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며, 필요어| 짜라 1 ....

6
5 pp. 683 - 688. 1986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Vo1. 22. No.5. 1986 - Abstract- High Resolution CT of Temporal Bone Trauma Eun Kyung Youn, M.D. Department of Koryo Ceneral Hospital Radiographic studies 01 the temporal bone lollowing head trauma are indicated when there is cerebrospinal Iluid otorrhea or rhinorrhea, hearing loss. or lacial nerve paralysis. Plain radiography displays only17-30% 01 temporal bone Iractures and pluridirectional tomography is both difficult to perform, particularly in the acutely patient, and less satislactory lor the demonstration 01 line Iractures. Consequently, high resolution CT is the imaging method 01 choice lor the investigation 01 suspected temporal bone trauma and allows spacial resolu- tion 01 line bony detail comparable to that attainable by conventional tomography Eight cases 01 temporal bone trauma examined at Koryo General Hospital April 1985 through May 1986The results were as lollows: Seven patients (87%) suffered longitudinal Iratures. In 6 patients who had purely conductive hearing loss, CT revealed various ossicular chain abnormality. In one patient who had neurosensory hearing loss, CT demo[Jstrated intract ossicles with a Iracture nearing lateral wall 01 the lateral semicircular canal In one patient who had mixed hearing loss, CT showed complex Iracture L (pluridi rectional tom- 9 4 , 5) bone algori (H igh resolution (refor- - 683-

Upload: others

Post on 24-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며, 필요어| 짜라 1 . 6→1.8배의 확대하여 사진을 찍었마. Fig. 1. Case 2. Longitudinal fracture

大웰放射짧뽑學會誌 第 22 卷 第 5 號 pp. 683 - 688. 1986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Vo1.22. No.5. 1986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고려뱅원 방사선과

- Abstract-

C그 」 경

High Resolution CT of Temporal Bone Trauma

Eun Kyung Youn, M.D.

Department of Radiologκ Koryo Ceneral Hospital

Radiographic studies 01 the temporal bone lollowing head trauma are indicated when there is cerebrospinal

Iluid otorrhea or rhinorrhea, hearing loss. or lacial nerve paralysis. Plain radiography displays only17-30% 01

temporal bone Iractures and pluridirectional tomography is both difficult to perform, particularly in the acutely

川 patient, and less satislactory lor the demonstration 01 line Iractures. Consequently, high resolution CT is the

imaging method 01 choice lor the investigation 01 suspected temporal bone trauma and allows spacial resolu­

tion 01 line bony detail comparable to that attainable by conventional tomography

Eight cases 01 temporal bone trauma examined at Koryo General Hospital April 1985 through May 1986‘

The results were as lollows: Seven patients (87%) suffered longitudinal Iratures. In 6 patients who had purely

conductive hearing loss, CT revealed various ossicular chain abnormality. In one patient who had neurosensory

hearing loss, CT demo[Jstrated intract ossicles with a Iracture nearing lateral wall 01 the lateral semicircular canal

In one patient who had mixed hearing loss, CT showed complex Iracture

L 서 료르 」

측두골의 방사선학적 검 사는 두부외 상후 뇌척수 이루,

비루, 청력소실 또는 안연신경마ll] 등의 합영증이 있는

경우 실시한다. 측두골 외상환자에서 이러한 합영증을

줄이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이 필요하다II

측두골 골절은 단순 촬영우로 17~30 %에서만 냐타

냐묘로2 , 3} 다방향단층촬영법 (pluridi rectional tom­

ography) 이 진단에 가장 좋응 방법으로 여겨 왔었다2 ,

이 논문은 1986 년 8 월 18 일에 접수하여 1986 년 9

월 3 일에 채택되었읍.

4 ,5) 하지만 다방향단층촬영법은 환자 상태가 좋지 않

은 경우는 실시하기 에렵고 미세한 골절은 찾지 뭇하는

단점이 있다6) 최근에는 절펀의 두께를 매우 없l 하고

bone algori thm을 사용한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숭

(H igh resolution CT)의 개말로 아주 미세한 쿠조

까지 볼 수 있으며 여러 땅향£로 상의 재쿠성 (refor­

mation)도 가능하며 다땅향단층촬영법보다 방사선 조

사량도 적으으로 측두골 골절의 진단에 가장 유효한 방

법으로 사용되고 있다7)

측두골 외상환자플 진단하는데 고해상력 CT가 유용

하다는 보고8)는 않았지만 CT 소견과 임상소견을 비교

분석한 보고는 그러 많지 않았다.

