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123
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조을생 외 사업보고서2013-09-07

Upload: others

Post on 03-Sep-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조을생 외

∣사업보고서∣2013-09-07∣

Page 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연구진

연구책임자 조을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참여연구원 박준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권소현(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외부참여진 박시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허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SUN Sot (캄보디아 왕립학술원, General Director)

MONG Seang Ngim (캄보디아 왕립학술원, Researcher)

Vanthong Phengvichith (Natiional Agriculture and Forestry

Research Institue, Laos)

산학연정 연구자문위원

김종률 (환경부 과장)

김종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팀장)

김승우 (이엔쓰리 대표)

이병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강성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 20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발행인 이병욱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우편번호) 122-706

전화 02)380-7777 팩스 02)380-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3년 12월 26일

발행 2013년 12월 31일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978-89-8464-812-8 93530

Page 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서 언

국제사회는 Rio+20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달성하고 개도국의 빈곤 문제를

퇴치하기 위한 이행 수단이라는 데 대해 공통의 인식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녹색경제는

지속가능발전 축인 경제, 사회, 환경 개발 과정에서 각 국가별 특수성과 우선순위를 고려

하여 이행하는 것으로, 특히 식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빈곤 완화와 경제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주요 전략 가운데 하나로써 지속가능한 농업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경제에서 농업 비중이 높은 라오스, 캄보디아를 대상으로 빈곤퇴치

및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하고 환경적인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지속가능한

농업발전전략, 한국과의 국제협력 가능 분야를 모색하였습니다. 향후 농업 녹색경제 구현

을 위한 국제개발협력사업 수립에 있어 본 연구의 결과가 정부 정책실무자, 민간 및

타 공여 참여자, 관련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맡아 수행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조을생 박사, 권소현

연구원, 박준현 연구원에게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아울러 본원과 긴밀한 공동연구 협력

을 추진하고 있는 캄보디아왕립학회(Royal Academy of Cambodia, RAC)의 SUN

Sot 박사, MONG Seang Ngim 박사, HORN Sothana 박사, TAING Sin 박사 그리고

라오스사회과학원(Lao Academy of Social Sciences, LASS) 관계자 , 한국농촌경제연

구원의 박시현 박사, 허장 박사, 최용욱 연구원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귀중한 자문의

견을 주신 환경부 김종률 과장,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김종환 박사, ㈜이엔쓰리의 김승우

대표, 그리고 본원의 이병국 박사와 강성원 박사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Page 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2013년 12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이 병 욱

Page 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국문 요약

녹색경제는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고 개도국의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수

단으로 전 인류사회가 추구해야 할 새로운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특히, 세계적

인 인구증가와 식량수요 문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농업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중점협력 대상국인 라오스·캄보디아의 빈곤퇴치 및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하고 환경훼손적인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이

국가들의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농업부문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 및 녹색

경제 확산을 위한 국제협력 분야 관점에서의 정책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라오스·캄보디아는 전통적인 농업국가 중심의 산업구조로서 농업부문이 전체

GDP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고용인구의 70% 이상이 농업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농촌지역의 개발은 절대빈곤의 퇴치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경제발전에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각국의 국가전략도 식량안보와 빈곤퇴치, 기

후변화 등 농업과 농촌개발 및 환경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라오스의 국토는 80%가 산악지역이기 때문에 산악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 화전농업이 산림파괴 및 빈곤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전통적으

로 라오스 화전농업은 토지의 충분한 휴지기간 확보를 고려하여 마을 주민들의

합의하에 세대별로 화전지를 할당하는 시스템으로 지속가능한 농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정부는 화전농업 금지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오히려 휴지기간

이 짧은 파괴적인 화전농업이 확대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산간지역의 인구

증가, 농민들의 논농사 기술부족 등의 내부적인 요인만이 아니라 대규모 인프라

개발사업과 산업용 식목사업의 확대, 라오스 정부에 의한 촌락이전 촌락합병정책,

토지 삼림분배사업 등 외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책의 원래 목적과

반하는 삼림파괴뿐만 아니라 토질의 악화가 불러오는 생산성의 감소로 인한 가계의

Page 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소득 감소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화전농업 금지정책 및 베트남 등 인접국가의 농산물 수요 증가로 인해 라오

스 산간지역의 환금작물 재배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나 불리한 계약과 국제시장

가격변동에 따른 주민소득의 불안정 및 식량위협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캄보디아는 벼농사가 전 경지의 90%가량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논농사의

진흥은 경제성장 및 국민소득 증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벼

생산성이 낮고 도정률도 63% 정도에 불과하며, 강우량이 풍부하여 메콩강과 톤레삽

호수 등 수자원 자체는 부족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리시설의 부족과 노후화로

홍수와 한발이 자주 발생한다. 베트남의 홍강이나 메콩강 델타지역에서는 3모작이

광범위하게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는 2모작을 하는 곳도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논농사의 생산성 제고를 통한 수출확대 등 정책목표의 달성은 기후변화와 수자원

오염 등 환경에의 영향을 고려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농업용수가 캄보디아 전체

용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논농사는 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농활동이기

때문으로 논농사에서의 물의 양적, 질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캄보디아 수경농업 시스템은 대체로 도시근교의 습지로 유입되는 하·폐수를 이용

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생물학적 폐수처리 및 수생식물의 저비용 고생산량 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수경채소는 캄보디아 국민들이 거의 매일 소비하는 주요 식량으로

서 시장 수요가 높아 농촌이나 도시 지역의 연간 수입원과 비교해도 매우 양호한

소득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 확대에 따른 습지 매립의 증가로 인해 캄보디아는

수질오염 증가 및 이로 인한 수경 농작물의 보건위생상의 위해가 우려되고 있다.

하수 및 공장 폐수는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채, 습지 또는 오수처리용 인공 못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농약이나 화학비료에 대해 무지한 농부들의 농약 및 비료의 사용,

광부들의 채광활동, 도시의 미흡한 하수 관리 등으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고 있다.

캄보디아 환경부는 수자원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공공수역 지역을 선정하여 매달

Page 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공공수역 수질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상수자원부도 매달 샘플

추출하여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국가전략 부족, 전문인력 부족, 재정부

족 등으로 인해 그 실효성이 크지는 않다.

도시 확대를 위한 호수 매립사업은 저소득 주민의 강제 퇴거 및 수경재배 면적

감소로 농민들의 생계에 위협을 가하고 있어 도시 빈곤층이 증가하고 있다. 인접국

가의 선진화된 수경재배 기술을 습득한 농민들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인공 수경재

배시설을 갖추어 고품질의 수경작물을 재배하기도 하나 이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대부분의 농민들은 이에 대한 기술력이 없으며 재정적 부담으로 엄두도

못 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녹색성장을 고려한 라오스·캄보디아의 지속가능한 농업농

촌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개발 중점분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라오스의 산간지역 화전농업의 경우 화전농업 금지정책이 추진되면서 증가하고

있는 화전대체 작물재배로 인한 토양의 쇠퇴를 방지하고 산림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서는 라오스 산림지역의 기후나 토양에 적합한 부가가치가 높은 농업경영이 필요하

다. 이의 방안으로 라오스 정부에서도 국가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축산업 진흥

을 위한 품종개량 기술 보급을 위한 국제협력사업을 제안한다. 또한 메콩강 유역

평야지역을 제외하고 관개시설이 정비되지 않은 라오스에서 대부분의 작물은 우기

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산간부 화전지역에서는 극히 일부인 논농사의 경우에도

관개시설이 정비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관개시설의 정비는 더 안정적인 조건에서

벼농사뿐만 아니라 기타 여러 농작물재배가 가능하여 주민들의 식생활 개선과 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라오스의 영농조건에서는 양수장이나 관정

과 같이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고 유지 및 관리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시설보

다는 결속력이 강한 라오스 지역 주민의 공동 유지 관리가 가능한 범위의 자연친화

적인 현장 적응력이 높은 관개시설의 설치가 요구된다.

캄보디아 관개농업의 경우, 우기 천수답 지역에서의 벼 생산성 제고가 핵심이며,

이는 많은 투자와 환경에의 영향이 수반되는 중대규모 수자원 개발을 통한 관개율

Page 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고보다는 관리의 효율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첫째, 중소규

모의 수리시설 위주로 시설개선과 관리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국제 개발파트너와

의 기술작업반 등을 적극 활용하고 우리나라는 공동 바스켓 펀드를 설립하여 참가

하는 등의 가능성을 타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수성 종자개량과 같은 기술적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생산성을 개선하되, 특히 화학비료나 농약 등 투입재

의 다량 사용을 억제하는 품종개발이 시급하다. 셋째, 수자원 확보가 어려운 고지대

까지 벼 재배지역을 확대하기보다는 이 지역에서는 쌀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줄이

고 고소득 상업화 대체작물을 모색, 보급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캄보디아 프놈펜의 급속한 도시개발은 자연습지 매립 및 산업화로 인해 근교

도시 빈곤층의 주요 소득원인 수경재배 면적 감소 및 수질오염 악화로 빈곤층의

생계 위협 및 보건위생의 위해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체

방안으로 풍흉에 관계없이 청정 고품질 채소의 안정적인 연중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재배환경이 청결하여 악성노동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인공수경농업의 조기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농가의 기술력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 지원

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화에 따른 주요한 환경난제 중의 하나인 수질오염을 방지하

기 위해서 도시 및 산업하·폐수 처리 및 강 주변 작물 재배, 쓰레기 처리를 위한

기초환경시설 구축과 이에 관련된 정책·법의 체계적인 정비가 시급하다.

이와 같이 라오스·캄보디아 농업농촌개발을 위해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국제협

력분야는 우리나라 농업분야 경험과 기술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분야이며 또한 라오

스·캄보디아 국가개발전략 부문과도 일치한다. 또한, 두 국가는 한국의 ODA 중점협력

대상국으로서 민간, 정부, 타 공여 공동참여 등의 다자간 협력체계 강화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개발협력사업 추진이 바람직할 것이다.

주제어: 지속가능발전, 녹색경제, 화전농업, 관개농업, 수경농업

Page 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차 례∣제1장·서 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 구성 및 내용 ······················································································ 2

제2장·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3

1. 라오스 개황 ·································································································· 3

2. 라오스 농업·농촌 일반현황 ······································································ 4

3. 농업 녹색경제 동향 ····················································································· 7

4. 라오스 화전농업 특성 및 정책 ································································· 14

제3장·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29

1. 캄보디아 개황 ···························································································· 29

2. 캄보디아 농업·농촌 일반현황 ································································· 30

3. 농업 녹색경제 동향 ··················································································· 35

4. 관개농업 특성 및 관리 체계 ···································································· 39

5. 캄보디아 프놈펜 수경농업 특성 ······························································· 53

6. 시사점 ········································································································ 59

제4장·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63

1. 라오스·캄보디아 농업 진단 및 발전 전략 ············································· 63

2. 녹색성장 확산을 위한 라오스·캄보디아 농업·농촌발전의 국제협력방향

······················································································································ 68

제5장·결론 및 제언 ······························································································ 80

Page 1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참고문헌 ··················································································································· 83

부록 ··························································································································· 91

Abstract ················································································································· 107

Page 1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표 차례∣<표 2-1> 2015년 구체적 목표 ······································································· 13

<표 2-2> 사회경제개발계획의 농업 분야 주요 프로젝트(2011~2015) ········ 13

<표 2-3> 산림법(1996년)에 의한 산림의 분류 ············································· 17

<표 2-4> 2000년 이후 라오스 정부의 산간부 농업 정책(평야부와 비교) ····· 19

<표 3-1> 쌀 수급현황 ···················································································· 32

<표 3-2> 주요 축산물 생산현황 ···································································· 33

<표 3-3> 농촌 인구 ······················································································· 34

<표 3-4> 관개율의 변화 ················································································ 43

<표 3-5> 캄보디아 벼 재배 관련 현황, 목표 및 성과 ································ 44

<표 3-6> SAW의 6개 주요 추진사항(pillars)별 요소 및 소요예산 ··········· 49

<표 3-7> Kannika Farm 수경농법의 생산과 가격 ···································· 59

<표 4-1> 라오스 산간지역 농업의 SWOT 분석 ··········································· 64

<표 4-2> 캄보디아 관개농업의 SWOT 분석 ················································ 66

<표 4-3> 캄보디아 도시 근교 수경농업 SWOT 분석 ································· 67

<표 4-4> 최근 5년 간 라오스․캄보디아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 69

<표 4-5> 캄보디아 수자원 관련 농업․농촌 개발협력 사업 ·························· 71

Page 1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그림 차례∣<그림 2-1> 라오스 지도 ··················································································· 3

<그림 2-2> 라오스 농업지대 ··········································································· 5

<그림 2-3> 국제빈곤선 이하 라오스의 인구 비중 ········································· 6

<그림 2-4> 농업 재배방식별 수확기간 ·························································· 15

<그림 2-5> 라오스 화전농업 사진 ································································· 15

<그림 2-6> 롱헷군 도로변에 위치한 정주거점 정비 모습 ·························· 25

<그림 2-7> 농헷군 마을의 주민참여형 토지이용 계획도 ····························· 26

<그림 2-8> 몽족 농가의 물소 사육 ······························································ 27

<그림 3-1> 농업 GDP 구성 ··········································································· 30

<그림 3-2> 캄보디아 작물 재배지역 ····························································· 31

<그림 3-3> 캄보디아 농업의 문제점 ····························································· 35

<그림 3-4> 캄보디아의 수계도 ····································································· 40

<그림 3-5> Boeung Cheung EK 호수에서 재배되는 라우몽 ··················· 54

<그림 3-6> Boeung Cheung EK 호수의 라우몽 재배지역 및 하·폐수 유입·출

입구 ······························································································ 56

<그림 3-7> Kannika Farm 수경재배 ·························································· 58

Page 1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1장 ․ 서론 ∣ 1

∣제1장 ․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012년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UNCSD Rio+20)에서 국제개발협력의 궁극적인

목표인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고 개도국의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관점에서 녹색경

제를 주요 의제 중의 하나로 제시되었다.

UNEP에서의 녹색경제 개념은 ‘환경 위해 및 생태계 훼손은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도 인류 복지 및 사회적 형평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녹색경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국가별 개발 수준 및 특수상황을 고려한 우선순위에 따라서

지속가능발전 3대 축(경제, 사회, 환경)을 균형있게 성장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농업은 Rio+20에서 녹색경제를 통한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기 위해 도출된 세부

이행계획의 우선순위 분야이다. 농업과 관련된 녹색경제는 식량안보 확보 및 경제

적으로 타당한 한편, 친환경적인 지속가능한 농업 및 농촌발전을 추구하여 빈곤퇴

치 및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2020 Global Food Outlook의 세계 식량수요 전망을 살펴보면 1997년도 대비 2020

년도에는 식량수요가 약 35%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가별 전망 수요를

보면, 개도국(중국, 인도, 기타 아시아 개도국)에서 증가되는 식량 수요가 전체 글로

벌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개도국이 기존의 농업에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인구 1인당 경작면적 감소에 따른 예측 결과이다. 즉 인구증가, 도시

화, 기후변화에 따라서 식량수요는 급격히 증가할 것이고 거기에 부합하기 위해서

는 농작물 생산이 증가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라 농업 부존

자원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기존 자원의 최적 이용을 통한 식량확보 전략이 추구되

어야 한다.

결국 미래의 농업은 계속 증대되는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전한 식량확보를

Page 1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위한 생산성 제고와 더불어 지속가능한 지구환경의 생태계를 유지·관리하는 역할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본 과제에서는 우리나라 ODA의 중점협력국이며 농업이 국가 경제에서 높은 비

중을 차지하고 있는 라오스, 캄보디아 농업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추진 전략 및

국제협력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국 농업·농촌의 현황 및 지속가

능성, 농업부문의 국가전략 등을 검토하여 지역적 특수성에 기초한 지속가능한 농

업·농촌 발전전략 및 한국과의 국제협력 가능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2. 연구 구성 및 내용

본 연구에서는 라오스, 캄보디아 농업 녹색경제 구현을 위해 각 나라의 특성을

반영하여 라오스의 경우, 화전농업, 캄보디아의 경우, 관개농업 및 수경농업에 중점

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보고서는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오스 농업·농촌의 실태분석을 위해 농업·농촌의 일반현황 및 농업의 녹색

경제 발전을 위한 국가전략을 살펴보았다. 또한 라오스 산간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화전농업의 특성 및 정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캄보디아의 농업·농촌의 일반현황과 국가 농업녹색경제 전략을 고찰하였

다. 또한 수자원이 풍부한 캄보디아의 관개농업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는 도시 근교 빈곤층의 주요 소득원

인 수경농업의 현황 및 당면과제를 조사하였다.

셋째, 라오스·캄보디아 농업의 SWOT 분석 및 발전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해당

국의 농업·농촌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녹색성장 확산을 위한 국제협력방향을 제

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구내용을 토대로 라오스·캄보디아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개발 중점분야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Page 1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3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1. 라오스 개황

라오스는 1954년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이룬 이후 불안정한 국내정세와 인도차이

나반도를 둘러싼 주변국 정세에 의한 긴 내전과 1975년 수립된 라오인민민주공화국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Lao PDR, 이하 라오스)의 사회주의 경제체제

의 정체로 사회경제개발이 매우 늦어 최빈국(Least Developed Countries, LDC)의

하나로 분류되어 있다.

메콩 강 유역(Greater Mekong Sub-Region, GMS) 중심에 위치한 라오스는 태국,

베트남, 중국, 캄보디아, 미얀마를 접경으로 하는 인도차이나반도에 위치한 중앙 내륙국

이다. 라오스의 행정구역은 16개의 주(provinces), 수도 비엔티엔(Vientiane), 145개의

구(districts), 8,615개의 마을(villages)로 구성되어 있다.1)

자료: United Nations(2004)

<그림 2-1> 라오스 지도

라오스의 인구는 연평균 2.1%의 증가율2)을 보이며(1995∼2005년 기준), 2012년

1) Government of the Lao PDR and United Nation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Progress

Report for the Lao PDR 2013, p.11

Page 1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약 651만 명에 달한다.3) 총 인구의 59%는 25세 이하의 청년들과 어린이들이다.

주는 크게 북부, 중부, 남부지역으로 나뉘며, 각각 30%, 38%, 21%의 인구가 분포하

고 있으며, 나머지 11%는 비엔티엔에 분포한다. 2011∼2012년 인구구성을 보면,

약 68%의 Lao-Tai족, 22%의 Mon-Khmer족, 7%의 Hmong-Lu Mien, 3%의

Sino-Tibetan족으로 구성된다.4)

라오스는 1986년 신경제체제(New Economic Mechanism)라는 시장경제 도입 이후,

GDP 대비 연평균 성장률이 1990년대 6.4%에서 2001∼2011년 7.4%로 증가하였다.5)

2012년 발간된 세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농업은 GDP의 약 30%를 차지하며,

총 인구(2012년 예상치 651만 명)에서 농촌인구 비중이 71%6)로, 국민 대부분의 1차

생계전략이 농업이라고 할 수 있다. 라오스는 산악지대로 되어 있는 천연자원의 보고지로

서 농촌지역 인구의 대부분은 수자원 및 산림자원에 의존하고 있다.

2. 라오스 농업·농촌 일반현황

라오스의 농업 지역은 크게 6개의 주요 농업생태지대(Agri-ecological zones) ―

1)메콩 지역(Mekong Corridor), 2) 중앙-남부 산악지대(Central-Southern

Highlands), 3) 비엔티엔 평야지대(Vientiane Plain), 4) 볼로반 고원지대(Bolovan

Plateau), 5) 북부 산악지대(Northern Highlands), 6) 북부 저지대(Northern

Lowlands)―로 구분된다.7) 메콩 지역은 메콩 강 범람원(floodplains)과 충적평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간 강수량이 1,500∼2,000 mm로 주로 저지대 쌀 농사에 적합한

지대이다. 중앙-남부 산악지대는 연간 강수량인 2,000∼3,000mm이며, 척박한 산성토양

2) Lao Statistics Bureau 홈페이지 http://www.nsc.gov.la/

3) Lao Statistics Bureau 홈페이지 http://www.nsc.gov.la/

4) Lao Statistics Bureau 홈페이지 http://www.nsc.gov.la/

5) World Bank(2013a), “Lao PDR at a glance.”, 17 March 2013, Washington DC: World Bank

http://devdata.worldbank.org/AAG/lao_aag.pdf

6) Government of the Lao PDR and United Nation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Progress

Report for the Lao PDR 2013, p.11

7) World Bank(2006), Lao PDR: Rural and Agriculture Sector Issues Paper

Page 1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5

지대로 농업 생산성이 다소 떨어지며, 사용가능한 농지의 대부분이 불발탄(unexploded

ordnance, UXO)이 묻혀 있어 경작을 하는 데 있어 위험이 따른다. 비엔티엔 평야지대는

연간 강수량이 2,500∼3,000mm이며, 지형이 중간산지로 되어 있으며, 이동경작

(shifting cultivation), 육도 재배(upland rice cultivation), 축산업이 주요 농업활동이

다. 볼로반 고원지대는 연간 강수량이 2,500∼3,000mm이며, 사바나, 산림, 초원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커피, 차, 카다멈(cardamom) 등 환금작물 재배 및 축산업이 주요

농업활동이다. 북부 산악지대는 연간 강수량이 1,300∼2,500mm이며, 가파른 산악지형

으로 인해 침식의 위험이 있지만 농업 및 축산업에 적합한 토지를 가지고 있다. 북부

저지대는 연간 강수량 1,500∼2,000mm이며, 산악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이동경

작과 가축 방목을 한다.

자료: World Bank(2006), Lao PDR: Rural and Agriculture Sector Issues Paper, p4

<그림 2-2> 라오스 농업지대

라오스 농림통계(1975∼2008)에 의하면, 2007년에 쌀 재배면적은 78만 헥타르

Page 1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ha.)에 해당하며 이는 전체 작목 재배면적의 69%에 해당한다.

라오스의 벼 재배 방식은 논농업재배와 화전재배가 있으며, 전자는 메콩강 유역

평야지대에서, 후자는 산간부의 경사지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다. 논농업 재배는

대부분 우기의 천수답이지만 근대적인 관개시설을 갖춘 논농업에서는 건기/우기

재배가 가능하다. 논농업 벼재배는 주로 산림 개간에 기인하는데 산간부의 계곡이

나 분지의 지하수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농촌지역의 빈곤율은 도시지역보다 약 2배가량 높다. 2007/2008년, 총 인구의 71%를

차지한 농촌지역 인구 중 82%가 빈곤층이다. 특히 그 중 도로 접근이 불가능한 농촌지역

의 빈곤율이 40% 이상을 차지한다. 농촌지역의 빈곤은 인프라의 부족(주로 도로, 관개시

설, 도구, 기계 등)과 불리한 농업 무역환경 및 유통구조 등 농업의 저생산성 시스템이

주요 원인이다.

*국제빈곤선: 세계은행은 2005년 구매력평가 기준 하루 1.25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것으로 정의

자료: Lao Statistics Bureau, Ministry of Planning&Investment, Lao Expenditure&Consumption

Surveys/ Government of the Lao PDR and United Nation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Progress Report for the Lao PDR 2013, p.24 재인용

<그림 2-3> 국제빈곤선 이하 라오스의 인구 비중

Page 1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7

3. 농업 녹색경제 동향

가. 라오스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녹색경제

라오스는 2004년에 국가성장 및 빈곤퇴치전략(NGPES)을 수립하여 2005년까지

빈곤인구를 절반으로 감소시키고 2010년까지는 빈곤을 완전히 퇴치하는 것을 목표

로 개발을 추진해 왔다. 나아가 2020년까지 최빈국에서 벗어나겠다는 의지를 밝혔

고 2015년까지 8%대의 경제성장률 유지와 1인당 국내총생산(GDP) 1,700달러 달성,

MDGs의 달성 등을 채택했다.

2008년 라오스 정부는 국가지속가능발전전략(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NSDS)을 수립하여 지속가능발전의 비전 “번영한 경제, 평등한 사회, 건전

한 환경의 통합 추구를 통한 라오스 국민의 지속가능한 행복 달성(Achieving the

sustainable well-being of all people of the Lao PDR through the simultaneous

and integrated pursuit of a prosperous economy, equitable society and healthy

environment)”을 발표하였다. 2020년까지 최빈국에서 탈피하기 위해 NSDS는 1) 지속

가능한 경제개발, 2) 지속가능한 사회복지와 발전, 3) 지속가능한 환경자원 및 천연자원

관리, 4) 굿 거버넌스를 강조한다.8) 또한 Rio+20회의에서 라오스는 녹색경제를 지지하고

비록 녹색경제의 정의, 원칙, 지표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되어 있지 않은 초기단계이나

과거의 사회경제적 발전과 환경 관리로부터 얻은 교훈을 토대로 녹색경제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 수 있는 도구임을 인식한다.

라오스의 국가개발 전략 및 계획인 2020년 사회경제개발전략(Long-Term

Strategy of Socio Economic Development to the Year 2020), 사회경제개발 5개년계

획(National Socio Economic Development Plans, NSEDP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20 국가환경전략과 2006-2010 환경액션플랜, 기후변화전략 2010과

국가적응프로그램 2009 등에서 녹색경제를 통한 지속가능발전의 의지를 엿볼 수

8)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Vientiane, National “Rio+20 Report for Lao PDR",

June 2012

Page 2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있다.

