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25
지역산업연구Ⅰ제40권 제3호Ⅰpp. 235 259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13)14)15) 윤지수 (Ji-su Yun) * 김석호 (Seok-ho Kim) ** 안명선 (Myung sun Ahn) *** 국문요약 본 연구는‘2015년 협동조합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에 기반한 새로운 대안모델인 협동조합이 지속발전 할 수 있도록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정부지원 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협동조합의 해’로 선포된 지 4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도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시행됨에 따라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자유롭게 협동조합 설립이 가능해졌다. 2016년 9월 10 일 기준으로 전국의 협동조합은 9,997개가 설립되었으며, 서울 2,593개, 경기 1,693개, 전북 651개, 광주 577개, 부산 532개, 강원 526개, 경북 421개, 대구 420개, 대전 403개, 충남 363개, 경남 353개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협동조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현재의 추세에 비해 정부에서 지원중인 지역정책의 실효 성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경제의 한 축으로 성장하기 위한 정책의 실효성 을 높이기 위해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조합이 사회혁신이 가능한 사회 적 경제모델로 보고 다양한 정책과제 및 제도적인 여건이 성숙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발상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협동조합의 연대를 위한 규모화를 지원하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협동 조합을 위한 정부정책이 지역협동조합에게 전달될 수 있는 지원체계를 향상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협동조합이 활성화되어 지역사회의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되고 이를 통해 지역민들 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정책적 지원과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주제어 | 협동조합, 협동조합 유형, 정부지원제도, 정책실효성, 지역경제발전 .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협동조합의 해로 선포된 지 4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도 협동조합기본법이 제 시행됨에 따라 금융 보험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자유롭게 협동조합 설립이 가 능해졌다. 2016910일 기준으로 전국의 협동조합은 9,9971) 가 설립되었으며, 서울 * (주저자), 경상남도평생교육진흥원 팀장, 경제학박사([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경남대학교 경제금융학과 조교수, 경제학박사([email protected]) *** (공동저자), 대구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 박사수료([email protected]) 1) 협동조합(www.coop.go.kr) 홈페이지 참조

Upload: others

Post on 07-Sep-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지역산업연구Ⅰ제40권 제3호Ⅰpp. 235~259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13)14)15)윤지수(Ji-su Yun)*⋅김석호(Seok-ho Kim)**⋅안명선(Myung sun Ahn)***

5

국문요약

본 연구는‘2015년 협동조합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에 기반한 새로운 대안모델인 협동조합이

지속발전 할 수 있도록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정부지원 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협동조합의 해’로 선포된 지 4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도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시행됨에

따라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자유롭게 협동조합 설립이 가능해졌다. 2016년 9월 10

일 기준으로 전국의 협동조합은 9,997개가 설립되었으며, 서울 2,593개, 경기 1,693개, 전북

651개, 광주 577개, 부산 532개, 강원 526개, 경북 421개, 대구 420개, 대전 403개, 충남

363개, 경남 353개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협동조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현재의 추세에 비해 정부에서 지원중인 지역정책의 실효

성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경제의 한 축으로 성장하기 위한 정책의 실효성

을 높이기 위해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조합이 사회혁신이 가능한 사회

적 경제모델로 보고 다양한 정책과제 및 제도적인 여건이 성숙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발상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협동조합의 연대를 위한 규모화를 지원하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협동

조합을 위한 정부정책이 지역협동조합에게 전달될 수 있는 지원체계를 향상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협동조합이 활성화되어 지역사회의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되고 이를 통해 지역민들

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정책적 지원과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주제어 | 협동조합, 협동조합 유형, 정부지원제도, 정책실효성, 지역경제발전

Ⅰ.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협동조합의 해’로 선포된 지 4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도 협동조합기본법이 제

정․시행됨에 따라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자유롭게 협동조합 설립이 가

능해졌다. 2016년 9월 10일 기준으로 전국의 협동조합은 9,997개1)가 설립되었으며, 서울

* (주저자), 경상남도평생교육진흥원 팀장, 경제학박사([email protected])** (교신저자), 경남대학교 경제금융학과 조교수, 경제학박사([email protected])*** (공동저자), 대구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 박사수료([email protected])1) 협동조합(www.coop.go.kr) 홈페이지 참조

Page 2: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36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2,593개, 경기 1,693개, 전북 651개, 광주 577개, 부산 532개, 강원 526개, 경북 421개, 대구

420개, 대전 403개, 충남 363개, 경남 353개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의 협동조합 수는 4,568개로 전체 45.7%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비수도권은 54.3%로 조사되었다. 비수도권 증 영남권 지역(부산, 울산, 대구, 경북, 경

남)의 협동조합 수는 1,905개가 설립되었으며, 전체비중은 19.1%로 조사되었다.

협동조합 설립이 단기간에 급격하게 증가한 이유는 세계적인 경제침체 및 저성장 흐름

과 사회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 협동조합이 이런 현상을 일부 해소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협동조합은 뜻을 같이하는 조합원들이 스스로 협동을

통해 자기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사회개혁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여기에는 조합원의 참

여 및 민주적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바로 이 측면이 협동조합의 사회적 성격이고 운동체

적 성격이다(박미선, 2013).

협동조합기본법은 UN과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의 권고에 따라 협동조합의 설립조건

을 매우 간소화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에

서는 협동조합의 활성화가 자활단체, 돌봄, 노동, 대안기업, 청소, 재활용, 공동육아, 주택,

구매, 생산 등 다양한 형태의 소액, 소규모 창업을 활성화시키고, 취약계층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서민・지역경제 활성화 및 양극화 해소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김두년, 2012).

다만, 희망적인 기대와 달리 우려되는 부분도 적지 않다. 사회적․제도적 구조가 채 정

립도 되지 전에 양적인 팽창만 이루어졌고, 사회적 기업과 마찬가지로 정부 주도로 진행되

다 보니 정책적인 혜택을 기대하고 단순히 협동조합을 설립하는 이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정하늘, 2015). 성숙되지 못한 사회적인 여건과 제도로 인해 내실 있게 운영되고 있는 협동

조합의 수가 많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에 기반한 새로운 대안모델인 협동조합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 지원 및 정책연구를 통해 조직의 내·외부적인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선행되

어야 한다.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이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정부 및 지자체에 대한

정책의 실효성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협동조합의 운영성과를 논의하기에 앞서 실질적

으로 협동조합이 조합원의 권익과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조직으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가? 하는 부분이다. 자생력을 통해 조합원의 삶의 질이 개선되고, 조합이 성장하여 이는 지

역경제성장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협동조합의 실질적인 자립과 운영이 보다 현실성에 부합하도록 정부의

정책적 실효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성내용을 살펴보면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제3장 영남권 협동조합 정책실효성 실태분석이다. 협동조합의

Page 3: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37

실태분석을 통해 정부 및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정책의 실효성 여부를 전국단위로 분석하

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점이 수반되는 관계로 영남지역(경남・부산・대구・경북)의 협동

조합에 한정하였다. 제4장은 결론 및 정책적 제언으로 정부가 협동조합에 대한 지원이나

제도적인 정책들이 지역특성에 맞게 실현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협동조합의 정의

협동조합에 대한 정의는 법령상, 기관 및 단체, 연구자별로 상이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

지만 주요내용은 공동소유와 운영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조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나라 협동조합기본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

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지역 사회에 공헌하

고자 하는 사업조직”으로 정의하고, 국제협동조합연맹(ICA;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은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해 공동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모인 사람들의 자율적 단체”라고 정의한다

(정낙형, 2012). 미국농무부는 “이용자가 소유하고 통제하며, 이용규모를 기준으로 이익을

배분하는 사업체”로 정의한다.

