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48
이 연구는 국내언론의 위험보도가 우리 사회전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을 미치 고 있다는 측면에서 위험사안에 대한 언론의 접근과 관점에 주목하였다. 언론보 도가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핵심적인 분석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과연 국내 언론이 위험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보도하는지 살펴보았다. 2012927일 발생한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는 보도에 있어서 정확하고 과학적인 지식 및 정보전달이 요구된 위험사안이었다. 중앙일간지와 피해지역 일간지를 비교분석하여 동일한 위험사안을 바라보는데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 명해보고자 하는 것도 연구목적 가운데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 , 경향신문과 사고피해지역의 주요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 총 7개의 종합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뉴스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사고발생일 20129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 합의가 마무리되었던 시기인 2013128일까지 약 4개월 동안 보도된 총 356건의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관련 뉴스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28, 2013. 3. 30. 95~14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송해룡(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윤경(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수료)***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330-2011-1-B00228) ** 주저자: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11-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이 연구는 국내언론의 위험보도가 우리 사회전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을 미치

고 있다는 측면에서 위험사안에 대한 언론의 접근과 관점에 주목하였다 언론보

도가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핵심적인 분석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과연 국내

언론이 위험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보도하는지 살펴보았다 2012년

9월 27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는 보도에 있어서 정확하고 과학적인

지식 및 정보전달이 요구된 위험사안이었다 중앙일간지와 피해지역 일간지를

비교분석하여 동일한 위험사안을 바라보는데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

명해보고자 하는 것도 연구목적 가운데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

문 경향신문과 사고피해지역의 주요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 총 7개의

종합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뉴스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사고발생일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 합의가 마무리되었던 시기인 2013년 1월

28일까지 약 4개월 동안 보도된 총 356건의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관련 뉴스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28호 2013 3 30 95~142쪽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ld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dquo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송해룡(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1)

이윤경(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수료)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비)으

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330-2011-1-B00228)

주저자 inokwgskkuedu

교신저자 shinyskkuedu

9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어떠한 보도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떠한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을 활용하

였는지 분석하였다 관련 보도량은 사고발생 직후인 9월말에서 10월에 집중되

었는데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관련 보도의 기사유형

에서는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단순사실위주의 피상적 보

도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뉴스 정보원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

지만 lsquo중앙정부rsquo lsquo지방자치단체rsquo라는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위험보도는 과학적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영역임에도 이번 보도에서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한 경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피해지역의 언론사

로서 지역주민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관련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프레임 가운데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발

표 및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에 머무르면서 위험을 바라보는 관점의 제한 부정

확한 정보제시 및 과학적 논의 부재 등 문제들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제어 위험보도 위험커뮤니케이션 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

뉴스 프레임 뉴스 정보원

송해룡이윤경 97

1 문제제기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매스미디어 특히 텔레비전과 신문은 자연재해

지역재난 그리고 위험 이슈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 및 대중과의 커뮤니케이

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디어 보도의 양적인 크기는 대중의 잠재

적인 태도와 감성을 자극한다는 연구결과(Mazur A 1987 송해룡 2012)가 있으

며 미디어가 위험관리과정에 영향을 주는 행위자로 정책결정자들과 규제

기관 산업체 공공 이익집단 전문가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은 특정 사건이 발생하기 전까지 한동안 침묵으로 일관하거나

경고성 메시지 또는 부정적인 보도에는 동참하지 않는다 이 같은 위험 및

재난에 대한 언론의 미온적인 보도태도는 미디어의 중요한 기능인 사회 환

경감시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송해룡 2012)

과학기술의 발달 산업의 다변화에 따른 독성화학물질의 사용량이 증가

하는 측면에서 유해물질에 따른 환경생태계의 파괴가 날로 증가하는 실정

이다(유영억 2012) 국내에서도 최근 3년간 유해 독성물질 및 가스의 누출폭발 주요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였다(연합뉴스 2013 1 28)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시에서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는 근로자의 실수로

발생하였지만 사고의 근본적 원인은 위험물질에 대한 노동자와 회사 경영

진의 안이한 생각 감독당국의 허술한 관리 회사의 노동자에 대한 안전교

육 부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사고 초동 대처 미흡과 재한 훈련 무

방비 등이 한데 아우러져 빚은 참극(안종주 2012)으로 평가받고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안전 불감증 위험인식 부족

위기대응 및 관리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2012년 10월 8일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지만 정부는

사고발생 12일 지난 이후에 피해규모가 커지면서1) 뒤늦게 대책 수립에 나

9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섰다는 비판을 받았다(연합뉴스 2012 10 8)

21세기 최대 인명피해를 가져왔던 인도의 lsquo보팔대참사(Bhopal Disaster)rsquo2)

는 이번 사건과 규모적인 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지만 유해물질의 누출에

따른 대표적인 환경재난이라는 점에서 언급되고 있다 lsquo보팔 대참사rsquo는 사고

발생 후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독성 폐기물들이 처리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토양과 지하수 오염으로 주민들이 유독물질 오염 가능성에 여전

히 노출돼 있다(유영억 2012)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역시 4개월이 지났

지만 아직까지 사고탱크가 방치돼 있어 피해지역 주민들과의 또 다른 갈등

이 예상될 뿐만 아니라 2차 대형사고발생의 위험이 남아있다(경북매일신문

2012 2 1)

위험과 갈등이 존재하는 상황 속에서 미디어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합의와 사회적 수용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중요

한 주체로서 역할을 요구받게 된다 위험은 사회적 논쟁을 야기하는 갈등

사안으로도 볼 수 있는데 언론이 사회 갈등을 보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성 혹은 균형성 불편부당성이다 대립되는 의견이나 이해관계가 존재

하는 경우 그 어느 편으로도 치우치거나 배제하지 않고 두루 다룸으로써

진실에 다가가야 한다 그러나 한국 언론의 보도 행태는 우리 사회의 다양

1) 경북도와 구미시에 따르면 불산가스 유출로 인한 피해는 8일 기준 사망

자 5명과 입원 7명 치료환자 3178명에 이른다 또 가축피해는 3209마리

농작물 피해는 212ha 임야 피해는 677ha로 집계됐다

2) 1984년 12월 3일 새벽 인도 보팔시에 있던 미국의 다국적 기업 유니온카

바이드 농약공장에서 메탈이소시안이라는 유독물질을 저장하고 있던 탱

크에서 유독가스가 새어나와 인근 65제곱킬로미터 내에 있던 모든 생물

이 숨졌다 2800여 명의 시민이 사고당일 숨졌고 1만7천여 명이 실명

등 심각한 장애를 입었으며 그 후 많은 사람들이 암이나 각종 질병에

걸리는 등 20만 명의 피해자가 생겨났다 인도정부의 비공식 집계에 따

르면 당시 사고로 숨진 사람은 1만 명이 넘으며 부상 장애자만 60만 명

으로 추산됐다

송해룡이윤경 99

한 갈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으며 적어도 균형적인 시각을 보여주거

나 저널리즘 원칙에 충실한 보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분출하는 사회 갈등

을 한국의 언론이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또는 그에 대해 어떠한 실

천적인 기준이나 합의가 마련해야 하는지 매우 절박하다(이승선 2012) 이는

위험보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언론이 취하는 보도프레임은 사회 전

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언론은 위험사안에 대해 더욱 조

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Willis amp Okunade 19972006)

위험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위가 핵심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석요인

이 되고 있다(송해룡 2012)는 점에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경향은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의

위험이슈가 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

다 해당 사건은 우리사회의 안전 불감증 및 위험발생에 대한 안이한 위기

대응에 경고를 했던 환경재난으로 국내 위험보도를 진단하는데 있어 시의

적인 연구대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

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언론에서 위험

사안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0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 이론적 논의

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현대사회의 위험에 관하여 논의해왔던 많은 사회학자들은 위험을 현대사

회에서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 담론은 언론을 통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예측과 통제하기

어려운 위험들이 증가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

고 있다

그동안 많은 사회학자들이 이러한 위험에 대하여 다양한 논의들을 하였

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은 산업사회가 가지고 있는 근대

의 문제들이 위험을 잉태하게 되었고 이러한 도구적 합리성의 결과로 나타

난 위험 속에서 더 이상 현대사회는 안전하지 않으며 위험은 현대사회가

약속했던 통제 가능성의 범위를 뛰어넘어 실재화된다(김영욱 2006)라고 위험

사회(Risk Society)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었다 기든스(Giddens 1991)은 현대

사회에서 위험은 불가피하고 위험에 대해서 누구도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

기 때문에 문제해결이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기든스는

위험(risk)과 신뢰(trust)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는데 위험과 신뢰는 접하게

관련되어있으며 신뢰는 일반적으로 위협(danger)들을 줄이거나 최소화시킨

다고 논의를 제기하였다 이처럼 근대사회의 위험과 불안은 신뢰의 문제와

연결이 되는데 개인의 범위를 넘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신뢰의 상실은 사

람들의 위험의식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다(김영욱 2006) 루만(Luhmann)은 위

험이라는 것은 이미 지식의 문제를 떠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로 전향되었

으며(송해룡김경희 2012) 커뮤니케이션만이 근대사회의 위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김영욱 2006)이라고 강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1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성찰적으로 만들면서 문제해결을 위

한 사회적 합의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욱 2008) 위험 이슈

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논의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

반까지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전문가와 대중 간에 위험인식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었고 대중들은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기보다 나

름대로의 위험평가에 따라 행동하므로 대중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며 신뢰를

얻을 필요가 부각되었다 이에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기법

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많이 원용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보다는 커뮤니케

이션이 이루어지는 맥락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송해룡 외 2012) 이와 같은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미루어볼 때

위험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위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차원이 아니라

울리히 벡(Beck 1989)이 제시한 lsquo위험사회rsquo의 본질 중 하나인 lsquo안전(safety)rsquo과

lsquo위험(risk)rsquo의 충돌을 완화시켜 이해관계자의 갈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

로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송해룡 외 2012)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재난재해사고가 급증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

에 관한 대중적인 관심과 논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에 관한 학

술적인 논의뿐만 아니라 위험 이슈에 관한 공론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

다 이러한 현 상황에 대하여 송해룡 외(2012)은 위험이 피할 수 없는 것이

라면 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이슈로 삼아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하고

위험과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공론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동안

위험이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공공부문과 민

간부문에서 모두 위험을 과대 혹은 과소하게 인식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

하는 위험에 대해 과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사회전반에서 안전에 대

10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 인식이 둔감해지는 현상이 확산되었다고 문제제기하였다 또한 위험커

뮤니케이션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규

정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 위험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과학기술자들은 사회적 인식에 대해 관심이 약하고 대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신과 저항으로 이어지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송해룡 외(2012)는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제공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적 접근에 치중하고 성실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

인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이어진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위험 문제를 같이 풀어갈 파트너로 인

정해야 하며 위험이슈에 대한 도구적인 합리성(instrumental rationality)보다는

커뮤니케이션적인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을 부각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위험은 촉발된 상황보다 사회적인

확장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목소리

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발생하는 갈등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조직이 다름을 인정하고 공론장을 통

해 의견공유의 기회를 가지면서 합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합의 창출은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모두에게 언로를 개방하며 성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위험문제 해결

에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9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어떠한 보도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떠한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을 활용하

였는지 분석하였다 관련 보도량은 사고발생 직후인 9월말에서 10월에 집중되

었는데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관련 보도의 기사유형

에서는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단순사실위주의 피상적 보

도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뉴스 정보원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

지만 lsquo중앙정부rsquo lsquo지방자치단체rsquo라는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위험보도는 과학적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영역임에도 이번 보도에서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한 경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피해지역의 언론사

로서 지역주민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관련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프레임 가운데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발

표 및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에 머무르면서 위험을 바라보는 관점의 제한 부정

확한 정보제시 및 과학적 논의 부재 등 문제들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제어 위험보도 위험커뮤니케이션 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

뉴스 프레임 뉴스 정보원

송해룡이윤경 97

1 문제제기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매스미디어 특히 텔레비전과 신문은 자연재해

지역재난 그리고 위험 이슈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 및 대중과의 커뮤니케이

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디어 보도의 양적인 크기는 대중의 잠재

적인 태도와 감성을 자극한다는 연구결과(Mazur A 1987 송해룡 2012)가 있으

며 미디어가 위험관리과정에 영향을 주는 행위자로 정책결정자들과 규제

기관 산업체 공공 이익집단 전문가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은 특정 사건이 발생하기 전까지 한동안 침묵으로 일관하거나

