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90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일 시 : 2015년 7월 7일(화) 10:00~13:00 장 소 :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 주 최 : 국민경제자문회의,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 중장기전략위원회 주 관 : 한국노동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02-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일 시 : 2015년 7월 7일(화) 10:00~13:00

장 소 :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

주 최 : 국민경제자문회의,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 중장기전략위원회

주 관 : 한국노동연구원

Page 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Page 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순 서

09:30~10:00 등록 네트워킹

10:00~10:10 개회식

◑ 개회사 : 고영선 (고용노동부 차관)

◑ 축회사 : 방하남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10:10~10:35 【Session Ⅰ】 고령사회로의 진입과 지속가능한 성장

중장기 인력수급전망(2013~2023) 및 시사점

이시균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센터 센터장)

10:35~11:00 【Session Ⅱ】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노동시장 제도 개선

고용률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제도 개선

안주엽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1:00~11:25 【Session Ⅲ】 초고령사회로 가는 미래 정책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이민정책

설동훈 (전북대학교 교수)

11:25~11:55 Lunch Break

11:55~13:00 종합토론

◑ 사론회 : 강순희 (한국노동경제학회 수석부회장)

◑ 토론자 : 김종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고용연구센터 센터장)

이호성 (한국경영자총협회 상무)

백필규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도형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과장)

김민경 (법무부 외국인정책과 사무관)

박창균 (국민경제자문회의 자문위원)

13:00~13:35 폐 회

Page 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목 차

Session (I) : 장기 인력수 망(2013~2023) 시사

(이시균) ··················································································· 1

Session (Ⅱ) :고용률 제고를 한 노동시장 제도 개선 (안주엽) ····· 15

Session (Ⅲ)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이민정책 (설동훈) ······················· 51

종합토론 ············································································································ 67

Page 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Session Ⅰ】

장기 인력수 망(2013~2023)

시사

이 시 균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 망센터 센터장)

Page 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Page 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 -

Page 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 -

Page 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5 -

Page 1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6 -

Page 1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 -

Page 1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8 -

Page 1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9 -

Page 1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10 -

Page 1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11 -

Page 1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12 -

Page 1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13 -

Page 1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Page 1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Session Ⅱ】

고용률 제고를 한 노동시장

제도 개선

안 주 엽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 원)

Page 2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Page 2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17 -

Page 2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18 -

Page 2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19 -

Page 2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0 -

Page 2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1 -

Page 2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2 -

Page 2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3 -

Page 2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4 -

Page 2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5 -

Page 3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6 -

Page 3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7 -

Page 3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8 -

Page 3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29 -

Page 3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0 -

Page 3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1 -

Page 3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2 -

Page 3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3 -

Page 3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4 -

Page 3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5 -

Page 4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6 -

Page 4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7 -

Page 4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8 -

Page 4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39 -

Page 4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0 -

Page 4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1 -

Page 4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2 -

Page 4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3 -

Page 4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4 -

Page 4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5 -

Page 5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6 -

Page 5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7 -

Page 5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8 -

Page 5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49 -

Page 5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Page 5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Session Ⅲ】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이민정책

설 동 훈

( 북 학교 교수)

Page 5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Page 5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53 -

Page 5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54 -

Page 5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55 -

Page 6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56 -

Page 6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57 -

Page 6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58 -

Page 6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59 -

Page 6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60 -

Page 6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61 -

Page 6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62 -

Page 6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63 -

Page 6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64 -

Page 6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65 -

Page 7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Page 7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발제 3】

종합토론

Page 7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Page 7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69 -

토론 1 - 김종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고용연구센터 센터장

장기 경제발 략세미나에 한 토론문

1. 장기 발 략에서 고용정책의 요성

○ 우리나라가 당면할 미래경제와 사회변화에 한 측을 바탕으로 고용률 제고를

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언제나 최우선순 의 과제. 일을 통한 개인과 가계의 경제 안정성 높이는 것은 국가 발 에 매우 요한 필요조건

- 고용이 국가 경제와 국민의 삶에서 차지하는 요성은 지속 으로 높아지고

있고 따라서 고용정책은 미래사회에서 정책의 심에 치

- 산업, 경제성장, 복지, 교육 등 주요 정책 어젠다 역시 고용을 심에 두고 설정되고 있음. 서비스업 발 , 소득주도성장, 사회보장에서의 사회서비스 보장 등은 이미 모두 고용을 연계로 추진. 다양한 정책에서의 고용효과 검토하고 정책정합성 높여가는 것이 요.

