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젠트리피케이션 거버넌스모델제안 - lg챌린저스...출처/ global entertainment...

49
김예린 예은진 윤희라 홍주연 아트젠트리피케이션 거버넌스 모델 제안 2016 LG Global Challenger 예술가 주도형 민관협치로 시작하는

Upload: others

Post on 22-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김예린예은진윤희라홍주연

    아트젠트리피케이션거버넌스 모델 제안

    2016 LG Global Challenger

    예술가 주도형 민관협치로 시작하는

  • 목차

    01. 성장하는 문화예술

    02. 문화예술 발전의 장애물, 젠트리피케이션?

    03. 젠트리피케이션 현황

    04. THE “ART” GENTRIFICATION

    05. 해결방안 제시

    01. 정부의 노력과 한계점

    02. 예술가조합의 노력과 한계점 인터뷰

    03. 지역주민의 노력과 한계점

    04. 기업의 노력과 한계점

    01. 왜 뉴욕인가? 왜 몬트리올인가?

    02. 예술가(단체)의 역할

    03. 정부의 역할

    04. 기업의 역할

    01. 정부과제 , ACTION PLAN

    02. 예술가 과제 , ACTION PLAN, PREVIEW

    03. 지역 과제 , ACTION PLAN

    04. 기업과제 , 특별한 실행계획

    문제제기

    국내탐방

    해외탐방

    총분석 및 프로그램제안

    에필로그

  • 우리에게는 즐거울 권리가 있습니다

    텅 빈 공간을 즐겁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귀를 즐겁게 해줄 음악과, 눈을 즐겁게 해줄 TV, 사진, 미술 작품 등이 생각나나요?그렇다면 이런 예술작품들은 누구에서부터 나올까요? 우리는 “예술가”보다 “향유할 수 있는 것“에만 너무 집중하는것은 아닐까요?

    이러한 예술작품을 생산해 내는 예술가들이 모여사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홍대, 대학로 신촌 등지입니다.그런데 80년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 공간들은 예술가들을 받아들이고, 다시 뱉어내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현재 상업화된 신촌이 그러하고, 임대료 상승으로 골머리를 앓고있는 홍대가 그렇습니다.

    이 문제들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예술 작품“만 향유하고 “예술가“에 집중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요?리아띠 팀은 예술가에게 좀 더 집중하고자 예술가들의 주체성이 강한 미국과 캐나다에서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의 해결방안을모색해보았습니다.

    예술가와 예술이 함께 공존하는 곳을 위한 모두의 관심이 함께 엮인 거버넌스,모두가 주체로 인식되는 새로운 한국형 거버넌스를 소개합니다.

    PROLOGUE

    우리에게는 즐거울 권리가 있습니다그러나, 즐거움을 생산하는 “대상”도 함께 행복해져야 합니다.

  • 문제제기

    01. 성장하는 문화예술02. 문화예술 발전의 장애물, 젠트리피케이션?03. 젠트리피케이션 현황04. 아트젠트리피케이션05. 해결방안 제시

  • 전세계적으로 “예술문화”를 도시에 접목시키려는 활동이 활발하게진행되고 있다. 스페인의 빌바오, 일본의 가나자와, 영국의 쇼디치,캐나다의 몬트리올, 미국의 뉴욕 등은 문화예술도시를 형성하기 위해노력하여 성공한 대표적인 도시들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문화예술도시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진행되고 있는 추세다.

    • "서울시,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 발표…5대 문화 전진기지"

    • "음악이 흐르는 도시 대구.. 대구 순수문화예술 투자 3배로 늘린다."

    • "포항, 문화도시 조성사업 '본격화'"

    대구시의 권영진 시장은 "미국 텍사스 주 오스틴 같은 도시에 창조계급이 몰리는 것은 문화예술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 이라며 상상력의원천이 되는 문화예술이 풍부한 도시만이 미래사회를 주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세계는 이미 예술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집중하고 있다.

    사적 혜택

    공적 혜택

    향상된학습능력

    사회자본의 발달경제적 성장

    매료기쁨

    사회적 연대의 창출공동체적 의미의 확산

    문화는 도시에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고, 관광객을 끌어 모으며, 낙후된 도시에 생명력을 불어 일으키고, 도시에 개성을 부여하며 도시의 위상을 드높임과 동시에 각종 사회문제와 미래 세대를 위한 역량과 신뢰를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 런던 시장의 WCCR 2015 서문

    스필오버 효과

    성장하는 문화예술

  •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되었던 지역이 개발되면서 중산층이 유입되고 지대가 올라

    기존에 거주하던 거주민이 다른 지역으로 쫓겨나는 현상을 말한다.

    주목할 점은 지역이 매력적으로 변모할 때 즉, 도시가치가 상승할 때 젠트리피케이

    션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도시가치 상승’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도시가치를 상승시키는 ‘주체’가 도시에 유입되는 경우

    대표적으로 예술가가 있다. 예술가들의 예술행위는 도시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젠트리피케이션을 불러온다.

    도시 내에 가치를 상승시키는 ‘자원'이 있을 경우

    역사문화 관광 지역이 대표적이다. 국내에서는 경주와 경복궁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경주의 다양하고 많은 문화자원은 사람들을 불러모으고 자연스럽게

    도시가치를 상승시킨다.

    정부의 도시개발정책이 시행되는 경우

    정부가 도시개발 정책을 시행하면서 도시가치가 상승될만한 여건이 마련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현재 정부가 시행하고자 하는 도시재생계획도 이 경우에 해

    당한다..

    “”

    예술 창작공간 밀집으로 정체성을 형성했다가 관광객이 몰리면서 해당 지역의 상업화와 임대료 상승 등에 결국 기존의 예술가들이 이탈하는 젠트리피케이션은 흔하게 볼 수 있는 현상이 됐다.

    서울시가 전략적으로 문화, 특히 예술을 활용해 도시 개발정책을 추진하는 정점에서 가장 대표적인예술지구의 실험공간이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문을 닫는 시점에 이르렀다.

    문화예술지역 형성의 장애물, “ 젠트리피케이션 ”

    문화예술 발전의 장애물, 젠트리피케이션?

  • 출처 /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2011-2015

    출처 / 서울신문, 2016.03.09

    우리나라에서대표적인젠트리피케이션발생지역으로불리는신촌, 홍대, 대학로등은예술가들의유입으로인한

    도시가치상승이원인이므로도시가치를상승시키는‘주체’가도시에유입되는경우라할수있다.

    이를 ART GENTRIFICATION 이라고 한다.

    현재이러한지역들은젠트리피케이션으로인해예술가들이쫓겨나고상업화되며기존의문화예술적특색이사라지고있다.

    이처럼예술가들이유입되어도시가치가상승하고이로인해거대자본이유입되어예술가들이다른지역으로이주하는현상,

    한국의 GENTRIFICATION 현황

  • 발생과정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은 예술가들이 예술문화를 생산하여 도시가치가 상승됨으로써 발생한다.

    예술가들은 도시가치를 상승시켰으나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으로 그 지역에서 쫓겨나게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놓인다.

    또한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은 예술공동체 형성, 도시 공동체 진입, 공공정책 개입, 시장경제 작동 등의 단계에서

    알 수 있듯이 지역문제이자 사회문제로서 지역주민, 예술가, 정부 등 다양한 주체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

    혀 작동한다.