<표 1> 연구자별 협동조합 정의

연구자 정의 비고

리프만

(R, Lifman)

공동의 사업경영을 통하여 조합원의 가사 및 영리경제의 조정과 보충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체

공동운영,

조합원 영리,

동일한 권리와

의무

야콥

(G, Jacob)

조합원 누구나가 동일한 권리와 의무를 갖는 기초 위에 서서 순수한 자조의 방법으로

공동사업을 경영함으로써 조합원의 영리 또는 경제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체

베이커

(J. Baker)

편익을 이용하는 자가 소유하는 사업체인데 전 조합원이 평등하게 지배 또는 참여하고

이용 실적에 따라 잉여금을 조합원에게 분배하는 것. 사기업이나 공기업과는 다른 사업체

뮬더

(Hans Moller)

집산적 경제형태의 자유로운 공동단체로서 산업이윤을 완전히 극복하여 노동의 이익을

얻는 것을 근본 목적으로 하는 조직체

지이드(C. Gide) 공정가격을 실현하기 위한 연합체

그룬펠드

(E. Gronfeld)

중소경영자의 다양하고도 대량으로 나타난 자유의사에 의한 결합인데 공동으로 사경제

적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사회 정책적 목적을 실현하고 당해 영역 내에서 자유시장의 경

제를 배제하려는 것

출처 : 백강석(2012), 국제환경변화에 따른 농협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재정리

Page 4: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38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협동조합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조합원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위의 향상이다. 주식

회사와 비교한다면 주식회사는 기업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한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

는 반면에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삶의 질 향상과 조합원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이지

선, 2013). 협동조합은 사회적·경제적 약자들을 위해 존재하는 새로운 대안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표 2>는 ICA에서 제시하고 있는 협동조합의 7원칙 내용을 정리하였다.

<표 2> ICA에서 제시하고 있는 협동조합의 7원칙

구 분 내 용

1. 자발적이고 개방적인 회원가입 제도

(Voluntary and Open Membership)

협동조합은 자발적인 조직으로서, 협동조합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조합

원으로서 책임을 다할 의지가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성적, 사회적 인종적, 정

치적, 종교적 차별 없이 열려있다.

2. 조합원의 민주적 관리

(Democratic Member Control)

협동조합은 조합원에 의해 관리되는 민주적인 조직으로서, 조합원들은 정책

수립과 의사결정에 활발하게 참여한다. 선출된 임원들은 조합원에게 책임을

갖고 봉사해야 한다.

3. 조합원의 경제적 참여

(Member Economic Participation)

조합원은 협도조합에 필요한 자본을 조성하는데 공정하게 참여하며, 조성된

자본을 민주적으로 통제한다. 일반적으로 자본금의 일부분은 조합의 공동재

산이다. 출자배당이 있는 경우에 조합원은 출자액에 따라 제한된 배당금을 받

는다.

4. 자율과 독립

(Autonomy and Independence)

협동조합은 조합원들에 의해 관리되는 자율적인 자조조직이다. 협동조합이

정부 등 다른 조직과 약정을 맺거나 외부에서 자본을 조달하고자 할 때는 조

합원에 의한 민주적 관리가 보장되고, 협동조합의 자율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5. 교육, 훈련, 정보제공

(Education, Training and Information)

협동조합은 조합원, 선출된 임원, 경영자, 직원들이 협동조합의 발전에 효과적

으로 기여하도록 교육과 훈련을 제공한다. 협동조합은 일반대중, 특히 젊은 세

대와 여론 지도층에게 협동의 본질과 장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6. 협동조합 간의 협업

(Co-operation among Co-operatives)

협동조합은 지방, 전국, 지역 및 국제적으로 함께 협력 사업을 전개함으로써

협동조합 운동의 힘을 강화시키고, 조합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봉사한다.

7. 지역사회 기여

(Concern for Community)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동의를 얻은 정책을 통해 조합이 속한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

자료 : 기획재정부(2012), 신규 협동조합 유형의 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 재인용

2. 협동조합의 유형

협동조합은 자본 투자자를 포함하여 소비자, 원료공급자 또는 생산자, 그리고 종사원의

세 유형의 이해관계자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세 이해관계당사자 중 누가 사업 활동

의 주체가 되느냐에 따라 소비자협동조합, 지원(노동자)협동조합, 생산자(사업자)협동조

합의 세 가지로 분류되며, 여기에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까지 해서 보통 네 가지 유형으

Page 5: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39

로 분류된다(김동환, 2013).

첫째, 소비자협동조합이란 소비자들이 소비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가계를 보다 효율적

으로 운영하기 위해 만든 협동조합이다. 소비자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소비생활 향상을 위

한 물품의 구매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조합으로 산악장비 공동구매 협동조합, 공동육아

협동조합의 육아서비스 이용, 주택협동조합의 주택임대서비스 이용 등이 있다(김영호,

2013).

둘째, 직원협동조합이다. 조합원의 3분 2 이상이 직원이고 조합원인 직원이 전체 직원의

3분의 2 이상인 협동조합이다. 노동자의 급여인상과 근로조건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동종

노동자들이 모여 다양한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는데 건축 장인들의 건축협동조합, 요리

사들의 급식협동조합, 유아교사의 어린이집협동조합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함창모, 2013).

셋째, 생산자 협동조합이다. 동종 업종에 종사하는 개인사업자들이 원가절감을 위해 필

요한 원자재나 원료를 공동구매하거나 생산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설립한 협동조합

이다. 공동구매 뿐만 아니라 공동브랜드를 구축해서 경쟁력을 높이는 형태이다.

넷째, 다중이해관계자협동조합이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복리증진 등에 기여하는 행

위조합원 구성에 따라 생산・소비・고용・자원봉사・후원 등 다양한 행태가 사업의 이용

으로 나타날 수 있다.

3. 선행연구

협동조합과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법·제도적 연구, 업종연구, 직무만

족도 연구 등 업종별로 세분화 되어서 진행되고 있지만 정부(지자체)의 지원정책의 실효

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선행연구 분석은 연구자별로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책들을 정리하였다.

안주섭 외(2000) 연구는 조합 간 사업연합을 촉진하고 확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

였다. 첫째, 사업연합의 단계적 추진을 제안하였고, 투자비용이 적고 조합원의 참여유도가

용이한 부분부터 확대해나가야 한다. 둘째, 명확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구조를 만들어야 한

다. 셋째, 수익배분구조를 명확히 해야 한다. 사업연합을 공동사업장과 같이 독립회계단위

로 운영해야 한다. 넷째, 조직단위는 군단위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중앙회

의 지원을 강화해야 된다고 제시하였다.

장종익(2012)은 협동조합의 활성화 전략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연대체계 구축, 협동조

합 지원금융체제의 구축과 기존 협동조합금융의 혁신, 협동조합 관련 제도 및 정책적 개선

방향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Page 6: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0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김복태 외(2013) 연구는 퀘벡주의 협동조합 발전과정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협동조합 활

성화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협동조합 전환 및 신규 진입시 법・제도 개선 및 협동조합

간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환경조성, 신규 및 소규모 협동조합에 대해 컨설팅

및 전문 인력을 파견하는 등 체계적인 지원체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공공서비스 시장을 확

대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강희원(2013)은 협동조합의 이념적 기초와 그 구조 연구에서 1995년 ICA협동조합의 기

본원칙과 운영철학을 강조하면서 협동조합의 정의를 검토하였다. 기존 협동조합법과의

형평성이나 세금감면 및 보조금 지급 등의 제도적 개선으로 협동조합에 대한 생태계 조성

을 제시하였다.

