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67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2018-11

Upload: others

Post on 18-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2018-11

Page 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 iii -

목차

Ⅰ. 서 론 ··········································································································3

1. 연구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내용 및 방법 ·························································································5

3. 선행연구 검토 ······························································································11

4. 연구의 기대효과 ··························································································14

Ⅱ. 주거복지와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17

1. 주거복지 ······································································································17

2. 주거복지 전달체계 ·······················································································20

3. 시사점 ··········································································································26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30

1. 부산시의 도시 특성 ·····················································································30

2. 주거 및 주거환경 ························································································39

3. 주거복지사업 현황 ·······················································································46

4. 시사점 ··········································································································49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53

1. 국내 주거복지센터 운영 사례 ······································································53

2. 외국의 주거지원 운영 사례 ·········································································62

3. 시사점 ··········································································································69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76

1.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을 위한 기초조사 ·············································76

- iv -

2. 주거복지센터 사업 중요도 분석 ··································································80

3.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향 ································································84

4. 부산시 주거복지 관련 기초조사 ··································································90

5. 시사점 ··········································································································93

Ⅵ. 결 론 ········································································································98

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기본 방향 ·······························································98

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 방향 ································································101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111

참고문헌 ·········································································································114

Page 3: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 v -

표 목차

<표 Ⅰ-1> 주거복지 지원사업 전달체계 ·················································································4

<표 Ⅰ-2> 주거기본법 및 부산시 주거기본조례 ·····································································7

<표 Ⅰ-3> 현행 주거복지사업의 주요 지원내용 ·····································································9

<표 Ⅰ-4> 연구 추진방법 ·····································································································10

<표 Ⅰ-5> 선행연구와 차별성 ······························································································13

<표 Ⅱ-1> 주거지원서비스의 핵심 내용 및 주요 서비스 ······················································19

<표 Ⅱ-2> 「주거기본법」 상 주거복지센터의 업무 범위 ·······················································21

<표 Ⅱ-3> 전달체계 주요 원칙 ····························································································23

<표 Ⅱ-4> 주거복지 전달체계 관련 주요 변화 ·····································································25

<표 Ⅱ-5>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주거복지 전달체계 특성 비교 ········································27

<표 Ⅲ-1> 부산시 도심권역 구분 및 현황 ···········································································35

<표 Ⅲ-2> 부산시 권역별 주거복지 정책 추진과제 ······························································36

<표 Ⅲ-3> 전국 16개 광역시・도별 소멸위험지수 ······························································38

<표 Ⅲ-4> 부산시 16개 구・군별 소멸위험지수 ··································································39

<표 Ⅲ-5> 부산시 자가보유율 ······························································································40

<표 Ⅲ-6>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지역별 분포 ································································40

<표 Ⅲ-7> 부산시 현재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 비율 ···········································41

<표 Ⅲ-8> 부산시 PIR・RIR 비율 ······················································································41

<표 Ⅲ-9> 7대 특・광역시별 주택 점유형태 ·······································································42

<표 Ⅲ-10> 부산시 구・군별 주택 현황 및 보급율 ·····························································43

- vi -

<표 Ⅲ-11> 부산시 노후건축물 현황 ···················································································44

<표 Ⅲ-12> 부산시 구・군별 사용승인 30년 이상 건축물 현황 ·········································45

<표 Ⅲ-13> 부산시 구・군별 임대주택 현황 ·······································································46

<표 Ⅲ-14> 부산시 생애단계별 주거지원사업 ······································································47

<표 Ⅲ-15> 부산시 구・군별 주거지원사업 ·········································································48

<표 Ⅳ-1> LH 주거복지센터 현황 ·······················································································54

<표 Ⅳ-2>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수탁기관 현황(2018년 기준) ············································57

<표 Ⅳ-3> 2017년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주거복지센터 사업 ··········································58

<표 Ⅳ-4> 공공과 민간 운영 주거복지센터 비교 ·································································61

<표 Ⅳ-5> 거주지원협의회와 거주지원법인의 비교 ······························································63

<표 Ⅳ-6> 국외 주거관련 중간지원조직의 운영사례 비교 ····················································68

<표 Ⅳ-7>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사업 주체별 역할 ······························································70

<표 Ⅳ-8> 현행 주거복지센터 운영비 주요 항목 ·································································71

<표 Ⅳ-9> 주거복지서비스 지원 방향 ··················································································73

<표 Ⅴ-1> 기초조사 결과 처리 프로세스 ·············································································77

<표 Ⅴ-2> AHP 분석을 위한 쌍대비교 문항 ·······································································78

<표 Ⅴ-3> 부산시 주거복지센터 운영 방향을 위한 기타 조사 ·············································79

<표 Ⅴ-4> 응답자 특성 ········································································································79

<표 Ⅴ-5>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0

<표 Ⅴ-6>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 유형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0

<표 Ⅴ-7> 상담・사례관리 등 주거지원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1

<표 Ⅴ-8> 네트워크 및 제도 홍보・교육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1

<표 Ⅴ-9> 지역형 주거복지 모델 개발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2

<표 Ⅴ-10> 상담 및 사례관리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2

Page 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 vii -

<표 Ⅴ-11> 긴급주거비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2

<표 Ⅴ-12> 자원연계와 의뢰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3

<표 Ⅴ-13> 네트워크 구축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3

<표 Ⅴ-14> 주거복지 교육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3

<표 Ⅴ-15> 주거실태조사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4

<표 Ⅴ-16> 수요자 맞춤형 특화사업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4

<표 Ⅴ-17> 부산시 주거복지사업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84

<표 Ⅴ-18>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적정 범위 ·····························································86

<표 Ⅴ-19>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87

<표 Ⅴ-20>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88

<표 Ⅴ-21>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 ·········································90

<표 Ⅴ-22> 부산시 주거복지 지원에 대한 평가 ··································································91

<표 Ⅴ-23> 주거복지센터 지원 수준 ···················································································93

<표 Ⅵ-1> 부산시 민관 협력 주거복지 지원을 위한 전달주체 역할 ·····································99

<표 Ⅵ-2>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사업내용 ··········································································101

<표 Ⅵ-3> 주거복지센터 추진 과정 ···················································································102

<표 Ⅵ-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형태별 설치 유형 ·····················································104

<표 Ⅵ-5> 운영 주체별 운영방식 구분 ··············································································105

<표 Ⅵ-6> 주거복지센터 운영형태별 장・단점 비교 ··························································106

<표 Ⅵ-7> 중앙 및 지역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업무 ··························································107

<표 Ⅵ-8> 주거복지센터 운영 발전계획에 따른 방안 비교 ················································108

<표 Ⅵ-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을 위한 단계별 추진방안 ·········································109

<표 Ⅵ-10>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특화사업 ·······································································111

- viii -

그림 목차

<그림 Ⅰ-1> 연구 흐름도 ·····································································································10

<그림 Ⅱ-1> 부산시 주거복지 전달체계 현황 ······································································24

<그림 Ⅳ-1>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주거지원서비스 프로세스 ···············································56

<그림 Ⅳ-2> Supporting People 프로그램의 운영조직 및 체계 ········································65

<그림 Ⅳ-3> Shelter의 운영 및 조직 구성 ·········································································67

<그림 Ⅳ-4> 현행 주거복지센터 조직체계 ············································································71

<그림 Ⅴ-1>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적정 범위 ····························································85

<그림 Ⅴ-2>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86

<그림 Ⅴ-3> 부산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우선지원 사항 ··················································88

<그림 Ⅴ-4>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 ········································89

<그림 Ⅵ-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안) ·······································································109

Page 5: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Ⅰ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4. 연구의 기대효과

서론

Page 6: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Ⅰ. 서론

3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 「주거기본법」 제정에 따라 주거권이 명문화되어 기본 권리로 강화되고 있으며, 부산

시민의 주거욕구에 대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함

- 「주거기본법」 제21조(주거복지 전달체계), 제22조(주거복지센터), 제23조(주거

복지정보체계) 등

- 주택공급, 주거비 지원 등 주거복지 지원은 시민의 안정적 일상생활 영위를 위한

가족복지(family well-bing)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복지의 기초

▪ 중앙정부, 부산시, 민간 등에서 산발적, 중복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주거복지 관련 사

업(프로그램, 서비스 포함)의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으로 주거복지 사업의 효율성 제

고가 필요함

- 수요자 중심의 주거복지정책 효과성과 만족도 향상을 위해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민간, 지자체의 산발적 지원으로 사업 효율성 및 수혜자 만족도 하락 등 주거복

지 자원 활용과 대응의 한계가 발생함

▪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상담, 주거지원 프로그램 안내/홍보, 사례관리, 긴급구호 등 주

거복지서비스의 종합적 지원체계 마련이 요구됨

- 주거복지 수요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종합적 주거복지서비스 지원과 수행을 위한

전달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 현행 주거정책은 기존 주택정책의 공급자 및 수요자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수요자의 주거문제 완화에 제한적임

- 주거정책의 패러다임이 단순한 물리적 주택공급 확대에서 주택 및 생활환경의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4

질적수준 제고, 주거안정 등 주거복지 향상으로 변화되고 있음

- 공공, 민간 등에서 다양한 주거복지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광범위한 주거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음

- 주거복지 사각지대는 기존 주거복지 전달체계 지원 밖에 있는 가구뿐 아니라 전

달체계 안 가구에서도 발생하고 있음

- 특히, 예산의 수반이 반드시 필요한 주거복지 정책은 재정의 한계로 시민의 주거

문제에 대한 즉각적 해결방안 마련보다는 중앙정부 정책에 기대어 가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음

▪ 공공지원 중심의 주거복지는 한계가 분명하므로 민간자원 발굴 및 참여 확대 방안

마련으로 공공정책 중심의 주거복지정책 의존성에 대한 재구조화가 필요함

구분 소관부처 전담기관전달체계

신청 심사・추천

공공임대주택

영구임대주택 국토교통부 LH/BMC 부산시 부산시

기존주택 매입임대

기존주택 전세임대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지원 LH

50년 공공임대 LH/BMC 좌동 좌동

국민임대

5년/10년 공공임대 LH/BMC/민간

주거급여

임차가구 주거급여 지자체/LH 부산시 부산시

자가가구 주거급여

금융지원

저소득가구 전세자금 국민주택기금

근로자서민 전세자금 금융기관 금융기관

금리우대 보금자리론 금융위원회 주택금융공사

전세대출 신용보증

<표 Ⅰ-1> 주거복지 지원사업 전달체계

2) 연구 목적 및 범위

(1) 연구 목적

▪ 소득수준, 생애단계에 따른 주택공급, 주거지원 등 시민의 수요와 욕구에 따라 적극

Page 7: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Ⅰ. 서론

5

적 대응체계 구축 방안 마련을 검토함

▪ 부산시민의 주거욕구에 부합하는 부산형 주거복지 전달체계 모델로서 ‘부산형 주거

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모델을 제시함

- 부산시민의 주거복지 수요조사 결과 검토 및 기초조사 실시

- 기존 주거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현황 파악 및 비교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선진사례 및 부산시 주거현황 교차 분석으로 부산시에 적합한 모델 제시

▪ 주거상담, 주택개량 등 기존 주거지원사업과 연계,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 부

산도시공사(이하 BMC) 등 관계기관과 협력,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같은 민간자원

활용 등 주거복지 자원의 통합적 관리로 주거복지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함

(2) 연구 범위

▪ 공간적 범위 : 부산광역시

▪ 시간적 범위 : 2016~2017년을 기준으로 하며, 가능한 최근 자료를 활용

▪ 내용적 범위

- 주거복지센터 관련 국내・외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검토

- 주거복지 전달체계 선진사례 발굴

- 주거기본법 내 주거복지센터 운영사례 발굴 및 중앙정부 지원계획 검토

- 현행 부산시 주거복지 전달체계 및 사례관리 검토, 지원의 한계 분석

- 주거복지 관련 민간참여 현황 및 자원, 한계 파악

- 부산시민의 주거욕구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의 필요성 검토 및 방안 제시 등

2.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 민・관에서 추진/진행 중인 주거복지 관련 사업(프로그램, 서비스 등)의 통합적 관

리방안 검토 및 마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6

- 주거복지 지원사업 : 사회주택, 주거급여(임차인 주거비 지원, 자가 수선유지급

여 지원), 집수리 지원,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 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등

▪ 국내・외 선진사례를 바탕으로 시민들의 주거복지 관련 요구사항, 현행 주거복지 전

달체계 문제점 보완 등으로 운영 방안 제시

- 주거복지센터 설치 필요성 검토/확인

- 조직설계 : 운영 주체별 주거복지센터 운영 인력에 대한 편성, 운영 방안 검토

- 전문인력 및 지역거점화 : 광역/권역/구・군/특정지역 등 주거복지센터의 운영

적정단위 설정

- 예산 : 확대되는 주거복지 영역을 고려하여 복지예산의 효율적 배분 필요

∙ 시청 주택정책과, 사회복지과, 노인복지과, 장애인복지과 등 주거복지 직・간

접 관련부서의 업무 비중에 따른 참여율 검토

∙ 부산도시공사,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부산복지개발원, 부산발전연구원

등 관계기관 역할 검토

∙ 주거복지 관련부서별 업무 비중에 따른 예산 할당 및 참여, 민간자원 활용 방

안 검토

- 주거기본법에 따른 주거복지센터 설치 근거 및 운영 필요성 검토

∙ 주거복지 전달체계, 주거복지센터 등 주거기본법 상 지원 혹은 운영 가능한 주

거복지 지원사항의 부산시 적용 필요성 검토

∙ 시민 주거욕구 대비 현행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적정성 검토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지원 대상 및 주요사업, 업무 영역 설계/검토

∙ 주거문제와 주거욕구를 가진 일반시민, 저소득층, 주거취약계층별 우선지원

적정성 검토

∙ 주거상담, 긴급주거지 지원, 사회서비스 및 민간자원 연계, 지역사회 주거복지

지원체계, 주거복지 교육, 주거실태조사 등 업무영역 설계

- 주거복지 서비스와 주거복지 전달체계 연계 추진

∙ 주거급여 및 주거비 상담, 고령자・장애인 등 주거약자의 주택 내 무장애건축

(Barrier Free, 이하 B.F.) 상담/지원, 노후불량주택 수선 상담 등

∙ 공공사업자와 지자체로 분산된 주거복지 사업의 통합적 관리 및 수요자를 위

한 상시적 상담, 정보제공 등 원스톱 창구 지원 등

Page 8: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Ⅰ. 서론

7

- 부산형 주거복지의 구체화, 전문기관 운영으로 부산의 주거복지 책임 지원

∙ 물적, 인적자원 연계(공공건축사, 마을지기사무소, 복합커뮤니티센터 등) 강화

와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으로 다양한 모델의 주거복지 지원체계 마련

∙ 부산시민의 생애단계별 주거취약시기를 중심으로 부산형 주거복지 사업의 다

각화 방안 마련

- 부산시 주거복지 관련 기관별 역할 평가로 주거복지센터 참여 방안 검토

주거기본법의 주거복지센터(제22조) 시행령 제14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 주거복지관련 정보제공 및 상담∙ 주거관련 조사지원∙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 임대주택 등의 입주, 운영, 관리 등과 관련된

정보제공- 주거복지관련 기관, 단체의 연계 지원- 주거개조 등에 대한 교육 및 지원- 주거복지관련 제도에 대한 홍보- 그 밖에 주거복지와 관련된 사항

∙ 국토교통부장관은 주거복지센터의 설치・운영을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위탁∙ 지자체 주거복지센터의 설치・운영을 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조례로 정하는 기관에 위탁

부산광역시 주거기본 조례(2016. 3.30., 제정) 제15조(주거복지센터) ①시장은 법 제22조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거복지센터를 둘 수 있다. 1. 주거복지 관련 정보제공 및 상담 2. 법 제20조 및 관계 법령에 따른 주거 관련 조사 지원 3. 임대주택 등의 입주, 운영, 관리 등과 관련한 정보 제공 4. 주거복지 관련 기관, 단체의 연계 지원 5. 주택 개조 등에 대한 교육 및 지원 6. 주거복지 관련 제도에 대한 홍보 7. 그 밖에 주거복지와 관련된 사항 ②시장은 주거복지센터의 설치・운영을 다음 각 호의 기관 등에 위탁할 수 있다. 1. 「한국토지주택공사법」에 따른 한국토지주택공사 2. 「부산도시공사 설치 조례」에 따른 부산도시공사 3.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제2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법인에 따른 한국토지주택공사 4. 그 밖에 주거지원 업무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전문성과 조직・인력을 갖춘 기관 ③시장은 제2항에 따라 업무를 위탁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관보 또는 부산광역시보에 고시 하여야 한다. ④제2항에 따라 업무를 위탁하려는 경우 이 조례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부산광역시 민간 위탁 기본 조례」를 따른다.

<표 Ⅰ-2> 주거기본법 및 부산시 주거기본조례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8

2) 연구 방법

▪ 주거복지 전달체계, 주거복지센터 등에 대해 다루고 있는 기존 연구 고찰/분석

▪ 자문위원, 외부전문가, 업무담당자, 시민 등을 대상으로 자문회의, 간담회 진행

- 서울시, 대구시, 수원시, 시흥시 등 공공 혹은 민간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선행사

례 조사

- 선행사례의 주요 업무, 실적, 활동 결과 및 애로사항, 향후 발전방향 등 분석

- 주거복지센터의 위상, 업무, 역할, 운영 방안 등에 대한 의견 수렴

- 기존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한계 극복 방안, 타 기관과의 관계 설정 및 기존 자원

과의 연계방안 등 정책방향 설정

- 청년, 고령자 등 생애단계별 주거취약시기 주거복지 수요계층 의견 수렴

- 부산시, 구・군별 주거복지 사업 담당자, 사회복지시설 관련업무 담당자, 시민단

체 등 의견 수렴

▪ 국내 주거복지센터 업무담당자 및 주거복지 전문가를 대상으로 부산형 주거복지센

터의 설치 운영에 관한 제언, 사업 구조화 가안 설계/제시

- 주거실태조사 및 주거욕구조사 등에서 기 조사된 부산시민의 주거욕구를 바탕으

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설치 필요성 및 운영 방안 도출

- 전문가 조사로 주거복지센터 우선 지원사업 선정

∙ 타 시・도의 주거복지센터 업무담당자, 선행연구 연구자를 대상으로 질의, 제

언 등 피드백에 의한 반복적 과정을 통해 특정 응답자의 의견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배제

∙ 부산시 주거현황에 적합한 주거복지센터 운영 가안 작성

∙ 현행 주거복지센터 운영 및 지원 결과, 문제점 등 제언, 관계기관과 역할 설정,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민간자원 활용 방안 등 자문

∙ 민・관 주거복지 통합관리 방안 제언 등

▪ 주거복지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계층화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1) 실시로 주거복지센터 주요 업무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정책 우선과제

1) AHP 기법은 복잡한 의사결정을 위해 1970년대 초 펜실베니아대학 Tomas Saaty 교수가 개발한 의사결정방법으로, 인간이 의사결정을 할 때 세 가지 원칙(계층적 구조화, 우선순위 설정, 논리적 일관성)을 따른다는 점에서 착안된 조사기법이며,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합리적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원리를 따르고 있음(Saaty, 2008)

Page 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Ⅰ. 서론

9

선정

- 주거복지 사업별 복잡한 문제를 계층화하여 주요요인(상위요인)과 세부요인(하위

요인)들로 분해하고,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쌍대비교를 통해 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음

구분 주요 내용 관련 기관

맞춤형주거상담 및

정보제공

∙ 각종 주거문제에 대한 맞춤형, 통합적 상담∙ 공공임대주택 및 각종 주거복지 제도 관련 정보 제공∙ 민간 전・월세시장 정보 제공

LH

지역사회에서거주 안정성

지원

∙ 민간 임대가구 - 저렴한 공공/민간 임대주택 탐색 - 주택임대차 관련 계약 및 분쟁에 대한 법률적 지원∙ 주거취약계층 - 긴급주거지원(주거상실위기, 노숙, 쪽방거주자 임시 거처지원) - 보증금/임대료 긴급 지원∙ 지역 주거실태 모니터링∙ 직・간접적인 지원 가구에 대한 DB 구축

LH,부산시,복지시설(노숙인)

공적 자원의통합적 연계및 접근성

제고

∙ 공공임대주택, 주거급여, 주택금융 등 공적 자원에 대한 수요자 중심의 통합적 연계망 구축 및 접근성 제고 - 공공임대주택 안내 및 전달체계(신청~입주) 연계 - 주거급여 안내 및 전달체계(신청~수급) 연계 - 전・월세자금, 모기지 등 주택금융 안내 및 전달체계(신청~수용) 연계∙ 사회복지서비스 연계/의뢰(지자체와 연계망 구축)

LH,부산시

지역 민간자원연계

∙ 지역 기반의 민간 자원 발굴 및 연계망 구축∙ 지역 주거복지협의회 구성/운영

부산시

임차인생활지원

∙ 지역 및 공공임대주택단지를 거점으로 하는 취약계층 돌봄서비스 및 자활지원(입주민 생활지원 및 임대단지 거점의 사회적 기업 육성 등)

LH

<표 Ⅰ-3> 현행 주거복지사업의 주요 지원내용

3) 추진사항

▪ 현행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업무, 방법, 예산, 인력 운용, 운영 방안 등 운영 상 주요

내용의 분류 후 적정성 검토/평가

▪ 청년, 고령자 등 생애단계별 주거욕구 조사, 관계자 FGI 등을 통해 부산시민의 주거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0

욕구에 대응하는 주거복지센터 운영 방안 검토

▪ 부산시 주거복지사업과 시민의 주거욕구 간 간극을 분석하여 주거복지 전달체계로

서의 주거복지센터를 활용한 해결 방안 및 합리적 운영체계 마련

부산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거복지 전달체계 검토

부산시 주거복지 관련 현황 및 문제점 분석, 해결방안 검토

전문가 및 현장 업무담당자

주거복지센터 관련 의견 검토

부산형주거복지센터의

설치 및 운영 방안 설정/제시

∙ 주거기본법 내 전달체계 검토∙ 선행사례 검토 - 선행연구 - 국내・외사례∙ 문제점 파악

∙ 주거복지 관련 통계자료 분석 - 기 조사 활용 - 주거욕구∙ 주거복지 관련 정책 검토

∙ 생애단계별 주거욕구 조사 - 전문가 - 업무담당자∙ 관계자 FGI

∙ 운영 대안 제시∙ 주거복지센터의 장・단기 계획 수립/제안 - 운영방안 - 특화사업 등

<표 Ⅰ-4> 연구 추진방법

연구목적 및 방법

주거복지센터의 역할/개념-� 주거복지�주요�이슈�파악-�주거복지사업�및�정책�현황

국내・외 사례연구-� 해외�선진사례�및�정책분석-�서울시,�경기도�등�선진사례�발굴

주거복지 전달체계 분석-� 부산시�주거실태�및�주거욕구�검토-�사회복지서비스,�민간자원�연계/활용

1차 전문가 자문 ▶�주거복지센터의�역할,�규모,�운영�등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운영

-� 부산형�주거복지센터�개요-�설치�타당성�검토�및�운영�방안�제시

2차 전문가 자문 ▶�부산형�주거복지센터�타당성�검증

결론 및 정책건의

<그림 Ⅰ-1> 연구 흐름도

Page 10: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Ⅰ. 서론

11

3.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현황

▪ 부산의 주거 현황과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주거복지센터의 설치와 운영을 위해 부산

시 주거특성과 정책 과제, 타시도의 주거복지센터 운영 현황과 주요 사업에 대한 선

행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함

▪ 부산시 주거특성과 정책 과제와 관련된 연구는 부산시 지역별 주거특성, 저소득가구

주거복지 향상 방안 등이 있음

- 이정헌(2016) ‘부산시 지역별 주거특성과 정책 추진과제’는 국토교통부의 주거

실태조사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의 부산지역 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해 주거

특성 및 주거서비스 수준을 파악하여 지역별 주거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를 제시함

- 이정헌・한승욱(2016) ‘부산시 저소득가구 주거복지 향상방안 연구’는 국토교통

부 주거실태조사의 부산시 마이크로데이터 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해 주거실태 및

특성을 파악하여 주거복지적 차원의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기하고

있음

▪ 선행 주거복지센터와 관련된 연구는 경기도 주거복지센터 운영 방향 연구, 수요 맞

춤형 주거지원을 위한 주거복지센터 운영체계 개선 연구,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

영방안 등이 있음

- 봉인시 외(2017) ‘경기도 주거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는 경기도 시・군의 지역

적 특성을 고려하고 현재 운영 중인 센터의 시범사업 분석을 통해 향후 경기도

주거복지센터의 설립・운영 필요성을 확산시키고 센터의 활동 범위와 사업 효과

를 제시하고 있음

- 서울시・한국도시연구소(2017) ‘수요 맞춤형 주거지원을 위한 주거복지센터 운

영체계 개선 연구’는 서울 시민의 주거복지 수요에 기반한 서울형 주거복지 전달

체계로서 주거복지센터 운영체계 개선 방안 및 서울형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

을 위한 모델을 제시함

- 서수정 외(2014)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는 주거관련 중간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2

지원조직으로서 주거지원센터 활용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주거지원센터

설립의 필요성과 안정적인 운영을 통하여 보편적인 주거지원을 제안함

2) 선행연구와 차별성

▪ 기존 연구는 부산시의 주거 현황과 특성에 대한 정책적 과제 제안에 대한 연구 및

선행 주거복지센터의 사업 분류, 주거복지 전달체계 혹은 중간조직으로서의 주거복

지센터의 역할에 중심을 둔 연구임

▪ 본 연구는 부산의 주거 현황과 시민들의 주거욕구, 현장 담당자들의 주거복지 전달

체계로서의 주거복지센터의 역할 등을 통합・분석하여 부산시 특성에 적합하며, 시

민의 주거욕구를 직접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설치와 운영 방

향을 제안하고자 함

- 8.15 광복, 한국전쟁, 정책이주 등 도시사회학적 변화로 구성된 부산시 도시 특

성을 고려한 시민 체감형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성을 목표로 함

- 「부산광역시 주거기본 조례(2016. 3.30., 제정)」 제15조(주거복지센터)에 따른

부산시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부산시 주거 현황 및 현장 업무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

영을 위한 기초조사 결과의 교차분석을 통해 주거복지 정책의 대상자인 시민

들이 요구하는 주거복지서비스 지원사업을 제안하고자 함

∙ 주거복지 프로그램이 수요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주거복지 전

달체계로서의 주거복지센터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함

- 민간운영, 민간위탁, 공공기관 등 다양한 주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현행 주거

복지센터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산시에 적합한 형태의 운영체제와 대안을 제안하

고자 함

- 주거복지 로드맵 등 정부의 다양한 주거복지 정책에 대응하는 부산시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확립과 민간자원의 유기적 연계 방안 마련을 목표로 함

- 특히, 중앙정부 주도의 주거복지 정책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부산시의 역할과

생애단계별 주요 지원사업의 설정 등을 통해 부산형 주거복지 전달체계 마련의

기초를 제안하고자 함

Page 1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Ⅰ. 서론

13

구분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내용

주요선행연구

1

∙ 과제명 : 부산시 지역별 주거특성과 정책추진과제∙ 연구자 : 이정헌 (부산발전연구원, 2016)∙ 연구목적 : 부산시의 지역별 주거실태 및 특성 분석을 통해 주거 불균형 해소를 위한 부산시의 주택정책 추진 과제 제시

∙ 통계지표 및 참고문헌∙ 주거실태 및 특성 분석 - 인구주택총조사 - 주거실태조사∙ 주거서비스와 주거격차에 대한 고찰, 정책현황, 주거 특성분석 등으로 부산시 지역별 주거수준 제고방안 도출

