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32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pp.131~162 현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가 초기 구축 단계를 지나 일정정도 확산단계에 들 어서고 있으나 인식의 한계, 기본적 인프라의 미비, 재정적 지원의 취약성, 조종체계의 미비 로 인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 증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 고 있고, 이러한 과도기적 상황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서는 좀 더 전략적이고 세부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는 2010년 6월부터 12월까지, 기존 직업재활네트워크에 관한 문헌분석과 직업재 활전문가를 통한 구체적인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와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43개 및 경상도 35개 장애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장 애인 고용 증진을 위한 직업재활네트워크의 실제적인 실천 및 정책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재활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및 발전전략으로서, 서울의 경우 심리적 거리 의 개선, 실적위주보다는 실질적 네트워크의 구축, 경쟁과 경계적 네트워크에서 열림과 공 존의 네트워크 구조화의 과제가 제시되었고, 반면에 경상도는 지역적 특성 및 물리적 거리 의 극복을 위한 지역 거점 기관의 개발, 비구조화된 네트워크의 시스템화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지역별로 지속가능한 실천전략으로서 서울의 경우 는 기관 및 사업특성별 네트워크 구축과 주축 기관(lead agency)의 발굴 및 역할 증대, 경 상도의 경우 지역별 거점 조직 구축, 인센티브 등 지원체계 마련, 등이 제안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되어진다. 주제어 :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사회 네트워크 분석 신현욱 전주대학교 재활학과 교수 강병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최영광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사무처장 황성혜 성북장애인복지관 사무국장 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비교 · 분석연구: 서울과경상도지역을중심으로* 131 ✽이논문은2010년도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의용역과제로수행되었던「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구조분석및 실천전략연구보고서」를수정·보완한것임

Upload: others

Post on 15-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요약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pp.131~162

현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가 초기 구축 단계를 지나 일정정도 확산단계에 들어서고 있으나 인식의 한계, 기본적 인프라의 미비, 재정적 지원의 취약성, 조종체계의 미비로 인하여 전반적인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 증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이러한 과도기적 상황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전략적이고 세부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본 연구는 2010년 6월부터 12월까지, 기존 직업재활네트워크에 관한 문헌분석과 직업재

활전문가를 통한 구체적인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와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위해 서울 43개 및 경상도 35개 장애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를 비교·분석하였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장애인 고용 증진을 위한 직업재활네트워크의 실제적인 실천 및 정책 방향을 도출하였다.연구결과 직업재활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및 발전전략으로서, 서울의 경우 심리적 거리

의 개선, 실적위주보다는 실질적 네트워크의 구축, 경쟁과 경계적 네트워크에서 열림과 공존의 네트워크 구조화의 과제가 제시되었고, 반면에 경상도는 지역적 특성 및 물리적 거리의 극복을 위한 지역 거점 기관의 개발, 비구조화된 네트워크의 시스템화가 필요할 것으로분석되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지역별로 지속가능한 실천전략으로서 서울의 경우는 기관 및 사업특성별 네트워크 구축과 주축 기관(lead agency)의 발굴 및 역할 증대, 경상도의 경우 지역별 거점 조직 구축, 인센티브 등 지원체계 마련, 등이 제안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주제어 :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사회 네트워크 분석

신현욱 전주대학교 재활학과 교수강병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최영광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사무처장황성혜 성북장애인복지관 사무국장

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구조�비교·분석�연구:서울과�경상도�지역을�중심으로*

131

✽이�논문은�2010년도�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의�용역과제로�수행되었던�「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구조분석�및실천전략�연구�보고서」를�수정·보완한�것임

Page 2: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32

Ⅰ. 서 론

현재�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가�초기�구축�단계를�지나�일정정도�확산단계에�들어서고�있

으나�인식의�한계,�기본적�인프라의�미비,�재정적�지원의�취약성,�조종체계의�미비로�인하여�전반적인

사업의�효율성과�효과성�증진에�어려움을�가지고�있는�것으로�파악되고�있고,�이러한�과도기적�상황에

있는�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를�활성화하기�위해서는�좀�더�전략적이고�세부적인�변화가�이

루어져야�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신현욱·최영광,�2010).�

사회복지�및�재활조직간�연계는�복지분야에서�서비스의�효과적�전달,�서비스�이용자의�욕구�충족과

만족,�그리고�자원의�효율적�활용이라는�차원에서�최근�들어�더욱�관심이�증대되고�있다(김인숙·우아

영,�2003).�특히,�2006년�사회복지�공동모금회�테마기획사업�‘ 지역사회�네트워크지원�사업’ 이�시행되면

서�상호조직간�네트워크에�대한�민간�사회복지서비스�조직들의�관심이�촉발되었다(김지영,�2007).�‘지

역사회�네트워크지원�사업’ 은�지역사회�내�서비스의�중복�및�누락�방지를�통하여�복지서비스의�효과성

을�도모하기�위하여�지역사회(시·군·구�단위)내�복지관련�서비스를�제공하는�기관�및�단체들간�네트

워크를�구축,�협력을�통하여�해결할�수�있는�지역사회�우선해결과제를�선정하고,�해당�문제해결을�위한

공동사업을�계획·수행하는�것을�그�내용으로�하고�있다.�전국�11개�시군구�지역에�3년간�총�25억�원이

지원되는�이�사업은�신청을�접수한�기관이�82개에�이를�정도로�사회복지기관들의�관심이�뜨거웠고,�이

후�이러한�흐름은�장애인복지�및�직업재활사업�역시�기관�간�연계를�통한�네트워크를�어떻게�활성화해

나아가야�할�것인지에�대한�여러�실천적�과제�및�접근을�촉발하는�계기가�되었던�것으로�파악된다.�

이러한�흐름�속에서�직업재활�네트워크의�필요성은�선진�외국과�비교하였을�때�우리나라의�직업재

활�서비스를�통합하여�전달할�수�있는�실질적�구조체계가�미비하다는�한계점에서�찾을�수�있다.�예를

들어�호주의�경우�신공공관리론의�행정이념에�네트워크�이론을�도입함으로써�생성된�통합서비스기구

인�센터링크가�실질적인�장애인�재활�및�고용의�통합�서비스�전달체계의�역할을�하고�있으며,�영국의

잡센터�플러스의�경우는�신관리주의론을�근본적인�공공조직의�틀로�설정하고�행정환경의�변화에�맞추

어�거버넌스�이론을�접목시켜�탄생한�통합서비스기구라고�하였을�때(이대윤,�2009),�이는�우리나라의

직업재활에�시사하는�바가�크다고�할�수�있다.�즉�영국과�호주는�이미�국가적�차원에서�행정개혁�및�관

련법령의�정비를�통하여�거시적�차원에서�장애인�고용과�관련된�여러�기제들을�이미�성숙시켜�놓은�상

태라고�볼�수�있고,�이와�비교하였을�때�우리나라는�아직까지도�사회구조적�차원에�있어서�장애인�직업

재활이�여러�사회서비스�영역과�긴밀한�연결을�맺으면서�수행되고�있지�못한�것으로�보인다.�선진국의

예에서와�같이�실질적�의미에서의�장애인�직업재활전달체계가�거시적인�국가�정책�및�행정의�틀�속에

서�재편되고�그러한�과정�속에서�여러�사회적�안정망이�유기체적으로�결합되었을�때�그�효율성과�효과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Page 3: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33

성이�극대화�된다고�하였을�때,�우리나라의�경우�여러�부서에�산재되어�있는�직업재활�사업이�아직�부

처별로�유기적�결합을�맺지�못하고�있는�것으로�판단되고,�이러한�상황에서�직업재활의�구조적�비효율

성을�일정정도�해소해�줄�수�있는�직업재활네트워크의�중요성이�점차�부각되고�있다.�

이전까지�사회복지�서비스를�제공하는�기관을�중심으로�하는�네트워크�선행연구는�대체로�네트워크

의�①�내용(content)·형태(form),�②�내용·구조(structure)의�두�가지�차원에서�이루어져�왔다(유태

균·김자옥,�2001).�네트워크의�내용은�대체로�교환내용,�관계의�양,�그리고�관계의�방향을�의미한다.

여기서�교환내용은�조직간�협의,�자금,�클라이언트�의뢰�등의�차원을�의미하며,�관계의�양은�관계하는

조직의�수와�빈도를,�그리고�방향은�조직�간의�관계를�제공자와�수혜자로�나누어�그�방향성을�구분하는

것�등을�의미한다.�다른�한편으로�네트워크의�구조적�차원에서는�밀도,�중심성의�측정�등이�이루어져왔

다.�이전까지�사회복지�서비스�네트워크�선행연구가�내용·형태�또는�내용·구조의�형식으로�다양하

게�이루어져�왔으나,�재활기관�및�장애인복지관�관련�직업재활�네트워크�연구는�많은�부분�사례분석�및

규범적�접근�방식으로�이루어진�것으로�파악된다(김언아�외,�2008).�내용(content)·형태(form)차원의

사례분석�및�규범적�접근�방식의�기존�연구들은�직업재활영역에서�조직간�네트워크에�대한�지식을�확

장하는데�도움을�주었으나,�특정�지역�혹은�특정�기관의�재활조직간�네트워크�실태를�파악하는�데�그치

거나,�이에�영향을�미치는�요인들을�제한적으로�살펴보는�한계가�있어왔다고�볼�수�있다.�이러한�한계

점을�극복하고�좀�더�체계적인�직업재활�네트워크�분석을�위해서는�구조(structure)적인�차원의�접근이

필요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즉�네트워크�분석�방법으로서�밀도,�집중도,�중심성(연계정도·근접·

매개),�구조적�등위성�등의�다양한�지표들을�최대한�활용함으로써�장애인�복지관간의�직업재활�네트워

크�실태�및�특성에�대한�보다�풍부한�정보를�제공할�필요가�있다.�

따라서�본�연구의�목적은�장애인복지관�특히�서울과�경상도�지역을�중심으로�하는�직업재활�네트워

크�분석을�통해,�직업재활�네트워크의�전반적인�구조적�특성,�세부적으로는�네트워크의�밀도�및�중심성

측면을�살펴보고,�더�나아가�기관�간�협력관계의�형태를�고찰하고,�마지막으로는�이를�통한�효과적인

네트워크�운영과�확대를�위한�시사점을�제시해�보고자�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네트워크의 개념

네트워크(network)란�일정수의�행위자들�사이에�존재하는�관계�또는�특정의�목적을�달성하기�위해

관련�기관들간에�협력적�관계를�형성하는�것을�의미한다(김문조,�1987:502).�Alter와�Hage(1993)는�네트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Page 4: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34

워크를�‘교환�합의된�행동,�공동생산과�같은�기관�간�상호작용을�허용하는�기본적인�사회적�행태’ 라고

하였고,�더�나아가�네트워크를�자원,�기술,�지식,�신뢰�등을�서로�공유할�수�있는�사람들�또는�단체의�공

식적�혹은�비공식적�관계의�망(net)으로�유대(tie),�연계(linking)라고�정의하였다.