1) 2020년 사회경제개발전략과 사회경제개발 5개년계획(2001-2005,

2006-2010)

2020년 사회경제개발전략의 주요 목표는 2020년까지 최빈국을 탈피하여 실질적

인 발전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제개발뿐만 아니라 사회개

발, 천연자원 보호, 국가안보를 중요시한다.

2020년 사회경제개발전략의 장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개발전략은

사회경제개발 5개년계획(NSEDP 2001-2005)은 사회경제개발과 국가 안보를 목표

로 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국가계획에 통합하기 위해 천연자원의 지속가

능성에 대한 이니셔티브를 만들었다. NSEDP 2006-2010은 지속가능한 발전원칙을

확실히 인지하고 국가사회경제개발은 경제발전, 사회문화발전, 환경보존을 균형있

게 발전시키는 것이며, MDGs 빈곤퇴치 달성을 지향하는 것임을 명백히 규정하였

다.9) 가난과 빈곤의 해결 및 국가 경제 개발의 청사진 제시를 위하여 라오스 정부는

주요 경제 개발 전략으로 ‘제7차 사회경제개발계획(7th National Socio-Economic

Development Plan 2011-2015, 제7차 NSEDP)’을 제시하였다.

2) 2020 국가환경전략과 2006-2010 환경액션플랜

2020 국가환경전략과 2006-2010 환경액션플랜(National Environment Strategy

and Action Plan, NES-AP)은 적절한 환경관리 및 천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빈곤퇴치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하는 데 목표를 둔다. 특히 (1)

천연자원(토지, 물, 산림, 광물자원, 생물다양성)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이용, (2) 환경

및 사회영향평가와 개발프로젝트에서의 환경관리 강화, (3) 환경 모니터링에 대한

제도적 개선 및 역량 강화, (4) 민영회사의 환경보존 독려, (5) 환경보호 및 환경관리

9)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Vientiane, National “Rio+20 Report for Lao PDR",

June 2012, pp.11-12

Page 2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9

에 대한 투자 촉진, (6) 지역적, 국제적 협력 강화, (7) 청정기술 및 청정제품 사용

등에 우선순위를 둔 프로그램을 시행한다.10)

3) 기후변화전략 2010과 국가적응프로그램 2009

UNFCCC의 이행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라오스는 국제기관들의 지원을

받아 기후변화전략(Climate Change Strategy, CCS)과 국가적응프로그램(National

Adaptation Programme of Action, NAPA)을 개발하였다.11)

CCS는 (1) 농업과 식량안보, (2) 임업과 토지사용변화, (3) 수자원, (4) 에너지와

교통, (5) 산업, (6) 도시개발, (7) 보건 분야에 중점을 두고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를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NAPA는 농업, 임업, 수자원, 보건 분야에서 기후변화적응 이행을 위한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있다(부록 표 1 참조).

나. 지속가능한 농업개발 계획

1) 신경제체제의 농업․농촌 계획

1986년 신경제체제의 시행은 라오스 경제체제 변화의 시발점이다. 신경제체제정

책의 주요 내용은 시장경제로의 이행과 민간산업, 해외투자 및 무역 등의 진흥을

위한 정부의 목표치 설정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젝트 수행이다.

본 정책은 11개 분야에 111가지 세부 프로젝트들이 계획되었는데 기아근절과

이를 위한 농업개발을 정책의 우선순위에 두고 아래와 같이 농업과 농촌관련 계획

6개 분야를 포함한다.

10)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Vientiane, National “Rio+20 Report for Lao

PDR", June 2012, p.13

11)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Vientiane, National “Rio+20 Report for Lao

PDR", June 2012, pp.16-20

Page 2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2. 포괄적인 농업 개발 및 시장탐색

3. 임업관리 및 임업산업 진흥

4. 국가 산업 설비 (산업화와 현대화 강화) 그리고 공예기술 독려

5. 관광업 증대와 서비스분야 개발

6. 가계, 커뮤니티의 기아근절, 경작지의 삼림벌채 근절

10. 인적 자원 및 사회문화 개발

농업개발 계획은 평지와 산간지역의 지역 간 격차 해결을 중요한 과제로 선정하

고 있다. 주요 목표로는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농업부분의 시장경제로의 편입, 농촌경제

의 다양화를 추진하면서 한편으로는 메콩 강 유역과 산간지역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보장하는 것에 두고 있다. 농업개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농림부의 추진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기업 활동 촉진과 규제, 해외무역, 삼각지와 평지 지역의 변화,

산간지역 개발의 지속가능성 보장 및 환경과 경작지 보전을 위한 산림벌채의 근절, 관개

시설의 개선 등을 제시하고 있다.

세부전략으로는 농업작물, 축산 및 수산물 양식 등을 통한 다양한 농업소득개발,

가공 사업개발을 위한 농업분야의 국내 및 해외 투자 및 가치증대 촉진, 정부와

민간지역 연구와 시장분석을 통한 시장효율성 증대 및 농업분야 분배증진, 시장

정보와 데이터 시스템 강화 및 생산자와 중간자, 그리고 소비자의 연결성 보강,

국제 표준을 충족시키는 양질의 생산품 개발, 농산물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은행의 대출 확대, 관개시스템의 복구, 그리고 농민 관리 체계를 통한 효과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 등이다.

특히 산간부의 농업개발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체적

으로는 생태 자연과 사회-경제를 기반으로 한 토지이용 조절, 일반 토지와 산림

토지의 지정 및 허가증 발급, 자원보호를 위한 사법권의 민간위탁, 농업 및 산림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와 실험, 소규모 관개 관리 업무의 민간인 위임, 농부들의

현실적인 요구를 기반으로 한 농업 운영 방식 촉진, 안정적인 토지 이용관리(예를

Page 2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11

들어, 토지침식 및 산림지역 퇴화는 묘목심기 및 관리로 해결), 농업금융 혹은 소규

모 금융의 자본 이동 촉진, 시장원리에 입각한 농업 금융 시스템의 경쟁력 향상,

농업 무역 및 상업 활동 촉진을 위한 상업 은행의 법적 구조 안정화, 유통개발 및

시장 정보 공급 시스템 확충을 통한 시민들의 시장 탐색 능력 향상 등이다.

2) 2011-2020 농업개발전략

2011-2020 농업개발전략(Agriculture Development Strategy, ADS)12)은 라오스

농업·농촌 및 천연자원 개발 분야(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and Rural

Development Sector, ANR)에 대한 장기 개발 프레임워크이다. ADS는 농림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정책결정자 및 관료들의 지침으로서

뿐만 아니라 ANR 분야를 지원하는 개발 파트너들을 위한 지침으로 제공된다.

농림업 부문은 농촌 빈곤 퇴치에 기여하는 중요한 분야 중의 하나이다. 정부는

메콩 범람원(flood plains)에서의 저지대 천수답(lowland rainfed), 관개농업시스템

과 고지대 화전(upland swidden) 농업시스템에 대한 특수 지역에 기반한 개발 이니

셔티브를 만들고 고지대와 저지대 거주민 간의 수입 격차를 줄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농업, 임업, 천연자원, 농촌지역의 개발 비전은 경제, 사회, 생태학적인 측면에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토대로 한다. 2020년까지의 개발목표는 저지대 지역의 현대화,

시장지향적 농업 생산, 고지대의 생태계 보존, 식량안보 강화 및 농촌 생활 향상이다.

2020년 개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8가지 시행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① 식량생산(Food production)

② 상품 생산 및 농민단체(Commodity production and farmer organizations)

③ 지속가능한 생산방식, 토지분배, 농촌 개발(Sustainable production patterns,

land allocation and rural development)

12) Lao PD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Strategy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2011

to 2020", Final Draft, Vientiane 15th September, 2010

Page 2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④ 산림개발(Forestry development)

⑤ 관개농업(Irrigated agriculture)

⑥ 기타 농업 및 산림 인프라(Other agriculture and forestry infrastructure)

⑦ 농업 및 산림 연구 확대(Agriculture and forestry research and extension)

⑧ 인적자원 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3) 2011-2015 농업 마스터 플랜13)

2011-2015 농업 마스터 플랜(Agricultural Master Plan, AMP)은 2011-2020 농업

개발전략(Agriculture Development Strategy, ADS)의 세부 이행 계획이다. AMP

는 5개년 실행전략을 다양화하기 위해 프로그램 접근(Program Approach)에 기반

하고 있다.

2015년까지의 구체적인 목표는 1) 식량안보 향상, 2) 빈곤감축과 가치사슬의 녹색

전환(pro-poor and green value chains), 3) 지속가능한 생산, 4)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이다(표 2-1 참조). 8가지 실행 프로그램은 ① 식량생산, ② 상품생산 및 농민단체, ③

지속가능한 생산방식, 토지분배, 농촌 개발, ④ 산림 개발, ⑤ 관개농업, ⑥ 기타 농업

및 산림 인프라, ⑦ 농업 및 산림 연구 확대, ⑧ 인적자원 개발이다(부록 표 2 참조).

AMP는 제7차 국가사회경제개발계획의 부분에 포함되는데 여기에서 농업·농촌

분야 개발을 위한 구체적 지출 계획을 밝히고 있다.14) <표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개시설 미비에 따른 낮은 농업 생산성을 인지하고15) 이에 따라 관개시설

투자에 역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3) Lao PD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gricultural Master Plan 2011 to 2015", Final

Draft, Vientiane 15th September, 2010

14) 김태윤 외. 2012.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중장기 협력방안: 농업, 인프라 및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5) 김태윤 외. 2012.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중장기 협력방안: 농업, 인프라 및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Page 2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13

<표 2-1> 2015년 구체적 목표

2015년 목표 결과 이행 프로그램

목표 1:

농업 및 축산업을 통한 생계 향상으로 식량안보

달성

식량안보 향상

• 프로그램 1

• 프로그램 6

• 프로그램 7

• 프로그램 8

목표 2:

현대화된 농산물 생산은 빈곤감축과

가치사슬의 녹색전환 달성(green value

chains)

생산 증가 및 상품

부가가치 향상

• 프로그램 2

• 프로그램 5

• 프로그램 7

• 프로그램 8

목표 3:

지속가능한 생산방식은 사회경제적,

농업환경적 상황에 적응화

지속가능한 생산방식의

확대 적용

• 프로그램 3

• 프로그램 7

• 프로그램 8

목표 4: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는 생물다양성 보존과

환경 서비스 제공

산림은 현재 세대 및 미래

세대의 후생에 기여

• 프로그램 4

• 프로그램 7

• 프로그램 8

자료: Lao PD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gricultural Master Plan 2011 to 2015”,

Final Draft, Vientiane 15th September, 2010, Annex p.2

주요 프로젝트 예상 예산

비엔티안 평야 Ngam River 왼편 Nammong, Tanpile 관개농업 프로젝트 63.9

캄무안 주 Sabangfai 평야 Nam Turn 2댐 1, 3, 4번 수문 관개농업 프로젝트 179.1

참파삭 주 Sebanhieng 평야 내 Houitout, 수이(Soui), Lahanam 관개농업 프로젝트 179.1

보리캄사이 주 보리칸 내 Namsoun 관개농업 프로젝트 19.1

아타푸와 세콩 평야 내 Senamnoy 관개농업 프로젝트 36.1

사바나켓 평야의 Sesalalong, Sekeu 관개농업 프로젝트 60.5

루앙파방 주 난 평야 내 남산 관개농업 프로젝트 20.1

Xienghon 평야 내 남마오, Namnan, Namngeum 관개농업 프로젝트 44.6

싱 평야 내 Namaoun, Namgna 관개농업 프로젝트 63.8

후아판 주 Samtai 구역 Meungkoune 평야 솝바오 구역 Namlong 관개농업 프로젝트 28.6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국내·외 투자를 통해 관련 공업지대 건설) -

<표 2-2> 사회경제개발계획의 농업 분야 주요 프로젝트(2011~2015)

(단위: 백만 달러)

자료: MPI(2011), p. 118-119. 김태윤 외(2012) p.49 재인용.

Page 2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4. 라오스 화전농업 특성 및 정책

가. 라오스 화전농업 개요

라오스 국토 면적의 23.8백만 ha 중 농지로 활용 수 있는 땅은 5백만 ha에 달한다.

하지만 이중에 약 17%(85만∼90만 ha)에 해당하는 토지만이 경지로 활용되고 있다.

경지로 활용되는 농지의 80%에서 쌀이 재배되고 있다.

라오스의 농가는 크게 두 가지 형태의 작물 재배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나는

영구 경작지에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산간지의 경사지에 화전을

하는 것이다. 라오스의 국토는 80%가 산악지역이기 때문에 화전 농업은 라오스

산악지역 곳곳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벼 재배 면적의 40%를 차지한다

(보통 논농업에서 재배되는 물벼와 달리 화전에 의해서 재배되는 벼는 육도 혹은

밭벼라고 한다).

화전 농업은 식생이 회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휴지기간을 확보만 할 수

있다면 지속가능한 농법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지력이 회복되기까지 적게는 5년에

서 많게는 15년 동안의 시간이 필요하며 연간 수확기간이 약 10개월 정도 소요되어

저지대의 논농업(6개월 정도 소요)에 비해 수확량이 낮다(그림 2-4 참조). 게다가 최근

인구 증가와 함께 산간 화전지역에 다른 지역주민들이 침투함에 따라 화전의 휴지기간이

점차 짧아짐에 따라 평균수확량이 매우 낮고16) 휴지 기간이 짧은 파괴적인 화전 농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16) 라오스의 화전 농업에서 주로 재배되는 육도(밭벼)의 경우, 평균 1.5t/ha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의 경우, 논벼의 평균수확량은 5.0t/ha 정도이다.

Page 2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15

자료: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MAF), Laos 2010

<그림 2-4> 농업 재배방식별 수확기간

라오스에서 화전은 다량의 목재의 벌채와 함께 산림파괴 및 이로 인한 생태파괴

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화전 농업은 새로운 농지를 만들기 위해 원생림을 베어내고

화전을 일구는 이동식(개척식이라고도 한다) 화전과 수년 간의 주기로 군데의 화전을

순회하면서 화전을 하는 순환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라오스 정부에서 주로 억제의

대상이 되는 것은 삼림훼손의 주원인이 되는 이동식(개척식 화전이라고 하기도 한다

)화전이지만 최근에는 지방 단위에서는 순환식 화전도 억제대상으로 삼고 있는 경우가

많다.

자료: Vanthong Phengvichith 2009

<그림 2-5> 라오스 화전농업 사진

Page 2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나. 라오스의 화전농업 정책

라오스의 화전 농업 관련 정책은 토지의 소유 및 이용제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라오스에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선 이후 1980년 초부터 라오스의 인민혁명정

부는 벼농사의 집단화를 추진하였다. 하지만 사회주의 방식의 집단화는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와 1980년대 후반부터 집단농장은 저절로 소멸하였고 라오스 정부는

그것을 인정했다.

정부 정책으로 벼농사의 집단화를 더 이상 추진하지 않는 것과는 달리 화전에

대한 정부의 간섭은 증대되었다. 1982년 라오스의 인민혁명당 제3차당대회 문서에

서는 화전 농업에 의한 삼림채벌의 제한이란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1986년 제4차

당대회 문서에서는 화전농업의 정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1989년 개최된 제1

차 전국산림협의에서는 2020년까지 국가적으로 산림파괴 면적을 70%까지 회복할

것을 결정하고 있다. 1996년에는 산림법이 제정되어 토지/산림 분배사업이 실시되

었다. 이와 관련된 주요정책 변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980년대 토지 사용권 확대와 토지 삼림 분배 사업

라오스 토지는 국가가 소유하고 있지만 1980년대 이후의 정부는 토지 사용권을

확대하는 정책을 펴왔다. 1989년의 토지이용에 관한 법령에 의하여 토지는 국가의

재산에 속하지만 국민은 토지의 사용권을 소유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1991년에는

헌법에 다시 토지는 국가에 귀속하지만 개인은 그 사용을 보장받는 원칙을 명확히

하고 있다.

1992년의 법령에 의해 정부의 허가 아래 라오스 국민 간의 토지 매매, 임차, 교환

등이 인정되었다. 이 법에 근거하여 과거 관행적으로 인정되었던 마을 공유토지에

대해서도 등기서류를 작성하여 그것을 관계 기관의 사무소에 제출하도록 하였다.

1993년 법령과 토지세제가 정비되었다. 그 전까지는 쌀 경작지에 관한 납세는

생산물로 그리고 납세량은 토지의 생산성을 판정하여 그것에 근거하여 징수하고

Page 2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17

쌀 농사 이외의 경작지에서는 현금으로 납부되었던 것을 새로운 제도에서는 과세율

도 토지의 지목별로 설정하여 납세도 현금으로 납부되도록 하였다.

개인의 토지사용권을 확대하고 삼림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1996년 산림법이 제정되

었다. 산림법에 의하여 삼림은 <표 2-3>과 같이 5개로 분류되었다.

분류명 특징

생산림

보전림

보호림

재생림

황폐림

주민에 의해 목재 벌채 등 이용이 가능한 목재

동 식물의 보전을 위한 산림

수원의 확보, 토양침식방지를 위한 산림

2차림 등의 재생 중인 산림

산림회복을 위해 식재가 필요한 산림

<표 2-3> 산림법(1996년)에 의한 산림의 분류

<표 2-3>의 산림 구분에서 경작이 가능한 토지는 기본적으로 생산림만 해당한

다. 이 사업이 실시되고 있는 농촌에서는 화전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지가 제한되어

휴지기간이 감소하고 육도의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산림법에 의한 분류에 의해 토지산림분배사업(Land Forest Allocation, LFA, 이

하 LFA)이 실시되었다. 토지산림분배사업은 자연환경보전, 화전억제, 환금작물 재

배 확대를 통한 수입증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의 목적은 경사지에 살고

있는 화전민을 이주시킴으로써 삼림을 보전하기 위한 것이다. 삼림을 보전해야 하

는 필요성은 토양환경보전이라는 목적 외에도 소량의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 국가의

세입원이 되고 있는 고가의 삼림을 훼손시키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토지산림분배사업은 장기간 토지 사용권의 확보를 통한 생계안정, 토지분배에

의한 농업생산 향상, 마을 간 또는 마을 내의 토지문제의 해결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토지산림분배사업의 주요 내용은 촌락의 경계 결정, 신규 농경지의 개인에의

분배, 촌락 내 삼림의 이용 구분이다.

분배된 토지와 삼림에 대해서는 1997년에는 제정된 토지법에 기초하여 등기가

Page 3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이루어졌으며 세금을 납부하는 한 토지사용권은 상속, 양도, 증여하는 것이 가능하

게 되었다. 명목적으로 라오스의 토지는 국가 소유이지만 실제로는 개인의 소유권

을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북부 산간지에서는 화전경작지가 제한되어 충분한 휴지기간을 두지 않은

채 화전이 행해져 정책의 원래 목적과는 반대로 삼림황폐가 발생하였다. 또한 분배

된 농업용지에서도 정부의 지원체제가 정비되지 않아 개간이나 새로운 환금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화전만 금지되어 마을 주민이 오히려 가난해지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17)

2) 1990년대 주민 이용을 고려한 산림보전

1990년대 이후 메콩 강 유역의 관개시설 설치로 쌀 생산량이 증가하여 1999년에는

라오스 정부는 쌀의 자급 달성을 공식 발표하였다. 전국적으로 쌀이 자급되었다고 하지만

북부 산간지역에서는 여전히 쌀이 부족하였다. 북부 산간지역의 농업 생산의 확대가

진행되지 않은 요인으로는 평야지역과 달리 관개시설의 부족, 시장 접근성 악화 등의

문제가 있지만 한편으로는 1996년 이후의 토지산림분배사업의 영향도 있었다.

토지산림분배사업으로 농가가 이용할 수 있는 산림에 제한이 가해지고 이동경작

이 어려워짐에 따라 농가는 휴경기간을 단축하면서까지 기존의 토지를 최대한 경작

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토양의 비옥도가 저하되었으며 잡초가 번성하게 되어 육도

의 수확이 감소하였다. 토지산림분배사업으로 농가의 쌀 생산량은 오히려 감소하게

되어 농가는 이를 보전하기 위해서 화전의 면적을 확대하였다. 결국, 산림보전이

목적이었던 토지산림분배사업은 반대로 산림감소를 확대시킨 결과를 가져온 셈이

다.

토지산림분배사업 이후 산림이 훼손되는 원인으로서는 지역성을 중시한 산림

구분이 이뤄지지 않은 점과 평지 농업기술이 개발되지 않은 점을 들 수 있다. 논농업

17) 富田普好け.2010. “ラオスのおける農林業制度-稲作を中心に”.「ラオスチンタカーン・マイ(新思

考)政策の新展開」.アジア経済研究所 調査報告書.

Page 3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19

이 면적이 충분하지 않고 논농업 재배기술도 향상되지 않는 상태에서 경사지로부터

평지로 농가를 이동시킨 것은 농가의 식량부족 문제를 가져왔고 농가는 평지에

정착하지 못하고 다른 경사지 산림으로 다시 이동하여 여전히 화전 농업을 지속하

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라오스 농림부는 2000년 이후 산간부의 농업

정책을 <표 2-6>과 같이 설정하였다. 라오스 정부는 주민을 산림으로부터 밀어내

려는 기존의 정책과는 달리 주민의 참여를 포함한 자연자원보호와 지역성을 고려하

여 산림의 이용 및 보전을 실행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하였다. 그러나 산간지에

서 화전 농업에서 논농업으로의 전환은 여전히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평야부 산간부

・상품작물의 도입과 집약화, 가축사육의 확대

・해외투자 촉진을 통한 농업 비지니스의 확대

・조사의 촉진

・농산품의 품질향상

・농촌금융의 개선

・주민참가에 의한 건기작의 확대

・생태 및 사회경제 환경을 고려한

토지산림분배사업의 실시

・주민참가형 토지분배

・주민참가형 자연자원관리

・산림복합경영 도입

・농민요청 기술 도입

・소액금융 도입

・시장 접근성 개선

<표 2-4> 2000년 이후 라오스 정부의 산간부 농업정책(평야부와 비교)

자료: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2006.

3) 시장경제화의 촉진과 산간지의 자원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제사회개발 5개년 계획이 시작된 시기의 화전 농업에

관한 정책 방향은 기본적으로 2000년대 전반의 정책 방향을 답습하는 것으로 시장

경제의 발전을 진전시키고 화전농업을 금지하는 것이다. 산림정책으로는 토지삼림

분배사업을 완료하여 화전에 의한 산림 파괴를 감소시키며, 식림사업을 추진하여

산림면적을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화전농업 금지정책으로는 화전민에게 고용기회 제공, 장기간의 토지사용권 부여,

세금의 면제, 투자 자금의 대출 등이 계획되었다.18) 여기에서 고용기회 제공은 화전

Page 3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2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민을 상업적 농업과 가공농업에 종사시켜 화전 농업으로부터의 생업을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2008년 이후 상업적 농업이 장려되었는데 고무 등의 다년생 작물

의 식재가 화전의 소멸과 산림 면적 확대에 공헌을 하였기 때문이다.

화전농업의 금지와 함께 화전민의 이주 및 정주화 정책도 주요한 정책으로 실시

되었다. 화전민의 이주 및 정주화 정책은 화전의 억제, 마약재배 퇴치, 소수민족의

관리, 공공서비스 접근성 향상이라는 다목적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책은

주로 산간부 고지대에 흩어진 촌락을 저지 도로변으로 이전시키는 것이다. 촌락

이전과 함께 세대수가 적은 촌락을 합병시키는 정책도 동시에 추진하였다.

한편 산림정책과 화전농업 정책은 토지 사용권의 명확화와 해외로부터의 산지개

발에 대한 투자 촉진을 염두에 두고 있다. 토지사용권의 명확화는 관습적으로 행해

졌던 휴경림에 대한 화전민의 소유권과 사용권을 제약하거나 무효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산림은 정부의 관리 하에 놓이게 되고 투자자에게 토지를 대여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다.

2006-2010년의 계획기간 동안 라오스 정부의 화전농업 금지 목표는 어느 정도

실천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지만 동북부 산간지역에서는 여전히 화전 농업이 실시

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 라오스의 화전 농업 사례

1) 라오스 북부 우돔사이도의 경우19)

라오스 북부 우돔사이도의 박쿠펜군은 산악지형으로 대부분의 주민은 화전에

의해 육도를 재배하고 살아가고 있다. 이 지역에서 화전은 보통 7∼9년의 순환식으

로 행해지고 있다. 어느 정도 식생이 회복된 화전의 2차림을 벌채하고 불을 질러

육도를 재배한다. 수확이 끝나면 그 밭은 수년 간 방치한다. 1년이 지나면 사람

18)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2006. Agricultural Commercialization-A Strategic

Direction for Farm Families to Overcome Poverty in Lao PDR.

19) 우돔사이도의 사례는 河野泰之・藤田幸一(2008)참고하여 정리하였다.

Page 3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21

키 높이 정도로 풀이 무성해지고 결국에는 화전 2차림에서는 버섯 등의 임산물이

채취된다. 수확에서 수년이 지나면 어느 정도 식생이 회복되고 그것을 다시 농지로

활용한다.

매년 초에 마을의 장로 등이 모여서 숲의 년수, 나무의 크기, 토양의 질, 지금까지

의 경험 등을 바탕으로 어느 숲이 그 해의 화전에 적합지를 판단한다. 마을 화전지가

결정되면 촌장이나 장노 등이 각 세대의 노동력을 감안하여 세대별로 화전지를

할당한다. 각 세대가 정해진 농지를 소유하지 않고 매년 나무의 크기나 토양의 상태

를 보고 화전용 밭의 적지를 판단하고 이를 마을 주민 합의 아래 분배하는 시스템은

수확량을 가급적 안정시키면서 인구 증가나 토지이용의 변화에 어느 정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화전에는 매년 다양한 작물을 재배한다. 주 작물은 물론 육도이지만 이는 다시

수확 시기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육도로 나뉜다. 더 세밀히 분류하면 10∼20

종류의 품종을 각 세대가 나누어 재배하고 있다.