    “부동산소유자,상가·주거세입자,시정부등해당지역의다양한이해관계자의이해가필요하다”

    – 맹다미서울연구원박사

    • 예술가의 유입

    사장경제 작동

    예술가의 저항 / 젠트리피케이션 진행 이동

    예술가 공동체 형성 도시 공동체 진입

    공공정책 개입공공정책 개입

    THE “ART” GENTRIFICATION

  • 신촌

    혜화

    망원동

    상수동

    홍대

    아트 젠트리피케이션 특징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은 예술가가 주체라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예술가들은 도시가치를 상승시켜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을 발생시키는 바이러스이자 이에 피해를 입고 쫓겨나는 피해자다.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지역은 예술문화적 특성과 상권 등 도시의 문화가 사라지는 문화백화현상이 나타난다.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은 지역주민, 예술가 등 다양한 주체들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다.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의 가장 큰 문제는 “문화백화현상” 이다.

    1980~1990년대 신촌은 문화의 중심지였다. 하지만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

    고 예술가들이 홍대와 대학로로 이주하면서 신촌은 본래의 예술문화적 특성을 잃었

    다. 이와 동시에 신촌은 상권도 빼앗겼다. 문화가 사라진 도시에서 문화예술이 활발

    히 움직이는 홍대로 상권이 이동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처럼 예술가들이 쫓겨난

    자리는 예술문화가 사라질 뿐만 아니라 상승했던 도시가치가 힘을 잃는 현상이 발생

    한다.

    아트젠트리피케이션이동경로

    *문화백화현상

    높은 임대료로 인해 문화예술생산자가 다 떠나버린 후 문화가 유입되지 못하면서 상권이 죽어버리는 현상을 두고하는 말= 문화 사막화 현상

    신촌 - 홍대, 대학로 – 홍대인근으로 퍼져나가는 국내(서울)의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은 점점 빠른 속도로 지역의 문화를 파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예술지역인 홍대와 대학로의 문화예술적 특성이 사라지기 전에

    바로 지금,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을 해결해야 한다.

    THE “ART” GENTRIFICATION

  • 그래서 제안한다,

    Public Private Partnership을 통한 거버넌스 구축

    왜 거버넌스인가?

    예술가의 문제를 가장 잘 아는 것은 바로 “예술가”다.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의 가장 중요한 주체인예술가들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낼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야 효과적인 아트 젠트리피케이션 해결방안 시행이 가능하다.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지역’에서 일어나는 문제다. 때문에 지역에서 생활을 영위하는 주체인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정부는 지역을 책임지는 주체로서, 기업은 비영리 조직인 예술가(단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주체로서 거버넌스에 참여한다.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이 사회 문제인 만큼 사회를 구성하는 주요 주체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협력을통해지는게임에서공동의이익으로"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자기조직적인 조직 간 네트워크라할 수 있다. 또한 국가로부터 상당한 수준의 자율성을가지게된다.

    정부주도의 통제와 관리에서벗어나다양한이해당사자들이 주체적인 참여자로 협의과정을 통하여정책을결정하고집행해 나가는 사회적 통치시스템을말하는것이다.

    해결 방안 제시

    정부

    예술가(단체)

    기업

    지역주민

  • 국내탐방

    01 정부의 노력과 한계점

    02 예술가조합의 노력과 한계점 인터뷰

    03 지역주민의 노력과 한계점

    04 기업의 노력과 한계점

  • 정부의 노력 및 한계점

    예술문화 만들기 사업의 목적은 예술문화마을로의 발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 내의 예술가와 주민들이 함께 만드는 문화예술 활동으로 이루어진 프로젝트를진행하는 것이다. 지원금은 최소 5000만원에서 7000만원이며, 지원대상은 지역문화예술기관 (자치구 문화재단/ 문예회관) 이나 민간 커뮤니티이다.

    올해 성동구 문화재단이 본 사업 진행기관 10곳 중 한 곳으로 채택되었다. 성동구가제안한 프로그램은

    첫 번째, 해당 지역의 문화생태계 구축

    두 번째, 지역 현안 기반 프로젝트 운영

    세 번째, 지역 문화예술 주체 발굴 및 연대,

    네 번째, 지역 내 공공공간 및 유휴공간에 대한 문화재생과 활성화,

    다섯째, 기관 간 교류 및 협력을 통한 지역 문화 거버넌스와 네트워크

    부분에 대한 협력을 내용으로 한다.

    국내탐방

    현재 정부에서는 예술가들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서울시에서 주관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에는 2016년 예술문화 만들기, 예술가 창작 지원사업과 비기너스 프로젝트 등이 있다.

    2016 예술마을 만들기

    2016 서울 거리예술 창작 지원사업

    비기너스 프로젝트

    본 사업의 목적은 거리예술 활성화를 위해 예술가들의 창작역랑을 높이고, 다양한작품이 매년 지속적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을 함과 동시에 공공장소에서 발표를 하여 서울 시민의 문화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지원대상은 거리에서 전시 혹은공연 가능한 거리예술 작품이며, 지원 규모는 3~5팀 내외 최대 5천만원이 지급된다.

    서울문화재단이 주체하는 사업으로 크게 ‘최초예술지원 사업’과 작은예술지원 사업‘소액다컴으로 구분된다. 최초예술지원 사업의 지원 대상자는 만35세 이하의 신진예술가이고 ‘소액다컴’의 지원 대상은 홍대지역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이다.지원규모는 '최초예술지원'이 연중 54건, 작은예술지원 '소액다(多)컴'이 21건으로총 지원금은 1억2900만원이다.

    정부의 노력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 경영학과 교수

    박신의 교수님

    Q. 그렇다면 보완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프라이빗섹터(Private sector)와 퍼블릭섹터(Public sector)가 있으면, 프라이빗섹터에서부터 문제제기를 하고 이

    것이 잘 수렴이 돼서 관이 개입을 하는 바텀 업 구조로 바뀌어야 합니다. 즉, 프라이빗 섹터가 주도하는 문화정책으로

    가야한다는 것이죠. 그래야 진정으로 거버넌스가 실현된 민관협치가 되죠. 현재 정부는 젠트리피케이션에 관련한 모든

    영역을 혼자 감당하려고 합니다. 그것보다는 민간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자기들이 해결하려고 하는 것을 소중하게 봐

    야하고 거기서 관의 역할이 무엇이냐를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것입니다.

    또 우리나라는 예술가들의 지원금 의존도가 높고, 지원금을 따내기 위한 검열도 너무 까다로워요. 지원금 의존도를

    낮추고 더 자유롭게 활동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아트펀드가 있어야 해요. 외국같은 경우 아트펀드가 많아 지원에 대

    해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해요. 그러니까 우리가 그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 거죠.

    Q.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리나는 국가개입의 정도가 높아요. 도시재생을 탑다운 형식으로 하죠. 원래, 민간인 예술가들이 알아서 방법을 찾

    다가 문제를 찾았을 때, 사이드에서 지원하는 게 국가가 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예술가가 리제너레이션에 참여

    한 것이 아니라 동원’만’ 된 것이에요. 국가가 이미 프로그램을 다 짜놓고, ‘예술가들은 이런 일을 할 것이다.’인거죠.

    • 현재 국가 개입이 현저히 높다.

    • 정책 시행에 있어서 예술가들은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동원 되는 것이다.

    • 예술가들이 문제제기를 하면 관에서 해결하는 바텀 업 구조를 통해 진정한 거버넌스를 실행해야 한다.

    • 거버넌스가 구현되기 위해 관이 어디까지 개입 할 것인지에 대해 협점을 찾아야 한다.

    • 정부지원 외에 아트 펀딩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Key Point

    정부의 노력 및 한계점국내탐방

    한계

  • 사회적 협동 조합 ‘홍우주’

    국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젠트리피케이션 극복 방안을 모색하

    고 있는 예술가 단체 중 하나인 ‘홍우주’의 정문식 대표이사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Q. 홍우주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업은 무엇인가요?

