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61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 간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Upload: others

Post on 22-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 간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이 기 현

Page 2: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 간의 관련성

지도교수 고 상 백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7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이 기 현

Page 3: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이기현의 석사 학위논문으로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년 7월 일

Page 4: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i

감사의 글

올바른 사람의 바탕은 학문이 아니면 될 수 없다는 율곡 이이의 말씀은 공부를

하는 이유가 입신양명하거나 남들에게 자랑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이치를 깨닫고, 삶을 위한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라는 것입니다.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길 소망하는 저에게, 우리 삶의 큰 축인 일(work), 환경(environment)과 관련한

의학인 직업환경의학의 길로 이끌어 주시고, 본 논문의 시작부터 맺기까지 언제나

관심과 지도편달로 가르침을 주신 고상백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일상생활을 통해 학자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배양하는데 모범을 보여주시고 배움의

깊이와 인간적인 따스함으로 제자를 감싸주시는 장세진 교수님, 바쁜 일정 속에서도

귀중한 시간을 내어 부족한 논문의 심사를 하여 주신 김성훈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본 논문을 준비하는 동안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신 차봉석 교수님,

박종구 교수님, 김춘배 교수님, 오성수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이해와 협조를 해 주신 직업환경의학과 의국 윤진하 선생님, 김성경 선생님,

조인정 선생님과 외래, 검진, 보건관리대행, 예방의학교실, 직업 및 환경의학연구소

모든 선생님들께도 감사 드립니다.

오늘의 작은 성취는 많은 분들의 큰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 동안 저를 지도해 주시고 격려해 주신 모든 분들께 이 자리를 통해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지금의 자리에 있기까지 저를 낳아주시고 헌신을 다해 키워주신 부모님(이재두,

이옥화)께 모든 영광을 돌리며, 사랑과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언제나 사랑으로

품어주는 할머니(남부전), 항상 응원해주는 누님들(이혜현, 이혜정)과 자형(박원광)께

Page 5: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ii

감사의 마음을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어느 누구보다도 손자의 성취를 기뻐하셨을 할아버지(이성열)께 이

부족한 논문을 바칩니다.

2011년 7월

이기현 배상

Page 6: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iii

차 례

그림 및 표 차례 ․․․․․․․․․․․․․․․․․․․․․․․․․․․․․․․․․․․․․․․․․․․․․․․․․․․․․․․ ⅴ

국문 요약 ․․․․․․․․․․․․․․․․․․․․․․․․․․․․․․․․․․․․․․․․․․․․․․․․․․․․․․․․․․․․․ ⅵ

제1장 서론 ․․․․․․․․․․․․․․․․․․․․․․․․․․․․․․․․․․․․․․․․․․․․․․․․․․․․․․․․․․․․ 1

제2장 대상 및 방법 ․․․․․․․․․․․․․․․․․․․․․․․․․․․․․․․․․․․․․․․․․․․․․․․․․․․․․ 5

2.1. 연구대상 ․․․․․․․․․․․․․․․․․․․․․․․․․․․․․․․․․․․․․․․․․․․․․․․․․․․․․․․․․ 5

2.2. 방법 ․․․․․․․․․․․․․․․․․․․․․․․․․․․․․․․․․․․․․․․․․․․․․․․․․․․․․․․․․․․․․ 6

2.2.1. 기초자료수집 ․․․․․․․․․․․․․․․․․․․․․․․․․․․․․․․․․․․․․․․․․․․․․․․․․․ 6

2.2.2. 조사 변수 및 측정도구 ․․․․․․․․․․․․․․․․․․․․․․․․․․․․․․․․․․․․․․․․․ 6

2.2.2.1. 일반 및 직업관련 특성 ․․․․․․․․․․․․․․․․․․․․․․․․․․․․․․․․․․․․․ 6

2.2.2.2.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 ․․․․․․․․․․․․․․․․․․․․․․․․․․․․․․․․․․․․ 6

2.2.2.3. 물리적 위험요인 ․․․․․․․․․․․․․․․․․․․․․․․․․․․․․․․․․․․․․․․․․․․ 7

2.2.2.4. 사회심리적 위험요인 ․․․․․․․․․․․․․․․․․․․․․․․․․․․․․․․․․․․․․․․․ 8

2.2.3. 통계분석 ․․․․․․․․․․․․․․․․․․․․․․․․․․․․․․․․․․․․․․․․․․․․․․․․․․․․․․ 8

제3장 결과 ․․․․․․․․․․․․․․․․․․․․․․․․․․․․․․․․․․․․․․․․․․․․․․․․․․․․․․․․․․․․․ 9

3.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및 건강 행위 특성 ․․․․․․․․․․․․․․․․․․․․․․․․․․ 9

3.2. 조사대상자의 직무 특성 ․․․․․․․․․․․․․․․․․․․․․․․․․․․․․․․․․․․․․․․․․․․ 9

3.3. 조사대상자의 근골격계 증상 ․․․․․․․․․․․․․․․․․․․․․․․․․․․․․․․․․․․․․․ 11

3.4. 조사대상자의 물리적 위험요인과 근골격계 증상 ․․․․․․․․․․․․․․․․․․․․․ 11

3.5.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위험요인과 근골격계 증상 ․․․․․․․․․․․․․․․․․․․․․ 14

3.6. 조사대상자의 물리적 사회적 위험요인, 작업시간과 근골격계 증상 ․․․․ 16

제4장 고찰 ․․․․․․․․․․․․․․․․․․․․․․․․․․․․․․․․․․․․․․․․․․․․․․․․․․․․․․․․․․․․ 19

제5장 결론 ․․․․․․․․․․․․․․․․․․․․․․․․․․․․․․․․․․․․․․․․․․․․․․․․․․․․․․․․․․․․ 26

Page 7: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iv

참고 문헌 ․․․․․․․․․․․․․․․․․․․․․․․․․․․․․․․․․․․․․․․․․․․․․․․․․․․․․․․․․․․․․ 27

부록 ․․․․․․․․․․․․․․․․․․․․․․․․․․․․․․․․․․․․․․․․․․․․․․․․․․․․․․․․․․․․․․․․․․․ 36

영문 요약 ․․․․․․․․․․․․․․․․․․․․․․․․․․․․․․․․․․․․․․․․․․․․․․․․․․․․․․․․․․․․․ 49

Page 8: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v

그림 차례 Fig. 1. Annual trend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1996~2009) ․․․․․․․․․ 2

Fig. 2. Study population ․․․․․․․․․․․․․․․․․․․․․․․․․․․․․․․․․․․․․․․․․․․․․․․ 5

표 차례 Table 1. Distribution of sociodemographics, job-related factor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 10

Table 2. Odds ratios of physical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 ․․․․․․․․․․․․․․․․․․․․․․․․․․․․․․․․․․ 12

Table 3. The distribution of job stress scores for workers ․․․․․․․․․․․․ 14

Table 4. Odds ratios of 8 Korean job stress domain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by multivariable analysis ․․․ 15

Table 5. Odds ratios of physical psychosocial risk factors and working hou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 ․ 18

Page 9: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vi

국 문 요 약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 간의 관련성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우리나라 모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에 대한 유해요인 조사에 대한 일환으로

단면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총 1793명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상태), 건강관련 요인, 직업적 특성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목,

어깨, 팔, 손) 증상에 대하여 KOSHA CODE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지침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위험 요인은 ANSI 체크리스트(ANSI Z-365

Quick checklist)를 이용하였고, 사회심리적 위험 요인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근골격계 증상 호소자 중 NIOSH grade2

이상을 환자군(case)으로 정의하여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이 근골격계 증상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Page 10: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vii

흡연여부, 음주여부, 규칙적 운동여부, 만성질환 과거력 유무, 재직 기간을 통제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낮은 물리적 위험군에 비해 높은 물리적 위험군(OR: 2.37, 95%

CI: 1.56-3.62), 직무스트레스 정상군에 비해 높은 직무스트레스 군(OR: 2.65, 95%

CI: 2.03-3.47)이 근골격계 상지 증상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작업시간을 이분하여 용량-반응 관계 분석한 결과, 물리적 위험 요인이 적고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이고 작업시간이 적은 군에 비해 물리적 위험요인이 많고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작업시간이 많은 군(OR: 4.24, 95% CI: 2.08-8.65)이

근골격계 상지 증상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자동차 제조 근로자가 직무 수행 과정에서 노출되는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근골격계 상지 증상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중량물 취급과 작업 자세, 직무스트레스 등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근골격계

질환과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인간공학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청된다.

핵심되는 말: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 물리적 위험요인, 사회심리적 위험요인,

직무스트레스

Page 11: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 -

제 1장 서론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은 특정한 신체 부위의 반복 작업과 불편하고

부자연스러운 작업 자세, 강한 노동강도, 과도한 힘, 불충분한 휴식, 추운 작업 환경,

진동 등이 원인이 되어 목, 어깨, 팔꿈치, 손목, 손가락, 허리, 다리 등 주로 관절

부위를 중심으로 근육과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생겨 결국 통증과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근육골격계의 만성적인 건강 장해로 알려져 있다.1

노동부에서 고시한 ‘단순반복작업 근로자 작업관리 지침서’에는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동작 또는 자세인 단순반복작업으로 기계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되어 목․어깨․팔․팔꿈치․손목․손등의 신경․건․근육 및 그 주변조직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로 정의되고 있고2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증상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적어도 1주일 이상 또는 과거 1년간 적어도 한 달에 한번 이상 상지의 관절

부위(목, 어깨, 팔꿈치 및 손목)에서 지속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들(통증, 쑤시는 느낌,

뻐근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또는 저릿저릿함)이 존재하고, 동일한 신체 부위에

유사질병과 사고 병력이 없어야 하며 증상은 현재의 작업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3

미국의 직업병 통계를 보면 1981년도에 근골격계 질환자 발생건수가

23,000건이었던 것이 약 30년 후인 2009년도에는 약 15.2배 증가한

348,740건으로 전체 산업재해(손상, 질환)의 28%를 차지할 정도로 급속히 증가하여

산업보건의 주요 문제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4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해 지출되는

경제적 비용 또한 천문학적인 숫자로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데,5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액만 연간 150~200억 달러에 달하고 간접적인

피해액은 450~540억 달러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평균 하루 1억3천5백만

달러에 해당한다.6

Page 12: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 -

우리나라의 경우, 노동부에서 발표하는 산업재해 통계자료는 다양한 종류의

재해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여 재해 발생 상황을 다각도로 살펴 볼 수 있다.

노동부의 산업재해 통계자료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자 발생 추이는 Figure 1과 같다.