∙ 부산의 사회적・지형적 여건으로 타 대도시 대비 낮은 주거수준의 지역별 격차 해소 및 형평성 차원의 정책적 대응 방안 제시∙ 지역별 주거불균형 해소 를 위한 정책과제 제시

2

∙ 과제명 : 경기도 주거 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 연구자 : 봉인식 외 (경기연구원, 2017)∙ 연구목적 : 다양한 주거 복지 수요에 대응하여 접근이 용이한 주거복지 서비스 제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주거복지 전달체계로서 주거복지 센터의 운영방향 제시

∙ 주거복지, 전달체계 등에 대한 문헌고찰∙ 선행 주거복지센터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 주거복지센터 활동가, 전문가, 정책결정자를 대상으로 FGI 시행으로 기관 연계, 정책방향을 도출

∙ 주거복지와 전달체계에 대한 개념을 정리∙ 주거복지서비스의 공급/ 수요자 간 전달방식 고찰∙ 경기도 주거복지센터 설치의 필요성 제시 및 경기도 실정을 고려한 운영방향 제안

3

∙ 과제명 : 수요 맞춤형 주거지원을 위한 주거 복지센터 운영체계 개선 연구∙ 연구자 : 최은영 외 (서울특별시, 2017)∙ 연구목적 : 서울시민의 주거복지 수요에 기반한 서울형 주거복지 전달 체계 모델 제시

∙ 문헌 연구 및 해외사례 조사 - 가계동향조사 - 인구주택총조사 - 주거실태조사 - 서울시 자체 설문조사∙ 면접조사 및 전문가자문 - 심층면접조사 및 FGI - 전문가자문

∙ 주거복지 관련 자원실태 조사∙ 서울시민의 가구특성별 주거복지 수요 및 대응 방안 검토∙ 국내외 주거복지 전달 체계 관련 제도 분석∙ 기존 복지지원 체계와 연계된 서울형 주거복지 전달체계 모델 제안

본 연구

∙ 과제명 : 부산형 주거 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연구목적 : 부산시민의 소득수준, 생애단계별 주거복지서비스 대응체계 구축 방안 마련 및 검토

∙ 주거복지 전달체계 및 주거복지센터 기존 연구 고찰∙ 선행 주거복지센터 업무 담당자 및 주거복지 전문가 자문∙ 현장 업무담당자를 대상 으로 기초조사(AHP)

∙ 민・관 주거복지 관련 사업의 통합 방안 검토∙ 부산시민의 수요에 대응 하는 맞춤형 주거복지 전달체계로서 주거복지 센터의 운영 방안 제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중・단기 발전 방안

<표 Ⅰ-5> 선행연구와 차별성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4

4. 연구의 기대효과

▪ 「주거기본법」, 「부산광역시 주거기본 조례」 제정에 따라 주거권 명문화로 강화되고

있는 주거복지와 부산시민의 주거욕구에 대응하는 중간조직 및 전달체계의 마련으

로 적극적인 주거복지 실현이 가능함

- 민간, 공공의 주거복지 관련 자원 연계를 통해 시민들의 실질적 주거욕구 해소와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문제 해결을 지원

- 주거취약계층을 적극 발굴하여 상담 및 사례관리, 직접지원 등을 통하여 저소득

층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 향상에 기여

- 주거복지 관련 사업(프로그램, 서비스 등)의 유사중복으로 인한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 문제 해결 및 주거복지 지원체계 구축으로 효율적 지원체계 마련

▪ 종합적 주거복지 수행을 위한 전달체계 구축으로 수요자 중심의 주거복지 정책의 효

과성 향상 및 주거복지의 중요성을 재환기함

- 주거복지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기본권으로서의 주거권 확보에 수동적인 수요자

에게 주거복지의 중요성 인식으로 안정적 주거를 위한 요구 등 유도

- 제한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주거상담, 긴급주거지원, 주택연금, 개보수사업 등의

업무 수행체계 마련으로 주거복지 지원의 강화

- 주거복지 관련 공적 전달체계와 민간 전달체계의 상호협력 및 보완 관계 설정으

로 분산된 전달체계 자원의 효과적 활용, 서비스 연계 가능

▪ 주거복지에 대한 종합적 정보제공 및 수요자의 요구사항 파악으로 일관된 방향의 주

거복지서비스 제공이 가능함

- 상시적인 상담 및 정보제공 one-stop 창구 제공

- 사회복지, 주거급여, 일자리, 보건, 자활 등 기존의 사회지원서비스와 지원 연계

- 지속적인 사례관리 추진으로 안정적 주거를 통한 일상생활 지원

▪ 부산시 주거현황 및 문제점, 지역 맞춤형 주거복지센터 기초조사 등 자료의 교차분

석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부산지역에 적합한 주거복지센터 모델 제안으로 부산형 주

거복지센터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함

- 시민들의 주거욕구에 대응하는 주거지원서비스 및 중・단기 발전계획 제안으로

안정적 운영 방안 마련

Page 1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Ⅱ1. 주거복지

2. 주거복지 전달체계

3. 시사점

주거복지와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Page 13: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Ⅱ. 주거복지와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17

Ⅱ. 주거복지와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1. 주거복지

1) 주거복지의 개념

▪ 주거권(right to housing)과 주거복지(housing welfare)는 개념의 정의에 따라 구

분되어 사용되기보다는, 사람들이 두 개념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이미지의 차이 및

사용방식의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판단됨2)

- 주거권은 모든 사람의 적절한 권리 실현을 추구하는 개념이고, 예외가 있을 수

없는 보편적인 성격을 가짐

- 주거복지는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주거를 인간의 기본적인 소요로 판단하고 이를

보편적으로 보장하는 것을 지향함

▪ 주거복지에 대한 일반화된 정의는 없으며, 연구자와 연구목적에 따라 조작적으로 정

의되고 있음

- 주거복지는 주거 안정을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복지서비스로 그 대상이나 범위

에 여러 시각이 존재하지만, 개별 가구가 경제적 능력에 맞게 알맞은 수준의 주

거비를 지불하고 가구 특성이나 선호 등에 맞는 양질의 주택에 거주할 수 있도

록 해야 함(최은희, 2014)

- 주거복지에는 주거에 대한 권리 개념과 복지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복지와

유사하게 주거복지 또한 모든 국민들이 적정한 주거생활을 안정적으로 영위하는

것을 목표로 함(홍인옥, 2012)

- 주거에 대한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현금 및 현물 등의 서

비스, 법률 혹은 활동이 주거복지를 의미하기도 하며, 이 모든 것들을 포괄한 체

계를 의미하기도 함(김혜승, 2004)

2) 홍인옥 외, 주거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2011, 사회평론, p.18 참고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8

- 주거복지를 개별 가구가 기존의 시장이나 주거 관련 제도를 통하여 자신들의 기

본적인 주거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어려움이 예상될 때 그

욕구를 충족시킬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조직화된 활동의 총체로 정의함(한

국주거학회, 2007)

- 한편, 보편적 주거복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사회구성원 누구나 건강과 행

복을 추구할 수 있는 주거생활을 누리는 것으로 조사됨(국토연구원, 2014)

∙ 주거 측면에서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계층을 대상으로 국가나 사회

가 제공하는 주거서비스를 말함

▪ 사회문제 영역 범위에 따라서는 주거복지를 주택이 없는 자에게 거처를 마련해 주고

부적합한 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주거수준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주거가 불

안정한 자를 보호하는 등 공공부문이 사회복지 차원에서 모든 사회구성원이 누릴 최

소한의 주거수준을 보장하는 것으로 판단함(장세훈, 1999)

- 주택에 초점을 맞춰 물리적 주거환경을 개선하는데 주력하는 협의의 주거복지와

보다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거주자가 이웃과 원만한 관계를 맺으며 지역사회 내

에서 참여와 협조를 통해 소속감과 연대감을 형성해서 사회문화적 안정감을 누

릴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을 의미하는 광의의 주거복지로 구분함

▪ 주거복지 또는 주거지원서비스(housing support services)와 사회복지(social

welfare) 또는 사회서비스(social services)와의 관계를 통해 주거복지 개념을 정의

하기도 함

- 주거지원서비스는 주택으로 대표되는 정주공간을 매개로 발생하는 다양한 편익,

즉 주거서비스3)를 소비자가 적절히 누릴 수 있도록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로 정

의함(남원석, 2010)

- 취약계층 등 주거문제를 지닌 지역주민이 지역사회에서 주거기반을 적절하게 확

보, 유지하여 독립적으로 생활하도록 지원하는 연성서비스(휴먼서비스)를 주거

지원서비스로 정의함(김혜승 외, 2012)

▪ 주거지원서비스와 사회복지 등의 관계를 바탕으로 할 때 주거복지는 주거에 대한 사

회복지적 접근으로, 물리적인 주택공급을 통한 주거공간의 확보 이외에 주거지원서

3) 주거서비스(housing services)의 예로는 물리적 보호(shelter), 만족과 사회적 지위(satisfaction and status), 일자리, 쇼핑, 친구, 여가 등에 대한 접근성(accessibility),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 자본이득 등이 있다(남원석 외, 2010)

Page 1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Ⅱ. 주거복지와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19

비스 제공을 통한 지역사회에서의 통합적인 생활을 강조함(홍인옥, 2012)

구분 주요 서비스

주거 관련 정보제공 및 상담, 주거의 탐색, 정착과

유지를위한 지원

∙ 노숙인 상담 및 임시거처 지원∙ 공공임대 관련 정보 제공 및 신청절차 안내와 공공임대주택 간 주거이동 지원∙ 공공임대, 저렴한 민간임대 등 주거의 탐색과 이사 지원∙ 임대료 지원 관련 정보제공 및 신청절차 안내∙ 임차관계 설정 및 유지와 관련된 지원, 임대료 연체 등 주거위기 대응∙ 전기나 수도설비 등의 연결 혹은 관련비용 지원에 대한 정보제공 및 신청절차 안내∙ 필수적 가구, 비품 등의 구매와 확보 지원∙ 임차인 혹은 거주자의 의무와 권리에 대한 정보 제공과 상담(유지관리, 임대료 지불, 개량 및 수선요청, 안전점검 등)∙ 이웃과의 갈등 해소, 지역사회 참여 지원∙ 자가 건축・매입 시 지원 관련 정보 제공 및 계약체결 유지사항 안내

의료, 고용, 공공부조 등

다양한 부문들을

연계하는 지원

∙ 수급신청, 주민등록, 장애등록, 각종 복지수당 신청 등 행정지원∙ 보육, 교육, 의료(검사 및 치료 등), 고용(구직알선 등), 여가, 종료, 문화 등 다양한 추가적인 서비스와 기관 이용∙ 사회복지시설 이용지원, 지역정신보건서비스, 신용회복 지원 연계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술

지원

∙ 요리, 생활용품 구입 등에 대한 기술 갖추도록 지원∙ 각종 요금 지불 방식 및 절차 관련 정보 제공과 지원∙ 신용카드 및 기타 채무 관련 문제 해결 위한 정보제공

<표 Ⅱ-1> 주거지원서비스의 핵심 내용 및 주요 서비스

자료 : 서종균(2011)과 김혜승 외(2012)의 연구내용을 참고하여 재정리한 내용(봉인식 외, 2017)

2) 주거복지의 범위

▪ 주거복지 범위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크게 서비스의 객체나 물리적 공간

및 주거환경에 따라 협의와 광의로 구분할 수 있음

- 협의의 주거복지는 수혜대상자를 국민 일부로 제한하여 이들의 기본적 주거욕구

를 충족시키기 위한 금전적 지원 및 기타 서비스를 의미함

- 광의의 주거복지는 전체 국민의 기본적 주거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집합적 책

임이라 할 수 있음

▪ 주거복지의 범위를 물리적 공간과 주거환경으로 나누어 구분하면 좁은 의미의 범위

는 물리적 공간으로서 주택(house)에 초점을 두고 물리적 주거환경 개선이 중심이

며, 넓은 의미의 범위는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의 일상생활, 주거(housing)의 문제에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20

중심을 둠

▪ 경제적, 사회・복지적, 거주자 차원에서의 주거복지

- 경제적 차원에서 주거복지는 기본적 주거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금전적 지원

및 기타 서비스를 의미함

- 사회・복지적 차원에서는 정부가 주거복지 지원의 주체가 되어 복지적 주거서비

스를 제공하고 사회의 안정과 복지 증진을 위한 제반 정책이 중심이 됨

- 거주자 차원에서는 주거를 인간 삶의 기본조건으로 보고, 사람답게 살 수 있는

환경, 사람 간의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음

2. 주거복지 전달체계

1)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 일반적으로 하나의 정책이 구현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전달체

계(이진, 2009)이며, 주거복지 또는 주거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념은 사회복지의 개

념을 주로 사용함

- 사회복지의 전달체계는 사회복지정책 할당과 제공이 결정되고 난 후 적격 소비

자에게 선택된 사회적 제공이 주어지도록 장치를 의미함

-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들 간의 조직적 연결,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관계, 공

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하는 틀, 조직(또는 기관), 서비스 전달의 경로, 과정, 절차

이면서 광의적으로는 서비스 이용이나 접근과 관련하여 서비스 공급의 구조와

재원의 흐름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함(진미윤 외, 2014)

▪ 주거복지 전달체계(housing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는 사회복지정책의

할당(allocation)과 제공(provision), 즉 ‘누구(who)에게’와 ‘무엇(what)을’이 결정

되고 난 후 적격 소비자에게 선택된 사회적 제공이 주어지도록 하는 장치

(arrangement)로 누구에게 무엇을 주는 일이 ‘어떻게(how)’ 이루어질 것인가를 결

정하는 부분으로 지역사회에서 서비스 공급자들 간, 서비스공급자와 소비자들 간에

존재하는 조직의 배열(Gilbert & Terrell, 2012)을 의미함

Page 15: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Ⅱ. 주거복지와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21

- 정책 및 프로그램을 공급자와 수혜자 간에 상호 연결시켜주는 매개체로, 전달체

계를 통하여 정책 및 프로그램의 대상자 선정, 자격요건 및 지원내용 등에 관한

주거복지 정책이 실현

-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미확립 시에는 지역주민들은 서비스욕구가 발생하여도 어

디서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없게 되고, 서비스공급자들도 수혜자

들에게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지 못하게 됨

- 따라서, 의도된 주거복지 정책의 목적을 한정된 재원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달

성하기 위해서는 주거복지 서비스에 대한 전달체계의 설계와 정립이 필요함4)

▪ 주거복지 행정의 전달체계는 임대주택, 주거급여 및 기타 정책・제도적 차원의 주거

지원서비스 등의 프로그램이나 사업의 공급자와 수혜자를 상호 연결시켜주는 매개

조직을 말함(김혜승, 2005)

구분 지원내용

주택지원

공공임대주택 공급, 운영, 관리

∙ 모집 공고, 신청접수, 자격심사, 선정, 통지, 입주, 계약∙ 하자상담 및 처리

공공임대주택 퇴거지원 ∙ 다른 유형의 공공임대 또는 민간임대로의 주거이동 지원

긴급주거지원∙ 긴급 경제위기, 민간임대 임대료 연체, 노숙인, 쪽방 거주자 등에 공공임대주택(공가) 임시거처로 제공

생활지원공공임대주택 입주민

생활지원∙ 임대단지 입주민 생활지원 및 매입/전세 입주민 생활 지원 : LH, BMC 역할

상담 및 정보제공 ∙ 주거문제 종합적 상담/안내 및 기타 복지서비스(자원연계)

임대주택 상담 ∙ 공공임대주택 및 민간 전・월세 정보제공 및 탐색

주거관련 법률상담 ∙ 민간임대차분쟁, 공동주택관리분쟁 법률상담

전・월세자금 금융상담∙ 전세자금, 월세 금융상담 및 모기지/역모기지 금융상담

∙ 보증금, 임대료, 연료 지원상담

기타 복지서비스 연계/의뢰

∙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의뢰

∙ 신용회복 상담

주거급여 주거급여법 ∙ 주거급여 상담, 주택조사, 주택개보수 지원

지역 주거복지 거버넌스체계 구축 ∙ 지역 주거복지협의체 운영 및 지역 주거실태조사

사례관리 ∙ 지원가구 DB구축 및 서비스 종결(혹은 이후) 사례관리

<표 Ⅱ-2> 「주거기본법」 상 주거복지센터의 업무 범위

주 1)현행 다수의 주거복지센터에서 수행하고 있는 주거실태조사는 「주거기본법」 제20조(주거실태조사)로 구분함

자료 : 남원석 외(2010); 김혜승(2012) 수정 후 재인용

4) 주거복지 전달체계 용어풀이, 국토(Planning and Policy), 2013, 국토연구원, p.54 참고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22

2)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요소

▪ 다양한 개별 사회서비스는 통합(integration)되어 지속적(continuity)으로 제공되어

야 하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용이(accessibility)해야 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결정과 활동에 책임성(accountability)이 있어야 이상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로

분절(fragmentation), 단절(discontinuity), 책임감이 없거나(unaccountability),

접근 용이성이 부족(inaccessibility)할 경우 서비스 전달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함(Gilbert & Terrell, 2012)

▪ 전달체계 구성 원칙을 서비스 제공의 통합성・포괄성・효율성 측면, 서비스의 대응

성・ 전문성・지속성 측면, 이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체감도, 효과성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고, 적합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세부적으로

- 위기가구의 발굴과 위기에 처한 개인의 서비스 접근성과 긴급연락시스템 확보

(지역별, 지역 간 상시적 협력 체계)

- 위기 및 위험요인(또는 욕구)의 포착(전문인력 배치)

- 욕구・문제에 적합한 지원 서비스 설계(지역단위의 협력 사례관리체계 운영)

- 서비스 연계 제공(서비스 자원의 발굴과 관리체계 마련)

- 서비스의 점검 및 지속 관리(지속관리가 가능한 충분한 인력 배치와 대상자 변화

를 포착할 관련 기관간 연계) 등이 요구됨(강혜규, 2014)

▪ 「사회보장기본법(2017. 7.26.)」 제29조(사회보장 전달체계)는 ①국가와 지방자치단

체는 모든 국민이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사회보장급여가 적시에 제공되도록 지역적・기능적으로 균형잡힌 사회보장 전달체계를 구축, ②사회보장 전달체계의 효율적 운

영에 필요한 조직, 인력, 예산 등을 갖추어야 하며, ③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사회보

장 전달체계가 효율적으로 연계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명기되어 있음

▪ 기존 주거복지 공적 전달체계 상의 최종 전달자는 지자체의 역할로 인식

- 주거복지와 관련한 공공임대주택, 주거급여, 주택금융지원 등의 프로그램에서 건

설, 매입, 대출 등의 집행에서는 전담기관이 있으나 신청 및 심사, 추천 등의 최

종 전달과정에서는 지자체에서 업무를 진행하고 있음

▪ 제2차 장기주택종합계획(2013~2022년)에서는 주거복지 전달체계 강화 차원에서

주거복지 집행체계 개편, 민관협력체계 구축, 전문 인력 육성 과제 등을 제시함

Page 16: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Ⅱ. 주거복지와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23

- 임대주택관리, 주거급여, 임대주택 공급 등 주거복지정책을 통합 수행할 수 있도

록 집행체계 개편

- 민간에서 구축된 지역 네트워크 활용 및 주거복지서비스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민간협력체계 구축

- 국가공인 주거복지사 제도를 도입하여 공공임대단지 등에 의무적으로 배치

구분 내용

구성원칙

적절성(appropriateness)

욕구해결을 위해 충분한 양과 질의 서비스 제공, 적절한 기간 제공에 대한 원칙, 즉 서비스의 욕구충족과 목표달성의 충분성

전문성(professionalism)

복지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주요 업무를 가능한 전문가가 담당해야 하는 원칙

접근용이성(accessibility)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지리적, 물리적, 경제적, 개인적 동기와 인식 등의 이유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야 한다는 원칙

포괄성(comprehensiveness)

대상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다양한 복지서비스가(동시 또는 순서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원칙

통합성(integration)

서비스 프로그램, 서비스 공급자들은 필요한 수요에 따라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원칙

운영원칙

지속성(continuity)

대상자에게 필요한 급여를 욕구가 충족될 때까지 일정기간 이어서 계속 제공하는 것을 의미(복합적 욕구는 지역사회 내 연계를 통해 지속적 제공)

책임성(accountability)

사회복지 조직은 국가가 시민의 권리로 인정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전달하도록 위임받은 조직이므로 필요한 욕구를 가진 사람에게 자원을 전달해야 하는 책임을 진다는 원칙

평등성(equality)

시민(수혜자)의 연령, 성별, 소득, 종교, 지역에 관계없이 평등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원칙

효과성(effectiveness)

정량, 정성적인 복지서비스 전달 목표의 달성 정도를 의미

효율성(efficiency)

동일한 효과의 전달체계를 기획한다 하여도 그 투입을 최소화하여 경제적 유리함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

<표 Ⅱ-3> 전달체계 주요 원칙

자료 : 이현주 외(2005); 홍인정(2010); 이종권 외(2015); 이진(2009); 최성재・남기만(2016); 함영진(2010)을 참고하여 재정리한 내용(봉인식 외, 2017)

3)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현황

▪ 주거복지의 실질적인 행정은 지방정부에서 진행되고 있음

▪ 2018년 부산시의 주거복지 행정체계는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24

- 행복주택녹지국 주택정책과에 주거복지팀을 구성(2018년)하여 업무를 담당

- 기초단위에서는 복지(정책)과, 건축과에서 주로 주거복지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

며, 일부에서는 사회복지 업무의 연계 업무로 인식하고 있음

▪ 부산시는 주거복지팀에서 주거복지 업무를 전담하고 있으나 주거복지 업무를 종합

적이고 전문적으로 추진하기에는 인력과 전문성에서 한계가 있음

- 사회복지과, 노인복지과, 장애인복지과 등 주거복지 연관부서 업무연계의 한계

및 책임성 불명확으로 업무 추진에 어려움이 있음

- 현행 전달체계에서는 동 주민센터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을 통해 사회복지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나 주거복지는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선정이나

주거급여 등 주택이나 임대차 관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업무이므

로 LH 등 전담기관으로 이관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함

<그림 Ⅱ-1> 부산시 주거복지 전달체계 현황

▪ 문재인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 로

드맵’ 발표5)(2017.11.29.)

- 생애단계별・소득수준별 맞춤형 주거지원

∙ 수요자의 생애단계・소득수준에 따른 주거 수요를 반영하여 임대주택 공급 및

금융지원, 복지서비스를 패키지로 지원

5)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보도자료, 2017, 국토교통부

Page 17: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Ⅱ. 주거복지와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25

- 무주택 서민・실수요자를 위한 공적임대 주택 100만호 공급

∙ 무주택 서민・실수요자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임대료의 주택을 좋은

입지에 충분히 공급하여 주거비 부담을 경감

∙ 안정적인 주택수급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민간에 매각하는 공공택지의 공급물

량도 수급현황을 고려하여 탄력 조정

∙ 공공임대・공적지원주택 확대를 통해 공적임대주택 재고율을 2022년까지

OECD 평균(8%)을 상회하는 9% 달성(재고 200만호, 2016년 6.3%)

- 법・제도 정비 및 협력적 주거복지 거버넌스 구축

∙ 주택임대차보호법을 주거복지 및 임대차시장 안정과 연계 관리

∙ 주거실태조사의 신뢰성 제고 및 최저주거기준 현실화

∙ 공공임대 수요자 편의성 및 유지관리 강화

∙ 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주거복지 전달체계 확충

∙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 사회적 경제주체에 의한 임대주택(사회주택) 공급 활성화

∙ 주거복지 로드맵 실행을 위한 공공기관의 역량 강화

구분 주거복지 전달체계 관련 주요 정책 및 논의

2002년제1차 장기주택종합계획(2003~2012년) : 주택정책에서 지자체가 담당해야 할 주요 업무로 지역주택계획 수립,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집행, 지방정부와 민간의 협조체계 구축 등을 제시

2006년LH 자체적으로 주거복지센터를 설치하고 공공임대주택 운영・관리업무 외에 입주민에 대한 생활지원 강화

2007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으로 민간 주거복지센터(전국 9개소) 출범

2012년제2차 장기주택종합계획(2013~2022년) : 주거복지 전달체계 강화 차원에서 주거복지 집행체계 개편, 민관협력체계 구축, 전문 인력 육성의 과제를 제시

2014년주거급여 체계 개편 : 기초생활급여가 통합급여체계에서 별도 급여체계로 바뀌면서 주거급여 소관부처는 보건복지부에서 국토교통부로 이관(주거급여 신청/자격심사는 지자체, 주거급여 관련 주택조사 및 자가가구 주택개보수는 LH 수행)

2015년 주거기본법 제정 : 주거권,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 주거복지센터 설치

2017년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 로드맵 발표 : 주거복지 정책방향을 제시하여 세밀하고 구체적인 주거지원 실현방안을 마련(주거복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주거복지센터 및 전문 인력 확충)

<표 Ⅱ-4> 주거복지 전달체계 관련 주요 변화

자료 : 종합적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 연구, 2015, LH 토지주택연구원, 수정 후 재인용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26

3. 시사점

▪ 주거복지는 단순히 주거에 복지서비스 제공을 추가하는 개념이 아니라 주거정책을

복지적 차원으로 접근하여 기본적인 권리로서 주거권을 실현하는 것임

-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미흡으로 주거복지 수요자들은 어떤 제도를 이용할 수 있

는지, 어디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알지 못해 주거권 실현에 제한적임

▪ 주거복지 전달체계는 주거복지의 수요자에게 주거복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

기 위해 만들어진 중간지원조직임

- 주거복지 전달체계는 주거복지 행정의 전달체계, 주거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등

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주거복지 서비스의 효율적 전달을 위한 중

간지원조직(주거복지센터)으로 한정함

▪ 「주거기본법」 상의 주거복지 전달체계 관련 규정

- 주거권, 주거정책의 기본 원칙, 최저주거기준6), 유도주거기준

-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의 의무를 명시하며 민간 전달체계와 공적

전달체계로 구분

-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주거복지센터를 국가 및 지자체가 직접 설

치하거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에 위탁할 수 있도록 규정

- 주거복지정보체계를 국토교통부장관이 구축하거나 위탁할 수 있도록 규정

- 주거복지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하여 국가 및 지자체가 지원하며, 주거복지 전문

인력을 우선 채용할 수 있도록 명기

▪ 공공임대주택, 주거급여 등의 기존 공적 자원에 대한 수요자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거주하고 있는 주택 또는 지역사회에서의 주거안정이 가능

하도록 사례중심의 통합적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함

- 주택의 건설, 관리 등 공급 측면과 주거 관련 정보제공, 상담, 사례관리 등 서비

스 측면의 주거 정책수단의 조화가 필요함

▪ 기존 주거복지 전달체계는 LH와 부산시로 양분되어 있어 복잡화, 다양화되는 시민

들의 주거복지 욕구에 전문적, 통합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6) 국민이 쾌적하고 살기 좋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기준을 설정・공고 한 것으로 가구구성별 최소 주거면적, 방의 개수, 전용부엌, 화장실 등 필수설비 기준, 주택의 구조, 성능 및 환경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2011년 5월 이후 7년 만에 개정 추진 중임

Page 18: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Ⅱ. 주거복지와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27

- 상담, 정보제공, 주택지원, 금융지원, 주거급여, 생활지원 등의 주거복지업무를

전문적, 통합적, 지속적으로 수행할 전달체계의 마련이 필요함

- 현재 공공임대주택 등의 자산관리 수준으로 지원업무 영역이 제한적인 BMC 내

주거복지센터의 역할도 LH 주거복지센터 이상의 주거복지 지원체제로 강화가

필요함

▪ 주거복지의 안정적 지원을 위해 주거복지 전달체계로서 주거복지센터의 역할과 업

무 범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사회복지 통합사례관리 기관인 기초지자체와의 관계 설정 및 커뮤니티케어7)와

