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53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형태분석 지도교수 이승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 의 학 과

Upload: others

Post on 31-Aug-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형태분석

지도교수  이승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 의 학 과

김 광 춘

Page 2: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감사의 글

드디어 제 삶의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숙제 하나를 원만히 마쳤다는 느낌입

니다.

이 부끄러운 결실도 고마운 분들의 하나 같은 관심과 도움의 덕분이었음을

고백합니다.

지나온 학습생활은 무척이나 고되었지만, 새로운 배움의 경험과 좋은 분들

과의 만남을 가질 수 있었고, 삶의 인생에 대한 지혜를 배울 수 있었기에 성장의

시기였다고 생각합니다. 一心一意로 학업에 전념하면서 학위과정을 원만하게

마치도록 재정적 지원을 하여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에 뜻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논문이 끝나는 순간까지 많은 은혜를 베풀어주시고 사랑하여

주신 모든 분들께 머리 숙여 인사드립니다.

논문의 주제 선정부터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부족한 저를 마다하지 않으시고

연구의 걸음마부터 철자 하나하나에 이르기까지 꼼꼼하게 지도와 편달을 주시

고 진정한 학자의 마음가짐과 자세를 갖도록 일깨워 주셨으며 늘 어버이 같은

사랑을 베풀어 주신 은사 이승종 교수님께 정열에 차넘치는 감사의 마음과 깊은

존경을 표합니다. 모처럼 바쁘신 연구 중에도 학문적 자문을 아끼지 않으시고,

논문의 구석구석까지 놓치지 않고 고쳐주셨으며, 보다 나은 논문이 되도록 아낌

없는 도움을 주신 김기덕 교수님의 관심에 머리 숙여, 너무나도 고맙다는 감사

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저에게 배움의 기회를 만들어 주시고 항상 믿음과

기대로 저 멀리 프랑스에서 저를 지켜봐 주시고 계시는 김희진 교수님께도 감사

의 마음을 전합니다.

아울러 시종 따뜻한 배려를 하여주신 이찬영 교수님을 비롯한 보존과 모든

교수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본 연구의 진행동안 계속적인 도움과 협조

를 아끼지 않으신 보존과 선생님들께도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평소에 많은

Page 3: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가르침과 배려를 주시고 힘들어할 때 다독여주신 손흥규학장님과 채중규원장

님, 김경남 교학부장님, 김종열 교수님, 이충국 교수님, 이근우 교수님, 김진 교

수님, 정한성 교수님께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이 밖에도 학문의 진리를 깨우

쳐주시고 배움의 즐거움을 심심히 느끼도록 해 주셨던 연변대학 의학원 한동일

교수님, 이향준 교수님과 늘 사랑과 관심으로 용기를 주신 변호사 许兴님께도

고맙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 과정에서 많은 도움을 주셨던 박창서 교수님과 궁금

한 점이 있을 때 아무 때나 많은 문항의 설문에 응답해 주신 방사선과 선생님들

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학업을 순조롭게 마치고 휼륭한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진심으로 도와주

어 고마움을 전해야 하는 분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바쁜 중에도 늘 시간을 내

주셔서 코딩방법부터 통계분석까지 가르침을 아끼지 않으시며 항상 가까이에

서 뜨거운 우정으로 논문의 마무리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준 재료학 교실의 이

상배와 해부학 교실의 모든 친구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외롭고 힘든 유학생활에서 고통과 환희를 함께 나누며 많은 의지가 되었던

한양대학 김창수 교수님, 한국에 있는 동안, 언제나 친동생처럼 아껴주고 물심

양면으로 도움을 주신 연세치대 해부학교실의 외래교수 김태원 원장님, 카톨릭

의대 한승호 교수님, 건국대 고기석 교수님, 중앙기공실 팀장 이성봉 선생님, 교

무과 박동수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무엇보다 저에게 힘이 되었던 것은 가족의 사랑이었습니다. 한국에 유학 보

낸 두 아들을 늘 자랑스럽게 여기시며 저의 공부 뒷바라지를 하여 주신 어머님

과 어린 제 아들을 건강하고 씩씩하게 키우시느라 고생하시는 처 가집 부모님께

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사와 사랑을 전하며 이 작은 결실을 드립니다. 또한 한

국에 있는 동안 든든한 뒷심이 되어주고 몸과 마음의 온화한 휴식처가 되어주며

영원한 버팀목이 되어준 아내 경화, 귀염둥이 정웅이와 함께 이 작은 기쁨을 나

Page 4: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누고자 합니다.

참으로 보람찬 이년 반이었습니다. 지도교수님의 뜨거운 사랑을 받으면서

인내와 겸손을 배웠으며 한 인간으로서, 학자로서의 자세를 배웠습니다. 이제

제가 받은 사랑을 보답하기 위하여 끝이 아닌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는 마음으로

힘찬 도약을 꿈꾸렵니다.

2004년 8월 8일

저자 씀.

Page 5: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i -

차 례

 

그림차례 ···································································································· ⅵ

표 차 례 ···································································································· ⅶ

국문요약 ···································································································· ⅷ

I. 서 론 ···················································································································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 8

1. 연구대상 ········································································································· 8

2. 연구방법 ········································································································· 8

가. 전산화단층촬영 및 계측방법 ·································································· 8

나. 기록된 변수 ······························································································· 9

다. 계측항목, 부위 선정 및 방법 ··································································· 9

(1) 실험 I. 상, 하악 치아의 근관유형의 분포 ········································ 9

(2) 실험 II. C-자형 근관 유형의 분류, 발현 빈도, 함몰방향분포 및

치근면 근접도 ·················································································· 12

(3) 실험 III.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및 설측 외벽골까지의 두께 ······· 14

라. 치근단 확인법 ························································································ 17

마. 통계분석 ································································································· 17

III. 연구결과 ······································································································· 18

1. 상, 하악 치아의 근관유형의 분포 ······························································ 18

2. C-자형 근관의 유형의 분류, 발현빈도, 근관형태, 함몰방향분포 및 치근면

근접도 ··········································································································· 20

Page 6: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ii -

3. CT 체축면 영상에서 치근단으로부터 협, 설측골 두께의 측정 ·············· 22

IV. 총괄 및 고찰 ······························································································ 26

V. 결 론 ··············································································································· 32

 

참고문헌 ················································································································ 34

문요약 ················································································································ 40

Page 7: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iii -

그림 차례

Fig 1. Vertucci(1984) root canal configurations ······················································· 9

Fig 2. Axial CT images of specific root canal, Type VI(1-2-1 canal) shape ·········· 11

Fig 3. Axial CT images of specific root canal, Type VI(2-1-2 canal) shape ·········· 11

Fig 4. Axial CT images of specific root canal, Type VI(1-2-1-2 canal) shape ······· 11

Fig 5. Categories of the canal configurations ························································· 12

Fig 6. Occluso-apical groove of C-shaped root canals ··········································· 13

Fig 7.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C-shaped root canal and external root surface ··· 14

Fig 8. Maxillary Axial CT images for measurement ·············································· 15

Fig 9. Mandibular Axial CT images for measuremen ············································ 16

Fig 10. C-shaped root canals in Maxillary molars ··················································· 20

Page 8: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iv -

표 차 례

Table 1. Other studies about of C-shaped root canals ··············································· 3

Table 2. Gender distrbution of the subjects ···························································· 14

Table 3. Results of the radiographic investigation of 2686 root canals ·················· 18

Table 4. The prevalence of C-shaped root canals ···················································· 20

Table 5. Occluso-apical groove of C-shaped root canals ········································ 21

Table 6. The shortest distance of C-shaped root canal surface (mm) ···················· 22

Table 7.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and

palatal cortical plate in maxilla ································································· 23

Table 8.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in maxillary molar according to gender and age ·················· 24

Table 9.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in mandible ··········································································· 25

Table 10.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in mandibular molar according to gender and age ·············· 25

Page 9: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v -

국문요약

근관치료나 외과적 치료를 성공적으로 시술하기 위해서는 해당 치아의 치

근관계의 해부학적 사전 지식 뿐만 아니라 주위 골조직과의 관계에 관한 정확

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연구자는 14 세이상의 한국인 정상 치아의 치근관

계의 형태와 치근단수술 시 접근성을 파악하고 외과적, 비외과적 근관치료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는 치근관계의 해부학적 정보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

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존과에 내원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

고 임상검사를 받은 126악의 1410개 상악 치아와 128악의 1276개 하악 치아를

연구대상(1개 악골에 적어도 치아가 10개 이상인 경우)으로 하였다. 전산화단

층촬영사진의 체축면 영상에서 판독기, 돋보기, 영상분석기(Image-Pro Plus,

Ver. 4.0, Media Cybernetcs, U.S.A.)를 사용하여 상, 하악 치아의 치근관형태와

C-형 근관형태를 측정하였고, 0.01mm까지 측정이 가능한 digital caliper(Mitoutoyo

Co, Tokyo, Japan)을 사용하여 C-형 근관의 치근면 근접도(근관 중심에서 함몰

된 치근 외벽까지의 최단거리를 치경부, 치근 중앙부, 치근단 1/3부위)를 계측

하였다. 그리고 모든 치아의 협, 설측 골 두께와 연령(30세 이하, 31세 이상)에

따른 협, 설측 골 두께를 성별로 나누어 계측하고 계측값의 평균치와 표준편차

를 구하고 통계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제2소구치에서는 주로 2-2형이 53.26%의 빈도로 높게 관찰되었

고, 제1 대구치의 근심근에서는 주로 2-2형이 66.06%로 관찰되었으며 그 다음

1-1형이 33.33%, 1-2형, 2-1-2형이 각각 0.35%로 관찰되었고, 2치근인 경우 1-1형

과 2-2형이 비슷한 빈도를 보였다. 제2대구치의 근심근에서는 2-2형이 15.33%

로 1대구치보다 낮은 빈도로 관찰되었고 2치근인 경우 주로 2-2형이 62.93% 를

보였으며 융합근인 경우 1-1형이 36.36%로 나타났다. 하악 제1, 2대구치의 근심

Page 10: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vi -

근의 2-2형은 84.37%이상으로 관찰되었다. 상악 전치부, 상악 대구치의 원심근

과 하악 견치, 제2소구치는 간단한 근관으로서 주로 1-1 형 형태였으며 그 발생

빈도는 80%이상이다. 상악 대구치의 원심근과 구개근 그리고 하악 제1대구치

의 치근이 3개인 경우의 원심설측근은 1-1형이 100%로 관찰되었다.

