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017-01-02 · 한자의...

26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김 은 경 * 본 연구는 유아 한자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민속놀이를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 고 진행한 것이다 한자와 민속놀이의 공통점은 유기적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지속 발전되 어 온 인간의 사상과 다양한 문화를 전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는 생태학 이론과 어느 정도 그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생태학적 분석도구를 사용해 곳의 한자검증기관에서 제시한 기초한자를 분석하고 분석 된 한자에 적합한 민속놀이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총 개의 한자가 선정되었으며 이에 적합한 민속놀이는 총 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민속놀이는 유아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해 보았 거나 또는 전통문화 체험활동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비교적 익숙한 놀이들이 대부분이다 따라 서 선정된 민속놀이는 유아 한자교육에 있어 활용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한자 생태 유아 민속놀이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유아교육과 조교수 교신저자

Upload: others

Post on 29-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4호 , 271 - 296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김 은 경*

    요 약

    본 연구는 유아 한자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민속놀이를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

    고 진행한 것이다. 한자와 민속놀이의 공통점은 유기적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지속·발전되

    어 온 인간의 사상과 다양한 문화를 전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는 생태학 이론과 어느 정도 그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생태학적 분석도구를 사용해 9곳의 한자검증기관에서 제시한 기초한자를 분석하고, 분석

    된 한자에 적합한 민속놀이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총 45개의 한자가 선정되었으며, 이에 적합한

    민속놀이는 총 49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민속놀이는 유아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해 보았

    거나 또는 전통문화 체험활동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비교적 익숙한 놀이들이 대부분이다. 따라

    서 선정된 민속놀이는 유아 한자교육에 있어 활용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한자(chinese characters)

    생태(ecology)

    유아(children)

    민속놀이(folk games)

    ※ 논문접수 : 2016. 07. 31 / 수정본 접수 : 2016. 09. 08 / 게재승인 : 2016. 10. 0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유아교육과 조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2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Ⅰ. 서 론

    교육부 차원에서 한자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꾸준히 진행

    되어 왔다. 2015년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한자병기 방안을 포함하기 위해 공청회까지

    개최했으며, 2016년 말까지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표기방법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겠

    다고 밝히었다(동아일보, 2015; 이뉴스투데이, 2015).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를 강화할 것을 요구(교육부, 2015)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기 한자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

    질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가 아니더라도 한자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적인 예로, 우리말에는 한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서 경우에 따라서는 문맥상 짐작하여 이해할 뿐 정확하게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여 한자도

    함께 표기되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또한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과 함께 인성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논어나 예기와 같은 고전들은 한자 능력이 부

    족할 경우 한글로 해석을 덧붙여 놓았어도 읽기도 힘들뿐 아니라 그 뜻을 이해하기 매우 어

    렵다. 그 밖에도 우리 문화유산 중에는 많은 것들이 한자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한자교육은

    꼭 필요하다고 본다. 이와 관련하여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중 한문의 활용

    영역에서는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가 핵심개념으로 언급되어져 있다. ‘한문과 인성’에 대

    한 일반화된 지식 내용으로는 ‘한문 기록에는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

    한 인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는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이 담겨있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핵

    심개념 ‘한문과 문화’에 대한 일반화된 지식 내용으로는 ‘우리의 전통문화는 한자를 주된 기

    록 수단으로 하여 보존·전승되고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김왕규, 2015). 따라서 한자는 인성

    교육 그리고 전통문화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유아들에게 논어나 예

    기와 같은 고전을 통해 인성교육을 한다거나 우리 문화를 이해시키는데 있어 한자로 된 설명

    을 제공하겠다는 것은 아니다. 유아가 성장하여 한자문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사회·문화적

    상황에 노출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한자교육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암기

    식이나 주입식의 교육이 아니라 우리가 쓰는 언어와 문자에 한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경

    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한자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익숙함, 자연스러운 수용능력

    을 길러주는 방향으로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김재준 교육

    부차관 역시 초등학생의 한자교육은 “한자에 노출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뉴시스,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한자를 쉽게 이해하고 익힐 수 환

    경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민속놀이를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73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초 한자를 대상으로 하여 생태학적 분석을 한 후, 분석을 통해

    선정된 한자와 이에 적합한 민속놀이를 선정하여 놀이와 함께 한자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자는 과거의 문화를 경험하는 수단으로서 끝이 아니라 각각의 글자를 통해 다양한 문화

    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한자는 표음문자와 달리 시간을 횡단해 구어( 語)가 담을 수 없는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담기에 문화를 저장하는 기록이자 아카이브라 할 수 있다(하영삼,

    2014). 민속놀이 또한 과거의 문화를 경험하는 것 뿐 아니라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문

    화를 저장하는 기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자와 민속놀이 안에는 상호 유기적 관계 속에

    서 변화·발전되어 온 인간의 사상과 감정·문화·역사·철학·생활양식 등이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는 생태학이론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김은경, 2014). 따라서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과 생태적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민속놀이

    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한자 학습에 도움을 주는 것 뿐 아니라, 자연생태계 위기

    와 인간성 상실의 위기를 가져온 산업문명의 최대 피해자인 어린이들의 병든 몸과 마음과 영

    혼을 치유하는데(장미연, 임재택, 2010)있어서도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연구라 생각된다.

    연구에 앞서 한자와 민속놀이, 한자와 생태학을 연계한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나 찾

    기 어려웠다. 그러나 많은 수의 연구는 아니지만 유아한자 관련 연구와 유아를 대상으로 한

    민속놀이 연구는 찾을 수 있었다. 먼저 유아 한자 관련 연구는 최근 10년 간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자관련 선행연구를 살펴 본 결과 총 10편이 검색되었다. 이 중 학위논문이 6편, 학술논

    문이 4편이었는데 학술논문 4편 중 2편은 석사논문을 요약한 것이므로 실제로는 8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2010년도의 연구가 가장 최근의 연구이다. 연구의 내용은 한자 지도방법(김미

    영, 2008; 김영미, 2010; 민희연, 2009; 방인태, 2003; 오예승, 이정연, 2007; 이정연, 2007)이

    가장 많았으며, 한자 교육현황과 교재분석(오예승, 2007), 한자교육에 대한 효과분석(이수아,

    2004)이 각 1편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한자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가 높다는 김

    미영(2008)의 연구결과에 불구하고 2010년 이후에는 유아한자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연구내용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아를 대상으로

    한 민속놀이 관련 선행연구로는 진영미, 박향아(2016)의 집단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다중지능발달을 위한 민속놀이 선정기준

    연구(김은경, 권대원, 2014)와 한국민속놀이의 생태학적 분석 및 유아교육적 의의(김은경,

    2014), 전래놀이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김

    정아, 2009),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김지영, 2008),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개

    념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김미애, 2006), 유아의 대안적 해결사고와 긍정적 대안적 해결

  • 27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방안, 결과예측사고와 결과예측방안 능력신장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오영희, 김주현,

    2005)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자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민속놀이 관련 연구에

    비해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유아 한자교육을 위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

    다. 특히 최근 한자교육 의무화에 대한 논의들로 인해 다양한 한자교재와 교육프로그램이 개

    발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수준별 한자를 정함에 있어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거나 검증이 이루

    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유아용 한자 교재나 프로그램은 어린이 초급한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유아한자교육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

    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에게 한자를 쉽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는 환

    경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민속놀이를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 민속놀이 선정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둘째, 분석된 한자를 기반으로 선정된 민속놀이는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

