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130
문학석사학위논문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여성단체연합 의 사례를 중심으로 20002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Upload: others

Post on 27-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문학석사학위논문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여성단체연합 의 사례를 중심으로

2000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李 昭 淵

Page 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도교수 朴 承 寬

이 논문을 문학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1999년 10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李 昭 淵

李昭淵의 문학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1999년 12월

위 원 장 (인)

부위원장 (인)

위 원 (인)

Page 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국문초록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운동조직을 특징짓는 것은, 그것이 사회를 향해 어떤 주장 , 즉 현실에 대한 새로운 像

을 제시한다는 사실이다. 그간의 사회운동연구는 사회운동조직이 제시하는 현실에 대한 像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프레임을 이용해 왔다.

그러나 사회운동의 프레임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잠재적 동원자에 대한 프레임의 효능성에만

관심을 집중함으로써 프레임 구성의 문제를 간과하는 경향을 노출해 왔다. 그러나 사회운동조

직의 프레임은 사회적 구성물이며, 특정 사회구조의 실제적인 작용 안에 정박(anchor)될 때에

만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프레임 구성의 문제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이

밍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이다. 또한, 기존 사회운동의 프레임 연구는 정

적 경향 , 즉, 프레임을 사회적 구성, 교섭, 경합, 변형과 연관된 역동적 과정이라기보다는 사

물로 간주하는 경향을 노출해 왔다. 그러나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은 외부적 맥락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역동적이고 가변적인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프레임이 왜, 어떻게 구성되는가? 라는 프레임 구성과 변

화과정의 문제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외부적 맥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답하려 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맥락, 즉, 운동환경을 정치적 기

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의 배열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으

로 나누어 개념화하였다. 그러한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이 어떻게 변

화하는가를, 1987년부터 1997년까지의 시기동안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사례를 통해 탐색하였다.

1987년부터 1997년까지의 시기는 1993년을 기점으로 운동환경 -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

업의 배열 - 의 차이가 관찰되는 두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여연의 프레임 구성의 양태

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 운동환경과 프레임 양자가 어떻게 관계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연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양상을 각 시기 운동환경과 연관하여 살펴본 결과, 사회운동

조직의 프레임이 운동환경이라는 외부적 조건으로부터 일정하게 구조화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정권의 성격으로 대별되는 정치적 개방성과 민주성의 정도는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민정부가 등장한 1993년을 기점으로 하여 여연이

프레임 변환을 겪었다는 데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정치적 개방성과 민주성의 확대는, 권위주

의적 정부 하의 대립구도를 제거하여 기존 프레임의 전제를 붕괴시킬 뿐 아니라, 시민사회의

성장과 분화를 촉진하여 단일한 전선으로 사회운동산업이 결집되는 것을 막는다. 즉, 정치적

개방성과 민주성의 정도는 프레임 그 자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측면과, 사회운동산업

- i -

Page 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의 배열에 영향을 주어 프레임 변화를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측면도 있다.

또한 사회운동산업의 배열 역시 여연의 프레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구심력적 심화와 원심력적 분화로 요약될 수 있는 각 시기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은 각 시기

프레임 정렬전략과 여연이 구성한 프레임의 양태에 조응하고 있었다. 즉, 구심력적 통합성 하

에 놓여 있는 사회운동산업 속에서 여연은 프레임 연결 전략을 사용하여 전체운동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프레임을 구성하였고, 사회운동산업의 원심력적 분화의 경향이 가속화된 이후에

는 자신의 입지를 분명히 하고 독자적인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프레임 특화와 프레임

확장을 통해 성별로서의 여성, 여성운동의 독자성이 강조되는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또한 1993년을 기점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변환의 양상이 패러다임 변화의 양상과 매우

유사함을 볼 수 있었다. 즉, 1기의 절차적 민주성의 확보와 제도적 공간의 부분적 확장, 그리고

사회의 다원화라는 외부 조건 변화로 인해 프레임의 균열이 발생하지만, 그러한 균열은 프레임

의 부분적 확장과 재정의를 통해 복구되고 있다. 즉, 1시기 후반은 프레임 복구를 통한 프레임

보존으로 특징지어지고 있으며, 1993년 문민정부의 등장이 기존 프레임의 전제였던 민주 對

반민주구도를 붕괴시키면서 더 이상 프레임 복구가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을 때에야 비로소

프레임 변환이 표명되었다.

세 번째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정체성 프레임이 역할 프레임을 구조화하고 있음을 보여준

다. 즉, 정체성 프레임을 전제로 하여 역할 프레임이 도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역할 프레

임이 정체성 프레임에 전적으로 종속적인 것은 아니고 일정정도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즉,

추상수준이 낮고 보다 실제 활동에 근접해 있는 역할 프레임은 외부 환경, 특히 제도적 정치공

간의 개방과 같은 운동영역과 관련된 기회구조에 매우 민감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운동 프레임 연구가 프레임의 효능성 중심으로 이루어진데 반하여,

외부적 조건들의 결과로서 프레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프레임을 보다 넓은 거시적 맥락 속

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하는 단초를 제공하려 하였다. 프레임 변화는 잠재적 동원자(여기서는 여

성)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보다 거시적인 환경-정권의 성격으로 대별되는 정치적 환경의 개방

성, 그리고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외부적 조건,

특히 정부의 성격과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에 프레임이 조응하는 양상은, 사회운동조직이 정부

나 다른 사회운동조직들 등, 다양한 타겟(multiple targets)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해준다. 즉,

지지자의 場에 초점을 두고, 사회운동에 개인들을 동원하는 미시동원의 문제에 주목해온 기

존의 사회운동연구가 보다 다양한 타겟들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암시해준다.

주요어 : 사회운동, 사회운동조직, 프레임, 정치적 기회구조, 사회운동산업

학번 : 98211-510

지도교수 : 박승관

- ii -

Page 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목 차 >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문제제기 1

제 2 절 논문의 구성 3

제 2 장 이론적 논의 4

제 1 절 사회운동과 프레임 4

제 2 절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 7

제 3 절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동학 11

제 3 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15

제 1 절 연구대상의 선정: 한국여성단체연합 15

제 2 절 연구시기의 선정과 시기구분 17

제 3 절 연구문제 18

제 4 절 연구방법 18

제 4 장 제1기(1987-1992): 운동환경과 한국여성단체연합의 프레임 구성 23

제 1 절 정치적 개방과 사회운동산업의 성장(1987-1989) 23

제 2 절 프레임 연결을 통한 프레임 정립(1987-1989) 27

제 3 절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와 사회운동산업의 분화(1989-1992) 38

제 4 절 프레임 균열의 가속화와 프레임 복구(1990-1992) 45

제 5 절 소결: 1시기 운동환경과 프레임 구성 55

제 5 장 제2기(1993-1997): 운동환경과 한국여성단체연합의 프레임 구성 64

제 1 절 정치적 기회구조의 확장과 사회운동산업의 분화(1993-1995) 64

제 2 절 프레임 변환을 통한 새로운 프레임의 정립 72

제 3 절 새로운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의 변화(1996-1997) 80

제 4 절 프레임 확장을 통한 프레임 안정화 87

- iii -

Page 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5 절 소결: 2시기 운동환경과 프레임 구성 94

제 6 장 운동환경 변화에 따른 여연의 프레임 변화의 양상과 함의 102

제 1 절 정체성 프레임 변화: 민중에서 여성으로 102

제 2 절 역할 프레임 변화: 종속에서 연대로 106

제 7 장 결론 112

제 1 절 논의의 요약 112

제 2 절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13

제 3 절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14

* 참고문헌 117

* English Abstract 123

- iv -

Page 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제기

우리는 다양한 영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를 향해 발언하는 사회운동조직들을 많

이 목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사회운동조직들의 활동은, 특정 사회문제를 사회적 의제화

하고 그에 대한 여론을 형성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의 측면에서나, 또한 실질적인 정책

수립과정에 행사하는 영향력의 측면에서 나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성장하였다. 이

러한 사회운동의 사회적 영향력의 성장은 제 5부라는 새로운 표현을 만들어낼 정도로 급

속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현대사회의 중요한 사회현상으로서 사회운동은, 사회과학의 중

요한 연구주제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사회운동, 또는 사회운동조직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는 그것이 사회를 향해 어떤 주

장을 제출한다는 사실이다. 사회의 불공정한 측면을 지적하고 그것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관철하고자 하는 인간의 목적의식적 활동이 바로 사회운동이다. 그렇다면, 사회운동

연구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현실에 대한 새로운 像으로서의 그들의 주장

이 어떻게 구성되고 변화하는가 하는 부분일 것이다. 그러나, 사회운동조직이 내놓는 주장,

즉, 그들이 사회를 향해 발화하는 메시지가 어떻게 구성되고 변화하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

는 그리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사회운동조직의 메시

지가 어떠한 맥락 속에 구성되며 변화하는 것인지를 프레임 분석을 통해 해명하려 하였다.

프레임 개념은 1980년대부터 사회운동연구에서 사회운동조직의 현실구성과정을 설명

하기 위한 틀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운동의 집합행위에 개인들을 심

리적으로 동원하는 미시동원(micromobilization) 에 주로 초점을 두어 왔던 기존 사회운동

연구의 프레임 분석은,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이 잠재적 참여자들을 동원하는데 대한 효능

성에만 집중해 왔고(Evans, 1997:451), 프레임 구성과 제시(presentation)의 문제를 간과하는

편향이 존재하였다(Kubal, 1998:539).

그러나, 사회적 구성물로서 저항은 오직 우리가 그것을 특정 사회구조의 실제적인 작용

안에 정박(anchor)시킬 때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Klandermans, 1992: 78). 즉, 사회운동조직

의 프레이밍 과정은, 그것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영향력과 함께 고찰될 필요가 있으며, 이

러한 사실은 맥락 속에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이 왜, 어떻게 형성되는가? 라는 프레임

- 1 -

Page 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구성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하게 한다. 이는, 기존 사회운동연구의 주류를 이루어왔던

의미를 사회운동행위의 동원과 관련해서만 보는 단선적 관점을 넘어, 운동 행위의 결과로

서 의미를 연구하는 유동적(fluid) 관점으로의 전환(Swart, 1995: 477)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연구는 정적 경향 , 즉, 프레임을 사회적 구성, 교섭,

경합, 변형과 연관된 역동적 과정이라기보다는 사물"로 간주하는 경향을 노출해 왔고, 이

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운동주장의 수용과 거부, 구성과 교섭과 명료화와 수정에 영향을 미

치는 다양한 구조적,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는 사회운동 프레이밍 과정의 역동성을 상세화하

는 방향의 연구들이 이루어짐(Benford, 1997: 417)으로써 극복되어야 한다. 즉, 사회운동의

프레임은 역동적이고 가변적인 과정 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프레임이 왜, 어떻게

구성되는가? 라는 질문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맥락과 프레임의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

써 답해질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을 참조하여 보면, 프레임의 구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은

크게 두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치적 기회 구조(structure of political opportunity)의

측면과, 사회운동산업(social movement industry) 내에서 사회운동조직들의 배열

(configuration)의 측면이 그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맥락, 즉, 운동환경을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을 포함시켜 개념화

하고, 그러한 운동환경이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어떤 방향으로 조건짓는가,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라 프레임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탐색하려 하였다. 이렇게 외부적 제한

(constrains) 속에서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과정을 고찰하는 것은, 사회운동을 이해하기 위

해 정치적 환경의 측면, 조직적 측면, 의미적 측면을 모두 살펴보아야 한다고 했던

McAdam, McCarthy & Zald(1996)의 지적에 상응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여성단체연합 (이하 여연 )의 사례를 중심으로 1987년부터 1997년까지의

시기에 걸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1987년 2월

18일 발족한 이래, 여연은 지금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한국의 여성운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또한, 1987년부터 1997년까지의 시기동안, 한국 사회는

급격한 정치적 변동을 겪어 왔으며, 그에 상응하여 사회운동산업에서도 지속적인 변화가 있

었다. 따라서, 1987년부터 1997년까지의 시기 동안 여연의 프레임에 대한 분석은, 사회운동

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양상을 맥락과 함께 고찰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주제에 잘

부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례연구는,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과정을 규명함에

- 2 -

Page 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있어서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구의 사회운동이론을 우리 사회

에 일방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넘어서서, 우리 현실에 적용가능한 이론을 도출해내는 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본 연구는 1987년부터 1997년까지의 시기를 운동환경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두 시기

- 1987-1992 / 1993-1997 - 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여연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운동환경

의 변화 속에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은 어떻게, 왜 변화하는가 , 또는 주어진 상황 속에

서 사회운동조직은 어떤 프레이밍 전략을 구사하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제 2 절 논문의 구성

본 논문은 총 여섯 장으로 구성된다. 이어지는 제 2 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이

서술된다. 먼저 사회운동연구에서 프레임이라는 개념이 가지는 의미와 유용성을 기술하고,

기존의 사회운동연구에서 프레임 분석의 한계와 프레임 구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이밍 과정이 일어나는 거시적 맥락을 정

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이라는 틀로서 개념화하고, 그 속에서 형성되는 사

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제 3 장에서는 연구대상과 연구시기

를 선정하고, 선정된 사회운동조직과 시기가 왜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적합한지를 밝혔

다. 이어서 연구문제와 연구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4 장에서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의 기간이 해당되는 제 1기의 운동환경과 여연의

프레임 분석 결과를 서술한다. 운동환경이라는 객관적 조건의 변화를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의 측면에서 기술하고, 여연의 프레임을 분석한다. 소결에서는, 1기의 운동환경

과 프레임이 어떤 방식으로 연관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제 5 장에서

는 1993년부터 1997년까지의 기간이 해당되는 제 2기의 운동환경과 여연의 프레임 분석을

서술한다. 3장과 마찬가지로 2기 운동환경이라는 객관적 조건의 변화를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의 측면에서 기술하고, 여연의 프레임을 분석한다. 소결에서는, 2기의 운동환경

과 프레임이 어떤 방식으로 연관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제 6 장에서는 3장과 4장의 논의를 종합하여, 1시기와 2시기 여연의 프레임 변화의 양

상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고, 그러한 변화가 운동환경이라는 외부적 조건과 관련하여 어

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제 7 장에서는 앞서의 논의를 요약하고, 연

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연구의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밝혔다.

- 3 -

Page 1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2 장 이론적 논의

제 1 절 사회운동과 프레임

1 . 사회 운동의 의미적 차원 : 프레임

사회운동은 일반적으로 공유된 집합적 정체성에 기초하여 정치적, 문화적 갈등에 참여

하는 다양한 개인, 집단, 조직들 간에 형성되는 비공식적인 상호작용의 네트워크 (조대엽,

1996a: 223)라 정의될 수 있다.

최근의 사회운동연구에서는 사회운동의 커뮤니케이션적 측면에 보다 주목하고 그것을

분석적으로 이해하려는 작업들이 이루어져 왔다. 구성주의적 사회운동론은 사회운동의 커뮤

니케이션적 측면에 주목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왔다. 구성주의적 사

회운동론은 저항의 사회적 구성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틀을 발전시켜 왔으며, 집합

행동은 관련된 행위자들의 집합적 의식성 내의 유의미한 변형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이해를

공유하고 있다. 이 때 이러한 변형이 어떻게 발생하는가하는 것은 중심적인 질문이다

(Klandermans, 1992: 78-79). 따라서, 사회운동조직이 현실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가라는 커뮤니케이션적 질문은, 사회운동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차원

이 된다(Snow & Benford, 1988: 197-198 ; 민영, 1997:14). 운동은 믿음과 사상의 운반자임과

동시에, 의미의 생산에 능동적으로 관여한다. 사회운동의 작업은 존재하는 의미들의 형성과

구조화와 연관되어 있으며, 운동은 의미화의 정치(politics of signification)"로 이해될 수 있

다(Snow & Benford, 1988: 198).

프레이밍 은 이러한 사회운동의 의미화 작업을 개념화하는 용어로 이용되어 왔다. 이

때, 프레임은 Goffman의 정의를 차용한 것으로 생활세계와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위치짓고, 지각하고, 확인하고, 이름붙이는 해석의 스키마 를 의미한다(Snow, Rochford,

Worden & Benford, 1986: 464).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행위의 산물이 집합행위프레임이다.

집합행위 프레임은 강조의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귀인과 접합의 양식으로서도 기능한

다.1) Lofland(1996)가 지적한 바, 사회운동조직의 신념(beliefs) 도 집합행위프레임과 유사한

1)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강조기능 (focusing/ punctuating function )은 사회적 조건의

심각성과 불공정성을 강조하거나, 이전에 불쾌하지만 참을 수 있었던 것을 불공

정하고 부도덕적인 것으로 재정의하는 강조장치(accenting device)로서의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집합행위프레임은 진단적/ 처방적 귀인을 함으로써 귀인의 양식

- 4 -

Page 1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신념이란, 일반적으로 진실이라고 간주되는 것들을 의미하는데,

사회운동연구의 맥락에서는 특별히 현실에 대한 도전적 구성 을 의미한다. 이 때, 신념이

란 우리는 누구인가? , 우리의 문제는 무엇인가? , 왜 우리는 그런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 ,

무엇이 우리의 문제에 대해 행해져야 하며, 누가 그것을 할 수 있는가? 와 같은 기본적인

물음에 답하는 것이다. 즉, 사회운동에서 프레임은, 주용범(1995: 23)이 언급한 이념적 내용

의 차원에서의 프레임 분석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이는 현실을 체계적으로 변형시키는

형식적 틀들이 구축하는 의미 내용, 또는 이러한 틀들의 내면을 관통하는 논리적 체계와 핵

심적인 주제를 분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스토리의 내러티브가 조직화되는 노선을

분석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어떤 판본에 제도화된 이념적 내용을 분석할 수가 있다.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그것의 대중적 기반과 연결시키는 개념이 프레임 정렬(frame

alignment)과 프레임 공명(frame resonance)이다. 프레임 정렬 은 일군의 개인들의 이해관

계, 믿음, 가치들과 사회운동조직의 행위, 목적, 이데올로기가 조화되고 보완되는, 개인과 사

회운동조직의 해석적 정향의 연결고리를 의미하며, 프레임 정렬은 운동참여의 필수적인 조

건이 된다. 프레임 정렬 과정은, ① 프레임 연결 (frame bridging) ② 프레임 확충 (frame

amplification) ③ 프레임 확장 (frame extension) ④ 프레임 변환 (frame transformation)으

로 유형화될 수 있다.2)

프레임 정렬은 프레임 공명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이다. 프레임 공명은 운동의 이데올

로기와 지지자/ 구성원의 믿음 간의 인지적 정렬이 있을 때 발생하며 이것은, 운동조직의

프레이밍 행위의 궁극적 목적이라 할 수 있는데, 참여자의 동원을 지향하는 프레이밍 노력

의 성공을 지칭하는 용어라 할 수 있다(Snow & Benford, 1988: 198).

으로서 기능한다. 마지막으로, 집합행위프레임은 사건들과 경험들의 거대한 배열

(array)을 접합시키고 정렬시킨다. 그것은 해독하는(decode) 신호화와 조합의 장

치(signaling and collating device)이다(Snow & Benford: 1992).2) 프레임 연결은 가장 초보적인 프레이밍 정렬로서, 특별한 이슈 또는 문제와 관련

하여 두가지 혹은 그 이상의 이데올로기적으로 부합하지만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않은 프레임들의 연결(linkage)을 지칭한다. 프레임 변환은 프레임 연결과 반

대의 극단에 존재하는 것이다. 운동이 급진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할 때, 그것은 프레임 변환 - 새로운 가치들이 배치되고(planted), 키워져야

(nurtured) 하며, 오래된 가치들 또는 이해들이 버려져야 하고, 잘못된 믿음들 또

는 misframing 이 재프레임되어야 한다는 점을 암시하는 - 과 연관되어야 한다.프레임 확충은 이는 특정한 이슈에 대한 해석적 프레임의 명료화와 활성화

(invigoration )를 언급한다. 또한 프레임 확장 과정에 의하여, 운동은 잠재적 지지

자들의 이해관계 또는 가치에 부합하거나 주목하는 자신의 목표 또는 행위를 묘

사함에 의해서 그들의 지지자의 영역(pool)을 확대하려 시도한다(Snow ,Rochford, Worden & Benford., 1986:467- 472 ; T arrow , 1992: 188).

- 5 -

Page 1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2 . 의미 구성자로서 사회 운동조직

사회운동조직(social movement organization: SMO)은 그 시점에서 주류 사회 - 현실적

이고, 이성적이고, 도덕적인 것의 지배적인 구성 - 로부터 배제되거나 주변화되는 사적인 또

는 집단적인 생활이 어떻게 조직되어야만 하는지에 대한 이상주의적이고 도덕적인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모임 이라 정의할 수 있다.3) 사회운동조직을 특징짓는 것은, 그것이 부적절

하고, 받아들이기 어려우며(implausible), 비도덕적이고, 그릇되며, 위협적이고, 부패한 것으

로 묘사되는 현실에 관한 주장 을 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결국, 사회운동조직들에 대

한 연구는 현실의 像에 대한 연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Lofland, 1996: 2-3).

따라서 사회운동조직은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행위의 주체, 곧 의미구성자로 개념화될

수 있다. 즉, 사회운동의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는 중요한 분석단위는 사회운동조직들(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SMOs)이 된다.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과정을 논함에 있어 사회운

동조직을 중요한 분석단위로 설정하는 것은, 그것이 저항 프레임의 주요한 유포자이자 추

진자이기 때문이다(Marullo, Pagnucco & Smith, 1996: 2).

또한, 최근의 사회운동연구들은 사회운동조직에 분석적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조대

엽, 1995, 1996a, 1996b ; 정철희, 1996). 왜냐하면, 사회운동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근원적인

사회구조로부터 구체적인 행위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결부되어 있다는 난점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으며, 이 때, 거시적 수준의 요소와 미시적 요소를 연결하는 매개적

요소가 사회운동조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조대엽, 1996a: 220-221).

3 . 기존 사 회운동 프레이밍 연 구의 경향과 한계

기존의 프레이밍 연구는 미시동원(micromobilization) - 사회운동의 집합행위에 개인들

을 심리적으로 동원하는 것 - 에 초점을 둠으로써(Cornfield & Fletcher, 1998), 프레임의 구

성(construction)'과 제시(presentation)'의 문제를 간과해왔던 경향이 있다(Kubal, 1998: 539).

그러나, 운동은 사회적 구성물이며, 운동행위자들이 그들의 행위를 확립하는 방식은, 정

향(orientation)과 체계적인 기회들/ 제한들(opportunities/ constrains) 사이의 구체적인 연결

(Melucci, 1985: 792)임을 생각해 본다면, 외부적 조건과의 관련 속에서 사회운동의 프레임

구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3) 사회운동조직을 여타사회단체들과 구분하는 보다 자세한 기준은 Lofland(1996: 7)을 참조할 것.

- 6 -

Page 1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작업이다. 즉, 사회운동의 프레임은 어떻게, 왜 형성되는가? 라는 <프레임 구성>에 관한

질문을 맥락과의 관련 속에서 제기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곧, 의미를 사

회운동행위의 동원과 관련해서만 보는 단선적 관점을 넘어서, 운동 행위의 결과로서 의미를

연구하는 유동적(fluid) 관점으로의 전환(Swart, 1995: 477)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퍼스펙티브는 정적 경향 - 프레임을 사회적 구성, 교섭,

경합, 변형과 연관된 역동적 과정이라기보다는 사물"로 간주하는 경향 - 을 노출해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운동주장의 수용과 거부, 구성과 교섭과 명료

화와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구조적,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는 사회운동 프레이밍 과

정의 역동성을 상세화하는 방향의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Benford, 1997: 417). 즉, 사회

운동의 프레임은 계속해서 새롭게 구성되고 재구성되는 것이며, 역동적이고 가변적인 과정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과정을 고찰하는 것은, 사회운동의 프레임

구성의 역학을 해명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이 구성, 제

시되는 방식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추론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제 2 절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과정을 규정하는 외부적 제한들(constrains)의 존재에 대해서는 여

러 연구에서 지적된 바 있다. McAdam, McCarthy & Zald(1996)는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과

정을 그것이 작동하는 보다 거시적인 맥락과 함께 고찰하려고 시도한다. 그들에 따르면, 사

회운동의 출현과 발전을 분석함에 있어 세 가지 요인이 중요한데, 첫 번째가 정치적 기회구

조, 두 번째가 동원구조(조직), 세 번째가 프레이밍 과정이다. 이 세 가지를 통합적으로 고

찰해야만 사회운동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가능하다. 이는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과정을 정치

적인 환경과 동원구조와 관련시켜서 살펴보아야 함을 의미한다.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보통 사회운동조직의 외부적 요

건을 기술하고, 프레임 내용의 변화를 기술한 다음 전자가 후자에 영향을 미쳤음을 암묵적

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때 사회운동의 프레임에 영향을 미쳤다고 가정되는 외부적

요건은 연구에 따라 다소 다르게 규정된다. 정치적 기회구조(Cornfield & Fletcher, 1998 ;

Gelb, 1990 ; Oberschall, 1992 ; Zdravomyslova, 1996)로 상정하기도 하고, 다조직적 場

(multi-organizational field)의 배열(configuration)로 보기도 하며(Evans, 1997), 냉전체제의

- 7 -

Page 1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종식이라는 국제 정세의 변동과 관련하여 제시하기도(Marullo, Pagnucco & Smith, 1996)하

는 것이다. 그러나, 정치적 기회구조와 다조직적 場, 특히,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은 기본적으

로 상호밀접한 관계에 있다. 즉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가 사회운동산업의 변화를 가져오기

도 하고, 사회운동이 정치적 기회구조를 창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조건을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

양자를 모두 포함하여 개념화하고자 한다. 운동환경에 대한 이러한 개념화는 국가(넓은 의

미의 지배)의 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사회운동(넓은 의미의 저항) (조희연, 1998a; 1998b)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배의 영역과 저항의 영역 양자에 걸쳐있는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주의할 것은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변화

한다는 사실이다. 즉, 정치적 기회구조는 사회운동산업이 활성화되거나 위축되도록 하는 외

부적 조건이지만, 그것은 또한 동시에 사회운동산업의 변화로부터 창출되기도 하는 것이다.

1 . 정치 적 기회구조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이밍 과정이 발생하는 정치적 환경, 곧 정치적 기회구조(structure

of political opportunity)의 변화는, 사회운동의 프레이밍 행위를 규정하는 중요한 차원이

될 수 있다. 정치적 기회구조는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에 영향을 줌으로써

사람들이 집합행동에 착수하게 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치적 환경의 차원들 로서

(Tarrow, 1994:85 ; Diani, 1996에서 재인용), 간단하게는, 사회운동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보

다 넓은 정치적 체계로 정의된다(McAdam, McCarthy & Zald, 1996). 정치적 기회구조는 일

반적으로, 정치적 개방성과 정치적 제휴의 안정성이라는 두 차원으로 나누어 평가될 수

있다(나경선, 1993 ; Diani, 1996 ; Gamson & Meyer, 1996).

조대엽(1996a: 228)은 사회운동의 거시분석의 수준에서 정치적 기회구조개념의 유용성

에 대해 지적하였다. 거시정치적 조건들 가운데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국가의 성격 및

통제방식이지만, 이보다 비교적 경험에 가깝게 설정되는 거시정치적 요소는 정치적 기회구

조이다. 정치적 환경의 요소들 가운데 사회운동의 발생 및 유지변화과정과 긴밀하게 연결

된 요소가 있다면 그것은 곧 사회운동의 정치적 기회구조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정치

적 기회구조는 반드시 사회운동에 긍정적 기회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즉, 주요 행정부

의 특성, 지방선거의 방식, 기술과 지위의 사회적 분포, 사회해체의 정도 등과 같은 정치적

- 8 -

Page 1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기회구조는 정치적 목적을 추구하는 시민 및 집단활동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부 대응의 성격이나 공동체가 가진 자원의 수준은 정치적 행위의 성공

기회를 쉽게 가져다 줄 수도 있다. 요컨대, 정치적 기회구조로 표현되는 환경적 요인들은

정치적 활동에 일종의 제약일 수도 있고, 개방된 통로일 수도 있는 것이다(Eisinger, 1973:11

; 조대엽, 1996a: 228에서 재인용). 이러한 정치적 기회구조는 끊임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

화하는데, 아래로부터의 변화방식(bottom-up fashion) 과 위로부터의 변화방식(top-down

fashion) 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사회운동과는 다소 독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광

범위한 사회변동에 의해 사회운동의 성공적인 기회가 창출되거나 혹은 불리한 정치적 기회

구조가 유리한 기회로 변화되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며, 후자는 정체성원(polity member) 혹

은 엘리트 집단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정치적 후원을 통해 사회운동의 출현 발전이 가능해

지는 경우를 말한다(조대엽, 1995: 86).

많은 연구들이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가 사회운동 프레임의 변화를 유발했음을 지적하

고 있다(Cornfield & Fletcher, 1998 ; Marullo, Pagnucco & Smith, 1996 ; Zdravomyslova,

1996). 특히, 우리의 경우에 사회운동에 있어서 정치적 조건의 직접적인 영향이 식민지 시

기 이후 지속된 우리 사회운동의 특징을 이루므로(정진성, 1997: 355), 정치적 기회구조에

대한 고려는 한국 사회운동조직의 사례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

2 . 사회 운동산업 내의 사회 운동조직들의 배 열

다조직 場(multi-organizational field)의 개념은, 조직간 관계를 사회운동의 프레임 구성

과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보게 한다. 운동 목표 형성은 사회운동이 존재하

는 다조직 장에 의해 강요되고 제한된다. 이 場은 운동조직이 특정한 연결고리를 확정하는

모든 가능한 조직들 로 이루어져 있고, 운동에 자원과 정치적 기회를 제공해주는 조직적 연

합인 제휴 체계 와 자원을 고갈시키고 기회를 제한하는 조직적 반대자와의 갈등 체계

로 구성된다(Klandermans, 1992 : 94-96). Hunt 등이 제시한 정체성의 場이라는 아이디어

도, 유사한 맥락에서, 프레이밍 과정 속에서 사회운동조직이 맺는 관계망의 중요성을 지적

하고 있다(Hunt, Benford & Snow, 1994).

이 때, 사회운동산업(social movement industry: SMI) 내에 존재하는 다른 사회운동조직

들은 다조직 場 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즉, 사회운동조직을 연구할 때, 그

사회운동조직이 속해있는 하나의 환경으로써 사회운동산업에 주목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 9 -

Page 1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프레이밍은 운동 내에서 다른 입장을 취하는 행위자들과 경쟁하는 내적인 과정이며

(Gamson & Meyer, 1996), 사회운동 조직 간에는 프레임 논쟁(dispute)이 존재(Benford,

1993)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운동 산업은 상대적으로 유사한 목표를 추구하는 모든 사회운동조직들을 포함한다.

존재하고 있는 사회운동산업 내의 사회운동조직들이 전술에 있어 차이가 있고, 자원과 리더

십을 위해 경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또한 연합할 수도 있다(McAdam,

McCarthy & Zald, 1988: 718). Zald는 운동 내부에 속해있는 다른 운동조직간의 전술과 목

표를 둘러싼 경쟁은 운동의 프레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언급한다(Zald, 1996: 270).

이렇게 볼 때, 다른 사회운동조직, 특히 동일한 주제 영역 속에서 활동하는 사회운동조

직들의 배열(configuration)과 역학관계는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

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2.1 사회운동산업의 분류틀

아래에서는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을 어떠한 틀로써 살펴볼 수 있는지, 특히, 한국적 맥

락에서 사회운동산업은 어떠한 분류틀로서 이해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겠다.

① 일반적인 운동유형

사회운동이 목표로 하고 있는 변화의 폭과 깊이를 기준으로 사회운동의 일반적인 유형

구분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은 표로 정리될 수 있다(박재묵, 1996 : 383).

< 표 2-1: 네 가지 사회운동의 유형 >

변화의 폭

변화의 깊이특정의 개인들 전체사회

제한적 변화대안적 사회운동

예) 산아제한운동

개혁적 사회운동

예) 부정부패추방운동

근본적 변화속죄적 사회운동

예) 근본주의종교운동

혁명적 사회운동

예) 사회주의혁명운동

② 구사회운동과 신사회운동

- 10 -

Page 1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한편, 흔히 사용되고 있는 구사회 운동과 신사회 운동은 유럽의 운동사적 배경과 관련

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유럽의 선진산업사회가 산업사회로부터 후기산업사회로 이행해 감에

따라, 과거 자본가 대 노동자 계급이었던 사회의 지배·피지배 구도가 크게 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회적 갈등의 場이 다변화되고, 새로운 영역에서 새로운 유형의 운동이 분출되

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1960년대 말부터 유럽에서 새롭게 등장한 사회운동들을 신사회 운동

이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따라서 신사회 운동에는 학생운동, 여성운동, 환경운동 등이 포함

되고, 구사회 운동은 이전에 지배적인 사회운동이었던 계급운동, 즉 노동운동을 의미하게

되었다. 즉, 신사회 운동은 탈계급적 쟁점을 중시한다는 특징이 있다.

③ 민중운동과 시민운동 : 한국적 맥락에서

구사회 운동(old social movement)과 신사회 운동(new social movement)의 구분이 유럽

의 운동사적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라면, 최근의 한국의 사회운동 구조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구분이다.4)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구분은 우선 변

혁 지향적 운동과 개혁 지향적 운동이 공존하고 그로 인하여 두 세력간에 일정한 긴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민중운동>은 특정계급 또는 계급의 연합(민중)과 동일시하는 세력이 주체가 되어 계급

특수적 쟁점을 가지고 전개하는 운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민중운동은 구사

회운동, 계급운동 또는 변혁운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운동에서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표출시키는 불평등한 계급구조와 이에 바탕을 둔 정치적 지배구조, 즉 체제가 변화의 목표

가 되며, 여기에서 주된 방법은 변혁이다. 한편, <시민운동>은 주관적으로 시민일반과 동일

시하는 세력이 범시민적 쟁점을 가지고 전개하는 운동으로서, 사회의 기본구조나 체제보다

는 사회 문제 그 자체의 개선 내지 완화를 추구한다. 이런 점에서 <시민운동>은 신사회운

동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제 3 절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동학

1 . 사회 운동조직 프레임 의 개념화

4) 이러한 구분은 한국의 사회운동을 논의할 때 매우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틀로

서 한국사회운동을 논의하고 있는 대표적인 글들은 유팔무·김호기 편(1995)을참조할 것.

- 11 -

Page 1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사회운동의 프레임을 분석하기 위한 전형적인 분석유목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

다. Snow와 Benford(1988)가 제시한 진단 프레임, 처방 프레임, 동기화 프레임, 혹은

Gamson(1995)이 집합행위프레임의 핵심요소라 지적하였던 불공정요소, 정체성 요소, 행위자

요소 등이 응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세세한 분석유목은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에 맞게 각자

재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각 연구마다 분석대상이 하나의 사회운동조

직 , 특정이슈에 대한 사회운동조직들 , 특정이슈를 위해 구성된 사회운동 등으로 차이가

있었고, 또 연구대상이 되는 사회운동의 맥락에 따라 분석유목에 대한 어느 정도의 변형은

불가피했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 대상이 사회문제나 특정이슈에 대한 프레임

이 아니라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이므로, 기존 연구를 참조하여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개념화하였다.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은 정체성 프레임(identity frame)과 역할 프레임(role frame)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사회운동조직을 다른 조직과 구분지을 수 있는 요소가 크게 우리

는 누구이며 (정체성),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역할)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지

기 때문이다. 사회운동조직을 다른 사회집단과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가 그들이 부당한 현실

에 대한 주장을 제출하는 측면에 있다고 본 Lofland(1996)의 지적에 기반한다면, 부당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역할(role) 프레임은 사회운동조직의 프

레임을 분석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이 된다. 또한 역할 프레임이 도출되기 위한 전제로써,

또한 역할을 수행하기 주체의 우리는 누구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정체성

프레임 역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핵심요소이다.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역할 프레임에서 무엇을 에 해당하는 것이 사회운동조직이 제기하는 이슈이고, 어

떻게에 해당하는 것이 사회운동조직이 사용하는 전략이라고 하겠다.

사회운동조직 프레임에 대한 이러한 개념화는, Zdravomyslova(1996)가 사회운동 프레이

밍의 세 차원이라고 하였던 정체성 프레임, 이슈 프레임, 전략 프레임 - 에 상응하는 것이

다. 이러한 개념화에서 각 프레임들의 기능은 Snow와 Benford(1988)가 공식화하였던 핵심

프레이밍 작업(진단, 처방, 동기화)과 연관되어 있다.

