청-부산

국제건축문화제 시행중 : http://www.biacf.org/index.php

▫ 주민복합지원시설내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시설의 내용과 이를 토대로 공모

지침서 제시가 필요함

▫ 커뮤니티 키친 : 공동식당으로 바닥면적이 1000㎡이하이므로 근린생활시설

▫ Q2. 숙박시설의 포함을 위해 조례개정이나 시범사업화 구역지정, 특별구역

지정 가능성 : 조례지정 및 인허가 기간은 최소 6개월 이상 소요되며, 자체

로 만만치 않는 작업임. 추후 도시재생법이 법제화되면 이를 백서형태로 제

시할 수는 있을 것으로 판단됨

③ 스페이스 프로그램 구상

❚ 시설 및 기능에 대한 주민의견 및 요구

❚ 선행연구 및 기초조사 자료를 토대로 주민복합지원시설의 공간을 구상함

그림 3-25 주민복합지원시설 공간구상도 [숫자 : 각층 바닥면적 (단위:평)]

❚ 주민복합지원시설은 크게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근린생활시설 중심의 커뮤니

티 공간(지하층 : 대지특성상 충분한 채광을 확보할 수 있음), 기타의 공간은 지상

층에 조성되도록 함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포함되는 시설면적은 대지의 면적 및 예산을 고려하지 않은 상

태에서 필요한 최대한의 시설을 모두 포함시킨 것임 : 발주시에 시설포함 여부가

조정됨(노인 및 어린이 관련 시설이 삭제됨)

❚ 추후 공사비 및 예산을 고려하여 시설의 우선착공순위를 고려함 : 도시재생과 가장

밀접하게 관계하며 중요한 시설인 기부천사관과 연수원(순환형 임대주택)을 우선적

으로 착공하기로 함 : 단계적 공사에 대한 내용은 발주시에 삭제됨

❚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에서는 상기한 모든 시설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지되, 예산확

보에 따른 착공을 하기로 함 : 단계적 공사에 대한 내용은 발주시에 삭제됨

④ 공사비 예상견적 : 건축업체에 의뢰

❚ 해당대지는 지점별 도로레벨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공사비 산정에 있어

매우 유동적일 수 있음

❚ 지하층 여부에 따른 굴착비는 공사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상 견적을 통해

사업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 상기한 구상도를 통해 건축전문업체에 예상 견적을 의뢰함

❚ 견적결과 연면적 4112㎡에 대한 총건립비용은 약 98억으로 산정됨(기구 및 비품비

는 제외됨)

표 3-7.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비용 예상견적서

⑤ 주민복합지원시설 명칭공모

❚ 1차 응모

▯ 기간 : 2012년 04월 13일~22일(10일간)

▯ 접수건수 : 112건

▯ 명칭심사 : 20건 선정(전주시 도시재생과)

❚ 실무위원회 회의

▯ 시간 : 2012년 5월 31일

▯ 장소 : 전주시청 도시재생과

▯ 참석자 : 김태수 도시재생과장 외 5명

▯ 2차 선정 명칭 : 전주도시재생마루, 전주도시가꿈마루, 노송행복마루센터, 전주

도시가꿈센터, 도시재생누리센터) 당선안 미정

❚ 2차 응모

▯ 시간 : 2012년 6월 29일

▯ 장소 :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 참석자 : 정철모 부센터장님 외 10여명

▯ 제안명칭 : 천사랑, 꽂마루, 행복마루, 천년전주어울터, 어울마루, 천년어울마루,

노송행복마루, 노송천사마루, 천사우울마루, 천년전주행복마루

❚ 종합

▯ 천사마루로 잠정결정함. 다만 보다 좋은 명칭이 있을 경우 변경의 여지는 남겨

놓음

⑥ 주민복합지원시설 공모전 지침서 작성

❚ 공모전의 일정, 취지, 공간계획 가이드라인, 각종 서류 및 서식, 대지정보 등에 대

해 기술함

❚ 공간구상도 및 예상견적을 통해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제시함

❚ 도시재생의 취지 및 전주의 상황을 고려하여 제시함

그림 3-26. 전주시 주민복합지원시설 건축설계 공모전 지침서

⑦ 주민복합지원시설 공모 지침서 발주(전주시)