2) 상악 제2대구치의 C-형 근관의 발현빈도는12.26%로서 상악 제1대구치

의 4.57%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 하악 제2대구치는 32.55%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C-형 근관형태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C-형 근

관의 함몰방향분포는 대부분 설측방향(60.53%)이었으며, 그 다음 협측(23.68%), 원

심측(14.47%), 근심측(1.32%) 순위로 관찰되었다. C-형 치근면 근접도 계측 결

과 C-자형, 기호형, 분리형 근관의 치경부에서는1~1.2mm사이였으며, 치근 중

앙부에서는 0.71mm 정도로 관찰되었고, 치근단 1/3부위에서는 0.50mm이하로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3) 상악인 경우 협측 치근에서 보면, 상악 제2대구치 근협 및 원심측 치근

단으로부터 협측 외벽 골까지의 두께가 각각 4.63mm, 3.61mm로 가장 두꺼웠으

며 나머지는 모두 3mm미만이었고 특히, 전치부는 모두 2mm 이내 이었다. 구개

측 치근이 있는 경우, 제1, 2소구치의 경우는 각각 4.15mm, 3.94mm이었고 상악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구개측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외벽골까지의 평균계

측두께는 각각 10.69mm, 10.17mm 이었고 구개측 치근단으로부터 구개측 외벽

골까지의 평균두께는 각각 3.15mm, 3.08mm였다. 하악인 경우 제2대구치의 원

심측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외벽골까지의 평균계측두께는8.51mm로서 가장 두

꺼웠으며, 그 다음으로 제2대구치 근심측 치근 7.34mm과 융합근7.19mm인 경

우의 순위로 나타났다. 제1대구치의 원심 및 근심측 평균계측두께는 5.05mm,

4.09mm였으나 원심치근이 두개인 경우 원심설측 치근이 9.52mm로서 가장 두

Page 11: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vii -

껍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고찰할 때 근관치료영역에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계측방법은 치 근관계 해부학적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함으

로써 근관치료와 치근단수술의 계획 및 진단 시 매우 큰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

된다.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Page 12: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 -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형태분석

<지도교수 이승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김광춘

Ⅰ. 서 론

근관치료의 목적은 근관내의 모든 자극원을 제거하고 3차원적으로 완전히

폐하여 병적인 근단 조직이 정상적인 조직으로 치유될 수 있도록 생물학적으

로 양호한 여건을 마련해주는데 있고 이를 통해 치근 주위조직과 근관내의 교통

을 차단하여 건강한 치주조직을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근관치료나 외과적 치

료를 성공적으로 시술하기 위해서는 해당 치아의 치근 및 근관계의 해부학적 사

전지식뿐만 아니라 주위골조직과의 관계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근관계란 단순한 원추형이 아니라, 치수실과 주근관, 측방근관, 부근관(치근

단 1/3부위에 존재하는 분지들) 등으로 이루어진 가지 형태 구조이다. 이론적으

로 제시되고 있는 근관의 해부학은 오직 기본 적인 형태만을 제공할 뿐, 실제 근

관치료 중에는 항상 새로운 형태의 근관을 접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 자료를 수

집하여 3차원적인 영상으로 재구성하여야 하며 술자는 이런 영상을 근관치료

Page 13: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 -

중 계속하여 머릿속에 염두하여야 한다.

하악 대구치에서 독특한 형태의 C-자형 근관을 흔히 볼 수 있다. Cooke와

Cox (1979)에 의해 단일 치근의 하악 제2대구치 근관이 continuous slit으로 연결

된 C-형 근관형태가 근관치료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발표되었으며, 이들은 두 명

의 흑인과 한 명의 백인에서 3개의 치료 증례를 보고한 바 있다. C-형 치근은

taurodent의 분류에 속하며 다양한 형태를 가진 융합된 치근으로 정의되며 백악

질의 침착으로 인해 형성되거나 Hertwig's epithelial sheath의 이개부로의 융합 실

패로 초래된다고 보고하였다 (Manning, 1990). 협측으로의 융합 실패의 결과로

설측에 구(groove)가 형성되고 반대의 경우도 있으며, 협측 또는 설측 양쪽으로

의 융합 실패의 결과로 기호형 형태나 분리형 형태를 형성하기도 한다. C-형 근

관은 치수강 개방 시 근관입구가 구별되어 나뉘어진 형태가 아닌 치수강저에

C-shaped trough형태로 있으며, 모든 근관이 continuous slit으로 연결되어 치근의

수평단면이 C-자형태이다(Weine, 1996). C-자형 근관은 하악 제2대구치에서 흔

히 나타나지만, 하악 제1소구치 (Baisden 등, 1992), 하악 제1대구치 (Bolger 과

Schindler, 1988), 상악 제1대구치 (Newton 와 Mcdonald, 1984), 상악 제2대구치

(Carlssndhk alexandersen, 1988; Dankner 등, 1990; Carlssn과 alexandersen, 1997)에

서도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Yang 등 (1988)은 C-자형 근관과 분리된 하

나의 근관을 갖는 semi-colon형태의 기호형이 가장 많다고 하였으며, Cohen과

Burns (1994)는 이 형태에서 분리된 근관은 치근의 융합방향에 따라 근심협측,

근심설측 근관이며, 이 근관은 C-형 근관보다 더 길이가 짧다고 보고하였다.

Weine 등 (1997)은 C-자형 근관의 형태 중 2개 또는 이상의 분리된 근관 을 갖는

분리형이 가장 많으며, 연령에 따른 상아질 침착으로 인해 C-자형 근관의 형태

도 변하며 50세이상의 모든 환자는 분리형을 갖는다고 언급하였다.

C-자형 치근/근관의 발견 빈도에 대하여 백인계 인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 2.7~8%로 나타난 반면, 중국인의 581개 하악 제2대구치에서 31.5%의 높은 빈

Page 14: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 -

도를 보여 다른 인종보다 아시아계에서 더 호발되는 형태임을 알 수 있

다. Weine 등 (1976)은 75개의 발치된 제2대구치를 연구하여 2.7%의 빈도를 보

고하였고, Walke (1995)와 Manning (1990)은 Mongoloid 집단에서 더 많이 볼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한편 레바논 지역에서는 19.14%의 빈도를 보이는데 이는

Cooke와 Cox (1979)에 의한 8% 와 Yang 등 (1988)에 의한 31.5%의 중간값으로

레바논의 일부와 중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 적인 위치와 관련지어 고려할

때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중간적 위치라는 점을 보면 그 빈도가 지역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1. Other studies about of C-shaped root canals

Authors & published year prevalence No, of teeth

Pineda and Kuttler (1972) 0% in roots n=7275 Mn2M=300

Cooke and Cox (1979) 8% mandibular second molar n=unknown

Vertucci (1984) 0% in human permant teeth n=240, Mn2M=100

Weine et. al (1988) 2.7% mandibular second molar n=75

Yang (1988) 31.5% mandibular second molar n=581

Weine et. al (1988) 7.6% mandibular second molar n=811

Jung. et. al. (1997)5.0% mandibular first molar Mn1M=945

9.1% mandibular second molar Mn2M=806

Haddad GY (1999) 19.14% mandibular second molar Mn2M=675

N: Number of teeth,  Mn2M: Mandibular second molar

치아의 근관형태에 관한 연구방법에서1870년 Mühlreiter에 의해 최초

로 치아를 절편으로 제작하여 인류치아의 근관형태에 대하여 연구한 이후

로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방법도 다양하였다.

표본제작을 이용한 연구들로는 Hess (1917)가 Vuleanite rubber를 사용하여

근관을 복제해낸 후 관찰하였다. Barrett (1928)는 eosin으로 치수를 염색한 후

Page 15: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4 -

연마표본을 제작하여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Kuttler (1955)는 치근단부

1/3까지 barbed broach로 발수를 하고 smooth broach를 이용하여 ink가 치근단

공까지 도달하도록 주입한 후 근원심과 협, 설방향으로 절편을 제작하여 확대경

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Green (1960)은 치근단부쪽 7mm를 절단한 표본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Koenigs (1960)는 부근관의 크기, 분포 및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한국인 이정석(1987)은 발거된 치

아를 탈회하여 근단 5mm 부위의 절편을 얻고 이를 포매하여 근관형태를 관찰

한 바 있다.