농가는 화전지에 햇볕이 드는 정도, 토양의 질, 그해의 기후 등을 보고 적정한

여러 품목을 재배한다. 씨앗은 보통 1∼2년 정도 밖에 보존할 수 없기 때문에 각

가정마다 보관하고 있는 모든 종류의 씨앗이 뿌려진다. 여러 종류의 씨앗을 계속

간직한 이유는 금년도에 가장 재배하기 좋은 쌀이 내년에도 재배하기 좋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많은 종류의 씨앗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매년 상황을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오랜 세월동안 전해져 내려온 화전경작 경험 속에서 생산을

안정시키면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지혜라 할 수 있다. 화전에는 쌀 이외에도 고추,

호박, 오이, 옥수수, 콩, 감자류 등 다양한 종류의 작물이 재배된다.

화전 2차림도 주민들의 식량안보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수확을

끝낸 후 화전 2차림에서 마을 사람들은 죽순, 꾸지나무, 버섯, 감자류 등의 식물을

채취하고 쥐,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을 사냥할 수 있다. 이러한 산림부산물은 때로는

쌀을 대신한 대체식량으로 때로는 현금 수입원으로 마을 사람들의 생활에 도움을

준다.

Page 3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2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하지만 이러한 화전민의 생활과 숲을 둘러싼 환경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변화

의 원인으로는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토지산림분배사업과 최근 밀려들기 시작하

는 상업농 물결이다.

우돔사이도는 개별 농가에게 토지 및 삼림 분배가 된 곳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촌락에서는 마을 단위로 토지 및 삼림분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돔사이도 파크벤

군에서도 1996년부터 토지산림분배가 이루어져 마을의 토지는 보전림, 보호림, 재생

림, 이용림으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이 지역에서 행해진 LFA은 삼림과 농지를 일체

적으로 이용한 마을주민들의 토지이용 실태를 무시하고 이루어진 것으로 마을 주민

들의 생활과 소득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어떤 마을에서는 과거에 화전 농업

을 영위해왔던 토지의 상당 부분이 보호림으로 지정되어 마을주민들은 심각한 농지부족

으로 고생하고 있다. 마을 주민 가운데에는 옆 마을의 농지를 임대료를 주고 임차하여

이용하거나 다른 마을에 이주하는 등의 방법으로 토지 부족에 대처하고 있다. 하지만

옆마을의 토지를 빌리는 것만으로 충분치 않아 마을 주민들의 상당수는 보호림 내에서

화전을 계속하고 있다.

LFA에 의해 삼림과 농지가 구분되어 지금까지 해왔던 농업방식이 위법행위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LFA가 실시된 마을에서는 토지부족 때문에 화

전경작의 순환기간이 3년 정도 단축되거나 같은 작물을 연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토양 악화와 수확량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LFA의 실시로 인해 과거에는 마을주민들에 의해 스스로 지켜져왔던 하천가 주변

의 수원림이 이제는 반대로 마을 주민들에 의해 베어지고 화전 농업이 이루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 중국 경제의 성장에 따라 중국 운남성 곤명에서 라오스로 진입하는 국도

13호가 지나는 우돔사이도의 농촌지역에서도 여러 가지 영향을 받고 있다. 대표적

으로 우돔사이도의 많은 마을들에서 육도를 그만두고 중국시장을 겨냥한 환금작물

인 고무, 옥수수와 유채 등을 재배하는 가구가 점차 늘고 있다.

중국 기업은 1990년대부터 라오스 북부지방에서 야채, 옥수수, 차, 사탕수수 재배

Page 3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23

를 시작으로 2000년 이후 그 면적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다. 또한 2004년 세계적인

고무 수요 증가로 인해 중국 기업은 라오스 북부 지역에 고무나무 재배를 확대하고

있다.20) 2006년에 고무나무 재배 면적은 라오스 전국에서 29,000ha인데 이중 북부가

17,000ha로 58%를 점하고 있다. 고무 재배 면적이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일부

지방에서는 고무 재배를 억제하는 경향이 2008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는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고무 가격이 2008년 2월에 870,100킵(124,300원)/kg에서 11월

에 372,900킵으로 57%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환금작물의 재배는 계약재배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의

계약이 라오스 농민에게 불리하게 적용된다. 고무 재배의 경우, 기업경영과 농민경

영 두 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농민경영은 다시 계약재배와 독립경영으로 나뉜다.

기업경영은 민간기업이 정부로부터 토지사용권을 취득하고 주변의 농민을 고용하

여 고무농장을 개설하는 형태이다. 계약재배는 농민이 자신의 토지를 기업의 지원

을 받아 재배하는 형태이고 독립경영은 농민이 모든 것을 자기 힘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계약재배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으로 현금수입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있지

만 지금까지는 경험하지 못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계약재배를 할

경우, 농민들은 묘목을 계약당사자인 기업으로부터 사고 수확 후에는 농민이 직접

수확물을 들고 공장이나 수집처까지 가야 하는 수고를 한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계약당사자인 기업을 가격을 싸게 매기는 경향이 있다. 계약재배에 소요되는 자금

확보가 어려운 농민들은 계약당사자인 기업으로부터 비싼 이자를 주고 돈을 빌리는

경우도 많다.21)

이처럼 화전 농업을 대체하는 환금작물의 재배는 현금수입을 얻는다는 매력이

있지만 수입이 국제적인 가격변동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리스크를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환금작물의 재배에 의해 지역 주민의 소득이 불안정하게 되고 식량안정

이 위협받을 가능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단일작물 연작에 따른 토양의 악화와

20) 原 洋之介. 2011. 中国との関係を模索するラオス RIETI Discussion Paper Series 11-J-007

21) 原 洋之介. 2011. 中国との関係を模索するラオス RIETI Discussion Paper Series 11-J-007

Page 3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2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농약 사용에 따른 주민들의 건강 피해 등이 발생하고 있다.

2) 라오스 동북부 시앙쿠앙도 농헷군 사례22)

시앙쿠앙도는 라오스의 동북부 베트남과 국경을 면한 지역으로 90% 이상이 산림

으로 라오스에서 가장 빈곤한 지역 중 하나이다. 인구 약 26만 명으로 8개 군의

520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논농업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경작지는 화전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주곡인 벼의 경우, 논농업은 400ha인 반면 화전에 의존하는 육도

는 8,500ha에 달한다.

시엥쿠앙도의 농헷군은 베트남과 국경을 접하는 군으로 베트남으로 통하는 국도 7호

선이 지역의 중심을 관통한다. 농헷군은 107개 마을로 총 인구는 약 37,000명으로 구성되

어 있다. 지역의 대부분이 산간지역으로 화전 농업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

으로 시헹쿠앙도에서도 가장 가난한 지역에 속한다. 농헷군의 전체 경지 중 논농업은 320ha

에 불과하고 13,000ha가 경사지의 농지로 화전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헷군 역시 1990년대 정부 정책의 변화를 통해 화전 경작 방식이 변하고 있다.

이 지역도 라오스 산간 여타 농촌지역과 같이 전통적으로 마을에서 자체적으로 화전을

실시할 지역을 결정하고 보통 6∼7년의 휴지기를 가졌다. 하지만 정부의 토지산림배분정

책에 의해 화전민들에게 일정 토지를 배분하고 보호림 지역에서의 화전을 통제하였다.

이 지역 역시 마을 단위로 주민의 참여 아래 토지 삼림이용 계획이 수립되고

이 계획에 기초하여 토지삼림분배사업이 이루어졌다. 토지삼림분배사업으로 마을

단위로 경계가 형성되어 이동 경작은 많이 줄어들고 있으나 매년 2%에 달하는

인구 증가로 인한 경지 면적 부족으로 화전 경작은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

토지를 배분받은 화전민들은 획득한 토지를 무리하게 경작할 수밖에 없어 보통 3∼4년

혹은 그 이하의 휴지기를 가짐으로써, 지력이 쇠퇴하고 토질이 악화되고 최근에는 농약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과 질병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22) 농헷군 사례는 2013년 7월 라오스 현지 조사 결과에 기초하고 있다.

Page 3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25

정부가 화전농업 금지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상업농을 장려하고 있으나

여기에서도 우남사이도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약재배에 따른 수입의 불안정

성과 식량안정이 위협받고 있다.

화전농업의 금지와 함께 화전민의 이주 및 정주화 사업이 이 지역에서도 실시되

고 있다. 화전민의 이주 및 정주화 정책은 화전 방지와 마약 재배 금지, 소수민족의

관리, 공공서비스 접근성 향상이라는 다목적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정책은 주로

산간부 고지대에 흩어진 촌락을 저지 도로변으로 이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촌락이

전과 함께 세대수가 적은 촌락을 합병시키는 정책도 동시에 추진 중이다.

주: 중심마을의 생활 여건을 정비하고 산간부의 화전민을 이전시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2-6> 롱헷군 도로변에 위치한 정주거점 정비 모습

Page 3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2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주: 2006년에 수립된 것으로 마을 입구에 게시. 사진에서 노란색은 경작지, 갈색은 목초지, 회색이 과수림,

녹색은 산지(삼림),청록색으로 보호림지를 나타냄.

<그림 2-7> 농헷군 마을의 주민참여형 토지이용 계획도

라. 화전 대체를 위한 농민 대응

농헷군은 베트남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베트남 시장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이 지역 역시 전반적으로 육도 재배 면적이 감소하고 환금작물인 옥수수와

축산 사육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농헷군 전체로는 5년 전까지만 해도 화전 경작에

의해 육도를 13,000ha 재배했으나 지금은 8,000ha는 환금작물인 옥수수를 재배하고 있

고 육도는 현재 5,000ha만 재배하고 있다. 이 지역의 목초지는 800ha인데 최근 축산

사육 농가가 증가하여 목초지의 면적이 매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농헷군 캉파니엥면의 경우, 총 117가구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데 논농업은

9.5ha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육도 170ha, 옥수수 171ha, 텃밭 7ha, 목초지 32ha, 과원용지

8ha이다. 최근에는 가축 사육두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 소 571마리, 물소 88마리,

돼지 442마리, 가금류 2,086마리, 염소 13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옥수수와 소는 인근의

베트남 산지수집상들에게 주로 판매하고 있다.

캉파니엥 마을의 40대 초반이 가장인 몽족 농가의 경우, 10ha의 땅에 대한 토지 이용권

(토지는 선대로부터 경작한 토지를 토지산림분배사업 때 분배받은 것으로 실제로는 소유

Page 3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2장 ․ 라오스 농업․농촌 실태분석 ∣ 27

권이라 할 수 있음)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7ha의 땅은 토양회복을 위해 경작을 쉬고

있거나 목초지로 사용하고 있으며, 3ha의 땅에는 주로 옥수수를 재배하고 있다.

이 가구는 한동안 옥수수 재배를 통해 가계를 유지하였으나 최근에 휴경 기간이

짧아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토양의 비옥도가 악화되고 수확량이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베트남 등지의 축산물 수요증가와 함께 라오스 정부에서 추진하는 축산기술

보급지원 사업을 받아 축산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이 농가의 2012년 연간 소득은

5천 5백만 킵(한화 약 780만 원)인데 이 중 옥수수가 2천 1백만 킵, 축산을 통한

수입이 2천5백만 킵, 나머지는 텃밭 과수원 등에서 얻어지는 소득이다. 축산이 이

가구의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가구가 참여하는 축산기술 보급사업은 라오스의 농촌진흥청에 해당하는

NAFRI(National Agricultural and Forestry Research Institute)에서 추진하는 것으

로 캉파니엥 면의 20여 농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총액은 미화

약 5,000달러 정도(약 46백만 킵)이다. 가구당 평균 250달러 정도의 지원을 받는

셈인데 지원금은 사육두수와 소의 무게에 따라 차등 지원된다.

주: 사진에 보이는 비가림 시설이 NAFRI 지원에 의해 설치된 것임

<그림 2-8> 몽족 농가의 물소 사육

Page 4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2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마. 시사점

라오스 농업은 GDP의 약 30%를 차지하며, 총 인구의 71%가 농촌인구로 농업·농

촌개발은 2020년까지 최빈국에서 벗어나겠다는 목표달성을 위한 국가개발전략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라오스의 국토는 80%가 산악지역이기 때문에 산악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 화전농업이 산림파괴 및 빈곤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전통적으

로 라오스 화전농업은 토지의 충분한 휴지기간 확보를 고려하여 마을 주민들의

합의 하에 세대별로 화전지를 할당하는 시스템으로 지속가능한 농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정부는 화전농업 금지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오히려 휴

지기간이 짧은 파괴적인 화전 농업이 확대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산간지역

의 인구증가, 농민들의 논농사 기술부족 등의 내부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대규모

인프라 개발사업과 산업용 식목사업의 확대, 라오스 정부에 의한 촌락이전, 촌락합

병정책, 토지삼림분배사업 등 외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책의 원래 목적과

반하는 삼림파괴뿐만 아니라 토질의 악화가 불러오는 생산성의 감소로 인한 가계의 소득

감소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화전농업 금지정책 및 베트남 등 인접국가의 농산물 수요 증가로 인해 라오

스 산간지역의 환금작물 재배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나 불리한 계약과 국제시장

가격변동에 따른 주민소득의 불안정 및 식량위협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마을공동체 시스템 아래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농업 방식과 화폐경제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Page 4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29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1. 캄보디아 개황

캄보디아는 서쪽으로는 태국, 북쪽으로는 라오스, 동쪽으로는 베트남에 접하며

남서쪽으로 시암(Siam Gulf)만에 면하는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 남서부에 있

는 나라이다. 면적은 181,035㎢이며 2012년 인구는 1,400만 명에 달한다. 캄보디아는

1개의 수도(capital), 23개 주(provinces)와 159개의 군(districts), 1,621개의 읍

(commune), 13,827개의 면(village)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는 프놈펜이며 공용어

는 크메르어이지만 영어와 프랑스어도 통용된다. 인구의 약 90%가 불교이며 기타

종교로는 이슬람교와 기독교가 있다. 캄보디아는 국왕이 국가원수이나 실질적인

국정운영은 정부 수반인 총리가 하며 다당제 민주주의를 확립, 운영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기후는 열대몬순기후로 4∼5월 초순부터 11월까지 지속되는 우기와

12월부터 3∼4월까지의 건기이다. 연평균 강우량의 경우, 중부평야지대는 1,400㎜이

고 산악지대와 해안지대는 3,800㎜로 많은 편이며 연평균 기온은 27℃이다.

3면이 산맥이며 중부는 톤레삽(Tonle Sap) 대호수와 여러 개의 강이 분포한 평야지대

이다. 수자원의 경우, 캄보디아 전 면적의 86%가 메콩 강의 유역면적에 포함되어 수량이

풍부하다.

캄보디아의 토지 면적에 대한 수치는 정확한 공식통계가 나와 있지는 않지만

전체 면적은 대략 1,810만 ha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경작지 면적은

271만 ha, 100만 ha 규모는 마을, 인프라, 수로의 면적이며 327만 ha는 보존지역,

임업면허지는 421만 ha, 어업 면허지는 417,000 ha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농업 면허지는

약 830,000ha이며 지뢰매설지역(land mine-contaminated areas)은 100,000 ha, 보존

산림지역은 150만 ha, 기타 산림지역은 175만 ha, 관목지는 173만 ha에 달한다.

Page 4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3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2. 캄보디아 농업·농촌 일반현황

2013년 캄보디아 농업 부문 GDP는 전년 대비 4.3% 증가하여 약 27.5%를 차지하

였으며, 농업 인력이 전체 노동력의 약 71%를 차지하고 있다.23) 농업 GDP 중 농작

물의 생산은 54.8%이며 어업 부문은 25.4%, 가축생산은 14.1%, 임업 부문은 5.7%를

차지하고 있다.

자료: Annual Report of MAFF(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2013)

<그림 3-1> 농업 GDP 구성

캄보디아에서 쌀은 총경작지의 90%에서 재배될 정도로 주식용 곡물이며 수출작물이

다. 톤레삽 호수와 바삭 강 유역의 풍부한 수자원을 바탕으로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으

며 그 밖의 지방에서는 산간지역에서 밭벼의 형태로 재배된다.

23) MAFF 2013

Page 4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31

주: 옅은 분홍색은 벼 재배지역, 짙은 분홍색은 과수 재배지역, 초록색은 산림지역

자료: USAID(2010b).

<그림 3-2> 캄보디아 작물 재배지역

2010년 벼 재배면적은 270만 ha 정도이며 조곡 기준으로 800만 톤가량을 생산함으로

써 ha 당 2.9톤의 생산성을 나타내고 있다. 2010년 캄보디아 정부는 2015년까지 100만

톤의 쌀을 수출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24)

24)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2011, “Policy Paper on the Promotion

of Paddy Production and Rice Export."

Page 4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3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구분/년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생산면적

(천 ha)1,903 1,980 1,995 2,242 2,109 2,415 2,516 2,567 2,613 2,675 2,743 2,775

정곡생산량

(천mt)2,536 2,583 2,408 2,968 2,627 3,771 3,946 4,238 4,520 4,780 5,020 5,200

조곡생산량

(천mt)4,025 4,100 3,834 4,711 4,170 5,986 6,263 6,727 7,175 7,587 7,968 8,254

도정비율

(%)63 63 63 63 63 63 63 63 63 63 63 63

수입량

(천 mt)39 42 65 65 350 150 150 50 50 30 20 20

공급량

(천 mt)2,575 2,625 2,473 3,033 2,977 3,921 4,096 4,288 4,570 4,810 5,040 5,220

수출량

(천 mt)0 0 10 300 200 350 450 500 800 1,000 1,200 1,000

소비량

(천 mt)2,575 2,625 2,463 2,733 2,777 3,571 3,646 3,788 3,770 3,810 3,840 4,220

정곡단수

(mt/ha)1.33 1.30 1.21 1.32 1.25 1.56 1.57 1.65 1.73 1.79 1.83 1.87

조곡단수

(mt/ha)2.12 2.07 1.92 2.1 1.98 2.48 2.49 2.62 2.75 2.84 2.9 2.97

<표 3-1> 쌀 수급현황

자료: http://www.fas.usda.gov/psdonline/psdQuery.aspx.

벼 생산성 개선과 경작면적 확대로 생산량은 늘어나고 있으나 유통과 관련해서는

벼의 보관과 도정 등 수확 후 관리를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못하여 소득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 벼 저장시설이 부족한 농민의 입장에서는 현금이 필요한 수확

기에 한꺼번에 매각하게 됨으로써 적정 수취가격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3년 세계은행이 추산한 바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도정능력은 131만 톤이어

서 2008년 생산량의 1/3에 불과한 실정이다.25)

쌀을 제외한 곡물 중 가장 중요한 곡물은 옥수수이다. 옥수수는 더 기름진 강변지

역 등지의 토양에서 재배된다. 우기 초기에 심어 홍수가 다가오기 전인 8월이나

25) Tong, Kimsun, 2010, “Promoting Expert of Cambodia's White Gold," Cambodia Development

Review, Vol.14, Issue 2, April-June. 재인용

Page 4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33

9월에 수확한다. 옥수수의 재배면적은 꾸준히 늘어서 최근 26만 ha 정도를 기록하였

는데 이는 2000년도보다 다섯 배가량 늘어난 면적이다. 생산성은 ha 당 4톤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다.

캄보디아에서 생산되는 옥수수는 대부분 사료용의 황색 옥수수로 곡창지대인

바탐방 주, 파일린 주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연간 생산량의 약 95%가 우기(5월

∼10월)에 재배된다. 바탐방 주 지역에서는 최고 ha 당 5.4톤의 평균 생산량을 보이

고 있다. 바탐방 주와 파일린 주에서만 2006년도에 278,079톤을 생산하였으며 전국

생산의 76%가량을 점유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축산업은 그리 발달하지 못하여 생산량도 많지 않은 편이다. 다른

저개발국과 마찬가지로 축산은 대부분 농업노동력 제공 및 동물성 단백질 공급, 유기질

비료 공급 등의 복합적인 목적 하에 농가 단위 소규모로 영위되고 있다.

1999∼2001 2003∼2005 2007 2008 2009

쇠고기 52 55 61 62 62

돼지고기 105 125 120 110 110

닭고기 20 18 18 19 19

우유 20 21 23 24 24

달걀 15 17 17 17 17

<표 3-2> 주요 축산물 생산현황

(단위: 천 톤)

자료: http://www.fao.org.

캄보디아 농촌지역의 삶의 질은 국가경제의 성장에 비례하여 나아지지는 못하고 있어

서 농촌인구의 대다수는 생계를 어렵게 꾸려나가고 있다. 농촌인구의 비율은 조금씩

줄어들어 총인구의 77%이며(2010년도 기준), 총인구는 1,505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Page 4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3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1999∼2001 2003∼2005 2008 2009 2010

총인구 12,755 13,648 14,562 14,805 15,053

농촌인구 8,921 9,323 9,710 9,811 9,913

농촌인구 비율(총인구 중 %) 83 81 78 78 77

<표 3-3> 농촌 인구

(단위: 천 명, %)

자료: http://faostat.fao.org

캄보디아는 풍부한 수자원과 따뜻한 기후, 풍부한 농업인력 등 농업 여건이 양호

함에도 불구하고 농업을 통한 농촌주민의 소득증대, 빈곤탈피에 어려움을 겪고 있

다. 농업부문에의 투자가 높지 않은 가운데 쌀 등 작물의 생산잠재력을 충분히 활용

하지 못하고 있으며 부가가치의 상당 부분이 비농업 부문과 국외로 유출되고 있다.

캄보디아의 농업에 대하여 호주의 원조기구인 AusAID(The Australian Government's

overseas aid program)은 농업 생산성 저위, 수확후 처리 등 관리능력의 부족, 상업화

등 시장접근성의 취약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농업개발과 관련된 모든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 증대 및 농업지도소(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와 같은 서비스

활동 등을 확대하여 기술적인 지식이나 노하우를 농민들에게 전수하는 등 공여기관

의 기술 및 재정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Page 4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35

자료: AusAID, 2006, “Cambodia Agricultural Sector Diagnostic Report.”

<그림 3-3> 캄보디아 농업의 문제점

3. 농업 녹색경제 동향

캄보디아 정부는 1993년 신헌법을 채택하고 입헌군주제를 설립하였다. 1993년

헌법 59조에는 “국가는 환경을 보호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조절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토지, 물, 대기, 바람, 지질, 생태계, 광업, 에너지, 석유 및 가스, 암석

및 모래, 보석, 산림 및 임산물, 야생동물, 어류 및 수산자원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설립해야 한다.”라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환경적 측면을 언급하였다.26)

이후 지속가능발전의 3가지 축(경제성장, 사회개발, 천연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맞는 국가개발계획을 세웠다. 1994∼1996년 캄보디아 재건개발 국가프로그램(National

Program to Rehabilitate and Develop Cambodia, NPRD)은 국가개발과 국가재건에 중점

을 두었고 1996∼2000년 제1차 5개년 사회경제개발계획(Socio-Economic Development

26) National Report for Rio+20, “The Cambodian Government's Achievements and Future Direc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2012

Page 4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3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Plan, SEDP-I)도 거시경제 안정성, 사회개발, 빈곤감축과 결부한 국가재건에 중점을 두었

다. 2001∼2005년 제2차 5개년 사회경제개발계획(Socio-Economic Development

Plan, SEDP-II)은 평화구축, 안보 유지, 경제성장, 사회개발, 국제공동체와의 파트너십

구축 등에 중점을 두었다. 2006∼2010년 국가전략개발(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NSDP)이라 불리는 제3차 5개년 사회경제개발계획

(Socio-Economic Development Plan, SEDP-III)을 통해 국가개발계획을 추진하였다.

현 국가전략은 사각전략 2단계(Rectangular Strategy Phase II)27)와 2009∼2013년

국가전략개발(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NDSP)을 통해 정부의 장기 비전

과 경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궁극적으로 국가빈곤 감축을 목표로 하는 사각전략과 2009∼2013년 국가

전략개발의 이행 측면에서 ‘녹색화(green)’에 중점을 둔 정책개발을 위해 2009년 녹색성

장 로드맵(Green Growth Roadmap)을 채택하였다.

캄보디아 전체 인구의 약 30%가량이 UN의 최저생계선 이하의 빈곤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으며 빈곤계층 대부분(80%)의 가족구성원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어 캄

보디아 정부의 농업정책은 빈곤퇴치를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농산물 생산량이 1% 늘어

나게 되면 절대빈곤률이 0.6∼1.2% 감소한다고 한다.28) 따라서 캄보디아는 식량안보

확보와 농가소득 증대를 통해 빈곤감축에 기반하는 농업․농촌 개발에 중점을 두어 국가개

발 전략을 이행하고 있다.

캄보디아 왕립정부(Royal Government of Cambodia, RGC)는 국가개발 전략계획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NSDP)과 사각전략 2단계(Rectangular

Strategy-II) 하에 2009∼2013년 농업 전략적 개발 계획(Agricultur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ASDP) 등을 이행하고 있다. 특히 경제성장 및 빈곤퇴치를 위해

농업생산성, 농업다양성, 토지개혁, 지뢰 제거, 어업 및 임업 개혁에 중점을 둔다.