더�나아가�네트워크를�‘자원,�기술,�접촉,�지식을�서로�나눌�수�있는�사람이나�조직들의�공식�혹은�비

공식적�연결체’ �또는�‘개인의�사회적�체계의�성격을�측정하고�기술하는�분석적�접근’ 으로�정의하고�있

다.�이들의�정의에�따르면�네트워크는�동일한�목적을�가진�개인,�집단,�조직,�기관�등에�의해�구성되며,

전문�방법에�의해�분석이�가능한�교류의�협조체계�혹은�다양한�자원을�체계적으로�활용할�수�있도록�구

축된�행정체계라고�할�수�있다(신현욱,�2009).

네트워크는�협력,�조정,�협동,�파트너쉽,�관계�등의�용어와�구분�없이�사용되고�있으나,�최근�들어�네

트워크는�유사용어들을�하위형태로�포괄하는�통합적�개념으로�사용되는�경향이�있다.�김용학(2004)은

네트워크�유형을�대칭적관계,�중앙-변방�연결망,�수평적�관계로�구분하고�있는데,�조직간�관계

(interorganizational�relationships)가�주로�두�조직간의�이자�관계(dyadic�relationship)에�초점을�두었다면,

네트워크는�다수의�조직들간에�맺어지는�모든�관계를�포괄한다고�보는�것이다(Alter�&�Hage,�1993).�장

연진(2010)에�의하면�조직간�관계는�상대�조직의�수를�추가한�개념인�조직집합�즉,�중앙-변방�연결망으

로�하는�대칭적�관계로�볼�수�있고,�조직�집합의�개념에�환경�조직들�간의�상호작용을�추가한�‘ 조직�간

네트워크’는�수평적�관계로�나타난다고�제시하였다.�따라서,�조직과�조직간의�이자관계가�모여�조직

집합이�되고,�조직�집합이�모여서�조직간�네트워크가�된다고�정의하고�있다.�

이러한�네트워크는�계층제�조직(Hierachy)과�비교해서,�당사자�간에�자원의존적이고�협력에�따른�이

익이�있으며�상호지향성,�보완성,�적응성,�상호의존성의�특성을�갖기�때문에(Powell,�1991)�위계가�가진

단점인�유연성을�최대한�확보하면서도�신뢰관계를�통해�거래의�기술적�노하우를�축적할�수�있고�지식

과�기술을�전달하고�학습하는�능력을�향상시킬�수�있다.

2. 네트워크의 구분 및 유형

김용학(2004)은�네트워크�유형을�완전�네트워크(complete�network),�자아-중심�네트워크(ego-centric

network),�유사네트워크(quasi-network)로�구분하였다.�일반적인�네트워크�분석에서�가장�많이�사용되

는�형태인�완전�네트워크는�폐쇄적�영역�안에�있는�모든�구성원들을�대상으로�관계와�정도를�측정하는

네트워크로,�네트워크�안에�포함된�구성원�이외의�다른�구성원을�선택할�수�없는�네트워크이다(김용

학,�2004:�Hanneman,�2005:�우수명,�2008�재인용).�한�집단의�구조를�완벽하게�분석할�수�있다는�점에서

장점이�있지만�응답자가�선택할�대상이�명확하게�한정되어�있는�경우에�활용되며�경계선이�뚜렷한�학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Page 5: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35

급이나�기업�조직�등에�대한�조사에�적합한�방법이다.�

자아-중심�네트워크는�응답자A가�선택할�수�있는�대상들이�개방적이어서�이들에�대한�정보를�A로

부터만�얻을�수�있는�경우에�해당된다.�예를�들어�가구조사를�할�때�응답자는�한명이지만,�그�가구원의

전체�정보를�응답자로부터�얻게�된다(김용학,�2004).�응답자가�제공한�정보를�토대로�구성한�네트워크

를�확인할�수�있지만�응답자가�선택한�이들로부터의�네트워크는�알�수�없는�한계가�있다.�그러나,�자아

중심�네트워크를�통해�추정된�숫자가�공식�통계에�매우�근접할�뿐만�아니라�공식통계보다�그럴�듯하게

많게�추정될�수�있다.�

유사네트워크는�행과�열에�다른�노드(nodes)로�구성되는�2원�자료(2-mode)를�활용할�때�유용한�것으

로�인터넷�서점에서�서적을�구매할�때�‘이�책을�구입한�사람이�산�다른�책이�제시되는�것과�같이�책과�책

사이의�‘ 책�구매�연결망’ 을�의미한다(김용학,�2004).�책과�책은�직접적�관계가�없지만,�책을�구매한�사

람들에�의해서�인위적으로�관계가�설정된�것�처럼�직접적인�상호작용�관계가�없더라도�관계를�인위적

으로�설정한�네트워크를�의미하며,�사회과학에서�기존의�자료를�활용해�네트워크�자료로�재구성하여

활용할�수�있다는�장점이�있다.�

박용관(1999)은�네트워크�유형을�전략적�네트워크,�상호행위적�네트워크로�구분하였다.�전략적�네트

워크는�인터넷이나�전화,�도로�네트워크와�같이�도구를�사용하는�행위에�따른�도구적�네트워크,�자원동

원�네트워크와�같이�효율성을�높이기�위한�조직상의�구조로�도입되는�전략적�행위에�따르는�것이다.�상

호행위적�네트워크는�자원봉사자조직과�같은�자율적인�유니트(unit)의�상호행위에�따라�자유롭게�연계

되고�확장되어�나가는�상호행위적�네트워크로�분류될�수�있다.�그리고�각각의�네트워크는�단위조직간,

조직간,�사회운동조직간의�관계에서�나타날�수�있다.�

네트워크의�다양한�유형은�표현되는�방식이나�용어적인�차이점은�있지만,�네트워크�내에서�하위�집

단들이�어떻게�형성되어�있고�서로간의�관계와�영향력이�어느�정도인가를�분석하는데�있어서�공통점

을�갖는다고�볼�수�있다.�

3. 네트워크의 구조적 차원

네트워크는�조직과�조직�간에�연계된�체계를�의미한다(Wasserman�&�Faust,�1994).�네트워크를�구성하

는�차원은�연구자에�따라�다양하게�보고�있다.�Van�de�ven�&�Ferry(1980)는�네트워크�특성을�과정적�특성

과�구조적�특성으로�구분하는데,�과정적�특성은�조직이나�기관�간에�이루어지는�자원의�흐름을�포함하여

연계의�내용,�방향,�빈도까지�포함한다고�하였고�구조적특성은�조직들�간에�형성된�연계의�중심도,�위세

도와�응집력�등을�측정함으로써�파악하고자�하였다.�더�나아가�조직간�네트워크의�특성을�내용과�형태로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Page 6: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36

구분하였고,�내용은�지도감독관계,�도움관계로�측정하였고�형태는�강도,�방향성으로�측정하였다(김인숙

외,�2003�재인용),�Lipnack와�Stamps는�네트워크를�구조와�과정으로�구분하고�있다(박은주,�2006�재인용).

즉�조직간�네트워크�구조적�특성은�밀도,�집중도,�중심성,�구조적�등위성�등이�포함된다.�네트워크�분석

(network�analysis)이라는�분석기법을�통해�구해지는�각�지표의�의미는�다음과�같다(장연진,�2010).�

(1) 밀도

밀도(density)란�가능한�총�관계의�수�중에서�실제로�맺어진�관계�수의�비율로�정의된다(김용학,

2007).�밀도는�네트워크�내에서�개인이자�개별�집단이�타인�또는�타집단과�어느�정도�관련되어�있나를

나타내는�가장�일반적인�척도이다.�한�네트워크에�속한�행위자들이�서로�관계가�많을�때�밀도가�높다고

한다.�밀도가�높은�네트워크에�속한다는�자체는�서로�끈적한�유대관계를�가진�집단에�속하게�되는�것이

므로,�그�동료들로부터�협력과�지원을�받을�가능성이�높다고�볼�수�있다(손동원,�2002).

(2) 집중도

집중도(centralization)란�한�네트워크�전체가�한�가지�‘ 중심’ 으로�집중되는�정도를�표현하는�지표이

다.�집중도는�행위자들의�교류가�특정�행위자(actor)에�몰리는가를�말하게�된다.�소수의�조직이�집중적

으로�교류를�가지게�되면�그�네트워크는�집중도가�높은�네트워크이다.�반면에�다양한�조직간�교류가�존

재하는�경우는�집중도가�낮은�네트워크이다.�네트워크의�밀도와�집중도를�비교해보면,�밀도가�높으면

소수에게�집중하는�정도는�떨어지며(즉,�낮은�집중도),�밀도가�낮으면�소수에�집중된다는�의미(즉,�높은

집중도)이며,�이는�밀도와�집중도가�반비례�추세를�가진다는�것을�의미한다(손동원,�2002).

(3) 중심성

중심성(centrality)은�네트워크�상에서�한�행위자(actor)가�다른�행위자와�얼마나�관련되어(involved)

있는가를�나타내는�개념(Wasserman�&�Faust,�1994)으로,�네트워크�내에서의�영향력을�나타낸다.�중심

성은�여러�가지�측면에서�살펴볼�수�있는데,�연계중심성(degree�centrality)은�다른�행위자와�활발한�연

계활동을�하는�사람을,�근접�중심성은(closeness�centrality)은�최단�경로를�통해�다른�행위자와�연결될

수�있는�사람을,�매개중심성(betweenness�centrality)은�서로�다른�두�행위자를�최단경로를�통해�연결시

키는�위치에�있는�사람(일종의�bridge�역할)을�중심적이라고�본다.�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Page 7: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37

①�연계중심성은�행위자가�많은�연결관계를�가지면�가질수록�중심성은�높아진다.�개별�기관이�네트

워크�내�다른�기관들과�얼마나�활발한�연계활동을�하는지�즉,�각각의�기관들이�가지고�있는�네트워크의

정도를�평가하는�지표이다.�따라서�연계�중심성이�높은�행위자는�자신과�직접적으로�관계를�가지고�있

는�행위자와의�관계만을�상정하기�때문에�연결망�즉�네트워크에서�지역성�중심성(local�centrality)을�측

정하는�개념이다(박치성,�2006).�낮은�행위자는�관계구조�속에서�적은�수의�행위자와�관계하며�네트워

크의�주변부에�위치하는�것을�의미한다(강창현.�2001).