방사선을 이용하여 연구한 방법으로는 Mueller (1933)가 발거된 치아를 근원

심과 협설 방향으로 X-선 촬영하여 근관의 전반 형태를 관찰하였고, Nielsen 등

(1995)은 산업용 X-ray microtomography 시스템을 이용하여 아크릴릭 레진에 매

몰한 치아의 근관계를 재구성하여 연구하였다. Lawman (1973) 은 진공상태에서

조영제를 근관내에 주입하여 근관형태를 X-선 촬영으로 관찰하였고, Dowker 등

(1999)은 해상도를 40um까지 높인 기기를 이용하여 근관계의 형태와 치료 시의

변화를 연구하였으며, Tachibana 등 (1990)은 의학계에서 사용하는 tomographic

scaner를 임상치의학분야에 사용할 것 을 제안한 이래, 통상적인 토모그래피의

공간 해상도 (spatial resolution)와 단면두께로는 (1-2mm의 voxel size)치근관계의

해부학적 형태를 연구하였다. 신동훈 (2003)은 X-ray microtomography 시 스템을

이용하여 치아의 내면과 외면에 대한 해부학적 형태를 연구하였다.

Polyester resin cast replica와 3개의 조직학적 단면으로 근관계에 레진을 주입

하고 치질을 없애는 resin cast 형성법을 이용하여 근관형태를 관찰한 연구 보고

도 제기되었다(Melton 등, 1991).

이러한 치근관계의 구조에 관한 기존의 연구방법들은 치아에 손상을 가져

오거나 2차원적인 정보 만을 제공하므로 치아의 외면과 내면의 형태학적 특성

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연마를 통한 근관형태의 연구는 disc나

Page 16: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5 -

stone을 사용해서 근관의 윤곽이 나타날 때까지 발거된 치아의 주변 치질을 갈

아내는 방법으로 대부분이 수직적 방향으로 행해지며, 수평적 연마도 가능하나

이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좁은 근관을 지나쳐 연마할 수 있기 때문에 어려

움이 있다. 조직학적 단면의 연구는 복잡하고 시간이 소모되며 진행과정 중 근

관형태의 변화를 겪을 수 있고 다양한 artifact가 최종 분석을 방해할 수 있는 단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Blaskovic subat 등, 1995), 연구대상수의 제한, 평면방 사

선사진이 가지는 시각적 제한, 염색제의 미침투에 의한 근관확인 실패 등의 문

제가 지적되고 있다.

한편 통상적인 근관치료를 통해 치아를 살릴 수 없을 때 치근단 염증을 제거

하기 위해 외과적인 치료를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술식은 아주 심한 치근

단 만곡, 석회화에 의한 치근관 폐쇄 등 이 치근단에 존재하거나 치근관벽이 근

관확대 시에 천공된 경우에 흔히 시행하게 되며 역근관충전법을 시행할 때도 필

요하다. 정확한 치근단수술을 위해서는 수술부위의 도달이나 시야확보가 무엇

보다 중요하다. 치근단수술은 대개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해야 하고 출혈이

수반되기 때문에 기구조작이 나 시야의 확보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특히, 하악 대구치와 같이 협측 골이 두껍거나 상악 대구치와 같이 구개측 치근

이 협측 골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수술부위의 도달이 더욱 어려워 진다.

Frankle 등 (1990)은 하악 대구치에서 근심 치근과 협측 골까지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제1대 구치와 제2대구치에서 각각 4.18mm 및 7.35mm의 결과를 보고하였

다. 하악 대구치의 치근 길이는 10-12mm전후가 되는데 이렇게 두꺼운 협측 골

을 뚫고 치근단에 도달하려다 보면 많은 양의 치조골을 희생시켜야하기 때문에

치근단수술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하더라도 전체적인 치아의 예후에는 부

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또, 무리해서 치근단에 도달을 했다해도 적절한 치근

단역충전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근관의 isthmus만 개방시키는 결

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를 해소하고자 수술전 하악의 buccal plate를

Page 17: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6 -

block으로 분리한 후 치근단 역충전을 하고 수술 후 다시 원위치 시키는 소위

block로 분리한 후 치근단 역충전을 하고 수술 후 다시 원위치 시키는 bony lid

approach기법 (Lasaridis 등, 1991; Khoury와 Hensher, 1987)이 소개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는 상악 대구치의 구개측 치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구개측 치근은

수술 시 보통 우리가 접근하는 협측 골과는 상당히 떨어져 있어 구개측으로 접

근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악 제2대구치부위에 대구개공 (greater palatine

foramen)과 같이 위험한 해부학적인 구조물과 근접해 있을 때에는 역시 수술에

제한을 받게 된다. 개인의 숙련도에 따른 차이는 있겠지만 이렇게 적절한 치근

단 역충전을 하기에는 접근과 시야확보가 어려운 경우는 수술의 계획을 아예 치

아 재식술로 설정하는 것이 추천되기도 한다 (Gutmann 과 Harrison, 1991; Kim

등, 2001). 이렇게 협측 골의 해부학적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 수술계획 설립에

중요하나 각 인종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수술 전에 수술하려는 치아의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및 설측 외벽 골

까지의 해부학적 두께를 사전에 미리 파악한다면 수술계획을 세우는데 많은 도

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 악골이나 치근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전산화단층촬영술

(Computed Tomography, 이하 CT)을 이용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는 근관

치료나 외과적술식(치근단수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비관혈적인

분석법이다.

CT는 치아의 해부학적인 구조, 골 손상여부, 손상부위의 크기, 위치, 병변의

원인 등을  연속 절단된 단층영상으로 촬영하여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입체감을

가지는 구조물을 재구성할 수 있는 검사법으로서 계측하려는 부위를 비교적 정

확히 인식할 수 있고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며 협측 및 설측 골의 폭경 및 형

태를 중첩없이 관찰할 수 있으며 3차원적인 해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이러한 CT로 얻어진 단면영상으로부터 기록된 정보를 재구성하여 3차원영상

Page 18: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7 -

을 얻거나 다른 방향으로 절단한 영상을 얻는 등 치아구조의 상세한 사진을 다

양한 각도에서 관찰할 수 있다 (Alder 등 1995; Jung 등, 2003; Kim 등, 2003a; Kim

등, 2003b). 특히 근관치료나 치근단수술을 위한 치근의 위치 및 치근단의 해부

학적 형태에 관한 3차원적 영상을 보여줄 수 있게 됨으로서 진단적 가치를 높이

는데 커다란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CT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비외과적 근관치료 시 중요한 요

소인 치근관계의 해부학적 구조와 외과적 치료 시 중요한 요소인 치근단으로부

터 협측 및 설측 외벽골까지의 해부학적 두께를 계측하고, 각 치아의 치근단수

술 시 접근성을 파악하고저 한다. 또한 관찰되는 남여별 차이를 분석하여 C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아울러 실제 임상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Page 19: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8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존과에 내원하여 CT촬영을 시행하고 임상검사

를 받은 비교적 치아상실이 적은 환자의126악의1410개 상악 치아와 128악의

1276개 하악 치아를 연구대상(1개 악골에서 적어도 치아가 10개 이상인 경우)으

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14-80세(평균연령: 남자 37세, 여자 35세)였다. 조사에 사

용된 치아 중 계측에 방해가 되는 보철물이나 수복물이 있는 치아와 제3대구치

와 측정하려는 부위가 희미한 CT영상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 연구방법

가. 전산화단층촬영 및 계측

CT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 보유중인 CT

HiSpeed Advantage 전산화 단층촬영장치(GE Medical System, Milwaukee, U.S.A.)

를 이용하여  high resolution bone algorithm, 9.6cm diameter field of view(DFOV),

200mA, 120kV, 1 sec 조건하에 상층 두께 1mm로 연속적인 횡 단면 CT촬영을 시

행하였다. Gantry의 각도는 0도로 하고 reconstruction matrix는 512x512 pixel로

하였다.

CT 체축면 영상에서 판독기, 돋보기를 사용하여 상, 하악 치아의 치근형태

를 관찰하였으며, 0.01 mm까지 측정이 가능한 Digital caliper(Mitoutoyo Co, Tokyo,

Japan)로 C-shaped root canal의 치근 면 근접도(근관중심에서 함몰된 치근외벽

Page 20: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9 -

표면까지의 최단거리를 치경부, 치근 중앙부, 치근단 1/3부 부위별)와 각 치아의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또는 설측 외벽골까지의 두께를 성별로 나누어 계측 하였

으며, 방사선사진의 확대률을 보상하기 위하여 CT영상에 함께 제시되어 나오

는 측정자를 기준으 로 계측치를 환산하여 실제 두께를 구하였다.

나. 기록된 변수

치아 위치, 정상과 비정상적 치근형태, 성별  

다. 계측항목 및 부위선정

(1) 연구 I. 상, 하악 치아의 근관유형의 분포

2686개 치아를 연구대상으로Vertucci(1984)의 8가지 근관유형에 따라

근관형태를 관찰하였다.

Figure 1. Vertucci(1984) root canal configurations

The root canal configurations present within the roots of human permanent teeth can

be classified Into eight types:

Type I. A single root canal extends from the pulp chamber to the apex.

Type Ⅱ. Separate root canals leave the pulp chamber and join short of the apex to

Page 21: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0 -

from one canal.

Type Ⅲ. One root canal leaves the pulp chamber before dividing into two within the root and then merges to exit as one single canla.