2 . 과정 으로서의 프레임 : 프레임 구성과 변화 의 동학

앞서 언급한 바대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역동적, 가변적인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보다 거시적 맥락을 염두에 두고

프레임을 고찰했을 때, 외부적 제한에 의해 구조화되는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은, 맥락의

- 12 -

Page 1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변화에 따라 그 내적 완결성에 영향을 받아 변화할 것이라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 외부적

맥락의 변화에 따른 프레임 변화는 주용범(1995)의 연구결과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5)

프레임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내부로 통합된 요소들간의 관계가 적절히

조정되어야 하고 기존의 지배적인 프레임과 모순되는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해석을 위해 적용된 특정의 의미해석적 특과 모순되는 정보를 그것과 적합

한 방식으로 변조하거나 또는 전체적인 의미의 틀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주변화해야

한다. 또는, 기존 프레임과 모순되는 사건이나 이슈가 돌출했을 때 이를 체계적으로 무시하

는 방법도 있다. 또한 지배적인 프레임과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이슈를 전반적으로 후원함

으로써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슈로부터 공중의 관심을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다(주용범, 1995:

25-26).

그러나 프레임의 안정성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장치들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할

경우 프레임은 파손될 수 있다. 프레임은 프레임 조직의 허술함이나 비탄력성에 의하여 내

파(implosion)되기도 하지만, 외부적 충격에 의해 와해되기도 한다. 기존 프레임의 한계 내

에서 관리될 수 없는 사건은 행위의 조직들을 붕괴시킴으로써 상황 설정을 급격히 변화시

킨다(Goffman, 1974 ; 주용범, 1995: 29에서 재인용). 그러나 파손의 정도가 크지 않다면 기

존 프레임은 간단히 수선, 복구될 수 있다. 모든 프레임은 자기 보존의 관행, 즉 어떤 틀지

워진 행위와 그것이 그 안에서 진행되는 외부적 환경을 구별하고 스스로의 연속성을 유지

하기 위한 관습과 상징적인 의례를 제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레임의 자기 보존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을 만큼 거대한 충격이 내, 외적으로 발생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복구

할 수 없을 정도의 치명적 손상을 입고 붕괴되고 만다(주용범, 1995: 28-31).

이에 따른다면,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의 배열로 개념화된 운동환경의 변화

는 사회운동조직 프레임의 안정성 정도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고, 이에 따라 프레임 균열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운동환경 변화에 따라 사회운동조직이 가지고 있었던 기

존 프레임에 부합하지 않는 사건이나 이슈들이 계속 생겨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운동환경 변화의 정도에 따라 프레임 안정성의 정도, 또는 프레임 균열의 정도는 달라질 것

이며, 균열이 크지 않을 때는 수선되고,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로 파손되면 기존 프레임은

붕괴되고 새로운 프레임으로 대체될 것으로 생각된다.

5) 물론 주용범(1995)의 연구는 미디어 프레임에 관한 연구이며, 5공화국 말기 개헌

의제의 형성과 변동에 관한, 보다 단기간에 걸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과 다

소 차이가 있다.

- 13 -

Page 2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3 . 분석 틀의 도출

위의 논의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본 연구의 분석틀이 도출되었다.

초기 운동환경——→ 운동환경의 변화

——→새로운 운동환경

(구조화)

기존 프레임에 모순되는 사실들 발생

프레임 안정성의 변화

(구조화)

초기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 프레임의 변화

||

→ 새로운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프레임균열발생→프레임복구→프레임균열가속화→프레임변환

- 14 -

Page 2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3 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제 1 절 연구대상의 선정: 한국여성단체연합

본 연구는,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이 구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고찰할 수 있는 연구대

상으로서, 한국여성단체연합(이하 여연) 을 설정하였다. 1987년 2월 설립된 여성운동조직들

의 연합체로서, 지금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여연은 명실상부한 여성운동의 중심적인 단

체라 할 수 있다.

여연은, 1987년 설립 이후 활발한 활동을 펼치면서 지금까지 유지되어 오고 있다. 10년

이 넘는 기간동안 조직의 규모와 활동력을 유지, 확장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해오고 있다는

사실, 즉 장기간 성공적으로 생존해 왔다는 사실 그 자체가 여연이 적절한 프레임 전략을

구사해 왔다는 증거이다. 시간이 흐르고 운동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수많은 사회운동조직이

생성되고 소멸하여 갔지만, 그 중에서도 여성운동은 여타 사회운동의 침체와는 달리 오히

려 더욱 많은 일을 추진 (강이수·정혜선, 1997: 234)해 왔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여연의

프레임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동학을 이해하게 하는 좋은 소재임을

보여 준다. 또한, 여연이, 하나의 조직이 다소 과격한 정부 비판이나 개혁 운동과 함께 생

활상의 요구를 표출하는 운동을 전개하는 사례 (정진성, 1997: 359)라는 지적처럼, 다양한 프

레임들을 여연이 구사해 왔음은, 프레임 변화의 양상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줄 것이다.

1 . 한국 의 여성운동과 한국여성단 체연합 의 설립

우리 사회에서 근대적 의미의 여성운동은 한말 개화기에 시작되었으며, 식민지 시기에

는 민족주의 운동이나 사회주의 운동, 노동운동, 기독교 운동 등 타사회운동과 긴밀한 연관

관계를 맺으면서 발전했다. 해방 후 미 군정기의 혼란을 거치고,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단체로서 여성단체협의회(여협)가 독립된 여성운동조직으로 1959년에 설립된 것이 특기할

만하다. 1960년대까지의 여성단체들은 사회변화의 희생자층에 대해 무관심한 엘리트 주의적

경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나, 1970년대 들어, 여성상황의 개선은 사회전

반의 발전과 긴밀히 얽혀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여성운동은 빠른 산업화의 부작용으로서의

여성억압에 우선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다시 불씨가 키워지기 시작하였다(정진성, 1997).

1980년대의 여성운동은 이전시기 여성운동과 질적 차별성을 가지면서 1987년 한국여성

- 15 -

Page 2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단체 연합의 발족으로 수렴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여성운동을 시작할 조건을 마련

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개략적으로 서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1983년 6월 창립된 여성평우회(이하 여평)는 독자적인 여성운동체로서 여성해방의 이념

을 갖춘 조직운동을 최초로 시작하였다. 여평은 민족민주여성운동을 내세우고 있었는데, ①

남녀를 차별하는 가부장제적 성차별 문화 개혁을 위해 ② 남녀모두가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사회건설을 위해 ③ 민주.통일 사회의 건설을 위해 일한다는 지침을 내걸었고, 여성해

방이 근본적 사회변혁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여평 활동 이외의 1984년 공개운동으로는

민주화 운동청년연합 여성부의 활동이 있다. 이들은, 민주화운동 청년연합(민청련) 에 소속

된 것으로, 민청련의 위상에 따라 여성운동에서의 공개적인 정치투쟁과 여성민중투쟁 지원

을 주요역할로 설정하였다. 민청련 여성부의 활동방향은 1984년 여대생추행대책위원회라는

최초의 여성운동 연대구조를 탄생시켰다.

1985년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 기념 제 1회 여성대회가 열린 가운데 이 대회에서 민

족·민주·민중과 함께 하는 1985년 여성운동선언이 이루어졌다. 이 대회는 여성평우회와

여성의 전화, 또 하나의 문화, 주부 아카데미 협의회 등 여성단체와 기독교 운동 단체 여성

부, 사회운동단체 여성부, 가톨릭 여성 농민회가 함께 치른 여성운동 최초의 연대집회였으

며, 1984년 여대생 추행대책 연대활동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1985년 중반 이후 정부의 탄압정책이 시작되고, 정부의 학원안정법 제정 시도가 있었

는데, 여평 내에서 이에 대한 심각한 내부 논쟁이 있었다. 이로 시작된 이론 투쟁은 1986년

정기총회에서 여성운동을 전체운동의 전선에 위치지우는 것으로 결론이 났지만, 몇 달 지나

지 않아 여성운동의 위상, 여성운동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인식을 둘러싸고 극심한 내부 분

열이 일어나 회원들이 대거 탈퇴하면서 여평의 조직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성운동의 연대투쟁은, 1986년 여성생존권 대책 위원회의 발족, 1986년 부천

경찰서 성고문사건 공동대책 위원회 발족, 1986년 KBS 시청료 거부 운동 등으로 계속해서

이어졌고, 마침내 1987년 2월 18일 생존권 대책위, 성고문 대책위를 모태로 21개 여성단체

가 연합한 한국여성단체연합이 상설적 연대기구로 발족하였다. 여성운동 세력의 정치적 요

구를 통일적으로 관철시켜 나가는 구심체로서의 한국여성단체연합의 결성으로 여성운동의

연합전선이 형성됨에 따라 여성운동의 한 단계 도약이 이루어졌다(이승희, 1994).6)

6) 1996년 현재 한국여성단체연합 에 소속되어 있는 단체는 다음과 같다 (총 29개): 한국여성민우회, 전국여성농민회 총연합, 한국여성의 전화, 대전충남여민회, 부

산여성회, 전북여성운동연합, 인천여성노동자회, 경남여성회, 기독여민회, 함께 하

는 주부모임, 서울 여성노동자회, 지역사회탁아소 연합회, 수원여성회, 한국여신학

- 16 -

Page 2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2 절 연구시기의 선정과 시기구분

한편 여연이 설립된 1987년 이후부터 1997년까지의 기간은 한국사회가, 이른바 민주주

의적 이행이라 불리는 급격한 정치적 변동 과정을 경험한 시기이며, 사회운동산업에 있어

서도 그에 상응하는 급격한 변화가 존재하였다. 즉 이 시기는, 지배의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 저항의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운동산업 내의 변화가

모두 급격히 이루어졌던 시기인 것이다. 따라서 1987년에서 1997년까지 여연이 대응해야 했

던 운동환경의 변화에 대한 상세한 고찰은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동학을 이해하기 위한 필

수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에 이르는 시기는 국가주의적 발전 동원체제의 변화를

둘러싼 각축의 시기였다. 이러한 각축은 1987년 6월 민주항쟁에서 그 정점에 이르고, 그것

은 점진적인 타협적 민주주의 이행이 현실화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복잡한 정치변동의

과정을 거치면서 기존의 개발독재적 예외국가의 변형과 재편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조희

연, 1998a). 즉, 1987년은 이전 시기에 비해 질적으로 다른 정치적 환경을 가져온 해라고 하

겠는데, 이러한 정치적 환경의 변화는 그에 맞서는 사회운동산업의 변화 역시 유발하였을

것이다. 여연이 설립된 해이자, 한국사회를 질적으로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게 하는 분기점

으로서 1987년은 여연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시작점이 되었다. 또

한 1997년은 여연이 설립한지 10주년이 되는 해이자 해방 50년만에 처음으로 야당에 의한

정권교체가 이루어진 해로서 여연의 프레임 분석을 위한 하나의 결절점으로 보는 것이 가

능할 것이다.

1 . 시기 구분

1987년부터 1997년까지의 시기는 운동환경의 변화가 관찰되는 1993년을 기점으로 두 시

기로 구분되었다. 즉, 1987년부터 1992년까지를 제 1기로 파악하고,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의 시기를 제 2기로 보았다. 이러한 시기구분은 정권이 교체되는 시점, 이른바 국가의 성격

자협의회, 한국여성연구회, 대구여성회, 충북여성민우회, 제주여민회, 거창여성회,광주여성회, 한국여성노동자 협의회, 한국여성사회교육원, 광주여성노동자회, 마산

창원여성노동자회, 새 세상을 여는 천주교 여성공동체(준회원), 불교인권위원회

여성분과위원회(참관), 기독교 여성평화연구원(참관), 포항여성회(참관), 순천우리

여성회(참관)(보건복지부, 1996).

- 17 -

Page 2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과 통제방식의 변화가 일어나는 시점과 일치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동환경 , 즉,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 양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각 시기는 각각 운동환경의 차이를 보이는 두 시기로 세분되고, 구분된 각 시기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성의 양태를 살펴보았고, 시기별로 프레임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제 3 절 연구문제

위의 논의들을 토대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1987년부터 1997년 사이의 기간 동안 한국여성단체연합을 둘러싼 운

동환경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 각 시기별로 정치적 기회구조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 각 시기별로 사회운동산업의 배열(configuration)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연구문제 2> 1987년부터 1997년 사이의 기간 동안의 운동환경 변화에 따라 한국여

성단체연합의 프레임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그 변화의 양상은 어떠하였는가?

제 4 절 연구방법

1 . 연구 방법과 연구자료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 방법은 문헌 조사와 내용분석 방법이었다. 기존

의 정치학, 사회학적 문헌과 신문기사들을 검토하고, 여연에서 그동안 발행해 온 자료7)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1987년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을 다룬 문헌들 중

본 연구의 연구문제와 관련있는 문헌들과 신문기사들을 검토하여, 연구 시기의 운동환경을

정리하였다. 특히 기회구조의 설정에 있어 여연의 특수성을 고려하기 위해 『열린 희망 -

한국여성단체연합 10년사』를 주요하게 참조하였다. 사회운동산업의 배열(configuration)을

7) 참고로, 그동안 한국여성단체 연합에서는 56 종의 자료를 발간해 왔고, <민주여

성>의 경우는 전 호가 영인본으로 나와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한국여성단체연합

자료부에서 판매된다.

- 18 -

Page 2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고찰함에 있어서는, 지역단체나 지역운동에 대한 고찰은 제외하는 것으로 하였다. 전국을

활동영역으로 하는 전국조직을 중심으로 사회운동산업을 살펴보았고, 그 중에서도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고 판단되는 사회운동조직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8) 또, 문헌에 드러나 있

지 않은 보다 심층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여성운동활동가 1인9)을 인터뷰하였다.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은 민중운동진영, 시민운동진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에

맞추어 여성운동진영을 또 하나의 분석틀로서 추가하였다. 동일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사회

운동조직들이 자원, 전략 등을 놓고 경쟁하는 가장 직접적인 대상이라고 한다면, 여성운동

단체인 여연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성운동진영에 대한 분석은 필수

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연이 발행해 온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동안의

많은 사회운동 연구에서, 1차 자료라고 할 수 있는 사회운동조직이 스스로 구성해낸 의미체

계에 대한 직접적 분석은 그리 많이 되지 못했다. 특정사안에 대한 프레임 분석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변화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그동안 여연이 발행한 자료 중, 여연의 기관지라 할 수 있는 『민주여성』과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을 주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민주여성』은 여연의 발족하였던 해인 1987년 7월에 창간호가 발행되었고, 1995년까

지 총 19호가 발행되었다.10) 『민주여성』이 폐간된 이후로, 1996년 4월에 창간호가 발행된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이 여연의 기관지적 성격을 이어받았다. 두 달에 한 번 규칙적으

로 발행되는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은, 창간호부터 11호(97.12/ 98.1)까지가 본 연구의 분

석대상에 해당된다. 그러나 1997년 10, 11월에 해당하는 10호가 자료로 남아있지 않은 관계

8) 각 조직들의 영향력이나 활동정도는 기존의 사회운동연구문헌과 신문보도를 참조

하여 파악하였다. 즉, 기존의 사회운동문헌에서 중요하게 언급된 단체, 언론에 자

주 보도된 단체는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확보하고 있는 단체로 간주하였다.9) 연구시기가 1987년부터이므로, 1980년대부터 진보적 여성운동 진영에서 활동했던

1인을 인터뷰하였다. 인터뷰 날짜는 1999년 11월 11일이었고, 인터뷰 내용은 녹

취를 하여 연구시기 중 여성운동진영이 당면했던 운동상황을 이해하는데 활용하

였다.10) <민주여성>은 그 발행간격이 일정하지는 않았다. 87년에 4호, 88년부터 90년까

지 매 해 2호씩, 91년에 1호, 92년부터 95년까지 매 해 2호씩 발행되었다. 구체적

으로, 호수별 발행시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창간호: 87.7.10 / 2호: 87.8.10 / 3호: 87.9.10 / 4호: 87.11.5 / 5호: 88.6.1 / 6호: 88.12.20 / 7호: 89.5.20 / 8호: 89.9.20 / 9호: 90.5.20 / 10호: 90.11.5 / 11호: 91.6.1 /12호: 92.3.20 / 13호: 92.10.23 / 14호: 93.3.29 / 15호: 93.11.3 / 16호: 94.4.15 / 17호: 94.10.30 / 18호: 95.4.15 / 19호: 95.10.25

- 19 -

Page 2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로, 실제분석에서는 10호를 제외한 총 열 개 호가 분석되었다. 그에 더하여 분석의 타당성

을 확인하기 위해, 분석시기에 해당하는 3.8세계여성의 날 기념 선언문을 참조하였다.11)

2 . 여연 의 프레임 분석방법

2.1 상황에 대한 인식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을 분석하기에 앞서 각 시기별로 주어진 상황을 여연이 어

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Gamson과 Meyer(1996)가 지적한 바, 정치적 기회

구조의 프레이밍 과정에 상응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여연의 프레임 분석에 포함시키는

이유는, 상황에 대한 규정이 반드시 객관적인 조건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

조건 중 특정부분을 강조하고 특정부분은 폄하하는 식의 변형을 거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황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는 것은,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을 해석할

수 있는 전제가 된다고 보여진다.

2.2 정체성 프레임 분석

정체성은 이해(interest), 연대의식, 집합행동의 필요조건으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신광영,

1997; 42), 정체성 프레임 분석은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우선적인 작

업이 된다.

정체성은 구별짓기(distinction)와 차별화(differentiation)를 통해서 형성된다. 즉, 정체성

이 형성되는 과정은 먼저 자기자신을 다른 사람들 혹은 집단과 구별을 짓는 과정을 포함한

다. 한편, 차별화는 보다 능동적으로 특정한 귀속의식을 만들어내는, 인위적으로 차이를 만

들어가는 과정이다. 그리하여 정체성을 통하여 개인들은 자신이 누구인가를 인지하고, 사회

속에서 자신의 존재와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정체성의 온전한 유지는 지속적인 사회화 과

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또한 타협과 조정을 거치는 사회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이다. 집단

적인 정체성은 다른 집단과의 갈등 혹은 대립관계에 있을 때 더욱 잘 형성된다(신광영,

1997; 36-37). Gamson(1995) 역시, 정체성 요소가 집합행위프레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

11) 구체적인 분석대상이 된 선언문은 한국여성단체연합 홈페이지(http:/ / ww w .women21.or .kr )에 올라와 있는 자료를 이용하였다. 89년과 90년에는 선언문이 발

표되지 않았다.

- 20 -

Page 2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지적한 바 있는데, 그것은 우리와는 다른 이해와 가치를 가진 저들에 반대해서 우리를

정의하는 과정을 말한다. 저들이란 곧 집합행위의 잠재적 표적인데, 적대적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 없이 굶주림, 질병, 전쟁 등과 같은 추상적 대상으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구

체적인 인간 행위자(human agen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정체성 프레임은 Babb(1996)이 사용하였던 유목을 참조하여 분석하였다. 앞서 언급된 바

와 같이 정체성이란 인식된 상황 속에서 우리와 그들을 구분짓는 작업 속에서 구성되고

표현되므로 ① 우리의 정의(self-definition; 여성운동의 주체) ② 그들의 정의(definition

of the enemy; 여성운동의 적)는 정체성 프레임을 구성하는 중심적인 유목이 된다.

2.3 역할 프레임 분석

본 연구에서는 사회운동이 본질적으로 사회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의식적인 활동이며,

그러한 목적 속에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취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역할

프레임을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중요한 차원으로 간주하였다. 역할 프레임은

자료에 드러난 여성운동의 역할, 과제, 궁극적 지향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에 더하여, 구체적으로 여연이 자신의 역할로 무엇을 어떻게 취하고 있는가를 살펴

보기 위해, 따로 이슈의 분포와 전략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실제 분석에서 이슈와

전략이 분리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12) 우리의 과제라는 이름 하에 여연의 역할이 일반

적으로 명시되는 경우가 많아서, 이슈의 차원과 전략의 차원은 분리하여 분석이 가능한

경우에 한하였다.

① 이슈의 분포 :

이슈의 분포에 대한 분석은, 운동환경 변화가 사회운동조직이 제기하는 이슈의 비중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각 시기별로 여연이 중심적으로 제기한 이

슈가 어떤 것들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연이 주되게 제기하는 이슈들의 분포에서는 어

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민주여성』과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에 실려있는

각 글이 어떤 이슈를 다루고 있는지를 총 12개 유목으로 분류하였다. 분석유목은, 여연이

1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만든 <민주여성 - 주제별 찾아보기> 색인에서 사용한 유목을

12) 예컨대, 선거 에 대한 사회운동조직의 대응은 이슈 인 동시에 전략 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 21 -

Page 2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약간의 보완을 거쳐 사용하였다. 자료발간주체가 만든 내용별 유목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의 타당성이 담보된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구체적으로 사용된 분석유목은 다음과 같다.

1. 정치세력화 / 2. 학교급식, 보육 / 3. 모성보호, 건강 / 4. 주부, 환경 / 5. 통일, 평화 / 6. 여성인권,

성폭력 / 7. 노동, 여성노동 / 8. 군 위안부 / 9. 민주화 / 10. 여성운동 / 11. 국제연대 / 12. 기타

이러한 분석유목을 따라 분류되어 있는 글을 연구자가 다시 확인하는 형식으로 이슈의

분포를 검토하였다. 『민주여성』의 색인과 연구자의 분류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판

단하였고, 이미 분류된 것을 확인하는 형식을 취하였으므로 따로 신뢰도 검사는 하지 않았

다.

② 전략의 구성 :

사회운동조직의 전략(strategy)은 무언가를 만들거나 하기 위해, 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method) 이라 정의될 수 있다. 즉, 전략은 사회운동의 공표된, 주요한 목

적을 획득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행해지는 행위와 관련된 개념이며, 계획(plan), 案(scheme),

기획(project) 등이 전략과 유사한 의미를 내포하는 단어들이다. 그간의 사회운동 연구자들

은, 갈등상황에서 목표를 전략화하는 세가지 수준의 사고, 즉 정책(policy), 전략(strategy),

전술(tactics)을 모두 전략으로 개념화하여 사용해왔다(Lofland, 1996: 257-259).

전략은, 여연의 활동일지 13)를 자료로 하여 분석되었다. 분석유목은 민영(1997)이 사용

한 유목을, 여연의 활동내역에 관한 시안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활동

내용은 위의 이슈 분석에서 다루어졌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전략은 활동형식에 초점을 두

어 분석하였다. 활동일지에 나타난 여연의 활동을 형식별로 분류하는 것은, 언론정보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에 있는 1인이 분류한 것을 연구자가 다시 확인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활동

형식을 분류하는 것은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따로 신뢰도 검사

는 하지 않았고, 드물지만 분류가 다소 애매한 경우는 연구자의 판단에 따랐다.

13. 여연의 활동일지는 89년 1월부터 작성되었다. 다행히, 87년 2월부터 8월까지의

활동내역은 간략하게나마 『민주여성』의 본문에 언급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를

전략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87년 9월부터 88년 12월의 활동 자료는 결

여되어 있다. 또한,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10호가 분석대상에서 빠진 관계로

95년 10월부터 96년 1월까지의 활동자료 역시 제외되었다.

- 22 -

Page 2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4 장 제 1기 (1987-1992):

운동환경과 한국여성단체연합의 프레임 구성

제 1 절 정치적 개방과 사회운동산업의 성장 (1987- 1989)

1 . 절차 적 민주성의 확보와 정 치적 공간의 확장

1.1 노태우 정부의 성립과 자유화 조치

1987년 6월 항쟁을 계기로 등장한 노태우 정부는 선거를 통해 집권하였기 때문에, 과거

전두환 정부에 비해 일정한 정치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노태우 정부는 연성군부정권

으로서의 형식적 변화를 도모, 이전 시기의 권위주의적 통치방식에 일정정도 변화를 도입하

여 억압적인 방식보다는 정치력에 의존하는 방식을 구사한다(조희연, 1998a). 사회 각 부문

의 운동조직들에게 열려진 공간으로 작용했던 노태우 정부 초기의 자유화 조치는 무엇보다

도 노동부문에 있어서 1987년 11월 공표 시행된 일련의 노동관계법 개정으로부터 광주사태

에 대한 민주화 운동이란 규정과 해결책·치유방안 제시, 해직교사의 사면복권안 제시, 시

국사범에 대한 부분적 사면, 교수 재임용제 폐지, 대학총장 직선제 허용 등에 이어 7·7선

언에 의한 통일논의 개방 등으로 나타났다(조대엽, 1995). 기본적으로 이러한 조치는 사회운

동진영의 요구를 어느 정도 수용한 것임과 동시에 사회운동조직들이 활동할 수 있는 영역

을 확장하여, 사회운동진영에 유리한 기회구조를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

상이 사회운동조직들에게 반드시 유리한 방향으로만 작용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데, 기본

적으로 통제의 완화가 사회운동조직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넓히지만, 자유화 조치가 정

권에 통치상의 이니셔티브를 부여하여 사회운동진영의 입지를 좁힐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

다. 이러한 양면적 가능성은, 민주화운동 속에서 태동한 모든 사회운동조직들이 맞닥뜨린

것이며, 여연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었을 것이다. 특히, 6공화국의 성립에 대하여 범민주세

력의 실책으로 정권교체의 절호의 기회를 놓쳤다(이미경, 1998:25)는 비판이 제기되었으므로

정권타도라는 구호의 명분은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

1.2 1988년 총선을 통한 여소야대 국회의 성립

- 23 -

Page 3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그러나 1988년 4.26총선을 통한 여소야대 국회의 성립은 노태우 정부의 주어진 통치상

의 이니셔티브를 약화시키고 더 높은 단계의 민주화를 유도하는 기초가 된다. 이 여소야대

의회구조야말로 6공화국 하에서 저항운동이 활성화된 계기이자 김영삼 정부 성립의 계기이

기도 하다. 이 구조는 군부독재의 재집권을 통하여 강화된 통치헤게모니를 결정적으로 약화

시켰으며, 오히려 야당이 이니셔티브를 갖는 상태를 창출하였던 것이다(조희연, 1998a). 이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화 운동에 참가했던 재야인사들도 몇몇 국회의원이 되었는데, 이때,

여연의 부회장이었던 박영숙 씨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따라서, 여소야대 국회는 여연

이 가족법 개정,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영유아보육법 제정 등 법제화 운동을 펼쳐나갈 수

있게 하는 정치적 기회구조를 형성했다고 할 수 있다(이미경, 1998: 25-26).

한편, 여소야대 구도의 성립이라는 요인 이외에, 노태우 정부의 정치적 불안정을 촉발하

고, 다음 단계의 민주화를 위한 대중적·운동적 조건을 창출한 요인으로는 노태우 정부가

추진한 개혁 속에서 보인 불철저성과 5공화국과의 비단절성이 대중에게 널리 인식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소야대 구조에서 야당의 공세로 열린 광주청문회와 5공

비리청문회는 6공화국이 가진 5공화국과의 동질성을 드러내었고 국민의 정치의식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또한 정치적 통치세력인 군부의 입지가 결정적으로 축소된 상황이었다

(조희연, 1998a). 이러한 국면은 6월 항쟁에 참가했던 다양한 민주화운동단체들이 6월 항쟁

의 성과를 모아, 조직을 정비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회구조를 형성하였다. 시민사회 영역

이 급격히 확장될 수 있게 된 것이다.

2 . 사회 운동산업의 미분 화와 민중운동의 성 장

2.1 통일운동과 노동운동의 분리와 분출

1987년 민주화 선언으로 그간 억압되었던 사회 운동의 합법적 공간이 확대되면서 노동

운동이 우선 분출되었다(<표 4-1>참조). 1987년 7-9월에 벌어진 노동자들의 자연발생적인 대

중파업은 형식적 민주화 조치를 넘어서고자 하는 근로대중의 요구를 집약한 것이었다. 이

노동자 대투쟁의 전개로 산업세계에서 조직노동자들의 파업불가라는 금기가 깨어지고 노동

운동은 사회 안에서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허상수, 1997 : 271).

- 24 -

Page 3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표 4-1: 쟁의 건수의 추이 (1980-1992) >

연도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쟁의건수 206 186 88 98 114 265 276 3,749 1,827 1,616 322 234 235

* 노중기(1997: 186에서 수정 재인용)

이어진 개정 조합법의 공포로(1987년 11월 28일) 자유로운 노조 설립이 보장되고, 노조

의 자율성이 증대되면서 전체 노조 수와 조직률이 크게 증가하고, 생산직 외의 다양한 업

종, 즉 언론, 사무 금융, 교육, 병원, 전문기술직, 출판업 등에서 노조가 결성되었다(정진성,

1997; <표 4-2> 참조).

< 표 4-2: 노동조합원 및 노조조직률 추이 >

연도 노동자 수 노조수 조직률

1985

1986

1987

1988

1989

1,004,398

1,035,890

1,267,457

1,707,456

1,932,415

2,534

2,658

4,086

6,142

7,861

15.7

15.5

17.3

22.0

23.4

*한국노동연구원, 1993 : 조대엽, 1995:133에서 재인용

한편 통일운동 역시 민주화의 달성 이후에 노동운동과 분리되어 독자적인 사회운동으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김경일·이창걸, 1997 : 338-340).

2.2 재야 운동의 조직정비: 전민련 발족

노태우 정권 초기의 자유화 조치와 1988년의 여소야대 국면은 민중운동단체들이 조직을

정비하여 전국단위의 농민단체, 노동자단체, 빈민단체들을 결성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되

었다. 1988년 11월, <전국농민운동연합>이라는 최대의 농민운동조직이 발족하였고, 교육부

문에 있어서도 1989년 5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결성된다.

각 분야의 운동단체들의 조직정비와 확대가 이루어지자, 민주단체를 총결집하는 전국민

- 25 -

Page 3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이 결성되었다(1989년 1월). 여연은 전민련 가입을 놓고 심각한 내부

토론이 있었지만, 결국 다수결로 전민련 가입을 결정하였고, 1991년까지 전민련의 회원단체

로 활동하였다(이미경, 1997: 26).

2.3 여성운동진영: 관변여성단체들과 진보적여성단체들의 양극화

이 시기 여성운동산업은 양극화 형태로 특징지워진다고 말할 수 있다. 여성단체협의회

(여협 ; 59.12)와 YWCA(22.4), 여성유권자연맹, 가정법률상담소 등을 중심으로 하는 관변여

성단체들과의 차별성을 선언하면서, 소위, 진보적 여성운동단체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이

다. 양쪽 진영 사이의 교류는 1시기에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14)

여협은 가족법 개정운동과 전국여성대회 등의 활동을 하면서, 어느 정도 여성운동에 공

헌한 바가 있고, YWCA 역시 많은 지부를 가지고 <일하는 여성의 집>을 운영하면서, 여성

직업훈련에 일정정도 기여했으나, 엘리트주의적이고, 친정부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들과 질적 차별성을 선언하고 진보적 여성운동을 표방하면서 새롭게 설립된 대표적

인 여성단체로는, 한국여성단체연합(87.2), 한국여성노동자회(87년 ; 1992년 한국여성노동자

협의회로 발전), 한국여성민우회(87.9),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89.12) 등이 있으며, 여연은 또

하나의 문화(84년), 한국여성의 전화(83.6) 등의 중요여성단체를 포괄하고 있었다.

3 . 소결 : 정치적 공간의 확장 과 사회운동산업 의 구심력적 심화

노태우 정부 초기의 자유화조치와 이어진 여소야대 국회의 성립에 기반하여 확장된 정

치적 공간은 사회운동 진영 모두에게 있어서, 그간의 성과를 집약하여 각 분야, 부문의 전

14) 여협, 여성유권자연맹, YWCA, 가정법률상담소 ... 소위 관변여성단체라고 이야

기하던 조직들이 있는데... 정권에 복무하고 여성들의 문제에 대해 제대로 대처

못했다, 질질 끌었다... 그런데 여기에 대해서는 평가가 다를 수 있어요. 와이나

이런 여성단체 중에서 큰 단체들은 대중적으로 발이 있어요. 이런 데는 정부로부

터 돈 받아가지고 <일하는 여성의 집>이런 거 해서 확장을 했잖아요. 직업훈련

측면에서 그 사람들이 한 게 있고.... 여협 같은 경우도 역시 돈 받아가지고 한국

여성대회 같은 거 치루고.... 그런데, 대부분 명망가 여성 중심의 운동이고 여성문

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의지가 별로 없다고 생각을 한 거죠. 진보적 여성운동이

그런 걸 극복하면서 떴다 그러는데 사실은 인정해줄 만한 것들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사실은 인정해 줄 만한 것들이 있다는 것을 잘 모르기도 했다, 우리 쪽에

서. 나중에 보니까 그렇더라구요...(여성운동가 인터뷰 중)

- 26 -

Page 3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국적 대중조직을 결성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기회구조를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불완전하나마 절차적 민주성이 확보된 것은 정권타도 구호의 명분을 감소시키고

사회운동이 제도적으로 포섭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도 했다.

사회운동진영은 확장된 정치적 기회에 걸맞게 조직정비를 해 나갔고, 재야운동을 통합

하는 전민련이라는 단체의 결성으로 나아갔다. 물론 확장된 제도적 공간으로 민주화 운동세

력이 일부 진출하기도 하였다. 여성운동은 진보적 여성운동과 관변여성단체로 양극화되어

있었고, 따라서 진보적 여성운동 역시 응집력이 강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결국, 이 시

기의 사회운동산업은 구심력적 심화의 상태로 특징지울 수 있겠다.

제 2 절 프레임 연결을 통한 한국여성단체연합의 프레임 정립(1987- 1989)

1 . 상황 에 대한 인식 : 개량국 면

초기 여연의 프레임에서 드러난 상황인식은 맑스주의에 기반하고 있었다. 세계자본주

의, 제국주의라는 틀 속에서 한국사회의 성격을 바라보고 있으며, 민주주의의 실현이란

계급투쟁의 합법적 보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1시기의 객관적 조건에 대한 여연의 지배적인 인식은 당시 상황을 개량국면으

로 파악하는 것이었다. 노태우 정부는 전두환 정부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은 비자주적인

군부독재정권으로 인식되었다. 즉, 노태우 정부가 직접선거를 통해 등장한 것은 형식적인

변화에 불과하며, 실질적인 민주화는 요원하다는 것이었다.

....노정권은 제 5공화국과의 연계 때문에 자신이 감수해야 할 불이익을 최대한 줄이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도 형식적인 변화는 필수적이다. 그리고 실질적인 변화의 내용은

점진적인 개혁 약속과 언론조작으로 전두환과의 파워게임이 마치 민주화 의지의 반증

인 것처럼 이용하고 있다.....그러나 강압적 통치방식의 탈피와 민주주의의 실현이란 사

회 각 계급, 각 계층이 자신의 목소리를 가지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가

공정하게 주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계급투쟁의 합법적 보장을 의미하는 것이

다............

그러나, 현재 우리 사회는 세계자본주의 체제 속에 철저하게 편입되어 있다.... 제국주의

자본에 구조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한국의 자본으로서는 제국주의에게 이윤의 일부를 넘

겨주어야 하고 그만큼 한국노동자들로부터 초과착취를 해내어야만 자기 유지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초과착취를 보장해주는 제도적 장치가 바로 군사파쇼체제이며, 따라

서 한국의 현단계 자본주의하에서 군사-파쇼 체제는 필수불가결할 수 밖에 없는 것이

- 27 -

Page 3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된다. 그러므로 현 노정권은 실질적인 정치민주화나 기층민중의 생존권을 신장시킬 수

있는 어떤 조치도 취할 수가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

즉 개량국면이라는 것은 미국-군부독재-매판자본이 위기 관리 정책으로 유화적인 개량

전술을 전면에 내걸어 민중의 일정부분, 특히 중간층을 적극 포섭하고, 전투적인 투쟁에

대해서는 대대적인 탄압을 가하는 통치방법일 따름이다.....(『민주여성』5호, 1988.6.1)

2 . 정체 성 프레임 : 미분화 된 정체성 , 드러나지 않은 여성

2.1 우리에 대한 정의

㈀ 여성집단: 기층여성 특히 여성노동자

『민주여성』의 창간사는 여성운동의 대상이자 주체인 여성집단은 노동자여성, 농민여

성, 빈민여성 등 이른바 기층여성 이라고 분명히 명시하고 있었다.