이에 저자는 측둔골 골절을 의심하여 고해상력 CT 를

- 683-

Page 2: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며, 필요어| 짜라 1 . 6→1.8배의 확대하여 사진을 찍었마. Fig. 1. Case 2. Longitudinal fracture

- 大합J.&M線醫짱會誌 : 했22썰 第 5 lJJÆ 1986-

실시한 8예의 임 상소견 및 CT 소견을 분석 검토하여 이들 대상환자에 대 하여 임상소견 특히 청력 소살의

운현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유무, 안연신경마비의 유무를 조사하고, 측둔골의 CT소

견은 측두골의 골섣형태 를 분류하였고 청소골파괴의 유

n. 연구대상 및 방법 무, 안연신경관의 손상유무등을 판찰하였고, 8예중 2여|

는 수술을 실시 하여 수출 소견파도 비교하였 다

1985 년 4 월부터 1986 년 5 월까지 고려뱅원에 서 측

두골 골절을 의심하여 고해상력 CT를 실시한 8예를 대

상으로 하였다.

CT 촬영기는 GE CT /T 9800 Scanner 를 사용했A

며 절펀의 두께와 주사간격은 각 1 .5 mm씩 하여 연속

적안 횡단주사 ( ax i a l scan)와 관상주사 ( coron a l sc

an)을 하였냐. 횡 단주사의 멤위 는 OM lin e 에 평행하

케 하여 고살개 Ctegmen tympani) 부위 부터 외 이도

(extern a l auditory meatus )의 하단까지 주사하고

관상주사는 OM lin e 에 90 O.로 하여 외이도 주사를 주

사하였다. 촬영조건은 120 Kvp , 100- 120 mA, 512 x

512 Ma trix , 조사시간은 4 s e c 로 하고, Bone a l go .

rithm으로 촬영하고, DFOV (di sp lay f ie ld of v i.

ew)를 사용하여 적절한 촬영부위를 결정하였다. 상응

가장 넓은 window width 인 4000 H로 하여 만들었으

며, 필요어| 짜라 1 . 6 → 1. 8 배의 확대 하여 사진을 찍었마.

Fig. 1. Case 2. Longitudinal fracture

III. 조사성적

8예 중 6 예가 남자, 2 예가 여자였고 연령은 8~59

세의 분포였으며 이중 20 3 0 디| 가 않았다.

외상의 원인으호는 7예가 자동차 사고였고 l예는 낙

상이였다.

검사시기는 8예중 5 예에서 외상후 5- 1 4 일 후에 실

시하였고 3예는 손상후 1 - 3 개월 후 실시 하였마. 검사

를 늦게 실시한 예는 모두 외부영원에서 이전되거나 의

뢰해서 검사한 환자였다.

외상당시 이경검사법상 고실헬종이 있었던 경우는 7

예 였 다. 전도성 난챙 ( condu c tiv e hea r ing loss ) 이

있었띤 경우는 6 예로 모두 종위골절환자에게 있었으며

지각신경성 난청 (ne urose nsory h earin g l o ss )응 종

위골절 l 예에서 있었는데 이 환자는 종위골절파 외측

A. Axial scan demonstrates fracture line through right mastoid and incus dislocation (arrow). Normal ice cream cone relationship of malleus and incus is no longer present. Fluid (presumably blood) with in right middle ear and opacified mastoid air cells are noted.

B. Fracture on the lateral wall of right sphenoid sinus is associated (arrow)

- 684 -

Page 3: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며, 필요어| 짜라 1 . 6→1.8배의 확대하여 사진을 찍었마. Fig. 1. Case 2. Longitudinal fracture

- 윤은경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총촬영 소견 -

F ig. 2. Case 3. Longitudinal fracture without ossicular disruption. Axial scans shows fracture extending through the mastoid portion of the temporal bone into the tympanic cavity (arrow) without disrup­ting the ossic1es. There are irregular soft tissue masses within the tympanic cavity compatible with resolving hemothympanum. There is par­tial opacificat ion with fluid levels in multiple mastoid air cells.