Fig. 1. Annual trend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1996~2009).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Occupational illness

Musculoskeletal disorders

Year

Person

Page 13: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 -

우리나라의 산재보상보험법에 의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된 근골격계 환자의

현황을 보면, 1986년 모 방송국 타이피스트의 질병을 시작으로 1996년 전화교환원의

경견완장해 집단발생이 집단적인 직업병 인정사례를 포함하여 총 506명이

보고되었으며, 전체직업병 인정자의 33.1%를 차지하다가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1999년 통계를 보면, 총 410명으로 다시 증가하여 전체

직업병건수의 17.6%를 차지하였고, 그 후로는 급격하게 증가하여 2009년 근골격계

질환으로 6,222명이 산재보상을 받았는데 이는 전체 업무상 질병의 71.3%를

차지하였다. 특히 신체부담 작업으로 분류되는 근골격계 질환자 수가 2000년 이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노동부 발표에 의하면, 국내 산업재해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여

2009년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직접 손실액은 약 3조 5천억 원이며, 직·간접

손실을 포함한 연간 경제적 손실 추정 액이 약 17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7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자동차 제조 공정은 1200여 공정이 넘는데 크게 조립부, 차체부, 가공부,

도장부, 품질관리부, 기타 생산부서, 기타 사무부서로 나눠진다. 자동차 생산 공정은

승용차를 기준으로 크게 프레스(철판 절단 및 압축성형)→차체(프레스철판의 용접,

조립)→도장(차체의 방음, 방진, 방청 처리 및 색 도장)→의장(차체의 내·외장 및

샤시 조립)→최종 테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엔진 및 변속기 등 핵심부품의

공정으로 주조→단조→소결→열처리→기계가공→조립공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동차 생산과정의 작업환경은 진동, 중량물, 유해광선, 고열, 반복작업과 관련된

다양한 인간공학적 위험요인이 존재하며,8 따라서 제조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을 명확하게 분석하기 어렵다.

국가의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은 광범위한 관련 산업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종합산업이며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선도적인 산업이다. 그 특성상 규모의 경제가

적용되는 산업이며, 시장 생산성에 기반을 둔 대량생산 방식을 취함으로써 한 나라의

Page 14: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 -

경제력과 기술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며 가장 중요한 제조업 산업 중의

하나이다.9 1970년대 이후 세계적인 불황으로 대두된 신자유주의의 도입으로 인해

케인즈 이론에서의 완전고용은 노동시장의 유연화로 해체되고 국가권력의 시장개입이

소극적으로 바뀌면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는 시대의 흐름이 되었다.10 우리 사회의

경우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계 하에서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정리해고가

합법화되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숫자가 급증하면서 노동사회에 큰 변화가 초래 되었고,

국가의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경우 산업화의 고도 성장기를 지나 유래 없는

불황과 더불어 전세계적인 자동차 업계의 급격한 구조조정 시기가 맞물려 기술력이

낮고 과도한 부채에 시달리던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우량기업을 위주로 재편되었다.11

이런 상황은 전반적인 노동 환경을 악화시키는 방향(시급제·성과급 체계 등의

임금의 유연화, 비정규직 확대 등의 상시적 구조조정으로 인한 고용의 유연화,

작업·휴식시간 변동 등의 노동시간 연장과 유연화)으로 진행되었으므로12 직장 내

인간관계나 미약한 자율권 같은 구조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와 양적인 노동 강도의

증가 및 물리적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환경과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를 필요로 하게 하였다.

그 동안 자동차 산업의 근골격계 질환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들은 몇몇 있었으나

근골격계 질환의 특정 발생 요인에 국한되거나13-14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효과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였다.15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여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질환의 자각 증상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 요인과 근골격계 상지 증상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자동차

제조 사업장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Page 15: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5 -

제 2장 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이 연구에서는 경남에 소재하는 자동차 제조회사의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1,793명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부실한 35부를 제외한 나머지 1,75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이 중 근골격계 증상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고 주요 변수에 대한 평가가

가능했던 1,318명(전체의 73.5%)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Figure 2).

Page 16: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6 -

2.2 방법

2.2.1 기초자료수집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연구의 취지를 알린 후

설문조사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4부분(인구사회학 및 직업관련 특성,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 물리적 위험요인,

직무스트레스)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2.2.2 조사 변수 및 측정도구

2.2.2.1 일반 및 직업관련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건강행태(흡연여부, 음주여부, 운동여부),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등으로 구성되었고, 직업관련 특성으로는 근무연수, 주당

근무시간, 변형근로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2.2.2.2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

근골격계 증상에 관한 설문은 한국산업안전공단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 KOSHA CODE(H-30-2003)의 ‘근골격계 증상 조사표’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근골격계의 자각 증상 정의는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의 기준인 ‘증상이 적어도 1주일 이상 또는 과거 1년간 적어도 한

달에 한번 이상의 증상들(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뜨거운 느낌, 무감각 또는

찌릿찌릿한 느낌)이 존재하는 경우’로 평가기준을 적용하였다. 증상부위는

NIOSH에서 제시한 상지 부위인 목, 어깨, 팔/팔꿈치 및 손가락/손목의 4부분으로

하였으며, 조사 부위 중 한 곳이라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증상이 있는 것으로

Page 17: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7 -

하였다.3

2.2.2.3 물리적 위험요인

근골격계 질환의 인간공학적 위험요인 평가를 위해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분석기법들이 존재하는데, OWAS, RULA, REBA 등과 같은 체크리스트들은

모두 관찰법에 의해 이루어지며, 작업 자세와 중량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16 1분

내외의 짧은 작업주기 시간으로 인한 작업의 반복성, 작업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부자연스런 자세, 부품을 이동시키거나 장착하는데 요구되는 과도한 힘, 동력 공구에

기인하는 진동 및 온도와 같은 환경요인, 작업의 속도 등의 요인을 평가하기 어렵다.

이에 비해 미국표준연구원에서 개발한 ANSI 체크리스트(ANSI Z-365 Quick

checklist)는 이런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반영하고, 적용이 용이하고 작업의 형태를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7

물리적 위험요인은 국내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한 ANSI Z-365(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1996)을 이용하여 반복 작업(수초동안 반복/수분마다

반복)시 노출시간, 중량물 들기 작업시 무게와 노출시간, 밀기/당기기 작업시

강도(가볍다/중간/무겁다)와 노출시간, 중량물 이동 작업(3m 이상)시 무게와

노출시간, 다양한 신체부위(목/어깨, 손 뻗음, 팔/팔꿈치, 손/손목, 허리, 무릎)에 대한

특정 작업자세의 노출시간 및 동력공구의 사용유무, 신체압박 노출시간, 정적인 동작

시간, 작업장의 물리적 유해요인, 유인작업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ANSI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계산하여, 평가결과 점수가 10점 이상이면 ‘위험기준 초과 작업’, 16점

이상이면 ‘고위험 기준 초과 작업’으로 각각 재정의 하였다.17

Page 18: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8 -

2.2.2.4 사회심리적 위험요인

작업관련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은 장세진 등18에 의해 개발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를 이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의 하부 위험요인으로는 위해

물리환경(hazardous physical environment), 직무요구도(job demand), 직무자율성

결여(insufficient job control), 관계갈등(interpersonal conflict), 직무불안정(job

insecurity), 조직 내 불평등(organizational injustice), 보상부적절(lack of reward),

직장문화(occupational climate) 등의 8개 항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8개의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에 대한 평가는 각 영역을 100점으로 환산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분위수(quartile)를 기준으로 네 번째의 가장 높은 집단(Q4)을 고위험집단으로,

나머지 세 집단(Q1, Q2, Q3)을 정상집단으로 이분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2.2.3 통계분석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기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 유무에 따른 일반 및 직업관련 특성은 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유증상군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 중

혼란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변수를 선정하여 이들 변수를 보정한 후 물리적

위험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항목별 위험도를 추정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에 대하여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과 주당

작업시간을 80시간을 기준으로 이분하고 이들 노출군들을 조합하여 교차비(Odds

ratio)를 구하였다. 혼란변수로는 나이, 결혼 유무, 교육 수준,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 근무기간, 과거 병력 등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PASW 18.0을 사용하였고, P

value가 유의수준 0.05 미만일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Page 19: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9 -

제 3장 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및 건강 행위 특성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3.6세였고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774명(58.7%)으로 가장 많았고 20~30대 387명(29.4%), 50대 이상

157명(11.9%)의 순이었다. 전체의 88.9%가 기혼자였고 교육상태는 대졸 이상이

27.9%였다.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 질환자와 비질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행위

특성 분석 결과, 연령별, 학력수준별, 결혼여부, 음주여부, 질병 과거력, 규칙적

운동여부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흡연여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1).

3.2 조사대상자의 직무 특성

부서별로는 전체 대상자 중 조립부가 26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차체부, 가공부,

도장부 순이었다. 근무형태별로는 2교대가 686명(52.1%)으로 가장 많았으며

주간근무 559명(42.4%), 기타 73명(5.5%) 순이었다. 근속연수는 16~20년이

736명(55.8%)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 형태에 따른 NIOSH 기준2에 의한 유소견자

분포는 2교대가 51.6%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주간근무는 42.4%, 기타가

6.1%이었다(Table 1).

Page 20: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0 -

Table 1. Distribution of sociodemographics, job-related factor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Unit: person(%)

p-value*

Age(years)

≤39 124 ( 30.0 ) 263 ( 29.1 ) 0.323

40~49 248 ( 60.1 ) 526 ( 58.1 )

≥50 41 ( 9.9 ) 116 ( 12.8 )

Educational level

Below high school 305 ( 73.9 ) 646 ( 71.4 ) 0.389

Above university 108 ( 26.2 ) 259 ( 28.6 )

Marital status

Married 358 ( 86.7 ) 809 ( 89.4 ) 0.162

Others† 55 ( 13.3 ) 96 ( 10.6 )

Smoking

Current smoker 205 ( 49.6 ) 376 ( 41.6 ) 0.019

Never smoker 82 ( 19.9 ) 194 ( 21.4 )

Ex-smoker 126 ( 30.5 ) 335 ( 37.0 )

No. of alcohol consumption per week

No 244 ( 59.1 ) 535 ( 59.1 ) 1.000

≥1 169 ( 40.9 ) 370 ( 40.9 )

Past medical history‡

No 97 ( 23.5 ) 207 ( 22.9 ) 0.833

Yes 316 ( 76.5 ) 698 ( 77.1 )

Regular exercise

Yes 313 ( 75.8 ) 681 ( 75.3 ) 0.890

No 100 ( 24.2 ) 224 ( 24.8 )

Industry type§

Assembly 101 ( 27.5 ) 159 ( 20.0 ) 0.017

Body 58 ( 15.8 ) 106 ( 13.3 )

Processing 51 ( 13.9 ) 111 ( 13.9 )

Paint 29 ( 7.9 ) 86 ( 10.8 )

Management 69 ( 18.8 ) 154 ( 19.3 )

Other production 21 ( 5.7 ) 74 ( 9.3 )

Other office work 38 ( 10.4 ) 107 ( 13.4 )

Work tenure(years)

≤15 101 ( 24.5 ) 202 ( 22.3 ) 0.057

16~≤20 241 ( 58.4 ) 495 ( 54.7 )

20< 71 ( 17.2 ) 208 ( 23.0 )

Work schedule

day duty 175 ( 42.4 ) 384 ( 42.4 ) 0.855

night / day shift 213 ( 51.6 ) 473 ( 52.3 )

Others 25 ( 6.1 ) 48 ( 5.3 )

* P-value by chi-square test.

† Included divorced, separation, and bereaved.

‡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or depression.

§ A total of variables is not 1318 due to missing values.

