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18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마이스너와 애들러 연기론의 고찰 및 융합 가능성 중심으로- 조성덕 건국대학교 영화전공 조교수 . 서론 1. 영화연기술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론 영화 매체의 탄생 이래 스타 시스템은 스튜디오 시스템의 핵심 장치로 자리 잡았지만 정작 스타의 영화연기술은 특정 배우의 페르소나 혹은 연극연기술의 연장선으로만 여겨 져 온 것이 사실이다. 영화연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부정은 영화사 초기부터 시작되었는데 가령 푸도프킨은 모주힌의 실험을 통해 편집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영화배우는 감독이 선택한 피사체에 불과하기에 특정한 매체 연기술은 필요 없다는 논지를 암시한다. 영화 연기 훈련기술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발전해온 할리우드 영화계도 50년대 이른바 리 스트 라스버그의 아메리칸 메소드 액팅에 대한 논의 외에는 영화 연기술에 대한 발전적 논의 가 지금까지도 요원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날로그 배우가 대체될 수 있다고 여겨졌 던 최근의 풀 CG 영화들조차도 탁월한 캐릭터 연기의 모션 캡처를 위해선 우수한 배우의 영화연기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영화연기술의 체계적 발전이 중요해질 것이라 는 것을 암시한다. 실제로 영화연기 훈련술은 스튜디오 전성기 시절 이미 영화연기교사와 교육기관을 각 영화사마다 배치했던 할리우드에서 집중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50년대 미 국의 연기교사 리 스트라스버그가 주도하는 연기 교육기관인 액터스 스튜디오를 필두로 연구논문

Upload: others

Post on 14-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

드 영

화연

기 훈

련기

술을

응용

한 영

상연

기 훈

련법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마이스너와 애들러 연기론의 고찰 및 융합 가능성 중심으로-

조성덕건국대학교 영화전공 조교수

Ⅰ. 서론

1. 화연기술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론

화 매체의 탄생 이래 스타 시스템은 스튜디오 시스템의 핵심 장치로 자리 잡았지만

정작 스타의 화연기술은 특정 배우의 페르소나 혹은 연극연기술의 연장선으로만 여겨

져 온 것이 사실이다. 화연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부정은 화사 초기부터 시작되었는데

가령 푸도프킨은 ‘모주힌의 실험’을 통해 편집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화배우는 감독이

선택한 ‘피사체’에 불과하기에 특정한 매체 연기술은 필요 없다는 논지를 암시한다. 화

연기 훈련기술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발전해온 할리우드 화계도 50년대 이른바 리 스트

라스버그의 ‘아메리칸 메소드 액팅’에 대한 논의 외에는 화 연기술에 대한 발전적 논의

가 지금까지도 요원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날로그 배우가 대체될 수 있다고 여겨졌

던 최근의 풀 CG 화들조차도 탁월한 캐릭터 연기의 모션 캡처를 위해선 우수한 배우의

화연기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화연기술의 체계적 발전이 중요해질 것이라

는 것을 암시한다. 실제로 화연기 훈련술은 스튜디오 전성기 시절 이미 화연기교사와

교육기관을 각 화사마다 배치했던 할리우드에서 집중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50년대 미

국의 연기교사 리 스트라스버그가 주도하는 연기 교육기관인 액터스 스튜디오를 필두로

연구논문

Page 2: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64 영상기술연구

할리우드 화연기술을 대표하는 ‘메소드 연기 훈련술’이 연기파 배우들의 각광을 받았

는데 당시 정립된 매체 연기술을 갈망했던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의 환 을 받았다.

리 스트라스버그의 연기론은 러시아 연극 연출가 스타니슬랍스키의 초기 시절 성립된 내

면 중심의 연기론을 계승한 후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화연기술로 주로 연기의 생동감과

배우의 고유한 개성을 중시하는 할리우드 화계에서 환 받았다. 그러나 스트라스버그

가 전수한 정서기억법(Emotional memory) 중심의 연기술은 캐릭터 연기에 대한 전념보다

는 배우의 실제 과거 경험과 자신의 개성에만 지나치게 탐닉하는 배우들을 양산해냈다.

이 과정에서 제자이자 후배 던 스텔라 애들러와 샌포드 마이스너의 격렬한 비판을 받고

각자 분화되어 이른바 후기 메소드 연기술로 발전되었다. 그러므로 아메리칸 메소드 연기

의 역사는 창시자인 리 스트라스버그와 대표적인 후계자 스텔라 애들러와 샌포드 마이스

너 3인의 변증법적 발전과정으로 간단히 압축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초기 메소드 연기론은 화연기만을 위한 기술은 아니었다.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 연기

는 제자인 당시 할리우드 스타들로 인해 유명세를 얻었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메소드 연기

가 화 매체에 적절하지 못하다는 평을 하기도 했다. 스트라스버그 자신도 정서기억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충분한 준비시간이 필요한데 화매체보다 리허설 시간이 많은

연극이 훨씬 적절한 매체라고 설명한다. 그럼에도 50년대 할리우드의 주력 화 연기술로

각광받은 이유는 당시 스크린 연기에 대한 적절한 훈련기술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본고가

마이스너와 애들러 등 후기 메소드 연기 훈련법들의 융합 사용 가능성을 다루는 이유도

현재까지도 카메라 매체에 맞는 화연기 훈련술의 정립은 진행 상태이기 때문이다. 할리

우드 화연기의 핵심 유파라고 할 수 있는 애들러와 마이스너의 테크닉은 초기 메소드의

단점이 제거된 효과적 화 연기법의 예라 할 수 있으며 이 두 훈련법의 융합 가능성을 실

험한다면 오늘날 이상적 화연기 훈련술을 발견하는 방법의 예시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

다. 특히 카메라 매체에 맞는 연기술의 정립을 위해 두 가지 유파의 원칙 중 장점들만을 융

합시키고 단점들을 제거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스텔라 애들러가 강조한 지적

캐릭터 연기술이나 샌포드 마이스너가 주장한 즉흥적 반응연기술이 동시에 이뤄질 때 비

1) 앨리슨 홋지는 메소드 연기를 세 명의 연기교사들의 특징으로 설명하는데 스트라스버그가 심리적 측면(Psychology)을, 애들러가 사회적 측면(Sociology), 마이스너는 즉흥적 반응연기(Spontaneous behaviour)에 주력한다고 요약한다. Alison Hodge, 「Actor Training」, Routledge, p.160.