Fig. 3. Case 6. Complex fracture .

반규판(l a te ra l s em ic ircul a r can a l)의 팔절이 함께

있었다. 안연신경마비는 3 예에서 있었는데 2예는 즉시

냐타났고 1 예는 10 일후에 나타났다 이중 안면신경판

주위에 부종이냐 손상이 있었띤 예는 2 예였다.

측두골 골절의 고해상력 CT의 소견에서 골절의 형 태

학적 분류를 보연 7 예 (88 %)에 서 종위골절이었고(Fig.

1, 2) , 이중 l 예에서 외측l샌규판의 골절이 같이 있었고

1 예에서는 점행동의 외벽의 골절이 동반되 어 있였다

(Fig. IB). 청소골의 파괴가 있었띤 경우는 6예 였 다

(Fig. I A ). 횡위골절은 없었£며 혼합골철이 1 예 있

었마 ( Fi g . 3 ). 그외에 동반된 소견으호 유돌동의 혼탁

호'-'는 5 예였고 ( Fig . 1, 2 , 3) , 중이강내 혼탁화는 4 여l

에서 판찰되었다(Fig .I , 2 , 3 ). 수술을 실시했던 2 예

는 모두 수술전 CT 소견과 같은 소견을 발견하였고 2

예 오두 고살성형술 ( tympanopl asty)을 실시하였다

(Tabl e 1 ) .

N. 고 찰

측두골 외상의 진단 땅법으로 고해상력 CT의 이용은

마세 한구조까지 관찰이 가능하므로청소골의 이 상, 안

연신경판의 이상의 유무를 정확히 알 수 있을 뿐 아니

A. Axial scan shows multiple mastoid fractures wit h bony fragments ‘ Opacification of middle ear and mastoid with ossicular dislocation are demonstrated

B. Coronal scan at cochlea level demonstrates tegmen disruption (arrows) and an abnormally oriented bony den­sity (probably malleus) in the middle ear (*)‘

- 685-

Page 4: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며, 필요어| 짜라 1 . 6→1.8배의 확대하여 사진을 찍었마. Fig. 1. Case 2. Longitudinal fracture

~(」잉생」S” 。z

~{

}

ω 프

[i

。드씨 〔-ε~{ 」‘

- 太훼Ji(!j‘t~짧샤l싼4‘ : ;:P; 22~ 짜 5 械 1986 -

2걱

늦으〔〔)}

。z

~〔」ω핵」;¢ 。z

~{」ψ야」그잉 。z

~〔」잉여느}m

。z

~〔」잉여」Z” 。z

~ε ω ∞ -g g:

Ng zr{

」‘

~(

」P

M*」[{m

-얻어〕 」띠

-g느u-E%

{@」입∞-}。 =∞능 -Ehν〕∞-g=-ω느}〕〕여」ι

잉’:피〕∞」}

-쩌::〕-」〕-m〔-()」

=。공υ-}-υπ2。 -〕〔S%

등 ψ{-。〔}

--써」。〔}〔ζp“

}。:();」(

〕〔-”=。〔”-며그σ

띠 }。ιν」-]〕Qπ」ι

=。;〕Za「」∞-。ι=πε。

13〕〔:

생 -∞-τιιgπ〕%。킹깅〕드

}。=(〕;gE”-다

ν」그〕〕잉」}

--써〔:-〕3

얻야〔-。、{

ν=。끄

--ι」(〕〔r:P〕

}()

=。-〕」()〔【

@그。「〔E:σ

” }(]

잉」그〕〕성」ι

:(};ι;」m二〕

〔£ERp←=();πQ;;,‘ι。

{〕-g%π〔〔-E-gEg--g{:iιg=ιI

{여=π〕

-π-〕π}}。=。-〕」(〕g{]=N

P:」」πPZ

잉」-]}니잉」ι

띠ω{υ-m”。

}。〔-。-}시);」〕∞잉〔­

잉」:}〕치」}

X

으〔-E(〕니

k=5P}π=〕잉〕프〔-ι--〕 Za

=-경 Z그ν=:흐

잉느;〕π‘; -π〔=τ;}-다〔-(

)」

--‘=∞니 --엄시)성} }。=〔:}」。g

τ:N 잉:} }。다=-=이‘5ω

=。-〕〕{:=」π{。P{--::。-:」〕〔:

