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9
pp. 559-567 , 1986 Journal of Kor ean Radiological Society, Vol. 22 , No. 4, 1986 - Abstract- The Diagnostic Value of 8arium Enema in Acute Appendicitis Yong Ga Kim , M.D. , Duck 500 Chung, M.D. , Ok Dong Kim, M.D. Department of Taegu Catholic Hospital Acute appendicitis is the rnost cornrnon acute surgica l condition of the abdornen. When the clinical presen- tation is atypi cal , bariurn enema has proven to be safe and in confirming the diagnosis and reducing the negative surgica l exploration. Howeve r, the performance of ba rium enema in acute appendicitis has known contraindication primarily because of fear of l eakage by perloration of the inflammed app endix This study usin g barium enema as a diagnostic aid in acute appendicitis with atypical clinical presentation was perlormed to lurther support the previously noted ell icacy and safety of this procedure The res ul ts were as fo ll ow in gs 1. ln case 01 acute appendicitis with atypica l cl ini ca l the use of barium enema as a diagnost ic aid increased the accuracy 01 diagnosis and decreased the negative su rgi ca l exploration. In women between 11 to 50 yea rs old age, especia ll y, it played important role differentiating appendicitis from nonsurgica l acute abdomen 2. Th e res ults 01 the study we re 92.31% in sensitivity, 7.69% in lalse positive, 6.9% in lalse negative, and 10.26% in nega tive appendectomy 3. None 01 case 01 leakage 01 barium by pe rloration 01 the inflammed appendix was noted, therelore, barium enema was thought to be safe as a diagnostic aid in acute appendicitis 4. A sim ple partial or nonlilling of appendix without other assoc iated positive finding could not exclude appen- dicitis, therelore, close cl ini ca l observation was necessary 5. The pos itive l indin gs 01 ba rium enema and their sensitivity we re as fol lowin gs 1. Nonl illing 01 appendix: 90% 2. Partial Iilling 01 appendix: 91 .7% 3. Displacement or a local impress ion on terminal ileum: 100% * In all cases, comb ined with a local impression on cecum and/ or irritability 01 cecum or termi ll' al ileum 8 - 559 -

Upload: others

Post on 26-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太‘<<:UiX4t 짧뽕당.tr 誌 第22卷 第 4 號 pp. 559-567 , 1986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Vol. 22, No. 4, 1986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대구 가몰릭병원 방사선과

김 용 가·정 덕 수·김 옥 동

- Abstract-

The Diagnostic Value of 8arium Enema in Acute Appendicitis

Yong Ga Kim, M.D., Duck 500 Chung, M.D., Ok Dong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κ Taegu Catholic Hospital

Acute appendici tis is the rnost cornrnon acute surgica l condition of the abdornen. When the clinical presen­

tation is atypical , bariurn enema has proven to be safe and usef비 in confirming the diagnosis and reducing the

negative surgical exploration. However, the performance of barium enema in acute appendicitis has known

contraindication primaril y because of fear of leakage by perloration of the inflammed appendix

This study using barium enema as a diagnostic aid in acute appendicitis with atypical clinical presentation

was perlormed to l urther support the previously noted ellicacy and safety of th is procedure

The resul ts were as fo llowings

1. ln case 01 acute appendicitis w ith atypica l cl inica l presentati。π the use of barium enema as a diagnostic

aid increased the accuracy 01 diagnosis and decreased the negative surgi ca l exploration. In women between

11 to 50 years old age, especially, it played important role differentiating appendicitis from nonsurgica l acute

abdomen

2. The results 01 the study were 92.31% in sensitivity, 7.69% in lalse positive, 6.9% in lalse negative, and 10.26%

in negative appendectomy

3. None 01 case 01 leakage 01 bari um by perloration 01 the inflammed appendix was noted, therelore, barium

enema was thought to be safe as a diagnostic aid in acute appendicitis

4. A simple partial or nonlilling of appendix w ithout other associated positive finding could not exclude appen­

dicitis, therelore, close cl inica l observation was necessary

5. The positive l indings 01 ba rium enema and their sensitivity were as fol lowings

1. Nonlilling 01 appendix: 90%

2. Partia l Iilling 01 appendix: 91 .7%

3. Displacement or a local impression on terminal ileum: 100%

* In all cases, combined w ith a local impression on cecum and/or irritability 01 cecum or termi ll'al ileum

이 논문은 1986 년 7 월 10 일에 접수하여 1986 년 8 월 14 일에 채택되었음.