Page 3: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65

로소 효과적인 화연기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화연기 훈련기술 고찰의 궁

극적 목적은 과거 꾸준히 축적되어온 연기술들 중 장점들만 융합시켜 단순한 피사체의 배

우가 아니라 스크린 속에서 생생한 캐릭터를 투사하는 능동적 배우의 기술을 찾기 위함이

다. 마이스너와 애들러의 후기 메소드 연기술에 대한 연구와 고찰은 지금까지 자주 다뤄

진 것은 사실이나 본고는 두 개의 대표적이지만 상충되는 화연기술 간의 융합 가능성의

실제적 예시를 통해 효과적인 화연기 훈련법의 대안이란 단일 훈련법만이 아니라 다양

한 연기론들의 융합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후기 메소드 기술

의 핵심 유파인 애들러와 마이스너의 훈련법의 핵심과 몇 가지 예시를 살펴본 후 실제 두

가지 훈련의 융합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는지 살펴본다. 연구의 목적은 두 훈련

법의 혼합의 예를 통해 실제적 방법론을 알아보고 장단점을 결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특히 체계적 화연기 훈련술이 정립되지 못한 한국의 교육현장의 측면

에서 볼 때 애들러와 마이스너 연기술의 융합 연구는 현대 상 연기술의 큰 흐름, 즉 텍스

트와 캐릭터를 중시하는 지적 연기술이나 배우 간의 즉흥적 반응연기를 중시하는 즉흥기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

다. 그러므로 본고의 연구 방법론은 현대 화연기술의 핵심유파인 애들러와 마이스너 테

크닉의 장단점을 간단히 살펴본 후 이 두 유파의 훈련들이 하나로 융합되는 예시를 살펴

보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이상적 화 연기술의 정립 가능성을 점검할 것이다.

Ⅱ. 본론

1. 할리우드 화연기술의 중추: 애들러, 마이스너의 후기 메소드 기술

아메리칸 메소드 연기술, 일명 메소드로 불리는 화연기 훈련술은 리 스트라스버그가

창안했던 연기론이지만 이후 후배인 스텔라 애들러와 샌포드 마이스너에 의해 기본 원리

가 부정되고 다양한 연기교사들에 의해 후기 메소드 연기론들로 발전되어 갔다. 애들러와

마이스너가 반발했던 원인은 스트라스버그의 연기술이 캐릭터에 대한 배우의 온전한 몰

입보다 개인적인 심리의 이용을 지나치게 강조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심리 기술의 강조는

Page 4: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66 영상기술연구

스트라스버그 자신이 초기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론을 전수받은 리처드 볼레슬랍스키

의 연기론을 받아들이면서 생겨난 결과 다. 이른바 전기 메소드 연기론(1930∼1950)이

리 스트라스버그가 액터스 스튜디오의 수장이 된 이후 주력한 정서기억법 (Emotional

Memory)에 기초한 심리 연기술이라면 후기 메소드 연기론(1970∼현재)은 심리위주 연기

술에 대해 반발한 스텔라 애들러와 샌포드 마이스너가 개선시킨 연기술을 말한다. 후기

메소드 연기론은 애들러, 마이스너뿐 아니라 우타 하겐 등 현재 할리우드 연기 교사들의

화연기론 대다수를 차지하며 훈련법들은 상이하지만 대체적으로 스타니슬랍스키의

후기 연기론과 비슷한 신체 중심의 연기론을 강조한다. 그러나 애들러와 마이스너의 후기

메소드 연기론이 유독 중요한 이유는 두 유파의 연기술이 현재 할리우드 화 연기의 핵

심이자 지금도 진행 중인 화연기술 정립의 중추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거는 스텔라

애들러가 최초로 스트라스버그의 연기론을 비판하고 화연기술의 근간이 되는 후기 메

소드의 시대를 열었을 뿐 아니라 마론 브란도, 로버트 드니로 등 60년대 이후 할리우드

화들의 연기파 배우들을 직접 육성했다는 점, 또한 마이스너의 연기론은 시드니 폴락 등

감독부터 현재 할리우드 화배우 대부분의 연기론의 핵심인 반응연기술을 창조했기 때

문이다. 리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 연기는 주로 스크린 페르소나, 즉 캐릭터의 독특한 개

성을 강조하는 할리우드의 스타 시스템의 요구와 맞물려 화연기술로 각광받았는데 배

우의 내적 특성을 직설적으로 드러내는 심리 중심 기술은 카메라가 요구하는 절제된 연기

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켰고 이후 초기 메소드의 단점을 보완한 애들러와 마이스너의 후기

연기술 역시 화연기 훈련에 강력한 향력을 끼쳤다.

2. 스텔라 애들러의 연기술: 캐릭터와 텍스트의 지적 분석 연기

애들러는 초기 메소드의 핵심기술인 정서기억법(Emotional memory)의 원리를 정면으

로 반박한다. 즉 배우가 과거 경험했던 감정을 떠올려서 이용하는 기술은 지나치게 개인

적이며 캐릭터의 감정을 정확히 살려낼 수 없다고 반박한다. 애들러는 배우가 개인의 감

정만 사용하는 건 연기를 축소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2) 대신 그녀는 대본(Text) 속에서

2) 애들러는 연기란 삶의 본질을 고차원적 의미로 상승시키는 걸 목표로 해야 하며 분해하거나 품위를 낮추는 것이 되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Stella Adler, 「The Art of Acting」, Applause Books, 2000(a), p.152.