얘 -∞--pg잉∞。-〕그〕드 }。〔-。-〕〔--}」¢-〔­

잉」;}시),‘‘「---써F=τ-」}-

잉〔-〔)」

:(〕;1ν-}낀:g。 -:。}ωπE

[:-S

든그〔ggiEE。工

p‘---〕〕π」ι--π〔=-〕-]걷

다{-{)」

=。;:〕-」-υ:〔}〔)

τS}m∞E 5r5

〔〔E=π2ε~:。〔갇잉工

ω그〔:m 【〕【g-ν〔요

ω }。=이〉〉 -E£π-얘 잉〔S〔­

-π」。g:;을 }。z。;」。gm그。:-여그σω }。ω」그〕니어」

’ι

ωωgS〕ω}。:(〕【]Q그」“

m잉{〕 -i:。-」ν」{--

τω}πυ。-ω--)

α:ν=πε -〉-」으」잉〕m。〔} 검〕성ν。-잉-τ ¢-}〕{-i

띠느]}〕여」}

-π=--〕a:

아=。、]

:。;πQ-}-”)π2。

{)【。〕띠여rζ

-mmπ〔=잉그ωm-〕 〕}()

ι:-잉〕∞〔τπ

[{]’>P

ζ。-]〕다며〔

-∞--pg5ω。깅그〕드

}。:。;g;」잉디

P」그〕〕∞」}

--NIi{〕

3:야:。」

m아드{〕〔:’ι

•]

@@。­

잉〔--‘공

〔-능」(〕

m〔E∞。‘5νZ

mω。-며:’’--…ωζ P〉-〕〕a-〕=(〕니

{드를πg{〔-〉}。εpz

m-¢~(-π’

-πg {--∞-”)∞’”­

”t2

며〔=’g잉{김영

-응

〔〔:;:a〔(도응{(-ω}{

ω-ω~〔-π」π〔-=

-π-〕:’ι

잉Z으 다〔=’--퍼

고 ν‘:〕ν三)〔-。

”〕

Eg--5z-

ε。:-잉工

?;z~:π’

:ι2 〔--π-니띠

μi

mω。-여〔=’gpζ 이〉-“니그-〕=(

서〕

::」〔-πgprc。F-

P工

%m。-ι=--:ν〔-P〉-〕〕그깅:(〕니

==:--써〔-〔{r{ -()〔{-

ν=

¢@a-m〔=‘:ipζP〉-]υ:-〕〔-。u

〔〔:]〔--

“g{{r{]。:-어}}

ωω。-m〔:’-πω〔-p〉;υ:{〕Z。n)

〔(5=π〔-〔Frz。E

ω工

ωm=--〕(:ι

-π〕=---니

〔「}〔i。〔Z

{

ω〔{〕〔-〔)Z-

ω~{∞τ m

…ι〉πτh

…ι‘{야-〕 N

ω~{{써τ ---

¢~{πτ

N

〔:=。〔{-i

」‘니 얘 ~{’5?--

-pp‘5〕ν〔-

--…〉」잉}〔〔

m::」@」」

‘νZ(〕며

-성」(〕〔i({£」‘

}。잉여{:-〕〔:

’ι 」‘니 얘 〔-g}염〔-νωω」ι --N]-=-

-]

·<

잉--i얘←

=π} -∞〕-rp〉

{£{〕강〕∞

〕i}}{써」」‘

{-P{〕F〕〕야

〕공성」’「

:pτ-〕υπ으}}성」」‘

〕{£τ-〕〕π

니{}}@」」‘

〕〔£-〕딩〕π

〕-}}π’-←

〕{-ν-:〕〕:

υ-}」π」」‘

는μ브〕〕π 〕}}}∞」」‘

~{」()}잉 -Z

E ~ ∞ 션

등 S

N

를 ~ N

3

응 。。

흐 二어

μi ~ ig”

흐 ~ “

i ~ (} 띠

x ν m ~ p

잉 <

。。l'-'.!o ,.n ""

- 686-

~ N i 。

z p m π ]

Page 5: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며, 필요어| 짜라 1 . 6→1.8배의 확대하여 사진을 찍었마. Fig. 1. Case 2. Longitudinal fracture