2. 인력수 망에서 나타난 시사

○ 인력공 망 결과,

- 남성보다는 여성, 청년보다는 장년, 학력 보다는 고학력 노동공 의 증가 상

- 여성의 경력단 완화(16.3%p에서 10.1%p 로 고 과 격차 축소)→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여건들을 반 . 은 남성 심의 노동시장에서 장년

여성 심의 노동시장으로 변화

○ 인력수요 망 결과,

- 서비스업 심의 취업자 증가, - 사회복지, 사업지원서비스, 보건 사회복지서비스 증가, 교육 융서비스 감소

- 사무원, 간병인, 경리 등 증가→ 재 상태로 비추어 업종 직종 분포상 임 업종과 직종의 인력수요 증

가하고, 괜찮은 일자리 인력수요 감소

Page 7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0 -

○ 졸/ 공학, 의학 계 과수요 발생 - 인문사회계열 공자의 과공 지속

→ 학교와 노동시장의 불일치 지속

○ 인력활용을 한 시사

- 노동시장 참여자의 구성변화는 이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한 기반과 제도 구축을 필요로 함: 일가정양립, 성 연령 차별개선, 임 노동시장의 사회안

망 강화, 서비스업의 생산성 제고 - 경제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육제도와 학교육의 신 필요: 공 불일

치, 스킬 불일치 해소 필요

3. 고용률 제고를 한 정책에서 나타난 시사

○ 재 정책여건의 진단

- 여성고용이 체 노동시장에서의 핵심 (청년, 년, 장년 모두 여성고용에 향을 받는 상황, 시간제와 근로시간 등등도 마찬가지): 35~39세 여성고용률은 지난 10년간 하락(31.8세 평균출산연령 그 이후 자녀양육 시기)

: 청년층 25~29세 고용률 증가는 여성고용률 증가에 기인: 여성장년고용 격히 증가 : 시간제, 근로시간, 고령화 모두 여성고용에 탄력

○ 청년층 정책 지원 강화 필요

- 고령사회의 안은 장년과 고령자 노동시장 강화로 해결가능한가?: 고령화의 주요 원인은 기 수명 증가 뿐 아니라 출산. 고령사회 책은 청년층과 장년 고령층 상의 정책 균형 필요. 상 으로 출산 측

면에서 보았을 때 우리 사회는 청년층에 한 응이 부족. OECD

World Bank의 장년 고령자 고용에 한 안 권고는 비교 높

은 출산수 을 제로 함. → 우리의 정책 안에서 청년층에 한 고려가 더욱 필요. 재 장년

응은 청년층의 부모세 지원 성격이 강함. 자녀 세 지원강화로 독립

지원이 필요.: 출산을 해서는 결혼 후 20년간 노동시장 소득의 측가능성 높여야 함. 은 세 가 원하는 직업의 역동성과 안정성 모두 강화 필요

Page 7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1 -

: 청년층 취업에서 소기업 역할 매우 요하지만 소기업 취업시 각종 정책(직업훈련을 통한 역량 강화, 모성보호 일가정양립 제도 활용, 근로복지 등) 사각지 놓일 가능성 높아짐. 취업 자체 뿐 아니라 이후 소기업 취업하더라도 생애에 걸친 근로가능성 높여줘야 할 때. 를 들어

체인력 지원 보다 직 체인력 공 정책이 요구됨. 소기업 지원

정책을 자 지원 정책에서 서비스 지원정책으로 환할 필요성 있음.

○ 여성고용 정책 방향

- 최근 여성고용 정책의 방향은 경력단 여성 재취업지원 → 경력단 방 지원

: 사후 재취업지원에 사회 비용 매우 큼. 사 방조치들이 요하다는

인식 하에 여성의 경력유지 지원 책 등 발표. 임신, 출산, 양육 시기 남녀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지원이 핵심

: 재취업지원 정책은 54세 이하 경력단 비취업 여성의 규모가 200만에 달하는 상황에서 지속 으로 추진되어야 할 정책

→ 지속 으로 제기되는 문제는 일가정양립이 달성되고 있는가? : 일가정양립은 추상 인 가치로 각 개인의 일과 가정양립 상황은 본인이 처

한 근로환경과 가정환경에 따라 상이. 정책목표로 일가정양립 설정할 때 정책 메뉴 기계 으로 변화(휴가 휴직제도, 유연근무제도, 워킹맘워킹 디

지원센터 등). 성과목표 설정이나 측정도 본래의 가치를 제 로 반 하기

어려움. 한 사업장 단 정책추진은 사업장 여건에 따른 범 한 사각

지 형성.: 일가정양립을 뛰어넘어 모든 근로자의 일생활조화와 균형은 일 심 인 사

회환경과 문화의 개선과 동반되어야 할 것. 우리사회의 어젠다( 를 들면 노동시장 구조개선 등)에서 이러한 이슈가 잘 반 되고 있는가에 한

검이 필요.: 단기 으로 더욱 요한 과제는 사각지 의 해소. 소기업의 재 인력운

용 방식은 유연근무제도나 휴가휴직제 사용 자체가 어려움. 이러한 상황에서 비용지원방식은 기업과 근로자의 활용가능성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짐. 기업특수기술(firm specific skill)을 고려한 체인력 지원을 더 많이 고민해야 할 때임. 이를 해서는 지역과 산업 기반의 훈련 로그램 등과 연계

하는 등 정책간 연계를 모색할 때임.