Page 5: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67

연기의 모든 실마리들이 발견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애들러는 배우가 과거의 개인적 경

험을 기억하는 것을 멈추고 오직 대본의 주어진 상황 (Given circumstance)을 지적으로 분

석한 후 각 세부사항을 상상력을 통해 파악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애들러의 테크닉

은 먼저 캐릭터의 주어진 상황을 지적으로 파악한 뒤 극의 상황에 공감하도록 세부적 상

황을 상상하고 자연스럽게 캐릭터와 일치되면서 연기에 대한 리얼리티를 찾게 만든다. 지

적 분석에 대한 강조 외에도 애들러의 연기론은 직관적 측면을 갖고 있는데 그녀는 연기

란 삶의 총체적 통찰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결된다고 단언한다. 애들러의 연기술은 마이스

너가 2인 중심의 연기술인데 반해 배우 1인이 시행하는 훈련법이다. 즉 반응연기 이전에

개별 배우가 스스로 내적 정당화가 이뤄져야만 한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캐릭터의 ‘올바

른 행동’ (the right action)을 찾기 위해선 대본의 ‘중심 사상’ (ruling idea)을 먼저 발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정서적으로나 지적으로 배우에게 자극을 줄 뿐 아니라 행동을 실

감나게 하기 위해 모든 사물들을 개인화 (personalize)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애들러 연기론은 마이스너와 달리 내적 분석을 반드시 선행할 것을 배우들에게 요구한다.

즉 배우가 행동(Action)의 동기화를 시키기 위해 먼저 캐릭터의 목표를 찾고 ‘무엇을, 어디

서, 언제, 왜’란 4대 요소를 찾아야만 한다고 설명한다. 애들러에 따르면 이러한 지적 분석

을 통해 캐릭터의 행동은 ‘감정을 행동하는 위험’에서 벗어나서 캐릭터에 따라 주어진 신

체적 형식의 행동을 할 수 있게 된다.3)

가. 애들러 연기훈련의 예: 상상력 연습과 의역훈련

(1) 상상력 연습: 세부사항 상상 훈련

애들러 훈련법은 3가지 측면을 강조하는데 상상력 강화, 액션, 주어진 장소에 따라 달라

지는 행태의 탐구 등 세 부분으로 나눠지며 세 가지가 동시에 이뤄진다. 대표적인 기초 훈

련으로 세부사항의 상상 훈련이 있다. 배우는 상대 배우에게 가상, 혹은 실제의 장소를 구

체적 지형도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애들러에 의하면 배우가 극중에서 등장하는 구체

적 장소를 이미지화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실제 연기할 때도 확신을 갖고 연기할 수 있다.

세부사항 상상훈련은 첫째, 상상한 후에 세부사항을 구성하며 두 번째 남에게 이미지를

3) Robert Gordon, 「The purpose of playing: modern acting theories in perspectiv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86.

Page 6: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68 영상기술연구

명확히 떠올릴 수 있도록 설명한 후 마지막으로 그러한 장소 속에서 생활하는 것을 스스

로 상상하는 과정이다. 세부사항 상상 훈련은 애들러 연기론의 특징을 갖고 있는데 주로

지적 분석 위주의 훈련이다. 애들러에 따르면 배우가 텍스트 안의 주어진 상황을 세부적

으로 상상하고 머릿속에서 설정할수록 배우의 연기는 믿음직해지고 편해지게 된다.

(2) 애들러 연기술의 지적 분석: 의역 훈련과 동물변환 훈련

애들러의 연기술 중 지적 분석이 강조된 또 하나의 훈련법으로 의역 훈련(paraphrasing

exercise)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의역훈련이란 배우가 텍스트를 생생하게 받아들이기 위해

자신의 어휘들로 대체하는 훈련이다. 극중에서 캐릭터가 말하고자 했으나 말하지 않았을

법한 대사들을 먼저 상상한 후 배우가 대사해 보는 것이다. 이때 배우는 대사들을 자신만

의 어휘들로 의역한 후 말해야 한다. 이 연습의 원칙은 설명할 때 세부묘사가 가급적 상세

해야 하며 듣는 상대배우가 상황을 실감나게 느낄 수 있어야만 한다. 배우들은 때때로 상

대배우에게 특정 사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요구받는데 사물에 대한 직접적 형용사

는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의역 훈련을 통해 애들러는 배우들이 상상 속에서 자신들을 움

직이고 반응하도록 만드는 요소들을 찾아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애들러는 행동 역시 정

확하게 지적으로 분류하고 명확한 차이를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애들러의 지적 연기술 중 대표적 예로 행동의 종류를 신체적으로 정확히 구분하는 행동

구분 훈련을 들 수 있다. 그녀는 좋은 연기를 하기 위해 배우가 행동을 먼저 정확히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령 말하는 행동이면 보다 세분화 시켜서 ‘연설하다’, ‘잡담

하다’, ‘추억에 젖은 채 말하다’, ‘논쟁하다’, ‘기도하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배우는 행동을 세분화시킨 후 각 행동들의 차이를 인식하고 정확히 수행할 수 있

어야 한다.4) 이러한 행동구분 훈련의 목표는 행동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관객에게 투

사시킬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마이스너의 경우 행동의 의미는 반응연기를 통해 직관적으

로 익혀진다고 주장하나 애들러의 연기론처럼 정 하고 명확한 행동연기는 불가능하다.

애들러 연기론은 반응연기 훈련에서도 캐릭터 연기를 중시한다. 애들러의 동물 변환 훈

련에서 배우들은 자신이 맡은 동물의 정체성을 정당화해야 한다. 가령 원숭이, 개, 닭의 역

4) Robert Gordon, 앞의 책, p.86.

