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17
생태주의 비평 Eco-Criticism

Upload: others

Post on 24-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생태주의 비평 Eco-Criticism

Page 2: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목 차

• 1. 생태학과 생태주의란?

• 2. 생태주의의 양상

• 3. 생태비평의 개념과 방법

• 4. 생태주의 비평의 문제점과 대안

• 5. 참고 문헌

Page 3: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1.생태학과 생태주의란?

• 생태학(Ecology) 동식물들의 유기적 생존 양태를 주변 환경과의 상호관계에서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Page 4: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2.생태주의

• 동물이든 식물이든 생태계를 개체와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생명체라는 입장이 바로 생태주의가 된다.

Page 5: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생태주의의 양상

근본 생태주의 모든 생명체가 고유한 생명의 권리를 지니고 있다는 생물 평등주의의 입장에서 인간의 자연에 대한 우월적 지위를 부정하고 인간과 생태계를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파악

Page 6: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생태주의의 양상

사회 생태주의

사회 생태주의는 생태계 파괴의 원인을 단순히 인간 대 자연의 이분법적인 대립 구도로 보지 않고 현실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 집단 간의 역학 관계를 고려하여 무엇이 실제로 인간성을 파괴하고 나아가 생태계를 어지럽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Page 7: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3.생태주의 비평과 방법

• 생태주의 비평이란? 문학과 환경의 관계를 밝혀내는 비평, 즉 생태주의 의식을 가지고 문학 작품을 분석하거나 판단하고 문학 이론을 펼치려는 비평

생태주의 비평의 방법

①생태비평과 자연주의 • 하워스(W.Howarth)는 생태비평가에 대하여 “자연을 찬양하고 자연을 파괴하는 사람들을 꾸짖으며 정치행위를 통하여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자연에 끼치는 문화의 영향을 다룬 작품의 장단점을 판단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 글롯펠티(C. Glotfelty)는 자연이나 환경 또는 생태계와 조금이라도 관련있는 일은 모두 생태비평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하였다.

Page 8: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상태주의 비평과 방법

• ➁ 생태비평과 다원주의 • 생태비평은 자연과 환경을 지키는 일과 함께 또 다른 임무와 기능을 지니는데, 문학 비평의 다원화를 내세우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하여 생태비평은 문학외적인 환경운동이나 생태학과 관련을 가지며 다른 문학비평과도 상호 연관성을 갖는다. 이것을 비평 다원주의라고 한다.

• ➂ 생태비평과 대화주의·독자

• 생태이론은 상호간의 소통 즉 대화로 이루어진다고 보며 독자반응 이론을 수용하여 해석이란 결국 저자와 독자가 텍스트를 통하여 끊임없이 주고받는 대화라고 본다.

Page 9: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4.생태비평의 문제점과 대안

문제점 - 생태주의 문학이 지나치게 현실고발의 문학으로 일관한다면 이는 문학성이나 예술성이 결여된 보고에 불과할 것이다. 대안 – 환경운동이나 녹색운동과 같은 운동에 미치지 않고 생태학과 생태주의 사상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Page 10: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Page 11: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생태

• 생물이 각각 처해 있는 환경조건에 따라 알맞게 적응해 있는 상태. 생물집단 내에는 개체 간의 상호관계뿐만 아니라 토양환경, 대기조성, 기상 등의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생활하며 자기 종족을 유지해가고 있다. 이들 관계에서 이루어진 동식물 집단의 생활상태를 생태라고 한다.

• 생물과 자연환경이 유기적 상호관계 속에서 조화롭게 공생하는 생활상태

Page 12: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생태주의

• 19세기 독일에서 형성된 생태학에서 유래된 개념

• 근대 이후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성찰에서 생태주의가 대두

• 인간 또한 생태계의 일부로서 자연과 상호관계를 맺는 존재에 불과

• 인간, 이성 중심의 지배 구도에서 배제되거나 억압되었던 소수자들의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임 (생태 여성주의)

Page 13: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근본생태주의 (심층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공존’ 강조 자연에 대한 인간의 ‘우월적 지위’, ‘지배’ 부정

근본생태주의는 모든 생명체가 고유한 생명의 권리를 지니고 있다는 생물 평등주의의 입장에서 인간의 자연에 대한 우월적 지위를 부정하고 인간과 생태계를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극단적인 경우 인간의 이성과 문명에 대한 혐오로 이어져, 인간이 이룩한 문화적 산물들을 모두 거부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여 이에 대해서 비판 또한 적지 않다.

인간에 의한 자연지배는 ‘인간에 의한 인간지배’로부터 비롯 – 북친 ‘불평등한 사회구조’ 비판

사회 생태주의는 생태계 파괴의 원인을 단순히 인간 대 자연의 이분법적인 대립 구도로 보지 않고 현실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 집단 간의 역학 관계를 고려하여 무엇이 실제로 인간성을 파괴하고 나아가 생태계를 어지럽히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Page 14: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심층생태학을 창시한 노르웨이 철학자이자 산악인. 17세에 오슬로 대학의 사상 최연소 교수가 되었지만 70년대부터 교수직은 그만두고 생태운동에 뛰어들었다. 저서로는 <생각하는 것이 왜 고통스러운가요>, <산처럼 생각하라> 등이 있다.

환경문제를 사회문제로 인식한 최초의 인물. 스페인 내전을 경험하며 경도된 아나키즘에 근거하여 70년대 초반, 사회생태주의를 주장하며 생태계 위기를 ‘자연의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로 인식하였다. 대표 저서로는 <우리의 종합적 환경>,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 등이 있다.

아르네 네스 (Arne Dekke Eide Næss. 1912~2009)

머레이 북친 (Murray Bookchin. 1921~)

Page 15: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생태문학

생태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생태 문제를 성찰하고 비판하며, 나아가 새로운 생태 사회를 꿈꾸는 문학

.

. 생태문학 환경문학 녹색문학 생명문학

.

.

.

생태시

생태소설

생태비평

생태미학

생태페미니즘

Page 16: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으로 서술하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생태계의 현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리며 동시에 생태계 파괴의 원인을 성찰하는 유형

3. 자연이나 환경을 직접 드러내지는 않지만 생태계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유형

4.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생태계 문제를 바라보고 성찰하는 유형

5. 생태계의 현 상황을 비판하고, 나아가 미래의 생태사회를 꿈꾸고 모색하는 유형

Page 17: Eco-Criticism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1.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 사실적 으로 서술하 는 유형 2. 생태학적 인식을

생태문학의 갈래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사이의 유지와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추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