Page 7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2 -

→ 재취업 여성의 고용의 질은 좋아지고 있는가?: 경력단 이후 재취업한 여성들 임 노동시장으로 편입. 임 노동시

장의 문제에 한 극 개입이 필요(근로빈곤, 사회보험 사각지 등). 더 큰 문제는 고연령 학력 집단의 재취업성과가 아니라 고학력, 은 세

경력단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 이들의 재경력단 비 상 으로

높고 한 직업훈련이나 학력 기술수 에 부합하는 일자리 부족

: 고학력 단기 경력단 여성 조기 복귀를 한 민 력, 사회 지원이 필

요. CJ 리턴십, 경력단 여성과학기술인 복귀지원사업 등 사례가 축 되

고 있으나 규모나 확산측면에서 부족. 기존의 일자리에 채용확 와 같은

단순한 조치들은 기업의 부담을 강화하고 조직내 융화를 어렵게 하는 문

제가 발생하고 있음. 동시에 경력단 여성들을 필요로 하는 분야도 존재

하므로 부문별로 기업과 정부의 업을 통한 사례 축 이 당분간 지속될

필요

Page 7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3 -

토론 2 - 이호성 한국경영자총협회 상무

일자리 창출과 고용률 70%를 한 경 계 제언

1. 총 평

■ 우리나라는 정규직 일제 심의 과도한 고용보호법제, 비정규직에 한 강

한 규제 등 노동시장의 인력활용에 한 자율성이 크게 제약받고 있어 일자

리 창출을 가로막고 국가 경쟁력을 크게 해

○ 우리나라는 엄격한 해고요건, 강력한 노동조합 등으로 변되는 강한 ‘고용

경직성’으로 인해 노동시장의 경쟁력이 크게 하

-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순

· IMD(2014) : 60개국 중 전체 26위 (해고비용 51위, 노사관계의 생산성 57위)

· WEF(2014) : 144개국 중 전체 26위 (노동시장 효율성 86위, 노사협력 132위,

고용·해고관행 106위, 해고비용 120위)

○ 기간제, 견 등 비정규직에 한 규제도 강해 기업들이 경 여건에 따른 탄

력 인력수요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

■ 한 생산성과 괴리된 연공형 임 체계는 노동 약 투자 생산기반 이

등 악순환을 래하고 있고, 남성 외벌이 심의 소득구조는 가계재정 문제

임 수 을 둘러싼 노사갈등을 심화

○ 호 제 도입률 추이 : 76.2%(’10) → 73.2%(‘11) → 75.5%(’12) →

71.9%(‘13) ○ 맥킨지 보고서(2013.4月)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남성의존 경제구조로 인해

산층가구의 재무 스트 스가 심화되고 있고, 남성 가구주 심의 소득구

조가 노동시장의 임 투쟁을 과열시키는 원인”이라고 지

■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년 60세 법제화, 고용형태공시제 등을 도입하는 한편 통

상임 확 ,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의 자율 인력운용에 한 인 규제

를 더욱 강화해 가는 추세

○ 2013년 정년 60세를 법제화하 으나 임 피크제 등 고령자고용 부담 완화를

한 뚜렷한 비책을 마련하지 못함에 따라 산업 장의 갈등이 빚어지고 있

Page 7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4 -

고 신규채용 시장 축에 따른 청년층의 고용 벽 문제까지 야기

○ 2014년부터 시행 인 고용형태공시제는 정상 인 하도 거래업체의 근로자

까지 비정규 고용의 일부로 간주하는 등 노동시장의 왜곡을 부추기고 있음.○ 한편 정치권에서는 통상임 확 , 근로시간 단축, 경 상해고 제한, 최 임

상향, 도 제한, 비정규직 사용사유 제한 처우개선 등 규제법안을 다

수 추진

■ 근로조건 개선에 치 한 고용노동정책은 신규 고용창출을 해하고 이 구조

를 심화시키는 한편, 취업취약계층에게 새로운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

○ 2015년 5월 재 노동시장의 사실상 실업자는 317만명, 사실상 실업률은

11%에 육박하고 있으며, 690만 자 업자간의 과당경쟁, 1천만명에 이르는

여성 비경활인구 등 구조 문제가 지속

○ 2014.3월 기 기업·유노조·정규직 근로자(392.0만원)과 소기업·무노조·비

정규직 근로자(134.5만원)간 임 격차가 3배에 육박하는 등 이 구조 문제

도 심각

■ 일자리 창출과 고용률 70%를 한 정책과제

○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통한 기업가정신 제고 극 투자 진

-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을 미래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 기업에 한 과도한 규제 축소·폐지 기업으로의 성장 진