Page 7: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69

할로 변신하고 반응연기를 연습할 경우 먼저 각 동물을 맡은 배우들은 자기의 환경

(Circumstance)을 설정하고 스스로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 가령 넒은 평원에 사는 닭과 개

는 농장에 사는 닭, 개와 다른 행태를 할 수 밖에 없다고 애들러는 주장한다.5) 이처럼 마이

스너의 연기술과 달리 애들러의 훈련술은 캐릭터를 먼저 상상력으로 확고히 설정한 후 반

응연기를 연습하게 만든다.

이러한 측면은 애들러의 연기론이 지적과잉의 연기술이라는 비판을 받는 근거가 되지

만 동시에 캐릭터 연기에 대한 이상적 훈련의 근거가 되도록 만든다.

3. 애들러 테크닉의 본질: 상상력을 통한 가상의 캐릭터 창조

스텔라 애들러 테크닉의 핵심은 ‘상상력’을 통한 캐릭터 창조에 있다. 여기서 상상력이

란 정서기억법의 실제 경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 사고에 의존해서 캐릭터를 연

기하는 걸 말한다. 애들러는 스트라스버그의 연기술에 기초한 당대 화배우들을 지목하

면서 미국 배우들의 연기가 너무 ‘작다’고 비판한다. 여기서 연기의 크기가 작다는 비판은

신체적 제스추어의 크기가 아니라 배우가 자신의 개성만 드러내는 초기 메소드 연기술에

관한 것이다. 애들러는 당대의 할리우드 배우들이 지나친 자기 개성 탐닉에 빠졌다고 비

판한다. 그녀는 화배우가 고유의 개성을 사용하기보다는 인간 공동체의 특징을 파악하

고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대신 완벽하게 캐릭터로 변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

해 화배우는 총체적 관찰을 시행해야 하고 인간이 어떠한 캐릭터로도 변할 수 있다는

걸 믿어야 한다고 주장한다.6) 그러므로 배우는 평상시 모든 사물과 이미지, 인간들을 구

체적으로 관찰하고 특정 부분, 모양, 크기, 질감까지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애들러 연기론을 기준으로 배우는 행동이나 생각, 무대 위에서의 느낌이 자신의 상상력

을 통해 걸러져야만 한다. 여기서 상상력이란 예술, 아이디어, 시, 인간 활동의 집합적이자

무의식의 것들이며 한 사람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것들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것들을 의

미한다. 또한 애들러는 배우가 세계를 문자 그대로만 바라보면 안 된다고 충고한다. 상상

5) Stella Adler, 앞의 책(2000a), p.181.6) 배우는 자신 속에 공동체 의식을 갖고 있다. 이는 한 개인의 정신 속에 있는 총체적 지식과 지혜와 같은 것이다. 광범위

한 상상력으로 개인적 경험 없이도 선조의 지혜를 물려받았다. 배우는 역사를 통해 깊고 범우주적 이해를 할 수 있다.’, Arthur Bartow, 「Training of the American Actor」, Theatre Communication Group, 2006. p.36.

Page 8: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70 영상기술연구

력의 눈으로 바라볼 때 외부세계는 따뜻해지고 의미가 생기며 실제적이며 유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연기 속의 상상력은 실재보다 배우에게 친숙하고 영감을 주는 것이라고 설

명한다. 그러므로 애들러의 연기훈련법은 상상력의 탐구, 확장 및 강화에 주안점을 둔다.

애들러의 배우들은 모든 행동, 특히 인간이 환경에 따라 다른 행태를 보이는 것에 대해 탐

구한다. 캐릭터의 행동은 주변 환경과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애들러는 확신하기 때문에

캐릭터를 만드는 건 캐릭터 자신이 아니라 캐릭터의 사회적 환경이라고 설명한다. 그녀는

‘파티장에서 정장을 입었을 때의 걸음걸이와 집에서 혼자 잠옷을 입었을 때 걸음걸이는

자연스럽게 달라진다’고 말한다. 애들러는 초기 메소드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능동적 상

상력을 강조하는데 가령 캐릭터가 무엇을 할 것인지 끊임없이 내면적인 즉흥극을 하라고

유도한다. 만약 1890년대 캐릭터라면 1890년대의 가정집에 들어가서 방들을 둘러보고 상

상 속에 생활하면서 제2의 천성이 될 때까지 반복하라고 설명한다.7) 나가서 애들러는 배

우가 가상의 시대와 상황의 캐릭터가 되기 위해서는 당대의 컨텍스트, 즉 사회문화예술

전반에 대한 지식을 공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애들러는 상상력을 통한 캐릭

터 연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녀는 캐릭터 연기의 관건이 배우 자신의 독자적 해석이

며 배우는 텍스트를 해석하는 직업(interpretation)이기에 배우 속의 숨겨진 진실, 숨겨진

대본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8)

4. 샌포드 마이스너의 연기술: 즉흥과 현존의 영화연기술

샌포드 마이스너의 연기술은 ‘반응연기’가 핵심이다. 여기서 반응연기는 배우 간의 충

동의 교환을 말한다. 마이스너는 개인의 연기력보다 배우간의 화학작용 (Chemistry)이 중

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배우간의 교감만이 장면에 생명을 넣는 핵심이며 리액팅이 없다

면 연기의 고유한 본질과 힘도 없다고 단언한다.9) 그는 캐릭터의 액션도 캐릭터 연기나

대본 분석에 있지 않고 배우간의 관계에 있다고 역설한다. 그러므로 마이스너 연기술은

이러한 배우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캐릭터 연기까지 자연스럽게 창조되도록 유

도한다. 마이스너 훈련은 주로 두 명 이상의 배우가 마주 보고 즉흥적으로 대사하면서 대

7) Stella Adler, 「Stella Adler on Ibsen, Strindberg, and Chekhov」, Vintage Books, 2000(b), p.103.8) Stella Adler, 위의 책, 2000(b), p.78.9) Alison Hodge, 앞의 책, p.160.