❚ 전주시는 제시된 공모지침서를 검토하여 공모전을 발주함

❚ 검토 및 발주까지 행정 및 심사의 절차가 복잡하여 많은 시간을 지체함 : 특히, 운

영방안 및 운영비 확보 방안에 대해 고심함)

❚ 발주된 공모지침서의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음

▯ 지하층 : 주차장, 관리실

▯ 지상층 : 청년벤처 창업실, 마을기업, 주민공방, 체력단련실, 도서실, 실습실, 지

역 역량 교육실, 강당 및 회의실, 생활체육실, 해피하우스 사무실, 도시재생지원

사무국, 순환형 임대주택으로 발주됨

❚ 구체적인 스페이스 프로그램 대신에 면적에 대한 비율로 제시됨

❚ 추후 시설의 필요에 따라 공간기능을 배분할 수 있도록 여지를 남겨놓은 것이 특징

❚ 물품대여센터와 어린이 및 노인 관련시설이 제외됨(이는 단계적 공사에서 제외된

시설이므로 큰 차이가 없음)

❚ 마을기업동이 추가된 것은 초기 제시와 차이가 있음 (전주지역의 경제활성 및 대실

을 통한 수익창출을 염두에 둠. 전주시의 경우 운영비에 대해 매우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음)

그림 3-27. 주민복합지원시설 건축설계경기 공모전 발주(전주시)

⑧ 현장설명회 참가 및 주민소식지 기고

❚ 현장설명회

▯ 시간 : 2012년 11월 16일(금) 10:00~12:00

▯ 장소 :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부지

▯ 참석자 : 전주시청 도시재생과 관계자, 오정섭, 이동주, 공모업체관계자

▯ 내용

▫ 공모참가 업체 파악 및 확인

▫ 공모전의 취지 및 설명

▫ 공모전 일정 및 주의사항

▫ 지반표고에 대한 자료, 지반조사의 필요성 제기됨

❚ 주민소식지 기고

▯ 소식지 : 2013년 2월 소식지

▯ 주민복합지원시설 공모전 현장설명회에 대한 주민소식지 1면기사 작성

그림 3-28. 주민복합지원시설 건축설계 공모전 현장설명회 및 주민소식지

⑨ 공모전 당선작 검토

❚ 공모전 당선작 발표

▯ 심사개요

▫ 일시 : 2013. 1. 16(수) 15:00~ 17:30

▫ 장소 : 한지산업지원센터 회의실(지하1층)

▫ 출품작 : 7개 작품

▯ 작품심사 결과

▫ 당선작 : (주) 길 건축사무소 출품작

▫ 우수작 : CL건축사무소 출품작

▫ 가 작 : (주)내외종합건축사무소, (유)건축사무소 이상건축 출품작

▯ 작품 심사위원 구성 현황

구분 성명 전문분야 소속 비고계 7 명1 구 성 은 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2 이 재 문 건축공무원 완주군청3 한 의 석 도시재생 LH도시재생사업단4 김 영 석 건축설계 충남대교수5 김 경 원 건축설계 조선대교수6 고 성 석 건축시공 전남대교수7 유 재 갑 공공디자인 아트폴리스담당관

❚ 당선작 검토

▯ 접근성의 확보, 천사의 컨셉, 과하지 않고 소박한 자연친화적 건물형태, 친환경

녹색기술의 적용, 별동식의 순환형 임대주택, 외부공간의 연속성 등은 강점으로

판단됨

▯ 노인복지관 및 어린이 보육시설은 공사비와 예산을 고려하여 추후 예산확보시

증축하기로 함 : 당선작은 수평증축의 여지가 거의 없고(건폐율), 수직증축의 여

지(용적율은 기준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임)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 하지만 건

축물의 매스 및 기능상 수직증축에 탄력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실시설계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3층과 4층에서 기능상 실의 배치가 부적절한 부분이 있음

▯ 용품대여센터(어울터의 장난감 보관) 및 충분한 수납공간(창고) 확보가 필요함

▯ 중정 및 광정의 부재로 인해 지하층에 채광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 특이한 점은 건물의 매스형태와 출입구 등이 주민학교 강의시간에 김복남 주민