Variables Case (N=413) Non-case (N=905)

Page 21: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1 -

3.3 조사대상자의 근골격계 증상

‘지난 12개월 동안 증상이 적어도 1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혹은 1달에 1번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서 증상의 정도는 중간 정도 이상인 경우’인 NIOSH의 기준2인

근골격계 유증상자는 응답자 중 413명(31.3%)이었으며 부위별로는 어깨가 24.6%로

가장 많이 증상을 호소하는 부위였으며, 목(19.1%), 손가락/손목(15.1%),

팔/팔꿈치(9.0%)의 순이었다.

3.4 조사대상자의 물리적 위험요인과 근골격계 증상

물리적 위험요인 중 작업방법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에 대한 위험도는

Table2와 같다. 하루 동안 4시간을 초과한 반복 작업의 교차비는 1.54(95% CI,

1.13-2.11)이고, 하루 동안 4시간을 초과한 들기 작업의 교차비는 1.84(95% CI,

1.35-2.52)이고, 하루 동안 4시간을 초과한 밀기/당기기 작업의 교차비는 2.08(95%

CI, 1.56-2.86)이고, 하루 동안 4시간을 초과한 중량물 이동 작업(3m 이상)의

교차비는 1.63(95% CI, 1.14-2.33)이었다. 하루 동안 4시간을 초과한 목/어깨를

들거나 굽히는 자세, 손 뻗는 작업, 팔/팔꿈치를 비트는 작업, 손/손목을 굽히는 자세,

몸통을 비틀거나 굽히는 자세, 동력공구 사용 작업, 신체압박 작업, 정적인 동작 작업,

작업장의 물리적 유해요인에 노출된 작업, 유인작업의 교차비는 각각 2.27(95% CI,

1.66-3.09), 2.51(95% CI, 1.77-2.55), 2.53(95% CI, 1.83-3.49), 2.14(95% CI,

1.59-2.89), 2.27(95% CI, 1.65-3.11), 1.90(95% CI, 1.38-2.61), 2.19(95% CI,

1.38-3.49), 2.05(95% CI, 1.47-2.88), 1.87(95% CI, 1.34-2.61), 1.87(95% CI,

1.13-3.09)이었다.

Page 22: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2 -

물리적 위험요인은 각 항목의 점수를 종합한 ANSI 점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NSI의 총 점수를 ANSI 기준10에 따라 낮음과 높음으로 분류하였을 때, ANSI

점수가 낮은 작업자에 비해 높은 작업자에서 작업관련 근골격계 상지 증상의

교차비는 혼란변수를 보정하지 않았을 때 2.33(95% CI, 1.58-3.44)이었고,

보정하였을 때는 2.37(95% CI, 1.56-3.62)이었다.

Table 2. Odds ratios of physical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

(N=1318*)

Variables Unadjusted OR Adjusted OR†

OR 95% CI OR 95% CI

Repetitive

Every few minutes 1.00 1.00

Every few seconds 1.53 1.15 ~ 2.04 1.59 1.18 ~ 2.14

Repetitive (duration)

<1hour 1.00 1.00

1~4hours 1.53 1.08 ~ 2.18 1.53 1.06 ~ 2.20

>4hours 1.54 1.13 ~ 2.11 1.52 1.10 ~ 2.11

Lift(load/force)

≤6.8kg 1.00 1.00

6.8kg~13.5kg 1.36 1.01 ~ 1.84 1.38 1.01 ~ 1.89

13.5kg~22.5kg 1.18 0.77 ~ 1.81 1.11 0.71 ~ 1.74

>22.5kg 1.76 0.96 ~ 3.24 1.68 0.90 ~ 3.15

Lift(duration)

<1hour 1.00 1.00

1~4hours 2.01 1.42 ~ 2.85 2.00 1.39 ~ 2.88

>4hours 1.84 1.35 ~ 2.52 1.87 1.35 ~ 2.60

Push/Pull(load/force)

Easy 1.00 1.00

Moderate 1.99 1.46 ~ 2.70 2.09 1.51 ~ 2.90

Severe 3.79 2.49 ~ 5.76 3.86 2.49 ~ 5.99

Push/Pull (duration)

<1hour 1.00 1.00

1~4hours 2.11 1.50 ~ 2.96 2.08 1.46 ~ 2.96

>4hours 2.08 1.52 ~ 2.86 2.16 1.54 ~ 3.02

Carry≥3m(load/force)

≤6.8kg 1.00 1.00

6.8kg~13.5kg 1.33 0.95 ~ 1.86 1.24 0.87 ~ 1.75

>13.5kg 1.34 0.88 ~ 2.05 1.26 0.82 ~ 1.96

Carry≥3m(duration)

<1hour 1.00 1.00

1~4hours 1.63 1.12 ~ 2.37 1.56 1.06 ~ 2.30

>4hours 1.63 1.14 ~ 2.33 1.72 1.19 ~ 2.48

Page 23: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3 -

Table 2. continued

Variables Unadjusted OR Adjusted OR†

OR 95% CI OR 95% CI

Neck/shoulder(overhead/bend)

<1hour 1.00 1.00

1~4hours 2.52 1.82 ~ 3.49 2.57 1.83 ~ 3.62

>4hours 2.27 1.66 ~ 3.09 2.37 1.71 ~ 3.29

Extended reach

<1hour 1.00 1.00

1~4hours 2.49 1.79 ~ 3.46 2.52 1.79 ~ 3.54

>4hours 2.51 1.77 ~ 3.55 2.54 1.77 ~ 3.65

Elbow/forearm(twist)

<1hour 1.00 1.00

1~4hours 2.29 1.65 ~ 3.17 2.44 1.73 ~ 3.42

>4hours 2.53 1.83 ~ 3.49 2.53 1.80 ~ 3.56

Hand/wist (bend/pinch)

<1hour 1.00 1.00

1~4hours 1.85 1.35 ~ 2.54 1.95 1.41 ~ 2.72

>4hours 2.14 1.59 ~ 2.89 2.24 1.64 ~ 3.06

Trunk (twist/bend)

<1hour 1.00 1.00

1~4hours 2.00 1.48 ~ 2.70 2.06 1.50 ~ 2.83

>4hours 2.27 1.65 ~ 3.11 2.38 1.70 ~ 3.32

Knee (squat/kneel)

<1hour 1.00 1.00

1~4hours 1.53 1.09 ~ 2.14 1.45 1.02 ~ 2.06

>4hours 1.43 0.88 ~ 2.34 1.42 0.86 ~ 2.35

Use power tools

<1hour 1.00 1.00

1~4hours 1.77 1.21 ~ 2.61 1.94 1.30 ~ 2.90

>4hours 1.90 1.38 ~ 2.61 1.96 1.41 ~ 2.74

Pressure points

<1hour 1.00 1.00

1~4hours 2.01 1.35 ~ 2.99 2.19 1.45 ~ 3.30

>4hours 2.19 1.38 ~ 3.49 2.13 1.31 ~ 3.44

Same position

<1hour 1.00 1.00

1~4hours 1.43 1.04 ~ 1.97 1.45 1.04 ~ 2.02

>4hours 2.05 1.47 ~ 2.88 2.04 1.43 ~ 2.92

Environment (cold, hot, light, vibration)

<1hour 1.00 1.00

1~4hours 1.71 1.16 ~ 2.51 1.70 1.14 ~ 2.54

>4hours 1.87 1.34 ~ 2.61 1.73 1.22 ~ 2.45

Continuos keyboard use

<1hour 1.00 1.00

1~4hours 0.78 0.52 ~ 1.18 0.81 0.52 ~ 1.28

>4hours 1.49 1.00 ~ 2.24 1.50 0.89 ~ 2.51

Incentive work

<1hour 1.00 1.00

1~4hours 1.21 0.75 ~ 1.95 1.15 0.70 ~ 1.91

>4hours 1.87 1.13 ~ 3.09 1.79 1.06 ~ 3.01

* The total of each variable is not always 1318 due to missing values.

† Adjusted fo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smoking, alcohol drinking, regular exercise, tenure,past medical history.

Page 24: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4 -

3.5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위험요인과 근골격계 증상

직무스트레스 총점은 평균 50.2점이고 점수의 범위는 최저 18.8점에서 최고

81.7점 사이였다. Table3은 연구대상 노동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총점 및 8개 하부

영역의 평균 및 사분위수를 제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총점 및 8개의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과 근골격계 증상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근골격계 유증상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유해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 내 정의 부재,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의 모든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군에 비해 높은 군에서 근골격계 증상군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다(Table 4).

Table 3. The distribution of job stress scores for workers(N=1318)

Subscale Mean(SD) Q~.24 Q.25~.49 Q.50~.74 Q.75~

Hazardous physical environment 50.2(16.2) -44.3 44.4-44.4 44.5-55.5 55.6-

Job demand 46.6(10.6) -41.6 41.7-45.7 45.8-54.1 54.2-

Insufficient Job control 51.6(10.2) -46.6 46.7-53.2 53.3-59.9 60.0-

Interpersonal conflict 46.9(11.0) -41.6 41.7-41.7 41.8-49.9 50.0-

Job insecurity 57.8(10.9) -49.9 50.0-55.5 55.6-66.6 66.7-

Organizational injustice 57.4(12.2) -47.5 47.6-57.0 57.1-66.6 66.7-

Lack of reward 47.6(12.4) -38.8 38.9-44.3 44.4-55.5 55.6-

Occupational climate 43.2(11.4) -33.2 33.3-41.6 41.7-49.9 50.0-

Total job stress 50.2(7.7) -44.7 44.8-49.5 49.6-54.6 54.7-

Page 25: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5 -

Table

4. O

dds

ratios

of 8

Kore

an job s

tres

s dom

ains

for w

ork

-rel

ated

musc

ulo

skel

etal

upper

ext

rem

ity

sym

pto

m b

y m

ultiv

aria

ble

anal

ysis

(N=

1318)

Fac

tors

Job s

tress

gro

up

Sym

pto

m p

osi

tive N

(%)

Cru

de O

R(9

5%

CI)

Adju

sted O

R (

95%

CI)

Haz

ardous

physi

cal envir

onm

ent

Norm

al149(2

2.6

)1.0

01.0

0

Hig

h264(4

0.0

)2.2

8(1

.79~

2.9

0)

2.3

6(1

.82~

3.0

6)

Job d

em

and

Norm

al249(2

6.4

)1.0

01.0

0

Hig

h164(4

3.6

)2.1

5(1

.68~

2.7

7)

2.2

5(1

.73~

2.9

2)

Insu

ffic

ient

job c

ontr

ol

Norm

al250(2

6.8

)1.0

01.0

0

Hig

h163(4

2.5

)2.0

2(1

.57~

2.5

9)

2.0

0(1

.55~

2.5

9)

Inte

rpers

onal

confl

ict

Norm

al197(2

7.3

)1.0

01.0

0

Hig

h216(3

6.2

)1.5

2(1

.20~

1.9

1)

1.5

5(1

.21~

1.9

8)

Job inse

curi

tyN

orm

al279(2

8.4

)1.0

01.0

0

Hig

h134(4

0.0

)1.6

8(1

.30~

2.1

8)

1.6

6(1

.27~

2.1

8)

Org

aniz

atio

nal

inju

stic

eN

orm

al281(2

8.6

)1.0

01.0

0

Hig

h132(3

9.4

)1.6

3(1

.25~

2.1

1)

1.5

4(1

.18~

2.0

1)

Lac

k o

f re

war

dN

orm

al223(2

5.6

)1.0

01.0

0

Hig

h190(4

2.4

)2.1

4(1

.68~

2.7

2)

2.0

7(1

.61~

2.6

6)

Occ

uap

tional

clim

ate

Norm

al219(2

7.3

)1.0

01.0

0

Hig

h194(3

7.6

)1.6

0(1

.27~

2.0

3)

1.6

1(1

.26~

2.0

6)

Tota

l jo

b s

tress

Norm

al249(2

5.7

)1.0

01.0

0

Hig

h164(4

7.1

)2.5

8(2

.00~

3.3

3)

2.6

5(2

.03~

3.4

7)

† O

dds

ratio a

nd 9

5%

confidence

inte

rval

s est

imat

ed u

sing logis

tic

regre

ssio

n m

odel ad

just

ed f

or

age, m

arit

al s

tatu

s,educa

tional

level,

smokin

g, al

cohol dri

nkin

g, re

gula

r exerc

ise, te

nure

, pas

t m

edic

al h

isto

ry.