윤은경 :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충촬영 소견-

라 연조직까지 찰 볼 수 있어 중이내와 유양동내의 출

혈과 뇌척수액의 유우까지 판찰할 수 있다7) 또한측두

골의 CT는 횡 단주사와 판상주사가 가능하고 환자의 상

태가 냐쁘거냐 목의 손상을 업은 환자에 있어서는 횡단

주사로 여러 방향A로 재구성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동

적연속촬영 (Dynamic Sequential Scanning)과 au­

tomatic table incrementation ~로 low mA- se-

cond technique 를 실시하여 검사시간을 단축하고 방

사선의 조사량을 줄일 수 있마9)

측두골 골결의 형 태 학적 분류는 앙양 추체 ( petrous

pyramid)의 장축과 골절 방향에 짜라 종위 골절 (Jon­

gitudinal fracture)과 횡위골절 (transverse frac­

ture ). 혼합골절 (complex fracture)로 냐누고 해 로

는 어느 유행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기10-12) 종

위골절은 약 70-80 % 정도로 횡위골절보다 많마고 하 는데 7) 저자의 경우는 87 %를 차지하였다. 이 골절은

측두두정골부위 의 직접 손상푸로 주로 발생하며 골섣응

측우골의 펀평부 (~quamous portion)에서 시작하여

천하땅으로 가서 고설개, 외이도, 중이를 거쳐서 중두개

캉의 경정액공(“ramen lacerum)에서 끝난다13) 종

위골절시에는외이도벽의 손상과고악의 파옐로외이도

내 출혈이 거의 모두에서 냐타난다고 하였는데7>저자의

경우도 사고당시 모듣 예에서 외이도내의 출혈이 있었

다. 척수액 비 루는 Roche 등 1 4)의 보고에 의하연 고실

개 골철이 있었던 l 예에서 척수액 비루가 있었다. 그

라고 이 환자에서는 측둔뇌가 고실개 손상부위로 탈출

이 함께 관찰되었다 Betsy 의 보고7 )로는 종위골절에

서 천도성 난청은 65%까지에서 오며 대부분이 일시적

난청이었다. 저자의 예에서는 80 %에서 선도성 난청이

있었고 건부 청소골의 파괴가 동반되었다. 청소골의 파

괴는 침골 (incu-s )이 가장 많은데 1 이유로는 추골

(malleus)운 고악에 부착되어 있고 등골( stapes )은

난원공 (oval window) 어| 부착되어 있는 반연 침골응

추골과 등골 사이에서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

다15) 침등골 판섣이 가장 약한 관절이고 그 다음이 등

골의 각부 (crura of stapes)가 찰 파괴되고 추골。l

가장 적게 파괴된다. 그려고 추골의 머 리부4침골의 체

부는 상고실 (epitympani c recess)의 중앙에 특정적

인 ‘ lce cream cone ’ 을 이루고 있어 침골의 탈구를 4쉽게 판찰할 수 있다12 , )3) 저자의 조사에서도 청소골

의 이상은 종위골절의 80 %였고 이중 1 /2 은 침등골

판절의 파괴였고 냐머지 1/ 2 응 추침골의 파괴 (mall-

- 687

eo -lnc따 disruption) 였다. 안연신경의 손상은 종위

골절의 10-40 %에서 온다고 하며 대부분 늦게 냐타냐

고 자연히 회복되는 예가 75% 정도이며 신경추위의

부종(perineural edema)에 기인하기 때운이라고 한

마7 ) 저자의 예에서는 안연신경마비는 종위골절의 29

%에 서 냐타났다. 횡위 골절은 측두골 골절의 20 %에 서

냐타냐고 주로 후두골 외상과 압박 (compressive fo­

rce)으로 발생한다. 이 경우 골절은 암oJo추체의 종축

을 가로 질러서 골미로플 손상시키며 외측요로 가서 중

이 청소골 외이도까지 손상시컨다1 , 13) 외이도 출혈과

고실혈종은 1/2 에서 냐타나고 현기증 안우진탕의 증상

이 흔하며 지각신경성 난청을 초래하고 와우( cochlea)