경고성 메시지 또는 부정적인 보도에는 동참하지 않는다 이 같은 위험 및

재난에 대한 언론의 미온적인 보도태도는 미디어의 중요한 기능인 사회 환

경감시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송해룡 2012)

과학기술의 발달 산업의 다변화에 따른 독성화학물질의 사용량이 증가

하는 측면에서 유해물질에 따른 환경생태계의 파괴가 날로 증가하는 실정

이다(유영억 2012) 국내에서도 최근 3년간 유해 독성물질 및 가스의 누출폭발 주요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였다(연합뉴스 2013 1 28)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시에서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는 근로자의 실수로

발생하였지만 사고의 근본적 원인은 위험물질에 대한 노동자와 회사 경영

진의 안이한 생각 감독당국의 허술한 관리 회사의 노동자에 대한 안전교

육 부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사고 초동 대처 미흡과 재한 훈련 무

방비 등이 한데 아우러져 빚은 참극(안종주 2012)으로 평가받고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안전 불감증 위험인식 부족

위기대응 및 관리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2012년 10월 8일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지만 정부는

사고발생 12일 지난 이후에 피해규모가 커지면서1) 뒤늦게 대책 수립에 나

9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섰다는 비판을 받았다(연합뉴스 2012 10 8)

21세기 최대 인명피해를 가져왔던 인도의 lsquo보팔대참사(Bhopal Disaster)rsquo2)

는 이번 사건과 규모적인 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지만 유해물질의 누출에

따른 대표적인 환경재난이라는 점에서 언급되고 있다 lsquo보팔 대참사rsquo는 사고

발생 후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독성 폐기물들이 처리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토양과 지하수 오염으로 주민들이 유독물질 오염 가능성에 여전

히 노출돼 있다(유영억 2012)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역시 4개월이 지났

지만 아직까지 사고탱크가 방치돼 있어 피해지역 주민들과의 또 다른 갈등

이 예상될 뿐만 아니라 2차 대형사고발생의 위험이 남아있다(경북매일신문

2012 2 1)

위험과 갈등이 존재하는 상황 속에서 미디어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합의와 사회적 수용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중요

한 주체로서 역할을 요구받게 된다 위험은 사회적 논쟁을 야기하는 갈등

사안으로도 볼 수 있는데 언론이 사회 갈등을 보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성 혹은 균형성 불편부당성이다 대립되는 의견이나 이해관계가 존재

하는 경우 그 어느 편으로도 치우치거나 배제하지 않고 두루 다룸으로써

진실에 다가가야 한다 그러나 한국 언론의 보도 행태는 우리 사회의 다양

1) 경북도와 구미시에 따르면 불산가스 유출로 인한 피해는 8일 기준 사망

자 5명과 입원 7명 치료환자 3178명에 이른다 또 가축피해는 3209마리

농작물 피해는 212ha 임야 피해는 677ha로 집계됐다

2) 1984년 12월 3일 새벽 인도 보팔시에 있던 미국의 다국적 기업 유니온카

바이드 농약공장에서 메탈이소시안이라는 유독물질을 저장하고 있던 탱

크에서 유독가스가 새어나와 인근 65제곱킬로미터 내에 있던 모든 생물

이 숨졌다 2800여 명의 시민이 사고당일 숨졌고 1만7천여 명이 실명

등 심각한 장애를 입었으며 그 후 많은 사람들이 암이나 각종 질병에

걸리는 등 20만 명의 피해자가 생겨났다 인도정부의 비공식 집계에 따

르면 당시 사고로 숨진 사람은 1만 명이 넘으며 부상 장애자만 60만 명

으로 추산됐다

송해룡이윤경 99

한 갈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으며 적어도 균형적인 시각을 보여주거

나 저널리즘 원칙에 충실한 보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분출하는 사회 갈등

을 한국의 언론이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또는 그에 대해 어떠한 실

천적인 기준이나 합의가 마련해야 하는지 매우 절박하다(이승선 2012) 이는

위험보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언론이 취하는 보도프레임은 사회 전

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언론은 위험사안에 대해 더욱 조

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Willis amp Okunade 19972006)

위험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위가 핵심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석요인

이 되고 있다(송해룡 2012)는 점에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경향은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의

위험이슈가 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

다 해당 사건은 우리사회의 안전 불감증 및 위험발생에 대한 안이한 위기

대응에 경고를 했던 환경재난으로 국내 위험보도를 진단하는데 있어 시의

적인 연구대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

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언론에서 위험

사안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0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 이론적 논의

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현대사회의 위험에 관하여 논의해왔던 많은 사회학자들은 위험을 현대사

회에서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 담론은 언론을 통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예측과 통제하기

어려운 위험들이 증가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

고 있다

그동안 많은 사회학자들이 이러한 위험에 대하여 다양한 논의들을 하였

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은 산업사회가 가지고 있는 근대

의 문제들이 위험을 잉태하게 되었고 이러한 도구적 합리성의 결과로 나타

난 위험 속에서 더 이상 현대사회는 안전하지 않으며 위험은 현대사회가

약속했던 통제 가능성의 범위를 뛰어넘어 실재화된다(김영욱 2006)라고 위험

사회(Risk Society)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었다 기든스(Giddens 1991)은 현대

사회에서 위험은 불가피하고 위험에 대해서 누구도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

기 때문에 문제해결이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기든스는

위험(risk)과 신뢰(trust)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는데 위험과 신뢰는 접하게

관련되어있으며 신뢰는 일반적으로 위협(danger)들을 줄이거나 최소화시킨

다고 논의를 제기하였다 이처럼 근대사회의 위험과 불안은 신뢰의 문제와

연결이 되는데 개인의 범위를 넘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신뢰의 상실은 사

람들의 위험의식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다(김영욱 2006) 루만(Luhmann)은 위

험이라는 것은 이미 지식의 문제를 떠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로 전향되었

으며(송해룡김경희 2012) 커뮤니케이션만이 근대사회의 위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김영욱 2006)이라고 강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1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성찰적으로 만들면서 문제해결을 위

한 사회적 합의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욱 2008) 위험 이슈

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논의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

반까지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전문가와 대중 간에 위험인식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었고 대중들은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기보다 나

름대로의 위험평가에 따라 행동하므로 대중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며 신뢰를

얻을 필요가 부각되었다 이에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기법

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많이 원용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보다는 커뮤니케

이션이 이루어지는 맥락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송해룡 외 2012) 이와 같은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미루어볼 때

위험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위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차원이 아니라

울리히 벡(Beck 1989)이 제시한 lsquo위험사회rsquo의 본질 중 하나인 lsquo안전(safety)rsquo과

lsquo위험(risk)rsquo의 충돌을 완화시켜 이해관계자의 갈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

로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송해룡 외 2012)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재난재해사고가 급증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

에 관한 대중적인 관심과 논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에 관한 학

술적인 논의뿐만 아니라 위험 이슈에 관한 공론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

다 이러한 현 상황에 대하여 송해룡 외(2012)은 위험이 피할 수 없는 것이

라면 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이슈로 삼아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하고

위험과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공론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동안

위험이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공공부문과 민

간부문에서 모두 위험을 과대 혹은 과소하게 인식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

하는 위험에 대해 과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사회전반에서 안전에 대

10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 인식이 둔감해지는 현상이 확산되었다고 문제제기하였다 또한 위험커

뮤니케이션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규

정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 위험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과학기술자들은 사회적 인식에 대해 관심이 약하고 대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신과 저항으로 이어지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송해룡 외(2012)는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제공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적 접근에 치중하고 성실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

인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이어진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위험 문제를 같이 풀어갈 파트너로 인

정해야 하며 위험이슈에 대한 도구적인 합리성(instrumental rationality)보다는

커뮤니케이션적인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을 부각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위험은 촉발된 상황보다 사회적인

확장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목소리

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발생하는 갈등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조직이 다름을 인정하고 공론장을 통

해 의견공유의 기회를 가지면서 합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합의 창출은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모두에게 언로를 개방하며 성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위험문제 해결

에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97

1 문제제기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매스미디어 특히 텔레비전과 신문은 자연재해

지역재난 그리고 위험 이슈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 및 대중과의 커뮤니케이

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디어 보도의 양적인 크기는 대중의 잠재

적인 태도와 감성을 자극한다는 연구결과(Mazur A 1987 송해룡 2012)가 있으

며 미디어가 위험관리과정에 영향을 주는 행위자로 정책결정자들과 규제

기관 산업체 공공 이익집단 전문가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은 특정 사건이 발생하기 전까지 한동안 침묵으로 일관하거나

경고성 메시지 또는 부정적인 보도에는 동참하지 않는다 이 같은 위험 및

재난에 대한 언론의 미온적인 보도태도는 미디어의 중요한 기능인 사회 환

경감시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송해룡 2012)

과학기술의 발달 산업의 다변화에 따른 독성화학물질의 사용량이 증가

하는 측면에서 유해물질에 따른 환경생태계의 파괴가 날로 증가하는 실정

이다(유영억 2012) 국내에서도 최근 3년간 유해 독성물질 및 가스의 누출폭발 주요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였다(연합뉴스 2013 1 28)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시에서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는 근로자의 실수로

발생하였지만 사고의 근본적 원인은 위험물질에 대한 노동자와 회사 경영

진의 안이한 생각 감독당국의 허술한 관리 회사의 노동자에 대한 안전교

육 부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사고 초동 대처 미흡과 재한 훈련 무

방비 등이 한데 아우러져 빚은 참극(안종주 2012)으로 평가받고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안전 불감증 위험인식 부족

위기대응 및 관리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2012년 10월 8일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지만 정부는

사고발생 12일 지난 이후에 피해규모가 커지면서1) 뒤늦게 대책 수립에 나

9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섰다는 비판을 받았다(연합뉴스 2012 10 8)

21세기 최대 인명피해를 가져왔던 인도의 lsquo보팔대참사(Bhopal Disaster)rsquo2)

는 이번 사건과 규모적인 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지만 유해물질의 누출에

따른 대표적인 환경재난이라는 점에서 언급되고 있다 lsquo보팔 대참사rsquo는 사고

발생 후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독성 폐기물들이 처리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토양과 지하수 오염으로 주민들이 유독물질 오염 가능성에 여전

히 노출돼 있다(유영억 2012)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역시 4개월이 지났

지만 아직까지 사고탱크가 방치돼 있어 피해지역 주민들과의 또 다른 갈등

이 예상될 뿐만 아니라 2차 대형사고발생의 위험이 남아있다(경북매일신문

2012 2 1)

위험과 갈등이 존재하는 상황 속에서 미디어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합의와 사회적 수용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중요

한 주체로서 역할을 요구받게 된다 위험은 사회적 논쟁을 야기하는 갈등

사안으로도 볼 수 있는데 언론이 사회 갈등을 보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성 혹은 균형성 불편부당성이다 대립되는 의견이나 이해관계가 존재

하는 경우 그 어느 편으로도 치우치거나 배제하지 않고 두루 다룸으로써

진실에 다가가야 한다 그러나 한국 언론의 보도 행태는 우리 사회의 다양

1) 경북도와 구미시에 따르면 불산가스 유출로 인한 피해는 8일 기준 사망

자 5명과 입원 7명 치료환자 3178명에 이른다 또 가축피해는 3209마리

농작물 피해는 212ha 임야 피해는 677ha로 집계됐다

2) 1984년 12월 3일 새벽 인도 보팔시에 있던 미국의 다국적 기업 유니온카

바이드 농약공장에서 메탈이소시안이라는 유독물질을 저장하고 있던 탱

크에서 유독가스가 새어나와 인근 65제곱킬로미터 내에 있던 모든 생물

이 숨졌다 2800여 명의 시민이 사고당일 숨졌고 1만7천여 명이 실명

등 심각한 장애를 입었으며 그 후 많은 사람들이 암이나 각종 질병에

걸리는 등 20만 명의 피해자가 생겨났다 인도정부의 비공식 집계에 따

르면 당시 사고로 숨진 사람은 1만 명이 넘으며 부상 장애자만 60만 명

으로 추산됐다

송해룡이윤경 99

한 갈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으며 적어도 균형적인 시각을 보여주거

나 저널리즘 원칙에 충실한 보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분출하는 사회 갈등

을 한국의 언론이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또는 그에 대해 어떠한 실

천적인 기준이나 합의가 마련해야 하는지 매우 절박하다(이승선 2012) 이는

위험보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언론이 취하는 보도프레임은 사회 전

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언론은 위험사안에 대해 더욱 조

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Willis amp Okunade 19972006)