....10만원 미만의 저임금, 모성보호는 요구조차 할 수 없는 열악한 근로조건으로 인한

각종 질병, 민주적 노동조합의 건설도 자유롭지 못한 노동 삼권의 부재 속에서 노동여

성들은 시달립니다. 농민여성들은 꼭두새벽부터 힘겨운 농사와 가사일에 허리 펼 시간

없이 일을 하지만, 무분별한 외국 농·축산물 수입과 저농산물 가격정책으로 산더미 같

은 빚에 짓눌려 삽니다. 또한, 민족의 대제전이라 선전되고 있는 88올림픽으로 도시 빈

민 여성들은 생계대책과 잠 잘 자리조차 빼앗기고 있습니다.(『민주여성』창간호,

1987.7.10)

...노동, 농민, 빈민 등 기층여성의 입장을 올바로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민주여

성』3호, 1987.9.10)

기층여성 중에서도, 특히 강조되는 것은 여성노동자 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여연이 맑

스주의적 패러다임 하에서 여성운동을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성해방의 이념과 여성

노동자운동의 이념은 완전히 같은 것이며, 따라서 여성운동의 주도세력은 여성노동자이다.

....... 여성 노동자들은 세계에서 제일 길다는 노동시간보다 더 긴 노동, 기아임금 수준에

도 못 미치는 남성노동자 임금의 49.1%에 달하는 저임금을 받고 있다. 기타 노동조건의

문제, 주택문제, 모성보호 문제, 인권문제 등에서도 여성노동자는 매우 열악한 상태에

처해 있다. .....그러나 그동안 노동운동에서 여성노동자들이 처해 있는 현실은 제대로 폭

로되지도 해결과제로 설정되지도 않았다.... 따라서 여성해방의 이념과 여성노동자 운동

- 28 -

Page 3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의 이념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같은 것이다. 그리고 여성 노동자들의 수와 조

직화의 가능성, 모순의 첨예화가 여성노동자들을 여성운동의 주도세력이 되게 한다.

(『민주여성』6호, 1988.12.20)

이 때 아래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중산층·지식인 중심의 여성운동에 대립되는 것으

로 여성노동자 운동을 놓고 있음에 주목한다면, 중산층과 지식인은 여성운동의 주체에서 암

묵적으로 제외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여성노동자 운동은 분파가 아니라 노동운동을 강화해가고 있으며, 이제까지 중산층·

지식인 중심으로 전개되어 오던 여성운동의 성격변화를 촉발시키고 있다. 이제 여성운

동은 명실공히 이념과 주체면에서 사회변혁운동의 일환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것이

다......(『민주여성』6호, 1988.12.20)

... 그 결과 여성운동의 주도 세력은 중산층 여성이어야 한다는 그릇된 결론에 이르게

된다...이는 80년대 들어 한국 사회 변혁운동의 좌표가 민족 민주운동으로 설정되고, 각

부문의 운동이 질적 발전을 이루게 되면서 다음과 같이 기본관점을 정리하였다...이는

한마디로 민족민주운동의 한 부문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민주여

성』5호, 1988.6.1)

그러나, 여성노동자가 여성해방운동의 주체로 명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노동자

운동의 주체로 노동조합(의 여성부), 노동자 부인, 독자적인 여성노동단체가 꼽히고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노동하는 여성 이 주체라기보다는 일반 노동조합이나 노동자부인이

주체로 꼽히고 있다는 것이다. 즉, 독자적인 여성노동의 문제에 초점을 둔다기보다,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노동문제와 여성노동의 문제를 같은 것으로 보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실천주체(조직)의 측면에서 여성노동자운동의 범주를 살펴볼 수 있다. 우선 꼽을

수 있는 것이 노동조합이다...노동조합 중에서도 여성부는 여성노동자운동의 기본단위라

할 수 있다.....또 다른 범주로 노동자 부인들의 활동을 들 수 있다..........이와 함께 빠뜨릴

수 없는 것이 여성노동자운동단체이다....(『민주여성』6호, 1988.12.20)

이런 관점에서 여연은, 여성노동운동은 남성노동자와의 문제가 아니라 자본가와의 문

제임을 강조하게 되며, 이러한 강조의 결과 여성노동운동의 특수성은 간과되고, 여성노동운

동과 노동운동은 구분되지 않은 채 남아있었던 것이다. 특히 이 시기는 사회운동산업의 구

심력적 통합성이 매우 강한 시점이었고, 그 흐름에 함께 하지 못했을 때 분파주의라는 비

- 29 -

Page 3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난을 받을 여지가 많았던 만큼, 여성노동자와 남성노동자의 차이는 부각되지 않고, 오직

노동자로서의 동질성만 강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여성노동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노동운동을 분열시킬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

다. 이는 여성노동자 문제가 남성노동자와의 문제가 아니라 자본가와의 문제라는 것을

바로 보지 못한 데서 생긴 오류이다....... 둘째, 여성문제는 노동문제가 해결되면 자연적

으로 해결될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것은 운동을 주체들의 변화과정, 발전과정으로 보

지 않고 성과주의적으로 보는 데서 기인하는 오류이다.....여성운동 역시 지배집단의 이

념에 대한 여성민중간의 투쟁이자, 지배집단의 조직에 대한 여성민중 조직 투쟁이다...

즉, 여성에 대한 차별착취를 정당화, 은폐하고 여성을 성의 대상물, 노예로 전락시키려

는 지배집단에 대항하여 여성에 대한 차별착취를 철폐하고 여성의 자주성을 획득하여

남녀간의 평등하고 민주적인 관계를 회복하려는 것이 여성해방의 이념이다. (『민주여

성』6호, 1988.12.20)

따라서 위의 언급을 통해 본다면, 초기 여연의 여성노동문제 규정에는 다소 혼란이 나

타난다고 볼 수 있다. 즉, 남성노동자보다 낮은 저임금, 모성보호와 관련하여 여성노동자에

게만 가해지는 열악한 노동환경 등이 여성노동자운동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하는 근거였지

만, 결국 남성노동과 여성노동은 구분되지 않았던 것이다.15)

㈁ 여성운동: 전체운동의 한 부문운동

한편, 여성운동을 민족민주운동의 부문운동으로 보는 것이 여연의 기본 관점이었다.

.... 80년대 들어 한국 사회 변혁운동의 좌표가 민족 민주운동으로 설정되고, 각 부문의

15) 한편, 1989년 사무직 여성노동운동론이 정립되면서 여성운동(그리고 그것과 등

치되는 여성노동운동)의 중요한 주체로 사무직 여성노동자가 강조되기 시작한다.여성노동자 운동 주체의 부분적인 확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무직 여성노

동자의 여성운동주체화는 그들이 계급적으로 생산직에 근접해가고 있다 는 점에

서 정당성을 획득하기 때문에 여성운동의 주체에 대한 像을 크게 변화시키는 것

은 아니라고 보겠다.여성노동자 운동은 생산직, 사무직 여성노동자, 노동자 부인들이 그 주체이다. 사무직

여성노동자는 같은 사무직 중에서도 최하층을 차지하고 있으며 급여나 근로조건, 의식

면에서 생산직 여성 노동자와의 현상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계급적으로는 생산직에 근

접해가고 있는 추세이다.....즉, 사무직 여성노동자는 생산직 여성노동자와 함께 여성운

동을 이끄는 핵심세력이며 사무직 노동운동의 주체인 것이다......(『민주여성』8호,

1989.9.20)

- 30 -

Page 3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운동이 질적 발전을 이루게 되면서 다음과 같이 기본관점을 정리하였다...이는 한마디로

민족민주운동의 한 부문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민주여성』5호,

1988.6.1)

전체운동의 한 부문운동으로서 여성운동이라는 관점은 아래의 인용에서처럼, 여러 글

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고 있을 만큼 강조되고 있었다. 여성운동의 정당성은 전체운동에

복무하는 것 , 또는 전체운동에 여성들을 동원하는 것에 기반하고 있었다. 성 모순이 민족

모순 계급모순 등 소위 기본모순과 분리될 수 없는 것처럼, 여성운동 역시 전체운동 으

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즉, 여성운동의 독자적인 기반은 존재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올바른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전체운동의 한 부문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이라는 관점

에서 평가가 내려져야 한다고 본다.......다양한 편차가 존재하고 있는 여성운동론을 전체

사회운동의 시각에서 실천적 여성운동론으로 통일, 정립하는 문제이다....... (『민주여

성』3호, 1987.9.10)

사무직 여성노동자 운동의 각 조직들이 실현해 나가야 할 과제를 다시 한 번 정리해 보

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강화의 과제이다......둘째, 여성노동자에게 가해지는 차별의 철

폐이다.......셋째, 사무직 여성노동자운동의 각 실천조직들이 전체 변혁운동의 방향성에

입각해 현재의 실천수준을 제고하고 단결, 연대의 질을 높이는 것이 과제이다......(『민주

여성』8호, 1989.9.20)

이러한 관점에서 여성운동이 규정되면서,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운동이라든가 인신매매

및 향락 산업 근절운동 등 어느 정도 여성의 특수성에 천착할 수밖에 없는 이슈와 관련된

활동은 여성특수과제 해결을 위한 활동 (『민주여성』8호, 1989.9.20)이라 지칭되고 있었다.

즉, 이러한 활동이 여연 본연의 과제라기 보다는 부차적인 것으로서 표상되었던 것이다. 전

체와 부분, 일반성과 특수성의 관계 속에서 여성운동이 태동하였고 유지되었지만, 성모순은

기본모순에, 여성운동은 전체운동에 종속 되는 것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즉, 노동계급 혹은 민중계급 속에서 아직 여성 , 여성문제 , 여성운동은 분리되지 않

은 상태였다. 따라서 여연 자신에 대한 규정 역시, 독자적인 사회운동조직으로서의 독립성

을 강조하기보다는, 민족민주운동이라는 전체운동 속에서 여성운동력을 강화하는, 또는 전

체운동에 여성역량을 동원해내야 하는 역할 속에서 이루어졌다.

- 31 -

Page 3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여성역량을 민주화투쟁 역량으로 조직화해내고 여성대중들의 민주적 제요구를 통일시

켜 내는 작업을 해야한다...(『민주여성』창간호, 1987.7.10)

................... 여연은 민족민주운동에서 여성운동의 구심체로서 여성의 정치의식을 고양하

는 작업과 여성생존권 특히 여성노동자·여성농민의 생존권 투쟁을 지원함으로써 기층

운동력의 강화, 또한 기층여성들이 여성운동력화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민주여성』5호, 1988.6.1)

2.2 그들에 대한 정의: 외세와 군부독재

여성문제의 원인은 모두 비자주적이고 비민주적인 사회구조의 문제로 귀결되었다. 즉,

실질적인 민주주의가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여성문제가 기원하고 있으며, 따라

서, 실질적 민주화를 구현하지 못하게 하는 집단이 곧 여성운동의 적이다. 민주화를 가로막

고 있는 직접적인 대상은 군부독재체제, 더 나아가 군부독재체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이득

을 얻는 외세(미국)이다. 곧 비민주성의 이면에는 비자주성의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

한 비민주, 비자주의 문제는 분단구조에 집약되어 있으므로, 분단의 극복, 곧 통일을 원치

않는 세력이 여성운동의 적으로 지목되는 것이다.

...........반군사독재 전선의 차원을 보다 뛰어넘는 실질적인 민주화의 내용을 채워나가야만

한다. 그렇다면 실질적인 민주화의 내용이란 무엇인가? 이는 우리 사회의 민주화를 가

로막고 있는 근본원인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며, 그것은 바로 민족의 분단과 비자주성

에서 기인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민주여성』5호, 1988.6.1)

..... 이 땅에서 통일을 원치 않는 가장 대표적 세력 중의 하나가 미국이다........아울러 또

한 세력, 이 땅의 매국적 정치가, 즉 군부독재, 독점재벌, 친미적 관료들은 통일을 원치

않고 있다.......첫째. 통일은 한국사회에서 외세의 간섭과 지배를 완전히 청산하여 우리

민족의 자주권을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 남과 북 사이에 대립과 불신을 제거하고 민족

대단결을 이루는 문제이다. 이 두 가지의 과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통일문

제의 근원, 즉 분단의 근본원인이 외세에 있음을 철저히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

여성』6호, 1988.12.20)

현재의 분단상태를 야기하고 유지하는 집단, 즉, 외세(미국), 매판자본, 군부독재가 여성

운동의 적이다. 아래의 인용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지배세력 對 민중세력이라는 분명한

대립구도가 그어진다. 여성운동의 주체는 민중세력이었다. 민중세력으로부터 여성성은 분

- 32 -

Page 3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리되지 않았다.

여성문제의 본질은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차이를 이용하여 지배자가 여성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것으로 규정되며, 한국사회에서는 독재정치집단과 독점재벌들이 민중을 착취

하는 수단으로서 여성에 대한 차별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자본과 외세의 요구를 반

영하는 독재정치집단은 한편으론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를 유포시키고 또 다른 한편으론

여성의 지위 향상 운운하며 여성을 정치적 보수세력으로 묶어놓는다.

따라서 한국에 있어서 여성운동의 적대세력은 독점자본과 독재정치집단 등 지배세력이

며, 여성운동의 주체는 민중세력이다. (『민주여성』5호, 1988.6.1)

즉, 여성운동의 주체는 여타 사회운동의 주체와 다를 것이 없으며, 동시에 여성운동의

적 역시 여타 사회운동의 적과 다를 것이 없다. 즉, 처음에 정립된 여연의 프레임은 분화되

지 않은 정체성 프레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3 . 역할 프 레임 : 전체운동 에 복무 하는 여성운 동

3.1 여성운동의 과제: 실질적 민주화 실현을 위한 사회변혁운동

『민주여성』 창간사에서, 여연은 반외세 투쟁, 민주화투쟁, 생존권확보 투쟁 - 세 가지

를 여성운동의 과제로 명확하게 설정하였고, 여성운동의 궁극적 과제는 실질적 민주주의 실

현을 위한 사회변혁운동이었다.

올바른 여성운동은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획득하는 것만이 목적이 될 수 없습니다. 오

히려 제반여성의 억압현실을 만들어내는 사회구조 자체의 변혁을 목적으로 해야 합니

다.....

...이러한 현실을 타파하기 위해 여성운동은 민족의 자주화를 이룩하기 위한 반외세 투

쟁, 정치적인 억압으로부터 민주주의와 남녀평등을 쟁취하기 위한 민주화 투쟁, 인간답

게 살 권리를 쟁취하려는 생존권 확보 투쟁으로 굳건히 자리를 잡아야 합니다. .....

(『민주여성』창간호, 1987.7.10)

여성노동자운동의 범주를...우선 내용의 측면에서 보면, .... 자주적 단결권·생존권·노동

권 확보 및 인간화와 민주주의의 실현을 들 수 있다....이러한 모든 것들은 사회의 민주

화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노동자 운동은 당연히 정치·경제의

민주화를 포함한 사회전반의 민주주의의 실현을 그 과제로 설정하게 된다....(『민주여

성』6호, 1988.12.20)

- 33 -

Page 4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이 시기 여성문제는 외세와 군부독재로 인해 실질적인 민주화가 실현되지 않은 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민주화 운동의 일환으로서 자주화 운동과 통일 운동

에 여성운동은 함께 해야만 하였다. .

88년 민족민주운동의 가장 중요한 과제가 민족의 자주화와 통일논의의 대중화라 했을

때... 올 해 여성 운동은 민족의 자주화를 위해 여성대중들에 걸맞는 슬로건과 실천과제

들을 발굴하여 공동대응해 나가야만 한다. (『민주여성』5호, 1988.6.1)

.......따라서 통일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는 것이 변혁운동을 추동하는 큰 힘이 된다고 한다

면.... 여성운동은 여성운동 내에서의 통일운동의 과제를 보다 분명히 하고 그를 실행할

수 있는 조직을 해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민주여성』6호, 1988.12.20)

여성의 정치세력화는 사회변혁운동에 여성이 주체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

성의 구체적 현실에 천착하는 일상투쟁이 여성운동의 과제로서 새롭게 명시되고 있으나,

그것이 의미하는 내용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지는 않다.

여성운동은 궁극적으로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이루어내 사회변혁운동에 여성이 주체로

참여하며 이 과정에서 여성들의 요구를 실현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여

성억압의 구체적 현실을 개선해 나가려는 일상 투쟁과 함께 억압의 본질에 대한 폭로와

공적인 정치투쟁을 전개해나가야 한다.(『민주여성』5호,1988.6.1)

요컨대 여성운동의 과제는 민주화의 실현이며, 민주주의 실현은 사회변혁운동에 동참

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사회변혁운동은 생존권투쟁, 민족자주화 투쟁, 조국통일 투쟁 등으

로 제시되고 있다.

3.2 이슈의 분포: 특정 이슈에 대한 집중과 연결 (이슈의 미분화)

이 시기 여연이 무엇을 이야기했는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여연이 제

기한 이슈의 분포를 내용별로 살펴보았다.16) 아래의 <그림 4-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내

용적으로 여연이 제기한 이슈들은 노동과 민주화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당시 여연의 정

16) 이는 <민주여성>에 실린 각 글 을 이슈별로 코딩한 것이므로, 여연의 실제

활동 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34 -

Page 4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는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한편, 여성운동 항목도 매우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두 가지 이유에서 비롯

하는데, 우선, 여연 활동에 대한 평가글 등 거의 매 호마다 등장하는 연례적인 글들이 여성

운동 항목으로 코딩되었기 때문이다. 그에 더하여, 이 시기는 여연의 설립 초기에 해당되므

로, 여타 단체들에 대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명확히 해야 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고, 따라서

여성운동론과 관련된 글들이 다수 존재하였다.

< 그림 4-1: 『민주여성』의 이슈의 내용별 분포(1987-1989) >

<그림 4-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슈의 분포가 노동과 민주화에 편중되어 이루어지

고 있다는 점 이외에, 여타 이슈들도 모두 반독재 민주화와의 연결 하에 프레임되고 있다

는 사실을 언급할 필요가 있겠다. 예를 들어, 위에서 네 번째로 많은 비율을 기록하고 있는

여성인권 항목으로 분류된 글은 총 7건(전체 57건 중)인데, 아래의 <표 4-3>에서 볼 수 있

는 것처럼 문제의 정의, 문제의 원인, 문제의 해결방안 등이 정권, 군사독재, 제국주의 등과

연결 속에서만 프레임되고 있었다(강조된 부분). 사실 성폭력이나 매춘 문제는 여성운동만

이 독자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성별특수성이 가장 강조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런 문제 역시 기본모순과의 연결 속에서만 의미를 획득하였던 것이다.

- 35 -

Page 4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표 4-3: 1시기 여성인권 문제에 대한 프레임의 양상 >17)

글번호 문제/ 사건의 정의 문제의 원인 문제의 해결방안

① 교사의 성추행 부패한 교육교육자치와 교육민주화,

궁극적으로 사회전반의 민주화

매춘=여성이 당하는 억압과 착취

중 가장 극심한 형태

매춘여성=가장 소외되고 억압받

는 계급

남성중심의 이중적 성윤리 자본

주의 모순의 발로 그러나 가장

근본적인 것은 한민족이 당하고

있는 제국주의적 착취

제국주의적 착취 관계를 벗어난

자립경제의 구축, 남북분단의 대

치 상황 극복, 평화적 민족통일을

위한 제반조건 마련

③경찰에 의한 성폭행

공권력에 의한 여성의 희롱

강간범 개인의 비도덕성,

정권의 비도덕성

강간범의 구속

검찰의 공정수사

④경찰에 의한 성폭행

공권력에 의한 여성인권유린

가해자의 비도덕성

사건을 조작, 은폐하는 공권력의

비도덕성

①피해자의 무죄판결, 가해자의

구속수사 ② 정부의 성폭력 근절

에 대한 근본적인 예방책제시

⑤기생관광, 매춘관광 산업에 대한

정부의 비호정부의 매춘관광산업 조장

제주 지역 기생관광과 매매춘 향

락 산업을 추방하는 계몽운동 현

행 윤락행위방지법 개정을 위한

운동

⑥ - 사회구조적인 모순 인식전환과 입법운동

⑦ 경찰관에 의한 강간강간에 대한 잘못된 시각과 군사

독재의 횡포

경찰·검찰에 의해 저질러진 이

사건의 진상과 은폐·조작의 내용

을 사람들에게 폭로

매매음=성을 쾌락의 도구로 사용

하거나 직업이나 영리의 방편으로

이용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매매

음 행위를 조장, 묵인하는 행위=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상실시키

는 행위

정경 유착 등으로 인한 접대문화

의 만연과 정부의 관광정책,경제

성장 불균형과 열악한 근로조건으

로 인한 근로여성의 3차 산업으로

의 유입, 서구 퇴폐문화의 확산,

가부장적 사회의식 등

현행 윤락행위 등 방지법 개정 사

회구조적인 모순을 극복하며 인간

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를 건설해 나가는 노

력을 경주하고 실천

17) 아래의 표에서는 여성인권 항목으로 분류된 7건의 글에 더하여 민족자주화와

여성운동 이라는 특집에 속해있는 [제국주의 성침탈과 여성]이라는 글의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을 추가하여 총 8건의 글을 분석하였다. 각 번호에 해당하

는 글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

① <파주여종교 일부교사의 만행을 규탄한다>

② <제국주의 성침탈과 여성>

③ < 광주전남여성회 - 강간경찰 김봉환 구속되다 >

④ < 대구여성회- 강정순 씨의 진실은 반드시 밝혀져야 >

⑤ <제주여민회- 악덕관광요정업주를 구속하라>

⑥ <전북민주여성회 - 인신매매와 성폭력 근절을 위한 전북공동대책위 결성을 중심으로>

⑦ < 대구 대현1동 파출소 경찰관 강간사건의 의미와 전개 >

⑧ < 윤락행위 등 방지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

- 36 -

Page 4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3.3 전략의 구성

다음으로, 여연이 어떻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해 나갔는가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로 여

연이 사용한 전략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 그림 4-2: 활동일지에 드러난 전략의 양상(1987/ 1989) >18)

* 87년은 2-8월만 해당 (87.9-88.12까지의 활동은 자료부족으로 통계에서 제외되었음)

살펴볼 수 있는 것처럼, 이 시기 여연이 사용한 전략은 그리 다양하다고 할 수 없다. 전

반적으로 볼 때, 집회, 시위 등의 가두투쟁 형식(6)과 성명서 발표(2)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

지하고 있다. 특히 1987년의 경우 집회, 시위 형식의 전략이 31.8%에 달한다. 다음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성명서 발표로 22.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1989년에 들어서는 여연이 사용한 전략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을 관찰

할 수가 있다. 여전히 집회, 시위 등 가두투쟁 형식의 전략(6)과 성명서 발표(2) 등의 활동이

중요하게 사용되고는 있지만, 동시에, 공청회나 토론회 개최 활동(1)이 급증한 것이다. 이는

6공화국 들어 확장된 정치적 공간, 특히 1988년 총선의 여소야대 국회의 성립과 밀접한 관

련이 있다. 특히 1988년 총선에서 여연의 부회장 출신인 박영숙 씨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18) 가로축의 번호에 해당하는 활동양상은 다음과 같다:1. 공청회, 토론회 주최 혹은 참가 2. 성명서, 선언 발표 3. 기자회견 4. 연대회의/연대단체구성 5. 타단체활동지원 6. 집회, 시위, 항의방문 7. 이벤트, 기획행사 8.의견서제출, 면담 9. 정부협의체 간담회 참가, 정부워크샵 10. 서명운동 11. 입법

청원 12. 자료발간, 홍보활동 13. 활동가교육 14. 기타

- 37 -

Page 4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사실은 여연이 여성권익을 위한 법제화 운동을 펼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여

연은 박영숙 의원과 더불어 가족법 개정,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영유아보육법 제정 등의 법

제화 운동을 펼쳐 나갔고(이미경, 1998:26), 새롭게 시작된 여연의 법제화 활동은 1987년에

비해 여연이 사용하는 전략을 다양하게 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시작한 전략의 다양화 양상

은 후반부에 이르면 더욱 뚜렷해진다.

제 3 절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와 사회운동산업의 분화(1989- 1992)

1 . 새로 운 정치적 기회구조 의 출현

1.1 방북사건과 공안정국

그러나, 1989년 일련의 방북 사건들19)은 공안정국을 야기하고, 이는 사회운동부문에 대

한 불리한 기회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탄압국면은 1988년 12월 노태우 대통령의 민생치안

에 관한 특별지시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문목사의 방북은 확대, 강화된 탄압의 구실이 되

었다. 문목사 방북을 계기로 당국은 4월 3일 공안합동수사본부를 설치하였고, 엄청난 시국

관련사범이 양산되었다(조대엽, 1995). 그간 조성되었던 유화국면이 깨어지고 다시 투쟁국면

이 조성된 것이다. 특히, 탄압은 주로 변혁지향적인 민중운동진영에 집중되었다.20)

1.2 3당 합당

3당 합당은, 1기 전반부의 교착국면에서 지배세력이 정치사회 영역의 변동을 통해 새로

운 반전국면으로 전환하려고 한 시도이다. 여소야대 구조에서 야당적 지위에 있던 김영삼의

통일민주당, 김종필의 신민주 공화당이 군부 집권당인 민정당과 결합하여 새롭게 민주자유

당이 탄생한 것이다. 3당 합당은 범(汎) 보수세력 연합을 시도함으로써 여소야대 구조의

모순으로 인한 통치의 비효율성을 극복하는 동시에 지배권력의 재생산을 위한 재집권연합

구축이라는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3당 합당은 그간에 진전된 정치사회 분화를 반영

19) 문익환목사 방북(3.25), 임수경 방북(6.30), 서경원 의원 방북(7.1 수사발표)20) 이 시기 공안정국 하에서 구속된 주요 재야운동단체의 성원에 대한 구체적인 정

리는 조대엽(1995:140)을 참조할 것.

- 38 -

Page 4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하는 것이며, 그러한 분화된 정치사회 영역을 재편함으로써 정치변동의 압박을 흡수하고,

위로부터의 민주화의 기초를 닦은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조희연, 1998a).21) 합당이후 민자

당은 국군조직법개정안과 방송관련법안을 날치기 통과시키고, 금융실명제의 유보, 지방자치

제의 연기 등을 단행하였고, 민중운동진영, 특히 노동운동에 대한 강력한 통제를 행하였다.

3당합당과 이로 인한 보수 정국은 정권의 비민주성을 부각시키며, 사회운동조직끼리 연

대할 수 있는 발판으로서의 기회구조로 기능하는 측면이 있었으나, 기본적으로 이 때 가해

진 강력한 통제는 민중운동진영에게 대단히 불리한 기회구조로 작용하였다고 하겠다.

1.3 사회주의권의 붕괴

1989년 이후 가시화된 소련 및 동유럽 사회주의의 붕괴는 남한 변혁론 논쟁 및 사회구

성체 논쟁에 일대 전환을 가져왔다. 1980년대 한국사회의 변혁론 논쟁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적 인식이 주류화되는 과정이었지만, 현존 사회주의의 붕괴로 인하여 논쟁은 질적으로 다른

지평으로 이동하였던 것이다. 그 의미를 어떻게 평가하건 간에, 동유럽 사태, 특히 1991년

소련의 붕괴는 사회주의에 대한 그간의 인식의 획기적 전환을 요구하였다(조희연, 1998b:

90-91). 민중운동진영이 기반하고 있었던 맑스주의적 패러다임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고,

따라서 현실사회주의의 붕괴는 민중운동진영에 매우 불리한 기회구조로 작용할 수 밖에 없

었다. 마찬가지로, 사회주의권의 붕괴는 맑스주의 여성해방론에 기반하고 있었던(이승희,

1994) 여연을 중심으로 하는 진보적 여성운동권에도 많은 혼란을 가져다 주었다.

2 . 민중 운동의 약화와 시민 운동의 등장

2.1 민중운동진영: 변혁지향적 민중운동의 약화

21) 3당 합당 이후 대선까지의 국면은 그간의 지배연합이 균열되면서 새로운 지배연

합을 향한 권력투쟁과 이합집산이 이루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그간 군부를 정점으로 하여 연합하고 있던 모든 세력이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핵분열 하면서 새로운 지배연합 내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전면적인 투쟁에

돌입하게 되며, 더욱이 3당 합당이라는 것이 지배진영 내에서의 아래로부터의

합의에 의해 추동된 것이라기 보다는 최고위 집단이 밀실에서 합의한 것이었기

때문에 지배진영 내에서도 다차원의 갈등을 유발한다. 3당 합당 후에 생긴 지배

진영 내의 권력투쟁은, ① 합당에서 김영삼이 민자당의 대통령 후보로 결정되던

시기(92.4 ; 민자당경선)까지의 권력투쟁과 ② 대통령 후보 결정 후부터 대통령

선거까지의 권력투쟁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조희연, 1998a).

- 39 -

Page 4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전민련으로 조직정비를 한 재야운동은 통일운동 등 저항운동의 새로운 이슈를 제기하기

시작하였지만, 동시에 1989년 일련의 방북사건으로 촉발된 공안정국 속에서 핵심인사들이

대거 구속되는 등 막대한 타격을 입는다. 대외적으로 동구권 변화에 따른 사회주의 이데올

로기의 무력함에 대한 목격이나, 국내적으로 이러한 분위기를 따른 보수야당을 포함한 제도

정치 전반의 보수화 경향도 공안정국을 뒷받침하는 기제로 이용되었다. 이 때, 공안정국 하

에서 직접적인 탄압의 대상이 된 조직들은 대부분 민족지향적, 민주지향적 조직들로서 권위

주의 국가의 제반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을 시도한 조직들이었다.

또한, 전민련을 통해 조직정비를 한 재야운동은 변화하고 있는 시민사회의 의식에 제대

로 대처해내지는 못했다. 대통령 선거를 통해 정통성의 문제가 일단 제도상으로는 해결됨으

로써 환경, 여성, 분배, 교육, 의료, 인권 등의 문제로 국민들의 관심이 옮겨가고 있었는데도

민주화세력은 이를 포착하지 못하고 있었다(이신행, 1997:155).

3당 합당에 뒤이은 보수정국은 노동운동을 비롯한 민중운동부문을 강력하게 통제하였

고, 그 결과, 노동조합 조직률은 1989년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으며, 어용적 한국노총

에 대항한 민주노조 운동은 일관성을 잃은 채 취약해졌다(김수진, 1995; 정진성, 1997에서

재인용).

학생운동도 참여율이 점차 낮아지기 시작했다. 1991년 시위도중 명지대생 강경대가 사

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분신사태가 뒤를 이었다. 이런 속에서 검찰은 분신자살한 <전민

련> 사회부장 김기설의 죽음과 관련하여 전민련 관계자들이 자살을 방조했다는 수사를 진

행하면서 강기훈을 유서대필 혐의로 구속했다. 이른바 유서대필 공방이 시작된 것이다. 유

서대필공방이 진행 중이던 1991년 6월 3일에 발생한 한국외국어대 학생들의 국무총리 폭행

사건은 학생운동을 약화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중에 전민련(1989년 조직)을 계승, 노동운동·학생 운동 조직 및 빈민, 농민 조

직 등 재야 운동 단체를 통합하려는, 민자당 일당독재 분쇄와 민중기본권쟁취국민연합(국민

연합, 1990년 조직)이 조직되었다. 국민연합의 조직은 저항세력이 3당합당으로 완성된 보수

대연합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3당 합당이라는 기회구조로부터 그 계기를 부여받은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민연합은 조직이 활성화되기 전에 이미 상존하고 있던 내부의 노선상의 갈등

이 표출되었다(일송정 편집부, 1990 ; 조대엽, 1995: 178에서 재인용). 전민련 강화론과 국

민연합강화론의 분열은 변혁지향적 민중운동진영의 급격한 세력약화를 가져왔고, 따라서,

- 40 -

Page 4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전노협과 전교조 등의 부문운동단체들과 전민련 잔류 인사들이 재야운동의 명맥을 이어받

으며 1991년 결성한 민주주의 민족통일 전국연합(전국연합)22)은 과거 전민련 만큼의 구심력

을 발휘할 수는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민중운동진영의 분열은, 혁명적 변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하락과, 형식적 민주주의가 발전되는 한편에서 이루어진 국가 통제력의 재야

운동권에 대한 선별적 탄압이라는 직접적인 요인과 더불어 민중운동진영을 약화시키는 이

유로 기능하였다. 또한, 동구권의 몰락 역시 민중운동의 쇠퇴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2.2 시민운동진영: 온건시민운동의 등장

한편, 시민사회의 의식도 크게 고양되어 이러한 노동운동·민중운동에 지지를 보내는

동시에, 시민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 자생적인 생활운동을 발전시켰다(정진성, 1997). 즉, 1기

후반부의 보수화 경향 속에서도, 이를 새로운 정치적 기회구조로 삼아 새로이 나타나는 사

회운동조직들이 있었던 것이다. 계급경계를 넘어서 있거나, 전문성과 법적·제도적 기제를

적극 활용하여 운동목표를 달성하려는 집단들 - 예컨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89.11), 전

교조운동을 후원하는 <참교육 학부모 회의>(89.9),<참교육 시민모임>(89.12), <노동과 건강

연구회>(88.3) 등 - 은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을 통하여 운동목표들을 확보해 나갔

다(조대엽, 1995). 그 외의 분야에 있어서도,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87.11), <연구전문기

관 노동조합협의회>(88.3), <노동과 건강 연구회>(88.3), <건강사회실현 약사 협의회>(88.4),

<청년치과의사회>(88.6),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88.12) 등이 결성되었다.

즉, 민주화운동을 통하여 군부통치가 약화되면서 시민사회의 자율적인 영역들이 성장하

게 되었고, 그 공간에서 다양한 사회적 목소리가 조직화되었고, 그 결과 온건한 개혁을 요

구하는 주장, 그동안 반군부독재의 목표 속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입장들이 분화, 표출되었

던 것이다. 이에 따라 급진민주운동 뿐만 아니라 온건시민운동이 시민사회 영역에 나타나게

되었다(조희연, 1998a). 시민사회 영역, 나아가 사회운동진영의 분화가 시작된 것이다.

혁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하락과 체제 내적 생활 이슈에 대한 관심의 증폭이라는

22) 전국연합 회원단체 :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노동운동단체

협의회, 전국노동단체연합, 전국민주주의민족통일유가족협의회, 민족자주평화통일

중앙회의, 한국노동운동협의회, 가톨릭노동사목전국협의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맹,전국불교운동연합,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한국민주청년단체연합, 한국기독사회운

동연합(시민의 신문, 1997)

- 41 -

Page 4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1990년대 사회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한 것은 민중운동진영보다 시민운동진영이었다고

보인다. 시민운동이 확대되어 시민이 새로운 운동의 주체로서 부각되면서, 지배적 담론으

로 대치된 것이 이 시기이다(이기호, 1996; 정진성, 1997에서 재인용). 특히 <경실련>은 이

시기, 새롭게 부상하는 사회문제들에 대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며 활발한 활동을 벌여 시

민운동의 대표명사로 자리를 잡았다. <표 4-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경실련은 재벌의 부

동산투기, 수서비리, 페놀오염 사건 등 이 시기에 부상한 이슈들에 대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였고, 세제개혁 , 공명선거실시 , 금융실명제 실시 등 국민들의 공감을 얻어낼 수 있는

이슈를 제기함으로써 주목을 받았다. 또한, 공해추방국민연합(공추련) 역시 낙동강 페놀오염

사건 등과 관련, 환경 이슈에 적극 대처함으로써 새로운 시민운동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표 4-4: 경실련의 주요활동(1990-1992) >

1990.4 금융실명제에 대한 정책 공청회

1990.5 이문옥 감사관 석방과 정경유착 규명촉구를 위한 제 2차 시민대회

1990.6 잡지 『경제정의』 발간

1990.9 <경실련> 소비자 운동본부 본격 업무 시작

1990.9 정부의 세제개혁안과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안제시'라는 주제부평신용협동조합

대강당에서 경실련 노동자 협의회 주관, 공정과세촉구 인천지역 노동자대회

1990.12 ‘불로소득 척결을 위한 세제개혁 촉구 시민대회’

1991.1 무주택 청약 가입자 권익지키기 모임을 주창하며’라는 제목의 수서관련 성명 발표

1991.2 중앙선관위 유권해석에 대한 공선협 입장’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하고 선관위의

지나친 유권해석에 유감을 표명하며 헌법소원을 포함하여 선거법 개정운동 전개방침 표명

1991.3 대구지역페놀오염 사건에 항의, 성명서 발표, 시민대회

1991.6 공명선거 실천활동

1991.10 정책공청회 ‘재벌의 증여상속, 이대로는 안된다’

1991.12 월례정책세미나, ‘금리자유화, 현단계에서 어떻게 해야 하나?