    저희는 지금 자체사업 콘텐츠를 만들려고 하고 있어요. 궁극적으로 자체사업 콘텐츠가 우리를 도와줄 것이라 생각합니다.홍우주는 사회적 협동조합이기 때문에 수익금의 40%를 공공에 지불해야 해요. 그래서 공익적인 사업을하되 수익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데 초점을 두고 있죠. 기존에 있는 자원들을 엮고 네트워킹을 해서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 수 있는 교집합을 찾는 거에요. 예를 들면, 투어 프로그램하고 교육체험 프로그램하고 연계를 시키는 거죠.

    Q. 홍우주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개념 자체는 도시의 생태적인 부분이 포함된 그런 개념이라고 보는데, 한국에서벌어지는 것은 그런 생태계적인 현상이 아니고 경제적 문제에요. 그래서 경제학적으로 바라볼 필요가있죠. 예를 들면 임대료 상승과 같은 부분이요.

    예술가(단체)의 노력

    예술가(단체)의 노력 및 한계점국내탐방

  • Q. 서울시에서도 임대료 상승문제 때문에 발생했다라고 보고 많은 정책들을 내놓고 있는 데, 여기서

    보완되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Q.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의 해결방법으로 민관협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선 우리나라에서 민간과 행정이 타협점을 잘 찾지 못하고 있어요.두번째로 민간자체도 문제에요. 일단 협치라는 것은 민관 협치도 있지만 민민 협치도 있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민민협치도 잘 안돼요. 사회신뢰도가 낮고 합의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너무 적기 때문이죠. 지역관계에서도 개인의 이해관계가 우선이지 지역적인 큰 틀에서 생각하는 순간 아무도 나서지 않으려고 해요.세번째는 협치 수용에 대한 부분들과 협치에 의한 결과에요. 공공에서 자원을 제공하고 그것들을 바탕으로 해서 민간이 자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자치고 협치죠. 지금은 공공이 만든 틀에 민간이 들어가서 그 안에서 참여하는 것을 협치라고 하고 있어요. 그건 협치가 아니죠. 그런데 현재 민간도 한국의 일반적 협치에 익숙해져 있어요. 예를 들면 보조금 부분이요.

    Q. 해외에서 무엇을 배워오면 좋을까요?

    일단 부동산 부분의 소유권과 사유권에 대해서 그들은 어디에 더 방점을 두고 있는지 한번 물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우리는 소유권이 너무 비대하게 크잖아요. 건물의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은 임차인인데도 말이죠. 그 다음에 지금의구조, 제도 혹은 조직을 형성하기 민간이 어떻게 투쟁하였는가를 배워오면 좋을 것 같아요. 해외 사례들을 조사해 보면 투쟁 과정이 잘 드러나있지 않아요. 거버넌스를 이루어내는 것이 것이 절대 평화로운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민간이어떻게 힘을 길러냈느냐를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요.

    근본적인 것은 임대차 보호법 같은 것들이 완전히 바뀌어야한다는 거에요. 지금보다 훨씬 더 강력하게. 대표적인 예를 들면 지금, 보증금하고 월세 합쳐서 4억이상이면 보호대상에서 빠지잖아요. 그리고 계약같은 것도 5년 까지만보호되고. 이건 적어도 10년은 보호해줘야 해요.또 이런 정책은 대부분 협약인데, 협약이라는 것은 아무런 법적 효력이 없어요. 그냥 도덕적인 책임밖에 없죠. 협약은 강제성이 없어요. 중재 정도가 최대죠.

    • 자체 콘텐츠 사업 개발을 통하여 스스로 자생할 수 있도록 수익창출을 계획해야 한다.

    • 현재 마련된 협약은 법적 효력이 없으므로 제대로 된 법제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 민관 협치 뿐 아니라 민민협치도 개선되어야 한다.

    • 민관협치 시스템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 (DOWN-UP 방식의)

    Key Point

    예술가(단체)의노력및한계점국내탐방

    한계

  • 2015년 메세나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총 126개의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문화예술 분야에 투자했다. 그 중 대기업 결연이 33건 지원액은 37.6억원이다. 중소기업은 93건으로 지원금액은 총 23.2억원이다.

    그러나, 예술가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하는 기업은 소수

    2015년도 기업의문화예술 지원사업의

    지속기간

    01

    02

    03

    20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의 수

    예술가에게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기업의 수

    장기적 지원이 아닌 단발적 지원

    2015년도 기업의문화예술 지원유형별 금액

    기업과 예술가가 협력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기업에서는 예술을 소비하는 주체에게 예술문화를지원하는 것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1

    한 논문에 따르면, 국내의 기업후원 형태는 주로 도시에서 축제와 문화예술 행사를 할 때에만 지원하는 단발적인 모습을 보인다. 장기적인 효과를 바라봐야 하는 문화마케팅에서의 이러한 전략은 효과와 발전에한계를 갖게 된다.

    1년 미만

    1년 이상 3년 미만

    3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15년 미만

    15년 이상 20년 미만

    20년 이상

    37.4%

    12.4%13.1%

    18.8%

    6.4%

    8%3.8%

    개별적으로 지원되는 문화마케팅

    현재 기업은 다른 주체들과의 협력보다는 기업의 목적에 맞는 개별적인 문화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 형태는 예산 및 전문성, 효율성 면에서 적지 않은 부담과 한계를 갖게 된다는것이 전문가의 분석이다. 따라서 도시와 기업이 단합하여 효율성과 시너지 효과를 도모해야 한다

    자체기획

    후원 및 협찬 파트너십

    조건부 기부76%

    14.6%

    9.4%

    기업의 노력

    기업의노력및한계점국내탐방

    한계

  •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도시 재생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통영 동피랑 벽화마을과 부산 감천문화마을이 있다. 철거위기에 있던 동피랑마을은 벽화를 통해 예술마을로 탈바꿈하였다. 납덕골 또한 김형태화가를 중심으로마을 주민들이 직접 “마을 가꾸기 추진회"를 구성하여 음악회와 전시회 모금행사를 통해 벽화 작업비를 마련하였고, 이 덕분에 마을의 유동인구가 크게 늘었다.

    통영과 감천문화마을에 관광객이 늘어남과 동시에 임대료도 늘어나 지역주민들이 젠트리피케이션을 겪는사례가 발생했다. 거기에 관광객들의 방문으로 소음문제와 쓰레기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역 분들이 직접 공공예술 제작 과정에 참여하고, 결과적으로 그 분들에 의해 결과물이 완성되는 게 최고로 좋은 거 같아요. 그러면 거기서부터 정주의식이 생기고, 그런 의식이 있을때 자신의 삶에 대한 이해, 환경에 대한 이해, 자신을 둘러싼 생태계에 대한 이해가 생기는거라고 생각해요

    ”“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년 여름, 통권 66호,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계점

    지역주민의 노력

    지역 주민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01대부분의 지역사회에서는 예술문화 활성화를 위해 지역행사를 주최하여도 주민들의 참여율이 저조하다. 서울시립대학교 조세형 교수는, 아티스트들과 지역주민 사이의 소통이 원만하지 않다는 점, 지역주민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없다는. 점을 이유로 지적하였다.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져도 지역주민만의 힘으로는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을 극복하기에 무리가 있다..02

    지역주민의노력및한계점국내탐방

  • 예술가(단체)가 주요 주체임에도 정부와 예술가의 적극적인 협력이 부족하다.

    지역주민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예술가(단체)의 재정적 기반이 불안정하다.

    왜 ART 젠트리피케이션은 해결되지 못할까?