권용덕(2013)은 경남지역 협동조합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해 지원조례 시행, 경남형 협동

조합 활성화 로드맵 수립, 체계적 전략적 홍보추진, 전담부서 설치, 협동조합 교육 강화 및

확대, 컨설팅 전문기관 및 권역별 협동조합 지원센터 설치를 주요과제를 꼽았다. 경남지역

협동조합 생태계 조성을 위한 주요 정책추진으로는 기금조성, 사회적경제 종합정보시스

템 구축, 협동조합 수익성 강화를 주장하였다.

이지선(2013)은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제도적․사회적 분위기 조성, 경제․사회취약

분야에서의 사회통합 필요성, 자생력 강화를 위한 간접지원, 자치단체와 지역사회가 주도

하는 지원체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활성화 조건으로는 자원의 적절한 활용, 사회적 협

력과 지역통합형 조직체 운영, 지역단위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필요, 중간지원조직이

필요하다는 연구를 제안하였다.

김두년(2014)의 연구는 개별법제 하에서 협동조합 설립이 불가능했던 기존의 유사 협동

조직들 중 정부지원에 기반을 둔 협동조합 지향조직, 민간 자생조직에 기반을 둔 협동조합

지향조직, 농어촌 등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협동조합 지향조직 등 3가지로 유형화하여 기

본법에 의한 협동조합으로 전환 또는 설립가능성을 전망했다. 정부지원에 기반을 둔 협동

조합 지향조직들의 설립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처별로 상이하겠지만 규모의 영세성, 협동

조합으로 전환의 필요성이 거의 없어 협동조합으로는 전환은 적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둘

째, 민간 자생조직에 기반을 둔 협동조합 지향조직들은 주택분야의 협동조합은 출자금 및

대상자 한정으로 인해 활성화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문화예술분야는 명확한 사

업모델의 수립이 전제되지 않아 급격하게 설립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지적하였다. 공동육

아분야의 협동조합은 정부의 보육정책여하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았다. 마지

막으로 농어촌 등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협동조합 지향조직들은 소규모 조직의 협동조합

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고 다양한 형태의 협동조합이 출현할 수 있다. 해양수산 분야의

협동조합 설립이 미흡한 상황이므로 바다에 특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

Page 7: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1

기하였다.

이용관(2015)은 소상공인협동조합 활성화 사업에 지원을 받은 협동조합 사례를 조사·분

석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해 소상공인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협동조합의 교육, 둘째, 동업종 및 이업종 협동조합간 협업 모델 제시, 셋째, 협동조

합의 지속적인 컨설팅, 넷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다섯째,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다. 5가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소상공인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이므로 소상공인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제시가 전체 소상공인

협동조합 활성화의 해법이 되긴 어렵다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정하늘(2015)은 전라남도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을 위해 현황분석과 인터뷰를 통한 과제

도출 및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남 협동조합이 안고 있는 주요 문제점으로

는 조합의 자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금조달의 애로점, 둘째, 협동조합의 전문성 결여이

다. 셋째, 삼품의 판로개척 방안에 대한 고민, 넷째, 조합원의 참여제고와 조합원간의 분쟁

해소의 어려움이다. 그에 따른 해결 방안으로 제도적 측면으로 협동조합 기금의 조성, 정

부의 직․간접적인 지원체제 확립, 협동조합 연합회 구성, 협동조합 지도자 양성의 필요성

을 제시하였고, 비제도적 측면으로는 협동의 가치와 사회적 가치 확산 운동, 자발적인 협

동조합 모델 발굴의 필요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Ⅲ. 영남권 협동조합 정책실효성 실태분석

1. 조사개요

기획재정부는 2012년 12월 제정된 협동조합기본법에 의해 설립된 협동조합들의 설립

및 운영상의 애로사항을 파악, 정책수립에 활용하고자 2년마다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

다. 본 연구는 2015년 6월 6일~9월 15일까지 협동조합 기관장 대상으로 진행된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협동조합의 지원정책에 대한 이용여부 및 만족도를 영남지역2)을 중심으

로 분석하였다. 전국단위로 진행되는 실태조사의 대상은 2014년 12월말 기준으로 기획재

정부에 설립신고서를 제출한 6,235개 협동조합이다. 그 중 사전조사 시 실제 운영되고 있

는 사업장은 2,957개였고, 응답을 완료한 사업체는 2,257(76.3%)로 파악되었다. 응답을 완

료한 사업체 중 영남지역은 429개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부산 대구 131개, 122개, 경북

91개, 경남 85개로 집계되었다.

2)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역만 분석하였음.

Page 8: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2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표 3> 2015년 협동조합 실태조사 현황

구분

사전조사 본조사

기관장 기관장

설립

신고

응답

완료

사전

조사시

사업중

응답

완료법인미등기+법인등기

후 사업자 미등록

법인등기 후

사업자 등록사업미운영

(폐업)

N 6,235 5,325 1,016 4,309 1,352 2,957 2,257

% 100 85.4 16.3 69.1 21.7 100 76.3

출처 : 2015년 협동조합 실태조사

<표 4> 2015년 영남권 기관장 조사현황

구분 전체 응답완료영남지역

소계 부산 경남 경북 대구

N 2,257 429 122 85 91 131

% 100 19 28.4 19.8 21.2 30.5

주) 1. 소계비중은 전체 응답완료 중 영남지역의 비중

2. 부산, 경남, 경북, 대구지역 비중은 영남지역 전체 응답자 기준 대비 비율

2015년 협동조합 기관장 대상 실태조사 설문문항을 토대로 분석을 하였다. 전체 설문문

항 중 본 연구와 관련된 문항부분만 재정리 하였으며, 정부의 지원정책 부분을 영남지역으

로 한정하여 이용여부 및 실효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표 5> 설문문항 요인별 구성요소3)

3) 2015년 협동조합 실태조사(기관장 대상) 중 협동조합의 설립과정, 재무상황, 연대사업, 협동조합의

조합원 이사회, 근로자에 대한 문항내용은 본 논문에서 언급하지 않는 관계로 구체적인 설문내용

및 문항 수는 제시하지 않음

구분 영역 설문내용 문항수

Ⅰ.

협동조합의

사업특성

Ⅰ-1. 협동조합 유형 •법인형태/조합원 구성/주 사업범위/ 상업 업종/사업품목 5문항

Ⅰ-2. 설립목적 •설립목적 및 달성여부 2문항

Ⅰ-3. 지역사회 공헌•사회적 설립 목적/해결하고자하는 지역문제/창출된 일자리

대상3문항

Ⅰ-4. 재투자 활동 여부•생산물품 기부/현금기부/공간제공/자원봉사 등 노동력 제공/

기타5문항

Ⅰ-5. 사회서비스와 관련 문항 •관련대상 사업부문/사업운영의 제약점/지원받는 정부 사업명 4문항

Ⅰ-6. 수익창출 판매경로 및

향후 매출확대 판매경로

•현재의 주요 판매경로 및 비중/향후 매출확대를 위해 고려하

는 판매경로9문항

Page 9: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3

주: 2015년도 협동조합 실태조사(기관장 대상) 설문문항 재정리, 기획재정부

2. 분석 결과

가. 영남지역 협동조합 현황

영남지역별 법인형태별 협동조합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429개 중 대구 131개, 부산 122

개, 경북 91개, 경남 85개로 조사되었다. 법인형태별 중 일반협동조합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405개, 94.4%)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비중을 보면 경북 100%(91개), 부산

95.9%(117개), 경남 91.8%(78개), 대구 90.8%(119개) 순으로 나타났다.