* Jo

b s

tress

was

dic

hoto

miz

ed n

orm

al(Q

1,Q

2,Q

3)

vs

hig

h(Q

4),

Q1,Q

2,Q

3,Q

4 m

ean

s 1st

quar

tile

, 2nd q

uar

tile

, 3rd

quar

tile

, an

d4th

quar

tile

, re

spect

ively

.

Page 26: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6 -

나이, 결혼 유무, 교육 수준,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 근무기간, 과거 병력을

통제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근골격계 유증상군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의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구하였다. 분석결과, 유해물리환경(OR, 2.36; 95% CI, 1.82-3.06), 직무요구(OR,

2.25; 95% CI, 1.73-2.92), 직무자율성 결여(OR, 2.00; 95% CI, 1.55-2.59),

관계갈등(OR, 1.55; 95% CI, 1.21-1.98), 직무불안정(OR, 1.66; 95% CI, 1.27-

2.18), 조직 내 정의 부재(OR, 1.54; 95% CI, 1.18-2.01), 보상부적절(OR, 2.07;

95% CI, 1.61-2.66), 직장문화(OR, 1.61; 95% CI, 1.26-2.06)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집단에서 근골격계 증상군에 속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able4).

3.6 조사대상자의 물리적 사회적 위험요인, 작업시간과 근골격계 증상

물리적 위험요인과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의 작업관련 상지 증상에 대한 용량-반응

관계 분석을 위해 물리적 위험과 주당 작업시간을 80시간을 기준으로 많음/적음으로

분류하여 이들 노출군을 조합하여 교차비를 구하였다.

낮은 물리적 위험과 정상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군에 비해 낮은 물리적 위험과

높은 직무스트레스, 높은 물리적 위험과 정상 직무스트레스, 높은 물리적 위험과 높은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될 때 교차비는 각각 2.56(95% CI, 1.40-4.68), 2.78(95% CI,

1.66-4.96), 2.96(95% CI, 1.77-4.96)이었고,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의 교차비는

각각 2.73(95% CI, 1.46-5.09), 2.79(95% CI, 1.61-4.84), 3.31(95% CI, 1.90-

5.76)이었다.

낮은 물리적 위험과 적은 작업시간에 비해 낮은 물리적 위험과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 높은 물리적 위험과 적은 작업시간에 노출, 높은 물리적 위험과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될 때 각각의 교차비는 1.62(95% CI, 0.97-2.73), 4.74(95% CI,

Page 27: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7 -

2.45-9.16), 2.44(95% CI, 1.44-4.13)이었고,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의 교차비는

각각 1.73(95% CI, 1.01-2.97), 4.76(95% CI, 2.38-9.52), 2.63(95% CI, 1.50-

4.62)이었다.

정상 직무스트레스와 적은 작업시간에 비해 정상 직무스트레스와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적은 작업시간에 노출,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될 때 각각의 교차비는 0.96(95% CI, 0.72-1.29), 2.45(95% CI,

1.66-3.63), 2.59(95% CI, 1.86-3.61)이었고,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의 교차비는

각각 0.96(95% CI, 0.71-1.30), 2.44(95% CI, 1.62-3.67), 2.71(95% CI, 1.91-

3.84)이었다.

낮은 물리적 위험, 정상 직무스트레스와 적은 작업시간에 비해 높은 물리적 위험,

정상 직무스트레스와 적은 작업시간에 노출, 낮은 물리적 위험,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적은 작업시간에 노출, 낮은 물리적 위험, 정상 직무스트레스와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

높은 물리적 위험,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적은 작업시간에 노출, 높은 물리적 위험,

정상 직무스트레스,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 낮은 물리적 위험, 높은 직무스트레스,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 높은 물리적 위험,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될 때 각각의 교차비는 7.30(95% CI, 3.05-17.43), 2.23(95% CI, 0.89-5.56),

1.50(95% CI, 0.82-2.76), 4.12(95% CI, 1.67-10.13), 2.34(95% CI, 1.18-4.66),

4.18(95% CI, 1.82-9.60), 3.47(95% CI, 1.79-6.73)이었고,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의 교차비는 각각 8.33(95% CI, 3.24-21.43), 2.47(95% CI, 0.96-6.34),

1.63(95% CI, 0.87-3.06), 4.12(95% CI, 1.63-10.44), 2.42(95% CI, 1.17-5.00),

4.47(95% CI, 1.91-10.46), 4.24(95% CI, 2.08-8.65)이었다.

Page 28: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8 -

Tab

le 5

. O

dds

ratios

of

physi

cal psy

choso

cial

ris

k f

acto

rs a

nd w

ork

ing h

ours

for

work

-re

late

d m

usc

ulo

skele

tal upper

extr

em

ity s

ym

pto

m

(N=

487)

Var

iable

sU

nad

just

ed O

RA

dju

sted O

R*

OR

95%

CI

OR

95%

CI

Physi

cal ri

sk†

Low

(0~

9 p

oin

ts)

1.0

01.0

0

Hig

h (

10~

33 p

oin

ts)

2.3

31.5

8~

3.4

42.3

71.5

6~

3.6

2

Physi

cal ri

sk a

nd J

ob s

tress

Low

physi

cal ri

sk &

norm

al J

ob s

tress

‡1.0

01.0

0

Low

physi

cal ri

sk &

hig

h J

ob s

tress

2.5

61.4

0~

4.6

82.7

31.4

6~

5.0

9

Hig

h p

hysi

cal ri

sk &

norm

al J

ob s

tress

2.7

81.6

6~

4.6

42.7

91.6

1~

4.8

4

Hig

h p

hysi

cal ri

sk &

hig

h J

ob s

tress

2.9

61.7

7~

4.9

63.3

11.9

0~

5.7

6

Physi

cal ri

sk a

nd w

ork

ing h

ours

Low

physi

cal ri

sk &

modera

te w

ork

ing h

ours

§1.0

01.0

0

Low

physi

cal ri

sk &

long w

ork

ing h

ours

1.6

20.9

7~

2.7

31.7

31.0

1~

2.9

7

Hig

h p

hysi

cal ri

sk &

modera

te w

ork

ing h

ours

4.7

42.4

5~

9.1

64.7

62.3

8~

9.5

2

Hig

h p

hysi

cal ri

sk &

long w

ork

ing h

ours

2.4

41.4

4~

4.1

32.6

31.5

0~

4.6

2

Job s

tress

and w

ork

ing h

ours

norm

al J

ob s

tress

& m

odera

te w

ork

ing h

ours

1.0

01.0

0

norm

al J

ob s

tress

& long w

ork

ing h

ours

0.9

60.7

2~

1.2

90.9

60.7

1~

1.3

0

Hig

h J

ob s

tress

& m

odera

te w

ork

ing h

ours

2.4

51.6

6~

3.6

32.4

41.6

2~

3.6

7

Hig

h J

ob s

tress

& long w

ork

ing h

ours

2.5

91.8

6~

3.6

12.7

11.9

1~

3.8

4

Physi

cal ri

sk, Jo

b s

tress

and w

ork

ing h

ours

Low

physi

cal ri

sk &

norm

al J

ob s

tress

& m

odera

te w

ork

ing h

ours

1.0

01.0

0

Hig

h p

hysi

cal ri

sk &

norm

al J

ob s

tress

& m

odera

te w

ork

ing h

ours

7.3

03.0

5~

17.4

38.3

33.2

4~

21.4

3

Low

physi

cal ri

sk &

hig

h J

ob s

tress

& m

odera

te w

ork

ing h

ours

2.2

30.8

9~

5.5

62.4

70.9

6~

6.3

4

Low

physi

cal ri

sk &

norm

al J

ob s

tress

& long w

ork

ing h

ours

1.5

00.8

2~

2.7

61.6

30.8

7~

3.0

6

Hig

h p

hysi

cal ri

sk &

hig

h J

ob s

tress

& m

odera

te w

ork

ing h

ours

4.1

21.6

7~

10.1

34.1

21.6

3~

10.4

4

Hig

h p

hysi

cal ri

sk &

norm

al J

ob s

tress

& long w

ork

ing h

ours

2.3

41.1

8~

4.6

62.4

21.1

7~

5.0

0

Low

physi

cal ri

sk &

hig

h J

ob s

tress

& long w

ork

ing h

ours

4.1

81.8

2~

9.6

04.4

71.9

1~

10.4

6

Hig

h p

hysi

cal ri

sk &

hig

h J

ob s

tress

& long w

ork

ing h

ours

3.4

71.7

9~

6.7

34.2

42.0

8~

8.6

5

* A

dju

sted f

or

age, m

arit

al s

tatu

s, e

duca

tional

level,

smokin

g, al

cohol dri

nkin

g, re

gula

r exerc

ise, te

nure

, pas

t m

edic

al h

isto

ry.

† T

ota

l A

meri

can N

atio

nal

Sta

ndar

d I

nst

itute

Z-

365 s

core

(0-

33 p

oin

ts).

§ M

odera

te w

ork

ing h

ours

are

belo

w 8

0 h

ours

per

week.

‡ J

ob s

tress

was

dic

hoto

miz

ed n

orm

al(Q

1,Q

2,Q

3)

vs

hig

h(Q

4),

Q1,Q

2,Q

3,Q

4 m

ean

s 1st

quar

tile

, 2nd q

uar

tile

, 3rd

quar

tile

, an

d 4

thquar

tile

, re

spect

ively

.