    1. 유아에게 적합한 한자 선정

    유아에게 적합한 한자 선정은 한자검정시험 시행단체들 중 9곳에서 제시한 초급한자를 대

    상으로 하였다. 한자검정시험 시행단체와 이들이 제시한 초급한자의 수는 한국어문회 50자,

    한자교육진흥회 30자, 한국외국어평가원(NELS) 40자, 한국평생교육평가원 50자, 대한 검정회

    30자,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 50자, 한국생활한자문화학회(한국교육문화회)50자, 한국정보관

    리협회 60자와 대한 상공회의소 50자이다. 유아에게 적합한 한자를 선정하기 위해 먼저,

    Microsoft Excel을 사용하여 위의 한자검증 기관들이 제시한 한자를 모두 정리한 후 중복되

    는 한자를 하나로 합친 결과 총 106글자로 정리되었다. 정리된 106개의 한자는 본 연구가 유

    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임을 밝히고 한자를 연구하는 전문가 2인(중문과교수1인, 국문과교

    수1인)에게 제시하여 구체적인 물체를 그대로 그린 상형문자와 추상적인 물상을 이미지화 한

    지사문자(하영삼, 2015)를 염두에 두고 그림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글자를 선별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13개의 글자가 제외되어 총 93개의 한자가 선정되었다.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75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한자를 정리하고 선정한 이유는 현재 어린이용 한자교육교재가 다

    양하게 출판되어 있으나 유아만을 위한 한자교재도 없을 뿐 아니라, 각각의 교재가 명확한

    기준 하에 수준별 한자를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한자검정시험을 시행하는 기

    관들에서 제시하는 가장 기초한자들을 수집·정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기초(초급)한자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2.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은 한국 민속놀이 분석에 쓰인 생태학적 분석준거(김은경, 2014)중

    대분류와 중분류항목을 사용하였다. 생태학적 분석준거는 생태학과 민속놀이이론 및 선행연

    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연역적·귀납적 방법을 통해 개발된 연구도구이다. 따라서 소분류항목

    의 내용을 한자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가 유아를

    위한 것이므로 분석대상 한자의 수가 많지 않아 대분류와 중분류 항목을 기준으로 한자를 분

    석·분류하여도 무방할 것 같다는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생태학적 분석준거의

    대분류항목은 개인, 집단, 사회, 자연이며, 개인의 중분류항목으로는 성과 연령, 집단의 중분

    류항목으로는 교류·경쟁·협동, 사회의 중분류항목으로는 교육·생활양식·노동형태(직업)·신분

    제도, 자연의 중분류항목으로는 시간·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전문가집단 선정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총 93개의 한자를 생태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한자관련 전문가 (교

    수1인), 유아교육관련 전문가 4인(교수1인,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경력 10년 이상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 2인, 원감 1인)으로 총 5인의 전문가집단을 구성하였다.

    2)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방법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구성된 전문가집단(한자관련 1인, 유아교육관련 4인)에게 생태학

    적 분석도구(김은경, 2014)와 선정된 93개의 한자를 제시하고, 분석도구에 제시되어 있는 각

    각의 내용에 따라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한자를 적도록 하였다. 1차로는 분석도구 각 항목의

    의미를 분명히 알 수 있는 글자들을 먼저 선정하도록 하였으며, 2차로는 글자의 설명을 통해

    분석도구 항목의 내용 설명이 가능한 것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5인의 전문

    가가 선정·분류한 한자를 취합하여 3인 이상 의견일치를 보인 한자를 1차로 선정하였으며, 3

  • 27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번호 놀이 명 번호 놀이 명1 가마타기 30 보물찾기2 가락지 찾기 31 백중놀이3 강강술래 32 봉선화물들이기4 거북놀이 33 비석치기5 고누 34 소꿉놀이6 고무줄놀이 35 손뼉치기7 고사리따기 36 수건돌리기8 공기놀이 37 숨바꼭질9 관등(연등)놀이 38 실뜨기

    10 광대놀이 39 쌍육11 구슬치기 40 썰매타기12 그네(뛰기) 41 씨름13 글자 맞추기 42 연날리기14 기와 밟기 43 유두놀이15 경로회 44 윷놀이16 꼬리잡기(따기) 45 자치기17 눈( )싸움 46 제기차기18 널뛰기 47 종경도 놀이

    인 이하인 경우에는 전문가 집단과 함께 협의하여 결정하였다.

    3. 한자를 기반으로 한 민속놀이 선정

    한자를 기반으로 한 민속놀이 선정방법은 본 연구를 위해 구성된 5인의 전문가 집단(한자

    관련 전문가 1인, 민속학과 교수 1인, 유아교육관련 전문가 3인)에게 생태학적 분석도구에 의

    해 분석된 한자와 민속놀이가 정리된 표를 제시하고, 1차 기준으로는 놀이 자체로 글자의 음

    과 뜻을 비교적 쉽게 알 수 있는 놀이를 적도록 하였으며, 2차 기준으로는 놀이를 통해 글자

    의 뜻과 음을 연결시킬 수 있는, 즉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놀이를 적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

    정을 통해 작성된 자료를 취합하여 전문가 집단 중 3인 이상 의견일치를 보인 놀이를 1차로

    선정하고, 3인 이하 의견일치를 보인 놀이는 전문가집단과 함께 협의하여 결정하였다. 그 밖

    에 하나의 놀이가 여러 글자에 중복되는 경우 ●로 표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할 민속놀이의 종류는 현재 유아를 대상으로 행해지고 있지 않는 놀이일지

    라도 유아교육에 활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유아교육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놀이들을 민

    속학 및 유아교육전문가(민속학과 교수2인, 아동민속놀이 전문가 1인, 국악과 교수 1인, 유아

    교육과 강사 1인)에게 검증받은 것(김은경, 2014)을 대상으로 하였다.

    민속놀이의 종류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77

    19 풍물(농악) 48 줄다리기20 다리 밟기 49 줄넘기21 달맞이 50 지신밟기22 닭잡기 51 진 치기(진 놀이)23 덕석 말이 52 청어 엮기24 돈치기 53 탈놀이/탈춤25 돌차기 54 팔씨름26 두꺼비 놀이(두껍아 두껍아) 55 팽이치기27 대문놀이 56 풀각시놀이28 땅따기(뺏기) 57 풀 겨루기29 죽마(대말타기)

    호한자 뜻과 음

    호한자 뜻과 음 번호 한자 뜻과 음

    1 九√ 아홉 구 37 目 눈 목 73 第√ 차례 제2 母 어미 모 38 生 날 생 74 弟√ 아우 제3 木 나무 목 39 手 손 수 75 主 주인 주4 水 물 수 40 田 밭 전 76 車 수레 차5 女 여자 여 41 足 발 족 77 千√ 일천 천6 月 달 월 42 川 내 천 78 寸 마디 촌7 人 사람 인 43 兄 형 형 79 韓√ 나라이름 한8 土 흙 토 44 校√ 학교 교 80 高 높을 고

    9 火 불 화 45 男 사내 남 81 工 장인 공

    Ⅲ. 연구결과

    1. 유아에게 적합한 한자

    유아에게 적합한 한자선정은 한자검증기관 9곳에서 제시한 기초 한자를 정리한 후 중복되

    는 한자를 하나로 합친 결과 총 106 글자로 축약되었다. 축약된 106개의 한자는 본 연구가 유

    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임을 밝히고 한자를 연구하는 전문가 2인(중문과 교수 1인과 국문과

    교수 1인)에게 제시하여 그림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글자를 선별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13개

    의 글자가 제외되어 총 93개의 한자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한자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1)

    유아에게 적합한 한자

    1) 표 안의 √ 는 그림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글자라고 한자관련 전문가 집단이 표시한 것이다. 코비( )의 경우 그림으로 설명이 가능하지만 유아에게는 어렵다는 의견을 보인 것이다.