위험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위가 핵심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석요인

이 되고 있다(송해룡 2012)는 점에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경향은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의

위험이슈가 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

다 해당 사건은 우리사회의 안전 불감증 및 위험발생에 대한 안이한 위기

대응에 경고를 했던 환경재난으로 국내 위험보도를 진단하는데 있어 시의

적인 연구대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

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언론에서 위험

사안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0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 이론적 논의

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현대사회의 위험에 관하여 논의해왔던 많은 사회학자들은 위험을 현대사

회에서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 담론은 언론을 통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예측과 통제하기

어려운 위험들이 증가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

고 있다

그동안 많은 사회학자들이 이러한 위험에 대하여 다양한 논의들을 하였

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은 산업사회가 가지고 있는 근대

의 문제들이 위험을 잉태하게 되었고 이러한 도구적 합리성의 결과로 나타

난 위험 속에서 더 이상 현대사회는 안전하지 않으며 위험은 현대사회가

약속했던 통제 가능성의 범위를 뛰어넘어 실재화된다(김영욱 2006)라고 위험

사회(Risk Society)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었다 기든스(Giddens 1991)은 현대

사회에서 위험은 불가피하고 위험에 대해서 누구도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

기 때문에 문제해결이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기든스는

위험(risk)과 신뢰(trust)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는데 위험과 신뢰는 접하게

관련되어있으며 신뢰는 일반적으로 위협(danger)들을 줄이거나 최소화시킨

다고 논의를 제기하였다 이처럼 근대사회의 위험과 불안은 신뢰의 문제와

연결이 되는데 개인의 범위를 넘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신뢰의 상실은 사

람들의 위험의식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다(김영욱 2006) 루만(Luhmann)은 위

험이라는 것은 이미 지식의 문제를 떠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로 전향되었

으며(송해룡김경희 2012) 커뮤니케이션만이 근대사회의 위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김영욱 2006)이라고 강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1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성찰적으로 만들면서 문제해결을 위

한 사회적 합의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욱 2008) 위험 이슈

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논의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

반까지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전문가와 대중 간에 위험인식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었고 대중들은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기보다 나

름대로의 위험평가에 따라 행동하므로 대중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며 신뢰를

얻을 필요가 부각되었다 이에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기법

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많이 원용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보다는 커뮤니케

이션이 이루어지는 맥락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송해룡 외 2012) 이와 같은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미루어볼 때

위험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위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차원이 아니라

울리히 벡(Beck 1989)이 제시한 lsquo위험사회rsquo의 본질 중 하나인 lsquo안전(safety)rsquo과

lsquo위험(risk)rsquo의 충돌을 완화시켜 이해관계자의 갈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

로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송해룡 외 2012)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재난재해사고가 급증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

에 관한 대중적인 관심과 논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에 관한 학

술적인 논의뿐만 아니라 위험 이슈에 관한 공론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

다 이러한 현 상황에 대하여 송해룡 외(2012)은 위험이 피할 수 없는 것이

라면 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이슈로 삼아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하고

위험과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공론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동안

위험이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공공부문과 민

간부문에서 모두 위험을 과대 혹은 과소하게 인식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

하는 위험에 대해 과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사회전반에서 안전에 대

10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 인식이 둔감해지는 현상이 확산되었다고 문제제기하였다 또한 위험커

뮤니케이션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규

정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 위험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과학기술자들은 사회적 인식에 대해 관심이 약하고 대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신과 저항으로 이어지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송해룡 외(2012)는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제공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적 접근에 치중하고 성실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

인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이어진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위험 문제를 같이 풀어갈 파트너로 인

정해야 하며 위험이슈에 대한 도구적인 합리성(instrumental rationality)보다는

커뮤니케이션적인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을 부각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위험은 촉발된 상황보다 사회적인

확장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목소리

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발생하는 갈등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조직이 다름을 인정하고 공론장을 통

해 의견공유의 기회를 가지면서 합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합의 창출은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모두에게 언로를 개방하며 성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위험문제 해결

에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9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섰다는 비판을 받았다(연합뉴스 2012 10 8)

21세기 최대 인명피해를 가져왔던 인도의 lsquo보팔대참사(Bhopal Disaster)rsquo2)

는 이번 사건과 규모적인 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지만 유해물질의 누출에

따른 대표적인 환경재난이라는 점에서 언급되고 있다 lsquo보팔 대참사rsquo는 사고

발생 후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독성 폐기물들이 처리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토양과 지하수 오염으로 주민들이 유독물질 오염 가능성에 여전

히 노출돼 있다(유영억 2012)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역시 4개월이 지났

지만 아직까지 사고탱크가 방치돼 있어 피해지역 주민들과의 또 다른 갈등

이 예상될 뿐만 아니라 2차 대형사고발생의 위험이 남아있다(경북매일신문

2012 2 1)

위험과 갈등이 존재하는 상황 속에서 미디어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합의와 사회적 수용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중요

한 주체로서 역할을 요구받게 된다 위험은 사회적 논쟁을 야기하는 갈등

사안으로도 볼 수 있는데 언론이 사회 갈등을 보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성 혹은 균형성 불편부당성이다 대립되는 의견이나 이해관계가 존재

하는 경우 그 어느 편으로도 치우치거나 배제하지 않고 두루 다룸으로써

진실에 다가가야 한다 그러나 한국 언론의 보도 행태는 우리 사회의 다양

1) 경북도와 구미시에 따르면 불산가스 유출로 인한 피해는 8일 기준 사망

자 5명과 입원 7명 치료환자 3178명에 이른다 또 가축피해는 3209마리

농작물 피해는 212ha 임야 피해는 677ha로 집계됐다

2) 1984년 12월 3일 새벽 인도 보팔시에 있던 미국의 다국적 기업 유니온카

바이드 농약공장에서 메탈이소시안이라는 유독물질을 저장하고 있던 탱

크에서 유독가스가 새어나와 인근 65제곱킬로미터 내에 있던 모든 생물

이 숨졌다 2800여 명의 시민이 사고당일 숨졌고 1만7천여 명이 실명

등 심각한 장애를 입었으며 그 후 많은 사람들이 암이나 각종 질병에

걸리는 등 20만 명의 피해자가 생겨났다 인도정부의 비공식 집계에 따

르면 당시 사고로 숨진 사람은 1만 명이 넘으며 부상 장애자만 60만 명

으로 추산됐다

송해룡이윤경 99

한 갈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으며 적어도 균형적인 시각을 보여주거

나 저널리즘 원칙에 충실한 보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분출하는 사회 갈등

을 한국의 언론이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또는 그에 대해 어떠한 실

천적인 기준이나 합의가 마련해야 하는지 매우 절박하다(이승선 2012) 이는

위험보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언론이 취하는 보도프레임은 사회 전

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언론은 위험사안에 대해 더욱 조

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Willis amp Okunade 19972006)

위험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위가 핵심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석요인

이 되고 있다(송해룡 2012)는 점에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경향은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의

위험이슈가 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

다 해당 사건은 우리사회의 안전 불감증 및 위험발생에 대한 안이한 위기

대응에 경고를 했던 환경재난으로 국내 위험보도를 진단하는데 있어 시의

적인 연구대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

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언론에서 위험

사안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0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 이론적 논의

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현대사회의 위험에 관하여 논의해왔던 많은 사회학자들은 위험을 현대사

회에서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 담론은 언론을 통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예측과 통제하기

어려운 위험들이 증가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

고 있다

그동안 많은 사회학자들이 이러한 위험에 대하여 다양한 논의들을 하였

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은 산업사회가 가지고 있는 근대

의 문제들이 위험을 잉태하게 되었고 이러한 도구적 합리성의 결과로 나타

난 위험 속에서 더 이상 현대사회는 안전하지 않으며 위험은 현대사회가

약속했던 통제 가능성의 범위를 뛰어넘어 실재화된다(김영욱 2006)라고 위험

사회(Risk Society)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었다 기든스(Giddens 1991)은 현대

사회에서 위험은 불가피하고 위험에 대해서 누구도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

기 때문에 문제해결이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기든스는

위험(risk)과 신뢰(trust)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는데 위험과 신뢰는 접하게

관련되어있으며 신뢰는 일반적으로 위협(danger)들을 줄이거나 최소화시킨

다고 논의를 제기하였다 이처럼 근대사회의 위험과 불안은 신뢰의 문제와

연결이 되는데 개인의 범위를 넘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신뢰의 상실은 사

람들의 위험의식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다(김영욱 2006) 루만(Luhmann)은 위

험이라는 것은 이미 지식의 문제를 떠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로 전향되었

으며(송해룡김경희 2012) 커뮤니케이션만이 근대사회의 위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김영욱 2006)이라고 강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1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성찰적으로 만들면서 문제해결을 위

한 사회적 합의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욱 2008) 위험 이슈

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논의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

반까지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전문가와 대중 간에 위험인식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었고 대중들은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기보다 나

름대로의 위험평가에 따라 행동하므로 대중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며 신뢰를

얻을 필요가 부각되었다 이에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기법

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많이 원용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보다는 커뮤니케

이션이 이루어지는 맥락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송해룡 외 2012) 이와 같은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미루어볼 때

위험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위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차원이 아니라

울리히 벡(Beck 1989)이 제시한 lsquo위험사회rsquo의 본질 중 하나인 lsquo안전(safety)rsquo과

lsquo위험(risk)rsquo의 충돌을 완화시켜 이해관계자의 갈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

로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송해룡 외 2012)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재난재해사고가 급증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

에 관한 대중적인 관심과 논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에 관한 학

술적인 논의뿐만 아니라 위험 이슈에 관한 공론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

다 이러한 현 상황에 대하여 송해룡 외(2012)은 위험이 피할 수 없는 것이

라면 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이슈로 삼아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하고

위험과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공론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동안

위험이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공공부문과 민

간부문에서 모두 위험을 과대 혹은 과소하게 인식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

하는 위험에 대해 과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사회전반에서 안전에 대

10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 인식이 둔감해지는 현상이 확산되었다고 문제제기하였다 또한 위험커

뮤니케이션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규

정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 위험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과학기술자들은 사회적 인식에 대해 관심이 약하고 대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신과 저항으로 이어지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송해룡 외(2012)는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제공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적 접근에 치중하고 성실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

인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이어진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위험 문제를 같이 풀어갈 파트너로 인

정해야 하며 위험이슈에 대한 도구적인 합리성(instrumental rationality)보다는

커뮤니케이션적인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을 부각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위험은 촉발된 상황보다 사회적인

확장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목소리

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발생하는 갈등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조직이 다름을 인정하고 공론장을 통

해 의견공유의 기회를 가지면서 합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합의 창출은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모두에게 언로를 개방하며 성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위험문제 해결

에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5: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99

한 갈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으며 적어도 균형적인 시각을 보여주거

나 저널리즘 원칙에 충실한 보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분출하는 사회 갈등

을 한국의 언론이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또는 그에 대해 어떠한 실

천적인 기준이나 합의가 마련해야 하는지 매우 절박하다(이승선 2012) 이는

위험보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언론이 취하는 보도프레임은 사회 전

반에 걸쳐 폭넓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언론은 위험사안에 대해 더욱 조

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Willis amp Okunade 19972006)

위험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행위가 핵심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석요인

이 되고 있다(송해룡 2012)는 점에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경향은 위험커뮤

니케이션 영역에서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 사회의

위험이슈가 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

다 해당 사건은 우리사회의 안전 불감증 및 위험발생에 대한 안이한 위기

대응에 경고를 했던 환경재난으로 국내 위험보도를 진단하는데 있어 시의

적인 연구대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

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언론에서 위험

사안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0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 이론적 논의

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현대사회의 위험에 관하여 논의해왔던 많은 사회학자들은 위험을 현대사

회에서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 담론은 언론을 통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예측과 통제하기

어려운 위험들이 증가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

고 있다

그동안 많은 사회학자들이 이러한 위험에 대하여 다양한 논의들을 하였

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은 산업사회가 가지고 있는 근대

의 문제들이 위험을 잉태하게 되었고 이러한 도구적 합리성의 결과로 나타

난 위험 속에서 더 이상 현대사회는 안전하지 않으며 위험은 현대사회가

약속했던 통제 가능성의 범위를 뛰어넘어 실재화된다(김영욱 2006)라고 위험

사회(Risk Society)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었다 기든스(Giddens 1991)은 현대