<표 6> 영남지역별 법인형태별 현황

(단위 : 개, %)

구분 일반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일반협동조합연합회 전체

대구 119(90.8) 10(7.6) 2(1.5) 131(100)

경북 91(100) - - 91(100)

부산 117(95.9) 5(4.1) - 122(100)

경남 78(91.8) 7(8.2) - 85(100)

전체 405(94.4) 22(5.1) 2(0.5) 429(100)

영남지역 조합원 구성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429개 조합 중 사업자 협동조합이 60.8%

(261개), 생산자 협동조합 17.7%(76개),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 14.9%(64개), 직원 협동조

합 3.5%(15개), 소비자 협동조합 3.0%(13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영남지역별로 사업자 협동

조합 구성비율만 살펴보면, 대구 63.4%(83개), 경북 60.4%(55개), 부산 68.9%(84개), 경남

구분 영역 설문내용 문항수

Ⅱ. 정부의

지원정책

Ⅱ-1. 추진한 정책별 이용경험

및 실효성 여부•지난 1년간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 이용여부 및 실효성 15문항

Ⅱ-2. 16개 광역별 중간지원

기관의 교육 및 컨설팅

•협동조합 설립 상담/협동조합 기초교육/운영교육 및 컨설팅/

설립 컨설팅/지역 네트워크 구축 지원/정부조달사업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 이용여부 및 만족도

6문항

Ⅱ-3. 지자체 중간지원기관의

교육 및 컨설팅

•협동조합 설립 상담/협동조합 기초교육/운영교육 및 컨설팅/

설립 컨설팅/지역 네트워크 구축 지원/정부조달사업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 이용여부 및 만족도

6문항

Ⅱ-4. 정부사업 참여 경험 및

유형별 사업참여 여부

•사회적경제 조직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 참여 경험 및 유형별

사업참여 여부1문항

Ⅱ-5. 정책의 시급성 부문•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정책의 시급성 여부 및

건의사항2문항

Page 10: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4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45.9%(39개)로 나타났다.

<표 7> 영남지역별 조합원 구성현황(단위 : 개, %)

구분생산자

협동조합

소비자

협동조합

사업자

협동조합

직원

협동조합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전체

대구 19(14.5) 2(1.5) 83(63.4) 3(2.3) 24(18.3) 131(100)

경북 15(16.5) 3(3.3) 55(60.4) 3(3.3) 15(16.5) 91(100)

부산 19(15.6) 4(3.3) 84(68.9) 4(3.3) 11(9.0) 122(100)

경남 23(27.1) 4(4.7) 39(45.9) 5(5.9) 14(16.5) 85(100)

전체 76(17.7) 13(3.0) 261(60.8) 15(3.5) 64(14.9) 429(100)

영남지역별 주사업 범위는 전국이 38.5%(165개)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시군구

26.3%(113개), 광역시도 26.1%(112개), 마을 8.4%(36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 가장

높은 주사업 범위를 살펴보면, 대구는 광역시도가 40.5%(53개), 경북은 시군구 46.2%(42개),

부산은 전국 36.1%(44개), 경남은 시군구 42.4%(36개)로 나타났다.

<표 8> 영남지역별 주사업 범위

(단위 : 개, %)

구분 마을 시군구 광역시도 전국 해외 전체

대구 11(8.4) 14(10.7) 53(40.5) 52(39.7) 1(0.8) 131(100)

경북 3(3.3) 42(46.2) 7(7.7) 39(42.9) 0 91(100)

부산 14(11.5) 21(17.2) 42(34.4) 44(36.1) 1(0.8) 122(100)

경남 8(9.4) 36(42.4) 10(11.8) 30(35.3) 1(1.2) 85(100)

전체 36(8.4) 113(26.3) 112(26.1) 165(38.5) 3(0.7) 429(100)

영남지역별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도매 및 소매업이 29.8%(127개), 교육서비스업

16.7%(71개), 제조업 12.0%(51개), 농업, 임업 및 어업 10.8%(46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대구

(32.3%), 경북(25.6%), 부산(40.5%)지역은 도매 및 소매업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지만, 경남은 농업, 임업 및 어업(17.6%)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11: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5

<표 9> 영남지역별 사업 업종별 현황(단위 : 개, %)

구분 대구 경북 부산 경남 전체

농업, 임업 및 어업 3(2.3) 21(23.3) 7(5.8) 15(17.6) 46(10.8)

광업교육 및 서비스업 4(3.1) 2(2.2) 1(0.8) 2(2.4) 9(2.1)

제조업 14(10.8) 15(16.7) 11(9.1) 11(12.9) 51(12.0)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2(1.7) 2(2.4) 4(0.9)

하수, 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2(1.5) 1(1.1) 3(0.7)

건설업 1(0.8) 4(4.4) 1(0.8) 2(2.4) 8(1.9)

도매 및 소매업 42(32.3) 23(25.6) 49(40.5) 13(15.3) 127(29.8)

운수업 4(3.1) 1(1.1) 4(3.3) 2(2.4) 11(2.6)

숙박 및 음식점업 4(3.1) 2(2.2) 9(7.4) 6(7.1) 21(4.9)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4(3.1) 4(4.4) 5(4.1) 5(5.9) 18(4.2)

부동산업 및 임대업 3(2.3) 1(0.8) 4(0.9)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1(0.8) 2(1.7) 1(1.2) 4(0.9)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3(2.3) 3(2.5) 2(2.4) 8(1.9)

교육서비스업 30(23.1) 15(16.7) 14(11.6) 12(14.1) 71(16.7)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4(3.1) 1(1.1) 3(2.5 2(2.4) 10(2.3)

예술, 스포츠 및 여과관련 서비스업 9(6.9) 1(1.1) 5(4.1) 7(8.2) 22(5.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2(1.5) 3(2.5) 3(3.5) 8(1.9)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분류되지 않는 자가 소비생산 활동 1(0.8) 00.0 1(0.2)

합 계 130(100) 90(100) 121(100) 85(100) 426(100)

영남지역별 협동조합의 주된 목적을 살펴보면, 지역사회 공헌 등 사회적 가치실현이

33.3%(142개)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조합원 수입증가 27.2%(116개), 사업체 경쟁력

강화 24.4%(104개), 조합원 복지 증진 7.7%(33개), 조합원 고용안정 7.3%(31개) 순으로 나타

났다. 대구(34.6%), 부산(28.7%), 경남(42.9%)지역은 지역사회 공헌 등 사회적 가치실현이

협동조합의 주된 목적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가장 많았으나, 경북지역은 조합원의 수입증

가(37.4%)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10> 영남지역별 협동조합의 주된 목적(단위 : 개, %)

구분조합원

수입증가

조합원

고용안정

조합원

복지증진재무투자확대

사업체 경쟁력

강화

지역사회 공헌 등

사회적 가치 실현전체

대구 35(26.9) 7(5.4) 11(8.5) 1(0.8) 31(23.8) 45(34.6) 130(100)

경북 34(37.4) 7(7.7) 3(3.3) - 21(23.1) 26(28.6) 91(100)

부산 30(24.6) 10(8.2) 14(11.5) - 33(27.0) 35(28.7) 122(100)

경남 17(20.2) 7(8.3) 5(6.0) - 19(22.6) 36(42.9) 84(100)

전체 116(27.2) 31(7.3) 33(7.7) 1(0.2) 104(24.4) 142(33.3) 427(100)

Page 12: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6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나. 영남지역 협동조합 판매경로(현재, 미래)

영남지역 협동조합의 수익창출을 위해 현재 어떤 판매 경로에 집중하고 있는지? 그리고

향후 매출확대를 위해 어떤 판매경로에 우선적으로 집중할 예정인지에 대한 설문결과 분

석은 다음과 같다.