- 559 -

Page 2: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大함放射線醫學용誌 : 第22卷 第 4 號 1986

1. 서 료르

급성충수엽은 급성복통을 주소로 하여 청장년기에 많

이 말생하는 급성외고얘 질뱅무후 대부분의 경우에서 특

징적인 잉상 빛 검사소견을 바탕으로 진단이 가능하지

만 읍성충수엽의 임상적 진단의 정확도는 펑균 8(y-"" 85

%이고, 어란이나 노인들 혹은 충수의 변위가 있는 경

우에는 비천형적인 임 @L증상을 나타내므호 정확한 진단

을 내리기가 어려울 혜가 많다 1, 2).

급성충수염은 조기진단하에 충수절제술을 시행하면 거

의 합뱅증 없이 치료될 수 있으냐 증상。l 애매하여 진

단이 지연되고 충수의 천공에 의한 합영증이 뱅말하연

치료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사%↓율도 훨씬 높아진다3) 그

러으로 바천형적인 임상증.ÄJ-을 보여 급성충수염의 진단

이 곤란한 경우에 보조적 인 진단방법으로 바륨 판장검

사을 이용하면, 진단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붕필요한

개복수술을 줄일 수 있고, 조기진단이냐 급성복통을 일

으키는 마른 질명과의 감별진단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

였다4- 8) 그러냐 염증성 충수의 파옐로 인한 바융누출

의 위험성 때문에 바륨 판장검사가 급성충수염의 진단

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충수영에 있어서 바륭 판장검사의

진단석 가치와 안천도를 펑 가하기 위해 3 년간 대구 가

폴릭영원에서 급성충수엽이 의심되냐 엄상적으로 진단

이 어려워 바륨 판장검사을 시행한 228 예를 분석하여

그 결파를 문현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 대상 및 방법

1983 년 1 월 1 일부터 1985 년 12 월 31 일까지 3 년칸

대구 가폴릭병원에서 급성충수염 이 의심되냐 임상적으

로 진단이 어려워 바륨 판장검사를 시행한 228예를 대

상으로 하였다.

바륨 판장검사는 전처치없이 바로 시행하였으며 계속

적인 형광투시하에서 바륨을 환자의 직징에서부터 맹장

까지 주업하여 앵.::<J-을 충만λ| 킨 다음 바륨이 회맹판을

거쳐 말단회장으로 역류되연 주업을 중단하고 충수의

충만유우, 앵장이나 말단회장의 형태 또는 자극 파만성

등을 관찰하연서 동시에 국소순간촬영 (spot study)을

하였으며, 배변전과 배변후의 사진도 촬영하였다.

충수가 충만되지 않는 경우에는 충만의 가능성을 높

이기 위하여 환자의 체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연서 판

찰하였고 배변후에 형광투시하에서 충만유무를 다시 확

인하였다.

m. 결 과

1) 연령 및 성별분포

바융 판장검사를 시행한 228 예중 남자가 85 예( 37.3

%), 여자가 143 예 (62 ,7 %)로 여자가 머 않았고 연령

옐 분포는 6세에서 85 세까지 다양하였으며 20대가 57

예 (27 %)로 가장 많았다 (Table 1 ).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of Cases

Barium Enema Age

Male Fem.ale Tota!

0- 9 5 3 8

10-19 7 15 22

20-29 22 35 57

30-39 19 29 48

40-49 17 17 34

50-59 10 24 34

60-69 2 12 14

70-79 3 6 9

80-89 2 2

Tota! 85 143 228

수술 및 영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70예중 급성충수

엽의 44 예 (62.9 %) 에 서는 남자가 20 예 (45.4 %) , 여

자가 24 예 (54.6 %)로 바슷하였으나, 26 예 (37. 1 %)

의 충수주위놓%에서는 남자가 8예 (30.8 %), 여자가

18 예 (69.2%)로 여자가 뎌 많았다.