Type Ⅳ. Two separate root canals extend from the pulp chamber to the apex.

Type Ⅴ. One root canal leaves the pulp chamber and divides short of the apex into

two separate and Distinct root canals with separate apical foramina.

Type Ⅵ. Two separate root canals leave the pulp chamber, merge in the body of the root, and again divede short of the root apex to exit as two separate and distinct canals.

Type Ⅶ. One root canal leaves the pulp chamber, divides and rejoins within the body of the root canal and finally redivides into two distinet canals short of the

apex.

Type Ⅷ. Three separate and distinct root canals extend from the pulp chamber the

apex.

Page 22: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1 -

a) 1 canal at cervical area

b) 2 canals at middle area

c) 1 canal at apical area

Figure 2. Axial CT images of specific root canal, Type III(1-2-1 canal)

a) 2 canals at cervical area

b) 1 canal at middle area

c) 2 canas at apical area

Figure 3. Axial CT images of specific root canal, Type VI(2-1-2 canal)

a) 1 canal at cervical area

b) 2 canals at middle area

c) 1 canal at apical area

d) 2 canals at apical area

Figure 4. Axial CT images of specific root canal, Type VI(1-2-1-2 canal)

Page 23: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2 -

(2) 연구 II. C-자형 근관 유형의 분류, 발현빈도, 근관형태, 함몰방향분포 및 치

근면 근접도

708개 대구치에서 “C-shaped canal”이 나타나는 경우를 분석하였다.

Melton (1991)의 분류에 따른 3가지 분류

Category I : Continuous C-shaped canal Was any C canal outline without any separation.

Category II : “Semicolon”(;) shaped canal

The referred to those canal configurations in which dentin separated one distinct canal from buccal or lingual C-shaped canal in the same section.

Category III : 2 or 3 discrete separate canal Simply had two or more discrete and

separate canals.

 

A: continuous C-shaped canal

B: semicolon shaped canal   

C: separate canals  

Figure 5. Categories of the canal configurations of C-shaped canal

(가) C-자형 근관의 발현빈도를 상, 하악 대구치별로 관찰하였다.

(나) C-자형 치근의 함몰(Occluso-apical groove) 방향분포를 근심측, 원심측,

협측 및 설측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다) C-형 근관의 치근면 근접도(근관 중앙으로부터 함몰된 치근 외벽까지의

Page 24: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3 -

거리).

주로 하악 제2대구치에서 나타난 C-형 근관을 선정하여 치경부, 치근 중

앙부, 치근단 1/3부위에 따라 치근면 근접도를 계측하였다.

 

   

  

Figure 6. 1) lingual groove of mandibular premolar

2) buccal groove of mandibular molar

3) mesial groove of mandibular molar

4) lingual groove of mandibular molar

5) distal groove of mandibular molar

Page 25: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4 -

Figure 7. The shortest distance of C-shaped root canal surface (mm)

a) cervical area, b) middle area, c) apical 1/3 area.

(3) 연구 III. 치근단으로부터 협측골 두께 측정

33악의 상악 치아와 33악의 하악 치아(Table 2)를 연구대상으로 치근단으로

부터 협측 및 설측 외벽골까지의 두께를 계측하였다. 그리고 연령(30세 이하와

31세 이상)에 따른 제1,2대구치의 근심 협측 골 두께를 계측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Table 2. Gender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n=1670, Number of teeth)

Maxilla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Canine

1st premolar 2nd premolar 1stmolar

2nd molar

R(2) R(1) R(2) R(1) R(3) R(2) FR

n

(839)

M

54

F

66

M

54

F

64

M

64

F

63

M

42

F

30

M

28

F

23

M

5

F

7

M

50

F

61

M

60

F

63

M

30

F

34

M

13

F

17

M

6

F

5

Mandible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Canine 1st

premolar2nd premolar

1st molar 2nd molar

R(2) R(3)   R(2) FR

n

(831)

M F M F M F M F M F M F M F M F M F

60 62 59 64 61 62 64 61 65 63 30 24 26 28 38 30 18 16

M: male, F: female, R(1): One root, R(2): Two roots, R(3): Three roots,

FR: Fused root, D(2): Two roots in distal

Page 26: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5 -

Figure 8. Maxillary Axial CT images for measurement.

a)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second premolar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MB: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lar mesial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DB: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lar distal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b) P(B):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lar palatal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PP: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lar palatal apex and the palatal bone plate.

c) Distance between the canine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Page 27: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6 -

Figure 9. Mandibular Axial CT images for measurement.

a)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incisor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b) Distance between the lateral incisor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DB: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lar distal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DL: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lar disto-lingual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D: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olar distal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c) Distance between the canine, first, second premolar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Page 28: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7 -

라. 치근단 확인법

치근단을 확인하는 방법은 1mm 단면두께로 촬영된 CT의 체축면 영상에서

관찰되는 해당치아의 치근이 연속적으로 관찰되다가 관찰되지 않게 되는 단면

의 바로 전 단면에서 관찰되는 해당치아의 치 근부위를 치근단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CT의 체축면 사진마다 관찰되어지는 각 치아의 치근의 크기로 인해 위

치가 모호한 경우에는 가장 최하부로 인식되는 부위의 중앙을 경계로 잡았다.

마. 통계분석

C-자형 치근관의 치근면 근접도와 상, 하악 치아의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및

설측 외벽 골까지의 거리에 대한 남녀간의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SAS 6.12 version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모수적인 통계방법인 Kruskal-Wallis

Test(Chi -Square Approximation)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는 95% 유의수준에서

검증되었다.

Page 29: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8 -

Ⅲ. 연구결과

1. 상, 하악 치아의 근관유형의 분포

Table 3. Results of the radiographic investigation of 2686 root canals

Arches Teeth Roots Number of teeth

Incidence

1-1Canal

2-1Canal

1-2-1Canal

2-2Canal

1-2Canal

2-1-2Canal

1-2-1-2Canal

3Canal

Maxilla

Central incisor 238 238(100)

Lateral incisor 240 240(100)

Canine 246 246(100)

1st premolar 199 58(28.14) 13(6.53) 4(5.52) 106(53.26) 2(2.76)

2st premolar 125 68(54.4) 23(18.4) 1(0.8) 25(20) 6(4.8) 2(1.60)

1st molar

MBR 165 55(33.33) 109(66.06) 1(0.57) 1(0.57)

DBR 165 165(100)

PR 165 165(100)

TR 2 1(50) 1(50)

C-shape 8 4(50) 4(50)

2nd molar

MBR 150 127(84.67) 23(15.33)

DBR 150 150(150)

PR 150 150(150)

TR 25 17(62.96) 8(37.04)

FR 11 4(36.36) 1(0.10) 3(27.27) 3(27.27)

C-shape 26 6(21.43) 3(10.71) 12(42.86) 2(7.14) 5(17.86)

Mandible

Central incisor 240 235(97.92) 4(1.67) 1(0.41)

Lateral incisor 237 222(93.67) 6(2.54) 9(3.79)

Canine 241 234(97.09) 6(2.50) 1(0.41)

1st premolar224(94.51) 213(89.88) 2(0.89) 9(3.80)

C-shape 13(5.49) 2(0.84) 3(1.27) 2(0.84) 6(2.53)

2st premolar 224 220(98.21) 2(0.89) 1(0.45) 1(0.45)

1st molar

R(2)MR 128 18(14.06) 2(0.57) 108(84.37)

DR 128 102(79.69) 4(3.12) 1(0.78) 20(15.63) 1(0.78)

R(3)

MR 64 6(9.37) 57(89.06) 1(0.57)

DBR 64 63(98.43) 1(0.57)

DLR 64) 64(100)

2nd molar

MRDR

8080

24(30)77(96.25)

5(6.25)1(1.25)

3(3.12)46(57.50)1(1.25)

1(1.25)

FR 7 4(57.15) 2(28.57) 1(14.28)

C-shape 42 12(28.57) 1(2.38) 19(45.24) 10(23.81)

Page 30: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19 -

MBR : Mesio-buccal root, DBR: Disto-buccal root, PR: Palatal root, R(2): Two roots,

TR : Two roots in Maxillary molars, MR: Mandibular mesial root, DR: Mandibular distal root,

FR : Fused root, C-shape: C-shaped root, DLR: Mandibular disto-lingual root, R(3): Three roots

각 형 근관의 부동한 위치(Table 3)에서의 분포특점으로 볼 때 상악인 경우

전치 근관은 1-1형 발생율은 99%이상이며, 상악 제2소구치에서는 주로 2-2형이

53.26%의 빈도로 높게 관찰되었고, 제1 대구치의 근심근에서는 주로 2-2형이

66.06%로 관찰되었으며 그 다음 1-1형이 33.33%, 1-2형, 2-1-2형이 각각 0.35%로

관찰되었고, 2치근인 경우 1-1형과 2-2형이 비슷한 빈도를 보였다. 제2대구치의

근심근에서는 2-2형이 15.33%로 1대구치보다 낮은 빈도로 관찰되었고 2치근인

경우 주로 2-2형이62.93% 를 보였으며 융합근인 경우 1-1형이 36.36%었고 그 외

기타형태는 27%이하로 나타났다. 하악 제1, 대구치의 근심근의 2-2형은 84.37%

이상으로 관찰되었다. 상악 전치부, 상악 대구치의 원심근과 하악 견치, 제2소구

치는 간단한 근관으로서 주로 1-1 형 형태였으며 그 발생빈도는 80%이상이다.