같은 정부 사회복지정책과 연계 등 사전 고려

▪ 부산시의 기존 노숙인 지원센터,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주거복지 민간부문과 협

력관계 강화가 필요함

- 현재 부산시에서 운영 중인 민간 주거복지센터의 없으나 노숙인 지원센터 및 쪽

방상담소 등에서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업무 중임

- 공적 전달체계와 민간 전달체계는 상호협력・보완하는 관계 설정으로 지역 주거

복지 거버넌스 구축

구분 내용공공

민간지자체 LH

책임성 서비스 전달에 책임 ● ● △

전문성 주거복지 공적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성 △ ● △

대인 복지서비스 전문성 △ - ●

통합성 주거복지 프로그램간 상호연계 - ● △

사회복지 서비스와 연계 ● - △

지역자원 연계 △ △ ●

접근성 지리적 접근성 ● △ -

심리적 접근성(정서적지지) △ - ●

<표 Ⅱ-5>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주거복지 전달체계 특성 비교

자료 : 남원석 외(2010)

7) 시설이나 병원이 아닌 ‘지역에서((in the community)’ 당사자의 욕구에 적합한 돌봄서비스와 복지급여를 누리면서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서비스 체계

Ⅲ1. 부산시의 도시 특성

2. 주거 및 주거환경

3. 주거복지사업 현황

4. 시사점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Page 1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30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1. 부산시의 도시 특성

1) 부산시 도시구조 및 쇠퇴원인8)

(1) 역사 및 정책

▪ 8.15 광복, 한국전쟁에 의한 도시난개발 발생

- 1945년 일제 식민지배에서 해방 후 80만 명에 이르는 귀환동포가 부산에 집중

되어 1945년 28만 명이던 인구가 1949년 47만 명으로 급상승 하였으며, 현재

의 남구, 부산진구 등 도심권역에 빈곤한 귀환동포들이 밀집되면서 무허가 판잣

집과 같은 취약한 주거환경을 형성함

- 1950년 6.25 한국전쟁 직후 피난민들로 인해 인구는 1951년 62만9천명에서

1952년 88만9천명으로 수직 상승하였으며 이를 기점으로 우암동, 영도, 초량,

범일동 일원까지 광범위한 난민주거지가 형성되었고 도시 난개발이 가속화됨

▪ 정책이주지역의 정체

- 8.15 귀환동포 및 6.25 한국전쟁 난민 수용지와 주거지 등에 대해 이주민의 생

활안전 및 영구정착지로서의 기본적 여건을 갖추지 못한 채 1960년대 후반 초기

에는 강제이주, 이후에는 정책이주가 실시됨

- 도심지 주민들의 이주에만 신경을 쓰다 보니 이들의 생활여건, 공공근린시설 등

을 거의 고려하지 못해 주거여건이 취약한 상태로 계속적인 정체를 보임

▪ 공동주택 공급위주의 정책으로 인한 도심공동화

- 1980년대 말 200만호 건설시기 때 양적 물량위주의 공공주택 공급 이후 1990

년대 후반부터는 주택공급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기존 공공주택 범위 내에서

입주계층을 조정하는 것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극빈층 중심의 입주만을 허용하는

8)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용역, 2015, 부산광역시

Page 20: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31

형태로 진행되었고 영구임대주택이나 공공주택에 극빈계층만 집적되는 결과를

초래

- 대단위 아파트가 조성된 1990년대 이후의 공동주택지역, 해운대구 좌동 및 북구

화명동 신도시지역 개발로 단독주택 및 다세대 위주의 불량노후주거지역과의 격

차는 더욱 커짐

- 2000년 이후 아파트 위주의 개발이 더욱 확대되어 아파트 비율이 2000년

25.8%에서 현재 62.3%의 비중을 차지함

▪ 재개발 지역의 침체 가속화

- 노후단독주택지역과 노후임대아파트 등 주거 밀집지역은 수익성 위주의 민간 의

존형 재개발 정책의 한계로 인한 주거환경의 슬럼화 계속화

- 재개발지역은 실제 사업이 추진되는 경우가 많지 않으며 노후 주택의 개보수와

기본적인 기반시설 등의 개선이 쉽지 않아 주거여건이 열악하고 슬럼화가 심각

- 이러한 상황의 악순환으로 젊은 인구 및 경제적 사정이 다소 나은 인구들이 빠져

나가고 노인인구들만 남으면서 커뮤니티의 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작용

(2) 인구・사회

▪ 높은 고령화 및 인구 유출

- 1963년 직할시 승격과 행정구역 확장으로 인구는 약130만명으로 증가하였으며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으로 경제발달과 도시화가 촉진되면서 1970년대 약

180만명으로 늘었으며 1995년 광역시 개칭과 행정구역 확장을 통해 2000년 약

380만명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 현재는 약350만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 2000년 이후 부산광역시 전체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인구

감소율은 6.9%로 나타남.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1차적으로 경제여건 변화에 대

응한 산업구조조정이 제대로 이루지지 못하면서 고용흡수력이 저하된 데서 기인

- 제조업체의 역외 이전과 서비스산업 위주로 구조조정 되면서 영세・생계형이 주

류를 이루며 지역경제가 위축되었음. 이에 부산경제의 위상 저하는 높은 지역실

업률로 귀착되면서 젊은층의 인구 유출과 더불어 출산율의 저하, 경제활동인구

대비 고령화의 결과를 가져옴(노령화지수 : 137.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32

- 1950년대 피난민 세대와 1960~70년대 부산경제 확장기에 유입된 산업화세대

등이 노년층에 진입하면서 고령화로 인해 마을의 활력이 떨어지고 사회적 부담

은 높아짐

- 교통수단 발달 등에 따른 김해, 양산 등 인접지역으로 주거지 이동과 학업을 위

한 젊은층의 수도권 유출도 인구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함

▪ 빈곤계층의 밀집화 및 계층 혼합화 부족

- 도심권과 중부산권, 서부산권에 낙후된 지역이 다수 포함되어 있지만 소득수준

이 높은 지역은 동부산권 등에 다수 포함될 정도로 지역간 격차 심화

- 구도심지역은 소득부족 뿐 아니라 고용, 교육, 건강, 주거, 사회안전, 생활여건

등 거의 모든 영역이 낙후

- 낙후지역은 일자리의 부족, 주거생활여건의 취약성, 교육여건 미흡 등으로 인해

젊은 인력들이 유출되고 있으며, 젊은 인구의 유출은 낮은 출산율과 맞물려 마을

의 기반을 더욱 취약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

(3) 물리환경

▪ 지형적 특성

- 낙동강 서부지역을 제외한 전역에 급경사의 구릉성 산지가 분포하는 부산의 지

형적, 도시적 특성으로 인해 물리적 개발이 쉽지 않은 지역을 중심으로 낙후되고

있으며 산복도로, 원도심 배후지역, 부산진구, 남구, 금정구, 북구 등 낙후된 고

지대가 광범위하게 산재함

- 산지가 많은 지역에 귀환동포, 한국전쟁 피난민들에 의해 무허가촌 및 산복도로

등의 취약한 주택환경 조성되었으며, 이러한 곳은 주거생활여건에 물리적 개선

이 쉽지 않아 개발을 위한 사업성, 매력도, 주택구매력 등이 떨어져 노후화를 가

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전체 214개 읍・면・동 중 20년 이상 된 건축물이

50% 이상인 읍・면・동 : 195개소(91%))

▪ 다양한 개발제한 요소

- 산복도로 인근 주거지역 및 고지대지역, 개발제한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공간

개발의 가치가 낮은 지역에 경제적 역량이 취약한 주민들이 집중 거주

- 도시 한가운데 철도가 지나고 있어 주민소통, 대중교통 접근성, 편의시설 확보에

Page 2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33

어려움을 가진 철로변 마을이 많으며 이는 공간의 단절을 가져옴

- 전체 용도지역 중 시가화지역은 21.2%에 불과하며 대다수가 녹지로 지정

2) 기존도심 및 시가지의 문제점9)

(1) 부산시 도시 현황 및 문제점

▪ 고령화 및 인구 유출

- 2000년 약 380만명에 달하던 인구가 2013년 현재 356만명으로 꾸준히 감소추

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50세 이상 65세 미만 인구가 전체 인구의 24%를 차지하

고 있어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임, 이 같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경제

여건 변화에 대응한 산업구조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고용흡수력이

저하된 원인에 기인함

▪ 도심 내 구 상업지역 쇠퇴

- 핵심 상권이 아파트 위주의 신시가지로 이동하면서 기존상권의 이탈 초래

- 대형마트, 백화점 입지로 인해 기존의 상업지역과 전통시장 매출에 큰 악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이뤄지지 못하면서 구 사업지역의 쇠퇴 가속

화 지속

▪ 빈곤계층의 밀집화

- 낙후된 지역은 도심권과 중부산 생활권, 서부산 생활권에 다수 포함되어 있지만,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은 동부산 생활권 해운대에 밀집되어 있어 지역간 격차 심

- 빈곤계층은 소득뿐만 아니라 고용, 교육, 건강, 주거, 사회안전, 생활여건 등 거

의 모든 영역에서 열악

- 낙후지역은 일자리 부족, 정주환경 취약, 교육여건 미흡 등으로 인하여 젊은 인

구의 유출이 심하고 낮은 출산율과 맞물려 도시의 기반을 더욱 취약하게 만듦

▪ 지형적 특성과 다양한 개발제한 요소

- 서부산 생활권을 제외한 전역에 경사의 구릉성 산지가 분포하는 부산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물리적 개발이 쉽지 않은 지역을 중심으로 낙후도가 가속되고

9)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변경), 2017, 부산광역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34

있으며, 기존 도심 배후지역, 부산진구, 남구, 금정구, 북구 등 낙후지역이 광범

위하게 분포

- 산복도로 인근 주거지역과 고지대 지역, 개발제한구역, 상수원 보호구역 등은 경

제적 역량이 취약한 시민들이 다수 거주

- 철도와 하천으로 인한 토지의 연속성 단절로 주민소통, 대중교통 접근성, 편의시

설 확보에 어려운 지역 산재 분포

▪ 아파트 위주의 획일적 주거환경의 확산

-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물량 위주의 아파트 공급 이후 2000년대부터 확대되

어 아파트 비율이 2000년 25.8%에서 현재 51.1%의 비율을 차지함

- 1990년대 이후의 공동주택지역, 신도시지역 개발로 단독주택 위주 불량노후주

거지역의 주거환경 격차가 더욱 깊어졌음

- 노후・단독주택 지역과 노후 임대아파트 등 주거 밀집지역 재개발 사업의 지연

으로 인한 슬럼화가 가속됨

▪ 노후・불량주택

- 수치상으로 볼 때 주택보급률은 높은 편이나 시가지내에 산재해 있는 저층 위주

의 노후・불량주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이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여 주거환

경이 악화되고 있으며 실질적인 주택보급 효과는 미약한 실정임

- 현재 다세대주택의 비율은 매우 미약하나 다가구주택(전・월세)의 비율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다세대・다가구주택이 증가할 경우 주차, 일조, 통

풍부족 등 주거환경의 악화가 예상되고 있음

- 무분별한 민간부문의 개발은 사업성 등의 변수로 인해 주택공급 시장에 불안요

소로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

▪ 저소득 계층의 주거안정 문제

- 주택의 점유형태로 볼 때 임차가구의 비율이 매우 높으며, 저소득계층의 비율이

감소되지 않고 있는 등 저소득 주민의 주거 안정성이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택공급에 있어서 공공부문이 참여, 특히 저소득계층의 주

거안정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였고 주로 민간에 의존하는 양상을 보임

(2) 도심 및 시가지 정비계획을 위한 권역구분

Page 2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35

▪ 권역구분 설정

-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변경) 상의 생활권을 고려하되, 기존 도심이 속해 있

는 중부산 생활권은 도심권역과 중부산권역으로 세분

∙ 도심권의 인구는 급격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노후주택 비율은 빠르

게 증가하고 있음

∙ 중부산권의 상업지역은 감소 추세로 유동인구가 감소하여 기존 상권의 이탈현

상을 보임

∙ 서부산권의 경우 노후주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새로운 주거・상

업지역은 증가하고 공업지역은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동부산

권은 공업지역은 증가 추세에 있으나 주거・상업지역은 감소 추세를 보임

구분 현황

도심권

인구변화 1,394천명 → 1,077천명(22.7% 감소)노후주택 52.4% → 54.2%(1.8% 증가)해당지역 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 부산진구, 남구권역특성 근대 이후 부산의 중심기능 수행해 왔으나 쇠퇴 심화토지이용 주거・공업지역 비율 감소, 상업지역 비율 증가주요시설 북항, 국제여객터미널, 부산역, 구덕운동장, 5개 구청, 도시철도 1・2호선

중부산권

인구변화 1,078천명 → 918천명(17.5% 감소)노후주택 41.9% → 52.8%(10.9% 증가)해당지역 동래구, 금정구, 연제구, 해운대구 일부권역특성 개항 전 부산의 핵심지역이었으나 쇠퇴 심화토지이용 주거지역 비율 증가, 상업지역 비율 감소주요시설 아시아드경기장, 사직경기장, 고속버스터미널, 4개 구청, 도시철도 1~4호선

서부산권

인구변화 1,042천명 → 988천명(5.2% 감소)노후주택 37.5% → 48.6%(111.1% 증가)해당지역 북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권역특성 노후주택이 급격히 증가토지이용 주거・상업지역 비율 증가, 공업지역 비율 감소주요시설 경마공원, 을숙도 생태공원, 감천문화마을, 아미산, 다대포 낙조분수, 거가대교

동부산권

인구변화 378천명 → 574천명(34.1% 증가)노후주택 26.7% → 31.5%(4.8% 증가)해당지역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권역특성 신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지역토지이용 공업지역 비율 증가, 주거・상업지역 비율 감소주요시설 BEXCO, 센텀시티 일원, 해운대 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 3개 구・군청

<표 Ⅲ-1> 부산시 도심권역 구분 및 현황

주 : 일반현황은 2004년과 2014년 비교, 노후주택은 20년 이상 주택, 인구변화는 20년 기준

자료 :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변경), 2017, 부산광역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36

- 부산시는 주거서비스 불균형으로 지역별 격차가 발생하고 있어 지역 균형 발전

및 형평성 차원의 정책적 대응이 필요함

∙ 총량 위주의 주택공급 정책으로 지역별, 계층별 주거격차 발생과 주거불안이

지속되고 있음

∙ 권역별로는 서부산권의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이 높으며, 중부산권은 원

도심 지역이 높은 특성을 보였고, 동부산권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구분 주거서비스 특성 정책 추진과제

서부산권

∙ 주택보급률이 높은 편이며,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이 가장 높음∙ 주거밀도가 가장 높으며, 건축경과년수가 상대적으로 길어 노후화 관리가 필요함∙ 주택 구입부담은 높으나 주거면적 및 입지 특성으로 임대료 부담은 상대적으로 낮음∙ 자가점유율이 낮으나 증가추세이며, 강제 이동 비율이 높아 주거안정성이 낮음

∙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전반적인 주거정책 프로그램 추진∙ 계획적인 주택관리 및 도시지역 관리∙ 주거환경만족도 제고를 위한 시설 확충∙ 권역 내 지역특성을 고려한 가구 맞춤형 주택 공급∙ 대규모 도시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인구 유입 및 주택공급 확대에 대응한 계획적 주거서비스 관리

중부산권

∙ 원도심 지역과 그 밖의 지역 간의 주거 서비스 격차가 커 원도심 개선이 시급함∙ 주택보급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 원도심 지역의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높음∙ 원도심 지역은 자가보유율이 낮지만 평균 가구원수 및 주택유형 특성 상 상대적으로 주거밀도가 낮음∙ 원도심 지역의 노후주택 비율이 높으며, 임대료 부담은 상대적으로 낮음∙ 원도심 지역은 주거이동이 어려우며, 강제 이동 비율이 높아 주거안정성이 낮음

∙ 원도심 지역과 그 밖의 지역 간 차별화된 주거정책 프로그램 추진∙ 원도심 지역, 특성가구를 위한 장기공공 임대주택 공급 확대∙ 입지 및 가구특성을 고려한 소규모 맞춤형 주택 공급∙ 노후주택 개보수지원 및 관리 강화∙ 주거지 재생사업 및 주거환경 개선 추진∙ 주택구입 부담완화 및 일자리 연계, 주거 안정성 제고를 위한 정책 프로그램 추진

동부산권

∙ 주거서비스가 전반적으로 양호∙ 주택보급률이 높으며,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이 감소함∙ 자가보유율이 높은 증가세이며 아파트단지 공급으로 주거면적도 높은 편임∙ 주택가격이 높음에도 소득수준 및 입지 특성으로 주택구입 부담이 낮음∙ 주거안정성은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높은 집세로 강제이동비율이 높은 편임

∙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기본적인 주거정책 프로그램 추진∙ 지역 수요에 근거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도시생활편의시설 확충 및 전세자금 지원∙ 주거지원 정책 수요에 따른 주택 구입자금 대출 지원 및 주택 개량자금 대출 지원∙ 대규모 주거시설단지 조성에 따른 가구 증가에 대응한 계획적 주거서비스 관리

<표 Ⅲ-2> 부산시 권역별 주거복지 정책 추진과제

자료 : 부산시 지역별 주거특성과 정책 추진과제, 2016, 부산발전연구원, 수정 후 재인용

Page 23: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37

(3) 도시 내 주거 관련 문제점

▪ 아파트 위주의 획일적 주거환경의 확산

-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물량 위주의 아파트 공급 이후 2000년대부터 확대되

어 아파트 비율이 2000년 25.8%에서 현재 51.1%의 비율을 차지함

- 1990년대 이후의 공동주택지역, 신도시지역 개발로 단독주택 위주 불량노후주

거지역의 주거환경 격차가 더욱 깊어졌음

- 노후・단독주택 지역과 노후 임대아파트 등 주거 밀집지역 재개발 사업의 지연

으로 인한 슬럼화가 가속됨

▪ 노후・불량주택

- 수치상으로 볼 때 주택보급률은 높은 편이나 시가지내에 산재해 있는 저층 위주

의 노후・불량주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이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여 주거환

경이 악화되고 있으며 실질적인 주택보급 효과는 미약한 실정임

- 현재 다세대주택의 비율은 매우 미약하나 다가구주택(전・월세)의 비율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다세대・다가구주택이 증가할 경우 주차, 일조, 통

풍부족 등 주거환경의 악화가 예상되고 있음

- 무분별한 민간부문의 개발은 사업성 등의 변수로 인해 주택공급 시장에 불안요

소로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

▪ 저소득 계층의 주거안정 문제

- 주택의 점유형태로 볼 때 임차가구의 비율이 매우 높으며, 저소득계층의 비율이

감소되지 않고 있는 등 저소득 주민의 주거 안정성이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택공급에 있어서 공공부문이 참여, 특히 저소득계층의 주

거안정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였고 주로 민간에 의존하는 양상을 보임

3) 부산시 소멸위험지역10)

▪ 부산시 16개 구・군 중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로 소멸할 위험에 있는 지

역은 영도구, 동구, 중구로 조사됨

- 소멸위험지수11)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10) 한국의 지방소멸, 2018, 한국고용정보원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38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함

∙ 가임여성인구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이 안되는 지역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로 공동체가 붕괴되어 사라질 수 있다는 뜻임

▪ 부산시는 전국 평균 0.91보다 낮으며, 7대 특・광역시 중 소멸위험지수가 0.76으로

가장 낮아 소멸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구분

소멸위험지수 ’18. 6월 인구(천명)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20~39세

여성65세이상

전체

전국 1.16 1.09 1.04 1.00 0.95 0.91 6,801 7,513 51,801

서울 1.42 1.33 1.26 1.20 1.14 1.09 1,513 1,388 9,814

부산 1.04 0.97 0.91 0.86 0.81 0.76 438 578 3,456

대구 1.18 1.09 1.02 0.98 0.92 0.87 310 357 2,470

인천 1.51 1.43 1.35 1.30 1.22 1.15 408 354 2,954

광주 1.44 1.34 1.27 1.20 1.13 1.08 198 184 1,461

대전 1.51 1.42 1.32 1.25 1.18 1.11 205 185 1,495

울산 1.77 1.65 1.54 1.45 1.34 1.23 149 120 1,160

세종 0.84 0.93 1.31 1.48 1.55 1.59 45 28 300

경기 1.51 1.43 1.35 1.30 1.23 1.18 1,776 1,511 12,975

강원 0.73 0.69 0.66 0.64 0.61 0.58 166 285 1,545

충북 0.91 0.86 0.83 0.81 0.76 0.73 188 257 1,596

충남 0.81 0.78 0.74 0.72 0.70 0.67 248 368 2,122

전북 0.72 0.68 0.65 0.63 0.60 0.58 204 354 1,845

전남 0.55 0.53 0.51 0.50 0.48 0.47 193 411 1,888

경북 0.71 0.67 0.64 0.62 0.58 0.55 286 523 2,681

경남 0.99 0.94 0.89 0.85 0.81 0.76 393 514 3,377

제주 0.94 0.92 0.90 0.89 0.87 0.86 81 95 664

<표 Ⅲ-3> 전국 16개 광역시・도별 소멸위험지수

11) 소멸위험지수 구분

구분 소멸위험지수

소멸위험 매우 낮음 1.5 이상

소멸위험 보통 1.0 ~ 1.5 미만

주의단계 0.5 ~ 1.0 미만

소멸위험지역 소멸위험진입 단계 0.2 ~ 0.5 미만

소멸고위험 지역 0.2 미만

Page 2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39

구분

소멸위험지수 ’18. 6월 인구(천명)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20~39세

여성65세이상

전체

영도구 0.658 0.587 0.538 0.499 0.458 0.427 12,264 28,705 121,895

동구 0.612 0.558 0.523 0.491 0.468 0.450 9,585 21,317 87,787

중구 0.658 0.628 0.587 0.557 0.531 0.491 5,035 10,245 43,510

서구 0.662 0.620 0.582 0.565 0.537 0.520 12,901 24,825 110,576

남구 0.991 0.912 0.843 0.783 0.721 0.684 33,629 49,150 277,352

금정구 0.999 0.921 0.853 0.798 0.743 0.702 30,309 43,146 244,113

수영구 0.968 0.889 0.858 0.834 0.785 0.755 24,993 33,106 177,896

동래구 1.074 1.000 0.920 0.872 0.813 0.760 33,232 43,722 269,603

연제구 1.050 0.955 0.906 0.864 0.831 0.779 26,763 34,347 205,290

사하구 1.222 1.114 1.015 0.932 0.861 0.797 41,131 51,612 330,934

부산진구 1.076 1.002 0.947 0.896 0.842 0.803 51,371 63,962 367,628

해운대구 1.200 1.104 1.030 0.978 0.899 0.835 51,392 61,562 411,091

사상구 1.339 1.226 1.108 1.023 0.931 0.853 28,605 33,517 225,742

기장군 1.062 1.116 1.096 1.050 0.971 0.903 21,071 23,347 163,110

북구 1.342 1.220 1.127 1.088 0.998 0.911 38,370 42,134 299,979

강서구 0.895 0.946 1.132 1.298 1.369 1.297 17,687 13,635 119,105

<표 Ⅲ-4> 부산시 16개 구・군별 소멸위험지수

자료 : KOSIS 주민등록인구통계, 통계청, 각년도별 7월 자료(2018년도 6월 기준)

2. 주거 및 주거환경

1) 2017년 주거실태조사 결과12)

(1) 자가보유율13)

▪ 2017년 자가보유율은 64.3%로 2016년 63.8%에 비해 증가함

12)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 2017, 국토교통부13) 주택이외의 거처(오피스텔, 숙박업소 객실, 판잣집, 비닐하우스 등)가 자기집인 경우 포함, 가구를 대상으로 법적 소유

여부에 관계없이 실질적 소유여부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40

구분2005년

인구주택총조사2010년

인구주택총조사2015년

인구주택총조사2016년

주거실태조사2017년

주거실태조사

전국 60.3 61.3 62.2 59.9 61.1

부산시 60.2 57.1 64.9 63.8 64.3

<표 Ⅲ-5> 부산시 자가보유율 단위 : %

자료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005・2010・2015;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각년도

(2)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 최저주거기준14) 미달가구 비율은 2006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하다 2012년부터

5~6% 내외 수준을 유지하며 2017년은 5.7%로 나타남

- 2017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미달가구 중 부산시

의 비율이 6.7%가 분포하고 있음

- 전국적으로 시설기준, 침실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면적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전년대비 증가하였음15)

구분

2006 2012 2016 2017

전국가구중

미달비율

미달가구중

비율

전국가구중

미달비율

미달가구중

비율

전국가구중

미달비율

미달가구중

비율

전국가구중

미달비율

미달가구중

비율

전국 16.6 100.0 7.2 100.0 5.4 100.0 5.9 100.0

수도권 12.8 36.4 6.6 43.7 5.8 51.7 6.7 54.5

광역시 17.7 21.8 5.2 14.6 5.0 18.5 4.5 15.1

부산 19.3 8.5 5.8 5.7 5.6 7.3 5.7 6.7

도지역 21.6 41.8 9.5 41.7 5.1 29.8 5.6 30.4

<표 Ⅲ-6>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지역별 분포 단위 : %

자료 :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각년도

14) 최저주거기준 미달 기준(국토해양부 공고 제2011-490호, 2011. 5.27.)15) 전국 최저기준 미달가구(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각년도) 단위 : 만가구, %

구분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7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268.5(16.6%)

212.1(12.7%)

184.0(10.6%)

127.7(7.2%)

99.2(5.4%)

102.7(5.4%)

114.1(5.9%)

면적기준 미달가구 128.8(8.0%)

88.4(5.3%)

98.7(5.7%)

57.3(3.2%)

51.7(2.8%)

60.2(3.1%)

78.7(4.1%)

시설기준 미달가구 159.2(9.9%)

131.3(7.9%)

97.3(5.6%)

76.0(4.3%)

53.2(2.9%)

50.4(2.6%)

63.1(3.3%)

침실기준 미달가구 31.4(1.9%)

17.3(1.0%)

14.8(0.9%) - 9.3

(0.5%)9.3

(0.5%)6.7

(0.3%)

Page 25: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41

(3) 주거이동률 및 주거비 부담지표

▪ 현재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 비율은 2017년 현재 34.8%로 전년대비

2.6%p 감소함

구분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7

전국 37.5 35.2 35.2 32.2 36.6 36.9 35.9

광역시 34.5 33.3 33.9 32.3 35.1 37.1 35.2

부산 30.0 32.1 30.2 29.9 33.8 37.4 34.8

<표 Ⅲ-7> 부산시 현재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 비율 단위 : %

주 : 현재주택에 거주한지 2년 이내인 경우 주거이동이 있었다고 간주함

자료 :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각년도

▪ 부산시의 주거비 부담지표인 PIR, RIR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2017년 현재 7대 특・광역시 중 서울시를 제외하고 가장 높게 나타남

구분2006 2010 2016 2017

중위수 평균 중위수 평균 중위수 평균 중위수 평균

PIR1)

서울 7.5 10.1 9.9 10.3 8.3 9.9 8.8 10.7

부산 3.8 4.6 3.6 4.1 5.1 5.9 5.9 6.4

대구 4.9 4.7 4.0 4.2 5.6 5.8 6.1 6.2

인천 3.9 4.5 4.7 5.5 5.6 5.2 5.2 5.4

광주 3.1 3.4 2.6 3.1 4.2 4.7 4.6 4.9

대전 4.3 4.0 4.4 4.6 5.2 5.7 4.8 4.9

울산 3.0 3.7 3.9 4.2 6.0 6.0 5.4 5.6

RIR2)