○ 고용, 임 , 근로시간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

- 정규직 심의 고용보호규제 완화 비정규직 활용규제 완화

- 시간선택제 등 다양한 고용형태 확산 사회 인식 제고

- 직무·성과에 기반한 효율 인 임 체계 정착

- 최 임 안정화 (2001~2015년 연평균 인상률 8.7%)- 자율 근로시간 조정방안 강구

- 법과 원칙을 수하는 정의로운 노사문화 조성 지원

○ 근로유인형 고용복지시스템 정착

- 사회보험 지출 효율화 (과도한 보장성 확 지양, 부정수 리 등)- 사회보험과 일반회계간 역할 배분기 마련

- 다양한 취약계층 지원제도의 사 손실 제도간 복문제 선결 등

- 산업계 심의 인력양성체계 확립 민간고용서비스 활성화 등

Page 7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5 -

2. 발제문에 한 코멘트

■ ‘고용률 제고를 한 정책방향’ 련

○ 일자리는 “경제성장의 최종목표이며, 최고의 복지이자 사회통합의 핵심가치”라는 국가 비 을 수립하는 한편, 이를 해 경제, 산업, 고용노동 등 주요

정책패러다임을 고용 심으로 환해야 함.- 정부가 추진하는 모든 정책에 한 고용 향평가를 의무화하는 한편 이

를 바탕으로 정책조정 재정편성 등에 반 하는 등 일자리 심의 정

책기조를 확립할 필요

○ 부족한 인력을 확보하고 취약계층의 고용을 진해야 한다는 발제문의 기본

취지에 공감하나, 우리 노동시장의 일자리 부족과 이 구조 문제는 경직된

고용규제를 완화하고 직무성과 심의 합리 임 체계 정착을 통해서만 해

결 가능할 것임.○ 지 우리 노동시장에서는 근로자의 생산성과 임 이 괴리되어 있는 연공형

임 체계가 만연해 있어, 정년만 무리하게 연장하는 것은 기업들의 고령자

고용부담을 높여 고령자 고용유인을 더욱 약화시키는 한편 기업들의 청년층

신규채용에도 상당한 부작용을 래할 것임.○ 따라서 단기 으로는 정년연장과 임 피크제를 연계해 정년의 강제 연장에

따른 고용부담을 경감시키는 한편, 장기 으로는 근로자의 직무와 성과에 따

라 정보상을 수 있는 합리 임 체계를 도입하는 것이 노동시장 체

의 신규 채용여력을 확충하고 산업 장의 불필요한 노사갈등을 최소화하는

유일한 방안임.○ 한 연공 형 임 체계하에서는 고용보호를 받는 정규직과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간 이 구조 문제가 더욱 극명하게 나타날 수 밖에 없으므로, 직무

성과 심의 임 체계를 확산시킴으로써 근로자의 생산성에 따라 정한 보

상이 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정한 노동시장 조성 측면에서도 바람직

함. ○ 한편 청년층의 고용가능성 제고를 해서는 과도한 학부문의 구조조정, 산

업계 수요 심의 교육과정 직업훈련 로그램 등 70%에 달하는 학진학

률을 낮추고 실무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국가 인력양성체계의 반 인

정비가 필요

○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임 , 고용기간, 복리후생 등 근로조건이 사실상 일제

와 동일하며 노동시장 진입을 원하는 경력단 여성이나 취약계층에게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더 나은 일자리이므로, 합직무 발굴, 도입컨설

Page 8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6 -

교육 확 , 홍보 등을 강화하고 시간선택제에 한 왜곡된 인식을 탈피할 필요

■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이민정책’ 련

○ 인구고령화에 비한 이민정책의 요성을 강조한 발제 취지에 공감하며, 이민정책은 노동시장 수요를 반 한 보완 외국인력 도입을 통해 국가경쟁력

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수립·추진되어야 함. ○ 다만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실을 감안할 때 외국인 인력정책은 소기업 인

력수요에 응한 인력정책과 로벌 인재유치정책 등 Two-track으로 리될 필요가 있다고 단됨.

○ 소기업에 종사하는 단순인력들의 경우 외국인 신규인력 도입규모의 감소

(‘08년 132,000명 → ’15년 55,000명)로 인해 소기업의 인력난은 더욱 심해지고 있으며, 최 임 의 높은 인상 등으로 인해 외국인 불법체류가 증가

하는 결과를 래하고 있음.- ’15년 상반기, 5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의 미충원인원(구인인원-채용인원)은 6만 9천명으로 체 미충원인원의 93.5%를 차지(고용부, 2015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 불법 체류자 증가는 내국인 일자리 잠식, 외국인 범죄 증가 등 사회

혼란을 래하는 한편 외국인 근로자에 한 부정 인식만 확 될 것

○ 따라서 합법 외국인력 도입규모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한편 불법체류자에

해서도 충분한 리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임.○ 한편, 로벌 경제 활성화에 따라 국제교류가 증가하고 있고 해외우수인재 유치는 기업경쟁력 향상과 국가의 로벌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만큼, 국가차원의 체계 지원이 필요한 부분임.