Page 9: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71

본 텍스트보다 상대가 말하는 즉흥적 태도에 직접 반응하도록 요구한다. 이때 배우는 대

사 내용보다 상대의 부수적 태도에 집중해야만 한다. 상대가 암기한 대사보다 배우의 말

하는 태도를 즉각적으로 읽고 그 순간 반응함으로 즉흥적인 반응 연기 능력 (Spontaneity)

이 강화 된다. 마이스너 연기론은 애들러 기술과 달리 지적과정을 철저히 제거할 것을 주

장한다. 아서 바토우는 마이스너 훈련이 지적 과정을 최소화시키는 대신 상대 연기에 대

해 지적 판단 없이 즉각 반응하도록 구성되었다고 설명한다. 결국 마이스너의 배우들은

파트너의 연기에 관해 어떠한 주저함도 없이 즉각 반응하며 이러한 즉각적 반응으로 인해

신체적 긴장은 풀리고 발성은 정상화되며 전반적 연기는 상승상태를 획득하게 된다.10)

결론적으로 마이스너 훈련의 핵심은 상대 배우의 대사 밑에 깔린 순간적 태도에 대해 충

동적으로 반응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가. 마이스너 훈련법의 예: 반응연기와 서브텍스트 훈련

마이스너 훈련법의 핵심은 상대 대사의 단순한 반복을 통해 배우의 지적 개입을 최대한

막고 충동에 의해 반응연기를 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두 배우가 마주보고 상대 배우의 대

사를 단순히 따라서 반복한다. 이때 캐릭터 연기나 텍스트를 분석해선 안 된다. 두 배우의

지적 과정 없는 반응 연기를 지칭해서 마이스너는 ‘충동의 강물타기’ (riding the river of

impulses)라고 부른다. 마이스너 훈련 초기에 배우들은 먼저 진실한 자아를 찾고 그러한

자아가 어떠한 것에 반응하는지 구체적 요인을 찾는 과정을 거친다. 마이스너는 이를 시

점 훈련 (Point of View)라고 부르는데 배우들은 자신을 화나게 하고 웃게 하거나 울게 만

드는 감정과 각 감정의 요인들이 무엇인지 장기간에 걸쳐 스스로 재발견해야만 한다. 첫

해 동안 가장 진실한 반응과 충동을 발견한 후 그들에 대해 자유롭게 반응하도록 훈련한

다. 이처럼 마이스너 훈련은 텍스트나 캐릭터 같은 특정요소보다 배우 개인의 충동과 반

응하는 측면들을 찾는데 역점을 둔다.

마이스너의 서브 텍스트 훈련법은 상대의 대사 뒤에 숨어있는 의미를 민감히 포착한 후

반응하는 훈련이다. 그는 캐릭터의 감정이 강이라면 대사는 강위의 카누라고 비유하면서

대사 자체보다 행간 속의 내적 태도를 중시한다. 이는 애들러와 달리 대본 텍스트를 중시

10) Arthur Bartow, 앞의 책, p.54.

Page 10: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72 영상기술연구

하지 않는 주된 이유가 된다. 배우는 대사 외에도 몸짓, 비언어적 느낌, 톤 등을 통해 상대

대사 속의 실제 의미에 대해 반응한다. 서브 텍스트 훈련은 사회인으로 억압되어 온 태도

를 최대한 제거하고 본능적 반응, 즉 논리적 대화가 아니라 정보 전달 속에서 사라져버리

고 억압된 서브텍스트들을 살려내는 것이다.11)

5. 애들러와 마이스너 연기술의 근본적 차이점: 지적 분석과 반응연기

애들러와 마이스너 연기술의 근본적 차이는 연기의 핵심을 지적 분석을 이용한 캐릭터

연기에 두느냐 충동을 기반으로 하는 반응 연기에 두느냐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애들러

의 경우 상대와의 반응연기도 중시하지만 마이스너에 비해 부수적 요소로만 다룬다. 그녀

는 배우가 주어진 상황, 즉 무대 안에서 심리적으로 의존해야 할 것을 강조하면서 세트와

소도구, 의상의 중요성을 강조한 후에야 파트너 배우의 중요성을 설명한다.12) 애들러는

상대배우보다 무대, 소도구, 의상, 텍스트에서 느껴지는 존재감을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

한다. 또한 주변 환경과 세트, 소도구, 의상을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지 말고 새롭게 발견

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애들러의 배우에게 상상이건 실제건 보는 것과 듣는 것, 즉 무대장

치, 의상, 세트 등은 당연한 듯이 혹은 기계적으로 수용되면 안 되는 요소들이다. 애들러는

주변 상황을 새롭게 받아들이면서 캐릭터에 대한 확신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그녀는 주

변에 대한 총체적 이해만이 좋은 캐릭터 연기를 가능하게 만든다고 주장하며 캐릭터 연기

에 있어서 사회적 구조에 대한 이해 역시 필수적이라고 설명한다. 애들러에 의하면 사회

적 당대 상황이 주변 세계의 도덕, 사랑, 성적 측면 등에 대해 이해하도록 만드는 열쇠인 것

이다. 그러므로 애들러의 연기론은 철저한 내적 준비를 바탕으로 캐릭터 연기를 강조한

다. 반면 마이스너의 경우 배우는 굳이 대본 텍스트나 주어진 상황, 소품 등을 지적으로 분

석하지 않고도 상대 연기에 대해서 제대로 반응만 하면 얼마든지 연기의 리얼리티를 해결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대사처리에 있어서도 애들러와 마이스너는 견해의 차이를 보이는

데 애들러가 대사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하게 하는데 비해 마이스너는 대본 텍스트는 중

요시하지 않고 대신 대사를 각자 따로 외우게 한 후 반응연기에서 상대 대사에 대한 놀라

11) Arthur Bartow, 앞의 책, p.87.12) Stella Adler, 앞의 책(2000b), p.180.