27) 사각전략은 2004년에 출범하였고 2008년에 개정되었다.

28) Mainuddin, Mohammed, Mac Kirby and Yun Chen, 2009,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of Land

and Water Productivity in the Lower Mekong River Basin,” Basin Focal Project Working Paper

No. 5, CGIAR Challenge Program on Water & Food.

Page 4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37

가. 캄보디아 국가전략개발(NSDP) 및 사각전략

캄보디아 국가전략개발(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NSDP)은 캄보디

아 내 개발전략 이행 및 재원관리를 위한 거시적 문서로서 동 계획은 캄보디아

정부의 ‘사각전략 II(Rectangular Strategy II)’에 기반하며, 이를 실행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자 캄보디아 천년개발목표 달성수단이다.

NSDP는 6개 분야(올바른 통치 및 관리, 사각개혁 추진환경 조성, 농업부문 발전,

물적 인프라 재건 및 확충, 민간부문 개발 및 고용창출, 역량강화 및 인적자원 개발)

를 추진한다.

특히 농업부문 발전의 주요 내용 및 계획을 보면, ① 농업생산성/다양성 증진:

기존농지 집중, 고무·캐슈·사탕수수 개발 위한 전략 계획, 시장 확대 노력, ② 토지개

혁/지뢰제거: 토지관련법 집행, 원주민공동체 토지등록, 농촌지역 지뢰 등 폭발잔여

물 제거, ③ 수산업 개혁 수산자원 보존, 수산제품 가공개선 및 투자확대, ④ 임업

개혁: 삼림황폐화지역 민간유치, 보존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역량개발 등이 있

다.29)

사각전략(Rectangular Strategy, RS)은 2004년 제3기 정부가 공표한 성장, 고용,

평등, 효율성을 위한 통합계획으로서 제4기 정부 임기(2008∼2013)에도 비준되었다.

사각전략 II단계는 ‘사회경제정책 아젠다’의 역할을 하며 고용 및 소득 창출에 필수

불가결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경제의 다양성 제고 및 경제경쟁력 강화를 언급하

고 있다.

사각전략은 1. 농업 부문의 증진(생산성 향상 및 농업분야의 다양화, 토지개혁

및 지뢰제거, 어업 개혁, 임업 개혁), 2. 실물 인프라의 추가 재건 및 구축(수송 인프라

의 추가 구축, 수자원 및 관개 시스템 관리, 에너지 부문 및 전력망 개발, 정보통신기

술 개발), 3. 민간부문 개발 및 고용창출(민간부문 강화 및 투자 유치, 고용창출

및 작업환경 개선, 중소기업 장려, 사회 안전망 확대), 4. 역량구축 및 인적자원

29) 캄보디아 국가협력전략 2012∼2015, 관계부처 합동, p.370-371

Page 5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3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개발(교육의 질 개선, 보건 서비스 향상, 성평등 장려, 인구 정책 시행)을 위해 굿

거버넌스(부패 척결, 사법 개혁, 공공행정 개혁, 국방 개혁)를 통해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평화, 정치적 안정, 사회 질서를 유지하며 캄보디아를 지역

및 세계 속으로 통합하고 거시경제 및 재정환경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나. 국가 녹색성장 정책과 2013∼2030년 녹색성장 전략계획 채택·발표

캄보디아는 2013년 3월 1일 Hun Sen 총리 주재의 각료회의에서 국가 녹색성장

정책(National Policy on Green Growth)과 2013∼2030년 녹색성장 전략계획

(National Strategic Plan on Green Growth 2013-2030)을 채택·발표하였다.30)

국가 녹색성장 정책은 경제개발과 환경, 사회, 문화, 그리고 천연자원의 지속가능

한 소비, 녹색성장 원리와 국가 정책 간 균형을 통해 국민들의 웰빙과 삶의 조건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녹색성장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및 국제적인 제도

적 협력과 조율, 녹색성장 관련 연구·분석, 경제·사회·문화와 녹색성장의 조화, 인적

자원 개발, 지속가능한 녹색기술 개발 등을 주요 전략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2013∼2030년 녹색성장 전략계획으로 녹색투자 및 녹색일자

리 창출, 환경과 조화되는 녹색경제관리, 지속가능한 블루이코노미 개발, 그린환경

및 천연자원 관리, 인적자원 개발 및 녹색교육, 녹색기술의 효과적인 관리, 녹색사회

안전시스템(Green Social Safety System) 향상, 녹색문화유산 및 국가정체성 유지

및 보존, 녹색성장에 대한 굿 거버넌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농업부문 전략계획인 그린환경 및 천연자원관리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녹색농

업, 식량안보, 식품위생안전,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재생에너지의 이용,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관리, 지속가능한 어업 관리 및 보존, 녹색

수송을 위한 인프라 개발, 녹색관광 개발, 환경 질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30) Cambodia adopts 2013∼2030 green growth plan, info.vn news

(http://news.com.vn/science-and-education/more-education/94536.html?device=desktop), 2013.3.2

Page 5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39

4. 관개농업 특성 및 관리 체계

가. 캄보디아 수자원 이용 현황

캄보디아의 농업은 국가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며 시장경제 측면에서 농업비즈니

스를 창출하고 있다. 따라서 농업 부문의 발전은 빈곤감축을 달성하고 GDP를 증가

시키며 거시경제 안정화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런 연유로 캄보디아왕립정부

는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식량안보에 기여하고 국내 및 해외시장을 위한 생산물

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농업 및 수자원 전략(Strategy of Agriculture and Water)

체제 하에 농업 개발을 지원하는 개발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수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우량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으나 풍부한 편이다. 동남

아시아의 최장, 세계에서 10번째로 긴 강으로 풍부한 수량을 가진 메콩 강의 연중 수위

변동폭은 약 10m 정도이다. 국토 중앙에 있는 톤레삽 호수는 홍수 범람기에는 스폰지처

럼 강물을 빨아들여 수면적은 건기 2,600km2로부터 10,500km2∼25,000km2까지 늘어나

는 반면에 건기에는 메콩 강으로 호수물이 유출된다. 따라서 우기, 건기에 따라 양방향으

로 물이 흐르게 되어 톤레삽 호수는 홍수의 일부분을 흡수함으로써 메콩 강 하류 삼각주

의 침수 면적을 완충하는 역할과 아울러 생태학적으로도 중요한 자연환경이 되고 있

다.31)

국토의 86%는 메콩 강 유역에 포함되며(나머지는 타이만으로 유출) 메콩 강으로부터

연간 4,750억m3의 물이 남지나해로 흘러 들어간다. 메콩 강 유역에서는 연간 750억 m3의

지표수가 공급되며 지하수는 176억 m3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되는 물의

양은 지표수 공급량의 1%(7억 5,000만 m3) 정도에 불과하다.

지하수는 매우 광범위하게 퍼져 있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용출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하여 전국적으로 약 27만 개의 우물이 있고 캄보디아 가구 중 53%가 건기에

지하수에 의존할 정도이다.32) 오늘날 지하수는 사업용, 관개용으로 널리 쓰이나

31) Royal Government of Cambodia, 2010, “Reducing Global Risk and vulnerability Through

Improving Food Security and Household Nutrition in Cambodia,” Cambodia Proposal for GAFSP

Funding/ 한국농어촌공사, 2009, 「캄보디아 농업투자환경 조사보고서」

Page 5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4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이를 규제, 관리하는 제도는 부족한 상황이며 남동부 지방에는 염수의 침투가 심각

하다.

자료: 한국농어촌공사(2009).

<그림 3-4> 캄보디아의 수계도

수자원은 가정용, 농업용, 산업용, 전력생산용, 수송용, 관광용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그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80∼90%, 혹은 95%가량의 물은 농사의 관주를

위해 쓰이고 있다.33) 그러나 물을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수리시설이 부족하여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겪는 농지가 50% 이상이나 된다고 한다.

캄보디아의 수자원 이용현황을 고려하여 벼농사 지대를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톤레삽 호수 및 메콩 강 주변의 우기 천수답 논벼 재배 지역이 캄보디아 벼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략적인 벼 생산량 백분율은 82%를 차지한다. 10∼11월 홍수 이후,

점차 물이 빠지게 되면 수변에 모종을 한 뒤 이어서 물이 빠지는 곳에 이앙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논벼를 위한 용수는 빠져나가는 물이나 제방 이면에 확보된 곳의

32)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33) Worker, Christopher, Paulo Santos, Ros Bansok and Kate Griffiths, 2011, “Irrigation Water

Productivity in Cambodian Rice Systems," CDRI Working Paper Series No.51.

Page 5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41

물을 소형 이동식 펌프나 전통적 방식의 도구를 사용해서 확보하게 된다. 수확은 물이

빠져나가 없는 건기에 이루어진다. 둘째, 관개에 의존하는 건기 논벼 재배지역은 건기에

수확하는데 전체의 약 10%를 생산한다. 저지대의 관개지역은 홍수에 의해 축적, 공급되

는 양분을 활용하여 건기에 옥수수나 채소 같은 작물을 재배하기도 한다. 셋째, 우기

심수 및 부도(뜬벼) 재배지역은 최소 1개월 50cm 이상 침수지대이며 약 6%가 생산된다.

넷째, 우기 밭벼(upland rice) 재배지역에서는 둑 없이 강우에 의존하는 지역이며 전체의

2% 정도를 생산한다. 밭벼는 본격적으로 홍수가 되기 이전인 우기 초기에 재배한다.

그러나 물이 부족한 건기, 그리고 우기에도 불규칙하게 내리는 강우량 등을 고려

하면 효과적인 물 관리가 농업생산성 제고, 작물피해로 인한 위기의 해소, 농촌빈곤

감축에 필수적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관개시설에 대한 꾸준한 투자를 전제로 벼 생산량을

늘려 2015년에는 100만 톤 이상의 도정미를 수출하겠다는 전략을 수립, 추진해 나가

고 있다.34)

나. 캄보디아의 관개 시스템 개발 현황 및 관리체계

1) 관개시설

1970년대 폴포트가 정권을 장악한 크메르 루주 시절에 주민들을 강제 동원하여

대규모 관개시설을 많이 건설하였다. 캄보디아 대부분의 쌀 재배지역은 이 당시

설치한 수로망에 연결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지금 존재하는 841개의 관개체계 중

69%가 폴포트 정권 시기에 만들어졌다.35) 그러나 이 시설들은 계획이나 설계가

잘못된 것들이 많아 비효율적으로 작동하였고 훈련을 받거나 경험이 많은 전문가가

참여하여 시설을 만든 것이 아니었다. 아울러 환경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34)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2011, “Policy Paper on the Promotion

of Paddy Production and Rice Export."

35)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Page 5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4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그 뒤 관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관개를 통한 수자원 이용은 매우 비효율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캄보디아에서 관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36)

첫째, 호수, 강, 개울 등으로부터 수로를 통해 중력에 의존하여 관주하는 방식이다.

전체 시설 중 15%, 관개면적 중 21%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둘째, 정부가

제공한 펌프를 이용해서 강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수로를 통해 관주하는 방식이다.

전체 시설 수의 5%, 면적으로는 7% 정도이다. 셋째, 우기 동안 강물에 흐르는 물을

저수지에 확보하여 중력이나 이동식 펌프로 관주하는 방식이다. 관개시설 중 45%, 관개

면적 중 43%가 이에 해당된다. 넷째, 톤레삽 호수나 메콩 강 등에서 넘쳐나는 물을

저수지에 확보하였다가 중력, 이동식 펌프로 건기 작물에 관주하는 방식이다. 시설 중

35%, 전체 면적 중 29%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관주가 된다. 수로망이 체계적으로 구축되

어 있지 않기 때문에 농민들은 자신의 농지에 용수 확보를 위해 말단 수로를 스스로

설치하여야 한다.

2) 관개율 현황

캄보디아의 관개율은 FAO의 자료에 의하면 1990년대에 6∼7%이던 것이 2000년

대에 들어서도 7%대에 머물고 있다. 캄보디아에서는 건기에 벼 재배에 사용되는

농경지는 비가 없는 계절에 활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모두 인위적으로 관개가 이루

어지는 지역의 경지인 것으로 보고 있다.

구 분 1990∼1992 1995∼1997 2000∼2002 2005∼2007

관개율 6.6% 7.1% 7.4% 7.3%

<표 3-4> 관개율의 변화

자료: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2010, Country Profile: Food Security Indicators.

36)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Page 5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43

그러나 한 연구에 따르면, 2005년 전체 재배면적(283.5만 ha)의 21%, 전체 벼

재배 면적(237만 ha)의 25%(58만 8,000 ha)가 관개지역이였다.37) 캄보디아 정부는

국가전략개발계획(NSDP)을 통해 꾸준한 노력으로 2010년에는 전체 재배 면적(350

만 ha)과 관개 면적(65만 ha)을 늘려서 전체 면적 대비 관개율은 약간 감소한 19%,

전체 벼 재배면적(250만 ha) 대비로는 약간 늘어나 26%의 관개율을 달성하도록

목표를 설정하였다. 즉 캄보디아 정부의 벼 생산 면적 확대정책과 관개개선 정책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관개율 자체는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본 것이다.38)

2008년도에 보고된 국가전략개발계획의 수정계획서 상의 성과 수치를 보면 2005

년 이후 관개 면적이 크게 늘어나 2010년 목표치를 2008년에 이미 크게 상회하여 달성한

것으로 제시되었다(표 3-5 참조).

37)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38)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Page 5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4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구분 단위

기점, 목표수준 성과

NSDP 2006∼10NSDP

중간보고서

NSDP

수정 계획MOWRAM

2005 2010 2008 2008 2010

경작 면적 천 ha 2,835 3,500 3,300 3,211 3,547

벼 재배 면적 천 ha 2,374 2,500 2,600 2,615 2,795

우기 벼 천 ha 2,062 2,160 2,240 2,255 2,391

건기 벼 천 ha 312 340 360 360 404

관개지역 천 ha 588 650 827 1,120 1,167

우기 관개 천 ha 276 310 467 760 763

건기 관개 천 ha 312 340 360 360 404

관개 면적/경작 면적 % 21 19 25 35 33

관개 면적/벼 재배 면적 % 25 26 32 43 42

우기 관개 % 13 14 21 34 32

건기 관개 % 100 100 100 100 100

<표 3-5> 캄보디아 벼 재배 관련 현황, 목표 및 성과

주: NSDP는 국가전략개발계획(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이며 2008년도에 중간보고서와

수정본이 작성되었음.

자료: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그러나 Sun(2013)이 인용한 세계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관개시설의 비효율성,

관리 허술 등을 고려할 때 관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전체 벼 재배 면적의

10% 정도인 25만 6,000 ha일 것으로 추산되었다. Sun(2013)은 NCDD의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는 캄보디아 주 정부의 2008년도 자료집(Provincial Data Books)에 입각

하여 관개율을 추정하였다. 이에 의하면, 우기에는 벼 재배면적의 8% 정도만 관개가

가능하며 건기에는 모든 벼 재배지역이 관개된다고 가정할 경우, 전체 재배 면적의

21%가 관개가능 지역이라고 추정하였다. 벼를 재배하는 면적 중 관개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은 23%에 불과하다. 그 중 11%는 우기에만 관개가 이루어지고 또 다른

11%는 건기에 부분적으로 관개가 이루어지며 나머지 1%만 건기, 우기 모두 관개가

이루어진다.

Page 5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45

한편, 수자원 개발을 통한 농산물, 특히 벼의 생산성 제고가 실제로는 별로 효율적

이지 못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Worker et al(2011)에 따르면 관개로 인해 물

1%가 더 공급되더라도 벼 생산량은 우기에는 0.06%, 건기에는 0.12% 증가할 따름이

라는 것이다. 관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건기 벼의 경우, 우기 벼에 비해 관개로

인한 생산성이 높게 나타나지만(약 2배), 우기, 건기 모두 예상보다는 생산성 증가효

과가 훨씬 미미하다. 따라서 관개시설을 설치하여 물 사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징수

하고자 하더라도 생산성에 큰 변화가 있지 않는 한, 물 사용자는 사용료를 납부하지

않으려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39)

3) 물이용 조직과 관개관리 체계

폴포트 정권이 붕괴된 뒤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정부는 크롬 사마키(krom

samaki)라는 조직체를 구성하여 농민들로 하여금 관개체계를 보수하도록 하였다.

농지는 이 조직체에 귀속되었고 농민들은 관개시설의 운영과 관리를 위해 노동력을

제공하였다.40) 이후 정부는 중대형 관개시설은 농림수산부 수자원국 소속의 지방사

무소가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소규모 관개시설은 군 단위의 농정과의 도움을 받아

농민들이 관리하도록 하였다. 마을 단위에서 관개와 관련된 활동은 행정의 최하부

를 담당하는 각 마을의 수장이 책임을 지는 체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정부 예산부족 등으로 시설관리가 여의치 않게 되면서 1990년대에 들어서

는 국제기구의 도움으로 관련법을 제정하고 담당자에 대한 교육도 실시하였다. 1994

년부터는 정부가 관리하던 것을 “농민 물 사용 공동체(Farmer Water User

Communities, FWUCs)”가 관리하도록 이관하기 시작함으로써 분권화를 추진하고

2006년에는 관련법도 제정하였다.41) FWUCs는 관개시설의 효율적, 효과적 관리와

39) Worker, Christopher, Paulo Santos, Ros Bansok and Kate Griffiths, 2011, “Irrigation Water

Productivity in Cambodian Rice Systems," CDRI Working Paper Series No.51.

40)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41) Worker, Christopher, Paulo Santos, Ros Bansok and Kate Griffiths, 2011, “Irrigation Water

Page 5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4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활용을 위한 농민 역량제고를 위해 중요한 정책 대상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1999년 중앙정부에는 수자원 관리를 전담하는 수자원기상부(Ministry of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 MOWRAM)이 설치되어 관개 등 수자원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시작하였다. 수자원기상부는 (1) 수자원의 관리와 보호, 개발계획

수립, (2) 수자원 분쟁에 대한 관리 및 경영, (3) 천연자원과 관련된 수자원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기구 설립, (4) 대수층, 하천유역, 소유역 및 지하수 관리, (5) 농민공동체

구성, (6) 물이용 유역 및 지역 보호, (7) 홍수조절을 위한 계획 수립, (8) 수로를

포함한 메콩강 유역의 개발계획 수립을 한다.42)

관개농업의 발전을 위해 “주민참여형 관개관리개발(Participatory Irrigation

Management and Development, PIMD)” 정책이 도입되고 이를 전담하는 사무소가

MOWRAM의 관개농업국(Department of Irrigated Agriculture) 산하에 설치되었

으며 이 사무소는 국제 NGO 등과 함께 100개가량의 관개 계획(irrigation scheme)

을 담당하였다.

관개규모별 관할기관은 다음과 같다. 200 ha 미만의 몽리구역을 가지는 소규모

관개체계는 군 또는 도 단위(한 개 이상의 군에 걸쳐 있는 경우)의 수자원기상부

조직이 담당한다. 중규모(몽리구역 200∼5,000 ha) 체계는 수자원기상부의 도 단위

또는 본부(한 개 이상의 도에 걸쳐 있는 경우)가 담당한다. 5,000 ha 이상의 대규모

관개체계는 중앙의 수자원기상부 본부가 담당한다.

현재는 FWUCs를 활용한 주민참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PIMD 정책에 따라 FWUCs가 관개시설의 관리를 담당하는 방향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지금까지 14개 주에 100개가량의 FWUCs가 만들어져 총 84,000ha를 관리하고

있다.43)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캄보디아 정부는 농업용수 관리를 위해 FWUCs를 조직하

Productivity in Cambodian Rice Systems," CDRI Working Paper Series No.51.

42) 한국농어촌공사, 2009, 「캄보디아 농업투자환경 조사보고서」

43)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Page 5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47

여 권한을 위임하고 이를 위한 재원의 일부를 농민들로부터 수수료를 징수하는

것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91%에 달하는 물 사용자들이 부과받은 수수

료를 납부하지 않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Worker et al(2011)은 관개시스템 구축

으로 용수공급량이 늘어나더라도 실제로 벼의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기 때문이

라고 설명하고 있다. 즉 벼 생산에서 물의 한계생산성이 미미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관개시설의 개선을 위한 투자재원을 물 사용료로부터 일부 충당하려고 하는 캄보디

아 정부 노력의 효과가 그다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 캄보디아의 농업 및 수자원 전략

“농업 및 수자원 전략(Strategy for Agriculture and Water (SAW), 2010∼2013)”

은 농림수산부(MAFF)와 수자원기상부(MOWRAM)의 두 부처가 추진하는 수자원

관련 계획서로 2010년 4월에 수립되었다.44) 캄보디아 정부는 이를 통해 메콩강 유역

의 수로 관리 등 관개시설의 개발과 관리를 중요한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SAW는 농업생산의 다양성 증대, 농업 및 수자원 부문 사업들의 성공 가능성

제고, 경쟁력 개선, 농촌지역 소득 및 고용 증대, 농촌지역 경제성장 제고를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10가지 목표치를 제시하였다.

(1) 농업생산량 20% 증대

(2) 소득 20% 증가

(3) 농기업, 농공업 부문에의 취업 20% 증가

(4) 현금작물 재배 면적 20% 증가

(5) 농산물 수출액 30% 증가

(6) 농업부문 자본투자를 위한 은행대출액 25% 증가

(7) 수입 가공농식품 물량 20% 감소

(8) 농업부문 중소기업 10% 증가

44) 이대섭, 허 장, 김홍상, 정승은, 홍정원, 2011, 「농업부문 국별협력전략(CPS) 수립」,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Page 6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4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9) 관개 서비스 접근이 가능한 작물 재배 면적 10만 ha 증가

(10) 가뭄이나 홍수 피해 농지 20% 감소

SAW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6개의 핵심 추진사항(pillars)으로 1) 정

책 및 규정 체계로 농업 및 수자원 부문의 발전, 2) 제도적 역량강화 및 인적자원

개발, 3) 농업과 물 관련 지식, 정보 기술의 전수 등을 위한 연구 및 교육, 위의

3가지 정책 추진을 통해 4) 캄보디아 국민의 식량안보를 위한 농업체계의 지속적

개선, 5) 수자원 및 농지 관리, 6) 농기업 육성과 마케팅을 지원하고 있다.

SAW의 목표치 달성 추진을 위한 소요예산은 <표 3-7>과 같으며 관개 및 수자원

관리 인프라 개발이 포함된 수자원 관리와 농지관리의 예산 비중이 가장 높게 책정되어

있으며 농업 소득증대를 위한 농기업 육성 및 판매, 농업기술 제고를 위한 연구 및 교육항

목이 그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Page 6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49

요소 내 용 계(천 달러) %

A. 정책 및 규칙 6,210 1.24

1 정책, 규제 체계와 법률의 강화 2,400 0.48

2 농지관리를 위한 법률체계 개발 1,600 0.32

3 물 이용권 및 FWUCs를 위한 법률체계 개발 1,710 0.34

4 판매지원 정책의 강화 500 0.10

B. 제도적 역량 강화와 인적자원 개발 16,145 3.22

1 인적자원 및 관리 13,485 2.69

2 기획, 예산, 재정관리체계 개선 1,050 0.21

3 관리정보체계(MIS) 실행 1,610 0.32

C. 연구 및 교육 57,245 11.42

1 농림수산부, 수자원기상부 조직구조와 운용 메커니즘 12,045 2.40

2 REE 역량 20,800 4.15

3 연구 및 기술개발 24,400 4.87

D. 식량안보 44,665 8.91

1 식량안보와 빈곤경감을 위한 지역사회에서의 자립 41,750 8.33

2식량안보와 영양개선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환경의 제고와

정보기반의 개선2,915 0.58

E. 수자원 관리와 농지 관리 283,790 56.61

1 수자원 데이터 관리 개선 5,575 1.11

2 종합 수자원 관리체계 개발 3,925 0.78

3 참여적, 통합적 방법에 의한 관개 및 수자원 관리 인프라의 개발 248,510 49.57

4 전국적 토지자원 평가 개발 6,430 1.28

5 저지대 논 토양생산성 개선 6,400 1.28

6 지속가능한 관리와 활용을 위한 고지대 토양생산성 개선 3,125 0.62

7 소농의 토지보유 안정성과 생산성 강화 2,625 0.52

8 국유지 자원 관리의 강화 1,900 0.38

9 토지사용과 임대차 정책의 집행 및 영향력 강화 5,300 1.06

F. 농기업 육성 및 판매 81,760 16.31

1 투입재와 농장생산 개선 6,450 1.29

2 시장개발 및 판매기회 확대 27,950 5.58

3 기술보급 개선 12,560 2.51

4 판매 인프라 개선 34,800 6.94

프로그램 총 예산 489,815 97.71

프로그램 관리 지원 11,480 2.29

프로그램 총 비용 501,295 100.0

<표 3-6> SAW의 6개 주요 추진사항(pillars)별 요소 및 소요예산

자료: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 Ministry of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 (MOWRAM), 2010, Strategy for Agriculture and Water 2010∼2013.

Page 6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5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수자원기상부(MOWRAM)는 관개 및 배수체계의 재건과 유지, 건설, 운영 및

관리, 홍수조절 인프라를 업무 대상으로 하는 중앙부처로서 SAW와는 별도로 “NSDP

Update 2009∼2013”의 실행을 위하여 “수자원기상 부문 전략개발계획(Strategic

Development Plan on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를 수립하였다. 이 계획서

의 기간은 NSDP 수정계획과 동일하게 2009∼2013년이다.