  • 27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10 門 문 문 46 年 해 년 82 果 열매 과11 父 아비 부 47 力 힘 력 83 交 사귈 교12 四 넉 사 48 立 설 립 84 軍 군사 군13 山 뫼 산 49 萬 일만 만 85 己 자기 기14 三 석 삼 50 白 흰 백 86 內 안 내15 十 열 십 51 身 몸 신 87 老 늙을 노16 五√ 다섯 오 52 耳 귀 이 88 刀 칼 도17 六√ 여섯 육 53 自 스스로 자 89 同 한가지 동18 二 두 이 54 長 길 장 90 面 낯 면19 一 한 일 55 天 하늘 천 91 夫 지아비 부20 子 아들 자 56 學 배울 학 92 鼻√ 코 비21 七√ 일곱 칠 57 敎 가르칠 교 93 少 적을 소22 八 여덟 팔 58 國 나라 국 94 兒 아이 아23 金 쇠 금 59 馬 말 마 95 魚 고기 어24 大 큰 대 60 文 글월 문 96 玉 구슬 옥25 小 작을 소 61 民 백성 민 97 右 오른쪽 우26 日 날 일 62 百√ 일백 백 98 正 바를 정

    27 中 가운데 중 63 石 돌 석 99 左 왼 좌28 王 임금 왕 64 夕 저녁 석 100 走 달릴 주29 口 입 구 65 先 먼저 선 101 地 땅 지30 南 남녘 남 66 室√ 집 실 102 靑 푸를 청31 東 동녘 동 67 羊 양 양 103 村√ 마을 촌32 北 북녘 북 68 漁 고기잡을 어 104 出 날 출33 上 위 상 69 外 바깥 외 105 行 갈 행34 西 서녘 서 70 雨 비 우 106 禾 벼 화35 心 마음 심 71 牛 소 우36 下 아래 하 72 衣 옷 의

    이상과 같이 유아에게 적합한 한자는 , 木, 水, 女, 月, 人, 土, 火, 文, 父, 四, 山, 三, 十,二, 一, 子, 八, 金, 大, 小, 日, 中, 王, 口, 南, 東, 北, 上, 西, 心, 下, 目, 生, 手, 田, 足, 川, 兄,男, 年, 力, 立, 萬, 白, 身, 耳, 自, 長, 天, 學, 敎, 國, 馬, 文, 民, 石, 夕, 先, 羊, 漁, 外, 雨, 牛,衣, 主, 車, 寸, 高, 工, 果, 交, 軍, 己, 內, 老, 刀, 同, 面, 夫, 少, 兒, 魚, 玉 , 右, 正, 左, 走, 地,靑, 出, 行, 禾로 총 93개 이다.

    2.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결과

    유아에게 적합한 93개의 한자 중 생태학적 분석준거에 따라 선정 된 글자는 총 45개 글자

    로 이 중 9개 글자는 중복 된 글자이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표 3은 5명의 전문

    가들이 표시한 글자들을 정리한 것으로, 해당 한자의 음과 뜻을 통해 분류항목 내용의 의미

    를 분명히 알 수 있는 글자와 설명을 통해 분류항목의 내용 설명이 가능한 것을 기준으로 하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79

    중분류

    1차 기준

    해당 한자의 음과 뜻을 통해

    분류항목 내용의 의미를 분명히

    알 수 있는 글자

    2차 기준

    해당 한자에 대한 설명을 통해

    분류항목의 내용 설명이 가능한

    전문가 집단/ 5인1 2 3 4 5 1 2 3 4 5

    1개

    女 女 女 女 女

    男 男 男 男 男

    母 母

    父 父

    子 子

    夫 夫

    연령

    父 父 父 父 父

    母 母 母 母 母

    子 子 子

    兄 兄

    弟 弟

    夫 夫

    2집

    교류交 交 交 交 交

    面 面 面 面 面

    경쟁走 走 走 走 走

    先 先 先 先 先

    협동軍 軍 軍 軍 軍

    同 同 同 同 同

    3사

    교육

    學 學 學 學 學

    敎 敎 敎 敎 敎

    文 文 文 文 文

    正 正

    생활

    양식

    衣 衣 衣 衣 衣

    月 月

    火 火

    禾 禾 禾 禾

    金 金 金

    노동

    형태

    車 車 車 車 車

    門 門 門 門 門

    王 王 王

    田 田 田 田 田

    漁 漁 漁 漁 漁

    牛 牛 牛 牛 牛

    禾 禾 禾 禾

    여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5명의 전문가들이 표시한 글자

  • 28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軍 軍 軍 軍

    馬 馬 馬 馬

    羊 羊 羊 羊

    衣 衣

    刀 刀

    果 果

    신분王 王 王 王 王

    衣 衣 衣 衣 衣

    4자

    시간

    日 日 日 日 日

    月 月 月 月 月

    年 年 年 年 年

    夕 夕

    공간

    天 天

    地 地 地

    外 外 外 外 外

    內 內 內 內 內

    대분류 항목 개인에서 ‘성’은 5인 모두 1차 기준에서 ·男을, 2인은 女·男·父·子·夫를 적어 주었다. 따라서 3인 이상 일치를 보인 女·男을 ‘성’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 ‘연령’에서는 1차 기준에서에서 1인이. 2차 기준에서 4인이 父·母·子·兄·弟·夫를 적어 주었으며, 2차 기준에서 父·母·子를 1인이, 父·母 2인이 적어 주었다. 따라서 ‘연령’에 해당되는 글자로는 3인 이상 일치를 보인 父·母·子를 선정하였다.

    대분류항목 집단 중 ‘교류’에서는 5인 모두 1차 기준에서 交를 적었으며, 面은 1차 기준에서 2인, 2차 기준에서 3인이 적어 주었다. 따라서 交와 面을 ‘교류’항목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 ‘경쟁’에서는 5인 모두 走를 적었으나 1차 기준에서 3인이, 2차 기준에서 2인이 적어주었다. 先 역시 5인 모두 적어 주었으나 1차 기준에서 3인이, 2차 기준에서 2인이 적어 주었다. 따라서 走와 先은 3인 이상의 의견일치를 보았으므로 ‘경쟁’에 해당되는 한자로 선정하였다. ‘협동’에서는 1차 기준에 1인이 軍을 적었으며 2차 기준에서는 4인이 적어 주었다. 同은 1차 기준에서 1인이 2차 기준에서 4인이 적어 주었다. 따라서 軍과 同은 3인 이상의 의견일치를 보았으므로 ‘협동’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

    대분류항목 사회 중 ‘교육’은 1차 기준에서 5인이 學과 敎를 적어 주었으며 文은 1차 기준에서 2인이 3차 기준에서 3인이 적어 주었다. 正은 2차 기준에서 2인이 적어 주었다. 自 는 2차 기준에서 1인이 적어 주었다. 따라서 3인 이상의 의견일치를 보인 學․敎․文을 ‘교육’에 해당되는 한자로 선정하였으며 自는 1인의 의견만 있었으므로 선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正의 경우 3인 이상의 의견일치를 보지 못했지만 전문가 협의를 통해 ‘교육’항목에 해당되는 글자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81

    호대분류 중분류 한자 기타

    1 개인

    성여자 여( ) -

    사내 남(男) -연령

    어미 모(母) -아비 부(父) -아들 자(子) -

    2 집단

    교류사귈 교(交) -낯 면(面) -

    경쟁달릴 주(走) -먼저 선(先) -

    협동군사 군(軍) 중복글자

    한 가지 동(同) -3 사회 교육 배울 학(學) -

    로 선정하였다. ‘생활양식’에서는 1차 기준에서 3인이, 2차 기준에서 2인이 를 적어 주었다.