상악 소구치와 상, 하악 대구치의 근심근는 복잡한 근관으로서 1-1형 근관형태

의 발생빈도는 80% 좌우로 관찰되었다. 상악 대구치의 원심근과 구개근 그리고

하악 제1대구치의 치근이 3개인 경우의 원심설측근은 1-1형이 100%로 관찰되

었다.

Page 31: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0 -

2. C-자형 근관의 유형의 분류, 발현빈도, 근관형태, 함몰방향분포 및

치근면 근접도 

가. C-shaped root canals의 발현빈도

Table 4. The prevalence of C-shaped root canals

No,of teeth Shape

Maxillaryfirst molar(175)

Maxillary second molar(212)

Mandibularfirst molar(192)

Mandibularsecond molar(129)

Incidence (%) 8(4.57%) 26(12.26%) 0 42(32.55%)

Continuous C-shaped canal

4(50%) 8(30.77%) 0 12(28.57%)

Semi-colon shaped canal

0 13(50%) 0 20(47.62%)

Discrete separate canals

4(50%) 5(19.23%) 0 10(23.81%)

Fig 10. a) C-shaped root canals in Maxillary first molars

b) C-shaped root canals in Maxillary second molars

175개 상악 제1대구치의 C-형 근관의 발현빈도를 관찰한 결과 4.57%이었으

며, 212개 상악 제2대구치에서는 12.26%었으며, 그 중 기호형이 6.13%로 보다

Page 32: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1 -

높은 빈도를 보였고 129개 하악 제2대구치는 32.55%로 관찰되었다(Table 4). 상

악 제1대구치의 기호형과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C-형 근관형태가 관찰되지 않

았다.

나. C-shaped root canal의 함몰방향분포

함몰방향분포는60.53%로 대부분 설측방향이었으며, 그 다음 협측(23.68%),

원심측(14.47%), 근심측 (1.32%)순위로 관찰되었다(Table 5).

Table 5. Occluso-apical groove of C-shaped root canals

GrooveTeeth

Lingual Buccal Mesial Distal

Maxillary firstmolar(8)

1 5 0 2

Maxillary second molar(26) 6 12 0 8

Mandibular first molar(0)

0 0 0 0

Mandibular secondmolar(42)

39 1 1 1

Total (%) 46(60.53%) 18(23.68) 1(1.33) 11(14.47%)

다. 치근면 근접도(근관중심에서 함몰된 치근표면까지의 근접거리)

C-형 근관으로부터 함몰된 치근표면까지 수직으로 근접된 최단거리를 치경

부, 치근 중앙부, 치근단 1/3 부위에 따라 계측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Page 33: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2 -

Table 6. The shortest distance of C-shaped root canal surface (mm)

All data are expressed in average (mm)±SD,

C: Cervical,  M: Middle, A(1/3): Root apex(1/3).

 

C-자형, 기호형, 분리형 근관의 치경부 부위의 근접도는 1~1.2mm사이었으

며, 치근 중앙부의 치근면 근접도는 0.71mm미만, 치근단 상방1/3부위에서는

0.50mm이하로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Table 6,

P>0.05).

3. CT체축면 영상에서 치근단으로부터 협, 설측골 두께의 측정

가. Maxilla

협측 치근에서 보면, 상악 제2대구치 근협 및 원심측 치근으로부터 협측 외

벽골까지의 평균두께가 각각 4.63mm, 3.61mm로 가장 두꺼웠으며 나머지는 모

두 3mm미만 이었고 특히, 전치부는 모두 2mm이내이었다. 구개측 치근이 있는

경우, 제1, 2소구치의 경우는 각각 4.15mm, 3.94mm이었고 상악 제1, 2대구치의

구개측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골까지의 평균두께는 각각 10.69mm, 10.17mm이

었고 구개측 치근단으로부터 구개측 골까지의 평균두께는 각각 3.15mm,

3.08mm이었다(Table 7).

30세 이하와 31세 이상의 나이에 따른 협측 골 두께의 평균계측치는 통계학적으

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Table 8, P>0.05).

Canal shape C-shaped root canal Semicolon shaped canals Discrete separate canals

Root area C M A(1/3) C M A(1/3)  C M A(1/3)

AV±SD

1.15±0.18

0.76±0.14

0.57±0.13

1.13±0.20

0.71±0.15

0.46±0.17

1.12±0.22

0.73±0.15

0.47±0.11

Page 34: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3 -

Table 7.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and palatal

cortical plate in maxilla

Maxilla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Canine 1st premolar 2nd premolar 1st molar

 

2nd molar 

 

Root areaR(2)

R(1)   R(2)

R(1) M D P(B) PPR(3) R(2) FR

B P(B) B P(B) M D P(B) PP M P(B) PP

 

Male 

 

2.09

±

0.47

1.89

±

0.40

1.66

±

0.41

1.94

±

0.51

4.56

±

1.36

2.17

±

0.72

2.36

±

0.84

4.43

±

1.71

3.32

±

1.42

3.12

±

1.17

2.92

±

2.42

10.75

±

2.42

3.17

±

1.05

4.77

±

1.34

3.70

±

1.20

10.34

±

1.87

3.19

±

0.95

4.09

±

1.20

8.99

± 

3.49

3.59

±

1.01

6.37

±

1.80

Female

2.02

±

0.51

1.78

±

0.54

1.62

±

0.48

1.42

±

0.49

3.74

±

1.33

2.22

±

0.63

1.62

±

0.54

3.44

±

1.50

3.43

±

1.34

2.82

±

0.98

2.54

±

1.05

10.64

±

2.66

3.14

±

1.07

4.49

±

1.32

3.52

±

1.02

10.01

±

2.84

2.98

±

0.91

5.06

±

1.38

9.38

±

1.48

3.58

±

1.10

4.33

±

1.09

Average

2.05

±

0.49

1.84

±

0.47

1.64

±

0.45

1.68

±

0.50

4.15

±

1.35

2.19

±

0.68

1.99

±

0.69

3.94

±

1.61

3.38

±

1.38

2.97

±

1.09

2.73

±

1.74

10.69

±

2.54

3.15

±

1.06

4.63

±

1.33

3.61

±

1.11

10.17

±

2.35

3.08

±

0.93

4.57

±

1.29

9.19

±

2.73

3.59

±

1.06

5.35

±

1.45

All data are expressed in average (mm)±SD

B: Buccal, M: Mesial, D: Distal. 

R(1): One root, R(2): Two roots, R(3): Three roots, FR: Fused root.

P(B): Distance between the palatal apex and the buccal bone plate.

PP: Distance between the palatal apex and the palatal bone plate.

Page 35: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4 -

Table 8.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and palate

in Maxillary molar according to gender and age

Maxilla 1st molar 2nd molar

Root area MB MB

Age Under 30 Over 31 Under 30 Over 31

Male 3.37±1.25 3.09±1.04 4.85±1.60 4.68±1.58

Female 2.72±1.47 2.85±0.79 3.52±1.21 3.54±1.22

Average 3.04±1.36 2.97±0.92 4.18±1.41 4.11±1.40

나. Mandible

하악 제2대구치의 원심측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외벽 골까지의 평균계측두

께는 8.51mm로서 상 악의 구개측 치근을 제외하고는 가장 두꺼웠으며, 그 다음

으로 하악 제2대구치 근심측 치근(7.34mm)과 융합근(7.19mm)인 경우의 순위로

나타났다. 하악 제1대구치의 원심 및 근심측 평균계측두께는 5.05mm와 4.09mm

이었으나 원심치근이 두개인 경우 원심설측 치근이 9.52mm로서 가장 두껍게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제2소구치가 3.68mm와 제1소구치가 3.02mm 순위로 나

타났고, 나머지 전치는 2.07-2.48mm사이로 분포되었다(Table 9). 30세이하와 31

세이상의 나이에 따른 평균두께 측정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

었다(Table 10, P>0.05).

모든 상, 하악 치아는 전반적으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다소 두꺼운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Table 9 & 10, P>0.05).