Page 11: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73

움을 갖도록 유도한다. 실제로 마이스너는 대사 자체보다 행간의 의미(Subtext)를 중시하

는데 1 온스의 태도와 행동은 한 파운드의 단어보다 가치 있다는 말로 태도와 행동의 반응

연기를 강조한다.13) 결과적으로 애들러와 마이스너 연기술은 지적 분석에 의한 캐릭터

연기의 강조와 충동에 기반을 둔 반응연기술의 차이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6. 애들러와 마이스너 테크닉의 근본적 문제점: 지적과잉과 캐릭터의

부재

애들러 테크닉의 한계는 대본 분석에 대한 강조로 인한 ‘지적과잉’의 연기술이 되기 쉽

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 과정은 즉흥 연기의 측면을 약화시킬 수 있다. 애들러는 스트라

스버그의 정서 기억법을 비판하는 차원에서 캐릭터와 텍스트를 올바로 분석하는 고전적

연기술로 돌아가자고 주장했다.14) 그러나 이러한 주장으로 인해 애들러의 테크닉은 전반

적으로 텍스트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지적 분석만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또 다른 단점

으로 애들러 연기술은 마이스너에 비해 실증적 접근이 힘들다는 점이다. 그녀는 배우가

어떠한 캐릭터로도 변신할 수 있다고 자신하면서 캐릭터의 변신 과정을 신비한 과정으로

해석한다. 배우란 모든 캐릭터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인간은 모두 어떤 부분은 살인자이고

도둑이며 거짓말쟁이, 창녀, 천재, 신, 순수한 인간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러

한 신비주의적 접근법은 실증적인 메소드 연기론들의 훈련법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결과

적으로 애들러의 지적 과잉과 신비주의적 접근은 화연기술에 필요한 ‘충동연기’, ‘즉흥

연기’, ‘실증주의적 훈련’에 부족한 측면을 보여준다. 반면 마이스너 테크닉의 치명적 단

점은 대본 텍스트를 무시하고 상대배우에 대한 집중만 강조한다는데 있다. 앨리슨 홋지는

마이스너 훈련을 받는 배우들은 주어진 상황이나 스토리에 대한 토론을 배제하고 철저하

게 반복훈련에만 집중한다고 설명한다.15) 마이스너는 좋은 연기란 충동에서 비롯되며 충

동적이 되기 위해 어떠한 지적 작업도 있어선 안 된다고 단언한다. 그러나 이러한 충동에

대한 강조는 캐릭터와 텍스트에 대한 무시로 이어진다. 애들러 연기론이 주로 캐릭터 창

13) Jonathan Pitches, 「Science And The Stanislavsky Tradition Of Acting」, Routledge, 2006. p.122.14) 아서 바토우는 초기 메소드 연기를 설명하면서 마이스너 훈련법과 반대로 초기 메소드 배우들은 정서기억, 감각과 내

적 감정에 초점을 맞춘 후 이후에야 상대 배우의 연기에 대해 집중하고 듣는 연기를 하게 된다고 설명하는데 애들러의 연기론 역시 준비를 많이 해야 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Arthur Bartow, 앞의 책, p.179.

15) Alison Hodge, 앞의 책, p.159.

Page 12: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74 영상기술연구

조를 위한 고전 연기 테크닉을 고수하는데 비해 마이스너는 캐릭터란 아예 훈련할 필요가

없는 요소라고 단언한다. 그는 캐릭터 훈련은 따로 하는 것이 아니며 모든 캐릭터 연기 훈

련은 어떤 사물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에서 비롯되며 캐릭터는 감정적인 것이라고 설명

한다. 또한 캐릭터는 내면적 선호에 관한 것이며 어떠한 행동이 나오느냐에 따라 저절로

구현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캐릭터 연기에 대해 묻는 제자에게 진실하게 집중해서 실제

행동을 하는 것은 이미 캐릭터 연기라고 강변한다.16)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실제 화연

기에서 가장 어려운 측면이 ‘카메라 앞에서 캐릭터를 투사하는 방법’이란 점에서 매체 연

기술로서 부족한 측면을 드러낸다. 데이빗 크라스너는 마이스너에게 대본은 배우의 내적

삶을 위한 단순한 청사진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는데 대본 텍스트와 캐릭터에 대한 무시는

마이스너 연기술의 치명적인 한계다.

7. 애들러와 마이스너 테크닉의 공통점: 행동 위주의 연기론

애들러와 마이스너의 연기술의 유일한 공통점은 심리기술이 아닌 행동 위주의 연기론

이란 점이다. 두 연기술 모두 배우가 캐릭터의 감정에 내적으로만 몰입하지 않고 신체적

행동을 먼저 한 후 캐릭터의 심리가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하는 신체 중심의 연기론에 기

초한다. 그러나 애들러 훈련법은 기본적으로 행동을 중시하지만 최대한 내적 몰입을 시도

하기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애들러 기술은 텍스트의 분석과 캐릭터의 세부 사항에 관한

연구를 통해 내적으로 몰입시키는 연기술이다. 반면 마이스너 훈련은 지적과정을 생략하

고 텍스트나 대사도 중요시하지 않는다. 특정 대본 자체를 사용하지 않으며 상대 대사를

미리 알지 않도록 함으로 즉흥적 반응을 유도한다. 마이스너 기술은 배우의 연기를 예측

가능한 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후 생동감 넘치는 상태로 만든다. 애들러 연기론이 주로 캐

릭터 연기에 강력한 효과를 지닌다면 마이스너의 연기술은 화연기에서 특히 좋은 효과

를 보여주는데 카메라 앞에서는 즉흥 대사와 블로킹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행동

중심의 연기론이지만 각론에선 상이한 원칙과 목표를 가진 두 연기론이 효과적 융합을 하

기 위해선 먼저 각 연기론의 원칙을 살펴봐야 한다. 애들러의 연기술의 원칙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배우 1인의 연기술이며 개인의 상상력 훈련을 선호한다. 반면 마이즈너 연기

16) Sanford Meisner & Dennis Longwell, 「Sanford Meisner on Acting」, Random House, 1987, p.24.