    月과 火는 2차 기준에서 2인이 적어 주었으나 전문가 협의를 통해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 禾는 1차 기준에서 1인이 2차 기준에서 3인이 적어 주었으며, 金은 2차 기준에서 3인이 적어 주었다. 따라서 ‘생활양식’에 해당되는 글자로는 3인 이상의 의견일치를 보인 衣․禾․金을 선정하였으며 2인의 의견일치를 보인 月과 火는 제외하였다. ‘노동형태’에서는 5인 모두 2차 기준에서 車․田․漁․牛를 적어 주었으며, 禾․軍․馬 ․羊은 2차 기준에서 4인의 의견일치를 보았으며, 王은 2차 기준에서 3인의 의견일치를 보았으므로 車․田․漁․牛․禾․軍․馬 ․羊․王을 ‘노동형태’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衣․刀․果는 모두 2인의 의견일치를 보았으나 전문가 협의를 통해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 ‘신분’에서는 5인

    모두 2차 기준에서 王과 衣를 적어 주었으므로 ‘신분’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대분류항목 자연 중 ‘시간’에서는 1차 기준에서 3인이, 2차 기준에서 2인이 日과 年을 적어

    주었다. 月은 1차 기준에서 3인이 2차 기준에서 2인이 적어 주었다. 따라서 日․年 ․月은 3인 이상의 의견일치를 보았으므로 ‘시간’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夕은 2차 기준에서 2인의 의견일치를 보아 전문가 협의를 통해 ‘시간’ 항목에 선정하였다. ‘공간’에서는

    內․外가 동일하게 1차 기준에서 3인, 2차 기준에서 2인이 적어 주었다. 地는 2차 기준에서 3인이 적어 주었다. 따라서 內․外․地를 ‘공간’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으며 天은 2차 기준에서 2인의 의견일치만 보았으나 전문가 집단과 협의하여 ‘공간’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

    였다.

    다음으로 표 4는 생태학적 분석에 따라 최종적으로 선정된 글자들을 정리한 것이다.

    생태학적 분석에 따라 선정된 한자

  • 2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가르칠 교( ) -글월 문(文) -바를 정(正)

    생활양식

    옷 의(衣) 중복글자달 월(月) 종교적 의미불 화(火) 종교적 의미벼 화(禾) 중복글자쇠 금(金) -

    노동형태

    수레 차(車) -문 문(門) -임금 왕(王) 중복글자밭 전(田) -

    고기 잡을 어(漁) -소 우(牛) -벼 화(禾) 중복글자군사 군(軍) 중복글자말 마(馬) -장인 공(工) -돌 석(石) -양 양(羊) -옷 의(衣) 중복글자칼 도(刀) -열매 과(果) -

    신분옷 의(衣) 중복글자임금 왕(王) 중복글자

    4 자연

    시간

    날 일(日) -달 월(月) -해 년(年) -저녁 석(夕) -

    공간

    하늘 천(天) -땅 지(地) -바깥 외(外) -안 내(內) -

    1) 개인

    대분류 개인의 중분류항목인 ⑴성( )에는 여(女)·남(男), ⑵연령에는 모(母)·부(父)·자(子)·부(夫)가 선정되었다. 이 중 연령에 해당되는 글자들은 명확하게 연령을 알 수 있지는 않지만 아동과 성인이라는 두 가지로 대략적 연령을 구분할 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령에 해당되는

    글자로 선정하였다.

    2) 집단

    대분류 집단의 중분류항목인 ⑴교류에는 교(交)·면(面), ⑵경쟁에는 주(走)·선(先), ⑶협동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83

    에는 군( )·동(同)이 선정되었는데 모두 전문가집단 5인 중 3인 이상의 일치 도를 보여 1차로 선정된 글자이다.

    3) 사회

    대집단 사회의 중분류항목인 ⑴교육에는 학(學)·교(敎)·문(文)·정(正), ⑵생활양식에는 의(衣)·월(月)·화(火)·화(禾)·금(金), ⑶노동(형태)에는 차(車)·문(門)·왕(王)·전(田)·어(漁)·우(牛)·화(禾)·군(軍)·마(馬)·공(工)·석(石)·양(羊)·의(衣)·도(刀)·과(果), ⑷신분에는 의(衣)가 선정되었다. 이 중 정(正)은 교육에서 추구하는 바를 설명할 수 있는 글자이므로 포함시키자는 의견을 반영하여 전문가협의를 통해 선정된 글자이다. 그 밖에 공(工)·석(石)·양(羊)·의(衣)·도(刀)·과(果)는 글자의 뜻과 의미를 설명함으로써 노동의 형태를 이해시킬 수 있으므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전문가협의를 통해 선정된 글자이다.

    4) 자연

    대집단 자연의 중분류항목인 ⑴시간에는 일(日)·월(月)·년(年)·석(夕), ⑵공간에는 천(天)·지(地)·외(外)·내(內)가 선정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전문가집단 5인 중 3인 이상의 의견 이 일치한 글자들이다.

    이상과 같이 분석대상 총 93개 한자 중 45개의 글자가 선정되었는데, 이는 가장 초급한자

    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이며 상용한자 1,800개를 대상으로 분석할 경우 더 다양한 글자들

    을 생태학적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3. 한자를 기반으로 한 민속놀이 선정

    생태학적 분석을 통해 선정 된 45개의 한자를 기반으로 하여 민속놀이를 선정한 결과 본

    연구의 1차 대상이었던 총 59종의 민속놀이 중 49종의 놀이가 선정되었다. 49종의 놀이 중 1

    차 선정기준인 놀이자체로 글자의 음과 뜻을 비교적 쉽게 알 수 있는 놀이에는 아무 표시도

    하지 않았으며, 2차 선정기준인 놀이를 통해 글자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놀이의 경우 ○

    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두 개 이상의 글자에 중복된 놀이에는 ●로 표시하였다.

    그 밖에 대분류 집단의 중분류 항목인 경쟁에서 먼저 선(先)에 해당되는 놀이는 본 연구에 사용한 59종 놀이 중 49종이 해당되는데, 이는 민속놀이가 2인 이상, 그리고 집단 간 상대놀

    이인 경우가 많으므로 선(先)·후(後)에 대한 개념 이해가 자연스럽게 습득되기 때문이다.