1991.12 쌀시장 개방 반대 캠페인

1992. 3 ‘공명선거 결의의 날' 행사

1992.7 정보사 땅 부정사건 진상규명 및 금융실명제 실시 촉구시민대회’

1992.9- 공명선거캠페인

* 자료 : 경실련 홈페이지(http:/ / www.ccej.or.kr)에서 재구성

그러나, 경실련 역시 문제의 제기방식에 있어서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쇠퇴해

가는 민중운동진영을 대체할 만한 조직으로 기능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조대엽, 1995).

- 42 -

Page 4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2.3 여성운동진영: 운동영역의 확장, 운동지향의 다양화

한국여성단체연합이 전민련의 산하단체였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1989년부

터 1991년까지 여연은 크고 작은 정치투쟁을 전민련의 결정에 따라 함께 수행하였다. 그러

나 이미경(1998: 26)에 따르면, 이 기간 여연의 정치투쟁참여는 형식적이고 소극적이라는 비

판을 받았다. 가두시위 중심의 투쟁에 상층 지도력이 참여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는 것이다.

그러는 한편,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여성운동의 질적인 전환이라고 볼 수 있는 변화

가 1990년대 초까지 집중되어 일어났다. 여성문제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가진 조직들이 설

립, 발전되었는데, 또 하나의 문화 (1984년 설립)가 여성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고, 여성의

전화, 성폭력 상담소의 활동이 활발해졌고, 참교육 학부모회, 학부모연대와 같은 교육운동이

확산되었다. 여성신문이 발행되고, 여성영화제작모임, 여성환경운동단체, 여성교육기관 등이

출현하고, 여성연구회나 연구소들이 생겨나고 대학에 여성학 강의나 학과가 설립되기 시작

하였다. 기존의 단체인 여협과 여연, YWCA 등에서도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였

다. 특히 여성문제를 민족문제와 연결시킨 정신대 운동은 보다 무겁게 사회 속에 여성을

위치지웠다(정진성, 1997). 1990년 11월, <한국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가 결성된 것은, 여성

운동조직들이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쟁점을 추구하면서 발전할 수 있게 된 시작이었다.

즉, 사회의 특히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의 확대에 발맞추어 여성운동진영은 양적으로, 질

적으로 크게 성장하였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다양한 영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운동

하는 다양한 지향을 가진 여성운동단체들로 여성운동산업이 급격히 분화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 표 4-5: 새롭게 설립된 중요여성단체 (1990-1992) >

설립시기 단체명

1990.11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1991.4 한국성폭력상담소

1992.5 여성문화예술기획

1992.7 (한국여성노동자회->)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

3 . 소결 : 새로운 정치적 기회구조의 양면성과 사회운동산업 분화의 시작

공안정국과 3당합당으로 이어진 보수정국과 민중운동에 대한 선별적 탄압, 사회주의권

- 43 -

Page 5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붕괴, 시민사회의 욕구 분화 등은 민중운동진영에게는 대단히 불리한 기회구조로 작용한 반

면, 1990년대의 변화된 환경은 새로이 부상하는 시민운동진영에게는 나름의 입지를 확장시

킬 수 있는 유리한 기회구조로 기능하였다. 이는 민주화운동에 포괄되어 오던 통일운동과

노동운동, 그리고 각 부문운동의 분리, 즉, 국가권력에 맞서 그에 상응하는 강력한 권력을

추구해왔던 거대서사로서의 민주화운동의 종언이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 시

기는 따라서, 사회운동산업의 분화의 맹아가 싹튼 시기라고 하겠다.

따라서, 1990년에서 1992년에 이르는 시기동안 민중운동의 조직공간은 빠른 속도로 축

소되어간 반면, 시민사회의 분화된 욕구에 따라 비정치적 영역의 사회운동조직들은 다소간

의 모양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경실련>, <공추련> 등 분화된 시민적 욕구에 조응

가능한 조직들도 금융실명제 문제, 환경문제 등 현실적 문제를 제기하기는 했으나 그 제기

방식에 있어서는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즉, 구조적 요인이나 시민 의식적 요인들

은 대단히 빠른 속도로 변화 혹은 분화되어간 데 비해 사회운동조직들은 이 시기에 여전히

미분화되어 있어서, 사회운동의 전환기적 정체현상을 보여주었던 것이다(조대엽, 1995).23)

그러나 그 중에서도 여성운동산업의 성장은 두드러졌고, 다양한 방향으로 분화를 시작함으

로써 여성운동진영의 구심이었던 여연의 변화를 유도하는 힘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운동산업의 분화는 시작에 불과한 것이었고, 여전히 전민련을 중심

으로 한 사회운동산업의 구심력적 통합성이 강하게 남아있는 상태였다. 또한, 이 시기 국가

는 대통령 직선제의 확보에 의해 선거제도상의 절차적 민주주의는 이루어졌으나, 여타의 법

적, 제도적 절차 및 그 실행방식은 여전히 권위주의적 관성을 유지하고 있었고, 따라서 이

시기 사회운동의 일반적인 목표는 보다 확대된 절차적 민주주의의 확보와 각 부문에 상존

하고 있는 권위주의적 제도의 민주화였다고 할 수 있다(조대엽, 1995: 172). 특히 공안정국

과 3당합당으로 이어진 보수정국은 민주 對 반민주 구도를 더욱 강화하는 기능을 하였고,

민주화라는 기치 하에 사회운동세력들이 결집해야 하는 당위는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었

다.

따라서 이 시기의 운동환경은, 여연에게 양면적인 가능성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민주화

라는 기치 하의 사회운동산업의 구심력에 여연이 결합해야 한다는 당위 역시 존재하였고,

23) 그러나 이 시기는 다음 시기에 변화된 사회운동의 활성화를 예비하는 모색기이

기도 했는데, 시민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조응할 수 있는 사회운동은 이 시기 동

안에 권위주의적 관성이 한층 배제된 조건을 바탕으로 이후에 확대된 민주적 절

차 및 관행을 활용할 수 있는 조직을 갖추어야만 했고 그러한 조직은 구성원의

직접적 행동을 중심으로 하기보다는 보다 전문화된 조직체계를 통한 제도적 기

제의 활용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다(조대엽, 1995).

- 44 -

Page 5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이에 여연은 전민련의 산하 단체로 가입, 활동하였다. 따라서 여연 역시 전민련에 가해진

타격을 동시에 입을 가능성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의 변화한 환경 속에서 여성

문제에 대한 인식이 급격히 확산된 것은 또한 여연의 입지와 영향력을 확장할 수 있는 유

리한 계기로 기능할 수도 있었다. 또한 확장된 정치공간과 완화된 통제는 여연의 독자적인

과제, 특히 여성권익을 위한 법제화운동을 추진할 수 있는 유리한 기회구조였다.

제 4 절 프레임 균열의 가속화와 프레임 복구 (1990- 1992)

1 . 상황에 대한 이중적 인식 :

민주 對 반민주 구도의 유지와 19 9 0년대 변화한 상황에 대한 인지

90년 초에 민자당이 출범한 이후에 확연하게 드러났듯이 앞으로의 2년간은 현정권의 집

권말기로서 정권측의 의도가 날로 노골화되어 갈 시기이다. 이 시기의 특성상 지배권력

은 내각제 개헌을 통한 장기집권의 구조 마련에 나서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이러

한 정치일정을 강행하고자 하는 지배권력과 이를 저지하고자 하는 민족민주세력의 투쟁

이 대치선을 이루게 된다....(『민주여성』10호, 1990.11.5)

당시 상황은 기본적으로 민주 대 반민주 구도라는 틀 속에서 인식되었다. 이런 틀 속

에서 1992년 대선을 앞둔 이 시기는 권력교체기이며, 따라서 민주 대 반민주라는 대립구

도는 더욱 강조되고, 그 구도로 힘을 집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민주대연합의 과

제는 당시 기회구조에 대한 이러한 이해 속에서 도출된 것이었다.

92- 93년의 정권교체기의 역사적 성격은.... 반민주 대 제민주세력간의 정치적 격돌기로

규정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우리의 과제는 92- 93년도의 권력 교체기에 상대적으로 넓

어진 정치공간 속에서 민족민주진영에게 유리한 정치적 지형을 확보해내고, 민주대연합

의 과제를 통해 민간민주정부 수립의 목표를 어떻게 현실화시켜 나갈 것인가이다......

(『민주여성』12호, 1992.3.20)

한편으로, 1980년대에 비해 변화한 1990년대의 새로운 현실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기 시

작한다. 생활상의 이슈의 등장과 그에 대한 대중의 욕구 등이 그것이다.

90년대는 무차별적으로 누구나 당하는 환경공해나 교육, 교통, 주택, 쓰레기·분뇨 등

생활용수처리, 의료, 탁아, 노인복지, 체육시설…등 재생산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심

- 45 -

Page 5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각한 사회분쟁과 사회갈등으로 등장할 것이다. 이는 사회복지나 생활의 질 을 향상시키

려는 대중의 요구가 증대될 것이기 때문이다...(『민주여성』11호, 1991.6.1)

여연의 상황에 대한 이러한 이중적인 인식, 즉, 초기부터 가지고 있었던 민주 對 반민

주 구도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1990년대의 변화한 상황을 인지하는 것은, 이어지는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에 있어서 생겨난 균열의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2 . 정체 성 프레임의 균열과 복 구

2.1 우리에 대한 정의

1기 후반부의 정체성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전반부의 정체성 - 즉, 기층여성으로서의

여성집단과 부문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이라는 관점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

나 동시에 변화한 운동환경에 따라, 기존의 프레임에 균열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 여성집단의 확장: 기층여성 + 주부

여성운동의 주체를 파악함에 있어서 계급성과 민중성을 강조하는 관점은 여전히 1기

후반부에도 이어지고 있었다.

... 우리 여성들은 우리 사회에서 억압받고 핍박당하는 민중, 그 중에서도 가장 밑바닥에

몰려 있는 계층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달아야 할 것입니다....(『민주여성』9호,

1990.5.20)

그러나, 1990년대의 새로운 상황에 대한 인식 - 즉, 재생산영역24)에 대한 관심이 나타

나기 시작하면서, 여성운동의 주체는 전반부보다 확장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살림살이의 주체인 주부를 여성운동의 주체로 포함시키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주부의 특수성이 강조되는 것은 아니었다. 주부들을 위한 특화된 운동분야가 존재한다기보

다는 주부 역시 남북화해와 분단극복이라는 전체운동의 과제를 위해 나서야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주체의 확장은 기층여성을 여성운동의 주체로 보면서 중산층

24) 재생산 영역이란, 환경공해, 교육, 교통, 주택, 의료, 탁아, 노인복지 등의 영역을

말한다.

- 46 -

Page 5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여성을 여성운동으로부터 배제하였던 이전 프레임의 균열을 가져오게 되었다.

우리 여성들은 현실적으로 각 가정의 살림살이를 담당한 입장이다. 개별가정의 살림살

이는 국가의 국방, 경제, 교육 및 기타 모든 국가정책과 예산 집행의 영향을 받으며 좌

우당하고 있다... 알뜰하게 가계를 지키려는 주부들의 개별적 노력으로는 편안하게 살아

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들은 남북화해와 분단극복을 위해 나라살림을 가정살이

의 입장에서 인식하며 통일을 위한 삶의 자세를 가족적으로 가다듬어 나가야 한다..

(『민주여성』10호, 1990.11.5)

재생산영역이라 불리는 새로운 운동영역이 인지되고, 그로 인해 여성주체의 확장이 나

타나면서 생긴 기존 프레임의 균열은, 아래와 같이 재생산영역과 계급성을 연계함으로서

다시금 보수되었다. 즉, 재생산영역 역시 노동, 농민 계급이 중심이 되어야 할 운동영역이

고, 1990년대의 새로운 문제들은 임금투쟁의 결과를 물거품으로 만드는 것이므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1990년대 부각되기 시작한 재생산 영역의 새로운 문제들은 여성노동자와 여

성농민이 중심이 되어 다른 계층 여성들과 연대함으로써 풀어가야 할 것으로 표상되었다.

...흔히 재생산영역의 대중사업은 중간계층의 주부들이 중심이 되는 사업으로 파악하려

는 경향이 있어왔다. 그러나 현재 사적소비 를 공적소비 로 전환시키려는 요구는 실제

로 노동, 농민 계급에게는 더욱 절실한 문제이다. 임금투쟁을 통해서 임금을 올려도 물

가상승 때문에 전세값, 집값이 오르는 문제, 아이들 교육비 문제, 의료문제, 환경 문제

등은 임금투쟁의 성과를 물거품으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노동운동, 여성농

민운동은 생산현장의 경제투쟁만이 아니라 재생산 영역에서의 제반과제에 여성노동자,

여성농민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도록 하고 다른 계층 여성들과 연대하는 방안을 90년

대에는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민주여성』11호, 1991.6.1)

㈁ 여성운동의 재정의: 계층운동으로서 여성운동

부문운동으로서 여성운동이라는 관점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즉, 여전히 전체변혁운동

의 강화에서 여성운동의 임무가 찾아지는 것이다.

지금이야말로 이 땅의 주인인 우리 민중은 외세에 대응하는 자주적 힘을 발휘하며 통일

을 향한 우리의 요구와 노력을 결집시켜 가야한다. 특히 여성운동의 입장에서 평화통일

을 향한 민족의 화해와 자주성 회복을 위해 우리의 삶의 방향을 재인식하며 조직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과제가 무엇인지 모색해야 할 것이다...(민주여성』10호, 1990.11.5)

- 47 -

Page 5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우리 여성들은...역사를 변혁하는 새 주체로 등장해야 한다. 그동안 키워온 여성운동의

역량을 모아 민주화의 대열 한가운데에 서야한다.(『민주여성』11호, 1991.6.1)

그러나, 1990년대 상황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그로 인한 여성주체의 확장과 더불어 여

성운동의 성격은 재정의된다(redefined). 노동자, 농민, 빈민 여성만을 여성운동의 주체로

규정하면서, 계급성을 강조했던 전 시기에 비해, 새롭게 계층운동으로서 여성운동의 성격

이 제시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는 앞서서 주부가 여성운동의 새로운 주체로 등장하는 것

과도 관련이 있다. 계층운동으로서 여성운동을 바라보게 되면, 여성연대운동 , 즉, 각 계급,

각 부문에 있는 여성의 힘을 결집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한다.

이는 당시의 상황이 민주 대 반민주 구도로 인식되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연대할

수 있는 모든 세력, 힘을 민주세력 쪽으로 모아오는 것이 1992년 대선을 앞둔 운동진영의

과제로 설정되어 있었고, 여연 역시 이러한 과제에 적극 동참했던 것이다.

...... 여성운동은 계층운동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각 계급, 부문의 연대운동이 총

화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여성연대 운동의 발전은 한편으로는 부문여성운동의 발전에

기여하게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의 힘을 결집해 전체 변혁운동을 강화하는데 기여

하게 된다. (『민주여성』10호, 1990.11.5)

따라서 여연은, 당시 상황에서 중요하게 제기된 여성연대운동의 구심점으로 스스로를

규정한다.

여성연대운동의 발전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역할

을 수행하는 여성연대운동의 현재적 구심(틀)은 여연이다...(민주여성』10호, 1990.11.5)

즉,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여연은 계층운동 또는 여성연대운동이라는 여성운동에 대

한 새로운 정의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정의 속에서, 여연의 우리는 전반부에

비해 모호하고 포괄적으로 정의됨으로써, 전반적인 정체성 프레임의 변형을 가져왔다. 그러

나,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생긴 프레임의 균열은, 전체운동의 과제 하에서 전체운동에

복무하는 부문운동 이라는 명제 속에서 수선, 복구되고 있었다. 아래의 인용문들은 이러한

프레임 균열과 수선의 양태를 보다 분명하게 보여준다. 첫 번째 인용은 가족법 개정에 관한

여연의 입장에 대한 글인데, 가족법은 기존질서유지에 기여하는 일반적 의미의 법에서

예외가 아닌 것으로 인식된다. 즉, 수많은 민중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국가보안법, 노동법,

- 48 -

Page 5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교육법 등과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는 가족법이 등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체성과의

연결 속에서만 이슈나 사안이 의미를 획득하는 것이다.

법은 지금까지 어떤 역사, 어느 사회에서나 지배자의 편에 서서 기존의 질서를 유지하

는데 기여해 왔다. 지금도 우리나라에는 국가보안법을 비롯하여, 노동법, 교육법 등 많

은 법들이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을 편들고 가진 것 없는 수많은 민중들의 목소리를 외

면하고 있다..... 가족법 역시 예외는 아니다. 수십년간 우리들의 가족생활을 지배해 왔

던 기존의 가족법은 여성들에게 권리없는 의무만을 일방적으로 강요하고 여성을 경제적

인 무능력자로 취급함으로써 희생적이고 의존적인 여성을 만들어냈다....(민주여성』9호,

1990.5.20)

아래 인용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낙동강 페놀오염 사건을 계기로 새롭게 등장하기 시

작한 주부환경운동에서도 전체성과의 연결은 예외없이 강조되었다.

...주부는 자기 한 몸에 가족의 노동력 재생산과 그를 위한 소비영역의 문제를 모두 포

괄하고 있으므로 한 문제로 출발했다 하더라도 필연적으로 여타문제까지 자기 과제로

삼으면서 영역을 확대해가지 않을 수 없다.... 즉 주부 환경운동은 전체 생활영역 속에서

일관되게 관철되는 자본의 논리를 파악하고 전체운동의 변혁적 관점 속에서 결합되어지

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민주여성』11호, 1991.6.1)

그러나, 계층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규정은, 이 시기 프레임에서 새롭게 여성성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기 시작하는 것과 연관된다. 각 계급, 부문의 여성들이 연대할 수 있는 기반

은, 여성이라는 성별의 공통성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래의 인용에서 볼 수 있

는 것처럼 여성운동의 기반으로서 여성성, 그리고 그에 대립되는 패권주의적이고 공격적인

남성문화에 대한 인식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때 여성성은 반핵평화운

동의 선봉에 서야 할 필요로 연결되고, 그에 대립되는 남성문화, 가부장제가 군사정권과

등치됨으로써, 여성운동은 여전히 전체운동과 연결된 상태로 남아있었다.

패권주의적이고 공격적인 것이 남성문화임에 비해 여성은 근본적으로 생명에 대한 깊은

애착과 동경, 그리고 양육에 깊은 정서를 갖고 있다. .. 이러한 여성의 정서가 유감없이

발휘된 것이 바로 평화운동이었던 것이다... 군사정권 하에서 군사문화와 권위주의의 전

사회적 만연 그 자체가 반 여성적이다. 극단적이고 억압적이고 비 민주적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산실이 바로 군사정권이다....(민주여성』10호, 1990.11.5)

- 49 -

Page 5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이렇게 전체성, 전체운동과의 연결성은 후반기의 프레임을 초기 정립된 프레임의 연장

선 상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또한 이러한 연결성은 후반기에 나타난

프레임 균열을 복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한다. 때문에, 후반기 프레임 속의 여성은 여

전히, 일반운동주체(민중)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2.2 그들에 대한 정의

권력교체기로 규정되었던 당시의 상황은 여성운동의 적을 명확하게 규정하도록 하였고

따라서 민자당으로 대표되는 반민주세력이 여성집단의, 여성운동의 적으로 지목되었다.

... 민중이 주체가 되는 참민주화를 가로막는 세력은 신군부 독재세력만이 아니라, 민중

의 진출, 민족의 통일을 두려워하고 억압하는 국내외의 반민중적, 반민족적 지배세력이

라는 사실입니다....여기에 우리가 함께 확인해야 할 것은 광주문제의 해결이라고 일컬

어지는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광주시민의 명예회복은 5공 세력, 그리고 그 연장선으로

서의 민자당 독재정권에 의해서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입니다....이제 우리는, 우

리 민중들을 가로막고 있는 분단의 장벽, 군부와 외세의 장벽과 마지막 대결지점에 와

있습니다.(『민주여성』9호, 1990.5.20)

그러나, 여성운동의 주체로 여성이 미미하게 모습을 드러낸 것과 같이, 가부장제 역시

여성운동의 새로운 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위와 마찬가지로 계급성, 전체성과의

연결 하에서 프레임 수선이 나타나고 있는데, 아래의 인용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노동통

제 이데올로기로 작용함을 언급함으로써 여성운동과 노동운동(계급운동, 전체운동) 간의 연

계성이 복원되는 양태를 보여주고 있다.

사회적으로 봤을 때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하에서 여성 이라는 성적 측면의 강조는 여

성다움 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환상을 조장하면서 여성다움의 극치로써 치부되고 있는

여성의 모성기능 은 여성자신만이 책임져야 할 부분으로 간과되어 왔다. 또한 산업사회

가 진전되고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이 여성다움 은 노동현장에서

성별분업이데올로기화되어 여성적 일의 가치절하와 함께 전체 노동력을 통제하는 주요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있다....(『민주여성』9호, 1990.5.20)

3 . 역할 프 레임의 균열과 복구

- 50 -

Page 5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3.1 전반부 프레임의 계승: 전체운동과의 연결

역시 부문운동이라는 정체성 속에서, 사회변혁운동에 함께 하는 것이 여성운동의 기본

적인 역할로 이해되고 있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자주, 민주, 통일의 과제를 지속적으로 구

체화시켜 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지금이야말로 이 땅의 주인인 우리 민중은 외세에 대응하는 자주적 힘을 발휘하며 통일

을 향한 우리의 요구와 노력을 결집시켜 가야한다. 특히 여성운동의 입장에서 평화통일

을 향한 민족의 화해와 자주성 회복을 위해 우리의 삶의 방향을 재인식하며 조직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과제가 무엇인지 모색해야 할 것이다...(민주여성』10호, 1990.11.5)

이러한 기본적인 인식 하에서, 1990년대 당면 과제로서 대중적 기반의 확보와 여성운

동의 정치세력화가 명시되었다.

..... 90년대 여성운동에 남겨진 중요한 과제는 첫째, 대중적 기반의 확보이다. 둘째, 여성

운동의 정치세력화이다..... (『민주여성』11호, 1991.6.1)

이 때 정치세력화는 구체적으로는 민자당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기 위한 정치투쟁 (『민

주여성』11호, 1991.6.1)과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고, 대중성 강화 역시 아래의 인용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같은 목적 하에 있다. 즉, 대중성 강화와 정치세력화라는 과제는 1992

년 대선을 앞둔 주체역량의 강화로 집약되고 있었다.

민자당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고 민주화와 변혁운동의 승리를 어떻게 이루어낼 것인가에

대해 우리여성운동도... 그 방향으로 힘을 결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여성운동의 대중적

기반의 확보도 결국은 이러한 방향에서 힘의 결집이라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민주여성』11호, 1991.6.1)

따라서 92년도 한국여성단체연합의 과제로서는, 외적으로는 각 계급, 계층의 여성대중의

가장 구체적이고 민감한 불만이 올라오는 지점에서 선전, 투쟁사업의 지침을 마련하는

것과 자주, 민주, 통일의 과제를 지속적으로 구체화시켜가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제시하

는 것이 될 것이며, 내적으로는 이러한 과제를 실현시켜 나가는 제 과정이 주체역량의

강화와 여성운동 단체간의 조직적 결합력을 제고시키고 조직적 외연을 확대시키는 방향

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될 것이다....(『민주여성』12호, 1992.3.20)

- 51 -

Page 5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그러나, 여연이 주요한 과제로 언급한 대중성 강화는 전반부 역할 프레임의 중심이었

던 선도적인 정치투쟁과 배치되는 측면이 있었다. 대중투쟁은 1992년 대선을 앞둔 민주 대

반민주 구도 속에서 대중들의 지지를 민주세력 쪽으로 결집해야 할 필요로 인해 필연적인

것이었으나,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 정권타도를 구호로 한 정치투쟁과 반드시 일치

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이 시기 프레임에서는 새로운 딜레마, 즉, 정치투쟁과 대중투쟁

사이의 간격이 노출되지 않을 수 없었다.

당면 정세 속에서 투쟁의 이러한 양 측면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거리가

있는 것이 또한 현실이다. 현재 민중의 정치역량이 안고 있는 한계로 인해 정세에 대응

하는 투쟁과 대중투쟁 간에는 부득이한 간격이 발생하는 것이다. 더욱이 여성운동이 당

면한 상황을 타개해가는 한편, 여성대중의 역량을 강화하려 할 때, 부딪히는 정치적 투

쟁과 대중적 요구투쟁 간의 분리는 다른 부문이나 영역에서 발생하는 그것보다 한층 더

크다는 것이 우리의 문제이다....(『민주여성』10호, 1990.11.5)

이러한 간격에 대한 인식은 여연이 스스로의 역할을 이중적으로 규정하는 것과 맞닿아

있다. 이는 생존권 지원투쟁, 노동자의 교육 등에 머물러서 여성문제 를 효과적으로 풀어

가지 못했던 이전의 활동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한 것이며, 동시에 여성운동이 반드시 전체

운동과 일치하는 것은 아님에 대한 자각이 담겨있다. 따라서 여연은 자신의 역할을 두 가

지 축 - 여성권익활동과 생존권투쟁, 민주화투쟁, 조국통일투쟁으로 균등하게 가져가고자

하였다. 즉, 전체운동에 복무하는 동시에, 여성운동의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새로운 딜레마였던 정치투쟁과 대중투쟁 사이의 간격은 둘 다 수행하는 것으로

해결된다. 이는 다소 모순적인데, 이미경(1998: 26)의 지적대로 이 시기 여연의 실제적 정치

활동의 중심은 제도개혁 차원인 법제화 운동임에 반해, 전민련을 통해서는 정권타도를 주장

하는 양면성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양면성은 이 시기가 여연의 프레임 변환을 강제

하는 외부적 힘과 초기에 형성된 프레임의 이데올로기적 경직성이 줄다리기를 하는 과도기

였음을 드러내 준다.

여연의 90년도 활동전망은 90년대에 걸쳐 지속적인 여성권익활동에 대한 전망을 가지고

그 운동의 성과를 축적시켜 나가면서 동시에 여성의 생존권 확보투쟁, 민주화 투쟁, 조

국통일운동의 기틀을 잡아나가는데 주력해 나갈 것이다. .(『민주여성』9호, 1990.5.20)

...기층여성노동자생존권 투쟁사업은 더 강도 깊게 진행되어 나가야 하며, 아울러 앞으로

의 정세 국면에서 야기될 민생문제(물가, 주택, UR 대응 등)에 대한 여성운동내의 세심

- 52 -

Page 5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한 대응이 요구된다 하겠다....(『민주여성』12호, 1992.3.20)

그러나, 대선을 앞두고 민주 대 반민주의 구도가 여전히 유효하였던 1기 후반부의 상

황 속에서, 여연은 여전히 민족민주운동진영의 입장에서 민주대연합의 과제에 복무하는

것을 중요하게 표명하고 있었다. 이는 대선을 앞두고 민주진영의 힘을 결집해야 할 현실적

필요와 더불어, 여연이 전민련의 산하단체로서 전체운동의 부문운동으로서의 입장을 계속

적으로 견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민족민주운동의 내부적 단결과 통일적 대오가 요청되는 시기이다. 이 지점에서 여연

은...선거국면에서 민주대연합의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제 수행에 여성운동이 적극 동참토

록 하며 주요한 정세지형에서 여성운동의 정치적 입장을 모아내고 표명한다....(『민주여

성』12호, 1992.3.20)

정권교체를 가능케 하는 민주대개혁 창출과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민주대연합 구축활동

에 충실히 복무한다.....따라서 92년 대통령 선거에서의 우리의 우선적 목표는 반민자당

전선을 강화함으로써 정권교체를 가능케 하고 민주정부를 수립하는 데 있다....(『민주여

성』13호, 1992.10.23)

3.2 이슈의 분포: 이슈의 확장

한편, 이 시기의 이슈 분포는 전반부에 비해 여연이 제기한 이슈가 많이 다양해졌음을

보여준다. 여전히 민주화와 여성노동 부문에 이슈가 집중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성운동의

이슈영역이 국제연대를 제외한 모든 항목으로 확장되었음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여전

히 여연이 전체운동과의 연관 하에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의

새롭게 변화한 환경에 대응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시작하였음을 보여준다.

- 53 -

Page 6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그림 4-3: 『민주여성』의 이슈의 내용별 분포(1990-1992)>

그러나, 이러한 이슈의 확장은 앞서 언급된 바, 대중적 기반의 확보 , 그리고 그로 인한

정치투쟁력의 강화의 필요에 대한 인식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아래의 인용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 시기 이슈의 확장은 이슈 그 자체의 중요성보다 그것이 대중정치투쟁으

로의 조직화에 기여하는 바를 강조하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 우리는 시급히 대중적 기반을 강화해내지 않으면.....여성들은 여성대중들이 더 분노하

고 참여 못하더라도 지지를 보내는 문제(다소 약한 정치투쟁일 수는 있겠지만)에 대한

정치투쟁의 조직화를 끊임없이 모색해야 한다. ...정치투쟁이라는 개념 자체를 매우 강도

높은 대적 투쟁으로만 한정하지 말고 여성대중과 더불어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투쟁의

과제를 발굴한다는 주체적인 인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민주여성』11호, 1991.6.1)

3.3 전략의 구성: 전략의 다양화

아래의 <그림 4-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성명서, 선언 발표(2)와 집회, 시위 등의 가

두투쟁 방식(6)은 여전히 여연의 중심적인 전략을 구성한다. 그러나, 1989년에 이어 법제화

운동과 관련된 공청회, 토론회 형식(1)역시 여연이 사용하는 전략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하

고 있고, 기자회견(3)이나, 가두투쟁 방식과 구분되는 이벤트 방식의 활동(7)도 다수 나타나

고 있다. 즉, 전략의 구성이 전반부에 비하여 다양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앞서 보았던

이슈의 확장에 대응하는 것으로, 다양화된 이슈에 걸맞는 투쟁방식을 발굴해야 할 필요와,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한 새로운 활동양식에 대한 고민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54 -

Page 6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그림 4-4: 활동일지에 드러난 전략의 양상(1990-1992)25)>

제 5 절 소결: 1시기 운동환경과 프레임 구성

1 . 프레 임 정립 ( 1 9 8 7 - 1 9 8 9 )

1.1 프레임의 정립: 여성운동론의 정립

1기는 여연의 성립 초기이므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이 확립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이 매우 명료하게 드러나고 표현된다. 이러한 프

레임의 확립은, 1기 전반부의 여성운동론 확립을 통해 살펴볼 수가 있다. 여성운동론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우리는 누구인가 ,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답을 제

출하는 것이라 하겠는데, 여연의 설립 초기에는 <표 4-6>과 같은 여성운동론이 정립되었다.

25) 가로축의 번호에 해당하는 활동방식은 다음과 같다:1. 공청회, 토론회 주최 혹은 참가 2. 성명서, 선언 발표 3. 기자회견 4. 연대회의/연대단체구성 5. 타단체활동지원 6. 집회, 시위, 항의방문 7. 이벤트, 기획행사 8.의견서제출, 면담 9. 정부협의체 간담회 참가, 정부워크샵 10. 서명운동 11. 입법

청원 12. 자료발간, 홍보활동 13. 활동가교육 14. 기타

- 55 -

Page 6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표 4-6: 『민주여성』의 특집 제목(1987-1989) >

출처(발행시기) 특집제목

민주여성 5호 (1988.6.1) 민족자주화와 여성운동

민주여성 6호 (1988.12.20) 조국통일운동과 여성운동

민주여성 8호 (1989.9.20) 사무직여성노동운동론

1.2 프레임 연결: 민주화 - 여성해방

1기 전반부에 사회운동진영은, 불완전하나마 확장된 정치적 공간 속에서 조직확대와 정

비를 해 나갔고, 이는 전민련이라는 재야운동의 구심체의 결성으로 나아갔다. 노 정권의

등장은 분명 한국사회의 민주화를 한 단계 올려놓은 계기였지만, 기본적으로 6공화국은 5공

화국의 연장선 상에 있었고 운동진영은 이러한 노정권의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6월 항쟁을 관통하였던 민주 대 반민주 구도는 여전히 유효하였고, 따라서 민주세

력의 단합은 여전히 사회운동진영의 중요한 과제였다. 조대엽(1995)의 지적대로, 1987년 6월

항쟁을 정점으로 6공화국 초기까지 전개된 한국의 사회변동은 체제의 권위주의적인 특성에

대한 시민사회의 욕구와 그 분출, 그리고 그에 의해 확보된 일정정도의 체제 민주화 등으로

특징지어짐으로써 정치적 민주화가 가장 우선적인 과제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또한 6월 항

쟁 이후, 통일운동과 노동운동이 분리되고 여러 분야의 운동단체들이 설립되었지만 이는 사

회운동산업의 분화라고 보기에는 미흡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사회운동산업은 여전히 민주

對 반민주 구도 상에 존재하였고, 구심력적 통합성이 강하게 지배하였다.

조희연(1998b: 13)의 지적처럼 경화된 군부 권위주의 정권은 민중운동의 발전과 확대를

낳게 되고, 그 선도적인 투쟁과정 속에서 급진적인 저항운동세력이 출현하게 되고, 반정부

투쟁이 급진적인 저항운동세력의 투쟁에 의존하게 되면서 저항운동 내부에 자연스럽게 급

진적인 세력이 헤게모니를 갖게 된다. 즉, 급진적 저항운동세력의 헤게모니 하에 다양한

저항운동이 통합화되는 것이다. 노태우 정부가 전두환 정부에 비해 어느 정도의 절차적 민

주성은 확보한 정권이라 하여도, 여전히 군부 권위주의 정권의 연장선 위에 있었고, 사회운

동산업의 구심력적 통합성 역시 강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여연 역시 다른 운동단체와 크게 다르지 않게 당시 상황을 지배세력의 위기관

리전략에 불과한 개량국면으로 인식하면서 자신의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즉, 민주 대 반민

주 구도의 온존과 사회운동산업의 미분화 상태는 여연이 자신의 프레임을 민주화 프레임

- 56 -

Page 6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과의 연관 하에 구성토록 하였던 것이다. 여연의 프레임이 얼마나 민주화 프레임과 긴밀하

게 연결되어 있었는지는 아래의 <표 4-7>에서 볼 수 있다.26)

< 표 4-7: 한국여성대회 주제(1987-1989) >

연도 주제

1987년 민족현실과 여성운동

1988년 여성이여, 민족 자주화의 대열로!

1989년 평등한 삶의 새날을 위하여

따라서 여연이 자신의 프레임을 정립하는데 있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프레임 정렬 전

략은 프레임 연결(frame bridging) 이었다. 프레임 연결은, 운동참여의 필수적인 조건이 되

는 프레임 정렬의 가장 초보적인 형태로서, 특별한 이슈 혹은 문제와 관련하여 두 가지 혹

은 그 이상의, 이데올로기적으로는 부합하지만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들의

연결을 의미한다.

즉, 초기 여연은 민주화 프레임과 여성해방의 문제를 연결함으로써, 자신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민주화 프레임과의 연결성은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 양자에서 모두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정체성 프레임에서 여연은 여성집단을 기층여성으로, '여성운동을 전체운동의 부문

운동으로, 여연 자신을 민족민주운동 안에서의 여성운동의 구심체로 규정함으로써 민주화

프레임과의 연결을 시도하였고, 때문에 여성운동의 적도 '반민주세력'으로 규정되었다.

역할 프레임에서도 마찬가지로 민주화 프레임과의 연결성이 강하게 드러났다. 여성운동

의 과제는 민주화 운동이며, 이 때 민주화는 사회전체의 변혁으로 이해되었다. 이는, 이

시기 여연이 제기한 이슈들의 분포를 통해서도 파악할 수 있지만, 민주화 그 자체를 이슈

로 다루고 있지 않은 글에서도 민주화 프레임과의 연결성은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즉, 거

의 모든 이슈가 민주화라는 명분 속에서 그 정당성을 획득하고 있는 양상을 볼 수가 있는

데, 위에서는 그 한 예로 여성인권 이슈가 민주화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양상을 살펴

보았다.