연령별 분포는 급성충수염의 경우에서는 청장년층파

노년층사이에 별 차이 가 없는데 바해 충수주위놓00'"은 노

년층에서 너 않았다 ( Tabl e 2).

2) 방사선학적 소견

A 음성소견

천 228 예중 145 예 (63 ,6 % )에서 음성소견을 보였고

이들중 95 예 (65.5 %)에서는 충수가 정/품만을 보였

으며, 맹장이냐 말만회장에서의 외척결손상 또는 자극

과민성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한 충수의 부분충만이나 충

- 560-

Page 3: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깅용가외 ’급성충수영의 진단에 있어서 바륭 관장검사의 의의-

,

Table 2 , Age and Sex Distribution of Appendicitis and Periappendiceal Abscess

Periappen. Abscess Appendicitis

Male Female Total

0- 9

10-19

20- 29

30-30

40-49

50-59

60-69

70-79

80-89

5

m m

η m

6

6

Female

1

3

3

4

4

2

114

Male

3

2

2

2 4

4

6

3

2

3

2 6

3

7

1

1

Age

만을 보이지 않은 경우가 각각 19 예 (1 3 .1 %). (2 1 .4%) 였다 (F i g, I) .

정상충만을 보인 3 예, 부분충만을 보인 2 예,충만을

보이지 않은 5 예등 10 예 (6.9%)에서는 급성 충수염

또는 충수주위놓양으로 확진되어 각 소견의 위음정율은

3 .2 %. 10 .5 %. 그러고 16. 1 %였다 (Tabl e 3).

B 양성소견

전 228 예중 급성충수염이냐 충수주위농양으」료 확진

된 60 예 (26 ,3 %)에서는 마음파 같은 양성소견을 볼

수 있었다.

CD 충수가 충만되지 않으연서 맹장첨단부의 외척결손

~~

Fig. 1. Normal appendix. Well visualization of its bulbous tip . (arrow)

70

31 예

18 8 24 20 Total

상이냐, 맹장 또는 말단회장의 자극과민성을 보인 경우

가 36 예 (60 %)로 가장 많았다(Fig. 2).

@ 충수의 부분충만과 함께 맹장의 외척결손상이 냐,

앵장 또는 말단회장의 자극과만성을 보인 경우가 8 예

( 13.3 %)이었고 (Fig , 3). 부분충만된 충수의 모양이

아주 불규칙하거냐 Cut - off 펀 양상을 보인 경우가 3

Table 3. Findings of Barium Enema in Clinically Suspicious Acute Appendicitis

False negative

Positive findings'

1. Nonfill ing of appendix

2. Partial filling of appendix

3. Displacement or a local impression on terminal ileum

False positive

10% (4/40)

8.3% (1112)

Sensitivity

90% (36/40)

91. 7% (11112)

Findings of barium enema

16.14% (5/3 1)

10.50/0 (2/19)

3.2% (3/95)

100% (1 3/13)

Negative fi ndings * *

1. Nonfilling of appendix

2. Partial filling of appendix

3. Normal fi lling of appendix

* [n all cases. combined with a local impression , on cecum and/or irritabil ity of cecum or terminal ileum * * In all cases. no evidence of associated positive findings

- 561 -

Page 4: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 太합放Q‘t짧뽑@양會誌 • 第22卷 第 4 號 1986 -

Fig. 2. Appendicitis. A local impression on medial wall of cecum (arrowheads) and nonfilling of appendix

- 562

예 ( 5 % ) 였다 (Fi g. 4 ) .

@ 말단회장의 변위 또는 외적결손상과 함께 상기와

같은 %탱소견을 보인 경우가 1 3 예 (21.7 %) 였다( Fig.

5 ) .