Page 29: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19 -

제 4장 고찰

상지 근골격계 질환은 1960년대 세계노동기구가 언급한 이래, 1980년대에 들어

급속도로 발생이 증가하여 미국의 경우 1990년에 상위 10대 직업성 질환으로

보고되고 있다.19 우리나라에서도 20년 전부터 은행원이나, 전화번호 안내원 등을

대상으로 보고가 있었으며,20-23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에게서도 발생이

보고되었다.19,24-26 2000년 이후 상지 근골격계 질환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자동차

관련 직종 노동자들에서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연구도 본격적으로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한 대의 자동차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대략 40여 만개의 부품이 필요하며, 그

부품들을 하나하나 생산, 조립하는 다양한 공정으로 인하여, 전체 공정 중 98%가

노동부 고시 부담작업에 한 가지 이상 해당된다고 한다.27 자동차 관련 업종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근골격계질환 현황이나 심각성을 부각시키거나,

16,28-31 작업자세의 평가 혹은 반복적인 동작 등의 일부 위험요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거나,32-34 해당 사업장을 중심으로 공학적 개선안을 개발하는35-36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은 크게

개인적인 요인, 물리적인 요인, 그리고 사회심리적인 요인으로 구분된다.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운동, 과거의 병력, 비만도 같은 육체적 조건 등이 있고,

물리적인 요인으로는 작업빈도, 물체의 크기, 무게, 이동거리, 작업 자세, 작업 시간,

온도, 진동 등이 있으며, 사회심리적 요인으로는 직업의 만족 정도, 근무조건의 만족

정도, 직업의 안정성, 상사 및 동료들과의 인간관계, 업무적 스트레스, 그리고 기타

정신 및 심리 상태가 있다.

Page 30: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0 -

자동차 제조업은 금속, 기계, 전기, 전자, 화학, 통신 등 여러 분야의 제품을 가공,

조립하는 종합적인 산업의 총체라고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조립산업으로 여러 가지

유해요인에 노출된다.

작업공정 별로 물리적 위험을 살펴보면, 프레스 공정은 철강업체로부터 가져온

코일을 차체에 필요한 크기대로 자르고 성형하여 차체 공정으로 넘겨주는 부서로

10kg내외의 제품을 반복하여 프레스기로 장입하거나 적재하기 때문에 중량물 취급,

반복작업과 관련된 위험요인이 있고, 금형 보수 작업시 그라인더 작업으로 인한 전신

및 국소진동에 노출된다.

차체공정은 프레스에서 가공된 차체의 부분들을 주로 용접하여 차체의 형태를

만들어가는 공정으로 그라인더, 드릴러 등의 작업 공구 사용이 많고 특히, 용접 후

차체 연마 작업시 진동 강도가 높다. 차체조립 과정은 허리를 반복적으로 숙이거나

비트는 작업이 많고, 사용하는 부품의 무게가 무겁다.

도장공정은 차체부에서 완성된 차체의 표면을 보호하고 미관을 위해 각종 도료로

피복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작업은 주로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작업특성으로 인해 손목이 지나치게 숙여지거나 젖혀지거나 기울어지게 되는 등의

극단적인 작업자세가 요구되기도 한다.

조립공정의 작업환경은 부품 조립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공구에 의한

진동, 제한된 작업공간에서의 극단적인 작업자세와 반복동작이 문제가 된다.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한 여러 가지 물리적 위험요인으로는 몸통의

비틀림이나 굽힘 같은 부적절한 작업 자세, 정적 부하, 진동, 반복작업이나 앉아서

작업하는 시간 등의 요인이 알려져 있다.37-40 Ariens 등41은 기존의 연구를 종합하여

목의 굽힘, 팔의 힘과 자세, 앉아있는 기간, 몸통의 비틀림과 굽힘, 진동, 작업장

설계가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 있다고 하였다.

국내연구에서도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2조의 규정에 의한 11가지

Page 31: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1 -

근골격계부담작업이 높은 근골격계 증상률을 보여주고 있으며,42 불안정한 자세,43

작업시 허리 움직임의 횟수, 손의 자세, 목의 과도한 구부림, 중량물 무게, 중량물

취급 등44-47이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에서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은

반복작업, 들기 작업, 밀기/당기기 작업, 중량물 이동 작업(3m 이상) 등의

노출시간과 목/어깨를 들거나 굽히는 자세, 손 뻗는 자세, 팔/팔꿈치를 비트는 자세,

손/손목을 굽히는 자세, 몸통을 비틀거나 굽히는 자세, 동력공구 사용 작업, 신체압박,

정적인 동작 작업, 작업장의 물리적 유해요인에 노출된 작업, 유인작업 등과 같은

물리적 위험에 노출될 때 증가하였다. 이 근골격계 증상과 연관이 있었다.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한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사회심리적 위험요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직무스트레스 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유해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 내 정의 부재,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 스트레스를 높게 경험하는

근로자들에서 근골격계 증상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스트레스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발생은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근육긴장이 근골격계 증상으로

발전하거나, 스트레스가 근골격계 염증 상태의 회복을 지연시키거나, 아니면

스트레스로 인하여 근육의 동통 역치가 감소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48 이러한 발생기전은 이번 연구에서 중등도 위험 이하 작업과 높은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되는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의 발생 교차비가 2.73이었고,

위험기준 초과 작업과 정상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 교차비가 2.79, 위험기준

초과 작업과 높은 직무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 교차비가 3.31로 높게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다. 이는 근골격계 증상에 물리적 위험요인과 직무스트레스가 상호적으로

작용하여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말해준다.

Page 32: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2 -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 중 유해물리환경은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직무요구는 직무에 대한 부담 정도를 의미하며,

시간적 압박, 업무량 증가, 업무 중 중단, 책임감, 과도한 직무부담 등이 여기에

속한다. 주 40시간 노동이 법제화되었지만 경제위기에 따른 구조조정 후에 신규

인력의 채용 없이 자동체 제조 근로자들의 실 노동시간은 주 60시간을 넘고 있는

형편이다. 직무자율성 결여는 직무에 대한 의사결정의 권한과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재량활용성의 수준을 의미하며, 기술적 재량 및 자율성, 업무예측가능성,

직무수행권한 등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 자동차 작업공정은 복잡 다양하지만 일관된

공정 특성을 가지고 표준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이 일정한 흐름을 타면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차체부, 도장부, 의장부는 콘베이어 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스스로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없음은 물론 일정한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관계갈등은 같은 사업장 내에서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별, 사내도급, 하청 및 용역으로 인한 이중근로가 행해지면서 벌어지는 노노갈등이

새롭게 문제시 되고 있다. 직무불안정은 자신의 직업 또는 직무에 대한 안정성의

정도로 구직기회, 고용불안정성 등이 여기에 속하는데, 자동차 업계의 경우

해외생산으로 인한 국내 생산물량 축소로 고용불안이 가중되고 있고, 상시적

구조조정으로 인한 만성적인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이다. 조직 내 정의 부재는

조직 내 자원의 분배, 합리적 의사소통, 적절한 대우에 대한 항목인데, 경제위기로

인한 고용불안과 노동유연화로 인하여 벌어지는 업무 갈등, 초과물량에 대한 부서간

경쟁, 노사갈등이 그 예이다. 보상 부적절은 업무에 대하여 기대하고 있는 보상의

정도가 적절한 지를 측정하는 것인데, 생활임금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야 맞교대

야간노동 및 초과노동(연장노동)을 택하는 현실의 반영이다. 직장문화는 서양의

형식적 합리주의 직장문화와는 달리 한국적인 집단주의적 문화, 비합리적인

의사소통체계, 비공식적 직장문화 등의 직장문화 특징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Page 33: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3 -

작용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인데, 생산공장 특유의 권위적이고 수직적인 업무체계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Bongers 등49은 직무스트레스와 어깨, 팔, 손/손목 등 상지의 근골격계 질환 간의

일관된 관련성을 보고하였다. 높은 직무요구와 낮은 사회적 지지가 경부 및 어깨

통증의 위험도를 높인다고 하였다.50-51 유럽의 코호트 연구에서는 높은 직무요구,

낮은 직무자율성 및 높은 직무긴장이 근골격계 상지 증상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

하였고,52-54 과도한 정신적 긴장, 업무상 스트레스, 불편한 작업공간 등이 업무관련

상지 근골격계질환과 연관성이 높다는 연구55 등은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그

외에도 직무의 자율성 부재, 직무와 조직체계의 모호성, 직무의 단순성, 업무 과부하

등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성이 높다는 국내 연구17,56-57의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과 평가를 위한 인간공학적 위험요인의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인간공학적 위험요인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관찰법에

의한 접근은 기계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특징들을 관찰을 통해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전문가가 필요하며, 많은 자료를 모아서 전체적인 면을

평가하는데 한계를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작업특성을 갖는 자동차

제조 작업에서의 작업자 집단을 대상으로 어떠한 작업자에서 어떠한 공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지를 보다 큰 규모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자가보고식 위험요인 평가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10,58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간공학적 위험요인을 포함하고

자기보고식으로 개발된 ANSI Z-365를 사용하였다.

양-반응 관계를 정량화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의 직업적 원인을 명확히 해주고

주관성을 배제하기 때문에, 노출 기준을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밀기/당기기 작업, 중량물 이동 작업과 손 뻗는 자세, 손과 손목을 굽히는

자세, 팔/팔꿈치를 비트는 자세, 몸통을 비틀거나 굽히는 자세, 동력공구 사용, 정적인

Page 34: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4 -

동작, 작업장의 물리적 유해요인에 노출된 작업, 유인작업에 노출 시간이 길수록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비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복작업, 들기 작업과

목/어깨를 들거나 굽히는 자세, 신체압박에 노출되는 시간은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물리적 위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근골격계 증상의 교차비가 증가하는

용량-반응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등도 위험 이하 작업과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되었을 때 교차비가 1.734이었고,

위험기준 초과 작업과 적은 작업시간에 노출되었을 때 교차비가 4.762로 높았는데

이 결과를 통해 볼 때, 물리적 위험요인이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위험기준 초과 작업과 많은 작업시간에 노출될 때 교차비가 2.633으로

나온 결과를 볼 때 근무시간도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이 연구는 단면연구로 연관성이

관찰된 변수에 대하여 그 인과관계를 단정지을 수 없다. 둘째,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식으로 객관적 도구에 의한 노출평가가 부족하고, 증상호소가 자기 기입식이라

증상 호소율이 실제보다 더 높게 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인자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을 하였으며 설문 수거율이 높아

집단에 대한 대표성이 높은 연구였다. 셋째, 연구대상이 하나의 업체에 속해 있기

때문에 선택편의의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넷째, 연구대상이 정규직이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사내 하청, 파견 근로 등 다양한 형태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이 포함되어

있지 못하여 작업장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지 못했다. 자동차 생산 방식의 변화로

인한 노동조건의 악화가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는 실정에 비추어 이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자동차 회사들은 가격 경쟁, 신차 개발 부담, 환경문제로 인한 신기술의

필요성 대두 등 경쟁이 심화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원가절감, 아웃소싱, 수익성

향상, 다품종소량 생산, 모듈화를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장에서는 공정이

Page 35: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5 -

감소하며 필요한 인원이 축소되어 신규고용 없이 상시 구조조정 상태로 진입하여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화 확대와 더불어 직무가 단순해지고

반복 작업이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등의 만성 질환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은 만성적인 퇴행성 변화로 이어질 위험이

높으므로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은

물리적인 요인과 사회심리적인 요인의 종합적인 예방과 관리에 입각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학, 공학 등 전문가의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수많은 노동자들의

증상이나 징후, 작업여건을 일일이 확인하거나 점검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므로

보건관리자가 작업자의 개인적인 특성과 관련 작업의 인간공학적인 평가 결과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이 절실히 요구되며,