서울 22.5 28.2 23.3 30.3 22.2 27.7 21.7 28.9

부산 19.2 21.1 16.0 19.0 17.1 17.0 16.3 19.3

대구 19.8 19.6 19.2 20.2 15.3 15.7 15.0 17.7

인천 16.7 20.0 17.5 20.2 16.8 17.7 15.2 18.4

광주 14.7 16.4 16.4 18.9 12.8 16.1 14.9 16.5

대전 19.8 19.1 16.4 20.0 15.6 18.7 13.8 15.3

울산 17.1 17.9 17.5 18.7 15.1 17.4 13.1 16.3

<표 Ⅲ-8> 부산시 PIR・RIR 비율 단위 : %

주 1)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rice to Income Ratio), PIR=주택가격÷소득

2)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ent to Income Ratio), RIR=주택 임대료÷월 소득

자료 :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각년도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42

2) 부산시 주택 현황

▪ 부산시의 주택 점유형태를 살펴보면, 7대 특・광역시 중 울산, 광주 다음으로 자가

비율이 높으며, 보증부 월세의 경우 서울, 대전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2017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 전국의 자가가구는 2014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나 전세가구 비율은 200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 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자가점유율이 낮으며, 자가점유율은 자가보유율과 마

찬가지로 가구주의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함

∙ 소득계층별 점유형태를 살펴보면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월세나 무상으로 거주

하는 비율이 높으며, 저소득층의 경우 전세보다 월세의 비중이 높음

구분 자가 전세 보증부 월세 무보증 월세 사글세 무상

서울 42.9 25.8 24.7 3.4 0.0 3.1

부산 61.7 11.1 22.4 2.0 0.1 2.7

대구 59.4 12.3 20.8 3.4 0.9 3.2

인천 59.6 15.8 17.6 3.3 0.0 3.7

광주 62.5 9.5 21.1 3.0 1.3 2.7

대전 53.9 15.5 23.9 2.7 0.5 3.6

울산 63.5 8.9 21.3 2.1 0.0 4.0

<표 Ⅲ-9> 7대 특・광역시별 주택 점유형태 단위 : %

자료 : KOSIS, 주택총조사, 2017

▪ 부산시의 주택 현황 및 보급률은 아파트,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의 순이

며, 주택 보급률은 2017년 기준 102.3%로 나타남

- 구・군별 주택 보급률은 영도구, 서구, 남구, 동구, 북구 순으로 나타나며, 강서

구와 동래구의 주택 보급률은 100% 이하로 나타남

- 2017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 전체가구의 주택유형에서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의 비율은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주택이외의 거처에 거주하는 가구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의 이유는 오피스텔

거주가구 비율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함

Page 26: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43

구분

주택 종류별주택

보급율소계단독주택

다가구주택

아파트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비거주용 주택

합계 1,375,534 390,849 301,186 750,122 32,073 157,476 45,014 102.3

중구 20,572 7,314 5,940 5,306 699 5,099 2,154 100.5

서구 49,428 25,098 16,326 14,458 1,326 6,150 2,396 106.5

동구 38,640 21,823 13,390 9,288 1,054 4,264 2,211 103.6

영도구 55,896 23,458 15,390 25,441 1,182 3,705 2,110 107.7

부산진구 153,926 46,358 33,984 81,825 1,758 19,099 4,886 101.3

동래구 98,821 26,305 21,981 53,359 2,922 12,387 3,848 99.1

남구 114,790 32,746 22,803 54,940 3,169 20,699 3,236 105.8

북구 117,825 19,959 18,872 83,827 2,751 9,103 2,185 103.3

해운대구 156,387 28,072 25,273 109,098 2,572 13,680 2,965 101.3

사하구 132,475 36,063 29,985 76,369 5,249 11,246 3,548 104.2

금정구 99,997 33,094 28,691 43,064 3,156 16,592 4,091 101.5

강서구 37,146 11,958 5,550 23,424 65 439 1,260 98.8

연제구 79,223 23,785 19,335 41,632 1,504 9,334 2,968 101.5

수영구 72,571 19,358 15,438 33,489 2,388 14,821 2,515 102.5

사상구 90,790 25,718 24,147 54,487 747 7,254 2,584 100.0

기장군 57,047 9,740 4,081 40,115 1,531 3,604 2,057 100.5

<표 Ⅲ-10> 부산시 구・군별 주택 현황 및 보급율 단위 : 호, %

자료 : KOSIS, 주택총조사, 2017

▪ 부산시 건축물 용도별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건축물 중 주거용 건축물의 비율이

71% 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주거용 건축물 중 사용승인일이 누락되거나 오기된 건축물을 제외한 30년 이상

의 노후 건축물 비율이 59.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25

년~30년 미만 주택비율이 10.9%로 나타남

- 2017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 저소득층의 경우 30년을 초과하는 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됨

∙ 단독주택과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은 30년을 초과하는 주택의 비율이 다른 주

택 유형에 비해 높으며, 아파트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44

구분 합계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 기타

합계 369,947 262,641 69,613 15,152 9,206 13,335

10년 미만 34,363 14,829 12,814 3,861 1,331 1,528

10~15년 미만 15,402 5,003 5,822 2,440 1,094 1,043

15~20년 미만 23,248 11,871 6,399 2,200 1,016 1,762

20~25년 미만 26,940 17,096 6,472 799 1,119 1,454

25~30년 미만 41,203 28,778 9,522 1,224 953 726

30~35년 미만 54,310 43,349 8,304 851 981 825

35년 이상 137,734 111,948 16,000 2,943 2,056 4,787

기타 36,747 29,767 4,280 834 656 1,210

<표 Ⅲ-11> 부산시 노후건축물 현황 단위 : 동

주 10년미만(2009~2017년), 10년이상~15년미만(2004~2008년), 15년이상~20년미만(1999~2003년)

20년이상~25년미만(1994~1998년), 25년이상~30년미만(1989~1993년), 30년이상~35년미만(1984~1988년)

35년이상(~1983년), 기타는 사용승인일 값 누락 또는 오기

자료 : 세움터, 시・도별 건축물현황, 2016

▪ 부산시의 주거용 건축물 연면적 현황은 해운대구, 부산진구, 사하구, 북구 순으로 크

게 나타남

▪ 부산시의 구・군별 노후 건축물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건축물의 노후 건축물 비율

이 30%를 상회하는 지역은 동구, 수영구, 중구 및 서구 순임

- 주거용 건축물 중 노후 건축물 비율이 30%를 상회하는 지역은 동구, 수영구, 서

구, 동래구 순으로 나타남

- 특히, 동구는 전체 건축물 노후 비율이 39.7%, 주거용 건축물 중 노후 건축물

비율이 40.6%로 나타나 다른 구・군에 비해 건축물의 노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전체 건축물 노후 비율에 비해 주거용 건축물의 노후 비율이 높은 구・군은

동래구, 강서구, 연제구, 영도구 및 해운대구, 서구, 수영구, 동구 순으로 나타

∙ 전체 건축물 노후 비율에 비해 주거용 건축물의 노후 비율이 낮은 구・군은

중구, 사상구, 기장군, 북구, 금정구, 사하구, 부산진구, 남구 순으로 나타남

Page 27: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45

구분

전체 건축물 주거용 건축물

연면적노후건축물

연면적노후건축물

비율연면적

노후건축물연면적

노후건축물비율

중구 4,278,155 1,297,411 30.3% 1,222,436 323,394 26.5%

서구 6,558,674 1,985,040 30.3% 3,037,289 983,903 32.4%

동구 5,884,565 2,334,062 39.7% 2,354,782 955,860 40.6%

영도구 6,360,482 1,383,654 21.8% 3,502,354 853,054 24.4%

부산진구 22,777,616 5,313,438 23.3% 11,716,554 2,690,287 23.0%

동래구 17,641,382 4,210,818 23.9% 8,783,185 2,635,863 30.0%

남구 15,030,717 3,093,417 20.6% 8,972,745 1,833,051 20.4%

북구 14,846,607 1,814,002 12.2% 10,116,649 1,079,187 10.7%

해운대구 34,981,979 2,692,954 7.7% 14,901,620 1,538,765 10.3%

사하구 19,503,408 4,169,493 21.4% 10,829,323 2,169,264 20.0%

금정구 14,091,310 3,106,458 22.0% 7,942,262 1,637,701 20.6%

강서구 17,561,431 755,183 4.3% 4,131,049 325,071 7.9%

연제구 11,730,988 2,915,417 24.9% 6,716,187 1,900,715 28.3%

수영구 9,722,857 3,039,946 31.3% 6,143,893 2,038,366 33.2%

사상구 16,233,064 3,671,276 22.6% 6,891,566 1,330,323 19.3%

기장군 12,094,369 1,097,832 9.1% 5,597,855 370,532 6.6%

<표 Ⅲ-12> 부산시 구・군별 사용승인 30년 이상 건축물 현황

자료 : 세움터, 시・도별 건축물현황, 2016

▪ 부산시의 공공임대, 매입임대, 전세임대, 민간임대 등의 임대주택은 2018년 현재

76,728호로 전체 주택 중 약 5.5%의 비율로 나타남

- 부산시 임대주택 중 공공임대는 전체 임대주택 중 91.9%, 민간임대가 8.1%로

나타남

∙ 전체 공공임대 중 일정기간 이상의 안정적 주거를 제공하는 영구임대 34.3%,

국민임대 24.7%, 50년 공공임대 2.6%, 10년 공공임대 2.0%, 5년 공공임대

1.1% 순이며, 기타로 행복주택이 14호 있음

∙ 한편, 공공임대 이외에 매입임대 7.9%, 전세임대 19.4%가 있음

- 부산시 구・군별 임대주택 비율은 기장군, 북구, 사상구, 사하구, 해운대구, 강서

구 순으로 나타남

∙ 공공임대는 기장군, 북구, 해운대구, 사하구, 영도구 순으로 높게 나타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46

구분 공공임대매입임대 전세임대

민간임대 총계비율(%)LH BMC LH BMC

합계 49,608 4,526 1,556 13,835 1,026 6,177 76,728 100

중구 - 38 - 325 3 - 366 0.48

서구 903 150 17 393 1 83 1,547 2.02

동구 - 76 46 483 7 - 612 0.80

영도구 4,464 188 43 530 - - 5,225 6.81

부산진구 2,786 311 106 1,261 328 - 4,792 6.25

동래구 1,003 435 167 1,065 78 - 2,748 3.58

남구 432 450 95 1,170 13 394 2,554 3.33

북구 10,208 248 174 1,118 26 68 11,842 15.43

해운대구 5,231 313 184 904 415 - 7,047 9.18

사하구 5,080 304 171 1,687 28 13 7,283 9.49

금정구 742 741 162 1,488 28 114 3,275 4.27

강서구 961 - - 127 1 4,735 5,824 7.59

연제구 46 446 235 997 22 - 1,746 2.28

수영구 86 590 102 1,106 43 - 1,927 2.51

사상구 6,547 87 44 653 15 - 7,346 9.57

기장군 11,119 149 10 528 18 770 12,594 16.41

<표 Ⅲ-13> 부산시 구・군별 임대주택 현황 단위 : 호, %

자료 : 부산시 내부자료, 2018

3. 주거복지사업 현황

1) 부산시 주거지원사업

▪ 경제성장의 둔화, 세대 간 소득과 자산 이전의 감소,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소득의

불안정성 심화로 주거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음

- 청년층의 경우에는 취업 문제 등에 따른 사회진입 및 경제적 자립이 늦어져 주거

안정성, 비용, 주거환경 등의 청년층 주거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음

- 청년층 주거환경 실태조사 결과16)에 따르면

Page 28: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47

∙ 자취나 독립한 경우에 가장 많은 형태는 원룸 43.5%이며, 독립가구 중 거주지

면적이 30㎡ 이하인 경우가 43.5로 나타남

∙ 독립이나 자취를 하는 청년 중 월세인 경우가 70%이며, 독립가구 중 주거비를

본인이 전액 부담하는 경우가 63%임

∙ 독립이나 자취를 하는 청년 중 가구원 수가 1인 가구 79.5%, 2인 가구 20.5%

이며, 가구원 수가 2인 이상인 독립가구 중 비용절감이 이유인 경우가 88.9%

로 나타남

∙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단독가구가 가장 낮으며, 주거지 선택 시 우선적으

로 고려하는 사항이 전세 및 임대료인 경우가 41%임

- 부산시 고령인의 경제활동 어려움과 노후자금 부족으로 인한 하우스푸어가 지속

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주택연금 수급 비율도 높아지고 있음

- 노년층의 주거실태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17)에 따르면

∙ 현재 살고 있는 집에 대한 만족여부는 그렇다 45%, 그렇지 않다 55%이며, 불

만족하는 이유는 집이 낡아서, 좁아서, 고령자들이 살기 불편해서, 벌레 등 위

생문제의 순으로 나타남

∙ 살고 있는 곳에서 계속 거주에 대해서는 전체의 74%가 계속 거주하기를 바라

는 것으로 응답함

구분 주거지원사업

청소년층

청년층 햇살둥지1), 부산 드림아파트2), 부산청년 우리집3), 머물자리론4)

중장년층

노년층 행복나눔주택5)

전생애 부산형 뉴스테이, 부산형 행복주택

<표 Ⅲ-14> 부산시 생애단계별 주거지원사업

※ 중앙정부 지원사업 중 부산시 주도의 부산형 사업만 정리함

주 1)공가(空家)를 새로운 주거공간으로 만들어 지방 학생들과 신혼부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지원

2)신혼부부와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과 다자녀가구를 위해 만든 청년 전용 민간 공공임대주택

3)공유경제 촉진사업의 일환으로서 부산지역의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의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지원하고, 나홀로 어르신에게는 새로운 가족관계의 형성과 임대수익을 통한 자립 강화를 도모하는 사업(셰어하우스)

4)목돈 마련이 쉽지 않은 청년의 안정적인 주거 지원을 위해 임차보증금 대출과 이자를 지원

5)고령자 주거 공간 및 복지관이 같이 있는 복합형 공공실버주택(커뮤니티케어 안심주택) : 추진 중

16) 부울경 지역 청년 주거환경 실태조사 결과, 2016, 부산반빈곤센터17) 부산시 주거실태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2017, 노인복지과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48

2) 구・군별 주거지원사업

▪ 부산시의 구・군별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자체 주거 관련 사업을 정리한 결과

중앙정부나 부산시 도시재생사업이 대부분이며, 구・군 자체 지원사업은 거의 없음

구분 주거지원사업

해운대구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소규모 집수리

수영구 전세 및 월세자금 융자, 영구임대주택 입주, 개별 가구 그린주차 사업

남구 저소득가구 전세자금, 영구임대주택, 기존주택 전세임대 및 매입임대

중구

산복도로 르네상스, 산책로 조성사업, 마을지기사무소, 오름길 모노레일 구축/운영, 벽화유지보수, 오르미 복합문화주차타워 조성, 안심 안전 통학로 조성사업, 산복서점 및 산복편의점 운영, 보수 더불어 센터 조성/운영, 보수 바꾸미(주민사업단) 운영, 기존주택 전세임대, 다가구(기존주택) 매입임대, 영구임대주택, 주거급여

서구

하우스 프로젝트 조성사업, 옥상 텃밭(녹화) 사업, 커뮤니티시설 친환경 재생사업, 산복도로 생태바람길 조성사업, 친환경 그린조명 및 셉테드 사업, 그린 옥외 커뮤니티 사업, 친환경 학교사업, 저에너지 주택 보급사업, 계단길 그린웨이사업, 주민쉼터(누리바라기, 널바라기 등) 조성, 마을지기 집수리단 운영(정주환경 개선), 우리동네 복덩방 사업(근린경제 활력 사업), 산복도로 계단공동체 남일이네 활력사업, 보행 편의시설 조성사업,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상구도시활력증진지역개발사업, 새뜰마을사업, 산복도로 르네상스, 행복마을만들기, 주거급여, 공공임대주택 공급 지원

북구 영구임대주택 입주, 기존주택 전세임대 및 매입임대주택 입주, 재개발/재건축사업

강서구 영구임대주택, 대가구 매입임대주택, 기존주택 전세임대

금정구

기존주택 매입임대 및 전세임대주택 입주, 새뜰마을사업, 3세대가 함께하는 안전한 퐁당퐁당 마을만들기 사업, 희망삼차로 문화복합형 주거환경관리사업, 행복마을 만들기, 복합커뮤니티센터, 청년 창조발전소 프로그램 지원, 마을지기사무소, 마을공동체 역량강화사업, 안전한 마을 조성을 위한 셉테드사업, 마을만들기

기장군 영구임대주택, 다가구 임대주택, 기존주택 전세임대

동래구도시활력증진지역개발사업, 복합커뮤니티, 마을지기사무소, 행복마을 만들기, 마을공동체 역량강화사업, 영구임대주택, 기존주택 전세임대 및 매입임대주택 입주 안내

연제구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영도구깡깡이예술마을, 흰여울문화마을, 영구임대아파트, 기존주택 매입임대 및 전세임대주택, 신혼부부 전세임대

사하구 천마마을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

동구 가마뫼 역사마을 재생사업, 생활문화센터 조성사업, 안창 새뜰마을사업 등

부산진구 당감행복마을 할머니 산책로, 셉테드 안전마을, 노후공동주택 환경개선지원 등

<표 Ⅲ-15> 부산시 구・군별 주거지원사업

※ 주거와 관련된 도시재생사업, 환경정비사업 등을 포함하여 홈페이지에 등록된 내용에 한해 정리함

자료 : 구・군별 홈페이지 참고, 2018

Page 2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Ⅲ. 부산시 주거 및 주거복지 현황

49

4. 시사점

▪ 부산시는 산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과 8.15 광복 이후 한국전쟁에 의한 도시난개발,

정책이주, 도심공동화, 재개발 지역 침체 등의 도시・사회적 특성으로 복잡한 형태

의 주거문제를 가지고 있음

- 귀환동포, 한국전쟁 피난민들을 중심으로 불법 무허가촌 형성 및 산복도로 등의

취약한 주택환경이 조성

- 경제성장 둔화, 베이비부머 은퇴, 소비계층 감소, 청년층 사회진출 시기의 늦어

짐, 가계부채 증가 등 사회변화의 검토가 필요함

- 사회적 상황으로 비계획적 도시팽창으로 인한 주거지 형성은 물리적 개선이 쉽

지 않아 슬럼화 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거・도시재생 협업방안을

찾아야함

- 그리고 2000년 이후 고령화 및 유출로 지속적 인구의 감소로 원도심을 중심으로

쇠퇴가 가속화되어 일부 기초지자체의 경우 지방소멸의 위기에 당면하고 있음

▪ 부산시 구・군의 발전 양상에 따라 주거서비스 불균형과 지역별 격차가 발생하여 지

역 균형 발전 및 형평성 차원의 정책적 대응이 시급함

- 도심지 슬럼화 및 공동화, 도시화율 정체, 외연적 확산(sprawl), 도심선호 증가,

주거지 재생사업 및 도시재생사업의 증가, 재고주택 관리의 중요성 등 도시 공간

이용 방식 변화에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함

- 부산시 도시재생사업, 주거환경정비사업 등과 주거복지의 연계 추진방안 마련이

필요함

- 부산시의 구・군별 노후 건축물 현황은 동구, 수영구, 서구, 동래구 순으로 노후

화된 것으로 나타남

▪ 부산시의 공공임대, 매입임대, 전세임대, 민간임대 등의 임대주택은 전체 주택 중 약

5.5%의 비율로 나타남

- 중앙정부는 주거복지 로드맵을 통해 공적임대주택 재고율을 2022년까지 9% 달

성을 목표로 함

- 그러나 부산시의 공적임대주택은 중앙정부 목표를 따르기 보다는 부산시의 주택

현황 및 인구 추계, 신규 주택 계획, 잠재적 수요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부산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50

적정 재고율을 산정하여 부산시만의 목표 설정이 필요함

▪ 부산시 주거복지사업은 중앙정부 사업을 중심으로 청년층을 위한 주거복지 사업 중

심이며, 기초지자체의 경우에는 도시재생이나 주거환경 정비사업의 부속사업으로

일부 진행되고 있는 실정임

- 일반적으로 주거복지 정책 및 전달체계는 수요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진

행되는 경우가 대다수임

- 부산시민의 생애단계별 주거욕구와 수요에 대응하는 주거복지 정책의 부족과 현

행 주거복지 정책의 대응력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함

- 현행 주거복지 프로그램은 수요자가 정보가 서비스를 직접 찾아 신청해야 하며,

찾아가는 주거복지서비스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지속적

지원・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

- 이러한 주거복지 전달체계 오작동은 사각지대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음

▪ 부산시 주거취약계층인 고령자, 장애인 등의 주거약자는 인터넷 등 정보에 대한 접

근성이 낮고 사회적 관계망에서 단절되어 있거나 주거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

가 낮음

- 주거취약계층별 주거욕구에 대응하는 주거지원사업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며,

안정적 일상생활을 위해 진행하는 주거유지 지원은 현재 주거의 유지보다는 최

저주거기준 이상의 적정한 주거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함

▪ 주거복지 패러다임의 변화로 주거복지가 확대되고 있지만 공적지원 중심의 부산의

주거복지 관련 자원 부족으로 사각지대 해소가 어려운 실정임

- 지방분권의 강화와 주거에 대한 지자체의 책임이 커지고 있으므로 공적지원 중

심의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탈피가 필요함

- 민간자원의 적극적 개발과 활용으로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한 부산형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이 시급함

- 주거복지사 등의 전문 인력 양성과 확충을 통해 지역의 주거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복지는 주거에 한해 작동하기 보다는 탈시설, 주택개량, 커뮤니

티케어 등 수요자의 편리를 바탕으로 상호 연계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함

Page 30: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1. 국내 주거복지센터 운영 사례

2. 외국의 주거지원 운영 사례

3. 시사점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Page 3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53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1. 국내 주거복지센터 운영 사례

1) 운영주체별 주거복지센터 : 공공 및 공공 지원

(1) LH 주거복지센터

▪ 국토교통부는 「주거기본법 시행령」 제14조제2항에 따라 주거복지센터의 설치와 운

영을 LH에 위탁함

- 2017년 12월 기준으로 LH 주거복지센터는 전국에 30개소가 있으며, 2018년

내 10개소를 추가 설치할 예정(부산동부권, 경남서부권은 설치하여 운영 중)

- LH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사업은

∙ 매입임대・건설임대주택 임대운영업무

∙ 주거급여 주택조사 및 운영・관리업무

∙ 임대주택 등의 자산관리 관련 업무

∙ 「주거기본법」 제22조, 「주거기본법 시행령」 제14조에 규정되어 있는 주거복

지센터의 업무

-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강화방안(2015. 9. 2., 발표)’에 따라 LH의 12개 지역본

부와 주기복지센터 내 마이홈센터를 설치하여 주거지원 관련 상담을 하고 있음

- 주거복지센터 내 마이홈센터가 공공의 주거복지 자원 연계로 민간의 주거복지센

터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긴급한 상황의 위기 가구에 대한 직접 지원

에 한계가 있음

▪ 다만, LH 주거복지센터는 LH의 임대주택 공급관리와 주거급여 업무가 주요 업무이

므로 「주거기본법」 상의 주거복지센터와는 일부 목적이 다른 조직임

- 기존에는 LH 임대주택의 자산관리 관련 업무가 중심이었으나 주거복지 수요 중

심으로 전환과 주거복지센터 확대로 수요자들의 필요에 대응하고자 변화 중임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54

구분 관할지역

서울 강남권주거복지센터 서울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북권주거복지센터서울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마포구

강서권주거복지센터 서울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강동권주거복지센터 서울 강동구, 경기 하남시, 양평군남양주권주거복지센터 경기 구리시, 남양주시, 가평군의정부권주거복지센터 경기 의정부시, 동두천시, 양주시, 포천시, 연천군

인천 고양권주거복지센터 경기 고양시파주권주거복지센터 경기 파주시인천남동권주거복지센터 인천 남동구, 연수구, 중구인천북서권주거복지센터 인천 남구, 동구, 서구, 부평구, 계양구부천권주거복지센터 경기 부천시, 시흥시, 광명시김포권주거복지센터 경기 김포시, 강화군, 옹진군

경기 수원권주거복지센터 경기 수원시안양권주거복지센터 경기 안양시, 의왕시, 군포시, 안산시, 과천시성남권주거복지센터 경기 성남시, 광주시용인권주거복지센터 경기 용인시, 이천시, 여주시화성권주거복지센터 경기 화성시오산권주거복지센터 경기 오산시, 평택시, 안성시

부산 부산동부권주거복지센터 부산시울산 울산권주거복지센터 울산시, 울주군강원 원주권주거복지센터 강원 원주시,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강릉권주거복지센터강원 강릉시, 동해시, 양양군, 속초시, 삼척시, 정선군,태백시, 고성군

충북 충북동부권주거복지센터 충북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증평군, 음성군, 진천군대전 천안권주거복지센터 충남 천안시, 아산시

충남 충남서남부권주거복지센터대전 동구, 충남 보령시, 서천군, 부여군, 논산시, 금산군,계룡시

전북 익산권주거복지센터 전북 익산시, 군산시

광주 목포권주거복지센터전남 목포시, 강진군, 장흥군, 해남군, 영광군, 영암군,무안군, 신안군, 진도군, 함평군, 완도군

전남 순천권주거복지센터 전남 순천시, 광양시, 보성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대구 경북동부권주거복지센터 경북 포항시, 영천시, 경주시, 영덕군, 울릉군

경북 경북북부권주거복지센터경북 안동시, 영양군, 울진군, 봉화군, 청송군, 예천군,영주시, 문경시, 상주시

경남 양산권주거복지센터 양산시, 김해시서부권주거복지센터 진주시, 사천시, 하동군 등 서부경남 12개 시・군

<표 Ⅳ-1> LH 주거복지센터 현황

자료 : 수요 맞춤형 주거지원을 위한 주거복지센터 운영체계 개선 연구, 2017, 한국도시연구소, 수정 후 재인용

Page 3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55

(2)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 SH, 민간위탁

▪ 서울시는 「주거기본법」 제21조 및 제22조(주거복지전달체계 및 주거복지센터) 및

「주거기본법 시행령」 제14조(주거복지센터), 「서울특별시 주거기본조례」 제20조 및

제21조(주거복지센터의 설치 및 주거복지센터 기능)에 따라 SH(서울주택도시공사,

이하 SH) 및 민간기관에 운영을 위탁함

- 서울시 주거복지센터는 주거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공공임대주택, 주거비

지원제도 등 주거문제 해결의 욕구를 가진 시민들을 상담 및 지원하는 주거복지

전문기관임

- 2018년 현재, SH 9개소, 민간 16개소가 있음

- 서울시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기능은18)

∙ 주거복지사업의 상담・정보제공 및 사례관리

∙ 임대주택 등의 입주, 운영, 관리 등과 관련한 정보 제공

∙ 주거복지 관련 기관, 단체의 연계 지원

∙ 주거복지 전달 관련 각종 주거복지 지원서비스 제공

∙ 주거복지 전문가 양성 및 주민교육

∙ 주거복지 홍보 사업 및 주거복지 네트워크 구축 운영

∙ 주거복지사업과 관련한 주민의 권리구제 지원

∙ 주거약자 등의 주택 및 주거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 주택개조 등에 대한 교육 및 지원

∙ 주거복지 관련 제도에 대한 홍보

∙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연구・조사사업

∙ 그 밖에 주거복지와 관련한 사항

∙ 기타 “시”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등

▪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업무 내용은

- 주거문제를 가진 시민에 대해 주거지원서비스로 시민의 고민 해결

∙ 가구여건에 맞는 주거복지제도 안내 및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맞춤형 상담

∙ 주거위기 해소를 위한 긴급주거지지원과 가구상황별 주거지원서비스

∙ 주거안정을 목표로 하는 사례관리

18)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위・수탁 협약서 참고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56

- 지역사회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주거복지제도를 홍보하고 주거문제를 가진 주

민 지원을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

∙ 지역 내 주거복지 기반 구축을 위한 민간 및 공공과의 협력체계 구축

∙ 주거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민간기관 및 공공기관의 자원 연계

∙ 지역 주민과 복지실무자 대상 주거복지제도 홍보 및 교육

- 주거문제를 외연화하고 지역사회 실정에 맞는 주거복지 정책 개발

∙ 주거복지 관련 주민의 권리구제 지원

∙ 현장사례를 통한 주거문제의 외연화 및 제도 개선안 제안

∙ 지역사회의 주거실태조사를 통한 주거복지정책 제안

∙ 지역특성과 기관특성을 반영한 사업을 통해 특화된 주거복지사업 제안

<그림 Ⅳ-1>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주거지원서비스 프로세스

Page 33: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57

지역 사무위탁기관 지역 사무위탁기관

성동구 SH(서울주택도시공사) 서대문구 (사)희망마을

중구 성북구 (사)나눔과미래

용산구 송파구 (사)위례

도봉구 은평구 (사)마을과사람

강동구 영등포구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

양천구 강서구 총연합회

중랑구 마포구

서초구 동작구 (사)주거복지연대

동대문구 강남구 (사)해냄복지회

강북구 (사)강북주거복지센터 광진구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

관악구 (사)광악주민연대 종로구 (사)나눔과미래

금천구 (사)한국주거복지협회 구로구 (사)구로시민센터

노원구 (재)대한성공회 유지재단 SH 9개, 민간 16개 운영 중

<표 Ⅳ-2>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수탁기관 현황(2018년 기준)

▪ 서울시는 지역별 주거복지센터 운영기관 공모를 통해 신청/접수하여 선정 후 위탁

- 수탁자격은 서울시에 주사무소를 두고 있는 서울주택도시공사 또는 2명 이상의

상근 직원 배치, 사무실 및 상당실 등 시설 확보가 가능한 주거복지 관련 비영리

법인

- 적격자심의위원회 구성을 통해 적격기관 선정 후 계약, 사업비를 지원함

▪ 한편, SH 주거복지센터는 중앙센터와 지역센터를 구분하여 운영 중

- 중앙센터는 지역센터를 대상으로 한 교육, DB관리, 대표콜센터, 주거복지 상담

기본자료 제작, 성과보고집 출판 등을 담당

- 지역센터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주거상담과 주거문제를 겪는 가구에 대한 지

원을 담당함

(3) 수원시 :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 「수원시 주거복지 지원조례」 제15조에 따라 2016년 10월에 수원시 주거복지지원센

터를 설치함

- 주거복지시스템 구축과 네트워크를 통한 주거취약계층 종합 지원을 목표로 함

-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에 센터장 1인과 실무자 2인으로 구성한 센터를 설치 후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58

수원시 주거실태조사 사업(2017년) 등 주거복지 지원 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 수원시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사업은

∙ 주거복지 상담 및 사례관리

∙ 주택 및 주거환경 관련 실태조사, 주거복지 정책네트워크 운영, 지역사회보장

협의체 주거복지분과 운영 지원 등의 주거복지 정책지원

∙ 주거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 및 집수리 사업

∙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임시주거공간(마을사랑방) 운영

∙ 지역 내 임대주택의 입주자 선정 및 운영

▪ 수원시 주거복지센터는 타지역의 공사 혹은 민간위탁의 운영형태와는 다르게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설립된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내에 별도 중간지원 조직으로 설

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 제한적 인력 및 낮은 위상 등으로 주거복지센터 기능을 수행하는데 한계

- 타 중간지원 조직 간 협력 부재 및 획일적 기능, 정체성 부재의 어려움이 있음

구분 내용 비고

도시재단 마을사랑방운영

LH 장기미임대주택 공간을 커뮤니티 공간, 청년창업공간, 긴급주거공간, 긴급물품보관소 등 마을사랑방으로 활용

LH 경기지역본부와 MOU 체결

(2016.12.13.)