사회에서 위험은 불가피하고 위험에 대해서 누구도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

기 때문에 문제해결이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기든스는

위험(risk)과 신뢰(trust)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는데 위험과 신뢰는 접하게

관련되어있으며 신뢰는 일반적으로 위협(danger)들을 줄이거나 최소화시킨

다고 논의를 제기하였다 이처럼 근대사회의 위험과 불안은 신뢰의 문제와

연결이 되는데 개인의 범위를 넘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신뢰의 상실은 사

람들의 위험의식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다(김영욱 2006) 루만(Luhmann)은 위

험이라는 것은 이미 지식의 문제를 떠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로 전향되었

으며(송해룡김경희 2012) 커뮤니케이션만이 근대사회의 위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김영욱 2006)이라고 강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1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성찰적으로 만들면서 문제해결을 위

한 사회적 합의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욱 2008) 위험 이슈

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논의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

반까지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전문가와 대중 간에 위험인식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었고 대중들은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기보다 나

름대로의 위험평가에 따라 행동하므로 대중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며 신뢰를

얻을 필요가 부각되었다 이에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기법

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많이 원용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보다는 커뮤니케

이션이 이루어지는 맥락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송해룡 외 2012) 이와 같은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미루어볼 때

위험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위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차원이 아니라

울리히 벡(Beck 1989)이 제시한 lsquo위험사회rsquo의 본질 중 하나인 lsquo안전(safety)rsquo과

lsquo위험(risk)rsquo의 충돌을 완화시켜 이해관계자의 갈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

로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송해룡 외 2012)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재난재해사고가 급증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

에 관한 대중적인 관심과 논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에 관한 학

술적인 논의뿐만 아니라 위험 이슈에 관한 공론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

다 이러한 현 상황에 대하여 송해룡 외(2012)은 위험이 피할 수 없는 것이

라면 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이슈로 삼아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하고

위험과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공론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동안

위험이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공공부문과 민

간부문에서 모두 위험을 과대 혹은 과소하게 인식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

하는 위험에 대해 과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사회전반에서 안전에 대

10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 인식이 둔감해지는 현상이 확산되었다고 문제제기하였다 또한 위험커

뮤니케이션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규

정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 위험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과학기술자들은 사회적 인식에 대해 관심이 약하고 대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신과 저항으로 이어지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송해룡 외(2012)는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제공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적 접근에 치중하고 성실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

인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이어진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위험 문제를 같이 풀어갈 파트너로 인

정해야 하며 위험이슈에 대한 도구적인 합리성(instrumental rationality)보다는

커뮤니케이션적인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을 부각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위험은 촉발된 상황보다 사회적인

확장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목소리

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발생하는 갈등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조직이 다름을 인정하고 공론장을 통

해 의견공유의 기회를 가지면서 합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합의 창출은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모두에게 언로를 개방하며 성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위험문제 해결

에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6: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0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 이론적 논의

1)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현대사회의 위험에 관하여 논의해왔던 많은 사회학자들은 위험을 현대사

회에서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 담론은 언론을 통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예측과 통제하기

어려운 위험들이 증가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

고 있다

그동안 많은 사회학자들이 이러한 위험에 대하여 다양한 논의들을 하였

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은 산업사회가 가지고 있는 근대

의 문제들이 위험을 잉태하게 되었고 이러한 도구적 합리성의 결과로 나타

난 위험 속에서 더 이상 현대사회는 안전하지 않으며 위험은 현대사회가

약속했던 통제 가능성의 범위를 뛰어넘어 실재화된다(김영욱 2006)라고 위험

사회(Risk Society)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었다 기든스(Giddens 1991)은 현대

사회에서 위험은 불가피하고 위험에 대해서 누구도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

기 때문에 문제해결이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기든스는

위험(risk)과 신뢰(trust)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는데 위험과 신뢰는 접하게

관련되어있으며 신뢰는 일반적으로 위협(danger)들을 줄이거나 최소화시킨

다고 논의를 제기하였다 이처럼 근대사회의 위험과 불안은 신뢰의 문제와

연결이 되는데 개인의 범위를 넘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신뢰의 상실은 사

람들의 위험의식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다(김영욱 2006) 루만(Luhmann)은 위

험이라는 것은 이미 지식의 문제를 떠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로 전향되었

으며(송해룡김경희 2012) 커뮤니케이션만이 근대사회의 위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김영욱 2006)이라고 강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1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성찰적으로 만들면서 문제해결을 위

한 사회적 합의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욱 2008) 위험 이슈

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논의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

반까지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전문가와 대중 간에 위험인식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었고 대중들은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기보다 나

름대로의 위험평가에 따라 행동하므로 대중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며 신뢰를

얻을 필요가 부각되었다 이에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기법

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많이 원용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보다는 커뮤니케

이션이 이루어지는 맥락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송해룡 외 2012) 이와 같은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미루어볼 때

위험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위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차원이 아니라

울리히 벡(Beck 1989)이 제시한 lsquo위험사회rsquo의 본질 중 하나인 lsquo안전(safety)rsquo과

lsquo위험(risk)rsquo의 충돌을 완화시켜 이해관계자의 갈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

로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송해룡 외 2012)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재난재해사고가 급증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

에 관한 대중적인 관심과 논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에 관한 학

술적인 논의뿐만 아니라 위험 이슈에 관한 공론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

다 이러한 현 상황에 대하여 송해룡 외(2012)은 위험이 피할 수 없는 것이

라면 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이슈로 삼아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하고

위험과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공론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동안

위험이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공공부문과 민

간부문에서 모두 위험을 과대 혹은 과소하게 인식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

하는 위험에 대해 과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사회전반에서 안전에 대

10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 인식이 둔감해지는 현상이 확산되었다고 문제제기하였다 또한 위험커

뮤니케이션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규

정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 위험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과학기술자들은 사회적 인식에 대해 관심이 약하고 대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신과 저항으로 이어지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송해룡 외(2012)는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제공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적 접근에 치중하고 성실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

인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이어진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위험 문제를 같이 풀어갈 파트너로 인

정해야 하며 위험이슈에 대한 도구적인 합리성(instrumental rationality)보다는

커뮤니케이션적인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을 부각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위험은 촉발된 상황보다 사회적인

확장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목소리

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발생하는 갈등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조직이 다름을 인정하고 공론장을 통

해 의견공유의 기회를 가지면서 합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합의 창출은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모두에게 언로를 개방하며 성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위험문제 해결

에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7: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01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성찰적으로 만들면서 문제해결을 위

한 사회적 합의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욱 2008) 위험 이슈

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논의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

반까지는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전문가와 대중 간에 위험인식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었고 대중들은 전문가의 의견을 따르기보다 나

름대로의 위험평가에 따라 행동하므로 대중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며 신뢰를

얻을 필요가 부각되었다 이에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기법

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많이 원용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보다는 커뮤니케

이션이 이루어지는 맥락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송해룡 외 2012) 이와 같은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미루어볼 때

위험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위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차원이 아니라

울리히 벡(Beck 1989)이 제시한 lsquo위험사회rsquo의 본질 중 하나인 lsquo안전(safety)rsquo과

lsquo위험(risk)rsquo의 충돌을 완화시켜 이해관계자의 갈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

로 하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송해룡 외 2012)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재난재해사고가 급증하면서 위험커뮤니케이션

에 관한 대중적인 관심과 논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에 관한 학

술적인 논의뿐만 아니라 위험 이슈에 관한 공론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

다 이러한 현 상황에 대하여 송해룡 외(2012)은 위험이 피할 수 없는 것이

라면 공적인 커뮤니케이션 이슈로 삼아 그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하고

위험과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공론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동안

위험이 우리 사회에서 사회적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면서 공공부문과 민

간부문에서 모두 위험을 과대 혹은 과소하게 인식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

하는 위험에 대해 과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사회전반에서 안전에 대

10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 인식이 둔감해지는 현상이 확산되었다고 문제제기하였다 또한 위험커

뮤니케이션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규

정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 위험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과학기술자들은 사회적 인식에 대해 관심이 약하고 대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신과 저항으로 이어지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송해룡 외(2012)는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제공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적 접근에 치중하고 성실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

인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이어진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위험 문제를 같이 풀어갈 파트너로 인

정해야 하며 위험이슈에 대한 도구적인 합리성(instrumental rationality)보다는

커뮤니케이션적인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을 부각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위험은 촉발된 상황보다 사회적인

확장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목소리

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발생하는 갈등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조직이 다름을 인정하고 공론장을 통

해 의견공유의 기회를 가지면서 합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합의 창출은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모두에게 언로를 개방하며 성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위험문제 해결

에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8: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0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 인식이 둔감해지는 현상이 확산되었다고 문제제기하였다 또한 위험커

뮤니케이션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규

정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 위험의사소통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과학기술자들은 사회적 인식에 대해 관심이 약하고 대중은 과학적 지식에

취약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보의 통제나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신과 저항으로 이어지거나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송해룡 외(2012)는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정보제공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적 접근에 치중하고 성실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

인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로 이어진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설득의 대상이 아닌 위험 문제를 같이 풀어갈 파트너로 인

정해야 하며 위험이슈에 대한 도구적인 합리성(instrumental rationality)보다는

커뮤니케이션적인 합리성(communicative rationality)을 부각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욱(2006)의 연구에서는 위험은 촉발된 상황보다 사회적인

확장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확대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목소리

를 전달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발생하는 갈등도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위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조직이 다름을 인정하고 공론장을 통

해 의견공유의 기회를 가지면서 합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합의 창출은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모두에게 언로를 개방하며 성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위험문제 해결

에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의 균형 감각을 갖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9: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03

2) 위험보도 뉴스 정보원과 뉴스 프레임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위험인지(perception)

는 lsquo개인의 경험rsquo lsquo다른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활동rsquo lsquo매스미디어에 의한

간접적 접촉rsquo과 같은 세 가지 요인(source) 가운데 하나를 통해서 이루어진

다 이 중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보면 특정한 사건들에 대한 위험 정보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며 특정 종류의 재난에 대한 지식과 이에 대한

태도까지도 신문 보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Singer amp

Endreny 19932003) 미디어는 위험에 연관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대중이 위험사안을 접하는 가장 용이한 경로가 되기도 하며 위험을 알리는

경보시스템으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위험보도에서 미디어는 어떠한 힘을

갖게 되는데 첫째 위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힘 둘째 불필요하게 대중을

공포에 빠지게 하는 힘 셋째 실제적인 위험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힘이다

(Willis amp Okunade 19972006) 이러한 미디어의 묘사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재앙을 전 세계에 전달함으로써 위험에 대한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영

향을 준다 수용자의 위험에 관한 지식 더 나아가 위험에 대한 태도 역시

미디어 보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미디어는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위험의 강제적 본성을 이용할 수 있다 뉴스거리가 될 만한 절박

한 위험을 만들기 위해서 경고의 정도가 과장되기도 한다(송해룡 외 2012)

기본적으로 미디어는 새롭게 발견한 위험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

지만 위험사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 사실을 확인해주는 역

할도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자들은 여러

정보원을 통해 제공받는 정보들 가운데 주로 정부의 발표를 주된 정보원으

로 삼는다(송해룡 2012) 이러한 경향은 국내 주요 일간지의 구제역 보도를

내용 분석한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에서도 발견된다 구제역 보도에서

나타난 정보원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인 조선일보한겨레신문경인일보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0: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0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세 개의 일간지에서는 정부기관의 발표와 지방자치단체를 주요 정보원으로

삼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보도에서 주요 정보원이 된

정부기관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중앙정부 등 구제역 사태를 총체적으

로 관할하거나 구제역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정부 부처였다 이에 대해 연

구자는 구제역 관련 대책의 계획집행자가 주로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정보원의 발표와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다양한 사회주체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게 만들어 편향된 보도

를 낳을 수 있다고 구제역 보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동안 재해재난

보도의 취약점이었던 취재원의 범위제한 전문성 부족 단순 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심층보도의 부족이 구제역 보도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하였다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을

분석한 한동섭유승현(2008)의 연구에서는 뉴스 정보원을 lsquo뉴스 기사에서 확

인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rsquo로 개념화하였다 뉴스 정보원은 뉴스기사

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데 대부분 뉴스기사가 정보원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슈에 대해서도 어떤 정보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뉴스기사의 내용이 달라지며 뉴스 정보원의 활용이 언

론보도가 묘사하는 현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한동섭유승현(2008)은 언론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반영하기 위