Page 13: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75

술의 원칙은 2인 파트너의 상호작용이며 구체적 신체 연기 워크숍을 선호한다. 따라서 두

훈련의 효과적 조합을 위해 애들러의 기술 중 캐릭터와 텍스트의 훈련 측면을 도입하는

동시에 마이스너 기술의 핵심인 반응연기 훈련과 직접 접목시킨다. 가령 연기교사는 미리

설정된 텍스트 대본을 반드시 지정하고 각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배우들에게 제공한 후 2

인의 배우가 마주 보고 캐릭터와 텍스트를 염두에 두면서 마이스너의 반복 훈련을 실시한

다. 이때 마이스너의 원래 훈련과 달리 애들러 연기술에서 요구하는 상상력, 캐릭터, 텍스

트의 설정이 이뤄지므로 배우들은 확고한 대본 텍스트와 캐릭터를 바탕으로 즉흥적인 반

응연기를 수행할 수 있다.

8. 애들러와 마이스너 연기의 융합 예: 캐릭터 환경 설정과

반응연기술의 융합

마이스너의 훈련의 대표적인 예가 반복훈련(Repetition Exercise)이다. 배우 A와 B가 마

주보고 상대의 복장 등 객관적 사실을 관찰한 후 무미건조하게 상대 대사를 따라하는 연

습이다. A가 ‘넌 노란 티셔츠를 입었구나’라고 말하면 B는 ‘난 노란 티셔츠를 입었다’라고

반응해야만 한다. 이때 의도적으로 캐릭터나 설정된 상황을 넣어선 안 된다, 마이스너는

오직 연습 현장의 즉흥성이나 상대의 태도만 관찰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반복훈련

의 장점은 배우가 자의식 없이 현장의 즉흥성을 순수하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상대의 현

상황을 정확히 반응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캐릭터 설정이나 대본 텍

스트의 존중, 분석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반복 훈련 속에 애들러 테크닉을 일부

접목하면 마이스너의 훈련의 단점은 극복된다. 가령 연기교사가 배우들에게 각자 미리 설

정된 고전 화 대본 텍스트의 상황과 대사 일부를 먼저 암기하게 만든다. 애들러 테크닉

의 원칙대로 각자 캐릭터와 주어진 상황을 설정한 후 A와 B의 대사를 시작한다. 이때 마이

스너의 원칙대로 상대 대사를 미리 알 수 없도록 서로의 대본을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한

다. A가 ‘날 위로할 필요는 없어요.’라고 대사를 시작하면 B는 일단 자신이 준비한 캐릭터

의 입장에 서서 ‘당신을 위로할 필요가 없다고?’라고 반응해준다. A와 B의 대사가 서로 반

응한 후 15초 정도 이후 B의 입장에서 새로운 대사를 시작한다. B의 대본에서 B가 맡은 대

본의 캐릭터의 대사대로 ‘널 죽이고 싶어’라고 외치면 A는 ‘날 죽이고 싶다구요?’라고 A

Page 14: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76 영상기술연구

의 캐릭터의 입장에서 B의 대사를 따라한다. 이러한 식으로 반복되면 A와 B의 캐릭터는

서로 반응할 뿐 아니라 A와 B가 맡은 대본 상황이 자연스럽게 융화되고 합쳐지게 된다. 이

러한 융합훈련은 애들러와 마이스너 테크닉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데 마이스너 훈

련과 달리 캐릭터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텍스트가 있다는 점에서 애들러 훈련의 장점이

그대로 투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애들러 테크닉의 단점인 반응연기의 즉흥성 부재

역시 확보될 수 있다는 점에 효과적인 화연기 훈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이러한 훈련

예는 실제 다양한 변형들로 파생할 수 있다. 가령 주어진 상황과 배경을 여러 곳으로 다르

게 설정해서 환경에 따라 변화되는 태도를 가진 채로 A와 B가 서로 반응하는 훈련을 하는

예가 그것이다. 애들러의 훈련 중 가장 대표적 기술이 ‘세부 관찰 묘사 훈련’인데 이 역시

마이스너의 반응연기법과 융합될 수 있다. 먼저 배우는 특정한 장소, 가령 꽃집 등을 설정

한 후 상대배우에게 세부적 상황을 자세하게 말로 설명한다. 이때 배우는 세부적 상황을

과거의 관찰 경험과 상상력을 동원해서 설명함으로 상상력의 증진과 캐릭터 설정 능력이

향상된다. A가 세부사항을 설명하면 B는 단순히 듣지 않고 상대가 설명한 문장마다 따라

서 반복한다. ‘꽃이 붉은 색이다’라고 설명하면 ‘꽃이 정말 붉은 색이라고?’라고 반문한다.

이처럼 마이스너 반복 훈련을 합치게 되면 애들러의 세부 관찰 묘사 훈련의 과도한 지적

개입이 사라지는 대신 마이스너의 충동 반응 연기가 융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 테크

닉을 융합해서 사용할 때 중요한 점은 연기교사가 애들러와 마이스너 테크닉이 궁극적으

로 추구한 연기의 본질과 목표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한 후 두 테크닉을 장점의 측면에서

만 기술적으로 융합시킨다면 두 연기술 고유의 효과를 잃지 않고도 적절하게 장점들을 융

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훈련의 융합은 여러 가지 융합 훈련의 예들로 발전될 수 있다. 애들러 훈

련기술의 핵심은 캐릭터와 극 속 주어진 상황을 전제한 후 이뤄지므로 애들러와 마이스너

의 융합 훈련의 전제는 항상 기본적인 대본 텍스트를 중심으로 시작된다. 연기교사는 고

전 희곡을 전제로 애들러와 마이스너의 융합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데 가령 체홉의 <갈매

기>를 응용한 훈련이라면 원본 텍스트의 일정 부분을 교사가 설정한 후 세 명의 배우들이

각각 극 속의 주어진 상황 및 캐릭터 특성과 대사를 숙지한 후 기존 대사로 연습한다. 대본

의 부분이 끝난 상황에서도 배우들은 암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주어진 상황과