주거복지 상담 주거상담 및 정보 제공

맞춤형 주거복지사다리 구축

한정된 재원으로 주거복지 제도권으로 끌어올리는 방안 마련

주거복지 정책지원 주거복지 법령, 정책, 제도, 사업 등 발굴

희망주택 관리 운영 정자동 매입임대주택 관리・운영

청년공유주택 지원사업 청년창업인 공공임대주택 지원

주거생활환경 개선 지원 주거편의시설 개보수 지원, 공공임대보증금 지원 주거취약계층 대상

수원형 주거복지 모델구축

수원시 주거실태조사를 토대로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 제안

주거복지 네트워크 운영지원

주거복지 관련 기관과의 연계와 협력, 워크숍 개최 등

주거복지 아카데미 운영시민, 현장실무자 역량강화 교육(주거권, 주거복지 정책제도 등)

수원시 주거실태조사 수원지역 주거실태조사 용역 완료

주거복지 홍보 홍보 안내문, 홈페이지 관리 등

<표 Ⅳ-3> 2017년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주거복지센터 사업

자료 : 수원시지속가능재단 주거복지센터 내부자료

Page 3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59

2) 운영주체별 주거복지센터 : 민간

(1) 대구시

▪ 대구시는 2007년~2012년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을 받아 민간이 운영하는

주거복지센터 2개소가 있음

- 2007년 설립된 민간 주거복지센터에 대한 대구시의 예산 지원은 2010년부터이

며, 2017년 기준으로 주거복지센터 2개에 민간위탁 중임

- 서구에 위치한 대구 행복주거복지센터19)(1센터), 중구에 위치한 대구 주거복지

센터(2센터) 총 2개의 센터가 운영 중임

- 대구 행복주거복지센터 업무 내용은

∙ 지역사회 홍보 및 후원자원 개발사업 : 개별 후원자 개발, 대구행복주거복지센

터 SNS 운영, 소식지 ‘하늘터’ 발간 및 배포 등 대구지역 주거취약세대 지원을

위한 지속가능한 주거복지 자원을 개발하고 관리

∙ 주민교육 및 조직사업 : 희망키움봉사단 운영사업, 보냉가설봉사단 운영사업

등 주거복지 전문 봉사단을 조직하고 교육하여 봉사단의 역량과 전문성을 증

∙ 주거복지서비스 지원사업 : 주거환경 개선사업, 주거이전 지원서비스, 부동산

중개수수료 지원서비스, 주거물품 지원서비스, 게스트하우스 운영, 행복페인

팅 지원사업, 주거정보제공 및 간접지원서비스, 주거취약세대 사례관리 등 다

양한 주거서비스지원으로 주거취약계층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

∙ 주거복지 네트워크 사업 : 기관 컨소시엄 협약체결, 실무자 워크숍, 연계기관

사례회의, 실무자 간담회, 자문위원회 구성 등 주거지원 관련 유관기관의 네트

워크 구축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직접지원 사업의 효과적인 운영

- 지역의 주거복지 수준 향상을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주거복지 안전망)를 구축하

는 업무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며, 지역 주거실태조사 및 연구 사업도 진행함

- 한편, 2017년 7월 대구도시공사는 남부권 주거복지센터를 개소하여 운영 중에

있으나 주로 주택계약 관련 서비스 및 시설물 유지관리 서비스 등 주거복지서비

스 지원에 제한적임

19) 서구종합사회복지관에서 대구시의 보조금 지원을 받아 운영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60

(2) 시흥시

▪ 시흥시의 사회복지법인 복음자리, 좋은이웃참사랑공동체, 아름다운집이 주거취약계

층에 대한 주거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0년 공동으로 주거복지센터를 설치

하여 2011년 운영을 시작함

- 자원을 연계하여 지원하는 사업에서 2017년 이후 직접사업으로 확대하고 있음

- 시흥시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사업은

∙ 주거취약계층 주택개선사업 : ‘집은희망입니다’

∙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 주거취약계층 맞춤형 정리수납서비스

∙ 사회적경제조직과 함께하는 주거위생환경 개선사업

∙ 저소득층 주거안전을 위한 방범창 지원사업

∙ 저소득 주거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one-stop 홈케어 서비스 : ‘맥가이버’

∙ 생활편의시설 설치 지원사업 : ‘참~편하다’

∙ 주거취약계층 임대보증금 무이자 지원사업 : ‘함께살아요’

∙ 착한중개사무소 : ‘우리동네착한부동산’

∙ 대안주거에 관심이 있는 시민을 대상으로 교육 활동 : 모듬살이학교

(3) 전주시

▪ 전북 주거복지센터는 전주시에서 복지・시민단체와 함께 2007년부터 전주주거복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사무국 내에 주거권 실천단, 주거복지 지원

단, 유니버설디자인 연구단이 있음

- 주거권 실천단 : 주거관련 법률, 정책, 제도 연구 및 개선활동, 공공기관의 주거

복지 사업 및 공약 이행 모니터링, 청년실천단을 운영하고 있음

- 주거복지마을 지원단 : 지역주체, 전문가, 사회적경제 주체, 청년 등이 참여하여

마을 주거복지와 관련한 교육, 연구를 진행함

- 유니버설디자인 연구단 :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연구, 정책 제안을 진행하고 있

으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전북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사업은

∙ 주거복지 정보/서비스 제공 및 사례관리, 빈집활용 임시거주 주택 ‘희망의집’

Page 35: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61

사업, 민간임대주택 연계 주거이주 지원, 공공기관 및 복지단체 지원연계 및

상담 의뢰 등의 주거복지 서비스 제공

∙ 사회서비스 및 민생 관련 교육 연계, 주거복지 학교, 전문가 양성 학교, 대학생

주거복지 실습교육, 전북 주택협동조합 포럼 운영 등의 주거복지 교육

∙ 전주주거복지네트워크 협력체계 구축, 전북지역 주거복지센터 및 사회적기업

설립 지원, 주거복지 관련 민・민, 민・관 협력 간담회, 전국주거복지센터협

의회 활동 등의 네트워크 및 연대

∙ 주거복지 전달체계 및 정책사업 연구, 주거실태조사 및 주거복지계획 수립 참

여, 민관합동 주거복지간담회 개최를 통한 지역사회 주거복지 정책 마련 및

제안, 학계・연구소・시민사회・복지단체들과 연계한 주거복지 정책 연구사

업 등의 주거복지 정책 연구

구분 공공 민간

보유자원

∙ 보유자원이 민간에 비해 풍부∙ 예산 확보가 용이함∙ 긴급 시 보유하고 있는 공가활용 가능함

∙ 보유자원 부족∙ 예산 확보가 어려움

민간자원 연계 ∙ 제약이 많음 ∙ 가능, 자원연계와 의뢰에 적극적임

운영의 자율성

∙ 지원기준 대상자 이외에는 지원이 어려움∙ 신규 사업 추진이 어려움∙ 주거복지 네트워크 구축에 소극적

∙ 지원기준의 제한이 없음∙ 신규 사업 추진이 가능하나 예산 확보가 어려움∙ 주거복지 네트워크 구축에 적극적

규모 ∙ LH/SH의 경우 4~6명 이상 구성 ∙ 1~2명

전문성∙ 순환 보직과 계약직 중심의 인력 구성으로 전문성 확보 어려움

∙ 장기근속이 가능할 경우 전문성 확보 가능성이 높음

공간과 시설 ∙ 양호 ∙ 미흡

시스템 ∙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가능 ∙ 체계적인 시스템 미비

복지정보 접근성∙ 유관기관과의 연계 가능∙ 복지정보 접근 가능

∙ 유관기관과의 연계 어려움∙ 복지정보 접근 제약

제도 개선∙ 소극적∙ 사각지대 발굴에 제한적

∙ 적극적∙ 사각지대 발굴에 적극적

<표 Ⅳ-4> 공공과 민간 운영 주거복지센터 비교

자료 : 수요 맞춤형 주거지원을 위한 주거복지센터 운영체계 개선 연구, 2017, 한국도시연구소, 수정 후 재인용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62

2. 외국의 주거지원 운영 사례

1) 일본의 주거복지 전달체계 사례20)

(1) 거주지원협의회

▪ 고령자, 자녀 양육세대, 저소득자, 장애인 등 주택 확보에 배려가 필요한 사람들이

적정한 민간임대주택을 찾을 수 있도록 정보 제공 및 상담 등과 관련 협의가 가능한

지원 조직의 필요성 제기

- 2005년 지역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한 공적임대주택 등의 정비에 관한 특별조치

법 제정

- 2006년 주생활기본법 제정

- 2007년 제정된 주택확보요배려자에 대한 임대주택의 공급촉진에 관한 법률(주

택 Safetynet법21)) 제3조와 제10조

▪ 2017년 9월 기준, 전국에 69개 협의회가 구성되어 있으며, 시(市) 786개, 정(町)

757개, 촌(村) 184개 총 1,797개 중 40%가 협의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2020년 전

국 지자체의 80% 구성을 예상함

▪ 거주지원협의회의 주요 역할은

- 구성원간의 의견 및 정보교환

- 요배려자 대상 민간임대주택 등에 대한 정보, 소개, 알선

- 주택상담 서비스 제공

- 임대료 채무보증제도, 안부확인 서비스 알선

- 임대인과 요배려자 대상 강연회 개최

(2) 거주지원법인

▪ 2007년 주택 Safetynet법 개정22)으로 등록임대주택의 관리 및 등록주택 확산 지원

20) 수요 맞춤형 주거지원을 위한 주거복지센터 운영체계 개선 연구, 2017, 서울특별시・한국도시연구소21) 주택확보요배려자가 입주할 수 있는 공적 임대주택의 공급촉진을 위한 기존주택 재고의 활용(재건축), 공적 임대주택의

관리주체 변경, 지역주택계획에 공적 임대주택의 정비 및 관리 등을 규정22) 임대주택 등록제도 창설, 등록주택의 개보수 및 입주자 지원, 민간의 공가 개보수에 의한 임대주택 공급 시 개보수

비용 국가보조, 임차인 임대료 보조, 거주지원법인과 거주지원협의회 활동 강화와 재정보조 등

Page 36: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63

등에 지자체의 역할이 필요

- 도도부현 지사가 NPO법에 의한 법인, 일반재단법인, 사회복지법인, 주택확보요

배려자를 위한 지원활동을 지원회사 등을 지정할 수 있음

- 매사업년도 사업계획 및 수지예산을 작성하여 사업개시 전에 도도부현지사의 인

가를 받아야 하며, 결산서도 매년도 3개월 경과 이전에 제출해야 함

▪ 거주지원법인의 주요 업무는

- 등록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주택확보요배려자 임대료 채무보증

- 임대주택의 원활한 입주를 지원하는 정보제공・상담

- 요배려자에게 필요한 생활지원 등

구분 거주지원협의회 거주지원법인

근거법 주택 Safetynet법(2007.07.06. 제정) 주택 Safetynet법(2017.10.25. 개정)

특성 협의회(회의체) 도도부현지사의 지정으로 상설조직

주요업무주택확보요배려자 지원을 위한 상담, 정보 제공 등

주택확보요배려자에 대한 지원업무는 유사, 등록주택의 정보게시・임대인의 지도감독 수행 지원

국가지원

국가의 중층적 주택 Safetynet 구축 지원사업, 협의회가 제출한 사업 프로젝트를 심사하여 지원

국가의 거주지원 활동 법인 지원 사업에 대해 사업별로 지원- 입주상담- 대면 등에 의한 정기적인 안부확인 및 임대료 상담시 생활상담- 임대료 채무보증이 병행되는 경우- 임대 후 재임대를 병행하는 경우

<표 Ⅳ-5> 거주지원협의회와 거주지원법인의 비교

※ 거주지원협의회 사무국 운영 주체는 민간 공사, 지자체 등 다양함

2) 영국의 Supporting People 프로그램 및 Shelter 사례23)

(1) Supporting People 프로그램

▪ Supporting People 프로그램(이하 SP 프로그램)은 주거복지 서비스의 확대방안으

로 단순한 임대비 보조의 주택보조금 체계를 확대하여 주거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

에 대해 지원함

23) 종합적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 연구, 2015, 토지주택연구원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64

- 서비스의 대상인 취약계층의 범위를 확대 발굴, 예방적 차원의 주거관련 지원으

로 취약계층의 독립성 확대

- 중앙정부-지방정부-민간부분의 협력관계를 통해 운영

▪ 2003년 4월에 중앙정부에 의해 시행되는 7가지 주거관련 재정 프로그램들을 통합

하여 제정되었으며, 현재는 완전히 분권화되어 152개의 지방정부들이 지역적 수요

에 가장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모든 재량권을 가지고 운영 중임

- 2010년 4월부터 SP 프로그램 재정이 지역기반보조금(area based grant)으로

포괄되어 지급되면서 지출에 대해서는 지방정부 재량으로 결정

- SP 프로그램의 위탁, 계약, 관리, 감독 등 효율적으로 운영은 지방정부의 책임이

며, 서비스는 정부보조금에 의해 제한됨

- 대부분의 서비스는 자원봉사단체와 커뮤니티 영역, 주택조합에 의해 이행되며

약 100만 명의 취약계층을 지원함

▪ 위험에 처한 취약계층이 사회시설에 의지하거나 노숙인으로 전락하지 않고 독립적

으로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예방적 지원에 중점

- 안정적 주거의 확보는 위기예방을 위한 우선적 조치라는 인식

- 장기적으로 발생할 사회적 비용의 축소와 지불가치의 효율성 증대

- 고령자에게 보호주택(sheltered housing) 제공 및 거주하고 있던 집에서 계속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택 개조나 개선에 대한 지원

▪ 주거지원 대상은 초기에는 사회임대주택 세입자들에 한정 되었으나 점차 확대되어

주거의 점유상태와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주거관련 지원이 공급되고 있음

- 주거기반(accommodation based) 지원과 방문 지원(floating support) 형태

로 지원

∙ 주거기반 지원은 주거를 공급하는 서비스나 호스텔, 공유주택, 가정폭력을 벗

어난 사람들을 위한 피난처와 같이 주거가 제공되는 서비스

∙ 방문 지원은 지원도우미가 개인의 자택에서 일하는 것으로, 개인이 이동하면

도우미도 함께 이동하여 다양한 주거환경에서 서비스가 사용자들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함

▪ 집행은 지방정부의 소관이고, 최종 서비스 제공은 민간 자원봉사로 이루어지며, 주

거, 건강, 사회적 보살핌 서비스와 보호관찰조직들과 협력관계를 가짐

Page 37: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65

▪ 지원 서비스의 종류

- 독립적인 주거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개인의 역량 개발에 대한 지원

- 주택 개선에 대한 조언, 커뮤니티서비스 정보 제공

- 고령자를 위한 단기간 가정방문 또는 장기간 상주 지원도우미

- 보호주택 제도 내에 제공되는 관리서비스

- 보호시설을 떠나는 청년층에 대한 요리나 위생 등의 기술에 대한 훈련 지원

- 정신질환 또는 약물남용의 젊은 노숙인들에 대한 훈련 및 상담

- 감옥 등 제도시설을 떠나는 사람들에 대한 지원 등

- 학습 장애나 정신질환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병원과 같은 제도적 보호시설보다

지역사회 커뮤니티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교육과 고용훈련 프로그램 참여 지원

- 재정관리, 가스와 전기 등 공공 서비스에 접근방법, 세입자 계약문제 등 지원

<그림 Ⅳ-2> Supporting People 프로그램의 운영조직 및 체계

(2) Shelter

▪ Shelter는 1966년 순수 민간자선단체로 설립되어 취약한 계층을 지원하며, 정부와

협력을 통해 확대 서비스 시행 및 정부정책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자체만으로는 정책 이행이나 서비스 공급을 실행하는데 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66

계가 있으므로 민간자선단체나 지역기반 서비스 기관들과의 협력체 구성이 필요

- 노숙인들을 돕기 위하여 설립된 민간자선단체로서 정부에 협조 및 정책 제언 등

의 활동을 통해 취약계층을 지원

▪ SP 프로그램과 Shelter는 기본적으로 사회 취약계층의 주거복지서비스를 전달 및

협력을 통해 상호보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주택상황과 위기를 배경으로 취약계층의 범위가 사회임대주택 세입자에서 민간

임대주택 세입자, 자가 소유자까지 확대되어 지원내용도 확대

∙ 노숙문제, 민간임대, 세입자 보증금, 주택보조금, 지방정부나 주택조합의 사회

주택 지원, 퇴거, 수선, 에너지 비용, 주택차압, 학생 지원, 주택구입, 이웃 간

의 갈등 중재, 군복무자와 퇴역군인 지원, 청년층 독립 지원

▪ 지원은 상담전화센터, 온라인 정보이용 및 의뢰, 직접 방문상담을 제공

- 상담전화센터 : 의뢰인이 상담전화를 이용

- 방문상담센터 : Housing Advice Centres(HAC), Hub로 지칭

∙ 지역의 커뮤니티에 밀착하여 이용자의 접근과 요구에 대한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Hub를 운영

∙ 개별화된 주택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재원과 전문성을 이용하여 통합적

인 지원을 하기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장소

- 이메일 문의 및 웹채팅서비스 : 주택 관련 간단한 문의

- 직접적인 상담 및 상호작용을 통한 지원 이외에도 주택 조언 정보지, 방세 자가

진단, 재정 계산기, 응급주거권리 확인, 세입자 권리 확인, 퇴거 권리 확인, 에너

지 비용 절약도구 등의 다양한 도구와 자료들을 제공

▪ Shelter는 민간의 자원봉사기관으로써 기본적인 서비스의 이행은 자원봉사자들의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짐

▪ 운영 재원의 80%는 기부금 수입과 정부 보조금이며, 수익사업을 통해 일부 조달

-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연계하여 협력 및 후원을 추진하여 전략적인 자선협력 관

계를 구축

- 지출의 50% 이상은 주거관련 서비스 활동에 사용하며, 기금마련 활동과 수익사

업 등 운영관리비가 30% 이상, 연구나 정보제공 및 캠페인에 10%를 사용함

Page 38: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67

<그림 Ⅳ-3> Shelter의 운영 및 조직 구성

3) 기타 사례24)

▪ 주거지원 관련 중간지원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국가는 영국, 미국, 일본이 대표적임

- 미국의 CHDOs(Community Housing Development Organizations)와 영국

의 HIAs(Home Improvement Agencies)는 중앙센터를 보유하고 있는 전국

단위의 조직으로 기능을 수행

∙ 영국의 HIAs는 비영리 주택관리 전문업체 및 제3섹터 협력기관으로 지방정부

주택관련 부서를 통하여 지원

∙ HIAs의 지역 실행조직은 지자체 단위에서 입찰을 통하여 선정, 2~3년 계약을

체결하고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

- 일본의 주택만들기 나비센터와 도쿄도 방재・건축 마을만들기센터는 지방자치단

체 차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지원센터로 주거지원 관련 사업을 주요 업무로 수행

24)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정책 제안, 2015, Auri Brief No.11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68

구분 미국 CHDOs 영국 HIAs

일본

주택만들기 나비센터도쿄도 방재・건축

마을만들기센터

조직유형 민관협력조직 민관협력조직 민간조직 민관협력조직

설치주체 연방정부 HUD1) 중앙정부 DCLG2)민간(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재단법인으로 변경)

도쿄도・특별구

운영주체민간 비영리(인증 운영)

민간 비영리(공모・위탁운영)

민간 민간

공공지원 ● ● ○(부분적) ●

조직체계 지역실행조직중앙관리조직,지역실행조직

단일 조직(도쿄도 소재)

단일 조직(도쿄도 소재)

인력구성 조직별 상이 조직별 상이

경영인력 9명,전문인력은 등록제로 별도관리(일급건축사,

법률 및 재정관련 전문가 등)

경영인력 10명,전문인력은 5개부서

76명으로 구성(상근인력)

주요업무

중앙∙ 지역실행조직지원 - 교육, 평가 등∙ HIAs DB 관리

지역

∙ Home 프로그램 - 임대주택 신축 - 노후주택 취득 및 재생 - 신축・재생주택 재판매 및 임대 - 금융지원∙ 상담 및 교육

∙ 취약가구 주택개조∙ 노후주택 개보수∙ 주택에너지 효율화∙ 관련 정보제공 및 상담∙ 타 서비스연계 등

∙ 주택신축・개량을 위한 계획서 작성 지원∙ 시공업체 선정지원∙ 리폼업체 등록을 통한 정보제공∙ 관련 정보제공 및 상담∙ 세미나 및 교육 프로그램 제공

∙ 안전한 마을・ 거리조성 지원 - 도시재생 지원 - 방재도시만들기 - 인재뱅크 운영∙ 안전한 주거생활 - 주택성능평가 - 주택리폼 상담 - 고령자 거주지원∙ 안전한 건축물조성 - 내진리폼 평가 - 내진사무소 등록

지원대상 지역 저소득주민

지원소요가 있는 모든 주민을 대상, 주요 지원대상은

고령자・장애인 등 취약계층 가구

지원소요가 있는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하되, 부분적으로 유료지원

지원소요가 있는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하며, 회원제로 운영

<표 Ⅳ-6> 국외 주거관련 중간지원조직의 운영사례 비교

주 1)HUD :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2)DCLG :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Page 3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69

3. 시사점

▪ 주거복지센터는 공급자 중심의 양적 주택공급 정책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저소득・빈곤층의 복잡하고 다양한 주거문제와 주거안정 지원을 위해 민간에서 시작됨

- 임대료 및 연료비 체납, 퇴거 위기가구, 열악한 주거환경 노출, 불안정 주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관기관과 단체, 주민, 복지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성

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사업을 제안, 2007년 6개소(서울 강북・성동・성

북・은평, 전북 전주, 대구 서구)를 시작으로 점차 확대 추진됨

- 「주거기본법」 시행 이후 LH 주거복지센터(마이홈센터) 및 SH 권역별 통합관리

센터의 명칭 변경으로 다양한 형태의 주거복지센터가 출현하게 됨

▪ LH 주거복지센터는 LH 지역본부의 주거복지사업처(단)에 소속되어 있는 조직으로

관할지역 내의 매입임대주택의 공급・임대운영・관리업무, 건설을 통해 공급된 임

대주택의 임대운영업무, 주거급여 수급대상이 거주하는 주택조사 등의 업무를 주로

수행하며, 일부 「주거기본법」 상의 주거복지센터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 마이홈센터에서 주거지원 관련 정보 등을 필요로 하는 방문고객을 대상으로 주

거지원에 관한 정보와 상담을 제공

- 지역사회 주거복지 거버넌스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나 자산관리 및 내방

상담 중심의 지원으로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욕구에 대응하는 정밀한 서비스지원

에 한계가 있음

▪ SH 주거복지센터는 택지개발, 임대주택 건설 및 공급, 관리 중심에서 서울시민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거복지와 도시재생 전문기관으로 역할을 변경함

- 주거복지 공공부문 복지전달체계와 공공제도의 사각지대 해소, 지원의 유연성

및 현장 밀착성을 최대화하여 효과적인 주거지원서비스 제공으로 주거문제를 해

소하고 지역에 맞는 주거지원서비스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함

- SH 주거복지센터 사업 추진으로 기존 민간 10개 운영에서 25개 자치구로 주거

복지센터의 안정적 확장 확보

- 매뉴얼 제작, 교육 진행, 주거복지 통합시스템 구축, 콜센터 시스템 구축 작업 등

을 통해 지역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

- 한편, SH는 현행 주거복지센터에 대한 인식 부족과 경험 부족, 일정 수준의 수익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70

사업을 병행해야 하는 공기업의 서비스사업 추진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을 극복

해야 하는 과제도 가지고 있음

- SH는 민간, 공공의 업무 연계와 역할 분담, 문제점 극복을 위해 매월 정기 회의

를 통해 정보공유, 사례관리 교육, 주거복지센터 운영 및 사업 컨설팅을 진행하

고 있음

- SH 주거복지센터는 서울시민의 촘촘한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을 위해 주거복