한 뉴스 정보원으로 주로 정부와 엘리트 집단을 활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동안 뉴스 정보원 편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언론이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자신들의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공적 정보원인 정부관계자나

여당 등의 뉴스 정보원을 주로 활용하였고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시민

단체와 일반시민을 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05

다 즉 국내 4개 주요 일간지들이 상이한 보도태도와 뉴스 정보원을 가지

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뉴스에서 활용된 익명 정보원은 기사작성에서 신

문사의 이데올로기적 성향 및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언론은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

을 드러냈다고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뉴스 정보원의 다양성은 사회의 미디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다양한 단

체와 집단이 출현한 것과 연관이 있다 다양한 단체와 집단의 출현으로 의

견형성과정이 더욱 복합해지면서 더욱 많은 뉴스 정보원의 개입이 불가피

해졌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가 성장하면서 여러 형태의 반(反)전문가 문화

(시민전문가가 전문가를 비판하는 문화)가 급성장하였다 생명공학의 경우 반전

문가 집단의 목소리가 급성장하고 있다(송해룡 2012) 이처럼 위험보도에서

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건강한 사회적 합의와 수용을 어떻게 이

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양정혜(2008)는 lsquo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rsquo 보도를 대상으로 환경

재난 뉴스를 내용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뉴스 정보원(취재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비판하였다 즉 정부 관계자들이 취재원의 지배적 다

수를 차지하면서 정부입장이 언론보도의 중심에 놓이게 되고 결국 기존질

서의 재확인에 그치게 되는 결과로 낳았다 이처럼 환경문제는 난해한 과

학적 지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다수 기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은 기자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하는데 장벽이 되고 결국 환경재난 뉴스가 표면적이고 가시적인 현

상기술에 머무르게 된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lsquo허베이 스피리트 원유 유출

사건rsquo의 뉴스 정보원(취재원)의 경우에는 시민 취재원의 비율이 공적 취재원

과 전문가 취재원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재

기자들의 환경전문지식 내지 환경법률 전문지식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0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분석하였다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언론인들은 스스로 복잡

한 정보를 해석하기보다는 피해주민들의 현황이나 피해상태를 알림으로서

태안의 심각성을 고발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앞서 양정

혜(20052008)는 국내 방송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환

경보도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기자들의 과학적

전문지식 부족임을 밝혔다 과학적 전문지식의 부족이 뉴스 아이템 선정과

취재의 전 과정에 걸쳐 기자들이 보다 다양한 문제들을 발굴하고 자율적으

로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지식부족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용어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전

문가나 시민단체에 많이 의존하게 함으로써 뉴스에서 다루는 환경문제의

종류를 한정시키고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위험보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미디어는 위험 자체를 보도하지 않고 그 피해에 대해서만 보도

한다 둘째 미디어는 학술적으로 산정된 위험에 정치사회적인 과정을 접목

시키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험에 관해서는 빈번히 보도하고 이와 반대

로 중요한 위험은 드물게 보도한다 셋째 기자는 보도를 할 때 특정한 연

출가의 모습을 취한다(송해룡 2012) 원유유출과 같은 환경재난 역시 사건사

고의 각도에서만 취급하는 것이 많은 환경재난에 내포된 구조적인 문제점

을 비켜가게 한다 원유유출을 단순 사건사고로 취급한다면 태풍이나 지진

과 같은 자연현상과 동일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빈번하게 유출사고

를 유발시키는 해양운송시스템이나 각종 오염을 유발시키는 석유를 대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봉쇄시켜 환경이슈들이

심도 있는 정치적 논쟁의 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대신 기술적인 문제

로 전락시키는 것이다(Daley amp OrsquoNeil 1991 양정혜 2008)

위험보도에서도 미디어는 단순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프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07

레임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한다 뉴스 프레임에 대하여 뉴먼(1992)은 ldquo미디

어와 개인이 정보를 전달 해석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적인 도

구rdquo(Neuman 1992 p60)로 정의를 내렸다 고프만(1974)은 뉴스 프레임을 해

석의 틀(shemata of interpretation)rdquo로 규정하며 ldquo수용자는 조직의 수준에 따라

서 주요한 틀(framework)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수많

은 구체적인 사건들을 파악하고 지각하고 확인하며 명명한다rdquo(Goffman 1974

p21)고 설명하였다 기틀린은 뉴스 프레임을 ldquo선택 강조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rdquo으로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미디어 담론이 조직된다(Gitlin 1980)고 언

급하였다 이는 뉴스 프레임이 사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정의 해석 문

제의식 형성 사건에 대한 평가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Van Gorp 2007) 뉴

스에는 사실에 해당하는 정보 역시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며 선택적이다

이처럼 뉴스에 담겨진 사실과 정보에는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뉴

스조직의 주관성이 반영된다 동일한 사건임에도 언론사마다 각자 사건의

모든 구성 항목을 담지 않고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

한 해석 정보에는 특정 관점의 선택과 강조 배제와 축소 등의 방식으로 주

관성이 개입된다(이동훈김원용 2012) 기존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뉴스 프레

임으로는 갈등프레임(Conflict frame) 인간흥미프레임(Human interest frame) 경

제적 결과(영향) 프레임(Economical consequences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책임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등 다섯 가지(Semetko amp Valkenburg

2000)를 들 수 있다

원만해와 채백(2007)의 연구에서는 환경문제를 갈등의 소재로 바라보았

다 환경갈등에 관한 보도에서 드러나는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환경갈등에서도 언론사의 프레임은 정치

적 경제적 입장에 따라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척점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4: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다 정보원에 대한 지역적 근접성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 내 첨예한 대립

구도 역시 뉴스 프레임에 차이를 나타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환

경문제에 대한 보도가 근본적인 원인보다는 흥미위주의 접근을 보인 것으

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5: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09

3 연구문제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 가운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를 대상으로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및 뉴

스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일간지와 사고 피해지역 일간지

의 보도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안을 보도하는데 있어 어

떠한 특징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되었던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기사의 보도량과 기사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늠해보자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서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는 사건사고의 발생된 시기에 집중되

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이러한 기존의 보도경향이 이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국내 언론에서 위험사안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도하는

지 보도량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간에 보도량

과 뉴스기사유형에서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도 특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6: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언론사들은 뉴스 정보원을 통하여 다양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특정 이슈를 설명한다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는가는 뉴스 기사

의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위험보도

연구를 보면 국내 언론은 lsquo정부rsquo 및 lsquo유관기관rsquo의 발표 보도 자료라는 특정

정보원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에서 어떠한

뉴스 정보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그 특징을 알아보고 중앙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부분

은 각 언론사별로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

내 위험보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제한적인 뉴스 정보원의 활용 특정 뉴

스 정보원에 대한 편중 문제 등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도 여

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위험보도에서 중요한 뉴스

정보원인 lsquo전문가rsquo 집단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어떠한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특징과 차이는 무

엇인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를 구성하는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뉴스 프레임을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

지 별로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언론사별로는 뉴스 프레임에 있어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언론사 간 차이 역시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3을 통하여

국내 언론이 위험사안을 어떠한 틀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선택과 활용을 통

해 위험사안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7: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11

4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이 연구에서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대상을 선정

하였다 국내 5개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과 2개의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총 7개의 종합일간지

에서 보도된 사고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였다 각 언론사는 매체영향력 발

행부수 지역대표성 보수성진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상기김

위근(2012)에 따르면 11개 전국종합일간지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금감원에 공시된 지역종합일간신문

가운데 경북지역일간지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포함된다 분석기간은

사고발생 당일이었던 2012년 9월 27일부터 피해지역주민의 보상금액이 결

정된 주였던 2013년 1월 28일까지로 정하였다 분석기간 선정의 배경과 사

건 진행 내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약4개월의 기간 동안 lsquo구미 불산가스 누

출사고rsquo의 중요시점이 되는 주요 사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산가스 누출사고 발생

- 2012년 10월 8일 정부 구미 ldquo특별재난지역rdquo 지정 선포

- 2012년 12월 24일 피해 지역주민 10월6일부터 집단대피생활 79일 만

에 귀가

- 2013년 1월 22일 제6차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총 364억 2천 7백만 원

보상금 지급 결정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뉴스데이터베이

스인 카인즈(KINDS)와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lsquo뉴스rsquo서비스를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분석기간 내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를 다룬 뉴스의 기사들을 수

집하였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카인즈에서 기사검색 서비스가 제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8: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공되지 않은 관계로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누락된 기사를 추가

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외 언론사 역시 카인즈와 네이버 뉴스 검색에서 누

락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

터분석에 반영하였다 검색어는 제목과 본문을 대상으로 lsquo구미rsquo lsquo불산rsquo lsquo구

미 불산가스rsquo lsquo휴브글로벌rsquo 등을 사용하여 분석대상에 들어갈 기사를 추출

하였다 일차적으로 추출된 보도기사들을 연구자가 모두 읽어보고 최종 분

석 대상 기사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와 관련된 기

사만을 선정했으며 이를 위해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이름만 단순히 언급된 기사 단신기사 사진과 이미지에

단순히 관련 사고명이 언급된 기사 중복 기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러한 기준에 의하여 관련 뉴스보도를 추출한 결과 5개의 중앙일간지에서

151건 2개의 지역일간지에서 205건 총 356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 및 분석절차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보도 총 356건의 기사분석을 위하여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2명의 대학원생이 코더로 참여하였다 코더 간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교육과 테스트를 마쳤으며 코딩과정에서

코더 간 불일치를 보이는 기사의 경우에는 토론과 수정을 통해 코더 간 합

의를 이루었다 이에 코더 간 신뢰도는 분석대상인 보도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홀스티(Holsti)의 신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0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3) 코딩이 완료된 데이터의 분

석에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 코더 간의 신뢰도 산출하는 홀스티(Holsti 1969)의 신뢰도 계수 공식은

신뢰도=2MN1+N2이다 M은 2명의 코더 간에 일치한 코딩 수 N1은 코

더1이 코딩한 수 N2는 코더 2가 코딩한 수를 의미한다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19: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13

3) 분석유목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도 내용분석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유목을 바탕으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의 분석에 사용된 유목은 보도특성(기사량 기사유형) 뉴스 정보원 뉴스 프

레임(형식적 내용적)이다

(1) 보도특성

보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뉴스기사의 보도량 기사유형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와 원만해채백(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

량은 2012년 9월 27일에서 2013년 1월 2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5개의 중

앙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와 2개의 지역일간

지(매일신문 영남일보)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들을 수집하여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 보도의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뉴스보도의 기사유형은 스트

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사설 기고문칼럼 5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형태를 살펴보았다 기사유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1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특 징

스트레이트 정보전달 중심 사실보도 중심의 기사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한 보도

해설분석 사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원인과 결과 분석 해석 등 심층보도

르포스케치인터뷰현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묘사 현장주민 인터뷰 삽입한 보도

전문가관계자정부 등 심화된 인터뷰 인터뷰 중심 보도

사설 언론사의 입장 시각 견해를 전달하는 논설

기고문칼럼 외부필진의 논설문 기고글로 언론사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0: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 유형 특징 및 예시

중앙정부

대통령청와대 환경부 등 관련 행정부처 및 소속 공무원

- 정부조사단 정부종합대책반 관계자 맹형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명박 대통령 환경부 조은희 화학물질과장 등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지방자치단체(지방공무원 포함)

- 경북도 구미시 남유진 구미시장 등

-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구지방환경청 등

소방당국 및 경찰

소방방재청(재난관리전담기구) 소방서 119및 경찰 관계자

-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 중앙119구조단 손형곤 소방교(31)

이현희 구미경찰서장 경북경찰청 김봉식 수사과장 현장에 출동한 경

찰관 A 씨 등

국회정치인정당국회의원 구미시의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당 관계자 등

전문가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와 관련해 학문적 직업적인 전문지식을 보유한

집단 또는 개인(교수 의사 등)

- 화학공학과 산업보건학과 환경교육학과 등 전공 교수

- 의사 및 의대 교수 구미보건소 대한의사협회

중앙정부 유관기관

중앙정부 유관기관 및 정부 산하 국책연구소 및 기구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 등

시민단체환경단체환경시민단체 및 관련 연구소

- 시민환경연구소 구미YMCA 구미 경실련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2) 뉴스 정보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분석하기 위하