○ 해외 연구기 , 학교 등과의 인력교류 다양한 인력유치 로그램을 발굴하여 우수인재들을 유입하고 선진노하우를 체득하는 것 역시 기업과 국가의 경

쟁력 제고를 한 요한 수단이 될 것임.

Page 81: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7 -

토론 3 - 백필규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기 경제발 략세미나에 한 토론문

1. 장기 인력수 망(2013~2023) 시사

□ 산업 실질부가가치증가율이 2023년까지 3~4%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망하면서 취업자 수도 연 1% 이상의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측하고 있는데 이러한 성장 망이 타당한가?- 일본형 불황의 가능성이 실화할 경우의 측과 응방안은? - 인력수요 망에서 기술발 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망은 어떻게 반 ?(구이 선정한 세계 최고의 미래학자 토마스 이는 2030년까지 20억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측하고 있는데....)

□ 향후 10년 동안 학교에서 신규인력 수요(2,666천명)가 공 (2,367천명)을 과하여 신규인력이 부족한 상황이 나타날 것으로 망하고 있는데 그 다면 졸

청년실업문제는 해소되는 것인가? 2. 고용률 제고를 한 정책방향

□ 고용률이 70% 이상 국가들의 트타임 비 이 높고(17~25%) 트타임 비

1%p↑⇒ 고용률 0.54%p↑가 주는 시사-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고용경직)가 아니라 비정규직의 근로조건 개선(능력개발을 통한 임 인상이나 사회보험 제공 등)이 보다 실 인 책이 아닌가?

□ ‘정년이 없이 일하고 싶으면 구나 맘껏 일할 수 있는 국민행복시 ’를 주장하면서 일자리제공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이자 국민의 권리(헌법 제32조 근로의 권리)라고 하고 있는데....- 인력수 망과 련하여 일할 수 있는 일자리는 충분히 제공될 수 있는건가? 일자리 제공이 국가의 책무인가?

Page 82: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8 -

□ 다수의 정년퇴직자가 ‘ 비되지 않은’ 자 업 창업을 통해 짧은 기간에 폐업을

맞이하여 노후 자산을 상실하고 노인빈곤으로 직결되는 것이 실이라면 퇴직

에 비된 창업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 보다 실 인 책이 아닐까?- 정년연장이나 임 피크제등을 통한 고용연장은 노조가 있는 기업이나 공공

기 에서나 의미있을 뿐 고용과 임 이 이미 유연한 소기업은 별로 해당사

항이 없음)

□ 정년연장 논의의 암묵 제는 <정년연장해도 버틸 수 있는 지불능력> + <기존의 일자리에서 임 피크제와 연동한 고용연장> + <정년연장 의무화 등 법 강

제>인데 이것은 노조가 있는 기업이나 공공기 에서만 용가능

- 소기업은 <지불능력 취약> <언제든 해고가능한 고용유연성> <생산성과 임의 괴리가 크지 않은 임 유연성> 등의 특성을 갖고 있어 기업이나 공공기 과 별도로 논의 필요

- 소기업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정년연장이나 임 피크제가 아니라 고용

가능성과 생애임 을 높일 수 있는 능력개발(향상훈련, 직훈련, 창업훈련 등)로 교육훈련기회의 폭 인 확 (양 측면)와 교육훈련시스템의 면 인

신(질 측면)이 필요- 능력개발은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여 지불능력을 높이고 근로자의 생애임을 높여 소득주도성장의 기반이 되고 창업훈련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의 원천

이 된다는 에서 소기업이나 소기업근로자에게는 ‘정년연장의무화’같은 법률보다는 ‘기업의 능력개발의무화 근로자의 능력개발권리화’같은 법률이 훨씬 더 요

3.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이민정책

□ 한국 노동시장에서 노동력 부족 해결의 최후 수단으로 이민자를 수용한다면 얼

마만큼 받아들여야 하는가?- 향후 10년 순환형 인력(단순인력)과 정주형 인력(고 인력)을 얼마나 받아들여야 하고 그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인력수 망?)