26) 앞서 언급하였듯이 민족 자주화 운동은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민주화운동의

일환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 57 -

Page 6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즉, 1기 여연의 프레임에서 여성은 민중이라는 일반적인 의미의 운동주체로부터 거의

분리되지 못한 상태였고, 여성운동 역시 민주화 운동으로 통칭되는 전체운동으로부터의

독자성을 갖지 않은 것으로 표상되었다.

이러한 프레임 구성은 상술된 것과 같은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의 형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었다. 특히 권위주의적 정권과 구심력적 통합성 하에 놓여있는 사회운동

산업의 배열은, 여연이 여타 사회운동조직과 분리되지 않는 공통의 주체, 공통의 적, 공

통의 과제와 함께 자신의 프레임을 구축하게 하였다고 할 수 있다.

2 . 프레 임 보존 ( 1 9 9 0 - 1 9 9 2 )

2.1 프레임의 연속성

1기 후반부에 들어서도 전반부 프레임의 기본 틀은 계속 유지되었다. 전반기에 정립된

여연의 프레임은 후반부까지 계속해서 유지되었던 것이다. 즉, 여성운동의 주체에 있어 여

전히 기층여성의 중심성이 강조되고 있었고, 여성운동의 적은 군부독재정권이었으며, 여

성운동과 전체운동과의 연결성 역시 계속 강조되고 있다. 아래의 표는 1기 후반부에 들어서

도 여연이 여전히 노동과 민주화라는 이슈에 집중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 표 4-8: 한국여성대회 주제(1990-1992) >

연도 주제

1990년 평등한 노동·건강한 모성

1991년 평생·평등 노동권 확보를 위하여

1992년 여성의 한 표로 세상을 바꾸자!

게다가 1시기의 후반부는 공안정국, 3당 합당으로 이어진 보수정국으로 인해 오히려 전

반부에 비해 민주 대 반민주 구도가 훨씬 더 강고해진 상황이었다. 공안정국은 강경파 보

수세력이 그동안 진행된 형식적 민주주의 속에서 권위주의를 복원하려는 중대한 정치적 변

화로서, 공안정국 이후부터 1992년 대선까지의 시기는 특별히 이완된 독재라는 표현이 사

용될 만큼 민주화에 대한 반동력이 강했던 시기였다(최장집, 1993: 266-270).

- 58 -

Page 6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즉, 3당 합당으로 인한 지배연합의 결집은 그에 대항하여 저항 세력 역시 결집할 필요

성을 높였고, 그에 더하여 1992년 대선은 운동진영으로 하여금 힘을 결집해 더 높은 단계의

민주화를 이루어내기 위한 당위를 제공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노태우 정권의 한계를

부각시키면서 여전히 민주화를 운동진영의 1차적 과제로 설정하게 하였고, 때문에 여연의

프레임은 1시기 동안 계속해서 일관성을 유지하며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이다.

2.2 프레임 균열의 가속화와 프레임 복구

그러나, 1990년대 들어 여연이 당면한 새로운 환경은 그러한 연속성이 불완전한 것일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즉, 후반부의 보수정국은 민주 對 반민주 구도를 강화시키면서 사회

운동산업 결집의 근거로 이용되었지만 동시에 사회운동에 대한 통제가 매우 강화되었고 그

러한 탄압이 주로 전민련을 중심으로 한 재야민주화운동에 집중되었다는 사실은 전민련 소

속 단체였던 여연에게 매우 불리한 기회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기회구조는 전민련을 중

심으로 한 전체운동과의 연결 속에서 초기 프레임을 구성하였던 여연의 프레임 변화를 유

도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그에 더하여 여성운동산업의 분화, 즉 다양한 지향과 방식을

가진 여성운동단체들의 설립은 여성운동의 연합체, 구심체로 기능해야 했던 여연의 프레임

변화를 결과하였다. 또한 현실 사회주의권의 붕괴는 맑스주의에 기반하고 있었던 여연의 프

레임을 크게 훼손하였고, 시민사회가 확장되면서 새롭게 분출하기 시작한 대중들의 삶의

질에 대한 욕구와 환경 등 새로운 이슈의 등장 역시 여연의 프레임 변화를 강제하는 요인

이었다.

결국, 후반부의 운동환경의 변화, 즉 1990년대의 새로운 환경에 대처해야 할 필요성과

전민련을 중심으로 한 재야민중운동진영의 약화는 여성운동과 전체운동 사이의 연결성을

약화시키는 이유로 기능하였다. 따라서 1기 후반부로 접어들면서 여연의 프레임 균열이 시

작되었다.

아래의 <표 4-9>는 1기의 후반부에 『민주여성』의 특집으로 어떤 내용이 다루어졌는지

를 보여준다. 초기『민주여성』의 특집이 여연의 기본적인 관점, 즉 일반적인 의미의 여성

운동론을 정립, 표방하였다면, 후반부의 특집은 정립된 관점 하에서 주어진 과제를 보다 잘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고민과,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여연이 설 자리를 모

색하는 글이 주류를 이룬다. 즉, 정리된 입장을 명백히 표명하는 글은 후반부의 『민주여

성』특집 속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새로운 입장을 정리해 내기 위한 모색의 일환으로

- 59 -

Page 6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좌담 형식이 두드러진다(강조된 부분). 이러한 사실은 1기의 후반부가 일종의 과도기였

음을 보여준다. 즉, 기존의 입장과 새로운 외부적 조건에 적응할 필요가 충돌하는 시기였으

며, 동시에 여연의 새로운 입장을 예비하는 시기이기도 했던 것이다.

< 표 4-9: 『민주여성』의 특집 제목(1990-1992) >

출처(발행시기) 특집제목

민주여성 10호 (1990.11.5)1.여연조직력 평가 및 지도력구축방안

2.지방여성단체의 조직유형과 발전전망

민주여성 11호 (1991.6.1)

1.90년대 한국사회와 여성운동의 전망

2.좌담/ 여성운동의 대중성 확보와 정치세

력화 방안을 모색하며

민주여성 12호(1992.3.20) 좌담/ 여성운동과 여성의 정치세력화

민주여성 13호 (1992.10.23)1.어떻게 대선을 맞이할 것인가

2.여성정책안

① 정체성 프레임의 균열과 복구: 여성 의 발견과 프레임 연결의 유지

프레임 균열의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정체성 프레임에 있어 프레임

균열은 여성집단에 주부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루어진 주체의 확장을 통해 발생하며, 이는

여성운동을 계층운동으로 새롭게 정의하게 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재정의(redefinition)는

1990년대 등장한 새로운 문제들에 대처할 필요성과 이 시기부터 시작된 여성운동산업의 분

화에 조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확장과 재정의는 필연적으로 초기에 드러

나지 않았던 성별(gender) 의 문제를 부각되는 결과를 낳는다. 확장된 여성주체가 공유하

는 것은 계급이라기보다는 성별로서의 여성이며, 이에 대립되는 것 역시 가부장제가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체성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여성 이 발견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생긴 프레임의 변형과 균열은 여전히 전체운동 , 기본모순과의 연결성

을 유지함으로써 복구되었다. 여성주체의 확장 속에서도 여전히 기층여성의 중심성은 유지

되며, 새로이 등장한 이슈들은 여전히 전체변혁운동과의 연관 하에서 해석되었다.

② 역할 프레임의 균열과 복구: 양면적 역할의 병렬적 수행

한편, 1시기의 확장된 정치적 공간은 여연이 활동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을 열어주었다.

여성권익을 위한 법제화 운동이 그것이다. 특히 상술한 바, 1988년 총선에서 여연의 부회장

- 60 -

Page 6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출신인 박영숙 씨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사실은 여연의 법제화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된

다. <표 4-10>을 보면, 1988년을 기점으로 법제화 운동이 여연운동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

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강조된 부분).

이러한 활동은 전체운동과의 통일성을 공식적으로 내세우던 여연의 역할 프레임에 균열

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추상적인 수준의 정체성 프레임보다 실제적인 수준에 위치

해 있는 역할 프레임의 경우에 프레임의 균열은 보다 심대하였다. 따라서, 정체성 프레임이

1시기 프레임과의 연장선 상에서 상대적으로 쉽게 복구될 수 있었던 반면, 역할 프레임은

그렇지 못했다.

결국 여연의 역할 프레임은 두 가지 축으로 분리된다. 여연은 자신의 역할을 이중적으

로 규정한다. 즉, 역할 프레임이 한 축은 법제화를 중심으로 한 여성권익운동으로, 다른 한

축은 생존권투쟁, 민주화투쟁, 자주통일투쟁이라는 전체운동에 복무하는 부문운동으로 분

열된 것이다. 이렇게 분리된 두 가지 역할 프레임은 다소 상반되는 입장에 위치한 것으로,

복구가 쉽지 않았다.

그 결과, 후반부 들어 여연은 이러한 양면적 역할을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기본 입

장으로 채택하였고, 이는 절충이라는 프레임 복구 방식이었다. 그러나 상호 모순되는 측면

이 있는 두 가지 프레임의 절충은 임시방편적이고 허약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이는 다음

시기에 이루어질 프레임 변환의 과정을 예비하고 있었다.

1시기 여연의 연혁을 정리한 <표 3-10>은 여연의 역할 프레임이 상술한 두 가지 프레임

으로 분리되어 있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각종 법제 제정운동을 중심으로 한 운동(강조부

분)과 가두투쟁방식을 중심으로 한 전체운동에의 참여가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 표 4-10: 1시기 여연의 주요 연혁 >

< 1987년 >

제3회 한국여성대회 개최

4.13 호헌조치 반대운동,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참가

(6.10 국민대회, 6.18 최루탄 추방대회, 6.26 평화대행진)

'KBS-TV 시청료 거부 범시민운동 여성연합' 구성,

편파·왜곡 보도하는 KBS-TV에 대한 시청료거부 및 범시민 불복종운동 전개

군부종식을 위한 여성유권자대회

민주시민대동제

'여성이 바라는 민주헌법에 대한 우리의 견해' 발표

- 61 -

Page 6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여성노동자를 부당해고한 제일피복 '뱅뱅' 불매운동

대한투자신탁 주소녀씨 결혼퇴직강요에 대한 대책활동

권인숙양 석방환영 및 '86 여성운동인물선정 기념식

< 1988년 >

제4회 한국여성대회 개최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특별위원회 구성 및 개정운동 전개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즈음한 여성유권자선언' 발표

오월 여성대회를 광주전남여성회와 공동개최

광주학살 5공비리 주범 전두환, 이순자 구속 처벌을 위한 투쟁본부 가입 및 연대활동

AIDS추방운동

양담배 추방운동 연대활동

맥스테크사 위장폐업 철회투쟁지원 등 노동자 생존권 대책활동 전개

여연 노동위원회 설치

< 1989년 >

제5회 한국여성대회 개최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운동의 결과로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가족법개정특별위원회 구성 및 가족법개정 여성대회 주최

평화위원회 신설(현재는 통일평화위원회로 개칭) 등

인신매매 및 매춘문제특별위원회 구성

히로히토 조문사절 파견 반대운동

문익환 목사 방북지지 운동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지지운동

피코노동자투쟁 지원

대구 강정순씨 경찰 윤간사건 대책활동

탁아입법 청원

하기수련회(주제 : 민민운동과 여성운동)

< 1990년 >

중점사업 : '모성보호의 해' 선포 / 제6회 한국여성대회 개최

탁아문제특별대책위원회 구성 : 탁아입법 제정활동, 민자당안 날치기통과 규탄대회

9월 여성주간 선포 및 각종 선전, 문화 활동 전개

여성노동자의 고용불안정에 대한 긴급 대토론회

마산 TC전자, 인천 진성전자 등 생존권 대책활동

임수경·김영애 석방촉구 서명운동

- 62 -

Page 6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평화군축을 위한 여성운동의 과제] 정책토론회

1차 범민족대회 참가

파리바 은행 박현옥 부당해고 규탄 궐기대회

강정순 사건 최종판결에서 승소

지역위원회 구성 및 지역여성단체 조직론정립을 위한 워크샾

하기수련회(주제 : 여연의 조직력평가 및 조직력 강화를 위한 방안)

< 1991년 >

중점사업 : '평생·평등 노동권 확보의 해' 선포 / 제7회 한국여성대회 개최

탁아문제특별대책위원회 활동결과로 영유아보육법 제정

평화군축운동과 여성운동 / 북한여성연구 세미나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서울 토론회 참가

조기정년 및 결혼퇴직제에 대한 공청회

지방자치제 특별위원회 구성 및 비례대표제 도입촉구

정책수련회 (주제 : 90년대 진보적 여성운동의 진로 / 전선운동의 의의와 전망)

백골단·전투경찰 해체 및 폭력정권 여성규탄대회

'91 여성주간 선포식 및 모성보호 한마당

김부남사건 대책위원회 참여

걸프전 한국군 파병을 반대하는 어머니 모임 결성 및 홍보활동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가입 및 정신대 대책활동, 신고전화 개설

쌀수입 개방 반대운동

여성평화한마당 개최

< 1992년 >

중점사업 : '성폭력 추방의 해' 선포 / 제8회 한국여성대회 개최

성폭력특별제정추진특별위원회 구성 및 입법청원, 여론화 활동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평양토론회 참가 / 정신대 아리랑 공연

비정규직 여성노동의 실태조사 및 공청회

'14대 여성의회진출 평가와 향후방안' 토론회 (4개 여성단체 공동주최)

주부위원회 구성 및 '주부운동의 현황점검과 발전방향'에 관한 워크샾 (1, 2차)

여성복지 확대와 방위비 삭감을 위한 연대회의 결성 및 공동실천사업

14대 총선 대책활동 전개, '여성의 한표로 세상을 바꾸자' 소책자 발간

'여성운동과 통일운동' 1, 2차 세미나

'92 하기정책수련회 : 전환기의 한국사회와 여성운동의 과제

* 출처: http:/ / www. women21. or. kr 에서 재구성

- 63 -

Page 7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5 장 제 2기(1993-1997):

운동환경과 한국여성단체연합의 프레임 구성

제 1 절 정치적 기회구조의 확장과 사회운동산업의 분화 (1993- 1995)

1 . 정치 적 공간의 확장과 시민 사회의 성장

1.1 김영삼 정권의 성립과 개혁정국

대통령 취임과 함께 시작된 개혁작업의 특성은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보다 투명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작업, 둘째, 군부권위주의의 잔재를

청산하는 작업, 셋째, 헌정사 및 민족사적 정통성을 확립하는 작업으로 요약 가능하다. 첫

번째 개혁은 일체의 정치자금을 받지 않겠다는 대통령의 선언에서부터 공직자들의 재산공

개로 이어지면서 정권의 도덕성 확보에 크게 기여했다. 두 번째 특징은 오랜 군부권위주의

의 잔재를 청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 주변과 대통령 전용시설의 개방, 안가의 철

거, 국가안전기획부와 국군보안사령부의 축소 및 민간사찰중단, 안기부법 개정, 군에 대한

민주화 작업 등이 시도되었다. 세 번째는 새 정부를 4.18, 5.18, 6.10, 부마항쟁 등의 국민적

규모의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 위치지움으로써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한 작업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정부의 태생적 조건의 한계로 인해 전직 대통령과 관련

된 광주 민주화 운동, 12.12사태, 평화의 댐 및 율곡 사업비리 등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그

대로 덮여있었으며, 국가보안법과 노동법의 개폐문제는 논외로 취급되고 있었다. 또한 금융

실명제도 초기의 취지에서 한발짝 물러나 대단히 완화된 형태로 실시되었다(조대엽, 1995)

또한 사회운동조직에 대한 통제도 대폭 완화되었다. 대표적으로, 1994년 1월 7일에 개정

된 사회단체신고에 관한 법률은 이전 시기까지 사회단체에 대한 통제의 기능을 했던 사회

단체등록에 관한 법률을 개정한 것으로 시민운동조직들에게는 그 자율성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첫째, 등록의무제에서 신고제로 전환하였고(제 13조), 둘째, 회원수 50

인 이하의 사회단체에 대해서는 이 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제 2조), 셋째로 사회

단체의 등록대상 관청을 주무관청에서 본부 소재지를 관할하는 서울 특별시, 직할시 시장,

도지사 또는 서울특별시, 직할시·도 교육감 으로 구분하여 신고할 수 있게 하였다(제 3조).

- 64 -

Page 7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넷째로는 주무등록관청의 자의적 해석과 남용으로 시민단체활동의 자율성을 침해할 소지가

많았던 등록취소조항을 삭제했다(동서문제연구원, 1994 ; 조대엽, 1995에서 재인용).

이러한 김영삼 정부 초기의 개혁정국은, 사회운동조직이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공간을

확장시키면서, 사회운동진영, 특히 온건시민운동진영에게 매우 유리한 기회구조를 형성하였

다. 그러나 동시에, 운동진영의 주장을 상당부분 수용한 정부주도의 개혁은, 변혁지향적인

민중운동진영의 입지를 현저하게 약화시키는 기회구조로도 기능할 수 있었다.

1.2 UR 협상 타결과 각종 대형사고 발생

그러나 김영삼 정부는, 1993년 말 7여 년 동안 끌어온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이 타결됨

에 따라 그 책임에 대한 대대적인 시민적 저항에 부딪히게 되었다. 더구나 농업부문은 다른

산업들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국민의 생존권에 직결된 식량 자원에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파급효과는 급속히 확대되었다. 따라서 우루과이 라운드 타결과 그로 인

한 농업위기는 민중운동과 시민운동, 어느 쪽을 막론하고 저항적 운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치적 기회구조로 기능할 수 있었다(조대엽, 1995).

또한 이 시기는 그 어느 때보다 대형사고가 빈발했던 시기이다. 1994년의 제주공항 대

한항공기화재(8월), 성수대교붕괴사고(10월), 아현동도시가스폭발사고(12월) 등에 이어 1995

년에는 대구 도시가스 폭발 사건(4월), 삼풍백화점 붕괴참사(6월)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건

들은 사회문제로 비화되어 정부에 대한 비판을 고조시켰고, 시민운동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를 구성하였다.

1.3 지배연합의 분열과 지자체 선거

1994년 11월 대통령이 아펙 정상회담에 다녀온 이후 김종필 퇴진작업이 본격화되었다.

이에 1995년 2월, 김종필이 민자당을 탈당하고 자민련을 창당하는데, 이 시기는 각종 대형

사고로 김영삼 정부에 대한 비판적 정서가 전 국민적으로 확산되어 있었던 상태였다. 이후

실시된 1995년 지자체 선거는 김영삼 정부의 정치적 기반이 붕괴했음을 여실히 보여주었고,

또 김영삼 정부를 탄생시킨 3당 합당 구도가 내적으로 심대하게 균열되었음을 확인시켰다.

이 선거에서는 민자당에서 이탈한 김종필이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자기 기반을 확인하였고,

야당인 민주당이 수도권을 석권하는 등 역시 자기 기반을 확고히 하였으며, 반대로 집권당

- 65 -

Page 7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인 신한국당은 참패하였다.

지자체 선거가 민주주의 이행 과정에 대해 갖는 구조적인 의미는 김영삼 정부를 가능하

게 하였던 3당 합당 구도가 실질적으로 해체되고, 3당 합당 이전 구도로 정치구도가 재편성

되었다는 것이다. 즉, 김종필이 자신의 기반을 확인하게 되었고, 민주당 약진을 배경으로 김

대중이 1995년 7월, 정계복귀를 선언하였다. 즉, 1995년 6월의 지자체 선거는 김영삼 정부

시기의 정치변동에서 중요한 분기점으로서, 이 선거를 기점으로 3당 합당 구조가 균열됨으

로써 정치사회의 기본 경쟁구도가 3당 합당 이전의 지역주의적 경쟁 구조로 환원되었고,

1997년 대선을 향한 출발점적인 경쟁이 이 구도 안에서 새롭게 시작되었다(조희연, 1998a).

이러한 지배연합의 분열은 운동진영에게 새로운 기회구조로 기능할 수 있었는데, 특히

지자체 선거는 모든 선거가 그러하듯이 사회운동진영이 자신의 입지를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하는 기회로서 존재하였다.

1.4 북경세계여성대회 개최

한편, 여연에게 있어서 북경세계여성대회는 중요한 기회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1995년

9월 북경에서 열린 유엔세계여성대회는 185개 유엔 회원국 등 각국 정부가 주축이 되어

「2000년대 여성 지위 향상을 위한 행동강령」을 채택하는 등 향후 10년 간의 세계여성정

책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자리였다. 본회의인 정부기구회의에 앞서 열린 NGO포럼에서는

여성의 눈으로 세계를 보자라는 주제 아래 지구촌 여성문제에 대한 다각도의 진단과 정책

대안이 제시되었다. 96개 단체로 결성된 한국여성 NGO위원회는 이 포럼에서 일본군 위안

부 문제와 성희롱 문제 등 두 가지 이슈를 집중적으로 국제 여론에 제기하는 등의 활발한

활동을 하였고, 여연은 이러한 활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2 . 사회 운동산업의 원심 력적 분화

2.1 민중운동진영: 재야운동의 약화와 민중운동의 영역별 분화

김영삼 정부 수립 이후, 정부주도의 개혁은 재야운동을 급격히 위축시키는 계기로 작용

하였다. UR 타결 문제가 사회운동조직들의 결집을 위한, 특히 변혁지향적 사회운동조직들

과 시민적 사회운동조직들을 연대시키는 기회로 작용하게 되기도 하였지만27), 시간이 지남

- 66 -

Page 7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에 따라 수입개방의 당위성이 부각되어 갔고, 농업경제가 전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취약

한 비중 등으로 말미암아 점차 그 열기가 식어들었다(조대엽, 1995).

한편, 변혁지향적 운동의 설자리가 전반적으로 좁아지는 추세와 더불어, 민중운동 진영

내에서도 일정한 기능적 분화가 일어났다. 즉, 주력분야를 명확히 하면서, 새로운 운동단체

들이 분화되어 설립된 것이다. 그에 더하여, 이 시기 사회운동산업에서 일어난 중요한 변화

중 하나가 1995년 11월 11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설립된 것을 들 수 있다.

그간 노동운동의 성과를 집약하고 노동운동역량이 총결집되면서 발족한 민주노총은 상당한

대중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 표 5-1: 새롭게 설립된 중요 민중운동단체 (1993-1995) >

설립시기 단체명

1993년 4월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1993년 10월 주한미군범죄근절을 위한 운동본부

1995년 11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2.2 시민운동진영: 시민운동의 급격한 성장

1993년 문민 정부 출범 이후 한층 넓어진 사회 운동의 합법적 공간은 1980년대 말 이래

축적되기 시작한 시민운동의 확대에 기여하였다. 재야 운동 세력을 흡수한 정부 주도의 개

혁 작업이 진행되면서 재야 운동은 더욱 위축된 데 반해, 정부의 개혁에 한계를 느낀 사람

들에 의한 정치개혁운동이 중요한 사회운동의 형태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정사협이나 참여

연대, 공선협 등의 활동은 정치개혁운동을 중요한 활동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두드러진

활약상을 보여 한국의 대표적인 시민단체로 자리잡게 된 참여민주사회시민연대(참여연대)는

국민각계각층의 자발적인 참여로 국가권력을 감시하고 구체적인 정책과 대안을 제시하며

실천적인 시민운동을 통하여 자유와 정의, 인권과 복지가 바르게 실현되는 참여적 민주사회

를 건설함을 목적으로 하면서, 권력감시운동, 작은 권리찾기운동, 국민생활최저선 확보운동,

27) 농민운동단체들과 <경실련> , <흥사단> , <YWCA> 등 시민운동단체 그리고 <전국연합>을 비롯한 재야운동단체, <한국노총> , <농협> 등 농민, 노동관련 사회

단체들 나아가 여성, 소비자, 종교단체 등을 망라한 166개의 사회운동조직 및 부

문별 사회단체들이 결집하여 1993년 3월 22일에 <우리 쌀 지키기 범국민대책회

의>를 구성하고 적극적인 연대활동에 들어갔다. 1994년 말에 와서 이 연대운동조

직은 <우리 농업지키기 국민운동본부>로 발전하였다.

- 67 -

Page 7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맑은 사회 만들기 운동 등을 벌여나갔다(시민의 신문, 1997).

< 표 5-2: 새롭게 설립된 주요 시민단체 (1993-1995) >

설립시기 단체명

1993년 환경운동연합

배달환경클럽

정의로운사회를위한 시민운동협의회(정사협)1994년 참여민주사회시민연대

한국시민단체협의회

그린스카우트

민주와진보를위한 지식인연대

1995년 인권운동사랑방

부정부패추방시민연합

조대엽(1995)은, 이 시기 새롭게 등장한 사회문제들, 즉 무분별한 성장주의가 빚어낸 대

형사고와 환경오염의 문제들에 대해서 시민운동조직의 체계가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성을 갖추고 있었다고 지적한다. 요컨대 시민운동조직들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운동목표의

수준에 있어서나 조직의 특성에 있어서나 가장 적합한 이슈들을 기회구조로 맞은 셈인데,

<YMCA> 및 <경실련> 등의 기존의 시민운동조직들은 자체 내에 이 시기의 사회문제들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문화된 기구들을 갖추고 있었다. 그에 더하여 이 시기, 시민

적 사회운동조직들은 이러한 과제의 해결에 부합하는 조직의 확대과정을 거쳤고, 1994년에

<참여연대>, <법률소비자연맹>, < 한국인권단체협의회> 등이 생겨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이 시기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한 것은 환경운동진영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93

년의 <환경운동연합>과 <배달환경클럽>(이후 배달녹색연합, 녹색연합으로 개칭)의 결성이

다. 환경련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건설, 산업

구조의 친환경적 개조, 독점과 집중의 사회상황을 분배와 분산의 방향으로 개선 할 것을 목

적으로 하면서, 환경과 관련된 각종 연구조사활동, 국제연대활동, 교육활동, 주민연대활동

등을 수행,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YMCA>, <경실련> 등 기존의 시민운동조직 내에서도

환경문제에 관한 전문적 기구를 설치하고 이 조직들과 연대하여 다양한 영역에 걸친 환경

운동을 벌여나갔다. 또한 이 시기의 환경운동담론의 확산에는 언론28)이 중요하게 기여하였

28) 1992년부터 조선일보 는 쓰레기를 줄입시다 캠페인을 시작하였고, 이어 동아일

보에서는 그린스카우트 운동 을 전개하였다. 이어 조선일보에서는 매연을 줄입시

다 , 샛강을 살리자 라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 가운데 <그린 스카우트> 는 대규

모의 환경운동조직을 구성하는 데 성공하였다.

- 68 -

Page 7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다. 환경운동의 이러한 약진은,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로부터 제기

된 환경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의 증폭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결성된 시민단체들의 연대와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도 출범하게 된다. 바람

직한 사회발전을 위해 시민사회의 활성화와 시민사회단체 상호간의 연대와 협력을 증진시

켜나갈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 1994년 9월 설립된 한국 시민단체 협의회는, 경실련, 환경련

등 주요 시민단체 상당수를 포함하여, 총 43개 단체를 회원단체로 하고 있다.

2.3 여성운동진영: 여성운동의 대중화와 주요단체들의 법인화

이 시기는 페미니즘 담론이 대중적인 확산을 맞은 시기이다. 대학가에서 여성학은 중흥

기를 맞고29), 출판계, 연극계, 영화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페미니즘이 낯설지 않은 용어로

자리잡기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여성사에서 페미니즘 총서가 발간되는 등, 페미니즘을 소

개하고 대중화하려는 노력들이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

페미니즘 담론의 대중화는 여성문화운동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운동의 본격화와 맞물려

있다. 사회 전체적인 탈정치화의 추세와 조응하면서, 여성문화운동은 여성운동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는데, 대표적인 단체가 1992년 5월 설립된 여성문화예술기획(이하 여문기획)이다.

여문기획은 권력지향적이며 획일적인 남성중심주의에 대항해 여성주의 시각에서 대중문화

운동을 전개하면서, 정치사회적 성향만 부각된 여성운동의 영역을 문화 의 차원으로 확장

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경향신문, 1997년 11월 6일자).

1984년 여성운동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며 설립되었던 또 하나의 문화(이하 또문) 역

시 이 시기 여성운동의 대중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발행한 페미

니즘 전문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는 총론에 머물러 있던 여성운동을 각론으로 구체화시

켜왔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일부 내용이 여성드라마의 소재로 각색될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

를 끌었다. 무크지는 매호마다 7천부 이상씩 팔려나갈 정도로 인기를 끌었고, 회원수도 급

속히 증가하였다. 엘리트주의적이라는 비판도 있었지만, 또문이 1990년대 페미니즘 선풍의

기폭제 역할을 해 왔다는 것은 일반적인 평가이다(세계일보, 1994년 10월 15일자).

29) 여성학이 여성인력개발 과 국제연대라는 현실 속에 뛰어드는 제 2의 부흥기를

맞고 있다. 이화여대가 26일 아시아 지역 여성연구 본부인 여성학 센터를 발족하

는데 이어, 연세대가 다음달 3일 동문 재교육까지 맡는 여성연구소를 세운다. 또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는 영문저널 <Asian Women >을 창간, 아시아

각 지역간의 여성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해 발표하기로 했다(조선일보, 1995년 5월 23일자, 「대학가 여성학 중흥열기 」).

- 69 -

Page 7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한편, 이 시기는 여성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여성단체들간의 연대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진 시기이며,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이 있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1994년 8월 여연과 여협이 주축이 되어 할당제도입을 위한 여성연대 가 발족하였으며,

1995년 10월에는 여성민우회가 주축이 되어, 각계인사가 총망라된 고용평등추진본부가 발족

하였다. 또한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지자체 선거를 앞두고 여연이 10대 정책과제를 발표하는

등 여성의 정치세력화와 정책결정과정에 개입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었다. 여연은 1995

년 5월 16일, <지방자치시대의 10대 여성정책과제>로 탁아시설을 늘리고 매맞는 아내를 위

한 보호시설을 늘리는 등의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단체장 및 의원후보들에게 공약으로 내세

울 것을 촉구했다(경향신문 1995년 5월 19일자).

또한, 주요 여성단체들이 법인화된 것이 이 시기이다. 이는, 정부의 사회운동단체들에

대한 통제의 완화, 그리고 OECD가입과 더불어 제 3세계 운동단체들에 대한 외국의 지원이

끊기는 시점과 맞물려 있다. 법인이 되면, 미등록 단체가 대상이 되지 않는 프로젝트를 받

을 수 있다는 점, 대중적으로 공신력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지만, 그와 더

불어 사회단체에 대해 권력이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증가하는 측면도 있다. 이러한 법인화

는 이후 제시될 프레임 분석 결과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 표 5-3: 법인화된 주요 여성단체 >

법인화시기 단체명(설립년도)

1993년 한국성폭력 상담소(91.4)

1995년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92.7)

1995년 한국여성민우회(87.7)

1995년 한국여성단체연합(87.2)

한편, 1993년부터 한국여성노동자대회가 매 해 3월에 열리는 한국여성대회로부터 분리

되어 개최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여성노동운동이 전체여성운동으로부터 분리된 독자적인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기 시작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1994년 2월 동성애운동단체 <친구사

이>가 설립되는 등, 여성운동진영은 다양한 이념과 활동방식을 가진 많은 단체들의, 이른바

백화제방 시기에 들어서게 되었다.

3 . 소결 : 정치적 기회의 확장 과 사회운동산업 의 분화

- 70 -

Page 7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문민정부의 등장이 제공한 확장된 정치적, 조직적 공간, 그리고 새로운 시민사회적 이슈

의 등장은 이 시기를 시민적 범주의, 그리고 체제 내적 도전수위를 가진 사회운동 조직의

실질적 확산기이자 전문화된 그리고 제도화된 행위중심의 사회운동조직의 출현기 (조대엽,

1995)로 특징지을 수 있게 한다. 반면, 문민정부의 성립은 민중운동의 설 자리를 급격히 위

축시켰다. 동시에 민중운동진영에서도 영역별 분화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통일운동과 노동

운동의 분리가 분명해지고, 노동운동의 구심인 민주노총이 설립된 것이다. 즉, 민중운동 전

체의 응집력은 약화된 반면, 분화된 각 영역별로 응집력은 보다 강화된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정치적으로는 문민정부의 수립으로 공통의 적에 대한 공감대가 사라지고, 사회적으로

는 다양한 욕구와 지향들이 분화, 분출되기 시작한 것과 맞물려 있다.

즉, 민주주의 이행에 따른 국가 및 지배의 변화는 사회운동에 새로운 조건을 부여한 것

이다. 저강도 민주주의로의 변화, 군부 파시즘 시대에서 보수적 민간정권 시대로의 이행은

자율적인 정당정치 영역, 시민사회를 확장함으로써 사회운동의 맥락을 변화시킨다. 사회운

동의 변화는 군부 권위주의 정권 타도를 중심으로 집중화되고 통합되던 상황에서 자율적인

- 비록 제한적이지만 - 정당정치영역 및 시민사회의 확장으로 사회운동의 발전이 복합적인

양상을 띠는 것을 의미한다. 정당정치영역의 확장은 한편으로는 제도정치에 의한 사회운동

(혹은 그 이슈들)의 포섭(co-optation)의 효과를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운동의 제도정

치 진입을 위한 공간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시민사회의 확장은 온건한 사회운

동이 출현할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함으로써 사회운동의 다원화(pluralization)를 유도하는 효

과를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계급적 대중운동 자체의 조직적 발전 및 저항운동의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반독재 투쟁을 주도하였던 민주화

운동이나 민중운동의 입장에서 보면 이러한 원심력적 분화의 경향은, 민중운동이 전투성을

견지하면서도 다층적 대응을 통해 민주적 헤게모니를 확립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으면 역

으로 입지가 좁아지는 상황을 가져온 것이다. 즉, 지배의 변화 속에서 민중운동 등 저항적

사회운동은 정당정치영역의 확장에 의한 포섭화의 도전과 시민사회의 확장으로 인한 경쟁

화의 도전에 직면하게 되고, 이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자신의 지위가 결정되게 된

것이다(조희연, 1998b: 13-14).

이는 여연이 전체운동과의 연결성을 유지할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여연의 독자성을 강화

할 수 있게 하는 계기를 구성한다. 한편 여성운동산업의 분화와 페미니즘의 대중적 확산 역

시 여연의 프레임 변화의 압력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여성운동산업의 분화는 여연으로 하

- 71 -

Page 7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여금 다양한 여성운동단체들을 공통으로 끌어안을 수 있는 프레임 개발의 필요성을 야기하

였고, 페미니즘의 대중화는 분출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수렴할 수 있는 프레임을 요구하였던

것이다. 북경여성대회로 대표되는 여성운동의 세계화 추세 역시 기존 프레임의 변화를 야

기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기능하였다.

제 2 절 프레임 변환 을 통한 새로운 프레임의 정립

1 . 상황에 대한 인식 : 민주 對 반민 주 구도 의 해체 와 여성 해방론

의 재정립 필요성 3 0 )

새로이 등장한 김영삼 정권에 대한 여연의 인식은 이중적이다. 즉, 김영삼 정권의 태생

적인 한계를 지적하고 있으면서도, 문민정부가 이전의 정부에 대해 가지는 차별성에 주목

하는 것이다. 문민정부의 등장은 1기에 지속되어 왔던 민주 對 반민주 구도를 해체하면서,

반독재 민주화 투쟁이라는 운동진영 공통의 과제의 당위를 제거하였다. 문민정부가 취하는

조치들은 개량적이며, 형식적인 민주화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민주개혁, 혹은 일

반민주주의 실현이 당면 과제로 제기되고는 있지만, 그 당위성은 현저하게 약화되었다.

지난 대선 이후 등장한 김영삼 새 체제는 적어도 외형적으로는 군사정권의 시대를 마감

하고 절차상으로는 정통성까지 확보해낸 문민정부라는 점에서 과거의 군사독재체제와는

다르게 의사 민주주의와 절차적 민주성을 과시하면서 형식적 민주화에 따른 정치적 효

과를 극대화시킬 것으로 보여진다.....물론 김영삼 체제의 본질적인 성격이 가지고 있는

한계,...에 개혁 의 요건은 기본적 한계를 노정시킬 수밖에 없으리라 보여진다... 이런 기

본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새 정부가 취한 개량적 조치들이 가져오게 될 현상의 변화,...

자체가 종래의 민주 대 반민주 구도로 전선을 형성해내고 반독재 민주화 투쟁으로 집중

화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것으로 보여진다. (『민주여성』14호, 1993.3.29)

이러한 상황은 여성운동에게는 양면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즉, 문민정

부의 등장이 제약인 동시에 가능성이라는 것인데, 그에 따라 정권은 타도의 대상으로부

터 타협 가능한 대상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30) 실제로 민족민주운동과 전선운동의 입장을 가지고 있던 여연의 운동론에 대한

재검토가 1991년, 1992년 여연의 정책 수련회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이미경, 1998: 32).