동 계획서는 이 기간 동안 해마다 전체 농경지의 1%에 해당하는 25,000ha에 관개능력

을 개선시킴으로써 2013년에 총 1,245,246ha에 관개체계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로써 2모작 생산을 위한 기반을 다지겠다고 밝히고 있다.

캄보디아는 이와 같은 전략 계획의 실천을 위해 수자원관리법(Law on Water

Resources Management)을 입법 중에 있으며 MOWRAM이 이 법률을 관장할 예정

이다.

라. 캄보디아의 수자원이용과 환경문제

1) 댐 건설과 영농활동에 의한 환경문제

캄보디아에서의 댐 건설 현황을 보면, 2008년까지 캄보디아에는 라타나키리 주에

서 1MW 정도의 수력발전을 생산하는 소형 댐과 12MW급 수력발전용 댐 등 두 개

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메콩 강을 따라 국내·외 많은 회사들이 수력발전을 위한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메콩 강 유역이 아닌 캄폿 주에는 193MW의

최초의 대형 수력발전소(캄차이 발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아울러 메콩 강이 아닌 곳에서

진행되는 사업으로는 중국기업이 건설하는 코콩 지역 내 발전소들이 있다.

발전용 댐들이 건설되면 메콩 강을 따라 흐르는 물의 양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며

강물과 유역에서의 생물학적 특성과 먹이사슬 등 생태계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인근지역의 어업과 농업 활동에도 중·단기적으로는 손실이 발생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메콩 강 하류지역 주민들의 단백질 섭취나 영양 상태에도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농·어촌지역의 빈곤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45)

Page 6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51

요컨대, 관개체계의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영농활동이 초래할 수 있는 환경에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수지나 댐을 건설함에 따라 물 흐름의 패턴과 수량이

변화한다. 둘째, 농약 및 비료를 지나치게 사용하여 수질 변화를 초래한다. 셋째,

습지로부터의 용수 활용 또는 저수지 건설로 생태계의 서식지에 변화가 초래된다.

넷째, 건기에 과도한 관개로 인해 염류가 집적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화학비료와 농약 등 농업으로부터의 주된 환경오염원이 환경에 유출되는 것은

관개용수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건기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1

년 민간업자가 화학비료를 수입하는 것이 허용된 이래 1995년에는 75%의 수입량이

민간업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민간이 화학비료, 농약을 판매하게 되면서 이 물질이

지역의 시장 등을 통해 상대적으로 더 용이하게 농민들에게 공급되고 그 사용량이

크게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홍수기가 물러가고 건기가 시작되면 관개농업을 하는 벼와 상업적 채소 농사지역

에 특히 화학물질이 뿌려진다(Yang Saing Koma, 연도 미상). 프레뱅 지역에서의 조사

에 따르면, ha당 200~300kg의 화학비료가 살포된다고 한다. 전체 면적의 10% 밖에

되지 않는 상업적 채소 농사지역과 건기 벼 재배지역에는 살충제도 다량 살포된다. 캄퐁

참 지역 농민조사 결과에 의하면 몬순기에 농약을 치는 농민은 전체의 16%인 반면,

건기에는 88%의 응답자가 농약을 친다고 하였다(Yang).

환경문제에는 에너지 과다사용도 포함된다. 쌀농사는 논에 물을 가두어 두기 때

문에 수자원을 다량 사용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화학비

료나 농약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 이외에도 영농활동에 소요되는 투입재의 생산에

따른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문제도 포함하고 있다.46)

45)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46) Mushtaq, Shahbaz, Tek Narayan Maraseni, Jerry Maroulis and Mohsin Hafeez, 2009, “Energy

and Water Trade offs in Enhancing Food Security: A Selective International Assessment,” Energy

Policy, 37, pp.3635-3644.

Page 6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5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2) 지하수 활용 및 환경문제

지하수는 지표수를 활용한 관개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한 개의 관정으로 3

ha의 농지에 관주를 할 수 있으므로 2∼3개 농가가 지하수만으로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관개를 통해 우기에 추가하여 영농기간을 3개월 정도 늘릴 수 있다.

그러나 지하수 대수층이 480만 ha 정도에 걸쳐 광범위하고 얕게 퍼져 있어서 거의

모든 가경지를 떠받치고 있다고는 하지만 지하수 관개시스템 개발로 인한 지하수

고갈 및 수질오염의 우려도 있다. 지하수를 사용함에 따라 생산량이 줄어든 경우도

발생하고 극단적으로는 토양의 화학적 성분, 물리적 구조에 해를 끼칠 수도 있다고

한다. 이것은 델타 지역의 침전물로부터 철분과 염분 등이 지하수에 스며들어 농축

되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47)

캄보디아의 지하수 품질은 일반적으로 좋다고 알려져 있으나 관정은 대장균 오염

등 생물학적 위험과 화학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캄보디아 15개 주의 약

7,000개 관정 중 33%가 WHO 기준을 넘는 비소를 함유하고 있다고 한다. 곳에 따라서는

WHO 식수 수질 기준 10ppb보다 훨씬 높은 3,000ppb인 곳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

이 인위적 요인보다는 자연적 사유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보고되었다.48) Sun Sot(2013)

이 인용한 자료(ADB, 2010; Danida/DFID/NZAid, 2010)에 따르면, 농촌 주민 중 약

40%만 안전한 수자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숫자는 도시민의 82%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47)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48)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한국농어촌공사, 2009, 「캄보디아 농업투자환경 조사보고서」

Page 6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53

5. 캄보디아 프놈펜 수경농업 특성

가. 프놈펜 근교 수경농업 현황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은 남부 및 동남부에 위치한 Boeung Cheung Ek, Boeng

Trabek, Boeng Salang, Boeng Tumpun 등의 습지대로 둘러싸여 있다. 이들 습지 중

Boeung Cheung Ek의 면적은 3,403ha, 길이는 5km로 최대 규모의 수체(water bodies)

이다.

Boeung Cheung EK(BCE) 호수 주변에 살고 있는 400가구 이상의 주민들의 주

소득원은 수경재배이다.49) 수경재배는 1960년에 시작되었으나 폴포트 정권 시기

(1975∼1979) 동안에는 강제적으로 농촌지역으로 이주되어 수경재배가 중단되었다

가 1980년대 들어 수경재배 시장수요 증가로 다시 활발히 이루어졌다. BCE 호수

수경재배 농민의 절반 이상(약 62%)은 경작지를 임대하고 있다. 임대 기간은 홍수

등으로 인한 생산량 및 소득 감소 등의 위협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장기보다는

단기간의 임대를 선호한다.

프놈펜에서 소비되는 채소의 40%를 차지하는 라우몽(water spinach)과 더불어

나팔꽃(morning glory), 물 미모사(water mimosa), 미나리(water dropwort), 아시아

종 쌀(Oryza sativa) 등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50) 이러한 수생식물의 생산은 다른

작물 재배보다 비교적 낮은 노동비용과 쉬운 기술로도 연중 재배가 가능하여 노동자들의

소득기회 증대 등 많은 이익을 제공한다.51) 또한 습지로 유입되는 프놈펜 도시 하·폐수의

오염물질(영양염류 N, P)은 수생식물 재배의 주요 비료원으로 활용되고 있어 저비용의

폐수 처리에도 기여한다.

49) Kuong, K., Daream, S., Borin, C.(2005). Peri-urban aquatic food production systems in Phnom

Penh.Urban Aquaculture Magazine 14, 13-15.

50) Khov Kuong et al., Food, incomes and urban wastewater treatment in Phnom Penh, Cambodia,

Aquaculture News 33/January 2007, 8-10.

51) Papussa Aquatic Plant Growing Manual, 2005

Page 6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5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자료: Anh et al.(2007)

<그림 3-5> Boeung Cheung EK호수에서 재배되는 라우몽

BCE 호수의 주 수경작물인 라우몽의 경우, 성장률이 매우 높아 하루에 100∼300kg

정도 수확한다. 라우몽의 연간 생산량은 5,000m2 규모의 경작 면적 당 5∼10톤 생산으로

가구당 연간 수입이 350∼700달러 정도였다. 이는 농촌지역 및 프놈펜 수도의 평균 수입

인 197달러와 691달러와 비교해도 수경재배는 고소득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52)

일반적으로 농부들은 재배한 수생식물을 노점에서 판매하거나 중간상인에게 판

매한다. 중간상인은 교외 및 근교 도시의 주요 시장인 Deumkor, Chbar Ampov,

Neak Meas의 도매상인에게 판매한다. 도매상인은 Koh Kong, Sihanukville,

Kampong Cham 지방의 소매상인들에게 판매한다.53) 이후 제품은 소비자들에게

판매된다. 생산자에서 소비자에게 이르는 라우몽의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은

묶음(bunch) 당 평균 900릴(riel, 캄보디아의 화폐 단위, 0.225달러)이며, 물 미모사

52) NIS., 1999 Cambodia socio-economic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Ministry of

Planning, Phnom Penh

53) Sar, S., Chervier, C., Lim, P., Warreder, G. W., Gilbert, R.G.(2010). Seasonal Direct-Use Value

of Cheung Ek Peri-Urban Lack, Phnom Penh, Cambodi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Rural Development 1, 113-118.

Page 6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55

(water mimosa)는 kg당 평균 1,600릴(0.40달러)이다. 라우몽과 물 미모사(water

mimosa)의 가격은 우기보다 건기에 더 비싸다. 농부들은 11월과 12월 사이 가장

높은 가격을 받고 병충해로 인한 영향을 받을 때, 라우몽의 공급은 매우 낮다. 건기에

Cheung Ek Lake의 직접적인 활용가치는 100만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되며 그

중 라우몽 재배는 65%, 어업 20%, 물 미모사(water mimosa) 생산은 13%, 오리사육

1%, 건기의 쌀 생산이 0.7%를 차지한다.

Cheung Ek Lake는 수경재배 농민과 도매상인, 소매업자, 중간상인에게 직·간접

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며 캄보디아 국민에게 식량안보를 위한 다양한 원천을

제공한다.

나. 수경농업과 보건위생

캄보디아 프놈펜 도시근교의 습지 또는 호수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영양염류는

농업·수산업의 주요 비료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농업에서 하·폐수 이용은 농작물의 수확

량 증가뿐만 아니라 수질 자정작용에도 기여하는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Boeung Cheung EK 호수는 400명 이상 가구의 수경농업 소득의 원천이자 프놈펜

시 인근 3,000여 개의 중소기업들의 폐수와 가정에서 나오는 하수의 80% 이상이

유입되고 있는 오폐수의 집결지이다. BCE 호수에서 이루어지는 수경재배는 프놈펜

도시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수단으로

수질오염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프놈펜 지역의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증가하는 하·폐수는 BCE

호수의 자연 자정작용 용량 이상으로 호수의 수질오염이 심화되고 있다.54) <그림 3-6>

에서와 같이 프놈펜 시 하·폐수가 유입되는 입구 근처에 라우몽이 재배되고 있어 가정에

서 배출되는 처리되지 않은 배설물 등의 오염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 기존 연구보고에

54) Koponen, M., Hannula E.-L., Acebes J., Crouzet L.(2010) The City on Water: Development plan

for the southern lakes in Phnom Penh

Page 6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5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따르면 라우몽 표면에 대장균군, 지아디아, 크립토스포리디움 등의 기생충 검출이 보고되

어 하·폐수 접촉에 의한 농민들의 피부병과 소비자의 보건위생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Ahn et.al., 2007; Kuong et.a., 2007).

또한 프놈펜 시의 산업화 및 BCE 호수 수경농업 생산량 제고를 위한 농약 사용

증가에 따른 수생태계의 중금속 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금속은 식물과 동물

에 축적되기 때문에 수은, 납, 카드뮴 등의 유해물질이 증가하면 이에 노출되어

재배된 채소는 소비자 건강에 위협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하폐수가 유입되는 BCE 호수 등에서의 수경농업은 소비자의

보건위생 및 생산물의 경제적 가치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자료: Kuong K. et. al. (2007)

<그림 3-6> Boeung Cheung EK 호수의 라우몽 재배지역 및 하·폐수 유입·출

입구

Page 6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57

다. 도시 근교 수경농업의 당면 문제

프놈펜 시의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는 도시 근교 습지 또는 호수지역에 사는

도시 빈곤층의 주 소득원인 수경농업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특, 정부의 프놈펜

도시개발 전략(Phnom Penh Strategic Orientation by 2020)에 따르면 도시·산업지

역 확산 개발을 위해 많은 습지 또는 호수가 매립되고 있다. 매립된 지역에는 고가의

주거시설, 쇼핑센터 등이 건설되고 있어 많은 빈곤층들이 강제 퇴거되고 있다

(Koponen et.al., 2010). BCE 호수 또한 매립으로 현재 호수 면적의 50%가 감소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프놈펜 시 근교에서 처리되지 않고 배출되는 대부분의 하·폐수

가 유입되고 있는 호수 또는 습지의 면적 감소는 수질오염의 자정작용 용량 저하로

인해 수질오염이 더욱 심화될 것이며 홍수재해 방지 저하를 초래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시빈곤층의 주 소득원인 수경농업의 재배면적 감소로 인한 수경

농작물 생산량 저하는 도시빈곤층의 생계유지 및 프놈펜 도시민들이 거의 매일

소비하는 수경작물의 수요 초과가 우려되고 있다.

라. 인공 수경농업 사례55)

캄보디아 프놈펜 시에서 약 10km 떨어진 Basac River 근처 Kandal 지방 Takhmao

Town에 위치한 Kannika Farm은 인공 수경재배를 하는 소규모 개인 농장이다. 현재

캄보디아에서 파이프 팜 재배는 3곳의 농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Kannika

Farm은 캄보디아에서 최초로 시도된 곳이다. Kannika Farm의 파이프 팜 재배를 위한

용수는 Kandal Province 정부가 운영하는 수도사업장으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Kannika Farm 수경농법으로 한 번 수확하는 데 약 45일 정도 걸리며 수확한

채소는 kg당 3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자연 습지나 호수에서 재배되

어 판매되는 수경농작물에 비해 상당히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55) 2013년 5월 31일 본 과제 연구진의 캄보디아 현지조사 내용임

Page 7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5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자료: 연구진 현장방문 촬영사진(2013년 5월 31일)

<그림 3-7> Kannika Farm 수경재배

파이프에서 수경재배 모종 간격은 20∼25cm이며, 파이프의 가격은 종류에 따라 다른

데 PVC 파이프는 4m당 약 12달러이며 샘플 파이프는 4m당 약 4달러이다. Kannika

농장 가게에서는 파이프 수경재배 시설 세트 장비를 지역 주민에게 판매하기도 한다.

가격은 세트 규모에 따라 다르며 1,000 모종 설치 시 대략 2,500달러 정도 소요된다.

Page 7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59

<표 3-7> Kannika Farm 수경농법의 생산과 가격

(1) 3.3m*9.5m 2 level = 2 table

· 1 level : 14 pipes 660 plants

· 2 level : 8 pipes 380 plant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otal 1,040 plants

Price

Hydroponic system 2,100$

Fog system 400$

__________________________

2,500$

(2) 1.5m*9.5m 1 level

· 1 level : 10 pipes 370 plant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otal 370 plants

Price

Hydroponic system 1,100$

Fog system 200$

__________________________

1,300$

기존의 자연습지에서 재배되는 수경농업에 비해 인공 수경농법에 의한 생산품의 경제

적 가치가 훨씬 높으며 프놈펜 도시 확대개발에 의한 수질오염 심화에 따라 제기되는

보건위생 등의 환경적 위협요소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빈곤 지역에서 대중적으

로 인공 수경농업을 실용화하기에는 시설투자비(파이프 가격, 가공처리된 물 사용, 전기

가격 등)가 상당히 높으며 이에 대한 농민들의 기술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6. 시사점

가. 캄보디아 관개농업

캄보디아는 쌀을 ‘백금(white gold)’이라고 부를 정도로 중요하게 여긴다. 인근 태국과

베트남이 쌀 수출 1, 2위인 점도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벼농사가 전 경지의 90%

정도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논농사의 진흥은 경제성장 및 국민소득 증대에도 큰 영향을

Page 7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6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미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벼의 생산성이 낮고 도정률도 63% 정도에 불과하며, 강우량

이 풍부하여 메콩 강과 톤레삽 호수 등 수자원 자체는 부족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리

시설의 부족과 노후화로 홍수와 한발이 자주 발생한다. 베트남의 홍 강이나 메콩 강

델타지역에서는 3모작이 광범위하게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는 2모작을 하는 곳

도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논농사의 생산성 제고를 통한 수출확대 등 정책목표의 달성은 기후변화와 수자원

오염 등 환경에의 영향을 고려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농업용수가 캄보디아 전체

용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논농사는 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농활동이기

때문으로 논농사에서의 물의 양적, 질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우기 천수답에서의 벼 생산량이

82%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동북부, 북부를 중심으로 행해지는 밭벼 생산지에서의

생산량 증대는 효과가 적을 것이다. 오히려 수자원 개발과 경지확대로 인한 환경에

의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수자원 개발, 관개를 통한 생산량 제고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Worker et al, 2011).

둘째, 수자원의 개발보다는 기존의 관개시스템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70%

가까운 관개시설이 폴포트 정권 시절에 만들어졌으나 노후화하고 비효율적으로 건설되

어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중·대규모 수자원 개발에는 많은 투자재원이 필요하며

메콩 강 하류지역 주민들의 영농업 활동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경지면적 확대를 관개시설의 확충이 따라가지 못함에 따라 관개율 자체의 개선효과도

크지 않다. “농민 물 사용 공동체(FWUCs)”를 통해 수자원 관리체계가 마을 단위에서

확립된다면 기존 중소 규모 시설의 개선과 지역에서의 효율적 관리를 통해 관개시스템

개선효과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자원 개발과 수리시설의 확충, 즉 인프라와 하드웨어의 개선을 통한 논농사

생산성 제고 이외에도 기술적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캄보

디아는 캄보디아 농업연구개발원(Cambodia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CARDI)을 통해 신품종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도정시설

Page 7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3장 ․ 캄보디아 농업․농촌 실태분석 ∣ 61

확충, 품질개선 등을 통해 수확 후 관리체계를 개선하여 현재 63% 정도에 머물러 있는

도정률을 70%대로 올리게 된다면 이는 생산성 제고의 효과와 같게 된다. 아울러 베트남,

태국 국경 인근의 곡창지대를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벼 밀거래를 제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미도정 상태의 벼를 수출하고 도정미를 수입함에 따른 부가가치의 국외유

출 방지, 농가소득 증대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나. 캄보디아 수경농업

캄보디아 수경농업 시스템은 대체로 도시 근교의 습지로 유입되는 하·폐수를 이

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생물학적 폐수처리 및 수생식물의 저비용 고생산량 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수경채소는 캄보디아 국민들이 거의 매일 소비하는 주요 식량으로

서 시장수요가 높아 농촌이나 도시 지역의 연간 수입원과 비교해도 매우 양호한

소득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 확대에 따른 습지 매립의 증가로 인해 캄보디아는

수질오염 증가 및 이로 인한 수경농작물의 보건위생상 위해가 우려되고 있다. 하수

및 공장 폐수는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채 습지 또는 오수처리용 인공 못으로 배출되

고 있으며 농약이나 화학비료에 대해 무지한 농부들의 농약 및 비료의 사용, 광부들

의 채광활동, 도시의 미흡한 하수 관리 등으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고 있다. 수질오염

은 용존 산소량 감소 및 유해물질 증가로 인해 어종 및 수생농업과 국민 보건위생에

큰 위협을 가져온다. 캄보디아에서 대부분의 질병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의

원인이 되는 수질오염과 연관되어 있으며 유아 사망의 2/3는 수인성 전염병과 관련

이 있다. 현재 캄보디아 환경부는 공공용수 지역을 선정하여 매달 공공용수 수질

모니터링 및 관리를 통해 수자원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캄보디아

기상수자원부도 매달 샘플을 추출하여 분석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개발을 위해

지표수의 수질 인증, 수질관리, 분석,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국가전략 부족, 전문인력 부족, 재정부족 등으로 인해 그 실효성이 크지는 않다.

Page 7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6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도시 확대를 위한 호수 매립사업은 저소득 주민의 강제 퇴거 및 수경재배 면적

감소로 농민들의 생계에 위협을 가하고 있어 도시빈곤층이 증가하고 있다. 인접국

가의 선진화된 수경재배 기술을 습득한 농민들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인공 수경재

배시설을 갖추어 고품질의 수경작물을 재배하기도 하나 이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대부분의 농민들은 이에 대한 기술력이 없으며 재정적 부담으로 엄두도

못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프놈펜 시의 도시화로 인한 도시 근교 빈곤층의 생계유지 및 도시 습지 지역의

수질 악화 방지를 위한 정부의 지속가능한 해결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Page 7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63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1. 라오스․캄보디아 농업 진단 및 발전 전략

가. 라오스 산간지역 농업

Rio+20 등 국제사회에서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부합하기 위한 라오스 산간지역의 산림 보전과 빈곤퇴치를 위한 정부의 농업

발전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산간지역의 화전농업 금지를 위해 농촌의 사회·경

제·환경을 고려한 주민참여형 토지분배를 실시하고 농업기술 역량강화 지원, 소액

금융 도입, 상·농업 장려 등 기술적·재정적인 지원 및 시장경제화 촉진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추진 및 베트남 등 인접국가의 경제성장으로 산간지역

의 환금작물 재배와 축산 사육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빈곤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화전농업 금지 및 산림보호 정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산간지역에서는 여전히 노동집약적이며 논농업에 비해 생산성

이 낮은 화전농업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토지산림분배 및 화전민의 정주화 정책으

로 인해 이용가능한 농지 면적이 감소한 반면 인구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휴경기간 단축으로 토양의 비옥도 악화, 산림 황폐화 등 생태파괴적인 화전농

업이 확대되는 부작용의 발생은 산간지역의 지속가능한 농업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화전농업 대체인 환금작물 재배 및 농약 사용 증가로 인한 토양오염

악화와 국제적 곡물가격 변동에 따른 농가 수입 리스크가 높다.

Page 7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6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표 4-1> 라오스 산간지역 농업의 SWOT 분석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Ÿ 지역공동체 의식 및 주민 참여

Ÿ 환금작물 및 축산 사육 농가 증가

Ÿ 논농업 재배기술 부족

Ÿ 농업 관련 인프라의 낙후 및 비효율적 운영

(도로, 관개, 기계 및 도구)

Ÿ 노동집약적 저생산성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Ÿ Rio+20 등 국제사회에서 농업의 지속가능

한 발전의 중요성 부각

Ÿ 소액금융, 주민참여형 토지분배, 농민 요청

기술 도입 등 정부의 산간지역 상업적 농업장

려 정책 추진

Ÿ 중국, 베트남 등 인접국가의 경제성장 및 도

시화에 따른 농축산물 수요 증가 및 시장판로

확대 가능성 풍부

Ÿ 화전농업 금지 정책으로 휴지기간 단축에 따

른 토지악화 및 산림훼손 증가

Ÿ 환금작물의 국가가격 변동에 따른 주민소득

불안정

Ÿ 식량안전 위협

Ÿ 농약사용 증가로 인한 환경오염 발생

이와 같이 라오스의 산간지역 농업의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농업발

전 전략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SO 및 ST 전략은 정부의 산간지역 상·농업 장려 정책, 중국, 베트남 등 인접국가

의 빠른 경제성장 및 도시화로 인한 농산물 수요 증가 및 지리적 접근의 장점과

산간지역 주민참여 농업방식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부가가치 높은 상품 개발 및

농업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통한 위협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WO 및 WT 전략은 화전농민의 논농업 재배 기술 향상 및 관개시설 정비 등의

지원을 통해 생산성이 낮은 화전에 의한 육도 재배를 대체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및

지역 주민의 높은 결속력의 이점을 적용한 다양한 개발 주체의 참가와 협동이 이루어지는

농업 경영으로 주민의 안정적인 생계유지 및 식량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

는 것이다.

Page 7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65

나. 캄보디아 관개농업

캄보디아는 기후, 풍부한 인력 및 수자원 등 농업 여건이 양호한 국가이며 빈곤퇴

치의 주요 전략으로 농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농산업 수요 충족 및 쌀 수출을

핵심 목표로 매년 생산 면적을 확대하고 있으며 농업에 대한 공공·민간 투자를 장려

하고 농업기술 연구 및 농업지도소 등을 통해 농민의 기술역량 강화 등을 지원하고

있다. 더불어 공여기관의 기술 및 재정 지원 확대도 캄보디아 농업·농촌 발전에

유리한 요인이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한 꾸준한 관개시설 확충에도 불구하고 시설관리

능력 부족으로 인해 용수공급 대비 벼 생산율이 낮으며 이로 인해 관개시설의 물

사용료의 낮은 징수율은 시설관리 운영의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제분·저장

시설 인프라 부족 등은 쌀 가격경쟁력 확보 및 농민소득 증대의 장애요인으로 작용

한다. 농업생산량 증대를 위해 건기 시 농약, 비료 사용 증가로 인한 수질오염 초래

및 과도한 관개용수 사용으로 인한 지하수 염류 침투 등의 환경오염과 에너지 과다 사용

등은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에 위협요소이다(표 4-2 참조).