②�근접�중심성은�두�행위자를�연결시켜주는�최단�경로들의�합이�가장�적은�행위자를�의미한다.�근접

중심성이�높다는�의미는�연결망�내에서�다른�행위자들보다�가장�빠른�경로를�통하여�전체�연결망�내에

내재되어�있는�자원이나�정보에�접근할�수�있다.�근접중심성은�연결망의�한�결점에서�다른�결점에�도달

하려면�필요한�최소�단계의�총합을�말하며,�네트워크에서�중앙에�위치할수록�이�숫자가�작아지고,�다른

기관들과�가깝게�위치하게�된다(김용학,�2004).�

③�매개중심성은�기관�간�네트워크�상에서�중간에�위치함으로서�중재자�역할을�어느�정도�하는가를

측정하는�개념을�의미한다.�즉�행위자가�연결망내의�다른�모든�행위자들을�연결하는�최단�경로위에�많

이�위치할수록�매개중심성은�커지는�것이다.�

④�위세중심성은�타�조직들로부터�연계의�대상으로�선택된�정도를�의미하며�연계된�상대조직의�중

요성에�가중치를�주는�개념이다(김용학,�2004).�연계망에서�영향력이�큰�중심조직과의�연계는�영향력

이�낮은�다른�조직과의�더�많은�연계보다�자신의�영향력을�높이는데�더�기여할�수�있다.�따라서�위세도

가�높은�조직은�연계망�내에서�효율적인�관계망을�형성하고�있다고�볼�수�있다(김재환,�2005).�

4. 직업재활 네트워크 구조분석 선행연구

국내�네트워크�분석연구는�네트워크�중심성과�밀도�혹은�구조적�공백�등과�같은�네트워크�정도를�중

심으로�분석하는�연구와�네트워크�정도를�다른�요인들�간의�관계로�분석하고자�하는�연구로�구분할�수

있다.�박은주(2006)는�정신장애인의�성공적인�재활을�위해�적합한�네트워크의�모형을�개발하고자�하였

다.�부산시�장애인복지관,�정신보건센타,�사회복귀시설,�정신요양원,�지역사회복지관,�정신병의원,�낮

병원,�기본형�정신보건센타를�운영하는�보건소,�장애인고용공단,�동사무소�총�70개�기관을�대상으로�자

료를�수집한�결과�네트워크�구조에서�사회복귀시설이�연계중심성,�매개중심성,�근접성�등에서�높은�수

치를�보여�네트워크의�중심이�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고,�정신보건센타,�낮병원,�사회복귀시설은�그

역할과�기능에�있어�유사성을�보였다.�전체적인�네트워크의�밀도는�높은�편이었으나�네트워크의�기능

적�측면에서�기관별�네트워킹�수준이나�내용에�큰�차이가�없었다.�대부분의�기관이�정보제공이나�대상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Page 8: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자�의뢰의�내용으로�네트워킹을�하고�있었고,�공동목표�형성과�협력,�조정�등에서�다양한�네트워킹이

필요함에도�불구하고�실제�상황에서�원활하게�수행되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다.�네트워크�활성화를

위해서는�네트워크�과정에서�단순히�네트워크�횟수나�빈도를�증가시켜�네트워크의�밀도를�높이는�것

이�아니라�네트워킹을�통한�성과를�증진하기�위해�욕구충족에�적절한�네트워킹을�실시하도록�그�수준

과�내용도�다양화�할�수�있어야�할�것이다.

이현주(1998)는�장애인�복지관의�조직간�네트워크�활동을�클라이언트�의뢰,�인적교환,�자금교환으로

설정하였으며,�네트워크�특성으로�밀도,�정도중심성,�매개중심성으로�분석하였다.�이�연구결과�장애인

기관들�중�복지관이�중심적인�역할을�주로�수행하며,�운영주체별로�종교기관이�중심적�역할을�수행하

였고,�기존의�조직간�관계�뿐만�아니라�관리자와�서비스�전달자를�대상으로�조사하여�개인적인�인맥과

직위에�따라�네트워크에�다른�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김언아�외(2008)는�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장애인�고용�네트워크�분석을�위해�정보교환�및�의견교

환,�업무주선,�정기모임,�물리적,�인적자원�공유,�공식계약,�조인트�프로그램으로�분류하였다.�연구결과�각

단계별�네트워크마다�중심기관과�매개기관이�파악되었고,�중심기관과�매개기관�제거�시�네트워크가�와해

됨을�확인하여�중심기관�및�매개기관의�역할이�중요하다고�할�수�있다.�연계,�매개,�근접�중심성�모두에서

공단지사의�주도적�역할이�확인되었고,�협력단계별�네트워크가�직업재활�과정별�네트워크에�비해�참여기

관의�수,�네트워크�밀도,�집중도가�높음을�알�수�있었다.�협력단계별로는�정보제공�및�수집�단계가�가장�밀

도가�높고�촘촘한�구조의�네트워크�특성을�보였지만,�협력의�강도가�높아지는�공식계약�및�공동사업�단계

에서는�네트워크의�밀도가�낮아지고�소수의�중심기관이�주도하는�것으로�나타났다.�위�결과를�통해�네트

워크의�보편성을�높이기�위해서는�중심기관의�역할이�중요하지만,�네트워크의�질을�높이기�위해서는�매

개기관의�역할이�중요함을�알�수�있다.�또,�네트워크에서�중심성을�갖는�기관을�중심으로�네트워크를�구축

하는�것과�함께�네크워크�내�매개역할을�할�수�있는�거점기관의�역할이�중요함을�인식할�수�있다.�

황인규(2006)의�연구에서는�직업재활서비스�기관�간의�네트워크�특성에서�관계적�특성을�살펴보기�위

하여�기관간�상호교환�내용,�양,�방향을�자원교환,�클라이언트�의뢰,�협의·조정�영역�중심으로�파악하

며,�네트워크의�구조적�특성은�네트워크의�밀도와�다선중심성,�매개�중심성,�근접중심성,�위세도를�분석

하였다.�연구결과�서울�서부�및�경기�일부�지역의�직업재활�중심�조직은�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시설,�정

신보건�기관�등이�주를�이루었고,�교육기관과�장애인�단체는�네트워크�활동이�부족한�것으로�나타났다.

이�중�장애인복지관이�네트워크�영역에서�가장�중심적인�역할을�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자원교환에서

는�장애인복지관,�정신보건기관이�자원교류의�매개�역할을�수행하며�중심적인�역할을�담당하고�있는�것

으로�나타났고,�클라이언트�의뢰는�장애인�복지관과�정신보건�기관에서�집중적으로�의뢰가�이루어지고

매개적인�역할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한국장애인고용공단�산하기관은�정부출현기관으로�자체�시스

138

Page 9: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템�내에서�의뢰가�많이�이루어지고,�교육기관은�고등부�학생의�의뢰가�비교적�활발하게�이루어졌다.�협

의·조정�네트워크에서는�장애인복지관이�중심을�이루고,�대부분의�기관과�활발한�네트워크를�수행하

는�것으로�나타났다.

III.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연구에서�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의�구조적�특성과�심층적인�맥락을�분석하기�위해서

네트워크에�대한�양적�및�질적�연구를�병행하는�통합적�연구방법론을�적용하였다.�본�연구가�네트워크

의�계량적인�구조를�파악하면서도�질적으로�심층적인�내용을�파악하여�보완하려고�하기�때문에�통합

적�연구방법�중에서�주-부�패러다임�혼합설계(dominant-less dominant mixed method design)에�의한

다층통합방법설계(Multidimensional Mixed Research Design:�이하�MMRD)로�연구설계를�구성하였다

(염시창�역,�2001).�이�설계방법은�양적조사를�주요�연구방법으로�하고�질적면접을�보완적�방법으로�하

는�설계로�본�연구에서�네트워크�분석을�위한�설문조사와�심층면접방법(FocusedGroup Interview:�이하

FGI)을�동시에�고려하는데�적절하다고�판단하여�적용하였다.�MMRD의�경우�네트워크�구조적�특성을

파악하기�위해서�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NetworkAnalysis:�이하�SNA)과�질적방법인�FGI를�수행하였

다1).�이런�방법론적�통합은�네트워크�구조�분석을�위한�계량적�연구로서�SNA와�네트워크의�깊은�모습

을�탐구하고�사례연구의�질적방법의�접목을�시도한�김옥일(2008)과�서울시�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운

영체계�연구에서�대상자�의뢰�네트워크의�분석과�심층면접을�병행한�이용표·정현주·두진영(2008)

에서도�볼�수�있는데�본�연구에서도�그�가능성을�탐색하고자�하였다.�추가적으로�본�연구에서는�장애인

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의�지역별(서울과�경상도2))�비교를�하였는데�비록�일반화�의�한계가�있지만

네트워크에�대한�지역별�비교는�네트워크의�구조와�특성을�설명하는�데�유용한�방법으로�제안되고�있

139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SNA�는�사회학에서�비롯되어�사회구조와�관계를�연구하는�분석방법이다.�이�방법은�정신적인�영역부터�국가간의�관계까지광범위하게�적용될�수�있다(Butts,�2008).�복지분야에서도�SNA는�상호작용,�사회현상,�사회구조�등을�파악하는�데�유용한�방법으로�제안되어�오고�있다(정순둘,�1997).�하지만�SNA는�그�배경,�이론,�설계,�자료수집,�대상,�분석,�보고�등�일련의�사회연구에�대한�체계를�고려하면�분석(analysis)이라기보다는�그�자체로서�연구방법(research�methodology)으로�이해될�수�있다.�FGI는�소규모�집단을�대상으로�심층적인�집단�면접을�하는�방법으로�욕구사정,�탐색적�연구�등에서�활용된다(강병로,�2008).�구체적인�방법은�10명�내외의�집단을�한�장소에�모이게�한�후에�비체계적,�비구조적�면접방법을�활용하여�1-2시간정도�대화와토론에�의해�자료를�수집하여�분석한다(Rubin�&�Babbie,�2001).�

2)�본�연구의�조사대상을�서울과�경상도로�한정한�것은�신현욱·최영광(2010)의�「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에�관한�기초연구」결과에서�제시된�것과�같이�기관별�직업재활네트워크�구축현황에서�서울과�경상권이�타�지역에�비하여�네트워크�구축단계가�높은�것으로�나타나�유의미한�비교의�가능성이�높은�점과�네트워크�분석에�있어서�수도권과�지방�즉,�지역�간�대표성을�확보하는�측면에서�선택하게�되었다.�

Page 10: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다(우수명,�2008;�박경숙,�2009).�앞선�연구에서도�볼�수�있듯이�SNA에�관심이�지역사회�네트워크에서

촉발된�점,�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의�지역적�다양성을�고려해야�한다는�점�등이�검토되었다.

설문조사를�통한�양적연구의�보완으로�심층면접�등의�질적연구를�수행하는�다층적이고�복잡한�연구설

계와�전체�연구과정에서는�단계별�연구방법이�필요하다는�점을�감안하여(염시창�역,�2001:�191;�유태균

역,�2001:�242),�표집,�자료수집,�자료분석에서�비교와�재분석을�통한�연구의�구조화�작업을�통해서�조사

의�신뢰성과�타당성�확보를�위해�노력하였다.�

2. 연구내용

본�연구에서는�앞서�제시된�설계를�기반으로�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의�구조적�특성과�내

용을�분석하여�서울과�경상도의�지역별�비교를�하고자�하였다.�따라서�연구방법에�따른�연구내용을�제

시하면�다음과�같고,�이러한�연구내용을�<표�1>에서와�같이�요약하여�제시하였다.�

<표 1>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내용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140

양�적�연�구 내������용

장애인복지관�기관특성 지역,�복지관�유형,�운영주체,�주요�서비스�이용�장애인,�직업재활사업�개시년도,�운영예산

응답자�특성 성별,�연령,�학력,�전공분야,�직급,�장애인복지�경력

직업재활�네트워크�구조�분석차원

(1)�정보교환�:�자료�공유,�조언�혹은�아이디어�나누는�등�조직운영,�프로젝트�정보,�프로그램�정보,�조언,�해당조직의�홈페이지�또는�메일,�전화,�팩스�등을�활용한�정보교환�활동

(2)�서비스�의뢰�:�직업재활�서비스�이용자의�취업알선�및�직업훈련을�위한�서비스의뢰�활동

(3)�협의�및�조정�:�공동프로젝트,�단위사업�프로그램,�공동교육�및�조사연구,�부모교육,�직원교육�사업�및�정책에�관하여�조직간�조정·협의

(4)�자원교류�:�조직의�시설,�차량,�기자재�지원�등�물적자원과�직원,�자원봉사자�등인적자원을�제공하여�직업재활�관련�프로그램�또는�행사진행에서의�교류활동

네트워크�구조적�분석�방법

관계적�접근밀 도�:�맺어진�관계�수의�비율

집중도�:�특정�행위자로�집중되는�경향

위치적�접근

연계중심성�:�다른�기관과�활발한�연계활동�정도

근접중심성�:�최단�경로로�다른�행위자와�연결

매개중심성�:�다른�두�행위자�최단경로로�연결

위세중심성�:�영향력�있는�네트워크�행위자�표시

질�적�연�구 내������용

FGI

직업재활�네트워크�일반현황

직업재활�네트워크�성과

직업재활�네트워크�문제점과�개선방안

Page 11: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3)�SNA에서�네트워크를�측정하는�지표는�다양한데�크게�위치적�접근,�관계적�접근,�구조적�접근으로�구분하여�살펴볼�수�있다.위치적�접근은�행위자의�위치를�파악하는�것으로�중심성이�해당된다.�관계적�접근은�행위자의�결속을�파악하는�것으로�밀도와�집중도가�포함된다.�구조적�접근은�행위자위�구조적�위치와�하위집단을�파악하는�것으로�하위집단�분석과�구조적�등위성등이�포함된다(Scott,�2000,�김용학,�2007:�22-58:�손동원,�2002:�91-127).