    국내에서 해결방안은 대체로 공공사업의 하나로 전개되면서 예술가들의 자발적 개입이나 적극적인 기획 등은 전제되어 있지 않다. 예술가들은 여전히 정책 수혜자의 입장이며, 도시와 지역사회,지역주민과의 관계 속에서 적극적 개입의 주체는 아니다.

    2015년 예술인 실태조사(통계청)에 따르면 예술경력 단절 이유의 대다수가 예술활동 수입부족이었다.

    이처럼 예술가들은 재정적 기반이 부족하여 상업권력에 쉽게 타격을 받게 된다. 예술가들의 재정적기반이 안정적으로 마련되지 않는다면 예술가들은 계속해서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의 피해자로 남을수 밖에 없다.

    지역주민들은 단순히 생산된 예술을 소비하는 주체로서가 아니라 아트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관계된 한 주체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는 이에 대한 논의가 부족해 예술가와 지역주민이 같은 문제를 다르게 인식하여 민간영역의 집합도를 떨어트리고 있다.

    66.3

    9.56.2 4.5

    13.4

    0

    20

    40

    60

    80

    수입부족 출산·육아 질병 학업 기타

    기업의 아트 젠트리피케이션 지원에 대한 필요성과 구체적인 역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기업 자체의 예술 분야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아트 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된 기업의 지원에 대한 필요성과 구체적인 역할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해결에 필요한 법제도 마련이 부족하다.

    정부가 법제도 마련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재 제정된 협약들은 법적 효력이 부족하여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을 해결하기에 부족하다.

  • 해외탐방

    01 왜 뉴욕인가? 왜 몬트리올인가?

    02 예술가(단체)의 역할

    Mission of the Artists

    ACM

    Lezarts

    Chashama

    03 정부의 역할

    (Mission of the Government)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_the city of New York

    04 기업의 역할

    (Mission of the Corporation-Private sector)

    American for the Arts

  • 해외탐방

    젠트리피케이션 해결 유무

    비영리 단체의 자립도

    한국과의 유사성

    정부의 정책 개입도

    有비영리단체의 자생적인 노력과몬트리올 시의 강력한 법을 통해 젠트리피케이션 해결

    無 정부와 비영리단체의 협력을 통해 아직 노력 중

    高 高몬트리올 시의 비영리 단체는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주체성이 높은 편으로 볼 수 있음

    운영을 위해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기는 하지만 단체의 의존도가 높지는 않음

    정부의 역할, 지역환경 등 한국과의 유사성이 높다고 볼 수는없다.

    低 高임대료가 높다는 점에서 유사하고, 비교적 정부의 개입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고볼 수 있음

    비영리 단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프로그램 확립에 있어 어느정도의 개입이 존재

    低정부는 법 제정 등의 최소한의역할을 담당하고 비영리단체가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

    몬트리올 뉴욕

    예술가(단체)의 주도로 이미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을 해결한 몬트리올과 완벽하게 해결하지는 못했지만

    정부와 예술가(단체)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해결단계에 있다고 평가 받는 뉴욕을 방문하여

    한국에서 어떻게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특히 뉴욕의 경우 지역적 환경이 한국과 유사하여 탐방국가로 선정하였다.

    탐방 국가 및 도시 선정

  • 탐방 목적

    ACM이 주체적으로 어떻게 예술가를 위한 활동 공간을 확보하는 지에 대해 배워오고자

    했다. 특히 임대료 상승에 대한 대처를 자세히 파악하는 것이 주요 탐방 목적이었다.

    ACM(Ateliers Créatifs Montréal)

    2007년에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예술가, 장인과 문화 기관을 위

    한 안전하고 적당한 활동 공간을 확보한다는 사명을 갖고 있다.

    건물 취득, 건물 질 향상, 임대차 계약 기준을 고려한 영구 계약

    협상, 개발업자와 장기 임대 계약 체결 등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임대인예술가

    렌트비

    공간

    협상

    해외탐방

    ACM(Ateliers Créatifs Montréal)

  • Chat des artistes2205 Parthenais St. (34,000 평방 피트 or sq.ft)2008년 3월에 ACM이 소유하게 된 건물로, 과거 방직 공장이었다. 50개의 스튜디오와 활동 공간이 있어 100명 이상의 예술가, 장인, 예술기관이 사용하고 있다. 총 2,800,000달러의 프로젝트로1,500,000달러는 공적 자금으로부터 왔다. 건물을 직접 소유해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부담을 없앴다.

    Le Bovril6201, avenue du Parc (15,000 sq. ft)

    2013년 봄부터 ACM은 다양한 예술분야 활동을 지원하는 Mile End 지역 3층짜리 건물의 주요 세입자가 되었다. 30년짜리의 갱신가능한 임대

    계약을 하여서 30년동안 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Pi2 De Gaspé5445, avenue de Gaspé, floor 3-6(208,000 sq.ft)2015년 1월부터, ACM은 Pi2 De Gaspé 프로젝트의 관리자 직책을맡게 되었다. 이를 통해 200,000 평방 피트 이상의 공간을 30년 동안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매 년 2,000,000달러 규모의 영업활동을 담당하고 있다.

    Q. 공간을 취득할 때, 혹은 단기 임대를 장기 임대로 바꾸는 과정에서어떤 부분이 큰 도움이 됐나요?

    시정부의A. 정책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부가 문화 지구 사업인 Les Quartiers Culturels 사업의 일환으로 최소한의임대료 인상 제한제도나 대출제도 지원이 마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좀 더 쉽게 공간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공간을얻기 위해 필요성에 대해 프레젠테이션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자료를 보여주며) 이러한 자료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예술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충분한 연구와 논의 후 임대인들과의 협상에 참여해야 합니다.

    직접 소유 방식

    현장 운영 방식

    장기 임대 방식

    ACM(Ateliers Créatifs Montréal)해외탐방

    Q&A with

  • 예술가들로 이루어진 단체로, 주거 공용작업실을 확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주택협동조합이다 . 이 주거와 창작 공간은 과거

    Manhattan Child wear 공장을 개조했다. 저렴한 임대료로

    조합원들에게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Coop de Lezarts해외탐방

    Coop de Lezarts

    탐방 목적

    거주 공간과 창작 공간이 함께 있다는 것에 다른 기관과의 차별성이기에 이 배경을 구체

    적으로 배워오고자 했다. 또한, 예술가들이 자생적으로 살아갈 환경을 마련해준 이 조합

    만의 시스템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 조합원 33명의 상호 시너지

    조합원들은 모두 일정부분 조합에 기여하고 있다.

    법적, 보험, 회계, 재무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초반에 필수적으로 총회 중 선거 참여 방법 등을 교육 받는다.

    오롯이 예술가를 위한 맞춤형 공간

    높은 천장 등 예술가가 예술활동에 도움이 되는 주거공간을 꾸미기 위해 노력한다.

    예술가들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주거공간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평소에는 예술가 모자를 쓰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매니저 모자를 써야 한다.”

    Suzanne Bellefeuille, 공동창립자

    Q. 이 공간을 예술가들이 사용해야 한다고 설득하는 힘든 과정을 거치셨는데, 그 과정을 잘 견뎌낸 비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 끊임없는 노력과 인내심인 것 같습니다. 정부와 협력을 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설득을 끝까지 책임감 있게 끌고 가야 합니다.