수익창출을 위해 현재 판매경로(표 11 참조)를 살펴보면, 현장에서 소비자에게 직접서

비스 제공 또는 판매가 59.9%(257개)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일반사업체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또는 납품(대기업 포함) 31.5%(135개), 온라인 등 통신판매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서비스제공 또는 판매 26.8%(115개), 중앙정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서비스 위탁 또

는 제품 납품 25.9%(111개), 박람회, 장터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서비스 제공 또는 판

매 25.4%(109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 12>는 향후 매출확대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판매경로를 살펴보면, 현장에

서 소비자에게 직접서비스 제공 또는 판매 51.3%(220개)로 가장 높았으며, 현재의 판매경

로와 향후에도 고려하는 판매경로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중앙정부, 지자

체 및 공공기관의 서비스 위탁 또는 제품 납품 36.1%(155개), 일반사업체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또는 납품(대기업 포함) 34.5%(148개), 온라인 등 통신판매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서

비스제공 또는 판매 34.0%(146개), 박람회, 장터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서비스 제공 또

는 판매 26.3%(113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 11> 영남지역 협동조합의 수익창출을 위해 현재 판매경로 (단위 : N, %)

구 분 대구 경북 부산 경남 전체

합 계 131 91 122 85 429

현장에서 소비자에게 직접서비스 제공 또는

판매 79(60.3) 64(70.3) 64(52.5) 50(58.8) 257(59.9)

온라인 등 통신판매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서비스제공 또는 판매42(32.1) 29(31.9) 22(18.0) 22(25.9) 115(26.8)

박람회, 장터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서비스

제공 또는 판매33(25.2) 22(24.2) 33(27.0) 21(24.7) 109(25.4)

일반사업체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또는 납품

(대기업 포함)47(35.9) 28(30.8) 38(31.1) 22(25.9) 135(31.5)

백화점 또는 대형마트 대상의 서비스 제공 또는

제품 납품7(5.3) 6(6.6) 9(7.4) 4(4.7) 26(6.1)

중앙정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서비스 위탁

또는 제품 납품42(32.1) 24(26.4) 30(24.6) 15(17.6) 111(25.9)

사회복지기관 등 복지시설에 서비스 제공 또는

납품25(19.1) 11(12.1) 20(16.4) 4(4.7) 60(14.0)

사회적 경제조직 간 상호 거래 26(19.8) 16(17.6) 23(18.9) 18(21.2) 83(19.3)

기타( ) 5(3.9) 3(3.3) 2(1.6) 6(7.1) 16(3.7)

Page 13: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7

<표 12> 영남지역 협동조합이 향후 매출확대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판매경로

(단위 : N, %)

구분 대구 경북 부산 경남 전체

131 91 122 85 429

현장에서 소비자에게 직접서비스 제공 또는 판매 75(57.3) 55(60.4) 57(46.7) 33(38.8) 220(51.3)

온라인 등 통신판매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서비스

제공 또는 판매47(35.9) 43(47.3) 33(27.0) 23(27.1) 146(34.0)

박람회, 장터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서비스 제공

또는 판매31(23.7) 31(34.1) 35(28.7) 16(18.8) 113(26.3)

일반사업체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또는 납품(대기업

포함)53(40.5) 33(36.3) 42(34.4) 20(23.5) 148(34.5)

백화점 또는 대형마트 대상의 서비스 제공 또는 제품

납품14(10.7) 20(22.0) 18(14.8) 9(10.6) 61(14.2)

중앙정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서비스 위탁 또는

제품 납품54(41.2) 38(41.8) 38(31.1) 25(29.4) 155(36.1)

사회복지기관 등 복지시설에 서비스 제공 또는 납품 32(24.4) 25(27.5) 34(27.9) 9(10.6) 100(23.3)

사회적 경제조직 간 상호 거래 31(23.7) 31(34.1) 33(27.0) 17(20.0) 112(26.1)

기타( ) 6(4.6) 7(7.7) 4(3.3) 6(7.1) 23(5.4)

판매경로별 현재와 향후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현장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서

비스 제공 또는 판매에 응답 비율이 가장 높지만 향후 매출 확대를 위해 고려해야 된다고

응답한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앙정부․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서비스 위탁

또는 제품 납품을 향후 매출확대를 위해 고려하는 판매경로라고 응답한 숫자가 크게 증가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협동조합은 공공영역의 서비스 위탁 및 제품 납품을 통해

매출확대를 도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 13> 향후 매출확대를 위해 고려하는 판매경로와 현재 판매경로의 차이

(단위 : 개, %)

구분대구 경북 부산 경남 전체

현재→향후 현재→향후 현재→향후 현재→향후 현재→향후

현장에서 소비자에게 직접서비스 제공

또는 판매

79→75 64→55 64→57 50→33 257→220

(-4) (-9) (-7) (-17) (-37)

온라인등 통신판매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서비스제공 또는 판매

42→47 29→43 22→33 22→23 115→146

5 14 11 1 31

박람회, 장터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서비스 제공 또는 판매

33→31 22→31 33→35 21→16 109→113

-2 9 2 -5 4

일반사업체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또는

납품(대기업 포함)

47→53 28→33 38→42 22→20 135→148

6 5 4 -2 13

백화점 또는 대형마트 대상의 서비스 제공

또는 제품 납품

7→14 6→20 9→18 4→9 26→61

7 14 9 5 35

Page 14: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8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다. 정부정책의 이용여부 및 실효성

영남지역 협동조합에서 지난 1년간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하여 추진한 정부정책의 이용

여부 및 정책의 실효성을 분석하였다. “중소기업법상 일반협동조합의 중소기업 인정으로

인한 정부지원(소득세·법인세 감면 등)”이용에 대한 실효성은 전체 평균(5점 기준) 3.09점

으로 나타났다. 경북이 3.1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경남(3.10점), 대구(3.08점),

부산(3.00점) 순으로 나타났다. 실효성을 100점으로 환산했을 때 52.25점으로 다소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에 사회적 협동조합 포함 및 공공조달 매뉴얼에 협동조합 명

기” 이용에 대한 실효성은 전체 평균 2.84점(5점 기준)으로 지난 1년간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하여 추진한 정부정책 중 가장 낮은 실효성으로 평가되었다.

“각 부처·지자체의 자금·경영지원 정책에 대한 홍보자료 작성 및 배포” 이용에 대한 실효

성은 전체 평균 3.09점(5점 기준)으로 나타났다. 경북이 3.1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으로 경남(3.09점), 대구(3.08점), 부산(3.00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재부 협동조합 인터넷

홈페이지(coop.go.kr)에 사이버교육 과정 개설”이용에 대한 실효성은 전체 평균 3.14점(5점

기준)으로 조사되었다. 경북이 3.1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구(3.16점), 경남

(3.15점), 부산(3.00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들의 이용여부 및 만족도는 5점 기준으로

보통을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정책의 실효성은 다소 낮은 것으

로 사료된다. “초·중등 교육과정, 경제교육에 협동조합 관련내용 반영”이용에 대한 실효성

은 전체 평균(5점 기준) 3.30점으로 다른 추진정책에 비해 실효성이 높은 것을 평가되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남이 3.3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부산(3.33점), 경북

(3.31점), 대구(3.25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협동조합 관련정보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 모바일 시스템 구축” 이용에 대한