자동차 업계의 경제적 상황과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유해요인 감소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고찰을 통하여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다양한 물리적

위험요인과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이 근골격계 상지 증상의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근골격계 통증의 정의에 따른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률의 규모와 근골격계 증상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의 규모와 크기 등 복합적인 영향을 규명하여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을 위한

중점관리 요인을 차별화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36: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6 -

제 5장 결론

이 연구에서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31.3%가 중등도 이상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

증상을 호소하였다. 근골격계 질환 예방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근골격계 상지 증상과의 관련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고,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흡연여부, 음주여부, 규칙적 운동여부, 만성질환 과거력 유무, 재직

기간을 통제변수로 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낮은 물리적

위험군에 비해 높은 물리적 위험군(OR: 2.37, 95% CI: 1.56-3.62), 직무스트레스

정상군에 비해 높은 직무스트레스 군(OR: 2.65, 95% CI: 2.03-3.47)이 근골격계

상지 증상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작업시간을 이분하여 용량-반응

관계 분석한 결과, 물리적 위험 요인이 적고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이고 작업시간이

적은 군에 비해 물리적 위험요인이 많고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작업시간이 많은

군(OR: 4.24, 95% CI: 2.08-8.65)이 근골격계 상지 증상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작업시간을 이분하여 용량-반응 관계 분석한 결과, 물리적 위험

요인이 적고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이고 작업시간이 적은 군에 비해 물리적 위험요인이

많고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작업시간이 많은 군(OR: 4.24, 95% CI: 2.08-8.65)이

근골격계 상지 증상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높은 근골격계 상지 증상 유소견율은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직무스트레스 등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향후 근골격계 질환과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인간공학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37: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7 -

참고 문헌

1. Hales TR, Sauter SL, Peterson MR, Fine LJ, Putz-Anderson V, Schleifer LR,

Ochs TT, Bernard BP.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visual display

terminal users in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Ergonomics

1994;37(10):1603-21.

2. Ministry of Labor. Simple repetitive worker working control (translated by

Lee KH). Notice of the Ministry of Labor 98-15. 1998. (Korean)

3. Cohen AL, Gjessing CC, Fine LJ, Bernard BP, McGlothlin JD. Elements of

ergonomics programs: a primer based on workplace evaluation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DHHS(NIOSH) Pub. Cincinnati. 1997. pp 1.

4.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 Department of Labor.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requiring days away from work, 2009. Available:

http://stats.bls.gov [cited 7 June 2011].

5. Kelsey JL, White AA 3rd. Epidemiology and impact of low-back pain. Spine

1980;5(2):133-42.

6.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ccupational Injury and

Illness Recording and Reporting Requirements. internal document. 2001.

7. Ministry of Labor. Industrial accident incidence (translated by Lee KH).

internal document. 2009. (Korean)

8. Oh DS, Lee YH. Study on analysis for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results of automobile industrie. J Korean Soc Occp Environ Hyg

2004;14(3):233-42. (Korean)

Page 38: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8 -

9. Hyun IG. The structural change of world's auto industry.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06;12(2):265-89. (Korean)

10. Chesnais F. " Contribution au Debat sur le Cours du Capitalisme a la Fin du

XXe Siecle", Actuel Marx Confrontation, Actualiser l'Economie de Marx,

PUF. 1996.

11. Cho SJ. Risk factor and structural regulation of Korean automobile

industries (translated by Lee KH). Congress of political economy of

restructuring and 21 century Korean economy 2000. (Korean)

12. Kang SH. Labor flexibility and factory regimes in the age of Neo-Liberalism

(translated by Lee KH).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2. (Korean)

13. Punnett L. Ergonomic stressors and upper extremity disorders in vehicle

manufacturing: cross sectional exposure-response trends. Occup Environ

Med 1998;55:414-20.

14. Kim IR, Kim JY, Park JT, Choi JW, Kim HJ, Yeom Y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assembly line workers in the automobile industr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1;13(3):220-31. (Korean)

15. Kim YK, Kang DM, Koh SB, Son BC, Kim JW, Kim DW, Kim GH, Han SH.

Risk factor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motor

engine assembly plant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4;16(4):488-98. (Korean)

16. Lee KS, Yeom JW, Hur HM, Sohn JM, Oak DM, Park SG. Comparisons of

different evaluation tool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nnual Fall

Congress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9;11:205-10. (Korean)

Page 39: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29 -

17. Park KS, Kang DM, Lee YH, Woo JH, Shin YC. Development of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Validity Evaluation for American National

Standards Z-365 Checklist. J Korean Soc Occp Environ Hyg

2006;16(2):172-82. (Korean)

18.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Chung JJ, Cho JJ,

Son M, Chae CH, Kim JW, Kim JI, Kim HS, Roh SC, Park JB, Woo JM, Kim

SY, Kim JY, Ha M, Park JS, Rhee KY, Kim HR, Kong JO, Kim IA, Kim JS,

Park JH, Hyun SJ, Son DK.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4):297-317.

(Korean)

19. Choi JW, Yum YT, Song DB, Park JT, Chang SH, Choi JA. Musculoskeletal

diseases of upper extremities among the electronic assembly workers and

telecommunication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6;8(2):301-

19. (Korean)

20. Park CY, Cho KH, Lee SH, Kim I. Cervicobrachial disorders of female

international telephone operato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0;2(1):50-7. (Korean)

21. Yim SH, Lee YG, Cho JJ, Son JI, Song JC. Sympton prevalence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related factors among bank workers

by visual dispaly terminal use.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7;9(1):85-

98. (Korean)

Page 40: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0 -

22. Roh SC, Lee SJ, Song JC, Park HB. Associaton between myofascial pain

symptome and the assessment of pain and the related function tests in

female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operators using VDT. Korean J Prev

Med 1997;30(4):779-90. (Korean)

23. Cheong HK, Choi BS, Kim JY, Yu SH, Lim HS, Kim YM, Uh KY, Kwon YW.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mong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operato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7;9(1):140-55. (Korean)

24. Lee WJ, Lee EI, Cha CW. Carpal tunnel syndrome among packing workers in

a rayon manufacturing factory. Korean J Prev Med 1992;25(1):26-33.

(Korean)

25. Kim YO, Park J, Ryu SY. A Study on the cervicobrachial syndrome among

the microwave-oven assemblers(Ⅰ) - a review on the symptoms

investigated by the questionnaire.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5;7(2):306-19. (Korean)

26. Han SH, Paik NJ, Park DH, Jang KE, Lee MH, Park JT, Kim DS, Lee YS,

Paik KJ, Shin YS, Song DB.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mong shipyard

workers and application of baseline checklist for risk assessment.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7;9(4):579-88. (Korean)

27. Lee KT, Lee CM, Chang SR, Jung BY. The postural analysi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n automobile industry in Korea. Annual Spring

Congress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6;5:148-57. (Korean)

Page 41: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1 -

28. Kim JY, Choi JW, Kim HJ. The 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 among

vehicle assembly workers. Korean J Prev Med 1999;32(1):48-59. (Korean)

29. Yoon CS, Lee SH. Symptom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upper limb

musculoskeletal symptoms in automobile related job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9;11(4):439-48. (Korean)

30. Lee YK, Kim HW, Yim SH, Park HS. The development of a checklist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risk factors and management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s : application to automobile assembly lines. J Korean Soc

Occp Environ Hyg 2001;11(1):56-69. (Korean)

31. Kim CS, Kim KJ, Choi JW, Yoon SJ. The prevalence subjective symptom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workers in

automobile assembly plant. J Korean Soc Occp Environ Hyg

2001;11(1):85-91. (Korean)

32. Han YS, Lee SC, Park SE, Koo JW. The ergonomic investigaton and analysis

of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automobile mechanic (translated by Lee KH). Annual Spring Congress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8;5:237-41. (Korean)

33. Kee DH. Development of a posture classification scheme reflecting the

effects of external load and motion repetition.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7;26(1):39-46. (Korean)

Page 42: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2 -

34. Fransson HC, Bystrom S, Kilbom A. Self-reported physical exposure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forearm-hand among automobile

assembly-line worke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95;37(9):1136-44.

35. Rah CK, Park MY. Ergonomic interventions to contro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automated light assembly manufacturing

system.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5;24(2):57-63.

(Korean)

36. Baek SR, Lim SJ, Kwon YJ, Moon MK.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 in automobile production works (translated by Lee KH). Annual

Fall Congress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7;11:314-8. (Korean)

37. Fucini JJ, Fucini S. Working for the Japanese: Inside Mazda's American auto

plant. Free Press. New York. 1992.

38. Ekberg K, Bjorkqvist B, Malm P, Bjerre-Kiely B, Karlsson M, Axelson O.

Case-control study of risk factors for disease in the neck and shoulder area.

Occup Environ Med 1994;51:262-6.

39. Fredriksson K, Alfredsson L, Koster M, Thorbjornsson CB, Toomingas A,

Torgen M, Kilbom A. Risk factors for neck and upper limb disorders: results

from 24 years of follow up. Occup Environ Med 1999;56:59-66.

40. Eriksen W, Natvig B, Knardahl S, Bruusgaard D. Job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neck pain: a 4-year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99;41:893-902.

41. Ariens M, Van Mechelen W, Bongers M, Bouter M, Van Der Wal G. Physical

risk factors for neck pain.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0;26(1):7-19.

Page 43: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3 -

42. Park SG, Chae HJ, Shin JY, Jung DY, Kim YK, Jung TJ, Leem JH, Kim HC,

Lee YC. Relationship of burdened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 to medium sized enterpri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8(1):59-66. (Korean)

43. Park BC, Cheong HK, Kim SK.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hipyard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15(4):373-87. (Korean)

44. Kim JE, Kang DM, Shin YC, Son MA, Kim JW, Ahn JH, Kim YK, Moon DH.

Risk factor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shipyard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15(4):401-10. (Korean)

45. Lim HS, Kim SK, Kim DS, Kim DH, Lee JM, Kim YH.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ccuptional low back pain among the production workers in a steel

and a welding material manufacturing factori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9;11(1):52-65. (Korean)

46. Hong YC, Ha EH, Park HS. The risk factors of industrial low back pain

among shipyard workers. Korean J Prev Med 1996;29(1):91-102. (Korean)

47. Koh SB, Kim HS, Choi HR, Kim JH, Song IH, Park JH, Park JK, Chang SJ,

Cha BS.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occupational low back pain among

shipyard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0;12(1):1-11. (Korean)

48. Grosch JW, Sauter SL. Psychophysiologic stressors and work organization.

In: Rosenstock L(eds) Textbook of clinical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nd ed. Elsevier Health Sciences. Philadelphia. 1994. pp 931-42.

Page 44: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4 -

49. Bongers PM, Kremer AM, Laak J. Are psychosocial factors, risk factors for

symptoms and signs of the shoulder, elbow, or hand/wrist?: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002;41:315-42.

50. Ariens GAM, Bongers PM, Hoogendoorn WE, Houtman ILD, van der Wal G,

van Mechelen W. High quantitative job demands and low coworker support

as risk factors for neck pain: results of a prospective cohort study. Spine

2001;26(17):1896-901.

51. van den Heuvel SG, van der Beek AJ, Blatter BM, Hoogendoorn WE,

Bongers PM.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neck and

upper limb symptoms. Pain 2005;114:47-53.