Page 36: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5 -

Table 9.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in mandible

Mandible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Canine1st

premolar2nd premolar

1st molar 2nd molar

Root area          R(2) R(3) R(2)

FRM D MB DB DL M D

Male   2.10±0.52

2.31±0.56

2.56±0.70

3.17±0.95

3.89±1.39

4.25±0.98

5.21±1.90

4.43±1.11

4.46±1.42

9.66±2.24

7.56±1.23

8.62±1.65

7.67±2.87

Female  2.05±0.52

2.27±0.54

2.41±0.73

2.86±0.86

3.50±1.05

3.93±1.52

5.15±1.47

3.94±1.09

4.10±1.81

9.38±2.27

7.13±2.06

8.40±1.29

6.71±1.81

Average2.07±0.52

2.31±0.55

2.48±0.72

3.02±0.91

3.68±1.22

4.09±1.25

5.18±1.68

4.19±1.10

4.28±1.62

9.52±2.26

7.34±1.65

8.51±1.47

7.19±2.35

All data are expressed in average (mm)±SD

M: Mesial, D: Distal, MB: Mesio-buccal, DB: Disto-buccal, DL: Disto-lingual

R(2): Two roots, R(3): Three roots, FR: Fused root

Table 10.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in Mandibular molar according to gender and age

Mandible 1st molar 2nd molar

Root area MB MB

Age Under 30 Over 31 Under 30 Over 31

Male 4.47±0.85 4.33±1.31 7.82±1.16 8.07±1.91

Female 4.07±1.19 4.30±0.64 7.41±1.34 7.19±2.38

Average 4.27±1.02 4.31±0.96 7.61±1.25 7.63±2.14

Page 37: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6 -

Ⅳ. 총괄 및 고찰

근관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는 부적절한 근관와동의 형성, 근관의

분지, 좁고 납작한 리본 모양의 근관, 근관의 심한 만곡 등이 있다. 기존의 연구

들은 발치된 치아로 탈회, 탈수 후 methyl sal-icylate에 넣는 투명표본을 제작법

(Tagger, 1976), file이나 다른 방사선 불투과 물질을 근관내에 삽입한 후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방법 (Bellizzi, 1985), 그리고 레진으로 근관의 형태를

복제하여 분석하는 방법 (Lyroudia et al, 1993), 연속적인 절단면을 이용한 2차원

적 검사법(Kulid와 Peters, 1990) 등이 이용되어 왔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연

구가 진행되었는데 방사선사진, 광학현미경, 조직학적단면의 연구 등이 소개되

었다 (Walker, 1988). 이렇게 근관형태에 대한 연구방법이 다각도로 추구되었으

나 표본이나 절편표본에 의한 방법은 근관계의 형태, anasto-mosis 및 근관변화

등을 3 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좁은 부위 내로 색소가 잘 침투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연구시 치근과 근관의 원형이 파괴되므로 근관전체에 관

한 것은 관찰할 수 없으며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강내 film은 평면적인 것이

여서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CT 사진을

이용하여 근관형태를 관찰하고 측정한 방법은 치근관의 외형이 원형대로 유지

되거나 형태의 미세한 구조까지 관찰할 수 있고 또한 환자의 표본의 수가 상당

히 많으며 또한 장기간으로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Vertucci's(1984)는 영구치 근관의 해부학적 형태를 hematoxylin dye를 이용

한 투명표본을 제작하여 관찰한 결과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보편적으로 사

용되고 있다. 그러나 C-자형 근관유형에 관련된 연구에서 Melton(1991)은 단면

형태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이는 실제로 생체내에서 치수강저의 근관

입구만이 육안적으로 관찰 가능할 때 쓰일 수 있는 분류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

Page 38: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7 -

의하면 비록 각형 근관의 해부형태는 복잡하지만 변화는 규칙적이었다. 상악 전

치부, 상악 대구치의 원심근, 구개근과 하악 견치, 제2소구치는 간단한 단근으로

서 주로 1-1형 형태이며 그 발생빈도는 97% 이상으로 관찰되었고, 상악 소구치

과 상, 하악 대구치 근심측 치근은 복잡한 근관형태로서 1-1형 근관형태의 발생

빈도는 50%미만이다. 이는 Weine 등 (1976)과 Pineda (1972) 의 연구 보고와 유사

하게 관찰되었다. 이로서 Vertucci's(1984)에 의한 근관분류 형태를 CT를 이용한

방법도 임상에서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영구치의 구치부 근관형태를 관찰하는 중 특이한 형태의 C-형 근관형

태를 가끔 관찰할 수 있었다.

C-자형 치근/근관 발생 빈도에 대한 연구는 다른 치아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Cooke와 Cox는 1970년 후반 Washington University Schoo of Dentistry에서 치료

받은 하악 제2대구치의 8%에서 C-자형 치근/근관형태를 보고하였으며, Tamsedhk

Kaffe (1981)는 방사선사진을 사용하여 원추형 하악 제2대구치의 발생을 보고하

였고, Pineda and Kuttler (1972)도 300개의 하악 제2대구치를 포함하여 7275개의

치근을 방사선학적으로 검사한 결과 어떤 C-자형 치아나 단일 치근을 가진 하악

제2대구치는 관찰할 수 없었다고 하였으나, Weine(1998)등은 발거된 하악 제2대

구치에 file을 삽입하고 방사선 사진을 찍은 결과 2개의 치아(2.7%)에서 C-자형

치근/근관을 관찰하였으며, (Yang et al, 1988)이 홍콩과 대만의 중국인을 대상으

로 투명표본을 제작하여 분석한 연구에서는 581개의 하악 제2대구치 중 31.5%

에서 C-형 치근관형태를 보였다. 이외에 단일 치근을 가진 하악 제2대구치는 백

인계에서 2.4-21.7%의 빈도로 나타났으며, 몽골 계통인 중국인 조사에서는

53-33.6%의 빈도를 보인다고 하였다(Tamse 와 Karre, 1981). 일본인 (Kotoku,

1985)에 대한 연구에서도 C-자형 치근과 근관의 높은 발현률을 보였으나 이는

본 연구의 한국인(32.55%)와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민족과 지역별 차이로 기인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Page 39: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8 -

본 연구의 C-자형 근관의 형태를 분석하기 위한 시도는 C-자형 근관이 한국

인에서 비교적 높은 빈도를 보이는 근관형태이면서도 형태를 정확히 알기가 어

렵기 때문에 CT를 이용한 관찰이 의미있는 연구라 생각되어 시행되었다. 기존

의 Ingle(1994)와 이정석(1987)등의 근관형태의 보고에서는 단근관인 경우는 근

첨까지 C-자형 모양이 지속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2근관인 경우 근단부에서

만나 합쳐지는 경우는 C-자형 모양을 이루고 있었는데 이들 대부분이 가늘고 긴

띠 모양이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하악 제2대구치의 C-형 근관는

1-1형이 9.3%, 2-2형이 14.73%와 3형이 7.75%와는 차이가 있는데 C-자형 근관형

태가 부단한 해부학적 변화를 가져온 결과라고 생각된다.

Melton등(1991)은 polyester cast resin technique을 이용한 방법과 조직학적 연

구에서 하악 제2 대구치의 모든 치근은 근심과 원심 치근사이의 융합을 보이는

Occluso-apical groove가 관찰되었으 며, 15개의 치아중 8개는 협측에, 7개의 치아

는 설측에 groove가 있었다. Weine(1998)은 하악 제2 대구치의 continuous slit의

폐쇄부의 방향을 조사한 결과 설측으로 향하는 경우(설측구)가 37개, 협측으로

향하는 경우(협측구)가 16개, 알수 없는 경우가 9개였다고 보고하였으며 근심

치근과 원심 치근의 협측에서의 융합 결과 설측으로 닫히는 C-자형 형태가 보통

닫히는 형태라고 언급했다. 본 연구 결과 협측에 18개, 설측에 46개, 원심측에 11

개가 관찰되어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C-형 근관의 치근면 근접도 고찰에서 대부분 치아는 1mm 정도의

치질이 존재하였고 치경부에서 치근단쪽으로 가면서 치질두께가 점점 얇아지

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치근 중앙부는 함몰방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위

이므로 근관형성 시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주의를 요하는 부위이 다. 이로서 C-

형 근관의 성형시 주의해야 할 점은 #25보다 큰 file은 strip perforation의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함몰부위에 사용해서는 안된다(Jerome, 1994). 한편 C-자형 치근

을 가진 치아의 보철수복 시 post가 필요할 경우에는 근관에서 함몰된 치근표면

Page 40: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29 -

까지의 근접거리에 특히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Post는 필히 원심 근관에만 적용

되어야 하며 다른 근관은 천공의 위험이 있어 반드시 피해야 한다.

Marshak(1988)은 치근의 파절을 방지하기 위해 근관과 치근 외면사이에

1mm 치질이 있어야 하며 폐를 위해 4-5mm의 apical guttal percha가 필요하다

고 하였다. 또한 C-자형 근관의 조직학적 연구에서도 치근 중앙부 상아질이

1mm 보다 적은 부위가 관찰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결과(C-형근관의

치근 중앙부의 근접치 0.74mm, 기호형 근관의 치근 중앙부 근접치 0.68mm, 분

리형 근관의 치근 중앙부 0.68mm)와 유사하였다. 

통상의 비외과적 근관치료는 매우 높은 성공률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치아가 통상적인 근관 치료에 대해 좋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 외과적

근관치료인 치근단수술을 통하여 병소를 제 거하고 근관을 완전히 봉쇄시킬 수

있다.

치근단수술 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악골의 외측면인 순측이나 협측

으로 접근하게 되는데 특히 대구치의 경우 협측골의 두께가 치근단의 도달이나

시야의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가 된다. 대 구치로 갈수록 접근도 및 시야가

나쁘기 때문에 치근단절제시 경사각도가 커지게 되고 골 삭제량도 많아지게 되

며 접근이 이루어져 치근단절제를 한다 해도 대구치 치근에 빈번히 나타나는

isthmus등을 원활하게 제거하거나 충전하지 못해 실패 가능성이 많아진다.