이러한 캄보디아의 농업 여건을 고려할 경우,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은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SO 및 ST 전략은 정부지원 정책 및 지원자금을 활용하여 단순히 생산 면적의

확대에 의한 조방화보다는 단위 면적당의 생산량 증대를 위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생산기술을 투입, 재배방식 개선, 획기적인 품종개량 기술 개발 등을 통한 친환경

저에너지 농업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수자원 개발에만 치우치지 말고 농약

등 화학약품 투입재의 다량 사용을 억제하는 다수확 품종 개발 지원으로 농업 생산

의 다변화를 통한 농민소득 증대 방안을 모색하고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WO 및 WT 전략은 관개시설의 확충보다는 기존 시설의 관리 개선 및 역량 강화

를 통해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은 결국 수자원

Page 7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6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및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농촌 주민의 소득향상과 연결된다.

따라서 수자원 이용을 위한 관개 시스템 개선은 물 이용의 효율성, 즉 물의 생산성

(water productivity) 제고가 요구된다. 또한 도정시설 및 기술, 수확 후 저장시설

인프라 확충을 통해 농업의 시장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표 4-2> 캄보디아 관개농업의 SWOT 분석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Ÿ 다모작 가능한 기후와 풍부한 수자원

Ÿ 농산업 수요 충족을 위해 매년 경작 면적

확대

Ÿ 2013 총선 후 국내 정치의 안정으로 정책의

안정적 추진 및 빠른 경제성장

Ÿ 제분시설 및 저장 시설 인프라 부족 등

수확 후 처리 및 관리 능력 부족

Ÿ 수리시설 관리 능력 부족

Ÿ 용수공급량 대비 벼 생산성의 비효율성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Ÿ 사각형 전략 등 국가전략으로 농업 및 쌀산

업에 대한 정부의 육성 의지가 높음

Ÿ 대외 개방 정도가 높고 국제사회(우리나라

를 포함)로부터의 ODA 지원이 많음

Ÿ 인근 국가에 농작물 판매기회 증가

Ÿ 농촌 주민의 낮은 소득

Ÿ 물 사용 수수료 납부율 저하

Ÿ 민간업자 화학비료 수입 허용 이후 화학비

료 사용량 증가

Ÿ 지하수 고갈 및 수질오염 우려

다. 캄보디아 프놈펜 수경재배

캄보디아 프놈펜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대규모 자연습지는 도시 근교 주민들의

수경재배를 통한 주요 소득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수경재배는 타 농작물 재배보

다 낮은 노동비용과 쉬운 기술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농민 및 중간상인들의 소득증

대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홍수 등 자연재해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이로 인한 생산량 및 소득

Page 7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67

감소의 위험요소가 존재한다. 또한 도시개발에 따라 매립되는 습지가 증가함에 따

라 자연 자정능력 저하로 인한 수질오염 증가와 수경재배 면적 감소에 따른 생산량

저하 및 품질오염으로 빈곤층의 생계 및 국민 보건위생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게다

가 수생환경을 위협하는 활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국가전략계획의 부족, 쓰레기 처

리 및 폐기물 처리공학 분야의 전문가 부족, 대중의 인식 부족, 재원에 대한 제약은

일부 수생환경 보호 활동 및 수경농업 발전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표 4-3> 캄보디아 도시 근교 수경농업 SWOT 분석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Ÿ 프놈펜의 대규모 면적의 자연 습지

Ÿ 타 작물재배보다 낮은 노동비용 및 쉬운 기술

Ÿ 도시 하·폐수를 주요 비료원으로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량 증가 및 수질 자정작용 효과

제고

Ÿ 수경농작물 상품화 기술력 부족

Ÿ 홍수 등으로 인한 생산량 및 소득 감소

Ÿ 수생환경 보호 국가전략 및 대중인식 부족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Ÿ 수경농작물 수요 및 시장성 증가

Ÿ 연중재배 가능으로 농민 및 도소매 중간상인

등 직·간접적 소득증대

Ÿ 우리나라의 유․무상 중점지원 대상국이며 농

업분야가 중점협력 분야임

Ÿ 도시개발에 따른 습지 매립 증가

Ÿ 수경재배 면적 감소로 인한 생계 위협

Ÿ 빈곤층의 강제 퇴거

Ÿ 농약 사용 증가 및 습지 면적 감소로 인한

수질오염 증가

Ÿ 수질오염 증가로 인한 수경식물 경제적 가치

저하 및 보건위생 우려 증가

이러한 여건을 고려하여 캄보디아 도시화에 따른 수경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은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SO 및 ST 전략으로 캄보디아 정부는 국제사회의 기술적인 지원 및 상호 협력(국

내·외 네트워킹, 지역적·글로벌 국가와의 경험 공유) 등의 적극적 지원을 확대하여

영농의 다각화를 통한 수경농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농약 및 화학비료를

Page 8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6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호수나 강에 직접 사용하는 것은 최소화해야 하며 도시 및 산업쓰레기 처리는 지속

적인 모니터링 작업을 해야 한다. 장기적으로 산업폐수는 생활폐수와 분리하여 처

리되어야 하며 선진국처럼 각 산업이 폐기 기준(중금속의 최소 수준)을 준수하기

위한 요건을 강화해야 하며 폐수 처리장의 건설과 더불어 관련 규정을 수립할 필요

가 있다.

WO 및 WT 전략으로는 수경재배 농작물의 위생안전성 확보 및 상품화와 부가가

치 증대를 통한 농가수입 증대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농민의 기술력

확보 및 시설 투자에 따른 정부의 재정 지원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2. 녹색성장 확산을 위한 라오스․캄보디아 농업·농촌발전의 국제협력방향

가. 對라오스․캄보디아 농업 국제원조 현황

최근 5년 간 한국에서 ODA 사업으로 라오스·캄보디아를 대상으로 농업·농촌

분야의 국제협력사업 추진 실적을 살펴보면 <표 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7년

부터 2011년까지 5년 간 라오스는 65건, 캄보디아에는 93건의 사업이 중앙정부의

주도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많은 건수의 사업은 교육훈련 사업이고 다음이

농촌개발사업이다. 금액으로는 농촌개발, 농업개발, 농업용수자원 사업 등이 추진

되고 있다.

농촌개발이 사업 건수에서나 금액 면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농촌개발사업

이 새마을사업의 현지 시범적용, 한국 농촌개발 관련 교육, 기타 소규모의 지역개발

사업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액 기준으로는 라오스에 5년 간 12,308천 달러(한

화 약 135억 원), 캄보디아에 10,572천 달러(한화 116억 원)이 투자되었다.

Page 8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69

국가 분야 사업 건수

사업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총계

라오스

농수산물 가공업 2 0 0 0 22 52 74

농업 개발 3 0 0 0 0 176 176

농업 연구 1 0 0 0 10 0 10

농업 관련 교육/훈련 23 78 16 162 120 286 662

농업 관련 기자재 3 21 0 0 0 25 46

농업 관련 서비스 3 0 0 0 0 15 15

농업용수자원 7 26 1,208 0 1,019 1,691 3,944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6 9 0 13 0 0 22

농업협동조합 1 0 0 0 22 0 22

농촌 개발 16 1,548 734 1,769 2,186 1,100 7,337

총계 65 1,682 1,958 1,944 3,379 3,345 12,308

캄보디아

농수산물 가공업 1 0 0 0 0 0 0

농업 개발 15 180 79 270 311 2,165 3,005

농업 연구 2 0 0 0 13 95 108

농업 관련 교육/훈련 22 64 30 11 60 68 233

농업 관련 기자재 2 0 0 0 0 0 0

농업 관련 서비스 3 0 0 0 0 12 12

농업금융 서비스 1 0 0 99 46 62 207

농업용수자원 9 535 0 1,249 649 0 2,433

농업정책 및 행정관리 11 737 0 0 0 94 831

농업협동조합 6 0 0 0 161 0 161

농지 개발 2 120 0 0 0 0 120

농촌 개발 19 1,336 1,199 353 211 363 3,462

총계 93 2,972 1,308 1,982 1,451 2,859 10,572

<표 4-4> 최근 5년 간 라오스․캄보디아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단위: 천 달러)

자료: EDCF 통계시스템

Page 8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7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사업 당 평균 사업비는 라오스가 189천 달러, 캄보디아가 114천 달러로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록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만 달러 이상의 대규모

사업은 극히 소수이다. 라오스 비엔티엔주 관개용 댐 및 수로 건립사업과 라오스 비엔팅

제 주의 농촌개발사업, 캄보디아 바떼이지역 관개수로 건설사업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오스·캄보디아를 대상으로 농업·농촌 분야에서 이루어진 국제협력사업은 중앙

정부 주도의 교육 훈련사업과 소규모 농촌개발사업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이는 한국의 농업·농촌개발, 특히 새마을사업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농촌

개발사업에 대한 개발도상국의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부록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근에 라오스의 농림분야 개발과 관련하여

우리나라가 지원한 사업들은 비엔티엥 주변의 농촌 종합개발사업과 라오스 문군

관개용 댐 및 수로건설사업과 폰흥군 관개수로 건설사업을 제외하고는 주로 소액의

농업 관련 교육 훈련사업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라오스의 산림환경과 농업을 연계한 사업이나 빈곤감축과 관련이 있는 협력사업

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의 녹색성장 전략을 라오스 농촌지역에 확산시키기 위

해서는 산림환경과 농업 그리고 빈곤감축 문제가 서로 연계되는 사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에 캄보디아의 농림분야 수자원 개발과 관련하여 우리나라가 지원한 사업들

은 <표 4-5>와 같다.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대 캄보디아 수자원 관련

농업․농촌개발 협력사업은 소규모 마을 단위의 농촌 종합개발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는 캄보디아가 우리나라의 중점협력 대상국이지만 그동안 우리나라가 농업

분야에서 대형 인프라 사업을 추진한 적이 그리 많지 않고(2006년 이후 앙골라 농업

현대화 사업 제외) 대규모 수자원 개발 추진에 따르는 재원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존의 캄폿 주와 캄퐁참 주에서의 개발사업은 시범사업 형태로서 빈번한 홍수와

한발을 겪는 우기 답작지대의 하천 제방이나 수로개선, 저수지 개·보수, 펌프나 관정

Page 8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71

지원 등을 포함한 농업생산성 제고 등 종합개발로 시행되어 왔다. 관개수로 복구를

위한 한일 공동사업은 수로복구를 위한 설계와 공사자재를 일부 지원하는 수준의

지원사업으로 소규모 단발성 사업이었다.

시행기관 사업분류 사업명 기 간 사업비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개발 캄보디아 캄폿 주 농촌 종합개발사업 2011∼2014 35억 원

한국국제협력단 농업개발캄보디아 관개수로 복구 및

농촌개발을 위한 한일 공동사업2009

20만

달러

한국국제협력단 농촌개발캄보디아 농촌 지역개발사업

(캄퐁참 주)2006∼2008

100만

달러

<표 4-5> 캄보디아 수자원 관련 농업․농촌 개발협력 사업

요컨대 대 캄보디아 사업들은 수자원 개발 및 관리 차원보다는 마을 종합개발

수준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환경에의 부하나 오염문제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향후 우리나라의 ODA 예산이 늘어나면서 농업분야의 사업도 규모화가 이루어질

경우, 농업생산을 위한 수자원 인프라와 환경이 조화될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나. 라오스․캄보디아 농업·농촌 발전의 국제협력방향

1) 지구 환경문제 대응을 위한 친환경 생태농업

개발도상국에 대한 국제 개발협력사업의 추진에서 지구 환경문제 대응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지구온난화 같은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노력만으

로 부족하고 후진국을 포함한 범지구적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개발

도상국은 이에 대처하기 위한 재원과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제협력 사업을 통해서

이를 추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농촌 분야 국제협력사업 역시 지구

환경문제 대응을 주요 기조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는 녹색성장의 개도국 확산이라는

한국 정부의 노력과도 잘 부합하는 기조이다.

Page 8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7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농업·농촌분야 지구 환경문제 대응은 주로 기후변화, 바이오매스, 생물다양성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 2011). 기후변화는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 삭감을 위한 여러 가지 사업들이다. 해당사업으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관개배수 및 관리 사업, 기후 변동에 적응한 품종개량 및 병해충

방지, 농촌지역 재생가능 에너지의 개발, 지구온난화 가스 억제, 농축산물을 활용한 재생

가능 에너지 개발, 농업기계 관개용 펌프의 배출 억제 등의 사업이 있다. 바이오매스는

농축산업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처리와 활용, 유채와 해바라기 등의 유지작물의 재배를

통한 바이오 디젤 추출, 왕겨를 활용한 바이오 에탄올 추출 등이 있다. 생물다양성 보전은

지속가능한 농업·농촌개발을 위한 주민계몽과 교육, 산림복합경영(산지에 임업과 농축산

업을 동시에 경영), 농약이나 화학비료 사용 억제, 지역특산물의 유기농산물 인증 사업

등이 있다.

라오스와 캄보디아는 아시아 열대우림지역에 속하는 지역으로 우수한 지구환경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들이다. 따라서 이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협력사

업의 추진은 안정적인 식량 증산 공급과 동시에 특히 지구환경 생태계의 안정적인

유지관리에 초점을 둔 친환경 생태농업이 중요한 기조가 되어야 할 것이다.

2) 순환과 지속가능성

라오스와 캄보디아 농촌지역은 오랜 세월 동안 자연자원을 최대한 할용하며 농림

어업과 축산업을 영위해왔다. 이들은 자신들의 생활 터전이 되는 토지와 자연이

가지고 있는 자원 가치를 유지하고 한편으로는 자신들의 삶을 영위하는, 어떤 면에

서는 자연과 사람의 공존 시스템을 오랜 세월 동안 구축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라오스·캄보디아에 밀어 닥치는 세계화와 이제 막 시작한 경제개발이라는

높은 파도 속에서 라오스와 캄보디아 농촌지역의 삶의 방식은 급격히 변할 가능성이

높다.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생활 및 생산 시스템이 파괴되고 자본주의 중심의 상업화

확산과 그로 인한 빈부격차, 토지와 자연자원의 가치가 훼손될 우려가 높다.

Page 8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73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라오스·캄보디아 농촌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국제협력의 가

장 큰 기조로 순환과 지속가능성을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한국 정부가

앞장서서 개발도상국에 구현하고자 하는 녹색경제의 기조와도 일맥상통한다.

순환과 지속가능성은 환경용량과 자연복원력 범위 내에서 자연자원의 지속가능

한 관리와 주민들의 삶의 질을 조화시키는 것이다. 자연자원을 활용한 농림축산어

업을 주민들의 생계수단으로 구축하고 교육과 보건 커뮤니케이션 등 기초생활 여건

의 정비를 통해서 주민들의 안전한 삶을 보장하는 것이다. 순환과 지속가능성은

환경용량과 자연복원력 범위 내의 이용을 전제로 한다.

3) 다양한 주체의 참가와 협동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촌사회는 마을을 단위로 하는 공동체적인 결속력이 매우

높은 편이다. 라오스의 경우, 정부의 화전 금지정책으로 마을 공유지의 공동이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 활동이 주민들의 삶에 개입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을 가진 농촌사회에서 개발 프로젝트의 추진은 외부에서 미리 정해진

활동을 마을 주민에게 제시하는 형태는 적절치 않다. 마을 주민들이 개발 사업을

선택하고 그것을 추진하는 주체가 되어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사업은 미리 결정된 하나의 대안이 아니라 다양한 대안들을 제시함으로써

마을 주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혀주는 것이 요구된다. 외부로부터의 원조

자 또는 협력자는 지역의 행정기관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술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개발 주체의 참여와 협력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선행 조건이

필요하다. 우선 개발 주체의 기술적·경제적 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는 관련 주체의 교육과 중간지원조직의 육성, 자금조달 능력 향상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주민 참여는 주민 조직화에 큰 영향을 받는다. 라오스와 캄보디아에는

전통적인 마을공동체 조직이 지금도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편이다. 하지만

Page 8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7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농업과 농촌개발사업의 추진은 전통적인 마을공동체 조직에만 의존할 수 없는 경우

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사업 성격과 목적에 따라 인위적으로 주민들을 조직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지역 전통문화 가치의 중요성

국제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보통 개발도상국 농촌사회가 가지고 있는

전통 문화의 중요성이 경제적 측면에 밀려 무시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농촌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지역주민에게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기 위해서는 지역이 가지

고 있는 전통 문화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적이고 경제적인 가치

와 전통 문화 가치가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융합하고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것이다.

특히 마을공동체 전통이 강한 라오스와 캄보디아 같은 농촌사회에서는 마을공

동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전통규범이 개인의 생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작물재

배, 영농시설 설치와 유지· 관리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라오스에

서는 토지산림배분사업이 추진되어 국가가 개인의 토지 이용에 개입하는 여지를

높이고 있지만 산간지역 대부분의 농촌지역에서 아직도 마을공동체가 개별 농가의

토지 이용에 많은 영향을 행사하고 있다.

따라서 마을공동체라는 전통가치와 눈에 보이는 사업 경제적 가치들을 조화시

켜 나가는 것이 지속가능한 농촌사회를 유지하는 데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개발협력 사업은 해당국의 농촌사회에 급격한 충격을 주는

프로젝트의 시행보다는 수원국의 농촌 마을들이 느리지만 지금까지 착실히 추진해

온 사업 추진 방식을 답습하여 공동체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무리 없는 사업 추진

전략이 요구된다.

Page 8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75

다. 對라오스 농업·농촌발전 국제협력 분야

1) 화전민을 위한 축산 진흥

라오스에서 화전농업 금지정책이 추진되면서 증가하고 있는 화전 대체작물 재배

로 인한 토양 쇠퇴를 방지하고 산림자원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라오스 산림지역의

기후나 토양에 적합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농업경영이 필요하다. 이의 방안으로 축

산업의 장려를 들 수 있다. 실제 라오스 정부에서도 축산진흥을 중요한 국가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재래종 품종을 외래종과 교잡하여

우유와 고기를 겸용하는 품종 개발을 계획하고 있거나 보다 질이 좋은 육우 생산을

위한 품종개량 노력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일들은 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제에서는 현지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고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더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으로 시엥쿠왕도에서 NAFRI가 실시하고 있는 종류

의 기술 보급사업을 보다 발전시킨 형태의 개발협력 사업을 제안한다.

2) 현장적응력 높은 관개시설의 설치

메콩 강 유역 평야지역을 제외하고 관개시설이 정비되지 않은 라오스에서 대부분의

작물은 우기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산간부 화전지역에서는 극히 일부인 논농사의 경우에

도 관개시설이 정비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관개시설의 정비는 보다 안정적인 조건에서 벼농사뿐만 아니라 기타 여러 농작물 재배

가 가능하여 주민들의 식생활 개선과 소득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영농조건에서는 양수장이나 관정과 같이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고 유지

및 관리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시설보다는 결속력이 강한 라오스 지역 주민

의 공동유지 관리가 가능한 범위의 자연친화적인 현장적응력이 높은 관개시설의

설치가 요구된다.

현장적응력이 높은 관개시설로 수차 설치를 제안할 수 있다. 수차는 농경지보다

Page 8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7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낮은 지대에 위치하는 하천으로부터 높은 지대에 위치하는 농경지에 물을 공급하는

시설로 건기에 하상이 낮아지는 라오스의 산간지역에 적합한 수리시설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수차가 공급하는 수량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으므로 관개 면적이 제한

적인 단점이 있다.

수차는 제작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관리에도 마을단위의 활동이 필요한 만큼

개별 가구보다는 마을 공유지의 관개시설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차로

길러지는 물은 관개수로를 통해 농경지에 공급되기 때문에 관개수로의 정비를 요구

한다.

라. 對캄보디아 농업·농촌발전 국제협력

1) 중소 규모 수리시설의 개선과 관리역량의 제고

본 연구에서 분석한 캄보디아의 수자원 현황 및 문제점과 캄보디아 국가협력전략

에서의 중점 분야 및 그 세부 내용을 고려할 때, 이에 부합하는 개발협력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수자원 시설의 건설보다는 중소 규모 수리시설의 개선과 관리역량

의 제고가 협력전략과 더욱 부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수자원 관리역량은 관개시설

등 물관리 인프라의 확대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용수 공급에 의한 생산성 증대 등의 관리

인력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소형 집수시설(가령 treadle pump)의

설치를 통한 소규모 보충관개(small-scale supplementary irrigation), 토양 양분 개선,

식생을 통한 토양 피복(vegetation cover), 멀칭, 유기물 투입, 심근성 관목 등 식재,

등고선 재배, 분수로(diversion channel) 및 마른 도랑(dry trench)의 사용 등으로 물

사용량을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공여국, 기관 등 국제 개발파트너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술

작업반(technical working group, TWG)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캄보디아

는 농업 및 수자원에 관련된 분야별 파트너십 그룹을 구성하여 참여하고 있으므로

이에 적극 참여하여 공동 바스켓 펀드(basket fund)를 설립하는 등의 참여 가능성을

Page 8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77

타진할 필요가 있다.56)

2) 농업기술 개발을 통한 생산성 제고

캄보디아의 쌀 생산성은 이웃 베트남의 델타지역이나 라오스보다 뒤지는 것으로 나타

나 있다(Mainuddin, Kirby and Chen, 2009). 이는 관개시설 부족 등의 하드웨어에서의

문제점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캄보디아가 관개시설을 확충하였

음에도 불구하고 벼 재배 면적을 늘려감에 따라 관개율은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관개시설의 확충을 통한 집약화(intensification)보다는 생산 면적의

확대를 통한 조방화(extensification)가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쌀 생산과 환경의 상쇄적 관계(trade off relation), 관개율의 획기적 제고의 어려움

등을 고려할 때, 캄보디아의 농업 기술적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다수성 종자개량(high yield varietal improvement)과 같은 품종 관련 기술개발

을 포함한다.

메콩강 하류지역 국가들의 쌀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에는 다수확 품종

(high yielding varieties)의 개발과 비료와 농약 등 화학적 투입재의 사용, 농작물

재배방식의 개선 등이 크게 기여하였다(Mainuddin, Kirby and Chen, 2009). 이 가운

데 화학적 투입재의 사용이 환경에 미치는 문제를 고려한다면 가장 바람직한 생산

성 제고방식은 품종개량과 재배방식의 개선이므로 새로운 재배방식을 요구하는

품종개량이 이루어지면 재배방식의 개선이 수반될 것이다. 따라서 수자원 개발 및

관개시스템 개선에만 의존하지 말고 품종개량을 통한 생산성 제고와 함께 투입재의

다량 사용을 억제하는 다수확 품종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3) 농업생산의 다변화로 소득제고 및 수자원 활용의 효율화

캄보디아 정부가 쌀 생산과 수출을 중시하면서 생산성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56)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2, 「국가협력전략-캄보디아」

Page 9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7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한편으로는 농업생산의 다변화를 통한 농민소득 제고가 필요

하다. 즉 기존의 저지대 논벼지역에서의 관개개선을 통한 생산성 제고 이외에도

고지대 밭벼 지역은 과감히 쌀 이외의 곡물로 다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단위 면적당 수익이 고지대의 경우, 저지대의 벼보다 훨씬 많다.57)

더구나 캄보디아의 고지대, 특히 북부와 동북부는 인구가 희박하고 열대우림이

분포한 지역이라 환경에의 민감성이 높은 지역이다. 물론 이 지역 주민들의 화전농

업 등 불법적 영농행위에 따른 환경문제 역시 해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업화할

수 있는 대체작물을 모색하여 보급하는 것도 고려할 과제이다.

지금처럼 저지대 우기 벼 재배에 크게 의존하는 방식, 그리고 고지대 답작 농장개

발을 통한 가용토지의 확보 전략에서 벗어나 보다 균형된 곡물재배 방식, 그리고

고지대 여건에 부합하는 상업작물의 도입 등으로 다변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캄보디아가 수자원 확보 및 관리 부담과 압박을 줄이고 수자원을 효율적

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4) 프놈펜 근교 수경농업 기술 제고를 통한 소득증대 및 수자원 보호

캄보디아 프놈펜의 급속한 도시개발은 자연습지 매립 및 산업화로 인해 근교

도시빈민층의 주요 소득원인 수경재배 면적 감소 및 수질오염 악화로 빈곤층의

생계 위협 및 보건위생의 위해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농업을 국내·외적으로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생산비 절감과

함께 품질 및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농법 개발이 요구되는데 그 중 하나가 인공

수경재배를 통한 고품질 농산물 생산이다. 이는 풍흉에 관계없이 청정 고품질 채소

의 안정적인 연중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재배환경이 청결하여 악성노동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친환경 수경농업은 높은 초기시설 투자액 및 농민의 재배능력

57) Mainuddin, Mohammed, Mac Kirby and Yun Chen, 2009,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of Land

and Water Productivity in the Lower Mekong River Basin,” Basin Focal Project Working Paper

No. 5, CGIAR Challenge Program on Water & Food.

Page 9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4장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전략 및 협력방향 ∣ 79

제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캄보디아 친환경 수경농업 조기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서

는 무엇보다도 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농가의 기술력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캄보디아에서 도시화에 따른 수질오염은 주요 환경난제 중 하나이다. 현재

환경기초시설인 하·폐수처리장이 거의 없는 실정이며 프놈펜(Phnom Penh), 바탐

방(Battambang), 시엠립(Siem Reap), 씨하눅빌(Sihanoukville), 캄퐁참(Kampong

Cham), 칸달(Kandal) 등 일부 도시 지역에서만 운영 중이거나 건설 중이다. 이에

도시 및 하·폐수 처리 및 강 주변 작물 재배, 쓰레기 처리를 위한 기초환경시설

구축과 이와 관련된 정책·법의 체계적인 정비가 시급하다.