의 파괴 를 통반할 수 있다. 안연신경마비는 40 - 50 9'0011 서 나타냐는데 종위 골절에 서와는 달리 외 상후 즉시 나

타나서 영구적 마 ll] 가 보통이다13) 저자의 조사에서는

횡위골절은 없었는데 이는 대상환자가 너무 적었기 때

문으]로 생각된다. 그덕1벼| 골섣。l 유%택에 한정지어지

는 경우가 드물게 냐타냐는데 이 경우는 안연신경의 수

직부위의 손상이 올 수 있다고 한다7) 경상돌기 (styl­

oid process)의 골절시에는 안연신경의 좌상( contu­

sion)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고 유양부 골절시 골

기저부의 골절을 통반하는 경우가 많다7) 또한 반규판

파 천정 (vestibule)의 골섣사에는 미로의 기능징빼를

초래 하며 와우의 골절시 난청 。 l 오는데 본 보고에 서는

와우골절 l 예에 서 지각신경성 난청이 있었냐. 내이도

(internal acoustic canal) 골절이 있는 경우 안연

신경파 와우 ·천정신경의 기능징배가 올 수 있다 11) 이

와같이 측두골 골절로 합영 증이 수반된 환자에 서 CT는

골절 땅향의 정확한 판찰과 청소골 파괴여부와 함께 연

조직의 뱅변, 중이냐 유양동내의 출혈 , 뇌척수액의 유무

등을 알묘호써 임 상소견을 。l해 할 수 있고 수술의 필요

성과 적절한 수술시기를 결정짓는데 도웅이 된마.

V_ 결 료르

고해 상력 CT의 개 발로 측둔골 외 상환자에 서 골절의

땅향 및 벙위 청소골, 골미로1 안연신경관의 손상운무,

동반되는 고실혈종등을 판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측

두골 외 상환자에 서 CT는 다흔 검사방법 에 서 제 공연!을

수 없는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는 가장 유용하며 효고}적

인 검사이고 특히 뇌척수이루, 비루, 청력소실, 얀연신경

마II I등의 합명중이 동반된 환자에서는 고해상력 CT는

Page 6: 측두골 외상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며, 필요어| 짜라 1 . 6→1.8배의 확대하여 사진을 찍었마. Fig. 1. Case 2. Longitudinal fracture

- 人함‘ 1!J.~,t짜협짤會;tt, ‘ 第22장 第 5 械 1986 -

필수석 검사방법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34:409-414, 1980

9. Virapongse C, Rothman 5LG, Kier EL et al: Computed

tomographic anatomy of the temporal bone. A}NR

3:319-389, 1982

1. Galadino EV, Guy DP, William NH et al: Radiology of the 10. David W j, Anton NH, Charles E5 et al: Temporal bone

eaι nose and throat 1st EO:46 Ceorge Thieme Verlag 5tutt- trauma: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ic evalua

gart, New York, 1982 tion. Radiology 151:411-415, 1983

2. Harwood-Nash DC: Fractures of the petrous and tympanic 11. R. Thomas B, Anne GO, Peter M5: Head and neck imag-

parts of the temporal bone in children: a tomographic ing 1st EO:806 The C. V. Mosby Company, 5t. Louis, Toron-

study of 35 cases. A}R 110:598-60기 1910 to, 1984

3. Wright JW: Trauma of the ear. Radiol C1in North Am 12. Anthony Am, William NH: Computed tomography and

12:521-532, 1914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head and neck 2nd

4. Kaseff LG: Tomographic evaluation of trauma to the tem- Ed:102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985

poral bone. Radiology 93:321-321. 1969 13. Alan LW, Victor MH: Cranial computed tomography 1st

5. Potter GD: Trauma to the temporal bone. 5emin Roen- Ed:521 The C.V. Mosby Company, 5t. Louis, Toroto,

tgenol 4:143-150, 1969 Princeton, 1985

6. Kam erer BD: Intratemporal facial nerve injuries. 14. Roche J‘ Fractures of the temporal bone involving the ear

Otolaryngol Head Neck 5urg 90:612-615, 1982 Australas Radiol 19:317-325, 1975

7. Betsy AH, Michael BZ: High-resolution CT of temporal 15. Richard E.: Computed tomography of the head, neck and

bone trauma. AJR 143:391-395, 1984 spine 1st EO:505 Year book medical medical publishers,

8. Shaffer KA, Haughton VM, Wilson CR: High resolutin com- Chicago, 1985

puted tomography of the temporal bone. Radiology

- 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