52. Brandt LP, Andersen JH, Lassen CF, Kryger A, Overgaard E, Vilstrup I,

Mikkelsen S. Neck and shoulder symptoms and disorders among Danish

computer work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4;30(5):399-409.

53. Kryger A, Andersen J, Lassen C, Brandt L, Vilstrup I, Overgaard E,

Thomsen J, Mikkelsen S. Does computer use pose an occupational hazard

for forearm pain; from the NUDATA study. Occup Environ Med

2003;60:e14.

54. Wahlstrom J, Hagberg M, Toomingas A, Wigaeus Tornqvist E. Perceived

muscular tension, job strain, physical exposure, and associations with neck

pain among VDU users; a prospective cohort study. Occup Environ Med

2004;61:523-8.

Page 45: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5 -

55. Marcus M, Gerr 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female office workers: associations with video display terminal use and

occupational psychosocial stressor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1996;29:161-70.

56. Kim HR, Won JU, Song JS, Kim HS, Kim CN, Roh JH. Pain related factors in

upper extremities among hospital workers using video display terminal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15(2):140-9. (Korean)

57. Han SH, Cho SH, Kim JY, Sung NJ. Importance of job demands, Career

development, role pressure, and economic-issue-related job stress as risk

factors for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eletronics assembly

line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15(3):269-80. (Korean)

58. Lee YK. Comparison of shipyard worker self-reported and expert-

observed method using the same checklist for ergonomic risk factors. J

Korean Soc Occp Environ Hyg 2005;15(2):83-9. (Korean)

Page 46: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6 -

부 록

Page 47: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7 -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표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는 자동차 사업장에서의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을 조사하여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부담 작업여부와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에 대한

내부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입니다.

설문지는 일반 및 직업 관련 사항,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 물리적 위험요인,

사회심리적 위험요인에 대한 것으로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유해요인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답하신 자료들은 부호로 컴퓨터에 수록되어 전산처리 되고,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므로 개인적 신상 관련 정보가 타인에게 절대

노출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답변하시기 곤란한 질문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본인은 이 연구 및 설문조사의 취지와 과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1. 연구자가 본인의 자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동의합니다.

①예 / ②아니오

2. 연구자가 국가기관, 의료기관 및 기타 관련 단체들의 자료원에 있는 본인의

질병과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데 동의합니다.

①예 / ②아니오

3. 향후 연구자가 본인의 질병 진단 및 치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인의

의무기록을 열람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①예 / ②아니오

2011년 월 일 이름: (사인/인)

조사참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Page 48: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8 -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설문지

Ⅰ. 개인적 상황

이름: 부서명: 공장 부 반 생년월일: 년 월 일

1. 귀하의 회사 직책은?

①사원 ②조장 ③반장 ④기사 ⑤대리(주임) ⑥기타

2. 현 회사의 입사일은? 년 월

3. 귀하의 근무형태는 무엇입니까?

①주간근무(비교대) ②2 교대 ③3 교대 ④기타

4. 평균 근무시간은? 주 시간, 월 시간

5. 최종학력은? ①중졸 이하 ②고졸 이하 ③대졸(전문대, 중퇴) 이하 ④ 대학원

이상

6. 결혼상태는? ①미혼 ②기혼 ③이혼/별거/사별

7. 귀하의 음주(술) 습관은 어떠하십니까?

①(거의) 마시지 않는다. ②월 2~3 회 정도 마신다. ③일주일에 1~2 회 마신다.

④일주일에 3~4 회 마신다. ⑤거의 매일 마신다.

8. 술을 마신다면 1 회에 어느 정도 하십니까?

①소주 반 병 이하 ②소주 1 병 ③소주 1 병 반 ④소주 2 병 이상

9. 귀하는 담배를 피우고 있습니까? ①핀 적 없다. ②끊었다. ③현재 피운다.

10. 귀하는 땀이 몸에 배일 정도의 운동을 30 분 이상 일주일에 몇 회 정도 하고

계십니까?

①안한다. ②1~2 회 ③3~4 회 ④5~6 회 ⑤거의 매일

Page 49: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39 -

11. 아래의 질환을 병의원 등을 통해 진단받으신 적이 있습니까?

고혈압 ①없다 ②있지만 약물치료 안한다 ③현재 약물 치료 중이다

당뇨병 ①없다 ②있지만 약물치료 안한다 ③현재 약물 치료 중이다

고지혈증 ①없다 ②있지만 약물치료 안한다 ③현재 약물 치료 중이다

우울증 ①없다 ②과거에 치료했다 ③현재 치료 중이다

12. 귀하는 출근하지 않은 날에 주로 무엇을 하고 지내십니까? 중요한 것 두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①TV 나 비디오를 시청한다 ②외식을 한다 ③체육활동을 한다

④영화나 연극감상을 한다 ⑤등산이나 낚시 등 취미활동 ⑥친지를 만난다

⑦잠을 잔다 ⑧독서를 한다 ⑨종교활동을 한다

⑩기타

13. 귀하가 여가생활을 즐기지 못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돈이 없어서 ②피곤해서 쉬어야 하기 때문에 ③집안일이 많아서

④특별한 취미가 없어서 ⑤잔업, 특근 등 일을 많이 해야 하기 때문에 ⑥기타

Ⅱ. 아래는 현재 당신이 하시는 일과 작업에 대한 질문입니다.

1. 대체로 당신의 일에 대해 얼마나 만족합니까?

①전혀 만족스럽지 않다 ②많이 만족스럽지 않다

③약간 만족스럽다 ④매우 만족스럽다

2. 작업 후에 육체적으로 지치는 경우가 얼마나 자주 있습니까?

①전혀 ②간혹 ③종종 ④항상

Page 50: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0 -

3. 작업 후에 정신적으로 지치는 경우가 얼마나 자주 있습니까?

①전혀 ②간혹 ③종종 ④항상

4.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실제 작업시간과 (공식적인 휴식시간이 아닌) 작업을

위한 대기시간은 몇 대 몇 정도입니까? 두 가지의 합이 100%가 되도록

작성해 주십시오.

실제 작업시간(A) ( )%

작업을 위한 대기시간(B) ( )%

합계 (A+B) 100%

5. 본인의 경우 평균적으로 작업의 작업세기는 대체로 어떠합니까?

①중간 정도이다 ②낮은 정도이다 ③높은 정도이다

6. 이 회사에서 일하는 동안 평소에 당신이 손과 팔을 움직이는 정도는

어떠합니까?

(v 표시하여 주십시오)

0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불규칙적

움직임;

손, 팔 대부분이

쉬고 있다

매우 느린

움직임;

도중에 멈춤이

많다

느리고 꾸준한

움직임;

자주 멈춘다

꾸준한 움직임;

경우에 따라

멈춤이 있다

빠르고 꾸준한

움직임;

멈춤이 거의

없다

꾸준히 빠른

움직임;

속도를 맞추기

어렵다.

Page 51: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1 -

7. 평소에 귀하의 육체적인 작업의 세기(힘든 정도)는 어떠합니까?

□ 0 전혀 없다

□ 0.5 극히 약하다(단지 눈에 띈다)

□ 1 아주 약하다

□ 2 약하다(가볍다)

□ 3 중등도

□ 4

□ 5 강하다

□ 6

□ 7 매우 강하다

□ 8

□ 9

□ 10 극도로 강하다(거의 최고)

□ . 최대한이다

아래의 질문은 현재의 작업량(시간)을 100%로 보고 답변을 해 주십시오.

1. 심각한 피로를 느끼지 않을 정도로 작업량(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현재

작업량에 비해 몇 %를 줄여야 합니까? ( )%

2. 평소 귀하의 작업의 세기(힘든 정도)에 가장 가까운 숫자에 ○ 표시 하십시오.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아주

편함

약함 중간

정도

약간

힘듦

힘듦 많이

힘듦

매우

힘듦

최대로

힘듦

Page 52: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2 -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항목입니다. 현재 일하면서 귀하의 생각이나 느낌에 가장

가까운 곳에 체크해 주세요.

설 문 내 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근무 장소가 깨끗하고 쾌적하다. 4 3 2 1

2. 내 일은 위험하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있다. 1 2 3 4

3. 내 업무는 불편한 자세로 오랫동안 일을 해야 한다. 1 2 3 4

4. 나는 일이 많아 항상 시간에 쫓기며 일한다. 1 2 3 4

5. 현재 하던 일을 끝내기 전에 다른 일을 하도록 지시

받는다 1 2 3 4

6. 업무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1 2 3 4

7. 나는 동료나 부하직원을 돌보고 책임져야 할 부담을

안고 있다. 1 2 3 4

8. 내 업무는 장시간 동안 집중력이 요구된다. 1 2 3 4

9. 업무 수행 중에 충분한 휴식(짬)이 주어진다. 4 3 2 1

10. 일이 많아서 직장과 가정에 다 잘하기가 힘들다. 1 2 3 4

11. 여러 가지 일을 한꺼번에 해야 한다. 1 2 3 4

12. 내 업무는 창의력을 필요로 한다. 4 3 2 1

13. 업무관련 사항(업무의 일정, 업무량, 회의시간 등)이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정해지거나 바뀐다. 1 2 3 4

14. 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이나

지식이 필요하다. 4 3 2 1

15. 작업시간, 업무수행과정에서 어떤 사안에 대해 결정할

권한이 주어지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4 3 2 1

16. 나의 업무량과 작업스케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4 3 2 1

17. 나의 상사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4 3 2 1

18. 나의 동료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4 3 2 1

19. 직장에서 내가 힘들 때 내가 힘들다는 것을 알아주고

이해해 주는 사람이 있다. 4 3 2 1

20. 직장생활의 고충을 함께 나눌 동료가 있다. 4 3 2 1

21. 지금의 직장을 옮겨도 나에게 적합한 새로운 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4 3 2 1

Page 53: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3 -

22. 현재의 직장을 그만두어도 현재 수준만큼의 직업

(직장)을 쉽게 구할 수 있다. 4 3 2 1

23. 직장사정이 불안하여 미래가 불확실하다. 1 2 3 4

24. 나의 직업은 실직하거나 해고당할 염려가 없다. 4 3 2 1

25. 앞으로 2년 동안 현재의 내 직업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 1 2 3 4

26. 나의 근무조건이나 상황에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 (예,

구조조정)가 있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 2 3 4

27. 우리 회사는 근무평가나 승진, 부서배치 등

인사제도가 공정하고 합리적이다. 4 3 2 1

28.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 공간, 시설, 장비, 훈련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4 3 2 1

29. 우리 부서와 타 부서간에는 마찰이 없고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진다. 4 3 2 1

30. 근로자, 간부, 경영주 모두가 직장을 위해 한마음으로

일을 한다. 4 3 2 1

31. 일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와 통로가

있다. 4 3 2 1

32. 나의 경력개발과 승진은 무난히 무난히 잘 될 것으로

예상한다. 4 3 2 1

33. 나의 현재 직위는 나의 교육 및 경력에 비추어볼 때

적절하다. 4 3 2 1

34. 나의 직업은 내가 평소 기대했던 것에 미치지 못한다. 1 2 3 4

35.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내 봉급/수입은

적절하다. 4 3 2 1

36.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나는 직장에서

제대로 존중과 신임을 받고 있다. 4 3 2 1

37. 나는 지금 하는 일에 흥미를 느낀다. 4 3 2 1

38. 내 사정이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을 생각하면 힘든 줄

모르고 일하게 된다. 4 3 2 1

39. 나의 능력을 개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4 3 2 1

40. 회식자리가 불편하다. 1 2 3 4

41. 기준이나 일관성이 없는 상태로 업무 지시를 받는다. 1 2 3 4

42. 직장의 분위기가 권위적이고 수직적이다. 1 2 3 4

Page 54: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4 -

43. 남성, 여성이라는 성적인 차이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다. 1 2 3 4

*귀하의 평소 작업 중 각 항목에 해당하는 것이 있으면 하루 작업시간 중 몇 시간

동안 그 작업이 존재하는지 V표 하십시오.