바륨 판장검사상 충수가 충만되지 않£연서 맹장첨단

부의 외적결손상을 보인 40예중 4예 , 충수의 부분충만

파 함께 앵장의 외척결손상을 보인 1 3 예중 l 예등 5

예에서는 정상충수로 확진되어 각 소견의 만강도는 90

%와 91 .7 %였으며 , 위양성율응 10 %와 8 . 3%였다.

말단회장의 변위 또는 외적결손상을 보인 1 3 예는 전예

가 충수염이나 충수주위농양무로 확진되어민강도는 100

%였마 (Tab l e 3 ) .

3) 바륨 관장검사와 수술 및 병리조직학적 성적과

의 비교

바융 판장검 사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83 예 (36. 4%)

중 60 예 (72 .3 %)에서는 급성충수염 또는 충수주위놓

양으로 확진되었으며, 5 예 (8.3% )에서는 정/품수로

확진되었고, 1 8 예 ( 1 9 . 4 %) 에서는 환자들의 개인적 사

정으〕로 인해 수슐을 시행하지 옷하였다. 정 /bL충수로 확

진펀 5예는 회맹장염이 2 예 , 골반염성질환이 3 예였

다.

Fig. 3. Appendicities .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on medial wall of cecum and base of ap pend ix (black arrows)

Page 5: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 겁용가 외 ; 급성충수염 의 진단에 있어서 바륭 관정검사의 의의

B

Fig. 4. Appendicitis A. Marked irregular partial fillin g of appendix. (white

arrow) B. Cut-off appearance of appendix at near its base ‘ (white

arrow)

~ Tab!e 4. Correlation between Barium Enema and Surgico­

Pathologic Findings

No. of cases

Positive barium enema

with positive surgical exploration 60

with negative surgical exploration 5

Negative barium enema

with positive surgical exploration 10

with negative surgical exploration 3

음정 소견을 보인 145 예 (63.6 %) 중 132 예 (91.3 %)

에서는 수줄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 임상적무로 급성충수

염으로 생각되어 수술을 시행한 13 예중 10 예 (6.9 %) 에 서는 충수영 또는 충수주위농양으로 확진되 었으냐 3

예 (2.1%)에서는 정%L충수였마 정상충수로 확진된 3

r 예는 회맹장영 1 예, 계실염 1 예, 그리고 장막간 임파

절염 1 예였다 (Table4) .

Fig. 5. Periappendiceal abscess . Marked ir­regular indentation on inferomedial wall of cecum (black arrowheads) associated with nonfilling of appendix and clisplaced terminal ileum with spasm (white ar­rowheacls)

N. 고 찰

급성충수염응 급성복통을 일으키는 외고벼 질환으혹

1O ~30대의 청장년기에 많이 발생한다고 하였으냐9, 10;

저자들의 경우에는 1O~ 30 대의 청장년이 21 예 . 40 대

563 -

Page 6: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 大웰放射線醫學會캅( 第22卷 第 4 앉 1986-

이후의 노년층이 23 예로 연령에 짜흔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진단이 어려웠던 경우만을 대상무로

하였기 혜문으로 생각된다. 충수주위농양의 경우에는정

등9) 의 보고와 같이 40 대 이후의 노년층에서 더 많았

다. 남녀 ll] 는 충수염의 경우에는 전 등10)의 보고와 같

이 차이가 없었으냐 충수주위농양에서는 여자가 뎌 않

았다.

Wangensteen 등 11)파 Chrorn 등12)은 급성충수염의

대부분의 경우에 충수내강의 폐쇄가 선행되으로 충수가

정상적으로 조영되연 충수영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

고, 충수영의 경우에는 충수가 조영되지 않으연서 충수

간막이냐 인성한 대망( ornentum) 의 부종때운에 맹장

청단해l 서 외척결손상을 나타내고, 염증성변화가 충수

의 장막을 넘어서띤 앵장이냐 말단회장의 경련 또는 복

막자극증상을 보일 수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

는 바륭 판장검사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60예의 충수염

또는 충수주위놓%벼l 있어서 충수가 조영되지 않은 경

우가 36예 (60 %). 부분충만의 경우가 11 예 ( 18.3%)

말단회장의 변위 또는 외적결손상을 보인 경우가 13 예

(27.1%) 등이었고 전예에서 맹장청단부의 결손상 또

는 맹 징L이 냐 말단회장의 자극파만성을 동안하였으며 이

는 Sotor 4 ) 나 SChey l3)의 보고와도 일치하였다.