- 72 -

Page 7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새 정부의 여성정책 기조가 지닌 두 가지 측면, 즉 여타분야보다 개혁적으로 보이는

시책들의 제공, 그로 인해 조성될 상당수 여성들의 기대감은 김영삼 정권 하에서 여성

운동을 제약하는 요소인 한편, 여성운동의 대응 여하에 따라서는 유리한 측면을 조성하

고 있다....(『민주여성』14호, 1993.3.29)

이러한 정세변화는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현실사회주의의 붕괴와 더불어 새롭게 여성

운동론을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새로운 상황 인식에 기반하여 공식적인 프레임

변환이 표명된다. 이는,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 모두에서 전면적인 변화였다.

...이제 우리가 이 시점에서 주부운동을 새롭게 논의해야 되는 이유는 우리가 서 있는

90년대의 세계 현실과 한국의 현실이 우리가 상정했던 변혁론을 재검토할 것을 요구하

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운동도 여성해방의 방향, 운동방식과 운동주체 설정의 문제를 이

념적 실천적 수준에서 재구성해야 할 때이다. 진보적 여성운동의 이념적 기반을 이루었

던 여성해방이론은 여성문제를 해당사회의 기본모순이 성을 매개로 하여 나타나는 것으

로 파악하면서 여성이 받고 있는 차별과 억압의 근본적 해결은 우리 사회의 기본모순을

타파하는 민족민주변혁에 여성들이 성차별 폐지라는 독자적인 문제를 통일적으로 제기

하면서 참여할 때 성취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피해갈 수 없는 이론적 문제가 제

기된 것은 현존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였다....(『민주여성』14호, 1993.3.29)

2 . 정체 성 프레임 변환 : 여성 의 분리와 확장

2.1 우리에 대한 정의

㈀ 여성집단: 여성성의 분리, 여성집단의 확장

새로운 시기에 여성운동의 주체로서 전면에 등장한 것은 전업주부였다. 주부운동론이

새롭게 정립되고, 여성운동의 기반은 여성의 다수를 점하는 주부로 확장된다. 1시기 여연

의 정체성 프레임을 특징짓는 것이 노동자, 농민, 빈민 여성 등 소위 기층여성을 여성운동

의 주체라고 명시하는 기층여성 중심성의 논리였다면, 그에 반해 2시기 정체성 프레임에서

는 여성운동의 주체이자 대상이 되는 여성집단의 범주의 전면적인 확장이 이루어진 것이

다. 특히 2시기 프레임을 1시기 프레임으로부터 구별짓는 것은 여성집단을 규정함에 있어

서 기층여성 중심성이라는 논리가 사라졌다는 사실이다.

- 73 -

Page 8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따라서 여성집단은 보다 모호하고 포괄적인 의미에서 여성일반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때문에, 여성운동은 노동계급, 혹은 민주세력이 아니라 같은 억압체험을 당하고 있는 '같은

문제를 가진 여성끼리 풀어나가는 것으로 구체화된다. 즉, 노동계급, 피지배계급, 민주세력,

민중세력 등에서 분리되지 않고 있었던 여성 이 분리되어 독자성을 획득하였던 것이다.

여성운동은 여성이 주체의식을 가지고 지속적 조직적으로 여성의 삶을 왜곡시키는 현

실과 구조를 극복하고자 하는 운동이라고 할 때 지금까지의 진보적 한국여성운동은 생

산현장에 있는 여성의 조직화에 관심이 집중되어 여성운동의 한 축이 되어야 할 가족

내 노동을 하는 여성(전업주부)의 문제는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다....여성운동의 창조성

과 다양성은 각 여성들이 구체적으로 당하고 있는 억압체험을 같은 문제를 가진 여성

끼리 함께 극복하려는데서 나올 수 있으며 여성운동의 역동성은 인구의 반이 당하고

있는 억압의 폭과 깊이에서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주부운동의 활성화는 우리 여성운동

의 폭과 깊이, 다양성과 창조성을 배가시켜 줄 것이다... (『민주여성』14호, 1993.3.29)

또한 기존의 이슈에 더하여 새로운 생활상의 이슈들이 제기되면서, 여성주체는 보다 복

합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 즉, 새롭게 부상하는 이슈들이 여성운동의 과제로 정립되면서, 각

이슈에 적합한 여성상이 그 때 그 때 이슈에 맞추어 표현되는 것이다. 예컨대 여성운동의

중요한 한 과제로 부상하기 시작한 환경운동의 주체로서 여성은 환경오염의 피해자+생활

의 담당자이며, 지방자치라는 이슈에 관한 여성주체는 지역사회의 주인+생활의 일차적

담당자이다. 특히, 제기하는 이슈들이 거시적인 문제에서 생활상의 미시적인 문제로 수준이

내려오면서, '생활의 담당자'로서 여성주체를 규정하는 관점이 빈번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는, 앞서 본 것처럼 전체여성의 절반을 차지하는 주부를 여성운동세력의 중심으로 부각

시키려는 시도와 연관되어 있었다.

새롭게 나타나기 시작한 포괄적이고 복합적인 여성주체 像은 여성성 , 혹은 여성적인

것을 여성운동의 중심으로 부각시키는 관점으로 이어졌다. 여성운동에서 여성이 전면에

부상하기 시작한 것이다.

여성적인 모든 것이 인류를 구한다 는 말이 있다. 이것은 역사적 경험에서 얻은 가부장

제에 대한 뼈아픈 자성의 평가이며, 미래사회의 자연성 회복과 평화를 갈구하는 인간의

희망은 여성의 생명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하나의 선언이기도 하다...(『민주여성』14

호, 1993.3.29)

㈁ 한국여성단체연합 : 여성의 대변자, 정책의 대안자

- 74 -

Page 8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이렇게 새롭게 여성주체가 정의되면서, 전체운동 속에서 여성운동의 구심체라던 여연

의 자기규정도 새롭게 변화하게 된다. 여연은 더 이상 전체운동과의 관련 속에서 규정되지

않으며, 여성의, 여성을 위한 정책 대변자로 새롭게 자리매김된다. 특히, 대안적 입법 및 정

책 대안자라는 규정은, 문민정부의 등장과 함께, 아래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과거 여성운

동의 적이었던 정부가 연대가능한 대상으로 변화한 것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지난 8년간 여연의 노력은 여연이 여성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대중적인 공신력을 갖

는 단체로 성장하는 성과를 낳았다. 여성권익을 위한 대안적 입법 및 정책 대안자로서

의 확실한 대변자 위치를 확고히 하게 되었다...(『민주여성』18호, 1995.4.15)

2.2 그들에 대한 정의: 남성성의 분리, 가부장제의 부각

여성운동의 적을 규정함에 있어서 1기의 흔적은 남아있다. 자본과 국가 , 선진국 남성

지배자라는 규정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계급주의적 세계관과 제국주의적 세계관이 약화

된 상태로나마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래 인용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처

럼 자본과 국가는 이전 시기에 비해 훨씬 불명확하고 애매한 표현이며, 선진국 남성 지배

자라는 표현처럼 성별에 따른 대립선이 추가되면서 변형되고 있다.

.. 주부들의 운동은 어떤 역할, 어떤 과제를 중심으로 진행하더라도 필연적으로 자본과

국가의 이해관계와 정면으로 마주치게 될 것이다.... 주부들이 담당하는 문제의 본질적

원인제공자는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자본과 국가의 성격에 기인하기 때문이다.(『민주여

성』14호, 1993.3.29)

...환경문제에 대한 책임은 일차적으로 고도의 경제개발로 환경파괴, 자연고갈을 초래하

고 무기산업을 확장하여 전쟁도발을 일삼는 선진국 남성지배자들에게 있다.... 그동안 세

계를 지배해온 남성의 이성과 합리성에 근거를 둔 지식체계 내지 과학적 사고는 고도의

기술발전을 낳아 마침내 공업화와 기계화를 이루어냈지만 그것이 결국 오늘날과 같은

환경위기를 초래했다...(『민주여성』14호, 1993.3.29)

이러한 관점의 변환은 이전의 관점에 대한 반성과 함께 드러나고 있었다. 즉, 남성적 근

대성에 기반한 기계적 맑스주의는 여성운동에게 극복의 대상이 되었다. 과거 구조의 변혁

이 강조되고 있음에 반해, 인식의 전환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었다.

- 75 -

Page 8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지금까지의 노력들은...한계를 드러내고 있는데 그 원인은 지엽적인 방법론보다도 오

히려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과 실천의 잘못에서 온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것은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관점(자연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정복되어

야 할 대상)과 그 위에 선 생산력, 사회적 제관계의 객관적 조건을 바꾸기만 하면 새로

운 인식과 동기를 갖는 인간이 출현할 것이라는 도식화된 이론과 실천이라 할 것이다...

물질적 소유의 확대와 경쟁에서의 승리가 행복의 조건이라는 근대 이래의 신화가 깨뜨

려지지 않는 한, 그 누구도 진정한 자유와 행복으로부터 너무나 먼 거리에 있게 될 것

이다....(『민주여성』15호, 1993.11.3)

이 시기, 두드러지는 것은, 남성성 , 가부장제 등이 여성운동의 적으로 새롭게 언급되

고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여성운동의 주체로 여성 이 부상한 것처럼, 여성운동의

적으로 가부장제가 새롭게 부상하는 것이다.

남성우월주의, 성별 역할이데올로기로 표현되는 가부장제는 여성운동이 타파해야 할 가

장 중요한 적이며, 특히 한국사회의 유교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기 프레임에서도 후반부에 가서 가부장제에 대한 언급은 나타났지만, 2기 프레

임에 드러난 가부장제는 보다 구체적이다.

...우리 사회의 남성우월 사상, 여성 일=가정, 남성일=직업이라는 성별 역할 분업의 관

념이 심하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지방자치 시대 우리는 이러한 전근대적인 관념을 과

감히 깨뜨려야 할 것입니다...(『민주여성』16호, 1994.4.15)

3 . 역할 프 레임 변환

3.1 지향의 전환

전체운동과 여성운동의 과제를 연결 지으려는 시도는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아

래의 인용부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양적으로나 언급의 강도로 보나 그 연결성은 현저히

약화되었다.

새 정부가 내어 놓는 양보를 한층 확장시키고, 여성들에 대한 양보가 여타 민주화 요구

나 생존권적 요구와 분리되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할 때이다.(『민주여성』14

호, 1993.3.29)

- 76 -

Page 8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요컨대 주부운동의 성격은 우리 사회의 정치경제구조를 전여성과 남성들이 인간다운

삶을 만들고자 하는 변혁운동의 한 부분이다....(『민주여성』14호, 1993.3.29)

여성운동의 지향은 전면적인 변환을 겪는다. 1기 자주, 민주, 통일된 사회가 여성운동

이 지향하는 바로 규정되었다면, 변화된 여성운동의 지향은 보다 포괄적이다. 즉, 새로운 문

명, 완전한 패러다임 변화를 추구하는 것인데, 탈집중화된, 생태친화적인 사회 , 곧 여성적

원리가 중심이 되는 사회가 여성운동의 궁극적인 지향이다.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생산력에서 인간중심의, 물량위주의

생산력이 아닌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생산력의 발전이 있어야 하고, 소

유가치에서 존재가치로, 이를 바탕으로 한 생활양식의 변화가 함께 하는 새로운 문명의

창출과 이를 가능케 하는 제도 개혁으로 나가야 한다. (『민주여성』15호, 1993.11.3)

여성자매 여러분, 그리고 남성여러분, 우리는 서로 손에 손을 맞잡고 중앙과 지방의 구

분이 없는 사회, 남성과 여성의 차별이 없는 사회, 어린이, 노인, 장애자, 가난한 자가 차

별받지 않는 사회, 자연과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차게 나아갑시다. (『민주여

성』16호, 1994.4.15)

3.2 대중성 확보와 정치세력화

2기 여연이 중점에 두고 있는 과제는 1기부터 이어지는 대중성 확보와 정치세력화이다.

공식적인 프레임변환이 표명되었으므로 1기 후반부에 드러났던 것 같은 정치투쟁과 대중투

쟁 사이의 딜레마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2기 프레임 속에서 정치세력화가 내포

하고 있는 의미가 1기에 비해 달라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앞서 본 것처럼 1기에 정치세력화

가 의미하는 바가 사회변혁운동에의 참여 , 더 나아가 민자당 장기집권 저지를 위한 정치

투쟁이었고, 그 방식으로 검토되었던 것도 1992년 대선에 운동진영의 목소리를 내기 위한

연합전술이었다면, 2기의 정치세력화는 제도정치를 중심에 두고 있는 것이다.

한편, 대중성 확보를 위한 방법으로 생활영역이슈 개발과 지역여성운동 강화가 제시되

고 있다.

....93년도 한국여성단체연합은 변화하는 주·객관적 상황에서 김영삼 제체가 지닌 제한

적인 성격을 갖는 개혁정책이나마 그 수립에서부터 시행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 여

성운동적 시각에서 개혁정책의 관점 내지 일반민주주의의 실질적 실현을 요구하며 특히

- 77 -

Page 8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여성정책과 관련된 각 계급계층의 다양한 대중적 요구를 설득력있는 정책대안제시와 창

의성 있는 대중적 운동방식을 통해 정치적 요구로 전환시켜 내고 한편 여성운동의 대중

적 조직력 기반의 확대를 위해 지역의 여성운동공간을 매개로 한 생활영역의 과제개발

과 아울러 대중과의 결합가능한 방식으로 지역여성운동을 보다 강화시켜 나감으로써 궁

극적으로는 여성운동의 정치적 영향력 강화, 대중적 기반을 실질적으로 확대시켜 나가

는데 최대한의 경주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민주여성』14호, 1993.3.29)

... 95년 여연의 주요 사업은 여성의 정치세력화와 더불어 지역여성조직을 강화하고 재

정자립을 위한 경제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하였다...(『민주여성』18호, 1995.4.15)

우리들은 생활정치의 영역인 지방자치에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지방자치가

제대로 정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민주여성』16호, 1994.4.15)

3.3 이슈의 분포

위에서 표명된 정치세력화와 대중성 강화의 과제는 <그림 5-1>에서 나타난 이슈의 분포

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전에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여성노동 항목과 민주화 항목이

대폭 감소한 데 비해 정치세력화 항목의 증가는 눈에 띄게 두드러진다. 또한 비교적 모든

항목에 걸쳐 고르게 이슈가 분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기는 처음으로 국제연

대라는 이슈가 등장한 시기인데, 이는 1995년 북경여성대회가 개최된 것과 관련되어 있다.

< 그림 5-1: 『민주여성』의 이슈의 내용별 분포(1993-1995) >

주목할 것은 이 시기 프레임 변환이 이루어지고 성별로서의 여성 이 전면에 부상하면

- 78 -

Page 8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서, 지난 시기에 비해 여성문제, 여성운동이 가지는 특수성이 보다 강조되기 시작했지만,

이것이 여연이 제기하는 이슈의 종류를 한정지은 것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여연은 다양한

이슈에 대해 목소리를 내 왔고, 이것은 2시기 들어 확장된 시민사회 영역에서 대표적인 사

회운동조직으로서 여연의 입지를 다지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3.4 전략의 구성

제도정치는 여성운동의 중요한 한 영역으로 간주되기 시작하며, 특히, 여성정책수립에

개입하고 압력을 행사하는 것이 강조된다. 아래의 인용에서는, 이러한 여연의 패러다임 전

환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31)

대중의 다양한 생활상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 그것을 과제화하며, 각 분야에서 필요한

전문성과 정책력을 갖추어나가고, 합법적 공간을 중심에 놓고 사고하는 대중운동방식으

로의 전환이 요구....(『민주여성』14호, 1993.3.29)

아래의 <그림 5-2>는 이 시기 여연이 수립한 전략의 양상을 드러내주는 것으로서, 앞서

분석된 여연의 프레임 변환과 관련되어 있다.

우선, 각 해마다 전략의 구성이 다소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할 것이

다. 특히 1995년에 연대단체를 구성하는 활동(4)이 두드러졌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1995년이 해방 50주년을 맞는 해였기 때문에 전체 운동진영 공동의 행사 - 예컨대,

8.15 민족공동행사 같은 것 -가 잦았고, 또한 1995년에 열린 북경세계여성대회를 준비하기

위한 여성단체들간의 연대가 활발했었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 시기 여연은 비교적 다양한 전략, 전술을 구사하고 있다. 그러나 프레임 변환과 더불

어 전략의 중심은 기존의 가두투쟁방식(6)에서 공청회, 토론회 개최(1)나 의견서 제출, 면담

(8) 등 여론화나 합법적 방법을 통해 정부(기관)에 압력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옮겨졌다는 점

에서 1시기의 전략과는 확실한 차별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다소의 변화는 있을지라도

집회, 시위 등의 형식은 여전히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여연이 이익집단

적 활동방식과 사회운동적 활동방식을 모두 구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31) 대중적 운동방식에 대한 강조는 여러 가지 양태로 드러난다. 한 예로 1994년 3월 27일 동국대학교 중강당에서 열린 제 10회 한국여성대회부터 대회의 형식이

대중문화공연 형식으로 바뀌었다.

- 79 -

Page 8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그림 5-2: 활동일지에 드러난 전략의 양상(1993-1995)32)

제 3 절 새로운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의 변화 (1996- 1997)

1 . 김영 삼 정권의 위기와 정치 적 기회구조의 확장

1.1 비자금 정국과 전·노의 구속

지자체 선거부터 전, 노의 구속을 거쳐 1996년 4.11 총선에 이르는 시기는, 김영삼 정부

가 신지역주의적 구도 하에서 6.27 선거에서의 패배 등으로 조성된 정국을 만회하고 김대

중 세력의 대중적 기반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사회운동에서 줄기차게 요구해오던 전, 노 구

속을 단행하는 등의 역사 바로 세우기의 새로운 개혁 드라이브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때

전, 노 구속은 지배 블록 내의 권력 투쟁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된다.

그러나 전, 노 구속은 신지역주의적 구도 하에서 김영삼 정부의 정치적 이니셔티브를

회복하기보다는 TK 세력의 이반 및 집권층 내부의 갈등이 증폭되고 역으로 김영삼 정부가

구조적 불안정으로 나아간 것을 가속화한 것으로 보인다.

32) 가로축의 번호에 해당하는 활동방식은 다음과 같다:1. 공청회, 토론회 주최 혹은 참가 2. 성명서, 선언 발표 3. 기자회견 4. 연대회의/연대단체구성 5. 타단체활동지원 6. 집회, 시위, 항의방문 7. 이벤트, 기획행사 8.의견서제출, 면담 9. 정부협의체 간담회 참가, 정부워크샵 10. 서명운동 11. 입법

청원 12. 자료발간, 홍보활동 13. 활동가교육 14. 기타

- 80 -

Page 8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표 5-4: 전·노 구속 주요사건일지 >

일자 주요사건

1995. 11. 1 노태우 전대통령 검찰소환

11. 4 노태우 전대통령 비자금관련 기업인소환조사

11. 16 노태우 전대통령 수뢰협의로 구속

12. 1 검찰, 「12.12, 5.18」전면 재수사

12. 3 전두환 전대통령 반란수괴혐의로 구속

12. 18 노태우 전대통령 첫공판

그 결과, 1996년 4월 11일 총선결과는 신한국당 139석, 국민회의 79석, 자민련 50석, 민

주당 9석, 무소속 16석으로, 신여소야대구도를 보여주었다.

1.2 노동법·안기부법 파동과 한보사태

4.11 총선 이후 대선까지의 시기는, 임기말 레임덕 방지와 정권 재창출을 위해 보수화

노선을 추진하는 가운데 노동법 파동, 안기부법 파동, 한보 사태, 김현철의 권력형 비리 사

건 등이 발생함으로써 김영삼 정부의 권력 기반이 붕괴하여 구조적 파탄에 이르는 상황에

서 재집권을 위한 정치적 경쟁이 이루어진 시기라고 정의할 수 있다(조희연, 1998a).

김영삼 정부는, 1996년 한총련 사태, 북한잠수함 침투 사건 등을 계기로 보수회귀 정책

을 수행하였으나, 1996년 말 노동법 파동과 1997년 1월 한보 사태, 김현철의 권력형 비리

사건(5월 김현철 구속) 등은 문민정부 권력기반을 붕괴시키는 결정적인 계기를 형성하였다.

< 표 5-5: 노동법 정국 >

시기 주요사건

1996년 4월말 - 5월 말 정부주도의 노사개혁 발의

1996년 6월초 - 7월 말 노사간 대립 격화 및 정부의 신 3제 추진

1996년 8월초 - 11월 초 노개위의 내부 진통 및 합의도출 실패

1996년 11월 중순 - 12월 26일 집권세력의 개정노동법안 변칙처리

1996년 12월 27일 - 1997년 1월말 민주노총이 주도한 총파업투쟁

* 출처: 김남두(1999)에서 구성

- 81 -

Page 8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특히, 1996년 12월 26일, 정부여당이 정리해고 요건을 강화하고 상급단체 복수노조 허용

을 3년 유예하는 노동관계법 수정안과 안기부법안을 날치기 통과시켰던 것은, 결과적으로

집권세력의 결정적인 실책이 되었다. 야당은 노동법과 안기부법의 무효화 투쟁을 선언하고

사건을 반민주세력 대 민주세력의 대립으로 부각시키고자 하였고, 민주노총은 총파업 투쟁

을 시작하였다. 이 기간동안 각계 시민운동단체, 종교 단체, 교수 등 지식인 집단의 노동법

반대 성명과 아울러, 해외언론, OECD, ILO 및 해외노동운동세력의 복수노조 허용 유보에

대한 비판 등이 잇따라 노동자 세력과 대치한 정부여당을 고립시켰다. 결국 1월 21일 청와

대 여야 영수회담에서 정부여당은 원천적으로 입장을 선회하게 되었다(김남두, 1999).

㈂ IMF 구제금융 신청과 1997년 대선

IMF 구제금융신청은 정부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지는 마지막 계기였다. 1997년 11월

중반 이후 IMF 구제 금융론이 본격화되었고, 11월 21일 임창열 부총리 및 재정경제원 장

관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국제통화기금에 유동성 조절자금(구제금융) 지원을 요청하기로

결정했음을 발표하였다. 정치권과 정책당국자에 대한 비난이 거세게 일었고, 그 결과, 1997

년 12월의 15대 대선은, 김대중 40.3%, 이회창 38.7%, 이인제 19.2%, 권영길 1.6%이라는 투

표결과를 낳았고, 따라서 해방 50년만에 최초로 선거에 의한 야당정권 창출이 가능해졌다.

2 . 사회운동산업의 사회적 영향력 확대와 연대활동의 확산

2.1 민중운동진영: 노동운동의 부상과 학생운동의 쇠퇴

1995년 11월 출범한 민주노총은 노동법 정국에 성공적으로 대처하면서, 사회적인 영향

력을 급속히 확장하게 된다. 민주노총이 주도한 총파업은 1단계 총파업 기간 (1996년 12월

27일 - 12월 30일) 동안 자동차·조선 등 기간 산업을 중심으로 최대 177개 노조 22만 1천

여 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한겨레 신문, 1996년 12월 31일자). 특히 이 때, 민주

노총이 구사한 유연전술 은 투쟁명분을 십분 살리면서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총파업은 한국전쟁 이후 최초의 대중성을 갖춘 정치적 총파업으로서 한

국노동운동사의 한 획을 긋는 중요한 기점을 형성하였다.

- 82 -

Page 8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한편, 1990년대 들어 쇠퇴의 길을 걷고 있던 학생운동 진영은 1996년 연세대 한총련 사

태를 계기로 급격하게 위축된다. 이른바 연세대 사태란 경찰이 1996년 8.15 범민족대회를

위해 연세대에 집결했던 학생들에 대해 9일간 연세대를 완전봉쇄하였고, 이후 진압으로 5천

7백여명이라는 사상 초유의 숫자가 연행되고 수십 명 구속되었던 사건이다. 이 사건에 대해

서는 과잉강경진압이며 인권탄압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지만, 시위 진압 도중 전경의 사망

과 한총련 지도부의 대응혼선 등으로 여론의 전반적인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 결국, 한총련

은 연세대 사태와 관련, “가슴 아프지만 통일에 대한 열망과 마음을 이번 통일운동을 통해

국민 여러분과 함께 모아나가는 데 실패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는 내용의 문건을

언론에 배포하였다(한겨레신문, 1996년 9월 5일자). 연세대 사태는 전체사회에서나 학생 사

회에서나 학생운동의 대중적 영향력을 급격히 약화시켰고, 이어진 각 대학총학생회 선거는

연세대 총학생회장 선거에서 비운동권 계열이 압도적 지지로 당선되는 등 기존학생운동의

쇠퇴를 보여주는 징표들이 나타났다.

2.2 시민운동진영: 사회적 발언력 확대

이 시기 민중운동진영이 노동법 정국에서 민주노총의 활동을 제외하고는 두드러진 활동

을 보이지 못했던 반면, 시민운동은 사회적으로 발언력을 계속해서 확장해 나갔다.

1996년 4.11 총선에서 시민단체들은 선거부정을 감시하기 위한 활동을 본격적으로 개시

하였다. 경실련과 YMCA 등 58개 시민단체들이 참여하여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한 공명

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는 부정행위에 대한 고발과 감시활동을 지속적으로 벌이기로 했다.

1996년 1월 30일 발족한 한국유권자운동연합도 선거감시활동에 돌입하였고, 참여연대도 감

시고발센터를 열고, 시민단체의 정치참여를 규제하는 선거법에 대한 헌법소원도 내기로 했

다(동아일보, 1996년 2월 12일자). 1997년 대선에서도 공선협을 중심으로 투표참가 캠페인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중앙일보, 1997년 12월 17일자). 또한, 전노 사면론이라든지, 김현철에

대한 서울고법의 보석허가결정 등 반민주적 이슈에 대해서도 시민단체들의 적극적인 문제

제기가 이루어졌다.33) 특히, 이 시기에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면서, 한국 시민단체의 대표명

사로 자리잡은 참여연대는 각종 법률에 대한 입법청원활동이나 소액주주 권리 찾기 운동

등으로 발언력을 확대해 갔다.34)

33) 「전노사면론에 대해 참여연대, 경실련, 대합변협 등 반대성명」 (조선일보 1997년 9월 2일자) / 「경실련, 전국연합, 참여연대, 민가협 등은 3일 김현철에 대한

서울고법의 보석허가결정에 대해 반발」(동아일보 1997년 11월 4일자)

- 83 -

Page 9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2.3 민중운동진영과 시민운동진영의 연대

또 하나, 이 시기 사회운동산업을 특징짓는 것은, 새롭게 제기되는 사회 공통의 이슈에

대해서 민중운동진영과 시민운동진영이 연대하려는 움직임이다. 이는, 민중운동진영에서, 그

간 변화하는 사회적 흐름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반성이 일면서, 체제 내적인 이슈에

대해 관심을 돌린 것과 무관하지 않다.

1996년 2월 23일, 국내의 대표적인 8개 시민·재야 단체는 기자회견을 열러 우리 사회

의 분야별 개혁과제를 제시하면서 앞으로 개혁과제 실현을 위해 연대활동을 벌이기로 했음

을 밝혔다. 이 기자회견에는 경실련,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

협의회, 전국연합, 민주노총, 참여연대, 여연, 환경련 등 8개 노동·사회·시민단체가 참여했

다. 이는 전 영역을 아우르는 단체들의 최초의 연대활동 선언이라 할 수 있다(한겨레 신문,

1996년 2월 24일자).

소위 구사회운동과 신사회운동이 사회전반의 개혁과 관련된 이슈에 대해 함께 연대하는

이러한 움직임은 계속해서 이어지면서, 하나의 추세를 형성한다. 노동법 안기부법 개악철

회와 민주수호를 위한 범국민대책위 의 성공적인 활동성과를 바탕으로 민주개혁을 위한 국

민연대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전국연합과 민주노총, 참여연대, 환경련 등 9개 사회시민단체

들의 연대기구인 민주개혁사회단체연대회의(민주연대) 가 1997년 5월 8일 출범하였다(동아

일보, 1997년 5월 9일자). 또한, 1997년 5월 28일, 시민단체협의회는 28일 한국노총 민주노

총 종교단체 등 모든 시민단체들이 참가하는 돈정치 개혁을 위한 시민단체 연대회의 를

결성하였다(동아일보, 1997년 5월 30일자).

2.4 여성운동진영: 운동영역의 확장과 페미니즘의 대중화

이 시기에는 각 대학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이 급격히 확산되었다. 서울대, 연세

대 등 주요대학에서 여성단체들이 대거 생겨나고, 각 대학마다 페미니즘에 관한 세미나, 강

연 등을 앞다투어 열고 이와 관련한 문화제, 여성학교 등의 행사를 개최하였다. 이는 잇단

34) 1997년 5월 29일, 참여연대는 정치자금법과 국정 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 등

선거와 청문회 관련 7개 법률에 대한 개정안을 국회에 입법청원하였고(동아일보,1997년 5월 30일자), 1997년 7월 3일, 한보에 거액을 부실대출한 책임을 물어 제

일은행 이사들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주주대표소송을 서울 지방법원에

냈다. 이는 소액투자자의 권리를 강화한 개정증권 거래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행

사되는 소수주주권이었다(동아일보, 1997년 6월 30일자).

- 84 -

Page 9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성폭력, 성희롱 사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대학 내에 동성애 인권운동 등이

생겨나면서 1990년대 중반 이후 자연스럽게 확산되어 왔다(한국일보, 1996년 3월 30일자).

한편, 여성문화운동의 측면에서도 괄목할 만한 움직임이 있었다. 여성문화예술기획과 여

성영화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1997년 4월 제 1회 서울여성영화제가 개막되었다. 이 영화제는

여성의 현실을 여성의 눈으로 본 여성이 만든 영화 를 표방하였는데, 이는 수동적인 소비

자로 머물러 있던 여성들이 영상예술산업에 대한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첫 시도라고 할

수 있다(한겨레신문, 1997년 1월 11일자). 또한, 1997년 6월 페미니즘 잡지 이프가 창간되

었다.

또한, 정보화 추세에 발맞추어 사이버 공간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내려는 움직임들이 본

격화되는 것이 이 시기이다. 한국여성정보원은 1996년 11월 13일 여성정보화운동을 선언하

면서, 페미넷이라는 전용망을 인터넷에 구축하였고, 페미니즘 웹진 등 사이버 공간의 여성

공간이 대중적 관심을 끌기 시작한다. 여연 역시 1997년 6월 홈페이지 Women21을 개설하

였다.

한편, 여연이 1997년 3월 9일 세계여성의 날 기념행사의 하나로 부모성 같이 쓰기 선

언을 하는 등,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남성중심성을 문제삼는 상징적인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도 이 시기이며, 부모성 같이 쓰기는 여성운동진영과 대학가를 중심으로 어느 정도 지지

를 얻으면서 상징적인 효과를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여성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면서, 여성운동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는 사실은

1996년 한총련사태에 대한 대처와 반응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당시 공권력에 의한 시위의

과잉진압과 학생들의 연행과정에서 벌어진 인권유린 사태에 대해, 여성단체들은 발빠른 대

응을 보였다. 성추행 사건에 대해, 여연 등 8개 여성·인권 단체는 박일룡 경찰청장과 현장

진압 책임자 및 불특정 진압 경찰관들을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

발, 검찰은 1996년 12월, 이에 대한 수사에 나서게 된다(한겨레신문, 1996년 12월 2일자).

즉, 이 시기 여성운동산업은 다양한 이슈와 공간에 걸친 다양한 방식의 활동, 그리고 그

러한 활동들에 대한 대중적 관심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3 . 소결 : 정권의 위기와 사회 운동산업의 성장

상술한 것처럼 2시기 후반부로 가면서 김영삼 정권은 대중적 기반을 급속히 상실하였

다. 집권 초기 90%에 달했던 김영삼 정부에 대한 지지율은 대형사고들이 빈발하였던 1시기

- 85 -

Page 9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후반, 30%대로 하락하였고, 2시기 초반 전·노 구속을 단행하면서 회복되는 듯 했으나 이어

지는 대형비리와 노동법 파동으로 인해 다시 급강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에 등장한 공통의

이슈들에 대해서 사회운동진영은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기회구조를 획득한 셈이었고, 이는

사회공통의 문제에 대한 사회운동조직들의 연대 활동을 통해 드러났다.

< 표 5-6: 정치적 안정성 정도에 따른 김영삼 정권의 시기구분 >

시기구분제 1시기

(김영삼 정부 성립-6.27지자체 선거)

제 2시기

(지자체 선거-97대선)

소시기구분 1993년 1994년-95년 지자체

95년 지자체

선거-97년 1월

총파업

97년 1월

총파업-97년 대선

정국의

성격상대적 안정기 상대적 불안정기 구조적 불안정기 구조적 파탄기

* 조희연(1998a: 209)

특히 이 시기의 기회구조는 외부로부터 주어진 것이라기보다는 아래로부터 획득된 측

면이 강했다는 점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1995년 말부터 시작된 김영삼 정부의 개혁드라이

브는, 하락한 대중적 지지를 만회하기 위한 측면도 있었지만 5.18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을 향한 사회운동진영의 연대활동과 그로 인한 여론몰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또한 노동법

정국 역시 민주노총의 적절한 전략과 성공적인 여론 형성에 힘입은 것이다. 즉, 12.12사태나

5.18 광주항쟁문제의 처리, 노동법, 안기부법 날치기에서 드러난 문민정부의 비민주적 행태

는 기본적으로 저항진영에게 유리한 기회구조를 형성하였지만, 동시에 그러한 기회는 그동

안 성장한 사회운동의 활동으로 창출되고 확장된 것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사회운동산업은 사회 공통의 과제를 풀어감에 있어서 특정 사회운동단체를 중심

으로 한 구심력적 통합성의 지배 하에서 움직인 것이 아니라, 각 단체의 상호 동등한 입장

에서 연대라는 이름으로 힘을 모았다. 즉, 각 부문, 영역에서 성장한 사회운동조직들의 힘

이 연대라는 새로운 통합원리로 발휘된 것이다.

- 86 -

Page 9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4 절 프레임 확장을 통한 프레임 안정화

1 . 매체 형식의 변화 : 『민주여성』에서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으로

우선 주목해야 할 사실은 이 시기에 『민주여성』에서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으로

매체의 형식이 변화하였다는 사실이다. 『민주여성』은 1995년을 끝으로 폐간되었고, 이어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이라는 매체가 1996년부터 발행되기 시작하였다. 아래의 <표 5-7>

과 <표 5-8>에서 드러난 『민주여성』과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의 구성의 차이에서 볼

수 있듯이, 이는 운동정론지 에서 소식지 로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 표 5-7:『민주여성』의 구성35) >

글 꼭지

정세->주장-> 권두언 정세인식을 담은 논설

특집 일반적인 의미에서 여성운동론의 정립과 관련된 글들임

기획 특정 이슈나 분야에 대한 관점을 나타내는 글들임

초점 특정 이슈나 분야에 대한 관점을 나타내는 글들임

회원단체탐방 -

여연활동소식 -

회원단체활동소식 -

여성운동일지 -

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민주여성』이 정세나 이슈, 혹은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여성운동론과 관련한 입장 의 정리와 표명에 주력하였던 반면,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

은 입장보다 정보의 제공 을 중요하게 다룬다(<표 4-8>의 강조된 부분). 구성으로만 본다

면,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에서 주장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있는 부분은 논단부분 밖에

35) 『민주여성』은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에 비해 고정된 순서나 구성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 예컨대 특집 이 없는 호도 있고, 인터뷰 나 보고 , 방향과 전망 등

의 글꼭지를 삽입하고 있는 호도 있다. 그러나 『민주여성』의 일반적인 구성을

정리한다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각 꼭지의 내용이 명확한 일관성을 담

고 있지는 않으며, 기획 과 초점 은 그 내용이 어떤 기준으로 구분되는지 잘 드

러나지 않는다.

- 87 -

Page 9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없다. 또한 『민주여성』이 1년에 두 번 발행되던 것에 반해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은

격월간으로 발행되며, 발행간격도 매우 규칙적이다. 주장이 감소한 만큼 분량도 대폭 감소

하였다.