Page 9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8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제5장 ․ 결론 및 제언∣녹색경제는 지속가능 발전을 달성하고 개도국의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전 인류사회가 추구해야 할 새로운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특히 세계

적인 인구증가와 식량수요 문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농업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중점협력 대상국인 라오스·캄보디아의 빈곤퇴치 및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하고 환경훼손적인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이

국가들의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농업부문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역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국의 특성을 고려한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도출

한 결론 및 녹색경제 확산을 위한 국제협력 분야 관점에서의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라오스·캄보디아는 전통적인 농업국가 중심의 산업구조로서 농업부문이 전체

GDP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고용인구의 70% 이상이 농업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이러

한 점을 감안하면 농촌지역의 개발은 절대빈곤의 퇴치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경제발전에

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각국의 국가전략도 식량안보와 빈곤퇴치, 기후변화 등 농업과

농촌개발 및 환경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라오스의 경우, 지형특성상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는 산간지역의 화전농업 금지

정책을 통해 산림보호 및 빈곤감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업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화전금지 정책으로 인해 화전경작지 감소, 인구증가 등으로 오히려

휴지기간이 짧은 파괴적인 화전농업이 증가하고 옥수수 재배 등 화전 대체작물

재배에 의해 표토 유출이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이는 화전을 하면서 생계를 유지한

농민들에게는 환금작물의 재배는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농법을 필요로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농민들은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고 전통적인

화전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적 시장가격의 변동에 민감한 영향

을 받는 환금작물 재배 증가 및 상대적으로 경제성장이 높은 인접국가와 불리한

Page 9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제5장 ․ 결론∣ 81

계약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농가소득의 불안정 및 자연자원의 가치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화전 대체농업 발전 방안으로 농민들의 논농사 기술 제고

및 관개시설과 축산업 발전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캄보디아는 비옥한 토지와 수자원으로 총 경작지의 90%에서 벼를 재배하고 있으

나 수자원 개발과 관리 미흡, 품종 및 재배기술의 부족, 도정시설의 낙후 등으로

쌀의 생산성은 인근 국가들에 비하여 뒤떨어져 있다. 캄보디아 정부는 수자원 체계

개선과 재배 면적 증대, 기술개발 등을 통해 쌀 생산량을 늘리고 순수출 국가로

변신하고자 정책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캄보디아의 수자원 개발 현황과 정부의 전략, 정책을 검토한 결과, 우기 천수답

지역에서의 벼 생산성 제고가 핵심이며 이는 많은 투자와 환경 영향이 수반되는

중대 규모 수자원 개발을 통한 관개율 제고보다는 관리의 효율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신품종 개발, 도정률 제고도 이를

대신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최근 급속한 도시개발 및 산업화로 인해 습지 또는 호수 매립에 따른 수경농

업 농민들의 생계 및 지역의 수질오염 심화로 인해 국민보건위생에 위협을 가하고

있어 친환경 수경농업 기술개발 및 수자원 보호를 위한 기초환경시설 설치 및 체계

적인 운영을 위한 제도 정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녹색성장전략을 확산하고 라오스·캄보디아 농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을 위한 국제개발협력사업 중점분야 제안은 다음과 같다.

라오스의 경우, 전통적인 농업 방식과 낮은 소득 그리고 화폐경제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의 모색과 현지화와 수용가능 기술 사업의 추진이 중요하다. 이를 고려

하여 본 연구에서는 화전민을 위한 i) 축산 진흥과 ii) 현장적응력이 높은 관개시설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라오스 산악지역에서의 축산 진흥은 화전 대체작물 재배로 인한 토양의 쇠퇴를

방지하고 산림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력하다. 현지 농가에서 쉽게 활용

할 수 있고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보다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으로 시앙쿠앙

Page 9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8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도에서 NAFRI가 실시하고 있는 종류의 기술보급사업을 제안하였다.

메콩 강 유역 평야지역을 제외하고 관개시설이 정비되지 않은 라오스에서 관개시설

확충은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현재의 영농조건에서는

양수장이나 관정과 같이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고 유지 및 관리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시설보다는 지역 주민의 유지 관리가 가능한 범위의 자연친화적인 관개시설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 과제에서는 현장적응력이 높은 관개시설로서 수차 설치를 제안하였

다.

녹색성장을 고려한 캄보디아 수자원 이용 방안으로는 i) 중소 규모의 수리시설

위주 시설개선과 관리역량 제고가 필요하다.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제 개발파트

너와의 기술작업반 등을 적극 활용하고 우리나라는 공동 바스켓 펀드를 설립하여

참여하는 등의 가능성을 타진할 필요가 있다. ii) 다수성 종자개량과 같은 기술적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생산성을 개선하되 특히 화학비료나 농약 등 투입재의

다량 사용을 억제하는 품종개발이 시급하다. iii) 수자원 확보가 어려운 고지대까지

벼 재배지역을 확대하기보다는 이 지역에서는 쌀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줄이고

고소득 상업화 대체작물을 모색, 보급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시 근교 저소득층의 주요 소득인 수경농업의 대체 방안으로는 i) 고품질 친환경

수경농업 기술보급 및 재정지원이 요구된다. ii)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공공수역의 수질오염 증가를 방지하고 생태계 보전을 위해 기초환경시설 구축 및

관련 정책·법의 체계적인 정비가 시급하다.

이와 같이 라오스·캄보디아 농업·농촌개발을 위해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국제협

력 분야는 우리나라 농업 분야 경험과 기술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분야이며 또한

라오스·캄보디아 국가개발전략 부문과도 일치한다.58) 또한 두 국가는 한국의 ODA

중점협력 대상국으로서 민간, 정부, 타 공여 공동참여 등의 다자간 협력체계 강화를 통한

체계적인 개발협력사업 추진이 바람직할 것이다.

58) 농림수산 분야 발전 경험 및 기술 활용한 국제협력 모델 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Page 9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참고 문헌 ∣ 83

∣참고 문헌∣

<국문 자료>

김태윤 외. 2011. 「메콩지역 개발 전략: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김태윤 외. 2012. 「한국의 메콩 지역개발 중장기 협력방안: 농업, 인프라 및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2. 「국가협력전략-캄보디아」.

박나리. 2013. “최근 캄보디아의 고성장 배경과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Vol. 7 No. 28. 대외

경제정책연구원.

유재원 등. 2010. 「ASEAN 후발 3개국(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의 사회경제 개발역량

제고에 관한 기초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대섭, 허 장, 김홍상, 정승은, 홍정원. 2011. 「농업부문 국별협력전략(CPS) 수립」,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캄보디아 국가협력전략 2012-2015, 관계부처 합동

한국농어촌공사. 2009. 「캄보디아 농업투자환경 조사보고서」.

<일문 자료>

海外環境協力センター. 2011. 住民参加行動型の持続可能な農業・天然資源管理プロジェク

ト 終了評價報告書.

河野泰之・4藤田幸一(2008)「商品作物の導入と農山村の変容」、横山智・落合雪野編

『ラオス農山村地域研究』、めこん、pp.395-429 ページ。

富田普好け.2010. “ラオスのおける農林業制度-稲作を中心に”.「ラオスチンタカーン・マ

イ(新思考)政策の新展開」.アジア経済研究所 調査報告書.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 2011. 課題別指針 農業開発・農村開発原 洋之介. 2011. 中国との関係を模索するラオス RIETI Discussion Paper Series 11-J-007

<영문 자료>

AusAID. 2006. "Cambodia Agricultural Sector Diagnostic Report."

Page 9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8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Alloway. B. J. and Ayers D.C. 1993. Chemical principl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London: Chapman and Hall

Anh, V. T., Cam. P. D., Phuong. P. T., Hoek. W., Chan. V., and Daglasgard. A. 2004.

A study on skin problems among people engaged in wastewater-fed culture of water

spinach in Phnom Penh. Cambodia. PAPUSSA Annual report 2004.

Anh V. T. Tram. N. T., Klank. L. T., Cam. P. D. and Dalsgard. A. 2007. Faecal and

protozoan parasite contamination of water spinach(Ipomoea aquatica) cultivated in

urban wastewater in Phnom Penh. Cambodia. Trtopical Medicine and International

Health,12.

Balmisse. A. L. and Sylvain. M. 2005. Traitement par language des eaux esees de la

vill de Phnom Penh. Raport intermediare N1: Caracterisation des eaux uses de Phnom

Penh et du Boeung Cheung Ek. Phnom Penh. septetmbre. Edit. Project FSP dapui a

la Municipalite de Phnom Penh.

Beall, J. & S. Fox 2009, Cities and Development. London: Routledge

Blumenthal. U. J., Cifuentes. E., Bennette. S., Quiqley. M. and Ruize-Palacios. G. 2001.

The risk of enteric infections associated with wastewater reuse: the effect of season

and degree of storage of wastewater.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Blumenthal U.J., Peasey, A., Quigley, M. and Ruiz-Palacios, G., 2003. Risk of Enteric

infection through Consumption of Vegetable with Contamination River Water. London

School of Hygiene and Tropical Medicine, London.

Bowman, J. 1994. ‘Water is best’: Would Pindar still think so? In: Carledge,B., ed.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e Linacre lectures1992-3’.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hen, M.H. and Chen, C.Y. 1999. Bioaccumulation of sediment-bound heavy metals in

grey mullet, Liza macrolepis. Marine Pollution Bulletin

Cifuentes,E. 1998. The epidemiology of enteric infections in agricultural communities

exposed to wastewater irrigation: perspectives for risk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Page 9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참고 문헌 ∣ 85

Dalsgaard, A., Anh, V. T., Phuong, D. C., Wim, V. D. H., and Chan, V., 2005. Skin Disease

Among People Using Urban Wastewater in Phnom Penh. Urban Aquaculture Magazine

De Soto. 2000. The Mystery of Capital: Why Capitalism Triumphs in the West and Fails

Everywhere Else (New York: Basic Books

Doyle J.E.Jr., and Dolores G.E. 1997. Escherichia Coli in Diarrheal disease. J. Clin. Invest

Ear, S. 1995. Cambodia’s Economic Development in Historical Perspective: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Cambodia’s Economy, available at:

http://www.csua.berkeley.edu/~ sophal/econ.pdf (accessed 4 June 2012)

Epprecht, M., N. Minot, R. Dewina, P. Messerli, and A. Heinimann. 2008. The Geography

of Poverty and Inequality in the Lao PDR. Swiss National Center of Competence in

Research (NCCR) North-South, University of Bern, and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IFPRI),Bern: Geographica Bernensia.

FAO. 1992. Wastewater Treatment and Use in Agriculture,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s-47.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2010, Country Profile: Food Security Indicators.

Guo, X., van lersel M. W., Chen, J., Brackette, R. E. and Beuchat, L. R. 2002. Evidence

of association of Salmonellae with tomato plants grown hydro- poniccally in inoculated

nutrient solution.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JICA). 2010.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Study for Poverty Profiles of the Asian Region. OPMAC Corporation.

Habbari, K., Tifnouti, A., Bitton, G. and Mandil, A. 1999. Raw wastewater agricultural

reuse and risk of protozoan infection in Beni-Mellal, Morocco.Journal of Egypt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Ha, S.K. 2001. “Developing a community-based approach to urban redevelopment”,

GeoJournal, Vol. 53

Harvey, D. 2004.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I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Oxford: Blackwell).

Helmers, K. 1997. “Rice in the Cambodian Economy: Past and Present”, in H.J. Nesbitt

Page 9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8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ed.), Rice Production in Cambodia (Manila: IRRI)

Info.vn news. 2013.3.2. "Cambodia adopts 2013-2030 green growth plan"

(http://news.com.vn/science-and-education/more-education/94536.html?device=desktop)

Khan, A. H. 1997. The sanitation gap: Development’s deadly menace, In: ‘The progress

of nations’. New York, UNICEF.

Khemro, B.H.S. & G. Payne 2004. ”Improving tenure security for the urban poor in Phnom

Penh, Cambodia: an analytical case study”, Habitat International, Vol. 28, No. 2

Kuong, K., Daream, S., Borin, C. 2005. Peri-urban aquatic food production systems in

Phnom Penh.Urban Aquaculture Magazine

Langston, W.J. 1998. Toxic effects of metals and the incidence of metal of marine

ecosystems: In: Furness R. W., Rainbow, P. S., editor.’Heavy metals in the marine

environment’. Bocaraton: CRC Press

Lui David H. F., Bela G. Liptak 1999. Environment Engineer’s handbook, Vol.3

Lao PD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10. "Agricultural Master Plan 2011 to

2015", Final Draft

Lao Statistics Bureau, 2013. Ministry of Planning&Investment, Lao

Expenditure&Consumption Surveys/ Government of the Lao PDR and United Nation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Progress Report for the Lao PDR

Mainuddin, Mohammed, Mac Kirby and Yun Chen, 2009,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of Land and Water Productivity in the Lower Mekong River Basin,” Basin Focal Project

Working Paper No. 5, CGIAR Challenge Program on Water & Food.

Maywald, A., Zeschmar-lahl, B., and lahl, U. 1998. Water fit to drink? In: Goldsmith,

E. and Hildyard, N., eds.’The earth report: Monitoring the battle for our environment’.

London, Mitchell Beazley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Laos. 2006. Agricultural

Commercialization-A Strategic Direction for Farm Families to Overcome Poverty in

Lao PDR.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2011. "Policy Paper on the

Page 9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참고 문헌 ∣ 87

Promotion of Paddy Production and Rice Export."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Vientiane, 2012. National "Rio+20 Report

for Lao PDR"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MPI), Laos. 2006. National Socio-economic

Development Plan (2006-2010). Committee for Planning and Investment, Vientiane,

October, 2006.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MPI), 2011, The Seventh Five-year National

Soci-Economic Development Plan 2011-2015. Vientiane, Laos: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 Ministry of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 (MOWRAM), 2010, Strategy for Agriculture and Water 2010-2013.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2011, "Policy Paper on the

Promotion of Paddy Production and Rice Export."

Mitlin, D., D. Satterthwaite & S. Barlett 2011. Capital, Capacities and Collaboration: The

Multiple Roles of Community Savings in Addressing Urban Povert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conomic Development Human Settlements Working Paper (London: IIED)

Moore, M. & J. Putzel 1999. Thinking Strategically about Politics and Poverty,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Working Paper 101 (Brighton: IDS).

Muong, S. 2004. Avoiding Adverse Health Impacts for Contaminated Vegetables: Options

for Three wetland in Phnom Penh, Cambodia. Economy and Environment Program for

Southeast Asia (EEPSEA).

Mushtaq, Shahbaz, Tek Narayan Maraseni, Jerry Maroulis and Mohsin Hafeez, 2009,

“Energy and Water Tradeoffs in Enhancing Food Security: A Selective International

Assessment,” Energy Policy

NAFRI, NAFES, and NUOL. 2005. Improving Livelihoods in the Uplands of the Lao PDR.

NAFRI.

National Report for Rio+20. 2012. "The Cambodian Government's Achievements and

Future Direc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Page 10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8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Sustainable Development

Outridge P.M., Noller B.N 1991. Accumulation toxic trace elements by fresh water vascular

plants. Rev. Environ. Contam. Toxicology 121.

Park, S., J. Heo, D. S. Lee. 2012.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in Mekong

Sub-region Countries: The Cases of Laos and Cambodi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honphakdee, S., S. Visal & G. Sauter 2009. “The Urban Poor Development Fund in

Cambodia: supporting local and citywid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Vol. 21, No. 2

Playan, Enrique and Luciano Mateos, 2006, "Modernization and Optimization of Irrigation

Systems to Increase Water Productivity,"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Royal Government of Cambodia 2002. National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2003-2005 (Phnom Penh: RGC).

Royal Government of Cambodia, 2010, “Reducing Global Risk and vulnerability Through

Improving Food Security and Household Nutrition in Cambodia,” Cambodia Proposal

for GAFSP Funding.

Royal Government of Cambodia. 2011. Mid-Term Review 2011 on NSDP Update

2009-2013.

Sann, Vathana. 2010. "Toward the Collaboration in Upland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in Cambodia,"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Global

Food Securit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Seoul, Korea.

Sar, S., Chervier, C., Lim, P., Warreder, G. W., Gilbert, R.G. 2010. Seasonal Direct-Use

Value of Cheung Ek Peri-Urban Lack, Phnom Penh, Cambodi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Rural Development

Shin, H.B. 2008. “Living on the edge: financing post-displacement housing in urbanredevelopment projects in Seoul”,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Vol. 20, No. 2

Shuval, H. I., Wax, Y., Yekutiel, P. and Fattal, B. 1989. Transmission of enteric disease

Page 10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참고 문헌 ∣ 89

associated with wastewater irrigation: a prospective epidemiological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9

Sobel, J.D., Kaye, D. 1995. Urinary tract infection in: Mandell G.L., Bennette J.E., Dolin

R.(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 Churchill Livingstone, New York

Solmon, E. B., Yaron, S. and Matthews, K. R., 2002. Transmiss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contaminated manure and irrigation water to lettuce plant tissue and

its subsequent internalization.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8

Somany, Prum, Ith Chumnan, Sun Try, Lor Bunna and Khorn Saret. 2013.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xtension System for Cambodia," A Training Program

Present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un, Sot, Mong Seang Ngim, Horn Sothana, and Taing Sin, 2013, "Irrigated Agriculture

in Cambodia."

Tong, Kimsun, 2010, "Promoting Expert of Cambodia's White Gold," Cambodia

Development Review, Vol.14, Issue 2, April-June.

United Nations. 1997.Department for Policy Coordin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ritical trends –Global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 ment. New York, UN. p. 43-56.UN-HABITAT. 2008. State of the World’s Cities 2010/2011: Bridging the Urban Divide

(London: Earthscan)

United States Agenc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2010. “Cambodia Strategic

Review."

Upland Research Development Programme. 2011. "Beyond production: Facilitating market

access through farmers groups." NAFRI Policy Brief No. 01/2011.

Vallee, B. L. and Falchuk, K. H., 1993. Biochemical basis of zinc physiology. Physiological

Reviews 73

Warner,D., 1998. Drinking water supply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for health.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Water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aris, Mar.19-2.

WHO. 2006.Guidelines for the Safe Use of Wastewater, Excreta and Grey water:

Wastewater Use in Agriculture, Vol. 2.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age 10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9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Worker, Christopher, Paulo Santos, Ros Bansok and Kate Griffiths, 2011, "Irrigation Water

Productivity in Cambodian Rice Systems," CDRI Working Paper Series No.51.

World Bank. 2006. Lao PDR: Rural and Agriculture Sector Issues Paper

World Bank. 2012.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WDI) [online], available at:

http://databank.worldbank.org/ddp/home.do (accessed 4 June 2012).

World Bank. 2013a, "Lao PDR at a glance.", 17 March 2013, Washington DC: World Bank

(http://devdata.worldbank.org/AAG/lao_aag.pdf)

Yang, Saing Koma, 연도미상, “Cambodia."

<온라인 자료>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http://www.fao.org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통계 데이터베이스(FAO stat): http://faostat.fao.org

대외경제협력기금: www.edcfkorea.go.kr

미국 농무부 산하 해외농업국(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http://www.fas.usda.gov/psdonline/psdQuery.aspx

Lao Statistics Bureau:

http://www.nsc.gov.la/Products/Populationcensus2005/PopulationCensus2005_chapter1.htm

http://www.nsc.gov.la/images/population_2011-2012.pdf

http://www.nsc.gov.la/Atlas/links/Section%20A/a2.html

Water Environment Partnership in Asia(WEPA):

http://www.wepa-db.net/policies/structure/chart/cambodia/mowram.htm

Page 10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부록 ∣ 91

<부록>

<부록 표 1> 분야별 우선순위 프로젝트(NAPA)

분야 우선순위 프로젝트

농업

(Agriculture)

우선순위 1:

1) 국가재난관리위원회(National Disaster Management Committee, NDMC)의

역량 및 지식 강화

2) 기후변화 재난의 영향을 받는 농부들의 생계수단 및 부직(secondary

occupations) 제고

우선순위 2:

3) 위험지역 또는 취약지역의 토지이용계획 향상

4) 취약지역에서의 단기 벼농사(short-duration paddy) 및 현금작물(cash crops)

재배 제고

5) 취약지역에서의 지방 농업공무원들의 기술역량 강화

6) 작물 다양화 및 동물종 개선으로 취약지역 적응 향상

7) 작물 및 가축질병 실험 구축 및 개선과 관련 기술진 역량 구축

8) 인간의 식품과 동물성 식품의 공정 및 저장에 관해 농부들에게 훈련시키기

9) 취약지역의 농민그룹 구축 및 강화

10) 유기비료 및 기존 농업폐기물을 활용하여 토양 개량 향상

11) 홍수 취약지역의 농지를 위해 하안침식(bank erosion) 예방시스템 개발

12) 해충관리 및 가축치료를 위해 종합적 해충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및 약초 활용

13) 유기비료 연구에서 기술진 역량 개발

수자원

(Water and

water

resources)

우선순위 1:

1) 수자원 및 수자원 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

2) 홍수 취약지역 지도 제작

3) 홍수 취약지역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및 기상수문 네트워크 확대, 기상

모니터링 시스템

4) 수자원 관리 관련 제도 및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

5) 가뭄 취약지역의 지하수원 조사

6) 가뭄 취약지역의 다용도 저수지 설계, 구축

우선순위 2:

7) 주요 유역(watersheds) 보존 및 개발

8) 기존 관개시스템 보호를 위해 홍수제방 구축

9) Improve and protect navigation channels and navigation

signs

10) 홍수 피해를 입은 농촌지역의 시설 및 인프라 개량 및 보수

Page 10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9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부록 표 1> 분야별 우선순위 프로젝트(NAPA) (계속)

분야 우선순위 프로젝트

임업

(Forestry)

우선순위 1:

1) 화전 박멸 프로그램 및 고용창출 프로그램 지속

2) 조림, 산림관리 기술을 위해 부락림 자원봉사자의 역량 강화

우선순위 2:

3) 채종재배(seed production)에 적절한 산림 지역 개발 및 조사 시행

4) 홍수 또는 가뭄 취약지역에 묘목 제공

5) 야생동물 보존 및 산불 예방에 대한 대중인식 제고

6) 주(provincial), 면(district), 마을(village) 단위의 산불 관리팀의 기술적 역량

구축 및 강화

7) 산림법 및 야생동물 규정에 대한 정보 확산 캠페인 개발 및 규정 이행 강화

8) 비탈지역의 침식 예방 및 유역 보존을 위한 농림업 시스템 개발

9) 건기에 야생동물·수중동물의 물 공급을 위해 고지대 소규모 저수지 개발

10) 자연재해로 인해 야생동물에 발생되는 질병 및 관련 예방 조치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

11) 벼 해충 및 질병 관리를 위한 통합 산림관리에 대한 캠페인 확대

12) 산림보전지역의 산불방지 완충지대 구축

13) 연구 역량 강화

공공보건

(Public

health)

우선순위 1:

1) 홍수 및 가뭄 취약지역의 지속가능한 음용수 및 위생 시스템 개선을 위해 공동체

참여 확대

2) 수자원 및 위생 시스템 설계 및 구축하는 엔지니어 기술과 지식 향상

우선순위 2:

3) 홍수 취약지역의 위생에 대한 대중인식 제고

4) 음용수의 질 개선

5) 홍수 및 가뭄 취약 지역에 전염병 정보를 시기적절히 제공

6) 수인성 전염병 예방 개선

7) 전염병에 대한 시기적절하고 정확한 보고 시스템 개발

8) 전염병 감시시스템 능력 향상

자료: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Vientiane, National “Rio+20 Report for Lao

PDR", June 2012, pp.17-20

Page 10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부록 ∣ 93

<부록 표 2> 라오스의 2011∼2015 농업 마스터 플랜 실행 프로그램의 목적, 주요 방안

및 목표

실행 프로그램 목적 주요 방안 2015년 목표

프로그램 1: 식량생산

(1) 농업의 다양성

(2) 지역품종, 어업 향상

(3) 관개 생산

(4) 농촌 인프라

(5) 농업생태지역 설정

(6) 보전농업

(7) 식량생산에 중점을 둔 인적자원 개발

(8) 기후보험 프로그램(climate insurance

program)

- 연간 쌀 생산량 420만 톤

- 육류, 달걀, 생선 및 기타

신선제품 연간 5% 증대(1인당

연간 40∼50kg)

프로그램 2: 상품 생산 및

농민단체

(1) 스마트 농업 및 적절한 규제 프레임워크

(2) 생산 기술, 시장 인프라, 거래 절차, 물류

격차 확인

(3) 빈곤감축, 가치사슬의 녹색전환 달성,

가치사슬 거버넌스

(4) 기업식 농업(agribusiness), 기후

적응성, 녹색라벨링

(5) 농민단체

(6) 위험관리 프로그램

(7) 기술, 관리 및 마케팅 스킬

(8) 민간투자자와의 협력

(9) 민간서비스 제공자와의 협력

(10) 산림 이용자 그룹(forest user groups)

(11) 지역기구(ASEAN, GMS, MRC 등)

(12) 농림부와 산업통상부(Ministry of

Industry and Commerce, MOIC)의 협력

(13) 농지 인가 인벤토리

(14) 농촌 인프라, 관개 인프라에 투자

(15) 상업적 농업

- 농림업 부문 생산물 수출이

라오스 총 수출 비중의 1/3

목표

- 농림업 수출액 최소 30억

달러

- 소작농민단체 구축

- 민간부문 투자 활성화

프로그램 3: 지속가능한

생산방식, 토지분배, 농촌

개발

(1) 보전농업 기술 향상

(2) 토지이용 기획, 농업생태계 분석

(3) 마을개발계획(Village Development

Planning)