Page 83: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79 -

토론 4 - 김도형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과장

장기 경제발 략세미나에 한 토론문

1. 장기 인력수 망 발제 련

□ 발제한 장기 인력수 망과 시사 에 해서는 체로 공감, 다만 2가지

변수(① 기술변화 ② 남북통일)를 추가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

□ 디지털(스마트) 기술변화를 고려한 인력수 망 정책 개발이 요 (한국

자통신연구원 보고서에서 발췌)○ 재에도 고용 없는 성장이 심각한 사회 문제이나 미래에는 스마트기술로

인한 고용시장 노동시장의 큰 변화가 상 ※ 스마트기술: 인간의 고유 능력이라고 간주되었던 지능과 감성의 일부를 보완

확장하며 나아가 자체 으로 인간 지능을 내재화하고 있는 ICT 융합 역

의 신기술

- 해외의 경우 미국을 필두로 2011년부터 스마트기술에 따른 성장과 고용의

불일치(decoupling) 상의 심각성을 제기

○ (스마트기술의 진화) 스마트기술 신은 노동력 체, 일자리 양극화 등 고용

구조의 질 변화와 함께 로벌 산업 경쟁구도에서의 새로운 도약 기회 제공

할 것으로 상

❶ (고용구조) 간직종 공동화 가속과 문직 내 격차 확

- 스마트기술이 고지능화되고 디지털 인 라로 자리매김하면서 간직종 공

동화와 문직 내의 격차를 확

- 생산직과 단순 사무직뿐만 아니라 지 일자리까지 스마트기술이 체하면

서 간직종의 비자발 실업과 소득 하락 래

※ 콜센터직원, 계산원, 출 고객 상담원, 간호조무사뿐만 아니라 트럭운

수, 배달원,A/S요원, 재고 리자, 문직 보조인력 일자리까지 체

- 스마트기술이 의사, 변호사, 교수 등 문직 역까지 침투하면서 문직의

Page 84: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80 -

권 를 약화시키고 이를 능숙히 활용하는 소수의 슈퍼스타가 시장을 과

※ ) 의사(Watson), 변호사(e-Discovery), 교수(Massive Open Online Course)

❷ (직무환경) 全업종 스마트화로 화이트칼라의 기술을 단순화‧표 화

- 스마트기술이 제조, 서비스 등 산업에 용되면서 디지털 테일러리즘-포디즘(DTF)으로 작업환경의 패러다임이 변화

- 기계 테일러리즘‧포디즘(MTF)이 블루칼라의 기술을 단순화‧표 화시켰

다면 DTF는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의 기술을 단순화‧표 화

- 기업들은 다수 직원들의 자율성과 권한을 이고 극소수 엘리트들 에게

만 기업 성장을 한 사고 의사결정 권한을 부여

※ MTF(Mechanical Taylorism & Fordism), DTF(Digital Taylorism & Fordism

❸ (기회확 ) 스마트기술 응‧활용 역량은 새로운 도약의 기회

- 최근 선진국들의 제조업 로벌 선도와 일자리 회귀(reshoring)는 스마트기

술을 활용한 제조업의 스마트화에 기인

※ 독일의 제조분야 로벌 선도, 미국 제조업 부활은 노동생산성 개선을

한 스마트기술 용이 주요인( : 독일 인더스트리 4.0, 미국 스마트매

뉴팩처링)- 미국, 독일, 일본 등 산업 선도국들이 스마트기술을 성공 으로 활용해 나

갈 경우 로벌 경제 심의 다극화는 둔화

- 통 경제성장 요인과는 다른 새로운 성장 동력인 스마트기술을 극

으로 활용할 경우 새로운 도약이 가능

○ (정책 시사 ) 스마트기술에 의한 노동력 체는 정수 의 직능 미확보로

인한 기존 취업자의 실업 증가와 신규취업‧이직의 어려움을 가

- 스마트기술 진화에 해 우리나라의 특수성이 고려되거나 부분 ․ 편

응을 넘어서 종합 시각의 청사진 부재

- 스마트기술 확산에 비하고 스마트기술 기반 신시장‧신산업․일자리창출

을 한 법‧제도 비 미진

- 스마트기술 발달에 비해 교수방법과 교육내용이 지체되어 학생들이 학교에

서 직업세계로 이행 시 응지체 발생 가능

- 스마트기술의 가속화에 따른 비자발 실업, 간직종의 임 정체, 일자리

양극화에 비한 사회 갈등 증폭 우려

Page 85: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81 -

- 스마트 기술변화 변수가 일정부문 인력수 망에 고려 반 될 수 있도록

장기 인력수 망모델을 개선할 필요

□ 남북한 통일에 비하여 북한의 노동력 실태 활용방안에 한 시나리오별

연구가 필요

○ 민주평통의 복 70주년 기념 ‘통일인식 여론조사(15.3월)’ 결과, 우리 사회의

통일 비 평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9.0%가 비가 제 로 안 돼 있다고

응답

- 통일 상 시기에 해서는 △5년 이내 5.7% △10년 이내 20.6% △20년

이내 21.8% △30년 이내 9.8% △30년 이상 14.2% △불가능 16.0% 등으로

응답

○ (통일 련 3가지 시나리오 응 략)

「신동북아질서 시 의 장기 통일 략」에서 발췌

❶ 결 세력 질서 : 국의 물 역량(경제력‧국방력)이 미국을 능가하게

되고 지역에서의 패권을 추구하지만, 미국을 압도하는 수 까지는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을 설정