지 지원의 보편성・접근성・전문성 강화 및 운영의 표준화, 지역 네트워크 구축

으로 지역 주거복지 거버넌스의 공적 책임 수행을 목표로 하여 공기업의 지역사

회에 대한 실천적 지원사업의 선례로 작동하고 있음

서울특별시 중앙주거복지센터 지역주거복지센터

∙ 주거복지센터 기본운영계획 수립∙ 사업비 교부 및 정산, 평가∙ 주거복지센터 관리 감독 및 지도

∙ 주거복지 전달체계 관련 각종 주거복지 지원서비스 구축 및 제공∙ 주거복지 전문가 양성 및 주민교육∙ 주거복지 홍보 사업 및 주거 복지 네트워크 구축∙ 주거복지 사업과 관련한 주민의 권리구제 지원∙ 주거약자 등의 주택 및 주거 환경에 관한 실태조사 및 연구・조사사업∙ 지역주거복지센터 업무 매뉴얼 표준화 작업∙ 기타 ‘시’가 주거복지의 증진 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 하는 사항

∙ 주거복지사업의 상담・정보 제공 및 사례관리∙ 임대주택 등의 입주, 운영, 관리 등과 관련한 정보 제공∙ 주거복지 관련 기관, 단체의 연계 지원∙ 주거복지전달 관련 각종 주거복지서비스 제공∙ 주거복지 전문가 양성 및 주민교육∙ 주거복지 홍보 사업 및 주거 복지 네트워크 구축 운영∙ 주거복지사업과 관련한 주민 의 권리구제 지원∙ 주거약자 등의 주택 및 주거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주택개조 등에 대한 교육 및 지원∙ 주거복지 관련 제도에 대한 홍보∙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연구・조사사업∙ 그 밖에 주거복지와 관련한 사항∙ 기타 ‘시’가 필요하다고 인정 하는 사업 등

<표 Ⅳ-7>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사업 주체별 역할

자료 : SH 홈페이지 참고

Page 40: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71

▪ 민간 주거복지센터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사업으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운

영하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지역모금회의 재원으로 운영됨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의 효과 및 효율성이 입증되어 서울시는 지역사회 주거

문제 해소의 창구 역할로서 민간의 역할을 인정하고 그 성과를 공공부문으로 흡

수하여 2012년 시범사업을 운영하다 2018년 현재 25개 자치구(민간위탁, SH

등)로 확대 설치/운영 중임

- 주거위기가구, 주거안정 및 상향이동에 도움을 요청하는 가구에 긴급주거비 지

원 등의 주거지원서비스를 수행하나 운영주체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있음

- 주거복지센터 기본사업 이외에도 주거특성, 인구학적 특성, 사회적 특성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한 특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민간위탁의 주거복지센터는 공공지원의 운영비를 확보 가능하지만 순수 민간 운

영의 주거복지센터의 경우 재정 확보 문제로 전문 인력 편성과 주거지원서비스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구분 내용

인건비 실무자의 급여제수당, 퇴직적립금, 사회보험부담금

사업비 상담 및 사례관리 비용, 직접지원비, 네트워크 구축, 실무자 및 주민교육, 특화사업 등

운영비 여비, 사무용품비, 인쇄비, 전화 및 인터넷 사용료, 전기료, 연료비 등

<표 Ⅳ-8> 현행 주거복지센터 운영비 주요 항목

※ 민간위탁 시에는 예산 중 인건비 지원이 70% 정도 차지

민간법인 또는 재단법인

주거복지센터 하위조직 하위조직

① 민간법인 또는 재단법인 주거복지센터 조직체계

민간법인 = 주거복지센터

② 민간 주거복지센터 조직체계

공공기관(지역도시공사 등)

○○주거복지센터 ○○주거복지센터 ○○주거복지센터

③ 공공기관 주거복지센터 조직체계

<그림 Ⅳ-4> 현행 주거복지센터 조직체계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72

▪ 국외 선진사례를 살펴볼 때 주거복지 관련 정보제공, 상담, 주택유지관리 및 개보수,

금융지원정보 등 종합적 주거복지 서비스를 공공의 정책지원 업무로 인식하고 전달

체계 구축이 필요함

- 민간의 전문 인력과 자원을 활용하고, 기술 인력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지원

할 수 있는 운영체계 구축

- 주거복지 관련 정보제공 및 상담을 기본 서비스로 제공하며, 취약계층에서 일반

가구까지 지원대상을 확대하여 주택 개보수, 주택에너지 효율화, 내진 등 주택안

전성 평가 등 시민들의 수요에 따른 지원사업 설정

▪ 영국, 일본 등 선진 복지국가에서 사회서비스 연계 측면에서의 주거지원서비스는 수

요자와의 정서적 지지관계를 토대로 주택의 확보 및 개보수, 주거유지 등의 각종 주

거문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상담, 정보제공, 맞춤형 서비스지원 강화가 중

요함

▪ 주거복지센터는 현장 사례를 통해 현행 주거복지 제도의 한계를 파악할 수 있어 제

도 개선을 위한 정책제안 및 정책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공적 자원과 민간 자원의 연

계/협력을 통해 주거욕구를 가진 시민에 대한 맞춤형 대응이 가능함

- 지역단위의 효율적인 주거복지 전달체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관협업 및 공유

를 통한 네트워크 구축, 커뮤니티 활성화 등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

- 시민의 주거욕구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는 주거공간의 제공 및 관리 지원을 포

함한 자활, 교육, 커뮤니티 등 복지와 생활지원의 병행이 요구됨

▪ 주거복지센터의 안정적 운영과 위상 정립을 위해 「주거기본법」 및 「부산광역시 주거

기본 조례」 등 근거 규정 내 고유업무 지정, 지원근거, 재정확보 등의 개정이 필요함

▪ 안정적 주거복지 전달체계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재정 및 전문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

고 사례 및 주거관련 정보의 공유, 사업 안내,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이 필

요함

- 모바일・인터넷정보 접근성이 낮은 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는 가구특성을 고려

하여 찾아가는 서비스 등 별도의 고려가 필요함

- 주거복지센터의 사례 공유와 자원 확보, 서비스 개선을 위해 부산시, LH, BMC

등 유관기관 정보공유포털 개발의 검토도 필요함

Page 4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Ⅳ. 국내・외 주거지원 운영 사례

73

구분 방향

수요자관점

통합성(Integration)

∙ 각종 프로그램 공급의 최접점 창구를 주거복지센터로 일원화∙ 온라인 포털, 콜센터는 주거복지센터와 연계

접근성(Accessibility)

∙ 지리적 접근성 : 권역별, 지역별∙ 심리적 접근성 : 복지전문가의 확보 및 배치

지속성(Continuity)

∙ 사례관리 : 수요자의 주거복지 욕구 종결 시까지∙ 통합 사례관리 : 주거, 생활지원, 고용, 의료 등 사회복지서비스와 연계

공급자 관점

책임성(Accountability)

∙ 민간과 협력적 파트너쉽 구축 - 공적 책임성, 민간의 지역기반 복지서비스, 지역 특성 등을 결합

전문성(Professionalism)

효율성(Efficiency)

∙ 인력구성, 조직, 업무 프로세스 내 중복성 제거

<표 Ⅳ-9> 주거복지서비스 지원 방향

자료 : 이종권 외(2015); 남원석(2010) 수정 후 재인용

Ⅴ1.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을 위한 기초조사

2. 주거복지센터 사업 중요도 분석

3.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향

4. 부산시 주거복지 관련 기초조사

5. 시사점

부산시 주거복지센터 설치 관련 기초조사

Page 4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76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1.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을 위한 기초조사

1)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 부산시민의 주거복지 관련 욕구와 수요에 대한 체계적 기초조사

▪ 주거복지 현장전문가 및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부산시민의 실질적 주거욕구 조

사로 주거복지센터의 설치 및 운영 가안 작성을 위한 기초조사

- 부산시민의 주거욕구에 대응하는 전략 발굴

▪ 기존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한계 극복 방안, 타 기관과의 관계 설정 및 기존 자원과의

연계방안 등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작성을 위한 기초조사

(2) 조사 설계

▪ 조사 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Web Survey)

▪ 조사 대상 : 동 주민센터 및 사회복지시설의 주거복지 관련 업무담당자

▪ 표본 수 : 222명(동 주민센터 88명, 사회복지관 115명, 기타 19명)

- 기타는 시민단체, 쪽방상담소, 지원센터 등의 주거복지 관련 업무담당자

▪ 조사 기간 : 2018년 10월 8일 ~ 10월 18일

2) 자료 처리 및 분석

(1) 자료 처리

▪ 자료 처리 프로세스

Page 43: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77

- 응답자 특성 및 일반 문항 분석은 수집된 자료(Raw Data)는 Editing, Coding

과정을 거쳐 SPSS 20.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

램으로 전산처리함

Editign Coding Data Cleaning Date Processing

∙ 기록상의 오류 및 누락 검증

→∙ 설문 내용의 부호화

→∙ 입력 자료의 오류 검색

→ ∙ SPSS 20.0

<표 ∨-1> 기초조사 결과 처리 프로세스

(2) 자료 분석

▪ 계층적 분석법(AHP)

- 계층적 분석법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쌍대비교에 의

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의사결정방법

론임

- 본 조사에서는 쌍대비교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중요도 산

출 및 일관성 검증을 실시함

- 설문응답 결과에 대한 기하평균 값을 구하여 최종 가중치를 도출함

▪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 응답자별 설문내용 빈도 및 분포표상의 개괄적인 특성 파악, 상대적 백분율, 응

답누적빈도 등

▪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

- 서로 다른 항목 변수의 범주를 교차시켜 교차된 집계 분석표를 통하여 두 변수간

의 상호 독립성이나 관련성 또는 개연성의 정도를 분석

3) 조사 내용

(1) 조사 내용

▪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주거복지 인식 정도, 부산시 주거복지센터의 설치 규모 및

운영 방안, 적정성, 주거복지 효율화 방안 등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78

(2) 조사 내용

① 기본 조사 내용

구분 평가 영역 측정 요인 쌍대비교 수

주거복지센터사업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 기본사업1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유형 부가사업

주거복지센터주요

사업유형

상담, 사례관리 등주거지원서비스

상담 및 사례관리

3긴급주거비 지원

자원연계와 의뢰

네트워크 및 제도 홍보, 교육

통합(민간/공공) 네트워크 구축

3주거복지서비스 정보제공

수요자 맞춤형 주거복지 교육

지역형 주거복지 모델 개발

부산시 주거실태조사

3수요자 맞춤형 직접 지원사업

생애단계별 특화 지원사업

기본사업별세부사업

상담 및 사례관리주거상담

3사례관리

긴급주거비 지원주거안정

1주거상향

자원연계와 의뢰외부자원

1지원의뢰

네트워크 구축지역사회조직

1주거복지 전달체계

주거복지 교육전문교육

1시민교육

부가사업별세부사업

주거실태조사부산시 전체

1특정지역

수요자 맞춤형 특화사업주거약자 직접 지원사업

1생애단계별 특화문제 지원

기타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주택의 양

6주거의 질

주거의 안정

주거서비스

<표 Ⅴ-2> AHP 분석을 위한 쌍대비교 문항

Page 4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79

② 기타 조사 내용

구분 세부 항목

응답자 특성 ∙ 성별, 연령, 소속기관, 생활지역

부산시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향

∙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적정 범위∙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부산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우선지원 사항∙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

<표 Ⅴ-3> 부산시 주거복지센터 운영 방향을 위한 기타 조사

4) 응답자 특성

(1) 응답자 구분

▪ 전체 응답자의 성비는 여자 61.7%, 남자 38.3%임

▪ 연령대별 분포를 10세 단위로 살펴보면, 20대(만19세 포함) 32.0%, 30대 49.1%,

40대 14.0%, 50대 5.0%로 나타남

- 전체 응답자의 55.9%가 19~34세(청년층)이며, 나머지 44.1%는 35~64세(중장

년층)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전체 응답자의 평균 연령은 34.05세임

▪ 거주 지역은 해운대구가 14.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북구 10.4%, 부산진

구 8.6%, 금정구 7.7%, 영도구와 사하구가 각각 6.8% 등의 순으로 나타남

구분 전체 응답자 빈도(명) 백분율(%)

성별남자 85 38.3

여자 137 61.7

연령

20대(만19세 포함) 71 32.0

30대 109 49.1

40대 31 14.0

50대 11 5.0

소속기관

동 주민센터 88 39.6

복지관 115 51.8

기타 19 8.6

<표 Ⅴ-4> 응답자 특성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80

2. 주거복지센터 사업 중요도 분석

1) 주거복지센터 사업

(1)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기본사업의 중요

도(0.665)가 부가사업의 중요도(0.335)보다 높게 나타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1)

기본사업 0.665 1-

부가사업 0.335 2

<표 Ⅴ-5>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주 1)논리적 일관성은 비교대상이 3개 이상일 경우 검증 가능함

(2)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 유형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 유형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상담, 사례

관리 등 주거지원서비스(0.485), 지역형 주거복지 모델개발(0.264), 네트워크 및 제

도 홍보・교육(0.251)의 순으로 나타남

- 일관성 지수인 CR 값이 0.008로 평가의 일관성이 확보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

상담, 사례관리 등 주거지원서비스 0.485 1

0.008네트워크 및 제도 홍보, 교육 0.251 3

지역형 주거복지 모델 개발 0.264 2

<표 Ⅴ-6>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 유형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2) 주거복지센터 주요 사업 유형

(1) 상담, 사례관리 등 주거지원서비스

▪ 상담, 사례관리 등 주거지원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상담 및 사례관리

Page 45: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81

(0.354), 긴급주거비 지원(0.328), 자원연계와 의뢰(0.318)의 순으로 나타남

- 일관성 지수인 CR 값이 0.003으로 평가의 일관성이 확보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

상담 및 사례관리 0.354 1

0.003긴급주거비 지원 0.328 2

자원연계와 의뢰 0.318 3

<표 Ⅴ-7> 상담・사례관리 등 주거지원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2) 네트워크 및 제도 홍보, 교육

▪ 네트워크 및 제도 홍보, 교육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통합(민간/공공) 네트워

크 구축(0.387), 주거복지서비스 정보제공(0.305), 수요자 맞춤형 주거복지 교육

(0.308)의 순으로 나타남

- 일관성 지수인 CR 값이 0.011로 평가의 일관성이 확보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

통합(민간/공공) 네트워크 구축 0.387 1

0.011주거복지서비스 정보제공 0.305 3

수요자 맞춤형 주거복지 교육 0.308 2

<표 Ⅴ-8> 네트워크 및 제도 홍보・교육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3) 지역형 주거복지 모델 개발

▪ 지역형 주거복지 모델 개발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부산시 주거실태조사

(0.282), 수요자 맞춤형 직접 지원사업(0.400), 생애단계별 특화 지원사업(0.319)의

순으로 나타남

- 일관성 지수인 CR 값이 0.000으로 평가의 일관성이 확보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82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

부산시 주거실태조사 0.282 3

0.000수요자 맞춤형 직접 지원사업 0.400 1

생애단계별 특화 지원사업 0.319 2

<표 Ⅴ-9> 지역형 주거복지 모델 개발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3) 기본사업별 세부사업

(1) 상담 및 사례관리

▪ 상담 및 사례관리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사례관리의 중요도(0.574)가 주거상

담의 중요도(0.426)보다 높게 나타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1)

상담 0.426 2-

사례관리 0.574 1

<표 Ⅴ-10> 상담 및 사례관리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주 1)논리적 일관성은 비교대상이 3개 이상일 경우 검증 가능함

(2) 긴급주거비 지원

▪ 긴급주거비 지원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주거안정의 중요도(0.513)가 주거상

향의 중요도(0.487)보다 높게 나타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1)

주거안정 0.513 1-

주거상향 0.487 2

<표 Ⅴ-11> 긴급주거비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주 1)논리적 일관성은 비교대상이 3개 이상일 경우 검증 가능함

(3) 자원연계와 의뢰

▪ 자원연계와 의뢰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외부자원의 중요도(0.538)가 지원의

뢰의 중요도(0.462)보다 높게 나타남

Page 46: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83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1)

외부자원 0.538 1-

지원의뢰 0.462 2

<표 Ⅴ-12> 자원연계와 의뢰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주 1)논리적 일관성은 비교대상이 3개 이상일 경우 검증 가능함

(4) 네트워크 구축

▪ 네트워크 구축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지역사회조직의 중요도(0.619)가 주거

복지전달체계의 중요도(0.381)보다 높게 나타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1)

지역사회조직 0.619 1-

주거복지 전달체계 0.381 2

<표 Ⅴ-13> 네트워크 구축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주 1)논리적 일관성은 비교대상이 3개 이상일 경우 검증 가능함

(5) 주거복지 교육

▪ 주거복지 교육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전문교육의 중요도(0.527)가 시민교육

의 중요도(0.473)보다 높게 나타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1)

전문교육 0.527 1-

시민교육 0.473 2

<표 Ⅴ-14> 주거복지 교육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주 1)논리적 일관성은 비교대상이 3개 이상일 경우 검증 가능함

4) 부가사업별 세부사업

(1) 주거실태조사

▪ 주거실태조사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부산시 전체의 중요도(0.550)가 특정지

역의 중요도(0.450)보다 높게 나타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84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1)

부산시 전체 0.550 1-

특정지역 0.450 2

<표 Ⅴ-15> 주거실태조사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주 1)논리적 일관성은 비교대상이 3개 이상일 경우 검증 가능함

(2) 수요자 맞춤형 특화사업

▪ 수요자 맞춤형 특화사업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주거약자 직접 지원사업의 중

요도(0.576)가 생애단계별 특화문제 지원의 중요도(0.424)보다 높게 나타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1)

주거약자 직접 지원사업 0.576 1-

생애단계별 특화문제 지원 0.424 2

<표 Ⅴ-16> 수요자 맞춤형 특화사업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주 1)논리적 일관성은 비교대상이 3개 이상일 경우 검증 가능함

5)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 부산시 주거복지 사업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주거의 안정(0.302), 주거의 질

(0.256), 주택의 양(0.250), 주거서비스(0.192)의 순으로 나타남

- 일관성 지수인 CR 값이 0.000으로 평가의 일관성이 확보됨

측정 요인 가중치(중요도) 우선순위 일관성 비율(CR)

주택의 양 0.250 3

0.000주거의 질 0.256 2

주거의 안정 0.302 1

주거서비스 0.192 4

<표 Ⅴ-17> 부산시 주거복지사업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3.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향

Page 47: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85

1)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적정 범위

(1) 응답자 전체

▪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의 적정 범위를 살펴보면, 구・군별 센터 설치가 45.9%

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그 다음으로는 권역별 센터 설치 30.2%, 시 통합 센터 설치 18.9%, 노후불량주거지

등 특정지역 설치 5.0%의 순으로 나타남

45.9

30.2

18.9

5.0

구·군별 센터 설치 권역별 센터 설치 시 통합 센터 설치 노후불량주거지 등특정지역 설치

<그림 Ⅴ-1>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적정 범위

(2) 응답자별 특성

▪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19~34세는 구・군별 센터 설치, 35~64세는 시 통합센

터 설치를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동 주민센터 업무담당자는 시 통합센터 설치, 복지관 업무담당자는 구・군별 센터

설치를 응답한 비율이 높은 편임

▪ 생활지역25)이 동부산인 경우 구・군별 센터 설치, 중부산은 권역별 센터 설치를 응

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25) 생활지역 변수를 활용한 교차분석을 위해 16개 구・군의 생활지역을 아래와 같이 3개 권역별로 재부호화함 - 동부산 : 동래구, 해운대구, 금정구, 기장군 - 중부산 :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남구, 연제구, 수영구 - 서부산 : 북구,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86

구분응답자

수(명)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적정 범위(%)

구・군별센터 설치

군역별센터 설치

시 통합센터 설치

노후불량주거지 등 특정지역 설치

전체 222 45.9 30.2 18.9 5.0

성별남자 85 44.7 27.1 22.4 5.9

여자 137 46.7 32.1 16.8 4.4

연령19~34세 124 54.0 26.6 14.5 4.8

35~64세 98 35.7 34.7 24.5 5.1

소속기관

동 주민센터 88 33.0 31.8 28.4 6.8

복지관 115 54.8 27.8 13.9 3.5

기타 19 52.6 36.8 5.3 5.3

생활지역

동부산 65 55.4 24.6 12.3 7.7

중부산 97 39.2 36.1 20.6 4.1

서부산 60 46.7 26.7 23.3 3.3

<표 Ⅴ-18>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적정 범위

2) 주거복지센터 효율적인 운영 방법

(1) 응답자 전체

▪ 주거복지센터 운영을 어떻게 하는 것이 효율적일지에 대해서는 부산도시공사/부산

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이 35.6%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그 다음으로는 독립 센터 설치를 통한 운영 29.3%, 전문기관(출자・출연기관/재단

등) 운영 23.9%, 민간법인/시설/단체 위탁 운영 11.3%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2>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Page 48: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87

(2) 응답자별 특성

▪ 동 주민센터 업무담당자는 부산도시공사/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을 응답한 비율

이 높은 편임

▪ 생활지역이 중부산인 경우 전문기관(출자・출연기관/재단 등) 운영, 서부산인 경우

민간법인/시설/단체 위탁 운영을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구분응답자

수(명)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부산도시공사/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

독립센터 설치를 통한

운영

전문기관(출자・출연기관/재단 등) 운영

민간법인/시설/단체 위탁

운영

전체 222 35.6 29.3 23.9 11.3

성별남자 85 22.4 36.5 24.7 16.5

여자 137 43.8 24.8 23.4 8.0

연령19~34세 124 34.7 28.2 28.2 8.9

35~64세 98 36.7 30.6 18.4 14.3

소속기관

동 주민센터 88 40.9 33.0 20.5 5.7

복지관 115 33.0 25.2 26.1 15.7

기타 19 26.3 36.8 26.3 10.5

생활지역

동부산 65 35.4 32.3 21.5 10.8

중부산 97 34.0 28.9 28.9 8.2

서부산 60 38.3 26.7 18.3 16.7

<표 Ⅴ-19>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3) 부산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우선지원 사항

(1) 응답자 전체

▪ 부산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우선지원 사항을 살펴보면, 공공임대주택 지원이

35.1%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그 다음으로는 주거비 지원(임차료/보증금/이사 지원 등), 주거환경(최저주거기준

등) 향상 24.3%, 주거상담(정보/사례관리 등) 지원 9.5%의 순으로 나타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88

<그림 Ⅴ-3> 부산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우선지원 사항

(2) 응답자별 특성

▪ 동 주민센터 업무담당자는 공공임대주택 지원, 복지관 업무담당자는 주거환경(최저

주거기준 등) 향상을 응답한 비율이 높은 편임

▪ 생활지역이 서부산인 경우 주거상담(정보/사례관리 등) 지원을 응답한 비율이 상대

적으로 높음

구분응답자

수(명)

부산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우선지원 사항(%)

공공임대주택지원

주거비지원

주거환경주거상담

지원기타

전체 222 35.1 30.6 24.3 9.5 0.5

성별남자 85 34.1 27.1 23.5 15.3 0.0

여자 137 35.8 32.8 24.8 5.8 0.7

연령19~34세 124 37.9 29.0 22.6 10.5 0.0

35~64세 98 31.6 32.7 26.5 8.2 1.0

소속기관

동 주민센터 88 42.0 35.2 15.9 5.7 1.1

복지관 115 27.8 29.6 30.4 12.2 0.0

기타 19 47.4 15.8 26.3 10.5 0.0

생활지역

동부산 65 36.9 32.3 20.0 9.2 1.5

중부산 97 35.1 32.0 27.8 5.2 0.0

서부산 60 33.3 26.7 23.3 16.7 0.0

<표 Ⅴ-20>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Page 4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89

4)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

(1) 응답자 전체

▪ 부산시 주거복지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을 살펴보면, 주거복지 전달체

계 강화/사각지대 해소가 3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공/민간 등 주거복지사

업의 통합적 관리/지원이 31.1%로 그 뒤를 따름

▪ 그 다음으로는 주거복지 지원계층의 설정과 집중화 15.8%, 주거복지사업에 대한 홍

보 및 정보제공 10.4%, 민간자원 참여 확대/육성 9.0%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4>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

(2) 응답자별 특성

▪ 응답자 생활지역별로 살펴보면, 동부산은 주거복지사업에 대한 홍보 및 정보제공,

중부산은 주거복지 전달체계 강화 및 사각지대 해소, 공공/민간 등 주거복지사업의

통합적 관리/지원, 서부산은 민간자원 참여 확대/육성을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90

구분응답자

수(명)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

주거복지 전달체계 강화 /

사각지대 해소

공공/민간 등 주거복지

사업의 통합적

관리/지원

주거복지 지원계층의

설정과 집중화

주거복지사업에 대한 홍보 및 정보제공

민간자원 참여

확대/육성

전체 222 33.8 31.1 15.8 10.4 9.0

성별남자 85 31.8 32.9 17.6 10.6 7.1

여자 137 35.0 29.9 14.6 10.2 10.2

연령19~34세 124 36.3 31.5 14.5 9.7 8.1

35~64세 98 30.6 30.6 17.3 11.2 10.2

소속기관

동 주민센터 88 28.4 30.7 18.2 12.5 10.2

복지관 115 37.4 28.7 15.7 9.6 8.7

기타 19 36.8 47.4 5.3 5.3 5.3

생활지역

동부산 65 32.3 29.2 16.9 18.5 3.1

중부산 97 39.2 36.1 13.4 2.1 9.3

서부산 60 26.7 25.0 18.3 15.0 15.0

<표 Ⅴ-21>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

4. 부산시 주거복지 관련 기초조사

1) 주거복지사업 만족도 및 주거욕구조사26)

(1) 부산시 주거복지 지원에 대한 평가

▪ 부산시의 주거복지 지원과 관련된 항목에 대한 중요도는 거의 높음 수준에 가깝게

평가 되었지만 만족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평가됨

▪ 인식 상 중요하게 생각하는 수준에 비해 실제 부산시의 주거복지 지원에 대한 만족

도가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하고 있음

- 연령대별로 중요도와 만족도의 GAP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공통적으로

‘11) 민간에서 별도의 주거지원(참여)이 잘 되고 있다’, ‘14) 시민들의 안정적 생

26)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매트릭스 분석 및 정책방향 설정(부산복지개발원, 2017)

Page 50: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91

활을 위해 주거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항목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

타남

- 향후 전체 부산시민에 대한 부산시의 주거복지 지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요

도는 높지만 만족도가 낮은 ‘2) 주거복지사업에 대한 홍보가 잘되고 있다’ 항목

을 집중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

항목 중요도 만족도 GAP 분류

1) 주거지원은 적정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3.75 2.84 0.92 과잉

2) 주거복지사업에 대한 홍보가 잘되고 있다 3.86 2.80 1.07 집중

3) 주거복지사업이 신청하기 용이하다 3.73 2.82 0.91 과잉

4) 주거복지사업이 일반 시민들의 생활에 직접 도움이 된다 3.76 2.86 0.91 과잉

5) 적정한 수준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다 3.79 2.76 1.03 저순위

6) 최저주거기준 이상의 주거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3.84 2.83 1.01 유지

7) 주거약자를 위해 적정한 주거비를 지원하고 있다 3.83 2.81 1.02 유지

8) 주거안정을 위해 적절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3.73 2.78 0.95 저순위

9)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3.79 2.77 1.02 저순위

10) 주거복지를 위한 다양한 사업/프로그램/서비스가 있다 3.73 2.81 0.92 과잉

11) 민간에서 별도의 주거지원(참여)이 잘 되고 있다 3.80 2.69 1.10 저순위

12) 공공/민간의 주거복지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3.80 2.77 1.03 저순위

13) 주거복지사업은 신뢰 할만하다 3.87 2.81 1.06 유지

14) 시민들의 안정적 생활을 위해 주거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3.95 2.80 1.16 유지

<표 Ⅴ-22> 부산시 주거복지 지원에 대한 평가

(2)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우선 지원사항

▪ 부산시가 시민들의 주거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택, 임대 등 공공주택 지원을