    Coop de Lezarts해외탐방

    운영방식

    Q. 주거공간을 예술가들에게 제공할 때 가장 우선순위로 고려하는 요소는 무엇입니까?

    임대료를A. 낮게 유지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술가가 정규직으로 근무한다면 돈을 벌어 장소 대여는 쉽게할 수 있어도, 예술활동을 할 시간이 없게 됩니다. 이렇듯 예술가는 항상 시간과 돈의 딜레마로 고민합니다. 따라서저렴한 임대료로 공간을 제공하여 예술가들이 시간과 돈 사이에서 선택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Q&A with

  • “Space to create”를 목표로 1995년에 설립된 아트

    서비스 비영리단체이다. 이곳은 지역 내에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 부족한 예술가들에게 공간을 제공할 목

    적으로 만들어져, “Space to create, space to live,

    space to present” 3가지에 초점을 둔다.

    Chashama

    예술가(단체)

    예술가

    협상

    : 임대료

    : 공간

    해외탐방

    탐방 목적

    사용되고 있지 않은 건물들을 활성화시켜 예술가들에게 작업 공간을 마련해주는 Workspace

    Program에 대해 자세히 알고자 다녀왔다.

    예술가 예술가

  • Space to create 스튜디오 공간

    BAT (Brooklyn Army Terminal)

    스튜디오 공간은 예술문화를 창작하는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BAT는 가장 큰 스튜디오 공간으로,제 2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했던 터미널을 개조한 것이다. 95개의 스튜디오가 있으며, 교육워크샵 서비스뿐아니라 큐레이터가 방문해 전시회에참여하거나 작품을 팔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입주한 일반 기업들은 원래 시장 가격에 임대를 해준 반면, 차샤마는 시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공간을 제공받는다.

    Space to live 주거 공간

    BAHI (Bronx Artist Housing Initiative)

    차 샤 마 와 Mid Bronx SeniorCitizens Council (MBSCC)가 협력해 Mid Bronx 지역에 있는 예술가를위해 시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축 아파트를 제공한다. 대신 예술가들은Mid-Bronx 지역사회를 위한 예술교육을 진행한다.New York Community Trust로부터펀딩을 받았다.

    Space to present 전시 공간

    유휴 공간을 전시 공간으로 사용한다.혹은 가게 소유주는 있지만, 제 용도에맞게 변화가 덜 된 공간을 찾는 경우도포함된다.

    예) 다른 레스토랑으로 변모하기 전 공간 소유주에게 잠시 사용 허가를 받고,전시 할 의향이 있는 예술가를 찾아서전시를 진행한다.2015년에는 96개의 전시회를 열고, 예술가들에게 총 $13,500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했다.

    Q. 장기임대를 고집하는 이유가 있나요? 단기면 더 많은 예술가들이 그 공간을 누릴 수 있지 않나요?

    A.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면 좋겠지만, 우리는 질적인 측면에서 예술가들의 발전에 초점을 둡니다. 필요한 사람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싶고, 그들의 작업을 서두르게 하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우리는 스튜디오에가서 그들의 작품을 판단하지 않는 등 공간을 사용하고 예술작업을 하는 것은 예술가의 자율에 맡깁니다.

    Q. 챠샤마가 이렇게 크게 된 핵심성공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 우선 여기서 일하는 사람의 대부분이 예술가입니다. 그래서 문제에 대해 더욱 열정적이죠. 그리고 예술가들이 어떻게 일하는 지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스튜디오 공간을 필요한 만큼 충분히 제공하는 것과 같은 배려를 할 수 있습니다. 예술가들이 어떤 부분이 필요한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죠.

    Chashama해외탐방

    운영방식

    Q&A with

  • NYFA(New York Foundation the Arts)해외탐방

    또 다른 예술가 지원 단체

    앙트프러누어(기업가) 프로그램

    NYFA는 Chashama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예술가들을 지원하고 있다.

    비즈니스 플랜과 액션플랜을 만드는 법에서부터 예산 설정, 마케팅, 펀드레이징 등을 가르친다. 여기서 자신의 예술을 비즈니스로 생각하는법을 배우게 된다.

    Art Business Incubator 프로그램

    워크샵에서 진행되는 것으로컨설턴트, 재무 설계사 등을 만나서 컨설팅을 받는 프로그램이다.

    예술경영교육 프로그램

  •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city of New York

    비영리 단체

    지원

    보조금신청

    해외탐방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city of New York

    '예술지원을자처하는도시'(alegacyofsupportingthearts)를지향하며

    탐방 목적

    비영리 단체들에게 지원을 한다는 점에서 정부로서의 기능을 하며, 여태까지의 기관과는 차별성

    이 있다. 거버넌스 액션 플랜에서 정부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조언을 얻기 위해 방문했다.

  •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city of New York해외탐방

    Q. 시에서 보는 문화예술에 대한 중요성은 어떤 것이 있나요?

    뉴욕은A. 19세기부터 문화예술에 많은 투자를 해왔습니다. 우리가 문화예술에 투자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우선, 예술문화를 투자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크게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관광객들에게 ‘왜 이도시에 오는가?’라고 물어보면 그들은 문화 때문이라고 답할 겁니다. 두 번째는, 예술이 풍성해지면 지역이 더 좋아집니다. 범죄율도 낮아지고 더 나아가 그 도시의 청소년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직간접적으로 예술을 향유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예술을 통해 지역 주민들을 통합시킬 수 있습니다. 뉴욕은 이민자들이 많은 다문화도시입니다. 한국도 점차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로의 예술문화를 받아들이고 즐기는 것은, 구성원들의 융합을 좀 더 쉽고 올바르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Q. 예술문화가 번성하기 위해서는, 예술가들이 작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공간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고생각하는데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Permanently affordable space(A. 영구적으로 알맞은 가격의 공간)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예술이 풍부해지기 위해 우선적으로 예술가들에게 안정적인 창작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은 중요합니다. 뉴욕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뉴욕시장이 500개의 스튜디오, 1500개의 거주 및 작업공간을 제시했습니다. 이곳은 시장가격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해결책의 문제는 규모가 너무 작다는 것입니다. 또한 예술가 이외에도 이러한 공간이 필요하며 예술가들처럼 지역에 가치를 상승시키는 다른 구성원들 또한 존재합니다. 우리는 이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전자의 문제해결로는 뉴욕 시장이 다양한 지구에 큰 규모의 영구적으로 수용 가능한 공간을 짓는 것입니다. 후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대상자는 낮은 임금의 노동자 모두를 포함하도록 합니다. 지금 뉴욕은 이러한 점을참고로 200,000 유니트 정도의 아주 큰 규모로 공간을 마련하고 조성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AREA

    Affordable Real Estate for Artists

    EDC와 뉴욕문화국이 함께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며 현재 펀딩 과정에 있다. 지을 돈은 충분하게 보유된 상태이지만,

    이를 관리하는 단체는 아직 보류 중이다. 여기에서 AREA를 관리하는 단체는 비영리 단체로, 수익은 예술가들에게

    받는 임대료로 지속적 운영이 가능하다.

    운영방식

    Q&A with

  • Q. 기업과의 파트너십 프로젝트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2008A. 년 이후 기업들은 펀딩에 있어서 굉장히 전략적으로 변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예술 분야도 이익이 될수 있다(기업의 목표, 비전과 일치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필요했고, 임직원들과 고객들이 예술에 대한 관심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노력을 했습니다.

    예술과 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뉴욕에는 10명

    의 직원으로 이루어져 있고, 본사는 워싱턴

    에 위치해있다. 문화 예술 정책 아이디어를

    내거나, 예술의 경제적 효과 연구, 시민 의

    견 조사 등을 진행한다.

    Win-win 관계 구축을위한 연구 진행

    American for the Art

    기업 예술가

    Q&A with

    American for the Art해외탐방

    American for the Art

    탐방 목적

    비영리단체가 정부만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은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해,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생각해보았다. ‘메세나’ 활동에 대해 배우고자 방문했다.