첫째,�장애인복지관의�기관�특성으로는�지역,�복지관�유형,�운영주체,�주요�서비스�이용�장애인,�직업

재활사업�개시년도,�운영예산이�포함되었다.�응답자의�특성은�성별,�연령,�학력,�전공분야,�직급,�장애인

복지�경력으로�구성되었다.�

둘째,�SNA를�위한�설문조사에서�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를�장애인�취업을�중심으로�한�장애인복

지관�직업재활�사업�실무자들이�서로�자원이�되어�연계를�바탕으로�체계적인�협력�관계를�구성함으로

써�이용자의�욕구에�알맞은�보다�개별화되고�다양한�서비스를�제공하여�이용자�중심의�서비스�질을�향

상시키기�위한�장애인복지관�및�유관기관�실무자�간의�네트워크를�구축하는�것으로�정의한다(신현

욱·최영광,�2010).�네트워크의�내용적�속성으로�앞선�이론적�배경�검토를�토대로�장애인�고용�네트워

크�구조분석을�한�김언아�외(2008)를�참고하여�정보교환,�서비스�의뢰,�협의조정,�자원교류로�구성하였

다.�①�정보교환은�자료를�공유하거나�조언�혹은�아이디어를�나누는�등�조직운영,�프로젝트�정보,�프로

그램�정보,�조언,�해당조직의�홈페이지�또는�메일,�전화,�팩스�등을�활용한�정보교환�활동을�의미한다.

②�서비스�의뢰는�직업재활�서비스�이용자들의�취업알선�및�직업훈련�등을�위한�서비스�의뢰�활동이다.

③�협의�및�조정은�공동프로젝트,�단위사업�프로그램,�공동교육�및�조사연구,�부모교육,�직원교육�등�사

업�및�정책에�관하여�조직간�조정하고�협의하는�것을�의미한다.�④�자원교류는�조직의�시설,�차량,�기자

재�지원�등�물적자원과�직원,�자원봉사자�등�인적자원을�제공하여�직업재활�관련�프로그램�또는�행사진

행에서의�교류활동을�의미한다.�

네트워크의�구조적�특성을�파악하는�방법�중에서�앞선�검토를�바탕으로�관계적�접근(밀도,�집중도)

과�위치적�접근(중심성:�연계중심성,�근접중심성,�매개중심성,�위세중심성)에�의한�SNA�지표를�측정하

였다.3) 밀도는�네트워크에서�결속을�의미하며�0~1�범위의�값을�가진다.�1일�수록�밀도가�높은�것으로

판단한다.�집중도는�네트워크에서�행위자�사이에�어느�한�행위자로�집중되는�경향의�정도를�의미한다.

최소�0에서�최대�1의�값을�가지며�백분율로�산출된다.�100%일수록(최대값이�1이�나올수록)�스타형�네

트워크라고�할�수�있다(손동원,�2002:�58-115).�

중심성에서�연계중심성은�전체�행위자에서�자신이�최대한으로�연결할�수�있는�정도로�발신과�수신

으로�구분되며�0~1까지의�값을�지닌다.�근접중심성은�각�행위자가�만나게�되는�최소한의�단계를�총합

으로�산출한다.�0~1까지의�값을�가진다.�매개중심성은�한�행위자와�다른�행위자�사이의�최단�경로의�정

도를�측정하는�것이다.�위세중심성은�네트워크에서�영향력이�있는�행위자를�표시해주는�지수로서�0~1

의�값을�지닌다.�값이�클수록�위세중심성이�큰�것으로�분석한다.�본�분석에서는�100을�곱해서�산출된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41

Page 12: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백분율로�표준화된�중심성�지수를�사용하며�각�중심성�지수는�클수록�그�중심성이�큰�것을�의미한다

(김용학,�2007:�40-105).

FGI는�연구자가�연구참여자와�면접을�통해서�만나며�연구참여자의�언어,�행동�등에�대해�기록하고

언어로�기술하여�분석하는�연구방법이다.�따라서�연구단계에서�연구참여자의�관점을�견지하는�것이

중요하다.�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연구의�심층적인�상황�파악을�위해�실시한�FGI에서는�연

구내용을�기존�연구�시사점과�연구진�검토를�통하여�직업재활�네트워크의�일반현황,�네트워크�실태(내

용과�방법),�네트워크�성과,�문제점과�개선방안으로�구성하였다.�FGI를�위해서는�반구조화된�면접기록

지를�구성하고�설문조사의�내용과�관련성을�고려하여�연구진의�논의를�거쳐�완성하였다.�

3. 연구대상과 자료수집

1) 연구대상

본�연구에서는�연구대상이�SNA의�경우�설문조사의�대상으로�모집단이�전국�장애인복지관�180개소

(2010년�기준)이다(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2009).�여기에서�표본은�서울과�경상도의�전수�총�78개�복지

관을�대상으로�하였다.�서울의�경우�총�43개�장애인복지관을�대상으로�하였고�29개�복지관에서�응답하

였다.�경상도�지역�총�35개�장애인복지관을�대상으로�하였고�28개의�복지관에서�응답하였다.�조사에

응답하지�않은�서울의�14개�복지관(S4,�S6,�S7,�S12,�S15,�S19,�S20,�S21,�S28,�S31,�S33,�S34,�S40,�S43),�경상

도의�7개�복지관(G2,�G7,�G5,�G8,�G14,�G13,�G16)의�경우�비대칭화된�조사응답�때문에�발신에�응답하지

않았지만�수신에�해당되는�경우가�있으므로�분석에�포함시켰다.�또한�직업재활�사업�자체를�하지�않는

서울의�6개�기관(S12,�S15,�S20,�S33,�S34,�S43)과�경상도의�3개�기관(G7,�G13,�G16)도�포함시켰다(복지관

의�표기는�서울은�‘ S ’ 로,�경상도는�‘ G ’로�함).�이렇게�한�이유는�여기에서�조사에�응답하지�않은�기관

의�경우�발신(out-degree,�조사에�응답하지�않는�기관이�다른�기관을�선택하는�경우)은�없지만�수신(in-

degree,�조사에�참여한�기관으로부터�선택받은�경우)이�가능하기�때문이다.�본�직업재활�네트워크�조사

가�기관을�대상으로�하였지만�실제�조사는�조직에�속한�개인이�응답하였다.�비록�분석단위의�한계가�있

지만�응답자의�인구특성을�고려할�때(주로�30대,�대졸,�사회복지와�직업재활�담당,�중간관리자,�평균�6

년�경력�등)�조직의�중간관리자로서�대표성을�가진�것으로�판단하였다(뒤에�분석결과�참조).�FGI의�경

우�질적연구에서�표집의�다양성,�의도적�선별성,�연구의�적용성�등을�고려해야�하는�경우에�유의표집이

적합하다는�아이디어에�착안하여(유태균�역,�2001:�103-104),�유의표집방법을�선택하고�서울과�경상�각

4명씩�총�8명을�대상으로�하였다.�SNA와�FGI의�표집의�독립성과�다양성을�확보하기�위해서�SNA에�응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142

Page 13: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답자�중�지역,�기관�및�인구사회학적�특성(성별,�연령,�학력,�직위,�경력)을�고려하여�FGI에�참석하도록

하였다.

2) 자료수집

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의�형식으로�본�연구에서는�완전�네트워크(양자�네트워크�또는�전체�네트

워크)를�활용하여�조사하였다(김언아�외,�2008;�김용학,�2007:�9-10:�손동원,�2002:�4-6).�완전�네트워크는

행위자와�행위자의�네트워크를�조사하고자�할�때�모든�행위자에�대한�정보를�고정목록방식으로�제공

하여�응답하도록�하는�형식이다.�이럴�경우에는�경계를�설정하는�것이�필요한데�본�연구에서는�앞선�개

념정의를�토대로�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는�장애인복지관�조직�간�네트워크로�설정하였다.

먼저�설계된�설문지에�대해�사전조사와�전문가�검토를�실시한�후�수정보완을�거쳐�최종�완성된�설문지

로�조사를�수행하였다.�설문지는�자기응답식으로�응답자가�기입하는�방식으로�하고�우편조사를�활용

하여�배포하고�회수하였다.�우편조사의�경우�응답의�신뢰성을�위해서�회수율이�중요한데,�일반적으로

50%이상이�넘어야�한다고�권고되고�있다(남세진·최성재,�1990:�293-294).�본�연구에서는�모두�50%가

넘어서(서울�67.5%,�경상도는�80%)�자료수집의�타당성을�확보하였다고�판단하였다.�FGI의�경우�2010

년�12월�16일,�21일에�서울과�경상도에서�2차에�걸쳐�진행되었으며�장소는�각�지역의�1개�복지관에서

이루어졌다.�시간은�약�2시간�내외로�진행되었고�각�연구진이�보조연구원(사회복지�석사)과�함께�참가

하여�연구참가자에�대한�동의하에�녹음과�동시에�기록을�하였다.�자료수집�후�분석�전에�녹취록에�대해

총�3회에�걸쳐�연구진의�반복검토가�이루어졌다.