가장 우선시해야 한다고 평가함

- 부산시가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사항으로는 공

공주택 지원(주택, 임대 등) 35.0%로 가장 높게 응답됨

- 그 다음으로는 주거환경 향상(최저주거기준, 질적요건 등) 32.2%, 주거비 지원

(임차료, 보증금 이자지원 등) 25.5%, 주거상담(주택개량, 임대주택, 사례관리

등) 7.0%로 나타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92

(3) 부산시 주거지원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사항

▪ 부산시에서 진행하는 주거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 구축과 관련된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고 응답함

▪ 주거지원사업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서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

하고 공공임대주택사업 등을 통해서 공공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평가함

- 부산시 주거지원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개선해야 하는 부분을 살펴보

면, 공공과 민간사업의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 27.3%로 가장 높게 응답됨

- 그 다음으로는 주거지원사업/프로그램의 홍보 24.0%, 공공지원 강화 24.0%, 지

원계층의 설정 및 사업 집중화 18.3%, 민간지원 참여 확대 6.2%의 순으로 나타

2) 주거실태 및 주거욕구 조사27)

(1) 주거복지센터 지원 수준28)

▪ 전체 응답자의 응답은 주거복지센터 지원 수준은 시 통합 센터 설치 및 운영

(47.1%), 권역별 설치 및 운영(36.6%), 특정지역 설치 및 운영(16.3%) 순으로 나타

- 일반시민의 응답은 권역별 설치 및 운영(42.6%), 시 통합 센터 설치 및 운영

(40.3%), 특정지역 설치 및 운영(17.1%) 순으로 나타남

- 노후불량주거지 주민의 응답은 시 통합 센터 설치 및 운영(45.1%), 권역별 설치

및 운영(38.8%), 특정지역 설치 및 운영(16.0%) 순으로 나타남

- 쪽방상담소 이용자의 응답은 시 통합 센터 설치 및 운영(66.0%), 권역별 설치 및

운영(19.0%), 특정지역 설치 및 운영(15.0%) 순으로 나타남

▪ 부산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 우선순위에 대한 응답은 주택 개・보수

지원, 주거실태조사, 주거복지센터, 주거평가지표 순으로 나타났으나 노숙인 등 주

거불안 계층이 많은 쪽방상담소 이용자는 주거복지센터를 우선지원으로 응답함

27) 부산형 최저주거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부산복지개발원, 2016)28) 주거실태 및 주거욕구 조사 시 ‘주거지원센터’로 표기하여 진행하였으나 본 연구의 표기 통일을 위해 주거복지센터로

수정 사용함

Page 5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93

항목전체 일반시민 노후불량주거지 쪽방상담소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시 통합 센터 설치 및 운영 246 47.1 87 40.3 93 45.1 66 66.0

권역별 설치 및 운영 191 36.6 92 42.6 80 38.8 19 19.0

특정지역 설치 및 운영 85 16.3 37 17.1 33 16.0 15 15.0

합계 522 100.0 216 100.0 206 100.0 100 100.0

<표 Ⅴ-23> 주거복지센터 지원 수준

5. 시사점

▪ 주거복지 관련 현장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AHP를 적용한 주거복지센터 사업 중요

도 분석 결과

- 주거복지센터 중점 추진 사업은 상담 및 사례관리, 긴급주거비 지원, 자원연계와

의뢰, 네트워크 구축, 주거복지 교육 등의 기본사업의 중요도가 주거실태조사,

수요자 맞춤형 특화사업의 부가사업 중요도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업무담당자들

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주거복지 관련 수요자 욕구해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

으로 판단됨

- 중점 추진 사업 유형은 상담 및 사례관리의 주거지원서비스, 지역형 주거복지 모

델개발, 네트워크 및 제도 홍보, 교육 순으로 나타나 수요자 문제에 대한 직접적

인 문제 해결과 지원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됨

∙ 상담 및 사례관리의 주거지원서비스 중에서는 상담 및 사례관리, 긴급주거비

지원, 자원연계와 의뢰의 순으로 나타남

∙ 네트워크 및 제도 홍보, 교육에서는 통합(민간/공공) 네트워크 구축, 주거복지

서비스 정보제공, 수요자 맞춤형 주거복지 교육의 순으로 나타나 주거복지 전

달체계 구축을 위해 민관 협력과 자원 공유 등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됨

∙ 지역형 주거복지 모델 개발에서는 부산시 주거실태조사, 수요자 맞춤형 직접

지원사업, 생애단계별 특화 지원사업의 순으로 나타나 주거지원서비스 운영을

위해 부산시의 주거현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됨

∙ 특히, 주거실태조사의 경우 특정지역 보다는 부산시 전체에 대한 조사가 필요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94

한 것으로 응답함

- 부산시 주거복지 사업은 주거의 안정, 주거의 질, 주택의 양, 주거서비스 순으로

나타나 주거복지센터 이용자에 대해서는 주거안정에 대한 지원이 우선되어야 하

는 것으로 판단됨

- 부산시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적정 범위는 구・군별 센터 설치, 권역별 센

터 설치, 시 통합센터 설치, 노후불량주거지 등 특정지역 설치의 순으로 나타나

기초지자체 주거지원서비스를 담당하는 전담 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함

- 기존의 부산시 주거실태 및 주거욕구 조사에서는 시 통합센터, 권역별 센터, 특

정지역 설치 순으로 응답한 것과는 비교가 되며, 응답 결과가 다른 이유는 수요

자에 대응하는 적정 수준의 규모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됨

- 주거복지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은 부산도시공사 및 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운영, 독립 센터 설치를 통한 운영, 전문기관 운영, 민간법인/시설/단체 위탁 운

영의 순으로 나타나 기존 주거 관련 공공기관의 업무영역 확장이 신규 설치나 민

간위탁보다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라 생각됨

- 그리고 상위 3개의 운영 방법은 공공의 책임부분이라 판단하여 민간위탁 보다

높게 응답한 것이라 판단됨

- 부산시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우선 지원 사항은 공공임대주택 지원, 주거비 지

원, 주거환경 향상, 주거상담 지원 순으로 나타나 주거복지센터의 업무는 수요자

에 대한 주거지원서비스가 우선되어야 하지만 부산시 전체 주거복지 향상을 위

해서는 공급과 질의 개선이 중요하다고 판단함

-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 사항은 주거복지 전달체계 강화/

사각지대 해소, 공공/민간 등 주거복지사업의 통합적 관리/지원, 주거복지 지원

계층의 설정과 집중화 등의 순으로 나타나 주거복지 전달체계 및 주거복지사업

의 통합적 관리를 통해 민관 협력 및 연계를 통해 제한적 자원의 효율적 운영이

필요하다고 판단함

▪ 한편,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한 전문가 자문 결과 공통적으로 민관 협력

의 중요성,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한 주거복지 지역 거버넌스를 강조하였으며, 주거

복지센터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재정의 확보를 강조하였음

- 주거복지센터 지원 대상의 설정에 따라 사업내용, 규모, 운영방법, 지원기준 등

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거복지센터 정책 목표 계층을 주거빈곤층, 주거취약층,

Page 5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관련 기초조사

95

주거불편층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함

- 선행 사례를 참고도 중요하지만 지형적 한계, 기형적 도시팽창, 사회・인구학적

문제 등을 고려하여 부산시만의 특성이 반영된 주거복지센터의 기능 선별과 배

치가 요구됨

- 부산시의 주거복지 대책은 지역사회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므로 기존의 마을만들

기, 도시재생사업, 보건, 사회복지서비스 등과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존 사회복지시설의 사회복지서비스 및 도시 재활성화 사업이 원활한 지

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시범사업 실시 후 사회적 공감대 확보를 통해 확장이

필요함

- 특히, 지역밀착형(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을 위해서는 주거취약계층이 밀집한

곳, 상대적으로 공공임대주택이 적은 곳, 주거비 부담이 높은 곳, 노후주택지가

많은 곳 등 문제 상황이 예측되거나 수요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사업 실

시 후 순차적으로 확대 실시하는 것이 필요함

- 부산시의 주거 현실과 객관적 여건을 바탕으로 할 때 주거복지에 대한 상황적

수요, 수요자가 느끼는 실질적 수요, 전달기관 담당자들이 가지는 보완적 수요의

적절한 결합이 필요함

- 수요자에 대한 직접적 지원과 물리적 개선도 중요하지만 주거와 관련된 심리적

서비스지원을 고려하여 주거소외, 슬럼화에 따른 낙인효과, 지역주민들과의 갈

등 해소를 위한 지원이 필요함

- 주거복지 수요자의 다양한 사례 경험을 통한 업무능력 향상은 한계가 있으므로

주거 관련 기초자료 관리, 보편적 정보 공유와 수요자에 대한 지속적 지원을 위

한 사례관리를 위해 주거복지사례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 주거복지센터는 기본적으로 주거취약계층의 권리옹호 및 주거권 강화를 위해 수

요자에게 직접 전달될 수 있는 체계 마련과 적정 인력 확보(지역단위 3~5명 수

준), 지역 주거복지센터를 지원하는 광역 차원의 중앙주거복지센터의 설치(지역

센터 업무 표준화 및 평가, 자원 통합 및 배분, 민관 협력 등)가 필요함

- 주거복지센터 운영 초기에는 열린 구조의 사업을 구성해 대응 탄력성을 유지하

고 시행하는 것이 지역특성 및 주민의 욕구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며, 지역의

상황을 파악하는 주거실태조사와 담당부서 편성을 통한 행정적 지원도 필요함

Ⅵ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필요성

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 방향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결론

Page 53: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98

Ⅵ. 결 론

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기본 방향

1)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

▪ 주거복지센터는 주거와 사회서비스의 연계를 위한 민관 협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 주거문제는 복잡하고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어 종합적 해결책이 필요하므로 주

거복지센터는 지역사회의 자원들을 연결하는 역할이 중요함

- 특히, 상담을 통한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및 지역 주거복지 마중물 역할 수

행을 위해 기초자치단체 단위의 역할이 필요함

▪ 현행 부산시의 분산된 서비스제공체계를 동(洞)으로 일원화하여 복지사각지대 및 복

지중복 방지를 위해 진행하고 있는 동 맞춤형복지팀의 주거복지 부문의 전문성 및

지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요자 중심의 주거복지 전달체계로서 주거복지센터

의 설치가 요구됨

▪ 주거복지 로드맵의 ‘협력적 주거복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부산시의 주거복지 조

직 및 주거복지센터 전문 인력 확충, 업무분장, 행정지원이 필요함

- 주거복지 관련 현장 업무담당자와 선행 운영기관 업무담당자, 전문가, 시민들의

의견을 종합할 때 공공의 주거복지 프로그램과 민간의 주거복지서비스의 자원

연계를 통해 수요자 맞춤형 지원을 위해서는 기초자치단체 단위의 주거복지센터

의 설치가 필요함

▪ 수요자 욕구에 기반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전제 조건은

- 부산시 주거복지 관련 정책 간 효과적 협력과 조정

∙ 주택정책과, 사회복지과, 노인복지과, 장애인복지과 등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

고 있는 주거복지 관련 프로그램(정책, 사업, 서비스 등)의 협력 및 조정 창구

설치를 통해 중복수혜 및 사각지대 발생의 문제 해소로 효율성 제고가 필요함

Page 5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Ⅵ. 결론

99

∙ 주무부서와 협력부서 설정 시 주거복지 업무의 책임감 부여를 위해 부서 간

역할 설정과 적절한 평가체계 마련이 필요함

▪ 수요자 중심의 종합적 지원과 사회통합형 주거정책의 효율적 전달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 주거환경 내 개별 수요자의 주거문제 파악,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맞춤형 주거

지원서비스에 대한 명확한 이해, 지역 주거관련 자원 및 복지 자원의 연계가 중요함

- 부산시와 구・군, 동일 권역 내 구・군 간 연계를 통해 효과적 전달체계 구축

∙ 주거지원서비스가 수요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 효과적 전달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수요자 및 공급자 관점의 통합성, 접근성,

지속성, 책임성, 전문성, 효율성 등의 고려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함

- 민관 협력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확산

∙ 선행 주거복지센터는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욕구 해결을 위해 민간에서 자생적

으로 시작/운영되었으므로 민간의 노하우와 참여의식을 충분히 활용해야 함

∙ 지역의 사정을 잘 알고 있고, 지역 자원 연계와 발굴이 가능한 민간단체들과의

효과적이고 유연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수요에 따른 확장도 가능할 수 있도

록 민관 협력 모델 창출이 필요함

구분공공 부문 민간 부문

부산시 구・군 공기업 비영리 민간 기업 등

역할

∙ 부산시 주거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총괄) - 주거복지서비스 - 주택 공급 등∙ 민간 주거복지 활성화 지원(정책, 재원 등) - 주거복지서비스 관련 재원 확보 - 사회복지, 노인, 장애인 등 주거 복지 관련 부서 및 정책 간 연계 - 전문 인력 양성∙ 성과모니터링 - 감독, 감시, 지원 - 정보공유 플랫폼

∙ 주거복지 지원 대상자 발굴 - 지역 주거복지 욕구 파악 및 대상자 선정∙ 주거복지서비스 집행과 배분 - 효과적 전달체계 구조화 및 지원∙ 주거복지와 지역 사회복지, 자원 간 연계 - 기존 자원 활용 - 지역 특화사업 - 지역 네트워크∙ 대상자 DB 관리 - 지속적 사례관리 - 지원결과 공유

∙ 주거복지 집행과 전달 - 공공임대주택 - 주거급여 - 임대주택 관리∙ 주거복지서비스 활동 기획과 주민 참여 - 공동체 활성화 - 지역 사회복지 프로그램 연계 - 지역 자원 발굴∙ 신규 사업 개발∙ 민간 협력을 위한 파트너쉽 협약 - 네트워크 강화 - 업무 확장/지원 - 지역 밀착형

∙ 부산시 주거복지 프로그램 관련 사회공헌 - 기부, 보상, 후원 - 정책 사각지대 지원 - 파트너쉽 구조 확산(자원 연계)∙ 안정적 재원 지원 - 자원, 운영 지원∙ 영리, 비영리기업 간 공동사업 발굴 - 지원 연계 - 공유에 따른 시너지 및 성과 제고

<표 Ⅵ-1> 부산시 민관 협력 주거복지 지원을 위한 전달주체 역할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00

2)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업무

▪ 사회적 취약계층의 주거문제는 주로 복지의 문제로 인식되거나 주택 공급 및 임대로

해결하려 하였으나 이는 수요자의 주거욕구와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데 한계

가 있으므로 적정수준의 기준 설정 및 지원을 할 수 있는 전문 조직이 필요함

▪ 수요자의 주거문제와 주거안정 욕구 해결을 위한 상담 및 사례관리는 주거복지센터

의 핵심기능임

- 상담방식은 전화상담, 내방상담, 가구방문상담, 현장접근상담 등의 형태로 구분

하며, 거동이 불편하거나 최저주거기준 이하의 주거환경에서 생활하는 경우에는

주택상태, 가구상황 등에 대한 심층적 파악을 위해 방문상담을 실시함

- 주거복지 관련 정보제공, 교육 등의 경우에는 수요자들이 모일 수 있는 동 주민

센터, 복지관, 학교 등의 장소에서 진행할 수 있음

▪ 임차보증금, 임차료, 긴급연료비(공과금), 간편집수리 등의 긴급주거비 지원

- 임차보증금 혹은 임차료 지원 시에는 현행 주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원보다

는 최저주거기준 이상의 주거환경 제공, 주거상향 등 적정수준 유지의 의미로 접

근하여 지원이 필요함

▪ 한정재원의 효율성 제고 및 사회복지서비스 등의 기존 지원사업과의 시너지를 위해

자원 연계와 의뢰

- 주거는 단순한 주택의 문제보다는 수요자 처한 상황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으므

로 사회서비스, 공공/민간자원과의 연계와 의뢰로 지원 효율성 제고가 필요함

▪ 지역 주거복지 거버넌스 구축 및 주거복지 관련 공공・민간자원 발굴, 수요자 발굴,

민관 협력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지역 혹은 지역 외 유관기관 등과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주거문제를 가진 가구를

발굴하거나 요지원가구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확보

-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역 주거복지 거버넌스 구축으로 주거복지센터의 역할

및 위상 정립

▪ 주거복지와 관련된 법, 제도, 실천 등에 대한 교육, 주거복지 및 사회복지서비스 관

련 정보 등의 주거복지 교육

- 주거복지 교육을 통해 주거권의 이해 및 주거복지제도의 관련 정보의 확산

Page 55: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Ⅵ. 결론

101

- 주거복지센터의 역할과 기증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지도 제고 및 서비스 대상자

발굴이 가능함

- 사회복지시설 업무담당자, 지역주민, 자원봉사자, 민간 기업 등을 대상으로 교육

을 진행하여 주거복지 관련 정보 제공, 주거자립지원, 사회공헌 확대를 유도함

▪ 지역의 특성이나 지역 주거복지센터의 특기를 반영한 사업을 수행

- 찾아가는 서비스, 방문상담, 집수리지원, 에너지 절감 등의 직접지원을 추진함

구분 내용 비고

대상 주거문제와 주거욕구를 가진 주거취약계층과 시민

기본사업

상담 및주거지원서비스

사례관리

주거복지확산을위한

네트워크제도홍보및 교육

주거복지모델개발

∙ 주거상담 : 공공임대주택, 주거확보, 공공부조, 주거비대 출제도, 주거박탈위기극복 등 다양한 주거문제 해결과 주거상향 욕구해결을 위한 가구별 상담진행(전화, 거처방문상담, 현장상담 등)

∙ 주거안정을 목표로 하는 주거지원서비 스 및 사례관리(밀 착된~느슨한) 가구 별 사례관리 수행∙ 사업비 및 후원발 굴(민간재원발굴 등을 위한 공모사 업)을 통한 주거비 지원 및 타 기관 의 자원연계를 통 한 주거(비) 지원

∙ 긴급주거비지원 및 주거안정을 목표로 하는 사례관리 : 주거박탈위기 대응을 위한 한시적 긴급월세지원, 주거안 정을 위한 한시연료비지원과 (간편)집수리지원, 주거상향 등을 위한 소액보증금을 지원, 주거안정 및 주거상향을 위한 사례관리를 수행

∙ 연계 및 의뢰 : 상담 진행 시 필요 서비스에 대한 직접 제공이 불가한 경우 외부 기관의 자원을 연계(관련 지역 사회복지 공공 및 민간 자원)하거나 사례관리가 어려울 경우 관련 기관으로 의뢰

∙ 지역사회조직 : 주거지원의 원활한 수행(자원확보, 통합 사례관리, 대상자발굴 등)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함

∙ 주거복지 및 복지 제도 홍보∙ 주거지원 대상자발 굴, 자원발굴, 사 례관리를 위한 체 계 구축∙ 지역실정에 맞는 주거복지대안 모색

∙ 교육 : 복지대상자 및 복지관련 실문자 등에 대한 공공 임대주택 및 주거비지원제도, 주거복지정책 및 관련 복지제도 교육

부가사업

∙ 실태조사 : 지역의 주거상황(지역재개발 및 주거현황) 및 주거부문을 중심으로 하는 주민욕구조사, 지역실태조사

∙ 특화사업 : 지역 및 사업 운영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특성화사업

∙ 지역별, 기관별 특 성을 반영

<표 Ⅵ-2>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사업내용

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 방향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02

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역할 및 주요 업무

(1) 주거복지센터의 지원범위 및 역할

▪ 주거복지센터는 공공에서 시행하는 주거복지 정책과 사업의 효율적 집행과 사각지

대 해결을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기능을 가진 주거복지 전달체계임

- 주거복지센터는 주거복지 로드맵 발표 이후 지역 주거복지 거버넌스를 위한 중

요한 축으로서 작동할 기회를 가짐

- 중앙정부의 시범사업 추진과 전국화 방안에 적극 대응하고 주거복지센터 설치와

운영의 재원 마련이 필요함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 일부 지자체 정책적 수용 중앙정부 주거정책 시행

2006~2012년 2012~2018년 2019년 이후

- 민간단체 주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인큐베이팅 역할 수행

- 서울, 대구, 경기 등 일부 지자체 시행(민간위탁 등)- 공동모금회 지원 종결- 일부 센터 자체 운영(민간)

- 중앙정부 주거정책으로 시행 (주거복지 로드맵)-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체계 마련(예산확보 등)- 주거복지센터 시범사업 추진

<표 Ⅵ-3> 주거복지센터 추진 과정

▪ 주거복지센터의 업무의 주요 수요층은 도시쇠퇴, 지형적 특성, 인구 유출 및 고령화

등의 부산시 주거 및 인구・사회학적 현황을 고려하여 타 시도 주거복지센터의 주거

취약계층 보다는 생애단계별 주거취약시기 지원을 고려한 설정이 필요함

- 1차적인 지원대상은 주거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주거취약계층으로 설정하여, 이

들의 주거문제 해결을 우선적으로 지원함

- 노후주거지역에서는 주택관리, 소규모 정비사업, 임대차분쟁 등의 문제가 모든

시민들에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생애단계별 주거취약시기인 청년, 고령자들을

중심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부산지역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사업내용은 설치 초기

에는 현행 민간 주거복지센터의 기능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 운영이 필요함

- 수요자들의 주거문제 해결과 주거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물리적, 비물리적 지원

업무를 진행

- 기본사업은 주거상담, 긴급주거비지원, 연계, 지역사회 네트워크 등으로 주거취

Page 56: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Ⅵ. 결론

103

약계층의 개별 주거욕구 해결에 중심을 두고 진행할 필요가 있음

- 부가사업은 지역사회 주거복지 거버넌스로서 주거복지센터의 위상 정립을 위해

주거실태조사, 교육, 주거 관련 DB 관리 등의 추진이 필요함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위상 정립과 시민의 만족도 확보 이후 중장기적으로 확장 및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특화사업의 확대, 광역 단위의 찾아가는 교육의 진행을 고려

해야 함

- 현행 BMC 내 주거복지센터의 SH 주거복지센터 수준으로 역할 확대를 통해 공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 및 공적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안정적 확보가 필요함

- 주거문제는 공간의 문제로 물리적 환경개선을 제외하고는 수요자의 만족도 확보

에 한계가 있으므로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를 대상으로 한 주택개량상담

및 지원, 소규모 주택정비 컨설팅 지원 등 지원사업 확장의 고려도 필요함

▪ 주거 중심의 통합적 사례관리를 위해서는 최소한 기초지자체 단위의 주거복지센터

의 설치・운영이 필요함

(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세부 업무 내용

▪ 주거복지센터 활동의 표준화

- 지역별 공통 주거문제 정리 및 대응방식의 다양성을 전제로 업무 표준화를 통해

주거복지 지원의 매뉴얼 제공으로 주거복지센터 미설치 지역의 경우 동 복지지

원단, 복지시설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산시 전체의 주거복지서비스 대

응력 향상을 도모함

- 주거취약계층을 주요 수요자로 설정 지원을 하지만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청

년, 고령자층의 주거문제도 지원할 수 있도록 계획함

▪ 동 주민센터 및 사회복지시설과 연계 강화

- 시민들의 접근이 용이한 동 주민센터 및 사회복지시설과의 협력을 통해 주거복

지센터의 현장 창구의 역할 수행 및 사회서비스 연계, 사례관리 등의 지속적 지

원이 가능하도록 함

- 동 주민센터 및 사회복지시설과의 연계가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 주거정책부서

와 고령자, 장애인, 사회복지 부서 간 협력 강화는 전제조건임

▪ 주거 자립 강화 및 상향화를 위한 교육/지원체계 마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04

- 주거정책 관련 공공・민간부문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주거정책 교육 및 청년,

고령자 등 주거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주거 자립을 위한 교육 지원

- 동 주민센터, 사회복지시설 등 주거복지센터의 수요자 창구 역할이 가능한 시설

에 대한 주거복지 관련 교육 지원 및 사례관리, 경험 공유

- 수요자 중심의 종합적 지원과 사회통합형 주거정책 수행을 위한 주거복지 중심

의 사례관리와 통합적 지원체계 마련

- 지역사회의 주거 여건 속에서 개별 가구의 주거문제 파악 및 적극적 지원을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 추진

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운영 및 정착을 위한 지원방안

(1) 주거복지센터의 운영형태별 설치 방안

▪ 본 연구는 부산시의 주거복지 전달체계로서 주거복지센터의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방

안으로 운영형태를 기준으로 크게 4가지를 도출하였음

운영형태예산지원

부산시지역형

통합형 권역형

있음 방안1 방안2 방안3

없음 - - 방안4

<표 Ⅵ-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형태별 설치 유형

▪ 방안1 : 부산시 통합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안

- 중앙정부 및 부산시의 예산지원을 통해 주거복지센터의 안정적이 운영이 가능하

며, 부산시 주거복지 정책에 대한 직접적 대응이 가능함

- 부산시에서 통합형으로 직접 설치・운영하므로 지역별 안배에 대한 고민이 없으

며, 부산시 주거복지 정책수요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함

- 다만, 부산시 전체를 관할하므로 수요자들의 개별 주거문제에 대한 대응이 불가

능하며, 지역 네트워크 구성과 자원 연계에 소극적일 수 있음

▪ 방안2 : 부산시 권역별 주거복지센터 설치 안

- 중앙정부 및 부산시의 예산지원을 통해 주거수준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권역에

우선적으로 설치・운영이 가능하며, 부산시와 일부 구・군의 주거복지 정책에

Page 57: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Ⅵ. 결론

105

대한 직접적 대응이 가능함

- 부산시와 BMC 간 예산지원 및 역할 등 협의 후 BMC 내 주거복지센터(동부, 서

부)의 주거복지 업무 확장과 신규 설치로 권역별로 즉각적 운영이 가능함

- 다만, 통합형 설치보다는 현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나 운영주체를 결정

하기 어려운 구조이며, 수요자에의 개별 요구에 직접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음

- 지역 네트워크 구축과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운영주체의 결정과 전달체계의 효

율성 담보가 곤란하고 지역 주거문제 해소 및 주거복지 모델 개발이 어려움

▪ 방안3 : 기초지자체 단위 공공 주거복지센터 설치 안

- 중앙정부 및 부산시의 예산지원을 통해 주거복지센터의 안정적이 운영이 가능하

며, 민관 협력을 통한 지역의 주거복지 수요에 대한 직접적 대응이 가능함

- 기초지자체 단위에 설치・운영하므로 관할지역이 명확하며, 개별 수요자의 주거

문제 해결에 대응하기가 수월하고 지역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현장 지원조직

으로서의 역할 수행도 가능함

- 다만, 16개 구・군 전체에 설치가 어려우므로 공모사업 형태로 시범사업지를 선

정하고 설치・운영하여야 하며, 예산의 지원주체와 운영주체가 달라질 수 있어

업무영역과 책임 설정이 어려울 수 있음

▪ 방안4 : 기초지자체 단위 민간 주거복지센터 설치 안

- 기존 민간 주거복지센터 운영 형태로 별도의 예산 지원이 없을 경우에는 인력수

급과 사업 수행에 명확한 한계가 있으며, 부산시의 경우 주거복지 사업에 대한

민간 자원의 부족으로 주거복지센터의 설치・운영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임

- 다만, 민간 주거복지센터는 법과 규정에서 공공보다는 자유로울 수 있으며, 민간

자원과의 연계, 기분 등의 민간자원 발굴에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

구분 공공 민간 민・관 협력

내용

- 행정중심으로 조직 설립, 운영- 조례 등에 근거- 관련 부서, 조직을 운영- 안정적 예산확보 가능- 창의적, 재량적 활동 한계

- 민간 자본 중심으로 조직 설립, 민간 운영- 유연성 및 자율성 보장- 폭넓은 지원대상- 안정적 예산확보 한계

- 설립은 행정 주도, 공모 및 지정으로 민간 위탁- 공공/민간의 장점 극대화, 단점 최소화 방식- 공공업무를 민간대행체제

<표 Ⅵ-5> 운영 주체별 운영방식 구분

자료 :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2014, 건축도시연구소, 내용 재구성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06