이러한 협측 골의 두께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는데 Eberhardt 등(1992)이 상

악 구치부 50예의 CT 사진을 이용하여 조사한 보고에서는 상악 제1소구치의 근

심측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외벽골까지의 1.63mm로 가장 얇고, 상악 제2대구치

의 근심측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외벽골까지의 두께는 1.45mm로 가장 두껍다고

보고하여 상악 제1소구치에서 1.64mm, 상악 제2대구치 4.15mm로 나타난 본 연

구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하지만 상악 구개측 접근을 보기 위한 치근단으로부터

구개측 외벽 골까지의 두께는 제1대구치에서 3.01mm, 제2대구치에서 2.76mm라고

Page 41: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0 -

보고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3.15mm와 3.08mm에 비해 약간 작지만 역시 유사

한 결과를 보였다. Frankle 등 (1990)은 33 개의 하악시신 반편을 이용하여 하악

제1, 2대구치 근심측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외벽 골까지의 평균두께를 계측한 결

과 4.18mm와 7.35mm라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4.09mm와 7.34mm로 계측된 본 연

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CT을 이용한 계측방법이

실제 악골편을 이용한 계측방 법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령에 따

른 본 연구의 대상환자 대부분이 30세 전후로 집중되어 있어 10대 및 40세 이후

의 환자들을 10세단위그룹으로 분석하기에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성장 이 완료

되고 10년정도가 경과된 30세를 임의로 선정하여 30대이하와 30대이상으로 대

분하였다. 향후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보다 많은 연구대상수로 세 한 연구가 필

요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남여간의 통계학적 유의성 유무를 고찰하여 볼 때, 모든 상, 하악

치아는 전반적으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다소 큰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고(P>0.05), 남녀간의 수술전략을 세우는데 있어서 특

별히 다른 고려는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임상상황과 연계되어 고려할 때 상악 제1, 2대구치의 구개

측 치근을 협측골로부터 각각 10.69mm 및 10.17mm의 두께를 보였는데 이렇게

두꺼운 협측 골로 인하여 실제로 임상 에서는 상악 대구치 구개측 치근단을 수

술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상악 대구치 치근의 일반적인 길이

를 약 10mm 정도로 잡았을 때 구개측 치근을 협측으로부터 접근하려면 상당량

의 골 삭제를 각오해야 한다. 따라서 greater palatine foramen 등과 같은 해부학적

인 장애물이 없다면 가급적 구개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권한다. 본 연구에서 구

개측 치근을 가진 상악 제1 소구치의 구개측 치근은 협측 치근으로부터 2.47mm

(4.15-1.68) 벌어져 있어 제2소구치의 1.95mm(3.94-1.99) 경우 보다 다소 더 이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악 제1소구치의 치근단수술 시에는 구개측

Page 42: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1 -

치근을 놓치지 않도록 더 많은 주의를 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악 대구치 부위는 협측 골의 두께뿐만 아니라 vestibule의 깊이나 연조직

retraction의 어려움 등 더 많은 장애요인이 관여하는데 특히, 제1대구치 원심설

측 근관인 경우는 협측골로부터 9.52mm 깊이에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원활한

역충전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협측 치근도 약 4-5mm의 두께를 가지

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무리하게 골와동을 형성하는 것보다 협측골을 block으로

떼어 낸 후 치근단역충전을 하고 수술 후 다시 원위치 시키는bony lid approach

(Lasaridis 등, 1991; Khoury 와 Hensher, 1987)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생각된다. 또, 하악 제2대구치의 경우는 협측 골의 두께가 약 8mm 내외를 보이

기 때문에 bony lid approach 마저도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무리한 치근단수

술을 감행하는 것보다는 처음부터 수술계획을 재식술로 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CT 체축면 영상을 사용하여 계측된 값을 환자에서의 실측치로

환산하기 위하여 방사선 사진에 함께 출력하여 나오는 계측자의 확대률을 고려

하여 재 환산하였다. 또, 계측에 있어서 발생 되었던 문제 중 하나는 모든 치아의

길이가 서로 같지 않기 때문에 CT 체축면 영상에서 나타나는 모 든 치근단의 부

위를 동일한 단면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계측이 가능한 치

근단을 한 단면에서 먼저 읽고, 다음 단면을 읽어 나가면서 다른 치아의 치근단

을 읽어 나가는 식으로 계속 진행하였기 때문에 실제 임상 상황에서 요구되는

입체적인 거리감을 확보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체축면 CT사진이 기존의 평면사진에 비해 치근관의 구조형태와 치근단의

위치 및 인접골과의 관계 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매

수술 시마다 촬영을 하면 좋겠지만 방사선 노출량이 많고 촬영시간이 오래 걸리

며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어 보다 적극적인 임상적용을 위해서는 향후 이 부

분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age 43: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2 -

Ⅴ. 결 론

CT사진을 이용하여 한국인 치아의 치근관형태, C-형 근관의 형태, 치근면

근접도 및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및 설측 외벽 골까지의 거리를 계측 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각 치아의 근관형태는 종전의 연구와 다르지 않아 본 연구에서 수행한 CT

를 이용한 근관형태에 관한 관찰이 유용하였음을 입증하였으나 상악 대구치에

서 C-형 근관과 2치근 형태가 종전의 연구에 비해 많이 나타나는 점이 특이하게

관찰되었다.

2) 상악 제2대구치의 C-형 근관의 발현빈도는12.26%로서 상악 제1대구치의

4.57%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 하악 제2대구치는 32.55%로 높은 빈도를 보였

으며,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C -형 근관형태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C-형 근관

의 함몰방향분포는 대부분 설측방향(60.53%)이었으며, 그 다음 협측(23.68%),

원심측(14.47%), 근심측(1.32%) 순위로 관찰되었다. C-형 치근면 근접도 계측 결

과 C-자형, 기호형, 분리형 근관의 치경부에서는1~1.2mm사이였으며, 치근 중앙

부에서는 0.71mm 정도로 관찰되었고, 치근단 1/3부위에서는 0.50mm이하로 관

찰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3) 상악인 경우 협측골 두께는 상악 제2대구치 원심근에서 제일 두꺼웠고,

제1소구치 근심근에서 제일 얇게 나타났다. 하악인 경우 하악 제2대구치 원심근

치근단으로부터 협측 외벽 골까지의 평균계측두께는 가장 두껍게 나타났으며,

근심근과 원심근 모두에서 제1대구치보다 길게 나타났다. 모든 상, 하악 치아의

협측 골 두께의 평균계측치는 전반적으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다소 두꺼운 경향

Page 44: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3 -

이 있 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연령에 따른 상,

하악 제1, 2대구치의 협측골 두께의 평균계측치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차이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고찰할 때 근관치료영역에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

용한 계측방법은 치근관계 해부학적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함으로

써 근관치료와 치근단수술의 계획 및 진단 시 매우 큰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된

다.

Page 45: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4 -

참 고 문 헌

김진우: C-shaped root canals. 대한치과의사협회지 37: 456-459, 1999.

신동훈: X-ray microgomography를 이용한 치아의 삼차원 재구성. 대한치과 보존

학회지 28:485- 490, 2003.

이정식:  A study on the root canal size and morphology at apical 5mm area of

human maxillary

second premolar. 대한 치과보존학회지 12: 11-15, 1987.

Alder ME, Deahl ST, Matteson SR: Clinical usefulness of two-dimensional reformatted and three-dimensionally rendered computerized tomographic

images: Literature review and a surgeons'

opinions, J Oral Maxillofac Surg 53: 375-386, 1995.

Baisden MK, et al : Root canal configuration of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J

Endod 18; 1992.

Barrett MT: The internal antomy of the teeth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ulp with its branches 1928, pp. 581-592, Dent. cosmos.

Bellizzi R, Hartwell G: Radigraphic evaluation of root canal anatomy of in vivo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premolars. J Endod 11: 37-39, 1985.

Blaskovic-Subat V, Smojver B, Maricic B, Sutalo J: A computerize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root canal morphology. Int Endod J 28: 290-296, 1995.

Page 46: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5 -

Bolger WL and Schindler WG: A mandibular first molar with a C-shaped root

configuration, J Endod 14: 515-519, 1988.

Bolger WL, Schindler WG: A mandibular first molar with a C-shaped root

configuration. J Endod 10: 397-399, 1984.

Carlssn O, Alexandersen V: Root canals in two-rooted maxillary second molars. Act Odontol Scan 55: 330-338, 1997.

Cohen S, Burns R: Pathways of the pulp. 6th ed. 1994, pp.164-165, CV. Mosby, St.

Louis.

Cooke HG, Cox FL: C-shaped canal configurations in mandibular molars. J Am

Dent Assoc 99: 836-839, 1979.

Dankner E, et al: Bilteral C-shape configuration in maxillary first molars. J Endod 16: 601-163, 1990.

Dowker SEP, Davis GR, Elliott JC: X-ray microtomography: Nondestructive 3dimensional imaging for in virto endodontic studi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83: 510-516, 1999.

Eberhardt JA, Torabinejad M, Christiansen EL: A computed tomographic study of the distances between the maxillary sinus floor and the apices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3: 345-346, 1992.

Frankle KT, Seibel W, Dumsha TC: An anatomical study of the position of the mesial roots of mandi-bular molars. J Endod 16: 480-485, 1990.

Green D: Stereomicroscopic study of 700 root apices of maxillary and

Page 47: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6 -

mandibular posterior teeth, Oral Surg 13: 723-733, 1960.

Gutmann JL, Harrison JW: Radicular anatomic considerations. In: Surgical Endodontics. 1991, pp.141-144.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Publications, Boston.

Hess W: Zur Anatomie der wurzelkanäle des Menschlichen gebisses mit berÜcksichtiung der feinern Verzweigungen am foramen apicale, schweiz. Vierteljahesschr. f. zahnheilk., Vol. 27, No. 1. 1917.