⇒ 통일 략 : 미‧ 갈등 구조의 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동아시아의

력체제를 진하고, 정부에 비해 국제질서로부터 상 으로 자유로운 비

정부 행 자를 지원한다. 동시에 주변국에게 한반도의 통일을 설득할 수

있는 국제 인 통일담론을 개발하고 이를 확산

❷ 력 세력균형 질서 : 지속되던 국의 성장세가 멈추면서 국은 미국과

의 갈등을 최소화하기를 원하고, 미국 한 경제 정체로 인해 국과의 상

호 력을 원하는 구조

⇒ 통일 략 : 강 국 간에 이미 형성된 력 지역질서와 그로 인한 유리

한 통일환경을 최 한 활용하여 북한의 개 ‧개방을 유도하고, 남북 계

발 의 걸림돌이 되는 국제제도를 제거하거나 최소화. 국제기구를 이용한

북한의 개 ‧개방을 유도하고, 남북통일에 비하여 남북 계의 제도화와

조직화를 동시 추진

❸ 세력분산의 무질서 : 국의 경제성장이 내부문제로 인하여 정체되고 미국도

국내외 상황으로 인해 국력이 약해져 리더십을 행사하기 어려운 상황

Page 86: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82 -

⇒ 통일 략 : 세력분산의 무질서 환경에서는 단계별 비 실 을 한 선별

략으로 세 가지 활용 △ 이슈별 3자 력체 구성을 통한 력 지역구

조 강화와 남북 계 강화, △ 북한 료들의 교육과 연수를 통한 남북교

류의 발 , △ 연성 요소를 해결하기 한 양자‧다자 력체의 조직화

○ 최근 북한노동력 실태 우리나라 업종별 인력수요 등을 고려하고 통일시

나리오별 략에 따라 한반도 인력수 망 활용방안을 검토할 필요

2. 고용률 제고를 한 정책방향 발제 련

□ (총론) 2030년 이후 노동시장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한 청년, 여성, 장

년 등 고용 상별로 제시한 8가지 노동시장정책방향에 해서는 기본 으로

동의

❶ 맘껏 일하는 사회 : 65세 정년 는 정년제도의 폐지

❷ 시간선택제의 활성화

❸ 진 은퇴 : 주 4 는 주 3일 트워크 근무

❹ 인생이모작과 직지원서비스 활성화

❺ 청년게이트 웨이 : 다양한 청년 상 정책의 통합

❻ 여성 경력단 완화 재취업 지원

❼ 군인력 개편 : 모병제 도입

❽ 이민정책 : 노동력 보충 방안

○ 련하여, 박근혜정부에서의 고용률 70%(13-17) 로드맵 수립 추진도 고

용의 양 제고 뿐 아니라 장기 으로는 고용의 질, 소득 분배 등을 추구하는

단계별 고용 략으로

- 시간선택제 일자리, 인턴/일학습병행제, 능력 심채용문화 확 다양한 고용

정책이 추진, 고용률도 역 최고치를 기록

- 매년 고용률이 꾸 히 제고되는 상황에서 향후 원/하청간 공정 거래, 고용

의 질 제고, 공정한 소득 분배에 한 사회 요구 갈등은 더욱 증가

될 것으로 상

○ 한, 2030년이후 노동시장은 앞서 제기한 스마트기술변화, 남북통일, 세계

화로 인한 실물/자본시장의 교류 확 , 이에 따른 국제간/국내 일자리

Page 87: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83 -

소득 격차 심화 등 구조 이고 복잡한 도 요인에 의해 재와는 상이할

것임

○ 따라서, 과거의 노동시장 련 통계분석 뿐 아니라 재 미래 노동시장

변수요인을 충분히 고려하여 건강하고 생산 인 노동시장을 만들기 한 종

합 인 정책 방향을 제시할 필요

□ (각론) 8가지 노동정책 방향 등에 한 의견을 제시

○ (맘껏 일하는 사회․인생이모작) 14.9월 발표된 장년고용 종합 책이 효과

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인 /물 투자가 확 할 필요

○ (청년 게이트 웨이) 청년층의 생애 첫 일자리 지원법의 타당성과 효과성에

해서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여지나 기본 인 아이디어는 7월 말 발표

한 청년고용 종합 책이 포함될 수 있을 것임

- 이번 책이 구조 인 청년실업문제 해결을 한 토 가 되도록 체계 으

로 수립/추진되도록 노력

- 모병제 검토와 련해서는 모병의 인건비에 한 면 한 검토와 더불어 IT에 기반한 군사기술 개발에 우수 련청년층이 체계 으로 참여(이스라엘

사례 참조)토록 해서 학교-군 -취업간 연계를 강화

- 한, 정부가 추진 인 학의 자율 인 구조조정에 해 사회 심과

추진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노동시장 정상화 에서 무엇보다 요하고

○ (생산성과 연동된 임 체계 지식근로자 육성)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업종별/ 직종별/직무별로 생산성에 기반한 합리 인 임 체계 구축과 기술변

화에 능동 응하는 지식근로자 육성이 시

⇒ 노사정 모두의 공감 와 실천 략 투자가 필요

Page 88: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84 -

토론 5 - 김민경 법무부 외국인정책과 사무관

장기 경제발 략세미나에 한 토론문

□ 머리말

출산‧고령화 추세가 지속되고, 2017년부터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상됨에 따

라 생산‧소비 감소, 세수 감소, 복지비용 증가 등에 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출산율 제고 정책 등과 함께 이민정책을 균형 으로 추진해 나갈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즉, 출산‧고령화로 인한 문제에 응하고, 국가 성장력을 제고하기 해 고 유능한 이민자를 도입하여 인구 규모와 질을 하게 리하는 것이 향

후 이민정책의 가장 요한 기능 하나가 될 것으로 본다.