  • 2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호대분류 중분류 한자 민속놀이

    1 개인2)

    성여자 여( )

    소꿉놀이●, 경로회●사내 남(男)연령

    어미 모(母)아비 부(父)아들 자(子)

    2 집단

    교류사귈 교(交) 경로회○● 백중놀이○●낯 면(面) 탈놀이(탈춤)● 숨바꼭질○●

    경쟁

    달릴 주(走) 죽마(대말타기)*●

    먼저 선(先)

    가마타기, 가락지 찾기, 강강술래, 거북놀이,

    고누, 고무줄놀이, 고사리 따기, 공기놀이,

    관등놀이, 광대놀이, 구슬치기, 그네, 글자

    맞추기, 기와 밟기, 꼬리잡기, 눈싸움, 널뛰기,

    풍물, 다리 밟기, 달맞이, 닭잡기, 덕석 말이,

    돈치기, 돌차기, 대문놀이, 땅따기, 죽마,

    보물찾기, 봉선화물들이기, 비석치기, 손뼉

    치기, 수건돌리기, 숨바꼭질, 실뜨기, 쌍육,

    썰매, 씨름, 연날리기, 윷놀이, 자치기,

    제기차기, 종경도 놀이, 줄다리기, 줄넘기, 진

    치기, 청어 엮기, 팔씨름, 팽이, 풀 겨루기

    협동군사 군(軍) 진치기○●

    한 가지 동(同) 고무줄 놀이●

    3 사회

    교육

    배울 학(學) -가르칠 교(敎) 종경도(승경도) 놀이○●글월 문(文) 글자 맞추기 ●바를 정(正) 종경도 놀이○●

    생활

    양식

    옷 의(衣) 탈놀이●달 월(月) 달맞이●3)불 화(火) 관등(연등)놀이●4)벼 화(禾) 덕석놀이○●쇠 금(金) 돈치기○●

    노동

    형태

    수레 차(車) 가마타기○문 문(門) 문지기 놀이●임금 왕(王) -밭 전(田) 덕석놀이○●

    고기 잡을 어(漁) 청어 엮기소 우(牛) 씨름*●벼 화(禾) 줄다리기○●, 덕석놀이●군사 군(軍) 진 치기○●

    한자를 기반으로 한 민속놀이 선정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자를 기반으로 한 민속놀이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85

    말 마( ) 죽마(대말타기)●장인 공(工) 풀각시놀이○돌 석(石) 비석치기○●양 양(羊) 실뜨기○●옷 의(衣) 실뜨기○●칼 도(刀) 소꿉놀이●열매 과(果) -

    신분옷 의(衣) 탈놀이○●임금 왕(王) -

    4 자연

    시간

    날 일(日) -달 월(月) 달맞이놀이●, 강강술래○●해 년(年) 연날리기○●, 지신밟기○저녁 석(夕) 관등(연등)놀이○●

    공간

    하늘 천(天) 연날리기○●땅 지(地) 땅따기놀이● 지신밟기●바깥 외(外) 씨름○●, 두꺼비놀이○●, 대문놀이○●,

    널뛰기○●, 고누○●, 윷놀이○●안 내(內)* ○는 놀이를 통해 글자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놀이이고 ●는 중복되는 놀이를 표시한 것임.

    1) 개인

    대분류 개인의 중분류항목인 ⑴성( )에는 여(女)·남(男), ⑵연령에는 모(母)·부(父)·자(子)·부(夫)가 해당되는데, 글자별로 놀이가 나누어지지 않고 소꿉놀이와 경로회 두 가지의 놀이가 동일하게 선정되었다. 이는 두 놀이 모두 성과 연령에 대해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는 구

    조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소꿉놀이는 가족구성원의 역할을 나누어 하는 놀이이므로

    남·여·연령에 대한 글자를 이해시키는데 용이하다. 또한 연장자를 모시고 대접하는 놀이인

    경로회는 가족구성원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다양한 연령과 집단이 참여하므로 성과 연

    령에 해당되는 글자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2) 집단

    대분류 집단의 중분류항목인 ⑴교류 중 교(交)에는 경로회와 백중놀이, 면(面)에는 탈놀이(탈춤), 숨바꼭질, ⑵경쟁 중 주(走)는 죽마(대말타기), 선(先)에는 49개의 놀이가 선정되었다(각주 3 참조). ⑶협동 중 군(軍)에는 진 치기, 동(同)에는 고무줄놀이가 선정되었다. 이들 놀이 중 면(面)에 해당되는 탈놀이와 동(同)에 해당되는 고무줄놀이는 놀이자체로 글자의 음과

    2)『조선의 향토오락』에는 모든 민속놀이에 연령·성별 표시가 되어 있어, 각각의 민속놀이에 해당되는 연령·성별을 알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그와 무관하게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따라 놀이를 제시하였다.

    3) 종교적 의미를 통해 글자와 분석도구 내용인 생활양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종교적 의미를 통해 글자와 분석도구 내용인 생활양식을 설명할 수 있다.

  • 2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뜻을 비교적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놀이이다. 예를 들어 탈놀이는 얼굴을 가리는 것으로 얼

    굴을 한자로 표현할 때에는 낯·얼굴 면( )이라 알려 줄 수 있으며, 고무줄놀이는 고무줄을

    잡는 두 사람이 동일한 높이로 줄을 들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한 가지(서로 같게 하다)동(同)자를 이해시킬 수 있다.

    3) 사회

    대집단 사회의 중분류항목인 ⑴교육의 학(學)에는 놀이가 선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참고로 본 연구의 적용대상이 아닌 민속놀이 중 ‘서당놀이’는 배울 학(學)의 글자를 이해시키는데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다음으로 문(文)은 글자 맞추기 놀이가 선정되었으며, 교(敎)와 정(正)에 해당되는 놀이는 종경도(승경도)놀이가 선정되었다. 조선시대 양반계층에서는 자녀들에게 놀이를 통해 관직의 이름과 상호관계 등의 관직 체계에 대해 익히도록 이 놀

    이를 장려하였다. 따라서 이 놀이는 ‘가르치다’의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지금은 관직의

    이름이 아니라 유아에게 필요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

    으며 내용에 따라 정(正)과 교(敎), 즉 ‘바르다’, ‘가르치다’, ‘바르게 가르치다’의 의미를 일깨워 줄 수 있는데 있어 그 활용가치가 높다고 본다. ⑵생활양식 중 의(衣)는 탈놀이, 월(月)은 달맞이, 화(火)는 관등(연등)놀이, 화(禾)는 덕석놀이, 금(金)은 돈치기놀이가 선정되었다. 탈놀이는 양반, 중, 상놈 등 다양한 계층이 등장하여 삶의 애환을 풍자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이들이 입은 옷을 통해 그 시대의 생활양식과 함께 의(衣)자를 이해시킬 수 있다. 달맞이 놀이는 정월 대보름에 달을 보고 소원을 빌거나 한 해의 운수를 점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

    놀이 또한 전통사회의 생활양식과 종교성, 그리고 현재의 풍습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월(月)이라는 글자를 익힐 수 있다. 화(火)는 관등(연등)놀이와 연관 지을 수 있는데 이 놀이는 지금까지도 음력 4월 8일(석가탄신일)이면 행해지고 있으므로 놀이와

    연계하여 글자를 익히는데 용이하다고 본다. 화(禾)는 벼를 의미하는 것으로 덕석놀이를 통해 농경사회였음을 이해시키는 것과 동시에 화(禾)자에 대해 알려 줄 수 있다. 금(金)은 은화 한 닢, 금화 한 닢이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화폐로 사용되기도 하므로 돈치기 놀이를 통

    해 글자를 이해시킬 수 있다. ⑶노동(형태) 중 차(車)는 가마타기, 문(門)은 문지기 놀이, 전(田)은 덕석놀이, 어(漁)는 청어엮기, 우(牛)는 씨름, 화(禾)는 줄다리기와 덕석놀이, 군(軍)은 진 치기, 마(馬)는 죽마(대말타기), 공(工)은 풀각시놀이, 석(石)은 비석치기, 양(羊)과 의(衣)는 실뜨기, 도(刀)는 소꿉놀이가 선정되었으며, 왕(王), 그리고 과(果)는 선정된 놀이가 없다.선정된 놀이들은 놀이와 함께 글자의 의미, 그리고 글자에 적합한 다양한 노동형태(직업)을