여 이민규이예리(2012) 양정혜(2008) 한동섭유승현(2008) 등 기존연구에서

사용된 분석유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보

도에서 사용된 뉴스 정보원에 대한 귀납적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뉴스

정보원을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개

이며 lt표 2gt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사에 다양한 여

러 정보원이 등장하는 경우 최대 3개까지 집계하였다

lt표 2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정보원 유형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15

피해주민 및

유가족

구미 산동면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주민 및 피해보상주민대책위

원회 및 사고 유가족

- 박명석 봉산리이장(사고대책위원장 피해보상 주민대책위원장) 구미

시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대표 봉산리 주민 이소분(76)씨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 피해지역을 정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 민경석(경북대 교수)단장 피해지역 주민대표4명 환경전문가 4명

NGO3명 환경부3명 기관단체 등 총 24명으로 구성

일반시민네티즌

피해지역 이외 주민 반응 네티즌 반응

- 보건의료행정과 1학년 권혁민씨(19) 대화명 lsquo라rsquo을 쓰는 누리꾼 트

위터 등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네티즌 등

기업피해 유발 기업 기업의 공식 성명 및 관계자 발언

- 휴브글로벌 사고기업의 신현철 상무 공장 측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학회지 논문 및 법안 매뉴얼 타 언론 및 통신사 보도자료

-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40조 물질안전보건자료 연합뉴스 AP통신사

계명대 의대 김성진 서익권 박사의 2009년 논문 한국가스학회 논문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 소방방재청과 경상북도의 보고서 구

미시 유독물 대응 매뉴얼 등

출처불분명 출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경우

(3)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보도기사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과 내용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①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형식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양정혜(2008)의 연구 곽위위유홍식(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틀을 차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보도기사를 주제중심 프

레임(Thematic frame)과 일화중심 프레임(Episodic frame)으로 분류하였다 주제

중심 프레임은 위험사안에 대한 뉴스보도가 사건의 원인과 배경 해석을 제

시하는 것으로 사건의 책임을 보다 역사적 구조적 맥락에서 찾게 하는 보

도방식이다 일화중심 프레임은 특정 사건과 사안의 현황 그리고 관련되어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1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발생하는 일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 서는 사고발생의 구조적인 원

인 책임 배경 등에 관하여 논하고 이를 분석한 기사를 주제중심 프레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고 장면 및 피해지역 서술 및 묘사

피해지역 주민 및 유가족 관련 일화 사고조사 및 대응 정책 등과 관련하

여 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 피해지역 주민 간 일어나는 사안에 관한

서술 등을 일화중심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②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프레임 핵심 주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의 내용적인 측면

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유목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 하였다 먼저 세멧코

와 발켄버그(Semetkoamp Valkenburg 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섯 가지 갈등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책임귀

인 프레임을 주축으로 하여 이민규이예리(2012)의 연구 양정혜(2008)의 연

구 원만해채백(2007)의 연구 한균태송기인(2005) 등의 연구를 참고하였

다 이와 같이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5개의 뉴스 프레임을 도출하였으

며 연구자가 분석대상 기사들을 읽은 후 뉴스 프레임 3개를 추가적으로 도

출하면서 귀납적 접근법도 병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총 8개의 내용적 뉴스 프

레임을 도출하였다 하나의 기사에 여러 다양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이 사

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더들은 뉴스 프레임을 최대 3개까지 중복코딩을 하

였다 내용적 뉴스 프레임의 분석유목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lt표 3gt과 같다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17

뉴스 프레임 핵심내용 (조작적 정의)

갈등 프레임-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사고기업 지역사회 및

주민 시민(환경)단체 유가족 등 이해관계자들 간 갈등대립 및 관련 상황 부각

인간적 흥미

프레임

- 구미 불산 누출사고 현장의 피폐함을 묘사

- 사고 피해주민들 및 유가족의 감정 분노 동정심 등 감성적 측면 묘사

- 개인적인 사례 보도

경제적 결과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해 발생될 개인 집단 정부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비용 피해규모의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 경제적 손실피해의 보상에 관한 내용에서 금액적인 측면을 부각한 보도

책임도덕성

프레임

-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 사고수습 및 대응(대처)과정에서 발생한 책임논란 및 책

임소재를 다룸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비효율성 및 무능과 책임 떠넘

기기에 대한 비판 특정집단의 도덕성윤리성 언급 정

부지방자치단체기업 등의 이기적인 행태비판

- 피해지역 가축 살처분에 대한 문제제기 및 인간의 이기

적인 행태 비판

책임소재

①정부(유관기관)

②지방자치단체

(경북도구미시)

③소방당국(119)경찰

④기업(휴브글로벌)

⑤근로자과실

위험 프레임

- 불산이 얼마나 위험한 물질인지 다룬 보도

- 피해지역 주민의 건강악화 및 질병 발생을 다룬 보도

- 불산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 피해지역 농작물 고사 가축질병 발생 환경오염 및

환경파괴 23차 오염 등 불산의 위험성을 다룬 보도

불안공포

프레임

불산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주민들의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23차 피해로

인한 두려움 및 정서적인 불안 공포 생계 불안감을 다룬 보도

사고 지역이외 주민들 사이에 퍼지는 불산 괴담으로 인한 불안감 증폭 관련지역

농산물 구입 불안 2차 오염 두려움 등의 측면을 다룬 보도

대응대처

프레임

- 불산가스 누출사고 사고조사 및 현장복구 정부지역자치단체 지원정책 및 대응

방안 등을 다룬 보도

- 특별재난지역선포 피해보상 관련 휴브글로벌 기업의 보상 문제 피해지역 생산

농작물 가축의 처분에 관한 내용 이후 사고 피해지역의 회생가능성 및 이를 위

한 방안에 관한 내용 및 정보제공 측면에서 보도

lt표 3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목 및 핵심내용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4: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보도매체 분류 언론사명 보도 기사 건수()

중앙일간지

조선일보 32 (90)

중앙일보 22 (62)

동아일보 37 (104)

한겨레 32 (90)

경향신문 28 (79)

계 151 (424)

지역일간지

매일신문 113 (317)

영남일보 92 (258)

계 205 (576)

전체 356 (100)

5 연구결과

1)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 특성분석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

문과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 분석기간

내 보도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관련 기사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보도량 356건 가운데 중앙일간지 5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이 총 151건으

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424이었으며 지역일간지 2개에서 보도된 기사들

은 총 205건으로 전체 보도량 가운데 576를 차지하였다 일간지별로 보

도량을 살펴보면 매일신문이 113건으로 전체 보도의 317를 차지하며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영남일보가 92건으로 2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37건(104) 조선일보 32건

(90) 한겨레 32건(90) 경향신문 28건(79) 중앙일보 22건(62)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와 같이 2개 지역일간지의 보도량이 5

개 중앙일간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4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량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5: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19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의 기

사유형을 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인터뷰 포함) 사설 기고문칼럼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기사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기사유형의 분포 상 차이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각각 108건(715) 162건(79)으로 가장 많은 기

사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lsquo해설분석rsquo이 중앙일간지 13건(86) 지

역일간지 12건(59)으로 두 번째로 많은 기사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외 기

사유형들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사설rsquo 11건(73) lsquo기고문칼럼rsquo 10건(49)

lsquo르포스케치rsquo 9건(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르포스케치rsquo

12건(59) lsquo사설rsquo 10건(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표 5gt와 같다

lt표 5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108

(715)13

(86)9

(60)11

(73)10

(49)151

(100)

지역일간지162(79)

12(59)

12(59)

10(49)

9(44)

205(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53 df=4 ns

각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살펴보기 위

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모든 언론사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된 기사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6: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2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6gt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언론사별 보도의 기사유형

기사유형

언론사스트레이트 해설분석 르포스케치 사설

기고문칼럼

전체

중앙일간지

조선일보23

(719)2

(63)3

(94)3

(94)1

(31)32

(100)

중앙일보14

(636)1

(45)2

(91)2

(91)3

(136)22

(100)

동아일보29

(784)5

(135)1

(27)1

(27)1

(27)37

(100)

한겨레24

(75)2

(63)2

(63)3

(94)1

(31)32

(100)

경향신문18

(643)3

(107)1

(36)2

(71)4

(143)28

(100)

지역일간지

매일신문90

(796)5

(44)6

(53)6

(53)6

(53)113

(100)

영남일보72

(783)7

(76)6

(65)4

(43)3

(33)92

(100)

전체270

(758)25(7)

21(59)

21(59)

19(53)

356(100)

χ2=3299 df=5 ns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 분석

언론은 다양한 뉴스 정보원의 활용을 통해 어떠한 사건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정보원은 어떠한 사건을 설명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언론이 특정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시각을 만들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언론은 뉴

스 정보원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건호고흥석(2009)은 매

체는 스스로의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도구로 신뢰도 높은 취재원

을 사용하고 과학적 정보는 기자들에게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은

해당사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찾게 된다고 설명하였

다 이러한 논의들은 위험보도에서도 적용된다 이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rsquo 보도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별로 교차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7: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21

 매체분류 정보원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

중앙정부 74(227) 56(166) 130(19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1(126)  94(278) 135(203)

소방당국 및 경찰 39(120)  30(89) 69(104)

국회정치인정당 24(74)  36(107)  60(90)

전문가 30(92)  23(68)  53(80)

중앙정부 유관기관 12(37)  7(21)  19(29)

시민단체환경단체 30(92)  17(50)  47(71)

피해주민 및 유가족 44(135)  52(154)  96(145)

민관합동 환경영양조사단 3(09)  4(12)  7(11)

일반시민네티즌 5(15)  6(18)  11(17)

기업(휴브글로벌) 4(12) 6(18)  10(15)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15(46) 4(12)  19(29)

출처불분명 5(15) 3(09) 8(12)

 전 체 326(100) 338(100) 664(100)

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4)는 lt표 7gt과 같다

lt표 7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먼저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22를 차

지하면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35를 차지하였으며 이후로는 lsquo지방자치단

체 및 관련기관rsquo 126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120 lsquo전문가rsquo 92 lsquo시민단

체환경단체rsquo 92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74 lsquo타 언론보도 및 자료인용rsquo

46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37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5 lsquo출처불분명rsquo

4) 다중응답 교차분석은 검정통계량(χ2) 및 유의확율(p)이 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사항별로 빈도와 비율을 근거로 계산한다(이종환 2009 393쪽)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8: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15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12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09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278로 전체 뉴스

정보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lsquo중앙정부rsquo가 166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154를 차지하면서 뉴스 정보

원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뉴스 정보원들은 lsquo국회정치

인정당rsquo 107 lsquo소방당국 및 경찰rsquo 89 lsquo전문가rsquo 68 lsquo시민단체환경단

체rsquo 50 lsquo중앙정부 유관기관rsquo 21 lsquo일반시민네티즌rsquo 18 lsquo기업(휴브글로

벌)rsquo 18 lsquo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rsquo 12 lsquo타 언론보도자료인용rsquo 12

lsquo출처불분명rsquo 09 순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 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

분석)는 lt표 8gt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squo중앙정부rsquo가 조선일보

239 중앙일보 214 동아일보 239 한겨레신문 195 경향신문

25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모든 언론매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정보

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164)가 중앙정부

다음으로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국회정치인정당rsquo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 이라는 세 가지 뉴스 정보원이

모두 동일하게 143를 차지하면서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동아일보는 lsquo소방당국 및 경찰(169)rsquo이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중앙일간지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lsquo전문가rsquo는 한겨레신문에서 활용된 전체 뉴스 정

보원 가운데 134를 차지하면서 중앙정부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신문은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도 lsquo전문가rsquo

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향신문에

서는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이 203를 차지하면서 전체 중앙일간지 가운데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29: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23

lt표 8gt 중앙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

정보원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중앙정부 16(239)

9(214)

17(239)

16(195)

16(250)

74(227)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11(164)

3(71)

9(127)

10(122)

8(125)

41(126)

소방당국 및 경찰 9(134)

4(95)

12(169)

8(98)

6(94)

39(120)

국회정치인정당 4(60)

6(143)

2(28)

8(98)

4(63)

24(74)

전문가 3(45)

4(95)

8(113)

11(134) 

4(63)

30(92)

중앙정부 유관기관 5(75)

2(48)

0(0)

4(49)

1(16)

12(37)

시민단체환경단체 3(45)

6(143)

6(85)

6(73)

9(141) 

30(92)

피해주민 및 유가족 6(90)

6(143)

9(127)

10(122)

13(203)

44(135)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0(0)

0(0)

1(14)

2(24) 

0(0)

3(09)

일반시민네티즌 1(15)