    Q. 어떻게 예술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기업을 설득하나요?

    각각의A. 지역, 기업의 이해관계를 이해하고 맞추어 프레젠테이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그 지역 혹은 기업이 경제적인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예술문화가 부가적인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다.’ 이렇게 얘기를 하는 거죠. 반면 범죄율을 낮추고자 하는 지역이라면, 예술이 범죄율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라고 이야기를 하고요. 예술이 자신들의 필요(Needs)를 충족 시켜준다는 점을 알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호의적으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지역과 기업의 필요를 분석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겠죠.

  • 반면 해외의 경우, 거버넌스 안에 예술가(단체)들이

    주체적으로 움직이는 양상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시는 작은정부로 참여하며, 나머지 주체

    들의 활동성이 활발하고 각 주체간의 이해도가 높다.

    이와 같은 구조 속에서 예술가, 지역주민들의 목소

    리가 해결책에 온전히 반영되고 이는 더욱 효율적인

    해결방안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

    정부와 기업은 서로 지원에 대한 부담을 분담하고,

    이러한 구조로 좀 더 장기적인 해결방안 실행이 가

    능해진다.

    정부 예술가 지역주민 기업 정부 예술가 지역주민 기업

    국내의 경우 거버넌스 안에 퍼블릭 섹터의 비중이

    매우 크다.

    국내인터뷰와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는 정부가 프로그램을 짜면 그 안에 다른 주체들

    이 동원되는 것으로 해결책이 진행된다.

    이러한 점은

    정부가 해결에 대한 부담을 지게 만들어 정부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이 때문에 장기적인 해결방안

    마련을 힘들게 만든다.

    또한 주요 주체인 예술가와 지역주민의 이야기가

    온전히 반영되지 못하여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국내 외 비교

    기업

    지역주민

    예술가정부

    기업

    지역주민

    예술가

    정부

  • “문화가 전략적이고 혁신적인 역할을 수행하려면경제 성장, 교육, 도시계획, 삶의 질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들과 세심하게 통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회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즉 도시의공간과 장소,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가진 문화적 신념과 관행을 한데 묶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문화이기 때문이다.”

    (Alvin Tan, Assistant Chief Executive (Policy &Development), National Heritage Board, 싱가포르)

  • 총 분석 &

    프로그램 제안

    Public-Private-Partnership을 통한 한국형 거버넌스 (K-Governance) 를 모색하고,

    실제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01. 정부 과제 + ACTION PLAN

    02. 예술가(단체) 과제 + ACTION PLAN

    + PREVIEW

    03. 지역(주민) 과제 + ACTION PLAN

    04. 기업 과제 + 특별한 실행계획

  • Key point

    “일단 실질적인 법 제도 정비가 우선되어야 해요 ”

    “현재 정부는 젠트리피케이션을 모든 영역을 혼자 감당하려고 합니다.”

    “정부의 부담이 높으면 지속적인 지원을 하는데 한계가 있어요”

    실질적인• 법 제도 채택

    민간• 단체(예술가)를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바텀 업 방식 채택

    예술가• (단체) 영역 확대를 위한 예산지원

    거버넌스• 안 민간 영역과 공적, 지속적 소통

    실질적인 법 제도 채택과 함께 정책에 예술가 참여도를 높여 현장성을 확보하길 제안한

    다. 예산 지원 경우, 단순한 시설지원 보다는 예술가(단체) 기반 마련을 중심으로 편성해

    장기적으로 정부의 부담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성

    유연성

    경제력

    규제력

    현장성

    01. THE MISSION OF GOVERNMENT

  • ACTION PLAN

    예술가(단체)와 정부를 가깝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술청은 예술가들이 사회문제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예술가들의 활동이 활발한 대학로, 홍대 등지에 우선 지역을 선정하는것을 권장한다.

    예술가의 신문고, 예술청

    # 예상 공간) 2030 서울문화도시 계획 – 서울 대학로 연극센터 “예술청” 입주 예정

    PLAN 1. 상위 단계의 법률 제정 제안

    현재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임대인-임차인 관련 조례들은 그 법의 실효성 문제를 뒤로하고 이행이 제대

    로 이뤄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협약을 조례에서 그 상위 단계인 명령이나, 법률로 제정하는

    것을 촉구한다.

    PLAN 2. ‘상가임대차보호법’ 개정 제안

    OECD국가(프랑스, 독일, 일본) 들은 임차인들의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 (9년에서 최대 15년) 을

    보장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임대차보호기간은 5년이다. 5년은 예술가(단체)들이 창작활동을 하기에 매우 부족한

    시간이다. 캐나다 몬트리올의 경우, 예술가(단체)의 작업공간은 평균 20년을 장기임대 기간으로 확보하고 있다.

    20대 국회의 활발한 ‘상대임대차보호법’논의를 촉구한다.

    PLAN 3. 바텀-업 방식의 정책 제의

    아트젠트리피케이션은,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밑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위에서 행정 정책을 결정하는 바텀-업 방식을 기본 포맷으로 설정한다. 바텀-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기 위해서는, 예술가들이 지역 내 가깝게 정부와 소통할 수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 ACTION PLAN

    PLAN 3. 시설지원이 아닌 예술가 “기반마련“ 예산편성 제안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예술가 공간 마련 지원들은, 모두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 기관이다. 임대료가 높은 서울 특성 상, 정부 중심의 공간 제공은 필연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수혜”적 공적기관이 많아질수록 예술가의 정부 의존도는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단기적으로 시설제공을 목적으로 하는것이 아닌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 최종적으로는 예술가(단체) 스스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예산 편성을 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술가(단체)들에 의한 공간’ 지원

    대상에 대한 심사는 지역 “예술가”들의 의견, 단체의 활동성 뿐만 아니라 단체 안 예술가가 부동산, 법, 경영능력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지 또한 심의한 후 예산을 지원한다.

    무한 공간 프로젝트

    예술가 정부

    획득 기간 장기 단기

    획득 후기대 효과

    높음 제로섬

    ‘예술가(단체)들에 의한 공간’ 지원

    정부가 공적으로 예술가(단체)에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임대료를 받고, 장기적으로 갚아나갈 수 있게 한다

    공적 예술가 모기지론 제도

  • PLAN 4. 수혜자 중심의 정책 안내

    예술가들이 복지에 대해 경험한 비중은 전체 예술가의 10%, 대부분의 예술가들(수혜자들)은 제대로된 복지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다. 즉, 현재 예술가 관련 정책의 “접근성”이 낮아 정책의 실질적 활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법안과 정책이라도 그 대상과의 접근성이 낮으면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예술가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잘 알고, 활용할 수 있도록 예술가와 정책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정기적인 박람회를 제안한다.

    PLAN 5. 민간영역(예술가)와의 지속적 소통

    아트-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가 “변화” 하면서 생긴 현상으로, 예술가 뿐만 아니라 지역 민간영역 모두의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한 사회문제이다. 따라서 예술가들과 지역주민, 정부가 언제든지 지속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정기적인 지역 컨퍼런스를 제안한다.

    예술가(단체)와 법, 정책을 가깝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도우미들은 반드시 예술가(단체)중에서 선정한다. 이들은 시에서 일정기간 사전 교육을 받은 뒤, 예술가들이 많은지역에 투입되며, 활동 이후에는 소량의 지원활동비를 얻을 수 있다.