    소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馬)는 죽마(대말타기) 놀이를 통해 마부라는 직업을 알려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87

    줄 수 있으며, 우( )는 씨름대회에서 우승할 경우 황소 한 마리를 상으로 주었으며 이는 농

    경사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쓰이는 노동의 도구였기 때문이라 등의 설명과 함께 씨름놀이와

    글자를 익힐 수 있다. 공(工)은 장인을 뜻하는 것으로 풀각시놀이 중 (비교적)정교하게 만든 것을 선별하여 공(工)의 뜻을 설명하며 글자를 익힐 수 있다. 석(石)은 비석치기 놀이와 함께 비석의 쓰임새 그리고 관련 직업을 알려주며 글자를 익힐 수 있다. 양(羊)과 의(衣)는 실뜨기 놀이를 통해 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며 관련 직업과 글자를 익힐 수 있다. 마지막으

    로 도(刀)는 소꿉놀이를 통해 칼의 쓰임새와 관련 직업 그리고 글자를 익힐 수 있다. ⑷신분에는 의(衣)와 왕(王)이 선정되었는데, 의(衣)에 해당되는 놀이는 탈놀이가 선정되었으며 왕(王)에 해당되는 놀이는 선정되지 않았다. 탈놀이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양반, 상민, 천민,중 등 다양한 계층이 등장하므로 이들이 입은 옷을 통해 신분에 대해 알 수 있으며 옷 의(衣)자를 익힐 수 있다.

    4) 자연

    대집단 자연의 중분류항목인 ⑴시간 중 일(日)에는 선정된 놀이가 없으나, 월(月)에는 달맞이, 강강술래놀이가, 년(年)에는 연날리기, 지신밟기가, 석(夕)에는 관등(연등)놀이가 선정되었다. 이 중 달맞이와 강강술래놀이는 둥근 보름달 아래에서 하는 놀이이므로 놀이를 통해 자

    연과 관련 된 내용과 함께 글자를 익힐 수 있다. 연날리기와 지신밟기는 액운을 날려버리거

    나 막아서 새해에는 좋은 일들만 생기기를 기원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임동권, 정병호,

    김선풍, 1997). 따라서 놀이와 의미를 함께 전달하며 자연의 순환법칙과 글자를 익힐 수 있다.

    관등(연등)놀이는 등불을 가지고 어둠을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놀이는 해질 무렵부터 시

    작하여 밤까지 이어지므로 놀이를 통해 해가 지면 어두운 밤이 오는 자연의 법칙과 함께 글

    자를 익힐 수 있다. ⑵공간 중 천(天)은 연날리기, 지(地)는 땅따기놀이와 지신밟기, 내(內)·외(外)는 글자 구분 없이 씨름과 두꺼비놀이, 대문놀이, 널뛰기, 고누, 윷놀이가 선정되었다. 이 중 연날리기 놀이는 하늘을 향해 높이 날리는 놀이 이므로 하늘 천(天)자를 자연스럽게 알려 줄 수 있으며, 땅따기놀이와 지신밟기는 놀이의 이름만으로도 땅 지(地)자를 쉽게 익힐 수 있다고 본다. 내(內)·외(外)에 해당되는 씨름과 고누, 윷놀이는 모두 놀이판의 안과 밖의 경계가 분명한 놀이이며, 두꺼비놀이는 두꺼비에게 줄 집을 만드는 것이므로 놀이를 통해 안과 밖에

    대해 설명하기 용이하다. 또한 대문놀이 역시 ‘문지기 문지기 문열어라’라는 노랫말을 통해

    문을 열고 들어가면 안이고 나오면 밖이라는 개념을 이해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널뛰기의

    경우 현재는 개방된 공간에서도 많이 행해지고 있지만 과거에는 양반집 규수가 집 안에서 집

    밖을 내다 볼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였다고 한다(심우성, 2000). 따라서 이러한 설명과 함께 놀

  • 2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이를 통해 안과 밖의 개념을 이해시키며 글자를 익힐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생태학적 분석을 통해 선정된 한자를 대상으로 민속놀이를 선정한 결과 59종

    의 놀이 중 49종이 선정되었으며 가마타기, 청어 엮기 두 가지 놀이를 제외한 47종의 놀이가

    두 개 이상의 글자에 중복되어 선정되었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유아 한자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민속놀이를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

    을 두고 진행한 연구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태학적 분석도구로 분석된 한자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분류 ‘개인’의 중분류항목인 ⑴성( )에는 여(女)·남(男), ⑵연령에는 모(母)·부(父)·자(子), 대분류 ‘집단’의 중분류항목인 ⑴교류에는 교(交)·면(面), ⑵경쟁에는 주(走)·선(先), ⑶협동에는 군(軍)·동(同)이, 대집단 ‘사회’의 중분류항목인 ⑴교육에는 학(學)·교(敎)·문(文)·정(正), ⑵생활양식에는 의(衣)·월(月)·화(火)·화(禾)·금(金), ⑶노동(형태)에는 차(車)·문(門)·왕(王)·전(田)·어(漁)·우(牛)·화(禾)·군(軍)·마(馬)·공(工)·석(石)·양(羊)·의(衣)·도(刀)·과(果), ⑷신분에는 의(衣)와 왕(王)이, 대집단 ‘자연’의 중분류항목인 ⑴시간에는 일(日)·월(月)·년(年)·석(夕), ⑵공간에는 천(天)·지(地)·외(外)·내(內)가 선정되어, 총 93개 한자 중 45개의 글자가 선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장 초급한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이며 상용한자 1,800

    개를 대상으로 분석할 경우 더 다양한 글자들을 생태학적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러나 초급이상의 더 다양한 글자들을 분석대상으로 할 경우 유아에게 적용하기 어려운 글

    자들도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을 선정하는 기준 중 하나로 사용한 ‘그림으로 설명이

    어려운 글자는 제외한다.’외에 또 다른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음으로 생태학적으로 분석된 한자를 대상으로 선정된 민속놀이는 다음과 같다.

    대분류 ‘개인’의 중분류항목인 ⑴성(性)에는 여(女)·남(男), ⑵연령에는 모(母)·부(父)·자(子)가 해당되는데, 이 글자들은 글자별로 놀이가 나누어지지 않고 소꿉놀이와 경로회가 선정되

    었다. 대분류 ‘집단’의 중분류항목인 ⑴교류 중 교(交)에는 경로회와 백중놀이, 면(面)에는 탈놀이(탈춤), 숨바꼭질, ⑵경쟁 중 주(走)는 죽마(대말타기), 선(先)에는 49개의 놀이가 선정되었다(각주 3 참조). ⑶협동 중 군(軍)에는 진 치기, 동(同)에는 고무줄놀이가 선정되었다. 대집단 ‘사회’의 중분류항목인 ⑴교육 중 학(學)에는 놀이가 선정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의 적용대상이 아닌 민속놀이 중 ‘서당놀이’는 배울 학(學)의 글자를 이해시키는데 충분히 활용될 수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89