□ 체류 외국인 황 문제

<체류외국인 증가 추이>

(단 :명, %)

구 분 2007 2009 2011 2013 2014

총 체류자 수 1,066,273 1,168,477 1,395,077 1,576,034 1,797,618

장기체류* 외국인 수 800,262 920,887 1,117,481 1,219,192 1,377,945

총인구 비 체류외국인

비율(%)2.16 2.35 2.75 3.08 3.50

총인구 비

장기체류외국인 비율(%)1.65 1.87 2.24 2.38 2.68

* 91일 이상 장기체류하는 자로 등록외국인 외국국 동포 거소신고자 포함

체류외국인이 지속 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외국인 체를 상으로 하는 범정부 인 이민 허용규모 우선순 설정 등 총체 시각에서의 외

국인 이민에 한 리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보다 종합 ‧장기

시각에서 외국인 이민 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Page 89: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85 -

□ 이민자 유입의 효과

이민자 유입으로 인한 정 인 효과와 부정 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 이민자 유입이 증가하게 되면 국내 생산가능인구 증가, 내수인구 증가로 인한 소비 증가, 새로운 지식‧기술‧문화 창출, 창업‧투자 증가 일자리 창출 등 국내

경제의 양 ‧질 성장에 기여한다. 일례로 미국의 경우 문인력, 숙련공, 유학생 등 잠재력을 가진 자 주로 이민을 허용하여 2011년 기 미국 500 기업

40.8%(204개)가 이민자가 창업한 기업이다. 다만, 독일의 기 고용허가제 실패와 같이 단순노무인력의 경우에는 임 이 낮아 주거‧내구재 소비의 수요창출을 기 하

기 어려운 , 소득층으로 편입되어 장기 으로 통합‧복지비용 증가가 우려되는

등을 고려할 때 출산‧고령화 문제 해소에 한계가 존재하고, 오히려 사회부담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기술능력과 어능력 없이 미국에 온 이민자들은 시간이 지나도 내국인과의 기술격차를 좁히지 못하여 소득층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

* Ran Abramitzky, Leah Platt Boustan, Katherine Eriksson 공동연구팀, A Nation

of Immigrants : Assimilation and Economic Outcomes in the Age of Mass

Migration, 2013

다른 측면에서의 이민자 유입으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지 않다. 이민자와 국민 간 문화 차이로 인한 사회갈등, 특정국가 출신 이민자 증으로 인한 국가 안보‧정체성 기 발생, 범죄 증가 가능성 등이 표 으로 지 되는 부작용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이민자 유입에 따른 효과는 양면 이기 때문에 이민자 유입에 따른 비용

과 편익에 한 고려 없이 단기 ‧단편 시각에서 이민을 허용할 경우에는 이민자

유입으로 인한 비용이 편익보다 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장기 ‧종합 시각에서 이

민자 유입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편익을 제고할 수 있는 이민정책을 추진해 나

갈 필요가 있다.

□ 이민자 유입 리 체계 개선

지 까지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이민자 유입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편

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이민자 정 도입규모 도입 우선순 설정 등을 내용으로

하는 총체 이민자 유입 리 방안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련할 계획이다. 이는 계부처 의를 거쳐 2015년 개최된 외국인정책 원회에서 국무총리께 보고된 바 있다.동 방안을 마련하기 해서는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향후 국내

Page 90: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노동시장 구현mynewsletter.co.kr/kcplaa/201507-2/1.pdf · 2015-07-09 ·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세미나에 관한

- 86 -

출산율, 생산가능인구, 여성경제참가율, 탈북자 수 등을 고려하여 체 이민자 정 도입규모를 설정하고, 국익과 인권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경제이민, 가족이민, 기타이민으로 분류하여 각 상별 도입규모와 우선순 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주형 이민은 생산‧소비‧투자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인구 측면을 심으로

도입규모를 설정하고, 한시 취업허용 외국인은 노동시장 수 상황 등을 심으로

도입규모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이러한 이민자 도입규모 설정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상된다. 먼, 해외 우수인재 등 국익에 도움이 되는 이민자의 경우에는 도입규모가 목표치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고, 각 부처는 그러한 도입규모 달성을 하여 련 정책을 보다 극 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반면, 비용을 더 많이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외국인의 경우에는 도입규모가 정주형 이민을 허용하지 않거나 제한 으로 허용

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본다. 재 이민자 도입 규모 우선순 설정과 련된 연구용역을 진행 이며, 향후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련부처 문가 회의 등을 통한 의견 수렴을 거쳐 이

민자 도입규모 우선순 방안을 마련해 나갈 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