이 제시한 구상안과 매우 유사함

▯ 당선안의 주민요구 반영여부 분석

구분 주민요구 반영정도 비고

어울모임

▯ 인구유입을 위해서 육아 및 보육시설의 우선순위가 높아야 함 ­ ▯ 증축사항으로 발주서에서 보육 및 노인시

설은 제외됨▯ 평생교육시설(언어, 취미생활 등)이 기본시

설로 포함되어야 함 ○ -

▯ 어린이도서관과 체육시설이 지하층에 들어가면 채광이 좋지 않아 부적합한 △

▯ 도서관(어린이시설)은 발주서에서 제외됨▯ 지하층이지만 도로레벨을 활용해 북측 외

기에 면하게 하여 채광문제 해소▯ 주거지구는 노인 인구가 많기 때문에 노인

복지관 기능이 우선 도입되어야 함 ­ ▯ 증축사항으로 발주서에서 보육 및 노인시설은 제외됨

▯ 지하, 지상공간의 구분과 구조가 명확해야 함 △

▯ 도로레벨에 따른 진입으로 구분이 뚜렷하진 않지만 남동측 주출입구를 통해 지상층이 명확히 구분됨

▯ 이/미용시설이 도입되어야 함(답변 : 지하 건강/스포츠시설에 포함될 것임) △ ▯ 스포츠시설은 있지만 이/미용실 기능은

표현되지 않고 있음▯ 지하층 수영장 도입과 옥상정원 도입이 필

요함 ○ ▯ 수영장은 발주서에서 제외됨▯ 옥상정원은 도입됨

주민학교

▯ 철저히 사람과 차의 동선은 분리함 △ ▯ 보차분리는 이루어져 있으나 출입구가 산재되어 있음

▯ 순환형 임대주택과 도서관의 남측배치 ○ ▯ 순환형 임대주택은 남측배치됨▯ 도서관(어린이시설)은 발주서에서 제외됨

▯ 출입구는 사람이 가장 많이 다니는 남쪽과 주차장 쪽에 위치(차와 사람의 동선 분리) ○ -

▯ 여가활동유형이 비슷한 공간끼리 인접시켜 배치 (헬스장, 샤워장을 실내체육관 양쪽에  배치)

○ ▯ 샤워장을 체력단련장과 인접배치▯ 체육관은 발주서에서 제외됨

▯ 도서관을 남측전면에 배치함 ­ ▯ 도서관(어린이시설)은 발주서에서 제외됨▯ 식당은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평

수를 넓힘 ○ ▯ 카페 및 카페테리아를 2층과 3층에 각각 배치함

cf) 반영정도 : ○=반영, △=부분반영, ×=미반영

표 4-8. 당선안의 주민요구 반영정도

표 3-9. 주민복합지원시설 공모당선작 : 투시도 및 설계설명서

(5) 주민복합지원시설 주민설명회

❚ 시간 : 2012년 11월 17일(토) 10:00~13:00

❚ 장소 : 노송교회

❚ 참석자 : 박경난, 이동주, 곽희종, 허정주 외 주민 50~60명

❚ 내용

▯ 주민복합지원시설에 대한 설명 (주민학교 강의 교재를 중심으로 설명함)

▯ 공모전 진행과정 : 현장설명회 및 참가업체

▯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일정 소개

▯ 주민들은 높은 기대감에 비해 추진 및 진척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실망감이 커

지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공모전 발주소식에 대해 기뻐함

▯ 주민들의 높은 기대감이 실망으로 바뀌지 않도록 추후일정이 차질없이 수행될

필요가 있음

▯ 주민복합지원시설 운영에 관한 설문조사를 병행함

그림 37.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에 관한 주민설명회

(6) 전문가 특강 : 주민복합지원시설 기본계획 비교

❚ 목적

▯ 노송동 주민복합지원시설 당선작이 결정됨에 따라 기존 주민복합지원시설과의

비교를 통해 간과된 점이나 누락된 점을 파악하고자 함

▯ 행정복합중심도시에 조성된 지역복합복지시설의 기본계획을 검토함

❚ 강의개요

▯ 시 간 : 2013년 02월 13일. 10:00~12:00

▯ 장 소 : 연세대학교 삼성관 402호

▯ 강 사 : 권순정 교수,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 주 제 : 행정중심복합도시 지역복합복지시설 건립기본계획