    있을 것이라 본다. 다음으로 문( )은 글자 맞추기 놀이가, 교(敎)와 정(正)에 해당되는 놀이는 종경도(승경도)놀이가 선정되었다. ⑵생활양식 중 의(衣)는 탈놀이, 월(月)은 달맞이, 화(火)는 관등(연등)놀이, 화(禾)는 덕석놀이, 금(金)은 돈치기놀이가 ⑶노동(형태) 중 차(車)는 가마타기, 문(門)은 문지기 놀이, 전(田)은 덕석놀이, 어(漁)는 청어엮기, 우(牛)는 씨름, 화(禾)는 줄다리기와 덕석놀이, 군(軍)은 진 치기, 마(馬)는 죽마(대말타기), 공(工)은 풀각시놀이,석(石)은 비석치기, 양(羊)과 의(衣)는 실뜨기, 도(刀)는 소꿉놀이가 선정되었으며, 왕(王), 그리고 과(果)는 선정된 놀이가 없다. ⑷신분 중 의(衣)는 탈놀이가 선정되었으며, 왕(王)은 선정된 놀이가 없다. 마지막으로 대집단 ‘자연’의 중분류항목인 ⑴시간 중 일(日)에는 선정된 놀이가 없으나, 월(月)에는 달맞이, 강강술래놀이가, 년(年)에는 연날리기, 지신밟기가, 석(夕)에는 관등(연등)놀이가 선정되었다. ⑵공간 중 천(天)은 연날리기, 지(地)는 땅따기놀이와 지신밟기, 내(內)·외(外)는 글자 구분 없이 씨름과 두꺼비놀이, 대문놀이, 널뛰기, 고누, 윷놀이가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이 생태학적 분석을 통해 선정된 한자를 대상으로 민속놀이를 선정한 결과 59종

    의 놀이 중 49종이 선정되었으며 가마타기, 청어 엮기 두 가지 놀이를 제외한 47종의 놀이가

    두 개 이상의 글자에 중복되어 선정되었다. 이는 민속놀이가 단순히 게임의 의미만 있는 것

    이 아니라 지리적 환경을 바탕으로 하여 오랜 역사적인 문화의 변화·발전을 거치며 민중의

    생활감정을 소화시켜 가면서 형성·계승된 것(최충환, 2003)으로 종교, 풍속, 노동, 유희, 제의,

    의례 뿐 아니라 사상과 감정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임재해, 2008). 따라서 하나의

    놀이가 두 개 이상의 글자를 설명할 수 있다거나, 하나의 글자가 두 개 이상의 놀이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생태학적 분석기준에 의해 분석된다는 점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한

    자와 민속놀이가 생태적 사고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 상호 유기적 관계를 띠고 있음을 확인 시켜준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선정된 민속놀이

    는 대부분 유아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해 보았거나 또는 전통문화 체험활동을 통해 경

    험할 수 있는 놀이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선정된 민속놀이는 유아 한자교육에 있어 활용가

    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동의 경험세계에서 놀이와 학습과 일은 상호분리

    될 수 없이 통합되어 있는 교육적 활동 그 자체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박범석(2005)의 주장은

    민속놀이를 통한 한자교육의 가치를 증명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자는 고대문화

    뿐 아니라 그것을 사용하였던 각 시대의 문화를 담아내고 있으므로(양원석, 2014) 종교, 풍속,

    노동, 유희, 제의, 의례, 사상과 감정까지 모두 담고 변화·발전하며 계승된 민속놀이와 융합하

    여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한 교육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유아만을 대

    상으로 한 기초적 연구라는 한계점이 있으나 놀이와 인문학의 융합이라는 교육적 가치가 있

  • 2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생활주제 세계 속 우리나라 주제 민속놀이 연령 만 5세

    활동명 가마타기 놀이

    활동목표

    1.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2. 민속놀이에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다.

    3. 놀이를 통해 한자를 익힐 수 있다.

    누 리 과정

    관련 요소

    1. 사회관계

    2. 신체운동-건강

    3. 언어

    창의·인성

    관련요소

    - 창의성: 동기적 요소-몰입

    - 인성: 규칙의 필요성과 중요성, 배려

    활동자료 - 수레 차( ) 자와 관련 된 그림카드

    활동방법

    ▶ 전통사회에서의 이동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가마에 대해 설명한다.

    1. 전래 놀이 중 가마타기 놀이에 대해 설명한다.

    2.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편을 나누고, 가마역할을 할 2명의 유아와 가마에 태울 1명의

    유아를 정하도록 한다.

    3. 교사는 놀이 방법과 규칙에 대해 다시 한 번 설명한 후 진행한다.

    4. 놀이가 끝난 후 가마와 자동차를 비교하며 이야기 나누기를 한다.

    5. 글자(차/車)를 익히도록 한다.

    다고 본다. 그밖에 안동규(2010)의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58개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본적으로 학생이나 교원, 학부모 모두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었으나,

    글자가 너무 어려워서(31.8%), 재미가 없어서(43.7%) 한자교육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고 밝

    히고 있다. 따라서 민속놀이를 활용한 본 연구는 한자에 대한 흥미를 이끈다거나 또는 한자

    를 쉽게 익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교육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한자를 쉽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민속놀이를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한 것이다. 따라서 민속

    놀이를 활용한 유아 한자교육 활동 예시를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 )자를 활용한 민속놀이 활동

    차(車)자와 관련 된 민속놀이로는 가마타기 선정되었다. 선정된 가마타기 놀이 활동 예시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차(車)자를 활용한 민속놀이 활동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91

    ⚫ 아래 그림을 활용해 먼저, 차( )자를 제시하고 음과 뜻을 알려준 후 이야기 나눈다.

    〔그림 1〕차(車)자의 어원(하영삼, 2002)

    - 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얻은 지식과 느낌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교통안전관 관련 된 내용을 유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눈다.

    유의점- 글자를 외우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 학습한 글자와 그림은 유아들의 눈에 잘 띠는 곳에 붙여 놓는다.

    확장 활동 - 유아 자신이 타고 싶은 자동차를 그려보도록 한다.

    평가

    - 또래 친구들과 협동하며 놀이에 참여하였는가?

    - 자신의 신체를 놀이에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가?

    - 글자와 놀이를 연관 지어 이해할 수 있는가?

    둘째, 모든 문자와 기호와 철자 안에는 형태 그리기와 그림그리기, 색, 형태, 방향이라는 요

    소가 공통으로 들어있기 때문에 쓰기 학습에 도움을 준다(윤선영, 2003). 따라서 민속놀이 후

    놀이와 관련된 글자를 그림으로 제시하고 익힐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 준다. 이와 관련 된

    활동을 간략하게 지세하면 다음과 같다. 관련 글자는 위와 동일하게 차( )자와 민속놀이 중

    가마타기를 예로 하였다.

    [그림 1] 차(車)자의 어원(하영삼, 2002)

    - 위의 그림 중 b와 c를 그려보도록 한다.

    - 위의 그림을 똑같이 그리도록 하거나, “도넛 두 개를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연

    결 된 도넛을 끌고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함께 하도록 한다.

    - 글자(車)를 인쇄하여 나누어 주고 콜라주기법으로 글자를 만들도록 한다.셋째, 글자와 관련된 그림을 제시하고 어원에 대해 설명한 후 유아들과 함께 스토리텔링을

    하도록 한다. 어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은 유아들에게 현재 경험하고 있는 문화의 변화·발전

    과정에 대한 이해 및 상상력을 자극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변종권,

  • 2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박수홍, 강문숙(2011)은 유아대상의 연구는 아니지만 한문교과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기반

    한자학습 콘텐츠 프로토타입을 설계·적용 및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는데, 학습자간 상호작용

    유도와 지식의 재구성 면에서 효과가 있다고 밝히며 한자 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고 주장하고 있다.