Bartone 등6)과 Figi e l 등8)은 충수주위농양의 경우

에는 충수가 조영되지 않고 n~ 장과 말단회장에서 외적

결손상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서 앵

장청단부의 결손승ι을 보인 36예중 23 예는 급성충수염

으로. 1 3 예는 충수주위농양으로 확진되었고, 말단회장

에서 외적결손상이나 변위를 보인 1 3 예중 11 예( 84 .6

%)에서 충수주위농양으로 확진되었다. 그러므로 맹장

첨 단부의 결손상은 급성충수염과 중수주위놓양의 강별

진단에 도움이 되지 않았요나 말단회 장에서의 변위 또

는 외적결손상은 충수주위농양의 의의있는 소견으로 감

별진단에 중요한 점 이라고 생 각되 었다.

Sakover 등14)응 정임낼수라 하머라도 5~ 10 rcPl]서

는 충수내캉의 섬유정폐쇄, 충수염을 동반하지 않은 분

석 ( f eca li th) 에 의한 폐쇄, 골반캉내에 위치한 충수,

또는 다른 염증성 질환을 동반한 충수등의 여러가지 원

인으후 충수가 충만되지 않을 수 있마고 하였으며 Co ­

llins l 5 )는 정상충수에서 내캉의 폐쇄가 없는 경우는

65% 정도이며, 부분폐쇄가 있는 경우는 25 .5 %.완전

히 폐쇄된 경우는 9.5%라고 하였마. 짜라서 충수가

충만되지 않는다고 하여 오두 충수염 으로 진단할 수는

없으며 . Lewin 등5)은 충수가 조엿되지 않을 경우에 충

만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환자위 체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거냐 배변후의 사진의 필요성을 보고하였다.

Hatch 등 16)과 Jona 등7)은 바륭 판장검사소견을 판정

하는 데 있어 서 충수가 정 승L충만을 보。 l는 경우는 충수

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으나,다른 양성소견을 동반

하지 않은 단순한 부분충만이 냐 충만을 보이지 않은 경

우에는 충수영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껴l 속적

인 임상적 판철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

우에는 바륭 판장검사에서 음성소견으호 분류한 145예

에서 급성충수영 또는 충수주위농양으」로 확진된 10예 를

제외한 1 35 예중 92 예 (68.1%)에서는 정/품만을 보

였으며. 17 예 (1 2 .6 %)에서는 부분충만을 보였고, 26

예 ( 19 .3 %)에서는 충만을 보이지 않았으며, 충얀을 보

이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은 골반영성질환이냐 회맹 장

염같은 다은 염증성질환을 동반한 때문으로 생각된마.

정상충만을 보인 92예중 5 예 (5.4%) 에서는 처음 검

사에서는 충수가 충만되지 않았으나 배변후의 검사에서

충만이 확인되었다(Fig.6). 음성소견으로 분류한 예중

정@」충만을 보인 3 예, 부분충만을 보인 2 예, 충만을

보이지 않은 5 예등 10 예에서는 충수엽이나 충수주위

농양으로 확진되 었다. 그러묘로 단순한 충수의 부분충

만이냐 충만을 보이지 않을 때는 충수엽의 가능성을 배

제할 수 없으므로 계속적인 임상척 판찰。1 필요할 것으

로생각된다.

충수의 길이는 다앙하여 Collins l5 )는 6~9 cm가

61 %. 9 crn 이상이 25%라고 하였고, 이 등17) 은 한

국인에서는 2~16crn 이며 펑균치는 7.5 :!: 2.9 cm 라

고 하였 마. Di etz 18)는 보통보마 긴 충수에 서 말단부분

에만 염증성변화를 일으켜 대부분의 충수가 비융드로 충만되어 정 /SL충수처럼 보이는 경우플 보고하였으며 저

자들의 경우에도 2예에서 볼 수 있었다 (Fi g.7) . 그

러므로 Lewin 등5)파 Fedyshin 등19)은 충수가정상처

럼 충만된마 하더라도 반드시 특징적인 구상 (globul e)

을 나타내는 충수의 말만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

다고 하였마. Fee 등20)파 정 등 9)은 질뱅 이 있는 충수

에서 말단부분이 천공된 후 그 부위가 곧 seal.off되연

정상충수처럼 보일 수 있마고 하였A며 저자들의 경우

에도 l 예에서 볼 수 있었다.