< 표 5-8:『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의 구성36) >

글 꼭지 비고

논단 논설

여성정책해설 -

더불어가는 여성운동 회원단체탐방

여성운동정보 -

여연소식 -

회원단체주요소식 -

행사안내 -

여연활동일지 -

회원·참관단체 주소록 -

이는 2시기 여연이 추상적인 이데올로기적 주장보다는 구체적인 정책, 대안 제시를 중

심에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여연이라는 사회운동조직이 설립 후 장기간 성공적으로

생존해 왔고, 여연의 프레임 역시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2 . 상황 에 대한 인식 : 세계화 ·정보화 사회

2시기 후반부에 들어서면서 여연의 상황에 대한 인식은 세계화, 정보화 사회로 확장된

다. 2시기 전반부까지 여연의 상황 규정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였던 정권의 성격에 대

한 규정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한국 여성운동이 21세기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맞이하게 될 정보화 사회의 특

성과 이 사회의 여성문제를 예측하여 보는 것이 우선적 과제이다. 정보화 사회를 전망

하면서 세계여성운동은 어떤 과제를 자기의 운동과제로 설정하고 있는가를 이해할 필요

36) 시기에 따라 인터뷰 등이 첨가되고 있기는 하나 기본틀은 모두 이 순서를 유지

하고 있다.

- 88 -

Page 9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가 있다. 우리는 이를 기반으로 정보화시대에 맞는, 그리고 세계여성운동과 맥을 같이

하면서 동시에 한국현실에 맞는 여성운동의 과제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한국여

성단체연합소식』5호)

심지어 1997년 노동법·안기부법이 날치기 통과와 IMF 구제금융 등으로 정부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있던 시점에도 정부에 대한 신랄한 비판은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안에

서는 공식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아래의 인용에서 볼 수 있듯이 해설적이고 완화된 표현

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김영삼 문민정부 출범 후 제한적이나마 과거 군사독재 시절에 비해 절차적 민주주의가

정착·확대되고 민선자치단체장 시대가 시작되어 국가정책과 행정에 대한 시민의 참여

와 시민행동이 활발해졌다. 이처럼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려는 국민의 노력은 96년 12월

26일 신한국당과 김영삼 정부가 개악된 노동관계법과 안기부법을 야당을 배제한 날치기

로 통과시킴으로써 물거품이 되었다.....더불어 근로기준법 중 여성관련 조항도 개악될

전망이다....여성보호 조항도 완화될 예정이어서 전반적으로 여성노동자의 근로조건은 후

퇴될 전망이다.(『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6호)

경제파탄 위기를 소비자와 일차적 감원대상이 될 여성에게 전가하려는 재벌과 정부의

이념적 공세에 맞서 정신을 바짝 차리고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한국여성단체연

합소식』11호)

이는 여연이 자신의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시야를 국제적으로 확장했음을 보여준

다. 1995년 북경에서 열린 세계여성대회는 이러한 시야의 확장의 중요한 계기를 형성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시야의 확장은 이 시기 여연의 프레임을 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

행한다.

정보화, 세계화 사회라는 기본상황 인식 틀 속에서 여성의 현실을 평가하는 척도는

과거처럼 정권의 성격과 함께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여성의 현실은 여성지표들을 통해

인식되고 표현된다.

여성의 권한척도 세계 73위, 남녀성비가 115:100, 성폭력 범죄율 세계 2위, 남녀간 임금

격차가 100:60. 우리 나라 여성의 차별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수치다. 우리 여성들은

가정과 직장, 사회에서 노골적인 차별에서부터 보이지 않는 교묘한 무시와 폭력까지 당

하며 살아왔다.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11호)

- 89 -

Page 9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3 . 정체 성 프레임

3.1 우리에 대한 정의: 일반대중여성

전반부에 확장된 여성주체는 후반부 들어 더욱 확장된다. 그러나 전반부에 여성주체가

주부를 부각시키면서, 생산의 주역 생활의 담당자 지역살림의 일꾼 등의 수식어와 함

께 쓰여왔던 데 비하여, 4시기의 여성주체는 여성일반대중 으로 보다 명확하게 규정된다.

동시에, 그러한 수식어의 생략으로 인해 구체적으로 여성일반대중 이 어떤 사람들을 의미

하는지가 분명하지 않게 되었다. 즉, 우리의 외연은 최대한 확장되는 동시에 우리의 내포

는 최대한 모호해진다.

... 이러한 운동을 일반대중여성들과 함께 할 수 있도록 여성운동의 기반을 넓히는 일이

다... 우리는...일반여성들이 운동에 기부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내야 한다....(『한국여

성단체연합소식』5호)

3.2 불명확하게 드러나는 그들에 대한 정의

이 시기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에 실린 대부분의 글은 여성의, 여성운동의 적이 명

확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언급되는 경우에도 아래와 같은 포괄적이고 모호

한 표현이거나, 이슈에 따라 다르다(issue-specific).

.... 여성문제는 그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의 변화와 분리되어 분석할 수 없다는 구조적

관점이 관철된다....(『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5호)

여성들이 당하는 차별과 고통 역시 일차적으로는 분단구조에 기인하는 사회문제에서 나

오는 것이다....(『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3호37))

여성을 위한 법과 제도 만들기 운동단계에서 양성평등담론을 확산하기 위한 미디어·교

육운동을 전개하여 성차별 태도와 관행의 장벽을 넘는 운동으로 전환해 나가야 할 것이

다....(『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11호)

37) '평화군축 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 글임.

- 90 -

Page 9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4 . 역할 프 레임

4.1 여성정책의 주류화

여성운동, 그리고 여연의 일반화된 지향은 기본적으로 전반부의 연장선 상에 있다. 표현

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그것은 한 마디로 남녀 평등과 민주주의의 실현이다.

올해로 창립한 지 10년째인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이러한 차별과 무시, 폭력의 장벽을 뛰

어넘어 남녀평등사회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부단히 실천해 왔다. (『한국여성단체연합

소식』11호)

앞으로 다가올 21세기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보편적인 인권정신에 기초한 남녀평등사회

가 실현되어야 한다.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6호)

여성운동의 대중화는 여전히 여연의 역할 프레임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그에 더하

여 이 시기에 새롭게 부상한 여연의 과제가 있다면 정보화와 국제연대이다. 이는 앞에서

보았듯이 상황을 읽어내는 시야가 국제적으로 확장된 것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세계화, 정

보화 사회에 여성을 주역으로 세우는 것, 따라서 대중화와 국제연대가 중요한 과제이다.

.... 한국여성운동이 21세기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운동내용을 계승하고 몇 가

지 과제를 더 개발해야 한다....첫째, 여성으로 하여금 정보화사회에 적응하고 더 나아가

정보화시대의 중심 세력으로 설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둘째, 한국여성운동이 세계

여성운동의 발전에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제연대를

강화해야 한다....셋째는 이러한 운동을 일반 대중여성들과 함께 할 수 있도록 여성운동

의 기반을 넓히는 일이다.........(『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5호)

이는 여성의 주류화 라는 새로운 구호의 제기로까지 이어진다. 이는 전반부 프레임의

확충이자 1995년의 북경 여성회의의 행동강령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하다.

...북경여성회의의 행동강령은 여성정책의 주류화를 강조하고 있다. 즉 여성문제의 해결

은 특정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의 국가정책 영역에서 중요하고 본질적으로 주

류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인식 아래, 모든 정책 결정과정에 여성의 참여증진과 성인지적

관점의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실천적으로 여성이 사회 주변부에 머

무르는 것이 아닌 중심부로 통합되어야 한다.(『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6호)

- 91 -

Page 9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따라서, 1997년 대선에 대한 방침 역시, 이러한 여성의 주류화를 가능케 하는 세력에 대

한 지지로서 나타나게 된다.

...15대 대통령 선거라는 권력교체기를 앞두고 각 계급계층은 자신의 이해와 요구를 대

변할 수 있는 정치 세력이 정권을 잡을 수 있도록 활발한 정치활동을 전개할 것이다.

여성도 예외가 아니어서 21세기 여성발전의 비전을 제시하는 정치세력을 지지하는 활동

을 전개해야 한다.....(『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6호)

2시기 후반부 들어 정립된 여성의 주류화 라는 역할 프레임은 무엇보다도 과거 여성운

동이 취해왔던 방어적 입장을 탈피하고, 보다 적극적이고 공세적으로 새로운 시대에 대비해

야 한다는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전반부에 제시되었던 정치세력화의 과제가 주류

화라는 명제로 대체되면서 보다 적극적인 내용을 함축하는 것으로 변화한 것이다.

지금까지 여성운동은 사회적인 약자로써 여성에게 가해지는 성차별과 폭력을 방지하고

피해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방어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그러나 앞으로 다가올 정보사회

는 이른바 3F(여성Female, 가상Fiction, 감성Feeling)시대로서 여성적 특성이 최대한 발

휘될 수 있도록 사회구조가 변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수 있도록 여성에게 적

극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조치와 제도를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여성단

체연합소식』6호)

4.2 이슈의 분포

이러한 속에서 이 시기 여연이 제기한 이슈의 분포는 <그림 5-3>과 같이 나타날 수 있

다. 정치세력화와 여성인권(성폭력) 문제에 대한 관심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앞서 언급했

듯이 여성운동 항목에 분류된 글은 매 시기의 활동을 평가하고 향후 계획을 수립하는 연

례적인 글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두 가지 문제가 차지하고 있는 실제적

인 비율은 더욱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통일, 평화 문제, 국제연대, 군 위안부,

여성노동 문제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서, 여연이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목소리를 내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92 -

Page 9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그림 5-3: 『민주여성』의 이슈의 내용별 분포(1996-1997) >

4.3 전략의 구성

문제를 제기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공청회·토론회 방식(1)은 여전히 높은 비율을 구성

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집회·시위의 방식(6)이 매우 높은 비율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 그림 5-4: 활동일지에 드러난 전략의 양상(1996-1997)38) >

38) 가로축의 번호에 해당하는 활동방식은 다음과 같다:1. 공청회, 토론회 주최 혹은 참가 2. 성명서, 선언 발표 3. 기자회견 4. 연대회의/연대단체구성 5. 타단체활동지원 6. 집회, 시위, 항의방문 7. 이벤트, 기획행사 8.의견서제출, 면담 9. 정부협의체 간담회 참가, 정부워크샵 10. 서명운동 11. 입법

청원 12. 자료발간, 홍보활동 13. 활동가교육 14. 기타

- 93 -

Page 10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이러한 전략의 양상은 노동법 파동과 한보 사태 등으로 정부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어

대규모 집회가 다수 개최되었고, 그에 여연이 결합한 것과 연관되어 있다.

제 5 절 소결: 2시기 운동환경과 프레임 구성

1 . 프레 임 변환 : 여 성운동론 의 재정립

사회주의권 붕괴에 이은 2시기의 문민정부의 등장은 이전 프레임을 유지해오던 기본골

격이었던 민주 對 반민주 구도를 해체하면서 여연의 프레임 변환(frame transformation)을

유발한다. 또한 민중운동진영의 급속한 세력약화, 그에 따른 사회운동산업의 원심력적 분화

역시 여연이 더 이상 전체운동과의 관련 속에서 자신을 위치시킬 필요를 감소시켰다. 즉,

기존의 프레임은 운동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로 훼손되었고, 따라

서 근본적인 프레임 변환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즉, 2시기 프레임은 새로운 가치들이 제시

되고(planted), 키워져야(nurtured) 하며, 오래된 가치들 또는 이해들이 버려져야 하고, 잘못

된 믿음들 또는 미스프레이밍(misframing) 이 재프레임되는 (Snow et al., 1986) 프레임 변환

의 과정으로 특징지어진다.

2시기 여연의 프레임 변환은 <표 5-9>에서 볼 수 있는 바, 새로운 여성운동론의 정립으

로 표현된다. 2시기 새롭게 등장한 여성운동론은 주부운동론이며, 주부운동론의 정립 이외

에도 2시기에 두드러지는 것은 지방자치시대 속에 여성운동을 위치짓는 것이다. 이는 2시

기에 새롭게 정립된 여연의 프레임이 어떤 방향으로 구성되었는가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

이다. 즉, 아래의 표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생활세계에 대한 관심이다. 1시기에 이

어져왔던 추상적이고 거시적인 구조에서부터 보다 구체적이고 미시적인 생활세계로 관심

이 전환한 것이다.

< 표 5-9: 『민주여성』의 특집 제목(1993-1995) >

출처(발행시기) 특집제목

민주여성 14호(1993.3.29) 주부의 현실과 주부운동의 영역

민주여성 15호(1993.11.5) 주부운동과 생활협동조합운동

민주여성 16호(1994.4.15) 지방자치와 여성운동

민주여성 17호(1994.10.30) 지방화시대와 지역여성운동

- 94 -

Page 10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2시기 여연의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은 모두 전면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앞

시기의 정체성 프레임을 특징짓던 기층여성 중심성에 대한 관점이 사라진다. 여성운동의

주체는 여성일반이 되며, 그 중에서도 생활의 담당자인 주부가 강조된다. 여성운동은 더

이상 전체운동 속에서 의미를 획득하는 부문운동이 아니며, 독자적인 운동으로 격상된다.

계급이 아닌 '성별로서의 여성 이 전면에 부상하면서 새로이 여성운동의 적으로 강조되

는 것은 가부장제이다.

여성을 전면에 내세우는 이러한 프레임 변환은 이전 프레임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었던

정권의 성격을 비롯한 국내적 상황이 강조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여성의 현실에 대한 인

식은 여성일반의 상황이며, 여성문제의 원인은 가부장제이기 때문에, 여연의 상황인식은 2

시기 후반부로 들어서면서 더욱 확장된다. 즉, 상황에 대해 국내적 인식을 탈피하고 정보

화, 세계화라는 국제적인 흐름에 관심을 돌리는 것이다. 이 때 <표 5-10>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21세기는 여연이 바라보고 있는 여성현실에 부여하는 중요한 상징이다.

< 표 5-10: 한국여성대회 주제(1996-1997) >

연도 주제

1996년 여성이 열어갈 21세기! 복지, 인권의 시대로

1997년 가자! 21세기 여성의 시대로

따라서 2시기 후반부 들어서 김영삼 정권에 대한 비판이 극도로 고조되었을 때에도 여

연의 공식적인 프레임에는 그런 내용이 중요하게 들어가지 않는다. 이러한 프레임 변환, 특

히 정권에 대한 관점의 변화는 1995년을 전후한 여연의 법인화의 움직임과 연관되어 있다.

한편, 2시기에 들어 나타난 프레임 변환은 프레임의 이데올로기적 경직성을 암시한다.

즉 프레임 변화를 강제하는 외부적 조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미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이 새로운 프레임으로 변환되는 데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프레임의 균

열을 계속해서 복구되고, 마침내 외부적 환경의 변화가 프레임을 더 이상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로 훼손시켰을 때 비로소 프레임 변환이 일어난다. 여연 프레임의 경우도, 1시기 후반

부터 내적 모순이 드러나면서 2시기에는 프레임 균열이 가속화되었으나 이는 프레임 수선

- 95 -

Page 10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을 통해 복구되었다. 그리하여 1, 2시기 프레임을 지탱하고 있던 기본 전제인 민주 對 반민

주 구도가 문민정부의 등장으로 해체된 2시기에 들어와서야 전면적인 프레임 변환이 공식

적으로 선포되는 것이다.

2 . 정체 성 프레임 특화 : 여성 의 분리

2시기 변환된 여연의 프레임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은 "성별(gender) 이 전면에 부상하

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즉, 앞 시기 프레임에서 일반적인 운동주체로부터 미분화된 상태로

남아있었던 여성 주체가 발견 되었고, 일반적인 사회문제와 구분되지 않고 있던 여성문

제가 분리 되었다.

이렇게 보았을 때, 변화하는 운동환경에 맞추어 2시기 여연이 선택한 프레임 변환의 전

략 중 하나는 프레임 특화(frame specialization)라 할 수 있다. 이는 새로이 형성된 외부적

조건 속에서 자신의 운동영역과 목표집단(target group) 을 보다 명확히 설정하려는 시도

라고 하겠다.

즉, 1시기 여연이 구성하였던 프레임은 공통의 정체성과 공통의 과제를 표방하는 것이

었으므로 프레임에 대한 일반적인 공명을 얻어내는 데에는 유리했을 수 있다. 그러나 2시기

들어서 기존의 전선이 무너진 속에서, 사회운동조직에게 매우 중요한 지지자 집단(pool) 이

여타 사회운동조직의 그것과 구분되지 않고 불명확한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은 프레임 공명

을 획득하기 위해 유리한 조건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전선이 무너지고, 공통의

대의명분이 사라진 2시기에 여연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여타 사회운동조직과 구별되는 자

신만의 정체성과 역할을 명확히 하는 프레임 한정이었다. 특히 사회주의권 붕괴라는 사

건은 1시기 후반부까지 여연 프레임 구성 과정 속에 하나의 딜레마를 이루고 있었던 성과

계급의 두 축 중 한 축을 결정적으로 약화시킴으로서 성이 전면에 부상할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3 . 정체 성 프레임 확장 : 여성 집단의 확장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2시기에 여연의 프레임은 일반화된 정체성과 공통의 과제로부터

여성의 정체성과 여성운동의 과제를 분리시키는 프레임 특화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

러는 동시에 여연의 프레임은 그렇게 특화된 영역 속에서는 최대한 확장(frame expansion)

- 96 -

Page 10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된다.

앞 시기 프레임들은 여성과 민중의 연결을 통해 정체성의 확장과 공명을 유도하였고,

때문에 여성집단의 정의는 기층여성 중심성 논리로 인해 보다 협소한 내포를 가지고 있

었다. 그러나 2시기 여연의 프레임은 성을 계급으로부터 전면적으로 분리해 냄으로써 프레

임의 외연이 특화된 동시에, 그렇게 특화된 영역에서 여성은 가능한 한 모든 대상을 포괄

하는 방식으로, 즉, 일반여성, 여성대중 이라는 최대한 확장된 것이다.39)

이는, 지지자의 장을 최대한 확장하려는 사회운동조직의 일반적 속성에서 비롯한 것일

뿐만 아니라 1시기에 시작된 여성운동산업의 분화가 2시기에 이르러 더욱 진척된 것과도

관련이 있다. 즉, 다양한 여성단체들의 연합체이며, 한국의 여성운동단체들을 묶는 구심으

로서의 여연의 존재양태는, 각기 다른 다양한 지향을 가진 수많은 여성단체들이 모두 공유

할 수 있는 최대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프레임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즉, 운동

목적과 운동방식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는 여성운동조직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은 가장 일

반적인 의미에서의 여성주의일 수밖에 없었고, 이런 의미에서 여성일반이라는 정체성의

수용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는 여연이 전체운동안에서 여성운동을 하는 조직이 아니라 전

체여성운동을 조망하는 조직으로 정체성을 확립했음을 보여준다.

4 . 역할 프레임 확장과 변환 : 이슈와 전략의 확장 , 복무 에서 연대로

정체성 프레임에서 성이 전면에 부상했다는 사실이 역할 프레임에서 여성특화적이지

않은, 일반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과제가 축소되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뒤의 <표 5-12>

의 2시기 여연의 연혁이 보여주듯이 이 시기 여연은 반드시 여성문제라고 국한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해서도 활발하게 참여하였다.

즉 정체성 프레임 한정이 역할 프레임 한정으로 이어진 것이 아니다. 오히려 여연의

활동은 그 내용면에서나 형식면에서나 1시기보다 훨씬 확장되었다.

그러나 공통의 이슈 - 예컨대 UR 문제라든가 비자금 정국, 5.18문제, 북한수해돕기 등

- 에 대한 여연의 활동은 1시기에 비해 확실하게 구별되는 차이점을 보여준다. 즉, 1시기는

사회운동진영 공통의 이슈에 대한 활동이 전체운동에 복무 하는 것으로 규정되었지만, 2시

기부터는 여타 사회운동조직들과 동등한 입장에서 연대 하는 것으로 규정되기 시작한 것

39) 1993년부터 한국여성대회에서 한국여성노동자대회가 분리되어 개최되기 시작한

것은, 이 시기 여연의 프레임 변환이 가져온 결과 중 하나라 하겠다.

- 97 -

Page 10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이다. 즉, 전체운동이 설정한 과제를 받아들인다기보다는 여연의 과제로서 그러한 문제들

을 다른 단체들과 함께 풀어 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이 시기 사회운동산업의 구심력적 통

합성이 거의 사라지고 다양한 지향을 가진 단체들이 동등한 입장에서 공존하기 시작한 사

실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변화는 2시기에 설정된 여성의 정치세력화라는 과제가, 사회 전반의 모든 영역

속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것 ,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여성적 시각의 주류화를 의미하

였기 때문에 필연적인 것이었다. 여연의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중요한

사안들에 대해 여연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중요했고, 또한 전략의 측면에서도 확장된 합법

공간을 적극 활용하는 것 역시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 확장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었다.

<표 5-11>은 2시기 여연의 프레임에서 정치세력화가 얼마나 강조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정치세력화가 제도정치공간 속에서 정의된 개념이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 표 5-11: 한국여성대회 주제(1993-1995) >

연도 주제

1993년 전진하는 여성, 열리는 사회

1994년 지역살림의 참일꾼, 여성대표를 지방의회로!

1995년 열린정치 생활정치, 여성대표를 지방의회로!

5 . 프레 임의 안정화

2시기 초반에는 공식적 프레임 변환이 선포되면서 새롭게 여성운동을 규정하려는 노력

들이 이루어졌다. 즉, 우리는 누구인가에 답하는 정체성 프레임이 상대적인 이니셔티브를

가졌었는데, 후반부(1996-1997)에 들어서면서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에서는 정체성 프레

임이 거의 사라진다. 즉, 우리는 누구인가에 대해 답하는 내용은 거의 사라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역할 프레임이 주류를 이룬다.

이는 여연의 프레임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오랜 시일을 거

치면서 여연이라는 조직의 입지는 이미 안정성을 획득하였고, 따라서 여타 사회운동조직들

과 구분하여 우리를 규정하려는 필요성이 별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제 조직을 계속해

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은 이념적, 관념적 영역에 속하는 정체성이라기보다는 구체적인 활

- 98 -

Page 10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동이며, 따라서 여연의 프레임에 있어서도 구체적인 활동의 영역에 속하는 역할 프레임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 표 5-12: 2시기 여연의 주요연혁 >

< 1993년 >

중점사업 : '성폭력특별법 제정' 선포

제 9 회 한국여성대회 개최

서울대조교 성희롱사건 공동대책위 구성 및 직장내 성희롱 문제에 대한 토론회

주한미군의 윤금이씨 살해사건 대책위원회 가입 및 활동

여성고용관련법에 대한 토론회 개최

여성노동의 현실과 법·제도적 개선방안 토론회

여성통일마라톤 개최

근로자파견법 제정 반대운동

성폭력특별법 제정운동 및 성폭력 추방 문화제

우리쌀 지키기 범국민대책위 가입 및 활동

방위비 삭감을 위한 토론회

지방자치선거 준비를 위한 조직사업 및 경제자립사업체 지원활동

선거법 개정을 위한 범여성연대 참가

관변단체지원 특별법 폐지를 위한 제시민사회단체 연대 활동

< 1994년 >

중점사업 : '지방자치와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선포

제 10 회 한국여성대회 개최

정부의 1년 여성정책 평가토론회

95년 국가예산안에 학교급식 시설비용을 확보하기 위한 토론회 및 국회청원

성폭력특별제정추진특별위원회 활동결과로 성폭력특별법 제정

20% 지방의회 여성참여 특별사업본부 및 후원회 결성

<지방회의 여성의원 3년 활동 평가> 토론회 개최

할당제 도입을 위한 여성연대 구성 및 공동활동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가입

의료보험통합일원화 및 보험적용확대를 위한 범국민연대회의 가입 및 연대활동

정부의 근로여성복지기본계획에 대한 대책활동

남녀고용평등법 2차 개정 청원(여연, 민노총 준비위원회)

제 4 차 북경세계여성대회준비 NGO 한국위원회 가입 및 1차 동아시아 포럼 참가

외국인근로자 농성지원대책위원회 가입 및 활동, 시민의 철도·지하철 만들기 토론회

- 99 -

Page 10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공동주최

우리농업지키기 범국민운동본부 가입 및 공동활동

고졸여사원 모집·채용시 용모제한 44개 기업 고발 및 기소촉구 집회

<평화를 만드는 여성연대> 결성 및 공동활동

'12.12 반란자 기소촉구를 위한 여성 200인 선언' 참가 및 집회조직

< 1995년 >

중점사업 : 지방자치와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연속사업)

제11회 한국여성대회 '남녀유권자 한마당' 전개

학교급식 및 방과후 아동보호를 위한 각종 토론회

지방자치특별위원회 구성 및 지방의회 여성의원 진출 지원

선거법 개정연대 활동, 지방의회 10대 여성정책과제 발표

살기좋은 지역사회 만들기 10개 지역 포럼

해방 50주년 8.15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 가입 및 공동활동

제 4차 북경세계여성대회 참가

공천할당제, 비례대표제 도입 촉구 (할당제 여성연대)

남녀고용평등법내 간접차별 및 직장내 성희롱 금지조항 신설, 파견근로제도입 반대를

위한 연대활동

'고용보험법과 여성고용안정' 심포지움 (1회 남녀고용평등의 달 기념)

방위비 삭감을 위한 엽서쓰기 운동 (대통령, 국회의원)

북한수해동포돕기 여성캠페인

여연 3년 평가를 위한 국제워크샾 개최

중간지도력 강화를 위한 워크샾 (도전 21C, 여성운동의 전략과 조직강화 방안)

5.18 학살자 처벌 및 특별법 제정 여성대회 공동주최

노태우 비자금 진상규명과 구속처벌 촉구 여성집회 개최

< 1996년 >

중점사업 :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제도 개선' / 제12회 한국여성대회

김영삼정부 3년 여성정책 평가토론회

가정폭력방지법 제정추진 특별위원회(위원장 : 신혜수) 구성 및 입법청원, 시민한마당

여성복지예산 확대를 위한 정책토론회 / 여성관련 복지관 발전방안 워크샾

올바른 성교육 정착을 위한 전문가 정책토론회

조직위원회, 문화·홍보위원회, 환경위원회, 복지위원회 신설

여연 10주년기념사업위원회 구성 및 준비활동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10개 지역 포럼

'여성노동과 노사관계 개혁방향' 토론회 : 민주노총, 한국노총, 여연 공동주최

남녀고용평등법 3차 개정안 제출 (공동)

- 100 -

Page 10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남녀고용평등의 달 기념 고용평등주간 선포 및 5개지역 사업 지원

버클리대학 한국학위원회 초청 '코리아통일 심포지움' 참석

우리땅 용산 미군기지 되찾기 시민모임 참가 및 공동활동

96년 여연정책수련회 (주제 : 한국여성운동 발전을 위한 중단기 실천과제와 여연의 역

할)

중간지도력 및 생활자치지역지도력 훈련

쓰레기 감량을 위한 여성운동 3개 지역단체 지원

녹색소비를 위한 여성캠페인

한국-중국-베트남 상호현장 방문 및 '급속한 산업화 과정과 여성의 과제' 심포지움

세계주거회의 참석

제2차 동아시아 여성포럼 참가 (한국여성NGO위원회 주최)

공명선거실천 시민운동협의회 연대

한총련 여대생 성추행사건 진상조사 촉구 및 고발

안기부법, 노동법 날치기 개악 규탄활동

보건복지부 사단법인 승인 및 지정기부단체 승인

< 1997년 >

중점사업 : '여성의 정치적·경제적 주류화' / 창립 10주년 기념 제13회 한국여성대회

<남녀 성비불균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토론회

21세기, 여성을 위한 음악회 - '봄봄' 음악회 개최

<여성의 국민연금권 확보방안> 토론회

김영삼 정부 여성정책 평가 및 여성정책 발전방향에 관한 토론회

세계 환경의 날 기념 <녹색소비·녹색생산을 위한 여성환경한마당>

여연 창립 10주년 기념사업

생리휴가 무급화,시간외 근로 및 야간근로 규제완화 검토에 관한 성명 발표

일하는 여성들이 바라는 여성노동정책 소책자 발간 및 배포

'북한 여성과 밥 나누기, 사랑나누기'운동

국제여성평화 심포지움'21세기 평화와 여성운동-여성·평화·화해'개최

차기 대통령이 이행해야 할 '여성정책 8개분야 30대 과제'를 각 정당에 전달

제15대 대통령선거 여성유권자 캠페인

여성의 국민연금권 확보방안에 관한 토론회 주최

'친환경적 생산,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여성캠페인' 주관

'수도권지역 '97 유권자한마당' 주관

그레이스 백화점 여성화장실 비밀카메라 설치에 대한 항의집회

가정폭력방지법 제정

* 출처: http:/ / www. women21. or. kr 에서 재구성

- 101 -

Page 10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6 장 운동환경 변화에 따른

여연의 프레임 변화의 양상과 함의

제 1 절 정체성 프레임 변화: 민중 에서 여성 으로

1 . 1기 ( 1 9 8 7 - 1 9 9 2 ) 의 운동환경 과 정체성 프레임 구성

1기(1987-1992)의 운동환경은, 먼저 정치적 기회구조의 측면에서 부족하나마 절차적 민

주성이 확보되고, 이전 시기에 비해 정치적 공간이 확장되었다. 그러나, 사회전반에 걸친 권

위주의적 관성은 여전히 강고하였고, 특히 1989년 공안정국 이후의 상황은 이완된 독재라

는 표현이 사용될 정도로 권위주의적 보수주의로 회귀하려는 반동력이 강했다. 따라서 1987

년 6월 항쟁의 기반이었던 민주 對 반민주의 구도가 여전히 유의미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속에서 사회운동산업은 민주화라는 공통의 기치 하의 강력한 구심력적 통합성

으로 특징지어졌다. 즉, 여전히 남아있는 사회전반의 권위주의적 관성과 운동진영에 대한

탄압에 대항하여 운동진영이 결집해야 하는 당위가 존재하였고, 그에 더하여 1992년 대선

은 우리 사회를 더 높은 단계로 추동해내기 위한 민주대연합의 과제를 도출하게 하였다. 따

라서 전민련이라는 재야 운동의 구심체로 각각의 사회운동조직은 힘을 결집해내기를 요구

받았고, 여연도 전민련의 산하단체로서 활동하였던 것이다.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분화는

미미한 상태였고, 사회운동조직들의 다름보다는 같음이 부각되던 시기였다.

따라서, 이 시기 여연의 정체성 프레임 역시 같음 즉 공통성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채 구성되었다. 여성집단은 기층여성 중심성의 논리를 따라 정의되었고, 따라서 여성집단

은 민중세력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았다. 또한 여성운동은 전체운동의 한 부문운동으로 정

의되었고, 따라서 민주화세력이라는 전체운동의 정체성으로부터 여연의 정체성은 분리되지

못한 상태였다.

이 시기의 엄혹한 정치환경은 급진적 민중운동세력에게 저항적 헤게모니를 부여하였고,

이러한 저항적 헤게모니는 여연이 프레임 연결이라는 프레임 정렬전략을 이용하여 자신의

프레임을 구성토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서면서 변화된 현실, 즉, 분화된 시민사회욕구에 대한 인식과 1992

년 대선을 앞두고 민주화 세력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야 할 필요성은,

- 102 -

Page 10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정체성 프레임의 확장과 변형을 가져왔다. 그에 더하여 1시기 후반부의 현실사회주의 붕괴

라는 사건은 여연의 프레임의 토대였던 맑스주의의 타당성을 급격히 훼손시켰다. 이에 따라

1시기 후반부에 들어서, 여성집단에 주부가 포함되기 시작했고, 여성운동이 계층운동으로

재정의되는 등의 프레임 변형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 확장과 변형으로 생긴 프

레임의 균열은, 여전히 기층여성 중심성의 논리와 전체운동에 복무하는 부문운동으로서

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복구되었다. 즉, 기층여성 중심성과 부문운동으로서

의 정의는 1시기 정체성 프레임이 연속성을 가질 수 있게 하는 핵심적인 요인이었다.

2 . 2 기 ( 1 9 9 3 - 1 9 9 7 ) 의 운동환경 과 정체성 프레임 구성

2기(1993-1997)의 운동환경은, 우선, 1시기에 있었던 현실사회주의의 붕괴에 더불어 문민

정부의 등장으로 인해, 민주 對 반민주 구도가 붕괴한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민주 대

반민주 구도의 붕괴는 정권과의 대비를 통해 자신의 프레임을 구성하였던 1시기 프레임에

심대한 균열을 가져왔고, 특히 사회주의 붕괴로 인한 맑스주의의 타당성이 급락한 것은 1시

기의 기층여성 중심성의 논리를 붕괴시켰다.

이러한 속에서 시민사회의 성장은 이전 시기에 비해 다양한 이슈,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고, 이에 부응하는 사회운동산업의 급격한 분화가 이루어졌다. 민중운

동과 시민운동의 분리가 뚜렷해졌고, 1시기 후반부터 시작된 여성운동산업 분화의 가속화는

프레임 연결이라는 프레임 정렬 전략의 유용성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2시기 정체성 프레임은 1시기 프레임의 전면적인 변환을 거쳐 구성된다. 기층여

성 중심성의 논리가 무너지면서, 여성집단은 주부를 중심으로 하는 여성일반으로 확장된

다. 즉, 여성집단이 민중세력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성별(gender) 이 전면에 부각되는 프레

임 특화와, 분리된 속에서 여성의 내포(connotation)를 최대한 확장하는 프레임 확장이 2

시기 여연이 새롭게 구사한 프레임 정렬 전략인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 전략은 운동지형이

복합화, 다양화되는 속에서 자신의 입지와 운동영역을 보다 분명히 하고, 특별히 여성운동

산업이 분화, 다양화되는 환경 하에서 개인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여성운동단체들을 여연의

잠재적인 지지자로서 확보하려는 필요와 관련되어 있다. 이제 여성운동은 전체운동으로부터

독자성을 가진 운동으로 격상된 것이며, 동시에 여연도 여성의 대변자로서 새롭게 자리매

김된 것이다.

- 103 -

Page 11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3 . 정체 성 프레임 변화 양상과 함 의

3.1. 정체성 프레임 변화의 양상: 민중에서 여성으로

1시기와 2시기 사이에 일어난 정체성 프레임 변환은 한마디로 민중에서 여성으로의 변

화라 할 수 있다. 즉, 프레임 연결을 통해 구성된 1시기의 정체성 프레임에서 여성이 민중

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특징지어진다면, 프레임 확장과 프레임 특화를 통해 구성된

2시기 정체성 프레임은 성별로서의 여성이 전면에 부각된 것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이

러한 정체성 프레임 변화의 양태를 도시하면 아래 <그림 6-1>과 같다.

< 그림 6-1: 정체성 프레임 변화의 양상 >

1시기 2시기

< 프레임 연결 > < 프레임 특화 / 프레임 확장 >

3.2 외부적 조건과 정체성 프레임의 조응

이러한 정체성 프레임 변화의 양상은 객관적인 조건의 변화에 조응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와 이에 상응하는 사회운동산업의 변화는, 변화한 조건에 걸맞은 새

로운 프레임의 구성을 요구했던 것이다.

즉, 1시기 정체성 프레임이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맞게 민주 대 반민주 구도 속에 여성

운동을 위치시키는 것, 즉 분화되지 않은 정체성으로 특징지어진다면, 2시기 정체성 프레임

은 기존의 구도 붕괴와 사회의 변화에 조응하는 분리된 정체성으로 표상되고 있다.

특기할만한 것은, 각 시기에 정체성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정렬 전

략이 사회운동산업의 형태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즉, 사회운동산업이 구심력

적 심화의 상태에 있었던 1시기 이용된 프레임 정렬 전략은 프레임 연결이었던 반면, 원

- 104 -

여성일반민중세력

기층여성

Page 11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심력적 분화 상태가 사회운동산업을 지배하였던 2시기에 이용된 프레임 정렬 전략은 자신

의 독자적인 입지를 분명히 할 수 있는 프레임 특화와 그 속에서의 프레임 확장이었던

것이다.