구분 방안1 방안2 방안3 방안4

장점

∙ 안정적 운영∙ 주거복지 정책에 즉각적 대응 가능∙ 지역 배분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광역 단위의 주거 지원서비스 지표, DB 관리 가능

∙ 안정적 운영∙ BMC 자원 활용 으로 권역별 지원∙ 일부 확장이 가능 (권역별 설치)

∙ 안정적 운영∙ 지역 주거문제 해결에 적극적임∙ 주민 접근성 높음∙ 수요자 주거욕구 지원 가능∙ 공공 주거복지 전달체계 사각지대 해소 가능∙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특화사업∙ 구・군 설치 가능

∙ 창의/자율적 운영∙ 수요자 주거욕구 직접적 해결 가능∙ 민간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성∙ 민간자원 발굴에 능동적 작업 가능∙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특화사업∙ 신규 사업 개발에 적극적임∙ 규제 제한 없음

단점

∙ 지역 문제 한계∙ 개별 수요자 문제 해결 불가능∙ 확장이 어려움∙ 직접사업 제한적

∙ 지역 문제 한계∙ 개별 수요자 문제 해결 불가능∙ 확장이 제한적∙ BMC 참여 필수

∙ 확장 시 예산부담∙ 주거복지 정책적 대응에 한계∙ 광역단위 주거문제 해결에 소극적

∙ 지역 간 주거지원 수준 차이 발생 (민간 참여 여부)∙ 지속가능성 우려 (예산 확보 문제)

<표 Ⅵ-6> 주거복지센터 운영형태별 장・단점 비교

▪ 안정적 운영과 주거복지 정책 대응력이 높은 방안1과 안정적 운영과 지역 주거문제

에 지원이 가능한 방안3이 다른 대안에 비해 운영의 측면 상 상대적 우위에 있음

- 방안2의 권역별 공공 주거복지센터 설치・운영은 광역과 기초 단위 절충형으로

예산 확보를 통한 안정적 운영과 기존 공공자원(BMC)을 활용한 권역별 일시 지

원이 가능하나 사업의 규모 설정과 운영주체 등 행정적 책임주체 결정이 곤란함

- 방안4의 민간 주거복지센터 설치・운영은 기존 주거복지센터의 형태로 개별 수

요자에 대한 직접지원과 찾아가는 서비스 등 현장감 높은 지원이 가능하나 예산

문제로 안정적 운영에 문제가 있음

(2) 주거복지센터 운영 발전계획에 따른 설치 방안

▪ 방안A : 광역 단위의 중앙 주거복지센터 설치・운영 후 지역 주거복지센터로 확장

- 부산시 통합형(광역 단위) 규모의 중앙 주거복지센터 설치・운영 후 기초지자체

단위의 주거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주거복지센터 확충을 하는 방안으로 주거

복지 정책에 대한 공공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성으로 하향식(Top-Down) 형태임

- 개별 수요자의 주거문제 해결과 지역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지역 주

Page 58: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Ⅵ. 결론

107

거복지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며, 확장에 따라 중앙 주거복지센터와 지역 주거복

지센터 간의 업무구분이 되어야 함

▪ 방안B : 지역 주거복지센터 설치・운영 후 광역 주거복지센터 설치

- 지역(기초 단위) 규모의 주거복지센터 설치・운영 후 지역센터의 관리와 지원을

위한 중앙 주거복지센터를 설치하는 상향식(Bottom-Up) 형태임

- 센터 설치 후 지역의 주거문제 해결에 즉각적 대응이 가능하나 광역 단위의 주거

정책 문제에 둔감하며, 주거복지센터 위상 정립에 제한적임

구분 업무 내용

중앙주거복지센터

∙ 정책・사업 기획 및 제안, 평가 - 중앙정부, 부산시 차원의 주거복지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지원- 주거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총괄적 평가

∙ 지역센터 지원 프로그램 기획・ 운영

- 지역센터 전문가 교육・훈련, 관리 및 평가- 주거복지센터 운영매뉴얼, 가이드라인, 상담 및 자원연계, 주택개량(개보수) 매뉴얼 등 지역센터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자료 연구 및 개발

∙ 부산시 주거관련 DB 총괄 관리 - 부산시 주거 관련 DB 총괄 관리- 사회복지서비스 및 지역커뮤니티 등 연계- 지역센터 수혜자 DB, 사례관리 DB 취합/공유

∙ 주거복지 관련 연구 수행 - 지역센터 의견 수렴 후 개선방안 마련-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수행

지역주거복지센터

∙ 관련 사업 통합 관리 - 주거복지사업 통합 관리체계 구축- 주거복지사업 홍보/정보제공, 이력관리 등

∙ 주거복지 정보제공 및 상담 -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정보 제공- 기본상담 및 전문(주택 개보수 등)상담 제공

∙ 지역 DB 구축 및 관리 - 지역단위 주거실태 DB 구축- 주거약자 지원사업 관련 DB 구축

∙ 지역 주거복지 네트워크 구축 - 지역 내 주거복지 관련 자원 발굴 및 정보 수집- 주거복지 관련 유관기관 간 연계- 지역 내 주거복지 협의체 운영

∙ 주거취약계층 현장지원 - 긴급주거비(주거비, 연료비 등) 지원- 거동불편자를 위한 찾아가는 맞춤서비스 추진- 수혜자의 주거안정을 위한 지속적 사례관리

∙ 지역 단위 주거환경개선 - 노후주택에 대한 주택개량(상담 및 자원) 지원- 홈클린서비스, 불안주택 점검 서비스 등 수요자 중심의 물리적 환경 개선/진단 등

<표 Ⅵ-7> 중앙 및 지역 주거복지센터의 주요 업무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08

▪ 방안A는 방안B에 비해 개별 수요자의 주거문제 해결에 제한적이나 주거복지 정책지

원에 적극적 대응이 가능하며, 방안B는 방안A에 비해 주거복지 정책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있으나 수요자의 주거문제 해결과 지역 네트워크 구축 등이 가능함

- 방안A의 경우 수요자의 주거문제 해결과 지역 거버넌스 구축이라는 주거복지센

터 고유의 역할에 제한적이라 향후 지역 주거복지센터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발생할 수 있어 ‘광역→지역’의 확장이 어려울 수 있음

- 방안B의 경우 주거복지센터 고유의 역할에는 충실 할 수 있으나 주거복지 정책

의 효율적 평가 보다는 지역적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고 진행될 수 있음

구분 방안A 방안B

운영형태 하향식(Top-Down) 전달 구조 상향식(Bottom-Up) 확장 구조

운영방법 공공기관 주도 공공, 민간위탁1), 민관 협력

인원구성 10명 3~5명

예산지원 중앙정부, 부산시 공공, 민간(자원 및 기부금 활용)

자원연계 기존 공공자원 및 주거복지 정책 활용 지역 민간자원 활용 가능

지원사업∙ 광역단위 정책 효율성 제고 - 교육 및 정보제공 중심 - 직접사업 수행에 제한적

∙ 기초단위 수요자 직접 지원사업 - 찾아가는 서비스 및 특화사업 중심 - 정책적 대응에 한계(지역 중심)

만족도 정책 담당자↑, 수요자 ↓ 정책 담당자↓, 수요자 ↑

확장가능성 광역→지역, 확장이 어려움 지역→광역, 반드시 필요하지 않음

사업

통제력 강함 보통

통합성 정책은 강함, 지역문제 약함 정책은 약함, 지역문제 강함

실행력 약함 강함

실효성 약함 강함

공공 협력 강함 혹은 보통 보통

민관 협력 보통 보통 혹은 강함

집행 정책 중심 수요자 주거욕구 중심

지속가능성 보통 (안정적 예산 확보 시)높음

<표 Ⅵ-8> 주거복지센터 운영 발전계획에 따른 방안 비교

주 1)민간위탁(outsourcing)은 부산시의 주거복지서비스 공급에 대한 책임은 유지하고 센터의 운영 및 직접지원기능을 민간으로 이전하는 형태

▪ 주거복지센터의 운영형태별 설치 방안 및 발전계획에 따른 설치 방안 중 상대적 우

위의 방안을 교차 검토하여 최상의 운영형태를 결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주거복

지 관련 유관기관과의 사전 협의와 지원계층 설정이 사전에 진행되어야 함

Page 5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Ⅵ. 결론

109

<그림 Ⅵ-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안)

▪ 주거복지센터의 운영형태별 설치 방안 및 발전계획에 따른 설치 방안 중 ‘방안3과

방안B(지역 주거복지센터 설치 후 상향식 확장 구조)’의 교차(안)을 기준으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단계별 추진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구분 단기 중기 장기

운영형태 공공 공공 공공, 민관 협력

예산확보 중앙정부, 부산시 중앙정부, 부산시, 구・군 공공, 민간지원

조직구성 지역(3~5명) 지역(3~5명) 지역, 중앙(10명)

사업

기본 관련법 명기 된 사업 관련법 명기 된 사업 관련법 개정 추진(확장)

부가 지역 주거실태조사 지역 주거실태조사 광역/지역 주거실태조사

특화 공공자원 연계사업 중심 민간자원 연계사업 중심 지역특성 고려 신규사업

관계・협력민간자원 연계・통합화(공공 주도 전달체계)

민관 협력 체계(유관기관 협력 체계)

주거복지협의체(지역 주거복지 거버넌스)

<표 Ⅵ-9>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운영을 위한 단계별 추진방안

주 1)초기(단기)에는 부산시 예산확보를 통한 시범사업의 형태로 진행, 향후 주거복지로드맵 실행을 위한 중앙정부 예산 조성에 따른 예산 확보 및 주거복지기금 조성/활용 추진이 필요함

(3)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구축 방안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10

▪ 부산시 주거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주거복지센터의 지원계층인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위한 광역 혹은 지역의 주거복지사업의 개발과 점검이 필요함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는 주거복지 전달체계로서 주거복지 정책의 효과적 전달과 현

장 지원을 위한 중간지원조직29)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주거복지 플랫폼임

- 중앙정부, 부산시, 민간자원(비영리조직 등)의 관계에 있어서 정부의 정책 사업

을 위탁받아 지역사회와 지원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30)

- 중앙정부의 획일적인 정책과 서비스 제공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의 수요에 신

속하게 대응하여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수요자의 문제해결과 지역 공동체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연한 전달체계 형성이 요구됨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특화사업의 기획과 추진이 필요함

- 주거코디네이터 양성 및 주거플래닝을 위한 교육체계 마련

∙ 동 주민센터, 사회복지시설 등 주거복지 관련 연계기관에 대한 주거복지 관련

교육 지원 및 사례관리/경험 공유

∙ 수요자 중심의 종합적 지원과 사회통합형 주거정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주거중심 사례관리가 가능한 통합적 접근 지원

-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를 통해 동네단위 최저주거기준을 지원(공용 화장실 및 샤워

실, 게스트하우스, 창고, 빨래방 등)하는 주거취약지역 주거편의 지원사업 추진

- 전생애 주거계획 수립지원 및 부동산 계약, 자취방 고르는 방법 교육, 고령자 주

택연금 및 금융서비스 안내 등의 청년・고령자를 위한 주거플래닝 지원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한국에너지재단 에너지효율개선사업, 주거약자 수선유지급

여, 기업 사회공헌사업 등의 민관 협력 주거복지자원 통합지원서비스 추진

- 소방서, 경찰서, 도시가스공사, 한국전력, 상수도관리본부 등과 연계를 통한 주

거약자 안심하우스 지원사업

- 노숙인 및 여인숙・쪽방 거주자,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거주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주택31) 및 임시주택 지원

29) 중간지원조직(Intemediary organization)은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발전한 개념으로, 일본 내각부(2002)는 ‘다원적 사회에 있는 공생과 협동이라는 목표를 향해서 지역사회와 NPO 간의 변화와 요구를 파악하며, 인재・자본・정보 등의 제공자로서, 또한 NPO 간의 중개 또는 광의의 의미에서의 각종 서비스 수요와 공급을 코디네이트하는 조직’으로 정의

30) 한국의 지역재단과 중간지원기관의 역할, 양용화(2013)31) 지원주택(Supportive Housing)이란 신체적, 정신적 문제로 인해 독립적 주거 생활이 곤란한 취약계층을 위해 공공이

제공하는 주택에 복지서비스를 더한 개념으로 미래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주거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음. 특히, 외국의 경우 정신장애의 노숙인을 시작으로 고령자와 장애인 등 다양한 지원주택을 개발하여 정책을 확산・운영하고 있음

Page 60: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Ⅵ. 결론

111

구분 부산시 현황 및 결핍 지원사업

청년층경험 부족에 따른 주택선정 및 계약 한계 대학별 찾아가는 주거상담

생애단계별 주거이동 문제 주거플래닝

고령자고령화에 따른 주택 내 일상생활 (거동)불편 B.F. 주택개량사업(직접지원 및 컨설팅)

은퇴자금 및 생활비 부족 주택연금 등 금융 상담/지원

장애인

장애에 따른 주택 내 일상생활 (거동)불편 B.F. 주택개량사업(직접지원 및 컨설팅)

주거욕구에 적합한 주거지 선정 주거상담(LH, BMC 공공임대주택)

탈시설 후 독립생활 주거플래닝(장애, 경제여건 적합 주거)

노숙인 주거안정화 및 최저주거기준 확보 적정수준 주택 소개/상담

시민자연재해 및 노후불량주택 주거안전성 검사 주택안전성 검사 및 공공임대주택 지원

경제적 어려움에 따른 주거지 손실(가족해체) 긴급주거비 지원 및 임시거처 지원/상담

<표 Ⅵ-10>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특화사업

주 1)생애단계별 혹은 주거욕구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및 민간자원 연계도 통합적 추진이 필요함

2)고령자, 장애인, 노숙인 등 주거취약계층의 지원주택 컨설팅도 장기적으로 고려가 필요함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 본 연구는 현행 부산시의 주거현황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적극적 수단으로 주거복지

센터 설치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운영 방안을 현재 상황에 대비하여 제안하였다는 점

에서 기본적인 의의를 가질 수 있음

- 현형 주거복지 전달체계는 주거취약계층을 발굴하고 수요자의 문제를 통합적으

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거부문의 전문성과 주거욕구에 대한 적극성이 미흡함

- 복지의 현장 창구역할을 하는 동 주민센터나 사회복지시설의 사례관리 중 일부

주거업무가 포함되어 있으나 기존의 사회복지 업무로 주거복지 업무에 집중하기

어려운 실정임

- 사회복지관 등에서 주거문제와 관련된 단순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나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 기존 주거복지 전달체계나 사회복지지원체계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주거관련 문

제점 해결과 주거취약계층 및 주거수요가 있는 시민의 일상생활 안정을 위해 통

합적 주거지원은 지역 주거복지센터에서 전담해서 처리하고 지속적 사례관리가

필요함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112

▪ 주거복지 전달체계로서 주거복지센터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 선행사

례와 국외 유사사례 검토, 지원내용과 기초조사 결과를 교차하여 지역 맞춤형 주거

복지센터의 운영 방향을 제안함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을 위한 기초조사 결과를 기존의 주거복지 관

련 선행조사와 교차하여 주거복지 현장 담당자와 시민들의 요구를 분석함

- 잠재적 수요자 및 업무담당자, 전문가들에 대한 심층면접과 인터뷰로 양적조사

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진행함

▪ 현재의 부산시 주거복지 전달체계 및 지원조직을 살펴보았을 때 정부의 주거복지 정

책의 단순 집행에 한정되어 개별 수요자의 주거욕구 해소에 수동적이며, 「주거기본

법」, 「부산광역시 주거기본 조례」 등에서 명기되어 있는 주거복지 지원의 책임을 적

극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음

- 관련 법령이 단순히 선언적인 의미가 아니라 지역의 주거욕구 해소 및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공적 책임 강화를 위해서는 적극적 지원이 가능할 수 있도록 부산시

의 역할, 지원을 위한 재원 마련, 주거복지센터의 설치 및 위탁에 관한 조항의

구별, 행정의 제도적 지원 등에 대한 관련 법령의 수정・보완이 필요함

- 특히, 주거문제 해소를 위한 민관 협력의 틀을 마련하여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조직, 단체, 기관, 업체 등의 업무 연계와 자원발굴로 주거복지 플랫폼 역할이 필

요함

▪ 연구의 한계는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와 운영을 위한 방안 연구이나 부산형에 대

한 지역의 특성을 충분히 분석하지 못했고, 제안 방안들은 센터의 설치・운영에 초

점을 두어 주거복지센터의 역할 규정이 부족함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을 위한 기초조사는 현장 업무담당자들

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실질적 주거수요를 가진 시민들이나 주거빈곤층의 주거욕

구에 대한 분석이 취약함

- 그리고 부족한 기초조사의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보충자료로 활용한 기존 주거

조사는 조사계층 설정의 불일치, 조사문항의 차이 등으로 교차 분석하기에는 문

제가 있음

- 주거복지센터의 방안은 부산시 주거복지 관련 행정체계 내 효율적 연계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센터의 사업은 어느 수준으로 작동하며,

효율성 제고를 위해 민관 협력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

Page 6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Ⅵ. 결론

113

- 부산시의 사회복지관, 시민단체 등 기존 민간자원에 대한 조사와 센터 설치 이후

네트워크 구성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가 부족함

▪ 이러한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부산시의 주거실태를 바탕으로 이에 대

한 적극적인 해결 방안으로 주거복지 전달체계의 정상적 작동과 중간지원조직으로

서 주거복지센터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음

▪ 부산형 주거복지센터는 부산만의 지형적, 인문・사회적, 주거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

여 부산의 방법으로 운영하는 것이 핵심이므로 실천 전략과 관련해서는 단계적, 절

차적 접근이 필요함

- 일률적이고 전면적 시행이 정책적 효과 차원에서는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다양한

문제에 봉착하여 추진동력의 상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책 목표 및 핵심 사업

설계와 단계별 추진이 필요함

- 부산의 주거 현실이라는 객관적 여건에서 시작되는 주거복지의 상황적 수요, 주

거취약계층이 가지고 있는 실질적 수요, 전달기관 업무담당자들이 가지는 보완

적 수요의 유기적 결합으로 부산형 주거복지센터의 역할 규정이 필요함

114

참고문헌

▪ 서울특별시 주거복지센터, 2018,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업무매뉴얼

▪ 서울특별시・한국도시연구소, 2017, 수요 맞춤형 주거지원을 위한 주거복지센터 운영체

계 개선 연구

▪ SH공사 도시연구소, 2015, SH주거복지센터 발전방안 연구

▪ LH 토지주택연구원, 2015, 종합적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 연구

▪ 건축도시연구소, 2014,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연구원, 봉인식 외, 2017, 경기도 주거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

▪ 서울연구원, 남원석 외, 2016, 서울시 주거복지센터 평가체계 개발

▪ 국토연구원, 이재춘 외, 2016, 주거지원정책 참여자간 협력체계 연구

▪ 국토연구원, 김혜승 외, 2012, 서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주거지원서비스 체계 구축방안

연구

▪ 사회평론, 홍인옥 외, 2011, 주거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 부산광역시, 2017,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변경)

▪ 부산광역시, 2015,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용역

▪ 부산발전연구원, 이정헌, 2016, 부산시 지역별 주거특성과 정책 추진과제

▪ 한국고용정보원, 2018, 한국의 지방소멸

▪ 국토교통부, 2017,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

▪ 부산복지개발원, 최훈호, 2017, 부산시 주거복지사업 매트릭스 분석 및 정책방향 설정

▪ 부산복지개발원, 최훈호, 2016, 부산형 최저주거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서울주거복지센터협회, 2018, 서울시주거복지센터 활동・사례집

▪ 국회의원 윤관석, 주거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주거복지센터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

2018

▪ 한국주거복지포럼, 2018, 주거복지 로드맵 1년과 이정표

▪ 한국주거복지포럼, 2017, 주거복지센터 확대 및 주거복지 전달체계 발전방안

Page 62: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참고문헌

115

▪ 국토연구원 국토(Planning and Policy), 김효정(2013), 주거복지 정책의 과제와 정부의

역할

▪ 국토연구원 국토(Planning and Policy), 홍인옥(2013), 주거복지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

방향

▪ 국토연구원 국토(Planning and Policy), 2013, 주거복지 전달체계 용어풀이

▪ 국토교통부, 2017,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보도자료

▪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눈문집, 이지숙(2016), 민간 주거복지센터의 네트워크 분석

▪ 한국주거학회, 이종권 외(2016), 주거복지 공적 전달체계 개편방안 연구

▪ 한국주거학회, 지은영(2015), 주거복지상담 현장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와 빈곤, 김선미(2017), 민간주거복지센터의 성과와 과제

▪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와 빈곤, 염재현(2017), LH 주거복지센터의 현황

▪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와 빈곤, 문영록(2017), 서울주택도시공사 주거복지센터의 역할과

성과 그리고 한계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http://www.mohw.go.kr)

▪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http://kosis.kr)

▪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http://www.i-sh.co.kr)

Page 63: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을 위한 기초조사

설문지

2. 국내 주거복지센터 운영 현황

부록

Page 64: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119

부록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을 위한 기초조사 설문지

120

Page 65: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121 122

Page 66: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123

구분 운영기관명 운영 운영방식 예산지원 인력 상담지역 및 관련내용

서울

중앙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5 지역 주거복지센터 설치지원 및 네트워크 등

중구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2 주거취약계층 정리정돈 지원 및 주거환경개선사업

동대문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2 화재예방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사업

광진주거복지센터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2 주거돌봄서비스

종로주거복지센터 (사)나눔과 미래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쪽방지역 주민 공동체 활성화・복지공동체 조성

도봉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2 방범시설 설치 사업

중랑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5 희망의 빛 나누기(LED, 화재감지기 등)

마포주거복지센터 (사)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 총연합회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주거환경개선사업

용산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3 주거취약계층 주거상담 및 지원

구로주거복지센터 (사)구로시민센터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집수리 기동반(간편집수리), 착한 이사 사업

양천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주거취약계층 정리정돈 지원사업

강서주거복지센터 (사)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 총연합회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2 희망집수리, 주거환경개선 클린서비스

동작주거복지센터 (사)주거복지연대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2 주거복지 맵핑 지도(복지지도)

서초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2 주거안전개선사업, 서초시민안전파수꾼 교육

강남주거복지센터 (사)해냄복지회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2 집수리 봉사, 주택개조사업

강동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SH SH 2 간단집수리, 간이화재진압용품 제공사업

성동주거복지센터 서울주택도시공사 공공 공공위탁 서울시 2 긴급주거비 지원(SH 주거복지센터 중 유일)

성북주거복지센터 (사)나눔과 미래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공공임대주택 지역정착 지원사업

강북주거복지센터 (사)강북주거복지센터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취약계층 이사지원, 집수리 마을학교, 홈클린

노원주거복지센터 (사)대한성공회 유지재단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찾아가는 주거복지 돌봄 사업

은평주거복지센터 (사)마을과 사람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지역응급안심주택

부록2. 국내 주거복지센터 운영 현황

124

구분 운영기관명 운영 운영방식 예산지원 인력 상담지역 및 관련내용

서대문주거복지센터 (사)희망마을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찾아가는 청년주거상담

금천주거복지센터 (사)한국주거복지협회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2 찾아가는 에너지코디네이터・주거상담소

영등포주거복지센터 (사)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 총연합회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장애인주거자립을 위한 제도개선 및 지원

관악주거복지센터 (사)관악주민연대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주거위기 응급가구 디딤돌주택, 간편집수리사업

송파주거복지센터 (사)주거권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민간 민간위탁 서울시, 모법인 동 주민센터 및 복지기관 순회상담

경기

경기도시공사 주거복지센터 공공 경기도시공사 3 주거복지센터 및 주거복지사 현장실습기관 운영

시흥시 주거복지센터 (사)복음자리・작은자리종합사회복지관 민간 민간자체 시흥시, 모법인 2 시흥시 / 주거취약계층 주거교육 및 주거개선사업

성남시 주거복지센터 (사)한국참사랑복지회 민간 민간자체 모법인 1 성남시 / 주거취약계층 맞춤형 임대주택 지원

수원시 주거복지센터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공공 재단 모법인 3 수원시 / 주거복지 상담/지원, 주거복지 정책 지원

강원 원주주거복지센터 민간 민간자체 민간자체운영 원주시

전북 전북주거복지센터 민간 민간자체 민간자체운영 1 전주시

전남 영광주거복지센터 자활사업단 /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의 주거환경개선

충남 천안시 주거복지종합센터 천안지역자활센터 민간 민간위탁 천안시 3 주거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사업

인천인천주거복지센터 (사)인천주거복지센터 민간 모법인 1 2011년 시작, 현재 비상근으로 운영 중

인천도시공사 주거복지센터 공공 설립 준비(2017년 12월 설치 관련 주거복지포럼)

대구

대구도시공사 주거복지센터 공공 대구도시공사 4 주택 계약 관련 및 시설물 유지관리 서비스

대구행복주거복지센터 서구종합사회복지관 민간 민간위탁 대구시 2 서구, 남구, 달서구, 달성군

대구주거복지센터 (사)자원봉사능력개발원 민간 민간위탁 대구시 3 중구, 동구, 북구, 수성구

부산

동부 주거복지센터 부산도시공사 공공 부산도시공사 2 매입임대 등 입주, 공가 안내 등

서부 주거복지센터 부산도시공사 공공 부산도시공사 2 매입임대 등 입주, 공가 안내 등

부산광역주거복지센터 ㈜부산광역주거복지센터 사회적기업 인테리어사업, 부산지역 자활센터 교육

주 1)서울주택도시공사의 경우 서울시내 18만여 세대의 공공임대주택 입주고객을 대상으로 주거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4개 권역(남부, 서부, 중부, 북부) 주거복지단 11개 지역센터를 운영하고 있음

Page 67: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2018-12-13 · 여 지원), 집수리 , 주거취약계층 긴급주거비 지원사업주거환경 개선사업 지원주택

125

2)서울주택도시공사(SH) 주거복지센터 운영 : 강남지역주거복지센터(금천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공파구, 강동구), 강서지역주거복지센터(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성동지역주거복지센터(은평구, 서대문구, 종로구, 중구, 용산구, 마포구, 성동구), 동대문지역주거복지센터(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성북구, 동대문구, 광진구, 중랑구) ▶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상담 및 교육, 주거상향 설계 서비스, 주거관련 정책 및 제도 안내, 공구대여(동대문주거복지센터 제외), 주거비 지원(성동주거복지센터 해당), 간편집수리(센터별 상이), 주거복지서비스 연계

3)인천도시공사의 경우 2017년 12월 21일, 인천주거복지센터 설립과 운영방향 도출을 위한 주거복지포럼을 개최

4)전남 영광주거복지센터 및 ㈜부산광역주거복지센터는 지역자활사업단, 특히 ㈜부산광역주거복지센터는 사회적기업으로 등록된 인테리어 사업체로 부분적으로 사회공헌사업(혹은 활동)은 추진하나 주거복지센터 고유의 역할은 하고 있지 않음

5)부산시의 경우 부산도시공사 주거복지센터는 공사의 임대주택 관리, ㈜부산광역주거복지센터는 사회적기업으로서 주거복지 지원을 위한 주거복지센터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은 전무한 실정임

부산복지개발원 2018-11

부산형 주거복지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발 행 일: 2018년 12월

발 행 인: 유동철

편 집:

발 행 처: (재)부산복지개발원

주 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993 시청역롯데골드로즈 606호

홈페이지: http://www.bswdi.re.kr/

전 화: 051_861_8101

팩 스: 051_867_8794

인 쇄: ###

❊ 이 보고서는 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으나 무단전재나 복제는 금합

니다.

###

## CIP##########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