    거리 예술가 도우미 프로젝트

    ACTION PLAN

  • “예술가(단체)는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의 생산자이자 피해자이므로해당 사회문제를 가장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주체”

    Key point

    • 다양한 예술가 공간에 대한 운영방식 설립

    • 예술가(단체)의 경영 능력 향상, 법 제도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

    • 정부 이외의 개인 펀딩 유치 노력

    • 지역 주민과 끊임없는 예술문화 소통

    예술가(단체)는 안정적인 예술활동을 위해 생활 공간, 창작 공간 및 프레젠테이션 공간 운영에

    대해 연구하고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중-장기 플랜을 계획한다. 또한 예술 능력 이외의

    새로운 경력 개발, 예술 복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거버넌스 안에서 민

    간 영역의 집합성을 높여(예술가+예술가/예술가+지역주민), 예술가들의 권리 향상을 목표로

    한다.

    특성

    유연성

    경제력

    규제력

    현장성

    02. THE MISSION OF ARTISTS

  • 건물취득 장기임대 단기계약

    예술가아틀리에

    (주거+창작)창작 공간

    프레젠테이션 공간

    예술가+지역(상인) 창작 공간 창작 공간 프레젠테이션 공간

    ACTION PLAN

    PLAN 1. 공간 제공

    예술가들의 안정적인 창작기반을 위한 장소로써 구성원이 예술가 한정일 경우, 다양한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창작활동을 할 수 있어 가장 이상적인 공간으로 볼 수 있다.반면 구성원이 지역(상인)을 포함할 경우, 예술활동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나 가격 차별화 (예술가-안정가격 /상인-시장가격)로 공간 운용이 비교적 안정적이다.

    1-1. 건물 취득

    건물 취득의 경우, 비교적 높은 예산이 들어가므로 새로 건물을 짓기 보다는 거버넌스 안의 다양한 주체와 협상을통해 유휴시설 확보를 권장한다.

    아틀리에는 예술가들의 생활공간을 바탕으로 창작공간을 포함하는 ‘운용이 자유로운 공간’을 의미한다.따라서 장기임대나 단기계약 보다는 “건물취득”이 알맞은 특성 공간이다.

    1-2. 장기임대

    장기 임대의 경우, 소유자가 있는 상태에서 건물을 임대하는 것이기 때문에 높은 협상능력을 요구한다. 임대인에게 예술가 창작공간은 장기 임대 보장이 가능한 점, 건물 리모델링에 대한 무료 디자인 제공 등의 “예술가 임차인” 만의 특성을 제시하는 등의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창작공간은 예술가들이 창작활동을 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기임대의 경우도 권장하며 예술가의 특성에따라 단기계약 또한 가능하다.

    1-3. 단기계약

    단기 계약의 경우, 건물취득이나 장기임대보다 높은 불안정성을 포함하지만, 공간 계약에 대한 가능성이 훨씬 높은 장점이 있다.

    프레젠테이션공간은 예술 작품이 지역 내 일상생활과 공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기업 건물이나 시청 안에 벽화나 조형물을 단기로 전시하는 것 또한 프레젠테이션 공간 운용의 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공간은 제한이 단기계약에 적합하다.

  • 예술가 공간의 경우, 지역별로 한국 평균 지가에맞추어 공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공간의 특성과 지역을 알맞은 연결을 마포구 일대로 예를 들어 제시해본다.

    0

    2

    4

    6

    8

    10

    홍대 앞 홍대 인근 망원동 연남동 문래동

    공간 설정

    아틀리에 창작공간 프레젠테이션공간

    지가가 다소 비싸고, 유동인구가 많은

    홍대 인근은 단기 계약이 가능한 프레

    젠테이션 공간 설정을 늘리고 그 이외

    의 지역은 최대한 예술가들이 안정적

    으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창

    작공간, 아틀리에 건물을 우선적으로

    배정한다.

    마포구 일대

    망원동~상수동

    상가 주택

    홍대 앞 거리 (상수동) 5,565,000 4,115,000

    홍대 인근 (합정동) 5,210,000 3,535,000

    망원동 4,120,000 3,100,000

    연남동 3,990,000 2,650,000

    PREVIEW. 지역선정

  • PLAN 2. 경영능력 교육

    예술가들에게 예술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능력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예산/회계/마케팅 등의다양한 비즈니스 능력을 교육되어져야 함을 기반으로 한다. 기업가 캠프나, 예술경영에 대한 핸드북 등을 발간할 수있다.

    ACTION PLAN

    PLAN 3. 예술가 법 안내 상담

    예술가들의 낮은 법률 접근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술가(단체)는 예술가(개인)에게 임대인-임차인 법률이나 예술가복지법 등, 예술가들에게 필요한 법에 대해 무료로 상담&안내해 법제도 접근성을 높인다.

    지역 예술가(단체) 온라인 커뮤니티

    지역 예술가(단체) 온라인 커뮤니티를 운영한다. 회원 가입 후, 지역 예술가들은 싸이트에서 저렴한 작업공간

    이나 창작시설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경영교육이나 법 상담에 대해 신청 할 수 있다.

    내 손안의 두번째 예술가 앱

    예술가(단체)가 관리 및 배포하는 앱으로,

    예술가들은 해당 앱을 다운받아 예술가 복지법이나 지역 내 젠트리피케이션 조약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시각예술작품의 경우, 지역 내 연계를 위해 벽화와 같이 오프라인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사후관

    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오히려 주민의 예술문화 접근성을 저해 시킬 수 있으므로 관람 주의사항이나 사후 작

    품 리모델링 등의 검열 관리를 권장한다.

    예술 작품 사후 관리 제안

    ACTION PLAN

    제안 부서 차별화 제안

    시장경제의 흐름에 따라 CSR부서 이외에도, 다른 계열사에 제안서를 제출하는 것을 권장한다.

    예술가(단체) 또한 기업의 예술지원 목적이 문화예술계에 대한 순수 지원에 서 기업 경영활동과 결합된 전략적

    목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현장 변화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단순한 지원-수혜 개념을 필요로 하는 제안서가 아닌,

    각 기업의 목적에 맞는 제안서를 프로포즈한다.

    제안서 차별화 제안

    PLAN 4. 펀딩 다변화

    “정부“ 이외에도 “기업”, “지역 시민단체”, “개인“ 등 펀딩 대상을 다자화하고, 단순한 ‘프로그램 공모‘에서 ‘직접적 예산 지원‘을 목표로 하는 계획안을 세우는 것을 제안한다.

  • PREVIEW. 대상선정

    홍익대학교 앞 예술가(단체) 홍우주는 아트젠트리피케이션을 경험하고 그 일환 중 하나로 홍대 앞

    예술-상업 문제에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으며 예술가 전문 경영교육 실행하기 위해 노력 중이

    다.

    예술가 경영교육

    한국의 예술가(단체)들은, 아직까지 해외만큼 공간 소유 및 임대에 적극적인 활동들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따라서 아틀리에를 위한 예술가(단체)를 선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공간 소유의 경우, 예술가(단체) 선정에 대한 추후 논의가 필요하다

    아틀리에 공간

    지역사회 연계

    홍대 인근 예술가(단체) 플레이스막은,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여 그

    곳의 지역주민들과 활발한 예술프로젝트를 공유, 연계하고 있는 단체로 현재 연남동에서 지역주민

    과 예술의 긍정적인 효과를 재생중에 있다.

    일상예술 창작센터는 홍대앞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주도하는 창작센터로, 시민과 창작자가 주체가

    되는 문화공동체를 가꾸기 위한 노력을 실행중에 있다. 젊은 창작자, 활동가들이 보다 생기있게

    자신의 생활을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레젠테이션 공간을 기획중이다.

    프레젠테이션 공간

  • 지역주민들의 경우, 지역 내 문제 안에 예술가들을 참여시키는 것을 우선으로 하며, 아트 젠트

    리피케이션에 대한 관심과 해결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것을 제안한다.