0(0)

2(28)

1(12)

1(16)

5(15)

기업(휴브글로벌) 3(45)

0(0)

1(14)

0(0)

0(0) 

4(12)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5(75)

2(48) 

2(28)

5(61)

1(16) 

15(46)

출처불분명 1(15)

0(0)

2(28)

1(12)

1(16) 

5(15)

 전체67

(100)42

(100)71

(100)82

(100)64

(100)326

(100)

지역일간지에서 활용된 뉴스 정보원을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

응답 교차분석)는 lt표 9gt와 같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lsquo중앙정부rsquo 다음으

로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각각 152 156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활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중앙일간지의 뉴스 정보원 활용 특성과 비교했을 때 지역일간

지로서 피해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좀 더 많이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두 지역 언론사 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lsquo전문가rsquo라는 뉴스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0: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2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 매일신문 89 영남일보41로 매일신문이 영남

일보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9gt 지역일간지별 뉴스 정보원 활용

언론사정보원 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중앙정부 29(152) 27(184) 56(166)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기관 48(251) 46(313) 94(278)

소방당국 및 경찰 17(89)  13(88) 30(89)

국회정치인정당 24(126)  12(82) 36(107) 

전문가 17(89)  6(41) 23(68) 

중앙정부 유관기관 4(21)  3(20) 7(21) 

시민단체환경단체 11(58)  6(41) 17(50) 

피해주민 및 유가족 29(152)  23(156) 52(154) 

민관합동 환경영향조사단 1(05)  3(20) 4(12) 

일반시민네티즌 3(16)  3(20) 6(18) 

기업(휴브글로벌) 5(26) 1(07) 6(18) 

타 언론보도자료인용 2(10) 2(14) 4(12) 

출처불분명 1(05)  2(14) 3(09)

전 체 191(100) 147(100) 338(100)

2) 뉴스 프레임 분석

(1)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lsquo구미 불산 가스누출사고rsquo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

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형식적

측면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앙일간지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 43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 57를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25

프레임유형매체분류 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65(43) 86(57) 151(100)

지역일간지 72(351) 133(649) 205(100)

전 체 137(385) 219(615) 356(100)

χ2=2306 df=1 ns

다 지역일간지의 경우에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351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649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의 사용 비중이 중앙일간

지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lt표 10gt과 같다

lt표 10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언론사별로 형식적 측면의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론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t표 11gt

에 제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앙일간지에서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을 사용한 비중이 각 541 531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한겨레 375 경향신문 321 중앙일보는 318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은 중앙일보 689 경향신문 679 한겨레

신문 625 조선일보 469 동아일보 459 순으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과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을 비슷

한 수준으로 활용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두 언론사에서는 다른 언론사보

다 단순한 사건의 전달이나 사고현장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심층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일간지에서는

매일신문과 영남일보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각 619 685로 나타났

고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이 각 381 315로 나타난 것을 보았을 때 지역일

간지에서는 모두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훨씬 많이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일화중심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는 것은 lsquo구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2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미 불산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일간지로서 피

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묘사함으로써 이를 전달하는데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lt표 11gt 언론사 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형식적 측면)

프레임유형

매체분류주제중심 프레임 일화중심 프레임 전체

조선일

보17(531) 15(469) 32(100)

중앙일

보7(318) 15(682) 22(100)

동아일

보20(541) 17(459) 37(100)

한겨레

신문12(375) 20(625) 32(100)

경향신

문9(321) 19(679) 289(100)

지역일

간지

매일신

문43(381) 70(619) 113(100)

영남일

보29(315) 63(685) 92(100)

전체 137(385) 219(615) 356(100)

χ2=9481 df=6 ns

(2)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기사에서 사용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는 lt표 12gt와 같다 중앙

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 281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다음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은 lsquo위험 프레임rsquo 223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193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113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 91 lsquo갈등 프레임rsquo 73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294로 역시 가장 많이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확인됐으며 다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27

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203 lsquo갈등 프레임rsquo 12 lsquo경제적 결과 프

레임rsquo 114 lsquo위험 프레임rsquo 101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 89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79 순으로 뉴스 프레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

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

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에서는 중앙일간

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lsquo갈

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에 대한 내용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

을 알 수 있다

lt표 12gt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프레임 유형

매체 분류

갈등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경제적 결과 프레임

책임도덕성프레임

위험 프레임

불안공포프레임

대응대처프레임

 전체

중앙일간지 20(73)

7(26)

25(91)

53(193)

61(223)

31(113)

77(281)

274(100)

지역일간지 38(12)

25(79)

36(114)

64(203)

32(101)

28(89)

93(294)

316(100)

전 체 58(98)

32(54)

61(103)

117(198)

93(158)

59(10)

170(288)

590(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에서 사용된 어

휘와 문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은 ldquo획기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 구미 불산누출 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막을 수 있는 튼튼

하고 안전한 외양간을 만들어야 한다(중앙일보 20121012)rdquo와 같은 기사들

로 사고수습과정 및 대응대처방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거나 이와

관련한 시각을 다룬 보도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ldquo불산은hellip강산성 독성물질이

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신경계를 교란(조선일보 20120927)rdquo ldquo불산hellip유독가

스 유출로 2차 피해 발생(한겨레 20120927)rdquo ldquo불산은 녹물 제거 등 세정용

으로 사용hellip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나 점막에 해를 미치는 것(조선일보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4: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2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20120928)rdquo 등과 같이 불산의 위험성과 피해에 관하여 설명하거나 이를 강

조한 보도이다 ldquo2차 피해는 인재 혹은 관재의 전형 지방자치단체의 잘못

만도 아니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중앙부처에 있었다(20121004한겨레)rdquo ldquo경

북 구미에서 발생한 화공업체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구미시가 피해 축소

에 급급 시민 안전을 외면한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영남일보 20121004)rdquo

등과 같은 내용은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 들 수 있

다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적용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구미에서 생산되는 농축

산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중앙일보 20121012)rdquo ldquo오염에 따른 걱정

때문에 사고 현장과 거리가 있는 지역 주민들까지 검진 행렬에 동참 안전

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학

생 교사까지 모두 예민해진 상황 인터넷을 중심으로 불산에 대한 확인되

지 않은 괴담이 확산(동아일보 20121010)rdquo를 들 수 있다 lsquo경제적 결과 프레

임rsquo이 활용된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농작물과 가

축 피해는 각각 212와 3천209두로 집계 하루 전에 비해 40와 473두가

증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77개 기업도 모두 177억 원의 피해(영남일보

20121008)rdquo ldquo보상금은 기업피해 180억4천200만원 소상공인 피해 1억5천

500만원 차량 피해 36억2천600만원 공장 내 조경수 피해 9억6천700만원

건강검진 3억1천800만원이다(매일신문 20121206)rd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을 담고 있

는 기사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할 수 있다 ldquo인재로 인한 보상규정

없어hellip 사고업체와 소송까지 가야(경향신문 20121008)rdquo ldquo정부조사단 lsquo영농

활동 가능 피해 주민들 ldquo믿기 어렵다(경향신문 20121024)rdquo 마지막으로 lsquo인

간적 흥미 프레임rsquo에 대한 기사의 예시로는 ldquo625전쟁 당시인 1951년 대구

피란시절에 줄을 서서 굶주린 배를 채웠던 악몽이 떠오른다rdquo며 한숨을 내

쉬었다(영남일보 20121008)rdquo을 들 수 있다

중앙일간지에서 사용된 내용적 프레임을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5: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29

(다중응답 교차분석) 조선일보의 기사들에서는 lsquo대응대처 프레임(327)rsquo과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291)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에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1를 차지하였다

동아일보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333로 사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squo위험 프레임rsquo이 250로 그 뒤를 이었다 5개의 중앙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

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 5개 언론사별

로 드러난 뉴스 프레임의 유형을 정리하면 lt표 13gt과 같다

lt표 13gt 중앙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중앙일간지

프레임유형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전체

갈등 프레임 3(55) 2(56) 3(5)  6(94)  6(102) 20(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0(0) 1(28) 2(33) 1(16) 3(51) 7(26)

경제적 결과 프레임 6(109) 4(111) 7(117) 3(47)  5(85) 25(91)

책임도덕성 프레임 16(291) 8(222) 8(133) 12(88) 9(153) 53(193)

위험 프레임 10(182) 7(194) 15(250) 16(25) 13(22) 61(223)

불안공포 프레임 2(36) 7(194) 5(83) 8(125) 9(153) 31(113)

대응대처 프레임 18(327) 7(194) 20(333) 18(281) 14(237) 77(281)

전체 55(100) 36(100) 60(100) 64(100) 59(100) 274(100)

지역일간지를 각 언론사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다중응답 교차분석) 매일신

문과 영남일보 2개의 일간지 모두에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이 각각 295

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이며

매일신문에서는 lsquo불안공포 프레임rsquo이 69 영남일보에서는 lsquo인간적 흥미

프레임rsquo이 63로 가장 낮은 비중으로 사용된 뉴스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 드러난 내용적 뉴스 프레임을 정리하면 lt표 14gt와 같다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6: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3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lt표 14gt 지역일간지별 보도의 뉴스 프레임 유형(내용적 측면)

지역일간지

프레임유형매일신문 영남일보 전체

갈등 프레임 25(145) 13(91) 38(12)

인간적 흥미 프레임 16(92) 9(63) 25(79)

경제적 결과 프레임 17(98) 19(133) 36(114)

책임도덕성 프레임 31(179) 33(231) 64(203)

위험 프레임 21(121) 11(77) 32(101)

불안공포 프레임 12(69) 16(112) 28(89)

대응대처 프레임 51(295) 42(294) 93(294)

전체 173(100) 143(100) 316(100)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lsquo책임도

덕성 프레임rsquo이 활용된 기사들에서는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이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 및 각 언론사별로

나타난 책임소재를 교차분석(다중응답 교차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의 주요책임을 물

은 경우가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각 507 500로 나타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lsquo지방자치단체rsquo가 중앙일간지 219

지역일간지 179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후로는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서 책임소재의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중앙

일간지는 lsquo근로자과실rsquo 118 lsquo기업(휴브글로벌)rsquo 96 lsquo소방당국rsquo 68의 순

으로 나타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역일간지는 lsquo기업(휴

브글로벌)rsquo 115 소방당국과 근로자과실이 동일하게 103의 순으로 나타

나면서 책임소재를 묻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

에서 명시된 책임소재의 유형 및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lt표 15gt와 같다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7: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31

 

중앙일간지 지역일간지

전체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소계 매일

신문영남일보 소계

중앙정부유관기관

9(375)

6(600)

3(375)

11(579)

8(667)

37(507)

19(559)

20(455)

39(500)

76(503)

지방자치단체 9

(375)0

(0)1

(125)5

(263)1

(83)16

(219)6

(176)8

(182)14

(179)30

(199)

소방당국(119)

1(42)

1(100)

2(250)

1(53)

0(0)

5(68)

3(88)

5(114)

8(103)

13(86)

기업(휴먼글로브)

2(83)

1(100)

1(125)

1(53)

2(167)

7(96)

2(59)

7(159)

9(115)

16(106)

근로자 과실 3(125)

2(200)

1(125)

1(53)

1(83)

8(110)

4(118)

4(91)

8(103)

16(106)

전체24

(100)10

(100)8

(100)19

(100)12

(100)73

(100)34

(100)44

(100)78

(100)151

(100)

lt표 15gt 책임도덕성 프레임에서 나타난 책임소재 분석

언론사별로 lsquo구미 불산사고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책임소재의 유형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은 각각 600

579 667로 이번 사고에 대한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게 묻는

경향이 매우 강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각 375로 정부에게

사고에 관한 책임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매일신문과 영남일보에서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에 책임소재 있다고 한 경우가 각각 559 455를

차지하면서 lsquo구미 불산누출 사고rsquo에 대한 책임을 정부에게 묻는 경향이 강

하게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책임을 묻는 것이 375로 드

러나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과 함께 동일하게 책임 비중을 두었다 중앙일보

의 경우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 그 책임소재를 묻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한겨레신문에서는 lsquo소방당국rsquo은 주요책임소재로 등장하지 않았다

영남일보의 경우에는 매일신문과 비교해 lsquo기업(휴먼글로벌)rsquo에 책임소재에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8: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3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6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뉴스보도를 통해 국내 언론

의 위험보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중앙일간지와 경북지역

내 주요 지역일간지에서 보도된 관련 기사 총 356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특히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위험사