▯ 참 석 자 : 이연숙, 이동주 외 15명

표 3-10. 전문가 특강 : 행정중심복합도시 지역복합복지시설 건립기본계획

❚ 강의내용

▯ 사업개요 및 추진경위

▯ 행복도시 지역특성

▯ 행복도시 주요 시설공급 및 배치계획

▯ 행복도시 복합복지시설 조성과정에서의 자문의견 : 중산층을 고려한 복지시설

계획이 필요함, 복합화에 따른 시설별 문제점 보완, 주민복합센터와의 기능중복

에 대한 검토, 효율적 운영관리 방안, 전문복지시설과 지원시설(문화센터)와의

연계방안

▯ 복합화에 따른 문제점 및 대처방안

▫ 시설간 법령 및 건립요구조건의 차이 : 다양한 레벨을 이용한 접근 : 교류

및 소통을 유도, 다양한 계층의 이용을 담보하면서 영역성을 부여한 좋은 해

결책으로 보임 : 실제 노송동 주민복합지원시설 또한 레벨차를 통해 출입구

를 달리하고 있음

▫ 서로 다른 이용자간의 충돌 : 시설만족도 및 의견수렴 후 반영, 충돌이 일어

날지 교류가 일어날지는 고민해야 함, 노송동의 경우 주민역량강화와 공동체

의식함양을 통해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음

▫ 공간관리의 책임소재 불투명 : 운영주체별 명확한 공간분리

▯ 계층별 소요시설 도출 및 프로그램 구성 후 시설 계획함

▯ 건축계획방향

▫ 선도적인 복합복지시설

▫ 기능적 합목적성

▫ 여성에 대한 배려

▫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현 : 모든 사람을 위한 평생 디자인

▫ 성장과 변화를 고려한 융통성의 확보

▫ 경제적인 건물의 실현 : 생애비용의 최적화

▫ 친환경적인 계획 : 지속가능한 계획

▯ 생활권별 복지시설 배치계획 : 지역복지복합시설 + 가족복합복지시설 +정보복합

복지시설+청소년복합복지시설+노인복합복지시설+장애복합복지시설로 구성됨

▯ 복합화의 장단점

▫ 장점 : 대지확보가 용이함, 고령자나 장애자가 고립되지 않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음, 시설의 중복투자를 막을 수 있음, 대도시 지역에서 기존시

설의 이용가능성이 있음, 설계 및 시공시 규모가 커짐으로 인해 턴키

(Turn-Key)방식으로 진행 가능함

▫ 단점 :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움, 일부 사용자가 전체 시

설물을 점유하여 다른 사용자의 이용이 저조해질 수 있음, 운영주체가 다를

경우, 운영비용에 대한 부담을 배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음

▯ 복지서비스 기본계획

▫ 분야별(노인, 청소년, 장애인 등) 서비스 선정방법 및 고려사항

▫ 분야별 서비스 선정 및 규모계획

▯ 건축계획 : 3I+3P, 양성평등계획, 법규분석(지구단위계획) 등

▯ 종합복합복지테마파크 + 아동, 여성, 가족기능 중심형 + 복지정보센터 기능강화

형 + 장애교육 강화형 + 의료 재활기능 강화형 + 청소년 기능강화형으로 구성

❚ 시사점 및 교훈

▯ 복합시설은 사업초기 인프라 조성차원에서 우선적으로 도입되고, 이후 점차적으

로 전문시설들이 포함되는 것이 사업전개상 바람직함

▯ 행복도시의 주민복합지원시설은 기존의 시설복합으로 조성되었지만 여전히 기존

복지관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 또한 하부로부터의 조성이 아니라 관주

도의 물리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기에 주민자율운영이나 역량강화의 부분이 강

화된 전주 TB의 주민복합지원시설보다는 선도적으로 보이지 않음

▯ 어린이 및 노인시설이 발주서에서 제외됨으로써 복합의 시너지 효과가 퇴색되는

지에 대한 검토와 대비가 필요함 : 장래증축 내지 프로그램적 보완이 필요함

▯ 지역의 상황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가능하고, 여건변화에 따른 공간의 융통