즉, 위의 논의를 통해서 정치적 환경과 사회운동산업, 그리고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사

이 관계에 대한 특정한 패턴을 유형화할 수 있다. 1시기와 2시기의 정치적 기회구조의 핵심

적인 차이가 정치적 개방성(그로 인한 정치적 공간의 확장정도)의 차이이고 사회운동산업의

형태가 그에 조응한다고 파악하는 속에서, 각 시기별 운동환경에 부합하는 특정한 프레임

전략이 사용되고 특정한 프레임이 구성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 그림 6-2: 외부적 조건과 사회운동조직의 정체성 프레임간 관계에 대한 패턴 >

<정치적 개방성> <사회운동산업> <프레임 정렬 전략> <정체성 프레임>

낮다 구심력적 통합 프레임 연결 통합된 프레임

높다원심력적 분화

프레임 특화

프레임 확장

특화, 확장된

프레임

3.3 패러다임 변화로서 프레임 변환 : 프레임의 이데올로기적 경직성

한편, 정체성 프레임 변화의 과정에서 또 하나 중요하게 내릴 수 있는 결론은 프레임

변환의 과정이 패러다임 변화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즉, 1시기 후반 정체성 프레임의 부분적 확장과 변형에서 나타난 프레임 균열은 모호한

표현의 사용이나 재정의를 통해 계속해서 수선된다. 불일치하는 경험적 증거는 바로 프레임

변환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보존전략을 통해 계속 복구되므로, 프레임 변환에는

약간의 시간적 지체가 존재한다. 이는 프레임이 이데올로기적 경직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그러다가 마침내 프레임 균열이 극에 달해 더 이상 복구가 불가능해졌을 때에

야, 마치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것처럼 프레임 변환이 이루어진다.

이는, 남북전쟁 후 20년간에 걸친 미국 노동운동의 사례를 분석하였던 Babb(1996)의 연

- 105 -

Page 11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구결과와 일치한다. Babb은 집합행위프레임에 불일치하는 경험적 증거가 나타났을 때, 운동

지도자들은 프레임을 확장하거나 재정의, 모호한 언어를 통해 불일치하는 증거를 덮음으로

써 그에 대응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전략들은 제한적인데, 예컨대 모호성 같은 프레임

보존 전략은 사회운동의 레토릭을 구성원의 취향에 맞추지만, 구성원의 인식을 효율적으로

변화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불일치하는 경험적 증거가 계속 출현하게 되면, 결국 새로운

프레임으로의 변환이, 마치 과학에서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것처럼, 전면적으로 일어나는 것

이다(Babb, 1996).

Babb의 연구결과와의 유사성은 패러다임 전환으로서 프레임 변환의 양상이 특수한

시·공간적 맥락을 넘어서는 일반화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제 2 절 역할 프레임 변화: 종속 에서 연대 로

1 . 1기 ( 1 9 8 7 - 1 9 9 2 ) 의 운동환경 과 역할 프레임

1기(1987-1992)의 역할 프레임은 정체성 프레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즉, 기

층여성으로서의 여성집단, 전체운동의 부문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이라는 정체성 프레임은,

여연의 역할 프레임을 전체 변혁운동에 복무하는 것으로 규정짓게 하였다. 사회전반의 실

질적인 민주화를 실현하게 하는 것이 여연의 주요 과제였고, 그것을 위해 민족자주화운동,

생존권 확보투쟁, 조국통일 운동에 복무하도록 규정되었던 것이다. 또한 1992년 대선을 앞

둔 1시기 후반의 상황은 민주대연합이라는 운동진영 공통의 과제를 설정하게 하였고, 여

연은 이러한 민주대연합의 과제에 충실히 복무할 것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미흡하나마 1시기에 이루어진 제도적 공간의 확장은 사회운동진영으로 하여금

제도정치로의 포섭화의 도전에 직면하게 하였고,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제도정치권의 민주

화세력 흡수는 여연이 법제화 운동을 여연의 역할의 중요한 한 축으로 형성하게 하였다.

이는 전체운동에 복무하는 것을 공식적인 역할로 채택하고 있던 여연의 역할 프레임에 중

대한 균열을 가져왔는데, 이러한 균열은 1시기 후반부에 전체운동에 복무하는 것과 독자적

으로 여성권익을 위한 법제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병행'할 것을 표방함으로써 수선되고

있지만, 이러한 수선작업은 매우 불완전한 것이었다.

즉, 역할 프레임은 실제적인 활동과 연관되어 있어서 정체성 프레임에 비해 추상정도

가 낮기 때문에 환경의 변화에 더 민감한 측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 106 -

Page 11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2 . 2 기 ( 1 9 9 3 - 1 9 9 7 ) 의 운동환경 과 역할 프레임

2기(1993-1997)의 변화한 운동환경은 역할 프레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제도적 공간의 확

장과 시민사회의 성장,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사회운동산업의 분화는 역할 프레임의 변환과

확장을 유도하였다.

2시기에 여연의 지향은 1시기의 실질적 민주주의가 구현된 '자주·민주·통일된 사회'로

부터, 남성적 원리가 지배하는 근대성을 벗어난 새로운 문명의 창출로 변환되고 이를 가

능케 하는 제도개혁이 중요한 과제로 설정된다. 이는 운동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른 정체

성 프레임의 변화로부터 기인한 것인데, 민주 대 반민주 구도가 무너지고 남성성 對 여성

성이라는 성별에 따른 대립구도가 나타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속에서 2시기 여연이 강조하고 있는 과제는 대중성 확보와 정치세력화이다.

대중성 확보는 정치세력화를 향한 기반을 닦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에 대한 언급은 1시기

에도 나타나고 있지만, 그 함축은 양 시기가 판이하게 다르다(<표6-1> 참조). 즉, 2시기의

정치세력화는 제도정치공간을 주요하게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1시기에 비해 2시기의 정치

적, 제도적 공간이 한층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정치세력화의 과제는 2시기 후반부로 가면서,

1995년 북경세계여성대회 강령이 수용되어 사회전반에서 여성정책의 주류화라는 과제로

확충된다.

< 표 6- 1: 정치세력화의 함축의 변화 >

시기 함축

1시기- 전체 변혁운동에 참여

- 민주 對 반민주 구도의 강화

2시기- 여성의 제도정치 진출

- 여성정책형성과정에서 압력의 행사

2시기 정치세력화 , 나아가 사회 각 부문에서 여성정책의 주류화로 특징지어지는 역할

프레임은 이슈의 확장으로 표상된다. 정체성 프레임은 여성이라는 성별을 전면에 부각시키

는 프레임 특화의 방식으로 변화하였지만, 역할 프레임은 그렇게 변화하지 않는다. 오히려

역할 프레임은 가능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정

치세력화를 위해 여연의 사회적 영향력을 확장할 필요성이 강했고, 따라서 사회의 중요한

사안에 대해 여연의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여연의 입지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 107 -

Page 11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일이었을 것이다. 즉, 분화된 사회운동산업은 사회운동조직들을 경쟁화의 도전에 직면하게

하였고, 자원과 전략을 둘러싼 이러한 경쟁에 대하여 역할의 확장, 보다 구체적으로 이슈의

확장을 통해 대처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UR문제나 비자금 정국, 5.18 특별법 제정 등 사회 공통의 이슈에 대한 여연의

활동은 1시기처럼 전체운동에 복무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공통의 이슈에 대

한 여연의 활동은 보다 동등한 의미의 연대라는 틀을 통해 이루어졌고, 그러한 이슈들에

대해서 여성들의 목소리를 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슈뿐만 아니라 전략'의 측면에서도 확장이 이루어졌다. 즉 1시기 가두투쟁방식과 성

명서 발표가 중요한 전략이었다면, 2시기에 들어 전략은 훨씬 다양화되었고, 대결적 전략과

합의적 전략이 공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략의 확장은 여연의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 확대

를 위해 확장된 합법적인 공간과 비제도적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므로

필연적인 것이었다.

3 . 역할 프 레임 변화의 양상과 함 의

3.1 역할 프레임 변화의 양상: 종속에서 연대로

살펴볼 수 있는 역할 프레임 변화의 양상은 종속에서 연대로의 변화라고 정리할 수 있

다. 1시기 전체운동의 과제에 충실히 복무할 것을 표방했던 역할 프레임은 1시기 후반 법제

화 운동이 중요하게 등장하면서 균열이 생겨났고, 2시기 들어 남성적 근대성을 넘어선 탈

집중화된 생태친화적 사회라는 새로운 지향을 확립하면서 변환을 겪는다. 2시기에는 여성

운동의, 여연의 독자성이 보다 중요하였고, 사회전반에 걸쳐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것을

의미하는 정치세력화, 주류화라는 과제가 강조되었다. 따라서 여연이 다루는 이슈는 이전보

다 다양해졌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여성운동의 , 여연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것이었다.

아래의 <그림 6-2>는 역할 프레임에서 시기별 주요 이슈가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를 나

타낸 것이다. 1시기 전체운동이라는 이름 하에 강조되고 집중되었던 민주화항목과 여성

노동 항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눈에 띠게 감소하고 있다. 반면 정치세력화 항목은 뚜렷

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108 -

Page 11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그림 6-3: 시기별 주요 이슈가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

아래의 <그림 6-3>은 여연이 사용하는 전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다양해졌음을

보여준다. 집회 형식은 지속적으로 중요한 전략으로 이용되고 있다. 반면 성명서 발표 같은

선언적 활동은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의견서 제출·면담 등의 방식이나 정부 협의체 간담

회·정부 워크샵 참가 등의 보다 실질적인 활동의 그 비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제도정치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즉, 여연이

사안이나 상황에 따라 대결적 전략과 협상적 전략을 동시에 구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

것이다.

< 그림 6-4: 시기별 주요 전략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

- 109 -

Page 11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3.2 역할 프레임과 정체성 프레임의 조응

우선 역할 프레임이 기본적으로 정체성 프레임에 조응하는 방향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겠다. 즉, 역할 프레임은 정체성 프레임으로부터 미리 예상할 수 있는

(presupposed) 것인데, 1시기의 전체운동에서 분리되지 않은 정체성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

지 않는 역할 프레임이 도출되고, 2시기의 여성으로서의 독자성이 강조되는 정체성 프레임

으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역할 프레임이 도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역할 프레임이 정체성 프레임에 대하여 완전히 종속적인 것은 아니다. 역할 프

레임이 정체성 프레임보다 추상 수준이 낮다는 사실, 실제적인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메시지라는 사실은 역할 프레임이 외부 조건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게 한다. 예컨대 1시기

후반, 제도적 공간의 확장이라는 정치적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정체성 프레임은 별다른 변

화가 나타나지 않는데 반하여 역할 프레임에는 심대한 균열이 나타난다. 즉, 부분적인 프레

임 확장이나 프레임 변형으로 생겨난 기존 프레임의 균열은 정체성 프레임의 경우 추상적

이데올로기의 수준에서 쉽게 복구될 수 있는 반면, 역할 프레임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40)

이는 역할 프레임의 환경, 특히 사회운동조직이 활동할 수 있는 제도적 공간의 확장과 관련

된 기회구조에 대한 민감한 반응성이 사회운동조직 전체 프레임의 내적 충실도(fidelity)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 그림 6-5: 외부적 조건과 정체성 프레임, 역할 프레임간 관계에 대한 패턴 >

<운동환경> <정체성프레임> <역할프레임>

- 정치적 개방성↓

- 사회운동산업의

구심력적 심화

→통합된 정체성

프레임→ 통합된 역할

프레임

—————————————→

- 정치적 개방성↑

- 사회운동산업의

원심력적 분화

→특화, 확장된

정체성 프레임→ 특화, 확장된

역할 프레임

—————————————→

40) 3장의 1시기 후반부 프레임 분석을 참조할 것.

- 110 -

Page 11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3.3 역할 프레임의 이니셔티브

한편, 1시기와 2시기의 후반부에 역할 프레임의 이니셔티브가 강화된다는 사실을 언급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시기의 초반부는 여연이 설립된 당시이므로 우리는 누구인가에

대해 표방할 필요성이 매우 강하다. 이는 여성운동론의 정립을 통해 드러나며, 우리에 대

한 언급, 그리고 그들(적) 에 대한 언급이 반복적으로 강조되어 드러난다. 그러나 1시기 후

반부에 접어들면, 이미 확립된 정체성 프레임이 안정되면서 역할 프레임이 보다 주도적이

된다. 즉, 이미 확립되어 있는 정체성 프레임에 기반하여 상황을 인식하고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우리나 그들을 규정하는 것보다는 보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가 더 중요한 물음이 된다.

2시기에도 이러한 패턴은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즉, 프레임 변환의 초기인 2시기 전반부

는 새로운 여성운동론의 정립을 통해 새롭게 우리를 정의하는 시도가 중요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후반부로 접어들면서는 정체성 프레임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무엇을, 어떻게 할 것

인가에 대한 역할 프레임이 이니셔티브를 획득한다.

이는, 각 시기의 특성이 프레임의 내용 뿐 아니라 프레임의 이니셔티브까지 결정함을

보여준다.

- 111 -

Page 11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제 7 장 결론

제 1 절 논의의 요약

본 연구는 사회운동에 개인들을 동원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왔던 기존 사회운동 프레임

연구의 편향에 대하여, 거시적인 맥락 속에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장기간에 걸친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변화의 양상을 추적함으

로써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1987년부터 1997년까지의 시기를 운동환경의 차이가 관찰되는 두 시기로 구분, 각

시기의 운동환경을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후 각 시기

별로 여연의 프레임 구성의 양태가 어떠한지를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운동환경과 프레임 양자가 어떻게 관계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연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양상을 각 시기 운동환경과 연관하여 살펴본 결과, 사회

운동조직의 프레임이 운동환경이라는 외부적 조건으로부터 일정하게 구조화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정권의 성격으로 대별되는 정치적 개방성과 민주성의 정도는 사회운동조직

의 프레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문민정부의 등장을 기점으로 하여 여연

이 프레임 변환을 겪었다는 데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정치적 개방성과 민주성의 확대는,

권위주의적 정부 하의 대립구도를 제거하여 기존 프레임의 전제를 붕괴시킬 뿐 아니라, 시

민사회의 성장과 분화를 촉진하여 단일한 전선으로 사회운동산업이 결집되는 것을 막는다.

즉, 정치적 개방성과 민주성의 정도는 프레임 그 자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측면과,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에 영향을 주어 프레임 변화를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측면도 있다.

또한 사회운동산업의 배열 역시 여연의 프레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이 관찰되었

다. 구심력적 심화와 원심력적 분화로 요약될 수 있는 각 시기 사회운동산업의 배열은

각 시기 프레임 정렬전략과 여연이 구성한 프레임의 양태에 조응하고 있었다. 즉, 구심력적

통합성 하에 놓여 있는 사회운동산업 속에서 여연은 프레임 연결 전략을 사용하여 전체운

동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프레임을 구성하였고, 사회운동산업의 원심력적 분화의 경향이

가속화된 이후에는 자신의 입지를 분명히 하고 독자적인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프레

임 특화와 프레임 확장을 통해 성별로서의 여성, 여성운동의 독자성이 강조되는 프레임

을 구성하였다.

또한 프레임 변화의 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1993년을 기점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변

- 112 -

Page 11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환의 양상이 패러다임 변화의 양상과 매우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는,

Babb(1996)의 연구결과에 상응하는 것인데, 그녀는 사회운동이 불일치하는 경험적 증거에

대하여 모호한 언어 재정의 등의 프레임 보존 전략을 사용하여 불일치하는 증거를 덮으

려 하다가 그러한 불일치성이 더 이상 감추어질 수 없는 수준에 이르면 마치 과학에서 패

러다임이 전환하는 것처럼 전적으로 다른 프레임으로 변화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유사한 프레임 변환의 양태가 관찰된다. 즉, 1시기의 절차적 민주성의 확보와 제도적 공간

의 부분적 확장, 그리고 사회의 다원화라는 외부 조건 변화로 인해 프레임의 균열이 발생하

지만, 그러한 균열은 프레임의 부분적 확장과 정체성의 재정의를 통해 복구되고 있다. 즉, 1

시기 후반은 프레임 복구를 통한 프레임 보존으로 특징지어지고 있으며, 1993년 문민정부

의 등장이 기존 프레임의 전제였던 민주 對 반민주구도를 붕괴시키면서 더 이상 프레임

복구가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을 때 프레임 변환이 표명되었다. 그러나 1시기 프레임 균열

의 정도는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이 각각 달랐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는데, 실제적

인 활동과 관련된 역할 프레임의 경우 그 균열의 정도는 훨씬 심각하였다.

세 번째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정체성 프레임이 역할 프레임을 구조화하고 있음을 보

여준다. 즉, 정체성 프레임을 전제로 하여 역할 프레임이 도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역

할 프레임이 정체성 프레임에 전적으로 종속적인 것은 아니고 일정정도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즉, 추상수준이 낮고 보다 실제 활동에 근접해 있는 역할 프레임은 외부 환경, 특히

제도적 정치공간의 개방과 같은 운동영역과 관련된 기회구조에 매우 민감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객관적 조건에 대한 역할 프레임의 자율성은 사회운동조직 프레임의 내적 충실도

(fidelity)를 약화시켜 프레임의 신뢰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제 2 절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본 연구의 결과는 여연의 프레임이 정치적 기회구조와 사회운동산업에 있어서의 변화라

는 객관적 조건의 영향 하에서 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권의 성격이나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 같은 돌발적 사건, 사회운동산업의 배열 등에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은 많

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사회운동 프레임 연구가 프레임의 효능성 중심

으로 이루어진데 반하여, 외부적 조건들의 결과로서 프레임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의 프레임 연구가 주로 프레임과 잠재적 동원자와의 관계만을 고

려한 데 대해 프레임을 보다 넓은 거시적 맥락 속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하는 단초를 제공해

- 113 -

Page 12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프레임 변화는 잠재적 동원자(여기서는 여성)와의 관계 뿐만 아니

라 보다 거시적인 환경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즉, 여연은 여성운동조직이

지만, 여연의 프레임은 1차적인 잠재적 지지자인 여성들의 생활세계와의 관련 속에서만 구

성되는 것이 아니라, 정권의 성격으로 대별되는 정치적 환경의 개방성, 그리고 사회운동산

업의 배열과의 밀접한 연관 속에 구성되고 있다. 이렇게 외부적 조건, 특히 정부의 성격과

사회운동산업의 형태에 프레임이 조응하는 양상은, 사회운동조직이 정부나 다른 사회운동

조직들 등, 다양한 타겟(multiple targets)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해준다. 즉, 지지자의 場에

초점을 두고, 사회운동에 개인들을 동원하는 미시동원의 문제에 주목해온 기존의 사회운동

연구가 보다 다양한 타겟들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암시해주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 변환의 과정이 패러다임 변화의 양상과 유사하다는 본 연구의 결론은

Babb(1996)이 미국의 노동운동의 사례를 대상으로 내린 결론에 부합하는데, 이는 프레임 변

화의 양상을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외부 환경과 프레임이 조응하는 양상 뿐 아니라 외부환경과 프

레임 정렬 전략이 조응하는 양상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사회운동조직이 생존을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프레임 정렬 전략을 유형화할 수 있는 가능

성을 보여주며, 프레임 정렬 전략이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을 고찰하기 위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암시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한국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지적할 필요가 있겠다. 즉,

민주주의적 이행이라는 특수한 정치사회적 변화 속에서 프레임 변화의 양상을 고찰함으로

써 한국적 상황에 부합하는 프레임 구성의 양태를 밝히려 하였다.

제 3 절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먼저 방법론적 측면의 한계를 들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에 드러난 여연의 프

레임 분석을 통해 운동환경의 변화가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유추하였지

만, 사회운동조직이 자신의 프레임을 어떤 과정을 통해 구성하는지를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

보기 위해서는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방식을 보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활동가들이 무엇을 염두에 두고 사회운동조직의 메시지를

구성하는가를 심층인터뷰를 통해 알아낼 수 있다면, 프레임 구성과 변화의 동학이 보다 명

료하게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인터뷰 대상자를 섭외하는데 다소 어

- 114 -

Page 121: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려움이 있을 수 있고, 특히 오랜 기간에 걸친 연구일 때는 인터뷰 대상자의 기억에 한계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해 두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여성단체연합이 발행한 모든 자료를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다. 여

연은 수십 종의 자료를 발행해왔는데, 본 연구는 그 중 여연의 기관지적 성격을 가지는 두

매체인 『민주여성』과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을 프레임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시간의

부족이라는 객관적인 한계에서 비롯한 것이지만, 그로 인하여 프레임 분석결과의 신뢰도가

다소 떨어진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발행한 모든 자료를 대상으로 프레임 분석을 보다

엄밀하게 행한다면, 보다 신뢰성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부적 조건의 변화가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을 어떻게 틀지우는가를 살펴

본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한국여성단체연합이라는 하나의 사회운동조직인 사례연구였

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사례가 오랫동안 생존해 온 사회운동조직이 변화하는 상황에

대처하는 프레임 전략의 양상을 보여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모든 사회운동조직이 동일한 전

략을 채택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프레임 변환과 프레임

확장을 통하여 지속적인 입지와 영향력을 확보해 나갔지만, 프레임 유지나 프레임 축소가

또한 사회운동조직의 생존전략으로 채택될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회운동조직의 각기 다른 프레임 전략의 선택, 혹은 다른 프레임 구성 양식

은 무엇에서 기인한 것인가를 보다 정교하게 파악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러한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상황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게 언급될 수 있을 텐데, 즉,

동일한 기회구조를 두고서도 그러한 기회구조를 바라보는 관점은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점의 차이가 구체적인 프레임의 차이를 낳는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도 상황에 대한 인

식을 정체성 프레임과 역할 프레임을 도출하기 위한 전제로서 분석에 포함시켰지만, 보다

정교화된 분석틀로 이 측면을 분석해낼 수 있다면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의 과정은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히 사회운동조직은 상황을 프레이밍하는 데 있어 여타 사회 조직

들과 다르게 낙관적 편향 (optimistic bias)의 경향 - 저항의 가능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 을

드러낸다는 지적이 있는데(Gamson & Meyer, 1996), 이러한 사회운동조직의 특수성에 주목

하는 것은 의미있는 결론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후속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생존전략을 채택한 사회운동조

직들의 프레임 전략의 효과를 중요한 변수로 취급하는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즉, 동일한 상황에서 다른 프레임 전략을 채택한 사회운동조직들에게 어떠한 차이가 나타났

- 115 -

Page 122: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전략의 결과는 일차적으로 조직의 생존여부를 통해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분야에 대한 사회운동조직들 중, 장기간 생존에 성공한 조

직들과 소멸한 조직들을 분류하여 프레임 전략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해 본다면, 각각의

프레임 전략들이 가지는 사회적 효과를 유추할 수 있다. 조직의 생존여부 이외에도 프레임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로 조직의 크기, 대중적 영향력, 언론보도량, 정책의제설정력 등

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그동안 프레임 효과연구가 미시적인 개인수준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던

데 비하여 보다 거시적인 사회적 수준으로 프레임 효과연구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

로 생각된다.

- 116 -

Page 123: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참고문헌

1. 국내문헌

강이수·정혜선(1997) 여성정책과 평등지위의 실현, 학술단체협의회(1997b) 6월 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년 Ⅱ(pp. 233-268), 당대.

경남대 극동문제 연구소 (1993) 한국 정치·사회의 새흐름, 나남.

공석기 (1997) 1990년대 한국 사회운동조직에 대한 경험적 연구, 서울대 사회학과 TM.

김경일·이창걸 (1997) 한국의 민주화와 사회운동, 한국사회사학회(편), 한국현대사와 사회운

동(pp. 318-349) 문학과 지성사.

김남두 (1999) 1997년 노동법 파동과 미디어 담론의 이중적 의미생산,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TM.

김철규 (1997) 한국농민운동의 전개과정과 운동담론의 변화, 경제와 사회 97년 여름호(통권

제 34호), pp.67-85.

김호기·김정훈 (1997) 시민사회와 계급정치, 학술단체협의회(1997b) 6월 민주항쟁과 한국사

회 10년 Ⅱ(pp.211-232), 당대.

나경선 (1993) 사회복지정책 결정에 사회운동이 미치는 영향의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TM.

노중기 (1997) 6월민주항쟁과 노동자 대투쟁, 학술단체협의회 (1997a) 6월 민주항쟁과 한국

사회 10년 Ⅰ(pp.183-219), 당대.

민영 (1997) 사회운동조직의 집합행위프레임, 미디어전략, 의제형성능력에 관한 비교연구 -

경실련과 환경련을 중심으로.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TM.

박재묵 (1996) 사회운동의 이해, 한완상외(1996) 한국사회학-한국사회의 이해와 전망(pp.

375-407)민음사.

박형준 (1997) 민주화, 권력의 재구조화, 그리고 성찰적 시민사회, 경제와 사회 97년 여름호

(통권 제 34호), pp.20-49.

보건복지부 (1996) 女性團體現況, 보건복지부.

시민의 신문 (1997) 민간단체총람

신광영 (1997) 계급과 정체성의 정치, 경제와 사회 97년 가을호(통권 제 35호), pp. 34-51.

신영숙 (1995) 한국여성운동의 흐름과 전망, 윤근섭 외(1995), 여성과 사회(pp.405-446), 문음

- 117 -

Page 124: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심영희 (1995) 한국성담론의 지속과 변동: 유교적 담론과 페미니즘 담론을 중심으로, 여성연

구, pp.195-213.

이미경 (1998) 여성운동과 민주화운동-여연 10년사, 한국여성단체연합 (1998) 열린 희망 - 한

국여성단체연합 10년사,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pp. 17-44.

이민아 (1998) 사회운동조직간의 연대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군 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

을 중심으로, 서울대 사회학과 TM.

이신행 (1997) 한국의 사회운동과 정치변동, 민음사.

이승희 (1994) 여성운동과 정치이론, 녹두.

정진성 (1997) 새로운 사회운동의 전개, 한국사회사학회(편), 한국현대사와 사회운동(pp.

350-373), 문학과 지성사.

정철희 (1996) 중위동원과 6월 항쟁, 한국사회학회(편) 한국사회학 제 30집 봄호.

정태석·김호기·유팔무(1995) 한국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의 전망, 유팔무·김호기 (편), 시

민사회와 시민운동 (pp. 263-297), 한울.

정해구 (1997) 한국정치의 민주화와 개혁의 실패, 학술단체협의회(1997b) 6월 민주항쟁과 한

국사회 10년 Ⅱ(pp.15-38), 당대.

조대엽 (1995) 한국의 사회운동과 조직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1987-94, 고려대학교 사회

학과 TD.

______ (1996a) 사회운동분석에 있어서 조직의 문제 - 미시-거시 매개의 문제를 중심으로,

현대사회 43, 현대사회연구소, pp.220-236.

______ (1996b) 1990년대 사회운동조직분화의 유형적 특성, 한국사회학회(편) 한국사회학 제

30집 여름호

조영욱 (1998) 1970년대 함평 농민운동의 연결망과 의미구성과정에 대한 연구. 서울대 언론

정보학과 TM.

조주현 (1996)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 80-90년대 한국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vol.12 No.1. pp. 138-177.

조희연 (1998a)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당대.

______ (1998b)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당대.

주용범 (1995) 5공화국 말기 개헌의제의 형성과 변동 과정에 관한 연구 - 조선일보를 중심

으로, 서울대 신문학과 TM.

- 118 -

Page 125: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최장집 (1993) 한국민주주의의 이론, 한길사.

최장집·임현진 공편 (1993) 시민사회의 도전, 나남.

통계청 (1998) 1997 경제활동 인구연보, 통계청.

학술단체협의회 (1997a) 6월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년 Ⅰ, 당대.

______________ (1997b) 6월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년 Ⅱ, 당대.

허상수 (1997) 노자관계의 변동과 전망, 학술단체협의회(1997b) 6월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

년 Ⅱ(pp.269-302), 당대.

한국여성단체연합 (1998) 열린 희망 - 한국여성단체연합 10년사,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

구소.

2. 국외문헌

Babb, S. (1996). "A true American System of Finance": Frame Resonance in the U.S.

Labor Movement, 1866 to 1886,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61(December),

pp. 1033-1052.

Benford, R. D. (1993). Frame Disputes within the Nuclear Disarmament Movement, Social

Force, Vol. 71, No. 3, pp. 677-701.

_______ (1997) An Insider's Critique of the Social Movement Framing Perspective,

Sociological Inquiry . Vol. 67, No. 4, pp.409-430.

Billig, M. (1995). Rhetorical Psychology, Ideological Thinking, and Imagining Nationhood,

in Johnston, H & Klandermans,B(Eds.) Social Movements and Culture(pp.64-81),

Minnesota Univ. Press.

Cornfield, D. B.& Fletcher, B. (1998). Institutional constraints on social movement "frame

extention" : shifts in the lagislative agenda of the American Federation of Labor,

1881-1995, Social Force, Vol. 76, pp. 1305-1322

Diani, M. (1996). Linking Mobilization Frames and Political Opportunities: Insights from

Regional Populism in Ital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61(December), pp.

1053-1069.

Evans, S. M. (1997). Multi-Organizational Fields and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Frame Content: The Religious Pro-Choice Movement, Sociological Inquiry, Vol. 67,

- 119 -

Page 126: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No. 4, pp. 451-469

Gamson ,W. A. & Meyer, D. S. (1996). Framing political opportunity, in McAdam,

McCarthy & Zald (Ed.),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ocial movements (pp. 275-290).

Cambridge Univ. Press.

Hunt, S. A., Benford, R. D. & Snow, D. A. (1994). Identity Fields: Framing Processes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Movement Identities, in Larana, Johnstone & Gusfield

(Ed.), New Social Movements: From Ideology to Identity(pp. 185-208), Philadelpia:

Temple Univ. Press.

Johnston, H. & Klandermans, B. (1995). The Cultural Analysis of Social Movement, in

Johnston, H & Klandermans,B (Eds.) Social Movements and Culture (pp. 3-24),

Minnesota Univ. Press.

Klandermans, B. (1992). The Social Construction of Protest and Multiorganizational Fields.

in Morris & Mueller (Ed.),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pp. 77-103). Yale

Univ. Press.

Kubal, T. J. (1998). The Presentation of Political Self: Cultural Resonance and the

Construction of Collective Action Frames, The Sociological Quarterly, Vol. 39, No.

4, pp. 539-554.

Lofland, J. (1996).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Hawthorn.

Marullo, S. & Pagnucco, R. & Smith, J. (1996). Frame Changes and Social Movement

Contraction: U.S. Peace Movement Frame After the Cold War. Sociological Inquiry,

Vol. 66, No. 1, pp. 1-28.

McAdam, D., McCarthy, J. D. & Zald, M. N. (1988). Social Movements, in Neil Smeler

(Ed.), Handbook of Sociology (pp. 695-737), CA: Sage.

________ (1996). Opportunities, mobilizing structures, and framing processes - toward a

synthetic, comparative perspective on social movements, in McAdam, McCarthy

& Zald (Ed.),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ocial movements (pp. 1-20). Cambridge

Univ. Press.

Melucci, A. (1985). The Symbolic Challenge of Contemporary Movements, Social Research,

No. 52, pp. 789-816.

______ (1992). Liberation or Meaning? Social Movements, Culture and Democracy.

- 120 -

Page 127: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Development and Change, Vol. 23, No. 3, pp. 43-77.

Mooney, D. & Hunt, S. A. (1996). A Repertoire of Interpretations: Master Frames and

Ideological Continuity in U.S. Agrarian Mobilization, The Sociological Quarterly,

Vol. 37, No. 1, pp.177-197.

Polletta, F. (1997). Culture and Its Discontents: Recent Theorizing on the Cultural

Dimensions of Protest, Sociological Inquiry, Vol. 67, No.4, pp. 431-450.

Snow, D. A., Rochford, B., Worden, S., & Benford, R. D. (1986). Frame alignment

processes, micromobilization, and movement particip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1, pp. 464-481.

Snow, D. A. & Benford, R. D. (1988). Ideology, frame resonance, and participant

mobilization. International Social Movement Research, Vol.1, pp.197-217.

_______ (1992). Master Frames and Cycles of Protest, in Morris & Mueller (Ed.),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pp. 133-155). Yale Univ. Press.

Swart, W. J. (1995).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Irish Question: Master frames,

cycles of protest, and "master frame alignment", The Sociological Quarterly, Vol. 36,

No. 3, pp. 465-481.

Tarrow, S. (1992). Mentality, Political Cultures, and Collective Action Frame. in Morris &

Mueller (Ed.),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pp. 174-202). Yale Univ. Press.

Taylor, V. (1989). Social Movement Continuity: The Women's Movement in Abeya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4(Octobor), pp. 761-775.

Zald, M. N. (1996). Culture, ideology, and strategic framing, in McAdam, McCarthy &

Zald (Eds.),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ocial movements (pp. 261-274). Cambridge

Univ. Press.

Zdravomyslova, F. (1996). Opportunities and framing in the transition to democracy: The

case of Russia, in McAdam, McCarthy & Zald (Eds.),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ocial movements (pp. 122-137). Cambridge Univ. Press.

3. 기타자료

『민주여성』창간호 - 19호

- 121 -

Page 128: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한국여성단체연합소식』창간호 - 9호, 11호

3·8 세계 여성의 날 기념 선언문 모음 (1987-1997) (* 출처 : http:/ / www.women21.or.kr)

연구주제와 관련된 신문기사들

4. 관련 인터넷 사이트

http:/ / www. women21. or. kr (한국여성단체연합 홈페이지)

- 122 -

Page 129: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 Englis h Abstract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Changing Process of th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Frame, reacted on the Change of Movement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Korea Women's Associations United"

It is one of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MO) to propose the

framework of the real society. Up to the present, most studies have used the 'Frame' as to

analyze this framework. But these studies have the limitation to focus on an effect of the

'frame' on the potential volunteers. The Frame of SMO is socially constructed and

meaningful, only if anchored to the real world. So it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framing process of the SMO to explai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 And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the frame as 'static thing', but it is a dynamic and changeful

thing in response to the transformation of outer social contex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formation and changing process of the frame reacted

on the change of outer context, that is 'movement environment' . In this study, 'the

movement environment' is divided into the structure of political opportunity and the

configuration of social movement industry. Also the frame of SMO is conceptualized as

the identity frame and the role frame.

The case study is about the Korea Women's Association United(KWAU) from the year

of 1987 to 1997. That period is divided before and after the year of 1993 when there was

great change in the movement environment. The case study is analyzed through

investigating what was the frame of KWAU at each time and how the frame and the

movement environment is rela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frame of the SMO is structured by the outer condition of the movement

environment. Especially the character of government which is expressed as the degree of

political openness and democratization, makes great effect on this frame. KWAU has

experienced the big change at 1993 when so called the 'Munmin government' emerged.

According as the political openness and the degree of democratization is expanded, the

previous frame made at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is broken down. And the growth of

civil society prevent the social movement industry from coming together into single battle

- 123 -

Page 130: 운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조직의 프레임 구성과 변화 과정에 …civilpower3.ivyro.net/wp-content/uploads/2015/11/사회운동조직의변화이소연... ·

line. Namely, the degree of political openness and democratization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frame and indirect influence on it by affecting the social movement industry.

Secondly, the social movement industry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KWAU's frame.

At each time the type of KWAU's frame foll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ocial movement

industry which is divided into the 'centripetal unity' and the 'centrifugal separation' .

Under the centripetal unity of social movement industry, the KWAU used the strategy of

'frame bridging' in order to become involved into the whole movement. On the contrary,

after the social movement industry centrifugally separated, KWAU used the strategy of

'frame specialization' and 'frame expansion' which was represented by emphasizing the

originality of Women's movement.

Also the pattern of frame change at 1993 is very similar to that of paradigm shift. The

paradigm shift consists of this phases, 'the crack of paradigm, the recovery of paradigm

and the shift of paradigm'. Between 1987-1992, due to advance of democratization, the

frame had some cracks but restored by redefining that previous frame. At 1993 when the

emergency of Munmin government broke the previous battle line, 'democracy and

anti-democracy', the previous frame is shifted into new one.

Thirdly, the role frame is structured by the identity frame. That is to say, the role

frame is based of the identity frame. But the role frame doesn't entirely depend on the

identity frame but has some autonomy. Because of being close to movement practice, the

role frame sensitively responds to outer environment, especailly chances concerned with

the field of movement.

In conclusion, the macroscopic environment - the degree of political openness and the

configuration of social movement industry - has great influences on the construction and

change of the frame. The coincidence of the frame with outer condition suggests that the

social movement groups have multiple targets, the government, other SMOs, and so on.

Accordingly beyond focusing on the micromobilization of the social movement group, the

study on social movement has to involve the problem of this multiple targets.

Key words : social movement,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frame, structure of political

opportunity, social movement industry.

student number : 98211 - 510

- 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