4. 분석방법

분석방법은�통합적�연구방법에서�순차적�양적-질적�연구�분석방법에�의거�양적자료에�대한�통계분석

및�네트워크�분석을�수행�한�후�질적면접�자료를�분석한�후�두�결과를�비교분석하였다.�먼저�기관�및�응답

자의�특성을�분석하기�위해서�빈도분석,�기술통계를�실시하였다.�둘째,�SNA�의�경우�네트워크�분석에서

정보교환,�서비스의뢰,�협의조정,�자원교류�각각의�관계적�접근,�위치적�접근을�구분하여�분석하는데�전

자의�경우에는�분석지표로서�밀도와�집중도를�분석하였다.�후자의�경우�중심성〔연계�중심성,�근접중심

성,�매개중심성,�위세중심성〕을�분석하였다(김용학,�2004:�22-25).�자료는�UCINET에서�코딩되어�있으며�0

과�1의�이분형�형태로�입력되어�있다.�본�네트워크�자료는�일형식�자료(one-mode�network)로서�이분형과

대칭형으로�되어�있기�때문에�자료를�대칭화와�이분화하여�변형하지�않고�분석하였다.�반면에�근접중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43

Page 14: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44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성의�경우�자료의�대칭화라는�전제와�집중도�산출로�인해�자료를�대칭화하여�분석하였다.�다만�수신과�발

신�모두�없는�경우에는�집중도가�제시되지�않았다.�네트워크�자료의�시각화는�정렬방식으로�넷드로우

(NetDraw)에서�사회�네트워크�다이어그램을�제시하였다.�분석패키지는�UCINET�6.3�ver.로�하였다.�셋째,

SNA의�지역별�비교�분석을�위해서�t-test를�수행하였다.�SNA에�의해�자료를�수집하고�분석하기�위해서�위

와�같은�방법으로�자료가�수집되면�그것은�기존의�통계분석과�다르게�매트릭스�형태가�된다.�매트릭스란

행렬을�의미하며�일정한�X축과�Y축의�대칭되는�형태로�자료가�구성되는�것을�말한다(Hanneman,�2005).

자료가�매트릭스�형태가�되면�관계�여부,�정도,�방향에�따라서�분석을�위해�자료가�입력된다.�따라서�관계

중심의�자료인�SNA에서�변수중심의�자료인�기존의�설문조사�분석자료로의�전환이�필요하다.�여기에서

는�분석패키지�UCINET�6.3을�이용하여�SNA로�나타난�행렬�자료에서�각�중심성�분석을�하면�제시되는�기

술통계자료(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셋트를�PASW�18.0�for�SPSSWIN�에서의�t-test�분석을�위한�변

수중심�자료�셋트로�변환하였다.�넷째,�FGI�의�결과는�질적자료분석에서�의미�찾기�탐색�방법을�위해�녹취

록에�대한�의미�단어�찾기�방법을�수행하였다.�의미단위에서�주요�개념들에�대한�범주화와�개념�발견을

그리고�새로운�개념이나�범주가�존재했었는지를�검토하는�과정을�반복하는�지속적�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analysis)을�활용하여�기록내용을�개념과�범주로�구분하였다(유태균�역,�2001).�마지막으로

SNA와�FGI�분석결과를�네트워크의�구조적�특성을�기준으로�비교분석하여�종합하였다.�

IV. 연구결과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조사에�참여한�연구대상은�총�78개�기관에서�서울의�경우�43개�기

관�중�32개�기관이(네트워크는�29개�기관이�응답함),�경상도는�35개�기관�중�28개에서�조사되었다.�기본

특성은�<표2>와�같다.�

먼저�조직특성�중�기관�유형은�종합복지관(76.6%),�운영주체는�사회복지법인(63.3%)과�사단법인

(25%),�서비스�유형은�지체장애(35%)와�지적장애인(45%),�직업재활사업�시작년도는�2000년�이후

(75.4%),�직업재활예산은�평균�약�79,099천원의�특성을�보였다.�응답자의�인구특성의�주요�결과를�보면

성별은�남성(52.5%)과�여성(47.5%)이�비슷하고�연령은�평균�33.83세(표준편차�5.08),�학력은�대졸

(54.2%)과�석사졸(25.4%),�전공분야는�직업재활/재활학(52.5%)과�사회복지(47.5%),�직급은�중간관리

자급(71.2%),�경력은�평균�약�6.2년으로�분석되었다.�

Page 15: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45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표 2>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단위�:�명,�%,�천원)

조직특성

특성 항목 서울 경상도 전체

복지관

유형

종합21 25 46

65.5 89.2 76.6

시각3 0 3

9.4 .0 5.0

청각0 1 1

.0 3.6 1.7

지적6 0 6

18.8 .0 10.0

뇌성마비2 1 3

6.3 3.6 5.0

기타0 1 1

.0 3.6 1.7

전체32 28 60

100.0 100.0 100.0

운영

주체

사회복지법인

22 16 38

68.8 57.1 63.3

재단법인4 1 5

12.5 3.6 8.3

사단법인5 10 15

15.6 35.7 25.0

기타1 1 2

3.1 3.6 3.4

전체32 28 60

100.0 100.0 100.0

주요

서비스

이용

장애인

유형

뇌병변장애5 2 7

15.6 7.1 11.7

지체장애7 14 21

21.9 50.0 35.0

시각장애4 0 4

12.5 .0 6.6

청각장애0 1 1

0 3.6 1.7

지적장애16 11 27

50.0 39.3 45.0

전체32 28 60

100.0 100.0 100.0

직업

재활

사업

개시

년도

2000년미만

11 3 14

36.7 11.1 24.6

2000년이상

19 24 43

63.3 88.9 75.4

전체30 27 57

100.0 100.0 100.0

직업재활예산

사례 22 22 44

평균 93,828 64,370 79,099

조직특성

특성 항목 서울 경상도 전체

성별

남성18 13 31

56.2 48.1 52.5

여성14 14 28

43.8 51.9 47.5

전체32 27 59

100.0 100.0 100.0

연령

20대3 8 11

9.4 29.6 18.6

30대24 17 41

75.0 63.0 69.5

40대이상5 2 7

15.6 7.4 11.9

전체32 27 59

100.0 100.0 100.0

학력

전문대졸1 0 1

3.0 .0 1.8

대졸15 17 32

46.9 63.0 54.2

석사재6 5 11

18.8 18.5 18.6

석사졸10 5 15

31.3 18.5 25.4

전체32 27 59

100.0 100.0 100.0

전공

분야

사회복지16 12 28

50.0 44.4 47.5

직업재활/재활학

16 15 31

50.0 55.6 52.5

전체32 27 59

100.0 100.0 100.0

직급

책임자급2 0 2

6.2 .0 3.4

중간관리자급24 18 42

75.0 66.7 71.2

담당자급이하

6 9 15

18.8 33.3 25.4

전체32 27 59

100.0 100.0 100.0

경력

5년�미만10 12 22

31.3 44.5 37.3

5~10년미만

14 10 24

43.7 37.0 40.7

10년�이상8 5 13

25.0 18.5 22.0

전체32 27 59

100.0 100.0 100.0

Page 16: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46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2. 장애인 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 구조 비교 분석

1) 서울과 경상도 직업재활 구조분석

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에�대한�구조적�특성을�파악하기�위해서�집중도,�중심성,�밀도분석

은�<표�3>,�<표�4>,�<그림�1>�과�같다.�본�연구에서는�자료수록의�한계�상�상위�5개�기관과�기술통계

치(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만�제시하였다(신현욱·최영광·황성혜,�2010).�분석결과�먼저�서

울의�경우�정보교환에서�활발한�정보교류,�보통수준�이상의�접근성,�적극적인�연결정도,�비교적�대등한

관계,�매개중심성의�역할,�일부기관에의�집중�등의�특성이�감지된다.�시각화한�<그림�1>에서는�스타

형�또는�서클형에�가까우며�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가�주로�사업특성�및�기관특성별로�구조화�되어

있는�것으로�보인다.�서비스�의뢰에서는�다수의�기관이�중심적�역할�수행,�높은�위세도�등의�구조적�특

성을�엿볼�수�있다.�시각적으로�네트워크의�상황은�느슨한�서클형과�광범위하게�퍼진�방사형으로�서비

스�의뢰의�경우�활발히�진행되고�있지만�향후�구체적인�시스템화의�과제를�가진다.�협의조정의�경우�낮

은�근접중심성과�매개�중심성,�높은�위세�집중도�등이�특징으로�보이며�협의조정�및�소통기능의�활성

화,�기관특성별�분권적�협의조정�기구�구축�등이�제안될�수�있다.�시각적으로도�방사형�구조로서�별도

의�네트워크가�존재하며�기관·사업·인적�네트워크의�특성을�가진�것으로�보여�핵심기관들의�조정

자�역할�강화가�요구된다.�자원교류에서는�연계중심성,�근접중심성,�매개중심성,�위세중심성이�모두�1

개(S24)�기관중심의�전형적인�스타형�네트워크의�모습이다.�다만�낮은�매개집중도와�높은�위세집중도

의�특징으로�보아�자원교류에서�분배와�할당의�어려움이�예상된다.�따라서�제�2의�S24와�같은�자원교류

지도력�발굴,�소외기관에�대한�접근�등이�고려된다.�시각적으로�볼�때�구조적인�차원에서�자원교류의

사각지대와의�연결,�S24�이외에�교류창구로서의�역할�수행�기관에�대한�지원체계�확립�등도�필요하다.�

서울과�대조적으로�경상도에서는�먼저�정보교환에서는�기관사이에�서로�비슷한�근접�중심성,�하지

만�상대적�차이를�보이는�매개중심성,�보통수준이하의�집중도,�다만�상대적으로�높은�위세집중도�등의

특성이�관측된다.�이런�결과는�정보교환의�지역간�편차,�매개역할�강화�등이�필요하다는�점을�시사해준

다.�시각적으로�체인형으로�경북권과�경남권으로�구조화되어�지역�권역별�특성을�보여주었다.�서비스

의뢰의�경우�연계중심성,�근접중심성,�매개중심성이�편차가�적고�상대적으로�높은�위세집중도(특히�경

남)를�보였다.�서비스�의뢰를�위한�매개자�역할�기관의�구축,�경남보다�상대적으로�미흡한�경북에서�서

비스�의뢰�네트워크�활성화�등이�고려된다.�시각화한�결과를�보면�다른�네트워크�활동과�구분되어�물리

적,�지역적�환경이�반영되어�확연히�지역별로�구분되고�있었다.�그러므로�서비스�의뢰�네트워크의�지역

별�거점�기관�육성,�광역차원에서의�서비스�의뢰�조정�기관�구축�등이�제안될�수�있다.�

Page 17: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47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표 3> 직업재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서울)

영역 중심성지표

정보교환

서비스의뢰

협의조정

자원교류

기관연계�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발신 수신 기관 지수 기관 지수 기관 지수

S14S30S22S2S23

95.23869.04850.00045.23838.095

19.04819.04830.95211.90526.190

S14S30S22S11S24

49.41243.75042.00040.00039.623

S14S42S24S23S22

13.6197.5627.3776.9036.529

S1S2S3S4S5

9.91532.7079.5130.00027.691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집중도

16.33420.0170.00095.23880.782%

16.3347.8310.00030.95214.966%

37.0862.89533.60049.412

-

1.7612.8490.00013.61936.87%

17.54612.5410.00049.06739.36%

기관연계�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발신 수신 기관 지수 기관 지수 기관 지수

S2S22S9S26S27

42.85726.19026.19021.42921.429

7.14321.42914.28619.0489.524

S2S22S26S23S41

15.38515.16215.00014.89414.789

S26S23S16S22S5

12.63312.53710.8288.1636.600

S1S2S3S4S5

6.29552.3370.8680.00018.633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집중도