Page 15: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77

캐릭터 특징에 따라 이어서 즉흥극으로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이때 연기교사가 세 번째

배우를 투입시켜서 새로운 상황을 주어지게 함으로 즉흥적 연습이 추가될 수 있다. 가령

니나와 뜨레쁠레프가 마지막 장면에서 서로의 과거를 이야기하며 다시 헤어지는 장면이

라면 두 명의 배우가 기존 희곡의 대사를 이어나가다 마지막에는 즉흥극의 형식으로 대사

를 이어간다. 이때 교사의 지시로 제3의 캐릭터인 트리고린이 투입되면 제3의 배우는 원

작 텍스트와 달리 새로운 상황의 대사를 시작하면서 두 명의 배우들의 즉흥극에 직접 개

입한다. 이 경우 기존의 두 배우는 이미 대본 속의 정해진 캐릭터들을 연기하고 있었으므

로 제3자의 급작스러운 개입으로 인해 극 중 캐릭터를 유지하는 동시에 정해진 상황과 전

혀 다른 이야기를 이어나가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이러한 기존 텍스트에 대한 즉흥적

변화상황은 마이스너 훈련기술이 추구하는 즉흥성의 정신과 일치되는데 두 배우들은 기

존 상황을 이어가면서 새로운 제 3의 캐릭터와 교감하는 이중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연습 후반부 즉흥적 상황 속에서 배우들이 다음 대사를 이어가기 어려울 경우 마이스너의

대표적인 반복기술을 응용, 상대 대사를 단순하게 반복하면서 새로운 대사가 생각날 때까

지 효과적으로 반응연기를 이어갈 수 있다. 이처럼 애들러와 마이스너 훈련기술의 조화로

운 결합은 기존 텍스트의 캐릭터와 주어진 상황을 연습하는 동시에 즉흥적 상황의 변화과

정까지 혼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두 훈련의 기본정신과 구체적 기술

법의 융합은 각 방법론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태생적 단점을 해결하는 대안이라

고 결론지을 수 있다.

Ⅲ. 결론

엘렌 버스틴은 ‘스텔라 애들러는 상상력을 강조했고 리 스트라스버그는 리얼리티를 강

조했는데 결국 스텔라의 상상력을 이용해서 스트라스버그의 리얼리티에 도달할 수 있다.

이들은 동일한 것을 말하고 있다’ 고 설명한다.17) 이러한 설명은 할리우드 화연기의 중

추인 아메리칸 메소드 연기의 역사를 잘 요약하지만 동시에 연기 훈련술에는 일정한 정답

이 없다는 걸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비유이기도 하다. 화연기 훈련술로 가장 대중적이었

17) Alison Hodge, 앞의 책, p.155.

Page 16: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78 영상기술연구

고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되어온 메소드 연기 역사에서 애들러와 마이스너의 연기 훈련술

은 구체적인 연기론들이지만 동시에 현대 화연기가 나아갈 두 가지 방향을 정확히 예언

한다. 애들러와 마이스너의 테크닉은 화연기의 큰 흐름, 즉 지적 분석과 캐릭터에 의한

정통적 연기인가 아니면 즉흥의 교류를 통한 순간적 반응연기인가라는 배우의 선택을 대

표하는 연기론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서 살펴보았듯이 두 연기론 중 하나를 선택하기

보다 각 연기술의 장단점을 정확히 파악한 후 이들의 장점만 융합시켜 매체 연기술에 이

용한다면 효과적 화연기술을 정립하는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매체의 디지털화

가 될수록 탁월한 연기력이 요구되는 오늘날의 화매체의 현실에서 단일 연기론이나 훈

련기술만으론 효과적인 화연기 교육이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탁월한 화연기술들의

융합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Page 17: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79

투고일자 : 2013년 04월 19일심사일자(1차) : 2013년 05월 04일심사일자(2차) : 2013년 05월 18일게재확정일자 : 2013년 05월 20일

참고 문헌

<단행본>

Alison Hodge, 「Actor Training」, Routledge, 2010.

Arthur Bartow, 「Training of the American Actor」, Theatre Communication Group, 2006.

Jonathan Pitches, 「Science And The Stanislavsky Tradition Of Acting」, Routledge, 2006.

Robert Gordon, 「The purpose of playing: modern acting theories in perspectiv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Sanford Meisner & Dennis Longwell, 「Sanford Meisner on Acting」, Random House, 1987.

Stella Adler, 「The Art of Acting」, Applause Books, 2000(a).

, 「Stella Adler on Ibsen, Strindberg, and Chekhov」, Vintage Books, 2000(b).

Page 18: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mitak.or.kr/upload/data/4 method.pdf · 술 간의 장점을 혼합시켜 새 훈련법을 창조할

후기

메소

드 영

화연

기 훈

련기

술을

응용

한 영

상연

기 훈

련법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dler & Meisner Film Acting Techniques

-The Specific Investigation into the Unique Skill of ‘Screen Acting’-

Chough, Song-DukProfessor, Department of Film, Konkuk University

This paper will investigate into the specific acting training skills of Stellar Adler

and Sanford Meisner’s film acting training tools. ‘American Method acting’, or so

called ‘Method acting’ has been regarded as a true and unique hollywood film acting

training and skill in the history of american cinema acting education. However Lee

Straberg, who was the found of method acting, was also harshly criticized by other

acting teachers including Adler and Meisner because of his concentration on the specific

skill of ‘emotional memory’. While Adler and Meisner’s alternative film acting

techniques have been accepted as ideal modern hollywood film acting training tools,

these acting training tools also have their own weakness. In this paper we will

investigate and study about the true alternative film acting training tool because no

single or unique acting skills could not solve the real problems of nowadays film acting.

Therefore ture ideal acting technique should be investigated and the aim of this papar

will be finding the way of creating a new alternative screen acting training skill.

Key Words : Method acting, Film acting, Stella Adler, Sanford Meisner, Strasberg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