구분대구 경북 부산 경남 전체

현재→향후 현재→향후 현재→향후 현재→향후 현재→향후

중앙정부,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서비스

위탁 또는 제품 납품

42→54 24→38 30→38 15→25 111→155

12 14 8 10 44

사회복지기관 등 복지시설에 서비스 제공

또는 납품

25→32 11→25 20→34 4→9 60→100

7 14 14 5 40

사회적 경제조직 간 상호 거래26→31 16→31 23→33 18→17 83→112

5 15 10 -1 29

기타( )5→6 3→7 2→4 6→6 16→23

1 4 2 0 7

Page 15: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49

실효성은 전체 평균(5점 기준) 3.31점으로 지난 1년간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하여 추진한 정

부정책 중 가장 실효성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모바일 시스템 구축을 이용한 영남지역

협동조합 중 대구가 3.3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경남(3.33점), 부산(3.29점), 경

북(3.19점)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전력, 신협 등 대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협동조합 모델 발굴사업 등 협동조합 지

원과 연계” 이용에 대한 실효성은 전체 평균(5점 기준) 3.19점으로 나타났다. 영남지역 협

동조합 중 경북이 3.2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구(3.22점), 경남(3.21점), 부산

(2.60점) 순으로 조사되었었다. 영남지역 협동조합 중 부산지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

었으며, “협동조합 대국민 인지도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 주간행사, 온라인 뉴스레터 발간

등 홍보” 이용에 대한 실효성은 전체 평균(5점 기준) 3.29점으로 나타났다. 영남지역 협동

조합 중 부산이 3.4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경남(3.36점), 대구(3.24점), 경북

(3.21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협동조합 간 상호부조를 통한 자체 위기능력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연합회의 공제사업

허용”이용에 대한 실효성은 전체 평균(5점 기준) 3.23점으로 나타났다. 영남지역 협동조합

중 경남이 3.3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구(3.22점), 경북(3.21점), 부산(3.00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영남지역 협동조합에서 지난 1년간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하여 추진한

정부정책의 이용 여부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에 따르면 “협동조합 표준 교육과정에 세무·

회계 등 경영상 필요한 내용 보완”관련 정책을 이용하였다는 응답기관이 122개(28.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협동조합 대국민 인지도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 주간행사, 온

라인 뉴스레터 발간 등 홍보”가 117개(27.3%), “각 부처·지자체의 자금·경영지원 정책에 대

한 홍보자료 작성 및 배포”가 112개(26.1%) 순으로 나타났다.

세무․회계 등 경영상 필요한 내용 보완”관련 정책은 영남지역에서 대구 47개(35.9%),

경남 34개(40.0%), 경북 22개(24.2%), 부산 19개(15.6%)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산과 대구 협동

조합에서는 다른 정부정책에 비해 10번 문항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남지역 협동조합 중 지난 1년간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정부정책 이용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시도별 현황을 보면, 부산 83개(68%), 경남 40개(47.1%), 경북 54개(59.3%), 대

구 55개(42%)로 나타났으며,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정부정책의 이용경험이 없다

는 응답비율이 영남지역 전체는 232개(54.1%)로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시 말해

협동조합 활성화 추진 정책이 협동조합을 운영하고 있는 구성원 모두에게 현실성이 없다

는 반증의 결과로 보여 진다.

Page 16: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문항 정책의 실효성 구분 N 평균 s.t 문항 정책의 실효성 구분 N 평균 s.t

1 중소기업법상 일반협동조합의

중소기업 인정으로 인한 정부지원(소득세·법인세 감면 등)

대구 38 3.08 1.282

9초·중등 교육과정, 경제교육에 협동조합

관련내용 반영

대구 36 3.25 1.317

경북 19 3.16 1.463 경북 13 3.31 1.377

부산 17 3.00 0.791 부산 6 3.33 1.211

경남 31 3.10 1.300 경남 29 3.34 1.317

합계 105 3.09 1.241 합계 84 3.30 1.297

2 협동조합기본법상의 협동조합과

타법 법인과의 M&A 허용

대구 30 3.03 1.326

10

협동조합 표준 교육과정에 세무·회계 등 경영상 필요한 내용

보완

대구 47 3.38 1.153

경북 15 3.00 1.309 경북 22 2.91 1.109

부산 7 2.29 .951 부산 19 3.47 .772

경남 30 3.00 1.203 경남 34 3.32 1.147

합계 82 2.95 1.246 합계 122 3.30 1.096

3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에

사회적협동조합 포함 및 공공조달 매뉴얼에 협동조합 명기

대구 37 2.78 1.436

11

개별 생산자 및 소비자 협동조합간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기재부 협동조합 내부거래

플랫폼 구축

대구 41 3.29 1.346

경북 16 2.75 1.291 경북 18 2.89 1.367

부산 12 2.25 1.055 부산 5 3.20 1.095

경남 30 3.20 1.270 경남 30 3.20 1.297

합계 95 2.84 1.331 합계 94 3.18 1.311

4

협동조합의 시장진입을 제한하는 법 제도 개선

(물류단지시설 사업자, 가축분뇨 처리사업자 등)

대구 30 3.03 1.326

12

협동조합 관련정보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 모바일 시스템 구축

대구 37 3.35 1.230

경북 13 2.92 1.256 경북 16 3.19 1.276

부산 3 2.00 1.000 부산 7 3.29 .756

경남 28 3.29 1.357 경남 30 3.33 1.322

합계 74 3.07 1.317 합계 90 3.31 1.224

5 지역신보, 신용보증기금에서

실시하는 한시적 특례보증을 상시 특례보증으로 변경

대구 33 3.18 1.446

13

한국전력, 신협 등 대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협동조합 모델 발굴사업

등 협동조합 지원과 연계

대구 36 3.22 1.245

경북 15 3.07 1.387 경북 12 3.25 1.422

부산 5 3.20 1.643 부산 5 2.60 1.140

경남 31 3.19 1.327 경남 28 3.21 1.424

합계 84 3.17 1.378 합계 81 3.19 1.314

250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표 14> 영남지역 협동조합이 지난 1년간 정부에서 추진한 정부정책 이용 여부 및 만족도

Page 17: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1

문항 정책의 실효성 구분 N 평균 s.t 문항 정책의 실효성 구분 N 평균 s.t

6 미소금융을 통한 사회적협동조합

창업·운영자금 지원 허용

대구 26 3.15 1.434

14

협동조합 대국민 인지

도 제고를 위해 협동조

합 주간행사, 온라인 뉴

스레터 발간 등 홍보

대구 46 3.24 1.177경북 10 3.20 1.229 경북 24 3.21 1.215부산 2 2.50 .707 부산 14 3.43 .852경남 28 3.07 1.184 경남 33 3.36 1.295

합계 66 3.11 1.266 합계 117 3.29 1.175

7

각 부처·지자체의 자금·경영

지원 정책에 대한 홍보자료 작성

및 배포

대구 48 3.08 1.269

15

협동조합간 상호부조를

통한 자체 위기능력 제

고를 위해 협동조합연

합회의 공제사업 허용

대구 32 3.22 1.362

경북 20 3.15 1.089 경북 14 3.21 1.424

부산 10 3.00 .667 부산 9 3.00 1.225

경남 34 3.09 1.240 경남 28 3.32 1.335

합계 83 3.23 1.328합계 112 3.09 1.174

8

기재부 협동조합 인터넷 홈페이지

(coop.go.kr)에 사이버교육 과정

개설

대구 44 3.16 1.077경북 18 3.17 1.249부산 8 3.00 0.756경남 34 3.15 1.132합계 104 3.14 1.092

지역별로 정책의 만족도가 평균 3.0점(5점 기준)이상으로 영역부부만 재분류 하면 대구

3개, 경북 5개, 부산 3개, 경남 4개로 조사되었다. 지역별 특성에 따라 정책별로 실효성이

높은 부분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5> 지역별 정책의 실효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지역별 분류