1. 반복동작을 하는 경우 해당 반복 정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수초마다 반복(15 회 이상/분) □수분마다 반복(20 회 이상/시간)

1-1. 위의 반복동작의 노출시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1 시간 미만 □1~4 시간 □4 시간 초과

2. 중량물을 드는 경우 해당 무게는?

□2.3 ㎏-6.8 ㎏이하 □6.8 ㎏-13.5 ㎏이하 □13.5 ㎏-22.5 ㎏이하 □22.5 ㎏초과

2-1. 위의 작업의 노출시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1 시간 미만 □1~4 시간 □4 시간 초과

3. 밀기/당기기 하는 경우 해당 작업의 부하 정도는?

□쉬운 작업 □중등도 작업 □힘든 작업

3-1. 위의 작업의 노출시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1 시간 미만 □1~4 시간 □4 시간 초과

4. 중량물 이동(3m 이상)을 하는 경우 해당 무게는?

□2.3 ㎏-6.8 ㎏이하 □6.8 ㎏-13.5 ㎏이하 □13.5 ㎏초과

4-1. 위의 작업의 노출시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1 시간 미만 □1~4 시간 □4 시간 초과

5. 작업자세에 대한 위험요인입니다. 해당되는 사항의

노출시간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총 노출시간

1 시간

미만

1~4

시간

1 시간

초과

▶어깨 높이 위로 팔을 올리거나, 어깨/목의 구부리거나

비트는 경우 시간은? □ □ □

▶과도하게 손을 뻗치는 경우 시간은? □ □ □

▶팔꿈치/앞 팔을 구부리거나 비트는 시간은? □ □ □

▶손/손목을 구부리거나 손가락만으로 물건을 집는 경우

시간은? □ □ □

▶무릎을 쪼그려 앉거나 무릎을 꿇어서 작업하는 경우

시간은? □ □ □

Page 55: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5 -

6. 동력공구(임팩트, 토크 등)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면

시간은? □ □ □

7. 신체부위가 작업도구 혹은 작업대로부터 압박을 받는

경우가 있다면 시간은? □ □ □

8. 고정된 자세(정적 동작)로 작업하는 경우가 있다면

시간은? □ □ □

9. 저온, 고열, 광선/눈부심, 진동 등의 작업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면 시간은? □ □ □

10. 지속적으로 키보드 작업하는 경우가 있다면 시간은? □ □ □

11. 성과급제도/작업속도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면

시간은? □ □ □

*다음은 여러분들의 근골격계 증상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입니다. 지난 1 년 통증, 쑤심,

저림, 뻣뻣함, 화끈거림, 감각마비와 같은 증상이 있었습니까? 각 부위별로 따로따로

해당란에 V표시해 주십시오.

부위 목 어깨 팔

팔꿈치

손가락

손목

허리

무릎

다리

발목

통증, 쑤시거나 저림,

뻣뻣함, 화끈거림,

감각마비를 느낀 적이

있습니까?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예’라고 대답한 해당 항목에만 답하여 주십시오.

어느 쪽입니까?

오른쪽

오른쪽 □

오른쪽

오른쪽 □

오른쪽

왼쪽

왼쪽

왼쪽

왼쪽

왼쪽

모두

모두

모두

모두

모두

증상이 얼마나 자주

나타납니까?

1. 항상 1□ 1□ 1□ 1□ 1□ 1□ 1□

2. 1 주일에 1 회 정도 2□ 2□ 2□ 2□ 2□ 2□ 2□

3. 한 달에 1 회 정도 3□ 3□ 3□ 3□ 3□ 3□ 3□

4. 두 달 이상에 1 회 4□ 4□ 4□ 4□ 4□ 4□ 4□

Page 56: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6 -

증상이 얼마나 지속됩니까?

1. 1 주 이내 1□ 1□ 1□ 1□ 1□ 1□ 1□

2. 1 주 - 1 개월 2□ 2□ 2□ 2□ 2□ 2□ 2□

3. 1 개월 - 6 개월 3□ 3□ 3□ 3□ 3□ 3□ 3□

4. 6 개월 이상 4□ 4□ 4□ 4□ 4□ 4□ 4□

증상이 어느 정도로

심합니까? (증상의 정도는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세요)

1. 전혀 심하지 않다 1□ 1□ 1□ 1□ 1□ 1□ 1□

2. 약간 심하다 2□ 2□ 2□ 2□ 2□ 2□ 2□

3. 중간 정도로 심하다 3□ 3□ 3□ 3□ 3□ 3□ 3□

4. 심하다 4□ 4□ 4□ 4□ 4□ 4□ 4□

5. 매우 심하다 5□ 5□ 5□ 5□ 5□ 5□ 5□

증상이 어느 정도 심합니까?

1. 전혀 심하지 않다

2. 약간 심하다(약간 불편한 정도이나 작업에 열중할 때는 못 느낀다)

3. 중간 정도로 심하다(작업 중 증상이 있으나 귀가 후 휴식을 취하면 괜찮다)

4. 심하다(작업 중 증상이 비교적 심하고 귀가 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

5. 매우 심하다(증상 때문에 작업은 물론 일상생활을 하기가 어렵다)

지난 일주일 동안 증상이

있었습니까?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지난 일주일 동안 증상은

몇 일이나 있었습니까?

1. 3 일 이하 1□ 1□ 1□ 1□ 1□ 1□ 1□

2. 4 일 이상 2□ 2□ 2□ 2□ 2□ 2□ 2□

1. 위와 같은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하여 치료를 받으셨습니까?

① 예, 의료기관 ② 예, 민간요법, 자가 치료 ③ 안 받았다

▶ 1-1.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치료를 받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증상이 미약해서 ② 일하기 바빠서 ③ 해고/임금 등의 불이익 우려 때문에

2. 본인의 증상이 직업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확실히 있다 ② 약간 있다 ③ 없다 ④ 모르겠다

Page 57: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7 -

*다음 질문은 귀하의 피로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지난 2 주 동안

느끼셨던 경험과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는 곳에 V표하여 주십시오.

항 목 전혀

아니다 ← 보통이다 →

매우

그렇다

1. 나는 피로하면 나른해지고 졸림을 느낀다. 1 2 3 4 5 6 7

2. 나는 피로할 때 인내심이 떨어진다. 1 2 3 4 5 6 7

3. 나는 피로하면 일할 의욕이 나질 않는다. 1 2 3 4 5 6 7

4. 나는 피로하면 집중력이 떨어진다. 1 2 3 4 5 6 7

5. 나는 운동을 하고 나면 피로해진다. 1 2 3 4 5 6 7

6. 나는 더우면 피로를 느낀다. 1 2 3 4 5 6 7

7. 나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피로를 느낀다. 1 2 3 4 5 6 7

8. 나는 우울해지면 피로를 느낀다. 1 2 3 4 5 6 7

9. 온도가 시원해지면 피로가 감소된다. 1 2 3 4 5 6 7

10. 나는 쉽게 피로를 느낀다. 1 2 3 4 5 6 7

11. 피로로 인하여 업무 능률이 떨어진다. 1 2 3 4 5 6 7

12. 피로 때문에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1 2 3 4 5 6 7

13. 피로를 느낄 때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을 하면 능률이 떨어진다. 1 2 3 4 5 6 7

14. 피곤하면 임무를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낀다. 1 2 3 4 5 6 7

15. 몸에 어떤 증상이 생기기 전에 먼저

피로를 느낀다. 1 2 3 4 5 6 7

16. 피로는 나를 가장 무기력하게 만드는

증상이다. 1 2 3 4 5 6 7

17. 피로는 가장 심각한 3 가지 증상 중

하나이다. 1 2 3 4 5 6 7

18. 피로는 일, 가족,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방해한다. 1 2 3 4 5 6 7

19. 나는 피곤하면 다른 증상들이 더욱

악화된다. 1 2 3 4 5 6 7

Page 58: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8 -

20. 최근 2 주 동안 피로 수준은 평상시와 비교할 때 어떠합니까?

①평상시와 동일 ②평상시보다 조금 높음 ③평상시보다 매우 높음

21. (위의 문항에서 ②와 ③으로 응답하신 분만) 현재의 피로 수준은 언제부터 지속된

것입니까?

①2 주 미만 ②2 주-1 개월 미만 ③1-3 개월 미만 ④3-6 개월 미만 ⑤6 개월 이상

22. 귀하의 피로를 느끼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육체적 질병(당뇨, 빈혈, 임신 등)

②심리적 요인(불안, 긴장 등)

③업무량 과다, 업무에 대한 불만족(자율성 결여, 보수불만 등)

④가정적인 문제(부부, 자녀문제 등)

⑤동료나 상사와의 불편한 관계

⑥기타(구체적으로)

⑦피로하다고 느끼지 않음(원인 없음)

신장: ㎝ 체중: ㎏ 가장 최근에 잰 혈압: / mmHg

[설문에 응답해주셔서 대단히 고맙습니다]

Page 59: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49 -

ABSTRACT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s

among Male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Lee, Ki Hyun

Dep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s among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Method

Th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the male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s. A total of 1,793 male

workers were asked to complet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Page 60: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50 -

related behaviors, work-related characteristics, job stress, ergonomic risk

factors, and the pres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neck, shoulder, arm, and

h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evaluated using the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surveillance

criteria. To measure physical risk factors,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ANSI) Z-365 Quick checklist was incorporated into the questionnaire. Job

stressor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to musculoskeletal symptom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s. The workers with high

physical risk factors reported more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those with

low physical risk did(OR: 2.37, 95% CI: 1.56-3.62). The workers with high job

stress were more likely to have increased risk of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 compared to those with normal job stress (OR: 2.65, 95% CI:

2.03-3.47).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bined effect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on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 were

also found. The workers exposed to high physical risk factors, high job stress,

and long working hours were more likely to report musculoskeletal symptoms

than those with low physical risk factors, normal job stress and moderate

working hours(OR: 2.37, 95% CI: 1.56-3.62).

Page 61: 자동차 제조 근로자들의 물리적 사회심리적 위험요인과 작업 ... · 2019-06-28 · 자료 수집은 자동차 제조 사업장을 방문하여 근로자들에게

- 51 -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some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increase

the risk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 among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To prevent or reduce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manage physical psychosocial risks at work.

Key Word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 physical

risk factor, psychosocial risk factor, job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