급성충수염의 경우어1 서 바융 판장검사를 시행하연 종

래에는 염증엉 충수의 파열에 의한 바륨 누출의 위험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냐 Wange nstee n 등 11 ) 파 Jona

- 564-

Page 7: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 깅용가 외 :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륭 관장겁사의 의의 -

Fig. 7. Distal segmental appendicitis in normal appearing appendix . (arrows)

* Preevacuation film shows no evidence of Filling of appendix.

B. Postevacuation spot film shows normal appendix. (arrow)

등1)은 폐쇠l 된 부위 가 장벽 (barrier) 역할을 하여 염

증성 충수의 파열이 냐 바융 누출의 가능성 을 막아준다

고 하였으며. Noveroske211는 낮은 앙력하에서 바융 판

장검사를 시행하연 합뱅증이 생기지 않는다고 하였고,

Jona 등1)과 Rajagopalan 등22)은 각각 58 예와 218

예의 급성충수염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바륨 판장검사를

시행한 결과 충수의 파옐로 안한 바융 누출을 보인 예

는 한 예도 없어서 안전한 검사법이라고 하였으며 이는

Lewin 등5)과 Schey1) 의 보고와도 일치하였다. 저자

들의 경우에도 바륨 판장검사을 시행한 228예중 바흉

누출을 보인 예는 한 예도 없어서 안전한 검사법이라고

생각되 었다.

급성충수염의 임상 및 검사소켠에 의한 일반적인 진

단의 정확도는 80%정 도이며 2, 7)’ 정상충수의 절제율은

18~ 42 %로 보고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2, 3 , 23>.

Lewis 등2)은 충수염으로 오진한 경우의 융에서는 외 과적 수술을 필요혹 하지 않은 경우이고, 이들중 여자들

의 경우에는 골반영성질환이나 다른 부인과적정환에 의

한 예가 48.1 %로 가장 많았으며, 특히 20~40 세의

여자에서의 정잉낼수의 절제율은 45 %까지 된다고 하

였다. Rajagopalan 등22)은 잉상적우로 급성 충수엽이

의십되는 경우에서 바융 판장검 사장 음정소견을 보여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예의 61 %가 11 ~40 세

의 여자이며, 충수염의 진단이 매우 어려운 이들 군에

- 565-

Page 8: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大韓放射綠醫@장會픔 第22卷 第 4 號 1986 -

서 의 바융 판장검 사가 불필요한 개복수술을 줄이는데 중

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 서도 바륭

판장검사에서 음정소견을 보여 외고벼 처치를 하지 않

은 132 예중 11 ~ 50 세의 여자가 63 예 (47.7%)플차

지하였으며 전 228 예중에서는 96예 (42.1%)를 차지

하여 Rajagopalan 등22)과 유사한 결과을 냐타내 었다.

급성충수영의 경우에 단순복부촬영잉벼1서의 양성율은

전 등10)은 75.7%. 임 등24)은 88%. 그러고 Brooks

등25)은 60%의 유소견율을 보인다고 하였마. Rajag­

opalan 등22)응 바융 판장검사에 의한 진단의 민감도는

97.14 %. 위양성율은 2.86%. 위음성율은 7.05 %.그

리고 정/품수의 절제율은 9.15 %라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서는 민감도는 92.31 %. 위 양성율은 7.69 %. 위

음정율은 6.9 %. 그리고 정상충수의 절제율은 10.26

%로 유사치를 보였t:.j. (Tab le 5). 그러므로 검사땅법에

딱릎 성적에 대한 신뢰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바

륨 판장검사의 민감도가 가장 높게 냐타났으며 상대적

으로 정 @L충수의 절제 율은 가장 낮은 수치 를 보여 급성

충수염 이 의십되는 경우에 불필요한 개복수숨을 줄일

수 있는 효고}척인 보조적 진단방법우로 생각되었다(Ta­

ble 6).