지역 정책의 실효성 평균

대구(3개)

협동조합기본법상의 협동조합과 타법 법인과의 M&A 허용 3.03

개별 생산자 및 소비자 협동조합간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기재부 협동조합 내부거래 플랫폼 구축 3.29

협동조합 관련정보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 모바일 시스템 구축 3.35

경북(5개)

중소기업법상 일반협동조합의 중소기업 인정으로 인한 정부지원(소득세·법인세 감면 등) 3.16

미소금융을 통한 사회적협동조합 창업·운영자금 지원 허용 3.20

각 부처·지자체의 자금·경영지원 정책에 대한 홍보자료 작성 및 배포 3.15

기재부 협동조합 인터넷 홈페이지(coop.go.kr)에 사이버교육 과정 개설 3.17

한국전력, 신협 등 대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협동조합 모델 발굴사업 등 협동조합 지원과 연계 3.25

부산(3개)

지역신보, 신용보증기금에서 실시하는 한시적 특례보증을 상시 특례보증으로 변경 3.20

협동조합 표준 교육과정에 세무·회계 등 경영상 필요한 내용 보완 3.47

협동조합 대국민 인지도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 주간행사, 온라인 뉴스레터 발간 등 홍보 3.43

경남(4개)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에 사회적협동조합 포함 및 공공조달 매뉴얼에 협동조합 명기 3.20

협동조합의 시장진입을 제한하는 법 제도 개선(물류단지시설 사업자, 가축분뇨 처리사업자 등) 3.29

초·중등 교육과정, 경제교육에 협동조합 관련내용 반영 3.34

협동조합간 상호부조를 통한 자체 위기능력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연합회의 공제사업 허용 3.32

Page 18: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2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라. 중간지원기관의 컨설팅 및 만족도(광역별 및 지자체)

광역 및 지자체별로 중간지원기관의 컨설팅 이용 만족도를 5점 기준으로 살펴보면, 협

동조합 설립상담이 3.90점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협동조합 기초교육 3.87점, 협동조합설립컨설팅 3.80점, 지역멘토링 등 지역네트워크 구축

지원 3.75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 16> 영남지역 협동조합이 광역별 중간지원기관의 교육 및 컨설팅 이용 만족도

(단위 : 개, %)

문항 지역 N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1. 협동조합설립상담

대구 80 3.93 .808 .090

경북 52 3.90 .891 .124

부산 47 3.98 .675 .099

경남 42 3.79 .813 .125

합계 221 3.90 .801 .054

2. 협동조합기초교육

대구 76 3.91 .715 .082

경북 49 3.82 .858 .123

부산 57 3.84 .727 .096

경남 51 3.88 .816 .114

합계 233 3.87 .768 .050

3. 세무・회계 등 협동조합 운영교육 및 컨설팅

대구 73 3.75 .813 .095

경북 42 3.69 .924 .143

부산 38 3.58 .722 .117

경남 48 3.63 .841 .121

합계 201 3.68 .825 .058

4. 협동조합설립컨설팅

대구 67 3.94 .868 .106

경북 44 3.82 .995 .150

부산 42 3.67 .979 .151

경남 37 3.68 .884 .145

합계 190 3.80 .927 .067

5. 지역멘토링 등 지역네트워크 구축지원

대구 56 3.88 .854 .114

경북 28 3.71 1.049 .198

부산 22 3.68 .894 .191

경남 31 3.61 .919 .165

합계 137 3.75 .914 .078

6. 정부 조달사업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

대구 38 3.84 .886 .144

경북 21 3.71 1.056 .230

부산 26 3.65 1.164 .228

경남 28 3.54 .962 .182

합계 113 3.70 .999 .094

Page 19: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3

지자체 중간지원 기관을 운영하는 곳은 부산과 경남뿐이다. 두 지역을 대상으로 지자체

중간지원 기관들의 교육 및 컨설팅 이용 만족도를 살펴보면, 부산 및 경남의 경우 다른 영

역에 비해 협동조합 설립상담이 5점 기준으로 각각 3.89점, 4.00점으로 가장 높았다. 교육

및 컨설팅 이용 만족도 문항 중 협동조합 설립상담 및 협동조합 운영 컨설팅을 제외한 다

른 영역에서는 부산지역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17> 영남지역 협동조합에서 지자체 중간지원기관들의 교육 및 컨설팅 이용 만족도

(단위 : 개, %)

구분 매우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전체 평균

협동조합설립 상담부산 1(2.7) 5(13.5) 28(75.7) 3(8.1) 37(100) 3.89

경남 3(50.0) 3(50.0) 6(100) 4.00

협동조합 기초교육부산 1(2.9) 8(23.5) 23(67.6) 2(5.9) 34(100) 3.76

경남 0 4(66.7) 0 2(33.3) 6(100) 3.67

세무회계 등 협동조합 운영 교육부산 1(4.2) 6(25.0) 15(62.5) 2(8.3) 24(100) 3.75

경남 0 4(66.7) 0 2(33.3) 6(100) 3.67

협동조합 운영 컨설팅부산 1(4.0) 1(4.0) 6(24.0) 14(56.0) 3(12.0) 25(100) 3.68

경남 0 0 3(60.0) 0 2(40.0) 5(100) 3.80

지역 멘토링 등 지역 네트워크

구축 지원

부산 2(12.5) 3(18.8) 9(56.3) 2(12.5) 16(100) 3.69

경남 1(20.0) 3(60.0) 0 1(20.0) 5(100) 3.20

정부 조달사업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

부산 2(12.5) 4(25.0) 7(43.8) 3(18.8) 16(100) 3.69

경남 1(20.0) 3(60.0) 0 1(20.0) 5(100) 3.20

마. 지속가능성을 위한 가장 시급한 정책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 영남지역 협동조합에서는 판로

지원이 가장 시급한 정책이라고 193개(47.7%)기관이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맞춤형 중

간지원 기관 육성 70개(17.3%), 금융 인프라 확보 61개(15.1%), 협동조합 간 연대사업 추진

45개(11.1%)순으로 조사되었다.

대구, 경북, 경남 각 지역별 시급정책의 순위도 영남권 전체와 유사하지만 부산지역의

경우 금융 인프라 확보가 2번째로 가장 시급한 정책이라고 응답하였다. 다른 지역에 비해

부산지역은 금융 및 세제지원과 관련된 정책이 가장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Page 20: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4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표 18>] 영남지역 협동조합들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정책

(단위 : 개, %)

구분

가장 시급한 정책

합계판로지원 금융인프라확보

협동조합

전문가육성

맞춤형중간지원

기관육성

협동조합간

연대사업촉진

지역

대구빈도 51 18 12 27 16 124전체 (12.6) (4.4) (3.0) (6.7) (4.0) (30.6)

경북빈도 33 15 7 18 11 84전체 (8.1) (3.7) (1.7) (4.4) (2.7) (20.7)

부산빈도 68 20 6 13 9 116전체 (16.8) (4.9) (1.5) (3.2) (2.2) (28.6)

경남빈도 41 8 11 12 9 81전체 (10.1) (2.0) (2.7) (3.0) (2.2) (20.0)

합 계빈도 193 61 36 70 45 405전체 (47.7) (15.1) (8.9) (17.3) (11.1) (100)

Ⅳ.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이후 한국에서는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

서 협동조합 설립이 자유로워졌고, 2016년 9월 10일 현재 전국의 협동조합은 9,997개가 설

립되었다. 세계적인 경제침체 및 저성장 흐름과 사회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한국사회에

서 협동조합은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안적 기업모델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한창용, 2014).