    특성

    유연성

    경제력

    규제력

    현장성

    Key point

    조례• 이행도 높이기

    예술가와• 함께 사회문제 해결

    아트•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관심가지기

    03. THE MISSION OF LOCAL COMMUNITY

    “ 임대인과 임차인, 예술가와 지역주민, 이 모든것들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여러가지 이익들이한꺼번에 복잡하게 얽혀있어요. 우리는 이 부분에 대해 지역적으로 논의해야 합니다"

  • ACTION PLAN

    PLAN 2. 부동산 단체의 협력

    아트-젠트리피케이션은, 근본적인 원인이 임대료 상승에 기인한다. 따라서 ‘공간’에 대한 이해와 협력을 필요로한다. 협력은, 현재 지역 내 부동산 정보 제공에서부터 비영리 건물투자까지 광범위하다.

    지역내 예술가(단체)의 공간에 대한 부동산 정보 제공

    예술가들이 지역 내에서 알맞은 창작 및 프레젠테이션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비스예술가(단체)의 온라인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다.

    예술공간 정보제공 서비스

    PLAN 1. 예술가(단체)와의 상생협약

    지역 내 예술가들을 이주민으로 생각하고 안으로 수용하지 못할 경우, 직접적으로는 거버넌스 안의 민간 영역을힘을 상실할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문화백화현상(문화가 텅 비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지역 주민들 또한 지역내 예술문화를 같이 이끌어가는 주체로 성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거버넌스안의 지역주민+예술가 영역을 확대하는 소통의 장

    지역주민은 참여시 지역 내 예술가(단체)에게서 창작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지역이 필요로 하는 방향성에 대한 논의 및 예술 작품 관리에 대한 피드백등을 할 수 있다. 두 구성원의 친밀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

    예술가-지역주민 정기 콜라보

  • 현재 한국의 기업 메세나 활동은, 예술 생산 주체위주의 지원보다는 간접적 지원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예

    술문화의 기본은 작품을 생산해내는 “예술가”이다. 따라서 기업 지원의 방향성에 생산 주체와의 소통을 제

    안하며, 방식은 지원-수혜자가 아닌 전략적 파트너 관계 설정을 권장한다.

    Key point

    • 예술가(단체)와 직접 펀딩

    • 예술가 경영교육 지원

    • 기업 조직 내 예술문화 접촉도 높이기

    특성

    유연성

    경제력

    규제력

    현장성

    04. THE MISSION OF CORPORATION

    “많은 사람에게 적게 줄 것이냐, 적은 사람에게 많이 줄것이냐에 대한 딜레마는 항상 있어왔어요. 그런데, 이 부분을 전혀 다른 주체인, 기업이 뒷받침 해 주는거죠.”

  • 거버넌스 안,

    LG를 초대합니다

    주요전략

    Healthy, beautiful, refreshing•

    브랜드• 이미지 + 예술가(단체)

    아름답고• , 건강하고, 활기찬 제품 이미지 + 젊은 예술 감성

    LG • 생활건강 제품 사용시, 예술가(단체) 1~5% 기부금 지원

    청소년• 후원 + 예술

    프레젠테이션• 공간 제공 및 아틀리에 후원

    지역• 사립 도서관, 청소년 복지센터 등에 프레젠테이션 공간 지원 및 후원

    마포구• 내 아틀리에 후원 및 저소득층 가정 자녀

    LG V• 20 출시

    고성능• 녹음 기능과 스피커 기능 + 예술가들의 전문성 = 제품 이미지 전문화, 극대화

    인디• 음악인들과의 콜라보레이션

    - LG V20를 이용한 음원 제작 및 공연 라이브 스트리밍

    - 음악인들과의 광고음원 제작 콜라보레이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브랜드 이미지 마케팅

    특별한 실행계획,

    Innovation for a better life

    혁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 EPILOGUE

    더 이상의 고흐는 없어야 합니다.

    제도권 안에 있지만, 제도권 밖에 있는것 처럼 취급되는 사람들의식주 다음이라 여겨지는것으로 의식주를 해결하는 사람들

    우리가 즐기고 아꼈던 그 공간 안에 있는 사람들

    리아띠 팀은 국내, 해외 탐방 동안이런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예술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예술가들에 대해서는 처음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LG글로벌챌린저 리아띠팀은 한국 안에서자신만의 예술의 꽃을 피우고 있는

    모든 예술가들을 응원하는 첫 발자국을 내딛었습니다.늦게 시작했다는 아쉬움 보다는 지금이라도 시작할 수 있어 다행입니다.

    더 이상의 고흐가 없길,한국의 모든 문화예술지역이 건강하게 꽃피우길 바랍니다.

  • 참고자료

    1. 음악이흐르는도시대구.. 대구순수문화예술투자 3배로늘린다2. 예술의혜택에대한이해를위한체계 (RAND예술연구센터, 2004)3. 문화주도적젠트리피케이션현상분석을통한도시재생정책연구 - 홍대앞문화예술생태계를중심으로- 박재은. 2015. 84. 신촌, 쉰촌...다시新촌유대근기자신융아기자서울신문 2014. 01. 045. 김남균 (2012). 지는게임_자본과문화의쫓고쫓기는관계. 미술세계, 108-1116. 박신의 (2016). 젠트리피케이션극복을위한지속가능한작업실정책. 문화정책논총, 30(1), 104-127.7.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11-2015).8. 박세훈, 주유민 (2014). 도시재생을위한문화지구정책거버넌스연구. 국토연구, 49-67.9. 박수빈, 남진 (2016). 젠트리피케이션의부작용방지를위한지역공동체역할에관한연구. 서울도시연구, 17(1), 23-43.10. 정나리, 강진숙 (2014). 문래동예술촌의공공예술실천에대한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87-109.11. 공용택, 김재범 (2011). 도시와기업의문화거버넌스연구모형에대한개념적연구. 예술경영연구,18, 35-66.12. 공용택 (2011). 문화거버넌스관점에서본도시와기업의민관협력문화마케팅사례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학술대회, 128-136.13. 김정인 (2014). 문화예술지원거버넌스분석. 문화정책, 1-23.14. 서교예술실험센터, “2016년서울문화재단비기너스프로젝트공모”, 서울문화재단, 4월 2일 2016. http://www.sfac.or.kr/html/opensquare/notice.asp?flag=READ&Seq=35645

    15. 김형원, “서울문화재단, 신진예술가위한공공기금지원사업벌인다“ , 조선, 인터넷. 5월 10일 2016.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1918716. 권대환, “성동문화재단, 예술마을만들기사업기관최종선정성수동지역성격살린다”. KNS뉴스통신. 5월 20일 2016.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23127317. 양승용, 서울문화재단,성북-성동문화재단과’예술마을만들기사업 MOU체결, 뉴스타운, 06.02.2016.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216018. 공공예술센터, “2016 예술마을만들기사업http://www.sfac.or.kr/html/opensquare/notice.asp?SearchCategory=&SearchYear=&SearchKey=&SearchValue=&SearchStart=&SearchFinal=&flag=READ&Page=1&Seq=3563619. 거미전http://weekly.cnbnews.com/news/article.html?no=11961420. 왜공공예술이망하는가http://www.mediapen.com/news/view/56712\21. 납덕골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1&contents_id=1513\

    http://www.sfac.or.kr/html/opensquare/notice.asp?flag=READ&Seq=35645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19187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231273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2160http://www.sfac.or.kr/html/opensquare/notice.asp?SearchCategory=&SearchYear=&SearchKey=&SearchValue=&SearchStart=&SearchFinal=&flag=READ&Page=1&Seq=35636http://weekly.cnbnews.com/news/article.html?no=119614http://www.mediapen.com/news/view/56712/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1&contents_id=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