Table 5. Results of The Study

Sensitivity

False positive

False negative

Negative appendectomy

No. of cases (%)

60/65 (92 .31 %)

5/65 ( 7.69%)

10/145 ( 6.9%)

8178 (10 .26%)

Table 6. Diagnostic Accuracy in Various Studies

Method

Physical exam. and lab. findings

Plain film

Barium enema

Report

Barnes et al

Lewis et al

Ross et al

Jeon et al

Yim et al

Brooks et al

Rajagopalan et al

this study

Diagnostic accuracy

82%

80%

58%

75.7%

88%

60%

97.14%

92.31%

최근에는 누출의 위험성이 없고 전처치가 필요없으며

쇠약한 환자냐 협조가 잘 안되는 환자에서도 침대 옆에

서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장점혜운에 초음파검사가 충수

주위놓양을 포항한 복부내 농양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

어지고 있다26 , 27) 정 등9) 에 의하연 충수주위농%벼l 있

어서 초음파검사의 민강도는 92.3 %로 바교적 높은 수

치를 보이나 매장이중조영술의 만강도는 100 %로써 가

장 높은 만강도를 보인다고 하였마. 급성충수염의 경우

에는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진단법은 거의 이용되지 않

고 있으냐 검 28) 에 의하연 급성충수염이 의성되어 초응

파검사를 시행한 31 예중 28예에서 비정상적안 초음파

소견을 보였으며 이중 26 예 가 급성충수염으혹 확진되

어, 초음파검 사가 급성충수염의 진단에도 도움이 된다

고 하였다. 그러냐 이에 대하여는 마른 보고가 거의 없

으므로 앞으호 더 많은 경험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v 결 르르 」

1. 비전형적인 임상증/끓 냐타내는 급성충수염의 경

우에 바흉 판장검사를 이용하연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 불필요한 개복수술을 줄일 수 있£며, 특히 11

~50세의 여자에서는 충수염과 골반영성질환 또는 다

릎 부인고}적인 질환과 같은 11 1외과적 질뱅고버 감별진

단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2. 바융 판장검사에 의한 진단의 민강도는 92.31 %.

위%댄율은 7.69 %. 위음성율은 6.9 %.그러고 정소낼

수의 절제율은 10.26 %였다.

3. 바륭 판장검사로 인한 염증성 충수의 파열에 의

해 바흉 누출을 보인 예는 한 예도 없어서 종래의 생각

고!슨 달리 얀전한 검 사법 。l 라고 생 각되 었마.

4. 다냄 양성소견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한충수의 부

분충만이냐, 충만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충수엽의 가

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계속적인 임상적 판찰을 필

요로한마.

5. 급성충수엽에서의 바륭 판장검사상 양성 소견응

충수가 충만되지 않는 경우가 36 예 (60 %)로 가장 많

았으며, 충수의 부분충만이 11 예 (18.3 %). 말단회장

의 변위 또는 외척결손^J-을 보인 경우가 13 예( 21 .7%)

였무며 전예에서 맹장첨단부의 외적결손상이나 맹장 또

는 말단회장의 자극과만성을 동반하였고 각 소견의 민

감도는 90 %. 91.7%. 그리고 100 %였다.