8.0849.8520.00042.85735.601%

8.0845.5580.00021.42913.662%

14.0440.72312.24515.385

-

2.1373.4100.00012.63310.75%

15.98914.4730.00052.33744%

기관연계�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발신 수신 기관 지수 기관 지수 기관 지수

S30S22S9S14S10

35.71426.19023.81023.81019.048

2.38121.4294.7627.1434.762

S30S22S16S14S2

10.57910.50010.37010.34510.319

S22S16S14S24S23

11.95911.1509.2955.5122.903

S1S2S3S4S5

4.54340.6390.0000.00027.335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집중도

5.8698.5670.00035.71430.556%

5.8694.7990.00021.42915.930%

9.3522.0452.43810.579

-

1.2842.8410.00011.95910.93%

15.29615.2040.00056.25349.58%

기관연계�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발신 수신 기관 지수 기관 지수 기관 지수

S24S22S2S9S10

97.61938.09526.19026.19023.810

9.52421.4299.5244.7627.143

S24S22S2S10S9

97.67464.61558.33358.33356.757

S24S22S14S8S2

16.86112.0306.1945.2504.219

S1S2S3S4S5

16.60535.7939.744-0.00023.321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집중도

7.86316.3230.00097.61991.893%

7.8634.0282.38121.42913.889%

53.6987.50942.00097.67491.14%

1.2883.2750.00016.86115.94%

16.79113.5350.00074.34469.68%

Page 18: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148

<표 4> 직업재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경상도)

영역 중심성지표

정보교환

서비스의뢰

협의조정

자원교류

기관연계�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발신 수신 기관 지수 기관 지수 기관 지수

G34G35G1G14

47.05938.23532.35332.353

17.6478.82420.58817.647

G34G14G35G5

29.06028.33328.09927.869

G14G34G5G20

15.55814.2349.7146.760

G1G2G3G4

40.26425.77630.01521.933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집중도

12.01713.6040.00047.05936.073%

12.0176.2240.00026.47114.879%

24.9201.75522.51729.060

-

2.2413.9530.00015.55813.71%

20.12312.9030.00049.16536.08%

기관연계�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발신 수신 기관 지수 기관 지수 기관 지수

G10G1G20G14

26.47123.52920.58820.588

5.8825.8828.8245.882

G1G10G9G8

5.1995.1915.1835.159

G20G14G18G1

2.8672.3771.6191.114

G1G2G3G4

62.05111.54243.75411.542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집중도

5.5467.4330.00026.47121.540%

5.5463.9000.00014.7069.429%

4.8220.3314.4335.199-

0.3510.6930.0002.8672.59%

13.84819.4850.00062.05159.89%

기관연계�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발신 수신 기관 지수 기관 지수 기관 지수

G10G34G14G20G5

26.47123.52923.52920.58820.588

11.7658.8248.8248.82417.647

G5G14G35G10G34

14.78314.59214.53014.28614.286

G14G34G5G20G26

7.1756.1535.9525.6153.610

G1G2G3G4G5

53.43919.67535.98620.23356.607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집중도

6.4719.1070.00026.47120.588%

6.4714.1480.00017.64711.505%

13.6450.56012.78214.783

-

1.1762.0850.0007.1756.17%

17.42616.3630.00058.24850.72%

기관연계�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발신 수신 기관 지수 기관 지수 기관 지수

G5G10G18G23G14

26.47126.47123.52923.52923.529

17.6478.8245.8828.8248.824

G5G23G14G9G10

17.00016.11416.11416.03815.962

G5G14G23G9G20

16.11711.4974.3974.1003.684

G1G2G3G4G5

23.39012.92820.73312.92843.068

평균표준편차최소값최대값집중도

6.3878.9340.00026.47120.675%

6.3874.1880.00017.64711.592%

14.5581.22211.11117.000

-

1.4063.3530.00016.11715.14%

17.38516.4070.00055.14346.92%

Page 19: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49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그림 1] 직업재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서울과 경상도)

영역 서울 경상도

정보교환

서비스의뢰

협의조정

자원교류

Page 20: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협의조정의�경우�연계중심성,�매개중심성,�근접중심성은�편차가�적지만�위세중심성은�편차가�큰�것을

알�수�있다.�위세집중도도�상대적으로�높았다.�이런�결과는�낮은�협의조정의�수준,�의사결정이나�의견조

율의�일부�기관�집중의�현상으로�추론되며�기관간의�협의조정�접근성�강화(상호신뢰,�접촉�등),�매개중심

성�높은�기관을�중심으로�하는�협의조정�기능�활성화�등이�필요할�것으로�본다.�시각적으로도�지역별�권

역으로�구분되지�않지만�서비스�의뢰처럼�분리되지�않아서�협의조정의�가능성을�탐색할�수�있다.�특히

경남과�경북을�연결해주는�협의조정�중개자�기관이�보이므로�이�기관들의�역할�지원을�기대할�수�있다.�

자원교류에서는�협의조정과�마찬가지로�다른�중심성은�편차가�적지만�위세중심성은�편차도�크고�위세

집중도도�높은�수준이었다.�다만�접근성이�서비스�의뢰나�협의조정보다는�높지만�아직은�부족한�수준이

며�편차가�큰�집중도로�볼�때�지역간,�기관간�자원교류의�불균형이�추정된다.�시각적으로도�물리적�환경이

2개�지역이지만�3개�권역별로�구분되어�관계의�차원에서�자원교류를�위해�다른�기관에�연결해주는�역할

을�수행하는�기관이(경북과�경남�지역을�연결)�존재하는�것을�볼�수�있다.�따라서�자원교류�접근성�향상�전

략,�경상지역�자원�전반에�대한�정책�제고,�지역간�자원교류를�위한�정거장�기관의�지원이�필요할�것이다.�

2) 지역별 네트워크 구조 분석 비교

앞서�분석한�서울과�경상도의�직업재활�네트워크의�밀도를�비교한�결과�지역적�차이가�<표�5>,�<

표�6>�과�같이�나타난�것을�알�수�있다.�서울의�경우�전반적으로�네트워크�활동이�활발하고(결속력이

10%~20%이상),�정보교환이�높고,�서비스�의뢰,�자원교류가�보통�수준으로�다만�협의조정은�상대적으

로�미흡한�것으로�나타났다.

반면에�경상도의�경우�전반적으로�네트워크�활동이�미흡하며(결속력이�10%대�이하로�낮은�수준),�정

보교환�네트워크의�결속력이�보통�수준이고�서비스�의뢰,�협의조정,�자원교류�활동은�미흡한�것으로�나

타났다.�다만�본�조사의�한계(무응답,�직업재활�사업�자체�미수행�기관�존재,�비간접적�조사에서�발생가

능한�비표집오차)를�감안할�때�서울과�경상지역의�차이에�대해�보다�면밀한�분석이�요구된다.�

<표 5> 서울과 경상도 네트워크 밀도 비교

그�다음으로�서울과�경상도�지역에�대한�네트워크�중심성을�t-test로�비교분석한�결과는�<표�6>과�같

150

지역 정보교환 서비스의뢰 협의조정 자원교류

서울경상도

0.24260.1202

0.12000.0555

0.08700.0647

0.11670.0639

Page 21: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다.�분석결과를�보면�정보교환의�경우�연계중심성�수신(p<0.05),�근접중심성(p<0.01)에서�지역별로

통계적인�유의미한�차이가�나타났다.�

<표 6> 지역별 중심성 지표 비교 분석 결과

*:�p<0.05,�**:p<0.01,�***:�p<0.001

151

항목 지역 사례 평균 표준편차 t

정보교환

연계중심성발신서울 43 16.33 20.25

1.074경상도 35 12.01 13.80

연계중심성수신서울 43 16.33 7.92

2.617*경상도 35 12.01 6.31

근접중심성서울 42 37.08 2.92

20.982***경상도 33 24.92 1.78

매개중심성서울 43 1.76 2.88

-.614경상도 35 2.24 4.01

위세중심성서울 43 17.54 12.68

-.880경상도 35 20.12 13.09

서비스의뢰

연계중심성발신서울 43 8.08 9.96

1.244경상도 35 5.54 7.54

연계중심성수신서울 43 8.08 5.62

2.253*경상도 35 5.54 3.95

근접중심성서울 38 14.04 .73

69.154***경상도 31 4.82 .33

매개중심성서울 43 2.13 3.45

3.309***경상도 35 .35 .70

위세중심성서울 43 15.98 14.64

.549경상도 35 13.84 19.76

협의조정

연계중심성발신서울 43 5.86 8.66

-.296경상도 35 6.47 9.24

연계중심성수신서울 43 5.86 4.85

-.577경상도 35 6.47 4.20

근접중심성서울 38 9.35 2.07

-11.007***경상도 30 13.64 .57

매개중심성서울 43 1.28 2.87

.185경상도 35 1.17 2.11

위세중심성서울 43 15.29 15.38

-.587경상도 35 17.42 16.6

자원교류

연계중심성발신서울 43 7.86 16.51

.474경상도 35 6.38 9.06

연계중심성수신서울 43 7.86 4.07

1.561경상도 35 6.38 4.24

근접중심성서울 43 53.69 7.59

33.174***경상도 31 14.55 1.24

매개중심성서울 43 1.28 3.31

-.154경상도 35 1.40 3.40

위세중심성서울 43 16.79 13.69

-.173경상도 35 17.38 16.64

Page 22: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이런�결과는�네트워크에서�상대적으로�경상도�지역에서�정보교환을�위한�접근성�향상과�네트워크의

인식�수준�제고를�위한�전략이�필요하다는�점을�시사해준다.�둘째,�서비스�의뢰의�경우�연계중심성�수

신(p<0.05),�근접중심성(p<0.001),�매개중심성(p<0.001)이�통계적인�유의미한�차이가�나타났다.�서비

스�의뢰의�경우�직업재활�네트워크의�중요�사업으로�이해될�수�있는데�서울�지역의�서비스�의뢰�수신정

도와�근접중심성이�높은�것으로�보아�서비스�의뢰를�다른�기관에�할�경우�접근성이�비교적�높은�것을

알�수�있다.�특히�매개�중심성이�차이가�나타났는데�서울지역에서�직업재활�네트워크의�매개�역할과�서

비스�의뢰�활동에�대한�모델화를�고려할�수�있다.

셋째,�협의�조정의�경우�근접중심성(p<0.001)이�통계적인�유의미한�차이가�나타났다.�여기에서는�앞

선�분석결과와�반대로�서울보다�오히려�경상도에서�근접중심성이�높은�수준이었다.�협의조정의�경우

네트워크에서�다양한�의사소통과�협력을�위한�필수적인�활동으로�이해될�수�있는데�전반적으로�낮은

수준이면서도�서울이�경상도�보다�낮은�의미는�네트워크를�위한�물리적,�지역적�접근성보다는�심리적,

사회환경적�접근성에서�차이가�있다는�점을�반영해준다.�이런�결과는�직업재활�네트워크의�장애요인

이�복지관�상호간의�지나친�경쟁심,�네트워크에�대한�인식부족�등이라는�신현욱·최영광(2010)의�연구

와�연관된다.�이는�심층집단면접결과에서�서울지역은�지리적�거리는�경상도보다�접근성이�있지만�네

트워크에서의�실적위주,�평가주의,�경쟁관계로�인한�민감성과�경계성�등의�특성을�가지고�있다는�결과

와�관련이�있다.�그러므로�‘ 협의조정’ �활동에서�서울의�네트워크�활동을�모델화�및�개발할�경우에�‘ 실

질적인�네트워크�접근성’ 을�향상할�수�있는�방안이�모색될�필요가�있다.�마지막으로,�자원교류의�경우

근접중심성(p<0.001)이�통계적인�유의미한�차이가�나타났다.�이는�서울에서�일부기관�중심의�자원교

류�근접중심성이�높은�이유�때문으로�판단된다.�반면에�경상도에서�자원교류를�위한�네트워크�접근성

활성화�방안이�필요하다.