(4) 농지 외 소득, 고용기회

(5) 기후대응 토지이용 계획

(6) 농업 총조사(Agricultural Census)

(7) 바이오가스 설비

- 상업적 작물 시스템 확대

- 토지할당 완료

- 농민의 실질소득 증가

- 고지대 농민들은

지속가능한 순환생산 시스템

활용

- 토지이용 기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특별 규정

- 기후변화 재난에 대한

농민들의 탄력적 대응

Page 10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9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부록 표 2> 라오스의 2011∼2015 농업 마스터 플랜 실행 프로그램의 목적, 주요 방안

및 목표 (계속)

실행 프로그램 목적 주요 방안 2015년 목표

프로그램 4:

산림개발

(1) 농업생태 시스템 분석

(2) 정책 프레임워크, 공동체

임업(community forestry)

(3) 역량 개발

(4) 통합마을개발(Integrated village

development)

(5) REDD, 생태시스템 복원 허가, CO2

감축량 거래

(6) 홍보캠페인,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구역

(7) 공동체 기반 산림 관리, 공동관리,

산림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8) 적절한 법, 규정 집행

- 기존 산림지역을 총 국토 면적의

65%까지 복원

- 산림 질 향상

- 생태계 시스템 가치에 대한 규정 개발

프로그램 5:

관개농업

(1) 시장환경 촉진

(2) 관개농업기술 적용

(3) 관개관리 서비스 및 투자

(4) 사회적, 환경적 목적을 위한

관개농업개발, 전략적 환경분석,

기후대응

(5) 분산된 소규모 저수지 관리를 위한

지역 특수 프로그램(Region-specific

programs)

(6) 홍수 및 가뭄 예방

(7) 인적자원개발과 직업 및 기술교육

(8) 공동체를 위한 기상 기반 농업모델

- 건기에 관개농업지역 350,000 ha

- 저지대에서 상품생산을 위해

관개농업지역 225,000 ha, 이 중

180,000 ha는 41개 districts의

담수관개 시스템(flood irrigation

systems) 활용

- 고지대에서, 생계 및 사회환경적 조건

향상을 위해 관개농업으로 125,000 ha

재배, 이 중 60,000 ha는 담수관개

시스템 활용

프로그램 6: 기타

농업 및 산림 인프라

농업 인프라: (Irrigation covered by

Program 5)

(1) 기계화

(2) 수확 후 처리

(3) 농촌 시장접근 도로

(4) 시장 인프라

(5) 마케팅 지원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6) 기후대응 인프라(전력, 수자원 공급)

산림 인프라:

(7) 보호지역 구분

(8) 조림을 위한 묘목심기

(9) 산림 및 유역 보호

- 매년 트랙터 2개 사용증가

- 각 마을당 1개의 농작물 건조대

- 각 지역당 1개의 냉동저장창고

- 지역당 50 km 접근성 확보

- 각 구역당 1 일용품 시장

- 국가 마케팅 정보시스템 운영

- 전국적으로 생태공원 확대

- 산림구획 및 지상실측정보

- 조림부담금

- 유역보호지역의 산림출입금지

Page 10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부록 ∣ 95

<부록 표 2> 라오스의 2011∼2015 농업 마스터 플랜 실행 프로그램의 목적, 주요 방안

및 목표 (계속)

실행 프로그램 목적 주요 방안 2015년 목표

프로그램 7: 농업 및

산림 연구 확대

(1) 농림업 부문 연구 확대, 연구개발 적용

(2) 관개농업생산 및 농업 다양화 관련 연구

강화

(3) 가축품종 개량

(4)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방안

(5) 농업 분야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지역적

다운스케일링

(6) 파트너십 활성화

(7) embedde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8) 기후관련 연구, 기후변화 대응 품종 개발

(9) 기후변화 인식 프로그램

- 농업 연구 및 농업 개발 투자

25% 확대

- 소작농의 50%는 품종 다양화

개선 접근

- 소작농의 50%는

우수농산물관리(GAP) 사용

- 소작농의 25%는 보전 농업

실행

- 경제적으로 빈곤한 소작농의

50%는 유기농 제품 및

틈새상품에 대한 가치사슬 접근

프로그램 8:

인적자원 개발

(1) 역량 구축을 위한 다른 부문과의 협력

(2) 농림부 인사 역량 향상

(3) 농림부 절차 개혁

(4) 모든 수준에 대한 교육과정 제도화

(5) 인적자원개발 목표 달성 General HRD

targets

(6) 업무능력분석 및 모니터링 시스템

(7) 8 programs of the Master Plan a Lead

Agency

(8) 성 주류화 정보시스템(Gend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농림부 공무원의 전문적 훈련

자료: Lao PD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gricultural Master Plan 2011 to 2015",

Final Draft, Vientiane 15th September, 2010, Annex p.3-11 요약

Page 10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96∣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부록 표 3> 최근 5년 간 라오스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 분야 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수산물가공업

봉사단 파견 .. .. .. .. 52

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수산물가공업

황민상 .. .. .. 22 ..

3 농촌진흥청 농업 개발한-아시아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사업.. .. .. .. 130

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라오스 관개 및 농업개발 .. .. .. .. 46

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라오스 볍씨 증산 사업 .. .. .. .. ..

6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연구ASEAN 농업유전자원

관리.. .. .. 10 ..

7 (구)농림부농업 관련교육/훈련

FAO/APPPC 식물검역국제기준 제정 워크샵

5 .. .. .. ..

8 (구)농림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식물검역전문가초청연수

.. .. .. .. ..

9 (구)농림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식물검역전문가초청 연수

9 .. .. .. ..

10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개도국 국경검역시스템구축 지원

.. .. .. .. 50

11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개도국 안전성조사관계관 초청연수

.. .. .. .. 4

12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라오스 농촌개발시범사업 컨설팅

.. .. 135 .. ..

13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식물검역 국제기준(ISPM) 제정

아시아지역 워크샵.. .. .. .. 4

14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식물검역 국제기준(ISPM) 제정 아태지역

워크샵.. .. .. 3 ..

15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식물검역 국제기준 제정아태지역 워크샵

.. .. 4 .. ..

16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식물검역 국제기준 제정워크샵

.. 5 .. .. ..

17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식물검역전문가초청연수

.. .. .. 8 10

18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식물검역전문가초청 연수

.. 11 6 .. ..

19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시아 종자산업 발전을위한 워크샵

.. .. .. .. 0

Page 10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부록 ∣ 97

<부록 표 3> 최근 5년 간 라오스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계속)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시아 축산물안전관리 세미나

.. .. 4 5 5

2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자원봉사단 파견 64 .. .. .. ..

2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권익현 .. .. .. 31 ..

2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김종희 .. .. 13 22 ..

2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라오스 병아리 은행과양계 교육을 통한소득증대사업

.. .. .. .. 79

2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문가희 .. .. .. 16 ..

26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봉사단 파견 .. .. .. .. 110

2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원예작물 수확 후 관리기술

.. .. .. 11 13

2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원예작물재배 사후관리과정

.. .. .. 10 ..

29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최율빈 .. .. .. 16 ..

3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기자재

자원봉사단 파견 21 .. .. .. ..

3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기자재

봉사단 .. .. .. .. ..

3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기자재

봉사단 파견 .. .. .. .. 25

3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서비스

자원봉사단 파견 .. .. .. .. ..

3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서비스

농산물 도매시장현대화와 신물류시스템 경영

.. .. .. .. 15

3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서비스

봉사단 .. .. .. .. ..

36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자원봉사단 파견 26 11 .. .. ..

3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폰홍지역 관개수로건설

.. 346 .. .. ..

Page 11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9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부록 표 3> 최근 5년 간 라오스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계속)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 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3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농업용 댐 및 수로건설(Meun District, Lao

P.D.R.).. 851 .. .. ..

39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교육프로그램 .. .. .. .. ..

4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라오스 비엔티엔주힌헙군 관개용 댐 및수로 건립사업

(2010~2012/400만달러)

.. .. .. 1,019 1,691

4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봉사단 .. .. .. .. ..

4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연수생 초청 .. .. .. .. ..

43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식물검역국제기준(ISPMs) 마련아태지역 워크샵

.. .. .. .. ..

44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아세안 식량안보정보시스템 훈련

9 .. .. .. ..

45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아세안 식량안보 정보시스템 워크샵 및 훈련

과정.. .. .. .. ..

46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중국, 인도 등 아시아농업정책 워크샵

.. .. .. .. ..

4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정책및

행정관리교육프로그램 .. .. .. .. ..

4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정책및

행정관리박성희 .. .. 13 .. ..

49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협동조합

박성희 .. .. .. 22 ..

50 (구)농림수산식품부 농촌개발라오스 농촌개발시범사업 컨설팅

.. .. .. 208 217

51 (구)행정안전부 농촌개발저개발국 새마을운동

교육.. .. 25 .. ..

52 (구)행정안전부 농촌개발저개발국 새마을운동

협력.. .. 35 .. ..

Page 11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부록 ∣ 99

<부록 표 3> 최근 5년 간 라오스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계속)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53 (구)행정안전부 농촌개발 저개발국가 새마을교육 .. .. .. 52 65

54 (구)행정안전부 농촌개발저개발국가 새마을시범마을 사업

.. .. .. 35 70

55 경상북도 농촌개발동남아 지도자초청새마을교육

.. .. .. 9 ..

56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ASEAN

농촌지도시스템 향상.. .. .. 11 18

5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비엔티엔 농촌개발

프로젝트1,464 734 .. .. ..

5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교육프로그램 84 .. .. .. ..

59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교육프로그램 .. .. .. .. ..

6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농촌지역 지도자 양성 .. .. .. 39 63

6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라오스 문군 관개용 댐및 수로건설 사업

.. .. 797 1,500 ..

6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라오스 비엔티엔주 5개마을 소득증대사업(2010~2012/150만

달러)

.. .. .. 332 598

6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라오스 폰홍군

관개수로 건설사업.. .. 913 .. ..

6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봉사단 파견 .. .. .. .. 70

6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연수생 초청 .. .. .. .. ..

자료: EDCF 통계시스템

Page 11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0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부록 표 4> 최근 5년 간 캄보디아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수산물가공업

교육프로그램 .. .. .. .. ..

2 (구)농림부 농업 개발캄보디아 농업 및농촌개발 지원

43 .. .. .. ..

3 (구)농림수산식품부 농업 개발캄보디아 농업 및농촌개발 지원

.. 9 .. .. ..

4 (구)농림수산식품부 농업 개발캄보디아 쌀산업일관체계 구축

.. .. .. 288 1,259

5 (구)농림수산식품부 농업 개발캄보디아 캄폿주농촌종합개발사업

.. .. .. .. 452

6 농촌진흥청 농업 개발벼 물고기 재배 기술

시범사업.. .. 20 .. ..

7 농촌진흥청 농업 개발한-아시아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사업.. .. .. .. 130

8 농촌진흥청 농업 개발해외 농촌진흥청연수생 연합체시범사업

.. .. .. 23 45

9 농촌진흥청 농업 개발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 .. .. .. 280

1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자원봉사단 파견 38 70 .. .. ..

1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교육프로그램 99 .. .. .. ..

1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김광욱 .. .. 25 .. ..

1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송희원 .. .. 25 .. ..

1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신혜영 .. .. 25 .. ..

1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오현식 .. .. 21 .. ..

16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개발

캄보디아 관개수로복구 및 농촌개발을위한 한일 공동사업(2009/20만 달러)

.. .. 155 .. ..

1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연구ASEAN 농업유전자원

관리.. .. .. 13 10

1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연구 봉사단 파견 .. .. .. .. 85

19 (구)농림부농업 관련교육/훈련

FAO/APPPC 식물검역국제기준 제정 워크샵

5 .. .. .. ..

Page 11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부록 ∣ 101

부록 표 4> 최근 5년 간 캄보디아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계속)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 (구)농림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AI 진단기술연수

6 .. .. .. ..

21 (구)농림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식물검역전문가초청연수

.. .. .. .. ..

22 (구)농림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식물검역전문가초청 연수

9 .. .. .. ..

23 (구)농림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캄보디아/미얀마 수확후 관리기술

43 .. .. .. ..

24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개도국 안전성조사관계관 초청연수

.. .. .. .. 4

25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식물검역 국제기준(ISPM) 제정

아시아지역 워크샵.. .. .. .. 4

26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식물검역 국제기준(ISPM) 제정 아태지역

워크샵.. .. .. 3 ..

27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식물검역 국제기준제정 아태지역 워크샵

.. .. 4 .. ..

28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식물검역 국제기준제정 워크샵

.. 5 .. .. ..

29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식물검역전문가초청연수

.. .. .. 8 10

30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축산물안전관리 세미나

.. 6 .. .. ..

31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세안 식물검역전문가초청 연수

.. 11 3 .. ..

32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시아 종자산업발전을 위한 워크샵

.. .. .. 5 6

33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아시아 축산물안전관리 세미나

.. .. 4 5 2

34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 관련교육/훈련

캄보디아/미얀마 수확후 관리기술

.. 9 .. .. ..

35 경기도농업 관련교육/훈련

캄보디아 농업전문인양성 초청연수사업

.. .. .. 17 ..

36 경기도농업 관련교육/훈련

캄보디아 캄폿주농업소득개발 시범사업

.. .. .. .. 32

Page 114: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02∣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부록 표 4> 최근 5년 간 캄보디아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계속)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3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자원봉사단 파견 .. .. .. .. ..

3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봉사단 .. .. .. .. ..

39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원예작물 수확 후 관리기술

.. .. .. 13 10

4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교육/훈련

원예작물재배 사후관리과정

.. .. .. 9 ..

4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기자재

자원봉사단 파견 .. .. .. .. ..

4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기자재

봉사단 .. .. .. .. ..

4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서비스

자원봉사단 파견 .. .. .. .. ..

4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서비스

농산물도매시장현대화와신물류 시스템 경영

.. .. .. .. 12

4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 관련서비스

봉사단 .. .. .. .. ..

46 (구)농림수산식품부농업금융서비스

캄보디아 농촌마을소액금융지원 시범사업

.. .. 99 46 62

4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자원봉사단 파견 17 .. .. .. ..

4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수자원개발 마스터플랜수립

.. .. .. .. ..

49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수자원개발 마스터플랜수립

517 .. .. .. ..

5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교육프로그램 .. .. .. .. ..

5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봉사단 .. .. .. .. ..

5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연수생초청 .. .. .. .. ..

Page 115: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부록 ∣ 103

<부록 표 4> 최근 5년 간 캄보디아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계속)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5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캄보디아 바떼이지역관개수로 건설사업(2009~2010/250만

달러)

.. .. 1,249 649 ..

5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캄보디아크랑폰리강유역수자원개발타당성조사

.. .. .. .. ..

5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용수자원

캄보디아 타목저수지복구지원 사업

.. .. .. .. ..

56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식물검역국제기준(ISPMs) 마련아태지역 워크샵

.. .. .. .. ..

57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아세안 농업기계박람회및 워크샵 초청

.. .. .. .. ..

58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아세안 식량안보 정보시스템 훈련

9 .. .. .. ..

59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아세안 식량안보 정보시스템 워크샵 및훈련 과정

.. .. .. .. ..

60 (구)농림부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중국, 인도 등 아시아농업정책 워크샵

.. .. .. .. ..

6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정책및

행정관리

농촌개발 정책 및 전략개발

728 .. .. .. ..

6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정책및

행정관리

농촌개발 정책 및 전략입안

.. .. .. .. ..

6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정책및

행정관리교육프로그램 .. .. .. .. ..

6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정책및

행정관리연수생초청 .. .. .. .. ..

6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정책및

행정관리

캄보디아농촌개발(2010~2012)

.. .. .. .. 79

Page 116: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04∣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부록 표 4> 최근 5년 간 캄보디아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계속)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66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정책및

행정관리

품종보호제도 및심사기술

.. .. .. .. 14

6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협동조합

김광욱 .. .. .. 54 ..

6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협동조합

송희원 .. .. .. 24 ..

69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협동조합

신혜영 .. .. .. 41 ..

7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협동조합

어광수 .. .. .. 14 ..

7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협동조합

임승윤 .. .. .. 14 ..

7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업협동조합

장미애 .. .. .. 14 ..

7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지개발 자원봉사단 파견 14 .. .. .. ..

7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지개발 교육프로그램 106 .. .. .. ..

75 (구)행정안전부 농촌개발저개발국 새마을운동

교육.. .. 16 .. ..

76 (구)행정안전부 농촌개발저개발국 새마을운동

협력.. .. 33 .. ..

77 (구)행정안전부 농촌개발 저개발국가 새마을교육 .. .. .. 37 48

78 (구)행정안전부 농촌개발저개발국 새마을시범마을 사업

.. .. .. 36 34

79 경상북도 농촌개발동남아 지도자초청새마을교육

.. .. .. 9 ..

8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ASEAN

농촌지도시스템 향상.. .. .. 14 10

8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자원봉사단 파견 .. .. .. .. ..

8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국가측량기준점 설치 317 .. .. .. ..

Page 117: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부록 ∣ 105

<부록 표 4> 최근 5년 간 캄보디아 농업·농촌 분야 국제개발사업 추진 실적 세부 내역 (계속)

(단위: 천 달러)

제출기관분야소분류

사업명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8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농촌개발 정책 및 전략입안 프로젝트

.. 865 .. .. ..

84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캄퐁참 농촌개발프로젝트

.. 266 .. .. ..

85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지역 빈곤감축프로그램

834 .. .. .. ..

86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캄퐁참 농촌개발 185 .. .. .. ..

87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농촌개발 프로젝트 .. .. .. .. ..

88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교육프로그램 .. 67 .. .. ..

89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농촌지역 지도자 양성 .. .. .. 38 31

90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봉사단 .. .. .. .. ..

91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봉사단 파견 .. .. .. .. 241

92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

캄보디아 국토관리기반조성을 위한국가측량 기준점설치사업

.. .. 304 .. ..

93한국국제협력단(KOICA)

농촌개발캄보디아 다년간국별연수-농촌개발

역량강화.. .. .. 77 ..

자료: EDCF 통계시스템

Page 118: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Page 119: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Abstract ∣ 107

Abstract

Global Green Economy Dissemination through Cooperation Network – Agricultural Sectors in Laos and Cambodia

As an important mean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ddress the poverty issue in developing countries, the green economy is now presented as a new direction for all mankind. In particular, emphasis is placed on the fact that sustainable agriculture must take priority in order to respond to the growth in global population and the subsequent rise in the demand for food.

With a focus on eradicating poverty, enhancing social equity and minimizing factors harmful to the environment in Laos and Cambodia, which are countries prioritized by Korea for cooperative efforts, this study aims to discuss strategies for expanding the green economy in agriculture as the main driver of the economy in these countries, and suggest policy proposal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Laos and Cambodia conform to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raditional agriculture-centered countries, with the agricultural sector accounting for more than 30 percent of the entire GDP and over 70 percent of the national workforce engaged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This indicates that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s is necessary not only to exterminate absolute poverty, but also to enable continued economic development. The national strategies of these countries also center upon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food security, poverty eradication, and climate change.

In Laos, slash-and-burn agriculture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cause of

Page 120: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08∣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deforestation and poverty, due to its prevalence in mountainous areas that comprise about 80 percent of the entire land. The Lao government attempted to address this issue by banning the controversial agricultural technique in the 1980s, but this move has instead resulted in spreading the destructive slash-and-burn practice, the main advantage of which is the short fallow period. This situation is driven not only by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growing population in the mountainous areas and lack of technology for paddy rice farming available to farmers, but also by external factors such as large-scale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s, expansion of industrial forestation projects, the Lao government’s policy to relocate or merge villages, and the Land and Forest Allocation program. This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forests in total contrast to the original objective, as well as reduced household income caused by the decreasing productivity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ing quality of soil.

In addition, the cultivation of cash crops are rapidly expanding in the mountainous areas of Laos as a combined result of the abovementioned policy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Vietnam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but concerns have been raised over income instability among the local residents and the food crisis possibly caused by unfavorable contracts and price volatility in the international markets.

In Cambodia on the other hand, since 90 percent of all arable land is used for rice farming, the promotion of paddy rice farming is project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and increase in national income. In reality, however, Cambodia faces a range of challenges: rice productivity is low and the milling rate stands at a mere 63 percent; and although the country has abundant water resources provided by high precipitation as well as the Mekong River and Tonle Sap Lake, the shortage and deteriora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lead to frequent floods and droughts. In addition, while triple cropping is widespread in the Red River region in Vietnam and the Mekong Delta, even double cropping is rarely practiced in Cambodia.

As the hydroponic agricultural system of Cambodia usually uses the sewage or wastewater flowing into wetlands in suburban areas, this enables the

Page 121: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Abstract ∣ 109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and cheap, large-scale output by water plants. Hydroponic vegetables are consumed on a near-daily basis by the Cambodian people, contributing to the high market demand, and therefore are known as an excellent source of income compared to other income sources in rural and urban areas. The recent increase in reclaimed wetlands driven by expanding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s raising concerns over greater water pollution and the resulting health and hygiene damages that may be caused by hydroponic agricultural products. Sewage and factory wastewater is often discharged into wetlands or artificial ponds made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out undergoing proper treatment, and water quality is deteriorating due to the use of agricultural pesticides and chemical fertilizers by farmers unaware of potential consequences, along with mining activities and subpar urban sewage management. In an effort to protect the environment of water resourc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Cambodia selects regions that supply water for public use, monitoring and managing the quality of public water each month, while the Ministry of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 collects and analyzes water samples on a monthly basi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such endeavor remains limited, largely due to the lack of a national strategy, shortage of expert manpower, and the fiscal crunch.

The reclamation of lakes to expand the urban area has resulted in the forced eviction of low-income residents and decrease in the area of land used for hydroponic cultivation, thereby posing a threat to the livelihood of farmer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urban poor.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some farmers have learned advanced hydroponic techniqu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to establish facilities for artificial hydroponic agriculture and cultivate high-quality hydroponic crops. However, such cases are extremely rare, and most ordinary farmers do not possess the necessary level of technical knowhow and cannot even make such an attempt due to the financial burden.

Against this backdrop, the main area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help sustainabl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 Laos and Cambodia in consideration of the green economy are as follows.

For the slash-and-burn agriculture in the mountainous areas in Laos, the introduction of high added-value agricultural management suitable for the

Page 122: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110∣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climate and soil of the mountainous areas is necessary in order to protect forestry resources and prevent soil deterioration caused by crop cultivation, and as a replacement for the slash-and-burn method, which is on the rise following the government ban. As part of the countermeasure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Lao government embark on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 designed to distribute technology to improve plant breeding, in order to facilitate region-rotational and eco-friendly livestock industry in accordance with national strategies. Except for the plains around the Mekong River basin, most crops in Laos are cultivated during the wet season due to the insufficient irrigation facilities. Particularly in the mountainous areas occupied for slash-and-burn farming, irrigation facilities are inadequate for the small minority share of paddy rice farming. The restructuring of irrigation will facilitate not only rice farming, but also greater stability in the cultivation of many other crop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diet and income among Lao residents. Under the current agricultural conditions in Lao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co-friendly irrigation facilities with high field adaptability that may be managed by the tightly knit local communities of Laos, instead of facilities such as pumping stations and tube wells that require large installation costs as well as significant costs and efforts for maintenance.

A primary concern for irrigation agriculture in Cambodia is improving rice productivity in rainfed paddy fields during the wet season, and it will be more desirable to enhance management efficiency than to increase the irrigation ratio by undertaking medium- or large-scale projects for water resources development that will require investments and incur environmental impacts to a significant degree. Secondly, productivity must be improved by enhancing technical efficiency from developing high-yielding seeds for example, and it is particularly imperative to develop varieties that deter the use of a large quantity of farm inputs such as chemical fertilizers and agricultural pesticides. Thirdly, instead of extending the rice-farming area to hilly areas where obtaining a supply of water resources is difficult, it is worth considering the reduction of excessive dependence on rice farming in such regions and instead discovering and distributing alternative crops for higher income generation and commercialization.

Page 123: 라오스·캄보디아의 농업 ...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88.pdf · 서 언 국제사회는 이후 녹색경제를 지속가능 발전을

Abstract ∣ 111

Due to the rapid urban development in Phnom Penh, and the resulting industrialization and the reclamation of natural wetlands, concerns have been constantly raised over the possibility of reduced areas for hydroponic cultivation, which is the main source of income for the poor strata in the suburban areas, and deteriorating water pollution, thus posing a threat to the livelihood of the poor and public health and hygiene.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the early settlement and vitalization of eco-friendly artificial hydroponic agriculture, which will enable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clean and high-quality vegetables all year round regardless of harvest conditions, as well as clean cultivation environment to reduce unfavorable conditions for labor practices. In addition, farmers must be given appropriate support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in terms of technical skills. In order to prevent water pollution,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challenges caused by urbanization, it is urgent to establish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for the treatment of sewage and wastewater, cultivation of crops in the river area, and disposal of waste, and to systemically restructure relevant policy and legislation.

The are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where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terms of agricultural experience and technology, and the area coincides with the sectors included in the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NSDP) of Laos and Cambodia. Furthermore, it is advisable for the two countries, which are designated as priority countries for official development aid (ODA) provided by Korea, to pursue systemic development and cooperation projects based on a strengthened multilateral cooperative system requiring joint participation by the private sector, government and other aid-providing institutions.

Keywords: Sustainable Development, Green Economy, Slash-and-burn Agriculture, Irrigation Agriculture, Hydroponic Agriculture