Ingle JI, Barkland LK: Endodontics.4th ed. 1994, pp. 95-96, Wiliams & Wilkims.

Jerome CE: C-shaped root canal systemy: diagnosis, treatment, and restoration. Gen

Dent 42: 424-427, 1994.

Jung HJ, Kim HJ, Kim DO, Hong SI, Jeong HK, Kim KD, Kim YO, Yoo SK, Yoo HS: Quantitative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rendered imaging of the human skull acquired from multi-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 J Digital Imaging 15: 232-239, 2002.

Khoury F, Hensher R: The bony lid approach for the apical root resection of

lower molar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6: 166-170, 1987.

Kielt LWI, Montgomery S: The effect of endosonic instrumentation in simulated

curved root canal. J Endodo 13: 215, 1987.

Kim ES, Kim KD, Roh BD, Cho YS, Lee SJ: Computed tomography as a diagnostic aid for extracanal Invasive resorption. J Endod 29: 463-465, 2003a.

Kim KD, Ruprecht A, Jeon KJ, Park CS: Personal computer-based three-dimensional

Page 48: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7 -

computed tomographic Images of the teeth for evaluating supernumerary or

ectopically impacted teeth. Angle Orthodontist 73: 614-621, 2003b.

Kim S, Pecora G, Rubinstein RA, Dörscher-Kim J: Case Selection: Indications and contraindications . In: Color atlas of microsurgery in endodontics. 2001, p.

19, W. B. Saunders company. Philadephia.

Koenigs: Prelimina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vestigations of accenssory foramina in the furcation area of human molar teeth. Oral Surg pp. 38. 1974.

Kotoku K: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roots of the Japanese mandibular second

molars. Shikwa Gakuho 85: 43-64, 1985.

Kuttler, Y: Icroscopic investigation of root apexes. JADA 50: 544-552, 1955.

Kulild JC, Peters DD: Incidence and configuration of canal systems in the mesiobuccal root of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J Endod 16: 311-317, 1990.

Lasaridis N, Zouloumis L, Antoniadis K: Bony lid approach for apicoectomy of

mandibular molars. Aust Dent J 36: 366-368, 1991.

Lawman JV: Paten accessory canals: Incidence in molar furcationregion. Oral Surg

36: 580, 1973.

Lyroudia K. Nikolaidis N. Pitas I, Zervas P. Palakidis K: Computerized 3Dimensional reconstruction: a method to study pulpal vessels and nerves. J Endod 19: 604-608, 1993.

Page 49: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8 -

Manning SA: Root canal anatomy of mandibular second molars part II. C-shaped

canals. Int Endod J 23: 40-45, 1990.

Melton DC, Krell KV, Fuller MW: Anatom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C-shaped

canals in mandibular second molars. J Endod 17: 384-388, 1991.

Mueller, AH: Anatomy of the root canals of the incisors, cuspids and bicuspids of the permaneint teeth. JADA 20: 1356-1361, 1933.

Mühlreiter, E: Anatomie des menschlichen Gebisses. 1870, p 80, Arthur Felix.

Leipzig.

Newton CW, and McDonald SA: kzC-shaped canal configuration in a maxillary first

molar. J Endod 10: 397-399, 1984.

Nielsen RB, Alyassin AM, Peters DD, Carnes DL, Lancaster J: Microcomputed tomography: an advanced system for detailed endodontic research. J Endod 21: 561-568, 1995.

Pineda F, Kuttler Y: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roentgraphic investigation of 7275

root canals. Oral Surg 33: 101-110, 1972.

Tachibana H. Matsumoto K: Applicability of X-ray computerized tomography in

Endontics, Endod Dent Traumat 6: 16-20, 1990.

Tagger M: Clearing of teeth for study and demonstration of the pulp. J Dent Edu 40: 172-2, 1976.

Tamse A, Kaffe I: Radiographic survey of the prevalence of conical lower

Page 50: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39 -

second molar. Int Endod J 14: 188, 1981.

Vertucci FJ: Root canal anatomy of the human permanent teeth. Oral Surg 58:

589-599, 1984.

Walker RT, Quackenbush LE: Three-rooted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in Hong Kong Chinese. Br Dent J 159-169, 1995.

Walker RT: the root canal anatomy of mandibulars in a Southern Chinese population.

J Endod 14: 325-329, 1988.

Weine FS, Kelly FR, Bray KE: Effect of preparation with endodontic handpieces on

original canal shape. J Endod 2: 298-303, 1976.

Weine FS: The C-shaped mandibular second molar: incidence and other considerations. Member of the Arizona Endodontic Association. J Endod 24: 372-375, 1998.

Weine FS. Pasiewicz FA. Rice RT: Canal configuration of the mandibular seccond molar using a clinically oriented in vitro method. J Endod 14: 207-221,

1997.

Yang ZP, Yang SF, Lin YC, Shay JC, Chi CY: C-shaped root canals in mandibular second molars in Chinese population. Endodo. Dent Traumatol 4: 160-163,

1988.

Page 51: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40 -

Abstract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Root canal and

Surrounding Structures using a Computed

Tomography in Korean teeth

Guang-Chun Jin D.D.S.

Department of Dentistr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eung-Jong Lee D.D.S., Ph.D.)

For successful root canal and surgical treatments, it is essential to have not only

anatomical knowledge of the root canal system of the corresponding teeth but also

accurate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ot canal and surrounding

osseous tissues. Thus the author carried out this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hape of the root canal system of 14-year-old or older Koreans' normal teeth and its

accessibility in periapical operations and to obtain anatomical information on root

canal system that may contribute to successful surgical and non-surgical root canal

treat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10 teeth on 126 upper jaws and 1276

teeth on 128 lower jaws, which had had CT scanning and clinical examination at the

Department of Preservation of the Dental College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CT

chart of jaws, each of which had at least 10 teeth). In CT axial view, the shape of the

root canal and C-shaped radicle of upper and lower jaw teethwere measured using a

reader, magnifier and image analyzer (Image-Pro Plus, Ver. 4.0, Media Cybernetcs

U.S.A.), and accessibility to the root surface of C-shaped root canal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oot canal to the outer wall of the tooth root, the

cervix, the center of the root, the upper 1/3 of the root apex) was measured using

digital caliper (Mitoutoyo Co, Tokyo, Japan), which can measure at a precision of

0.01mm. In addition, this study measured the thickness of buccal and lingual bones

Page 52: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41 -

for all teeth and the thickness of lingual bones by age (30 years old or younger, 31

years old or older) and gender, obtaine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easurements, and preformed statistically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 In the 2nd premolar tooth on the upper jaw Type 2-2 was 53.26% and in the

mesial root of the 1st molar tooth Type 2-2 was 66.06%, Type 1-1 33.33%, Type 1-2

0.35% and Type 2-1-2 0.35%. In the 2nd tooth root thefrequencies of Type 1-1 and

Type 2-2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mesial root of the 2nd molar tooth Type

2-2 was 15.33%, which is lower than the frequency of the type in the 1st molar tooth,

and in the 2nd tooth root Type 2-2 was 62.93% . In fused root Type 1-1 was 36.36%

and other types were 27%. In the mesial root of the 1st molar tooth on the lower jaw

Type 2-2 was 84.37%. The upper anterior teeth, the mesial root of molar teeth on the

upper jaw, and canine teeth and the 2nd premolar teeth on thelower jaw had simple

root canal mainly of Type 1-1, the frequency of which was over 80%. In case there

are three tooth roots in distal and palatal of molar teeth on the upper jaw and the tooth

root of the 1st molar teeth on the lower jaw, the disto-lingual root was 100% Type

1-1.

2) In the 2nd molar teeth on the upper jaw, the frequency of C-shaped root canal

was 12.26%, higher than 4.57% the frequency of the 1st molar teeth on the upper jaw.

The frequency of the 2nd molar teeth on the lower jaw was as high as 32.55%, and in

the 1st molar teeth on the lower jaw C-shaped root canal was not observed at all. In

the distribution of the depression direction of C-shaped root canal, most depressions

(60.63%) were in the lingual direction, and next buccal (23.68%), distal(14.47%) and

mesial (1.32%).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loseness of C-shaped root

surface, the distance was 1~1.2mm at the cervix of semicolon C-shape canal and

separate C-shape canal root canal, and less than 0.71mm near the end of tooth root.

3) In the maxilla, the distances from the second molar mesio-buccal and

disto-buccal root to the buccal bone plate were the largestat 4.63mm and 3.61mm,

respectively. The remaining measurements were < 3mm. In particular, the anterior

teeth were all <2mm. The average distances from the palatal apex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the second molar to the buccal bone plate were 10.69mm and

Page 53: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한국인 치아의 근관구조에 …...핵심되는 말 한국인 치아 전산화단층촬영 치근관구조 치근단수술 전산화단층촬영술을

- 42 -

10.17mm, respectively. The average distances from the palatal apex to the palatal

bone plate in the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were 3.15mm and 3.08mm,

respectively.In the mandible, the mean distance from the distal apex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to the buccal bone plate was largest at 8.51mm, which was followed by

the mesial root (7.34mm) and then by the fused root case (7.19mm)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When two distal roots were present in the mandibular first molar.the

disto-lingual root was largest at 9.52mm.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measuring using CT

scanning in root canal treatment is expected to make great contributions to diagnosing

and treating root canal and root apex by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shape of root canal system.

Key words : Korean teeth, computed tomography, root canal anatomy, apicoect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