하지만 단기간에 걸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협동조합 운영이 잘 되고 있는지, 성공적

인 협동조합운영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의 실효성 여부에 대한 지역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유로 본 연구는 ‘2015년 협동조합 실태조사’를 통해 영

남지역을 중심으로 지속발전 가능한 협동조합이 운영될 수 있도록 정책의 만족도 및 실효

성을 분석하였다.

영남지역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추진된 정부정책

이용경험이 없다는 응답비율이 54.1%로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정부에서 추진 중인 정책

의 이용도 및 실효성이 낮다는 것은 현실과 실질적인 정책의 괴리가 심각하다는 반증으로

이에, 협동조합의 종사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협동조합 운영지원을 위한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 실효성은 취지는 매우 좋은 정책이

지만 협동조합들의 만족도는 평균 2.84점으로 모든 지역에서 가장 낮은 실효성을 보였다.

협동조합들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는 ‘판로지원’이 47.7%로 가장 높

게 나타났다. 이는 공공기관 우선구매 정책과도 연계가 되는 것으로 상법상 회사의 지위를

Page 21: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5

갖는 협동조합의 일상적인 운영을 위해서 협동조합 생태계가 구축될 때까지 정책적인 지

원을 통해 자생력을 갖추도록 하여야 함을 보여준다. 유사한 맥락으로 보면 맞춤형 중간지

원 기관 육성이나 금융인프라 확보를 시급한 정책 중 하나라고 응답한 이유도 일반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때까지 정부나 전문가의 지원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종합해 보면 자본주의 경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협동조합 모델이 영남지역

에서 독자적인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의 한 축으로 성장하기 위한 정부지

원정책은 첫째, 협동조합을 사회혁신이 가능한 사회적 경제모델로 보고 금융지원, 실질적

인 공공기관 우선구매 실시 등 정책과제 및 지자체의 발상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의 경쟁력이 규모의 경제로 인한 비용우위에서 창출된다는 점에서 볼 때, 협

동조합의 연대를 위한 규모화를 지원하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현재 협동조합의 연대

는 당사자들의 결정에 맡기고 있는 실정이지만 정책지원과 홍보를 통해 협동조합들이 전

문지원기관의 지원을 받아 연합회 형태의 규모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협동조합을 위한 정부정책이 지역협동조합에게 전달될 수 있는 지원체계를 향상

시켜야 한다. 현재 협동조합을 위한 중간지원기관은 예산, 전문인력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

이 있어 설립부터 사업전개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분을 담당하는 특화된 전문가를 양성하

고 이들이 중간지원기관에 배치되어 정부정책이 협동조합에 스며들 수 있는 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경쟁력을 갖춘 협동조합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것이다. 저성장 기류의 경제흐름 속에 새로운 일자리창출 및 경제모델로 자

리 잡을 수 있는 건실한 협동조합이 활성화 될수록 지역사회의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되고

이를 통해 지역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정책적 지원과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논문투고일 ■ 논문 최종심사일 ■ 논문게재확정일

2017. 06. 042017. 08. 122017. 08. 25

Page 22: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6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참고문헌

강희원(2013),근로자협동조합의 법적 문제, 비교노동법학회, 노동법논총 제29집

권용덕(2013), 경남지역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경남발전연구원

기획재정부(2012), 신규협동조합 유형의 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

김경호(2013),협동조합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 홍동지역을 중심으로, 가

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환(2013),협동조합의 명암은 무엇이며 어떻게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가?, 경상논총

김두년(2014),협동조합기본법 시행에 따른 협동조합의 전환 및 설립 전망, 법이론실무연구, 제2

권 1호

김복태 외(2013),협동조합기본법 시행에 따른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캐나다 퀘벡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013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김수진(2014),협동조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용진(2014), “협동조합화를 통한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연구 제36권 4호, pp.235~252.

박미선(2013),협동조합을 통한 학원 운영조직 방안 : 보습학원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백강석(2012),국제환경변화에 따른 농협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송인방(2013), “협동조합기본법의 시행에 따른 소규모 창업 환경의 변화”, 법학연구, 제24권 1호

송재일(2015), “협동조합법제에서 협도조합 간 협동과 연대”, 한국협동조합연구, 제33권 3호

신창환(2015),사회적 경제의 실천 조건과 정책을 통해 본 사회적 협동조합의 과제, 사회과학 담

론과 정책, 제8권 2호

안준섭․임영선(2000),조합간 사업연합의 현황과 과제, 한국협동조합연구 제18집

이용관(2015),소상공인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지선(2013),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한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지은(2012),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농업협동조합의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장종익(2012),협동조합 기본법 제정이후 한국협동조합의 발전방향과 과제, 한국협동조합학회,

2012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정하늘(2015),전라남도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창용(2014), 협동조합의 운영실태와 시사점, 산업경제분석

함창모(2013), 충북지역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충북연구원

Page 23: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7

Gurli Jakobsen.(2001), "Cooperative and Training Dimensions in entrepreneurship. A study of the methodology of

the Sailian Center in Mondragon", UNUSSUK Arctic Research Journal 1.

ICA. (1995), Cooperative Principles for the 21st Century Background

Luo, X, Bhattacharya, C. B. (2006).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market value",

Journal of Marketing, 70(October)

기획재정부 : http://www.coop.go.kr

한국협동조합 : http://www.coop.go.kr

Page 24: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8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3호|2017.8

ABSTRACT

A Study on Cooperative Status and Policy Effectiveness

4)5)6)Yun, Ji-su*⋅Kim, Seok-ho**⋅Ahn Myung-sun***

In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so that

cooperative associations of the new option-based model based on the region c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the "2015 Cooperative Survey of Liaoning Province Cooperative Association".

“The year of the cooperative association ", it became possible to establish a free cooperative in all

fields except the financial insurance business by enacting the basic law of the cooperative association

in Korea.

As of September 10, 2016, 9,997 cooperative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The number of

cooperatives nationwide was 2,593, 1,693, total 651, Gwangju 577, Busan 532, Ganghara 526,

Gyeongbuk 421 420 Daegu, 403 Daejeon, 363 Chungnam and 353 Kyungsang in order.

Compared to the current tendency for cooperative associations to increase exponentially,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supported regional policies is lowered and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to

grow into one axis of the regional economy is enhanced Therefore, several policy proposals are the

same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municipalities so that cooperative

associations can mature the policy issues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seen in the socio-economic

model that enables social innovation. Secondly, a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support the

large-scale development of cooperative associations. Thirdly, it will improve the support system that

government policies for cooperatives can pass to local cooperatives.

Finally, the following researches on multifaceted policy support and solutions that enable

cooperative associations to be effective, solve economic problems in local communities, and thereb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Must be carried out.

|Key words| Cooperative, Cooperative Type, Government support system, Policy effectiveness,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 Director, Policy planning team, Gyeongnam lifelongeducation for Institute, Korea**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conomics and Finance, Kyungnam University, Korea*** An ex-professor, 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orea

Page 25: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Ⅰ윤지수⋅김석호⋅안명선 259

1. 주저자

윤지수(Ji-su Yun) : [email protected]

창원시 경남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상남도평생교육진흥

원에서 팀장으로 중이며, 주요 관심 분야는 RHRD, 사회적기업, 인력수요예측, 노

동경제 등이다.

2. 교신저자

김석호(Seok-ho Kim) : [email protected]

창원시 경남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남대학교 경제금융학

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요 관심 분야는 지역경제,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등

이다.

3. 공동저자

안명선(Myung Sun Ahn) : [email protected]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박사과정수료를 하였다.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

지학과 외래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사회적기업, 청소년노동,

사회적경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