3. 장애인 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 심층면접 결과

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심층면접�결과를�분석하기에�앞서�면접�참가자의�특성을�살펴보

면�<표�7>과�같다.�

152

Page 23: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표 7> 면접참가자 특성

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에�대해�심층집단면접을�수행하였는데�면접참가자는�총�8명이다.�성별의

경우�남자가�5명,�여자는�3명이다.�연령은�30대와�40대가�참여하였다.�학력은�학사와�석사로�고학력인

것으로�나타났다.�직위는�팀장(5명),�대리(1명),�과장(2명)으로�모두�관리자급이�포함되었다.�직장경력

은�평균�10년�이상의�경력자인�것을�알�수�있다.�본�연구가�장애인종합복지관�조직�간의�직업재활�네트

워크를�파악한다고�할�때�심층면접참가자는�지역,�성별,�연령,�학력,�직위,�경력�등을�고려하여�적절한

특성을�가지고�있다고�판단하였다.�

서울과�경상도�지역의�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의�구축과�형성에�대한�분석�결과는�현황과

구조적�특성,�문제점,�성과,�발전방안으로�구분하여�살펴보았다.�

먼저�현황에서�서울지역은�직업재활네트워크가�활발하게�이루어지고�있으며�사업별로�다양한�네트

워크�활동이�진행되고�있다.�다만�평가,�사업실적,�기금사업,�기관�특성�등에�의해서�네트워크의�구축과

형성이�문제점으로�노출되고�있다.�경상도의�경우�비구조화,�폐쇄적,�지역권역별�활성화(경북지역),�강

제성(경남지역)�등의�일부�특성을�가지고�있다고�판단되었다.�구조적�특성에서는�정보교환,�자원교류

는�공식적인�네트워크�보다는�인적자원에�의존하는�경향이�많았다.�또한�중복되는�사업에는�네트워크

가�이루어지지�않는데,�이는�결국�각�기관별�사업이�동일하지�않고�경쟁적이지�않을�때�네트워크�구축

에�열린�자세를�견지하게�되는�것으로�파악되어진다.�

실질적으로 넓은 지역이 만나서 서로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을 하면 안 움직이게 됩니다(경상도,

사례 2). 아무래도 기관에 도움이 되어야지 네트워크를 하다보니까, 실질적으로 사업에 있어서 실

적이라든지 역량이 되는 부분들에서는 네트워크를 많이 하게 됩니다(경상도, 사례 1).

심지어 기관장님들이 오픈에 대한 부담감을 가진 곳도 있었습니다. 그런 것들이 네트워크를 제

153

사례 지역 기관명 성별 연령 학력 직위 직장경력(년)

12345678

서울서울서울서울경상도경상도경상도경상도

SSSBSCUSDGDGKGBGC

여남남여남여남남

3438423135344338

석사석사학사학사석사학사학사석사

팀장팀장과장대리팀장팀장팀장과장

101115710111010

Page 24: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54

한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기관장들이 갈 때 직업재활 팀장들을 꼭 동행을 해서 그 모임

을 주제를 가지고 만들어 나가야 하는 것이 강제적으로 되야 됩니다(경상도, 사례 3).

둘째,�문제점에서는�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의�실적�위주의�평가체계로�적극적인�참여에�대

한�방해물,�경계적인�태도로�네트워크의�구조적�구축의�어려움,�인맥위주의�인적자원에�의존한�협

소한�네트워크�체계�등으로�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가�구조화�되지�않은�부분을�발견할�수�있었

다.�인맥�네트워크의�경우�이현주(1998)의�연구에서도�장애인복지관�네트워크의�문제점으로�지적

되었는데�이런�문제가�발생하는�원인으로�평가,�경쟁관계�형성,�패쇄적인�태도,�짧은�근무기간�등

이�제시되었다.�

평가에서 아무리 항목별 평가를 하더라도 가장 많이 좌지우지 되는 것은 실적이잖아요. ....이런

기세로 가면 서울 내에서는 초 경쟁이 되는데 여기 안에서 네트워크를 마음 편하게 하려는 기관은

아마 없을 거예요(서울, 사례 1).

복지관끼리 네트워크를 많이 해온 곳에서는 중심에서 한 복지관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실적을 다

가져갔어요. 마음 편하게 네트워크를 마음 편하게 하려는 기관은 아마 없을 거예요(서울, 사례 1).

종합복지관에 보낸다고 하면 그 쪽에서 서로 정보공유가 가능해요. 그런데 OO장애인복지관에

보낸다 그러면 그 이용자를 그냥 가져가고 싶어 하지 사후관리나 이런 것을 우리가 하는 것을 원

하지 않아요(서울, 사례 3).

정보 교류는 공식적인 네트워크 보다는 동문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인 것 같아요(서울, 사례 2).

네트워크는 실시를 하고는 있지만 구조화되어 있지는 않다고 보고 있고요(경상, 사례 2). ....무엇

보다 직업재활팀원들의 많은 이직이 생기면서 중단되었다고 생각합니다(경상, 사례 3). ....실질적인

네트워크는 지속되고 있지만 그 이후로는 다른 사업 쪽으로는 좀 힘든 상황이죠. 왜냐하면 실무자

들이 변동되는 것. 그리고 기관장님들. 지역적인 요소들 외에 여러 가지 때문에(경상, 사례 1).

셋째,�위와같은�현황과�문제점에서도�성과는�보이고�있는데�구조적으로�네트워크�중심성이�있는�구

심기관,�인센티브�등이�네트워크의�성과를�내는데�중요한�기제로�작용하였다.�FGI�참여자들은�직업재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Page 25: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55

활�네트워크에�대하여�반성적�자세를�가지고�끊임없이�고찰한다면�3년�이후에는�더�나은�모습으로�네

트워크가�활성화될�것으로�기대하고�있었다.�실천적으로�네트워크가�활성화되는�기관에는�인센티브를

주는�등�네트워크에�대한�지원체계에�대해�좀�더�적극적인�개입이�요구된다.

우리가 원하는 교육이기 때문에 어떤 구심기관에서 만들어 주면 자기네들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을 하니까 좋다고 했었거든요(서울, 사례 2).

핵심이 있는 중심성이 기관 인근에 있는 기관들이 성과가 좋아진다는 거죠(경상도, 사례 2). ....기

관에서도 지원금이나 인센티브를 줘서라도 그런 부분이 있다면 발전되는 속도가 빨라질 거라고 생

각을 합니다(경상도, 사례 1).

마지막으로,�발전방안으로는�문제점과�성과에서�제시된�내용을�토대로�보면�지역의�네트워크�주축

기관�구축,�직업재활�담당자의�안정적인�업무지원체계�형성,�네트워크에�대한�기관장의�적극적인�마인

드�등을�면접�참가자는�중요하다고�하였다.

넓혀 가는 건데 가장 큰 것은 이쪽에 일하는 종사자가 장기근속을 해야지만 합니다(서울, 사례

2). ....이직인 것 같아요. 뒤죽박죽. 저희도 지금 이 자리에 있다가 또 언제 다른 자리로 갈 수 있다

생각을 하니까 노력을 덜 하게 되는 것 같아요(경상도, 사례 3).

가장 중요한 게 지역의 네트워크 주축 기관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경상도, 사례 2). ....

이 모든 것들이 제일 중요한 것은 기관장 마인드입니다(경상도, 사례 3).

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에�대한�심층면접�결과를�보면�직업재활�네트워크의�구조적인�상황

에�대한�단면을�볼�수�있다.�왜곡되거나�미흡한�구조화,�패쇄성,�지역성,�공식보다는�비공식성,�인적자원

의�비전문성�등의�문제와�과제를�담고�있었다.�그럼에도�불구하고�네트워크의�성과와�가능성을�엿볼�수

있었는데�성찰적�자세,�변화지향적�태도,�오픈적인�마인드�등으로�재의식화의�기회를�탐색할�수�있다.

김언아�외(2008)에서도�장애인�고용�네트워크의�발전을�위해서�중심기관의�구축과�매개기관의�역할�개

발이�제안되었는데�이렇게�볼�때�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의�발전적�전망을�위해서�중심기관

형성,�인센티브�부여,�기관�구성원의�인식개선,�기관장의�오픈마인드,�지역성�및�기관특성을�고려한�실

천전략�구사를�통하여�직업재활네트워크를�발전시켜�나아가야�할�것으로�판단된다.�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Page 26: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56

V. 결론 및 제언

본�연구에서는�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의�구조를�비교·분석하였다.�이를�위해�서울과�경상도�지

역의�네트워크�구조적�특성을�조사하였고�심층집단면접을�통하여�네트워크�활동에�대한�내용을�분석

하였다.�이러한�결과를�토대로�여기에서는�전반적인�연구�결과에�대한�함의를�제시하고�향후�장애인복

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활성화를�위한�실천전략을�제시해�보고자�한다.�

첫째,�서울�및�경상의�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를�정보교환,�서비스�의뢰,�협의·조정,�자원교류의

네�가지�영역을�통하여�구조분석�한�결과�정도의�차이는�있지만�명확히�드러나는�특성의�하나는�아직까

지�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가�불완전하게�구축되어�있으며,�불균형�및�과도한�집중이�문제점

으로�지적되고�있다.�이는�결국�장기적인�직업재활�네트워크�발전�전략�수립을�위해서는�공식적�네트워

크�경로의�시스템화와�거시적�성과(네트워크�효율성,�자원교류,�정기적�모임체계�구축,�교육과�연수�등)

에�대한�관심을�가질�필요가�있음을�나타내고�있다고�할�수�있고,�그에�따른�장애인�재활과정�전체에�대

한�국가의�장기적이고도�거시적인�정책적�의지가�반드시�선행되어져야�한다고�볼�수�있다.�

둘째,�직업재활�네트워크�구조분석에서�드러난�것과�같이�경상도�지역의�경우�네트워크에�대한�낮은

인식,�불균형,�거점�기관의�부재,�직업재활�자원의�불균형�등으로�대표되는�비구조화�및�비조직화의�문

제점이�나타나고�있는�것으로�파악된다.�이는�결국�지역�직업재활�사업을�바라보는�근원적인�시각의�재

정립이�필요한�시점일�수�있다고�생각되어진다.�즉�서울과�경상이�상호�다른�산업·경제적�배경을�가

지고�있는�상황에서,�직업재활�사업�역시�서울과�지역의�차이를�가질�수밖에는�없으며�이러한�근본적인

차이에�대한�보다�세밀한�검토를�통해�지역�사회에�부합하는�직업재활�사업�및�네트워크의�발전방향�수

립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향후�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구축을�위해서는�지역�및�기관의�사업�특성을�반영한