성있는 활용을 위해 실시설계시 공간의 가변성과 융통성있는 운영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계획이 필요함. 실제로 주민의 요구와 프로그램은 변화의 여지가 매우

높음

(7) 전문가 특강 : 주민복합지원시설 실시설계 지원

① 목적 및 강의개요

❚ 목적

▯ 주민복합지원시설 당선안에 대한 실시설계가 수행되기 전에 주민의견을 수렴하

여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음

▯ 주민복합지원시설은 특정 계층을 위한 시설이 아니라 다양한 지역민의 요구를

수용하여 설계되어야 하므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이 필요함

▯ 주민의견을 조사하고 수렴하기 위해 연구진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특강을 실시함

❚ 강의개요

▯ 시 간 : 2013년 1월 23일. 10:00 AM -12:00 PM

▯ 장 소 : 연세대학교 삼성관 402호

▯ 강 사 : 최 령 박사, (사)생활환경디자인연구소 소장

▯ 주 제 : 공공복지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지침

▯ 참 석 자 : 이연숙, 이동주 외 15명

표 3-11. 전문가 특강 : 공공복지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지침

❚ 강의내용

▯ 고령화시대와 패러다임의 변화, 한국의 공공시설의 계획실태

▯ 유니버설 디자인의 의미, 원리와 원칙

▯ 공공복지시설 계획의 문제점 진단, 해결방안

▯ 실내공간 부위별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 유니버설 디자인의 일본 사례

▯ 유니버설 디자인의 국내 사례

▯ 유니버설 디자인의 한계 및 확대방안

❚ 시사점 및 교훈

▯ 주민복합지원시설은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이 사용하는 만큼 모두를 위한 디자인

으로서 유니버설 디자인이 필요함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실시설계에 앞서 주민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실시설계

가 이루어져야 함

▯ 실시설계안에 실내공간의 부위별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반

영토록 할 필요가 있음

3.5.4 사업실행성과(1) 사업성과

❚ 기초조사, 주민학교, 워크샵 등을 통해 주민들의 요구와 의사가 반영된 공모지침서

를 제시함

❚ 주민, 연구진, 지자체가 협력한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을 시도함

❚ 주민참여와 계획을 통해 주민들의 요구를 수렴하고 이를 반영한 시설계획이 이루어

지도록 함

❚ 주민참여는 자체로 시설에 대한 주민의 애착심과 지역사회에 대한 참여의식을 고취

하며, 시설운영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됨

❚ 시설건립을 통해 지역사회의 발전과정을 실제로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됨

❚ 도시재생의 거점공간으로서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이라는 선도적 사례가 될 수 있

❚ 주민참여 계획지원도구(퍼즐 및 블록)의 사용성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주민소통을

위한 다양한 교재와 교구가 개발됨

(2) 사업성과물

① 시제품

❚ 주민복합지원시설 계획지침서

❚ 주민복합지원시설 공모지침서

❚ 건축물 실내외 공간의 픽토그램

❚ 주민학교 홍보용 브로슈어

❚ 주민공동시설반 수업교재

❚ 안전생활을 위한 주택개조 가이드

❚ 주민소식지 투고 2회

❚ 주민복합지원시설 관련 국내외 선진사례

② 연구 및 학술실적

❚ 주민학교 공동시설반 사업성과 및 정산보고서

❚ 이지연(2013) 사용자 기반 주민복합지원시설 공간계획 연구, 연세대 석론

❚ 임예지(2013). 지역밀착형 보육지원시설을 위한 주민참여 계획연구, 연세대 석론

❚ 정은주(2013). 사용자 참여디자인을 지원하는 도구특성과 활용, 연세대 석론

❚ 이유빈, 이연숙, 박경난(2011). 쇠퇴지역 유휴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

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김광미, 이연숙(2011). 아파트 주동내 커뮤니티 센터 공간구성을 위한 블록도구의

효용성 검증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이연숙, 이지연, 김광미(2011). 주거지 재생을 위한 일본 커뮤니티 센터의 특성연

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유혜정, 이연숙, 이동주(2011). 참여디자인 기반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이용자 요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 파급효과 및 성과물의 활용

❚ TB지역 요구를 폭넓게 수용해 줌으로서 재생의 신뢰성 구축 및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