안에 대하여 위험보도의 관점 및 내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보도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지적받았던 국내 위험보도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었

는지 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 및 관련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에 관한 국내 중앙일간지 5개와 지역일간

지 2개의 총 보도량은 지역일간지가 중앙일간지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매일신문 113건 영남일보 92건이라는 보도량에 비해 동아일보 37건

조선일보 32건 한겨레신문 32건 경향신문 28건으로 중앙일간지의 보도량

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번 불산누출사고는 2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

대한 위험이었음에도 국내 언론이 사고의 위험성 및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일간지의 경우 서울경기지역이 아닌 경북

구미의 작은 농촌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위험에

대한 관심 부족과 이로 인하여 언론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사고발생 및 사고수습기간에도 관련 보도

는 추석연휴 및 18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소식과 겹치면서 우선순위에서

리게 되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가 위험보도가 아닌 정치 영역에서

다루었더라도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관련 사고는 대선후

보들의 정치적 논쟁 도구가 되거나 피해지역이 대선후보들의 선거유세를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39: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33

위한 방문지역으로 단순히 언급되는데 그쳤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 분석결과 중앙일간지의 보도가 사고발생

일인 9월말부터 재난특별지역이 선포된 10월 초중순에 집중되었고 이후에

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위험을 다루는 것

이 아니라 어떤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집중하고 단순한 사고의

피해만 나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특별지역 선포와 같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 및 국정감사 등에만 보도가 집중된 것은 이번 위험보

도가 정부의 대응을 전달하는 역할에서 그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정보가 더 이상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경우 미

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분석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도 이러한 미디어의 위험보도 행태가 그대로 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기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

역일간지에서 모두 lsquo스트레이트rsquo가 전체 7개의 기사유형 가운데 70 이상

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lsquo해설분석rsquo은 10미만에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위험보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단

순사실 위주의 피상적 보도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보도경향은 기사내용의 심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론

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의 특성을 통해 국내 위험보도에서 동

일한 문제가 개선되지 못한 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드러난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범주화된다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중앙정부rsquo가 지배적인 비중을

차지하였고 지역일간지에서는 lsquo지방자치단체 및 관련기관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 등 뉴스

정보원은 낮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미루어

볼 때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가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에 관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0: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3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련된 소식을 전달하고 이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lsquo전문가rsquo와 lsquo시민단체환경단체rsquo가 뉴스 정보원으로서 활용이 낮기 때

문에 이러한 뉴스 정보원 활용행태는 lsquo정부rsquo나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의 입장을 먼

저 보도의 중심에 놓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국내 언론의 위

험보도에서 언론의 감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받을 수 있

는 부분이다

언론사별로 뉴스 정보원의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을 때도 lsquo중앙정부rsquo가 5개

의 중앙일간지에서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뉴스 정보원으로 나타

났다 특징적으로 한겨레신문은 5개 중앙일간지 가운데 lsquo전문가rsquo가 뉴스 정

보원으로서 활용이 가장 높았고 경향신문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겨레신문과 경향신

문이 다른 중앙일간지보다 lsquo전문가rsquo와 lsquo피해지역주민rsquo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해 기자들이 매우 진보적이

고 반기업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약자의 편에서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양정혜 20052008) 이번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대적으

로 진보성향이 있는 경향신문에서 이러한 부분이 어느 정도 현시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간지와 비교했을 때 매일신문과 영남일보가 lsquo피해주민 및

유가족rsquo을 뉴스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면서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 주

민의 목소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특징적으로 지역일간지에서

는 lsquo전문가rsquo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 익명으로 사용하거나 단순히 lsquo전

문가rsquo로만 지칭하여 불특정 전문가를 뉴스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한편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뉴스 정보원에 편향되는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부분으로 위험보도에서 정부의 발표

에 의존하는 모습이 이번 보도에서 지속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편향성과

함께 정확한 정보제공과 보도시각에 타당성을 부여하고 해당사안을 체계적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1: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35

으로 설명해줄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뉴스 정보원의 부족이 답습되고 있

다는 점에서 위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한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에서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심 프레임rsquo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지만 지역일간지는 lsquo일화중심 프레임rsquo이 lsquo주제중

심 프레임rsquo보다 2배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

간지와 중앙일간지가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일간지가 lsquo구미 불산

가스 노출사고rsquo를 개인화된 시각으로 전달하고 지역 언론으로서 피해지역과

사고현장의 참혹한 모습과 실상을 알리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 보도에서 도출된 내용적 뉴스 프레임 유형은

총 8가지로 범주화된다 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에

서 모두 lsquo대응대처프레임rsquo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중앙정

부 지방자치단체의 lsquo구미불산 누출사고rsquo에 대한 대응대처방안을 다룬 lsquo대

응대처 프레임rsquo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이 지배적

인 뉴스 정보원인 것과 관련된다 국내 언론이 정부 및 유관기관의 발표에

뉴스 정보원을 의존하면서 위험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보다는 스트레이트

기사의 형태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입장을 전달하는데 그치고 있음을 보여

준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은 불산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질로 인한 인체적

물리적인 피해 현황을 상세히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역일간지

에서는 중앙일간지보다 lsquo위험 프레임rsquo의 비중이 적었으며 오히려 lsquo책임도덕

성 프레임rsquo lsquo갈등 프레임rsquo lsquo경제적 결과 프레임rsquo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일간지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대처방안에 대

한 지역주민의 반발 대처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이와 관련된 갈

등 프레임 책임도덕성 프레임이 오히려 위험 프레임보다 높게 나타난 것

으로 해석된다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2: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36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한편 lsquo책임도덕성 프레임rsquo에는 이번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책

임소재를 규명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책임소재를 분석한 결과 중앙일간지

와 지역일간지에서 모두 주요 책임주체로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을 지목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국내 언론은 이번 불산가스 누출사고의 책임을

lsquo중앙정부유관기관rsquo 또는 lsquo지방자치단체rsquo에게 묻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

났다 이번 위험보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부 및 유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

체의 소홀한 안전관리와 초기대응 부족을 지적하고 이번 위험사안에 대한

책임을 묻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국내 위험보도의 경향을 최근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

고rsquo 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분석대상의 보도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위험보도가 어떠한 사건 발생 당시에만

집중되어 소나기 형태로 보도되며 지속적인 보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감사내용을 전달하는 이

벤트성 보도는 성공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한 보도행

태로 보인다 특히 국내언론의 위험보도에서 스트레이트형의 기사가 주를

이루는 반면 심층보도가 적어 단순한 사실 및 정보전달하는 피상적 보도에

그치면서 심도있는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

인인 언론보도가 주체적으로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가기 위해서

는 국내언론이 앞서 제시한 한계를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뉴스 정보원의 유형은 다양화되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여

전히 특정 정보원에 집중적으로 편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뉴스 프레임 역시 뉴스 정보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도 지적받았던 뉴스 정보원의 제한 문제가 이번 연구의 결과

에서도 확인되었다 특히 위험보도의 핵심 뉴스 정보원인 과학적 또는 의

학적 전문지식을 갖춘 lsquo전문가rsquo의 활용이 부족하기에 심층적인 보도가 이루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3: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37

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인다 언론에서 활용하는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언론사에서 내재된 성향 및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사의 내재된 성향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하

지 못했지만 뉴스 정보원에서 기인된 뉴스 프레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

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라는 뉴스 정보원의 빈번한 활용으로 뉴스보도에서

이와 관련된 lsquo대응대처 프레임rsquo 뉴스 프레임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보도는 각계각층의 입장을 뉴스보도에 반영하지

못하고 정부의 입장만 대변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에 앞으로 국내 언

론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는 노력 역시 필요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위험보도의 한계들은 앞으로 국내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도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극복방안을 찾아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

에서는 2012년에 발생한 lsquo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rsquo보도만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고 있기에 논의가 다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 구미

의 불산가스 누출사고를 기점으로 2013년 발생한 상주의 염산 누출사고

청주의 불산 누출사고 수원의 불산 누출사고까지 연이어 발생했던 유해물

질 누출사고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일반화된 연

구결과와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험보도에서 뉴

스 정보원의 활용에 대한 더욱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뉴스 프레임의

형성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내 언론의 위험보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4: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3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참고문헌

곽위위유홍식 (2012) 중국 티베트 314사태에 대한 한중 일간지의 보도

프레임 비교분석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20호 217~265

김영욱 (2006)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985172커뮤니케이션 이론985173 2권 2호 192~232

_____ (2008) 985172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세은이승선(2012) 사회갈등과 미디어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26권 5호 7~43

안종주 (2012) 985172위험증폭사회985173 서울 궁리

양정혜 (2005) 985172환경보도의 사회학985173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양정혜 (2008)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lsquo허베이 스

피리트호rsquo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985172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985173 통권

9호 81~121

원만해채백 (2007) lsquo청전산 고속철도 관통rsquo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

역지의 프레임 비교 연구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1권 1호 199~228

유영억 (2012) 유해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다른 환경교육학적 고찰 인도

보팔 가스 누출사고 및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관점 985172한국환경

교육학회 발표논문집985173 189~192

이건호고흥석 (2009) 취재원 활용을 통해 살펴본 한국 신문의 보도시각

고찰 985172한국언론학보985173 53권 3호 348~369

이동훈김원용 (2012) 985172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985173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이민규이예리 (2012)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12권 2호 378~414

이상기김위근 (2012) 9851722012 신문사 재무 분석985173 (조사분석 201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종환(2009) 985172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985173 경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5: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39

기 공동체

송해룡 (2012) 985172위험커뮤니케이션985173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송해룡김경희 (2012) lsquo위험rsquo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985172헤세연구985173 27집 187~202

_____조항민이윤경김원제 (201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985172분쟁해결연구985173 10권 1호 65~98

한균태송기인 (2005) 국내 신문의 환경 이슈 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985172한국방송학보985173 19권 3호 288~322

한동섭유승현 (2008)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lsquo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rsquo을 중심으로 985172언론과학연구985173 8권 4호

702~739

Daley P amp OrsquoNeil D (1991) ldquoSad is too Mild a World Press Coverage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rdquo Journal of Communication 41

42~57

Giddens A (1991)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 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amp Row

Neuman W R Just M R amp Crigler A N (1992) Common

Knolwled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emetko H A amp Valkenburg P M (2000)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2th ed)

Longman 김원용 역(1997) 985172매스미디어 사회학985173 서울 나남출판

Singer E amp Endreny P M(1993) Reporting on Ris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송해룡 역(2003) 985172위험보도론985173 서울 커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6: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4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뮤니케이션북스

Willis J amp Okunade A O (1997) Reporting on Risks The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Conneticut Praeger 송해룡김원제조항민 역(2006) 985172위험보도985173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구미 불산유출 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2012 10 8) 985172연합뉴스985173

남보수 (2013 2 1) 구미 불산사고 탱크 수개월째 방치 985172경북매일신문985173

산 피해 확산 일로hellip주민 ldquo정부업체에 1조 원대 소송 추진rdquo (2012 12 8)

985172조선일보985173

최근 3년 유독가스 누출폭발사고 일지(2013 1 28) 985172연합뉴스985173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7: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송해룡이윤경 141

ltABSTRACTg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on

Risk in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Focusing on the News of the Accident of a Toxic Gas Leak in Gumi

Hae-ryong Song(Professor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Yoon Kyung Lee

(PhD Candidat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isk journalism is medi-

ated by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News sources and News frames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had reported about 356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c-

cident of toxic gas leak at the chemical factory in Gumi area The period

of analysis was for 4 months from September 27th 2012 to January 28th

2013 In RQ1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In RQ2 and RQ3 we studied News sources and

News frame about the Gumi gas leak accident The tendency of risk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revealed through those three re-

search questions And also we can figure out what differences will be

having between Korea national and local news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news were cov-

er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accident(from the end of September to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

Page 48: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shb.skku.edu/_res/riskcomm/etc/07.pdf · 2014-10-24 ·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14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8호)

the early of October) lsquoGovernmentrsquo and lsquoLocal Governmentrsquo were prom-

inently used as a news source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gas

leak accident However lsquoExpertrsquo was merely used as a news source in

this case The cases of Korea national and local papers presented a rela-

tively high percent for the News frame of lsquoRisk Managementrsquo It can be

concluded that news sources could have a impact on the news frames of

the news coverage on the Gumi risk accident

(Key words Risk Communication Media Coverage Reporting on

Risk Gumi Toxic Gas Leak News Frame News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