    넷째, 교사는 유아들이 체험한 민속놀이의 방법과 내용 등을 수수께끼 형태로 유아들에게

    질문하고 유아들은 관련 한자를 연상하여 대답하거나 관련 글자 또는 그림카드를 찾아보도

    록 한다. 수수께끼는 인류역사를 통틀어 가장 오래된 놀이(편해문, 2003)로서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 상상력, 언어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다(김윤경, 2013).

    그밖에 연구자가 제시한 활동 내용 외에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김종운(2005)은 한

    자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주사위 게임, 한자 돌림판, 퍼즐을 이용한 고사성어

    한자 읽기 등을, 남수극(2005)은 빙고, 색칠하기, 주사위 놀이, 스피드 퀴즈, 신문 활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니지만 이들이 제시한 활동 방안을 참고할 필

    요가 있다고 본다.

    이상과 같이 민속놀이는 한자와 연계하여 활동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글자와

    놀이를 언어, 미술, 사회, 신체활동 등과 같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어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은 동일한 구조의 이야기도 다르게 해석하고 풀어냄으로써 새로운 의미

    체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한송이, 2015). 이러한 점은 입체적 형국 속에서 다면적으로 바라

    보는 다원적 사고를 넘어 여러 차원에서 동시적으로 바라보는 능력(석문도문, 2013), 즉 사물

    이나 사건·현상 등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고 이해한 후 상상력과 창의성을 발휘하여 그것

    들을 통합하고 새로운 결과물을 창조할 수 있는 다차원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데 있어 도움이

    된다고 보며, 이러한 능력은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민속놀이와 한자를 연계한 다양한 활동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끝으로, 2천년 이상의 사용 역사를 가진 한자는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 유일한 문자였고 한

    글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근대까지 가장 중요한 문자 체계였으며 지금도 문자생활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하영삼, 2015). 따라서 우리의 문화는 한자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최근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며 미국 못지않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중국과의 국제적 교류를 생각한다면 현재의 우리와 미래를 이끌어갈 유아들에게 한자 또는

    중국어 교육은 영어교육 못지않게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앞서 밝혔듯이 현재 유아를 대상으

    로 한 한자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며, 유아 한자교육에 대한 충분한 논의나 연구 없이 검

    증도 되지 않은 유아 한자교재들이 사교육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과 한자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93

    관련 전문가들이 함께 연구하여 유아에게 적합한 한자교재 및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

    가 있다. 또한 분석대상 한자의 범위 확장 및 분석도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하여 여러 활동

    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이에 대한 효과검증도 필요하다.

  • 2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참고문헌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보도자료.

    (2015).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고시문.

    김미영(2008). 현행 유아 한자교육의 문제와 발달단계에 따른 한자 놀이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애(2006). 전래동요 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0(4), 25-46.

    김영미(2010). 교구 활동 중심의 한자 지도방안: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왕규(2015). 한문의 활용-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분석. 한문교육

    연구, 46(0), 147-161.

    김은경(2014). 한국민속놀이의 생태학적 분석 및 유아교육적 의의.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은경, 권대원(2014). 다중지능발달을 위한 민속놀이 선정기준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229-248.

    김윤경(2013). 수수께끼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아(2009). 전래놀이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12, 31-43.

    김종운(2005). 창의적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자 지도 방안 연구. 한자한문교육, 14, 77-103.

    남수극(2005). 활동중심 초등학교 한자 지도방안. 한자한문교육, 14, 105-127.

    민희연(2009). 유아기 한자 교육방법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범석(2005). 아동기 민속놀이 경험의 교육적 가치. 민족문화논총, 31(0). 489-511.

    방인태(2003). 유아 한자교육론. 어문연구, 13(1), 247-268.

    변종권, 박수홍, 강문숙(2011). 스토리텔링 기반 한자 학습 콘텐츠 프로토타입설계- 書-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1(2), 71-102.

    석문도문(2013). 석문사상. 수원: 석문출판사.

    손원경, 전주영(2013).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 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 세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143-164.

    신인숙, 김지영(2008).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9(3),

    171-194.

  • 한자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유아민속놀이 선정연구 ․ 295

    심우성(2000). 우리나라 민속놀이. 서울: 동문선.

    안동규(2010).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방향에 대한 요구분석. 한자한문교육, 24, 406-465.

    양원석(2014). 한자문화학과 한자교육. 한자한문교육, 35, 79-109.

    오예승, 이정연(2005). 한문 영역 중심 한문과 교수, 학습 방법론 탐색: 유아한자 교육의 실제. 한자

    한문교육, 15(0), 149-204.

    오영희, 김주현(2005). 전래놀이 동요를 활동한 집단놀이가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인문논총, 22(0), 1-26.

    윤선영(2003). 발도로프 문자교육의 유아를 위한 한글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한독교육학연구,

    8(1), 133-161.

    이수아(2004). 동화를 활용한 한자수업이 유아 한자 학습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정연(2007). 유아 한자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갑빈, 박양자(1994). 유아 영재교육에서 한자교육의 필요성. 논문집, 12, 653-670.

    임동권, 정병호, 김선풍(1997). 민속놀이론. 서울: 민속원.

    임재해(2008). 마을 공동체문화로서 민속놀이의 전승과 기능. 한국 민속학, 48, 213-260.

    장미연, 임재택(2010).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9(3),

    81-108.

    진영미, 박향아(2016). 집단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생태

    유아교육연구, 15(1), 215-242.

    최충환(2000). 민속놀이의 사회 심리적 기능에 관한 소고.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19, 313-329.

    편해문(2003). 우리 민속 문화에서의 아이들 삶. 생태유아교육연구, 2(1), 41-69.

    하영삼(2002). 한자왕국. 서울: 청년사.

    하영삼(2015). 어원으로 읽는 214 부수 한자. 부산: 서도출판 3.

    한송이(2015). 스토리텔링 기반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학습자중심교교과교육연구,

    15(4), 709-724.

    교수신문(2014.10.16.). 저자 인터뷰『한자어원사전』펴낸 하영삼 경성대 교수. http://www.kyosu.net/

    news/articleView.html?idxno=29737에서 2016년 7월 20일 인출.

    이뉴스투데이(2015.09.22.). ‘찬반논란’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내년 말 결정. http://www.enewstoday.co.kr/

    news/articleView.html?idxno=421877에서 2016년 9월 5일 인출.

    dongA.com 뉴스(2016.03.30.). 초등한자 필요성 대두. 한자능력검정시험 대비 강좌 인기.

    http://news.donga.com/3/all/20160330/77299622/2에서 2016년 9월 5일 인출.

  • 2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Abstract

    Selection of children’s folk games based on ecological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Eun Kyung Kim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utilizing a folk game as a means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easily understand and learn Chinese characters.

    A similarity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folk games is that both hand down human thoughts

    and diverse culture that has interacted in a close relationship and continuously developed. To some

    extent, this point is in line with ecology theory as it focuses on interac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basic Chinese characters, as suggested by nine Chinese character

    qualification institutes, using an ecological analysis tool, and selected 45 suitable Chinese characters.

    Further based on this data, 49 types of folk games suitable for the selected Chinese characters were

    selected. Most of the selected 49 types of folk games were those that were experienced by children

    in preschool or could be experienced through traditional culture program activities.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se folk games are worth utilizing in the preschool fo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