❚ 최초의 주민참여기반으로 조성된 시설로서 이후 지자체들의 주민시설조성 벤치마킹

의 선도적 사례 생성

❚ TB지역 재생의 거점으로서 이후 재생계획 및 추진을 촉진시키는 효과

❚ TB지역의 부가가치를 일약 상승시키는 효과

❚ 주민참여계획지원도구로서의 픽토그램, 퍼즐 및 블록도구의 타 분야에서의 활용

❚ 주민용으로 개발된 주민학교 브로슈어 및 교재의 지속적인 보급 및 확대

3.5.5 향후 추진계획(1) 사업수행중 발견된 현장의 문제점과 애로사항

❚ 사업초기에 주민은 물론 지자체에서는 해당 시설이 기존의 사회복지관과 동일한 것

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자체에서는 전주시에 사회복지관의 과잉공급 및 운영난

을 이유로 시설건립에 대해 부정적이었음

❚ 사업초기에 주민들은 해당 시설이 복지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큰 기대를 하고

있었지만, 연구진이 주민참여와 자율운영에 대한 주민들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상당

수의 주민이 관심을 돌림. 하지만 연구진의 지속적인 설득을 통해 현재까지 주민들

의 참여와 역량이 강화되고 있으며 시설건립이 이루어지면 주민들의 관심은 급속도

로 커질 것으로 예상됨

❚ 주민의견 수렴 : 잦은 교육과 워크샵, 설문조사로 인해 주민들은 힘들어 함. 노인을

중심으로 한 특정 지역의 주민만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인 반면, 관심을 돌린 주민

을 다시 모으기는 매우 어려움. 사업초기 대대적인 홍보(방송 매체활용) 및 주민들

의 삶 속으로 파고드는 전략이 필요함. 전주 TB처럼 노인을 중심으로 한 워크샵에

서는 주민참여계획 디지털 도구보다는 아날로그 도구가 더 친숙하게 받아들여짐

(2) 남은 TB 사업기간동안 추진할 내용

❚ 주민참여계획지원도구를 활용하여 주민의 의견과 요구가 실시설계에 반영될 수 있

도록 지원함

❚ 녹색기술의 접목, 시설운영부분을 고려한 실시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함

년도 방향과 계획 비고

현장 1차년도(2011.05~2012. 04)

▯ 주민참여계획지원기법 : 퍼즐 및 블록도구의 개발▯ 주민참여계획지원도구 : 평면입체제작도구의 개발▯ 주민복합지원시설 계획 지침서 개발

주민참여계획지원도구의 개발

현장 2차년도(2012.05~2013. 04)

▯ 주민복합지원시설 주민의견 수렴(어울모임, 주민학교 등)▯ 주민복합지원시설 공모전 기획서 (스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공간구상, 건설비 검토 등)▯ 주민복합지원시설 공모전 발주(전주시청) 및 당선작 선정▯ 주민복합지원시설 명칭공모▯ 주민복합지원시설 주민의견 반영정도 분석▯ 주민복합지원시설 건립에 관한 주민설명회 및 소식지 기고

주민복합지원시설 기본계획

현장 3차년도(2013.05~2014. 04)

▯ 실시설계를 위한 주민의견수렴(주민참여계획지원도구 활용)▯ 유니버설 디자인을 접목한 실시설계 지원▯ 녹색기술의 접목▯ 주민참여 자율운영방안 수립(5.6의 주요내용)cf) 성과물 ▫ 임시거점공간 조성 매뉴얼▫ 커뮤니티 거점시설 조성 매뉴얼

주민복합지원시설 실시설계 및 착공

표 3-12. 향후 사업 방향과 계획

(3) TB사업 종료 이후의 방향 제언

❚ 주민복합지원시설 조성은 물리적 재생에 관심이 많은 주민들에게 가시적 성과로 나

타나는 것이기에 신속한 건립 및 일처리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함

❚ 주민복합지원시설은 사용주체가 주민이므로 시설건립에 앞서 주민참여의 정도, 자

율운영의 가능성, 수익 및 예산 등의 운영기획이 사전에 이루어져야 함

❚ 주민복합지원시설은 주민참여 자율운영을 원칙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운영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따라서 주민역량의 정도에 따라 운영수입 및 지출의 수익구조가