「투�트랙(two-track)」전략을�추구해야�할�필요가�있을�것으로�판단되어진다.�서울과�경상의�네트워크

구조�분석을�통해서�얻어진�핵심적�쟁점은�과연�우리나라의�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를�단일

한�체계와�구조적�관점에서�바라볼�수�있는가에�대한�문제일�것이다.�비록�본�연구가�단지�서울과�경상

지역의�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만을�비교하여�전체적인�대표성에는�문제가�있을�수�있지만,

상징적인�측면에서�그리고�사회·산업·경제적�측면이�상이한�서울과�경상지역의�특성을�일정정도

반영하였다고�볼�수�있다.�즉�기본적인�직업재활�네트워크의�성숙�단계에�있어서�서울의�경우는�직업재

활�사업의�표준화(standardization)를�통한�출발단계를�지나�초기�발전단계로�이행되고�있다고�평가되어

지지만,�경상의�경우는�아직도�기본적인�직업재활�네트워크의�정착�및�성숙이�필요한�단계라고�판단할

수�있다.�이는�결국�서울과�지역의�사회·산업·경제적�측면의�상이성에서�비롯되는�것으로,�현재까지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Page 27: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57

의�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사업이�지역의�특성을�충분히�반영하여�발전되지�못한�측면이�있을�수�있을

것으로�추론해�볼�수�있다.�따라서�장기적인�직업재활�네트워크�발전을�위해서는�직업재활�사업의�거시

적인�틀�속에서�지역의�상황을�면밀히�검토하여�각�지역�특성에�맞는�구체적이고도,�새로운�발전�전략

을�수립해야�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

본�연구가�장애인�복지관의�직업재활�네트워크의�구조와�실천전략을�제안하는�목적이�있기�때문에

구체적인�전략수립을�위한�방향을�논의할�필요가�있다.�여기에서는�앞선�분석결과를�토대로�각�지역별

로�지속가능한�실천전략을�아래와�같이�제안하고자�한다.�

첫째,�서울�지역의�경우�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가�출발단계를�지나�초기�발전단계로�이행

되고�있다고�하였을�때�이에�맞는�발전�전략이�필요할�것으로�파악된다.�세부�전략으로서는�우선�기존

의�사업을�확대·개발시키기�위하여�직업재활�네트워크에�대한�다양한�시범사업과�모형개발이�필요

할�것으로�보이고,�동시에�각�기관�특성에�맞는�다양한�콘텐츠와�매뉴얼화의�작업이�필요할�것으로�판

단되어진다.�또한�직업재활�네트워크의�공식화를�통하여�정기적이고도�안정적인�제도적�지원이�필요

할�것으로�보인다.�더�나아가�직업재활�사업실적�평가�그리고�기관간의�상호�견제�및�경쟁을�완화하기

위한�제도적�장치가�도입되어져야�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마지막으로�기관특성을�고려한�분권적�협

의조정�기구를�합리적으로�통합·발전시켜�나아가고,�고립�기관의�참여를�극대화�할�수�있는�인센티브

와�동기부여�전략을�추진해�나아갈�필요가�있을�것으로�판단되어진다.�

둘째,�경상도�지역의�경우�기본적인�직업재활�네트워크의�정착�및�성숙이�필요한�단계로서�장애인�직

업재활�네트워크에�대한�인식�제고가�무엇보다도�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초점집단인터뷰에서와�같

이�경상도�지역의�경우�직업재활�네트워크가�기관장의�인식�및�의지에�따라�크게�좌우되는�현실에서�이

에�대한�실질적�구조화를�위한�사전작업이�선행되어야�할�것으로�판단된다.�또한�지속적으로�지적한�것

과�같이�지역적�특성을�고려한�직업재활�네트워크�전략�수립이�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동시에�상대적

으로�부족한�직업재활�네트워크�매개�복지관을�발굴하여�역량을�극대화함으로서�지역적�특성을�반영

한�서비스�의뢰�네트워크를�활성화�할�수�있을�것으로�판단되어진다.�더�나아가서�지역내부에서도�자원

의�양극화와�불균형이�상존하는�상황에서�전반적인�직업재활�네트워크의�균형화를�위한�방안을�모색

에�나아가야�할�것으로�판단된다.�마지막으로�서울과�같이�고립�기관의�참여를�극대화�할�수�있는�인센

티브와�동기부여�전략을�추진해�나아갈�필요가�있을�것으로�판단되어진다.�

마지막으로�본�연구는�장애인�직업재활�네트워크의�실질적인�구조분석을�통해서�우리나라의�현재

직업재활�사업�전반에�대한�지형·지도를�유추해�볼�수�있었다.�이러한�네트워크�구조�분석은�결국�내

용적�측면에서만�바라볼�수밖에�없었던�여러�양상을�논리적이고도�체계적인�관점에서�바라볼�수�있게

하였고,�이러한�논의들은�향후�우리나라�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뿐만�아니라�직업재활�사업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Page 28: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58

전반에�대한�분석적이고도�체계적인�방향제시를�가능하게�할�수�있을�것으로�판단되어진다.�하지만�본

연구의�제한점으로서는�서울�및�경상도�지역의�직업재활�네트워크만을�대상으로�구조�분석을�실시함

으로서�이러한�결과를�전국의�모든�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에�확대�적용하기에는�어려움이

있기�때문에�후속�연구에서는�이러한�제한점을�극복할�수�있는�전국�단위의�직업재활네트워크�구조분

석�연구가�필요할�것으로�판단되어진다.�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Page 29: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59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강병로�(2008).�사회복지 욕구조사와 프로그램 평가.�나눔의�집.

강창현�(2001).�사회복지서비스 공급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서울시 노인 지역보호 서비스의 정부,

시장, NGO간 협력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김문조�(1987).�사회망 분석의 기본원리 및 절차. 사회사상과 사회사상.�심설당.

김언아,�강용주,�황수정,�박치성�(2008).�장애인�고용�네트워크�구조�분석�연구.�사회복지정책,�32,�135-

167.

김옥일�(2008),�정책네트워크 변화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사업을 중

심으로,�박사학위논문,�가톨릭대학교.

김용학�(2004).�사회연결망분석(개정판).�서울:�박영사.

(2007).�사회연결망분석.�서울:�박영사.�

김인숙,�우아영�(2003).�부천지역�여성복지�관련�조직의�네트워크�구조와�특성.�한국사회복지학,�53(2),

179-207.

김재환�(2005).�자활후견기관의�기관간�네트워크�활동�중심성�비교�및�결정요인에�관한�연구.�사회보장

연구,�21(4),�1-36.

김지영�(2007).�네트워크�성과측정�기획을�위한�개념도�연구법(Concept�Mapping)�적용�가능성.�한국사

회복지학,�59(3),�281-304.�

남세진,�최성재�(1990).�사회복지조사방법론.�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박경숙�(2009).�클라이언트�의뢰�네트워크의�지역중앙성에�영향을�미치는�요인�-사회복지사무소�시범

지역과�비교지역의�노인보건복지서비스�네트워크�비교-.�서울도시연구,�10(3),�3-23.

박용관�(1999).�네트워크론.�커뮤티케이션북스.

박은주�(2006).�정신장애인의 재활서비스네트워크 모형개발.�박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

박치성�(2006).�사회서비스�비영리조직들의�협력�패턴에�대한�탐색적�연구.�한국행정학보,�제40권�제4

호,�353-376.

손동원�(2002).�사회연결망이론.�서울:�박영사.�

신현욱,�최영광�(2010).�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네트워크에�관한�기초연구.�장애와 고용,�20(2),�105-

134.

신현욱�(2009).�장애인 직업재활네트워크 실천모형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자료집,�1-122.

Page 30: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신현욱,�최영광,�황성혜�(2010).�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네트워크 구조분석 및 실천전략 연구 보고

서.�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염시창�(2001).�통합연구방법론.�서울:�학지사.

우수명�(2008).�지역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박사학위논

문,�숭실대학교.

유태균�(2001).�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론.�서울:�나남.

유태균,�김자옥�(2001).�서울시�소재�종합사회복지관간의�네트워크�특성�및�네트워크�상에서의�중심자

적�역할정도�결정요인에�관한�연구.�사회보장연구,�17(2),�20-48.

이대윤�(2009).�통합서비스기구에 관한 연구-고용, 훈련, 복지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성균관대학

교�국정관리대학원.�

이용표,�정현주,�두진영�(2008).�서울시�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운영체계�개선방안�연구-대상자�의뢰네

트워크�분석을�중심으로.�서울도시연구,�9(4),�107-130.

이현주�(1998).�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간 관계: 장애인복지 관련조직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

문,�서울대학교.

장연진�(2010).�여성복지조직의 네트워크 중심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서울 지역 여성복지

조직간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정순둘�(1997).�사회사업의�체계망�분석법�적용.�연세사회복지연구,�4,�211-232.�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2009).�전국장애인복지관 편람.�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황인규�(2006).�장애인직업재활서비스 관련기관 간 네트워크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Alter, & Hage, J. (1993). Organization Working Together, Newbury Park. CA:Sage

Publications.

Butts, Carter T. (2008). Social network analysis: A methodological introduction.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 13-41.

Hanneman, Robert A. & Mark Riddle (2005). Introducing to social network methods. Riverside.

CA: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Powell, W. (1991). Neither Market nor Hierachy: Network Form of Organization. In

Markets, Hierachy and Network. The Coordination of Sociallife, Edited by

Thompson, G. Frances, R. Levacic and J. Mitchell. London. Sage.

Rubin, Allen & Babbie, Eral. (2001).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 Wadsworth,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160

Page 31: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Brooks/Cole.

Scott, John. (2000). Social Network Analysis : a Handbook(2nd Ed.) . London: Sage

Publications.

Van de Ven. A. H. & Ferry. D. l. (1980). Mear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 John Wiley &

Sons.

Wasserso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61

Page 32: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 분석 연구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네트워크 구조 비 교·분석 연구: 서울과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162

Disability & Employment|2011. 5. 제21권 제2호(통권 71호)

A Social Network Analysis Study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Networks

fo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Shin, Hyun-Uk*(Professor, The University of Jeonju)

Kang, Byeong-Ro(Doctor's Course Studen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hoi, Young-Kwang(General Secretary, Korean Association of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wang, Seong-Hye(Director, Sung-Book Rehabilitation Center)

Vocational rehabilitation network o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passedearly stage and is entering to diffusion phase. However, researchers found thatthe lack of awarenes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networks, the deficiency ofcrucial infrastructure, financial vulnerability, and the deficiency of control systemwere barriers for developing successful and effective network. Hence, in order toimprove the network system, the strategic and specific transformation must beachieved. From July to December 2010, researchers reviewed journals in connection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networks, surveyed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and analy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network on community rehabilitationcenters. Specific practice and policy direc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network were derived from these res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distance among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development of substantial network, andopen-minded approach were crucial issues for developing successful network incase of Seoul. On the other hand, it was suggested that overcoming of physicaldistance, development of lead agency, and systematization of network werefundamental strategies for developing effective network in in Kyung-sangprovince.

Key words :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Vocational rehabilitationnetwork, Social networks analysis

Ab

str

ac

t

*�제1저자·교신저자(신현욱)�:�[email protected]**�투고일�2011.3.31.��심사기간�2011.4.12.�~�5.12.��게재확정일�201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