- 566 -

Page 9: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륨 판장검사의 의의 · Appendicities. Incomplete partial filling with marked ir regularity of appendix (white arrow) and some indentation

- 깅용가 외 ’ 급성충수염의 진단에 있어서 바륭 관장검사의 의의 -

REFERENCES

1. 5m ith DE. Kirchmer NA 5tewart DR: Use of the barium

enema in the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and its com­

plications. Aj5 738:829-834, 1979

2. Lewis FR, Holcroft JW, Boey J et al : Appendicitis: A c/itical

reVle\ν of diagnosis and treatment in 1αJO cases. Arch 5urg

110:677-684, 1975

3. Barnes BA, Behringer GE, Wheelock FC et al: Treatment

of appendicitis at the ι1assachusetts Ceneral Hospital

(1937-1959). jAMA 188:122-126, 1962

4. 50tor C: The use of barium in the diagnosis of acute ap

pendiceal diasease. A new radiological sign. c/in Radiol

19:410, 1968

5. Lewin GA, Mikity V, Wingert W A: 8arium enema: An out

patient procedure in the early diagnosis of acute appen

dicitis. } Pediatr 92:451-453, 1978

6. Bartone NF, Grieco RV, Vasilas A: A review of roentgen

signs in lesions affecting the cecum. A}R 84:285-305, 1960

7. Jona JZ, Belin RP, 5elke A C: 8arium enema as a diagnostic

aid in children with abdominal pain. 5u땅 CynecolObstet

144:35'1-355, 1977

8‘ Figiel L5, Figiel 5J: 8arium examination of cecum in appen

dicitis. Acta Radiol 57:469-480. 1962

9 정경회, 장재천‘ 황미수:충수주위농양의 방사선학

적 소견. 대한망사션의학회지 21 : 975-984 , 1985

10 전혜상, 얀경숙, 김 옥 등 : 급성충수염에 대한 땅사

선학적 고찰- 대 한방사선의학회지 18:95- 105 ,

1982

11. Wangensteen OH, Dennis C: Experimental proof of the

obstructive origin of appendicitis in man. Ann 5urg

110:629, 1939

12. Chrom 5A, 'Cudbjerg CE: Roentgen examination in acute

or chronic appendicitis. Acta Radiol 41:132-140, 1954

13. 5chey W L: Use of barium enema in the diagnosis of ap

pendicitis in children . Aj R 118:95-103, 1973

14. 5akover RP, Del Fava RL: Frequency of visualization of the

normal appendix with the barium enema examination. AjR

121:312-317, 1974

15. Col lings DC: A study of 50000 specimens of the human

verm iform appendix. 5urg Gynecol Obstet 101 :437-445,

1955

16. Hatch EL Jr, Naffis D, Chandler NW: Pitfalls in the use of

barium enema in early appendicitis in children. } Pediatr

5urg 16:309-312, 1981

17 이정식, 딱용휘 : 한국인 정상대장에 판한 X선학적

연구. 가폴릭띠학 의학부 논문집 제 25 집 225 -

236 , 1973

18. Dietz WW: The fallacy of the roentgenologically negative

appendix. jAι↑A 208:1495, 1969

19. Fedyshin P, Kelvin FM, Rice RP: Nonspecificity of barium

enema finding in acute appendicitis. AjR 143:99.102, 1984

20. Fee HJ Jr, Jones PC, Kadel l B et al: Radio1ogic diagnosis

of appendicitis. Arch 5urg 112:742-744, 1977

21 . Noveroske RJ: Intracolonic pressure dllring barium enema

examination. A}R 91:852-863, 1964

22. Radjagopalan AE, Mason JH, Kennedy M et al: The value

of barium enema in the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Arch 5urg 112:531-533, 1977

23. Ross FP, Zarem HA, Morgan AP: Appendicitis in a com

municating Hospital: A decreasing but still dangerous

disease. Arch 5rug 85:1036-1041, 1962.

24 임옥순, 박선옥, 이정식 등 한국인의 급성충수염에

판한 방사선학적 고찰. 대한땅사선의학회지 13 :

379 - 390 1977

25. Brooks DW Jr, Killen DA: Roentgenographic findings in

acute appendicitis. 5urg 57:377-384, 1965

26. Doust BD, Thompson R: Ultrasonography of abdominal

fllIid collections. Castrointes Radiol 3:273-279, 1978

27. Bharath Kumar: The role of Ca-67 Citrate and Diagnostic

1I1trasound in patients with suggested abdominal abscess

} Nuc/ Med 18:534-537, 1977

28 김승협 : 급성충수영에서의 초음파검샤 대한초음파

의학회지 1 : 69 - 74 , 1985

-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