달라짐. 즉 초기에는 주민참여 및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자체의 지원이 많이

필요한 반면, 후기 및 정착기에 접어들면 적은 지원으로도 시설운영이 가능할 것으

로 예측되는 바, 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 시설운영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전주시의 주민복합지원시설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찾아보기 어려운 선도적 사례이기

에 해당 시설 완공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연구가 필요함

❚ 주민복합지원시설의 공간별 소요 기구, 집기류, 가구 등의 구비에 대한 비용 및 예

산을 운영프로그램이 확정되는 시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물품 충당

에 있어 주민의 기부가 어느 정도 가능한지에 대한 사전조사가 필요함

(4) 주민복합지원시설 조성사업이 재생지역에서 추진되기 위한 고려사

❚ 홍보와 부동산 투기조상의 상충 문제 : 주민참여와 자력재생을 위해서는 주민의 관

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바, 주민복합지원시설의 건립사실을 대대적으로 홍보할 필

요가 있음. 하지만, 이렇게 할 경우 과열된 관심은 부동산 투기로 이어질 여지가 있

기에 이에 대한 제도적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가령 건립사실의 일반 공개

이후에는 일정기간동안 구역 내 대지 매매가격을 기존시가 대비 일정한도로 제한

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 아울러 관련 공무원들의 사전 정보누출을 방지하

기 위해 일반 공개 이전의 대지 매입자를 대상으로 한 감사 강화방안도 마련될 필

요가 있음

❚ 시설건립 기획과정에 자율운영 방안을 포함시킬 것 : 주민복합지원시설은 주민참여

자율운영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운영방식, 주민참여의 정도, 수익창출 시설

의 선정, 운영조직 등 시설완공후 운영에 대한 기획을 사전에 할 필요가 있음. 예산

부족에 시달리는 지자체 입장에서는 시설운영에 따른 비용부담을 심각하게 고민하

는 경우가 많음

❚ 예산부족에 따른 시설복합화의 의미 퇴색 : 대부분의 건설프로젝트가 그렇듯이 초

기 연구진이 의도한 구상안이 지자체와 시의회를 통과하면서 예산상의 문제로 몇

몇 시설이 제외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초기에 의도가 퇴색되어 완공 후 시설의

고유기능 수행을 담보할 수 없게 됨. 이러한 경우 시설건립의 우선순위와 단계적

시공 등을 통해 해결가능하나 이러한 불투명한 제안은 행정적 규정 절차에 따른 업

무수행을 원칙으로 하는 지자체로서는 매우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임. 따라서 지자

체에서 의욕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융통성 있는 사업추진을 위한 제도

적 보완이 필요함

❚ 행정절차의 복잡화로 공모전 발주 지연 : 주민복합지원시설은 물리적 재생을 기대

하는 지역민들의 주요 관심사이기에 시설건립의 원활한 추진은 지역민의 사기진작

및 자력수복형 도시재생의 기틀을 다진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음. 그럼에도 불구

하고 행정절차가 복잡하여 공모전 발주가 지연됨으로써 주민들의 기대감이 실망감

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초래함. 초기 쇠퇴지역에서의 도시재생의 시작점은 주민참여

를 통해 물리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필요함. 지자

체에서는 이러한 거점시설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집중적인 지원과 협력이 필요

하며, 업무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행정적 절차를 보다 간소화하는 것이 필요

❚ 업무중심의 행정처리에서 주민중심의 사업으로 전환 : 공모계획안의 선정 및 평가

과정에서 주민들을 참여시키고, 일련의 과정을 공개함으로써 투명성 확보함과 동시

에 민원의 소지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민참여는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가로막는 것으로 인식하여 폐쇄적인 사업추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 사

업의 신속한 추진도 중요하지만 자력수복형 도시재생의 근본취지가 주민으로부터의

재생임을 감안할 때 이는 주객이 전도된 것임. 따라서 주민참여를 통한 공모전 추

진에 있어서 과감한 집행과 주민의견 반영이라는 상충되는 부분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함. 아울러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한 집행에 있어 주민들이 공감

할 수 있는 기준을 사전에 제시하는 것도 한 방법임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